2025년 9월 15일 | ||
회 사 명 : | 주식회사 애드바이오텍 | |
대 표 이 사 : | 정 홍 걸 | |
본 점 소 재 지 : | 강원특별자치도 춘천시 동내면 거두단지1길 39 | |
(전 화) 070-4193-4006 | ||
(홈페이지)http://www.adbiotech.com | ||
작 성 책 임 자 : | (직 책) 경영관리본부장 | (성 명) 최 경 민 |
(전 화) 070-4193-4006 | ||
(임시주주총회) |
주주님의 건승과 댁내의 평안을 기원합니다.
당사는 상법 제363조와 정관 제 21 조에 의거 임시주주총회를 아래와 같이 개최 하오니 참석하여 주시기 바랍니다.
- 아 래 -
1. 일 시 : 2025년 09월 30일(화요일) 오전 9시 00분
2. 장 소 : 강원특별자치도 춘천시 동내면 거두단지1길 39 본사4층 회의실1
3. 회의 목적 사항
가. 부의안건
제 1호 의안 : 이사 선임의 건(사내이사 4명, 사외이사 2명) 제 1-1호 의안 : 사내이사(이운장) 선임의 건(신규) 제 1-2호 의안 : 사외이사(황해룡) 선임의 건(신규) 제 1-3호 의안 : 사내이사(정재용) 선임의 건(신규) 제 1-4호 의안 : 사내이사(김동현) 선임의 건(신규) 제 1-5호 의안 : 사내이사(김민식) 선임의 건(신규) 제 1-6호 의안 : 사외이사(최형남) 선임의 건(신규) 제 2호 의안 : 감사(김정한)선임의 건(신규) 제 3호 의안 : 정관 일부 변경의 건
4. 실질주주의 의결권 행사에 관한 사항
우리 회사의 이번 주주총회에서는 한국예탁결제원이 주주님들의 의결권을 행사할 수 없습니다. 따라서 주주님들께서는 한국예탁결제원에 의결권행사에 관한 의사표시를 하실 필요가 없으며, 종전과 같이 주주총회에 참석하여 의결권을 직접행사하시거나 또는 위임장에 의거 의결권을 간접행사할 수 있습니다.5. 주주총회 참석시 준비물 1) 직접행사 : 본인 신분증 2) 대리행사 : 위임장[주주와 대리인의 인적사항 기재, 인감날인, 주주인감증명서 또는 신분증 사본], 대리인의 신분증 * 위임장 양식은 (주)애드바이오텍 홈페이지(http://www.adbiotech.com) 공지사항에서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
2025년 09월 15일
주식회사 애드바이오텍
대표이사 정 홍 걸 (직인생략)
회차 | 개최일자 | 의안내용 | 사외이사 등의 성명 | ||
---|---|---|---|---|---|
김주영(출석률: 100%) | 정성욱(출석률: 100%) | 양승환(출석률: 100%) | |||
찬 반 여 부 | |||||
1 | 2025-01-10 | 유상증자(일반공모) 신주발행 정정의 건 | 찬성 | 찬성 | - |
3 | 2025-02-13 | 유상증자(일반공모) 신주발행 정정의 건 | 찬성 | 찬성 | - |
4 | 2025-02-14 | 1. 2024년 내부회계관리제도 운영실태 보고의 건 2. 제25기 결산 재무제표 승인의 건 | 찬성 | 찬성 | - |
5 | 2025-02-14 | 유상증자(일반공모) 신주발행 정정의 건 | 찬성 | 찬성 | - |
6 | 2025-03-14 | 1. 2024년 내부회계관리제도 평가 보고의 건 2. 제25기 정기주주총회 소집의 건 | 찬성 | 찬성 | - |
7 | 2025-03-25 | 1. 제6회 무기명식 무보증 사모 전환사채 일부 상환의 건 2. 취업규칙 일부 개정의 건 3. 사내규정 제정의 건 4. 스톡옵션 행사기간 유지의 건 | 찬성 | 찬성 | - |
8 | 2025-03-31 | 내부거래위원회 운영 규정 변경의 건 | 찬성 | 찬성 | - |
9 | 2025-06-05 | 제6회 무기명식 무보증 사모 전환사채 재매각의 건 | - | - | 찬성 |
10 | 2025-06-05 | 제7회 무기명식 무보증 사모 전환사채 발행의 건 | - | - | 찬성 |
11 | 2025-06-05 | 임시주주총회 소집의 건 | - | - | 찬성 |
12 | 2025-06-06 | 제3자배정 유상증자 결의의 건 | - | - | 찬성 |
13 | 2025-06-06 | 전환우선주 발행 결의의 건 | - | - | 찬성 |
14 | 2025-06-09 | 임시주주총회 소집관련 정정의 건 | - | - | 찬성 |
15 | 2025-06-10 | 제7회 무기명식 무보증 사모 전환사채 발행 정정의 건 | - | - | 찬성 |
16 | 2025-06-17 | 주식매수선택권 행사에 따른 신주발행교부의 건 | - | - | 찬성 |
17 | 2025-06-24 | 타법인 발행 주식(신주) 취득결정의 건 | - | - | 찬성 |
18 | 2025-07-03 | 제7회 무기명식 무보증 사모 전환사채 발행 정정의 건 | - | - | 찬성 |
19 | 2025-07-07 | 임시주주총회 소집관련 정정의 건 | - | - | 찬성 |
20 | 2025-07-21 | 제3자배정 유상증자 정정결의의 건 | - | - | 찬성 |
21 | 2025-07-21 | 임시주주총회 소집관련 정정의 건 | - | - | 찬성 |
22 | 2025-07-25 | 제8회 무기명식 무보증 사모 전환사채 발행의 건 | - | - | 찬성 |
23 | 2025-07-25 | 제9회 무기명식 무보증 사모 전환사채 발행의 건 | - | - | 찬성 |
24 | 2025-07-25 | 제1회 무기명식 무보증 사모 신주인수권부사채 발행의 건 | - | - | 찬성 |
25 | 2025-07-25 | 제3자배정 유상증자 정정결의의 건 | - | - | 찬성 |
26 | 2025-07-25 | 전환우선주 발행 정정결의의 건 | - | - | 찬성 |
27 | 2025-07-28 | 타법인 금전대여결정의 건 | - | - | 찬성 |
28 | 2025-08-14 | 임시주주총회 소집관련 정정의 건 | - | - | 찬성 |
29 | 2525-08-22 | 제8회 무기명식 무보증 사모 전환사채 발행 정정의 건 | - | - | 찬성 |
30 | 2525-08-22 | 제9회 무기명식 무보증 사모 전환사채 발행 정정의 건 | - | - | 찬성 |
31 | 2525-08-22 | 제1회 무기명식 무보증 사모 신주인수권부사채 발행 정정의 건 | - | - | 찬성 |
32 | 2525-08-22 | 임시주주총회 소집관련 정정의 건 | - | - | 찬성 |
33 | 2525-08-29 | 제3자배정 유상증자 정정결의의 건 | - | - | 찬성 |
34 | 2025-09-15 | 임시주주총회 소집관련 정정의 건 | - | - | 찬성 |
위원회명 | 구성원 | 활 동 내 역 | ||
---|---|---|---|---|
개최일자 | 의안내용 | 가결여부 | ||
내부거래위원회 | 김주영 사외이사 정성욱 사외이사 최경민 사내이사 | 2025-03-31 | 내부거래위원회 위원 변경의 건 | 가결 |
투자심의위원회 | 김주영 사외이사 정성욱 사외이사 최경민 사내이사 | 2025-03-31 | 투자심의위원회 위원 변경의 건 | 가결 |
투자심의위원회 | 양승환 사외이사 정은정 사내이사 박수현 사내이사 | 2025-06-24 | 타법인 발행 주식(신주) 취득결정 승인의 건 | 가결 |
(단위 : 백만원) |
구 분 | 인원수 | 주총승인금액 | 지급총액 | 1인당 평균 지급액 | 비 고 |
---|---|---|---|---|---|
사외이사 | 3 | 300 | 13.5 | 4.5 | - |
* 상기 주총승인금액은 사내이사를 포함한 등기이사 전체에 대한 승인금액입니다.* 상기 지급총액 및 1인당 평균 지급액은 2025.01.01 부터 2025.09.15 까지 전체 사외이사에게 지급 된 보수의 총 금액입니다.* 상기 1인당 평균 지급액은 지급총액을 구성 인원수로 나눈 금액입니다.
(단위 : 억원) |
거래종류 | 거래상대방(회사와의 관계) | 거래기간 | 거래금액 | 비율(%) |
---|---|---|---|---|
- | - | - | - | - |
(단위 : 억원) |
거래상대방(회사와의 관계) | 거래종류 | 거래기간 | 거래금액 | 비율(%) |
---|---|---|---|---|
- | - | - | - | - |
(1) 동물용의약품 산업의 개요
동물용의약품(Veterinary drug)은 동물의 질병치료 및 예방에 사용하는 약품을 의미합니다. ‘동물용의약품 등 취급규칙’에서는 동물용으로만 사용함을 목적으로 하는 의약품을 말하며, 양봉용, 양잠용, 수산용 및 애완용(관상어 포함) 의약품을 포함한다고 정의하고 있습니다.
동물용 의약품은 계열별로 항생제, 항콕시듐제, 항원충제, 신경계작용약, 합성항균제, 성장촉진 호르몬제, 구충제로 분류됩니다. 사용목적에 따른 분류로는 생산성 향상약, 질병예방약, 질병방제약, 질병치료약, 방역약 등이 있습니다.
[동물용 의약품의 사용목적에 따른 분류]
분류 | 사용목적 | 동물약품 |
생산성 향상약 | 가축, 가금 등의 경제적 생산성 향상 | 젖소의 유량저하 방지용 요도카세인, 유량 증산용 BST등 |
질병예방약 | 감염증 발생예방 | 백신 등 |
질병방제약 | 집단 사육, 양식에서의 질병예방 및 치료 | 사료첨가제, 음용수첨가제 등 |
질병치료약 | 질병에 걸린 동물의 개체별 치료 | 주사제, 경구제 등 |
방역약 | 감염증 예방 목적의 동물 사육장, 방목장, 어장에 사용 | 소독제, 연무제 등 |
자료 : 식품의약품안전청
(2) 동물용의약품 산업의 특성
동물용의약품 산업은 인구 증가에 따른 육류 소비의 증가, 개발도상국 등 이머징마켓의 확대, 반려동물 의약품 및 수산용 의약품 등 제품 카테고리의 확장에 의해 지속적으로 성장이 전망되는 유망산업입니다. 또한, 외부요인에 의하여 영향을 많이 받는 산업이기도 합니다.
① 지속적인 성장이 전망되는 유망한 산업 : 2019 유엔 경제사회국 분석에 따르면 2100년 세계 인구는 109억명이 될 것으로 예측하고 있습니다. 늘어나는 인구와 함께, 전 세계적으로 지속적인 도시화가 진행되고 있고, GDP도 높아지고 있습니다. 따라서 인구증가가 집중되는 아프리카와 아시아의 개발도상국의 식습관이 서구식으로 변화할 것으로 예상되어 육류의 수요는 향후 10여년 간 지속적으로 성장할 것으로 예측되고 있습니다. 즉, 세계 인구증가에 따른 단백질 공급원에 대한 수요가 증가하고, 이에 수반되는 동물용의약품 시장의 동반 성장이 예상됩니다.
② 이머징마켓의 확대가 기대되는 산업 : 동물용의약품 시장이 주요선진국을 중심으로 활성화되어 있음에도 불구하고, 최근 이머징마켓의 신흥개발도상국들이 적극적으로 현대축산을 받아들임에 따라 동남아시아를 중심으로 점차 시장이 빠르게 성장하고 있습니다. 글로벌 시장 조사업체인 Grand View Research에 따르면 세계 동물용의약품 시장은 2019년 471억 달러에서 연평균 5.8%성장하여 2024년 624억 달러의 규모를 형성할 것으로 전망하고 있습니다. ③ 제품 카테고리 확장이 기대되는 산업(반려동물, 수산용) : 동물용의약품 시장에서 새로운 수익 성장을 위한 기회로 반려동물 그리고 수산 양식업이 부상하고 있습니다. FAO의 2020 세계 수산양식보고서(SOFIA, The State of World Fisheries and Aquaculture)에 따르면 수산 양식업은 2019년 기준 세계 양식업 시장 규모는 1950억 달러(약 230조)고 총 양식어업 생산량은 2016년 7650만 톤에서 2018년 8210만 톤으로 매년 늘고 있는 추세입니다. 2021 미래에셋증권 리서치센터에 따르면 반려동물 관리 시장의 규모는 2020년 2,320억 달러(약 270조)를 초과했으며 2021년에서 2027년 사이에 연평균성장률은 6.1% 이상으로 확장될 것으로 예상합니다. 1인 가구, 노령인구 및 중산층의 증가는 반려동물 시장의 확대로 이어졌고 관련한 연구투자와 신약 발매도 점차 활발해지고 있어, 전 세계적으로 동물용의약품 산업은 향후 성장 가능성이 아주 큰 것으로 평가되고 있습니다.
④ 외부요인에 의하여 영향을 받는 산업(경기변동, 환경, 정책) : 경기변동에 따른 소득변화는 식생활에 영향을 주고, 이는 육류 소비의 변화를 가져와 축산업에 영향을 줄 수 있습니다. 이는 결국 동물용의약품 산업에 영향을 미치기 때문에 상관관계가 매우 높은 편입니다. 또한, 구제역, 조류독감과 같은 질병, 특히, 국가 간 교역의 활성화와 그에 따라 증가하는 해외 여행객 등으로 인하여 국가 간 동물 관련 질병의 확산 통제는 점점 어려워지고 있으며, 기후 변화로 인해 기생충성 전염병의 유행지역도 확대가 예상되고 있습니다. 이 또한, 동물용의약품 산업에 영향을 미치기 때문에 환경적 요인도 상관관계가 높은 편입니다. 마지막으로 전 세계적으로 항생제 내성 문제가 사회문제로 대두되어 동물용의약품(식용동물)에 대한 규제가 강화되고, 축산물 안전에 대한 소비자의 관심이 늘어나면서, 최근 항생제 사용규제가 증가하고 있습니다. 그 결과, 유럽에서는 최근 성장촉진용 항생제 사용이 금지되었습니다. 지난 10년간 계속해서 늘어나고 있는 항생제 내성과 관련한 법률과 항생제 개발에 대한 제한 등으로 인하여 일부 약품 시장의 축소 및 손실은 불가피한 상황이지만 항생제 사용이나 항생제 시장 자체가 사라지지는 않을 것으로 전망하고 있습니다. 왜냐하면, 국가방역과 질병예방의 최우선 정책으로 백신과 소독제의 사용은 늘어날 것으로 예상되며, 항생제 사용 감축에 대한 지속적인 논의가 있지만, 내성이 없는 항체치료제 등을 개발하는 등 전체적인 동물약품 내수시장 규모는 꾸준한 성장이 가능할 것으로 보이기 때문입니다.
(3) 동물용의약품 산업의 현황 및 전망
(가) 세계 동물용의약품 시장
시장 조사기관인 Precedence Research에 따르면 글로벌 동물용 의약품 시장은 축산업 및 농장동물 의약품 수요 증가와 전염병 및 질병관리 필요성의 증가 등에 기인하여 시장 규모는 2023년 491억 1천만달러에서 2034년 1,080억 3천만달러로 연평균 성장률 8.2%의 높은 성장세를 보일 것으로 전망하고 있습니다.
[글로벌 동물용의약품 시장 전망] |
(단위 : 십억 달러) |
자료 : Precedence research, "Veterinary Medicine Market Size and Forecast 2024 to 2034" |
글로벌 동물용의약품 시장이 위와 같이 높은 성장세를 기록하면서 증가하는 주요 이유는 먼저 앞서 언급한 바와 같이 축산업 및 농장동물 의약품 수요가 증가하고 있기 때문입니다. 소비자들은 이제 단순히 풍족하게 축산물을 소비 할 수 있는 것을 넘어서서, 식중독 예방 등 안전한 축산물 소비에 대한 관심을 높이고 있고 이로 인해 안전한 축산물에 대한 선호를 높이고 있습니다. 이에 따라, 축산농가에서는 농장동물의 질병 예방과 동물복지 증진을 위한 동물용의약품 사용이 증가하고 있고, 동물용의약품 시장 성장을 견인하고 있습니다. 또한, 항생제 사용권고 규제가 전반적으로 강화됨에 따라 축산동물에 대한 치료제에 더하여 백신 중심의 질병예방에도 높은 관심이 모이고 있습니다. 이를 통해 축산농가들은 질병이 없는 건강한 축산동물을 사육하여 사육하는 동물의 품질을 고급화하고자 노력하는 중입니다. 이에 따라 축산동물에게 발생하는 전염병 예방 및 백신 개발 수요가 축산농가를 중심으로 증가할 전망이며, 글로벌 동물용의약품 시장이 향후에도 지속적으로 상승할 것으로 예상하고 있습니다. 덧붙여, 조류 인플루엔자(AI), 돼지열병(ASF)등 가축전염병의 빈번한 발생으로 인해 새로운 동물용 의약품 개발에 대한 니즈가 높아졌으며 사람과 동물이 공유하는 질병인 인수공통감염병(Zoonosis) 예방를 위해 동물용 백신 및 치료제 수요가 증가하고 있습니다. 이러한 요인들은 모두 글로벌 동물용 의약품 성장을 자극하는 요인입니다.
(나) 국내 동물용의약품 시장
당사가 영위하고 있는 동물용의약품 산업을 국내로 한정지을 경우 국내 동물용의약품 시장 규모는 2016년 전체 규모 9,734억원에서 2023년 1조 3,021억원으로 연평균 4.2%의 견조한 성장세를 보여왔습니다. 이를 내수와 수출로 분류해보면, 먼저 내수규모는 2016년 6,989억원에서 2023년 9,638억원으로 연평균성장률 4.7%를 기록하여 다소 높은 성장세를 보였습니다. 수출액은 2016년 2,745억원에서 2023년 3,383억원으로 연평균 3.0%를 기록하는 등 내수대비 연평균 성장률은 낮지만 꾸준한 성장세를 보였습니다. 또한, 전체 시장규모 대비 내수의 비중은 2016년 기준 내수비중 71.8%를 기록한 이후로 2022년 66.8%를 기록하면서 전반적으로 내수비중이 감소하는 양상을 보였습니다. 다만, 이후 2023년에 국내 동물용의약품 시장에서 내수 비중이 74.0%로 전년동기 대비 7.2%p 증가하여 다소 큰 폭으로 증가하였습니다.
[국내 동물용의약품 시장 규모] |
(단위 : 억원) |
동물용의약품 | 2016 | 2017 | 2018 | 2019 | 2020 | 2021 | 2022 | 2023 | 연평균 성장률 | |
---|---|---|---|---|---|---|---|---|---|---|
내수 | 국내생산 | 4,264 | 4,175 | 4,647 | 4,832 | 4,911 | 5,177 | 5,528 | 5,500 | 3.7% |
수입완제 | 2,725 | 3,176 | 3,407 | 3,709 | 3,838 | 4,052 | 4,029 | 4,138 | 6.1% | |
내수시장규모 (A) | 6,989 | 7,351 | 8,054 | 8,541 | 8,749 | 9,229 | 9,557 | 9,638 | 4.7% | |
수 출 | 2,745 | 3,064 | 3,197 | 3,499 | 3,499 | 4,252 | 4,752 | 3,383 | 3.0% | |
동물용의약품 합계 (B) | 9,734 | 10,415 | 11,251 | 12,040 | 12,248 | 13,481 | 14,309 | 13,021 | 4.2% | |
내수시장 비중 (A / B) | 71.8% | 70.6% | 71.6% | 70.9% | 71.4% | 68.5% | 66.8% | 74.0% | - |
자료 : 농림축산식품부 |
내수시장과 수출규모에서 동물용의약품의 규모가 꾸준히 상승한 이유는 글로벌 동물용의약품 시장의 성장 요인과 유사하게 축산동물에 대한 전염병 및 질병관리의 필요성이 대두되었고 안전한 축산물에 대한 소비자 욕구 상승에 따라 동물용 의약품 수요 역시 증가했기 때문입니다. 이에 더하여 국내의 경우 정부가 동물용 의약품 산업 발전을 위해 R&D 투자를 장려함과 동시에 규제 완화를 추진하고 있으며 K-Food 수출 확대 정책 등을 통해 산업 경쟁력을 높이고 있기 때문입니다. 마지막으로, 국내 동물병원, 약국 등 유통채널이 점차 증가함에 따라 동물용의약품에 대한 접근성이 개선되었고 이 역시 동물용의약품 시장확대에 기여하고 있습니다.
(4) 수산용 의약품(사료첨가제) 및 보조사료 산업 수산양식 산업은 현재 전 세계적으로 약 1,700억 달러의 가치를 지닌 부가가치가 매우 높은 유망 산업입니다. 해양수산부에 의하면 2011년 기준 수산용 의약품은 동물의약품의 0.02%만을 차지하고 있다고 합니다. 수산 양식시장은 꾸준한 소비량 증가로 잠재 성장 가능성이 유망하다고 할 수 있습니다. 2050년까지 세계 주요 단백질 제공원은 양식어류가 될 것으로 전망되면서 수산양식은 동물용 의약품 부문에서 급성장하는 새로운 사업기회로 여기지고 있습니다. 2013년 미국 워싱턴의 지구정책연구소는 수산양식을 통한 세계 동물성 단백질 생산은 쇠고기를 통한 단백질 생산 규모를 추월했으며, 그 격차는 점점 커지고 있다고 밝힌바 있습니다. 또한, 수산양식은 어류 단백질원의 주요 공급원이었던 전통적인 조업방식을 추월하고 있습니다. 양식어류가 2050년까지 세계 주요 단백질 공급원이 될 것이라는 전망 속에, 수산양식 산업은 매년 7% 내외, 어류백신 시장은 매년 10%로 성장하고 있어, 수산양식 산업이 세계 동물용의약품 시장에 새로운 기회를 제공하고 있습니다. 수산양식 산업은 전체 동물용의약품 산업에서 약 4~5%의 비중을 차지하고 있지만, 향후 성장가능성은 매우 무궁무진합니다. 특히, 수산양식에서 새롭게 출몰하는 질병은 동물용의약품 기업에게 큰 사업기회를 제공하고 있습니다. 수산양식 산업에서 동물용의약품 개발의 주요 시장은 새우 등과 관련이 깊습니다. 어류질병을 위한 효율적인 백신이 존재한다 할지라도 특정 종을 대상으로 한 맞춤형 백신의 개발이 필요합니다. 현재 어류 백신은 세균성 질병에는 매우 성공적이었으나, 바이러스성 질병에 대한 대응은 부족한 상황입니다. 그동안 수산양식 산업은 항생제의 과다 사용으로 인해 환경오염산업으로 인식되었습니다. 그러나 세계적으로 확산된 백신의 사용으로 수산양식에서 항생제 과다 사용은 급격하게 줄어들고 있고 있습니다. 또한 친환경대부분 쉬운 백신들은 개발이 되었지만, 어려운 병원체에 대항하기 위한 백신은 개발되지 않았으며, 혁신적인 새로운 기술이 필요한 상황입니다. 이를 통해 양식 사업의 지속적인 발전을 가로막는 상당한 제약들을 제거할 수 있을 것입니다. 아직까지 개발이 안 되고 있는 어류 질병 병원균은 바이러스, 성장이 늦은 세균, 기생충, 곰팡이 균 등 입니다. Marketsandmarkets, Aquafeed Market Global에 따르면 전 세계 수산사료의 시장은 2023년 618억달러에서 연평균 성장률 7.3%로 증가하여, 2028년에는 880억달러에 이를 것으로 전망됩니다.
[글로벌 수산사료 시장 규모 및 전망]
자료 : Marketsandmarkets, Aquafeed Market Global , 2023
(5) 반려동물 의약품 산업
반려동물 산업은 1인 가구와 노령 인구 증가 등에 따라 반려동물을 키우는 인구수가 증가하여 해당 산업 규모도 확대될 것으로 전망됩니다. 전 세계적으로 반려동물에 대한 지출이 계속 늘어나고 있으며, 반려동물을 위한 건강관리는 아토피성피부염, 체중감량, 알레르기, 백신 등에 대한 치료 포트폴리오로 확장되는 등 치료 분야가 더욱 다양해질 것으로 전망됩니다. 일반적으로 인체의료분야 보다 뒤처져 있던 동물의료분야에서 혁신적인 기술과 아이디어를 보유한 스타트업 기업들이 신 시장 개척을 위한 다양한 기술과 아이디어를 상용화하여 점점 그 격차가 줄어들고 있으며, 반려동물 의약품 산업의 지속 발전을 위한 원동력이 되고 있습니다. 또한, 반려동물 의약품은 정기적인 처방이 필요합니다. 예를 들면, 구충제는 3개월에 1회, 심장사상충 예방약은 1개월에 1회 처방합니다. 게다가 가격도 상대적으로 높은 편이기 때문에 꾸준한 수요와 높은 부가가치를 함께 기대할 수 있습니다.
출처: 한국농촌경제연구원 2018년 기준 한국농촌경제연구원은 2017년 2조 3,322억원에서 2027년 6조원 이상으로 성장할 것이라고 전망했습니다. 국내에서도 반려동물에 대한 인식이 향상되면서 반려동물의 건강에 대한 관심과 노령견 진료, 암치료 등 다양한 진료 및 식품으로 시장규모 늘어날 것으로 예상됩니다. 미국 시장조사기관 Grobal Market Insights에 의하면 전 세계적으로 2020년 기준 반려동물약품은 전체 반려동물 시장의 약 40%(약 110조원)를 차지합니다. 선진국으로 갈수록 반려동물 의약품 시장의 비중이 높아지는 경향을 보이는데, 국내의 경우 한국약품협의회에 따르면 2018년 기준 반려동물 의약품은 전체 동물약품시장의 약 20% 수준(1,600억원)이며, 이는 세계 평균에 크게 못 미치는 상황입니다. 또한, 국내 반려동물 의약품은 대부분 수입의약품에 의존하고 있습니다. 따라서 국내 반려동물 의약품 시장은 성장잠재력이 매우 큰 시장이라고 판단됩니다. (6) 경쟁상황 (가) 축산 동물용의약품 경쟁상황현재 세계 동물용의약품 시장은 글로벌 제약사들이 장악하고 있습니다. 매출기준 세계 톱5는 조에티스, 베링거 인겔하임 동물건강, 머크 동물건강, 엘란코 동물건강, 세바산테 동물건강입니다. 지난해 매출 7조7000억원을 기록하면서 이 분야 세계 매출 1위 업체 위상을 굳힌 조에티스는 2013년 독자회사로 분리될 때까지 화이자의 동물약품을 전문으로 하는 계열사였습니다.
[글로벌 동물약품시장 매출 현황] (단위: 십억원)
자료: 각 사 홈페이지국내동물약품업체는 약 1조원이 조금 넘는 수준의 시장에 약 800개소(제조사 약 400개소, 수입 약 400개소)가 존재하면서 치열한 경쟁을 펼치고 있습니다. 성숙기에 진입한 국내 동물용 의약품 시장은 동사뿐만 아니라 경쟁업체인 이글벳, 제일바이오, 진바이오텍 등 동종업계에 고민을 안겨주고 있습니다. 기본적인 동물약품 경쟁사의 구도는 새로운 원천 기술을 바탕으로 제품을 생산하는 것이 아닌 외국 또는 국내에서 원료 조달 후 비슷한 원료를 가지고 배합, 제품화하여 판매하고 품질관리에 힘을 기울이는 시스템이었습니다. 그러므로 추가적인 성장을 위해서는 새로운 기술이나 신사업 확장(반려동물, 건강보조사업, 수산용 의약품 및 보조사료 사업 등), 해외 수출을 위한 인증 획득 등 다각도로 추가성장을 위한 노력을 하고 있습니다. 정부에서도 동물용의약품 시장의 선진화, 해외시장 진출 활성화에 힘쓰고 있습니다. 2013년부터 시행중인 “동물용 의약품 산업 종합지원 사업”을 통해 제조시설 신축 및 개축, 수출업체 운영자금지원, 해외수출 시장 개척 등 실질적인 지원 대책을 추진 중에 있습니다. 2016년에는 동물용 의약품 산업의 수출산업화를 통한 성장동력과 일자리 창출을 위해 “수출주도형 동물용 의약품 산업 발전 대책”을 수립하여 추진 중에 있습니다. 구체적으로 2020년 까지 국내 생산규모 1조원, 수출 5억불, 수출비중 54%를 목표로 설정하고, 동물용 의약품 관리제도 선진화, 산업육성 인프라지원, 해외시장 진출 활성화와 전략적 R&D 지원 등을 중점적으로 추진하고 있습니다.
국내 동물의약품 시장에서 주요 기업으로는 이글벳, 제일바이오, 진바이오텍, 씨티씨바이오가 있습니다.
① 이글벳
약 50년 업력의 동물용의약품 전문제조기업이며, 양돈, 양계, 축우제품 및 반려동물 용품 판매를 하고 있습니다. EU-GMP인증으로 해외매출을 확대하려고 있고 반려동물용품 사업부의 지속적인 성장에 있습니다.
② 제일바이오
약 50년 업력의 동물용의약품 전문제조기업이며, 양돈, 양계, 양어, 축우 제품을 주로 판매하고 있습니다. 발효원료로서 동물용의약품과, 단미사료, 식품첨가물을 제조하고 있습니다.
③ 진바이오텍
약 50년 업력의 유익미생물을 이용한 동물용 의약품, 기능성 사료첨가제 전문제조기업이며, 친환경적인 생명공학 기법을 이용하여 동물자원, 농업, 식품, 의약 등의 분야에서 널리 유용하게 쓰일 수 있는 생물자원을 연구, 개발, 생산하는 발효전문기업입니다.
④ 씨티씨바이오
약 30년 업력의 동물약품, 인체약품, 사료첨가제 및 단미보조사료, 건강기능성식품 전문기업이며, 미생물 발효기술, 약물코팅기술, 약물전달기술(DDS)등 다양한 핵심기술을 보유하고 있으며, BASF, 화이자, NOVUS 등 여러 다국적 기업과 업무제휴를 통한 사업확대 및 LG생명과학 동물약품 사업을 인수하는 등 글로벌기업으로 성장하고 있습니다.
(나) 수산 동물용의약품 경쟁상황
전 세계 수산 사료 시장에서 주요 기업으로는 ADDCON, Alltech, BioMar Group, Cargill 등이 있습니다.
① ADDCON
독일의 비터 펠트에 본사를 두고 있고, 노르웨이 포르 스쿨 런(Porsgrunn)에 공장을 설립하였으며 발효제, 베이킹 보존제, 사일리지 첨가제, 방부제 및 사료첨가제와 같은 식품 용도의 제빵 보조제와 같은 친환경 화학을 전문으로 합니다. 양식업 및 수산업에 사용되는 성장촉진제, 산성화제, 생선 사일리지, 어패류 보존 첨가제등을 공급하고 있습니다. 구분 주요 제품으로는 사료품목 중 Silage additives, Preservatives, Feed additives, Aquaculture를 생산하고 있습니다.
② Alltech
Alltech는 식품 및 사료 산업을 위한 천연 보충제를 개발 및 판매하는 기업으로, 동물 영양 및 건강, 작물 과학, 음식과 음료 사업을 진행하고 있습니다. 양식업 및 양돈, 양계등 동물의 건강 관련해서는 효모 배양 물과 추출물, 효소, 유기 미네랄, 생물학적 활성 단백질, 향료 및 천연 사료 보충제 및 영양 용액으로 작용하는 미생물제를 판매하고 있습니다.
③ BioMar Group
BioMar Group은 덴마크에 본사를 두고 있고 친환경 및 과학적인 생산을 목표로 노르웨이, 영국 및 칠레의 연어와 송어종, 새우등 양식업에 필요한 사료 및 건강식 기여 제품을 판매하고 있습니다.
④ Cargill
세계 최대의 수족관 사료 공급업체 중 하나이고 70개국에 약155,000명의 직원을 보유한 세계 최대의 수산물 공급 업체 중 하나이며, 식품 원료 및 바이오, 동물 영양, 제약등의 사업을 하고 있습니다. 연어, 새우등의 양식업 사료제품을 생산하고 있습니다.
(1) 영업개황 및 사업부문의 구분
(가) 영업개황
당사가 개발하는 주요 파이프라인은 다음과 같습니다.- IgY면역난황항체계란을 원료로 하여 높은 안정성을 가지며, 이종항체 기술을 통해 높은 항체역가를 가진 면역항체입니다.- VHH(나노바디)항체구조가 단순하여 조직 침투성이 강하고 구조적 안정성이 높으며 정제와 대량생산이 용이한 차세대 면역항체입니다. 양돈 PRRS VHH 항체와 새우 EMS & WSSV VHH 항체로 연구개발 하고 있습니다.- H5 특이 항체 (ScFv) 고·저 병원성 AI 바이러스 변이 대응이 가능한 특이 항체입니다. 특이 항체 작용기전으로 변이가 심한 AI 바이러스에 효과적으로 대응이 가능하며, 다양한 제형 적용으로 효과적인 바이러스 저감화 기여 가능한 항체입니다.- 꿀벌 낭충봉아 부패병 (SBV) 항체꿀벌 낭충봉아부패병의 병인체인 Sacbrood 바이러스와 결합력이 우수한 scFv 항체를 개발하 바이러스 외막에 결합해 바이러스를 중화시켜 꿀벌 유충에 대한 감염을 차단하고 치료하는 중화 항체입니다.- 미생물제 (BA01)강력한 항균, 항진균 효능을 가진 미생물제 기술로 다양한 자체 균주를 확보하고 있습니다. 음실물처리기용 미생물제, 닭 살모넬라 예방용 미생물제 등 다양한 분야에 적용가능한 기술입니다.
(나) 공시대상 사업부문의 구분
당사의 사업부분은 한국표준사업분류표상 동물약품제조업(D21230) 단일 사업 부문으로 구분됩니다
(2) 시장점유율
현재 국내의 동물용의약품 업계는 완제품 제조업체를 비롯하여 완제품 수입업체, 원재료 제조업체 등 약 1,098개 업체로 구성되어있습니다. 이 중 연 매출액이 100억원을 넘는 업체 수는 많지 않습니다. 2022년 동물약품의 시장규모는 약 1조 4천억원으로 추산되고 있으며, 2012년부터는 동물약품협회에서 VPDP 자료가 제공되지 않아, 각 회사별 점유율은 산출할 수 없는 상황입니다.
(3) 시장의 특성
국내에 동사와 같은 면역항체기술을 기반으로 한 동물의약품 전문회사는 비상장 1개회사가 있으며, 매출은 미미합니다. 대부분의 동물의약품 회사는 원천기술이 없이 해외에서 동물용의약품원료를 수입하여 부형제와 배합하여 매출하는 형태로 품질관리는 되나 R&D가 부족하여 향후 미래 매출을 위한 대비는 낮은 실정입니다. 현재 몇 개의 회사들이 인체의약품 및 건강기능식품을 등의 사업을 영위하고 있으나 낮은 실적을 보이고 있습니다.
업 체 | 설 립 |
기업가치 (2024.03.12 현재) |
매출액 (2022년) |
영업이익 (2022년) |
주요 제품 |
씨티씨바이오 | 1996.01 | 2,174억 | 1,652억 | 117억 | 동물용의약품 외 |
진바이오텍 | 2000.03 | 350억 | 828억 | 17억 | 동물용의약품 외 |
이글벳 | 1970.10 | 649억 | 435억 | 36억 | 동물용의약품 외 |
전진바이오팜 | 2004.09 | 583억 | 78억 | -32억 | 방충방향제 및 유해동물피해감소제 |
(나) 해외 경쟁/유사업체
회사명 | 국 가 | 주요제품 | 보유특허 |
EW Nutrition (GHEN Corporation) |
독일(일본) |
동물용IgY/사료 및 식품 첨가물 항체검사, 미생물학적검사 양계 소프트웨어 |
77 |
IgY Life Sciences | 캐나다 | 인체용IgY/비특이 IgY 함유 건강보충제 | - |
IgY Nutrition | 미국 | 인체용 IgY/특이 IgY 함유 건강보충제 | - |
Trouw Nutrition | 미국 | 동물용 IgY/사료첨가제 | - |
Camas Inc | 미국 | 동물용/사료첨가제 | 10 |
Taiyo Kagaku Co,.Ltd | 일본 | 인체용 IgY/건강기능식품소재, 계란가공품 등 | 7 |
Wisconsin Alumini Re-search Foundation | 미국 | 기술이전 등 | 7 |
Michael Foods,Inc. | 미국 | 계란가공품, 소스 , 드레싱 및 베이커리 | 7 |
(4) 신규사업 등의 내용 및 전망
당사가 자체적으로 조사한 바에 따르면 현재 개고기 식용 금지법에 따라 대체재로 흑염소가 보양음식으로 각광받고 있는 것으로 확인됩니다. 흑염소는 소와 동일하게 태어나자마자 설사에 대한 문제로 폐사율이 높으며 국내에 상용화된 흑염소 전용 질병 예방제 및 치료제는 당사의 아이지고오트가 유일한 것으로 확인됩니다. 흑염소용 제품 매출을 확대함으로써 신규 수익을 얻을 수 있을 것으로 전망하고 있습니다.
(5) 조직도
가. 후보자의 성명ㆍ생년월일ㆍ추천인ㆍ최대주주와의 관계ㆍ사외이사후보자 등 여부
후보자성명 | 생년월일 | 사외이사후보자여부 |
감사위원회 위원인 이사 분리선출 여부 |
최대주주와의 관계 | 추천인 |
---|---|---|---|---|---|
이운장 | 1969.09.20 | 사내이사 | 해당없음 | 해당없음 | 이사회 |
황해룡 | 1955.03.15 | 사외이사 | 해당없음 | 해당없음 | 이사회 |
정재용 | 1975.09.25 | 사내이사 | 해당없음 | 해당없음 | 이사회 |
김동현 | 1977.04.25 | 사내이사 | 해당없음 | 해당없음 | 이사회 |
김민식 | 1985.04.08 | 사내이사 | 해당없음 | 해당없음 | 이사회 |
최형남 | 1969.07.14 | 사외이사 | 해당없음 | 해당없음 | 이사회 |
총 ( 6 ) 명 |
나. 후보자의 주된직업ㆍ세부경력ㆍ해당법인과의 최근3년간 거래내역
후보자성명 | 주된직업 | 세부경력 | 해당법인과의최근3년간 거래내역 | |
---|---|---|---|---|
기간 | 내용 | |||
이운장 | 現 (주)오리온이엔씨 대표이사 | '01~'05'06~'06'12~현재 | 서울대 원자핵공학 박사독일 원자력연구원한국 원자력연구원(주)오리온이엔씨 대표이사 | - |
황해룡 | 現 아이에스엠알(주) 대표이사 | '83~'87'09~'13'21~현재 | 미국 Purdue 대학교 원자력 박사한국전력기술(주) 원자로설계개발처 처장아이에스엠알(주) 대표이사 | - |
정재용 | 現 씨와이인베스트먼트 상무 | '07~'08'08~'11'11~'19'19~현재 | 한불종금 투신운용본부메리츠자산운용 투자운용본부LS증권 투자운용본부씨와이이벤스트먼트 상무 | - |
김동현 | 前 제이앤제이 이사 | '10~'15'16~'22'22~'25 | 3S System pty. LTD 대표이사사단법인 PNS 경영컨설턴트제이앤제이 이사 | - |
김민식 | 現 (주)더바이오메드 부장 | '11~'23'23~'24'25~현재 | (주)한국테크놀로지 감사실 차장(주)엠에프엠코리아 기획조정실 부장(주)더바이오메드 경영전략팀 부장 | - |
최형남 | - | '13~'14'15~'16'17~'24 | 중국 금약그룹 한국사무소인천국제성모병원엔케이맥스 영업부전무 | - |
다. 후보자의 체납사실 여부ㆍ부실기업 경영진 여부ㆍ법령상 결격 사유 유무
후보자성명 | 체납사실 여부 | 부실기업 경영진 여부 | 법령상 결격 사유 유무 |
---|---|---|---|
이운장 | 해당없음 | 해당없음 | 해당없음 |
황해룡 | 해당없음 | 해당없음 | 해당없음 |
정재용 | 해당없음 | 해당없음 | 해당없음 |
김동현 | 해당없음 | 해당없음 | 해당없음 |
김민식 | 해당없음 | 해당없음 | 해당없음 |
최형남 | 해당없음 | 해당없음 | 해당없음 |
라. 후보자의 직무수행계획(사외이사 선임의 경우에 한함)
[후보자 황해룡]다양한 원자력 업계경험을 통한 전문성으로 독립적이고 책임감있는 의사결정을 통해 이사회의 투명성을 높이는데 기여하겠으며, 본인의 지식과 경험을 바탕으로 사업에 대해 조언하고 경영을 감독함과 동시에 사회적인 책임을 다하고 주주의 가치제고에 소임을 다하겠습니다. 또한, 현안과 관련된 자료를 면밀히 검토하고 이사회 활동에 충분한 시간과 노력을 투입하는 등 이사의 책임과 의무를 충실히 수행하겠습니다.[후보자 최형남] 다양한 업계경험으로 독립적이고 책임감있는 의사결정을 통해 이사회의 투명성을 높이는데 기여하겠으며, 본인의 지식과 경험을 바탕으로 사업에 대해 조언하고 경영을 감독함과 동시에 사회적인 책임을 다하고 주주의 가치제고에 소임을 다하겠습니다. 또한, 현안과 관련된 자료를 면밀히 검토하고 이사회 활동에 충분한 시간과 노력을 투입하는 등 이사의 책임과 의무를 충실히 수행하겠습니다. |
마. 후보자에 대한 이사회의 추천 사유
풍부한 경험과 전문성을 겸비하였으며, 이를 바탕으로 회사의 장기적 성장과 발전에 큰 역할을 할것으로 기대되는 바, 적임자로 판단되어 추천하였습니다. |
※ 기타 참고사항
해당사항 없습니다.
<감사후보자가 예정되어 있는 경우>
가. 후보자의 성명ㆍ생년월일ㆍ추천인ㆍ최대주주와의 관계
후보자성명 | 생년월일 | 최대주주와의 관계 | 추천인 |
---|---|---|---|
김정한 | 1970.02.22 | 해당없음 | 이사회 |
총 ( 1 ) 명 |
나. 후보자의 주된직업ㆍ세부경력ㆍ해당법인과의 최근3년간 거래내역
후보자성명 | 주된직업 | 세부경력 | 해당법인과의최근3년간 거래내역 | |
---|---|---|---|---|
기간 | 내용 | |||
김정한 | 現 (주)휴먼힐스컴퍼니 경영 자문위원 | '14~'19'22~'23'23~현재 | 한국거래소 코스닥 시장본부 코스닥 공시2팀장(주)스카이플레이 전무이사(주)휴먼힐스컴퍼니 경영 자문위원 | - |
다. 후보자의 체납사실 여부ㆍ부실기업 경영진 여부ㆍ법령상 결격 사유 유무
후보자성명 | 체납사실 여부 | 부실기업 경영진 여부 | 법령상 결격 사유 유무 |
---|---|---|---|
김정한 | 해당없음 | 해당없음 | 해당없음 |
라. 후보자에 대한 이사회의 추천 사유
풍부한 경험과 전문성을 겸비하였으며, 이를 바탕으로 회사의 장기적 성장과 발전에 큰 역할을 할것으로 기대되는 바, 적임자로 판단되어 추천하였습니다. |
※ 기타 참고사항
해당사항 없습니다.
가. 집중투표 배제를 위한 정관의 변경 또는 그 배제된 정관의 변경
변경전 내용 | 변경후 내용 | 변경의 목적 |
---|---|---|
- | - | - |
나. 그 외의 정관변경에 관한 건
변경전 내용 | 변경후 내용 | 변경의 목적 |
---|---|---|
제1조 (상호) 회사는 “주식회사 애드바이오텍”이라 한다. 영문으로는 “ADBIOTECH Co.,Ltd.”(약호 ADBIOTECH)라 표기한다. |
제1조 (상호) 회사는 “주식회사 오리온아토믹스”라 한다. 영문으로는 “ORIONATOMICS Co.,Ltd.”(약호 ORIONATOMICS)라 표기한다. |
- 사명 변경 |
제2조 (목적) 회사는 다음의 사업을 영위함을 목적으로 한다. 1. 사료 제조, 판매 및 중개업 2. 농,수, 축산물 판매 및 중개업 3. 동물약품 제조, 판매 및 중개업 4. 식품, 식품첨가제 제조, 판매 및 중개업 5. 화공약품, 화학제품 판매 및 중개업 6. 농업기자재 판매 및 중개업 7. 수출입업 및 대행업 8. 화장품 판매 및 중개업 9. 축산, 축산물가공, 식품위생 관련 컨설팅업 10. 건강기능식품 제조, 판매 및 중개업 11. 의약품 제조, 판매 및 중개업 12. 각호와 관련된 부대사업 |
제2조 (목적) 회사는 다음의 사업을 영위함을 목적으로 한다. 1. 사료 제조, 판매 및 중개업 2. 농,수, 축산물 판매 및 중개업 3. 동물약품 제조, 판매 및 중개업 4. 식품, 식품첨가제 제조, 판매 및 중개업 5. 화공약품, 화학제품 판매 및 중개업 6. 농업기자재 판매 및 중개업 7. 수출입업 및 대행업 8. 화장품 판매 및 중개업 9. 축산, 축산물가공, 식품위생 관련 컨설팅업 10. 건강기능식품 제조, 판매 및 중개업 11. 의약품 제조, 판매 및 중개업 12. 해외 원전 수출 및 사업 개발업 13. 원전 건설 타당성 및 환경영향 평가 14. 소형원전 개발, 설계 및 제조 사업 15. 소형원전 성능 시험 및 검증 사업 16. 원전 보조기기 개발 및 제조 사업 17. 동물사체 소각 및 처리 설비 개발 및 제조 18. 해양쓰레기 소각 및 처리 설비 개발 및 제조 19. 플라즈마 발생장치 개발, 제조 및 판매업 20. 방사성물질 운반, 저장 및 처분 용기 개발 및 제조 21. 방사성물질 취급 관련 설비 개발, 제조 및 시공 22. 방사성폐기물 및 사용후핵연료 용기 개발 및 제조 23. 방사능 모니터링 장치 개발, 제조 및 판매업 24. 방사선 계측기 및 의료장비 수출입업 25. 원전 설계, 건설, 운용 및 해체 관련 지식서비스업 26. 원전 및 발전시설 유지관리 소프트웨어 개발 및 판매업 27. 원자력 및 공학 관련 기술 연구개발업 28. 3차원 영상 시뮬레이터 및 홍보물 제작 및 판매업 29. 연구 및 학술 활동 30. 핵반응기 및 증기보일러 제조업 31. 원전해체 폐기물 감용설비 개발 및 제조업 32. 원전해체 폐기물 감용 서비스업 33. 원전해체용 자동화 설비 및 로봇 개발 및 제조업 34. 원전해체 폐기물 취급 로봇 개발 및 제조업 35. 폐기물 수집, 운반, 처리, 재생산 및 재활용업 36. 데이터저장용 자재 또는 부품 및 제품의 수입, 제조, 가공 및 매매 37. 전력저장용 설비 및 관련 제품의 제조, 설치 및 매매 38. 발전ㆍ송전ㆍ변전ㆍ배전을 포함하는 전기에너지 관련 사업 39. 에너지의 진단 및 효율화 관련 사업 40. 신재생에너지 이용설비 설계, 제조, 판매 및 시공 41. 신재생에너지 발전사업 및 관련 기계 수출입업 42. 배터리 CELL, 배터리 PACK의 수입, 개발, 제조 및 매매 43. 에너지저장장치(ESS) 개발, 제조 및 시공 사업 44. 전기차 및 전기차 배터리의 리스 관련 사업 45. 이차연료전지 소재의 제조, 가공 및 판매업 46. 배터리 및 배터리집합체 연구개발 사업 47. 차량, 장비, 각종 설비 등의 제조 및 임대업 48. 부동산업 및 임대업 49. 유가증권 투자업 50. 경영자문 및 컨설팅업 51. 위 각호와 관련된 서비스업 52. 각호와 관련된 부대사업 |
- 사업목적 추가 |
제5조 (발행예정주식총수) 회사가 발행할 주식의 총수는 일억(100,000,000)주로 한다. |
제5조 (발행예정주식총수) 회사가 발행할 주식의 총수는 십억(1,000,000,000)주로 한다. |
- 발행예정주식 총수한도 증가 |
제8조의3 (이익배당, 의결권 부여 또는 배제 및 주식의 상환전환에 관한 종류주식) ① ... ② 제5조의 발행예정주식총수 중 종류주식의 발행한도는 20,000,000주로 한다. ③ … |
제8조의3 (이익배당, 의결권 부여 또는 배제 및 주식의 상환전환에 관한 종류주식) ① ... ② 제5조의 발행예정주식총수 중 종류주식의 발행한도는 1,000,000,000주로 한다. ③ … |
- 우선주의 발행한도 증가 |
제8조의4 (우선주의 수 및 내용) ① 제 5조의 발행예정주식총수 중 우선주식 및 제 1,2,3종, 기명식 등 각종 상환전환우선주식의 발행한도는 10,000,000주로 한다. ② … |
제8조의4 (우선주의 수 및 내용) ① 제 5조의 발행예정주식총수 중 우선주식 및 제 1,2,3종, 기명식 등 각종 상환전환우선주식의 발행한도는 1,000,000,000주로 한다. ② … |
- 우선주의 발행한도 증가 |
제8조의6 (상환우선주) ① 제 5조의 발행예정주식총수 중 우선주식 및 제 1,2,3종, 기명식 등 각종 상환전환우선주식의 발행한도는 10,000,000주로 한다. ② … |
제8조의6 (상환우선주) ① 제 5조의 발행예정주식총수 중 우선주식 및 제 1,2,3종, 기명식 등 각종 상환전환우선주식의 발행한도는 1,000,000,000주로 한다. ② … |
- 상환우선주의 발행한도 증가 |
제9조 (신주인수권) ① … ② 회사는 제1항의 규정에도 불구하고 다음 각 호의 어느 하나에 해당하는 경우 이사회의 결의로 주주 외의 자에게 신주를 배정할 수 있다. 1. 발행주식총수의 100분의 50을 초과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자본시장과 금융투자업에 관한법률 제165조의6에 따라 일반공모증자 방식으로 신주를 발행하는 경우 2. … 4. 발행주식총수의 100분의 30을 초과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사업상 중요한 기술도입, 연구개발, 생산, 판매,자본제휴를 위하여 그 상대방에게 신주를 발행하는 경우 5. 발행주식총수의 100분의 30을 초과하지 않는 범위내에서 「자본시장과 금융투자업에 관한 법률」 제165조의16의 규정에 의하여 주식예탁증서(DR) 발행에 따라 신주를 발행하는 경우 6. … 7. 발행주식총수의 100분의 30을 초과하지 않는 범위 내에서 긴급한 자금조달을 위하여 국내외 금융기관 또는 기관투자자, 일반법인 및 개인투자자(기존주주포함)등에게 신주를 발행하는 경우 8. … ③ … |
제9조 (신주인수권) ① … ② 회사는 제1항의 규정에도 불구하고 다음 각 호의 어느 하나에 해당하는 경우 이사회의 결의로 주주 외의 자에게 신주를 배정할 수 있다. 1. 발행주식총수의 100분의 200을 초과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자본시장과 금융투자업에 관한법률 제165조의6에 따라 일반공모증자 방식으로 신주를 발행하는 경우 2. … 4. 발행주식총수의 100분의 200을 초과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사업상 중요한 기술도입, 연구개발, 생산, 판매,자본제휴를 위하여 그 상대방에게 신주를 발행하는 경우 5. 발행주식총수의 100분의 200을 초과하지 않는 범위내에서 「자본시장과 금융투자업에 관한 법률」 제165조의16의 규정에 의하여 주식예탁증서(DR) 발행에 따라 신주를 발행하는 경우 6. … 7. 발행주식총수의 100분의 200을 초과하지 않는 범위 내에서 긴급한 자금조달을 위하여 국내외 금융기관 또는 기관투자자, 일반법인 및 개인투자자(기존주주포함)등에게 신주를 발행하는 경우 8. … ③ … |
-신주인수권 발행범위 증가 |
제10조 (주식매수선택권) ① 회사는 임직원(상법 시행령 제30조에서 정하는 관계회사의 임?직원을 포함한다. 이하 이조에서 같다)에게 발행주식총수의 100분의 10의 범위 내에서 주식매수선택권을 주주총회의 특별결의에 의하여 부여할 수 있다. 다만 발행주식총수의 100분의 3의 범위 내에서는 이사회의 결의로 회사의 이사를 제외한 자에 대하여 주식매수선택권을 부여할 수 있다. 이사회의 결의로 주식매수선택권을 부여한 경우 회사는 부여 후 처음으로 소집되는 주주총회의 승인을 받아야 한다. 주주총회 또는 이사회 결의에 의해 부여하는 주식매수선택권은 경영성과목표 또는 시장지수 등에 연동하는 성과연동형으로 할 수 있다. ② … |
제10조 (주식매수선택권) ① 회사는 임직원(상법 시행령 제30조에서 정하는 관계회사의 임?직원을 포함한다. 이하 이조에서 같다)에게 발행주식총수의 100분의 15의 범위 내에서 주식매수선택권을 주주총회의 특별결의에 의하여 부여할 수 있다. 다만 발행주식총수의 100분의 3의 범위 내에서는 이사회의 결의로 회사의 이사를 제외한 자에 대하여 주식매수선택권을 부여할 수 있다. 이사회의 결의로 주식매수선택권을 부여한 경우 회사는 부여 후 처음으로 소집되는 주주총회의 승인을 받아야 한다. 주주총회 또는 이사회 결의에 의해 부여하는 주식매수선택권은 경영성과목표 또는 시장지수 등에 연동하는 성과연동형으로 할 수 있다. ② … |
- 주식매수선택권 부여가능 범위 증가 |
제16조 (전환사채의 발행) ① 회사는 다음 각 호의 어느 하나에 해당하는 경우 이사회의 결의로 주주 외의 자에게 전환사채를 발행할 수 있다. 1. 사채의 액면총액이 100억원을 초과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일반공모의 방법으로 전환사채를 발행하는 경우 2. 사채의 액면총액이 300억원을 초과하지 않는 범위 내에서 긴급한 자금조달을 위하여 국내외 금융기관 또는 기관투자자, 일반법인 및 개인투자자(기존주주포함)에게 전환사채를 발행하는 경우 3. 사채의 액면총액이 300억원을 초과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사업상 중요한 기술도입, 연구개발, 생산·판매·자본제휴를 위하여 그 상대방에게 전환사채를 발행하는 경우. ② … |
제16조 (전환사채의 발행) ① 회사는 다음 각 호의 어느 하나에 해당하는 경우 이사회의 결의로 주주 외의 자에게 전환사채를 발행할 수 있다. 1. 사채의 액면총액이 3,000 억원을 초과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일반공모의 방법으로 전환사채를 발행하는 경우 2. 사채의 액면총액이 3,000 억원을 초과하지 않는 범위 내에서 긴급한 자금조달을 위하여 국내외 금융기관 또는 기관투자자, 일반법인 및 개인투자자(기존주주포함)에게 전환사채를 발행하는 경우 3. 사채의 액면총액이 3,000 억원을 초과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사업상 중요한 기술도입, 연구개발, 생산·판매 · 자본제휴를 위하여 그 상대방에게 전환사채를 발행하는 경우. ② … |
- 전환사채 발행한도 증가 |
제17조 (신주인수권부사채의 발행) ① 회사는 다음 각 호의 어느 하나에 해당하는 경우 이사회의 결의로 주주 외의 자에게 신주인수권부사채를 발행할 수 있다. 1. 사채의 액면총액이 100억원을 초과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일반공모의 방법으로 신주인수권부사채를 발행하는 경우 2. 사채의 액면총액이 300억원을 초과하지 않는 범위 내에서 긴급한 자금조달을 위하여 국내외 금융기관 또는 기관투자자, 일반법인 및 개인투자자(기존주주포함)에게 신주인수권부사채를 발행하는 경우 3. 사채의 액면총액이 300억원을 초과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사업상 중요한 기술도입, 연구개발, 생산·판매·자본제휴를 위하여 그 상대방에게 신주인수권부사채를 발행하는 경우 ② … |
제17조 (신주인수권부사채의 발행) ① 회사는 다음 각 호의 어느 하나에 해당하는 경우 이사회의 결의로 주주 외의 자에게 신주인수권부사채를 발행할 수 있다. 1. 사채의 액면총액이 3,000 억원을 초과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일반공모의 방법으로 신주인수권부사채를 발행하는 경우 2. 사채의 액면총액이 3,000 억원을 초과하지 않는 범위 내에서 긴급한 자금조달을 위하여 국내외 금융기관 또는 기관투자자, 일반법인 및 개인투자자(기존주주포함)에게 신주인수권부사채를 발행하는 경우 3. 사채의 액면총액이 3,000 억원을 초과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사업상 중요한 기술도입, 연구개발, 생산 · 판매 · 자본제휴를 위하여 그 상대방에게 신주인수권부사채를 발행하는 경우 ② … |
- 신주인수권부사채 발행한도 증가 |
(신설) |
제18조 (이익참가부사채의 발행) ① 회사는 사채의 액면총액이 3,000억원을 초과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주주 외의 자에게 이익참가부사채를 발행할 수 있다. ② 제1항의 이익참가부사채는 보통주식에 대한 이익배당의 100분의 20비율로 이익배당에 참가할 수 있다 ③ 제1항의 이익참가부사채의 가액은 발행시에 이사회가 정한다.
제19조(교환사채의 발행) ① 회사는 이사회 결의로 사채의 액면총액이 3,000억원을 초과하지 않는 범위내에서 교환사채를 발행할 수 있다. ② 교환사채의 발행에 관한 세부사항은 이사회의 결의로 정한다.
제19조의2(사채 발행의 위임) 이사회는 대표이사에게 사채의 금액 및 종류를 정하여 1년을 초과하지 아니하는 기간 내에 사채를 발행할 것을 위임할 수 있다. |
- 이익참가부사채 및 교환사채 조항 신설 |
제18조 (사채발행에 관한 준용규정) … 제35조 (이사의 의무) … |
제20조 (사채발행에 관한 준용규정) … 제37조 (이사의 의무) … |
- 조 신설에 따른 조 번호 변경 |
(신설) |
제 38 조 (이사, 감사의 회사에 대한 책임감경) ① 이 회사는 주주총회 결의로 이사 또는 감사의 상법 제399조에 따른 책임을 그 행위를 한날 이전 최근 1년 간의 보수액(상여금과 주식매수선택권의 행사로 인한 이익등을 포함한다)의 6배(사외이사의 경우는 3배)를 초과하는 금액에 대하여 면제할 수 있다. ② 이사 또는 감사가 고의 또는 중대한 과실로 손해를 발생시킨 경우와 이사가 상법 제397조(경업금지), 제397조의2(회사기회유용금지) 및 상법 제398조(자기거래금지)에 해당하는 경우에는 제1항의 규정을 적용하지 아니한다. |
- 이사 및 감사의 합리적 책임 감경 조항 신설 |
제36조 (이사의 보수와 퇴직금) ... |
제39조 (이사의 보수와 퇴직금) ... |
- 조 신설에 따른 조번호 변경 |
제37조 (이사회 구성과 소집) ① 이사회는 이사로 구성한다. ② 이사회는 대표이사 또는 이사회에서 따로 정한 이사가 있을 때에는 그 이사가 회일 2일전에 각 이사 및 감사에게 통지하여 소집한다. ③ … |
제40조 (이사회 구성과 소집) ① 이사회는 이사로 구성한다. ② 이사회는 대표이사 또는 이사회에서 따로 정한 이사가 있을 때에는 그 이사가 회일 1일전에 각 이사 및 감사에게 통지하여 소집한다. ③ … |
- 조 신설에 따른 조 번호 변경 - 이사회 소집기일 변경 |
제38조 (이사회의 결의방법) … 제41조 (상담역 및 고문) … |
제41조 (이사회의 결의방법) … 제44조 (상담역 및 고문) … |
- 조 신설에 따른 조 번호 변경 |
제42조 (대표이사의 선임) ① 대표이사는 이사회에서 선임한다. ② 회사는 이사회의 결의로서 이사 중에서 대표이사, 전무이사, 상무이사를 선임한다. |
제45조 (대표이사의 선임) ① 대표이사는 이사회에서 선임하며, 2인이상 선임할 수 있다. ② 대표이사가 2명 이상일 경우 각자 회사를 대표한다. ③ 회사는 이사회의 결의로서 이사 중에서 대표이사, 전무이사, 상무이사를 선임한다. |
- 조 신설에 따른 조 번호 변경- 각자대표 항 추가 |
제43조 (대표이사의 직무) 대표이사는 회사를 대표하고 회사의 업무를 총괄한다. |
제46조 (대표이사의 직무) 각 대표이사는 법령 및 정관에 따라 독립적으로 회사의 업무를 집행하고 대표할 수 있다. |
- 조 신설에 따른 조 번호 변경- 각자대표 내용추가 |
제44조 (감사의 수) … 제56조 (배당금지급청구권의 소멸시효) … |
제47조 (감사의 수) … 제59조 (배당금지급청구권의 소멸시효) … |
- 조 신설에 따른 조 번호 변경 |
(신설) |
부 칙 1. (시행일) 이 정관은 2025년 08월 29일부터 시행한다. 2. (제16조, 제17조의 경과조치) 제16조 1항 각 호, 제 17조 1항 각 호에서 설정한 사채의 액면총액 한도는 본 정관 시행일(2025.08.29) 이전에 각 호와 같은 방식으로 기발행된 사채의 액면총액을 개정 후 한도에서 차감하지 않고 새로이 계산한다. |
- 부칙 신설 |
※ 기타 참고사항
해당사항 없습니다.
제출(예정)일 | 사업보고서 등 통지 등 방식 |
---|---|
※ 임시주주총회 사항으로 해당사항 없습니다.
※ 임시주주총회 사항으로 해당사항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