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주총회소집공고 6.0 (주)파마리서치바이오

주주총회소집공고
2025년 3월 7일
회 사 명 : 주식회사 파마리서치바이오
대 표 이 사 : 백 승 걸, 원 치 엽
본 점 소 재 지 : 강원특별자치도 강릉시 사임당로 641-3
(전 화) 031-8039-1401
(홈페이지)http:// www.pr-bio.co.kr
작 성 책 임 자 : (직 책) 대표이사 (성 명) 백 승 걸
(전 화) 031-8039-1401

주주총회 소집공고
(제16기 정기)

주주님의 건승과 댁내의 평안을 기원합니다.

당사는 정관 제29조에 의거 정기주주총회를 아래와 같이 개최하오니 참석하여 주시기 바랍니다.

- 아 래 -

1. 일 시 : 2025년 3월 25일 (화) 오전 9시 30분

2. 장 소 : 강원특별자치도 강릉시 사임당로 641-3, 2층 회의실

3. 회의목적사항1) 보고사항 : 감사보고, 영업보고, 내부회계관리제도 운영실태 보고2) 부의안건

제1호 의안 : 제16기(2024.01.01~2024.12.31) 재무상태표, 손익계산서, 이익잉여금처리계산서(안) 등 재무제표 승인의 건

제2호 의안 : 사내이사 원치엽 선임의 건제3호 의안 : 이사 보수 한도 승인의 건(일십억원)

제4호 의안 : 감사 보수 한도 승인의 건(일억원)

4. 의결권 행사에 관한 사항- 직접행사 : 주주총회 참석장, 신분증- 대리행사 : 주주총회 참석장, 위임장(주주와 대리인의 인적사항 기재, 인감날인),

대리인의 신분증5. 실질주주의 의결권 행사에 관한 사항금번 당사의 주주총회에는 한국예탁결제원이 주주님들의 의결권을 행사할 수 없습니다. 따라서 주주님께서는 한국예탁결제원에 의결권행사에 관한 의사표시를 하실 필요가 없으며, 종전과 같이 주주총회 참석장에서 의결권을 직접 행사하시거나 또는 위임장에 의거 의결권을 간접 행사하실 수 있습니다. 6. 경영참고사항 비치 상법 제 542조의4에 의거 경영참고사항을 우리 회사의 본점, 금융위원회, 한국거래소 및 한국예탁결제원 증권대행부에 비치하오니 참고하시기 바랍니다.

※ 제16기 정기주주총회는 사은품 지급을 하지 않습니다.

2025년 3월 7일 주식회사 파마리서치바이오 대표이사 백 승 걸, 원 치 엽 (직인생략)

I. 사외이사 등의 활동내역과 보수에 관한 사항

1. 사외이사 등의 활동내역 가. 이사회 출석률 및 이사회 의안에 대한 찬반여부
회차 개최일자 의안내용 사외이사 등의 성명
A(출석률: %) B(출석률: %) C(출석률: %) D(출석률: %)
찬 반 여 부
- - - - - - -

나. 이사회내 위원회에서의 사외이사 등의 활동내역
위원회명 구성원 활 동 내 역
개최일자 의안내용 가결여부
- - - - -

2. 사외이사 등의 보수현황
(단위 : 원)
구 분 인원수 주총승인금액 지급총액 1인당 평균 지급액 비 고
- - - - - -

II. 최대주주등과의 거래내역에 관한 사항

1. 단일 거래규모가 일정규모이상인 거래
(단위 : 억원)
거래종류 거래상대방(회사와의 관계) 거래기간 거래금액 비율(%)
- - - - -

2. 해당 사업연도중에 특정인과 해당 거래를 포함한 거래총액이 일정규모이상인 거래
(단위 : 억원)
거래상대방(회사와의 관계) 거래종류 거래기간 거래금액 비율(%)
(주) 파마리서치(모회사) 매입 2024.01.01 ~ 2024.12.31 15 7.76

※ 상기 거래는 회사의 특수관계인을 상대방으로 최근 사업연도말(2023년) 매출총액의 5% 이상 금액에 해당하는 거래 입니다. ※ 상기 내용은 외부감사인의 감사가 완료되지 않은 상태에서 작성된 자료로 외부감사인의 감사결과 변동될 수 있습니다.

III. 경영참고사항

1. 사업의 개요 가. 업계의 현황

(1) 산업의 특성

[글로벌 바이오 산업 현황]

글로벌 바이오산업 시장은 2012년 2,524억 달러에서 연평균 8.8%씩 성장하여 2016년 3,539억 달러 규모를 형성하고 있습니다. 2016년 미국과 아시아-태평양 시장은 각각 12.9%와 5.8%의 성장률을 기록하며 1,646억 달러, 882억 달러 규모로 성장하고 있습니다.

그 중에서도 큰 비중을 차지하는 분야는 의료·헬스케어 분야로 57.2%(2,023억 달러)를 차지하고 있으며, 다음으로는 농식품 분야 12.9%(457억 달러), 환경 및 산업공정 11.4%(402억 달러), 서비스 제공 9.9%(349억 달러), 기술서비스 8.7%(308억 달러) 순입니다.

[보툴리눔 독소 산업]

보툴리눔 독소는 혐기성 세균인 보툴리눔 균에 의해 생성되는 신경독소로, 뇌에서 근육으로 이어지는 신경말단 부위에 선택적으로 접합합니다. 보툴리눔 독소는 신경말단 부위에 접합 후 신경세포 내에서 단백질 분해효소로 작용하여 신경전달물질인 아세틸콜린의 분비에 필수적인 SNARE 복합체를 분해합니다. 아세틸콜린의 분비 억제로 보툴리눔 독소는 신경마비를 유발하고 근육을 이완시키는 역할을 합니다.보툴리눔 독소는 현재 8종류(A~H형)가 있으며 그 중 A형과 B형만 의약품으로 개발되어 사용되고 있습니다.

보툴리눔 독소로 인한 신경증상인 보툴리눔 독소증(Botulism)은 인간이 음식을 장기간으로 보관하고, 보툴리눔 균이 증식한 음식을 섭취하면서부터 발생하여, 단어 또한라틴어 Botulus(소시지)에서 유래하였습니다. 18세기 유럽에서는 나폴레옹 전쟁 이후 나타난 빈공층과 식품의 비위생적인 관리에 의해 보툴리눔 균이 불활화되지 않은 상태의 소시지가 유통되었으며, 이로 인해 치명적인 식중독 환자가 다수 발생하여 보툴리눔 독소증에 대한 관심이 증대되었습니다. 1815년 독일 Steinbuch는 소시지에 의한 식중독을“sausage poisoning”라는 이름으로 최초 보고하였으며, 1895년 미생물학자 Ermengem은 혐기성 세균을 처음으로 분리하여 “Bacillus botulinus”로 명명하였습니다.

이후 보툴리눔 균에 대한 다양한 연구가 수행되었고, 미국 안과의사인 Alan Scott은 1973년 원숭이의 사시 치료를 목적으로 보툴리눔 A형 독소를 사용하여 그 효과는 물론 수개월 간 어떠한 이상반응 또한 일으키지 않음을 확인하였습니다. 이를 기반으로1979년 보툴리눔 독소 A형은 사시 치료제로 최초 허가 받았으며, 1985년에는 안검경련 치료로 적응증을 확대하였습니다. 미용 목적으로의 보툴리눔 독소의 사용은 1987년에 처음 이루어졌습니다. 캐나다 안과의사 Jean Carruthers가 안검경련 환자의 미간 부위에 보툴리눔 독소를 주입하였고, 그 주사 부위의 주름이 없어짐을 발견하여1992년 보툴리눔 독소 A형이 미간, 눈가, 팔자 주름 개선 효과가 있음을 확인하였습니다.

2002년 보툴리눔 독소 A형은 피부주름제거의 미용목적으로 최초 허가받아, 치료 시장을 넘어서 미용 분야로 시장을 확대하게 되었습니다. 현재 보툴리눔 A형 톡신은 목근육 경련과 같은신경학적 분야로 치료영역을 넓혀, 뇌성마비, 다한증, 경련성 방광, 요실금, 두통 등 다양한 질환에 대해 연구가 진행되고 있습니다.

표 1. 보툴리눔 독소의 사용

구분

분야

안과 (Ophthalmology)

사시, 반측안면경련, 안검경련

신경과 (Neurology)

소아뇌성마비, 뇌졸중 후 근육강직, 근막동통증후군, 편두통, 경성사경, 요통 등

소화기과 (Gastroenterology)

식도 근육 경련 등

내분비과 (Endocrinology)

다한증 등

피부과, 성형외과

(Dermatology, Plastic Surgery)

주름제거, 사각턱 및 종아리 교정, 양성교근비대증 등

비뇨기과 (Urology)

과민성 방광증, 전립선 비대증 등

부인과 (Gynaecology)

요실금 등

기타

성대 결절, 교정, 치질, 치열 등

(2) 산업의 성장성

[글로벌 바이오산업 전망]

글로벌 바이오 시장은 2019년 4,502억 달러에서 연평균 7.4% 성장하여 2024년 6,433억 달러 규모로 확대될 전망입니다.

3.jpg 글로벌 바이오산업 시장전망(2019~2024년)

[보툴리눔 독소 시장]

ASAPS(American Society for Aesthetic Plastic Surgeons, 미국성형외과학회)에서 발표한 미국 내 미용성형 시술 현황에 따르면 수술적 시술이 2000년 190만건에서 2015년 171만건으로 10% 감소한 것과 비교하여, 보툴리눔 독소를 포함한 최소침습시술은 550만건에서 1,420만건으로 158%의 증가하였습니다. 이러한 성장의 중심에는각 시술 건수 연평균 증가율이 53.7%, 30.5%인 보툴리눔 독소와 필러 시술 증가가 있습니다. 또한 안면미용시장 초기의 수술적 시술 중심에서 침습적 시술로 주도권이 완전히 변화했음을 관찰할 수 있습니다.표2. 미국 내 미용성형 시술 현황

구 분

2000년

2013년

2014년

2015년

2000~2016 CAGR

수술적 시술

190만

167만

168만

171만

-2.1%

최소침습시술

550만

1345만

1395만

1420만

20.9%

- 보툴리눔 독소

79만

632만

667만

676만

53.7%

- 필러

65만

224만

230만

244만

30.5%

출처: ASAPS

보툴리눔 독소 시장은 ISAPS(International Society of Aesthetic Plastic Surgery, 국제미용성형수술협회)에서도 확인할 수 있습니다. 2014년에 시행된 보툴리눔 독소 시술 건수는 483만건으로, 2010년에 286만건 대비 연평균 14% 증가하였습니다. 이는 전체 비수술적 시술(non-surgical procedures) 건수인 1,059만건 중 45% 이상으로, 성장하는 비수술적 시술 시장에서도 보툴리눔 독소가 차지하는 비중이 높습니다.

보툴리눔 독소는 1989년 의약품으로 최초 개발되어 사용된 이후로 지속적으로 성장하고 있습니다. 주름 개선의 미용 영역을 넘어 소아마비, 다한증 등 다양한 적응증으로 치료영역 또한 확대하고 있으며, 현재 진행 중인 다수의 임상시험을 고려하였을 때 향후 보툴리눔 독소 시장의 성장 잠재력은 매우 높다고 할 수 있습니다. UBS에서는 2020년 글로벌 보툴리눔 독소 시장이 5조 7,000억원에 이를 것으로 전망하고 있습니다.

국내에서 보툴리눔 독소 제제로는 1996년 앨러간사의 보톡스주가 최초 허가 받았으며, 사업보고서 발행 일자 기준으로 보톡스주를 포함하여 총 8개 회사 제품이 국내 시장에서 사용되고 있습니다. 그 중 국내사에서 제조하는 보툴리눔 독소 제품은 4개 종류로, 최근 5년간 생산실적 기준 연평균 31%의 높은 성장률로 지속적으로 성장하여 2017년 약 1,724억원 시장을 형성하고 있습니다.

(3) 경기변동의 특성 및 계절성

바이오산업은 주요 구매자인 수요자가 의료부터 농업 분야까지 다양하나, 특히 의료분야는 수익성이 높고 빠른 속도의 성장세를 보이고 있습니다. 바이오산업의 의료분야는 이미 성숙된 시장인 미국, 유럽은 물론 중국, 인도, 브라질 및 기타 신흥국에서 산업 확장 기회가 남아있음을 고려하면 경기변동 및 계절적 요인보다는 사회적 변화에 대한 영향이 클 것으로 예상되어, 바이오산업 시장은 성장 가능성이 높을 것으로 전망됩니다.

보툴리눔 독소는 그 적응증이 다양하며, 특히 국내에서는 미용 목적으로 주로 사용되므로 치료 목적의 의약품 대비 경기변동 및 계절적 요인에 따른 영향을 거의 받지 않는 것으로 추정됩니다.

국내를 포함한 선진국가의 고령화와 안정된 자산을 기반으로 한 중산층 인구의 부상에 따라 건강과 미용에 대한 사회적 니즈가 증가하고 있어, 보툴리눔 독소 시장은 지속적으로 확대되고 있습니다. 또한 또한 편리성, 안정성 등을 중요시하는 미용시술 패러다임 변화에 따라 보툴리눔 독소와 같은 침습적시술에 대한 의사와 환자의 선호도가 증가하고 있으며, 고가의 수술 대비 높은 가격 접근성이 시장 성장을 가속화하고 있습니다.

(4) 경쟁요소보툴리눔 독소 의약품은 원료인 보툴리눔 독소의 확보부터 제품 제조 시 단백질의 분리 및 정제, 그리고 비임상시험과 임상시험을 통한 유효성 및 안전성 확인이 까다로워 전세계적으로 제조하는 회사가 많지 않습니다.보툴리눔 독소는 단백질의 분리 및 정제 등 제조공정에 따라 역가와 효력이 상이하므로, 보툴리눔 균주를 보유하고 있어도 의약품으로 개발하기 위해서는 전문가를 통해 연구, 제조되어야 하며, 비임상 및 임상시험을 수행도 필수입니다. 당사의 리엔톡스는 보툴리눔 독소 의약품으로서 유효성 및 안정성을 확인하기 위하여 다양한 비임상시험을 진행하였습니다. 랫드를 대상으로 한 근마비 효력 시험을 수행하여 오리지널 제품인 앨러간사의 보톡스와 그 효력이 동등함을 확인하였으며, 보툴리눔 독소 제제에서 가장 중요한 안전성을 확인하는 독성시험은 인류와 유사한 영장류를 대상으로 완료하였습니다.

또한 당사의 모기업인 파마리서치는 PN을 원재료로 하는 리쥬란과 HA필러, 화장품 등 다양한 미용 제품을 제조, 판매하고 있어 중국, 일본을 포함한 아시아 국가에 우수한 현지 파트너사와 협력관계를 구축하고 있습니다. 이러한 모기업의 경험을 바탕으로 당사가 안면미용 시장에 진출함에 있어 시너지 효과를 가져올 것으로 기대하고 있습니다. (5) 관련 법령 또는 정부의 규제 등 보툴리눔 독소는 1g으로 100만명을 사망시킬 수 있는 맹독성 물질로, 1975년 발효된생물무기금지협약(Biological Weapons Convention)에 따른 관리 대상으로 지정되어 있습니다. 또한 국내 이행법률인 「화학·생물무기금지법」 및 「생물무기 금지 및 생물작용제 등의 제조·수출입 규제 등에 관한 훈령」에 따라 보툴리눔 독소를 개발,제조, 획득, 보유, 비축, 이전하거나 또는 사용하는 것은 금지되어 있으며, 질병의 예방과 치료 등 평화적 목적으로 사용하는 경우에 한하여 제조 및 보유신고 또는 수출입허가신고(한국바이오산업협회 및 지식경제부)를 해야합니다.보툴리눔 독소 의약품은 국내에서는 생물학적제제로 분류되어, 약사법은 물론 「생물학적제제 등의 품목허가, 심사 규정」과 「국가출하승인의약품 지정, 승인 절차 및 방법 등에 관한 규정」에 따라 제조 및 관리가 필요하며, 생물안전 3등급(Biosasfety Level 3) 기준의 보툴리눔 독소 전용 생산시설에서 제조되어야 합니다.

나. 회사의 현황

(1) 영업개황 및 사업부문의 구분

(가) 영업개황 당사는 생명공학 연구를 통해서 현재 클로스트리디움 보툴리눔 독소 균주를 배양하고, 해당 균주로부터 보툴리눔 독소를 추출 및 정제하여 보툴리눔 독소 의약품을 생산하는데 최적화된 생산 기술을 확보하였으며, 이를 기반으로 한 제품을 연구, 개발, 생산합니다. 당사는 보툴리눔 독소 전용 생산공장을 보유하고 있으며, 식품의약품안전처의 GMP 적합인증 및 수출용 품목허가를 취득하였으며, 24년 2월 국내 품목허가를 취득하여 국내 시장 진출을 앞두고 있습니다.

(나) 공시대상 사업부문의 구분

당사는 현재 단일 사업부문으로 구성되어 해당사항이 없습니다.

(2) 시장점유율

보툴리눔 독소 A형 제품을 제조, 판매하는 회사는 미국 앨러간(Allergan), 프랑스 입센(Ipsen), 독일 머츠(Merz), 중국 란주생물제품연구소(Lanzhou Institute of Biological Product), 러시아 마이크로젠(Microgen), 인도 바이오메드(Biomed), 한국 메디톡스, 휴젤, 대웅제약, 휴온스 등 보툴리눔 독소 시장은 소수의 회사가 경쟁하는 과점시장 형태를 보이고 있습니다.

(3) 시장의 특성

보툴리눔 독소 의약품은 원료인 보툴리눔 독소의 확보부터 제품 제조 시 단백질의 분리 및 정제, 그리고 비임상시험과 임상시험을 통한 유효성 및 안전성 확인이 까다로워 전세계적으로 제조하는 회사가 10개 정도입니다.보툴리눔 독소 시장은 ISAPS(International Society of Aesthetic Plastic Surgery, 국제미용성형수술협회)에서도 확인할 수 있습니다. 2014년에 시행된 보툴리눔 독소 시술 건수는 483만건으로, 2010년에 286만건 대비 연평균 14% 증가하였습니다. 이는 전체 비수술적 시술(non-surgical procedures) 건수인 1,059만건 중 45% 이상으로, 성장하는 비수술적 시술 시장에서도 보툴리눔 독소가 차지하는 비중이 높습니다.

보툴리눔 독소는 1989년 의약품으로 최초 개발되어 사용된 이후로 지속적으로 성장하고 있습니다. 주름 개선의 미용 영역을 넘어 소아마비, 다한증 등 다양한 적응증으로 치료영역 또한 확대하고 있으며, 현재 진행 중인 다수의 임상시험을 고려하였을 때 향후 보툴리눔 독소 시장의 성장 잠재력은 매우 높다고 할 수 있습니다.

(4) 신규사업 등의 내용 및 전망

가. 개량형 보툴리눔 독소: 당사는 리엔톡스 개발에 이어 개량형 보툴리눔 독소를 추가 개발하고자 합니다. 보툴리눔 독소는 일반적으로 독소단백질과 비독소단백질의 복합체로 존재하나 당사에서는 순수한 독소단백질만 함유하는 코어톡신을 개발 중에 있습니다. 고순도, 고수율을 확보한 최고 품질의 보툴리눔 독소를 개발하여 안전성 및 안정성이 입증된 코어톡신 개발을 기대하고 있습니다.

나. 개량형 단백질 효소제제: 당사에서는 보툴리눔 독소 제조과정 중 단백질 정제 기술을 보유하고 있어, 이를 기반으로 한 개량형 고순도 단백질 효소제를 개발 중에 있습니다. 제조공정 정립이 완료됨에 따라 다양한 제형 및 공정 적용을 위한 시험을 진행할 예정입니다.

(5) 조직도

조직도.jpg 조직도

2. 주주총회 목적사항별 기재사항

□ 재무제표의 승인

가. 해당 사업연도의 영업상황의 개요

당사는 생명공학 연구를 기반으로 클로스트리디움 보툴리눔 독소 균주를 배양하고, 이를 통해 보툴리눔 독소를 추출 및 정제하여 최적화된 생산 기술을 확보하였습니다. 이를 바탕으로 보툴리눔 독소 의약품을 연구, 개발 및 생산하고 있습니다.

현재 강원특별자치도 강릉시에 보툴리눔 독소 전용 생산공장을 가동 중이며, 빠르게 증가하는 매출에 대응하기 위해 EU-GMP 기준의 톡신 전용 생산시설을 추가로 건설하여 완공을 앞두고 있습니다.

제16기 사업연도 당사의 매출액은 261억 원, 영업이익 87억 원, 당기순이익 102억 원으로, 전기 대비 매출액과 영업이익은 각각 30%, 39% 성장했으며, 당기순이익은 340% 증가하였습니다.

나. 해당 사업연도의 대차대조표(재무상태표)ㆍ손익계산서(포괄손익계산서)ㆍ이익잉여금처분계산서(안)

※ 아래의 제16기 재무제표는 외부감사인의 감사를 받지 않은 자료로서 외부감사인의 감사 결과 및 주주총회 승인과정에서 변경될 수 있습니다. 상세한 재무제표 및 주석사항은 금융감독원 전자공시시스템(http://dart.fss.or.kr) 또는 한국거래소 전자공시스템(http://kind.krx.co.kr)에 공시예정인 감사보고서를 참조하시기 바랍니다.

재 무 상 태 표
제 16 기 기말 2024년 12월 31일 현재
제 15 기 기말 2023년 12월 31일 현재
주식회사 파마리서치바이오 (단위 : 원)
과목 제 16(당)기 제 15(전)기
자산
유동자산 49,639,257,921 45,184,552,752
현금및현금성자산 34,827,659,105 10,147,784,641
파생상품자산 821,756,600 1,254,868,419
상각후원가 10,000,000,000 29,943,917,809
매출채권 485,364,100 366,800,000
기타채권 1,058,267,641 676,404,646
재고자산 2,409,901,337 2,529,812,125
기타유동자산 36,309,138 23,377,692
당기법인세자산 - 241,587,420
비유동자산 36,899,002,283 18,740,400,324
비유동기타채권 550,835,394 636,576,386
유형자산 33,400,815,192 15,187,684,511
무형자산 1,779,034,626 1,800,870,962
이연법인세자산 1,168,317,071 1,115,268,465
자산총계 86,538,260,204 63,924,953,076
부채
유동부채 42,565,569,374 28,398,466,537
매입채무 21,164,220 70,000,975
기타채무 2,955,275,669 1,119,948,734
유동리스부채 190,251,314 179,144,974
유동성장기부채 - -
유동비금융부채 78,547,820 63,039,990
전환사채(유동) 31,173,910,546 21,274,505,715
파생상품부채 7,371,292,750 5,691,826,149
당기법인세부채 775,127,055 -
비유동부채 1,113,964,757 1,112,236,402
순확정급여부채 760,035,658 622,264,638
전환사채 - -
리스부채 353,929,099 489,971,764
비유동기타채무 - -
부채총계 43,679,534,131 29,510,702,939
자본
자본금 2,032,195,500 2,032,195,500
자본잉여금 31,724,017,463 33,927,341,588
기타자본구성요소 1,757,169,760 1,272,949,687
이익잉여금(결손금) 7,345,343,350 (2,818,236,638)
자본총계 42,858,726,073 34,414,250,137
자본과부채총계 86,538,260,204 63,924,953,076

포 괄 손 익 계 산 서
제16기 2024년 01월 01일부터 2024년 12월 31일까지
제15기 2023년 01월 01일부터 2023년 12월 31일까지
주식회사 파마리서치바이오 (단위 : 원)
과목 제 16(당)기 제 15(전)기
매출액 26,092,160,463 20,030,640,892
제품매출 26,092,160,463 20,030,640,892
매출원가 9,293,691,216 7,676,092,004
제품매출원가 9,293,691,216 7,676,092,004
매출총이익 16,798,469,247 12,354,548,888
판매비와관리비 8,130,244,569 6,131,273,136
영업이익(손실) 8,668,224,678 6,223,275,752
기타수익 124,808 14,020,223
기타비용 1,000,210,012 142,521,044
금융수익 4,891,727,582 1,860,590,229
금융원가 3,071,682,476 3,315,045,060
법인세차감전순이익(손실) 9,488,184,580 4,640,320,100
법인세비용(수익) (675,395,408) 2,331,970,703
당기순이익(손실) 10,163,579,988 2,308,349,397
기타포괄손익 - -
당기손익으로 재분류되지 않는 기타포괄손익 - -
총포괄이익 10,163,579,988 2,308,349,397
주당이익:
기본주당이익(손실) 2,502 569
희석주당이익(손실) 1,649 569

자 본 변 동 표
제16기 2024년 01월 01일부터 2024년 12월 31일까지
제15기 2023년 01월 01일부터 2023년 12월 31일까지
주식회사 파마리서치바이오 (단위 : 원)
과목 자본금 자본잉여금 기타자본구성요소 이익잉여금 합계
2023년 01월 01일 (전기초) 2,024,695,500 23,768,822,615 1,319,578,203 (5,126,586,035) 21,986,510,283
당기순이익(손실) - - - 2,308,349,397 2,308,349,397
신주발행(주식선택권) 7,500,000 509,525,102 (157,790,102) - 359,235,000
주식보상비용 - - 657,100,000 - 657,100,000
주식선택권의 취소 - 545,938,414 (545,938,414) - -
전환사채의 재측정 요소 - 9,103,055,457 - - 9,103,055,457
자본 증가(감소) 합계 7,500,000 10,158,518,973 (46,628,516) 2,308,349,397 12,427,739,854
2023년 12월 31일 (전기말) 2,032,195,500 33,927,341,588 1,272,949,687 (2,818,236,638) 34,414,250,137
2024년 01월 01일 (당기초) 2,032,195,500 33,927,341,588 1,272,949,687 (2,818,236,638) 34,414,250,137
당기순이익(손실) - - - 10,163,579,988 10,163,579,988
콜옵션의 행사 - (601,094,482) - - (601,094,482)
주식보상비용 - - 658,900,274 - 658,900,274
주식선택권의 취소 - 174,680,201 (174,680,201) - -
전환사채의 재측정 요소 - (1,776,909,844) - - (1,776,909,844)
자본 증가(감소) 합계 - (2,203,324,125) 484,220,073 10,163,579,988 8,444,475,936
2024년 12월 31일 (당기말) 2,032,195,500 31,724,017,463 1,757,169,760 7,345,343,350 42,858,726,073

현 금 흐 름 표
제16기 2024년 01월 01일부터 2024년 12월 31일까지
제15기 2023년 01월 01일부터 2023년 12월 31일까지
주식회사 파마리서치바이오 (단위 : 원)
과목 제 16(당)기 기말 제 15(전)기 기말
영업활동현금흐름 11,665,737,027 8,866,515,436
당기순이익(손실) 10,163,579,988 2,308,349,397
당기순이익조정을 위한 가감 245,687,553 5,670,252,011
영업활동으로인한자산ㆍ부채의변동 (401,728,546) (553,847,500)
이자수취(영업) 1,796,046,599 1,568,799,888
이자지급(영업) - -
법인세의 납부 (137,848,567) (127,038,360)
투자활동현금흐름 4,264,988,384 (6,573,052,838)
당기손익인식금융자산의 처분 - -
보증금의 감소 421,678,000 -
단기금융상품의 처분 75,943,917,809 78,924,821,920
상각후원가의 취득 (56,000,000,000) (79,943,917,809)
당기손익인식금융자산의 취득 - -
유형자산의 취득 (15,402,127,425) (5,232,916,533)
무형자산의 취득 (324,900,000) (321,040,416)
보증금의 증가 (373,580,000) -
재무활동현금흐름 8,749,149,053 (1,364,338,898)
스톡옵션 행사 - 359,235,000
리스부채의 감소 (220,546,947) (222,843,546)
전환사채의 발행 10,000,000,000 -
전환사채의 상환 (1,030,304,000) (1,500,730,352)
현금및현금성자산의순증가(감소) 24,679,874,464 929,123,700
기초현금및현금성자산 10,147,784,641 9,218,660,941
기말현금및현금성자산 34,827,659,105 10,147,784,641

- 이익잉여금처분계산서(안)

제16기

2024년 01월 01일

부터

제15기

2023년 01월 01일

부터

2024년 12월 31일

까지

2023년 12월 31일

까지

처리예정일

2025년 03월 25일

처리확정일

2024년 03월 25일

주식회사 파마리서치바이오

(단위: 원)

과목

제 16(당)기

제 15(전)기

Ⅰ. 미처분이익잉여금

7,345,343,350 (2,818,236,638)

전기이월미처분이익잉여금

(2,818,236,638) (5,126,586,035)
전환사채의 재측정 요소 - -

당기순이익

10,163,579,988 2,308,349,397

Ⅱ. 이익잉여금처리액

- -

Ⅲ. 차기이월미처분이익잉여금

7,345,343,350 (2,818,236,638)

- 최근 2사업연도의 배당에 관한 사항

해당사항 없음

□ 이사의 선임

가. 후보자의 성명ㆍ생년월일ㆍ추천인ㆍ최대주주와의 관계ㆍ사외이사후보자 등 여부

후보자성명 생년월일 사외이사후보자여부

감사위원회 위원인

이사 분리선출 여부

최대주주와의 관계 추천인
원치엽 64.07.22 해당사항 없음 계열회사 임원 이사회
총 ( 1 ) 명

나. 후보자의 주된직업ㆍ세부경력ㆍ해당법인과의 최근3년간 거래내역

후보자성명 주된직업 세부경력 해당법인과의최근3년간 거래내역
기간 내용
원치엽 파마리서치바이오 대표이사

<학력사항>

<경력사항>

1999 ~ 2008

2008 ~ 2012

2012 ~ 2014

2014 ~ 2016

2016 ~ 2020

2020 ~ 2021

2021 ~ 20222022 ~ 현재

Cornell University / Ph.D. Biomaterials

Roche / Pegylation Science & Drug Delivery / Sr. Principal Scientist

Johnson & Johnson / Advanced Technologies & Regenerative Medicine / Project Manager

Amneal Pharmaceticals / Transdermal Delivery / Associate Director

Aquestive Therapeutics / PharmFilm & Buccal Delivery / Sr. Manager

Allergan Aesthetics, an AbbVie company / Botulinum Toxin & Dermal Fillers Development / Associate Director

휴메딕스 / 연구소장 / 전무

파마리서치바이오 부사장파마리서치바이오 대표이사

해당사항 없음

다. 후보자의 체납사실 여부ㆍ부실기업 경영진 여부ㆍ법령상 결격 사유 유무

후보자성명 체납사실 여부 부실기업 경영진 여부 법령상 결격 사유 유무
원치엽 해당사항 없음 해당사항 없음 해당사항 없음

라. 후보자의 직무수행계획(사외이사 선임의 경우에 한함)

해당사항 없음

마. 후보자에 대한 이사회의 추천 사유

본 후보자는 현재 파마리서치바이오의 대표이사로 재임중으로 탁월한 리더십과 경영 역량을 발휘해 왔습니다. 바이오 및 제약 산업에서 풍부한 글로벌 경험과 전문성을 보유하고 있으며, 이러한 전문성과 리더십을 바탕으로 지속적으로 기업가치 증대를 시킬 역량이 있는 후보자로 판단되어 추천합니다.

확인서 확인서_원치엽 사내이사.jpg 확인서_원치엽 사내이사

□ 이사의 보수한도 승인

가. 이사의 수ㆍ보수총액 내지 최고 한도액

(당 기)

이사의 수 (사외이사수) 4명 (0명)
보수총액 또는 최고한도액 일십억원

(전 기)

이사의 수 (사외이사수) 4명 (0명)
실제 지급된 보수총액 547백만원
최고한도액 일십억원

□ 감사의 보수한도 승인

가. 감사의 수ㆍ보수총액 내지 최고 한도액

(당 기)

감사의 수 1명
보수총액 또는 최고한도액 일억원

(전 기)

감사의 수 1명
실제 지급된 보수총액 21백만원
최고한도액 일억원

IV. 사업보고서 및 감사보고서 첨부

가. 제출 개요 2025.03.171주전 회사 홈페이지 게재
제출(예정)일 사업보고서 등 통지 등 방식

나. 사업보고서 및 감사보고서 첨부

- 향후 사업보고서는 주주총회 이후 변경되거나 오기 등이 있는 경우 수정될 수 있으며, 수정된 사업보고서는 금융감독원 DART 전자공시시스템(http://dart.fss.or.kr)에 업데이트될 예정이므로 이를 참조하시기 바랍니다.- 주주총회 이후 변경된 사항에 관하여는 「DART-정기공시」에 제출된 사업보고서를 활용하여야 합니다.- 상법 제542조의4 및 상법시행령 제31조에 의거하여 사업보고서 및 감사보고서를 주주총회 개최 1주전까지 전자공시시스템(http://dart.fss.or.kr)에 공시하고, 당사 홈페이지(http://www.pr-bio.co.kr) 내 '투자정보'→ 'IR공지사항'란에 게재할 예정입니다.

※ 참고사항

해당사항 없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