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주총회소집공고 6.0 주식회사 무진메디

주주총회소집공고
2025년 3월 12일
회 사 명 : 주식회사 무진메디
대 표 이 사 : 윤 태 종
본 점 소 재 지 : 경기도 하남시 미사강변중앙로 7번안길 25 유테크밸리 C동 10층
(전 화)031-8027-6150
(홈페이지)http://www.moogene.com
작 성 책 임 자 : (직 책) 경영관리본부장 (성 명) 박 지 훈
(전 화) 031-8027-6150

주주총회 소집공고
(제9기 정기)

주주님의 건승과 댁내의 평안을 기원합니다.

우리 회사는 정관 제21조에 의하여 제9기 정기주주총회를 아래와 같이 소집하오니 참석하여 주시기 바랍니다.

- 아 래 -

1. 일 시 : 2025년 3월 27일(목) 오전 9시

2. 장 소 : 경기도 하남시 미사강변중앙로 7번안길 25 유테크밸리 C동 10층 ㈜무진메디 회의실

3. 회의목적사항

가. 보고안건

① 감사보고

② 영업보고

③ 내부회계관리제도 운영실태보고

나. 부의안건

제1호 의안 : 제9기(2024년1월1일~2024년12월31일)재무제표 승인의 건

제2호 의안 : 이사 보수한도 승인의 건(5억원)

제3호 의안 : 감사 보수한도 승인의 건(5천만원)

4. 주주총회 참석시 준비물

- 직접행사 : 주총참석장, 신분증

- 대리행사 : 주총참석장, 위임장(주주와 대리인 인적사항 기재, 인감날인), 주주 인감증명서, 주주의 신분증 사본, 대리인 신분증

5. 당사는 사업보고서 및 감사보고서를 주총 1주전인 2025년 3월 19일(수) 금융감독원 전자공시시스템(fss.dart.or.kr) 공시 및 회사 홈페이지에 게재 예정입니다.

- 회사 홈페이지 : www.moogene.com

- 홈페이지 경로 : 홈페이지 좌측 상단 IR & PR -> IR 6. 정기주주총회 장소의 주차장이 협소하오니 가급적 대중교통수단을 이용하여 주시기 바라며, 참석주주님들에 대해 별도의 기념품을 준비하지 않았사오니 양해하여 주시기 바랍니다.

2025년 3월 12일

주식회사 무진메디

대표이사 윤 태 종 (직인생략)

I. 사외이사 등의 활동내역과 보수에 관한 사항

1. 사외이사 등의 활동내역 가. 이사회 출석률 및 이사회 의안에 대한 찬반여부
회차 개최일자 의안내용 사외이사 등의 성명
A(출석률: %) B(출석률: %) C(출석률: %) D(출석률: %)
찬 반 여 부
- - - - - - -

나. 이사회내 위원회에서의 사외이사 등의 활동내역
위원회명 구성원 활 동 내 역
개최일자 의안내용 가결여부
- - - - -

2. 사외이사 등의 보수현황
(단위 : 원)
구 분 인원수 주총승인금액 지급총액 1인당 평균 지급액 비 고
- - - - - -

II. 최대주주등과의 거래내역에 관한 사항

1. 단일 거래규모가 일정규모이상인 거래
(단위 : 백만원)
거래종류 거래상대방(회사와의 관계) 거래기간 거래금액 비율(%)
- - - - -

2. 해당 사업연도중에 특정인과 해당 거래를 포함한 거래총액이 일정규모이상인 거래
(단위 : 백만원)
거래상대방(회사와의 관계) 거래종류 거래기간 거래금액 비율(%)
- - - - -

III. 경영참고사항

1. 사업의 개요 가. 업계의 현황

(1) 산업의 특성

(가) mRNA-LNP 기반 치료제 시장(희귀의약품)

mRNA-LNP(Lipid Nanoparticle) 기술은 기존 바이러스 벡터 기반 전달 방식보다 안전성과 효율성이 뛰어나며, 신약 개발의 핵심 플랫폼으로 자리 잡고 있습니다. 특히 희귀질환 치료제 시장에서는 mRNA-LNP 기술이 항암 백신 및 근육 질환 치료제 개발에 활발히 적용되고 있습니다.

① 암 백신 시장

암 백신 시장은 면역세포를 활성화하여 종양을 표적하는 개인 맞춤형 치료법으로 주목받고 있습니다. 기존 화학요법 및 면역항암제와 병용할 수 있어 치료 시너지를 극대화할 수 있으며, 현재 글로벌 제약사들은 췌장암, 폐암, 흑색종, 대장암 등 다양한 암종을 대상으로 임상을 진행하고 있습니다.mRNA-LNP 기반 암 백신은 암세포의 돌연변이 항원을 신속하게 설계할 수 있다는 점에서 기존 백신 대비 개발 속도가 빠르고, 환자 맞춤형 치료가 가능하다는 강점이 있습니다. Moderna와 BioNTech 등이 선도적으로 연구를 진행하고 있으며, 향후 암 면역치료제와의 병용 투여 전략이 주요 트렌드로 자리 잡을 것으로 예상됩니다.

② 희귀 근육질환(Duchenne Muscular Dystrophy, DMD) 치료제

DMD는 근육 퇴행이 진행되는 희귀 유전 질환으로, 기존 치료제의 효과가 제한적인 상황입니다. 현재 유전자 편집 및 단백질 보충 요법을 적용한 신약 개발이 활발하며, 특히 mRNA-LNP 기반 단백질 보충 치료제는 기존의 정맥 주사형 ERT(효소 대체 요법)보다 안전성과 조직 침투성이 뛰어나 유망한 치료 옵션으로 연구되고 있습니다. 글로벌 제약사들은 DMD 치료제를 희귀의약품 지정을 통해 빠르게 임상 개발을 진행하고 있으며, 향후 다양한 유전성 근육 질환으로 적응증이 확대될 가능성이 높습니다.

(나) 탈모 치료제 시장

탈모 치료제 시장은 전 세계적으로 연평균 9% 이상의 성장률을 보이며 꾸준히 확대되고 있습니다. 기존 치료제는 피나스테리드(Finasteride), 두타스테리드(Dutasteride) 등의 5α-환원효소 억제제 기반 경구약이 주를 이루지만, 성기능 장애 및 간독성 등의 부작용이 보고되고 있어, 이를 대체할 수 있는 새로운 치료법에 대한 수요가 증가하고 있습니다.최근에는 도포형 탈모 치료제 및 RNAi 기반 치료제가 주목받고 있으며, 특히 모낭 세포 활성화 및 혈류 개선을 유도하는 차세대 치료제들이 개발 중입니다. 성장인자 기반 탈모 개선 제품이 연구되고 있으며, 기능성 화장품과 연계된 탈모 관리 제품의 시장도 함께 성장하고 있습니다.

(다) 기능성 화장품 시장

기능성 화장품(코스메슈티컬) 시장은 단순한 피부 관리 제품을 넘어 특정 피부 문제를 해결하는 제품으로 발전하면서, 글로벌 시장에서 높은 성장세를 보이고 있습니다. 특히, 탈모 개선 화장품, MD 재생 크림, 기능성 미스트 & 세럼, 스킨부스터(샤넬주사) 등의 제품이 시장을 주도하고 있으며, 약물 전달 기술과 결합한 기능성 제품이 증가하는 추세입니다. 탈모 개선 화장품

탈모 치료제와 병행하여 사용할 수 있는 두피 건강 개선 기능성 화장품 시장이 확대되고 있습니다. 특히, 세라마이드, 펩타이드, 성장인자 등 기능성 성분이 포함된 샴푸, 세럼, 토닉 제품이 증가하고 있으며, 탈모를 방지하고 모발 성장을 촉진하는 기능성 제품들이 주목받고 있습니다. MD 크림 (의료기기) MD 크림은 의료기기 인증을 받은 고기능성 제품으로, 피부 장벽 회복, 레이저 시술 후 피부 재생, 흉터 치료 등에 활용됩니다. 특히, 피부 침투력을 높이기 위해 다양한 전달 기술이 적용된 제품이 출시되고 있으며, 기존 제품 대비 더 빠른 효과와 장기간 유지 효과를 제공하는 신기술 기반 제품이 시장에서 경쟁력을 갖추고 있습니다. 기능성 미스트 & 세럼 기능성 미스트와 세럼은 보습, 미백, 주름 개선 등의 효과를 극대화한 제품으로, 기존 화장품 대비 더 높은 침투력과 효과 지속성을 제공하는 약물 전달 기술이 결합된 제품들이 시장에서 경쟁력을 확보하고 있습니다. ④ 스킨부스터 (샤넬주사) 스킨부스터(샤넬주사)는 히알루론산, 펩타이드, 성장인자 등이 포함된 주사제로, 피부과 및 에스테틱 시장에서 급성장하고 있습니다. 최근에는 더 높은 안정성과 지속성을 제공하는 새로운 전달 기술 기반 스킨부스터 제품이 개발되고 있으며, 글로벌 시장에서도 수요가 급증하고 있습니다.

(라) ERT 단백질 치료제 시장

단백질 치료제는 효소 결핍으로 인해 발생하는 희귀질환을 치료하는 핵심 기술로, 특히 효소 대체 치료제(Enzyme Replacement Therapy, ERT) 시장이 빠르게 성장하고 있습니다. 헌터증후군(Hunter Syndrome, MPS II)은 효소 결핍으로 인해 발생하는 희귀 유전 질환으로, 기존 치료제의 효과가 제한적입니다. 기존의 ERT 치료제는 정맥 주사 방식으로 투여되며, 특정 장기로의 전달 효율이 낮아 치료 효과가 제한적이었습니다. 이에 따라, 더 높은 조직 침투율과 장기간 지속 효과를 제공할 수 있는 새로운 단백질 전달 기술 기반 치료제에 대한 연구가 활발히 진행되고 있습니다.

현재 글로벌 시장에서는 헌터증후군을 포함한 다양한 희귀질환을 대상으로 한 차세대 ERT 치료제 연구가 확대되고 있으며, 기존 정맥 주사 방식에서 벗어난 고효율 전달 방식이 주목받고 있습니다.

(마) 유전자 편집 치료제 시장

유전자 편집 치료제 시장은 CRISPR/Cas9 등 유전자 교정 기술을 활용하여 질병을 근본적으로 치료하는 혁신적인 접근 방식으로 빠르게 성장하고 있습니다.

현재 유전자 편집 기술을 활용한 치료제는 유전 질환, 암 치료, 감염병 치료 등 다양한 적응증에서 연구가 진행되고 있으며, 특히 대장암, 췌장암, 혈액암 등의 항암제 내성을 극복하기 위한 유전자 편집 치료제 개발이 활발합니다.

CRISPR 기반 유전자 치료제는 기존의 치료제보다 높은 정확성과 효율성을 제공하며, 개별 환자 맞춤 치료가 가능하다는 장점이 있습니다. 현재 글로벌 시장에서는 유전자 편집 기술을 적용한 신약이 점차 상용화 단계로 접어들고 있으며, 향후 다양한 질환으로 확대될 것으로 예상됩니다.

(2) 산업의 성장성

(가) mRNA-LNP 기반 치료제 시장 ① 치료용 암백신

암백신은 암 환자의 면역체계를 활성화하여 암세포를 직접 공격하는 면역치료제로, 최근 암 예방이 아닌 치료 목적의 연구가 활발히 진행되고 있습니다. 치료용 암 백신 시장은 mRNA, pDNA, 바이러스 벡터 기반 기술의 발전과 함께 빠르게 성장하고 있으며, 현재 암 백신 시장에서 치료용 백신이 차지하는 비중은 예방용 백신의 약 1/10 수준이지만, 향후 급격한 성장세가 예상됩니다.

암백신 치료제 시장.jpg 2020년~2027년 암백신 치료제 시장전망

<출처: 한국보건산업진흥원> 현재 mRNA(머크&모더나), pDNA(애스톤사이언스), 바이러스 벡터(칸델테라퓨틱스)기반의 치료용 암 백신이 개발 중이며, 부작용이 적고 면역항암제와 병용 시 치료 효과를 극대화할 수 있어 차세대 항암 치료제로 주목받고 있습니다. 희귀 근육질환(DMD) 치료제

DMD(듀센 근이영양증) 치료제 시장은 희귀 질환 치료제 중에서도 가장 빠르게 성장하는 분야로, 유전자 및 RNA 기반 치료제의 발전과 함께 급격히 확대되고 있습니다. 2019년 시장 규모는 6억 7,214만 달러였으며, 연평균 42%의 성장률을 기록하며 2026년에는 77억 달러에 이를 것으로 전망됩니다 .<출처: 글로벌인포메이션>

최근 사렙타 테라퓨틱스의 ‘엘레비디스(Elevidys)’가 FDA 가속 승인을 획득하며 시장의 주목을 받았습니다. 엘레비디스는 단축된 디스트로핀 유전자를 근육세포에 전달하는 유전자 치료제로, 기존 치료법과 차별화된 방식으로 개발되었습니다. 특히, 단 1회 투여로 치료가 이루어지며, 초고가 치료제로 가격은 320만 달러(약 41억 7,920만 원)로 책정되었습니다. 현재 DMD 치료법은 스테로이드 기반 치료에서 유전자 치료제, RNA 기반 치료제(mRNA, ASO 등), 줄기세포 치료제 등으로 발전하고 있으며, 특히 mRNA 치료제는 근육 단백질을 직접 보충하는 방식으로 새로운 치료 패러다임으로 주목받고 있습니다. 기존 치료제보다 더 안전하고 효과적인 신기술이 지속적으로 개발되고 있어, 향후 시장의 성장은 더욱 가속화될 것으로 예상됩니다.

(나) 탈모 치료제 시장

탈모 치료제 시장은 전 세계적으로 미용과 건강에 대한 관심이 증가하면서 빠르게 성장하고 있습니다. 과거에는 탈모를 자연스러운 노화 현상으로 인식하는 경향이 있었으나, 최근에는 탈모를 치료가 필요한 질환으로 인식하는 사회적 변화가 나타나고 있으며, 이에 따라 탈모 치료제 시장의 수요도 지속적으로 증가하고 있습니다.

글로벌 탈모치료제 시장 전망.jpg 글로벌 탈모치료제 시장 전망

<출처: Grand View Research ‘Alopecia market>

2019년 글로벌 탈모 치료제 시장 규모는 약 2.6조 원이었으며, 연평균 9.4%씩 성장하여 2029년에는 약 6.3조 원에 이를 것으로 전망됩니다.현재 시판 중인 탈모 치료제는 경구용 치료제 및 도포제 형태가 주를 이루고 있으나, 기존 치료제의 약물 전달 효율이 낮고, 특히 경구용 치료제는 성기능 장애 등의 부작용이 보고되는 한계가 있습니다. 이에 따라 부작용을 줄이면서도 치료 효과를 극대화할 수 있는 새로운 제형 및 기술이 개발되며 시장의 저변이 확대될 것으로 예상됩니다. 향후 탈모 치료제 시장은 기존 치료제의 한계를 보완한 새로운 전달 기술이 도입되면서 더욱 성장할 것으로 기대됩니다.

(다) 기능성 화장품 시장글로벌 화장품 시장은 미용과 건강에 대한 관심 증가와 함께 지속적인 성장세를 보이고 있습니다. 특히, 탈모케어 화장품, MD 크림, 기능성 미스트 및 세럼, 스킨부스터 시장과 같은 기능성 화장품(코스메슈티컬 또는 더마코스메틱)이 주목받고 있으며, 소비자의 요구에 맞춰 고기능성 제품 개발이 활발하게 이루어지고 있습니다. 이에 따라 글로벌 기능성 화장품 시장 규모는 2021년 31.7억 달러에서 2026년 40.9억 달러까지 성장할 것으로 전망됩니다.

글로벌 기능성 화장품 시장현황_upscayl_4x_realesrgan-x4plus.jpg 글로벌 기능성 화장품 시장현황

특히, 전 세계적인 경제 불황 속에서도 탈모 화장품 시장은 꾸준한 수요를 창출하며 미래 유망 산업으로 평가받고 있으며, 2025년 탈모 완화 화장품 시장 규모는 21,098백만 달러에 이를 것으로 예상됩니다(CAGR 9.91%).

MD 크림, 기능성 미스트 및 세럼, 스킨부스터 시장 역시 피부 재생, 보습, 탄력 개선 등 다양한 피부 관리 수요 증가에 따라 빠르게 성장하고 있습니다. MD 크림은 미용 시술 후 관리 및 피부 질환 치료를 위한 의료기기 기반 제품으로 시장이 확대되고 있습니다. 기능성 미스트 및 세럼은 보습, 항산화, 미백 효과를 강화한 제품들이 주목받으며 지속적인 성장세를 보이고 있습니다. 스킨부스터(샤넬주사) 시장은 히알루론산, 펩타이드, 줄기세포 배양액 등을 활용한 맞춤형 시술과 결합한 고기능성 제품이 프리미엄 시장을 중심으로 빠르게 확대되고 있습니다.

이처럼 기능성 화장품 시장은 소비자의 니즈 변화와 피부 과학 기술의 발전에 따라 지속적인 성장이 예상되며, 차별화된 고기능성 제품이 시장 확대를 주도할 것으로 전망됩니다.

(라) 단 백질치료제 시장효소대체치료제(ERT) 시장은 희귀 유전 질환 치료제의 주요 분야로, 지속적인 성장세를 보이고 있습니다. 글로벌 단백질 치료제 시장은 2023년 3,456억 달러에서 2032년 6,035억 달러로 연평균 6.2% 성장할 전망입니다. 희귀질환 치료제에 대한 수요 증가와 함께, ERT는 고셔병, 파브리병 등 치료에서 중요한 역할을 하고 있습니다. 대표적으로 사노피의 ‘세레자임(Cerezyme)’이 고셔병 치료제로 활용되고 있으며, 희귀질환 환자의 치료 접근성이 확대되고 있습니다. (마) 유전자 편집 치료제 시장유전자 편집 시장은 2022년 65억 4,200만 달러에서 2030년 239억 200만 달러로 연평균 17.6% 성장할 전망입니다. CRISPR-Cas9 기술이 2022년 전체 시장의 64.5%를 차지하며 핵심 기술로 자리 잡았으며, 유전자 치료제, 농업, 생명공학 분야에서 활용이 확대되고 있습니다.. 특히 희귀질환 및 암 치료제 개발이 시장 성장을 주도하고 있으며, 지속적인 기술 발전과 연구 투자가 이루어지고 있습니다. (3) 경기변동의 특성의료·제약 산업은 필수적인 치료제 공급을 담당하는 만큼 경기 변동의 영향을 비교적 적게 받지만, 신약 개발 단계에서는 연구개발(R&D) 투자와 규제 환경이 중요한 변수로 작용합니다. 신약 개발을 진행하는 과정에서 자금 조달과 정책 변화에 민감하게 반응할 수 있습니다. 반면, 미용·기능성 화장품 시장은 소비자의 가처분 소득과 트렌드 변화에 따라 수요가 유동적일 가능성이 있습니다. (4) 경쟁요소 (가) 경쟁의 특성

바이오 및 기능성 화장품 시장은 글로벌 대기업들이 강력한 특허 및 기술 장벽을 구축하며 시장을 선점하고 있는 과점 시장입니다. 특히, mRNA-LNP 기반 치료제 및 탈모 치료제, 더마코스메틱 분야는 소수의 글로벌 기업들이 높은 시장 점유율을 차지하고 있으며, 진입 장벽이 높은 산업입니다. 반면, 기능성 화장품 시장의 경우 경쟁 기업이 많아 경쟁이 치열한 완전경쟁 시장에 가까우며, 차별화된 기술력과 브랜드 파워가 중요한 경쟁 요소로 작용합니다.

(나) 진입 난이도

mRNA-LNP 기반 치료제는 특허 장벽과 연구개발(R&D) 비용 부담이 매우 크며, 글로벌 기업들이 ionizable cationic lipids관련 광범위한 특허를 보유하고 있어 신규 기업의 진입이 어려운 시장입니다. 당사는 ionizable cationic peptide를 활용 기존 특허 문제를 회피하고 독자적인 플랫폼을 구축함으로써 진입 장벽을 극복하였습니다. 도포형 탈모 치료제 시장은 기존의 경구용 치료제와 차별화된 기술을 요구하며, 국소 적용 기술, 약물 전달 시스템(DDS) 개발, 임상 및 규제 승인 절차 등으로 인해 진입이 쉽지 않습니다. 기능성 화장품 시장은 다른 바이오 시장에 비해 진입이 상대적으로 용이하나, 프리미엄 시장에서는 브랜드 신뢰성과 독창적인 기술이 경쟁력을 결정짓는 핵심 요소입니다.

(다) 경쟁 요인

mRNA-LNP 시장: 기술력 및 특허 대응 전략이 가장 중요한 경쟁 요소이며, 당사는 ionizable cationic peptide를 활용한 독자적 기술을 통해 특허 문제를 해결하고 경쟁력을 확보하였습니다. 또한, 암백신에 최적화된 플랫폼을 자체 개발하여 글로벌 경쟁을 최소화하고 있습니다.

탈모 치료제 시장: 부작용 최소화 및 치료 효율 극대화가 중요한 차별화 요인입니다. 당사의 도포형 탈모 치료제는 모낭 세포 전달을 위한 DDS(Drug Delivery System) 기술을 적용하여, 경구 투여 대비 1/100 수준의 부작용 감소가 예상되며, 이는 독보적인 경쟁 우위를 제공합니다.

기능성 화장품 시장: 기술력과 제품 차별화가 주요 경쟁 요인으로 작용합니다. 당사는 LNP 및 마이크로버블 기술을 세계 최초로 화장품에 적용하여 더마코스메틱 시장에서 독보적인 위치를 확보하고 있습니다.

당사는 기술력 기반의 특허 전략, 차별화된 제품 개발, 독창적인 플랫폼 구축을 통해 글로벌 경쟁에서 우위를 점하고 있으며, 특히 mRNA-LNP 치료제, 도포형 탈모 치료제, 기능성 화장품 분야에서 높은 기술 장벽을 구축하여 지속적인 성장과 시장 확대를 추진하고 있습니다.

(5) 자금조달의 특성

당사는 2016년 설립 이후 제3자배정 유상증자 및 국내 사모전환사채 발행을 통해 연구개발 및 운영 자금을 조달해왔습니다. 2023년에는 상호출자 50억을 제외한 약 66억 원의 투자유치를 통해 재무구조 개선 및 운영자금 확보, 탈모치료제 비임상비용으로 활용하였습니다. 2024년는 별도의 유상증자나 차입 없이 기존 자금을 효율적으로 운영하여 연구개발을 지속하였으며, 2025년에는 약 30억 원 규모의 추가 유상증자를 계획하고 있습니다. 또한, 탈모치료제 임상 승인 이후 이미 논의된 제약사들과 협력을 통해 펀딩을 구성, 확보된 자금으로 본격적인 임상시험을 진행할 예정입니다. 이러한 계획을 통해 임상시험 비용을 안정적으로 조달하고, 향후 사업 확장을 위한 재무적 기반을 더욱 강화할 계획입니다.

(6) 관련 법령 또는 정부의 규제 등

의약품의 개발, 의료기기, 기능성 화장품 시장은 국내외에서 엄격한 규제를 적용받으며, 각국의 법률 및 정책 변화가 제품 개발과 시장 진입에 중요한 영향을 미칩니다.

국내에서는 식약처의 허가 및 관리 감독을 받으며, 의약품 및 바이오의약품은 첨단재생바이오법, 유전자 편집 치료제는 생명윤리법 및 첨단재생바이오법, 기능성 화장품 및 의료기기는 화장품법과 의료기기법의 적용을 받습니다. 최근 유전자 치료제와 희귀질환 치료제에 대한 규제가 완화되는 추세이며, 기능성 화장품 및 더마코스메틱 제품도 기술 발전에 따라 규제 기준이 점진적으로 조정되고 있습니다.

해외에서는 미국 FDA와 유럽 EMA가 첨단바이오의약품 및 의료기기에 대한 규제를 강화하면서도, 신속 승인 절차를 도입하여 신약 개발을 지원하고 있습니다. 중국을 비롯한 기타 국가들도 기능성 화장품과 바이오 치료제에 대한 규제를 강화하고 있으며, 신기술 적용 제품에 대한 안전성 평가를 강화하는 추세입니다.

전반적으로, 각국의 규제는 신기술 도입과 안전성 확보를 균형 있게 조정하는 방향으로 변화하고 있으며, 당사는 국내외 규제 환경을 면밀히 모니터링하면서 신속한 대응을 통해 제품 개발과 글로벌 시장 진출을 추진하고 있습니다.

나. 회사의 현황

(1) 영업개황 및 사업부문의 구분

(가) 영업개황

당사는 전달체 제조 및 약물 개발 기술을 기반으로, 유전자, 단백질, 화합물(Chemicals) 치료제의 LNP 탑재 기술을 보유하고 있으며, 이를 활용해 특정 장기 및 세포로 효과적으로 전달하는 나노 기반 치료제를 개발하고 있습니다. 또한, LNP 및 마이크로버블 기술을 적용한 기능성 화장품을 연구하여 모발 성장, 미백, 주름 개선 등의 효과를 극대화한 제품을 개발하고 있습니다. 당사의 핵심 비즈니스 모델은 LNP CDMO, LNP소재/의약품/코스메틱 제조 및 판매, 기술이전 등을 포함하며, 이를 통해 바이오/제약/코스메틱 시장에서 경쟁력을 확보하고 있습니다.

무진메디 lnp플랫폼.jpg 무진메디 LNP-플랫폼

(나) 공시대상 사업부문의 구분

바이오 소재 함유하는 지질나노입자(LNP) 전달체기술 치료용 유전자, 단백질 등의 조성물을 지질나노입자(LNP)에 탑재 할 수 있는 고유 기술을 보유하고 있으며, 이를 이용한 침투 효율을 극복, 안전하고 체내(in vivo) 전달 가능한 높은 치료 효율을 나타내는 전달체 기술입니다.
도포형 남성형탈모 치료제(HUTERA) 기존 남성형 탈모 치료제는 경구 투여로 인한 간독성, 성기능 장애 등 다양한 부작용이 보고되고 있으며. 이를 극복하는 방안으로 경구 투여가 아닌 도포형 남성 탈모 치료제입니다. 호르몬성 탈모의 요인인 효소의 발현을 억제하는 탈모 치료제를 효과적으로 모낭 세포에 전달하기 위한 LNP전달체를 활용하여 치료효과를 높이고 부작용을 최소화한 치료제입니다.
LNP소재개발 기존 화장품원료로 사용되던 세라마이드에 LNP기술을 접목한 세라마이드 LNP의 세포활성 및 사멸효과를 입증하였으며, 이를 이용한 기능성화장품 원료제조, 피부 의료기기를 개발하여 사업화를 추진중입니다. 또한 microbubble 기술을 통해 초음파 기기를 이용한 기능성 화장품을 제품화하였습니다.
나노 LNP-유전자 편집 기술 기반 대장암/췌장암 치료제

KRAS 또는 P53 유전자 변이에 의해 약물 저항성을 갖는 대장암/췌장암 환자에서 돌연변이 부분을 유전자 편집 기술을 통해 삭제하여 항암제 내성을 갖는 대장암/췌장암을 치료할 수 있도록 하는 유전자 편집 치료제 입니다.

(다) 회사 및 제품개발 현황

당사는 NANO-MEDICINE 전문기업으로, 지질나노입자(LNP) 기술을 기반으로 원료 소재, 개량신약 및 신약, 그리고 기능성 화장품을 연구개발하고 있습니다. 유전자 치료제, 단백질 치료제, 화합물 치료제 등 다양한 분야에서 필수적인 LNP 제조 및 생산 기술을 보유하고 있으며, 이를 활용해 치료제 전달 효율을 극대화하고 기존 약물의 한계를 극복하는 솔루션을 제공합니다. 특히, 암세포 타겟 기능을 추가한 LNP 전달체를 통해 대장암 및 췌장암 치료제를 개발 중이며, 이를 난치성 질환 치료제로 확장하고 있습니다. 최근 C24 세라마이드 LNP를 활용한 연구 결과가 국제학술지 Pharmaceutics에 게재되었으며, 이를 통해 피부 재생 및 상처 치유 효과를 입증하였습니다. C24-LNP는 각질형성세포의 성장과 이동을 촉진하여 피부 재생을 가속화하며, 기존 성장 인자(EGF) 치료제보다 우수한 효과를 보였습니다. 이를 바탕으로 기능성 화장품 및 피부 치료제 개발에 새로운 패러다임을 제시하고 있습니다.

-당사는 LNP 및 마이크로버블 기술을 활용한 코스메틱 플랫폼을 구축하여 피부 침투 효율을 높인 제품을 개발하고 있습니다. 주요 제품으로는 모발 성장 촉진을 위한 헤어토닉, 미백 및 주름 개선을 위한 스킨부스터, 에스테틱 전문 제품, MD 크림 등이 있으며, 이를 통해 기능성 화장품 시장에서 차별화된 경쟁력을 확보하고 있습니다. 또한, 하남 화장품 제조업 등록을 완료하여 자체 생산 역량을 강화하였으며, 안정적인 공급망을 구축하였습니다.

-LNP 기반 CDMO 사업을 확장하며, 희귀질환 관련 mRNA를 보유한 기업 2곳과 계약을 체결하여 공동 연구를 진행하고 있습니다. 해당 프로젝트는 개발 단계별 연구 용역 수익이 발생하는 구조로 운영되며, 지속적인 수익 창출이 기대됩니다. 또한, 환자 맞춤형 암백신 치료제 개발을 위해 mRNA 보유 기업과 협력하여 공동 연구를 진행하고 있으며, 암 치료 분야에서 LNP 플랫폼 기술을 지속적으로 확장하고 있습니다.

-도포형 탈모 치료제는 이미 개발이 완료된 상태로, 애드파마와 협력하여 식약처 임상 승인 심사를 진행 중입니다. 비임상 단계는 당사가 담당하고, 임상 단계는 애드파마가 진행하여 신속한 임상시험 완료 및 품목허가 획득을 목표로 하고 있습니다. 해당 치료제는 모낭 세포 전달을 위한 DDS(Drug Delivery System) 기술을 적용하여, 기존 경구용 치료제 대비 부작용을 최소화하면서 효과를 극대화한 국소 도포형 탈모치료제입니다.

-LNP를 활용한 단백질 개량신약 분야에서도 연구개발을 확대하고 있으며, 현재 헌터증후군 치료제의 비임상 유효성 평가를 진행 중입니다. 향후, 플랫폼 구축을 완료한 후 파브리병 및 고셔병 치료제 개발로 연구를 확장할 계획입니다.

-당사는 mRNA의 LNP 탑재 기술을 포함하여 다양한 분야에서 국내외 다수의 특허를 보유하고 있으며, 지속적인 기술 개발을 통해 글로벌 시장 경쟁력을 확보하고 있습니다. 특히, mRNA-LNP 기술, 탈모 치료제, 세포 성장 및 사멸을 위한 C-LNP 기술 등에 대한 추가 특허 출원 및 PCT 출원을 진행 중입니다. 이를 통해 글로벌 바이오 및 기능성 화장품 시장에서 독보적인 기술력을 확보하고, 장기적인 경쟁력을 강화할 계획입니다.

(2) 시장점유율

당사는 연구개발/신규사업 시작 단계로 시장점유율 기재를 생략합니다.

(3) 시장의 특성 당사의 주요 목표시장은 바이오의약품, 기능성 화장품, 탈모 치료제, 유전자 치료제 및 CDMO(위탁개발생산) 시장으로, 한국을 포함한 글로벌 시장을 대상으로 사업을 확장하고 있습니다. 특히, 희귀질환 및 난치성 질환 치료를 위한 mRNA-LNP 기반 치료제, 단백질 치료제, 유전자 치료제 개발을 진행 중이며, 글로벌 제약사 및 바이오기업과 협력하여 임상 및 상업화를 추진하고 있습니다.

기능성 화장품 및 탈모 치료제 시장에서는 LNP 및 마이크로버블 기술을 적용한 스킨케어 제품, MD 크림, 헤어케어 제품 등을 개발하여 차별화된 경쟁력을 확보하고 있으며, 국내뿐만 아니라 해외 시장 진출을 적극 추진하고 있습니다. 또한, 희귀질환 치료제 개발 기업과의 협력을 통한 LNP 기반 CDMO 사업을 확대하며, mRNA-LNP 치료제 생산을 필요로 하는 바이오 기업과의 협력을 강화하고 있습니다.

시장 수요는 임상 연구 성과, 규제 승인 여부, 보험 적용 범위, 소비자 트렌드, 기술 혁신 등에 따라 변동하며, 바이오의약품 시장의 성장과 함께 mRNA-LNP 기반 신약 개발이 활성화되면서 CDMO 수요도 지속적으로 증가하는 추세입니다. 바이오 및 의약품 산업은 높은 연구개발(R&D) 비용과 긴 승인 절차로 인해 진입 장벽이 높으며, 글로벌 규제 환경 변화가 중요한 시장 변수로 작용합니다. 반면, 기능성 화장품 시장은 소비자 트렌드 변화가 빠르고 브랜드 신뢰도와 기술력이 중요한 경쟁 요소로 작용합니다.

(4) 신규사업 등의 내용 및 전망당사는 기능성 화장품 시장을 신규 사업으로 선정하고, LNP(지질나노입자) 및 마이크로버블 기술을 적용한 고기능성 제품 개발을 본격적으로 추진하고 있습니다. 이를 통해 기존 화장품과 차별화된 더마코스메틱(의료기기 기반 스킨케어), 탈모 개선 제품, 스킨부스터 및 미백·주름 개선 화장품 등 다양한 제품군을 구축하고 있으며, 국내뿐만 아니라 해외 시장 진출을 목표로 사업을 확장하고 있습니다.

특히, C24 세라마이드 LNP를 적용한 피부 재생 및 상처 치유 제품의 연구 결과가 국제 학술지에 게재되었으며, 이를 바탕으로 기능성 화장품 시장에서 독보적인 기술력을 확보하고 있습니다. 또한, 하남 화장품 제조업 등록을 완료하여, 자체 생산 역량을 강화함과 동시에 안정적인 제품 공급 체계를 구축하였습니다.

기능성 화장품 시장은 소비자의 미용 및 피부 건강에 대한 관심 증가, 맞춤형 스킨케어 수요 확대, 신기술 적용 제품에 대한 선호도 증가 등으로 지속적인 성장세를 보이고 있습니다. 당사는 LNP 및 마이크로버블 기술을 접목한 차별화된 제품 개발을 통해 시장 내 경쟁력을 확보하고, 국내외 주요 시장에서 브랜드 인지도를 높이며 성장 기회를 극대화할 계획입니다.

skin healthcare 제품 구성.jpg skin healthcare 제품 구성

(5) 조직도

조직도.jpg 조직도

2. 주주총회 목적사항별 기재사항 □ 재무제표의 승인

가. 해당 사업연도의 영업상황의 개요

III. 경영참고사항 중 1. 사업의 개요 참조하시기 바랍니다.

나. 해당 사업연도의 대차대조표(재무상태표)ㆍ손익계산서(포괄손익계산서)ㆍ이익잉여금처분계산서(안) 또는 결손금처리계산서(안)

※ 아래의 재무제표는 외부감사인의 감사를 받지 않은 자료로서 외부감사인의 감사 결과 및 주주총회 승인과정에서 변경될 수 있습니다. 상세한 재무제표 및 주석사항은향후 전자공시시스템(http://dart.fss.or.kr)에 공시예정인 당사의 감사보고서를 참조하시기 바랍니다.

- 대차대조표(재무상태표)

<대 차 대 조 표(재 무 상 태 표)>

제 9(당)기 2024년 12월 31일 현재
제 8(전)기 2023년 12월 31일 현재
주식회사 무진메디 (단위 : 원 )
과 목 제 9(당)기 제 8(전)기
자 산
I. 유동자산 460,961,538 3,367,258,411
(1) 당좌자산 460,961,538 3,367,258,411
현금및현금성자산 433,956,387 3,353,824,087
외상매출금 23,293,160 7,999,750
미수금 2,091,491 5,404,954
선급법인세 1,620,500 29,620
II. 비유동자산 8,807,443,046 12,158,144,188
(1) 투자자산 2,081,383,061 4,999,986,000
매도가능증권 2,081,383,061 4,999,986,000
(2) 유형자산 6,464,231,928 6,892,962,157
토지 1,661,172,664 1,661,172,664
건물 3,057,784,314 3,057,784,314
감가상각누계액 (267,556,115) (191,111,506)
공구와기구 1,455,583,786 1,444,463,786
감가상각누계액 (1,272,188,082) (1,126,449,598)
시설장치 381,735,000 374,185,000
감가상각누계액 (236,729,000) (160,507,833)
비품 171,046,355 167,612,845
감가상각누계액 (156,423,722) (143,955,152)
건설중인자산 1,669,806,728 1,809,767,637
(3) 무형자산 197,286,289 190,584,900
산업재산권 187,607,629 175,280,880
기타의 무형자산 9,678,660 15,304,020
(4) 기타비유동자산 64,541,768 74,611,131
보증금 10,822,000 20,822,000
장기선급금 53,719,768 53,789,131
자 산 총 계 9,268,404,584 15,525,402,599
부 채
I. 유동부채 4,771,887,625 4,881,453,106
단기차입금 1,500,000,000 1,500,000,000
유동성장기부채 3,033,520,000 3,000,000,000
미지급금 174,091,201 335,142,335
선수금 28,357,064 11,452,054
예수금 12,165,480 11,674,940
미지급비용 23,753,880 23,183,777
II. 비유동부채 503,770,550 420,513,605
장기차입금 66,480,000 100,000,000
퇴직급여충당부채 432,290,550 320,513,605
임대보증금 5,000,000 -
부채총계 5,275,658,175 5,301,966,711
I.자본금 6,067,618,500 6,064,770,500
보통주자본금 5,025,989,000 5,004,791,000
우선주자본금 1,041,629,500 1,059,979,500
Ⅱ. 자본잉여금 17,800,960,858 17,676,445,918
주식발행초과금 17,541,649,238 17,545,563,518
기타자본잉여금 259,311,620 130,882,400
Ⅲ. 자본조정 973,042,614 1,101,471,834
주식선택권 973,042,614 1,101,471,834
Ⅳ. 이익잉여금(결손금) (20,848,875,563) (14,619,252,364)
미처분이익영여금(결손금) (20,848,875,563) (14,619,252,364)
자 본 총 계 3,992,746,409 10,223,435,888
부 채 와 자 본 총 계 9,268,404,584 15,525,402,599

- 손익계산서(포괄손익계산서)

<손 익 계 산 서>

제 9(당)기 2024년 01월 01일부터 2024년 12월 31일까지
제 8(전)기 2023년 01월 01일부터 2023년 12월 31일까지
주식회사 무진메디 (단위 : 원 )
과 목 제 9(당)기 제 8(전)기
Ⅰ.매출액 116,522,136 140,037,500
용역수입 116,522,136 140,037,500
Ⅱ.매출원가 - -
Ⅲ.매출총이익 116,522,136 140,037,500
Ⅳ.판매비와관리비 3,034,946,062 2,544,558,621
급여 618,102,339 508,765,603
퇴직급여 81,232,893 35,801,875
주식보상비용 - 119,930,397
복리후생비 168,029,845 145,564,054
여비교통비 28,949,258 38,102,028
접대비 7,117,640 6,242,900
통신비 729,685 743,981
세금과공과 14,259,749 13,955,230
감가상각비 134,588,859 137,362,700
무형자산상각비 30,069,978 24,308,962
임차료 7,140,000 12,164,144
수선비 2,211,000 7,679,727
보험료 - 72,420
경상연구개발비 1,658,774,374 1,352,712,190
운반비 4,794,250 1,666,260
교육훈련비 12,433,600 330,000
회의비 3,850,400 3,269,900
소모품비 4,785,151 3,086,929
지급수수료 225,114,765 96,048,902
광고선전비 186,400 3,686,167
건물관리비 31,317,676 30,102,852
경조사비 1,258,200 2,961,400
Ⅴ.영업이익(손실) (2,918,423,926) (2,404,521,121)
Ⅵ.영업외수익 16,517,335 850,098
이자수익 11,473,456 218,097
수입임대료 5,000,000 -
잡이익 43,879 632,001
Ⅶ.영업외비용 3,327,716,608 173,073,893
이자비용 197,197,244 172,975,363
유형자산손상차손 211,900,000 -
매도가능증권손상차손 2,918,602,939 -
잡손실 16,425 98,530
Ⅷ.법인세비용차감전순이익(손실) (6,229,623,199) (2,576,744,916)
Ⅸ.법인세비용 - -
Ⅹ.당기순이익(손실) (6,229,623,199) (2,576,744,916)

- 이익잉여금처분계산서(안) 또는 결손금처리계산서(안)

<결손금처리계산서>

제9기 (2024년 01월 01일부터 2024년 12월 31일까지)
제8기 (2023년 01월 01일부터 2023년 12월 31일까지)
주식회사 무진메디 (단위 : 원)
과 목 제 9(당)기 제 8(전)기
미처리결손금 (20,848,875,563) (14,619,252,364)
전기이월미처리결손금 (14,619,252,364) 12,042,507,448)
당기순손실 (6,229,623,199) (2,576,744,916)
차기이월미처리결손금 (20,848,875,563) (14,619,252,364)

- 최근 2사업연도의 배당에 관한 사항

: 해당사항 없음

□ 이사의 보수한도 승인

가. 이사의 수ㆍ보수총액 내지 최고 한도액

(당 기)

이사의 수 (사외이사수) 3 ( 0 )
보수총액 또는 최고한도액 500백만원

(전 기)

이사의 수 (사외이사수) 3 ( 0 )
실제 지급된 보수총액 210백만원
최고한도액 500백만원

※ 기타 참고사항: 해당사항 없음

□ 감사의 보수한도 승인

가. 감사의 수ㆍ보수총액 내지 최고 한도액

(당 기)

감사의 수 1
보수총액 또는 최고한도액 50백만원

(전 기)

감사의 수 1
실제 지급된 보수총액 15백만원
최고한도액 50백만원

※ 기타 참고사항: 해당사항 없음

IV. 사업보고서 및 감사보고서 첨부

가. 제출 개요 2025년 03월 19일1주전 회사 홈페이지 게재
제출(예정)일 사업보고서 등 통지 등 방식

나. 사업보고서 및 감사보고서 첨부

- 향후 사업보고서는 오기 등이 있는 경우 수정될 수 있으며, 수정된 사업보고서는 DART(http://dart.fss.or.kr)에 업데이트 될 예정이므로 이를 참조하시기 바랍니다.- 주주총회 이후 변경된 사항에 관하여는 「DART-정기공시」에 제출된 사업보고서를 활용하여야 합니다.- 사업보고서 및 감사보고서를 주주총회 1주전까지 회사 홈페이지에 게재 할 예정이오니 참고하여 주시기 바랍니다.(게재위치: http://www.moogene.com ▷ IR&PR ▷IR ▷ IR Notice)

※ 참고사항

□ 주주총회 집중일 주총개최 관련 - 당사는 금번 정기주주총회 개최를 가능한 주총집중일을 피해 진행하고자 하였으나, 이사 및 감사들의 참석가능일정과 외부감사인으로부터의 감사보고서 예상수령일자등을 고려한 결과, 불가피하게 정기주주총회 집중일에 주주총회를 개최하게 되었습니다.향후 주주총회 개최시 주주총회 분산 자율준수프로그램에 참여하여 정기주주총회 집중일을 피하여 개최 될 수 있도록 노력하겠습니다.

- 코넥스협회가 발표한 당해년도 주주총회 집중(예상)일은 3월21일(금), 27일(목), 28일(금) 입니다.

□ 기타사항 - 주주참석기념품을 따로 제공하지 않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