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주총회소집공고 6.0 (주)수프로

주주총회소집공고
2025 년 06 월 13 일
회 사 명 : (주)수프로
대 표 이 사 : 채일
본 점 소 재 지 : 서울시 서초구 강남대로27, 1301호(양재동, 에이티센타)
(전 화) 02-6300-2444
(홈페이지)http://www.suppro.com
작 성 책 임 자 : (직 책)부장 (성 명) 윤형수
(전 화) 02-6300-2444

주주총회 소집공고
(제26기 정기)

당사는 상법 제 365조와 정관 제17조에 의거 제26기 정기주주총회를 아래와 같이 개최하오니 참석하여 주시기 바랍니다.

- 아 래 -1. 일 시 : 2025년 6월 30일(월) 오전 9시2. 장 소 : 서울시 서초구 강남대로 27, 3층(양재동, 에이티센타) 미래로룸Ⅰ3. 회의목적사항 가. 보고사항 : 1) 감사보고 2) 영업보고 3) 내부회계관리제도 운영실태보고 나. 부의 안건 1) 제1호 의안 : 제 26기 재무제표 승인의 건 2) 제2호 의안 : 사외이사 재선임의 건 - 제2-1호 의안 : 사외이사 이복기 선임의 건 (재선임) 3) 제3호 의안 : 감사 선임의 건 -제3-1호 의안 : 감사 이준헌 선임의 건 4) 제4호 의안 : 이사 보수한도 승인의 건(한도 : 800,000,000원) 5) 제5호 의안 : 감사 보수한도 승인의 건(한도 : 30,000,000원) 6) 제6호 의안 : 주식매수선택권 부여 승인의 건4. 지참서류 가. 주주가 직접 참석하는 경우 - 신분증(주민등록증, 운전면허증, 여권 중 1개 지참) 나. 대리인이 주주총회에 참석하는 경우 - 주주총회위임장(주주본인의 인감도장 날인) - 주주본인의 인감증명서 1통 - 대리인의 신분증(주민등록증, 운전면허증, 여권 중 1개)5. 실질주주의 의결권 행사에 관한 사항 우리 회사의 이번 주주총회에서는 한국예탁결제원이 주주님들의 의결권을 행사할 수 없습니다. 따라서 주주님들께서는 한국예탁결제원에 의결권행사에 관한 의사 표시를 하실 필요가 없으며, 종전과 같이 주주총회에 참석하여 의결권을 직접 행사하시거나 또는 위임장에 의거 의결권을 간접 행사할 수 있습니다.

I. 사외이사 등의 활동내역과 보수에 관한 사항

1. 사외이사 등의 활동내역 가. 이사회 출석률 및 이사회 의안에 대한 찬반여부
회차 개최일자 의안내용 사외이사 등의 성명
이복기(출석률: 100%)
찬 반 여 부
1 2024.04.24 우리은행 신규 대출의 건 찬성
2 2024.04.24 기업은행 신규 및 연장대출의 건 찬성
3 2024.05.10 내부회계관리제도 운영실태 및 평가보고의 건 찬성
4 2024.06.12 제25기 정기주주총회 소집에 관한 건 찬성
5 2024.07.15 단기금융상품 가입의 건 찬성
6 2024.07.25 주식매수선택권 부여의 건 찬성
7 2024.07.29 국외여비규정 개정의 건 찬성
8 2024.08.06 우즈베키스탄 용역 계약의 건 찬성
9 2024.09.24 미등기 임원 자금 대출의 건 찬성
10 2024.11.06 미등기 임원 자금 대출의 건 찬성
11 2024.11.11 내부회계관리규정 개정의 건 찬성
12 2024.11.25 우리은행 한도대출 연장의 건 찬성
13 2024.11.29 등기 임원 자금 대출의 건 찬성
14 2024.12.02 산업은행 대출 기한 연장의 건 찬성
15 2025.03.04 미등기 임원 자금 대출의 건 찬성

나. 이사회내 위원회에서의 사외이사 등의 활동내역
위원회명 구성원 활 동 내 역
개최일자 의안내용 가결여부
- - - - -

2. 사외이사 등의 보수현황
(단위 : 천원)
구 분 인원수 주총승인금액 지급총액 1인당 평균 지급액 비 고
사외이사 1 800,000 - - -

※ 주총승인금액은 사내이사 3명을 포함한 등기이사 총 4명의 보수한도 총액입니다.

II. 최대주주등과의 거래내역에 관한 사항

1. 단일 거래규모가 일정규모이상인 거래
(단위 : 억원)
거래종류 거래상대방(회사와의 관계) 거래기간 거래금액 비율(%)
- - - - -

2. 해당 사업연도중에 특정인과 해당 거래를 포함한 거래총액이 일정규모이상인 거래
(단위 : 억원)
거래상대방(회사와의 관계) 거래종류 거래기간 거래금액 비율(%)
- - - - -

III. 경영참고사항

1. 사업의 개요 가. 업계의 현황

1. 조경수 시장의 특징

(1) 생물소재 고유 특성

조경수는 일반 공산품과 달리 대체재가 없고, 생육에 장기간이 소요되므로 상대적으로 투자금의 회수기간이 긴 특징을 지니고 있습니다. 이에 따라 체계적인 조경수 생산계획이 필요하며, 조달청과 조경시장에서 요구하는 규격에 맞지 않은 수목은 조경수로서의 가치가 없어 생산과정 전반에 대하여 품질유지를 위한 주의를 요합니다.

(2) 조경공사의 핵심소재

조경수는 조경(녹화)산업의 핵심소재로서 공사비의 50% 이상 점유합니다. 조경식재공사에서 공사비는 재료비가 60%로 그 점유율이 가장 높고, 다음으로 노무비 30%, 경비 10%의 순으로 구성됩니다.

국내에서 생산·유통되는 조경수는 주로 노지생산 조경수인데, 조경수 하자율은 한국토지주택공사 발주현장에서 12.6%, 농림수산식품부 발표에 따르면 조경수 하자율이 30%에 이릅니다.

조경공사 시 조경업자는 일정한 기간(1~3년) 하자보수의 책임을 지므로 식재된 조경수의 하자율이 조경업자의 수익성에 큰 영향을 미치며 따라서 상대적으로 높은 가격에도 불구하고 생존율이 높은 조경수(컨테이너 생산)에 대한 수요는 지속적으로 증가하고 있는 추세입니다.

(3) 정보부족으로 인한 불안정한 시장

국내 조경수 산업의 경우 전국적인 수목 생산량 및 공급 가능량에 대한 체계적인 정보관리가 전무하기 때문에 미래 조경수의 수요에 대한 정확한 예측이 매우 어렵습니다.

따라서 조경 수종은 신규수종 및 특수수종 개발이 어렵고 유통판로 또한 쉽지 않기 때문에 구입이 용이한 왕벚나무와 같은 수종이 조경 수종으로 인기가 높습니다. 이런 이유로 왕벚나무와 같은 특정수종의 과잉생산 되거나 품귀현상이 발생하는 등 공급의 비탄력적 특성으로 인하여 조경수 가격이 불안정하기 때문에 수목 생산자는 큰 가격변동위험에 노출됩니다.

(4) 유통체계 미확립

조경수 생산·유통사업의 전방산업인 조경공사는 건설업 하청구조의 영향으로 유통단계가 복잡하기 때문에 조경수 생산자는 판매가격이 낮으며 실수요자는 반대로 구입가격이 높은 특징을 지니고 있습니다. 따라서 효과적인 유통망을 활용하여 유통단계를 줄일수록 조경업자의 경우 높은 마진을 얻을 수 있습니다.

(5) 개인 중개상인의 신용 미비

아직 국내 조경수 산업은 성숙하지 못하여 조경수 유통의 상당부분이 개인 중개상인을 통해 이루어집니다. 이중 일부에서 생산자에게 적정 가격보다 지나치게 저가로 매입하거나, 조경수 고사·반품 등의 문제 발생 시 책임을 회피, 계산서 발급 없이 수목을 유통하는 등 불투명한 유통관행을 보이고 있어 개선의 필요성이 제기되고 있습니다.

(6) 조경수 생산 면적 감소추세

조경수 재배 임가수는 2005년 7,696호, 2010년 12,002호, 2015년 9,070호, 2020년 12,360호로서 2020년에 최대치를 나타냈습니다. 반면 재배면적은 2010년 12,401ha로 최대치를 나타냈고 2015년부터 점차 감소추세에 있습니다. 이와 같이 국내 조경수 생산은 소규모 겸업위주의 경영으로 이루어지는 상황입니다.

[년도별 조경수 재배임가 및 재배면적]

구분

2005년

2010년

2015년

2020년

재배임가(호)*

7,696

12,002

9,070

12,360

재배면적(㏊)

7,600

12,401

9,670

8,985

임가당 면적(㏊)

0.99

1.03

1.06

0.73

* 자료: 국가통계포털(http://kosis.kr), 농림어업총조사(공표주기 5년)

(7) 조경공사 자체 수목 구매팀의 비효율성

조경 공사회사는 자체 구매팀을 운영하기도 합니다. 그러나 운영고정비용이 발생하고 정보력의 한계로 인하여 조경수 구매를 위한 각종 거래비용이 발생되어 실제로 더 많은 비용이 발생하고 있습니다.

(8) 해외 기업의 국내 진출 장벽

수목의 생물소재 고유한 특성으로 인해 사업의 해외진출 시 기후환경, 대상수종 등 생산여건이 상이하므로 현지화에 오랜 시간이 걸립니다. 상이한 기후환경에서 왕벚나무, 느티나무, 이팝나무 등의 국내 자생수종을 생산하는데 어려움이 따르며, 수목의 생육기간을 고려했을 때 기술과 경험을 축적하는데 최소한 5~10년 정도의 기간이 필요할 것으로 추정됩니다. 또한, 업체 소재국의 고유 수종으로 국내시장을 공략할 경우에도 그 수종으로 발생할 생태교란의 우려로 인해 통관절차에 큰 어려움이 따릅니다.

특히 수목의 생장기간으로 인해 조경수 생산·유통사업은 투자금 회수에 많은 기간이 소요되는 사업입니다. 수목의 생산시설 구축을 위해서 토지매입, 시설온실 구축 등의 시설조성비, 인력 고용비 등 많은 초기투자 비용이 소요되며, 많은 조경업자들과의 유통판매체계를 새로히 구축해야 한다는 점에서 해외기업의 국내진출에는 금전적, 시간적 부담이 따릅니다.

2. 조경공사 시장의 특징

(1) 자재공급시장의 불투명성

조경수 시장의 특징에서 기재한 바와 같이 조경공사 공사비의 과반 이상이 조경수의 구매에 사용됩니다. 국내 조경수 공급시장은 영세 생산자들이 파편적으로 전국각지에 분산되어 있으며, 조경수 생산자에 대한 정보를 얻기 위한 채널의 부재와 유통과정의 복잡성으로 인해 조경수의 가격변동성이 심하고 불필요하게 과도한 비용을 지불하는 상황이 빈번히 발생합니다.

따라서 조경업자는 공사에 필요한 조경수를 안정적으로 투명하게 공급받을 수 있는 채널을 확보하는 것이 공사 원가를 절감하기 위해 중요하며, 조경공사의 경우 조경업자가 일정기간(약 1~3년) 동안 공사에 대한 하자보수 책임을 지므로 고사율이 낮은 조경수를 확보하는 것이 수익성에 큰 영향을 미칩니다.

(2) 면허사업

관급 조경공사의 경우 발주처(정부부처)별로 입찰공고에 응하기 위한 각기 다른 면허를 요구하고 있습니다. 일반적으로 요구되는 자격요건은 자본금, 기술인력, 시설(사무실) 등이며, 요구되는 세부사항은 각 면허별로 상이합니다.

이러한 시장특성으로 인해 면허의 보유여부가 시장의 진출 장벽으로 작용하며, 다양 하고 취득이 난해한 자격을 취득할수록 공공부문의 공사를 수주할 가능성이 상승합니다.

(3) 점층적 사업

조경공사업은 민간과 공공부문 모두 기존 수행한 공사의 규모 및 평가가 추후 공사를 수주하는데 큰 영향을 미칩니다. 일반적으로 공사가 발주될 시 시공실적을 기반으로 한 시공능력이 주요 평가대상이며, 시공능력이 미달하면 입찰자체가 불가능한 경우가 대부분이기 때문에 특정규모 이상의 공사를 진행하기 위해서는 실적을 쌓을 물리적인 시간이 필요합니다.

이는 동사의 조경공사 사업이 본궤도에 오르기 위하여 겪어야할 장애물이 동시에 신규로 시장에 진입하는 경쟁자들에게 진입장벽으로 작용합니다.

3. 주요 목표시장

(1) 수목 Business (조경수 생산/유통)

당사의 수목Business는 조경수의 생산/유통을 핵심 사업으로 영위하고 있으며 민·관 부문의 조경수시장을 주요 목표 시장으로 하고 있습니다. 주요 매출처는 민간 또는 공공부문의 조경공사를 수주하여 식재할 조경수를 구매하는 조경업체이므로 시장규모는 공공부문의 조경관련 예산과 민간부문의 조경공사비이며, 전체 조경공사의 약 50%를 차지하는 조경식재공사에 투입되는 비용 중 약 50%가 조경수의 매입에 소요되므로 전체 조경공사(원도급) 규모의 약 25%를 조경수의 유통시장이라 추정할 수 있습니다.

(2) 환경복원사업 (조경공사, 환경복원사업, 벽면녹화)

1) 조경공사

조경공사는 국가 및 지자체를 대상으로 하는 공공부문 조경공사와 민간부문으로 구분되며 조경수의 식재만을 시공하는 ‘조경식재공사’와 조경수식재와 조경시설물 설치를 포함하는 ‘조경공사’로 구분할 수 있습니다. 당사는 조경식재공사 시장과 조경공사시장 모두에 직접시공 형태로 참여하고 있어 이 모두를 목표시장으로 볼 수 있습니다.

국가통계포털(KOSIS)의 건설업조사에 따르면 2023년 국내 조경 원도급공사 기성액은 약 4조 1,824억원으로 전년대비 약 979억원(2.4%) 증가하였습니다.

[최근 5개년 조경건설시장 추이]

(단위 : 10억원)

구분

2019년

2020년

2021년 2022년 2023년

조경원도급공사 기성액

3,696

3,439

3,846 4,085 4,182

증감율(%)

8.4

-7.0

11.8 6.2 2.4

출처 : 국가통계포털(https://kosis.kr) 건설업조사

2) 환경복원사업

자연환경복원사업은 환경부에서 발주하는 환경복원사업의 수주를 목적으로 하며, 시장규모는 연간 3,000억원 내외로 조경시장에 비하여 그 규모가 작습니다. 다만 복원사업 용역이나 공사입찰에 반드시 필요한 ‘자연환경복원사업 대행자’ 면허 수는 소수의 업체로 한정되어 있으며, 기술자 보유기준 등 진입장벽도 상대적으로 높아 향후 관련 예산이 증가하더라도 면허를 보유한 경쟁자의 수가 많아지기는 어려운 상황입니다.

자연환경복원사업은 시공능력(시공평가액), 경제성(견적) 등을 기준으로 “자연환경복원사업 대행자”면허를 보유한 자에 한하여 입찰을 허용하고 있습니다. 따라서 “자연환경복원사업 대행자”면허를 보유한 당사는 누적된 공사 실적과 앞선 기술력으로 관련 시장에서 수주기회를 극대화 할 수 있으며 공사 실적과 관련 기술력이 축적될수록 수주기회를 확장해 나갈 수 있을 것이라 기대됩니다.

3) 벽면녹화

수목과 토양을 포함한 녹지는 도시생태계에서 탄소흡수원으로써 큰 기능을 하므로 탄소중립시대 그린시티 조성에 대한 필요가 대두되고 있는 상황에서 신규 또는 기존 건출물의 실내/실외 벽면에 대한 녹화시공 시장을 목표로 합니다.

건축물의 벽면을 녹화할 경우 도심 속에서 건축물 주변공간을 할애하지 않으면서 많은 녹화면적을 확보할 수 있으며, 친환경적인 방법으로 건축물의 미관을 가꿀 수 있어 정부 및 관공서뿐만 아니라 민간부문에서의 수요도 점차 늘어나 벽면녹화시장이 본격적으로 개화하고 있으므로 시장의 빠른 성장이 기대되고 있습니다.

(3) 해외 녹화사업

해외 녹화사업은 외교부 산하 한국국제협력단(KOICA)의 개발도산국 지원프로그램 중 하나인 ODA(Official Development Assistance)사업에 참여하는 것을 목표 시장으로 하고 있습니다.

나. 회사의 현황

1) 사업 개황

(가) 회사의 개요

“수목(樹木) 생산ㆍ유통ㆍ연구ㆍ조경공사ㆍ환경복원ㆍ해외녹화사업까지 수목 관련 전 분야에서 기후변화 대응 탄소중립 관련 사업을 수행하는 녹색성장 회사”

당사는 2000년 7월 설립된 국내 유일의 조경수 유통 전문회사로서 2013년 조경업체 최초로 한국거래소 코넥스 시장에 상장하여 조경수의 생산 유통 및 환경복원사업을 주요 사업으로 영위하고 있습니다.

회사 설립이후 불투명한 유통시장의 표준화 및 정보의 비대칭성 해소를 통한 시장의 효율화에 힘쓰고 있으며, 이를 통해 사회적 비용을 감소시키고 양질의 조경수를 지역사회에 공급하고 있습니다. 또한 외교부 산하 한국국제협력단(KOICA), 산림청 등 국가기관과 다년간의 협업을 통하여 세계 각국에 녹지를 조성하고 환경복원기술을 전수하는 등 글로벌 생태계 보호와 수목 생육기술 고도화에 기여하고 있습니다.

당사는 20여년 업력의 수목 생산 유통 전문회사로서 자체 ERP를 통해 1건 이상 발생한 모든 거래에 대한 거래상대방 및 거래정보를 축적하고 있으며, 정보 불투명한 산업에서 경쟁력 있는 대량의 시장데이터를 확보하고 있습니다. 이를 통해 수목유통 사업을 영위하며 발생하는 불필요한 비용을 줄이고 시장변화를 예측하여 이에 대응하는데 강점을 지니고 있습니다.

축적된 수목 유통망을 활용 시 직접 1차 수목생산자로부터 유통마진을 없앤 저가로 수목을 공급받을 수 있다는 강점을 통해 2015년 환경복원사업부를 출범시키며, 직접조경공사를 수행하는 조경공사 시장에 진출하였습니다. 공공·민간 부문의 조경공사와 환경부 발주의 자연환경복원사업을 통해 지속적으로 시공평가액을 증가시키고 있으며 최근 도시녹화 방안으로 각광받고 있는 건축물 벽면녹화시장에 당사의 원천기술을 활용한 제품을 선보이며 진출하였습니다.

또한 한국국제협력단(KOICA)과 한국농어촌공사에서 실시하는 해외 산림녹화사업을 통해 2008년 중국 우란부허(烏蘭布和) 사막 생태복원사업에 1000ha에 이르는 방사림을 조성하였으며, 중국 황토고원(黃土高原) 복원, 키르기스스탄 산림사업, 우즈베키스탄 조림사업, 튀니지 코르크참나무숲 복원 등의 총 조림면적 1.5천 ㏊, 묘목식재 390만 본, 병해충방제 2만 ha를 성공적으로 수행하였습니다.

2024년 8월에는 한국국제협력단(KOICA)로부터 ‘우즈베키스탄 타슈켄트주 스마트 기술기반 산림 도시녹화 역량강화사업 PMC용역’을 수주(사업기간 2024 ~2028년, 계약금액 84.5억) 하기도 하였습니다.

이처럼 당사의 선진화된 수목 생산기술과 노하우를 통해 국가 간 협력사업에 기여함으로써 대한민국의 생태복원분야 소프트파워 증진과 아시아권 환경복원에 선도적인 역할을 수행하고 있습니다.

[국제 산림ODA사업 시설양묘장의 컨테이너 묘목 대량생산]

emb000020ac0341.jpg 삭사물 등 (중국 내몽고자치구)

emb000020ac0342.jpg 장자송 및 측백(중국 섬서성)

emb000020ac0343.jpg 천산가문비나무 등(키르기즈스탄)

emb000020ac0344.jpg 코르크참나무(튀니지)

emb000020ac0345.jpg 측백(우즈베키스탄)

emb000020ac0346.jpg 타미릭스(우즈베키스탄)

상기한 당사의 설립 취지 및 사업 사례와 같은 수목 생육기술은 불필요한 사회적 비용을 줄이면서 탄소제로 시대에 발맞춘 생태환경조성을 위하여 필수적으로 연구·고도화 되어야하는 분야이며, 당사는 대한민국의 수목 생산·유통 산업을 대표하는 업체로서 지속적인 R&D를 통하여 건전한 산업생태계 조성과 기후변화 대응한 해외산림녹화사업으로 지속가능개발 목표(SDGs) 달성에 기여하고 있습니다.

보고서 제출일 현재 당사의 사업분야는 크게 ①수목 Business(생산/유통), ②환경복원사업(조경공사, 환경복원사업, 벽면녹화), ③해외 녹화사업 3가지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

(1) 수목 Business(생산/유통)

수목Business 사업부문은 조경수 생산/유통의 방식을 통해 수익을 창출합니다. 현재 미세먼지·폭염 등 환경문제가 심각해지는 가운데, 도시생활환경 개선 및 온실가스 감축 수단으로 도시숲의 기능이 부각되고 있습니다. 그린뉴딜, 탄소중립 등 기후변화 범정부 대책에 도시숲이 반영되고 있고, 2020년 6월 「도시숲법」제정으로 생활권 탄소흡수원 확충기반이 마련되었습니다.

당사가 영위하는 사업의 주된 대상물인 조경수는 살아있는 생물이라는 특성을 가진 제품으로 다음과 같은 특징을 지니고 있습니다.

[일반 상품과 조경수의 주요 차이점]

① 살아있는 생물이므로 각각의 품질과 규격이 일정하지 않음.

② 생육 장소와 여건에 따라 성질과 상태가 다르게 나타남.

③ 날씨 등 환경조건에 따라 공급시기가 달라져 수요변화에 신속한 대응이 어려움.

④ 수령, 수형, 유통거리, 작업여건 등에 따라 가격이 크게 변동하며, 가격책정 방식이 표준화 되지 않음.

⑤ 종자 파종에서 조경수 판매까지 5~10년이 소요되므로 자본회수기간이 김.

국내 조경수 유통시장의 경우, 대규모 양묘장을 통하여 규격화된 품질의 수목을 생산·판매하는 기업형 공급자가 존재하지 않으므로, 영세 농민들이 수목의 정확한 수요와 공급에 대한 데이터 없이 생산한 수목을 수요자가 요구하는 수종과 특징을 중개업자가 물색하여 전국 각지에서 공급하고 있는 상황입니다.

이러한 산업구조는 유통단계 및 운송 거리가 길어지고 수요자와 공급자 상호간의 정보교류가 원활하지 않아 사회적 비용이 증가하는 부작용을 낳고 있습니다. 또한 영세공급자의 수목의 수요와 생육기간 등에 대한 고려 부족은 수목의 가격변동성을 증가시키는 요인으로 작용하여 식목비용에 대한 예측가능성을 감소시킵니다.

이러한 배경에서 당사는 고도의 전문성을 지닌 연구 인력을 활용한 지속적인 R&D, 주요 수종별 생육데이터 축적, 전국 유통네트워크기반의 시장데이터 축적 등을 강점으로 국내 수목 유통시장을 선도하고 있습니다.

수목의 선진형 컨테인너(양묘용기) 생산 방식을 통해 묘목~성목까지 대량생산을 위한 생육데이터를 축적하여 대량생산시스템을 구축하기 위한 생산 매뉴얼을 보유하였으며, 생산~유통에 거친 전반의 기술과 노하우를 신기술(NET) 인증, 녹색기술 인증 등을 통해 검증받았습니다.

또한 당사는 지난 20여년 간 전국에 1,872개의 매출거래처, 1,249개의 매입거래처 등 총 3,000여 곳에 달하는 공공기관 및 시장 내 높은 신용도를 보유한 업체위주의 우량 거래처를 확보하였습니다. 이는 조경 전문업체로는 국내 최대 수준으로 각 거래처를 통해 수집되는 시기/지역/수종별 조경수 시장데이터와 당사가 보유한 수목 생육데이터를 통해 수요처의 요구사항에 적합한 수목을 원활히 공급할 수 있는 역량을 갖추었습니다.

특히 2021년 회사 설립 이후 20여 년간 축적한 10만 건 이상의 유통거래 데이터베이스(DB)를 딥러닝 등 AI 기술로 분석하는 '조경수 생산 및 유통을 위한 수요예측 AI 솔루션'을 개발하였습니다. 이는 최적의 조경수종, 규격별 수요, 가격 등을 산출하는 솔루션으로 정보통신산업진흥원의 AI 바우처 지원사업을 통해 개발하여 사업 전반에 거쳐 활용하고 있습니다.

이처럼 당사는 기존의 체계적이지 않은 방식으로 사업을 영위하고 있는 시장참여자와 차별화하여 데이터를 기반으로 수목 생산/유통 구조를 고도화 하였으며, 국내 대표 수목 유통의 플랫폼으로써의 업력을 축적하여 데이터를 수집하기 위한 기반을 구축하였습니다.

(2) 환경복원사업 (조경공사, 환경복원사업, 벽면녹화)

환경복원사업는 국토부, 환경부, 지차체 등 공공부문과 대형 건설사와 같은 민간부문을 대상으로 조경공사, 환경복원사업, 벽면녹화사업의 직접시공을 수행하며 수익을 창출하고 있습니다.

▣ 조경공사

조경공사는 ‘조경공사업’과 ‘조경식재 시설물공사업’ 면허를 기반으로 지자체와 대형 건설사가 발주한 조경공사를 수주 받는 형태로 사업을 영위하고 있습니다.

조경수를 식재하는 ‘조경식재 시설물공사’와 달리 ‘조경공사’의 경우 일반적으로 조경수 식재와 조경시설물 설치가 함께 포함되어 공사가 이루어지므로 공사규모가 상대적으로 크며, 이 경우 조경수 식재에 관련한 공사는 당사에서 직접 시공하고 시설물설치 등의 분야는 외부업체에 이를 외주하여 시공하고 있습니다.

입찰의 형태는 공공/민간부문 모두 일정조건을 충족할 시 가장 경제성이 높은 안을 제시한 사업자가 공사를 수주하는 경쟁입찰 방식을 취고 있으나, 공공부문과 달리 민간부분에서는 수주의 기회가 공사를 발주한 건설사의 협력사에만 한정된다는 차이가 있습니다.

당사의 경우 현재 한진중공업, 현대아산, 신동아건설 등 다수의 대형건설사의 협력사로 등재되어 있으며, 고품질의 수목공급능력을 경쟁력으로 이를 점차 확대하고 있습니다. 또한, 조경공사는 민간/공공 부문 모두 시공실적(시공평가액)에 따라 공사 수주기회가 달라지므로 당사는 2015년 환경복원사업부 신설 이후 시공능력을 꾸준히 증가시키며 공사수주 기회 확대를 위한 노력을 기울이고 있습니다.

▣ 환경복원사업

환경복원사업은 환경부에서 발주하는 ‘자연환경복원사업’의 일환으로 발주되는 공사를 사업대상으로 하며, 2020년 말 체계적인 자연환경복원 추진을 위한 자연환경보전법 개정이후 그 사업범위가 명확해지면서 조경공사와 분류된 사업부로 운용되고 있습니다.

자연환경복원사업은 일반적으로 특정요건을 갖춘 입찰 참여자들이 고유의 사업구상으로 경쟁하는 제안입찰의 형태를 취하고 있습니다.

자연환경복원사업의 경우 ‘자연환경복원사업 대행자’ 자격을 보유한 업체만이 입찰에 참여할 수 있어 시장 내 경쟁이 제한되며, 당사는 과거 다수의 공공부문 공사 실적과 보유 기술에 대한 우수한 평가를 기반으로 향후 본 분야에서 많은 사업기회를 창출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됩니다.

▣ 벽면녹화

2022년부터 본격적으로 매출이 발생하고 있는 벽면녹화사업은 건축물의 실내외의 벽면에 수직벽 녹화장치를 설치하여 식물을 식재하는 공사이며, 벽면을 조경식물로 뒤덮어 나타나는 심미적인 효과와 적은 공간을 활용하여 넓은 면적을 녹화할 수 있다는 장점으로 인해 각광받고 있습니다.

과거에는 벽면에 식재된 식물의 관리의 문제로 적용이 제한되었던 장소도 IoT의 발달에 따라 그 활용범위가 더욱 늘어나고 있어 향후 빠른 성장이 기대되는 사업입니다.

또한 회사는 향후 탄소배출권 확보를 위한 기초사업을 영위하고자 지에스에너지 주식회사와 2024년 01월에 합작법인을 설립하였습니다. 이를 통해 미래 성장동력 확보와 외형 확장에 기여할수 있을 것으로 기대하고 있습니다.

(3) 해외 녹화사업

해외 녹화사업은 외교부 산하 한국국제협력단(KOICA), 한국농어촌공사, 산림청에서 제안 또는 공고하는 해외산림사업에 참여하여 산림녹화와 환경복원에 필요한 한국형 양묘장 조성 및 운영관리, 산림도시녹화기술 등의 노하우를 제공하여 사업비를 제공 받으며 수익을 창출합니다.

경협·외교·통상·안보 및 기후변화 대응 등 다양한 분야에서 공적개발원조(ODA) 역할 확대로 정책 정합성 확보 중요성은 증가하고 있습니다. 세계적 산림녹화 우수모델인 대한민국은 국제사회와 기후위기 대응 및 탄소중립 이행을 위해 산림의 역할을 강화하고 활용하기 위한 움직임은 본격화하고 있습니다.

대한민국은 2010년 OECD 개발원조위원회(DAC) 가입 이후, ODA 정책 기반 마련과 양적·질적 성장을 통해 중견 공여국으로 성장하였습니다. ODA 규모(예산)은 2010년 1.3조원에서 2020년 3.4조원으로 확대되었습니다. 대한민국 정부는 2021년 P4G 서울 정상회의에서 밝힌 기후·녹색 ODA 확대 목표를 달성하기 위한 세부전략인 '그린뉴딜 ODA 추진전략'으로 그동안 그린분야에 ODA(약정액)의 20%를 지원해 왔으며, 그간의 성과를 확대·발전시켜 글로벌 기후변화 대응과 상생의 녹색회복을 선도해 나갈 계획입니다. '2050 탄소중립'추진전략의 일환으로 아시아, 아프리카, 중남미 지역에 산림사업(REDD+사업)을 추진하여 매년 약 500만 톤의 해외 감축을 추진하고 있습니다.

당사는 2008년부터의 해외 녹화사업을 통하여 다양한 자연환경에서의 사막화 방지, 산림복원, 산림농업 등 입증된 건조지 녹화기술과 노하우를 보유하고 있습니다. 건조지 녹화기술은 황폐한 사막지역과 같은 건조지역에 식재된 뿌리발달이 뛰어난 컨테이너 수목은 활착과 생장이 향상되고, 조림현장에서 식재·보관이 편리하여 작업공정 관리가 용이하기 때문에 흔히 발생하는 수목 고사와 생육저하를 방지하는 기술입니다. 국내에서 연구개발된 종자/양묘분야 원천기술을 바탕으로 중국, 우즈베키스탄, 키르기즈스탄, 튀니지 등 건조지역의 자연환경과 기후여건에 적합한 컨테이너 생산기술을 적용하여 생태복원사업을 성공적으로 수행하며 대한민국의 산림분야 국제원조사업을 선도하고 있습니다.

이러한 검증된 녹화기술을 통해 2024년 8월에는 한국국제협력단(KOICA)로부터 ‘우즈베키스탄 타슈켄트주 스마트 기술기반 산림 도시녹화 역량강화사업 PMC용역’을 수주(사업기간 2024 ~2028년, 계약금액 84.5억) 하기도 하였습니다.

[ 당사 해외 녹화사업 해외 산림녹화사업 실적 ]

구 분

조 림 사 업

양 묘 사 업

조림면적

묘목식재

시설양묘장

묘목생산

합 계

조림면적 1,458ha

(병해충방제 20,522ha,

우정의숲 0.48ha)

3,938,789본

5.4ha

-

중국 내몽고 자치구 바얀누르시 우란부허 사막 확산방지 및 생태복원 사업(2008~2011)

1,000ha

3,300,000본

(활착률60%)

1동(면적 180㎡)

50,000본/년

중국 섬서성 연안시 우치현 황막화 방지 및 수토보전을 통한 생태복원 시범사업(2010~2012)

172.3ha

258,554본

(활착률85%)

1동(면적 338㎡)

36,482본/년

키르기즈스탄 산림보전 역량강화 사업(2011~2015)

우정의 숲 1.2ha

(병해충방제 20,522ha)

1,200본

(활착률78%)

2동(면적 350㎡)

9,500본/년

우즈베키스탄 나보이지역 조림사업(2013~2016)

135.32ha

(우정의숲 0.48ha)

151,435본

(활착률 80%)

시설양묘장1ha

(비닐온실6동, 면적 1,890㎡)

76,293본/년

튀니지 코르크 참나무숲 복원 시범사업(2014~2018)

110ha

182,600본

(활착률 85%)

시설양묘장0.35ha

(야외생육시설 4동, 면적 816㎡)

95,000본/년

우즈베키스탄 나보이지역 조림사업 사후관리사업(2018~2020)

40ha

45,000본

(활착률 85%)

시설양묘장 4ha

(야외생육시설 1동, 면적 350㎡)

150,000본/년

캄보디아 산림복구 및 산림연구시설 구축사업 사후관리 용역사업(2021)

양묘장 시설개선 및 양묘기술 전수

우량수목 선발, 조림지 정비 등

* 활착률 평가지표 : 반건조지(200~300㎜) 60% 이상 (KOICA 한-인도네시아 산림분야 기후변화대응 역량강화 사업 사후평가 최종보고서. 2018년 12월)

(나) 회사의 성장과정

(1) 설립기 (2000년~2009년) : 수목 생산 및 유통체계 구축

연도

주요 업적

2000년

국내 유일의 수목연구ㆍ생산ㆍ유통기업인 (주)수프로 설립

2004년

건국대학교와 산ㆍ학연구인 컨테이너 수목 생산기술개발 시작

2005년

수목 유통관리시스템 구축 운용

㈜수프로 식물환경연구소 기업부설연구소 설립

2006년

국내 최초 컨테이너 기업양묘장 구축(여주, 유구)

2007년

산림청 산하 간척국유양묘장 민간위탁경영 수주(5.9ha)

2008년

중국 우라부허사막 생태녹화사업 실시(KOICA 용역)

2009년

도시녹화 생산사업부 신설

2000년 당시에는 사회적으로 조경을 비롯해 자연환경 분야시장이 성장하기 시작한 반면 전문적인 수목 유통기업은 전무하였고, 국내 수목 생산자 대부분이 개인 영세업자로 선진적인 수목 생산기술 개발과 연구 경험이 부족하였으며, 관련 종사자 또한 고령화되어 산업화를 이루기 어려워 수목의 수요자들은 필요한 정보를 원활히 확보하기 어려운 상황이었습니다.

이러한 배경에서 당사는 기존 시장구조에서 발생하는 비효율을 선전적인 수목유통 시스템 도입을 통해 해소하고 그 과정에서 수익창출이 가능할 것이라는 사업기회를 포착하여 2000년 7월 수목 생산 및 유통전문회사 ㈜수프로를 설립하였습니다.

제36회 국제기능올림픽 조경부문 공식 수목 공급업체 선정, 2002년 부산 아시안게임 골프장 및 뚝섬 내 서울숲 1차 조성지 수목 공급 등 사업을 이어나가며 국내에서 독보적인 수목유통 인프라를 구축하여 조경시장으로 사업을 확대하기 위한 기반을 마련하였습니다.

당사는 조경수의 생산 및 유통에 대한 필요성이 확대되면서 2004년 건국대학교와 컨테이너 양묘를 활용한 조경수 생산기술 개발에 관한 산ㆍ학 연구를 실시하였습니다. 이후 국내 수목시장의 공급자는 주로 고도화된 수목생산기술을 지니지 못한 영세업자이며, 관련 종사자가 점차 고령화 되고 있는 상황을 고려해 2005년부터 기업부설연구소인 식물환경연구소를 설립하여 선진 수목생산기술을 활용한 고품질의 조경수 생산으로 당면한 고령시대에 따른 인력난 및 고임금 문제, 조경수 품질 균일화 및 표준화를 추진하기 위한 R&D를 진행하였습니다. 이를 중심으로 산·학·연 협력을 통해 수목생산산업의 현대화·산업화 노력은 이후 외교부 산하 한국국제협력단(KOICA)의 2008년 중국 우라부허 사막 확산방지 및 생태복원 사업을 시작으로 우즈베키스탄 등 6개국의 산림ODA사업을 수행하는데 기반이 되었습니다.

조경수 생산에 관한 산ㆍ학ㆍ연 연구를 수행하고 있는 식물환경연구소는 국가연구개발을 바탕으로 컨테이너 기업양묘장을 구축하여 산업화를 추구하고 있습니다.

2007년 산림청 산림과학특정연구과제로 「관목ㆍ덩굴형 조경수목의 대량생산 및 규격화 기술 개발」을 수행하였으며, 도시녹지 환경개선 및 공공녹지 조성을 위한 다양한 형태와 기능을 가진 조경수의 대량생산과 규격화 기술을 개발하였습니다.

2007년 산림청 정책과제로 「합리적인 조경수 조성ㆍ관리 및 생산ㆍ유통 개선방안」으로 조경수 조성·관리사업의 개선방향에 대한 연구와 조경수의 생산·소비·유통 등 실태조사를 하였고, 조경수 선진국의 생산·유통시스템 분석을 통해 조경수 산업의 개선방안으로 선진국의 컨테이너 재배기술 도입을 제안하였습니다.

2009년 산림청 산림과학연구개발과제로 「난대조경수목 생산체계 개발 및 산업화 전략」을 수행하면서 기후온난화 확대 및 선호도 상승으로 인해 조경시장에서 수요가 증가하고 있는 난대수종을 대상으로 활용성이 높은 조경용 수종을 선발하여, 수고 2~3m 규격의 중간수목을 조기에 생산ㆍ공급하는 체계를 개발하였습니다. 이를 통하여 새로운 개념의 난대조경수 전문농장 체계를 구축하고 난대조경수 생산분야의 선진 산업화 전략을 수립하였습니다.

또한 수목 유통사업이 점차 확대되면서 안정적인 수목 수급이 필요하게 되어 2009년 도시녹화 생산사업부를 신설하고 수목의 생육 단계벌로 매뉴얼화한 생산관리 시스템을 활용한 체계적인 수목관리기법으로 고품질의 도시ㆍ산림ㆍ생태녹화용 수목을 생산ㆍ공급하고 있습니다.

(2) 성장기 (2010년~2019년) : 기술 고도화, 기업양묘장 구축, 해외 녹화사업 진출

연도

주요 업적

2010년

난대 컨테이너 기업양묘장인 자회사 그린메이커 수프로 신설 (전남 강진 2.4ha)

2010년

중국 섬서성 황토고원(黃土高原) 생태녹화사업 실시(KOICA 용역)

2011년

키르기즈스탄 산림보전 역량강화사업 실시(KOICA 용역)

2012년

전라남도 강진 Agro Park (19.9ha) 준공

2013년

Agro Park에 연구, 생태교육, 휴양 기능 보완작업

우즈베키스탄 PMC 사업 실시(KOICA 용역)

한국거래소 코넥스(KONEX)시장 상장

2014년

튀니지 코르크 참나무숲 복원 시범사업 실시(KOICA 용역)

2015년

환경복원사업부 신설

2017년

조경시설물설치공사업 면허 취득

2018년

우즈베키스탄 나보이지역 조림사업 사후지원 사업수행용역(KOICA 용역)

산지관리를 이용한 남북산림협력센터 기본계획 연구(산림청 용역)

노지재배 수목에 대한 컨테이너 시험재배(한국조경학회 용역)

대중국 절강성 조경수 수출

2019년

도심 내 뉴그린 공간 식재관리 기술개발 및 현장적용 연구(한국임업진흥원 용역)

당사는 컨테이너 조경수 생산·유통시스템 개발 및 규격화 및 표준화에 관한 연구개발을 지속적으로 수행하였습니다. 2013년 산림청 산림과학연구개발과제로 「조경산업 선진화를 위한 조경수 생산·유통시스템 개발 및 유통센터 구축 방안」에서 북유럽, 북미, 일본 등을 중심으로 한 조경 선진국들의 수목 생산시스템 특성과 장ㆍ단점을 구명하였고, 조경수 생산과 유통 전반의 생산성 및 효율성을 향상시키기 위한 조경수 유통센터의 적정 위치, 규모, 소요금액, 운영주체 등을 분석하였습니다.

컨테이너 조경수 생산시스템이 용기대묘~중형수목 체계가 이루어지면서 수형과 규격(수고, 근원직경, 용기의 크기)에 대한 규격화 연구를 시도하여 2017~2018년 국립산림과학원 산림바이오소재연구소의 위탁연구과제로 수행한 「용기 형태 및 용적에 따른 수목의 생장과 뿌리발달 특성 연구」 및 「수종별 수목생장과 뿌리발달에 따른 적정 용적 및 용기 형태 분석」으로 컨테이너 재배에 필수적인 수목생장과 뿌리발달에 따른 적정 용적 및 용기 형태를 구명하였으며, 재배 용기에 따른 수목 품질표준화 생산체계를 구축하는 중요한 기반자료를 제시하였습니다.

2010년~2012년 수목의 생산, 유통, 관광, 휴양, 교육을 아우르는 기업형 양묘장 Agro Park(강진군 신전면 용화리 253번지 일원 19.9ha, 도암면 덕서리 29번지 2.4ha)를 조성하였습니다. Agro Park은 기후온난화 확대와 더불어 조경시장에서 급속히 수요가 확대되고 있는 난대수종 생산을 위하여 국내 최초ㆍ최대의 선진국형 난대 조경수 생산단지를 구축하였습니다. 다만, 2016년 최대풍속 56.5m에 이르는 초대형태풍 차바로 인해 큰 피해를 입은 이후 피해복구비용에 더불어 경영상 어려움이 동반되면서 2020년 운영을 중단하고, 경기도 여주를 중심으로 생산단지를 구축하였습니다.

이와 같은 대규모 양묘장 구축 및 운영관리에 대한 기술력과 수목 생산기술에 대한 노하우는 KOICA(한국국제협력단)의 키르기즈스탄, 우즈베키스탄, 튀니지 등 산림 ODA 사업을 수주하는데 결정적인 역할을 하였습니다.

[(주)수프로 국제 산림ODA사업]

대상국가

사업시기

사업명

중국

2008년 ~ 2011년

내몽고자치구 우란부허(烏蘭布和)사막 확산방지 및 생태복원사업

2010년 ~ 2013년

섬서성 연안시 황막화 방지 및 수토보전을 통한 생태복원 시범사업

키르기즈스탄

2011년 ~ 2015년

산림역량 강화사업

우즈베키스탄

2013년 ~ 2016년

나보이 지역 조림사업

2018년 ~ 2020년

나보이지역 조림사업 사후관리사업

튀니지

2014년 ~ 2018년

코르크참나무숲 복원 시범사업

캄보디아

2021년

산림복구 및 산림연구시설 구축사업 / 사후관리 용역

2015년에는 환경복원사업부를 신설하여 축적된 환경복원기술을 바탕으로 국내외 생태복원사업에 진입하였습니다. 2018년 자연환경복원사업은 대행자 등록증 활용하여 청주 상당산성 자연마당 조성사업(2018~2019년, 31억원) 등 회사의 사업범위를 확대하였습니다.

특히 한국형 양묘장 조성 및 조림사업에 크게 이바지하여 한국의 산림/도시녹화 대표기업으로 성장하게 되었습니다.

(3) 도약기 (2020년~ 현재) : 국내·외 수목생산무터 조경공사까지 수직계열화 완성

연도

주요 업적

2020년

산림산업 법인 면허(도시림 등 조성, 숲길 조성 관리) 획득

컨테이너 조경수 생산기술 및 생산기반 표준모델 개발(한국임업진흥원 용역)

K-FOREST 세계화 전략 마련에 관한 연구(산림청 용역)

2021년

마포구청 벽면녹화 사업

안산갈대습지 인공섬 식생구조 개선 및 흰목물떼새 서식처 조성사업

조경수 생산 및 유통을 위한 수요 예측 AI 솔루션 도입

조달청 “혁신제품(컨테이너 조경수, 식물벽 장치)” 등록

조경수 생산 및 유통을 위한 수요예측 AI 솔루션 도입(정보통신산업진흥원 용역)

캄보디아 산림복구 및 산림연구시설 구축사업 사후관리 용역 실시(KOICA 용역)

파리공원 맞춤형 리모델링 사업

우즈베키스탄 타슈켄트주 스마트 기술기반 산림ㆍ도시녹화 역량강화사업 수주(KOICA 용역)

"컨테이너를 이용한 조경수 생산방법" 특허등록
2022년 혁신제품 시범구매 (4현장) 선정
"컨테이너 조경수용 묘목 식재시스템" 특허등록
2023년 파주운정3 A-16 BL 조경공사 수주
김천시청 기후변화 취약계층 지원사업(식물벽) 수주
2024년 우즈베키스탄 타슈켄트주 스마트 기술기반 산림도시녹화 역량강화사업 PMC용역 수주

산림청, 환경부 등 국가연구과제로 선진 기술인 컨테이너 조경수 생산기술 개발과 표준화 연구를 줄곧 선도하였습니다. 2020년 산림청과 한국임업진흥원 산림과학기술 실용화 지원사업 「컨테이너 조경수 생산기술 및 생산기반 표준모델 개발」에서 이팝나무, 느티나무, 에메랄드그린 등 주요 조경수종에 대한 수형과 규격 그리고 단가를 정립하였습니다. 위의 연구개발 결과를 산림청에 제안하여 당사의 컨테이너 조경수 생산체계, 시설 및 자재, 생산공정 등을 포함하는 컨테이너 조경수 생산시스템 반영을 통해 국가 표준화 기반을 마련하여 선도적 지위를 획득하였습니다.

이를 기반으로 컨테이너 조경수의 시제품 개발과 제품화 단계를 거쳐서 2021년 5월 기획재정부 혁신제품(공공기관 구매제품)으로 컨테이너 조경수와 식물벽 녹화장치가 인증하여 조달청에 등록되는 등 본격적으로 생산ㆍ유통 사업화 단계로 진입하였습니다.

20년간 지속적으로 전국의 조경수 공급과 수요, 조경공사 현장, 조경공사 발주처별 성향, 수목의 가격 동향, 운반비 등 데이터베이스를 조사하여 유통관리시스템을 구축하고, 수요자와 공급자를 연결하는 수목유통 플랫폼의 기반을 닦았습니다. 이렇게 쌓아올린 네트워크를 통해 당사는 조경수를 1차 생산자에게 낮은 가격으로 직접 수매할 수 있으므로 조경공사 직접 시행 시 식재되는 조경수의 유통마진만큼 경쟁력 있는 견적을 제시하는 수목 유통에서 조경공사 시공까지의 사업부문의 수직계열화를 이루었습니다.

조경공사 실적이 축적·향상됨에 따라 대형 조경공사 입찰이 가능하게 되어 2021년 서울시 양천구의 파리공원 맞춤형 리모델링 사업(2021~2022년, 50.9억원), 2023년 파주운정3 A-16BL 아파트 조경 식재공사 (2023~2024년, 44억) 등을 수주하였고, 2022년 혁신제품으로 인증된 벽면녹화용 식물벽 녹화장치의 경우 강진군청, 경기도 교육청 등 5개 기관에서 조달청의 공공기관 시범구매 제품(7.6억원) 사업으로 수주한실적이 있습니다. 당사는 이처럼 조경공사 사업에서 외연을 확대하여 환경복원 관련 사업을 수행하면서 지속성장의 견인차 역할을 하고 있으며 이는 연구개발을 추진한 지식경영의 성과로 향후 높은 수익성을 기대하고 있습니다.

이후 수목 생산부문의 투자를 통해 당사가 원천기술을 보유한 컨테이너조경수 대량 생산시스템이 본격적으로 가동될 경우, 조경수 공급의 원가를 획기적으로 낮출 수 있어 조경공사 부문의 경쟁력 강화에 큰 시너지를 창출과 함께 수목의 생산에서 조경공사까지의 조경수 생산·유통·공사의 수직계열화가 가능할 것으로 기대됩니다.

2. 주주총회 목적사항별 기재사항 □ 재무제표의 승인

1. 재무제표아래의 재무제표는 한국채택국제회계기준(K-IFRS) 작성기준에 따라 작성되었으며, 외부감사인의 감사결과 및 주주총회 승인 과정에서 변동될 수 있습니다.재무제표의 주석사항은 전자공시시스템(http://dart.fss.or.kr)에 공시 예정인 당사의감사보고서를 참조하시기 바랍니다.

1) 대차대조표(재무상태표)

재 무 상 태 표
제 26 기말 2025년 03월 31일 현재
제 25 기말 2024년 03월 31일 현재
주식회사 수프로 (단위 : 원)
과 목 제 26 기말 제 25 기말
자 산
Ⅰ. 유동자산 8,592,180,119 8,104,839,043
현금및현금성자산 686,793,083 281,204,157
매출채권및기타채권 3,868,538,353 2,520,330,737
계약자산 652,141,880 1,461,917,248
재고자산 2,664,561,022 2,639,879,048
단기금융자산 612,780,000 1,077,400,000
당기법인세자산 4,190,205 6,092,944
기타유동자산 103,175,576 118,014,909
Ⅱ. 비유동자산 2,295,469,158 2,185,842,873
장기매출채권및기타채권 6,284,767 11,969,812
장기금융자산 353,817,230 333,612,334
계약자산 45,913,061 -
유형자산 819,310,721 876,518,890
투자부동산 42,470,850 42,470,850
관계기업투자 96,462,329 124,812,726
무형자산 10,675,204 21,610,726
사용권자산 318,700,052 236,338,158
이연법인세자산 601,834,944 538,509,377
자 산 총 계 10,887,649,277 10,290,681,916
부 채
Ⅰ. 유동부채 3,383,391,767 3,628,191,401
매입채무 및 기타채무 1,409,941,893 1,830,889,994
단기차입금 970,000,000 1,280,000,000
충당부채 21,663,174 46,631,384
유동성리스부채 127,597,597 93,276,174
기타유동부채 371,527,078 345,387,792
계약부채 482,662,025 32,006,057
II. 비유동부채 2,421,134,885 1,813,506,057
장기미지급금 42,783,127 5,333,336
계약부채 207,256,534 -
확정급여부채 1,975,502,053 1,653,528,048
장기충당부채 52,379,517 46,602,232
리스부채 143,213,654 108,042,441
부 채 총 계 5,804,526,652 5,441,697,458
자 본
Ⅰ. 자본금 1,967,725,000 1,967,725,000
Ⅱ. 자본잉여금 1,867,636,613 1,864,060,223
Ⅲ. 이익잉여금 1,247,761,012 1,017,199,235
자 본 총 계 5,083,122,625 4,848,984,458
부 채 및 자 본 총 계 10,887,649,277 10,290,681,916

2) 손익계산서(포괄손익계산서)

포 괄 손 익 계 산 서

제 26 기 2024년 4월 1일 부터 2025년 3월 31일 까지
제 25 기 2023년 4월 1일 부터 2024년 3월 31일 까지
주식회사 수프로 (단위 : 원)
과 목 제 26 기 제 25 기
Ⅰ. 매출액 27,791,883,306 26,240,461,966
Ⅱ. 매출원가 22,880,508,989 22,323,693,636
Ⅲ. 매출총이익 4,911,374,317 3,916,768,330
판매비와관리비 4,528,022,224 4,667,563,078
Ⅳ. 영업손익 383,352,093 (750,794,748)
기타수익 58,395,354 30,800,994
기타비용 3,742,310 58,140,301
금융수익 43,600,648 137,732,109
금융비용 113,058,503 141,113,541
지분법손익 (28,350,397) (187,274)
Ⅴ. 법인세비용차감전순손익 340,196,885 (781,702,761)
법인세비용 (25,434,831) (212,138,249)
Ⅵ. 당기순손익 365,631,716 (569,564,512)
Ⅶ. 기타포괄손익 (135,069,939) (97,867,080)
1. 당기손익으로 재분류되지 않는 항목 (135,069,939) (97,867,080)
순확정급여채무의 재측정요소 (135,069,939) (97,867,080)
Ⅷ. 총포괄손익 230,561,777 (667,431,592)
Ⅸ. 주당손익
기본주당손익 40 (62)

3) 자본변동표 자 본 변 동 표

제 26 기 2024년 4월 1일 부터 2025년 3월 31일 까지
제 25 기 2023년 4월 1일 부터 2024년 3월 31일 까지
주식회사 수프로 (단위 : 원)
과 목 자본금 자본잉여금 이익잉여금 총 계
2023.04.01(전기초) 1,967,725,000 1,864,060,223 1,684,630,827 5,516,416,050
<총포괄손익>
당기순손익 - - (569,564,512) (569,564,512)
순확정급여채무의 재측정요소 - - (97,867,080) (97,867,080)
2024.03.31(전기말) 1,967,725,000 1,864,060,223 1,017,199,235 4,848,984,458
2024.04.01(당기초) 1,967,725,000 1,864,060,223 1,017,199,235 4,848,984,458
<총포괄손익>
당기순손익 - - 365,631,716 365,631,716
순확정급여채무의 재측정요소 - - (135,069,939) (135,069,939)
주식매수선택권 - 3,576,390 - 3,576,390
2025.03.31(당기말) 1,967,725,000 1,867,636,613 1,247,761,012 5,083,122,625

4) 현금흐름표 현 금 흐 름 표

제 26 기 2024년 4월 1일 부터 2025년 3월 31일 까지
제 25 기 2023년 4월 1일 부터 2024년 3월 31일 까지
주식회사 수프로 (단위 : 원)
과 목 제 26 기 제 25 기
Ⅰ. 영업활동으로 인한 현금흐름 420,498,891 (949,421,787)
영업에서 창출된 현금 458,103,078 (880,648,657)
이자의 수령 41,971,338 24,108,190
이자의 지급 (82,213,202) (89,987,086)
배당금의 수령 2,937,157 2,852,000
법인세의 납부 (299,480) (5,746,234)
Ⅱ. 투자활동으로 인한 현금흐름 450,998,915 1,301,110,621
정기예금의 증가 (1,829,980,000) (1,802,588,888)
정기예금의 감소 2,300,000,000 2,002,588,888
단기대여금의 대여 (170,000,000) (17,000,000)
단기대여금의 회수 150,600,000 12,100,000
장기대여금의 회수 2,500,000
당기손익공정가치측정금융자산의 취득 (7,581,784) (17,120,149)
당기손익공정가치측정금융자산의 처분 - 1,352,415,195
지분법투자주식의 증가 - (125,000,000)
유형자산의 취득 (29,440,730) (48,397,325)
유형자산의 처분 9,090,909 -
사용권자산의 취득 - (17,850,000)
무형자산의 취득 (2,864,480) (2,362,100)
보증금의 감소 40,225,000 20,000,000
보증금의 증가 (11,550,000) (55,675,000)
Ⅲ. 재무활동으로 인한 현금흐름 (465,908,880) (265,494,790)
단기차입금의 차입 970,000,000 2,314,722,495
단기차입금의 상환 (1,180,000,000) (2,424,722,495)
유동성장기차입금의 상환 (100,000,000) -
리스부채의 지급 (155,908,880) (155,494,790)
Ⅳ. 현금및현금성자산에 대한 환율변동효과 - -
Ⅴ. 현금및현금성자산의 증가(감소)(Ⅰ+Ⅱ+Ⅲ+Ⅳ) 405,588,926 86,194,044
Ⅵ. 기초의 현금및현금성자산 281,204,157 195,010,113
Ⅶ. 기말의 현금및현금성자산 686,793,083 281,204,157

5) 이익잉여금처분계산서(안) 또는 결손금처리계산서(안) 이익잉여금처분계산서

제 26 기 (2024. 04. 01 부터 2025. 03. 31 까지)
제 25 기 (2023. 04. 01 부터 2024. 03. 31 까지)
주식회사 수프로 (단위 : 원 )
구 분 제 25기 제 24기
(처분예정일:2025.6.30) (처분확정일:2024.6.28)
Ⅰ. 미처분이익잉여금(결손금) 1,247,761,012  - 1,017,199,235
전기이월미처분이익잉여금 1,017,199,235 1,684,630,827  -
순확정급여부채의 재측정요소 (135,069,939) (97,867,080)  -
당기순손익 365,631,716 (569,564,512)  -
Ⅱ. 이익잉여금(결손금)처분액  -  -
Ⅲ. 차기이월미처분이익잉여금(결손금) 1,247,761,012  - 1,017,199,235

- 최근 2사업연도의 배당에 관한 사항

해당사항 없음

□ 이사의 선임

가. 후보자의 성명ㆍ생년월일ㆍ추천인ㆍ최대주주와의 관계ㆍ사외이사후보자 등 여부

후보자성명 생년월일 사외이사후보자여부

감사위원회 위원인

이사 분리선출 여부

최대주주와의 관계 추천인
이복기 1975.01 해당 - - 이사회
총 ( 1 ) 명

나. 후보자의 주된직업ㆍ세부경력ㆍ해당법인과의 최근3년간 거래내역

후보자성명 주된직업 세부경력 해당법인과의최근3년간 거래내역
기간 내용
이복기 (주)특수건설건설사업본부 본부장 11.01~현재06.05~11.0304.07~11.03 (주)특수건설 건설사업본부 본부장(주)위빌 대표이사(주)아이비맥스 대표이사 -

다. 후보자의 체납사실 여부ㆍ부실기업 경영진 여부ㆍ법령상 결격 사유 유무

후보자성명 체납사실 여부 부실기업 경영진 여부 법령상 결격 사유 유무
이복기 - - -

라. 후보자의 직무수행계획(사외이사 선임의 경우에 한함)

사외이사는 조경 등 건설사업 전문가로서 독립적인 관점에서 내부통제 및 준법경영의 강화를 위해 소임을 다하겠습니다. 또한, 이사회의 전문성과 투명성을 높이기 위해 경영진에 대한 자문 역할을 충실히 수행하여 이사회 중심 경영을 한층 더 강화하도록 하겠습니다.

마. 후보자에 대한 이사회의 추천 사유

후보자는 전문지식을 활용하여 회사의 의사결정에 있어 다양한 시각을 제공할 것으로 기대되며, 이를 토대로 회사의 장기적 성장과 기업가치 극대화를 위한 주요역할을 수행 할 수 있을 것으로 판단하여 사외이사로 추천함.

확인서 사외이사 재선임(이복기) 확인서_1.jpg 사외이사 재선임(이복기) 확인서_1

※ 기타 참고사항

해당사항 없음

□ 감사의 선임

<감사후보자가 예정되어 있는 경우>

가. 후보자의 성명ㆍ생년월일ㆍ추천인ㆍ최대주주와의 관계

후보자성명 생년월일 최대주주와의 관계 추천인
이준헌 1969.09.07 - 이사회
총 ( 1 ) 명

나. 후보자의 주된직업ㆍ세부경력ㆍ해당법인과의 최근3년간 거래내역

후보자성명 주된직업 세부경력 해당법인과의최근3년간 거래내역
기간 내용
이준헌 (주)케이씨리버텍 기술연구소장 1996.01~2010.082010.09 ~ 현재

삼성에버랜드(주) 환경R&D센터

(주)케이씨리버텍 기술연구소장

-

다. 후보자의 체납사실 여부ㆍ부실기업 경영진 여부ㆍ법령상 결격 사유 유무

후보자성명 체납사실 여부 부실기업 경영진 여부 법령상 결격 사유 유무
이준헌 - - -

라. 후보자에 대한 이사회의 추천 사유

해당 후보자는 폭넓은 경험과 전문성을 바탕으로 당사 경영전반에 대해 객관적이고 중립적인 시각으로 감사 업무를 수행할 것으로 판단하여 추천함.
확인서 감사 신규선임(이준헌) 확인서_1.jpg 감사 신규선임(이준헌) 확인서_1

※ 기타 참고사항

해당사항없음

□ 이사의 보수한도 승인

가. 이사의 수ㆍ보수총액 내지 최고 한도액

(당 기)

이사의 수 (사외이사수) 4명( 1명 )
보수총액 또는 최고한도액 800백만원

(전 기)

이사의 수 (사외이사수) 4명( 1명 )
실제 지급된 보수총액 378백만원
최고한도액 800백만원

※ 기타 참고사항

본 내용은 2025년 6월 30일 개최할 정기주주총회에서 승인될 예정이며, 주주총회 결의 과정 중 변경될 수 있습니다.

□ 감사의 보수한도 승인

가. 감사의 수ㆍ보수총액 내지 최고 한도액

(당 기)

감사의 수 1명
보수총액 또는 최고한도액 30백만원

(전 기)

감사의 수 1명
실제 지급된 보수총액 -
최고한도액 30백만원

※ 기타 참고사항

본 내용은 2025년 6월 30일 개최할 정기주주총회에서 승인될 예정이며, 주주총회 결의 과정 중 변경될 수 있습니다.

□ 주식매수선택권의 부여

가. 주식매수선택권을 부여하여야 할 필요성의 요지

회사의 경영, 기술혁신 등에 기여하거나 기여할 수 있는 임직원에 대하여 상법 제542조의3 제3항 및 당사 정관 제12조 제1항에 의거하여 2024년 07월 25일에 개최된 이사회에서 주식매수선택권 부여를 결의하였으며, 부여 후 처음으로 소집되는 주주총회에서 승인을 받고자 합니다.

나. 주식매수선택권을 부여받을 자의 성명

성명 직위 직책 교부할 주식
주식의종류 주식수
박철홍 전무 환경복원사업부부문장 보통주 10,000
김윤호 상무 CFO 보통주 10,000
박종성 차장 팀장 보통주 10,000
김준기 차장 책임연구원 보통주 10,000
윤형수 부장 팀장 보통주 5,000
총( 5 )명 - - - 총( 45,000 )주

다. 주식매수선택권의 부여방법, 그 행사에 따라 교부할 주식의 종류 및 수, 그 행사가격, 행사기간 및 기타 조건의 개요

구 분 내 용 비 고
부여방법 신주교부
교부할 주식의 종류 및 수 기명식 보통주 45,000주
행사가격 및 행사기간 1. 행사가격 : 1,006원이사회결의일 전일기준 과거 2개월, 과거 1개월 및 과거 1주일간 거래된 최종 시세 가격을 실물거래에 의한 거래량을 가중치로 하여 가중산술평균한 가격의 산술평균 가격을 산출한 후 그 이상의 가격으로 선정하였습니다.2. 행사기간 : 2026년 07월 25일 ~ 2031년 07월 24일
기타 조건의 개요 1. 주식매수선택권 부여일 이후 유/무상증자, 주식배당, 전환사채, 신주인수권부사채의발행, 액면분할/병합, 회사의 합병 등 자본 또는 발행주식총수의 변동이 있는 경우에는 주식매수선택권 부여계약서, 관련 법령 및 당사 규정에 의하여 행사가격 및 부여수량을 조정할 수 있습니다.2. 주식매수선택권과 관련된 세부사항은 대표이사에게 위임하며, 상기 내용에 포함되지 않는 사항은 주식매수선택권과 관련된 제반 법규, 당사 정관 및 계약서 등에 따라 조정합니다.

라. 최근일 현재 잔여주식매수선택권의 내역 및 최근년도 주식매수선택권의 부여, 행사 및 실효내역의 요약

- 최근일 현재 잔여주식매수선택권의 내역

총발행주식수 부여가능주식의 범위 부여가능주식의 종류 부여가능주식수 잔여주식수
9,238,625 발행주식 총수의 15% 보통주식 1,385,793 1,340,793

- 최근 2사업연도와 해당사업연도의 주식매수선택권의 부여, 행사 및 실효내역

사업년도 부여일 부여인원 주식의종류 부여주식수 행사주식수 실효주식수 잔여주식수
2024년 2024.07.25 5명 기명식보통주 45,000 - - 45,000
- 총( 5 )명 - 총( 45,000 )주 총( 0 )주 총( 0 )주 총( 45,000 )주

※ 기타 참고사항

해당사항 없음

IV. 사업보고서 및 감사보고서 첨부

가. 제출 개요 2025년 06월 20일1주전 회사 홈페이지 게재
제출(예정)일 사업보고서 등 통지 등 방식

나. 사업보고서 및 감사보고서 첨부

1. 사업보고서 및 감사보고서는 주주총회 개최 1주 전까지 회사 홈페이지에 게재할 예정입니다. (당사 홈페이지: https://suppro.com)

2. 사업보고서는 이후 변경되거나 오기 등이 있는 경우 수정될 수 있으며, 이 경우 전자공시시스템(http://dart.fss.or.kr)에 정정보고서를 공시할 예정이므로 이를 참조하시기 바랍니다.3. 주주총회 이후 변경된 사항에 관하여는 전자공시시스템에 제출된 사업보고서를 활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참고사항

□ 정기주주총회 참석 준비물

- 직접행사 : 신분증(주민등록증, 운전면허증 등)

- 대리행사 : 위임장(주주, 대리인 인적사항 기재, 인감 날인), 대리인 신분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