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 년 03 월 10 일 | ||
회 사 명 : | (주)썬테크 | |
대 표 이 사 : | 이선휴 | |
본 점 소 재 지 : | 전남 순천시 해룡면 율촌산단4로 101 | |
(전 화)061-721-2222 | ||
(홈페이지)http://www.sun-tech.co.kr | ||
작 성 책 임 자 : | (직 책)전무 | (성 명)장상호 |
(전 화)061-720-4010 | ||
(제29기 정기) |
주주님의 건승과 댁내의 편안을 기원합니다. 상법 제365조와 당사 정관 제27조의 규정에 따라 정기주주총회를 아래와 같이 개최하오니 참석하여 주시기 바랍니다. - 아래 -
1. 일시 : 2025. 03. 26(수요일) 11:002. 장소 : 전남 순천시 해룡면 율촌산단4로 101 (당사 2층 대회의실)3. 회의의 목적사항 1) 보고사항 : 사업보고, 감사보고, 내부회계관리제도 운영실태 보고 2) 부의사항 제1호 의안 : 제29기(2024.01.01 ~ 2024.12.31) 재무상태표, 손익계산서등 이 익잉여금처분계산서 승인의 건 제2호 의안 : 이사의 보수한도(5억) 승인의 건 제3호 의안 : 감사의 보수한도(1억) 승인의 건당사의 실질 주주로서 정기주주총회에 참석하지 못하고 대리인을 선정할 경우에는 위임장(인감증명 첨부)을 작성하여 위임장과 함께 대리인이 참석토록하여 주시기 바랍니다.아울러, 당해(2024년) 회계 종료일 이후 (2025년 1월 1일)부터 주주총회가 종료되는 날까지 주주명부는 폐쇄됨을 알려드리오니 착오 없으시기 바랍니다. 2025년 3월 10일 주식회사 썬테크 대표이사 이선휴(직인 생략)
회차 | 개최일자 | 의안내용 | 사외이사 등의 성명 |
---|---|---|---|
장영조(출석률:- %) | |||
찬 반 여 부 | |||
2024-1 | 2024-01-17 | (1) 기업은행 차입금의 건 | - |
2024-2 | 2024-02-21 | (1)정기주주총회 소집의 건 | - |
2024-3 | 2024-02-25 | (1)중진공 차입금의 건 | - |
2024-4 | 2024-03-19 | (1)(주)위드피에스 하자보증발급 연대보증 | - |
2024-5 | 2024-03-22 | (1)(주)위드피에스 공동특허에 대한 질권설정 | - |
2024-6 | 2024-03-28 | (1)결산보고(재무제표승인)의 건(2)이사 선임의 건(3)감사 선임의 건(4)이사 보수한도의 승인의 건(5)감사 보수한도의 승인의 건 | - |
2024-7 | 2024-05-13 | (1)기업은행 차입금의 건 | - |
2024-8 | 2024-08-22 | (1)(주)위드피에스 선급금 지급보증 건 | - |
2024-9 | 2024-12-23 | (1)타법인 주식 및 출자증권 양수 승인의 건 | - |
위원회명 | 구성원 | 활 동 내 역 | ||
---|---|---|---|---|
개최일자 | 의안내용 | 가결여부 | ||
- | - | - | - | - |
(단위 : 원) |
구 분 | 인원수 | 주총승인금액 | 지급총액 | 1인당 평균 지급액 | 비 고 |
---|---|---|---|---|---|
사외이사 | 1 | 500,000,000 | - | - | - |
(단위 : 억원) |
거래종류 | 거래상대방(회사와의 관계) | 거래기간 | 거래금액 | 비율(%) |
---|---|---|---|---|
- | - | - | - | - |
(단위 : 억원) |
거래상대방(회사와의 관계) | 거래종류 | 거래기간 | 거래금액 | 비율(%) |
---|---|---|---|---|
- | - | - | - | - |
(1) 산업 전체의 생산추이동사는 발전기 제조업을 영위하고 있으며 발전기 중 디젤엔진을 주 동력원으로 하는디젤엔진 비상발전기 제조을 주 사업으로 하고 있습니다. 비상발전기라 함은 사용전원의 공급중단시에 공급하는 대체 전력인 비상전원을 공급하는 발전기를 의미합니다.과거에는 단순히 중소형 비상발전기를 공급하던것에서 최근에는 수주처별로 요구사항이 다양해짐에 따라 고객사양에 따라 발전기의 설계에서부터 조립, 생산, 시공 및 사후관리까지 통합적으로 제공하고 있습니다.동사는 각 거래처별로 요구사항을 수렴하여 거래처별 요건에 맞는 제품을 제작, 공급하고 있습니다.비상발전기의 용량 및 기능이 다양해짐에 따라 과거에는 일반 상업용 빌딩과 아파트,관공서, 터널 등을 비롯한 일정규모 이상의 건물과 시설물에 대해 비상전원 설치를 법률로 강제한 것에 따른 비상용의 발전기 수요가 대부분이었으나, 최근에는 ① 최근전력 수급난 지속에 따른 정부의 발전소 예방정비 투입 및 예비전력용 설치 증가 ②여름에 에어컨 사용이 많고 전력소비가 높은 백화점과 같은 대형복합쇼핑센터나, 대형 공장의 전기료 절감을 위한 자가발전용 설치 증가 ③ 인터넷 테이터 센터(IDC(intemet Data Center) 및 R&D센터의 건설 증가에 따른 대용량 비상전력설비의 수요증가에 따라 그 수요가 지속적으로 확대되고 있습니다. 이에 따라 최근 비상발전기 산업은 전방산업 경기에 절대적 영향을 받기 보다는 그 수요처별 상황에 따라 더 큰 영향을 받는 구조로 변화하고 있으며, 동사는 기존 관수시장 및 군납시장의 안정적인 매출을 바탕으로 향후 민수시장에서 대용량 비상발전설비 시장의 주 공급처가 되기 위해 지속적으로 노력하고 있습니다.현재, 비상발전기는 정전시 비상부하 공급용으로만 가동되고 있으나, 관련 규정 등 정비를 통해 무정전 설비 추가 등 설비를 보완하여 전력피크 시기에 비상수급 전력원으로 사용하는 방안도 검토 중입니다.또한, 비상발전기를 통해 생산된 전원에 저장, 사용 및 판매 등 관련 법안 및 시설이 마련된다면 동사가 생산하는 비상발전기는 타사대비 효율성이 높은 바 상대적으로 판매가 증가할수 있는 기회가 될 것으로 예상하고 있습니다. (2) 산업특성가. 경기변동의 특성비상발전기 산업은 건설경기변동에 주로 영향을 받지만 대형주택단지, 발전소, 관공서, 빌딩, 도로(터널) 및 항만시설, 병원, R&D센터 등 수요처가 다양하기 때문에 전반적인 경제변동에 영향을 받고 있어 전방산업의 업황 등에 따라 산업 전체적인 수요가 변동될 수 있습니다.나. 내수중심 산업발전기는 오랜기간 보편화 된 기술로서 그 규모와 생산부터 설치까지 이루어져야 하는 제품특성 때문에 내수 위주로 발전하고 있습니다.다. 주문 생산방식 산업비상발전기는 일반적으로 판매되는 것도 있지만 대부분 관련 법규에 맞도록 수요처의 주문에 따라 맞춤형으로 생산, 판매되고 있습니다.라. 다품종 소량생산 산업비상발전기는 대량 생산체제를 갖추고 있는 타 산업과 달리 제품의 종류와 규격이 다양하며, 수요처에 의향에 맞춘 다품종 소량 주문생산이 주를 이루고 있으며 자동화 및 대량생산체제 구축이 어렵습니다.마. 전후방 효과가 큰 산업비상발전기는 구조적으로 다양한 종류의 부품으로 이루어진 기능성 품목으로 베어링기어의 동력전달제품 제조업에서 코어, 케이스를 만들기 위한 철강 압연, 압출 및 연신 제품 제조업에 이르기까지 관련산업 전후방 연쇄 효과가 큰 산업입니다.(3) 국내 ㆍ 외 시장규모 추이동사가 속해 있는 디젤엔진용 비상발전기 시장의 경우 일반 상업용 빌딩, 아파트를 비롯한 일정규모 이상의 건물은 비상전원 설치를 법으로 규정하고 있기 때문에 안정적인 시장이 형성되어 있으며, 자가발전용 발전기 시장의 경우 국내 도서지방에서 주로 수요가 발생하는 편입니다.비상발전기는 신규 건축, 구축물에 따른 신규 수요와 기존에 설치된 비상발전기에 대한 교체 수요로 나눌 수 있으며, 시장으로는 크게 ①민수시장(인터넷데이터센터(IDC), R&D센터, 오피스빌딩, 민간아파트) ②관수시장(공공주택, 발전소, 터널, 항만시설, 관공서)등으로 나눌 수 있습니다.비상발전기를 용도별로 세분화하면 관공서, 대형복합쇼핑몰과 주택 및 일반건축물,인터넷데이터센터(IDC) 및 R&D센터, 발전소 및 플랜트 등으로 구분할 수 있으며, 각각의 시장별 수요자의 특성 및 투자계획 등이 상이하기 때문에 시장 잠재규모가 크고 다양한 측명에서 비상발전기 시장의 성장 잠재력을 파악할 수 있으나 구체적인 시장규모 추이는 파악하기 어렵습니다.정확한 국내ㆍ외 시장규모 추이는 정확하게 파악되고 있지 않으나 신규 투자 및 예산과 맞물려 움직이는 만큼 경기변동과 빌접하게 움직이는 것으로 판단되고 있습니다.(4) 계절적 경기변동동사의 매출은 비상발전기 시장 중 관공서 및 방산납품에 집중되어 있으며, 관공서 경우 매년 예산이 결정된 이후에 발주가 이루어지는 경우가 많아 매년 2분기에서 4분기에 발주가 집중되고 있습니다. 또한, 주택, 도로시설 등 시설물 건설과 직접적인 연관이 있는봐 겨울철(4분기말~1분기)에는 발주가 감소하고 있습니다. 제품 특성상 각 수요자 별 요구사양에 적합한 발전기를 제조 납품하여야 하므로 발주 이후 생산이 이루어지고 있으며, 발주가 감소하는 매넌 1분기에는 생산인력 일부를 A/S인력으로 전환 A/S을 실히하는 동시에 거래처의 교체 수요나 추가 수요 유무 등에 대한 영업을 병행하고 있습니다.(5) 제품의 라이프사이클비상발전기는 상시 사용하는 발전기가 아니고 비상시에만 사용하는 관계로 주기적으로 유지보수를 하며, 장기 사용이 가능한 편입니다.일반적으로 20~30년 유지보수를 하여 사용이 가능하고 관공서의 경우 정해진 내용연수(15년 내외)가 경과되면 해당 발전기의 성능검사를 통해 교체 또는 유지보수 여부를 결정하고 있으며, 설치 이후 용량증설, 제품이상(사용불가) 등 특이사항이 없는 한 교체 없이 반영구적으로 사용이 가능한 제품으로 라이프사이클이 긴 제품에 속합니다.(6) 대체시장최근 에너지 저장 장치(ESS) 도입이 비상발전기 대체시장으로 부상되고 있습니다.일반적으로 전기는 수용가(가정, 산업, 빌딩) 등 일방적으로 전달하고 남은 전기는 고스란히 버려졌습니다. 에너지 저장 장치(ESS)는 생산된 전기에너지의 저장 역할을 하면서 전력공급 부족을 예방, 순간정전 장애 방지, 신재생 및 대체어네지 개발 활성화 측면에서 그 중요성이 부각되고 있습니다.특히, 순간정전 장애를 방지하는 무정전 시스템을 통해 비상발전기 수요를 일부 대체할 것으로 예상하고 있습니다. 하니만 비상발전기 없이 관련 규정을 충족하는 대용량의 전기를 저장 할 수 있는 에너지 저장 장치(ESS) 시설은 현재 높은 베터리 가격으로 인해 비상발전기 시장을 온전히 대체 하기까지는 상당한 시간이 소요 될 것으로 판단됩니다.동사는 이에 기존 시장 확대 및 에너지 저장 장치(ESS)의 비상발전 시장 대체 진입에 대한 대응을 위해 양쪽의 장점을 결합하고 가격 경쟁력을 갖춘 무정전 비상발전기 시스템을 연구개발하고 있습니다.(7) 자원조달상황동사 비상발전기는 엔진이 원가의 대부분을 차지하고 있으며 이외의 운전반 판넬, 영구자석 및 기타 재료로 구성되어 있습니다.엔진의 경우 750KW 이하의 중소형 디젤엔진과 750KW 이상의 중대형 디젤엔진으로 나눌 수 있으며 750KW 이하의 중소형 엔진은 상대적으로 가격이 낮은 국내 엔진을 사용하고 있으며, 750KW 이상의 중대형 디젤엔진은 주로 수입엔진으로 공급하고 있습니다. 수입엔진의 경우 동사의 발전기를 결합하여 비상발전기를 구성하는 방식과 비상발전기 세트로 구입 후 수요처에 맞게 맞춤 제작 서비스(CUSTOMIZE)를 통하여 매출하는 방식이 있으며, 여러 해외업체에서 제조, 공급하고 있어 조달에는 어려움이 없는 편입니다.다만, 수입엔진의 경우 엔진 구입부터 대금지급까지 3~5개월 정도 소요되어 환율변동에 따라 손익이 발생할 수 있으나 금액은 미미한 편입니다.국내엔진의 경우 주로 두산엔진을 구입하고 있으며, 현대엔진 및 대동공업 등을 통해 일부 공급받고 있습니다.국내엔진 역시 원활하게 조달이 가능한 상황이며 대체 구입처가 없어 가격 결정력이 엔진 업체에 집중되어 가격변동에 대해 대응이 어려운 편입니다.발전기의 경우 수요처에서 엔진을 지정하는 경우가 대부분이며 엔진가격 변동에 따라 즉각적으로 발전기 가격에 반영하기는 어려운 상황이나 최근 엔진가격 추세를 보아 큰 변동은 없는 편입니다.한편, 영구자석 발전기는 타 발전기 대비 효율성이 높아지는 요소로 동사 제품의 경쟁력을 높이는 한편, 타사의 동일 용량 발전기에 비해 가격을 높이는 중요한 요소입니다.동사의 제품에 사용되는 영구자석발전기는 희토류 금속(스칸듐,이트륨과 원자 번호 57에서 71까지의 란탄 계열의 15원소를 합친 17원소를 통틀어 이루는 말)이 사용되는 영구자석으로 중국에서 전량 수입하고 있습니다. 전체 원가대비 비중이 미미한 편이나 경우에 따라 가격이 급등하는 경우도 있으므로 동사는 가격변동에 대해 주의를 기울이고 있습니다.(8) 경쟁상황 발전기 시장 특히 디젤발전기 중 비상발전기 중 80%이상을 차지하는 2,000KW용량 이하의 경쟁은 중소기업간 경쟁물품으로 지정되어 대기업이 참여 할 수 없는 중소기업 적합 업종에 해당되어 수많은 종소업체가 난립되어 경쟁하고 있습니다.조달청 발전기 업체 등록 기준 일반제품 13개사중 6개사가 조달우수제품 등록이며, 동사는 이 중 2개의 우수제품인증을 보유하고 있습니다.조달청 나라장터에 등록된 비상발전기 제조 업체 9개사 평균 매출 200억원 대비 동사의 매출은 평균 수준이나 관공서, 군납 위주의 매출은 상위 3개사 내에 포함되고 있습니다. 이는 매출채권 회수 위험이 상대적으로 높은 민수시장 보다는 관공서 및 군납 위즈로 영업을 치중하고 있으며 민수시장도 매출채권 회수 위험이 적은 대형 건설업체 위주로 민수시장을 공략하여 점차 시장점유율을 높혀 나가고 있으며, 2025년 약 5개의 협력사를 추가할 예정입니다.또한 조달청에 등록된 중소기업 제품 이외에 국내 민수시장에서 저렴한 중국제품도 많이 사용되고 있으며, 해외시장에서는 그 가격 격차가 더 큰 편으로 내수시장 중심으로 경쟁이 되고 있습니다.동사는 이러한 국내외 경쟁상황 속에서 상대적으로 전력 상황이 낙후되어 동사의 비상발전기가 상용발전기로 사용될 수 있는 동남아시장 공략을 기술력으로 즉각적 이에 품질과 가격 경쟁력을 높인 제품을 생산 공급할 계획입니다(9) 국내 또는 해외의 규정상황 및 산업지원정책국내 비상발전기 시장은 전력공급의 중단에 대비하여 관련 법규에 따라 일정 규모 이상의 건물에 설치가 의무화되어 있으며 이를 바탕으로 시장이 형성 발전되고 있습니다.
[비상발전기 설치 관련 법규]
법규/기준 |
내용 |
---|---|
전기사업법 |
○ 시설의무 규정 없음 단, [전기설비기술기준 제72조(비상용 예비전원 시설)] - 예비전원은 상용전원과 전기적으로 분리되어야 함 |
건축법 |
건축법 시행령에 의무 설치대상(승강기 등) 명시 |
소방법 |
소방방재청 고시에 의무 설치대상(배연, 소방 등) 명시 |
KOSHA CODE (안전보건공단) |
[비상발전기의 선정 및 설치에 관한 기술지침] ○ 예비전원은 상용전원과 전기적 분리하여 설치 ○ 발전기 유지보수를 위해 주1회 무부하 상태에서 30분간 이상의 운전 |
※ 상용발전기는 설치근거가 없으며, 고객의 필요에 의해서 설치되는 것이 보통임
비상발전기는 중소기업 적합 제품으로 대기업이 참여하지 않고 있으며, 대기업은 발전기 엔진 및 대형발전기 제조시장 부분만 참여하고 있습니다.이에 비상발전기 시장은 많은 중소업체들이 난립하여 치열한 경쟁이 벌어지고 있는 상황이며, 조달청(나라장터)에서 우수제품제도 및 NEP신제품 의무구매를 통해 비상발전기 산업을 지원하고 있습니다.
NEP인증 제품은 산업기술혁신촉진법 제17조(공공기관의 인증신제품 구매촉진) 및 동법 시행령 제24조(인증신제품 의무구매 비율)에 의거하여 공공기관에서는 구매하고자 하는 제품 중 NEP 인증 제품이 있는 경우에는 20% 이상 구매하여야 함.
동사는 이런 규제 및 지원정책 중 NEP인증제도 및 조달우수제품 등록에 중점을 두어 비상발전기 중 유일한 NEP인증제품을 개발, 생산하고 있으며 조달청 우수제품에도 등록되어 나라장터를 통해 관공서 등에 제품을 공급하고 있습니다.
(10) 향후 전망가. 국내시장 동향국내 발전기 업계가 최근 비상한 관심을 받고 있습니다.특히 판도 변화를 몰고 올 대형 변수로 수입엔진 대리점의 증가, 고효율 신재생에너지 등이 속속 부각됨에 따라 발전기 기업들도 대응책 마련에 한층 고심을 하고 있습니다.발전기 업계에 따르면 최근 신재생에너지의 부각, 무정전 시스템의 다양한 기술의 출현, 에너지 저장 장치(ESS) 등 변화의 움직임이 본격화 되었으며, 급속한 판도 변화의 주도권을 확보하기 위해 신기술 개발과 차별화된 마케팅에 적극적으로 대응에 나서 새로운 경쟁에 활기를 불어넣고 있습니다.한편 현재 발전기업계는 연간 시장규모가 3,000~4,000억원으로 추산되며, 시장은 지금까지 비상용 디젤발전기 부분에 안주하면서 보수적으로 운영되어 왔습니다. 하지만 최근 들어 새로운 판도 변화의 변수들이 부각되면서 기술개발과 신제품 경쟁에 가속도가 붙고 있으며, 이에 따라 발전기업계가 한층 긍정적인 방향으로 경쟁이 변해가고 있는것으로 판단됩니다.발전기 설치에 대한 규제도 많이 늘어나고 있습니다. 소방부하우선, 내진스토퍼 설치, 매연저감장치 등 기존의 비싼 소방우선 보전형 발전기를 싸고 쉽게 제작 가능토록 설계하고 내진스토퍼 또한 싸고 쉽게 구매할 수 있는 루트를 형성하였습니다.기존과는 다르게 전기공사업을 취득하지 않으면 발전기 설치공사를 할 수 없는 추세에 맞추어 전기공사업을 취득, 발전기로는 최고인 고압까지 시공할 수 있도록 현재 기술 인력 조건 중급 기술2명, 초급 및 자격보유자 다수를 갖추었습니다.또한 매연저감장치는 특허 취득, 녹색인증 취즉, 성능인증취득, 조달우수제품인증 취득을 통하여 매출 증대에 큰 힘을 더할것으로 판단됩니다.나. 해외시장 동향 세계 경기의 회복세에 따른 글로벌 수입 수요 확대와 국제유가 상승으로 신흥국 중심으로 중동 및 남미 자원부국의 인프라 투자 확대가 예상되며, 미국, 유럽등 선직국으로 통화긴축 기조와 중국 교역 여건 악화로 인한 어려움이 있으나, 신흥국 중심으로 발전 송배전 수요는 꾸준하게 증가하고 있습니다발전기분야는 전반적으로 기존과 비슷할 전망이나 세계 경기 회복 국면으로 전반적인 전력 수요는 증가할 것으로 보이나 인도 등 신흥국을 중심으로 발전설비 투자가 크게 증가할 것으로 예상됩니다. 유가가 회복되고 신기술을 도입한 교체 수요가 증가한다는 가정하에 가스발전 압축설비 시장은 회복될 것으로 판단됩니다. 증기터빈 시장은 완만한 증가가 예상되나 기후온난화 문제로 중국의 석탄화력발전 수요가 감소할 것으로 보입니다. 태양광 및 풍력등 재생에너지도 완만한 성장세로 돌아설 것으로 예상됨에 따라 미국 주도의 해상풍력 수요위주가 될 전망입니다.전반적으로 온실가스 배출 규제에 따라 신재생에너지 발전의 점유율이 증가하는추세가 지속될 것이며 복합화력발전의 수요는 증가할 것으로 전망됩니다.송배전 분야에서는 신흥국의 노후설비 교체 및 도시화로 초고압 변압기 및 전력케이블 수요가 증가할 것으로 보이며, 신재생에너지의 비율 증가로 에너지 믹스가 변화하고 있으며 분산형 발전 추세 증가로 전력관리의 중요성이 증대할 것으로 보입니다.빌딩자동화 분야는 중동,중국,인도,미국의 평균 이상의 성장이 예상되며 대부분의 유럽 국가들은 독일,스페인과 몇몇 북유럽 국가를 중심으로 회복세로 돌아설것으로 예상됩니다.공장자동화 분야 역시 세계 경기 회복 국면으로 핵심 기업의 투자가 다소 증가할것으로 기대되는 가운데, 특히 인도,브라질등 신흥국을 중심으로 공장자동화 설비투자가 확산될 것으로 보이며, 산업화 국가의 소비재 제조산업에서 계속되는수요 증가로 인해 시장 성장이 기대되고 있습니다.
(11) 향후 매출 전망국내 ㆍ외 경기 침체 및 건설업의 투자 감소로 일반 건설부문의 비상발전기 시장 성장이 둔화될것을 예상하였으나, 2024년 건설사 비상발전기 부분의 경기는 예상대로 좋지 않앗으며, 2025년도 또한 전년과 비슷하거나 더 침체될 예상을 하고 있습니다. 이에 대비하여 추가적으로 건설사에 협력사 등록을 꾸준히 진행중에 있으며 많은 협력사 등록을 통한 자체 구매 입찰참여, 설계지원 활동등을 통하여 민수시장 영업을 활성화 할 예정입니다. 또한 지난 2024년 7월 15일 조달우수제품인증을 2개 동시 취득하여, 2027년 7월 15일(향후 인증기간 연장시 2030년 7월 15일)까지 조달우수제품 인증을 통한 우선구매제도로 활발한 영업활동이 이뤄질것으로 판단되어 지며 이로 인해 많은 매출의 증대가 예상됩니다. 또한 신규로 플랜트 사업을 시작하였으며, 2025년 보령발전소, 2026년 초 안동복합화력발전소 각 2MW 발전기 납품이 확정되어 해당 플랜트 사업을 토대로 보다 많은 플랜트 사업 수주를 통한 매출증대를 예상합니다.
1. 영업개황 및 사업부문의 구분 (가) 영업개황 당사의 대표이사는 1990년 발전기 임대업으로 개인사업을 시작하였습니다.당시 해외수입이 대부분을 차지하던 발전기 시장은 기술력이 낙후되어 있었고 국내 기술력으로 발전기를 개발하고자 1996년 법인으로 전환 후 발전기 개발에 돌입하였습니다영구자석을 활용한 발전기 개발을 통해 세계3대 발명대회(독일, 스위스, 미국)에서 금상을 수상하며 그랜드슬램을 달성하였으며, 신제품인증(NEP)를 획득하며 대젤엔진용 비상발전기 시장에서 자리를 잡아가기 시작하였습니다.2007년 썬테크로 회사명칭을 변경한 후 자기진단형 정밀동기 발전기 개발 후 신제품인증(NEP)을 추가 획득 및 조달우수제품 등록, 관공서 중심으로 매출을 증대 ,영구자석 발전기의 효율성과 내구성, 안정성 등 개선을 통하여 국방부에 납품을 시작하였습니다.이후 ISO9001, ISO14001, ISO45001 인증, CE인증(유럽 시장에서 제품을 판매하기 위해 반드시 필요한 강제 인증), 성능인증, 세계일류상품인증, DQ인증(데이터 품질관리 인증), 녹색기술인증, 품질조달물품보증 지정 등 지속적으로 기술을 개발하여 매출을 증대시켜나가고 있습니다.2. 공시대상 사업부문의 구분
(가) 영구자석을 이용한 이중여자제어방식 발전기당사의 대표이사는 건설업체에서 발전기 관련 부서에 근무하면서 발전기 산업의 활성화를 예상하여 발전기 임대 개인사업을 시작, 이후 상호를 썬테크발전기로 변경 제조업으로 변경 후 끊임없는 연구개발을 통해 "영구자석 회전자 발전기" 제작기술을 개발하였습니다. 각종 장비 및 기계의 정밀화로 인한 안정적인 전원공급 및 전력난으로 인한 비상발전 설비의 중요성이 대두 되었고, 전력 피크제도로 주요 관공서의 비상 전력공급장치로 발전기의 기술적 사양 향상 요구가 증가, 이에 지속적인 기술개발을 통해 영구자석 발전기 제작기술에 영구자석 이중여자기를 부착, 제어하는 발전기를 생산하기 시작, 고효율, 고품질의 전기를 생산하는 영구자석을 이용한 이중여자기제어방식 발전기를 도로공사, 발전소, 수력원자력, 관공서 등에 비상용 발전기로 판매 설치되고 있습니다.당사의 비상발전기는 자체개발한 기술을 바탕으로 신제품인증(NEP), 조달우수제품지정을 획득, 이를 통해 의무구매, 우선구매 제도를 통한 영업력 확보 발전기 제품의 성능과 안정성을 중요시하는 관공서 위주로 영업을 하여 매출을 증대하고 있습니다.당사의 발전기는 전량 수주 후 생산하는 주문생산 방식을 통해 생산하고 있으며, 직접 영업 및 관리하는 방식으로 전라남도 지역을 기반으로 하여 전국에 지사(딜러)를 통해 당사의 제품을 판매하고 있으며, 제품의 공정 단순화 및 부품 간소화를 통한 제조원가 절감으로 기술경쟁력과 가격 경쟁력 확보를 위한 단계별 전략을 추진하고 있습니다.(나) 영구자석 발전기방산 시설 및 장비의 첨단화로 인한 전력공급의 중요성이 대두 되었으며 방산물자의 국산화 추진으로 인한 발전기의 수요가 증가하기 시작하였습니다.당사는 이러한 시장에 대응하기 위해 당사가 개발한 영구자석 발전기에 지속적인 연구개발을 통해 저소음, 고효율, 강인한 내구성, 소형 ㆍ경량화를 이뤘으며, 군용 사양에 적합하게 1.5KW(발칸포 베터리 충전용) 및 10KW(주둔지 및 야전작전용) 발전기 제품을 제작, 납품하고 있습니다.당사의 제품은 높은 성능과 신제품인증(NEP)을 통해 국내 방산산업 수요의 상당수를 차지하고 있으며, 2014년 DQ인증(데이터 품질관리 인증) 취득, 2015년 DQMS(Defense Quality Management Systems 국방품질경영체제)을 취득함으로서 향후 해외 군수물자 판매에 큰 도움이 될 것으로 예상, 군용 영구자석발전기에 경우 방위사업청에서 조달 수요가 있을시 발전기 업체 등에 공문을 통해 사양서를 요청, 해당 사양 및 수요에 따라 입찰에 참여, 영업이 이루어지고 있으며, 제품의 수주가 이루어지면 제품 생산, 납품하고 있습니다.또한 기존 사용처의 경우 수의계약을 통해 당사의 제품이 납품되는 경우도 발생하는 등 당사 전체 매출대비 비중은 10%이내로 적은 편이지만 군수물자 판매를 통하여 당사의 제품의 품질과 기술력을 입증하여 타 제품의 판매에도 도움이 되고 있습니다.(다) 신재생에너지 산업최근 에너지안보 기후변화 등 에너지, 환경, 지속가능한 성장이 최대 이슈로 부상하는 가운데 전세계적으로 다양한 에너지 문제 해결방안이 강구되고 있으며 이에 신재생에너지의 중요성이 부각되고 있습니다.신재생에너지는 청정, 무제한 에너지원으로서 다양한 에너지원으로 부터 발전이 가능하며, 긴 수명(20년 이상)을 가지고 있는 것이 장점입니다.이에 비해 초기 투자비용과 발전단가가 높고, 설치장소가 제한적이며, 에너지밀도가 낮아 큰 설치면적이 필요한 것이 단점으로 지적되고 있습니다.당사는 신재생에너지 발전을 국책과제수행과 병행하여 연구하던 중 기존 대형 소수력, 풍력발전을 소형화 시키며 효율성까지 높일 수 있는 기술 연구 끝에 배수처리장 등 소형 수력발전이 가능한 곳에 설치할 수 있는 소수력발전기 및 대단지 풍력발전 단지 조성이 불가능한 산간도서 지역도 설치가 가능한 소형 풍력발전기 개발을 완료, 상용화를 앞두고 있습니다.국내 수력발전기의 대부분을 운용하는 수자원공사와의 공동연구개발을 통해 50KW급 수력발전기 개발을 추진하고, 연구개발 완료 시 수자원공사의 발전사업에 투입되어 운용될 예정입니다.또한 향후 발전기 교체 및 A/S등의 현황 발생 시 당사의 확보된 기술력을 이용하여 사업을 이어갈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됩니다.
3. 시장점유율 회사와 직접적인 경쟁관계에 있는 디젤 발전기세트 제조업체는 2025년 현재 조달청(우수제품)에 등록되어 있는 회사로는 6개 업체가 있고, 조달청에 등록된 업체를 제외하고 자체적으로 민간시장에만 판매하는 업체도 있으나 그러한 업체는 대부분 소규모 영세업체입니다.중소기업간 경쟁물품인 2,000kW급 이하의 발전기세트 시장이 회사의 목표시장으로 볼 수 있는데 썬테크 외 5개사의 중소제조업체가 경쟁하고 있으며, 동사의 인증제품은 현재 최고의 입지를 유지하고 있습니다. 또한 동종 업계 유일하게 두개의 조달우수제품 보유로 각 현장특성에 맞춤 영업을 통해 타사보다 2배의 확률로 영업을 진행하고 있습니다. 민수 건설사 매출의 시장점유율을 수치화 하기는 어렵지만 기술개발 제품간의 시장점유율(조달청거래)은 이중 약 20%의 높은 점유율로 상위 3위안을 항상 차지 하고 있습니다.
또한 건설사를 통한 일반 제품 매출 또한 지속적인 건설사 협력사 등록을 통한 영업루트 확보를 통해서 그 점유율을 조금씩 늘려나가고 있습니다. 2024년 3개사의 건설 협력사를 등록하였으며, 2025년에도 추가 등록 예정에 있습니다. 주요 거래 건설사로는 한화건설, 신세계건설, 포스코ICT, 포스코건설, 대림산업 등이 있습니다. 4. 시장의 특성
가. 경기변동의 특성비상발전기 산업은 건설경기변동에 주로 영향을 받지만 대형주택단지, 발전소, 관공서, 빌딩, 도로(터널) 및 항만시설, 병원, R&D센터 등 수요처가 다양하기 때문에 전반적인 경제변동에 영향을 받고 있어 전방산업의 업황 등에 따라 산업 전체적인 수요가 변동될 수 있습니다.나. 내수중심 산업발전기는 오랜기간 보현화 된 기술로서 그 규모와 생산부터 설치까지 이루어져야 하는 제품특성 때문에 내수 위주로 발전하고 있습니다.다. 주문 생산방식 산업비상발전기는 일반적으로 판매되는 것도 있지만 대부분 관련 법규에 맞도록 수요처의 주문에 따라 맞춤형으로 생산, 판매되고 있습니다.라. 다품종 소량생산 산업비상발전기는 대량 생산체제를 갖추고 있는 타 산업과 달리 제품의 종류와 규격이 다양하며, 수요처에 의향에 맞춘 다품종 소량 주문생산이 주를 이루고 있으며 자동화 및 대량생산체제 구축이 어렵습니다.마. 전후방 효과가 큰 산업비상발전기는 구조적으로 다양한 종류의 부품으로 이루어진 기능성 품목으로 베어링기어의 동력전달제품 제조업에서 코어, 케이스를 만들기 위한 철강 압연, 압출 및 연신 제품 제조업에 이르기까지 관련산업 전후방 연쇄 효과가 큰 산업입니다.
5. 신규사업 등의 내용 및 전망
현재 관공서 영업 활동을 위한 경쟁력을 확보하기 위해 조달우수제품을 취득한 업체는 총 6개사, 7개품목(당사포함, 현재기준) 입니다.
이중 유일하게 당사만 2개의 조달우수제품을 보유하고 있습니다. 이는 다채널선택 및 보호기능을 갖는 디지털자동전압조정기가 구비된 디젤발전기(지정번호 2024059)와 감압기능을 탑재한 매연저감형 디젤발전기(지정번호 2024062)입니다. 현재 우수제품은 발전기 자체의 특성을 개발한 제품을 등록한 3개사, 발전기 매연저감장치를 개발한 제품을 등록한 3개사, 그리고 발전기 자체의 특성을 개발한 제품과 발전기 매연저감장치를 개발한 제품을 모두 등록한 당사 총 7개사로 이뤄져 있습니다. 또한 취득 시점도 이번 2024년 7월 15일로 추가 연장분까지 감안하면 2030년까지 조달청 우수제품 우선구매제도하에 판매가 가능합니다.당사는 이러한 이점을 살려 발전기 자체의 특성이 필요한 현장과 매연저감장치가 필요한 현장 전체로 영업 활동 범주를 넓힐 예정입니다. 또한 2025년 6월에 조달우수제품으로 이미 등록 완료된 다채널선택 및 보호기능을 갖는 디지털자동전압조정기가 구비된 디젤발전기(지정번호 2024059)의 NEP인증취득에 박차를 가하는 중입니다. 또한 신규로 개발중인 저동력 고효율 발전기 개발과 더불어 시제품 제작, 특허 신청중에 있으며, 2025년중으로 시제품 제작 완료, 특허 등록 진행, 공인 시험 완료로 목표로하고 있으며, 2025년 하반기에는 시제품 외 각 모델별 제품 설계 및 추가 시제품 제작, 과제 획득 후 양산화 진행 예정에 있습니다. 또한 해외 활동으로는 필리핀 대형 전기회사 MESCO에 지속적인 기술 미팅, 설계지원등을 통해서 정식 업체 등록을 지난해에 완료 하였으며, MESCO사에 지속적인 입찰참여, 설계지원등을 진행중이며 이를 통해서 안정된 수출의 물고를 틀 예정입니다. 6. 조직도
가. 해당 사업연도의 영업상황의 개요비상발전기는 상용 전원이 나갔을 때 비상전원을 필요로 하는 중요 설비나 시설에 전원을 공급하는 발전 장치입니다. 원동기의 종류에 따라 디젤 엔진형, 가솔린 엔진형, 가스터빈 엔진형, 스팀터빈 엔진형 등이 있습니다. 비상발전기는 건축법, 소방법 등 국내 관련 법규에 의해 일정 규모 이상의 건물에 설치가 의무화 되어 있어 그 수요가 지속적으로 창출되고 있습니다.
동사는 비상발전기 중 디젤비상발전기를 생산 및 공급하고 있으며, 국내 비상발전기는 대부분 디젤비상발전기를 사용하고 있습니다. 동사의 비상발전기는 아파트 또는 대형 건물 시설에 설치되거나, 도로시설(터널), 발전소 등에 사용되고 있습니다. 대형 쇼핑몰과 같은 건축설비에 소요되는 민수 부문과 도로시설, 발전소, 공공건물 등의 민수, 관수 부분이 모두 동사의 주요 수요처 이며, 이 중 한국토지주택공사, 한국도로공사, 방위사업청 등의 공공기관, 한화건설, 포스코건설, 신세계건설, GS건설과 같은 각 1군 건설사 등이 동사 매출에 매우 높은 비중을 차지하고 있습니다.비상발전기 시장은 전반적인 경기 상황이나 건설업 등의 전방 산업에 영향을 받고 있습니다. 또한, 공공 부분에서도 많은 수요가 발생되는 만큼 정부의 사회간접자본 투자 계획 등에도 영향을 받게 됩니다. 최근 경기 불황으로 인하여 건설 부문이 위축되면서 민간 건설 부문에서 그 수요가 감소하고 비상발전기 업체간 경쟁이 심화되고 있으나, 공공부분은 비교적 일정한 수준에서 비 탄력적인 수요를 보이고 있어 관급 매출 비중이 높은 동사는 그 영향이 크지 않은 것으로 보입니다.동사가 영위하는 비상발전기 시장의 규모에 대해서는 객관적인 자료가 존재하지 않고 있어, 그 시장의 성장성을 예측하기가 어렵습니다. 하지만, 비상발전기는 관련 법령에 의해서 설치가 의무화되어 있다는 점에서 점차 건축물이 대형화, 복합화 되어 가는 상황에서 그 수요가 꾸준하게 성장해 나갈 것을 예상할 수 있으며, 매년 전력수요의 가파른 상승에 따라 점차 전력수급의 위기상황이 반복되면서 이러한 문제점을 타개하기 위해서 비상발전기의 활용이 적극 모색되고 있다는 점도 비상발전기 시장에 긍정적인 요소로 작용할 전망입니다.동사의 제품은 타 비상발전기 대비 높은 기술력과 품질을 자랑하고 있습니다.
동사는 지난 2024년 07월에 두가지의 제품이 조달청의 우수제품으로 지정이 되었습니다. '다채널선택 및 보호기능을 갖는 디지털자동전압조정기가 구비된 디젤발전기'와 '감압기능을 탑재한 매연저감형 디젤발전기'는 기존의 '영구자석 이중여자제어 동기발전기'의 매출 영역을 대신하여 중앙정부, 지방자치단체, 공공기관 등에 납품되고 있습니다. 동사의 제품은 타 제품 대비 고효율의 성능을 가지고 있는 것이 강점으로, 타사 제품 대비 가격경쟁력은 높지 않습니다. 국내 시장에서는 비상발전기를 비상용으로만 사용을 하고 있기 때문에, 원가 감소에 중점을 두고 있는 수요처에서는 동사의 제품을 선택하는 비중이 낮았던 것이 사실입니다. 하지만, 점차 대형 쇼핑몰과 시설에서 전력비 감소와 성수기시 비상전력 확보의 차원에서 저가의 제품보다는 높은 효율을 가진 제품에 관심을 가지고 있어, 동사의 영업 상황은 개선되고 있습니다.현재 정부에서 추진하고 있는 비상발전기 공급 자원화 사업은 이러한 영업 상황 변화를 보여주고 있습니다. 증가하는 전력 수요에 대비하기 위해서 기존의 비상용 발전기를 통합 관리를 통해 비상 상황 시 비상용 발전기를 적극적으로 사용하는 것이 그 주목적이기 때문에, 비상용 발전기의 효율성과 품질이 더욱 중요해지고 있습니다. 정부 조달청 시스템에 등록되어 있는 비상발전기 업체 중 두가지 우수제품을 등록한 업체는 동사뿐이며, 비상발전기의 성능이 더욱 중요시 될수록 동사의 영업 상황은 개선될 것으로 판단됩니다.또한, 동사는 동사의 고효율 비상발전기의 강점을 적극적으로 활용하여 해외 시장 진출을 적극적으로 추진하고 있습니다. 발전 능력이 부족한 아시아 국가에서는 비상발전기를 매일 가동시킴으로써 상용으로 사용하는 것이 현재의 상황입니다. 이에 동사의 제품 같은 고효율과 높은 품질의 전기를 발생시킬 수 있는 발전기가 경쟁력을 가질 수 있는 시장이며, 동사는 지속적으로 해외 시장 매출 비중을 높임으로써 한층 더 높은 수준의 영업성과를 올리기 위해 매진하고 있습니다.
나. 해당 사업연도의 대차대조표(재무상태표)ㆍ손익계산서(포괄손익계산서)ㆍ이익잉여금처분계산서(안) 또는 결손금처리계산서(안)
- 대차대조표(재무상태표)
<대 차 대 조 표(재 무 상 태 표)>
제 29 기 2024.12.31 현재 |
제 28 기 2023.12.31 현재 |
(단위 : 원 ) |
과 목 | 제 29(당) 기 | 제 28(전) 기 |
---|---|---|
자산 | - | - |
I. 유동자산 | - | 4,497,863,509 |
(1) 당좌자산 | - | 2,922,747,187 |
1. 현금및현금성자산(주석 3) | 724,086,216 | - |
정기적금 | 121,731,372 | - |
외상매출금 | 1,982,655,561 | - |
대손충당금 | (90,382,405) | - |
미수금 | - | - |
선급비용 | 452,640,818 | - |
대손충당금 | (269,499,068) | - |
당기법인세자산 | 1,514,693 | - |
(2) 재고자산 | - | 1,575,116,322 |
1. 제품 | 644,262,362 | - |
2. 원재료 | 145,449,729 | - |
3. 재공품 | 785,404,231 | - |
II. 비유동자산 | - | 6,991,207,896 |
(1) 투자자산 | - | 2,035,403,815 |
종속기업투자자산 | 1,847,630,986 | - |
출자금 | 37,500,000 | - |
장기금융상품 | 150,272,829 | - |
(2) 유형자산(주석 5, 7) | - | 4,169,113,327 |
토지 | 1,698,230,300 | - |
건물 | 2,199,450,318 | - |
감가상각누계액 | (940,275,880) | - |
구축물 | 1,531,377,172 | - |
감가상각누계액 | (600,874,654) | - |
기계장치 | 1,045,346,262 | - |
감가상각누계액 | (887,555,870) | - |
국고보조금 기계장치 | (36,026,899) | - |
차량운반구 | 517,560,014 | - |
감가상각누계액 | (353,890,965) | - |
국보보조금 차량운반구 | (31,154,969) | - |
공구와기구 | 9,656,723 | - |
감가상각누계액 | (8,495,065) | - |
비품 | 124,036,600 | - |
감가상각누계액 | (98,308,760) | - |
시설장치 | 136,376,183 | - |
감가상각누계액 | (136,337,183) | - |
무형자산 | - | 17,386,209 |
특허권 | 17,386,209 | - |
기타비유동자산 | - | 769,304,545 |
임차보증금 | 15,250,000 | - |
회원권 | 754,054,545 | - |
자산총계 | - | 11,489,071,405 |
부채 | - | - |
유동부채 | - | 7,615,879,713 |
외상매입금 | 1,655,815,634 | - |
미지급금 | 190,049,320 | - |
예수금 | 33,600,568 | - |
부가세예수금 | 156,644,676 | - |
선수금 | 762,630,911 | - |
단기차입금 | 4,409,000,000 | - |
미지급비용 | 190,836,305 | - |
유동성장기부채 | 217,302,299 | - |
비유동부채 | - | 1,594,606,346 |
장기차입금 | 1,411,954,433 | - |
임대보증금 | 20,000,000 | - |
이연법인세부채 | 162,651,913 | - |
부채총계 | - | 9,210,486,059 |
자본금 | - | - |
자본금 | - | 710,000,000 |
보통주 | 525,000,000 | - |
우선주자본금 | 185,000,000 | - |
자본잉여금 | - | 1,639,259,650 |
주식발행초과금 | 1,639,259,650 | - |
자본조정 | - | - |
기타포괄손익누계액 | - | 1,252,495,207 |
재평가차익 | 615,586,907 | - |
지분법자본변동 | 636,908,300 | - |
이익잉여금 | - | (1,323,169,511 |
이익준비금 | 30,000,000 | - |
기업합리화적립금 | 2,871,327 | - |
미처분이익잉여금 | (1,356,040,838) | - |
자본총계 | - | 2,278,585,346 |
부채와자본총계 | - | 11,489,071,405 |
- 손익계산서(포괄손익계산서)
<손 익 계 산 서(포 괄 손 익 계 산 서)>
제 29 기 (2024.01.01 부터 2024.12.31 까지) |
제 28 기 (2023.01.01 부터 2023.12.31 까지) |
(단위 : 원) |
과 목 | 제 29(당) 기 | 제 28(전) 기 |
---|---|---|
Ⅰ. 매출액 | - | 15,496,735,181 |
Ⅱ. 매출원가 | - | 13,431,861,995 |
Ⅲ. 매출총이익 | - | 2,064,873,186 |
Ⅳ. 판매비와관리비(주석 13) | - | 2,876,467,422 |
임원급여 | 443,504,633 | - |
급료 | 713,126,176 | - |
잡급 | - | - |
퇴직연금 | 122,767,375 | - |
성과금 | 105,800,000 | - |
복리후생비 | 112,053,459 | - |
여비교통비 | 72,213,097 | - |
접대비 | 36,483,180 | - |
통신비 | 20,932,162 | - |
가스수도료 | 605,640 | - |
전력비 | 8,674,765 | - |
세금과공과 | 65,668,316 | - |
유형자산감가상각비 | 137,031,927 | - |
임차료 | 27,128,495 | - |
수선비 | 303,137 | - |
보험료 | 87,026,516 | - |
차량유지비 | 40,600,921 | - |
교육훈련비 | 1,261,000 | - |
운반비 | 69,264,600 | - |
도서인쇄비 | 6,201,119 | - |
협회조합비 | 18,824,000 | - |
사무용품비 | 4,064,369 | - |
소모품비 | 2,948,080 | - |
광고선전비 | 1,200,000 | - |
대손상각비 | - | - |
무형자산상각비 | 5,055,223 | - |
연구개발비 | 471,159,786 | - |
리스료 | 60,769,248 | - |
지급수수료 | 241,200,198 | - |
박람회참가비 | 600,000 | - |
영업이익 | - | (811,594,236) |
영업외수익 | - | 35,042,646 |
이자수익 | 6,832,020 | - |
임대료 | 12,000,000 | - |
외환차익 | 486,068 | - |
유형자산처분이익 | - | - |
지방자치단체보조금 | 10,234,900 | - |
잡이익 | 1,193,491 | - |
장기금융상품평가이익 | 4,296,167 | - |
영업외비용 | - | 511,801,629 |
이자비용 | 295,619,078 | - |
외환차손 | 1,375,745 | - |
기부금 | 6,813,900 | - |
기타의대손상각비 | 60,408,159 | - |
지분법손실 | 146,922,528 | - |
장기금융상품평가손실 | 243,230 | - |
유형자산처분손실 | 7,000 | - |
잡손실 | 411,989 | - |
Ⅷ. 법인세차감전순이익 | - | (1,288,353,219) |
Ⅸ. 법인세등(주석 15) | - | - |
Ⅹ. 당기순이익 | - | (1,288,353,219) |
- 이익잉여금처분계산서(안) 또는 결손금처리계산서(안)
<이익잉여금처분계산서 / 결손금처리계산서>
제 29 기 (2024.01.01 부터 2024.12.31 까지) |
제 28 기 (2023.01.01 부터 2023.12.31 까지) |
(단위 : 원) |
과 목 | 제 29 기 | 제 28 기 |
---|---|---|
Ⅰ. 미처분이익잉여금 | (1,306,040,838) | (17,687,619) |
1. 전기이월미처분이익잉여금 | (17,687,619) | 471,736,423 |
2. 당기순이익 | (1,288,353,219) | (489,424,042) |
Ⅱ. 임의적립금등의 이입액 | - | - |
합계 | (1,306,040,838) | (17,687,619) |
Ⅲ. 이익잉여금처분액 | - | - |
Ⅳ. 차기이월미처분이익잉여금 | (1,306,040,838) | (17,687,619) |
당사는 2025년 3월 17일 사업보고서, 감사보고서를 전자공시시스템(http://dart.fss.or.kr)에 공시하고 홈페이지(http://www.sun-tech.co.kr)에 게재할 예정입니다.공시 및 게재 예정인 사업보고서는 향후 주주총회 이후 변경되거나 오기 등이 있는 경우 수정될 수 있으며, 이 경우 전자공시시스템( http://dart.fss.or.kr)에 정정보고서를 공시할 예정이므로 이를 참조하시기 바랍니다.
- 최근 2사업연도의 배당에 관한 사항
해당사항 없습니다.
가. 이사의 수ㆍ보수총액 내지 최고 한도액
(당 기)
이사의 수 (사외이사수) | 4( 1 ) |
보수총액 또는 최고한도액 | 500,000,000 |
(전 기)
이사의 수 (사외이사수) | 4( 1 ) |
실제 지급된 보수총액 | 486,366,676 |
최고한도액 | 500,000,000 |
※ 기타 참고사항
가. 감사의 수ㆍ보수총액 내지 최고 한도액
(당 기)
감사의 수 | 1 |
보수총액 또는 최고한도액 | 100,000,000 |
(전 기)
감사의 수 | 1 |
실제 지급된 보수총액 | 24,000,000 |
최고한도액 | 100,000,000 |
※ 기타 참고사항
제출(예정)일 | 사업보고서 등 통지 등 방식 |
---|---|
당사는 2025년 3월 17일 사업보고서, 감사보고서를 전자공시시스템(http://dart.fss.or.kr)에 공시하고 홈페이지(http://www.sun-tech.co.kr)에 게재할 예정입니다.공시 및 게재 예정인 사업보고서는 향후 주주총회 이후 변경되거나 오기 등이 있는 경우 수정될 수 있으며, 이 경우 전자공시시스템( http://dart.fss.or.kr)에 정정보고서를 공시할 예정이므로 이를 참조하시기 바랍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