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년 9월 15일 | ||
회 사 명 : | 린드먼아시아인베스트먼트(주) | |
대 표 이 사 : | 김 진 하 | |
본 점 소 재 지 : | 서울특별시 강남구 테헤란로 234 4층 | |
(전 화) 070-7019-4021 | ||
(홈페이지)http://www.laic.kr | ||
작 성 책 임 자 : | (직 책) 사장 | (성 명) 박춘상 |
(전 화) 070-7019-7021 | ||
(제20기 제1회 임시주주총회) |
주주님의 건승과 가내 평안하심을 기원합니다.
당사는 상법 제365조 및 당사 정관 제21조 제2항에 의거 제20기 제1회 임시주주총회를 아래와 같이 개최하오니 참석하여 주시기 바랍니다.
(※ 발행주식총수의 1%이하 소유주주에 대하여는 상법 제542조의 4 및 당사 정관 제23조 제2항 의거하여 이 공고로 소집통지에 갈음하오니 양지하여 주시기 바랍니다.)
- 아 래 -
1. 일 시 : 2025년 09월 30일(화) 오전 9:00
2. 장 소 : 서울특별시 강남구 테헤란로 326, 지하 1층 (역삼동, 아이타워), B-2 3. 회의 목적사항 가. 부의안건 제1호 의안 : 자본준비금 감액 및 이익잉여금 전입의 건 4. 경영참고사항 비치 상법 제542조의 4에 의거 경영참고사항은 당사의 본사, 금융위원회, 한국거래소 및 한국예탁결제원 증권대행부에 비치(공시)하오니 참고하시기 바랍니다.
5. 전자투표에 관한 사항
당사는 「상법」제368조의4에 따른 전자투표제도를 이번 주주총회에서 활용하기로 결의하였고, 이 제도의 관리업무를 삼성증권에 위탁하였습니다. 주주님들께서는 아래에서 정한 방법에 따라 주주총회에 참석하지 아니하고 전자투표방식으로 의결권을행사하실 수 있습니다.
가. 전자투표관리시스템
- 인터넷 / 모바일 주소 : https://vote.samsungpop.com
나. 전자투표 행사기간 : 2025년 9월 20일 ~ 2025년 9월 29일
- 기간 중 24시간 시스템 접속 가능 (단, 마지막 날은 오후 5시까지만 가능)
다. 시스템에 공인인증을 통해 주주본인을 확인한 후 의안별 의결권 행사 - 주주확인 인증방식 : 휴대폰 인증, 공인인증서, 카카오 인증
라. 수정동의안 처리 : 주주총회에서 상정된 의안에 관하여 수정동의가 제출되는 경우 전자투표는 기권으로 처리
6. 주주총회 참석시 준비물
- 직접행사 : 본인 신분증
- 대리행사 : 위임장(주주와 대리인의 인적사항 기재, 인감날인, 주주인감증명서), 대리인의 신분증 7. 기타사항 - 주주답례품은 지급하지 아니하오니 양지하여 주시기 바랍니다.
2025년 9월 15일린드먼아시아인베스트먼트(주)대표이사 김진하(직인생략) |
회차 | 개최일자 | 의안내용 | 사외이사 등의 성명 |
---|---|---|---|
채현주(출석률: 100%) | |||
찬 반 여 부 | |||
1 | 2025.02.07 | [결의사항]ㆍ제19기 별도 및 연결 재무제표 승인의 건[보고사항]ㆍ2024년 감사의 감사보고ㆍ내부회계관리제도 운영실태 보고ㆍ제19기 영업보고ㆍ신용정보관리보호인의 이행 내역 보고 | 여 |
2 | 2025.03.06 | [결의사항]ㆍ제19기 별도 및 연결 재무제표 승인의 건ㆍ현금배당 결의의 건ㆍ제19기 정기주주총회 소집 및 부의안건 상정의 건ㆍ전자투표제도 시행의 건 | 여 |
3 | 2025.04.29 | [결의사항]ㆍ해외 사업의 홍콩 자회사 이전의 건 | 여 |
4 | 2025.05.15 | [보고사항]ㆍ2025년 1분기 재무제표 보고의 건 | - |
5 | 2025.05.21 | [결의사항]ㆍ직접투자의 건 | 여 |
6 | 2025.06.13 | [결의사항]ㆍ신규펀드 결성에 따른 출자증권 취득의 건 | 여 |
7 | 2025.07.21 | [결의사항]ㆍ자기주식 취득을 위한 특정금전신탁계약 체결의 건 | 여 |
8 | 2025.08.13 | [보고사항]ㆍ2025년 반기 재무제표 보고의 건[결의사항]ㆍ주주명부 폐쇄 및 권리주주확정 기준일 결정의 건ㆍ제20기 임시주주총회 소집 및 부의안건 상정의 건ㆍ전자투표제도 시행의 건 | 여 |
위원회명 | 구성원 | 활 동 내 역 | ||
---|---|---|---|---|
개최일자 | 의안내용 | 가결여부 | ||
- | - | - | - | - |
(단위 : 백만원) |
구 분 | 인원수 | 주총승인금액 | 지급총액 | 1인당 평균 지급액 | 비 고 |
---|---|---|---|---|---|
사외이사 | 1 | 5,000(상근이사 포함) | 23 | 23 | - |
(단위 : 억원) |
거래종류 | 거래상대방(회사와의 관계) | 거래기간 | 거래금액 | 비율(%) |
---|---|---|---|---|
- | - | - | - | - |
주) 상기 내용에는 당사의 영업사항에 해당되는 운용펀드에 대한 출자금 납입 및 분배, 관리보수 수령은 생략되었으며 해당내용은 향후 공시될 감사보고서의 주석사항으로 확인 가능합니다. |
(단위 : 억원) |
거래상대방(회사와의 관계) | 거래종류 | 거래기간 | 거래금액 | 비율(%) |
---|---|---|---|---|
- | - | - | - | - |
주) 상기 내용에는 당사의 영업사항에 해당되는 운용펀드에 대한 출자금 납입 및 분배, 관리보수 수령은 생략되었으며 해당내용은 향후 공시될 감사보고서의 주석사항으로 확인 가능합니다. |
① VC한국의 벤처투자업계는 최근 몇 년간 지속적인 성장세를 보이고 있으며, 2025년 1분기 벤처투자회사 및 신기술금융사를 통해 총 2.6조원의 벤처투자가 이루어졌으며 벤처펀드 결성 규모는 3.1조원으로 20.6% 늘었다. 이는 2024년 1분기 소폭 상승에 이어 2025년에도 성정세를 이어가고 있습니다.
벤처투자조합 기준 2025년 5월말 기준 신규 결성된 90개 조합의 총 약정금액은 약 2.2조원으로 전년동기 대비 3.8% 감소했으며, 2,221개 조합 약 62.6조원을 운영중입니다.2025년 5월까지 신규투자는 854개사, 약 2.2조원이 투자되어 전년동기 대비 5.6% 감소하였습니다.
정부는 민간의 벤처펀드 출자가 확대될 수 있도록 제도개선 및 중기부 모태펀드 출자를 통해 자금을 조기에 공급하고 다양한 정책을 지속할 것으로 전망됩니다.
② PEF
2021년 10월 사모펀드 제도개편으로 舊 '경영참여형 사모집합투자기구'가 '기관전용 사모집합투자기구(PEF)'로 변경되었습니다. PEF는 전문 투자자만 참여할 수 있는 사모펀드로, 경영권 참여 및 사업구조개선을 위해 지분증권 및 메자닌 증권 등에 투자하는 구조입니다. 자본시장법 개정에 따라 규제가 완화되어, 대출 및 소수지분 투자 등 다양한 투자 방식이 가능해졌습니다.
2024년말 국내 기관전용 사모집합투자기구(PEF) 1,137개, 약정액 153.6조원, 출자 이행액 117.5조원으로 지속적인 성장이 이어지고 있으나, 글로벌 경기 둔화 및 M&A 시장 침체 등의 영향으로 2024년중 투자집행 규모(24.1조원)는 전년 대비 크게 감소(△25.8%)하였습니다.
2024년 중 국내ㆍ외 431사를 대상으로 투자가 이루어졌으며, 지역별로 국내투자는 전년대비 7.1조원(△24.9%) 감소(21.4조원) 하였으며 해외투자도 2.7조원으로 전년대비 1.3조원 감소(△32.5%)하였습니다. 하기 표와 같이 업종별로 살펴보면 제조업 등 상위 5개 업종에 21.7조원(투자비중 약 90.2%)이 투자되었으며 제조업 등에 대한 투자집중 현상은 지속되고 있습니다. 특히, 2024년중 하수ㆍ폐기물처리ㆍ재생업에 대한 투자(3.3조원)가 전년대비(+450%) 크게 증가하였습니다.
<투자 및 회수현황>
(1) 영업개황 및 사업부문의 구분
(가) 영업개황
현재 당사가 운영중인 투자조합 및 경영참여형 사모집합투자기구(PEF)는 총10개로 운영자산 (AUM)기준 9,578억원을 기록하고 있습니다. 이 중 투자조합은 「벤처기업 육성에 관한 특별조치법」 및 「벤처투자 촉진에 관한 법률」에 의한 벤처투자조합이며, 사모투자합자회사는 「자본시장과 금융투자업에 관한 법률」에 따라 설립되었니다.당사의 운영 조합의 포트폴리오는 창업초기 등에 투자하여 고위험(High risk)·고수익(High return)을 추구하기 보다는 확장단계에 있는 기업에 투자하여 해외진출 및 사업확장 목적의 투자를 통해 기업을 지원하는 역할을 하고 있어 안정적이고 지속적인 수익을 창출할 수 있는 포트폴리오를 운영하고 있습니다.
(나) 공시대상 사업부문의 구분
해당사항 없습니다.
(2) 시장점유율
벤처캐피탈을 평가함에 있어 다양한 기준이 존재합니다. 다만, 2024년 운영하는 조합의 운용금액(AUM)을 기준으로 하는 경우 당사는 3,183억원(사모펀드(PE) 제외)으로 이는 2024년 투자조합을 운용하고 있는 기업중 51위에 위치하고 있습니다.
(단위:억원) |
순서 | 회사명 | 운용규모(AUM) | 비율 |
---|---|---|---|
1 | 한국투자파트너스 | 26,953 | 4.13% |
2 | 케이비인베스트먼트 | 23,299 | 3.57% |
3 | 한국벤처투자 | 23,014 | 3.53% |
<생략> | |||
50 | 대성창업투자 | 3,306 | 0.51% |
51 | 린드먼아시아인베스트먼트 | 3,183 | 0.49% |
52 | 엠벤처투자 | 3,165 | 0.49% |
<생략> | |||
합계 | 6,525 | 100% |
(출처 : 벤처투자회사 전자공시, 사모펀드(PEF)는 제외된 통계임)
(3) 시장의 특성
벤처캐피탈은 잠재적으로 기술력이 높지만 자본과 경영여건이 취약한 연구개발, 기업설립 초기단계에 있는 벤처기업에게 자금과 경영서비스 등을 제공하고 나중에 인수합병(M&A), 상장(IPO)등을 통해서 투자자금을 회수하는 금융자본이며 동시에 금융회사라고 할 수 있습니다. 특히, 벤처캐피탈은 은행과 같은 자금 대출이 아닌 지분투자방식의 대표적인 투자자로서 벤처기업의 혁신을 이끄는 중요한 기능을 수행합니다.
(4) 신규사업 등의 내용 및 전망
당사는 정관에 기재된 목적 사항외에 신규로 추진하는 사업은 없습니다.
(5) 조직도
|
가. 의안 제목 : 자본준비금 감액 및 이익잉여금 전입의 건
- 자본준비금 감액(이익잉여금 전입) 규모 : 100억원
나. 의안의 요지
- 본 건 자본준비금 감액(이익잉여금 전입)의 목적은 배당재원을 확보하려는 것으로 이는 주주환원정책의 일환이며, 향후 비과세 배당금 재원으로 사용될 수 있습니다.
제출(예정)일 | 사업보고서 등 통지 등 방식 |
---|---|
금번 주주총회는 임시주주총회로 사업보고서 및 감사보고서를 제출하지 않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