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주총회소집공고 6.0 대정화금 주식회사

주주총회소집공고
2025년 03월 10일
회 사 명 : 대정화금 주식회사
대 표 이 사 : 송 영 준
본 점 소 재 지 : 경기도 시흥시 서해안로 186 (시화공단 1다 107)
(전 화) 031-488-8822
(홈페이지) http://www.daejungchem.co.kr
작 성 책 임 자 : (직 책) 재무이사 (성 명) 석 재 화
(전 화) 031-363-2246

주주총회 소집공고
(제39기 정기)

주주님의 건승과 댁내의 평안을 기원합니다.당사는 정관 제23조에 의거하여 제39기 정기주주총회를 아래와 같이 소집하오니 참석하여 주시기 바랍니다.

- 아 래 -

1. 일시 : 2025년 03월 26일(수) 오전 09시2. 장소 : 경기도 시흥시 서해안로 186(시화공단 1다 107), 시화 본사 2층 대회의실3. 회의목적사항 : 1) 보고안건 : 감사보고, 영업보고, 내부회계관리제도 운영실태 보고 2) 부의안건 제1호 의안 : 제39기 재무제표(이익잉여금처분계산서 포함) 승인의 건 (1주당 배당금 420원)

제2호 의안 : 이사 선임의 건 (제2호-1호의 의안) 사내이사 송영준 (재)선임의 건

(제2호-2호의 의안) 사외이사 윤현조 (재)선임의 건

제3호 의안 : 감사 최성우 (재)선임의 건

제4호 의안 : 이사 보수한도 승인의 건 제5호 의안 : 감사 보수한도 승인의 건4. 전자투표에 관한 사항

당사는「상법」제368조의4 제1항에 따른 전자투표제도를 이번 주주총회에서 활용하기로 결의하였고, 이 제도의 관리업무를 한국예탁결제원에 위탁하였습니다. 주주님들께서는 아래에서 정한 방법에 따라 주주총회에 참석하지 아니하고 전자투표방식으로 의결권을 행사하실수 있습니다.

1) 전자투표관리시스템(한국예탁결제원)

- 홈페이지주소 : (PC)http://evote.ksd.or.kr (모바일)http://evote.ksd.or.kr/m 2) 전자투표 행사 기간

- 2025년 03월 16일(일) 09시 ∼ 03월 25일(화) 17시

- 기간 중 24시간 시스템 접속 가능(단, 마지막날은 오후 5시까지만 가능)

3) 전자투표 행사 방법

- 인증서를 이용하여 전자투표시스템에서 주주 본인 확인 후 의안별 의결권행사

- 주주확인용 공인인증서 종류 : 공동인증서 및 민간인증서(K-VOTE에서 사용 가능한 인증서 한정)

4) 수정동의안 처리 : 주주총회에서 의안에 관하여 수정동의가 제출되는 경우 기권으로 처리

5. 주주총회 참석 시 준비물 1) 직접행사 : 신분증 2) 대리행사 : 위임장(주주와 대리인의 인적사항 기재, 인감 날인, 인감증명서) 대리인의 신분증 2025년 3월 10일 대정화금 주식회사 대표이사 송 영 준 (직인생략)

I. 사외이사 등의 활동내역과 보수에 관한 사항

1. 사외이사 등의 활동내역 가. 이사회 출석률 및 이사회 의안에 대한 찬반여부
회차 개최일자 의안내용 사외이사 등의 성명
윤현조(출석률: 100%)
찬 반 여 부
1 2024.02.26 제38기 결산 재무제표 승인 및 이익잉여금 처분의 건 찬성
2 2024.02.26 제38기 정기주주총회 소집의 건 찬성
3 2024.06.17 대출 연장 계약의 건 찬성
4 2024.08.14 대출 연장 계약의 건 찬성

나. 이사회내 위원회에서의 사외이사 등의 활동내역
위원회명 구성원 활 동 내 역
개최일자 의안내용 가결여부
- - - - -

- 해당사항 없음

2. 사외이사 등의 보수현황
(단위 : 원)
구 분 인원수 주총승인금액 지급총액 1인당 평균 지급액 비 고
사외이사 1 2,000,000,000 15,000,000 15,000,000 -

*주총승인금액은 사내이사 3명을 포함한 등기이사 총 4명의 보수한도 총액입니다.

II. 최대주주등과의 거래내역에 관한 사항

1. 단일 거래규모가 일정규모이상인 거래
(단위 : 억원)
거래종류 거래상대방(회사와의 관계) 거래기간 거래금액 비율(%)
- - - - -

- 해당사항 없음

2. 해당 사업연도중에 특정인과 해당 거래를 포함한 거래총액이 일정규모이상인 거래
(단위 : 억원)
거래상대방(회사와의 관계) 거래종류 거래기간 거래금액 비율(%)
- - - - -

- 해당사항 없음

III. 경영참고사항

1. 사업의 개요 가. 업계의 현황

(1) 산업의 특성 (가) 시약 사업부문

시약 산업은 다음과 같은 특성을 가지고 있습니다.

1) 시장 경기 변동성기존의 시약 시장은 경기 변동성에 대한 영향이 크지 않았으나 최근, 산업의 변동성 및 글로벌 경제의 변화에 따라 시장 변동성이 커지고 있습니다.

특히, 거시적인 측면에서 코로나19 팬데믹으로 인한 단시간에 발생한 글로벌 진단 시장의 팽창과 위축, 바이오 의약품 시장의 급속한 확장 등의 사례에서 확인할 수 있듯이 시약 시장은 전례 없는 변화에 직면해 있습니다.

이는, 나노테크놀로지, 바이오테크놀로지, 정밀화학 등 기술의 급격한 발전을 통한 새로운 시약에 대한 수요 증대 및 기술 수명의 단축을 가속화하여 시약 시장의 강한 변동성을 증명하고 있습니다.

[ 시약산업 제조사 매출 현황 ] (단위: 백만원)
회 사 명 2023년 2022년 2021년 2020년 2019년
대정화금 93,282 96,607 88,928 80,191 79,606
D社 91,689 93,485 73,416 69,556 62,216
S社 101,804 107,391 94,401 83,245 72,629

(주1) 자료 : 사업보고서 및 감사보고서(2023년 기준 D社 및 S社) 참조

2) 고도의 품질 요구성 및 필수재

실험용 시약은 연구 개발의 필수재로 시약의 순도, 성능, 보증에 이르기까지 엄격한 품질 관리가 필요하며, 이로 인한 엄격한 관리가 요구되는 핵심 산업에 해당합니다.

(나) 원료의약품 사업 부문

1) 정부의 규제 및 정책의 역할이 큰 산업

전 세계의 모든 국가는 제약 산업이 자국민의 건강 증진에 직결된 산업이므로, 의약품 허가, 제조 및 유통에 있어서 안전성과 유효성 확보 /약가규제 / 지적재산권 보장 등 각 정부의 규제 및 정책의 역할이 큰 산업분야이며, 이로 인해 정부의 허가 조건이 진입장벽으로 작용하는 산업입니다.

2) BT, IT, NT 등 기술 융합을 통한 기술 혁신이 가속화되고 있는 산업

제약산업은 품질 관리 및 생산 분야에서 최첨단 기술 장비를 이용하여 고순도의 의약품을 제조하고 있으며 갈수록 고도화되는 생산 프로세스 및 품질 등을 위하여 BT, IT, NT 등 기술 융합이 활발해지고 있습니다.

(2) 산업의 성장성

(가) 시약 사업 부문시약산업은 정밀화학 산업에 속해 있는 산업으로서 거의 모든 산업분야와 연관되어 있습니다. 주로 화학과 관련된 산업에서부터 철강산업까지 그 쓰임새가 매우 다양합니다. 전통적인 기술, 지식 집약 산업으로 반도체, 디스플레이, 배터리 같은 첨단 전자 시장부터 바이오 의약 및 진단 시장에 이르기까지 미래 성장산업의 핵심이 되는 고부가가치 산업으로 인지되고 있습니다.

( 나) 원료의약품 사업 부문세계 의약품 시장은 인구 고령화 추세에 따라 고혈압, 당뇨 등 만성질환의 치료 수요가 급증하고 있습니다. 이에 따라 원료의약품(API) 시장 또한 동일하게 성장하였으나 전통적으로 원천 의약품 기술을 보유한 유럽 및 미국의 글로벌 제약사들이 시장을 장악하고 있었습니다. 하지만, 제네릭 의약품 시장의 성장과 함께 원가경쟁력이 생산의 주요소로 대두되며 인도 및 중국 등 신흥의약품 시장의 원료의약품 제약사들이 빠르게 성장하고 있습니다. 아직 국내 원료의약품 시장은 높은 해외 의존도와 국내 생산에 대한 각종 규제, 제약사의 경영적인 문제로 원료의약품 산업 투자가 위축되어 있으나 합성과 발효 기술 등 높은 제조기술 및 시설 인프라를 바탕으로 충분한 역량 및 발전 가능성을 보유하고 있습니다.

(3) 경기변동의 특성

(가) 시약 사업 부문기존의 시약 시장은 경기 변동성에 대한 영향이 크지 않았으나 산업의 변동성 및 글로벌 경제의 변화에 따라 시장 변동성이 커지고 있습니다.

특히, 거시적인 측면에서 코로나19 팬데믹으로 인한 단시간에 발생한 글로벌 진단 시장의 팽창과 위축, 바이오 의약품 시장의 급속한 확장 등의 사례에서 확인할 수 있듯이 시약 시장은 전례 없는 변화에 직면해 있습니다.

뿐만 아니라 시약 시장의 다양화, 중국의 중소 시약 업체의 적극적인 국내 시장 유입, 연구자들의 강화된 스마트 소비성향 등은 국내 시약 시장의 변동성에 강한 촉매제로 작용하고 있습니다.

(나) 원료의약품 사업 부문원료의약품은 국민의 건강을 다루는 필수재의 성격을 가지고 있어 자체적인 수요가 국내외 경기변동에 크게 영향을 받지는 않으나 의약품 시장의 변동성에 따라 내수 시장이 다소 위축되어 있고, 인도, 중국 등 특정 국가에 대한 의존도가 지속적으로 커지고 있는 상황입니다. 이에 따라 정부는 기술 개발 지원을 통해 국내 원료의약품 시장의 인프라를 강화하고, 장기적 경쟁력을 키우기 위한 환경을 조성하기로 하여 향후 원료의약품 시장의 성장이 기대되고 있습니다.

(4) 국내외 시장 여건

(가) 시약산업의 시장 여건

안정적인 성장을 보여주던 시약산업의 시장 여건이 국제 및 국내 변화에 따라 불투명 해지고 있습니다. 장기간 지속된 대중 무역 관계 악화로 인해 전자, 반도체, 디스플레이 산업에 변동성이 커지고 있고, 2024년 국내 연구개발 예산의 삭감(전년 대비 13.9%)에 따른 기초 과학 연구 및 정부출연기관 예산 감소로 인해 시장의 불안정성이 증폭되었습니다. 전통적으로 국내 연구 개발의 주 동력은 정부 주도의 핵심 개발 과제의 육성에 결합된 민간 연구 사업의 시너지이므로 삭감된 정부 연구개발 예산은 시약 산업에 부정적인 영향을 강하게 끼쳤으나, 2025년 전년 대비 11.8% 증액하여 기존의 정부 주도 연구 사업이 다시 탄력을 받을 수 있을 것으로 보입니다.

또한, 팬데믹 이후 보다 선별되고 집중된 글로벌 연구 개발 기조에 따른 생명과학, 진단 및 전문 의약품 연구에 대한 수요 급증, 환경분석, 식품 안전, 생산 공정, 품질 관리 등에 대한 엄격한 품질 기준의 준수 및 강화되고 있는 글로벌 규제는 필수적으로 시약 시장의 성장을 견인할 것으로 기대됩니다.

(나) 원료의약품의 시장 여건제약 산업은 국민 소득의 증가, 건강에 대한 관심 증가, 식생활 패턴의 변화에 따른 건강 검진의 확대와 인구의 고령화, 만성질환자의 증가, 암 발병률 증가 등을 기반으로 안정적인 성장이 가능하였으나 지속 가능한 성장산업으로서 원료의약품 산업에 대한 정부의 체계적인 정책 지원 및 국내 원료의약품 업체의 자급화 강화를 통한 글로벌 경쟁력 육성이 필요한 상황입니다.

(5) 경쟁우위 요소시약 업종은 일반 소비재의 제조업이나 대량 생산 또는 막대한 자본 및 인프라가 소요되는 중공업 분야와는 차별화된, 특화된 다품종 소량 생산의 고객 맞춤형 시장의 특성이 있습니다. 당사는 이런 시장의 특성을 활용하여 다음과 같은 시장 경쟁 우위 요소를 가지고 있습니다.

(가) 기존 시약 시장에서 시장 지배력 확보

기초 시약 품목인 용매, 산, 염기, 유기 무기 시약 시장은 Red ocean market이라고 불리고 있습니다. 그 이유는 확장성이 없고 발전 가능성이 낮은 반면 안정적이며 시약 산업의 기본사업 영역에 해당하기 때문입니다. 당사의 경우, 50여 년의 영업기반을 통하여 기존의 시약 산업의 시장 지배력을 공고히 하고 있습니다.

(나) 빠르게 확대, 발전하고 있는 시장 변화에 대응

시약 시장은 전통적인 기초 시약 시장에서부터 신규 트랜드인 바이오 신약, 전자소재 등에 이르기까지 매우 빠른 속도로 기술 집약형 산업으로 변화하는 중에 있고 이에 따라 시장의 확장 속도 또한 가속화되고 있습니다. 바이오시밀러로 대표되는 기술집약형 시장의 탄생은 시약 업종에 새로운 변화 및 신규 성장 동력을 제공하였고 기존의 시약 업체들이 이러한 변화에 적응 및 대응할 수 있는지가 시장에서의 경쟁력 확보에 관건이 되고 있습니다. 또한, 당사는 화평법, 화관법에 대한 신속, 정확한 대응 및 기존의 시약 산업의 시장 지배력을 기본으로 하여 새로운 시장 변화에 대응할 수 있는 영업력, 신규 품목 개발 능력 등을 확보하고 있습니다.

나. 회사의 현황

(1) 영업 개황 및 사업 부문의 구분 (가) 영업 개황1) 시약 사업 부문 및 원료의약품 사업 부문

당사는 2023년부터 약 1000억 원 정도 매출실적을 달성하고 있으며, 30,000개가 넘는 품목을 당기에 매입 또는 생산하여 판매하였고, 다양한 품목의 재고를 보유하고 있습니다. 이를 통해 수요처의 다양한 요구에 신속하게 대응이 가능한 구조를 가지고 있으며 주문에서부터 납기까지의 기간이 2주 내로 타 경쟁사보다 월등히 우수한 조기 공급 시스템을 갖추고 있습니다. 또한, 특수용 시약, HPLC용 시약, Solution 용액 등 다양한 제품의 제조를 하고 있습니다.

그리고 당사는 미국 약전관리국(U.S Pharmacopiea)의 공식 한국대리점이며 유럽 의약품 관리국(European Pharmacopiea), 영국 약전관리국 (British Pharmacopiea), 일본 의약품 의료기기 종합기구 (Japan Pharmacopiea)와 같은 1차 의약 표준품을 수입 유통하고 있습니다. 또한 당사는 TRC, TLC, LGC와 같은 글로벌 브랜드의 한국 공식 파트너로서 의약품 개발 및 연구에 필수적인 소분자(small molecule) 및 연구용 표준품도 수입 유통하고 있습니다. 당사는 이러한 글로벌 메이커들과의 협력을 통해 의약표준품 사업을 지속적으로 강화하고 있습니다.

더불어, 당사는 중 . 장기적인 발전 계획을 수립하여 일본의 주요 원료의약품 메이커와 함께 국내 CDMO시장 수요에 대응 가능한 맞춤형 제품의 개발 및 주요 원료의약품에 대한 안정적인 supply chain을 구축하였습니다. 또한, 당사는 펩타이드, 항체, 세포주, 항체-약물 접합체ADC(Antibody-Drug Conjugates), 바이오 원천 기술 개발 및 생산에 필수적인 제품들까지 중국, 미국 등의 글로벌 파트너와 함께 국내 고객에게 공급하여 매출 다변화에 기여할 수 있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이를 위해 국내 각종 법규에 대한 정확한 규제 리뷰 및 오퍼레이션 대응체계를 확립하고 있습니다.

(나) 공시대상 사업 부문의 구분

당사가 영위하고 있는 사업 부문은 품목 기준에 따라 크게 시약 부문과 원료의약품 부문으로 구분하여 설명하고 있습니다. 그러나 실제적으로 회사의 사업부가 구분되어 있지 않습니다.

(2) 시장점유율

국내 시약시장의 경우 당사를 포함하여 S社과 D社이 독과점적으로 시약을 공급하고 있으며, 각 회사들의 매출액을 기준으로 추정한 시장점유율은 다음과 같습니다.

[ 시약산업 제조사 매출 현황 ] (단위: 백만원)
회 사 명 2023년 2022년 2021년 2020년 2019년
대정화금 93,282 96,607 88,928 80,191 79,606
D社 91,689 93,485 73,416 69,556 62,216
S社 101,804 107,391 94,401 83,245 72,629

(주1) 자료 : 사업보고서 및 감사보고서(2023년 기준 D社 및 S社) 참조

(3) 시장의 특성

(가) 시약산업의 시장 여건

안정적인 성장을 보여주던 시약산업의 시장 여건이 국제 및 국내 변화에 따라 불투명 해지고 있습니다. 장기간 지속된 대중 무역 관계 악화로 인해 전자, 반도체, 디스플레이 산업에 변동성이 커지고 있고, 2024년 국내 연구개발 예산의 삭감(전년 대비 13.9%)에 따른 기초 과학 연구 및 정부출연기관 예산 감소로 인해 시장의 불안정성이 증폭되었습니다. 전통적으로 국내 연구 개발의 주 동력은 정부 주도의 핵심 개발 과제의 육성에 결합된 민간 연구 사업의 시너지이므로 삭감된 정부 연구개발 예산은 시약 산업에 부정적인 영향을 강하게 끼쳤으나, 2025년 전년 대비 11.8% 증액하여 기존의 정부 주도 연구 사업이 다시 탄력을 받을 수 있을 것으로 보입니다.

또한, 팬데믹 이후 보다 선별되고 집중된 글로벌 연구 개발 기조에 따른 생명과학, 진단 및 전문 의약품 연구에 대한 수요 급증, 환경분석, 식품 안전, 생산 공정, 품질 관리 등에 대한 엄격한 품질 기준의 준수 및 강화되고 있는 글로벌 규제는 필수적으로 시약 시장의 성장을 견인할 것으로 기대됩니다.

(나) 원료의약품의 시장 여건제약 산업은 국민 소득의 증가, 건강에 대한 관심 증가, 식생활 패턴의 변화에 따른 건강 검진의 확대와 인구의 고령화, 만성질환자의 증가, 암 발병률 증가 등을 기반으로 안정적인 성장이 가능하였으나 지속 가능한 성장산업으로서 원료의약품 산업에 대한 정부의 체계적인 정책 지원 및 국내 원료의약품 업체의 자급화 강화를 통한 글로벌 경쟁력 육성이 필요한 상황입니다.

(4) 신규 사업 등의 내용 및 전망 당사는 미래 성장 동력 확보를 위해

① OLED 소재 기업들과 연계하여 ETL, HTL, EML 등의 차세대 발광 신소재 개발에 공동 참여하고 있으며, 이를 통해 개발된 신규 소재들의 양산 사업화를 기대하고 있습니다.

② LCD 및 OLED용 컬러필터 및 신규 소재들의 개발에 참여하고 있으며, 개발되는 신규 소재들의 양산 사업화를 기대하고 있습니다.

③ 상기 외에 다수 전자재료 소재 기업들이 요청하는 재료들에 대해 자체 합성 연구를 진행하여 제품들을 납품하고 있으며, 이런 과정 등을 통해 양산 사업화를 기대하고 있습니다.

(5) 조직도

조직도(2025-02-24).jpg 조직도

2. 주주총회 목적사항별 기재사항 □ 재무제표의 승인

가. 해당 사업연도의 영업상황의 개요

나. 해당 사업연도의 대차대조표(재무상태표)ㆍ손익계산서(포괄손익계산서)ㆍ이익잉여금처분계산서(안) 또는 결손금처리계산서(안)

재무상태표

제 39(당) 기말 2024년 12월 31일 현재

제 38(전) 기말 2023년 12월 31일 현재

대정화금 주식회사 (단위 : 원)

과목 제 39(당) 기말 제 38(전) 기말

자산

 유동자산

88,349,248,889 89,488,914,269

  현금및현금성자산

20,927,523,624 10,822,774,235

  유동성금융상품

39,624,673,197 50,405,719,385

  기타포괄손익-공정가치측정금융자산 (유동)

748,333,197 -

  매출채권

14,342,331,836 16,403,031,319

  재고자산

11,631,072,961 10,487,050,799

  기타유동채권

428,729,025 354,666,810

  기타유동자산

646,585,049 1,015,671,721

 비유동자산

113,805,904,244 106,839,617,229

  비유동금융상품

694,009,800 684,170,400

  장기수취채권

146,415,912 142,210,216

  관계기업투자주식

5,838,639,202 7,892,719,701
장기금융상품 14,159,165,558 1,990,730,025

  기타포괄손익-공정가치측정금융자산 (비유동)

1,000,000 837,292,169

  유형자산

91,607,784,856 94,440,476,463

  무형자산

1,358,888,916 852,018,255

 자산총계

202,155,153,133 196,328,531,498

부채

 유동부채

22,240,021,923 22,721,582,843

  매입채무

9,395,334,859 9,229,742,655

  단기차입금

8,942,651,200 8,942,651,200

  기타유동지급채무

1,375,352,420 2,036,612,608

  기타유동부채

973,299,972 1,232,069,608

  당기법인세부채

1,553,383,472 1,280,506,772

 비유동부채

6,866,636,986 6,985,568,305

  기타비유동지급채무

274,179,416 352,477,237

  이연법인세부채

5,507,211,085 5,914,091,323

  파생상품부채

1,085,246,485 718,999,745

 부채총계

29,106,658,909 29,707,151,148

자본

 자본금

3,595,195,500 3,595,195,500

자본잉여금

30,177,609,273 30,177,609,273

 이익잉여금

112,056,166,434 105,665,327,925

 기타자본구성요소

27,219,523,017 27,183,247,652

 자본총계

173,048,494,224 166,621,380,350

자본과부채총계

202,155,153,133 196,328,531,498

포괄손익계산서

제 39(당) 기 2024년 01월 01일 부터 2024년 12월 31일 까지

제 38(전) 기 2023년 01월 01일 부터 2023년 12월 31일 까지

대정화금 주식회사 (단위 : 원)

 과목 제 39(당) 기 제 38(전) 기
I. 매출액 92,304,424,167 93,282,650,935
  제품매출 56,460,650,943 57,060,098,934
  상품매출 35,733,598,204 36,167,731,586
  기타매출 110,175,020 54,820,415
II. 매출원가 73,065,567,191 71,968,157,000
  제품매출원가 42,589,276,354 42,054,263,083
  상품매출원가 30,377,919,928 29,866,496,212
  기타매출원가 98,370,909 47,397,705
III. 매출총이익 19,238,856,976 21,314,493,935
IV. 판매비와관리비 10,758,716,100 10,318,554,034
  급여 및 퇴직급여 5,244,521,446 5,333,496,334
  복리후생비 280,189,270 267,468,862
  유무형자산상각비 411,827,409 277,827,148
  세금과공과 407,783,638 211,735,646
  경상개발비 1,456,498,522 1,757,667,654
  기타판매관리비 2,957,895,815 2,470,358,390
V. 영업이익 8,480,140,876 10,995,939,901
금융수익 4,930,712,851 2,547,705,124
금융원가 1,235,995,833 1,294,759,644
기타수익 1,064,728,755 593,261,927
기타비용 2,231,405 56,201,711
관계기업투자손익 (1,375,235,382) 765,207,575
VI. 법인세비용차감전순이익 11,862,119,862 13,551,153,172
법인세비용 2,180,978,915 592,025,476
VII. 당기순이익 9,681,140,947 12,959,127,696
VIII. 기타포괄손익 (26,091,123) 9,897,438,851
 후속적으로 당기손익으로 재분류되지 않는 항목 (25,159,420) 9,858,782,143
지분법이익잉여금변동 (62,366,488) (10,793,765)
  기타포괄손익-재평가적립금 37,207,068 9,869,575,908
 후속적으로 당기손익으로 재분류되는 항목 (931,703) 38,656,708
  기타포괄손익-공정가치 채무상품 평가손익 (931,703) 38,656,708
IX. 총포괄손익 9,655,049,824 22,856,566,547
X. 주당손익
 기본주당순이익 1,350 1,807

이익잉여금처분계산서(안)

제 39(당) 기 : 2024년 01월 01일부터 2024년 12월 31일까지

제 38(당) 기 : 2023년 01월 01일부터 2023년 12월 31일까지
대정화금 주식회사 (단위:원)
구분 당기 전기
처분예정일 : 2025년 3월 26일 처분일 : 2024년 3월 26일
Ⅰ.미처분이익잉여금 110,258,568,684 103,867,730,175
1. 전기이월미처분이익잉여금 100,639,794,225 90,919,396,244
2. 지분법이익잉여금 (62,366,488) (10,793,765)
3. 당기순이익 9,681,140,947 12,959,127,696
Ⅱ. 이익잉여금처분액 3,012,740,220 3,227,935,950
1. 배당금 주당배당금(률) 보통주 당기 : 420원(84%) 전기 : 450원(90%) 3,012,740,220 3,227,935,950
Ⅲ. 차기이월미처분이익잉여금 107,245,828,464 100,639,794,225

※ 상세한 주석사항은 향후 주주총회 1주일전까지 전자공시시스템 (http://dart.fss.or.kr)에 공시예정인 당사의 감사보고서를 참조하시기 바랍니다.

자본변동표

제 39(당) 기 2024년 01월 01일 부터 2024년 12월 31일 까지

제 38(전) 기 2023년 01월 01일 부터 2023년 12월 31일 까지

대정화금 주식회사 (단위 : 원)

 과목

자본

자본금

자본잉여금

이익잉여금

기타자본구성요소

자본 합계

2023.01.01 (기초자본)

3,595,195,500 30,177,609,273 95,586,270,394 17,275,015,036 146,634,090,203
총포괄손익

당기순이익

- - 12,959,127,696 - 12,959,127,696

기타포괄손익-재평가적립금

- - - 9,869,575,908 9,869,575,908

기타포괄손익-공정가치 채무상품 평가손익

- - - 38,656,708 38,656,708
지분법이익잉여금 - - (10,793,765) - (10,793,765)
자본에 직접 인식된 주주와의 거래
연차배당금 - - (2,869,276,400) - (2,869,276,400)
2023.12.31 (기말자본) 3,595,195,500 30,177,609,273 105,665,327,925 27,183,247,652 166,621,380,350

2024.01.01 (기초자본)

3,595,195,500 30,177,609,273 105,665,327,925 27,183,247,652 166,621,380,350
총포괄손익

당기순이익

- - 9,681,140,947 - 9,681,140,947

기타포괄손익-재평가적립금

- - - 37,207,068 37,207,068

기타포괄손익-공정가치 채무상품 평가손익

- - - (931,703) (931,703)
지분법이익잉여금 - - (62,366,488) - (62,366,488)
자본에 직접 인식된 주주와의 거래
연차배당금 - - (3,227,935,950) - (3,227,935,950)
2024.12.31 (기말자본) 3,595,195,500 30,177,609,273 112,056,166,434 27,219,523,017 173,048,494,224

현금흐름표

제 39(당) 기 2024년 01월 01일 부터 2024년 12월 31일 까지

제 38(당) 기 2023년 01월 01일 부터 2023년 12월 31일 까지

대정화금 주식회사 (단위 : 원)

과목

제 39(당) 기

제 38(전) 기

I. 영업활동현금흐름 13,158,374,755 14,365,716,203
1. 영업활동에서 창출된 현금흐름 13,514,698,909 14,610,235,202
  당기순이익 9,681,140,947 12,959,127,696
  조정 3,054,144,890 1,716,815,122
  영업활동으로인한자산ㆍ부채의변동 779,413,072 (65,707,616)
 2. 이자의수취 2,311,863,062 1,549,588,238
 3. 이자의지급 (406,729,396) (262,123,237)
 4. 법인세의납부 (2,261,457,820) (1,531,984,000)
II. 투자활동현금흐름 255,811,048 (29,018,991,396)
 유동성금융상품의 처분 207,584,772,844 127,382,782,645
 유동성금융상품의 취득 (204,292,138,268) (135,896,266,977)
장기금융상품의 취득 (2,514,679,532) (20,564,007,797)
 유형자산의 처분 17,545,455 -
 유형자산의 취득 (1,129,850,051) (900,696,627)
 무형자산의 취득 - (35,770,000)
 배당금(관계기업투자주식)의 수령 600,000,000 1,000,000,000
장기수취채권의 취득 - (362,240)
퇴직보험예치금의 증가 (9,839,400) (4,670,400)
III. 재무활동현금흐름 (3,314,935,950) (2,956,276,400)
리스부채의 감소 (87,000,000) (87,000,000)
배당금의 지급 (3,227,935,950) (2,869,276,400)
IV. 현금및현금성자산에 대한 환율변동효과 5,499,536 25,505,526
V. 현금및현금성자산의순증가(감소) 10,104,749,389 (17,584,046,067)
VI. 기초현금및현금성자산 10,822,774,235 28,406,820,302
VII.기말현금및현금성자산 20,927,523,624 10,822,774,235

- 최근 2사업연도의 배당에 관한 사항

구 분 제 39(당)기 제 38(전)기
가. 배당의 종류 현금배당 현금배당
나. 배당대상주식수(주) 7,173,191 7,173,191
다. 1주당 액면금액(원) 500 500
라. 주당배당금액(원) 420 450
마. 배당금총액(원) 3,012,740,220 3,227,935,950
바. 액면배당비율(라/다) 84% 90%
사. 시가배당율 3.2% 2.7%

□ 이사의 선임

가. 후보자의 성명ㆍ생년월일ㆍ추천인ㆍ최대주주와의 관계ㆍ사외이사후보자 등 여부

후보자성명 생년월일 사외이사후보자여부

감사위원회 위원인

이사 분리선출 여부

최대주주와의 관계 추천인
송영준 1972.01.02 해당사항 없음 해당사항 없음 특수관계인 이사회
윤현조 1973.05.08 사외이사 해당사항 없음 해당사항 없음 이사회
총 ( 2 ) 명

나. 후보자의 주된직업ㆍ세부경력ㆍ해당법인과의 최근3년간 거래내역

후보자성명 주된직업 세부경력 해당법인과의최근3년간 거래내역
기간 내용
송영준 대정화금(주) 대표이사 2014년~현재 現 대정화금(주) 대표이사 없음
윤현조 공인회계사,세무사 2018년~현재 現 한울회계법인 파트너 없음

다. 후보자의 체납사실 여부ㆍ부실기업 경영진 여부ㆍ법령상 결격 사유 유무

후보자성명 체납사실 여부 부실기업 경영진 여부 법령상 결격 사유 유무
송영준 해당사항 없음 해당사항 없음 해당사항 없음
윤현조 해당사항 없음 해당사항 없음 해당사항 없음

라. 후보자의 직무수행계획(사외이사 선임의 경우에 한함)

사외이사로서 회사의 최고 의사결정기구인 이사회에 적극적인 자세로 참여하며, 회사의 직무 전반에 관한 주의의무를 준수하고, 중립적·객관적 관점에서 부의안건에 관한 충분한 정보를 바탕으로 그 의안이 회사에 미칠 영향을 충분히 고려하는 등 사외이사로서 주어진 직무를 충실하게 수행하겠습니다.

마. 후보자에 대한 이사회의 추천 사유

1. 송영준본 후보자는 2014년부터 대정화금(주) 대표이사로서 다양한 경력을 쌓았으며 이를 바탕으로 회사의 의사결정 및 직무 등을 성실히 수행할 것으로 판단됩니다. 2. 윤현조본 후보자는 회계사, 세무사 전문가로서 외부감사인 수행 및 내부회계관리제도 구축 경험 등을 통해 회계업무에 대한 이해 및 리스크관리 능력을 갖춰 사외이사 후보자로 추천합니다.

확인서 보고자확인서(송영준).jpg 확인서(송영준) 보고자확인서(윤현조).jpg 확인서(윤현조)

※ 기타 참고사항

- 없음

□ 감사의 선임

<감사후보자가 예정되어 있는 경우>

가. 후보자의 성명ㆍ생년월일ㆍ추천인ㆍ최대주주와의 관계

후보자성명 생년월일 최대주주와의 관계 추천인
최성우 1974.12.19 해당사항 없음 이사회
총 ( 1 ) 명

나. 후보자의 주된직업ㆍ세부경력ㆍ해당법인과의 최근3년간 거래내역

후보자성명 주된직업 세부경력 해당법인과의최근3년간 거래내역
기간 내용
최성우 변호사 2017년~현재 現 법무법인 매헌 변호사 없음

다. 후보자의 체납사실 여부ㆍ부실기업 경영진 여부ㆍ법령상 결격 사유 유무

후보자성명 체납사실 여부 부실기업 경영진 여부 법령상 결격 사유 유무
최성우 해당사항 없음 해당사항 없음 해당사항 없음

라. 후보자에 대한 이사회의 추천 사유

최성우감사 후보자는 그 동안의 경험을 바탕으로 회사의 내부통제, 회계 관리 등 감사로서의 역할을 수행할 것으로 판단하고 회사의 준법 감시 및 경영 투명성을 제고하고 회사 발전에 기여할 것으로 판단하여 추천함

확인서 보고자확인서(최성우).jpg 확인서(최성우)

※ 기타 참고사항

- 없음

□ 이사의 보수한도 승인

가. 이사의 수ㆍ보수총액 내지 최고 한도액

(당 기)

이사의 수 (사외이사수) 4명( 1명 )
보수총액 또는 최고한도액 2,000,000,000 원

(전 기)

이사의 수 (사외이사수) 4명( 1명 )
실제 지급된 보수총액 1,182,209,000 원
최고한도액 2,000,000,000 원

※ 기타 참고사항

- 없음

□ 감사의 보수한도 승인

가. 감사의 수ㆍ보수총액 내지 최고 한도액

(당 기)

감사의 수 1 명
보수총액 또는 최고한도액 200,000,000 원

(전 기)

감사의 수 1 명
실제 지급된 보수총액 24,000,000 원
최고한도액 200,000,000 원

※ 기타 참고사항

- 없음

IV. 사업보고서 및 감사보고서 첨부

가. 제출 개요 2025년 03월 18일1주전 회사 홈페이지 게재
제출(예정)일 사업보고서 등 통지 등 방식

나. 사업보고서 및 감사보고서 첨부

- 당사는 2025년 3월 18일까지 사업보고서 및 감사보고서를 전자공시시스템 (http://dart.fss.or.kr)에 공시하고 홈페이지( http://www.daejungchem.co.kr/→ IR/PR→ IR공시)에 게재할 예정이오니 참조하시기 바랍니다.

- 당사는 2025년 3월 26일 정기주주총회가 예정되어 있으며, 향후 정기주주총회에서 안 건이 부결되거나 수정이 발생한 경우 정정보고서를 통해 그 내용 및 사유 등을 반영할 예정이오니 정기주주총회 이후 전자공시시스템 및 당사 홈페이지에 게재된 사업보고서 를 확인해 주시기 바랍니다.

※ 참고사항

- 해당사항 없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