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 26 기)
사업연도 | 부터 |
까지 |
금융위원회 | |
한국거래소 귀중 | 2025년 8월 12일 |
제출대상법인 유형 : | |
면제사유발생 : |
회 사 명 : | 주식회사 코람코더원위탁관리부동산투자회사 |
대 표 이 사 : | 서 길 석 |
본 점 소 재 지 : | 서울특별시 강남구 삼성로 511(삼성동) |
(전 화) 02-787-0100 | |
(홈페이지) http://www.koramcothe1.com | |
작 성 책 임 자 : | (직 책) 부 장 (성 명) 신 수 동 |
(전 화) 02-2073-0853 | |
I. 회사의 개요II. 사업의 내용III. 재무에 관한 사항IV. 이사의 경영진단 및 분석의견V. 회계감사인의 감사의견 등VI. 이사회 등 회사의 기관에 관한 사항VII. 주주에 관한 사항VIII. 임원 및 직원 등에 관한 사항IX. 계열회사 등에 관한 사항X. 대주주 등과의 거래내용XI. 그 밖에 투자자 보호를 위하여 필요한 사항XII. 상세표【 전문가의 확인】
가. 회사의 법적, 상업적 명칭 - 당사의 명칭은 '주식회사 코람코더원위탁관리부동산투자회사'라고 표기합니다. 또한 영문으로는 'KORAMCO THE ONE REIT' 라고 표기합니다.
나. 설립일자 - 당사는 2015년 9월 15일 『부동산투자회사법』 제2조 제1호에 의거하여 설립된 위탁관리부동산투자회사이며, 2022년 3월 28일자로 한국거래소 유가증권시장에 상장하였습니다. 다. 본사의 주소, 전화번호, 홈페이지 주소
1) 주소: 서울특별시 강남구 삼성로 511(삼성동) 2) 전화번호 : 02-787-0100
3) 홈페이지 주소: http://www.koramcothe1.com
라. 회사사업 영위의 근거가 되는 법률 - 자산을 부동산에 투자하여 운영하는 것을 주된 목적으로 하여 『부동산투자회사 법』에 따라 설립되었습니다.
마. 주요 사업의 내용
- 당사는 부동산임대업을 주요 사업으로 하고 있습니다. 기타의 자세한 사항은 동 보고서의 "II. 사업의 내용"을 참고하시기 바랍니다.
바. 회사가 속해 있는 기업집단 및 계열회사에 관한 사항 - 기업집단 및 계열회사에 관한 사항은 없습니다.
사. 신용평가에 관한 사항
평가일 |
평가대상 |
신용등급 |
평가회사 |
2023.10.13 |
기업신용평가 |
A-/안정적 |
한국기업평가 |
2024.10.02 |
기업신용평가 |
A-/안정적 |
한국기업평가 |
<기업신용평가(Issuer Rating) 신용등급별 정의>
등급 | 정의 |
AAA | 금융채무의 전반적인 상환가능성이 최고 수준이다. |
AA | 금융채무의 전반적인 상환가능성이 매우 높지만, 상위등급(AAA)에 비해 다소 열위한 면이 있다. |
A | 금융채무의 전반적인 상환가능성이 높지만, 상위등급(AA)에 비해 경제여건 및 환경변화에 따라 영향을 받기 쉬운 면이 있다. |
BBB | 금융채무의 전반적인 상환가능성이 일정수준 인정되지만, 상위등급(A)에 비해 경제여건 및 환경변화에 따라 저하될 가능성이 있다. |
BB | 금융채무의 전반적인 상환가능성에 불확실성이 내포되어 있어 투기적 요소를 갖고 있다. |
B | 금융채무의 전반적인 상환가능성에 대한 불확실성이 상당하여 상위등급(BB)에 비해 투기적 요소가 크다. |
CCC | 금융채무의 채무불이행의 위험 수준이 높고 전반적인 상환가능성이 의문시된다. |
CC | 금융채무의 채무불이행의 위험 수준이 매우 높고 전반적인 상환가능성이 희박하다. |
C | 금융채무의 채무불이행의 위험 수준이 극히 높고 전반적인 상환가능성이 없다. |
D | 상환불능상태이다. |
주1) 상기 등급 중 AA부터 B등급까지는 +, - 부호를 부가하여 동일등급 내에서의 우열을 나타내고 있음. 주2) 자산유동화평가의 경우 상기 신용등급 뒤에 “(sf)”를 추가하여 표시함. 주3) 제3자 신용평가의 경우 “Tp”를 상기 신용등급 앞에 추가하여 표시함.
아. 연결대상 종속회사 개황 1) 연결대상 종속회사 현황(요약)
(단위 : 사) |
구분 | 연결대상회사수 | 주요종속회사수 | |||
---|---|---|---|---|---|
기초 | 증가 | 감소 | 기말 | ||
상장 | |||||
비상장 | |||||
합계 |
※상세 현황은 '상세표-1. 연결대상 종속회사 현황(상세)' 참조 |
- 연결대상 종속회사에 관한 사항은 없습니다.
2) 연결대상회사의 변동내용
구 분 | 자회사 | 사 유 |
---|---|---|
신규연결 | ||
연결제외 | ||
- 연결대상 종속회사에 관한 사항은 없습니다. 자. 중소기업 등 해당 여부
중소기업 해당 여부 | |
벤처기업 해당 여부 | |
중견기업 해당 여부 |
차. 회사의 주권상장(또는 등록ㆍ지정)여부 및 특례상장에 관한 사항
주권상장(또는 등록ㆍ지정)현황 | 주권상장(또는 등록ㆍ지정)일자 | 특례상장 유형 |
---|---|---|
일자 | 내용 |
---|---|
2015년 09월 15일 | 회사 발기설립(설립자본금 5억원) |
2015년 09월 17일 | 자산관리위탁계약 체결((주)코람코자산신탁) |
2015년 09월 17일 | 일반사무관리위탁계약 체결((주)국민은행) |
2015년 09월 17일 | 자산보관위탁계약 체결((주)신한은행) |
2015년 10월 26일 | 국토교통부 영업인가 |
2015년 11월 06일 | 1, 2차 유상증자 (증자 후 자본금 184억원) |
2015년 11월 06일 | 부동산 취득 (여의도 소재, 하나증권빌딩) |
2020년 10월 07일 | 자산관리위탁변경계약 체결((주)코람코자산신탁) |
2020년 10월 29일 | 국토교통부 변경 인가(사업지속을 위한 자금조달계획 변경 및 주주 변경 등) |
2020년 11월 04일 | 자산관리위탁변경계약 체결 ((주)코람코자산신탁) |
2020년 11월 05일 | 3차 유상증자 (증자 후 자본금 289억원) |
2020년 11월 06일 | 1차, 2차 유상감자 (감자 후 자본금 105억원) |
2021년 10월 19일 | 국토교통부 변경 인가(주식 일반청약을 통한 유상증자 등 자금조달계획 변경) |
2021년 10월 19일 | 사명변경-변경 전: (주)코크렙제30호위탁관리부동산투자회사-변경 후: (주)코람코더원위탁관리부동산투자회사 |
2021년 10월 19일 | 자산관리위탁변경계약 체결 ((주)코람코자산신탁) |
2021년 12월 02일 | 액면분할 및 발행주식총수 변경 -변경 전: 5,000원, 2,090,000주-변경 후: 500원, 20,900,000주 |
2022년 01월 25일 | 일반사무관리위탁변경계약 체결((주)국민은행) |
2022년 01월 25일 | 자산보관위탁변경계약 체결((주)신한은행) |
2022년 03월 08일 | 유상증자(일반공모, 보통주 19,500,000주) (증자후 자본금 202억원) |
2022년 03월 28일 | 한국거래소 유가증권시장 상장 |
2024년 07월 03일 | 일반사무위탁회사 변경-변경 전: (주)국민은행-변경 후: (주)케이비펀드파트너스 |
가. 회사의 본점소재지 및 그 변경
일자 | 본 점 소 재 지 | 비 고 |
---|---|---|
2015년 09월 15일 | 서울특별시 강남구 삼성로 511, 19층(삼성동, 골든타워) | 회사 설립 |
2016년 06월 20일 | 서울특별시 강남구 삼성로 511(삼성동, 골든타워) | 주소 변경 |
2025년 02월 20일 | 서울특별시 강남구 삼성로 511(삼성동) | 주소 변경 |
나. 경영진 및 감사의 중요한 변동
변동일자 | 주총종류 | 선임 | 임기만료또는 해임 | |
---|---|---|---|---|
신규 | 재선임 | |||
※ 회사는 2015년 9월 15일 설립하였습니다.
다. 최대주주의 변동
변동일 | 최대주주명 | 소유주식수 | 지분율 | 변동원인 | 비고 |
---|---|---|---|---|---|
2021년 04월 13일 | (주)신한은행(페블스톤전문투자형리츠부동산모투자신탁제1-1호의 신탁업자 지위) | 800,000주 | 38.28% | 주식양수도 | 액면분할 전 주식수 |
2022년 03월 28일 | (주)신한은행(페블스톤전문투자형리츠부동산모투자신탁제1-1호의 신탁업자 지위) | 8,000,000주 | 19.80% | 기업공개 | 액면분할, 기업공개 및 유상증자로 인한 소유주식수 및 지분율 변동 |
※ 2021년 12월 2일 액면분할(5,000원 → 500원) 라. 상호의 변경
일자 | 상호명 | 비 고 |
---|---|---|
2015년 09월 15일 | 주식회사 코크렙제30호위탁관리부동산투자회사 | 회사 설립 |
2021년 10월 19일 | 주식회사 코람코더원위탁관리부동산투자회사 | 법인명 변경 |
마. 회사가 화의, 회사정리절차 그 밖에 이에 준하는 절차를 밟은 적이 있거나 현재 진행중인 경우 그 내용과 결과 - 해당사항 없습니다.
바. 회사가 합병 등을 한 경우 그 내용
- 해당사항 없습니다.
사. 회사의 업종 또는 주된 사업의 변화
- 해당사항 없습니다.
아. 그 밖에 경영활동과 관련된 중요한 사항의 발생내용 - 해당사항 없습니다.
자본금 변동추이
(단위 : 원, 주) |
종류 | 구분 | 당기말(제26기)2025.05.31 | 전기말(제25기)2025.02.28 | 전전기말(제24기)2024.11.30 |
---|---|---|---|---|
보통주 | 발행주식총수 | 40,400,000 | 40,400,000 | 40,400,000 |
액면금액 | 500 | 500 | 500 | |
자본금 | 20,200,000,000 | 20,200,000,000 | 20,200,000,000 | |
합계 | 자본금 | 20,200,000,000 | 20,200,000,000 | 20,200,000,000 |
가. 주식의 총수 현황
(기준일 : | ) |
구 분 | 주식의 종류 | 비고 | |||
---|---|---|---|---|---|
합계 | |||||
Ⅰ. 발행할 주식의 총수 | |||||
Ⅱ. 현재까지 발행한 주식의 총수 | |||||
Ⅲ. 현재까지 감소한 주식의 총수 | |||||
1. 감자 | |||||
2. 이익소각 | |||||
3. 상환주식의 상환 | |||||
4. 기타 | |||||
Ⅳ. 발행주식의 총수 (Ⅱ-Ⅲ) | |||||
Ⅴ. 자기주식수 | |||||
Ⅵ. 유통주식수 (Ⅳ-Ⅴ) | |||||
Ⅶ. 자기주식 보유비율 |
Ⅰ : 작성기준일 현재 수권주식수로서 정관상의 주식수Ⅱ,Ⅲ : 설립이후 작성기준일까지 발행 및 감소한 주식의 총수로, 발행되었던 종류주는 모두 감소되었음.※ 상기 주식수는 액면가액 500원 기준입니다. 나. 자기주식 - 해당사항 없음.
가. 정관 개요 1) 당사의 정관은 2023년 11월 22일자로 개정된 제7차 개정정관입니다.
나. 정관 변경 이력
정관변경일 | 해당주총명 | 주요변경사항 | 변경이유 |
---|---|---|---|
다. 사업목적 현황
구 분 | 사업목적 | 사업영위 여부 |
---|---|---|
가. 업계의 현황 부동산투자회사법에 따라 설립된 부동산투자회사는 2025년 05월 31일 현재 기업구조조정부동산투자회사 17개, 위탁관리부동산투자회사 394개, 자기관리부동산투자회사4개 등 총 415개사가 영업하고 있습니다. 이 중 상장리츠는 24개, 총 자산규모 18.1조원 수준입니다. #부동산투자회사 현황 - 자료 출처 : 리츠정보시스템, 리츠통계현황(2025년 5월)
나. 시장점유율 전체 유효시장규모를 파악하기 어려움에 따라 정확한 시장점유율의 산정이 어렵습니다.
다. 사업내용
당사는「부동산투자회사법」에 따라 설립된 회사로서 투자자들로부터 자금을 확보하여 부동산을 취득 및 자산의 부가가치를 제고하고 투자자들에게 안정적이고 시장요구수익률 수준의 배당을 실시하여 부동산투자회사 제도의 정착 및 활성화에 이바지함을 목적으로 하고 있습니다. 당사의 투자대상 부동산은 서울시 영등포구 여의도동에 위치한 오피스 빌딩인 하나증권빌딩이며,「부동산투자회사법」에 의거하여 (주)코람코자산신탁에 자산관리업무를 위탁하였고 부동산의 효용가치 유지 및 증대를 위해 부동산의 최적 상태를 유지할 예정입니다. 또한 부동산으로부터 발생하는 임대료 수입과 이에 따른 이자수익 등 누적현금자산이 발생하게 되며, 이러한 현금자산은 부동산투자회사법 등 관계법령에서 정한 범위 내에서 유가증권 투자 또는 금융기관 예치 등의 방법으로 운용할 예정입니다.
라. 조직도
가. 회사 현황 회사는 부동산투자회사법에 의한 위탁관리부동산투자회사로서 2015년 9월 15일에 설립되었습니다. 회사의 주요사업목적은 부동산의 취득ㆍ관리ㆍ개량 및 처분, 부동산의 임대차, 부동산개발 등의 방법으로 자산을 투자ㆍ운용하여 얻은 수익을 주주에게 배당하는 것이며, 회사의 운용부동산은 서울시 영등포구에 위치한 하나증권빌딩입니다.
투자대상 | 투자대상의 종류 | 용도 | 매입면적 | 소재지 |
하나증권빌딩(주1) |
부동산(토지 및 건물) |
업무시설 | (토지) 7,570㎡(건물) 69,826㎡ | 서울시 영등포구 의사당대로 82 |
(주1) 하나금융투자(주)의 하나증권(주)로 사명변경에 따라 건물명 변경
나. 영업개황 및 사업부문의 구분
1) 영업개황
당해 회사는 부동산투자회사법에 따라 설립된 명목회사(Paper Company)로서 다수의 법인 및 개인 투자자들로부터 자금을 확보하여 부동산의 취득ㆍ관리ㆍ개량 및 처분, 부동산의 임대차 등의 방법으로 자산을 투자ㆍ운용하여 얻은 수익을 주주에게 배당함을 사업의 목적으로 합니다. 또한 취득 부동산의 안정적 운용을 통하여 투자자들에게 일정수준 이상의 투자수익을 제공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부동산 직접 투자로 인한 위험 회피가 가능하도록 할 것 입니다.
2) 공시대상 사업부문의 구분
회사는 2015년 설립 이후 취득한 부동산 자산(여의도 소재, 하나증권빌딩)에 대하여 하나증권(주) 및 한국쓰리엠(주) 등의 임차인들로 구성하여 해당 임차인들로부터 임대료 수취를 통해 수익을 창출하고 보유부동산 운용(임대, 관리 등)을 통하여 투자자들에게 투자수익을 제공하는 부동산임대업을 영위하고 있습니다.
3) 부동산 개요서울의 오피스 시장은 도심권역(Central Business District, 이하 CBD), 강남권역(Gangnam Business District, 이하 GBD), 여의도권역(Yeuido Business District, 이하 YBD)의 3개 주요 권역으로 구분되며 그 외 서울 기타권역(Others)으로 형성되어 있습니다. 하나증권빌딩은 YBD 핵심 업무지구에 위치한 하나증권의 사옥으로 2011년 리모델링을 완료한 2만평 이상의 프라임 오피스 자산입니다. 인근에는 금융감독원, 전경련회관, IFC, 파크원 외에 각종 증권회사의 본사 사옥이 위치하고 있습니다. 남측으로는 광장아파트, 미성아파트 등 대단위 아파트단지와 북측으로는 여의도 공원이 위치하고 있습니다.하나증권빌딩은 의사당대로와 접해있으며 올림픽대로를 따라 서울의 동서지역으로 이동이 가능합니다. 인근에는 여의도역 및 여의도환승센터 등이 위치하고 있어 서울, 경기 주요 도시 및 인천공항으로의 이동이 가능하여 대중교통상황이 우수한 편입니다.차량으로 이동시 도심권역(CBD)까지 15분 및 강남권역(GBD)까지 30분 가량 소요되며, 특히 하나증권빌딩이 위치한 여의도역은 9호선의 중심부에 위치하고 있어, 지하철로 강남 권역까지 15분 내로 진입이 가능한 교통의 요지에 위치하고 있습니다.
구분 |
내용 |
건 물 명 |
하나증권빌딩 |
주 소 |
서울특별시 영등포구 의사당대로 82 (여의도동 27-3) |
용 도 지 역 |
일반상업지역 |
주 용 도 |
업무시설 |
규 모 |
지하 5층 / 지상 23층 |
대 지 면 적 |
7,570.00㎡ (2,289.93평) |
건 축 면 적 |
2,821.63㎡ (853.54평) |
연 면 적 |
69,826.48㎡ (21,122.45평) |
건 폐 율 |
37.27% (법정 60%) |
용 적 률 |
580.48% (법정 800%) |
층 고 |
2.6m |
엘 리 베 이 터 |
12대 (승용 10대, 비상용 2대) |
주 차 대 수 |
총 571대 (옥외 : 57대 / 옥내 : 514대) |
준 공 일 자 |
1994년 6월 7일 준공 2008년, 2011년 2층 증축 공사 2011년 환경개선공사 (로비, 엘리베이터, 조경 등) 2017-18년 엘리베이터 교체 공사 |
외부사진 |
|
접근성 |
하나증권빌딩이 위치한 여의도권역은 서울 전역 및 수도권 지역으로의 접근성이 뛰어나며 우수한 대중교통 인프라가 형성되어 있습니다. |
위치도 |
하나증권빌딩은 여의대로 및 의사당대로변 프라임 오피스를 중심으로 형성된 핵심업무지역 내 위치하고 있습니다. |
4) 임대조건 현황하나증권빌딩은 하나증권(주) 및 한국쓰리엠(주) 등 우량한 신용도의 임차인들이 주요 임차인으로 사용중에 있습니다.하나증권빌딩은 하나증권(주) 및 한국쓰리엠(주)가 작성 기준일 기준(2025년 5월 31일 기준) 총 면적의 약 67.9%를 사용 중에 있습니다.하나증권빌딩으로부터 발생하는 임대료 수익 일체는 주요 임차인인 하나증권(주)(연간 전체 예상 임대료 수입의 약 54.9% 비중), 한국쓰리엠(주)(연간 전체 예상 임대료 수입의 약 12.1% 비중)와 같은 주요 임차인 및 기타 임차인들이 지급합니다.하나증권(주)는 1994년 하나증권빌딩 준공 이후부터 본 빌딩을 본사 사옥으로 사용하고 있으며, 2025년 5월 31일 기준 총 면적 중 약 56.1%를 임차하고 사용하고 있습니다. 2020년 12월 하나증권(주)는 2025년 12월 만기(5년만기)로 임대차계약을 체결하였고, 임대차기간은 추가 5년 연장 가능한 조건입니다. 또한, 총 면적의 약 11.7%를 사용하고 있는 한국쓰리엠(주)은 2028년 4월 만기(5년만기)로 임대차계약을 체결하여 본 빌딩을 업무용 오피스뿐 아니라 어린이집으로 사용하고 있습니다. 주요 임차인인 하나증권(주) 및 한국쓰리엠(주)의 임대차 계약 조건 상 90일에서 7개월전까지 재계약 통보 기한을 설정하였고, 서면에 의한 계약만료 통지가 없는 한 임대차계약기간은 자동으로 1년 연장됩니다.작성기준일(2025년 5월 31일) 기준 주요 임차인의 임대차 계약 조건은 다음과 같습니다.
[주요 임차인의 임대차 계약 조건] (2025년 5월 31일 기준) |
임차인 | 사용층 | 인상조건 | 임대차계약계약만기일 | 재계약통보(통보기한) | 해지시 위약벌 |
---|---|---|---|---|---|
보증금, 임대료, 관리비 조정조건 | |||||
하나증권(주) | 23F, 17~16F 14~12F, 10~8F,6F, 4~2F, 1~B1F | - 보증금 동결- 임대료, 관리비 매년 3% 인상 | 2025-12-15 | 7개월 전(2025-05-15) | 6개월분 임대료 및 관리비 |
10F | - 보증금 동결- 임대료, 관리비 매년 3.5% 인상 | 2025-12-15 | 90일전(2025-09-16) | 6개월분 임대료 및 관리비 | |
5F | - 보증금 없음- 임대료 매년 3% 인상- 관리비 매년 평당 1,000원 인상 | 2025-12-15 | 7개월 전(2025-05-15) | 6개월분 임대료 및 관리비 | |
한국쓰리엠(주) | 22~21F,18F 2F B1F | - 보증금 동결- 임대료 매년 2.0% 인상- 관리비 매년 2.0% 인상 | 2028-04-30 | 6개월 전(2027-10-31) | 3개월분임대료 및 관리비 |
(출처: 당사 제시) |
하나증권빌딩은 작성기준일(2025년 5월 31일) 공실률은 1.15%입니다.
[하나증권빌딩 공실 현황] | (기준일: 2025년 5월 31일) |
구분 | 임대면적(평) | 비중 | 비고 |
---|---|---|---|
임대면적 | 20,714.86 | 98.85% | - |
공실(주1) | 240.30 | 1.15% | - |
총 면적(주2) | 20,955.16 | 100.00% | - |
(주1) 1, 2층 임대차 만료(주2) 총 면적: 연면적(21,122.45평) - 관리실면적(167.29평) |
- 당사는 부동산의 취득ㆍ관리ㆍ개량 및 처분, 부동산의 임대차, 부동산개발 목적의 법인으로 원재료 및 생산설비는 해당사항이 없습니다.
투자부동산은 매달 임차료를 지급하는 조건으로 운용리스 하에서 임차인에게 리스되었습니다. 회사가 리스제공자인 운용리스로부터 발생하는 리스수익은 리스기간에 걸쳐 정액 기준으로 인식합니다. 일부 계약의 경우 리스료에 CPI 증가를 포함하나 지수나 요율에 따라 달라지는 그 밖의 변동리스료는 없습니다. 회사는 신용위험을 줄이기위해 필요하다고 판단되는 경우 리스기간 동안 은행 보증을 받을 수 있습니다.회사는 현행 리스의 종료 시점에 잔존가치 변동에 노출되어 있지만 통상 새로운 운용리스계약을 체결하므로 이러한 리스의 종료 시점에서 잔존가치를 즉시 실현하지는 않을 것입니다. 미래 잔존가치에 대한 예상은 투자부동산의 공정가치에 반영됩니다.
한편, 보고기간말 현재 상기 투자부동산에 대한 운용리스계약으로 회사가 받게 될 것으로 기대되는 미래 최소 리스료 내역은 다음과 같습니다. (단위: 천원)
구 분 | 당기말 | 전기말 |
---|---|---|
1년 이내 |
13,484,089 | 15,948,845 |
1년 초과 2년 이내 | 5,724,948 | 6,422,194 |
2년 초과 3년 이내 | 4,497,986 | 4,699,324 |
3년 초과 4년 이내 | 567,653 | 1,434,540 |
4년 초과 5년 이내 |
- | 74,750 |
합 계 | 24,274,676 | 28,579,653 |
가. 위험관리 1. 재무위험관리요소
회사가 노출되어 있는 재무위험 및 이러한 위험이 회사의 미래 성과에 미칠 수 있는 영향은 다음과 같습니다.
위험 |
노출 위험 |
측정 |
관리 |
---|---|---|---|
신용위험 |
현금성자산, 매출채권, 기타금융자산 등 |
연체율 분석 신용등급 |
은행예치금 다원화, 신용한도 |
유동성위험 |
차입금 및 기타부채 |
현금흐름 추정 |
차입한도 유지 |
회사의 위험관리는 회사의 재무적 성과에 영향을 미치는 잠재적 위험을 식별하여 회사가 허용가능한 수준으로 감소, 제거 및 회피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하고 있습니다.
2. 자본위험관리 회사의 자본 관리 목적은 계속기업으로서 주주 및 이해당사자들에게 이익을 지속적으로 제공할 수 있는 능력을 보호하고 자본비용을 절감하기 위해 최적의 자본구조를 유지하는 것입니다.
회사는 자본관리지표로 부채비율을 이용하고 있으며, 이 비율은 총부채를 총자본으로 나누어 산출하고 있습니다.이와 관련하여, 자세한 사항은 동 공시서류의 Ⅲ. 재무에관한 사항 5. 재무제표 주석을 참조하여 주시기 바랍니다.
나. 파생거래
- 당사는 파생상품계약을 체결하지 않았습니다.
- 해당사항 없습니다.
- 해당사항 없습니다.
(단위 : 원)
구 분 | 제26기(2025년 5월 31일) | 제25기(2025년 2월 28일) | 제24기(2024년 11월 30일) |
1. 유동자산 | 7,389,686,465 | 7,096,389,391 | 6,614,385,801 |
2. 비유동자산 | 503,178,864,645 | 504,038,900,484 | 504,897,950,701 |
자산총계 | 510,568,551,110 | 511,135,289,875 | 511,512,336,502 |
1. 유동부채 | 305,122,806,608 | 305,100,982,808 | 295,121,475,830 |
2. 비유동부채 | 6,498,188,948 | 6,498,850,405 | 16,204,699,520 |
부채총계 | 311,620,995,556 | 311,599,833,213 | 311,326,175,350 |
1. 자본금 | 20,200,000,000 | 20,200,000,000 | 20,200,000,000 |
2. 자본잉여금 | 111,226,616,520 | 111,226,616,520 | 111,226,616,520 |
3. 이익잉여금 | 67,520,939,034 | 68,108,840,142 | 68,759,544,632 |
자본총계 | 198,947,555,554 | 199,535,456,662 | 200,186,161,152 |
구 분 | (2025.03.01 ~ 2025.05.31) | (2024.12.01 ~ 2025.02.28) | (2024.09.01 ~ 2024.11.30) |
1. 영업수익 | 7,545,403,594 | 7,523,167,139 | 7,416,432,648 |
2. 영업비용 | 2,436,034,549 | 2,425,710,732 | 2,276,502,302 |
3. 영업이익 (손실) | 5,109,369,045 | 5,097,456,407 | 5,139,930,346 |
4. 법인세비용차감전순이익(손실) | 3,224,226,429 | 3,198,830,801 | 3,295,123,554 |
5. 법인세 비용 | - | - | - |
6. 당기순이익 | 3,224,226,429 | 3,198,830,801 | 3,295,123,554 |
7. 주당순이익 | 79 | 79 | 81 |
※ 한국채택국제회계기준(K-IFRS)에 따라 작성되었습니다.
해당사항 없음.
해당사항 없음.
제 26 기 |
제 25 기 |
제 24 기 |
|
---|---|---|---|
제 26 기 |
제 25 기 |
제 24 기 |
|
---|---|---|---|
자본 |
||||
---|---|---|---|---|
자본금 |
자본잉여금 |
이익잉여금 |
자본 합계 |
|
제 26 기 |
제 25 기 |
제 24 기 |
|
---|---|---|---|
주식회사 코람코더원위탁관리부동산투자회사(이하, "회사")는 부동산투자회사법에 의한 위탁관리부동산투자회사로서 2015년 9월 15일에 설립되었습니다. 회사의 주요사업목적은 부동산의 취득ㆍ관리ㆍ개량 및 처분, 부동산의 임대차, 부동산개발 등의 방법으로 자산을 투자ㆍ운용하여 얻은 수익을 주주에게 배당하는 것이며, 회사의 운용부동산은 서울특별시에 위치한 하나증권빌딩(구, 하나금융투자빌딩)입니다.회사의 본점소재지는 자산관리회사인 (주)코람코자산신탁의 본점 주소인 서울특별시강남구 삼성로 511이며, 회사의 사업연도는 3개월(매년 3월 1일, 6월 1일, 9월 1일 및 12월 1일에 개시하고, 5월 31일, 8월 31일, 11월 30일 및 2월 28일에 종료)입니다회사는 2021년 10월 27일 주식회사 코크렙제30호위탁관리부동산투자회사에서 코람코더원위탁관리부동산투자회사로 상호를 변경하였으며, 2022년 3월 28일 유가증권시장에 상장하였습니다. 당기말 현재 납입 자본금은 20,200,000천원이며, 주주현황은 다음과 같습니다(단위: 주).
(*1) 당기말 현재 기타주주에는 미래에셋자산운용㈜가 집합투자업자로서 운용하는 집합투자기구가 포함되어 있으며, 해당 집합투자기구의 합산 지분율은 10.46%입니다. |
다음은 재무제표 작성에 적용된 중요한 회계정책입니다. 이러한 정책은 별도의 언급이 없다면, 표시된 회계기간에 계속적으로 적용됩니다. 2.1 재무제표 작성 기준 회사의 재무제표는 한국채택국제회계기준에 따라 작성됐습니다. 한국채택국제회계기준은 국제회계기준위원회("IASB")가 발표한 기준서와 해석서 중 대한민국이 채택한 내용을 의미합니다. 재무제표는 다음을 제외하고는 역사적 원가에 기초하여 작성하였습니다.
한국채택국제회계기준은 재무제표 작성 시 중요한 회계추정의 사용을 허용하고 있으며, 회계정책을 적용함에 있어 경영진의 판단을 요구하고 있습니다. 보다 복잡하고 높은 수준의 판단이 필요한 부분이나 중요한 가정 및 추정이 필요한 부분은 주석3에서 설명하고 있습니다. 2.2 회계정책과 공시의 변경 (1) 회사가 채택한 제ㆍ개정 기준서 및 해석서 회사는 2025년 3월 1일로 개시하는 회계기간부터 다음의 제ㆍ개정 기준서 및 해석서를 신규로 적용하였습니다. ① 기업회계기준서 제1021호 '환율변동효과' 와 제1101호 '한국채택국제회계기준의 최초채택' (개정) - 교환가능성 결여 동 개정사항은 한 통화를 다른 통화로 교환 가능한지 여부를 평가하고 교환 가능하지않은 경우 사용할 현물환율을 결정할 때 일관된 접근 방식을 적용하고 관련 정보를 공시하도록 요구합니다. 동 기준서의 개정 또는 제정이 재무제표에 미치는 유의적인 영향은 없습니다. (2) 회사가 적용하지 않은 제ㆍ개정 기준서 및 해석서 제정 또는 공표되었으나 시행일이 도래하지 않아 당사가 조기 적용하지 아니한 제개정 기준서 및 해석서는 다음과 같습니다.① 기업회계기준서 제1109호 '금융상품', 제1107호 '금융상품: 공시' 개정 실무에서 제기된 의문에 대응하고 새로운 요구사항을 포함하기 위해 기업회계기준서제1109호 '금융상품'과 제1107호 '금융상품: 공시가 개정되었습니다. 동 개정사항은 2026 년 1 월 1 일 이후 시작하는 회계연도부터 적용되며, 조기적용이 허용됩니다. ·특정 기준을 충족하는 경우, 결제일 전에 전자지급시스템을 통해 금융부채가 결제된 것으로(제거된 것으로) 간주할 수 있도록 허용 ·금융자산이 원리금 지급만으로 구성되어 있는지의 기준을 충족하는지 평가하기 위한 추가 지침을 명확히 하고 추가함. ·계약상 현금흐름의 시기나 금액을 변경시키는 계약조건이 기업에 미치는 영향과 기업이 노출되는 정도를 금융상품의 각 종류별로 공시 ·FVOCI 지정 지분상품에 대한 추가 공시 ② 한국채택국제회계기준 연차개선Volume 11 한국채택국제회계기준 연차개선Volume 11은 2026 년 1 월 1 일 이후 시작하는 회계연도부터 적용되며, 조기적용이 허용됩니다. ·기업회계기준서 제1101호 '한국채택국제회계기준의 최초채택': K-IFRS 최초 채택시 위험회피회계 적용 ·기업회계기준서 제1107호 '금융상품:공시' : 제거 손익, 실무적용지침 ·기업회계기준서 제1109호 '금융상품' : 리스부채의 제거 회계처리와 거래가격의 정의 ·기업회계기준서 제1110호 '연결재무제표' : 사실상의 대리인 결정 ·기업회계기준서 제1007호 '현금흐름표' : 원가법 회사는 상기에 열거된 제ㆍ개정사항이 재무제표에 미치는 영향이 중요하지 않을 것으로 판단하고 있습니다. 2.3 금융자산(1) 분류 회사는 다음의 측정 범주로 금융자산을 분류합니다. - 당기손익-공정가치 측정 금융자산 - 기타포괄손익-공정가치 측정 금융자산 - 상각후원가 측정 금융자산 금융자산은 금융자산의 관리를 위한 사업모형과 금융자산의 계약상 현금흐름 특성에근거하여 분류합니다. 공정가치로 측정하는 금융자산의 손익은 당기손익 또는 기타포괄손익으로 인식합니다. 채무상품에 대한 투자는 해당 자산을 보유하는 사업모형에 따라 그 평가손익을 당기손익 또는 기타포괄손익으로 인식합니다. 회사는 금융자산을 관리하는 사업모형을 변경하는 경우에만 채무상품을 재분류합니다. 단기매매항목이 아닌 지분상품에 대한 투자는 최초 인식시점에 후속적인 공정가치 변동을 기타포괄손익으로 표시할 것을 지정하는 취소불가능한 선택을 할 수 있습니다. 지정되지 않은 지분상품에 대한 투자의 공정가치 변동은 당기손익으로 인식합니다. (2) 측정 회사는 최초 인식시점에 금융자산을 공정가치로 측정하며, 당기손익-공정가치 측정 금융자산이 아닌 경우에 해당 금융자산의 취득과 직접 관련되는 거래원가는 공정가치에 가산합니다. 당기손익-공정가치 측정 금융자산의 거래원가는 당기손익으로 비용처리합니다. 내재파생상품을 포함하는 복합계약은 계약상 현금흐름이 원금과 이자로만 구성되어 있는지를 결정할 때 해당 복합계약 전체를 고려합니다. ① 채무상품 금융자산의 후속적인 측정은 금융자산의 계약상 현금흐름 특성과 그 금융자산을 관리하는 사업모형에 근거합니다. 회사는 채무상품을 다음의 세 범주로 분류합니다. (가) 상각후원가 계약상 현금흐름을 수취하기 위해 보유하는 것이 목적인 사업모형 하에서 금융자산을 보유하고, 계약상 현금흐름이 원리금만으로 구성되어 있는 자산은 상각후원가로 측정합니다. 상각후원가로 측정하는 금융자산으로서 위험회피관계의 적용 대상이 아닌 금융자산의 손익은 해당 금융자산을 제거하거나 손상할 때 당기손익으로 인식합니다. 유효이자율법에 따라 인식하는 금융자산의 이자수익은 '금융수익'에 포함됩니다. (나) 기타포괄손익-공정가치 측정 금융자산 계약상 현금흐름의 수취와 금융자산의 매도 둘 다를 통해 목적을 이루는 사업모형 하에서 금융자산을 보유하고, 계약상 현금흐름이 원리금만으로 구성되어 있는 금융자산은 기타포괄손익-공정가치로 측정합니다. 손상차손(환입)과 이자수익 및 외환손익을 제외하고는, 공정가치로 측정하는 금융자산의 평가손익은 기타포괄손익으로 인식합니다. 금융자산을 제거할 때에는 인식한 기타포괄손익누계액을 자본에서 당기손익으로 재분류합니다. 유효이자율법에 따라 인식하는 금융자산의 이자수익은 '금융수익'에 포함됩니다. 외환손익은 '기타수익' 또는 '기타비용'으로 표시하고 손상차손은 '기타비용'으로 표시합니다. (다) 당기손익-공정가치 측정 금융자산 상각후원가 측정이나 기타포괄손익-공정가치 측정 금융자산이 아닌 채무상품은 당기손익-공정가치로 측정됩니다. 위험회피관계가 적용되지 않는 당기손익-공정가치 측정 채무상품의 손익은 당기손익으로 인식하고 발생한 기간에 손익계산서에 '기타수익' 또는 '기타비용'으로 표시합니다. ② 지분상품 회사는 모든 지분상품에 대한 투자를 후속적으로 공정가치로 측정합니다. 공정가치 변동을 기타포괄손익으로 표시할 것을 선택한 장기적 투자목적 또는 전략적 투자목적의 지분상품에 대해 기타포괄손익으로 인식한 금액은 해당 지분상품을 제거할 때에도 당기손익으로 재분류하지 않습니다. 이러한 지분상품에 대한 배당수익은 회사가 배당을 받을 권리가 확정된 때 '금융수익'으로 당기손익으로 인식합니다. 당기손익-공정가치로 측정하는 금융자산의 공정가치 변동은 손익계산서에 '금융수익' 또는 '금융비용'으로 표시합니다. 기타포괄손익-공정가치로 측정하는 지분상품에 대한 손상차손(환입)은 별도로 구분하여 인식하지 않습니다. (3) 손상 회사는 미래전망정보에 근거하여 상각후원가로 측정하거나 기타포괄손익-공정가치로 측정하는 채무상품에 대한 기대신용손실을 평가합니다. 손상 방식은 신용위험의 유의적인 증가 여부에 따라 결정됩니다. 단, 매출채권에 대해 회사는 채권의 최초 인식시점부터 전체기간 기대신용손실을 인식하는 간편법을 적용합니다. (4) 인식과 제거 금융자산의 정형화된 매입 또는 매도는 매매일에 인식하거나 제거합니다. 금융자산은 현금흐름에 대한 계약상 권리가 소멸하거나 금융자산을 양도하고 소유에 따른 위험과 보상의 대부분을 이전한 경우에 제거됩니다. 회사가 금융자산을 양도한 경우라도 채무자의 채무불이행시의 소구권 등으로 양도한금융자산의 소유에 따른 위험과 보상의 대부분을 회사가 보유하는 경우에는 이를 제거하지 않고 그 양도자산 전체를 계속하여 인식하되, 수취한 대가를 금융부채로 인식합니다. 해당 금융부채는 재무상태표에 '차입금'으로 분류하고 있습니다. (5) 금융상품의 상계 금융자산과 부채는 인식한 자산과 부채에 대해 법적으로 집행가능한 상계권리를 현재 보유하고 있고, 순액으로 결제하거나 자산을 실현하는 동시에 부채를 결제할 의도를 가지고 있을 때 상계하여 재무상태표에 순액으로 표시합니다. 법적으로 집행가능한 상계권리는 미래사건에 좌우되지 않으며, 정상적인 사업과정의 경우와 채무불이행의 경우 및 지급불능이나 파산의 경우에도 집행가능한 것을 의미합니다. 2.4 매출채권 매출채권은 유의적인 금융요소를 포함하지 않는 경우에는 무조건적인 대가의 금액으로, 유의적인 금융요소를 포함하는 경우에는 공정가치로 최초 인식합니다. 매출채권은 후속적으로 유효이자율법을 적용한 상각후원가에 손실충당금을 차감하여 측정됩니다. 2.5 투자부동산 임대수익이나 투자차익을 목적으로 보유하고 있는 부동산은 투자부동산으로 분류됩니다. 투자부동산은 최초 인식시점에 원가로 측정되며, 최초 인식 후에는 원가에서 감가상각누계액과 손상차손누계액을 차감한 금액으로 표시됩니다. 투자부동산 중 토지를 제외한 투자부동산은 추정 경제적 내용연수 35년 동안 정액법으로 상각됩니다. 2.6 비금융자산의 손상 영업권이나 내용연수가 비한정인 무형자산에 대하여는 매년, 상각대상 자산에 대하여는 자산손상을 시사하는 징후가 있을 때 손상검사를 수행하고 있습니다. 손상차손은 회수가능액(사용가치 또는 처분부대원가를 차감한 공정가치 중 높은 금액)을 초과하는 장부금액만큼 인식되고 영업권 이외의 비금융자산에 대한 손상차손은 매 보고기간말에 환입가능성이 검토됩니다. 2.7 기타채무 기타채무는 회사가 보고기간말 전에 재화나 용역을 제공받았으나 지급되지 않은 부채입니다. 해당 채무는 무담보이며, 보통 인식 후 30일 이내에 지급됩니다. 기타채무는 지급기일이 보고기간 후 12개월 후가 아니라면 유동부채로 표시되었습니다. 해당채무들은 최초에 공정가치로 인식되고 후속적으로 유효이자율법을 적용한 상각후원가로 측정됩니다. 2.8 금융부채(1) 분류 및 측정 회사의 당기손익-공정가치 측정 금융부채는 단기매매목적의 금융상품입니다. 주로 단기간 내에 재매입할 목적으로 부담하는 금융부채는 단기매매금융부채로 분류됩니다. 또한, 위험회피회계의 수단으로 지정되지 않은 파생상품이나 금융상품으로부터 분리된 내재파생상품도 단기매매금융부채로 분류됩니다. 당기손익-공정가치 측정 금융부채, 금융보증계약, 금융자산의 양도가 제거조건을 충족하지 못하는 경우에 발생하는 금융부채를 제외한 모든 비파생금융부채는 상각후원가로 측정하는 금융부채로 분류되고 있으며, 재무상태표 상 '차입금' 및 '기타금융부채' 등으로 표시됩니다. 특정일에 의무적으로 상환해야 하는 우선주는 부채로 분류됩니다. 이러한 우선주에 대한 유효이자율법에 따른 이자비용은 다른 금융부채에서 인식한 이자비용과 함께 포괄손익계산서 상 '금융비용'으로 인식됩니다. (2) 제거 금융부채는 계약상 의무가 이행, 취소 또는 만료되어 소멸되거나 기존 금융부채의 조건이 실질적으로 변경된 경우에 재무상태표에서 제거됩니다. 소멸하거나 제3자에게 양도한 금융부채의 장부금액과 지급한 대가(양도한 비현금자산이나 부담한 부채를 포함)의 차액은 당기손익으로 인식합니다. 2.9 충당부채 과거사건의 결과로 현재의 법적의무나 의제의무가 존재하고, 그 의무를 이행하기 위한 자원의 유출가능성이 높으며, 당해 금액의 신뢰성 있는 추정이 가능한 경우 충당부채를 인식하고 있습니다. 충당부채는 의무를 이행하기 위하여 예상되는 지출액의 현재가치로 측정되며, 시간 경과로 인한 충당부채의 증가는 이자비용으로 인식됩니다. 2.10 당기법인세 및 이연법인세 법인세비용은 당기법인세와 이연법인세로 구성됩니다. 법인세는 기타포괄손익이나 자본에 직접 인식된 항목과 관련된 금액은 해당 항목에서 직접 인식하며, 이를 제외하고는 당기손익으로 인식됩니다. 당기법인세비용은 보고기간말 현재 제정되었거나 실질적으로 제정된 세법에 근거하여 측정합니다. 경영진은 적용 가능한 세법 규정이 해석에 따라 달라질 수 있는 상황에 대하여 회사가 세무신고 시 적용한 세무정책에 대하여 주기적으로 평가하고 있으며, 세무당국이 불확실한 법인세 처리를 수용할 가능성이 높은지 고려합니다. 회사는법인세 측정 시 가장 가능성이 높은 금액 또는 기댓값 중 불확실성의 해소를 더 잘 예측할 것으로 예상되는 방법을 사용하여 불확실성의 영향을 반영합니다. 이연법인세는 자산과 부채의 장부금액과 세무기준액의 차이로 발생하는 일시적 차이에 대하여 장부금액을 회수하거나 결제할 때의 예상 법인세효과로 인식됩니다. 다만,사업결합 이외의 거래에서 자산ㆍ부채를 최초로 인식할 때 발생하는 이연법인세자산과 부채는 그 거래가 회계이익이나 과세소득에 영향을 미치지 않는다면 인식되지 않습니다. 이연법인세자산은 차감할 일시적 차이가 사용될 수 있는 미래 과세소득의 발생가능성이 높은 경우에 인식됩니다. 종속기업, 관계기업 및 공동기업 투자지분과 관련된 가산할 일시적 차이에 대해 소멸시점을 통제할 수 있고 예측가능한 미래에 일시적 차이가 소멸하지 않을 가능성이 높은 경우를 제외하고 이연법인세부채를 인식하고 있습니다. 또한 이러한 자산으로부터 발생하는 차감할 일시적 차이에 대하여 일시적 차이가 예측가능한 미래에 소멸할 가능성이 높고 일시적 차이가 사용될 수 있는 과세소득이 발생할 가능성이 높은 경우에만 이연법인세자산을 인식하고 있습니다. 이연법인세자산과 부채는 법적으로 당기법인세자산과 당기법인세부채를 상계할 수 있는 권리를 회사가 보유하고 있고, 이연법인세자산과 부채가 동일한 과세당국에 의해서 부과되는 법인세와 관련된 경우에 상계합니다. 당기법인세자산과 부채는 법적으로 상계할 수 있는 권리를 회사가 보유하고 있고, 순액으로 결제할 의도가 있거나 자산을 실현하는 동시에 부채를 결제하려는 의도가 있는 경우에 상계합니다. 한편, 회사는 법인세법 제51조의 2 유동화전문회사 등에 대한 소득공제 규정에 근거하여 배당가능이익의 100분의 90 이상을 배당할 경우 동 금액에 대해 당해 사업연도소득금액 계산시 소득공제를 받을 수 있는 바, 실질적으로 회사가 부담할 법인세 등은 없으므로 당기법인세를 계상하지 않았습니다. 또한, 미래에 발생할 과세소득의 불확실성으로 인하여 보고기간 종료일 현재 미래에 차감할 일시적차이에 대한 이연법인세자산(부채)을 계상하지 아니하였습니다. 2.11 부동산투자회사법상의 특칙적용 : 이익준비금적립의무 배제 및 초과배당 회사는 부동산투자회사법 제28조 제1항에 의하여 이익처분시 이익준비금의 법정적립을 규정한 상법 제458조가 배제되어 이익준비금을 적립하지 아니합니다. 또한, 동 법 제28조 제3항에 의하여 상법 제462조가 배제되어 당해연도의 감가상각비 범위 안에서 이익을 초과하는 배당이 가능합니다. 2.12 리스 회사가 리스제공자인 경우 운용리스에서 생기는 리스수익은 리스기간에 걸쳐 정액기준으로 인식합니다. 운용리스 체결 과정에서 부담하는 리스개설직접원가를 기초자산의 장부금액에 더하고 리스료 수익과 같은 기준으로 리스기간에 걸쳐 비용으로 인식합니다. 각 리스된 자산은 재무상태표에서 그 특성에 기초하여 표시하였습니다. 2.13 수익인식 회사는 부동산투자회사법에 근거하여 설립된 위탁관리부동산투자회사로서 비주거용 건물 임대업을 통하여 고객에게 임대 및 관리용역 등을 제공하고 있습니다. (1) 임대료수익 회사는 투자부동산의 운용리스 제공으로부터 발생하는 임대료수익을 리스기간에 걸쳐 정액기준으로 인식하고 있습니다. (2) 관리비수익, 주차수익, 기타수익 회사의 계약은 단일의 수행의무로 식별되며, 고객과 약속한 용역을 이전하여 수행의무를 이행할 때 수익을 인식하고 있습니다. 2.14 영업부문 영업부문별 정보는 대표이사에게 내부적으로 보고되는 방식에 기초하여 공시됩니다(주석 23 참조). 대표이사는 영업부문에 배부될 자원과 영업부문의 성과를 평가하는데 책임이 있으며, 회사는 전략적 의사결정을 수행함에 있어 정관 또는 관련법령에 따라 이사회 및 주주총회를 최고의사결정자로 보고 있습니다. 회사는 영업수익을 창출하는 용역의 성격을 고려하여 회사 전체를 단일 보고부문으로 결정하였습니다. 2.15 재무제표 승인 회사의 재무제표는 2025년 7월 29일자로 이사회에서 승인되었으며, 정기 주주총회에서 수정 승인될 수 있습니다. |
재무제표 작성에는 미래에 대한 가정 및 추정이 요구되며 경영진은 회사의 회계정책을 적용하기 위해 판단이 요구됩니다. 추정 및 가정은 지속적으로 평가되며, 과거 경험과 현재의 상황에 비추어 합리적으로 예측가능한 미래의 사건을 고려하여 이루어집니다. 회계추정의 결과가 실제 결과와 동일한 경우는 드물 것이므로 중요한 조정을유발할 수 있는 유의적인 위험을 내포하고 있습니다. 다음 회계연도에 자산 및 부채 장부금액의 조정에 영향을 미칠 수 있는 경영진 판단과 유의적 위험에 대한 추정 및 가정은 다음과 같습니다. 일부 항목에 대한 유의적인 판단 및 추정에 대한 추가적인 정보는 개별 주석에 포함되어 있습니다. (1) 투자부동산 감가상각 투자부동산의 감가상각방법, 잔존가치 및 내용연수는 매 보고기간말에 재검토하고 이를 변경하는 것이 적절하다고 판단되는 경우 회계추정의 변경으로 회계처리하고 있으며, 회사의 과거 경험, 현재 시장 상황, 재무보고일 기준의 미래전망정보 등을 고려하여 판단하고 있습니다. |
신용위험 |
유동성위험 |
위험 합계 |
|
---|---|---|---|
상각후원가로 측정하는 금융자산, 분류 |
|
---|---|
상각후원가로 측정하는 금융자산, 분류 |
|
---|---|
1년 이내 |
1년 초과 5년 이내 |
합계 구간 합계 |
||
---|---|---|---|---|
1년 이내 |
1년 초과 5년 이내 |
합계 구간 합계 |
||
---|---|---|---|---|
자본위험 |
|
---|---|
자본위험 |
|
---|---|
상각후원가로 측정하는 금융자산, 분류 |
|
---|---|
상각후원가로 측정하는 금융자산, 분류 |
|
---|---|
측정 전체 |
|
---|---|
재무상태표상에 공정가치로 측정되지 않았지만 공시된 공정가치 |
|
금융자산, 분류 |
|
상각후원가로 측정하는 금융자산, 분류 |
|
측정 전체 |
|
---|---|
재무상태표상에 공정가치로 측정되지 않았지만 공시된 공정가치 |
|
금융자산, 분류 |
|
상각후원가로 측정하는 금융자산, 분류 |
|
상각후원가로 측정하는 금융부채, 분류 |
|
---|---|
상각후원가로 측정하는 금융부채, 분류 |
|
---|---|
측정 전체 |
|
---|---|
재무상태표상에 공정가치로 측정되지 않았지만 공시된 공정가치 |
|
금융부채, 분류 |
|
상각후원가로 측정하는 금융부채, 분류 |
|
측정 전체 |
|
---|---|
재무상태표상에 공정가치로 측정되지 않았지만 공시된 공정가치 |
|
금융부채, 분류 |
|
상각후원가로 측정하는 금융부채, 분류 |
|
자산과 부채 |
||
---|---|---|
금융자산, 범주 |
금융부채, 범주 |
|
상각후원가로 측정하는 금융자산, 범주 |
상각후원가로 측정하는 금융부채, 범주 |
|
자산과 부채 |
||
---|---|---|
금융자산, 범주 |
금융부채, 범주 |
|
상각후원가로 측정하는 금융자산, 범주 |
상각후원가로 측정하는 금융부채, 범주 |
|
공정가치 서열체계 수준 1 |
공정가치 서열체계 수준 2 |
공정가치 서열체계 수준 3 |
공정가치 서열체계의 모든 수준 합계 |
|
---|---|---|---|---|
금융자산, 분류 |
금융자산, 분류 합계 |
|||
---|---|---|---|---|
상각후원가로 측정하는 금융자산, 분류 |
||||
보통예금 |
정기예금 |
MMDA |
||
금융자산, 분류 |
금융자산, 분류 합계 |
|||
---|---|---|---|---|
상각후원가로 측정하는 금융자산, 분류 |
||||
보통예금 |
정기예금 |
MMDA |
||
총장부금액 |
손상차손누계액 |
장부금액 합계 |
||
---|---|---|---|---|
총장부금액 |
손상차손누계액 |
장부금액 합계 |
||
---|---|---|---|---|
금융상품 |
||
---|---|---|
매출채권 |
상각후원가측정기타금융자산 |
|
장부금액 |
||
손상차손누계액 |
||
금융상품 |
||
---|---|---|
매출채권 |
상각후원가측정기타금융자산 |
|
장부금액 |
||
손상차손누계액 |
||
공시금액 |
||
---|---|---|
공시금액 |
||
---|---|---|
자산 |
자산 합계 |
||||||
---|---|---|---|---|---|---|---|
토지 |
건물 |
||||||
장부금액 |
장부금액 합계 |
장부금액 |
장부금액 합계 |
||||
총장부금액 |
감가상각누계액 및 상각누계액 |
총장부금액 |
감가상각누계액 및 상각누계액 |
||||
자산 |
자산 합계 |
||||||
---|---|---|---|---|---|---|---|
토지 |
건물 |
||||||
장부금액 |
장부금액 합계 |
장부금액 |
장부금액 합계 |
||||
총장부금액 |
감가상각누계액 및 상각누계액 |
총장부금액 |
감가상각누계액 및 상각누계액 |
||||
토지 |
건물 |
자산 합계 |
||
---|---|---|---|---|
토지 |
건물 |
자산 합계 |
||
---|---|---|---|---|
측정 전체 |
|
---|---|
재무상태표상에 공정가치로 측정되지 않았지만 공시된 공정가치 |
|
공정가치 서열체계의 모든 수준 |
|
공정가치 서열체계 수준 3 |
|
관측할 수 없는 투입변수 |
|
평방미터별 임대료,할인율 등 |
|
보험계약의 유형 |
보험계약의 유형 합계 |
|||||||||
---|---|---|---|---|---|---|---|---|---|---|
패키지 보험 |
||||||||||
재산종합보험 |
기업휴지보험 |
일반배상책임보험 |
||||||||
범위 |
범위 합계 |
범위 |
범위 합계 |
범위 |
범위 합계 |
|||||
하위범위 |
상위범위 |
하위범위 |
상위범위 |
하위범위 |
상위범위 |
|||||
삼성화재해상보험(주) |
한화생명보험(주) |
농협생명보험(주) |
거래상대방 합계 |
|
---|---|---|---|---|
1년 이내 |
1년 초과 2년 이내 |
2년 초과 3년 이내 |
3년 초과 4년 이내 |
4년 초과 5년 이내 |
합계 구간 합계 |
|
---|---|---|---|---|---|---|
1년 이내 |
1년 초과 2년 이내 |
2년 초과 3년 이내 |
3년 초과 4년 이내 |
4년 초과 5년 이내 |
합계 구간 합계 |
|
---|---|---|---|---|---|---|
담보권자1 |
담보권자2 |
담보권자3 |
담보권자4 |
담보권자5 |
담보권자6 |
담보권자7 |
담보권자8 |
담보권자9 |
담보권자10 |
담보권자11 |
담보권자12 |
담보권자13 |
담보권자14 |
거래상대방 합계 |
|
---|---|---|---|---|---|---|---|---|---|---|---|---|---|---|---|
공시금액 |
||
---|---|---|
공시금액 |
||
---|---|---|
공시금액 |
||
---|---|---|
공시금액 |
||
---|---|---|
삼성화재해상보험(주) |
한화생명보험(주) |
농협생명보험(주) |
거래상대방 합계 |
|
---|---|---|---|---|
삼성화재해상보험(주) |
한화생명보험(주) |
농협생명보험(주) |
거래상대방 합계 |
|
---|---|---|---|---|
총장부금액 |
현재가치할인차금 |
장부금액 합계 |
|
---|---|---|---|
총장부금액 |
현재가치할인차금 |
장부금액 합계 |
|
---|---|---|---|
보통주 |
|
---|---|
보통주 |
|
---|---|
공시금액 |
||
---|---|---|
공시금액 |
||
---|---|---|
보통주 |
||
---|---|---|
보통주 |
||
---|---|---|
보통주 |
|
---|---|
보통주 |
|
---|---|
공시금액 |
|
---|---|
공시금액 |
|
---|---|
공시금액 |
|
---|---|
공시금액 |
|
---|---|
공시금액 |
||
---|---|---|
공시금액 |
||
---|---|---|
보통주 |
|
---|---|
보통주 |
|
---|---|
하위범위 |
상위범위 |
범위 합계 |
|
---|---|---|---|
하위범위 |
상위범위 |
범위 합계 |
|
---|---|---|---|
공시금액 |
|
---|---|
공시금액 |
|
---|---|
재무활동에서 생기는 부채 |
재무활동에서 생기는 부채 합계 |
||||
---|---|---|---|---|---|
임대보증금 |
장기 차입금 |
||||
자산부채변동의 유동비유동 분류 |
|||||
유동으로 분류되는 자산부채 |
비유동으로 분류되는 자산부채 |
유동으로 분류되는 자산부채 |
비유동으로 분류되는 자산부채 |
||
재무활동에서 생기는 부채 |
재무활동에서 생기는 부채 합계 |
||||
---|---|---|---|---|---|
임대보증금 |
장기 차입금 |
||||
자산부채변동의 유동비유동 분류 |
|||||
유동으로 분류되는 자산부채 |
비유동으로 분류되는 자산부채 |
유동으로 분류되는 자산부채 |
비유동으로 분류되는 자산부채 |
||
약정의 유형 |
약정의 유형 합계 |
|||
---|---|---|---|---|
대출약정 |
||||
대출약정1 |
대출약정2 |
대출약정3 |
||
매입수수료 |
운용기본수수료 |
운용성과수수료 |
매각기본수수료 |
매각성과수수료 |
계약의 유형 합계 |
|
---|---|---|---|---|---|---|
일반사무위탁계약 |
자산보관계약 |
부동산관리위탁계약 |
|
---|---|---|---|
공시금액 |
|
---|---|
법적소송우발부채 |
|
---|---|
전체 특수관계자 |
||
---|---|---|
특수관계자 |
||
당해 기업을 공동지배하거나 당해 기업에 유의적인 영향력을 행사하는 기업 |
그 밖의 특수관계자 |
|
전체 특수관계자 |
||
---|---|---|
특수관계자 |
||
당해 기업을 공동지배하거나 당해 기업에 유의적인 영향력을 행사하는 기업 |
그 밖의 특수관계자 |
|
하나증권(주) |
(주)코람코자산신탁 |
|
전체 특수관계자 |
||
---|---|---|
특수관계자 |
||
당해 기업을 공동지배하거나 당해 기업에 유의적인 영향력을 행사하는 기업 |
그 밖의 특수관계자 |
|
하나증권(주) |
(주)코람코자산신탁 |
|
전체 특수관계자 |
||
---|---|---|
특수관계자 |
||
당해 기업을 공동지배하거나 당해 기업에 유의적인 영향력을 행사하는 기업 |
그 밖의 특수관계자 |
|
하나증권(주) |
(주)코람코자산신탁 |
|
전체 특수관계자 |
||
---|---|---|
특수관계자 |
||
당해 기업을 공동지배하거나 당해 기업에 유의적인 영향력을 행사하는 기업 |
그 밖의 특수관계자 |
|
하나증권(주) |
(주)코람코자산신탁 |
|
공시금액 |
|
---|---|
공시금액 |
|
---|---|
담보제공처 |
||
---|---|---|
삼성화재해상보험(주), 한화생명보험(주), 농협생명보험(주) |
||
전체 특수관계자 |
||
특수관계자 |
||
당해 기업을 공동지배하거나 당해 기업에 유의적인 영향력을 행사하는 기업 |
그 밖의 특수관계자 |
|
하나증권(주) |
(주)코람코자산신탁 |
|
주식 |
||
보통주 |
||
공시금액 |
|
---|---|
공시금액 |
|
---|---|
지역 |
|||
---|---|---|---|
국내 |
|||
고객 |
고객 합계 |
||
고객 A |
고객 B |
||
지역 |
|||
---|---|---|---|
국내 |
|||
고객 |
고객 합계 |
||
고객 A |
고객 B |
||
1. 회사의 배당정책에 관한 사항
회사의 주요 사업목적은 부동산의 취득ㆍ관리ㆍ개량 및 처분, 부동산의 개발, 부동산의 임대차 등의 방법으로 자산을 투자ㆍ운용하여 얻은 수익을 주주에게 배당하는 것입니다.
부동산투자회사법 제28조(배당)에 의거하여, 부동산투자회사는 상법 제462조 제1항에 따른 해당 연도 이익배당한도의 100분의 90 이상을 주주에게 배당하여야 하며, 이익배당 시 이익준비금의 적립의무를 규정한 상법 제458조(이익준비금)가 배제되어 이익준비금을 적립하지 아니합니다. 또한, 동법에 따라 위탁관리 부동산투자회사는 상법 제462조 제1항이 배제되어 당해 연도의 감가상각비 100% 이내에서 이익을 초과하여 배당할 수 있습니다.
상기 기재한 배당정책은 회사 정관 제57조(이익배당)에 명시하였으며, 정관에 따라 이사회 결의 및 주주총회의 결의로 각 사업연도 현금배당을 승인받아 매 사업연도 종료일 현재 주주명부에 기재된 주주 또는 등록된 질권자에게 지급하도록 하고 있습니다.
2. 배당관련 예측가능성 제공에 관한 사항
가. 정관상 배당절차 개선방안 이행 가부
구분 | 현황 및 계획 |
정관상 배당액 결정 기관 | |
정관상 배당기준일을 배당액 결정 이후로 정할 수 있는지 여부 | |
배당절차 개선방안 이행 관련 향후 계획 |
나. 배당액 확정일 및 배당기준일 지정 현황
구분 | 결산월 | 배당여부 | 배당액확정일 | 배당기준일 | 배당 예측가능성제공여부 | 비고 |
---|---|---|---|---|---|---|
* 상기 배당액 확정일은 배당에 대한 이사회 결정일(공시일) 입니다.
3. 기타 참고사항(배당 관련 정관의 내용 등)
당사는 부동산투자회사법에 의해 설립한 회사로 이익배당시 이익준비금의 적립의무를 규정한 상법 제458조가 배제되어 이익준비금을 적립하지 아니하며, 상법 제462조 제1항이 배제되어 당해 연도의 감가상각비 100%이내에서 이익을 초과하여 배당할 수 있습니다.배당금액의 확정은 상법에 따라 주주총회의 결의를 받아 결정할 것입니다. 한편, 당사의 사업연도는 매년 3월 1일에 개시하여 같은 해 5월 31일에 종료하고, 6월 1일부터 8월 31일까지, 9월 1일부터 11월 30일까지, 12월 1일에 개시하여 다음 해 2월 28일(단, 윤년의 경우 2월 29일)에 종료합니다.
주요배당지표
구 분 | 주식의 종류 | 당기 | 전기 | 전전기 |
---|---|---|---|---|
제26기 | 제25기 | 제24기 | ||
주당액면가액(원) | ||||
(연결)당기순이익(백만원) | ||||
(별도)당기순이익(백만원) | ||||
(연결)주당순이익(원) | ||||
현금배당금총액(백만원) | ||||
주식배당금총액(백만원) | ||||
(연결)현금배당성향(%) | ||||
현금배당수익률(%) | ||||
주식배당수익률(%) | ||||
주당 현금배당금(원) | ||||
주당 주식배당(주) | ||||
※ 현금배당수익률: 1주당 현금배당금/ 과거1주일간 배당부 종가 (배당기준일 전전거래일)의 평균※ 주당배당금은 소수점이하가 존재하므로 실제 각주주의 정확한 배당금 계산을 위해서는 '(배당금총액 /총발행주식수) * 보유주식수'로 산출하여야합니다※ 상기 표의 당기 현금배당금은 정기주주총회 승인전 금액으로 향후 정기주주총회 승인시 변동이 발생한 경우 정정보고서를 통해 그 내용 및 사유 등을 반영할 예정입니다.
과거 배당 이력
(단위: 회, %) |
연속 배당횟수 | 평균 배당수익률 | ||
---|---|---|---|
분기(중간)배당 | 결산배당 | 최근 3년간 | 최근 5년간 |
※ 제13기 결산 배당수익률 1.24% (2022.01.01 ~ 2022.02.28) 제14기 결산 배당수익률 1.36% (2022.03.01 ~ 2022.05.31) 제15기 결산 배당수익률 1.11% (2022.06.01 ~ 2022.08.31) 제16기 결산 배당수익률 1.87% (2022.09.01 ~ 2022.11.30) 제17기 결산 배당수익률 1.80% (2022.12.01 ~ 2023.02.28) 제18기 결산 배당수익률 1.73% (2023.03.01 ~ 2023.05.31) 제19기 결산 배당수익률 1.47% (2023.06.01 ~ 2023.08.31) 제20기 결산 배당수익률 1.90% (2023.09.01 ~ 2023.11.30) 제21기 결산 배당수익률 1.89% (2023.12.01 ~ 2024.02.29) 제22기 결산 배당수익률 1.79% (2024.03.01 ~ 2024.05.31) 제23기 결산 배당수익률 1.36% (2024.06.01 ~ 2024.08.31) 제24기 결산 배당수익률 2.03% (2024.09.01 ~ 2024.11.30) 제25기 결산 배당수익률 1.97% (2024.12.01 ~ 2025.02.28) 제26기 결산 배당수익률 1.83% (2025.03.01 ~ 2025.05.31)※ 연속 배당횟수는 2022년 03월 28일 주식상장 이후 배당횟수로 산출하였습니다.※ 평균 배당수익률은 단순평균하여 산출 하였습니다.
[지분증권의 발행 등과 관련된 사항] |
증자(감자)현황
(기준일 : | ) |
주식발행(감소)일자 | 발행(감소)형태 | 발행(감소)한 주식의 내용 | ||||
---|---|---|---|---|---|---|
종류 | 수량 | 주당액면가액 | 주당발행(감소)가액 | 비고 | ||
발기인 출자 | ||||||
- | ||||||
- | ||||||
- | ||||||
- | ||||||
- | ||||||
- | ||||||
액면분할 | ||||||
공모(상장) |
[채무증권의 발행 등과 관련된 사항] |
(기준일 : | ) |
발행회사 | 증권종류 | 발행방법 | 발행일자 | 권면(전자등록)총액 | 이자율 | 평가등급(평가기관) | 만기일 | 상환여부 | 주관회사 |
---|---|---|---|---|---|---|---|---|---|
합 계 | - | - | - | - |
- 해당사항 없음.
(기준일 : | ) |
잔여만기 | 10일 이하 | 10일초과30일이하 | 30일초과90일이하 | 90일초과180일이하 | 180일초과1년이하 | 1년초과2년이하 | 2년초과3년이하 | 3년 초과 | 합 계 | |
---|---|---|---|---|---|---|---|---|---|---|
미상환 잔액 | 공모 | |||||||||
사모 | ||||||||||
합계 |
- 해당사항 없음.
(기준일 : | ) |
잔여만기 | 10일 이하 | 10일초과30일이하 | 30일초과90일이하 | 90일초과180일이하 | 180일초과1년이하 | 합 계 | 발행 한도 | 잔여 한도 | |
---|---|---|---|---|---|---|---|---|---|
미상환 잔액 | 공모 | ||||||||
사모 | |||||||||
합계 |
- 해당사항 없음.
(기준일 : | ) |
잔여만기 | 1년 이하 | 1년초과2년이하 | 2년초과3년이하 | 3년초과4년이하 | 4년초과5년이하 | 5년초과10년이하 | 10년초과 | 합 계 | |
---|---|---|---|---|---|---|---|---|---|
미상환 잔액 | 공모 | ||||||||
사모 | |||||||||
합계 |
- 해당사항 없음.
(기준일 : | ) |
잔여만기 | 1년 이하 | 1년초과5년이하 | 5년초과10년이하 | 10년초과15년이하 | 15년초과20년이하 | 20년초과30년이하 | 30년초과 | 합 계 | |
---|---|---|---|---|---|---|---|---|---|
미상환 잔액 | 공모 | ||||||||
사모 | |||||||||
합계 |
- 해당사항 없음.
(기준일 : | ) |
잔여만기 | 1년 이하 | 1년초과2년이하 | 2년초과3년이하 | 3년초과4년이하 | 4년초과5년이하 | 5년초과10년이하 | 10년초과20년이하 | 20년초과30년이하 | 30년초과 | 합 계 | |
---|---|---|---|---|---|---|---|---|---|---|---|
미상환 잔액 | 공모 | ||||||||||
사모 | |||||||||||
합계 |
- 해당사항 없음.
- 해당사항 없음.
- 공정가치평가내역 당사의 공정가치평가에 대한 상세한 내용은 동 공시서류의 Ⅲ. 재무에관한 사항 5. 재무제표 주석 중 '9.투자부동산'을 참조하여 주시기 바랍니다.
주식회사 코람코더원위탁관리부동산투자회사의 이사회는 2025년 03월 01일부터 2025년 05월 31일까지 제26기 사업년도의 회계 및 업무에 관한 이사의 경영진단에 관한 의견을 아래와 같이 보고합니다. 1. 경영진단의 개요 회사의 경영에 대한 전반적인 사항을 파악하기 위하여 장부와 관계서류를 열람하고 재무제표 및 동 부속명세서에 대하여도 면밀히 검토하였습니다. 경영진단을 위하여 필요하다고 인정되는 경우 관계서류에 대한 업무위탁회사의 보고를 받았으며, 경영활동에 중대한 영향을 미칠 수 있는 사항에 대하여는 그 내용을 면밀히 검토하는등 적정한 방법으로 회사경영에 대한 내용을 진단하였습니다.
2. 경영성과 당사의 최근 사업년도의 영업실적은 아래와 같습니다.
(단위 : 원)
과 목 | 제 26 기 | 제 25 기 |
영업수익 | 7,545,403,594 | 7,523,167,139 |
영업비용 | 2,436,034,549 | 2,425,710,732 |
영업이익 | 5,109,369,045 | 5,097,456,407 |
금융수익 | 61,097,651 | 75,811,020 |
금융비용 | 1,995,911,294 | 1,974,781,121 |
기타수익 | 49,671,027 | 344,495 |
기타비용 | - | - |
법인세비용차감전순이익 | 3,224,226,429 | 3,198,830,801 |
법인세비용 | - | - |
당기순이익 | 3,224,226,429 | 3,198,830,801 |
3. 재무상태 당사의 재무상태는 아래와 같습니다. (단위 : 원)
과 목 | 제 26 기 | 제 25 기 |
자산 | ||
유동자산 | 7,389,686,465 | 7,096,389,391 |
비유동자산 | 503,178,864,645 | 504,038,900,484 |
자산총계 | 510,568,551,110 | 511,135,289,875 |
부채 | ||
유동부채 | 305,122,806,608 | 305,100,982,808 |
비유동부채 | 6,498,188,948 | 6,498,850,405 |
부채총계 | 311,620,995,556 | 311,599,833,213 |
자본 | ||
자본금 | 20,200,000,000 | 20,200,000,000 |
자본잉여금 | 111,226,616,520 | 111,226,616,520 |
이익잉여금 | 67,520,939,034 | 68,108,840,142 |
자본총계 | 198,947,555,554 | 199,535,456,662 |
4. 자금조달
보고기간말 현재 장기차입금의 내역은 다음과 같습니다.
(단위 : 천원)
구분 | 차입처 | 만기일(*) | 당기말연이자율(*) | 당기말 | 전기말 |
---|---|---|---|---|---|
유동성장기차입금 | 삼성화재해상보험(주) | 2025-11-06 | 2.55% | 142,000,000 | 142,000,000 |
한화생명보험(주) | 2025-11-06 | 2.55% | 100,000,000 | 100,000,000 | |
농협생명보험(주) | 2025-11-06 | 2.55% | 50,000,000 | 50,000,000 | |
합 계 | 292,000,000 | 292,000,000 |
(*) 장기차입금의 원금 상환방법은 만기일시상환이며, 이자율은 고정금리입니다.
5. 부외거래 - 해당사항이 없음. 6. 그 밖에 투자의사결정에 필요한 사항 - 중요한 회계정책 및 추정에 관한 사항 회사의 중요한 회계정책 및 추정에 관한 사항은 Ⅲ. 재무에 관한 사항의 5.재무제표 주석을 참조하시기 바랍니다.
1. 회계감사인의 명칭 및 감사의견
사업연도 | 구분 | 감사인 | 감사의견 | 의견변형사유 | 계속기업 관련중요한 불확실성 | 강조사항 | 핵심감사사항 |
---|---|---|---|---|---|---|---|
감사보고서 | |||||||
연결감사보고서 | |||||||
감사보고서 | |||||||
연결감사보고서 | |||||||
감사보고서 | |||||||
연결감사보고서 |
2. 감사용역 체결현황
(단위 : 백만원, 시간) |
사업연도 | 감사인 | 내 용 | 감사계약내역 | 실제수행내역 | ||
---|---|---|---|---|---|---|
보수 | 시간 | 보수 | 시간 | |||
3. 회계감사인과의 비감사용역 계약체결 현황은 다음의 표에 따라 기재한다.
사업연도 | 계약체결일 | 용역내용 | 용역수행기간 | 용역보수 | 비고 |
---|---|---|---|---|---|
4. 재무제표 중 이해관계자의 판단에 상당한 영향을 미칠 수 있는 사항에 대해 내부감사기구가 회계감사인과 논의한 결과
구분 | 일자 | 참석자 | 방식 | 주요 논의 내용 |
---|---|---|---|---|
- 당사는 주식회사 등의 외부감사에 관한 법률 및 제8조 제1항 및 동법 시행령 제9조 제1항에 따라 내부회계관리제도를 운영하지 않습니다.
가. 이사회의 구성 개요 공시서류작성기준일 현재 당사의 이사회는 사내이사(대표이사) 1인, 기타비상무이사 2인으로, 총 3인의 비상근 이사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당사 정관에 따라 이사회 의장은 대표이사 입니다. 또한 당사는 부동산투자회사법에 따라 사외이사를 선임하지 않고 있고, 이사회 내 위원회를 두지 않고 있습니다. 이사의 주요 이력 등에 관한 사항은 "VIII.임원 및 직원 등에 관한 사항"을 참조하시기 바랍니다. 나. 이사회의 권한 및 운영 규정 당사의 정관에 따른 이사회의 권한 및 운영 규정은 다음과 같습니다.
제41조(이사회의 구성과 소집) ① 이사회는 이사 전원으로 구성한다. ② 이사회는 대표이사 또는 이사회에서 따로 정한 이사가 있는 경우에는 그 이사가 회일 7일 전에 각 이사 및 감사에게 이사회의 개최 일시, 장소 및 안건 등을 통지하여 소집한다. 그러나 이사 및 감사 전원의 동의가 있을 때에는 소집절차를 생략할 수 있다. ③ 이사회의 의장은 대표이사로 한다. 다만, 대표이사가 불출석하거나 이사회의 의장직을 수행할 수 없는 경우 해당 이사회에 출석한 이사들의 과반수 찬성투표로 의장직을 수행할 이사를 정한다.
제42조(이사회의 결의사항) ① 다음 각 호의 사항은 관계법령이나 정관에 의해 달리 규정되는 경우를 제외하고 이사 과반수의 출석과 출석이사의 과반수 승인에 의해 결의한다. 1. 주주총회의 소집(단, 정관 개정을 위한 주주총회의 경우 제2항 제1호에 따름) 2. 부동산투자회사법 제47조에 따른 내부통제기준의 제정·개정 및 준법감시인의 임면에 관한 사항 3. 자산운용관리지침의 변경 및 자산운용관리세부지침의 제정 또는 변경 4. 일반사무관리회사와의 위탁계약 체결 및 변경에 관한 사항 5. 판매회사와의 주식판매위탁계약의 체결 및 변경에 관한 사항 6. 주주가 신주인수권을 포기하거나 상실할 경우, 또는 신주배정 시에 단주가 발생할 경우 그 처리방법 7. 회사의 대표이사의 선임 및 해임 8. 이사회 의장의 선임 및 해임 9. 부동산투자회사법 제30조 단서 및 동법 시행령 제34조에 해당하는 거래 10. 기타 회사의 경영에 관한 중요 사안 ② 다음 각 호의 사항은 관계법령이나 정관에 의해 달리 규정되는 경우를 제외하고 이사 과반수의 출석과 출석이사의 전원 승인에 의해 결의한다. 1. 정관 개정을 위한 주주총회의 소집 2. 부동산의 취득이나 처분 등 운용에 관한 사항 3. 부동산투자회사법 시행령이 정하는 일정금액 이상의 증권의 취득이나 처분에 관한 사항 4. 차입 및 사채발행에 관한 사항 5. 자본시장법 제165조의6에 따른 일반공모증자를 포함한 신주의 발행 6. 투자와 관련된 자금의 조달, 재자금조달 또는 기존 자금조달 조건의 변경 7. 회사의 자산의 5%를 초과하는 부담을 내용으로 하는 자산의 투자, 운용에 관한 계약 또는 이에 준하는 계약의 체결 또는 변경에 관한 사항
제43조(이사회의 결의방법) ① 이사회는 이사의 전부 또는 일부가 직접 회의에 출석하지 아니하고 모든 이사가 음성을 동시에 송·수신하는 원격통신수단에 의하여 결의에 참가하는 것을 허용할 수 있다. 이 경우 당해 이사는 이사회에 직접 출석한 것으로 본다. ② 이사회의 결의에 관하여 특별한 이해관계가 있는 자는 의결권을 행사하지 못한다.
제44조(이사회의 의사록) ① 이사회의 의사에 관하여는 의사록을 작성하여야 한다. ② 의사록에는 의사의 안건, 경과요령, 그 결과, 반대하는 자와 그 반대이유를 기재하고 출석한 이사 및 감사가 기명날인 또는 서명하여야 한다. |
다. 이사회 주요 의결사항
회 차 | 개최일자 | 의 안 내 용 | 가결여부 | 사내이사 | 기타비상무이사 | |
---|---|---|---|---|---|---|
서길석(출석율:100%) | 서민규(출석율:100%) | 이응호(출석율:100%) | ||||
1 | 2025.03.27 | 제1호 의안: 제25기 재무제표 및 영업보고서 승인의 건 | 가결 | 찬성 | 찬성 | 찬성 |
2 | 2025.04.30 | 제1호 의안: 제25기 현금배당 승인의 건제2호 의안: 제25기 위탁보수 지급 승인의 건제3호 의안: 정기주주총회 소집 및 부의안건 결정의 건 | 가결 | 찬성 | 찬성 | 찬성 |
라. 이사의 독립성 1) 이사 선출에 대한 독립성 기준을 운영하는지 여부이사 선임은 상법 및 부동산투자회사법 등 관련 법령 규정에 의거하여 주주총회에서 선출되고 있으며, 이사 선출의 독립성에 관한 별도의 기준은 없습니다. 당사 정관 내 이사회의 결의에 관하여 특별한 이해관계가 있는 자는 의결권을 행사하지 못하도록 규정화 되어 있습니다. 2) 이사(감사위원회 위원 제외)의 선임배경, 추천인, 이사로서의 활동분야, 회사와의 거래, 최대주주 또는 주요주주와의 관계 등 기타 이해관계
(기준일 : | 2025년 05월 31일 | ) |
구 분 | 성 명 | 추천인 | 활동분야 | 회사와의 거래 | 최대주주와의 관계 |
대표이사(사내이사) | 서길석 | 이사회 | 이사회의결 | 해당사항 없음 | 해당없음 |
기타비상무이사 | 이응호 | 이사회 | 이사회의결 | 해당사항 없음 | 최대주주의 특수관계인 직원 |
기타비상무이사 | 권형준 | 이사회 | 이사회의결 | 해당사항 없음 | 해당없음 |
* 2025.05.22 정기주주총회결의로 기타비상무이사 서민규 사임후 기타비상무이사 권형준을 선임함. 마. 사외이사 및 그 변동현황
(단위 : 명) |
이사의 수 | 사외이사 수 | 사외이사 변동현황 | ||
---|---|---|---|---|
선임 | 해임 | 중도퇴임 | ||
바. 사외이사 교육 미실시 내역
사외이사 교육 실시여부 | 사외이사 교육 미실시 사유 |
---|---|
미실시 |
가. 감사기구 관련사항 1) 감사의 인적사항
성 명 | 주 요 경 력 | 비 고 |
---|---|---|
김숭철 |
1992 연세대학교 경영학과 졸업1994 연세대학교 경영학석사 졸업 1994 공인회계사(KICPA) 2002~ 현재 일신회계법인 |
비상근 |
2) 감사의 독립성
당사는 관련법령 및 정관에 따라 감사업무를 수행하고 있으며 기타 이해관계는 아래와 같습니다.
성명 | 생년월일 | 최대주주와의 관계 | 추천인 |
김숭철 | 1968.01.18 | 없음 | 이사회 |
# 당사 정관 감사의 직무 규정
제39조(감사의 직무) ① 감사는 이 회사의 회계와 업무를 감사한다. ② 감사는 이사회에 출석하여 의견을 진술할 수 있다. ③ 감사는 회의의 목적사항과 소집의 이유를 기재한 서면을 이사회에 제출하여 임시총회의 소집을 청구할 수 있다. ④ 감사는 그 직무를 수행하기 위하여 필요한 때에는 이 회사의 업무를 위탁 받은 자산관리회사, 자산보관기관, 판매회사 또는 일반사무관리회사에 대하여 이 회사의 업무와 관련된 회계에 관한 보고를 요구할 수 있다. ⑤ 감사는 이사(또는 청산인)가 직무수행과 관련하여 법령이나 정관을 위반하거나 기타 회사에 현저하게 손해를 끼칠 우려가 있는 사실을 발견한 때에는 지체 없이 이사회(또는 청산인회)에게 보고하여야 한다. ⑥ 감사는 재임 중 뿐만 아니라 퇴임 후에도 업무상 지득한 회사의 영업상 비밀을 누설해서는 안 된다. |
나. 감사의 주요활동내역
당사의 감사는 각 이사회에 참석하여 의견을 진술하며, 회사업무에 있어 일반사무수탁사가 작성한 사업연도에 대한 재무제표 및 투자보고서를 검토하고 있으며, 신뢰할 수 있는 회계정보의 작성 및 공시를 위하여 자산관리회사 및 일반사무수탁사로부터 보고 받고 이를 검토합니다.
다. 감사위원 현황
성명 | 사외이사여부 | 경력 | 회계ㆍ재무전문가 관련 | ||
---|---|---|---|---|---|
해당 여부 | 전문가 유형 | 관련 경력 | |||
- 당사는 공시서류작성기준일 현재 감사위원회가 설치 되어있지 않습니다.
라. 감사위원회 교육 미실시 내역
감사위원회 교육 실시여부 | 감사위원회 교육 미실시 사유 |
---|---|
미실시 |
- 당사는 공시서류작성기준일 현재 감사위원회가 설치 되어있지 않습니다.
마. 감사위원회 지원조직 현황
부서(팀)명 | 직원수(명) | 직위(근속연수) | 주요 활동내역 |
---|---|---|---|
바. 준법지원인 지원조직 현황 - 본 보고서 제출일 현재 당사에 선임된 준법지원인은 없습니다.
가. 투표제도 현황
(기준일 : | ) |
투표제도 종류 | 집중투표제 | 서면투표제 | 전자투표제 |
---|---|---|---|
도입여부 | |||
실시여부 |
나. 의결권 현황
(기준일 : | ) |
구 분 | 주식의 종류 | 주식수 | 비고 |
---|---|---|---|
발행주식총수(A) | |||
의결권없는 주식수(B) | |||
정관에 의하여 의결권 행사가 배제된 주식수(C) | |||
기타 법률에 의하여의결권 행사가 제한된 주식수(D) | |||
의결권이 부활된 주식수(E) | |||
의결권을 행사할 수 있는 주식수(F = A - B - C - D + E) | |||
다. 소수주주권 행사여부 - 회사는 공시대상 기간 중 소수주주권이 행사되지 않았습니다. 라. 경영권 경쟁 - 회사는 공시대상 기간 중 경영권 경쟁이 발행하지 않았습니다.
마. 주식사무
정관상 신주인수권의 내용 |
제15조 (신주인수권) ① 이 회사는 이 회사가 발행할 주식의 총 수 범위 내에서 이사회의 결의로 신주를 발행할 수 있다. ② 이 회사의 주주는 신주발행에 있어서 그가 소유한 주식수에 비례하여 신주의 배정을 받을 권리를 가진다. ③ 제2항의 규정에도 불구하고, 다음 각 호의 어느 하나의 경우에는 주주 외의 자에게 이사회의 결의로 신주를 배정할 수 있다. 단, 이 회사가 부동산투자회사법에 따라 영업인가를 받기 전에는 주주 외의 자에게 신주를 배정할 수 없다. 1. 이 회사가 영업인가를 받은 날로부터 6개월 이내에 영업인가 신청 시 국토교통부장관에게 제출한 신주발행계획에 따라 신주를 발행하는 경우 2. 제2조 제2항 각 호의 어느 하나에서 정한 업무를 수행하기 위하여 필요한 자금의 조달, 재무구조 개선 등 회사의 경영상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필요한 경우 3. 자본시장법 제165조의6 제1항 제3호의 규정에 의하여 일반공모증자 방식으로 신주를 발행하는 경우 4. 신주 발행 당시에 모든 주주가 동의하는 경우 ④ 제2항 및 제3항의 규정에도 불구하고, 제13조에 의하여 이 회사의 주식이 상장된 이후에는 다음 각 호의 어느 하나의 경우에 이사회는 주주 이외의 자에게 신주를 배정할 수 있다. 이 경우 상장 이전에 발행된 주식의 수는 다음 각 호의 한도에서 차감하지 아니한다. 1. 발행주식총수의 100분의 40을 초과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제2조 제2항 각 호의 어느 하나에서 정한 업무를 수행하기 위하여 필요한 자금의 조달, 재무구조 개선 등 회사의 경영상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필요한 경우 2. 자본시장법 제165조의6 제1항 제3호의 규정에 의하여 일반공모증자 방식으로 신주를 발행하는 경우 ⑤ 주주가 신주인수권을 포기 또는 상실하거나 신주배정에서 단주가 발생하는 경우에 그 처리방법은 이사회의 결의로 정한다. ⑥제3항 또는 제4항에 따라 주주 외의 자에게 신주를 배정하는 경우 상법 제416조 제1호, 제2호, 제2호의2, 제3호 및 제4호에서 정하는 사항을 그 납입기일 2주 전까지 주주에게 통지하거나 공고하여야 한다. 다만, 자본시장법 제165조의9에 따라 주요사항보고서를 금융위원회 및 한국거래소에 공시함으로써 그 통지 및 공고를 갈음할 수 있다. |
||
결 산 일 | 2월 28일(윤년일 경우 2월 29일)/ 5월 31일/ 8월 31일/ 11월 30일 | ||
정기주주총회 | 사업년도 종료후 3개월 이내 | ||
주주명부폐쇄시기 | 회사는 매 결산기 최종일 다음날부터 15일 동안 권리에 관한 주주명부의 기재변경을 정지한다. | ||
사채 및 신주인수권증서에 표시되어야 할 권리의 전자등록 | 사채권 및 신주인수권증권을 발행하는 대신 전자증권법에 따라 전자등록기관의 전자등록계좌부에 사채 및 신주인수권증권에 표시되어야 할 권리를 전자등록한다. 다만, 사채의 경우 법령에 따라 전자등록이 의무화된 상장사채 등을 제외하고는 전자등록을 하지 아니할 수 있다. | ||
명의개서대리인 | KB국민은행 증권대행부 (02-2073-8123) | ||
주주의 특전 | 없음 | 공고게재 | 홈페이지 |
바. 주주총회 의사록 요약
주총일자 | 안 건 | 결의내용 | 주요 논의 내용 |
제25기 정기주주총회(2025.05.22) | 제1호 의안 : 제25기 재무제표 승인의 건 | 가결 | 재무제표 승인 논의 |
제2호 의안 : 제25기 현금 배당 결의의 건 | 가결 | 현금배당 승인 논의 | |
제3호 의안 : 이사 선임의 건 | 가결 | 이사 선임 논의 | |
제4호 의안 : 제26기 이사 보수 승인의 건 | 가결 | 이사 보수 논의 | |
제5호 의안 : 제26기 감사 보수 승인의 건 | 가결 | 감사 보수 논의 | |
제24기 정기주주총회(2025.02.20) | 제1호 의안 : 제24기 재무제표 승인의 건 | 가결 | 재무제표 승인 논의 |
제2호 의안 : 제24기 현금 배당 결의의 건 | 가결 | 현금배당 승인 논의 | |
제3호 의안 : 이사 선임의 건 | 가결 | 이사 선임 논의 | |
제4호 의안 : 제25기 이사 보수 승인의 건 | 가결 | 이사 보수 논의 | |
제5호 의안 : 제25기 감사 보수 승인의 건 | 가결 | 감사 보수 논의 | |
제6호 의안 : 제26기, 제27기 사업계획 승인의 건 | 가결 | 사업계획 승인 논의 | |
제23기 정기주주총회(2024.11.21) | 제1호 의안 : 제23기 재무제표 승인의 건 | 가결 | 재무제표 승인 논의 |
제2호 의안 : 제23기 현금 배당 결의의 건 | 가결 | 현금배당 승인 논의 | |
제3호 의안 : 제24기 이사 보수 승인의 건 | 가결 | 이사 보수 논의 | |
제4호 의안 : 제24기 감사 보수 승인의 건 | 가결 | 감사 보수 논의 |
※ 안건 논의 중 특이사항 없음.
가. 최대주주 및 특수관계인의 주식소유 현황
(기준일 : | ) |
성 명 | 관 계 | 주식의종류 | 소유주식수 및 지분율 | 비고 | |||
---|---|---|---|---|---|---|---|
기 초 | 기 말 | ||||||
주식수 | 지분율 | 주식수 | 지분율 | ||||
계 | |||||||
(주1) 주식회사 신한은행은 "페블스톤전문투자형리츠부동산모투자신탁제1-1호”의 신탁업자입니다.
나. 최대주주의 주요경력 및 개요
1) 최대주주(법인 또는 단체)의 기본정보
명 칭 | 출자자수(명) | 대표이사(대표조합원) | 업무집행자(업무집행조합원) | 최대주주(최대출자자) | |||
---|---|---|---|---|---|---|---|
성명 | 지분(%) | 성명 | 지분(%) | 성명 | 지분(%) | ||
(주1) 주식회사 신한은행은 "페블스톤전문투자형리츠부동산모투자신탁제1-1호" 의 신탁업자 지위이며, 집합투자업자는 페블스톤자산운용입니다.
※ 수익자명부 관리/조회 관련 사항은 집합투자업자 소관이 아니므로 출자자 수 외의 사항은 기재하지 않음.
2) 최대주주(법인 또는 단체)의 최근 결산기 재무현황
(단위 : 백만원) |
구 분 | |
---|---|
법인 또는 단체의 명칭 | |
자산총계 | |
부채총계 | |
자본총계 | |
매출액 | |
영업이익 | |
당기순이익 |
※ 페블스톤전문투자형리츠부동산모투자신탁제1-1호의 결산기 재무현황입니다. (2025. 6. 30. 기준)
3) 사업현황 등 회사 경영 안정성에 영향을 미칠 수 있는 주요 내용
- 해당사항 없음.
다. 최대주주의 최대주주(법인 또는 단체)의 개요
- 해당사항 없음.
라. 최대주주 변동내역
(기준일 : | ) |
변동일 | 최대주주명 | 소유주식수 | 지분율 | 변동원인 | 비 고 |
---|---|---|---|---|---|
※ 2021년 12월 2일 액면분할(5,000원 → 500원)
마. 주식 소유현황
(기준일 : | ) |
구분 | 주주명 | 소유주식수 | 지분율(%) | 비고 |
---|---|---|---|---|
5% 이상 주주 | (주1) | |||
- | ||||
(주2) | ||||
우리사주조합 | - |
(주1) 신한은행은 "페블스톤전문투자형리츠부동산모투자신탁제1-1호"의 신탁업자 지위이며, 집합투자업자는 페블스톤자산운용입니다.(주2) 미래에셋자산운용(주)는 신한은행, 한국스탠다드차타드은행 등에 신탁되어 있는 다수의 집합투자기구를 운용하는 집합투자업자로서 집합투자기구를 통해 보유하고 있는 주식의 합산 시 10% 이상이나, 주주명부에 등재된 개별 집합투자기구 중에 10% 이상 보유하고 있는 집합투자기구는 없음.※ (주)코람코자산운용은 KB증권, 삼성증권 등에 신탁되어 있는 다수의 집합투자기구를 운용하는 집합투자업자로서 집합투자기구를 통해 보유하고 있는 주식의 합산 시 5% 이상이나, 주주명부에 등재된 개별 집합투자기구 중에 5% 이상 보유하고 있는 집합투자기구는 없으므로 기재하지 않음.
※ 주주명부(2025.05.31기준)으로 작성하였음.
(기준일 : | ) |
구 분 | 주주 | 소유주식 | 비 고 | ||||
---|---|---|---|---|---|---|---|
소액주주수 | 전체주주수 | 비율(%) | 소액주식수 | 총발행주식수 | 비율(%) | ||
소액주주 |
※ 소액주주는 기준일 현재 발행주식 총수의 1%에 미달하는 주식을 보유한 주주입니다.
바. 최근 6개월간의 주가 및 주식 거래 실적
(단위: 원, 주) |
구분 | 2024.12 | 2025.01 | 2025.02 | 2025.03 | 2025.04 | 2025.05 | |
주가(보통주) | 최고 | 4,555 | 4,595 | 4,800 | 4,970 | 5,050 | 5,410 |
최저 | 4,095 | 4,340 | 4,505 | 4,750 | 4,710 | 5,080 | |
평균 | 4,300 | 4,442 | 4,637 | 4,903 | 4,902 | 5,200 | |
월간거래량 | 최고 | 113,681 | 182,242 | 67,184 | 66,139 | 57,844 | 190,132 |
최저 | 15,790 | 13,569 | 17,107 | 11,342 | 14,041 | 13,568 | |
월계 | 1,046,850 | 878,269 | 731,965 | 626,815 | 578,070 | 988,831 |
※ 상기의 주가(최고, 최저, 평균)는 종가 기준입니다.
가. 임원 현황
(기준일 : | ) |
성명 | 성별 | 출생년월 | 직위 | 등기임원여부 | 상근여부 | 담당업무 | 주요경력 | 소유주식수 | 최대주주와의관계 | 재직기간 | 임기만료일 | |
---|---|---|---|---|---|---|---|---|---|---|---|---|
의결권있는 주식 | 의결권없는 주식 | |||||||||||
나. 직원 등 현황
(기준일 : | ) |
직원 | 소속 외근로자 | 비고 | |||||||||||
---|---|---|---|---|---|---|---|---|---|---|---|---|---|
사업부문 | 성별 | 직 원 수 | 평 균근속연수 | 연간급여총 액 | 1인평균급여액 | 남 | 여 | 계 | |||||
기간의 정함이없는 근로자 | 기간제근로자 | 합 계 | |||||||||||
전체 | (단시간근로자) | 전체 | (단시간근로자) | ||||||||||
합 계 |
- 해당사항 없음. - 부동산투자회사법에 따라 상근하는 임직원을 둘 수 없으므로 '육아지원제도 사용 현황' 및 '유연근무제도 사용 현황'은 기재하지 않음.
다. 미등기임원 보수 현황
(기준일 : | ) |
구 분 | 인원수 | 연간급여 총액 | 1인평균 급여액 | 비고 |
---|---|---|---|---|
미등기임원 |
- 해당사항 없음.
<이사ㆍ감사 전체의 보수현황> |
가. 주주총회 승인금액
구 분 | 인원수 | 주주총회 승인금액 | 비고 |
---|---|---|---|
나. 보수지급금액
1) 이사ㆍ감사 전체
인원수 | 보수총액 | 1인당 평균보수액 | 비고 |
---|---|---|---|
2) 유형별
구 분 | 인원수 | 보수총액 | 1인당평균보수액 | 비고 |
---|---|---|---|---|
등기이사(사외이사, 감사위원회 위원 제외) | ||||
사외이사(감사위원회 위원 제외) | ||||
감사위원회 위원 | ||||
감사 |
<보수지급금액 5억원 이상인 이사ㆍ감사의 개인별 보수현황> |
다. 개인별 보수지급금액
이름 | 직위 | 보수총액 | 보수총액에 포함되지 않는 보수 |
---|---|---|---|
- 개인별 보수지급 금액이 기업공시서식 작성기준인 5억원 이상에 해당하지 않아 기재를 생략합니다.
라. 산정기준 및 방법
- 해당사항 없음.
<보수지급금액 5억원 이상 중 상위 5명의 개인별 보수현황> |
마. 개인별 보수지급금액
이름 | 직위 | 보수총액 | 보수총액에 포함되지 않는 보수 |
---|---|---|---|
- 해당사항 없음.
바. 산정기준 및 방법
- 해당사항 없음.
계열회사 현황(요약)
(기준일 : | ) | (단위 : 사) |
기업집단의 명칭 | 계열회사의 수 | ||
---|---|---|---|
상장 | 비상장 | 계 | |
※상세 현황은 '상세표-2. 계열회사 현황(상세)' 참조 |
- 계열회사에 관한 사항은 없습니다.
타법인출자 현황(요약)
(기준일 : | ) |
출자목적 | 출자회사수 | 총 출자금액 | |||||
---|---|---|---|---|---|---|---|
상장 | 비상장 | 계 | 기초장부가액 | 증가(감소) | 기말장부가액 | ||
취득(처분) | 평가손익 | ||||||
경영참여 | |||||||
일반투자 | |||||||
단순투자 | |||||||
계 |
※상세 현황은 '상세표-3. 타법인출자 현황(상세)' 참조 |
- 타법인출자에 관한 사항은 없습니다.
1. 대주주등에 대한 신용공여 등 - 공시서류작성기준일 현재 해당사항이 없습니다. 2. 대주주등과의 자산양수도 등 - 공시서류작성기준일 현재 해당사항이 없습니다.
3. 대주주와의 영업거래
- 공시서류작성기준일 현재 해당사항이 없습니다. 4. 특수관계자와의 거래
(1) 보고기간말 현재 회사의 주요 특수관계자의 내역은 다음과 같습니다.
구분 | 특수관계자명 |
---|---|
유의적인 영향력을 행사하는 기업 | 하나증권(주) |
기타 특수관계자 | (주)코람코자산신탁 |
(2) 당기와 전기 중 특수관계자와의 주요 거래 내역은 다음과 같습니다(단위: 천원).
특수관계자명 | 거래명 | 당기 | 전기 |
---|---|---|---|
하나증권(주) | 임대료수익 | 2,418,148 | 2,418,148 |
관리수익 | 1,599,979 | 1,592,682 | |
이자비용 | 70,730 | 70,243 | |
배당금 | 377,438 | 381,142 | |
(주)코람코자산신탁 | 자산관리수수료 | 270,252 | 264,670 |
배당금 | 94,360 | 95,286 |
(3) 보고기간말 현재 특수관계자에 대한 주요 채권ㆍ채무의 내역은 다음과 같습니다(단위: 천원).
특수관계자명 | 거래명 | 당기말 | 전기말 |
---|---|---|---|
하나증권(주) | 매출채권 | 681,890 | 520,419 |
임대보증금 | 10,257,086 | 10,186,355 | |
유동성선수수익 | 145,782 | 213,067 | |
(주)코람코자산신탁 | 미지급비용 | 270,252 | 264,670 |
(4) 당기와 전기 중 특수관계자와의 자금거래 내역은 없습니다.(5) 당기말 현재 특수관계자로부터 제공받은 담보의 내역은 다음과 같습니다.
제공자 | 제공받은담보의 내용 | 담보제공자산 | 담보제공처 |
---|---|---|---|
하나증권(주) | 차입금 관련 담보 | 회사 보통주 4,000,000주 | 삼성화재해상보험(주), 한화생명보험(주), 농협생명보험(주) |
(주)코람코자산신탁 | 차입금 관련 담보 | 회사 보통주 1,000,000주 |
(6) 회사의 주요 경영진에는 회사의 경영활동의 계획ㆍ운영ㆍ통제에 대한 중요한 권한과 책임을 가진 이사(비상임 포함) 및 감사가 포함되어 있으며, 당기 및 전기 중 주요 경영진에 대한 보상은 다음과 같습니다(단위: 천원).
구 분 | 당기 | 전기 |
---|---|---|
급여 | 4,500 | 4,500 |
5. 대주주 이외의 이해관계자와의 거래 - 공시서류작성기준일 현재 해당사항이 없습니다.
- 해당사항 없음.
가. 중요한 소송사건
- 공시서류작성기준일 현재 해당사항 없음.
나. 견질 또는 담보용 어음ㆍ수표 현황 - 공시서류작성기준일 현재 해당사항 없음.
다. 채무보증 현황 - 공시서류작성기준일 현재 해당사항 없음.
라. 채무인수약정 현황 - 공시서류작성기준일 현재 해당사항 없음.
마. 그 밖의 우발채무 등 - 공시서류작성기준일 현재 해당사항 없음.
가. 중요한 소송사건 - 공시서류작성기준일 현재 해당사항 없음. 나. 한국거래소 등으로부터 받은 제재 - 공시서류작성기준일 현재 해당사항 없음. 다. 단기매매차익의 발생 및 반환에 관한 사항 - 공시서류작성기준일 현재 해당사항 없음.
- 공시서류작성기준일 현재 해당사항 없음.
5. 보호예수 현황
(기준일 : | ) |
주식의 종류 | 예수주식수 | 예수일 | 반환예정일 | 보호예수기간 | 보호예수사유 | 총발행주식수 |
---|---|---|---|---|---|---|
☞ 본문 위치로 이동 |
상호 | 설립일 | 주소 | 주요사업 | 최근사업연도말자산총액 | 지배관계 근거 | 주요종속회사 여부 |
---|---|---|---|---|---|---|
- 연결대상 종속회사에 관한 사항은 없습니다.
☞ 본문 위치로 이동 |
(기준일 : | ) | (단위 : 사) |
상장여부 | 회사수 | 기업명 | 법인등록번호 |
---|---|---|---|
상장 | |||
비상장 | |||
- 계열회사에 관한 사항은 없습니다.
☞ 본문 위치로 이동 |
(기준일 : | ) |
법인명 | 상장여부 | 최초취득일자 | 출자목적 | 최초취득금액 | 기초잔액 | 증가(감소) | 기말잔액 | 최근사업연도재무현황 | |||||||
---|---|---|---|---|---|---|---|---|---|---|---|---|---|---|---|
수량 | 지분율 | 장부가액 | 취득(처분) | 평가손익 | 수량 | 지분율 | 장부가액 | 총자산 | 당기순손익 | ||||||
수량 | 금액 | ||||||||||||||
합 계 |
- 해당사항 없음.
- 해당사항 없음.
- 해당사항 없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