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기보고서 6.1 주식회사 큐라클 Y 110111-6058485

반 기 보 고 서

(제 10 기)

2025년 01월 01일2025년 06월 30일
사업연도 부터
까지

금융위원회
한국거래소 귀중 2025년 08월 12일
주권상장법인해당사항 없음
제출대상법인 유형 :
면제사유발생 :
회 사 명 : 주식회사 큐라클
대 표 이 사 : 유재현
본 점 소 재 지 :

서울특별시 서초구 효령로 23-1(방배동)

(전 화) 02-3487-0077
(홈페이지) http://www.curacle.com
작 성 책 임 자 : (직 책) 이사 (성 명) 황용
(전 화) 070-4193-4067
목 차

【 대표이사 등의 확인 】 대표이사 등의 확인서명.jpg 대표이사 등의 확인서명

I. 회사의 개요 1. 회사의 개요

1. 연결대상 종속회사 개황 (연결재무제표를 작성하는 주권상장법인이 사업보고서, 분기ㆍ반기보고서를 제출하는 경우에 한함)가. 연결대상 종속회사 현황(요약)

(단위 : 사)

-

-

-

-

-

-

-

-

-

-

-

-

-

-

-

구분 연결대상회사수 주요종속회사수
기초 증가 감소 기말
상장
비상장
합계
※상세 현황은 '상세표-1. 연결대상 종속회사 현황(상세)' 참조

1-1. 연결대상회사의 변동내용

-

-

-

-

-

-

-

-

구 분 자회사 사 유
신규연결
연결제외

2. 회사의 법적ㆍ상업적 명칭

당사의 명칭은 "주식회사 큐라클"이며, 영문명은 "curacle co.,ltd."입니다.

3. 설립일자

당사의 설립일은 2016년 05월 12일 입니다.

4. 본사의 주소, 전화번호, 홈페이지 주소

구분

내용

본사 주소

서울특별시 서초구 효령로 23-1

전화번호

02-3487-0077

홈페이지

www.curacle.com

5. 중소기업 등 해당 여부

해당해당미해당
중소기업 해당 여부
벤처기업 해당 여부
중견기업 해당 여부

6. 대한민국에 대리인이 있는 경우에는 이름(대표자), 주소 및 연락처 보고서 작성기준일 현재 해당사항이 없습니다.

7. 주요 사업의 내용 및 향후 추진하려는 신규사업에 관한 간략한 설명

당사는 고령화에 따른 난치성 혈관 및 대사성질환의 혁신적인 치료제 연구/개발업을 주력사업으로 영위하고 있습니다. 기타 자세한 사항은 「Ⅱ. 사업의 내용」을 참조하시기 바랍니다.

8. 당사의 정관에 기재된 목적 사업은 다음과 같습니다.

사업목적

비고

의약품, 의약외품 개발, 제조, 판매업

의료기기, 기자재 개발, 제조, 판매업

건강식품, 건강기능 및 보조식품 개발, 제조, 판매업

식품 및 화장품 개발, 제조, 판매업

농축산약품, 화공약품 개발, 제조, 판매업

화장품 및 화장품 원료, 신변잡화 개발, 제조, 판매업

의료기기, 미용기기, 미용제품, 의료장비, 헬스용품 개발, 제조, 판매업

위 각호와 관련된 도소매, 유통, 임가공, 서비스업

위 각호와 관련된 무역(수출입) 및 무역중개업

부동산임대 및 전대업

동물 의약품/의약외품 개발 제조, 판매업

위 각호와 관련된 부대사업 일체

-

9. 신용평가에 관한 사항

보고서 작성기준일 현재 해당사항이 없습니다.

10. 회사의 주권상장(또는 등록ㆍ지정) 및 특례상장에 관한 사항

코스닥시장 상장2021년 07월 22일기술성장기업의 코스닥시장 상장
주권상장(또는 등록ㆍ지정)현황 주권상장(또는 등록ㆍ지정)일자 특례상장 유형

2. 회사의 연혁

1. 회사의 본점소재지 및 그 변경

일자

본점소재지

2016.05.12

서울시 강남구 밤고개로1길 10, 912호 (수서동, 현대벤처빌)

2016.11.18

경기도 성남시 분당구 판교로 253, 비동 801호 (삼평동, 판교이노밸리)

2018.10.10

경기도 성남시 분당구 판교로 255번길 9-22, 512호 (삼평동, 우림더블유시티)

2019.09.27

경기도 성남시 수정구 창업로 54, 608, 609, 610, 611호 (시흥동, 엘에이치 판교 제2테크노밸리 기업성장센터)

2022.04.15

서울특별시 서초구 효령로 23-1(방배동, 큐라클빌딩)

2. 경영진 및 감사의 중요한 변동

변동일자

주총종류

선임

임기만료 또는 해임

신규

재선임

2019.03.22

정기주총

사내이사 김영명

사내이사 권영근 대표이사 박광락

감사 김활년

사내이사 이인규

2019.07.24

임시주총

사내이사 김명화

-

-

2019.07.24

-

사내이사 김명화 대표이사 취임

-

-

2019.12.24

-

기타비상무이사 김영명

기타비상무이사 권영근

-

-

2020.03.30

정기주총

사외이사 추연성

-

-

2021.01.05

임시주총

사외이사 최동훈

-

-

2021.03.29

정기주총

기타비상무이사 추연성

감사 고민석

-

사외이사 추연성

감사 김활년

2021.09.30

-

-

-

대표이사 김명화

2021.11.26

임시주총

사내이사 유재현

-

대표이사 박광락

2021.11.26

-

사내이사 유재현 대표이사 취임

사외이사 조상헌

-

-

2022.03.30

정기주총

-

기타비상무이사 김영명

기타비상무이사 권영근

-

2022.07.22

임시주총

감사 서규영

-

감사 고민석

2024.03.27 정기주총 사내이사 권영근 사내이사 유재현 대표이사기타비상무이사 추연성사외이사 최동훈사외이사 조상헌 기타비상무이사 권영근
2025.03.31 정기주총 감사 송경호 기타비상무이사 김영명 감사 서규영

3. 최대주주의 변동

보고서 작성기준일 현재 해당사항이 없습니다.

4. 상호의 변경

보고서 작성기준일 현재 해당사항이 없습니다.

5. 회사가 화의, 회사정리절차 그 밖에 이에 준하는 절차를 밟은 적이 있거나 현재 진행 중인 경우 그 내용과 결과

보고서 작성기준일 현재 해당사항이 없습니다.

6. 회사가 합병 등을 한 경우 그 내용

2025년 03월 06일 공시된 주요사항보고서(회사합병결정)를 참고하시길 바랍니다.

7. 회사의 업종 또는 주된 사업의 변화

2025년 06월 05일 사업자등록증 상 업태(도매 및 소매업), 종목(기타 화학물질 및 화학제품 도매업)이 추가되었습니다.

8. 그 밖에 경영활동과 관련된 중요한 사항의 발생내용

일자

주요 연혁

2019.01

신약연구소 이전 (대전시 한국화학연구원)

2019.04

CU06 (혈관내피기능장애): 기술도입계약 체결 (연세대학교)

2019.05

CU01 (당뇨병성 신증): 임상 2a상 IND 식약처 승인

2019.06

Covance(UK)와 연구협약 체결 (CU06 global GLP 시험 관련)

액면분할(5,000원 →500원)후 빌행주식총수 4,848,980주

2019.08

IPO 대표주관사 계약 체결 (삼성증권)

2019.10

본사이전 (경기도 판교제2테크노밸리 기업성장센터)

Patheon (cGMP, USA)와 협약 체결

2019.10

3차 유상증자(3자배정): 561,291주 / 증자 후 자본금 2,705백만원

2019.12

CU03 (습성 황반변성): 임상 2a상 IND 식약처 승인

2020.01

중앙연구소 설립 (판교제2테크노밸리 기업성장센터)

2020.03

유한화학(cGMP)과 계약 체결 (미국 임상용 DS생산 관련)

2020.04

중소벤처기업부 연구기반활용사업(연구집중형) 선정

CU06 보건복지부 제약사업 전주기 글로벌 진출 강화 지원사업 과제 선정

2020.06

LS Pharma 와의 연구협약 체결(제제연구)

2020.08

CU01 (당뇨병성 신증): 임상2a상 시험대상자 모집 완료

CU03(습성 황반변성) 임상2a상 내약성 평가완료. 추가환자 60명 모집

2020.10

전자증권제도 도입
CU06 (혈관내피기능장애): 미국 임상용 DP 생산완료 (cGMP)

4차 유상증자 : 149,213주 / 증자 후 자본금 2,780백만원

2020.11

연세대학교 연구협약 체결 및 산학협력 바이오랩 개설

이노비즈 인증 (중소벤처기업부 인증번호 : 200605-01197)

스톡옵션 행사 : 98,500주 / 증자 후 자본금 2,829백만원

2020.12

연세대 세브란스병원과 신약 연구개발 및 학술활동 연구협약 체결

2차 무상증자 : 5,657,984주 / 증자 후 자본금 5,658백만원

2021.01

CU06 : 임상1상 미국 IND 신청

고려대 약학대학 및 약과학연구소와의 혁신 신약개발 연구협약 체결

2021.03

CU06: 임상 1상 미국 IND 승인

CU01: 임상2a상 국내 완료

기술특례상장을 위한 기술성 평가 통과 (등급:AA. A)
2021.07 코스닥시장 상장
2021.09 CU01 (당뇨병성 신증): 임상3상 국내 IND 신청
2021.10 CU06 (당뇨병성 황반부종 및 습성 황반변성): 기술이전 계약 체결
2021.11 유재현 단독 대표이사 취임
2022.01 바이오연구소 설립
2022.04 본사이전 (서울 서초구 효령로 23-1 큐라클빌딩)
2022.06 CU06 임상1상 결과 보고서 확보
2022.07 CU01(당뇨병성 신증): 임상2b상 IND 승인
2022.09 CU06 (당뇨병성 황반부종): 임상2a상 미국 IND 승인
2022.11 연구개발유형 벤처기업 인증 획득
2022.12 산업통상자원부 첨단기술제품 확인인증 획득

2023.04

서울대학교 약학대학 임상약학 연구실과 학술교류 및 공동연구 수행을 위한 업무협약(MOU) 체결

2023.05

CU104(궤양성 대장염): 임상2상 미국 IND 제출

2023.06

항체치료제 개발기업 맵틱스와 글로벌 신약 공동 연구개발 및 사업화를 위한 업무협약(MOU) 체결

2023.06

CU104(궤양성 대장염): 임상2상 미국 IND 승인

2023.06

CU06 (당뇨병성 황반부종): 미국 임상2a상 시험대상자 모집 완료

2023.06

반려동물신약개발사업단과 동물용 의약품 신약개발을 위한 업무협약(MOU) 체결

2023.07

인공지능 기반 신약발굴 기업 스탠다임과 글로벌 신약 공동 연구개발 및 사업화를 위한 업무협약(MOU) 체결

2023.07

CU104(궤양성 대장염): 임상2상 유럽 IND 제출

2023.08 궤양성 대장염 및 면역 항암 병용 치료 후보물질 국내 임상1b상 신청
2023.09 반려동물신약개발사업단과 반려동물 신부전 치료제 공동개발 기술계약 체결
2023.12 CU104 (궤양성 대장염): 임상 2상 유럽 IND 승인
2024.02 CU06 미국 임상2a상 Topline 결과 발표 (당뇨병성 황반부종)
2024.03

큐라클 종합기술원(CAIT) 설립

2024.03

CU104 (궤양성 대장염): 임상 2상 한국 IND 신청

2024.04 CU06 미국 임상2a상 결과 보고서 수령
2024.05 CU06 미국 임상1상 결과 ARVO 2024(미국 시과학안과학회)에서 포스터 발표
2024.05 CU06 (당뇨병성 황반부종 및 습성 황반변성): 계약해지 및 권리반환 통보
2024.07 CU06 미국 임상2a상 결과 ASRS 2024(미국 망막학회)에서 구연 발표
2024.07 항체치료제 개발기업 맵틱스와 항체 치료제 공동 연구개발 계약 체결
2024.09 CU06 미국 임상2a상 결과 EURETINA 2024(유럽 망막학회)에서 e-포스터 발표
2024.10 안전성평가연구소와 반려동물 난치질환 치료제 개발 위한 MOU 체결
2024.12 CU104(궤양성 대장염) : 임상2상 한국 IND 신청 자진취하
2024.12 CU06 미국 임상2a상 결과 ARC 2024(제4회 아시아망막학회) 및 한국망막학회 총회 학술대회에서 구연 발표
2025.01 CP01-R01(반려동물 만성신장질환) 임상3상시험 계획 승인
2025.02

CU06 미국 식품의약국(FDA) Type C 미팅 진행

2025.03 원료의약품 기업 대성팜텍 흡수합병 결정
2025.04 원료의약품 사업본부 신설
2025.05 CU06 국제 공식 물질명 Rivasterat WHO 등재

3. 자본금 변동사항

당사는 기업공시서식 작성기준에 따른 소규모기업에 해당하여 '자본금 변동사항' 을 기재하지 아니합니다.

4. 주식의 총수 등

1. 주식의 총수 현황

2025년 06월 30일(단위 : 주, %)
(기준일 : )
보통주우선주100,000,000-100,000,000-14,009,155-14,009,155---------------------14,009,155-14,009,155-----14,009,155-14,009,155-----
구 분 주식의 종류 비고
합계
Ⅰ. 발행할 주식의 총수
Ⅱ. 현재까지 발행한 주식의 총수
Ⅲ. 현재까지 감소한 주식의 총수
1. 감자
2. 이익소각
3. 상환주식의 상환
4. 기타
Ⅳ. 발행주식의 총수 (Ⅱ-Ⅲ)
Ⅴ. 자기주식수
Ⅵ. 유통주식수 (Ⅳ-Ⅴ)
Ⅶ. 자기주식 보유비율

5. 정관에 관한 사항

1. 정관의 최근 개정일 당사 정관의 최근 개정일은 2024년 03월 27일 입니다. 2. 정관 변경 이력

정관변경일 해당주총명 주요변경사항 변경이유
2019.06.27 제04기 임시주주총회(1차) - 회사가 발행할 주식의 총수- 일주의 금액 액면분할에 따른 정관 변경
2019.09.26 제04기 임시주주총회(2차) - 주식등의 전자등록- 주식의 종류- 신주인수권- 주식의 명의개서 및 재발행- 전환사채의 발행- 신주인수권부사채의 발행- 이익참가부사채의 발행- 교환사채의 발행- 소집통지- 소집지- 의장의 질서유지권- 주주의 의결권- 상호주에 대한 의결권 제한- 의결권의 불통일 행사- 이사의 수- 이사의 선임- 이사회의 구성과 소집- 감사의 수- 감사의 선임- 감사의 직무- 외부감사인의 선임- 이익배당- 분기배당 전자증권제도 도입 및코스닥상장을 위한 정관 변경
2021.03.29 제05기 정기주주총회 - 주식의 종류- 주식의 전환에 관한 종류주식- 신주인수권- 주식매수선택권- 신주의 배당기산일- 명의개서대리인- 주주명부- 주주명부의 폐쇄 및 기준일- 전환사채의 발행- 신주인수권부사채의 발행- 사채 및 신주인수권증권에표시하여야 할 권리의 전자등록- 소집시기- 이사의 수- 감사의 선임- 이익배당- 분기배당 상법 개정에 따른 변경
2022.03.30 제06기 정기주주총회 - 본점의 소재지- 기준일- 시행일 본점 이전에 따른 변경
2024.03.27 제08기 정기주주총회 - 발행예정 주식 총수- 신주인수권- 주주의 작성, 비치- 전환사채의 발행- 신주인수권부 사채의 발행- 이익참가부사채의 발행- 교환사채의 발행- 소집통지 및 공고- 의결권의 대리행사 한국거래소 표준 정관 준용

3. 사업목적 현황

1

의약품, 의약외품 개발, 제조, 판매업

영위

2

의료기기, 기자재 개발, 제조, 판매업

미영위

3

건강식품, 건강기능 및 보조식품 개발, 제조, 판매업

미영위

4

식품 및 화장품 개발, 제조, 판매업

미영위

5

농축산약품, 화공약품 개발, 제조, 판매업

미영위

6

화장품 및 화장품 원료, 신변잡화 개발, 제조, 판매업

미영위

7

의료기기, 미용기기, 미용제품, 의료장비, 헬스용품 개발, 제조, 판매업

미영위

8

위 각호와 관련된 도소매, 유통, 임가공, 서비스업

미영위

9

위 각호와 관련된 무역(수출입) 및 무역중개업

미영위

10

부동산임대 및 전대업

미영위

11

동물 의약품/의약외품 개발 제조, 판매업

영위

12

위 각호와 관련된 부대사업 일체

미영위
구 분 사업목적 사업영위 여부

II. 사업의 내용

1. 사업의 개요

당사는 '혈관내피기능장애(Endothelial Dysfunction)'를 정상화하여 다양한 난치성 질환의 근본 원인을 개선하는 혁신적인 치료제를 연구·개발하는 바이오 벤처 기업입니다. 당사는 화학 합성 신약(Small Molecule)을 발굴하는 독자적인 신약개발 플랫폼 솔바디스(SOLVADYS ® )와 오픈 이노베이션을 통해 확보한 생물학적 제제(Biologics) 발굴 플랫폼 이글스(EAGLES ® )를 바탕으로, 의학적으로 차별화된 치료 접근법을 제시하며 상용화 및 확장 가능성이 높은 파이프라인을 구축하여 연구/개발을 진행하고 있습니다. 당사가 개발 중인 파이프라인은 모두 First-in-Class 신약이며 Rivasterat(CU06), CU71, CU01, MT-101, MT-103 등 핵심 파이프라인을 비롯해 여러 파이프라인들의 연구/개발을 활발히 진행 중입니다.

솔바디스 플랫폼 및 이글스 플랫폼.jpg 솔바디스 플랫폼 및 이글스 플랫폼

당사는 혈관내피기능장애 차단제(Endothelial Dysfunction Blocker, ED Blocker) 개발에 특화된 신개념 플랫폼 기술 솔바디스(SOLVADYS®)를 활용하여 혈관 정상화 및 염증 차단을 특징으로 하는 ED Blocker 물질, Rivasterat(이하 'Rivasterat'='CU06-1004'='CU06')를 발굴해 개발 중에 있습니다. 당뇨병성 황반부종 및 습성 황반변성 등 망막 질환 치료제로 개발중인 Rivasterat은 2022년 6월 건강한 성인을 대상으로 한 미국 임상1상을 완료했으며, 2024년 4월 당뇨병성 황반부종 환자를 대상으로 한 미국 임상2a상을 완료했습니다. Rivasterat은 개념증명(PoC, Proof of Concept)을 확인하는 임상2a상에서 환자를 대상으로 효능과 안전성을 확인했습니다. 특히 미국 FDA(식품의약국)가 망막 질환 치료제 허가 시 가장 중요하게 평가하는 시력개선 지표(BCVA, Best Corrected Visual Acuity)에서 경구용 치료제 중 세계 최초로 임상적으로 의미 있는 효과를 확인했습니다. 임상2a상 결과는 미국, 유럽 및 아시아 망막학회(ASRS, EURETINA, ARC) 등에서 발표되며 주목을 받았고, 당사는 임상2a상 결과를 토대로 후속 임상을 준비 중입니다. CU71은 솔바디스 플랫폼과 SPAR(Structure-Phenotypic Activity Relationship) 개념 확립을 통해 발굴한 차세대 혈관내피기능장애 차단제입니다. 알츠하이머, 혈관성 치매 등 퇴행성 뇌질환을 적응증으로 개발 중인 CU71은 노화, 독성물질, 만성염증 등으로 기능이 저하된 BBB(Blood-Brain Barrier, 혈액-뇌 장벽)를 안정화함으로써 인지기능 개선 및 신경 보호 효과를 기대할 수 있는 BBB Stabilizer 약물입니다. 2024년 7월 물질특허를 출원했으며, 알츠하이머병 동물모델 전임상 시험에서 Donepezil 대비 우수한 인지기능 개선 효과를 확인했습니다. 대표적인 당뇨 합병증 중 하나인 당뇨병성 신증 치료제로 개발중인 CU01은 2022년 7월 국내 임상2b상을 승인받아 환자 240명을 대상으로 임상을 진행 중입니다.2025년 4월 환자 모집이 완료됐으며 2025년 4분기 임상 종료를 목표로 하고 있습니다. CU01은 항산화 및 항염증 작용에 관여하는 Nrf2 단백질을 활성화하고 섬유화 반응을 유도하는 TGF-β 신호 전달을 억제하는 이중 기전을 기반으로, eGFR(추정 사구체 여과율) 개선 효과를 통해 신장 기능을 유지 또는 개선할 수 있는 치료제가 될 것으로 기대하고 있습니다. 이외에도, 2024년 3월 큐라클 종합기술원(CAIT, Curacle Advanced Institute of Technology) 설립 이후 차세대 혈관내피기능장애 후보물질들을 연이어 발굴해 나가고 있습니다. 또한 항체 전문기업 맵틱스와 2023년 6월 업무협약(MOU) 및 2024년 7월 공동 연구개발 계약을 체결하여 항체 파이프라인 8개를 확보했습니다. 당사와 맵틱스는 Tie2 활성화 항체 기반인 MT-101(급성 신손상· 만성 신부전) 및 이중항체 MT-103(당뇨병성 황반부종· 당뇨 망막병증· 습성 황반변성) 등에 대한 공동 연구/개발 협업을 활발히 이어나가고 있습니다. MT-101 및 MT-103은 2025년 3월 국내 및 PCT 특허를 출원했습니다.

파이프라인표1.jpg 파이프라인표1

파이프라인표2.jpg 파이프라인표2

(주1) 자세한 내역은 회사 홈페이지 참조를 부탁드립니다. (http://curacle.com/kor/pipeline/overview.html)

2. 주요 제품 및 서비스

1. 주요 제품 등의 현황 당사는 혈관내피기능장애 차단제 개발의 혁신 플랫폼 기술인 SOLVADYS® 플랫폼 기술을 이용한 First-in-Class 신약후보물질을 개발하고 파트너사와의 공동연구 또는 기술이전을 사업화 모델로 하고 있어 제품 판매에 대한 매출은 존재하지 않습니다. 다만, 라이선스 계약에 따른 초기 기술료(Upfront), 개별 단계별마일스톤(Milestone), 판매액에 대한 로열 티와 임상연구비용 및 제반비용 등을 수익으로 인식하고 있습니다. 당사는 2021년 10월 떼아 오픈이노베이션에 기술이전한 Rivasterat에 대하여 계약금(Upfront) 및 연구개발비 보전금액을 수령했으며, 2024년 5월 16일자로 계약해지 및 권리반환 통보를 받았지만 기수령한 계약금 및 연구개발비 보전금액에 대한 반환의무는 없습니다.

(단위: 백만원)

품목

매출액(비율)

제품설명

Rivasterat(CU06) -

□ 망막질환(당뇨병성 황반부종, 습성 황반변성) 치료제로 개발 중인 세계 최초 혈관내피기능장애 차단제□ 당뇨병성 황반부종 임상2a상에서 경구용 치료제 중 세계 최초로 시력개선 효과와 안전성을 입증함□ 기존 주사제와 차별화된 기전으로 주사제에 반응하지 않는 환자를 포함해 기존 치료제의 한계를 보완할 것으로 기대되며, 경구용 치료제로서 복용 편의성을 획기적으로 개선□ 2021년 10월 프랑스 떼아오픈이노베이션에 당뇨병성 황반부종, 습성 황반변성에 대한 전세계판권(아시아 제외) 이전하였음□ 2022년 6월 미국 임상 1상을 완료 , 2024년 4월 당뇨병성 황반부종 미국 임상2a상 완료하였음 □ 2024년 5월 프랑스 떼아오픈이노베이션으로부터 계약해지 및 권리 반환 통보 받음.

□ 2025년 2월 미국 FDA와 Type C 미팅을 통해 후속 개발전략 확립

□ 국제 공식 물질명 Rivasterat WHO 등재

CU71 -

□ 차세대 혈관내피기능장애 차단제 신규 물질로 2024년 7월 물질특허 출원

□ BBB Dysfunction 및 Neuro Inflammation을 개선하는 First-in-Class 경구용 약물로 퇴행성 뇌질환(알츠하이머 등) 치료제로 개발할 계획이며 현재 전임상 진행 중

CU01

-

□ Nrf2 활성 및 TGF-β/Smad3 억제를 통해 당뇨병성 신증을 치료할 수 있는 새로운 작용 기전의 First-in-Class 혁신신약임□ 미국 Biogen 사의 블록버스터 의약품(다발성경화증 치료제 Tecfidera, 2019 Peak Sales 4,433 Million US$)의 주성분 디메틸푸마레이트(DMF)를 Drug Repositioning(신약재창출) 방법을 이용하여 당뇨병성 신증 치료제로 개발 중이며, 현재 국내 임상2b상 진행 중

MT-101 -

□ Tie2 신호전달 경로를 활성화시켜 혈관을 구조적/기능적으로 정상화 및 안정화시키는 기전을 가진 First-in-Class 항체 신약으로 전임상 진행 중

□ 급성 신손상 및 만성 신부전 적응증으로 개발중이며, 충남대학교병원에서 진행한 동물모델 실험 등에서 신장혈관 손상을 개선하는 효과를 입증함

□ 2023년 국가신약개발사업 과제로 선정됨

MT-103 -

□ Tie2 활성화 항체와 VEGF 항체를 결합한 이중 항체로 망막 질환(습성 황반변성, 당뇨병성 황 반부종, 당뇨 망막병증) 치료제로 개발중인 First-in-Class 신약임

□ 서울아산병원에서 진행한 동물모델 실험에서 기존 치료제인 아일리아 대비 우수한 효능을 확 인하였으며, 현재 전임상 진행 중

□ 2024년 국가신약개발사업 과제로 선정됨

CU03

-

□ 경구용 습성 황반변성 치료제이며 글로벌 최초의 천연물 신약으로서 높은 인체 안전성이 특징□ 안구내 주사제와의 병용으로 주사투여의 횟수 감소와 동시에 습성 황반변성 치료 효과의 시너지를 기대할 수 있음

2. 주요 제품 등의 가격변동추이 및 가격변동원인 당사의 사업구조는 신약후보물질을 개발하여 기술이전을 사업화 모델로 하고 있습니다. 신약의 기술이전은 거래구조와 조건에 따라 크게 변동하므로 주요 제품 등의 가격변동 추이를 기재하기 어렵습니다.

3. 원재료 및 생산설비

1. 원재료 매입에 관한 사항

당사의 주요 영업활동은 신약연구개발로서 제품 제조를 위한 별도의 원재료에 대한 매입은 없습니다.

2. 생산설비에 관한 사항 당사의 주요 영업활동은 신약연구개발로서 제품 제조를 위한 별도의 생산 및 생산 설비에 관하여는 해당사항이 없습니다. 비임상 및 임상약 생산은 위탁생산전문업체(CMO, Contract and Manufacturing Organization)가 업무를 수행하고 있습니다.

4. 매출 및 수주상황

1. 매출실적

당사는 혈관내피기능장애 차단제 개발의 혁신 플랫폼 기술인 SOLVADYS® 플랫폼 기술을 이용한 First-in-Class 신약후보물질을 개발하고 파트너사와의 공동연구 또는 기술이전을 사업화 모델로 하고 있어 제품 판매에 대한 매출은 존재하지 않습니다. 다만, 라이선스 계약에 따른 초기 기술료(Upfront), 개별 단계별마일스톤(Milestone), 판매액에 대한 로열 티와 임상연구비용 및 제반비용 등을 수익으로 인식하고 있습니다. 당사는 2021년 10월 떼아 오픈이노베이션에 기술이전한 Rivasterat에 대하여 계약금(Upfront) 및 연구개발비 보전금액을 수령했으며, 2024년 5월 16일자로 계약해지 및 권리반환 통보를 받았지만 기수령한 계약금 및 연구개발비 보전금액에 대한 반환의무는 없습니다.

(단위: 백만원)
매출유형 품목 제10기 2분기 제9기 제8기

용역매출

Rivasterat - 1,633

10,294

합 계

- 1,633

10,294

2. 판매경로 및 판매방법

가. 판매조직

당사는 신약후보물질을 개발하여 기술이전을 목표로 하고 있으며 이를 위한 조직으로 사업개발본부를 운영하고 있습니다. 미국 및 북미시장은 BIO USA 및 각 북미학회 지회 Conference 참가 및 Business meeting을 통하여 다수의 글로벌 제약사 및 사업기회가 있는 회사들과 라이선스 아웃에 대한 접촉을 하고 있으며, 아시아 및 유럽은 Bio China, Bio Japan, Bio Europe 등의 Conference 참가를 활발히 진행하고 있습니다. 또한, 국내 Major 제약회사들과 지속적으로 접촉하는 등 다방면으로 사업기회를 찾고 있습니다.

나. 판매전략

당사는 신약개발을 전문으로하는 바이오벤처 기업이며, 비즈니스 모델은 SOLVADYS® 플랫폼과 EAGLES®플랫폼, 오픈 이노베이션 등을 통해 확보한 차세대 난치성 질환 치료제 개발과 더불어 글로벌 제약사와의 전략적 기술제휴를 통한 기술료 매출 및 수익 창출입니다.

글로벌 제약사와의 라이선스 아웃 추진은 해외 컨퍼런스, 파트너사와의 네트워크를 통해 상호 정보교환으로 착수되며 기본적인 프로세스는 '파트너링 미팅 → NCD 자료공개 → CDA 체결 → 지속적인 정보공유 → MTA 계약 → Term sheet 작성 → Due diligence → 라이선스 계약' 단계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당사는 이미 라이선스 대상 기술 및 파이프라인에 대하 여 다수의 글로벌 제약사와 CDA 계약을 체결하고 '지속적인 정보공유' 단계로 파트너사의 Unmet needs에 대해 지속적으로 연구결과를 업데이트하며 소통하고 있습니다.

3. 수주상황

당사의 주요 영업활동은 신약연구개발로서 수주 산업이 아니므로 해당사항이 없습니다.

5. 위험관리 및 파생거래

1. 시장위험과 위험관리

당사는 금리위험, 가격위험, 환위험 등 다양한 시장위험에 노출되어 있습니다. 이러한 위험 요소들을 관리하기 위하여 각각의 위험요인에 대해 면밀하게 모니터링하고 대응하는 위험관리 정책을 운용하고 있으며, 이에 대한 자세한 사항은「III. 재무에 관한 사항 → 5. 재무제표 주석」을 참조하시기 바랍니다.

2. 파생상품 및 풋백옵션 등 거래현황

당사는 보고서 작성기준일 현재 해당사항이 없습니다.

6. 주요계약 및 연구개발활동

1. 경영상의 주요계약

가. 라이선스 아웃(License out) 계약

보고서 작성기준일 현재 당사가 체결 중인 주요 라이선스 아웃 계약은 해당사항 없습니다.당사는 2021년 10월 27일 Thea Open Innovation과 체결한 당뇨병성 황반부종 및 습성 황반변성 치료제 Rivasterat에 대한 기술이전 계약에 대해 2024년 5월 16일자로 계약해지 및 권리반환 통보를 받았으며, Thea Open Innovation로부터 수령한 계약금(Upfront payment) 및 연구개발비 보전금액에 대한 반환의무는 없습니다.

품목

계약 상대방

대상 지역

계약 체결일

계약 종료 통보일

계약 종료일

계약금액

수취금액

진행 단계

Rivasterat

Thea Open Innovation

(떼아오픈이노베이션)

아시아제외 전세계

2021.10.27

2024.05.16

2024.07.12

US$163,500,000

US$6,000,000

미국 임상2a상 결과보고서 수령

■ 품목: Rivasterat(CU06)

계약상대방

Thea Open Innovation (떼아오픈이노베이션, 프랑스)

계약내용

떼아오픈이노베이션이 Rivasterat에 대한 독점권 권리를 갖고 임상시험, 허가, 상업화를 진행

대상지역

아시아를 제외한 전세계 지역

계약기간

계약체결일 : 2021.10.27

총계약금액

US$163,500,000, 로열티는 매출액의 8% 별도 수취

수취금액

반환 의무가 없는 계약금(Upfront) : US$6,000,000 (2021.11.10)

계약조건

계약금(Upfront): US$6,000,000 마일스톤(Milestone) : US$157,500,000

경상기술료(Royalty) : 매출액의 8%

회계처리방법

계약금은 2021년~2022년 동안 분할하여 수익 인식

대상기술

당뇨병성 황반부종 및 습성 황반변성 치료제

개발진행경과

2022.06 미국 임상1상 완료 (당뇨병성 황반부종/습성 황반변성)

2022.08 미국 임상2a상 IND 신청 (당뇨병성 황반부종)

2022.09 미국 임상2a상 IND 승인 (당뇨병성 황반부종)

2023.06 미국 임상2a상 대상자 등록 완료(당뇨병성 황반부종)

2024.02 미국 임상2a상 Topline 결과 발표 (당뇨병성 황반부종)2024.04 미국 임상2a상 결과보고서 수령 (당뇨병성 황반부종)

기타사항

□ 상기 마일스톤은 임상 성공시, 적응증 및 지역에 따른 허가시, 매출에 따른 목표 달성시 수령 하며, 계약금과 각 단계별로 수령하는 마일스톤과 로열티는 반환 의무가 없음.

□ 당사는 FDA 1상까지의 비용을 부담하며, 2상 진입시부터는 떼아오픈이노베이션에서 비용을 부담합니다. 기존 계약에 추가하여 비임상 비용도 떼아오픈이노베이션에서 부담함□ Rivasterat에 대한 기술이전 계약에 대해 2024년 5월 16일자로 계약해지 및 권리반환 통보 받음

나. 라이선스 인(License in) 계약

품목

계약상대방(국적)

대상지역

계약체결일

계약종료일

계약의 목적 및 내용

총계약금액

지급금액

진행단계

비고

Rivasterat

연세대학교

산학협력단(한국)

전세계

2019.04.12

2030.10.29

특허기술 양도

주1)

주1)

미국 임상2a상 결과보고서 수령

경상기술료 별도

CU01

경북대학교 산학협력단,

경북대학교병원(한국)

전세계

2017.02.01

2033.02.13

특허기술 양도

주1)

주1)

임상 2b상(한국) 진행중

경상기술료 별도

CU03

한국한의학연구원(한국)

전세계

2017.03.21

특허권 만료일 (2035.05.21)

또는 제품출시후 10년 중

더 늦은 기간

특허기술 실시계약 (전용실시권)

주1)

주1)

임상 2a상(한국) 완료

경상기술료 별도

CU05

연세대학교

산학협력단(한국)

전세계

2017.02.03

2035.06.29

특허기술 양도

주1)

주1)

후보물질 최적화

진행중

경상기술료 별도

합계

-

-

-

-

(주1) 계약 세부 내용의 경우 영업기밀에 해당하므로 기재하지 않았습니다. 자료: (주)큐라클

■ 품목 : Rivasterat

계약상대방

연세대학교 산학협력단

계약내용

특허 양수도 계약에 따라 큐라클이 신약후보물질 CU06-1004 물질특허권리를 양도 받고 임상시험, 허가, 생산, 상업화를 진행

대상지역

전세계

계약기간

계약체결일 (2019.04.12) ~ 2030.10.29

총 계약금액

양사 합의에 의해 계약 규모 미공개

지급금액

양사 합의에 의해 계약 규모 미공개

계약조건

매출 발생에 대한 로열티 수취

회계처리방법

기술료는 향후 발생 시 인식

대상기술

신규 혈관누출 차단제, 당뇨병성 황반부종 치료제

개발 진행경과

당뇨병성 황반부종 임상2a상 완료 (미국)

기타사항

-

자료: ㈜큐라클

■ 품목 : CU01

계약상대방

경북대학교 산학협력단, 경북대학교병원

계약내용

특허 양수도 계약에 따라 CU01 용도 특허권리를 양도 받고 임상시험, 허가, 생산, 상업화를 진행

대상지역

전세계

계약기간

계약체결일 (2017.02.01) ~ 2033.02.13

총 계약금액

양사 합의에 의해 계약 규모 미공개

지급금액

양사 합의에 의해 계약 규모 미공개

계약조건

매출 발생에 대한 로열티 수취

회계처리방법

기술료는 향후 발생 시 인식

대상기술

만성 신장 질환 포함 당뇨병성 신증 치료제

개발 진행경과

임상2b상 진행 중(한국)

기타사항

-

자료: ㈜큐라클

■ 품목 : CU03

계약상대방

한국한의학연구원

계약내용

특허 전용실시권 계약에 따라 독점권 물질 특허 권리를 양도 받고 임상시험, 허가, 생산, 상업화를 진행

대상지역

전세계

계약기간

계약체결일 (2017.03.21) ~ 특허권 만료일(2035.05.21) 또는 제품출시후 10년 중 더 늦은 기간

총 계약금액

양사 합의에 의해 계약 규모 미공개

지급금액

양사 합의에 의해 계약 규모 미공개

계약조건

매출 발생에 대한 로열티 수취

회계처리방법

기술료는 향후 발생 시 인식

대상기술

습성 황반변성 치료제 및 당뇨망막병증 치료제

개발 진행경과

임상2a상 완료(한국)

기타사항

-

자료: ㈜큐라클

■ 품목 : CU05

계약상대방

연세대학교 산학협력단

계약내용

특허 양수도 계약에 따라 용도 특허권리를 양도 받고 비임상 후보물질 도출연구 진행

대상지역

전세계

계약기간

계약체결일 (2017.02.03) ~ 2035.06.29

총 계약금액

양사 합의에 의해 계약 규모 미공개

지급금액

양사 합의에 의해 계약 규모 미공개

계약조건

매출 발생에 대한 로열티 수취

회계처리방법

기술료는 향후 발생 시 인식

대상기술

항암제(췌장암, 대장암, 삼중음성유방암 등)

개발 진행경과

후보물질 최적화 중

기타사항

-

자료: ㈜큐라클

다. 공동연구개발 계약

품목

계약 상대방(국적)

계약체결일

계약종료일

계약의 목적 및 내용

계약금액

지급방법

진행경과

비고

CU02

광주과학기술원(한국), 경북대학교(한국), 한국과학기술원(한국)

2017.08.25

2024.03.05

공동연구개발

(주1)

(주1)

기술이전 반환

(주2)

MT-101 주식회사 맵틱스(한국) 2024.07.01 공동연구개발이 종료되는 날 공동연구개발 (주1) (주1) 전임상 진행 중 -
MT-102 주식회사 맵틱스(한국) 2024.07.01 공동연구개발이 종료되는 날 공동연구개발 (주1) (주1) 전임상 진행 중 -
MT-103 주식회사 맵틱스(한국) 2024.07.01 공동연구개발이 종료되는 날 공동연구개발 (주1) (주1) 전임상 진행 중 -
MT-104 주식회사 맵틱스(한국) 2024.07.01 공동연구개발이 종료되는 날 공동연구개발 (주1) (주1) 후보물질 도출단계 -
MT-105 주식회사 맵틱스(한국) 2024.07.01 공동연구개발이 종료되는 날 공동연구개발 (주1) (주1) 선도물질 도출단계 -
MT-201 주식회사 맵틱스(한국) 2024.07.01 공동연구개발이 종료되는 날 공동연구개발 (주1) (주1) 후보물질 도출완료 -
MT-202 주식회사 맵틱스(한국) 2024.07.01 공동연구개발이 종료되는 날 공동연구개발 (주1) (주1) 후보물질 도출완료 -
MT-40X 주식회사 맵틱스(한국) 2024.07.01 공동연구개발이 종료되는 날 공동연구개발 (주1) (주1) 유효물질 도출단계 -

(주1) 계약 세부 내용의 경우 영업기밀에 해당하므로 기재하지 않았습니다.자료: ㈜큐라클(주2) 최근 신약 개발 및 경쟁 상황과 규제 기준을 고려하였을 때 글로벌 경쟁력을 갖추기가 쉽지 않다고 판단하여 2024년 03월 05일로 계약 종료되었습니다.

■ 품목 : CU02

계약상대방

광주과학기술원, 경북대학교, 한국과학기술연구원

계약내용

공동 연구개발 계약에 따라 CU02의 후보물질 도출연구 공동 진행

대상지역

전세계

계약기간

계약체결일 (2017.08.25)~ 2024.03.05

총 계약금액

양사 합의에 의해 계약 규모 미공개

지급금액

양사 합의에 의해 계약 규모 미공개

계약조건

매출 발생에 대한 로열티 수취

회계처리방법

기술료는 향후 발생 시 인식

대상기술

비알콜성 지방간염 치료제

개발 진행경과

기술이전 반환

기타사항

-

자료: ㈜큐라클 2. 연구개발 활동

가. 연구개발 활동의 개요

당사는 플랫폼 기술을 기반으로 모세혈관 기능장애에 기인하는 난치성 혈관질환 치료제를 연구 및 개발하는 바이오 벤처기업으로 고령화에 따른 난치성 혈관 및 대사성질환의 혁신적인 치료제 개발을 목표로 하고 있습니다. 나. 연구개발 담당 조직 (1) 연구개발 조직 구성

보고서 작성기준일 현재 당사는 박사급 10명, 석사급 7명 등 총 22명의 연구인력을 보유하고 있으며 각 조직별 주요 역할은 아래와 같습니다.

조직

역할

신약연구본부

- 전임상 후보물질 개발, 합성 공정 개발

- 공정 지표 물질 및 방사성 표지 물질 (Stable isotope) 합성

임상개발본부

- 임상시험 전략 수립 및 임상개발 수행

- 임상 인허가 관리

연구개발본부

- 임상 DS/DP개발 및 생산, GLP 시험 관리, 지식재산권 관리

- 대사체 분석 연구, 후보물질 분석 연구 및 MV 시험

바이오연구본부

- 기전 및 in vitro/ in vivo 효능 시험

(2) 연구개발 인력 구성

구분

박사

석사

학사

합계

신약연구본부

5

2

0

7

임상개발본부

0

2

2

4

연구개발본부

1

1

1

3

바이오연구본부

3

2

1

6

9

7

4

20

(3) 주요 연구개발 인력

직위

성명

담당업무

주요경력

주요 연구실적

이사회의장

권영근

종합기술원 총괄

- State University of New York at Buffalo 생화학 박사

- 한국혈관학회 회장(전)

- 한국과학기술한림원 정회원(현)

- (주)큐라클 이사회의장('20.04~현재)- (주)큐라클 종합기술원장('24.03~현재)

- 신규 혈관 누출 차단제 개발 (기술이전) AMIGO2와 3-포스포이노시티드-의존 키나아제1의결합억제용 데코이 펨타이드 개발 (기술이전)- 허혈성 심혈관질환을 대상으로 한 DKK2 단백질치료제 개발 (기술이전)- 국제학술지 SCI 논문 225편, 특허 출원/등록 25건

사외이사

최동훈

임상개발

및 중개 연구

자문

- 연세대학교 의학 박사

- 용인세브란스병원 병원장('19.03~‘22.07)

- 연세의료원 심장혈관병원 심장내과 교수(’22.08~현재)

- (주)큐라클 사외이사('21.01~현재)

- 대한 심장학회 학술이사/기초과학연구회 회장- 한국생체재료학회 분과전문이사- 한국심장학회 학술이사- 대한심혈관중재학회 혈관중재시술연구회 회장- 식품의약품안전청 중앙약사심의위원회 전문위원- 한국지질동맥화학회 기획위원장- 대한심장학회 연구이사- 보건복지부 신의료기술평가위원회 위원- 식품의약품안전평가원 의약품 심사자문단- 국제학술지 SCI 논문 478편, 특허 출원/등록 31건

기타비상무이사

추연성

해외사업개발 자문

- 미국 Univ Illinois at Chicago 약학 박사

- LG생명과학 부사장 및 고문('00~'17)

- ㈜TSD라이프사이언스 ㈜진메디신, ㈜스탠다임 고문('18~'22)

- (주)스탠다임 대표이사('23~현재)

- (주)큐라클 기타비상무이사('20.03~현재)

- LG생명과학 합성신약(신규 퀴놀론계항균제) 한국 최초 美 FDA 승인 획득

- LG생명과학 바이오의약품(인간성장호르몬) 한국 최초 유럽 EMEA / 美 FDA 승인 획득

- LG생명과학 신약/신제품 (신규 당뇨병치료제, 골관절염치료제, 진통소염제) 출시

- 美 훽스트메리엔루셀 신규 항구토제 美 FDA 승인 획득

기타비상무이사

김영명

연구개발자문

- 미국 Utah 주립대학교, 이학박사(생화학)- 피츠버드 의과대학 연구교수 및 조교수('92~'97)- 강원대학교 의과대학 교수('97.03~'21.08)

- 강원대 우수연구센터장 ('01~ '09)- 강원대학교 의과대학 명예교수/석좌교수('21.09~현재)

- 황반 및 당뇨성 망막질환 치료제 개발- 임신중독증 진단용 miRNA 발굴- 암혈관신생치료제 개발- 암혈관 정상화 치료전략 개발- 혈관기능 복원용 치료전략 개발- 국제학술지 SCI 논문 200편

상무이사/본부장

이원일

전임상

후보물질 및합성 공정개발

-서울대학교, 약학박사- C&C 신약연구소 책임연구원('01~'15)- 젬백스앤카엘 연구개발본부 이사('15~'16)- 제일약품 신약연구부 책임연구원('16~'17)- 대원제약 신약연구부 이사('17~'22) - 제2형 당뇨병, 고지혈증 치료제 및 항암제 개발- 소염진통제, 제2형 당뇨병 치료제의 신규염/공결정을 이용한 개량신약 개발- GnRH 길항제의 process development 및 임상시험을 위한 API 합성- 역류성식도염 치료제, 진통제, 항암제 개발- 펩타이드 백신 및 약물 개발- 유방암 치료제 개발- 통풍 치료제 개발- 아토피 피부염 치료제 개발- COPD치료제 개발(PDE4 inhibitor)- 당뇨병 치료제 개발(SGLT2 inhibitor)

이사/본부장

김판경

임상 개발,임상 인/허가

- 경북대학교, 의학 석사

- LG 생명과학 Clinical study leader ('10.08~'14.05)- 한미약품 임상팀장('14.05~'17.04)- 현대약품 임상팀장('17.04~'19.03)- 유영제약 임상팀장('20.06~'22.05)

- 국내신약 제미글로 임상개발 및 품목허가

- 글로벌신약 롤론티스 임상개발

- 다수의 신약, 개량신약 임상개발 및 품목허가

- 글로벌 라이센싱 아웃 2건

이사/본부장 표정인 DS/DP 생산 및 품질관리, 조제물 및 생체시료 분석 연구 - 연세대학교, 이학박사(의약화학)- 한국과학기술연구원(KIST) 연구원('03-06~'14.12)- 삼육대학교 특임교수/비전임('11.09~'14.07)- iNtRON Biotechnology 신약연구 팀장('15.01~'17.07)

- CMC 총괄: 국내 2a상(2건), 2b상(1건), 미국 1상(1건), 2a상(1건)

- 파키슨병 치료제 개발: Pyrazolopyrimidine

- Calcium channel blocker 개발: Oxo & thioxoquinaxoline carboxamides

- 천연물 유래의 생리활성물질 개발: Xanthorrhizol, Vitamin D3 전합성

- 약물전달 기술개발: nanoparticle(polymeric, liposome), BNCT modulator(Nucleoside, Inositol, Folic acid complex)

- Generic drug 개발: 항히스타민제, 과민성 방광증상 치료제, 당뇨병 치료제(DPP-4)

- 발효균주를 이용한 빈혈 치료제 개발: eHeme- 산업용 발효균주를 이용한 항생제 개발: S. Kanamyceticus 등

- 산업용 소재개발(효소촉매 고정화 및 반응): 생체 고분자, Carbohydrate

- 특허출원 국내외 77건

다. 연구개발 비용

당사는 연구 및 임상개발 등에 소요되는 모든 비용을 당기 비용으로 회계처리하고 있습니다.

[연구개발비 현황]

(단위 : 백만원)

구분

2025년(제10기 2분기)

2024년(제9기)

2023년(제8기)

연구개발비용 총계

7,168 9,641 16,048

회계처리내역

회계처리금액

7,168 9,641 16,048

정부보조금

- - -

연구개발비용 합계

7,168 9,641 16,048

연구개발비/매출액 비율

- 590.5% 155.9%

라. 연구개발 실적

(1) 연구개발 진행현황 및 향후계획

[연구개발 진행 총괄표]

구분 품목 적응증 현재 진행단계 (국가) 비고
화학합성 Rivasterat 당뇨병성 황반부종 임상2a상 결과보고서 수령 (미국)(*) -
화학합성 Rivasterat 습성 황반변성 임상1상 완료 (미국) -
화학합성 CU104 궤양성 대장염 글로벌 임상2상 미국, 유럽 IND 승인 Rivasterat 적응증 확장 프로젝트
화학합성 CU106 면역항암제 병용요법 임상1상 완료 (미국) Rivasterat 적응증 확장 프로젝트
화학합성 CU01 당뇨병성 신증 임상2b상 진행중 (한국) 2022.07 (임상2b상 IND 승인)
생물학적 제제 MT-101

급성 신손상·만성

신부전

전임상 진행 중 맵틱스 공동 연구개발
생물학적 제제 MT-103 습성 황반변성·당뇨병성 황반부종·당뇨 망막병증 전임상 진행 중 맵틱스 공동 연구개발
천연물 CU03 습성 황반변성 임상2a상 완료 (한국) -
화학합성 CU71 퇴행성 뇌질환 전임상 진행 중 BBB Stabilizer
화학합성 CP01-R01 반려동물 만성 신장질환 임상3상 진행 중(한국) Rivasterat반려동물 의약품
생물학적 제제 MT-102 중증하지허혈 전임상 진행 중 맵틱스 공동 연구개발
생물학적 제제 MT-104 고형암 후보물질 도출단계 맵틱스 공동 연구개발
생물학적 제제 MT-105 염증성 장질환 선도물질 도출단계 맵틱스 공동 연구개발
생물학적 제제 MT-201 항혈전 후보물질 도출완료 맵틱스 공동 연구개발
생물학적 제제 MT-202 허혈 재관류 심근경색, 뇌졸중, 폐혈전증 후보물질 도출완료 맵틱스 공동 연구개발
생물학적 제제 MT-40X 고형암 유효물질 도출단계 맵틱스 공동 연구개발

■ 품목 : Rivasterat

구분

화학합성 신약(경구용)

적응증

당뇨병성 황반부종·습성 황반변성

작용기전

- 혈관내피기능장애로 인해 손상되거나 비정상적인 혈관을 정상화해 시신경세포 보호 효과를 나타내고 이를 통해 시력을 개선

- 혈관내피세포의 actin 구조 변형을 통해 내피세포 연접을 안정화

- 혈관내피세포 NF-kB 염증신호체계 차단

- 혈관내피세포의 생존율 향진 및 보호 효과

제품의 특성

- 당뇨병성 황반부종 임상2a상에서 상대적으로 시력이 낮은 환자군(최대교정시력 69글자 이하)의 최대교정시력(BCVA)이 용량의존적, 투여기간에 비례해 증가되는 것을 관찰하였으며, 상대적으로 고령 환자가 많이 등록된 임상2a상에서 약물과 관련된 심각한 이상반응이 발생하지 않아 우수한 내약성을 입증하였음

- 12주 투여 후 황반중심두께(CST) 값의 변화가 없어 부종을 악화시키기 않고 유지하는 것을 확인했으며, 사후 분석(Post-hoc analysis)에서 두께 변화, 망막하액, 삼출물 정도 등을 정성적으로 확인한 결과 용량의존적으로 해부학적 개선이 있었음을 관찰함

- 안구내 주사 형태의 기존 치료제와 달리 경구용 치료제로서 환자의 투약 편의성 및 복약 순응도를 증가시킬 수 있음

진행경과

- 2021.01 미국 FDA 임상1상 IND 신청

- 2021.02 미국 FDA 임상1상 IND 승인

- 2021.03 임상시험 개시 후, 7월에 첫 투여 실시함

- 2022.03 마지막시험대상자의 마지막 방문 완료

- 2022.08 미국 FDA 임상2a상 IND 신청

- 2022.09 미국 FDA 임상2a상 IND 승인

- 2023.06 미국 임상2a상 대상자 등록 완료

- 2023.11 미국 임상2a상 마지막 대상자의 최종방문 완료- 2024.02 미국 당뇨병성 황반부종 임상2a상 Topline 결과 발표- 2024.04 미국 당뇨병성 황반부종 임상2a상 결과보고서 수령- 2024.05 신규 제형 개발 완료(생체흡수율 증가 및 캡슐 사이즈 축소)

- 2024.05 미국 시과학안과학회(ARVO)에서 임상1상 결과 포스터 발표

- 2024.07 미국 망막학회(ASRS)에서 임상2a상 결과 구연 발표

- 2024.09 유럽 망막학회(EURETINA)에서 임상2a상 결과 포스터 발표

- 2024.11 신규제형 2차 개발 완료

- 2024.12 제4회 아시아망막학회(Asia Retina Congress, ARC) 및 한국망막학회 총회 학술대회(ARC)에서 임상2a상 구연 발표

- 2025.01 당뇨 마우스 모델 실험에서 시신경 보호 메커니즘 규명

- 2025.02 미국 식품의약국(FDA) Type C 미팅 진행

향후계획

- 임상2a상, Type C 미팅 결과를 바탕으로 후기 임상 진입 예정- 2025.05 국제 공식 물질명 Rivasterat WHO 등재

- 글로벌 기술이전 추진

경쟁제품

- 안구내 주사제(Anti-VEGF) : 아일리아, 바비스모, 루센티스 등

- 망막 혈관질환인 당뇨병성 황반부종과 습성 황반변성은 시력저하 및 실명에 도달할 수 있는 매우 심각한 질환이지만, Anti-VEGF 주사제를 활용한 치료법 외에 다른 치료대안이 없어 Rivasterat과 같은 비침습적인 투여 경로에 대한 미충족 의료수요가 높음

관련논문 등

Sac-1004, a novel vascular leakage blocker, enhances endothelial barrier through

the cAMP/Rac/cortactin pathway. Biochem Biophys Res Commun. 435(3):

420-427 (2013)를 통한 기전규명 등 다수 적응증 확장 논문/학회 발표 진행

글로벌 시장규모

2021년 128억 달러에서 2031년 339억 달러(CAGR 10.3%)로 성장 전망(출처 : 글로벌데이터 기준 : 선진국 7개국)

기타사항 -

품목 : CU71

구분 화학합성 신약(경구용)
적응증 퇴행성 뇌질환
작용기전

- 노화, 독성물질, 만성염증 등으로 기능이 저하된 BBB를 안정화함으로써 인지기능 개선 및 신경 보호 효과

제품의 특징

- 퇴행성 뇌질환에서 높은 비율을 차지하는 알츠하이머 시장은 고령화 등으로 폭발적으로 성장하고 있지만 최근 아밀로이드 베타 항체 등이 출시되었음에도 제한적인 효능 및 부작용으로 인해 새로운 기전 및 경구용 약물에 대한 미충족 수요가 높음

- CU71은 알츠하이머의 발병 요인이자 악화 요인으로 최근 대두되는 BBB Dysfunction과 Neuro Inflammation을 개선하는 차세대 경구용 약물로 시장에서 새로운 치료 패러다임을 가져올 것으로 기대함

- 알츠하이머 동물모델에서 가장 널리 사용되고 있는 치료제(Donepezil) 대비 인지기능을 통계적으로 유의미하게 개선하는 효능 확인

- 아밀로이드 베타, 신경교 세포 등 알츠하이머와 관련된 주요 바이오마커에서도 우수한 결과 확인

진행경과 - 2024년 07월 물질특허 출원- 2025년 01월 용도특허 출원
글로벌 시장규모 - 알츠하이머 시장 2033년 약 245억 달러(한화 35조 원)
향후계획

- 추가 전임상 진행 후 2027년 상반기 내 임상1상 IND 신청

- 전임상 단계 중 기술이전 추진

■ 품목 : CU01

구분

화학합성 신약(경구용)

적응증

당뇨병성 신증

작용기전

- Nrf2 활성(Nuclear factor erythroid-2-related factor 2, 항산화 유전자의 유도발 현에 영향을 주는 대표적인 전사인자)과 TGF-β(전환성장인자 베타, Transforming growth factor-beta)/Smad3(전환성장인자의 수용체에 작용하는 단백질) 억제 기 전의 First-in-Class 약제로 항산화 및 섬유화 억제 작용을 갖고 있어 신섬유증 및 신섬유증을 수반하는 만성신장질환 환자의 예방 및 치료

제품의 특성

[당뇨병성 신증의 근본적인 치료]

- 당뇨병성 신증은 혈역학적 요인과 당뇨 및 고혈압 등과 관련된 대사성 요인에 의하여 발생하며, 여기에는 각종 세포내 신호전달 경로와 TGF-β 등의 여러 사이토카인이 작용함.

- CU01은 디메틸푸마레이트(DMF)의 Nrf2 활성 및 TGF-β/Smad3 억제를 통한 신 장 섬유화를 치료할 수 있는 새로운 작용 기전의 First-in-Class 혁신 신약임.

- 미국 Biogen 사의 블록버스터 의약품(다발성 경화증 치료제 Tecfidera, 2019 Peak Sales;제네릭 출시 이전 4,433 Million US$ / 2021 Sales 486.5 Million US$)의 주성분 디메틸푸마레이트를 Drug Repositioning 방법을 이용하여 당뇨병성

신증 치료제로 개발하였음.

진행경과

- 2019.05 식품의약품안전처 임상2a상 IND 승인

- 2019.09 첫 환자 투여

- 2020.08 안전성자료모니터링위원회(DSMB)에서 안전성 중간분석 회의 결과, CU01의 안전성 이슈가 없으므로 임상시험 지속 권고 받음.

- 2021.03 국내에서 진행한 임상 2a 상 임상시험결과보고서(CSR) 발행됨

- 알부민뇨가 나타나는 제2형 당뇨병성 신증 (Diabetic Nephropathy) 환자 39명을 대상으로 CU01-1001 또는 위약을 12주간 투여한 결과 CU01-1001 투여군에서 ACR 개선에 효과 확인.

- 신기능 개선에 주요 지표가 되는 사구체 여과율 (estimated Glomerular Filtration Rate)의 통계적으로 유의한 증가를 관찰함 [임상 2a시험 → 유효성/안전성 확인]

- 2022.07 식품의약품안전처 임상 2b상 IND 승인

- 2023.02 임상 2b상 대상자 등록 진행- 2025.04 임상2b상 환자 모집 완료

향후계획

- 후기 임상 진입 전략 수립 및 기술이전 추진

경쟁제품

- 현재 당뇨병성 신증 치료제는 고혈압 및 당뇨병 치료제가 주로 사용되고 있으며, 섬유화 진행을 억제하는 경쟁 약물은 없음.

- Non-steroidal MRA(Mineralocorticoid Receptor Antagonist) : Kerendia(Finerenone) 등

- RAS(Renin-angiotensin-aldosterone system) Inhibitor : Cozaar(Losartan Potassium), Micardis(Telmisartan) 등

- SGLT-2 Inhibitor : Jardiance(Empagliflozin) 등

관련논문 등

Dimethylfumarate Attenuates Renal Fibrosis via NF-E2-Related Factor 2- Mediated Inhibition of Transforming Growth Factor-β/Smad3 Signaling, PLoS One 2012,

7(10):e45870를 통한 기전규명 등 다수 논문/학회 발표 진행

글로벌 시장규모

만성신부전 글로벌시장 2024년 약 5조원 규모 전망

(출처: Evaluate Pharma Database)

기타사항

현재 임상2b상이 진행 중이며, 2025년 임상이 종료될 것으로 예상됨

■ 품목 : MT-101

구분 생물학적 제제(주사제)
적응증 급성 신손상 · 만성 신부전
작용기전 - Tie2 신호전달 경로 활성화시켜 혈관을 구조적/기능적으로 정상화 및 안정화
제품의 특징 - Tie2 활성화 항체 중 맵틱스 항체의 Tie2 활성도 및 효과가 가장 우수(맵틱스 내부 비교실험 결과)- 충남대학교병원 신장내과에서 진행한 급성 신손상, 만성신부전 동물모델 효능평가에서 유의적인 효능 검증
진행경과

- 2023.04 2023년도 제1차 국가신약개발사업 과제 선정- 2025.03 국내 및 PCT 특허 출원

- 현재 전임상 진행 중

향후계획 - 맵틱스와 공동 연구개발을 통해 임상 진입 전략 수립 및 기술이전 추진
글로벌 시장규모 만성 신부전 2033년 시장 규모 135억 달러(CAGR 19.6%)로 성장 전망(출처 : 글로벌데이터)

■ 품목 : MT-103

구분 생물학적 제제(주사제)
적응증 당뇨병성 황반부종·당뇨 망막병증·습성 황반변성
작용기전 - Tie2(Tunica Interna Endothelial cell kinase 2) 신호전달 경로 활성화 & VEGF 억제 & Ang-2(Angiopoietin-2) 억제하는 삼중 기능을 가진 이중 항체
제품의 특징

- 기존 안구내 주사제(Anti-VEGF)제에 불응하는 환자에게 새로운 기전의 치료제 필요성 대두

- 이중 항체치료제인 Faricimab은 Tie2 활성화를 저해하는 Ang-2(Angiopoietin-2)를 억제하지만, Tie2 자체를 활성화시키는 효능은 한계가 있음. Tie2를 활성화하려면 Ang-1(Angiopoietin-1)이 필요한데, Ang-1이 적거나 낮게 발현되는 환자의 경우 Faricimab의 약효를 볼 수 없는 가능성이 있음

- MT-103은 Tie2 활성화 항체를 포함하고 있어 직접 Tie2를 활성화시키기 때문에, Ang-1이 결핍되거나 Faricimab 등에 불응하는 환자들에게 좋은 효과를 보일 것으로 기대

- 서울아산병원 연구팀에서 수행한 습성 황반변성 모사 동물모델 기반 효능평가 시험에서 기존 치료제인 Aflibercept 대비 우수한 효능 확인- 황반변성 동물모델(CNV)에서 기존 치료제인 바비스모 대체항체(Surrogate) 대비 맥락막의 혈관신생 및 혈관 누수 억제 측면에서 우수한 효과 확인. 바비스모 대체항체 또는 Ang2 특이적 단일항체(Nesvacumab) 투여군에서는 Tie2 활성화가 관찰되지 않은 반면, MT-103 투여군에선 망막 및 맥락막 혈관에서 뚜렷하게 Tie2 활성화 관찰

진행경과

- 2024.04 2024년도 제1차 국가신약개발사업 과제 선정- 2025.03 국내 및 PCT 특허 출원

- 현재 전임상 진행 중

향후계획 - 맵틱스와 공동 연구개발을 통해 임상 진입 전략 수립 및 기술이전 추진
경쟁제품

- 안구내 주사제(Anti-VEGF) : 아일리아, 바비스모, 루센티스 등

- Anti-VEGF의 불응 비율이 40%에 달하고, 장기적으로 사용할 경우 효과가 감소하기 때문에 새로운 기전을 가진 혁신적인 신약의 필요성 대두

글로벌 시장규모 2021년 128억 달러에서 2031년 339억 달러(CAGR 10.3%)로 성장 전망(출처 : 글로벌데이터 기준 : 선진국 7개국)

■ 품목 : CU03

구분

천연물 신약(경구용)

적응증

습성 황반변성

작용기전

항산화, 항염증, 항신생혈관 및 항투과성

제품의 특성

- 경구용 천연물 신약으로 안전하고 효과적인 천연 약재인 계지와 목단피가 주성분

- 경구투여로 기존 안구내 주사제가 갖는 부작용을 줄이고, 황반변성 치료에 큰 효과를 나타낼 수 있는 것이 동물실험에서 확인됨.

- 기존 anti-VEGF 주사제와 병용 사용하여 치료 효율을 높일 수 있는 장점이 있음- 약리 활성 연구를 통해 항염증/항신생혈관/항과투과성/항산화효과 등이 검증함

진행경과

[임상2a시험 진행]

- 2019.12 식품의약품안전처 IND 승인

- 2020.09 내약성 평가완료

- 마지막 대상자의 마지막 방문 완료

- 2022.01 국내에서 진행한 임상 2a상 임상시험결과보고서(CSR) 발행됨

- 비임상시험(26주 반복투여 독성시험) 완료

향후계획

- 후기 임상 진입 전략수립 및 기술이전 추진

경쟁제품

- 현재 시장에 출시되어 있는 경구용 황반변성 치료제 없음.

- 레이저 치료 (국/격자/범안저광응고술) 또는 스테로이드 안구내 주사 및 Anti-VEGF 주사제가 치료에 사용되고 있음

- 대표적인 제품은 anti-VEGF 주사제인 Lucentis(ranibizumab), Avastin(bevacizumab), Eylea (aflibercept) 등이 90%의 시장 점유율을 차지하고 있으며, 연평균 6%의 증가가 예상됨

관련논문 등

Extract of Moutan radicis cortex and Cinnamomi ramulus ameliorates laser- induced choroidal neovascularization in Brown-Norway rats, Phytomedicine, 심 사中를 통해 CNV 동물모델 효능을 논문/학회 발표함

글로벌 시장규모

2017년 63억 달러에서 2025년 88억 달러(CAGR: 3.8%)로 성장예측

기타사항

-

(2) 계획 중인 후속 프로젝트

당사는 보고서 작성기준일 현재 임상연구 중인 프로젝트와 함께 계획중인 후속 프로젝트는 아래와 같습니다. 다만 당사의 사업 전략에 따라 연구 개발 계획의 변동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계획 중인 후속 프로젝트 총괄표]

구분 품목 적응증 현재 진행단계 비고
화학합성 신약 CP01-R01 반려동물 신부전 임상3상 진행중 공동연구
생물학적 제제 신약 MT-201 항혈전 후보물질 도출완료 공동연구
생물학적 제제 신약 MT-202 허혈 재관류 심근경색, 뇌졸중, 폐혈전증 후보물질 도출완료 공동연구
생물학적 제제 신약 MT-40X 고형암 후보물질 도출 공동연구

(3) 보유 기술에 대한 연구실적(논문 및 학회 발표)

- Rivasterat 핵심기술에 대한 논문 17편 및 학회 발표 25건(주저자: 연세대 권영근 교수)

- CU01 핵심기술에 대한 논문 4편 및 학회 발표 2건(주저자: 경북대 의대 이인규 교수)

- CU03 핵심기술에 대한 논문 1편 및 학회 발표 1건 (주저자: 한국한의학연구원 김진숙 박사)

- CU05 핵심기술에 대한 논문 2편 및 학회 발표 5건 (주저자: 연세대 권영근 교수) [논문 발표 목록]

구분 논문제목 게재정보 비고
Rivasterat CU06-1004 alleviates oxidative stress and inflammation on folic acid-induced acute kidney injury in mice J Pharmacol Sci(2024) 급성신장손상모델에서 효과규명
CU06-1004 as a promising strategy to improve anti-cancer drug efficacy by preventing vascular leaky syndrome Front Pharmacol(2023) 면역활성화제 IL-2에 혈관누출증후군 부작용을 억제하는 효과규명
Efficacy of CU06-1004 via regulation of inflammation and endothelial permeability in LPS-induced acute lung injury J Inflamm (2023) 급성 폐손상 모델에서 효과규명
CU06-1004 alleviates vascular hyperpermeability in a murine model of hereditary angioedema by protecting the endothelium Allergy (2023) 유전성 혈관부종 모델에서 효과규명
Long-term administration of CU06-1004 ameliorates cerebrovascular aging and BBB injury in aging mouse model Fluids Barriers CNS. 1;20(1):9 (2023) 노화 모델에서 효과규명
Oral administration of CU06-1004 attenuates vascular permeability and stabilizes neovascularization in retinal vascular diseases Eur J Pharmacol. 15; 939:175427 (2023) 망막혈관질환 모델에서 효과규명
CU06-1004 modulates the adenosine monophosphate (AMP)-associated protein kinase (AMPK) signaling pathway and inhibits lipogenesis in 3T3-L1 adipocytes and high-fat diet-induced obese mice Life Sci. 1; 296:120440 (2022) 비만모델에서 효과 규명
CU06-1004 enhances vascular integrity and improves cardiac remodeling by suppressing edema and inflammation in myocardial ischemia-reperfusion injury Exp Mol Med. 54(1):23-34 (2022) 심근경색 모델에서 효과 규명
CU06-1004-inducedvascular normalization improves immunotherapy by modulating tumor microenviroment via cytotoxic T cell. Front. Immunol. 11; 620166 (2021) 종양 미세환경 개선 효과 규명
The endothelial dysfunction blocker CU06-1004 ameliorates choline-deficient L-amino acid diet-induced non-alcoholic steatohepatitis in mice PLoS One. 15(12):e0243497(2020) 비알코올성 지방간 모델에서 효과 규명
CU06-1004 Alleviates Experimental Colitis by Modulating Colonic Vessel Dysfunction Front Pharmacol. 15;11:571266(2020) 대장염 모델에서 효과 규명
CU06-1004 (endothelial dysfunction blocker) ameliorates astrocyte end-feet swelling by stabilizing endothelial cell junctions in cerebral ischemia/reperfusion injury J Mol Med (Berl). 뇌졸중 모델에서 효과 및 기전 규명
Sac-1004, a vascular leakage blocker, reduces cerebral ischemia-reperfusion injury by suppressing blood-brain barrier disruption and inflammation J Neuroinflammation. 뇌졸중 모델에서 효과 규명
Sac-1004, a Pseudo-Sugar Derivative of Cholesterol, Restores Erectile Function through Reconstruction of Nonleaky and Functional Cavernous Angiogenesis in the Streptozotocin Induced Diabetic Mouse J Urol. 195(6): 1936-46 (2016) 당뇨 마우스에서 발기기능 효과 규명
Direct endothelial junction restoration results in significant tumor vascular normalization and metastasis inhibition in mice Oncotarget. 5(9): 2761-77 (2014) 종양 혈관 정상화 효과 규명
Combined effect of vascular-leakage-blocker Sac-1004 and antiangiogenic drug sunitinib on tumor angiogenesis Biochem Biophys Res Commun. 450(4): 1320-6 (2014) 항암제와의 병용투여 효과 규명
Sac-1004, a novel vascular leakage blocker, enhances endothelial barrier through the cAMP/Rac/cortactin pathway. Biochem Biophys Res Commun. 435(3): 420-427 (2013) 기전 규명
CU01 Dimethylfumarate Attenuates Renal Fibrosis via NF-E2-Related Factor 2-Mediated Inhibition of Transforming Growth Factor-β/Smad3 Signaling PLoS One 2012, Renal fibrosis 감소효능
Dimethylfumarate suppresses adipogenic differentiation in 3T3-L1 preadipocytes through inhibition of STAT3 activity PLoS One 2013, 18;8(4):e61411 Adipocytes 분화 억제 효능
Activation of Nrf2 by dimethyl fumarate improves vascular calcification Vascul Pharmacol. Vascular calcification 억제 효능
Dimethylfumarate attenuates restenosis after acute vascular injury by cell-specific and Nrf2-dependent mechanisms Redox Biol 2014 Vascular restenosis 감소효능
CU03 Extract of Moutan radicis cortex and Cinnamomi ramulus ameliorates laser-induced choroidal neovascularization in Brown-Norway rats Phytomedicine,심사中 CNV 동물모델 효능
CU05 A novel small molecule, CU05-1189, targeting the pleckstrin homology domain of PDK1 suppresses VEGF-mediated angiogenesis and tumor growth by blocking the Akt signaling pathway Front Pharmacol(2023) 항암모델에서 효과 규명
AMIGO2, a novel membrane anchor of PDK1, controls cell survival and angiogenesis via Akt activation J Cell Biol. 211(3): 619-37 (2015) 기전 규명

마. 연구개발 완료 실적

당사는 보고서 작성기준일 현재 연구개발 완료 실적이 없습니다.

바. 연구활동 및 판매 중단 현황

당사는 보고서 작성기준일 현재 연구활동 및 판매 중단 현황이 없습니다.

사. 기타 연구개발 실적

[당사 국책과제 현황]

(단위: 백만원)

기술구분

사업명

(시행부처)

과제명

사업기간

총 지원금

(당사 부담금)

참여

형태

현황

-

-

-

-

-

-

-

7. 기타 참고사항

1. 지적재산권 보유 현황

당사는 파이프라인의 시장 진입장벽을 확보하기 위하여 특허권 보유전략 및 관리체계를 확립하였고, 핵심특허의 지역적 실효성 평가를 통해 플랫폼 및 파이프라인에 대한 다양한 특허 출원 및 등록으로 광범위한 지적재산권을 확보하고 있습니다. 현재 당사의 지적재산권 현황은 다음과 같습니다.

특허 (전용실시권)

등록

38 (4)

상표권

등록

13

출원

35 (4)

출원

-

Rivasterat

CU01

CU03

(전용실시권)

CU05

CU71

등록

출원

등록

출원

등록

출원

등록

출원

등록 출원
26 15 10 16 (4) 2(4) 2 0 0 2

번호 구분 내용 출원인 권리자 출원 등록 적용 출원국 비고
1 특허권 신규 혈관누출 차단제 연세대 산학협력단 외 1곳 (주)큐라클 2012.04.26 2014.11.18 Rivasterat    미국 특허 양수도
2 2010.10.29 2015.02.27 일본
3 2010.10.29 2016.05.04 유럽
4 2010.10.29 2015.02.18 중국
5 2010.10.29 - PCT
6 특허권 신규 혈관누출 차단제 연세대 산학협력단 ㈜큐라클 2011.12.29 2014.01.10 한국 특허 양수도
7 2012.12.28 2016.05.31 미국
8 2012.12.28 - PCT
9 특허권 면역항암 보조제 연세대 산학협력단,㈜큐라클 연세대 산학협력단,㈜큐라클 2020.04.23 2022.09.20 한국 공동 출원
10 2020.04.23 - PCT
11 2021.09.15 - 미국
12 2021.09.07 - 유럽
13 2021.10.28 2023.06.14 일본
14 2021.09.27 2024.12.10 중국
15 특허권 지방간 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를 위한 약학적 조성물 연세대 산학협력단,㈜큐라클 연세대 산학협력단,㈜큐라클 2020.07.03 2024.08.05 한국 공동 출원
16 2021.06.24 - PCT
17 특허권 신규 혈관누출 차단제의 고수율 제조방법 ㈜큐라클 ㈜큐라클 2019.12.13 2020.06.12 한국 단독 출원
18 2020.07.28 - PCT
19 2020.11.24 2022.09.27 미국
20 2020.11.25 - 인도
21 2020.12.01 2023.06.07 유럽
22 2020.12.01 2022.08.02 일본
23 2020.12.10 2022.08.05 중국
24 특허권 혈관 누출 차단제 화합물의 신규 결정형 ㈜큐라클 ㈜큐라클 2020.05.04 2021.02.26 한국 단독 출원
25 2020.10.05 - PCT
26 2021.04.22 - 아르헨티나
27 2021.07.07 2024.10.01 미국
28 2021.07.07 2024.12.18 유럽
29 2021.07.05 - 인도
30 2021.07.23 2025.01.14 중국
31 2021.07.20 2023.02.03 일본
32 2021.10.11 - 브라질
33 2021.10.06 2023.01.03 캐나다
34 2021.10.29 2023.12.07 러시아
35 2021.10.05 2022.12.08 호주
36 2021.11.12 2024.10.24 멕시코
37 2021.11.15 2024.04.16 사우디아라비아
38 2022.04.24 - 이스라엘
39 특허권

CU06-1004 화합물을 활성 성분으로 함유하는 오일 액상 제제

㈜큐라클 - 2024.02.02 - 한국 단독출원
40 특허권 인터루킨-2 면역항암제를 위한 병용제제 ㈜큐라클 - 2023.08.18 2024.11.26 한국 단독출원
41 - 2023.08.22 - PCT
42 특허권 디메틸푸마레이트를 유효성분으로 포함 하는 신섬유증의 예방 또는 치료용 경북대 산학 협력단 외 1곳 ㈜큐라클 2013.02.13 2014.03.24 CU01 한국 특허 양수도
43 2013.02.20 - PCT
44 2013.02.20 2017.08.08 미국
45 특허권 디메틸푸마르산염을 함유한 장용성정제 조성물 ㈜큐라클 ㈜큐라클 2020.05.21 2020.12.24 CU01 한국 단독 출원
46 2020.05.21 - PCT
47 2021.09.20 - 미국
48 2024.02.14 -
49 2021.09.27 - 유럽
50 2021.09.28 2023.02.09 일본
51 2021.09.27 - 중국
52 2021.09.22 2025.01.17 인도
53 2021.10.01 2022.08.09 캐나다
54 2021.09.16 2022.10.04 브라질
55 2021.10.11 2022.10.07 멕시코
56 2021.11.29 - 사우디아라비아
57 2021.10.20 - 필리핀
58 2021.09.23 - 태국
59 2021.09.10 - 베트남
60 2021.12.07 2022.10.20 호주
61 2021.12.23 - 인도네시아
62 2021.12.29 2023.01.28 러시아
63 특허권 모노메틸푸마레이트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장기 섬유증의 예방 또 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큐라클 ㈜큐라클 2020.11.27 - 한국 단독 출원
64 2021.08.25 - PCT
65 특허권 특정 약동학적 매개변수를 나타내는 디메틸푸마 레이트 를 유효성분으로 함유한 약학적 조성물 ㈜큐라클 - 2021.03.24 - 한국 단독 출원
66 2021.03.24 - PCT
67 2022.08.10 - 미국
68 특허권 천연 혼합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 하는 당뇨합병증 및 혈관부종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한국한의학 연구원 한국한의학 연구원 2015.05.21 2016.10.27 CU03 한국 전용 실시권
69 2015.05.21 - PCT
70 2015.05.21 2021.12.07 미국
71 2015.05.21 2021.01.13 유럽
72 2015.05.21 - 중국
73 2021.05.19 - 중국
74 2023.04.10 - 중국
75 2016.08.26 2021.03.24 한국
76 계지 및 목단피 혼합추 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한 정제 및 이의 특정 투여요량에 의한 치료를 위한 조성물 ㈜큐라클 - 2022.12.29 - 한국 단독 출원
77 2022.12.30 - PCT
78 특허권 AMIGO2와 3-포스포이 노시티드- 의존 키나아 제1의 결합 억제용 데코 이펩타이드 ㈜큐라클 ㈜큐라클 2015.06.29 2017.09.21 CU05 한국 특허 양수도
79 2016.06.28 2018.11.13 미국
80 특허권 혈관내피 기능장애 치료제 ㈜큐라클 - 2025.07.03 - CU71 한국 단독출원
81 특허권 알츠하이머병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큐라클 - 2025.06.12 -

CU71

한국

단독출원

82 상표 특허 Solvadys ㈜큐라클 ㈜큐라클 2019.11.04 2021.02.08 Rivasterat 한국 단독 출원
83 솔바디스 2019.11.04 2021.02.01 한국
84 Healvasc 2019.11.04 2021.02.08 한국
85 힐바스크 2019.11.04 2021.02.08 한국
86 Vesaegis 2019.11.04 2021.02.01 한국
87 베세지스 2019.11.04 2021.02.08 한국
88 Dnitier 2022.01.27 2023.07.10 CU01 한국
89 디니티어 2022.01.27 2023.07.10 한국
90 Qunef 2022.01.27 2023.07.10 한국
91 큐네프 2022.01.27 2023.07.10 한국
92 CURACLE 2019.09.11 2020.10.21 기타 한국
93 THE CURACLE 2019.09.11 2020.10.21 한국
94 큐라클 2019.09.11 2020.10.21 한국

2. 영업에 영향을 미치는 법률 또는 제규정 의약품의 제품 개발에서 의약품이 판매되기 위해서는 신약후보물질의 발굴에서부터 동물을 대상으로 하는 비임상시험, 인체를 대상으로 하는 임상 1상부터 3상 시험, 신약 판매 허가라는 각 단계를 모두 거쳐야 합니다. 모든 단계에서 한국을 포함한 각 국가는 엄격히 허가 및 규제기관을 통해 통제되고 있으며, 본 사업과 밀접하게 연관된 국내외 규제는 『약사법』, 의약품 등의 안전에 관한 규칙』, 생명윤리 및 안전에 관한 법률』, 국민건강보험법』, 『독점규제 및 공정거래에 관한 법률』,『The Food, Drug and Cosmetic Act, the Code of Federal Regulations』 등의 법령과 미국(FDA), 유럽 (EMEA) 및 일본 (PMDA) 등의 선진국의 규제가 매우 엄격합니다. 이에 당사는 연구개발 초기단계부터 관련국에 규격에 맞게 모든 자료를 준비하고 있고 해외 컨설턴트와 지속적으로 협업하여 진행하고 있습니다. 3. 산업의 특성 가. 산업의 특성 제약산업(Pharmaceutical Industry)은 「약사법」제2조제4호와 「제약산업 육성 및 지원에 관한 특별법」제2조에는 의약품을 연구개발ㆍ제조ㆍ가공ㆍ보관 및 유통하는 것과 관련된 산업으로 정의되어 있습니다. 전 세계적으로 고령화로 인한 뇌/심혈관 질환, 난치성 및 만성 질환 환자 규모는 증가하여 제약산업은 꾸준히 성장하고 있습니다. 제약산업은 인간의 생명과 보건에 관련된 제품을 개발하고 생산하는 첨단산업으로서 우수한 의약품 개발과 접근성 제고를 통해 질병으로 인한 사회적 비용 감소 등 국민 건강증진 및 건강권 확보와 직결된 산업입니다. 나. 의약품의 분류 의약품은 제조방식에 따라 화학합성으로 제조되는 합성의약품, 천연물로부터 약효를 가진주성분을 함유하는 천연물의약품, 생물학적 제제로서 재조합 단백질, 백신, 혈액제제를 포함하는 생물학적 반응을 이용하여 제조하는 바이오의약품으로 분류되며, 「약사법」제2조 제10항에 따라 일반의약품(Over the Counter Drug, OTC)과 전문의약품(Ethical the Counter Drug, ETC)으로 구분됩니다.

[의약품의 분류]
의약품 구분 내용
제조방식 합성의약품 실험실에서 유기화학에 기반하여 합성에 의해 인위적으로 만들어진 저분자 화합물 의약품
천연물의약품 약용식물 등 이미 존재하는 천연물로부터 약효를 가진 성분만을 분리 정제하여 만든 의약품
바이오의약품 생물체(미생물, 동식물 세포 등)를 활용하여 바이오기술을 응용하여 만들어진 의약품
의사 처방유무 전문 의약품 일반의약품이 아닌 의약품을 말하는 것으로, 약리작용 또는 적응증으로 볼 때, 의사의 전문적인 진단과 지시·감독에 따라 사용되어야 하는 의약품 (Ethical the Counter Drug, ETC)
일반 의약품 의약품의 제형과 약리작용상 인체에 미치는 부작용이 비교적 적거나, 오용·남용의 우려가 적고 의사나 치과의사의 처방 없이 사용하더라도 안전성 및 유효성을 기대할 수 있는 의약품(Over the Counter Drug, OTC)

당사는 난치성 혈관질환의 First-in-Class 혁신신약으로 합성의약품(Rivasterat, CU71, CU01)과 바이오의약품(MT-101, MT-103) 및 천연물의약품(CU03)의 연구 개발을 진행하고 있으며, 해당 파이프라인들은 약리작용 또는 적응증으로 볼 때, 의사의 전문적인 진단과 지시/감독에 따라 사용하는 전문의약품(ETC)으로 분류됩니다.

다. 산업의 특성 당사가 추진 중인 사업은 제약 및 바이오산업에 속해 있으며, 동 산업의 특성은 다음과 같습니다. - 각 국가별 식품의약국의 규정 준수 필요신약은 기존 약물의 유효성 혹은 안전성 측면에서 현저한 개선이 포함되어야 하며, 신물질 탐색 작업, 비임상 시험, 임상시험, 허가 신청 (NDA) 등을 거쳐 제조 승인 및 시판허가를 받은 의약품을 말합니다. 한 개의 신약이 나오기 위해서는 여러 단계를 수행해야 합니다. 첫 번째로 신약 후보물질을 도출하기 위한 탐색 과정에서 신약의 효능이나 작용기전을 기반으로 신약개발 대상 품질을 선정합니다. 유효물질, 선도물질을 거쳐 신약 후보물질이 선정되면 후보물질의 안전성과 효과를 확인하기 위해 동물 모델을 대상으로 비임상시험을 진행합니다. 비임상시험을 통해 후보물질의 효과와 안전성이 검증되면 식약처에 임상시험 허가신청 (IND)을 하고, 사람을 대상으로 약물의 효과 및 부작용을 확인하는 임상시험 (Clinical Trial)을 수행합니다. 임상시험을 완료한 후에는 식약처에 임상시험 결과를 제출하게 되는데, 이를 신약 허가신청(NDA) 이라고 합니다. 신약 허가 신청이 정상적으로 이루어지면, 제4상 임상시험으로 분류되는 시판 후 안전성 조사(PMS)를 통해 임상시험에서 발견하기 어려웠던 부작용에 대해서 추적 조사를 수행합니다. 이처럼 새로운 의약품이 개발되어 소비자에게 전달되기까지는 높은 비용과 노력이 필요하며, 시판으로 이어질 확률은 10,000분의 1 정도로 낮은 편입니다. 이렇게 성공 가능성이 낮지만, 성공했을 경우 특허법, 각 국가별 약사법 등으로 독점적 시장 보호가 가능하고 막대한 경제적 가치를 창출할 수 있기 때문에 글로벌 시장에 도전하는 신약개발은 여전히 매력적인 사업입니다.- 다양한 정책에 따른 높은 진입장벽 존재신약개발 산업은 높은 기술력과 천문학적인 개발비용, 국가별 허가 당국의 시판 승인 등 진입장벽이 상당히 높은 편입니다. 또한 특허법, 의약품 특허존속기간 연장제도, 희귀의약품 지정제도, 의약품 자료 독점권 제도 등 신약 개발사에 혜택을 주는 다양한 보호 제도가 있어 제네릭사의 시장 진입을 제한하고 있습니다.

- 국내 의약품 시장의 글로벌 성장성글로벌 제약산업 시장 조사기관인 IQVIA가 발표한 리포트에 따르면 2021년 글로벌 제약산업 시장 규모는 1조 4,003억 달러를 형성하고 있으며 이후 연평균 4.1%로 성장하여 2025년에는 1조 6,420억 달러에 달할 것으로 예상됩니다. 대한민국의 제약산업 시장 규모는 2021년 179억 달러에서 글로벌 성장보다 빠른 연평균 5.8%의 성장을 통해 2025년에는 224억 달러를 형성할 것으로 예상됩니다. 2021년 기준으로 대한민국의 제약산업 시장 규모는 글로벌 전체 시장 규모의 1.27%를 차지하고 있으며 국내 제약기업과 바이오벤처가 다국적기업과의 기술 제휴 또는 라이선스 아웃 등을 통해 글로벌 파트너사와 임상 개발을 진행하여 경험과 노하우를 습득하면서 고도화되고 있어 향후 글로벌 성장성 대비 높은 성장성을 보이며 시장이 확대될 것으로 보입니다.- 고부가가치 산업제약산업은 다른 어떤 산업보다도 기술과 자본이 집약된 '고부가가치 지식산업'으로, 개발된 의약품의 제조원가 자체는 매우 낮지만, 장기적인 R&D 투자를 통한 신약개발 여부가 성패를 좌우하는 특성을 가집니다. 글로벌 신약개발 시 평균 1조 원에서 2조 원에 이르는 개발비용과 10~15년의 개발기간이 소요되며, 더욱이 신약개발 성공확률은 5,000분의 1에 불과한 것으로 알려져 있습니다. 후보물질 발굴 단계에서 5,000~10,000개의 화합물이 R&D 파이프라인으로 들어간 이후 전임상단계에서 약 250여 개의 연구를 거쳐 임상단계에서 2~5개가량만 남게 되며, 이중 1개만이 최종 판매허가를 받고 상용화됩니다.신약 하나를 개발하기 위해서는 장기간에 걸친 R&D 과정에서 막대한 자본과 인력의 지속적인 투입이 수반되지만 성공을 확신할 수 없습니다. 그러나, 이른바 '죽음의 계곡'을 넘어 신약 개발에 성공하게 되면, 확실한 시장 우위를 점하며 그동안의 R&D에 투자한 것 이상의 많은 이익을 회수할 수 있습니다. 다국적 제약사 화이자에서 출시한 '비아그라(성분 실데나필)'는 임상 실패 이후 신약 재창출 과정을 통해 큰 성공을 거둔 사례입니다. 실데나필은 협심증 치료를 목표로 개발된 약물이었지만, 임상 실패 이후 발기부전 치료제로 재탄생했습니다. '20세기 최고의 발명품'으로 불리는 비아그라는 1998년 5월 출시 이후 단 3개월 만에 4억 달러(약 4,700억 원) 규모, 지난 20년 간 연간 평균 18억 달러(약 2조 1,300억 원) 규모의 매출을 기록하여 대표적인 블록버스터급 의약품으로 알려져 있습니다. 같은 회사에서 출시한 고지혈증 치료제 '리피토’는 2010년 무려 127억 달러의 매출을 기록하였는데, 이는 '자동차 100만 대 수출' 수익보다도 높은 수준입니다.- 주력 기술제품의 산업의 연혁

당뇨병은 췌장에서 분비되는 인슐린이 부족하거나 우리 몸에서 제대로 작용하지 못하여 혈액 속의 혈당이 에너지로 이용되지 않고 혈액 속에 축적되어 고혈당 증상과 이로 인한 합병증을 나타내는 질환입니다. 2017년에는 전세계적으로 당뇨 환자가 4억 5천 1백만 명(18세~99세) 발병했고 2045년경에는 6억 9천 3백만 명으로 증가할 것으로 예상되고 있으며, 당뇨 의약품 시장 또한 폭발적으로 증가하여 2026년경에는 950 ~ 1020억 달러(107 ~ 115조원)에 이를 것으로 추정되고 있습니다. 이와 같이 당뇨병 환자의 증가와 함께 고령인구 증가로 당뇨합병증 시장 또한 높은 성장성이 예상되어 글로벌제약사들이 치료제 개발을 위해 많은 투자를 진행하고 있습니다.

합병증은 크게 혈관 합병증과 신경 합병증으로 나눌 수 있으며, 혈관 합병증은 다시 대혈관 손상과 미세혈관 손상으로 나눌 수 있습니다. 대혈관이 손상되면 협심증, 동맥경화, 심근경색, 뇌졸중이 발병하고 미세혈관이 손상되면 망막병증, 신장병, 신경병, 족부궤양 등의 다양한 합병증이 나타날 수 있습니다. 그리고 신경 합병증은 말초신경장애와 자율신경장애로 나누어 집니다.

혈관 합병증의 원인은 아직까지 확실히 밝혀져 있지 않으나 대혈관 손상의 경우 고혈합, 고지혈증이 동반되면서 복합적인 원인에 의해 발생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습니다. 또한 제2형 당뇨병 환자에서는 비만과 관상동맥질환 등이 위험인자로 작용함으로써 고혈당의 치료와 더불어 이들 질환의 치료가 동시에 이루어져야 합병증의 진행을 막을 수 있습니다.

미세혈관 합병증 중 하나인 당뇨병성 신증은 당뇨환자의 주요 사망요인으로 아주 서서히 진행되기 때문에 초기에는 검사로도 식별이 어려우며 환자에 따라 다르나 대개 15년 정도 지난 후에 단백뇨 증상이 나타나게 됩니다. 처음에는 단백뇨로 인해 부종이 발생하고 더욱 진행이 되면 노폐물이 신장에서 배설되지 않음으로써 만성 신부전증으로 결국 요독증에 빠지게 됩니다. 당뇨병성 신증 치료제 중 신장 섬유화를 치료하는 전문치료제는 없으며, 질환의 원인이 될 수 있는 혈당과 혈압을 관리하는 치료제가 처방되고 있습니다. 60세 이상 당뇨병 환자 중 75%가 당뇨병성 신증 환자임을 고려할 때 전문치료제의 개발이 절실하다고 하겠습니다.

또한 미세혈관 합병증 하나인 당뇨병성 황반부종도 당뇨병 환자에서 20년 유병 기간 후 약 30~50%정도 발생하는데, 25세 이후의 시력상실 질병 중 가장 많은 원인이 되고 있습니다. 그러나 모든 환자가 시력이 상실되는 것이 아니라 적극적으로 혈당을 조절하고 자주 검사하여 조기에 발견하면 예방할 수 있으며 그 진행속도 또한 늦출 수 있습니다. 최근에는 치료를 위해 혈관내피성장인자(VEGF) 저해제인 바비스모, 아일리아 혹은 루센티스 등을 안구내에 주사(intravitreal injection)하여 치료제가 사용되고 있습니다. 다만, 2019년도 Scientific reports 에 의하면 이 약물에 불응성을 나타내는 환자가 41% 정도이고 약가는 각각 1,940달러/vial, 1,575달러/vial 로 상당히 고가여서 환자 및 국가 보험 재정에 부담을 주고 있어 높은 효능, 경제성, 투여방식 편의성 등의 측면을 개선할 수 있는 신약 개발이 필요한 상황입니다.

습성 황반변성은 시력에 중요한 역할을 담당하는 망막중심부 신경조직인 황반이 노화, 염증 등으로 기능이 떨어지는 질환을 말하며 국내 65세 이상의 노인인구에서 실명을 일으키는 주요 원인으로 알려져 있습니다. 2017년 황반변성 환자는 70억 세계 인구의 약 8.3%인 5천800만명 이상으로 추정되고 있으며 2020년에는 환자수가 약 2억 명, 2040년경에는 약 3억명에 육박할 것으로 예측되고 있습니다. 습성 황반부종도 동일하게 혈관 내피성장인자(VEGF) 저해제인 바비스모, 아일리아나 루센티스가 치료제로 사용되고 있으며 노령인구의 중가의 함께 황반변성 치료제 시장도 크게 성장할 것으로 예상됩니다.

라. 산업의 전망 - 글로벌 제약시장 전망글로벌 전문의약품(ETC) 시장은 지속적으로 성장해왔습니다. 전세계 전문의약품 매출액은 2020년 9,040억 달러(약 1,073조 원)에서 연평균 7.4%씩 성장해 2026년에는 1조 3,903억 달러(약 1,650조 원) 규모가 될 전망입니다. 이는 지난 2012∼2019년 처방의약품 매출액 연평균 성장률이 2.7%에 그친 것과 비교할 때 매우 빠른 성장세를 볼 수 있습니다.

전세계 전문의약품의 매출액(2012-2026).jpg 전세계 전문의약품의 매출액(2012-2026)

자료: EvaluatePharma, World Preview 2020, outlook to 2026생명공학정책 연구센터, 글로벌 제약산업 2020년 프리뷰 및 2026년 전망인구증가 및 고령화, 만성질환 증가, 규제장벽 완화, 맞춤형 치료제, 희귀병 치료제 등의 성장 요인(Market Drivers)에 따라 미국 FDA에서 최근 10년간(2014~2023년) 승인된 화학합성신약은 456건으로 이는 과거 10년(2010~2019년) 289건에 비해 약 58% 증가되었습니다. 미국 FDA의 산업 친화적(industry-friendly) 입장은 유지 될 것으로 전망되며, 미국 FDA가 채택한 입장은 전세계 제약시장에 대한 투자심리를 결정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30 years of novel fda approvals.jpg 30 years of novel fda approvals

자료: FDA CDER, New Drug Therapy Approval 2023, 2024.01 또한, 전세계적으로 신약 개발 기간 단축을 통한 효율성 제고를 위해 플랫폼 기술 도입이 늘어나고 있습니다. 전통적인 신약 탐색 과정에서 통상 약물 후보물질을 찾을 때까지 소요되는 시간과 비용을 플랫폼 기술을 활용함으로써 절감하려는 시도가 이루어지고 있습니다. 당사 또한 신개념 SOLVADYS® 플랫폼 기술을 이용하여 유효물질을 효율적으로 발굴하기 위한 초기 단계 연구개발을 적극적으로 진행하고 있으며 이 플랫폼을 통하여 신약개발기간을 효율적으로 단축시키고 실패를 줄일 수 있을 것으로 기대 하고 있습니다.

마. 경기변동의 특성 - 라이프사이클

일반적으로 의약품은 관련된 특허의 존속기간(선출원 후 20년)이 만료될 때까지 독점적인 판매가 가능하며, 또한 국가별로 자료 및 시장독점권(Data & Market Exclusivity) 제도에 의하여 미국인 경우 신약 승인 후 5년간의 자료독점권을 그리고 유럽의 경우 자료독점권 8년에 시장독점권 2년을 추가로 부여하고, 희귀의약품으로 지정된 경우 미국은 7년 , 유럽은 11년간의 시장 독점권을 주는 것을 허용하는 등 다양한 제도를 통하여 독점적 판매권을 보장받을 수 있습니다.

당사는 신개념 SOLVADYS® 플랫폼 기술을 이용하여 난치성 혈관질환의 First-in-Class 혁신신약을 개발하고 있으며 각 파이프라인별로 물질, 용도(적응증/용법 용량). 조성물(제제, 병용투여), 결정형 및 제법 등 연구단계별 다양한 특허를 출원, 등록하는 evergreening 전략을 사용하여 특허의 존속기간을 연장하고 있습니다. 또한 특허존속기간 연장제도 (최장 5년 추가)로 대부분 제품이 2045년까지 특허보호를 받을 수 있어 제품 판매 후 13 ~ 17년간 시장 진입장벽이 존재할 것으로 예상합니다.

- 경기변동 및 계절성일반적으로 의약품은 크게 전문의약품(ETC)과 일반의약품(OTC)으로 분류됩니다. 전문의약품은 의사의 진단과 처방을 통해 약 복용이 엄격히 관리되어야 하는 의약품을 의미하며, 일반의약품은 안전성과 유효성이 충분히 인정되어 약사나 소비자가 임의로 선택할 수 있는 의약품을 의미합니다. 당사가 개발중인 파이프라인은 모두 전문의약품 분야에 속하며, 의학적 미충족 수요가 큰 영역이라 경기 변동에 거의 영향을 받지 않습니다.삶의 질 향상과 수명연장에 대한 요구가 높아지고 있고 GDP 수준 향상과 전세계적으로 고령화 사회가 확산됨에 따라 만성질환과 치매 같은 문제가 사회적 이슈로 대두되고 있어 이러한 추세로 인해 의약품 산업은 지속적이고 안정적인 증가가 예상됩니다. 한편, 의약품 산업의 특성상 국가별 의료 정책이나 약가 정책에 따라 변동성이 있을 수 있으나 당사가 개발중인 First-in-Class 혁신 신약의 경우 약가 결정에 이점이 있어 상대적으로 높고 안정적인 수익을 창출할 것으로 기대됩니다.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당사가 개발중인 파이프라인은 모두 전문의약품 분야에 속하며, 당뇨합병증은 만성 질환이고 같은 유전적 또는 생활 환경 요인에 따라 발생되는 질환으로 날씨와 기후에 의한 계절적 요인에는 거의 영향을 받지 않습니다. 이와는 달리 일반의약품의 경우 소비자 선택으로 경기변동이나 기후에 의한 계절적 영향이 다소 있는 편입니다. 또한 인플루엔자나 전염성 질환 관련 의약품의 경우 계절, 환경적 요인에 따라 영향을 받을 수 있습니다.

- 대체재 현황당사에서 개발하고 있는 신약은 전문의약품(ETC)이며 의사의 진단과 처방에 의해서만 약을 구입할 수 있도록 제도적으로 엄격히 관리보호되고 있으며, 모든 단계에서 한국을 포함한 각 국가는 엄격히 허가 및 규제기관을 통해 통제되고 있으며 각 국가에서 설정한 기준에 의해 허가절차를 거쳐 승인을 받아야만 출시할 수 있습니다. 동일한 목표시장에 대해 경쟁제품이 있을 수 있으나 경쟁제품 상호 간에 제품의 약효와 안전성이 완전히 일치하는 신약은 존재할 수 없습니다.연구단계별 다양한 특허를 출원, 등록하는 evergreening 전략을 사용하여 특허의 존속기간을 연장하고 있습니다. 다만, 특허기간이 만료된 이후에는 다수의 복제약(제네릭/바이오시밀러)이 출시되어 오리지널 의약품이 경쟁력을 잃고 대체될 수 있겠으나, 특허 만료 이후에도 오리지널 제품에 대한 수요가 일정 부분 지속적으로 존재하는 현상이 있습니다 4. 회사 경쟁상의 특징가. 망막질환 치료제

글로벌 시장 조사 전문기관인 Global Market Insights 2016에 따르면 당뇨병성 황반부종 및 습성 황반변성 치료제는 anti-VEGF 주사제인 Eylea, Lucentis, Avastin 등이 90%의 시장 점유율을 차지하고 있으며, 연평균 6%의 증가가 예상됩니다.

[시판되고 있는 anti-VEGF 안구내 주사제]

제품명(성분명)

제약사

매출 가격 비고

Lucentis

(ranibizumab)

Novartis/Genentech

글로벌 매출약 3조 8000억원(2023년) 824,513~941,098원 시장에 주사제외에 경구제가 존재하지 않고, Endothelial dysfunction을 차단 하는 약물 역시 존재하지 않기에, First-in-class & Oral agent로 시장 진입 가능

Avastin

(bevacizumab)

Roche

글로벌 매출약 6조 3000억원(2020년) 330,387~346,320원

Eylea

(aflibercept)

Regeneron/Bayer

글로벌 매출약 12조원(2023년) 751,493~851,788원
Vabysmo(faricimab) Roche 글로벌 매출약 6조 2000억원(2024년) 751,493원

자료: ㈜큐라클

하지만, anti-VEGF 안구내 주사제는 모두 병증이 많이 진행된 후에 처방되어 진단 초기 경증의 환자에게는 투약의 제한이 있습니다. 당뇨환자 중 당뇨병성 황반부종 진단 후 첫해에 치료(anti-VEGF 항체, Laser치료, corticosteroid 및 병용 치료 등)를 받고 있는 환자는 40% 미만으로 60% 환자가 약물투여를 제대로 받지 못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습니다. 이에 진단받은 후 많은 환자는 병의 진행을 악화시키고 있다고 볼 수 있어 환자에게 복용편의성이 높은 적절한 경구치료제가 개발된다면 환자의 삶의 질을향상시킬 뿐만 아니라 엄청난 시장을 확보할 것으로 기대하고 있습니다.

Rivasterat은 anti-VEGF 주사제와 비교하여 당뇨병성 황반부종 및 습성 황반변성과 같은 다양한원인 인자에 기인되는 혈관 손상 및 누수를 치료할 수 있는 최적의 치료제입니다. 또한 경구 투여에 의한 복용편의성으로 만성질환인 당뇨병성 황반부종 및 습성 황반변성 치료제로 개발된다면 글로벌 시장에서 충분히 경쟁력이 있습니다.

현재 세계적 제약기업 및 신약벤처들이 아래 다양한 타깃의 당뇨병성 황반부종 치료제 개발에 집중하고 있습니다.

▶ 안구내 주사제: VEGF 외에 Tissue-protective receptor, Corticosteroid,c-Raf kinase, Plasma kallikrein, PIGF, pan RGD integrin 타깃
▶ 점안제: Bradykinin receptor B1, Plasma kallikrein 타깃
▶ 경구제: Steroid ethisterone, C-Kit, Plasma kallikrein 타깃

대표적인 혈관내피세포 타겟 치료제는 anti-VEGF 중화 항체로 주로 항암 및 망막 혈관질환 치료제로 사용되고 있습니다. 망막 혈관질환 치료제의 경우, 전세계 시장규모가 년간 150억 달러를 상회함에도 불구하고 안구내 주사의 불편함과 2019년도 Scientific reports 에 의하면 41%의 불응 환자로 인하여 치료의 한계가 있어 대체 치료제가 절실하게 필요한 상황입니다 (자료: Scientific reports, 9(1), 10952) 나. 당뇨병성 신증 치료제

현재 당뇨병성 신증 치료제는 비스테로이드성 미네랄코르티코이드 수용체 길항제(MRA), 안지오텐신전환효소억제제(angiotensin converting enzyme inhibitor), 안지오텐신II 수용체 차단제(angiotensin II receptor blocker) 등 고혈압 치료제 그리고 SGLT-2 억제제와 같은 당뇨병 치료제가 주로 사용되고 있습니다.

[시판되고 있는 당뇨병성 신증 치료제]
제품명 (성분명)

제약사

가격

비고

Cozaar (Losartan Potassium) MSD 476~912원 혈압약

Micardis (Telmisartan)

Boehringer Ingelheim 414~550원 혈압약
Jardiance (Empagliflozin) Boehringer Ingelheim 301~798원 당뇨약
Kerendia (Finerenone) Bayer 1,670원 당뇨병성 신증을 주 적응증으로 가진 치료제

자료: ㈜큐라클

만성 신섬유증 치료제로 섬유화 진행을 억제하는 시장에 나온 경쟁 약물은 없습니다. CU01은 Nrf2 활성과 TGF-β/Smad3 억제 기전의 First-in-Class 약제로 항산화 및 섬유화 억제 작용을 갖고 있어 신섬유증 및 신섬유증을 수반하는 만성신장질환 환자의 예방 및 치료에 사용될 수 있고 발 빠른 국내 출시를 목표로 후기임상을 준비하고 있습니다.

당사의 CU01은 물질특허가 없는 블록버스터 의약품이며 약물의 안전성이 확보된 Tecfidera의 주성분인 DMF를 신약재창출 방법으로 재평가하여 Nrf2 활성제 및 TGF-β/Smad3 억제 기전으로 당뇨병성 신증 모델에서 우수한 효능을 보였고, 당사가 국내에서 진행한 임상 2a상 시험에서 유효성, 안전성 및 내약성을 확보하였습니다.

다. 습성 황반변성 치료제

글로벌 시장 조사 전문기관인 Global Market Insights 2016에 따르면 습성 황반변성치료제 시장도 anti-VEGF 제제가 90%를 차지하고 있으며, 연평균 6%의 증가가 예상됩니다.

경구제로는 growth factor 저해제, kinase 저해제, 활성산소를 제거하는 항산화제, DNA lygase 등의 저분자 물질로 주로 단일 타깃을 저해하는 물질이 개발되고 있고 현재 시장에 나온 제품은 없습니다.

천연물 신약인 CU03는 만성 난치성 질환의 다양한 병인에 의하여 발병되는 습성 황반변성의 경구용 치료제로 환자에게 복용 편의성 및 안전성을 제공하여 장기적 투여가 가능하고 기존의 주사제와 차별성이 있습니다. 당사는 천연물의 multi-component and multi-target (다중 성분과 다중 타깃)의 작용 원리로 다양한 인자가 원인이 되는 만성질환의 치료제 CU03를 개발하고 특허의 특허연장 전략으로 천연물 중 성분함량, 임상시험에 의한 용량, 추가 적응증 확보 등을 기반으로 특허를 출원하여 특허권리 확보 및 권리기간 연장을 할 계획입니다. 새로운 개념의 경구용 혈관내피기능장애 치료제는 전 세계적으로 당사가 유일하고 신약개발의 특성상 글로벌 제약사가 단기간 내에 진입하기는 어려울 것으로 봅니다.

5. 용어해설 당사가 영위하는 사업의 내용을 이해하기 위하여 개념 정리가 필요한 용어에 대한 해설은 다음과 같습니다.

[주요 용어 정리]

용어

해설

당뇨합병증

당뇨병이 발생하여 췌장에서 분비되는 인슐린이 부족하거나 우리 몸에서 제대로 작용하지 못하여 혈액 속의 혈당이 에너지로 이용되지 않고 혈액 속에 축적되어 고혈당증상과 이로 인한 합병증을 나타내는 질환입니다.

당뇨병성 신증(DN; Diabetic Nephropathy)

미세혈관에 발생하는 당뇨 합병증으로 신장이 손상되어 단백뇨와 부종, 고혈압이 동반되고 노폐물이 신장에서 배설되지 않음으로써 만성신부전으로 진행되는 질환입니다.

당뇨병성 황반부종(DME; Diabetic Macular Edema)

당뇨병으로 인하여 안구의 모세혈관의 파괴로 인하여 시각 세포가 손상되어 시력상실을 일으키는 질환입니다.

당뇨망막병증(DR; Diabetic Retionopathy)

당뇨병에 의한 발생하며 고혈당으로 인하여 일어나는 말초 순환장애로 인하여 망막에 발생하는 합병증입니다.

망막색소상피 박리(PED; Pigment epithelial Detachment) 망막의 10개층 중에 가장 아래층을 구성하는 1개 층으로 유일하게 색소를 지니고 있어 망막색소상피로 불리며, 망막색소상피가 그 아래의 맥락막으로부터 떨어지는 현상을 망막색소상피 박리라고 합니다.
맥락망신생혈관(CNV; Choroidal Neovascularization) 망상색소상피 박리로 생긴 공간에서 신생혈관이 자라나 맥락막신생혈관이 되며 우리 눈의 망막중에서 특히 중요한 황분부에 삼출물, 출혈 등을 일으켜서 중심시력에 영향을 주는 현상을 황반변성이라고 합니다.
습성 황반변성(wet AMD; wet Age-related macular degeneration) 삼출성-연령관련 황반 변성, 시력에 매우 중요한 역할을 하는 황반에 나이가 들면서 드루젠(drusen), 망막 색소상피 위축(retinal pigment epithelial atrophy), 맥락막 신생혈관(choroidal neovascularization) 등 변화가 생겨 시력상실을 초래하는 질환입니다.

퇴행성뇌질환

(Neurodegenerative disease)

퇴행성 뇌질환은 뇌의 신경세포가 점차적으로 손상되어 뇌 기능이 감소하는 질환을 말합니다. 대표적으로 알츠하이머병, 파킨슨병 등이 있으며, 인지, 운동 및 기억 기능에 영향을 미칩니다.

생체 이용률

(Bioavailability)

투여된 약물이 변화되지 않은 형태로 전신 순환혈에 도달하는 정도이며 주로 경구투여 시의 흡수정도를 의미하며, 약물의 화학적 형태, 제형, 투여경로, 위장관내 안정도, 초회통과효과 등에 영향을 받습니다.

신약후보물질

질병과 관련된 단백질(약물 타겟)의 기능을 조절하는 물질을 찾은 후 동물, 독성, 약물 체내동태 등을 평가하여 임상 개발 가치가 있는 물질로 선정하는 일련의 과정을 의미합니다.

신약허가신청

(NDA; new drug application)

합성의약품에 대한 신약승인 신청서를 의미합니다. 바이오의약품의 경우는 BLA(Biologic License Application)라고 합니다.

임상시험(Clinical)

임상시험용 의약품의 안전성과 유효성을 증명할 목적으로 해당 약물의 약동 · 약력 · 약리 · 임상적 효과를 확인하고 이상반응을 조사하기 위하여 사람을 대상으로 실시하는 시험 또는 연구를 총칭하는 것이며, 임상1상, 임상2상 (임상2a 와 임상2b를 구분하여 진행할 수도 있음), 임상3상 크게 3단계로 구분하여 운영되고 있습니다.

임상1상(Phase 1)

건강한 사람을 대상으로 약물을 안전하게 부여할 수 있는 용량과 인체 내 약물흡수 정도 등을 평가합니다. 앞서 수행된 전임상 단계에서 독성시험 등 전임상시험 결과가 유효한 경우, 시험약을 최초로 사람에 적용하는 단계입니다. 건강한 지원자 또는 약물군에 따른 적응환자를 대상으로 부작용 및 약물의 체내동태 등 안전성 확인에 중점을 두고 있습니다.

임상2상(Phase 2)

소규모 환자들을 대상으로 약물의 약효와 부작용을 평가하고, 유효성을 검증하는 단계입니다. 단기투약에 따른 흔한 부작용, 약물동태 및 예상적응증에 대한 효능 효과에 대한 탐색을 위해 실시하는 것으로 대상질환 중 조건에 부합되는 환자를 대상으로 합니다. 임상3상 시험에 진입하기 위해 적응증과 최적용법 용량을 결정하는 단계입니다.

임상2a상

(Pilot study)

약효확인, 작용시간 및 유효용량 검토하는 단계로 효과의 증거를 찾는 것이 목적입니다. 반드시 허가기관이 인정하는 변수를 사용하지 않아도 되며, 설계측면에서 여러 디자인 사용이 가능하고, 피험자 수도 통계적 검정력에 의해 결정하지만 디자인에 따라 현실적 이유를 반영하여 결정됩니다.

임상2b상

(Pivotal study)

약효 입증, 용량-반응양상 검토, 최적의 용량 및 용법 결정하는 단계로 임상3상과 함께 허가의 핵심이 되는 단계입니다. 허가기관에서 인정하는 검증된 변수만을 사용해야 하고, 임상시험 디자인은 주로 평행군 시험으로 설계되며, 환자 수는 통계적 검정을 통해 결정됩니다.

임상3상

신약의 유효성이 어느 정도 확립된 후에 대규모(최소 수백 명에서 수천 명) 환자들의 자료를 식약처에 제출하여 승인을 받아야 판매가 가능합니다.

임상4상(PMS)

(시판 후 안전성, 유효성 조사)

신약이 시판 사용된 후 장기간의 효능과 안전성에 관한 사항을 평가하기 위한 시험으로, 시판 전 제한적인 임상시험에서 파악할 수 없었던 부작용이나 예상하지 못하였던 새로운 적응증을 발견하기 위한 약물역학적인 연구가 실시되는데 이것을 시판 후 조사(Post Market Surveillance)라고 합니다.

유효성(Efficacy)

의약품 등이 그 적응증에 대해서 효능 및 효과를 갖는 것 또는 그 정도를 의미합니다.

안전성(Safety)

의약품의 독성을 판단하는 것으로 그 사용용량과 투여방식에 있어 인체에 유해하지 않다는 것 또는 그 정도를 의미합니다.

의약품 자료 독점권

데이터 독점권은 신약을 처음 개발한 혁신적인 회사를 보호하는 제도로 제네릭 또는 바이오시밀러를 개발하는 회사가 일정기간 동안 원개발사의 안전성, 유효성 자료 즉, 임상자료를 인용하지 못하도록 하는 제도입니다. 이럴 경우 후속개발자가 원개발사의 데이터 인용없이 의약품 허가를 받기 위해서는 임상을 수행해야 하기 때문에 경제적, 시간적 부담이 따르게 됩니다. 따라서 이 제도는 의약품 원개발사에게 유리한 제도입니다.

작용기전

(MOA; Mode of Action)

의약품이 효능을 나타내는 원리 및 치료 효능과 화학적 작용의 과정을 의미합니다.

전임상시험(Pre-Clinical)

새로 개발한 신약후보물질을 사람에게 사용하기 전에 동물에게 사용하여 부작용이나 독성, 효과 등을 알아보는 시험입니다. 약물이 체내에 어떻게 흡수되어 분포되고 배설되는가를 연구하는 체내동태 연구와 약효약리 연구가 수행됩니다. 그 후 동물실험을 통해 시험약이 지니는 부작용 및 독성을 검색하는 안전성 평가를 진행하는 단계입니다.

제형(Formula)

약품을 인체에 투여하는 사용 목적이나 용도에 맞게 적절한 형태로 만든 물질을 의미합니다. (예: 정제, 캡슐제, 액제, 크림제, 주사제)

적응증

어떠한 약제나 수술 등에 의하여 치료효과가 기대되는 질병이나 증상을 의미합니다. 의약품의 적응증은 회사가 어떤 약을 허가 받기 위해 여러 효능시험과 성적서와 관련 논문, 안전성 자료 등을 종합하여 식품의약품 안전처에 제출하면 승인된 부분에 한해서 적응증으로 사용할 수 있습니다.

최종당화산물(AGEs;advanced glycation end products) 당화(Glycation)는 우리 몸, 피부 등에 있는 단백질(콜라겐, 엘라스틴), 핵산(DNA), 지질 등에 당(포도당glucose, 과당fructose)이 효소작용 없이( 비효소반응) 공유 결합하여 단백질(콜라겐, 엘라스틴), 핵산(nucleotides), 지질의 물성이 변하는 현상을 말하며 이때 생성되는 당화산물(AGE, advanced glycation end product) 은 축적되어 노화 및 질병(당뇨합병증, 동맥경화)의 유발 과정에 깊이 관여한다는 것이 알려져있습니다.

체내동태

(Pharmacokinetics, PK)

생체 내 투여된 약물은 흡수되어 작용부위에 도달해 약효를 발현하고 생체 내에 분포합니다. 그리고 간 등에서 분해(대사)되고 뇨중으로 배설되어 생체로부터 소실됩니다. 이러한 약물의 생체 내 이행과 변화의 과정을 약물의 체내동태라고 합니다.

합성의약품 신약

화학적 합성에 의하여 생산되는 의약품으로 바이오의약품과 비교 시 QC 관리가 용이하고 생산단가가 저렴한 것이 특징입니다.

혈액-뇌 장벽(BBB; Blood-Brain Barrier) 뇌-혈관장벽은 뇌와 혈액을 보다 격리시키는 혈관 장벽으로 높은 선택적 투과성을 갖고 있어 뇌를 포함한 중추신경계의 조절기능을 세균 등과 같은 혈액으로 운반될 수 있는 병원체와 혈액 내의 잠재적인 위험 물질로부터 격리시키는 역할을 합니다. 또한, 생체항상성을 조절하고 뇌기능에 필수적인 물질들을 선택적으로 뇌속으로 전달하는 기능을 합니다.

혈관 투여(IV)

(Intravenous Injection)

치료제를 정맥주사를 통해 주입하는 방법을 의미합니다.

ALI(acute lung injury) 급성폐손상을 의미합니다.
Amigo2-PDK1 Amigo2의 세포질 도메인과 PDK-1의 PH 도메인과의 결합을 의미합니다.
Ang-2(Angiopoietin-2) 신생혈관의 혈관성장인자를 의미합니다.
ARDS(Acute respiratory distress syndrome) 급성호흡곤란증후군을 의미합니다.

CDA(Confidential Disclosure Agreement)

기밀 공개 계약을 의미하며 독점정보를 보호하고 당사자들이 일정기간 동안 정보를 기말로 유지하도록 구속하는 법적 계약입니다.

CRO: 임상시험수탁기관(Contract research organization)

제약회사가 신약개발에 드는 비용을 절감하기 위해 임상시험 연구를 아웃소싱하는 기관으로 임상시험수탁기관은 신약개발 단계에서 제약사의 의뢰를 받아 임상시험 진행의 설계, 컨설팅, 모니터링, 데이터 관리, 허가 대행 등의 업무를 대행해 주는 기관을 말합니다.

CMO: 위탁제조기관

(Contract Manufacturing Organization )

위탁 받은 제품을 생산해 주는 기업으로 바이오, 제약부문에서 주로 사용되는 용어입니다. 의약품 대량생산시설을 갖추고 있지 않거나 생산역량이 부족할 때 경영효율화를 위하여 바이오·제약 기업은 CMO를 활용함으로써 공장 건설에 필요한 초기투자 비용을 아끼고 생산원가를 낮출 수 있습니다.

CNV(Choroidal Neovascularization) 안구내 맥락막 신생혈관을 의미합니다.
cGMP(Current Good Manufacturing Practice) 강화된 의약품 제조 및 품질관리기준으로 미국 FDA가 인정하는 의약품 품질관리 기준입니다.

Drug Repositioning

(신약재창출)

기존에 나와 있는 약물이 다른 질환에 쓰일 수 있게 하는 것으로, ‘약물 재창출’이라고 합니다. 이는 이미 출시된 약의 새로운 기전을 찾아 새로운 증상에 대해 쓰일 수 있도록 개발을 진행하는 전략입니다.

DMF(Dimethyl Fumarate) 푸마린산에 메틸에스터기가 붙은 물질을 의미합니다.

FDA(Food and Drug Administration)

미국의 식품의약국이며 미국 내에서 생산되는 식품·의약품·화장품 뿐만 아니라 수입품과 일부 수출품의 효능과 안전성을 주로 관리하고 있습니다. 또한 FDA는 전세계적으로 가장 엄격하고 신중한 시판승인 결정을 내리는 것으로 유명하기 때문에 세계적으로 공신력을 인정받고 있습니다. 참고로 한국 식약처는 MFDS, 중국 식약처는 CFDA 라고 합니다.

EMA(The European Medicines Agency)

유럽연합(EU)을 통해 설립된 유럽식약청이며, 유럽연합(EU) 소속 국가들의 의약품관련 규제를 맞추고 관리·감독하는 기관입니다. 의약품 시판승인과 관련하여 미국의 FDA와 비슷한 수준의 엄격한 기준을 가지고 있으며 그 공신력 또한 인정받고 있습니다.

First-in-Class 신약

(혁신 신약)

기존에 치료제가 없는 질병을 고치는 신약이거나 특정 질환에 사용되는 약품이 있지만 기존의 약물과 비교 시 효능, 독성 면이 개선된 약물을 의미합니다. 질병을 일으키는 단백질을 밝혀내고 이를 치유하는 최적의 물질을 찾아 동물실험을 하는 전임상, 안전성과 약효를 검증하는 임상 1·2·3상 단계를 거쳐 각국의 식약처에서 의약품으로 승인받은 신약을 의미합니다.

GLP: 우수 실험실 관리기준(Good Laboratory Practice)

의약품, 화장품 등의 안전성 평가를 위해 실시하는 각종 독성 시험의 신뢰성을 보증하기 위한 기준으로 '비임상시험 관리 기준’ 또는 '우수 실험실 운영기준' 이라고도 합니다. 식약처로부터 적격성을 승인 받아야 GLP기관의 자격이 부여됩니다.

GCP: 임상시험 실시 기준(Good Clinical Practices)

인체를 대상으로 하는 시험의 안전성 및 유효성 검증 절차를 규정하는 기준으로 시험결과에 대한 신뢰성 뿐만 아니라 시험 대상자의 인권보호 등 임상시험이 윤리적인 배려 하에 과학적으로 시행되도록 국가가 정한 기준을 말합니다.

GMP: 우수의약품 제조관리기준(Good Manufacturing Practice)

의약품의 안정성과 유효성을 확보하기 위해 준수해야 하는 우수 의약품의 제조 관리 기준, 우리나라의 KGMP, 미국의 cGMP(Current Good Manufacturing Practice)와 유럽 EU GMP(또는 who GMP) 등 국가별 GMP규정을 두고 운영하고 있으며, 식약처의 실사 및 정기적 관리보고를 통해 적격성을 승인받아야 자격이 부여 됩니다.

IVT 주사

(Intravitreal Injection)

안구 내 약물 전달을 위해 유리체 내에 약물을 직접 주사하는 방법을 의미합니다.

I/R injury(ischemia-reperfusion injury)

허혈/재관류 손상. 막힌 혈관을 재관류할 때 허혈조직으로의 혈류 회복과 산소화로 더 많은 조직 손상을 초래하는 현상입니다.

IBD(Inflammatory bowel disease)

만성염증성 장염을 의미합니다. 발병의 원인은 불명확하며 궤양성대장염과 크론병이 있습니다.

IND 신청: 임상시험계획 승인 신청

(IND; Investigational New Drug application)

인체를 대상으로 한 안전성·유효성 자료 수집을 목적으로 해당 의약품을 사용하여 임상시험을 실시하고자 하는 자가 식약처에 승인을 신청하는 과정으로 신약개발의 경우 반드시 허가당국의 승인이 있어야 진행할 수 있습니다.

MTA(Material Transfer Agreement)

물질이전계약을 의미하며 수신자가 자신의 연구목적으로 사용하려는 경우 두 조직간이 유형연구자료 혹은 물질을 이전하기 위해 체결하는 계약입니다.

MFDS

(한국 식품의약품안전처,Ministry of Food and Drug Safety)

식품과 의약품에 관해 임상실험이나 안전검증 등을 하여 국민들의 건강에 유익하거나 유해한 식품, 의약품을 분류, 고시, 단속하는 등의 업무를 수행합니다.
NASH(Non-alcoholic steatohepatitis) 비알콜성지방간염을 의미합니다.
Nrf2(Nuclear factor erythroid 2-related factor 2) 다양한 항산화 유전자들을 증가시킴으로써 세포 방어 기전에 중요한 역할을 담당하는 물질입니다.

NCD 자료공개(Non-confidential data)

기밀이 아닌 데이터의 자료공개를 의미합니다.

NDA(Non-Disclosure Agreement)

비공개 계약을 의미합니다.

SGLT2(Sodium glucose co-transporter 2) 나트륨 / 포도당 공동 수송체 2를 의미하며, 신세뇨관에서 포도당이 재흡수되어 혈류 내로 들어가는데 이용됩니다.
TGF-β(전환성장인자 베타, Transforming growth factor-beta) 상피세포와 조혈세포의 성장, 이동, 분화 및 사멸 등을 조절하여 세포의 성장과 고사를 통한 생물의 항상성 유지에 기본이 되는 세포 성장인자이며, 당뇨 병성 신증에서 TGF-β에 의해 활성화되어 혈관간세포가 콜라겐을 형성하는데 중요한 역할을 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습니다.
TNF-α(tumor necrosis factor alpha) 염증반응에 포함되고 급성기 반응의 구성원인 사이토카인입니다. TNF-α는 주로 활성화된 대식세포에 의해 분비되는데, 보조 T 세포, 자연살해세포, 그리고 손상된 뉴런 등의 다양한 세포에서도 분비됩니다.
TPH1(Tryptophan Hydroxylase 1) 혈관수축작용을 하는 물질인 세로토닌을 합성하는데 관여하는 효소입니다.
VEGF(vascular endothelial) 혈관내피세포에 특이적으로 작용하여 세포 증식이나 혈관신생을 촉진하는 당단백입니다.

III. 재무에 관한 사항 1. 요약재무정보

당사는 기업공시서식 작성기준에 따른 소규모기업에 해당하여 '요약재무정보'를 기재하지 아니합니다. 다음의 재무제표 본문을 참고하시기 바랍니다.

2. 연결재무제표

해당사항 없음

3. 연결재무제표 주석

해당사항 없음

4. 재무제표 4-1. 재무상태표

재무상태표

제 10 기 반기말 2025.06.30 현재

제 9 기말 2024.12.31 현재

(단위 : 원)

자산

  

 유동자산

11,986,260,277

32,417,332,819

  현금및현금성자산

10,486,131,577

3,981,677,368

  단기금융상품

 

26,364,517,855

  매출채권

1,006,559,188

1,100,791,922

  기타유동금융자산

19,516,020

583,293,306

  기타유동자산

474,053,492

387,052,368

 비유동자산

26,102,099,816

26,871,034,427

  유형자산

22,747,820,253

22,986,597,277

  무형자산

379,056,780

392,076,247

  사용권자산

81,041,229

92,396,044

  기타비유동투자자산

2,619,454,180

2,619,454,180

  기타비유동금융자산

10,357,581

7,473,478

  기타비유동자산

264,369,793

270,882,798

  파생상품금융자산

 

502,154,403

 자산총계

38,088,360,093

59,288,367,246

부채

  

 유동부채

13,998,708,802

20,986,484,411

  유동성 장기 차입금

8,000,000,000

 

  유동성전환사채

2,019,007,789

12,298,573,033

  유동 리스부채

57,541,402

58,977,320

  기타 유동부채

49,932,700

52,276,460

  기타유동금융부채

2,709,737,365

587,390,774

  유동 파생상품 금융부채

1,162,489,546

7,989,266,824

 비유동부채

3,522,630,862

8,348,547,341

  금융기관 차입금(사채 제외)

3,000,000,000

8,000,000,000

  순확정급여부채

233,661,935

49,120,682

  비유동 리스부채

28,558,427

39,016,159

  이연법인세부채

260,410,500

260,410,500

 부채총계

17,521,339,664

29,335,031,752

자본

  

 자본금

7,004,577,500

6,936,984,000

  보통주자본금

7,004,577,500

6,936,984,000

 자본잉여금

107,230,998,973

101,554,153,832

  주식발행초과금

102,796,938,390

101,554,153,832

  기타자본잉여금

4,434,060,583

 

 기타자본구성요소

5,657,835,560

10,340,353,179

  전환권대가

4,826,449,201

4,797,777,451

  주식선택권

831,386,359

5,542,575,728

 기타포괄손익누계액

2,369,998,588

2,369,998,588

  유형자산, 재평가잉여금

2,369,998,588

2,369,998,588

 이익잉여금(결손금)

(101,696,390,192)

(91,248,154,105)

  미처분이익잉여금(미처리결손금)

(101,696,390,192)

(91,248,154,105)

 자본총계

20,567,020,429

29,953,335,494

자본과부채총계

38,088,360,093

59,288,367,246

 

제 10 기 반기말

제 9 기말

4-2. 포괄손익계산서

포괄손익계산서

제 10 기 반기 2025.01.01 부터 2025.06.30 까지

제 9 기 반기 2024.01.01 부터 2024.06.30 까지

(단위 : 원)

영업수익

   

499,870,993

영업비용

5,315,952,908

8,964,558,436

3,886,115,105

7,441,684,792

영업이익(손실)

(5,315,952,908)

(8,964,558,436)

(3,886,115,105)

(6,941,813,799)

기타수익

11,714

255,286

24,032,703

37,586,156

기타비용

88,009

120,009

9

6,049,739

금융수익

462,196,997

680,075,000

740,336,620

1,495,226,028

금융비용

1,464,885,789

2,157,273,253

625,678,001

1,227,734,879

법인세비용차감전순이익(손실)

(6,318,717,995)

(10,441,621,412)

(3,747,423,792)

(6,642,786,233)

법인세비용(수익)

    

당기순이익(손실)

(6,318,717,995)

(10,441,621,412)

(3,747,423,792)

(6,642,786,233)

기타포괄손익

(3,345,230)

(6,614,675)

(2,119,567)

(4,026,285)

 당기손익으로 재분류되지 않는항목(세후기타포괄손익)

    

  확정급여제도의 재측정손익(세후기타포괄손익)

(3,345,230)

(6,614,675)

(2,119,567)

(4,026,285)

총포괄손익

(6,322,063,225)

(10,448,236,087)

(3,749,543,359)

(6,646,812,518)

주당이익

    

 기본주당이익(손실) (단위 : 원)

(451.0)

(748.0)

(270.0)

(479.0)

 희석주당이익(손실) (단위 : 원)

(451.0)

(748.0)

(270.0)

(479.0)

 

제 10 기 반기

제 9 기 반기

3개월

누적

3개월

누적

4-3. 자본변동표

자본변동표

제 10 기 반기 2025.01.01 부터 2025.06.30 까지

제 9 기 반기 2024.01.01 부터 2024.06.30 까지

(단위 : 원)

2024.01.01 (기초자본)

6,927,671,000

101,359,651,614

9,786,645,273

 

(76,210,791,562)

41,863,176,325

당기순이익(손실)

    

(6,642,786,233)

(6,642,786,233)

확정급여제도의재측정요소

    

(4,026,285)

(4,026,285)

기대배당금, 부여한 주식선택권

  

500,766,824

  

500,766,824

주식선택권행사로 인한 현금유입

9,313,000

194,502,218

(89,274,418)

  

114,540,800

전환사채의 증가

      

전환사채의 감소

      

2024.06.30 (기말자본)

6,936,984,000

101,554,153,832

10,198,137,679

 

(82,857,604,080)

35,831,671,431

2025.01.01 (기초자본)

6,936,984,000

101,554,153,832

10,340,353,179

2,369,998,588

(91,248,154,105)

29,953,335,494

당기순이익(손실)

    

(10,441,621,412)

(10,441,621,412)

확정급여제도의재측정요소

    

(6,614,675)

(6,614,675)

기대배당금, 부여한 주식선택권

  

28,671,750

  

28,671,750

주식선택권행사로 인한 현금유입

      

전환사채의 증가

67,593,500

1,242,784,558

(277,128,786)

  

1,033,249,272

전환사채의 감소

 

(4,434,060,583)

4,434,060,583

  

16,985,568,000

2025.06.30 (기말자본)

7,004,577,500

107,230,998,973

5,657,835,560

2,369,998,588

(101,764,956,719)

20,567,020,429

 

자본

자본금

자본잉여금

기타자본구성요소

기타포괄손익누계액

이익잉여금

자본 합계

4-4. 현금흐름표

현금흐름표

제 10 기 반기 2025.01.01 부터 2025.06.30 까지

제 9 기 반기 2024.01.01 부터 2024.06.30 까지

(단위 : 원)

영업활동현금흐름

(5,765,721,031)

(3,206,804,632)

 영업활동으로부터 창출된 현금흐름

(6,439,591,405)

(3,835,898,454)

 이자수취

839,849,869

813,853,235

 이자지급

(197,312,805)

(182,906,033)

 법인세환급(납부)

31,333,310

(1,853,380)

투자활동현금흐름

26,334,428,257

469,669,836

 투자활동으로부터의 현금유입

59,364,517,855

36,544,463,715

  임차보증금의 감소

 

6,381,895

  단기금융상품의 처분

59,364,517,855

36,538,081,820

 투자활동으로부터의 현금유출

(33,030,089,598)

(36,074,793,879)

  임차보증금의 증가

3,000,000

 

  기타포괄손익-공정가치측정금융자산의취득

 

1,318,590,180

  단기금융상품의 취득

33,000,000,000

34,695,021,820

  유형자산의 취득

1,078,182

35,638,000

  장기선급금의 감소(증가)

26,011,416

25,543,879

재무활동현금흐름

(14,019,547,287)

88,579,048

 재무활동으로 인한 현금유입액

3,000,000,000

114,540,800

  주식선택권행사로 인한 현금유입

 

114,540,800

  장기차입금의 증가

3,000,000,000

 

 재무활동으로 인한 현금유출액

(17,019,547,287)

(25,961,752)

  리스부채의 지급

(30,211,936)

(25,961,752)

  전환사채의 감소

16,985,568,000

 

  신주발행비 지급

3,767,351

 

현금및현금성자산의순증가(감소)

6,549,159,939

(2,648,555,748)

현금및현금성자산에 대한 환율변동효과

(44,705,730)

576,556,396

기초현금및현금성자산

3,981,677,368

12,840,748,751

기말현금및현금성자산

10,486,131,577

10,768,749,399

 

제 10 기 반기

제 9 기 반기

5. 재무제표 주석

1. 일반사항

주식회사 큐라클(이하 "당사"라고 함)은 2016년 5월 12일 설립되어, 의학 및 약학 연구개발업을 주요 사업으로 영위하고 있으며, 2021년 7월 22일자로 코스닥시장에 주식을 상장한 공개법인입니다. 당사의 본점은 서울특별시 서초구 효령로 23-1(방배동, 큐라클빌딩)에 소재하고 있으며, 대표이사는 유재현입니다.

당반기말 현재 당사의 주주 현황은 다음과 같습니다.

주주명 보통주
주식수(주) 지분율(%)
권영근 1,809,047 12.91%
김태윤 470,880 3.36%
박광락 421,800 3.01%
이인규 222,550 1.59%
BARCLAYS CAPITAL SECURITIES LIMITED 153,226 1.09%
넥시드-어니스트 제1호투자조합 152,716 1.09%
스마트혁신산업단지제1호투자조합 151,420 1.08%
기타 10,627,516 75.87%
합 계 14,009,155 100.00%

2. 중요한 회계정책 당사의 반기재무제표는 한국채택국제회계기준(이하, "기업회계기준")에 따라 작성되는 중간재무제표입니다. 동 재무제표는 기업회계기준서 제1034호 '중간재무보고'에 따라 작성되었으며, 연차재무제표에서 요구되는 정보에 비하여 적은 정보를 포함하고 있습니다. 선별적 주석은 직전 연차보고기간말 후 발생한 회사의 재무상태와 경영성과의 변동을 이해하는데 유의적인 거래나 사건에 대한 설명을 포함하고 있습니다. 반기재무제표는 매 보고기간말에 공정가치로 측정되는 금융자산 및 금융부채를 제외하고는 역사적 원가에 기초하여 작성하였습니다.

기업회계기준은 중간재무제표 작성시 중요한 회계추정의 사용을 허용하고 있으며, 회계정책을 적용함에 있어 경영진의 판단을 요구하고 있습니다. 보다 복잡하고 높은 수준의 판단이 필요한 부분이나 중요한 가정 및 추정이 필요한 부분은 주석 3에서 설명하고 있습니다. 2.1 당사가 채택한 제ㆍ개정 기준서 및 해석서

당사는 2025년 1월 1일로 개시하는 회계기간부터 다음의 주요 제ㆍ개정 기준서를 신규로 적용하였습니다.

(1) 기업회계기준서 제1021호 '환율변동효과'와 기업회계기준서 제1101호 '한국채택국제회계기준의 최초채택' 개정 - 교환가능성 결여

기업이 다른 통화와의 교환가능성을 평가하는 방법과 교환 가능성 결여 시 현물환율을 결정하는 방법을 명확히 하기 위해 기업회계기준서 제 1021호 '환율변동효과'가 개정되었습니다. 또한 이 개정사항은 교환가능성이 결여된 통화가 기업의 재무성과, 재무상태 및 현금흐름에 어떻게 영향을 미칠 것으로 예상되는지를 재무제표 이용자가 이해할 수 있는 정보를 공시하도록 요구합니다. 해당 기준서의 개정이 재무제표에미치는 중요한 영향은 없습니다.

2.2 당사가 적용하지 않은 제ㆍ개정 기준서 및 해석서

제정 또는 공표되었으나 시행일이 도래하지 않아 적용하지 아니한 제ㆍ개정 기준서 및 해석서는 다음과 같습니다.(1) 기업회계기준서 제1109호 '금융상품', 제1107호 '금융상품: 공시' 개정

실무에서 제기된 의문에 대응하고 새로운 요구사항을 포함하기 위해 기업회계기준서제1109호 '금융상품'과 제1107호 '금융상품: 공시'가 개정되었습니다. 동 개정사항은 2026년 1월 1일 이후 시작하는 회계연도부터 적용되며, 조기적용이 허용됩니다. 주요 개정내용은 다음과 같습니다. 당사는 동 개정으로 인한 재무제표의 영향을 검토중에 있습니다.

- 특정 기준을 충족하는 경우, 결제일 전에 전자지급시스템을 통해 금융부채가 결제된 것으로(제거된 것으로) 간주할 수 있도록 허용

- 금융자산이 원리금 지급만으로 구성되어 있는지의 기준을 충족하는지 평가하기 위한 추가 지침을 명확히 하고 추가함.

- 계약상 현금흐름의 시기나 금액을 변경시키는 계약조건이 기업에 미치는 영향과 기업이 노출되는 정도를 금융상품의 각 종류별로 공시

- FVOCI 지정 지분상품에 대한 추가 공시

(2) 한국채택국제회계기준 연차개선 Volume 11

한국채택국제회계기준 연차개선 Volume 11은 2026년 1월 1일 이후 시작하는 회계연도부터 적용되며, 조기적용이 허용됩니다. 당사는 동 개정으로 인해 재무제표에 중요한 영향은 없을 것으로 예상하고 있습니다.

- 기업회계기준서 제1101호 '한국채택국제회계기준의 최초채택' : K-IFRS 최초 채택시 위험회피회계 적용

- 기업회계기준서 제1107호 '금융상품:공시' : 제거 손익, 실무적용지침

- 기업회계기준서 제1109호 '금융상품' : 리스부채의 제거 회계처리와 거래가격의 정의

- 기업회계기준서 제1110호 '연결재무제표' : 사실상의 대리인 결정

- 기업회계기준서 제1007호 '현금흐름표' : 원가법

2.3 회계정책반기재무제표의 작성에 적용된 중요한 회계정책과 계산방법은 주석 2.1에서 설명하는 제ㆍ개정 기준서의 적용으로 인한 변경을 제외하고는 2024년 12월 31일로 종료하는 회계연도에 대한 연차재무제표 작성 시 적용된 회계정책이나 계산방법과 동일합니다.

3. 중요한 회계추정 및 가정 중간재무제표 작성에는 미래에 대한 가정 및 추정이 요구되며 경영진은 당사의 회계정책을 적용하기 위해 판단이 요구됩니다. 추정 및 가정은 지속적으로 평가되며, 과거 경험과 현재의 상황에 비추어 합리적으로 예측가능한 미래의 사건을 고려하여 이루어집니다. 회계추정의 결과가 실제 결과와 동일한 경우는 드물 것이므로 중요한 조정을 유발할 수 있는 유의적인 위험을 내포하고 있습니다.

반기재무제표 작성을 위한 당사의 회계정책 적용과 추정 금액에 대한 경영진의 판단은 2024년 12월 31일로 종료하는 회계연도의 연차재무제표와 동일한 회계정책과 추정의 근거를 사용하였습니다.

4. 원가기준 투입법 적용 계약 (1) 당반기 및 전기의 계약잔액 및 영업수익 등의 내역은 다음과 같습니다. ① 당반기해당사항 없음

② 전기

(단위: 천원)
구분(*)

기초

계약잔액

증감액

영업수익

기말

계약잔액

Rivasterat-RE 임상시험 - 1,129,384 1,129,384 -
Rivasterat-RE 비임상시험 - 503,166 503,166 -
합 계 - 1,632,550 1,632,550 -

(*) 당반기 중 파이프라인 명칭이 기존 CU06에서 Rivasterat으로 변경되었습니다.

(2) 당반기말과 전기말 현재 진행중인 용역과 관련된 누적원가 등의 내역은 다음과 같습니다.① 당반기말해당사항 없음

② 전기말

(단위: 천원)
구분(*) 누적원가 누적손익 계약자산 계약부채
Rivasterat-RE 임상시험 8,955,666 131,227 - -
Rivasterat-RE 비임상시험 6,653,511 - - -
합 계 15,609,177 131,227 - -

(*) 당반기 중 파이프라인 명칭이 기존 CU06에서 Rivasterat으로 변경되었습니다.

(3) 당반기 및 전기의 계약수익금액이 전기 매출액의 5% 이상인 수행의무별 정보는 다음과 같습니다.ⓛ 당반기해당사항 없음② 전기

(단위: 천원)
구분(*1) 수행의무 계약일 이행종료시점 진행률 계약수익 계약자산 계약부채
Rivasterat-RE임상 및 비임상시험 임상 2상 시험 2021-10 2024년 5월(*2) - 1,129,384 - -
비임상 시험 2023-03 2024년 5월(*2) - 503,166 - -
합 계 1,632,550 - -

(*1) 당반기 중 파이프라인 명칭이 기존 CU06에서 Rivasterat으로 변경되었습니다.(*2) 당사가 Thea Open Innovation과 2021년 10월 27일자에 체결한 당뇨병성 황반부종 및 습성 황반변성 치료제 Rivasterat-RE에 대한 기술이전 계약에 대해 2024년 5월 16일자로 계약해지 및 권리반환 통보를 받았습니다.

5. 금융상품 공정가치5.1 금융상품 종류별 공정가치당반기말과 전기말 현재 금융상품의 종류별 장부금액 및 공정가치는 다음과 같습니다.

(단위: 천원)

구분

당반기말

전기말

장부금액

공정가치

장부금액

공정가치

금융자산

현금및현금성자산(*) 10,486,132 10,486,132 3,981,677 3,981,677
매출채권(*) 1,006,559 1,006,559 1,100,792 1,100,792
단기금융상품(*) - - 26,364,518 26,364,518
기타포괄손익공정가치측정금융자산 2,619,454 2,619,454 2,619,454 2,619,454
기타금융자산(*) 29,874 29,874 590,767 590,767
파생상품금융자산 - - 502,154 502,154

합 계

14,142,019 14,142,019 35,159,362 35,159,362

금융부채

전환사채(*) 2,019,008 2,019,008 12,298,573 12,298,573
기타금융부채(*) 2,709,737 2,709,737 587,391 587,391
리스부채(*) 86,099 86,099 97,993 97,993
유동성장기차입금(*) 8,000,000 8,000,000 - -
장기차입금(*) 3,000,000 3,000,000 8,000,000 8,000,000
파생상품금융부채 1,162,490 1,162,490 7,989,267 7,989,267

합 계

16,977,334 16,977,334 28,973,224 28,973,224

(*) 상각후원가로 측정되는 금융자산 및 금융부채로서 장부금액은 공정가치의 합리적인 근사치입니다.

5.2 공정가치 서열체계 공정가치로 측정되는 금융상품의 공정가치 서열체계 구분은 다음과 같습니다. - 수준 1: 측정일에 동일한 자산이나 부채에 대한 접근가능한 활성시장의 조정되지 않은 공시가격 - 수준 2: 수준 1의 공시가격 이외에 자산이나 부채에 대해 직접적으로 또는 간접적으로 관측가능한 투입변수 - 수준 3: 자산이나 부채에 대한 관측가능하지 않은 투입변수 ① 당반기말

(단위: 천원)
구분 수준 1 수준 2 수준 3 합계
금융자산
기타포괄손익공정가치측정금융자산 - - 2,619,454 2,619,454
금융부채
파생상품금융부채 - - 1,162,490 1,162,490

② 전기말

(단위: 천원)
구분 수준 1 수준 2 수준 3 합계
금융자산
기타포괄손익공정가치측정금융자산 - - 2,619,454 2,619,454
파생상품금융자산 - - 502,154 502,154
금융부채
파생상품금융부채 - - 7,989,267 7,989,267

5.3 공정가치 측정치의 서열체계 수준 간 이동당사는 공정가치 서열체계의 수준 간 이동을 보고기간말에 인식하며 각 공정가치 서열체계의 수준 간 이동 내역은 없습니다.

5.4 공정가치 측정치의 수준 3의 변동 내역당반기 및 전반기 중 공정가치 측정치의 수준 3의 변동 내역은 다음과 같습니다. ① 당반기

(단위: 천원)

구분

기타포괄손익공정가치측정금융자산 파생상품금융자산 파생상품금융부채

기초금액

2,619,454 502,154 7,989,267
전환 - - (399,463)
상환 - - (6,722,092)

평가(*)

- (502,154) 294,778

반기말금액

2,619,454 - 1,162,490

(*) 당반기 중 회사가 발행한 전환사채의 기한이익이 상실됨에 따라 회사의 매도청구권이 보장되지 아니하여 파생상품금융자산의 공정가치는 0원으로 평가되었습니다.(주석 14참조)② 전반기

(단위: 천원)

구분

기타포괄손익공정가치측정금융자산 파생상품금융자산 파생상품금융부채

기초금액

1,300,864 1,666,292 7,377,233
취득 1,318,590 - -

반기말금액

2,619,454 1,666,292 7,377,233

5.5 가치평가기법 및 투입변수(1) 당반기말과 전기말 현재 당사의 재무상태표에서 공정가치로 측정되는 자산, 부채중 공정가치 서열체계 수준 2로 분류된 항목은 없습니다.

(2) 당반기말과 전기말 현재 당사의 재무상태표에서 공정가치로 측정되는 자산, 부채중 공정가치 서열체계 수준 3으로 분류된 항목의 가치평가기법과 투입변수는 다음과같습니다.

① 당반기말

(단위: 천원)
구분 공정가치 수준 가치평가기법 투입변수 투입변수 범위
기타포괄손익공정가치측정금융자산
비상장주식 2,619,454 3 원가접근법 - -
당기손익공정가치측정금융부채
파생상품금융부채 1,162,490 3 이항모형 할인율 2.29% ~ 2.46%
주가변동성 60.54%

② 전기말

(단위: 천원)
구분 공정가치 수준 가치평가기법 투입변수 투입변수 범위
기타포괄손익공정가치측정금융자산
비상장주식 2,619,454 3 원가접근법 - -
당기손익공정가치측정금융자산
파생상품금융자산 502,154 3 이항모형 할인율 2.60% ~ 2.86%
주가변동성 82.49%
당기손익공정가치측정금융부채
파생상품금융부채 7,989,267 3 이항모형 할인율 2.60% ~ 2.86%
주가변동성 82.49%

5.6 수준 3으로 분류된 공정가치 측정치의 가치평가과정당사는 재무보고 목적의 공정가치 측정을 담당하는 담당자가 있으며, 이러한 공정가치 측정치는 수준 3으로 분류되는 공정가치 측정치를 포함하고 있습니다. 공정가치 측정 담당자는 당사의 재무담당이사와 감사에 직접 보고하며 매기 보고일정에 맞추어 공정가치 평가과정 및 그 결과에 대해 재무담당이사 및 감사와 협의합니다.

6. 범주별 금융상품

(1) 당반기말과 전기말 현재 금융자산 내역은 다음과 같습니다.

(단위: 천원)

구분

당반기말

전기말

유동 비유동 유동 비유동

상각후원가측정금융자산

현금및현금성자산

10,486,132 - 3,981,677 -
매출채권 1,006,559 - 1,100,792 -

단기금융상품

- - 26,364,518 -

기타금융자산

19,516 10,358 583,293 7,473

소 계

11,512,207 10,358 32,030,280 7,473
당기손익공정가치측정금융자산
파생상품금융자산 - - - 502,154
기타포괄손익공정가치측정금융자산
기타투자자산 - 2,619,454 - 2,619,454
합 계 11,512,207 2,629,812 32,030,280 3,129,081

(2) 당반기말과 전기말 현재 금융부채 내역은 다음과 같습니다.

(단위: 천원)

구분

당반기말

전기말

유동 비유동 유동 비유동
상각후원가측정금융부채

차입금

8,000,000 3,000,000 - 8,000,000
전환사채 2,019,008 - 12,298,573 -
리스부채 57,541 28,558 58,977 39,016

기타금융부채

미지급금 2,488,479 - 103,454 -
미지급비용 221,258 - 483,937 -

소 계

12,786,286 3,028,558 12,944,941 8,039,016
당기손익공정가치측정금융부채
파생상품금융부채 1,162,490 - 7,989,267 -
합 계 13,948,776 3,028,558 20,934,208 8,039,016

(3) 당반기 및 전반기의 금융상품 범주별 순손익 정보는 다음과 같습니다.

(단위: 천원)
구분 당반기 전반기
3개월 누적 3개월 누적
당기손익공정가치측정금융자산
파생상품평가손실 (502,154) (502,154) - -
상각후원가측정금융자산
이자수익 72,005 287,250 342,392 617,752
외환차익 - - 28,486 203,953
외화환산이익 - - 368,149 672,136
외화환산손실 (131,099) (138,938) - -
당기손익공정가치측정금융부채
파생상품평가손실 (330,679) (330,679) - -
파생상품평가이익 35,900 35,900 - -
상각후원가측정 금융부채
이자비용 (508,541) (1,161,968) (603,613) (1,189,894)
사채상환이익 341,221 341,221 - -
외환차손 1,043 (23,534) (16,689) (31,017)
외화환산손실 6,544 - (5,376) (6,824)
외환차익 12,786 15,419 1,310 1,385
외화환산이익 285 285 - -

7. 현금및현금성자산 및 단기금융상품(1) 당반기말과 전기말 현재 현금및현금성자산의 내역은 다음과 같습니다.

(단위: 천원)

구분

당반기말

전기말

현금 449 -
보통예금 10,485,683 3,981,677
합 계 10,486,132 3,981,677

(2) 당반기말과 전기말 현재 단기금융상품의 내역은 다음과 같습니다.

(단위: 천원)

구분

당반기말

전기말

정기예적금

- 26,364,518

8. 기타투자자산당반기말과 전기말 현재 당사의 기타투자자산의 내역은 다음과 같습니다.

(단위: 천원)
구분 당반기말 전기말
기타비유동투자자산
기타포괄손익공정가치측정금융자산 2,619,454 2,619,454

9. 매출채권(1) 당반기말과 전기말 현재 매출채권의 내역은 다음과 같습니다.

(단위 : 천원)
구분 당반기말 전기말
총장부금액 1,125,152 1,219,385
손실충당금 (118,593) (118,593)
순장부금액 1,006,559 1,100,792

(2) 당반기 및 전반기의 매출채권의 손실충당금 변동내역은 없습니다.

10. 유형자산

(1) 당반기 및 전반기의 유형자산 변동 내역은 다음과 같습니다.① 당반기

(단위: 천원)
구분 기초 취득 감가상각비 반기말
토지 19,010,040 - - 19,010,040
건물 2,912,282 - (39,091) 2,873,191
기계장치 927,426 - (174,144) 753,282
(정부보조금) (1,650) - 911 (739)
비품 138,499 1,078 (27,531) 112,046
합 계 22,986,597 1,078 (239,855) 22,747,820

② 전반기

(단위: 천원)
구분 기초 취득 처분 감가상각비 반기말
토지 16,379,631 - - - 16,379,631
건물 2,988,824 - - (37,451) 2,951,373
기계장치 1,076,219 35,638 - (190,882) 920,975
(정부보조금) (4,055) - - 1,493 (2,562)
비품 189,252 - - (29,958) 159,294
리스개량자산 665 - (665) - -
합 계 20,630,536 35,638 (665) (256,798) 20,408,711

(2) 당반기말 현재 유형자산 담보제공내역은 다음과 같습니다(주석 13참고).

(단위: 천원)
구분 장부금액 담보설정금액 관련 계정과목 관련 차입금 담보권자
토지 19,010,040 13,200,000 차입금 11,000,000 하나은행,중소기업은행
건물 2,873,191

(3) 유형자산 재평가 모형① 당사는 토지의 인식시점 이후의 측정과 관련하여 재평가모형을 선택적용 하였습니다. 토지의 공정가치를 결정하기 위해 회사는 공인된 독립적인 감정평가법인에 평가를 의뢰하였으며, 재평가내역은 다음과 같습니다.

구분 내역
재평가자산 토지
재평가기준일 2024년 12월 31일
공정가치 결정방법 감정평가에 관한 규칙 제 14조에 따라 주된 방법인 공시지가기준법에 의한 시산가액 산출 후 다른 감정평가방식에 속한 거래사례비교법에 의한 시산가액과 비교하여 합리성을 검토함

② 재평가된 유형자산이 원가모형으로 평가되었을 경우의 장부금액 및 재평가모형과의 차이내역은 다음과 같습니다.

(단위: 천원)
구분 토지
당반기말 전기말
원가 16,379,631 16,379,631
원가모형 순장부금액 16,379,631 16,379,631
재평가모형 순장부금액 19,010,040 19,010,040
재평가잉여금 2,630,409 2,630,409

③ 당반기 중 재평가로 인한 기타포괄손익누계액의 변동내역은 없습니다.

11. 무형자산 당반기 및 전반기의 무형자산 변동 내역은 다음과 같습니다.① 당반기

(단위: 천원)

구분

기초

상각비

대체(*)

반기말

특허권 285,485 (27,291) 22,096 280,290
전용실시권 19,536 (2,913) - 16,623
소프트웨어 17,059 (3,990) - 13,069
상표권 1,996 (922) - 1,074
회원권 68,000 - - 68,000
합 계 392,076 (35,116) 22,096 379,056

(*) 장기선급금에서 대체된 금액입니다.② 전반기

(단위: 천원)

구분

기초

상각비

반기말

특허권 141,057 (15,995) 125,062
전용실시권 88,020 (20,927) 67,093
소프트웨어 26,149 (5,100) 21,049
상표권 3,839 (921) 2,918
회원권 68,000 - 68,000
합 계 327,065 (42,943) 284,122

12. 리스 당사가 리스이용자인 경우의 리스에 대한 정보는 다음과 같습니다. (1) 당반기 및 전반기의 사용권자산 변동 내역은 다음과 같습니다.① 당반기

(단위: 천원)
구분 기초 취득 감가상각비 반기말
건물 - 18,579 (507) 18,072
차량운반구 92,396 - (29,427) 62,969
합 계 92,396 18,579 (29,934) 81,041

② 전반기

(단위: 천원)
구분 기초 취득 처분 감가상각비 반기말
차량운반구 195,474 - (43,540) (29,822) 122,112

(2) 재무상태표에 인식된 금액 당반기말 및 전기말 현재 리스와 관련해 재무상태표에 인식된 금액은 다음과 같습니다.

(단위: 천원)

구분

당반기말

전기말

사용권자산
건물 18,072 -

차량운반구

62,969 92,396
합 계 81,041 92,396

(단위: 천원)

구분

당반기말

전기말

리스부채

유동

57,541 58,977

비유동

28,558 39,016

합 계

86,099 97,993

(3) 포괄손익계산서에 인식된 금액당반기 및 전반기 중 리스와 관련해서 포괄손익계산서에 인식된 금액은 다음과 같습니다.

(단위: 천원)

구분

당반기

전반기
3개월 누적 3개월 누적

사용권자산의 감가상각비

건물 507 507 - -

차량운반구

14,641 29,427 14,641 29,822

합계

15,148 29,934 14,641 29,822

리스부채에 대한 이자비용

1,061 2,267 1,722 3,694

단기리스가 아닌 소액자산리스료

4,045 8,146 2,972 6,165

당반기 및 전반기 중 선급리스료를 포함한 리스의 총 현금유출은 각각 40,625천원 및 35,821천원입니다.

13. 차입금

(1) 당반기말과 전기말 현재 당사의 차입금의 내역은 다음과 같습니다.

(단위: 천원)
구분 당반기말 전기말
유동항목
유동성장기차입금 8,000,000 -
비유동항목
장기차입금 3,000,000 8,000,000
합 계 11,000,000 8,000,000

상기 차입금과 관련하여 유형자산이 담보로 제공되어 있습니다(주석10 참조). (2) 당반기말과 전기말 현재 차입금의 상세내역은 다음과 같습니다.

(단위: 천원)
구분 차입처 만기일 연이자율 당반기말 전기말
장기차입금
원화대출 하나은행 2026-01-29 CD(3M) + 1.42% 8,000,000 8,000,000
원화대출 중소기업은행 2027-05-23 KORIBOR(3M) + 2.53% 3,000,000 -
차감: 유동성장기차입금 (8,000,000) -
차감 후 잔액 3,000,000 8,000,000

(3) 당반기말 현재 차입금의 상환일정은 다음과 같습니다.

(단위: 천원)
상환연도 상환금액
1년 이내 8,000,000
2년 이내 3,000,000
합 계 11,000,000

14. 전환사채(1) 당반기말과 전기말 현재 전환사채의 내역은 다음과 같습니다.

(단위 : 천원)
종 류 발행일 만기일 액면이자율 보장수익률 당반기말 전기말
제1회차 무기명식 무보증 사모 전환사채 2023-06-28 2028-06-28 0.0% 3.0% 3,000,000 20,000,000
사채상환할증금 483,552 3,223,680
전환권조정 (1,464,544) (10,925,107)
가감 계 2,019,008 12,298,573

(2) 당반기말 현재 발행된 전환사채의 발행조건은 다음과 같습니다.

구분 내역
종류 제1회차 무기명식 무보증 사모 전환사채
사채의 권면총액(*1) 3,000,000천원
사채의 발행가액 사채권면금액의 100%
발행일 2023년 06월 28일
만기일 2028년 06월 28일
표면이자율 연 0.0%
만기보장수익률 연 3.0%
이자지급조건 및 기한 표면이자율이 0%로 별도의 이자지급기일 없음
원금상환방법 만기까지 보유하고 있는 "본 사채"의 전자등록금액에 대하여는 만기일에 전자등록금액의 116.1184%에 해당하는 금액을 일시 상환함
전환가격의 조정 시가를 하회하는 가격으로 주식 등을 발행하는 경우, 전환가격을 조정함
옵션에 관한 사항(*2) 1. 조기상환청구권(Put Option)에 관한 사항발행일로부터 24개월이 되는 날 및 이후 매3개월에 해당되는 날(조기상환청구권 만기일 : 2028년 3월13일)에 원금의 전부 또는 일부를 조기상환 할 것을 청구할 수 있다. 2. 매도청구권(Call Option)에 관한 사항발행일로부터 12개월이 되는 날로부터 24개월이 되는날(매도청구권 만기일 : 2025년 6월 28일)까지 매3개월이 되는 날마다 전환사채 액면금액의 20%인 40억원까지 발행회사 또는 발행회사가 지정하는 제3자에게 매도하도록 청구할 수 있다.
전환조건 (1) 전환가격(*3) : 7,397 원
(2) 전환청구기간 : 2024년 6월 28일부터 2028년 6월 28일까지
(3) 전환비율 : 100%
(4) 전환대상 유가증권 : 주식회사 큐라클 기명식 보통주

(*1) 최초 발행금액은 20,000,000천원이었으나, 당반기 중 전환권 행사로 액면금액 1,000,000천원은 보통주로 전환되었고 기한이익 상실의 원인사유(사유: 직전연도 말자본총계의 30%를 초과하는 유상증자에 대해 사채권자와의 계약상 절차 미준수)가 발생함에 따라 상환권 행사로 액면금액 16,000,000천원은 상환되었습니다.(*2) 당반기 중 기한이익 상실의 원인 사유가 발생함에 따라 회사의 매도청구권은 권리를 상실하였습니다.(*3) 전기 중 행사(전환)가액이 조정되었으며, 조정 후 행사(전환)가액입니다.

(3) 당반기말과 전기말 현재 전환사채 발행과 관련하여 인식한 파생상품 내역은 다음과 같습니다.

(단위: 천원)
구 분 당반기말 전기말
유동 유동 비유동
파생상품자산 - - 502,154
파생상품부채 1,162,490 7,989,267 -

당사는 전환사채 발행과 관련하여 약정된 매도청구권(발행자의 콜옵션)과 조기상환청구권(사채권자의 풋옵션)을 해당 전환사채의 최초 발행시점에 별도의 파생상품으로 보아 각각 파생상품자산 및 파생상품부채로 인식하였으나, 당반기 중 기한의 이익이 상실되어 매도청구권을 전액 비용처리하였습니다.(4) 당사가 발행한 전환사채에 시가하락에 따른 전환가액 조정약정이 존재하지만, 금융감독원 질의회신 '회제이-00094'에 의거하여 전환권대가를 자본으로 인식하였으며, 동 회계처리는 '주식회사 등의 외부감사에 관한 법률' 제 13조 제1항 제 1호의 한국채택국제회계기준에 한하여 효력이 있습니다.

15. 퇴직급여(1) 당반기 및 전반기의 포괄손익계산서에 반영된 금액은 다음과 같습니다.

(단위: 천원)

구분

당반기

전반기

3개월 누적 3개월 누적
당기근무원가 100,193 200,387 68,974 137,948
순이자원가 (9,931) (19,861) (8,101) (16,203)
종업원급여에 포함된 총 비용 90,262 180,526 60,873 121,745

(2) 당반기말 및 전기말 현재 순확정급여부채 금액의 산정내역은 다음과 같습니다.

(단위: 천원)

구분

당반기말

전기말

확정급여채무의 현재가치

1,264,433 1,102,004

사외적립자산의 공정가치

(1,030,771) (1,052,883)

재무상태표상 순확정급여부채

233,662 49,121

16. 기타자산 및 기타부채당반기말 및 전기말 현재 기타자산 및 기타부채 내역은 아래와 같습니다.

(단위: 천원)

구분

당반기말

전기말

유동 비유동 유동 비유동
기타자산
선급금 850 234,768 180 230,853
선급비용 148,391 29,602 118,846 40,030
당기법인세자산 129,196 - 160,529 -
부가세대급금 195,616 - 107,497 -
합 계 474,053 264,370 387,052 270,883
기타부채
예수금 49,933 - 52,276 -

17. 법인세비용 및 이연법인세법인세비용은 당기법인세비용에서 과거기간 당기법인세에 대하여 당기에 인식한 조정사항, 일시적차이의 발생과 소멸로 인한 이연법인세변동액 및 당기손익 이외로 인식되는 항목과 관련된 법인세비용을 조정하여 산출하였습니다. 당반기 및 전반기는 법인세비용이 존재하지 않습니다.

18. 자본금과 자본잉여금

(1) 당사가 발행할 주식의 총수는 100,000,000주이고, 발행한 주식수는 보통주식 14,009,155주(전기말: 13,873,968주)이며 1주당 액면금액은 500원입니다.(2) 당반기 및 전반기 중 자본금 및 자본잉여금의 변동은 다음과 같습니다.

(단위: 주, 천원)
구분 주식수 자본금 주식발행초과금 기타자본잉여금
전기초 13,855,342 6,927,671 101,359,652 -
2024-05-20 주식선택권 행사 18,626 9,313 194,502 -
전반기말 13,873,968 6,936,984 101,554,154 -
당기초 13,873,968 6,936,984 101,554,154 -
2025-02-24 전환권 행사 67,594 33,797 618,666 -
2025-02-25 전환권 행사 27,037 13,519 247,526 -
2025-04-22 전환권 행사 40,556 20,278 376,592 -
2025-05-28 전환권 소멸 - - - 4,101,506
2025-06-28 전환권 소멸 - - - 332,555
당반기말 14,009,155 7,004,578 102,796,938 4,434,061

19. 기타자본구성요소 및 기타포괄손익누계액(1) 당반기말과 전기말 현재 기타자본구성요소의 내역은 다음과 같습니다.

(단위: 천원)
구분 당반기말 전기말
주식선택권 4,826,449 4,797,777
전환권대가 831,387 5,542,576
합 계 5,657,836 10,340,353

(2) 당반기말과 전기말 현재 기타포괄손익누계액의 내역은 다음과 같습니다.

(단위: 천원)
구분 당반기말 전기말
재평가잉여금 2,369,999 2,369,999

20. 결손금당반기말과 전기말 현재 결손금의 내역은 다음과 같습니다.

(단위: 천원)
구분 당반기말 전기말
미처리결손금 (101,696,390) (91,248,154)

21. 주식기준보상 (1) 당사는 주주총회 결의에 의거하여 당사의 임직원에게 주식선택권을 부여하였으며, 당반기말 현재 그 주요 내용은 다음과 같습니다.

(단위: 주, 원)
구분 부여방법 잔여 부여수량(*) 가득기간 만기일 행사가격(*) 부여일 공정가치(*)
3-1차 - 2019년 6월 30일 부여 주식교부형 20,000 2.0년 2026-07-13 3,384 4,782
4차 - 2020년 3월 31일 부여 주식교부형 10,000 2.0년 2027-04-01 6,200 4,793
5-1차 - 2021년 1월 5일 부여 주식교부형 20,000 2.0년 2028-01-05 7,750 11,061
5-2차 - 2021년 1월 5일 부여 주식교부형 10,000 2.0년 2028-01-05 10,720 10,669
6-1차 - 2021년 3월 29일 부여 주식교부형 100,000 2.0년 2028-03-29 8,500 10,700
6-2차 - 2021년 3월 29일 부여 주식교부형 4,000 2.0년 2028-03-29 10,720 10,376
7차 - 2022년 3월 30일 부여 주식교부형 135,000 2.0년 2029-03-29 21,500 18,999
8차 - 2022년 11월 16일 부여 주식교부형 45,000 2.0년 2029-11-15 12,700 9,985
9차 - 2023년 3월 30일 부여 주식교부형 30,000 2.0년 2030-03-29 11,100 7,646

(*) 당사는 2020년 12월 12일 100% 무상증자를 실시함에 따라 주식선택권 부여수량, 행사가격 및 부여일 공정가치를 조정하였습니다. 종업원 주식선택권은 행사시점에 당사의 주식으로 전환되며, 종업원이 주식선택권을부여받을 때 지급하였거나 지급할 금액은 없습니다. 주식선택권은 배당에 대한 권리나 의결권을 가지지 않으며, 가득일로부터 만기일까지의 기간 동안 행사될 수 있습니다.(2) 당반기와 전반기 중 주식선택권의 변동은 다음과 같습니다.

(단위: 주)
구분 당반기 전반기
기초 잔여주식 374,000 392,626
기중 행사분 - (18,626)
기말 잔여주식 374,000  374,000

당반기말 현재 유효한 주식선택권의 가중평균 잔여만기는 3.33년이며, 가중평균 행사가격은 13,614원입니다.

(3) 당사는 부여된 주식선택권의 보상원가를 이항모형을 이용한 공정가치접근법을 적용하여 산정했으며, 보상원가를 산정하기 위한 제반 가정 및 변수는 다음과 같습니다.

구분 3-1차 4차 5-1차 5-2차 6-1차 6-2차 7차 8차 9차
주식선택권 공정가치 4,782원 4,793원 11,061원 10,669원 10,700원 10,376원 18,999원 9,985원 7,646원
주가 7,172원 7,514원 13,218원 13,218원 13,218원 13,218원 24,200원 12,900원 10,620원
무위험이자율 1.54% 1.22% 1.50% 1.50% 1.73% 1.73% 2.90% 3.84% 3.26%
연환산 예상주가변동성 43.82% 61.79% 91.25% 91.25% 85.88% 85.88% 86.26% 85.15% 77.26%

(4) 당반기 및 전반기 비용으로 인식된 주식기준보상은 각각 28,672천원 및 500,767천원이며, 전액 주식결제형 주식기준보상과 관련된 비용입니다.

22. 영업수익(1) 수익의 구성전반기 중 당사의 영업수익은 프랑스 소재 기업인 Thea Open Innovation과 체결한 기술이전계약에서 발생하였습니다.(2) 당반기 및 전반기의 영업수익 인식 시기에 대한 구분은 다음과 같습니다.

(단위: 천원)
구 분 당반기 전반기
3개월 누적 3개월 누적
기간에 걸쳐 이행 - - - 499,871

(3) 당반기 및 전기 중 당사가 고객과의 계약과 관련하여 인식한 자산, 부채는 다음과 같습니다.

① 당반기해당사항 없음

② 전기

(단위: 천원)
구 분 기초 증가 감소 기말
계약자산 2,854,051 1,645,100 4,499,151 -

(4) 당반기 및 전반기 중 영업수익의 10%이상을 차지하는 주요 고객은 다음과 같습니다.

(단위: 천원)
구분 당반기 전반기
Thea Open Innovation - 499,871

23. 영업비용당반기 및 전반기의 영업비용 내역은 다음과 같습니다.

(단위: 천원)
구분 당반기 전반기
3개월 누적 3개월 누적
종업원 급여 903,376 1,819,747 927,788 1,890,287
퇴직급여 90,262 180,527 60,873 121,745
복리후생비 43,169 96,182 49,513 103,025
주식보상비용 - 28,672 99,658 500,767
여비교통비 53,732 82,589 69,467 148,862
접대비 23,014 45,913 32,374 65,228
세금과공과 79,001 149,718 85,280 153,753
감가상각비 119,831 239,855 129,523 256,798
사용권자산상각비 15,148 29,934 14,641 29,822
지급임차료 4,045 8,146 2,972 6,165
보험료 7,267 13,060 7,785 13,507
차량유지비 3,440 7,905 4,026 7,362
소모품비 71,346 158,217 148,548 341,938
지급수수료 259,933 564,353 261,498 523,543
광고선전비 14,950 44,261 17,683 50,965
건물관리비 28,816 58,345 26,945 54,071
무형자산상각비 17,558 35,116 20,636 42,943
위탁용역연구비 3,526,536 5,295,145 1,900,593 3,053,737
전력비 13,266 33,903 13,164 32,495
기타 41,263 72,970 13,148 44,672
합 계 5,315,953 8,964,558 3,886,115 7,441,685

24. 기타수익 및 기타비용당반기 및 전반기의 기타수익 및 기타비용 내역은 다음과 같습니다.

(단위: 천원)
구분 당반기 전반기
3개월 누적 3개월 누적
기타수익
잡이익 11 255 24,033 37,586
기타비용
유형자산처분손실 - - - 665
리스해지손실 - - - 5,367
잡손실 88 120 - 18
소 계 88 120 - 6,050

25. 금융수익 및 금융비용당반기 및 전반기의 금융수익 및 금융비용 내역은 다음과 같습니다.

(단위: 천원)
구분 당반기 전반기
3개월 누적 3개월 누적
금융수익
이자수익 72,005 287,250 342,393 617,752
외화환산이익 285 285 368,148 672,136
외환차익 12,785 15,419 29,796 205,338
파생상품평가이익 35,900 35,900 - -
사채상환이익 341,221 341,221 - -
합 계 462,197 680,075 740,337 1,495,226
금융비용
이자비용 508,541 1,161,968 603,612 1,189,894
외화환산손실 124,555 138,938 5,376 6,824
외환차손 (1,043) 23,534 16,690 31,017
파생상품평가손실 832,833 832,833 - -
합 계 1,464,886 2,157,273 625,678 1,227,735

26. 주당순손실기본주당순손실은 당사의 보통주당기순손실을 해당 기간의 가중평균유통보통주식수로 나누어 산정하였습니다.(1) 당반기 및 전반기 기본주당순손실의 산정내역은 다음과 같습니다.

(단위: 주, 원, 천원)
구분 당반기 전반기
3개월 누적 3개월 누적
반기순손실 (6,318,718) (10,441,621) (3,747,424) (6,642,786)
가중평균유통보통주식수 13,999,796 13,955,902 13,863,939 13,859,640
기본주당순손실 (451) (748) (270) (479)

(2) 당반기 및 전반기 중 가중평균유통보통주식수의 산정내역은 다음과 같습니다.

① 당반기

(단위: 주)
구분 기준일 유통보통주식수 3개월 누적
가중치(일) 가중평균유통보통주식수 가중치(일) 가중평균유통보통주식수
당반기초 2025-01-01 13,873,968 91/91 13,873,968 181/181 13,873,968
전환권 행사 2025-02-24 67,594 91/91 67,594 127/181 47,428
전환권 행사 2025-02-25 27,037 91/91 27,037 126/181 18,821
전환권 행사 2025-04-22 40,556 70/91 31,197 70/181 15,685
합 계 14,009,155 13,999,796 13,955,902

② 전반기

(단위: 주)
구분 기준일 유통보통주식수 3개월 누적
가중치(일) 가중평균유통보통주식수 가중치(일) 가중평균유통보통주식수
전반기초 2024-01-01 13,855,342 91/91 13,855,342 182/182 13,855,342
주식선택권 행사 2024-05-20 18,626 42/91 8,597 42/182 4,298
합 계 13,873,968 13,863,939 13,859,640

(3) 희석주당순손실당반기 및 전반기 손실발생으로 인하여 희석효과가 없습니다. 따라서 희석주당손익은 기본주당손익과 동일합니다. 잠재적으로 미래의 기본주당이익을 희석할 수 있는 항목은 다음과 같습니다.

(단위: 주)
구분 당반기말 전기말
주식선택권 374,000 374,000
전환사채 405,569 2,703,798

27. 현금흐름표 (1) 보고기간 중 영업활동으로부터 창출된 현금흐름은 다음과 같습니다.

(단위: 천원)
구분 당반기 전반기
반기순손실 (10,441,621) (6,642,786)
비현금항목의 조정 1,983,187 864,937
감가상각비 239,855 256,798
사용권자산상각비 29,934 29,822
무형자산상각비 35,116 42,943
퇴직급여 180,527 121,745
주식보상비용 28,672 500,767
이자비용 1,161,968 1,189,894
외화환산손실 138,938 6,824
유형자산처분손실 - 665
리스해지손실 - 5,367
파생상품평가손실 832,833 -
이자수익 (287,250) (617,752)
외화환산이익 (285) (672,136)
파생상품평가이익 (35,900) -
사채상환이익 (341,221) -
영업활동으로 인한 자산 부채의 변동 2,018,843 1,941,951
매출채권 - 3,350,922
미수금 11,033 -
계약자산 - (499,871)
선급금 (670) (297)
선급비용 (29,545) (87,103)
부가세대급금 (88,120) (21,961)
장기선급금 - 598,330
장기선급비용 10,428 13,246
예수금 (2,344) 16,020
미지급금 2,385,309 (905,223)
미지급비용 (264,648) (521,937)
퇴직금의 지급 (37,957) (13,563)
사외적립자산 35,357 13,388
영업활동으로부터 창출된 현금흐름 (6,439,591) (3,835,898)

(2) 현금의 유출ㆍ입이 없는 거래 중 중요한 사항은 다음과 같습니다.

(단위: 천원)
구분 당반기 전반기
전환권 행사로 인한 자본 대체 1,033,249 -
상환권 행사로 인한 자본 대체 4,434,061 -
장기차입금의 유동성 대체 8,000,000 -
전환사채의 유동성 대체 - 11,220,524
파생상품부채의 유동성 대체 - 7,377,233
계약자산의 매출채권 대체 - 3,350,922
사외적립자산의 대체 - 86,075
주식매수선택권의 행사 - 89,274

(3) 당반기 및 전반기 중 재무활동에서 생기는 자산 및 부채의 조정내용은 다음과 같습니다.① 당반기

(단위: 천원)
구분 재무활동으로 인한 부채 재무활동으로 인한 자산 합계
전환사채 파생상품금융부채 유동성장기차입금 장기차입금 리스부채 소계 파생상품금융자산
당기초 12,298,573 7,989,267 - 8,000,000 97,993 28,385,833 (502,154) 27,883,679
재무활동현금흐름 (10,263,476) (6,722,092) - 3,000,000 (30,212) (14,015,780) - (14,015,780)
공정가치 변동 - 294,778 - - - 294,778 502,154 796,932
전환권 행사 (637,553) (399,463) - - - (1,037,016) - (1,037,016)
기타변동 621,464 - 8,000,000 (8,000,000) 18,318 639,782 - 639,782
당반기말 2,019,008 1,162,490 8,000,000 3,000,000 86,099 14,267,597 - 14,267,597

② 전반기

(단위: 천원)
구분 재무활동으로 인한 부채 재무활동으로 인한 자산 합계
전환사채 파생상품금융부채 유동성장기차입금 리스부채 소계 파생상품금융자산
전기초 10,247,185 7,377,233 8,000,000 197,487 25,821,905 (1,666,292) 24,155,613
재무활동현금흐름 - - - (25,962) (25,962) - (25,962)
기타변동 973,339 - - (44,017) 929,322 - 929,322
전반기말 11,220,524 7,377,233 8,000,000 127,508 26,725,265 (1,666,292) 25,058,973

28. 우발부채와 약정사항

(1) 당반기말 현재 당사는 도시가스 사용료 납부와 관련하여 지급보증보험(부보금액: 4,200천원)을 가입하고 있습니다.(2) 당반기말 현재 금융기관과 체결한 약정한도는 다음과 같습니다.

(단위: 천원)
구분 금융기관 약정한도
시설대출 하나은행 8,000,000
중소기업자금대출 중소기업은행 3,000,000

(3) 보고기간 종료일 현재 당사가 "원고"로 계류 중인 국제중재 건은 1건이며, 현재로서 국제중재 건의 전망을 예측할 수 없습니다.(4) 당사는 (주)대성팜텍 흡수합병 계획하고 있는 바, 이와 관련하여 최초 합병에 대해 2025년 3월 6일에 이사회 결의를 하였고 2025년 5월 9일에 합병일정 변경에 대한이사회 결의를 하였습니다. 당사와 (주)대성팜텍의 예정된 합병기일은 2026년 1월 28일입니다.

29. 연구개발관련 약정사항(1) 당반기말 현재 당사가 타기관과 공동연구를 진행 중인 계약은 다음과 같습니다.

계약상대방 계약체결일 계약목적 대상물질 계약내용
(주)맵틱스 2024-07-01 공동연구개발 MT-101, MT-102, MT-103, MT-104,MT-105, MT-201, MT-202, MT-40X 대상 물질에 대한 연구개발비용과 수익금은 약정비율로 부담 및 배분

(2) 당반기말 현재 당사가 진행 중인 연구개발 현황 및 각 파이프라인별 개발 진행단계는 다음과 같습니다.

구분 품 목 적응증 연구시작일 현재 진행단계
단계(국가) 승인일
화학합성 신약 개발 CU01 당뇨병성 신증 2016년 임상 2b상(한국) 2022년 7월
CU03 습성 황반변성 2016년 임상 2a상(한국) 종료 2019년 12월
Rivasterat(*1) 혈관손상과 관련된 다양한 질환 2017년 임상 2a상(미국) 2022년 9월
CU71 차세대 혈관내피기능장애차단제 2023년 유효물질 탐색 중 -
CP01-R01 반려동물 만성신장질환 2023년 임상 3상(한국) (*2) 2025년 1월
MT-101 AKI/CKD 2022년 전임상(Grobal) -
MT-103 DR/DME/wAMD 2023년 전임상(Grobal) -

(*1) 당반기 중 파이프라인 명칭이 기존 CU06에서 Rivasterat으로 변경되었습니다.(*2) 농림축산검역본부의 승인을 받아 수행하는 반려동물임상시험입니다.

(3) 보고기간 중 파이프라인별로 발생한 경상연구개발비 내역은 다음과 같습니다.

(단위: 천원)
구분 당반기 전반기
3개월 누적 3개월 누적
CU01 950,709 1,185,361 384,690 866,635
CU03 6,612 6,720 3,901 3,990
CU05 - - 4 4
Rivasterat(*) 780,994 1,426,464 1,439,809 2,273,740
CU07 658,515 1,622,687 178,079 221,680
CP01-R01 3,957 10,849 - -
MT-101 848,332 848,332 - -
MT-103 472,969 472,969 - -
기타공통비 753,055 1,594,860 962,204 1,865,551
합 계 4,475,143 7,168,242 2,968,687 5,231,600

(*) 당반기 중 파이프라인 명칭이 기존 CU06에서 Rivasterat으로 변경되었습니다.

30. 특수관계자거래(1) 당반기 및 전반기 중 특수관계자에 대한 수익 및 비용 거래 내역은 없습니다.

(2) 당반기말 및 전기말 현재 특수관계자에 대한 채권 및 채무는 없습니다.

(3) 당반기 및 전반기 중 특수관계자에 대한 자금거래 내역은 없습니다.

(4) 주요 경영진에 대한 보상주요 경영진은 등기 및 비등기임원에 해당하며, 종업원 용역의 대가로서 주요 경영진에게 지급됐거나 지급될 보상금액은 다음과 같습니다.

(단위: 천원)
구분 당반기 전반기
3개월 누적 3개월 누적
급여 및 기타 단기종업원 급여 493,150 973,724 492,423 1,001,903
퇴직 급여 54,051 108,101 26,038 52,076
주식기준보상 - 28,672 99,658 500,767
합 계 547,201 1,110,497 618,119 1,554,746

(5) 지급보증 및 담보제공 내역당사가 특수관계자로부터 제공받거나 특수관계자에게 제공한 지급보증 및 담보제공 내역은 없습니다.

31. 보고기간 후 사건당사가 2025년 6월 19일에 제출한 증권신고서(기명식 보통주 7,000,000주를 주주배정 후 실권주 일반공모 방식으로 유상증자하기로 결정)는 2025년 7월 4일에 그 효력이 발생하였습니다. 1주의 모집가액 및 모집총액은 각각 3,575원 및 25,025,000천원으로 1차 발행가액 기준으로 한 예정금액이며, 확정되지 않은 금액입니다.

6. 배당에 관한 사항

기업공시서식 작성기준에 따라 본 항목을 기재하지 않습니다. 관련 내용은 2025년 03월 21일에 제출된 사업보고서를 참조하시기를 바랍니다.

7. 증권의 발행을 통한 자금조달에 관한 사항 7-1. 증권의 발행을 통한 자금조달 실적
[지분증권의 발행 등과 관련된 사항]

1. 증자(감자)현황

2025년 06월 30일(단위 : 원, 주)
(기준일 : )
2019.10.26유상증자(제3자배정)우선주258,06550015,5002019.10.30유상증자(제3자배정)우선주109,67850015,5002019.11.30유상증자(제3자배정)우선주129,03250015,5002019.12.13유상증자(제3자배정)우선주64,51650015,5002020.10.31유상증자(제3자배정)보통주149,21350026,8002020.11.02주식매수선택권행사보통주2,5005002,8202020.11.02주식매수선택권행사보통주96,0005005002020.11.16전환권행사보통주40,000500-2020.12.01전환권행사보통주40,000500-2020.12.12무상증자보통주3,872,993500-2020.12.12무상증자우선주1,784,991500-2020.12.23전환권행사보통주365,432500-2020.12.24전환권행사보통주1,229,474500-2020.12.28전환권행사보통주803,432500-2020.12.29전환권행사보통주548,148500-2020.12.30전환권행사보통주258,064500-2021.01.07전환권행사보통주365,432500-2021.07.19유상증자(일반공모)보통주2,040,00050025,0002021.09.02주식매수선택권행사보통주53,0005005002021.09.02주식매수선택권행사보통주154,0005003,3842021.09.02주식매수선택권행사보통주20,0005001,4102021.12.06주식매수선택권행사보통주11,0005005002021.12.06주식매수선택권행사보통주43,5005003,3842021.12.06주식매수선택권행사보통주50,0005005002022.04.11주식매수선택권행사보통주30,5005003,3842022.04.11주식매수선택권행사보통주68,0005006,2002022.06.17주식매수선택권행사보통주4,0005006,2002022.11.30주식매수선택권행사보통주56,0005003,3842023.01.13주식매수선택권행사보통주2,0005006,2002023.06.14주식매수선택권행사보통주7,3745006,2002024.05.20주식매수선택권행사보통주18,6265006,2002025.02.24전환권행사보통주67,5945007,3972025.02.25전환권행사보통주27,0375007,3972025.04.22전환권행사보통주40,5565007,397
주식발행(감소)일자 발행(감소)형태 발행(감소)한 주식의 내용
종류 수량 주당액면가액 주당발행(감소)가액 비고
-
-
-
-
-
-
-
전환상환우선주 보통주전환
전환상환우선주 보통주전환
1주당 1주 배정
1주당 1주 배정
전환상환우선주 보통주전환
전환상환우선주 보통주전환
전환상환우선주 보통주전환
전환상환우선주 보통주전환
전환상환우선주 보통주전환
전환상환우선주 보통주전환
신규상장
-
-
-
-
-
-
-
-
-
-
-
-
-
전환사채 보통주전환
전환사채 보통주전환
전환사채 보통주전환

미상환 전환사채 발행현황 2025년 06월 30일(단위 : 원, 주)
(기준일 : )
무기명식 이권부 무보증 사모 전환사채1회차2023.06.282028.06.2820,000,000,000보통주24.06.28~28.05.281007,3973,000,000,000405,570주120,000,000,000-1007,3973,000,000,000405,570-
종류\구분 회차 발행일 만기일 권면(전자등록)총액 전환대상주식의 종류 전환청구가능기간 전환조건 미상환사채 비고
전환비율(%) 전환가액 권면(전자등록)총액 전환가능주식수
합 계 - - - -

주1) Put Option에 관한 사항: 본 사채의 사채권자는 본 사채의 발행일로부터 24개월이 되는 2025년 06월 28일 및 이후 매 3개월에 해당되는 날(이하"조기상환일"이라 한다.)에 조기상환청구 전자등록금액의 원금에 해당하는 금액의 전부 또는 일부를 조기상환율에 따라 조기상환을 청구할 수 있다. 단, 조기상환지급일이 영업일이 아닌 경우에는 그 다음 영업일에 상환하고 조기상환지급일 이후의 이자는 계산하지 아니한다.- 2025.02.24 보통주전환 67,594주 (권면금액: 500,000,000원)- 2025.02.25 보통주전환 27,037주 (권면금액: 200,000,000원)- 2025.04.22 보통주전환 40,556주 (권면금액: 300,000,000원)

[채무증권의 발행 등과 관련된 사항]

채무증권 발행실적 2025년 06월 30일(단위 : 원, %)
(기준일 : )

주식회사 큐라클

회사채사모2023년 06월 28일

20,000,000,000

표면:0%

만기:3%

-

2028년 06월 28일주1)

NH투자증권

20,000,000,000----
발행회사 증권종류 발행방법 발행일자 권면(전자등록)총액 이자율 평가등급(평가기관) 만기일 상환여부 주관회사
합 계 - - - -

주1) 2025년 5월 28일 전환사채(해외전환사채 포함) 발행후 만기전 사채 취득으로 14,800,000,000원을 상환하였으며, 2025년 6월 28일 풋옵션 행사로 1,200,000,000원 상환하였습니다. 현재 미상환잔액은 3,000,000,000원 입니다.

기업어음증권 미상환 잔액 2025년 06월 30일(단위 : 원)
(기준일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잔여만기 10일 이하 10일초과30일이하 30일초과90일이하 90일초과180일이하 180일초과1년이하 1년초과2년이하 2년초과3년이하 3년 초과 합 계
미상환 잔액 공모
사모
합계

단기사채 미상환 잔액 2025년 06월 30일(단위 : 원)
(기준일 : )

-

-

-

-

-

-

-

-

-

-

-

-

-

-

-

-

-

-

-

-

-

-

-

-

잔여만기 10일 이하 10일초과30일이하 30일초과90일이하 90일초과180일이하 180일초과1년이하 합 계 발행 한도 잔여 한도
미상환 잔액 공모
사모
합계

회사채 미상환 잔액 2025년 06월 30일(단위 : 원)
(기준일 : )

-

-

-

-

-

-

-

-

--3,000,000,000-

-

-

-

3,000,000,000--3,000,000,000-

-

-

-

3,000,000,000
잔여만기 1년 이하 1년초과2년이하 2년초과3년이하 3년초과4년이하 4년초과5년이하 5년초과10년이하 10년초과 합 계
미상환 잔액 공모
사모
합계

신종자본증권 미상환 잔액 2025년 06월 30일(단위 : 원)
(기준일 : )

-

-

-

-

-

-

-

-

-

-

-

-

-

-

-

-

-

-

-

-

-

-

-

-

잔여만기 1년 이하 1년초과5년이하 5년초과10년이하 10년초과15년이하 15년초과20년이하 20년초과30년이하 30년초과 합 계
미상환 잔액 공모
사모
합계

조건부자본증권 미상환 잔액 2025년 06월 30일(단위 : 원)
(기준일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잔여만기 1년 이하 1년초과2년이하 2년초과3년이하 3년초과4년이하 4년초과5년이하 5년초과10년이하 10년초과20년이하 20년초과30년이하 30년초과 합 계
미상환 잔액 공모
사모
합계

7-2. 증권의 발행을 통해 조달된 자금의 사용실적

1. 공모자금의 사용내역

2025년 06월 30일(단위 : 백만원)
(기준일 : )
코스닥시장 상장-2021.07.16시설자금11,082시설자금11,082(주1)코스닥시장 상장-2021.07.16연구개발자금37,028연구개발자금37,028-
구 분 회차 납입일 증권신고서 등의 자금사용 계획 실제 자금사용 내역 차이발생 사유 등
사용용도 조달금액 내용 금액

(주1) 증권신고서 제출 당시 기재한 자금사용 계획에 따라 유형자산 취득(수수료 및 세금등 부대비용 포함)을 위해 동 자금을 사용하였습니다.

2. 사모자금의 사용내역

2025년 06월 30일(단위 : 백만원)
(기준일 : )
유상증자1회2018.07.14운영자금

1,000

운영 및 연구개발자금

1,000

-유상증자2회2018.07.18운영자금1,000운영 및 연구개발자금1,000-유상증자3회2018.08.29운영자금

1,030

운영 및 연구개발자금

1,030

-유상증자4회2018.09.21운영자금

2,000

운영 및 연구개발자금

2,000

-유상증자5회2018.10.06운영자금

3,500

운영 및 연구개발자금

3,500

-유상증자6회2018.10.27운영자금

1,000

운영 및 연구개발자금

1,000

-유상증자7회2018.11.30운영자금

1,500

운영 및 연구개발자금

1,500

-유상증자8회2019.10.26운영자금

4,000

운영 및 연구개발자금

4,000

-유상증자9회2019.10.30운영자금

1,700

운영 및 연구개발자금

1,700

-유상증자10회2019.11.30운영자금

2,000

운영 및 연구개발자금

2,000

-유상증자11회2019.12.13운영자금

1,000

운영 및 연구개발자금

1,000

-유상증자12회2020.10.31운영자금

3,999

운영 및 연구개발자금

3,999

-유상증자13회2020.11.02운영자금55운영 및 연구개발자금55-전환사채1회2023.06.28운영자금20,000오픈 이노베이션, 혁신신약 임상연구 등 연구개발비 투자20,000주1)
구 분 회차 납입일 주요사항보고서의 자금사용 계획 실제 자금사용 내역 차이발생 사유 등
사용용도 조달금액 내용 금액

주1) 2025년 5월 28일 전환사채(해외전환사채 포함) 발행후 만기전 사채 취득으로 14,800,000,000원을 상환하였으며, 2025년 6월 28일 풋옵션 행사로 1,200,000,000원 상환하였습니다. 현재 미상환잔액은 3,000,000,000원 입니다.

3. 미사용자금의 운용내역

2025년 06월 30일(단위 : 백만원)
(기준일 : )
------
종류 운용상품명 운용금액 계약기간 실투자기간
-

8. 기타 재무에 관한 사항

해당사항 없음.

IV. 이사의 경영진단 및 분석의견

기업공시서식 작성기준에 따라 본 항목을 기재하지 않습니다. 관련 내용은 2025년 03월 21일에 제출된 사업보고서를 참조하시기를 바랍니다.

V. 회계감사인의 감사의견 등 1. 외부감사에 관한 사항

1. 회계감사인의 명칭 및 감사의견(검토의견 포함한다. 이하 이 조에서 같다)을 다음의 표에 따라 기재한다.

회계감사인의 명칭 및 감사의견

제10기 반기(당반기)다산회계법인-----------제9기(전기)삼정회계법인적정의견---연구개발비의 실재성과 정확성 검토------제8기(전전기)삼정회계법인적정의견---연구개발비의 실재성과 정확성 검토------
사업연도 구분 감사인 감사의견 의견변형사유 계속기업 관련중요한 불확실성 강조사항 핵심감사사항
감사보고서
연결감사보고서
감사보고서
연결감사보고서
감사보고서
연결감사보고서

2. 감사용역 체결현황은 다음의 표에 따라 기재한다.

감사용역 체결현황

(단위 : 백만원, 시간)
제10기 반기(당반기)다산회계법인재무제표 검토 및 감사분,반기검토5370053308제9기(전기)삼정회계법인재무제표 검토 및 감사분,반기검토6565065640제8기(전전기)삼정회계법인재무제표 검토 및 감사분,반기검토6568065646
사업연도 감사인 내 용 감사계약내역 실제수행내역
보수 시간 보수 시간

3. 회계감사인과의 비감사용역 계약체결 현황은 다음의 표에 따라 기재한다.

제10기 반기(당반기)----------제9기(전기)----------제8기(전전기)----------
사업연도 계약체결일 용역내용 용역수행기간 용역보수 비고

4. 재무제표 중 이해관계자의 판단에 상당한 영향을 미칠 수 있는 사항에 대해 내부감사기구가 회계감사인과 논의한 결과를 다음의 표에 따라 기재한다.

12025년 03월 21일감사 및 대표이사서면- 감사종결단계의 지배기구 협의- 책임구분, 감사진행상황, 감사결과, 독립성 등
구분 일자 참석자 방식 주요 논의 내용

5. 감사인의 변경 당사는 제9기(2024년)에 기존 감사인인 삼정회계법인과의 감사용역계약 만료로 인해, 제10기부터 제12기까지(2025년 ~ 2027년) 감사인을 다산회계법인으로 변경하였습니다.

2. 내부통제에 관한 사항

1. 내부회계관리제도

(1) 내부회계관리제도에 대한 회계감사인의 의견

경영자의 내부회계관리제도 운영실태보고서에 대한 우리의 검토결과 중요성의 관점에서 내부회계관리제도 모범규준에 따라 작성되지 않았다고 판단하게 하는 점이 발견되지 아니하였습니다.

(2) 내부회계관리자가 제시한 내부회계관리제도에 대한 문제점 또는 개선방안당사는 보고서 작성기준일 현재 해당사항이 없습니다.

2. 내부회계관리제도 이외 내부통제구조에 대한 회계감사인으로부터 평가 당사는 보고서 작성기준일 현재 해당사항이 없습니다.

VI. 이사회 등 회사의 기관에 관한 사항

1. 이사회에 관한 사항

1. 이사회 구성개요 가. 이사회 구성 현황 당사의 이사회는 보고서 작성기준일 현재 사내이사 2인, 기타비상무이사 2인, 사외이사 2인, 총 6인의 이사로 구성되어있습니다. 이사회 의장은 권영근 사내이사가 수행하고 있으며 이사회 내 위원회는 설치되어 있지 않습니다. 각 이사의 주요 이력 및 담당업무는 「VIII. 임원 및 직원 등의 관한 사항」을 참조하시기 바랍니다.

가-1. 사외이사 및 그 변동현황

(단위 : 명)
62---
이사의 수 사외이사 수 사외이사 변동현황
선임 해임 중도퇴임

나. 이사회의 권한 내용당사의 이사회는 법령 또는 정관에 정해진 사항, 주주총회로부터 위임 받은 사항, 회사 경영의 기본방침 및 업무 집행에 관한 중요 사항을 의결하고 있습니다. 이사회는 이사의 직무 집행을 감독합니다.

다. 이사회 운영규정의 주요 내용

구분 세부내용
제1조(적용범위) 회사의 이사회에 관한 사항은 법령이나 정관에서 다른 정함이 있는 경우를 제외하고는 이 규정에 따른다.

제2조

(이사회의 구성)

1. 이사회는 주주총회에서 선임 된 이사 전원(사외이사, 기타비상무이사를 포함)으로 한다.

2. 감사는 이사회에 출석하여 의견을 진술할 수 있다.

3. 이사회의 업무처리를 위하여 1명의 간사를 둘 수 있다.

제5조

(이사회의 성립)

이사회는 이사 전원의 과반의 출석에 의하여 성립한다.

제6조

(이사회의 결의방법)

1. 이사는 각1개의 의결권을 가진다.

2. 이사회의 결의는 재적이사 과반수의 출석과 출석이사 과반수로 결정한다. 다만, 상법 제397조의 2(회사기회유용금지) 및 제398조(자기거래금지)에 해당하는 사안에 대한 이사회의 결의는 3분의 2이상의 수로 한다.

3. 이사회는 이사의 전부 또는 일부가 직접 회의에 출석하지 아니하고 모든 이사가 음성을 동시에 송,수신하는 원격통신수단에 의하여 결의에 참가하는 것을 허용할 수 있으며, 이 경우 당해 이사는 이사회에 직접 출석한 것으로 본다.

4. 이사회 결의에 관하여 특별한 이해관계가 있는 자는 의결권을 행사하지 못하며 의결권의 수에 산입하지 않는다.

5. 이사회의 의결권은 대리하지 못한다.

2. 중요의결사항 가. 이사회 주요 활동내역

회차 개최일자 의안내용 가결여부 이사의 성명
권영근(출석률: 100%) 유재현(출석률: 96%) 김영명(출석률: 100%) 추연성(출석률: 88%) 최동훈(출석률: 88%) 조상헌(출석률: 63%)
1차 2022-02-15 내부회계관리제도 운영실태보고의 건 가결 찬성 찬성 찬성 찬성 찬성 -
재무제표 승인의 건 가결 찬성 찬성 찬성 찬성 찬성 -
2차 2022-03-15 내부회계관리제도 운영실태 평가 보고의 건 가결 찬성 찬성 찬성 찬성 찬성 -
3차 2022-03-15 정기주주총회 소집 결의의 건 가결 찬성 찬성 찬성 찬성 찬성 -
4차 2022-04-13 주식매수선택권 부여 취소의 건 가결 찬성 찬성 찬성 - 찬성 찬성
5차 2022-06-09 임시주주총회 소집 결의의 건 가결 찬성 찬성 찬성 찬성 찬성 찬성
6차 2022-06-09 주식매수선택권 부여 취소의 건 가결 찬성 찬성 찬성 찬성 찬성 찬성
7차 2022-11-16 타법인 주식 취득의 건 가결 찬성 찬성 찬성 - 찬성 찬성
주식매수선택권 부여의 건
주식매수선택권 부여 취소의 건
규정 일부 변경의 건
CU01 임상시험수탁기관 계약 체결의 건
8차 2022-12-28 내부회계관리규정 개정의 건 가결 찬성 찬성 찬성 찬성 찬성 -
CU06-1004의 생식발생독성시험 계약 체결의 건
9차 2023-01-16 주식매수선택권 부여 취소의 건 가결 찬성 찬성 찬성 찬성 찬성 찬성
10차 2023-02-13 내부회계관리제도 운영실태보고의 건 가결 찬성 찬성 찬성 찬성 찬성 찬성
재무제표 승인의 건
11차 2023-03-15 정기주주총회 소집 결의의 건 가결 찬성 찬성 찬성 찬성 찬성 찬성
주식매수선택권 부여 취소의 건
12차 2023-06-26 제1회 사모 전환사채 발행의 건 가결 찬성 찬성 찬성 찬성 찬성 찬성
타법인 주식 발행의 건 가결 찬성 찬성 찬성 찬성 찬성 찬성
13차 2024-02-13 내부회계관리제도 운영실태보고의 건 가결 찬성 찬성 찬성 찬성 - -
감사 전 재무제표 승인의 건 가결 찬성 찬성 찬성 찬성 - -
14차 2024-03-12 정기주주총회 소집 결의의 건 가결 찬성 찬성 찬성 찬성 찬성 찬성
내부회계관리제도 운영실태 평가 보고의 건 가결 찬성 찬성 찬성 찬성 찬성 찬성
15차 2024-03-27 대표이사 선임의 건 가결 찬성 찬성 찬성 찬성 찬성 찬성
16차 2024-06-17 타법인 주식 취득의 건 가결 찬성 찬성 찬성 찬성 찬성 찬성
17차 2025-02-06 내부회계관리제도 운영실태보고의 건 가결 찬성 찬성 찬성 찬성 찬성 -
감사 전 재무제표 승인의 건 가결 찬성 찬성 찬성 찬성 찬성 -
18차 2025-03-06 합병계약 체결 승인의 건 가결 찬성 찬성 찬성 찬성 찬성 찬성
반대주주 권리 보장을 위한 주주확정 기준일 설정의 건 가결 찬성 찬성 찬성 찬성 찬성 찬성
19차 2025-03-14 정기주주총회 소집 결의의 건 가결 찬성 찬성 찬성 찬성 찬성 -
내부회계관리제도 운영실태 평가 보고의 건 가결 찬성 찬성 찬성 찬성 찬성 -
전자투표제도 도입의 건 가결 찬성 찬성 찬성 찬성 찬성 -
20차 2025-04-11 주식회사 대성팜텍과의 합병계약 승인의 건 가결 찬성 찬성 찬성 찬성 찬성 찬성
합병일정 변경의 건 가결 찬성 찬성 찬성 찬성 찬성 찬성
21차 2025-05-09 합병일정 변경의 건 가결 찬성 찬성 찬성 찬성 - 찬성
22차 2025-05-16 주주배정 후 실권주 일반공모 유상증자 발행 결정의 건 가결 찬성 찬성 찬성 - 찬성 -
23차 2025-05-22 운영자금 신규 대출의 건 가결 찬성 찬성 찬성 찬성 - 찬성
주주배정 후 실권주 일반공모 유상증자 발행 결정의 건 가결 찬성 찬성 찬성 찬성 - 찬성
24차 2025-06-19 주주배정 후 실권주 일반공모 유상증자 발행 결정의 건 가결 찬성 - 찬성 찬성 찬성 -

나. 사외이사 현황

성 명 주 요 경 력 최대주주등과의이해관계 결격요건 여부 비 고
최동훈 연세대학교 의학 박사연세대학교 내과학교실 교수('10~현재)용인세브란스병원 병원장('19~'22)신촌세브란스병원 교수('22~현재) 해당사항없음 -
조상헌 서울대학교 내과학 박사서울대학교 내과학교실 교수('92~현재)서울대학교병원 알레르기내과교수('93~현재) 해당사항없음 -

3. 이사회내 위원회 구성 현황 당사는 보고서 작성기준일 현재 이사회 내 위원회를 구성하고 있지 않습니다 . 4. 이사의 독립성 가. 이사 선출에 대한 독립성 기준 운영 여부 당사의 이사는 주주총회에서 선임하며, 이사 후보자는 상법 등 관련 법령상 자격 기준을 준수함은 물론, 전문성, 독립성 등의 선정 기준에 따라 이사회에서 선정하여 주주총회에 제출할 의안으로 확정하고 있습니다. 나. 이사의 독립성 검토

구분 성명 추천인 선임사유 선임일 활동분야(담당업무) 회사와의거래 최대주주 또는주요주주와의 관계 연임여부 연임횟수
사내이사(대표이사) 유재현 이사회 다양한 국가에서 글로벌신약의 사업화 및 시장 성장에 크게 기여한 전문가 2024.03.27 대표이사 해당없음 해당없음 연임 1회
사내이사 권영근 이사회 혈관질환분야 전문가이자 큐라클의 창업자 2024.03.27 종합기술원 총괄 해당없음 본인 연임 3회
기타비상무이사 김영명 이사회 혈관연구분야 전문가 2022.03.30 연구개발자문 해당없음 해당없음 연임 3회
기타비상무이사 추연성 이사회 해외사업개발분야 전문가 2024.03.29 연구개발자문 해당없음 해당없음 연임 1회
사외이사 최동훈 이사회 회사 경영의 투명성을 제고할 적임자로 판단됨 2024.03.27 연구개발자문 해당없음 해당없음 연임 1회
사외이사 조상헌 이사회 회사 경영의 투명성을 제고할 적임자로 판단됨 2024.03.27 연구개발자문 해당없음 해당없음 연임 1회

주1) 자세한 사항은 「VIII. 임원 및 직원 등의 관한 사항」을 참고하여 주시기 바랍니다.다. 사외이사 후보 추천위원회

당사는 보고서 작성기준일 현재 해당사항이 없습니다. 5. 사외이사의 전문성 당사는 사외이사의 직무수행을 위한 별도의 지원조직은 없으나, 사외이사가 이사회에서 전문적인 직무수행이 가능하도록 경영관리본부가 이를 보조하고 있습니다. 당사의 사외이사는 관련분야 전문가로서 직무 수행에 있어 전문성을 갖추고 있습니다. 또한 이사회 전에 해당 안건 내용을 충분히 검토할 수 있도록 사전에 자료를 제공하고 기타 사내 주요 현안에 대해서도 수시로 정보를 제공하고 있습니다.

6. 사외이사 교육 미실시 내역

사외이사의 경력상 충분한 자격 요건으로 별도의 교육시간을 두고 있지 않으나 회사의 현황 및 이사로서의 의무에 대한 내용은 필요시 수시로 전달하고 있으며, 추후 전문성을 높이기 위한 교육이 필요할 경우 실시할 예정입니다.
사외이사 교육 실시여부 사외이사 교육 미실시 사유
미실시

2. 감사제도에 관한 사항

1. 감사위원회 위원의 인적사항 및 사외이사 여부 당사는 보고서 작성기준일 현재 감사위원회를 설치하고 있지 않으며 주주총회에서 선임된 비상근감사 1인이 감사업무를 수행하고 있습니다. 2. 감사위원 현황

송경호-

서울대학교 사법학과 학사

서울북부지방법원 부장판사(‘21.02.~’23.02)

서울서부지방법원 부장판사(‘23.02.~’25.02)

법무법인(유한) 평산 대표변호사 ('25.02~현재)

(주)큐라클 감사('25.03~현재)

---
성명 사외이사여부 경력 회계ㆍ재무전문가 관련
해당 여부 전문가 유형 관련 경력

3. 감사 교육실시 현황

--(주1)
교육일자 교육실시주체 주요 교육내용

(주1) 경력상 충분한 자격 요건으로 별도의 교육시간을 두고 있지 않으나 회사의 현황 및 이사로서의 의무에 대한 내용은 필요시 수시로 전달하고 있으며, 감사의 교육 내용 등에 대해서는 검토 중이며 필요할 경우 논의하여 교육을 실시할 예정입니다.

4. 감사위원회 지원조직 현황

---(주1)
부서(팀)명 직원수(명) 직위(근속연수) 주요 활동내역

(주1) 당사는 보고서 작성 기준일 현재 감사 지원조직을 별도로 두고 있지 않습니다. 다만, 경영관리본부가 감사의 전문적인 직무 수행이 가능하도록 보조하고 있습니다.

5. 준법지원인 등 지원조직 현황

---(주1)
부서(팀)명 직원수(명) 직위(근속연수) 주요 활동내역

(주1) 당사는 보고서 작성기준일 현재 해당사항이 없습니다.

3. 주주총회 등에 관한 사항

1. 투표제도 현황

2025년 06월 30일
(기준일 : )
배제미도입미도입---
투표제도 종류 집중투표제 서면투표제 전자투표제
도입여부
실시여부

2. 소수주주권의 행사여부 당사는 보고서 작성기준일 현재까지 소수주주권이 행사된 경우가 없습니다. 3. 경영권 경쟁여부 당사는 보고서 작성기준일 현재까지 경영권과 관련하여 경쟁 사실이 없습니다.

4. 의결권 현황

2025년 06월 30일(단위 : 주)
(기준일 : )
보통주14,009,155-우선주--보통주--우선주--보통주--우선주--보통주--우선주--보통주--우선주--보통주14,009,155-우선주--
구 분 주식의 종류 주식수 비고
발행주식총수(A)
의결권없는 주식수(B)
정관에 의하여 의결권 행사가 배제된 주식수(C)
기타 법률에 의하여의결권 행사가 제한된 주식수(D)
의결권이 부활된 주식수(E)
의결권을 행사할 수 있는 주식수(F = A - B - C - D + E)

5. 주식사무

제10조(신주인수권)

① 주주는 그가 소유한 주식의 수에 비례하여 신주의 배정을 받을 권리를 갖는다.

② 회사는 제1항의 규정에도 불구하고 다음 각 호의 어느 하나에 해당하는 경우 이사회의 결의로 주주 외의 자에게 신주를 배정할 수 있다

1. 발행주식총수의 100분의 30을 초과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자본시장과 금융 투자업에 관한 법률」제165조의6에 따라 일반 공모증자방식으로 신주를 발행하는 경우

2. 발행하는 주식총수의 100분의 20 범위 내에서 우리사주조합원에게 신주를 우선 배정하는 경우

3. 「상법」 제542조의3에 따른 주식매수선택권의 행사로 인하여 신주를 발행하는 경우

4. 「근로복지기본법」 제39조의 규정에 의한 우리사주매수선택권의 행사로 인하여 신주를 발행하는 경우

5. 발행주식총수의 100분의 20을 초과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주식예탁증서(DR)발 행에 따라 신주를 발행하는 경우

6. 발행주식총수의 100분의 20을 초과하지 않는 범위 내에서 회사가 경영상 필요로 외국인 투자를 위하여 신주를 우선 배정하는 경우

7. 발행주식총수의 100분의 20을 초과하지 않는 범위 내에서 기술신용보증기금법에 관한 법률에 의한 신기술사업금융회사와 신기술투자조합, 중소기업 창업지원법에 의한 중소기업창업투자회사와 중소기업창업투자조합 및 법인세법규정에 의한 기관 투자자에게 배정하는 경우

8. 발행주식총수의 100분의 20을 초과하지 않는 범위 내에서 기술도입, 연구개발, 생산·판매·자본제휴를 위하여 그 제휴회사에게 신주를 배정하는 경우

9. 발행주식총수의 100분의 20을 초과하지 않는 범위 내에서 경영상 목적을 위 하여 국내외 금융기관, 국내법인 또는 국내외 개인에게 신주를 배정하는 경우

10. 발행주식총수의 100분의 50을 초과하지 않는 범위내에서 주권을 코스닥시장에 상장하기 위하여 신주를 모집하거나 인수인에게 인수하게 하는 경우.

③ 제2항 각 호 중 어느 하나의 규정에 의해 신주를 발행할 경우 발행할 주식의 종류와 수 및 발행가격 등은 이사회의 결의로 정한다.

④ 신주인수권의 포기 또는 상실에 따른 주식과 신주배정에서 발생한 단 주에 대한 처리방법은 이사회의 결의로 정한다.

결산일 12월31일 정기주주총회 매 영업년도 종료 후 3개월 이내
주주명부 폐쇄시기 이사회 결의로 정한 기준일
주권의 종류 기명식 보통주식, 기명식 종류주식
명의개서대리인 한국예탁결제원
공고방법 회사의 인터넷 홈페이지(www.curacle.com) 또는 매일경제신문

VII. 주주에 관한 사항

1. 최대주주 및 특수관계인의 주식소유 현황

2025년 06월 30일(단위 : 주, %)
(기준일 : )
권영근최대주주보통주 1,809,04713.04 1,809,04712.91-김영명등기임원보통주 40,000 0.29 40,000 0.29-보통주1,849,04713.331,849,04713.20-우선주-----
성 명 관 계 주식의종류 소유주식수 및 지분율 비고
기 초 기 말
주식수 지분율 주식수 지분율

주1) 기초 발행주식 총수는 13,873,968주 입니다.주2) 기말 발행주식 총수는 14,009,155주 입니다.

2. 최대주주의 주요경력 및 개요

명 칭 직 책 학력 및 경력
권영근 이사회의장

State University of New York at Buffalo 생화학 박사

연세대 생명시스템대학 학장(전)

한국혈관학회 회장(전)

한국과학기술한림원 정회원(현)

(주)큐라클 이사회의장('20.04~현재)(주)큐라클 종합기술원장('24.03~현재)

3. 최대주주의 최대주주(법인 또는 단체)의 개요 당사는 설립이후 현재까지 최대주주 변동내역이 없습니다.

4. 주식 소유현황

2025년 06월 30일(단위 : 주)
(기준일 : )
권영근1,809,04712.91-----
구분 주주명 소유주식수 지분율(%) 비고
5% 이상 주주 -
-
우리사주조합 -

소액주주현황 2025년 06월 30일(단위 : 주)
(기준일 : )
28,54828,55599.9810,627,51614,009,15575.86-
구 분 주주 소유주식 비 고
소액주주수 전체주주수 비율(%) 소액주식수 총발행주식수 비율(%)
소액주주

VIII. 임원 및 직원 등에 관한 사항

1. 임원 및 직원 등의 현황

1. 임원 현황

2025년 06월 30일(단위 : 주)
(기준일 : )
유재현1972.08대표이사사내이사상근총괄

서울대학교 제약학과 졸업

얀센북아시아 Specialty 사업부 총괄전무(전) 한국얀센 Specialty사업부 총괄전무(전)

중국얀센 마케팅부 이사(전)

얀센아시아태평양 전략마케팅(전) 글로벌 존슨앤존슨 제약부문 전략마케팅(미국)

㈜큐라클 대표이사(현)

---3년 8개월2027.03.26권영근1964.04이사회 의장사내이사상근종합기술원 총괄

State University of New York at Buffalo 생화학 박사

한국혈관학회 회장(전)

한국과학기술한림원 정회원(현)

(주)큐라클 이사회의장('20.04~현재)(주)큐라클 종합기술원장('24.03~현재)

1,809,047-본인9년 2개월2027.03.26김영명1956.05기타 비상무 이사기타비상무이사비상근기타 비상무이사

미국 Utah 주립대학교 생화학 박사 강원대학교 의학과 교수('97.03~'21.08) 강원대학교 혈관연구센터장('01.01~'09)

강원대학교 의과대학 명예교수/석좌교수('21.09~현재) (주)큐라클 기타비상무이사('19.03~현재)

40,000 --6년 4개월2028.03.30추연성1956.03기타 비상무 이사사외이사비상근기타 비상무이사

미국 Univ Illinois at Chicago 약학 박사

LG생명과학 부사장 및 고문('00~'17)

㈜TSD라이프사이언스 ㈜진메디신, ㈜스탠다임 고문('18~'22)

(주)스탠다임 대표이사('23~현재)

(주)큐라클 기타비상무이사('20.03~현재)

---5년 4개월2027.03.28최동훈1963.06사외 이사사외이사비상근사외이사

연세대학교 의학 박사

용인세브란스병원 병원장('19.03~‘22.07)

연세의료원 심장혈관병원 심장내과 교수(’22.08~현재)

(주)큐라클 사외이사('21.01~현재)

---4년 6개월2027.03.26조상헌1959.12사외 이사사외이사비상근사외이사

서울대학교 내과학 박사

서울대학교 내과학교실 교수('92~현재)

서울대학교병원 알레르기내과 전문의('93~현재)

(주)큐라클 사외이사('21.11~현재)

---3년 8개월2027.03.26송경호1970.10감사감사비상근감사

서울대학교 사법학과 학사

서울북부지방법원 부장판사(‘21.02.~’23.02)

서울서부지방법원 부장판사(‘23.02.~’25.02)

법무법인(유한) 평산 대표변호사 ('25.02~현재)

(주)큐라클 감사('25.03~현재)

---3개월2028.03.30김정한1974.04상무이사미등기상근사업개발총괄University of california,Berkeley, Marketing&Global business MBA 동화약품 BD, Global&ETC Marketing 총괄임원 ('12.12~'20.09) (주)큐라클 사업개발본부 본부장('21.04~현재)---4년 3개월-최재진1969.02상무이사미등기상근전략기획총괄서강대학교 마케팅 석사 한독 Commercial Excellence 부서장 ('15.05~19.05) 아이큐비아코리아 Strategic Consultant ('20.12~21.12) (주)큐라클 상무이사 ('21.12~현재)---3년 7개월-이원일1975.09상무이사미등기상근신약&바이오 연구소총괄서울대학교 약학박사 C&C신약연구소 신약연구 책임연구원('01.01~'15.01) 젬백스앤카엘 연구개발 이사('15.02~'16.07) 제일약품 신약연구 책임연구원('16.08~'17.06) (주)대원제약 신약연구 이사('17.06~'22.07) (주)큐라클 신약연구본부 상무('22.08~현재)---2년 11개월-노응진1974.09상무이사미등기상근원료의약품사업본부총괄

서강대학교 경영학 석사

한국얀센 뉴로사이언스 영업 팀장('06~'11)

한국얀센 면역사업부, 항암제사업부 영업 본부장('12~'15)

한국얀센 피부면역사업부 영업마케팅 총괄 상무이사('16~'23)

(주)큐라클 원료의약품사업본부 상무('25.03~현재)

---4개월-곽현정1971.01이사미등기상근전임상 후보물질발굴

충남대학교 화학과 이학박사 (주)SK 바이오팜 사업부 책임연구원('00.08~'10.12) 한국화학연구원 선임연구원('11.02~'16.11)(주)큐라클 신약연구소 이사('17.03~'22.04)

(주)큐라클 전락기획실 이사('22.05~23.12)

(주)큐라클 신약연구소 이사('24.01~현재)

50,000--8년 4개월-표정인1977.11이사미등기상근중앙 연구소총괄연세대학교 이학박사(의약화학) 한국과학기술연구원(KIST) 연구원('03.06~'14.12) 삼육대학교 특임교수/비전임('11.09~'14.07) iNtRON Biotechnology 신약연구 팀장('15.01~'17.07) (주)큐라클 연구개발본부 수석연구원('17.08~'20.11) (주)큐라클 연구개발본부 이사('20.12~현재)10,000--7년 11개월-황용1971.08이사미등기상근경영관리총괄서해대학교 경영학 학사 (주)네온테크 경영지원총괄('06.11~'19.06) (주)큐라클 경영관리본부 이사('19.07~현재)18,000--6년-김판경1980.03이사미등기상근임상개발총괄경북대학교 의학 석사 한미약품 임상팀장('14.05~'17.04) 현대약품 임상팀장('17.04~'19.03) 유영제약 임상팀장('20.06~'22.05) (주)큐라클 임상개발본부 이사('22.05~현재)---3년 2개월-
성명 성별 출생년월 직위 등기임원여부 상근여부 담당업무 주요경력 소유주식수 최대주주와의관계 재직기간 임기만료일
의결권있는 주식 의결권없는 주식

2. 직원 등 현황

2025년 06월 30일(단위 : 백만원)
(기준일 : )

연구/관리

18

-

-

-

18

3.685548

-

-

-

-

연구/관리

14

-

-

-

14

3.950436

-

32

-

-

-

323.71,35942

-

직원 소속 외근로자 비고
사업부문 성별 직 원 수 평 균근속연수 연간급여총 액 1인평균급여액
기간의 정함이없는 근로자 기간제근로자 합 계
전체 (단시간근로자) 전체 (단시간근로자)
합 계

3. 미등기임원 보수 현황

2025년 06월 30일(단위 : 백만원)
(기준일 : )
854768-
구 분 인원수 연간급여 총액 1인평균 급여액 비고
미등기임원

주1) 인원수는 보고서 작성기준일 현재 재직중인 미등기임원의 수입니다.

주2) 연간급여 총액은 2025년 1월 1일부터 보고서 작성기준일까지의 누계금액입니다.주3) 1인 평균 급여액은 급여 총액을 인원수로 나누어 산출하였습니다.

2. 임원의 보수 등

<이사ㆍ감사 전체의 보수현황>

1. 주주총회 승인금액

(단위 : 백만원)
이사62,000-감사1100-
구 분 인원수 주주총회 승인금액 비고

2. 보수지급금액

2-1. 이사ㆍ감사 전체

(단위 : 백만원)
7427117-
인원수 보수총액 1인당 평균보수액 비고

(주1) 보수총액은 등기임원 전체에 대한 2025년 1월~ 6월 까지의 지급 총액이며, 1인당 평균 보수액은 보수총액을 등기임원의 수로 단순평균하여 산출하였습니다. (주2) 보고서 작성기준일 현재 당사의 등기임원은 이사 6인, 감사1인입니다. 위의 인원수는 퇴임한 이사 및 감사를 포함하여 기재하였습니다.

2-2. 유형별

(단위 : 백만원)
439799-22412-----166-
구 분 인원수 보수총액 1인당평균보수액 비고
등기이사(사외이사, 감사위원회 위원 제외)
사외이사(감사위원회 위원 제외)
감사위원회 위원
감사

(주1) 보수총액은 등기임원 전체에 대한 2025년 1월~ 6월 까지의 지급 총액이며, 1인당 평균 보수액은 보수총액을 등기임원의 수로 단순평균하여 산출하였습니다. 2-3. 이사ㆍ감사의 보수지급기준 당사의 이사 및 감사의 보수지급기준은 정관 제40조에 의거하여 주주총회에서 승인 받은 금액 내에서 직급과 업무를 고려하여 집행하고 있습니다.

<보수지급금액 5억원 이상인 이사ㆍ감사의 개인별 보수현황>

1. 개인별 보수지급금액

(단위 : 백만원)
--------
이름 직위 보수총액 보수총액에 포함되지 않는 보수

2. 산정기준 및 방법

(단위 : 백만원)
이름 보수의 종류 총액 산정기준 및 방법
- 근로소득 급여 - -
상여 - -
주식매수선택권 행사이익 - -
기타 근로소득 - -
퇴직소득 - -
기타소득 - -

<보수지급금액 5억원 이상 중 상위 5명의 개인별 보수현황>

1. 개인별 보수지급금액

(단위 : 백만원)
--------
이름 직위 보수총액 보수총액에 포함되지 않는 보수

2. 산정기준 및 방법

(단위 : 백만원)
이름 보수의 종류 총액 산정기준 및 방법
- 근로소득 급여 - -
상여 - -
주식매수선택권 행사이익 - -
기타 근로소득 - -
퇴직소득 - -
기타소득 - -

<주식매수선택권의 부여 및 행사현황>

<표1>

(단위 : 백만원)
구 분 부여받은인원수 주식매수선택권의 공정가치 총액 비고
등기이사(사외이사, 감사위원회 위원 제외) 3 2,350 -
사외이사(감사위원회 위원 제외) 2 202 -
감사위원회 위원 또는 감사 - - -
업무집행지시자 등 - - -
5 2,552 -

<표2>

(기준일 : 2025년 06월 30일 ) (단위 : 원, 주)
부여받은자 관 계 부여일 부여방법 주식의종류 최초부여수량 당기변동수량 총변동수량 기말미행사수량 행사기간 행사가격 의무보유여부 의무보유기간
행사 취소 행사 취소
표정인 미등기임원 2019.06.30 신주교부 보통주 20,000 - - - - 20,000 2년과 상장일 중 나중에 도래하는 날부터 5년간 3,384 X -
김명화 직원 2020.03.31 신주교부 보통주 26,000 - - 26,000 - - 2022.04.01 또는 상장일 중 나중에 도래하는 날부터 5년간 6,200 X -
OOO외 9인 직원 2020.03.31 신주교부 보통주 69,000 - - 38,000 21,000 10,000 2022.04.01 또는 상장일 중 나중에 도래하는 날부터 5년간 6,200 X -
추연성 등기임원 2021.01.06 신주교부 보통주 20,000 - - - - 20,000 2년과 상장일 중 나중에 도래하는 날부터 5년간 7,750 X -
최동훈 등기임원 2021.01.06 신주교부 보통주 10,000 - - - - 10,000 2년과 상장일 중 나중에 도래하는 날부터 5년간 10,720 X -
김명화 직원 2021.03.29 신주교부 보통주 100,000 - - - - 100,000 2023.03.30 또는 상장일 중 나중에 도래하는 날부터 5년간 8,500 X -
OOO외 3인 직원 2021.03.29 신주교부 보통주 16,000 - - - 12,000 4,000 2023.03.30 또는 상장일 중 나중에 도래하는 날부터 5년간 10,720 X -
유재현 등기임원 2022.03.30 신주교부 보통주 100,000 - - - - 100,000 2024.03.30 ~ 2029.03.29 21,500 X -
조상헌 등기임원 2022.03.30 신주교부 보통주 5,000 - - - - 5,000 2024.03.30 ~ 2029.03.29 21,500 X -
김정한 미등기임원 2022.03.30 신주교부 보통주 15,000 - - - - 15,000 2024.03.30 ~ 2029.03.29 21,500 X -
최재진 미등기임원 2022.03.30 신주교부 보통주 15,000 - - - - 15,000 2024.03.30 ~ 2029.03.29 21,500 X -
황용 미등기임원 2022.11.16 신주교부 보통주 4,000 - - - - 4,000 2024.11.16 ~ 2029.11.15 12,700 X -
최재진 미등기임원 2022.11.16 신주교부 보통주 8,000 - - - - 8,000 2024.11.16 ~ 2029.11.15 12,700 X -
김정한 미등기임원 2022.11.16 신주교부 보통주 8,000 - - - - 8,000 2024.11.16 ~ 2029.11.15 12,700 X -
박종현 미등기임원 2022.11.16 신주교부 보통주 30,000 - - - 30,000 - 2024.11.16 ~ 2029.11.15 12,700 X -
김수정 미등기임원 2022.11.16 신주교부 보통주 15,000 - - - 15,000 - 2024.11.16 ~ 2029.11.15 12,700 X -
이원일 미등기임원 2022.11.16 신주교부 보통주 15,000 - - - - 15,000 2024.11.16 ~ 2029.11.15 12,700 X -
김판경 미등기임원 2022.11.16 신주교부 보통주 10,000 - - - - 10,000 2024.11.16 ~ 2029.11.15 12,700 X -
유재현 등기임원 2023.03.30 신주교부 보통주 30,000 - - - - 30,000 2025.03.30 ~ 2030.03.29 11,100 X -

IX. 계열회사 등에 관한 사항

1. 계열회사 현황(요약)

2025년 06월 30일
(기준일 : ) (단위 : 사)

-

-

-

-

기업집단의 명칭 계열회사의 수
상장 비상장
※상세 현황은 '상세표-2. 계열회사 현황(상세)' 참조

2. 타법인출자 현황(요약)

2025년 06월 30일(단위 : 원)
(기준일 : )
----------------------------
출자목적 출자회사수 총 출자금액
상장 비상장 기초장부가액 증가(감소) 기말장부가액
취득(처분) 평가손익
경영참여
일반투자
단순투자
※상세 현황은 '상세표-3. 타법인출자 현황(상세)' 참조

X. 대주주 등과의 거래내용

기업공시서식 작성기준에 따라 본 항목을 기재하지 않습니다. 관련 내용은 2025년 03월 21일에 제출된 사업보고서를 참조하시기를 바랍니다.

XI. 그 밖에 투자자 보호를 위하여 필요한 사항

1. 공시내용 진행 및 변경사항

2025년 03월 06일 회사합병 결정에 대한 내용이 공시되었습니다.2025년 05월 16일 유상증자 결정에 대한 내용이 공시되었습니다.2025년 05월 28일 전환사채 발행후 만기 전 사채취득에 대한 내용이 공시되었습니다.

2. 우발부채 등에 관한 사항

1. 견질 또는 담보용 어음ㆍ수표 현황

(기준일 : 2025.06.30) (단위 : 매, 백만원)
제 출 처 매 수 금 액 비 고
은 행

-

-

-

금융기관(은행제외)

-

-

-

법 인

-

-

-

기타(개인)

-

-

-

3. 제재 등과 관련된 사항

1. 제재현황

당사는 보고서 작성기준일 현재 해당사항이 없습니다. 2. 한국거래소 등으로부터 받은 제재

투자판단 관련 주요경영사항(당뇨병성 황반부종 및 습성 황반변성 치료제 Rivasterat 기술이전(License-Out, L/O) 권리 반환 의향 통보) 공시불이행 및 공시 번복으로 불성실공시법인으로 지정되었습니다.- 부과벌점: 5.0점- 공시위반제재금: 20,000,000원- 사유발생일: 2024.05.16- 불성실공시법인 지정일: 2024.07.15 3. 단기매매차익 발생 및 반환에 관한 사항

당사는 보고서 작성기준일 현재 해당사항이 없습니다.

4. 작성기준일 이후 발생한 주요사항 등 기타사항

1. 상장기업의 재무사항 비교표

개별2021년 07월 22일삼성증권(단위 : 백만원)
(기준 재무제표 : ) (상장일 : , 인수인 : )
2022년16,1283,583미달성77.78-3,032-11,982미달성295.18-2,784-11,406미달성309.702023년31,14610,294미달성66.952,837-10,508미달성470.393,057-11,586미달성479.002024년70,3181,633미달성97.6835,824-12,635미달성135.2736,177-14,886미달성141.15
추정대상 계정과목 예측치 실적치 예측치 달성여부 괴리율
매출액
영업이익
당기순이익
매출액
영업이익
당기순이익
매출액
영업이익
당기순이익

(주1) 당사는 기술성장기업으로 2021년 07월 22일 코스닥 시장에 상장하였습니다. (주2) 매출액 요건의 경우, 신규상장일이 속하는 사업연도를 포함하는 연속하는 5개 사업연도(상장일부터 상장일이 속한 사엽연도의 말일까지의 기간이 3월미만인 경우 에는 그 다음 사업연도)까지 지정 유예되며, 2026년 말 재무제표부터 대상이 됩니다. (주3) 기술성장기업의 경우에는 영업손실과 관련한 관리종목규정을 적용받지 않습니다.

(주4) 법인세비용차감전계속사업손실 요건은 신규상장일이 속하는 사업연도를 포함 한 연속하는 3개 사업연도 동안 해당 요건을 적용받지 않게 됩니다. 2024년& 2025년 말 재무제표부터 해당 요건을 적용받게 될 예정입니다.

(주5) 당사의 2024년 법인세차감전계속사업손실은 14,886,473,150원이며, 2023년 법인세차감전계속사업손실은 11,585,769,153원입니다.

(주6) 괴리율에 대한 분석

[매출액]

당사는 2021년 07월 22일 코스닥시장에 기술특례상장 하였으며, 증권신고서를 통해 2024년 매출액 예측치를 70,318백만원로 추정하였으나, 실적치는 1,633백만원으로 약

97.68%의 괴리율이 발생하였습니다.

상장 시 매출액을 추정한 근거로는 1) Rivasterat 당뇨병성 황반부종 적응증 임상3상 진입으로 2024년 마일스톤 수령액 13,712백만원 2) Rivasterat 아시아 Upfront 3,835백만원 3) CU01 당뇨병성 신증에 대해 기술이전 및 마일스톤 수령액 13,644백만원입니다 4) CU03 에 대해 기술이전 및 마일스톤 수령액 39,128백만원 입니다.

추정근거 대비 실제 실적의 괴리 발생 원인은 아래와 같습니다.

1) Rivasterat

Rivasterat은 상장 이후인 2021년 10월 아시아를 제외한 글로벌 판권을 '떼아 오픈이노베이션'으로 기술이전 하였고, 계약금(Upfront payment) 및 당사의 임상2a상 수행에 따른 연구비/용역비 등을 떼아 오픈이노베이션에서 보전 받아 영업수익으로 인식하였으나, 2024년 5월 16일자로 계약해지 및 권리반환 통보를 받음으로써 이후 예상 수익은 인식하지 못하게 되었습니다. 단, 당사가 떼아 오픈이노베이션으로부터 이미 수령한 계약금 및 연구개발비 보전금액에 대한 반환의무는 없습니다. 괴리가 발생한 예상수익은 아시아를 제외한 지역의 임상2상 성공 마일스톤과, 임상2상 성공 후 예상되었던 아시아 지역에 대한 기술이전 계약금입니다.

당사는 Rivasterat이 세계 최초로 시력 개선 효과를 입증한 경구용 약물이며, 임상2a상에서 보인 시력 개선 효과가 항체 치료제인 루센티스가 임상2상에서 나타낸 효과와 비슷한 양상을 보이는 점을 고려하여, FDA 미팅, 메커니즘 규명 및 임상2b상 IND 준비 등의 후속 개발 활동을 활발히 진행하고 있습니다. 이에 더불어 글로벌 판권에 대한 기술이전도 추진 중입니다.

2) CU01

당뇨병성 신증은 기존에 별다른 치료제가 없던 상황이었으나, 2021년 7월 미국 FDA 허가를 받은 바이엘의 케렌디아를 비롯해 SGLT-2 억제제 등 여러 치료제들이 시장에 출시되었습니다. 의약품 규제기관이 새롭게 등장한 치료제들의 연구개발 프로토콜을 바탕으로 당뇨병성 신증 치료제의 허가 기준을 마련함으로써, 상장 당시에 계획했던 CU01의 임상 범위를 넘어 감당하기 어려운 임상 규모를 필요로 하게 되어 불가피하게 개발 계획의 변경이 발생하였습니다. 예를 들어, SGLT-2 억제제인 Dapagliflozin 및 Empagliflozin의 경우 각각 4,304명 및 6,609명의 환자를 대상으로 38개월간 임상연구를 수행하였고, 바이엘의 케렌디아 경우에도 5,734명의 환자를 대상으로 32개월간 연구를 진행하였습니다.

CU01 개발 계획 변경 이후, 당사는 현재 국내에서 당뇨병성 신증 환자 240명을 대상으로 임상2b상을 진행하고 있습니다. 최근 일본 제약사가 진행한 대규모 임상연구에서 Nrf2 activator 기전의 약물이 신장 기능을 유지할 수 있는 것으로 밝혀짐에 따라, 같은 기전을 포함하고 있는 CU01의 신장기능 유지 효과에 대한 기대를 가지고 있는 파트너사들에게, 임상2b상 결과가 나오는 대로 기술이전을 통한 수익 인식을 목표로 하고 있습니다.

3) CU03

CU03은 2019년 12월 식품의약품안전처 임상2a상 IND 승인 이후 2022년 1월 임상시험결과보고서(CSR)를 수령하였고, 비임상 시험(26주 반복투여 독성시험)을 완료했습니다. 임상2a상 결과를 확보하고 아시아 지역에서 임상2b/3상에 진입함으로써, 계약금과 마일스톤을 통한 수익 창출을 목표로 하였으나, 상장 이후 개발전략 변경을 통해 임상2a상 결과만으로 국내 기술이전을 추진 중입니다.

당사는 상장 이후 오픈 이노베이션의 일환으로 항체 치료제 개발 전문기업인 맵틱스와 2024년 7월에 공동 연구개발 계약을 체결하였고, 이를 통해 확보한 파이프라인들과 기존 파이프라인, 새로 개발하는 파이프라인을 아울러 전략적 우선순위를 재설정하였습니다. 특히, CU03과 개발영역이 겹치는 망막질환에 기존 주력 파이프라인인 Rivasterat과 더불어 혁신적 항체 치료제인 M-T103 파이프라인이 추가로 우선 개발 파이프라인에 선정됨에 따라, CU03은 임상2a상의 결과만으로 국내 기술이전을 추진하고, 대신 훨씬 경쟁력이 높은 MT-103 개발에 주력하며 글로벌 기술이전을 추진하고 있습니다.

당사는 상장 이후 전략적인 핵심 파이프라인 개편에 따라, 퇴행성 뇌질환 치료제 CU71처럼 의학적 차별화 가능성과 상업적 경쟁력을 동시에 갖춘 파이프라인들을 우선 개발순위 파이프라인으로 선정하여 개발을 진행중이며, 오픈 이노베이션을 통해 혁신적인 신규 파이프라인을 지속적으로 발굴하여 추가적인 성장 모멘텀과 영업수익을 기대하고 있습니다

또한, 큐라클의 연구 및 네트워크 역량과 관련이 깊은 신사업으로의 진출을 통한 수익 인식도 추진하고 있습니다.

[영업이익(손실)]

당사는 증권신고서상 영업이익을 35,824백만원 추정하였으나 실적은 영업손실 12,635백만 원으로 괴리율은 135.27%입니다.

괴리발생 원인은 상기와 같이 매출액에 있어 예측치 대비 68,685백만원의 실적괴리에 따라 발생하였습니다.

2. 중소기업기준검토표

기업공시서식 작성기준에 따라 본 항목을 기재하지 않습니다. 관련 내용은 2025년 03월 21일에 제출된 사업보고서를 참조하시기를 바랍니다.

3. 매출액 미달에 대한 관리종목 지정유예 현황(최근 사업연도 매출액 30억원 미만)

2025년 06월 30일(단위 : 백만원)
(기준일 : )
20241,633해당해당코스닥시장상장규정(제53조 1항 1호 나목) 요건을 충족하는 제약,바이오기업2025년 12월 31일
요건별 회사 현황 관리종목지정요건해당여부 관리종목지정유예
사업연도 매출금액 해당여부 사유 종료시점

주1) 당사는 기술성장기업으로 2021년 07월 22일 코스닥 시장에 상장하였습니다.주2) 매출액 요건의 경우, 신규상장일이 속하는 사업연도를 포함하는 연속하는 5개 사업연도 (상장 일부터 상장일이 속한 사엽연도의 말일까지의 기간이 3월미만인 경우에는 그 다음 사 업연도)까지 지정 유예되며, 당사는 2026년부터 대상이 됩니다.

4. 계속사업손실에 대한 관리종목 지정유예 현황(자기자본 50%이상(10억원 이상에 한함)의 법인세차감전계속사업손실이 최근 3년간 2회 이상 및 최근 사업연도 법인세차감전계속 사업손실 발생)

2025년 06월 30일(단위 : 백만원, %)
(기준일 : )
2024년-14,88629,953-49.69미해당미해당2023년 12월 31일2023년-11,58641,863-282022년-11,40646,171-25
요건별 회사 현황 관리종목지정요건해당여부 관리종목지정유예
사업연도 법인세 차감전계속사업손익(A) 자기자본금액(B) 비율(A/B) 해당여부 종료시점

주1) 법인세비용차감전계속사업손실 요건은 신규상장일이 속하는 사업연도를 포함 한 연속 하는 3개 사업연도 동안 해당 요건을 적용받지 않게 됩니다. 2024년부터 해당 요건을 적용 받게 될 예정입니다.

XII. 상세표

1. 연결대상 종속회사 현황(상세)

☞ 본문 위치로 이동
(단위 : 원)

-

-

-

-

-

-

-

-

-

-

-

-

-

-

-

-

-

-

-

-

-

상호 설립일 주소 주요사업 최근사업연도말자산총액 지배관계 근거 주요종속회사 여부

2. 계열회사 현황(상세)

☞ 본문 위치로 이동
2025년 06월 30일
(기준일 : ) (단위 : 사)

-

-

-

-

-

-

-

-

-

-

상장여부 회사수 기업명 법인등록번호
상장
비상장

3. 타법인출자 현황(상세)

☞ 본문 위치로 이동
2025년 06월 30일(단위 : 원, 주, %)
(기준일 : )
---------------------------
법인명 상장여부 최초취득일자 출자목적 최초취득금액 기초잔액 증가(감소) 기말잔액 최근사업연도재무현황
수량 지분율 장부가액 취득(처분) 평가손익 수량 지분율 장부가액 총자산 당기순손익
수량 금액
합 계

(주1) 당사는 소규모기업에 해당하므로 타법인 출자현황을 기재하지 아니하고 있습니다.

【 전문가의 확인 】

1. 전문가의 확인

보고서 작성기준일 현재 해당사항이 없습니다.

2. 전문가와의 이해관계

보고서 작성기준일 현재 해당사항이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