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주총회소집공고 6.0 (주)비스토스

주주총회소집공고
2025년 03월 14일
회 사 명 : (주)비스토스
대 표 이 사 : 이후정
본 점 소 재 지 : 경기도 성남시 중원구 갈마치로 302,, A동 7층
(전 화) 031-750-0340
(홈페이지)http://www.bistos.co.kr
작 성 책 임 자 : (직 책) 부사장 (성 명) 신용각
(전 화) 031-750-0340

주주총회 소집공고
(제24기 정기)

주주님의 건승과 댁내의 평안을 기원합니다.당사는 상법 제365조와 정관 제20조에 의하여 제24기 정기주주총회를 아래와 같이 개최하오니 참석하여 주시기 바랍니다. (※ 상법 제542조의4 및 정관 제22조에 의거하여 발행주식총수의 1% 이하 소유주주에 대하여는 신문에 공고하거나 전자공시시스템에 공고함으로써 소집통지를 갈음하오니 양지하여 주시기 바랍니다,) - 아 래 -1. 일시 : 2025년 03월 31일(월) 오전 08시 2. 장소 : 경기도 성남시 중원구 갈마치로 302, A동 B1층 회의실3. 회의목적사항 가. 보고사항 : 감사보고, 영업보고, 내부회계관리제도 운영실태보고 나. 부의안건 제1호 의안 : 제24기 재무제표 승인의 건 제2호 의안 : 이사 선임의 건 제2-1호 의안 : 사내이사 이후정 선임의 건 제2-2호 의안 : 사내이사 이대형 선임의 건 제2-3호 의안 : 사외이사 박두현 선임의 건 제3호 의안 : 감사 신형식 선임의 건 제4호 의안 : 이사보수한도 승인의 건 제5호 의안 : 감사보수한도 승인의 건 4. 경영참고사항 상법 제542조의4에 의한 경영참고사항은 금융감독, 한국거래소의 전자공시시스 템에서 조회가 가능하오니 참고하여 주시기 바랍니다. 5. 의결권 행사방법에 관한 사항 본인 또는 대리인의 참석에 의한 행사 주주님께서는 본인이 직접 주주총회에 참석하시거나 대리인을 대신 참석하게 하는 방식으로 의결권을 행사하실 수 있습니다. ① 본인이 직접 의결권 행사시 : 신분증 지참 (주민등록증, 운전면허증 또는 여권) ② 대리인을 통한 의결권 행사시 : 대리인의 신분증, 위임장 (주주와 대리인의 인적사항 기재, 인감 날인 후 주주의 인감증명서 지참) 지참 6. 전자투표에 관한 사항 우리회사는 「상법」제368조의4에 따른 전자투표제도를 주주총회에서 활용하기 로 결의하였고, 관리업무를 한국예탁결제원에 위탁하였습니다. 주주님들께서는 아래에서 정한 방법에 따라 주주총회에 참석하지 아니하고 전자 투표방식으로 의결권을 행사하시거나 전자위임장을 수여하실 수 있습니다. 가. 전자투표·전자위임장 권유 관리 시스템 : 인터넷 주소 : https://evote.ksd.or.kr : 모바일 주소 : https://evote.ksd.or.kr/m

나. 전자투표 행사·전자위임장 수여기간 : 2025년 03월 21일 09시 ~ 2025 03월 30일 17시 (기간 중 24시간 이용 가능)

다. 인증서를 이용하여 전자투표, 전자위임장 권유 관리 시스템에서 주주 본인 확인 후 의결권 행사 : 주주확인용 인증서의 종류 : 공동인증서 및 민간인증서 (K-VOTE에서 사용가능한 인증서 한정) 라. 수정동의안 처리 : 주주총회에서 의안에 관하여 수정동의가 제출되는 경우 기권으로 처리 2025년 03월 14일 주식회사 비스토스 대표이사 이후정 (직인생략)

I. 사외이사 등의 활동내역과 보수에 관한 사항

1. 사외이사 등의 활동내역 가. 이사회 출석률 및 이사회 의안에 대한 찬반여부
회차 개최일자 의안내용 사외이사 등의 성명
박두현(출석률: 100%)
찬 반 여 부
1차 '24.02.07 유형자산 (토지/건물) 취득의 건 찬성
2차 '24.02.08 제23기 재무제표 승인의 건 찬성
3차 '24.02.14 제23기 (2023년도) 정기 주주총회 소집의 건 찬성
4차 '24.06.12 지점 설치의 건 찬성
5차 '24.09.27 주식매수선택권 부여 취소의 건 찬성
6차 '24.11.01 내부규정 개정의 건 찬성
7차 '24.12.11 자기주식 취득 신탁계약 체결의 건 찬성
8차 '24.12.16 주주명부 폐쇠일 결정의 건 찬성

나. 이사회내 위원회에서의 사외이사 등의 활동내역
위원회명 구성원 활 동 내 역
개최일자 의안내용 가결여부
- - - - -

2. 사외이사 등의 보수현황
(단위 : 백만원)
구 분 인원수 주총승인금액 지급총액 1인당 평균 지급액 비 고
사외이사 1 1,000 6 6 -

주1) 주총승인금액은 사내이사를 포함한 전체 이사에 대한 승인금액으로 제23기 정기주주총회에서 승인되었습니다.주2) 지급총액은 2024년 기말 기준으로 작성되었습니다.

II. 최대주주등과의 거래내역에 관한 사항

1. 단일 거래규모가 일정규모이상인 거래
(단위 : 억원)
거래종류 거래상대방(회사와의 관계) 거래기간 거래금액 비율(%)
- - - - -

2. 해당 사업연도중에 특정인과 해당 거래를 포함한 거래총액이 일정규모이상인 거래
(단위 : 억원)
거래상대방(회사와의 관계) 거래종류 거래기간 거래금액 비율(%)
- - - - -

III. 경영참고사항

1. 사업의 개요

가. 업계의 현황

(1) 산업의 특성의료기기는 질병의 진단과 치료, 건강유지 및 증진을 목적으로 하는 산업이며, 최근 전세계적으로 질병을 조기진단 및 치료하고 건강한 삶을 영위하고자 하는 관심과 수요가 증대되고 있습니다. 특히 Covid19 팬데믹을 겪으면서 우리 생활에 밀접하게 다가오게된 고부가가치 산업인 의료기기 산업에 대한 중요성이 부각되고 있습니다. 국내 의료기기산업은 1980년대 이전에는 단순 기능의 저부가가치 제품 위주의 형태를 나타냈으나, 이후 메디슨사가 초음파 영상장치 국산 개발에 성공하면서 본격적인 태동기를 맞이하였습니다. 1990년대에 접어들면서 생체신호기기를 포함하여 다양한 영역으로 의료기기 제조기술이 적용되었습니다. 현재 국내 의료기기 제조산업은 세계 10위권 수준으로 IT 산업 발전과 함께 의료기기 고도화가 지속되고 있는 상황입니다. (2) 산업의 성장성 가. 기술집약적 산업전자의료기기는 인체의 생체신호를 측정하고 각종 신호처리를 거쳐서 의미있는 정보를 전달하거나 치료하는 장비로써, 전자공학, 전산공학, 기계공학등 다양한 공학기술뿐만 아니라 물리학, 화학, 수학, 생물학등 기초이론이 뒷받침 되어야 하며 사용의 효과성을 위해서 의학, 생리학등 모든 기술이 망라되어있는기술 집약적 산업입니다. 이러한 기술은 각 국가의 기술수준과 비례하며 대부분의 의료기기 제조사들은 우리나라를 포함한 선진국에 존재하고 개도국들은 수요시장으로서 존재합니다. 나. 전세계 의료기기 시장규모 및 전망최근 세계의료기기 시장은 2016년 이후 꾸준히 증가세를 보이고 있으나, 2020년 Covid-19의 전 세계적인 대유행은 의료기기 시장에도 부정적인 영향을 미쳤습니다. Covid-19 관리 및 치료를 위한 일부 의료기기의 수요는 급격히 증가하였으나, 2020년 전세계 의료기기 시장규모는 2019년 4,030억달러에서 2020년 3,729억달러로 감소했습니다. 그러나 2021년부터 의료기기 시장은 순차적으로 팬데믹 이전 수준으로 회복되면서 2021년 시장규모는 4,050억달러로 펜데믹 이전 수준까지 증가하였고 향후 연평균 4.5%의 성장률을 나타내면서 2026년 시장규모는 5,370억달러로 예상됩니다. 고령화 추세, 건강에 대한 관심 고조, 웰빙에 대한 사회적 분위기 확산, 주요 국가들의 보건의료 정책, BRICs 등의 경제 성장으로 인한 수요증가로 인해 의료기기 시장은지속적인 성장이 예상됩니다. 지역별로는 2020년 기준 아메리카가 43%로 가장 크고 다음은 유럽이 30%, 아시아 23%, 아프리카와 호주 및 오세아니아가 각각 2%의 점유율을 보이고 있습니다.

(3) 경기변동의 특성당사는 의료기기 특히, 태아관련 의료장비로 시작하여 신생아관련, 환자감시장치등으로 꾸준히 사업영역을 확대하고 있습니다. 태아 및 신생아 영역은 국내 출산율 저하로 산과시장이 축소되고 있으나 시장이 작아지는만큼 참여자들도 감소하고 있습니다. 2020년도 전세계적인 Covid19 팬데믹으로 환자감시장치는 전 세계적인 수요증대가 되었습니다. 전통적으로 의료기기 산업은 특별한 경기변동이나 계절적요인에 관계없이 수요가 발생하며, 약 5년 주기로 신제품으로의 교체가 이루어집니다.의료기기는 사람의 생명을 다루는 제품으로 보다 정밀하고 정확한 동작을 요구하며 병원내 다양한전문분야(내과, 외과, 산부인과, 방사선과, 정형외과, 치과 등)별로 전문성을 갖춰야하는 고난도 기술의 제품입니다. 또한 의료기기 시장은 사람의 생명을 다루는만큼 각 국가별로 임상적 효과와 안전성 입증과 같은 까다로운 인허가 단계를 거쳐야 비로소 제품으로써 판매가 가능한 특징이 있습니다.의료기기산업은 경기변동에 대한 민감도가 낮은 특성을 나타내고 있습니다. 2020년 COVID-19와 같은 예상치 못한 글로벌 펜테믹 발생에 따라 일시적으로 성장률 하락세가 나타나기도 하지만, 인간의 생명과 관련된 산업의 특성상 수요-공급이 전반적으로 안정적인 균형을 나타내고 있습니다. 또한 선진국과 개도국간 의료기기시장의 성장률이 상이하게 나타나고 있으며, 특히 개도국 중심의 의료기기 수요 증가로 인해 글로벌 경기변동 요인이 일정부분 상쇄되는 효과가 발생됨에 따라 동사의 실적 역시 경기변동에 비탄력적인 특성을 나타내고 있습니다.당사의 주력제품인 인공호흡기와 환자감시장치는 병원의 중환자실 등에서 사용하는필수적인 장비이므로 상기와 같은 산업의 특성과 사회변화에 힘입어 안정적인 성장이 기대되고 있습니다.

(4) 경쟁요소전자 의료기기는 장기간의 개발과정과 개발이후 임상 및 각종 인허가등을 획득해야 하는 진입장벽이 높은 기술집약형 산업입니다. 따라서 국내외 시장에서 기존 사업자들과의 경쟁구도가 형성되고 있습니다.의료기기 시장에서의 경쟁 요인으로는 높은 기술력 기반의 성능과 품질, 신제품의 임상 및 국가별 인증획득 능력, 회사의 브랜드력, 가격경쟁력 그리고 영업력 등을 들 수있습니다. 당사는 분만감시장치 및 태아심음측정기와 같은 태아관련제품에서부터 보육기와 유아가온장치, 황달치료기와 같은 신생아관련 제품, 환자감시장치 및 모유착유기와 같은 가정용제품에 이르기까지 광범위한사업 영역에 진출하고 있습니다. 당사는 전문적인 기술과 노하우를 확보하고 전체 매출액의 90% 이상을 수출을 통해 발생시키면서 경쟁력을 확보하고 있습니다.또한 당사는 인허가 방면에서 국내 최고의 전문 인력을 보유하고 있고 20여년 이상 전세계에 자체브랜드로 사업활동을 진행해온 바 전세계 의료기기 업계에서는 높은 인지도를 보유하고 있습니다.향후의 의료기기 시장은 기존의 병원용 장비 중심에서 일반인들에게로 그 수요가 확대될것으로 예상됩니다. 인공지능기술, 스마트폰 연동, 웨어러블 헬스케어, 원격진단 및 관리 등으로 기술과시장의 트렌드가 옮겨가는 추세이며 당사는 이에 대응하기 위해 AI 기술을 적용한 Baby Monitor, 일반인의 삶을 풍요롭게할 뇌관련 분야등으로 기술력을 지속적으로 확대하고 있습니다. (5) 관련법령 또는 정부의 규제 등의료기기 산업은 대표적인 규제산업 중의 하나입니다. 의료기기란 환자의 목숨을 다루거나 질병의 진단및 치료에 사용되기 때문에 전기적이나 기계적으로 안전하여야 하며 임상적 성능을 달성하여야 합니다.이러한 것을 입증하는 서류를 작성하여 사전 허가를 받아야만 신제품을 시장에 출시할 수 있으며, 전기기계적 안전, 전자파안전, 생물학적 안전, 사용적합성, 임상적 성능에 대한 입증 자료 준비와 각각에 대한 표준도 대응해야 합니다. 의료기기는 다양한 표준의 적용을 받는 제품이며 해당 표준은 5년 정도의 주기로 지속적인 업데이트가요구되고 있어 인증을 신규로 획득하는 것은 물론 유지하는 것도 막대한 시간과 비용이 소요됩니다.

나. 회사의 현황

(1) 영업개황 및 사업부문의 구분

(가) 영업개황

당사는 2001년 설립 후 현재까지 생체신호 진단 및 치료용 의료기기 제조사로써 지 속적인 연구개발로 신제품을 출시해 왔으며 국내뿐만 아니라 120여개국 이상의 전 세계에 수출을 통해 국부를 창출해 왔습니다. 당사는 태아 및 신생아 관련 의료기기 전문기업으로 국내외에서 인정받고 있으며 매출의 90%이상을 수출로 달성하고 있고 유축기, 체온계등 가정용 의료기기 및 환자감시장치등 범용 의료기기 분야로 사업영역을 꾸준히 확대하고 있습니다. 또한, ADHD 및 치매치료등 뇌관련 분야와 Baby Monitor등 웨어러블 헬스케어 분야의 개척 으로 명실상부한 생체신호분야의 일류기업으로 거듭나고자 노력하고 있습니다.(2) 시장점유율의료기기산업은 장기간의 기술 개발 및 투자를 통해 제품의 안정성과 유효성이 확보되어야 하며, 개발이후 국가차원의 인증 및 허가를 취득해야 판매가 가능한 규제산업입니다. 이러한 특성으로 인해 시장경쟁 상황은 양극화된 모습을 나타내고 있으며, 선진국 중심의 글로벌 기업들을 중심으로 과점화된 양상을 보이고 있습니다. 국내시장에서 동사는 태아심음측정기와 신생아 관련 의료기기 부문에서 경쟁력을 확보하고 있는 것으로 판단됩니다. 의료기기 제품군별 국내 시장 경쟁 상황을 살펴보면 태아관련 제품군중 태아감시장치의 경우 국내시장 내에서는 당사가 독과점 지위로 확보하고 있습니다.

(3) 시장의 특성의료기기는 환자의 건강 및 생명과 직결되는 대표적인 규제산업이며 각 국가별, 지역별 규제의 강도는 여러 사고 사례가 발생되면서 점차 강화되고 있습니다. 이러한 추세에 따라 인증 획득 과정은 상당한 전문적인 지식이 필요함은 물론 비용 및 취득 기간 소요 측면에서 당사의 사업 전략에 중요한 요소로 작용하고 있습니다. 인증은 환자에게 사용하였을 때 문제가 되지 않는 의료기기를 시장에 판매할 수 있도록 안전성과 성능이 구현되는 제품인지를 확인, 판매승인을 허가받는 절차입니다. 전자 의료기기는 장기간의 개발과정과 개발이후 임상 및 각종 인허가등을 획득해야 하는 진입장벽이 높은 기술집약형 산업입니다. 따라서 국내외 시장에서 기존 사업자들과의 경쟁구도가 형성되고 있습니다. 의료기기 시장에서의 경쟁 요인으로는 높은 기술력 기반의 성능과 품질, 신제품의 임상 및 국가별 인증 획득 능력, 회사의 브랜드력, 가격경쟁력 그리고 영업력 등을 들 수 있습니다.향후의 의료기기 시장은 기존의 병원용 장비 중심에서 일반인들에게로 그 수요가 확대될것으로 예상됩니다. 인공지능기술, 스마트폰 연동, 웨어러블 헬스케어, 원격진단및 관리 등으로 기술과 시장의 트렌드가 옮겨가는 추세이며 당사는 이에 대응하기 위해 AI 기술을 적용한 Baby Monitor, 일반인의 삶을 풍요롭게 할 뇌관련 분야등으로 기술력을 지속적으로 확대하고 있습니다.(4) 신규사업 등의 내용 및 전망

당사는 태아 및 신생아 관련 의료기기 전문기업으로 국내외에서 인정받고 있으며 매출의 90% 이상을 수출로 달성하고 있고 유축기, 체온계등 가정용 의료기기 및 환자감시장치등 범용 의료기기 분야로 사업영역을 꾸준히 확대하고 있습니다. 또한 2020년도부터 당사의 주력제품인 태아 및 신생아관련 의료기기, 그리고 환자감시장치등의 일반적 병원장비 외에 기술적 진입장벽이 높고 부가가치가 크며 선도기술로 시장을 이끌어갈 기초연구를 꾸준히 진행해 왔습니다. 이에 2023년도부터 뇌관련 제품과 스마트 Baby Monitor를 순차적으로 개발, 사업화하고자 합니다.(가) 뇌관련 제품사업뇌기능 장애 중 정신적 질병(Psychiatric disorder)은 우울증(Depression), 분노장애(Anxiety), 외상후스트레스(Post-traumatic stress disorder(PTSD)), 조울증(Bipolar disorder), 정신분열증(Schizophrenia)등이 있습니다. 정신적 질병은 정량적인 진단과 치료가 어렵고 의사의 문진과 환자의 행동분석을 통한 진단, 또는 효용성이 극히 낮은 약물 치료에 의존하고 있는 난치의 질병입니다. 특히 청소년기의 ADHD, 노년기의퇴행성 뇌기능 저하(대표적으로 알츠하이머)는 인구의 상당수가 고통을 받는 질환으로 그 환자수가 증가하고 있으나 현재까지도 확립된 치료방법이 없는 뇌 질환들입니다. 기존의 비침습적 뇌전기자극은 이마 부분에서 이격된 전극들간에 자극신호를 주어 광범위한 뇌영역을 자극하는 방법이 일반적이었으나 최근 들어서는 좁은 영역만을 선택적으로 자극하는 기법도 개발되고 있으며, 자극신호의 형태로는 직류, 교류, 펄스등을 이용하는 다양한 방법들이 시도되고 있습니다. 당사는 최근 전지장과 자기장을 동시에 이용하는 뇌자극 장치를 특허출원 하였습니다.(특허출원 제10-2024-0081986호 "전기장과 자기장을 동시에 이용하는 뇌자극 장치") 최근에는 뇌파분석(EEG)을 통한 진단과 증상의 개선을 판단하는 방법에 많은 연구가진행되고 있고 당사도 뇌파와 뇌영상을 이용한 ADHD 뿐만 아니라 치매등 뇌관련질환을 진단하는 기술개발을 함께 진행할 계획입니다.(나) Smart Baby MonitorBaby Monitor의 목적은 가정에서 아기의 사고를 방지하고 안전하고 정상적인 성장과정을관찰함으로써 힘든 육아노동의 부담을 줄이면서 아기의 안전을 확보하기 위함입니다.Smart Baby Monitor의 가장 차별화된 적용기술은 웨어러블 센서나 비디오 영상을 이용한 접촉 혹은 비접촉식 생체신호(대표적으로 심박, 호흡) 측정기능 입니다. 또한 영상처리 기술이 발전하면서 아기의 활동과 수면상태 판별 및 이의 통계적 처리를 통한 발달상태 추정뿐만 아니라 뒤집기, 얼굴가림등 위험한 자세 판별 및 경고 기능이 있습니다. 추가적으로 디지털 센서를 통해 아기의 성장과 밀접한 실내환경변수를 측정(온습도, 광량, 소음, 먼지등)하는 기능이 포함되어 있습니다.당사는 혈류흐름에 따라 변화하는 미세한 피부의 색변화(대표적으로 얼굴표면)를 컬러 이미지로부터 추출하여 심장의 박동수를 시간축의 펄스형태로 측정하는 기술을확보하고 특허출원 하였습니다. (특허출원 제10-2021-004976호 "컬러영상을 이용한 심박측정방법 및 장치")이러한 당사의 신규사업은 유축기, 환자감시장치의 포트폴리오를 기반으로 회사의 중 ·장기적인 성장을 이루어 갈 핵심사업입니다.

(5) 조직도

조직도_250313.jpg 조직도_2025

2. 주주총회 목적사항별 기재사항 □ 재무제표의 승인

가. 해당 사업연도의 영업상황의 개요

Ⅲ. 경영참고사항 중 1.사업의 개요를 참고하시기 바랍니다.

나. 해당 사업연도의 대차대조표(재무상태표)ㆍ손익계산서(포괄손익계산서)ㆍ이익잉여금처분계산서(안) 또는 결손금처리계산서(안)

당사의 제24(당)기 재무제표는 외부감사인의 감사 완료 전 재무제표이며, 외부감사인의 감사 결과 및 주주총회 승인 과정에서 변경될 수 있습니다.외부감사인의 감사의견을 포함한 최종 재무제표는 2025년 3월 24일 금융감독원 전자공시시스템(http://dart.fss.or.kr)에 공시 예정인 당사의 감사보고서를 참조하시기 바랍니다.

- 재무상태표

<재 무 상 태 표>
제24기 (당)기말 2024년 12월 31일 현재
제23기 (전)기말 2023년 12월 31일 현재
(단위: 원)

과 목

제24기(당)기말

제23기(전)기말
자 산        
I. 유동자산 13,397,129,049 18,726,459,231
현금및현금성자산 945,136,630 1,838,599,211
매출채권 2,153,286,474 2,543,107,982
기타금융자산 5,131,937,067 8,552,668,826
기타유동자산 1,157,429,008 916,478,938
재고자산 3,982,658,689 4,864,244,267
당기법인세자산 26,681,181 11,360,007
II. 비유동자산 8,042,513,095 2,807,938,049
유형자산 6,184,337,481 470,059,447
사용권자산 173,416,045 617,703,867
무형자산 45,680,786 48,830,972
기타비유동금융자산 528,822,592 485,831,663
이연법인세자산 1,110,256,191 1,185,512,100
자 산 총 계 21,439,642,144 21,534,397,280
부 채        
I. 유동부채 1,627,212,716 2,574,854,042
매입채무 514,771,377 736,897,845
유동성리스부채 65,665,797 443,462,477
기타금융부채 392,359,939 424,818,965
기타유동부채 349,402,904 502,060,233
당기법인세부채 12,192,819 -
판매보증충당부채 195,671,555 331,252,112
연차수당충당부채 97,148,325 136,362,410
II. 비유동부채 393,148,443 419,012,928
리스부채 114,038,530 151,034,268
기타금융부채 242,099,912 230,968,659
복구충당부채 37,010,001 37,010,001
부 채 총 계 2,020,361,159 2,993,866,970
자 본
Ⅰ. 자본금 2,299,251,100 2,299,251,100
Ⅱ. 자본잉여금 10,582,963,096 10,582,963,096
Ⅲ. 기타자본구성요소 3,936,239,962 3,905,113,732
Ⅳ. 이익잉여금(결손금) 2,600,826,827 1,753,202,382
자 본 총 계 19,419,280,985 18,540,530,310
부채및자본총계 21,439,642,144 21,534,397,280

- 손익계산서(포괄손익계산서)

<손 익 계 산 서(포 괄 손 익 계 산 서)>
제24기 (당)기 2024년 1월 1일부터 2024년 12월 31일까지
제23기 (전)기 2023년 1월 1일부터 2023년 12월 31일까지
(단위: 원)

과 목

제24기 (당)기

제23기 (전)기

Ⅰ. 매출액 20,254,829,230 21,304,785,943
Ⅱ. 매출원가 14,940,160,606 15,781,948,361
Ⅲ. 매출총이익 5,314,668,624 5,522,837,582
판매비와관리비 5,003,249,168 5,239,017,378
Ⅳ.영업이익 311,419,456 283,820,204
금융수익 759,216,666 698,301,501
금융비용 105,176,819 383,194,477
기타수익 1,193,696 12,162,468
기타비용 7,133,077 3,232,365
Ⅴ. 법인세비용차감전순이익 959,519,922 607,857,331
법인세비용 111,895,477 (198,639,954)
Ⅵ. 당기순이익 847,624,445 806,497,285
Ⅶ. 기타포괄손익 - -
Ⅷ. 총포괄이익 847,624,445 806,497,285
Ⅸ. 주당이익
기본주당이익 37 35
희석주당이익 37 35

- 자본변동표

<자본변동표>
제24기 (당)기 2024년 1월 1일부터 2024년 12월 31일까지

제23기 (전)기 2023년 1월 1일부터 2023년 12월 31일까지

(단위: 원)

과 목

지배기업 소유주지분

자본총계

자 본 금 자본잉여금 기타자본구성요소 이익잉여금
2023년 01월 01일 (기초자본) 2,117,530,800 8,994,961,180 3,865,429,496 946,705,097 15,924,626,573
1. 총포괄이익 :
당기순이익 - - - 806,497,285 806,497,285
2. 자본에 직접 인식된 주주와의 거래
전환사채의 전환 181,720,300 1,588,001,916 (156,981,974)  - 1,612,740,242
주식보상비용 - - 196,666,210 - 196,666,210
2023년 12월 31일 (전기말) 2,299,251,100 10,582,963,096 3,905,113,732 1,753,202,382 18,540,530,310
2024년 01월 01일 (당기초) 2,299,251,100 10,582,963,096 3,905,113,732 1,753,202,382 18,540,530,310
1. 총포괄이익 :
당기순이익 - - - 847,624,445 847,624,445
2. 자본에 직접 인식된 주주와의 거래
자기주식 - - (137,424,522) - (137,424,522)
주식보상비용 - - 168,550,752 - 168,550,752
2024년 12월 31일 (당기말) 2,299,251,100 10,582,963,096 3,936,239,962 2,600,826,827 19,419,280,985

- 현금흐름표

<현금흐름표>
제24기 (당)기 2024년 1월 1일부터 2024년 12월 31일까지

제24기 (전)기 2023년 1월 1일부터 2023년 12월 31일까지

(단위: 원)

과 목

제24기 (당)기 제23 (전)기
I. 영업활동으로 인한 현금흐름 2,439,396,209 1,737,328,724
1. 영업활동에서창출된현금흐름 2,020,321,694 1,500,187,270
당기순이익 847,624,445 806,497,285
비현금조정 569,010,924 609,684,300
법인세비용 111,895,477 (198,639,954)
감가상각비 683,996,653 635,130,561
무형자산상각비 12,334,686 4,628,789
재고자산평가손실 68,560,941 53,426,541
재고자산감모손실 24,314,103 24,249,267
유형자산처분손실 - 4,000
대손상각비 (152,945,748) 92,072,010
외화환산손실 350,990 100,655,385
외화환산이익 (68,826,802) (654,202)
이자비용 40,295,948 104,964,212
이자수익 (262,688,052) (400,649,771)
유형자산처분이익 - (5,069,002)
주식보상비용 168,550,752 196,666,210
판매보증비 (56,828,024) 4,195,588
잡이익 - (1,295,334)
운전자본 조정 603,686,325 84,005,685
매출채권의 감소(증가) 606,762,046 973,704,456
선급금의 감소(증가) (229,232,357) 42,026,090
선급비용의 감소(증가) (11,717,713) (14,893,442)
미수금의 감소(증가) (9,707,025) 138,715,542
재고자산의 감소(증가) 788,710,534 (849,100,982)
매입채무의 증가(감소) (222,475,074) (85,760,683)
선수금의 증가(감소) (155,907,323) (141,460,864)
선수수익의 증가(감소) 34,884 (1,841,759)
미지급금의 증가(감소) (2,860,676) 44,830,936
미지급비용의 증가(감소) (29,619,535) 108,008,490
예수금의 증가(감소) 3,215,110 (117,441,580)
판매보증충당부채의 증가(감소) (78,752,533) (98,367,977)
연차수당충당부채의 증가(감소) (39,214,085) 15,156,674
당기법인세자산의 감소(증가) (26,681,181) (11,360,007)
장기미지급금의 증가(감소) 11,131,253 81,790,791
2. 이자의 지급 (446,667) -
3. 이자의 수취 332,072,454 319,840,517
4. 법인세의 납부 87,448,728 (82,699,063)
II. 투자활동으로 인한 현금흐름 (2,715,140,296) (1,016,631,985)
기타유동금융자산의 감소 15,243,180,565 7,302,090,215
기타유동금융자산의 증가 (12,025,652,582) (8,080,103,461)
보증금의 감소 - 18,900,000
보증금의 증가 - (18,269,500)
유형자산의 취득 (5,923,483,779) (119,610,919)
유형자산의 처분 - 24,000,000
무형자산의 취득 - (32,140,000)
건설중인자산의 취득 - (100,495,720)
특허권의 취득 (9,184,500) (11,002,600)
III. 재무활동으로 인한 현금흐름 (622,548,122) (501,551,590)
단기차입금의 차입 620,000,000 700,000,000
단기차입금의 상환 (620,000,000) (700,000,000)
리스부채의 상환 (485,123,600) (501,551,590)
자기주식의 취득 (137,424,522) -
IV. 외화환산으로 인한 현금의 변동 4,829,628 (14,067,148)
V. 현금및현금성자산의 증가(감소) (893,462,581) 205,078,001
VI. 기초의 현금및현금성자산 1,838,599,211 1,633,521,210
VII. 기말의 현금및현금성자산 945,136,630 1,838,599,211

- 이익잉여금처분계산서(안)

<이익잉여금처분계산서(안)
제24기 2024년 01월 01일부터 2024년 12월 31일까지

제23기 2023년 01월 01일부터 2023년 12월 31일까지

(단위: 원)
과 목 제24기 (당)기 제23기 (전)기
Ⅰ. 미처분이익잉여금 2,549,905,835 1,702,281,390
1. 전기이월미처분이익잉여금 1,702,281,390 895,784,105
2. 당기순이익 847,624,445 806,497,285
Ⅱ. 차기이월미처분이익잉여금 2,549,905,835 1,702,281,390

※ 당기의 이익잉여금처분계산서는 제24기 정기주주총회에서 확정될 예정입니다.

- 최근 2사업연도의 배당에 관한 사항

과 목 제24기 (당)기 제23기 (전)기
발행주식총수 22,992,511 22,992,511
배당주식수 22,912,474 22,990,455
주당배당금(원) - -

□ 이사의 보수한도 승인

가. 이사의 수ㆍ보수총액 내지 최고 한도액

(당기)

이사의 수 (사외이사수) 3 (1)
보수총액 또는 최고한도액 1,000 백만원

(전기)

이사의 수 (사외이사수) 3 (1)
실제 지급된 보수총액 512 백만원
최고한도액 1,000 백만원

※ 기타 참고사항

- 상기 내용은 주주총회 결의 사항에 따라 달라질 수 있습니다.

□ 감사의 보수한도 승인

가. 감사의 수ㆍ보수총액 내지 최고 한도액

(당기)

감사의 수 1
보수총액 또는 최고한도액 50 백만원

(전기)

감사의 수 1
실제 지급된 보수총액 6 백만원
최고한도액 50 백만원

※ 기타 참고사항

- 상기 내용은 주주총회 결의 사항에 따라 달라질 수 있습니다

IV. 사업보고서 및 감사보고서 첨부

가. 제출 개요 2025년 03월 24일1주전 회사 홈페이지 게재
제출(예정)일 사업보고서 등 통지 등 방식

나. 사업보고서 및 감사보고서 첨부

1) 당사는 「상법시행령」제31조 제4항 제4호에 의거하여 사업보고서 및 감사보고서를 주주총회 개최 1주 전까지 금융감독원 전자공시시스템 제출 및 회사 홈페이지에 게재할 예정이오니 참고하여 주시기 바랍니다. 2) 제출(예정)일 게재될 사업보고서는 주주총회 이전 보고서로, 주주총회 이후 변경된 사항 및 오기 등이 있는 경우 수정될 수 있으며, 변경된 사업보고서는 금융감독원 전자공시시스템(DART)에 공시 예정입니다. 주주총회 이후 정정공시 여부를 확인 부탁드립니다. - 홈페이지 주소 : http://bistos.co.kr

※ 참고사항

□ 전자투표 및 전자위임장권유에 관한 사항 당사는 "상법" 제368조의4에 따른 전자투표제도 활용하기로 결의하였고, 이 제도의 관리업무를 한국예탁결제원에 위탁하였습니다. 주주님들께서는 아래에서 정한 방법에 따라 주주총회에 참석하지 아니하고 전자투표 방식으로 의결권을 행사하실 수 있습니다.가. 전자투표 관리시스템 - 인터넷 주소 : http://evote.ksd.or.kr - 모바일 주소 : http://evote.ksd.or.kr/m나. 전자투표행사 기간 - 2025년 3월 21일 오전 9시 ~ 2025년 3월 30일 오후 5시 - 기간 중 24시간 시스템 접속 가능 (단, 마지막 날은 오후 5시까지만 가능)다. 인증서를 이용하여 전자투표·전자위임장 권유관리시스템에서 주주 본인 확인 후 의결권 행사 - 주주확인용 인증서의 종류 : 공동인증서 및 민간인증서(K-VOTE에서 사용 가능한 인증서 한정)라. 수정동의안 처리 - 주주총회에서 상정된 의안에 관하여 수정동의가 제출되는 경우 전자투표는 기권으로 처리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