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주총회소집공고 6.0 퍼스텍(주)

주주총회소집공고
2025 년 3 월 5 일
회 사 명 : 퍼스텍주식회사
대 표 이 사 : 손경석
본 점 소 재 지 : 경남 창원시 성산구 남면로 485
(전 화) 055-280-1911
(홈페이지)http:// www.firsteccom.co.kr
작 성 책 임 자 : (직 책) 공장장 (성 명) 이원재
(전 화) 031-627-4532

주주총회 소집공고
(제50기 정기)

상법 제365조 및 우리 회사 정관 제19조에 의거하여 제50기 정기주주총회를 다음과 같이 개최하오니 참석하여 주시기 바랍니다.

- 다 음 -

1. 일 시 : 2025년 3월 20일 (목) 오전 10시

2. 장 소 : 경남 창원시 의창구 중앙대로 166 (창원 상공회의소 2층 회의실)

3. 회의 목적 사항

가. 보고 사항 : 감사의 감사보고, 이사의 영업보고, 내부회계관리제도 운영실태 보고

나. 부의 안건

1) 제 1 호 의안: 제50기 (2024.1.1~2024.12.31) 재무제표(안) 승인의 건 2) 제 2 호 의안: 이사 보수 한도 승인의 건 3) 제 3 호 의안: 감사 보수 한도 승인의 건

4. 경영참고사항 비치 상법 제542조의4에 의거 회사의 경영참고사항 등을 당사의 홈페이지(www.firsteccom.co.kr) 전자공고란에 게재하고, 본점 및 지점, 명의개서 대행회사(국민은행 증권대행부), 금융위원회, 한국거래소에 비치하였으니 참고하시기 바랍니다.5. 의결권 행사에 관한 사항 당일 주주총회에 직접 참석하실 때에는 주주임을 확인할 수 있는 신분증을 지참하여주시기 바라며, 의결권을 위임하실 경우에는 대리인이 대리인 본인의 신분증을 지참하고 기명·날인된 위임장을 접수처에 제출하시기 바랍니다. 6. 안내사항 참석 주주님들을 위한 주주총회 기념품을 지급하지 아니하오니 이 점 양지하여 주시기 바랍니다.

2025 년 3 월 5일

경남 창원시 성산구 남면로 485 퍼 스 텍 주 식 회 사

대표이사 손 경 석 ( 직인생략 )

I. 사외이사 등의 활동내역과 보수에 관한 사항

1. 사외이사 등의 활동내역 가. 이사회 출석률 및 이사회 의안에 대한 찬반여부
회차 개최일자 의안내용 사외이사 등의 성명
유병직(출석률: 100%)
찬 반 여 부
1 2024.02.29 제49기 정기주주총회 소집결의 찬성
2 2024.03.15 (주)후성 유상증자 참여 승인의 건 찬성
3 2024.03.27 제49기 정기주주총회 개최 찬성
4 2024.06.07 유콘시스템(주) 소프트웨어공제조합 보증한도 연장의 건 찬성

나. 이사회내 위원회에서의 사외이사 등의 활동내역
위원회명 구성원 활 동 내 역
개최일자 의안내용 가결여부
- - - - -

2. 사외이사 등의 보수현황
(단위 : 원)
구 분 인원수 주총승인금액 지급총액 1인당 평균 지급액 비 고
사외이사 1 5,000 36 36 -

II. 최대주주등과의 거래내역에 관한 사항

1. 단일 거래규모가 일정규모이상인 거래
(단위 : 억원)
거래종류 거래상대방(회사와의 관계) 거래기간 거래금액 비율(%)
- - - - -

- 해당사항 없음.

2. 해당 사업연도중에 특정인과 해당 거래를 포함한 거래총액이 일정규모이상인 거래
(단위 : 억원)
거래상대방(회사와의 관계) 거래종류 거래기간 거래금액 비율(%)
- - - - -

- 해당사항 없음.

III. 경영참고사항

1. 사업의 개요

가. 업계의 현황

① 방위산업의 정의

방위산업은 정부주도 및 대규모 사업을 통해 국가를 방위하는데 필요한 무기 및 기타의 장비 등을 연구개발·생산·정비하는 산업입니다. 전투가 복잡해진 현대전에서는 무기뿐만 아니라 보급물자·통신관측 기재·수송수단 등을 포함하여 조달·생산할 필요가 있으며 일반적으로는 국방력 형성에 중요한 요소가 되는 무기장비의 생산과 개발을 담당하는 산업의 총칭으로 정의합니다.

② 방위산업의 특징

방위산업은 첨단화, 시스템화 되면서 산업간의 융복합화가 급속하게 진행되며 기술 및 제품 개발을 위한 투자규모가 증가하였고 각 국은 전략산업으로 육성을 통해 산업의 발전 및 안보에 핵심적 역할에 기여하고 있습니다. 또한 가격보단 제품의 성능이 무엇보다 중요시되고 기술진보가 다른 어떤 산업보다 빠르다는 특성을 가지고 있습니다.

방위산업은 군 전투력 증강 및 유지라는 특성으로 인해 제품 수명주기가 장기간이며, 방산물자로 지정된 제품은 정부의 정책결정에 따라 사업의 변동성에 영향을 끼칠 수 있으나 기본적으로 군 전력화가 완료되는 시점까지 장기간 수주에 의한 장기공급계약이기 때문에 안정적인 사업을 수행할 수 있다는 강점을 가지고 있습니다.

③ 방산업체

국내방위산업은 1973년 '방위산업에 관한 특별조치법(현 방위사업법)' 제정을 통해방위산업육성 기본계획을 세워 자주국방의 기틀을 다지려는 계획 아래 무기체계의 국산화를 이룩하였으며 현재 84개의 방산 업체들이 국가방위력향상에 불철주야 매진하고 있습니다.

방산업체는 산업통상자원부장관이 방위사업청장과 협의하여 지정하며 방위사업청장 지정물자를 생산하는 주요 방산업체와 그 외의 품목을 생산하는 일반 방산업체로 구분합니다.

[방산업체 지정 현황]

분야

주요방산업체

일반방산업체

화력

두원중공업,SG솔루션,현대위아,SNT모티브,다산기공 ,SNT다이내믹스,씨앤지(7) 진영정기(1)

(8)

탄약

삼양화학공업,삼양정밀화학,세아항공방산소재,풍산,풍산FNS,한일단조공업,코리아디펜스인더스트리(7) 고려화공,동양정공 (2)

(9)

기동

기아,HD현대인프라코어,두산에너빌리티,삼정터빈,삼주기업,평화산업,현대트랜시스,현대로템,LS엠트론,STX엔진,시공사,엠엔씨솔루션(12) 광림,신정개발특장차(2)

(14)

항공유도

다윈프릭션,대한항공,쎄트렉아이,퍼스텍,한국항공우주산업,스페이스프로,한화에어로스페이스,LIG넥스원,단암시스템즈,코오롱스페이스웍스,덕산넵코어스,데크카본,캐스(13) 성진테크윈,유아이헬리콥터,화인정밀(3)

(16)

함 정

강남,한화오션,SK오션플랜트,한국특수전지,HJ중공업,HD현대중공업,효성중공업,삼정티비엠(8) 스페코(1)

(8)

통신전자

인피니티에코,비츠로밀텍,한화시스템,연합정밀,이오시스템,대영에스텍,휴니드테크놀러지스,현대제이콤,빅텍,우리별 (10) 삼영이엔씨,아이쓰리시스템,인소팩,이화전기공업,미래엠텍,티에스택 (6)

(16)

화생방

한컴라이프케어,SG생활안전,HKC(3)

(0)

(3)

기타

대양전기공업,동인광학,삼양컴텍,우경광학,유텍,아이펙 (6) 대명,대신금속,은성사(3)

(9)

66개

18개

(84)

자료: 한국방위산업진흥회(2025-02-19기준)

나. 회사의 현황

(1) 영업개황 및 사업부문의 구분

(가) 영업개황

당사는 1975년 9월에 전신인 제일정밀공업㈜가 설립되어 국가 방위사업체로 지정된 이후 T-50, 수리온, 단거리지대지, 지대공 유도무기, K-9 자주포, K-10 탄약운반차 등 굵직한 체계사업에 참여, 다양한 분야에서 발사통제장비, 구동장치, 냉각장치, 자동소화장치 등을 개발·생산하며 퍼스텍의 기술 및 품질을 인정 받고 있습니다.

① 유도무기분야

당사의 중점 사업분야인 유도무기 분야는 현무, 현궁, 비궁, 천궁-Ⅱ, L-SAM 등의 유도 미사일 체계에 필요한 구동장치와 발사통제장치, 유도조종장치 등 주요 구성품을 연구 개발하여 각 사업에 적용하고 있습니다. 특히, 구동장치는 유도탄의 비행제어를 위한 역할을 수행하는 핵심 구성품입니다. 이외에도 유도탄의 제어 및 상태를 감지하고 발사통제 임무를 수행하는 발사통제장치, 정확하고 안정적인 비행임무를 수행하도록 하는 유도조종장치 등의 제품을 개발, 생산 중에 있습니다.

② 지상무기분야(기동 및 화포)

당사는 지상무기분야에서 K9 자주포, K10, K55의 기동화력분야의 양산사업에 참여를 해오고 있으며, 참여 구성품은 조종수가 운용하는 조종수 계기 및 조종패널과 전원을 공급 받아 각종 장치들에 분배하는 차량 전원분배기 등 입니다. 이는 현재 폴란드 수출사업에도 참여, 양산 진행 중이며 그 외 유럽 등 다양한 수출 사업에도 지속적으로 참여할 예정입니다.③ 항공우주분야

당사는 전투기(KF-21, T-50, FA-50 등), 헬기(KUH, LAH/LCH) 등 항공우주 분야 시스템에 적용되는 항공전자 및 환경제어장치 등의 주요 구성품을 연구 개발하여 각 사업에 적용하고 있습니다. 항공기 속도, 고도, 온도 등을 측정하는 시스템인 대기자료 시스템(ADS), 엔진 시동, 정지 및 추력을 조절하는 장치인 추력조절장치(TQS), 비행체 외부 환경 및 내부 열부하에 따른 온도를 조절하는 환경제어장치 등을 개발/생산하고 최근에는 폴란드 FA-50 수출사업에도 참여 하는 등 국내외 대형 항공사업 전반에 걸쳐 참여하고 있습니다. 또한 중고도정찰용 무인항공기(MUAV), 차기군단급 등의 무인기분야에 추진, 연료, 환경, 구동시스템의 핵심계통 개발을 통해 중추적인 역할을 수행하고 있습니다.

④ 해상수중무기분야

당사는 2010년대부터 해상수중분야로 사업영역 확장을 준비해왔으며 2013년 5월 255억 규모의 기뢰부설체계(기뢰부설함 내) 사업을 수주하며 본격적으로 해상수중분야에서 전문적인 기술을 가진 업체로 자기 매김하였습니다. 잠수함이 어뢰 공격으로부터 안전하게 회피할 수 있도록 하는 방어체계 장치인 어뢰기만기 발사체계와 함정분야의 냉각시스템에 특화되어 개발, 생산 중에 있으며, 해상수중무기분야의 기술력을 지속적으로 향상시켜 나갈 예정입니다.

(나) 공시대상 사업부문의 구분

구 분 방위산업
주요제품 무기 및 총포탄

(2) 시장점유율

현재 국내 방위산업 시장은 84개의 방산업체 중 상위 20개사가 방산 전체 매출액 비중의 약 90% 이상을 점유하고 있습니다. 매출순위 상위업체로는 한화에어로스페이스, LIG넥스원, 한국항공우주산업 등이 있으며 현대로템, 풍산, 현대중공업 등이 뒤를 잇고 있습니다.

당사는 20위권 이내를 형성하고 있으며 향후 무인화사업 체계업체로의 발돋움 및 수출주도 성장사업 진입, 미래 무기체계 개발·양산을 위해 끊임없는 투자와 연구개발을 이어 나가고 있습니다. 또한 2007년 1,200평 규모의 기술센터를 건립해 R&D역량을 강화, 2014년 엔진시험실 준공을 통해 고객 서비스와 품질 신뢰성을 향상시키고 , '22년 사무동 및 일부 생산라인을 신축 및 '23년 준공함으로써, 국내업계 순위 10위권 진입을 목표로 기업경쟁력을 높여 가고 있습니다.

(3) 시장의 특성

① 국내 방위산업 시장의 전망

방위산업은 국가안보의 초석이며 군이 요구하는 성능과 품질의 무기체계를 적기에 획득 공급 함으로써 군사력을 증강하고 자주국방을 구현하는데 핵심적인 역할을 수행해 왔습니다. 이러한 방위산업은 정부가 유일한 수요자라는 수요독점의 특성과 다른 민간산업에 비해 방산업체가 소수인 특성을 띠고 있습니다. 이러한 특성으로 인해 국내 방산분야 생산규모가 정책기조 변화에 밀접하게 연동되는 등 방위산업 육성 및 발전에 있어서 정부의 역할이 매우 중요합니다. 이러한 정부가 편성하는 국방예산은 국가방위라는 공공재화를 생산하기 위해서 국방정책과 연계된 각종 사업들을 집행할 때 지출하는 비용을 말하며 크게 방위력개선비와 전력운영비로 구분됩니다. 방위력개선비는 감시정찰, 지휘통제/통신, 화력, 함정, 항공기 등의 전력화 예산이며, 전력운영비는 주로 인건비, 급식, 피복, 정보화, 군수지원 및 교육 훈련 등에 소요되는 예산입니다. 방산업체의 매출액과 직접적으로 연관되어 있는 국방예산은 방위력개선비 및 전력운영비 내의 정비예산이며 안보위험에 대응하기 위한 군사력을 건설하고 운영 유지하는데 수반되는 비용과 국가의 재정적 부담 능력을 종합적으로 고려하여 결정됩니다.

[국방예산 추이]

(단위 : 억원)

회계연도

2023년

2024년

2025년

국방비

총액

570,143

594,244 612,469

전력운영비

400,974 417,712 434,007

방위력개선비

169,169

176,532 178,462

<자료 : e-나라지표>

지난 과거 3년간의 대한민국 국방예산의 추이를 살펴보면 국방비는 매년 증가하고 있으며, 2025년도 국방비 중 전력운영비는 43.4조원(전년대비 3.9% 증가), 방위력개선비는 17.8조원(전년대비 1.1% 증가)으로 책정되어 있습니다.

② 경기변동의 특성

방위산업의 수요는 국가의 안보정책과 국제정세에 많은 영향을 받으며, 타 산업과는달리 경기변동에 직접적인 영향을 받지는 않습니다. 국내 방위산업은 국방부의 향후 전력증강계획을 토대로 연도별 및 단계별 심의를 거쳐 추진되는 계획산업입니다. 합동전략목표기획서(JSOP) 에서 향후 20년간의 전력증강계획을 매년 수립하며, 국방중기계획서에서는 향후 5년간의 대상사업 및 잠정예산을 결정합니다.

이에 따라 방위산업은 향후 사업계획의 대부분이 미리 계획되어 정해져 있으며, 국가를 방위하는데 필요한 무기, 장비 및 기타 물자를 생산하는 산업으로써 군이라는 안정적인 고객이 존재하는 특성이 있습니다. 또한 국방예산과 관련되기 때문에 타 산업 대비 상대적으로 경기변동과 연관이 적어 안정적인 매출을 실현할 수 있다는 특성을 지니고 있습니다.

특히 우리나라의 경우 남북한 대치 등 국가안보적 필요에 의해 방위산업의 규모를 경기에 맞춰 탄력적으로 운용할 수 없으므로 경기 침체 및 세수 감소에도 전력 유지를 위해 무기체계 소요는 지속 발생하게 됩니다.

(4) 신규사업 등의 내용 및 전망

당사는 국내의 미래방위사업이 핵심기술과 부품을 보유하여 세계 시장에서 경쟁력과 시장성을 갖춘 첨단기술이 집약된 제품을 생산할 수 있도록 미래 사업에 대한 투자를 확대·전개해 나가고 있습니다. 향후 항공우주, 무인항공기 등 대형 국책사업 및 체계사업에서 개발과 생산·투자를 통해 당사의 위상을 높여갈 것이며 유도지상무기, 해상무기, 무인사업 분야에서도 박차를 가해 대한민국의 대표 방위산업업체로 거듭날 것입니다.

(5) 조직도

조직도.jpg 조직도

2. 주주총회 목적사항별 기재사항 □ 재무제표의 승인

가. 해당 사업연도의 영업상황의 개요

- Ⅲ. 경영참고사항 1.사업의 개요를 참고하시기 바랍니다.

나. 해당 사업연도의 재무상태표(대차대조표)ㆍ손익계산서(포괄손익계산서)ㆍ이익잉여금처분계산서(안) 또는 결손금처리계산서(안)

- 재무상태표(대차대조표)

재 무 상 태 표
제 50 기말 2024년 12월 31일 현재
제 49 기말 2023년 12월 31일 현재
퍼스텍주식회사 (단위 : 원)
과 목 제 50 기말 제 49 기말
자 산
I. 유동자산 221,388,103,563 135,566,849,087
현금및현금성자산 94,404,496,226 13,125,530,858
단기금융상품 - 20,000,000,000
매출채권및기타채권 20,118,156,056 18,473,595,540
계약자산 4,597,992,808 765,509,200
재고자산 71,557,594,414 53,558,617,390
기타자산 30,331,685,829 29,505,471,894
당기법인세자산 378,178,230 138,124,205
Ⅱ. 비유동자산 132,324,855,977 129,508,899,367
기타채권 1,012,260,811 987,448,480
장기금융상품 2,000,000 2,000,000
관계기업투자 880,191,805 637,209,679
당기손익-공정가치 측정 금융자산 5,671,684,694 4,250,776,694
기타포괄손익-공정가치 측정 금융자산 18,206,864,267 26,397,894,880
유형자산 91,486,528,382 88,250,722,215
무형자산 1,564,514,752 1,220,254,686
사용권자산 795,636,116 1,034,326,940
기타자산 12,705,175,150 6,728,265,793
자 산 총 계 353,712,959,540 265,075,748,454
부 채
I. 유동부채 270,111,230,216 171,944,624,513
매입채무및기타채무 35,749,198,526 20,917,652,116
기타부채 423,842,470 397,304,887
계약부채 233,664,917,432 150,385,292,791
충당부채 28,897,069 -
리스부채 244,374,719 244,374,719
Ⅱ. 비유동부채 25,665,542,201 30,794,747,182
장기차입금 - 5,650,000,000
기타채무 4,224,576,106 3,032,367,287
순확정급여부채 14,091,717,597 13,643,977,759
충당부채 210,928,108 67,933,558
리스부채 524,695,663 731,423,987
이연법인세부채 6,613,624,727 7,669,044,591
부 채 총 계 295,776,772,417 202,739,371,695
자 본
자본금 24,385,969,000 24,385,969,000
주식발행초과금 9,079,713,036 9,079,713,036
이익잉여금(결손금) 142,572,472 (2,205,578,109)
기타자본 24,327,932,615 31,076,272,832
자 본 총 계 57,936,187,123 62,336,376,759
부 채 와 자 본 총 계 353,712,959,540 265,075,748,454

- 손익계산서(포괄손익계산서)

포 괄 손 익 계 산 서
제 50 기 2024년 1월 1일부터 2024년 12월 31일까지
제 49 기 2023년 1월 1일부터 2023년 12월 31일까지
퍼스텍주식회사 (단위 : 원)
과 목 제 50 기 제 49 기
Ⅰ. 매출액 207,273,257,566 173,103,350,935
Ⅱ. 매출원가 193,474,340,665 161,727,645,013
Ⅲ. 매출총이익 13,798,916,901 11,375,705,922
판매비와관리비 9,201,152,399 8,867,631,607
Ⅳ. 영업이익 4,597,764,502 2,508,074,315
금융수익 3,688,410,895 2,325,062,519
금융비용 1,414,092,759 1,891,864,865
기타수익 5,890,516 8,331,295
기타비용 122,247,420 69,888,556
지분법이익 242,982,126 63,721,971
Ⅴ. 법인세비용차감전순이익 6,998,707,860 2,943,436,679
법인세비용(수익) 1,550,223,631 (1,676,699,753)
Ⅵ. 당기순이익 5,448,484,229 4,620,136,432
Ⅶ. 기타포괄손익 (9,848,673,865) (2,118,236,546)
후속적으로 당기손익으로 재분류되지 않는 항목:
순확정급여부채의 재측정요소 (3,100,333,648) (4,119,172,421)
기타포괄손익-공정가치 측정 금융자산 평가손익 (6,748,340,217) 1,916,328,167
관계기업투자 지분법자본변동 - 84,607,708
Ⅷ. 총포괄손익 (4,400,189,636) 2,501,899,886
Ⅸ.주당이익
기본주당순이익 112 96
희석주당순이익 112 96

- 이익잉여금처분계산서(안) 또는 결손금처리계산서(안)

이익잉여금처분계산서(안) 당기의 이익잉여금처분계산서는 2025년 3월 20일 주주총회에서 처리될 예정입니다.(전기 처리 확정일: 2024년 3월 27일)

(단위: 원)
과 목 제 50(당) 기 제 49(전) 기
미처분이익잉여금(미처리결손금) (230,130,528) (2,578,281,109)
전기이월 미처리결손금 (2,578,281,109) (3,079,245,120)
순확정급여부채의 재측정요소 (3,100,333,648) (4,119,172,421)
당기순이익 5,448,484,229 4,620,136,432
결손금 처리액 - -
차기이월 미처리결손금 (230,130,528) (2,578,281,109)

- 자본변동표

자본변동표
제 50 기 2024년 1월 1일부터 2024년 12월 31일까지
제 49 기 2023년 1월 1일부터 2023년 12월 31일까지
퍼스텍주식회사 (단위: 원)
구 분 자본금 주식발행초과금 이익잉여금(결손금) 기타자본 합 계
2023년 1월 1일(전기초) 24,030,730,000 6,262,667,766 (2,706,542,120) 29,075,336,957 56,662,192,603
당기순이익 - - 4,620,136,432 - 4,620,136,432
순확정급여부채의 재측정요소 - - (4,119,172,421) - (4,119,172,421)
기타포괄손익-공정가치 측정 금융자산의 평가손익 - - - 1,916,328,167 1,916,328,167
관계기업투자의 지분법자본변동 - - - 84,607,708 84,607,708
전환사채의 전환 355,239,000 2,817,045,270 - - 3,172,284,270
2023년 12월 31일(전기말) 24,385,969,000 9,079,713,036 (2,205,578,109) 31,076,272,832 62,336,376,759
2024년 1월 1일(당기초) 24,385,969,000 9,079,713,036 (2,205,578,109) 31,076,272,832 62,336,376,759
당기순이익 - - 5,448,484,229 - 5,448,484,229
순확정급여부채의 재측정요소 - - (3,100,333,648) - (3,100,333,648)
기타포괄손익-공정가치 측정 금융자산의 평가손익 - - - (6,748,340,217) (6,748,340,217)
2024년 12월 31일 (당기말) 24,385,969,000 9,079,713,036 142,572,472 24,327,932,615 57,936,187,123

- 현금흐름표

현 금 흐 름 표
제 50 기 2024년 1월 1일부터 2024년 12월 31일까지
제 49 기 2023년 1월 1일부터 2023년 12월 31일까지
퍼스텍주식회사 (단위: 원)
구 분 제 50 기 제 49 기
영업활동으로 인한 현금흐름 74,610,279,742 37,865,850,942
영업으로부터 창출된 현금흐름 72,473,441,879 37,096,536,069
이자수취 2,456,069,254 898,201,429
이자지급 (269,790,949) (303,787,333)
배당금수취 313,069,135 313,762,865
법인세환급(납부) (362,509,577) (138,862,088)
투자활동으로 인한 현금흐름 12,569,768,826 (38,152,568,668)
단기금융상품의 증가 (8,000,000,000) (20,000,000,000)
단기금융상품의 감소 28,000,000,000 -
당기손익-공정가치 측정 금융자산의 취득 (1,420,908,000) (998,904,456)
기타포괄손익-공정가치 측정 금융자산의 취득 (340,313,600) -
관계기업투자주식의 취득 (488,880,000)
유형자산의 취득 (5,087,348,681) (15,540,692,543)
유형자산의 처분 709,091 3,754,546
무형자산의 취득 (650,020,000) (974,001,500)
보증금의 증가 (15,000,000) (306,000,000)
보증금의 회수 13,000,000 310,000,000
대여금의 대여 (250,051,782) (300,800,000)
대여금의 회수 235,001,798 142,955,285
국고보조금의 증가 84,700,000 -
재무활동으로 인한 현금흐름 (5,901,083,200) (4,665,545,913)
장기차입금의 상환 (5,650,000,000) (4,350,000,000)
리스부채의 상환 (251,083,200) (315,545,913)
현금및현금성자산의 순증감 81,278,965,368 (4,952,263,639)
기초의 현금및현금성자산 13,125,530,858 18,077,794,497
현금및현금성자산의 환율변동으로 인한 효과 - -
기말의 현금및현금성자산 94,404,496,226 13,125,530,858

- 주석

1. 일반사항퍼스텍주식회사(이하 "회사")는 방위산업제품 제조업을 주사업목적으로 1975년 9월 25일에 제일정밀공업주식회사로 설립하였으며, 1989년 5월 10일에 한국증권거래소에 주식을 상장하여 공개기업이 되었고 2002년 2월 7일 회사의 상호를 현재의 퍼스텍주식회사로 변경하였습니다.회사는 경상남도 창원시 성산구 남면로 485에 본사 및 방위산업제품 제조공장을 두고 있습니다.보고기간말 현재 회사의 자본금은 24,385,969천원이며, 수권주식수 150,000,000주 중 48,771,938주가 발행되었고, 주당 액면가액은 500원입니다.

2. 중요한 회계정책

2.1 재무제표 작성기준

회사의 재무제표는 한국채택국제회계기준(이하 기업회계기준)에 따라 작성되었습니다. 한국채택국제회계기준은 국제회계기준위원회("IASB")가 발표한 기준서와 해석서 중 대한민국이 채택한 내용을 의미합니다.한국채택국제회계기준은 재무제표 작성 시 중요한 회계추정의 사용을 허용하고 있으며, 회계정책을 적용함에 있어 경영진의 판단을 요구하고 있습니다. 보다 복잡하고 높은 수준의 판단이 필요한 부분이나 중요한 가정 및 추정이 필요한 부분은 주석3에서 설명하고 있습니다.

2.2.1 회사가 채택한 제ㆍ개정 기준서 및 해석서

회사는 2024년 1월 1일로 개시하는 회계기간부터 다음의 제ㆍ개정 기준서 및 해석서를 신규로 적용하였습니다.

(1) 기업회계기준서 제1001호 '재무제표 표시' - '회계정책'의 공시

중요한 회계정책 정보를 정의하고 이를 공시하도록 하였습니다. 해당 기준서의 개정이 재무제표에 미치는 중요한 영향은 없습니다.

(2) 기업회계기준서 제1001호 ' 재무제표 표시 ' - 행사가격 조정 조건이 있는 금융부채 평가손익 공시

발행자의 주가 변동에 따라 행사가격이 조정되는 조건이 있는 금융상품의 전부나 일부가 금융부채로 분류되는 경우 그 금융부채의 장부금액과 관련 손익을 공시하도록 하였습니다. 해당 기준서의 개정이 재무제표에 미치는 중요한 영향은 없습니다.

(3) 기업회계기준서 제1008호 '회계정책, 회계추정의 변경 및 오류' - '회계추정'의 정의

회계추정을 정의하고, 회계정책의 변경과 구별하는 방법을 명확히 하였습니다. 해당기준서의 개정이 재무제표에 미치는 중요한 영향은 없습니다.

(4) 기업회계기준서 제1012호 '법인세' - 단일거래에서 생기는 자산과 부채에 대한 이연법인세

자산 또는 부채가 최초로 인식되는 거래의 최초 인식 예외 요건에 거래시점 동일한 가산할 일시적차이와 차감할 일시적차이를 발생시키지 않는 거래라는 요건을 추가하였습니다. 해당 기준서의 개정이 재무제표에 미치는 중요한 영향은 없습니다.

(5) 기업회계기준서 제1117호 '보험계약' 제정

기업회계기준서 제1117호 '보험계약'은 기업회계기준서 제1104호 '보험계약’을 대체합니다. 보험계약에 따른 모든 현금흐름을 추정하고 보고시점의 가정과 위험을 반영한 할인율을 사용하여 보험부채를 측정하고, 매 회계연도별로 계약자에게 제공한 서비스(보험보장)를 반영하여 수익을 발생주의로 인식하도록 합니다. 또한, 보험사건과 관계없이 보험계약자에게 지급하는 투자요소(해약/만기환급금)는 보험수익에서 제외하며, 보험손익과 투자손익을 구분 표시하여 정보이용자가 손익의 원천을 확인할 수 있도록 하였습니다. 해당 기준서의 제정이 재무제표에 미치는 중요한 영향은 없습니다.

(6) 기업회계기준서 제1012호 ‘법인세’ - ‘국제조세개혁 - 필라2 모범규칙’

개정 기준은 다국적기업의 국제조세를 개혁하는 필라2 모범규칙을 반영하는 법률의 시행으로 생기는 이연법인세 회계처리를 일시적으로 완화하고 이와 관련된 당기법인세 효과 등에 대한 공시를 요구하고 있습니다. 해당 기준서의 제정이 재무제표에 미치는 중요한 영향은 없습니다.

2.2.2 회사가 적용하지 않은 제ㆍ개정 기준서 및 해석서

제정 또는 공표되었으나 시행일이 도래하지 않아 적용하지 아니한 제ㆍ개정 기준서 및 해석서는 다음과 같습니다.

(1) 기업회계기준서 제1001호 '재무제표 표시' 개정 - 부채의 유동/비유동 분류, 약정사항이 있는 비유동부채

보고기간말 현재 존재하는 실질적인 권리에 따라 유동 또는 비유동으로 분류되며, 부채의 결제를 연기할 수 있는 권리의 행사가능성이나 경영진의 기대는 고려하지 않습니다. 또한, 부채의 결제에 자기지분상품의 이전도 포함되나, 복합금융상품에서 자기지분상품으로 결제하는 옵션이 지분상품의 정의를 충족하여 부채와 분리하여 인식된경우는 제외됩니다. 또한, 기업이 보고기간말 후에 준수해야 하는 약정은 보고기간

말에 해당 부채의 분류에 영향을 미치지 않으며, 보고기간 이후 12개월 이내 약정사항을 준수해야 하는 부채가 보고기간말 현재 비유동부채로 분류된 경우 보고기간

이후 12개월 이내 부채가 상환될 수 있는 위험에 관한 정보를 공시해야 합니다. 동 개정사항은 2024년 1월 1일 이후 시작하는 회계연도부터 적용되며, 조기적용이 허용됩니다. 회사는 동 개정으로 인한 재무제표의 영향을 검토 중에 있습니다.(2) 기업회계기준서 제1007호 '현금흐름표', 기업회계기준서 제1107호 '금융상품: 공시' 개정 - 공급자금융약정에 대한 정보 공시

공급자금융약정을 적용하는 경우, 재무제표이용자가 공급자금융약정이 기업의 부채와 현금흐름 그리고 유동성위험익스포저에 미치는 영향을 평가할 수 있도록 공급자금융약정에 대한 정보를 공시해야 합니다. 동 개정사항은 2024년 1월 1일 이후 시작하는 회계연도부터 적용되며, 조기적용이 허용됩니다. 회사는 동 개정으로 인한 재무제표의 영향을 검토 중에 있습니다.

(3) 기업회계기준서 제1116호 '리스' 개정 - 판매후리스에서 생기는 리스부채

판매후리스에서 생기는 리스부채를 후속적으로 측정할 때 판매자-리스이용자가 보유하는 사용권 관련 손익을 인식하지 않는 방식으로 리스료나 수정리스료를 산정합니다. 동 개정사항은 2024년 1월 1일 이후 시작하는 회계연도부터 적용되며, 조기적용이 허용됩니다. 회사는 동 개정으로 인한 재무제표의 영향을 검토 중에 있습니다.

(4) 기업회계기준서 제1001호 '재무제표 표시' 개정 - '가상자산 공시'

가상자산을 보유하는 경우, 가상자산을 고객을 대신하여 보유하는 경우, 가상자산을 발행한 경우의 추가 공시사항을 규정하고 있습니다. 동 개정사항은 2024년 1월 1일 이후 시작하는 회계연도부터 적용되며, 조기적용이 허용됩니다. 당 기준서의 제정이 재무제표에 미치는 중요한 영향은 없습니다.

2.3 현금 및 현금성자산회사는 취득일로부터 만기일이 3개월 이내인 투자자산을 현금 및 현금성자산으로 분류하고 있습니다. 지분상품은 현금성자산에서 제외되나, 상환일이 정해져 있고 취득일로부터 상환일까지의 기간이 단기인 우선주와 같이 실질적으로 현금성자산인 경우에는 현금성자산에 포함됩니다.2.4 외화환산 (1) 기능통화와 표시통화회사는 회사의 영업활동이 이루어지는 주된 경제환경에서의 통화("기능통화")를 적용하여 측정하고 있습니다. 회사의 기능통화는 대한민국 원화이며, 재무제표는 대한민국 원화로 표시되어 있습니다.(2) 외화거래와 보고기간말의 환산 재무제표 작성에 있어서 회사의 기능통화 외의 통화(외화)로 이루어진 거래는 거래일의 환율을 적용하여 기록하고 있습니다. 매 보고기간 말에 화폐성 외화항목은 보고기간 말의 마감환율로 환산하고 있습니다. 공정가치로 측정하는 비화폐성 외화항목은 공정가치가 결정된 날의 환율로 환산하고, 역사적원가로 측정하는 비화폐성항목은 거래일의 환율로 환산하고 있습니다.2.5 금융자산(1) 분류회사는 다음의 측정 범주로 금융자산을 분류합니다.- 당기손익-공정가치 측정 금융자산- 기타포괄손익-공정가치 측정 금융자산- 상각후원가 측정 금융자산

금융자산은 금융자산의 관리를 위한 사업모형과 금융자산의 계약상 현금흐름 특성에근거하여 분류합니다.공정가치로 측정하는 금융자산의 손익은 당기손익 또는 기타포괄손익으로 인식합니다. 채무상품에 대한 투자는 해당 자산을 보유하는 사업모형에 따라 그 평가손익을 당기손익 또는 기타포괄손익으로 인식합니다. 회사는 금융자산을 관리하는 사업모형을 변경하는 경우에만 채무상품을 재분류합니다. 단기매매항목이 아닌 지분상품에 대한 투자는 최초 인식시점에 후속적인 공정가치 변동을 기타포괄손익으로 표시할 것을 지정하는 취소불가능한 선택을 할 수 있습니다. 지정되지 않은 지분상품에 대한 투자의 공정가치 변동은 당기손익으로 인식합니다.(2) 측정회사는 최초 인식시점에 금융자산을 공정가치로 측정하며, 당기손익-공정가치 측정 금융자산이 아닌 경우에 해당 금융자산의 취득과 직접 관련되는 거래원가는 공정가치에 가산합니다. 당기손익-공정가치 측정 금융자산의 거래원가는 당기손익으로 비용처리합니다. 내재파생상품을 포함하는 복합계약은 계약상 현금흐름이 원금과 이자로만 구성되어 있는지를 결정할 때 해당 복합계약 전체를 고려합니다.① 채무상품금융자산의 후속적인 측정은 금융자산의 계약상 현금흐름 특성과 그 금융자산을 관리하는 사업모형에 근거합니다. 회사는 채무상품을 다음의 세 범주로 분류합니다.

(가) 상각후원가 측정 금융자산계약상 현금흐름을 수취하기 위해 보유하는 것이 목적인 사업모형 하에서 금융자산을 보유하고, 계약상 현금흐름이 원리금만으로 구성되어 있는 자산은 상각후원가로 측정합니다. 상각후원가로 측정하는 금융자산으로서 위험회피관계의 적용 대상이 아닌 금융자산의 손익은 해당 금융자산을 제거하거나 손상할 때 당기손익으로 인식합니다. 유효이자율법에 따라 인식하는 금융자산의 이자수익은 '금융수익'에 포함됩니다.(나) 기타포괄손익-공정가치 측정 금융자산계약상 현금흐름의 수취와 금융자산의 매도 둘 다를 통해 목적을 이루는 사업모형 하에서 금융자산을 보유하고, 계약상 현금흐름이 원리금만으로 구성되어 있는 금융자산은 기타포괄손익-공정가치로 측정합니다. 손상차손(환입)과 이자수익 및 외환손익을 제외하고는, 공정가치로 측정하는 금융자산의 평가손익은 기타포괄손익으로 인식합니다. 금융자산을 제거할 때에는 인식한 기타포괄손익누계액을 자본에서 당기손익으로 재분류합니다. 유효이자율법에 따라 인식하는 금융자산의 이자수익은 '금융수익'에 포함됩니다. 외환손익은 '금융수익 또는 금융비용'으로 표시하고 손상차손은 '기타 비용'으로 표시합니다.(다) 당기손익-공정가치 측정 금융자산상각후원가 측정이나 기타포괄손익-공정가치 측정 금융자산이 아닌 채무상품은 당기손익-공정가치로 측정됩니다. 위험회피관계가 적용되지 않는 당기손익-공정가치 측정 채무상품의 손익은 당기손익으로 인식하고 발생한 기간에 포괄손익계산서에 '금융수익 또는 금융비용'으로 표시합니다.

② 지분상품회사는 모든 지분상품에 대한 투자를 후속적으로 공정가치로 측정합니다. 공정가치 변동을 기타포괄손익으로 표시할 것을 선택한 장기적 투자목적 또는 전략적 투자목적의 지분상품에 대해 기타포괄손익으로 인식한 금액은 해당 지분상품을 제거할때에도 당기손익으로 재분류하지 않습니다. 이러한 지분상품에 대한 배당수익은 회사가 배당을 받을 권리가 확정된 때 '금융수익'으로 당기손익으로 인식합니다.당기손익-공정가치로 측정하는 금융자산의 공정가치 변동은 포괄손익계산서에 '기타수익 또는 기타비용'으로 표시합니다. 기타포괄손익-공정가치로 측정하는 지분상품에대한 손상차손(환입)은 별도로 구분하여 인식하지 않습니다.(3) 손상 회사는 미래전망정보에 근거하여 상각후원가로 측정하거나 기타포괄손익-공정가치로 측정하는 채무상품에 대한 기대신용손실을 평가합니다. 손상 방식은 신용위험의 유의적인 증가 여부에 따라 결정됩니다. 단, 매출채권 및 계약자산에 대해 회사는 채권의 최초 인식시점부터 전체기간 기대신용손실을 인식하는 간편법을 적용합니다.(4) 인식과 제거금융자산의 정형화된 매입 또는 매도는 매매일에 인식하거나 제거합니다. 금융자산은 현금흐름에 대한 계약상 권리가 소멸하거나 금융자산을 양도하고 소유에 따른 위험과 보상의 대부분을 이전한 경우에 제거됩니다.회사가 금융자산을 양도한 경우라도 채무자의 채무불이행시의 소구권 등으로 양도한금융자산의 소유에 따른 위험과 보상의 대부분을 회사가 보유하는 경우에는 이를 제거하지 않고 그 양도자산 전체를 계속하여 인식하되, 수취한 대가를 금융부채로 인식합니다. 해당 금융부채는 재무상태표에 '차입금'으로 분류하고 있습니다.

(5) 금융상품의 상계금융자산과 부채는 인식한 자산과 부채에 대해 법적으로 집행가능한 상계권리를 현재 보유하고 있고, 순액으로 결제하거나 자산을 실현하는 동시에 부채를 결제할 의도를 가지고 있을 때 상계하여 재무상태표에 순액으로 표시합니다. 법적으로 집행가능한 상계권리는 미래사건에 좌우되지 않으며, 정상적인 사업과정의 경우와 채무불이행의 경우 및 지급불능이나 파산의 경우에도 집행가능한 것을 의미합니다.2.6 유형자산유형자산은 최초에 원가로 측정하여 인식하고 있습니다. 유형자산의 원가에는 경영진이 의도하는 방식으로 자산을 가동하는데 필요한 장소와 상태에 이르게 하는데 직접 관련되는 원가 및 자산을 해체, 제거하거나 부지를 복구하는데 소요될 것으로 추정되는 원가가 포함됩니다.토지를 제외한 자산은 최초 인식 후에 원가에서 감가상각누계액과 손상차손누계액을차감한 금액을 장부금액으로 하고 있으며, 토지는 최초 인식 후에 재평가일의 공정가치에서 이후의 감가상각누계액과 손상차손누계액을 차감한 재평가금액을 장부금액으로 하고 있습니다. 재평가는 보고기간말에 자산의 장부금액이 공정가치와 중요하게 차이가 나지 않도록 주기적으로 수행하고 있습니다.유형자산의 제거로 인하여 발생하는 손익은 순매각금액과 장부금액의 차이로 결정되고 그 차액은 당기손익으로 인식하고 있습니다.

토지를 제외한 유형자산은 취득원가에서 잔존가치를 제외하고, 다음의 추정 경제적 내용연수에 걸쳐 정액법으로 상각됩니다.

과 목 추정 내용연수
건 물 25 ~ 50 년
구축물 25 년
기계장치 6 ~ 10 년
차량운반구 5 ~ 6 년
공구와기구 6 ~ 10 년
비 품 6 년

회사는 매 보고기간말에 자산의 잔존가치와 내용연수 및 감가상각방법을 재검토하고재검토 결과 이를 변경하는 것이 적절하다고 판단되는 경우 회계추정의 변경으로 처리하고 있습니다.후속지출은 해당 지출과 관련된 미래 경제적 효익이 회사로 유입될 가능성이 높은 경우에만 자본화하고 있습니다.회사는 회사는 토지에 대하여 기업회계기준서 제1016호 '유형자산'에 따라 자산을 재평가하는 회계정책을 최초로 적용하는 경우로써 제1008호 '회계정책, 회계추정치 변경과 오류' 기준서를 적용하지 아니하고 기업회계기준서 제1016에 따라 회계처리하고 있습니다.2.7 정부보조금정부보조금은 보조금의 수취와 정부보조금에 부가된 조건의 준수에 대한 합리적인 확신이 있을 경우에만 인식하고 있습니다. 자산관련보조금은 자산의 장부금액을 계산할 때 차감하여 표시되며, 수익관련보조금은 이연하여 정부보조금의 교부 목적과 관련된 비용에서 차감하여 표시됩니다.

2.8 무형자산영업권을 제외한 무형자산은 역사적 원가로 최초 인식되고, 원가에서 상각누계액과 손상차손누계액을 차감한 금액으로 표시됩니다.내부적으로 창출한 무형자산인 개발비는 기술적 실현가능성, 미래경제적효익 등을 포함한 자산 인식요건이 충족된 시점 이후에 발생한 지출금액의 합계입니다. 영업권 및 회원권은 이용 가능 기간에 대하여 예측가능한 제한이 없으므로 내용연수가 한정되지 않아 상각되지 않습니다. 한정된 내용연수를 가지는 다음의 무형자산은 추정내용연수 동안 정액법으로 상각됩니다.

과 목 추정 내용연수
개발비 5 년
산업재산권 5 년
소프트웨어 5 년

내용연수가 유한한 무형자산의 상각기간과 상각방법은 매 보고기간말에 재검토하고 내용연수가 비한정인 무형자산에 대해서는 그 자산의 내용연수가 비한정이라는 평가가 계속하여 정당한 지를 매 보고기간말에 재검토하며, 이를 변경하는 것이 적절하다고 판단되는 경우 회계추정의 변경으로 처리하고 있습니다.2.9 비금융자산의 손상고객과의 계약에서 생기는 수익에 따라 인식하는 계약자산과 계약을 체결하거나 이행하기 위해 든 원가에서 생기는 자산, 종업원급여에서 발생한 자산, 재고자산, 이연법인세자산을 제외한 모든 비금융자산에 대해서는 매 보고기간말마다 자산손상을 시사하는 징후가 있는지를 검토하며, 만약 그러한 징후가 있다면 당해 자산의 회수가능액을 추정하고 있습니다. 단, 사업결합으로 취득한 영업권 및 내용연수가 비한정인 무형자산, 아직 사용할 수 없는 무형자산에 대해서는 자산손상을 시사하는 징후와 관계없이 매년 회수가능액과 장부금액을 비교하여 손상검사를 하고 있습니다.

회수가능액은 개별 자산별로, 또는 개별 자산의 회수가능액을 추정할 수 없다면 그 자산이 속하는 현금창출단위 별로 회수가능액을 추정하고 있습니다. 회수가능액은 사용가치와 순공정가치 중 큰 금액으로 결정하고 있습니다. 사용가치는 자산이나 현금창출단위에서 창출될 것으로 기대되는 미래현금흐름을 화폐의 시간가치 및 미래현금흐름을 추정할 때 조정되지 아니한 자산의 특유위험에 대한 현행 시장의 평가를 반영한 적절한 할인율로 할인하여 추정합니다.자산이나 현금창출단위의 회수가능액이 장부금액에 미달하는 경우 자산의 장부금액을 감소시키며 즉시 당기손익으로 인식하고 있습니다.2.10 재고자산재고자산의 단위원가는 다음의 방법을 적용하여 산정한 원가로 결정있으며, 취득원가는 매입원가, 전환원가 및 재고자산을 이용가능한 상태로 준비하는데 필요한 기타 원가를 포함하고 있습니다.

구 분 산정방법
원재료 선입선출법
미착품 개별법
제품, 재공품 총평균법

재고자산은 취득원가와 순실현가능가치 중 낮은 금액으로 측정하고 있습니다. 재고자산을 순실현가능가치로 감액한 평가손실과 모든 감모손실은 감액이나 감모가 발생한 기간에 비용으로 인식하고 있으며, 재고자산의 순실현가능가치의 상승으로 인한 재고자산평가손실의 환입은 환입이 발생한 기간의 비용으로 인식된 재고자산의 매출원가에서 차감하고 있습니다.

2.11 금융부채(1) 분류 및 측정회사의 당기손익-공정가치 측정 금융부채는 단기매매목적의 금융상품입니다. 주로 단기간 내에 재매입할 목적으로 부담하는 금융부채는 단기매매금융부채로 분류됩니다. 또한 위험회피회계의 수단으로 지정되지 않는 파생상품이나 내재파생상품을 포함한 금융상품으로부터 분리된 내재파생상품도 단기매매금융부채로 분류됩니다.당기손익-공정가치측정 금융부채, 금융보증계약, 금융자산의 양도가 제거조건을 충족하지 못하는 경우에 발생하는 금융부채를 제외한 모든 비파생금융부채를 상각후원가로 측정하는 금융부채로 분류되고 있으며, 재무상태표 상 매입채무및기타채무, 금융부채로 표시됩니다. 특정일에 의무적으로 상환하여야 하는 우선주는 부채로 분류됩니다. 이러한 우선주에 대한 유효이자율법에 따른 이자비용은 다른 금융부채에서 인식한 이자비용과 함께 포괄손익계산서 상 금융비용으로 인식됩니다. (2) 제거회사는 금융부채의 계약상 의무가 이행, 취소 또는 만료된 경우에만 금융부채를 제거합니다. 회사는 금융부채의 계약조건이 변경되어 현금흐름이 실질적으로 달라진 경우 기존 부채를 제거하고 새로운 계약에 근거하여 새로운 금융부채를 공정가치로 인식합니다.금융부채의 제거 시에, 장부금액과 지급한 대가(양도한 비현금자산이나 부담한 부채를 포함)의 차액은 당기손익으로 인식합니다.

2.12 금융보증계약 회사가 제공한 금융보증계약은 최초 인식시 공정가치로 측정되며, 후속적으로는 다음 중 큰 금액으로 측정하여 "금융부채"로 인식됩니다.(1) 금융상품의 손상규정에 따라 산정한 손실충당금(2) 최초 인식금액에서 기업회계기준서 제1115호에 따라 인식한 이익누계액을 차감한 금액2.13 충당부채 충당부채는 과거사건의 결과로 존재하는 현재의무(법적의무 또는 의제의무)로서, 당해 의무를 이행하기 위하여 경제적효익을 갖는 자원이 유출될 가능성이 높으며 그 의무의 이행에 소요되는 금액을 신뢰성 있게 추정할 수 있는 경우에 인식하고 있습니 다.충당부채로 인식하는 금액은 관련된 사건과 상황에 대한 불가피한 위험과 불확실성을 고려하여 현재의무를 보고기간말에 이행하기 위하여 소요되는 지출에 대한 최선의 추정치입니다.매 보고기간말마다 충당부채의 잔액을 검토하고, 보고기간말 현재 최선의 추정치를 반영하여 조정하고 있습니다. 의무이행을 위하여 경제적효익이 내재된 자원이 유출될 가능성이 더 이상 높지 아니한 경우에는 관련 충당부채를 환입하고 있습니다.손실부담계약에 대한 충당부채는 계약상 의무에 따라 발생하는 회피 불가능한 원가가 당해 회계연도 계약에 의하여 발생할 것으로 기대되는 효익을 초과하는 경우, 계약을 이행하기 위하여 소요되는 원가와 계약을 이행하지 못하였을 때 지급하여야 할 보상금 또는 위약금 중 작은 금액으로 측정하고 있습니다. 충당부채 인식 전에 당해 계약을 이행하기 위하여 사용하는 자산에서 발생한 손상차손을 먼저 인식하고 있습니다.충당부채는 최초 인식과 관련 있는 지출에만 사용하고 있습니다.

2.14 당기법인세 및 이연법인세법인세비용은 당기법인세와 이연법인세로 구성됩니다. 법인세는 기타포괄손익이나 자본에 직접 인식된 항목과 관련된 금액은 해당 항목에서 직접 인식하며, 이를 제외하고는 당기손익으로 인식됩니다.당기법인세는 당기의 과세소득을 기초로 산정하고 있습니다. 과세소득은 포괄손익계산서상의 법인세비용차감전순이익에서 다른 과세기간에 가산되거나 차감될 손익 및 비과세항목이나 손금불인정항목을 제외하므로 포괄손익계산서상 손익과 차이가 있습니다. 회사의 당기법인세와 관련된 미지급법인세는 제정되었거나 실질적으로 제정된 세율을 사용하여 계산하고 있습니다.이연법인세는 자산과 부채의 장부금액과 세무기준액의 차이로 정의되는 일시적 차이에 대하여 장부금액을 회수하거나 결제할 때의 예상 법인세효과로 인식됩니다. 다만,사업결합 이외의 거래에서 자산ㆍ부채를 최초로 인식할 때 발생하는 이연법인세자산과 부채는 그 거래가 회계이익이나 과세소득에 영향을 미치지 않는다면 인식되지 않습니다.이연법인세자산은 차감할 일시적 차이가 사용될 수 있는 미래 과세소득의 발생가능성이 높은 경우에 인식됩니다. 종속기업, 공동기업 및 관계기업 투자지분과 관련된 가산할 일시적 차이에 대해 소멸시점을 통제할 수 있는 경우, 그리고 예측가능한 미래에 일시적 차이가 소멸하지 않을 가능성이 높은 경우를 제외하고 이연법인세부채를 인식하고 있습니다. 또한 이러한 자산으로부터 발생하는 차감할 일시적 차이에 대하여, 일시적 차이가 예측가능한 미래에 소멸할 가능성이 높고, 일시적 차이가 사용될 수 있는 과세소득이 발생할 가능성이 높은 경우에만 이연법인세자산을 인식하고 있습니다.이연법인세자산과 부채는 법적으로 당기법인세자산과 당기법인세부채를 상계할 수 있는 권리를 회사가 보유하고 있으며, 동시에 이연법인세자산과 부채가 동일한 과세당국에 의해서 부과되는 법인세와 관련이 있으면서, 순액으로 결제할 의도가 있는 경우에 상계됩니다.

2.15 종업원급여(1) 단기종업원급여 종업원이 관련 근무용역을 제공한 보고기간말부터 12 개월 이내에 결제될 단 기종업원급여는 근무용역과 교환하여 지급이 예상되는 금액을 근무용역이 제 공된 때에 당기손익으로 인식하고 있습니다. 단기종업원급여는 할인하지 않 은 금액으로 측정하고 있습니다.(2) 종업원이 관련 근무용역을 제공한 보고기간말부터 12 개월 이내에 지급되지 않을 기타장기종업원급여는 당기와 과거기간에 제공한 근무용역의 대가로 획 득한 미래의 급여액을 현재가치로 할인하고 있습니다. 재측정에 따른 변동은 발생한 기간에 당기손익으로 인식하고 있습니다(3) 퇴직급여회사의 퇴직연금제도는 확정기여제도와 확정급여제도로 구분됩니다. 확정기여제도는 회사가 고정된 금액의 기여금을 별도 기금에 지급하는 퇴직연금제도이며, 기여금은 종업원이 근무 용역을 제공했을 때 비용으로 인식됩니다.확정급여제도는 확정기여제도를 제외한 모든 퇴직연금제도입니다. 일반적으로 확정급여제도는 연령, 근속연수나 급여수준 등의 요소에 의하여 종업원이 퇴직할 때 지급받을 퇴직연금급여의 금액이 확정됩니다. 확정급여제도와 관련하여 재무상태표에 계상된 부채는 보고기간말 현재 확정급여채무의 현재가치에서 사외적립자산의 공정가치를 차감한 금액입니다. 확정급여채무는 매년 독립된 보험계리인에 의해 예측단위적립방식에 따라 산정되며, 확정급여채무의 현재가치는 그 지급시점과 만기가 유사한 우량회사채의 이자율로 기대미래현금유출액을 할인하여 산정됩니다. 한편, 순확정급여부채와 관련한 재측정요소는 기타포괄손익으로 인식됩니다.제도개정, 축소 또는 정산이 발생하는 경우에는 과거근무원가 또는 정산으로 인한 손익은 당기손익으로 인식됩니다.

2.16 수익인식(1) 양산제품 등의 판매회사는 방위산업제품 제조업을 주사업목적으로 하고 있습니다. 양산제품 등의 판매로 인한 수익은 구매자에게 통제가 이전되는 시점에서 수익을 인식하고 있습니다.(2) 제품개발 및 용역의 제공방위산업제품 개발 수행 및 용역의 제공의 결과를 신뢰성 있게 추정할 수 있는 경우 계약수익과 계약원가를 보고기간 종료일 현재 계약활동의 진행률을 기준으로 하여 각각 수익과 비용으로 인식하고 있습니다. 계약활동의 진행률은 진행단계를 반영하지 못하는 계약원가를 제외하고 수행한 의무에 대하여 발생한 누적계약원가를 추정 총계약원가로 나눈 비율로 측정하고 있습니다. 누적발생원가에 인식한 이익을 가산(인식한 손실을 차감)한 금액이 진행청구액을 초과하는 금액은 계약자산으로 표시하고 있으며, 진행청구액이 누적발생원가에 인식한 이익을 가산(인식한 손실을 차감)한금액을 초과하는 금액을 계약부채로 표시하고 있습니다.2.17 영업부문영업부문별 정보는 최고영업의사결정자에게 내부적으로 보고되는 방식에 기초하여 공시됩니다(주석 6 참조). 최고영업의사결정자는 영업부문에 배부될 자원과 영업부문의 성과를 평가하는 데 책임이 있으며, 회사는 전략적 의사결정을 수행하는 이사회를 최고영업의사결정자로 보고 있습니다.2.18 리스회사는 부동산을 리스하고 있으며 리스요소를 포함하는 계약의 개시일이나 변경유효일에 계약대가를 상대적 개별 가격에 기초하여 각 리스요소에 배분합니다. 다만, 회사는 부동산 리스에 대하여 비리스요소를 분리하지 않는 실무적 간편법을 적용하여 리스요소와 관련된 비리스요소를 하나의 리스요소로 회계처리합니다.

회사는 리스개시일에 사용권자산과 리스부채를 인식합니다. 사용권자산은 최초에 원가로 측정하며, 해당 원가는 리스부채의 최초 측정금액, 리스개시일이나 그 전에 지급한 리스료(받은 리스 인센티브 차감), 리스개설직접원가, 기초자산을 해체 및 제거하거나 기초자산이나 기초자산이 위치한 부지를 복구할 때 리스이용자가 부담하는 원가의 추정치로 구성됩니다.사용권자산은 후속적으로 리스개시일부터 리스기간 종료일까지 정액법으로 감가상각합니다. 다만, 리스기간 종료일에 사용권자산의 소유권이 이전되거나 사용권자산의 원가에 매수선택권의 행사가격이 반영된 경우에는 유형자산의 감가상각과 동일한방식에 기초하여 기초자산의 내용연수 종료일까지 사용권자산을 감가상각합니다. 또한 사용권자산은 손상차손으로 인하여 감소하거나 리스부채의 재측정으로 인하여 조정될 수 있습니다. 리스부채는 리스개시일 현재 지급되지 않은 리스료의 현재가치로 최초 측정합니다. 리스료는 리스의 내재이자율로 할인하되, 내재이자율을 쉽게 산정할 수 없는 경우에는 회사의 증분차입이자율로 할인합니다. 회사는 다양한 외부 재무 정보에서 얻은 이자율에서 리스의 조건과 리스 자산의 특성을 반영하기 위한 조정을 하고 증분차입이자율을 산정하여 할인합니다. 당기말 현재 리스부채의 측정에 사용된 리스이용자의 가중평균 증분차입이자율은 4.62%입니다.회사는 건물을 리스하고 있습니다. 리스계약은 일반적으로 고정기간으로 체결되지만연장선택권이 있을 수 있습니다. 회사는 계약이 집행가능한 기간 내에서 해지불능기간에 리스이용자가 연장선택권을 행사할 것이 상당히 확실한 경우의 그 대상기간과 종료선택권을 행사하지 않을 것이 상당히 확실한 경우의 그 대상기간을 포함하여 리스기간을 산정합니다. 회사는 리스이용자와 리스제공자가 각각 다른 당자의 동의 없이 종료할 수 있는 권리가 있는 경우 계약을 종료할 때 부담할 경제적 불이익을 고려하여 집행가능한 기간을 산정합니다.

리스조건은 개별적으로 협상되며 다양한 계약조건을 포함합니다. 리스계약에 따라 부과되는 다른 제약은 없지만 리스자산을 차입금의 담보로 제공할 수는 없습니다.리스부채 측정에 포함되는 리스료는 다음의 항목으로 구성됩니다.ㆍ고정 리스료(실질적인 고정리스료 포함)ㆍ지수나 요율(이율)에 따라 달라지는 변동리스료. 최초에는 리스개시일의 지수나 요율(이율)을 사용하여 측정함ㆍ잔존가치보증에 따라 지급할 것으로 예상되는 금액ㆍ잔존가치보증에 따라 지급할 것으로 예상되는 금액ㆍ매수선택권을 행사할 것이 상당히 확실한 경우 매수선택권의 행사가격, 연장선택권을 행사할 것이 상당히 확실한 경우 연장기간의 리스료, 리스기간이 종료선택권 행사를 반영하는 경우에 리스를 종료하기 위하여 부담하는 금액리스부채는 유효이자율법에 따라 상각합니다. 리스부채는 지수나 요율(이율)의 변동으로 미래 리스료가 변동되거나 잔존가치 보증에 따라 지급할 것으로 예상되는 금액이 변동되거나 매수, 연장, 종료 선택권을 행사할지에 대한 평가가 변동되거나 실질적인 고정리스료가 수정되는 경우에 재측정됩니다.리스부채를 재측정할 때 관련되는 사용권자산을 조정하고, 사용권자산의 장부금액이영(0)으로 줄어드는 경우에는 재측정 금액을 당기손익으로 인식합니다.회사는 IT 장비를 포함하여 리스기간이 12개월 이내인 단기리스와 소액 기초자산 리스에 대하여 사용권자산과 리스부채를 인식하지 않는 실무적 간편법을 선택하였습니다. 회사는 이러한 리스에 관련된 리스료를 리스기간에 걸쳐 정액법에 따라 비용으로인식합니다.

2.19 주당이익회사는 보통주 기본주당이익과 희석주당이익을 계속영업손익과 당기순손익에 대하여 계산하고 포괄손익계산서에 표시하고 있습니다. 기본주당이익은 보통주에 귀속되는 당기순손익을 보고기간 동안에 유통된 보통주식수를 가중평균한 주식수로 나누어계산하고 있습니다. 희석주당이익은 전환사채 등 모든 희석화 효과가 있는 잠재적 보통주의 영향을 고려하여 보통주에 귀속되는 당기순손익 및 가중평균유통보통주식수를 조정하여 계산하고 있습니다.2.20 재무제표 승인회사의 재무제표는 2025년 3월 20일자 정기주주총회에서 최종 승인될 예정입니다.3. 중요한 회계추정 및 가정재무제표 작성에는 미래에 대한 가정 및 추정이 요구되며 경영진은 회사의 회계정책을 적용하기 위해 판단이 요구됩니다. 추정 및 가정은 지속적으로 평가되며, 과거 경험과 현재의 상황에 비추어 합리적으로 예측가능한 미래의 사건을 고려하여 이루어집니다. 회계추정의 결과가 실제 결과와 동일한 경우는 드물 것이므로 중요한 조정을유발할 수 있는 유의적인 위험을 내포하고 있습니다.다음 회계연도에 자산 및 부채 장부금액의 조정에 영향을 미칠 수 있는 경영진 판단과 유의적 위험에 대한 추정 및 가정은 다음과 같습니다. 일부 항목에 대한 유의적인 판단 및 추정에 대한 추가적인 정보는 개별 주석에 포함되어 있습니다.(1) 법인세회사의 과세소득에 대한 법인세는 세법 및 과세당국의 결정을 적용하여 산정되므로 최종 세효과를 산정하는 데에는 불확실성이 존재합니다.(주석 23 참조)

회사는 특정 기간동안 과세소득의 일정 금액을 투자, 임금증가 등에 사용하지 않았을때 세법에서 정하는 방법에 따라 산정된 법인세를 추가로 부담합니다. 따라서, 해당 기간의 당기법인세와 이연법인세를 측정할 때 이에 따른 세효과를 반영하여야 하고, 이로 인해 회사가 부담할 법인세는 각 연도의 투자, 임금증가 등의 수준에 따라 달라지므로 최종 세효과를 산정하는 데에는 불확실성이 존재합니다.(2) 금융상품의 공정가치활성시장에서 거래되지 않는 금융상품의 공정가치는 원칙적으로 평가기법을 사용하여 결정됩니다. 회사는 보고기간말 현재 중요한 시장상황에 기초하여 다양한 평가기법의 선택 및 가정에 대한 판단을 하고 있습니다(주석 5 참조). (3) 금융자산의 손상금융자산의 손실충당금은 부도위험 및 기대손실률 등에 대한 가정에 기초하여 측정됩니다. 회사는 이러한 가정의 설정 및 손상모델에 사용되는 투입변수의 선정에 있어서 회사의 과거 경험, 현재 시장 상황, 재무보고일 기준의 미래전망정보 등을 고려하여 판단합니다. (4) 순확정급여부채순확정급여부채의 현재가치는 보험수리적방식에 의해 결정되는 다양한 요소들 특히 할인율의 변동에 영향을 받습니다(주석 21 참조).(5) 수익인식공사수익금액은 누적발생계약원가를 기준으로 측정하는 진행률의 영향을 받으며, 총계약원가는 재료비, 노무비, 공사기간 등의 미래 예상치에 근거하여 추정합니다.

(6) 리스리스기간을 산정할 때에 경영진은 연장선택권을 행사하거나 종료선택권을 행사하지 않을 경제적 유인이 생기게 하는 관련되는 사실 및 상황을 모두 고려합니다. 연장선택권의 대상 기간(또는 종료선택권의 대상 기간)은 리스이용자가 연장선택권을 행사할 것(또는 행사하지 않을 것)이 상당히 확실한 경우에만 리스기간에 포함됩니다.

- 최근 2사업연도의 배당에 관한 사항

해당사항 없음.

※ 기타 참고사항- 외부감사인의 감사의견을 포함한 최종 재무제표는 주주총회 1주일 전까지 전자공시시스템(http://dart.fss.or.kr)에 공시 예정이오니 참조하시기 바랍니다.

□ 이사의 보수한도 승인

가. 이사의 수ㆍ보수총액 내지 최고 한도액

(당 기)

이사의 수 (사외이사수) 4 (1)
보수총액 또는 최고한도액 50억원

(전 기)

이사의 수 (사외이사수) 4 (1)
실제 지급된 보수총액 7.5억원
최고한도액 50억원

※ 기타 참고사항

- 해당사항 없음.

□ 감사의 보수한도 승인

가. 감사의 수ㆍ보수총액 내지 최고 한도액

(당 기)

감사의 수 1
보수총액 또는 최고한도액 5억원

(전 기)

감사의 수 1
실제 지급된 보수총액 0.5억원
최고한도액 5억원

※ 기타 참고사항

- 해당사항 없음.

IV. 사업보고서 및 감사보고서 첨부

가. 제출 개요 2025년 03월 12일1주전 회사 홈페이지 게재
제출(예정)일 사업보고서 등 통지 등 방식

나. 사업보고서 및 감사보고서 첨부

- 당사는 2025년 3월 12일 사업보고서 및 감사보고서를 전자공시시스템(https://dart.fss.or.kr)에 공시 및 회사 홈페이지(https://www.firsteccom.co.kr)에 게재를 진행할 예정이오니 참고하여 주십시오.

※ 참고사항

□ 주총 집중일 주총 개최 사유 - 해당 사항 없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