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주총회소집공고 6.0 (주)오픈베이스

주주총회소집공고
2025년 3월 13일
회 사 명 : (주)오픈베이스
대 표 이 사 : 정진섭, 황철이
본 점 소 재 지 : 서울시 서초구 매헌로 16 하이브랜드 리빙관4층
(전 화) 02-3404-5700
(홈페이지)http://www.openbase.co.kr
작 성 책 임 자 : (직 책) 사장 (성 명) 황철이
(전 화) 02-3404-5700

주주총회 소집공고
(제33기 정기)

우리 회사 정관 제19조에 의거하여 제33기 정기주주총회를 아래와 같이 소집하오니 참석하여 주시기 바랍니다. - 아 래 -1. 일시 : 2025년 3월 28일(금) 09:002. 장소 : 서울시 서초구 매헌로 16 하이브랜드 리빙관 4층 본사 교육장3. 회의목적사항가. 보고 사항 : 영업보고 및 감사보고, 내부회계관리실태보고나. 부의안건 제1호 의안 : 제33기 (2024.01.01~2024.12.31) 재무제표 승인의 건 (배당금액 25원) 제2호 의안 : 이사 선임의 건 - 제2-1호 의안 : 사외이사 인치평 선임의 건 제3호 의안 : 이사 보수한도액 승인의 건 제4호 의안 : 감사 보수한도액 승인의 건4. 경영참고사항 비치상법 제542조의 4에 의거 경영참고사항을 우리 회사의 본점, 금융위원회, 한국거래소 및 한국예탁결제원 증권대행부에 비치하오니 참고하시기 바랍니다.5. 전자증권제도 시행에 따른 실물증권 보유자의 권리 보호에 관한 사항2019년 9월 16일부터 전자증권제도가 시행되어 실물 증권은 효력이 상실되었으며, 한국예탁결제원의 특별계좌(명부)주주로 전자등록되어 권리 행사 등이 제한됩니다. 따라서 보유 중인 실물증권을 한국예탁결제원 증권대행부에 방문하여 전자등록으로 전환하시기 바랍니다.

I. 사외이사 등의 활동내역과 보수에 관한 사항

1. 사외이사 등의 활동내역 가. 이사회 출석률 및 이사회 의안에 대한 찬반여부
회차 개최일자 의안내용 사외이사 등의 성명
황서광(출석률:83.3%) 이기봉(출석률:54.5%) 이 경(출석률 : 20%)
찬 반 여 부
1 2024.02.05 내부회계관리제도 운영실태 보고의 건 찬성 찬성 -
2 2024.02.19 제32기 (2023.1.1~2023.12.31) 결산재무제표 승인의 건 찬성 찬성 -
3 2024.02.19 제32기 (2023.1.1~2023.12.31) 현금배당의 건 찬성 찬성 -
4 2024..02.19 제32기 정기주주총회 소집의 건 찬성 찬성 -
5 2024.02.19 제32기 정기주주총회 전자투표제도 채택의 건 찬성 찬성 -
6 2024.03.19 자기주식 취득 신탁 계약의 건 불참 불참 -
7 2024.09.11 자기주식 취득 신탁 계약의 건 - 불참 불참
8 2024.09.25 오픈베이스 KDB산업은행 운영자금(다모아플러스대출) 차입의 건 - 불참 불참
9 2024.10.16 오픈베이스 NH농협은행 원화, 외화대출 신규 차입의 건 - 불참 불참
10 2024.11.25 자기주식 취득 신탁 계약의 건 - 불참 불참
11 2024.12.13 제33기 현금.현물배당을 위한 주주명부 폐쇄(기준일) 결정의 건 - 찬성 찬성

나. 이사회내 위원회에서의 사외이사 등의 활동내역
위원회명 구성원 활 동 내 역
개최일자 의안내용 가결여부
- - - - -

2. 사외이사 등의 보수현황
(단위 : 원)
구 분 인원수 주총승인금액 지급총액 1인당 평균 지급액 비 고
사외이사 2 3,000,000,000 45,200,000 22,600,000 -

II. 최대주주등과의 거래내역에 관한 사항

1. 단일 거래규모가 일정규모이상인 거래
(단위 : 억원)
거래종류 거래상대방(회사와의 관계) 거래기간 거래금액 비율(%)
- - - - -

2. 해당 사업연도중에 특정인과 해당 거래를 포함한 거래총액이 일정규모이상인 거래
(단위 : 억원)
거래상대방(회사와의 관계) 거래종류 거래기간 거래금액 비율(%)
- - - - -

III. 경영참고사항

1. 사업의 개요 가. 업계의 현황

(1) 산업의 특성2024년 IT 산업은 생성형 AI의 급성장과 함께 클라우드 시장의 확장, 사이버 보안 강화, 디지털 전환(DX) 가속화가 핵심 흐름이었습니다. 기업들은 하이브리드 및 멀티 클라우드를 적극 도입했으며, AI 기반 자동화가 다양한 산업에서 활용되었습니다. 사이버 보안 위협이 증가하면서 제로 트러스트 보안 및 AI 보안 솔루션이 확산되었고, 원격 근무 환경이 정착되면서 협업 도구와 메타버스 기반 가상 오피스가 발전했습니다. 5G 보급 확대와 6G 연구가 본격화되었으며, 엣지 컴퓨팅과 IoT 기술이 더욱 중요해졌습니다. 또한, 친환경 IT(Green IT) 전략이 강화되며 탄소 배출 저감과 친환경 데이터센터 구축이 강조되었습니다. Web3 및 블록체인 기술도 점차 실용화되었으며, AI와 로봇 기술이 발전하며 자율주행, 드론 배송, AI 물류 자동화 등이 현실화되었습니다. 2025년 IT 산업도 2024년과 마찬가지로 디지털 전환(DX)이 가속화되면서 AI, 빅데이터, 클라우드 기반의 비즈니스 혁신이 활발해질 것입니다. 클라우드 시장은 지속적으로 성장하며, 하이브리드 및 멀티 클라우드 활용이 확대되고 엣지 컴퓨팅과의 결합이 증가할 것으로 예상됩니다. AI 및 자동화 기술이 대중화되면서 생성형 AI, 예측 분석, RPA 등이 다양한 산업에 도입될 것이며, 이에 따라 사이버 보안의 중요성이 더욱 커지고 제로 트러스트 보안, AI 기반 보안 솔루션, 개인정보 보호 규제가 강화될 것입니다. 결국, AI, 클라우드, 보안, 자동화, 친환경 IT, Web3 등의 혁신이 2025년 IT 산업을 이끌어갈 핵심 요소가 될 것입니다.(2) 산업의 성장성[보안 솔루션] 2024년 국내 보안 시장은 전년 대비 3.8% 성장하여 약 7조 3,127억 원 규모로 예상됩니다. 디지털 전환, 원격.재택근무 확산, 비대면 환경 증가 등으로 인해 기업과 기관의 보안 투자 확대가 지속되었으며 AI 보안 기술 발전, 클라우드 보안 강화, 고도화된 사이버 위협 대응이 핵심 이슈였습니다. AI 기반 위협 탐지 및 자동화 대응이 증가했고, 클라우드 보안 수요 확대와 제로 트러스트 모델 확산이 이어졌습니다. 또한, 랜섬웨어, APT 공격 등 고도화된 사이버 위협에 대응하기 위해 XDR.MDR 보안 서비스가 성장했습니다. 2024년 국내 보안 시장은 AI 기반 보안 기술 발전, 클라우드 보안 수요 증가, 사이버 위협 대응 강화, 개인정보 보호 규제 강화 등의 영향을 받아 지속적인 성장세를 보였습니다. 사이버 위협이 더욱 정교해지는 가운데, 기업들은 AI와 클라우드 보안 솔루션을 적극 도입하며 보안 강화에 집중한 한 해였습니다.

신기술 도입과 함께 보안 기술도 더욱 진화하고 있으며, 사이버 위협의 다양화 및 복잡화, 클라우드 활용 증가에 따른 보안 강화 이슈는 2025년 사이버 보안 시장을 긍정적으로 전망하게 하는 요인이 되고 있습니다.[클라우드 솔루션] 2024년 국내 클라우드 시장은 클라우드 전환 가속화, AI 및 데이터 분석 투자 증가, 공공.민간 클라우드 확산이 주요 흐름이었습니다. 퍼블릭 클라우드 시장은 약 5조 원 규모로 성장했으며, 기업들은 Cloud Naive와 앱 현대화를 적극 추진했습니다. 또한, AI, 빅데이터 활용 증가, 멀티.하이브리드 클라우드 확산이 두드러졌으며, 정부의 공공 클라우드 전환 의무화 정책도 시장 성장의 중요한 요인이 되었습니다. 2025년에는 퍼블릭 클라우드 시장이 6조 원을 돌파할 것으로 전망되며, AI 중심 클라우드 서비스(AIaaS) 활성화와 함께 엣지 컴퓨팅.분산 클라우드가 확산될 것입니다. 또한, 산업별 맞춤형 클라우드 서비스가 증가하고, 클라우드 보안 및 데이터 주권 강화가 중요한 이슈가 될 것으로 예상됩니다. AI. 멀티 클라우드. 보안이 핵심 키워드가 되며, 다양한 산업에서 클라우드 기술의 채택이 증가함에 따라 국내 클라우드 시장은 지속적으로 성장할 전망입니다.(3) 국내외 시장 여건 및 회사의 경쟁 우위 요소 국내외 IT 시장은 디지털 전환 가속화, 클라우드 시장 성장, 보안 중요성 증대, AI 및 데이터 분석 활용 증가, 정부의 클라우드 전환 정책 강화 등의 흐름을 보이고 있습니다. 기업과 기관은 AI, 빅데이터, 클라우드 기반 IT 인프라로 전환하고 있으며, SaaS, PaaS, IaaS 중심의 클라우드 생태계 확장과 함께 멀티.하이브리드 클라우드 도입이 활발하게 이루어지고 있습니다. 또한, 사이버 위협 증가로 AI 기반 보안 기술과 제로 트러스트 보안 모델이 확산되고 있으며, AI 모델 개발 및 데이터 최적화를 위한 클라우드 인프라 수요도 증가하고 있습니다. 이러한 환경에서 오픈베이스는 하이브리드-멀티 클라우드 전문 기업으로서 4차 산업혁명의 핵심 기술인 클라우드 분야에 집중 투자하고 있습니다. 29년 이상의 업력과 다양한 IT 솔루션 공급 경험을 바탕으로 강력한 기술.연구개발 역량을 확보하고 있으며 , 전체 인원의 70%가 기술.연구개발 인력으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또한, 단순한 장비 납품이 아닌 고객 맞춤형 부가 서비스 및 솔루션 제공 역량을 갖추고 있으며, 클라우드.보안.AI 기술을 통합한 차별화된 서비스를 제공함으로써 경쟁력을 강화하고 있습니다. 오픈베이스는 급변하는 IT 시장에서 강력한 기술력과 연구개발 역량을 바탕으로 차별화된 경쟁력을 확보하며, 클라우드 및 보안 시장을 선도할 것입니다. (4) 계획 2025년 당사는 빠르게 변화하는 IT 환경 속에서 하이브리드-멀티 클라우드, 보안솔루션, 네트워크 인프라, ITO 비즈니스를 중심으로 사업을 확장하며, 차별화된 디지털 트랜스포메이션 서비스를 제공하는 기업으로 성장할 계획입니다. 특히, 보안관제센터를 통한 원격 보안관제 서비스 고도화와 함께, AI. 빅데이터 기반의 보안 분석 및 대응 체계를 강화하여 보안 위협에 대한 선제적 대응 역량을 높일 것입니다. 또한, 클라우드 보안 및 AI 기술 투자를 확대하여, 보다 지능적인 위협 탐지 및 대응 솔루션을 제공함으로써 보안 서비스의 경쟁력을 극대화하겠습니다. 하이브리드-멀티 클라우드 시장 확대에 따라, 당사는 Private, Public, Hybrid Cloud 환경에 최적화된 컨설팅.구축.운영 서비스를 제공하며, 기업의 디지털 전환을 지원하는 최적의 클라우드 파트너로 자리매김할 것입니다. 이를 위해 클라우드 브리핑 센터(CBC) 기능을 강화하고, 고객이 다양한 클라우드 솔루션을 경험하고 최적의 아키텍처를 설계할 수 있도록 지원할 예정입니다. 또한, 네트워크 인프라 사업 및 ITO 비즈니스의 확장을 통해, 지능형 트래픽 관리, 네트워크 가시성 강화, IT 인프라 통합 운영 서비스를 더욱 고도화할 것입니다. Radware, F5, Infoblox, Fortinet, Trellix 등 글로벌 벤더와의 협력을 강화하며, 최신 네트워크 및 보안 기술을 적용한 차별화된 IT 서비스를 제공할 계획입니다. 2025년에는 연구.개발(R&D) 역량을 더욱 악화하여, 기존 비즈니스의 경쟁력을 공고히 하는 동시에, AI.클라우드.보안.네트워크 분야에서 신기술 도입 및 신규 시장 개척을 위한 혁신적인 시도를 지속할 것입니다. 고객 맞춤형 IT 서비스 및 컨설팅을 강화하고, 클라우드 보안 및 AI 기반 기술 투자를 확대하며, 신기술을 적극 도입하여 디지털 혁신을 주도하고는 한 해로 만들겠습니다. 2025년을 디지털 혁신의 새로운 도약점으로 삼아, 고객과 함께 미래를 만들어가는 기업으로 성장해 나가겠습니다.

나. 회사의 현황

1. 영업개황 및 사업부문의 구분 1) 오픈베이스[ADD 및 네트워크 인프라 사업] 국내 최초로 ADC 비즈니스를 시작한 오픈베이스는 L2~L7 전반의 네트워크 인프라 솔루션과 인텔리전트 트래픽 관리, DNS / DHCP / IP관리, SASE(Secure Access Service Edge) 등 글로벌 리딩 네트워크 인프라 솔루션과 숙련된 전문 인력의 기술 지원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습니다. 당사는 기존 주력사업은 네트워크 솔루션 공급에 있어서 Radware, F5, Infoblox, Sandvine 등 세계 유수의 파트너들과 전략적 협력관계를 바탕으로 고객 맞춤형 서비스 및 제품 제공을 위한 다양한 솔루션을 구성하고 있습니다.[보안 솔루션 사업] 최근 몇 년간 발생한 국내외 랜섬웨어 및 디도스 공격 증가, 클라우드 활용 확대에 따른 보안 강화 이슈로 인해 2024년 보안 시장은 긍정적인 성장세를 보였습니다. 이에 따라, 당사는 보안 솔루션 사업을 새로운 성장 동력으로 삼아 괄목할 만한 성과를 거두고 있습니다. 빠르게 변화하는 보안 위협에 대응하기 위해 Anti-APT, XDR, SIEM/SOAR, Anti-DDoS, WAF, SSL 암.복호화, 웹 어플리케이션 공격 방어 등 다양한 보안 솔루션을 보유하고 있으며, Fortinet, Trellix, Logpresso, 수산아이앤티, 등 국내외 유수의 보안 벤더들과 협력하여 고객 맞춤형 보안 컨설팅 및 기술 지원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습니다. 특히 당사는 고객의 네트워크 인프라를 안전하게 보호하기 위해 글로벌 리딩 보안 솔루션 뿐만 아니라 통하 로그 관리 플랫폼, 빅데이터 기반 정보보호, 보안 운영 자동화 플랫폼까지 제공하여 고객 환경에 최적회 된 보안 서비스를 지원하고 있습니다. 2024년에는 기존 사업을 확장하여 보안관제센터(Security Operations Center, SOC)를 개소하였습니다. 보안관제센터는 AI/빅데이터 플랫폼 기반의 침해 위협 분석 및 대응 서비스를 제공하며, 단순한 보안 솔루션 공급을 넘어 실시간 보안 모니터링 및 장애 대응, 최신 취약점 및 위협 정보 공유, 인텔리전스 리포트 제공 등을 통해 종합적인 보안 관제 서비스를 제공합니다. ■ 보안 관제 센터 주요 기능- 보안 솔루션 실시간 모니터링 및 분석/대응- 시스템 상태 모니터링 및 장애 대응- AI/빅데이터 기반 침해위협 분석 서비스- 최신 취약점 및 위협 정보 공유, 인텔리전스 리포트 제공 당사의 보안관제센터는 최신 보안 기술을 적용한 지속적인 모니터링과 위협 분석을 통해 고객의 정보 자산을 안전하게 보호하며, "끝까지 고객을 책임진다"라는 목표 아래 원격 보안관제 서비스까지 제공할 예정입니다.[하이브린드-멀티클라우드 서비스 사업] 코로나19 팬데믹 이후 클라우드 기반의 디지털 전환이 가속화되면서, 국내 클라우드 산업 규모가 5조원을 돌파하는 등 빠르게 성장하고 있습니다. 당사는 AWS, MA Azure, Dell TEchnologies, NHN Cloud 등 업계 선두업체와 파트너십을 체결하여, 퍼블릭과 프라이빗을 아우르는 하이브리드-멀티 클라우드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습니다. 클라우드 도입 시 가장 중요한 요소는 워크 로드(애플리케이션) 특성을 정확히 파악하는 것입니다. 이에 따라, 오픈베이스는 Hybrid Cloud 및 Cloud Security 분야의 글로벌 No.1 솔루션을 기반으로 컨설팅, 설계, 구축, 빌링까지 전반적인 클라우드 토탈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습니다. 당사는 고객의 다양한 IT 환경과 요구사항에 맞춰 다음과 같은 토탈 클라우드 서비스를 제공합니다.- Private Cloud 컨설팅 / 구축 / 운영서비스 - 기업 전용 클라우드 인프라 구축 및 최적화- Public Cloud 컨설팅 / 구축 / 운영서비스 - AWS, Azure 등 주요 퍼블릭 클라우드 기반의 맞춤형 서비스 제공- Hybrid Cloud 솔루션&보안서비스 - 퍼블릭.프라이빗 클라우드 통합 운영 및 보안 강화 또한, 당사는 자체 운영 중인 클라우드 브리핑 센터(Cloud Briefing Center)를 통해 다양한 클라우드 솔루션의 데모 환경을 제공하고 있으며, 이를 활용하여 고객이 직접 시연을 경험할 수 있도록 지원합니다. 이를 통해 고객은 자원 효율성 증대, 비용 절감, 비즈니스 민첩성 향상, 운영 관리 편의성 제공 등의 효과를 기대할 수 있습니다. 멀티 클라우드의 본격적인 확산이 예상되는 가운데, 당사는 인프라 및 보안 등 클라우드 핵심 기술력을 강화하여 디지털 전환을 준비하는 고객에게 전문적인 IT 서비스 및 컨설팅을 제공할 예정입니다.[IT 서비스 및 시스템 통합 사업] 당사는 2015년 서비스사업본부를 신설하며 ITO(IT Total Outsourcing) 사업에 진출하였고, 지속적인 성장세를 이어가고 있습니다. ITO 서비스는 최적화된 IT 프로세스 기반의 운영, IT 기획 및 고도화 방향성 수립 지원, 전문 관리 시스템을 활용한 표준화된 서비스 수행, 클라우드 운영 서비스 등을 포함하며, 고객의 시스템 운영을 대행하여 현장에서 즉각적인 요구 대응이 가능하다는 강점을 가지고 있습니다. 또한, 고객의 업무, 프로세스, IT 환경에 대한 깊은 이해를 바탕으로 통합 유지 보수, Infra SI(시스템 통합), it 인프라 진단 컨설팅, IT 서비스 통합 관제 구축 등 정보 시스템 전반에 걸친 Total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습니다. 이를 통해 당사는 경쟁사 대비 더욱 안정적이고 효율적인 IT 서비스를 지원하며, 고객의 IT 인프라 운영을 최적화하고 디지털 전환을 가속화할 수 있도록 돕고 있습니다. 2. 계열회사의 현황 1) 데이타솔루션① 데이터 Analytics 사업Data & AI 사업은 기업 고객의 AI 도입(AI Adoption)을 지원하는 AI/ML 모델링 및 컨설팅, AI 시스템 구축, 분석 소프트웨어 개발.판매, 교육사업으로 구성됩니다.AI Adoption 사업 분야에서는 기업이 보유한 방대한 내부.외부 데이터를 활용하여 AI 플랫폼을 구축하고, 분석 모델을 개발.배포.운영하는 서비스를 제공합니다. 이를 통해 분석 소프트웨어 및 플랫폼을 활용한 데이터 융합.가공.분석을 지워하며, 기업의 의사결정 최적화를 위한 인프라 구축 및 컨설팅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습니다. AI 플랫폼 구축 시, 기업 고객의 환경과 요구사항을 고려하여 오픈소스 기반 솔룰션 또는 IBM, 삼성SDS, Dataiku, KNIME 등 국내외 주요 파트너사의 솔루션을 적용하는 맞춤형 서비스를 제공합니다. 이와 더불어, **AI/ML 모델 개발 및 운영 관리 서비스인 MAaaS(Managed Analytics as a Service)**를 제공하며, 거대 언어 모델(LLM)을 활용한 AI Agent 및 AI 기반 애플리케이션 개발 서비스도 수행하고 있습니다. 분석 소프트웨어 사업에서는 교육.연구 시장에서 널리 사용되는 직관적이고 활용성이 높은 IBM SPSS 제품과, SPSS를 기반으로 개발한 KoreaPlus Statistics를 공급하고 있습니다. 이와 함께, 정기/비정기 교육 프로그램 운영, 각종 교육 및 업무용 출판물 제공 등의 사업을 통해 분석 소프트웨어 활용을 극대화할 수 있도록 지원하고 있습니다. SmartPLS 등 고급 통계분석 소프트웨어를 기반으로 사업 영역을 지속 확장하고 있습니다. 당사는 AI 및 빅데이터 교육 사업의 일환으로 '빅데이터 러닝센터'를 운영하고 있으며, 국내 최고의 실무 전문가 및 강사진을 통한 체계적인 데이터 활용 역량 교육, 다년간 검증된 실무 중심의 커리큘럼을 통해, 산업 전반에 걸쳐 필요한 데이터 분석 인재를 양성하고 있습니다. 특히, 학술 연구자를 위한 고급 통계 분석 과정, 데이터 과학자를 위한 의사결정 최적화 분석 과정 등 차별화된 교육 프로그램을 운영하여, 기업 및 연구기관이 필요로 하는 전문 인력을 육성하고 있습니다.② 엔터프라이즈/인프라 사업 당사의 엔터프라이즈 및 인프라 사업은 대형 엔터프라이즈 기업과 금융기관에 다양한 IT 서비스를 구축하고 지원해 주고 있으며, 하드웨어 납품 설치, 시스템을 구축하는 SI, 시스템 운영 및 유지 보수 업무인 SM 등의 사업을 주요업무로 하고 있습니다. 최근 엔터프라이즈 기업과 금융기관은 클라우드와 빅데이터, AI 등 다양한 IT 기술 트렌드를 선도하고 있습니다. 당사는 우수한 인적자원과 최고의 기술력을 바탕으로 한 해당 분야의 다양한 레퍼런스를 바탕으로 사업을 영위하고 있습니다.③ 서비스 사업 당사의 B2B 디지털 전환 서비스 부문은 공공, 금융, 제조, 교육 등 다양한 분야에서 DX의 일환인 기존 시스템을 클라우드 전환을 시도하는 기관에 전문적인 IT 서비스를 지원하고 있으며, 각종 시스템을 구축하는 SI, 시스템 운영 및 유지 보수 업무인 SM, 인프라 HW/SW 납품 설치까지 토털 서비스를 제공해 주는 사업을 주요 업무로 하고 있습니다. SI는 비즈니스를 수행하기 위하여 필요한 정보 시스템을 진단, 컨설팅하고 구축하며, S/W와 H/W를 포함한 시스템 구축과 운영 서비스에 이르기까지 모든 업무를 수행하는 사업입니다. SM은 일반 기업 등에서 업무 효율성 측면에서 정보시스템과 관련된 설비와 인력 등을 전문 업체에 위탁하여 관리하는 운영 및 유지 보수 사업입니다. SI 시장은 정부 및 클라우드 정책, AI 등 시장 측면에서의 다양한 IT 트랜드 산업에 모두 영향을 받는 사업으로 다양한 인력과 레퍼런스가 중요시되며, 당사는 우수한 인적자원과 공공/민감 기업을 중심으로 다양한 레퍼런스를 바탕으로 사업을 영위하고 있습니다.④ AX/DX 사업- (기존) DX 사업 영역 기존에 유지해왔던 클라우드 네이티브 기술(MSA, DevOps, Kubernetes 등)을 기반으로 클라우드 인프라 설계, 프라이빗, 퍼블릭, 하이브리드 PaaS 플랫폼 구축과 운영, 클라우드 네이티브 애플리케이션 개발 및 배포 지원, 클라우드 기반의 애플리케이션 유지 보수 및 기술 지원 서비스를 제공합니다. 이러한 사업 사례로 NH 농협은행 및 계열사, 삼성전자, LG AI 연구원 등 주요 고객사와 함께 성공적인 디지털 전환 사례를 구축했습니다. 또한, 데이터 수집부터 활용까지 전체 데이터 라이프 사이클을 지원하며, 금융 및 제조업에서 의사결정을 지원하는 고도화된 시스템을 제공합니다.- (확대) AX 사업 영역 기존 DX 사업영역에 생성형 AI와 데이터 플랫폼을 활용하여 고객사의 프로세스를 자동화하고 생산성을 향상시키는데 중점을 둡니다. 금융권에서는 정보계 시스템 고도화와 AI 기반 의사결정 지원, 개발자 및 운영자 Advisor 지원을 통해 경쟁력을 강화합니다.데이타솔루션에 대한 보다 자세한 내용은 데이타솔루션의 사업보고서를 참조해 주십시오2) 시큐웨이브 시큐웨이브는 보안솔루션 개발 및 공급을 위해 2013년 설립되어 APT(지능형 지속위협) 공격 등의 신규 위험에 대한 차세대 네트워크 보안솔루션 및 빅데이터를 이용한 보안 분석 등에 집중해 왔습니다. 2023년 4월 F5와 총판 계약을 체결하며 고객 및 파트너들의 소프트웨어와 클라우드 전환을 위해 적극적인 활동을 펼치고 있으며, 소프트웨어와 SaaS 중심의 서비스 전환과 보안 위협에 대한 보안 솔루션 제공을 주력하고 있습니다.3) 오픈인텔렉스 오픈인텔렉스는 서울시 강남구 논현동에 소재한 현대인텔렉스빌딩의 임대업을 영위하고 있습니다. 현재 서울 지역의 오피스 임대시장은 신규 공급이 부족한 반면 수요는 꾸준히 증가하고 있는 실정입니다. 최근 단순히 공실률을 넘어 품귀현상까지 빚고 있습니다. 코로나바이러스감염증 엔데믹 전환 후 사무실 복귀가 빠르게 늘어나고 임차 점유 면적이 더 빠른 확대 영향과 함께 공실률은 역대 최저입니다. 더불어, 급격한 임대료 상승으로 현재는 수익률 개선이 이루어진 상태입니다. 지난 몇 년간 업무용 부동산 인허가 및 착공 물량 감소 추세와 세계 여러 곳의 전쟁 발발 등 글로벌 이슈는 원자재값 상승을 부추기며 대규모 개발에 소극적인 시장 환경을 조성하였습니다. 당분간 국내 오피스 시장의 경우 향호 2-3년간은 오피스 공실률 추가 하락과 임대료 상승의 사이클이 이어질 것이란 전망이 우세합니다. 현재 중심권역에서 이어지는 세운지구, 현대차 GBC 개발 등 대규모 개발과 공급이 완료되는 2027년경까지는 낮은 공실률은 유지될 것으로 전망됩니다. 오픈인텔렉스는 강남의 핵심권역에 위치한 빌딩으로 향후 지속적인 임차수요가 있을 것으로 전망됩니다. 현재 당사는 공실률 최소화 방안으로 임차인 신용도와 계약 기간에 따라 실질 임대료 하향 조정에 따른 가격경쟁력 우위를 선점하며 공실률 0%를 달성하고 있습니다. 3. 조직도

조직도 241231.jpg 조직도 241231

2. 주주총회 목적사항별 기재사항 □ 재무제표의 승인

가. 해당 사업연도의 영업상황의 개요

- 사업의 개요 참고

나. 해당 사업연도의 대차대조표(재무상태표)ㆍ손익계산서(포괄손익계산서)ㆍ이익잉여금처분계산서(안) 또는 결손금처리계산서(안)

연 결 재 무 상 태 표
제 33기 2024년 12월 31일 현재
제 32기 2023년 12월 31일 현재
주식회사 오픈베이스와 그 종속기업 (단위: 원)
과 목 주석 제 33(당)기 제 32(전)기
자 산
Ⅰ. 유동자산 107,883,536,376 111,079,865,643
1. 현금및현금성자산 4,6 28,863,118,277 32,229,775,083
2. 단기금융상품 4,6,8 15,947,230,665 11,217,292,461
3. 당기손익-공정가치금융자산(유동) 5,6,9,32 - 500,000,000
4. 매출채권 4,6,7 33,847,028,848 35,540,748,326
5. 계약자산 4,6,7,24,33 5,927,995,877 8,137,998,446
6. 기타유동금융자산 4,6,8,34 2,403,694,334 1,904,323,726
7. 기타유동자산 15 12,928,147,790 13,159,780,851
8. 재고자산 10 7,939,922,451 8,349,537,511
9. 당기법인세자산 30 26,398,134 40,409,239
Ⅱ. 비유동자산 65,233,621,035 59,621,709,451
1. 당기손익-공정가치측정금융자산(비유동) 5,6,9,32 8,033,490,208 5,774,840,227
2. 기타비유동금융자산 4,6,8 3,765,500,499 1,481,020,012
3. 기타비유동자산 15 6,590,667,283 6,807,490,809
4. 관계기업투자자산 11 1,570,506,872 326,269,625
5. 이연법인세자산 30 1,408,113,797 579,027,330
6. 유형자산 12,21,32 16,516,296,414 16,894,654,514
7. 무형자산 13 4,552,819,757 4,558,850,001
8. 투자부동산 12,14,32 22,796,226,205 23,199,556,933
자 산 총 계 173,117,157,411 170,701,575,094
부 채
Ⅰ. 유동부채 64,779,850,760 69,371,155,514
1. 매입채무 4,6 30,543,893,752 38,093,376,352
2. 유동계약부채 24,33 9,751,403,676 7,004,346,806
3. 기타유동금융부채 4,6,16 7,678,139,326 7,682,820,707
4. 단기차입금 4,6,18,32 7,000,000,000 10,523,998,204
5. 유동성장기차입금 4,6,18,32 1,200,000,000 1,450,000,000
6. 기타유동부채 17 5,969,134,688 3,012,028,442
7. 당기법인세부채 30 2,132,342,401 1,117,006,641
8. 유동성리스부채 21 401,743,808 394,915,374
9. 보증충당부채 20 103,193,109 92,662,988
Ⅱ. 비유동부채 16,559,714,506 6,731,452,306
1. 비유동계약부채 24,33 3,857,429,738 2,969,451,723
2. 기타비유동금융부채 4,6,16 1,682,279,690 1,423,902,870
3. 장기차입금 4,6,18,32 10,600,000,000 1,800,000,000
4. 비유동리스부채 21 195,577,823 402,851,945
5. 기타장기종업원부채 19 224,427,255 135,245,768
부 채 총 계 81,339,565,266 76,102,607,820
자 본
Ⅰ. 지배기업 소유주지분 78,186,677,193 81,325,807,543
1. 자본금 22 15,711,191,500 15,711,191,500
2. 자본잉여금 22 30,875,802,267 30,635,144,814
3. 기타자본항목 22,23 (9,583,859,350) 614,664,537
4. 기타포괄손익누계액 22 80,541,197 60,071,731
5. 이익잉여금 22 41,103,001,579 34,304,734,961
Ⅱ. 비지배지분 1 13,590,914,952 13,273,159,731
자 본 총 계 91,777,592,145 94,598,967,274
부 채 및 자 본 총 계 173,117,157,411 170,701,575,094

연 결 포 괄 손 익 계 산 서
제33기 2024년 01월 01일부터 2024년 12월 31일까지
제32기 2023년 01월 01일부터 2023년 12월 31일까지
주식회사 오픈베이스와 그 종속기업 (단위: 원)
과 목 주 석 제 33(당)기 제 32(전)기
Ⅰ. 매출액 24,33,34,37 226,290,328,234 204,046,578,956
Ⅱ. 매출원가 26,34 176,735,187,738 158,445,325,726
Ⅲ. 매출총이익 49,555,140,496 45,601,253,230
Ⅳ. 판매비와관리비 25,26,34 42,892,916,524 38,995,793,882
Ⅴ. 영업이익 37 6,662,223,972 6,605,459,348
Ⅵ. 금융수익 6,27,37 4,488,063,274 913,834,702
Ⅶ. 금융비용 6,27,37 2,526,235,303 715,921,817
Ⅷ. 지분법이익 11,37 51,026,496 48,224,989
Ⅸ. 기타수익 6,28,37 812,495,630 786,427,897
Ⅹ. 기타비용 6,29,37 95,353,632 190,286,168
ⅩⅠ.법인세비용차감전순이익 35,37 9,392,220,437 7,447,738,951
ⅩⅡ. 법인세비용 30 1,726,799,443 1,685,951,220
ⅩⅢ. 당기순이익 7,665,420,994 5,761,787,731
1. 지배주주지분 7,583,826,193 5,206,370,604
2. 비지배지분 81,594,801 555,417,127
ⅩⅣ. 기타포괄손익 20,469,466 2,654,444
- 후속적으로 당기손익으로 재분류되는 항목
1. 해외사업장외화환산차이 20,469,466 2,654,444
ⅩⅤ. 당기총포괄이익 7,685,890,460 5,764,442,175
1. 지배주주지분 7,604,295,659 5,209,025,048
2. 비지배지분 81,594,801 555,417,127
ⅩⅥ. 지배기업의 소유주지분에 대한 주당이익
기본및희석주당이익 31 251 166

연 결 자 본 변 동 표
제33기 : 2024년 1월 1일부터 2024년 12월 31일까지
제32기 : 2023년 1월 1일부터 2023년 12월 31일까지
주식회사 오픈베이스와 그 종속기업 (단위: 원)
과 목 지배기업 소유주지분 비지배지분 총 계
자본금 자본잉여금 기타자본항목 기타포괄손익누계액 이익잉여금 소 계
2023.1.1(전기초) 15,711,191,500 30,560,521,619 652,503,463 57,417,287 29,569,700,100 76,551,333,969 12,145,226,001 88,696,559,970
총포괄손익 :
당기순이익 - - - - 5,206,370,604 5,206,370,604 555,417,127 5,761,787,731
해외사업장외화환산차이 - - - 2,654,444 - 2,654,444 - 2,654,444
전기총포괄손익소계 - - - 2,654,444 5,206,370,604 5,209,025,048 555,417,127 5,764,442,175
자본에 직접 반영된 소유주와의 거래 :
주식보상비용 - - 17,559,370 - - 17,559,370 538,088,702 555,648,072
주식선택권 소멸 - 55,398,296 (55,398,296) - - - - -
주식선택권 행사 등 - 19,224,899 - - - 19,224,899 34,427,901 53,652,800
연차배당 - - - - (471,335,743) (471,335,743) - (471,335,743)
자본에 직접 반영된 소유주와의 거래 소계 - 74,623,195 (37,838,926) - (471,335,743) (434,551,474) 572,516,603 137,965,129
2023.12.31(전기말) 15,711,191,500 30,635,144,814 614,664,537 60,071,731 34,304,734,961 81,325,807,543 13,273,159,731 94,598,967,274
2024.1.1(당기초) 15,711,191,500 30,635,144,814 614,664,537 60,071,731 34,304,734,961 81,325,807,543 13,273,159,731 94,598,967,274
총포괄손익 :
당기순이익 - - - - 7,583,826,193 7,583,826,193 81,594,801 7,665,420,994
해외사업장외화환산차이 - - - 20,469,466 - 20,469,466 - 20,469,466
당기총포괄손익소계 20,469,466 7,583,826,193 7,604,295,659 81,594,801 7,685,890,460
자본에 직접 반영된 소유주와의 거래 :
주식보상비용 - - - - - - 229,235,290 229,235,290
주식선택권 소멸 - 238,619,583 (238,619,583) - - - - -
주식선택권 행사 등 - 2,037,870 - - - 2,037,870 6,925,130 8,963,000
자기주식의 취득 - - (9,953,115,055) - - (9,953,115,055) - (9,953,115,055)
연차배당 - - - - (785,559,575) (785,559,575) - (785,559,575)
지분법 자본변동 - - (6,789,249)  -  - (6,789,249)  - (6,789,249)
자본에 직접 반영된 소유주와의 거래 소계 - 240,657,453 (10,198,523,887) - (785,559,575) (10,743,426,009) 236,160,420 (10,507,265,589)
2024.12.31(당기말) 15,711,191,500 30,875,802,267 (9,583,859,350) 80,541,197 41,103,001,579 78,186,677,193 13,590,914,952 91,777,592,145

현 금 흐 름 표
제33기 : 2024년 1월 1일부터 2024년 12월 31일까지
제32기 : 2023년 1월 1일부터 2023년 12월 31일까지
주식회사 오픈베이스와 그 종속기업 (단위: 원)
과 목 주석 제33(당) 기 제32(전) 기
Ⅰ. 영업활동으로 인한 현금흐름 13,603,431,005 (151,890,103)
1. 영업으로부터 창출된 현금흐름 35 15,962,470,681 1,002,705,179
2. 이자수취 782,669,162 834,249,870
3. 이자지급 (1,140,950,273) (554,307,542)
4. 법인세납부 (2,000,758,565) (1,434,537,610)
Ⅱ. 투자활동으로 인한 현금흐름 (11,163,537,977) (625,099,525)
1. 투자활동으로 인한 현금유입액 60,726,415,483 22,656,230,669
(1) 단기금융상품의 감소 39,104,949,865 21,720,000,000
(2) 당기손익인식 금융자산의 처분 20,714,445,618 354,116,318
(3) 기타유동금융자산의 감소 793,000,000 280,000,000
(4) 기타비유동금융자산의 감소 114,020,000 790,000

(5) 유형자산의 처분

- 181,820
(6) 무형자산의 처분 - 300,000,000
(7) 연결범위의 변동 - 1,142,531
2. 투자활동으로 인한 현금유출액 (71,889,953,460) (23,281,330,194)
(1) 단기금융상품의 증가 (43,834,922,736) (13,652,966,601)
(2) 기타유동금융자산의 증가 (1,400,000,000) (320,000,000)
(3) 당기손익-공정가치측정금융자산의 취득 (20,174,480,026) (1,499,976,104)
(4) 종속기업투자주식의 취득 - (5,075,000,000)
(5) 관계기업주식의 취득 (1,200,000,000) -
(6) 유형자산의 취득 (968,402,256) (637,017,518)
(7) 무형자산의 취득 (2,038,412,442) (2,037,209,971)
(8) 기타비유동금융자산의 증가 (2,273,736,000) (59,160,000)
Ⅲ. 재무활동으로 인한 현금흐름 (5,808,227,426) 1,009,967,143
1. 재무활동으로 인한 현금유입액 24,644,233,556 21,533,098,404
(1) 단기차입금의 증가 14,123,710,056 17,904,110,104
(2) 장기차입금의 증가 10,000,000,000 3,000,000,000
(3) 주식선택권의 행사 8,963,000 53,652,800
(4) 임대보증금의 증가 511,560,500 575,335,500
2. 재무활동으로 인한 현금유출액 (30,452,460,982) (20,523,131,261)
(1) 단기차입금의 상환 (17,647,653,877) (17,722,087,654)
(2) 유동성장기차입금의 상환 (1,450,000,000) (1,000,000,000)
(3) 배당금의 지급 (785,422,075) (471,253,245)
(4) 유동리스부채의 상환 (363,086,295) (341,740,362)
(5) 임대보증금의 감소 (253,183,680) (988,050,000)
(6) 자기주식 취득 (9,953,115,055) -
Ⅳ. 현금및현금성자산의 증가(감소) (3,368,334,398) 232,977,515
Ⅴ. 기초현금및현금성자산 32,229,775,083 31,998,422,440
Ⅵ. 현금및현금성자산에 대한 환율변동효과 1,677,592 (1,624,872)
Ⅶ. 기말현금및현금성자산 28,863,118,277 32,229,775,083

- 이익잉여금처분계산서(안) 또는 결손금처리계산서(안)

<이익잉여금처분계산서 / 결손금처리계산서>

제 33 기 (2024.01.01부터 2024.12.31까지)
제 32 기 (2023.01.01부터 2023.12.31까지)
(단위 :원 )

과 목 제 33(당) 기(처분예정일 : 2025.03.28) 제 32(당) 기(처분예정일 : 2024.03.22)
I. 미처분이익잉여금 - 32,103,240,013 - 27,353,539,146
1. 전기이월미처분이익잉여금 26,489,423,613 - 23,501,824,854 -
2. 당기순이익 5,613,816,400 - 3,851,714,292 -
Ⅱ. 이익잉여금처분액 - 751,104,200 - 864,115,533
1. 이익준비금 68,282,200 - 78,555,958 -
2. 현금배당금(주석 38) 682,822,000 - 785,559,575 -
Ⅲ. 차기이월미처분이익잉여금 - 31,352,135,813 - 26,489,423,613

- 최근 2사업연도의 배당에 관한 사항

과목 제33기 제32기
주당배당금(원) 25 25
액면배당율(%) 0.99 0.97
연간배당금총액(원) 682,822,000 785,559,575

□ 이사의 선임

가. 후보자의 성명ㆍ생년월일ㆍ추천인ㆍ최대주주와의 관계ㆍ사외이사후보자 등 여부

후보자성명 생년월일 사외이사후보자여부

감사위원회 위원인

이사 분리선출 여부

최대주주와의 관계 추천인
인치평 1957.02.25 해당 해당없음 - 이사회
총 ( 1 ) 명

나. 후보자의 주된직업ㆍ세부경력ㆍ해당법인과의 최근3년간 거래내역

후보자성명 주된직업 세부경력 해당법인과의최근3년간 거래내역
기간 내용
인치평 - 2018-2024 금화저축은행 이사 해당없음
1987-2018 딜로이트안진회계법인

다. 후보자의 체납사실 여부ㆍ부실기업 경영진 여부ㆍ법령상 결격 사유 유무

후보자성명 체납사실 여부 부실기업 경영진 여부 법령상 결격 사유 유무
인치평 - - -

라. 후보자의 직무수행계획(사외이사 선임의 경우에 한함)

사외이사 후보 인치평 1) 전문성 및 직무수행 계획 위 후보자는 그동안의 직무 경험을 살려 당사의 경영계획 및 기타업무에 상당한 도움이 될 것이며, 사외이사로서의 책무를 다하여 당사의 상황을 구체적으로 파악하여 회사의 발전에 기여할 것입니다. 2) 사외이사로서의 역할 사외이사로서 독립적인 지위에서 이사와 경영진의 직무가 적절하고 적법하게 집행되고 있는지 공정하게 감독하여, 이사와 경영진이 투명한 책임경영을 실천할 수 있도록 하겠습니다. 또한 윤리의식과 책임감을 가지고 전체주주와 이해관계자의 권익을 균형 있게 대변하며 주주권익 제고 및 기업가치 향상에 기여하겠습니다.

마. 후보자에 대한 이사회의 추천 사유

후보자는 오랜 사회경험과 관련 지식 등의 전문성을 겸비하여 앞으로의 당사의 발전을 위한 업무가 가능할 것으로 기대하여 후보자로 추천함.

확인서 확인서(인치평) 250313.jpg 확인서(인치평) 250313

※ 기타 참고사항

- 상기 자료는 정기주주총회의 결과에 따라 변동 될 수 있음

□ 이사의 보수한도 승인

가. 이사의 수ㆍ보수총액 내지 최고 한도액

(당 기)

이사의 수 (사외이사수) 5 (2)
보수총액 또는 최고한도액 3,000백만원

(전 기)

이사의 수 (사외이사수) 5 (2)
실제 지급된 보수총액 1,132백만원
최고한도액 3,000백만원

※ 기타 참고사항

- 상기 자료는 정기주주총회의 결과에 따라 변동 될 수 있음

□ 감사의 보수한도 승인

가. 감사의 수ㆍ보수총액 내지 최고 한도액

(당 기)

감사의 수 1
보수총액 또는 최고한도액 100백만원

(전 기)

감사의 수 1
실제 지급된 보수총액 23백만원
최고한도액 100백만원

※ 기타 참고사항

- 상기 자료는 정기주주총회의 결과에 따라 변동 될 수 있음

IV. 사업보고서 및 감사보고서 첨부

가. 제출 개요 2025년 03월 20일1주전 회사 홈페이지 게재
제출(예정)일 사업보고서 등 통지 등 방식

나. 사업보고서 및 감사보고서 첨부

당사의 사업보고서 및 감사보고서는 상기 제출(예정)일까지 금융감독원 공식홈페이지(http://dart.fss.or.kr)와 당사 홈페이지(www.openbase.co.kr)에 게재할 예정입니다.

※ 참고사항

- 당사는 연결대상회사를 7개 보유하고 있으며 연결 대상회사의 재무제표 수령일 등을 고려하여 연결 결산 완료일 등의 일정을 검토하였으며 - 사외이사, 공증법무법인, 외부감사인 등 주주총회 필수 외부 참석인원 및 기관과의 일정을 전년도 11월에 사전 조율하여 진행하고 있습니다 - 그러던 중 주주총회 분산 개최 협조 요청을 전달받아 집중일을 피해 날짜 변경을 위해 노력하였으나, 상기 사항 등으로 불가피하게 당초에 계획한 날짜에 개최하게 되었습니다 - 향후 많은 주주들이 주주총회에 참석할 수 있도록 주주총회 집중일을 고려하여 주주총회 개최를 검토하도록 하겠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