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 11 기)
사업연도 | 부터 |
까지 |
금융위원회 | |
한국거래소 귀중 | 2025 년 08 월 19 일 |
제출대상법인 유형 : | |
면제사유발생 : |
회 사 명 : | 이에스알켄달스퀘어위탁관리부동산투자회사 주식회사 |
대 표 이 사 : | 조주현 |
본 점 소 재 지 : | 서울특별시 영등포구 국제금융로 10, 35층(여의도동, 쓰리아이에프씨) |
(전 화) 02-6205-0467 | |
(홈페이지) http://www.esrks-reit.com | |
작 성 책 임 자 : | (직 책) 부장 (성 명) 최 현 석 |
(전 화) 02-2180-0613 | |
1. 연결대상 종속회사 개황(연결재무제표를 작성하는 주권상장법인이 사업보고서, 분기ㆍ반기보고서를 제출하는 경우에 한함)연결대상 종속회사 현황(요약)
(단위 : 사) |
구분 | 연결대상회사수 | 주요종속회사수 | |||
---|---|---|---|---|---|
기초 | 증가 | 감소 | 기말 | ||
상장 | |||||
비상장 | |||||
합계 |
※상세 현황은 '상세표-1. 연결대상 종속회사 현황(상세)' 참조 |
가-1. 연결대상회사의 변동내용
구 분 | 자회사 | 사 유 |
---|---|---|
신규연결 | ||
연결제외 | ||
나. 회사의 법적, 상업적 명칭당사의 명칭은 '이에스알켄달스퀘어위탁관리부동산투자회사 주식회사'라고 표기합니다. 또한 영문으로는 'ESR Kendall Square REIT Co., Ltd."라고 표기합니다.
다. 설립일자 및 존속기간당사는 2020년 2월 20일에 설립되었고, 2020년 12월 23일 상장하였으며, 정관상 존속기간을 정하지 않은 영속형 부동산투자회사입니다.
라. 본사의 주소, 전화번호, 홈페이지 주소- 주소: 서울특별시 영등포구 국제금융로 10, 35층(여의도동, 쓰리아이에프씨)- 전화번호: 02-6205-0467- 홈페이지: http://www.esrks-reit.com마. 회사사업 영위의 근거가 되는 법률- 자산을 부동산에 투자하여 운영하는 것을 주된 목적으로 하여 부동산투자회사법에 따라 설립되었습니다.바. 주요사업의 내용- 회사는 부동산임대업을 주요 사업으로 하고 있습니다.기타의 자세한 사항은 동 보고서의 'Ⅱ. 사업의 내용'을 참조하시기 바랍니다.사. 회사가 속해 있는 기업집단 및 계열회사에 과한 사항- 기업집단 및 계열회사에 관한 사항은 동 보고서의 ' Ⅸ. 계열회사 등에 관한 사항'을 참조하시기 바랍니다.
아. 신용평가에 관한 사항
법인명 | 신용평가 관련 | ||
이에스알켄달스퀘어위탁관리부동산투자회사 | 평가기관 | 평가등급 | 평가 완료일자 |
한국신용평가 | A- / 안정적 | 2022.08.29 | |
한국신용평가 | A- / 안정적 | 2023.10.27 | |
한국신용평가 | A- / 안정적 | 2024.10.28 | |
한국기업평가 | A- / 안정적 | 2024.10.30 |
(주) 회사는 부동산투자회사법 제25조의3에 따라 의무적인 신용평가를 받았습니다.
자. 중소기업 등 해당 여부
중소기업 해당 여부 | |
벤처기업 해당 여부 | |
중견기업 해당 여부 |
차. 회사의 주권상장(또는 등록ㆍ지정) 및 특례상장에 관한 사항
주권상장(또는 등록ㆍ지정)현황 | 주권상장(또는 등록ㆍ지정)일자 | 특례상장 유형 |
---|---|---|
시기 | 내용 |
2020년 02월 20일 | 회사 발기설립(자기자본 9억원) |
2020년 06월 12일 | 자산보관위탁계약 체결((주)신한은행)) |
2020년 06월 12일 | 일반사무관리 위탁계약 체결(신한아이타스) |
2020년 06월 12일 | 자산관리위탁계약 체결(켄달스퀘어리츠운용) |
2020년 08월 24일 | 국토교통부 위탁관리부동산투자회사 영업인가 승인 |
2020년 09월 24일 | 이에스알켄달스퀘어에셋1호위탁관리부동산투자회사주식회사 발행주식 매수(100,000주) |
2020년 10월 19일 | 국토교통부 위탁관리부동산투자회사 변경인가 승인 |
2020년 10월 27일 | 2차 유상증자 (사모) (보통주 47,300,000주/자본금 총액 482억원) |
2020년 10월 27일 | 제1회 전환사채 발행(1,180억원)(사채권자:CPPIB) |
2020년 11월 06일 | 증권신고서 제출 |
2020년 11월 23일 | 증권신고서 효력 발생 |
2020년 12월 11일 | 3차 유상증자(보통주 71,459,000주 / 자본금 총액 3,573억원) |
2020년 12월 11일 | 켄달스퀘어전문투자형사모부동산신탁6호의 B종 수익증권 매수(25,564,025,475좌)켄달스퀘어전문투자형사모부동산신탁7호의 B종 수익증권 매수(31,526,694,806좌)켄달스퀘어전문투자형사모부동산신탁8호의 F종 수익증권 매수(25,643,009,474좌)켄달스퀘어전문투자형사모부동산신탁11호의 수익증권 매수(34,304,284,981좌) |
2020년 12월 11일 | 켄달스퀘어전문투자형사모부동산신탁7호의 B종 수익증권 추가출자 (9,600,000,000좌)켄달스퀘어전문투자형사모부동산신탁6호의 B종 수익증권 추가출자 (11,700,000,000좌)켄달스퀘어전문투자형사모부동산신탁8호의 F종 수익증권 추가출자 (12,100,000,000좌)켄달스퀘어전문투자형사모부동산신탁11호의 수익증권 추가출자(7,800,000,000좌) |
2020년 12월 11일 | 전환사채(1,180억원) 23,600,000주 주식 전환(4차 유상증자) |
2020년 12월 11일 | 이에스알켄달스퀘어에셋1호위탁관리부동산투자회사주식회사 발행주식 매수(보통주 10,670,980주) |
2020년 12월 14일 | 이에스알켄달스퀘어에셋1호위탁관리부동산투자회사주식회사 - 투자부동산(부천저온 물류센터 외 5개) 취득 |
2020년 12월 21일 | 유가증권시장 주권 신규상장 승인 |
2020년 12월 23일 | 한국거래소 유가증권시장 상장 |
2021년 6월 1일 | 이에스알켄달스퀘어에셋1호위탁관리부동산투자회사주식회사 - 투자부동산(안성물류센터) 취득 |
2021년 6월 10일 | 켄달스퀘어전문투자형사모부동산신탁18호의 제1종 수익증권(21,700,000,000좌) 및 2종 수익증권(3,000,000,000좌) 매수 |
2021년 6월 11일 | 켄달스퀘어전문투자형사모부동산신탁18호의 제1종 수익증권 추가출자(1,698,138,840좌) |
2021년 7월 16일 | 이에스알켄달스퀘어에셋2호위탁관리부동산투자회사주식회사 설립자본금(보통주 300,000주) |
2021년 11월 25일 | 이에스알켄달스퀘어에셋2호위탁관리부동산투자회사주식회사 유상증자 참여(보통주 440,000주) |
2021년 11월 30일 | 이에스알켄달스퀘어에셋2호위탁관리부동산투자회사주식회사 - 투자부동산(안성물류센터4) 취득 |
2021년 12월 17일 | 5차 유상증자(보통주 69,830,000주 / 자본금 총액 4,420억원) |
2021년 12월 17일 | 이에스알켄달스퀘어에셋2호위탁관리부동산투자회사주식회사 유상증자 참여(보통주 79,110,200주) |
2021년 12월 17일 | 켄달스퀘어전문투자형사모부동산신탁18호의 제1종 수익증권 추가출자(4,500,000,000좌) |
2021년 12월 20일 | 이에스알켄달스퀘어에셋2호위탁관리부동산투자회사주식회사 - 투자부동산(김해물류센터2, 안성물류센터2, 안성물류센터3, 이천물류센터5) 취득 |
2022년 05월 30일 | 이에스알켄달스퀘어에셋2호위탁관리부동산투자회사주식회사 - 유상증자 참여(보통주 2,000,000주) |
2022년 08월 26일 | 대표이사 변경(박래익->조주현) |
2023년 05월 09일 | 이에스알켄달스퀘어에셋2호위탁관리부동산투자회사유상증자 참여(보통주 9,000,000주) |
2023년 05월 10일 | 이에스알켄달스퀘어에셋2호위탁관리부동산투자회사주식회사 - 투자부동산(이천물류센터7) 취득 |
2023년 06월 13일 | 켄달스퀘어전문투자형사모부동산신탁6호의 B종 수익증권 신탁계약 해지 (34,075,301,499좌) |
2023년 06월 29일 | 이에스알켄달스퀘어에셋1호위탁관리부동산투자회사 주식회사- 유상증자 참여(보통주 200,000주) |
2023년 07월 04일 | 켄달스퀘어전문투자형사모부동산신탁6호의 B종 수익증권 해지 (3,188,723,976좌) |
2023년 07월 31일 | 이에스알켄달스퀘어에셋2호위탁관리부동산투자회사주식회사 - 투자금 반환(보통주 2,000,000주) |
2023년 12월 05일 | 이에스알켄달스퀘어에셋1호위탁관리부동산투자회사 주식회사- 유상증자 참여(보통주 600,000주) |
2023년 12월 07일 | 이에스알켄달스퀘어에셋1호위탁관리부동산투자회사 주식회사 - 투자부동산(이천물류센터6) 취득 |
2024년 03월 13일 | 자산보관위탁계약 변경((주)신한은행 → 엔에에치투자증권(주)) |
2024년 10월 07일 | 이에스알켄달스퀘어에셋1호위탁관리부동산투자회사 주식회사 - 유상증자 참여(보통주 400,000주) |
2024년 10월 24일 | 이에스알켄달스퀘어에셋1호위탁관리부동산투자회사 주식회사 - 투자부동산(이천물류센터8) 취득 |
가. 회사의 본점소재지 및 그 변경
일자 | 본 점 소 재 시 | 비 고 |
2020년 02월 20일 | 서울특별시 영등포구 국제금융로 10, 35층(여의도동, 쓰리아이에프씨) | 회사 설립 |
나. 경영진 및 감사의 중요한 변동- 보고서 기준일 당사의 이사회는 대표이사 1인(조주현), 기타비상무이사 4인(최춘웅, 안세호, 조민주, 황선호), 총 5인의 이사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변동일자 | 주총종류 | 선임 | 임기만료또는 해임 | |
---|---|---|---|---|
신규 | 재선임 | |||
다. 최대주주의 변동- 공시서류작성기준일 현재 최대주주는 CPP Investment Board Real Estate Holdings lnc. 이며 보통주식 52,952,822주를 보유하고 있습니다.라. 상호의 변경- 해당사항 없음.마. 회사가 화의, 회사정리절차 그 밖에 이에 준하는 절차를 밟은적이 있거나 현재 진행중인 경우 그 내용과 결과- 해당사항 없음.바. 회사가 합병등을 한 경우 그 내용- 해당사항 없음.사. 회사의 업종 또는 주된 사업의 변화- 해당사항 없음.아. 그 밖에 경영활동과 관련된 중요한 사항의 발생내용- 해당사항 없음.
자본금 변동추이
(단위 : 주, 원) |
종류 | 구분 | 당기말(2025년 5월말) | 10기(2024년 11월말) | 9기(2024년 5월말) |
---|---|---|---|---|
보통주 | 발행주식총수 | 213,089,000 | 213,089,000 | 213,089,000 |
액면금액 | 1,000 | 1,000 | 1,000 | |
자본금 | 213,089,000,000 | 213,089,000,000 | 213,089,000,000 | |
우선주 | 발행주식총수 | - | - | - |
액면금액 | - | - | - | |
자본금 | - | - | - | |
기타 | 발행주식총수 | - | - | - |
액면금액 | - | - | - | |
자본금 | - | - | - | |
합계 | 자본금 | 213,089,000,000 | 213,089,000,000 | 213,089,000,000 |
가. 주식의 총수 현황
(기준일 : | ) |
구 분 | 주식의 종류 | 비고 | |||
---|---|---|---|---|---|
합계 | |||||
Ⅰ. 발행할 주식의 총수 | |||||
Ⅱ. 현재까지 발행한 주식의 총수 | |||||
Ⅲ. 현재까지 감소한 주식의 총수 | |||||
1. 감자 | |||||
2. 이익소각 | |||||
3. 상환주식의 상환 | |||||
4. 기타 | |||||
Ⅳ. 발행주식의 총수 (Ⅱ-Ⅲ) | |||||
Ⅴ. 자기주식수 | |||||
Ⅵ. 유통주식수 (Ⅳ-Ⅴ) | |||||
Ⅶ. 자기주식 보유비율 |
나. 자기주식 취득 및 처분 현황- 해당사항 없음.다. 종류주식 발행 현황- 해당사항 없음.
정관 변경 이력
정관변경일 | 해당주총명 | 주요변경사항 | 변경이유 |
---|---|---|---|
사업목적 현황
구 분 | 사업목적 | 사업영위 여부 |
---|---|---|
가. 업계의 현황
(1) 부동산투자회사(리츠) 산업의 특성
부동산투자회사(이하 “리츠”)는 부동산 투자회사법에따라 다수의 투자자로부터 자금을 모아 부동산, 부동산 관련 증권등에 투자, 운용하고 그 수익을 투자자에게 돌려주는 부동산 간접투자기구인 주식회사입니다. 리츠는 1960년 미국에서 최초 도입 되었으며, 한국에는 1997년 외환위기 이후 기업들의 보유 부동산 유동화를 통한 기업구조조정을 촉진하기 위해 2001년 처음 도입되었습니다. 이후 리츠의 투자물건이 기업 구조조정 부동산에서 점차 일반 부동산으로 변화하였습니다. 다만 기관투자자 중심의 투자를 벗어나지 못하여 일반 국민이 리츠를 통하여 부동산에 투자할 수 있는 기회는 제한적이었습니다. 2018년을 기점으로 공모상장 리츠가 본격적으로 출시 되기 시작하여 일반 국민의 리츠투자 기회가 계속 확대될 것으로 기대하고 있습니다. 2002년 리츠의 총 자산규모는 5,584억원으로 시작하여 2025년 7월말 기준 총 418개의 리츠가 설립되었고 총 자산규모는 108.04조원이며, 이 중 상장리츠는 25개, 총 자산규모 18.08조원 수준입니다.
(2) 리츠 산업의 성장성
지난 10년간 (2016년말~2025년 7월) 리츠 총자산 규모는 약 83.02조원이 증가하였고, 리츠수는 249개가 증가하였으며, 주로 임대주택에 투자하는 리츠가 성장을 이끌어 왔습니다. 확정기여(DC)형 및 개인형퇴직연금제도(IRP)의 적립금의 상장리츠 투자 허용, 대체투자 수요의 확대 및 정부의 리츠 활성화 대책과 맞물려 리츠 시장의 성장은 지속 될 것으로 예상됩니다.
* 자료출처 : 리츠정보시스템(2025년 06월말 기준 통계자료)(3) 관련 법령 또는 정부의 규제 현황
당사는 부동산투자회사법에 근거하여 설립된 위탁관리 부동산 투자회사이며, 국토교통부의 관리 감독하에 운영되고 있습니다. 2018년 7월 26자로 부동산투자회사법 개정안 통과로 부동산투자회사법 개정안 공모의무 면제를 위한 기관투자 비중이 30%에서 50%로 상향되었으며, 2018년 9월 7일자로 퇴직연금감독규정 개정안이 시행되어 확정급여(DB)형 퇴직연금에 한하여 공모상장리츠에 투자할 수 있게 되었습니다. 그리고 2019년 12월 18일자로 근로자퇴직급여보장법 시행규칙 개정안이 시행되어 확정기여형(DC) 및 개인형퇴직연금(IRP)이 간접(퇴직연금상품)방식으로 공모상장리츠에 투자가 가능하게 되었습니다. 유가증권 상장규정 개정으로 비개발 위탁관리리츠의 상장 절차가 간소화되고 리츠 보유 자산에 대한 간주부동산 인정한도가 폐지되었고, 2022년 10월 27일자로 연금저축펀드도 공모상장리츠에 투자가 가능하게 되어, 향후 상장 리츠 시장이 보다 확대될 것으로 전망됩니다.
나. 회사의 현황
(1) 영업개황 및 사업부문의 구분
(가) 영업개황
당사는 2020년 2월 20일 "부동산투자회사법"에 의거하여 설립된 위탁관리부동산투자회사로, 2020년 8월 24일 국토교통부의 영업인가 승인을 득하였으며, 정관상 존속기간을 정하지 않은 영속형 부동산투자회사입니다, 본점 소재지는 서울특별시 영등포구 국제금융로10, 35층(여의도동, 쓰리아이에프씨)에 위치하고 있습니다.당사의 주요사업은 부동산의 취득ㆍ관리ㆍ개량 및 처분, 부동산개발사업, 부동산의 임대차, 증권의 매매, 금융기관에의 예치, 지상권·임차권 등 부동산 사용에 관한 권리의 취득ㆍ관리ㆍ처분, 신탁이 종료된 때에 신탁재산 전부가 수익자에게 귀속하는 부동산 신탁의 수익권의 취득ㆍ관리ㆍ처분 등을 하는 방법을 통해 자산을 투자 운용하여 그 수익을 주주에게 배당하는 것입니다. 당사는 2020년 12월 23일 한국거래소 유가증권 시장에 상장되었습니다.당사의 회계 결산일은 매년 12월 1일부터 개시하여 다음해 5월 31일에 종료하고, 매년 6월 1일부터 개시하여 11월 30일에 종료합니다.
(나) 공시대상 사업부문의 구분
당사는 현재 부동산업의 단일사업을 영위하고 있습니다.
(2) 시장점유율
전체 유효시장규모를 파악하기 어려움에 따라 정확한 시장점유율의 산정이 어렵습니다.
(3) 시장의 특성
전술한 '1. 사업의 개요의 가. 업계의 현황' 참고하시기 바랍니다.
(4) 신규사업 등의 내용 및 전망
당사는 2020년 12월 23일 유가증권시장에 최초 상장하였으며, 당기말 기준으로 이에스알켄달스퀘어에셋1호위탁관리부동산투자회사 및 이에스알켄달스퀘어에셋2호위탁관리부동산투자회사의 지분증권 및 부동산투자신탁 수익증권 4종에 투자하고 있으며, 이를 통해 발생하는 임대수익 및 배당수익을 재원으로 당사 주주들에게 배당금일 지급하고 있습니다.당사가 소유하고 있는 지분증권의 보유자산의 내역은 아래와 같습니다.
보유 자산명 | 투자금액 | 보유자산의 기초자산 명 |
이에스알켄달스퀘어에셋1호위탁관리부동산투자회사 주식회사 지분증권 | 5,940억원 | 부천저온물류센터고양물류센터용인물류센터1김해물류센터1이천물류센터2이천물류센터3이천물류센터6안성물류센터1이천물류센터8 |
이에스알켄달스퀘어에셋2호위탁관리부동산투자회사 주식회사 지분증권 | 4,431억원 | 안성물류센터4김해물류센터2안성물류센터2안성물류센터3이천물류센터5이천물류센터7 |
켄달스퀘어일반사모부동산투자신탁7호 B종 수익증권 | 411억원 | 이천물류센터4 |
켄달스퀘어일반사모부동산투자신탁8호 F종 수익증권 | 377억원 | 용인물류센터2 |
켄달스퀘어일반사모부동산투자신탁11호 수익증권 | 421억원 | 평택물류센터 |
켄달스퀘어일반사모부동산투자신탁18호 제1종 및 2종 수익증권 | 315억원 | 용인물류센터3 |
합 계 | 11,895억원 |
* 보유 자산의 기초자산 개요는 하기와 같습니다.
1. 부천 저온물류센터
구 분 | 부천 저온물류센터 |
위 치 | 경기도 부천시 오정동 801 |
대지면적/연면적 | 16,658.7㎡ / 58,264㎡ |
건물규모 | 지상6층 |
용도 | 창고 시설 |
준공일 | 2019-07-24 |
2. 고양 물류센터
구 분 | 고양 물류센터 |
위 치 | 경기도 고양시 덕양구 원흥동 701 |
대지면적/연면적 | 56,281.1㎡ / 199,678.38㎡ |
건물규모 | 지하1층~지상7층 |
용도 | 창고 시설 |
준공일 | 2019-01-25 |
3. 용인 물류센터1
구 분 | 용인 물류센터1 |
위 치 | 경기도 용인시 처인구 백암면 가창리 434 외 |
대지면적/연면적 | 69,963㎡ / 70,028.18㎡ |
건물규모 | 지하1층~지상4층 |
용도 | 창고 시설 |
준공일 | 2017-11-20 |
4. 용인 물류센터2
구 분 | 용인 물류센터2 |
위 치 | 경기도 용인시 처인구 양지면 양지리 90-7, 90-11 |
대지면적/연면적 | 40,122㎡ / 43,175.81㎡ |
건물규모 | 지하2층~지상4층 |
용도 | 창고 시설 |
준공일 | 2017-01-23 |
5. 김해 물류센터1
구 분 | 김해 물류센터1 |
위 치 | 경상남도 김해시 상동면 대감리 5 |
대지면적/연면적 | 65,775㎡ / 25,733㎡ |
건물규모 | 지하1층~지상3층 |
용도 | 창고 시설 |
준공일 | 2000-12-30 |
6. 이천 물류센터2
구 분 | 이천 물류센터2 |
위 치 | 경기도 이천시 호법면 매곡리 580-1 외 |
대지면적/연면적 | 26,560㎡ / 33,364.53㎡ |
건물규모 | 지하1층~지상4층 |
용도 | 창고 시설 |
준공일 | 2018-04-25 |
7. 이천 물류센터3
구 분 | 이천 물류센터3 |
위 치 | 경기도 이천시 호법면 매곡리 567-46 외 |
대지면적/연면적 | 16,196㎡ / 18,421.48㎡ |
건물규모 | 지하2층~지상4층 |
용도 | 창고 시설 |
준공일 | 2018-12-20 |
8. 이천 물류센터4
구 분 | 이천 물류센터4 |
위 치 | 경기도 이천시 호법면 매곡리 1187 외 |
대지면적/연면적 | 32,272.6㎡ / 49,615.64㎡ |
건물규모 | 지하3층~지상3층 |
용도 | 창고 시설 |
준공일 | 2018-06-05 |
9. 평택 물류센터
구 분 | 평택 물류센터 |
위 치 | 경기도 평택시 서탄면 수월암리 2021 외 |
대지면적/연면적 | 70,158.4㎡ / 43,212.1㎡ |
건물규모 | 지상1층~지상3층 |
용도 | 창고 시설 |
준공일 | 2012-08-08 및 2017-05-24 |
10. 안성 물류센터1
구 분 | 안성 물류센터1 |
위 치 | 경기도 안성시 죽산면 장능리 35-4 외 |
대지면적/연면적 | 87,383㎡ / 95,265.44㎡ |
건물규모 | 지하1층~지상3층 |
용도 | 창고 시설 |
준공일 | 2020-02-20 |
11. 용인 물류센터3
구 분 | 용인 물류센터3 |
위 치 | 경기도 용인시 처인구 남사읍 방아리 1006 외 7필지 |
대지면적/연면적 | 27,883㎡ /43,045.25㎡ |
건물규모 | 지하2층~지상4층 |
용도 | 창고 시설 |
준공일 | 2020-06-15 |
12. 안성 물류센터 4
구 분 | 안성 물류센터4 |
위 치 | 경기도 안성시 삼죽면 용월리 409-3 |
대지면적/연면적 | 25,302㎡ /27,039.50㎡ |
건물규모 | 지하2층~지상4층 |
용도 | 창고시설(물류창고) |
준공일 | 2021-11-22 |
13. 김해 물류센터2
구 분 | 김해 물류센터 2 |
위 치 | 김해시 상동면 대감리 5-8 |
대지면적/연면적 | 27,067㎡ /39,941.19 ㎡ |
건물규모 | 지하1층~지상4층 |
용도 | 창고시설(물류창고) |
준공일 | 2019-12-13 |
14. 안성 물류센터2
구 분 | 안성 물류센터 2 |
위 치 | 경기도 안성시 원곡면 칠곡리 915 |
대지면적/연면적 | 90,583㎡ /154,990㎡ |
건물규모 | 지하1층~지상5층 |
용도 | 창고시설(물류창고) |
준공일 | 2020-06-11 |
15. 안성 물류센터3
구 분 | 안성 물류센터 3 |
위 치 | 경기도 안성시 일죽면 능국리 23-10 |
대지면적/연면적 | 49,543㎡ /63,675.98㎡ |
건물규모 | 지하3층~지상3층 |
용도 | 창고시설(물류창고) |
준공일 | 2021-04-09 |
16. 이천 물류센터5
구 분 | 이천 물류센터 5 |
위 치 | 경기도 이천시 마장면 해월리 423 |
대지면적/연면적 | 73,255㎡ /84,544.61㎡ |
건물규모 | 지하2층~지상4층 |
용도 | 창고시설(물류창고) |
준공일 | 2020-02-14 |
17. 이천 물류센터7
구 분 | 이천 물류센터 7 |
위 치 | 경기도 이천시 대월면 부필리 309 |
대지면적/연면적 | 29,994㎡ /46,041.36㎡ |
건물규모 | 지하2층~지상4층 |
용도 | 창고시설(물류창고) |
준공일 | 2023-04-03 |
18. 이천 물류센터6
구 분 | 이천 물류센터 6 |
위 치 | 경기도 이천시 백사면 조읍리 250 |
대지면적/연면적 | 51,200㎡ /62,194.99㎡ |
건물규모 | 지하2층~지상3층 |
용도 | 창고시설(물류창고) |
준공일 | 2023-01-27 |
19. 이천 물류센터8
구 분 | 이천 물류센터 8 |
위 치 | 경기도 이천시 마장면 이치리 253-1 |
대지면적/연면적 | 29,963㎡ / 43,405㎡ |
건물규모 | 지하2층~지상4층 |
용도 | 창고시설(물류창고) |
준공일 | 2017-05-04 |
(5) 조직도
- 당사는 부동산투자회사로 해당사항 없습니다.
- 당사는 부동산투자회사로 해당사항 없습니다.
- 당사는 부동산투자회사로 해당사항 없습니다.
- 당사는 시장위험에 대한 노출이 중요하지 않아 기재를 생략합니다.
당사가 맺은 주요 계약 현황은 아래와 같습니다.
구 분 | 계약상대방 | 계약시점 | 주요계약내용 | 지급 시기 |
---|---|---|---|---|
자산관리위탁계약 | 켄달스퀘어리츠운용(주) | 2020.06.12 | 1. 운용 보수a. 부동산:(부동산 매입가액 + 매입부대비용) X 연 0.5%b. 집합투자증권 및 지분증권 등 부동산을 제외한 대상자산: (위탁자가 해당 대상자산을 매입하는 시점에 그 대상자산의 기초자산인 부동산 의 평가금액 + 매입부대비용) X 연 0.5% X 위탁자의 지분율 | 각 결산기 외부감사인의 결산보고서를 작성하여 주주총회 승인을 득한 날로부터 1주일 이내 |
2. 운용성과보수당해연도 1주당 운용성과수수료 차감 전 배당액 - 과거 당해연도 1주당 운용성과수수료 차감 전 배당액 중 최대액) X 당해연도 가중평균 총 발행주식수 X 25%(단, 위 산식에 따라 산정된 금액이 음수(-)인 경우 또는 직전연도 운용성과보수 차감전 배당액이 없는 경우(명확히 하면, 당해연도가 최초 배당액이 발생한 연도인 경우)에는 운용성과보수를 지급하지 않는다.) | 연간 마지막 사업연도 종료일(11월 30일)에 외부감사인의 결산보고서를 작성하여 주주총회 승인을 득한 날로부터 1주일 이내 | |||
3. 매입수수료a. 부동산:부동산 매입가액 X 1.0 %(*)(* 단, 자산관리자의 계열회사가 집합투자업자인 집합투자기구 또는 법인세법 제51조의2 및 동법 시행령 제86조의2에 의한 자산관리회사인 프로젝트금융투자회사가 보유한 부동산의 경우 0.75%로 함)b. 집합투자증권 및 지분증권 등 부동산을 제외한 대상자산:대상자산의 기초자산인 부동산의 평가금액 X 1.0%(*) X 위탁자의 지분율(* 단, (i) 위 대상자산이 부동산투자회사법상 부동산투자회사의 주식이고, 자산관리자또는 자산관리자의 계열회사가 해당 부동산투자회사의 자산관리회사인 경우, 또는 (ii) 위 대상자산이 부동산집합투자기구가 발행한 집합투자증권이고, 자산관리자의 계열회사가 해당 부동산집합투자기구의 집합투자업자인 경우, 0.75%로 함) | 취득일로부터 1주일 이내 | |||
4. 매각기본수수료대상 자산별로 각 자산 매각 시 산출되는 매각금액의 0.5% | 처분일이 속한 결산기에 외부감사인의 결산보고서를 작성하여 주주총회의 승인을 득한 날로부터 1주일 이내 | |||
5. 개발보수토지의 매입 완료일로부터 건물의 (임시)사용승인일까지 발생하는 취득세 과표에 포함되는 모든 비용 및 취득세 (단, 토지관련비용, 금융비용 및 운영비용은 제외)를 포함한 금액의 5%(위탁자는 자산관리회사와 협의하여 합리적으로 정한 총 개발보수 예상액을 기준으로 상기 보수액을 산정, 지급하기로 하며 건물의 (임시)사용승인일이 속한 사업연도에 대한 보수 지급시에 총 개발보수 예상액과 실제 총 개발보수의 차이에 따른 정산을 하기로 한다) | 총 개발보수 중 해당 사업연도에 해당하는 금액을 일할 계산하여 산정한 보수를 각 결산기에 외부감사인의 결산보고서를 작성하여 주주총회의 승인을 득한 날로부터 1주일 이내 | |||
자산보관위탁계약 | 엔에이치투자증권(주) | 2024.03.13 | 결산기별 5,000,000원(연간 10,000,000원) | 매 분기 종료 후 수탁회사의 청구일로부터 7 영업일 이내 |
일반사무업무위탁계약 | 신한펀드파트너스(주) | 2020.06.12 | 최초 매입 자산 : 결산기별 42,500,000원추가 매입 자산 : 가중평균매입가액에 정해진 보수율(0.005%~0.01%) | 매 회계연도 종료일로부터 1개월 이내에 상호 협의 |
대출약정 | 중소기업은행 | 2020.12.04 | 한도대출 20,000,000,000원 (금리 연 3.8%) | 3개월 단위 이자 납부 |
KB국민은행 | 2021.10.18 | 한도대출 30,000,000,000원 (금리 CD금리+Spread, 단, spread가 음수일 경우 CD금리 적용) 최근 3개월 분 이자 기산일 기준 CD금리 2.71%입니다. | ||
NH농협은행 | 2023.09.22 | 한도대출 10,000,000,000원 (금리 연5.08%) | 1개월 단위 이자 납부 | |
신한은행 | 2024.09.25 | 일시자금대출 10,000,000,000 (금리 연4.90%) | ||
신한은행 | 2024.09.25 | 한도대출 10,000,000,000원 (금리 은행내부 기준금리+가산금리1.1%) 5월 말 기준 금리 4.25%입니다. |
- 해당사항 없습니다.
가. 요약 연결 재무정보 (단위: 원)
과 목 | 제 11(당)기 | 제 10(전)기 |
---|---|---|
I.유동자산 | 69,982,993,161 | 87,621,140,395 |
II.비유동자산 | 2,433,061,431,715 | 2,437,561,985,615 |
자 산 총 계 | 2,503,044,424,876 | 2,525,183,126,010 |
I.유동부채 | 528,846,895,385 | 52,586,225,536 |
II.비유동부채 | 908,959,235,778 | 1,387,936,094,604 |
부 채 총 계 | 1,437,806,131,163 | 1,440,522,320,140 |
지배기업소유주에게 귀속되는 지분 | 1,065,238,293,713 | 1,084,660,805,870 |
I.자본금 | 213,089,000,000 | 213,089,000,000 |
II.기타불입자본 | 896,178,572,856 | 900,186,631,606 |
III.이익잉여금 | (44,029,279,143) | (28,614,825,736) |
자 본 총 계 | 1,065,238,293,713 | 1,084,660,805,870 |
부 채 및 자 본 총 계 | 2,503,044,424,876 | 2,525,183,126,010 |
과 목 | 제 11(당)기 | 제 10(전)기 |
---|---|---|
I.영업수익 | 58,696,665,274 | 56,876,297,402 |
II.영업비용 | 29,992,692,216 | 30,324,757,456 |
III.영업이익 | 28,703,973,058 | 26,551,539,946 |
IV.영업외수익 | 10,592,204,034 | 3,531,657,041 |
V.영업외비용 | 29,517,437,499 | 26,482,656,068 |
VI.법인세차감전순손익 | 9,778,739,593 | 3,600,540,919 |
VII.당기순이익 | 9,778,739,593 | 3,600,540,919 |
VIII.기타포괄손익 | - | - |
IV.총포괄손익 | 9,778,739,593 | 3,600,540,919 |
지배기업주주지분 | 9,778,739,593 | 3,600,540,919 |
기본및희석주당순이익 | 46 | 17 |
* 상기 재무제표는 정기주주총회 승인 전 재무제표이므로 향후 정기주주총회에서 부결되거나 수정이 발생한 경우 정정보고서를 통해 그 내용 및 사유 등을 반영할 예정임나. 요약 별도 재무정보 (단위: 원)
과 목 | 제 11(당)기 | 제 10(전)기 |
---|---|---|
I.유동자산 | 24,507,224,937 | 29,350,556,464 |
II.비유동자산 | 1,189,532,148,107 | 1,189,532,148,107 |
자 산 총 계 | 1,214,039,373,044 | 1,218,882,704,571 |
I.유동부채 | 74,774,312,121 | 26,771,114,202 |
II.비유동부채 | - | 48,000,000,000 |
부 채 총 계 | 74,774,312,121 | 74,771,114,202 |
I.자본금 | 213,089,000,000 | 213,089,000,000 |
II.기타불입자본 | 896,178,572,856 | 900,186,631,606 |
III.이익잉여금 | 29,997,488,067 | 30,835,958,763 |
자 본 총 계 | 1,139,265,060,923 | 1,144,111,590,369 |
부 채 및 자 본 총 계 | 1,214,039,373,044 | 1,218,882,704,571 |
종속기업 투자주식의 평가 방법 : 원가법 |
과 목 | 제 11(당)기 | 제 10(전)기 |
---|---|---|
I.영업수익 | 26,032,422,061 | 30,802,310,314 |
II.영업비용 | 462,165,985 | 434,413,651 |
III.영업이익 | 25,570,256,076 | 30,367,896,663 |
IV.영업외수익 | 243,223,411 | 293,740,475 |
V.영업외비용 | 1,458,757,183 | 1,249,746,124 |
VI.법인세차감전순손익 | 24,354,722,304 | 29,411,891,014 |
VII.당기순이익 | 24,354,722,304 | 29,411,891,014 |
VIII.기타포괄손익 | - | - |
IV.총포괄손익 | 24,354,722,304 | 29,411,891,014 |
기본 및 희석주당순이익 | 114 | 138 |
* 상기 재무제표는 정기주주총회 승인 전 재무제표이므로 향후 정기주주총회에서 부결되거나 수정이 발생한 경우 정정보고서를 통해 그 내용 및 사유 등을 반영할 예정임
제 11 기 |
제 10 기 |
제 9 기 |
|
---|---|---|---|
제 11 기 |
제 10 기 |
제 9 기 |
|
---|---|---|---|
자본 |
||||||
---|---|---|---|---|---|---|
지배기업의 소유주에게 귀속되는 지분 |
비지배지분 |
자본 합계 |
||||
자본금 |
기타불입자본 |
이익잉여금(결손금) |
지배기업의 소유주에게 귀속되는 지분 합계 |
|||
제 11 기 |
제 10 기 |
제 9 기 |
|
---|---|---|---|
기업회계기준서 제1110호 '연결재무제표'에 의한 지배기업인 이에스알켄달스퀘어위탁관리부동산투자회사 주식회사(이하 "기업")와 종속기업인 이에스알켄달스퀘어에셋1호위탁관리부동산투자회사 주식회사, 이에스알켄달스퀘어에셋2호위탁관리부동산투자회사 주식회사(이하 일괄하여 "연결기업")를 연결대상으로 하여 연결재무제표를 작성하였습니다.(1) 지배기업의 개요 이에스알켄달스퀘어위탁관리부동산투자회사 주식회사는 부동산투자회사법에 의해 설립된 위탁관리부동산투자회사로서 2020년 2월 20일에 설립되어, 2020년 8월 24일 대한민국 국토교통부의 영업인가 승인을 받았습니다. 기업의 주요 사업목적은 부동산의 취득ㆍ관리ㆍ개량 및 처분, 부동산의 개발, 부동산의 임대차 증권의 매매등의방법으로 자산을 투자ㆍ운용하여 얻은 수익을 주주에게 배당하는 것입니다. 기업의 본점 소재지는 서울특별시 영등포구 국제금융로 10, 35층 (여의도동, 쓰리아이에프씨) 입니다.보고기간말 현재 지배기업의 주주현황은 다음과 같습니다.
(2) 종속기업의 개요1) 종속기업의 현황당기말 및 전기말 현재 연결대상 종속기업의 현황은 다음과 같습니다.
2) 종속기업 관련 재무정보 요약보고기간말 종료일 현재 연결대상 종속기업의 재무정보 요약은 다음과 같습니다.① 당기
② 전기
|
2.1 재무제표 작성기준 연결기업의 연결재무제표는 '주식회사 등의 외부감사에 관한 법률'에 따라 제정된 한국채택국제회계기준(이하 기업회계기준)에 따라 작성되었습니다.연결재무제표는 다음을 제외하고는 역사적 원가에 기초하여 작성하였습니다.
한국채택국제회계기준은 재무제표 작성 시 중요한 회계추정의 사용을 허용하고 있으며, 회계정책을 적용함에 있어 경영진의 판단을 요구하고 있습니다. 보다 복잡하고 높은 수준의 판단이 필요한 부분이나 중요한 가정 및 추정이 필요한 부분은 주석3에서 설명하고 있습니다. 2.2 회계정책2.2.1 연결재무제표 ① 종속기업종속기업은 경제활동에서 효익을 얻기 위하여 지배기업이 재무정책과 영업정책을 결정할 수 있는 지배력을 행사하는 기업입니다. 종속기업에 대한 지배여부를 평가하는데 있어 행사 또는 전환이 가능한 잠재적 의결권의 존재와 영향도 고려하고 있습니 다. 종속기업의 재무제표는 지배력을 획득한 시점부터 지배력을 상실하는 시점까지 연결재무제표에 포함되어 있습니다. 연결기업을 구성하는 기업이 유사한 상황에서 발생한 동일한 거래와 사건에 대하여 연결재무제표에서 채택한 회계정책과 다른 회계정책을 사용한 경우에는 그 재무제표를 적절히 수정하여 연결재무제표를 작성하고 있습니다. ② 내부거래제거연결기업 내의 거래, 이와 관련된 잔액, 수익과 비용, 미실현손익은 연결재무제표 작성시 모두 제거하고 있습니다. 연결기업의 내부거래에서 발생한 미실현손실이 연결재무제표에서 인식해야 하는 자산손상의 징후일 경우 당기손실로 인식하고 있습니 다. ③ 비지배지분종속기업의 지분 중 지배기업에게 귀속되지 않는 비지배지분은 지배기업의 소유주 지분과는 구분하여 표시하고 있습니다. 당기순이익과 기타포괄손익의 각 구성요소는지배기업의 소유주와 비지배지분에 귀속되며, 비지배지분이 부(-)의 잔액이 되더라도 총포괄손익은 지배기업의 소유주와 비지배지분에 귀속시키고 있습니다.④ 지배기업의 종속기업 소유지분 변동지배력을 상실하지 않는 종속기업에 대한 지배기업의 소유지분 변동은 자본거래로 회계처리하고 있습니다. 이러한 상황에서 지배지분과 비지배지분의 장부금액은 종속기업에 대한 상대적 지분변동을 반영하여 조정하고 있습니다. 비지배지분의 조정금액과 지급하거나 수취한 대가의 공정가치의 차이는 자본으로 직접 인식하고 지배기업의 소유주에게 귀속시키고 있습니다. ⑤ 관계기업관계기업은 연결기업이 유의적 영향력을 행사할 수는 있으나 지배력은 없는 기업입니다. 관계기업 투자지분은 최초에 취득원가로 인식하며 지분법을 적용하여 회계처리합니다. 연결기업과 관계기업 간의 거래에서 발생한 미실현이익은 연결기업의 관계기업에 대한 지분에 해당하는 부분만큼 제거됩니다. 관계기업의 손실 중 연결기업의 지분이 관계기업에 대한 투자지분(순투자의 일부를 구성하는 장기투자지분 포함)과 같거나 초과하는 경우에는 지분법 적용을 중지합니다. 단, 연결기업의 지분이 영(0)으로 감소된 이후 추가 손실분에 대하여 연결기업에 법적ㆍ의제의무가 있거나 관계기업을 대신하여 지급하여야 하는 경우 그 금액까지만 손실과 부채로 인식합니다. 또한 관계기업 투자에 대한 객관적인 손상의 징후가 있는 경우 관계기업 투자의 회수가능액과 장부금액과의 차이는 손상차손으로 인식됩니다. 연결기업은 지분법을 적용하기 위하여 관계기업의 재무제표를 이용할 때, 유사한 상황에서 발생한 동일한 거래나 사건에 대하여 연결기업이 적용하는 회계정책과 동일한 회계정책이 적용되었는지검토하여 필요한 경우 관계기업의 재무제표를 조정합니다. 2.2.2 현금및현금성자산연결재무상태표 상의 현금및현금성자산은 단기의 현금 수요를 충족하기 위한 목적으로 보유하고 확정된 금액의 현금으로 전환이 용이하고, 가치변동의 위험이 경미하며 보통예금과 소액현금 및 취득당시 만기가 3개월 이내의 단기성 예금으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2.2.3 금융상품 - 최초 인식과 후속 측정 (1) 금융자산최초 인식과 측정금융자산은 최초 인식 시점에 후속적으로 상각후원가로 측정되는 금융자산, 기타포괄손익-공정가치 측정 금융자산, 그리고 당기손익-공정가치 측정 금융자산으로 분류됩니다. 최초 인식 시점에 금융자산의 분류는 금융자산의 계약상 현금흐름 특성과 금융자산을 관리하기 위한 연결기업의 사업모형에 따라 달라집니다. 유의적인 금융요소가 포함되지 않거나 실무적 간편법을 적용하는 매출채권을 제외하고는, 연결기업은 금융자산을 최초에 공정가치로 측정하며, 당기손익-공정가치로 측정하는 금융자산의 경우가 아니라면 거래원가를 가감합니다. 유의적인 금융요소가 포함되지 않거나 실무적 간편법을 적용하는 매출 채권은 기업회계기준서 제1115호에 따라 결정된 거래가격으로 측정합니다.금융자산을 상각후원가 또는 기타포괄손익-공정가치로 분류하고 측정하기 위해서는현금흐름이 원리금만으로 구성(SPPI)되어야 합니다. 이 평가는 SPPI 테스트라고 하며, 개별 상품 수준에서 수행됩니다. SPPI가 아닌 현금흐름으로 구성된 금융자산은 사업모형에 관계 없이 당기손익-공정가치로 분류 및 측정됩니다. 금융자산의 관리를 위한 기업의 사업모형은 현금흐름을 발생시키기 위해 금융자산을관리하는 방법과 관련됩니다. 사업모형은 현금흐름의 원천이 금융자산의 계약상 현금흐름의 수취인지, 매도인지 또는 둘 다 인지를 결정합니다. 상각후원가로 분류 및 측정되는 금융자산은 계약상 현금흐름을 수취하기 위해 금융자산을 보유하는 것이 목적인 사업모형에 포함되지만 기타포괄손익-공정가치로 분류 및 측정되는 금융자산은 계약상 현금흐름을 수취와 매도 둘 다를 목적으로 하는 사업모형에 포함됩니다.시장의 합의나 규제에 의해 설정된 기간 프레임 내에서 금융자산을 이전하는 것이 요구되는 금융자산의 매입 또는 매도(정형화된 거래)는 거래일에 인식됩니다. 즉, 연결기업이 금융자산을 매입하거나 매도하기로 약정한 날을 의미합니다. 후속 측정후속 측정을 위해 금융자산은 아래 네 가지의 범주로 분류됩니다. - 상각후원가 측정 금융자산 (채무상품)- 누적 손익을 당기손익으로 재순환하는 기타포괄손익-공정가치 측정 금융자산 (채무상품) - 제거시 누적 손익을 당기손익으로 재순환하지 않는 기타포괄손익-공정가치 측정 금융자산 (지분상품)- 당기손익-공정가치 측정 금융자산 상각후원가 측정 금융자산 (채무상품) 상각후원가 측정 금융자산은 후속적으로 유효이자율(EIR)법을 사용하여 측정되며, 손상을 인식합니다. 자산의 제거, 변경 또는 손상에서 발생하는 이익과 손실은 당기손익으로 인식됩니다. 연결기업의 상각후원가 측정 금융자산은 매출채권과 기타 비유동 금융자산에 포함된관계기업 대여금, 임원 대여금을 포함합니다. 기타포괄손익-공정가치 측정 금융자산 (채무상품) 기타포괄손익-공정가치 측정 채무상품에서, 이자수익, 외화환산손익, 그리고 손상 또는 환입은 상각후원가 측정 금융자산과 동일한 방법으로 계산되어 당기손익으로 인식됩니다. 나머지 공정가치 변동부분은 기타포괄손익으로 인식됩니다. 금융자산의제거 시, 기타포괄손익으로 인식한 공정가치 누적 변동분은 당기손익으로 재순환됩니다. 연결기업의 기타포괄손익-공정가치 측정 채무상품은 비유동자산으로 분류되는 채무상품에 포함됩니다. 기타포괄손익-공정가치 측정 금융자산 (지분상품)최초 인식 시점에, 기업은 기업회계기준서 제1032호 '금융상품 표시'에서의 자본의 정의를 충족하고 투자 목적으로 보유하고 있지 않은 지분상품을 기타포괄손익-공정가치로 측정하도록 하는 취소 불가능한 선택을 할 수 있습니다. 이러한 분류는 개별 상품별로 결정됩니다.이러한 금융자산에서 발생하는 손익은 당기손익으로 재순환되지 않습니다. 배당은 연결기업이 배당을 받을 권리가 확정되었을 때 손익계산서에 기타수익으로 인식되나, 금융자산의 원가 중 일부를 회수하여 이익을 얻는 경우에는 기타포괄손익으로 처리됩니다. 기타포괄손익-공정가치 측정 지분상품은 손상을 인식하지 않습니다.연결기업은 비상장지분상품에 대해서도 취소불가능한 선택을 할 수 있습니다. 당기손익-공정가치 측정 금융자산당기손익-공정가치 측정 금융자산은 재무상태표에 공정가치로 표시되며, 공정가치의 순변동은 손익계산서에서 당기손익으로 인식됩니다. 이 범주는 파생상품과 공정가치의 변동을 기타포괄손익으로 처리하는 취소 불가능한선택을 하지 않은 상장 지분 상품을 포함합니다. 상장 지분 상품에 대한 배당은 권리가 확정된 시점에 당기손익으로 인식합니다. 주계약이 금융부채 또는 비금융계약인 복합계약에 내재된 파생상품은 경제적인 특성과 위험이 주계약에 밀접하게 관련되지 않고, 내재파생상품과 동일한 조건인 별도의 상품이 파생상품의 정의를 충족하며, 복합계약이 당기손익-공정가치로 측정되지 않는다면 주계약으로부터 분리하여 별도의 파생상품으로 회계처리합니다. 내재파생상품은 공정가치로 측정하고 공정가치의 변동을 당기손익으로 인식합니다. 현금흐름을유의적으로 변경시키는 계약 조건의 변경이 있거나 당기손익-공정가치 측정 범주에 해당하지 않게 되는 경우에만 재평가가 발생합니다. 제거금융자산(또는, 금융자산의 일부 또는 비슷한 금융자산의 집합의 일부)은 다음과 같은 상황에서 우선적으로 제거됩니다. - 금융자산의 현금흐름을 수취할 권리가 소멸되거나 - 연결기업이 금융자산의 현금흐름을 수취할 권리를 양도하거나 양도(pass-through) 계약에 따라 수취한 현금흐름 전체를 중요한 지체없이 제3자에게 지급할 의무가 있습니다. 이 경우에 연결기업은 금융자산의 보유에 따른 위험과 보상의 대부분을 이전하거나 금융자산의 보유에 따른 위험과 보상의 대부분을 이전하지도 보유하지도 않으나 자산에 대한 통제를 이전연결기업이 금융자산의 현금흐름을 수취할 권리를 이전하거나 양도(pass-through) 계약을 체결할 때, 자산을 소유함에 따른 위험과 보상을 유지하는지를 평가합니다. 기업이 금융자산의 위험과 보상의 대부분을 보유하지도 이전하지도 않았다면, 해당 금융자산에 지속적으로 관여하는 정도까지 그 금융자산을 계속 인식합니다. 이 경우에, 연결기업은 관련된 부채를 인식합니다. 양도된 자산과 관련된 부채는 연결기업이보유한 권리와 의무를 반영하여 측정합니다. 보증을 제공하는 형태인 지속적 관여는, 양도된 자산의 장부금액과 수취한 대가 중 상환을 요구받을 수 있는 최대 금액 중 낮은 금액으로 측정됩니다. (2) 금융부채 최초 인식과 측정금융부채는 최초 인식 시점에 당기손익-공정가치 측정 금융부채, 차입부채, 미지급금 또는 효과적인 위험회피 수단으로 지정된 파생상품으로 적절하게 분류됩니다.모든 금융부채는 최초에 공정가치로 인식되고, 차입부채의 경우에는 직접 관련된 거래원가를 차감합니다. 연결기업의 금융부채는 매입부채와 기타 미지급금, 당좌차월을 포함한 차입부채와 파생상품부채를 포함합니다. 후속 측정금융부채의 측정은 아래에서 언급된 분류에 따릅니다. - 당기손익-공정가치 측정 금융부채- 상각후원가 측정 금융부채 (차입부채) 당기손익-공정가치 측정 금융부채당기손익-공정가치 측정 금융부채는 단기매매금융부채와 최초 인식 시점에 당기손익-공정가치로 측정하도록 지정된 금융부채를 포함합니다. 금융부채가 단기간 내에 재매입할 목적으로 발생한 경우에는 단기매매항목으로 분류됩니다. 이 범주는 또한 기업회계기준서 제1109호에서 정의된 위험회피관계에 있는 위험회피 수단으로 지정되지 않은 파생상품을 포함합니다. 또한 분리된 내재파생상품은 위험회피에 효과적인 수단으로 지정되지 않았다면 단기매매항목으로 분류됩니다. 단기매매항목인 금융부채에서 발생하는 손익은 당기손익으로 인식됩니다. 당기손익-공정가치 항목으로 지정된 금융부채는 기업회계기준서 제1109호의 기준을 충족하는 경우에 최초 인식 시점에만 지정됩니다. 기업은 어떤 금융부채도 당기손익-공정가치 항목으로 지정하지 않았습니다. 상각후원가 측정 금융부채 (차입부채) 최초 인식 이후에, 이자부 차입부채는 후속적으로 유효이자율법을 사용하여 상각후원가로 측정됩니다. 부채가 제거되거나 유효이자율 상각 절차에 따라 발생하는 손익은 당기손익으로 인식됩니다. 상각후원가는 유효이자율의 필수적인 부분인 수수료나 원가에 대한 할인이나 할증액을 고려하여 계산됩니다. 유효이자율 상각은 손익계산서의 금융원가에 포함되어 있습니다. 제거금융부채는 지급 의무의 이행, 취소, 또는 만료된 경우에 제거됩니다. 기존 금융부채가 대여자는 동일하지만 조건이 실질적으로 다른 금융부채에 의해 교환되거나, 기존 부채의 조건이 실질적으로 변경된 경우에, 이러한 교환이나 변경은 최초의 부채를 제거하고 새로운 부채를 인식하게 합니다. 각 장부금액의 차이는 당기손익으로 인식합니다. (3) 금융상품의 상계금융자산과 금융부채는 인식한 자산과 부채에 대해 법적으로 집행 가능한 상계 권리를 현재 가지고 있거나, 차액으로 결제하거나 자산을 실현하는 동시에 부채를 결제할의도가 있는 경우에 연결재무상태표에서 상계하여 순액으로 표시됩니다. 2.2.4 비금융자산의 손상연결기업은 비금융자산에 대해서는 매 보고기간말마다 자산손상을 시사하는 징후가 있는지를 검토하며, 만약 그러한 징후가 있다면 당해 자산의 회수가능액을 추정하고 있습니다. 회수가능액은 개별 자산별로 또는 개별자산의 회수가능액을 추정할 수 없다며 그 자산이 속하는 현금흐름창출단위별로 회수가능액을 추정하고 있습니다. 회수가능액은 사용가치와 순공정가치 중 큰 금액으로 결정하고 있습니다. 사용가치는 자산이나 현금창출단위에서 창출될 것으로 기대되는 미래현금흐름을 화폐의 시간가치 및 미래현금흐름을 추정할 때 조정되지 아니한 자산의 특유위험에 대한 현행 시장의 평가를 반영한 적절한 할인율로 할인하여 추정합니다.자산이나 현금창출단위의 회수가능액이 장부금액에 미달하는 경우 자산의 장부금액을 감소시키며 즉시 당기손익으로 인식하고 있습니다. 2.2.5 유형자산 유형자산은 원가에서 감가상각누계액과 손상차손누계액을 차감하여 표시됩니다. 역사적 원가는 자산의 취득에 직접적으로 관련된 지출을 포함합니다. 연결기업의 유형자산은 비품으로 추정 경제적 내용연수(5년)동안 정액법으로 상각됩니다. 유형자산의 감가상각방법과 잔존가치 및 경제적 내용연수는 매 회계연도 말에 재검토되고 필요한 경우 추정의 변경으로 조정됩니다. 2.2.6 투자부동산임대수익이나 시세차익 또는 두 가지 모두를 얻기 위하여 보유하고 있는 부동산은 투자부동산으로 분류하고 있습니다. 투자부동산은 취득시 발생한 거래원가를 포함하여최초 인식시점에 원가로 측정하며, 최초 인식 후에 원가에서 감가상각누계액과 손상차손누계액을 차감한 금액을 장부금액으로 표시하고 있습니다.후속원가는 자산으로부터 발생하는 미래 경제적 효익이 유입될 가능성이 높으며, 그 원가를 신뢰성 있게 측정할 수 있는 경우에 한하여 자산의 장부금액에 포함하거나 적절한 경우 별도의 자산으로 인식하고 있으며, 후속지출에 의해 대체된 부분의 장부금액은 제거하고 있습니다. 한편, 일상적인 수선 및 유지와 관련하여 발생하는 원가는 발생시점에 당기손익으로 인식하고 있습니다. 투자부동산 중 토지에 대해서는 감가상각을 하지 않으며, 투자부동산 중 토지를 제외한 투자부동산(자본적 지출 포함)은 추정 경제적 내용연수(5년~50년)동안 정액법으로 상각됩니다.투자부동산의 감가상각방법, 잔존가치 및 내용연수는 매 보고기간말에 재검토하고 이를 변경하는 것이 적절하다고 판단되는 경우 회계추정의 변경으로 회계처리하고 있습니다. 2.2.7 차입원가
적격자산을 취득 또는 건설하는데 발생한 차입원가는 해당 자산을 의도된 용도로 사용할 수 있도록 준비하는 기간 동안 자본화되고, 적격자산을 취득하기 위한 특정목적차입금의 일시적 운용에서 발생한 투자수익은 당 회계기간 동안 자본화 가능한 차입원가에서 차감됩니다. 기타 차입원가는 발생기간에 비용으로 인식됩니다. 2.2.8 납입자본보통주는 자본으로 분류하며 자본거래에 직접 관련되어 발생하는 증분원가는 세금효과를 반영한 순액으로 자본에서 차감하고 있습니다. 2.2.9 수익투자부동산으로부터의 임대수익은 리스기간에 걸쳐 정액기준으로 인식하고 있습니다. 해당 용역은 기준서 제1116호 '리스'에 해당하여 기준서 제1115호 '고객과의 계약에서 생기는 수익' 기준서의 적용대상이 아니며 수행의무가 식별될 용역은 없습니다. 2.2.10 금융수익과 비용금융수익은 이자수익으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이자수익은 기간의 경과에 따라 유효이자율법을 적용하여 당기손익으로 인식하고 있습니다. 금융비용은 이자비용으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이자비용은 기간의 경과에 따라 유효이자율법을 적용하여 당기손익으로 인식하고 있습니다. 2.2.11 법인세법인세비용은 당기법인세와 이연법인세로 구성되어 있으며, 기타포괄손익이나 자본에 직접 인식되는 거래나 사건 또는 사업결합에서 발생하는 세액을 제외하고는 당기 손익으로 인식하고 있습니다.연결기업은 법인세법 제51조의 2 유동화전문회사 등에 대한 소득공제조항에 의해 대통령령이 정하는 배당가능이익의 100분의 90이상을 배당할 경우에는 그 금액을 당해 사업연도의 소득금액 계산시 공제할 수 있는 바, 실질적으로 연결기업이 부담할 법인세 등은 없으므로 당기법인세는 발생하지 않았습니다. 2.2.12 재무제표 승인연결기업의 재무제표는 2025년 7월 15일자로 이사회에서 승인됐으며, 2025년 8월 27일 주주총회에서 확정될 예정입니다. 2.2.13 제ㆍ개정된 기준서의 적용 연결기업은 2024년 12월 1일 이후 최초로 시작되는 회계연도에 시행되는 기준서와 개정 사항을 최초 적용하였습니다. 기업은 공표되었으나 시행되지 않은 기준서, 해석서, 개정사항을 조기적용한 바 없습니다. (1) 기업회계기준서 제1021호 '환율변동효과' 개정 - 교환가능성 결여기업이 다른 통화와의 교환가능성을 평가하는 방법과 교환 가능성 결여 시 현물환율을 결정하는 방법을 명확히 하기 위해 기업회계기준서 제1021호 '환율변동효과'가 개정되었습니다. 또한 이 개정사항은 교환가능성이 결여된 통화가 기업의 재무성과, 재무상태 및 현금흐름에 어떻게 영향을 미치는지 또는 영향을 미칠 것으로 예상되는지를 재무제표 이용자가 이해할 수 있는 정보를 공시하도록 요구합니다. 해당 기준서의 개정이 연결재무제표에 미치는 중요한 영향은 없습니다. 2.2.14 연결기업이 적용하지 않은 제ㆍ개정 기준서 및 해석서 제ㆍ개정 또는 공표되었으나 시행일이 도래하지 않아 적용하지 아니한 제ㆍ개정 기준서 및 해석서는 다음과 같습니다. (1) 기업회계기준서 제1109호 '금융상품', 제1107호 '금융상품: 공시' 개정 실무에서 제기된 의문에 대응하고 새로운 요구사항을 포함하기 위해 기업회계기준서제1109호 '금융상품'과 제1107호 '금융상품: 공시'가 개정되었습니다. 동 개정사항은 2026 년 1월 1일 이후 시작하는 회계연도부터 적용되며, 조기적용이 허용됩니다. 주요 개정내용은 다음과 같습니다. ·특정 기준을 충족하는 경우, 결제일 전에 전자지급시스템을 통해 금융부채가 결제 된 것으로(제거된 것으로) 간주할 수 있도록 허용 ·금융자산이 원리금 지급만으로 구성되어 있는지의 기준을 충족하는지 평가하기 위 한 추가 지침을 명확히 하고 추가함. ·계약상 현금흐름의 시기나 금액을 변경시키는 계약조건이 기업에 미치는 영향과 기업이 노출되는 정도를 금융상품의 각 종류별로 공시 ·FVOCI 지정 지분상품에 대한 추가 공시 (2) 한국채택국제회계기준 연차개선 Volume 11 한국채택국제회계기준 연차개선 Volume 11은 2026년 1월 1일 이후 시작하는 회계연도부터 적용되며, 조기적용이 허용됩니다. 연결기업은 동 개정으로 인해 연결재무제표에 중요한 영향은 없을 것으로 예상하고 있습니다. ·기업회계기준서 제1101호 '한국채택국제회계기준의 최초채택' : K-IFRS 최초 채 택시 위험회피회계 적용 ·기업회계기준서 제1107호 '금융상품:공시' : 제거 손익, 실무적용지침 ·기업회계기준서 제1109호 '금융상품' : 리스부채의 제거 회계처리와 거래가격의 정의 ·기업회계기준서 제1110호 '연결재무제표' : 사실상의 대리인 결정 ·기업회계기준서 제1007호 '현금흐름표' : 원가법 |
연결재무제표 작성에는 미래에 대한 가정 및 추정이 요구되며 경영진은 연결기업의 회계정책을 적용하기 위해 판단이 요구됩니다. 추정 및 가정은 지속적으로 평가되며,과거 경험과 현재의 상황에 비추어 합리적으로 예측가능한 미래의 사건을 고려하여 이루어집니다. 회계추정의 결과가 실제 결과와 동일한 경우는 드물 것이므로 중요한 조정을 유발할 수 있는 유의적인 위험을 내포하고 있습니다. 다음 회계연도에 자산 및 부채 장부금액의 조정에 영향을 미칠 수 있는 경영진 판단과 유의적 위험에 대한 추정 및 가정은 다음과 같습니다. 일부 항목에 대한 유의적인 판단 및 추정에 대한 추가적인 정보는 개별 주석에 포함되어 있습니다.(1) 투자부동산의 공정가치연결기업은 투자부동산의 공정가치를 추정하기 위해 시장에서 관측가능하지 않은 투입변수를 포함하는 평가기법을 사용하였습니다. |
공시금액 |
|
---|---|
공시금액 |
|
---|---|
사용제한 예치금 |
|
---|---|
사용제한 예치금 |
|
---|---|
총장부금액 |
대손충당금 |
장부금액 합계 |
|
---|---|---|---|
총장부금액 |
대손충당금 |
장부금액 합계 |
|
---|---|---|---|
공시금액 |
|
---|---|
공시금액 |
|
---|---|
당기말 및 전기말 현재 관계기업투자의 내역은 다음과 같습니다.① 당기말
(*1) 상기 수익증권은 지분율이 50%를 초과하나, 신탁형 수익증권으로 자본시장법 및 신탁계약서에 따라서 실질지배력이 없다고 판단되어 관계기업으로 분류하였습니다. ② 전기말
(*1) 상기 수익증권은 지분율이 50%를 초과하나, 신탁형 수익증권으로 자본시장법 및 신탁계약서에 따라서 실질지배력이 없다고 판단되어 관계기업으로 분류하였습니다. |
투자부동산 |
||||
---|---|---|---|---|
투자부동산 |
||||
---|---|---|---|---|
취득원가 |
감가상각누계액 |
장부금액 합계 |
|
---|---|---|---|
취득원가 |
감가상각누계액 |
장부금액 합계 |
|
---|---|---|---|
토지 |
건물 |
자산 합계 |
|
---|---|---|---|
토지 |
건물 |
자산 합계 |
|
---|---|---|---|
공시금액 |
|
---|---|
공시금액 |
|
---|---|
투자부동산 |
주소 |
투자부동산 공정가치에 대한 설명 |
공정가치측정에 사용된 평가기법에 대한 기술, 자산 |
투자부동산의 공정가치가 독립된 평가인의 가치평가에 근거한 정도에 대한 기술 |
|||||||
---|---|---|---|---|---|---|---|---|---|---|---|
투자부동산 |
|||||
---|---|---|---|---|---|
담보로 제공한 투자부동산 |
대출약정액 |
채권최고액(120%) |
||||
---|---|---|---|---|---|---|
공시금액 |
|
---|---|
총장부금액 |
현재가치할인차금 |
장부금액 합계 |
|
---|---|---|---|
총장부금액 |
현재가치할인차금 |
장부금액 합계 |
|
---|---|---|---|
공시금액 |
|
---|---|
공시금액 |
|
---|---|
연이자율 |
차입금, 기준이자율 |
차입금, 기준이자율 조정 |
만기 |
유동 차입금(사채 포함) |
비유동차입금(사채 포함)의 유동성 대체 부분과 비유동차입금(사채 포함)의 비유동성 부분 |
유동성대체 |
비유동차입금(사채 포함)의 비유동성 부분 |
담보를 제공하는 자산에 대한 설명 |
변동이자율 조정에 대한 설명 |
||||
---|---|---|---|---|---|---|---|---|---|---|---|---|---|
연이자율 |
차입금, 기준이자율 |
차입금, 기준이자율 조정 |
만기 |
유동 차입금(사채 포함) |
비유동차입금(사채 포함)의 유동성 대체 부분과 비유동차입금(사채 포함)의 비유동성 부분 |
유동성대체 |
비유동차입금(사채 포함)의 비유동성 부분 |
담보를 제공하는 자산에 대한 설명 |
변동이자율 조정에 대한 설명 |
||||
---|---|---|---|---|---|---|---|---|---|---|---|---|---|
발행할 주식의 총수(주) |
발행주식 수(주) |
1주당 금액 |
자본금 |
||
---|---|---|---|---|---|
공시금액 |
|
---|---|
공시금액 |
|
---|---|
보통주 |
|
---|---|
보통주 |
|
---|---|
공시금액 |
|
---|---|
공시금액 |
|
---|---|
보통주 |
|
---|---|
보통주 |
|
---|---|
공시금액 |
|
---|---|
보통주 |
|
---|---|
보통주 |
|
---|---|
공시금액 |
|
---|---|
공시금액 |
|
---|---|
받게 될 할인되지 않은 운용 리스료 |
||
---|---|---|
받게 될 할인되지 않은 운용 리스료 |
||
---|---|---|
공시금액 |
|
---|---|
공시금액 |
|
---|---|
공시금액 |
|
---|---|
공시금액 |
|
---|---|
공시금액 |
|
---|---|
공시금액 |
|
---|---|
공시금액 |
|
---|---|
공시금액 |
|
---|---|
위험 |
위험 합계 |
|||||
---|---|---|---|---|---|---|
시장위험 |
신용위험 |
유동성위험 |
||||
이자율위험 |
환위험 |
기타 가격위험 |
||||
위험 |
|
---|---|
시장위험 |
|
이자율위험 |
|
위험 |
|
---|---|
시장위험 |
|
이자율위험 |
|
합계 |
||
---|---|---|
합계 |
||
---|---|---|
1년 이내 |
1년 초과 2년 이내 |
2년 초과 5년 이내 |
5년 초과 |
합계 구간 합계 |
|
---|---|---|---|---|---|
1년 이내 |
1년 초과 2년 이내 |
2년 초과 5년 이내 |
5년 초과 |
합계 구간 합계 |
|
---|---|---|---|---|---|
금융자산, 장부가치 |
금융자산, 공정가치 |
||
---|---|---|---|
금융자산, 장부가치 |
금융자산, 공정가치 |
||
---|---|---|---|
금융부채, 장부가치 |
금융부채, 공정가치 |
||
---|---|---|---|
금융부채, 장부가치 |
금융부채, 공정가치 |
||
---|---|---|---|
상각후원가측정금융자산 |
상각후원가측정금융부채 |
|
---|---|---|
상각후원가측정금융자산 |
상각후원가측정금융부채 |
|
---|---|---|
공시금액 |
|
---|---|
공시금액 |
|
---|---|
기초 |
재무현금흐름 |
비금융 변동 |
기말 |
현금및현금성자산의 사용을 수반하지 않는 재무활동 거래에 대한 설명 |
||
---|---|---|---|---|---|---|
기초 |
재무현금흐름 |
비금융 변동 |
기말 |
현금및현금성자산의 사용을 수반하지 않는 재무활동 거래에 대한 설명 |
||
---|---|---|---|---|---|---|
(1) 당기말 및 전기말 현재 연결기업의 특수관계자 현황은 다음과 같습니다.
|
전체 특수관계자 |
|
---|---|
특수관계자 |
|
그 밖의 특수관계자 |
|
켄달스퀘어리츠운용㈜ |
|
전체 특수관계자 |
|
---|---|
특수관계자 |
|
그 밖의 특수관계자 |
|
켄달스퀘어리츠운용㈜ |
|
전체 특수관계자 |
|
---|---|
그 밖의 특수관계자 |
|
켄달스퀘어리츠운용㈜ |
|
전체 특수관계자 |
|
---|---|
그 밖의 특수관계자 |
|
켄달스퀘어리츠운용㈜ |
|
채무액, 특수관계자거래 |
|||
---|---|---|---|
채무액, 특수관계자거래 |
|||
---|---|---|---|
배당금수령 |
배당금지급 |
|||
---|---|---|---|---|
배당금수령 |
배당금지급 |
|||
---|---|---|---|---|
공시금액 |
|
---|---|
공시금액 |
|
---|---|
영업부문 |
|
---|---|
매출액의 10% 이상을 차지하는 외부고객 |
|
---|---|
매출액의 10% 이상을 차지하는 외부고객 |
|
---|---|
약정의 유형 |
|
---|---|
자산관리위탁계약 |
|
거래상대방 |
|
켄달스퀘어리츠운용㈜ |
|
약정의 유형 |
|
---|---|
일반사무수탁계약 |
|
거래상대방 |
|
신한펀드파트너스 |
|
약정의 유형 |
|||
---|---|---|---|
자산보관위탁계약 |
|||
거래상대방 |
|||
NH투자증권 |
우리은행 |
KB부동산신탁 |
|
피담보채무금액 |
수익한도금액 |
||||||
---|---|---|---|---|---|---|---|
대출약정액 |
실행액 |
|||||
---|---|---|---|---|---|---|
장부가액 |
우발부채의 추정재무영향 |
금융기관 |
담보로 제공된 자산에 대한 설명 |
|||||||
---|---|---|---|---|---|---|---|---|---|---|
지급보증의 구분 |
||
---|---|---|
제공받은 지급보증 |
||
개발행위허가보증 |
원상복구비 지급보증 |
|
수정을 요하지 않는 보고기간 후 사건 |
|||
---|---|---|---|
주요한 보통주 거래 |
주요 사업결합 |
||
주요한 보통주 거래1 |
주요한 보통주 거래2 |
||
제 11 기 |
제 10 기 |
제 9 기 |
|
---|---|---|---|
제 11 기 |
제 10 기 |
제 9 기 |
|
---|---|---|---|
자본 |
||||
---|---|---|---|---|
자본금 |
기타불입자본 |
이익잉여금 |
자본 합계 |
|
제 11 기 |
제 10 기 |
제 9 기 |
|
---|---|---|---|
이에스알켄달스퀘어위탁관리부동산투자회사 주식회사(이하 "기업")는 부동산투자회사법에 의해 설립된 위탁관리부동산투자회사로서 2020년 2월 20일에 설립되어, 2020년 8월 24일 대한민국 국토교통부의 영업인가 승인을 받았습니다. 기업의 주요 사업목적은 부동산의 취득ㆍ관리ㆍ개량 및 처분, 부동산의 개발, 부동산의 임대차 증권의 매매등의 방법으로 자산을 투자ㆍ운용하여 얻은 수익을 주주에게 배당하는 것입니다. 기업의 본점 소재지는 서울특별시 영등포구 국제금융로 10, 35층(여의도동, 쓰리아이에프씨)입니다.보고기간말 현재 기업의 주주현황은 다음과 같습니다.
|
2.1 재무제표 작성기준 기업의 재무제표는 '주식회사 등의 외부감사에 관한 법률'에 따라 제정된 한국채택국제회계기준(이하 기업회계기준)에 따라 작성되었습니다. 재무제표는 다음을 제외하고는 역사적 원가에 기초하여 작성하였습니다.
한국채택국제회계기준은 재무제표 작성 시 중요한 회계추정의 사용을 허용하고 있으며, 회계정책을 적용함에 있어 경영진의 판단을 요구하고 있습니다. 보다 복잡하고 높은 수준의 판단이 필요한 부분이나 중요한 가정 및 추정이 필요한 부분은 주석3에서 설명하고 있습니다. 2.2 회계정책 2.2.1 현금및현금성자산재무상태표 상의 현금및현금성자산은 단기의 현금 수요를 충족하기 위한 목적으로 보유하고 확정된 금액의 현금으로 전환이 용이하고, 가치 변동의 위험이 경미하며 보통예금과 소액현금 및 취득 당시 만기가 3개월 이내의 단기성 예금으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2.2.2 종속기업과 관계기업기업의 재무제표는 기업회계기준서 제1027호에 따른 별도재무제표로서 종속기업, 관계기업의 투자자는 투자자산을 피투자자의 보고된 성과와 순자산에 근거하지 않고직접적인 지분 투자에 근거한 회계처리로 표시한 재무제표입니다. 기업은 종속기업, 관계기업에 대한 투자자산을 기업회계기준서 제1027호에 따른 원가법에 따라 회계처리하고 있습니다. 종속기업, 관계기업으로부터의 배당금은 배당을 받을 권리가 확정되는 시점에 당기손익으로 인식하고 있습니다. 2.2.3 금융상품 - 최초 인식과 후속 측정 (1) 금융자산최초 인식과 측정금융자산은 최초 인식 시점에 후속적으로 상각후원가로 측정되는 금융자산, 기타포괄손익 -공정가치 측정 금융자산, 그리고 당기손익-공정가치 측정 금융자산으로 분류됩니다.최초 인식 시점에 금융자산의 분류는 금융자산의 계약상 현금흐름 특성과 금융자산을 관리하기 위한 기업의 사업모형에 따라 달라집니다. 유의적인 금융요소가 포함되지 않거나 실무적 간편법을 적용하는 매출채권을 제외하고는, 기업은 금융자산을 최초에 공정가치로 측정하며, 당기손익-공정가치로 측정하는 금융자산의 경우가 아니라면 거래원가를 가감합니다. 유의적인 금융요소가 포함되지 않거나 실무적 간편법을 적용하는 매출 채권은 기업회계기준서 제1115호에 따라 결정된 거래가격으로 측정합니다.금융자산을 상각후원가 또는 기타포괄손익-공정가치로 분류하고 측정하기 위해서는현금 흐름이 원리금만으로 구성(SPPI)되어야 합니다. 이 평가는 SPPI 테스트라고 하며, 개별 상품 수준에서 수행됩니다. SPPI가 아닌 현금흐름으로 구성된 금융자산은 사업모형에 관계없이 당기손익-공정가치로 분류 및 측정됩니다. 금융자산의 관리를 위한 기업의 사업모형은 현금흐름을 발생시키기 위해 금융자산을관리하는 방법과 관련됩니다. 사업모형은 현금흐름의 원천이 금융자산의 계약상 현금흐름의 수취인지, 매도인지 또는 둘 다 인지를 결정합니다. 상각후원가로 분류 및 측정되는 금융자산은 계약상 현금흐름을 수취하기 위해 금융자산을 보유하는 것이 목적인 사업모형에 포함되지만 기타포괄손익-공정가치로 분류 및 측정되는 금융자산은 계약상 현금흐름을 수취와 매도 둘 다를 목적으로 하는 사업모형에 포함됩니다시장의 합의나 규제에 의해 설정된 기간 프레임 내에서 금융자산을 이전하는 것이 요구되는 금융자산의 매입 또는 매도(정형화된 거래)는 거래일에 인식됩니다. 즉, 기업이 금융자산을 매입하거나 매도하기로 약정한 날을 의미합니다. 후속 측정후속 측정을 위해 금융자산은 아래 네 가지의 범주로 분류됩니다. - 상각후원가 측정 금융자산 (채무상품)- 누적 손익을 당기손익으로 재순환하는 기타포괄손익-공정가치 측정 금융자산 (채무상품) - 제거시 누적 손익을 당기손익으로 재순환하지 않는 기타포괄손익-공정가치 측정 금융자산 (지분상품)- 당기손익-공정가치 측정 금융자산 상각후원가 측정 금융자산 (채무상품) 상각후원가 측정 금융자산은 후속적으로 유효이자율(EIR)법을 사용하여 측정되며, 손상을 인식합니다. 자산의 제거, 변경 또는 손상에서 발생하는 이익과 손실은 당기손익으로 인식됩니다. 기업의 상각후원가 측정 금융자산은 매출채권과 기타 비유동 금융자산에 포함된 관 계기업 대여금, 임원 대여금을 포함합니다. 기타포괄손익-공정가치 측정 금융자산 (채무상품) 기타포괄손익-공정가치 측정 채무상품에서, 이자수익, 외화환산손익, 그리고 손상 또는 환입은 상각후원가 측정 금융자산과 동일한 방법으로 계산되어 당기손익으로 인식됩니다. 나머지 공정가치 변동 부분은 기타포괄손익으로 인식됩니다. 금융자산의 제거 시, 기타포괄손익으로 인식한 공정가치 누적 변동분은 당기손익으로 재순환됩니다. 기업의 기타포괄손익-공정가치 측정 채무상품은 비유동자산으로 분류되는 채무상품에 포함됩니다. 기타포괄손익-공정가치 측정 금융자산 (지분상품)최초 인식 시점에, 기업은 기업회계기준서 제1032호 '금융상품 표시'에서의 자본의 정의를 충족하고 투자 목적으로 보유하고 있지 않은 지분상품을 기타포괄손익-공정가치로 측정하도록 하는 취소 불가능한 선택을 할 수 있습니다. 이러한 분류는 개별 상품별로 결정됩니다.이러한 금융자산에서 발생하는 손익은 당기손익으로 재순환되지 않습니다. 배당은 기업이 배당을 받을 권리가 확정되었을 때 손익계산서에 기타수익으로 인식되나, 금융자산의 원가 중 일부를 회수하여 이익을 얻는 경우에는 기타포괄손익으로 처리됩니다. 기타포 괄손익-공정가치 측정 지분상품은 손상을 인식하지 않습니다.기업은 비상장지분상품에 대해서도 취소불가능한 선택을 할 수 있습니다. 당기손익-공정가치 측정 금융자산당기손익-공정가치 측정 금융자산은 재무상태표에 공정가치로 표시되며, 공정가치의 순변동은 손익계산서에서 당기손익으로 인식됩니다. 이 범주는 파생상품과 공정가치의 변동을 기타포괄손익으로 처리하는 취소 불가능한선택을 하지 않은 상장 지분상품을 포함합니다. 상장 지분상품에 대한 배당은 권리가확정된 시점에 당기손익으로 인식합니다. 주계약이 금융부채 또는 비금융계약인 복합계약에 내재된 파생상품은 경제적인 특성과 위험이 주계약에 밀접하게 관련되지 않고, 내재파생상품과 동일한 조건인 별도의 상품이 파생상품의 정의를 충족하며, 복합계약이 당기손익-공정가치로 측정되지 않는다면 주계약으로부터 분리하여 별도의 파생상품으로 회계처리합니다. 내재파생상품은 공정가치로 측정하고 공정가치의 변동을 당기손익으로 인식합니다. 현금흐름을유의적으로 변경시키는 계약 조건의 변경이 있거나 당기손익-공정가치 측정 범주에 해당하지 않게 되는 경우에만 재평가가 발생합니다. 제거금융자산 (또는, 금융자산의 일부 또는 비슷한 금융자산의 집합의 일부)은 다음과 같은 상황에서 우선적으로 제거됩니다. - 금융자산의 현금흐름을 수취할 권리가 소멸되거나 - 기업이 금융자산의 현금흐름을 수취할 권리를 양도하거나 양도(pass-through) 계 약에 따라 수취한 현금흐름 전체를 중요한 지체 없이 제3자에게 지급할 의무가 있습 니다. 이 경우에 기업은 금융자산의 보유에 따른 위험과 보상의 대부분을 이전하거나금융자산의 보유에 따른 위험과 보상의 대부분을 이전하지도 보유하지도 않으나 자산에 대한 통제를 이전기업이 금융자산의 현금흐름을 수취할 권리를 이전하거나 양도(pass-through) 계약을 체결할 때, 자산을 소유함에 따른 위험과 보상을 유지하는지를 평가합니다. 기업이 금융자산의 위험과 보상의 대부분을 보유하지도 이전하지도 않았다면, 해당 금융자산에 지속적으로 관여하는 정도까지 그 금융자산을 계속 인식합니다. 이 경우에, 기업은 관련된 부채를 인식합니다. 양도된 자산과 관련된 부채는 기업이 보유한 권리와 의무를 반영하여 측정합니다. 보증을 제공하는 형태인 지속적 관여는, 양도된 자산의 장부금액과 수취한 대가 중 상환을 요구받을 수 있는 최대 금액 중 낮은 금액으로 측정됩니다. (2) 금융부채 최초 인식과 측정금융부채는 최초 인식 시점에 당기손익-공정가치 측정 금융부채, 차입부채, 미지급금 또는 효과적인 위험회피 수단으로 지정된 파생상품으로 적절하게 분류됩니다.모든 금융부채는 최초에 공정가치로 인식되고, 차입부채의 경우에는 직접 관련된 거래원가를 차감합니다. 기업의 금융부채는 매입부채와 기타 미지급금, 당좌차월을 포함한 차입부채와 파생상품부채를 포함합니다. 후속 측정금융부채의 측정은 아래에서 언급된 분류에 따릅니다. - 당기손익-공정가치 측정 금융부채- 상각후원가 측정 금융부채 (차입부채) 당기손익-공정가치 측정 금융부채당기손익-공정가치 측정 금융부채는 단기매매금융부채와 최초 인식 시점에 당기손익-공정 가치로 측정하도록 지정된 금융부채를 포함합니다. 금융부채가 단기간 내에 재매입할 목적으로 발생한 경우에는 단기매매항목으로 분류됩니다. 이 범주는 또한 기업회계기준서 제1109호에서 정의된 위험회피관계에 있는 위험회피 수단으로 지정되지 않은 파생상품을 포함합니다. 또한 분리된 내재파생상품은 위험회피에 효과적인 수단으로 지정되지 않았다면 단기매매항목으로 분류됩니다. 단기매매항목인 금융부채에서 발생하는 손익은 당기손익으로 인식됩니다. 당기손익-공정가치 항목으로 지정된 금융부채는 기업회계기준서 제1109호의 기준을 충족하는 경우에 최초 인식 시점에만 지정됩니다. 기업은 어떤 금융부채도 당기손익-공정가치 항목으로 지정하지 않았습니다. 상각후원가 측정 금융부채 (차입부채) 최초 인식 이후에, 이자부 차입부채는 후속적으로 유효이자율법을 사용하여 상각후원가로 측정됩니다. 부채가 제거되거나 유효이자율 상각 절차에 따라 발생하는 손익은 당기손익으로 인식됩니다. 상각후원가는 유효이자율의 필수적인 부분인 수수료나 원가에 대한 할인이나 할증액을 고려하여 계산됩니다. 유효이자율 상각은 손익계산서의 금융원가에 포함되어 있습니다. 제거금융부채는 지급 의무의 이행, 취소, 또는 만료된 경우에 제거됩니다. 기존 금융부채가 대여자는 동일하지만 조건이 실질적으로 다른 금융부채에 의해 교환되거나, 기존 부채의 조건이 실질적으로 변경된 경우에, 이러한 교환이나 변경은 최초의 부채를 제거하고 새로운 부채를 인식하게 합니다. 각 장부금액의 차이는 당기손익으로 인식합니다. (3) 금융상품의 상계금융자산과 금융부채는 인식한 자산과 부채에 대해 법적으로 집행 가능한 상계 권리를 현재 가지고 있거나, 차액으로 결제하거나 자산을 실현하는 동시에 부채를 결제할의도가 있는 경우에 재무상태표에서 상계하여 순액으로 표시됩니다. 2.2.4 비금융자산의 손상기업은 비금융자산에 대해서는 매 보고기간말마다 자산손상을 시사하는 징후가 있는지를 검토하며, 만약 그러한 징후가 있다면 당해 자산의 회수가능액을 추정하고 있습니다.회수가능액은 개별 자산별로 또는 개별자산의 회수가능액을 추정할 수 없다며 그 자산이 속하는 현금흐름창출단위별로 회수가능액을 추정하고 있습니다. 회수가능액은 사용가치와 순공정가치 중 큰 금액으로 결정하고 있습니다. 사용가치는 자산이나 현금창출단위에서 창출될 것으로 기대되는 미래현금흐름을 화폐의 시간가치 및 미래현금흐름을 추정할 때 조정되지 아니한 자산의 특유위험에 대한 현행 시장의 평가를 반영한 적절한 할인율로 할인하여 추정합니다.자산이나 현금창출단위의 회수가능액이 장부금액에 미달하는 경우 자산의 장부금액을 감소시키며 즉시 당기손익으로 인식하고 있습니다. 2.2.5 납입자본보통주는 자본으로 분류하며 자본거래에 직접 관련되어 발생하는 증분원가는 세금효과를 반영한 순액으로 자본에서 차감하고 있습니다. 2.2.6 수익종속기업과 관계기업으로 수취하는 배당금 수익은 주주로서 배당을 받을 권리가 확정되는 시점에 인식합니다. 2.2.7 금융수익과 비용금융수익은 이자수익으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이자수익은 기간의 경과에 따라 유효이자율법을 적용하여 당기손익으로 인식하고 있습니다.금융비용은 이자비용으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이자비용은 기간의 경과에 따라 유효이자율법을 적용하여 당기손익으로 인식하고 있습니다. 2.2.8 법인세법인세비용은 당기법인세와 이연법인세로 구성되어 있으며, 기타포괄손익이나 자본에 직접 인식되는 거래나 사건 또는 사업결합에서 발생하는 세액을 제외하고는 당기 손익으로 인식하고 있습니다.기업은 법인세법 제51조의 2 유동화전문회사 등에 대한 소득공제조항에 의해 대통령령이 정하는 배당가능이익의 100분의 90이상을 배당할 경우에는 그 금액을 당해 사업연도의 소득금액 계산시 공제할 수 있는 바, 실질적으로 기업이 부담할 법인세 등은 없으므로 당기법인세는 발생하지 않았습니다. 2.2.9 재무제표 승인기업의 재무제표는 2025년 7월 15일자로 이사회에서 승인됐으며, 2025년 8월 27일 주주총회에서 확정될 예정입니다. 2.2.10 제ㆍ개정된 기준서의 적용 기업은 2024년 12월 1일로 개시하는 회계기간부터 다음의 제ㆍ개정 기준서 및 해석서를 신규로 적용하였습니다. (1) 기업회계기준서 제1021호 '환율변동효과' 개정 - 교환가능성 결여기업이 다른 통화와의 교환가능성을 평가하는 방법과 교환 가능성 결여 시 현물환율을 결정하는 방법을 명확히 하기 위해 기업회계기준서 제1021호 '환율변동효과'가 개정되었습니다. 또한 이 개정사항은 교환가능성이 결여된 통화가 기업의 재무성과, 재무상태 및 현금흐름에 어떻게 영향을 미치는지 또는 영향을 미칠 것으로 예상되는지를 재무제표 이용자가 이해할 수 있는 정보를 공시하도록 요구합니다. 해당 기준서의 개정이 재무제표에 미치는 중요한 영향은 없습니다. 2.2.11 기업이 적용하지 않은 제ㆍ개정 기준서 및 해석서 제ㆍ개정 또는 공표되었으나 시행일이 도래하지 않아 적용하지 아니한 제ㆍ개정 기준서 및 해석서는 다음과 같습니다. (1) 기업회계기준서 제1109호 '금융상품', 제1107호 '금융상품: 공시' 개정 실무에서 제기된 의문에 대응하고 새로운 요구사항을 포함하기 위해 기업회계기준서제1109호 '금융상품'과 제1107호 '금융상품: 공시'가 개정되었습니다. 동 개정사항은 2026년 1월 1일 이후 시작하는 회계연도부터 적용되며, 조기적용이 허용됩니다. 주요 개정내용은 다음과 같습니다. ·특정 기준을 충족하는 경우, 결제일 전에 전자지급시스템을 통해 금융부채가 결제 된 것으로(제거된 것으로) 간주할 수 있도록 허용 ·금융자산이 원리금 지급만으로 구성되어 있는지의 기준을 충족하는지 평가하기 위 한 추가 지침을 명확히 하고 추가함. ·계약상 현금흐름의 시기나 금액을 변경시키는 계약조건이 기업에 미치는 영향과 기업이 노출되는 정도를 금융상품의 각 종류별로 공시 ·FVOCI 지정 지분상품에 대한 추가 공시 (2) 한국채택국제회계기준 연차개선 Volume 11 한국채택국제회계기준 연차개선 Volume 11은 2026년 1월 1일 이후 시작하는 회계연도부터 적용되며, 조기적용이 허용됩니다. 기업은 동 개정으로 인해 재무제표에 중요한 영향은 없을 것으로 예상하고 있습니다.
·기업회계기준서 제1101호 '한국채택국제회계기준의 최초채택' : K-IFRS 최초 채 택시 위험회피회계 적용 ·기업회계기준서 제1107호 '금융상품:공시' : 제거 손익, 실무적용지침 ·기업회계기준서 제1109호 '금융상품' : 리스부채의 제거 회계처리와 거래가격의 정의 ·기업회계기준서 제1110호 '연결재무제표' : 사실상의 대리인 결정 ·기업회계기준서 제1007호 '현금흐름표' : 원가법 |
재무제표 작성에는 미래에 대한 가정 및 추정이 요구되며 경영진은 기업의 회계정책을 적용하기 위해 판단이 요구됩니다. 추정 및 가정은 지속적으로 평가되며, 과거 경험과 현재의 상황에 비추어 합리적으로 예측가능한 미래의 사건을 고려하여 이루어집니다. 회계추정의 결과가 실제 결과와 동일한 경우는 드물 것이므로 중요한 조정을유발할 수 있는 유의적인 위험을 내포하고 있습니다. 다음 회계연도에 자산 및 부채 장부금액의 조정에 영향을 미칠 수 있는 경영진 판단과 유의적 위험에 대한 추정 및 가정은 다음과 같습니다. 일부 항목에 대한 유의적인 판단 및 추정에 대한 추가적인 정보는 개별 주석에 포함되어 있습니다. |
공시금액 |
|
---|---|
공시금액 |
|
---|---|
공시금액 |
|
---|---|
공시금액 |
|
---|---|
공시금액 |
|
---|---|
공시금액 |
|
---|---|
(1) 당기말 및 전기말 현재 종속기업투자주식의 세부내역은 다음과 같습니다.
(2) 당기와 전기 중 종속기업 투자주식의 변동내역은 다음과 같습니다.① 당기
② 전기
(3) 당기말 및 전기말 현재 관계기업투자의 내역은 다음과 같습니다.
(*1) 상기 수익증권은 지분율이 50%를 초과하나, 신탁형 수익증권으로써 자본시장법및 신탁계약서에 따라서 실질지배력이 없다고 판단되어 관계기업으로 분류하였습니다.(4) 당기와 전기 중 관계기업투자의 변동내역은 다음과 같습니다.① 당기
② 전기
|
공시금액 |
|
---|---|
공시금액 |
|
---|---|
공시금액 |
|
---|---|
공시금액 |
|
---|---|
연이자율 |
차입금, 기준이자율 |
차입금, 기준이자율 조정 |
만기 |
단기차입금 |
비유동차입금(사채 포함)의 유동성 대체 부분과 비유동차입금(사채 포함)의 비유동성 부분 |
유동성대체 |
비유동차입금(사채 포함)의 비유동성 부분 |
변동이자율 조정에 대한 설명 |
||
---|---|---|---|---|---|---|---|---|---|---|
연이자율 |
차입금, 기준이자율 |
차입금, 기준이자율 조정 |
만기 |
단기차입금 |
비유동차입금(사채 포함)의 유동성 대체 부분과 비유동차입금(사채 포함)의 비유동성 부분 |
유동성대체 |
비유동차입금(사채 포함)의 비유동성 부분 |
변동이자율 조정에 대한 설명 |
||
---|---|---|---|---|---|---|---|---|---|---|
발행할 주식의 총수(주) |
발행주식 수(주) |
1주당 금액 |
자본금 |
||
---|---|---|---|---|---|
공시금액 |
|
---|---|
공시금액 |
|
---|---|
보통주 |
|
---|---|
보통주 |
|
---|---|
공시금액 |
|
---|---|
공시금액 |
|
---|---|
공시금액 |
||
---|---|---|
공시금액 |
||
---|---|---|
보통주 |
|
---|---|
보통주 |
|
---|---|
공시금액 |
|
---|---|
보통주 |
|
---|---|
보통주 |
|
---|---|
공시금액 |
|
---|---|
공시금액 |
|
---|---|
공시금액 |
|
---|---|
공시금액 |
|
---|---|
공시금액 |
|
---|---|
공시금액 |
|
---|---|
공시금액 |
|
---|---|
공시금액 |
|
---|---|
위험 |
위험 합계 |
|||||
---|---|---|---|---|---|---|
시장위험 |
신용위험 |
유동성위험 |
||||
이자율위험 |
환위험 |
기타 가격위험 |
||||
위험 |
|
---|---|
시장위험 |
|
이자율위험 |
|
위험 |
|
---|---|
시장위험 |
|
이자율위험 |
|
합계 |
||
---|---|---|
합계 |
||
---|---|---|
1년 이내 |
1년 초과 2년 이내 |
2년 초과 5년 이내 |
합계 구간 합계 |
|
---|---|---|---|---|
1년 이내 |
1년 초과 2년 이내 |
2년 초과 5년 이내 |
합계 구간 합계 |
|
---|---|---|---|---|
금융자산, 장부가치 |
금융자산, 공정가치 |
||
---|---|---|---|
금융자산, 장부가치 |
금융자산, 공정가치 |
||
---|---|---|---|
금융부채, 장부가치 |
금융부채, 공정가치 |
||
---|---|---|---|
금융부채, 장부가치 |
금융부채, 공정가치 |
||
---|---|---|---|
상각후원가측정금융자산 |
상각후원가측정금융부채 |
|
---|---|---|
상각후원가측정금융자산 |
상각후원가측정금융부채 |
|
---|---|---|
공시금액 |
|
---|---|
공시금액 |
|
---|---|
기초 |
재무현금흐름 |
비현금 변동 |
기말 |
||
---|---|---|---|---|---|
기초 |
재무현금흐름 |
비현금 변동 |
기말 |
||
---|---|---|---|---|---|
(1) 당기말 및 전기말 현재 기업의 특수관계자 현황은 다음과 같습니다.
|
배당금수익 |
자산관리성과보수 |
||||
---|---|---|---|---|---|
배당금수익 |
자산관리성과보수 |
||||
---|---|---|---|---|---|
배당금수령 |
유상증자(유출) |
배당금지급 |
|||
---|---|---|---|---|---|
배당금수령 |
유상증자(유출) |
배당금지급 |
|||
---|---|---|---|---|---|
공시금액 |
|
---|---|
공시금액 |
|
---|---|
약정의 유형 |
|
---|---|
자산관리위탁계약 |
|
거래상대방 |
|
켄달스퀘어리츠운용㈜ |
|
약정의 유형 |
|
---|---|
일반사무수탁계약 |
|
거래상대방 |
|
신한펀드파트너스 |
|
약정의 유형 |
|
---|---|
자산보관위탁계약 |
|
거래상대방 |
|
NH투자증권 |
|
대출약정액 |
실행액 |
|||||
---|---|---|---|---|---|---|
수정을 요하지 않는 보고기간 후 사건 |
|||
---|---|---|---|
주요한 보통주 거래 |
주요 사업결합 |
||
주요한 보통주 거래1 |
주요한 보통주 거래2 |
||
1. 회사의 배당정책에 관한 사항
- 당사의 주요 사업목적은 부동산의 취득,관리,개량 및 처분,부동산의 개발, 부동산의 임대차 등의 방법으로 자산을 투자,운용하여 얻은 수익을 주주에게 배당하는 것입니다.- 부동산투자회사법 제28조(배당)에 의거하여, 부동산투자회사는 상법 제462조 제1항에 따른 해당 연도 이익배당한도의 100분의 90이상을 주주에게 배당하여야 하며, 이익 배당시 이익준비금의 적립의무를 규정한 상법 제458조(이익준비금)가 배제되어 이익준비금을 적립하지 아니합니다. 또한, 동법에 따라 위탁관리부동산투자회사는 상법 제462조 제1항이 배제되어 당해 연도의 감가상각비 100%이내에서 이익을 초과하여 배당할 수 있습니다.상기 기재한 배당정책은 당사 정관 제54조(이익의 배당)에 명시하였으며, 정관에 따라 이사회 결의 및 주주총회 결의로 각 사업연도 현금배당을 승인받아 매 사업연도 종료일 현재 주주명부에 기재된 주주 또는 등록된 질권자에게 지급하도록 하고 있습니다.
2. 배당관련 예측가능성 제공에 관한 사항
가. 정관상 배당절차 개선방안 이행 가부
구분 | 현황 및 계획 |
정관상 배당액 결정 기관 | |
정관상 배당기준일을 배당액 결정 이후로 정할 수 있는지 여부 | |
배당절차 개선방안 이행 관련 향후 계획 |
나. 배당액 확정일 및 배당기준일 지정 현황
구분 | 결산월 | 배당여부 | 배당액확정일 | 배당기준일 | 배당 예측가능성제공여부 | 비고 |
---|---|---|---|---|---|---|
* 상기 배당액 확정일은 배당에 대한 이사회 결정일(공시일) 입니다.
3. 기타 참고사항(배당 관련 정관의 내용 등)
가. 배당에 대한 일반적인 사항당사는 당해 사업연도 이익배당한도의 100분의 90이상을 배당할 계획이며, 부동산투자회사법 제28조 제3항 및 회사 정관 제54조 2항에 따라 당해 사업연도의 감가상각비를 한도로 배당가능이익을 초과하여 배당할 수 있습니다. 실질적인 배당금액의 확정은 상법에 따라 주주총회의 결의를 받아 결정할 것입니다.
당사의 회계연도는 증권신고서 제출일 현재 정관 기준으로 최초 회계연도는 회사 설립등기일에 개시하여 최초로 도래하는 5월 31일에 종료하고, 이후 회계연도는 매년 6월 1일에 개시하여 11월 30일에 종료하고, 12월 1일에 개시하여 익년 5월 31일에 종료합니다.
나. 주요배당지표
구 분 | 주식의 종류 | 당기 | 전기 | 전전기 |
---|---|---|---|---|
제11기 | 제10기 | 제9기 | ||
주당액면가액(원) | ||||
(연결)당기순이익(백만원) | ||||
(별도)당기순이익(백만원) | ||||
(연결)주당순이익(원) | ||||
현금배당금총액(백만원) | ||||
주식배당금총액(백만원) | ||||
(연결)현금배당성향(%) | ||||
현금배당수익률(%) | ||||
주식배당수익률(%) | ||||
주당 현금배당금(원) | ||||
주당 주식배당(주) | ||||
* 상기 표의 당기 현금(주식)배당금은 정기주주총회 승인 전 금액으로 향후 정기주주총회에서 부결되거나 수정이 발생한 경우 정정보고서를 통해 그 내용 및 사유 등을 반영할 예정임* 현금배당성향은 당기순이익(지배기업 소유주지분)에 대한 현금배당총액의 비율을 백분율로 기재함* 현금배당수익률(%) = 1주당 현금배당금(원)/ 과거 1주일간 배당부 종가의 평균(배당기준일 전전거래일(배당부종가일)부터 과거 1주일간 공표된 매일의 증권시장, 코스닥시장 또는 코넥스시장에서 형성된 최종시세가격의 산술평균가격)
과거 배당 이력
(단위: 회, %) |
연속 배당횟수 | 평균 배당수익률 | ||
---|---|---|---|
분기(중간)배당 | 결산배당 | 최근 3년간 | 최근 5년간 |
* 연환산 배당수익률 : {배당액 / [ (기초납입자본금+기말납입자본금)/2 ]}* 2 로 계산 * 평균 배당수익률 : 최근 3년간 연환산 배당수익률의 합 / 3, 최근 5년간 연환산 배당수익률의 합 / 5
[지분증권의 발행 등과 관련된 사항] |
증자(감자)현황
(기준일 : | ) |
주식발행(감소)일자 | 발행(감소)형태 | 발행(감소)한 주식의 내용 | ||||
---|---|---|---|---|---|---|
종류 | 수량 | 주당액면가액 | 주당발행(감소)가액 | 비고 | ||
발기인출자 | ||||||
사모(보통주식) | ||||||
공모(보통주식) | ||||||
전환사채 주식전환 | ||||||
공모(보통주식) |
나. 미상환 전환사채- 해당사항 없음.
다. 미상환 신주인수권부사채 등 발행현황- 해당사항 없음.
라. 미상환 전환형 조건부자본증권 등 발행현황- 해당사항 없음.
[채무증권의 발행 등과 관련된 사항] |
(기준일 : | ) |
발행회사 | 증권종류 | 발행방법 | 발행일자 | 권면(전자등록)총액 | 이자율 | 평가등급(평가기관) | 만기일 | 상환여부 | 주관회사 |
---|---|---|---|---|---|---|---|---|---|
합 계 | - | - | - | - |
(기준일 : | ) |
잔여만기 | 10일 이하 | 10일초과30일이하 | 30일초과90일이하 | 90일초과180일이하 | 180일초과1년이하 | 1년초과2년이하 | 2년초과3년이하 | 3년 초과 | 합 계 | |
---|---|---|---|---|---|---|---|---|---|---|
미상환 잔액 | 공모 | |||||||||
사모 | ||||||||||
합계 |
(기준일 : | ) |
잔여만기 | 10일 이하 | 10일초과30일이하 | 30일초과90일이하 | 90일초과180일이하 | 180일초과1년이하 | 합 계 | 발행 한도 | 잔여 한도 | |
---|---|---|---|---|---|---|---|---|---|
미상환 잔액 | 공모 | ||||||||
사모 | |||||||||
합계 |
(기준일 : | ) |
잔여만기 | 1년 이하 | 1년초과2년이하 | 2년초과3년이하 | 3년초과4년이하 | 4년초과5년이하 | 5년초과10년이하 | 10년초과 | 합 계 | |
---|---|---|---|---|---|---|---|---|---|
미상환 잔액 | 공모 | ||||||||
사모 | |||||||||
합계 |
(기준일 : | ) |
잔여만기 | 1년 이하 | 1년초과5년이하 | 5년초과10년이하 | 10년초과15년이하 | 15년초과20년이하 | 20년초과30년이하 | 30년초과 | 합 계 | |
---|---|---|---|---|---|---|---|---|---|
미상환 잔액 | 공모 | ||||||||
사모 | |||||||||
합계 |
(기준일 : | ) |
잔여만기 | 1년 이하 | 1년초과2년이하 | 2년초과3년이하 | 3년초과4년이하 | 4년초과5년이하 | 5년초과10년이하 | 10년초과20년이하 | 20년초과30년이하 | 30년초과 | 합 계 | |
---|---|---|---|---|---|---|---|---|---|---|---|
미상환 잔액 | 공모 | ||||||||||
사모 | |||||||||||
합계 |
공모자금의 사용내역
(기준일 : | ) |
구 분 | 회차 | 납입일 | 증권신고서 등의 자금사용 계획 | 실제 자금사용 내역 | 차이발생 사유 등 | ||
---|---|---|---|---|---|---|---|
사용용도 | 조달금액 | 내용 | 금액 | ||||
- 해당사항 없음.
이에스알켄달스퀘어위탁관리부동산투자회(주)의 이사회는 2024년 12월 01일 부터 2025년 05월 31일까지 제 11기 사업연도의 회계 및 업무에 관한 이사의 경영진단에 관한 의견을 아래와 같이 보고합니다. 1. 경영진단의 개요 회사의 경영에 대한 전반적인 사항을 파악하기 위하여 장부와 관계서류를 열람하고 재무제표 및 동 부속명세서에 대하여도 면밀히 검토하였습니다. 경영진단을 위하여 필요하다고 인정되는 경우 관계서류에 대한 업무위탁회사의 보고를 받았으며, 경영활동에 중대한 영향을 미칠 수 있는 사항에 대하여는 그 내용을 면밀히 검토하는 등 적정한 방법으로 회사경영에 대한 내용을 진단하였습니다. 2. 경영성과
당사의 최근 사업년도의 연결기준 경영성과는 아래와 같습니다. (단위 : 원)
과 목 |
제11기 (2025년 05월말) |
제10기 (2024년 11월말) |
---|---|---|
영업수익 | 58,696,665,274 | 56,876,297,402 |
영업비용 | 29,992,692,216 | 30,324,757,456 |
영업이익 | 28,703,973,058 | 26,551,539,946 |
영업외수익 | 10,592,204,034 | 3,531,657,041 |
영업외비용 | 29,517,437,499 | 26,482,656,068 |
법인세비용차감전순손익 | 9,778,739,593 | 3,600,540,919 |
법인세비용 | - | - |
반기순손익 | 9,778,739,593 | 3,600,540,919 |
3. 재무상태
당사의 연결기준 재무상태는 아래와 같습니다. (단위 : 원, %)`
과 목 | 제11(당)기 | 제10(전)기 |
---|---|---|
1. 유동자산 | 69,982,993,161 | 87,621,140,395 |
2. 비유동자산 | 2,433,061,431,715 | 2,437,561,985,615 |
자산총계 | 2,503,044,424,876 | 2,525,183,126,010 |
1. 유동부채 | 528,846,895,385 | 52,586,225,536 |
2. 비유동부채 | 908,959,235,778 | 1,387,936,094,604 |
부채총계 | 1,437,806,131,163 | 1,440,522,320,140 |
1. 지배지분 | 1,065,238,293,713 | 1,084,660,805,870 |
(1) 자본금 | 213,089,000,000 | 213,089,000,000 |
(2) 기타불입자본 | 896,178,572,856 | 900,186,631,606 |
(3) 이익잉여금 | (44,029,279,143) | (28,614,825,736) |
자본총계 | 1,065,238,293,713 | 1,084,660,805,870 |
부채및자본총계 | 2,503,044,424,876 | 2,525,183,126,010 |
4. 자금조달 당사는 당기말 현재 대주단으로부터 총 1,385,200만원의 차입금을 사용하고 있으며, 차입금의 세부내역 및 주요 조건은 다음과 같습니다.
(단위 : 백만원)
구분 | 차입처 | 연이자율(%) | 만기 | 당기말 | 전기말 |
---|---|---|---|---|---|
일시자금대출 | 신한은행 | 4.90 | 2025-09-25 | 10,000 | 10,000 |
한도대출 | 신한은행 | 4.25 | 2025-09-25 | 6,500 | 6,500 |
부가가치세 대출 | 수협은행 | - | - | - | 4,600 |
Tranche A | 산업은행 | 3.64 | 2026-12-14 | 100,000 | 100,000 |
농협은행 | 3.64 | 2026-12-14 | 60,000 | 60,000 | |
농협생명보험 | 3.64 | 2026-12-14 | 40,000 | 40,000 | |
IBK기업은행 | 3.99 | 2026-12-14 | 77,000 | 77,000 | |
신한은행 | 4.29 | 2026-12-14 | 45,000 | 45,000 | |
중국은행 | 4.29 | 2026-12-14 | 40,000 | 40,000 | |
Tranche A1-1 | 케이비국민은행 | 3.76 | 2028-05-29 | 48,800 | 48,800 |
부산은행 | 3.76 | 2028-05-29 | 3,300 | 3,300 | |
아이엠뱅크 | 3.76 | 2028-05-29 | 8,300 | 8,300 | |
케이비손해보험 | 3.76 | 2028-05-29 | 48,800 | 48,800 | |
수협은행 | 3.76 | 2028-05-29 | 8,300 | 8,300 | |
신협 | 3.76 | 2028-05-29 | 22,200 | 22,200 | |
수산업협동조합 | 4.02 | 2028-05-29 | 22,200 | 22,200 | |
새마을금고 | 4.06 | 2028-05-29 | 33,200 | 33,200 | |
Tranche A1-2 | 케이비국민은행 | 3.76 | 2028-05-29 | 19,500 | 19,500 |
부산은행 | 3.76 | 2028-05-29 | 1,300 | 1,300 | |
아이엠뱅크 | 3.76 | 2028-05-29 | 3,300 | 3,300 | |
케이비손해보험 | 3.76 | 2028-05-29 | 19,500 | 19,500 | |
수협은행 | 3.76 | 2028-05-29 | 3,300 | 3,300 | |
신협 | 3.76 | 2028-05-29 | 8,800 | 8,800 | |
수산업협동조합 | 4.02 | 2028-05-29 | 8,800 | 8,800 | |
새마을금고 | 4.06 | 2028-05-29 | 13,300 | 13,300 | |
Tranche A1-3 | 케이비국민은행 | 3.76 | 2028-05-29 | 8,600 | 8,600 |
부산은행 | 3.76 | 2028-05-29 | 600 | 600 | |
아이엠뱅크 | 3.76 | 2028-05-29 | 1,500 | 1,500 | |
케이비손해보험 | 3.76 | 2028-05-29 | 8,600 | 8,600 | |
수협은행 | 3.76 | 2028-05-29 | 1,500 | 1,500 | |
신협 | 3.76 | 2028-05-29 | 3,900 | 3,900 | |
수산업협동조합 | 4.02 | 2028-05-29 | 3,900 | 3,900 | |
새마을금고 | 4.06 | 2028-05-29 | 6,000 | 6,000 | |
Tranche A1-4 | 케이비국민은행 | 3.76 | 2028-05-29 | 11,100 | 11,100 |
부산은행 | 3.76 | 2028-05-29 | 800 | 800 | |
아이엠뱅크 | 3.76 | 2028-05-29 | 1,900 | 1,900 | |
케이비손해보험 | 3.76 | 2028-05-29 | 11,100 | 11,100 | |
수협은행 | 3.76 | 2028-05-29 | 1,900 | 1,900 | |
신협 | 3.76 | 2028-05-29 | 5,100 | 5,100 | |
수산업협동조합 | 4.02 | 2028-05-29 | 5,100 | 5,100 | |
새마을금고 | 4.06 | 2028-05-29 | 7,500 | 7,500 | |
Tranche B | IBK기업은행 | 2.50 | 2025-12-14 | 155,500 | 155,500 |
농협생명보험 | 2.50 | 2025-12-14 | 40,000 | 40,000 | |
Tranche C | IBK기업은행 | 2.50 | 2025-12-14 | 28,700 | 28,700 |
한화손해보험 | 2.50 | 2025-12-14 | 50,000 | 50,000 | |
농협생명보험 | 2.50 | 2025-12-14 | 40,000 | 40,000 | |
동양생명보험 | 2.50 | 2025-12-14 | 50,000 | 50,000 | |
Tranche C-2 | 케이비국민은행 | 2.70 | 2026-12-20 | 114,500 | 114,500 |
Tranche D | IBK기업은행 | 3.80 | 2025-12-14 | 20,000 | 20,000 |
KB국민은행 | 2.71 | 2026-05-09 | 28,000 | 28,000 | |
시설자금대출 | NH농협은행 | 5.08 | 2025-09-22 | 10,000 | 10,000 |
동이천 브릭 물류센터 담보대출 | 광주은행 | 4.30 | 2026-05-10 | 5,000 | 5,000 |
아이엠뱅크 | 4.30 | 2026-05-10 | 10,000 | 10,000 | |
부산은행 | 4.30 | 2026-05-10 | 5,000 | 5,000 | |
농협은행 | 4.30 | 2026-05-10 | 27,000 | 27,000 | |
신한은행 | 4.30 | 2026-05-10 | 25,600 | 25,600 | |
이천8로지포트 담보대출 | 신용협동조합 | 3.87 | 2027-10-24 | 30,000 | 30,000 |
수협은행 | 3.87 | 2027-10-24 | 15,400 | 15,400 | |
합 계 | 1,385,200 | 1,389,800 |
5. 부외거래
- 해당사항 없습니다.
6. 그 밖에 투자의사 결정에 필요한 사항
가. 중요한 회계정책 및 추정에 관한 사항회사의 중요한 회계정책 및 추정에 관한 사항은 Ⅲ. 재무에 관한 사항의 5.재무제표 주석을 참조하시기 바랍니다.
1. 회계감사인의 명칭 및 감사의견(검토의견 포함한다. 이하 이 조에서 같다)을 다음의 표에 따라 기재한다.
회계감사인의 명칭 및 감사의견
사업연도 | 구분 | 감사인 | 감사의견 | 의견변형사유 | 계속기업 관련중요한 불확실성 | 강조사항 | 핵심감사사항 |
---|---|---|---|---|---|---|---|
감사보고서 | |||||||
연결감사보고서 | |||||||
감사보고서 | |||||||
연결감사보고서 | |||||||
감사보고서 | |||||||
연결감사보고서 |
2. 감사용역 체결현황은 다음의 표에 따라 기재한다.
감사용역 체결현황
(단위 : 백만원, 시간) |
사업연도 | 감사인 | 내 용 | 감사계약내역 | 실제수행내역 | ||
---|---|---|---|---|---|---|
보수 | 시간 | 보수 | 시간 | |||
3. 회계감사인과의 비감사용역 계약체결 현황은 다음의 표에 따라 기재한다.
사업연도 | 계약체결일 | 용역내용 | 용역수행기간 | 용역보수 | 비고 |
---|---|---|---|---|---|
4. 재무제표 중 이해관계자의 판단에 상당한 영향을 미칠 수 있는 사항에 대해 내부감사기구가 회계감사인과 논의한 결과를 다음의 표에 따라 기재한다.
구분 | 일자 | 참석자 | 방식 | 주요 논의 내용 |
---|---|---|---|---|
- 당사는 주식회사 등의 외부감사에 관한 법률 제8조 제1항 및 동법 시행령 제9조 제 1항에 따라 내부회계관리제도를 운영하지 않습니다.
가. 이사회의 구성 개요공시서류작성기준일 현재 당사의 이사회는 총 5인의 이사(대표이사(사내이사) 1인, 기타비상무이사 4인)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당사 정관에 따라 이사회 의장은 대표이사 입니다. 또한 당사는 부동산투자회사법에 따라 사외이사를 선임하지 않고 있고, 이사회 내 위원회를 두지 않고 있습니다. 이사의 주요 이력 등에 관한 사항은 "Ⅷ.임원 및 직원 등에 관한 사항"을 참조하시기 바랍니다. 나 . 이사회의 권한당사의 정관에 따른 이사회의 권한 및 운영 규정은 다음과 같습니다.
제38조 (이사회의 구성과 소집) ① 이사회는 이사 전원으로 구성한다. ② 이사회는 대표이사가 회의 개최일 7일 전까지 개최 일시, 장소 및 안건 등을 각 이사 및 감사에게 서면 통지하여 소집한다. 단, 위 기간은 회의 전에 이사 및 감사 전원의 동의를 얻어 단축하거나 생략할 수 있다. ③ 이사회의 의장은 대표이사로 한다. 다만, 대표이사가 불출석하거나 이사회의 의장직 을 수행할 수 없는 경우 해당 이사회에 출석한 이사들의 과반수 찬성투표로 의장직을 수행할 이사를 정한다. 제39조(이사회의 결의사항)이사회는 법률이나 이 정관에 다른 규정이 없는 한 다음 사항을 결의한다. 1. 부동산의 취득 또는 처분 등 운용에 관한 사항 2. 회사 총자산의 100분의 10이상 금액의 증권의 취득 또는 처분에 관한 사항 3. 차입 및 사채발행에 관한 사항 4. 주주총회의 소집에 관한 사항 5. 자산관리회사에 대한 자산관리운용지침의 제정 또는 개정6. 부동산개발사업에 관한 투자결정 및 사업계획서 승인7. 사무수탁회사와의 일반사무수탁계약 체결, 변경 및 해지에 관한 사항 8. 판매회사와의 위탁계약 체결, 변경 및 해지에 관한 사항 9. 제12조에 따른 신주 발행에 관한 사항 10. 주주가 신주인수권을 포기하거나 상실할 경우 또는 신주배정시에 단주가 발생 할 경우 그 처리방법에 관한 사항 11. 회사의 대표이사인 선임 및 해임에 관한 사항 12. 이사회 의장의 선임 및 해임에 관한 사항 13. 제51조 제5항에 따른 재무제표 등의 승인에 관한 사항 14. 법령에 따라 이사회 결의를 요하는 사안 15. 기타 회사의 경영에 관한 중요 사안 제40조 (이사회의 결의방법) ① 이사회의 결의는 재적이사 과반수의 출석과 출석 이사 과반수의 찬성으로 한다. 다만, 상법 제397조의2 및 제398조에 해당하는 사안에 대한 이사회 결의는 재적이사 3분의 2 이상의 수로 한다. ② 이사회는 이사의 전부 또는 일부가 직접 회의에 참석하지 아니하고 모든 이사가 음성 을 동시에 송, 수신하는 통신수단에 의하여 결의할 수 있다. 이 경우 당해 이사는 이사 회에 직접 출석한 것으로 본다. ③ 이사회의 결의에 관하여 특별한 이해관계가 있는 이사는 의결권을 행사하지 못한다. 제42조 (이사회의 의사록) 이사회의 의사의 안건, 경과요령, 그 결과, 반대하는 자와 그 반대이유를 기록한 의사록을작성하고 회의에 출석한 이사 및 감사가 기명날인 또는 서명하여 회사의 본점에 이를 비치 한다. |
다. 이사회 주요 의결사항
회 차 | 개최일자 | 의 안 내 용 | 가결여부 | 비고 |
1 | 2025.01.14 | 제1호 의안 : 제10기 재무제표 및 영업보고서 승인의 건제2호 의안 : 제11기 위탁관리회사 보수 지급의 건 | 가결 | - |
2 | 2025.02.10 | 제1호 의안: 제10기 현금배당 결의의 건제2호 의안: 정기주주총회 소집 및 부의 안건 결정의 건 | 가결 | - |
3 | 2025.02.25 | 제1호 의안 : 이에스알켄달스퀘어에셋1호위탁관리부동산투자회사(주)의 제10기 정기주주총회 안건 결의 승인의 건제2호 의안 : 이에스알켄달스퀘어에셋2호위탁관리부동산투자회사(주)의 제7기 정기주주총회 안건 결의 승인의 건 | 가결 | - |
4 | 2025.05.09 | 제1호 의안 : 신주발행(유상증자)의 건제2호 의안 : 잔액인수계약 체결의 건제3호 의안 : 신주인수권증서의 매매 및 중개에 관한 협약서 체결의 건제4호 의안 : 투자회사 지분투자 승인의 건제5호 의안 : 기준일 설정의 건 | 가결 | - |
라. 이사의 독립성(1) 이사 선출에 대한 독립성 기준을 운영하는지 여부이사 선임은 상법 및 부동산투자회사법 등 관련 법령 규정에 의거하여 주주총회에서 선출되고 있으며, 이사 선출의 독립성에 관한 별도의 기준은 없습니다. 당사 정관 내 이사회의 결의에 관하여 특별한 이해관계가 있는 자는 의결권을 행사하지 못하도록 규정화 되어 있습니다.(2) 이사(감사위원회 위원 제외)의 선임배경, 추천인, 이사로서의 활동분야, 회사와의 거래, 최대주주 또는 주요주주와의 관계 등 기타 이해관계
(기준일 : | 2025년 05월 31일 | ) |
구 분 | 성 명 | 추천인 | 활동분야 | 회사와의 거래 | 최대주주와의 관계 |
대표이사(사내이사) | 조주현 | 이사회 | 이사회의결 | 해당사항 없음 | 해당 없음 |
기타비상무이사 | 조민주 | 이사회 | 이사회의결 | 해당사항 없음 | 해당 없음 |
기타비상무이사 | 최춘웅 | 이사회 | 이사회의결 | 해당사항 없음 | 해당 없음 |
기타비상무이사 | 안세호 | 이사회 | 이사회의결 | 해당사항 없음 | 해당 없음 |
기타비상무이사 | 황선호 | 이사회 | 이사회의결 | 해당사항 없음 | 해당 없음 |
감사 | 김태헌 | 이사회 | 이사회의결 | 해당사항 없음 | 해당 없음 |
마. 사외이사 및 그 변동현황
(단위 : 명) |
이사의 수 | 사외이사 수 | 사외이사 변동현황 | ||
---|---|---|---|---|
선임 | 해임 | 중도퇴임 | ||
바. 사외이사 교육 미실시 내역
사외이사 교육 실시여부 | 사외이사 교육 미실시 사유 |
---|---|
미실시 |
가. 감사기구 관련사항(1) 감사위원회 설치여부당사는 공시서류작성기준일 현재 감사위원회가 설치 되어있지 않습니다.나. 감사관련 사항(1) 감사의 인적사항
성 명 | 주 요 경 력 | 비 고 |
김태헌 | 2011.09 ~ 2018.08 삼정회계법인2018.08 ~ 현재 대교회계법인 | 비상근 |
(2) 감사의 독립성당사는 관련법령 및 정관에 따라 감사업무를 수행하고 있습니다.당사의 정관에 따른 감사의 직무 사항은 아래와 같습니다.
제36조 (감사의 직무) ① 감사는 회사의 회계와 업무를 감사한다.② 감사는 이사회에 출석하여 의견을 진술할 수 있다.③ 감사는 회의 목적사항과 소집의 이유를 기재한 서면을 이사회에 제출하여 임시주주총 회의 소집을 청구할 수 있다.④ 감사는 그 직무를 수행하기 위하여 필요한 때에는 회사의 업무를 위탁 받은 자산관 리회사, 자산보관기관, 판매회사 또는 사무수탁회사에 대하여 이 회사의 업무 및 회 계에 관한 보고를 요구할 수 있다. ⑤ 감사는 이사(또는 청산인)가 직무수행과 관련하여 법령이나 정관을 위반하거나 기타 회사에 현저하게 손해를 끼칠 우려가 있는 사실을 발견한 때에는 지체 없이 이사회 (또는 청산인회)에게 보고하여야 한다. |
다. 감사의 주요활동내역당사의 감사는 관련법령 및 정관에 따른 감사업무를 수행하고 있습니다. 당사 감사의 경우 이사회에 참석하여 이사회 의사록에 감사의 기명 날인 또는 서명을 하고 있으며, 주주총회에 참석하여 주주들에게 감사보고를 진행하고 있습니다.
라. 감사위원 현황
성명 | 사외이사여부 | 경력 | 회계ㆍ재무전문가 관련 | ||
---|---|---|---|---|---|
해당 여부 | 전문가 유형 | 관련 경력 | |||
마. 감사위원회 교육 미실시 내역
감사위원회 교육 실시여부 | 감사위원회 교육 미실시 사유 |
---|---|
미실시 |
바. 감사 지원조직 현황당사는 부동산투자회사법상 상근하는 임직원을 둘 수 없으므로 해당사항 없습니다.
사. 준법지원인 등 지원조직 현황당사는 공시서류 작성 기준일 현재 선임한 준법지원인이 없습니다.
가. 투표제도 현황
(기준일 : | ) |
투표제도 종류 | 집중투표제 | 서면투표제 | 전자투표제 |
---|---|---|---|
도입여부 | |||
실시여부 |
나. 의결권 현황
(기준일 : | ) |
구 분 | 주식의 종류 | 주식수 | 비고 |
---|---|---|---|
발행주식총수(A) | |||
의결권없는 주식수(B) | |||
정관에 의하여 의결권 행사가 배제된 주식수(C) | |||
기타 법률에 의하여의결권 행사가 제한된 주식수(D) | |||
의결권이 부활된 주식수(E) | |||
의결권을 행사할 수 있는 주식수(F = A - B - C - D + E) | |||
다. 주식사무
정관상 신주인수권의 내용 |
제12조(신주인수권) ① 회사는 회사가 발행할 주식의 총 수 범위 내에서 이사회의 결의로 신주를 발행할 수 있다. ② 회사의 주주는 그가 가진 주식의 수에 비례하여 그가 가진 주식의 종류와 같은 종류의 신주를 배정 받을 권리를 가진다. 그러나 주주가 신주인수권을 포기 또는 상실하거나 신주배정에서 단주가 발생하는 경우에 그 처리방법은 이사회의 결의에 의한다. ③ 제2항의 규정에 불구하고 다음 각 호의 어느 하나의 경우에는 이사회는 주주 이외의 자에게 신주를 배정할 수 있다. 다만 회사는 부투법에 따른 영업인가를 받거나 등록을 하기 전에는 주주가 아닌 자에게 배정하는 방식으로 신주를 발행할 수 없다(이하 “영업인가” 또는 “등록”이라고 하면 부투법에 따른 영업인가 또는 등록을 의미한다). 1. 회사가 영업인가를 받은 날 또는 등록한 날로부터 6개월 이내에 영업인가 신청 또는 등록 신청 시 국토교통부장관에게 제출한 신주발행계획에 따라 신주를 발행한 경우 2. 제2조 제2항 각 호의 어느 하나에서 정한 업무를 수행하기 위하여 필요한 자금의 조달, 재무구조 개선 등 회사의 경영상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필요한 경우 3. 자본시장법 제165조의 6 규정에 의하여 일반공모증자 방식으로 신주를 발행하는 경우 4. 신주 발행 당시에 모든 주주가 동의하는 경우 ④ 제2항 및 제3항의 규정에 불구하고, 제11조에 의하여 회사의 주식이 상장된 이후에는 다음 각 호의 어느 하나의 경우에 이사회는 주주 이외의 자에게 신주를 배정할 수 있다. 이 경우 상장 이전에 발행된 주식의 수는 다음 각 호의 한도에서 차감하지 아니한다. 1. 발행주식총수의 100분의 40을 초과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제2조 제2항 각 호의 어느 하나에서 정한 업무를 수행하기 위하여 필요한 자금의 조달, 재무구조 개선 등 회사의 경영상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필요한 경우 2. 자본시장법 제165조의 6 규정에 의하여 일반공모증자 방식으로 신주를 발행하는 경우 |
결산일 | 5월 31일 / 11월 30일 |
정기주주총회 | 매 사업년도 종료후 3개월 이내 |
기준일 | 매 결산기 최종일 현재 주주명부에 기재되어 있는 주주를 그 결산기에 관한 정기주주총회에서 권리를 행사할 주주로 정하며, 그 날의 2주간 전에 기준일 설정을 공고하여야 한다. |
주식 및 신주인수권증서에 표시되어야 할 권리의 전자등록 | 회사는 주권 및 신주인수권증서를 발행하는 대신 전자등록기관의 전자등록계좌부에 주식 및 신주인수권증서에 표시되어야할 권리를 전자등록한다 |
명의개서대리인 | 주식회사 국민은행 |
주주의 특전 | - |
공고방법 | 회사의 인터넷 홈페이지(http://www.esrks-reit.com) |
라. 주주총회 의사록 요약
주주총회 | 안건 | 결의내용 | 주요논의내용 |
정기주주총회(2025.02.26) | 제1호 의안 : 제10기 재무제표 승인의 건 | 원안대로 가결 | 회사의 제10기 운영현황 및 재무현황 설명 후 주주의 동의를 받아 승인 |
제2호 의안 : 이사 중임의 건 | 원안대로 가결 | 정관 및 부투법에 의거하여 기타비상무이사 중임의 건을 설명 후 주주의 동의를 받아 승인 | |
제3호 의안 : 제11기 이사 보수 승인의 건 | 원안대로 가결 | 정관 및 부투법에 의거하여 차기 이사 보수 결정 관련 설명 후 주주의 동의를 받아 승인 | |
제4호 의안 : 제11기 감사 보수 승인의 건 | 원안대로 가결 | 정관 및 부투법에 의거하여 차기 감사 보수 결정 관련 설명 후 주주의 동의를 받아 승인 | |
제5호 의안 : 제10기 현금배당 결의의 건 | 원안대로 가결 | 정관 및 부투법에 의거하여 배당가능이익의 90%이상 배당함을 설명 후 주주의 동의를 받아 승인 | |
제6호 의안 : 제11기 사업계획 승인의 건 | 원안대로 가결 | 정관 및 부투법에 의거하여 차기 사업계획 설명 후 주주의 주주의 동의를 받아 승인 | |
제7호 의안 : 자본준비금 감액 결의의 건 | 원안대로 가결 | 상법 및 부투법에 의거하여 차기 사업연도 배당재원으로 사용하기 위하여 주주의 동의를 받아 승인 |
최대주주 및 특수관계인의 주식소유 현황
(기준일 : | ) |
성 명 | 관 계 | 주식의종류 | 소유주식수 및 지분율 | 비고 | |||
---|---|---|---|---|---|---|---|
기 초 | 기 말 | ||||||
주식수 | 지분율 | 주식수 | 지분율 | ||||
계 | |||||||
최대주주의 주요경력 및 개요
(1) 최대주주(법인 또는 단체)의 기본정보
명 칭 | 출자자수(명) | 대표이사(대표조합원) | 업무집행자(업무집행조합원) | 최대주주(최대출자자) | |||
---|---|---|---|---|---|---|---|
성명 | 지분(%) | 성명 | 지분(%) | 성명 | 지분(%) | ||
(2) 최대주주(법인 또는 단체)의 최근 결산기 재무현황
(단위 : 백만원) |
구 분 | |
---|---|
법인 또는 단체의 명칭 | |
자산총계 | |
부채총계 | |
자본총계 | |
매출액 | |
영업이익 | |
당기순이익 |
* 25회계연도 말(회계기간 2024.04.01~2025.3.31) 재무제표 기준(CPP-Investments-F2025-Annual-Report-English)* 서울외국환중개소 2025년 3월 31일 기준 공시 캐나다달러화(CAD) 매매기준율 (@1,024.41) 적용.* 영업이익은 CPP-Investments - Q3 F25 Financial Statements 에 개재된 주석 참조하여 산정한 영업비용을 매출액에서 차감하여 계산함.* 당기순이익은 CPP-Investments - Q3 F25 Financial Statements에 개재된 주석 참조하여 산정한 영업외비용을 영업이익에서 차감하여 계산함.
(3) 사업현황 등 회사 경영 안정성에 영향을 미칠 수 있는 주요 내용
Canada Pension Plan Investment Board(“CPPIB”, 캐나다연금투자위원회)는 1997년 캐나다연금투자위원회법(Canada Pension Plan Investment Board Act)에 의하여 설립된 캐나다 연방 왕립 법인(Canadian federal Crown corporation)입니다. CPPIB의 지분 전체는 캐나다 국왕을 대리하여 캐나다 재무장관이 보유합니다. 캐나다 법에 의하면 이는 “the Crown in Right of Canada”가 그 최종적인 소유권자임을 의미합니다. “the Crown in Right of Canada”는 캐나다 정부 또는 그 행정부처를 의미합니다. 위와 같이 캐나다 정부가 보유하는 것과 다름없는 CPPIB의 지분은 양도될 수 없으며, 배당을 받을 권리나 의결권 및 기타 권리를 표창하지 않습니다. CPPIB는 왕실(Crown)이나 캐나다 연방정부의 대리기관(agent)은 아닙니다.
최대주주의 최대주주(법인 또는 단체)의 개요
(기준일 : | ) |
변동일 | 최대주주명 | 소유주식수 | 지분율 | 변동원인 | 비 고 |
---|---|---|---|---|---|
주식 소유현황
(기준일 : | ) |
구분 | 주주명 | 소유주식수 | 지분율(%) | 비고 |
---|---|---|---|---|
5% 이상 주주 | - | |||
- | ||||
- | ||||
- | ||||
우리사주조합 | - |
* 상기 주식소유현황(5%이상 주주)은 최근 주주명부 폐쇄기준일인 2025년 05월 31일자 기준입니다.
(기준일 : | ) |
구 분 | 주주 | 소유주식 | 비 고 | ||||
---|---|---|---|---|---|---|---|
소액주주수 | 전체주주수 | 비율(%) | 소액주식수 | 총발행주식수 | 비율(%) | ||
소액주주 |
* 상기 소액주주 수와 보유주식 수는 최근 주주명부 폐쇄기준일인 2025년 05월 31일자 기준입니다. * 소액주주는 결산일 현재 의결권 있는 발행주식 총수의 100분의 1(1.0%)에 미달하는 주식을 소유한 주주 기준입니다.
최근 6개월간의 주가 및 주식거래 실적 (단위 : 주, 원)
구 분 | 2024.12 | 2025.01 | 2025.02 | 2025.03 | 2025.04 | 2025.05 | |
---|---|---|---|---|---|---|---|
주가(보통주) | 최고 | 4,773 | 4,604 | 4,922 | 5,012 | 4,853 | 4,843 |
최저 | 4,231 | 4,311 | 4,559 | 4,679 | 4,405 | 4,345 | |
평균 | 4,451 | 4,459 | 4,755 | 4,865 | 4,665 | 4,558 | |
월간거래량 | 최고 | 876,266 | 434,196 | 264,050 | 327,784 | 226,654 | 1,039,082 |
최저 | 93,543 | 58,337 | 95,409 | 89,647 | 92,119 | 88,229 | |
평균 | 321,248 | 152,038 | 163,981 | 178,353 | 144,001 | 286,808 |
* 상기의 주가(최고, 최저, 평균)는 종가 기준입니다.* 상기 자료는 KRX 정보데이터시스템(http://data.krx.co.kr)에서 확인할 수 있습니다.
가. 임원 현황
(기준일 : | ) |
성명 | 성별 | 출생년월 | 직위 | 등기임원여부 | 상근여부 | 담당업무 | 주요경력 | 소유주식수 | 최대주주와의관계 | 재직기간 | 임기만료일 | |
---|---|---|---|---|---|---|---|---|---|---|---|---|
의결권있는 주식 | 의결권없는 주식 | |||||||||||
나. 직원 등 현황- 당사는 부동산투자회사법에 따라 상근하는 임직원을 둘 수 없으므로 해당사항 없습니다.
(기준일 : | ) |
직원 | 소속 외근로자 | 비고 | |||||||||||
---|---|---|---|---|---|---|---|---|---|---|---|---|---|
사업부문 | 성별 | 직 원 수 | 평 균근속연수 | 연간급여총 액 | 1인평균급여액 | 남 | 여 | 계 | |||||
기간의 정함이없는 근로자 | 기간제근로자 | 합 계 | |||||||||||
전체 | (단시간근로자) | 전체 | (단시간근로자) | ||||||||||
합 계 |
다. 미등기임원 보수 현황
(기준일 : | ) |
구 분 | 인원수 | 연간급여 총액 | 1인평균 급여액 | 비고 |
---|---|---|---|---|
미등기임원 |
- 해당사항 없음.
<이사ㆍ감사 전체의 보수현황> |
1. 주주총회 승인금액
구 분 | 인원수 | 주주총회 승인금액 | 비고 |
---|---|---|---|
2. 보수지급금액
2-1. 이사ㆍ감사 전체
인원수 | 보수총액 | 1인당 평균보수액 | 비고 |
---|---|---|---|
2-2. 유형별
구 분 | 인원수 | 보수총액 | 1인당평균보수액 | 비고 |
---|---|---|---|---|
등기이사(사외이사, 감사위원회 위원 제외) | ||||
사외이사(감사위원회 위원 제외) | ||||
감사위원회 위원 | ||||
감사 |
<보수지급금액 5억원 이상인 이사ㆍ감사의 개인별 보수현황> |
1. 개인별 보수지급금액
이름 | 직위 | 보수총액 | 보수총액에 포함되지 않는 보수 |
---|---|---|---|
- 개인별 보수지급 금액이 기업공시서식 작성 기준인 5억원 이상에 해당하지 않아 기재를 생략합니다.
2. 산정기준 및 방법
(단위 : 원) |
이름 | 보수의 종류 | 총액 | 산정기준 및 방법 | |
---|---|---|---|---|
- | 근로소득 | 급여 | - | - |
상여 | - | - | ||
주식매수선택권 행사이익 | - | - | ||
기타 근로소득 | - | - | ||
퇴직소득 | - | - | ||
기타소득 | - | - |
- 해당사항 없습니다.
<보수지급금액 5억원 이상 중 상위 5명의 개인별 보수현황> |
1. 개인별 보수지급금액
이름 | 직위 | 보수총액 | 보수총액에 포함되지 않는 보수 |
---|---|---|---|
- 개인별 보수지급 금액이 기업공시서식 작성 기준인 5억원 이상에 해당하지 않아 기재를 생략합니다.
2. 산정기준 및 방법
(단위 : 원) |
이름 | 보수의 종류 | 총액 | 산정기준 및 방법 | |
---|---|---|---|---|
- | 근로소득 | 급여 | - | - |
상여 | - | - | ||
주식매수선택권 행사이익 | - | - | ||
기타 근로소득 | - | - | ||
퇴직소득 | - | - | ||
기타소득 | - | - |
- 해당사항 없습니다.
계열회사 현황(요약)
(기준일 : | ) | (단위 : 사) |
기업집단의 명칭 | 계열회사의 수 | ||
---|---|---|---|
상장 | 비상장 | 계 | |
※상세 현황은 '상세표-2. 계열회사 현황(상세)' 참조 |
타법인출자 현황(요약)
(기준일 : | ) |
출자목적 | 출자회사수 | 총 출자금액 | |||||
---|---|---|---|---|---|---|---|
상장 | 비상장 | 계 | 기초장부가액 | 증가(감소) | 기말장부가액 | ||
취득(처분) | 평가손익 | ||||||
경영참여 | |||||||
일반투자 | |||||||
단순투자 | |||||||
계 |
※상세 현황은 '상세표-3. 타법인출자 현황(상세)' 참조 |
1. 대주주 등에 대한 신용공여 등- 해당사항 없습니다.2. 대주주와의 자산양수도 등
- 해당사항 없습니다.
3. 대주주와의 영업거래- 해당사항 없습니다.4. 대주주 이외의 이해관계자와의 거래- 해당사항 없습니다.
5. 기업인수목적회사의 추가기재사항- 해당사항 없습니다.
- 해당사항 없습니다.
1) 중요한 소송사건 - 공시서류작성기준일 현재 해당사항 없습니다.2) 견질 또는 담보용 어음ㆍ수표 현황 - 공시서류작성기준일 현재 해당사항 없습니다.견질 또는 담보용 어음ㆍ수표 현황
(기준일 : ) | (단위 : 매, 백만원) |
제 출 처 | 매 수 | 금 액 | 비 고 |
---|---|---|---|
은 행 | - | - | - |
금융기관(은행제외) | - | - | - |
법 인 | - | - | - |
기타(개인) | - | - | - |
3) 채무보증 현황 - 공시서류작성기준일 현재 해당사항 없습니다.
4) 채무인수약정 현황 - 공시서류작성기준일 현재 해당사항 없습니다.5) 그 밖의 우발채무 등 - 공시서류작성기준일 현재 해당사항 없습니다.6) 자본으로 인정되는 채무증권의 발행 - 공시서류작성기준일 현재 해당사항 없습니다.
1) 제재현황
- 공시서류작성기준일 현재 해당사항 없음.
- 해당사항 없음.
외국지주회사의 자회사 현황
(기준일 : 2025년 05월 31일) | (단위 : 백만원) |
구 분 | A지주회사 | B법인 | C법인 | D법인 | ... | 연결조정 | 연결 후금액 |
---|---|---|---|---|---|---|---|
매출액 | - | - | - | - | - | -( - ) | - |
내부 매출액 | ( - ) | ( - ) | ( - ) | ( - ) | ( - ) | - | - |
순 매출액 | - | - | - | - | - | - | - |
영업손익 | - | - | - | - | - | -( - ) | - |
계속사업손익 | - | - | - | - | - | -( - ) | - |
당기순손익 | - | - | - | - | - | -( - ) | - |
자산총액 | - | - | - | - | - | -( - ) | - |
현금및현금성자산 | - | - | - | - | - | - | - |
유동자산 | - | - | - | - | - | - | - |
단기금융상품 | - | - | - | - | - | - | - |
부채총액 | - | - | - | - | - | -( - ) | - |
자기자본 | - | - | - | - | - | -( - ) | - |
자본금 | - | - | - | - | - | -( - ) | - |
감사인 | - | - | - | - | - | - | - |
감사ㆍ검토 의견 | - | - | - | - | - | - | - |
비 고 | - | - | - | - | - | - | - |
☞ 본문 위치로 이동 |
상호 | 설립일 | 주소 | 주요사업 | 최근사업연도말자산총액 | 지배관계 근거 | 주요종속회사 여부 |
---|---|---|---|---|---|---|
☞ 본문 위치로 이동 |
(기준일 : | ) | (단위 : 사) |
상장여부 | 회사수 | 기업명 | 법인등록번호 |
---|---|---|---|
상장 | |||
비상장 | |||
☞ 본문 위치로 이동 |
(기준일 : | ) |
법인명 | 상장여부 | 최초취득일자 | 출자목적 | 최초취득금액 | 기초잔액 | 증가(감소) | 기말잔액 | 최근사업연도재무현황 | |||||||
---|---|---|---|---|---|---|---|---|---|---|---|---|---|---|---|
수량 | 지분율 | 장부가액 | 취득(처분) | 평가손익 | 수량 | 지분율 | 장부가액 | 총자산 | 당기순손익 | ||||||
수량 | 금액 | ||||||||||||||
합 계 |
주1) 상기 법인은 모두 비상장 위탁관리부동산투자회사입니다.주2) 지분율은 의결권이 있는 주식에 대한 지분율입니다.주3) 최근사업연도 재무현황 : 2025년 05월 재무제표 기준
- 해당사항 없습니다.
- 해당사항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