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환사채권 발행결정
1. 사채의 종류 |
회차 |
8
종류 |
무기명식 무이권부 무보증 사모 전환사채
2. 사채의 권면(전자등록)총액 (원) |
20,000,000,000
2-1. 정관상 잔여 발행한도 (원) |
36,977,026,000
2-2. (해외발행) |
권면(전자등록)총액(통화단위) |
-
-
기준환율등 |
-
발행지역 |
-
해외상장시 시장의 명칭 |
-
3. 자금조달의 목적 |
시설자금 (원) |
20,000,000,000
영업양수자금 (원) |
-
운영자금 (원) |
-
채무상환자금 (원) |
-
타법인 증권 취득자금 (원) |
-
기타자금 (원) |
-
4. 사채의 이율 |
표면이자율 (%) |
0.0
만기이자율 (%) |
0.0
5. 사채만기일 |
2030년 09월 17일
6. 이자지급방법 |
본 사채의 표면이자율은 연 0.0%로, 만기 이전에 별도의 이자를 지급하지 아니한다.
7. 원금상환방법 |
만기까지 보유하고 있는 본 사채의 원금에 대하여는 2030년 09월 17일에 전자등록금액의 100.0000%에 해당하는 금액을 일시 상환한다. 단, 상환기일이 영업일(국내 은행들이 일상적인 업무를 영위하는 날을 말하며, 다만 일부 은행 또는 은행의 일부 점포만이 영업하는 날, 토요일, 일요일, 법정공휴일은 제외한다, 이하 같음)이 아닌 경우에는 그 다음 영업일에 상환하고 이 경우 원금 상환기일 이후의 이자는 계산하지 아니한다.
8. 사채발행방법 |
사모
9. 전환에 관한 사항 |
전환비율 (%) |
100
전환가액 (원/주) |
6,830
전환가액 결정방법 |
본 사채 발행을 위한 이사회 결의일 전일로부터 소급한 1개월 가중산술평균주가, 1주일 가중산술평균주가 및 최근일 가중산술평균주가를 산술평균한 가액과 최근일 가중산술평균주가 중 높은 가액을 기준주가로 하여, 기준주가의 100%를 최초 전환가액으로 하되, 원단위 미만은 절상하며, 전환가액이 액면가액보다 낮은 경우에는 액면가액으로 한다.
전환에 따라발행할 주식 |
종류 |
주식회사 케이에스피 기명식 보통주
주식수 |
2,928,257
주식총수 대비비율(%) |
7.29
전환청구기간 |
시작일 |
2026년 09월 17일
종료일 |
2030년 08월 17일
전환가액 조정에 관한 사항 |
1) 본, 무상증자, 주식배당 및 준비금의 자본전입 등을 함으로써 주식을 발행(단, 기부여된 주식매수선택권 은 제외한다.)하거나 또는 시가를 하회하는 전환가액 또는 행사가액으로 전환사채 또는 신주인수권부사채를 발행하는 경우에는 아래와 같이 전환가액을 조정한다. 본 목에 따른 전환가액의 조정일은 유상증자, 무상증자, 주식배당, 준비금의 자본전입 등으로 인한 신주발행일 또는 전환사채 및 신주인수권부사채의 발행일로 한다.
조정 후 전환가액 = 조정 전 전환가액 × [{A+(B×C/D)} / (A+B)]
A: 기발행주식수
B: 신발행주식수
C: 1주당 발행가격
D: 시가
다만, 위 산식 중 “기발행주식수”는 당해 조정사유가 발생하기 직전일 현재의 발행주식 총수로 하며, 전환사채 또는 신주인수권부사채를 발행할 경우 “신발행주식수”는 당해 사채 발행 시 전환가액으로 전부 주식으로 전환되거나 당해 사채 발행 시 행사가액으로 신주인수권이 전부 행사될 경우 발행될 주식의 수로 한다. 또한, 위 산식 중 “1주당 발행가격”은 주식분할, 무상증자, 주식배당의 경우에는 영(0)으로 하고, 전환사채 또는 신주인수권부사채를 발행할 경우에는 당해 사채 발행시 전환가액 또는 행사가액으로 하며, 위 산식에서 “시가”라 함은 발행가격 산정의 기준이 되는 기준주가(유상증자의 경우 확정발행가액 산정에 사용된 기준주가) 또는 권리락주가(유상증자 이외의 경우에는 조정사유 발생 전일을 기산일로 하여 계산한 기준주가로)로 한다.
2) 합병, 자본의 감소, 주식분할 및 병합 등에 의하여 전환가액의 조정이 필요한 경우에는 당해 합병 또는 자본의 감소 직전에 전액 전환되어 주식으로 발행되었더라면 사채권자가 가질 수 있었던 주식수에 따른 가치에 상응하도록 전환가액을 조정한다. 혹은 합병, 자본의 감소, 주식분할 및 병합 등의 경우에는 각각 그 비율을 고려하여 전환가액을 조정한다. 전환가액의 조정일은 합병, 자본의 감소, 주식분할 및 병합의 기준일로 한다.
3) 감자 및 주식 병합 등 주식가치 상승사유가 발생하는 경우 감자 및 주식 병합 등으로 인한 조정비율만큼 상향하여 반영하는 조건으로 전환가액을 조정한다. 단, 감자 및 주식병합 등을 위한 주주총회 결의일 전일을 기산일로 하여 “증권의 발행 및 공시 등에 관한 규정” 제 5-22조 제1항 본문의 규정에 의하여 산정(제3호는 제외한다)한 가액(이하 “산정가액”이라 한다)이 액면가액 미만이면서 기산일 전에 전환가액을 액면가액으로 이미 조정한 경우(전환가액을 액면가액 미만으로 조정할 수 있는 경우는 제외한다)에는 조정 후 전환가액은 산정가액을 기준으로 감자 및 주식병합 등으로 인한 조정비율만큼 상향 조정한 가액 이상으로 조정한다.
4) 본 호에 의해 조정된 전환가액이 주식의 액면가 이하일 경우에는 액면가를 전환가액으로 하며, 각 전환사채의 전환으로 인하여 발행할 주식의 발행가액의 합계액은 각 전환사채의 발행가액을 초과할 수 없다.
5) 본 호에 의한 조정 후 전환가액 중 원단위 미만은 상위 원단위로 절상한다.
시가하락에따른전환가액조정 |
최저 조정가액 (원) |
-
최저 조정가액 근거 |
-
발행당시 전환가액의70% 미만으로조정가능한 잔여발행한도 (원) |
-
9-1. 옵션에 관한 사항 |
[조기상환청구권(Put Option)]본 사채의 사채권자는 본 사채의 발행일로부터 2년 6개월이 되는 날(해당일이 영업일이 아닌 경우 그 익영업일을 말함) 및 그 이후 매 3개월에 해당되는 날(이하 “조기상환지급일”이라 한다)에 본 사채의 전부 또는 일부에 대하여 만기 전 조기상환할 것을 청구할 수 있다. 이 경우 발행회사는 본 사채의 전자등록금액과 함께 전자등록금액에 대하여 조기상환지급일까지 조기상환수익률 연0.0%를 가산한 금액(이하 “조기상환금액”이라 하며, 구체적인 내역은 아래 가.호에 기재된 바와 같다)을 조기상환지급일에 지급하여야 한다. 단, 조기상환지급일이 영업일이 아닌 경우에는 그 다음 영업일에 상환하고 조기상환지급일 이후의 이자는 계산하지 아니한다.[매도청구권(Call Option)]발행 후 1년이 되는 시점인 2026년 09월 17일부터 발행 후 2년 6개월이 되는 시점인 2028년 03월 17일까지 매 1개월이 되는 날(이하 “매매일”이라 한다)에 발행회사는 사채권자를 상대로, 관련 법령(증권의 발행 및 공시 등에 관한 규정을 포함하되 이에 한정되지 아니함)에서 허용하는 한도 내에서 해당 시점에 사채권자가 보유하고 있는 본 사채 중 본 사채의 전자등록총액 30%를 총 한도로 이를 발행회사 또는 발행회사가 지정하는 제3자(이하 “매수인”이라 한다)에게 매도하여 줄 것을 사채권자에게 청구할 수 있으며, 사채권자는 발행회사의 청구에 따라 보유하고 있는 본 사채를 발행회사 또는 매수인에게 매도하여야 한다. 보다 명확히 하기 위하여 부연하면, 매도청구권 행사로 발행회사의 최대주주 및 그 특수관계인(이하 “최대주주등”)은 본 사채 발행 당시 발행회사의 최대주주등의 각 지분율을 초과하여 주식을 취득할 수 없으며, 발행회사가 매도청구권 행사로 취득한 본 사채를 최대주주등에게 매도하는 경우 최대주주등은 본 사채 발행 당시 해당 최대주주등의 각 지분율을 초과하여 주식을 취득할 수 없다.- 제3자의 성명: 발행일 현재 미정- 제3자와 회사와의 관계: 발행일 현재 미정- 취득규모: 최대 6,000,000,000원(Call Option 30%)- 취득목적: 미정- 제3자가 될 수 있는 자: 최대주주 및 특수관계인(발행일 현재 미정)- 제3자가 얻게 될 경제적 이익: 제3자가 될 수 있는 자가 콜옵션을 통하여 취득한 전환사채로 전환권을 행사할 경우 최초 전환가액 기준 당사 보통주 878,477주를 취득할 수 있게 됩니다.(이 외 Put Option 및 Call Option에 관한 세부 내용은 "21. 기타 투자판단에 참고할 사항"을 참고하여 주시기 바랍니다.)
10. 합병 관련 사항 |
-
11. 청약일 |
2025년 09월 17일
12. 납입일 |
2025년 09월 17일
13. 납입방법 |
현금
14. 대표주관회사 |
-
15. 보증기관 |
-
16. 담보제공에 관한 사항 |
-
17. 이사회결의일(결정일) |
2025년 09월 09일
- 사외이사 참석여부 |
참석 (명) |
3
불참 (명) |
-
- 감사(감사위원) 참석여부 |
참석
18. 증권신고서 제출대상 여부 |
아니오
19. 제출을 면제받은 경우 그 사유 |
면제(사모발행에 의한 1년간 거래단위 분할 및 전환금지)
20. 당해 사채의 해외발행과 연계된 대차거래 내역 - 목적, 주식수, 대여자 및 차입자 인적사항,예정처분시기, 대차조건(기간, 상환조건, 이율),상환방식, 당해 전환사채 발행과의 연계성, 수수료 등 |
-
21. 공정거래위원회 신고대상 여부 |
미해당
※ 조기상환청구권(Put Option)에 관한 사항:
본 사채의 사채권자는 본 사채의 발행일로부터 2년 6개월이 되는 날(해당일이 영업일이 아닌 경우 그 익영업일을 말함) 및 그 이후 매 3개월에 해당되는 날(이하 “조기상환지급일”이라 한다)에 본 사채의 전부 또는 일부에 대하여 만기 전 조기상환할 것을 청구할 수 있다. 이 경우 발행회사는 본 사채의 전자등록금액과 함께 전자등록금액에 대하여 조기상환지급일까지 조기상환수익률 연 0.0%를 가산한 금액(이하 “조기상환금액”한다)을 조기상환지급일에 지급하여야 한다. 단, 조기상환지급일이 영업일이 아닌 경우에는 그 다음 영업일에 상환하고 조기상환지급일 이후의 이자는 계산하지 아니한다.
가. 조기상환 청구장소: 발행회사의 본점나. 조기상환 지급장소: NH농협은행 남서초지점
다. 조기상환 수익률 : 연0.0%라. 조기상환청구기간: 사채권자는 조기상환을 청구할 경우, 각 조기상환지급일의 60일 전부터 30일 전까지(이하 “조기상환청구기간”이라 하며, 구체적인 내역은 아래 표와 같다) 한국예탁결제원에게 본 사채의 조기상환 청구를 하여야 한다. 단, 조기상환청구기간의 종료일 및 조기상환기일이 영업일이 아닌 경우에는 그 다음 영업일까지로 한다.
구분 |
조기상환 청구기간 |
조기상환기일 |
조기상환수익률 |
FROM |
TO |
1차 |
2028-01-17 |
2028-02-16 |
2028-03-17 |
100.0000% |
2차 |
2028-04-18 |
2028-05-18 |
2028-06-17 |
100.0000% |
3차 |
2028-07-19 |
2028-08-18 |
2028-09-17 |
100.0000% |
4차 |
2028-10-18 |
2028-11-17 |
2028-12-17 |
100.0000% |
5차 |
2029-01-16 |
2029-02-15 |
2029-03-17 |
100.0000% |
6차 |
2029-04-18 |
2029-05-18 |
2029-06-17 |
100.0000% |
7차 |
2029-07-19 |
2029-08-18 |
2029-09-17 |
100.0000% |
8차 |
2029-10-18 |
2029-11-17 |
2029-12-17 |
100.0000% |
9차 |
2030-01-16 |
2030-02-15 |
2030-03-17 |
100.0000% |
10차 |
2030-04-18 |
2030-05-18 |
2030-06-17 |
100.0000% |
마. 조기상환 청구절차: 사채권자가 고객계좌에 전자등록된 경우에는 거래하는 계좌관리기관을 통하여 한국예탁결제원에 조기상환을 청구하고 자기계좌에 전자등록된 경우에는 한국예탁결제원에 조기상환을 청구하면 한국예탁결제원이 이를 취합하여 청구장소에 조기상환 청구한다.
※ 매도청구권(Call Option)에 관한 사항:
가. 발행 후 1년이 되는 시점인 2026년 09월 17일부터 발행 후 2년 6개월이 되는 시점인 2028년 03월 17일까지 매 1개월이 되는 날(이하 “매매일”이라 한다.)에 발행회사는 사채권자를 상대로, 관련 법령(증권의 발행 및 공시 등에 관한 규정을 포함하되 이에 한정되지 아니함)에서 허용하는 한도 내에서 해당 시점에 사채권자가 보유하고 있는 본 사채 중 본 사채의 전자등록총액 30%를 총 한도로 이를 발행회사 또는 발행회사가 지정하는 제3자(이하 “매수인”이라 한다)에게 매도하여 줄 것을 사채권자에게 청구할 수 있으며, 사채권자는 발행회사의 청구에 따라 보유하고 있는 본 사채를 발행회사 또는 매수인에게 매도하여야 한다. 보다 명확히 하기 위하여 부연하면, 매도청구권 행사로 발행회사의 최대주주 및 그 특수관계인(이하 “최대주주등”)은 본 사채 발행 당시 발행회사의 최대주주등의 각 지분율을 초과하여 주식을 취득할 수 없으며, 발행회사가 매도청구권 행사로 취득한 본 사채를 최대주주등에게 매도하는 경우 최대주주등은 본 사채 발행 당시 해당 최대주주등의 각 지분율을 초과하여 주식을 취득할 수 없다.
나. 매도청구권 행사기간 및 행사방법: 매도청구권을 행사하려는 매수인은 각 매매대금 지급기일로부터 20일 전부터 10일 전(단, 마지막 매도청구권 매매일(2028년 03월 17일)의 경우 49일 전부터 37일 전)까지 사채권자에게 매수인명, 매수대상 사채의 수량, 매매대금의 지급기일 및 매매대금을 서면으로 통지하는 방식으로 매도청구권 행사를 하며, 본 매도권 행사에 따른 매매계약은 매수인의 매도청구가 사채권자에게 도달한 시점에 체결된 것으로 본다.
다. 사채의 인수인은 발행회사의 제1항에 따른 매도청구권 행사를 보장하기 위하여 매도청구권 행사기간 종료까지 사채를 양도할 경우에는 가) 내지 라)의 발행회사의 매도청구권이 동일한 조건으로 보장되는 방법으로 하여야 하며, 이러한 방법으로 양도한 경우 본 협약상 인수인의 의무(매도청구권 행사에 응할 의무를 포함하며 이에 한정하지 아니함)는 소멸하는 것으로 한다. 또한 본 사채를 양도하는 경우에는 그 양도의 내역을 발행회사에 양도일로부터 10영업일 안에 통지하여야 한다.
라. 발행일로부터 마지막 매매일 종료(2028년 03월 17일)의 행사기간 종료일(2028년 02월 09일)까지는 각 사채권자는 발행회사의 매도청구권 행사를 보장하기 위하여 보유 금액 기준으로 전자등록금액 합계의 30%는 사채의 형태로 보유하여야 하며, 발행회사는 각 사채권자의 보유 전자등록금액 합계의 30% 이내에서 매도청구가 가능하다. 단, 본 사채의 인수계약서에 따라 발행회사의 기한이익 상실사유 또는 기한이익 상실의 원인사유가 발생한 경우 매수인의 본 사채 매도청구권은 즉시 소멸한 것으로 보며, 사채권자는 매수인의 매도청구권 행사를 보장하지 아니한다. 조기상환청구권(Put Option)과 매도청구권(Call Option)이 동시에 행사되는 경우 매도청구권(Call Option)이 우선하며, 이에 따라 매도청구권(Call Option)을 행사한 부분 만큼 해당 회차의 조기상환청구권(Put Option)은 무효로 한다.
마. 매매금액: 매도청구권을 행사한 사채 전자등록금액에 대하여 발행일로부터 ‘매매대금지급기일’ 전일까지 연복리 0.5%(1개월 단위 복리계산)로 계산하여 산출된 금액을 매매금액으로 하며, 매도청구권의 행사에 따른 사채의 매매와 관련된 비용(제세공과금 포함하되 매도차익에 대한 세금은 포함하지 않음)은 매수인이 부담한다. 단, 매매대금지급기일이 은행 영업일이 아닌 경우에는 그 다음 영업일에 상환하고 매매대금지급기일 이후의 이자는 계산하지 아니한다.
구분 |
콜옵션 청구기간 |
매매대금 지급기일 |
콜옵션 상환률 |
FROM |
TO |
1차 |
2026-08-28 |
2026-09-07 |
2026-09-17 |
100.5011% |
2차 |
2026-09-27 |
2026-10-07 |
2026-10-17 |
100.5430% |
3차 |
2026-10-28 |
2026-11-07 |
2026-11-17 |
100.5849% |
4차 |
2026-11-27 |
2026-12-07 |
2026-12-17 |
100.6268% |
5차 |
2026-12-28 |
2027-01-07 |
2027-01-17 |
100.6687% |
6차 |
2027-01-28 |
2027-02-07 |
2027-02-17 |
100.7106% |
7차 |
2027-02-25 |
2027-03-07 |
2027-03-17 |
100.7526% |
8차 |
2027-03-28 |
2027-04-07 |
2027-04-17 |
100.7946% |
9차 |
2027-04-27 |
2027-05-07 |
2027-05-17 |
100.8366% |
10차 |
2027-05-28 |
2027-06-07 |
2027-06-17 |
100.8786% |
11차 |
2027-06-27 |
2027-07-07 |
2027-07-17 |
100.9206% |
12차 |
2027-07-28 |
2027-08-07 |
2027-08-17 |
100.9627% |
13차 |
2027-08-28 |
2027-09-07 |
2027-09-17 |
101.0048% |
14차 |
2027-09-27 |
2027-10-07 |
2027-10-17 |
101.0468% |
15차 |
2027-10-28 |
2027-11-07 |
2027-11-17 |
101.0889% |
16차 |
2027-11-27 |
2027-12-07 |
2027-12-17 |
101.1311% |
17차 |
2027-12-28 |
2028-01-07 |
2028-01-17 |
101.1732% |
18차 |
2028-01-28 |
2028-02-07 |
2028-02-17 |
101.2154% |
19차 |
2028-01-28 |
2028-02-09 |
2028-03-17 |
101.2575% |
바. 가)부터 마)에 따라 발행회사가 사채권자에게 매도청구를 하는 경우, 매수인은 매수대금의 지급기일 내에 사채권자가 지정하는 방식에 따라 마)의 매매금액을 지급하고 사채권자는 매매금액을 지급받은 후 지체없이 매수인에게 매도청구 받은 사채를 인도한다.
사. 발행회사 또는 발행회사가 지정하는 자가 매매대금의 지급기일 내에 사채권자에게 매매금액을 지급하지 아니하는 경우 매수인은 매수대금의 지급기일 다음날로부터 실제 지급하는 날까지 매매금액에 대하여 연단리 15%의 이율을 적용하여 산출한 지연배상금(지연배상금은 1년을 365일로 하여 1일 단위로 계산하고, 초일은 산입하고 최종일은 불산입하며, 원미만의 금액은 절사한다.)을 지급하여야 한다. 매매대금의 지급 지연이 발생할 경우 지급기일 연기는 최대 10영업일까지만 가능하며, 10영업일을 초과할 경우 매도청구권 및 지연배상금은 소멸한다. 단, 매도청구권 매매일 종료(2028년 03월 17일)일 경우에는 매매대금의 지급연기(영업일이 아닌 경우에는 제외)는 할 수 없다.
발행 대상자명 |
회사 또는최대주주와의관계 |
선정경위 |
발행결정 전후6월이내거래내역 및계획 |
발행권면(전자등록)총액(원) |
비고 |
엔에이치투자증권 주식회사 (본건 펀드 1의 신탁업자 지위에서)
-
회사의 경영상 목적 달성 및 신속한 자금조달,시기 등을 고려하여 이사회에서 선정
-
600,000,000
-
엔에이치투자증권 주식회사 (본건 펀드 2의 신탁업자 지위에서)
-
회사의 경영상 목적 달성 및 신속한 자금조달,시기 등을 고려하여 이사회에서 선정
-
600,000,000
-
삼성증권 주식회사 (본건 펀드 3의 신탁업자 지위에서)
-
회사의 경영상 목적 달성 및 신속한 자금조달,시기 등을 고려하여 이사회에서 선정
-
400,000,000
-
신한투자증권 주식회사 (본건 펀드 4의 신탁업자 지위에서)
-
회사의 경영상 목적 달성 및 신속한 자금조달,시기 등을 고려하여 이사회에서 선정
-
200,000,000
-
미래에셋증권 주식회사 (본건 펀드 5의 신탁업자 지위에서)
-
회사의 경영상 목적 달성 및 신속한 자금조달,시기 등을 고려하여 이사회에서 선정
-
200,000,000
-
삼성증권 주식회사 (본건 펀드 6의 신탁업자 지위에서)
-
회사의 경영상 목적 달성 및 신속한 자금조달,시기 등을 고려하여 이사회에서 선정
-
1,000,000,000
-
삼성증권 주식회사 (본건 펀드 7의 신탁업자 지위에서)
-
회사의 경영상 목적 달성 및 신속한 자금조달,시기 등을 고려하여 이사회에서 선정
-
1,000,000,000
-
삼성증권 주식회사 (본건 펀드 8의 신탁업자 지위에서)
-
회사의 경영상 목적 달성 및 신속한 자금조달,시기 등을 고려하여 이사회에서 선정
-
1,000,000,000
-
삼성증권 주식회사 (본건 펀드 9의 신탁업자 지위에서)
-
회사의 경영상 목적 달성 및 신속한 자금조달,시기 등을 고려하여 이사회에서 선정
-
1,000,000,000
-
삼성증권 주식회사 (본건 펀드 10의 신탁업자 지위에서)
-
회사의 경영상 목적 달성 및 신속한 자금조달,시기 등을 고려하여 이사회에서 선정
-
1,000,000,000
-
삼성증권 주식회사 (본건 펀드 11의 신탁업자 지위에서)
-
회사의 경영상 목적 달성 및 신속한 자금조달,시기 등을 고려하여 이사회에서 선정
-
650,000,000
-
삼성증권 주식회사 (본건 펀드 12의 신탁업자 지위에서)
-
회사의 경영상 목적 달성 및 신속한 자금조달,시기 등을 고려하여 이사회에서 선정
-
350,000,000
-
삼성증권 주식회사 (본건 펀드 13의 신탁업자 지위에서)
-
회사의 경영상 목적 달성 및 신속한 자금조달,시기 등을 고려하여 이사회에서 선정
-
600,000,000
-
케이비증권 주식회사 (본건 펀드 14의 신탁업자 지위에서)
-
회사의 경영상 목적 달성 및 신속한 자금조달,시기 등을 고려하여 이사회에서 선정
-
400,000,000
-
키움증권 주식회사
-
회사의 경영상 목적 달성 및 신속한 자금조달,시기 등을 고려하여 이사회에서 선정
-
3,000,000,000
-
제이비우리캐피탈 주식회사
-
회사의 경영상 목적 달성 및 신속한 자금조달,시기 등을 고려하여 이사회에서 선정
-
3,000,000,000
-
아이비케이씨-JB우리-라이프 메자닌신기술투자조합 제1호
-
회사의 경영상 목적 달성 및 신속한 자금조달,시기 등을 고려하여 이사회에서 선정
-
2,000,000,000
-
신한투자증권 주식회사
-
회사의 경영상 목적 달성 및 신속한 자금조달,시기 등을 고려하여 이사회에서 선정
-
2,000,000,000
-
DB증권 주식회사
-
회사의 경영상 목적 달성 및 신속한 자금조달,시기 등을 고려하여 이사회에서 선정
-
1,000,000,000
-
구분 |
집합투자기구 |
집합투자업자 |
신탁업자 |
펀드 1 |
엔에이치투자증권 주식회사(오라이언 명품 코스닥벤처 일반 사모투자신탁 제115호(전문)의 신탁업자 지위에서) |
오라이언자산운용㈜ |
엔에이치투자증권㈜ |
펀드 2 |
엔에이치투자증권 주식회사(오라이언 명품 코스닥벤처 일반 사모투자신탁 제117호의 신탁업자 지위에서) |
오라이언자산운용㈜ |
엔에이치투자증권㈜ |
펀드 3 |
삼성증권 주식회사(오라이언 명품 코스닥벤처 일반 사모투자신탁 제108호의 신탁업자 지위에서) |
오라이언자산운용㈜ |
삼성증권㈜ |
펀드 4 |
신한투자증권 주식회사(오라이언 명품 코스닥벤처 일반 사모투자신탁 제113호의 신탁업자 지위에서) |
오라이언자산운용㈜ |
신한투자증권㈜ |
펀드 5 |
미래에셋증권 주식회사(오라이언 메자닌 멀티스트래티지 전문투자형 사모투자신탁 제1호의 신탁업자 지위에서) |
오라이언자산운용㈜ |
미래에셋증권㈜ |
펀드 6 |
삼성증권 주식회사(NH헤지 코벤 PRE-IPO 메자닌 일반 사모투자신탁의 신탁업자 지위에서) |
엔에이치헤지자산운용㈜ |
삼성증권㈜ |
펀드 7 |
삼성증권 주식회사(NH헤지 코벤 PRE-IPO 메자닌 일반 사모투자신탁 제4호 신탁업자 지위에서) |
엔에이치헤지자산운용㈜ |
삼성증권㈜ |
펀드 8 |
삼성증권 주식회사(SP 메자닌 일반 사모투자신탁 11호의 신탁업자 지위에서) |
에스피자산운용㈜ |
삼성증권㈜ |
펀드 9 |
삼성증권 주식회사(라이노스 메자닌 일반 사모 증권투자신탁 제25호의 신탁업자 지위에서) |
㈜라이노스자산운용 |
삼성증권㈜ |
펀드 10 |
삼성증권 주식회사(씨스퀘어 메자닌플러스 일반 사모 증권투자신탁 29호의 신탁업자 지위에서) |
씨스퀘어자산운용㈜ |
삼성증권㈜ |
펀드 11 |
삼성증권 주식회사(GVA M2-67 일반 사모투자신탁의 신탁업자 지위에서) |
지브이에이자산운용㈜ |
삼성증권㈜ |
펀드 12 |
삼성증권 주식회사(GVA Mezz-B3 일반 사모투자신탁(전문투자자)의 신탁업자 지위에서) |
지브이에이자산운용㈜ |
삼성증권㈜ |
펀드 13 |
삼성증권 주식회사(라이프Mezzanine일반사모투자신탁2호의 신탁업자 지위에서) |
라이프자산운용㈜ |
삼성증권㈜ |
펀드 14 |
케이비증권 주식회사(라이프Mezzanine일반사모투자신탁3호의 신탁업자 지위에서) |
라이프자산운용㈜ |
케이비증권㈜ |
【사채발행 대상 법인 또는 단체가 권리 행사로 주주가 되는 경우】 |
명 칭 |
출자자수(명) |
대표이사(대표조합원) |
업무집행자(업무집행조합원) |
최대주주(최대출자자) |
성명 |
지분(%) |
성명 |
지분(%) |
성명 |
지분(%) |
아이비케이씨-JB우리-라이프 메자닌신기술투자조합 제1호
5
㈜
아이비케이캐피탈
39.84
㈜
아이비케이캐피탈
39.84
㈜
아이비케이캐피탈
39.84
-
-
제이비우리캐피탈
㈜
29.88
-
-
-
-
라이프자산운용
㈜
0.46
-
-
(2) 법인 또는 단체의 최근 결산기 주요 재무사항 |
(단위 : 백만원) |
회계연도 |
-
결산기 |
-
자산총계 |
-
매출액 |
-
부채총계 |
-
당기순손익 |
-
자본총계 |
-
외부감사인 |
-
자본금 |
-
감사의견 |
-
조달방법 |
법인 및 개인조합원 출자금 납입
조성경위 |
신기술투자조합
주 ) |
'아이비케이씨-JB우리-라이프 메자닌 신기술투자조합'은 2025년 중 설립되어 최근 결산기 재무제표가 존재하지 않습니다. |
세부내역* |
투자기간 |
투자금액 |
생산 효율성 확보 및 중장기 사업 확대 준비를 위한 시설자금(토지 및 건물)
2025년 3분기 ~4분기
20,000
주) |
시설자금의 상세사항은 주요사항보고서(유형자산양수결정)(2025.08.27)을 참고하여 주시기 바랍니다. |
전환(행사)가능주식 |
기발행미상환사채권 |
종류 |
잔액(원) |
전환(행사)가액(원) |
전환(행사)가능주식수(주) |
전환(행사)가능기간 |
비고 |
-
-
-
-
-
-
소계 |
-
-
(A) |
-
- |
-
신규 발행 사채권 |
20,000,000,000
6,830
(B) |
2,928,257
2026년 09월 17일 ~ 2030년 08월 17일
-
합계 |
20,000,000,000
-
2,928,257
- |
-
기발행주식 총수(주) (C) |
40,191,250
기발행주식총수 대비 비율(%) (D=(A+B)/C) |
7.2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