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년 3월 13일 | ||
회 사 명 : | 한국주강주식회사 | |
대 표 이 사 : | 하만규 | |
본 점 소 재 지 : | 경남 함안군 법수면 장백로 585 | |
(전 화)055-585-8323 | ||
(홈페이지)http://www.hascokorea.co.kr | ||
작 성 책 임 자 : | (직 책) 이사 | (성 명) 황영수 |
(전 화) 055-585-8319 | ||
(제38기 정기) |
주주님의 건승과 댁내의 평안을 기원합니다. 우리 회사는 정관 제17조의 규정에 의거 제38기 정기주주총회를 아래와 같이 소집하오니 참석하여 주시기 바랍니다.
- 아 래 - |
1. 일 시 : 2025년 03월 28일(금요일) 오전08시30분
2. 장 소 : 경남 함안군 법수면 장백로 585 (법수공장) 당사회의실(3층)
3. 회의목적사항
가. 보고사항
①감사보고 ②영업보고 ③내부회계관리제도 운영실태보고
나. 부의안건
ㆍ제1호 의안 : 제38기(2024.01.01.∼2024.12.31.)
재무제표(이익잉여금처분계산서포함) 승인의 건
ㆍ제2호 의안 : 이사 선임의 건(사내이사 1명) ㆍ제3호 의안 : 이사 보수한도액 승인의 건 ㆍ제4호 의안 : 감사 보수한도액 승인의 건
4. 경영참고사항 비치
상법 제542조의 4 및 동법 시행령 제31조에 의거 경영참고사항 등을 당사의 본점, 금융위원회, 한국거래소 및 하나 은행증권대행부에 비치하오니 참고하시기 바랍 니다.
5. 주주총회 참석시 준비물 가. 직접행사 : 신분증 나. 대리행사 : 위임장, 대리인 신분증
2025년 03월 13일 |
한 국 주 강 주 식 회 사대 표 이 사 하 만 규 (직인생략) |
회차 | 개최일자 | 의안내용 | 사외이사 등의 성명 |
---|---|---|---|
동희운(출석률: 100%) | |||
찬 반 여 부 | |||
1 | 2024.01.25 | 내부회계관리자의 운영실태 평가 보고 | 찬성 |
2 | 2024.01.25 | 내부회계관리제도의 운영에 대한 감사의 평가 보고 | 찬성 |
3 | 2024.02.01 | 제37기 감사전 K-IFRS 개별재무제표 승인에 관한 건 | 찬성 |
4 | 2024.03.14 | 제37기 정기주주총회 소집의 건 | 찬성 |
5 | 2024.03.14 | 정기주주총회 제출용 제37기(2023사업연도)재무제표 승인의 건 | 찬성 |
6 | 2024.03.14 | 각자 대표이사 업무범위 조정의 건 | 찬성 |
7 | 2024.03.29 | 2024년도 임원급여 및 상여금 지급 기준의 건 | 찬성 |
8 | 2024.03.29 | 제37기 정기주주총회 결의 제1호 의안 : 제37기(2023.01.01∼2023.12.31)재무제표(이익잉여 금처분계산서 포함) 승인의 건 제2호 의안 : 이사 선임의 건 (2명) 제3호 의안 : 감사선임의 건 제4호 의안 : 이사보수한도액 승인의 건 제5호 의안 : 감사보수한도액 승인의 건 제6호 의안 : 임원퇴직금 지급규정 일부 개정의 건 | 찬성 |
9 | 2024.04.16 | 파생금융상품 거래한도 약정의 건 | 찬성 |
10 | 2024.12.18 | 파생금융상품거래 한도 증액의 건 | 찬성 |
11 | 2025.01.24 | 내부회계관리자의 운영실태 평가 보고 | 찬성 |
12 | 2025.01.24 | 내부회계관리제도의 운영에 대한 감사의 평가 보고 | 찬성 |
13 | 2025.02.07 | 제38기 감사전 K-IFRS 개별재무제표 승인에 관한 건 | 찬성 |
14 | 2025.03.04 | 제38기 정기주주총회 소집의 건 | 찬성 |
15 | 2025.03.04 | 정기주주총회 제출용 제38기(2024사업연도) 재무제표 승인의 건 | 찬성 |
위원회명 | 구성원 | 활 동 내 역 | ||
---|---|---|---|---|
개최일자 | 의안내용 | 가결여부 | ||
- | - | - | 해당사항없음 | - |
(단위 : 원) |
구 분 | 인원수 | 주총승인금액 | 지급총액 | 1인당 평균 지급액 | 비 고 |
---|---|---|---|---|---|
사외이사 | 1 | - | - | - | - |
(단위 : 억원) |
거래종류 | 거래상대방(회사와의 관계) | 거래기간 | 거래금액 | 비율(%) |
---|---|---|---|---|
매출 | 한국제강(모회사) | 2024.01.01 ~ 2024.12.31 | 192 | 40.55 |
※ 2024년도 매출총액 1%이상인 거래
(단위 : 억원) |
거래상대방(회사와의 관계) | 거래종류 | 거래기간 | 거래금액 | 비율(%) |
---|---|---|---|---|
한국제강(모회사) | 매출 | 2024.01.01 ~ 2024.12.31 | 192 | 40.55 |
※ 2024년도 매출총액 5%이상인 거래
(1) 산업의 특성
주강은 고철을 용해하여 각종 주형에 주입하여 필요한 형상으로 만든 제품으로 서 압연, 압축 또는 단조등의 방법으로 제조할 수 없는 기계의 구성 부분과 같이 비교적 복잡한 형상의 조선용 기자재, 발전ㆍ철강ㆍ시멘트 플랜트 등의 핵 심 소재를 생산하는 사업으로 초기 막대한 설비투자가 요구되는 일종의 장 치산업입니다.
주물은 사용하는 재질에 따라 주강주물, 주철주물, 비철주물 등으로 분류되며, 동사의 주 제품인 주강주물은 탄소 함유량이 낮고 니켈, 망간, 알미늄등 의 부자 재를 첨가함으로써 탄소 함유량이 높은 주철,주물에 비해 인성과 연성이 높아 기계 동력부, 구조부, 선박 선미재 등 충격이 많이 가해지는 부분품에 주로 사용 되며, 주문 생산형태에 의한 단품 제작이 주류를 이루고 있어 자동화 및 대량생 산이 불가능하고 이로 인해 대량 생산에 따른 규모의 경제효과가 거의 없어 대 기업은 과거에 주물공장의 가동을 중단한 상태로, 동 산업은 중소기업에 적합한 산업이라 할 수 있습니다.
(2) 산업의 성장성 주물산업은 국내 주요 산업의 기반이 되는 뿌리산업으로서 선박 기자재, 발전 설비, 제강ㆍ제철설비, 시멘트 플랜트 및 기타 산업설비에 소요되는 제품을 생 산, 공급하고 있으며 지난 수 년간 국내 연관 산업과 동반하여 성장해 왔으며, 전략적으로 해외시장에도 꾸준히 수출량을 증대해 왔습니다. 또한 수요자의 다양한 주문 방식에 맞춰 원자력발전설비산업, 조선산업, 산업 기계산업, 제강ㆍ제철산업, 공작기계산업 부문등으로 계속하여 수요를 확대해 나가는 등 세계경제 흐름에 따라 움직이고 있으며, 향후 경기 회복시 시장규모 가 점차 증가 할 것으로 예상됩니다.
(3) 경기변동의 특성
주강사업은 기계공업, 자동차, 산업PLANT, 조선산업등의 각종 산업에 필요한 기초 소재를 생산함으로써 국가 경제력을 뒷받침하는 기간 소재산업이며, 소재 산업의 특성상 경기와 연관효과가 큰 산업입니다. 세계경제, 환율, 내수시장 경기 등에 직.간접적으로 영향을 받는다고 볼 수 있으며, 계절적 경기변동 요인 은 특별히 존재하지 않습니다.
(4) 경쟁요소
주물사업의 경쟁력은 고객 요구조건에 부합되게 대형 주강품을 생산할 수 있는 역량에 의해 좌우되며 주물재료인 금속을 용해하는 설비로는 코우크스를 사용 하는 CUPOLA로와 아크 방전을 이용하는 전기로 및 평로, 유도로 등이 있고, 시간 당 용해 능력등의 면에서 대형전기로의 생산 효율이 가장 높으나, 고압수 전설비 및 전기로등의 투자비용이 높고 기술력의 중요성이 커 영세한 주물업체 는 동 설비의 도입이 용이하지 않습니다. 또한 대형 주강품을 생산하는 당사는 고철/합금철 등 양질의 원재료를 적기에 확보, 시장이 요구하는 기술 개발, 공 정의 생산성에 기초한 원가경쟁력 등이 요구되며, 발전설비, 해상구조물, 선미 재 등으로 자사 제품 생산을 위한 정책적인 측면에서 주강공장을 운영하고 있 어 국내에서 당사의 입지는 안정적입니다.
(5) 자원조달의 특성
주요 원재료는 고철과 분철등이며, 가격변동에 따라 원가상의 부담요인으로 작용하며, 당사는 국내산 고철을 사용하고 있습니다.
(6) 관련법령 또는 정부의 규제 등
제품전반에 대한 경쟁력 향상이 필요하며 관계법령 및 정부의 규제는 없습니다
(1) 영업개황 및 사업부문의 구분
(가) 영업개황
① 주강
당사는 1987년 8월 26일에 설립하여 조선, 제철, 제강, 산업기계 및 시멘트, 광산 기계 등에 사용되는 주강부품을 주 제품으로하는 주조업계의 상위(上位) 주강 제 조업체이며, 향후 국내외 경기의 회복 시 대형 설비투자에 따른 중, 대형주강품 의 수요가 지속적으로 증가할 것이며, 당사의 매출 및 수익률 증대도 예상됩니다
② 압축분철
전기로 제강업체의 가장 중요한 원재료인 철스크랩은 현재 국내 발생량 부족으 로 35%내외를 외국에서 수입하고 있음에도 제품 절삭가공 중 발생하는 선반스 크랩은 품질 및 장입성 문제로 전기로 제강사에서 적용에 많은 문제가 발생하 고 있으며, 재질 및 발생 형상에 따른 선반스크랩(왕분철, 주물분철, 파마분철) 중 파마분철은 절삭 가공시 재료의 재질에 따른 과다한 부피를 가진 파마형태로 발생하기에 전기로 제강사에서 장입성 문제로 다른 선반스크랩과 혼용하여 일 부 적용하고 있습니다. 당사는 파마형태의 선반스크랩을 전용 설비라인으로 압 축하여 부피를 50% 축소함과 동시에 600*600*600mm 크기의 정형화된 제품 으로 가공하여 전기로 제강사의 장입성을 개선함으로써 파마분철 적용력을 획 기적으로 개선하였습니다.
2024년 4분기 현재 일평균 최대 생산량은 470TON/일으로 전량 전기로 제강사 에 납품되고있고, 전기로 제강사의 호평으로 추가적 라인증설이나 생산량 증대 방안도 지속 검토하고 있어, 향후 분철류 재활용 가공사업은 더욱 발전할 것으 로 예상됩니다.
(나) 공시대상 품목별의 구분 (단위 : 원)
구 분 | 주강사업 | 고철사업 | 기타 | 계 | |
---|---|---|---|---|---|
주강품 | 부산물 | ||||
24년 매출 | 26,943,270,994 | 1,263,570,680 | 18,832,332,420 | 244,567,528 | 47,283,741,622 |
23년 매출 | 29,496,728,154 | 871,945,060 | 23,301,394,650 | 141,165,188 | 53,811,233,052 |
(2) 시장점유율 등
우리나라 주강품을 생산하는 제조업체는 대부분이 소형제품을 생산한 회사이며 단위 중량 50TON 이상의 대형 주강품을 제조 판매하는 회사로서 기본적으로 막 대한 설비투자가 요구되는 장치 산업으로 신규 투자회사가 극히 제한적이라 안 정적인 입지에서 경쟁하고 있습니다.
(3) 시장의 특성
주물산업은 조선, 발전, 철강, 시멘트 등 주요 전방 산업의 성장 추이에 따라 규 모가 결정되므로 전 세계적인 경기동향에 민감하게 반응하는 시장입니다. 또한, 동 산업은 기본적으로 막대한 설비 투자가 요구되는 장치산업으로 설비 투자에 비하여 투자비 회수기간이 길고 제조 기술력이 중대한 경쟁력이라 후발 업체의 신규 진입이 극히 제한적인 것이 시장의 특성입니다.
(5) 조직도
◆ 제1호 의안 : 제38기(2024.01.01∼2024.12.31) 재무제표 (이익잉여금처분계산서 포함) 승인의 건
가. 해당 사업연도의 영업상황의 개요
Ⅲ. 경영참고사항 中 1. 사업의 개요 참조
나. 해당 사업연도의 대차대조표(재무상태표)ㆍ손익계산서(포괄손익계산서)ㆍ이익잉여금처분계산서(안) 또는 결손금처리계산서(안)
<대 차 대 조 표(재 무 상 태 표)>
제 38 기 2024. 12. 31 현재 |
제 37 기 2023. 12. 31 현재 |
(단위 : 원) |
과 목 | 제 38 기 | 제 37 기 |
---|---|---|
자 산 | ||
Ⅰ. 유동자산 |
12,638,309,471 |
15,572,790,290 |
1. 현금및 현금성자산 |
1,046,794,767 |
1,372,908,678 |
2. 단기금융상품 |
500,000,000 |
- |
3. 매출채권 |
5,125,803,172 |
7,349,025,688 |
4. 기타채권 |
30,732,794 |
61,977,597 |
5. 재고자산 |
5,925,588,879 |
6,588,360,956 |
6. 기타유동자산 |
9,389,859 |
200,517,371 |
Ⅱ. 비유동자산 |
28,860,056,880 |
28,614,142,583 |
1. 장기금융상품 |
39,971,524 |
6,457,333 |
2. 기타포괄손익 -공정가치측정 금융상품 |
3,272,500,000 |
2,766,500,000 |
3. 투자부동산 |
4,898,887,382 |
4,966,788,857 |
4. 유형자산 |
20,324,771,804 |
20,450,457,243 |
5. 사용권자산 |
323,346,170 |
423,359,150 |
6. 기타비유동자산 |
580,000 |
580,000 |
자 산 총 계 |
41,498,366,351 |
44,186,932,873 |
부 채 | ||
Ⅰ. 유동부채 | 6,720,787,073 | 6,099,786,382 |
1. 매입채무 | 83,692,059 | 284,263,370 |
2. 단기차입금 | 1,000,000,000 | 2,000,000,000 |
3. 유동성장기차입금 | 1,000,000,000 | - |
4. 기타채무 | 2,624,415,122 | 2,694,004,375 |
5. 리스부채 | 94,236,950 | 93,772,740 |
6. 파생상품부채 | 18,740,195 | - |
7. 당기법인세부채 | 8,693,503 | 6,862,743 |
8. 기타유동부채 | 1,891,009,244 | 1,020,883,154 |
Ⅱ. 비유동부채 | 642,285,361 | 5,107,638,713 |
1. 장기차입금 |
- |
4,400,000,000 |
2. 장기리스부채 |
281,287,510 |
375,524,460 |
3. 퇴직급여부채 |
288,172,124 |
324,733,819 |
4. 이연법인세부채 |
72,825,727 |
7,380,434 |
부 채 총 계 |
7,363,072,434 |
11,207,425,095 |
자 본 | ||
Ⅰ. 자본금 |
5,654,629,500 |
5,654,629,500 |
Ⅱ. 자본잉여금 |
4,409,701,025 |
4,409,701,025 |
Ⅲ. 기타자본 |
(922,909,600) |
(922,909,600) |
Ⅳ. 기타포괄손익누계액 |
299,514,782 |
(125,399,293) |
Ⅴ. 이익잉여금 |
24,694,358,210 |
23,963,486,146 |
자 본 총 계 |
34,135,293,917 |
32,979,507,778 |
부 채 및 자 본 총 계 |
41,498,366,351 |
44,186,932,873 |
<손 익 계 산 서(포 괄 손 익 계 산 서)>
제 38 기 (2024. 01. 01 부터 2024. 12. 31 까지) |
제 37 기 (2023. 01. 01 부터 2023. 12. 31 까지) |
(단위 : 원) |
과 목 | 제 38 기 | 제 37 기 |
---|---|---|
I. 매출액 | 47,283,741,622 | 53,811,233,052 |
II. 매출원가 | 43,966,108,120 | 49,210,819,964 |
III. 매출총이익(손실) | 3,317,633,502 | 4,600,413,088 |
IV. 판매비와관리비 | 2,242,679,133 | 2,181,552,173 |
V. 영업이익(손실) | 1,074,954,369 | 2,418,860,915 |
VI. 순금융손익 | (303,303,285) | (130,454,720) |
1. 금융수익 | 85,696,925 | 66,105,106 |
2. 금융비용 | (313,687,362) | (477,817,934) |
3. 기타영업외손익 | (75,312,848) | 281,258,108 |
VII. 법인세비용차감전순이익(손실) | 771,651,084 | 2,288,406,195 |
Ⅷ. 법인세비용 | 9,516,739 | (206,684,014) |
Ⅸ. 당기순이익(손실) | 762,134,345 | 2,495,090,209 |
X. 기타포괄이익(손실) | 393,651,794 | 712,412,050 |
1. 후속적으로 당기손익으로 재분류될 수 없는 항목 | 393,651,794 | 712,412,050 |
가. 기타포괄손익-공정가치측정 금융자산평가이익(손실) | 424,914,075 | 883,961,111 |
나. 확정급여제도의재측정요소 | (31,262,281) | (171,549,061) |
XI. 총포괄이익(손실) | 1,155,786,139 | 3,207,502,259 |
XII. 주당이익 | ||
기본및희석주당순이익(손실) | 68 | 224 |
<자본변동표>
제 38 기 (2024. 01. 01 부터 2024. 12. 31 까지) |
제 37 기 (2023. 01. 01 부터 2023. 12. 31 까지) |
(단위 : 원) |
과 목 | 자 본 금 | 자 본잉여금 | 자 본조 정 | 기타포괄손익누계액 | 이 익잉여금 | 총 계 |
---|---|---|---|---|---|---|
2023.1.1 (전기초) |
5,654,629,500 |
4,409,701,025 |
(922,909,600) |
(1,009,360,404) |
21,639,944,998 |
29,772,005,519 |
당기순이익(손실) | - | - | - | - | 2,495,090,209 | 2,495,090,209 |
기타포괄손익 | - | - | - | 883,961,111 | (171,549,061) | 712,412,050 |
기타포괄손익-공정가치 금융자산평가이익(손실) | - | - | - | 883,961,111 |
- |
883,961,111 |
확정급여제도의 재측정요소 | - | - | - |
- |
(171,549,061) | (171,549,061) |
2023.12.31 (전기말) |
5,654,629,500 |
4,409,701,025 |
(922,909,600) |
(125,399,293) | 23,963,486,146 | 32,979,507,778 |
2024.1.1 (당기초) |
5,654,629,500 |
4,409,701,025 |
(922,909,600) |
(125,399,293) | 23,963,486,146 | 32,979,507,778 |
당기순이익(손실) | - | - | - | - | 762,134,345 | 762,134,345 |
기타포괄손익 | - | - | - | 424,914,075 | (31,262,281) | 393,651,794 |
기타포괄손익-공정가치 금융자산평가이익(손실) | - | - | - | 424,914,075 | - | 424,914,075 |
확정급여제도의 재측정요소 | - | - | - | - | (31,262,281) | (31,262,281) |
2024.12.31 (당기말) |
5,654,629,500 |
4,409,701,025 |
(922,909,600) |
299,514,782 | 24,694,358,210 | 34,135,293,917 |
<현금흐름표>
제 38 기 (2024. 01. 01 부터 2024. 12. 31 까지) |
제 37 기 (2023. 01. 01 부터 2023. 12. 31 까지) |
(단위 : 원) |
과 목 | 제38(당)기 | 제37(전)기 |
---|---|---|
영업활동으로 인한 현금흐름 | 5,477,007,881 | 3,629,602,401 |
영업에서 창출된 현금 | 5,706,027,882 | 4,014,546,058 |
이자수취 | 32,125,673 | 64,168,125 |
이자 지급 | (252,941,996) | (436,447,602) |
법인세 납부(환급)액 | (8,203,678) | (12,664,180) |
투자활동으로 인한 현금흐름 | (1,311,903,329) | 3,600,929,520 |
투자활동으로 인한 현금유입액 | 49,766,000 | 4,315,378,271 |
단기금융상품의 감소 | - | 3,462,973,837 |
장기금융상품의 감소 | - | 372,404,434 |
유형자산의 처분 | 49,766,000 | 480,000,000 |
투자활동으로 인한 현금유출액 | 1,361,669,329 | 714,448,751 |
단기금융상품의 증가 | 500,000,000 | - |
장기금융상품의 증가 | 83,287,151 | 44,896,237 |
유형자산의 취득 | 778,382,178 | 669,552,514 |
재무활동으로 인한 현금흐름 | (4,493,772,740) | (6,130,520,680) |
재무활동으로 인한 현금유입액 | - | - |
재무활동으로 인한 현금유출액 | 4493772740 | (6,130,520,680) |
유동성장기부채의 상환 | 3,400,000,000 | 800,000,000 |
단기차입금의 상환 | 1,000,000,000 | 5,249,088,100 |
리스부채의 상환 | 93,772,740 | 81,432,580 |
현금 및 현금성자산의 증가(감소) | (328,668,188) | 1,100,011,241 |
기초의 현금및현금성자산 | 1,372,908,678 | 280,390,627 |
현금 및 현금성자산의 환율변동 | 2,554,277 | (7,493,190) |
기말의 현금및현금성자산 | 1,046,794,767 | 1,372,908,678 |
<이익잉여금처분계산서 / 결손금처리계산서>
제 38 기 (2024. 01. 01 부터 2024. 12. 31 까지) |
제 37 기 (2023. 01. 01 부터 2023. 12. 31 까지) |
(단위 : 원 ) |
과 목 | 제 38 기 | 제 37 기 |
---|---|---|
미처분이익잉여금 | 24,208,358,210 | 23,477,486,146 |
전기이월미처분이익잉여금 | 23,477,486,146 | 21,153,944,998 |
확정급여제도의재측정요소 | (31,262,281) | (171,549,061) |
당기순이익 | 762,134,345 | 2,495,090,209 |
합 계 | 24,208,358,210 | 23,477,486,146 |
이익잉여금처분액 | - | - |
차기이월미처분이익잉여금 | 24,208,358,210 | 23,477,486,146 |
※ 재무제표에 관한 주석
제 38(당)기 2024년 12월 31일 현재 |
제 37(전)기 2023년 12월 31일 현재 |
한국주강주식회사 |
1. 일반 사항 한국주강 주식회사(이하 "회사")는 1987년 8월에 설립되어 주강 및 주물제품과 압축고철의 제조ㆍ판매를 주된 영업으로 하고 있으며, 경상남도 함안군에 본사를 경상남도 함안군 및 의령군에 공장을 두고 있습니다. 회사는 1997년 7월에 주식을 유가증권시장에 상장하였습니다.회사는 설립이후 수차의 증자를 거쳐 당기말 현재 자본금은 5,655백만원이며, 당기말과 전기말 현재 주요 주주현황은 다음과 같습니다.
주주명 | 당기말 | 전기말 | ||
---|---|---|---|---|
소유주식수(주) | 지분율(%) | 소유주식수(주) | 지분율(%) | |
하만규 일가 | 558,206 | 4.94 | 558,206 | 4.94 |
한국제강㈜ | 5,885,551 | 52.04 | 5,885,551 | 52.04 |
자기주식 | 164,643 | 1.45 | 164,643 | 1.45 |
기타 | 4,700,859 | 41.57 | 4,700,859 | 41.57 |
합 계 | 11,309,259 | 100.00 | 11,309,259 | 100.00 |
2. 중요한 회계정책
재무제표는 한국채택국제회계기준에 따라 작성되었으며 재무제표를 작성하기 위하여 채택한 중요한 회계정책은 별도의 언급이 없는 한 전기 재무제표 작성시 채택한 회계정책과 동일하게 적용되었습니다.
2.1 재무제표 작성 기준
(1) 회계기준 재무제표는 주식회사 등의 외부감사에 관한 법률에서 규정하고 있는 국제회계기준위원회의 국제회계기준을 채택하여 정한 회계처리기준인 한국채택국제회계기준에 따라 작성되었습니다. (2) 측정기준 재무제표는 금융상품 등 아래의 회계정책에서 별도로 언급하고 있는 사항을 제외하고는 역사적원가를 기준으로 작성되었습니다. (3) 기능통화와 표시통화 재무제표는 지배기업의 기능통화이면서 표시통화인 "원(KRW)"으로 표시되고 있으며 별도로 언급하고 있는 사항을 제외하고는 "원(KRW)" 단위로 표시되고 있습니다.
2.2 회계정책과 공시의 변경
2.2.1 회사가 채택한 제ㆍ개정 기준서 및 해석서
회사는 2024년 1월 1일로 개시하는 회계기간부터 다음의 제ㆍ개정 기준서 및 해석서를 신규로 적용하였습니다.
(1) 기업회계기준서 제1001호 '재무제표 표시' 개정 - 부채의 유동/비유동 분류, 약정사항이 있는 비유동부채
보고기간말 현재 존재하는 실질적인 권리에 따라 유동 또는 비유동으로 분류되며, 부채의 결제를 연기할 수 있는 권리의 행사가능성이나 경영진의 기대는 고려하지 않습 니다. 또한, 부채의 결제에 자기지분상품의 이전도 포함되나, 복합금융상품에서 자기 지분상품으로 결제하는 옵션이 지분상품의 정의를 충족하여 부채와 분리하여 인식된 경우는 제외됩니다. 또한, 기업이 보고기간말 후에 준수해야하는 약정은 보고기간말에 해당 부채의 분류에 영향을 미치지 않으며, 보고기간 이후 12개월 이내 약정사항을 준수해야하는 부채가 보고기간말 현재 비유동부채로 분류된 경우 보고기간 이후 12개월 이내 부채가 상환될 수 있는 위험에 관한 정보를 공시해야 합니다. 해당 기준서의 개정이 재무제표에 미치는 중요한 영향은 없습니다.
(2) 기업회계기준서 제1007호 '현금흐름표', 기업회계기준서 제1107호 '금융상품: 공시' 개정 - 공급자금융약정에 대한 정보 공시
공급자금융약정을 적용하는 경우, 재무제표이용자가 공급자금융약정이 기업의 부채와 현금흐름 그리고 유동성위험익스포저에 미치는 영향을 평가할 수 있도록 공급자금융약정에 대한 정보를 공시해야 합니다. 회사는 동 개정으로 인해 재 무제표에 중요한 영향은 없습니다.
(3) 기업회계기준서 제1116호 ‘리스’ 개정 - 판매후리스에서 생기는 리스부채
판매후리스에서 생기는 리스부채를 후속적으로 측정할 때 판매자-리스이용자가 보유하는 사용권 관련 손익을 인식하지 않는 방식으로 리스료나 수정리스료를 산정합니다. 회사는 동 개정으로 인해 재무제표에 중요한 영향은 없습니다.
2.2.2 공표되었으나 아직 시행되지 않은 제ㆍ개정 기준서 및 해석서 당기말 현재 제정ㆍ공표되었으나 시행일이 도래하지 아니하였고, 회사가 조기 적용하지 아니한 제ㆍ개정 기업회계기준서 및 해석서는 다음과 같습니다.
(1) 기업회계기준서 제1021호 ‘환율변동효과’와 기업회계기준서 제1101호 ‘한국채택국제회계기준의 최초채택’ 개정 - 교환가능성 결여통화의 교환가능성을 평가하고 다른 통화와 교환이 가능하지 않다면 현물환율을 추정하며 관련 정보를 공시하도록 하고 있습니다. 동 개정사항은 2025년 1월 1일 이후 시작하는 회계연도부터 적용되며, 조기적용이 허용됩니다. 회사는 동 개정으로 인한 재무제표의 영향을 검토 중에 있습니다. 해당 기준서의 개정이 재무제표에 미치는 중요한 영향은 없습니다(2) 기업회계기준서 제1109호 ‘금융상품’, 제1107호 ‘금융상품: 공시’ 개정
실무에서 제기된 의문에 대응하고 새로운 요구사항을 포함하기 위해 기업회계기준서 제1109호 ‘금융상품’과 제1107호 ‘금융상품: 공시’가 개정되었습니다. 동 개정사항은 2026년 1월 1일 이후 시작하는 회계연도부터 적용되며, 조기적용이 허용됩니다. 주요 개정내용은 다음과 같습니다. 회사는 동 개정으로 인한 재무제표의 영향을 검토 중에 있습니다. 해당 기준서의 개정이 재무제표에 미치는 중요한 영향은 없습니다.
- 특정 기준을 충족하는 경우, 결제일 전에 전자지급시스템을 통해 금융부채가 결제된 것으로(제거된 것으로) 간주할 수 있도록 허용
- 금융자산이 원리금 지급만으로 구성되어 있는지의 기준을 충족하는지 평가하기 위한 추가 지침을 명확히 하고 추가함.
- 계약상 현금흐름의 시기나 금액을 변경시키는 계약조건이 기업에 미치는 영향과 기업이 노출되는 정도를 금융상품의 각 종류별로 공시
- 기타포괄손익-공정가치측정 금융자산 지정 지분상품에 대한 추가 공시
2.3 관계기업에 대한 투자관계기업은 회사가 유의적 영향력을 보유하는 기업이며, 관계기업 투자는 최초에 취득원가로 인식하며 이후 지분법을 적용합니다. 회사와 관계기업 간의 거래에서 발생한 미실현이익은 회사의 관계기업에 대한 지분에 해당하는 부분만큼 제거됩니다. 관계기업의 손실 중 회사의 지분이 관계기업에 대한 투자지분(순투자의 일부를 구성하는 장기투자지분 포함)과 같거나 초과하는 경우에는 지분법 적용을 중지합니다. 단, 회사의 지분이 영(0)으로 감소된 이후 추가 손실분에 대하여 회사에 법적-의제의무가 있거나, 관계기업을 대신하여 지급하여야 하는 경우, 그 금액까지만 손실과 부채로 인식합니다. 또한 관계기업 투자에 대한 객관적인 손상의 징후가 있는 경우 관계기업 투자의 회수가능액과 장부금액과의 차이는 손상차손으로 인식됩니다. 회사는 지분법을 적용하기 위하여 관계기업의 재무제표를 이용할 때, 유사한 상황에서 발생한 동일한 거래나 사건에 대하여 회사가 적용하는 회계정책과 동일한 회계정책이 적용되었는지 검토하여 필요한 경우 관계기업의 재무제표를 조정합니다.
2.4 외화환산
(1) 기능통화와 표시통화
회사는 재무제표에 포함되는 항목들을 영업활동이 이뤄지는 주된 경제 환경에서의 통화("기능통화")를 적용하여 측정하고 있습니다. 회사의 기능통화는 대한민국 원화이며, 재무제표는 대한민국 원화로 표시되어 있습니다.
(2) 외화거래와 보고기간말의 환산
외화거래는 거래일의 환율 또는 재측정되는 항목인 경우 평가일의 환율을 적용한 기능통화로 인식됩니다. 외화거래의 결제나 화폐성 외화 자산ㆍ부채의 환산에서 발생하는 외환차이는 당기손익으로 인식됩니다. 다만, 조건을 충족하는 현금흐름위험회피나 순투자의 위험회피의 효과적인 부분과 관련되거나 보고기업의 해외사업장에 대한 순투자의 일부인 화폐성항목에서 생기는 손익은 기타포괄손익으로 인식합니다.
차입금과 관련된 외환차이는 손익계산서에 금융원가로 표시되며, 다른 외환차이는 금융수익 또는 금융비용에 표시됩니다.
비화폐성 금융자산ㆍ부채로부터 발생하는 외환차이는 공정가치 변동손익의 일부로 보아 당기손익-공정가치 측정 지분상품으로부터 발생하는 외환차이는 당기손익으로, 기타포괄손익-공정가치 측정 지분상품의 외환차이는 기타포괄손익에 포함하여 인식됩니다.
2.5 금융자산
(1) 분류
회사는 다음의 측정 범주로 금융자산을 분류합니다.
- 당기손익-공정가치 측정 금융자산
- 기타포괄손익-공정가치 측정 금융자산
- 상각후원가 측정 금융자산
금융자산은 금융자산의 관리를 위한 사업모형과 금융자산의 계약상 현금흐름 특성에 근거하여 분류합니다.
공정가치로 측정하는 금융자산의 손익은 당기손익 또는 기타포괄손익으로 인식합니다. 채무상품에 대한 투자는 해당 자산을 보유하는 사업모형에 따라 그 평가손익을 당기손익 또는 기타포괄손익으로 인식합니다. 회사는 금융자산을 관리하는 사업모형을 변경하는 경우에만 채무상품을 재분류합니다.
단기매매항목이 아닌 지분상품에 대한 투자는 최초 인식시점에 후속적인 공정가치 변동을 기타포괄손익으로 표시할 것을 지정하는 취소불가능한 선택을 할 수 있습니다. 지정되지 않은 지분상품에 대한 투자의 공정가치 변동은 당기손익으로 인식합니다.
(2) 측정
회사는 최초 인식시점에 금융자산을 공정가치로 측정하며, 당기손익-공정가치 측정 금융자산이 아닌 경우에 해당 금융자산의 취득과 직접 관련되는 거래원가는 공정가치에 가산합니다. 당기손익-공정가치 측정 금융자산의 거래원가는 당기손익으로 비용처리합니다.
내재파생상품을 포함하는 복합계약은 계약상 현금흐름이 원금과 이자로만 구성되어 있는지를 결정할 때 해당 복합계약 전체를 고려합니다.
① 채무상품
금융자산의 후속적인 측정은 금융자산의 계약상 현금흐름 특성과 그 금융자산을 관리하는 사업모형에 근거합니다. 회사는 채무상품을 다음의 세 범주로 분류합니다.
(가) 상각후원가계약상 현금흐름을 수취하기 위해 보유하는 것이 목적인 사업모형 하에서 금융자산을 보유하고, 계약상 현금흐름이 원리금만으로 구성되어 있는 자산은 상각후원가로 측정합니다. 상각후원가로 측정하는 금융자산으로서 위험회피관계의 적용 대상이 아닌 금융자산의 손익은 해당 금융자산을 제거하거나 손상할 때 당기손익으로 인식합니다. 유효이자율법에 따라 인식하는 금융자산의 이자수익은 '금융수익'에 포함됩니다.
(나) 기타포괄손익-공정가치 측정 금융자산계약상 현금흐름의 수취와 금융자산의 매도 둘 다를 통해 목적을 이루는 사업모형 하에서 금융자산을 보유하고, 계약상 현금흐름이 원리금만으로 구성되어 있는 금융자산은 기타포괄손익-공정가치로 측정합니다. 손상차손(환입)과 이자수익 및 외환손익을 제외하고는, 공정가치로 측정하는 금융자산의 평가손익은 기타포괄손익으로 인식합니다. 금융자산을 제거할 때에는 인식한 기타포괄손익누계액을 자본에서 당기손익으로 재분류합니다. 유효이자율법에 따라 인식하는 금융자산의 이자수익은 '금융수익'에 포함됩니다. 외환손익은 '금융수익' 또는 '금융비용'으로 표시하고 손상차손은 '금융비용'으로 표시합니다.
(다) 당기손익-공정가치 측정 금융자산상각후원가 측정이나 기타포괄손익-공정가치 측정 금융자산이 아닌 채무상품은 당기손익-공정가치로 측정됩니다. 위험회피관계가 적용되지 않는 당기손익-공정가치 측정 채무상품의 손익은 당기손익으로 인식하고 발생한 기간에 손익계산서에 '금융수익' 또는 '금융비용'으로 표시합니다.
② 지분상품
회사는 모든 지분상품에 대한 투자를 후속적으로 공정가치로 측정합니다. 공정가치 변동을 기타포괄손익으로 표시할 것을 선택한 장기적 투자목적 또는 전략적 투자목적의 지분상품에 대해 기타포괄손익으로 인식한 금액은 해당 지분상품을 제거할 때에도 당기손익으로 재분류하지 않습니다. 이러한 지분상품에 대한 배당수익은 회사가 배당을 받을 권리가 확정된 때 '금융수익'으로 당기손익으로 인식합니다.
당기손익-공정가치로 측정하는 금융자산의 공정가치 변동은 손익계산서에 '금융수익' 또는 '금융비용'으로 표시합니다. 기타포괄손익-공정가치로 측정하는 지분상품에 대한 손상차손(환입)은 별도로 구분하여 인식하지 않습니다.
(3) 손상
회사는 미래전망정보에 근거하여 상각후원가로 측정하거나 기타포괄손익-공정가치로 측정하는 채무상품에 대한 기대신용손실을 평가합니다. 손상 방식은 신용위험의 유의적인 증가 여부에 따라 결정됩니다. 단, 매출채권 및 리스채권에 대해 회사는 채권의 최초 인식시점부터 전체기간 기대신용손실을 인식하는 간편법을 적용합니다(회사가 신용위험이 유의적으로 증가하였는지를 결정하는 방법은 주석4.1.2 참조).
(4) 인식과 제거
금융자산의 정형화된 매입 또는 매도는 매매일에 인식하거나 제거합니다. 금융자산은 현금흐름에 대한 계약상 권리가 소멸하거나 금융자산을 양도하고 소유에 따른 위험과 보상의 대부분을 이전한 경우에 제거됩니다.
회사가 금융자산을 양도한 경우라도 채무자의 채무불이행시의 소구권 등으로 양도한 금융자산의 소유에 따른 위험과 보상의 대부분을 회사가 보유하는 경우에는 이를 제거하지 않고 그 양도자산 전체를 계속하여 인식하되, 수취한 대가를 금융부채로 인식합니다. 해당 금융부채는 재무상태표에 '차입금'으로 분류하고 있습니다(주석4.3 참조).
(5) 금융상품의 상계
금융자산과 부채는 인식한 자산과 부채에 대해 법적으로 집행가능한 상계권리를 현재 보유하고 있고, 순액으로 결제하거나 자산을 실현하는 동시에 부채를 결제할 의도를 가지고 있을 때 상계하여 재무상태표에 순액으로 표시합니다. 법적으로 집행가능한 상계권리는 미래사건에 좌우되지 않으며, 정상적인 사업과정의 경우와 채무불이행의 경우 및 지급불능이나 파산의 경우에도 집행가능한 것을 의미합니다.
2.6 매출채권
매출채권은 유의적인 금융요소를 포함하지 않는 경우에는 무조건적인 대가의 금액으로, 유의적인 금융요소를 포함하는 경우에는 공정가치로 최초 인식합니다. 매출채권은 후속적으로 유효이자율법을 적용한 상각후원가에 손실충당금을 차감하여 측정됩니다. (회사의 매출채권 손상에 대한 회계정책은 주석 4.1.2 참조)
2.7 재고자산
재고자산은 원가와 순실현가능가치 중 작은 금액으로 표시되고, 재고자산의 원가는 총평균법에 따라 결정됩니다.
2.8 유형자산
유형자산은 원가에서 감가상각누계액과 손상차손누계액을 차감하여 표시됩니다. 역사적 원가는 자산의 취득에 직접적으로 관련된 지출을 포함합니다.
토지를 제외한 자산은 취득원가에서 잔존가치를 제외하고, 다음의 추정 경제적 내용연수에 걸쳐 정액법으로 상각됩니다.
과 목 |
추정 내용연수 |
---|---|
건물 |
30년 |
구축물 |
30년 |
기계장치 |
8년 |
차량운반구 |
4년 |
공구기구비품 |
4년 |
유형자산의 감가상각방법과 잔존가치 및 경제적 내용연수는 매 회계연도 말에 재검토되고 필요한 경우 추정의 변경으로 조정됩니다.
2.9 차입원가
적격자산의 취득, 건설 또는 생산과 직접 관련된 차입원가는 당해 자산 원가의 일부로 자본화되며, 적격자산을 취득하기 위한 특정목적 차입금의 일시적 운용에서 발생한 투자수익은 당 회계기간 동안 자본화 가능한 차입원가에서 차감됩니다. 기타 차입원가는 발생기간에 비용으로 인식됩니다.
2.10 투자부동산
임대수익이나 투자차익을 목적으로 보유하고 있는 부동산(사용권 자산을 포함)은 투자부동산으로 분류됩니다. 투자부동산은 최초 인식시점에 원가로 측정되며, 최초 인식 후에는 원가에서 감가상각누계액과 손상차손누계액을 차감한 금액으로 표시됩니다. 투자부동산 중 토지를 제외한 투자부동산은 추정 경제적 내용연수 30년 동안 정액법으로 상각됩니다.
2.11 비금융자산의 손상 상각대상 자산에 대하여는 자산손상을 시사하는 징후가 있을 때 손상검사를 수행하고 있습니다. 손상차손은 회수가능액(사용가치 또는 처분부대원가를 차감한 공정가치 중 높은 금액)을 초과하는 장부금액만큼 인식되고 매 보고기간말에 환입가능성이 검토됩니다.2.12 매입채무와 기타채무
매입채무와 기타채무는 회사가 보고기간말 전에 제공받은 재화나 용역에 대하여 지급하지 않은 부채입니다. 해당 채무는 무담보이며, 인식 후에 통상 60일 이내에 지급됩니다. 매입채무와 기타채무는 보고기간 후 12개월 후에 지급기일이 도래하는 것이아니라면 재무상태표에서 유동부채로 표시합니다. 해당 채무는 최초에 공정가치로 인식하고 이후 유효이자율법을 사용한 상각후원가로 측정합니다.
2.13 금융부채
(1) 분류 및 측정
회사의 당기손익-공정가치 측정 금융부채는 단기매매목적의 금융상품입니다. 주로 단기간 내에 재매입할 목적으로 부담하는 금융부채는 단기매매금융부채로 분류됩니다. 또한, 위험회피회계의 수단으로 지정되지 않은 파생상품이나 금융상품으로부터 분리된 내재파생상품도 단기매매금융부채로 분류됩니다.
당기손익-공정가치 측정 금융부채, 금융보증계약, 금융자산의 양도가 제거조건을 충족하지 못하는 경우에 발생하는 금융부채를 제외한 모든 비파생금융부채는 상각후원가로 측정하는 금융부채로 분류되고 있으며, 재무상태표상 '매입채무', '기타채무' 및 '차입금' 등으로 표시됩니다.
차입금은 공정가치에서 발생한 거래원가를 차감한 금액으로 최초 인식하고 이후 상각후원가로 측정합니다. 받은 대가(거래원가 차감 후)와 상환금액의 차이는 유효이자율법을 사용하여 기간에 걸쳐 당기손익으로 인식합니다. 차입한도를 제공받기 위해 지급한 수수료는 차입한도의 일부나 전부로써 차입을 실행할 가능성이 높은(probable) 범위까지는 차입금의 거래원가로 인식합니다. 이 경우 수수료는 차입을 실행할 때까지 이연합니다. 차입한도약정의 일부나 전부로써 차입을 실행할 가능성이 높다는 증거가 없는 범위의 관련 수수료는 유동성을 제공하는 서비스에 대한 선급금으로서 자산으로 인식 후 관련된 차입한도기간에 걸쳐 상각합니다.
특정일에 의무적으로 상환해야 하는 우선주는 부채로 분류됩니다. 이러한 우선주에 대한 유효이자율법에 따른 이자비용은 다른 금융부채에서 인식한 이자비용과 함께 손익계산서상 '금융비용'으로 인식됩니다.
보고기간 후 12개월 이상 부채의 결제를 연기할 수 있는 무조건의 권리를 가지고 있지 않다면 차입금은 유동부채로 분류합니다.
(2) 제거
금융부채는 계약상 의무가 이행, 취소 또는 만료되어 소멸되거나 기존 금융부채의 조건이 실질적으로 변경된 경우에 재무상태표에서 제거됩니다. 소멸하거나 제3자에게 양도한 금융부채의 장부금액과 지급한 대가(양도한 비현금자산이나 부담한 부채를 포함)의 차액은 당기손익으로 인식합니다.(3) 파생상품 파생상품은 최초 인식시 계약일의 공정가치로 측정하고 이후 공정가치로 재측정하고있습니다.
(가) 내재파생상품 ① 금융자산이 주계약인 복합계약 내재파생상품을 포함하는 금융자산은 복합계약 전체를 고려하여 분류를 결정하고 내재파생상품을 분리하여 인식하지 않습니다. 계약상 현금흐름이 원금과 이자로만 구성되어 있는지를 판단할 때에도 해당 복합계약 전체를 고려합니다. ② 그 밖의 복합계약(복합계약이 금융자산이 아닌 주계약을 포함하는 경우) 내재파생상품의 경제적 특성 및 위험이 주계약의 경제적 특성 및 위험과 밀접하게 관련되어 있지 않고, 내재파생상품과 동일한 조건을 가진 별도의 금융상품 등이 파생상품의 정의를 충족하며 복합계약의 공정가치 변동이 당기손익으로 인식되지 아니하는 경우 주계약과 분리하여 별도의 파생상품으로 회계처리하고 있습니다.
2.14 당기법인세 및 이연법인세 법인세비용은 당기법인세와 이연법인세로 구성됩니다. 법인세는 기타포괄손익이나 자본에 직접 인식된 항목과 관련된 금액은 해당 항목에서 직접 인식하며, 이를 제외하고는 당기손익으로 인식됩니다.
당기법인세비용은 보고기간말 현재 제정되었거나 실질적으로 제정된 세법에 근거하여 측정합니다. 경영진은 적용 가능한 세법 규정이 해석에 따라 달라질 수 있는 상황에 대하여 회사가 세무신고 시 적용한 세무정책에 대하여 주기적으로 평가하고 있으며, 세무당국이 불확실한 법인세 처리를 수용할 가능성이 높은지 고려합니다. 회사는 법인세 측정 시 가장 가능성이 높은 금액 또는 기댓값 중 불확실성의 해소를 더 잘 예측할 것으로 예상되는 방법을 사용하여 불확실성의 영향을 반영합니다. 이연법인세는 자산과 부채의 장부금액과 세무기준액의 차이로 발생하는 일시적차이에 대하여 장부금액을 회수하거나 결제할 때의 예상 법인세효과로 인식됩니다. 다만, 사업결합 이외의 거래에서 자산 ·부채를 최초로 인식할 때 발생하는 이연법인세 자산과 부채는 그 거래가 회계이익이나 과세소득에 영향을 미치지 않는다면 인식되지 않습니다.이연법인세자산은 차감할 일시적차이가 사용될 수 있는 미래 과세소득의 발생가능성이 높은 경우에 인식됩니다.종속기업, 관계기업 및 공동기업 투자지분과 관련된 가산할 일시적차이에 대해 소멸시점을 통제할 수 있고 예측가능한 미래에 일시적차이가 소멸하지 않을 가능성이 높은 경우를 제외하고 이연법인세부채를 인식하고 있습니다. 또한 이러한 자산으로부터 발생하는 차감할 일시적차이에 대하여 일시적차이가 예측가능한 미래에 소멸할 가능성이 높고 일시적차이가 사용될 수 있는 과세소득이 발생할 가능성이 높은 경우에만 이연법인세자산을 인식하고 있습니다.이연법인세 자산과 부채는 법적으로 당기법인세자산과 당기법인세부채를 상계할 수 있는 권리를 회사가 보유하고 있고, 이연법인세 자산과 부채가 동일한 과세당국에 의해서 부과되는 법인세와 관련된 경우에 상계합니다. 당기법인세 자산과 부채는 법적으로 상계할 수 있는 권리를 회사가 보유하고 있고, 순액으로 결제할 의도가 있거나 자산을 실현하는 동시에 부채를 결제하려는 의도가 있는 경우에 상계합니다.
2.15 종업원급여
(1) 퇴직급여
회사의 퇴직연금제도는 확정급여제도입니다.
확정급여제도는 확정기여제도를 제외한 모든 퇴직연금제도입니다. 일반적으로 확정급여제도는 연령, 근속연수나 급여수준 등의 요소에 의하여 종업원이 퇴직할 때 지급받을 퇴직연금급여의 금액이 확정됩니다. 확정급여제도와 관련하여 재무상태표에 계상된 부채는 보고기간말 현재 확정급여채무의 현재가치에서 사외적립자산의 공정가치를 차감한 금액입니다. 확정급여채무는 매년 독립된 보험계리인에 의해 예측단위적립방식에 따라 산정되며, 확정급여채무의 현재가치는 그 지급시점과 만기가 유사한 우량회사채의 이자율로 기대미래현금유출액을 할인하여 산정됩니다. 한편, 순확정급여부채와 관련한 재측정요소는 기타포괄손익으로 인식됩니다.
제도개정, 축소 또는 정산이 발생하는 경우, 과거근무원가 또는 정산으로 인한 손익은 당기손익으로 인식됩니다.
2.16 수익인식
(1) 재화의 판매회사는 주강품 및 압축고철 등을 제조하여 고객에게 판매하는 사업을 영위하고 있습니다. 제품이 고객에게 인도되고, 고객이 제품에 대한 모든 재량을 가지며, 고객의 제품 인수에 영향을 미칠 수 있는 이행되지 않은 의무가 남아있지 않은 시점에서 제품에 대한 통제가 이전된 것으로 보아 매출을 인식합니다. 제품을 특정한 위치에 납품하고, 진부화와 손실 위험이 고객에게 이전되며, 고객이 매출계약에 따라 제품을 인수하거나 회사가 인수의 모든 조건을 충족하였다는 객관적인 증거를 입수하는 시점에 제품이 인도된 것으로 봅니다.수취채권은 재화를 인도하였을 때 인식합니다. 이는 재화를 인도하는 시점부터는 시간이 지나기만 하면 대가를 지급받게 되므로 대가를 받을 무조건적인 권리가 생기기 때문입니다. 2.17 리스
(1) 리스제공자
회사가 리스제공자인 경우 운용리스에서 생기는 리스수익은 리스기간에 걸쳐 정액기준으로 인식합니다. 운용리스 체결 과정에서 부담하는 리스개설직접원가를 기초자산의 장부금액에 더하고 리스료 수익과 같은 기준으로 리스기간에 걸쳐 비용으로 인식합니다. 각 리스자산은 재무상태표에서 그 특성에 기초하여 표시하였습니다.
(2) 리스이용자
회사는 부동산 및 차량운반구 등을 리스하고 있습니다. 리스계약은 일반적으로 3~10년의 고정기간으로 체결되지만 아래 (3)에서 설명하는 연장선택권이 있을 수 있습니다.
계약에는 리스요소와 비리스요소가 모두 포함될 수 있습니다. 회사는 상대적 개별 가격에 기초하여 계약 대가를 리스요소와 비리스요소에 배분하였습니다.
리스조건은 개별적으로 협상되며 다양한 계약조건을 포함합니다. 리스계약에 따라 부과되는 다른 제약은 없지만 리스자산을 차입금의 담보로 제공할 수는 없습니다.
회사는 계약이 집행가능한 기간 내에서 해지불능기간에 리스이용자가 연장선택권을 행사할 것이 상당히 확실한 경우의 그 대상기간과 종료선택권을 행사하지 않을 것이 상당히 확실한 경우의 그 대상기간을 포함하여 리스기간을 산정합니다. 회사는 리스이용자와 리스제공자가 각각 다른 당사자의 동의 없이 종료할 수 있는 권리가 있는 경우 계약을 종료할 때 부담할 경제적 불이익을 고려하여 집행가능한 기간을 산정합니다.
리스에서 생기는 자산과 부채는 최초에 현재가치기준으로 측정합니다. 리스부채는 다음 리스료의 순현재가치를 포함합니다.
ㆍ받을 리스 인센티브를 차감한 고정리스료(실질적인 고정리스료 포함)
ㆍ개시일 현재 지수나 요율을 사용하여 최초 측정한, 지수나 요율(이율)에 따라 달라지는 변동리스료
ㆍ잔존가치보증에 따라 회사(리스이용자)가 지급할 것으로 예상되는 금액
ㆍ회사(리스이용자)가 매수선택권을 행사할 것이 상당히 확실한 경우에 그 매수선택권의 행사가격
ㆍ리스기간이 회사(리스이용자)의 종료선택권 행사를 반영하는 경우에 그 리스를 종료하기 위하여 부담하는 금액
리스이용자가 리스 연장선택권을 행사할 것이 상당히 확실한(reasonably certain) 경우 그 선택권의 행사에 따라 지급할 리스료 또한 리스부채의 측정에 포함됩니다.
리스의 내재이자율을 쉽게 산정할 수 있는 경우 그 이자율로 리스료를 할인합니다. 내재이자율을 쉽게 산정할 수 없는 경우에는 리스이용자가 비슷한 경제적 환경에서 비슷한 기간에 걸쳐 비슷한 담보로 사용권자산과 가치가 비슷한 자산을 획득하는 데 필요한 자금을 차입한다면 지급해야 할 이자율인 리스이용자의 증분차입이자율을 사용합니다.
회사는 증분차입이자율을 다음과 같이 산정합니다.
ㆍ가능하다면 개별 리스이용자가 받은 최근 제3자 금융 이자율에 제3자 금융을 받은 이후 재무상태의 변경을 반영
ㆍ최근 제3자 금융을 받지 않은 경우 무위험이자율에 신용위험을 조정하는 상향 접근법을 사용
ㆍ국가, 통화, 담보, 보증과 같은 리스에 특정한 조정을 반영
개별 리스이용자가 리스와 비슷한 지급일정을 가진 분할상환 차입금 이자율을 쉽게 관측(최근의 금융 또는 시장 자료를 통해)할 수 있는 경우, 회사는 증분차입이자율을 산정할 때 그 이자율을 시작점으로 사용합니다.
회사는 지수나 요율에 따라 달라지는 변동리스료의 경우 지수나 요율이 유효할 때까지 리스부채에 포함하지 않는 변동리스료의 잠재적 미래 증가 위험에 노출되어 있습니다. 지수나 요율에 따라 달라지는 리스료의 조정액이 유효한 시점에서 리스부채를 재평가하고 사용권자산을 조정합니다.
각 리스료는 리스부채의 상환과 금융원가로 배분합니다. 금융원가는 각 기간의 리스부채 잔액에 대하여 일정한 기간 이자율이 산출되도록 계산된 금액을 리스기간에 걸쳐 당기손익으로 인식합니다.
사용권자산은 다음 항목들로 구성된 원가로 측정합니다.
ㆍ리스부채의 최초 측정금액
ㆍ받은 리스 인센티브를 차감한 리스개시일이나 그 전에 지급한 리스료
ㆍ리스이용자가 부담하는 리스개설직접원가
ㆍ복구원가의 추정치
사용권자산은 리스개시일부터 사용권자산의 내용연수 종료일과 리스기간 종료일 중 이른 날까지의 기간동안 감가상각합니다. 회사가 매수선택권을 행사할 것이 상당히 확실한(reasonably certain) 경우 사용권자산은 기초자산의 내용연수에 걸쳐 감가상각합니다.
차량운반구 등의 단기리스와 모든 소액자산 리스와 관련된 리스료는 정액 기준에 따라 당기손익으로 인식합니다. 단기리스는 매수선택권 없이 리스기간이 12개월 이하인 리스이며, 소액리스자산은 IT기기와 소액의 사무실 가구 등으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3) 연장선택권 및 종료선택권
회사의 부동산 리스계약에 연장선택권 및 종료선택권을 포함하고 있습니다. 이러한 조건들은 계약 관리 측면에서 운영상의 유연성을 극대화하기 위해 사용됩니다. 보유하고 있는 대부분의 연장선택권 및 종료선택권은 해당 리스제공자가 아니라 회사가 행사할 수 있습니다.
2.18 영업부문
영업부문별 정보는 최고영업의사결정자에게 내부적으로 보고되는 방식에 기초하여 공시됩니다(주석30 참조). 최고영업의사결정자는 영업부문에 배부될 자원과 영업부문의 성과를 평가하는데 책임이 있으며, 회사는 전략적 의사결정을 수행하는 대표이사 및 이사회를 최고의사결정자로 보고 있습니다.
2.19 재무제표 승인
회사의 재무제표는 2025년 3월 4일자로 이사회에서 승인됐으며, 정기주주총회에서 수정승인 될 수 있습니다.
3. 중요한 회계추정 및 가정
재무제표 작성에는 미래에 대한 가정 및 추정이 요구되며 경영진은 회사의 회계정책을 적용하기 위해 판단이 요구됩니다. 추정 및 가정은 지속적으로 평가되며, 과거 경험과 현재의 상황에 비추어 합리적으로 예측가능한 미래의 사건을 고려하여 이루어집니다. 회계추정의 결과가 실제 결과와 동일한 경우는 드물 것이므로 중요한 조정을 유발할 수 있는 유의적인 위험을 내포하고 있습니다.
다음 회계연도에 자산 및 부채 장부금액의 조정에 영향을 미칠 수 있는 경영진 판단과 유의적 위험에 대한 추정 및 가정은 다음과 같습니다. 일부 항목에 대한 유의적인 판단 및 추정에 대한 추가적인 정보는 개별 주석에 포함되어 있습니다.
(1) 법인세
회사의 과세소득에 대한 법인세는 세법 및 과세당국의 결정을 적용하여 산정되므로 최종 세효과를 산정하는 데에는 불확실성이 존재합니다.
(2) 재고자산평가충당금
회사는 보고기간 말 현재 품질저하, 진부화, 손상 등의 개별손상 징후가 있는지 검토하여 평가손실을 인식하고, 개별 평가대상을 제외한 재고자산에 대해서는 순실현가치와 장부금액의 차액을 평가손실로 인식합니다. 재고자산에 대한 순실현가치 평가 시 향후 판매가격 및 판매부대비용에 대한 추정을 적용하고 있습니다.
- 최근 2사업연도의 배당에 관한 사항
해당사항 없음
가. 후보자의 성명ㆍ생년월일ㆍ추천인ㆍ최대주주와의 관계ㆍ사외이사후보자 등 여부
후보자성명 | 생년월일 | 사외이사후보자여부 |
감사위원회 위원인 이사 분리선출 여부 |
최대주주와의 관계 | 추천인 |
---|---|---|---|---|---|
정상욱 | 1954.01.01 | 사내이사 | 부 | 없음 | 이사회 |
총 ( 1 ) 명 |
나. 후보자의 주된직업ㆍ세부경력ㆍ해당법인과의 최근3년간 거래내역
후보자성명 | 주된직업 | 세부경력 | 해당법인과의최근3년간 거래내역 | |
---|---|---|---|---|
기간 | 내용 | |||
정상욱 | 現)한국주강(주) 대표이사 | 1994.06. ~ 현재 |
현)한국주강 대표이사 |
없음 |
다. 후보자의 체납사실 여부ㆍ부실기업 경영진 여부ㆍ법령상 결격 사유 유무
후보자성명 | 체납사실 여부 | 부실기업 경영진 여부 | 법령상 결격 사유 유무 |
---|---|---|---|
정상욱 | 부 | 부 | 부 |
라. 후보자의 직무수행계획(사외이사 선임의 경우에 한함)
해당사항 없음 |
마. 후보자에 대한 이사회의 추천 사유
정상욱 후보자는 다년간의 풍부한 경험과 전문지식을 통해 뛰어난 경영능력을 발휘하여 회사가 지속적으로 성장하는 데에 큰 기여를 하였으며, 강력한 리더십과 실적으로 입증된 결단력, 실행력을 바탕으로 당사의 지속적인 성장과 중장기적인 기업가치 향상에 기여할것으로 판단되어 추천하였습니다. |
※ 기타 참고사항
해당사항 없음
가. 이사의 수ㆍ보수총액 내지 최고 한도액
(당 기)
이사의 수 (사외이사수) | 4(1) |
보수총액 또는 최고한도액 | 20억원 |
(전 기)
이사의 수 (사외이사수) | 4(1) |
실제 지급된 보수총액 | 703백만원 |
최고한도액 | 20억원 |
※ 기타 참고사항
해당사항없음
가. 감사의 수ㆍ보수총액 내지 최고 한도액
(당 기)
감사의 수 | 1 |
보수총액 또는 최고한도액 | 3천만원 |
(전 기)
감사의 수 | 1 |
실제 지급된 보수총액 | 24백만원 |
최고한도액 | 3천만원 |
※ 기타 참고사항
해당사항없음
제출(예정)일 | 사업보고서 등 통지 등 방식 |
---|---|
- 사업보고서는 향후 주주총회 이후 변경되거나 오기 등이 있는 경우 수정될 수 있으며, 이 경우 전자공시시스템(http://dart.fss.or.kr)에 정정보고서를 공시할 예정이므로 이를 참조하시기 바랍니다.- 주주총회 이후 변경된 사항에 관하여는 「DART-정기공시」에 제출된 (http://dart.fss.or.kr) 사업보고서를 활용하시길 바랍니다.- 사업보고서 및 감사보고서는 주주총회 1주전 전자공시시스템(http://dart.fss.or.kr)에 공시하고 홈페이지(https://www.hascokorea.co.kr/ → 고객센터 → 공지사항)에 게재할 예정이오니 참고하시기 바랍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