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년 9월 11일 | ||
회 사 명 : | 아세아 주식회사 | |
대 표 이 사 : | 이 훈 범, 오 기 호 | |
본 점 소 재 지 : | 서울시 강남구 논현로 430 (역삼동 726) | |
(전 화) 02) 527 - 6700 | ||
(홈페이지)https://www.asiaholdings.co.kr | ||
작 성 책 임 자 : | (직 책)경영관리담당임원 | (성 명)김 태 형 |
(전 화)02) 527 - 6734 | ||
(2025년 임시주주총회) |
주주님의 건승과 댁내의 평안을 기원합니다. 당사는 상법 제363조와 정관 제17조 및 제19조에 의거,
임시주주총회를 다음과 같이 개최하오니 참석하여 주시기 바랍니다.
- 다 음 -
1. 일시 : 2025년 9월 26일(금요일) 오전 10시 30분
2. 장소 : 서울특별시 강남구 논현로 430 (역삼동 726), 아세아타워 1층 대강당
3. 회의목적 사항
가. 보고사항
감사보고
나. 부의안건
제1호 의안 : 자본준비금 감소의 건
4. 경영참고사항 비치
상법 제542조의 4에 의거 경영참고사항을 우리 회사의 본점, 금융위원회, 한국거래소 및 하나은행 증권대행부에 비치하오니 참고하시기 바랍니다.
5. 전자투표에 관한 사항
우리회사는 상법 제368조의 4에 따른 전자투표제도를 이번 주주총회에서 활용하기로 결의하였고, 이 제도의 관리업무를 한국예탁결제원에 위탁하였습니다. 주주님들께서는 아래에서 정한 방법에 따라 주주총회에 참석하지 아니하고 전자투표방식으로 의결권을 행사하실 수 있습니다.
가. 전자투표 시스템
인터넷 주소 : 「https://evote.ksd.or.kr」 모바일 주소: 「https://evote.ksd.or.kr/m」
나. 전자투표 행사 기간
- 2025년 09월 16일 09시 ~ 2025년 09월 25일 17시
- 기간 중 24시간 이용 가능 (단, 마지막 날은 17시 까지만 가능)
다. 인증서를 이용하여 전자투표 시스템에서 주주 본인 확인 후 의결권 행사
- 주주확인용 공인인증서의 종류 : 공동인증서 및 민간인증서(K-VOTE에서 사용 가능한 인증서)
회차 | 개최일자 | 의안내용 | 사외이사 등의 성명 | |
---|---|---|---|---|
최인석(출석률: 100%) | 김주연(출석률: 100%) | |||
찬 반 여 부 | ||||
1 | 2025.01.07 | 자기주식 취득 결정의 건 | 찬성 | 찬성 |
2 | 2025.02.17 | 내부결산 종료에 따른 제60기 재무제표 승인의 건 | 찬성 | 찬성 |
3 | 2025.02.26 | 제60기 정기주주총회 소집의 건제60기 이익잉여금처분계산서(안)에 의한 현금배당 결정의 건자사주 소각 결정의 건※보고사항내부회계관리제도 운영실태 보고에 관한 건 | 찬성찬성찬성참석 | 찬성찬성찬성참석 |
4 | 2025.03.04 | ※보고사항내부회계관리제도 운영실태 평가보고에 관한 건 | 참석 | 참석 |
5 | 2025.03.12 | 제60기 재무제표 확정의 건자기주식보고서 승인의 건 | 찬성찬성 | 찬성찬성 |
6 | 2025.06.16 | 아세아시멘트(주)의 차입에 대한 사옥 담보 제공의 건 | 찬성 | 찬성 |
위원회별 활동내용
위원회명 | 개최일자 | 의안내용 | 가결여부 | 성명 및 찬반/출석율 | ||
---|---|---|---|---|---|---|
김주연 | 오기호 | 김태형 | ||||
윤리경영위원회 | 2025.02.10 | 지속가능경영보고서 발행 계획 검토 | 보고 | 참석 | 참석 | 참석 |
출석율(%) | 100 | 100 | 100 |
위원회명 | 개최일자 | 의안내용 | 가결여부 | 성명 및 찬반/출석율 | ||
---|---|---|---|---|---|---|
최인석 | 오기호 | 김주연 | ||||
내부거래위원회 | 2025.01.13 | 내부거래 심의/결과 보고(연간 브랜드 사용료 및 경영서비스 수수료) | 보고 | 참석 | 참석 | 참석 |
출석율(%) | 100 | 100 | 100 |
(단위 : 천원) |
구 분 | 인원수 | 주총승인금액 | 지급총액 | 1인당 평균 지급액 | 비 고 |
---|---|---|---|---|---|
사외이사 | 2 | 5,000,000 | 36,000 | 18,000 | - |
※ 상기 주총승인금액은 사내이사 4명을 포함한 총 6명의 보수한도 총액입니다.※ 기간은 반기보고서 공시 기준일에 해당하는 기간(1~6월)을 기준으로 하였습니다.
(단위 : 백만원) |
거래종류 | 거래상대방 | 거래기간 | 거래금액 | 비율(%) |
---|---|---|---|---|
(회사와의 관계) | ||||
수수료 수익 | 아세아시멘트 (계열회사) | 2025.01.01~2025.06.30 | 865 | 2.71 |
아세아제지 (계열회사) | 2025.01.01~2025.06.30 | 896 | 2.80 | |
한라시멘트 (계열회사) | 2025.01.01~2025.06.30 | 940 | 2.94 | |
사옥임대수익 | 아세아시멘트 (계열회사) | 2025.01.01~2025.06.30 | 644 | 2.02 |
배당금수익 | 아세아시멘트 (계열회사) | 2025.01.01~2025.06.30 | 4,728 | 14.79 |
아세아제지 (계열회사) | 2025.01.01~2025.06.30 | 4,649 | 14.54 | |
임대 외 | 경주월드(계열회사) | 2025.01.01~2025.06.30 | 1,716 | 5.37 |
주1) 비율은 거래금액이 거래기간 별도기준 매출액 대비 차지하는 비율입니다.주2) 기간은 반기보고서 공시 기준일에 해당하는 기간(1~6월)을 기준으로 하였습니다.주3) 최근 사업연도말 매출총액의 100분의 1 이상의 금액에 해당하는 모든 재산상의 단일거래기준으로 기재한 것입니다.
(단위 : 백만원) |
거래상대방(회사와의 관계) | 거래종류 | 거래기간 | 거래금액 | 비율(%) |
---|---|---|---|---|
아세아시멘트 (계열회사) | 사옥임대, 수수료, 배당금 수익 | 2025.01.01~2025.06.30 | 6,238 | 19.51 |
아세아제지 (계열회사) | 사옥임대, 수수료, 배당금 수익 | 2025.01.01~2025.06.30 | 5,618 | 17.57 |
경주월드 (계열회사) | 사옥임대, 수수료 수익, 도급비 | 2025.01.01~2025.06.30 | 2,074 | 6.49 |
주1) 비율은 거래금액이 거래기간 별도기준 매출액 대비 차지하는 비율입니다.주2) 기간은 반기보고서 공시 기준일에 해당하는 기간(1~6월)을 기준으로 하였습니다.주3) 최근 사업연도말 매출총액의 100분의 5 이상의 금액에 해당하는 모든 재산상의 거래기준으로 기재한 것입니다.
지주회사는 주식의 소유를 통하여 국내회사의 사업내용을 지배하는 것을 주된 사업으로 하는 회사로서 법규상 일반지주회사와 금융지주회사로 구분됩니다. 일반지주회사는 이론적으로 순수지주회사와 사업지주회사로 구분할 수 있습니다. 순수지주회사는 다른 회사의 주식을 소유함으로써 그 회사를 지배하는 것을 주된 사업으로 하며, 지배하는 자회사로부터 받는 배당금을 주된 수입원으로 하는 회사이고, 사업지주회사는 다른 사업활동을 함과 동시에 다른 회사를 지배하기 위하여 주식을 소유하는 회사입니다. 아세아(주)는 2013년 10월 01일 시멘트 및 제지 관련 기업을 사업자회사로 둔 지주회사 체제로 경영시스템을 전환하였습니다. 현재 아세아(주)의 지주회사 경영시스템은 자회사인 아세아시멘트(주), 아세아제지(주)와 한라시멘트(주), 아세아산업개발(주), 아세아레미콘(주), (주)삼성레미콘, (주)아세아산업, 우신벤처투자(주), 아농(주),경주월드(주), 제일산업(주), (주)에이팩, 유진판지공업(주), 경산제지(주), AP리싸이클링을 손자회사로 두고 있습니다. 이 가운데 전체 경영전략 수립과 조정, 신규 전략사업의 진출, 출자자산의 포트폴리오 관리 등은 지주회사 역할을 맡고 있는 아세아(주)가 담당하고 있으며, 실제 사업은 각 자회사와 손자회사가 수행하고 있습니다. 아세아(주)는 2017년 09월 15일 기준으로 독점규제 및 공정거래에 관한 법률에 따라 법상의 지주회사 요건 미충족으로 지주회사에서는 적용 제외되었으나, 자회사의 주식을 확보, 유지, 관리하는 등의 지주회사시스템은 계속적으로 유지하고 있습니다.
(1) 영업개황 및 사업부문의 구분
(가) 영업개황 당사는 2025년 반기 연결매출액 9,354억원, 연결영업이익 767 억원, 연결반기순이익 498 억원을 기록하였고, 2025년 반기 별도매출액 191 억원, 영업이익 123 억원, 당기순이익 120 억원을 기록하였습니다.
[시멘트부문]
(1) 산업의 특성
시멘트 산업은 국가경쟁력 제고를 위한 사회간접시설 확충에 필수적인 기간산업으로다음과 같은 특징이 있습니다. 첫째, 초기에 대규모의 투자비용이 소요되고 '규모의 경제(Economy of Scale)' 원리가 적용되는 장치산업입니다. 따라서 신규 업체의 시장 진입에 제약이 존재합니다. 둘째, 주요 원재료인 석회석 산지의 편중 및 중량성인 제품의 특성으로 인해 물류비용의 비중이 높은 산업입니다. 셋째, 높은 물류비용의 부담으로 인해 시장이 한정되어 있는 전형적인 내수 산업입니다. 넷째, 시멘트 제조공정이 주로 분쇄, 소성으로 이루어지는 관계로 에너지의 소비가 큽니다.초기 투자비용이 높으며 자본의 회수기간이 오래 걸리는 전형적인 장치산업인 바, 과점형의 구조로 큰 시장점유율의 변화없이 수년간 유지되고 있습니다. 향후에도 높은 진입장벽 및 낮은 가동률로 인하여 신규진입자의 진출보다는 현재의 시장 구조 유지 혹은 기존 사업자간의 통합이 발생할 것으로 전망됩니다. 또한 시멘트는 다른 제품과는 달리 업체별로 상품 차별성이 크지 않기 때문에 규모의 경제를 시현하거나 교섭력을 확보하여 가격경쟁력을 가질 경우에 유리한 업종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시멘트 산업의 특징]
구 분 | 특 징 |
---|---|
진입장벽 | 초기에 대규모의 투자비용이 소요되고 규모의 경제 원리가 적용되는 장치산업입니다. 따라서 신규 업체의 시장 진입이 어렵습니다. |
물류비용 | 주요 원재료인 석회석 산지의 편중 및 중량성인 제품의 특성으로 인해 물류비용의 비중이 높은 산업입니다. |
내수중심 | 높은 물류비용의 부담으로 인해 시장이 한정되어 있고, 내수의 비중이 높은 전형적인 내수 산업입니다. |
에너지소비형 | 시멘트 제조공정이 주로 분쇄, 소성으로 이루어지는 관계로 에너지의 소비가 큰 산업입니다. |
레미콘(REMICON)이란 Ready Mixed Concrete의 약칭으로 수요자 요구에 응하여 KSF 4009에 규정된 제조방법, 품질검사 등에 준하여 시멘트, 골재(모래, 자갈), 물 및 혼화재등의 원재료를 전문적인 콘크리트 생산설비 공장(Batch Plant, 약칭 B/P)에서 제조하여, 레미콘 믹서트럭으로 건설공사 현장까지 운반되는 굳지 않은 콘크리트를 의미합니다.
레미콘 산업은 완제품이 아닌 반제품 상태로 공급됨으로 인해 시멘트와 물의 수화반응으로 경화되기 이전에 공사현장으로 운반, 타설 완료되어야 하며, 외부기온이 4℃ 이하 이거나 25℃ 이상일 경우 별도의 시공조치가 필요한 특성을 가지고 있습니다.
또한, 조골재(자갈)의 최대치수, 압축강도, 슬럼프 등의 조합에 따라 다수의 규격이 존재하는 다품종 제품으로 고객의 주문에 의해 생산되는 제품입니다.
① 반제품으로 공급되는 제품 특성으로 인해 제조공장으로부터 90분 이내에 도달할 수 있는 거리에 시장이 형성되는 지역형 산업입니다.
② 주 공급처인 건설공사 현장이 인구가 집중된 도심 주변에서 발생되고 한시적인 제품특성으로 인해 도심인근에 생산공장이 위치하는 도시형 산업입니다.
③ 원재료인 시멘트, 모래, 자갈 등의 재고 확보를 위한 공간적 제약 및 운반량의 한계, 생산된 레미콘은 믹서트럭으로 운반해야 하는 특성 때문에 물류관리가 중요한 산업입니다.
드라이몰탈(Drymortar. 이하 몰탈)은 시멘트와 모래, 강화제를 일정한 비율로 섞어놓아 물만 부으면 바로 사용할 수 있는 즉석 시멘트입니다. 과거 건설공사 현장에선 모래를 채로 걸러 시멘트를 섞어 썼지만 몰탈이 나오면서 이같은 과정이 일체 생략되었고 주로 벽면이나 바닥면의 마감재로 사용되며 경제성과 인력절감 등의 효과로 각광받고 있습니다.
몰탈 산업은 건축물 내ㆍ외부마감재로 시멘트, 모래, 특성혼화제 등을 미리 혼합하여 건축현장에 공급하는 시멘트 2차제품 산업입니다. 우리나라에서는 1990년대 후반부터 건축현장에 본격적으로 보급되기 시작하였습니다. 우수하고 균일한 품질, 사용의 편의성 등으로 인해 보급율이 빠르게 늘면서 현재는 건축현장의 필수자재로 자리매김하고 있습니다.
① 주로 주택건축에 사용되므로 건설경기 중에서 특히 주택건설경기에 매우 민감한 산업입니다.
② 물류비 비중이 높고 혼합제품의 특성상 재료 분리문제가 발생할 수 있어 공급권역이 제한적입니다.
③ 제품의 품종이 다양할 뿐 아니라, 공사의 내용과 공법의 변화에 따라 제품개발이 지속적으로 이루어 집니다.시멘트 2차제품산업은 토목, 건축산업에 필수적인 건축자재를 생산하는 산업으로 건설관련업종 경기동향에 직접적인 영향을 받고 있습니다. 또한 제품의 중량이 많이 나가서 운반비 비중이 큰 산업으로 장거리보다는 지역권역별로 시장이 분할되어 경쟁하고 있습니다.(2) 산업의 성장성
시멘트 내수는 1997년 6,175만톤을 정점으로, IMF 외환위기 직후인 1998년에는 4,462만톤으로 격감하였다가, 그 후 정부의 SOC투자 확대정책 등에 힘입어 꾸준한 회복세를 보여왔고, 2014년 하반기부터 건설 경기 선행 지표가 회복되는 추세를 보였으며, 2016년도 이후 경우 건설 투자 및 건설 수주 실적증가, 정부의 건설투자 확대정책 등에 힘입어 출하량 증가세가 유지되었으나, 2018년도는 정부의 SOC 예산 감축과 8.2부동산 대책, 10.24 가계부채 종합대책등으로 인한 건설수주 감소로 시멘트 수요는 감소되었고 2020년이후 SOC 예산증액과 주택공급 확대로 인한 건설수주 증가로 내수출하량은 증가세로 전환되었으나, 2024년도 건설경기가 하락하며 내수출하량은 감소추세로 전환되었고 2025년도에도 전방산업의 부진으로 시멘트 내수출하량은 전년 대비 감소할 것으로 예상됩니다.
이처럼 내수 중심의 산업 특성상 단기적으로는 국내 건설경기 악화의 영향으로 성장성의 제한을 받고 있어 비록 산업 성장기와 같은 호황의 재현은 기대하기 어려운 것이 현실이나, 선진국에 비해 낮은 주택보급률, 정부의 지속적인 SOC 투자확대 등의 내부요인과 수출증가 등 외적요인으로 향후 중장기적인 성장잠재력은 여전히 유효한상태입니다.
레미콘 산업은 1965년 쌍용양회를 시작으로 1977년 이후 과점형태의 시장이 형성되었으며 1980년대 중반이후 올림픽 관련사업과 정부의 주택 200만호 건설, 사회간접자본 투자확대 등으로 급성장하였습니다. 특히 1989년~1991년에는 건설경기의 폭발적인 활황과 원자재 부족으로 수요의 이상과열 현상까지 야기되었으나 1997년 IMF 이후 건설경기 침체 등으로 하락세로 반전되었습니다. 이후 부동산 거래 완화 등 정부의 건설경기 부양책으로 건설경기의 활황세가 지속되어 2003년~2004년 레미콘 산업 사상 최정점에 이르렀으나 이후 정부의 정책변화와 주택공급의 초과, 건설사 재무구조의 악화 등으로 인해 한동안 침체가 가중되었으나 2015년도부터 주택수주 및 재개발 재건축 수주 회복 등의 영향과정부의 시장활성화대책 등 민간부분을 중심으로 레미콘 수요가 증가하여 전국출하량 1억 5,215만㎥ 2016년도 1억 7,152만㎥로 큰 성장세를 기록하였습니다. 2017년도 들어서도 수도권을 중심으로 건설경기 호황으로 레미콘 시장 규모가 증가추세를 보여전국출하량 1억 7,429만㎥ 를 기록하였으나, 2018년도 부터 건설경기부진으로 출하량이 감소하기 시작하였으며, 2020년도는 코로나19로 인한 실물경기 침체 속에 부동산 규제정책등으로 출하량 감소가 지속되었으나 2020년이후 SOC 예산증액과 주택공급 확대로 인한 건설수주 증가로 내수출하량은 증가세로 전환되었습니다. 2024년도 건설경기가 하락하며 내수출하량은 감소추세로 전환되었고, 2025년도에도 전방산업의 부진으로 내수출하량은 전년 대비 감소할 것으로 예상됩니다.
몰탈 산업은 공기단축, 원가절감, 외부적으로는 우수한 품질을 내세울 수 있는 장점이 있어 대부분의 건축현장에서 포장시멘트와 모래를 섞어 사용하던 공사의 대부분을 드라이몰탈 제품으로 대체, 사용하는 추세로 지속적인 증가세를 보이고 있었으나, 건설경기의 하락으로 감소추세로 접어 들었습니다.
(3) 경기변동의 특성시멘트 소비의 계절지수를 보면 3~5월과 9~10월이 높게 나타나고, 동절기인 12월~2월 및 강수량이 많은 7~8월이 낮게 나타나고 있어 성수기와 비수기가 뚜렷하게 구분되는 계절성이 큰 제품입니다. 또한 주된 수요처가 건설업과 관련되어 있기 때문에 시멘트 산업은 건설경기의 변화에 영향을 많이 받는 산업이며 정부의 건설관련 정책에 대한 의존도가 높습니다.
레미콘 산업의 주 수요처는 건설사로서 건설산업의 경기 변동과 밀접한 관계를 가지고 있으며 계절적으로도 건설현장의 공사진행이 원활하게 이루어지는 봄과 가을에는수요가 증가하고 동절기와 장마기에는 건설현장의 공사중단으로 수요가 급감하는 특성을 가지고 있습니다. 보통 비수기는 1~2월, 7~8월 장마기간이며, 그외 기간은 성수기로 볼 수 있는데, 특히 4~6월, 추석전 20일이 최고 성수기를 이루고 있습니다.
드라이몰탈은 건설재료로 건설경기에 따라, 수요가 증감되고 있으며, 토목공사보다는 아파트 건축공사의 수요 증감에 크게 좌우되는 현상을 나타내고 있습니다.(4) 국내외 시장여건시멘트 산업은 자본집약 산업으로 투자자본의 규모가 커 신규 시장진입이 어려우며 7개 생산업체가 시장수요의 대부분을 공급하고 있습니다.레미콘 산업은 경기동향 및 정책방향에 따라 민수와 관수, 지역별 출하 변동이 있으며 제한된 시간내에 납품해야 하므로 지역 레미콘 업체간 경쟁이 치열합니다. 비교적 단순한 산업특성상 신규 또는 유사 관련업체가 시장에 진입하고 있습니다.레미콘 산업은 업계 특성상 시장점유율 산정이 어려우나 한국레미콘공업협회에 보고된 출하량 기준의 수치로 시장점유율을 산정할 경우 당사의 시장점유율은 1.5 % 수준으로 파악되며, 최근 급격한 변동이 없습니다.드라이몰탈은 유럽 쪽에서는 이미 보편화된 건설재료로 국내 건설시장에서도 정착 후 확산되는 상황입니다. 또한 기존의 재료보다 우수한 품질을 확보하고 있으나, 용도 및 필요 성능을 확대, 증가 시키기 위한 방법을 건설사 연구소와 제조업체 연구소 등이 병행하여 연구가 진행되고 있습니다.
국내 몰탈 시장의 경우 남부권은 기존에는 동업타사 독점 시장이었으나 근래에 당사는 공장 신설로 시장진입에 성공하여 전국적인 판매망을 확보하였고, 기타 제품의 외형적인 부분과 아울러 품질적인 측면, 고객 서비스 측면에도 최선의 노력을 기울이고 있습니다.시멘트2차제품 산업은 국가SOC투자사업 및 건설경기 동향에 직접적인 영향을 받고 있습니다. 시멘트2차제품 산업은 원부자재 단가인상과 동종업체 간의 치열한 경쟁으로 인한 단가하락으로 시장여건이 좋지못한 상황입니다. 이를 타개하기 위하여 업체간에 신제품 개발 및 친환경제품 개발을 통하여 기존제품보다는 차별화ㆍ고급화 전략을 통하여 고부가가치 제품 생산을 통하여 침체된 시장을 이겨내고 있습니다. [제지부문]
[산업의 특성] 제지산업은 펄프와 재활용 폐지를 주 원재료로 하여 각종 종이 및 종이제품을 생산하는 산업으로, 거액의 투자비용이 소요되는 자본집약적 대형 장치산업입니다. 대규모 설비투자액이 진입장벽으로 작용하는 장점이 있으나, 수급불균형으로 인한 이익변동성이 크고 불황기에는 고정비 부담으로 채산성이 악화되는 단점도 가지고 있습니다. 예상하지 못한 시장수급 변동에 의해 일정 수준을 크게 하회하는 생산, 판매가 이뤄질 경우 고정비용 부담이 수익성에 큰 영향을 줄 수 있습니다.수요변화에 탄력적으로 대응하기 어려워 수급불균형이 주기적으로 나타나는 특성이 있으며, 수요는 경제성장과 맞물려 완만한 증가를 보이는 반면 공급은 투자설비기간이 장기간에 걸쳐 이루어집니다. 설비완료 때마다 공급능력이 계단식으로 급증하며, 수급불균형에 따라 판매가격이 주기적으로 변동하는 전형적인 경기 변동형 산업의 특징이 있습니다.기존 설비의 개조 수선투자는 공급량 증가 효과가 크지 않으나, 대규모 공급량 증가로 이어지는 신규 투자는 투자결정에서 완공까지 3~5년의 기간과 대규모 투자자금이 소요됩니다. 공급량 증가는 계단식으로 크게 증폭되며, 수급구조와 제품스프레드 변화로 이어지기 때문에 기업 실적은 주기적인 변동성을 보입니다.제지산업은 자동화된 생산설비, 재고자산 보관과 운송을 위한 물류시설, 에너지설비, 폐수시설 등을 포함한 대규모 설비와 넓은 부지가 필요하며, 사업 초기 대규모 투자자본이 소요되는 장치산업 특성상 총자산에서 유형자산이 차지하는 비중이 비교적 큰 편입니다. 제지산업은 20~30년 이상 안정적인 생산 설비 가동을 위한 정기적인 유지 보수를 요구합니다. 지속적인 설비 유지보수를 통하여 설비 자산가치를 유지시키는 것이 중요한 경쟁력 요인입니다. [산업의 성장성] 제지산업은 경제발전에 따라 지류소비량이 증가하는 한편 소비의 고급화로 인해 품질도 지속적으로 발전해 왔습니다. 최근 제지산업의 성장속도는 낮은 수준을 보이고 있으며, 소비 및 공급 증가율이 정체되는 등 성숙기에 있는 것으로 판단됩니다.글로벌 시장을 보면 중국 제지업체들의 급속한 성장에 따른 다량의 제품출시가 이어지고 있으며, 국내 제지업체들의 수출지역 다변화는 위축되고 있습니다. 국내 제지업체들에게는 환경 친화적이거나, 더 가볍고 튼튼하거나, 특수 지종 등의 차별화된 고부가가치 제품 개발에 대한 투자확대 필요성이 대두되고 있습니다.글로벌 종이 수요는 전반적인 산업경기와 연관되어 있는 특성에 따라 글로벌 경제성장과 더불어 꾸준히 안정적인 성장세를 유지해왔지만, 주요 선진국들의 경기 성장이 전체적으로 둔화되는 현 시점에서 글로벌 제지산업은 선진국보다는 개발도상국 중심성장세로 옮겨 가는 추세입니다.선진국은 경제성장이 둔화된 가운데 정보통신기술의 발전으로 신문용지, 인쇄용지등종이 수요가 감소하고 있으나 개발도상국의 경우 여전히 높은 경제성장이 기대되고, 인구 대비 종이 제품 소비 수준이 선진국에 비해 매우 낮은 수준이어서 수요 확대 여력이 풍부하기 때문입니다.
우리나라 1인당 지류 소비량은 주요 선진국의 약 80% 수준에 근접하였으며, 경기 불황에 따라 내수 소비가 소폭 감소하는 시기도 있었으나, 디지털 기술 발달에도 불구하고 아직까지는 제지 수요가 큰 폭으로 감소하지 않고 있습니다. 결과적으로 일정 시점까지는 두 매체가 공존할 가능성이 높으며, 원가 이점을 확보하고 있는 지배회사를 비롯한 제지부문은 점진적인 장기성장이 가능할 것으로 전망합니다. [국내 GDP 성장률 및 골판지 원지 성장률 추이]
구분(단위%) |
2020년 |
2021년 | 2022년 | 2023년 | 2024년 |
국내 GDP 성장률 |
-0.9 |
4.0 | 2.6 | 1.4 | 2.0 |
골판지 원지 성장률 |
8.9 |
3.5 | -5.6 | -3.4 | 2.2 |
[출처 : 국내 GDP 성장률(통계청), 골판지원지 성장률(한국제지연합회)]제지산업은 경기 전반과 연관되어 있으며, 그 성장성은 국내 경제성장률 및 국민생활수준 척도와 밀접한 관련을 보이고 있습니다. 골판지 수요와 밀접한 관련이 있는 택배산업과 온라인 쇼핑 성장세, 플라스틱이나 비닐 소비를 억제하고자 하는 환경보호에 대한 정부 차원의 관심 고조, 비닐 위주였던 농산물 등의 생필품 포장환경 변화 움직임이 향후에도 골판지 업계 성장에 긍정적인 요인이 될 것으로 예상됩니다.
▣ 골판지원지(전체) (단위:M/T)
연 도 | 생 산 | 출하(판매) | 재 고 | ||
내수 | 수출 | 합계 | |||
2017년 | 5,069,354 | 4,760,800 | 334,532 | 5,095,332 | 129,585 |
2018년 | 5,039,285 | 4,716,525 | 261,251 | 4,977,777 | 190,990 |
2019년 | 5,308,640 | 4,775,394 | 513,630 | 5,289,024 | 205,927 |
2020년 | 5,783,055 | 5,160,784 | 727,169 | 5,887,953 | 100,825 |
2021년 | 5,983,065 | 5,411,220 | 514,733 | 5,925,953 | 155,435 |
2022년 | 5,646,280 | 5,171,959 | 433,506 | 5,605,465 | 220,991 |
2023년 | 5,455,000 | 4,994,050 | 455,681 | 5,449,731 | 207,207 |
2024년 | 5,573,469 | 5,103,499 | 436,755 | 5,540,254 | 245,429 |
[자료] 한국제지연합회 <통계정보(수급실적)> [경기변동의 특성] 골판지원지는 국내총생산(GDP), 민간소비, 제조업생산지수, 농수산물 작황 등과 상관관계를 가지고 있으며 산업 생산품 포장에 사용되는 수요 특성에 따라 직접적으로는 제조업 전체의 생산활동과 연계성을 갖고 있는 제품입니다. 온라인쇼핑의 지속적 증가세 및 농산물 포장 확대 실시 등으로 과거 추세나 역사적 패턴만으로는 산업 전망을 예측하기가 어렵습니다.경기 호황 때 수요가 증가하고 불황 시 증가세가 둔화되는 특성을 갖고 있으며, 경기 활성화 외에 문화 이벤트 증가나 명절 및 농산물 수확기를 선행하여 수요가 증가하는 특성이 있습니다. 제지산업의 전반적인 성장성은 낮은 수준을 보이고 있으며, 소비 및 공급 증가율이 정체되는 성숙기에 있는 것으로 판단됩니다. [경쟁우위요소] 골판지원지는 산업 내에서 수직 계열화를 이룬 아세아제지, 신대양제지, 삼보판지, 태림포장, 한국수출포장 등 주요 업체를 중심으로 업계가 재편되고 있습니다. 이들의 계열회사도 골판지 시장에서 큰 비중을 차지하고 있어 주요 업체들의 산업 내 비중이 지속적으로 증가할 것으로 예상됩니다.제지산업은 제품 차별화가 힘들어 가격 위주 경쟁이 이루어지고 있는 가운데 환율, 경기상황 등 거시 지표에 따라 시장이 주기적으로 변동하므로 원가 경쟁력은 불황 시 사업 안정성을 가늠할 수 있는 중요한 요인입니다.지배회사는 설비규모, 노후화 정도, 운영 효율성 측면에서 기업경쟁력을 보유하고 있으며, 수직 계열화, 원재료 구매에 따른 비용절감과 같은 원가 면에서도 경쟁력을 보이고 있습니다.
※ 주요기업 수직계열화 현황
계열별 | 주요제품 | 업체명 |
아세아제지 | 골판지원지 | 아세아제지, 경산제지 |
골판지상자 | 제일산업, 에이팩, 유진판지 | |
신대양제지 | 골판지원지 | 신대양제지, 대양제지공업, 신대양제지반월 |
골판지상자 | 대영포장, 광신판지, 신대한판지, 대양판지 | |
태림페이퍼 | 골판지원지 | 태림페이퍼, 동원페이퍼 |
골판지상자 | 태림포장, 태림판지 | |
삼보판지(대림제지) | 골판지원지 | 대림제지, 고려제지 |
골판지상자 | 삼보판지, 한청판지, 삼화판지, 동진판지, | |
한국수출포장 | 골판지원지 | 한국수출포장 |
골판지상자 | 한국수출포장, 한수팩 |
[주] 상세 내역은 각 회사별 공시를 참고하시기 바랍니다.
(나) 공시대상 사업부문의 구분
(2) 시장점유율
[시멘트부문]
※ 아세아시멘트(주)의 시멘트 국내시장 점유율
구 분 | 2024년 년간(E) | 2023년 년간 | 2022년 년간 |
---|---|---|---|
시장점유율 | 7.1% | 7.2% | 6.8% |
※ 아세아시멘트(주)의 레미콘 국내시장 점유율
구 분 | 경인지역 레미콘 총 출하대비 |
---|---|
아세아시멘트(주) | 2% |
*참고자료 : 한국레미콘공업협회자료[제지부문]
(단위: %)
구 분 | 제69기(2024년) | 제68기(2023년) | 제67기(2022년) |
---|---|---|---|
골판지원지 | 17 | 17 | 18 |
(3) 시장의 특성
[시멘트 부문] ① 시장환경이 공급자에서 수요자 중심으로 급변함. ② 계절적인 요인에 의한 수요가 민감하게 반응함. ③ 다량성 중량물로 운송비용이 과다하게 소요. ④ 수출 부가가치가 적어 수출보다는 내수위주의 산업 형태임. ⑤ 제조공정상 유연탄과 전력비용,에너지관련비용이 높음. < 레미콘 부문> ①계절적인 요인에의해 수요가 민감하게 반응한다. ②운반시간이 한정되어있어 한계거리의 현장만 출하가능하다. ③단일공장 주변의 개발계획에의해 수요가 민감하게 반응한다. ④고강도,고유동콘크리트등과같은 고부가가치 제품개발이 기대된다.
[제지부문]내수 산업용재 위주이며 주요 영업지역은 서울ㆍ경기를 비롯한 수도권, 대구ㆍ부산ㆍ경상의 영남권, 충청ㆍ전라의 호남권으로 나눌 수 있습니다. 주 판매 제품은 공산품과 농산물 포장원지, 기타 산업용지 등으로 경기변동에 민감한 경기 변동형 산업입니다.(4) 신규사업 등의 내용 및 전망
- 해당사항 없음.
(5) 조직도
가. 의안 제목
자본준비금 감소의 건
나. 의안의 요지아세아 주식회사에 적립된 자본준비금 총액이 자본금의 1.5배를 초과하므로, 상법 제461조의2에 따라 초과한 금액 범위 내에서 회사의 자본준비금인 주식발행초과금 1,245억 원을 감액하여 이를 이익잉여금으로 전환하는 내용입니다.다. 근거법령 : 상법 제461조의2(준비금의 감소)회사는 적립된 자본준비금 및 이익준비금의 총액이 자본금의 1.5배를 초과하는 경우에 주주총회의 결의에 따라 그 초과한 금액 범위에서 자본준비금과 이익준비금을 감액할 수 있다.
제출(예정)일 | 사업보고서 등 통지 등 방식 |
---|---|
(주1) 임시주주총회로 사업보고서 등 제출은 해당사항 없습니다.(주2) 최근 사업연도인 2025년 반기 보고서는 전자공시시스템(https ://dart.fss.or.kr)에 게재되어 있습니다.
해당사항 없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