금융위원회 귀중 | 2025년 08월 26일 |
회 사 명 : | DB손해보험(주) |
대 표 이 사 : | 정 종 표 |
본 점 소 재 지 : | 서울특별시 강남구 테헤란로 432 DB금융센터 |
(전 화) 1588-0100 | |
(홈페이지) https://www.idbins.com | |
작 성 책 임 자 : | (직 책) 경영기획파트장 (성 명) 조 민 성 |
(전 화) 02-3011-3143 |
1. 정정대상 신고서의 최초제출일 : 2025년 08월 20일
제출일자 | 문서명 | 비고 |
---|---|---|
2025년 08월 20일 | 증권신고서(채무증권) | 최초 제출 |
2025년 08월 26일 | [기재정정] 증권신고서(채무증권) | 수요예측 결과에 따른기재 정정 및 자진 기재 정정 |
2025년 08월 26일 | [발행조건확정] 증권신고서(채무증권) | 수요예측 결과에 따른발행조건확정 |
2. 모집 또는 매출 증권의 종류 : DB손해보험(주) 제1회 신종자본증권
3. 모집 또는 매출금액 : 금 칠천사백칠십억원(\747,000,000,000)
4. 정정사유 : 수요예측 결과에 따른 발행조건 확정
5. 정정사항
항 목 | 정정요구ㆍ명령관련 여부 | 정정사유 | 정 정 전 | 정 정 후 |
---|---|---|---|---|
※ 본 '[발행조건확정]증권신고서'는 수요예측 결과 반영, 일부 내용 추가 및 변경에 따른 것으로, 추가 및 변경 기재된 사항은 파란색으로 표시하였습니다.※ [요약정보 - 1. 핵심투자위험]은 본문의 정정사항을 반영하였으며, 별도로 기재하지 않았습니다. | ||||
표지 - 모집 또는 매출총액 | 아니오 | 수요예측 결과에 따른 기재 정정 | 500,000,000,000원 | 747,000,000,000원 |
요약정보 | ||||
2. 모집 또는 매출에 관한 일반사항 | 아니오 | 수요예측 결과에 따른 기재정정및 자진 정정 | (주1) 정정 전 | (주1) 정정 후 |
제1부 모집 또는 매출에 관한 일반사항 | ||||
I. 모집 또는 매출에 관한 일반사항1. 공모개요 | 아니오 | 수요예측 결과에 따른 기재정정및 자진 정정 | (주2) 정정 전 | (주2) 정정 후 |
I. 모집 또는 매출에 관한 일반사항3. 공모가격 결정방법 | 아니오 | 수요예측 결과에 따른 기재정정 | - | (주3) 추가 기재 |
I. 모집 또는 매출에 관한 일반사항5. 인수 등에 관한 사항 | 아니오 | 수요예측 결과에 따른 기재정정 | (주4) 정정 전 | (주4) 정정 후 |
II. 증권의 주요 권리내용1. 사채의 명칭, 주요 권리내용, 발행과 관련한 약정 및 조건 | 아니오 | 수요예측 결과에 따른 기재정정및 자진 정정 | (주5) 정정 전 | (주5) 정정 후 |
III. 투자위험요소2. 회사위험 라. | 아니오 | 자진 정정 | - | (주6) 추가 기재 |
III. 투자위험요소2. 회사위험 마. | 아니오 | 수요예측 결과에 따른 기재정정 | (주7) 정정 전 | (주7) 정정 후 |
III. 투자위험요소3. 기타위험 가. | 아니오 | 자진 정정 | (주8) 정정 전 | (주8) 정정 후 |
III. 투자위험요소3. 기타위험 나. | 아니오 | 자진 정정 | (주9) 정정 전 | (주9) 정정 후 |
III. 투자위험요소3. 기타위험 자. | 아니오 | 자진 정정 | - | (주10) 추가 기재 |
IV. 인수인의 의견(분석기관의 평가의견) | 아니오 | 수요예측 결과에 따른 기재정정 | (주11) 정정 전 | (주11) 정정 후 |
V. 자금의 사용목적 | 아니오 | 수요예측 결과에 따른 기재정정 | (주12) 정정 전 | (주12) 정정 후 |
(주1) 정정 전
회차 : | 1 | (단위 : 원, 주) |
채무증권 명칭 | 신종자본증권 | 모집(매출)방법 | 공모 |
권면(전자등록)총액 | 500,000,000,000 | 모집(매출)총액 | 500,000,000,000 |
발행가액 | 500,000,000,000 | 이자율 | - |
발행수익률 | - | 상환기일 | 2055년 09월 01일 |
원리금지급대행기관 | ㈜신한은행 FI공기업영업부 | (사채)관리회사 | 한국증권금융(주) |
비고 | - |
평가일 | 신용평가기관 | 등 급 |
---|---|---|
2025년 08월 18일 | 한국신용평가 | 회사채 (AA0) |
2025년 08월 18일 | 한국기업평가 | 회사채 (AA0) |
인수(주선) 여부 | 채무증권 상장을 위한 공모여부 |
---|---|
인수 | 예 |
인수(주선)인 | 인수수량 | 인수금액 | 인수대가 | 인수방법 | |
---|---|---|---|---|---|
대표 | 케이비증권 | 17,000,000 | 170,000,000,000 | 인수수수료 0.15% | 총액인수 |
대표 | 신한투자증권 | 16,000,000 | 160,000,000,000 | 인수수수료 0.15% | 총액인수 |
인수 | DB증권 | 9,000,000 | 90,000,000,000 | 인수수수료 0.15% | 총액인수 |
인수 | 교보증권 | 8,000,000 | 80,000,000,000 | 인수수수료 0.15% | 총액인수 |
청약기일 | 납입기일 | 청약공고일 | 배정공고일 | 배정기준일 |
---|---|---|---|---|
2025년 09월 01일 | 2025년 09월 01일 | - | - | - |
자금의 사용목적 | |
---|---|
구 분 | 금 액 |
운영자금 | 500,000,000,000 |
발행제비용 | 1,221,720,000 |
【국내발행 외화채권】
표시통화 | 표시통화기준발행규모 | 사용지역 | 사용국가 | 원화 교환예정 여부 | 인수기관명 |
---|---|---|---|---|---|
- | - | - | - | - | - |
보증을받은 경우 | 보증기관 | - | 지분증권과연계된 경우 | 행사대상증권 | - |
보증금액 | - | 권리행사비율 | - | ||
담보 제공의경우 | 담보의 종류 | - | 권리행사가격 | - | |
담보금액 | - | 권리행사기간 | - |
매출인에 관한 사항 | ||||
---|---|---|---|---|
보유자 | 회사와의관계 | 매출전보유증권수 | 매출증권수 | 매출후보유증권수 |
- | - | - | - | - |
【주요사항보고서】 | - | ||
【파생결합사채해당여부】 | 기초자산 | 옵션종류 | 만기일 |
N | - | - | - |
【기 타】 | ▶ 본 사채 발행을 위해 2025년 08월 05일에 케이비증권(주) 및 신한투자증권(주)와 공동대표주관계약을 체결하였습니다.▶ 본 사채는 '주식·사채 등의 전자등록에 관한 법률'에 의거 사채를 한국예탁결제원의 전자등록계좌부에 전자등록하므로, 실물채권을 발행하지 아니하며, 등록필증의 교부 등이 존재하지 않습니다.▶ 본 사채는 사채권을 발행하지 않으므로 "주식·사채 등의 전자등록에 관한 법률" 제 39조에 의거 전자등록주식 등의 소유자가 권리행사를 위하여 계좌관리기관을 통해 신청하는 경우 전자등록기관인 한국예탁결제원에서 "소유자증명서"를 발행하여야 합니다.▶ 본 사채는 '주식·사채 등의 전자등록에 관한 법률'에 의거 전자등록되므로, 등록 말소 시 사채권 발행을 청구할 수 없습니다.▶ 본 사채는 실물발행이 아닌 전자등록에 의한 발행이므로 인수수량의 기재가 불가능하나, 이해상의 편의를 위해 10,000원을 수량의 1단위로 기재합니다.▶ 본 사채의 상장신청예정일은 2025년 09월 01일이며, 상장예정일은 2025년 09월 02일입니다.▶ 본 사채는 (i) DB손해보험(주)(이하 "발행회사"라 한다) 의 보통주식 및 우선주식(우선주식의 종류를 불문한다)과 기타 법률의 규정 또는 그 발행조건상 본 사채보다 후순위의 지급순위를 갖는 채권(이하 "후순위채권")보다 선순위이며, (ii) 본 사채 상호 간, 그리고 법률의 규정 또는 그 발행조건상 본 사채와 동일한 지급순위를 갖는 채권(이하 "동순위채권")과 동순위이고, (iii) "발행회사"의 보험계약자의 채권 등 "발행회사"에 대한 모든 일반채권과 기타 법률의 규정 또는 그 발행조건상 본 사채보다 선순위의 지급순위를 갖는 채권("보험업감독규정" 제7-11조의2 제1항 제2호에 따른 기한부후순위채권 및 보험업감독업무 시행세칙 [별표22] III.3.다에 따른 보완자본 요건을 충족하는 자본증권을 포함하나 이에 국한되지 아니하며, 이하 "선순위채권")보다 후순위입니다. "발행회사"에 대하여 청산절차, 회생, 이와 유사한 도산절차(외국에서의 도산절차를 포함하되, 해당 외국 절차상 인수계약서 제3조 제12항 나목에 따른 조건을 부가하는 것이 허용되지 않는 경우는 그러하지 아니하다)가 개시되는 경우 또는 인수계약서 제3조 제19항에서 규정한 기한의 이익이 상실되는 경우, 위 각 절차에서 "후순위채권” 및 "동순위채권"을 제외한 모든 "선순위채권"을 우선 변제(공탁을 포함하며, 이하 동일함)하고 잔여 재산이 있는 경우에 한하여 본 사채를 상환합니다. 더불어 본 사채는 "금융산업의 구조개선에 관한 법률” 제2조 제2호 또는 "예금자보호법" 제2조 제5호에 따른 부실금융회사(기관) 결정 시 "발행회사"의 부채로 분류되지 아니합니다. ▶ 본 사채는 신종자본증권으로 일반적인 회사채와는 다른 발행조건을 갖고 있으며, 세부 발행조건은 "제1부 모집 또는 매출에 관한사항 Ⅱ. 증권의 주요 권리내용"에 기재합니다. |
주1) 본 사채는 2025년 08월 25일 09시에서 16시까지 한국금융투자협회 K-Bond 프로그램 및 FAX 접수방법을 통해 실시하는 수요예측 결과에 따라 권면이자율 및 발행수익률이 결정될 예정입니다.주2) 수요예측시 공모희망금리는 연 3.50% ~ 3.80%으로 합니다.주3) 수요예측 결과에 의해 확정된 확정 금리는 2025년 08월 26일 정정신고서를 통해 공시할 예정입니다. 주4) 본 사채의 발행제비용은 수요예측 결과를 반영하여 변경될 수 있으며, 세부 내역은 본 증권신고서 내 제1부 모집 또는 매출에 관한 사항 -Ⅴ. 자금의 사용목적을 참고하여 주시기 바랍니다.주5) 상기에 기재되어 있는 가액은 발행 예정금액이며, 수요예측 결과에 따라 공동대표주관회사와의 협의에 의해 본 사채의 발행총액은 전자등록총액 합계 금 구천팔백억원(\980,000,000,000) 이하의 범위 내에서 변경될 수 있습니다. |
[사채의 조기상환(Call Option)] ※ "발행회사"는 DB손해보험(주)를 지칭합니다. 제 3 조 ("본 사채"의 발행조건) 17. 사채의 조기상환 가. “본 사채”의 사채권자는 어떠한 경우에도 “본 사채”의 조기상환을 요구할 수 없다. 나. “발행회사”는 전적인 재량에 의한 선택에 따라, (i) “본 사채”의 발행일로부터 5년이 되는 날(2030년 09월 01일 당일을 포함하고 그 날이 영업일이 아닌 경우 직후 도래하는 영업일을 말한다) 이후 및 (ii) “보험업감독규정” 제7-10조 제5항(본 계약의 체결 이후 관련 규정이 변경되는 경우 해당 규정을 의미한다)의 요건을 충족하여 금융감독원(및 그 승계기관을 포함한다)의 사전 승인을 받는 것을 조건(이하 위 (i) 및 (ii)의 조건을 총칭하여 “조기상환요건”이라 한다)으로, 본 항 다목, 라목, 마목 중 어느 하나의 사유에 따라 “본 사채”를 조기상환 할 수 있다. 이 경우 “발행회사”는 해당 조기상환일에 “본 사채” 원금의 100% (이하 본항에서 “조기상환금액”이라 한다)를 사채권자에게 지급하여야 하며, 해당 조기상환일까지 발생한 이자(명확히 하기 위하여 부연하면 “이자지급 정지기간” 동안은 이자가 발생하지 아니하며, 지급이 취소된 이자는 이자지급의무가 소멸한다), 기타 “본 사채”에 관하여 “발행회사”가 지급해야 할 연체이자 등을 전액 지급한 후 원금을 상환하여야 한다. 다. “발행회사”의 선택에 따른 상환: “발행회사”는 위 나목 (i) 및 (ii)의 “조기상환요건”이 만족된 경우에 한하여, “본 사채”의 발행일로부터 5 년이 되는 날(2030년 09월 01일 당일을 포함하고 그 날이 영업일이 아닌 경우 직후 도래하는 영업일을 말한다) 이후 어느 시점에서나 위 나목에 따라 상환할 수 있다. 라. 자본불인정에 의한 상환: “발행회사”는 위 나목 (i) 및 (ii)의 “조기상환요건”이 만족된 경우에 한하여, “보험업법” 또는 그 하위법령이나 한국채택국제회계기준의 개정 또는 해석의 변경 등으로 인하여 “본 사채”의 전부 또는 일부가 “발행회사”의 자본으로 분류되지 않게 되는 경우에는 즉시 위 나목에 따라 상환할 수 있다. 다만, 위 나목 (i)의 “조기상환요건”에도 불구하고, “본 사채”와 동질의 또는 양질의 자본증권으로 대체하는 경우로서 동 대체 발행이 “발행회사”의 수익창출 능력상 감당할 수 있는 상황에서 이루어지는 경우 “발행회사”는 “본 사채”의 발행일로부터 5년이 경과하기 전이라도 “본 사채”를 조기상환할 수 있다. 마. 조세원인에 의한 상환: “발행회사”는 위 나목 (i) 및 (ii)의 “조기상환요건”이 만족된 경우에 한하여, 대한민국 법률의 개정, 수정 또는 해당 법률의 해석에 관한 공식입장의 변경 (판례의 변경을 포함) 결과(단, 해당 변경 또는 수정이 발행일 이후 효력이 발생할 것) “발행회사”가 “본 사채”와 관련하여 지급하는 이자를 세법상 비용으로 인정받지 못하게 되는 경우에는 즉시 위 나목에 따라 상환할 수 있다. 다만, 위 나목 (i)의 “조기상환요건”에도 불구하고, “본 사채”와 동질의 또는 양질의 자본증권으로 대체하는 경우로서 동 대체 발행이 “발행회사”의 수익창출 능력상 감당할 수 있는 상황에서 이루어지는 경우 “발행회사”는 “본 사채”의 발행일로부터 5년이 경과하기 전이라도 “본 사채”를 조기상환할 수 있다. 바. 위 나목 내지 마목에 따라 “발행회사”가 “본 사채”를 조기상환 하고자 하는 경우, “발행회사”는 해당 조기상환일로부터 30일 전까지 해당 사채의 조기 상환에 관한 사항을 한국예탁결제원, 사채관리회사 및 지급대리인에게 통보하여야 한다. 사. 위 나목 내지 마목에 따라 “본 사채”가 조기상환되는 경우 이에 따른 조기상환수수료는 없는 것으로 한다. |
주) 상기 "사채관리회사"는 한국증권금융(주)임 |
(주1) 정정 후
회차 : | 1 | (단위 : 원, 주) |
채무증권 명칭 | 신종자본증권 | 모집(매출)방법 | 공모 |
권면(전자등록)총액 | 747,000,000,000 | 모집(매출)총액 | 747,000,000,000 |
발행가액 | 747,000,000,000 | 이자율 | 3.80 |
발행수익률 | 3.80 | 상환기일 | 2055년 09월 01일 |
원리금지급대행기관 | ㈜신한은행 FI공기업영업부 | (사채)관리회사 | 한국증권금융(주) |
비고 | - |
평가일 | 신용평가기관 | 등 급 |
---|---|---|
2025년 08월 18일 | 한국신용평가 | 회사채 (AA0) |
2025년 08월 18일 | 한국기업평가 | 회사채 (AA0) |
인수(주선) 여부 | 채무증권 상장을 위한 공모여부 |
---|---|
인수 | 예 |
인수(주선)인 | 인수수량 | 인수금액 | 인수대가 | 인수방법 | |
---|---|---|---|---|---|
대표 | 케이비증권 | 27,000,000 | 270,000,000,000 | 인수수수료 0.15% | 총액인수 |
대표 | 신한투자증권 | 23,000,000 | 230,000,000,000 | 인수수수료 0.15% | 총액인수 |
인수 | DB증권 | 10,500,000 | 105,000,000,000 | 인수수수료 0.15% | 총액인수 |
인수 | 교보증권 | 14,200,000 | 142,000,000,000 | 인수수수료 0.15% | 총액인수 |
청약기일 | 납입기일 | 청약공고일 | 배정공고일 | 배정기준일 |
---|---|---|---|---|
2025년 09월 01일 | 2025년 09월 01일 | - | - | - |
자금의 사용목적 | |
---|---|
구 분 | 금 액 |
운영자금 | 747,000,000,000 |
발행제비용 | 1,765,120,000 |
【국내발행 외화채권】
표시통화 | 표시통화기준발행규모 | 사용지역 | 사용국가 | 원화 교환예정 여부 | 인수기관명 |
---|---|---|---|---|---|
- | - | - | - | - | - |
보증을받은 경우 | 보증기관 | - | 지분증권과연계된 경우 | 행사대상증권 | - |
보증금액 | - | 권리행사비율 | - | ||
담보 제공의경우 | 담보의 종류 | - | 권리행사가격 | - | |
담보금액 | - | 권리행사기간 | - |
매출인에 관한 사항 | ||||
---|---|---|---|---|
보유자 | 회사와의관계 | 매출전보유증권수 | 매출증권수 | 매출후보유증권수 |
- | - | - | - | - |
【주요사항보고서】 | - | ||
【파생결합사채해당여부】 | 기초자산 | 옵션종류 | 만기일 |
N | - | - | - |
【기 타】 | ▶ 본 사채 발행을 위해 2025년 08월 05일에 케이비증권(주) 및 신한투자증권(주)와 공동대표주관계약을 체결하였습니다.▶ 본 사채는 '주식·사채 등의 전자등록에 관한 법률'에 의거 사채를 한국예탁결제원의 전자등록계좌부에 전자등록하므로, 실물채권을 발행하지 아니하며, 등록필증의 교부 등이 존재하지 않습니다.▶ 본 사채는 사채권을 발행하지 않으므로 "주식·사채 등의 전자등록에 관한 법률" 제 39조에 의거 전자등록주식 등의 소유자가 권리행사를 위하여 계좌관리기관을 통해 신청하는 경우 전자등록기관인 한국예탁결제원에서 "소유자증명서"를 발행하여야 합니다.▶ 본 사채는 '주식·사채 등의 전자등록에 관한 법률'에 의거 전자등록되므로, 등록 말소 시 사채권 발행을 청구할 수 없습니다.▶ 본 사채는 실물발행이 아닌 전자등록에 의한 발행이므로 인수수량의 기재가 불가능하나, 이해상의 편의를 위해 10,000원을 수량의 1단위로 기재합니다.▶ 본 사채의 상장신청예정일은 2025년 09월 01일이며, 상장예정일은 2025년 09월 02일입니다.▶ 본 사채는 (i) DB손해보험(주)(이하 "발행회사"라 한다) 의 보통주식 및 우선주식(우선주식의 종류를 불문한다)과 기타 법률의 규정 또는 그 발행조건상 본 사채보다 후순위의 지급순위를 갖는 채권(이하 "후순위채권")보다 선순위이며, (ii) 본 사채 상호 간, 그리고 법률의 규정 또는 그 발행조건상 본 사채와 동일한 지급순위를 갖는 채권(이하 "동순위채권")과 동순위이고, (iii) "발행회사"의 보험계약자의 채권 등 "발행회사"에 대한 모든 일반채권과 기타 법률의 규정 또는 그 발행조건상 본 사채보다 선순위의 지급순위를 갖는 채권("보험업감독규정" 제7-11조의2 제1항 제2호에 따른 기한부후순위채권 및 보험업감독업무 시행세칙 [별표22] III.3.다에 따른 보완자본 요건을 충족하는 자본증권을 포함하나 이에 국한되지 아니하며, 이하 "선순위채권")보다 후순위입니다. "발행회사"에 대하여 청산절차, 회생, 이와 유사한 도산절차(외국에서의 도산절차를 포함하되, 해당 외국 절차상 인수계약서 제3조 제12항 나목에 따른 조건을 부가하는 것이 허용되지 않는 경우는 그러하지 아니하다)가 개시되는 경우 또는 인수계약서 제3조 제19항에서 규정한 기한의 이익이 상실되는 경우, 위 각 절차에서 "후순위채권” 및 "동순위채권"을 제외한 모든 "선순위채권"을 우선 변제(공탁을 포함하며, 이하 동일함)하고 잔여 재산이 있는 경우에 한하여 본 사채를 상환합니다. 더불어 본 사채는 "금융산업의 구조개선에 관한 법률” 제2조 제2호 또는 "예금자보호법" 제2조 제5호에 따른 부실금융회사(기관) 결정 시 "발행회사"의 부채로 분류되지 아니합니다. ▶ 본 사채는 신종자본증권으로 일반적인 회사채와는 다른 발행조건을 갖고 있으며, 세부 발행조건은 "제1부 모집 또는 매출에 관한사항 Ⅱ. 증권의 주요 권리내용"에 기재합니다. |
(삭제)(중략)
[사채의 조기상환(Call Option)] ※ "발행회사"는 DB손해보험(주)를 지칭합니다. 제 3 조 ("본 사채"의 발행조건) 17. 사채의 조기상환 가. “본 사채”의 사채권자는 어떠한 경우에도 “본 사채”의 조기상환을 요구할 수 없다. 나. “발행회사”는 전적인 재량에 의한 선택에 따라, (i) “본 사채”의 발행일로부터 5년이 되는 날(2030년 09월 01일 당일을 포함하고 그 날이 영업일이 아닌 경우 직후 도래하는 영업일을 말한다) 이후 및 (ii) “보험업감독규정” 제7-10조 제5항(본 계약의 체결 이후 관련 규정이 변경되는 경우 해당 규정을 의미한다)의 요건을 충족하여 금융감독원(및 그 승계기관을 포함한다)의 사전 승인을 받는 것을 조건(이하 위 (i) 및 (ii)의 조건을 총칭하여 “조기상환요건”이라 한다)으로, 본 항 다목, 라목, 마목 중 어느 하나의 사유에 따라 “본 사채”를 조기상환 할 수 있다. 이 경우 “발행회사”는 해당 조기상환일에 “본 사채” 원금의 100% (이하 본항에서 “조기상환금액”이라 한다)를 사채권자에게 지급하여야 하며, 해당 조기상환일까지 발생한 이자(명확히 하기 위하여 부연하면 “이자지급 정지기간” 동안은 이자가 발생하지 아니하며, 지급이 취소된 이자는 이자지급의무가 소멸한다), 기타 “본 사채”에 관하여 “발행회사”가 지급해야 할 연체이자 등을 전액 지급한 후 원금을 상환하여야 한다. 다. “발행회사”의 선택에 따른 상환: “발행회사”는 위 나목 (i) 및 (ii)의 “조기상환요건”이 만족된 경우에 한하여, “본 사채”의 발행일로부터 5 년이 되는 날(2030년 09월 01일 당일을 포함하고 그 날이 영업일이 아닌 경우 직후 도래하는 영업일을 말한다) 이후 어느 시점에서나 위 나목에 따라 상환할 수 있다. 라. 자본불인정에 의한 상환: “발행회사”는 위 나목 (i) 및 (ii)의 “조기상환요건”이 만족된 경우에 한하여, “보험업법” 또는 그 하위법령이나 한국채택국제회계기준의 개정 또는 해석의 변경 등으로 인하여 “본 사채”의 전부 또는 일부가 “발행회사”의 자본으로 분류되지 않게 되는 경우에는 즉시 위 나목에 따라 상환할 수 있다. 다만, 위 나목 (i)의 “조기상환요건”에도 불구하고, “본 사채”와 동질의 또는 양질의 자본증권으로 대체하는 경우로서 동 대체 발행이 “발행회사”의 수익창출 능력상 감당할 수 있는 상황에서 이루어지는 경우 “발행회사”는 “본 사채”의 발행일로부터 5년이 경과하기 전이라도 “본 사채”를 조기상환할 수 있으며, 이 경우 감독당국의 사전승인이 필요하다. 마. 조세원인에 의한 상환: “발행회사”는 위 나목 (i) 및 (ii)의 “조기상환요건”이 만족된 경우에 한하여, 대한민국 법률의 개정, 수정 또는 해당 법률의 해석에 관한 공식입장의 변경 (판례의 변경을 포함) 결과(단, 해당 변경 또는 수정이 발행일 이후 효력이 발생할 것) “발행회사”가 “본 사채”와 관련하여 지급하는 이자를 세법상 비용으로 인정받지 못하게 되는 경우에는 즉시 위 나목에 따라 상환할 수 있다. 다만, 위 나목 (i)의 “조기상환요건”에도 불구하고, “본 사채”와 동질의 또는 양질의 자본증권으로 대체하는 경우로서 동 대체 발행이 “발행회사”의 수익창출 능력상 감당할 수 있는 상황에서 이루어지는 경우 “발행회사”는 “본 사채”의 발행일로부터 5년이 경과하기 전이라도 “본 사채”를 조기상환할 수 있으며, 이 경우 감독당국의 사전승인이 필요하다.바. 위 나목 내지 마목에 따라 “발행회사”가 “본 사채”를 조기상환 하고자 하는 경우, “발행회사”는 해당 조기상환일로부터 30일 전까지 해당 사채의 조기 상환에 관한 사항을 한국예탁결제원, 사채관리회사 및 지급대리인에게 통보하여야 한다. 사. 위 나목 내지 마목에 따라 “본 사채”가 조기상환되는 경우 이에 따른 조기상환수수료는 없는 것으로 한다. |
주) 상기 "사채관리회사"는 한국증권금융(주)임 |
(주2) 정정 전
[회 차 : | 1 | ] | (단위 : 원) |
항 목 | 내 용 | ||||||||||||||||||||||||||||||||||||||||||||||||||||||||||||||||||||||||||||||||||||||||||||||||||||||||||||||||||||||||
---|---|---|---|---|---|---|---|---|---|---|---|---|---|---|---|---|---|---|---|---|---|---|---|---|---|---|---|---|---|---|---|---|---|---|---|---|---|---|---|---|---|---|---|---|---|---|---|---|---|---|---|---|---|---|---|---|---|---|---|---|---|---|---|---|---|---|---|---|---|---|---|---|---|---|---|---|---|---|---|---|---|---|---|---|---|---|---|---|---|---|---|---|---|---|---|---|---|---|---|---|---|---|---|---|---|---|---|---|---|---|---|---|---|---|---|---|---|---|---|---|---|
사 채 종 목 | 신종자본증권 | ||||||||||||||||||||||||||||||||||||||||||||||||||||||||||||||||||||||||||||||||||||||||||||||||||||||||||||||||||||||||
구 분 | 무기명식 이권부 무보증 신종자본증권 | ||||||||||||||||||||||||||||||||||||||||||||||||||||||||||||||||||||||||||||||||||||||||||||||||||||||||||||||||||||||||
권 면 총 액 | 500,000,000,000 | ||||||||||||||||||||||||||||||||||||||||||||||||||||||||||||||||||||||||||||||||||||||||||||||||||||||||||||||||||||||||
할 인 율(%) | - | ||||||||||||||||||||||||||||||||||||||||||||||||||||||||||||||||||||||||||||||||||||||||||||||||||||||||||||||||||||||||
발행수익율(%) | - | ||||||||||||||||||||||||||||||||||||||||||||||||||||||||||||||||||||||||||||||||||||||||||||||||||||||||||||||||||||||||
모집 또는 매출가액 | 각 사채 전자등록 총액의 100%로 합니다. | ||||||||||||||||||||||||||||||||||||||||||||||||||||||||||||||||||||||||||||||||||||||||||||||||||||||||||||||||||||||||
모집 또는 매출총액 | 500,000,000,000 | ||||||||||||||||||||||||||||||||||||||||||||||||||||||||||||||||||||||||||||||||||||||||||||||||||||||||||||||||||||||||
각 사채의 금액 | 본 사채는 '주식ㆍ사채 등의 전자등록에 관한 법률'에 따른 전자등록의 방법으로 발행하므로 사채권을 발행하지 아니함 | ||||||||||||||||||||||||||||||||||||||||||||||||||||||||||||||||||||||||||||||||||||||||||||||||||||||||||||||||||||||||
이자율 | 연리이자율(%) | - | |||||||||||||||||||||||||||||||||||||||||||||||||||||||||||||||||||||||||||||||||||||||||||||||||||||||||||||||||||||||
변동금리부사채이자율 | - | ||||||||||||||||||||||||||||||||||||||||||||||||||||||||||||||||||||||||||||||||||||||||||||||||||||||||||||||||||||||||
이자지급 방법및 기한 | 이자지급 방법 | 인수계약서 제3조 제15항의 제약 하에, “본 사채”의 사채권자에게는 발행일부터 상환기일 전일까지 인수계약서 제3조 제14항에서 정한 이자율에 따른 이자를 수령할 권리가 부여된다. 인수계약서 제3조 제15항의 제약 하에, “본 사채”의 이자는 “본 사채” 발행일로부터 원금상환기일 전일까지 계산하고, “본 사채”에 대한 이자는 매 3개월마다 아래의 지급기일(이하 각각 “이자지급일”이라 한다)에 “본 사채”의 이자율을 적용하여 계산한 연간 이자의 1/4씩 이자가 후취로 지급된다. 어느 “이자지급일”이 영업일에 해당하지 않는 날인 경우에는, 직후 영업일을 “이자지급일”로 하고 이 경우 지급기일 이후의 이자는 별도로 지급하지 아니한다. DB손해보험(주)(이하 “발행회사”)의 선택에 의한 “본 사채”의 조기상환 기일이 “이자지급일”과 다른 경우, 이자는 1년을 365일(윤년의 경우 366일)로 보고 직전 “이자지급일”로부터 조기상환 전일까지 실제 경과일수에 따라 일할계산하여 지급한다. | |||||||||||||||||||||||||||||||||||||||||||||||||||||||||||||||||||||||||||||||||||||||||||||||||||||||||||||||||||||||
이자지급 기한 |
|
||||||||||||||||||||||||||||||||||||||||||||||||||||||||||||||||||||||||||||||||||||||||||||||||||||||||||||||||||||||||
신용평가 등급 | 평가회사명 | 한국신용평가(주)/한국기업평가(주) | |||||||||||||||||||||||||||||||||||||||||||||||||||||||||||||||||||||||||||||||||||||||||||||||||||||||||||||||||||||||
평가일자 | 2025년 08월 18일/2025년 08월 18일 | ||||||||||||||||||||||||||||||||||||||||||||||||||||||||||||||||||||||||||||||||||||||||||||||||||||||||||||||||||||||||
평가결과등급 | AA0(안정적)/AA0(안정적) | ||||||||||||||||||||||||||||||||||||||||||||||||||||||||||||||||||||||||||||||||||||||||||||||||||||||||||||||||||||||||
주관회사의분석 | 주관회사명 | 케이비증권(주), 신한투자증권(주) | |||||||||||||||||||||||||||||||||||||||||||||||||||||||||||||||||||||||||||||||||||||||||||||||||||||||||||||||||||||||
분석일자 | 2025년 08월 20일 | ||||||||||||||||||||||||||||||||||||||||||||||||||||||||||||||||||||||||||||||||||||||||||||||||||||||||||||||||||||||||
상환방법및 기한 | 상 환 방 법 |
[사채의 최종상환] “본 사채”가 “본 사채 조건”에 따라 사전에 상환 또는 매입 및 소각되지 않는 한, DB손해보험(주)(이하 “발행회사”)는 한국예탁결제원, 사채관리회사 및 지급대리인에게 상환일로부터 30일 이전까지 사전 통지함으로써, “본 사채”를 2055년 09월 01일에 “본 사채”에 대하여 위 날까지 발생하였으나 지급되지 아니한 이자(명확히 하기 위하여 부연하면 “이자지급 정지기간” 동안은 이자가 발생하지 아니하며, 지급이 취소된 이자는 이자지급의무가 소멸한다. 이하 본 항에서 같다)와 원금에 상당하는 금액으로 상환할 수 있다. 위 날에 상환되지 않은 때에는 “발행회사”는 “본 사채”를 그 이후 도래하는 매 30년간 기간의 말일(이러한 각 말일을 “만기일”이라 하고, 첫번째 “만기일”은 2055년 09월 01일이 된다)에 “본 사채”에 대하여 해당 “만기일”까지 발생하였으나 지급되지 아니한 이자와 원금에 상당하는 금액으로 상환할 수 있다. 동 조항에 따라 본 사채를 상환시에는 금융감독원장의 사전승인을 받아야 한다. 위 각 “만기일”에 “본 사채”가 “발행회사”의 선택에 따라 상환되지 않는 경우 “본 사채”의 만기는 위 “만기일”로부터 다음 “만기일”까지 30년간 자동적으로 연장된다. 단, “본 사채”의 “만기일”의 연장이 필요한 경우 “본 사채”의 상환 사전 통지와 마찬가지로 “발행회사”가 사채관리회사, 한국예탁결제원 및 지급대리인에게 상환일로부터 30일 이전의 기간에 사전 통지하여야 한다. 단, “발행회사”가 “금융산업의 구조개선에 관한 법률” 또는 “예금자보호법”에 따른 부실금융회사(기관)으로 지정된 경우 별도의 통지 없이도 자동적으로 “만기일”을 연장할 수 있으나, 사후적으로 (다만, 이 경우에도 “만기일” 5영업일 이전까지) 해당 사실을 지체없이 사채관리회사, 한국예탁결제원 및 지급대리인에게 통지하여야 한다. 어느 “만기일”이 영업일에 해당하지 않는 날인 경우에는, 직후 영업일을 “만기일”로 하되 그로 인한 지급금액의 변경은 없는 것으로 한다. [사채의 조기상환(Call option)] 가. “본 사채”의 사채권자는 어떠한 경우에도 “본 사채”의 조기상환을 요구할 수 없다. 나. “발행회사”는 전적인 재량에 의한 선택에 따라, (i) “본 사채”의 발행일로부터 5년이 되는 날(2030년 09월 01일 당일을 포함하고 그 날이 영업일이 아닌 경우 직후 도래하는 영업일을 말한다) 이후 및 (ii) “보험업감독규정” 제7-10조 제5항(본 계약의 체결 이후 관련 규정이 변경되는 경우 해당 규정을 의미한다)의 요건을 충족하여 금융감독원(및 그 승계기관을 포함한다)의 사전 승인을 받는 것을 조건(이하 위 (i) 및 (ii)의 조건을 총칭하여 “조기상환요건”이라 한다)으로, 본 항 다목, 라목, 마목 중 어느 하나의 사유에 따라 “본 사채”를 조기상환 할 수 있다. 이 경우 “발행회사”는 해당 조기상환일에 “본 사채” 원금의 100% (이하 본항에서 “조기상환금액”이라 한다)를 사채권자에게 지급하여야 하며, 해당 조기상환일까지 발생한 이자(명확히 하기 위하여 부연하면 “이자지급 정지기간” 동안은 이자가 발생하지 아니하며, 지급이 취소된 이자는 이자지급의무가 소멸한다), 기타 “본 사채”에 관하여 “발행회사”가 지급해야 할 연체이자 등을 전액 지급한 후 원금을 상환하여야 한다. 다. “발행회사”의 선택에 따른 상환: “발행회사”는 위 나목 (i) 및 (ii)의 “조기상환요건”이 만족된 경우에 한하여, “본 사채”의 발행일로부터 5 년이 되는 날(2030년 09월 01일 당일을 포함하고 그 날이 영업일이 아닌 경우 직후 도래하는 영업일을 말한다) 이후 어느 시점에서나 위 나목에 따라 상환할 수 있다. 라. 자본불인정에 의한 상환: “발행회사”는 위 나목 (i) 및 (ii)의 “조기상환요건”이 만족된 경우에 한하여, “보험업법” 또는 그 하위법령이나 한국채택국제회계기준의 개정 또는 해석의 변경 등으로 인하여 “본 사채”의 전부 또는 일부가 “발행회사”의 자본으로 분류되지 않게 되는 경우에는 즉시 위 나목에 따라 상환할 수 있다. 다만, 위 나목 (i)의 “조기상환요건”에도 불구하고, “본 사채”와 동질의 또는 양질의 자본증권으로 대체하는 경우로서 동 대체 발행이 “발행회사”의 수익창출 능력상 감당할 수 있는 상황에서 이루어지는 경우 “발행회사”는 “본 사채”의 발행일로부터 5년이 경과하기 전이라도 “본 사채”를 조기상환할 수 있다. 마. 조세원인에 의한 상환: “발행회사”는 위 나목 (i) 및 (ii)의 “조기상환요건”이 만족된 경우에 한하여, 대한민국 법률의 개정, 수정 또는 해당 법률의 해석에 관한 공식입장의 변경 (판례의 변경을 포함) 결과(단, 해당 변경 또는 수정이 발행일 이후 효력이 발생할 것) “발행회사”가 “본 사채”와 관련하여 지급하는 이자를 세법상 비용으로 인정받지 못하게 되는 경우에는 즉시 위 나목에 따라 상환할 수 있다. 다만, 위 나목 (i)의 “조기상환요건”에도 불구하고, “본 사채”와 동질의 또는 양질의 자본증권으로 대체하는 경우로서 동 대체 발행이 “발행회사”의 수익창출 능력상 감당할 수 있는 상황에서 이루어지는 경우 “발행회사”는 “본 사채”의 발행일로부터 5년이 경과하기 전이라도 “본 사채”를 조기상환할 수 있다. 바. 위 나목 내지 마목에 따라 “발행회사”가 “본 사채”를 조기상환 하고자 하는 경우, “발행회사”는 해당 조기상환일로부터 30일 전까지 해당 사채의 조기 상환에 관한 사항을 한국예탁결제원, 사채관리회사 및 지급대리인에게 통보하여야 한다. 사. 위 나목 내지 마목에 따라 “본 사채”가 조기상환되는 경우 이에 따른 조기상환수수료는 없는 것으로 한다. |
|||||||||||||||||||||||||||||||||||||||||||||||||||||||||||||||||||||||||||||||||||||||||||||||||||||||||||||||||||||||
상 환 기 한 | 2055년 09월 01일 | ||||||||||||||||||||||||||||||||||||||||||||||||||||||||||||||||||||||||||||||||||||||||||||||||||||||||||||||||||||||||
납 입 기 일 | 2025년 09월 01일 | ||||||||||||||||||||||||||||||||||||||||||||||||||||||||||||||||||||||||||||||||||||||||||||||||||||||||||||||||||||||||
등 록 기 관 | 한국예탁결제원 | ||||||||||||||||||||||||||||||||||||||||||||||||||||||||||||||||||||||||||||||||||||||||||||||||||||||||||||||||||||||||
원리금지급대행기관 | 회 사 명 | ㈜신한은행 FI공기업영업부 | |||||||||||||||||||||||||||||||||||||||||||||||||||||||||||||||||||||||||||||||||||||||||||||||||||||||||||||||||||||||
회사고유번호 | 00149293 | ||||||||||||||||||||||||||||||||||||||||||||||||||||||||||||||||||||||||||||||||||||||||||||||||||||||||||||||||||||||||
기 타 사 항 | ▶ 본 사채 발행을 위해 2025년 08월 05일에 케이비증권(주) 및 신한투자증권(주)와 공동대표주관계약을 체결하였습니다.▶ 본 사채는 '주식·사채 등의 전자등록에 관한 법률'에 의거 사채를 한국예탁결제원의 전자등록계좌부에 전자등록하므로, 실물채권을 발행하지 아니하며, 등록필증의 교부 등이 존재하지 않습니다.▶ 본 사채는 사채권을 발행하지 않으므로 "주식·사채 등의 전자등록에 관한 법률" 제 39조에 의거 전자등록주식 등의 소유자가 권리행사를 위하여 계좌관리기관을 통해 신청하는 경우 전자등록기관인 한국예탁결제원에서 "소유자증명서"를 발행하여야 합니다.▶ 본 사채는 '주식·사채 등의 전자등록에 관한 법률'에 의거 전자등록되므로, 등록 말소 시 사채권 발행을 청구할 수 없습니다.▶ 본 사채는 실물발행이 아닌 전자등록에 의한 발행이므로 인수수량의 기재가 불가능하나, 이해상의 편의를 위해 10,000원을 수량의 1단위로 기재합니다.▶ 본 사채의 상장신청예정일은 2025년 09월 01일이며, 상장예정일은 2025년 09월 02일입니다.▶ 본 사채는 (i) DB손해보험(주)(이하 "발행회사"라 한다) 의 보통주식 및 우선주식(우선주식의 종류를 불문한다)과 기타 법률의 규정 또는 그 발행조건상 본 사채보다 후순위의 지급순위를 갖는 채권(이하 "후순위채권")보다 선순위이며, (ii) 본 사채 상호 간, 그리고 법률의 규정 또는 그 발행조건상 본 사채와 동일한 지급순위를 갖는 채권(이하 "동순위채권")과 동순위이고, (iii) "발행회사"의 보험계약자의 채권 등 "발행회사"에 대한 모든 일반채권과 기타 법률의 규정 또는 그 발행조건상 본 사채보다 선순위의 지급순위를 갖는 채권("보험업감독규정" 제7-11조의2 제1항 제2호에 따른 기한부후순위채권 및 보험업감독업무 시행세칙 [별표22] III.3.다에 따른 보완자본 요건을 충족하는 자본증권을 포함하나 이에 국한되지 아니하며, 이하 "선순위채권")보다 후순위입니다. "발행회사"에 대하여 청산절차, 회생, 이와 유사한 도산절차(외국에서의 도산절차를 포함하되, 해당 외국 절차상 인수계약서 제3조 제12항 나목에 따른 조건을 부가하는 것이 허용되지 않는 경우는 그러하지 아니하다)가 개시되는 경우 또는 인수계약서 제3조 제19항에서 규정한 기한의 이익이 상실되는 경우, 위 각 절차에서 "후순위채권” 및 "동순위채권"을 제외한 모든 "선순위채권"을 우선 변제(공탁을 포함하며, 이하 동일함)하고 잔여 재산이 있는 경우에 한하여 본 사채를 상환합니다. 더불어 본 사채는 "금융산업의 구조개선에 관한 법률” 제2조 제2호 또는 "예금자보호법" 제2조 제5호에 따른 부실금융회사(기관) 결정 시 "발행회사"의 부채로 분류되지 아니합니다. ▶ 본 사채는 신종자본증권으로 일반적인 회사채와는 다른 발행조건을 갖고 있으며, 세부 발행조건은 "제1부 모집 또는 매출에 관한사항 Ⅱ. 증권의 주요 권리내용"에 기재합니다. |
주1) 본 사채는 2025년 08월 25일 09시에서 16시까지 한국금융투자협회 K-Bond 프로그램 및 FAX 접수방법을 통해 실시하는 수요예측 결과에 따라 권면이자율 및 발행수익률이 결정될 예정입니다.주2) 수요예측시 공모희망금리는 연 3.50% ~ 3.80%으로 합니다.주3) 수요예측 결과에 의해 확정된 확정 금리는 2025년 08월 26일 정정신고서를 통해 공시할 예정입니다. 주4) 본 사채의 발행제비용은 수요예측 결과를 반영하여 변경될 수 있으며, 세부 내역은 본 증권신고서 내 제1부 모집 또는 매출에 관한 사항 -Ⅴ. 자금의 사용목적을 참고하여 주시기 바랍니다.주5) 상기에 기재되어 있는 가액은 발행 예정금액이며, 수요예측 결과에 따라 공동대표주관회사와의 협의에 의해 본 사채의 발행총액은 전자등록총액 합계 금 구천팔백억원(\980,000,000,000) 이하의 범위 내에서 변경될 수 있습니다.주6) 상기 "사채관리회사"는 한국증권금융(주)임 |
(중략)
[사채의 조기상환(Call Option)] ※ "발행회사"는 DB손해보험(주)를 지칭합니다. 제 3 조 ("본 사채"의 발행조건) 17. 사채의 조기상환 가. “본 사채”의 사채권자는 어떠한 경우에도 “본 사채”의 조기상환을 요구할 수 없다. 나. “발행회사”는 전적인 재량에 의한 선택에 따라, (i) “본 사채”의 발행일로부터 5년이 되는 날(2030년 09월 01일 당일을 포함하고 그 날이 영업일이 아닌 경우 직후 도래하는 영업일을 말한다) 이후 및 (ii) “보험업감독규정” 제7-10조 제5항(본 계약의 체결 이후 관련 규정이 변경되는 경우 해당 규정을 의미한다)의 요건을 충족하여 금융감독원(및 그 승계기관을 포함한다)의 사전 승인을 받는 것을 조건(이하 위 (i) 및 (ii)의 조건을 총칭하여 “조기상환요건”이라 한다)으로, 본 항 다목, 라목, 마목 중 어느 하나의 사유에 따라 “본 사채”를 조기상환 할 수 있다. 이 경우 “발행회사”는 해당 조기상환일에 “본 사채” 원금의 100% (이하 본항에서 “조기상환금액”이라 한다)를 사채권자에게 지급하여야 하며, 해당 조기상환일까지 발생한 이자(명확히 하기 위하여 부연하면 “이자지급 정지기간” 동안은 이자가 발생하지 아니하며, 지급이 취소된 이자는 이자지급의무가 소멸한다), 기타 “본 사채”에 관하여 “발행회사”가 지급해야 할 연체이자 등을 전액 지급한 후 원금을 상환하여야 한다. 다. “발행회사”의 선택에 따른 상환: “발행회사”는 위 나목 (i) 및 (ii)의 “조기상환요건”이 만족된 경우에 한하여, “본 사채”의 발행일로부터 5 년이 되는 날(2030년 09월 01일 당일을 포함하고 그 날이 영업일이 아닌 경우 직후 도래하는 영업일을 말한다) 이후 어느 시점에서나 위 나목에 따라 상환할 수 있다. 라. 자본불인정에 의한 상환: “발행회사”는 위 나목 (i) 및 (ii)의 “조기상환요건”이 만족된 경우에 한하여, “보험업법” 또는 그 하위법령이나 한국채택국제회계기준의 개정 또는 해석의 변경 등으로 인하여 “본 사채”의 전부 또는 일부가 “발행회사”의 자본으로 분류되지 않게 되는 경우에는 즉시 위 나목에 따라 상환할 수 있다. 다만, 위 나목 (i)의 “조기상환요건”에도 불구하고, “본 사채”와 동질의 또는 양질의 자본증권으로 대체하는 경우로서 동 대체 발행이 “발행회사”의 수익창출 능력상 감당할 수 있는 상황에서 이루어지는 경우 “발행회사”는 “본 사채”의 발행일로부터 5년이 경과하기 전이라도 “본 사채”를 조기상환할 수 있다. 마. 조세원인에 의한 상환: “발행회사”는 위 나목 (i) 및 (ii)의 “조기상환요건”이 만족된 경우에 한하여, 대한민국 법률의 개정, 수정 또는 해당 법률의 해석에 관한 공식입장의 변경 (판례의 변경을 포함) 결과(단, 해당 변경 또는 수정이 발행일 이후 효력이 발생할 것) “발행회사”가 “본 사채”와 관련하여 지급하는 이자를 세법상 비용으로 인정받지 못하게 되는 경우에는 즉시 위 나목에 따라 상환할 수 있다. 다만, 위 나목 (i)의 “조기상환요건”에도 불구하고, “본 사채”와 동질의 또는 양질의 자본증권으로 대체하는 경우로서 동 대체 발행이 “발행회사”의 수익창출 능력상 감당할 수 있는 상황에서 이루어지는 경우 “발행회사”는 “본 사채”의 발행일로부터 5년이 경과하기 전이라도 “본 사채”를 조기상환할 수 있다. 바. 위 나목 내지 마목에 따라 “발행회사”가 “본 사채”를 조기상환 하고자 하는 경우, “발행회사”는 해당 조기상환일로부터 30일 전까지 해당 사채의 조기 상환에 관한 사항을 한국예탁결제원, 사채관리회사 및 지급대리인에게 통보하여야 한다. 사. 위 나목 내지 마목에 따라 “본 사채”가 조기상환되는 경우 이에 따른 조기상환수수료는 없는 것으로 한다. |
주) 상기 "사채관리회사"는 한국증권금융(주)임 |
(주2) 정정 후
[회 차 : | 1 | ] | (단위 : 원) |
항 목 | 내 용 | ||||||||||||||||||||||||||||||||||||||||||||||||||||||||||||||||||||||||||||||||||||||||||||||||||||||||||||||||||||||||
---|---|---|---|---|---|---|---|---|---|---|---|---|---|---|---|---|---|---|---|---|---|---|---|---|---|---|---|---|---|---|---|---|---|---|---|---|---|---|---|---|---|---|---|---|---|---|---|---|---|---|---|---|---|---|---|---|---|---|---|---|---|---|---|---|---|---|---|---|---|---|---|---|---|---|---|---|---|---|---|---|---|---|---|---|---|---|---|---|---|---|---|---|---|---|---|---|---|---|---|---|---|---|---|---|---|---|---|---|---|---|---|---|---|---|---|---|---|---|---|---|---|
사 채 종 목 | 신종자본증권 | ||||||||||||||||||||||||||||||||||||||||||||||||||||||||||||||||||||||||||||||||||||||||||||||||||||||||||||||||||||||||
구 분 | 무기명식 이권부 무보증 신종자본증권 | ||||||||||||||||||||||||||||||||||||||||||||||||||||||||||||||||||||||||||||||||||||||||||||||||||||||||||||||||||||||||
권 면 총 액 | 747,000,000,000 | ||||||||||||||||||||||||||||||||||||||||||||||||||||||||||||||||||||||||||||||||||||||||||||||||||||||||||||||||||||||||
할 인 율(%) | - | ||||||||||||||||||||||||||||||||||||||||||||||||||||||||||||||||||||||||||||||||||||||||||||||||||||||||||||||||||||||||
발행수익율(%) | 3.80 | ||||||||||||||||||||||||||||||||||||||||||||||||||||||||||||||||||||||||||||||||||||||||||||||||||||||||||||||||||||||||
모집 또는 매출가액 | 각 사채 전자등록 총액의 100%로 합니다. | ||||||||||||||||||||||||||||||||||||||||||||||||||||||||||||||||||||||||||||||||||||||||||||||||||||||||||||||||||||||||
모집 또는 매출총액 | 747,000,000,000 | ||||||||||||||||||||||||||||||||||||||||||||||||||||||||||||||||||||||||||||||||||||||||||||||||||||||||||||||||||||||||
각 사채의 금액 | 본 사채는 '주식ㆍ사채 등의 전자등록에 관한 법률'에 따른 전자등록의 방법으로 발행하므로 사채권을 발행하지 아니함 | ||||||||||||||||||||||||||||||||||||||||||||||||||||||||||||||||||||||||||||||||||||||||||||||||||||||||||||||||||||||||
이자율 | 연리이자율(%) | 3.80 | |||||||||||||||||||||||||||||||||||||||||||||||||||||||||||||||||||||||||||||||||||||||||||||||||||||||||||||||||||||||
변동금리부사채이자율 | - | ||||||||||||||||||||||||||||||||||||||||||||||||||||||||||||||||||||||||||||||||||||||||||||||||||||||||||||||||||||||||
이자지급 방법및 기한 | 이자지급 방법 | 인수계약서 제3조 제15항의 제약 하에, “본 사채”의 사채권자에게는 발행일부터 상환기일 전일까지 인수계약서 제3조 제14항에서 정한 이자율에 따른 이자를 수령할 권리가 부여된다. 인수계약서 제3조 제15항의 제약 하에, “본 사채”의 이자는 “본 사채” 발행일로부터 원금상환기일 전일까지 계산하고, “본 사채”에 대한 이자는 매 3개월마다 아래의 지급기일(이하 각각 “이자지급일”이라 한다)에 “본 사채”의 이자율을 적용하여 계산한 연간 이자의 1/4씩 이자가 후취로 지급된다. 어느 “이자지급일”이 영업일에 해당하지 않는 날인 경우에는, 직후 영업일을 “이자지급일”로 하고 이 경우 지급기일 이후의 이자는 별도로 지급하지 아니한다. DB손해보험(주)(이하 “발행회사”)의 선택에 의한 “본 사채”의 조기상환 기일이 “이자지급일”과 다른 경우, 이자는 1년을 365일(윤년의 경우 366일)로 보고 직전 “이자지급일”로부터 조기상환 전일까지 실제 경과일수에 따라 일할계산하여 지급한다. | |||||||||||||||||||||||||||||||||||||||||||||||||||||||||||||||||||||||||||||||||||||||||||||||||||||||||||||||||||||||
이자지급 기한 |
|
||||||||||||||||||||||||||||||||||||||||||||||||||||||||||||||||||||||||||||||||||||||||||||||||||||||||||||||||||||||||
신용평가 등급 | 평가회사명 | 한국신용평가(주)/한국기업평가(주) | |||||||||||||||||||||||||||||||||||||||||||||||||||||||||||||||||||||||||||||||||||||||||||||||||||||||||||||||||||||||
평가일자 | 2025년 08월 18일/2025년 08월 18일 | ||||||||||||||||||||||||||||||||||||||||||||||||||||||||||||||||||||||||||||||||||||||||||||||||||||||||||||||||||||||||
평가결과등급 | AA0(안정적)/AA0(안정적) | ||||||||||||||||||||||||||||||||||||||||||||||||||||||||||||||||||||||||||||||||||||||||||||||||||||||||||||||||||||||||
주관회사의분석 | 주관회사명 | 케이비증권(주), 신한투자증권(주) | |||||||||||||||||||||||||||||||||||||||||||||||||||||||||||||||||||||||||||||||||||||||||||||||||||||||||||||||||||||||
분석일자 | 2025년 08월 20일 | ||||||||||||||||||||||||||||||||||||||||||||||||||||||||||||||||||||||||||||||||||||||||||||||||||||||||||||||||||||||||
상환방법및 기한 | 상 환 방 법 |
[사채의 최종상환] “본 사채”가 “본 사채 조건”에 따라 사전에 상환 또는 매입 및 소각되지 않는 한, DB손해보험(주)(이하 “발행회사”)는 한국예탁결제원, 사채관리회사 및 지급대리인에게 상환일로부터 30일 이전까지 사전 통지함으로써, “본 사채”를 2055년 09월 01일에 “본 사채”에 대하여 위 날까지 발생하였으나 지급되지 아니한 이자(명확히 하기 위하여 부연하면 “이자지급 정지기간” 동안은 이자가 발생하지 아니하며, 지급이 취소된 이자는 이자지급의무가 소멸한다. 이하 본 항에서 같다)와 원금에 상당하는 금액으로 상환할 수 있다. 위 날에 상환되지 않은 때에는 “발행회사”는 “본 사채”를 그 이후 도래하는 매 30년간 기간의 말일(이러한 각 말일을 “만기일”이라 하고, 첫번째 “만기일”은 2055년 09월 01일이 된다)에 “본 사채”에 대하여 해당 “만기일”까지 발생하였으나 지급되지 아니한 이자와 원금에 상당하는 금액으로 상환할 수 있다. 동 조항에 따라 본 사채를 상환시에는 금융감독원장의 사전승인을 받아야 한다. 위 각 “만기일”에 “본 사채”가 “발행회사”의 선택에 따라 상환되지 않는 경우 “본 사채”의 만기는 위 “만기일”로부터 다음 “만기일”까지 30년간 자동적으로 연장된다. 단, “본 사채”의 “만기일”의 연장이 필요한 경우 “본 사채”의 상환 사전 통지와 마찬가지로 “발행회사”가 사채관리회사, 한국예탁결제원 및 지급대리인에게 상환일로부터 30일 이전의 기간에 사전 통지하여야 한다. 단, “발행회사”가 “금융산업의 구조개선에 관한 법률” 또는 “예금자보호법”에 따른 부실금융회사(기관)으로 지정된 경우 별도의 통지 없이도 자동적으로 “만기일”을 연장할 수 있으나, 사후적으로 (다만, 이 경우에도 “만기일” 5영업일 이전까지) 해당 사실을 지체없이 사채관리회사, 한국예탁결제원 및 지급대리인에게 통지하여야 한다. 어느 “만기일”이 영업일에 해당하지 않는 날인 경우에는, 직후 영업일을 “만기일”로 하되 그로 인한 지급금액의 변경은 없는 것으로 한다. [사채의 조기상환(Call option)] 가. “본 사채”의 사채권자는 어떠한 경우에도 “본 사채”의 조기상환을 요구할 수 없다. 나. “발행회사”는 전적인 재량에 의한 선택에 따라, (i) “본 사채”의 발행일로부터 5년이 되는 날(2030년 09월 01일 당일을 포함하고 그 날이 영업일이 아닌 경우 직후 도래하는 영업일을 말한다) 이후 및 (ii) “보험업감독규정” 제7-10조 제5항(본 계약의 체결 이후 관련 규정이 변경되는 경우 해당 규정을 의미한다)의 요건을 충족하여 금융감독원(및 그 승계기관을 포함한다)의 사전 승인을 받는 것을 조건(이하 위 (i) 및 (ii)의 조건을 총칭하여 “조기상환요건”이라 한다)으로, 본 항 다목, 라목, 마목 중 어느 하나의 사유에 따라 “본 사채”를 조기상환 할 수 있다. 이 경우 “발행회사”는 해당 조기상환일에 “본 사채” 원금의 100% (이하 본항에서 “조기상환금액”이라 한다)를 사채권자에게 지급하여야 하며, 해당 조기상환일까지 발생한 이자(명확히 하기 위하여 부연하면 “이자지급 정지기간” 동안은 이자가 발생하지 아니하며, 지급이 취소된 이자는 이자지급의무가 소멸한다), 기타 “본 사채”에 관하여 “발행회사”가 지급해야 할 연체이자 등을 전액 지급한 후 원금을 상환하여야 한다. 다. “발행회사”의 선택에 따른 상환: “발행회사”는 위 나목 (i) 및 (ii)의 “조기상환요건”이 만족된 경우에 한하여, “본 사채”의 발행일로부터 5 년이 되는 날(2030년 09월 01일 당일을 포함하고 그 날이 영업일이 아닌 경우 직후 도래하는 영업일을 말한다) 이후 어느 시점에서나 위 나목에 따라 상환할 수 있다. 라. 자본불인정에 의한 상환: “발행회사”는 위 나목 (i) 및 (ii)의 “조기상환요건”이 만족된 경우에 한하여, “보험업법” 또는 그 하위법령이나 한국채택국제회계기준의 개정 또는 해석의 변경 등으로 인하여 “본 사채”의 전부 또는 일부가 “발행회사”의 자본으로 분류되지 않게 되는 경우에는 즉시 위 나목에 따라 상환할 수 있다. 다만, 위 나목 (i)의 “조기상환요건”에도 불구하고, “본 사채”와 동질의 또는 양질의 자본증권으로 대체하는 경우로서 동 대체 발행이 “발행회사”의 수익창출 능력상 감당할 수 있는 상황에서 이루어지는 경우 “발행회사”는 “본 사채”의 발행일로부터 5년이 경과하기 전이라도 “본 사채”를 조기상환할 수 있으며, 이 경우 감독당국의 사전승인이 필요하다. 마. 조세원인에 의한 상환: “발행회사”는 위 나목 (i) 및 (ii)의 “조기상환요건”이 만족된 경우에 한하여, 대한민국 법률의 개정, 수정 또는 해당 법률의 해석에 관한 공식입장의 변경 (판례의 변경을 포함) 결과(단, 해당 변경 또는 수정이 발행일 이후 효력이 발생할 것) “발행회사”가 “본 사채”와 관련하여 지급하는 이자를 세법상 비용으로 인정받지 못하게 되는 경우에는 즉시 위 나목에 따라 상환할 수 있다. 다만, 위 나목 (i)의 “조기상환요건”에도 불구하고, “본 사채”와 동질의 또는 양질의 자본증권으로 대체하는 경우로서 동 대체 발행이 “발행회사”의 수익창출 능력상 감당할 수 있는 상황에서 이루어지는 경우 “발행회사”는 “본 사채”의 발행일로부터 5년이 경과하기 전이라도 “본 사채”를 조기상환할 수 있으며, 이 경우 감독당국의 사전승인이 필요하다. 바. 위 나목 내지 마목에 따라 “발행회사”가 “본 사채”를 조기상환 하고자 하는 경우, “발행회사”는 해당 조기상환일로부터 30일 전까지 해당 사채의 조기 상환에 관한 사항을 한국예탁결제원, 사채관리회사 및 지급대리인에게 통보하여야 한다. 사. 위 나목 내지 마목에 따라 “본 사채”가 조기상환되는 경우 이에 따른 조기상환수수료는 없는 것으로 한다. |
|||||||||||||||||||||||||||||||||||||||||||||||||||||||||||||||||||||||||||||||||||||||||||||||||||||||||||||||||||||||
상 환 기 한 | 2055년 09월 01일 | ||||||||||||||||||||||||||||||||||||||||||||||||||||||||||||||||||||||||||||||||||||||||||||||||||||||||||||||||||||||||
납 입 기 일 | 2025년 09월 01일 | ||||||||||||||||||||||||||||||||||||||||||||||||||||||||||||||||||||||||||||||||||||||||||||||||||||||||||||||||||||||||
등 록 기 관 | 한국예탁결제원 | ||||||||||||||||||||||||||||||||||||||||||||||||||||||||||||||||||||||||||||||||||||||||||||||||||||||||||||||||||||||||
원리금지급대행기관 | 회 사 명 | ㈜신한은행 FI공기업영업부 | |||||||||||||||||||||||||||||||||||||||||||||||||||||||||||||||||||||||||||||||||||||||||||||||||||||||||||||||||||||||
회사고유번호 | 00149293 | ||||||||||||||||||||||||||||||||||||||||||||||||||||||||||||||||||||||||||||||||||||||||||||||||||||||||||||||||||||||||
기 타 사 항 | ▶ 본 사채 발행을 위해 2025년 08월 05일에 케이비증권(주) 및 신한투자증권(주)와 공동대표주관계약을 체결하였습니다.▶ 본 사채는 '주식·사채 등의 전자등록에 관한 법률'에 의거 사채를 한국예탁결제원의 전자등록계좌부에 전자등록하므로, 실물채권을 발행하지 아니하며, 등록필증의 교부 등이 존재하지 않습니다.▶ 본 사채는 사채권을 발행하지 않으므로 "주식·사채 등의 전자등록에 관한 법률" 제 39조에 의거 전자등록주식 등의 소유자가 권리행사를 위하여 계좌관리기관을 통해 신청하는 경우 전자등록기관인 한국예탁결제원에서 "소유자증명서"를 발행하여야 합니다.▶ 본 사채는 '주식·사채 등의 전자등록에 관한 법률'에 의거 전자등록되므로, 등록 말소 시 사채권 발행을 청구할 수 없습니다.▶ 본 사채는 실물발행이 아닌 전자등록에 의한 발행이므로 인수수량의 기재가 불가능하나, 이해상의 편의를 위해 10,000원을 수량의 1단위로 기재합니다.▶ 본 사채의 상장신청예정일은 2025년 09월 01일이며, 상장예정일은 2025년 09월 02일입니다.▶ 본 사채는 (i) DB손해보험(주)(이하 "발행회사"라 한다) 의 보통주식 및 우선주식(우선주식의 종류를 불문한다)과 기타 법률의 규정 또는 그 발행조건상 본 사채보다 후순위의 지급순위를 갖는 채권(이하 "후순위채권")보다 선순위이며, (ii) 본 사채 상호 간, 그리고 법률의 규정 또는 그 발행조건상 본 사채와 동일한 지급순위를 갖는 채권(이하 "동순위채권")과 동순위이고, (iii) "발행회사"의 보험계약자의 채권 등 "발행회사"에 대한 모든 일반채권과 기타 법률의 규정 또는 그 발행조건상 본 사채보다 선순위의 지급순위를 갖는 채권("보험업감독규정" 제7-11조의2 제1항 제2호에 따른 기한부후순위채권 및 보험업감독업무 시행세칙 [별표22] III.3.다에 따른 보완자본 요건을 충족하는 자본증권을 포함하나 이에 국한되지 아니하며, 이하 "선순위채권")보다 후순위입니다. "발행회사"에 대하여 청산절차, 회생, 이와 유사한 도산절차(외국에서의 도산절차를 포함하되, 해당 외국 절차상 인수계약서 제3조 제12항 나목에 따른 조건을 부가하는 것이 허용되지 않는 경우는 그러하지 아니하다)가 개시되는 경우 또는 인수계약서 제3조 제19항에서 규정한 기한의 이익이 상실되는 경우, 위 각 절차에서 "후순위채권” 및 "동순위채권"을 제외한 모든 "선순위채권"을 우선 변제(공탁을 포함하며, 이하 동일함)하고 잔여 재산이 있는 경우에 한하여 본 사채를 상환합니다. 더불어 본 사채는 "금융산업의 구조개선에 관한 법률” 제2조 제2호 또는 "예금자보호법" 제2조 제5호에 따른 부실금융회사(기관) 결정 시 "발행회사"의 부채로 분류되지 아니합니다. ▶ 본 사채는 신종자본증권으로 일반적인 회사채와는 다른 발행조건을 갖고 있으며, 세부 발행조건은 "제1부 모집 또는 매출에 관한사항 Ⅱ. 증권의 주요 권리내용"에 기재합니다. |
(삭제)(중략)
[사채의 조기상환(Call Option)] ※ "발행회사"는 DB손해보험(주)를 지칭합니다. 제 3 조 ("본 사채"의 발행조건) 17. 사채의 조기상환 가. “본 사채”의 사채권자는 어떠한 경우에도 “본 사채”의 조기상환을 요구할 수 없다. 나. “발행회사”는 전적인 재량에 의한 선택에 따라, (i) “본 사채”의 발행일로부터 5년이 되는 날(2030년 09월 01일 당일을 포함하고 그 날이 영업일이 아닌 경우 직후 도래하는 영업일을 말한다) 이후 및 (ii) “보험업감독규정” 제7-10조 제5항(본 계약의 체결 이후 관련 규정이 변경되는 경우 해당 규정을 의미한다)의 요건을 충족하여 금융감독원(및 그 승계기관을 포함한다)의 사전 승인을 받는 것을 조건(이하 위 (i) 및 (ii)의 조건을 총칭하여 “조기상환요건”이라 한다)으로, 본 항 다목, 라목, 마목 중 어느 하나의 사유에 따라 “본 사채”를 조기상환 할 수 있다. 이 경우 “발행회사”는 해당 조기상환일에 “본 사채” 원금의 100% (이하 본항에서 “조기상환금액”이라 한다)를 사채권자에게 지급하여야 하며, 해당 조기상환일까지 발생한 이자(명확히 하기 위하여 부연하면 “이자지급 정지기간” 동안은 이자가 발생하지 아니하며, 지급이 취소된 이자는 이자지급의무가 소멸한다), 기타 “본 사채”에 관하여 “발행회사”가 지급해야 할 연체이자 등을 전액 지급한 후 원금을 상환하여야 한다. 다. “발행회사”의 선택에 따른 상환: “발행회사”는 위 나목 (i) 및 (ii)의 “조기상환요건”이 만족된 경우에 한하여, “본 사채”의 발행일로부터 5 년이 되는 날(2030년 09월 01일 당일을 포함하고 그 날이 영업일이 아닌 경우 직후 도래하는 영업일을 말한다) 이후 어느 시점에서나 위 나목에 따라 상환할 수 있다. 라. 자본불인정에 의한 상환: “발행회사”는 위 나목 (i) 및 (ii)의 “조기상환요건”이 만족된 경우에 한하여, “보험업법” 또는 그 하위법령이나 한국채택국제회계기준의 개정 또는 해석의 변경 등으로 인하여 “본 사채”의 전부 또는 일부가 “발행회사”의 자본으로 분류되지 않게 되는 경우에는 즉시 위 나목에 따라 상환할 수 있다. 다만, 위 나목 (i)의 “조기상환요건”에도 불구하고, “본 사채”와 동질의 또는 양질의 자본증권으로 대체하는 경우로서 동 대체 발행이 “발행회사”의 수익창출 능력상 감당할 수 있는 상황에서 이루어지는 경우 “발행회사”는 “본 사채”의 발행일로부터 5년이 경과하기 전이라도 “본 사채”를 조기상환할 수 있으며, 이 경우 감독당국의 사전승인이 필요하다. 마. 조세원인에 의한 상환: “발행회사”는 위 나목 (i) 및 (ii)의 “조기상환요건”이 만족된 경우에 한하여, 대한민국 법률의 개정, 수정 또는 해당 법률의 해석에 관한 공식입장의 변경 (판례의 변경을 포함) 결과(단, 해당 변경 또는 수정이 발행일 이후 효력이 발생할 것) “발행회사”가 “본 사채”와 관련하여 지급하는 이자를 세법상 비용으로 인정받지 못하게 되는 경우에는 즉시 위 나목에 따라 상환할 수 있다. 다만, 위 나목 (i)의 “조기상환요건”에도 불구하고, “본 사채”와 동질의 또는 양질의 자본증권으로 대체하는 경우로서 동 대체 발행이 “발행회사”의 수익창출 능력상 감당할 수 있는 상황에서 이루어지는 경우 “발행회사”는 “본 사채”의 발행일로부터 5년이 경과하기 전이라도 “본 사채”를 조기상환할 수 있으며, 이 경우 감독당국의 사전승인이 필요하다.바. 위 나목 내지 마목에 따라 “발행회사”가 “본 사채”를 조기상환 하고자 하는 경우, “발행회사”는 해당 조기상환일로부터 30일 전까지 해당 사채의 조기 상환에 관한 사항을 한국예탁결제원, 사채관리회사 및 지급대리인에게 통보하여야 한다. 사. 위 나목 내지 마목에 따라 “본 사채”가 조기상환되는 경우 이에 따른 조기상환수수료는 없는 것으로 한다. |
주) 상기 "사채관리회사"는 한국증권금융(주)임 |
(주3) 추가 기재
다. 수요예측 결과
(1) 수요예측 참여 내역
(단위 : 건, 억원) |
구분 | 국내 기관투자자 | 외국 기관투자자 | 합계 | ||||
운용사(집합,일임) | 투자매매중개업자 | 연기금, 운용사(고유),은행, 보험 | 기타 | 거래실적 유* | 거래실적 무 | ||
건수 | 6 | 44 | 5 | - | - | 55 | |
수량 | 800 | 10,170 | 1,000 | - | - | 11,970 | |
경쟁률 | 0.16 : 1 | 2.03 : 1 | 0.20 : 1 | - | - | 2.39 : 1 |
주1) 단순경쟁률은 최초 발행예정금액 대비 산출한 수치임주2) 운용사(집합)은 투자일임재산 계정 및 집합투자재산 계정의 참여내역을 의미함*) 인수인(해외현지법인 및 해외지점을 포함한다)과 거래관계가 있거나 인수인이 실재성을 인지하고 있는 외국기관투자자 |
(2) 수요예측 신청가격 분포
(단위 : 건, 억원) |
구분 | 국내 기관투자자 | 외국 기관투자자 | 합계 | 누적합계 | 유효수요 | |||||||||||||
---|---|---|---|---|---|---|---|---|---|---|---|---|---|---|---|---|---|---|
운용사(집합,일임) | 투자매매중개업자 | 연기금,운용사(고유),은행, 보험 | 기타 | 거래실적 유* | 거래실적 무 | |||||||||||||
건수 | 수량 | 건수 | 수량 | 건수 | 수량 | 건수 | 수량 | 건수 | 수량 | 건수 | 수량 | 건수 | 수량 | 비율 | 누적수량 | 누적비율 | ||
3.50% | - | - | 3 | 310 | - | - | - | - | - | - | - | - | 3 | 310 | 2.59% | 310 | 2.59% | 포함 |
3.53% | - | - | 2 | 300 | - | - | - | - | - | - | - | - | 2 | 300 | 2.51% | 610 | 5.10% | 포함 |
3.55% | - | - | 4 | 350 | - | - | - | - | - | - | - | - | 4 | 350 | 2.92% | 960 | 8.02% | 포함 |
3.56% | - | - | - | - | 1 | 300 | - | - | - | - | - | - | 1 | 300 | 2.51% | 1,260 | 10.53% | 포함 |
3.57% | - | - | 1 | 100 | - | - | - | - | - | - | - | - | 1 | 100 | 0.84% | 1,360 | 11.36% | 포함 |
3.58% | - | - | 1 | 100 | - | - | - | - | - | - | - | - | 1 | 100 | 0.84% | 1,460 | 12.20% | 포함 |
3.60% | - | - | 1 | 200 | - | - | - | - | - | - | - | - | 1 | 200 | 1.67% | 1,660 | 13.87% | 포함 |
3.62% | - | - | 1 | 20 | - | - | - | - | - | - | - | - | 1 | 20 | 0.17% | 1,680 | 14.04% | 포함 |
3.63% | - | - | 1 | 100 | - | - | - | - | - | - | - | - | 1 | 100 | 0.84% | 1,780 | 14.87% | 포함 |
3.64% | - | - | 2 | 520 | - | - | - | - | - | - | - | - | 2 | 520 | 4.34% | 2,300 | 19.21% | 포함 |
3.65% | 1 | 100 | 2 | 130 | - | - | - | - | - | - | - | - | 3 | 230 | 1.92% | 2,530 | 21.14% | 포함 |
3.66% | - | - | 1 | 30 | - | - | - | - | - | - | - | - | 1 | 30 | 0.25% | 2,560 | 21.39% | 포함 |
3.68% | - | - | 2 | 230 | - | - | - | - | - | - | - | - | 2 | 230 | 1.92% | 2,790 | 23.31% | 포함 |
3.69% | 1 | 300 | 1 | 1,000 | - | - | - | - | - | - | - | - | 2 | 1,300 | 10.86% | 4,090 | 34.17% | 포함 |
3.70% | 1 | 100 | 6 | 980 | - | - | - | - | - | - | - | - | 7 | 1,080 | 9.02% | 5,170 | 43.19% | 포함 |
3.72% | 1 | 100 | 1 | 300 | - | - | - | - | - | - | - | - | 2 | 400 | 3.34% | 5,570 | 46.53% | 포함 |
3.73% | - | - | 1 | 250 | - | - | - | - | - | - | - | - | 1 | 250 | 2.09% | 5,820 | 48.62% | 포함 |
3.74% | - | - | 1 | 200 | 1 | 200 | - | - | - | - | - | - | 2 | 400 | 3.34% | 6,220 | 51.96% | 포함 |
3.75% | 2 | 200 | 1 | 250 | - | - | - | - | - | - | - | - | 3 | 450 | 3.76% | 6,670 | 55.72% | 포함 |
3.77% | - | - | 1 | 100 | - | - | - | - | - | - | - | - | 1 | 100 | 0.84% | 6,770 | 56.56% | 포함 |
3.79% | - | - | 1 | 200 | - | - | - | - | - | - | - | - | 1 | 200 | 1.67% | 6,970 | 58.23% | 포함 |
3.80% | - | - | 2 | 400 | 1 | 100 | - | - | - | - | - | - | 3 | 500 | 4.18% | 7,470 | 62.41% | 포함 |
3.81% | - | - | 2 | 1,500 | - | - | - | - | - | - | - | - | 2 | 1,500 | 12.53% | 8,970 | 74.94% | 포함 |
3.86% | - | - | 4 | 2,000 | - | - | - | - | - | - | - | - | 4 | 2,000 | 16.71% | 10,970 | 91.65% | 포함 |
3.87% | - | - | 2 | 600 | - | - | - | - | - | - | - | - | 2 | 600 | 5.01% | 11,570 | 96.66% | 포함 |
3.90% | - | - | - | - | 1 | 100 | - | - | - | - | - | - | 1 | 100 | 0.84% | 11,670 | 97.49% | 포함 |
4.00% | - | - | - | - | 1 | 300 | - | - | - | - | - | - | 1 | 300 | 2.51% | 11,970 | 100.00% | 포함 |
합계 | 6 | 800 | 44 | 10,170 | 5 | 1,000 | - | - | - | - | - | - | 55 | 11,970 | 100.00% | - | - | - |
*) 인수인(해외현지법인 및 해외지점을 포함한다)과 거래관계가 있거나 인수인이 실재성을 인지하고 있는 외국기관투자자 |
(3) 수요예측 상세 분포 현황
(단위 : 억원) |
수요예측 참여자 | 3.50% | 3.53% | 3.55% | 3.56% | 3.57% | 3.58% | 3.60% | 3.62% | 3.63% | 3.64% | 3.65% | 3.66% | 3.68% | 3.69% | 3.70% | 3.72% | 3.73% | 3.74% | 3.75% | 3.77% | 3.79% | 3.80% | 3.81% | 3.86% | 3.87% | 3.90% | 4.00% | 합계 |
기관투자자1 | 200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200 |
기관투자자2 | 100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100 |
기관투자자3 | 10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10 |
기관투자자4 | - | 200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200 |
기관투자자5 | - | 100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100 |
기관투자자6 | - | - | 200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200 |
기관투자자7 | - | - | 100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100 |
기관투자자8 | - | - | 30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30 |
기관투자자9 | - | - | 20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20 |
기관투자자10 | - | - | - | 300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300 |
기관투자자11 | - | - | - | - | 100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100 |
기관투자자12 | - | - | - | - | - | 100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100 |
기관투자자13 | - | - | - | - | - | - | 200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200 |
기관투자자14 | - | - | - | - | - | - | - | 20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20 |
기관투자자15 | - | - | - | - | - | - | - | - | 100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100 |
기관투자자16 | - | - | - | - | - | - | - | - | - | 500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500 |
기관투자자17 | - | - | - | - | - | - | - | - | - | 20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20 |
기관투자자18 | - | - | - | - | - | - | - | - | - | - | 100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100 |
기관투자자19 | - | - | - | - | - | - | - | - | - | - | 100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100 |
기관투자자20 | - | - | - | - | - | - | - | - | - | - | 30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30 |
기관투자자21 | - | - | - | - | - | - | - | - | - | - | - | 30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30 |
기관투자자22 | - | - | - | - | - | - | - | - | - | - | - | - | 200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200 |
기관투자자23 | - | - | - | - | - | - | - | - | - | - | - | - | 30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30 |
기관투자자24 | - | - | - | - | - | - | - | - | - | - | - | - | - | 1,000 | - | - | - | - | - | - | - | - | - | - | - | - | - | 1,000 |
기관투자자25 | - | - | - | - | - | - | - | - | - | - | - | - | - | 300 | - | - | - | - | - | - | - | - | - | - | - | - | - | 300 |
기관투자자26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500 | - | - | - | - | - | - | - | - | - | - | - | - | 500 |
기관투자자27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200 | - | - | - | - | - | - | - | - | - | - | - | - | 200 |
기관투자자28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100 | - | - | - | - | - | - | - | - | - | - | - | - | 100 |
기관투자자29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100 | - | - | - | - | - | - | - | - | - | - | - | - | 100 |
기관투자자30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100 | - | - | - | - | - | - | - | - | - | - | - | - | 100 |
기관투자자31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50 | - | - | - | - | - | - | - | - | - | - | - | - | 50 |
기관투자자32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30 | - | - | - | - | - | - | - | - | - | - | - | - | 30 |
기관투자자33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300 | - | - | - | - | - | - | - | - | - | - | - | 300 |
기관투자자34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100 | - | - | - | - | - | - | - | - | - | - | - | 100 |
기관투자자35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250 | - | - | - | - | - | - | - | - | - | - | 250 |
기관투자자36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200 | - | - | - | - | - | - | - | - | - | 200 |
기관투자자37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200 | - | - | - | - | - | - | - | - | - | 200 |
기관투자자38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250 | - | - | - | - | - | - | - | - | 250 |
기관투자자39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100 | - | - | - | - | - | - | - | - | 100 |
기관투자자40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100 | - | - | - | - | - | - | - | - | 100 |
기관투자자41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100 | - | - | - | - | - | - | - | 100 |
기관투자자42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200 | - | - | - | - | - | - | 200 |
기관투자자43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300 | - | - | - | - | - | 300 |
기관투자자44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100 | - | - | - | - | - | 100 |
기관투자자45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100 | - | - | - | - | - | 100 |
기관투자자46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1,000 | - | - | - | - | 1,000 |
기관투자자47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500 | - | - | - | - | 500 |
기관투자자48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500 | - | - | - | 500 |
기관투자자49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500 | - | - | - | 500 |
기관투자자50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500 | - | - | - | 500 |
기관투자자51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500 | - | - | - | 500 |
기관투자자52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500 | - | - | 500 |
기관투자자53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100 | - | - | 100 |
기관투자자54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100 | - | 100 |
기관투자자55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300 | 300 |
합계 | 310 | 300 | 350 | 300 | 100 | 100 | 200 | 20 | 100 | 520 | 230 | 30 | 230 | 1,300 | 1,080 | 400 | 250 | 400 | 450 | 100 | 200 | 500 | 1,500 | 2,000 | 600 | 100 | 300 | 11,970 |
누적합계 | 310 | 610 | 960 | 1,260 | 1,360 | 1,460 | 1,660 | 1,680 | 1,780 | 2,300 | 2,530 | 2,560 | 2,790 | 4,090 | 5,170 | 5,570 | 5,820 | 6,220 | 6,670 | 6,770 | 6,970 | 7,470 | 8,970 | 10,970 | 11,570 | 11,670 | 11,970 | - |
라. 유효수요의 범위, 판단기준, 판단근거 및 최종 발행금리에의 반영내용
구 분 | 내 용 |
공모희망금리 | [DB손해보험(주) 제1회 신종자본증권]수요예측 시 공모희망금리는 연 3.50% ~ 3.80%로 합니다. |
유효수요의 정의 | "유효수요"란, 공모금리 결정 시, 과도하게 높거나 낮은 금리로 참여한 물량을 제외한 물량 |
유효수요 판단기준 및판단 근거 | ① 금번 발행과 관련하여 발행회사와 공동대표주관회사는 최근 동종업계 발행사의 수요예측 희망금리 수준, 신종자본증권 발행 금리 분석 및 향후 채권시장 전망 등을 종합적으로 고려하여 결정하였습니다. 보다 자세한 내용은 상기 가.~나. 항목을 참고하시기 바랍니다.② 본 사채의 수요예측 결과 기관투자자의 수요예측 신청현황은 아래와 같습니다.[DB손해보험(주) 제1회 신종자본증권]- 총 참여신청금액 : 11,970억원- 총 참여신청범위 : 3.50% ~ 4.00%- 총 참여신청건수 : 55건- 유효수요 내 참여신청금액 : 11,970억원- 유효수요 내 참여신청건수 : 55건본 채권의 유효수요는 금융투자협회「무보증사채 수요예측 모범규준」및 "공동대표주관회사"의 내부 지침에 근거하여 발행회사 및 공동대표주관회사가 협의하여 각각의 수요예측 참여자가 제시한 금리에는 공동대표주관회사와 발행회사가 고려한 위험(발행회사의 산업 및 재무 상황, 금리 및 스프레드 전망)이 반영되어 있을 것으로 판단하였고, 이에 참여한 모든 건을 유효수요로 정의하였습니다. |
최종 발행금리 결정에대한 수요예측 결과의반영 내용 | 본 사채의 최종 발행금리는 앞서 산정한 유효수요의 범위 내에서 낮은 금리부터 "누적도수"로 계산하는 방법을 사용하였으며, 발행금액과 발행금리는 발행회사와 공동대표주관회사가 최종 협의하여 결정되었습니다. 2025년 08월 25일 실시된 수요예측 결과 본 사채의 공모 희망금리 범위 내의 수요예측 참여물량이 발행예정금액을 초과하였으며, 발행회사와 공동대표주관회사는 DB손해보험(주) 제1회 신종자본증권 발행금액 총액을 7,470억원으로 증액하기로 결정하였습니다.[DB손해보험(주) 제1회 신종자본증권]"본 사채"의 수요예측 후 발행금리는 3.80%로 합니다. |
(주4) 정정 전 가. 사채의 인수
[제1회] | (단위 : 원) |
인수인 | 주 소 | 인수금액 및 수수료율 | 인수조건 | |||
---|---|---|---|---|---|---|
구분 | 명칭 | 고유번호 | 인수금액 | 수수료율 | ||
대표 | 케이비증권(주) | 00164876 | 서울특별시 영등포구 여의나루로 50 | 170,000,000,000 | 0.15% | 총액인수 |
대표 | 신한투자증권(주) | 00138321 | 서울시 영등포구 의사당대로 96 | 160,000,000,000 | 0.15% | 총액인수 |
인수 | DB증권(주) | 00115694 | 서울특별시 영등포구 국제금융로8길 32 | 90,000,000,000 | 0.15% | 총액인수 |
인수 | 교보증권(주) | 00113359 | 서울특별시 영등포구 의사당대로 97 | 80,000,000,000 | 0.15% | 총액인수 |
주) 상기에 기재되어 있는 가액은 발행 예정금액이며, 수요예측 결과에 따라 공동대표주관회사와의 협의에 의해 본 사채의 발행총액은 전자등록총액 합계 금 구천팔백억원(\980,000,000,000) 이하의 범위 내에서 발행총액이 변경될 수 있습니다. |
나. 사채의 관리
[제1회] | (단위 : 원) |
사채관리회사 | 주 소 | 위탁금액 및 수수료 | 위탁조건 | ||
---|---|---|---|---|---|
명칭 | 고유번호 | 위탁금액 | 수수료(정액) | ||
한국증권금융(주) | 00159643 | 서울특별시 영등포구 국제금융로 24 | 500,000,000,000 | 9,000,000 | - |
주) 상기에 기재되어 있는 가액은 위탁 예정금액이며, 수요예측 결과에 따라 공동대표주관회사와의 협의에 의해 본 사채의 발행총액은 전자등록총액 합계 금 구천팔백억원(\980,000,000,000) 이하의 범위 내에서 위탁금액이 변경될 수 있습니다. |
(주4) 정정 후 가. 사채의 인수
[제1회] | (단위 : 원) |
인수인 | 주 소 | 인수금액 및 수수료율 | 인수조건 | |||
---|---|---|---|---|---|---|
구분 | 명칭 | 고유번호 | 인수금액 | 수수료율 | ||
대표 | 케이비증권(주) | 00164876 | 서울특별시 영등포구 여의나루로 50 | 270,000,000,000 | 0.15% | 총액인수 |
대표 | 신한투자증권(주) | 00138321 | 서울시 영등포구 의사당대로 96 | 230,000,000,000 | 0.15% | 총액인수 |
인수 | DB증권(주) | 00115694 | 서울특별시 영등포구 국제금융로8길 32 | 105,000,000,000 | 0.15% | 총액인수 |
인수 | 교보증권(주) | 00113359 | 서울특별시 영등포구 의사당대로 97 | 142,000,000,000 | 0.15% | 총액인수 |
(삭제) 나. 사채의 관리
[제1회] | (단위 : 원) |
사채관리회사 | 주 소 | 위탁금액 및 수수료 | 위탁조건 | ||
---|---|---|---|---|---|
명칭 | 고유번호 | 위탁금액 | 수수료(정액) | ||
한국증권금융(주) | 00159643 | 서울특별시 영등포구 국제금융로 24 | 747,000,000,000 | 9,000,000 | - |
(삭제) (주5) 정정 전1. 사채의 명칭, 주요 권리내용, 발행과 관련한 약정 및 조건가. 일반적인 사항
(단위 : 억원) |
사채종류 | 회차 | 발행금액 | 이자율 | 만기일 | 옵션관련사항 |
---|---|---|---|---|---|
신종자본증권 | 제1회 | 5,000 | 주2) | 2055년 09월 01일 | 주5) |
주1) 본 사채는 2025년 08월 25일 09시에서 16시까지 한국금융투자협회 K-Bond 프로그램 및 FAX 접수방법을 통해 실시하는 수요예측 결과에 따라 이자율 및 발행수익률이 결정될 예정입니다. 또한, 수요예측 결과에 따라 공동대표주관회사와의 협의에 의해 본 사채의 발행총액은 전자등록총액 합계 금 구천팔백억원(\980,000,000,000) 이하의 범위 내에서 발행총액이 변경될 수 있습니다. |
주2) 수요예측시 공모희망금리는 연 3.50% ~ 3.80%로 합니다. |
주3) 수요예측 결과에 의해 확정된 확정 금리는 2025년 08월 26일 정정신고서를 통해 공시할 예정입니다. |
주4) 본 사채에 대한 이자(배당)는 보험업감독업무시행세칙 <별표22>(지급여력금액 및 지급여력기준금액 산출기준 - III. 지급여력금액 산출 - 3. 자본증권의 계층분류 기준 - 나.(기본자본요건) - (4) 기타 제한의 부재)에 근거하여 상법상 배당가능이익 한도 내에서 지급됩니다. 또한, 본 사채의 이자 지급은 발행회사의 신용등급 또는 재무상태에 연계되어(신용등급 또는 재무상태에 따라 이자 지급의 전부 또는 일부가 정기적으로 재조정) 결정되지 아니합니다. |
주5) DB손해보험(주)(이하 "발행회사")는 전적인 재량에 의한 선택에 따라, (i) 본 사채의 발행일로부터 5년이 되는 날(2030년 09월 01일 당일을 포함하고 그 날이 영업일이 아닌 경우 직후 도래하는 영업일을 말한다) 이후 및 (ii) 보험업감독규정 제7-10조 제5항(본 계약의 체결 이후 관련 규정이 변경되는 경우 해당 규정을 의미한다)의 요건을 충족하여 금융감독원(및 그 승계기관을 포함한다)의 사전 승인을 받는 것을 조건(이하 위 (i) 및 (ii)의 조건을 총칭하여 조기상환요건이라 한다)으로, 인수계약서 제3조 제17항 다목, 라목, 마목 중 어느 하나의 사유에 따라 본 사채를 조기상환 할 수 있습니다. 이 경우 발행회사는 해당 조기상환일에 본 사채 원금의 100%를 사채권자에게 지급하여야 하며, 해당 조기상환일까지 발생한 이자(명확히 하기 위하여 부연하면 "이자지급 정지기간" 동안은 이자가 발생하지 아니하며, 지급이 취소된 이자는 이자지급의무가 소멸한다), 기타 "본 사채"에 관하여 "발행회사"가 지급해야 할 연체이자 등을 전액 지급한 후 원금을 상환하여야 합니다. |
(중략)
다. 당사가 발행하는 제1회 신종자본증권은 Call-Option이 부여되어 있습니다.
[사채의 조기상환(Call Option)] ※ "발행회사"는 DB손해보험(주)를 지칭합니다. 제 3 조 ("본 사채"의 발행조건) 17. 사채의 조기상환 가. “본 사채”의 사채권자는 어떠한 경우에도 “본 사채”의 조기상환을 요구할 수 없다. 나. “발행회사”는 전적인 재량에 의한 선택에 따라, (i) “본 사채”의 발행일로부터 5년이 되는 날(2030년 09월 01일 당일을 포함하고 그 날이 영업일이 아닌 경우 직후 도래하는 영업일을 말한다) 이후 및 (ii) “보험업감독규정” 제7-10조 제5항(본 계약의 체결 이후 관련 규정이 변경되는 경우 해당 규정을 의미한다)의 요건을 충족하여 금융감독원(및 그 승계기관을 포함한다)의 사전 승인을 받는 것을 조건(이하 위 (i) 및 (ii)의 조건을 총칭하여 “조기상환요건”이라 한다)으로, 본 항 다목, 라목, 마목 중 어느 하나의 사유에 따라 “본 사채”를 조기상환 할 수 있다. 이 경우 “발행회사”는 해당 조기상환일에 “본 사채” 원금의 100% (이하 본항에서 “조기상환금액”이라 한다)를 사채권자에게 지급하여야 하며, 해당 조기상환일까지 발생한 이자(명확히 하기 위하여 부연하면 “이자지급 정지기간” 동안은 이자가 발생하지 아니하며, 지급이 취소된 이자는 이자지급의무가 소멸한다), 기타 “본 사채”에 관하여 “발행회사”가 지급해야 할 연체이자 등을 전액 지급한 후 원금을 상환하여야 한다. 다. “발행회사”의 선택에 따른 상환: “발행회사”는 위 나목 (i) 및 (ii)의 “조기상환요건”이 만족된 경우에 한하여, “본 사채”의 발행일로부터 5 년이 되는 날(2030년 09월 01일 당일을 포함하고 그 날이 영업일이 아닌 경우 직후 도래하는 영업일을 말한다) 이후 어느 시점에서나 위 나목에 따라 상환할 수 있다. 라. 자본불인정에 의한 상환: “발행회사”는 위 나목 (i) 및 (ii)의 “조기상환요건”이 만족된 경우에 한하여, “보험업법” 또는 그 하위법령이나 한국채택국제회계기준의 개정 또는 해석의 변경 등으로 인하여 “본 사채”의 전부 또는 일부가 “발행회사”의 자본으로 분류되지 않게 되는 경우에는 즉시 위 나목에 따라 상환할 수 있다. 다만, 위 나목 (i)의 “조기상환요건”에도 불구하고, “본 사채”와 동질의 또는 양질의 자본증권으로 대체하는 경우로서 동 대체 발행이 “발행회사”의 수익창출 능력상 감당할 수 있는 상황에서 이루어지는 경우 “발행회사”는 “본 사채”의 발행일로부터 5년이 경과하기 전이라도 “본 사채”를 조기상환할 수 있다. 마. 조세원인에 의한 상환: “발행회사”는 위 나목 (i) 및 (ii)의 “조기상환요건”이 만족된 경우에 한하여, 대한민국 법률의 개정, 수정 또는 해당 법률의 해석에 관한 공식입장의 변경 (판례의 변경을 포함) 결과(단, 해당 변경 또는 수정이 발행일 이후 효력이 발생할 것) “발행회사”가 “본 사채”와 관련하여 지급하는 이자를 세법상 비용으로 인정받지 못하게 되는 경우에는 즉시 위 나목에 따라 상환할 수 있다. 다만, 위 나목 (i)의 “조기상환요건”에도 불구하고, “본 사채”와 동질의 또는 양질의 자본증권으로 대체하는 경우로서 동 대체 발행이 “발행회사”의 수익창출 능력상 감당할 수 있는 상황에서 이루어지는 경우 “발행회사”는 “본 사채”의 발행일로부터 5년이 경과하기 전이라도 “본 사채”를 조기상환할 수 있다. 바. 위 나목 내지 마목에 따라 “발행회사”가 “본 사채”를 조기상환 하고자 하는 경우, “발행회사”는 해당 조기상환일로부터 30일 전까지 해당 사채의 조기 상환에 관한 사항을 한국예탁결제원, 사채관리회사 및 지급대리인에게 통보하여야 한다. 사. 위 나목 내지 마목에 따라 “본 사채”가 조기상환되는 경우 이에 따른 조기상환수수료는 없는 것으로 한다. |
주) 상기 "사채관리회사"는 한국증권금융(주)임 |
(중략)
[제1회] | (단위 : 원) |
사채관리회사 | 주 소 | 위탁금액 및 수수료 | 위탁조건 | ||
---|---|---|---|---|---|
명칭 | 고유번호 | 위탁금액 | 수수료(정액) | ||
한국증권금융(주) | 00159643 | 서울특별시 영등포구 국제금융로8길 10 | 500,000,000,000 | 9,000,000 | - |
주) 본 사채의 위탁금액은 수요예측 후 확정될 예정으로, 수요예측 결과에 따라 사채관리 위탁금액이 조정될 수 있습니다. |
(주5) 정정 후 1. 사채의 명칭, 주요 권리내용, 발행과 관련한 약정 및 조건가. 일반적인 사항
(단위 : 억원) |
사채종류 | 회차 | 발행금액 | 이자율 | 만기일 | 옵션관련사항 |
---|---|---|---|---|---|
신종자본증권 | 제1회 | 7,470 | 3.80% | 2055년 09월 01일 | 주2) |
주1) 본 사채에 대한 이자(배당)는 보험업감독업무시행세칙 <별표22>(지급여력금액 및 지급여력기준금액 산출기준 - III. 지급여력금액 산출 - 3. 자본증권의 계층분류 기준 - 나.(기본자본요건) - (4) 기타 제한의 부재)에 근거하여 상법상 배당가능이익 한도 내에서 지급됩니다. 또한, 본 사채의 이자 지급은 발행회사의 신용등급 또는 재무상태에 연계되어(신용등급 또는 재무상태에 따라 이자 지급의 전부 또는 일부가 정기적으로 재조정) 결정되지 아니합니다. |
주2) DB손해보험(주)(이하 "발행회사")는 전적인 재량에 의한 선택에 따라, (i) 본 사채의 발행일로부터 5년이 되는 날(2030년 09월 01일 당일을 포함하고 그 날이 영업일이 아닌 경우 직후 도래하는 영업일을 말한다) 이후 및 (ii) 보험업감독규정 제7-10조 제5항(본 계약의 체결 이후 관련 규정이 변경되는 경우 해당 규정을 의미한다)의 요건을 충족하여 금융감독원(및 그 승계기관을 포함한다)의 사전 승인을 받는 것을 조건(이하 위 (i) 및 (ii)의 조건을 총칭하여 조기상환요건이라 한다)으로, 인수계약서 제3조 제17항 다목, 라목, 마목 중 어느 하나의 사유에 따라 본 사채를 조기상환 할 수 있습니다. 이 경우 발행회사는 해당 조기상환일에 본 사채 원금의 100%를 사채권자에게 지급하여야 하며, 해당 조기상환일까지 발생한 이자(명확히 하기 위하여 부연하면 "이자지급 정지기간" 동안은 이자가 발생하지 아니하며, 지급이 취소된 이자는 이자지급의무가 소멸한다), 기타 "본 사채"에 관하여 "발행회사"가 지급해야 할 연체이자 등을 전액 지급한 후 원금을 상환하여야 합니다. |
(중략)
다. 당사가 발행하는 제1회 신종자본증권은 Call-Option이 부여되어 있습니다.
[사채의 조기상환(Call Option)] ※ "발행회사"는 DB손해보험(주)를 지칭합니다. 제 3 조 ("본 사채"의 발행조건) 17. 사채의 조기상환 가. “본 사채”의 사채권자는 어떠한 경우에도 “본 사채”의 조기상환을 요구할 수 없다. 나. “발행회사”는 전적인 재량에 의한 선택에 따라, (i) “본 사채”의 발행일로부터 5년이 되는 날(2030년 09월 01일 당일을 포함하고 그 날이 영업일이 아닌 경우 직후 도래하는 영업일을 말한다) 이후 및 (ii) “보험업감독규정” 제7-10조 제5항(본 계약의 체결 이후 관련 규정이 변경되는 경우 해당 규정을 의미한다)의 요건을 충족하여 금융감독원(및 그 승계기관을 포함한다)의 사전 승인을 받는 것을 조건(이하 위 (i) 및 (ii)의 조건을 총칭하여 “조기상환요건”이라 한다)으로, 본 항 다목, 라목, 마목 중 어느 하나의 사유에 따라 “본 사채”를 조기상환 할 수 있다. 이 경우 “발행회사”는 해당 조기상환일에 “본 사채” 원금의 100% (이하 본항에서 “조기상환금액”이라 한다)를 사채권자에게 지급하여야 하며, 해당 조기상환일까지 발생한 이자(명확히 하기 위하여 부연하면 “이자지급 정지기간” 동안은 이자가 발생하지 아니하며, 지급이 취소된 이자는 이자지급의무가 소멸한다), 기타 “본 사채”에 관하여 “발행회사”가 지급해야 할 연체이자 등을 전액 지급한 후 원금을 상환하여야 한다. 다. “발행회사”의 선택에 따른 상환: “발행회사”는 위 나목 (i) 및 (ii)의 “조기상환요건”이 만족된 경우에 한하여, “본 사채”의 발행일로부터 5 년이 되는 날(2030년 09월 01일 당일을 포함하고 그 날이 영업일이 아닌 경우 직후 도래하는 영업일을 말한다) 이후 어느 시점에서나 위 나목에 따라 상환할 수 있다. 라. 자본불인정에 의한 상환: “발행회사”는 위 나목 (i) 및 (ii)의 “조기상환요건”이 만족된 경우에 한하여, “보험업법” 또는 그 하위법령이나 한국채택국제회계기준의 개정 또는 해석의 변경 등으로 인하여 “본 사채”의 전부 또는 일부가 “발행회사”의 자본으로 분류되지 않게 되는 경우에는 즉시 위 나목에 따라 상환할 수 있다. 다만, 위 나목 (i)의 “조기상환요건”에도 불구하고, “본 사채”와 동질의 또는 양질의 자본증권으로 대체하는 경우로서 동 대체 발행이 “발행회사”의 수익창출 능력상 감당할 수 있는 상황에서 이루어지는 경우 “발행회사”는 “본 사채”의 발행일로부터 5년이 경과하기 전이라도 “본 사채”를 조기상환할 수 있으며, 이 경우 감독당국의 사전승인이 필요하다. 마. 조세원인에 의한 상환: “발행회사”는 위 나목 (i) 및 (ii)의 “조기상환요건”이 만족된 경우에 한하여, 대한민국 법률의 개정, 수정 또는 해당 법률의 해석에 관한 공식입장의 변경 (판례의 변경을 포함) 결과(단, 해당 변경 또는 수정이 발행일 이후 효력이 발생할 것) “발행회사”가 “본 사채”와 관련하여 지급하는 이자를 세법상 비용으로 인정받지 못하게 되는 경우에는 즉시 위 나목에 따라 상환할 수 있다. 다만, 위 나목 (i)의 “조기상환요건”에도 불구하고, “본 사채”와 동질의 또는 양질의 자본증권으로 대체하는 경우로서 동 대체 발행이 “발행회사”의 수익창출 능력상 감당할 수 있는 상황에서 이루어지는 경우 “발행회사”는 “본 사채”의 발행일로부터 5년이 경과하기 전이라도 “본 사채”를 조기상환할 수 있으며, 이 경우 감독당국의 사전승인이 필요하다. 바. 위 나목 내지 마목에 따라 “발행회사”가 “본 사채”를 조기상환 하고자 하는 경우, “발행회사”는 해당 조기상환일로부터 30일 전까지 해당 사채의 조기 상환에 관한 사항을 한국예탁결제원, 사채관리회사 및 지급대리인에게 통보하여야 한다. 사. 위 나목 내지 마목에 따라 “본 사채”가 조기상환되는 경우 이에 따른 조기상환수수료는 없는 것으로 한다. |
주) 상기 "사채관리회사"는 한국증권금융(주)임 |
(중략)
[제1회] | (단위 : 원) |
사채관리회사 | 주 소 | 위탁금액 및 수수료 | 위탁조건 | ||
---|---|---|---|---|---|
명칭 | 고유번호 | 위탁금액 | 수수료(정액) | ||
한국증권금융(주) | 00159643 | 서울특별시 영등포구 국제금융로8길 10 | 747,000,000,000 | 9,000,000 | - |
(삭제)
(주6) 추가 기재 보험사의 주요 자산건전성 지표에는 가중부실자산비율 및 고정이하자산비율 이 있습니다. 가중부실자산비율은 보험사가 보유한 건전성분류대상 자산 가운데 가중부실자산(고정분류 자산, 회수의문분류 자산, 추정손실분류 자산을 가중치별로 합계한 금액)의 비중을 나타내는 지표로 이 비율(가중부실자산/건전성분류대상자산)이 낮을수록 자산건전성이 높은 것을 의미합니다. 또한, 고정이하자산비율은 보험사가 보유한 건전성분류대상 자산 가운데 고정이하자산(고정자산 + 회수의문자산 + 추정손실자산)의 비중을 나타내는 지표로 이 비율(고정이하자산/건전성분류대상자산)이 낮을수록 자산건전성이 높은 것을 의미합니다. (주7) 정정 전
[ 당사 지급여력비율 추이 ] |
(단위 : 백만원, %) |
구분 | 본 신종자본증권 발행 이후 | 2025년 반기 | 2024년 | 2023년 |
---|---|---|---|---|
지급여력금액 (A+B) | 21,419,182 | 20,919,182 | 19,097,308 | 19,575,206 |
기본자본 (A) | 8,313,299 | 7,813,299 | 8,015,701 | 9,546,189 |
보완자본 (B) | 13,105,883 | 13,105,883 | 11,081,607 | 10,029,016 |
지급여력기준금액 (C) | 9,807,851 | 9,807,851 | 9,402,579 | 8,396,170 |
지급여력비율((A+B)/C) | 218.4% | 213.3% | 203.1% | 233.1% |
기본자본 지급여력비율(A/C) | 84.8% | 79.7% | 85.3% | 113.7% |
주1) 지급여력비율 : 연결기준 (DB생명 등 자회사 영향 반영) |
주2) 무저해지보험 해지율 가이드라인 적용 |
주3) 2025년 반기 수치에서 금번 신종자본증권 5,000억원 발행만을 가정한 수치입니다. |
(출처 : 당사 제시) |
금번 사채발행을 통해 조달한 자금 5,000억원은 지급여력비율 증대를 통한 자본건전성 확보 목적으로 사용할 예정입니다. 금번 사채발행대금이 납입되면, K-ICS비율 산출 시 '지급여력금액'이 5,000억원 만큼 증가하여 지급여력비율은 2025년 반기 말 기준 213.3%에서 5.1%p 증가한 218.4%를 기록할 것으로 예상됩니다. 또한, 금번 사채발행대금이 납입되면, 기본자본 K-ICS비율 산출 시 '기본자본'이 5,000억원 만큼 증가하여 기본자본 지급여력비율은 2025년 반기 말 기준 79.7%에서 5.1%p 증가한 84.8%를 기록할 것으로 예상됩니다.
(주7) 정정 후
[ 당사 지급여력비율 추이 ] |
(단위 : 백만원, %) |
구분 | 본 신종자본증권 발행 이후 | 2025년 반기 | 2024년 | 2023년 |
---|---|---|---|---|
지급여력금액 (A+B) | 21,666,182 | 20,919,182 | 19,097,308 | 19,575,206 |
기본자본 (A) | 8,560,299 | 7,813,299 | 8,015,701 | 9,546,189 |
보완자본 (B) | 13,105,883 | 13,105,883 | 11,081,607 | 10,029,016 |
지급여력기준금액 (C) | 9,807,851 | 9,807,851 | 9,402,579 | 8,396,170 |
지급여력비율((A+B)/C) | 220.9% | 213.3% | 203.1% | 233.1% |
기본자본 지급여력비율(A/C) | 87.3% | 79.7% | 85.3% | 113.7% |
주1) 지급여력비율 : 연결기준 (DB생명 등 자회사 영향 반영) |
주2) 무저해지보험 해지율 가이드라인 적용 |
주3) 2025년 반기 수치에서 금번 신종자본증권 7,470억원 발행만을 가정한 수치입니다. |
(출처 : 당사 제시) |
금번 사채발행을 통해 조달한 자금 7,470억원은 지급여력비율 증대를 통한 자본건전성 확보 목적으로 사용할 예정입니다. 금번 사채발행대금이 납입되면, K-ICS비율 산출 시 '지급여력금액'이 7,470억원 만큼 증가하여 지급여력비율은 2025년 반기 말 기준 213.3%에서 7.6%p 증가한 220.9%를 기록할 것으로 예상됩니다. 또한, 금번 사채발행대금이 납입되면, 기본자본 K-ICS비율 산출 시 '기본자본'이 7,470억원 만큼 증가하여 기본자본 지급여력비율은 2025년 반기 말 기준 79.7%에서 7.6%p 증가한 87.3%를 기록할 것으로 예상됩니다.(주8) 정정 전한편, 향후 보험업법 또는 그 하위법령이나 K-IFRS의 개정 또는 해석의 변경 등으로 인해 본 신종자본증권이 발행회사의 자본으로 인정받지 않을 가능성 또한 존재합니다. 투자자께서는 이와 관련하여, 본 사채의 발행조건 및 감독규정에 대해 면밀히 검토하신 후 투자 판단에 임하시기 바랍니다. (주8) 정정 후당사는 법무법인 등 전문가의 검토를 통해 본 사채의 신종자본증권 및 기본자본 인정요건 충족에 대한 사전 확인을 완료했으며, 이와 관련한 법률검토의견서를 수령할 예정입니다. 한편, 향후 보험업법 또는 그 하위법령이나 K-IFRS의 개정 또는 해석의 변경 등으로 인해 본 신종자본증권이 발행회사의 자본으로 인정받지 않을 가능성 또한 존재합니다. 투자자께서는 이와 관련하여, 본 사채의 발행조건 및 감독규정에 대해 면밀히 검토하신 후 투자 판단에 임하시기 바랍니다.
(주9) 정정 전
[사채의 조기상환(Call Option)] ※ "발행회사"는 DB손해보험(주)를 지칭합니다. 제 3 조 ("본 사채"의 발행조건) 17. 사채의 조기상환 가. “본 사채”의 사채권자는 어떠한 경우에도 “본 사채”의 조기상환을 요구할 수 없다. 나. “발행회사”는 전적인 재량에 의한 선택에 따라, (i) “본 사채”의 발행일로부터 5년이 되는 날(2030년 09월 01일 당일을 포함하고 그 날이 영업일이 아닌 경우 직후 도래하는 영업일을 말한다) 이후 및 (ii) “보험업감독규정” 제7-10조 제5항(본 계약의 체결 이후 관련 규정이 변경되는 경우 해당 규정을 의미한다)의 요건을 충족하여 금융감독원(및 그 승계기관을 포함한다)의 사전 승인을 받는 것을 조건(이하 위 (i) 및 (ii)의 조건을 총칭하여 “조기상환요건”이라 한다)으로, 본 항 다목, 라목, 마목 중 어느 하나의 사유에 따라 “본 사채”를 조기상환 할 수 있다. 이 경우 “발행회사”는 해당 조기상환일에 “본 사채” 원금의 100% (이하 본항에서 “조기상환금액”이라 한다)를 사채권자에게 지급하여야 하며, 해당 조기상환일까지 발생한 이자(명확히 하기 위하여 부연하면 “이자지급 정지기간” 동안은 이자가 발생하지 아니하며, 지급이 취소된 이자는 이자지급의무가 소멸한다), 기타 “본 사채”에 관하여 “발행회사”가 지급해야 할 연체이자 등을 전액 지급한 후 원금을 상환하여야 한다. 다. “발행회사”의 선택에 따른 상환: “발행회사”는 위 나목 (i) 및 (ii)의 “조기상환요건”이 만족된 경우에 한하여, “본 사채”의 발행일로부터 5 년이 되는 날(2030년 09월 01일 당일을 포함하고 그 날이 영업일이 아닌 경우 직후 도래하는 영업일을 말한다) 이후 어느 시점에서나 위 나목에 따라 상환할 수 있다. 라. 자본불인정에 의한 상환: “발행회사”는 위 나목 (i) 및 (ii)의 “조기상환요건”이 만족된 경우에 한하여, “보험업법” 또는 그 하위법령이나 한국채택국제회계기준의 개정 또는 해석의 변경 등으로 인하여 “본 사채”의 전부 또는 일부가 “발행회사”의 자본으로 분류되지 않게 되는 경우에는 즉시 위 나목에 따라 상환할 수 있다. 다만, 위 나목 (i)의 “조기상환요건”에도 불구하고, “본 사채”와 동질의 또는 양질의 자본증권으로 대체하는 경우로서 동 대체 발행이 “발행회사”의 수익창출 능력상 감당할 수 있는 상황에서 이루어지는 경우 “발행회사”는 “본 사채”의 발행일로부터 5년이 경과하기 전이라도 “본 사채”를 조기상환할 수 있다. 마. 조세원인에 의한 상환: “발행회사”는 위 나목 (i) 및 (ii)의 “조기상환요건”이 만족된 경우에 한하여, 대한민국 법률의 개정, 수정 또는 해당 법률의 해석에 관한 공식입장의 변경 (판례의 변경을 포함) 결과(단, 해당 변경 또는 수정이 발행일 이후 효력이 발생할 것) “발행회사”가 “본 사채”와 관련하여 지급하는 이자를 세법상 비용으로 인정받지 못하게 되는 경우에는 즉시 위 나목에 따라 상환할 수 있다. 다만, 위 나목 (i)의 “조기상환요건”에도 불구하고, “본 사채”와 동질의 또는 양질의 자본증권으로 대체하는 경우로서 동 대체 발행이 “발행회사”의 수익창출 능력상 감당할 수 있는 상황에서 이루어지는 경우 “발행회사”는 “본 사채”의 발행일로부터 5년이 경과하기 전이라도 “본 사채”를 조기상환할 수 있다. 바. 위 나목 내지 마목에 따라 “발행회사”가 “본 사채”를 조기상환 하고자 하는 경우, “발행회사”는 해당 조기상환일로부터 30일 전까지 해당 사채의 조기 상환에 관한 사항을 한국예탁결제원, 사채관리회사 및 지급대리인에게 통보하여야 한다. 사. 위 나목 내지 마목에 따라 “본 사채”가 조기상환되는 경우 이에 따른 조기상환수수료는 없는 것으로 한다. |
주) 상기 "사채관리회사"는 한국증권금융(주)임 |
(주9) 정정 후
[사채의 조기상환(Call Option)] ※ "발행회사"는 DB손해보험(주)를 지칭합니다. 제 3 조 ("본 사채"의 발행조건) 17. 사채의 조기상환 가. “본 사채”의 사채권자는 어떠한 경우에도 “본 사채”의 조기상환을 요구할 수 없다. 나. “발행회사”는 전적인 재량에 의한 선택에 따라, (i) “본 사채”의 발행일로부터 5년이 되는 날(2030년 09월 01일 당일을 포함하고 그 날이 영업일이 아닌 경우 직후 도래하는 영업일을 말한다) 이후 및 (ii) “보험업감독규정” 제7-10조 제5항(본 계약의 체결 이후 관련 규정이 변경되는 경우 해당 규정을 의미한다)의 요건을 충족하여 금융감독원(및 그 승계기관을 포함한다)의 사전 승인을 받는 것을 조건(이하 위 (i) 및 (ii)의 조건을 총칭하여 “조기상환요건”이라 한다)으로, 본 항 다목, 라목, 마목 중 어느 하나의 사유에 따라 “본 사채”를 조기상환 할 수 있다. 이 경우 “발행회사”는 해당 조기상환일에 “본 사채” 원금의 100% (이하 본항에서 “조기상환금액”이라 한다)를 사채권자에게 지급하여야 하며, 해당 조기상환일까지 발생한 이자(명확히 하기 위하여 부연하면 “이자지급 정지기간” 동안은 이자가 발생하지 아니하며, 지급이 취소된 이자는 이자지급의무가 소멸한다), 기타 “본 사채”에 관하여 “발행회사”가 지급해야 할 연체이자 등을 전액 지급한 후 원금을 상환하여야 한다. 다. “발행회사”의 선택에 따른 상환: “발행회사”는 위 나목 (i) 및 (ii)의 “조기상환요건”이 만족된 경우에 한하여, “본 사채”의 발행일로부터 5 년이 되는 날(2030년 09월 01일 당일을 포함하고 그 날이 영업일이 아닌 경우 직후 도래하는 영업일을 말한다) 이후 어느 시점에서나 위 나목에 따라 상환할 수 있다. 라. 자본불인정에 의한 상환: “발행회사”는 위 나목 (i) 및 (ii)의 “조기상환요건”이 만족된 경우에 한하여, “보험업법” 또는 그 하위법령이나 한국채택국제회계기준의 개정 또는 해석의 변경 등으로 인하여 “본 사채”의 전부 또는 일부가 “발행회사”의 자본으로 분류되지 않게 되는 경우에는 즉시 위 나목에 따라 상환할 수 있다. 다만, 위 나목 (i)의 “조기상환요건”에도 불구하고, “본 사채”와 동질의 또는 양질의 자본증권으로 대체하는 경우로서 동 대체 발행이 “발행회사”의 수익창출 능력상 감당할 수 있는 상황에서 이루어지는 경우 “발행회사”는 “본 사채”의 발행일로부터 5년이 경과하기 전이라도 “본 사채”를 조기상환할 수 있으며, 이 경우 감독당국의 사전승인이 필요하다. 마. 조세원인에 의한 상환: “발행회사”는 위 나목 (i) 및 (ii)의 “조기상환요건”이 만족된 경우에 한하여, 대한민국 법률의 개정, 수정 또는 해당 법률의 해석에 관한 공식입장의 변경 (판례의 변경을 포함) 결과(단, 해당 변경 또는 수정이 발행일 이후 효력이 발생할 것) “발행회사”가 “본 사채”와 관련하여 지급하는 이자를 세법상 비용으로 인정받지 못하게 되는 경우에는 즉시 위 나목에 따라 상환할 수 있다. 다만, 위 나목 (i)의 “조기상환요건”에도 불구하고, “본 사채”와 동질의 또는 양질의 자본증권으로 대체하는 경우로서 동 대체 발행이 “발행회사”의 수익창출 능력상 감당할 수 있는 상황에서 이루어지는 경우 “발행회사”는 “본 사채”의 발행일로부터 5년이 경과하기 전이라도 “본 사채”를 조기상환할 수 있으며, 이 경우 감독당국의 사전승인이 필요하다. 바. 위 나목 내지 마목에 따라 “발행회사”가 “본 사채”를 조기상환 하고자 하는 경우, “발행회사”는 해당 조기상환일로부터 30일 전까지 해당 사채의 조기 상환에 관한 사항을 한국예탁결제원, 사채관리회사 및 지급대리인에게 통보하여야 한다. 사. 위 나목 내지 마목에 따라 “본 사채”가 조기상환되는 경우 이에 따른 조기상환수수료는 없는 것으로 한다. |
주) 상기 "사채관리회사"는 한국증권금융(주)임 |
(주10) 추가 기재
자. 원리금 상환에 관한 사항
DB손해보험(주) 제1회 신종자본증권은 예금자보호법의 적용대상이 아니며, 금융기관 등이 보증한 것이 아니므로 원리금 상환 책임은 당사에게 있으며, 정부가 증권의 가치를 보증 또는 승인한 것이 아니므로 원리금 상환 불이행에 따른 투자위험은 투자자에게 귀속됩니다. |
DB손해보험(주) 제1회 신종자본증권은 금융기관이 보증하거나 예금자보호법의 적용대상이 아니므로 원리금 상환책임은 전적으로 당사에 있으며, 정부가 증권의 가치를 보증 또는 승인한 것이 아니므로 원리금 상환 불이행에 따른 투자위험은 투자자에게 귀속됩니다. 당사가 제1회 무보증 신종자본증권의 발행과 관련하여 한국증권금융(주)와 맺은 사채관리계약과 관련하여 DB손해보험(주)이 파산 또는 청산한 경우에 발행회사는 즉시 본 사채에 대한 기한의 이익을 상실합니다. 기타 자세한 사항은 사채관리계약서를 참고하시기 바랍니다.
(주11) 정정 전
금번 사채발행을 통해 조달한 자금 5,000억원은 지급여력비율 증대를 통한 자본건전성 확보 목적으로 사용할 예정입니다. 금번 사채발행대금이 납입되면, K-ICS비율 산출 시 '지급여력금액'이 5,000억원 만큼 증가하여 지급여력비율은 2025년 반기 말 기준 213.3%에서 5.1%p 증가한 218.4%를 기록할 것으로 예상됩니다. 또한, 금번 사채발행대금이 납입되면, 기본자본 K-ICS비율 산출 시 '기본자본'이 5,000억원 만큼 증가하여 기본자본 지급여력비율은 2025년 반기 말 기준 79.7%에서 5.1%p 증가한 84.8%를 기록할 것으로 예상됩니다.
[ 동사 지급여력비율 추이 ] |
(단위 : 백만원, %) |
구분 | 본 신종자본증권 발행 이후 | 2025년 반기 | 2024년 | 2023년 |
---|---|---|---|---|
지급여력금액 (A+B) | 21,419,182 | 20,919,182 | 19,097,308 | 19,575,206 |
기본자본 (A) | 8,313,299 | 7,813,299 | 8,015,701 | 9,546,189 |
보완자본 (B) | 13,105,883 | 13,105,883 | 11,081,607 | 10,029,016 |
지급여력기준금액 (C) | 9,807,851 | 9,807,851 | 9,402,579 | 8,396,170 |
지급여력비율((A+B)/C) | 218.4% | 213.3% | 203.1% | 233.1% |
기본자본 지급여력비율(A/C) | 84.8% | 79.7% | 85.3% | 113.7% |
주1) 지급여력비율 : 연결기준 (DB생명 등 자회사 영향 반영) |
주2) 무저해지보험 해지율 가이드라인 적용 |
주3) 2025년 반기 수치에서 금번 신종자본증권 5,000억원 발행만을 가정한 수치입니다. |
(출처 : 동사 제시) |
(주11) 정정 후
금번 사채발행을 통해 조달한 자금 7,470억원 은 지급여력비율 증대를 통한 자본건전성 확보 목적으로 사용할 예정입니다. 금번 사채발행대금이 납입되면, K-ICS비율 산출 시 '지급여력금액'이 7,470억원 만큼 증가하여 지급여력비율은 2025년 반기 말 기준 213.3%에서 7.6%p 증가한 220.9% 를 기록할 것으로 예상됩니다. 또한, 금번 사채발행대금이 납입되면, 기본자본 K-ICS비율 산출 시 '기본자본'이 7,470억원 만큼 증가하여 기본자본 지급여력비율은 2025년 반기 말 기준 79.7%에서 7.6%p 증가한 87.3% 를 기록할 것으로 예상됩니다.
[ 동사 지급여력비율 추이 ] |
(단위 : 백만원, %) |
구분 | 본 신종자본증권 발행 이후 | 2025년 반기 | 2024년 | 2023년 |
---|---|---|---|---|
지급여력금액 (A+B) | 21,666,182 | 20,919,182 | 19,097,308 | 19,575,206 |
기본자본 (A) | 8,560,299 | 7,813,299 | 8,015,701 | 9,546,189 |
보완자본 (B) | 13,105,883 | 13,105,883 | 11,081,607 | 10,029,016 |
지급여력기준금액 (C) | 9,807,851 | 9,807,851 | 9,402,579 | 8,396,170 |
지급여력비율((A+B)/C) | 220.9% | 213.3% | 203.1% | 233.1% |
기본자본 지급여력비율(A/C) | 87.3% | 79.7% | 85.3% | 113.7% |
주1) 지급여력비율 : 연결기준 (DB생명 등 자회사 영향 반영) |
주2) 무저해지보험 해지율 가이드라인 적용 |
주3) 2025년 반기 수치에서 금번 신종자본증권 7,470억원 발행만을 가정한 수치입니다. |
(출처 : 동사 제시) |
(주12) 정정 전
1. 모집 또는 매출에 의한 자금조달 내역
가. 자금조달금액
회차 : 1 | (단위 : 원) |
구 분 | 금 액 |
---|---|
모집 또는 매출총액(1) | 500,000,000,000 |
발 행 제 비 용(2) | 1,221,720,000 |
순 수 입 금 [ (1)-(2) ] | 498,778,280,000 |
주1) 발행제비용은 당사 보유 자체 자금으로 충당할 예정입니다. |
나. 발행제비용의 내역
회차 : 1 | (단위 : 원) |
구 분 | 금 액 | 계산근거 |
---|---|---|
발행분담금 | 350,000,000 | 전자등록총액 × 0.07% |
인수수수료 | 750,000,000 | 전자등록총액 × 0.15% |
사채관리수수료 | 9,000,000 | 정액 지급 |
신평수수료 | 110,000,000 | 한국신용평가, 한국기업평가 (VAT 포함) |
상장수수료 | 1,700,000 | 5,000억원 이상 |
연부과금 | 500,000 | 1년당 100,000원 (최대 50만원) |
등록수수료 | 500,000 | 전자등록총액 × 0.001% (최대 50만원) |
표준코드수수료 | 20,000 | 건당 20,000원 |
합 계 | 1,221,720,000 | - |
주1) 발행제비용은 당사 보유 자체 자금으로 충당할 예정입니다. |
주2) 세부내역- 발행분담금 : 금융기관분담금 징수등에 관한 규정 제5조- 인수수수료, 사채관리수수료 : 발행사와 인수단 및 사채관리회사 협의- 신용평가수수료 : 각 신용평가사별 수수료- 상장수수료 : 유가증권시장 상장규정 및 시행세칙 <별표10>- 상장연부과금 : 유가증권시장 상장규정 및 시행세칙 <별표10>- 등록비용 : 채권등록업무규정 <별표>- 표준코드수수료: 증권 및 관련금융상품 표준코드 관리기준 제15조의 2 |
2. 자금의 사용목적
회차 : | 1 | (기준일 : | 2025년 08월 19일 | ) | (단위 : 원) |
시설자금 | 영업양수자금 | 운영자금 | 채무상환자금 | 타법인증권취득자금 | 기타 | 계 | 비고 |
---|---|---|---|---|---|---|---|
- | - | 500,000,000,000 | - | - | - | 500,000,000,000 | - |
주1) 발행제비용은 당사 보유 자체 자금으로 충당할 예정입니다. |
주2) 금번 사채발행은 지급여력비율 증대를 위한 자본건전성 확보를 위한 자본확충으로 조달 자금은 운영자금으로 사용할 예정입니다. |
3. 자금의 세부 사용 내역 금번 사채발행을 통해 조달한 자금 5,000억원은 지급여력비율 증대를 통한 자본건전성 확보 목적으로 사용할 예정입니다. 금번 사채발행대금이 납입되면, K-ICS비율 산출 시 '지급여력금액'이 5,000억원 만큼 증가하여 지급여력비율은 2025년 반기 말 기준 213.3%에서 5.1%p 증가한 218.4%를 기록할 것으로 예상됩니다. 또한, 금번 사채발행대금이 납입되면, 기본자본 K-ICS비율 산출 시 '기본자본'이 5,000억원 만큼 증가하여 기본자본 지급여력비율은 2025년 반기 말 기준 79.7%에서 5.1%p 증가한 84.8%를 기록할 것으로 예상됩니다.
[ 당사 지급여력비율 추이 ] |
(단위 : 백만원, %) |
구분 | 본 신종자본증권 발행 이후 | 2025년 반기 | 2024년 | 2023년 |
---|---|---|---|---|
지급여력금액 (A+B) | 21,419,182 | 20,919,182 | 19,097,308 | 19,575,206 |
기본자본 (A) | 8,313,299 | 7,813,299 | 8,015,701 | 9,546,189 |
보완자본 (B) | 13,105,883 | 13,105,883 | 11,081,607 | 10,029,016 |
지급여력기준금액 (C) | 9,807,851 | 9,807,851 | 9,402,579 | 8,396,170 |
지급여력비율((A+B)/C) | 218.4% | 213.3% | 203.1% | 233.1% |
기본자본 지급여력비율(A/C) | 84.8% | 79.7% | 85.3% | 113.7% |
주1) 지급여력비율 : 연결기준 (DB생명 등 자회사 영향 반영) |
주2) 무저해지보험 해지율 가이드라인 적용 |
주3) 2025년 반기 수치에서 금번 신종자본증권 5,000억원 발행만을 가정한 수치입니다. |
(출처 : 당사 제시) |
금번 사채발행을 통해 확충된 자금은 당사의 안정적인 지급여력비율 관리를 충족시키기 위한 운용전략에 따라 투자할 예정이며 국내외 대체투자 및 유가증권 투자 등 자산운용에 사용할 계획입니다.
(단위 : 원) |
활용방안 | 금액 | 사용 시기 |
---|---|---|
국내외 대체투자 | 250,000,000,000 | 2025년 말 (예상) |
유가증권 투자 | 250,000,000,000 | 2025년 말 (예상) |
합 계 | 500,000,000,000 | - |
주1) 자금의 세부사용내역은 향후 회사의 실제 사업 진행 상황에 따라 일부 변동 될 수 있습니다.주2) 본 사채발행으로 조달하는 자금은 실제 자금 사용일까지 은행 예금, MMF 등 안정성이 높은 금융상품을 통해 운용할 예정입니다. |
(주12) 정정 후
1. 모집 또는 매출에 의한 자금조달 내역
가. 자금조달금액
회차 : 1 | (단위 : 원) |
구 분 | 금 액 |
---|---|
모집 또는 매출총액(1) | 747,000,000,000 |
발 행 제 비 용(2) | 1,765,120,000 |
순 수 입 금 [ (1)-(2) ] | 745,234,880,000 |
주1) 발행제비용은 당사 보유 자체 자금으로 충당할 예정입니다. |
나. 발행제비용의 내역
회차 : 1 | (단위 : 원) |
구 분 | 금 액 | 계산근거 |
---|---|---|
발행분담금 | 522,900,000 | 전자등록총액 × 0.07% |
인수수수료 | 1,120,500,000 | 전자등록총액 × 0.15% |
사채관리수수료 | 9,000,000 | 정액 지급 |
신평수수료 | 110,000,000 | 한국신용평가, 한국기업평가 (VAT 포함) |
상장수수료 | 1,700,000 | 5,000억원 이상 |
연부과금 | 500,000 | 1년당 100,000원 (최대 50만원) |
등록수수료 | 500,000 | 전자등록총액 × 0.001% (최대 50만원) |
표준코드수수료 | 20,000 | 건당 20,000원 |
합 계 | 1,765,120,000 | - |
주1) 발행제비용은 당사 보유 자체 자금으로 충당할 예정입니다. |
주2) 세부내역- 발행분담금 : 금융기관분담금 징수등에 관한 규정 제5조- 인수수수료, 사채관리수수료 : 발행사와 인수단 및 사채관리회사 협의- 신용평가수수료 : 각 신용평가사별 수수료- 상장수수료 : 유가증권시장 상장규정 및 시행세칙 <별표10>- 상장연부과금 : 유가증권시장 상장규정 및 시행세칙 <별표10>- 등록비용 : 채권등록업무규정 <별표>- 표준코드수수료: 증권 및 관련금융상품 표준코드 관리기준 제15조의 2 |
2. 자금의 사용목적
회차 : | 1 | (기준일 : | 2025년 08월 25일 | ) | (단위 : 원) |
시설자금 | 영업양수자금 | 운영자금 | 채무상환자금 | 타법인증권취득자금 | 기타 | 계 | 비고 |
---|---|---|---|---|---|---|---|
- | - | 747,000,000,000 | - | - | - | 747,000,000,000 | - |
주1) 발행제비용은 당사 보유 자체 자금으로 충당할 예정입니다. |
주2) 금번 사채발행은 지급여력비율 증대를 위한 자본건전성 확보를 위한 자본확충으로 조달 자금은 운영자금으로 사용할 예정입니다. |
3. 자금의 세부 사용 내역금번 사채발행을 통해 조달한 자금 7,470억원 은 지급여력비율 증대를 통한 자본건전성 확보 목적으로 사용할 예정입니다. 금번 사채발행대금이 납입되면, K-ICS비율 산출 시 '지급여력금액'이 7,470억원 만큼 증가하여 지급여력비율은 2025년 반기 말 기준 213.3%에서 7.6%p 증가한 220.9% 를 기록할 것으로 예상됩니다. 또한, 금번 사채발행대금이 납입되면, 기본자본 K-ICS비율 산출 시 '기본자본'이 7,470억원 만큼 증가하여 기본자본 지급여력비율은 2025년 반기 말 기준 79.7%에서 7.6%p 증가한 87.3% 를 기록할 것으로 예상됩니다.
[ 당사 지급여력비율 추이 ] |
(단위 : 백만원, %) |
구분 | 본 신종자본증권 발행 이후 | 2025년 반기 | 2024년 | 2023년 |
---|---|---|---|---|
지급여력금액 (A+B) | 21,666,182 | 20,919,182 | 19,097,308 | 19,575,206 |
기본자본 (A) | 8,560,299 | 7,813,299 | 8,015,701 | 9,546,189 |
보완자본 (B) | 13,105,883 | 13,105,883 | 11,081,607 | 10,029,016 |
지급여력기준금액 (C) | 9,807,851 | 9,807,851 | 9,402,579 | 8,396,170 |
지급여력비율((A+B)/C) | 220.9% | 213.3% | 203.1% | 233.1% |
기본자본 지급여력비율(A/C) | 87.3% | 79.7% | 85.3% | 113.7% |
주1) 지급여력비율 : 연결기준 (DB생명 등 자회사 영향 반영) |
주2) 무저해지보험 해지율 가이드라인 적용 |
주3) 2025년 반기 수치에서 금번 신종자본증권 7,470억원 발행만을 가정한 수치입니다. |
(출처 : 당사 제시) |
금번 사채발행을 통해 확충된 자금은 당사의 안정적인 지급여력비율 관리를 충족시키기 위한 운용전략에 따라 투자할 예정이며 국내외 대체투자 및 유가증권 투자 등 자산운용에 사용할 계획입니다.
(단위 : 원) |
활용방안 | 금액 | 사용 시기 |
---|---|---|
국내외 대체투자 | 373,500,000,000 | 2025년 말 (예상) |
유가증권 투자 | 373,500,000,000 | 2025년 말 (예상) |
합 계 | 747,000,000,000 | - |
주1) 자금의 세부사용내역은 향후 회사의 실제 사업 진행 상황에 따라 일부 변동 될 수 있습니다.주2) 본 사채발행으로 조달하는 자금은 실제 자금 사용일까지 은행 예금, MMF 등 안정성이 높은 금융상품을 통해 운용할 예정입니다. |
위 정정사항 외에 모든 사항은 2025년 08월 20일자로 당사가 제출한 신고서와 동일하오니 이를 참고하시기 바랍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