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년 6 월 23일 | ||
회 사 명 : | (주)유진로봇 | |
대 표 이 사 : | 박성주 | |
본 점 소 재 지 : | 인천광역시 연수구 하모니로187번길 33 (송도동) | |
(전 화) 032-550-2300 | ||
(홈페이지) http://www.yujinrobot.com | ||
작 성 책 임 자 : | (직 책) 전무 | (성 명) 김 종 현 |
(전 화) 032-550-2304 | ||
(제33기 임시) |
주주님의 건승과 댁내의 평안을 기원합니다.
상법 제 365조 및 당사 정관 제 21조에 의하여 제 33기 임시주주총회를 아래와 같이 개최 하오니 참석하여 주시기 바랍니다.
※ 당사는 상법 제542조의4제1항 및 정관 21조 2항에 따라 1%이하 주주분들께의 통지를 전자공시 시스템 공고로 갈음합니다.
- 아 래 -
1. 일 시 : 2025년 7월 8일 (화) 오전 9시
2. 장 소 : 인천광역시 연수구 하모니로 187번길 33, 1층 세미나룸
3. 회의목적사항 《보고사항》 감사보고 《부의사항》
제1호의안 : 정관 일부 변경의 건
제2호의안 : 임원퇴직금 지급규정 제정의 건
4. 경영참고사항 비치 상법 제 542조의 4에 의거하여 경영참고사항을 당사의 본점, 금융위원회, 한국거래소 및 한국예탁결제원 증권대행부에 비치 또는 공시하오니 참고하시기 바랍니다.
5. 전자증권제도 시행에 따른 실물증권 보유자의 권리 보호에 관한 사항 2019년 9월 16일부터 전자증권제도가 시행되어 실물증권은 효력이 상실되었으며, 한국예탁결제원의 특별계좌(명부)주주로 전자등록되어 권리행사 등이 제한됩니다. 따라서 보유 중인 실물증권을 한국예탁결제원 증권대행부에 방문하여 전자등록으로 전환하시기 바랍니다.
6. 주주총회 참석시 준비물 - 직접행사 : 신분증- 대리행사 : 위임장(주주와 대리인의 인적사항 기재, 인감 날인), 신분증
7. 기타사항 - 주차장소가 협소한 관계로 대중교통 수단을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2025년 6월 일
인천광역시 연수구 하모니로 187번길 33
주식회사 유 진 로 봇 대표이사 박 성 주 (직인생략)
이사회 | 개최일자 | 의안내용 | 가결여부 | 사외이사의 성명 | 사외이사의 성명 |
---|---|---|---|---|---|
장동의 (출석률:96.0%) | 강승완 (출석률:100.0%) | ||||
찬반여부 | 찬반여부 | ||||
01 | 2022.02.25 | 제29기 정기주총소집의 결의의 건 제29기 결산재무제표 승인의 건 | 가결가결 | 찬성찬성 | 찬성찬성 |
02 | 2022.03.29 | 제29기 정기주주총회 결과 -제1호의안:제29기(2021년1월1일~2021년12월31일) 결산재무제표 승인의 건 -제2호의안:감사 선임의 건 제2-1호: 곽관웅 비상근감사 선임의 건 -제3호의안:이사 보수한도 승인의 건 -제4호의안:감사 보수한도 승인의 건 | 가결가결가결가결 | 찬성찬성찬성찬성 | 찬성찬성찬성찬성 |
03 | 2022.05.13 | 제30기 1분기 결산공시 | 가결 | 찬성 | 찬성 |
04 | 2022.08.16 | 제30기 상반기 결산공시 | 가결 | 찬성 | 찬성 |
05 | 2022.09.08 | 용인지점 폐지의 건 | 가결 | 찬성 | 찬성 |
06 | 2022.11.14 | 제30기 3분기 결산공시 | 가결 | 찬성 | 찬성 |
07 | 2022.11.18 | 유진엠에스 주식 매각의 건 | 가결 | 찬성 | 찬성 |
01 | 2023.02.28 | 제30기 정기주총소집의 결의의 건 제30기 결산재무제표 승인의 건 | 가결가결 | 찬성찬성 | 찬성찬성 |
02 | 2023.03.29 | 제30기 정기주주총회 결과 -제1호의안:제30기(2022년1월1일~2022년12월31일) 결산재무제표 승인의 건 -제2호의안:이사 선임의 건 제2-1호: 박성주 사내이사 선임의 건 -제3호의안:이사 보수한도 승인의 건 -제4호의안:감사 보수한도 승인의 건 | 가결가결가결가결 | 찬성찬성찬성찬성 | 찬성찬성찬성찬성 |
03 | 2023.05.15 | 제31기 1분기 결산공시 | 가결 | 찬성 | 찬성 |
04 | 2023.08.10 | 제31기 상반기 결산 | 가결 | 찬성 | 찬성 |
05 | 2023.09.14 | 기업은행 대출실행을 위한 담보제공한도 증액 | 가결 | 찬성 | 찬성 |
06 | 2023.09.14 | 독일 지사 설치의 건 | 가결 | 찬성 | 찬성 |
07 | 2023.09.25 | 로봇청소기 국내사업부문(아이클레보) 중단의 건 | 가결 | 찬성 | 찬성 |
08 | 2023.11.14 | 제31기 3분기 결산공시 | 가결 | 찬성 | 찬성 |
01 | 2024.02.29 | 제31기 정기주총소집의 결의의 건 제31기 결산재무제표 승인의 건 | 가결 가결 | 찬성찬성 | 찬성찬성 |
02 | 2024.03.29 | 제31기 정기주주총회 결과 -제1호의안: 제31기(2023년1월1일~2023년12월31일) 결산재무제표 승인의 건 -제2호의안: 이사 선임의 건 제2-1호: 김종현 사내이사 선임의 건 제2-2호: 세바스찬 도링 사내이사 선임의 건 제2-3호: 박성익 사내이사 선임의 건 제2-4호: 장동의 사외이사 선임의 건 제2-5호: 강승완 사외이사 선임의 건 -제3호의안: 이사 보수한도 승인의 건 -제4호의안: 감사 보수한도 승인의 건 | 가결가결가결가격가결가결가결가결 | 찬성찬성찬성찬성찬성찬성찬성찬성 | 찬성찬성 찬성 찬성 찬성 찬성 찬성 찬성 |
03 | 2024.05.14 | 제32기 1분기 결산공시 | 가결 | 찬성 | 찬성 |
04 | 2024.08.14 | 제32기 상반기 결산공시 | 가결 | 찬성 | 찬성 |
05 | 2024.11.01 | 밀레 청소로봇 생산 중단 | 가결 | 찬성 | 찬성 |
06 | 2024.11.14 | 제32기 3분기 결산공시 | 가결 | 찬성 | 찬성 |
01 | 2025.02.27 | 제32기 정기주총소집의 결의의 건제32기 결산재무제표 승인의 건 | 가결 | 찬성 | 찬성 |
02 | 2025.03.28 | 제32기 정기주주총회 결과 -제1호의안: 제32기(2024년1월1일~2024년12월31일) 결산재무제표 승인의 건 -제2호의안: 감사 선임의 건 제2-1호: 곽관웅 비상근 감사 선임의 건 -제3호의안: 이사 보수한도 승인의 건 -제4호의안: 감사 보수한도 승인의 건 -제5호의안: 임원 퇴직금 지급규정 제정의 건 | 가결가결가결가결 부결 | 찬성찬성찬성찬성 찬성 | 찬성찬성찬성찬성 찬성 |
03 | 2025.05.15 | 제33기 1분기 결산공시 | 가결 | 불참 | 찬성 |
04 | 2025.05.27 | 임시주주총회 소집결의 | 가결 | 찬성 | 찬성 |
위원회명 | 구성원 | 활 동 내 역 | ||
---|---|---|---|---|
개최일자 | 의안내용 | 가결여부 | ||
- | - | - | - | - |
- 해당사항 없음
(단위 : 천원) |
구 분 | 인원수 | 주총승인금액 | 지급총액 | 1인당 평균 지급액 | 비 고 |
---|---|---|---|---|---|
사외이사 | 2 | 1,300,000 (이사보수한도) | 15,822 | 7,911 | - |
- 2025.01~2025.05월까지 집계한 자료입니다.
(단위 : 억원) |
거래종류 | 거래상대방(회사와의 관계) | 거래기간 | 거래금액 | 비율(%) |
---|---|---|---|---|
- | - | - | - | - |
(단위 : 억원) |
거래상대방(회사와의 관계) | 거래종류 | 거래기간 | 거래금액 | 비율(%) |
---|---|---|---|---|
Miele & Cie. KG (최대주주) | 제품,용역매출 | 2025.01~2025.05 | 19.2 | 3.5 |
(주) 상기 비율은 최근사업연도말 현재 자산총액 대비 비율입니다.
주식회사 유진로봇은 자율주행 물류로봇 및 스마트 자동화 장비 등 완제품 로봇 개발 및 판매를 통해 경쟁력 있는 제품을 시장에 출시해 왔으며, 2019년 이후 B2C 중심에서 다양한 물류시장을 목표로 한 자율주행 솔루션 사업의 B2B 중심으로 전환해 오고 있습니다. 그리고 최근 물류로봇 시장의 핵심요소인 고카트 자율이동로봇 사업에 전력을 다할 뿐만 아니라 자율주행 기술의 구성요소인 라이다 센서, SLAM콘트롤러 같은 다양한 제품도 성공적으로 상용화를 진행하고 있습니다. 나아가 3D라이다(LiDAR) 센서와 자율주행 솔루션 등 로봇 부품과 솔루션 기술 개발을 통한 자율주행 기술을 기반으로글로벌 기업으로 도약을 준비하고 있습니다 .
(1)지능형 서비스 로봇사업
(산업의 특성) 지능형 서비스 로봇이란 외부환경을 인식하고 스스로 상황을 판단하여 자율적으로 동작하거나 인간과 상호작용을 하는 로봇으로서 당해 산업은 인간의 삶의 질을 높여주고 인간생활의 아웃소싱 역활을 하며 소비자에게 높은 효용을 주며 생산자에게는 고부가 가치를 주는 산업으로 발전할 것입니다. 지능형 로봇 시장은 건강관리, 교육 여가지원, 생활지원, 가사등의 개인서비스 영역과 농림업 국방,우주,해양 의료복지 공공작업, 빌딩서비스 등의 전문서비스영역과 바이오, 반도체, 디스플레이, 전자제품 자동차의 산업용 영역을 아우르는 시장산업입니다. 당사는 네트워크 기반 홈로봇과 관련해서 국내 최초 상품화를 완료하여 판매하고 있으며, 당사의 대표적 상품인 청소로봇의 경쟁 해외기업으로는 아이로봇사가 청소로봇 룸바 등을 국내에 판매하고 있습니다, 그리고 네트워크 기반 URC로봇을 시범사업을 성공적으로 수행하고 세계최초로 양산 판매하고 있습니다. 4차 산업혁명을 이끄는 혁신적인 방안으로 스마트팩토리가 떠오르고 있는 가운데 유진로봇의 통합 물류 솔루션을 통해 전세계 스마트 물류 자동화 산업에 기여할 수 있도록 노력하겠습니다. (산업의 성장성) 현재 지능형 로봇 사업은 고부가가치 창출이 가능하고 산업전반의 파급효과가 막대하며 IT와 BT시장에 버금가는 시장으로 국가의 차세대 신성장 동력산업으로 선정되어 2006년 시범사업 을 통해 2007년부터 본격 보급 추진계획에 있습니다. 그리고 차세대 성장동력과 연계해 지능형 홈 네트워크 소프트웨어솔루션,디지털컨텐츠,미래형 자동차,차세대 전지,차세대 반도체,차세대 바이오,DMB WIBRO UWB와연계를 통하여 지능형 서비스 로봇시장이 발전할 것입니다. 지능형 서비스 로봇의 국제표준화를 통해 국가투자의 효율성을 추구하고 국가경쟁력을 확보하려는 시점에서 주식회사 유진로봇은 주도적인 역할을 할것입니다. (경기변동의 특성) 최근 RT(Robot Technology)산업은 IT, BT에 이어 거대시장을 형성하는 차세대 핵심 산업으로 급부상하고 있습니다. 이제 로봇 산업은 누구도 부정할 수 없을 만큼 확실한 성장 산업으로 부각되어 있습니다. 기존의 로봇 기술 개발이 공장의 생산 자동화에 주로 사용되는 산업용 로봇 대상이었다면, 향후의 발전 방향은 일반 소비자들이 직접 사용할 수 있는 지능형 서비스로봇이 그 주요 대상이 될 것으로 예측됩니다. 과학 기술의 발전이 점차 가속화됨에 따라 로봇은 인간의 생활 속으로 점차 파고 들어올 것으로 판단되며, 경제 성장에 따른 복지 사회에 대한 관심 고조나, 풍요로운 생활과 더불어 부작용으로 예상되는 인간의 고립화 및 고령화에 따라 당연히 지능형 서비스로봇의 수요는 점차 증대할 것입니다. (경쟁요소) 주식회사 유진로봇은 로봇, 전기 및 전자부품의 판매 및 제조와 그 부대사업 일체를 영위하며, 로봇개발 및 제조전문 기술집약형 기업입니다. 당사는 국내업계에 선도적인 위치에서 보급형 청소로봇을 출시 및 판매하고 있으며 . 또한, 국내외 유통채널을 확보하고 지능형 로봇 기술평가대회 대상 수상한 홈로봇 아이로비를 상품화 완료했습니다. 동종업계 대표적인 위치를 유지하고 있으며 현 한국로봇산업 협회 부회장이며, 전 한국 지능로봇 산업협회 회장사입니다. 최근들어 유진로봇은 4개 핵심 사업 분야에서 모두 가시적인 발전을 이뤄 긍정적인 성과를 거두었습니다. 청소로봇 분야에서의 밀레와 공동개발한 청소로봇 신제품이 시장의 호평을 받고, 꾸준한 품질과 성능을 보유하고 있습니다. 그리고 자율주행 솔루션사업을 영위하는 AMS사업부는 고카트180, 고카트250, 로봇 주행용 3D 라이다를 출시하고, 특히 고카트는 국내 모바일 로봇 분야에서 유일하게 국제 안전기준표준인 'ISO13482’인증을 획득해, 유럽의 병원 및 제조공장 수출에 성공하였으며 이를 바탕으로 미국시장 진출도 진행이 되고 있습니다. 또한 30년 역사를 자랑하는 SAS사업부에서는 로봇 원천기술과 시스템 통합이 모두 가능한 독보적인 경쟁력을 내세워자율주행 기반 물류자동화로 사업영역을 확대해 성과가 나타나고 있습니다. 또한 유진로봇은 라이다 센서, SLAM, 내비게이션, Safety controllers, 고카트 자율주행로봇, 시스템 통합을 할 수 있는 다중로봇제어 시스템(FMS) 등을 통해 엔드-투-엔드 공급 가능한 토탈 솔루션 프로바이더입니다. (관련법령 또는 정부의 규제) 과거 지식경제부의 차세대 성장동력 기술개발사업 및 우수제조 기술연구센터 기술개발사업과 정보통신부의 정보통신선도기반기술개발사업과 중소기업청의 구매조건부 기술개발사업등을 성공적으로수행했고, 지식경제부의 IT성장동력기술개발사업과 한국산업기술재단의 한미 공동 기술개발과제를 수행하고 있습니다. 2012년 10월 지식경제부는 로봇미래전략을 발표하여 2022년까지 10배커진 22조원의 시장으로 육성하기 위해 로봇산업을 육성하겠다고 공표하였습니다. (2)캐릭터 완구사업부문 2021년 10월 1일부로 캐릭터 완구사업부문인 (주)가이아코퍼레이션의 주식을 양도함으로써 완구부문 종속회사는 존재하지 않음으로서 본 사업부문의 내용은 제외되었습니다.
(1) 영업개황 및 사업부문의 구분
(가) 영업개황
주식회사 유진로봇은 2006년부터 청소 로봇, 지능형 로봇, 유비쿼터스 홈 로봇을 판매하고, 위험작업로봇 및 엔터테인먼트 로봇류 개발을 시작해, 최근들어 자율주행 물류로봇 고카트(GoCart), 3D 라이다 (LiDAR) 센서, 로봇자동화 패키지(Robotization Package)와 SAS(Smart Automation System) 사업부의 시스템 통합(System Integration) 경쟁력 등 자사의 독보적인 자율주행 기술력을 통한 통합 물류 솔루션을 상용화하고 있습니다. (자율주행 솔루션, 물류로봇) 고카트(GoCart) 180 & 250’은 물류용 스마트 시스템으로 다양한 동적 환경과 물류 응용 분야에서 사용할 수 있는 자율 운송 시스템입니다. 자사의 3D ToF(Time of Flight) 라이다 기반 지능형 주행을 활용하여 인공 마커(설명 필요)없이도 정밀한 주행과 장애물의 우회 기능을 지원합니다. 다중로봇제어시스템(FMS)으로 여러 대의 로봇을 효과적으로 관리 가능하며, 자동문 및 엘리베이터와 연결되는 스마트 인터페이스를 제공하고, 유럽 수출에 반드시 필요한 국제 표준 ‘ISO13482’ 안전 시스템을 제공해 탄탄한 글로벌 경쟁력을 갖췄습니다.
유진로봇의 독자적인 상품으로 선보이는 '로보티제이션 패키지(Robotization Package)’는 수동장치를 자율주행 모바일 로봇으로 간편하게 전환시켜주는 종합 패키지로 자사의3D 라이다(LiDAR), 슬램(SLAM), 내비게이션 컨트롤러(Navigation Controller), 세이프티 컨트롤러(Safety Controller)로 구성됩니다.
특히 자체 개발한 3D 라이다(LiDAR) 센서는 싱글채널 및 광시야각의 선택 가능한 스캐닝 모드, ROS 호환 및 비용의 효율성까지 모두 갖춰 로봇공학 응용분야에 맞게 최적화하였고, 여기에 유진로봇만의 독자적인 기술인 슬램과 내비게이션, 세이프티 컨트롤러 모듈을 탑재한 자율주행 로봇은 공간을 정확히 분석하고 사람이나 장애물을 인식해 충돌을 피하고 우회하는 시스템을 구현해 안전성을 자랑합니다.
(청소로봇) 당사는 글로벌 기업인 '밀레'에 ODM(제조업자 개발생산방식)공급계약을 체결한 바 있고, 현재 유럽, 러시아 등 지역을 중심으로 자가브랜드 및 ODM수출을 진행한 바 있습니다만, 회사는 2024년 11월 1일, 이사회 결의에 의하여 밀레(Miele) 로봇청소기 생산을 중단하기로 결정하였며, 2024년 12월 31일자로 중단하였습니다.
(산업자동화 설비 시스템) 산업용 로봇을 이용한 공장 자동화 시스템으로 로봇을 중심으로 다양하고 정밀한 주변 장비들의 조합으로 시스템이 구성되고, 사업분야는 반도체와 자동차 부품의 조립검사 시스템을 공급하는 사업분야로 나누어 집니다. 매출의 대부분은 국내에 진출한 외국기업과 국내 대기업에 시스템을 공급하는 구조이며 외국에 시스템을 수출할 계획입니다. 향후에는 국내 외국기업에 시스템 공급 및 외국으로의 시스템 수출을 증대하며 반도체 분야의 시스템 공급을 확대하여 고부가가치의 사업을 이룩할 계획입니다.
(네트워크 기반 서비스 로봇) 유비쿼터스 로봇은 네트워크 기술을 기반으로 언제 어디서나 사람들과 함께하며 필요로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제공하는 로봇을 말합니다. 2004년 지능형 로봇기술 평가대회에서 기술혁신상을 수상한 바 있는 '아이로비'는 홈모니터링, 방문자확인, 생활스케줄관리, 영상쪽지, 동화 구연 등의 다양한 지능적인 기능을 자율기능과 무선 네트워크를 통해 수행하며 주로, 로봇관련 연구소 및 대학기관에 판매되었습니다.
(나) 공시대상 사업부문의 구분
당사는 지능형 로봇 및 홈로봇, 엔터테인먼트 로봇 등 로봇류와 캐릭터 디자인과 캐릭터 개발활동을 통해 캐릭터완구 판매를 영위하는 회사로서 공시대상의 요건을 갖춘 사업부문이 2개였으나, 회사는 2021년 중 (주)가이아코퍼레이션에 대한 지배력을상실하여, 해당 기업 및 동 기업의 종속기업을 연결대상 종속기업에서 제외하였습니다.
당기말 현재 회사는 종속기업투자주식을 보유하고 있지 않으며, 당기의 재무제표는 개별재무제표이며, 지능형 서비스 로봇 단일 사업부문입니다.
사업부문 | 표준산업 분류코드 | 제품의 개요 | 매출비중(%) |
---|---|---|---|
지능형 서비스 로봇 등 판매,제조 | D29299 | 지능형로봇,홈로봇,엔터테인먼트로봇 | 100.0 |
장난감 및 취미용품 도매업 | G46463 | 캐릭터 완구, 프라스틱승용물, 팬시용품 등 | - |
(주1) 상기 비율은 최근 사업연도말 현재 액 대비 비율입니다.
(2) 시장점유율
청소로봇은 시장형성기이며, 출시이후 꾸준히 시장점유율이 상승하고 있으며, 2006년 및 2007년까지는 국내에서 약 30% 내외를 점유했으며, 2008년 이후에는 고속성장할 것으로 예측 전망하고 있습니다. (아직 시장 형성기이라 공식적인 통계자료는 없으며 업계동향에 대한 언론기사 및 내부적인 시장조사 자료에 근거하여 추정한 자료가 존재할 뿐임) 한편 아래와 같이 한국로봇산업실태조사에 따르면 개인서비스로봇 시장과 전문서비스로봇 시장이 가파르게 성장해왔으며, 제조업용로봇과 부품 매출도 성장하는 것으로 조사되어 있습니다.
(단위 : 백만원/%) |
구 분 | 2021 | 2022 | 2023 | '22 대비 증감율 | |||
---|---|---|---|---|---|---|---|
출하 | 구성비 | 출하 | 구성비 | 출하 | 구성비 | ||
제조업용 로봇 | 2,785,170 | 50.8 | 2,891,489 | 49.3 | 2,887,074 | 48.6 | △0.2 |
전문서비스용 로봇 | 466,780 | 8.5 | 518,538 | 8.8 | 593,384 | 10.0 | 14.4 |
개인서비스용 로봇 | 389,906 | 7.1 | 424,875 | 7.2 | 423,203 | 7.1 | △0.4 |
로봇 부품 및 부분품 | 1,842,414 | 33.6 | 2,028,822 | 34.6 | 2,039,926 | 34.3 | 0.5 |
합 계 | 5,484,271 | 100.0 | 5,863,723 | 100.0 | 5,943,587 | 100.0 | 1.4 |
자료 : 한국로봇산업협회 '로봇산업 실태조사결과', 2024.12 |
(3) 시장의 특성
최근 RT(Robot Technology)산업은 IT, BT에 이어 거대시장을 형성하는 차세대 핵심 산업으로 급부상하고 있습니다. 이제 로봇 산업은 누구도 부정할 수 없을 만큼 확실한 성장 산업으로 부각되어 있습니다. 로봇 산업은 2000년대 초반 오락/엔터테인먼트 로봇을 중심으로 사업화되기 시작하였으며, 2003년 이후에는 가정내에 서비스를 제공하는 서비스 로봇 시장이 청소 로봇을 시작으로 본격적인 사업화 양상을 보이고 있습니다. 특히 청소로봇은 로봇이 사람에게 단순한 재미를 제공하는 단계를 벗어나 유용한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음을 알려주는 첫번째 제품군이며, 서비스 로봇 시장의 본격적인 출현을 알리고 있습니다.
(4) 신규사업 등의 내용 및 전망
1) 자율주행 솔루션 사업부문
유진로봇은 지난해에 이어 올해에도 자율주행 물류로봇 고카트(GoCart) 180·250, 3D 라이다 (LiDAR) 센서, 로봇자동화 패키지(Robotization Package), SAS(Smart Automation System) 사업부의 시스템 통합(System Integration) 경쟁력 등 자사의 독보적인 자율주행 기술력을 통한 통합 물류 솔루션을 선보일 계획입니다.
자율주행 물류로봇 '고카트(GoCart) 180’, '고카트(GoCart) 250’은 다양한 작업 환경에 적용해 물류,산업현장의 생산성 및 효율성 향상에 기여하며, 유럽 수출 시 반드시 필요한 국제표준 ‘ISO 13482’ 인증의 공인된 안전성으로 글로벌 경쟁력을 확보했습니다. 그리고 자체 개발한 3D 라이다(LiDAR) 센서는 싱글 채널 및 광시야 각 (최대 360 X 80) 및 4가지 선택 가능한 스캐닝 모드, ROS 호환 및 비용의 효율성으로 로봇공학 응용 분야에 맞게 최적화하여 선보입니다.
또한 유진로봇의 스마트자동화시스템 사업부에서 시스템 통합(System Integration)을 통해 4차 산업혁명 시대가 요구하는 자동화 솔루션을 선보일 계획입니다. 로봇 원천 기술과 시스템 통합이 모두 가능한 유진로봇만의 독보적인 경쟁력으로 꼽히는 부분으로, 해당 사업부는 30여년 이상 업력과 노하우로 자동차 부품과 반도체·중공업 분야의 공장자동화 설비를 제작하여 공급하며 철저한 사후 관리 점검 시스템을 갖췄습니다.
특히 유진로봇의 독자적인 상품 '로봇자동화 패키지(Robotization Package)’는 수동장치를 자율주행 모바일 로봇으로 간편하게 변환시켜주는 솔루션으로, 자체 개발한 3D 라이다(LiDAR), 독자적 기술인 슬램(SLAM), 내비게이션 컨트롤러(Navigation Controller), 세이프티 컨트롤러(Safety Controller)로 구성됐으며 공간을 정확히 분석하고 사람이나 장애물을 인식해 충돌을 피하고 우회하는 시스템을 구현하여 독보적인 안전성을 자랑합니다.
2) 로봇자동화 및 AMR
유진로봇의 ‘로봇자동화 패키지’는 최근 미국에서 개최된 세계 최대 국제 공급 체인 박람회 모덱스(MODEX) 에서도 주목받은 상품입니다. 기존에 많은 공장 환경에서 사용되어온 자율형 무인운반차(AGV)의 개조를 통해 일반적으로 사용되던 AGV를 한단계 업그레이드된 스마트 자율이동로봇(AMR)으로 수명을 더 늘릴 수 있는탁월한 솔루션이라는 평가를 받고 있습니다. 또한 스마트팩토리 구축을 위한 토탈 솔루션으로 함께 선보이는 창고 자동화 솔루션은, 디지털 피킹 시스템(DPS)을 바탕으로 물류 현장에 빈번하게 사용되는 디지털 표시기에 피킹 수량을 디지털로 표시하여 별도의 전표 없이 누구나 신속하고 정확하게 오더피킹(Order Picking) 작업을 완성할 수 있도록 지원하며. 이러한 시스템이 고카트와 결합해 DPS Cart가 상품 위치까지 정해진 위치로 정확하게 이송합니다.
(5) 조직도
가. 집중투표 배제를 위한 정관의 변경 또는 그 배제된 정관의 변경
변경전 내용 | 변경후 내용 | 변경의 목적 |
---|---|---|
- | - | - |
나. 그 외의 정관변경에 관한 건정관일부 변경의 건
변경전 내용 | 변경후 내용 | 변경의 목적 |
---|---|---|
제5조(발행예정주식총수) 회사가 발행할 주식의 총수는 50,000,000주로 한다. |
제5조(발행예정주식총수) 회사가 발행할 주식의 총수는 80,000,000주로 한다. |
발행예정주식총수의 변경 |
제16조(전환사채의 발행) ① 회사는 사채의 액면총액이 400억원을 초과 하지않는 범위 내에서 다음 각 호의 경우 이사회의 결의로 주주 이외의 자에게 전환 사채를 발행할 수 있다. (이하 생략) |
제16조(전환사채의 발행) ① 회사는 사채의 액면총액이 600억원을 초과 하지않는 범위 내에서 다음 각 호의 경우 이사회의 결의로 주주 이외의 자에게 전환 사채를 발행할 수 있다. (이하 생략) |
전환사채발행한도의 변경 |
제17조(신주인수권부사채의 발행) ① 회사는 사채의 액면총액이 400억원을 초과 하지않는 범위 내에서 다음 각 호에 해당하는 경우 이사회 결의로 주주 이외의 자에게 신주인수권부사채를 발행할 수 있다. (이하 생략) |
제17조(신주인수권부사채의 발행) ① 회사는 사채의 액면총액이 600억원을 초과 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음 각 호에 해당하는 경우 이사회 결의로 주주 이외의 자에게 신주인수권부사채를 발행할 수 있다. (이하 생략) |
신주인수권부사채발행한도의 변경 |
제4조(공고방법) 회사의 공고는 서울특별시내에서 발행되는 일간 한국경제신문에 한다. |
제4조(공고방법) 회사의 공고는 회사의 인터넷 홈페이지 (www.yujinrobot.com)에 한다. 다만, 전산장애 또는 그 밖의 부득이한 사유로 회사의 인터넷 홈페이지에 공고를 할 수 없는 때에는 서울시 에서 발행되는 한국경제신문에 한다. |
회사공고방법의 변경 |
부 칙 ( 신설 ) |
부 칙 제1조(시행일) 2025년 7월 8일부터 시행한다 . |
부칙 추가 |
가. 의안 제목
임원퇴직금 지급규정 제정의 건나. 의안의 요지
임원 퇴직금 지급규정 (안)
1조) 목 적
본 규정은 회사의 임원(이하 ‘임원’이라 함)이 퇴직할 경우 지급되는 퇴직금의 지급 기준과 절차를 명확히 규정하고, 퇴직 이후의 기밀 유지를 통해 회사의 이익을 보호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2조) 적용대상
이 규정은 회사의 임원(대표이사,사장,부사장,전무,상무 및 등기임원 포함) 에게 적용된다.
단, 대상임원은 유진로봇 입사후 총 재직기간이 만 5년 이상 재직한 자로 한한다.
3조) 임원 퇴직금 지급 기준
임원 퇴직금의 금액은 아래 기준에 따라 산정되고 운영한다.
1. 기본 지급액: 임원의 퇴직 전 3개월간 월평균 급여 * 지급배율(별첨) * 임원근속년수
2. 지급배율은 다음과 같다.
직책 | 지급배율 | 추가위로금 |
CEO (대표이사/사장) | 1.5 | 해당없음. |
Deputy P (부사장) | 1 | 해당없음. |
Executive VP (전무) / 등기임원 (단, 비상근 임원 제외) |
1 | 해당없음. |
Managing VP (상무) | 0.5 | 해당없음. |
4조) 임원 근속년수
1. 임원근속년수는 해당직급 선임일자로부터 실제 근무종료일까지로 한다.
2. 임원의 근속년수는 1년 미만의 기간은 월로 계산하고 1개월 미만의 기간은 1개월로 계산한다.
5조) 경쟁사 정보 유출 방지 -Non-Disclosure Agreement
1. 퇴임 또는 퇴사하는 임원은 퇴직 후 2년간 회사에 부정적인 영향을 줄 수 있는 직접적 경쟁사로의 이동을 제한한다.
2. 임원들은 회사의 핵심 전략과 기밀 정보를 보유하고 있으므로, 퇴직 후에도 기밀 유지 의무를 부담한다.
3. 해당 조항을 위반할 경우, 지급된 퇴직금의 일부 또는 전액을 반환해야 하며, 회사는 법적 조치를 취할 수 있다.
6조) 임원 퇴직금 지급 절차
1. 지급이 확정된 후, 퇴직일로부터 30일 이내에 임원에게 퇴직금을 지급한다.
2. 임원의 퇴직금은 다음의 사유가 발생할 때 지급한다.
① 임기만료, 정년퇴직의 경우, 회사 요청에 의한 사직의 경우
② 사임단, 회사의 합리적인 제안 및 만류에도 불구하고, 원만한 합의에 이르지 못하고 본인의 의지에 따라 퇴사하는 경우 제외함.
③ 재임 중 사망 또는 질병에 의한 정상적인 업무활동이 불가능한 경우.
④ 기타 이에 준하는 사유로 퇴직할 경우단, 중징계에 의해 해임된 경우는 제외함.
7조) 세금처리
퇴직금은 퇴직소득 등 세법규정에 따라 분류되며, 관련 법령에 따라 세금이 부과된 후 지급된다.
8조) 기타사항
본 규정에 명시되지 않은 사항은 회사의 내규와 이사회의 결의에 따라 결정된다.
부칙
(시행일) 본 규정은 2025년 7월 8일부터 시행한다.
(경과규정)
1) 본 규정 시행 이전에 선임된 임원도 본 규정의 적용을 받으며, 퇴사한 임원은 제외한다. 2) 기존에 지급하던 근로자퇴직급여보장 법에 의한 퇴직금은 별개로 한다.
(적용시기)본 규정은 본 규정의 시행 이전의 근속기간에 대해서도 소급 적용한다.
※ 기타 참고사항
※ 본 주주총회는 임시주주총회로 해당사항이 없습니다. 당사의 최근 사업보고서 및 감사보고서는 DART전자공시시스템(https://dart.fss.or.kr)을 참고하여 주시기 바랍니다.
제출(예정)일 | 사업보고서 등 통지 등 방식 |
---|---|
-해당사항 없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