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주총회소집공고 6.0 에이펙스인텍 주식회사

주주총회소집공고
2025년 03월 07일
회 사 명 : 에이펙스인텍(주)
대 표 이 사 : 김 권 진
본 점 소 재 지 : 경상북도 칠곡군 가산면 인동가산로 619-9
(전 화) 054-976-7667
(홈페이지) http://www.apexint.co.kr
작 성 책 임 자 : (직 책) 전무이사 (성 명) 박기오
(전 화) 054-976-7667

주주총회 소집공고
(제28기 정기)

주주님의 깊은 관심과 성원에 감사드립니다.당사는 상법 제363조와 당사 정관 제21조 규정에 의거하여 제 28기 정기주주총회를 아래과 같이 개최하오니 참석하여 주시기 바랍니다.아울러, 상법 제542조의 4 (주주총회 소집공고 등) 및 정관 제21조 2항에 의거하여발행주식 총수의 1% 이하 소유주주에 대한 소집통지는 이 공고로 갈음하오니 양지하여 주시기 바랍니다.

- 아 래 -

1. 일 시 : 2025년 3월 26일 수요일 오전 9시

2. 장 소 : 경북 칠곡군 가산면 인동가산로 619-9 본사 대회의실

3. 회의 목적사항 가. 보고사항 1) 감사보고 2) 영업보고 3) 내부회계관리제도 운영실태 보고 나. 부의 안건 제 1 호 의안 : 제28기(2024년1월1일~2024년12월31일) 재무제표 및 이익잉여금처분계산서(안) 승인의 건 (현금배당 : 1주당 30원) 제 2 호 의안 : 정관 일부 변경의 건(사업목적 추가) 제 3 호 의안 : 이사 선임(4명)의 건 제3-1호 의안 : 사내이사 김권진 선임의 건 (재선임) 제3-2호 의안 : 사내이사 김권철 선임의 건 (재선임) 제3-3호 의안 : 사내이사 신창호 선임의 건 (신규선임) 제3-4호 의안 : 사외이사 이우덕 선임의 건 (신규선임) 제 4 호 의안 : 이사(사외이사 포함) 보수한도 승인의 건 (전년과 변동없음 : 960백만원) 제 5 호 의안 : 감사 보수한도 승인의 건 (전년과 변동없음 : 20백만원)

4. 실질주주의 의결권 행사에 관한 사항우리 회사의 이번 주주총회에는 한국예탁결제원이 주주님들의 의결권을 행사할 수 없습니다. 따라서 주주님께서는 한국예탁결제원에 의결권 행사에 관한 의사표시를 하실 필요가 없으며, 주주총회에 참석하시어 의결권을 직접 행사하시거나 또는 대리인에게 위임하여 의결권을 간접 행사하실 수 있습니다.

5. 경영참고사항

상법 제542조의 4의 3항에 의한 경영참고사항은 당사의 본사와 명의개서대리인(국민은행 증권대행부)에 비치하였고, 금융감독원 또는 한국거래소에 전자공시하여 조회가 가능하오니 참고하시기 바랍니다.6. 주주총회 참석시 준비물- 직접행사 : 신분증- 대리행사 : 위임장(주주와 대리인의 인적사항 기재, 인감날인), 주주본인 인감증명서, 대리인 신분증※ 법인주주 : 위임장(법인인감 날인), 법인인감증명서, 대리인 신분증7. 사업보고서 및 감사보고서 : 당사는 주주총회일 1주 전까지 전자공시스템 (http://dart.fss.or.kr) 및 회사 홈페이지(www. apexint.co.kr)에 게재할 예정이오니 참고하시기 바랍니다.

8. 기타사항

- 주주총회 기념품은 지급하지 않습니다.

2025년 03월 07일

에이펙스인텍 주식회사

대표이사 김 권 진 (직인생략)

I. 사외이사 등의 활동내역과 보수에 관한 사항

1. 사외이사 등의 활동내역 가. 이사회 출석률 및 이사회 의안에 대한 찬반여부
회차 개최일자 의안내용 사외이사 등의 성명
이현모(출석률: 0%)
찬 반 여 부
1 2024-02-08 제27기 (감사전) 재무제표 제출 및 현금배당 결의 건 -
2 2024-03-11 제 27기 정기주주총회 소집의 건 -
3 2024-05-31 구미 공장 신축공사 승인의 건 -

(*) 제28기 정기주주총회('25.3.26)에서 이현모 사외이사는 임기만료 예정입니다.

나. 이사회내 위원회에서의 사외이사 등의 활동내역
위원회명 구성원 활 동 내 역
개최일자 의안내용 가결여부
- - - - -

2. 사외이사 등의 보수현황
(단위 : 백만원)
구 분 인원수 주총승인금액 지급총액 1인당 평균 지급액 비 고
사외이사 1 960 20 20 -

(*) 주총승인금액은 사내(외)이사를 포함한 등기이사 전체에 대한 금액입니다.

II. 최대주주등과의 거래내역에 관한 사항

1. 단일 거래규모가 일정규모이상인 거래
(단위 : 억원)
거래종류 거래상대방(회사와의 관계) 거래기간 거래금액 비율(%)
- - - - -

(*) 해당사항 없습니다.

2. 해당 사업연도중에 특정인과 해당 거래를 포함한 거래총액이 일정규모이상인 거래
(단위 : 억원)
거래상대방(회사와의 관계) 거래종류 거래기간 거래금액 비율(%)
- - - - -

(*) 해당사항 없습니다.

III. 경영참고사항

1. 사업의 개요 가. 업계의 현황

[LED조명 사업]

(1) 산업의 개요

LED 조명은 반도체 기술에 기반한 고효율 조명기기를 의미합니다. 반도체 공정을 통한 광원 제조와 조명기기 공정이 결합된 것으로 LED 조명기기의 제조공정은 반도체 소자 및 광원(패키지, 모듈), 조명기구·시스템 구조로 이루어지며, 진공관 내 가열방식 방전기술에 기반한 여타 조명제품(형광등, HID)과 구조적인 차이가 있습니다.

LED는 화합물 반도체의 특성을 이용하여 전기 에너지를 가시광선으로 전환하여 빛을 발생시키는 반도체 소자입니다. 특정 원소의 반도체에 순방향 전압을 가하면 Positive-Negative 접합부분을 통해 전자와 정공이 이동하면서 서로 재결합하는데 n층의 전자와 p층의 정공이 떨어져 있을 때보다 작은 에너지가 되므로 이때 발생하는 에너지의 차이로 인해 빛을 방출하는 원리입니다.

noname01.jpg LED 제조공정

LED 조명 제조 공정 가운데 LED의 휘도를 결정하는 핵심 공정인 에피 성장과 열 방출, 렌즈 설계, 형광체 도포 등이 수율을 결정하는 핵심 공정입니다. 특히 에피에서 패키지에 이르는 3단계 공정은 기술적 진입 장벽이 높고 대규모 투자가 수반되어야 합니다. 백산 LED를 제조하기 위해서는 칩에 황색 계열의 형광체를 바르는 과정이 패키지 공정에 포함되며, 5개의 공정 가운데 에피, 팹 등 전공정으로 갈수록 부가가치가 높고 고도의 기술력이 요구되고 있습니다.

LED 산업은 반도체 공정인 소자 제조부터 응용 제품 적용에 이르는 복합적인 공급 체계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기판, 에피, 칩 패키징의 반도체 광원 제조 관련 산업은 기술 난이도가 높고, 대규모 투자를 필요로 하며, 표준화된 대량 생산이 경쟁 우위로 반영돼 소수 대기업이 과점하는 경향이 있습니다. 다만 소재 제조 관련 부품·소재 및 장비 산업은 특화 중소기업이 우위를 점하는 분야입니다. 조명기구(광원모듈, 방열·광학기구) 및 조명·응용 시스템(전원, 구동회로, SW 및 시스템 제어) 제조 관련 산업으로서, 조명·응용 시장 확대에 따라 다품종 최적 생산이 필요하며, 디자인, SW, IT 제어 등 다양한 기업군융합이 가능한 산업입니다.

LED 조명은 LED 응용분야 중 하나로 반도체 기술에 기반한 LED 조명의 등장으로 조명산업의 구조적 변화가 발생하였습니다. 부품 조립기술 중심의 일반조명과 달리, LED 조명은 반도체 광원 및 구동회로, 광학. 방열 설계로 구성된 전자제품이며, 조명산업 참여기업 또한 기존 조명기기 제조사들뿐만 아니라, 설비투자를 통해 LED 생산능력을 확보한 중국, 대만업체들까지 확대되었습니다.

LED 조명은 일반조명 대비 고효율 ·장수명 등의 우수한 특성을 보유하고 있습니다. 높은 광전환효율, 긴 수명, 다양한 색상 구현 장점 등이 LED 조명을 일반조명의 대체제품으로 각광받게 되었으며, 일반조명 대비 획기적인 에너지 절감이 가능하고, 환경 유해물질(수은 등) 사용이 최소화된 제품입니다.

noname02.jpg LED 조명 VS 일반조명 비교

noname03.jpg 일반조명대비 연간절감액

(2) 산업의 특성

조명기기는 인간이 생활하고 활동하는 어느 장소에나 설치되며, 조명환경은 공기나 물과 같이 인간생활에 필수적인 요소입니다. 또한 조명은 주위 사물을 잘 보이게 하는 역할 뿐 아니라 이를 돋보이게 하는 기능이 있어 경관조명으로도 사용되며, 특성상 건축, 토목과 연계되어 하나의 건물에는 수십 종의 다양한 광원과 조명기구가 공간의 용도에 따라 설치되고 있습니다. LED 조명시장은 고객군 및 시장 특성에 따라 일반조명, 건축조명, 공공조명, 상업조명, 특수조명 등 5개 영역으로 구분 할 수 있습니다.

noname04.jpg LED조명 주요 응용분야

LED 조명 산업은 인간의 삶과 필수불가결하게 연결되어 있는 조명기기를 반도체 기술과 결합하여 새로운 시장을 창출한 산업으로 사업 초기에는 대기업과 중소기업들이 난립하면서 한때 혼탁의 양상을 보이다가 지금은 대내외적인 경기침체와 불황 및 정부정책에 따라 자연스럽게 구조조정이 되어 가면서 서서히 자리를 잡아가고 있는 상황입니다. 제품 측면에서는 과거 저가 저효율 제품 위주의 생산, 판매에서 최근에는 다기능 고효율 형태의 차별화된 제품을 앞 다투어 출시하는 상황입니다. 가격 측면에서는 일반조명과의 가격 격차가 사실상 무너져 LED조명 기업들은 일반조명을 LED조명으로 대체하고 있습니다. 일부 기업들의 경우 가격하락에 따른 이익 감소를 원가 절감을 통해 극복하기 위해 중국과 베트남 지역에 진출하여 제조 사이트를 운영하고 있습니다.

(3) 계절적 경기변동

LED 조명 산업은 산업의 특성상 계절적 요인에 의해 거의 영향을 받지 않으며, 동사에서 취급하고 있는 LED 조명 제조 시 필요한 원재료 공급 또한 계절에 영향을 받지 않습니다.

(4) 산업의 성장성 국내외 LED조명 보급 사업 활성화와 친환경 제품으로 LED조명 도입이 다양한 분야에서 빠르게 이루어지고 있기 때문에 LED조명산업이 차세대 성장 산업으로 분류되고 있습니다. 특히 국내 LED조명 시장은 대략 2조원 안팎으로 추정되는데 그 중에서 공공 조달시장 규모는 6000억원대로 전체의 30%를 차지하고 있으며, 나머지는 B2B와 B2C 시장이 점유하고 있습니다. 지난 2010년대 이후 본격화된 정부의 LED조명 보급정책에 맞춰 그동안 조달시장은 꾸준한 성장세를 이어왔습니다.

연평균 6000억원대 시장을 형성하면서, 중소기업들의 실적을 쌓는 소중한 역할을 해왔었으며, 실제로 연도별 LED조명 조달시장 실적을 보면 2017년 6454억원, 2018년 6099억원, 2019년 6734억원, 2020년 6492억원, 2021년 6053억원, 2022년 LED조명 조달시장 규모는 총 7012억 3000만원 대의 시장을 형성했습니다.

가격경쟁화된 LED조명 국내시장은 ‘조명단품시장’에서 현재 IoT기술, 빛이 사용자에게 미치는 시각/감성적 효과, 센싱 정보기반 에너지최적화 기술을 융합한 ‘스마트·인간중심조명 시장’으로 진화, 성장하고 있으며, LED조명의 가격이 시장에서 안정적인 수준으로 유지되고 규제 영역이 주거용 실내조명으로 확대되면서 성장기를 맞이 할 것으로 전망되어 그 성장은 지속될 것으로 보입니다

(5) 국내외 시장 규모 및 전망스마트조명 세계시장은 연평균 23.6%로 급격히 성장할 것으로 예상되며, 전 세계 LED 조명 시장은 2017년 490억불에서 2025년 1,350억불로 연평균 성장률 13.5%성장할 것으로 전망됩니다.

..jpg .

지역별 시장 규모 및 전망으로는 아시아 - 태평양 지역은 인도와 중국이 최대 수익을 내는 주요 성장지역이며, 중동 - 아프리카 지역과 남미 지역이 가장 높게 성장할 것으로 예상됩니다.

지역별 점유율 및 전망 2014년~2024년.jpg 지역별 점유율 및 전망 2014년~2024년

용도별 시장 규모 및 전망으로는 전 세계 LED 조명 시장에서 2024년까지 사무실용, 소매용 및 야외용 부문이 가장 높게 성장할 것으로 예상되며, 주거용 부문이 시장 점유율에서 가장 높을 것으로 예상됩니다.

용도별 시장 규모 및 전망 2014년~2024년.jpg 용도별 시장 규모 및 전망 2014년~2024년

전 세계 LED 조명 시장에서 2024년까지 병원시설용, 산업용 부문이 가장 높은 성장률을 기록할 것으로 예상되며, 주거용 부문이 가장 높은 시장 규모를 기록할 것으로 예상됩니다.전 세계 LED 조명 시장에서 주거용 시장은 2017년 181억 4,440달러에서 2024년에는 318억 3,740달러에 이를 것으로 전망됩니다.

용도별 시장 규모 및 전망(2) 2014년~2024년.jpg 용도별 시장 규모 및 전망(2) 2014년~2024년

이러한 일반적인 조명 외에 4차산업혁명의 진행에 따라서 스마트 조명시장도 주목을 받고 있습니다. ICT 기반 커넥티드 스마트 조명이란 조명기기와 센서 유/무선 통신, 운용 소프트웨어 등이 결합되어 요구되는 광 품질과 성능을 만족시켜 주고, 주변 환경이나 미리 정의된 조건(광속, 색온도 등) 또는 사용자의 요구사항에 따라서 다양하게 제어가 가능한 조명을 의미합니다. 즉, 네트워크를 통해 개별 또는 그룹 제어가 가능하며, 다양한 유/무선 통신 프로토콜을 이용하여 개별 또는 그룹 조명기기에 대한 On/Off 제어, 광 출력제어(Dimming), 재실여부 감지에 따른 자동 On/Off 제어, 주광 조도에 따는 조명의 자동 밝기 조절, 시간대별 조도 스케쥴링 등을 편리하고 효율적으로 수행할 수 있는 조명 시스템입니다.이러한 커넥티드 스마트 조명은 사무실이나 가정 등 다양한 응용처에서 최적의 빛 환경을 제공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다항향 제어 기능을 통해 추가적인 에너지 절감 효과도 기대할 수 있습니다.

캡처3.jpg 조명의 생태계 변화

ict기반 커넥티드 스마트조명의 개념 및 사무실 및 가정에서의 응용.jpg ict기반 커넥티드 스마트조명의 개념 및 사무실 및 가정에서의 응용

세부 산업별로는, 하드웨어 시장이 약 50% 이상을 차지하고 있지만, 소프트웨어와 서비스 콘텐츠 시장이 급속히 성장하고 있습니다. 초기에는 에너지 절감 효과가 큰 상업조명이 전체 시장의 약 45%를 차지하여 시장을 리드하고 있으며, 이후 보급 단계에서는 주거조명과 실내조명의 시장성장률이 높게 나타날 전망입니다.ICT 기반 커넥티드 스마트조명은 전/후방산업(하드웨어, 소프트웨어, 서비스)이 대/중소기업으로 구성되어 기존의 단순 조명기구 산업에서 벗어나서 스마트홈/빌딩 솔루션사업으로 전환하여, 스마트홈/시티 및 제로에너지빌딩과 연계한 융복합 사업에 파급효과가 매우 클것으로 예상됩니다.스마트 조명 기술의 발전에는 배경 기술도 한몫하고 있습니다. 대표적인 것이 자동조명 제어를 위한 무선통신 표준인 지그비(Zigbee)와 유선통신 표준인 달리(DALI)입니다. 현재 스마트 조명에 주로 쓰이는 DALI는 해당 분야를 위해 따로 고안된 기술로 가장 큰 점유율을 나타냅니다. 하지만 앞으로는 무선으로 센서 설치가 용이한 Zigbee가 이를 대체해나갈 것으로 예상되고 있습니다. 이외에도 속도, 적용범위 등 소비자의 요구사항에 따라 블루투스, 와이파이 등이 스마트 조명에 사용되고 있습니다.

그동안의 조명 시장은 대단위로 설치하는 ‘보급’ 중심이었는데, 스마트 조명 시장이 커짐에 따라 앞으로는 생체 리듬 및 설치 환경 등으로 구체화되는 ‘활용’ 중심으로 패러다임이 변할 것으로 전망됩니다. 또한 시각적 요소에만 한정되는 조명 기술이 앞으로는 감성 및 기능 구현, 인지능력 등의 비시각적 요소로 발전해나갈 가능성이 높습니다. 이에 따라 단순 조립 중심의 조명산업 구조도 스마트 조명으로 인해 고부가가치 산업으로 변화하는 추세입니다. 이처럼 미래 조명 시장은 4차 산업혁명의 대표기술인 센서, 사물인터넷, 인공지능, 네트워크 기술 등과 접목된 스마트 조명이 이끌어나갈 것으로 전망됩니다. 또한, 한국, 미국 및 일본의 커넥티드 스마트조명 보급 목표는 다음과 같습니다.

emb00002cac286c.jpg 한미일 스마트조명 보급목표

Grand View Research, Inc.의 새로운 연구에 따르면 2028년까지 전 세계 스마트 조명 시장은 469억 달러에 이를 것으로 예상되며, 2021년에서 2028년까지 연평균 복합 성장률은 20.4%입니다. 시장 성장의 원인은 다음과 같습니다. 스마트 시티, 스마트 홈, 스마트 가로등 시스템의 증가 추세 및 에너지 절약형 조명 시스템에 대한 수요. 스마트 조명은 일반 조명보다 비싸지 만 전체 설치 비용보다 장점이 더 큽니다. 그러나 COVID-19 전염병 동안 중산층의 구매력이 감소함에 따라 스마트 조명의 높은 가격은 시장 성장을 제한했습니다.

상업 및 주거 공간에 대한 수요. 스마트 조명은 필요에 따라 다양한 톤으로 흐리게 할 수 있고, 켜기/끄기로 배열할 수 있으며, 조명의 에너지 사용량을 모니터링하고 Wi-Fi, Bluetooth, SmartThings, Z-Wave 또는 ZigBee를 통해 연결할 수 있습니다.

스마트 조명은 건물이나 도시 인프라의 IT 네트워크에 원활하게 통합되어 작동 상태에 대한 정보를 공유할 수 있기 때문에 연결된 조명이라고도 합니다. 스마트 조명은 일반적으로 센서와 통합되어 활동 패턴, 일광 수준, 점유율, 온도 변화 또는 습도에 대한 정보를 수집하는 스마트 장치 포인트로 전환합니다. 사실에 따르면 이 정보는 정부 기관이 적절한 조치를 취하고 불필요한 활동에 대해 시를 모니터링하는 데 필수적입니다.

전 세계 조명 산업은 전체 전력의 약 19%를 소비하고 온실 가스 배출량의 약 6%를 생성합니다. 반대로 LED 스마트 조명은 매우 효율적입니다. 에너지의 거의 70%를 소비하고 장치를 연결하여 향후 프로세스에서 사용할 정보를 수집합니다. 그들은 훨씬 더 긴 서비스 수명을 가지며 수은 함량을 포함하지 않습니다. 마찬가지로 LED 조명은 유해한 온실 가스를 방출하지 않습니다. 따라서 LED 기술은 전체 조명 산업을 완전히 바꾸고 LED가 공급자와 소비자의 첫 번째 선택인 스마트 조명 분야에 침투할 가능성이 있습니다.

또한 스마트 조명의 보급률은 제어 전력 사용, 긴 수명, 단일 램프/램프의 다중 조명 설정, 다양한 현대 장식 조명 제품의 가용성 등의 장점으로 인해 증가할 것으로 예상됩니다. 주거, 상업 및 산업 부문에서 스마트 조명의 사용은 아직 완전한 잠재력에 도달하지 못했습니다. 따라서 LED 기반 스마트 조명의 사용을 촉진하기 위한 다양한 정부 계획은 예측 기간 동안 수요를 증가시킬 것으로 예상됩니다.

연구에 따르면 시장 성장은 스마트 시티에 대한 수요와 에너지 절약형 조명 시스템의 구현에 기인합니다. 스마트 조명은 Wi-Fi, Bluetooth 등을 통해 연결하고 필요에 따라 흐리게 할 수 있습니다. 조명 외에도 이러한 광범위한 기능과 IoT 장치 및 스마트 비서의 인기 증가는 스마트 조명에 대한 시장 성장 경로를 만듭니다.

기존 램프를 LED 스마트 램프로 빠르게 교체하는 것이 일반적인 추세입니다.시장 리더들은 합리적인 가격에 스마트 조명 제품을 제조하는 데 주력하고 있습니다. 기술 혁신은 제품 가격을 빠르게 낮추고 세계 시장에서 스마트 조명의 보급률을 높이는 데 도움이 되었습니다. 이것은 대량 채택을 가능하게 할 것입니다.

[신재생 사업 : 태양광발전장치]

(1) 산업의 개요

태양광발전장치 산업은 환경문제를 해소하기 위한 주요한 신재생에너지원으로 고려되어 현재 세계적으로 널리 사용되며 연구되는 분야입니다.

● 태양광산업은 소재 → 전지 → 설치&서비스로 구성

(소재) 폴리실리콘 제조 및 잉곳,웨이퍼 가공.

(전지) 태양광전지의 제조, 모듈 조립부문으로 전지의 변환효율이 발전단가를 좌우.

(설치&서비스) 태양광발전 시스템을 유지,보수 등의 서비스를 제공.

태양광 발전의 경우 빛 에너지를 받으면 반도체가 갖는 광전효과에 의해 전기에너지가 발생되는 신재생에너지 기술로 여타 발전 방식에 비해 비교적 새로운 기술입니다.태양광 발전은 재생에너지인 태양광을 에너지원으로 사용하기 때문에 친환경적이고 탄소 배출 및 폐기물의 발생이 없다는 특징이 있습니다. 또한 타 시설에 비해 유지보수가 간편하며, 태양전지의 수명이 최소 20년 이상으로 장기간 운용이 가능하여 매우 경제적인 신재생에너지 입니다. 이러한 태양광에너지를 이용하기 위해서는 1. 태양에너지를 전기에너지로 변환시키는 태양전지셀로 구성된 태양전지모듈, 2. 태양전지모듈에서 발전된 직류에너지를 사용전력 교류로 변환하는 인버터, 3. 부대 전기기기로 구성되는 태양광발전장치를 시설하여야 수요자에게 안정된 전기를 공급할 수 있습니다.

태양광발전장치의 구성.jpg < 태양광발전장치의 구성 >

태양광발전시스템 요약도.jpg < 태양광발전시스템 요약도 >

(2) 국내외 시장동향

1) 세계 신재생에너지(태양광) 시장 전망

2016년 전세계 신규 발전설비는 165GW로 사상 최대의 수치를 기록하며, 총 신규 설비의 2/3를 차지하였고, 누적 설비 2,135GW로 최대 발전원으로 성장하였습니다. '15년 대비 50% 증가한 74GW가 신규 설치되어 재생에네지 보급 확대를 주도하였으며, 처음으로 단일 재생에너지원인 태양광이 모든 신규 설비중 석탄을 제치고 1위를 차지하였습니다.

'17~'22년 신규 재생에너지 설비는 920GW 이상 설치될 전망이며, 태양광과 풍력의 비중이 82%로 대부분을 차지하고 있습니다. 그 중 태양광은 가격하락, 각국의 정책적 지원에 힘입어 모든 에너지원 중 가장 많이 신규 설치될 것으로 전망합니다.(태양광 438GW, 풍력 321GW)

'22년에도 석탄이 가장 많은 발전량을 차지하지만 석탄-재생에너지 격차는 빠르게 감소하여 '16년 34%에서 '22년 17%로 낮아질 전망입니다.

재생에너지.jpg 재생에너지원별 신규 발전설비 등(출처: 한국에너지신문)

또한, 올해도 글로벌 재생에너지 시장 두 자릿수 성장을 지속할 것으로 보입니다. 2024년 중국을 제외한 풍력·태양광의 설치 수요는 각각 55GW, 171GW로 2023년 대비 12%, 13% 증가할 것으로 예상됩니다. 미국은 인플레이션 감축법(IRA)에 10년간의 풍력·태양광 설치에 대한 생산 세액공제, 투자 세액공제 지급 효과로 2023년부터 태양광 설치 수요가 증가했고, 풍력은 2024년부터 재성장을 시작할 것으로 예상됩니다.

유럽은 러·우 전쟁 여파로 심각한 에너지 부족 문제를 경험했기 때문에 이를 극복하기 위해 러시아에서 수입에 의존해온 석탄, 천연가스, 석유를 역내에서 자체 생산한 풍력·태양광·수소로 대체하기로 정책을 확정한 상태입니다. 리파워EU(REPowerEU)가 관련 정책인데, 2030년까지 EU 역내에 풍력·태양광을 약 1100GW 확보하고, 그린 수소를 연간 2000만 톤 확보하는 것이 중심입니다. 따라서 EU의 재생에너지 설치 수요는 2023년부터 큰 폭으로 증가했고, 2024년에도 성장세가 지속될 것으로 예상됩니다.

image01.jpg 글로벌 태양광 설치량 image02.jpg 글로벌 풍력 설치량

2) 국내 재생에너지(태양광) 시장 전망'재생에너지 3020 이행계획’ 이후 국내 태양광 시장은 해를 거듭할수록 그 규모를 키워왔습니다. 정부의 전폭적인 정책 지원과 기업의 적극적인 투자 아래 점차 몸집을 키워왔고, 뚜렷한 결과물을 통해 신재생에너지산업의 중심으로 부상했습니다.

2017년 1,362MW에 불과했던 태양광 신규 설치용량은 2018년 2,589MW, 2019년 3,917MW, 2020년에는 4,658MW를 기록할 정도로 가파른 성장세를 보였습니다. 4GW 시대의 개막은 2021년 국내 태양광 시장에 대한 기대감을 더욱 키웠습니다. 특히, 2020년 7월 14일 열린 '한국판 뉴딜' 보고대회에서 문재인 대통령이 포스트 코로나를 이끌 국가발전전략 중 하나로 '그린뉴딜'을 선택하면서 2021년 국내 태양광 시장은 탄탄대로가 펼쳐질 예정이었으나, 지난해 국내 태양광 시장을 돌아보면, 우리가 기대했던 모습은 아니었습니다. 신규설치용량 4GW를 넘겼던 2020년 이후 계속해서 하락세에 접어들어 2023년에는 2.5GW(한국에너지공단 2023년 12월 12일 기준)의 신규설치용량을 기록할 것으로 잠정 집계됐습니다. 앞으로도 정부의 신재생에너지 졍책 변경등으로 인해 우리나라의 태양광 설치량은 정체되어 2024년까지 매년 약 2.5~3.0GW의 태양광 발전 수요가 예상됩니다.

국내 태양광 시장이 지난해 3분기부터 급격한 하락세로 전환한 원인은 더 이상 설치할 부지가 없었다는데 있습니다. 우리 국토가 더 이상 태양광발전소를 수용할 수 없는 포화상태에 이르렀다는 의미는 아니나, 기준 없는 지자체별 이격거리 규제, 정부의 원칙 없는 주먹구구식 정책 시행으로 충분히 태양광발전소 설치가 가능함에도 인허가가 나지 않아 사업을 진행하지 못하고 있는 것입니다.

지난해 정부는 국내 태양광 시장의 성장을 저해하는 이격거리 규제와 계통연계 부족 문제 해결에 대한 의지를 드러냈습니다. 이격거리 규제의 경우, 천차만별인 지자체별 기준을 제한에 상한선을 두는 방안으로 법제화를 추진하고 있습니다. 이격거리 상한이 법으로 도입된다면, 향후 지자체의 태양광 이격거리 규제는 100m를 넘길 수 없게 됩니다. 또한, 부족한 계통연계를 해소하기 위한 노력도 올해 추진됩니다. 정부는 지난해 전력계통 현장 간담회를 갖고, 현재 접속대기 중인 재생에너지 설비 3.0GW 중 2.2GW 2022년까지 계통에 연계할 것이라고 밝힌 바 있습니다.

그리고, 소형태양광 우대제도를 폐지한 대신 제로에너지 건축물 의무화 제도가 2024년부터 민간으로 확대되는 것으로 예고되어 시장이 확대 분위기가 더욱 구체화되고 있습니다. 2023년 공공건물 500m2 이상 건축물과 공공 공동주택 30세대 이상의 건축물은 의무적으로 ZEB 5등급 인증을 받는 것으로 확대돼 시행됐으며, 2024년부터는 이러한 기준이 민간으로도 확대돼 민간공동주택 30세대 이상은 ZEB 5등급 수준으로 인증을 받아야 하고, 2025년에는 민간건축물 1,000m2 이상부터 ZEB 5등급 인증을 받아야 합니다. 그에 따라 친환경 전기 생산 및 온실가스 저감을 위한 건물태양광, 건물일체형태양광 산업이 활성화 될 것으로 예상됩니다.

2023년 RE100시장 활성화로 태양광 사업에 새로운 기회가 생겼지만 경기 침체, 높은 금리, 정부의 부정적 정책으로 시장이 크게 위축이 되었습니다. 하지만 2024년은 글로벌 기조, 이격거리 개선, RE100 시장 확대로 인한 기회, 건물일체형태양광 설치의무화(제로에너지건축물 의무화)제도 등의 확대로 전년도에 비해 조금 더 성장할 수 있을 것으로 전망됩니다.

(3) 경쟁력당사는 정부정책인 재생에너지 3020과 그린뉴딜, 탄소저감 정책 등의 정부 주요사업과 조달청 나라장터를 통한 지자체, 공공기관 등의 조달청 사업 중심으로 기술 개발 및 기술 인증 획득을 통한 제품 개발로 국내시장의 영업 점유율을 확대해 나가고 있습니다.1) 접속함 KS인증 의무화 - 08ch, 12ch, 16ch, 20ch에 대해 KS인증 완료

- 정부 신재생에너지설비 설치지원 및 의무화사업, 신재생에너지공급의무화제도(RPS)등에 최우선 적용

- 국가기관, 지방자치단cp 공공기관 및 공공단체 물품 구매 및 용역 조달에 대해서우선구매 혜택

- 국가를 당사자로 하는 계약에 대한 지명 및 지명 경쟁 입찰등 입찰 계약 특례가 적용

2) 특허 획득

특허.jpg 신재생에너지 분야 특허획득 현황

3) 우수조달물품등록특허를 적용한 지능형 태양광발전시스템을 60종 우수조달물품 등록했습니다.

① 기술적 효과

- AI인공지능 알고리즘을 이용한 예측발전량 산출

- 통계를 이용한 발전예측 구간 추정, 발전량이 발전 예측구간을 벗어날 경우 고장 진단

- 고장 진단 재현성 분석 후 고장 판단

- 원격제어 기능으로 유지보수 편의성 향상

- 이중판단 모듈 구조로 데이터 신뢰성 확보

- 이상 발생시 보조저장 기능으로 데이터 보존성 향상

- 실시간 화재발생 징후 감시 기능과 계통 원격차단기능을 적용하여 사고 예방과 확산 방지

② 경제적 효과

- 중소기업제품 구매촉진 및 판로지원에 관한 법률 제12조에 따라 우선구매대상 제품

- 국가계약법시행령 26조 제1항 제3호, 지방계약법시행령 제25조 제1항 제6호에 따른 수의계약가능

- 중소기업 구매촉진 및 판로지원에 관한 법률 제14조 제3항의 구매책임자의 면책 특권

- 중소기업 구매촉진 및 판로지원에 관한 법률 시행령 제12조의 즁소기업 기술개발제품 법정 의무구매비율 10% 이상

4) 태양광 통합 모니터링시스템(REMS)용 원격 제어 장치REMS는 한국에너지공단에서 보급하는 신재생에너지 설비의 운영현황을 실시간으로 체크해볼 수 있는 태양광모니터링시스템으로 설비의 운영현황, 발전량현황, 오류여부등을 간편하게 관리할 수 있는 원격제어장치(RTU)가 필수적으로 필요합니다.

어떤 설비와도 태양광 REMS시스템 연동이 가능하도록 표준화 설비 인증을 완료해야 되며, 정부지원사업, 신재생에너지보급사업등에 필수적으로 설치가 필요합니다.

통합모니터링.jpg 신재생에너지 통합모니터링시스템(REMS) 적용 정부보급사업

※ 기능 및 특징

- 3대의 인버터 동시 등록 가능

- 6개의 Local 시리얼 채널을 통시에 독립적으로 처리 가능

- 다양한 방법으로 Paraeter 설정 가능

- 커넥터를 이용하여 설비 연결에 용이

- 원격제어 기능 제공

- 10/100Mbps Ethernet 인터페이스 및 9600bps 시리얼 인터페이스 지원

원격.jpg 태양광 통합 모니터링시스템(REMS)용 원격 제어 장치

[신재생 사업 : IoT 기반 원격접속장치]기존 시장인 전기안전점검체계 구축을 위해 4차 산업 관련 신기술인 전기안전 IoT 기술을 융합한 네트워크 무선 통신망을 통해 누전, 과부하, 단락사고 등을 실시간 감시하는 시스템 등 미래 전략 사업인 IoT 사업 분야 제품 개발 중에 있습니다.

(1) 제품의 구성전기재해요인 센싱을 위한 IoT 기반 원격접속장치(통신포함)와 관제시스템인 전기안전 공공플랫폼으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iot 제품의 구성.jpg IoT 제품의 구성

(2) 안전점검 검침제도 사업 개요1) 현재 안전점검 검침제도의 현황 - 전기안전검침제도는 1974년부터 50년간 전기안전공사의 직원이 1~3년에 한 번씩 인력 중심의 노동집약적 대면점검을 실시하고 있습니다.

- 생활방식 변화(1인 가구 증가 등)와 COVID-19 확산 등으로 전기 안전관리 실효성, 효율성이 떨어지고 있습니다.

2) 기존 안전검침제도의 문제점 - 현행 방문 및 대면 점검방식은 효과성이 떨어지고 안전성 확보에 한계가 있어 전기설비 안전 점검 체계의 개선이 필요 합니다.

- 지속적인 전기안전관리 및 상태 점검이 정기대면점검에 의존하고 있어 실시간 감시에 한계가 있습니다.

따라서 (국민의 안전 확보) 비대면 상시 점검 기능을 갖는 원격점검 장치를 통해 실시간 누전 및 단락 사고를 감시하고 대응하는 장치 및 플랫폼이 필요합니다.

(3) 전국 일반전기설비 점검 운영 동향

산자부.jpg 산업통상자원부 보도자료(2022.02.17.) 발췌

- 정부는 `73년부터 주택·가로등 등에 설치된 전기설비에 대해 점검 및 검침을 1~3년 주기로 1회 현장 방문 후 대면으로 전기 안전점검 실시

- 코로나19 확산, 생활방식 변화(1인가구 증가, 사생활보호) 등으로 인해, 옥외 비대면* 점검에 그치는 사례의 증가로 점검 품질 저하 발생

*방문, 비대면 점검 비중(%)

(`10) 10.0% → (`15) 25.8% → (`19) 43.1% → (`20) 64.2%

- 전기설비 노후화*로 사고 위험성은 증가 우려되지만, 1~3년에 1회 점검하는 간헐적 점검으로는 안전성 확보가 어려움

*10년 이상 전기설비 비중(%)

(`15) 63.4% → (`18) 68.4% → (`21) 72.1%

- 지속적인 전기안전관리 노력에도 불구 전체 화재 중 전기화재 비중*은 20% 수준 유지 중

*전기화재 점유율 추이(%)

(`17) 18.1%→(`18) 21.8% →(`19) 20.3% → (`20) 21.1%

※ 정부 및 시장에서는 혁신적 상시 원격점검 시스템 도입을 통한 점검 품질 향상을 통한 안전성 및 실시간 점검할 수 있는 장치를 요구하고 있습니다.

(4) 경쟁력당사는 전기안전관리 체계 조기 정착을 위해 정부주도형 안전관리체계에서 민간 국민 참여형 전기안전플랫폼 체계로 전환됨에 따라 IoT 기반 원격접속장치에 대한 기술 개발 및 국가 의무 인증 등을 획득하여 국내 신사업 시장의 점유을 확대해 나가고 있습니다.

1) 특허 획득한국전기안전공사와의 기술이전 계약을 통한 해당 지식재산권 통상실시권 계약을 완료하였습니다.

※ [특허 10-2124554]: 실시간 원격 3상 전기설비의 활선상태 누전감시 장치 및 방법

2) 혁신시제품 등록

특허를 기술을 적용한 실시간 전기 설비의 활선상태 누전감지 기술을 적용한 IOT 기반 원격접속장치 개발로 조달 혁신장터의 혁신시제품을 등록하였습니다.

① 기술적 효과

- 전압, 전류, 누설 전류 등 전기 감전(화재) 요소를 실시간 원격 감시

- 감시한 신호를 무선 통신모듈을 통해 전기안전공사로 데이터 전송

- 전기안전공사 전기안전플랫폼을 통해 전기사고 사전 예방

- 원격제어 기능으로 유지보수 편의성 향상

- 전기안전공사의 전기안전 대면(방문) 점검을 방식을 상시 비대면 원격점검을 통해 전기안전관리의 효율성 향상

② 경제적 효과(구매 효과)

국가 또는 지방자치단체와의 구매 계약방법의 이점이 있습니다.

계약이점.jpg 경제적 효과(구매 효과)

나. 회사의 현황

(1) 영업개황 및 사업부문의 구분

(가) 영업개황 당사는 1997년 11월 3일에 설립된 주요 생산 품목인 LED조명장치 및 태양광발전장치, IoT기반 원격접속장치 등을 개발, 제조 및 판매를 주요 사업으로 영위하고 있으며, 당사의 주요 목표시장은 발주처에 따라 크게 공공부문과 민간부문으로 분하여 사업을 영위하고 있습니다.

(나) 공시대상 사업부문의 구분

해당사항 없습니다.

(2) 시장점유율

2024년 LED조명 조달금액 상위 10위 기업
순위 업체명 조달금액 (백만원) 점유율(%)
1 주식회사 파인테크닉스 16,233 2.8%
2 주식회사 나로텍 10,623 1.8%
3 에이펙스인텍(주) 10,089 1.7%
4 주식회사 엘파워 9,889 1.7%
5 (주)충무용사촌 8,157 1.4%
6 주식회사 선일일렉콤 7,873 1.3%
7 (주)금경라이팅 7,068 1.2%
8 (주)코리아반도체조명 6,486 1.1%
9 주식회사 솔라루체 5,948 1.0%
10 (주)썬래이 5,294 0.9%
<출처 : 전기신문 (https://www.electimes.com) >

(3) 시장의 특성

LED 조명 관련 산업은 세계 각국 정부의 기존 조명 대체에 따른 LED 조명 활성화 시책에 따라 기술적 성숙도에 비해 시장이 빠르게 변화하며 국가 간, 기업 간 경쟁이 치열한 분야로 아직까지 정부 정책의 의존성이 높은 산업입니다.아울러 조명산업은 실내외 일반 및 산업용 조명 대체 뿐 만 아니라, 미래 감성/테라피/가시광 통신 등의 기능과 자연광 환경 실현 디스플레이+조명+디자인을 추구하는 미래 조명 조건을 만족하는 매우 중요한 산업으로 다양한 산업과의 연관성이 높습니다.

(4) 신규사업 등의 내용 및 전망

① 태양광 에너지 사업 분야

동사는 신재생 에너지 전문기업으로 2016년에 신재생 사업부를 신설하여 태양광 발전장치 및 건물일체형태양광시스템, 미디어PV영상표출장치, 에너지저장장치(ESS), 정부에너지 보급사업 등 주요 사업 다각화하여 영위하고 있습니다.

② SI (정보시스템 통합구축 서비스) 사업 분야 : 실시간전기원격점검장치

기존 시장인 전기안전점검체계 구축을 위해 4차 산업 관련 신기술인 전기안전 IoT 기술을 융합한 네트워크 무선 통신망을 통해 누전, 과부하, 단락사고 등을 실시간 감시하는 시스템 등 미래 전략 사업인 IoT 사업 분야 제품 개발 준비 중에 있습니다.

(5) 조직도

조직도.jpg 조직도

2. 주주총회 목적사항별 기재사항 □ 재무제표의 승인

가. 해당 사업연도의 영업상황의 개요

2024년 제28기 당사의 실적은 한국채택국제회계기준(K-IFRS) 개별재무제표 기준으로 매출액은 전기대비 1.8% 감소한 24,977백만원을 시현하였습니다.또한, 2025년 지정감사 관계로 보수적 관점으로 회계처리기준을 반영하여영업이익은 전기대비 적자전환한 546백만원을 시현하였고, 순이익도 적자전환하여 591백만원을 시현하였습니다.세부 현황은 상기 'Ⅲ. 경영참고사항'의 '1. 사업의 개요'를 참조하시기 바랍니다.

나. 해당 사업연도의 대차대조표(재무상태표)ㆍ손익계산서(포괄손익계산서)ㆍ이익잉여금처분계산서(안) 또는 결손금처리계산서(안)

※ 아래의 재무제표는 외부감사인의 감사 결과 및 주주총회 승인과정에서 변경될 수 있습니다.외부감사인의 감사의견을 포함한 재무제표 및 주석사항은 주주총회일 1주 전까지 금융감독원 전자공시시스템(http://dart.fss.or.kr) 및 회사 홈페이지(www. apexint.co.kr)에 게재할 예정이오니 참고하시기 바랍니다.

- 대차대조표(재무상태표)

<대 차 대 조 표(재 무 상 태 표)>

제 28(당) 기 2024. 12. 31 현재
제 27(전) 기 2023. 12. 31 현재
(단위 : 원)
과 목 제 28(당) 기 제 27(전) 기
자 산
I. 유동자산 8,638,897,820 12,801,235,755
현금및현금성자산 1,627,331,809 3,495,485,559
단기금융자산 3,307,000,000 3,300,000,000
유동당기손익-공정가치측정금융자산 15,840,672 26,029,360
매출채권 1,162,648,685 2,029,683,722
기타유동금융자산 37,597,470 33,431,664
기타유동자산 119,034,744 151,589,424
당기법인세자산 18,666,000 17,269,760
재고자산 2,350,778,440 3,747,746,266
II. 비유동자산 14,464,754,819 9,526,898,456
장기금융자산 19,429,837 17,233,998
당기손익-공정가치측정금융자산 333,814,348 330,497,609
장기매출채권 953,506,434 -
유형자산 11,466,496,569 7,849,743,506
무형자산 284,712,168 286,074,168
기타비유동금융자산 207,259,456 158,259,456
이연법인세자산 1,199,536,007 885,089,719
자산총계 23,103,652,639 22,328,134,211
부 채
I. 유동부채 11,826,813,741 14,245,540,626
매입채무 2,223,490,636 3,673,355,096
단기차입금 6,025,260,000 8,690,554,524
유동리스부채 52,847,646 51,892,003
기타유동금융부채 1,278,397,985 1,200,349,546
기타유동부채 2,246,817,474 629,389,457
II. 비유동부채 5,086,918,122 1,192,811,718
장기차입금 4,972,560,000 1,034,320,000
리스부채 73,444,538 126,292,184
하자보수충당부채 40,913,584 32,199,534
부채총계 16,913,731,863 15,438,352,344
자 본
I. 자본금 1,800,000,000 1,800,000,000
II. 이익잉여금 4,389,920,776 5,089,781,867
자본총계 6,189,920,776 6,889,781,867
부채및자본총계 23,103,652,639 22,328,134,211

※ 주석사항은 추후 전자공시시스템(http://dart.fss.or.kr/)에 공시 예정인 당사의감사보고서를 참조하시기 바랍니다.

- 손익계산서(포괄손익계산서)

<손 익 계 산 서(포 괄 손 익 계 산 서)>

제 28(당) 기 (2024. 01. 01 부터 2024. 12. 31 까지)
제 27(전) 기 (2023. 01. 01 부터 2023. 12. 31 까지)
(단위 : 원)
과 목 제 28(당) 기 제 27(전) 기
I. 매출액 24,976,618,436 25,452,719,817
II. 매출원가 19,045,600,851 19,080,100,703
III. 매출총이익 5,931,017,585 6,372,619,114
IV. 판매비와관리비 6,477,197,311 6,228,738,657
V. 영업이익 (546,179,726) 143,880,457
VI. 기타수익 1,836,602 1,040,441
VII. 기타비용 251,901,595 15,259,159
VIII. 금융수익 137,669,930 153,793,229
IX. 금융비용 247,732,590 391,937,126
X. 법인세비용차감전계속사업이익(손실) (906,307,379) (108,482,158)
XI. 법인세비용(수익) (314,446,288) (209,200,727)
XII. 당기순이익 (591,861,091) 100,718,569
XIII. 기타포괄손익 - -
XIV. 총포괄이익 (591,861,091) 100,718,569
XV. 주당이익
기본주당이익 (164) 28

- 자본변동표

<자 본 변 동 표>

제 28(당) 기 (2024. 01. 01 부터 2024. 12. 31 까지)
제 27(전) 기 (2023. 01. 01 부터 2023. 12. 31 까지)
(단위 : 원)
과 목 자본금 이익잉여금 총계
2023.01.01 (전기초) 1,800,000,000 5,097,063,298 6,897,063,298
현금배당 - (108,000,000) (108,000,000)
당기순이익 - 100,718,569 100,718,569
2023.12.31 (전기말) 1,800,000,000 5,089,781,867 6,889,781,867
2024.01.01 (당기초) 1,800,000,000 5,089,781,867 6,889,781,867
현금배당 - (108,000,000) (108,000,000)
당기순이익 - (591,861,091) (591,861,091)
2024.12.31 (당기말) 1,800,000,000 4,389,920,776 6,189,920,776

- 현금흐름표

<현 금 흐 름 표>

제 28(당) 기 (2024. 01. 01 부터 2024. 12. 31 까지)
제 27(전) 기 (2023. 01. 01 부터 2023. 12. 31 까지)
(단위 : 원)
과 목 제 28(당) 기 제 27(전) 기
Ⅰ.영업활동으로인한현금흐름 996,616,355 2,943,373,799
1. 영업에서 창출된 현금흐름 1,359,526,716 3,310,329,392
2. 이자수취 121,097,858 112,430,876
3. 이자지급 (482,611,979) (465,694,339)
4. 법인세납부 (1,396,240) (13,692,130)
Ⅱ.투자활동으로인한현금흐름 (3,977,823,578) (2,727,620,459)
단기금융상품의 감소 12,800,000,000 9,600,000,000
장기금융상품의 감소 - 3,684,288
단기대여금의 회수 6,000,000 -
장기대여금의 회수 - 3,000,000
유형자산의 처분 1,818,182 1,000,000
기타보증금의 감소 15,000,000 600,000
단기금융상품의 증가 (12,807,000,000) (10,800,000,000)
단기매매증권의 취득 - (99,814,166)
장기금융상품의 증가 (2,195,839) (2,502,583)
장기대여금의 증가 (70,000,000) (30,000,000)
매도가능증권의 취득 (1,000,000) -
유형자산의 취득 (3,915,445,921) (1,403,587,998)
무형자산의 취득 (5,000,000) -
Ⅲ.재무활동으로인한현금흐름 1,113,053,473 (1,270,113,105)
단기차입금의 증가 3,191,711,003 5,335,472,865
장기차입금의 증가 4,363,500,000 -
단기차입금의 상환 (2,895,465,527) (3,560,113,182)
유동성장기부채의 상환 (3,386,800,000) (2,886,840,000)
배당금의 지급 (108,000,000) (108,000,000)
리스부채의 상환 (51,892,003) (50,632,788)
Ⅳ.현금의증가 (Ⅰ+Ⅱ+Ⅲ) (1,868,153,750) (1,054,359,765)
Ⅴ.기초의현금 3,495,485,559 4,549,845,324
ⅤI.기말의현금 1,627,331,809 3,495,485,559

- 이익잉여금처분계산서(안) 또는 결손금처리계산서(안)

<이익잉여금처분계산서 / 결손금처리계산서>

제 28(당) 기 (2024. 01. 01 부터 2024. 12. 31 까지)
제 27(전) 기 (2023. 01. 01 부터 2023. 12. 31 까지)
(단위 : 원)
과 목 제 28(당) 기 제 27(전) 기
Ⅰ.미처분이익잉여금 2,857,060,981 3,567,722,072
1.전기이월미처분이익잉여금 3,448,922,072 3,467,003,503
2.당기순이익 (591,861,091) 100,718,569
Ⅱ.이익잉여금처분액 118,800,000 118,800,000
1.이익준비금 10,800,000 10,800,000
2.현금배당 108,000,000 108,000,000
Ⅲ.차기이월미처분이익잉여금 2,738,260,981 3,448,922,072

- 최근 2사업연도의 배당에 관한 사항

과 목 제 28(당) 기 제 27(전) 기
1주당 배당금(A) 30원 30원
발행주식수 3,600,000주 3,600,000주
배당제외 주식수 - -
배당가능 주식수(B) 3,600,000주 3,600,000주
배당금 총액(A×B) 108,000,000원 108,000,000원

□ 정관의 변경

가. 집중투표 배제를 위한 정관의 변경 또는 그 배제된 정관의 변경

변경전 내용 변경후 내용 변경의 목적
- - -

나. 그 외의 정관변경에 관한 건

변경전 내용 변경후 내용 변경의 목적
제2조(목적) 본 회사는 다음의 사업을 경영함을 목적으로 한다. 1. ~ 31. (현행과 동일) 32. 배전반 및 전기 자동제어반 제조업 제2조(목적) 본 회사는 다음의 사업을 경영함을 목적으로 한다. 1. ~ 32. (현행과 동일) 33. 교통신호장치 제조업 사업영역확대
부 칙(2024. 03. 28) 부 칙(2025. 03. 26)
1. ~ 3. (현행과 동일) 4. 이 정관은 2024년 3월 28일부터 시행한다. 1. ~ 3. (현행과 동일) 4. 이 정관은 2025년 3월 26일부터 시행한다. 부칙 수정

※ 기타 참고사항

-해당사항 없습니다.

□ 이사의 선임

가. 후보자의 성명ㆍ생년월일ㆍ추천인ㆍ최대주주와의 관계ㆍ사외이사후보자 등 여부

후보자성명 생년월일 사외이사후보자여부

감사위원회 위원인

이사 분리선출 여부

최대주주와의 관계 추천인
김권진 1967.02.03 사내이사 해당사항없음 본인 이사회
김권철 1968.07.26 사내이사 해당사항없음 최대주주의 弟 이사회
신창호 1973.12.17 사내이사 해당사항없음 해당사항없음 이사회
이우덕 1972.09.19 사외이사 해당사항없음 해당사항없음 이사회
총 ( 4 ) 명

나. 후보자의 주된직업ㆍ세부경력ㆍ해당법인과의 최근3년간 거래내역

후보자성명 주된직업 세부경력 해당법인과의최근3년간 거래내역
기간 내용
김권진 에이펙스인텍(주) 대표이사 2022.01~2024.121997.11~현재 (前)에이펙스인텍(주) 사내이사(現)에이펙스인텍(주) 대표이사 해당사항없음
김권철 에이펙스인텍(주) 부사장 2022.01~2024.122009.06~현재 (前)에이펙스인텍(주) 사내이사(現)에이펙스인텍(주) 부사장 해당사항없음
신창호 에이펙스인텍(주) 상무이사 2022.01~2024.122013.10~현재 (前)에이펙스인텍(주) 미등기임원(現)에이펙스인텍(주) 상무이사 해당사항없음
이우덕 법무법인(유한)바를정 변호사 2015.01~2024.122024.01~현재 (前) 대한변호사협회 대의원(現) 법무법인(유한)바를정 해당사항없음

다. 후보자의 체납사실 여부ㆍ부실기업 경영진 여부ㆍ법령상 결격 사유 유무

후보자성명 체납사실 여부 부실기업 경영진 여부 법령상 결격 사유 유무
김권진 해당사항 없음 해당사항 없음 해당사항 없음
김권철 해당사항 없음 해당사항 없음 해당사항 없음
신창호 해당사항 없음 해당사항 없음 해당사항 없음
이우덕 해당사항 없음 해당사항 없음 해당사항 없음

라. 후보자의 직무수행계획(사외이사 선임의 경우에 한함)

[ 사외이사 후보자 : 이우덕 ]1. 전문성 본 후보자는 법률 전문가로서의 지식과 다양한 경험을 바탕으로 사외이사직을 수행할 예정으로, 해당 회사가 합리적인 의사결정을 하도록 적극적으로 조언과 자문을 할 예정입니다. 2. 독립성 본 후보자는 법률 전문가로서의 전문성을 바탕으로 회사의 사외이사로서 독립적인 권한과 책임을 이해하고 있으며, 투명하고 독립적인 의사결정 및 업무 수행이 가능합니다. 이러한 사외이사의 독립성을 바탕으로 회사의 공정하고 투명한 의사결정과 책임경영 실천에 기여할 것입니다. 3. 책임과 의무에 대한 인식 및 준수 본 후보자는 선관주의의무와 충실 의무, 보고 의무, 감시 의무, 상호 업무집행 감시 의무,경업금지 의무, 자기거래 금지 의무, 기업비밀 준수의무 등 상법상 사외이사의 의무를 명확히 인지하고 있으며 이를 엄수할 것입니다.

마. 후보자에 대한 이사회의 추천 사유

[ 사내이사 : 김권진 ]후보자는 당사 설립자로서 전문지식과 경험을 바탕으로 28년간 회사를 꾸준히 성장시켜 왔습니다. 후보자의 다년간의 회사 경험과 전문성은 앞으로도 당사 발전에 기여할 것으로 판단하여 사내이사로 추천하였습니다.[ 사내이사 : 김권철 ]후보자는 당사의 영업 총괄 및 대외업무를 안정적으로 수행하고 기업문화 안정화 및 성장기반 마련에 큰 기여를 하였습니다. 후보자의 다년간의 회사 경험과 전문성은 앞으로도 당사 발전에 기여할 것으로 판단하여 사내이사로 추천하였습니다.[ 사내이사 : 신창호 ]후보자는 당사의 재무 총괄 및 대외업무를 안정적으로 수행하고 있습니다. 회계 전문가로서 당사의 주요 재무제표와 비용지출 등에 대한 경영감시를 위해 필요한 최적의 경험과 전문성을 바탕으로 회사의 지속적인 성장을 달성하는데 기여할 것으로 판단하여 사내이사로 추천하였습니다.[ 사외이사 : 이우덕 ]후보자는 법률 전문가로서 충분한 지식과 경험을 갖추고 있어 당사의 주요 의사결정에 참여함으로써 회사의 경쟁력 제고에 기여할 수 있고 회사의 경영에 대한 감독을 충실히 수행할 수 있다고 판단하여 사외이사로 추천하였습니다.

확인서 20250305 사내이사 김권진 확인서.jpg 사내이사 김권진 확인서

20250305 사내이사 김권철 확인서.jpg 사내이사 김권철 확인서

20250305 사내이사 신창호 확인서.jpg 사내이사 신창호 확인서

20250305 사외이사 이우덕 확인서.jpg 사외이사 이우덕 확인서

※ 기타 참고사항

- 해당사항 없습니다.

□ 이사의 보수한도 승인

가. 이사의 수ㆍ보수총액 내지 최고 한도액

(당 기)

이사의 수 (사외이사수) 4명( 1명 )
보수총액 또는 최고한도액 960 백만원

(전 기)

이사의 수 (사외이사수) 4명 ( 1명 )
실제 지급된 보수총액 554 백만원
최고한도액 960 백만원

※ 기타 참고사항

- 해당사항 없습니다.

□ 감사의 보수한도 승인

가. 감사의 수ㆍ보수총액 내지 최고 한도액

(당 기)

감사의 수 1명
보수총액 또는 최고한도액 20 백만원

(전 기)

감사의 수 1명
실제 지급된 보수총액 4 백만원
최고한도액 20 백만원

※ 기타 참고사항

- 해당사항 없습니다.

IV. 사업보고서 및 감사보고서 첨부

가. 제출 개요 2025년 03월 18일1주전 회사 홈페이지 게재
제출(예정)일 사업보고서 등 통지 등 방식

나. 사업보고서 및 감사보고서 첨부

1) 상법시행령 제31조(주주총회의 소집공고) 제4항 제4호에 의거하여 사업보고서 및 감사보고서는 주주총회 개최 1주 전까지 전자공시스템(http://dart.fss.or.kr) 및회사 홈페이지(www. apexint.co.kr)에 게재할 예정이오니 참고하시기 바랍니다.2) 향후 사업보고서 및 감사보고서는 주주총회 결과에 따라 변경된 사항 등을 반영하여 수정될 수 있으며, 수정된 사업보고서 및 감사보고서는 금융감독원 전자공시시스템(http://dart.fss.or.kr)에 공시될 예정이오니 이를 참조하시기 바랍니다.3) 주주총회 이후 변경된 사항에 관하여는 「DART-정기공시」에 제출된 (http://dart.fss.or.kr) 사업보고서를 활용하여야 합니다.

※ 참고사항

▶ 주주총회 집중일 개최 사유- 해당사항 없습니다.

▶ 비상사태시 총회장 변경에 관한 안내

총회장 폐쇄 등의 비상사태 발생에 따른 장소변경 등에 따른 기타 세부사항은 대표이사에게 위임되었으며, 해당사유 발생 시 지체 없이 재공시를 통해 안내할 예정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