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 년 3 월 11 일 | ||
회 사 명 : | 주식회사 브리지텍 | |
대 표 이 사 : | 신 경 식 | |
본 점 소 재 지 : | 서울시 영등포구 국제금융로2길32여의도파이낸스타워 17,18층 | |
(전 화) 02-3430-4114 | ||
(홈페이지)http://www.bridgetec.co.kr | ||
작 성 책 임 자 : | (직 책) 이사 | (성 명) 최 화 경 |
(전 화) 02-3430-4038 | ||
(제30기 정기주주총회) |
주주님의 건승과 댁내의 평안을 기원합니다. 우리회사의 정관 제22조에 의거하여 제30기 정기주주총회를 아래와 같이 소집하오니 참석하여 주시기 바랍니다. (상법 제542조의 4 및 정관 24조에 의거하여 발행주식총수의 1% 이하 소유주주에 대하여는 이 공고로 소집통지에 갈음하오니 양지하여 주시기 바랍니다)
- 아 래 -
1. 일시 : 2025년 3월 26일(수) 오전9시
2. 장소 : 서울시 영등포구 은행로 30 (여의도동) 중소기업중앙회 2층 희망룸 회의실
3. 회의목적사항
가. 보고사항
1) 감사보고 2) 영업보고 3) 내부회계관리제도 운영실태 보고 나. 의결사항 1) 제1호 의안 : 제30기(2024.1.1~2024.12.31) 재무제표 승인의 건 (이익잉여금처분계산서 포함 : 현금배당 보통주 1주당 100원) 2) 제2호 의안 : 정관일부 변경의 건 3) 제3호 의안 : 이사 선임의 건 제3-1호 의안 : 비상근 사외이사 강원철 선임의 건 제3-2호 의안 : 상근 사내이사 최화경 선임의 건 4) 임원보수 한도 승인의 건
4. 경영참고사항 비치
상법 제542조의4 제3항에 의거 경영참고사항을 당사와 당사의 명의개서 대행기관인 ㈜국민은행 증권대행사업부, 금융위원회 및 한국거래소에 비치하고 있으니 참고하시기 바랍니다.
5. 실질주주의 의결권 행사에 관한 사항
관련 법규에 의거하여 한국예탁결제원은 주주의 의결권을 행사할 수 없으므로, 주주님께서는 주주총회에 직접 참석하여 의결권을 행사하기거나, 위임장을 통해 의결권을 대리 행사하실 수 있습니다.
6. 주주총회 참석시 준비물
직접행사 : 신분증(주민등록증 또는 운전면허증 또는 여권)
대리행사 : 위임장(주주와 대리인의 인적사항 기재, 인감날인), 인감증명서, 대리인신분증
2025년 3월 11 일
주식회사 브리지텍
대표이사 신 경 식
회차 | 개최일자 | 의안내용 | 사외이사 등의 성명 | ||
---|---|---|---|---|---|
이임훈(출석률:100%) | 강성배(출석률:100%) | 최준환(출석률:100%) | |||
찬 반 여 부 | |||||
1차 | 2024-01-26 | 제29기(2023년)재무제표 승인의 건 | 찬성 | 찬성 | 찬성 |
2차 | 2024-02-16 | 현금배당에 관한 건 | 찬성 | 찬성 | 찬성 |
3차 | 2024-02-16 | 제29기 정기주주총회 소집의 건 | 찬성 | 찬성 | 찬성 |
4차 | 2024-03-26 | 이사회의장 선임의 건 (이사회의장 : 이상호) | 찬성 | 찬성 | 찬성 |
5차 | 2024-08-05 | 제30기 반기재무제표, 반기검토보고서, 반기보고서 보고의 건 | 찬성 | 찬성 | 찬성 |
6차 | 2024-12-11 | 제30기 1차 임시주주총회 개최의 건 | 찬성 | 찬성 | 찬성 |
7차 | 2024-12-16 | 배당금지급 기준일 지정 | 찬성 | 찬성 | 찬성 |
위원회명 | 구성원 | 활 동 내 역 | ||
---|---|---|---|---|
개최일자 | 의안내용 | 가결여부 | ||
감사위원회 | 최화경이임훈강성배 | 2024-01-22 | 1. 제29기(2023년) 재무제표 승인의 건 - 재무상태표, 포괄손익계산서, 자본동표, 현금흐름표, 주석2. 제29기(2023년) 재무제표 부속명세서 승인의 건 - 각 계정에 대한 잔액명세서 등 | 원안승인원안승인 |
2024-02-05 | 1. 2023년 내부감시장치에 대한 감사의 의견서2. 2023년 내부회계관리제도 운영실태 보고 | 원안승인원안승인 | ||
2024-03-11 | 1. 2023년 감사의 감사보고 이사회 제출의 건2. 2023년 외부감사인의 감사보고서 수령에 따른 의결3. 외부감사인 커뮤니케이션 시행 건 보고4. 제29기(2023년) 사업보고서 승인의 건 | 원안승인원안승인원안승인원안승인 | ||
2024-05-13 | 1. 제30기(2024년)1분기 재무제표 및 분기보고서 승인의 건 | 원안승인 | ||
2024-07-22 | 1. 제30기(2024년)반기 재무제표 승인의 건 | 원안승인 | ||
2024-08-05 | 1. 제30기(2024년) 반기보고서 승인의 건2. 외부감사인 커뮤니케이션 시행 건 보고(반기) | 원안승인원안승인 | ||
2024-10-28 | 1. 제30기(2024년)3분기 재무제표 승인의 건 | 원안승인 | ||
2024-11-11 | 1. 제30기(2024년) 분기보고서 승인의 건 2. 내부회계관리제도 검토 결과 보고3. 외부감사인 커뮤니케이션 시행 건 보고(3분기) | 원안승인원안승인원안승인 |
(단위 : 원) |
구 분 | 인원수 | 주총승인금액 | 지급총액 | 1인당 평균 지급액 | 비 고 |
---|---|---|---|---|---|
사외이사 | 3 | 1,200,000,000 | 54,000,000 | 18,000,000 | - |
(단위 : 억원) |
거래종류 | 거래상대방(회사와의 관계) | 거래기간 | 거래금액 | 비율(%) |
---|---|---|---|---|
- | - | - | - | - |
(단위 : 억원) |
거래상대방(회사와의 관계) | 거래종류 | 거래기간 | 거래금액 | 비율(%) |
---|---|---|---|---|
- | - | - | - | - |
당사는 소프트웨어 개발 전문회사로 AICC(인공지능컨택센터)와 음성봇, 화자인식, IPCC, 클라우드컨택센터(CSAP보안인증),보이는ARS, IP기반의 유무선(지능망서비스, 무선이동통신) 멀티미디어 서비스 관련 소프트웨어를 개발·공급하고, 당사가 보유한 제품을 활용하여 인프라를 구축한 후 기업고객에게 임대하고 사용하는 기간동안 비용을 지급받는 클라우드 환경의 소프트웨어 임대서비스 사업을 영위하고 있는 소프트웨어 전문업체로서 금융권, 통신사, 공공기관, 지방자치단체, 기업체 등을 대상으로 자체개발한 콜센터 솔루션을 공급하고 있습니다. 당사의 사업영역은 콜센터, 음성인식, 통신사업, 서비스사업으로 구분합니다. 콜센터 사업의 AICC (인공지능 컨택센터)는 음성을 글자로 바꾸는 음성인식 (STT), 반대로 글자를 소리로 합성하는 음성합성 (TTS), 글자 인식을 넘어 사람의 말을 이해하는 자연어 이해 (NLU) 등 AI 언어 처리 기술을 종합해 고객 응대 업무에 적용한 서비스입니다. 이러한 콜센터는 일반적으로 음성, 이메일, 채팅 및 소셜 미디어를 비롯한 다양한 채널에서 대량의 고객 문의 및 지원 요청을 처리합니다. AI콜센터는 챗봇과 가상 상담사를 활용해 계좌 잔고 조회나 약속 일정 잡기 등 간단한 고객 문의에 빠르고 효율적으로 대응합니다. 이러한 일상적인 작업을 자동화함으로써 콜센터 상담원은 고객과의 보다 복잡하고 가치 있는 상호 작용에 집중할 수 있으므로 만족도가 높아지고 판매가 증가할 수 있습니다 AICC는 기업이 고객과 상호작용하는 고객경험(CX)을 개선할 수 있습니다. 이는 인공지능의 발전으로 디지털 전환이 큰 트렌드로 자리 잡으며 고객 경험의 중요성은 더욱 커지고 있습니다. 상담원들의 업무 환경 개선과 효율성 증대에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반복적이거나 간단한 문의 처리에 큰 도움을 주며, 상담원의 시간을 절약하고 복잡한 고객 문의에 집중할 수 있게 해줍니다. 또한 상담센터의 운영 비용을 효과적으로 감소시키며, 동시에 기업 브랜딩에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이를 바탕으로 기업이 빠르게 변화하는 시장 요구와 고객의 다양한 요구에 효과적으로 대응할 수 있도록 해줍니다. 통신사업의 유무선통신 부가서비스, 지능망서비스, VoLTE 멀티미디어서비스 시스템 공급사업은 국내 기간통신사업자를 대상으로 인터넷프로토콜(IP) 네트워크 기반의 광대역통합망에서의 유무선이동통신(음성/영상통화), VoLTE 가입자들을 위한 통화연결음 서비스를 비롯한 다양한 멀티미디어 부가솔루션 제공에 필요한 미디어서버, 어플리케이션서버 플랫폼과 그 곳에 탑재되는 응용프로그램을 공급합니다.
서비스사업은 대용량 클라우드 콜센터 시스템을 구축하여 콜센터가 필요한 기업들을 대상으로 임대해주는 사업으로 사용하는 회선에 따라 금액을 부담하기 때문에 사용하는 기업에서는 초기 구축 부담이 없고 사용 규모에 따라 비용을 부담하는 합리적인 서비스입니다. 그리고 구축형으로 솔루션을 공급한 후 시스템의 정상 동작상태를 유지시켜주는 유상 서비스 매출도 포함하고 있습니다.
(1) 영업개황 및 사업부문의 구분
(가) 영업개황
콜센터 제품개발, 판매, 서비스사업은 당사의 자체 기술로 개발한 콜센터 제반 솔루션으로 금융권, 통신,공공기관, 기업고객들을 대상으로 콜센터를 구축하고 있습니다. 콜센터 구축관련 사업은 은행권의 경우 독보적인 시장 점유을 차지하고 있으며 제2금융권(카드, 보험, 증권 등)과 공공기관 진입이 활발히 이루어지고 있습니다. 최근 기업의 콜센터는 AICC로 빠르게 전환하고 있습니다. 음성인식 사업은 시장에서 음성인식 솔루션 전문업체로써 시장 주도권을 확보하기 위해 노력하고 있습니다. 인터넷 전문은행 출범과 더불어 금융기관들의 온라인 본인인증 서비스가 새로운 요구로 부각되면서 회사가 보유한 화자인증 기술을 활용하여 핀테크 비즈니스에 큰 기여를 할것으로 예상하며 나아가 사용자 서비스 이용 및 상담내역을 학습시켜 상담원 코칭, 인공지능 무인 상담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는 솔루션 공급을 준비하였습니다. 통신사를 대상으로 공급하는 유무선 멀티미디어 서비스 플랫폼은 사용자의 요구에 따라 고화질의 멀티미디어 서비스를 제공하고 서로 다른 통신망간의 호환성을 필요로 하는데 그에 부합한 제품들을 개발, 공급하고 있습니다. 클라우드 기반의 소프트웨어 임대사업의 종류로는 기업용 클라우드 콜센터 서비스, 개인사업자용 콜센터 등을 영위하고 있습니다.
(나) 공시대상 사업부문의 구분
당사의 사업부문은 콜센터 솔루션 및 통신관련 솔루션부문으로 한국산업표준산업분류표의 소분류에 의하여 응용소프트웨어 개발 및 공급업(업종코드:J58222)으로 구분됩니다.
(2) 시장점유율
콜센터는 여러 기능의 각기 시스템들의 연동, 개발업무 등이 투입되는 복합적인 프로젝트이기 때문에 제품별로 전체시장 점유율 산정은 어렵습니다.
(3) 시장의 특성
1) 콜센터 사업 콜센터 관련 업계는 크게 두 가지 유형 즉, 자체 솔루션을 가지고 있는 기업과 외산 솔루션을 취급하는 기업으로 나눌 수 있습니다. 당사는 콜센터 관련 모든 제품을 자체기술에 의해 연구개발하여 확보하였습니다. 동사가 경쟁사와 비교하였을때 가지는 차별화는 다음과 같습니다. 첫번째, 콜센터 구축 시 하드웨어 플랫폼(서버, 네트워크 장비), 운영체제, 데이터베이스관리시스템을 제외한 미들웨어, 통신 및 미디어처리 기능을 갖는 모듈, 기능별 어플리케이션 등 제반 솔루션을 모두 자체기술로 개발하였습니다. 두번째, 따라서 콜센터를 구성하는 방식의 유연성을 가집니다. 예를 들면, 고객사마다 요구사항과 비즈니스가 다르기 때문에 고객의 환경에 최적화된 모델을 풍부한 경험으로 적용합니다. 세번째, 합리적인 구축비용입니다. 자사 솔루션은 글로벌 벤더와 비교 시 뚜렷한 가격 경쟁력을 가지고 있습니다. 네번째, 구축된 솔루션은 전문인력으로 구성된 국내 조직을 통해 철저한 최상의 유지보수 서비스를 제공하는 것입니다. 2) IP기반 유무선 멀티미디어 서비스 솔루션 공급 사업 당사는 기간통신사의 솔루션 공급업로 IP 환경과 이동통신 환경에서 고품질 멀티미디어 서비스를 구현, 공급하기 위해 필요한 시스템인 어플리케이션 서버, 미디어 서버 솔루션을 제공하고, 장비 공급뿐만이 아니라 기간통신 사업자가 제공하는 부가서비스들을 구현하기 위해 지속적인 개발용역의 공급, 시스템의 업그레이드가 진행되고 있습니다.
(4) 신규사업 등의 내용 및 전망
- AICC(인공지능컨택센터) 콜센터를 이용하는 고객들이 ARS안내를 기다릴 필요없이 음성봇과 챗봇을 통해 바로 궁금한 사항을 문의하고 답변받을 수 있을 뿐만 아니라 꼭 필요한 안내사항들도 신속하게 받을 수 있는 시스템입니다. 이는 콜센터에서 기업이 갖는 거래정보, 상품정보 등 학습된 인공지능 엔진을 이용하여 빠르고 편리한 서비스를 제공해 줄수 있는 플랫폼을 당사의 검증된 컨택센터 토털솔루션으로 구현하고 있습니다. - 클라우드 콜센터 서비스사업 컨택센터를 직접 구축하지 않고 임대하여 사용하는 방식은 오래전부터 존재해 왔지만 최근 클라우드 기술이 발전되고 보편화되면서 소프트웨어 업계에도 많은 영향을 미치고 있습니다. 물리적인 제약에서 탈피한 'IaaS'환경에서 'SaaS'로 진화하는 트렌드에 따라 국내 컨택센터 솔루션 기업들도 비싼 구축비용을 들이지 않고도 컨텍센터와 AICC 서비스가 가능한 ‘클라우드 기반 구독형 컨택센터(CCaaS·Contact Center as a Service) 서비스 제공을 위해 힘을 기울이고 있습니다.
지금까지 컨택센터는 기획, 설계, 수행, 운영, 재구축의 사이클로 투자가 이뤄졌는데 클라우드 상에 컨택센터를 구성하면 사용한 만큼 비용을 내고 필요할 때 유연하게 확장할 수 있습니다. 시스템과 네크워크 등 하드웨어 자원들은 클라우드 사업자가 관리하는 만큼 기업 담당자는 서비스만 관리할 수 있어 운영부담도 줄어들게 됩니다.
이에 당사는 2021년 순수 자체 기술력으로 개발된 IPRON Cloud를 서비스 런칭하여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으며, 외산 클라우드 서비스와는 다르게 기업여건에 최적화된 컨설팅, 마이그레이션 전략을 제공하고 서비스 이용 시 안정적인 컨택센터 운영을 보장받으면서 궁극적으로 도입비용 절감효과를 드리고 있습니다.
획일화된 저가 서비스 모델과는 달리 프리미엄 구축형 사업과 동일한 기능, 성능을 제공하는 차별화된 고객맞춤형 서비스를 제공중입니다.
2022년 12월 KT와 사업 협정을 통해 콜 인프라, 상담 어시스턴트, 보이스봇·챗봇 솔루션까지 '올인원'으로 제공하는 클라우드 기반 AI컨택센터(CCaaS)인 '에이센 클라우드(A'cen Cloud)'를 출시했습니다. 기존에도 보이스봇, 챗봇 등을 클라우드 기반 구독형 서비스로 제공하고 있었지만 에이센 클라우드는 이를 SaaS 기반으로 표준화하고 다양한 유형의 AI솔루션까지 고객이 원하는 대로 신청해 이용할 수 있도록 서비스하고 있습니다.
에이센 클라우드(A'cen Cloud)서비스는 별도로 서버나 장비를 구축할 필요가 없어 AICC를 만드는 데 필요한 시간을 크게 단축합니다. 구축형 AICC를 만드는 데에는 수개월에서 1년이 걸렸으나, 에이센 클라우드를 활용하면 빠르면 수 일만에 만들 수 있습니다. 생산성 향상과 TCO절감 효과가 검증된 실시간대화록, 상담어시스턴트, 보이스봇, 챗봇을 상담어플리케이션과 유기적으로 결합하여 All-In-One 컨택센터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습니다.
정부는 2026년까지 행정, 공공기관이 개별적으로 운영중인 정보시스템을 민간클라우드로 전환하겠다는 목표를 밝힌 가운데(행정·공공기관 정보시스템 클라우드 전환 (2022-13)) 공공 클라우드 보안인증(CSAP, Cloud Security Assurance Program) 획득이 사실상 공공기관 콜센터 시장 참여를 위한 필수 요소로 자리 잡으며 관심을 더하고 있습니다. 이에 당사에서는 2023년 2월 16일 IPRON 공공클라우드(SaaS 간편등급)를 한국인터넷진흥원을 통하여 CSAP인증을 취득하였습니다.
따라서 공공클라우드 서비스를 이용하려는 행정기관,공공기관, 지자체를 대상으로 국가 보안 인증 받은 서비스 제공이 가능해짐에 따라 2023년 하반기부터 본격적으로 가입자를 유치하고 있습니다. 더불어 전자정부법, 클라우드컴퓨팅법, 국가계약법 등을 근거로하여 공공부분 기존 구축형 고객을 클라우드로 전환할 뿐만아니라 신규 고객을 유치하는데 많은 도움이 될 것으로 예상합니다.
(5) 조직도
가. 해당 사업연도의 영업상황의 개요
Ⅲ.경영참고사항 - 사업의 개요를 참고하시기 바랍니다.
나. 해당 사업연도의 재무상태표ㆍ포괄손익계산서ㆍ결손금처리계산서(안)
※ 아래의 재무제표는 외부회계감사인으로부터 감사(적정)를 받은 별도 재무제표로 외부감사인의 감사의견을 포함한 최종 재무제표는 전자공시시스템(http://dart.fss.or.kr)에 공시된 별도 감사보고서를 참조하시기 바랍니다.
- 재무상태표
< 재 무 상 태 표 >
제 30 기 2024. 12. 31 현재 |
제 29 기 2023. 12. 31 현재 |
(단위 : 원) |
과 목 | 제 30 기 | 제 29 기 |
---|---|---|
자산 |
||
유동자산 |
34,598,040,938 |
40,723,759,313 |
현금및현금성자산 |
6,290,713,150 |
20,428,531,065 |
매출채권 및 기타채권 |
5,967,575,749 |
3,049,171,052 |
계약자산 |
5,276,355,474 |
3,930,234,750 |
기타금융자산 |
15,340,968,267 |
11,388,969,785 |
재고자산 |
1,201,866,345 |
892,151,665 |
당기법인세자산 |
105,099,090 |
104,606,580 |
기타자산 |
415,462,863 |
930,094,416 |
비유동자산 |
33,287,782,932 |
33,193,954,746 |
매출채권 및 기타채권 |
10,211,154 |
|
기타금융자산 |
25,181,937,285 |
24,058,077,916 |
유형자산 |
2,736,810,262 |
3,722,814,764 |
무형자산 |
4,922,727,803 |
4,795,924,014 |
기타자산 |
446,307,582 |
606,926,898 |
자산총계 |
67,885,823,870 |
73,917,714,059 |
부채 |
||
유동부채 |
16,757,377,248 |
18,328,309,896 |
매입채무 및 기타금융부채 |
10,044,278,660 |
14,880,540,973 |
당기법인세부채 |
89,411,073 |
|
계약부채 |
5,083,494,328 |
1,568,385,703 |
기타부채 |
1,629,604,260 |
1,789,972,147 |
비유동부채 |
4,301,617,963 |
5,038,359,879 |
기타금융부채 |
1,597,814,333 |
2,497,222,653 |
퇴직급여부채 |
||
복구충당부채 |
281,202,341 |
265,864,230 |
이연법인세부채 |
851,389,759 |
757,358,255 |
기타부채 |
1,571,211,530 |
1,517,914,741 |
부채총계 |
21,058,995,211 |
23,366,669,775 |
자본 |
||
납입자본금 |
9,953,470,340 |
9,953,470,340 |
기타자본구성요소 |
961,777,969 |
961,777,969 |
기타포괄손익누계액 |
6,401,776,534 |
5,624,045,945 |
이익잉여금(결손금) |
29,509,803,816 |
34,011,750,030 |
자본총계 |
46,826,828,659 |
50,551,044,284 |
자본과부채총계 |
67,885,823,870 |
73,917,714,059 |
- 포괄손익계산서
< 포 괄 손 익 계 산 서 >
제 30 기 (2024. 1. 1 부터 2024. 12. 31 까지) |
제 29 기 (2023. 1. 1 부터 2023. 12. 31 까지) |
(단위 : 원) |
과 목 | 제 30 기 | 제 29 기 |
---|---|---|
수익(매출액) |
43,561,219,140 |
53,543,737,975 |
매출원가 |
40,461,262,118 |
43,521,096,710 |
매출총이익 |
3,099,957,022 |
10,022,641,265 |
판매비와관리비 |
6,354,857,780 |
5,859,710,230 |
영업이익(손실) |
(3,254,900,758) |
4,162,931,035 |
기타수익 |
32,299,351 |
127,501,155 |
기타비용 |
217,504,719 |
260,764,600 |
금융수익 |
728,490,964 |
726,100,850 |
금융원가 |
163,225,371 |
196,966,772 |
법인세비용차감전순이익(손실) |
(2,874,840,533) |
4,558,801,668 |
법인세비용(수익) |
(111,462,419) |
985,114,968 |
당기순이익(손실) |
(2,763,378,114) |
3,573,686,700 |
기타포괄손익 |
777,730,589 |
(3,034,421,986) |
총포괄손익 |
(1,985,647,525) |
539,264,714 |
주당이익 |
||
기본주당이익(손실) (단위 : 원) |
(238) |
308 |
- 결손금처리계산서(안)
< 결손금처리계산서 >
제 30 기 (2024. 1. 1 부터 2024. 12. 31 까지) |
제 29 기 (2023. 1. 1 부터 2023. 12. 31 까지) |
(단위 : 원) |
과 목 | 제 30 기 | 제 29 기 |
---|---|---|
Ⅰ. 미처분이익잉여금 | 26,795,119,523 | 31,470,922,547 |
1. 전기이월미처분이익잉여금 | 29,558,497,637 | 27,897,235,847 |
2. 당기순이익 | (2,763,378,114) | 3,573,686,700 |
Ⅱ.임의적립금이입액 | ||
Ⅲ. 이익잉여금처분액 | 1,274,949,940 | 1,912,424,910 |
1.이익준비금 | 115,904,540 | 173,856,810 |
2.배당금 (주당현금배당금(률): 당기: 100원(20%),전기: 150원(30%)) | 1,159,045,400 | 1,738,568,100 |
Ⅳ. 차기이월미처분이익잉여금 | 25,520,169,583 | 29,558,497,637 |
- 최근 2사업연도의 배당에 관한 사항 (당기 결의(안) 포함)
구 분 | 제30기(안)(2024년) | 제29기(2023년) | 제28기 (2022년) |
---|---|---|---|
발행주식총수 | 11,952,500주 | 11,952,500주 | 11,952,500주 |
배당제외주식수(최대주주차등배당 등) | - | - | - |
배당제외주식수(자사주) | 362,046주 | 362,046주 | 362,046주 |
배당가능 주식수 | 11,590,454주 | 11,590,454주 | 11,590,454주 |
1주당 배당금 (원) | 100 | 150 | 150 |
총배당금 (천원) | 1,159,045 | 1,738,568 | 1,738,568 |
당기순이익(손실)(천원) | -2,763,378 | 3,573,687 | 3,380,873 |
배당성향 | N/A | 48.64% | 51.42% |
산술평균주가 (원) | 5,428 | 6,963 | 4,185 |
시가배당율 (현금배당수익율) | 1.84% | 2.15% | 3.58% |
가. 집중투표 배제를 위한 정관의 변경 또는 그 배제된 정관의 변경
변경전 내용 | 변경후 내용 | 변경의 목적 |
---|---|---|
- | - | - |
나. 그 외의 정관변경에 관한 건
변경전 내용 | 변경후 내용 | 변경의 목적 |
---|---|---|
제57조 (분기배당) ① 회사는 이사회의 결의로 사업연도 개시일부터 3월. 6월 및 9월의 말일(이하“분기배당 기준일”이라 한다)의 주주에게 자본시장과 금융투자업에 관한 법률 제165조의12에 따라 분기배당을 할 수 있다.
② 제1항의 이사회 결의는 분기배당 기준일 이후 45일 내에 하여야 한다.
③ ~ ⑤ (생략) |
제57조 (분기배당) ① 회사는 사업연도 개시일부터 3개월, 6개월 및 9개월 경과 후 45일 이내의 이사회 결의로써 자본시장과 금융투자업에 관한 법률 제165조의12에 따라 금전으로 분기배당을 할 수 있다.
② 회사는 이사회 결의로 제1항의 배당을 받을 주주를 확정하기 위한 기준일을 정하는 경우 그 기준일의 2주 전에 이를 공고하여야 한다.
(좌동) |
- 매분기말 배당기준일을 명시한 내용을 삭제하고 분기배당 기준일을 이사회결의로 정할 수 있도록 한 자본시장법개정 내용을 반영하여 개정 - 분기배당시 이사회 결의로 배당기준일을 설정하고, 이를 공고하도록 개정 |
부칙 1~17 (생략) |
부칙 1~17 (현행과 같음) 18. (시행일) 이 정관은 2025년 3월 26일부터 시행한다. |
- 부칙신설 |
※ 기타 참고사항
가. 후보자의 성명ㆍ생년월일ㆍ추천인ㆍ최대주주와의 관계ㆍ사외이사후보자 등 여부
후보자성명 | 생년월일 | 사외이사후보자여부 |
감사위원회 위원인 이사 분리선출 여부 |
최대주주와의 관계 | 추천인 |
---|---|---|---|---|---|
강원철 | 1960.4.11 | 사외이사 | 미해당 | 관계없음 | 이사회 |
최화경 | 1967.2.4 | 사내이사 | 미해당 | 관계없음 | 이사회 |
총 ( 2 ) 명 |
나. 후보자의 주된직업ㆍ세부경력ㆍ해당법인과의 최근3년간 거래내역
후보자성명 | 주된직업 | 세부경력 | 해당법인과의최근3년간 거래내역 | |
---|---|---|---|---|
기간 | 내용 | |||
강원철 | 대학교수 | 2003~현재 | 고려사이버대학교 경영학부 교수 | 거래없음 |
최화경 | 경영본부장 | 2003~현재 | 브리지텍 재직 | 거래없음 |
다. 후보자의 체납사실 여부ㆍ부실기업 경영진 여부ㆍ법령상 결격 사유 유무
후보자성명 | 체납사실 여부 | 부실기업 경영진 여부 | 법령상 결격 사유 유무 |
---|---|---|---|
강원철 | 해당사항 없음 | 해당사항 없음 | 해당사항 없음 |
최화경 | 해당사항 없음 | 해당사항 없음 | 해당사항 없음 |
라. 후보자의 직무수행계획(사외이사 선임의 경우에 한함)
강원철 사외이사 후보자1. 전문성과 독립성 1) 본 후보자는 경영 및 경제분야의 다향한 경험과 지식에 근거한 전문성을 바탕으로 긍지와 책임감을 가지고 회사의 경영에 적극 참여하여 성실히 직무를 수행하고자 합니다. 2) 전문성과 독립성을 바탕으로 회사의 기업가치 증진과 발전을 위해 최선을 다하며 적법하고 윤리적이며 원칙을 준수하는 경영 활동에 참여 하겠습니다. 2. 의무 1) 회사의 직무 전반에 관한 주의의무를 준수하고, 직무를 수행할 때에는 충분한 시간을 들여 사안의 성격을 정확히 파악하고 합리적 해결방안을 도출하도록 노력하겠습니다. 2) 특히 이사회를 참석할 때에는 의안에 관해 필요한 정보를 충분히 지득하고 그 의안이 회사에 미칠 영향을 충분히 고려한 후 의사결정에 임할 예정입니다. 3) 주주, 종업원 등 회사의 이해관계자의 의견을 폭넓게 청취하고 회사 내외부의 다양한 정보원으로부터 정보를 수집하되, 항상 주주 전체의 보편적 이익을 우선하여 회사업무를 결정하겠습니다. 3. 윤리성 1) 사외이사의 지위를 이용하여 부정하게 본인이나 제3자의 이익을 추구하지 않고 회사와 이해 상충되는 행위를 하지 않으며, 직무상 획득한 비밀을 누설하지 않겠습니다. 2) 회사에 인사청탁을 하거나 기타 사적인 이해를 가지고 회사의 업무에 영향력 행사 및 업무에 개입하지 않겠습니다. |
마. 후보자에 대한 이사회의 추천 사유
강원철 사외이사 후보자는 경제학박사 학위자로 현 고려사이버대학교 경영학부 교수를 역임하였으며 폭 넓은 지식을 바탕으로 향후 당사의 지속적인 성장과 기업가치 향상에 기여할 수 있는 적임자로 다양한 경험과 전문성을 바탕으로 당사의 기업경영 및 기업성장에 기여 할 것으로 판단되는 바 당사의 사외이사 후보자로 추천함 최화경 사내이사는 2003년부터 22년간 재무총괄과 경영본부장 직책을 수행하고 있는 경영관리 업무 경험 및 경영 전반에 대한 높은 이해도로 회사의 성장과 안정에 기여할 수 있을 것으로 판단함. |
※ 기타 참고사항
가. 이사의 수ㆍ보수총액 내지 최고 한도액
(당 기)
이사의 수 (사외이사수) | 5 ( 2 ) |
보수총액 또는 최고한도액 | 1,200,000,000 |
(전 기)
이사의 수 (사외이사수) | 6 ( 3 ) |
실제 지급된 보수총액 | 801,494,702 |
최고한도액 | 1,200,000,000 |
※ 기타 참고사항
본 정기주주총회 개최 전 재직중인 이임훈 사외이사,강성배 사외이사는 상법 제542조의8 2항 7호 및 동법시행령 제34조 5항 7호의 사외이사 6년이상 연임제한으로 인하여 본 주주총회 후 퇴임예정이며, 강원철 사외이사 선임 후 당사의 등기임원은 총 5명, 이 중 사외이사는 2명입니다.
제출(예정)일 | 사업보고서 등 통지 등 방식 |
---|---|
- 상법 제542조의4 및 상법시행령 제31조에 의거하여 사업보고서는 주주총회 개최 1주전까지 회사 홈페이지에 게재할 예정입니다.※ 홈페이지 주소 : https://www.bridgetec.co.kr- 사업보고서는 향후 주주총회 이후 변경되거나 오기 등이 있는 경우 수정될 수 있으며, 이 경우 전자공시시스템(https://dart.fss.or.kr)에 정정보고서를 공시할 예정이므로 이를 참조하시기 바랍니다.- 감사보고서는 2025년 3월 11일 외부회계 감사법인(신한회계법인)으로부터 수령 즉시 공시하였으며 전자공시시스템(https://dart.fss.or.kr)에서 조회 가능합니다. - 정기주주총회 이후 변경된 사항이 발생될 시 금융감독원 전자공시시스템(https://dart.fss.or.kr)에 제출될 정정 사업보고서를 활용해 주시기 바랍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