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 년 03 월 14 일 | ||
회 사 명 : | (주)켈스 | |
대 표 이 사 : | 이 동 호 | |
본 점 소 재 지 : | 경기도 성남시 수정구 창업로 54, 321호(시흥동, 기업성장센터) | |
(전 화)031-754-0320 | ||
(홈페이지)http://www.thecalth.com | ||
작 성 책 임 자 : | (직 책)팀장 | (성 명)박 정 희 |
(전 화)031-754-0320 | ||
(제7기 정기) |
주주제위의 댁내 평안과 건강을 기원합니다.당사는 상법 제363조 및 당사 정관 제22조에 의거, 제7기 정기주주총회를 아래와 같이 개최하고자 하오니 주주 여러분께서는 참석하여 주시기 바랍니다.
--- 아 래 ---
1. 일시 : 2025년 3월 31일(월요일) 오전 09 시 00분
2. 장소 : 경기도 성남시 수정구 창업로54, 321호 (시흥동, 기업성장센터) 회의실
3. 회의 목적사항
가. 보고사항 : 감사보고, 영업보고, 내부회계관리제도 운영실태 보고, 외부감사인 선임 보고
나. 부의 안건
제 1호 의안 : 제7기(2024.01.01~2024.12.31) 재무제표 승인의 건
제 2호 의안 : 이사보수한도 승인의 건 (전년과 동일 - 8억원) 제 3호 의안 : 감사보수한도 승인의 건 (전년과 동일 - 1억원)
4. 실질주주의 의결권행사에 관한 사항 금번 당사의 주주총회에서는 한국예탁결제원이 주주님을 대신하여 의결권을 행사할 수 없습니다. 따라서 주주님께서는 한국예탁결제원에 의결권에 관한 의사표시를 하 실 필요가 없으며, 본인이 직접 주주총회에 참석하시거나 또는 위임장에 의거 의결 권을 간접행사 하실 수 있습니다. 5. 주주총회 참석시 준비물 - 직접행사 : 신분증 - 대리행사 : 위임장(주주와 대리인의 인적사항 기재, 인감 날인), 대리인의 신분증 * 주주총회 기념품은 증정하지 않습니다.
2025년 03월 14
주식회사 켈 스
대표이사 이 동 호 (직인생략)
※ 상법 제 542조의 4 및 정관 제22조 규정에 의거, 발행주식총수의 1%이하 소유주에 대해서는 본 공고로 소집통지에 갈음하오니 양지해 주시기 바랍니다.
회차 | 개최일자 | 의안내용 | 사외이사 등의 성명 |
---|---|---|---|
윤대성(출석률: 100%) | |||
찬반여부 | |||
1 | 2024.02.14 | -제6기 재무제표 승인의 건 | 찬성 |
2 | 2024.03.08 | -제6기 정기주주총회 소집결의의 건 | 찬성 |
3 | 2024.03.28 | -대표이사 선임의 건 | 불참 |
4 | 2024.08.20 | -임시주주총회 소집결의의 건-사외이사 선임의 건 | 찬성 |
5 | 2024.12.24 | -임시주주총회 소집결의의 건-정관 일부 변경의 건 | 찬성 |
위원회명 | 구성원 | 활 동 내 역 | ||
---|---|---|---|---|
개최일자 | 의안내용 | 가결여부 | ||
- | - | - | - | - |
※ 당사는 이사회 내 위원회가 구성되어 있지 않습니다.
(단위 : 백만원) |
구 분 | 인원수 | 주총승인금액 | 지급총액 | 1인당 평균 지급액 | 비 고 |
---|---|---|---|---|---|
사외이사 | 1 | 800 | 12 | 12 |
※ 주총승인금액은 사내(외)이사를 포함한 등기이사 전체에 대한 금액입니다.
(단위 : 억원) |
거래종류 | 거래상대방(회사와의 관계) | 거래기간 | 거래금액 | 비율(%) |
---|---|---|---|---|
- | - | - | - | - |
※ 해당사항 없습니다.
(단위 : 억원) |
거래상대방(회사와의 관계) | 거래종류 | 거래기간 | 거래금액 | 비율(%) |
---|---|---|---|---|
- | - | - | - | - |
※ 해당사항 없습니다.
주식회사 켈스는 현장진단용 체외진단의료기기와 관련된 플랫폼 기술 및 제품개발을 진행하고 있으며, 이에 대한 인증 및 인허가를 통해 제품의 제조 및 판매를 주요사업으로 하고 있습니다.
전 세계 체외진단시장은 상위 3개 기업인 로슈 (Roche), 써모피셔 (Thermo fisher), 애보트 (Abbott)가 전체 시장의 약 51.69%를 차지하고 있고, 신규업체가 기존 진단기기업체와 경쟁하기 위해서는 새로운 기술에 대한 접근성을 향상시키고, 제품공급 확장, 신흥시장으로의 우선 진입 등을 위한 전략으로 선택과 집중이 필요합니다.
(출처 : The Dark report, 2020)
체외진단산업은 고부가가치 산업이나 일부 자가측정용 기기를 제외하고는 사용자가 안정성과 신뢰성을 중시하는 의사와 임상병리사로 국한되어 후발업체의 시장진입이 어렵고, 주요 수요처가 병원과 검사센터, 보건소 등이며 품목 수가 매우 다양하여 BT, IT 등의 다양한 기술개발이 연계되어 지속적으로 새로운 기기가 출현하고 있는 산업군이며 국내 기업들은 분자진단 및 현장진단 분야에 집중하고 있습니다. 환자에게 직접 적용되는 의료기기보다는 허가, 인증이 덜 엄격하나, 국가 간 인허가 제도에 차이가 있습니다.
체외진단기기는 소형화, 자동화, 검사 효율성, 모듈화, 경제성, 사용자 편의성, 심미성 등을 주요 이슈로 제품개발이 진행될 것으로 예상되며, 체외진단기기 검사 소요시간 감축에 대한 압박으로 분석적 생산성이 높은 체외 진단기기제품과 서비스가 지속적 요구될 것입니다. 새로운 물질의 분석요구로 소요 비용이 높아지는데 비해 저가의 진단비용 수요는 극복해야 할 문제이며, 차세대 염기서열분석 및 기타 독창적인 유전체 분석 기술의 적용 시 분자진단을 통해 체외진단기기 시장은 크게 성장할 것으로 전망되고 있습니다.
(1) 계절적 경기변동
진단검사는 크게 질병에 대한 검사와 건강검진으로 나뉘며, 질병의 검사는 인플루엔자 등과 같은 호흡기바이러스 질환과 같은 계절적 유행이 있는 질환을 제외하고는 계절적으로 크게 영향이 없는 것이 일반적입니다. 건강검진의 경우는 연중 내내 검사를 받을 수 있으나, 대개 10월 이후 4분기에 몰리는 것이 통상적인 흐름으로 계절적 요인은 아니지만, 검사 행위 자체가 10월 이후에 발생하고 있습니다.
(2) 대체 시장
체외진단의 대체 시장은 영상 진단시장이라 할 수 있으며, 암이나 퇴행성 뇌질환의 경우에는 CT 나 MRI와 같은 영상 진단이 확진 방법으로 이용되고 있으나, 기기가 고가이고 단위 시간내에 검사할 수 있는 인원에 제한이 있어 대체 시장이라기보다는 상호 보완하는 시장이라 할 수 있습니다.
최근에는 분자진단기술의 발전은 새로운 진단 마커의 발굴, 낮은 가격과 진단의 편리성으로 영상 진단 영역에서 진단할 수 없는 질병의 예측을 위한 진단으로 그 영역을 확장하고 있으며, 특히 머신러닝 (machine learning) 기술은 예측도를 크게 향상시키고 있고 실용화되고 있습니다.
(3) 국내외 규제상황
체외진단 산업은 의료기기 산업에 속하기 때문에 사업화를 위해서는 다양한 법적 규제를 받고 있습니다. 또한, 성능, 안전성, 안정성 등의 품질이 확보하기 위한 시스템을 구축해야 하며, 이러한 시스템으로 GMP 및 ISO13485 등이 있으며, 이러한 품질경영시스템은 연구개발, 원자재 구매, 제조, 품질관리, 출하, 판매 후 관리 등 전 분야에 걸쳐 적용되고 있습니다. 국내 및 유럽연합, 미국의 체외진단 관련 주요 법령은 다음과 같습니다.
[국내외 체외진단 관련 주요 법령]
관련 법령 |
주요내용 |
---|---|
의료기기법 |
의료기기의 제조ㆍ수입 등 취급과 관리 및 지원에 필요한 사항을 규정한 법 |
체외진단의료기기법 |
체외진단의료기기의 제조ㆍ수입 등 취급과 관리 및 지원에 필요한 사항을 규정한 법 |
체외진단의료기기 시행령 |
「체외진단의료기기법」에서 위임된 사항과 그 시행에 필요한 사항을 규정 |
체외진단의료기기법 시행규칙 |
「체외진단의료기기법」 및 같은 법 시행령에서 위임된 사항과 그 시행에 필요한 사항을 규정 |
체외진단의료기기 제조 및 품질관리 기준 |
체외진단의료기기를 제조 또는 수입함에 있어 준수하여야 하는 세부사항에 관하여 필요한 사항을 규정 |
체외진단의료기기 품목 및 품목별 등급에 관한 규정 |
체외진단의료기기의 품목 및 품목별 등급에 관하여 필요한 사항을 규정 |
체외진단의료기기 임상적 성능시험 계획 승인에 관한 규정 |
체외진단의료기기 임상적 성능시험 계획의 승인 또는 변경승인 신청 시 제출자료의 작성요령, 면제되는 자료의 범위, 승인요건·기준 및 절차 등에 관한 세부사항을 규정 |
체외진단의료기기 허가·신고·심사 등에 관한 규정 |
제조·수입 체외진단의료기기의 허가·인증·신고 등에 관한 세부사항 및 체외진단의료기기 기술문서 등의 심사에 필요한 세부사항을 규정 |
의료기기의 안정성시험 기준 |
의료기기 기술문서 심사자료와 의료기기 제조 및 품질관리 기준에 따른 의료기기의 안정성시험에 관한 기준을 정함을 목적 |
의료기기 표시, 기재 등에 관한 규정 |
의료기기의 용기나 외장, 외부의 용기나 포장 및 첨부문서에 기재하는 사항을 정한 고시 |
DIRECTIVE 98/79/EC OF THE EURO-PEAN PARLIAMENT AND OF THE COUNCIL |
체외진단용 제품의 EU 판매를 위한 지침으로 우리나라 의료기기법에 해당 |
REGULATION (EU) 2017/746 OF THE EUROPEAN PARLIAMENT AND OF THE COUNCIL |
Directive 98/79/EC를 대신하여 2022년부터 적용될 예정인 체외진단용 의료기기에 관한 유럽(EU)의 법률 |
FD&A(Federal Food, Drug, and Cosmetic Act)의 Section 510(k) |
의료기기의 미국 판매를 위한 미국 연방법으로 우리나라 의료기기법에 해당 |
Clinical Laboratory Improvement Amendments (CLIA) |
FDA의 승인하에 일괄적으로 제조하여 판매되는 체외진단 기기 이외에 임상 검사실에서 자체적으로 개발한 임상 검사(Laboratory Developed Testing)를 환자들에게 제공할 수 있도록 하는 제도 |
국내의 경우 법 제정 이외에도 체외진단기기 산업의 체계적인 발전과 시장 활성화를 위하여 규제개선 및 안전성 확보를 위한 정책을 수립하고 있습니다. 체외진단기기의 발전 양상에 따라 규제는 점차 확대 및 구체화되고 있으며 이러한 글로벌 시장 내 규제와 육성정책은 산업내 주요 수요 변동요인으로 작용하고 있습니다.
(1) 영업개황 및 사업부문의 구분
(가) 영업개황
당사는 현장진단 기반의 면역진단제품을 주로 생산하며 국내 32개의 대리점과 중견제약사, 중견유통사를 통해 유통하고 있으며, 지역별 대리점 관리를 통해 유통 제품의 품목수를 다각화하고 있습니다. 이와 더불어 현장진단 기반의 면역진단제품에 당 사의 핵심기술인 현장진단 AI 기술과 샘플전처리 기술을 적용한 인공지능 딥러닝기술을 활용한 현장진단, 모바일 헬스케어, 박테리아 질환 진단, 타액진단, 여성건강 및 임신 등에 대한 서비스를 제공하고자 하며 해당 기술 개발 및 신제품 개발에 집중하고 있습니다.
국내 래피드키트 시장의 특징은 검진용 검사가 대부분을 차지하고 애보트 (Abbott) 및 에스디바이오센서 등이 시장의 대부분을 차지하고 있는 과점 형태이며, 대량 생산을 통한 낮은 단가를 구현해야 시장의 접근이 가능한 상황입니다. COVID-19와 Influenza 바이러스의 계절성 양상 및 기타 호흡기 바이러스의 유행 등으로 호흡기 진단시장은 꾸준히 성장하고 있습니다. 당사는 COVID-19 팬데믹 이후 지속적으로 유행하고 있는 COVID-19 와 Influneza 바이러스 등의 호흡기 진단시약과 전 세계적으로 유행하고 있는 성병 및 모기매개전염병 진단 시약을 위주로 생산/판매를 진행하고 있으며, AllCheck COVID-19 Antigen Self-Test 경우는 2024년 4월 식약처 허가를 획득하여 국내 판매를 개시하였습니다.
당사는 코로나바이러스 신속진단시약을 국내외에 판매하면서, 많은 거래처를 확보하였고, 당사의 회사 및 제품에 대한 이미지를 제고하고 있습니다. 이러한 유통망을 기반으로 호흡기 진단제품 뿐 아니라 HIV, HBV,HCV 등과 같은 일반 검진용 시약의 유통, 신규 개발 제품들의 빠른 사업화를 추진하여 통한 매출향상을 위해 노력하고 있습니다. (나) 공시대상 사업부문의 구분당사는 체외진단기기 제조 및 판매를 주 사업목적으로 하는 단일 사업을 영위하고 있습니다.
(2) 시장점유율당사가 영위하고 있는 체외진단산업에서 당사의 시장점유율을 산출하는 것은 매우 어렵습니다. 현재 당사는 체외진단산업 중 POCT 분야에서 코로나 진단키트를 바탕으로 지속적인 매출액 성장을 보이고 있습니다. 창업한지 6년 된 신생기업으로서, 국내외적으로 당사의 브랜드 등의 기업가치를 널리 알리기 위해 적극적으로 활동하고 있는 등 시장 점유율 확보를 위해 노력하고 있습니다.
(3) 시장의 특성
'가. 업계의 현황' 내용을 참조하시기 바랍니다.
(4) 신규사업 등의 내용 및 전망당사는 체외진단기기 제조 및 판매를 주 사업목적으로 하는 단일 사업을 영위하고 있으며 신규사업에 대한 해당내용은 없습니다.
(5) 조직도
가. 해당 사업연도의 영업상황의 개요
Ⅲ.경영참고사항' ⇒ ' 1. 사업의 개요' ⇒ '나. 회사의 현황' 을 참조
나. 해당 사업연도의 대차대조표(재무상태표)ㆍ손익계산서(포괄손익계산서)ㆍ이익잉여금처분계산서(안) 또는 결손금처리계산서(안)
아래의 재무제표는 한국채택국제회계기준(K-IFRS)으로 작성되었으며, 감사보고서를 수령하기 전 자료이므로, 외부감사인의 회계감사 결과 및 정기주주총회 승인과정에서 변경될 수 있습니다.외부감사인의 감사의견을 포함한 재무제표는 전자공시시스템(http://dart.fss.or.kr)에 공시예정인 당사의 감사보고서를 참조하시기 바랍니다. |
- 재무상태표
<재 무 상 태 표>
제 7 기 2024년 12월 31일 현재 |
제 6 기 2023년 12월 31일 현재 |
(단위 : 원 ) |
과 목 | 제 7(당) 기 | 제 6(전) 기 | ||
자산 | ||||
Ⅰ.유동자산 | 2,952,814,931 | 4,791,299,390 | ||
(1)당좌자산 | 465,214,966 | 2,583,189,595 | ||
현금및현금성자산 | 57,204,147 | 35,180,555 | ||
단기금융상품 | - | 2,000,000,000 | ||
당기손익-공정가치 측정 금융자산 | - | - | ||
매출채권 | 355,075,464 | 356,661,078 | ||
기타유동금융자산 | - | 68,479,452 | ||
기타유동자산 | 42,355,605 | 105,918,560 | ||
당기법인세자산 | 10,579,750 | 16,949,950 | ||
(2)재고자산 | 2,487,599,965 | 2,208,109,795 | ||
제품 | 889,169,596 | 298,469,503 | ||
재공품 | 335,962,429 | 298,052,840 | ||
원재료 | 963,573,858 | 1,213,353,909 | ||
부재료 | 298,894,082 | 325,676,904 | ||
Ⅱ.비유동자산 | 6,314,979,794 | 7,708,392,763 | ||
유형자산 | 5,469,286,872 | 6,701,932,164 | ||
사용권자산 | 238,474,729 | 349,673,958 | ||
무형자산 | 457,921,175 | 498,650,984 | ||
기타비유동금융자산 | 149,297,018 | 158,135,657 | ||
기타비유동자산 | - | - | ||
자산총계 | 9,267,794,725 | 12,499,692,153 | ||
부채 | ||||
Ⅰ.유동부채 | 25,379,204,193 | 24,544,879,167 | ||
매입채무 | 56,880,252 | 96,526,650 | ||
기타유동금융부채 | 457,276,163 | 239,387,224 | ||
기타유동부채 | 23,941,100 | 24,479,190 | ||
단기차입금 | 1,800,177,136 | 50,352,241 | ||
유동성장기부채 | 1,936,070,000 | 1,958,080,000 | ||
유동계약부채 | - | - | ||
유동리스부채 | 108,305,707 | 128,643,861 | ||
기타유동충당부채 | - | - | ||
유동우선주부채 | 5,180,335,449 | 3,631,335,423 | ||
유동파생상품부채 | 15,816,218,386 | 18,416,074,578 | ||
Ⅱ.비유동부채 | 669,010,907 | 3,123,611,547 | ||
장기차입금 | 464,890,000 | 600,960,000 | ||
기타비유동금융부채 | - | 66,312,103 | ||
기타비유동부채 | - | - | ||
비유동계약부채 | - | - | ||
비유동우선주부채 | - | 254,565,268 | ||
비유동파생상품부채 | - | 1,979,641,234 | ||
비유동리스부채 | 132,577,612 | 216,945,187 | ||
기타비유동충당부채 | 71,543,295 | 5,187,755 | ||
부채총계 | 26,048,215,100 | 27,668,490,714 | ||
자본 | ||||
Ⅰ.자본금 | 1,113,270,000 | 1,113,270,000 | ||
보통주자본금 | 1,113,270,000 | 1,113,270,000 | ||
우선주자본금 | - | - | ||
Ⅱ.자본잉여금 | 2,307,264,347 | 2,307,264,347 | ||
주식발행초과금 | 2,307,264,347 | 2,307,264,347 | ||
Ⅲ.자본조정 | 1,327,208,859 | 1,301,801,711 | ||
기타자본조정 | (40,000,000) | (40,000,000) | ||
주식매입선택권 | 1,367,208,859 | 1,341,801,711 | ||
Ⅳ.이익잉여금 | (21,528,163,581) | (19,891,134,619) | ||
미처분이익잉여금 | (21,528,163,581) | (19,891,134,619) | ||
자본총계 | (16,780,420,375) | (15,168,798,561) | ||
부채와자본총계 | 9,267,794,725 | 12,499,692,153 |
- 손익계산서
<손 익 계 산 서>
제 7 기 (2024년 1월 1일부터 2024년 12월 31일까지) |
제 6 기 (2023년 1월 1일부터 2023년 12월 31일까지) |
(단위 : 원) |
과 목 | 제 7(당) 기 | 제 6(전) 기 | ||
매출 | 1,943,330,849 | 2,989,458,954 | ||
제품매출 | 1,943,330,849 | 2,964,727,954 | ||
상품매출 | - | 24,731,000 | ||
매출원가 | 3,214,879,097 | 3,976,364,103 | ||
제품매출원가 | 3,214,879,097 | 3,955,419,103 | ||
상품매출원가 | - | 20,945,000 | ||
매출총이익 | (1,271,548,248) | (986,905,149) | ||
판매비와관리비 | 3,531,189,904 | 3,871,405,870 | ||
급여 | 1,385,105,500 | 1,225,652,625 | ||
퇴직급여 | 122,154,910 | 94,717,217 | ||
복리후생비 | 82,740,304 | 90,137,256 | ||
여비교통비 | 31,756,864 | 45,363,670 | ||
접대비 | 12,506,874 | 19,711,550 | ||
통신비 | 2,421,682 | 2,314,326 | ||
세금과공과 | 53,472,010 | 49,062,300 | ||
감가상각비 | 241,403,510 | 176,242,785 | ||
사용권자산상각비 | 56,956,351 | 48,460,163 | ||
지급임차료 | - | - | ||
수선비 | 2,730,455 | 1,313,000 | ||
보험료 | 688,971 | 315,999 | ||
차량유지비 | 3,772,259 | 3,198,940 | ||
경상개발비 | 762,790,643 | 851,087,749 | ||
운반비 | 29,217,896 | 7,071,410 | ||
교육훈련비 | 772,120 | 1,166,000 | ||
도서인쇄비 | 2,603,777 | 574,176 | ||
소모품비 | 10,572,626 | 11,304,579 | ||
지급수수료 | 623,478,916 | 832,816,703 | ||
광고선전비 | 50,535,086 | 51,249,860 | ||
건물관리비 | 47,806,266 | 45,806,233 | ||
무형자산상각비 | 58,206,781 | 40,974,628 | ||
대손상각비 | (59,678,700) | 177,782,250 | ||
주식보상비용 | 9,174,803 | 95,082,451 | ||
영업이익(손실) | (4,802,738,152) | (4,858,311,019) | ||
영업외수익 | 4,631,694,671 | 1,412,178,737 | ||
이자수익 | 26,027,172 | 129,659,029 | ||
외환차익 | 6,322,499 | 183,701 | ||
외화환산이익 | 760,044 | |||
파생상품평가이익 | 4,579,497,426 | 1,239,398,848 | ||
잡이익 | 19,087,530 | 42,937,159 | ||
영업외비용 | 1,465,985,481 | 1,231,095,407 | ||
이자비용 | 1,454,832,496 | 1,230,404,678 | ||
외환차손 | 734,121 | 146,597 | ||
외화환산손실 | - | 407,544 | ||
유형자산처분손실 | 10,405,000 | |||
무형자산손상차손 | ||||
파생상품평가손실 | - | - | ||
잡손실 | 13,864 | 136,588 | ||
법인세비용차감전순이익(손실) | (1,637,028,962) | (4,677,227,689) | ||
법인세등 | - | - | ||
당기순이익(손실) | (1,637,028,962) | (4,677,227,689) | ||
주당손익 | ||||
기본주당이익(손실) | (735) | (2,101) |
- 결손금처리계산서
<결손금처리계산서>
제 7 기 (2024년 1월 1일부터 2024년 12월 31일까지) |
제 6 기 (2023년 1월 1일부터 2023년 12월 31일까지) |
(단위 : 원) |
과 목 | 제 7(당)기 | 제 6(전)기 | ||
미처리결손금 | (21,528,163,581) | (19,891,134,619) | ||
전기이월처리결손금 | (19,891,134,619) | (15,213,906,930) | ||
한국채택국제회계기준 도입 변경효과 | - | - | ||
당기순이익(손실) | (1,637,028,962) | - | (4,677,227,689) | - |
차기이월미처리결손금 | (21,528,163,581) | (19,891,134,619) |
- 자본변동표
<자본변동표>
제 7 기 (2024년 1월 1일부터 2024년 12월 31일까지) |
제 6 기 (2023년 1월 1일부터 2023년 12월 31일까지) |
(단위 : 원) |
과 목 | 자본금 | 자본잉여금 | 자본조정 | 이익잉여금 | 합계 |
2023년 1월 1일(당기초) | 1,113,270,000 | 2,307,264,347 | 1,113,408,224 | (15,213,906,930) | (10,679,964,359) |
당기순이익(손실) | (4,677,227,689) | (4,677,227,689) | |||
주식기준보상거래인식 | 188,393,487 | - | 188,393,487 | ||
2023년 12월 31일(당기말) | 1,113,270,000 | 2,307,264,347 | 1,301,801,711 | (19,891,134,619) | (15,168,798,561) |
2024년 1월 1일(당기초) | 1,113,270,000 | 2,307,264,347 | 1,301,801,711 | (19,891,134,619) | (15,168,798,561) |
당기순이익(손실) | (1,637,028,962) | (1,637,028,962) | |||
주식기준보상거래인식 | 25,407,148 | - | 25,407,148 | ||
2024년 12월 31일(당기말) | 1,113,270,000 | 2,307,264,347 | 1,327,208,859 | (21,528,163,581) | (16,780,420,375) |
- 현금흐름표 <현금흐름표>
제 7 기 (2024년 1월 1일부터 2024년 12월 31일까지) |
제 6 기 (2023년 1월 1일부터 2023년 12월 31일까지) |
(단위 : 원) |
과 목 | 제 7(당) 기 | 제 6(전) 기 | ||
Ⅰ. 영업활동으로 인한 현금흐름 | (3,346,608,521) | (1,745,592,380) | ||
1. 영업으로부터 창출된 현금흐름 | (3,282,957,575) | (1,747,745,380) | ||
2. 이자수입 | 68,721,647 | 110,111,654 | ||
3. 이자지급 | (138,742,793) | (107,958,654) | ||
4. 법인세납부 | 6,370,200 | - | ||
Ⅱ. 투자활동으로 인한 현금흐름 | 1,921,008,734 | 1,320,621,846 | ||
1.투자활동으로인한현금유입액 | 2,016,900,000 | 2,000,000,000 | ||
단기금융상품의 감소 | 2,000,000,000 | 2,000,000,000 | ||
보증금의 감소 | 16,900,000 | |||
2. 투자활동으로인한현금유출액 | (95,891,266) | (679,378,154) | ||
단기금융상품의 취득 | - | - | ||
유형자산의 취득 | (80,420,000) | (427,496,000) | ||
무형자산의 취득 | (14,521,266) | (243,545,454) | ||
보증금의 증가 | (950,000) | (8,336,700) | ||
Ⅲ. 재무활동으로 인한 현금흐름 | 1,446,863,335 | 51,347,949 | ||
1. 재무활동으로인한현금유입액 | 1,749,824,895 | 392,902,567 | ||
장기차입금의 차입 | 1,749,824,895 | 385,893,703 | ||
장기미지급금의 순증감 | 7,008,864 | |||
유상증자 | ||||
2. 재무활동으로인한현금유출액 | (302,961,560) | (341,554,618) | ||
유동성장기부채의 상환 | (158,080,000) | (197,901,462) | ||
리스부채의 상환 | (144,881,560) | (143,653,156) | ||
Ⅳ. 현금및현금성자산의 증가 | 21,263,548 | (373,622,585) | ||
기초 현금및현금성자산 | 35,180,555 | 409,210,684 | ||
현금및현금성자산의 환율변동효과 | 760,044 | (407,544) | ||
Ⅴ. 기말 현금및현금성자산 | 57,204,147 | 35,180,555 |
- 최근 2사업연도의 배당에 관한 사항해당사항 없음
가. 이사의 수ㆍ보수총액 내지 최고 한도액
(당 기)
이사의 수 (사외이사수) | 3명( 1명 ) |
보수총액 또는 최고한도액 | 800백만원 |
(전 기)
이사의 수 (사외이사수) | 4명( 1명 ) |
실제 지급된 보수총액 | 319백만원 |
최고한도액 | 800백만원 |
※ 기타 참고사항 : 보수한도 승인요청액은 전년과 동일
가. 감사의 수ㆍ보수총액 내지 최고 한도액
(당 기)
감사의 수 | 1 |
보수총액 또는 최고한도액 | 100백만원 |
(전 기)
감사의 수 | 1 |
실제 지급된 보수총액 | 12백만원 |
최고한도액 | 100백만원 |
※ 기타 참고사항 : 보수한도 승인요청액은 전년과 동일
제출(예정)일 | 사업보고서 등 통지 등 방식 |
---|---|
- 상법시행령 제31조(주주총회의 소집공고)에 의거하여 사업보고서 및 감사보고서는 주주총회 1주전까지 홈페이지에 게재하고, 전자공시시스템(DART)를 통하여 공시 예정입니다. ※ 홈페이지 주소 : http://www.thecalth.com
향후 사업보고서는 오기 등이 있는 경우 수정될 수 있으며, 수정된 사업보고서는 DART에 업데이트 될 예정이므로, 주주총회 이후 변경된 사항에 관하여는 DART -정기공시에 제출된 사업보고서를 참고 부탁드립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