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가) 본 사채의 사채권자는 본 사채의 중도상환을 요구할 수 없다.
(나) 발행회사는 (i) 본 사채의 발행일로부터 2년이 경과한 날 또는 (ii) 발행회사의 대주주(자본시장과 금융투자업에 관한 법률 제9조 제1항에 따른 대주주를 말한다)가 변경되는 날 (단, 발행회사의 기존 대주주의 계열회사가 발행회사의 대주주로 변경되는 경우는 제외) (이하 “대주주 변경”이라 한다) 중 빠른 날 이후 도래하는 매 이자지급일마다 본 사채를 상환할 수 있으며(이하 이에 따라 본 사채가 조기상환되는 날을 “조기상환일”이라 한다), 이 경우 발행회사는 해당 조기상환일에 본 사채 원금의 100% 및 미지급 정상이자(이하 “조기상환금액”이라 한다)를 사채권자에게 지급하여야 한다. 단, 이자지급정지가 1회라도 발생한 경우에는 지연이자 및 추가이자를 전액 지급한 후 상환이 가능하다. 다만, 조기상환일이 은행영업일이 아닌 경우에는 그 이후 최초 은행영업일에 상환하되, 조기상환일 이후의 이자는 지급하지 않는다. 발행회사가 본 사채를 조기상환하는 경우에는 본 사채의 일부만을 상환할 수 없으며, 그 전부를 상환해야 한다. 본 사채의 만기일자가 연장된 경우 발행회사는 (i) 본 사채의 만기일자가 연장된 날로부터 1년이 경과한 날 또는 (ii) 발행회사의 대주주(자본시장과 금융투자업에 관한 법률 제9조 제1항에 따른 대주주를 말한다)가 변경되는 날 (단, 발행회사의 기존 대주주의 계열회사가 발행회사의 대주주로 변경되는 경우는 제외) (이하 “대주주 변경”이라 한다) 중 빠른 날 이후 도래하는 매 이자지급일마다 본 사채를 상환할 수 있으며(이하 이에 따라 본 사채가 조기상환되는 날을 “조기상환일”이라 한다), 이 경우 발행회사는 해당 조기상환일에 본 사채 원금의 100% 및 미지급 정상이자(이하 “조기상환금액”이라 한다)를 사채권자에게 지급하여야 한다. 단, 이자지급정지가 1회라도 발생한 경우에는 지연이자 및 추가이자를 전액 지급한 후 상환이 가능하다. 다만, 조기상환일이 은행영업일이 아닌 경우에는 그 이후 최초 은행영업일에 상환하되, 조기상환일 이후의 이자는 지급하지 않는다.
(다) 회계 원인에 의한 상환: 발행회사가 발행일 이후 대한민국이 채택한 국제회계기준(K-IFRS, 이하 “관련회계기준”이라 한다)에 대한 여하한 변경 또는 수정, 기타 여하한 사정에 의하여 본 사채의 전부 또는 일부가 관련회계기준에 따라 발행회사의 자본으로 더 이상 계상되어서는 안 되는 경우(이하 “자본부적격사유”라 한다)가 발생하여 계속되는 경우, 발행회사는 본 사채의 전부(일부에 대하여만 할 수는 없음)에 대하여 조기상환일로부터 30일 이전까지 본 사채의 사채권자 및 원리금지급사무대행자에게 서면통지함으로써, 자본부적격사유가 발생한 이후 도래하는 어느 이자지급일에, 본 사채의 사채원리금(미지급이자 및 추가 이자 포함)을 지급함으로써 본 사채를 상환할 수 있다.
(라) 세금공제 원인에 의한 상환: 발행회사가 발행일 이후 과세당국이 법령 또는 행정규칙을 변경 또는 수정하거나 이들 법령의 적용 또는 유권해석(관할권이 있는 법원의 판결을 포함)이 변경 또는 수정되어 그 결과 발행회사가 지급한 이자(미지급이자 및 추가 이자 포함)의 전부 또는 일부가 과세당국에 의하여 발행회사의 세금공제가 되는 비용으로 인정되지 아니하거나, 발행회사에 대하여 본 사채와 관련한 추가적인 조세, 기타 공과금 납부 의무가 발생하는 경우(이하 “세금공제사유”라 한다)가 발생하여 계속되는 경우, 발행회사는 본 사채의 전부(일부에 대하여만 할 수는 없음)에 대하여 조기상환일로부터 30일 이전까지 본 사채의 사채권자 및 원리금지급사무대행자에게 서면통지함으로써,세금공제사유가 발생한 이후 도래하는 어느 이자지급일에, 본 사채의 사채원리금(미지급이자 및 추가 이자 포함)을 지급함으로써 본 사채를 상환할 수 있다.
(마) 발행회사는 본 사채를 조기상환하기로 한 조기상환일에 원리금지급장소에서 각 사채권자에게 조기상환금액을 지급하여야 한다.
(바) 발행회사가 본 사채를 조기상환하는 경우, 발행회사는 해당 조기상환일로부터 30일 이전에 해당 사채의 조기상환에 관한 사항을 한국예탁결제원, 인수회사 및 원리금지급사무대행자에 통보하여야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