의결권대리행사권유참고서류 6.0 비나텍 주식회사 의결권 대리행사 권유 참고서류
금융위원회 / 한국거래소 귀중
2025년 07 월 04 일
권 유 자: 성 명: 비나텍 주식회사주 소: 전라북도 전주시 덕진구 운암로 15전화번호: 063-715-3020
작 성 자: 성 명: 정인수부서 및 직위: 경영지원부문장전화번호: 063-715-3020

<의결권 대리행사 권유 요약>

비나텍 주식회사본인2025년 07월 04일2025년 07월 22일2025년 07월 12일미위탁주주총회의 원활한 진행 및 의결정족수 확보전자위임장 가능한국예탁결제원

인터넷 주소 : https://evote.ksd.or.kr

모바일 주소 : https://evote.ksd.or.kr/m

전자투표 가능한국예탁결제원인터넷 주소 : https://evote.ksd.or.kr모바일 주소 : https://evote.ksd.or.kr/m□ 이사의선임□ 정관의변경
1. 의결권 대리행사 권유에 관한 사항
가. 권유자 나. 회사와의 관계
다. 주총 소집공고일 라. 주주총회일
마. 권유 시작일 바. 권유업무 위탁 여부
2. 의결권 대리행사 권유의 취지
가. 권유취지
나. 전자위임장 여부 (관리기관)
(인터넷 주소)
다. 전자/서면투표 여부 (전자투표 관리기관)
(전자투표 인터넷 주소)
3. 주주총회 목적사항

I. 의결권 대리행사 권유에 관한 사항

1. 권유자에 관한 사항

비나텍

주식회사

보통주192,4613.02본인자기주식
성명(회사명) 주식의종류 소유주식수 소유비율 회사와의 관계 비고

- 권유자의 특별관계자에 관한 사항

성도경최대주주보통주1,766,24827.72등기임원-전성숙최대주주의 특수관계인보통주102,1031.60--정한기임원보통주33,0390.52등기임원-성민기최대주주의 특수관계인보통주15,9520.25--성세경최대주주의 특수관계인보통주10,2100.16--전재완최대주주의 특수관계인보통주4,2490.07--김경철임원보통주3,9690.06등기임원-류근원최대주주의 특수관계인보통주6850.01--전재현최대주주의 특수관계인보통주6190.01--1,937,07430.40-
성명(회사명) 권유자와의관계 주식의종류 소유주식수 소유 비율 회사와의관계 비고
- -

2. 권유자의 대리인에 관한 사항 가. 주주총회 의결권행사 대리인 (의결권 수임인) 이경선보통주0직원직원-
성명(회사명) 주식의종류 소유주식수 회사와의관계 권유자와의관계 비고

나. 의결권 대리행사 권유업무 대리인 -해당사항없음-----
성명(회사명) 구분 주식의종류 주식소유수 회사와의관계 권유자와의관계 비고

3. 권유기간 및 피권유자의 범위

가. 권유기간 2025년 07월 04일2025년 07월 12일2025년 07월 21일2025년 07월 22일
주주총회소집공고일 권유 시작일 권유 종료일 주주총회일

나. 피권유자의 범위 2025년 06월 27일 현재 주주명부에 등재되어 있는 주주 전체

II. 의결권 대리행사 권유의 취지

1. 의결권 대리행사의 권유를 하는 취지 원활한 주주총회 진행을 위해 필요한 의사 정족수 확보

2. 의결권의 위임에 관한 사항

가. 전자적 방법으로 의결권을 위임하는 방법 (전자위임장) 전자위임장 가능2025년 7월 12일 오전 9시 ~ 2025년 7월 21일 오후 5시한국예탁결제원

인터넷 주소: https://evote.ksd.or.kr

모바일 주소: https://evote.ksd.or.kr/m

- 기간 중 24시간 이용 가능 (단, 마지막 날은 오후 5시까지만 가능)- 시스템에 인증서를 이용하여 주주 본인 확인 후 의안별 전자위임장 수여 (주주확인용 인증서의 종류: 코스콤 증권거래용 인증서, 금융결제원 개인용도제한용 인증서 등)
전자위임장 수여 가능 여부
전자위임장 수여기간
전자위임장 관리기관
전자위임장 수여인터넷 홈페이지 주소
기타 추가 안내사항 등

나. 서면 위임장으로 의결권을 위임하는 방법

□ 권유자 등이 위임장 용지를 교부하는 방법 OXOXX
피권유자에게 직접 교부
우편 또는 모사전송(FAX)
인터넷 홈페이지 등에 위임장 용지를 게시
전자우편으로 위임장 용지 송부
주주총회 소집 통지와 함께 송부(발행인에 한함)

- 위임장용지 교부 인터넷 홈페이지

비나텍http://www.vinatech.com-
홈페이지 명칭 인터넷 주소 비고

□ 피권유자가 위임장을 수여하는 방법

- 위임장 접수처

·주 소 : 전라북도 전주시 덕진구 운암로 15 비나텍(주) 주주총회 담당자앞 (우편번호 54853 )

·전화번호 : 063-715-3020

·팩스번호 : 063-715-3021

- 우편 접수 여부 : 가능

- 접수 기간 : 2025년 07월 12일 ~ 2025년 07월 21일 임시주주총회 개시 전

다. 기타 의결권 위임의 방법 -

3. 주주총회에서 의결권의 직접 행사에 관한 사항

가. 주주총회 일시 및 장소 2025년 07월 22일 오전 11시전라북도 전주시 덕진구 운암로 15
일 시
장 소

나. 전자/서면투표 여부 □ 전자투표에 관한 사항 전자투표 가능2025년 07월 12일 오전 9시 ~ 2025년 07월 21일 오후 5시한국예탁결제원인터넷 주소 : https://evote.ksd.or.kr모바일 주소 : https://evote.ksd.or.kr/m- 기간 중 24시간 이용 가능 (단, 마지막 날은 오후 5시까지만 가능)- 시스템에 인증서를 이용하여 주주 본인 확인 후 의안별 전자투표 실시 (주주확인용 인증서의 종류: 코스콤 증권거래용 인증서, 금융결제원 개인용도제한용 인증서 등)
전자투표 가능 여부
전자투표 기간
전자투표 관리기관
인터넷 홈페이지 주소
기타 추가 안내사항 등

□ 서면투표에 관한 사항 해당사항 없음---
서면투표 가능 여부
서면투표 기간
서면투표 방법
기타 추가 안내사항 등

다. 기타 주주총회에서의 의결권 행사와 관련한 사항 -

III. 주주총회 목적사항별 기재사항

□ 이사의 선임

가. 후보자의 성명ㆍ생년월일ㆍ추천인ㆍ최대주주와의 관계ㆍ사외이사후보자 등 여부

후보자성명 생년월일 사외이사후보자여부

감사위원회 위원인

이사 분리선출 여부

최대주주와의 관계 추천인
이홍기 590415 - - 이사회
총 ( 1 ) 명

나. 후보자의 주된직업ㆍ세부경력ㆍ해당법인과의 최근3년간 거래내역

후보자성명 주된직업 세부경력 해당법인과의최근3년간 거래내역
기간 내용
이홍기 우석대학교 산학부총장 2023~현재

IEC/TC105 연료전지기술위원회 의장

-
2024~현재 우석대학교 산학부총장

다. 후보자의 체납사실 여부ㆍ부실기업 경영진 여부ㆍ법령상 결격 사유 유무

후보자성명 체납사실 여부 부실기업 경영진 여부 법령상 결격 사유 유무
이홍기 없음 없음 없음

라. 후보자의 직무수행계획(사외이사 선임의 경우에 한함)

<후보자 : 이홍기>1. 사외이사로서의 전문성 및 독립성을 기초로 직무를 수행할 것입니다..2. 회사 및 주주, 기타 이해관계자 모두의 가치 제고를 위한 투명한 의사결정 및 이사회 견제를 통해 직무를 수행할 것입니다.3. 상법상 사외이사의 책임과 의무에 대한 엄중함을 인지하고, 상법 제382조제3항, 제542조의8 및 동 시행령 제34조에 의거하여 사외이사의 자격요건 부적격 사유에 해당하게 된 경우에는 사외이사직 상실하도록 하겠습니다.

마. 후보자에 대한 이사회의 추천 사유

당사 성장을 위한 영업 및 경영전략의 실행 등 후보자가 가진 역량이 당사의 이사로 선임하기에 충분하므로, 이사회 전원의 추천으로 후보자를 추천함.

확인서 확인서_이홍기사외이사(사인).jpg 확인서

※ 기타 참고사항

□ 정관의 변경

가. 집중투표 배제를 위한 정관의 변경 또는 그 배제된 정관의 변경

변경전 내용 변경후 내용 변경의 목적
- - -

나. 그 외의 정관변경에 관한 건

변경전 내용 변경후 내용 변경의 목적

제2조(목적)1. 전기, 전자, 통신기기와 그 구성부품의 제조 가공 및 판매업

제2조(목적) 1. 전기, 전자, 통신기기와 그 구성부품의 제조 가공 및 판매업

등기부등본 기재내용과 일치

제9조(주식의 종류, 수 및 내용)

⑧ 우선주식의 전환된 주식에 대한 이익의 배당에 관하여는 제13조의 규정 (신주의 배당기산일) 을 준용한다.

제9조(주식의 종류, 수 및 내용)⑧ 우선주식의 전환된 주식에 대한 이익의 배당에 관하여는 제13조의 규정을 준용한다.

정관의 다른 조문 인용시 괄호안 표제 생략

제10조(신주인수권)

3. 발행주식총수의 100분의 50을 초과하지 않는 범위내에서 자본시장과 금융투자업에관한 법률 165조6 에 따라 일반공모증자 방식으로 신주를 발행하는 경우4. 상법 제542조3 에 따른 주식매수선택권의 행사로 인하여 신주를 발행하는 경우5. 발행주식총수의 100분의 20을 초과하지 않는 범위내에서 회사의 장기적인 발전, 신규 영업의 진출, 사업목적의 확대, 신기술의 도입, 재무구조의 개선 또는 긴급한 자금조달을 위해 국내외 금융기관, 기관투자자, 국내외 전략적 투자자, 구조조정기금, 외국의 합작 법인 또는 거래관계의 유지 또는 사업상 제휴관계가 필요한 자에게 신주를 배정하는 경우8. 코스닥시장 이전상장을 위한 업무를 주관한 대표주관회사에게 기업공개 당시 공모주식 총수의 100분의10을 초과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신주를 발행하는 경우 ③ 제2항 각 호 중 어느 하나의 규정에 의해 신주를 발행할 경우 발행할 주식의 종류와 수 및 발행가격 등은 이사회의 결의로 정하며, 8항서 정하는 바에 따라 대표주관회사에게 신주를 배정하는 경우 신주인수권 부여한도 및 행사가격 등은 금융투자협회의 "증권인수업무 등에 관한 규정"에서 정하는 바에 따른다.

제10조(신주인수권) 3. 발행주식총수의 100분의 50을 초과하지 않는 범위내에서 자본시장과 금융투자업에 관한 법률 제165조의6 에 따라 일반공모증자 방식으로 신주를 발행하는 경우

4. 상법 제542조의3 에 따른 주식매수선택권의 행사로 인하여 신주를 발행하는 경우

5. 발행주식총수의 100분의 20을 초과하지 않는 범위내에서 회사의 장기적인 발전, 신규 영업의 진출, 사업목적의 확대, 신기술의 도입, 재무구조의 개선 또는 긴급한 자금조달 등을 위해 국내외 기관투자자 등에게 신주를 배정하는 경우

8. 자본시장과 금융투자업에 관한 법률 제165조의7에 따라 우리사주조합원에게 신주를 배정하는 경우

③ 제2항 각 호 중 어느 하나의 규정에 의해 신주를 발행할 경우 발행할 주식의 종류와 수 및 발행가격 등은 이사회의 결의로 정한다.

투자자 유형 간소화 및 유연성 확보, 우리사주조합 배정 근거 추가

제12조(주식매수선택권)

② 회사는 제1항의 규정에도 불구하고 자본시장과 금융투자업에 관한법률상 의 최대주주, 주요주주 및 그 특수 관계인에게는 주식매수선택권을 부여하지 아니한다.

⑦ 주식매수선택권을 부여받은 자는 제1항의 결의일 부터 2년 이상 재임 또는 재직하여야 권리를 행사할 수 있다. 다만, 제1항의 결의일로부터 2년 내에 사망하거나 정년으로 인한 퇴임 또는 퇴직 기타 본인의 귀 책 사유가 아닌 사유로 퇴임 또는 퇴직한 자는 그 행사기간동안 주식매수선택권을 행사할 수 있다.

⑨ 주식매수선택권의 행사로 인하여 발행한 신주에 대한 이익의 배당에 관하여는 제13조의 규정 (신주의 배당기산일) 을 준용한다.

제12조(주식매수선택권)

② 회사는 제1항의 규정에도 불구하고 자본시장과 금융투자업에 관한 법률 상 의 최대주주, 주요주주 및 그 특수관계인에게는 주식매수선택권을 부여하지 아니한다.

⑦ 주식매수선택권을 부여받은 자는 제1항의 결의일부터 2년 이상 재임 또는 재직하여야 권리를 행사할 수 있다. 다만, 제1항의 결의일로부터 2년 내에 사망하거나 기타 본인의 귀책 사유가 아닌 사유로 퇴임 또는 퇴직한 자는 그 행사기간동안 주식매수선택권을 행사할 수 있다.

⑨ 주식매수선택권의 행사로 인하여 발행한 신주에 대한 이익의 배당에 관하여는 제13조의 규정을 준용한다.

상법 시행령 반영으로 정년 예외 삭제 및 기간 단축, 정관의 다른 조문 인용시 괄호안 표제 생략

제13조(신주의 배당기산일 ) 회사가 당해 사업 연도에 발행한 신주에 대한 이익배당에 관하여는 신주를 발행 또는 인수 납입한 때가 속하는 영업 연도의 직전 영업년도말에 신주를 발행 또는 인수 납입된 것으로 본다.

제13조(신주의 동등배당 ) 회사가 정한 배당기준일 전에 유상증자, 무상증자 및 주식배당에 의하여 발행한 주식에 대하여는 동등배당한다 .

상법 개정사항 반영으로 신주 동등배당 원칙 적용

제17조( 주주명부의 폐쇄 및 기준일)

① 회사는 매년 1월 1일부터 1월 14일까지 그 결산기에 관한 정기주주총회 종료일까지 권리에 관한 주주명부의 기재변경을 정지한다.③ 회사는 임시주주총회의 소집 기타 필요한 경우 이사회의 결의로 3월을 경과하지 아니하는 일정한 기간을 정하여 권리에 관한 주주명부의 기재변경을 정지하거나 이사회의 결의로 정한 날에 주주명부에 기재되어 있는 주주를 그 권리를 행사할 주주로 할 수 있으며, 이사회가 필요하다고 인정하는 경우에는 주주명부의 기재변경정지와 기준일의 지정을 함께 할 수 있다. 이 경우 회사는 이를 회일 2주간 전에 공고한다 .

제17조(기준일)

① <삭제>

③ 회사는 임시주주총회의 소집 기타 필요한 경우 이사회의 결의로 정한 날에 주주명부에 기재되어 있는 주주를 그 권리를 행사할 주주로 정할 수 있으며, 회사는 이사회의 결의로 정한 날의 2주간 전에 이를 공고하여야 한다.

전자증권 제도 하에서 주주명부 폐쇄 개념 불필요

제22조(사채발행에 관한 준용규정) 제15조 (명의개서) 규정은 사채발행의 경우에 준용한다.

제22조(사채발행에 관한 준용규정) 제15조의 규정은 사채발행의 경우에 준용한다.

중복된 부분 삭제, 정관의 다른 조문 인용시 괄호안 표제 생략

제22조의2(사채 및 신주인수권증권에 표시되어야 할 권리의 전자등록) 회사는 사채권 및 신주인수권증권을 발행하는 대신 전자등록기관의 전자등록계좌부에 사채 및 신주인수권증권에 표시되어야 할 권리를 전자등록 한다 .

제22조의2(사채 및 신주인수권증권에 표시되어야 할 권리의 전자등록)

회사는 사채권 및 신주인수권증권을 발행하는 대신 전자등록기관의 전자등록계좌부에 사채 및 신주인수권증권에 표시되어야 할 권리를 전자등록 할 수 있다. 다만, 사채의 경우 법령에 따라 전자등록이 의무화된 상장사채 등을 제외하고는 전자등록을 하지 않을 수 있다 .

사채 전자등록 의무 완화

제23조(소집시기)

정기총회는 매사업년도 종료 후 3월 이내에, 임시주주총회는 필요에 따라 소집한다.

제23조(소집시기) 정기주주총회는 매사업년도 종료 후 3월 이내에, 임시주주총회는 필요에 따라 소집한다.

정식 명칭으로 수정

제24조(소집권자)

② 대표이사(사장)의 유고시에는 정관 제39조(이사의 직무) 의 규정을 준용한다.

제24조(소집권자)

② 대표이사(사장)의 유고시에는 제38조 의 규정을 준용한다.

정관 명칭 및 정관의 다른 조문 인용시 괄호안 표제 생략

제25조(소집통지 및 공고)

② 회사는 제1항의 규정에도 불구하고 의결권 있는 발행주식총수의 100분의 1이하의 주식을 소유한 주주에 대하여는 회의일 2주간 전에 주주총회를 소집한다는 뜻과 회의의 목적사항을 제4조에서 정하는 신문에 각각 2회 이상 공고하거나 금융감독원 또는 한국거래소가 운용하는 전자공시시스템에 공고함으로써 제1항의 소집통지에 갈음할 수 있다.

③ 회사가 제1항과 제2항에 따라 주주총회의 소집통지 또는 공고를 하는 경우에는 증권거래법 제191조의10 제2항에서 규정하는 회사의 경영참고사항을 통지 또는 공고하여야 한다.

(신설)

제25조(소집통지 및 공고) ② 회사는 제1항의 규정에도 불구하고 의결권 있는 발행주식총수의 100분의 1이하의 주식을 소유한 주주에 대하여는 회의일 2주간 전에 주주총회를 소집한다는 뜻과 회의의 목적사항을 서울특별시에서 발행하는 매일경제신문과 한국경제신문에 각각 2회 이상 공고하거나 금융감독원 또는 한국거래소가 운용하는 전자공시시스템에 공고함으로써 제1항의 소집통지에 갈음할 수 있다.

③ 회사가 제1항과 제2항에 따라 주주총회의 소집통지 또는 공고를 하는 경우에는 상법 제542조의4 제3항이 규정하는 회사의 경영참고사항을 통지 또는 공고하여야 한다. 다만, 회사가 그 사항을상법 시행령 제31조 제5항으로 정하는 방법으로 일반인이 열람할 수 있도록 하는 경우에는 그러하지 아니하다.

④ 회사가 제1항의 규정에 의한 소집통지 또는 제2항의 규정에 의한 공고를 함에 있어 회의의 목적사항이 이사 또는 감사위원회 위원의 선임에 관한 사항인 경우에는 이사 후보자 또는 감사위원회 위원 후보자의 성명, 약력, 추천인 그 밖에 상법 시행령 제31조 제3항이 정하는 후보자에 관한 사항을 통지 또는 공고하여야 한다.

상법 요건 충족을 위한 2개 신문 공고, 경영참고사항 법적 근거 변경, 후보자 정보 공시 의무 신설

제27조(의장)

② 대표이사(사장)의 유고시에는 정관 제39조 (이사의 직무) 의 규정을 준용한다.

제27조(의장)

② 대표이사(사장)의 유고시에는 제39조의 규정을 준용한다.

정관 명칭 및 정관의 다른 조문 인용시 괄호안 표제 생략

제36조(이사의 선임)

② 회사는 이사회의 결의로 대표이사, 부사장, 전무 및 상무 약간 명을 선임할 수 있다.

제36조(이사의 선임)

② <삭제>

대표이사 선임은 제47조에서 규정, 기타 임원 관련 조항 삭제

제37조(이사의 임기)

② 법률 또는 정관에 정한 이사의 원수를 결한 경우에는 주주총회에서 이사를 선임한다. 다만 정관 제35조 (이사의 수) 에서 정하는 원수를 결하지 아니하고, 업무수행상 지장이 없는 경우에는 그러하지 아니하다. ③ 사외이사가 사임·사망 등의 사유로 인하여 정관 제35조에서 정하는 원수를 결한 경우에는 그 사유가 발생한 후 최초로 소집되는 주주총회에서 그 요건에 충족되도록 하여야 한다.

제37조(이사의 임기)

② 법률 또는 정관에 정한 이사의 원수를 결한 경우에는 주주총회에서 이사를 선임한다. 다만 제35조에서 정하는 원수를 결하지 아니하고, 업무수행상 지장이 없는 경우에는 그러하지 아니하다.

③ 사외이사가 사임·사망 등의 사유로 인하여 제35조에서 정하는 원수를 결한 경우에는 그 사유가 발생한 후 최초로 소집되는 주주총회에서 그 요건에 충족되도록 하여야 한다.

정관 명칭 및 정관의 다른 조문 인용시 괄호안 표제 생략

제38조(자격주)

회사는 본 조항을 적용하지 아니한다.(삭제)

제38조(자격주)

<삭제>

-

제40조(이사의 보수와 퇴직금)

④ 사용인을 겸한 이사의 사용인에 대한 보수에 관하여도 주주총회의 결의로 이를 정한다.

제40조(이사의 보수와 퇴직금)

④ <삭제>

경영 효율성제고

제42조(이사회의 구성과 소집)

이사회의 의장은 제2항의 규정에 의한 이사회의 소집권자로 한다.

(신설)

제42조(이사회의 구성과 소집)

제2항의 규정에 의하여 소집권자로 지정되지 않은 다른 이사는 소집권자인 이사에게 이사회 소집을 요구할 수 있다. 소집권자인 이사가 정당한 이유 없이 이사회 소집을 거절하는 경우에는 다른 이사가 이사회를 소집할 수 있다.

④ 이사 전원의 동의가 있는 때에는 소집절차를 생략할 수 있다.

이사회 소집 절차 명확화

제43조(이사회의 결의방법)

② 이사회는 이사의 전부 또는 일부가 직접 회의에 출석하지 아니하고 모든 이사가 동영상 및 음성을 동시에 송수신하는 통신수단에 의하여 결의에 참가하는 것을 허용할 수 있다.

제43조(이사회의 결의방법)

② 이사회는 이사의 전부 또는 일부가 직접 회의에 출석하지 아니하고 모든 이사가 음성을 동시에 송수신하는 통신수단에 의하여 결의에 참가하는 것을 허용할 수 있다.

화상회의 요건 완화

제56조(재무제표와 영업보고서의 작성 비치 등)

① 회사의 대표이사(사장)는 정기주주총회 회일의 6주간 전에 다음의 서류와 그 부속명세서 및 영업보고서를 작성하여 감사위원회의 감사를 받아야 하며, 다음 각 호의 서류와 영업보고서를 정기총회 에 제출하여야 한다.

(각 호 기재 생략)

제56조(재무제표와 영업보고서의 작성 비치 등)

① 회사의 대표이사(사장)는 정기주주총회 회일의 6주간 전에 다음의 서류와 그 부속명세서 및 영업보고서를 작성하여 감사위원회의 감사를 받아야 하며, 다음 각 호의 서류와 영업보고서를 정기주주총회 에 제출하여야 한다.

(각 호 기재 생략)

정식 명칭으로 수정

제57조(외부감사인의 선임)

회사가 외부감사인을 선임함에 있어서는 [ 주식회사 등의 외부감사에 관한 법률 ] 의 규정에 따라 감사위원회는 감사인선임위원회의 승인을 받아 외부감사인을 선정하여야 하고, 회사는 그 사실을 외부감사인을 선임한 이후에 소집되는 정기주주총회에 보고하거나 주주에게 통지 또는 공고하여야 한다.

제57조(외부감사인의 선임)

회사가 외부감사인을 선임함에 있어서는 주식회사 등의 외부감사에 관한 법률의 규정에 따라 감사위원회의 승인을 받아 외부감사인을 선정하여야 하고, 회사는 그 사실을 외부감사인을 선임한 이후에 소집되는 정기주주총회에 보고하거나 주주에게 통지 또는 공고하여야 한다.

법률명 표기 정정, 감사인선임위원회 관련 문구 삭제

제60조(중간배당) - 전면 개정

① 회사는 이사회의 결의로 7월 1일 0시 현재의 주주에게 상법 제462조의 3에 의한 중간배당을 할 수 있다. 중간배당은 금전으로 한다. 제1항의 결의는 제1항의 기준일 이후 45일내에 하여야 한다.

③ 중간배당은 직전결산기의 재무상태표상의 순자산액에서 다음 각 호의 금액을 공제한 액을 한도로 한다.

1. 직전결산기 의 자본의 액

2. 직전결산기 까지 적립된 자본준비금과 이익준비금의 합계액

3. 상법시행령에서 정하는 미실현이익

4. 직전결산기의 정기주주총회에서 이익배당하기로 정한 금액

5. 직전결산기까지 정관의 규정 또는 주주총회의 결의에 의하여 특정목적을 위해 적립한 임의준비금

6. 중간배당에 따라 당해 결산기에 적립하여야 할 이익준비금 사업년도개시일 이후 제1항의 기준일 이전에 신주를 발행한 경우(준비금의 자본전입, 주식배당, 전환사채의 전환청구, 신주인수권부사채의 신주인수권 행사에 의한 경우를 포함한다)에는 중간배당에 관해서는 당해 신주는 직전사업년도말에 발행된 것으로 본다. 다만 중간배당후에 발행된 신주에 대하여는 중간배당 기준일 직후에 발행된 것으로 본다.

⑤ 정관 제9조의 우선주식에 대한 중간배당은 보통주식과 동일한 배당률을 적용한다.

제60조(중간배당) - 전면 개정

① 회사는 사업연도 중 1회에 한하여 이사회의 결의로 일정한 날을 정하여 그날의 주주에게 상법 제462조의3에 의한 중간배당을 할 수 있다.

회사는 이사회 결의로 제1항의 배당을 받을 주주를 확정하기 위한 기준일을 정할 수 있으며, 기준일을 정한 경우 그 기준일의 2주간 전에 이를 공고하여야 한다.

③ 중간배당은 직전 결산기의 재무상태표상의 순자산액에서 다음 각 호의 금액을 공제한 액을 한도로 한다.

1. 직전 결산기 의 자본금의 액

2. 직전 결산기 까지 적립된 자본준비금과 이익준비금의 합계액

3. 직전 결산기의 정기주주총회에서 이익배당하기로 정한 금액

4. 직전 결산기까지 정관의 규정 또는 주주총회의 결의에 의하여 특정 목적을 위해 적립한 임의준비금

5. 중간배당에 따라 당해 결산기에 적립하여야 할 이익준비금

6. 상법 시행령에서 정하는 미실현이익

제1항의 중간배당은 중간배당 기준일 전에 발행한 주식에 대하여 동등배당한다.

⑤ <삭제>

중간배당 절차 단순화, 기준일 설정 권한 명확화, 동등배당 원칙 적용

(신설)

부칙 제 1 조 (시행일) 이정관은 2025년 07월 22일부로 시행한다.

시행일에 따른 부칙신설

※ 기타 참고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