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년 03월 13일 | ||
회 사 명 : | 인바이오 주식회사 | |
대 표 이 사 : | 이 명 재 | |
본 점 소 재 지 : | 경기도 군포시 번영로28번길 37-20, 4층 | |
(전 화) 031-477-6017 | ||
(홈페이지)http:// www.enbio.co.kr | ||
작 성 책 임 자 : | (직 책) 전 무 | (성 명) 조 인 선 |
(전 화) 031-477-6017 | ||
(제28기 정기) |
주주님의 건승과 댁내의 평안을 기원합니다.
상법 제365조 및 당사 정관 제 21조에 의거하여 제28기 정기주주총회를 아래와 같이 소집하오니 참석하여 주시기 바라오며, 상법 제542조의4에 의거하여 발행주식총수의 1% 이하 소유주주에 대한 소집통지는 본 공고로 갈음하오니 양지하여 주시기 바랍니다. - 아 래 -
1. 일 시 : 2025년 03월 28일(금) 오전 9시 00분
2. 장 소 : 경기도 군포시 군포첨단산업2로 22번길 5, 군포산업진흥원 3층 컨벤션홀
3. 회의목적사항
가. 보고사항
- 감사보고 - 영업보고
- 내부회계관리제도 운영실태보고
나. 부의안건
제1호 의안 : 제28기(2024. 01. 01 ~ 2024. 12. 31) 재무제표 승인의 건 제2호 의안: 이사 보수 한도 승인의 건
제3호 의안: 감사 보수 한도 승인의 건4. 경영참고사항"상법 제542조의4"에 의한 경영참고사항은 당사의 본점과 명의개서대행회사(국민은행 증권대행부)에 비치하였고, 금융위원회 및 한국거래소에 전자공시하여 조회가 가능하오니 참고하시기 바랍니다.5. 의결권 행사방법에 관한 사항
주주님께서는 본인이 직접 주주총회에 참석하시거나 대리인을 대신 참석하게 하는 방식으로 의결권을 행사하실 수 있습니다.
가. 본인이 직접 의결권 행사시 : 본인 신분증 지참
나. 대리인을 통한 의결권 행사시 : 위임장(주주와 대리인의 인적사항 기재, 인감날인및 인감증명서 첨부), 대리인의 신분증 지참6. 주주총회 참석시 준비물 가. 직접행사 : 신분증
나. 대리행사 : 위임장(주주와 대리인의 인적사항 기재,인감 날인), 대리인의 신분증 ※ 위임장에 기재할 사항 - 대리인의 성명, 생년월일, 의결권을 위임한다는 내용 - 위임인(주주)의 성명, 생년월일, 주민등록번호(법인의 경우 사업자등록번호) - 위임인(주주)의 인감도장 날인7. 기타사항가. 제28기 정기주주총회에는 별도의 기념품을 지급하지 않습니다.
2025년 03월 13일 인바이오 주식회사 대표이사 이 명 재 (직인생략)
회차 | 개최일자 | 의안내용 | 사외이사 등의 성명 | |
---|---|---|---|---|
배한홍(출석률: 94%) | 이일영(출석률: 67%) | |||
찬 반 여 부 | ||||
1 | 22.03.03 | 제25기 정기주주총회소집결의의 건 | 찬성 | - |
2 | 22.03.10 | 제25기 사업연도 결산 승인의 건 | 찬성 | - |
3 | 22.03.24 | SIGHT 한도증액 차입한도(5,000,000불) | 찬성 | - |
4 | 22.10.20 | 산업운영자금 약정 | 찬성 | - |
5 | 23.03.14 | 제 26기 정기주주총회 전자적 방법 의결권 행사 승인의 건 | 찬성 | - |
6 | 제 26기 정기주주총회 부의안건(정관변경) 추가 승인의 건 | 찬성 | - | |
7 | 23.03.31 | 제 26기 정기주주총회의 건 | 찬성 | - |
8 | 23.10.13 | 산업운영자금 약정에 관한 건 | 찬성 | - |
9 | 24.02.05 | 제27기 사업연도 결산 승인의 건 | 찬성 | - |
10 | 24.02.26 | 신사옥 매입을 위한 신규차입에 관한 건 | 찬성 | - |
11 | 24.03.08 | 제 27기 정기주주총회의 건 | 찬성 | - |
12 | 24.04.02 | 임시주주총회 소집의 건 | 찬성 | - |
13 | 24.04.04 | 유형자산 취득결정의 건 | 찬성 | - |
14 | 24.05.13 | 임시주주총회 소집의 건 | 찬성 | - |
15 | 24.09.24 | 산업운영자금 약정에 관한 건 | 찬성 | 찬성 |
16 | 25.02.13 | 사업년도 결산승인의 건 | - | - |
17 | 25.02.26 | 제 28기 정기주주총회의 건 | 찬성 | 찬성 |
위원회명 | 구성원 | 활 동 내 역 | ||
---|---|---|---|---|
개최일자 | 의안내용 | 가결여부 | ||
- | - | - | - | - |
(단위 : 원) |
구 분 | 인원수 | 주총승인금액 | 지급총액 | 1인당 평균 지급액 | 비 고 |
---|---|---|---|---|---|
사외이사 | 2 | 2,000,000,000 | 12,000,000 | 12,000,000 | - |
(단위 : 억원) |
거래종류 | 거래상대방(회사와의 관계) | 거래기간 | 거래금액 | 비율(%) |
---|---|---|---|---|
- | - | - | - | - |
(단위 : 억원) |
거래상대방(회사와의 관계) | 거래종류 | 거래기간 | 거래금액 | 비율(%) |
---|---|---|---|---|
- | - | - | - | - |
(1) 작물보호제 산업의 개요
당사는 작물보호제 원료를 해외 글로벌 화학회사에서 수입하여 자사의 제형개발을 통해 제품화하고, 국내 농협 및 농업관련 유통채널에 판매하고 있습니다.식품의 안전성에 대한 관심 증대와 친환경 농업 증가 및 환경오염 방지 등으로 최근 지대한 관심을 받고 있는 작물보호제는 식량생산성 향상에 가장 많은 역할을 하고 있어, 비료 및 농기계와 함께 농업생산에 있어서 중요한 생산자재입니다. 이러한 작물보호제는 농약관리법에서 “농작물을 해치는 균(菌), 곤충, 응애, 선충(線蟲), 바이러스, 잡초, 그 밖에 동식물을 방제하는 데에 사용하는 살균제·살충제·제초제, 농작물의 생리기능을 증진하거나 억제하는 데에 사용하는 약제, 그 밖에 농림수산식품부령으로 정하는 약제” 라고 정의하고 있습니다.
작물보호제란 농작물 재배를 위한 농경지의 토양 및 종자를 소독하거나, 작물 재배기간 중에 발생하는 병해충으로부터 농작물을 보호하거나, 저장 농산물의 병해충을 방제하기 위한 목적으로 사용하는 모든 약제를 말합니다. 또한, 농작물의 생육을 촉진 또는 억제하거나 낙과방지, 착색 등을 좋게 하여 농산물의 품질을 향상시키는 약제와이들 약제의 효과를 증진시키기 위하여 사용되는 전착제 등 약효 증진제 또한 작물보호제의 범위에 포함시키고 있습니다.
작물보호제 사용으로 인한 효과에는 병해충에 의한 수확량 감소 방지 효과, 노동력 및 생산비 절감 효과 등이 있습니다. 그러나 작물보호제의 오·남용은 인체와 농작물에 피해를 줄뿐 아니라 토양, 대기, 물 등 환경오염의 주된 원인으로 작용할 수도 있습니다. 이러한 문제 때문에 법을 통하여 작물보호제의 생산, 유통, 사용은 엄격하게 관리되고 있습니다.
(2) 작물보호제 산업의 분류 및 특징
작물보호제 산업은 정밀 화학산업으로 분류됩니다. 정밀 화학산업에는 작물보호제 이외에 의약, 염료 및 안료, 도료 및 잉크, 화장품 및 향료, 계면활성제, 접착제 등이 포함되며, 이 중에서도 작물보호제 산업은 소량다품종 생산방식을 취하는 기술집약적 산업입니다.
작물보호제 산업은 다른 정밀 화학산업과 마찬가지로 신제품 및 신물질 개발에 장기간 소요되지만, 일단 개발이 되어 제품판매가 성공적일 경우 단기간에 대규모 이익이창출되는 산업입니다.
작물보호제 산업의 경쟁력 확보에는 신기술 개발 이외에 보유한 기술력에 대한 마케팅 또한 중요한 요소로 작용하며, 개발된 제품의 신뢰성 및 안전성 확보 문제가 실질적인 기술 장벽으로 작용할 수 있다는 특징이 있습니다.
이로 인해 작물보호제 산업에서는 상대적으로 가격 경쟁요인 보다는 기술 등 비가격경쟁요인이 제품의 경쟁력을 결정짓는 중요한 요소로 작용하고 있어, 제품 생산 기술수준에 따라 제품의 경쟁력 및 가격이 결정됩니다.
(3) 산업의 성장성
최근 지구온난화의 영향으로 발생한 이상 고온현상으로 세계적인 식량부족 위기가 가속되고 있어 농업이 국민 건강과 국가안보에 중요한 위치에 있습니다.토질, 수질 등의 환경 오염으로 인해 생산량, 생산방법, 판매가격 등에서 상당한 규제를 받고 있지만, 최소한의 수익성이 보장되는 산업이므로 국내외 작물보호제 시장이 지속적으로 확대 될 것으로 보입니다.
(4) 경기변동의 특성 및 안정성작물보호제 산업은 국내의 식량자급 및 농가소득과 밀접한 관련이 있으며, 일정 규모의 시장이 유지되어 다른 산업 대비 국내외 경기 변동에 의한 영향이 비교적 크지 않습니다.작물보호제 산업은 품목 판매를 위한 긴 개발기간과 검토기간이 있으며, 긴 라이프사이클을 가지고 있습니다. 허가제에서 등록제로 바뀐 이후 출시된 1,796품목의 2018년까지 평균 판매년수는 약 12.2년으로 나타났습니다. 1981년 이전에 출시된 69개 품목 중 2018년에도 판매되고 있는 품목은 총 60품목으로 약 80%이상의 제품이 약 30여년간 판매되고 있는 등(당사 자체 분석), 안정적인 모습을 보이고 있습니다.
(5) 계절성작물보호제 산업은 작물의 재배시기 이전에 많이 판매 되며, 특히 농번기인 2~6월사이 매출이 집중됩니다. 하지만 동절기에도 이른 봄에 처리되는 예방 제품 등에 대한 판매가 이루어 지고 있으며, 최근에는 실내에서 재배 할 수 있는 비닐하우스나 외부환경을 조절할 수 있는 재배시설들이 널리 보급되어 농휴기에도 매출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그럼에도 불구하고 작물보호제 산업은 기후 등의 자연환경 변화 와 천재지변, 우발적인 병해충의 발생으로, 수요의 우발성이 크기 때문에 정확한 수요를 예측하는데 어려움이 있습니다.
(1) 국내 작물보호제 시장 현황 및 규모
국내 작물보호제 시장은 2023년 기준 1.9조원으로 전년도 1.6조원 보다 시장규모가 약 19% 증가하였습니다.
IMF시기에도 성장을 지속할 만큼 외부의 환경 변화에 큰 영향을 받지 않는 안정적인산업입니다. 2010년~2020년기간동안 국내 작물보호제 산업의 연평균 성장율은 1.5%, 2020년~2023년까지의 연평균 성장율은 9%로 작물보호제 시장이 일정한 속도로 성장하고 있습니다. 특히, 1990년대 후반부터 2015년에 이르는 동안 시장 규모는 약 2배 이상 성장하였으며, 2015년 이후부터는 성숙기에 접어들면서 일정한 시장규모를 유지하였으나 최근 제품 가격이 상승 등의 요인에 의해 소폭으로 상승하였습니다.
(2) 경쟁상황
작물보호제산업은 초기 설비투자 금액이 많이 드는 자본집약적 특성과, 작물에 대한오랜 연구와 노하우 등 지식집약적 특성이 높은 진입장벽을 형성하여, 현재 소수의 자본력을 갖춘 국내 업체들과 다국적 원제사의 한국법인이 시장을 주도하는 과점 경쟁구조에 있습니다. 또한 최근 세계 각 국가와의 FTA 체결 및 환경오염 등에 대한 우려로 작물보호제의 수요확대 요인을 찾기 어렵다보니, 공급이 수요를 초과하는 수요자 중심의 시장구조를 형성하게 되었습니다. 이에 따라 회사는 각 지역에 있는 농약 판매상과, 농협 등의 유통채널 확보에 주력함과 동시에 각 지역의 풍토와 기후에 맞는 고품질 작물보호제 개발 및 친환경 작물보호제 개발을 통하여 새로운 시장으로의 진출을 도모하고 있습니다.
(3) 회사의 경쟁상의 강점작물보호제 산업을 구성하고 있는 이해관계자는 매우 다양합니다. 작물보호제의 생산과 유통 부문에서 제조업체, 수입업체, 원제공급업체, 판매상, 농협 등이 서로 경쟁관계를 형성하고 있습니다. 유통단계는 크게 농협 공급 경로와 시판상 공급 경로로 구분됩니다. 생산단계는 화학공업으로서 대규모 생산업체와 수입업체 등으로 단순한구조를 형성하고 있으나, 유통단계에서는 뚜렷한 도매조직이 없이 다양한 참가자들이 이합집산과 상호 경쟁하는 모습이 특징적으로 나타나고 있습니다.
이와 같은 환경속에서 당사는 최근 10년(2023년) 동안 완벽한 포트폴리오 구성을 위하여 품목 개발에 많은 투자를 하여 총 134품목을 개발 등록하였으며, 사용이 편리한최신의 선호제형 및 다양한 혼합제 등 고부가가치 제품, 다기능 친환경 작물보호제로사업을 확대하고 있으며, 바이러스 치료제를 세계최초로 등록 신청하는 등 신제품개발과 시장 정착에 주력하고 있습니다.당사는 창사이래 어려운 환경속에서도 할 수 있다는 강인한 의지와 강력한 사업추진으로 건실한 상장사로 성장하였습니다. 향후에도 작물보호 제조업체들과의 치열한 경쟁 환경속에서 튼튼한 경영기반과 우수한 제조능력을 바탕으로 급변하는 시대에 흔들림없이 성장 발전할 수 있도록 전임직원이 합심하여 매진하고 있습니다.
(4) 조직도
가. 해당 사업연도의 영업상황의 개요
- Ⅲ. 경영참고사항의 1. 사업의 개요 참조
나. 해당 사업연도의 대차대조표(재무상태표)ㆍ손익계산서(포괄손익계산서)ㆍ이익잉여금처분계산서(안) 또는 결손금처리계산서(안)
* 아래 재무제표는 한국채택국제회계기준(K-IFRS) 연결 및 별도재무제표입니다.* 당기 재무제표는 외부감사인의 감사결과 및 주주총회 승인과정에 따라 변경될 수있습니다.* 최종 재무제표 및 상세한 주석사항은 향후 전자공시시스템(http://dart.fss.or.kr)에 공시할 예정이오니 참조하시기 바랍니다.
재 무 상 태 표
제 28 기 2024년 12월 31일 현재 |
제 27 기 2023년 12월 31일 현재 |
인바이오 주식회사 (단위 : 원) |
과 목 | 제 28 기 | 제 27 기 |
---|---|---|
자산 | ||
유동자산 | 40,459,972,916 | 46,568,724,570 |
현금및현금성자산 | 937,588,733 | 2,895,230,138 |
기타금융자산(유동) | 2,093,865,000 | 2,091,412,000 |
매출채권및기타채권 | 13,810,961,997 | 14,982,025,115 |
당기손익인식금융자산(유동) | 17,550,700 | 16,261,500 |
재고자산 | 19,370,355,862 | 21,812,305,009 |
기타유동자산 | 4,217,412,114 | 4,712,499,248 |
당기법인세자산 | 12,238,510 | 58,991,560 |
비유동자산 | 27,311,249,027 | 19,749,845,267 |
기타금융자산(비유동) | 418,653,800 | 455,750,000 |
당기손익인식금융자산(비유동) | 1,507,900,681 | 1,238,660,807 |
유형자산 | 19,692,206,028 | 10,970,718,166 |
투자부동산 | 2,466,279,482 | 2,832,022,814 |
무형자산 | 1,304,461,625 | 2,091,923,844 |
이연법인세자산 | 1,921,747,411 | 2,160,769,636 |
자산총계 | 67,771,221,943 | 66,318,569,837 |
부채 | - | |
유동부채 | 21,944,873,292 | 25,067,186,144 |
매입채무및기타채무 | 4,989,697,635 | 5,394,302,523 |
단기차입금 | 9,908,612,895 | 11,941,093,631 |
유동성장기부채 | - | 199,920,000 |
리스부채(유동) | 448,616,353 | 470,119,299 |
기타금융부채(유동) | 24,500,000 | 24,500,000 |
기타유동부채 | 907,944,945 | 1,105,482,057 |
충당부채 | 5,665,501,464 | 5,931,768,634 |
비유동부채 | 4,454,624,945 | 525,273,742 |
장기차입금 | 4,000,000,000 | - |
기타금융부채(비유동) | 9,000,000 | 9,000,000 |
리스부채(비유동) | 445,624,945 | 516,273,742 |
부채총계 | 26,399,498,237 | 25,592,459,886 |
자본 | ||
자본금 | 5,433,865,000 | 5,433,865,000 |
자본잉여금 | 46,097,591,351 | 46,097,591,351 |
기타포괄손익누계액 | 1,533,793,616 | 1,533,793,616 |
이익잉여금 | (11,693,526,261) | (12,339,140,016) |
자본총계 | 41,371,723,706 | 40,726,109,951 |
부채및자본총계 | 67,771,221,943 | 66,318,569,837 |
포 괄 손 익 계 산 서
제 28 기 (2024년 01월 01일 부터 2024년 12월 31일 까지) |
제 27 기 (2023년 01월 01일 부터 2023년 12월 31일 까지) |
인바이오 주식회사 (단위 : 원) |
과 목 | 제 28 기 | 제 27 기 |
---|---|---|
I. 매출액 | 35,654,027,534 | 34,024,284,250 |
II. 매출원가 | 23,858,788,706 | 26,787,213,795 |
III. 매출총이익 | 11,795,238,828 | 7,237,070,455 |
IV. 판매비와관리비 | 10,389,922,072 | 10,591,043,536 |
1. 대손상각비 | 17,641,266 | 147,248,510 |
2. 기타판매비와관리비 | 10,372,280,806 | 10,443,795,026 |
V. 영업손익 | 1,405,316,756 | (3,353,973,081) |
VI . 금융손익 | (564,548,845) | (3,154,276,723) |
1. 이자수익 | 86,738,888 | 347,079,166 |
2. 기타금융수익 | 703,200 | 798,138,589 |
3. 금융원가 | (651,990,933) | (4,299,494,478) |
VII. 기타영업외손익 | 43,868,069 | (1,551,955,377) |
1. 기타영업외수익 | 838,056,531 | 465,708,123 |
2. 기타영업외비용 | (794,188,462) | (2,017,663,500) |
VIII. 법인세비용차감전순손익 | 884,635,980 | (8,060,205,181) |
IX. 법인세비용(수익) | 239,022,225 | (1,759,887,415) |
X. 당기순이익(손실) | 645,613,755 | (6,300,317,766) |
XI. 기타포괄손익 | - | 537,947,467 |
후속적으로 당기손익으로 재분류되지 않는 항목 | ||
유형자산재평가이익 | - | 537,947,467 |
ⅩⅡ. 당기 총포괄손익 | 645,613,755 | (5,762,370,299) |
ⅩⅢ. 주당손익 | - | - |
1. 기본주당이익(손실) | 59 | (580) |
자 본 변 동 표 |
제 28 기 (2024년 01월 01일 부터 2024년 12월 31일 까지) |
제 27 기 (2023년 01월 01일 부터 2023년 12월 31일 까지) |
인바이오 주식회사 (단위 : 원) |
과목 | 자본금 | 자본잉여금 | 기타포괄손익누계액 | 이익잉여금 | 합계 |
---|---|---|---|---|---|
2023.01.01 (기초자본) | 5,433,865,000 | 46,097,591,351 | 995,846,149 | (6,038,822,250) | 46,488,480,250 |
자산재평가이익의 변동 | - | - | 537,947,467 | - | 537,947,467 |
당기순이익(손실) | - | - | - | (6,300,317,766) | (6,300,317,766) |
2023.12.31 (기말자본) | 5,433,865,000 | 46,097,591,351 | 1,533,793,616 | (12,339,140,016) | 40,726,109,951 |
2024.01.01 (기초자본) | 5,433,865,000 | 46,097,591,351 | 1,533,793,616 | (12,339,140,016) | 40,726,109,951 |
당기순이익(손실) | - | - | - | 645,613,755 | 645,613,755 |
2024.12.31 (기말자본) | 5,433,865,000 | 46,097,591,351 | 1,533,793,616 | (11,693,526,261) | 41,371,723,706 |
현 금 흐 름 표 |
제 28 기 (2024년 01월 01일 부터 2024년 12월 31일 까지) |
제 27 기 (2023년 01월 01일 부터 2023년 12월 31일 까지) |
인바이오 주식회사 (단위 : 원) |
과목 | 제 28 기 | 제 27 기 | ||
---|---|---|---|---|
I. 영업활동으로 인한 현금흐름 | 4,901,376,127 | 10,920,626,245 | ||
1. 영업으로부터 창출된 현금흐름 | 5,806,496,548 | 11,191,855,033 | ||
(1) 당기순이익 | 645,613,755 | (6,300,317,766) | ||
(2) 조정: | 2,311,776,030 | 5,388,194,830 | ||
대손상각비 | 17,641,266 | 147,248,510 | ||
감가상각비 | 1,134,673,737 | 1,112,384,113 | ||
무형자산상각비 | 644,300,811 | 1,494,683,840 | ||
무형자산손상차손 | 292,484,508 | 509,940,360 | ||
이자비용 | 651,990,933 | 2,448,686,934 | ||
유형자산처분손실 | 3,000 | - | ||
외화환산손실 | 106,831,340 | 147,972,087 | ||
사채상환손실 | - | 1,463,290,441 | ||
당기손익인식금융자산평가손실 | 937,600 | 762,950,693 | ||
파생상품평가손실 | - | 387,517,103 | ||
법인세비용 | 239,022,225 | (1,759,887,415) | ||
잡손실 | 4,380,185 | 88,796,428 | ||
이자수익 | (86,738,888) | (347,079,166) | ||
외화환산이익 | (267,707) | (171,866,002) | ||
유형자산처분이익 | (419,039,842) | (19,997,000) | ||
당기손익인식금융자산처분이익 | - | (5,324,400) | ||
당기손익인식금융자산평가이익 | (271,466,674) | (1,670,100) | ||
잡이익 | (2,976,464) | (71,313,007) | ||
파생상품평가이익 | - | (798,138,589) | ||
(3) 영업활동으로 인한 자산ㆍ부채의 변동: | 2,849,106,763 | 12,103,977,969 | ||
매출채권의 감소(증가) | 1,142,730,670 | 10,900,879,285 | ||
미수금의 감소(증가) | 8,190,854 | (365,812,339) | ||
선급금의 감소(증가) | (13,631,098) | (466,009,996) | ||
선급비용의 감소(증가) | (3,714,254) | (23,405,367) | ||
재고자산의 감소(증가) | 2,441,949,147 | 1,472,982,895 | ||
반환자산의 감소(증가) | 66,619,986 | (827,553,133) | ||
매입채무의 증가(감소) | (308,101,092) | 250,255,500 | ||
미지급금의 증가(감소) | 21,777,018 | 57,457 | ||
미지급비용의 증가(감소) | (42,910,186) | (115,471,127) | ||
예수금의 증가(감소) | (3,055,110) | 5,469,239 | ||
선수금의 증가(감소) | (194,482,002) | 388,448,695 | ||
충당부채의 증가(감소) | (266,267,170) | 884,136,860 | ||
2. 이자의 수취 | 89,239,216 | 383,612,623 | ||
3. 이자의 지급 | (1,041,112,687) | (641,189,914) | ||
4. 법인세의 납부 | 46,753,050 | (13,651,497) | ||
II. 투자활동으로 인한 현금흐름 | (7,999,507,689) | 1,042,510,460 | ||
단기금융상품의 감소 | - | 2,180,000,000 | ||
임차보증금의 감소 | 99,968,000 | - | ||
유형자산의 처분 | - | 20,000,000 | ||
투자부동산의 처분 | 780,000,000 | - | ||
기타보증금의 감소 | 101,365,000 | - | ||
당기손익인식금융자산의 증가 | - | 5,324,400 | ||
유형자산의 취득 | (8,664,827,789) | (154,669,576) | ||
무형자산의 취득 | (149,323,100) | (901,425,364) | ||
임차보증금의 증가 | (126,689,800) | (6,714,000) | ||
기타보증금의 증가 | (40,000,000) | (100,005,000) | ||
III. 재무활동으로 인한 현금흐름 | 1,140,256,742 | (20,370,846,657) | ||
단기차입금의 증가 | 21,604,545,557 | 17,694,912,266 | ||
장기차입금의 증가 | 4,000,000,000 | - | ||
단기차입금의 감소 | (23,739,826,980) | (17,276,911,030) | ||
전환사채의 상환 | - | (20,000,000,000) | ||
유동성장기부채의 상환 | (199,920,000) | (199,920,000) | ||
임대보증금의 감소 | - | (40,000,000) | ||
리스부채의 상환 | (524,541,835) | (548,927,893) | ||
IV. 현금 및 현금성자산의 증가(감소) | (1,957,874,820) | (8,407,709,952) | ||
V. 기초의 현금 및 현금성자산 | 2,895,230,138 | 11,293,438,861 | ||
VI. 현금 및 현금성자산에 대한 환율변동 | 233,415 | 9,501,229 | ||
VII. 당기말 현금 및 현금성자산 | 937,588,733 | 2,895,230,138 |
이익잉여금처분계산서 |
제 28 기 (2024년 01월 01일 부터 2024년 12월 31일 까지) |
제 27 기 (2023년 01월 01일 부터 2023년 12월 31일 까지) |
인바이오 주식회사 (단위 : 천원) |
구분 | 제 28 기 | 제 27 기 | ||
---|---|---|---|---|
(처리예정일: 2025년 03월 28일) | (처리확정일: 2024년 03월 25일) | |||
Ⅰ. 미처분이익잉여금(결손금) | - | (11,703,670) | (12,349,283) | |
1. 전기이월미처분이익잉여금(결손금) | (12,349,283) | - | (6,048,966) | |
2. 당기순이익(손실) | 645,614 | - | (6,300,318) | |
Ⅱ. 이익잉여금처분액(결손금처리액) | - | - | - | |
Ⅲ. 차기이월미처분이익잉여금(결손금) | - | (11,703,670) | (12,349,283) |
- 최근 2사업연도의 배당에 관한 사항
해당사항이 없습니다.
가. 이사의 수ㆍ보수총액 내지 최고 한도액
(당 기)
이사의 수 (사외이사수) | 7(2) |
보수총액 또는 최고한도액 | 2,000,000,000원 |
(전 기)
이사의 수 (사외이사수) | 4(1) |
실제 지급된 보수총액 | 787,000,000원 |
최고한도액 | 2,000,000,000원 |
※ 기타 참고사항
해당사항 없습니다.
가. 감사의 수ㆍ보수총액 내지 최고 한도액
(당 기)
감사의 수 | 1 |
보수총액 또는 최고한도액 | 200,000,000원 |
(전 기)
감사의 수 | 1 |
실제 지급된 보수총액 | 12,000,000원 |
최고한도액 | 200,000,000원 |
※ 기타 참고사항
해당사항 없습니다.
제출(예정)일 | 사업보고서 등 통지 등 방식 |
---|---|
당사의 사업보고서 및 감사보고서는 상기 제출(예정)일까지 DART 전자공시시스템(http://dart.fss.or.kr)에 공시하고, 당사 홈페이지(http://messeesang.com)에 게재할 예정입니다.
사업보고서는 주주총회 이후 변경된 사항 등이 있는 경우 수정될 수 있으며, 이 경우 전자공시시스템(http://dart.fss.or.kr)에 정정보고서를 공시할 예정이므로 이를 참조하시기 바랍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