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채권자"가 교환청구를 하기 전에 다음 각 목의 사항이 발생하는 경우 교환가격을 다음 각 목에 따라 조정하기로 한다.
1) 발행회사가 (i) 시가를 하회하는 발행가액으로 유상증자를 하거나, (ii) 준비금의 자본전입을 통하여 무상증자를 하거나, (iii) 주식배당을 통하여 주식을 발행하거나, (iv) 주식분할을 하거나, (v) 시가를 하회하는 전환가액 내지 행사가액으로 전환사채 또는 신주인수권부사채를 발행하거나, (vi) 기타 방법으로 주식을 발행하는 경우에는 다음과 같이 교환가액을 조정한다.본 목에 따른 교환가격조정일은 유상증자, 주식배당, 준비금의 자본전입 등으로 인한 신주발행일 또는 전환사채 및 신주인수권부사채의 발행일로 한다.조정 후 교환가격 = 조정 전 교환가액 × [{A+(B×C/D)} / (A+B)]
A: 기발행주식수 B: 신발행주식수 C: 1주당 발행가격 D: 시가
다만, 위 산식 중 "기발행주식수"는 당해 조정사유가 발생하기 직전일 현재의 발행주식 총수로 하며, 전환사채 또는 신주인수권부사채를 발행할 경우 "신발행주식수"는 당해 사채 발행 시 전환가액으로 전부 주식으로 전환되거나 당해 사채 발행 시 행사가격으로 신주인수권이 전부 행사될 경우 발행될 주식의 수로 한다. 또한, 위 산식 중 "1주당 발행가격"은 주식분할, 무상증자, 주식배당의 경우에는 영(0)으로 하고, 전환사채 또는 신주인수권부사채를 발행할 경우에는 당해 사채 발행 시 전환가격 또는 행사가격으로 하며, 위 산식에서 "시가"라 함은 발행가격 산정의 기준이 되는 기준주가("증권의 발행 및 공시 등에 관한 규정" 제5-18조에서 정하는 기준주가) 또는 이론권리락주가(유상증자 이외의 경우에는 조정사유 발생 전일을 기산일로 하여 계산한 기준주가)로 한다.
2) 발행회사의 합병(분할합병을 포함), 분할, 자본의 감소, 주식병합(이하 총칭하여 “
합병 등
”)에 의하여 교환가액의 조정이 필요한 경우에는 그러한 합병 등 사유 발생 직전에 본건 사채가 교환되어 전량 주식으로 교환되었다면 가질 수 있었던 주식수가 교환주식수가 되도록 교환가액을 조정한다. 교환가액의 조정일은 합병 등의 효력발생일로 한다. 발행회사가 이러한 조치를 하지 못함으로 인하여 사채권자가 손해를 입은 경우 발행회사는 그 손해를 배상하여야 한다.
3) "교환대상주식"의 감자 및 주식 병합 등 주식가치 상승사유가 발생하는 경우 위 2)에서 정하는 바에 따라 감자 및 주식 병합 등으로 인한 조정비율만큼 상향하여 반영하는 조건으로 교환가격을 조정한다.
4) 본 호에 의한 조정 후 교환가격 중 원 단위 미만은 절상하며, 조정 후 교환가격이 액면가 이하인 경우에는 그 교환가격을 액면가로 한다.
5) 본 호에 정한 교환가액의 조정은 중첩적으로 적용한다.
6)
본건 사채는 발행일 이후 (i) 발행회사가 보유하고 있는 자기주식을 소각 및 기타 방법으로 처분하는 경우, (ii) 기타 교환대상주식의 시가 변동의 사유로는 교환가액을 조정하지 아니한다.
7) "
발행회사"는 본건 사채의 발행일로부터 사채권자가 교환청구를 하는 때 또는 교환청구기간이 만료하는 때까지 교환에 필요한 발행회사의 보통주식을 한국예탁결제원에 신탁하여야 하며,
발행회사는 교환가액 조정에 따라 교환대상주식의 추가 신탁이 필요한 경우 교환가액 조정일에 즉시 해당 부분을 한국예탁결제원에 추가 신탁하여야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