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 년 03 월 06일 | ||
회 사 명 : | 주식회사 피씨디렉트 | |
대 표 이 사 : | 서 대 식 | |
본 점 소 재 지 : | 서울시 용산구 원효로 138, 8층 (원효로3가, 청진빌딩) | |
(전 화) 02-785-3001 | ||
(홈페이지)http://www.pcdirect.co.kr | ||
작 성 책 임 자 : | (직 책) 부사장 | (성 명) 이성수 |
(전 화) 02-785-3001 | ||
(제27기 정기) |
주주님의 건승과 댁내의 평안하심을 기원합니다. 상법 제365조 및 당사 정관 제17조에 의거하여 제27기 정기주주총회를 아래와 같이 개최하오니 참석하여 주시기 바랍니다. 또한 소액주주에 대한 소집통지는 상법 제542조의4 및 당사 정관 제19조에 의거하여 이 공고로 갈음하오니 양지하여 주시기 바랍니다.
- 아 래 -1. 일 시 : 2025년 3월 21일 (금) 오전 9시2. 장 소 : 서울시 용산구 원효로 138, 8층(원효로3가, 청진빌딩) 본사 대회의실 ※ 연락처 : (02) 785 - 3001(내선 216)3. 회의목적사항<보고 사항> 감사보고, 영업보고, 내부회계관리제도에 관한 실태보고<부의 안건>제1호 의안 : 제27기(2024.01.01~2024.12.31) 재무제표 승인의 건제2호 의안 : 정관 일부 개정의 건제3호 의안 : 이사 선임의 건(사내이사 1인 신규선임)제4호 의안 : 상근감사 선임의 건 (상근감사 1인 재선임)제5호 의안 : 이사 보수한도 승인의 건제6호 의안 : 감사 보수한도 승인의 건제7호 의안 : 임원 퇴직금 지급 규정 일부 개정의 건4. 경영참고사항 비치상법 제542조의4에 의거 경영참고사항을 우리 회사의 본점 및 지점, 금융위원회, 한국거래소 및 한국예탁결제원 증권대행부에 비치하오니 참고하시기 바랍니다.
5. 예탁결제원 의결권 행사(섀도우보팅)제도 폐지에 따른 실질주주의 의결권 행사에 관한 사항
예탁결제원의 의결권 행사(섀도우보팅)제도가 2018년 1월 1일부터 폐지됨에 따라 한국예탁결제원이 주주님들의 의결권을 행사할 수 없습니다. 따라서 주주님께서는 한국예탁결제원에 의결권행사에 관한 의사표시를 하실 필요가 없으며, 종전과 같이 주주총회에 참석하여 의결권을 직접행사하시거나 또는 위임장에 의거 의결권을 간접행사 할 수 있습니다.6. 주주총회 참석시 준비물- 직접행사 : 신분증- 대리행사 : 위임장[주주와 대리인의 인적사항 기재, 인감날인, 주주인감증명서 또는 신분증 사본], 대리인의 신분증7. 기타사항- 주주총회 기념품은 회사경비 절감을 위하여 지급하지 않습니다.
회차 | 개최일자 | 의안내용 | 사외이사 등의 성명 |
---|---|---|---|
최창복(출석률: 94.1%) | |||
찬 반 여 부 | |||
1 | 2024.01.19 | 정책평가연구원 유상증자 참여의 건 | 찬성 |
2 | 2024.02.29 | 의안 1. 내부회계관리제도 운영실태 보고 및 승인의 건의안 2. 내부회계관리제도 운영 담당자 변경 승인의 건 | 찬성 |
3 | 2024.02.29 | 내부회계관리제도 감사평가보고의 건 | 참석 |
4 | 2024.03.07 | 제26기(2023.1.1 ~ 2023.12.31) 재무제표 승인의 건 | 찬성 |
5 | 2024.03.07 | 제26기 정기주주총회 소집의 건 | 찬성 |
6 | 2024.03.28 | 의안 1. 산업은행 신규 운영자금 차입의 건 의안 2. 산업은행 기존 운영자금 대환(연장)의안 3. 산업은행 외국환 한도 증액의 건 | 찬성 |
7 | 2024.05.22 | 신한은행 파생상품(통화선도) 재약정의 건 | 찬성 |
8 | 2024.06.20 | 자기주식 취득 신탁계약(연장) 체결의 건 | 찬성 |
9 | 2024.07.10 | 금전소비대차 계약 체결의 건 | 찬성 |
10 | 2024.08.26 | 기업은행 신규 대출 실행의 건(신용보증기금) | 찬성 |
11 | 2024.09.09 |
농협은행 외화지급보증(Standby LC) 신규 약정의 건 |
찬성 |
12 | 2024.09.19 | 하나은행 신규 여신 실행의 건 | 찬성 |
13 | 2024.10.08 | 금전소비대차 계약 체결(연장)의 건 | 찬성 |
14 | 2024.10.14 | 국민은행 외환(수입신용장) 한도 증액의 건 | 찬성 |
15 | 2024.10.14 | 우리은행 외환(수입신용장) 재약정의 건 | 찬성 |
16 | 2024.11.27 | 자기주식 취득 신탁계약 체결의 건 | 찬성 |
17 | 2024.12.20 | 내부회계관리제도 규정 개정의 건 | 불참 |
위원회명 | 구성원 | 활 동 내 역 | ||
---|---|---|---|---|
개최일자 | 의안내용 | 가결여부 | ||
- | - | - | - | - |
(단위 : 백만원) |
구 분 | 인원수 | 주총승인금액 | 지급총액 | 1인당 평균 지급액 | 비 고 |
---|---|---|---|---|---|
사외이사 | 1 | 5,000 | 18 | 18 | - |
- 상기 주총승인금액은 사내이사 보수 포함 금액임.
(단위 : 백만원) |
거래종류 | 거래상대방(회사와의 관계) | 거래기간 | 거래금액 | 비율(%) |
---|---|---|---|---|
- | - | - | - | - |
- 해당사항 없음.
(단위 : 백만원) |
거래상대방(회사와의 관계) | 거래종류 | 거래기간 | 거래금액 | 비율(%) |
---|---|---|---|---|
- | - | - | - | - |
- 해당사항 없음.
(1) 산업의 특성
IT 하드웨어 시장은 고도화된 디지털 전환(Digital Transformation)과 AI(인공지능) 기술의 확산으로 급격한 변화를 겪고 있습니다. 과거 PC가 개인용 IT 기기의 중심이던 시절과 달리, 현재는 스마트폰, 태블릿, AR/VR 기기, IoT 디바이스 등 다양한 디바이스가 복합적으로 활용되며 "멀티 디바이스 생태계"로 진화하고 있습니다. 특히, AI 기술의 도입으로 기기 간 연계성과 사용자 경험(UX)이 크게 향상되었으며, 이는 소비자의 디바이스 선택 패턴에도 큰 영향을 미치고 있습니다.
[멀티 디바이스 생태계의 진화] -세컨드 디바이스의 재정의 : 과거 세컨드 PC의 개념은 스마트폰과 태블릿의 등장으로 사라졌으며, 이제는 클라우드 기반의 연계성과 AI 기능이 강화된 디바이스가 새로운 세컨드 디바이스로 자리 잡고 있습니다. 예를 들어, 스마트폰과 태블릿은 단순한 보조 기기를 넘어 AI 기반의 개인 비서 역할을 수행하며, 클라우드 스토리지와의 연동으로 데이터 접근성이 극대화되고 있습니다.
-디바이스 간 연계성 강화 : 사용자는 이제 여러 디바이스를 원활하게 연동하여 작업을 수행할 수 있습니다. 예를 들어, 스마트폰으로 시작한 작업을 태블릿이나 PC에서 이어서 진행하거나, 클라우드 기반의 데이터를 실시간으로 공유하며 작업 효율성을 높일 수 있습니다.
[AI 기술의 확산]
- AI의 하드웨어 통합: AI 기술은 하드웨어와 소프트웨어의 경계를 허물며, 프로세서, 스토리지, 그래픽카드 등 모든 IT 하드웨어 분야에 혁신을 가져오고 있습니다. 특히, AI 연산을 위한 NPU(Neural Processing Unit)가 탑재된 프로세서와 AI 최적화 스토리지 솔루션이 주목받고 있습니다.
- AI 기반 사용자 경험: AI는 사용자 경험을 개인화하고, 작업 효율성을 높이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예를 들어, AI 기반 음성 비서, 실시간 언어 번역, 자동화된 작업 최적화 등은 사용자의 일상생활과 업무 환경을 혁신적으로 변화시키고 있습니다.
[클라우드와 에지 컴퓨팅의 부상]- 클라우드 컴퓨팅의 확산: 클라우드 기반 서비스의 확산으로, 데이터 저장 및 처리의 중심 이 로컬에서 클라우드로 이동하고 있습니다. 이에 따라 고성능 로컬 스토리지보다는 클라우드 스토리지와의 연동이 강조되고 있으며, 하이브리드 스토리지 솔루션의 중요성이 증가하고 있습니다.
- 에지 컴퓨팅의 중요성: 클라우드 중심의 데이터 처리에서 벗어나, 에지 디바이스에서의 실시간 데이터 처리 수요가 증가하고 있습니다. 에지 컴퓨팅은 IoT 디바이스, 자율주행차, 스마트 팩토리 등에서 실시간 데이터 처리와 빠른 의사결정을 가능하게 하며, 이에 맞춰고성능 프로세서와 저전력 스토리지 솔루션의 중요성이 강조되고 있습니다.
- 5G와의 연계: 5G 네트워크의 확산은 에지 컴퓨팅의 성장을 가속화하고 있습니다. 초고속, 저지연의 5G 네트워크는 실시간 데이터 처리와 클라우드-에지 간의 원활한 연동을 가능하게 하며, 이는 IT 하드웨어 시장의 새로운 성장 동력으로 작용하고 있습니다.
[지속 가능성과 친환경 기술]
- 친환경 하드웨어: 환경 규제와 ESG(Environmental, Social, Governance) 요구가 강화되며, IT 하드웨어 업체들은 저전력 설계, 재활용 가능한 소재 사용, 에너지 효율성 향상에 주력하고 있습니다. 예를 들어, Intel과 AMD는 저전력 프로세서를 출시하며, Seagate는 에너지 효율적인 스토리지 솔루션을 개발하고 있습니다.
- 순환 경제: IT 하드웨어 업체들은 제품의 수명 주기 관리와 재활용 프로그램을 강화하며, 순환 경제 모델을 도입하고 있습니다. 이는 환경 보호와 함께 비용 절감 효과도 가져오고 있습니다.
(2) 산업의 성장성 2024년 IT 하드웨어 시장은 AI 기술의 도입과 디지털 전환(Digital Transformation)의 가속화로 새로운 성장 동력을 얻고 있습니다. 특히, AI PC, 클라우드 컴퓨팅, 게이밍 및 크리에이티브 시장의 확대가 시장을 이끌고 있으며, 글로벌 경제 환경과 기술 혁신이 시장 성장에 중요한 변수로 작용하고 있습니다. [AI PC의 부상]- AI 기능의 확대: AI 기능을 탑재한 PC는 생산성 향상, 개인화된 사용자 경험, 에너지 효율성 등 다양한 장점으로 기업과 개인 소비자 모두에게 주목받고 있습니다. Intel의 Core Ultra 시리즈와 AMD의 Ryzen AI는 NPU(Neural Processing Unit)를 탑재해 AI 작업을 가속화하며, AI PC 시장의 성장을 주도하고 있습니다.
- 시장 전망: 가트너(Gartner)에 따르면, 2024년 AI PC의 비중은 전체 PC 출하량의 20%를 넘어설 것으로 예상됩니다. 특히, 2025년에는 AI PC가 전체 PC 시장의 43%를 차지할 것으로 전망되며, 이 중 AI 노트북의 비중은 51%에 달할 것으로 보입니다.
기업 시장의 수요 증가: AI PC는 데이터 분석, 머신러닝, 실시간 협업 등 기업의 디지털 전환을 지원하는 핵심 도구로 자리 잡고 있습니다. 특히, 금융, 헬스케어, 제조업 등 다양한 산업에서 AI PC의 도입이 확대될 전망입니다.
[클라우드와의 융합]
- 클라우드 컴퓨팅의 확산: 클라우드 기반 서비스의 확산으로, 고성능 로컬 스토리지보다는 클라우드 스토리지와의 연동이 강조되고 있습니다. 이에 따라 SSD와 HDD 시장은 고용량, 저전력, 고속 데이터 처리에 초점을 맞춰 진화 중입니다.
하이브리드 스토리지 솔루션: 기업들은 클라우드와 로컬 스토리지를 결합한 하이브리드 솔루션을 도입하며, 데이터 관리의 효율성을 높이고 있습니다. Seagate의 Lyve Cloud와 같은 솔루션은 클라우드와의 원활한 연동을 지원하며, 데이터 중심 시대에 필수적인 도구로 자리 잡고 있습니다.
- 에지 컴퓨팅의 부상: 클라우드 중심의 데이터 처리에서 벗어나, 에지 디바이스에서의 실시간 데이터 처리 수요가 증가하며, 이에 맞춰 고성능 프로세서와 저전력 스토리지 솔루션의 중요성이 강조되고 있습니다.
[게이밍 및 크리에이티브 시장의 성장]
- 고사양 게임의 수요 증가: 고사양 게임과 e스포츠의 인기가 높아지면서, 고성능 그래픽카드와 프로세서에 대한 수요가 꾸준히 증가하고 있습니다. NVIDIA의 RTX 40 시리즈와 AMD의 Radeon RX 7000 시리즈는 실시간 레이 트레이싱과 AI 기반 그래픽 처리 기술로 게이밍 시장을 선도하고 있습니다.
- 크리에이티브 시장의 확대: 콘텐츠 제작 및 영상 편집 수요가 증가하며, 고성능 그래픽카드와 프로세서가 필수적인 도구로 자리 잡고 있습니다. 특히, AI 기반의 크리에이티브 툴(예: Adobe Firefly)의 등장으로 크리에이티브 작업의 효율성이 크게 향상되고 있습니다.
메타버스와 AR/VR의 성장: 메타버스와 AR/VR 기술의 발전으로 고성능 그래픽카드와 프로세서에 대한 수요가 더욱 증가할 전망입니다. [글로벌 경제 환경의 영향]
- 경제 불확실성: 중국과 유럽의 경제 불확실성으로 인해 소비자들의 디바이스 구매가 위축되고 있으나, AI PC와 같은 혁신 제품에 대한 수요는 꾸준히 증가하고 있습니다
- 공급망 안정화: COVID-19 이후 공급망 불안정이 완화되며, IT 하드웨어 시장의 공급이 원활해지고 있습니다. 이는 시장 성장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칠 것으로 보입니다.
지속 가능성: 환경 규제와 ESG(Environmental, Social, Governance) 요구가 강화되며, 저전력 및 친환경 제품에 대한 수요가 증가하고 있습니다. 이에 따라 IT 하드웨어 업체들은 에너지 효율성과 재활용 가능한 소재 사용에 주력하고 있습니다.
[미래 전망]
- AI와의 융합: AI 기술은 IT 하드웨어 시장의 모든 분야에 걸쳐 혁신을 가져오고 있습니다. 프로세서, 스토리지, 그래픽카드 등 모든 하드웨어는 AI 연산을 최적화하는 방향으로 진화할 전망입니다.
- 5G와 IoT의 확산: 5G 네트워크와 IoT 디바이스의 보급이 확대되며, 데이터 처리 및 저장에 대한 수요가 더욱 증가할 것으로 예상됩니다.
글로벌 시장의 다극화: 북미, 유럽, 아시아 등 주요 시장의 성장세가 지속되며, 신흥 시장에서의 수요 증가도 중요한 성장 동력으로 작용할 것입니다.
(3) 경기변동의 특성
IT 하드웨어 시장은 거시경제적 요인과 기술 혁신에 민감하게 반응합니다. 요즘에는 글로벌 경제 불확실성과 AI 기술 도입의 가속화가 시장에 복합적인 영향을 미치고 있습니다.
- 경제 불확실성: 중국과 유럽의 경제 불확실성으로 인해 소비자들의 디바이스 구매가 위축되고 있으나, AI PC와 같은 혁신 제품에 대한 수요는 꾸준히 증가하고 있습니다.
- 신기술 도입: AI, 5G, 에지 컴퓨팅 등 신기술의 도입이 시장을 재편하고 있으며, 이에 따라 기업들은 기술 경쟁력을 강화하기 위해 R&D 투자를 확대하고 있습니다
(4) 경쟁요소
IT 하드웨어 시장은 기술 혁신과 가격 경쟁이 치열한 시장입니다. 주요 경쟁 요소는 다음과 같습니다.
- 프로세서 시장: 프로세서 시장은 AI 최적화와 고성능 컴퓨팅을 중심으로 빠르게 진화하고 있습니다. Intel과 AMD는 AI 연산을 위한 NPU(Neural Processing Unit)를 탑재한 프로세서를 출시하며 치열한 경쟁을 벌이고 있습니다. 또한, ARM 기반 프로세서(Apple M 시리즈, Qualcomm Snapdragon X Elite)의 부상으로 x86과 ARM 아키텍처 간의 경쟁도 가속화되고 있습니다.
- 스토리지 시장: 스토리지 시장은 고용량, 고속 처리, 저전력 기술을 중심으로 빠르게 성장하고 있습니다. SSD 시장은 삼성전자, WD, SK하이닉스, Seagate 등이 PCIe 5.0 기반의 초고속 SSD를 출시하며 치열한 경쟁을 벌이고 있습니다. 한편, HDD 시장은 대용량 데이터 저장을 위한 니치 시장으로 자리 잡고 있으며, 클라우드 스토리지와의 연계성도 중요한 화두로 떠오르고 있습니다.
- 그래픽카드 시장: 그래픽카드 시장은 AI 기반 그래픽 처리와 실시간 레이 트레이싱 기술을 중심으로 빠르게 성장하고 있습니다. NVIDIA는 Ada Lovelace 아키텍처 기반의 RTX 40 시리즈를 통해 독보적인 위치를 차지하고 있으며, AMD는 RDNA 3 아키텍처 기반의 Radeon RX 7000 시리즈로 가격 대비 성능 측면에서 경쟁력을 강화하고 있습니다. 또한, 그래픽카드는 이제 게이밍을 넘어 AI 학습 및 데이터센터 시장에서도 핵심적인 역할을 하고 있습니다.
(5) 시장 점유율 등 당사는 해외에서 IT 부품을 수입하여 국내에 판매하는 유통업체입니다. OEM 방식의 판매형태로 국내 컴퓨터 제조업체 및 정보통신업체에 부품의 형태로 직접공급 하고 각 제조업체는 완성제품을 자체브랜드로 제조, 판매하는 구조와 Dealer(도매상)이 당사의 제품을 대량 구매하고, 이를 소규모 제조업체 및 최종 소비자에게 판매하는 구조로 판매가 이루어지고 있습니다. 시장 점유율은 정확히 파악하기 어려우나, AI PC와 고성능 스토리지 수요 증가에 따라 당사의 제품 포트폴리오가 확대되고 있습니다. 특히, AI 최적화 부품과 클라우드 연계 솔루션에 대한 수요가 증가하며, 이는 당사의 성장 동력으로 작용할 것으로 기대됩니다.
(1) 영업개황 및 사업부문의 구분
(가) 영업개황당사는 1998년 11월 스토리지 시장의 선두 업체인 Seagate의 국내 총판권(Authorized Distributor)을 시작으로, Intel의 CPU, Mobile CPU, Server 제품 등의 국내 총판권을 보유하며 IT 하드웨어 유통 시장에서 입지를 다져왔습니다. 2013년에는 글로벌 메인보드 시장에서 빠르게 성장 중인 GIGABYTE와의 제휴를 통해 고성능 메인보드 시장에 진출했으며, 2020년 9월에는 NVIDIA 그래픽카드 제품군을 추가로 유통하며 포트폴리오를 확장했습니다. 이를 통해 프로세서, 스토리지, 메인보드, 그래픽카드 등 IT 하드웨어의 핵심 부품을 모두 공급할 수 있는 역량을 갖추게 되었습니다.
당사의 주요 거래처는 DVR, PVR, Storage, Set-top Box, 네비게이션 제작업체 및 PC 제조업체 등으로, 해외 부품 업체와 국내 완성품 제조업체 간의 중간 유통업체 역할을 수행하고 있습니다. 또한, 국내 IT 제조업체를 대상으로 한 직판 체제와 4개의 직영점, 대리점, 인터넷 쇼핑몰 제휴를 통해 온·오프라인 마케팅 채널을 구축하고 있습니다. 2003년 12월부터는 A/S 직영센터를 운영하며 고객 만족도를 높이기 위한 인프라를 지속적으로 확장해 왔으며, 2022년 2월에는 A/S 직영센터를 확장 이전하여 더욱 효율적인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습니다.
또한 당사는 기존 유통 제품 포트폴리오를 확장하고 신규 사업을 통해 시장 다각화를 꾀하고 있습니다. 고급형 및 보급형 메인보드, SSD 제품군, 서버 제품 등 다양한 제품을 공급하며, 기존의 영업망과 IT 유통 시장에서 쌓아온 노하우를 바탕으로 관련 업계의 선두주자로 자리매김하기 위해 노력하고 있습니다. 특히, 중소기업 적합업종에 해당하는 분야로의 진출 기회를 모색하며, 주요 도시의 지사를 통해 전국적인 유통망을 구축하고 있습니다. 또한, Intel, Seagate, GIGABYTE 등 글로벌 파트너사와의 탄탄한 유대 관계를 바탕으로 새로운 제품을 빠르게 시장에 공급할 수 있는 기반을 갖추고 있습니다.
당사는 급변하는 시장 환경과 고객 니즈에 유연하게 대응할 수 있는 사업 구조를 갖추고 있으며, 창업 이래 축적된 노하우를 바탕으로 탄탄한 유통망을 확보하고 있습니다. 또한, 신규 사업 영역에서도 고객의 다양한 요구를 충족시킬 수 있는 역량을 보유하고 있어, IT 산업의 빠른 변화 속에서도 경쟁력을 유지하고 있습니다.
회사의 주요사업에 대한 세부 영업 개황은 다음과 같습니다.
① 프로세서
당사는 세계 최대 반도체 회사인 Intel의 국내 대리점으로, 데스크탑, 모바일, 서버용 프로세서를 공급하고 있습니다. Intel의 프로세서 제품군은 데스크탑, 서버, 모바일(노트북)용으로 구분되며, 특히 데스크탑 프로세서 시장에서 강력한 입지를 구축하고 있습니다.
- 데스크탑 프로세서: Intel은 2024년 하반기 출시된15세대 Arrow Lake 프로세서를 통해 차세대 컴퓨팅 성능을 선보이고 있습니다. Arrow Lake는 Intel 20A 공정 기술을 기반으로 제작되며, 하이브리드 아키텍처를 통해 고성능 코어(Performance Cores)와 고효율 코어(Efficient Cores)를 결합한 설계로 전력 소모와 발열을 최적화했습니다. 최대 24코어/32스레드를 지원하며, DDR5 메모리 및 PCIe 5.0/6.0을 지원하여 멀티태스킹과 시스템 확장성을 극대화했습니다. Arrow Lake는 NPU(Neural Processing Unit)를 내장하여 AI 작업을 가속화하며, AI PC 시장에서의 경쟁력을 강화했습니다. 또한, 내장 그래픽 성능을 한층 더 강화하여 Xe-LPG 아키텍처를 탑재, 멀티미디어 및 게이밍 시장에서의 활용도를 높였습니다. 특히, 실시간 레이 트레이싱과 AI 기반 그래픽 처리 기술을 지원하여 크리에이티브 작업과 고사양 게임에서의 성능을 극대화했습니다. Arrow Lake는 데스크탑 및 모바일(노트북) 시장을 겨냥한 제품군으로, AI 기반 생산성 향상과 에너지 효율성 개선을 통해 기업 및 개인 사용자 모두에게 최적화된 성능을 제공할 것으로 기대됩니다. 이를 통해 당사는 Intel의 최신 기술을 바탕으로 고객에게 차세대 컴퓨팅 경험을 제공할 계획입니다.
- 서버용 프로세서: Intel의 Xeon 시리즈는 데이터센터 및 클라우드 시장에서 압도적인 점유율을 보이고 있습니다. 최신 5세대 Xeon 스케일러블 프로세서(Emerald Rapids)는 AI 추론, 데이터 분석, 네트워킹 등에서 뛰어난 성능을 제공하며, DDR5 메모리 및 PCIe 5.0을 지원하여 차세대 데이터센터 구축을 지원합니다.
정품 CPU 캠페인: 2010년부터 국내 Intel 공인 대리점으로서 정품 CPU 사용 캠페인을 진행하며, 무상 3년 A/S를 제공하여 고객 신뢰도를 높이고 있습니다.
② 스토리지
당사는 Seagate의 국내 대리점으로 Seagate에서 출시한 제품군에 대해서 국내 공급을 하고 있으며, 기존의 PC OEM, 가전(DVR/PVR) 제조업체 및 유통업체와의 지속적인 파트너쉽을 통한 안정적인 매출기반을 바탕으로 성장 가능성이 높은 NAS 서버, 가전 및 모바일 제품군의 영업을 강화함으로써 지속적인 성장을 기대하고 있습니다.
- HDD 시장: Seagate는 시장환경에 맞춘 최고의 기술로 최근 업계 최고용량 HDD(24TB) 출시했으며, 우발적 데이터 손실 시 Seagate연구소를 통해 저비용으로 안전하게 Data복구할수 있는 Rescue데이터 복구서비스를 실시하고 있습니다. 업무용 응용 프로그램에 대해 반응 속도가 빨라야 하는 상업용 PC를 비롯하여, 다양한 멀티미디어 응용 프로그램 실행을 필요로 하는 PC, 최근의 고사양을 필요로 하는 다양한 게임 등에서 작업 환경에 따라 성능을 자체적으로 맞춤화 하여 엑세스 속도를 월등하게 향상시킨 지능적인 제품입니다. Seagate는 혁신을 주도하는 시장 선도업체로서 이러한 혁신적인 제품을 통하여 앞으로의 시장에서 매출 및 영향력 확대를 기대하고 있습니다. SSD 및 클라우드 컴퓨팅으로 대변되는 새로운 저장방식이 대두되고 있는 지금에도 HDD는 개인 사용자 및 기업 고객에게 있어 저장매체로서는 최고의 선택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 최근에는 개인이 만들어내는 정보의 수량도 많아지고 대용량화 됨에 따라 이를 저장하는 스토리지의 용량 또한 대용량화 되어가고 있으며, 앞으로도 이러한 추세는 계속될 것으로 예상됩니다.
- SSD 및 클라우드 컴퓨팅 시장: SSD 시장의 성장에 발맞춰 당사는 고성능 SSD 제품군을 도입하며, 클라이언트 및 기업용 시장에서의 입지를 확대하고 있습니다. 특히, PCIe 5.0 기반 SSD는 고속 데이터 처리와 에너지 효율성을 극대화하여 데이터센터 및 고성능 컴퓨팅 시장에서 각광받고 있습니다. 클라우드 컴퓨팅의 확산에 따라 Seagate의 Lyve Cloud 솔루션을 통해 하이브리드 스토리지 시장에서의 경쟁력을 강화하고 있습니다.
③ 메인보드
당사는 2013년 7월부터 GIGABYTE의 메인보드를 국내에 유통하며, 고급형 AORUS 및 보급형 GIGABYTE 제품군을 통해 다양한 고객 니즈를 충족시키고 있습니다. GIGABYTE는 메인보드 시장에서 혁신적인 기술과 뛰어난 성능으로 전 세계적으로 인정받는 브랜드이며, 최신 기술을 적용한 제품을 지속적으로 출시하며 시장을 선도하고 있습니다.
- 최신형 프로세서 대응 메인보드: 2024년 하반기 출시된 Intel의 15세대 Arrow Lake 프로세서에 최적화된 메인보드를 공급하며, Z890 칩셋을 탑재한 고성능 제품군을 선보이고 있습니다. 이 제품들은 DDR5 메모리 및 PCIe 5.0/6.0을 완벽히 지원하며, AI 기반 성능 최적화와 에너지 효율성을 극대화했습니다. 특히, AORUS Z890 Master와 같은 고급형 메인보드는 고사양 게이밍 및 크리에이티브 작업에 적합한 설계로, 뛰어난 확장성과 안정성을 제공합니다.
- AI 최적화 기술: GIGABYTE는 AI 기반 성능 최적화 기술을 도입하여, 사용자의 작업 환경에 맞춰 자동으로 시스템 성능을 조정하는 AI Boost 기능을 제공합니다. 이를 통해 게이밍, 콘텐츠 제작, 데이터 처리 등 다양한 작업에서 최적의 성능을 발휘할 수 있습니다.
- 쿨링 및 전원 설계: GIGABYTE 메인보드는 Fins-Array III 및 Direct-Touch Heatpipe와 같은 고급 쿨링 기술을 적용하여, 고성능 프로세서의 발열을 효과적으로 관리합니다. 또한, 16+2+2페이즈 디지털 전원 설계를 통해 안정적인 전력 공급과 오버클럭 성능을 보장합니다.
- 네트워킹 및 연결성: Wi-Fi 7 및 10GbE LAN을 지원하여 초고속 네트워크 환경을 제공하며, USB4 및 Thunderbolt 4를 통해 빠른 데이터 전송과 다양한 외부 장치 연결이 가능합니다. 또한, PCIe 5.0 M.2 슬롯을 통해 초고속 스토리지 성능을 지원합니다.
- AORUS 브랜드: GIGABYTE의 고급형 브랜드인 AORUS는 게이머와 크리에이터를 위한 최고의 성능과 디자인을 제공합니다. RGB Fusion 2.0을 통해 사용자 정의 가능한 LED 조명을 지원하며, AORUS Engine 소프트웨어를 통해 시스템 성능을 실시간으로 모니터링하고 최적화할 수 있습니다.
④ 그래픽카드
당사는 2020년 9월부터 GIGABYTE의 그래픽카드를 국내에 유통하며, 고성능 GPU 시장에서의 입지를 다지고 있습니다. 2024년 4월에는 Colorful와의 총판 계약을 체결하여, 보급형부터 하이엔드 제품군까지 폭넓은 그래픽카드 포트폴리오를 확보했습니다. 이를 통해 게이밍, 크리에이티브 작업, AI 연산 등 다양한 시장에서의 수요를 충족시키고 있습니다.
- GIGABYTE 그래픽카드: GIGABYTE는 NVIDIA Ada Lovelace 아키텍처 기반의 RTX 40 시리즈를 통해 게이밍 및 크리에이티브 시장을 선도하고 있습니다. 특히, DLSS 3.5 기술을 통해 AI 기반 그래픽 처리와 실시간 레이 트레이싱 성능을 극대화하여, 고사양 게임과 영상 편집 작업에서 뛰어난 성능을 제공합니다.
- Colorful 그래픽카드: 2024년 4월부터 유통을 시작한 Colorful의 iGame 시리즈는 하이엔드 게이밍 및 크리에이티브 시장을 겨냥한 제품군입니다. Vulcan, Neptune, Advanced 등 다양한 라인업을 통해 고객의 다양한 니즈를 충족시키고 있습니다.
당사는 GIGABYTE와 Colorful의 최신 그래픽카드 제품군을 통해 고객에게 차세대 그래픽 성능을 제공하며, 게이밍, 크리에이티브 작업, AI 연산 등 다양한 시장에서의 수요를 충족시킬 계획입니다. 또한, 지속적인 기술 혁신과 고객 맞춤형 솔루션을 통해 IT 하드웨어 시장에서의 경쟁력을 강화할 것입니다.
⑤ IoT 사업
- DJI 농업용 드론: 당사는 2018년 10월부터 중국의 DJI(DJI Technology Co., Ltd)와 농업용 드론(DJI AGRAS), 2023년 12월부터 배송용 드론(DJI Delivery)의 총판 계약을 체결하였습니다. 2015년 탄생한 농업용 드론(DJI AGRAS)은 최첨단 기술과 스마트한 농업 솔루션을 제공합니다. 또한, 지속적인 농업 혁신과 발전을 촉진하여, 국내뿐만 아니라, 전 세계 농업용 드론 시장을 주도하고 있습니다. 배송용 드론(DJI Delivery)은 최대 40Kg의 무게를 탑재할 수 있고, 28Km의 거리를 비행하여 이동할 수 있으며, 영하 20도~영상 45도까지 극한의 상황에서 활용이 가능합니다. 배송용 드론(DJI Delivery)은 기존의 물류 배송 한계를 넘어 안전하고 경제적이면서 효율적인 항공 배송 솔루션을 제공합니다.
- Insta360 360도 카메라: 2017년 4월부터 Insta360 제품을 유통하며, 1인 미디어 및 VR 시장에서의 수요를 충족시키고 있습니다. 2022년 출시된 액션캠 X3는 360도 카메라 시장에서 1위를 기록하며 큰 인기를 끌고 있습니다. 2024년 출시 이후 폭발적인 인기를 끌며 품귀 사태까지 빚었던 Ace Pro 2, 세계 최초의 8K 360도 카메라 X4 등 혁신적인 기술력을 통해 다양한 신제품을 출시하며 액션카메라 시장의 게임체인저로 주목받고 있습니다.
⑥ 서버
- Super Micro Computer: 2019년 11월부터 Super Micro Computer, Inc.와의 총판 계약을 통해 서버 및 스토리지 시스템을 공급하며, 기업, 금융, 게임, 정부, 산업용 시장에서의 입지를 확대하고 있습니다. Super Micro는 5G, AI, 클라우드 컴퓨팅 시장에서의 수요 증가에 발맞춰 고성능 서버 솔루션을 제공하고 있습니다.
⑦ 기타
- CHERRY 기계식 키보드: 2020년 5월부터 CHERRY의 기계식 키보드 및 게이밍 기어를 유통하며, E-Sports 및 커스텀 키보드 시장에서의 수요를 충족시키고 있습니다. CHERRY의 기계식 키보드의 주요부품인 MX 스위치는 CHERRY의 기계식 키보드뿐 아니라 다양한 브랜드의 기계식 키보드에 사용되고 있습니다. 기계식 키보드 대표 제품으로는 MX 3.1S, 유무선 제품이 있으며, 특징으로는 업계 최고수준의 CHERRY의 MX 스위치와 무보강 구조, 전용 소프트웨어를 통한 다양한 커스터마이징이 있으며, 최근에는 새롭게 설계된 MX 스위치를 업그레이드하여 기존 제품군의 개선이 진행중이며, 무선 블루투스 모델과 텐키리스 모델, 오피스용 멤브레인 키보드, Low Profile 스위치 사용 키보드 등 지속적으로 신제품을 출시하여 고객의 다양한 니즈를 충족시키기 위해 노력하고 있습니다.
- Jackery 파워뱅크: 2023년 9월부터 Jackery의 휴대용 파워뱅크 및 태양광 패널을 유통하며, 캠핑 및 친환경 에너지 시장에서의 성장 기회를 모색하고 있습니다. 캠핑 및 실외 활동 증가, 비상 전력 수요, 친환경 에너지 사용 확대, 그리고 전기차 운행 트렌드와 함께 성장세를 보이고 있는 파워 뱅크 시장에 진출하여 보다 다양한 소비자층을 대상으로 사업의 저변을 확장하며 매출 성장을 도모하고 있습니다.
- Sennheiser 오디오 제품: 2024년 4월부터 세계적인 오디오 전문 기업인 Sennheiser의 제품을 국내에 유통하며, 고품질 오디오 시장에서의 성장 기회를 모색하고 있습니다. Sennheiser는 헤드폰, 이어폰, 마이크, 스피커 등 다양한 오디오 제품 라인업을 보유하며, 음악, 영상 제작, 게이밍, 비즈니스 등 다양한 분야에서 높은 평가를 받고 있습니다. 특히, Momentum 시리즈와 HD 시리즈는 프리미엄 헤드폰 시장에서 강력한 입지를 구축하고 있으며, 단순한 음향기기를 넘어 패션 아이템으로의 인식 변화를 통한 수요 증가로 향후 지속적인 시장 확대를 전망하고 있습니다.
(나) 공시대상 사업부문의 구분
회사는 한국표준산업분류표의 소분류 기준에 의거 '컴퓨터 및 주변장치, 소프트웨어 도매업'(분류번호 : 46510)을 주요 사업으로 영위하고 있습니다. 당사의 판매조직(사업본부)은 크게 마케팅실, 유통사업부,직판사업부, ICT사업부로 구성되어 있으며, 그 외 경영기획팀,경영지원팀,재경팀,물류관리팀,기술지원팀으로 이루어져 있습니다.사업본부의 직판영업팀은 기업을 주요 고객으로 하여 컴퓨터 부품 및 주변기기를 판매하고 있으며, ICT사업부는 서버 및 IoT 제품군의 관련 업무를 담당하고 있습니다. 유통사업부 및 부산,광주,대구 지사는 수도권 및 지방 채널 영업을 담당하고 있습니다.마케팅실은 주요부품의 가격동향 분석 및 해외 주요거래선과의 유기적인 협력관계를 유지하며, 물류관리팀은 업체 납품 및 공급사로부터 매입된 상품의 관리 등의 업무를 하고 있으며, 기술지원팀은 연구기술, 유지보수를 영업에 지원하고 있습니다.
(2) 시장점유율
당사는 해외에서 IT 부품을 수입하여 국내에 판매하는 유통업체입니다. OEM 방식의 판매형태로 국내 컴퓨터 제조업체 및 정보통신업체에 부품의 형태로 직접공급 하고 각 제조업체는 완성제품을 자체브랜드로 제조, 판매하는 구조와 Dealer(도매상)이 당사의 제품을 대량 구매하고, 이를 소규모 제조업체 및 최종 소비자에게 판매하는 구조로 판매가 이루어지고 있습니다. 이러한 특성상 당사에서 판매하는 제품의 시장 점유율을 파악하기 어렵고, 또한 국내외 구체적인 통계자료가 없는 관계로 당사의 판매제품에 대한 시장 점유율을 추정하기 어려운 상황입니다.
(3) 시장의 특성당사의 핵심 사업 부문인 프로세서, 스토리지, 메인보드는 컴퓨터의 주요 부품으로, IT 경기의 변동에 민감하게 반응합니다. 경기 불황 시에는 부품 교체 및 증설 수요가 증가하며, 경기 호황 시에는 고사양 옵션 제품의 판매가 늘어나는 경향이 있습니다. 최근에는 스마트폰 및 태블릿의 보급으로 PC 시장의 성장이 둔화되고 있으나, 클라우드 컴퓨팅 및 데이터센터 시장의 성장으로 스토리지 및 서버 제품에 대한 수요는 꾸준히 증가하고 있습니다. 또한, 멀티 디바이스 환경의 확산에 따라 다양한 IT 하드웨어 제품에 대한 수요가 지속될 전망입니다.
(4) 신규사업 등의 내용 및 전망
신규사업분야 | 신규사업 | 세부내용 | 전 망 |
신제품 | Storage 분야(Seagate) |
24TB HDD : 저장 용량 24TB 지원 대용량 HDD출시SSD : 휴대용 Mobile SSDSurveillance HDD : NVR, DVR, 보안감시시스템 지원 저장매체NAS(Network Attached Storage) : 네트워크 지원 저장매체 |
- AI와 머신 러닝 기술의 발전으로 인해 데이터 양의 급증과 데이터 센터의 확장을 이끌어 HDD 수요 증가- 디지털 contents 수요의 급증으로 인한 백업 수요 급증 - 기업형 고객이 요청하는(혹은 서버/스토리지의 빠른 발전에 따라 요구되는)빠른 속도의 제품 수요에 따라 수요 증가 기대- 최근 출시되는 IT 기기들은 친환경 정책을 추구- Mobile 및 네트워크 기반의 제품 급증으로 인한 Hub 및 저장용으로의 Storage 수요 증가 |
IT Product(Intel) |
Intel® Core™ Ultra 200S Series (Arrow Lake) Xeon 프로세서 기반의 Server 제품군 Xeon Scalable 프로세서 (Granite Rapids)Intel Embedded 산업용 제품군 |
- 인공지능 AI 산업의 성장에 따른 NPU가 탑재된 인공지능 활용가능한 CPU 수요 확대 - 기존 프로세서와 그래픽 프로세서가 결합된 CPU의 확대- 차세대 데이터 센터 구축환경의 필요성 증가- 다양한 산업군의 안정적으로 유지보수가 가능한 산업용 Embedded 제품 수요 증가 | |
MainBoard & VGA(GIGABYTE) |
M/B(Intel) : LGA 1851 소켓Z890 칩셋 제품M/B(AMD) : 6세대Ryzen용X870, B650 칩셋 제품VGA(NVIDIA) : RTX 40 Super SeriesVGA(AMD) : Radeon RX 7000 Series |
- 메인보드는 CPU 등 구성부품 간의 호환성 및 기능 확장 측면을 결정하며, 궁극적으로는 PC 전반의 안정적인 동작 여부를 좌우하는 요소임- M/B(Intel) : 2024년 4분기 15세대 CPU 출시와 더불어 Z890 시리즈 신제품 출시- M/B(AMD) : 6세대Ryzen용 X870 및B650 칩셋 제품 출시 - 그래픽카드는 3D 랜더링 처리를 담당하는 핵심 부품으로 기존의 고사양 게임, 크리에이터 영상 편집 수요 및 최근 떠오르는 AI 수요가 증가하면서 점차 중요성이 부각됨 - VGA (NVIDIA) : 2024년 1분기 GeForce RTX 4080, 4070 SUPER 시리즈 신제품 출시 |
|
IoT Product(Insta360/DJI) |
Insta360 Ace Pro2, Flow2, Go3, X4 DJI Agras T25,T50DJI DELIVERY FLYCART30 |
- SNS, 아웃도어 액티비티, 여행업계 시장 성장으로 수요 확대 예상- 가상현실(VR), 증강현실(AR), 인터랙티브 미디어 발달을 통한 360도 카메라 제품의 수요 증가 기대 - 스마트 농업 육성 및 지원 확대에 따른 농업용 드론 수요 확대 기대- 기존 물류 배송의 한계를 넘어 안전하고 경제적, 효율적인 항공 배송 솔루션을 제공 |
|
KEYBOARD(Cherry GmbH) |
기계식 키보드: MX 3.0S / XTRFY K5V2오피스 키보드: KC200 / DW2300마우스 : M64Pro / M68 |
- PC게임 및 E-SPORTS 시장의 성장과 게이밍기어 시장의 확대 - 새로운 MX 스위치와 무선 기능을 탑재한 신제품 출시로 업그레이드 수요증가 - 범용성 높은 오피스용 키보드 제품 출시를 통한 일반 사용자들 유입전망 - CHERRY 사의 XTRFY 브랜드 인수로 제품군 확대 및 신규 수요확대 전망 |
|
서버 (Super Micro Computer, Inc.) |
랙마운트, 트윈, 블레이드, 스토리지 서버, IoT, 임베디드 시스템, 네트워킹, 솔루션 |
- 사물인터넷(IoT), 인공지능(AI), 클라우드 컴퓨팅, 5G, 가상현실(VR), 증강현실(AR), 블록체인 등의 발달로 인해, 4차 산업 혁명 시대의 빅데이터를 처리할 수 있는 강한 컴퓨팅 수요 확대 |
|
Audio Product(Sennheiser) | ACPAEBT 엑센텀 플러스 블루투스 무선 헤드셋 출시ATW1 엑센텀 TW 블루투스 무선 이어폰 출시MSPORT1 모멘텀 스포츠 TW 블루투스 무선 이어폰 출시Audiophile HD 620S 밀폐형 유선 헤드폰 출시 | - 헤드셋은 단순 음향기기를 넘어 패션 아이템 인식 및 MZ 세대의 수요 증가로 향후 지속적인 시장 확대 예상 - 초소형 포켓형 무선 이어폰(ATW1) 및 멀티 스포츠형 무선 이어폰(MSPORT1) 출시로 음향 시장 점유율 확대 기대- Audiophile : 기존 젠하이저가 강점이 있는 세그먼트로써, 기존 오픈형 6 시리즈 외 밀폐형 6시리즈 제품 출시 |
(5) 조직도
가. 해당 사업연도의 영업상황의 개요Ⅲ.경영참고사항의 1. 사업의 개요 - 나. 회사의 현황 - (1) 영업개황 및 사업부문의 구분을 참조해주시기 바랍니다.
나. 해당 사업연도의 대차대조표(재무상태표)ㆍ손익계산서(포괄손익계산서)ㆍ이익잉여금처분계산서(안) 또는 결손금처리계산서(안)
-재무상태표
재무상태표 | |
제27(당)기말 2024년 12월 31일 현재 |
|
제26(전)기말 2023년 12월 31일 현재 | |
주식회사 피씨디렉트 | (단위 : 원) |
과 목 |
제27(당)기말 |
제26(전)기말 |
||
---|---|---|---|---|
자 산 | ||||
Ⅰ. 유동자산 | 82,221,880,666 | 82,441,821,023 | ||
1. 현금및현금성자산 | 8,739,761,094 | 2,879,818,099 | ||
2. 단기금융상품 | 1,310,000,000 | 1,310,000,000 | ||
3. 매출채권 및 기타채권 | 36,162,788,871 | 37,499,404,856 | ||
4. 재고자산 | 31,602,070,433 | 36,193,709,349 | ||
5. 기타유동자산 | 2,545,953,627 | 2,814,996,049 | ||
6. 당기법인세자산 | - | - | ||
7. 기타금융자산 | 1,861,306,641 | 1,743,892,670 | ||
Ⅱ. 비유동자산 | 7,859,107,776 | 8,895,110,844 | ||
1. 장기금융상품 | 841,217,332 | 609,436,030 | ||
2. 장기매출채권 및 기타채권 | 1,520,459,600 | 1,345,459,600 | ||
3. 기타비유동금융자산 | 905,316,168 | 2,100,000,000 | ||
4. 유형자산 | 1,473,054,208 | 2,159,416,044 | ||
5. 투자부동산 | 20,794,695 | 20,794,695 | ||
6. 무형자산 | 595,649,831 | 666,002,447 | ||
7. 순확정급여자산 | - | - | ||
8. 이연법인세자산 | 2,437,540,942 | 1,929,927,028 | ||
9. 기타비유동자산 | 65,075,000 | 64,075,000 | ||
자 산 총 계 | 90,080,988,442 | 91,336,931,867 | ||
부 채 | ||||
Ⅰ. 유동부채 | 47,980,059,251 | 47,014,124,125 | ||
1. 매입채무 및 기타채무 | 11,287,941,365 | 22,632,403,829 | ||
2. 차입금 | 35,166,284,483 | 22,854,799,559 | ||
3. 당기법인세부채 | 265,656,262 | 83,946,468 | ||
4. 기타금융부채 | 721,502,849 | 1,167,986,339 | ||
5. 기타 유동부채 | 261,390,071 | 178,376,983 | ||
6. 충당부채 | 277,284,221 | 96,610,947 | ||
Ⅱ. 비유동부채 | 3,845,486,945 | 1,539,326,219 | ||
1. 장기차입금 | 2,783,333,335 | |||
2. 기타금융부채 | 699,043,229 | 1,295,960,091 | ||
3. 순확정급여부채 | 363,110,381 | 243,366,128 | ||
부 채 총 계 | 51,825,546,196 | 48,553,450,344 | ||
자 본 | ||||
Ⅰ. 자본금 | 7,670,036,000 | 7,670,036,000 | ||
Ⅱ. 자본잉여금 | 8,591,277,080 | 8,591,277,080 | ||
Ⅲ. 기타자본구성요소 | (2,427,493,060) | (243,839,065) | ||
Ⅳ. 이익잉여금 | 24,421,622,226 | 26,766,007,508 | ||
자 본 총 계 | 38,255,442,246 | 42,783,481,523 | ||
부 채 와 자 본 총 계 | 90,080,988,442 | 91,336,931,867 |
- 손익계산서
포괄손익계산서 | |
제27(당)기 2024년 01월 01일 부터 2024년 12월 31일 까지 |
|
제26(전)기 2023년 01월 01일 부터 2023년 12월 31일 까지 | |
주식회사 피씨디렉트 | (단위 : 원) |
과 목 | 제27(당)기 |
제26(전)기 |
---|---|---|
Ⅰ. 매출액 |
333,767,513,723 | 304,742,791,071 |
Ⅱ. 매출원가 |
314,890,683,195 | 286,960,172,343 |
Ⅲ. 매출총이익 |
18,876,830,528 | 17,782,618,728 |
Ⅳ. 판매비와관리비 |
17,025,965,888 | 14,500,006,258 |
Ⅴ. 영업이익(손실) |
1,850,864,640 | 3,282,612,470 |
Ⅵ. 금융수익 |
8,629,175,785 | 6,923,100,170 |
Ⅶ. 금융비용 |
11,572,919,895 | 9,115,232,763 |
Ⅷ. 기타수익 |
570,961,410 | 273,175,588 |
Ⅸ. 기타비용 |
341,346,743 | 256,188,966 |
Ⅹ. 법인세비용차감전순이익(손실) |
(863,264,803) | 1,107,466,499 |
ⅩⅠ.법인세비용(수익) |
(198,514,282) | 341,768,300 |
ⅩⅡ. 당기순이익 |
(664,750,521) | 765,698,199 |
ⅩⅢ. 기타포괄손익 |
(146,611,761) | (234,289,323) |
1. 당기손익으로 재분류되지 않는항목(세후기타포괄손익) |
(146,611,761) | (234,289,323) |
(1) 확정급여제도의 재측정손익(세후기타포괄손익) |
(146,611,761) | (234,289,323) |
ⅩⅣ. 총포괄손익 |
(811,362,282) | 531,408,876 |
ⅩⅤ. 주당이익 |
||
1. 기본주당이익 |
(45) | 50 |
2. 희석주당이익 |
(45) | 50 |
- 이익잉여금처분계산서(안)
<이익잉여금처분계산서>
제27(당)기 (2024년 01월 01일 부터 2024년 12월 31일 까지) |
제26(전)기 (2023년 01월 01일 부터 2023년 12월 31일 까지) |
(단위 : 원 ) |
과 목 | 제 27기 (처분예정일 : 2025-03-21) | 제 26기(처분확정일 : 2024-03-22) | ||
---|---|---|---|---|
I. 미처분이익잉여금 | 23,136,633,854 | 25,634,321,436 | ||
1. 전기이월미처분이익잉여금 | 23,947,996,136 | 25,102,912,560 | ||
2. 당기순이익(손실) | (664,750,521) | 765,698,199 | ||
3. 기타포괄손익 | (146,611,761) | (234,289,323) | ||
4. 회계정책변경에 따른 증가(감소) | - | - | ||
II. 임의적립금등의 이입액 | - | - | ||
III. 이익잉여금처분액 | 803,810,205 | 1,686,325,300 | ||
1. 이익준비금 | 73,073,655 | 153,302,300 | ||
2. 배당금 주당배당금(율) 당기 : 50원(10%) 전기 : 100원(20%) | 730,736,550 | 1,533,023,000 | ||
IV. 차기이월미처분이익잉여금 | 22,332,823,649 | 23,947,996,136 |
- 최근 2사업연도의 배당에 관한 사항 : 해당사항 없음 - 상기 기재된 주당 배당금 50원은 이사회 결의에 의해 처분예정된 금액이며, 주주총회 승인과정에서 변경될 수 있습니다. - 자본변동표
자본변동표 | |
제27(당)기 2024년 01월 01일 부터 2024년 12월 31일 까지 |
|
제26(전)기 2023년 01월 01일 부터 2023년 12월 31일 까지 |
|
주식회사 피씨디렉트 | (단위 : 원) |
과 목 |
자본 |
||||
---|---|---|---|---|---|
자본금 |
자본잉여금 | 기타자본구성요소 | 이익잉여금 |
자본 합계 |
|
2023.1.1 (전기초) | 3,835,018,000 | 12,447,237,160 | 13,423,500 | 28,535,609,432 | 44,831,288,092 |
당기순이익(손실) | - | - | - | 765,698,199 | 765,698,199 |
기타포괄손익 | - | - | - | (234,289,323) | (234,289,323) |
배당금지급 | - | - | - | (2,301,010,800) | (2,301,010,800) |
무상증자 | 3,835,018,000 | (3,855,960,080) | - | - | (20,942,080) |
자기주식의 취득 | - | - | (257,262,565) | - | (257,262,565) |
2023.12.31 (전기말) | 7,670,036,000 | 8,591,277,080 | (243,839,065) | 26,766,007,508 | 42,783,481,523 |
2024.1.1 (당기초) | 7,670,036,000 | 8,591,277,080 | (243,839,065) | 26,766,007,508 | 42,783,481,523 |
당기순이익(손실) | - | - | - | (664,750,521) | (664,750,521) |
기타포괄손익 | - | - | - | (146,611,761) | (146,611,761) |
배당금지급 | - | - | - | (1,533,023,000) | (1,533,023,000) |
무상증자 | - | - | - | - | - |
자기주식의 취득 | - | - | (2,183,653,995) | - | (2,183,653,995) |
2024.12.31 (당기말) | 7,670,036,000 | 8,591,277,080 | (2,427,493,060) | 24,421,622,226 | 38,255,442,246 |
- 현금흐름표
현금흐름표 | |
제27(당)기 2024년 01월 01일 부터 2024년 12월 31일 까지 |
|
제26(전)기 2023년 01월 01일 부터 2023년 12월 31일 까지 | |
주식회사 피씨디렉트 | (단위 : 원) |
과 목 |
제27(당)기 |
제26(전)기 |
||
---|---|---|---|---|
I. 영업활동현금흐름 | (8,029,933,485) | (2,075,554,869) | ||
당기순이익(손실) | (664,750,521) | 765,698,199 | ||
당기순이익조정을 위한 가감 | 3,137,289,562 | 3,949,187,705 | ||
영업활동으로 인한 자산 부채의 변동 | (8,797,255,573) | (5,400,849,651) | ||
이자수취(영업) | 176,456,911 | 151,841,413 | ||
이자지급(영업) | (1,793,022,153) | (1,496,361,655) | ||
법인세환급(납부) | (88,651,711) | (45,070,880) | ||
II. 투자활동현금흐름 | 5,141,147,647 | (2,046,848,165) | ||
1. 투자활동으로 인한 현금유입액 | 236,414,949,742 | 194,827,052,217 | ||
기타유동금융자산의 처분 | 2,183,653,995 | - | ||
장기대여금및수취채권의 처분 | - | 30,000,000 | ||
임차보증금의 감소 | - | 50,000,000 | ||
장기금융상품의 처분 | - | 356,754,411 | ||
파생상품의 정산으로 인한 유입액 | 232,551,232,889 | 194,390,297,806 | ||
기타비유동금융자산의 처분 | 1,680,062,858 | - | ||
2. 투자활동으로 인한 현금유출액 | (231,273,802,095) | (196,873,900,382) | ||
장기금융상품의 취득 | (229,400,000) | (355,400,000) | ||
당기손익-공정가치측정금융자산의 취득 | (973,989,100) | (1,742,737,435) | ||
장기대여금의 증가 | (145,000,000) | (20,000,000) | ||
임차보증금의 증가 | (30,000,000) | (140,000,000) | ||
유형자산의 취득 | (70,922,489) | (152,203,856) | ||
무형자산의 취득 | (7,472,728) | (5,255,991) | ||
투자자산의 취득 | (1,000,000) | - | ||
기타비유동금융자산의 취득 | (349,980,000) | - | ||
파생상품의 정산으로 인한 유출액 | (229,466,037,778) | (194,458,303,100) | ||
III. 재무활동현금흐름 | 8,848,002,923 | (2,006,759,547) | ||
1. 재무활동으로 인한 현금유입액 | 27,728,023,648 | 17,473,215,080 | ||
단기차입금의 차입 | 24,528,023,648 | 17,473,215,080 | ||
장기차입금의 차입 | 3,200,000,000 | - | ||
2. 재무활동으로 인한 현금유출액 | (18,880,020,725) | (19,479,974,627) | ||
단기차입금의 상환 | (14,254,799,559) | (16,197,585,982) | ||
장기차입금의 상환 | (83,333,333) | - | ||
금융리스부채의 지급 | (825,210,838) | (724,115,280) | ||
배당금지급 | (1,533,023,000) | (2,301,010,800) | ||
자기주식의 취득 | (2,183,653,995) | (257,262,565) | ||
IV. 현금및현금성자산에 대한 환율변동효과 | (99,274,090) | - | ||
V. 현금및현금성자산의순증가(감소) | 5,859,942,995 | (6,129,162,581) | ||
VI. 기초현금및현금성자산 | 2,879,818,099 | 9,008,980,680 | ||
VII. 기말현금및현금성자산 | 8,739,761,094 | 2,879,818,099 |
- 재무제표에 대한 주석 당사의 재무제표에 대한 주석사항은 전자공시시스템(http://dart.fss.or.kr)에 공시예정인 감사보고서를 참조하시기 바랍니다.* 상기 재무제표는 감사가 완료되기 전 재무제표이며, 외부감사인의 감사결과 및 정기주주총회 승인과정에서 일부 변경 될 수 있습니다. 외부감사인의 감사의견을 포함한 최종 재무제표는 제27기 정기주주총회 1주일전까지(2025년3월13일) 전자공시시스템(http://dart.fss.or.kr)에 공시예정인 당사의 감사보고서를 참조하시기 바랍니다.
가. 집중투표 배제를 위한 정관의 변경 또는 그 배제된 정관의 변경
변경전 내용 | 변경후 내용 | 변경의 목적 |
---|---|---|
- | - | - |
나. 그 외의 정관변경에 관한 건
변경전 내용 | 변경후 내용 | 변경의 목적 |
---|---|---|
제45조2 (분기배당) ① 회사는 이사회의 결의로 사업연도 개시일부터 3월, 6월 및 9월의 말일(이하 “분기배당 기준일”이라 한다)의 주주에게 자본시장과 금융투자업에 관한 법률 제 165조의12에 따라 분기배당을 할 수 있다. ② 제1항의 이사회 결의는 분기배당 기준일 이후 45일 내에 하여야 한다. ③~④ (생략) |
제45조2(분기배당) ① 회사는 사업연도 개시일부터 3개월, 6개월 및 9개월 경과 후 45일 이내의 이사회 결의로써 「자본시장과 금융투자업에 관한 법률」 제165조의12에 따라 금전으로 분기배당을 할 수 있다. ② 회사는 이사회 결의로 제1항의 배당을 받을 주주를 확정하기 위한 기준일을 정하는 경우 그 기준일의 2주 전에 이를 공고하여야 한다. ③~④ (현행과 동일) |
「자본시장과 금융투자업에 관한 법률」 개정에 따른 정관 조문 정비. 분기배당 관련 주주의 배당예측가능성 제고 |
<신설> | 부칙(2025.03.21. 개정)(시행일) 이 정관은 2025년 3월 21일부터 개정하여 시행한다. | 효력시점에 관한 부칙 개정 |
※ 기타 참고사항
- 해당사항 없음
가. 후보자의 성명ㆍ생년월일ㆍ추천인ㆍ최대주주와의 관계ㆍ사외이사후보자 등 여부
후보자성명 | 생년월일 | 사외이사후보자여부 |
감사위원회 위원인 이사 분리선출 여부 |
최대주주와의 관계 | 추천인 |
---|---|---|---|---|---|
김용익 | 1965.10 | 사내이사 | - | 없음 | 이사회 |
총 ( 1 ) 명 |
나. 후보자의 주된직업ㆍ세부경력ㆍ해당법인과의 최근3년간 거래내역
후보자성명 | 주된직업 | 세부경력 | 해당법인과의최근3년간 거래내역 | |
---|---|---|---|---|
기간 | 내용 | |||
김용익 | (주)피씨디렉트 전무이사 | 2023.01 ~ 현재2015.02 ~ 2023.01 2002.02 ~ 2015.01 | (주)피씨디렉트 전무이사(주)피씨디렉트 상무이사 (주)피씨디렉트 유통사업부장 | - |
다. 후보자의 체납사실 여부ㆍ부실기업 경영진 여부ㆍ법령상 결격 사유 유무
후보자성명 | 체납사실 여부 | 부실기업 경영진 여부 | 법령상 결격 사유 유무 |
---|---|---|---|
김용익 | 해당사항 없음 | 해당사항 없음 | 해당사항 없음 |
라. 후보자의 직무수행계획(사외이사 선임의 경우에 한함)
해당사항 없음 |
마. 후보자에 대한 이사회의 추천 사유
□ 사내이사 후보자 김용익 후보자 김용익은 2002년부터 현재까지 회사의 영업을 총괄하며 지속적인 매출 성장과 사업 확장을 이끌어왔습니다. 전무이사 재임 기간 동안에도 회사 운영 전반에서 전략적 리더십을 발휘하며 조직의 안정성과 경쟁력 강화에 기여하였습니다.그간의 풍부한 경험과 깊은 전문성을 바탕으로 앞으로도 회사의 지속 가능한 성장과 미래 발전에 중요한 역할을 수행할 적임자라 판단됩니다. 또한 회사의 각종 현안에 대한 효과적인 의사결정에 기여할 수 있을 것을 판단되기에 사내이사 후보자로 추천합니다. |
※ 기타 참고사항
- 해당사항 없음.
<감사후보자가 예정되어 있는 경우>
가. 후보자의 성명ㆍ생년월일ㆍ추천인ㆍ최대주주와의 관계
후보자성명 | 생년월일 | 최대주주와의 관계 | 추천인 |
---|---|---|---|
황명학 | 1961.12 | - | 이사회 |
총 ( 1 ) 명 |
나. 후보자의 주된직업ㆍ세부경력ㆍ해당법인과의 최근3년간 거래내역
후보자성명 | 주된직업 | 세부경력 | 해당법인과의최근3년간 거래내역 | |
---|---|---|---|---|
기간 | 내용 | |||
황명학 | (주)피씨디렉트 상근감사 | 2019~현재2016~20182014~2016 | (주)피씨디렉트 감사 포스코터미날 전무이사포스코켐텍 대표이사 | 해당사항 없음 |
다. 후보자의 체납사실 여부ㆍ부실기업 경영진 여부ㆍ법령상 결격 사유 유무
후보자성명 | 체납사실 여부 | 부실기업 경영진 여부 | 법령상 결격 사유 유무 |
---|---|---|---|
황명학 | 해당사항 없음 | 해당사항 없음 | 해당사항 없음 |
라. 후보자에 대한 이사회의 추천 사유
□ 상근감사 후보자 황명학후보자 황명학은 대기업에서의 다년간 경험과 뛰어난 학식을 바탕으로 건전하고 투명한 경영문화정착에 기여할 수 있는 적임자 입니다. 또한 상근감사로서 결격사유가 전혀 없으며, 최대주주 및 회사와의 이해관계가 없는 독립적인 지위에서 직무를 수행할 수 있는 인물입니다. 본 후보자는 높은 윤리의식과 책임감을 갖고 기업의 내부 감시 및 감사 기능을 충실히 수행할 것으로 기대됩니다. |
※ 기타 참고사항- 해당사항 없음
가. 이사의 수ㆍ보수총액 내지 최고 한도액
(당 기)
이사의 수 (사외이사수) | 4( 1 ) |
보수총액 또는 최고한도액 | 5,000 백만원 |
(전 기)
이사의 수 (사외이사수) | 4( 1 ) |
실제 지급된 보수총액 | 1,366 백만원 |
최고한도액 | 5,000 백만원 |
※ 기타 참고사항
- 해당사항 없음
가. 감사의 수ㆍ보수총액 내지 최고 한도액
(당 기)
감사의 수 | 1 |
보수총액 또는 최고한도액 | 500 백만원 |
(전 기)
감사의 수 | 1 |
실제 지급된 보수총액 | 66 백만원 |
최고한도액 | 500 백만원 |
※ 기타 참고사항
- 해당사항 없음.
가. 의안 제목
제7호 의안 : 임원 퇴직금 지급규정 일부 개정의 건
나. 의안의 요지
변경전 내용 | 변경후 내용 | 변경의 목적 |
---|---|---|
제2조 (적용범위 및 지급기준) ① 본 규정에서 임원의 범위는 상근임원으로 한다. ② 임원에 준하는 대우를 받더라도 별도의 계약에 의하여 근무하는 자는 그 별도의 계약에 의한다. ③ 임원이 퇴직할 때에는 다음 기준에 따라 퇴직금을 지급한다. 1. 사장 : 근속년수 1년에 대하여 월평균 보수의 3개월분 2. 부사장, 전무 : 근속년수 1년에 대하여 월평균 보수의 2개월분 3. 상무, 이사 : 근속년수 1년에 대하여 월평균 보수의 1.5개월분 |
제2조 (적용범위 및 지급기준) ① 본 규정에서 임원의 범위는 등기여부를 불문하고 회사에서 상근하는 임원(이사, 상무, 전무, 부사장, 사장, 부회장, 회장)을 말한다. ② 임원에 준하는 직함 또는 대우를 받더라도 회사와 별도의 계약(위임계약서,위촉계약서 등 명칭 불문)을 체결하고 이에 의하여 근무하는 자는 그 별도의 계약에 의하며 본 규정의 적용을 받지 아니한다. ③ 임원이 퇴직할 때에는 다음 기준에 따라 퇴직금을 지급한다. 1. 회장 : 근속년수 1년에 대하여 월평균 보수의 4개월분 2. 부회장, 사장 : 근속년수 1년에 대하여 월평균 보수의 3개월분 3. 부사장, 전무 : 근속년수 1년에 대하여 월평균 보수의 2개월분 4. 상무, 이사 : 근속년수 1년에 대하여 월평균 보수의 1.5개월분 |
직제개편에 따른 임원퇴직금 지급규정 개정 |
<신설> |
부칙 (시행일) 이 규정은 2025년 3월 21일부터 시행한다. |
효력시점에 관한 부칙 개정 |
제출(예정)일 | 사업보고서 등 통지 등 방식 |
---|---|
(1) 상법시행령 제31조(주주총회의 소집공고) 제4항 제4호에 의거하여 사업보고서 및 감사보고서는 주주총회 개최 1주 전까지 회사 홈페이지에 공고할 예정입니다.※ 홈페이지 주소 : www.pcdirect.co.kr(2) 향후 사업보고서는 오기 등이 있는 경우 수정될 수 있으며, 수정된 사업보고서는 금융감독원 전자공시시스템(DART)에 업데이트 될 예정이므로, 이를 반드시 확인하시기 바랍니다.(3) 주주총회 이후 변경된 사항에 관하여는 금융감독원 전자공시시스템(DART)에 제출된 사업보고서를 활용하시기 바랍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