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년 7월 2일 | ||
회 사 명 : | 주식회사 엑셈 | |
대 표 이 사 : | 조 종 암, 고 평 석 | |
본 점 소 재 지 : | 서울특별시 강서구 마곡중앙8로5길 40 | |
(전 화) 02-6203-6300 | ||
(홈페이지) http://www.ex-em.com | ||
작 성 책 임 자 : | (직 책) 대표이사 | (성 명) 고 평 석 |
(전 화) 02-2093-2839 | ||
(제12기 임시주주총회) |
주주님의 건승과 댁내의 평안을 기원합니다. 당사는 상법 제365조와 정관 제22조에 의거 제12기 임시주주총회를 다음과 같이 개최하고자 하오니 참석하여 주시기 바랍니다. 또한 의결권이 있는 발행주식총수의 100분의 1 이하의 주식을 소유한 주주에 대한 소집 통지 및 공고를 상법 제542조의4 및 회사 정관 제24조에 의거하여 본 공고로 갈음하오니 양지하여 주시기 바랍니다.
- 아 래 - |
1. 일 시 : 2025년 7월 17일 (목) 오전 10시
2. 장 소 : 서울특별시 강서구 마곡중앙8로5길 40 ㈜엑셈 1층 필리노베이터홀
3. 회의목적사항
가. 보고사항 : 감사보고 나. 부의안건
제1호 의안 : 자본준비금의 이익잉여금 전입의 건
4. 경영참고사항 비치
상법 제542조의4에 의거 경영참고사항을 당사의 본점, 명의개서대행회사(KB국민은행 증권대행부)에 비치하였고, 금융위원회 및 한국거래소의 전자공시시스템, 당사 홈페이지(http://ex-em.com)에서 조회가 가능하오니 참고하시기 바랍니다.
5. 실질주주의 의결권 행사에 관한 사항
우리 회사의 금번 주주총회에는 한국예탁결제원이 주주님들의 의결권을 행사할 수 없습니다. 따라서 주주님께서는 한국예탁결제원에 의결한 행사에 관한 의사표시를 하실 필요가 없으며, 주주총회 참석장에 의거 의결권을 직접행사 하시거나 또는 위임장에 의거 의결권을 간접행사 하실 수 있습니다.
6. 전자투표에 관한 사항
우리회사는 「상법」 제368조의4에 따른 전자투표제도를 이번 임시주주총회에서 활용하기로 결의하였고, 이 두 제도의 관리업무를 아이알큐더스에 위탁하였습니다. 주주님들께서는 아래에서 정한 방법에 따라 주주총회에 참석하지 아니하고 전자투표방식으로 의결권을 행사하실 수 있습니다.
가. 전자투표시스템 인터넷 주소 및 모바일 주소 : 「https://jujupass.co.kr/」
나. 전자투표 행사기간 : 2025년 7월 7일 ~ 2025년 7월 16일 (기간 중 24시간 이용 가능. 단 시작일은 9시부터, 마감일은 17시까지 가능)
다. 행사방법 : 본인 인증 방법은 공동인증, 휴대폰인증 및 회원가입 진행 후 로그인을 통해 주주 본인을 확인 후 의안별로 의결권 행사
라. 수정동의안 처리 : 주주총회에서 상정된 의안에 관하여 수정동의가 제출되는 경우 전자투표는 기권으로 처리
7. 주주총회 참석시 준비물
1) 직접행사 : 주주총회 참석장, 신분증
2) 대리행사 : 주주총회 참석장, 대리인 참석용 위임장(주주와 대리인의 인적사항 기재, 인감날인), 인감증명서(개인/법인), 대리인의 신분증
8. 기타 참고사항
1) 참석 주주님들을 위한 기념품을 지급하지 않으니 양지하여 주시기 바랍니다.
2) 주주총회 참석장, 대리인 참석용 위임장 서식은 당사 홈페이지(https://ir.ex-em.com/electronic_list)에서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
2025년 7월 2일 주식회사 엑셈 대표이사 조 종 암, 고 평 석 (직인생략) |
회차 | 개최일자 | 의안내용 | 사외이사 등의 성명 | ||
---|---|---|---|---|---|
공훈의(출석률 : 100%) | 이상훈(출석률 : 100%) | 정희선(출석률 : 75%) | |||
찬 반 여 부 | |||||
1차 | 2025-02-17 | 제 1 호 보고 : 2024년 내부회계관리제도 운영실태 보고제 2 호 의안 : 제11기 영업보고서 및 재무제표(연결 및 별도) 승인의 건 | 찬성 | 찬성 | 불참 |
2차 | 2025-03-14 | 제 1 호 의안 : 제11기 정기주주총회 소집의 건 | 찬성 | 찬성 | 찬성 |
3차 | 2025-03-14 | 제 1 호 의안 : 자기주식 소각의 건 | 찬성 | 찬성 | 찬성 |
4차 | 2025-06-10 | 제 1 호 의안 : 제12기 임시주주총회 소집의 건 | 찬성 | 찬성 | 찬성 |
(주1) 당해 사업연도 개시일로부터 2025년 7월 2일(소집공고일)까지를 기준으로 작성하였습니다.(주2) 2025년 7월 2일(소집공고일) 현재 당사의 사외이사 총수는 3명으로, 상법 제542조의 8 제1항의 법정 사외이사수(이사 총수의 4분의 1) 요건을 충족하고 있습니다.
위원회명 | 구성원 | 활 동 내 역 | ||
---|---|---|---|---|
개최일자 | 의안내용 | 가결여부 | ||
보상위원회 | 사외이사 이상훈사내이사 고평석사내이사 조종암 | 2025-01-31 | 제 1 호 의안 : ㈜엑셈 임원에 대한 2025년 연봉책정 및 2024년 성과상여 지급의 건 | 가결 |
(주1) 당해 사업연도 개시일로부터 2025년 7월 2일(소집공고일)까지를 기준으로 작성하였습니다.
(단위 : 천원) |
구 분 | 인원수 | 주총승인금액 | 지급총액 | 1인당 평균 지급액 | 비 고 |
---|---|---|---|---|---|
사외이사 | 3 | 1,500,000 | 27,000 | 9,000 | - |
(주1) 상기 인원수는 2025년 7월 2일(소집공고일) 기준으로 재임 중인 사외이사 인원수입니다.(주2) 주총승인금액은 주총승인일 기준으로 사내이사 2명을 포함한 등기이사 총 5명의 보수한도 총액이며, 지급총액은 당해 사업연도 개시일로부터 2025년 7월 2일(소집공고일)까지를 기준으로 작성하였습니다.(주3) 1인당 평균 지급액은 지급총액을 인원수로 나누어 계산하였습니다.
(단위 : 억원) |
거래종류 | 거래상대방(회사와의 관계) | 거래기간 | 거래금액 | 비율(%) |
---|---|---|---|---|
- | - | - | - | - |
(주1) 상기 항목은 2분기 거래실적의 미확정으로 인해 당해 사업연도 개시일로부터 1분기 종료일(2025년 3월 31일)까지를 기준으로 작성하였습니다.
(단위 : 억원) |
거래상대방(회사와의 관계) | 거래종류 | 거래기간 | 거래금액 | 비율(%) |
---|---|---|---|---|
- | - | - | - | - |
(주1) 상기 항목은 2분기 거래실적의 미확정으로 인해 당해 사업연도 개시일로부터 1분기 종료일(2025년 3월 31일)까지를 기준으로 작성하였습니다.
1) DB 성능관리
(1) 산업의 특성DB성능관리는 DBMS(Database Management System) 시장 동향과 성장 추이에 동조화 되는 산업입니다. 삼성전자, LG전자 등 한국을 대표하는 대기업, 은행과 금융사, IT기업, 정부 부처와 공공기관 등 모든 분야에서 클라우드 도입이 지속적으로 증가하고 있습니다. 많은 기업들이 클라우드 비중을 확대하고 비관계형 DBMS(일명 'NoSQL')와 오픈소스 DBMS 도입을 늘리면서 국내 DBMS 시장에 큰 변화가 일고 있습니다. 이에 따라 국내 DB성능관리 시장에서는 오라클과 마이크로소프트 위주의 상용 관계형 DBMS 성능 모니터링에 더해 오픈소스 또는 비관계형 DBMS 모니터링과 클라우드 DBMS 모니터링의 수요가 증가하고 있습니다.또한 정부와 민간이 함께 데이터 생태계를 조성하고 데이터 경제로 전환을 이루기 위해 데이터, 인공지능(AI), 클라우드 기술을 기반으로 디지털 혁신을 전방위로 가속하면서 DB성능관리의 중요성이 날로 높아지고 있습니다.
(2) 산업의 성장성
최근 국내 클라우드 시장의 폭발적인 성장에 따라 클라우드DB 신규 시장이 형성되면서 전후방산업의 연관효과로 DB성능관리 산업은 향후 지속적인 성장이 전망됩니다.
(단위 : 억원) |
구분 | 2021년 | 2022년 |
2023년 (잠정치) |
CAGR ('21~'23) |
비고 |
---|---|---|---|---|---|
데이터베이스 관리시스템(DBMS) 솔루션개발ㆍ공급업 | 11,021 | 15,735 | 16,268 | 21.5% | 관계형/비관계형 DBMS,클라우드 DBMS,인메모리 DBMS,기타 DBMS 등 |
데이터 관리 솔루션개발ㆍ공급업 | 7,137 | 8,954 | 9,407 | 14.8% | DB성능관리 및 모니터링솔루션 포함 |
데이터 관련 컨설팅서비스업 | 4,871 | 5,925 | 6,338 | 14.1% | DB튜닝 및 성능개선컨설팅 포함 |
* 출처: 한국데이터산업진흥원, 2023년 데이터산업현황조사, 2024년 7월
(3) 경기 변동의 특성 DB성능관리는 기업의 DBMS 상태를 파악하고 장애를 사전에 인지, 원인을 제거하여 성능을 최적화하는 것으로서 기업의 비즈니스 성패를 결정짓는 핵심 요소입니다. 따라서 DB성능관리는 기업 내에서 투자 우선순위가 높기 때문에 다른 산업군에 비해 경기와 계절적 변동에 크게 영향을 받지 않습니다.단, 당사 기존 고객들과 잠재 고객들의 컴퓨팅 환경의 변화와 새로운 기술 트렌드 수용에 따른 IT 인프라 증설 및 전환을 위한 투자 사이클에 일시적으로 영향을 받을 수 있겠으나 DBMS 시장이 지속적으로 성장하는 만큼 DB성능관리 시장도 꾸준히 성장한다고 볼 수 있습니다.
(4) 경쟁요소최근 기업의 컴퓨팅 환경에서 클라우드 비중이 확대되면서 관계형 DBMS에 더해 오픈소스 DBMS, 관리형 DBMS, 비관계형 DBMS(일명 'NoSQL'), 문서형 DBMS, 클라우드 DBMS 등이 주목받고 있습니다. 따라서 당사와 같은 DB성능관리 소프트웨어 벤더에는 다양한 종류의 DBMS 성능 모니터링 솔루션 보유와 신기술을 수용하는 R&D 역량, 그리고 즉시 접근 가능한 판매처 보유를 통한 TTM(Time to Market) 최소화와 빠른 시장 대응이 매우 중요합니다.이런 관점에서 당사의 강점은 여전히 시장 점유율 1위인 오라클로 대표되는 관계형 DBMS부터 비관계형 DBMS(일명 'NoSQL'), 인메모리 DBMS, 클라우드 DBMS까지 총 11종의 DBMS를 지원하는 국내 최고의 DB성능관리 솔루션을 바탕으로 민간기업과 공공기관을 포함한 국내 최다 고객사 및 견고한 세일즈 파이프라인을 보유한 것입니다.당사는 현재, 적극적인 신기술의 수용과 R&D를 통해 시장의 진입장벽을 높이고 경쟁사와의 격차를 벌리는 데 집중하고 있습니다.
2) APM (Application Performance Monitoring)
(1) 산업의 특성
과거의 APM이 웹서비스의 응답속도와 동작 상태를 관찰하고 미들웨어(WAS : Web Application Server) 성능에 영향을 미치는 원인을 보고하고 분석하는 솔루션이었다면, 현대의 APM은 사용자 화면부터 웹서버(WEB), WAS, TP(Transaction Processing, 트랜잭션 처리), DB, 외부 연계 시스템까지 애플리케이션 계층을 중심으로 서비스 전 구간을 모니터링하는 플랫폼입니다. 더불어 기업의 컴퓨팅 환경이 복잡해짐에 따라 인공지능(AI)을 통한 장애 예측이나 모바일 및 클라우드 환경의 애플리케이션 모니터링까지 지원하는 등 APM의 기능이 점점 진화하고 있습니다.
또한 세계적 시장조사 기관인 가트너(Gartner)의 '2023 Magic Quadrant for APM & Observability'에 따르면 주로 금융, 리테일 영역의 대기업이 APM을 도입했었지만 최근 많은 산업이 디지털 혁신을 겪으면서 APM은 공공, 헬스케어, 제조 등 다양한 영역으로 확대되고 있습니다.
(2) 산업의 성장성
가트너(Gartner)는 '2023 Magic Quadrant for APM & Observability'에서, APM이 통합 옵저버빌리티(Full-stack Observability) 솔루션에 포함된 구성 요소로 인식되고 있다고 분석했습니다. 그리고 APM의 경쟁력을 좌우하는 요소로 자동화 및 서비스 관리 도구, 퍼블릭 클라우드 공급자가 자체적으로 제공하는 클라우드 관리 솔루션과의 통합 기능을 강조했습니다.
또한 모바일, 클라우드 네이티브(Cloud Native, 단순히 인프라만 전환하는 것을 넘어 서버와 스토리지, 애플리케이션 등 모든 환경을 클라우드에 최적화시키는 방법론) 애플리케이션의 지속적인 성장과 클라우드 아키텍처로의 이동이 APM 시장을 계속 촉진하고 있다고 판단했으며 APM 및 옵저버빌리티 시장이 2020년부터 2026년까지 연평균(CAGR) 8.6%로 증가해 2026년 약 84억 달러에 이를 것으로 전망했습니다. 국내 시장 또한 모바일 및 클라우드 네이티브로의 전환 추세가 이어지고 있기에 APM 시장 규모 또한 지속 확대될 것으로 예상됩니다.
(3) 경기 변동의 특성
APM은 기업의 애플리케이션 서비스 전 구간의 성능을 최적화하여 기업의 비즈니스 성패를 결정짓는 핵심 요소로서 기업 내 높은 투자 우선순위를 가지기 때문에 경기와 계절적 변동에 상대적으로 크게 영향을 받지 않습니다.
단, 기존 고객사와 잠재 고객사의 IT 증설과 투자 사이클에 영향을 받습니다.
(4) 경쟁요소 국내 APM 시장에서 주요한 경쟁요소는 다음과 같습니다. 첫째 요소는 정밀한 APM 을 위한 End-to-End(E2E) 거래 추적 모니터링 역량입니다. 둘째 요소는 개별 고객의 고유한 IT 환경에 맞춰 솔루션을 맞춤 개발할 수 있는 역량입니다. 마지막으로 셋째 요소는 글로벌 시장에서 앞서 나가기 위해 클라우드와 인공지능(AI) 등 신기술을 수용하고 경쟁력을 강화할 수 있는 R&D 역량입니다.이러한 APM의 경쟁요소에 비추어 볼 때, 당사의 가장 큰 경쟁력은 WAS 중심의 개별 APM 영역에 초점을 둔 솔루션들과는 달리, 최초 사용자(단말)부터 웹서버(WEB), WAS, TP, DB를 거쳐 외부 연계 시스템(EAI/FEP 등)에 이르기까지 고객사 애플리케이션 트랜잭션의 자동 추적과 연계 기능을 통해 사용자 요청부터 백엔드의 E2E 전 구간을 관리할 수 있다는 점입니다. 또한 당사는 고객별 최적화된 솔루션을 제공하는 기술 조직을 운영하고, 대규모 R&D 조직을 갖추어 클라우드와 인공지능(AI) 등 새로운 기술을 적극적으로 수용하고 있습니다.
3) 빅데이터 플랫폼
(1) 산업의 특성데이터가 새로운 가치 창출의 핵심 자원으로 활용되며, 많은 조직들이 조직의 내/외부에 존재하는 다양한 형태의 데이터를 수집, 처리, 분석해 의미있는 가치를 추출해 비즈니스에 적용하고 있습니다.이때 방대한 양과 다양한 종류의 데이터를 수집하고, 빠르게 읽고 분석하는 것이 관건이며, 정형 데이터들은 오라클 등의 관계형 DB를 통해 저장할 수 있지만 그 양이 방대해지고 이미지, 텍스트, CSV파일 등 비정형 데이터가 늘어나면 대용량의 데이터를 수집, 처리하는 데 오랜 시간이 걸립니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는 기술로 정형/비정형에 제약없이 대용량 데이터를 분산 환경에서 처리할 수 있는 오픈소스 프레임워크인 하둡(Hadoop)이 등장했고, 하둡을 중심으로 데이터 수집, 가공, 분석에 대한 하둡의 기능을 보완하는 다양한 오픈소스 프레임워크들이 모여 빅데이터 플랫폼을 이룬 '하둡 에코 시스템(Hadoop Ecosystem)'이 만들어졌습니다. 하둡 에코 시스템은 빅데이터를 활용하는 대부분의 기업에서 필수적으로 사용하고 있습니다. 하둡 에코 시스템을 구축하기 위해서는 각 오픈소스 프레임워크들의 안정성, 호환성을 수개월간 검증해 구축 및 연동해야 하며, 운영 관리 및 모니터링 역시 상당한 전문성이 요구됩니다. 이에 효과적으로 데이터에 접근하고 통합 관리할 수 있는 빅데이터 플랫폼 기술의 중요성이 증가하게 되었습니다.
(2) 산업의 성장성
빅데이터 산업 활성화를 위한 정부의 적극적인 정책 추진이 지속되고 있습니다. 이로 인해 공공과 민간 분야별 모두 투자가 증가하여 빅데이터 시장 확대에 긍정적인 영향을 지속적으로 미칠 것으로 전망됩니다.
<빅데이터 플랫폼이 포함된 부문별 시장규모>
(단위 : 억원) |
구분 | 2021년 | 2022년 |
2023년 (잠정치) |
CAGR ('21~'23) |
비고 |
---|---|---|---|---|---|
빅데이터 통합 플랫폼솔루션 개발 ㆍ공급업 | 3,359 | 4,364 | 4,755 | 19.0% | 빅데이터 환경을 편리하게 구축하고 수집/정제/분석/시각화등에 필요한 기능들을 하나의 패키지형태로 제공하는 솔루션 |
데이터 구축 ㆍ가공서비스업 | 80,403 | 84,380 | 86,930 | 4.0% | 빅데이터를 주어진 형식에맞추어 구축하는 서비스 포함 |
* 출처: 한국데이터산업진흥원, 2023년 데이터산업현황조사, 2024년 7월
(3) 경기 변동의 특성 최근 IT 투자는 기업들로부터 성장이 아닌 생존의 필수 조건으로 인식됨에 따라, 빅데이터 사업의 경기 변동 민감성도 감소 추세에 있습니다. 미래 산업과 비즈니스에 대한 불확실성이 증가하여 빅데이터, AI 기반의 고급 분석과 이와 관련된 빅데이터 통합 관리 수요는 증가하고 있습니다. 소프트웨어 사업의 특성상 타 산업의 계절적 변동 요인에 따른 민감도도 낮은 편입니다. 공공시장의 경우에는 경기 변동에 의한 영향보다는 정부의 IT 투자 계획이나 공공기관의 대형 프로젝트 발주 여부에 영향을 받는 경우가 있습니다.
(4) 경쟁요소하둡 에코 시스템을 구성하는 각각의 오픈소스 프레임워크들은 접근성이 매우 불편하고 모니터링이 다소 어려운 점이 있습니다. 따라서 하둡 에코시스템 구축 시에는 다양한 소프트웨어들 간의 호환성 유지와 통합 관리가 관건입니다. 이에 당사는 하둡 에코시스템 모니터링에 최적화된 기술 경쟁력을 갖춘 통합 관리 솔루션 플라밍고(Flamingo)와 호환성이 검증된 소프트웨어들이 최적으로 조합된 고객별 맞춤 아파치 하둡 에코시스템 구성 설치를 포함하여 패키지 형태로 제공하고 있으며, 외산 솔루션 대비 저렴한 가격과 빅데이터 분석 전문가들의 분석 노하우를 기반으로 한 우수한 컨설팅 서비스 체계로 차별화된 경쟁력을 보유하고 있습니다. 또한 빅데이터 플랫폼 구축 및 분석 분야의 중요한 경쟁 요소인 빅데이터 시스템과 데이터에 대한 도메인 지식, 그리고 사업 경험을 통한 인프라 환경 이해도, 구축ㆍ분석 노하우를 당사가 상당 부문 보유하고 있어, 이러한 전문성을 기반으로 ISP(Information Strategy Planning, 정보 전략 계획)/사전 컨설팅 사업에 참여해 본 사업 기회 및 운영 등의 후속 사업 기회를 확대해가고 있습니다. 4) 지능형 IT 성능 모니터링
(1) 산업의 특성전 세계적으로 디지털 전환이 가속화되는 가운데, IT 운영 데이터는 기하급수적으로 증가하여 관리자가 감당할 수 있는 수준을 넘어섰고, AI 기술이 기업 비즈니스 혁신의 필수 요소로 자리잡기 시작했습니다. 이에 따라 글로벌 IT 운영 관리 시장은 IT 운영에 AI를 도입하여 운영을 지능화, 효율화하는 AIOps를 중심으로 재편되고 있으며, 글로벌 시장조사기관 Stratistics MRC에 따르면, 글로벌 AIOps 시장은 2024년 49억 9,000만 달러에 이릅니다.
(2) 산업의 성장성 국내 AIOps 시장은 초기 단계로 시장조사기관 Market Research Future에 따르면 2023년 국내 AIOps 플랫폼 시장 규모는 2억 6,700만 달러 수준에서 2024년 3억 5,000만 달러 규모로 확대되었습니다. 해당 시장은 2025년부터 2035년까지 17.2%의 CAGR로 성장하여, 2035년에는 20억 달러에 달할 것으로 전망됩니다.국내 IT 혁신을 주도하고 있는 금융권에서는 디지털 전환을 가장 중요한 경영 키워드로 설정하고, 은행 업무의 핵심 경쟁력을 디지털화하는 데 주력하고 있습니다. 이에 따라 금융권을 중심으로 한 산업 전반에서 IT 운영 전략과 방향성을 전면 재구성하면서 국내 AIOps 수요 또한 증가할 것으로 전망됩니다. 또한 최근 국내에서는 데이터가 많이 발생하는 대국민 서비스나 공공 데이터 센터에서 ICT 전반의 무중단 서비스 운영을 위해 IT 인프라 관리 및 운영 자동화를 제공하는 AIOps를 도입하려는 움직임을 보이고 있습니다.
(3) 경기 변동의 특성 당사 지능형 IT 성능 모니터링 사업은 타 IT 기업에 비해 경기변동에 따른 영향이 제한적입니다. 최근 IT 비즈니스 환경에서는 순간의 예측할 수 없는 장애가 치명적인 시간과 비용 손실을 초래하기에, 장애를 사전에 예측해 선제적 대응을 지원하는 AI 기반 IT 운영 관리 기술이 대안으로 부상하고 있습니다. 소프트웨어 사업의 특성상 타 산업의 계절적 변동 요인에 따른 민감도도 낮은 편입니다. 공공시장의 경우에는 경기 변동에 의한 영향보다는 정부의 IT 투자 계획이나 공공기관의 대형 프로젝트 발주 여부에 영향을 받는 경우가 있습니다.
(4) 경쟁요소
지능형 IT 성능 모니터링을 위해서는 다양한 데이터의 빠르고 정확한 수집, 검색, 분석과 최적의 AI 기술 결합을 통한 부하 예측, 이상 탐지, 문제 진단 능력, 그리고 직관적인 뷰(View)를 통하여 장애나 사고의 근본 원인을 보다 신속하게 파악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당사의 솔루션 싸이옵스(XAIOps)는 다양한 머신러닝/딥러닝 알고리즘을 통해 1시간 후 미래 부하를 예측하고, 이상 징후를 95% 이상의 정확도로 예측할 수 있습니다. 2024년 싸이옵스는 단순히 지표별 이상 여부를 판별하여 이상 탐지 하는 방식에서 벗어나 지표간의 관계성을 학습한 후 관계성이 틀어지는 경우와 지표 값이 정상 범위를 벗어나는 경우를 AI 모델이 판별하여 이상 탐지의 효율을 기존 대비 90% 이상 높였습니다.
또한 예측 모델에 있어 기존 DNN(심층신경망) 대비 미래 시점에 대하여 더 정교한 시계열 패턴으로 예측가능하고 최소 2배 이상의 예측 신뢰성과 약 3배의 학습 시간 단축 효과를 달성했습니다. 또한 타사 AIOps 솔루션 대비 강점인 직관적인 대시보드와 장애 발생 후 수 분 이내로 제공되는 근본원인 분석 기능으로 관리자의 인사이트를 더욱 향상시키고 능동적인 사전 대응 체계를 가능하게 합니다. 글로벌 AIOps 벤더와 비교해서는 개발 본사가 국내에 있고, 컨설팅 경험 기반으로 우수한 고객 지원 서비스 체계를 보유하고 있다는 점도 강점입니다.
5) 통합 IT 성능 모니터링 플랫폼
(1) 산업의 특성전 세계적으로 디지털 전환이 가속화됨에 따라, 애플리케이션, 인프라, 네트워크, 클라우드, 컨테이너, API, 사용자단까지 다양한 계층이 혼재하여 IT 운영 데이터와 복잡성이 매우 증가했습니다. 이에 WAS, DB 등 개별 모니터링에 집중했던 기존 IT 운영 관리 개념에서 진화해, 인프라 및 시스템 전체적인 관점에서의 성능 지표를 모니터링하고 로그, 메트릭, 트레이스 등 다양한 데이터를 연결해서 근본원인을 빠르게 분석해 IT 환경의 가시성을 향상시키는 '옵저버빌리티(Observability)'에 대한 수요가 증가하고 있습니다. 미국을 필두로 한 글로벌 시장에서는 풀스택(Full-stack) 옵저버빌리티 솔루션들이 IT 모니터링 시장을 주도하고 있습니다.
(2) 산업의 성장성 시장조사기관 Market Research Future에 따르면, 글로벌 옵저버빌리티 플랫폼 시장은 2023년 166억 달러로 추산되며 19.2%의 CAGR로 성장하여 2032년에는 811억 달러에 이를 것으로 전망됩니다. 국내 풀스택 옵저버빌리티 솔루션 시장은 매우 초기이며, 글로벌 환경과 마찬가지로 클라우드 환경 도입 등으로 인해 모니터링 요소가 증가하고 IT 환경 관리가 복잡해짐에 따라 전체 시스템에 대한 가시성을 확보하고자 하는 수요가 지속 증가할 것으로 보입니다. 현재 멀티/하이브리드 클라우드 환경을 채택한 중견 이상의 기업들과 공공 기관들이 계속 늘어나면서 '풀스택 옵저버빌리티(Full-stack Observability)' 수요가 빠르게 증가하고 있습니다. 또한 공공 부문의 적극적인 '범정부 클라우드 네이티브 전환 추진' 정책에 따라 공공기관에서의 도입 확대가 전망되고 있습니다.
(3) 경기 변동의 특성 통합 IT 성능 모니터링 플랫폼 시장은 당사 IT 모니터링 사업과 같이 타 IT 기업에 비해 경기변동에 따른 영향이 제한적입니다. 소프트웨어 사업의 특성상 타 산업의 계절적 변동 요인에 따른 민감도도 낮은 편입니다. 공공시장의 경우에는 경기 변동에 의한 영향보다는 정부의 IT 투자 계획이나 공공기관의 프로젝트 발주 여부에 영향을 받는 경우가 있습니다.
(4) 경쟁요소엑셈원(exemONE)은 온프레미스 및 클라우드 인프라와 데이터베이스, 애플리케이션, 쿠버네티스와 도커 및 컨테이너 로그까지 포괄하여 시스템 전체적인 관점의 통합적인 풀스택 모니터링을 제공하고, 엑셈의 고도화된 모니터링 기술이 최적화된 아키텍처로 설계됐습니다. 엑셈원의 가장 큰 경쟁요소는 최신 기술 트렌드인 AI 기능(AI 기반 이상 탐지, LLM 챗봇 등)을 탑재해 나가고 있는 점, 경쟁사 대비 상세 분석(PA) 기능의 수준이 높으며 특히 DBPM, APM 기능에서 더 우수하다는 점과 여러 API 방식을 통해 외부 연계는 물론 시스템의 각 영역 간 연계 분석을 제공하는 점입니다. 또한 기본적으로 제공하는 성능 지표 외에 사용자가 원하는 새로운 지표를 만들어 낼 수 있고, 다양한 사용자 정의 대시보드를 구성할 수 있는 등 사용자 편의성이 타 제품 대비 우수합니다. 또한 엑셈원은 검증된 오픈소스 및 MSA 아키텍처를 적용해 확장성과 안정성을 지속 유지하며, 다운타임(Downtime) 없이 안정성 있는 수집 인프라를 제공합니다. 여기에 엑셈의 25년간의 모니터링 경험과 노하우를 기반으로 검증된 성능 모니터링과 인사이트를 제공하고, 오랜 경험을 가진 당사 엔지니어 조직이 설치 및 기술 지원을 직접 하는 점도 차별화된 요소입니다. 6) DB 보안 (1) 산업의 특성
DB보안의 산업 분야는 정보보호산업으로 2015년 제정된 정보보호산업법에 따르면 '정보보호를 위한 기술 및 정보보호기술이 적용된 제품을 개발ㆍ생산 또는 유통하거나 이에 관련한 서비스를 제공하는 산업'으로 정의하고 있습니다.
정보보호산업은 제품의 특성에 따라 정보보안, 물리보안, 융합보안으로 분류되며 정보보안은 컴퓨터 또는 네트워크상 정보 유출, 훼손 등을 방지하기 위한 제품 또는 서비스를 말합니다. 정보보호시장은 북미, 유럽, 일본 등 주요 선진국이 정보보호 시장의 90%가량 차지하고 있으며 전 세계 정보보호산업 시장 규모는 해마다 증가할 것으로 예상되는 산업 분야입니다.
정보보안산업은 디지털 환경에서 정보를 보호하기 위한 기술, 제품, 서비스 등을 제공하는 산업으로, 데이터의 무단 접근, 유출, 변경 또는 파괴를 방지를 목표로 정보보안은 주로 네트워크 보안, 시스템 보안, 데이터 암호화 및 인증, 보안 관제와 같은 분야를 포함하며, 물리적 보안 별도 산업으로 구분되고 있습니다.
정보보안산업 범주안에 속해 있는 데이터 보안 시장은 빠른 디지털 전환과 데이터 중심 사회 변화로 기업과 개인이 생성·소비하는 데이터의 양이 폭발적으로 증가하면서 이를 보호하기 위한 보안 솔루션의 필요성이 높아지고 있습니다.
(2) 산업의 성장성
국내 정보보호 시장은 국내ㆍ외 규제 강화와 디지털 전환으로 인해 지속적으로 성장하고 있습니다. 2024년 국내 정보보호산업 실태조사 보고서에 따르면, 2023년 정보보호 산업 전체 매출액은 16조 8,310억 원으로 전년 대비 4.0% 증가했으며, 이 중 정보보안 매출액은 6조 1,455억 원으로 전년 대비 9.4% 증가했습니다. 특히 2020년부터 2023년까지의 정보보안 부문 매출액은 3조 9,214억 원에서 6조 1,455억 원으로 약 56.7% 성장하며 높은 성장세를 보여주고 있습니다. 국내 정보보호 시장은 2033년까지 연평균 성장률(CAGR) 8.2%로 성장할 것으로 전망됩니다.
최근 생성형 인공지능(Generative AI)에 의해 생성된 잘못된 정보로 개인의 사생활 침해, 사기 등 심각한 위험을 초래하는 사례들이 빈번하게 발생하였고 현재도 지속적으로 증가하고 있습니다. 이에 따라 전 세계 정부 및 기구들은 이러한 문제들을 해결하기 위한 규제를 계획하고 새로운 법률을 제정하는 등의 준비를 하고 있습니다. 또한, 클라우드 환경에서 다양한 서비스들의 연동과 의존도가 높아지면서 데이터 침해의 위험성이 높아지고 보안에 대한 엄격한 평가와 데이터 보호를 위한 많은 노력을 필요로 하고 있습니다.
데이터 보안의 중요성이 지속적으로 강조되면서 개인정보 및 민감 데이터등의 중요 정보를 보호하기 위한 국내·외 법률 요구 사항 및 컴플라이언스 준수를 필수적으로 필요로 하고 있으며, 지속적인 법률 제정 및 개정은 DB보안(DB 접근제어 및 암호화) 산업이 지속적으로 성장할 수 있도록 견인하고 있어 해당 산업은 기술적 고도화를 거치며 지속적인 성장이 예상됩니다.
(3) 경기 변동의 특성
당사 보안 솔루션은 「개인정보 보호법」, 「정보통신망 이용촉진 및 정보보호 등에 관한 법률」, 「신용정보의 이용 및 보호에 관한 법률」 등을 바탕으로 기업이 법규를 준수하여 정보보호를 강화할 수 있도록 지원하는 솔루션으로, 경기 변동성에 대한 민감성은 낮으며, 개인정보 보호 및 데이터 보호 관련 법령 및 규정, 컴플라이언스(Compliance) 등의 변화에 민감하게 적용됩니다. 현재 시장은 2018년 11월 개정된 '주식회사 등의 외부감사에 관한 법률'의 적용 대상 기준 확대로 인해 접근통제에 대한 IT 감사 요구사항이 증가하였고 재택근무, 사이버 범죄 등이 증가하며 신원과 접근 관리에 대한 인식이 높아져 DB 보안 솔루션 도입 수요가 증가하고 있습니다.
2025년에는 제로트러스트 기반의 정보보호 관리체계(ISMS) 인증이 본격화되면서, 접근제어 시장은 더욱 확대될 것으로 예상됩니다. 특히 클라우드 환경으로의 전환이 가속화되고 원격근무가 일상화되면서, 하이브리드/멀티 클라우드 환경에서의 통합 접근제어 수요가 급증할 것으로 전망되며, 이는 시장의 새로운 성장 동력이 될 것입니다. 또한 AI 기반 보안 위협 탐지와 대응 기능이 통합된 지능형 접근제어 솔루션의 수요도 증가할 것으로 예측됩니다.
(4) 경쟁요소DB 보안은 크게 접근통제와 암호화로 나뉘며, 대량의 트랜잭션(Transaction) 발생 시 사용자에 대한 정책과 권한을 빠르게 스캔하고, DB 접속 및 SQL 수행 이력 등은 수정과 삭제, 복제를 불가능하게 하여 책임 추적성(Accountability)을 확보하고 데이터의 무결성을 유지해야 합니다. 당사 페트라(Petra) 시리즈는 자체 개발한 메모리 기반의 Software Repository로 보안 정책을 빠르게 스캔하여 사용자에게 적용하고 한번 저장된 데이터는 위조 및 변조, 데이터의 이동이 불가능하여 뛰어난 보안성과 안정성을 보장합니다. 또한, 신시웨이는 SQL을 객체 단위로 세밀하게 분석하고 통제하는 업계 유일한 파서(Parser) 기술력을 보유하고 있으며, OTP, MOTP, ESM, LDAP 등 외부 보안 요소와의 자유로운 연동이 가능하여 보안 확장성이 용이합니다. 페트라 사이퍼(PetraCipher)는 DB에 저장된 데이터와 시스템에 존재하는 파일들을 인증받은 암호화 모듈로 암호화하여 데이터의 기밀성을 보장하며 시스템 개발 단계에서 실제 데이터 암호화를 한 것처럼 시뮬레이션하여 암호화로 발생할 수 있는 문제들을 사전에 분석하는 등의 당사만의 기술력을 보유하고 있습니다.
1) 엑셈 사업 전반
(1) 영업개황
당사는 2001년 설립 이래 끊임없는 기술 연구개발을 통해 데이터베이스(이하 DB) 성능 관리와 애플리케이션 영역의 시스템 전 구간(E2E) 성능 관리에서부터 빅데이터, 인공지능(AI), 클라우드, 풀스택 옵저버빌리티(Full-stack Observability)까지 폭넓은 전문성을 확보했습니다. 엑셈은 국내외 약 1,080 곳의 고객사 경험을 기반으로 대한민국 엔터프라이즈 패키지 소프트웨어 시장을 주도하고 있는 통합 IT 성능 관리 전문 기업입니다.엑셈은 DB 성능 관리 솔루션 맥스게이지(MaxGauge)를 국내 최초 개발했고, 맥스게이지는 현재 클라우드DB를 포함하여 총 11종의 DBMS에 대한 모니터링을 지원하며 국내 시장점유율 1위를 유지하고 있습니다. 또한 애플리케이션 성능 관리 시 성능 저하의 원인이 되는 병목 구간을 찾아내기 위해 웹애플리케이션서버(WAS)를 중점적으로 모니터링하는 데 머물렀던 한국 APM 시장에서, 사용자 요청부터 백엔드까지 전 구간(End-to-End, E2E)을 모니터링하는 E2E 거래 추적 APM 솔루션 인터맥스(InterMax)를 개발했습니다. 이에 따라 N-Tier로 구성된 복잡한 비즈니스 서비스 환경에서 WAS뿐만 아니라 사용자 요청부터 웹서버(WEB)-WAS-TP-DB-외부 연계 시스템 (EAI/FEP 등)까지 전 구간 거래 추적 및 성능 관리를 구현함으로써 기업 정보 시스템의 토털 성능 관리를 책임지는 기업으로 자리매김했습니다.엑셈은 이러한 IT 성능 관리 전문성과 인공지능 및 클라우드 기술력을 융합하여 2019년에 클라우드 관제 솔루션 클라우드모아(CloudMOA)와 AI 기반 IT 운영 지능화 솔루션 싸이옵스(XAIOps)를 출시했으며, 핵심 정부기관과 제1금융권 은행사 4곳 및 대형 카드사 등을 고객으로 확보하며 국내 AIOps 시장 강자로 자리하고 있습니다. 현재 클라우드모아는 구축형 올인원 통합 모니터링 솔루션 엑셈원(exemONE)에 통합되었습니다. 이와 더불어 당사는 2016년 데이터 처리 능력을 확장하여, 빅데이터 수집·저장·처리를 위한 아파치 하둡 기반 오픈소스의 집합인 하둡 에코 시스템 (Apache Hadoop Ecosystem) 의 통합 운영 및 모니터링 솔루션 플라밍고(Flamingo)를 개발했습니다 . 이후 2022년에는 호환성을 확보한 아파치 하둡 오픈소스들을 조합해 하둡 에코 시스템의 설치(구축)를 제공하면서 플라밍고를 패키징한 빅데이터 저장 관리 플랫폼 이빅스(EBIGs)를 출시했습니다. 2024년 12월에는 손쉽게 데이터를 분석, 시각화하고 AI 모델을 개발해 서비스할 수 있는 MLOps 기반의 셀프서비스 AI 분석 환경 플랫폼 우드페커(Woodpeck)를 출시함으로써, 당사는 빅데이터 수집, 적재/저장, 분석, 시각화까지 빅데이터 분석 업무의 전 과정에 걸친 솔루션 라인업을 보유하게 되었습니다. 이러한 기술력을 인정받아 당사는 국내 다수의 대형 공공기관 및 지자체, 국내 최대 전력사, 대형 해운사, 제조 대기업, 대형 통신사, 의료재단 등 다양한 산업 분야에 걸쳐 고객을 확보하고 있으며, 이빅스는 외산 솔루션 위주였던 국내 빅데이터 저장 관리 플랫폼 시장에서 대기업들을 대상으로 경쟁 제품 대체 사례를 거듭하며 점유율 확대에 나서고 있습니다. 또한 2024년 4월에는 온프레미스와 클라우드를 혼용하는 하이브리드 클라우드(Hybrid Cloud) 또는 멀티 클라우드 환경 내 서버, 데이터베이스, 애플리케이션, 쿠버네티스, 네트워크, 브라우저, 로그까지 모든 요소를 한꺼번에 모니터링하여 풀스택 옵저버빌리티(Full-stack Observability)를 제공하는 구축형 올인원 통합 모니터링 솔루션 엑셈원(exemONE)을 출시했습니다. 엑셈원은 출시 후 빠르게 초대형 글로벌 전자기업, 대형 금융기관, 제1~2금융사, 광역 지방자치단체, 중앙행정기관 등 2025년 반기말 까지 약 40곳의 고객을 확보 하며 당사의 신규 매출창출에 기여하고 있습니다.주요 종속회사인 ㈜ 신시웨이는 2005년 설립되어 DB접근제어 솔루션 페트라(Petra), DB 암호화 솔루션 페트라 싸이퍼(PetraCipher), 파일 암호화 솔루션 페트라 파일 사이퍼(PetraFileCipher), DB 권한결재 및 데이터 변경 관리 솔루션 페트라 사인(PetraSign)을 개발 및 제품화하여 공공기관, 금융회사 및 일반 기업 등 다양한 사업 분야의 거래처에 공급하고 있습니다.
(2) 공시대상 사업부문의 구분
구분 | 회사명 | 제품명 | 제품설명 | |
---|---|---|---|---|
IT 성능관리 | DB 성능관리 | ㈜엑셈 | MaxGauge | DB 성능관리 솔루션 |
APM (Application Performance Management) | ㈜엑셈 | InterMax | 전구간(End-to-End) 애플리케이션성능 관리 솔루션 | |
지능형 IT 성능모니터링 | ㈜엑셈 | XAIOps | AI 기반 IT 운영 지능화 솔루션 | |
빅데이터 플랫폼 | ㈜엑셈 | EBIGs,Woodpecker | 하둡 기반 빅데이터 플랫폼 구축ㆍ운영 관리 솔루션, MLOps 기반의 셀프서비스 AI 분석 환경 플랫폼 | |
통합 IT 성능 모니터링(Full-stack Observability) | ㈜엑셈 | exemONE | 온프레미스 및 클라우드 환경 올인원(All-in-one) 통합 모니터링 솔루션 | |
DB 보안관리 |
DB 접근제어 | ㈜신시웨이 | Petra |
개인정보 및 중요 정보의DB 접근 권한 통제 솔루션 |
DB 암호화 | ㈜신시웨이 | PetraCipher | 개인정보 및 중요 정보의DB 암호화 솔루션 | |
비정형 파일 암호화 | ㈜신시웨이 | PetraFileCipher | 개인정보 및 중요 정보의파일 암호화 솔루션 | |
DB 권한결재 | ㈜신시웨이 | PetraSign | DB권한결재 및데이터 변경 관리 솔루션 |
2) DB성능관리 (1) 영업개황당사는 외산 DB 성능관리 솔루션이 시장의 주류를 이루던 2001년, DB 성능관리 솔루션을 출시하고 DB 전문가와 컨설턴트들을 중심으로 DB성능관리 시장에 참여하였습니다. 당사는 거듭된 업그레이드와 R&D로 솔루션을 진화시켰으며, 줄곧 국내 DB 성능관리 시장에서 1위의 지위를 유지해 오고 있습니다.당사는 현재 인공지능(AI)과 클라우드 기술을 결합하여 국산 지능형 DBPM(Database Performance Monitoring)이라는 새로운 지평을 개척하고 있으며, 새로운 DB 성능관리 솔루션의 기준을 시장에 제시하면서 매출과 이익의 성장을 도모하고 있습니다.더불어 당사는 해외시장에서도 중국/미국/일본 법인을 통해 DBPM 솔루션을 주요 공급하고 있으며 현지 기업들 위주의 고객들을 보유하고 있습니다.
(2) 시장점유율 현재 국내 시장조사 기관에서 DB성능관리만을 특정하여 시장 통계를 집계하지 않아 국내 시장 규모와 점유율을 명확하게 산정하기는 쉽지 않습니다. 다만, 국내 시장에 참여중인 벤더들의 2024년 연간 매출액을 기준으로 집계한 당사의 자료에 따르면, 국내 DB성능관리 시장규모는 최소 약 500억 원 이상으로 국내 벤더와 솔루션이 약 90%의 비중을 차지하고 있는 것으로 추정됩니다.당사는 최근 5년간 DB성능관리 전체 시장내 발생한 매출규모의 약 50% 이상을 차지하면서 시장 점유율 1위를 줄곧 수성하고 있습니다. (* 출처: 엑셈, DB성능관리시장조사, 2025 년 6월)
(3) 시장의 특성 DB성능관리 시장은 구조적으로 데이터와 DBMS 그리고 클라우드와 같은 전후방산업의 동향과 연관효과의 영향을 받습니다. 최근 기업과 공공기관들이 클라우드 도입을 확대하고, 기존의 관계형 DBMS 대신 오픈소스 DBMS와 비관계형 DBMS, 클라우드 DBMS 채택을 늘리고 있습니다. 이에 따라 시장에서는 다양한 DBMS에 대한 성능 모니터링 수요가 증가하고 있으며, 이에 DB성능관리 솔루션 벤더들은 시장의 다양한 종류의 DBMS 모니터링 수요를 충족하기 위해 앞다퉈 새로운 DB성능관리 솔루션을 선보이고 있습니다. 국내 시장에서 영향력을 가진 DB성능관리 솔루션 벤더는 당사를 포함한 국내 벤더 3개사와 해외 벤더 3개사 정도로 타 산업 대비 비교적 소수이며, 최근 인공지능(AI)과 클라우드 등 기술 요건이 높아짐에 따라 시장의 진입장벽이 점차 높아지고 있습니다.
(4) 신규사업 등의 내용 및 전망
최근 몇 년사이 국내 민간기업과 공공기관들이 디지털 트랜스포메이션(DT) 일환으로 앞다퉈 클라우드로 전환하고 있습니다. 그에 따라 많은 국내 기업과 공공기관들이 오랫동안 인기를 유지하고 있는 관계형 DBMS에 더해 다양한 오픈소스 DBMS와 NoSQL, 클라우드 DBMS의 도입을 늘리고 있습니다. 이에 당사는 2020년, 시장의 선호와 도입률이 높은 오픈소스 NoSQL인 몽고DB(MongoDB) 전용 성능 모니터링 솔루션을 출시하여 솔루션 라인업을 확대했습니다. 또한 2021년 SAP의 인메모리 데이터베이스 SAP HANA 성능 모니터링 솔루션을 출시했습니다.
2022년에 출시한 '맥스게이지 포(for) 클라우드DB' 솔루션은 SaaS 및 클라우드 환경 내 구축된 클라우드 DB를 모니터링하는 제품으로서 PostgreSQL, Oracle, MySQL, MariaDB, SQL Server를 지원하고 있습니다.
3) APM (Application Performance Monitoring) (1) 영업개황
당사는 2008년 인터맥스(InterMax)라는 APM 솔루션 출시와 함께 APM 시장에 참여하였습니다. 당사는 국내 전 산업 부문의 대기업과 금융사 그리고 공공기관을 주요 고객군으로 확보하고 있으며, 당사의 DB 성능관리(DBPM) 솔루션 맥스게이지(MaxGauge)의 고객을 통한 크로스셀링, 번들링 등의 판매전략으로 다각적인 세일즈에 힘을 쏟고 있습니다.
현재 당사의 인터맥스(InterMax)는 WAS APM보다 성장성이 높은 E2E (End-to-End) 성능 모니터링 부문에 역량을 집중하고 있습니다. 또한 모바일 앱 성능 관리 솔루션 인터맥스 포 모바일(InterMax for Mobile)이라는 제품으로 모바일 단말까지 지원하는 IT 환경 전 구간 통합 관리를 제공하고 있습니다.
(2) 시장점유율 당사는 상대적인 APM 시장 후발주자로서 솔루션과 컨설팅 경쟁력을 높여온 결과 지속적으로 시장 점유율을 높여가고 있습니다. 현재 국내 시장조사 기관에서 APM만을 특정하여 시장 통계를 집계하지 않아 국내 시장 규모와 점유율을 명확하게 산정하기는 쉽지 않습니다. 다만, 국내 시장에 참여중인 벤더들의 2024년 연간 매출액을 기준으로 집계한 당사의 자료에 따르면, 국내 APM 시장규모는 최소 약 600억 원 이상으로 국내 벤더와 솔루션이 약 70~80%의 비중을 차지하고 있는 것으로 추정됩니다. 당사는 E2E 모니터링을 지원하는 강점을 기반으로 E2E 거래추적 APM 시장에서 제1금융사와 증권사를 중심으로 압도적 1위를 차지하고 있습니다. (* 출처: 엑셈, APM 시장조사, 2025 년 6월)
(3) 시장의 특성
국내 APM 시장에 적극적으로 참여하고 있는 벤더는 국내외를 포함해 약 8곳 정도이며, 글로벌 벤더와 제품에 장악된 다른 엔터프라이즈 패키지 솔루션 시장과 달리 국내 벤더와 솔루션이 국내 시장을 주도하고 있습니다.
향후 APM 시장은 기업의 컴퓨팅 환경이 인공지능(AI)과 클라우드를 지향하게 되면서 디지털 경험, 애플리케이션, 비즈니스, 데이터베이스, 인프라 등 전체 스택(stack)을 상호 연관하여 통합적으로 모니터링 할 수 있는 지능형(Intelligence) APM에 의해 견인될 것입니다.
(4) 신규사업 등의 내용 및 전망
당사의 APM 솔루션인 인터맥스(InterMax)는 제품 개발 로드맵에 따라 대용량 데이터 처리 성능 개선, 성능 모니터링 및 분석 UX(사용자 경험) ·UI(사용자 환경) 개선 등에 초점을 두고 업그레이드를 진행해왔습니다. 2024년 2월에는 대규모 트랜잭션이 발생하는 IT 시스템 환경을 더 편리하게 모니터링하기 위해 트랜잭션 조회 속도를 향상시킨 인터맥스 고도화 버전을 출시했습니다.
이와 더불어, 맥스게이지(MaxGauge), 싸이옵스(XAIOps), 엑셈원(exemONE) 등 당사의 인접 솔루션들과 연계성을 높여 고객의 종속성을 강화하고 다양한 고객의 IT 환경과 요구에 대응해 나갈 것입니다.
4) 빅 데이터 플랫폼 (1) 영업개황 당사는 현재까지 약 1,080곳의 고객사를 대상으로 기업 시스템 데이터를 책임져오며 데이터 산업의 대표 주자로 자리매김했습니다. 당사는 이러한 데이터 처리 능력을 바탕으로 2016년 빅데이터 통합 관리 솔루션 플라밍고(Flamingo)를 출시하며 빅데이터 영역으로 시장을 확대했습니다. 이후 플라밍고를 포함하여 호환성이 검증된 소프트웨어들의 조합으로 하둡 에코 시스템의 구성과 설치를 제공하는 빅데이터 저장 관리 플랫폼 이빅스(EBIGs)를 2022년 출시, 외산 솔루션 기반의 국내 빅데이터 플랫폼 시장에서 점유율을 확대해나가고 있습니다. 당사는 국내 다수의 공공기관 및 지자체, 국내 최대 전력사, 대형 해운사, 제조 대기업, 대형 통신사, 의료재단 등 60개 이상 의 고객 레퍼런스를 보유 중입니다.(2) 시장점유율 당사는 2017년 당시 국내 최대 규모였던 한국전력공사의 빅데이터 플랫폼 구축 사업과 130년 역사의 초대용량 데이터를 보유한 우정사업본부의 데이터 현황 진단 및 과제 수행 사업, 그리고 500억 건의 데이터 유통 체계를 구축하는 경기도 지역경제 빅데이터 플랫폼 사업에 참여했습니다. 이외에도 범정부 빅데이터 센터 인프라를 구축하고 운영했을 뿐 아니라, 수년간 국내 유수 패션 기업에서 다양한 리테일 데이터 분석을 수행하기도 했습니다. 또한 서울시에서 AI 기반 빅데이터 플랫폼 사업 2단계에 이어 생성형AI가 적용되는 3단계 사업을 성공적으로 수행해 대시민 챗봇서비스('서울데이터허브')를 구현한 뒤 해당 빅데이터 플랫폼의 운영 사업을 2년 연속 수주했습니다. 이외 한국가스공사와 경찰청에서 컨설팅 ·ISP 사업을 수행하기도 했습니다. 이를 통해 설계, 데이터 품질 진단, 거버넌스, 수집, 분석, 가치 창출까지 빅데이터 라이프사이클 전 영역을 수행하는 국내 최정상급 빅데이터 전문 기업으로 성장했습니다.
(3) 시장의 특성
국내 빅데이터 시장을 살펴보면 공공뿐만 아니라 금융, 통신ㆍ미디어, 유통ㆍ서비스, 제조업 등을 중심으로 한 민간에서도 빅데이터 활용이 활발합니다. 신정부의 국가적 AI 대전환 및 AI 활성화 정책에 따라 공공ㆍ민간의 다양한 AI 서비스 도입 및 AI 전환으로 , 빅데이터 도입은 공공ㆍ민간 영역 모두 지속 증가할 것으로 보입니다. 여기에 빅데이터를 학습해서 새로운 데이터를 생성하는 생성형(Generative) AI 기술 도입도 빠른 속도로 확대되고 있습니다.
이러한 국내 빅데이터 시장은 일부 글로벌 벤더사, 국내 대형 SIㆍ통신 기업과 빅데이터 사업에서 전문화된 영역을 보유한 다수 중소기업들이 경쟁하고 있습니다. 당사는 하둡 에코시스템을 쉽게 설치, 변경, 모니터링, 운영하기 위한 빅데이터 저장 ·운영 관리 플랫폼 이빅스(EBIGs)와 빅데이터 라이프사이클 전 영역을 수행 가능한 전문성으로 차별화해 빅데이터 구축, 분석, 컨설팅 사업 기회에 지속 참여하고 있으며, 서울시 사업 경험을 기반으로 생성형 AI 활용 시장 또한 적극 공략하고 있습니다.
(4) 신규사업 등의 내용 및 전망
당사는 빅데이터 저장·운영 관리 플랫폼 이빅스(EBIGs)의 주요 외산 경쟁사 경쟁 제품 대체 사례를 확대해 나가고 있습니다. 또한 2024년 12월에는 빅데이터 분석을 위한 AI 모델 개발 환경 및 데이터 시각화를 제공하는 MLOps 기반의 셀프서비스 AI 분석 환경 플랫폼 우드페커(Woodpecker)를 출시함으로써, 당사는 빅데이터 수집, 적재/저장, 분석, 시각화까지 빅데이터 분석 업무의 전 과정에 걸친 솔루션 라인업을 보유하게 되었습니다. 현재 당사는 민간 및 공공시장의 LLM(거대 언어 모델) 수요 증가에 대응하고자 우드페커를 LLMOps 솔루션으로 고도화할 계획입니다. LLMOps란 LLM 모델의 품질, 정확성, 모델 성능 향상을 지원하는 LLM 운영 관리 솔루션입니다.
그 외에도 당사는 2024년 9월 네이버 클라우드 플랫폼의 '클로바(CLOVA) 챗봇' 등과 결합해 생성형 AI 기반 챗봇 패키지 상품 'EBIGs for LLM Chatbot(이빅스 for LLM 챗봇)'을 출시하였습니다.
5) 지능형 IT 성능 모니터링
(1) 영업개황 당사는 WAS, DB 등 개별 단위 모니터링에 집중했던 기존 IT 운영 관리 개념에 AI 기술을 접목하는 것이 필수적인 흐름이 될 것을 국내에서 가장 신속히 파악했습니다. 이후 바로 AI 전문인력을 채용하고 개발에 착수하여 국내 DBPM 시장 1위 솔루션인 맥스게이지(MaxGauge)와 APM 시장을 선도하고 있는 E2E 거래추적 솔루션인 인터맥스(InterMax) 기술을 집대성한 지능형 IT 성능 모니터링 솔루션 싸이옵스(XAIOps)를 2019년 상용화했습니다. 딥러닝 기반의 AI 기술을 탑재한 것은 당사가 국내 최초이며, 국내외 다양한 산업 군에 속한 고객사들의 비즈니스 상황에서 발생한 수많은 장애를 해결하며 쌓은 업력과 전문 지식을 토대로 개발되어 국내 고객에게 맞춤형 기능을 제공하고 있습니다.
(2) 시장점유율 당사는 금융, 공공, 제조 분야에서 지능형 IT 성능 모니터링 사업을 확대하여, 복수의 공공기관 및 제1금융권의 은행들을 고객으로 확보하는 성과를 이루었습니다. 또한 현재 금융 분야를 비롯한 다수 기업 및 기관과 PoC, 시범 구축 사업, 사업 논의 등을 진행하고 있습니다.
(3) 시장의 특성
현재 국내 지능형 IT 성능 모니터링 시장은 주로 금융권에서 사업이 진행되고 있습니다. 또한 최근 타 산업군에 비해 IT 인프라 보유율이 높은 제조 기업, 전자상거래 및 유통 기업, 고도화된 IT 운영 관리가 요구되는 데이터센터와 공공 분야의 주요 시스템 등에서 수요가 증가하고 있습니다. 이러한 국내 지능형 IT 성능 모니터링 시장은 국내에 진출한 글로벌 AIOps 벤더와 자체 개발한 AI 모델을 기반으로 한 국내 기업으로 이루어진 소수 업체 경쟁 체제에 있습니다.
최근 국내 지능형 IT 성능 모니터링 시장은 장애의 빠른 인지와 선제적 대응을 원하는 기업의 수요에 대응하기 위해 다양한 머신러닝 모델 확대, 통합 대시보드 및 장애와 가이드에 대한 직관적인 시각화 기능 강화, 알림 기능 고도화, 머신러닝 기반의 지능형 가이드와 문제 해결 자동화 등을 강화하는 전략을 추진하고 있습니다. 다른 모니터링 솔루션과 통합ㆍ연계하거나, 모니터링 범위를 넓히는 시도도 확인됩니다.
(4) 신규사업 등의 내용 및 전망
당사는 성공적인 사업 수행 경험을 기반으로 금융권의 지능형 IT 성능 모니터링 요구사항을 기민하게 반영하고 있습니다. 싸이옵스(XAIOps)의 IT 운영 관리 역량을 더욱 강화하기 위해 다양한 머신러닝/딥러닝 모델을 확대 적용하고 다양한 이벤트 예측 기술과 장애 예측 모델 등을 지속적으로 연구개발하고 있습니다. 이와 더불어 2024년 1월에는 생성형 AI 기술과 대규모 언어모델(LLM)을 도입한 대화형 챗봇 '큐리(QURI)를 개발해 당사의 싸이옵스(XAIOps)에 적용한 뒤 챗봇 고도화를 진행하고 있습니다.이를 통해 싸이옵스는 제1금융권의 모니터링 시스템 증설과 함께 IT 인프라 의존도가 높은 제조 산업, 대국민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는 공공기관 등의 주요 시스템에 도입이 더욱 확대될 것으로 예상됩니다. 최근 급부상한 데이터센터 사업에서도 인프라 다운타임 예측 및 감소를 위한 지능형 IT 성능 모니터링 솔루션이 필수적인 만큼 사업 성장이 기대되고 있습니다. 대규모의 데이터와 복잡한 시스템이 얽혀있는 데이터센터는 아직까지 운영 인력에 의존도가 높은 상황으로, 전체 시스템을 한눈에 파악하기 어렵고 상시 위험요소 점검과 장애 대응에 한계가 있기 때문에 지능형 IT 성능 모니터링에 대한 니즈가 증가하고 있습니다. 6) 통합 IT 성능 모니터링 플랫폼
(1) 영업개황 당사는 글로벌 시장에서 급속도로 성장 중인 풀스택 옵저버빌리티 솔루션 수요가 국내 B2B 솔루션 시장에서도 클라우드 도입 확대 흐름과 함께 증가할 것으로 예상했습니다. 이러한 판단에 따라 전사적인 역량을 총동원하여 올인원 통합 모니터링 솔루션인 엑셈원(exemONE)을 2024년 4월 출시했습니다. 당사는 엑셈원이 서버, 데이터베이스, 애플리케이션, 쿠버네티스, 네트워크, 브라우저, 로그까지 온프레미스와 클라우드 시스템 내 모든 요소를 통합 모니터링하는 풀스택 옵저버빌리티를 제공하면서도 고객이 원할 시 각 모니터링 영역별로 모듈 형태로 공급될 수 있도록 하였습니다. 특히 엑셈원의 DB 모니터링 모듈인 엑셈원 DPM은 작성기준일 현재 12종의 DBMS를 지원하며 당사의 기존 DB 성능 관리 영역의 시장 1위 기술력이 반영되었습니다.
(2) 시장점유율 국내 통합 IT 성능 모니터링 시장은 최근 들어 형성된 시장으로서 시장조사 기관의 신뢰할 만한 집계 자료가 존재하지 않습니다. 다만, 국내 시장에 참여중인 벤더들의 2024년 연간 매출액을 기준으로 집계한 당사의 자료에 따르면, 국내 풀스택 옵저버빌리티 솔루션 시장 규모는 최소 약 1,180억원 이상으로 국내 벤더와 솔루션이 약 60%의 비중을 차지하고 있는 것으로 추정됩니다. 엑셈원은 2025년 반기말까지 약 40개의 고객사를 확보하며 빠르게 시장 점유율을 높이고 있습니다.(* 출처: 엑셈, 풀스택 옵저버빌리티 솔루션 시장조사, 2025 년 6월)
(3) 시장의 특성
국내 통합 IT 성능 모니터링 시장은 당사 외에 국내에 진출한 글로벌 벤더와 국내 기업으로 이루어진 소수 업체 경쟁 체제에 있습니다. DB, 애플리케이션, 로그, 인프라 등 통합 모니터링 대상들이 확대되고, 클라우드와 인공지능(AI) 등 기술 요건이 높아짐에 따라 시장의 진입장벽이 점차 높아지고 있습니다.
현재 통합 IT 성능 모니터링 시장은 최근 국내 기업들의 IT 인프라에서 클라우드와 컨테이너 및 쿠버네티스 환경으로의 전환이 활발해짐에 따라 이를 위한 모니터링 기능이 강화되는 추세입니다. 컨테이너란 애플리케이션 실행 환경을 가상화하는 기능으로, 클라우드 활용의 이점을 최대로 발휘하기 위한 주요 요소입니다. 쿠버네티스란 컨테이너를 유연하게 사용하는 데 필요한 표준 툴입니다. 또한 오픈소스 도구인 오픈텔레메트리(OpenTelemetry) 기술을 활용해 다양한 언어로 개발된 애플리케이션 모니터링을 지원하는 것도 중요한 동향입니다.
(4) 신규사업 등의 내용 및 전망 당사는 엑셈원(exemONE) 출시 이후 기능을 안정적으로 서비스하고 운영할 뿐 아니라, 고객의 요구사항을 기민하게 반영하여 성능과 기능을 개선하고 있습니다. 또한 현재 빠르게 증가하고 있는 멀티/하이브리드 클라우드 환경 고객 수요까지 적극 대응하기 위해 모니터링 지원 범위 확대 로드맵을 수립하여 꾸준한 업그레이드를 진행하고 있으며, 향후 최신 트렌드를 반영하여 AI 기능을 지속 추가할 계획입니다.
7) DB보 안
(1) 영업개황 엑셈의 주요 종속회사인 신시웨이는 2005년 설립 이래로 DB 접근제어와 암호화 제품을 주력으로 개발 및 공급하고 있습니다. 암호화 제품은 국내 최초로 CC인증을 획득하였으며 지금까지 1,600여 개의 고객사에 접근제어와 암호화 시스템을 구축하였습니다. 현재 데이터 보호 및 개인정보 보호 산업은 안정기에 접어들어 기술적 고도화 및 클라우드 환경에서의 DB 보안 기술 개발이 진행되고 있으며, 고객들의 비즈니스 요구 사항 대응과 여러 기업과 기술 및 마케팅 협업을 통해 새로운 판매 전략을 준비 중에 있습니다.
(2) 시장점유율
금융, 공공, 의료, 제조 등의 산업 분야에서 개인 정보와 민감 정보를 취급하는 대부분의 기업들이 주요 고객으로 있습니다. 농협은행, 우리은행, 한국투자증권, KB증권 등의 금융 기업과 도로교통공단, 교통안전공단, 대법원 등의 공공기관을 주요 고객으로 확보하고 있습니다. 또한, 기업 인프라 환경이 온프레미스에서 클라우드로 전환되거나 새로 구축되면서 퍼블릭 클라우드와 함께 하이브리드와 멀티 클라우드를 채택하는 기업 또한 증가하고 있는 시장 상황에 대응하여 다년간의 DB보안 구축 및 기술 경험을 토대로 국내 주요 클라우드 플랫폼에서 온프레미스와 동일한 DB접근제어 페트라(Petra)와 DB암호화 솔루션 페트라 사이퍼(Petra Cipher)를 제공하며 지속적인 성장세를 이어가고 있습니다.
또한, 페트라 파일 사이퍼의 GS인증 및 조달청 디지털서비스몰 등재로 인하여 비정형 파일 암호화 분야에서의 경쟁력을 점진적으로 높일 수 있을 것으로 예상됩니다.
(3) 시장의 특성
국내 공공기관들은 공공기관 클라우드 전환 사업으로 기존의 인프라 시스템을 클라우드 이전하고 있으며, 기업들 또한 전통적인 온프레미스 환경에서 클라우드 환경으로 이전하는 추세입니다. IDC에 조사에 따르면 2024년 국내 기업의 온프레미스 IT 환경과 클라우드 환경의 구성비는 43.3%, 56.4%인 것으로 나타났으며, 이는 향후 2년 내 37.7%, 62.3%로 변화할 것으로 예상됩니다.
국내 클라우드 시장의 경우 네이버 클라우드, KT 클라우드, NHN 시장의 주축이 되며 하이브리드 멀티 클라우드 도입이 활발한 상황입니다. 특히 대형 게임사, 생활형 플랫폼사 등이 개발과 운영환경의 효율화를 위해 클라우드 네이티브 환경을 도입하고 있으며, CSP가 제공하는 기본적인 보안 기능에 의존하던 단계에서 벗어나 CSPM(Cloud Security Posture Management), CIEM(Cloud Infrastructure Entitlement Management), CWPP(Cloud Workload Protection Platform) 등 다양한 보안 도구와 서비스를 활용하는 방향으로 진화하고 있습니다.
더불어 행정·공공기관이 2025년까지 클라우드 네이티브 전환을 추진하면서, 통합 보안 관리와 자동화 솔루션에 대한 수요가 급증하는 상황으로 변화하고 있습니다.
이처럼 각국의 스마트 인프라 프로젝트를 지원하기 위한 정부정책이 증가하고 온라인 결제 애플리케이션과 소셜미디어 등이 발달함에 따라 자연스럽게 클라우드 보안시장에 대한 수요가 증가하고 있습니다.
(4) 신규사업 등의 내용 및 전망
현재 데이터 3법을 비롯해 외부감사법(내부회계관리제도, ITGC), 금융감독규정 등 개인정보 및 데이터 보안을 위한 다양한 법률들이 지속적으로 제·개정되고 있습니다. 신시웨이는 이러한 법률 변화와 고객 니즈에 맞춰 보안 새로운 비즈니스 모델과 제품들을 연구·개발하고 사업을 다각화하며 대응하고 있습니다.
이와 더불어 당사는 정부 과제를 수주하여 현재 '블록체인 기반의 DID(Decentralized Identifier) 발급 및 데이터 접근에 대한 인증 기술'을 개발 중에 있으며 DID 기술은 데이터 접근 통제 및 데이터 교환 시장 등 데이터 생태계에서 가장 강력한 데이터 관리 기술로 발전할 것으로 예상됩니다. 올해를 끝으로 종료되는 연구 과제는 이후 자체 테스트와 검증을 거친 후 각종 소프트웨어 인증을 획득하여 상용화를 진행할 계획입니다.
8) 조직도
제 1호 의안 : 자본준비금의 이익잉여금 전입의 건
가. 목적 - 준비금 감액을 통한 배당가능이익 확보 및 주주환원 재원 확대 - 상법 제461조의2(준비금의 감소)에 의거하여, 당사 재무제표상 누적된 자본준비금(주식발행초과금)을 감액(이익잉여금 전입)하여 비과세 배당금 재원으로 확보하고자 함.
- 감액으로 증가하는 배당가능 이익은 100억원이며, 관련법*에 의거하여 향후 비과세 배당금 재원으로 사용될 수 있음. (*법인세법 제18조 제8호, 소득세법 시행령 제26조의3 제6항)
- 개인 주주의 경우, 비과세 배당은 원천징수를 하지 않기 때문에 주주는 배당금액의 100%를 수령하게 되고, 금융소득 종합과세 대상에도 해당되지 않음.
- 관련 규정
□상법 제461조의2(준비금의 감소)회사는 적립된 자본준비금 및 이익준비금의 총액이 자본금의 1.5배를 초과하는 경우에 주주총회의 결의에 따라 그 초과한 금액 범위에서 자본준비금과 이익준비금을 감액할 수 있다. |
나. 자본준비금(주식발행초과금)의 이익잉여금 전입
구분 | 금액(단위: 원) | 비고 |
자본준비금(주식발행초과금) | 43,929,841,006 | 2025년 1분기말 별도 재무제표 기준 |
이익잉여금 전입액(비과세 배당 가능 재원) | 10,000,000,000 | 주식발행초과금 중 2015년 스팩합병과2017년 전환사채 전환으로 발생된 금액에서 일부 감액 |
제출(예정)일 | 사업보고서 등 통지 등 방식 |
---|---|
(주1) 해당사항 없습니다.
- 임시주주총회 개최로 사업보고서 및 감사보고서 첨부는 해당 없으나, 사업보고서 및 감사보고서는 전자공시시스템(http://dart.fss.or.kr)에 공시하고, 당사 홈페이지에 게재되어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