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년 3월 12일 | ||
회 사 명 : | 이비테크주식회사 | |
대 표 이 사 : | 강원구 | |
본 점 소 재 지 : | 대전광역시 유성구 테크노2로 170-9(용산동) | |
(전 화)042-930-7510 | ||
(홈페이지)http://www.eb-tech.com | ||
작 성 책 임 자 : | (직 책)대표이사 | 강원구 |
(전 화)042-930-7506 | ||
(제25기 정기) |
주주님의 건승과 댁내의 평안을 기원합니다.
우리 회사는 정관 제20조에 의하여 제25기 정기주주총회를 아래와 같이 소집하오니 참석하여 주시기 바랍니다.
- 아래 -
1. 일 시 : 2025년 3월 27일 (목) 오전 11시
2. 장 소 : 대전광역시 유성구 테크노2로 170-9 이비테크(주) 2층 대회의실
3. 회의목적사항
가. 보고안건 : 감사보고, 영업보고, 내부회계관리제도 운영실태 보고
나. 부의안건
제1호 의안: 제25기(2024.1.1 ~ 2024.12.31) 재무제표 승인의 건
제2호 의안: 정관 변경(개정)의 건
제3호 의안: 이사 선임의 건 (사외이사 1인, 기타비상무이사 1인)
제3-1호 의안 : 사외이사 강보선(선임)
제3-2호 의안 : 기타비상무이사 이종열(선임)
제4호 의안: 감사 선임의 건 (감사 이용기, 재선임)
제5호 의안: 이사 보수한도 승인의 건(500백만원)
제6호 의안: 감사 보수한도 승인의 건(100백만원)
4. 경영참고사항 비치
상법 제542조의4에 의거 경영참고사항을 우리 회사의 본점, 금융위원회, 한국거래소 및 한국예탁결제원 증권대행부에 비치하오니 참고하시기 바랍니다.
5. 실질주주의 의결권 행사에 관한 사항
우리 회사의 이번 주주총회에서는 한국예탁결제원이 주주님들의 의결권을 행사할 수 없습니다. 따라서 주주님께서는 한국예탁결제원에 의결권행사에 관한 의사표시를 하실 필요가 없으며, 종전과 같이 주주총회에 참석하여 의결권을 직접행사하시거나 또는 위임장에 의거 의결권을 간접 행사할 수 있습니다.
또한 우리 회사는 상법 제368조의3 및 정관 제29조에 의거 서면투표제(서면에 의한 의결권행사)를 도입하고 있으며, 주주님께서는 주주총회장에 직접 참석하지 않고 부위된 의안에 대하여 의사표시를 하실 수 있습니다.(별첨:서면에 의한 의결권행사 안내문 참조)
6. 주주총회 참석시 준비물
직접행사 : 신분증(주민등록증 또는 운전면허증 또는 여권)
대리행사 : 위임장(주주와 대리인의 인적사항 기재, 인감날인), 주주인감증명서, 대리인의 신분증
7. 정기주주총회와 관련된 사항은 본사 관리팀에 문의하시기 바랍니다. (관리팀 042-930-7507)
#별첨 1. 이사 및 감사 선임 세부 내역 1부.
#별첨 2. 정관 일부 변경 (안) 1부.
2025년 3월 12일
이비테크 주식회사 대표이사 강원구 (직인생략)
별첨 1
[이사 및 감사 선임 세부 내역]
제3-1호 의안 : 사외이사 강보선(선임)
- 후보자 성명/생년월일/사외이사 여부/최대주주와의 관계/추천인/체납사실 여부/부실기업 임원 재직 여부/법령상 결격사유 유무 등
성명 |
생년월일 |
사외이사 후보자 여부 |
최대주주와의 관계 |
추천인 |
체납사실 여부 |
부실기업 임원 재직 여부 |
법령상 결격사유 유무 |
강보선 |
67.10.21 |
후보 |
없음 |
이사회 |
없음 |
없음 |
없음 |
- 후보자 주된 직업/세부 경력/해당법인과의 최근 3년간 거래내역 등
성명 | 주된 직업 | 주요약력 |
해당 법인과의 최근 3년간 거래내역 |
강보선 | 교수 |
- (현) 한국핵융합에너지연구원 핵융합정책센터장 - 건양대학교 방사선과 교수 - 한국방사선학회 회장 |
없음 |
제3-2호 의안 : 기타비상무이사 이종열(선임)
- 후보자 성명/생년월일/사외이사 여부/최대주주와의 관계/추천인/체납사실 여부/부실기업 임원 재직 여부/법령상 결격사유 유무 등
성명 |
생년월일 |
사외이사 후보자 여부 |
최대주주와의 관계 |
추천인 |
체납사실 여부 |
부실기업 임원 재직 여부 |
법령상 결격사유 유무 |
이종열 |
66.12.05 |
부 |
없음 |
이사회 |
없음 |
없음 |
없음 |
- 후보자 주된 직업/세부 경력/해당법인과의 최근 3년간 거래내역 등
성명 | 주된 직업 | 주요약력 |
해당 법인과의 최근 3년간 거래내역 |
이종열 | 삼주리틀휴즈(주) 대표이사 |
- (현) 삼주리틀휴즈(주) 대표이사 - 타이코레이켐㈜ 상무 - 대우전자㈜ 연구원 |
없음 |
제4호 의안 : 감사 선임의 건 (감사 이용기, 재선임)
- 후보자 성명/생년월일/사외이사 여부/최대주주와의 관계/추천인/체납사실 여부/부실기업 임원 재직 여부/법령상 결격사유 유무 등
성명 |
생년월일 |
사외이사 후보자 여부 |
최대주주와의 관계 |
추천인 |
체납사실 여부 |
부실기업 임원 재직 여부 |
법령상 결격사유 유무 |
이용기 |
74.01.14 |
부 |
없음 |
이사회 |
없음 |
없음 |
없음 |
- 후보자 주된 직업/세부 경력/해당법인과의 최근 3년간 거래내역 등
성명 | 주된 직업 | 주요약력 |
해당 법인과의 최근 3년간 거래내역 |
이용기 | 지암회계법인 이사 |
-(현) 지암회계법인 이사 -안진회계법인 회계사 -삼일회계법인 회계사 |
없음 |
별첨 2
정관 일부 변경 (안)
개 정 전 | 개 정 후 | 비고 |
제8조2[종류주식의 수와 내용] (본조신설 2004.3.24.) ① 회사가 발행하는 종류주식은 이익배당에 관한 우선주식, 의결권배제 또는 제한에 관한 우선주식, 상환주식, 전환주식 및 이들의 전부 또는 일부를 혼합한 주식으로 한다.(개정 2016.3.23.) ② 우선주식에 대한 우선배당율은 액면금액을 기준으로 하여 년 5%로 한다. ③ 우선주식의 발행주식총수는 발행할 주식의 총수의 25%이내로 한다.(개정2016.3.23.) ④ 우선주식은 제2항에 의한 배당을 받고, 잔여 배당가능이익에 대하여 보통주식과 동일한 비율로 참가하여 배당을 받는다. ⑤ 우선주식이 제2항의 배당률에 의한 배당을 받지 못한 사업연도가 있는 경우에도 미배당분은 다음 사업년도로 이연되지 아니한다. ⑥ 우선주식의 주주는 의결권이 없는 것으로 한다. 다만 우선주식의 주주는 우선주식에 대하여 소정의 배당을 하지 아니한다는 결의가 있는 총회의 다음 총회부터 그 우선적 배당을 한다는 결의가 있는 총회의 종료시까지는 의결권이 있다. ⑦ 우선주식은 발행일로부터 3년이 경과하면 보통주식으로 전환된다. 다만, 위 기간 중 소정의 배당을 하지 못한 경우에는 소정의 배당이 완료될 때까지 그 기간은 연장된다. ⑧ 우선주식의 전환된 주식에 대한 이익의 배당에 관하여는 제12조의 규정(신주의 배당기산일)을 준용한다. |
제8조의2[주식의 종류](개정 2025.3.27) ① 회사가 발행할 주식은 보통주식과 종류주식으로 한다.(개정 2025.3.27) ② 회사가 발행하는 종류주식은 이익배당 또는 잔여재산분배에 관한 우선주식, 의결권배제 또는 제한에 관한 주식, 상환주식, 전환주식 및 이들의 전부 또는 일부를 혼합한 주식으로 한다.(개정 2025.3.27) ③ (삭제 2025.3.27) ④ (삭제 2025.3.27) ⑤ (삭제 2025.3.27) ⑥ (삭제 2025.3.27) ⑦ (삭제 2025.3.27) ⑧ (삭제 2025.3.27) |
종류주식관련 조항 세부화 |
<본조신설> |
제8조의3[이익배당, 의결권 배제 및 주식의 상환에 관한 종류주식](신설 2025.3.27) ① 발행할 종류주식의 수는 기발행 주식 및 제8조의3, 제8조의4, 제8조의5, 제8조의6에 의해 발행되는 종류주식 수와 합하여 발행주식 총수의 4분의1 범위내로 한다. ② 회사는 제1항의 종류주식의 발행총수 범위 내에서 이사회 결의에 의하여 아래의 조건에 따라 종류주식을 발행할 수 있다. 1. 종류주식에 대한 최저배당률은 연 액면금액의 1%이상으로 하고 발행 시 이사회에서 우선배당률을 정한다. 2. 종류주식에 대하여 제3항 규정에 의한 배당을 하고, 보통주식에 대하여 종류주식의 배당률과 동률의 배당을 한 후, 잔여배당가능이익이 있으면 보통주식과 종류주식에 대하여 동등한 비율로 배당한다. 3. 종류주식에 대하여 제2항 제1호의 규정에 배당을 하지 못한 사업연도가 있는 경우에는 미배당분은 누적하여 다음 사업연도의 배당 시에 우선하여 배당한다. 4. 종류주식의 주주는 의결권이 있는 것으로 하거나 의결권이 없는 것으로 할 수 있으며, 종류주식에 대한 의결권 부여 여부는 발행 시 이사회에서 정한다. 다만 종류주식의 주주는 종류주식에 대하여 소정의 배당을 하지 아니한다는 결의가 있는 총회의 다음 총회부터 그 우선적 배당을 한다는 결의가 있는 총회의 종료 시 까지는 의결권이 있다. 5. 종류주식은 발행일로부터 5년이 경과하면 보통주식으로 전환된다. 다만, 위 기간 중 소정의 배당을 하지 못한 경우에는 소정의 배당이 완료될 때까지 그 기간은 연장된다. 6. 동조 제5항의 규정에 의해 발행되는 신주에 대한 이익의 배당에 관하여는 제12조의 규정을 준용한다. 7. 본 회사가 유상증자, 무상증자, 주식배당을 실시하는 경우, 보통주식에 대하여는 보통주식을, 종류주식에 대하여는 동일한 조건의 종류주식을 각 그 소유주식 비율에 따라 발행하는 것을 원칙으로 한다. 다만, 회사는 필요에 따라서 유상증자나 주식배당시 한가지 주식만을 발행할 수 있으며, 이 경우 모든 주주는 그 발행되는 주식에 대하여 배정 또는 배당을 받을 권리가 있다. ③ 회사는 종류주식의 발행총수 범위 내에서 이사회 결의로 우선주주의 청구에 의하여 아래의 조건 에 따라 상환되는 상환주식을 발행할 수 있다. 1. 상환주식의 상환가액은 발행가 및 이에 대하여 발행일로부터 상환일까지 연 1%이상 10%이하의 범위 내에서 발행 시 이사회가 정한 비율에 따라 연리로 산정한 금액으로 한다. 단, 상환 시 상환주식에 대하여 이미 지급된 배당금은 상환가액에서 공제하기로 한다. 2. 상환주식의 상환청구권 행사기간은 발행일로부터 상환주식이 보통주식으로 전환되는 시점 1개월 전까지 기간 내에서 이사회가 정하는 기간으로 한다. 3. 상환주식의 상환방법은 회사가 주주로부터 상환청구를 받으면 그러한 청구로부터 1개월 이내에 회사가 주주로부터 주권을 제출 받고 상환가액을 주주에게 지급하여 상환한다. 4. 상환주식의 상환은 회사에 배당 가능한 이익이 있을 때에만 가능하며, 상환청구가 있었음에도 상환되지 아니하거나 우선배당을 받지 못한 경우에는 상환기간은 상환 및 배당이 완료될 때까지 연장되는 것으로 한다. ④ 회사는 종류주식의 발행총수 범위 내에서 이사회 결의로 우선주주의 청구에 의하여 아래의 조건에 따라 보통주식으로 전환되는 전환주식을 발행할 수 있다. 1. 전환주식의 전환조건은 전환주식 1주를 보통주식 1주로 전환하는 것을 원칙으로 하되 아래 제3호에서와 같이 변경될 수 있다. 2. 전환청구기간은 최초발행일 이후부터 존속기간 만료 전 일까지로 하고 전환청구 기간 내 전환청구 시 보통주로 전환될 수 있다. 3. 전환주식의 전환조건은 전환주식 발행 시 이사회가 정하는 조건에 따라 전환주식 발행 후 전환청구기간 만료 전까지 변경될 수 있다. 4. 전환청구에 의하여 전환된 보통주식의 이익의 배당에 관하여는 제12조의 규정을 준용 한다. |
종류주식관련 조항 세부화 |
<본조신설> |
제8조의4[제1종 종류주식의 수와 내용](신설 2025.3.27) ① 회사가 발행할 제1종 종류주식은 무의결권 배당우선 주식(이하 이조에서는 “종류주식”이라 함)으로 하며, 기발행 주식 및 제8조의3, 제8조의4, 제8조의5, 제8조의6에 의해 발행되는 종류주식의 수와 합하여 발행주식 총수의 4분의1 범위내로 한다. ② 종류주식에 대한 최저배당률은 연 액면금액의 1%이상으로 하고 발행 시 이사회에서 우선배당률을 정한다. ③ 종류주식에 대하여 제2항 규정에 의한 배당을 하고, 보통주식에 대하여 종류주식의 배당률과동률의 배당을 한 후, 잔여배당가능이익이 있으면 보통주식과 종류주식에 대하여 동등한 비율로 배당한다. ④ 종류주식에 대하여 제2항의 규정에 배당을 하지 못한 사업연도가 있는 경우에는 미배당분은 누적하여 다음 사업연도의 배당 시에 우선하여 배당한다. ⑤ 종류주식의 주주에게는 종류주식에 대하여 제3항에 따른 배당을 하지 아니한다는 결의가 있는 총회의 다음 총회부터 그 우선적 배당을 한다는 결의가 있는 총회의 종료시까지는 의결권이 있다. ⑥ 본 회사가 유상증자, 무상증자, 주식배당을 실시하는 경우, 보통주식에 대하여는 보통주식을, 종류주식에 대하여는 동일한 조건의 종류주식을 각 그 소유주식 비율에 따라 발행하 는 것을 원칙으로 한다. 다만, 회사는 필요에 따라서 유상증자나 주식배당시 한가지 주식만을 발행할 수 있으며, 이 경우 모든 주주는 그 발행되는 주식에 대하여 배정 또는 배당을 받을 권리가 있다. |
종류주식관련 조항 세부화 |
<본조신설> |
제8조의5[제2종 종류주식의 수와 내용](신설 2025.3.27) ① 회사가 발행할 제2종 종류주식은 무의결권 배당우선 전환주식(이하 이조에서는 “종류주식”이라 함)으로 하며, 기발행 주식 및 제8조의3, 제8조의4, 제8조의5, 제8조의6에 의해 발행되는 종류주식의 수와 합하여 발행주식 총수의 4분의1 범위내로 한다. ② 종류주식에 대하여는 액면금액을 기준으로 하여 년 1% 이상에서 발행시에 이사회가 정한 우선비율에 따른 금액을 현금 또는 주식으로 우선 배당한다. ③ 보통주식의 배당율이 종류주식의 배당율을 초과할 경우에는 그 초과분에 대하여 보통주식과 동일한 비율로 참가시켜 배당한다. ④종류주식에 대하여 어느 사업연도에 있어서 소정의 배당을 하지 못한 경우에는 누적된 미배당분을 다음 사업년도의 배당시에 우선하여 배당한다. ⑤ 이 회사가 신주를 발행하는 경우 종류주식에 대한 신주의 배정은 유상증자 및 주식배당의 경우에는 보통주식에 배정하는 주식과 동일한 주식으로, 무상증자의 경우에는 그와 같은 종류의 주식으로 한다. ⑥ 종류주식은 다음 각 호에 의거 회사의 선택에 따라 전환할 수 있다. 1. 전환으로 인하여 발행할 주식의 수는 전환전의 수와 동수로 한다. 2. 전환할 수 있는 기간은 발행일로부터 1개월 이상 10년 이내의 범위에서 이사회결의로 정한다. 다만 전환기간 내에 전환권이 행사되지 아니하면, 전환기간 만료일에 전환된 것으로 본다. 3. 전환으로 인하여 발행할 주식은 보통주식(또는 제1종 종류주식)으로 한다. 4. 종류주식은 다음 각목의 사유가 발생한 경우 전환할 수 있다. ⑦ 종류주식은 다음 각 호에 의거 주주가 회사에 대하여 전환을 청구할 수 있다. 1. 전환으로 인하여 발행할 주식의 수는 전환전의 수와 동수로 한다. 2. 전환을 청구할 수 있는 기간은 발행일로부터 1개월 이상 10년 이내의 범위에서 이사회결의로정한다. 다만 전환기간 내에 전환권이 행사되지 아니하면, 전환기간 만료일에 전환된 것으로 본다. 3. 전환으로 인하여 발행할 주식은 보통주식(또는 제1종 종류주식)으로 한다. 4. 종류주식은 다음 각목의 사유가 발생한 경우 전환할 수 있다. ⑧ 전환기간 만료일까지 소정의 배당을 완료하지 못한 경우에는 소정의 배당을 완료할 때까지 그 기간을 연장한다. ⑨ 전환으로 인하여 발행하는 주식에 대한 이익의 배당에 관하여는 제10조의4의 규정을 준용한다. |
종류주식관련 조항 세부화 |
<본조신설> |
제8조의6[제3종 종류주식의 수와 내용] (신설 2025.3.27) ① 회사가 발행할 제3종 종류주식은 무의결권 배당우선 상환주식(이하 이조에서는 “종류주식”이라 함)으로 하며, 기발행 주식 및 제8조의3, 제8조의4, 제8조의5, 제8조의6에 의해 발행되는 종류주식의 수와 합하여 발행주식 총수의 4분의1 범위내로 한다. ② 종류주식에 대하여는 액면금액을 기준으로 하여 년 1% 이상에서 발행시에 이사회가 정한 우선비율에 따른 금액을 현금 또는 주식으로 우선 배당한다. ③ 보통주식의 배당율이 종류주식의 배당율을 초과할 경우에는 그 초과분에 대하여 보통주식과 동일한 비율로 참가시켜 배당한다. ④종류주식에 대하여 어느 사업년도에 있어서 소정의 배당을 하지 못한 경우에는 누적된 미배당 분을 다음 사업년도의 배당시에 우선하여 배당한다. ⑤ 이 회사가 신주를 발행하는 경우 종류주식에 대한 신주의 배정은 유상증자 및 주식배당의 경우에는 보통주식에 배정하는 주식과 동일한 주식으로, 무상증자의 경우에는 그와 같은 종류의 주식으로 한다. ⑥ 종류주식은 다음 각 호에 의거 회사의 선택에 따라 상환할 수 있다. 1. 상환가액은 「발행가액+연 10%를 초과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정한 가산금액」으로 하며, 가산금액은 배당률, 시장상황 기타 종류주식의 발행에 관련된 제반 사정을 고려하여 발행시 이사회가 정한다. 다만, 상환가액을 조정할 수 있는 것으로 하려는 경우 이사회에서 상환가액을 조정할 수 있다는 뜻, 조정사유, 조정의 기준일 및 조정방법을 정하여야 한다. 2. 상환기간은 발행일이 속하는 회계연도의 정기주주총회 종료일 익일부터 발행 후 10년이 되는날이 속하는 회계연도에 대한 정기주주총회 종료일 이후 1개월이 되는 날 이내의 범위에서 이사회가 정한다. 다만, 상환기간이 만료되었음에도 불구하고 다음 각 목에 해당하는 사유가 발생하면그 사유가 해소될 때까지 상환기간은 연장된다. 가. 상환기간 내에 상환하지 못한 경우 나. 우선적 배당이 완료되지 아니한 경우 3. 종류주식을 일시에 또는 분할하여 상환할 수 있다. 다만, 분할상환하는 경우에는 회사가 추첨 또는 안분비례의 방법에 의하여 종류주식을 정할 수 있으며, 안분비례시 발생하는 단주는 이를 상환하지 아니한다. 4. 회사는 상환대상인 주식의 취득일 2주일 전에 그 사실을 그 주식의 주주 및 주주명부에 기재된 권리자에게 통지 또는 공고하여야 한다. ⑦ 종류주식은 다음 각 호에 의거 주주가 회사에 대하여 상환을 청구할 수 있다. 1. 상환가액은「발행가액+연 10%를 초과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정한 가산금액」으로 하며, 가산금액은 배당률, 시장상황 기타 종류주식의 발행에 관련된 제반 사정을 고려하여 발행시 이사회가 정한다. 다만, 상환가액을 조정할 수 있는 것으로 하려는 경우 이사회에서 상환가액을 조정할수 있다는 뜻, 조정사유, 조정의 기준일 및 조정방법을 정하여야 한다. 2. 상환기간은 발행일이 속하는 회계연도의 정기주주총회 종료일 익일부터 발행 후 10년이 되는날이 속하는 회계연도에 대한 정기주주총회 종료일 이후 1개월이 되는 날 이내의 범위에서 이사회가 정한다. 다만, 상환기간이 만료되었음에도 불구하고 다음 각 목에 해당하는 사유가 발생하면 그 사유가 해소될 때까지 상환기간은 연장된다. 가. 상환기간 내에 상환하지 못한 경우 나. 우선적 배당이 완료되지 아니한 경우 3. 주주는 종류주식 전부를 일시에 또는 이를 분할하여 상환해 줄 것을 회사에 청구할 수 있다. 다만, 회사는 상환청구당시에 배당가능이익이 부족한 경우에는 분할상환할 수 있으며 분할상환 하는 경우에는 회사가 추첨 또는 안분비례의 방법에 의하여 상환할 주식을 정할 수 있고, 안분비례시 발생하는 단주는 이를 상환하지 아니한다. 4. 상환청구주주는 2주일 이상의 기간을 정하여 상환할 뜻과 상환대상주식을 회사에 통지하여야 한다. ⑧ 회사는 주식의 취득의 대가로 현금 외의 유가증권(다른 종류의 주식은 제외한다)이나 그 밖의자산을 교부할 수 있다. |
종류주식관련 조항 세부화 |
제9조[주권] ① 이 회사의 주권에는 발행번호, 주식의 수, 소유자의 성명을 기입하고, 발행과 동시에 이 회사의 주주명부에 기재한다. ② 이 회사는 주주의 주권 불소지 신고가 있는 때에는 그 뜻을 주주명부와 부본에 기재하고 주권을 발행하지 아니한다. |
제9조[주권](삭제 2025.3.27) |
코스닥 표준정관 준용 |
제10조[주금납입의 지체] 주금납입을 지체한 주주는 납입기일 다음 날부터 납입이 끝날 때까지 지체 주금 일백원에 대하여 일변 일십전의 비율로서 과태금을 회사에 지급하고, 또 이로 인하여 손해가 생겼을 때는 그 손해를 배상하여야 한다. |
제10조[주금납입의 지체](삭제 2025.3.27) |
코스닥 표준정관 준용 |
제11조[신주인수권] (개정 2016.3.23.) ①~② (생략) 1.~3. (생략) 4. 발행주식총수의 100분의 20을 초과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사업상 중요한 기술도입, 연구개발, 생산·판매·자본제휴를 위하여 그 상대방에게 신주를 발행하는 경우 5.~10. (생략) <신설> ③~⑤ (생략) |
제11조[신주인수권](개정 2016.3.23.) ①~② (좌동) 1.~3. (좌동) 4. 발행주식총수의 100분의 20을 초과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사업상 중요한 기술도입, 연구개발, 생산·판매·자본제휴, 재무건전성을 위하여 그 상대방에게 신주를 발행하는 경우 (개정 2025.3.27) 5.~10. (좌동) 11. 증권 인수업무 등에 관한 규정 제10조의2(신주인수권)에 의거하여 신주를 발행하는 경우(신설 2025.3.27) ③~⑤ (좌동) |
거래소권고사항 상장 시 신주인수권 관련 조항 추가 |
제11조의 2[주식매수선택권] (신설 2001.2.27.) ①~⑦ (생략) ⑧ 주식선택권을 부여받은 자는 제1항의 결의일부터 2년 이상 재임 또는 재직하여야 권리를 행사할 수 있다. 다만, 제1항의 결의일로부터 2년내에 사망하거나 정년으로 인한 퇴임 또는 퇴직 기타 본인의 귀책사유로 퇴임 또는 퇴직한 자는 그 행사기간 동안 주식매수선택권을 행사할 수 있다.(개정 2016.3.23.) ⑨ (생략) ⑩ 주식매수선택권의 행사로 인하여 발행한 신주에 대한 이익의 배당에 관하여는 제12조의 규정(신주의 배당기산일)을 준용한다.(개정 2016.3.23.) |
제11조의2[주식매수선택권](신설 2001.2.27.) ①~⑦ (좌동) ⑧ 주식선택권을 부여받은 자는 제1항의 결의일부터 2년 이상 재임 또는 재직하여야 권리를 행사할 수 있다. 다만, 제1항의 결의일로부터 2년내에 사망하거나 정년으로 인한 퇴임 또는 퇴직 기타 본인의 귀책사유가 아닌 사유로 퇴임 또는 퇴직한 자는 그 행사기간 동안 주식매수선택권을 행사할 수 있다. (개정2025.3.27) ⑨ (좌동) ⑩ 주식매수선택권의 행사로 인하여 발행한 신주에 대한 이익의 배당에 관하여는 제12조의 규정 을 준용한다. (개정 2025.3.27) |
단순오기 제12조 개정에 따른 조정 |
<본조신설> |
제11조의3[우리사주매수선택권] (신설 2025.3.27) ① 회사는 주주총회의 특별결의로 우리사주조합원에게 발행주식총수의 100분의 20범위 내에서 「근로복지기본법」제39조의 규정에 의한 우리사주매수선택권을 부여할 수 있다. 다만, 발행주식총수의 100분의 10범위 내에서는 이사회의 결의로 우리사주매수선택권을 부여할 수 있다. ② 우리사주매수선택권의 행사로 발행하거나 양도할 주식은 보통주식으로 한다. ③ 우리사주매수선택권을 부여받은 자는 제1항의 결의일부터 6월 이상 2년 이하의 기간 이내에 권리를 행사할 수 있다. 다만, 제1항의 결의로 그 기간 중 또는 그 기간 종료 후 일정한 행사기간을 정하여 권리를 행사하게 할 수 있다. ④ 우리사주매수선택권의 행사가격은 ?근로복지기본법 시행규칙?제14조의 규정이 정하는 평가가격의 100분의 70 이상으로 한다. 다만, 주식을 발행하여 교부하는 경우로서 행사가격이 당해 주식의 권면액보다 낮은 때에 는 그 권면액을 행사가격으로 한다. ⑤ 다음 각호의 어느 하나에 해당하는 경우에는 이사회의 결의로 우리사주매수선택권의 부여를 취소할 수 있다. 1. 우리사주매수선택권을 부여받은 우리사주조합원이 고의 또는 과실로 회사에 중대한 손해를 끼친 경우 2. 회사의 파산 또는 해산 등으로 우리사주매수선택권의 행사에 응할 수 없는 경우 3. 기타 우리사주매수선택권 부여계약에서 정한 취소사유가 발생한 경우 ⑥ 우리사주매수선택권의 행사로 인하여 발행한 신주에 대한 이익의 배당에 관하여는 제12조의 규정을 준용한다. |
코스닥 표준정관 준용 |
<본조신설> |
제11조의4[주식의 소각] (신설 2025.3.27) 회사는 이사회의 결의에 의하여 회사가 보유하는 자기주식을 소각할 수 있다. |
코스닥 표준정관 준용 |
제12조[신주의 배당기산일] 회사가 유상증자, 무상증자 및 주식배당에 의하여 신주를 발행하는 경우 신주에 대한 이익의 배당에 관하여는 신주를 발행한 때가 속하는 영업년도의 직전 영업년도 말에 발행된 것으로 본다.(개정 2016.3.23.) |
제12조[신주의 동등배당] (개정 2025.3.27) 회사가 정한 배당기준일 전에 유상증자, 무상증자 및 주식배당에 의하여 발행한 주식에 대하여는 동등배당한다.(개정 2025.3.27) |
코스닥 표준정관 준용 |
제14조[주주의 주소, 성명 및 인감 또는 서명 등 신고] (삭제 2019.3.27) |
제14조[주주명부의 작성·비치](신설 2025.3.27) ① 회사는 전자등록기관으로부터 소유자명세를 통지받은 경우 통지받은 사항과 통지 연월일을 기재하여 주주명부를 작성?비치하여야 한다.(신설 2025.3.27) ② 회사는 5% 이상 지분을 보유한 주주(특수관계인 등을 포함한다)의 현황에 변경이 있는 등 필요한 경우에 전자등록기관에 소유자명세의 작성을 요청할 수 있다.(신설 2025.3.27) ③ 회사의 주주명부는「상법」제352조의2에 따라 전자문서로 작성한다.(신설 2025.3.27) |
1항:전자증권법제37조제6항 규정 반영. 2항:전자증권법시행령제31조제4항제3호에 의거하여 회사의 소유자명세 작성요청이 가능하도록 근거 규정 마련. |
제15조[주주명부의 폐쇄 및 기준일] ① 이 회사는 매년 1월 1일부터 1월 31일까지 권리에 관한 주주명부의 기재변경을 정지한다.(개정 2019.3.27.,2003.3.26.) ② (생략) ③ 이 회사는 임시주주총회의 소집 기타 필요한 경우 이사회의 결의로 3개월을 경과하지 아니하는 일정한 기간을 정하여 권리에 관한 주주명부의 기재변경을 정지하거나 이사회의 결의로 정한 날에 주주명부에 기재되어 있는 주주를 그 권리를 행사할 주주로 할 수 있으며, 이사회가 필요하다고 인정하는 경우에는 주주명부의 기재변경 정지와 기준일의 지정을 함께 할 수 있다. 회사는 이를 2주간전에 공고하여야 한다.(개정 2019.3.27) |
제15조[기준일](개정 2025.3.27) ① (삭제 2025.3.27) ② (좌동) ③ 이 회사는 임시주주총회의 소집 기타 필요한 경우 이사회의 결의로 정한 날에 주주명부에 기재되어 있는 주주를 그 권리를 행사할 주주로 할 수 있으며, 회사는 이를 이사회의 결의로 정한 날의 2주간 전에 공고하여야 한다.(개정 2025.3.27) |
주식·사채등의 전자등록에 관한 법률에 따라 주식등을 전자등록한 경우 주주명부 폐쇄기간의 설정이 불필요하므로 기준일 제도만으로 운영할 수 있음. |
제17조[전환사채의 발행] ① (생략) 1. 사채의 액면총액이 200억원을 초과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일반공모의 방법으로 전환사채를 발행하는 경우 2. 사채의 액면총액이 200억원을 초과하지 않는 범위 내에서 긴급한 자금조달을 위하여 국내외 금융기관 또는 기관투자자에게 전환사채를 발행하는 경우 3. 사채의 액면총액이 200억원을 초과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사업상 중요한 기술도입, 연구개발, 생산·판매·자본제휴를 위하여 그 상대방에게 전환사채를 발행하는 경우 ②~⑤ (생략) |
제17조[전환사채의 발행] ① (좌동) 1. 사채의 액면총액이 300억원을 초과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일반공모의 방법으로 전환사채를 발행하는 경우 (개정 2025.3.27) 2. 사채의 액면총액이 300억원을 초과하지 않는 범위 내에서 긴급한 자금조달을 위하여 국내외 금융기관 또는 기관투자자에게 전환사채를 발행하는 경우 (개정 2025.3.27) 3. 사채의 액면총액이 300억원을 초과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사업상 중요한 기술도입, 연구개발, 생산·판매·자본제휴를 위하여 그 상대방에게 전환사채를 발행하는 경우 (개정 2025.3.27) ②~⑤ (좌동) |
사채발행 한도증액 |
제18조[신주인수권부 사채의 발행] ① (생략) 1. 사채의 액면총액이 200억원을 초과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일반공모의 방법으로 신주인수권부사채를 발행하는 경우 2. 사채의 액면총액이 200억원을 초과하지 않는 범위 내에서 긴급한 자금조달을 위하여 국내외 금융기관 또는 기관투자자에게 신주인수권부사채를 발행하는 경우 3. 사채의 액면총액이 200억원을 초과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사업상 중요한 기술도입, 연구개발, 생산·판매·자본제휴를 위하여 그 상대방에게 신주인수권부사채를 발행하는 경우 ②~⑤ (생략) |
제18조[신주인수권부 사채의 발행] ① (좌동) 1. 사채의 액면총액이 300억원을 초과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일반공모의 방법으로 신주인수권부사채를 발행하는 경우 (개정 2025.3.27) 2. 사채의 액면총액이 300억원을 초과하지 않는 범위 내에서 긴급한 자금조달을 위하여 국내외 금융기관 또는 기관투자자에게 신주인수권부사채를 발행하는 경우 (개정 2025.3.27) 3. 사채의 액면총액이 300억원을 초과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사업상 중요한 기술도입, 연구개발, 생산?판매?자본제휴를 위하여 그 상대방에게 신주인수권부사채를 발행하는 경우 (개정 2025.3.27) ②~⑤ (좌동) |
사채발행 한도증액 |
<본조신설> |
제18조의3[교환사채의 발행](신설 2025.3.27) ① 회사는 이사회 결의로 사채의 액면총액이 300억원을 초과하지 않는 범위 내에서 교환사채를 발행할 수 있다. ② 교환사채의 발행에 관한 세부사항은 이사회의 결의로 정한다. |
코스닥 표준정관 준용 |
제32조[이사 및 감사의 수] ① 이 회사의 이사는 3명 이상 6명 이내로 한다.(개정 2020.12.14.) ② (생략) <신설> |
제32조[이사 및 감사의 수] ① 이 회사의 이사는 3명 이상 6명 이내로 하고, 사외이사는 이사총수의 4분의 1 이상으로 한다.(개정 2025.3.27,2021.3.27.) ② (좌동) ③ 사외이사의 사임·사망 등의 사유로 인하여 사외이사의 수가 제1항에서 정한 이사회의 구성요건에 미달하게 되면 그 사유가 발생한 후 처음으로 소집되는 주주총회에서 그 요건에 합치되도록 사외이사를 선임하여야 한다.(신설 2025.3.27) |
사외이사선임 조항 반영 |
제33조[이사 및 감사의 선임] ①~② (생략) <신설> <신설> |
제33조[이사 및 감사의 선임] ①~② (좌동) ③ 2인 이상의 이사를 선임하는 경우 「상법」 제382조의2에서 규정하는 집중투표제는 적용하지 아니한다.(신설 2025.3.27) ④ 감사의 해임은 출석한 주주의 의결권의 3분의 2 이상의 수로 하되, 발행주식총수의 3분의 1 이상의 수로 하여야 한다.(신설 2025.3.27) |
코스닥 표준정관 준용 |
제38조[이사의 보고의무 ] 이사는 회사에 현저하게 손해를 미칠 우려가 있는 사실 등을 발견한 때에는 즉시 감사에게 이를 보고하여야 한다. <신설> <신설> <신설> |
제38조[이사의 의무](개정 2025.3.27) ① 이사는 회사에 현저하게 손해를 미칠 우려가 있는 사실 등을 발견한 때에는 즉시 감사에게 이를 보고하여야 한다.(개정 2025.3.27) ② 이사는 법령과 정관의 규정에 따라 회사를 위하여 그 직무를 충실하게 수행하여야 한다.(신설 2025.3.27) ③ 이사는 선량한 관리자의 주의로서 회사를 위하여 그 직무를 수행하여 야 한다.(신설 2025.3.27) ④ 이사는 재임중뿐만 아니라 퇴임후에도 직무상 지득한 회사의 영업상 비밀을 누설하여서는 아니 된다.(신설 2025.3.27) |
코스닥 표준정관 준용 |
제39조[감사의 직무] ①~④ (생략) <신설> <신설> <신설> <신설> |
제39조[감사의 직무] ①~④ (좌동) ⑤ 감사에 대해서는 제38조 제3항의 규정을 준용한다.(신설 2025.3.27) ⑥ 감사는 회사의 비용으로 전문가의 도움을 구할 수 있다.(신설 2025.3.27) ⑦ 감사는 필요하면 회의의 목적사항과 소집이유를 적은 서면을 이사(소집권자가 있는 경우에는 소집권자)에게 제출하여 이사회 소집을 청구할 수 있다.(신설 2025.3.27) ⑧ 제7항의 청구를 하였는데도 이사가 지체 없이 이사회를 소집하지 아니하면 그 청구한 감사가 이사회를 소집할 수 있다.(신설 2025.3.27) |
코스닥 표준정관 준용 |
제42조[이사회의 결의방법] ① 이사회의 결의는 이사 과반수의 출석과 출석이사의 과반수로 한다. ② (생략) ③ (생략) <신설> |
제42조[이사회의 결의방법] ① 이사회의 결의는 이사 과반수의 출석과 출석이사의 과반수로 한다. 다만 상법 제397조의2(회사기회유용금지) 및 제398조(자기거래금지)에 해당하는 사안에 대한 이사회 결의는 이사 3분의 2 이상의 수로 한다. (개정 2025.3.27) ② (좌동) ③ (좌동) ④ 이사회는 이사의 전부 또는 일부가 직접 회의에 출석하지 아니하고 모든 이사가 음성을 동시에 송수신하는 원격통신수단에 의하여 결의에 참가하는 것을 허용할 수 있다. 이 경우 당해 이사는 이사회에 직접 출석한 것으로 본다.(신설 2025.3.27) |
코스닥 표준정관 준용 |
제43조[이사회의 의사록] 이사회의 의사에 관하여 의사록을 작성하고 의장과 출석한 이사 및 감사가 기명날인 또는 서명하여 본점에 비치한다. |
제43조[이사회의 의사록] ① 이사회의 의사에 관하여는 의사록을 작성하여야 한다.(개정 2025.3.27) ② 의사록에는 의사의 안건, 경과요령, 그 결과, 반대하는 자와 그 반대 이유를 기재하고 출석한 이사 및 감사가 기명날인 또는 서명하여야 한다.(개정 2025.3.27) |
코스닥 표준정관 준용 |
<본조신설> |
제43조의2[위원회](신설 2025.3.27) ① 회사는 이사회 내에 다음 각 호의 위원회를 둔다. 1. 인사위원회 2. 보수위원회 3. 기타 이사회가 필요하다고 인정하는 위원회 ② 각 위원회의 구성, 권한, 운영 등에 관한 세부사항은 이사회의 결의로 정한다. ③ 위원회에 대해서는 제41조, 제42조 및 제43조의 규정을 준용한다. |
코스닥 표준정관 준용 |
<본조신설> |
제43조의3[상담역 및 고문](신설 2025.3.27) 회사는 이사회의 결의로 상담역 또는 고문 약간 명을 둘 수 있다. |
코스닥 표준정관 준용 |
제46조[재무제표와 영업보고서의 작성, 비치등] ①~④ (생략) <신설> |
제46조[재무제표와 영업보고서의 작성, 비치등] ①~④ (좌동) ⑤ 제1항에도 불구하고 회사는 상법 제447조의 각 서류가 법령 및 정관에 따라 회사의 재무상태 및 경영성과를 적정하게 표시하고 있다는 외부감사인의 의견이 있고, 감사 전원의 동의가 있는 경우 상법 제447조의 각 서류를 이사회 결의로 승인할 수 있다.(신설 2025.3.27) |
코스닥 표준정관 준용 |
제47조[이익금의처분] 회사는 매사업년도말 의 처분전 이익잉여금을 다음과 같이 처분한다. 1.이익잉여금 2.기타의 법적적립금 3.~5. (생략) |
제47조[이익금의 처분] 회사는 매사업년도 의 처분전이익잉여금을 다음과 같이 처분한다. (개정 2025.3.27) 1.이익준비금(개정 2025.3.27) 2.기타의 법정준비금(개정 2025.3.27) 3.~5. (좌동) |
용어변경 |
제48조[이익배당] ① 이익의 배당은 금전 또는 주식으로 하며, 매 결산기 말일 현재 주주명부에 기재된 주주 또는 등록된 질권자에게 지급한다.(개정 2023.3.30.) ② 이익의 배당을 주식으로 하는 경우 회사가 종류주식을 발행한 때에는 각각 그와 같은 종류의 주식으로 할 수 있다.(개정 2023.3.30) ③ 이익배당은 주주총회의 결의로 정한다.(신설 2023.3.30.) |
제48조[이익배당] ① 이익의 배당은 금전 또는 주식으로 하며, 제15조 제2항에 따라 정한 날 현재 주주명부에 기재된 주주 또는 등록된 질권자에게 지급한다. (개정 2025.3.27) ② 이익의 배당을 주식으로 하는 경우 회사가 종류주식을 발행한 때에는 각각 그와 같은 종류의 주식으로 할 수 있다.(개정 2023.3.30) ③ 이익배당은 주주총회의 결의로 정한다.(신설 2023.3.30.) 다만, 제46조 제5항 따라 재무제표를 이사회가 승인하는 경우 이사회 결의로 이익배당을 한다.(개정 2025.3.27) |
코스닥 표준정관 준용 |
부칙 제3조[시행일] ①~ ⑫ (생략) <신설> |
부칙 제3조[시행일] ①~⑫ (좌동) ⑬ 이 정관은 2025년 3월 27일부터 시행한다. 단, 제11조 제2항 제4호의 규정은 기발행된 주식의 수를 한도에서 차감하지 않고 새로이 계산하는 것으로 한다.(개정12) |
- |
회차 | 개최일자 | 의안내용 | 사외이사 등의 성명 | |||
---|---|---|---|---|---|---|
A(출석률: %) | B(출석률: %) | C(출석률: %) | D(출석률: %) | |||
찬 반 여 부 | ||||||
- | - | - | - | - | - | - |
위원회명 | 구성원 | 활 동 내 역 | ||
---|---|---|---|---|
개최일자 | 의안내용 | 가결여부 | ||
- | - | - | - | - |
(단위 : 원) |
구 분 | 인원수 | 주총승인금액 | 지급총액 | 1인당 평균 지급액 | 비 고 |
---|---|---|---|---|---|
- | - | - | - | - | - |
(단위 : 억원) |
거래종류 | 거래상대방(회사와의 관계) | 거래기간 | 거래금액 | 비율(%) |
---|---|---|---|---|
- | - | - | - | - |
(단위 : 억원) |
거래상대방(회사와의 관계) | 거래종류 | 거래기간 | 거래금액 | 비율(%) |
---|---|---|---|---|
- | - | - | - | - |
전자가속기는 국내의 경우 전선제조, 발포수지제조 및 특수목적용으로 여러 건이 검토되고 있으며, 해외는 인도/동남아 및 국제연구기관을 중심으로 전선 및 연구용 가속기 발주가 꾸준히 진행되고 있음. 전자선조사서비스는 멸균분야에서는 코로나 종식 후 침체 되었던 의료기기 멸균 물량이 전반적으로 회복 단계에 있으며, 반도체 분야는 최근 전력용 반도체의 수요 정체에 따라 관련 서비스 시장도 정체되고 있는 추세임. 전선의 경우에는 특수목적전선이나 태양광용 등 고부가가치전선에 대한 서비스 발주가 활발히 진행되고 있음.
(1) 사업 현황 (가) 전자가속기사업 전자가속기는 국내의 경우 환경 이슈와 자금조달의 어려움 등으로 다수의 발주가 보류되었으나, 해외는 인도향 전선용 가속기 3대 공급이 진행되었고, 인도 시장을 중심으로 여러 건이 협상 진행 중에 있음. 2025년에도 동지역을 중심으로 추가적인 수주를 기대하고 있음. 또한 2024년에 수주한 IAEA 연구용 가속기의 납품이 예정되어 있어 2025년 제품 수출액의 신장이 기대됨. (나)조사서비스사업 멸균분야는 코로나 종식에 따른 진단기기의 물량은 대폭 감소하였으나 신규고객의 확보로 설비 가동율을 유지하고 있으며, 반도체는 전력용반도체 시장의 수요 둔화에 따라 주문 물량이 정체 상태에 있음. 전선의 경우 선박, 철도차량, 태양광발전용 전선 등 고부가가치전선의 수요가 점진적으로 상승하고 있고, 이들은 당사의 처리제품사양에 매우 유리한 제품군에 해당함. 최근 고분자물질 개질에 사업화(상용화)가 진행되고 있어 안정적인 물량이 확보되면 매출액 증대가 기대됨.
가. 해당 사업연도의 영업상황의 개요
-전자가속기사업 2024년도 전자가속기 사업의 경우, 국내는 환경 이슈와 자금조달의 어려움 등 경기침체로 설비 발주가 지연 혹은 보류되었음. 해외 시장은 인도향 전선용 가속기 3대 공급이 2023~2024년 진행되었고, 인도 시장을 중심으로 여러 건의 설비공급에대한 협상이 진행중임. 2025년에도 동지역에서 추가적인 수주를 기대하고 있음. 또한 IAEA 등 국제기관에 연구용 가속기 납품이 예정되어 있어 큰 폭의 제품 매출 성장이 기대됨. -조사서비스사업 멸균분야는 코로나 진단기기의 멸균 물량이 감소하였으나, 신규고객의 확보로 가동율을 유지 하고 있으며, 반도체는 전력용반도체의 수요 증가세가 둔화되어 주문물량은 전년과 같은 수준임. 전선의 경우 선박, 철도차량, 태양광발전용 전선 등 고부가가치전선의 수요가 점진적으로 상승하고 있고, 이들은 당사의 처리제품사양에 매우 유리한 제품군에 해당함. 최근 고분자물질 개질에 사업화(상용화)가 진행되고 있어 안정적인 물량이 확보되면 매출액 증대가 기대됨.
나. 해당 사업연도의 대차대조표(재무상태표)ㆍ손익계산서(포괄손익계산서)ㆍ이익잉여금처분계산서(안) 또는 결손금처리계산서(안)
- 대차대조표(재무상태표)
<대 차 대 조 표(재 무 상 태 표)>
제 25(당) 기 2024년 12월 31일 현재 |
제 24(전) 기 2023년 12월 31일 현재 |
(단위 : 원) |
과 목 | 제 25 기 | 제 24 기 | ||
---|---|---|---|---|
자산 | ||||
Ⅰ.유동자산 | 6,120,551,584 | 5,128,800,270 | ||
(1)당좌자산 | 5,433,041,979 | 4,281,798,291 | ||
1.현금및현금성자산 | 2,056,164,671 | 711,503,552 | ||
2.매출채권 | 1,890,992,356 | 1,638,500,665 | ||
대손충당금 | (223,238,091) | (192,869,726) | ||
3.미수금 | 1,130,180 | 277,008,105 | ||
4.선급금 | 628,135,284 | 612,559,535 | ||
5.선급비용 | 37,255,546 | 27,281,522 | ||
6.미수수익 | 2,116,718 | 6,383,650 | ||
7.단기투자자산 | 1,003,749,326 | 1,167,968,079 | ||
8.유동이연법인세자산 | 36,735,989 | 33,462,909 | ||
(2)재고자산 | 687,509,605 | 847,001,979 | ||
1.원재료 | 687,509,605 | 847,001,979 | ||
Ⅱ.비유동자산 | 10,121,427,579 | 9,898,174,932 | ||
(1)유형자산 | 10,050,061,026 | 9,828,492,652 | ||
1.토지 | 1,148,710,717 | 1,148,710,717 | ||
2.건물 | 3,715,565,129 | 3,715,565,129 | ||
감가상각누계액 | (1,161,876,369) | (1,087,565,147) | ||
3.구축물 | 530,657,000 | 530,657,000 | ||
감가상각누계액 | (119,520,009) | (66,454,809) | ||
4.기계장치 | 7,190,583,608 | 7,064,573,768 | ||
감가상각누계액 | (5,504,307,595) | (4,822,645,751) | ||
5.차량운반구 | 99,676,023 | 73,384,413 | ||
감가상각누계액 | (65,928,820) | (52,035,150) | ||
6.공구와기구 | 14,465,137 | 14,465,137 | ||
감가상각누계액 | (14,456,137) | (14,456,137) | ||
7.비품 | 446,113,073 | 430,551,900 | ||
정부보조금 | (2,158,484) | (4,643,976) | ||
감가상각누계액 | (360,712,247) | (316,364,442) | ||
8.건설중인자산 | 4,133,250,000 | 3,214,750,000 | ||
(2)무형자산 | 409,526 | 539,426 | ||
1.산업재산권 | 405,526 | 535,426 | ||
2.기타의무형자산 | 4,000 | 4,000 | ||
(3)기타비유동자산 | 70,957,027 | 69,142,854 | ||
1.비유동이연법인세자산 | 70,957,027 | 69,142,854 | ||
자산총계 | 16,241,979,163 | 15,026,975,202 | ||
부채 | ||||
Ⅰ.유동부채 | 2,241,111,027 | 808,314,804 | ||
1.매입채무 | 215,530,780 | 116,966,484 | ||
2.단기차입금 | 1,000,000,000 | - | ||
3.미지급금 | 14,403,039 | 14,606,700 | ||
4.미지급비용 | 305,426,516 | 235,351,490 | ||
5.예수금 | 56,373,710 | 49,948,910 | ||
6.선수금 | 644,742,060 | 389,145,009 | ||
7.유동성장기부채 | - | - | ||
8.하자보수충당부채 | 4,634,922 | 2,296,211 | ||
Ⅱ.비유동부채 | 1,500,000,000 | 500,000,000 | ||
1.장기차입금 | 1,500,000,000 | 500,000,000 | ||
부채총계 | 3,741,111,027 | 1,308,314,804 | ||
자본 | ||||
Ⅰ.자본금(주석1,11) | 2,820,250,000 | 2,820,250,000 | ||
1.보통주자본금 | 2,820,250,000 | 2,820,250,000 | ||
Ⅱ.자본잉여금 | 4,688,037,400 | 4,688,037,400 | ||
1.주식발행초과금 | 4,688,037,400 | 4,688,037,400 | ||
Ⅲ.자본조정 | 2,937,966,020 | |||
1.자기주식 | 2,937,966,020 | |||
Ⅳ.이익잉여금 | 7,930,546,756 | 6,210,372,998 | ||
1.이익준비금 | 14,101,250 | 14,101,250 | ||
2.미처분이익잉여금(주석12) | 7,916,445,506 | 6,196,271,748 | ||
자본총계 | 12,500,868,136 | 13,718,660,398 | ||
부채와자본총계 | 16,241,979,163 | 15,026,975,202 |
- 손익계산서(포괄손익계산서)
<손 익 계 산 서(포 괄 손 익 계 산 서)>
제 25(당) 기 2024년 1월 1일부터 2024년 12월 31일까지 |
제 24(전) 기 2023년 1월 1일부터 2023년 12월 31일까지 |
(단위 : 원) |
과 목 | 제 25 기 | 제 24 기 | ||
---|---|---|---|---|
Ⅰ.매출액 | 10,672,443,389 | 8,062,454,784 | ||
1.기계제작매출액 | 4,087,742,583 | 1,708,120,460 | ||
2.사용료매출액 | 5,597,919,100 | 5,019,252,267 | ||
3.AS매출액 | 986,781,706 | 1,335,082,057 | ||
Ⅱ.매출원가 | 6,464,979,088 | 4,433,559,176 | ||
1.기계제작매출원가 | 2,752,956,931 | 1,191,020,164 | ||
2.사용료매출원가 | 3,143,639,603 | 2,361,946,738 | ||
3.AS매출원가 | 568,382,554 | 880,592,274 | ||
Ⅲ. 매출총이익 | 4,207,464,301 | 3,628,895,608 | ||
Ⅳ.판매비와관리비 | 2,694,007,053 | 2,873,633,224 | ||
1.급여 | 887,753,264 | 759,340,999 | ||
2.퇴직급여 | 62,645,312 | 56,797,494 | ||
3.복리후생비 | 168,001,436 | 140,846,317 | ||
4.여비교통비 | 39,518,168 | 23,044,829 | ||
5.접대비 | 24,190,336 | 18,421,227 | ||
6.통신비 | 1,485,765 | 1,688,137 | ||
7.수도광열비 | 1,127,570 | 452,658 | ||
8.전력비 | 70,133,594 | 60,652,929 | ||
9.세금과공과 | 48,174,580 | 25,115,099 | ||
10.감가상각비 | 183,132,405 | 333,451,063 | ||
11.수선비 | 25,446,364 | 26,719,600 | ||
12.보험료 | 24,798,093 | 9,073,127 | ||
13.운반비 | 4,192,046 | 535,586 | ||
14.교육훈련비 | 11,570,727 | 3,994,342 | ||
15.도서인쇄비 | 2,784,600 | 530,142 | ||
16.소모품비 | 82,224,104 | 35,588,589 | ||
17.지급수수료 | 275,737,672 | 240,454,820 | ||
18.광고선전비 | 23,398,741 | 34,595,901 | ||
19.사무용품비 | 2,766,713 | 2,565,127 | ||
20.경상개발비 | 691,371,479 | 1,125,199,263 | ||
21.차량유지비 | 10,104,443 | 7,287,229 | ||
22.지급임차료 | 22,951,376 | 50,687,229 | ||
23.대손상각비(충당금환입) | 30,368,365 | (83,538,383) | ||
24.무형자산상각비 | 129,900 | 129,900 | ||
Ⅴ.영업이익 | 1,513,457,248 | 755,262,384 | ||
Ⅵ.영업외수익 | 353,001,501 | 241,563,312 | ||
1.이자수익 | 57,425,691 | 108,746,847 | ||
2.외환차익 | 120,410,732 | 30,623,113 | ||
3.외화환산이익 | 167,798,126 | 84,318,983 | ||
4.단기매매증권처분이익 | - | |||
5.잡이익 | 7,366,952 | 17,874,369 | ||
Ⅶ.영업외비용 | 93,247,507 | 92,063,398 | ||
1.이자비용 | 46,428,636 | 34,928,933 | ||
2.외환차손 | 39,310,924 | 27,883,873 | ||
3.외화환산손실 | 4,713,826 | 20,499,261 | ||
4.잡손실 | 2,794,121 | 8,751,331 | ||
Ⅷ.법인세비용차감전순이익 | 1,773,211,242 | 904,762,298 | ||
Ⅸ.법인세비용 | 53,037,484 | 15,363,029 | ||
Ⅹ.당기순이익 | 1,720,173,758 | 889,399,269 | ||
ⅩⅠ. 주당손익 | ||||
기본주당이익 | 691 | 315 |
- 자본변동표
<자본변동표>
제 25(당) 기 2024년 1월 1일부터 2024년 12월 31일까지 |
제 24(전) 기 2023년 1월 1일부터 2023년 12월 31일까지 |
(단위 :원) |
과 목 | 자 본 금 | 자 본잉여금 | 자본조정 | 이 익잉여금 | 총 계 |
---|---|---|---|---|---|
2023.1.1(당기초) | 2,820,250,000 | 4,688,037,400 | - | 5,461,986,229 | 12,970,273,629 |
현금배당 | - | - | - | (141,012,500) | (141,012,500) |
당기순이익 | - | - | - | 889,399,269 | 889,399,269 |
2023.12.31(당기말) | 2,820,250,000 | 4,688,037,400 | - | 6,210,372,998 | 13,718,660,398 |
2024.1.1(당기초) | 2,820,250,000 | 4,688,037,400 | - | 6,210,372,998 | 13,718,660,398 |
자기주식 취득 | - | - | (2,937,966,020) | - | (2,937,966,020) |
당기순이익 | - | - | - | 1,720,173,758 | 1,720,173,758 |
2024.12.31(당기말) | 2,820,250,000 | 4,688,037,400 | (2,937,966,020) | 7,930,546,756 | 12,500,868,136 |
- 이익잉여금처분계산서
<이익잉여금처분계산서>
제 25(당) 기 2024년 1월 1일부터 2024년 12월 31일까지 |
제 24(전) 기 2023년 1월 1일부터 2023년 12월 31일까지 |
(단위 : 원) |
과 목 | 제 25 기 | 제 24 기 | ||
---|---|---|---|---|
Ⅰ.미처분이익잉여금 | 7,916,445,506 | 6,196,271,748 | ||
1.전기이월미처분이익잉여금 | 6,196,271,748 | 5,306,872,479 | ||
2.회계정책변경의누적효과 | - | - | ||
3.전기오류수정이익(손실) | - | - | ||
4.중간배당액 | - | - | ||
5.당기순이익(손실) | 1,720,173,758 | 889,399,269 | ||
Ⅱ.이익잉여금처분액 | - | - | ||
1.이익준비금 | - | - | ||
2..배당금 | - | - | ||
가.현금배당 | - | - | ||
Ⅲ.차기이월미처분이익잉여금 | 7,916,445,506 | 6,196,271,748 |
- 현금흐름표
<현금흐름표>
제 25(당) 기 2024년 1월 1일부터 2024년 12월 31일까지 |
제 24(전) 기 2023년 1월 1일부터 2023년 12월 31일까지 |
(단위 :원) |
과 목 | 제 24(당) 기 | 제 23(전) 기 | ||
---|---|---|---|---|
Ⅰ.영업활동으로 인한 현금흐름 | 3,204,771,009 | 1,456,270,840 | ||
1.당기순이익 | 1,720,173,758 | 889,399,269 | ||
2.현금의 유출이 없는 비용 등의 가산 | 897,631,225 | 841,095,378 | ||
가.감가상각비 | 864,794,249 | 840,872,109 | ||
나.외화환산손실 | - | 93,369 | ||
다.무형자산상각비 | 129,900 | 129,900 | ||
라.대손충당부채의 전입 | 30,368,365 | - | ||
마.하자보수충당부채의 전입 | 2,338,711 | - | ||
3.현금의 유입이 없는 수익 등의 차감 | (20,987,618) | (88,215,305) | ||
가.외화환산이익 | 20,987,618 | 2,465,133 | ||
나.하자보수충당부채환입 | - | 2,211,789 | ||
다.대손충당금의 환입 | - | 83,538,383 | ||
4.영업활동으로 인한 자산부채의 변동 | 607,953,644 | (186,008,502) | ||
가.매출채권의 감소(증가) | (231,504,073) | (313,964,378) | ||
나.미수금의 감소(증가) | 275,877,925 | 332,643,600 | ||
다.선급금의 감소(증가) | (15,575,749) | (361,185,421) | ||
라.선급비용의 감소(증가) | (9,974,024) | (16,111,369) | ||
마.재고자산의 감소(증가) | 159,492,374 | (120,815,567) | ||
바.매입채무의 증가(감소) | 98,564,296 | 95,816,336 | ||
사.미수수익의 감소(증가) | 4,266,932 | 11,421,150 | ||
아.미지급비용의 증가(감소) | 70,075,026 | 9,843,429 | ||
자.미지급금의 증가(감소) | (203,661) | (4,429,398) | ||
차.예수금의 증가(감소) | 6,424,800 | 5,909,670 | ||
카.선수금의 증가(감소) | 255,597,051 | 186,920,740 | ||
타.이연법인세자산의 감소(증가) | (5,087,253) | (12,057,294) | ||
Ⅱ.투자활동으로 인한 현금흐름 | (922,143,870) | (687,920,730) | ||
1.투자활동으로 인한 현금유입액 | 4,204,638,869 | 10,756,852,030 | ||
가.장기대여금의 감소 | - | |||
나.단기대여금의 감소 | 13,884,000 | |||
다.단기투자자산의 감소 | 4,204,638,869 | 10,742,968,030 | ||
라.기계장치의 처분 | - | |||
2.투자활동으로 인한 현금유출액 | (5,126,782,739) | (11,444,772,760) | ||
가.건물의 취득 | 14,500,000 | |||
나.기계장치의 취득 | 126,009,840 | - | ||
다.구축물의 취득 | 32,200,000 | |||
라.비품의 취득 | 15,561,173 | 57,633,182 | ||
마.차량운반구의 취득 | 26,291,610 | - | ||
바.건설중인자산의 취득 | 918,500,000 | 2,151,585,455 | ||
사.단기투자자산의 증가 | 4,040,420,116 | 9,188,854,123 | ||
Ⅲ.재무활동으로 인한 현금흐름 | (937,966,020) | (941,012,500) | ||
1.재무활동으로 인한 현금유입액 | 2,000,000,000 | 500,000,000 | ||
가.단기차입금의 차입 | 1,000,000,000 | - | ||
나.장기차입금의 차입 | 1,000,000,000 | 500,000,000 | ||
2.재무활동으로 인한 현금유출액 | (2,937,966,020) | (1,441,012,500) | ||
가.단기차입금의 상환 | 1,000,000,000 | |||
나.유동성장기부채의 상환 | 300,000,000 | |||
다.배당금의 지급 | 141,012,500 | |||
라.자기주식의 취득 | 2,937,966,020 | |||
Ⅳ.현금의 증가(감소)(Ⅰ+Ⅱ+Ⅲ) | 1,344,661,119 | (172,662,390) | ||
Ⅴ.기초의 현금 | 711,503,552 | 884,165,942 | ||
Ⅵ.기말의 현금(Ⅳ+Ⅴ) | 2,056,164,671 | 711,503,552 |
- 최근 2사업연도의 배당에 관한 사항
구 분 | 주식의 종류 | 당기 | 전기 |
제25기 | 제24기 | ||
주당액면가액(원) | 1,000 | 1,000 | |
(연결)당기순이익(백만원) | - | - | |
(별도)당기순이익(백만원) | 1,720 | 889 | |
(연결)주당순이익(원) | 691 | 315 | |
현금배당금총액(백만원) | - | - | |
주식배당금총액(백만원) | - | - | |
(연결)현금배당성향(%) | - | - | |
현금배당수익률(%) | 보통주 | - | - |
우선주 | - | - | |
주식배당수익률(%) | 보통주 | - | - |
보통주 | - | - | |
주당 현금배당금(원) | 보통주 | - | - |
우선주 | - | - | |
주당 주식배당(주) | 보통주 | - | - |
우선주 | - | - |
가. 집중투표 배제를 위한 정관의 변경 또는 그 배제된 정관의 변경
변경전 내용 | 변경후 내용 | 변경의 목적 |
---|---|---|
나. 그 외의 정관변경에 관한 건
변경전 내용 | 변경후 내용 | 변경의 목적 |
---|---|---|
제8조2[종류주식의 수와 내용] (본조신설 2004.3.24.) ① 회사가 발행하는 종류주식은 이익배당에 관한 우선주식, 의결권배제 또는 제한에 관한 우선주식, 상환주식, 전환주식 및 이들의 전부 또는 일부를 혼합한 주식으로 한다.(개정 2016.3.23.) ② 우선주식에 대한 우선배당율은 액면금액을 기준으로 하여 년 5%로 한다. ③ 우선주식의 발행주식총수는 발행할 주식의 총수의 25%이내로 한다.(개정2016.3.23.) ④ 우선주식은 제2항에 의한 배당을 받고, 잔여 배당가능이익에 대하여 보통주식과 동일한 비율로 참가하여 배당을 받는다. ⑤ 우선주식이 제2항의 배당률에 의한 배당을 받지 못한 사업연도가 있는 경우에도 미배당분은 다음 사업년도로 이연되지 아니한다. ⑥ 우선주식의 주주는 의결권이 없는 것으로 한다. 다만 우선주식의 주주는 우선주식에 대하여 소정의 배당을 하지 아니한다는 결의가 있는 총회의 다음 총회부터 그 우선적 배당을 한다는 결의가 있는 총회의 종료시까지는 의결권이 있다. ⑦ 우선주식은 발행일로부터 3년이 경과하면 보통주식으로 전환된다. 다만, 위 기간 중 소정의 배당을 하지 못한 경우에는 소정의 배당이 완료될 때까지 그 기간은 연장된다. ⑧ 우선주식의 전환된 주식에 대한 이익의 배당에 관하여는 제12조의 규정(신주의 배당기산일)을 준용한다. |
제8조의2[주식의 종류](개정 2025.3.27) ① 회사가 발행할 주식은 보통주식과 종류주식으로 한다.(개정 2025.3.27) ② 회사가 발행하는 종류주식은 이익배당 또는 잔여재산분배에 관한 우선주식, 의결권배제 또는 제한에 관한 주식, 상환주식, 전환주식 및 이들의 전부 또는 일부를 혼합한 주식으로 한다.(개정 2025.3.27) ③ (삭제 2025.3.27) ④ (삭제 2025.3.27) ⑤ (삭제 2025.3.27) ⑥ (삭제 2025.3.27) ⑦ (삭제 2025.3.27) ⑧ (삭제 2025.3.27) |
종류주식관련 조항 세부화 |
<본조신설> |
제8조의3[이익배당, 의결권 배제 및 주식의 상환에 관한 종류주식](신설 2025.3.27) ① 발행할 종류주식의 수는 기발행 주식 및 제8조의3, 제8조의4, 제8조의5, 제8조의6에 의해 발행되는 종류주식 수와 합하여 발행주식 총수의 4분의1 범위내로 한다. ② 회사는 제1항의 종류주식의 발행총수 범위 내에서 이사회 결의에 의하여 아래의 조건에 따라 종류주식을 발행할 수 있다. 1. 종류주식에 대한 최저배당률은 연 액면금액의 1%이상으로 하고 발행 시 이사회에서 우선배당률을 정한다. 2. 종류주식에 대하여 제3항 규정에 의한 배당을 하고, 보통주식에 대하여 종류주식의 배당률과 동률의 배당을 한 후, 잔여배당가능이익이 있으면 보통주식과 종류주식에 대하여 동등한 비율로 배당한다. 3. 종류주식에 대하여 제2항 제1호의 규정에 배당을 하지 못한 사업연도가 있는 경우에는 미배당분은 누적하여 다음 사업연도의 배당 시에 우선하여 배당한다. 4. 종류주식의 주주는 의결권이 있는 것으로 하거나 의결권이 없는 것으로 할 수 있으며, 종류주식에 대한 의결권 부여 여부는 발행 시 이사회에서 정한다. 다만 종류주식의 주주는 종류주식에 대하여 소정의 배당을 하지 아니한다는 결의가 있는 총회의 다음 총회부터 그 우선적 배당을 한다는 결의가 있는 총회의 종료 시 까지는 의결권이 있다. 5. 종류주식은 발행일로부터 5년이 경과하면 보통주식으로 전환된다. 다만, 위 기간 중 소정의 배당을 하지 못한 경우에는 소정의 배당이 완료될 때까지 그 기간은 연장된다. 6. 동조 제5항의 규정에 의해 발행되는 신주에 대한 이익의 배당에 관하여는 제12조의 규정을 준용한다. 7. 본 회사가 유상증자, 무상증자, 주식배당을 실시하는 경우, 보통주식에 대하여는 보통주식을, 종류주식에 대하여는 동일한 조건의 종류주식을 각 그 소유주식 비율에 따라 발행하는 것을 원칙으로 한다. 다만, 회사는 필요에 따라서 유상증자나 주식배당시 한가지 주식만을 발행할 수 있으며, 이 경우 모든 주주는 그 발행되는 주식에 대하여 배정 또는 배당을 받을 권리가 있다. ③ 회사는 종류주식의 발행총수 범위 내에서 이사회 결의로 우선주주의 청구에 의하여 아래의 조건 에 따라 상환되는 상환주식을 발행할 수 있다. 1. 상환주식의 상환가액은 발행가 및 이에 대하여 발행일로부터 상환일까지 연 1%이상 10%이하의 범위 내에서 발행 시 이사회가 정한 비율에 따라 연리로 산정한 금액으로 한다. 단, 상환 시 상환주식에 대하여 이미 지급된 배당금은 상환가액에서 공제하기로 한다. 2. 상환주식의 상환청구권 행사기간은 발행일로부터 상환주식이 보통주식으로 전환되는 시점 1개월 전까지 기간 내에서 이사회가 정하는 기간으로 한다. 3. 상환주식의 상환방법은 회사가 주주로부터 상환청구를 받으면 그러한 청구로부터 1개월 이내에 회사가 주주로부터 주권을 제출 받고 상환가액을 주주에게 지급하여 상환한다. 4. 상환주식의 상환은 회사에 배당 가능한 이익이 있을 때에만 가능하며, 상환청구가 있었음에도 상환되지 아니하거나 우선배당을 받지 못한 경우에는 상환기간은 상환 및 배당이 완료될 때까지 연장되는 것으로 한다. ④ 회사는 종류주식의 발행총수 범위 내에서 이사회 결의로 우선주주의 청구에 의하여 아래의 조건에 따라 보통주식으로 전환되는 전환주식을 발행할 수 있다. 1. 전환주식의 전환조건은 전환주식 1주를 보통주식 1주로 전환하는 것을 원칙으로 하되 아래 제3호에서와 같이 변경될 수 있다. 2. 전환청구기간은 최초발행일 이후부터 존속기간 만료 전 일까지로 하고 전환청구 기간 내 전환청구 시 보통주로 전환될 수 있다. 3. 전환주식의 전환조건은 전환주식 발행 시 이사회가 정하는 조건에 따라 전환주식 발행 후 전환청구기간 만료 전까지 변경될 수 있다. 4. 전환청구에 의하여 전환된 보통주식의 이익의 배당에 관하여는 제12조의 규정을 준용 한다. |
종류주식관련 조항 세부화 |
<본조신설> |
제8조의4[제1종 종류주식의 수와 내용](신설 2025.3.27) ① 회사가 발행할 제1종 종류주식은 무의결권 배당우선 주식(이하 이조에서는 “종류주식”이라 함)으로 하며, 기발행 주식 및 제8조의3, 제8조의4, 제8조의5, 제8조의6에 의해 발행되는 종류주식의 수와 합하여 발행주식 총수의 4분의1 범위내로 한다. ② 종류주식에 대한 최저배당률은 연 액면금액의 1%이상으로 하고 발행 시 이사회에서 우선배당률을 정한다. ③ 종류주식에 대하여 제2항 규정에 의한 배당을 하고, 보통주식에 대하여 종류주식의 배당률과동률의 배당을 한 후, 잔여배당가능이익이 있으면 보통주식과 종류주식에 대하여 동등한 비율로 배당한다. ④ 종류주식에 대하여 제2항의 규정에 배당을 하지 못한 사업연도가 있는 경우에는 미배당분은 누적하여 다음 사업연도의 배당 시에 우선하여 배당한다. ⑤ 종류주식의 주주에게는 종류주식에 대하여 제3항에 따른 배당을 하지 아니한다는 결의가 있는 총회의 다음 총회부터 그 우선적 배당을 한다는 결의가 있는 총회의 종료시까지는 의결권이 있다. ⑥ 본 회사가 유상증자, 무상증자, 주식배당을 실시하는 경우, 보통주식에 대하여는 보통주식을, 종류주식에 대하여는 동일한 조건의 종류주식을 각 그 소유주식 비율에 따라 발행하 는 것을 원칙으로 한다. 다만, 회사는 필요에 따라서 유상증자나 주식배당시 한가지 주식만을 발행할 수 있으며, 이 경우 모든 주주는 그 발행되는 주식에 대하여 배정 또는 배당을 받을 권리가 있다. |
종류주식관련 조항 세부화 |
<본조신설> |
제8조의5[제2종 종류주식의 수와 내용](신설 2025.3.27) ① 회사가 발행할 제2종 종류주식은 무의결권 배당우선 전환주식(이하 이조에서는 “종류주식”이라 함)으로 하며, 기발행 주식 및 제8조의3, 제8조의4, 제8조의5, 제8조의6에 의해 발행되는 종류주식의 수와 합하여 발행주식 총수의 4분의1 범위내로 한다. ② 종류주식에 대하여는 액면금액을 기준으로 하여 년 1% 이상에서 발행시에 이사회가 정한 우선비율에 따른 금액을 현금 또는 주식으로 우선 배당한다. ③ 보통주식의 배당율이 종류주식의 배당율을 초과할 경우에는 그 초과분에 대하여 보통주식과 동일한 비율로 참가시켜 배당한다. ④종류주식에 대하여 어느 사업연도에 있어서 소정의 배당을 하지 못한 경우에는 누적된 미배당분을 다음 사업년도의 배당시에 우선하여 배당한다. ⑤ 이 회사가 신주를 발행하는 경우 종류주식에 대한 신주의 배정은 유상증자 및 주식배당의 경우에는 보통주식에 배정하는 주식과 동일한 주식으로, 무상증자의 경우에는 그와 같은 종류의 주식으로 한다. ⑥ 종류주식은 다음 각 호에 의거 회사의 선택에 따라 전환할 수 있다. 1. 전환으로 인하여 발행할 주식의 수는 전환전의 수와 동수로 한다. 2. 전환할 수 있는 기간은 발행일로부터 1개월 이상 10년 이내의 범위에서 이사회결의로 정한다. 다만 전환기간 내에 전환권이 행사되지 아니하면, 전환기간 만료일에 전환된 것으로 본다. 3. 전환으로 인하여 발행할 주식은 보통주식(또는 제1종 종류주식)으로 한다. 4. 종류주식은 다음 각목의 사유가 발생한 경우 전환할 수 있다. ⑦ 종류주식은 다음 각 호에 의거 주주가 회사에 대하여 전환을 청구할 수 있다. 1. 전환으로 인하여 발행할 주식의 수는 전환전의 수와 동수로 한다. 2. 전환을 청구할 수 있는 기간은 발행일로부터 1개월 이상 10년 이내의 범위에서 이사회결의로정한다. 다만 전환기간 내에 전환권이 행사되지 아니하면, 전환기간 만료일에 전환된 것으로 본다. 3. 전환으로 인하여 발행할 주식은 보통주식(또는 제1종 종류주식)으로 한다. 4. 종류주식은 다음 각목의 사유가 발생한 경우 전환할 수 있다. ⑧ 전환기간 만료일까지 소정의 배당을 완료하지 못한 경우에는 소정의 배당을 완료할 때까지 그 기간을 연장한다. ⑨ 전환으로 인하여 발행하는 주식에 대한 이익의 배당에 관하여는 제10조의4의 규정을 준용한다. |
종류주식관련 조항 세부화 |
<본조신설> |
제8조의6[제3종 종류주식의 수와 내용] (신설 2025.3.27) ① 회사가 발행할 제3종 종류주식은 무의결권 배당우선 상환주식(이하 이조에서는 “종류주식”이라 함)으로 하며, 기발행 주식 및 제8조의3, 제8조의4, 제8조의5, 제8조의6에 의해 발행되는 종류주식의 수와 합하여 발행주식 총수의 4분의1 범위내로 한다. ② 종류주식에 대하여는 액면금액을 기준으로 하여 년 1% 이상에서 발행시에 이사회가 정한 우선비율에 따른 금액을 현금 또는 주식으로 우선 배당한다. ③ 보통주식의 배당율이 종류주식의 배당율을 초과할 경우에는 그 초과분에 대하여 보통주식과 동일한 비율로 참가시켜 배당한다. ④종류주식에 대하여 어느 사업년도에 있어서 소정의 배당을 하지 못한 경우에는 누적된 미배당 분을 다음 사업년도의 배당시에 우선하여 배당한다. ⑤ 이 회사가 신주를 발행하는 경우 종류주식에 대한 신주의 배정은 유상증자 및 주식배당의 경우에는 보통주식에 배정하는 주식과 동일한 주식으로, 무상증자의 경우에는 그와 같은 종류의 주식으로 한다. ⑥ 종류주식은 다음 각 호에 의거 회사의 선택에 따라 상환할 수 있다. 1. 상환가액은 「발행가액+연 10%를 초과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정한 가산금액」으로 하며, 가산금액은 배당률, 시장상황 기타 종류주식의 발행에 관련된 제반 사정을 고려하여 발행시 이사회가 정한다. 다만, 상환가액을 조정할 수 있는 것으로 하려는 경우 이사회에서 상환가액을 조정할 수 있다는 뜻, 조정사유, 조정의 기준일 및 조정방법을 정하여야 한다. 2. 상환기간은 발행일이 속하는 회계연도의 정기주주총회 종료일 익일부터 발행 후 10년이 되는날이 속하는 회계연도에 대한 정기주주총회 종료일 이후 1개월이 되는 날 이내의 범위에서 이사회가 정한다. 다만, 상환기간이 만료되었음에도 불구하고 다음 각 목에 해당하는 사유가 발생하면그 사유가 해소될 때까지 상환기간은 연장된다. 가. 상환기간 내에 상환하지 못한 경우 나. 우선적 배당이 완료되지 아니한 경우 3. 종류주식을 일시에 또는 분할하여 상환할 수 있다. 다만, 분할상환하는 경우에는 회사가 추첨 또는 안분비례의 방법에 의하여 종류주식을 정할 수 있으며, 안분비례시 발생하는 단주는 이를 상환하지 아니한다. 4. 회사는 상환대상인 주식의 취득일 2주일 전에 그 사실을 그 주식의 주주 및 주주명부에 기재된 권리자에게 통지 또는 공고하여야 한다. ⑦ 종류주식은 다음 각 호에 의거 주주가 회사에 대하여 상환을 청구할 수 있다. 1. 상환가액은「발행가액+연 10%를 초과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정한 가산금액」으로 하며, 가산금액은 배당률, 시장상황 기타 종류주식의 발행에 관련된 제반 사정을 고려하여 발행시 이사회가 정한다. 다만, 상환가액을 조정할 수 있는 것으로 하려는 경우 이사회에서 상환가액을 조정할수 있다는 뜻, 조정사유, 조정의 기준일 및 조정방법을 정하여야 한다. 2. 상환기간은 발행일이 속하는 회계연도의 정기주주총회 종료일 익일부터 발행 후 10년이 되는날이 속하는 회계연도에 대한 정기주주총회 종료일 이후 1개월이 되는 날 이내의 범위에서 이사회가 정한다. 다만, 상환기간이 만료되었음에도 불구하고 다음 각 목에 해당하는 사유가 발생하면 그 사유가 해소될 때까지 상환기간은 연장된다. 가. 상환기간 내에 상환하지 못한 경우 나. 우선적 배당이 완료되지 아니한 경우 3. 주주는 종류주식 전부를 일시에 또는 이를 분할하여 상환해 줄 것을 회사에 청구할 수 있다. 다만, 회사는 상환청구당시에 배당가능이익이 부족한 경우에는 분할상환할 수 있으며 분할상환 하는 경우에는 회사가 추첨 또는 안분비례의 방법에 의하여 상환할 주식을 정할 수 있고, 안분비례시 발생하는 단주는 이를 상환하지 아니한다. 4. 상환청구주주는 2주일 이상의 기간을 정하여 상환할 뜻과 상환대상주식을 회사에 통지하여야 한다. ⑧ 회사는 주식의 취득의 대가로 현금 외의 유가증권(다른 종류의 주식은 제외한다)이나 그 밖의자산을 교부할 수 있다. |
종류주식관련 조항 세부화 |
제9조[주권] ① 이 회사의 주권에는 발행번호, 주식의 수, 소유자의 성명을 기입하고, 발행과 동시에 이 회사의 주주명부에 기재한다. ② 이 회사는 주주의 주권 불소지 신고가 있는 때에는 그 뜻을 주주명부와 부본에 기재하고 주권을 발행하지 아니한다. |
제9조[주권](삭제 2025.3.27) |
코스닥 표준정관 준용 |
제10조[주금납입의 지체] 주금납입을 지체한 주주는 납입기일 다음 날부터 납입이 끝날 때까지 지체 주금 일백원에 대하여 일변 일십전의 비율로서 과태금을 회사에 지급하고, 또 이로 인하여 손해가 생겼을 때는 그 손해를 배상하여야 한다. |
제10조[주금납입의 지체](삭제 2025.3.27) |
코스닥 표준정관 준용 |
제11조[신주인수권] (개정 2016.3.23.) ①~② (생략) 1.~3. (생략) 4. 발행주식총수의 100분의 20을 초과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사업상 중요한 기술도입, 연구개발, 생산·판매·자본제휴를 위하여 그 상대방에게 신주를 발행하는 경우 5.~10. (생략) <신설> ③~⑤ (생략) |
제11조[신주인수권](개정 2016.3.23.) ①~② (좌동) 1.~3. (좌동) 4. 발행주식총수의 100분의 20을 초과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사업상 중요한 기술도입, 연구개발, 생산·판매·자본제휴, 재무건전성을 위하여 그 상대방에게 신주를 발행하는 경우 (개정 2025.3.27) 5.~10. (좌동) 11. 증권 인수업무 등에 관한 규정 제10조의2(신주인수권)에 의거하여 신주를 발행하는 경우(신설 2025.3.27) ③~⑤ (좌동) |
거래소권고사항 상장 시 신주인수권 관련 조항 추가 |
제11조의 2[주식매수선택권] (신설 2001.2.27.) ①~⑦ (생략) ⑧ 주식선택권을 부여받은 자는 제1항의 결의일부터 2년 이상 재임 또는 재직하여야 권리를 행사할 수 있다. 다만, 제1항의 결의일로부터 2년내에 사망하거나 정년으로 인한 퇴임 또는 퇴직 기타 본인의 귀책사유로 퇴임 또는 퇴직한 자는 그 행사기간 동안 주식매수선택권을 행사할 수 있다.(개정 2016.3.23.) ⑨ (생략) ⑩ 주식매수선택권의 행사로 인하여 발행한 신주에 대한 이익의 배당에 관하여는 제12조의 규정(신주의 배당기산일)을 준용한다.(개정 2016.3.23.) |
제11조의2[주식매수선택권](신설 2001.2.27.) ①~⑦ (좌동) ⑧ 주식선택권을 부여받은 자는 제1항의 결의일부터 2년 이상 재임 또는 재직하여야 권리를 행사할 수 있다. 다만, 제1항의 결의일로부터 2년내에 사망하거나 정년으로 인한 퇴임 또는 퇴직 기타 본인의 귀책사유가 아닌 사유로 퇴임 또는 퇴직한 자는 그 행사기간 동안 주식매수선택권을 행사할 수 있다. (개정2025.3.27) ⑨ (좌동) ⑩ 주식매수선택권의 행사로 인하여 발행한 신주에 대한 이익의 배당에 관하여는 제12조의 규정 을 준용한다. (개정 2025.3.27) |
단순오기 제12조 개정에 따른 조정 |
<본조신설> |
제11조의3[우리사주매수선택권] (신설 2025.3.27) ① 회사는 주주총회의 특별결의로 우리사주조합원에게 발행주식총수의 100분의 20범위 내에서 「근로복지기본법」제39조의 규정에 의한 우리사주매수선택권을 부여할 수 있다. 다만, 발행주식총수의 100분의 10범위 내에서는 이사회의 결의로 우리사주매수선택권을 부여할 수 있다. ② 우리사주매수선택권의 행사로 발행하거나 양도할 주식은 보통주식으로 한다. ③ 우리사주매수선택권을 부여받은 자는 제1항의 결의일부터 6월 이상 2년 이하의 기간 이내에 권리를 행사할 수 있다. 다만, 제1항의 결의로 그 기간 중 또는 그 기간 종료 후 일정한 행사기간을 정하여 권리를 행사하게 할 수 있다. ④ 우리사주매수선택권의 행사가격은 ?근로복지기본법 시행규칙?제14조의 규정이 정하는 평가가격의 100분의 70 이상으로 한다. 다만, 주식을 발행하여 교부하는 경우로서 행사가격이 당해 주식의 권면액보다 낮은 때에 는 그 권면액을 행사가격으로 한다. ⑤ 다음 각호의 어느 하나에 해당하는 경우에는 이사회의 결의로 우리사주매수선택권의 부여를 취소할 수 있다. 1. 우리사주매수선택권을 부여받은 우리사주조합원이 고의 또는 과실로 회사에 중대한 손해를 끼친 경우 2. 회사의 파산 또는 해산 등으로 우리사주매수선택권의 행사에 응할 수 없는 경우 3. 기타 우리사주매수선택권 부여계약에서 정한 취소사유가 발생한 경우 ⑥ 우리사주매수선택권의 행사로 인하여 발행한 신주에 대한 이익의 배당에 관하여는 제12조의 규정을 준용한다. |
코스닥 표준정관 준용 |
<본조신설> |
제11조의4[주식의 소각] (신설 2025.3.27) 회사는 이사회의 결의에 의하여 회사가 보유하는 자기주식을 소각할 수 있다. |
코스닥 표준정관 준용 |
제12조[신주의 배당기산일] 회사가 유상증자, 무상증자 및 주식배당에 의하여 신주를 발행하는 경우 신주에 대한 이익의 배당에 관하여는 신주를 발행한 때가 속하는 영업년도의 직전 영업년도 말에 발행된 것으로 본다.(개정 2016.3.23.) |
제12조[신주의 동등배당] (개정 2025.3.27) 회사가 정한 배당기준일 전에 유상증자, 무상증자 및 주식배당에 의하여 발행한 주식에 대하여는 동등배당한다.(개정 2025.3.27) |
코스닥 표준정관 준용 |
제14조[주주의 주소, 성명 및 인감 또는 서명 등 신고] (삭제 2019.3.27) |
제14조[주주명부의 작성·비치](신설 2025.3.27) ① 회사는 전자등록기관으로부터 소유자명세를 통지받은 경우 통지받은 사항과 통지 연월일을 기재하여 주주명부를 작성?비치하여야 한다.(신설 2025.3.27) ② 회사는 5% 이상 지분을 보유한 주주(특수관계인 등을 포함한다)의 현황에 변경이 있는 등 필요한 경우에 전자등록기관에 소유자명세의 작성을 요청할 수 있다.(신설 2025.3.27) ③ 회사의 주주명부는「상법」제352조의2에 따라 전자문서로 작성한다.(신설 2025.3.27) |
1항:전자증권법제37조제6항 규정 반영. 2항:전자증권법시행령제31조제4항제3호에 의거하여 회사의 소유자명세 작성요청이 가능하도록 근거 규정 마련. |
제15조[주주명부의 폐쇄 및 기준일] ① 이 회사는 매년 1월 1일부터 1월 31일까지 권리에 관한 주주명부의 기재변경을 정지한다.(개정 2019.3.27.,2003.3.26.) ② (생략) ③ 이 회사는 임시주주총회의 소집 기타 필요한 경우 이사회의 결의로 3개월을 경과하지 아니하는 일정한 기간을 정하여 권리에 관한 주주명부의 기재변경을 정지하거나 이사회의 결의로 정한 날에 주주명부에 기재되어 있는 주주를 그 권리를 행사할 주주로 할 수 있으며, 이사회가 필요하다고 인정하는 경우에는 주주명부의 기재변경 정지와 기준일의 지정을 함께 할 수 있다. 회사는 이를 2주간전에 공고하여야 한다.(개정 2019.3.27) |
제15조[기준일](개정 2025.3.27) ① (삭제 2025.3.27) ② (좌동) ③ 이 회사는 임시주주총회의 소집 기타 필요한 경우 이사회의 결의로 정한 날에 주주명부에 기재되어 있는 주주를 그 권리를 행사할 주주로 할 수 있으며, 회사는 이를 이사회의 결의로 정한 날의 2주간 전에 공고하여야 한다.(개정 2025.3.27) |
주식·사채등의 전자등록에 관한 법률에 따라 주식등을 전자등록한 경우 주주명부 폐쇄기간의 설정이 불필요하므로 기준일 제도만으로 운영할 수 있음. |
제17조[전환사채의 발행] ① (생략) 1. 사채의 액면총액이 200억원을 초과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일반공모의 방법으로 전환사채를 발행하는 경우 2. 사채의 액면총액이 200억원을 초과하지 않는 범위 내에서 긴급한 자금조달을 위하여 국내외 금융기관 또는 기관투자자에게 전환사채를 발행하는 경우 3. 사채의 액면총액이 200억원을 초과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사업상 중요한 기술도입, 연구개발, 생산·판매·자본제휴를 위하여 그 상대방에게 전환사채를 발행하는 경우 ②~⑤ (생략) |
제17조[전환사채의 발행] ① (좌동) 1. 사채의 액면총액이 300억원을 초과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일반공모의 방법으로 전환사채를 발행하는 경우 (개정 2025.3.27) 2. 사채의 액면총액이 300억원을 초과하지 않는 범위 내에서 긴급한 자금조달을 위하여 국내외 금융기관 또는 기관투자자에게 전환사채를 발행하는 경우 (개정 2025.3.27) 3. 사채의 액면총액이 300억원을 초과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사업상 중요한 기술도입, 연구개발, 생산·판매·자본제휴를 위하여 그 상대방에게 전환사채를 발행하는 경우 (개정 2025.3.27) ②~⑤ (좌동) |
사채발행 한도증액 |
제18조[신주인수권부 사채의 발행] ① (생략) 1. 사채의 액면총액이 200억원을 초과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일반공모의 방법으로 신주인수권부사채를 발행하는 경우 2. 사채의 액면총액이 200억원을 초과하지 않는 범위 내에서 긴급한 자금조달을 위하여 국내외 금융기관 또는 기관투자자에게 신주인수권부사채를 발행하는 경우 3. 사채의 액면총액이 200억원을 초과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사업상 중요한 기술도입, 연구개발, 생산·판매·자본제휴를 위하여 그 상대방에게 신주인수권부사채를 발행하는 경우 ②~⑤ (생략) |
제18조[신주인수권부 사채의 발행] ① (좌동) 1. 사채의 액면총액이 300억원을 초과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일반공모의 방법으로 신주인수권부사채를 발행하는 경우 (개정 2025.3.27) 2. 사채의 액면총액이 300억원을 초과하지 않는 범위 내에서 긴급한 자금조달을 위하여 국내외 금융기관 또는 기관투자자에게 신주인수권부사채를 발행하는 경우 (개정 2025.3.27) 3. 사채의 액면총액이 300억원을 초과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사업상 중요한 기술도입, 연구개발, 생산?판매?자본제휴를 위하여 그 상대방에게 신주인수권부사채를 발행하는 경우 (개정 2025.3.27) ②~⑤ (좌동) |
사채발행 한도증액 |
<본조신설> |
제18조의3[교환사채의 발행](신설 2025.3.27) ① 회사는 이사회 결의로 사채의 액면총액이 300억원을 초과하지 않는 범위 내에서 교환사채를 발행할 수 있다. ② 교환사채의 발행에 관한 세부사항은 이사회의 결의로 정한다. |
코스닥 표준정관 준용 |
제32조[이사 및 감사의 수] ① 이 회사의 이사는 3명 이상 6명 이내로 한다.(개정 2020.12.14.) ② (생략) <신설> |
제32조[이사 및 감사의 수] ① 이 회사의 이사는 3명 이상 6명 이내로 하고, 사외이사는 이사총수의 4분의 1 이상으로 한다.(개정 2025.3.27,2021.3.27.) ② (좌동) ③ 사외이사의 사임·사망 등의 사유로 인하여 사외이사의 수가 제1항에서 정한 이사회의 구성요건에 미달하게 되면 그 사유가 발생한 후 처음으로 소집되는 주주총회에서 그 요건에 합치되도록 사외이사를 선임하여야 한다.(신설 2025.3.27) |
사외이사선임 조항 반영 |
제33조[이사 및 감사의 선임] ①~② (생략) <신설> <신설> |
제33조[이사 및 감사의 선임] ①~② (좌동) ③ 2인 이상의 이사를 선임하는 경우 「상법」 제382조의2에서 규정하는 집중투표제는 적용하지 아니한다.(신설 2025.3.27) ④ 감사의 해임은 출석한 주주의 의결권의 3분의 2 이상의 수로 하되, 발행주식총수의 3분의 1 이상의 수로 하여야 한다.(신설 2025.3.27) |
코스닥 표준정관 준용 |
제38조[이사의 보고의무 ] 이사는 회사에 현저하게 손해를 미칠 우려가 있는 사실 등을 발견한 때에는 즉시 감사에게 이를 보고하여야 한다. <신설> <신설> <신설> |
제38조[이사의 의무](개정 2025.3.27) ① 이사는 회사에 현저하게 손해를 미칠 우려가 있는 사실 등을 발견한 때에는 즉시 감사에게 이를 보고하여야 한다.(개정 2025.3.27) ② 이사는 법령과 정관의 규정에 따라 회사를 위하여 그 직무를 충실하게 수행하여야 한다.(신설 2025.3.27) ③ 이사는 선량한 관리자의 주의로서 회사를 위하여 그 직무를 수행하여 야 한다.(신설 2025.3.27) ④ 이사는 재임중뿐만 아니라 퇴임후에도 직무상 지득한 회사의 영업상 비밀을 누설하여서는 아니 된다.(신설 2025.3.27) |
코스닥 표준정관 준용 |
제39조[감사의 직무] ①~④ (생략) <신설> <신설> <신설> <신설> |
제39조[감사의 직무] ①~④ (좌동) ⑤ 감사에 대해서는 제38조 제3항의 규정을 준용한다.(신설 2025.3.27) ⑥ 감사는 회사의 비용으로 전문가의 도움을 구할 수 있다.(신설 2025.3.27) ⑦ 감사는 필요하면 회의의 목적사항과 소집이유를 적은 서면을 이사(소집권자가 있는 경우에는 소집권자)에게 제출하여 이사회 소집을 청구할 수 있다.(신설 2025.3.27) ⑧ 제7항의 청구를 하였는데도 이사가 지체 없이 이사회를 소집하지 아니하면 그 청구한 감사가 이사회를 소집할 수 있다.(신설 2025.3.27) |
코스닥 표준정관 준용 |
제42조[이사회의 결의방법] ① 이사회의 결의는 이사 과반수의 출석과 출석이사의 과반수로 한다. ② (생략) ③ (생략) <신설> |
제42조[이사회의 결의방법] ① 이사회의 결의는 이사 과반수의 출석과 출석이사의 과반수로 한다. 다만 상법 제397조의2(회사기회유용금지) 및 제398조(자기거래금지)에 해당하는 사안에 대한 이사회 결의는 이사 3분의 2 이상의 수로 한다. (개정 2025.3.27) ② (좌동) ③ (좌동) ④ 이사회는 이사의 전부 또는 일부가 직접 회의에 출석하지 아니하고 모든 이사가 음성을 동시에 송수신하는 원격통신수단에 의하여 결의에 참가하는 것을 허용할 수 있다. 이 경우 당해 이사는 이사회에 직접 출석한 것으로 본다.(신설 2025.3.27) |
코스닥 표준정관 준용 |
제43조[이사회의 의사록] 이사회의 의사에 관하여 의사록을 작성하고 의장과 출석한 이사 및 감사가 기명날인 또는 서명하여 본점에 비치한다. |
제43조[이사회의 의사록] ① 이사회의 의사에 관하여는 의사록을 작성하여야 한다.(개정 2025.3.27) ② 의사록에는 의사의 안건, 경과요령, 그 결과, 반대하는 자와 그 반대 이유를 기재하고 출석한 이사 및 감사가 기명날인 또는 서명하여야 한다.(개정 2025.3.27) |
코스닥 표준정관 준용 |
<본조신설> |
제43조의2[위원회](신설 2025.3.27) ① 회사는 이사회 내에 다음 각 호의 위원회를 둔다. 1. 인사위원회 2. 보수위원회 3. 기타 이사회가 필요하다고 인정하는 위원회 ② 각 위원회의 구성, 권한, 운영 등에 관한 세부사항은 이사회의 결의로 정한다. ③ 위원회에 대해서는 제41조, 제42조 및 제43조의 규정을 준용한다. |
코스닥 표준정관 준용 |
<본조신설> |
제43조의3[상담역 및 고문](신설 2025.3.27) 회사는 이사회의 결의로 상담역 또는 고문 약간 명을 둘 수 있다. |
코스닥 표준정관 준용 |
제46조[재무제표와 영업보고서의 작성, 비치등] ①~④ (생략) <신설> |
제46조[재무제표와 영업보고서의 작성, 비치등] ①~④ (좌동) ⑤ 제1항에도 불구하고 회사는 상법 제447조의 각 서류가 법령 및 정관에 따라 회사의 재무상태 및 경영성과를 적정하게 표시하고 있다는 외부감사인의 의견이 있고, 감사 전원의 동의가 있는 경우 상법 제447조의 각 서류를 이사회 결의로 승인할 수 있다.(신설 2025.3.27) |
코스닥 표준정관 준용 |
제47조[이익금의처분] 회사는 매사업년도말 의 처분전 이익잉여금을 다음과 같이 처분한다. 1.이익잉여금 2.기타의 법적적립금 3.~5. (생략) |
제47조[이익금의 처분] 회사는 매사업년도 의 처분전이익잉여금을 다음과 같이 처분한다. (개정 2025.3.27) 1.이익준비금(개정 2025.3.27) 2.기타의 법정준비금(개정 2025.3.27) 3.~5. (좌동) |
용어변경 |
제48조[이익배당] ① 이익의 배당은 금전 또는 주식으로 하며, 매 결산기 말일 현재 주주명부에 기재된 주주 또는 등록된 질권자에게 지급한다.(개정 2023.3.30.) ② 이익의 배당을 주식으로 하는 경우 회사가 종류주식을 발행한 때에는 각각 그와 같은 종류의 주식으로 할 수 있다.(개정 2023.3.30) ③ 이익배당은 주주총회의 결의로 정한다.(신설 2023.3.30.) |
제48조[이익배당] ① 이익의 배당은 금전 또는 주식으로 하며, 제15조 제2항에 따라 정한 날 현재 주주명부에 기재된 주주 또는 등록된 질권자에게 지급한다. (개정 2025.3.27) ② 이익의 배당을 주식으로 하는 경우 회사가 종류주식을 발행한 때에는 각각 그와 같은 종류의 주식으로 할 수 있다.(개정 2023.3.30) ③ 이익배당은 주주총회의 결의로 정한다.(신설 2023.3.30.) 다만, 제46조 제5항 따라 재무제표를 이사회가 승인하는 경우 이사회 결의로 이익배당을 한다.(개정 2025.3.27) |
코스닥 표준정관 준용 |
부칙 제3조[시행일] ①~ ⑫ (생략) <신설> |
부칙 제3조[시행일] ①~⑫ (좌동) ⑬ 이 정관은 2025년 3월 27일부터 시행한다. 단, 제11조 제2항 제4호의 규정은 기발행된 주식의 수를 한도에서 차감하지 않고 새로이 계산하는 것으로 한다.(개정12) |
- |
※ 기타 참고사항
가. 후보자의 성명ㆍ생년월일ㆍ추천인ㆍ최대주주와의 관계ㆍ사외이사후보자 등 여부
후보자성명 | 생년월일 | 사외이사후보자여부 |
감사위원회 위원인 이사 분리선출 여부 |
최대주주와의 관계 | 추천인 |
---|---|---|---|---|---|
강보선 | 67.10.21 | 사외이사 | 부 | 없음 | 이사회 |
이종열 | 66.12.05 | 기타비상무이사 | 부 | 없음 | 이사회 |
총 ( 2 ) 명 |
나. 후보자의 주된직업ㆍ세부경력ㆍ해당법인과의 최근3년간 거래내역
후보자성명 | 주된직업 | 세부경력 | 해당법인과의최근3년간 거래내역 | |
---|---|---|---|---|
기간 | 내용 | |||
강보선 | 교수 | 2025.01~현재2007.03~2024.122008.10~2010.10 |
- (현) 한국핵융합에너지연구원 핵융합정책센터장 - 건양대학교 방사선과 교수 - 한국방사선학회 회장 |
없음 |
이종열 | 삼주리틀휴즈(주)대표이사 | 2016.03~현재1996.08~2016.031990.03~1996.08 |
- (현) 삼주리틀휴즈(주) 대표이사 - 타이코레이켐㈜ 상무 - 대우전자㈜ 연구원 |
없음 |
다. 후보자의 체납사실 여부ㆍ부실기업 경영진 여부ㆍ법령상 결격 사유 유무
후보자성명 | 체납사실 여부 | 부실기업 경영진 여부 | 법령상 결격 사유 유무 |
---|---|---|---|
강보선 | 없음 | 없음 | 없음 |
이종열 | 없음 | 없음 | 없음 |
라. 후보자의 직무수행계획(사외이사 선임의 경우에 한함)
<사외이사 강보선 후보자>1. 전문성본 후보자는 KAIST 원자력및양자공학 박사 졸업하고, 건양대학교 방사선학 교수와 한국방사선학회 회장을 역임한 바 있으며, 최근에는 한국핵융합에너지연구원 핵융합정책센터장을 수행한 경험을 바탕으로 주주권익을 보호하고 회사발전에 기여하겠습니다.2. 독립성본 후보자는 상법상 독립적인 위치에 있으며 앞으로도 회사에서 그 역할을 충실히 수행하겠습니다.3. 책임과 의무본 후보자는 선관주의와 충실의무, 보고의무, 감시의무, 상호 업무집행 감시의무, 겸업금지 의무, 자기거래금지 의무, 기업비밀 준수의무 등 상법상 사외이사로서 책임과 의무를 다하겠습니다. |
마. 후보자에 대한 이사회의 추천 사유
<사외이사 강보선 후보자>본 후보자는 KAIST 원자력및양자공학 박사 졸업하고, 건양대학교 방사선학 교수와 한국방사선학회 회장을 역임한 바 있으며, 최근에는 한국핵융합에너지연구원 핵융합정책센터장을 수행한 경험을 바탕으로 회사의 안정성장을 위한 사외이사로서의 역할을 충분히 수행할 수 있는 적임자로 판단됩니다.이종열(기타비상무이사)-해당 후보자는 대우전자 연구원 및 타이코레이켐㈜ 상무으로 근무하였으며, 현재 삼주리틀휴즈(주) 대표이사직을 수행한 경험을 바탕으로 회사의 안정성장을 위한 이사로서의 역할을 충분히 수행할 수 있는 적임자로 판단되어 이사회에서 기타비상무이사로 추천하였습니다. |
※ 기타 참고사항
<감사후보자가 예정되어 있는 경우>
가. 후보자의 성명ㆍ생년월일ㆍ추천인ㆍ최대주주와의 관계
후보자성명 | 생년월일 | 최대주주와의 관계 | 추천인 |
---|---|---|---|
이용기 | 74.01.14 | 없음 | 이사회 |
총 ( 1 ) 명 |
나. 후보자의 주된직업ㆍ세부경력ㆍ해당법인과의 최근3년간 거래내역
후보자성명 | 주된직업 | 세부경력 | 해당법인과의최근3년간 거래내역 | |
---|---|---|---|---|
기간 | 내용 | |||
이용기 | 지암회계법인 이사 | 2006.01~현재2002.06~2004.121998.01~2002.05 |
- (현) 지암회계법인 이사 - 삼일회계법인 회계사 - 안진회계법인 회계사 |
없음 |
다. 후보자의 체납사실 여부ㆍ부실기업 경영진 여부ㆍ법령상 결격 사유 유무
후보자성명 | 체납사실 여부 | 부실기업 경영진 여부 | 법령상 결격 사유 유무 |
---|---|---|---|
이용기 | 없음 | 없음 | 없음 |
라. 후보자에 대한 이사회의 추천 사유
감사 선임 후보자 본인의 분야에서 전문적 지식과 풍부한 경험을 바탕으로 회사의 성장과 발전에 기여할 것으로 판단되며, 법률에서 정하고 있는 결격사유가 없고, 독립적인 위치에 있어 감사로서 적임자로 판단됩니다. |
<감사후보자가 예정되지 아니한 경우>
선임 예정 감사의 수 | (명) |
※ 기타 참고사항
가. 이사의 수ㆍ보수총액 내지 최고 한도액
(당 기)
이사의 수 (사외이사수) | 4( 1 ) |
보수총액 또는 최고한도액 | 500백만원 |
(전 기)
이사의 수 (사외이사수) | 4( 0 ) |
실제 지급된 보수총액 | 361백만원 |
최고한도액 | 500백만원 |
※ 기타 참고사항
가. 감사의 수ㆍ보수총액 내지 최고 한도액
(당 기)
감사의 수 | 1 |
보수총액 또는 최고한도액 | 100백만원 |
(전 기)
감사의 수 | 1 |
실제 지급된 보수총액 | 9백만원 |
최고한도액 | 100백만원 |
※ 기타 참고사항
제출(예정)일 | 사업보고서 등 통지 등 방식 |
---|---|
1. 당사는 2025년 3월 19일까지 사업보고서 및 감사보고서를 전자공시시스템(http://dart.fss.or.kr)에 공시할 예정이며, 당사 홈페이지(http://www.eb-tech.com→ COMPANY-> IR DATA )에도 게재할 예정입니다.
2. 향후 사업보고서는 오기 등이 있는 경우 수정될 수 있으며, 수정된 사업보고서는 DART에 업데이트 될 예정이므로 이를 확인할 필요가 있습니다.
3. 주주총회 이후 변경된 사항에 관하여는 「DART-정기공시」에 제출된 사업보고서를 활용하여야 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