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년 3월 11일 | ||
회 사 명 : | 주식회사 트루엔 | |
대 표 이 사 : | 안재천 | |
본 점 소 재 지 : | 서울특별시 구로구 디지털로33길 28(우림이비지센터1차) 1309호 | |
(전 화) 02-6738-6000 | ||
(홈페이지)http://www.truen.co.kr | ||
작 성 책 임 자 : | (직 책) 이사 | (성 명) 오승창 |
(전 화) 02-6738-6000 | ||
(제20기 정기) |
주주님의 건승과 택내의 평안을 기원합니다.당사는 상법 제365조 및 당사 정관 제21조에 의거 제20기 정기주주총회를 아래와 같이 개최하오니 참석하여 주시기 바랍니다.또한, 상법 제542조의4 및 당사 정관 제23조에 의거하여 발행주식총수의 1% 이하 소유주주에 대하여는 이 공고로 소집통지에 갈음합니다.- 아 래 -1. 일시 : 2025년 3월 27일(목) 오전 9시2. 장소 : 서울시 구로구 디지털로33길 28 우림이비지센터 1차 지하1층 대회의실3. 회의의 목적사항가. 보고안건 (1) 감사보고 (2) 영업보고 (3) 내부회계관리제도 운영실태 보고나. 부의안건 ○ 제1호 의안 : 제20기(2024.01.01~2024.12.31) 재무제표 승인의 건 (이익잉여금처분계산서(안), 현금배당 : 주당 230원 포함) ○ 제2호 의안 : 정관 일부 변경의 건 ○ 제3호 의안 : 이사 선임의 건 (사외이사2명) 제3-1호 의안 : 사외이사 김기수 선임의 건 제3-2호 의안 : 사외이사 김유성 선임의 건 ○ 제4호 의안 : 감사위원회 위원 선임의 건 제4-1호 의안 : 감사위원회 위원이 되는 사외이사 윤길배 선임의 건 제4-2호 의안 : 감사위원회 위원이 되는 사외이사 김기수 선임의 건 제4-3호 의안 : 감사위원회 위원이 되는 사외이사 김유성 선임의 건 ○ 제5호 의안 : 이사 보수한도 승인의 건 (30억원)4. 경영참고사항 비치상법 제542조의4에 의거하여 회사의 경영참고사항을 우리 회사의 본점, 금융위원회,한국거래소 및 명의개서대리인(국민은행 증권대행부)에 비치하오니 참고하시기 바랍니다.5. 실질주주의 의결권 행사에 관한 사항
금번 당사의 주주총회에는 주주님께서 참석하여 의결권을 직접 행사하시거나 또는 위임장에 의거 의결권을 간접 행사하실 수 있습니다. 또한 하기 전자투표방식으로 의결권을 행사하실 수 있습니다.6. 전자투표에 관한 사항 당사는 「상법」 제368조의4에 따른 전자투표제도를 이번 주주총회에서 활용하기로 결의하였고, 이 제도의 관리업무를 삼성증권에 위탁하였습니다.
주주님들께서는 아래에서 정한 방법에 따라 주주총회에 참석하지 아니하고 전자투표방식으로 의결권을 행사하실 수 있습니다.
가. 전자투표시스템 인터넷 및 모바일 주소 :
「https://vote.samsungpop.com」
나. 전자투표 행사기간 :
2025년 3월 17일 09시 ~ 2025년 3월 26일 17시
- 기간 중 24시간 이용 가능 (단, 시작일은 09시부터, 마감일은 17시까지 가능)
다. 본인 인증 방법은 증권용/범용 공동인증서 인증, 카카오 인증, PASS앱 인증을 통해 주주 본인을 확인 후 의안별로 의결권행사
라. 수정 동의안 처리 : 주주총회에서 상정된 의안에 관하여 수정 동의가 제출되는 경우 기권으로 처리
7. 주주총회 참석 시 제출서류가. 직접행사 : 본인 신분증 (신분증 미지참 시 주주총회장 입장이 불가하오니 이 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나. 대리행사- 위임장(주주와 대리인의 인적사항 기재, 인감날인 및 인감증명서 지참)- 대리인 신분증
2025년 3월 11일
주식회사 트 루 엔
대표이사 안 재 천 (직인생략)
회차 | 개최일자 | 의안내용 | 사외이사 윤길배(출석률 : 100%) |
---|---|---|---|
찬 반 여 부 | |||
1 | 2024.01.29 | 제1호 의안 : 제19기 재무제표(가결산) 승인의 건제2호 의안 : 상여금 지급의 건 | 찬성 |
2 | 2024.01.29 | 제1호 의안 : 대표이사의 내부회계관리제도 운용실태 보고 및 감사의 운영실태 평가 보고의 건 | 찬성 |
3 | 2024.03.11 | 제1호 의안 : 제19기(2023년) 영업보고서(안) 승인의 건제2호 의안 : 제19기(2023년) 재무제표 승인의 건제3호 의안 : 제19기(2023년) 현금배당 승인의 건제4호 의안 : 제19기(2023년) 정기주주총회 소집의 건 | 찬성 |
4 | 2024.03.28 | 제1호 의안 : 임시의장 선임의 건제2호 의안 : 대표이사 선임의 건 | 찬성 |
5 | 2024.07.19 | 제1호 의안 : 상여금 지급의 건 | 찬성 |
6 | 2024.12.12 | 제1호 의안 : 주주명부 폐쇄 및 기준일 결정의 건 | 찬성 |
위원회명 | 구성원 | 활 동 내 역 | ||
---|---|---|---|---|
개최일자 | 의안내용 | 가결여부 | ||
- | - | - | - | - |
(단위 : 백만원) |
구 분 | 인원수 | 주총승인금액 | 지급총액 | 1인당 평균 지급액 | 비 고 |
---|---|---|---|---|---|
사외이사 | 1명 | 3,000 | 21 | 21 | - |
※ 상기 '주총승인금액'은 사내이사 3명을 포함한 총 4명의 보수한도 승인금액이며, 지급총액은 실제 사외이사에게 지급된 금액의 총액입니다.
(단위 : 억원) |
거래종류 | 거래상대방(회사와의 관계) | 거래기간 | 거래금액 | 비율(%) |
---|---|---|---|---|
- | - | - | - | - |
(단위 : 억원) |
거래상대방(회사와의 관계) | 거래종류 | 거래기간 | 거래금액 | 비율(%) |
---|---|---|---|---|
- | - | - | - | - |
디지털 영상감시시스템은 물리보안의 한 분야로 시설 보호 및 물리적 위험에 대비하여 출입 관리, 시설관리, 방범 관리 및 교통 등에 주로 사용되며, 네트워크 기술과 영상처리 SoC 기술 발전으로 IP 카메라로 중심이 이동되었습니다. 영유아보육법 개정에 따른 CCTV 설치 의무화, 재난재해, 도시 방범 감시 수요, 스마트시티 구축 등으로 인해 지능형 디지털 영상감시 장비의 수요는 지속적으로 증가하고 있습니다. 현재는 인공지능(AI) 기술과 융합하여 기술과 시장 확장을 진행하고 있습니다. 한편 보안과 관련된 요구사항이 강화되며, 공공부문에 적용되는 영상감시장치에는 TTA(Telecommunications Technology Association-한국정보통신기술협회)의 성능 및 보안 인증이 필수적으로 요구되고 있으며, 당사는 본 인증에 적극적으로 참여하여 IP 카메라 기술 및 제품 선도업체로의 확고한 위치를 유지하고 있습니다. IoT, 빅데이터, 클라우드 기술과의 융합으로 인공지능 기술이 접목된 디지털 영상감시 산업의 특징은 지능형 영상 분석, 초고해상도 영상처리, 인공지능 등의 기술경쟁력 확보가 요구되므로 기술 난이도가 높아 신규 진입이 비교적 어려운 미래 지향적 지식 산업으로 볼 수 있습니다.
(1) 영업개황 및 사업부문의 구분
(가) 영업개황
ㄱ. 국내시장
당사는 설립 이후 IP 기반의 영상감시시스템 분야에서 오랫동안 축적한 하드웨어 설계기술과 펌웨어 개발 기술을 보유하고 있습니다. IP 카메라 등의 디지털 영상감시 시스템 개발에 사용된 SoC, 센서, 렌즈와 같은 핵심 부품이 새로이 출시되었을 때 최적의 설계로 경쟁업체보다 빨리 신제품을 개발할 수 있는 기술력이 큰 경쟁력입니다.공공 및 SI 시장은 유통시장과는 달리 특화된 펌웨어 기능이 요구되고 TTA 등 보안 인증이 필요한 시장으로서 펌웨어 기술력에 따라 시장 경쟁력이 좌우되는 시장입니다. 설립 초기부터 참여한 펌웨어 개발자를 포함한 역량 있는 펌웨어 개발팀을 유지하며, ONVIF 등의 표준을 선도적으로 채용하고, TTA 보안인증 제정에 주도적으로 참여하며, 다양한 파트너사의 요구사항에 대한 맞춤 지원하는 등 기술력을 바탕으로 한 적극적인 고객지향형 사업전략으로 공공 및 SI 시장에서의 입지를 굳건히 다지고 있습니다.
국내 공공 보안 시장에서 요구되는 객체 검지 및 자동 추적, 번호판 인식, 돌발 감지 등 딥러닝 기반의 AI기술을 자체 개발하여 IP 카메라와 Zoom Block 제품에 탑재함으로써 제품경쟁력을 강화하고 있습니다. 향후 영상감시시스템의 경쟁은 AI기능에 초점이 맞춰질 것으로 보고, AI알고리즘 및 솔루션 개발을 위한 전담 팀을 확대하는 등 적극적인 투자를 하고 있습니다.
ㄴ. 해외시장
해외의 IP 카메라 주력 시장은 유통시장으로 가성비가 뛰어난 중국 제품들이 시장을 점유하고 있는 상황입니다. 이러한 유통시장에 진입하여 가격 경쟁을 하는 것은 쉽지 않다고 판단하여, 국내시장 전략과 유사하게 고객맞춤형 지원 전략으로 OEM 및 공공, SI 등 프로젝트 시장에서의 판매를 확대하는 전략을 취하고 있습니다.
IP 카메라와는 달리 Video Encoder와 Video Decoder는 그 자체가 프로젝트 시장에 특화된 제품으로 다양한 VMS(Video Management System)과의 원활한 연동, 프로젝트에 요구되는 특수한 기능의 지원 등 기술력과 대응력이 필요한 제품입니다. 많은 저가 중국 제품들이 출시되었음에도 오래된 고객들이 계속 당사의 제품을 구매하는 이유이기도 합니다.
2020년 출시한 IP Zoom Block은 렌즈 제어 기술과 IP기반의 영상압축, 전송 기술이 결합된 제품으로 IP Zoom Block의 경쟁력은 AF(Auto Focus)를 포함한 화질과 펌웨어에 있다고 볼 수 있습니다. 당사는 자체 개발한 AF 알고리즘으로 SONY Zoom Block과 경쟁할 만한 AF 성능을 확보했습니다. IP Zoom Block은 그 자체로 최종 고객 사이트에서 사용되는 제품이 아니고 PTZ 카메라 내부에 장착되어 사용되는 일종의 모듈입니다. 따라서 IP Zoom Block을 공급받아 사용하는 PTZ 카메라 제조업체는 IP Zoom Block의 펌웨어를 그대로 사용하는 경우보다는 커스터마이즈를 요구하거나 SDK를 기반으로 그 업체 자체의 펌웨어를 개발하려고 하는 경우가 많습니다. 당사는 사용이 쉬운 SDK를 개발하여 제공함으로써 이러한 IP Zoom Block 시장 상황에 대응하고 있습니다. 또한 IP 카메라의 경우와 같이 AI 기반의 객체 인식 및 추적 기능을 기본적으로 지원함으로써 이러한 기능을 지원하지 않는 타사 제품과 차별화를 하고 있습니다.
미국 정부는 2018년 8월 자국 정부 기관에서 중국산 통신, 영상 보안장비를 사용하지 못하도록 하는 국방수권법 (NDAA)을 통과시켜 2019년 8월부터 사용금지 되었습니다. 이는 곧 미국을 넘어 주변국으로도 퍼져 나가면서 호주와 이탈리아, 독일 등 동맹국에도 사용 중지를 권고한 상태입니다. 이러한 상황은 중국의 완성품 제조 업체 또는 중국산 SoC를 사용하는 업체들에게는 커다란 장애가 되고 있습니다. 당사가 사용하고 있는 미국의 Ambarella사 SoC는 다양한 AI 기능을 실행할 수 있는 뛰어난 성능을 보유하고 있어 해외고객들이 가장 선호하는 최고 사양의 SoC입니다. 이러한 SoC 기반의 차별화 또한 해외시장에서의 입지를 넓힐 수 있는 기회가 되고 있습니다.
ㄷ. IoT 시장
가격 경쟁력을 기반으로 적극적인 마케팅을 하는 중국, 대만 업체와 치열하게 경쟁을 하고 있는 상황입니다. 당사가 상대적으로 높은 가격에도 불구하고 국내 홈 카메라 시장에서 선두권에 있는 것은 오랫동안 IP 카메라 사업을 성공적으로 유지한 국내업체로서의 신뢰도와 우수한 품질을 인정받고 있기 때문입니다.
특히 중국산 제품들이 해킹에 취약함이 노출되어 사회적인 이슈화가 되었던 반면, 당사는 국내 업체로는 유일하게 IoT 기기, 앱, 서버를 모두 자체 개발하고 서비스를 직접 운영함으로써 해킹의 여지를 없앴고, 이러한 점을 활용한 Made in Korea 마케팅을 전개하여 시장에서 믿을 만한 국산제품과 브랜드(EGLOO)로 자리를 잡았습니다.
국산 제품으로서의 신뢰도와 브랜드, 우수한 품질에도 불구하고 중국, 대만산 제품들이 시장에서 많이 팔리고 있는 것은 그만큼 가격이 저렴하기 때문입니다. 이러한 제품들 대비하여 높은 가격은 시장 점유율 확대에 가장 큰 장애 요인인 것은 사실이며, 당사는 앞으로 가격 경쟁력 있는 제품을 출시하여 이러한 상황에 대응할 계획입니다.
(나) 공시대상 사업부문의 구분
당사의 사업 분야는 크게 두 가지입니다. 디지털 영상감시시스템 사업과 IoT(Internet of Things) 사업입니다.
ㄱ. 디지털 영상감시시스템
당사는 기존 아날로그 카메라로부터 영상을 받아서 처리하는 DVR은 아날로그 카메라에 의한 화질 한계 때문에 장기적으로 성장성에 한계가 있다고 판단하고 이러한 단점을 보완하여 렌즈로부터 획득된 영상신호를 직접 압축하여 전송하는 IP 카메라 시대가 올 것으로 예측하고 IP 카메라의 태동기인 2005년에 창업하여 당사 최초 제품인 영상 전송 코덱을 개발하여 사업적 발판을 마련하였습니다. 곧바로 업계 최초의 H.264 IP 카메라를 개발 출시하여 IP 카메라 전문 업체로서 발을 내딛었습니다. 이후 메가 픽셀 카메라, PTZ 카메라 등 고품질, 고성능 IP 카메라를 지속적으로 출시하고 디지털 영상감시시스템의 국제 표준인 ONVIF(Open Network Video Interface Forum) 프로토콜을 조기에 채용하였습니다. 또한 국내 공공보안 요구사항인 TTA(Telecommunications Technology Association-한국정보통신기술협회)의 성능 및 보안 인증 제정에 적극적으로 참여하여 IP 카메라 기술 및 제품 선도업체로의 확고한 위치를 유지하고 있습니다.
영상 전송 코덱과 IP 카메라로 시작한 디지털 영상감시시스템 사업은 현재 IP 카메라 제품군 이외에도 별도의 카메라 또는 PC 화면 등의 영상소스로부터 영상 신호를 받아서 압축 전송하거나 전송된 영상신호를 복원하는 장치인 영상스트리밍솔루션 제품군과 줌 렌즈에 영상 압축 및 전송 기능을 결합된 형태로 PTZ 카메라에 장착되어 널리 사용되는 Zoom Block이 제품군으로 확장되었습니다.
AI(Artificial Intelligence-인공지능)를 다양한 분야에 응용하는 트렌드는 디지털 영상 감시시스템 분야에도 나타났으며 관제센터에서 영상을 수신하여 표출 저장하는 PC 기반의 소프트웨어인 VMS(Video Management System)에 먼저 적용이 되었습니다. 당사는 관제센터의 서버 PC에 AI를 적용하는 것은 수많은 카메라를 지원해야 하는 상황에서는 한계가 있다고 판단했습니다. 에지(Edge) 즉 카메라에 바로 AI를 적용하는 연구개발을 시작하여 2018년도부터 IP 카메라와 Zoom Block에 자동차 번호판인식, 객체 인식 및 추적, 돌발상황감지 등의 AI 기반의 영상 분석 기능을 기본적으로 탑재하고 있습니다. 향후 IP 카메라를 중심으로 한 디지털 영상감시시스템 분야에서는 해상도, 배율 등의 하드웨어 적인 경쟁보다는 AI기반의 지능형 영상분석 부문의 경쟁이 심화될 것으로 예상하여 AI 분야에 연구개발을 집중하며 AI를 활용한 신제품 개발을 지속적으로 추진하고 있습니다.
ㄴ. IoT(Internet of Things) 사업
당사는 스마트 홈 구현을 목표로 이를 위한 다양한 기기와 솔루션을 개발하고 있습니다. 기기 판매와 함께 기기 사용자가 모바일 앱으로 기기를 사용할 수 있도록 하는 서비스를 직접 운영하고 있습니다. 스마트 홈을 위한 IoT 기기로는 스마트 카메라, 스마트 도어벨, 스마트 플러그, 스마트 리모컨이 있습니다. 사용자가 이러한 장치를 모바일 앱으로 쉽게 접근할 수 있도록 클라우드 기반의 서버와 모바일 앱을 직접 개발하여 EGLOO라는 브랜드로 스트리밍 및 저장 서비스를 하고 있습니다.
당사의 IoT제품을 반려동물 케어, 베이비 케어, 홈 시큐리티 및 소규모 자영업자 등 다양한 분야에서 제품을 구매하고 있습니다. 또한 제품 판매뿐만 아니라 녹화 영상을 클라우드에 일정 기간 저장하고 검색할 수 있는 영상 스트리밍 및 저장, 검색 서비스도 월 정액제로 제공함으로써 고정적인 수입원을 확보하는 새로운 비즈니스 모델을 구축하였습니다.
(2) 시장점유율
당사가 영위하고 있는 산업부문의 작성기준일 현재(2024년 12월 31일)의 시장규모 및 점유율을 산출할 수 있는 객관적인 통계자료가 충분하지 않으므로 시장점유율은 기재하지 않습니다.
(3) 시장의 특성
디지털 영상감시시스템은 물리보안의 한 분야로 시설 보호 및 물리적 위험에 대비하여 출입 관리, 시설관리, 방범 관리 및 교통 등에 주로 사용되며, 네트워크 기술과 영상처리 SoC 기술 발전으로 IP 카메라로 중심이 이동하였으며, 현재는 인공지능(AI)를 통해 그 용도 및 기능이 진일보 하고 있습니다. 영유아보육법 개정에 따른 CCTV 설치 의무화, 재난재해, 도시 방범 감시 수요, 스마트시티 구축 등으로 인해 지능형 디지털 영상감시 장비의 수요는 지속적으로 증가하고 있습니다.
IoT, 빅데이터, 클라우드 기술과의 융합으로 인공지능 기술이 접목된 디지털 영상감시 산업의 특징은 지능형 영상 분석, 초고해상도 영상처리, 인공지능 등의 기술경쟁력 확보가 요구되므로 기술 난이도가 높아 신규 진입이 비교적 어려운 미래 지향적 지식 산업으로 볼 수 있습니다.
(4) 신규사업 등의 내용 및 전망
ㄱ. 국내시장
당사 제품의 국내 주요 판매처는 우수조달 및 다수공급자계약제도(MAS-Multiple Award Schedule) 업체와 대형 시스템 통합(SI) 업체입니다. 이러한 업체를 통하여 공공방범, 국방, 공기업 및 민간 기업, 아파트, 주차장 등 감시 카메라가 사용되는 모든 영역으로 제품이 판매되고 있습니다. 이러한 대형 고객을 포함하여 총 300여개에 이르는 전략적 파트너 업체에 IP 카메라와 Video Encoder/Decoder 제품을 공급하고 있습니다.
기존의 기술에 인공지능(AI)를 융합한 제품 라인업을 강화하여 이용범위의 확대 및 시장장악력을 확대하고 있습니다.
또한 국내 공공보안 요구사항인 TTA(Telecommunications Technology Association-한국정보통신기술협회)의 성능 및 보안 인증 제정에 적극적으로 참여하여 IP 카메라 기술 및 제품 선도업체로의 확고한 위치를 유지하고 있습니다.
ㄴ. 해외 시장
주로 Video Encoder/Decoder 판매에 집중하고 있습니다. 주요 경쟁사에서 보유하고 있지 않은 고해상도 (2MP, 4K) Video Encoder/Decoder를 이용하여 특화된 고객을 대상으로 해외 보안 시장의 틈새시장에 진입할 수 있었습니다.
특히 SDI, HDMI 카메라의 출력 영상을 네트워크로 전송할 수 있고 국제 표준 프로토콜인 ONVIF를 완벽히 지원하는 Video Encoder는 당사의 제품이 유일합니다. 아날로그 카메라가 설치되어 있는 환경에서 네트워크를 포함한 전체 시스템을 변경하지 않고 Video Encoder를 추가하여 IP 시스템으로 변경할 수 있어 전체적인 비용을 줄이는 효과가 있습니다.
또한 2020년부터 국내 최초로 IP Encoder가 탑재되는 IP Zoom Block을 출시하여 해외 PTZ 스피드 돔 카메라 제조 전문업체에 ODM 판매하고 있습니다. 중국의 저가형 제품과 경쟁하고 있지만 우수한 성능, 기능과 품질로 시장을 확대하고 있습니다.
ㄷ. IoT 시장
당사의 IoT 사업의 주요 목표 시장은 B2C 온라인 마켓입니다. 네이버 스마트스토어, 쿠팡 로켓 배송, 지마켓 스마일 배송, 하이마트 등 온라인 마켓을 통하여 IoT 기기들이 판매되고 있습니다. 해외 시장의 경우 Amazon을 통하여 IoT 기기들이 판매되고 있습니다.
당사에서 판매된 IoT 기기들은 가정(베이비 모니터링, 펫 모니터링), 매장, 공장 등 다양한 장소에 설치되고 있습니다 해당 기기를 구매한 고객들은 당사의 클라우드 서비스 결제를 통하여 다양한 IoT 영상저장 서비스를 이용하고 있습니다.
(5) 조직도
제1호 의안 : 제20기(2024.01.01~2024.12.31) 재무제표 승인의 건 (이익잉여금처분계산서(안), 현금배당 : 주당 230원 포함)
가. 해당 사업연도의 영업상황의 개요
Ⅲ. 경영참고사항 중 1. 사업의 개요 참조
나. 해당 사업연도의 대차대조표(재무상태표)ㆍ손익계산서(포괄손익계산서)ㆍ이익잉여금처분계산서(안)
※ 아래의 재무제표는 감사전 재무제표입니다. 외부감사인의 감사의견을 포함한 최종 재무제표는 향후전자공시시스템(http://dart.fss.or.kr)과 당사 홈페이지(http://www.truen.co.kr)에 공시 예정인 당사의 감사보고서를 참조하시기 바랍니다. |
- 재무상태표
제 20(당) 기말 2024년 12월 31일 현재 | |
제 19(전) 기말 2023년 12월 31일 현재 | |
주식회사 트루엔 | (단위: 원) |
과 목 | 제 20(당) 기말 | 제 19(전) 기말 | ||
---|---|---|---|---|
자 산 | ||||
I.유동자산 | 75,587,397,072 | 64,611,090,053 | ||
1.현금및현금성자산 | 42,739,558,225 | 25,814,111,873 | ||
2.당기손익-공정가치측정금융자산 | 21,314,884,862 | 23,863,800,368 | ||
3.매출채권 | 2,709,322,385 | 3,686,201,244 | ||
4.기타금융자산 | 974,365,474 | 3,789,722,822 | ||
5.기타유동자산 | 191,438,919 | 817,308,968 | ||
6.재고자산 | 7,657,827,207 | 6,639,944,778 | ||
II.비유동자산 | 29,946,142,326 | 30,909,897,005 | ||
1.기타금융자산 | 209,434,700 | 883,693,945 | ||
2.유형자산 | 25,012,299,736 | 25,209,300,908 | ||
3.사용권자산 | 129,369,944 | 290,908,945 | ||
4.투자부동산 | 3,698,328,714 | 3,750,696,168 | ||
5.무형자산 | 376,714,420 | 36,136,103 | ||
6.순확정급여자산 | 263,742,024 | 422,897,271 | ||
7.이연법인세자산 | 256,252,788 | 316,263,665 | ||
자 산 총 계 | 105,533,539,398 | 95,520,987,058 | ||
부 채 | ||||
I.유동부채 | 6,321,700,102 | 5,860,963,281 | ||
1.매입채무 | 558,162,321 | 244,033,160 | ||
2.기타금융부채 | 401,273,480 | 609,803,077 | ||
3.기타유동부채 | 3,451,824,644 | 3,070,884,250 | ||
4.당기법인세부채 | 1,880,506,494 | 1,726,647,920 | ||
5.충당부채 | 29,933,163 | 209,594,874 | ||
II.비유동부채 | 66,753,275 | 151,672,359 | ||
1.기타금융부채 | 66,753,275 | 151,672,359 | ||
2.순확정급여부채 | - | - | ||
부 채 총 계 | 6,388,453,377 | 6,012,635,640 | ||
자 본 | ||||
I.자본금 | 1,099,965,000 | 1,099,965,000 | ||
II.기타불입자본 | 30,684,503,208 | 30,684,503,208 | ||
III.기타자본항목 | (4,186,920,980) | (1,671,272,250) | ||
IV.이익잉여금 | 71,547,538,793 | 59,395,155,460 | ||
자 본 총 계 | 99,145,086,021 | 89,508,351,418 | ||
부 채 및 자 본 총 계 | 105,533,539,398 | 95,520,987,058 |
- 포괄손익계산서
제 20(당) 기 2024년 1월 1일부터 2024년 12월 31일까지 | |
제 19(전) 기 2023년 1월 1일부터 2023년 12월 31일까지 | |
주식회사 트루엔 | (단위: 원) |
과 목 | 제 20(당) 기 | 제 19(전) 기 |
---|---|---|
I.매출액 | 53,601,363,798 | 47,174,831,935 |
II.매출원가 | 27,677,742,945 | 26,288,221,725 |
III.매출총이익 | 25,923,620,853 | 20,886,610,210 |
IV.판매비와관리비 | 10,466,830,459 | 9,498,966,965 |
V.영업이익 | 15,456,790,394 | 11,387,643,245 |
금융수익 | 1,573,989,760 | 1,448,942,902 |
금융비용 | 8,089,384 | 14,491,161 |
기타수익 | 702,787,721 | 915,107,219 |
기타비용 | 198,482,108 | 243,393,417 |
VI.법인세차감전순이익 | 17,526,996,383 | 13,493,808,788 |
법인세비용 | 3,159,922,230 | 2,529,681,442 |
VII.당기순이익 | 14,367,074,153 | 10,964,127,346 |
VIII.기타포괄손익 | (62,239,620) | (349,155,330) |
후속적으로 당기손익으로 재분류되지 않는 포괄손익 | ||
순확정급여부채 재측정요소 | (62,239,620) | (349,155,330) |
IX.총포괄이익 | 14,304,834,533 | 10,614,972,016 |
기본주당순이익 | 1,366 | 1,092 |
희석주당순이익 | 1,366 | 1,092 |
- 자본변동표
제 20(당) 기 2024년 1월 1일부터 2024년 12월 31일까지 | |
제 19(전) 기 2023년 1월 1일부터 2023년 12월 31일까지 | |
주식회사 트루엔 | (단위: 원) |
과 목 | 자본금 | 기타불입자본 | 기타자본항목 | 이익잉여금 | 합 계 |
---|---|---|---|---|---|
2023.01.01(전기초) | 842,465,000 | 1,481,885,658 | - | 48,780,183,444 | 51,104,534,102 |
신주발행 | 257,500,000 | 29,339,990,000 | - | - | 29,597,490,000 |
주식보상비용 | - | (137,372,450) | 972,213,350 | - | 834,840,900 |
자기주식취득 | - | - | (2,643,485,600) | - | (2,643,485,600) |
순확정급여부채 재측정요소 | - | - | - | (349,155,330) | (349,155,330) |
당기순이익 | - | - | - | 10,964,127,346 | 10,964,127,346 |
2023.12.31(전기말) | 1,099,965,000 | 30,684,503,208 | (1,671,272,250) | 59,395,155,460 | 89,508,351,418 |
2024.01.01(당기초) | 1,099,965,000 | 30,684,503,208 | (1,671,272,250) | 59,395,155,460 | 89,508,351,418 |
배당금지급 | - | - | - | (2,152,451,200) | (2,152,451,200) |
주식보상비용 | - | - | 834,840,900 | - | 834,840,900 |
자기주식취득 | - | - | (3,350,489,630) | - | (3,350,489,630) |
순확정급여부채 재측정요소 | - | - | - | (62,239,620) | (62,239,620) |
당기순이익 | - | - | - | 14,367,074,153 | 14,367,074,153 |
2024.12.31(당기말) | 1,099,965,000 | 30,684,503,208 | (4,186,920,980) | 71,547,538,793 | 99,145,086,021 |
- 현금흐름표
제 20(당) 기 2024년 1월 1일부터 2024년 12월 31일까지 | |
제 19(전) 기 2023년 1월 1일부터 2023년 12월 31일까지 | |
주식회사 트루엔 | (단위: 원) |
과 목 | 제 20(당) 기 | 제 19(전) 기 | ||
---|---|---|---|---|
I. 영업활동현금흐름 | 16,698,405,521 | 11,554,710,954 | ||
1. 영업으로부터 창출된 현금흐름 | 18,156,195,785 | 11,654,132,154 | ||
1) 당기순이익 | 14,367,074,153 | 10,964,127,346 | ||
2) 조정 | 4,259,717,180 | 2,953,159,526 | ||
3) 영업활동으로 인한 자산부채의 변동 | (470,595,548) | (2,263,154,718) | ||
2. 이자의 수취 | 1,479,906,790 | 1,246,016,215 | ||
3. 이자의 납부 | (8,089,384) | (14,491,161) | ||
4. 법인세의 납부 | (2,929,607,670) | (1,330,946,254) | ||
II. 투자활동현금흐름 | 5,878,720,698 | (26,814,381,315) | ||
1. 투자활동으로 인한 현금유입액 | 11,633,426,993 | 3,155,128,940 | ||
1) 당기손익-공정가치측정금융자산 처분 | 8,000,000,000 | 3,000,000,000 | ||
2) 기타단기금융상품의 감소 | 3,449,479,720 | - | ||
3) 단기대여금의 감소 | - | 57,240,000 | ||
4) 장기대여금의 감소 | 67,220,000 | 32,600,000 | ||
5) 임차보증금의 감소 | 79,000,000 | 48,000,000 | ||
6) 기타보증금의 감소 | - | 17,288,940 | ||
7) 유형자산의 처분 | 37,727,273 | - | ||
2. 투자활동으로 인한 현금유출액 | (5,754,706,295) | (29,969,510,255) | ||
1) 당기손익-공정가치측정금융자산 취득 | (4,929,600,000) | (7,258,250,000) | ||
2) 기타단기금융상품의 증가 | - | (3,449,479,720) | ||
3) 장기대여금의 증가 | (10,800,000) | (35,400,000) | ||
4) 유형자산의 취득 | (528,779,795) | (19,216,841,535) | ||
5) 무형자산의 취득 | (285,471,500) | (8,120,600) | ||
6) 기타보증금의 증가 | (55,000) | (1,418,400) | ||
III. 재무활동현금흐름 | (5,651,679,867) | 26,853,591,433 | ||
1. 재무활동으로 인한 현금유입액 | 7,500,946 | 29,615,603,852 | ||
1) 주식발행 | - | 29,597,490,000 | ||
2) 정부보조금의 수령 | 7,500,946 | 18,113,852 | ||
2. 재무활동으로 인한 현금유출액 | (5,659,180,813) | (2,762,012,419) | ||
1) 리스료의 지급 | (104,510,616) | (203,908,839) | ||
2) 자기주식의 취득 | (3,350,489,630) | (2,550,520,280) | ||
3) 정부보조금의 반환 | (1,729,367) | (7,583,300) | ||
4) 배당금의 지급 | (2,152,451,200) | - | ||
5) 임대보증금의 감소 | (50,000,000) | - | ||
IV. 현금및현금성자산의 증가(감소) | 16,925,446,352 | 11,593,921,072 | ||
V. 외화표시 현금및현금성자산의 환율변동효과 | - | (1,241,512) | ||
VI. 기초의 현금및현금성자산 | 25,814,111,873 | 14,221,432,313 | ||
VII. 기말의 현금및현금성자산 | 42,739,558,225 | 25,814,111,873 |
- 이익잉여금처분계산서(안)
(단위: 원) |
구 분 | 당기 | 전기 | ||
---|---|---|---|---|
(처분예정일: 2025년 3월 27일) | (처분확정일: 2024년 3월 28일) | |||
I. 미처분이익잉여금 | 71,302,293,673 | 59,365,155,460 | ||
전기이월미처분이익잉여금 | 56,997,459,140 | 48,750,183,444 | ||
순확정급여부채의 재측정요소 | (62,239,620) | (349,155,330) | ||
당기순이익 | 14,367,074,153 | 10,964,127,346 | ||
II. 이익잉여금처분액 | 2,648,502,923 | 2,367,696,320 | ||
1. 이익준비금 적립 | 240,772,993 | 215,245,120 | ||
2. 현금배당 보통주당배당금(액면배당율) 제20(당)기 : 230원(230%) 제19(전)기 : 200원(200%) |
2,407,729,930 | 2,152,451,200 | ||
III. 차기이월미처분이익잉여금 | 68,653,790,750 | 56,997,459,140 |
※ 당기의 이익잉여금처분계산서는 2025년 3월 27일 주주총회에서 확정될 예정입니다 (전기 처분확정일: 2024년 3월 28일). |
- 주석
제 20(당) 기 2024년 1월 1일부터 2024년 12월 31일까지 |
제 19(전) 기 2023년 1월 1일부터 2023년 12월 31일까지 |
주식회사 트루엔 |
1. 일반사항
당사는 고성능 영상감시시스템을 제조ㆍ판매하기 위하여 2005년에 설립되었으며, 서울시 구로구 디지털로에 본사를 두고 있습니다.당사는 2022년 1월 19일 액면가액 5,000원을 액면가액 100원으로 액면분할을 하여 주식수가 8,424,650주가 되었으며, 2023년 5월 17일 코스닥시장에 주식을 상장하였습니다. 당기말 현재의 자본금은 1,099,965천원이며 주요 주주현황은 다음과 같습니다.
주주명 | 소유주식수 | 지분율(%) |
---|---|---|
대표이사(안재천) | 2,737,450 | 24.89% |
구성모 | 1,085,630 | 9.87% |
김영찬 | 839,000 | 7.63% |
박광순 | 837,950 | 7.62% |
김용대 | 390,000 | 3.55% |
자기주식 | 531,259 | 4.83% |
기타 | 4,578,361 | 41.61% |
합계 | 10,999,650 | 100.00% |
2. 중요한 회계정책
다음은 재무제표 작성에 적용된 중요한 회계정책입니다. 이러한 정책은 별도의 언급이 없다면, 표시된 회계기간에 계속적으로 적용됩니다.
2.1 재무제표 작성기준
당사의 재무제표는 한국채택국제회계기준(이하 기업회계기준)에 따라 작성됐습니다.한국채택국제회계기준은 국제회계기준위원회("IASB")가 발표한 기준서와 해석서 중대한민국이 채택한 내용을 의미합니다.
재무제표는 다음을 제외하고는 역사적 원가에 기초하여 작성하였습니다.
·특정 금융자산과 금융부채(파생상품 포함), 공정가치로 측정하는 특정 유형자산과 투자부동산 유형
·순공정가치로 측정하는 매각예정자산·공정가치로 측정하는 조건부대가
·확정급여제도와 공정가치로 측정하는 사외적립자산
한국채택국제회계기준은 재무제표 작성 시 중요한 회계추정의 사용을 허용하고 있으며, 회계정책을 적용함에 있어 경영진의 판단을 요구하고 있습니다. 보다 복잡하고 높은 수준의 판단이 필요한 부분이나 중요한 가정 및 추정이 필요한 부분은 주석3에서 설명하고 있습니다.
2.2 회계정책과 공시의 변경2.2.1 당사가 채택한 제ㆍ개정 기준서 및 해석서
당사는 2024년 1월 1일로 개시하는 회계기간부터 다음의 제 ·개정 기준서 및 해석서를 신규로 적용하였습니다.
(1) 기업회계기준서 제1001호 '재무제표 표시' 개정 - 부채의 유동/비유동 분류, 약정사항이 있는 비유동부채
부채는 보고기간말 현재 존재하는 실질적인 권리에 따라 유동 또는 비유동으로 분류되며, 부채의 결제를 연기할 수 있는 권리의 행사가능성이나 경영진의 기대는 고려하지 않습니다. 또한, 부채의 결제에 자기지분상품의 이전도 포함되나, 복합금융상품에서 자기 지분상품으로 결제하는 옵션이 지분상품의 정의를 충족하여 부채와 분리하여 인식된 경우는 제외됩니다. 또한, 기업이 보고기간말 후에 준수해야하는 약정은 해당 부채의 분류에 영향을 미치지 않으며, 보고기간 이후 12개월 이내 약정사항을 준수해야하는 부채가 비유동부채로 분류된 경우 보고기간 이후 12개월 이내 부채가 상환될 수 있는 위험에 관한 정보를 공시해야 합니다. 해당 기준서의 개정이 재무제표에 미치는 중요한 영향은 없습니다.
(2) 기업회계기준서 제1007호 '현금흐름표', 기업회계기준서 제1107호 '금융상품: 공시' 개정 - 공급자금융약정에 대한 정보 공시
공급자금융약정을 적용하는 경우, 재무제표이용자가 공급자금융약정이 기업의 부채와 현금흐름 그리고 유동성위험 익스포저에 미치는 영향을 평가할 수 있도록 공급자금융약정에 대한 정보를 공시해야 합니다. 해당 기준서의 개정이 재무제표에 미치는 중요한 영향은 없습니다.
(3) 기업회계기준서 제1116호 ‘리스’ 개정 - 판매후리스에서 생기는 리스부채
판매후리스에서 생기는 리스부채를 후속적으로 측정할 때 판매자-리스이용자가 보유하는 사용권 관련 손익을 인식하지 않는 방식으로 리스료나 수정리스료를 산정합니다. 해당 기준서의 개정이 재무제표에 미치는 중요한 영향은 없습니다.
(4) 기업회계기준서 제1001호 ‘재무제표 표시’ 개정 - ‘가상자산 공시’
가상자산을 보유하는 경우, 가상자산을 고객을 대신하여 보유하는 경우, 가상자산을 발행한 경우의 추가 공시사항을 규정하고 있습니다. 해당 기준서의 제정이 재무제표에 미치는 중요한 영향은 없습니다.
2.2.2 당사가 적용하지 않은 제ㆍ개정 기준서 및 해석서
제정 또는 공표되었으나 시행일이 도래하지 않아 적용하지 아니한 제ㆍ개정 기준서 및 해석서는 다음과 같습니다.
(1) 기업회계기준서 제1021호 '환율변동효과'와 기업회계기준서 제1101호 '한국채택국제회계기준의최초채택' 개정 - 교환가능성 결여
통화의 교환가능성을 평가하고 다른 통화와 교환이 가능하지 않다면 현물환율을 추정하며 관련 정보를 공시하도록 하고 있습니다. 동 개정사항은 2025년 1월 1일 이후 시작하는 회계연도부터 적용되며, 조기적용이 허용됩니다. 해당 기준서의 제정이 재무제표에 미치는 중요한 영향은 없습니다.
(2) 기업회계기준서 제1109호 '금융상품', 제1107호 '금융상품: 공시' 개정
실무에서 제기된 의문에 대응하고 새로운 요구사항을 포함하기 위해 기업회계기준서 제1109호 ‘금융상품’과 제1107호 ‘금융상품: 공시’가 개정되었습니다. 동 개정사항은 2026 년 1 월 1 일 이후 시작하는 회계연도부터 적용되며, 조기적용이 허용됩니다. 주요 개정내용은 다음과 같습니다. 해당 기준서의 제정이 재무제표에 미치는 중요한 영향은 없습니다.
·특정 기준을 충족하는 경우, 결제일 전에 전자지급시스템을 통해 금융부채가 결제된 것으로(제거된 것으로) 간주할 수 있도록 허용
·금융자산이 원리금 지급만으로 구성되어 있는지의 기준을 충족하는지 평가하기 위한 추가 지침을 명확히 하고 추가함.
·계약상 현금흐름의 시기나 금액을 변경시키는 계약조건이 기업에 미치는 영향과 기업이 노출되는 정도를 금융상품의 각 종류별로 공시
·FVOCI 지정 지분상품에 대한 추가 공시
(3) 한국채택국제회계기준 연차개선Volume 11
한국채택국제회계기준 연차개선Volume 11은 2026 년 1 월 1 일 이후 시작하는 회계연도부터 적용되며, 조기적용이 허용됩니다. 당사는 동 개정으로 인해 재무제표에 중요한 영향은 없을 것으로 예상하고 있습니다.
·기업회계기준서 제1101호‘한국채택국제회계기준의 최초채택’: K-IFRS 최초 채택시 위험회피회계 적용
·기업회계기준서 제1107호‘금융상품:공시’: 제거 손익, 실무적용지침
·기업회계기준서 제1109호‘금융상품’: 리스부채의 제거 회계처리와 거래가격의 정의
·기업회계기준서 제1110호‘연결재무제표’: 사실상의 대리인 결정
·기업회계기준서 제1007호‘현금흐름표’: 원가법
2.3 외화환산
(1) 기능통화와 표시통화
당사는 당사 내 개별기업의 재무제표에 포함되는 항목들을 각각의 영업활동이 이뤄지는 주된 경제 환경에서의 통화("기능통화")를 적용하여 측정하고 있습니다. 당사의 기능통화는 대한민국 원화이며, 재무제표는 대한민국 원화로 표시되어 있습니다.
(2) 외화거래와 보고기간말의 환산
외화거래는 거래일의 환율 또는 재측정되는 항목인 경우 평가일의 환율을 적용한 기능통화로 인식됩니다. 외화거래의 결제나 화폐성 외화 자산ㆍ부채의 환산에서 발생하는 외환차이는 당기손익으로 인식됩니다. 다만, 조건을 충족하는 현금흐름위험회피나 순투자의 위험회피의 효과적인 부분과 관련되거나 보고기업의 해외사업장에 대한 순투자의 일부인 화폐성항목에서 생기는 손익은 기타포괄손익으로 인식합니다.
차입금과 관련된 외환차이는 손익계산서에 금융원가로 표시되며, 다른 외환차이는 기타수익 또는 기타비용에 표시됩니다.
비화폐성 금융자산ㆍ부채로부터 발생하는 외환차이는 공정가치 변동손익의 일부로 보아 당기손익-공정가치 측정 지분상품으로부터 발생하는 외환차이는 당기손익으 로, 기타포괄손익-공정가치 측정 지분상품의 외환차이는 기타포괄손익에 포함하여 인식됩니다.
2.4 금융자산
(1) 분류
당사는 다음의 측정 범주로 금융자산을 분류합니다.
- 당기손익-공정가치 측정 금융자산
- 기타포괄손익-공정가치 측정 금융자산
- 상각후원가 측정 금융자산
금융자산은 금융자산의 관리를 위한 사업모형과 금융자산의 계약상 현금흐름 특성 근거하여 분류합니다.
공정가치로 측정하는 금융자산의 손익은 당기손익 또는 기타포괄손익으로 인식합니다. 채무상품에 대한 투자는 해당 자산을 보유하는 사업모형에 따라 그 평가손익을 당기손익 또는 기타포괄손익으로 인식합니다. 당사는 금융자산을 관리하는 사업모형을 변경하는 경우에만 채무상품을 재분류합니다.
단기매매항목이 아닌 지분상품에 대한 투자는 최초 인식시점에 후속적인 공정가치 변동을 기타포괄손익으로 표시할 것을 지정하는 취소불가능한 선택을 할 수 있습니다. 지정되지 않은 지분상품에 대한 투자의 공정가치 변동은 당기손익으로 인식합니다.
(2) 측정
당사는 최초 인식시점에 금융자산을 공정가치로 측정하며, 당기손익-공정가치 측정 금융자산이 아닌 경우에 해당 금융자산의 취득과 직접 관련되는 거래원가는 공정가치에 가산합니다. 당기손익-공정가치 측정 금융자산의 거래원가는 당기손익으로 비용처리합니다.
내재파생상품을 포함하는 복합계약은 계약상 현금흐름이 원금과 이자로만 구성되어 있는지를 결정할 때 해당 복합계약 전체를 고려합니다.
① 채무상품
금융자산의 후속적인 측정은 금융자산의 계약상 현금흐름 특성과 그 금융자산을 관리하는 사업모형에 근거합니다. 당사는 채무상품을 다음의 세 범주로 분류합니다. (가) 상각후원가계약상 현금흐름을 수취하기 위해 보유하는 것이 목적인 사업모형 하에서 금융자산을 보유하고, 계약상 현금흐름이 원리금만으로 구성되어 있는 자산은 상각후원가로 측정합니다. 상각후원가로 측정하는 금융자산으로서 위험회피관계의 적용 대상이 아닌 금융자산의 손익은 해당 금융자산을 제거하거나 손상할 때 당기손익으로 인식합니다. 유효이자율법에 따라 인식하는 금융자산의 이자수익은 '금융수익'에 포함됩니다. (나) 기타포괄손익-공정가치 측정 금융자산계약상 현금흐름의 수취와 금융자산의 매도 둘 다를 통해 목적을 이루는 사업모형 하에서 금융자산을 보유하고, 계약상 현금흐름이 원리금만으로 구성되어 있는 금융자산은 기타포괄손익-공정가치로 측정합니다. 손상차손(환입)과 이자수익 및 외환손익을 제외하고는, 공정가치로 측정하는 금융자산의 평가손익은 기타포괄손익으로 인식합니다. 금융자산을 제거할 때에는 인식한 기타포괄손익누계액을 자본에서 당기손익으로 재분류합니다. 유효이자율법에 따라 인식하는 금융자산의 이자수익은 '금융수익'에 포함됩니다. 외환손익은 '기타수익 또는 기타비용'으로 표시하고 손상차손은 '기타비용'으로 표시합니다.(다) 당기손익-공정가치측정 금융자산상각후원가 측정이나 기타포괄손익-공정가치 측정 금융자산이 아닌 채무상품은 당기손익-공정가치로 측정됩니다. 위험회피관계가 적용되지 않는 당기손익-공정가치 측정 채무상품의 손익은 당기손익으로 인식하고 발생한 기간에 손익계산서에 '기타수익 또는 기타비용'으로 표시합니다.
② 지분상품
당사는 모든 지분상품에 대한 투자를 후속적으로 공정가치로 측정합니다. 공정가치 변동을 기타포괄손익으로 표시할 것을 선택한 장기적 투자목적 또는 전략적 투자목적의 지분상품에 대해 기타포괄손익으로 인식한 금액은 해당 지분상품을 제거할 때에도 당기손익으로 재분류하지 않습니다. 이러한 지분상품에 대한 배당수익은 당사가 배당을 받을 권리가 확정된 때 '금융수익'으로 당기손익으로 인식합니다.
당기손익-공정가치로 측정하는 금융자산의 공정가치 변동은 손익계산서에 '기타수익 또는 기타비용'으로 표시합니다. 기타포괄손익-공정가치로 측정하는 지분상품에대한 손상차손(환입)은 별도로 구분하여 인식하지 않습니다.
(3) 손상
당사는 미래전망정보에 근거하여 상각후원가로 측정하거나 기타포괄손익-공정가치로 측정하는 채무상품에 대한 기대신용손실을 평가합니다. 손상 방식은 신용위험의 유의적인 증가 여부에 따라 결정됩니다. 단, 매출채권에 대해 당사는 채권의 최초 인식시점부터 전체기간 기대신용손실을 인식하는 간편법을 적용합니다.
(4) 인식과 제거
금융자산의 정형화된 매입 또는 매도는 매매일에 인식하거나 제거합니다. 금융자산은 현금흐름에 대한 계약상 권리가 소멸하거나 금융자산을 양도하고 소유에 따른 위험과 보상의 대부분을 이전한 경우에 제거됩니다.
당사가 금융자산을 양도한 경우라도 채무자의 채무불이행시의 소구권 등으로 양도한금융자산의 소유에 따른 위험과 보상의 대부분을 당사가 보유하는 경우에는 이를 제거하지 않고 그 양도자산 전체를 계속하여 인식하되, 수취한 대가를 금융부채로 인식합니다. 해당 금융부채는 재무상태표에 '차입금'으로 분류하고 있습니다.
(5) 금융상품의 상계
금융자산과 부채는 인식한 자산과 부채에 대해 법적으로 집행가능한 상계권리를 현재 보유하고 있고, 순액으로 결제하거나 자산을 실현하는 동시에 부채를 결제할 의도를 가지고 있을 때 상계하여 재무상태표에 순액으로 표시합니다. 법적으로 집행가능한 상계권리는 미래사건에 좌우되지 않으며, 정상적인 사업과정의 경우와 채무불이행의 경우 및 지급불능이나 파산의 경우에도 집행가능한 것을 의미합니다.2.5 파생상품파생상품은 파생상품 계약 체결 시점에 공정가치로 최초 인식되며 이후 공정가치로 재측정됩니다. 위험회피회계의 적용 요건을 충족하지 않는 파생상품은 매매목적으로 분류되고 파생상품의 공정가치변동은 거래의 성격에 따라 '기타영업외수익(비용)' 또는 '금융수익(비용)'으로 손익계산서에 인식됩니다.
2.6 현금및현금성자산당사는 취득일로부터 만기일이 3개월 이내인 투자자산을 현금및현금성자산으로 분류하고 있습니다. 지분상품은 현금성자산에서 제외되나, 상환일이 정해져 있고 취득일로부터 상환일까지의 기간이 단기인 우선주와 같이 실질적인 현금성자산인 경우에는 현금성자산에 포함됩니다.2.7 매출채권매출채권은 유의적인 금융요소를 포함하지 않는 경우에는 무조건적인 대가의 금액으로, 유의적인 금융요소를 포함하는 경우에는 공정가치로 최초 인식합니다. 매출채권은 후속적으로 유효이자율법을 적용한 상각후원가에 손실충당금을 차감하여 측정됩니다.
2.8 재고자산재고자산의 취득원가는 매입원가, 전환원가 및 재고자산을 현재의 장소에 현재의 상태로 이르게 하는 데 발생한 기타 원가 모두를 포함하고 있으며, 재고자산의 단위원가는 총평균법을 사용하여 결정하고 있습니다.당기 중 전사적자원관리시스템(ERP)을 도입하여 동 시스템을 운영함에 있어 재고자산의 평가를 보다 합리적으로 할 목적으로 재고자산 평가방법을 선입선출법에서 총평균법으로 변경하였습니다.다만, 회계정책의 변경에 따른 누적효과를 합리적으로 결정하기 어려워 당기 및 당기이후의 기간에만 전진적으로 적용하였습니다.
2.9 유형자산유형자산은 최초에 원가로 측정하여 인식하고 있습니다. 유형자산의 원가에는 경영진이 의도하는 방식으로 자산을 가동하는데 필요한 장소와 상태에 이르게 하는데 직접 관련되는 원가 및 자산을 해체, 제거하거나 부지를 복구하는데 소요될 것으로 추정되는 원가가 포함됩니다.
유형자산은 최초 인식 후에 원가에서 감가상각누계액과 손상차손누계액을 차감한 금액을 장부금액으로 하고 있습니다.
유형자산 중 토지는 감가상각을 하지 않으며, 그 외 유형자산은 자산의 취득원가에서잔존가치를 차감한 금액에 대하여 아래에 제시된 내용연수에 걸쳐 해당 자산에 내재되어 있는 미래 경제적 효익의 예상 소비 형태를 가장 잘 반영한 정액법으로 상각하고 있습니다.유형자산을 구성하는 일부의 원가가 당해 유형자산의 전체 원가와 비교하여 유의적이라면, 해당 유형자산을 감가상각할 때, 그 부분은 별도로 구분하여 감가상각하고 있습니다.유형자산의 제거로 인하여 발생하는 손익은 순매각금액과 장부금액의 차이로 결정되고 그 차액은 당기손익으로 인식하고 있습니다.
당기의 추정 내용연수는 다음과 같습니다.
구 분 | 내용연수 | 상각방법 |
---|---|---|
건 물 | 40 년 | 정액법 |
기 계 장 치 | 5 년 | 정액법 |
차량운반구 | 5 년 | 정액법 |
공구와기구 | 5 년 | 정액법 |
비 품 | 5 년 | 정액법 |
시 설 장 치 | 5 년 | 정액법 |
사용권자산 | 2년~4년 | 정액법 |
당사는 매 보고기간말에 자산의 잔존가치와 내용연수 및 감가상각방법을 재검토하고재검토 결과 이를 변경하는 것이 적절하다고 판단되는 경우 회계추정의 변경으로 처리하고 있습니다.
2.10 무형자산무형자산은 최초 인식할 때 원가로 측정하며, 최초 인식 후에 원가에서 상각누계액과손상차손누계액을 차감한 금액을 장부금액으로 인식하고 있습니다.
무형자산은 사용 가능한 시점부터 잔존가치를 영("0")으로 하여 아래의 내용연수 동안 정액법으로 상각하고 있습니다.
구 분 | 내 용 연 수 | 상각방법 |
---|---|---|
특허권 | 7년 | 정액법 |
상표권 | 5년 | 정액법 |
소프트웨어 | 4년 | 정액법 |
디자인권 | 5년 | 정액법 |
내용연수가 유한한 무형자산의 상각기간과 상각방법은 매 보고기간말에 재검토하고 변경하는 것이 적절하다고 판단되는 경우 회계추정의 변경으로 처리하고 있습니다.
2.11 정부보조금
정부보조금은 보조금의 수취와 정부보조금에 부가된 조건의 준수에 대한 합리적인 확신이 있을 때 공정가치로 인식됩니다. 자산관련보조금은 자산의 장부금액을 계산할 때 차감하여 표시되며, 수익관련보조금은 이연하여 정부보조금의 교부 목적과 관련된 비용에서 차감하여 표시됩니다.
2.12 연구 및 개발연구 또는 내부프로젝트의 연구단계에 대한 지출은 발생시점에 비용으로 인식하고 있습니다. 개발단계의 지출은 자산을 완성할 수 있는 기술적 실현가능성, 자산을 완성하여 사용하거나 판매하려는 기업의 의도와 능력 및 필요한 자원의 입수가능성, 무형자산의 미래 경제적 효익을 모두 제시할 수 있고, 관련 지출을 신뢰성 있게 측정할 수 있는 경우에 무형자산으로 인식하고 있으며, 기타 개발관련 지출은 발생시점에 비용으로 인식하고 있습니다.
2.13 투자부동산임대수익이나 투자차익을 목적으로 보유하고 있는 부동산은 투자부동산으로 분류됩니다. 투자부동산은 최초 인식시점에 원가로 측정되며, 최초 인식 후에는 원가에서 감가상각누계액과 손상차손누계액을 차감한 금액으로 표시됩니다. 투자부동산 중 토지를 제외한 투자부동산은 추정 경제적 내용연수(40년) 동안 정액법으로 상각됩니 다.2.14 비금융자산의 손상종업원급여에서 발생한 자산, 재고자산, 이연법인세자산을 제외한 모든 비금융자산에 대해서는 매 보고기간말마다 자산손상을 시사하는 징후가 있는지를 검토하며, 만약 그러한 징후가 있다면 당해 자산의 회수가능액을 추정하고 있습니다. 단, 사업결합으로 취득한 영업권 및 내용연수가 비한정인 무형자산, 아직 사용할 수 없는 무형자산에 대해서는 자산손상을 시사하는 징후와 관계없이 매년 회수가능액과 장부금액을 비교하여 손상검사를 하고 있습니다.
회수가능액은 개별 자산별로, 또는 개별 자산의 회수가능액을 추정할 수 없다면 그 자산이 속하는 현금창출단위별로 회수가능액을 추정하고 있습니다. 회수가능액은 사용가치와 순공정가치 중 큰 금액으로 결정하고 있습니다. 사용가치는 자산이나 현금창출단위에서 창출될 것으로 기대되는 미래현금흐름을 화폐의 시간가치 및 미래현금흐름을 추정할 때 조정되지 아니한 자산의 특유위험에 대한 현행 시장의 평가를 반영한 적절한 할인율로 할인하여 추정합니다.자산이나 현금창출단위의 회수가능액이 장부금액에 미달하는 경우 자산의 장부금액을 감소시키며 즉시 당기손익으로 인식하고 있습니다.
2.15 매입채무와 기타채무
매입채무와 기타채무는 회사가 보고기간말 전에 재화나 용역을 제공받았으나 지급되지 않은 부채입니다. 매입채무와 기타 채무는 지급기일이 보고기간 후 12개월 후가 아니라면 유동부채로 표시되었습니다.
2.16 종업원급여2.16.1 단기종업원급여종업원이 관련 근무용역을 제공한 보고기간말부터 12개월 이내에 결제될 단기종업원급여는 근무용역과 교환하여 지급이 예상되는 금액을 근무용역이 제공된 때에 당기손익으로 인식하고 있습니다. 단기종업원급여는 할인하지 않은 금액으로 측정하고있습니다.
2.16.2 퇴직급여: 확정급여제도보고기간 말 현재 확정급여제도와 관련된 확정급여부채는 확정급여채무의 현재가치에서 사외적립자산의 공정가치를 차감하여 인식하고 있습니다.
확정급여부채는 매년 독립적인 계리사에 의해 예측단위적립방식으로 계산되고 있습니다. 확정급여채무의 현재가치에서 사외적립자산의 공정가치를 차감하여 산출된 순액이 자산일 경우, 제도로부터 환급받거나 제도에 대한 미래기여금이 절감되는 방식으로 이용가능한 경제적 효익의 현재가치를 한도로 자산을 인식하고 있습니다.순확정급여부채의 재측정요소는 보험수리적손익, 순확정급여부채의 순이자에 포함된 금액을 제외한 사외적립자산의 수익 및 순확정급여부채의 순이자에 포함된 금액을 제외한 자산인식상한효과의 변동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즉시 기타포괄손익으로 인식됩니다. 당사는 순확정급여부채(자산)의 순이자를 순확정급여부채(자산)에 연차보고기간 초에 결정된 할인율을 곱하여 결정되며 보고기간 동안 기여금 납부와 급여지급으로 인한 순확정급여부채(자산)의 변동을 고려하여 결정하고 있습니다. 확정급여제도와 관련된 순이자비용과 기타비용은 당기손익으로 인식됩니다.제도의 개정이나 축소가 발생하는 경우, 과거근무에 대한 효익의 변동이나 축소에 따른 손익은 즉시 당기손익으로 인식하고 있습니다. 당사는 확정급여제도의 정산이 일어나는 때에 정산으로 인한 손익을 인식하고 있습니다.2.16.3 퇴직급여: 확정기여제도확정기여제도는 회사가 고정된 금액의 기여금을 별도 기금에 지급하는 퇴직연금제도이며, 기여금은 종업원이 근무 용역을 제공했을 때 비용으로 인식됩니다.2.17 충당부채충당부채는 과거사건의 결과로 존재하는 현재의무(법적의무 또는 의제의무)로서, 당해 의무를 이행하기 위하여 경제적효익을 갖는 자원이 유출될 가능성이 높으며 그 의무의 이행에 소요되는 금액을 신뢰성 있게 추정할 수 있는 경우에 인식하고 있습니 다.
충당부채로 인식하는 금액은 관련된 사건과 상황에 대한 불가피한 위험과 불확실성을 고려하여 현재의무를 보고기간말에 이행하기 위하여 소요되는 지출에 대한 최선의 추정치입니다. 화폐의 시간가치 효과가 중요한 경우 충당부채는 의무를 이행하기 위하여 예상되는 지출액의 현재가치로 평가하고 있습니다.충당부채를 결제하기 위해 필요한 지출액의 일부 또는 전부를 제3자가 변제할 것이 예상되는 경우 이행한다면 변제를 받을 것이 거의 확실하게 되는 때에 한하여 변제금액을 인식하고 별도의 자산으로 회계처리하고 있습니다.매 보고기간말마다 충당부채의 잔액을 검토하고, 보고기간말 현재 최선의 추정치를 반영하여 조정하고 있습니다. 의무이행을 위하여 경제적효익이 내재된 자원이 유출될 가능성이 더 이상 높지 아니한 경우에는 관련 충당부채를 환입하고 있습니다.충당부채는 최초 인식과 관련 있는 지출에만 사용하고 있습니다.
2.18 주식기준보상당사는 제공받는 재화나 용역의 대가로 종업원에게 주식이나 주식선택권을 부여하는주식결제형 주식보상거래에 대하여 제공받는 재화나 용역의 공정가치 또는 제공받는재화나 용역의 공정가치를 신뢰성있게 측정할 수 없다면 부여한 지분상품의 공정가치에 기초하여 재화나 용역의 공정가치를 간접 측정하고 그 금액을 가득기간 동안에 종업원급여(당기비용)와 자본으로 인식하고 있습니다. 주식선택권의 가득조건이 용역제공조건 또는 시장조건이 아닌 가득조건인 경우에는 궁극적으로 가득되는 주식선택권의 실제 수량에 기초하여 결정되도록 인식된 종업원비용을 조정하고 있습니다.2.19 자기주식당사는 자기지분상품을 재취득하는 경우 이러한 지분상품은 자본에서 자기주식의 과목으로 하여 차감하고 있습니다. 자기주식의 취득, 매각, 발행 또는 취소에 따른 손익은 손익계산서에 반영하지 않으며, 장부금액과 처분대가의 차이는 기타불입자본으로 회계처리하고 있습니다.
2.20 수익당사의 고객과의 계약에서 생기는 수익은 제품매출, 상품매출, 기타매출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당사는 고객과의 계약이 개시되는 단계에서부터 통제가 고객에게 이전되는 시점 또는 통제가 고객에게 이전되는 기간에 걸쳐 기업회계기준서 제1115호에 따라 모든 유형의 계약에 5단계 수익인식모형(① 계약 식별 → ② 수행의무 식별 → ③ 거래가격 산정 → ④ 거래가격을 수행의무에 배분 → ⑤ 수행의무 이행 시 수익 인식)을 적용하여 수익을 인식합니다.수익은 당사의 통상적인 활동에서 발생하는 재화의 판매 및 용역의 제공에 대하여 받았거나 받을 대가의 공정가치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수익은 부가가치세, 반품, 리베이트 및 할인액을 차감한 순액으로 표시하고 있습니다. 수익금액을 신뢰성 있게 측정할 수 있고, 미래의 경제적 효익이 기업에 유입될 가능성이 높으며, 다음에서 설명하고 있는 당사의 활동별 특정 요건을 충족하는 경우에 수익을 인식하고 있습니다. 추정은 고객의 유형, 거래의 유형 및 개별 거래조건 등의 과거 자료를 바탕으로 하고 있습니다. 2.20.1 재화의 판매당사는 보안용 CCTV의 제조와 유통을 하고 있습니다. 당사는 계약에 따른 수행업무유형별로 이행되지 않은 의무가 남아 있지 않은 시점에 제품, 상품 및 기타수행의무에 대한 통제가 이전된 것으로 보아 매출을 인식합니다. 계약에 따라 결함이 있는 제품을 수리하거나 대체하여야 할 의무는 충당부채로 인식하고 있습니다. 2.20.2 클라우드 서비스 매출당사는 계약기간 동안 고객에게 클라우드 서비스 용역을 제공할 의무가 있으므로 이러한 수행의무에 배분된 거래가격을 용역을 제공하는 기간에 걸쳐 수익으로 인식합니다.2.20.3 IT 컨설팅 용역
당사는 고객에게 컨설팅, 시스템 구축, 운영, 유지, 보수 등 IT서비스 전반에 걸친 토탈 솔루션을 제공하는 사업을 영위하고 있습니다. 고객과의 IT 통합 계약에서 ① 소프트웨어 판매, ② 설치용역, ③ 소프트웨어 업데이트 및 ④ 유지보수 등과 같이 기술지원으로 구별되는 수행의무를 식별합니다.
당사는 계약기간 동안 고객에게 소프트웨어 업데이트 및 유지보수 용역을 제공할 의무가 있으므로 이러한 수행의무에 배분된 거래가격을 용역을 제공하는 기간에 걸쳐 수익으로 인식합니다.
2.20.4 기타수익기타의 수익에 대해서는 이행되지 않은 의무가 남아 있지 않은 시점에 통제가 이전된것으로 보아 수익을 인식합니다.
2.20.5 계약체결증분원가계약체결 증분원가는 고객과 계약을 체결하기 위해 들인 원가로서 계약을 체결하지 않았다면 들지 않았을 원가로 회사는 계약 체결 여부와 무관하게 드는 계약체결원가는 계약 체결 여부와 관계없이 고객에게 그 원가를 명백히 청구할 수 있는 경우가 아니라면 발생시점에 비용으로 인식하고 있습니다. 자산화된 계약체결증분원가는 관련된 재화나 용역을 고객에게 이전하는 방식과 일치하는 체계적인 기준으로 상각하고 있습니다. 다만, 당사는 상각기간이 1년 이하인 경우 계약체결 증분원가를 발생시점에 비용으로 인식하는 실무적 간편법을 적용하고 있습니다.2.21 당기법인세 및 이연법인세법인세비용은 당기법인세와 이연법인세로 구성됩니다. 법인세는 기타포괄손익이나 자본에 직접 인식된 항목과 관련된 금액은 해당 항목에서 직접 인식하며, 이를 제외하고는 당기손익으로 인식됩니다.
2.21.1 당기법인세당기법인세는 당기의 과세소득을 기초로 산정하고 있습니다. 과세소득은 포괄손익계산서상의 법인세비용차감전순이익에서 다른 과세기간에 가산되거나 차감될 손익 및 비과세항목이나 손금불인정항목을 제외하므로 포괄손익계산서상 손익과 차이가 있습니다. 당사의 당기법인세와 관련된 미지급법인세는 제정되었거나 실질적으로 제정된 세율을 사용하여 계산하고 있습니다.
2.21.2 이연법인세이연법인세부채와 이연법인세자산을 측정할 때에는 보고기간말에 당사가 관련 자산과 부채의 장부금액을 회수하거나 결제할 것으로 예상되는 방식에 따른 세효과를 반영하고 있습니다. 종속기업 및 관계기업투자지분에 관한 가산할 일시적차이에 대해서는 당사가 일시적차이의 소멸시점을 통제할 수 있으며, 예측가능한 미래에 일시적차이가 소멸하지 않을 가능성이 높은 경우를 제외하고는 모두 이연법인세부채를 인식하고 있습니다. 또한, 차감할 일시적차이로 인하여 발생하는 이연법인세자산은 일시적차이가 예측가능한 미래에 소멸할 가능성이 높고, 일시적차이가 사용될 수 있는 기간에 과세소득이 발생할 가능성이 높은 경우에 인식하고 있습니다.이연법인세자산의 장부금액은 매 보고기간말에 검토하고, 이연법인세자산으로 인한 혜택이 사용되기에 충분한 과세소득이 발생할 가능성이 더 이상 높지 않은 경우 이연법인세자산의 장부금액을 감소시키고 있습니다.이연법인세자산과 부채는 보고기간말 제정되었거나 실질적으로 제정된 세법에 근거하여 당해 자산이 실현되거나 부채가 지급될 보고기간에 적용될 것으로 기대되는 세율을 사용하여 측정하고 있습니다.이연법인세자산과 부채는 동일 과세당국이 부과하는 법인세이고, 당사가 인식된 금액을 상계할 수 있는 법적 권한을 가지고 있으며 당기 법인세부채와 자산을 순액으로결제할 의도가 있는 경우에만 상계하고 있습니다.
2.22 주당이익당사는 보통주 기본주당이익과 희석주당이익을 계속영업손익과 당기순손익에 대하여 계산하고 포괄손익계산서에 표시하고 있습니다. 기본주당이익은 보통주에 귀속되는 당기순손익을 보고기간 동안에 유통된 보통주식수를 가중평균한 주식수로 나누어계산하고 있습니다. 희석주당이익은 신주인수권부사채와 종업원에게 부여한 주식기준보상 등 모든 희석화 효과가 있는 잠재적 보통주의 영향을 고려하여 보통주에 귀속되는 당기순손익 및 가중평균유통보통주식수를 조정하여 계산하고 있습니다.2.23 리스2.23.1 리스제공자
당사가 리스제공자인 경우 운용리스에서 생기는 리스수익은 리스기간에 걸쳐 정액기준으로 인식합니다.
2.23.2 리스이용자
당사는 부동산을 리스하고 있습니다. 리스계약은 일반적으로 1~3년의 고정기간으로체결되지만 아래에서 설명하는 연장선택권이 있을 수 있습니다.
계약에는 리스요소와 비리스요소가 모두 포함될 수 있습니다. 당사가 리스이용자인 부동산 리스의 경우 리스요소와 비리스요소를 분리하지 않고 하나의 리스요소로 회계처리하는 실무적 간편법을 적용하였습니다.
리스조건은 개별적으로 협상되며 다양한 계약조건을 포함합니다. 리스계약에 따라 부과되는 다른 제약은 없지만 리스자산을 차입금의 담보로 제공할 수는 없습니다.
당사는 계약이 집행가능한 기간 내에서 해지불능기간에 리스이용자가 연장선택권을 행사할 것이 상당히 확실한 경우의 그 대상기간과 종료선택권을 행사하지 않을 것이 상당히 확실한 경우의 그 대상기간을 포함하여 리스기간을 산정합니다. 당사는 리스이용자와 리스제공자가 각각 다른 당사자의 동의 없이 종료할 수 있는 권리가 있는 경우 계약을 종료할 때 부담할 경제적 불이익을 고려하여 집행가능한 기간을 산정합니다.
리스에서 생기는 자산과 부채는 최초에 현재가치기준으로 측정합니다. 리스부채는 다음 리스료의 순현재가치를 포함합니다.
·받을 리스 인센티브를 차감한 고정리스료(실질적인 고정리스료 포함)
·개시일 현재 지수나 요율을 사용하여 최초 측정한, 지수나 요율(이율)에 따라 달라지는 변동리스료
·잔존가치보증에 따라 회사(리스이용자)가 지급할 것으로 예상되는 금액
·당사(리스이용자)가 매수선택권을 행사할 것이 상당히 확실한 경우에 그 매수선택권의 행사가격
·리스기간이 당사(리스이용자)의 종료선택권 행사를 반영하는 경우에 그 리스를 종료하기 위하여 부담하는 금액
리스이용자가 리스 연장선택권을 행사할 것이 상당히 확실한(reasonably certain) 경우 그 선택권의 행사에 따라 지급할 리스료 또한 리스부채의 측정에 포함됩니다.
리스의 내재이자율을 쉽게 산정할 수 있는 경우 그 이자율로 리스료를 할인합니다. 내재이자율을 쉽게 산정할 수 없는 경우에는 리스이용자가 비슷한 경제적 환경에서 비슷한 기간에 걸쳐 비슷한 담보로 사용권자산과 가치가 비슷한 자산을 획득하는 데 필요한 자금을 차입한다면 지급해야 할 이자율인 리스이용자의 증분차입이자율을 사용합니다.
당사는 증분차입이자율을 다음과 같이 산정합니다.
·당사의 신용등급이 반영된 공모회사채의 이자율을 리스 개시시점에 산정하여 적용
사용권자산은 다음 항목들로 구성된 원가로 측정합니다.
·리스부채의 최초 측정금액
·받은 리스 인센티브를 차감한 리스개시일이나 그 전에 지급한 리스료
·리스이용자가 부담하는 리스개설직접원가
·복구원가의 추정치
사용권자산은 리스개시일부터 사용권자산의 내용연수 종료일과 리스기간 종료일 중 이른 날까지의 기간동안 감가상각합니다. 당사가 매수선택권을 행사할 것이 상당히 확실한(reasonably certain) 경우 사용권자산은 기초자산의 내용연수에 걸쳐 감가상각합니다.
단기리스와 모든 소액자산 리스와 관련된 리스료는 정액 기준에 따라 당기손익으로 인식합니다. 단기리스는 매수선택권 없이 리스기간이 12개월 이하인 리스이며, 소액리스자산은 집기비품으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3. 중요한 회계추정 및 가정
재무제표 작성에는 미래에 대한 가정 및 추정이 요구되며 경영진은 당사의 회계정책을 적용하기 위해 판단이 요구됩니다. 추정 및 가정은 지속적으로 평가되며, 과거 경험과 현재의 상황에 비추어 합리적으로 예측가능한 미래의 사건을 고려하여 이루어집니다. 회계추정의 결과가 실제 결과와 동일한 경우는 드물 것이므로 중요한 조정을유발할 수 있는 유의적인 위험을 내포하고 있습니다.
다음 회계연도에 자산 및 부채 장부금액의 조정에 영향을 미칠 수 있는 경영진 판단과 유의적 위험에 대한 추정 및 가정은 다음과 같습니다. 일부 항목에 대한 유의적인 판단 및 추정에 대한 추가적인 정보는 개별 주석에 포함되어 있습니다.
(1) 법인세
당사는 특정 기간동안 과세소득의 일정 금액을 투자, 임금증가 등에 사용하지 않았을때 세법에서 정하는 방법에 따라 산정된 법인세를 추가로 부담합니다. 따라서, 해당 기간의 당기법인세와 이연법인세를 측정할 때 이에 따른 세효과를 반영하여야 하고, 이로 인해 당사가 부담할 법인세는 각 연도의 투자, 임금증가 등의 수준에 따라 달라지므로 최종 세효과를 산정하는데에는 불확실성이 존재합니다.
(2) 금융상품의 공정가치
활성시장에서 거래되지 않는 금융상품의 공정가치는 원칙적으로 평가기법을 사용하여 결정됩니다. 당사는 보고기간말 현재 중요한 시장상황에 기초하여 다양한 평가기법의 선택 및 가정에 대한 판단을 하고 있습니다.
(3) 순확정급여부채
순확정급여부채의 현재가치는 보험수리적방식에 의해 결정되는 다양한 요소들 특히 할인율의 변동에 영향을 받습니다.
(4) 주식기준보상회사는 주식기준보상 금액의 공정가치금액을 추정하기 위해 관측가능한 시장자료에 기초하지 않은 투입변수를 포함하는 평가기법을 사용하였습니다. 경영진은 주식기준보상 금액의 평가에 사용된 기법과 가정들이 적절하다고 믿고 있습니다.
- 최근 2사업연도의 배당에 관한 사항
(단위: 원) | ||
---|---|---|
구 분 | 당기 | 전기 |
보통주 | 10,468,391주 | 10,762,256주 |
1주당 배당금(배당률) | 230 (230%) | 200 (200%) |
배당금액 | 2,407,729,930 | 2,152,451,200 |
배당성향(현금배당액/당기순이익) | 16.76% | 19.63% |
배당수익률(주당배당액/결산일종가) | 2.30% | 1.69% |
제2호 의안 : 정관 일부 변경의 건
가. 집중투표 배제를 위한 정관의 변경 또는 그 배제된 정관의 변경
변경전 내용 | 변경후 내용 | 변경의 목적 |
---|---|---|
- | - | - |
※ 집중투표 배제를 위한 정관의 변경 또는 그 배제된 정관의 변경 해당사항 없습니다.
나. 그 외의 정관변경에 관한 건
변경전 내용 | 변경후 내용 | 변경의 목적 |
---|---|---|
제11조의2 (성과조건부주식교부계약) ② 이사회는 벤처기업육성에 관한 특별조치법 제16조의17 2항에서 규정한 사항을 포함하여 제1항 단서의 규정에 성과조건부주식교부계약을 결의할 수 있다.주식의 명의개서대리인을 둘 수 있다.
①, ③~⑨ (기재생략) |
제11조의2 (성과조건부주식교부계약) ② 이사회는 벤처기업육성에 관한 특별조치법 제16조의17 2항에서 규정한 사항을 포함하여 제1항 단서의 규정에 성과조건부주식교부계약을 결의할 수 있다.
①, ③~⑨ (기재생략) |
일부 문구 삭제 |
제37조(이사의 의무) ④ 이사는 회사에 현저하게 손해를 미칠 염려가 있는 사실을 발견한 때에는 즉시 감사에게 이를 보고하여야 한다.
①~③ (기재생략) |
제37조(이사의 의무) ④ 이사는 회사에 현저하게 손해를 미칠 염려가 있는 사실을 발견한 때에는 즉시 감사위원회나 감사위원회위원에게 이를 보고하여야 한다.
①~③ (기재생략) |
감사위원회 설치에 따른 개정 |
제40조(이사회의 구성과 소집) ② 이사회는 대표이사 또는 이사회에서 따로 정한 이사가 있을 때에는 그 이사가 회일 1주 간 전에 각 이사 및 감사에게 통지하여 소집한다. ④ 이사 및 감사 전원의 동의가 있을 때에는 제2항의 소집절차를 생략할 수 있다.
①, ③, ⑤ (기재생략) |
제40조(이사회의 구성과 소집) ② 이사회는 대표이사 또는 이사회에서 따로 정한 이사가 있을 때에는 그 이사가 회일 1주 간 전에 각 이사에게 통지하여 소집한다. ④ 이사 전원의 동의가 있을 때에는 제2항의 소집절차를 생략할 수 있다.
①, ③, ⑤ (기재생략) |
감사위원회 설치에 따른 개정 |
제42조(이사회 의사록) 이사회의 의사에 관하여 의사록을 작성하여야 한다. 의사록에는 의사의 안건, 경과요령, 그 결과, 반대하는 자와 그 반대이유를 기재하고 출석한 이사 및 감사가 기명날인 또는 서명하여야 한다. |
제42조(이사회 의사록) 이사회의 의사에 관하여 의사록을 작성하여야 한다. 의사록에는 의사의 안건, 경과요령, 그 결과, 반대하는 자와 그 반대이유를 기재하고 출석한 이사가 기명날인 또는 서명하여야 한다. |
감사위원회 설치에 따른 개정 |
(신설) |
제43조(위원회) ① 회사는 이사회내에 다음 호의 위원회를 둔다. 1. 감사위원회 ② 각 위원회의 구성, 권한, 운영 등에 관한 세부사항은 이사회의 결의로 정한다. ③ 위원회에 대해서는 정관에 다른 규정이 있는 경우를 제외하고는 정관 제40조 내지 제41조의 규정을 준용한다. |
감사위원회 설치에 따른 개정 |
제6장 감사
제46조 (감사의 수) 회사는 1인 이상 3인 이내의 감사를 둘 수 있다. |
제 6장 감사위원회
제47조 (감사위원회의 구성) ① 회사는 감사에 갈음하여 제43조의 규정에 의한 감사위원회를 둔다. ② 감사위원회는 3인 이상의 이사로 구성하고, 총 위원의 3분의 2 이상은 사외이사이어야 한다. ③감사위원회위원의 선임은 출석한 주주의 의결권의 과반수로 하되 발행주식총수의 4분의 1이상의 수로 하여야 한다. 다만, 상법 제368조의4제1항에 따라 전자적 방법으로 의결권을 행사할 수 있도록 한 경우에는 출석한 주주의 의결권의 과반수로써 감사위원회위원의 선임을 결의할 수 있다. ④ 감사위원회위원의 해임은 출석한 주주의 의결권의 3분의 2이상의 수로 하되, 발행주식총수의 3분의 1이상의 수로 하여야 한다. ⑤ 제3항·제4항의 감사위원회위원의 선임 또는 해임에는 의결권 있는 발행주식총수의 100분의 3을 초과하는 수의 주식을 가진 주주(최대주주인 경우에는 사외이사가 아닌 감사위원회위원을 선임 또는 해임할 때에 그의 특수관계인, 최대주주 또는 그 특수관계인의 계산으로 주식을 보유하는 자, 최대주주 또는 그 특수관계인에게 의결권을 위임한 자가 소유하는 의결권 있는 주식의 수를 합산한다.)는 그 초과하는 주식에 관하여 의결권을 행사하지 못한다. |
감사위원회 설치에 따른 개정 |
(신설) |
제47조의2 (감사위원의 분리선임 · 해임) ① 제47조에 따라 구성하는 감사위원회의 감사위원 중 1명은 주주총회 결의로 다른 이사들과 분리하여 감사위원회위원이 되는 이사로 선임하여야 한다. ② 제1항에 따라 분리 선임한 감사위원회위원을 해임하는 경우 이사와 감사위원회위원의 지위를 모두 상실한다. |
감사위원회 설치에 따른 개정 |
제47조 (감사의 선임 및 해임)
(기재생략) |
- | 감사위원회 설치에 따른 조문이관 |
제48조 (감사의 임기와 보선)
(기재생략) |
제48조 (감사위원회 대표의 선임) 감사위원회는 그 결의로 위원회의 대표를 선임하여야 한다. |
감사위원회 설치에 따른 개정 |
제49조 (감사의 직무 등)
(기재생략) |
제49조 (감사위원회의 직무 등) ① 감사위원회는 회사의 회계와 업무를 감사한다. ② 감사위원회는 회의의 목적사항과 소집의 이유를 기재한 서면을 이사 회에 제출하여 임시주주총회의 소집을 청구할 수 있다. ③ 감사위원회는 필요한 경우 회사의 비용으로 전문가의 조력을 구할 수 있다. ④ 감사위원회는 그 직무를 수행하기 위하여 필요한 때에는 자회사에 대 하여 영업의 보고를 요구할 수 있다. 이 경우 자회사가 지체 없이 보고를 하지 아니할 때 또는 그 보고의 내용을 확인할 필요가 있는 때에는 자회사의 업무와 재산상태를 조사할 수 있다. ⑤ 감사위원회는 제1항 내지 제4항 외에 이사회가 위임한 사항을 처리한다. ⑥ 감사위원회는 필요하면 회의의 목적사항과 소집이유를 적은 서면을 이사(소집권자가 있는 경우에는 소집권자)에게 제출하여 이사회 소집을 청구 할 수 있다. ⑦ 제6항의 청구를 하였는데도 이사가 지체 없이 이사회를 소집하지 아니하면 그 청구한 감사위원회가 이사회를 소집할 수 있다. |
감사위원회 설치에 따른 개정 |
제50조 (감사의 보수와 퇴직금)
(기재생략) |
제50조 (감사록) ① 감사위원회는 감사에 관하여 감사록을 작성하여야 한다. ② 감사록에는 감사의 실시요령과 그 결과를 기재하고 감사를 실시한 감사위원회 위원이 기명날인 또는 서명하여야 한다. |
감사위원회 설치에 따른 조문 변경 |
제52조 (재무제표 등의 작성 등) ① 회사의 대표이사(사장)는 정기주주총회 회일 6 주간 전에 다음 서류 및 그 부속 명세서와 영업보고서를 작성하여 감사의 감사를 받아야 하며, 다음 각 호의서류와 영업보고서를 정기총회에 제출하여야 한다. 1. 대차대조표 2. 손익계산서 3. 그 밖에 회사의 재무상태와 경영성과를 표시하는 것으로서 상법 시행령에서 정하는 서류 ② 회사가 상법 시행령에서 정하는 연결재무제표 작성대상에 해당하는 경우에는 제1항의 각 서류에 연결재무제표를 포함한다. ③ 감사는 정기주주총회일의 1주전까지 감사보고서를 대표이사(사장)에게 제출하여야 한다. ④ 제1항에 불구하고 이 회사는 다음 각호의 요건을 모두 충족한 경우에는 이사회의 결의로 이를 승인할 수 있다. 1. 제1항의 각 서류가 법령 및 정관에 따라 회사의 재무상태 및 경영성과를 적정하게 표시하고 있다는 외부감사인의 의견이 있을 때 2. 감사 전원의 동의가 있을 때 ⑤. 제4항에 따라 이사회가 승인한 경우에는 대표이사(사장)는 제1항의 각 서류의 내용을 주주총회에 보고하여야 한다. ⑥. 대표이사(사장)는 제1항 각호의 서류와 그 부속명세서를 영업보고서 및 감사보고서와 함께 정기주주총회 1주간 전부터 본점에 5년간, 그 등본을 지점에 3년간 비치하여야 한다. ⑦. 대표이사(사장)는 제1항의 각 서류에 대하여 정기주주총회의 승인 또는 제4항에 의한 이사회의 승 인을 얻은 때에는 지체 없이 대차대조표와 외부감사인의 감사의견을 공고하여야 한다. |
제52조 (재무제표 등의 작성 등) ① 회사의 대표이사(사장)는 상법 제447조 및 제447조의2의 각 서류를 작성하여 이사회의 승인을 얻어야 한다. ② 대표이사(사장)는 정기주주총회 회일 또는 사업보고서 제출기한의 6주 간 전에 제1항의 서류를 감사위원회에 제출하여야 한다. ③ 감사위원회는 정기주주총회일 또는 사업보고서 제출기한의 1주 전까지감사보고서를 대표이사(사장)에게 제출하여야 한다. ④ 대표이사(사장)는 제1항의 서류와 감사보고서를 정기주주총회 회일의 1주간 전부터 본점에 5년간, 그 등본을 지점에 3년간 비치하여야 한다. ⑤ 대표이사(사장)는 상법 제447조의 서류를 정기주주총회에 제출하여 승인을 얻어야 하며, 제447조의2의 서류를 정기주주총회에 제출하여 그 내용을 보고하여야 한다. ⑥ 제5항에도 불구하고 회사는 상법 제447조의 각 서류가 법령 및 정관에 따라 회사의 재무상태 및 경영성과를 적정하게 표시하고 있다는 외부감사인의 의견이 있고, 감사위원전원의 동의가 있는 경우 상법 제447조의각 서류를 이사회결의로 승인할 수 있다. ⑦ 제6항에 따라 승인 받은 서류의 내용은 주주총회에 보고하여야 한다. ⑧ 대표이사(사장)는 제5항 또는 제6항의 규정에 의한 승인을 얻은 때에는 지체 없이 대차대조표와 외부감사인의 감사의견을 공고하여야 한다. |
감사위원회 설치에 따른 개정 |
제53조 (외부감사인의 선임) 회사는 외부감사인을 선임함에 있어서는 「주식회사 등의 외부감사에 관한 법률」의 규정에 따 라 감사는 감사인선임위원회(또는 감사위원회)의 승인을 받아 외부감사인을 선정하여야 하고, 회사는 그 사실을 외부감사인을 선임한 이후에 소집되는 정기주주총회에 보고하거나 『주식회사 등의 외부감사에 관한 법률 시행령』에서 정하는 바에 따라 주주에게 통지 또는 공고하여야 한다. |
제53조 (외부감사인의 선임) 회사는 외부감사인을 선임함에 있어서는 「주식회사 등의 외부감사에 관한 법률」의 규정에 따라 감사위원회는 외부감사인을 선정하여야 하고, 회사는 그 사실을 외부감사인을 선임한 이후에 소집되는 정기주주총회에 보고하거나 『주식회사 등의 외부감사에 관한 법률 시행령』에서 정하는 바에 따라 주주에게 통지 또는 공고하여야 한다. |
감사위원회 설치에 따른 개정 |
제54조 (이익금의 처분) 매기 총수익금에서 총지출금을 공제한 잔액을 이익금으로 하여 이를 다음과 같이 처분한다.
①~⑤ (기재생략) |
제54조 (이익금의 처분) 회사는 매사업연도의 처분전 이익잉여금을 다음과 같이 처분한다 ①~⑤ (기재생략) |
코스닥 표준정관 반영 |
부칙
(기재생략) |
제 1조 (시행일) 이 정관은 2022년 5월 12일부터 개정 · 시행한다. 다만, 제8조, 제13조 제3항, 제15조, 제19조, 제19조의2 전자등록과 관련된 개정 규정은 『주식 · 사채 등의 전자등록에 관한 법률』에 따라 전자등록계좌부에 주식 등을 전자등록하는 날부터 적용한다. 부 칙 제 1조 (시행일) 이 정관은 2022년 5월 12일부터 개정 · 시행한다. 다만, 제8조, 제9조 제3항 단서, 제13조 제3항 단서, 제 15조, 제15조의2 제4항, 제19조 단서, 제19조의2 전자등록과 관련된 개정 규정은 『주식 · 사채 등의 전자 등록에 관한 법률』에 따라 전자등록계좌부에 주식 등을 전자등록하는 날부터 적용한다. 부 칙 제 1조 (시행일) 이 정관은 2024년 3월 28일부터 개정 · 시행한다. 제 2조 (성과조건부주식교부계약에 관한 적용례) 11조의2의 개정규정은(성과조건부주식교부계약)은 벤처기업육성에 관한 특별조치법 제16조의17 · 제16조의18 · 제16조의19 시행시점부터 적용한다. 제 3조 (성과조건부주식교부계약에 관한 적용례) 11조의2의 개정규정은(성과조건부주식교부계약)은 이 정관 시행 당시 종전 규정에 따라 취득한 자기주식을 사용하는 경우에도 적용한다. 부 칙 제 1조 (시행일) 이 정관은 2025년 3월 27일부터 개정 · 시행한다. 제 2조 (감사위원회위원 선임에 관한 적용례) 제47조제3항 · 제5항의 개정규정(선임에 관한 부분에 한한다.)은 이 정관 시행 이후 선임하는 감사위원회위원부터 적용한다. 제 3조 (감사위원회위원 해임에 관한 적용례) 제47조제4항 · 제5항의 개정규정(해임에 관한 부분에 한한다.)은 이 정관 시행 당시 종전 규정에 따라 선임된 감사위원회위원을 해임하는 경우에도 적용한다. |
부칙개정 |
※ 기타 참고사항
제3호 의안 : 이사 선임의 건 (사외이사 2명) 제3-1호 의안 : 사외이사 김기수 선임의 건 제3-2호 의안 : 사외이사 김유성 선임의 건
가. 후보자의 성명ㆍ생년월일ㆍ추천인ㆍ최대주주와의 관계ㆍ사외이사후보자 등 여부
후보자성명 | 생년월일 | 사외이사후보자여부 |
감사위원회 위원인 이사 분리선출 여부 |
최대주주와의 관계 | 추천인 |
---|---|---|---|---|---|
김기수 | 1960.9.11 | 사외이사 | 해당 | 해당사항없음 | 이사회 |
김유성 | 1964.3.23 | 사외이사 | 해당 | 해당사항없음 | 이사회 |
총 ( 2 ) 명 |
나. 후보자의 주된직업ㆍ세부경력ㆍ해당법인과의 최근3년간 거래내역
후보자성명 | 주된직업 | 세부경력 | 해당법인과의최근3년간 거래내역 | |
---|---|---|---|---|
기간 | 내용 | |||
김기수 | 회계사 | ~ 19901983 ~ 1988 1983 ~ 19981998 ~ 현재2021 ~ 현재 | 한국외국어대학교 경영정보대학원 석사안권회계법인 회계사신한회계법인 회계사세원회계사무소 대표회계사트루엔 감사 | 해당사항없음 |
김유성 | 대학교수 | ~ 1988 ~ 1992 1992 ~ 현재 2021 ~ 2023 2021 ~ 2024 | 한국과학기술원 전산학과 석사한국과학기술원 전산학과 박사인하대학교 교수한국 빅데이터서비스학회 회장인하대학교 소프트웨어융합대학 학장 | 해당사항없음 |
다. 후보자의 체납사실 여부ㆍ부실기업 경영진 여부ㆍ법령상 결격 사유 유무
후보자성명 | 체납사실 여부 | 부실기업 경영진 여부 | 법령상 결격 사유 유무 |
---|---|---|---|
김기수 | 해당사항없음 | 해당사항없음 | 해당사항없음 |
김유성 | 해당사항없음 | 해당사항없음 | 해당사항없음 |
라. 후보자의 직무수행계획(사외이사 선임의 경우에 한함)
1. 김기수 사외이사 후보자 본인은 회계ㆍ재무전문가로서 독립적인 관점에서 내부통제 및 준법 경영의 강화를 위해 소임을 다할 계획이며, 합리적 의사결정을 내릴 수 있도록 견제와 감시를 수행하며 이를 통해 기업 및 주주 모두의 가치 제고를 위해 직무를 수행할 것입니다. 회계전문가( 회계사)로서 40여 년간 재직 중에 있으며, 전문지식과 역량을 바탕으로 재무보고의 신뢰성 향상, 내부 회계 및 통제 시스템 강화 등 회사의 합리적인 의사결정이 이루어 질 수 있도록 직무를 수행할 것입니다. 2. 김유성 사외이사 후보자 본인은 사외이사직을 수행함에 있어 최대주주로부터 독립적인 위치에서 있어야 함을 정확히 인지하고 있습니다. 합리적 의사결정을 내릴 수 있도록 견제와 감시를 수행하며 이를 통해 기업 및 주주 모두의 가치 제고를 위해 직무를 수행할 것입니다. IT(SW, AI) 전문가( 교수)로 재직 중에 있으며, 본인이 보유한 전문지식과 역량을 바탕으로 이사회에 참여함으로 연구개발 추진과 경영 의사 결정 수립에 있어 견제. 감시의 역할을 수행하여 기업 및 주주 모두의 가치 제고를 위해 직무를 수행할 것입니다. |
마. 후보자에 대한 이사회의 추천 사유
1. 김기수 사외이사 후보자 본 후보자는 회계전문가로 오랜 기간 회계감사 업무의 노하우를 바탕으로 당사의 감사 업무 및 내부회계관리시스템 강화에 크게 기여 할 것으로 판단하였으며, 이사회의 전문 성과 투명성을 높이기 위한 후보자로 적합하다고 판단되어 후보자로 추천합니다.2. 김유성 사외이사 후보자 본 후보자는 IT(SW. AI) 관련 전문가로 꾸준한 연구와 폭넓은 경험을 바탕으로 다양한활동을 수행하고 있어, 전문성을 바탕으로 당사 연구개발, 경영전반에 대해 객관적이고 중립적인 시각으로 업무를 지원할 수 있다고 판단되어 후보자로 추천합니다. |
※ 기타 참고사항
제4호 의안 : 감사위원회 위원 선임의 건 제4-1호 의안 : 감사위원회 위원이 되는 사외이사 윤길배 선임의 건 제4-2호 의안 : 감사위원회 위원이 되는 사외이사 김기수 선임의 건 제4-3호 의안 : 감사위원회 위원이 되는 사외이사 김유성 선임의 건
가. 후보자의 성명ㆍ생년월일ㆍ추천인ㆍ최대주주와의 관계ㆍ사외이사후보자 등 여부
후보자성명 | 생년월일 | 사외이사후보자여부 | 감사위원회 위원인이사 분리선출 여부 | 최대주주와의 관계 | 추천인 |
---|---|---|---|---|---|
윤길배 | 1961.10.26 | 해당사항없음 | 분리선출 | 해당사항없음 | 이사회 |
김기수 | 1960.9.11 | 사외이사 후보 | 분리선출 | 해당사항없음 | 이사회 |
김유성 | 1964.3.23 | 사외이사 후보 | 분리선출 | 해당사항없음 | 이사회 |
총 ( 3 ) 명 |
나. 후보자의 주된직업ㆍ세부경력ㆍ해당법인과의 최근3년간 거래내역
후보자성명 | 주된직업 | 세부경력 | 해당법인과의최근3년간 거래내역 | |
---|---|---|---|---|
기간 | 내용 | |||
윤길배 | 기업인 | ~ 1986 ~ 19972014 ~ 20162016 ~ 현재2021 ~ 현재 | 한국과학기술원 전산학 석사서강대학교 경영대학원 석사전) 효성종합(주) 기술연구소장현) 팔복기술 대표이사현) 트루엔 사외이사 | 해당사항없음 |
김기수 | 회계사 | ~ 19901983 ~ 1988 1983 ~ 19981998 ~ 현재2021 ~ 현재 | 한국외국어대학교 경영정보대학원 석사전) 안권회계법인 회계사전) 신한회계법인 회계사현) 세원회계사무소 대표회계사현) 트루엔 감사 | 해당사항없음 |
김유성 | 대학교수 | ~ 1988 ~ 1992 2021 ~ 2023 2021 ~ 20241992 ~ 현재 | 한국과학기술원 전산학 석사한국과학기술원 전산학 박사전) 한국 빅데이터서비스학회 회장전) 인하대학교 소프트웨어융합대학 학장 현) 인하대학교 교수 | 해당사항없음 |
다. 후보자의 체납사실 여부ㆍ부실기업 경영진 여부ㆍ법령상 결격 사유 유무
후보자성명 | 체납사실 여부 | 부실기업 경영진 여부 | 법령상 결격 사유 유무 |
---|---|---|---|
윤길배 | 해당사항없음 | 해당사항없음 | 해당사항없음 |
김기수 | 해당사항없음 | 해당사항없음 | 해당사항없음 |
김유성 | 해당사항없음 | 해당사항없음 | 해당사항없음 |
라. 후보자에 대한 이사회의 추천 사유
1. 후보자 윤길배 본 후보자는 현재 비파괴 농산물 성분 분석시스템 개발을 주력으로 하는 팔복기술㈜을 설립. 운영하고 있으며, 다수의 기업에서 IT분야를 경험하며 기술역량과 경험을 확보하였습니다. 이를 통해 회사의 사업 진행, 향후 계획수립 및 추진등에 대해 제3자의 전문가적 입장에서 견제.감시의 역할을 충실히 수행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되어 추천합니다. 2. 후보자 김기수 본 후보자는 회계전문가로 오랜 기간 회계감사 업무의 노하우를 바탕으로 당사의 감사 업무 및 내부회계관리시스템 강화에 크게 기여 할 것으로 판단하였으며, 이사회의 전문 성과 투명성을 높이기 위한 후보자로 적합하다고 판단되어 후보자로 추천합니다.3. 후보자 김유성 본 후보자는 IT(SW. AI) 관련 전문가로 꾸준한 연구와 폭넓은 경험을 바탕으로 다양한활동을 수행하고 있어, 전문성을 바탕으로 당사 연구개발, 경영전반에 대해 객관적이고 중립적인 시각으로 업무를 지원할 수 있다고 판단되어 후보자로 추천합니다. |
※ 기타 참고사항
제5호 의안 : 이사 보수한도 승인의 건 (30억원)
가. 이사의 수ㆍ보수총액 내지 최고 한도액
(당 기)
이사의 수 (사외이사수) | 6(3) |
보수총액 또는 최고한도액 | 30억원 |
(전 기)
이사의 수 (사외이사수) | 4(1) |
실제 지급된 보수총액 | 10.13억 |
최고한도액 | 30억 |
※ 기타 참고사항
제출(예정)일 | 사업보고서 등 통지 등 방식 |
---|---|
사업보고서는 주주총회 결과에 따라 변경된 사항 등을 반영하여 수정될 수 있으며, 수정된 사업보고서는 금융감독원 전자공시시스템(http://dart.fss.or.kr)에 공시될 예정되오니 이를 참조하시기 바랍니다.당사는 사업보고서 및 감사보고서를 당사 홈페이지(https://www.truen.co.kr)에 주주총회 1주전까지 게재할 예정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