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 7 기)
사업연도 | 부터 |
까지 |
금융위원회 | |
한국거래소 귀중 | 2025 년 06 월 16 일 |
제출대상법인 유형 : | |
면제사유발생 : |
회 사 명 : | 주식회사 케이비스타위탁관리부동산투자회사 |
대 표 이 사 : | 신 명 재 |
본 점 소 재 지 : | 서울특별시 영등포구 국제금융로 10, 41층(여의도동, 쓰리아이에프씨) |
(전 화) 02-2167-8200 | |
(홈페이지) http://www.kbstarreit.com | |
작 성 책 임 자 : | (직 책) 본부장 (성 명) 홍성필 |
(전 화) 02-2167-8200 | |
1. 연결대상 종속회사 개황(연결재무제표를 작성하는 주권상장법인이 사업보고서, 분기ㆍ반기보고서를 제출하는 경우에 한함)연결대상 종속회사 현황(요약)
(단위 : 사) |
구분 | 연결대상회사수 | 주요종속회사수 | |||
---|---|---|---|---|---|
기초 | 증가 | 감소 | 기말 | ||
상장 | |||||
비상장 | |||||
합계 |
※상세 현황은 '상세표-1. 연결대상 종속회사 현황(상세)' 참조 |
1-1. 연결대상회사의 변동내용
구 분 | 자회사 | 사 유 |
---|---|---|
신규연결 | ||
연결제외 | ||
중소기업 등 해당 여부
중소기업 해당 여부 | |
벤처기업 해당 여부 | |
중견기업 해당 여부 |
회사의 주권상장(또는 등록ㆍ지정) 및 특례상장에 관한 사항
주권상장(또는 등록ㆍ지정)현황 | 주권상장(또는 등록ㆍ지정)일자 | 특례상장 유형 |
---|---|---|
가. 회사의 연혁
일자 |
내용 |
2022.02.08 | 회사 발기설립(보통주 600,000주, 설립자본금 3억원)주식회사 케이비스타글로벌위탁관리부동산투자회사 |
2022.02.17 | 자산보관위탁계약체결(NH투자증권㈜)일반사무위탁계약체결(㈜KB국민은행) |
2022.02.18 | 자산관리위탁계약체결(KB자산운용㈜) |
2022.02.24 | 국토교통부 위탁관리부동산투자회사 영업인가 승인 |
2022.06.28 | 상호 변경(주식회사 케이비스타위탁관리부동산투자회사) |
2022.07.05 | 1차 유상증자(보통주 70,714,285주, 증자대금 약 3,465억원) |
2022.07.05 | ㈜케이비스타갤럭시타워위탁관리부동산투자회사 지분증권 매입(약 2,957억원) |
2022.07.06 | 설립자본금 유상감자(보통주 600,000주, 감자대금 3억원) |
2022.08.12 | LB영국일반사모부동산펀드 18호 수익증권 매입(약 300억원)LB영국일반사모부동산펀드 19호 수익증권 매입(약 108억원) |
2022.09.21 | 2차 유상증자(보통주 30,700,000주, 증자대금 약 1,535억원) |
2022.09.21 | ㈜케이비스타갤럭시타워위탁관리부동산투자회사 지분증권 매입(보통주 13,349,700주) |
2022.09.21 | LB영국일반사모부동산펀드 18호 수익증권 매입(약 10억원) |
2022.10.06 | 한국거래소 유가증권시장 상장 |
2023.04.12 | LB영국일반사모부동산펀드 18호 수익증권 매입(약 47억원)LB영국일반사모부동산펀드 19호 수익증권 매입(약 16억원) |
2024.01.31 | 무보증 사모사채 발행(250억원) |
2024.02.14 | (주)케이비스타멀티에셋제1호위탁관리부동산투자회사 지분증권 매입(보통주 2,500,000주) |
2024.02.29 | 무보증 공모사채 발행(제2-1회차 300억원, 제2-2회차 300억원) |
2024.03.01 | (주)케이비스타멀티에셋제1호위탁관리부동산투자회사 지분증권 매입(보통주 4,000,000주) |
2024.04.17 | LB영국일반사모부동산펀드 18호 수익증권 매입(약 76억원, 7,337,870,596좌)LB영국일반사모부동산펀드 19호 수익증권 매입(약 27억원, 2,561,950,769좌) |
2025.02.26 | 제1회 전자단기사채 발행(300억원) |
2025.05.26 | 제2회 전자단기사채 발행(900억원) |
나. 회사의 본점소재지 및 그 변경
일자 | 본점소재지 | 비고 |
2022년 02월 08일 | 서울특별시 영등포구 국제금융로 10, 41층(여의도동, 쓰리아이에프씨) | 회사 설립 |
다. 상호의 변경
일자 | 상호명 | 비고 |
2022년 02월 08일 | 주식회사 케이비스타글로벌위탁관리부동산투자회사 | 회사 설립 |
2022년 06월 28일 | 주식회사 케이비스타위탁관리부동산투자회사 | 법인명 변경 |
라. 경영진 및 감사의 중요한 변동
변동일자 | 주총종류 | 선임 | 임기만료또는 해임 | |
---|---|---|---|---|
신규 | 재선임 | |||
* 2025.04.23 사내이사(신명재), 감사(김종수) 임기만료가 도래함에 따라, 정기주주총 결의로 재선임함.* 2025.04.23 기타비상무이사(허연, 정영삼) 임기만료가 도래함에 따라, 정기주주총회 결의로 신규 기타비상무이사(조병헌, 양원용 ) 선임함.
마. 회사가 화의, 회사정리절차 그 밖에 이에 준하는 절차를 밟은 적이 있거나 현재 진행중인 경우 그 내용과 결과- 해당사항 없습니다.
바. 회사가 합병 등을 한 경우 그 내용 - 해당사항 없습니다.
사. 회사의 업종 또는 주된 사업의 변화- 해당사항 없습니다. 아. 그 밖에 경영활동과 관련된 중요한 사항의 발생내용- 해당사항 없습니다.
자본금 변동추이
(단위 : 원, 주) |
종류 | 구분 | 제7기 당반기말(2025.04월말) | 제6기(2025.01월말) | 제5기(2024.07월말) |
---|---|---|---|---|
보통주 | 발행주식총수 | 101,414,285 | 101,414,285 | 101,414,285 |
액면금액 | 500 | 500 | 500 | |
자본금 | 50,707,142,500 | 50,707,142,500 | 50,707,142,500 | |
우선주 | 발행주식총수 | - | - | - |
액면금액 | - | - | - | |
자본금 | - | - | - | |
기타 | 발행주식총수 | - | - | - |
액면금액 | - | - | - | |
자본금 | - | - | - | |
합계 | 자본금 | 50,707,142,500 | 50,707,142,500 | 50,707,142,500 |
가. 주식의 총수 현황
(기준일 : | ) |
구 분 | 주식의 종류 | 비고 | ||
---|---|---|---|---|
합계 | ||||
Ⅰ. 발행할 주식의 총수 | ||||
Ⅱ. 현재까지 발행한 주식의 총수 | ||||
Ⅲ. 현재까지 감소한 주식의 총수 | ||||
1. 감자 | ||||
2. 이익소각 | ||||
3. 상환주식의 상환 | ||||
4. 기타 | ||||
Ⅳ. 발행주식의 총수 (Ⅱ-Ⅲ) | ||||
Ⅴ. 자기주식수 | ||||
Ⅵ. 유통주식수 (Ⅳ-Ⅴ) | ||||
Ⅶ. 자기주식 보유비율 |
Ⅰ : 작성기준일 현재 수권주식수로서 정관상의 주식수Ⅱ,Ⅲ : 설립이후 작성기준일까지 발행 및 감소한 주식의 총수 나. 자기주식- 해당사항이 없습니다.
가. 정관 개요 당사의 정관은 2025년 04월 23일자로 개정된 4차 개정 정관입니다.
나. 정관 변경 이력
정관변경일 | 해당주총명 | 주요변경사항 | 변경이유 |
---|---|---|---|
* 정관변경일은 변경정관 시행일입니다.
다. 사업목적 현황
구 분 | 사업목적 | 사업영위 여부 |
---|---|---|
가. 부동산투사회사(리츠) 산업의 특성 부동산투자회사(이하 “리츠”)는 부동산투자회사법에 따라 다수의 투자자로부터 자금을 모아 부동산, 부동산 관련 증권등에 투자, 운용하고 그 수익을 투자자에게 돌려주는 부동산 간접투자기구인 주식회사입니다. 리츠는 1960년 미국에서 최초 도입 되었으며, 한국에는 1997년 외환위기 이후 기업들의 보유 부동산 유동화를 통한 기업구조조정을 촉진하기 위해 2001년 처음 도입되었습니다. 이후 리츠의 투자물건이 기업 구조조정 부동산에서 점차 일반 부동산으로 변화하였습니다. 다만 기관투자자 중심의 비상장리츠를 벗어나지 못하여, 일반 국민이 리츠를 통하여 부동산에 투자할 수 있는 기회는 제한적이었습니다. 2018년 12월 정부의 리츠 공모 상장 활성화 방안 발표를 기점으로 공모상장리츠가 지속적으로 출시되었고, 이후에도 추가적인 공모상장리츠가 예정되어 있어, 일반 국민의 리츠투자 기회가 지속적으로 확대될 것으로 기대하고 있습니다. 나. 부동산투사회사(리츠)의 현황 2025년 04월말 기준 총 412개의 리츠가 설립되었고, 총 자산규모는 106.02조원이며,이 중 상장리츠는 24개, 총 자산규모는 18.12조원 수준입니다.
[전체 리츠 현황]
[유형별 리츠 수 및 자산총계]
※자료 출처 : 리츠정보시스템 (2025년 04월말 기준)
다. 회사의 현황 당사는 2022년 2월 8일 부동산투자회사법에 근거하여 설립되었고, 2022년 10월 5일 한국거래소 유가증권시장에 상장 하였습니다. 당사의 사업연도는 매년 2월 1일에 개시하여 같은 해 7월 31일에 종료하며, 8월 1일에 개시하여 다음 해 1월 31일에 종료합니다. 따라서, 매 6개월 단위로 연간 2회 배당을 실시하고 있습니다. 당사는 공시기준일 현재 종속회사인 ㈜KB스타갤럭시타워위탁관리부동산투자회사를 통해 벨기에 브뤼셀 소재 오피스(North Galaxy Towers)에 투자 하였고, 또 다른 종속회사인 ㈜KB스타멀티에셋제1호위탁관리부동산투자회사를 통해 대한민국 종로구 소재 오피스(씨티뱅크센터)에 투자하였습니다. 또한, LB영국일반사모부동산투자신탁 18호 및 19호를 통해 영국 처트시 소재 오피스(Samsung Europe HQ) 투자하여,총 3개의 투자부동산에서 발생하는 임대수익을 재원으로 당사 주주들에게 배당금을 지급하고 있습니다.
- 당사는 부동산투자회사로 해당사항 없습니다.
- 당사는 부동산의 취득ㆍ관리ㆍ개량 및 처분, 부동산의 임대차, 부동산개발 목적의 법인으로 원재료 및 생산설비는 해당사항이 없습니다.
- 당사의 매출은 당사가 투자한 총 3개의 부동산에서 발생하고 있는 임대수익을 재원으로 하며, 각 자산별 임대료 수준은 다음과 같습니다.
구분 | North Galaxy Towers | Samsung Europe HQ | 씨티뱅크센터 |
연간 임대료 | 약 EUR 35.2 m | 약 GBP 3.86 m | 약 72.5억원 |
(1) 재무위험관리요소연결회사는 여러 활동으로 인하여 시장위험(외환위험, 가격위험, 현금흐름 및 공정가치 이자율위험), 신용위험 및 유동성위험과 같은 다양한 금융위험에 노출될 수 있습니다. 연결회사의 전반적인 위험관리는 연결회사의 재무성과에 잠재적으로 불리할 수 있는 효과를 최소화하는데 중점을 두고 있습니다.위험관리는 이사회에서 승인한 위험관리 정책에 따라 자산관리회사에서 수행되고 있으며, 금융위험을 식별, 평가 및 회피하고 있습니다.
1) 시장위험 ① 외환위험연결회사는 국제적으로 영업활동을 영위하고 있어 외환위험, 특히 유로화 및 영국 파운드화 관련 환율변동위험에 노출되어 있습니다. 외환위험은 인식된 자산 및 부채와 관련하여 발생하고 있습니다.
연결회사의 경영진은 기능통화에 대한 외환위험을 관리하도록 하는 정책을 수립하고있습니다. 외환위험은 인식된 자산부채가 기능통화 외의 통화로 표시될 때 발생하고 있습니다.연결회사는 내부적인 환위험 관리정책을 통하여 환위험 노출에 대한 최대 환손실 규모가 위험허용범위 이내가 되도록 관리하고 있으며, 환위험 관리를 위하여 파생상품 거래를 활용하고 있습니다. 연결회사는 외환위험을 관리하기 위해 다음의 파생상품계약을 체결하고 있습니다 - 종속기업에 대한 투자의 배당수익에서 발생하는 환위험을 회피하기 위한 통화선도계약
(단위: 원) | |||
---|---|---|---|
계약처 | 만기일 | 매도선물환 | 평가금액 |
국민은행 | 1년이내 | EUR 295,000,000 | (87,940,346,399) |
합 계 | EUR 295,000,000 | (87,940,346,399) |
보고기간말 현재 다른 모든 변수가 일정하고 각 외화에 대한 원화의 환율이 10% 변동시 연결회사의 법인세차감전손익에 미치는 영향은 다음과 같습니다.
(단위: 원) | ||||
---|---|---|---|---|
구 분 | 당반기 | 전반기 | ||
10% 상승시 | 10% 하락시 | 10% 상승시 | 10% 하락시 | |
EUR | (54,994,824,177) | 54,994,824,177 | (48,908,498,320) | 48,908,498,320 |
2) 신용위험신용위험은 거래상대방이 의무를 이행하지 않아 재무손실이 발생할 위험입니다. 연결실체는 영업활동과 재무활동에서 신용위험에 노출되어 있습니다. 연결실체는 매출채권 및 기타채권에 대해 전체 기간 기대신용손실을 손실충당금으로 인식하는 간편법을 적용합니다. 기대신용손실에는 미래전망정보가 포함됩니다.
① 매출채권연결실체는 매출채권에 대해 전체 기간 기대신용손실을 손실충당금으로 인식하는 간편법을 적용합니다. 기대신용손실을 측정하기 위해 매출채권은 신용위험 특성과 연체일을 기준으로 구분하였습니다. 보고기간 종료일 현재 손실충당금을 인식할 매출채권은 존재하지 않습니다.
② 상각후원가로 측정하는 기타 금융자산상각후원가로 측정하는 기타금융자산은 현금및현금성자산과 기타채권(금융상품에 대한 미수이자)입니다. 연결실체는 이러한 상각후원가로 측정하는 기타 금융자산에 대한 손실충당금을 인식하고 있지 않습니다.
3) 유동성 위험 유동성위험관리는 충분한 현금 및 시장성 있는 유가증권의 유지, 적절하게 약정된 신용한도금액으로부터의 자금 여력 및 시장포지션을 결제할 수 있는 능력 등을 포함하고 있습니다. 활발한 영업활동을 통해 연결실체 신용한도 내에서 자금여력을 탄력적으로 유지하고 있습니다.
연결회사의 금융부채를 보고기간 종료일로부터 계약 만기일까지의 잔여기간에 따라 만기별로 구분한 내역은 다음과 같습니다.
(단위: 원) | ||||
---|---|---|---|---|
구 분 | 당반기말 | |||
1년 이내 | 1년초과~5년이내 | 5년초과 | 합 계 | |
기타지급채무(*1) | 7,724,306,124 | - | - | 7,724,306,124 |
기타금융부채(*1) | 52,267,754,466 | - | - | 52,267,754,466 |
장기차입금(*1)(*2)(*3) | 29,264,894,371 | 633,757,874,922 | - | 663,022,769,293 |
사채(*1)(*2) | 87,174,333,333 | - | - | 87,174,333,333 |
합 계 | 176,431,288,294 | 633,757,874,922 | - | 810,189,163,216 |
(*1) 잔존계약에 따른 만기금액은 할인되지 아니한 계약상 현금흐름입니다.(*2) 향후 지급될 이자가 포함된 금액입니다.(*3) 연결회사는 해당 만기연장을 가정한 현금흐름입니다. (주석 14 참고)
(단위: 원) | ||||
---|---|---|---|---|
구 분 | 전기말 | |||
1년 이내 | 1년초과~5년이내 | 5년초과 | 합 계 | |
기타지급채무(*1) | 4,829,797,689 | - | - | 4,829,797,689 |
기타금융부채(*1) | 46,768,731,093 | - | - | 46,768,731,093 |
장기차입금(*1)(*2) (*3) | 26,834,549,075 | 587,671,566,203 | - | 614,506,115,278 |
사채(*1)(*2) | 89,578,548,387 | - | - | 89,578,548,387 |
합 계 | 168,011,626,244 | 587,671,566,203 | - | 755,683,192,447 |
(*1) 잔존계약에 따른 만기금액은 할인되지 아니한 계약상 현금흐름입니다.(*2) 향후 지급될 이자가 포함된 금액입니다. (*3) 연결회사는 해당 만기연장을 가정한 현금흐름입니다 (주석 14 참고)
다음 표는 파생금융상품의 계약상 만기에 기초한 유동성 분석내역을 상세하게 나타내고 있습니다. 다음 표는 차액결제되는 파생금융상품의 경우 할인되지 않은 계약상 순현금유입 및 순현금유출에 기초하였습니다.
(단위: 원) | ||||
---|---|---|---|---|
구 분 | 당반기말 | |||
1년 이내 | 1년초과~5년이내 | 5년초과 | 합 계 | |
통화선도 | (52,267,754,466) | - | - | (52,267,754,466) |
금리파생상품 | 2,772,010,210 | - | - | 2,772,010,210 |
(단위: 원) | ||||
---|---|---|---|---|
구 분 | 전기말 | |||
1년 이내 | 1년초과~5년이내 | 5년초과 | 합 계 | |
통화선도 | (46,768,731,093) | - | - | (46,768,731,093) |
금리파생상품 | 2,739,079,768 | - | - | 2,739,079,768 |
(2) 자본위험관리 연결회사의 자본관리 목적은 주주 및 이해당사자들에게 이익을 지속적으로 제공할 수 있는 능력을 보호하고 자본비용을 절감하기 위해 최적 자본구조를 유지하는 것입니다. 자본구조를 유지 또는 조정하기 위하여 연결실체는 주주에게 지급되는 배당을 조정하고, 주주에게 자본금을 반환하며, 부채감소를 위한 신주 발행 및 자산 매각 등을 실시하고 있습니다.
산업 내의 타사와 마찬가지로 연결회사는 자본조달비율에 기초하여 자본을 관리하고있으며, 자본조달비율은 순차입금을 총자본으로 나누어 산출하고 있습니다. 순차입금은 재무상태표상 차입금 총계에서 현금및현금성자산과 단기금융상품을 차감한 금이며, 총자본은 재무상태표상 자본에 순차입금을 가산한 금액입니다.
당반기말 및 전기말 현재 자본조달비율은 다음과 같습니다.
(단위: 원) | ||
---|---|---|
구 분 | 당반기말 | 전기말 |
차입금 | 678,750,626,046 | 627,789,572,357 |
차감 : 현금및현금성자산 및 장/단기금융상품 | 72,429,418,174 | 70,320,529,270 |
순차입금(A) | 606,321,207,872 | 557,469,043,087 |
자본(B) | 347,308,039,045 | 382,547,438,123 |
부채비율(A/B) | 174.58% | 145.73% |
- 해당사항이 없습니다.
- 해당사항이 없습니다.
가. 요약연결재무정보 (단위 : 원)
구 분 | 제 7 기 반기(2025년 04월 30일) | 제 6 기(2025년 01월 31일) | 제 5 기(2024년 07월 31일) |
[유동자산] | 92,065,755,973 | 82,658,348,442 | 87,474,478,821 |
[비유동자산] | 1,057,241,018,315 | 984,044,305,017 | 991,117,260,442 |
자산총계 | 1,149,306,774,288 | 1,066,702,653,459 | 1,078,591,739,263 |
[유동부채] | 208,087,455,919 | 141,267,805,294 | 92,325,579,250 |
[비유동부채] | 593,911,279,324 | 542,887,410,042 | 597,134,226,813 |
부채총계 | 801,998,735,243 | 684,155,215,336 | 689,459,806,063 |
[지배기업소유주지분] | 347,308,039,045 | 382,547,438,123 | 389,131,933,200 |
자본금 | 50,707,142,500 | 50,707,142,500 | 50,707,142,500 |
자본잉여금 | 391,598,934,045 | 391,598,934,045 | 391,598,934,045 |
기타자본항목 | (168,637,483) | (168,637,483) | (168,637,483) |
기타포괄손익누계액 | (29,820,222,737) | (9,726,140,400) | (3,242,957,348) |
이익잉여금(결손금) | (65,009,177,280) | (49,863,860,539) | (49,762,548,514) |
[비지배지분] | - | - | - |
자본총계 | 347,308,039,045 | 382,547,438,123 | 389,131,933,200 |
구 분 | 제 7 기 반기 (2025.02.01 ~ 2025.04.30) | 제 6 기 (2024.08.01 ~ 2025.01.31) | 제 5 기 (2024.02.01 ~ 2024.07.31) |
영업수익 | 14,356,222,195 | 38,188,367,891 | 29,781,181,411 |
영업비용 | 6,691,765,927 | 11,578,716,738 | 56,618,564,132 |
영업이익(손실) | 7,664,456,268 | 26,609,651,153 | (26,837,382,721) |
영업외수익 | 404,015,476 | 4,711,958,457 | 3,916,456,831 |
영업외비용 | 4,959,217,185 | 12,357,036,055 | 10,241,380,530 |
법인세비용차감전순이익(손실) | 3,109,254,559 | 18,964,573,555 | (33,162,306,420) |
법인세비용(수익) | - | - | 1,370,836,586 |
당기순이익(손실) | 3,109,254,559 | 18,964,573,555 | (31,791,469,834) |
기타포괄손익 | (20,094,082,337) | (6,483,183,052) | (12,815,507,973) |
총포괄손익 | (16,984,827,778) | 12,481,390,503 | (44,606,977,807) |
지배기업지분에 대한 주당순이익 | 3,109,254,559 | 187 | (313) |
[괄호( )안의 숫자는 부(-)의 수치임]
* 주당순이익 : 당기순이익(손실) / 가중평균유통보통주식수* 한국채택국제회계기준(K-IFRS)에 따라 작성되었습니다.
1) 연결대상 종속회사 및 현황당반기말 현재 종속기업의 세부내역은 다음과 같습니다.
종속기업명 |
주요영업활동 |
법인설립 및 영업소재지 |
연결실체 내 기업이 소유한 지분율 및 의결권비율(%) |
결산월 |
|
당반기말 |
전기말 |
||||
(주)KB스타갤럭시타워위탁관리부동산투자회사(*1) | 부동산업 | 대한민국 | 100.00% | 100.00% |
3, 9월 |
Star Galaxy GP SRL(*2) | 부동산업 | 벨기에 | 100.00% | 100.00% | 3월 |
Star Galaxy S.Comm(*3) | 부동산업 | 벨기에 | 100.00% | 100.00% | 3월 |
(주)KB스타멀티에셋제1호위탁관리부동산투자회사(*1) | 부동산업 | 대한민국 | 100.00% | 100.00% | 2, 8월 |
(*1) | (주)KB스타위탁관리부동산투자회사가 100% 지분을 보유하고 있습니다. |
(*2) | (주)KB스타갤럭시타워위탁관리부동산투자회사가 100% 지분을 보유하고 있습니다. |
(*3) | (주)KB스타갤럭시타워위탁관리부동산투자회사가 99.99%, Star Galaxy GP가 잔여 지분을 보유하고 있습니다. |
* 수익증권인 LB영국부동산펀드 18호, 19호는 비연결대상으로 상기 연결대상 종속회사 내역에 기재하지 않았습니다. |
나. 요약재무정보
(단위 : 원)
구 분 | 제 7 기 반기(2025년 04월 30일) | 제 6 기(2025년 01월 31일) | 제 5 기(2024년 07월 31일) |
[유동자산] | 2,431,121,797 | 22,521,532,731 | 25,808,645,089 |
[비유동자산] | 526,515,246,761 | 525,800,312,241 | 524,920,047,055 |
자산총계 | 528,946,368,558 | 548,321,844,972 | 550,728,692,144 |
[유동부채] | 84,890,042,689 | 85,041,089,911 | 30,096,185,706 |
[비유동부채] | - | - | 54,839,568,333 |
부채총계 | 84,890,042,689 | 85,041,089,911 | 84,935,754,039 |
[자본금] | 50,707,142,500 | 50,707,142,500 | 50,707,142,500 |
[자본잉여금] | 391,598,934,045 | 391,598,934,045 | 391,598,934,045 |
[기타포괄손익누계액] | - | - | - |
[이익잉여금] | 1,750,249,324 | 20,974,678,516 | 23,486,861,560 |
자본총계 | 444,056,325,869 | 463,280,755,061 | 465,792,938,105 |
종속·관계·공동기업 투자주식의 평가방법 |
원가법 | 원가법 | 원가법 |
구 분 | 제 7 기 반기 (2025.02.01 ~ 2025.04.30) | 제 6 기 (2024.08.01 ~ 2025.01.31) | 제 5 기 (2024.02.01 ~ 2024.07.31) |
영업수익 | 714,934,520 | 20,080,374,760 | 18,681,664,900 |
영업비용 | 416,314,709 | 762,851,396 | 31,324,988,543 |
영업이익 | 298,619,811 | 19,317,523,364 | (12,643,323,643) |
영업외수익 | 156,156,786 | 269,156,628 | 381,661,125 |
영업외비용 | 1,424,634,489 | 3,032,977,456 | 2,684,066,285 |
법인세비용차감전순이익 | (969,857,892) | 16,553,702,536 | (14,945,728,803) |
법인세비용 | - | - | - |
당기순이익(손실) | (969,857,892) | 16,553,702,536 | (14,945,728,803) |
기타포괄손익 | - | - | - |
총포괄손익 | (969,857,892) | 16,553,702,536 | (14,945,728,803) |
주당순이익 | (10) | 163 | (147) |
[괄호( )안의 숫자는 부(-)의 수치임]
* 주당순이익 : 당기순이익(손실) / 가중평균유통보통주식수* 한국채택국제회계기준(K-IFRS)에 따라 작성되었습니다.
제 7 기 반기말 |
제 6 기말 |
|
---|---|---|
제 7 기 반기 |
제 6 기 반기 |
|||
---|---|---|---|---|
3개월 |
누적 |
3개월 |
누적 |
|
자본 |
||||||||
---|---|---|---|---|---|---|---|---|
지배기업의 소유주에게 귀속되는 지분 |
비지배지분 |
자본 합계 |
||||||
자본금 |
자본잉여금 |
자본조정 |
기타포괄손익누계액 |
이익잉여금 |
지배기업의 소유주에게 귀속되는 지분 합계 |
|||
제 7 기 반기 |
제 6 기 반기 |
|
---|---|---|
기업회계기준서 제1110호 '연결재무제표'에 의한 지배기업인 주식회사 케이비스타위탁관리부동산투자회사(이하 "지배회사")와 주식회사 케이비스타갤럭시타워위탁관리부동산투자회사 등 4개 종속기업(이하 "연결회사")을 연결대상으로 하여 연결재무제표를 작성하였습니다.(1) 지배기업의 개요 주식회사 케이비스타위탁관리부동산투자회사(구:주식회사 케이비스타글로벌위탁관리부동산투자회사, 이하 "지배회사")는 부동산투자회사법에 따른 위탁관리부동산투자회사로서 2022년 2월 8일에 설립되었으며, 2022년 6월 28일 상호를 ㈜케이비스타위탁관리부동산투자회사로 변경하였습니다.회사의 주요 사업목적은 부동산투자회사법에 따라 그 자산을 투자ㆍ운용하여 그 수익을 주주에게 배당하는 것입니다.회사의 본점 소재지는 서울특별시 영등포구 국제금융로 10, 41층(여의도동, 쓰리아이에프씨)이며, 회사의 사업연도는 매 6개월 단위(매년 2월 1일과 8월 1일에 개시)입니다. 다만, 최초사업연도는 설립등기일부터 2022년 6월 30일까지 입니다. 2025년 04월 30일 현재 지배회사의 주요 주주구성은 다음과 같습니다.
(2) 종속기업의 개요1) 종속기업의 현황회사와 회사의 종속기업(이하 '연결실체')는 부동산 임대 등을 영위하고 있습니다. 한편, 당반기말 현재 연결재무제표 작성대상에 포함된 종속기업의 현황은 다음과 같습니다.
2) 종속기업 관련 재무정보 요약당반기말 및 전기말 현재 연결대상 종속기업의 요약 재무정보는 다음과 같습니다.
|
연결회사가 연결재무제표 작성에 적용한 주요 회계정책은 다음과 같습니다.(1) 연결재무제표 작성기준 1) 회계기준의 적용연결재무제표는 한국채택국제회계기준에 따라 작성되었습니다.2) 측정기준연결재무제표는 금융상품 등 아래 회계정책에서 별도로 언급하고 있는 사항을 제외하고는 역사적 원가를 기준으로 작성되었습니다. 3) 추정과 판단한국채택국제회계기준에서는 연결재무제표를 작성함에 있어서 회계정책의 적용이나, 보고기간말 현재 자산, 부채 및 수익, 비용의 보고금액에 영향을 미치는 사항에 대하여 경영진의 최선의 판단을 기준으로 한 추정치와 가정의 사용을 요구하고 있습니다. 보고기간말 현재 경영진의 최선의 판단을 기준으로 한 추정치와 가정이 실제 환경과 다를 경우 이러한 추정치와 실제 결과는 다를 수 있습니다.추정치와 추정에 대한 기본 가정은 지속적으로 검토되고 있으며, 회계추정의 변경은 추정이 변경된 기간과 미래 영향을 받을 기간 동안 인식되고 있습니다. 4) 연결회사가 채택한 제ㆍ개정 기준서 및 해석서 연결회사는 2025년 2월 1일 이후 개시하는 개시하는 회계기간부터 다음의 제ㆍ개정 기준서 및 해석서를 신규로 적용하였습니다. - 기업회계기준서 제1021호 '환율변동효과'와 기업회계기준서 제1101호 '한국채택국제회계기준의 최초채택' 개정 - 교환가능성 결여 통화의 교환가능성을 평가하고 다른 통화와 교환이 가능하지 않다면 현물환율을 추정하며 관련 정보를 공시하도록 하고 있습니다. 해당 기준서의 개정이 재무제표에 미치는 중요한 영향은 없습니다. 5) 연결회사가 적용하지 않은 제ㆍ개정기준서 및 해석서보고기간말 현재 제정ㆍ공표되었으나 시행일이 도래하지 않아 적용하지 아니한 제ㆍ개정 기준서 및 해석서는 다음과 같습니다.- 기업회계기준서 제1109호 '금융상품', 제1107호 '금융상품: 공시' 개정 실무에서 제기된 의문에 대응하고 새로운 요구사항을 포함하기 위해 기업회계기준서제1109호 '금융상품'과 제1107호 '금융상품: 공시'가 개정되었습니다. 동 개정사항은 2026 년 2월 1 일 이후 시작하는 회계연도부터 적용되며, 조기적용이 허용됩니다.주요 개정내용은 다음과 같습니다. 연결회사는 동 개정으로 인한 재무제표의 영향을 검토중에 있습니다. ·특정 기준을 충족하는 경우, 결제일 전에 전자지급시스템을 통해 금융부채가 결제된 것으로(제거된 것으로) 간주할 수 있도록 허용 ·금융자산이 원리금 지급만으로 구성되어 있는지의 기준을 충족하는지 평가하기 위한 추가 지침을 명확히 하고 추가함. ·계약상 현금흐름의 시기나 금액을 변경시키는 계약조건이 기업에 미치는 영향과 기업이 노출되는 정도를 금융상품의 각 종류별로 공시 ·FVOCI 지정 지분상품에 대한 추가 공시 - 한국채택국제회계기준 연차개선Volume 11 한국채택국제회계기준 연차개선Volume 11은 2026 년 2 월 1 일 이후 시작하는 회계연도부터 적용되며, 조기적용이 허용됩니다. 연결회사는 동 개정으로 인해 재무제표에 중요한 영향은 없을 것으로 예상하고 있습니다. ·기업회계기준서 제1101호'한국채택국제회계기준의 최초채택': K-IFRS 최초 채택시 위험회피회계 적용 ·기업회계기준서 제1107호'금융상품:공시': 제거 손익, 실무적용지침 ·기업회계기준서 제1109호'금융상품': 리스부채의 제거 회계처리와 거래가격의 정의 ·기업회계기준서 제1110호'연결재무제표': 사실상의 대리인 결정 ·기업회계기준서 제1007호'현금흐름표': 원가법 (2) 영업부문 연결회사는 기업회계기준서 제1108호 '영업부문'에 따른 보고부문이 단일부문으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3) 연결기준연결실체는 지배기업과 지배기업(또는 그 종속기업)이 지배하고 있는 다른 기업의 재무제표를 통합하여 연결재무제표를 작성하고 있습니다. 연결실체는 1) 피투자자에 대한 힘, 2) 피투자자에 대한 관여로 인한 변동이익에 대한 노출 또는 권리, 3) 투자자의 이익금액에 영향을 미치기 위하여 피투자자에 대하여 자신의 힘을 사용하는 능력이 3가지 요소를 모두 충족할 때 지배력이 존재한다고 판단하고 있습니다. 또한 상기지배력의 3가지 요소 중 하나 이상에 변화가 있음을 나타내는 사실과 상황이 존재하는 경우, 피투자자를 지배하는지 재평가 하고 있습니다. 연결실체가 피투자자 의결권의 과반수 미만을 보유하더라도, 피투자자의 관련활동을일방적으로 지시할 수 있는 실질적인 능력을 가지기에 충분한 의결권을 보유하고 있다면 피투자자에 대한 힘을 보유하고 있는 것으로 판단하고 있습니다. 연결회사가 보유하고 있는 의결권이 피투자자에 대한 힘을 부여하기에 충분한지 여부를 평가할 때 다음 사항을 포함하여 모든 관련 사실과 상황을 고려하고 있습니다.
종속기업의 연결은 지배기업이 종속기업에 대한 지배력을 획득하는 날부터 시작되어지배기업이 종속기업에 대한 지배력을 상실할 때 중지됩니다. 특히 당반기 중 취득 또는 처분한 종속기업과 관련된 수익과 비용은 취득이 사실상 완료된 날부터 또는 처분이 사실상 완료된 날까지 연결포괄손익계산서에 포함됩니다. 당반기순손익과 기타포괄손익의 각 구성요소를 지배기업의 소유주와 비지배지분에 귀속시키고 있으며, 비지배지분이 부(-)의 잔액이 되더라도 총포괄손익은 지배기업의 소유주와 비지배지분에 귀속시키고 있습니다. 연결실체를 구성하는 기업이 유사한 상황에서 발생한 동일한 거래나 사건에 대하여 연결재무제표에서 채택한 회계정책과 다른 회계정책을 사용한 경우에는 그 재무제표를 적절히 수정하여 연결재무제표를 작성하고 있습니다. 연결실체 내의 거래, 이와 관련된 자산과 부채, 수익과 비용 등은 연결재무제표 작성시 모두 제거하고 있습니다. 종속기업의 비지배지분은 연결실체의 자본과 별도로 식별합니다. 취득일에 피취득자에 대한 비지배지분의 요소가 현재의 지분이며 청산시에 보유자에게 기업 순자산의 비례적 몫에 대하여 권리를 부여하고 있는 경우에는 이러한 비지배지분은 취득일에 1) 공정가치와 2) 피취득자의 식별가능한 순자산에 대하여 인식한 금액 중 현재의 지분상품의 비례적 몫 중 하나의 방법으로 측정할 수 있습니다. 이러한 측정기준의 선택은 각 취득거래별로 이루어집니다. 그 밖의 모든 비지배지분 요소는 취득일의 공정가치로 측정합니다. 취득 후에 비지배지분의 장부금액은 최초 인식한 금액에 취득 이후 자본 변동에 대한 비지배지분의 비례지분을 반영한 금액입니다. 비지배지분이 부(-)의 잔액이 되더라도 총포괄손익은 비지배지분에 귀속되고 있습니다. 지배력을 상실하지 않는 종속기업에 대한 연결실체의 소유지분변동은 자본거래로 회계처리하고 있습니다. 연결실체의 지배지분과 비지배지분의 장부금액은 종속기업에 대한 상대적 지분변동을 반영하여 조정하고 있습니다. 비지배지분의 조정금액과 지급하거나 수취한 대가의 공정가치의 차이는 자본으로 직접 인식하고 지배기업의 소유주에게 귀속시키고 있습니다. 지배기업이 종속기업에 대한 지배력을 상실한 경우, (i) 수취한 대가 및 보유한 지분의 공정가치의 합계액과 (ii) 종속기업의 자산(영업권 포함)과 부채, 비지배지분의 장부금액의 차이금액을 처분손익으로 계상하고 있습니다. 종속기업과 관련하여 기타포괄손익으로 이전에 인식한 금액에 대하여 관련 자산이나 부채를 직접 처분한 경우의 회계처리(즉 당반기손익으로 재분류하거나 이익잉여금으로 직접 대체)와 동일한 기준으로 회계처리하고 있습니다. 지배력을 상실한 날에 이전의 종속기업에 대한 투자자산의 공정가치는 기업회계기준서 제1109호 '금융상품'에 따른 금융자산의 최초 인식시의 공정가치로 간주하거나 적절한 경우 관계기업 또는 공동기업에 대한 투자의 최초 인식시의 원가로 간주하고 있습니다. (4) 사업결합종속기업 및 사업의 취득은 취득법을 적용하여 회계처리하였습니다. 사업결합 이전대가는 피취득자에 대한 지배력을 대가로 이전하는 자산, 연결실체가 피취득자의 이전 소유주에 대하여 부담하는 부채 및 발행한 지분의 취득일의 공정가치의 합계로 산정하고 있습니다. 취득관련원가는 발생시점에 당반기손익으로 인식하고 있습니다. 취득일에 식별가능한 취득자산, 인수부채 및 우발부채는 다음을 제외하고는 취득일에 공정가치로 인식하고 있습니다.
영업권은 이전대가, 피취득자에 대한 비지배지분의 금액, 연결실체가 이전에 보유하고 있던 피취득자에 대한 지분의 공정가치의 합계금액이 취득일 현재 식별가능한 취득 자산과 인수 부채의 공정가치순액을 초과하는 금액으로 측정하고 있습니다. 취득일에 식별가능한 취득 자산과 인수 부채의 공정가치순액이 이전대가, 피취득자에 대한 비지배지분의 금액, 연결실체가 이전에 보유하고 있던 피취득자에 대한 지분의 공정가치의 합계금액을 초과하는 금액이 재검토 후에도 존재하는 경우에, 그 초과금액은 즉시 염가매수차익으로 당반기손익에 반영하고 있습니다. 사업결합으로 인한 연결실체의 이전대가에는 조건부 대가 약정으로 인한 자산과 부채를 포함하고 있으며 조건부 대가는 취득일의 공정가치로 측정하고 사업결합으로 인한 이전대가의 일부로 포함되어 있습니다. 취득일 이후 공정가치의 변동액은 측정기간 조정사항의 조건을 충족하는 경우 소급하여 조정하고 해당 영업권에서 조정하고 있습니다. 측정기간 조정사항이란 '조정기간'(취득일로부터 1년을 초과할 수 없 음)동안 취득일 현재 존재하던 사실과 상황에 대한 추가적 정보를 획득하여 발생하는조정사항을 말합니다. 측정기간 조정사항의 조건을 충족하지 않는 조건부 대가의 공정가치 변동액은 조건부 대가의 분류에 따라 회계처리하고 있습니다. 자본으로 분류된 조건부 대가는 이후보고일에 재측정하지 않고 결제되는 경우 자본으로 회계처리하고 있습니다. 그 밖의 조건부 대가는 이후 보고일에 공정가치로 재측정하고, 공정가치 변동은 당기손익으로 인식하고 있습니다. 단계적으로 이루어지는 사업결합에서 연결실체는 이전에 보유하고 있던 피취득자에 대한 지분(공동영업 포함)을 취득일의 공정가치로 재측정하고 그 결과 차손익이 있다면 당기손익(또는 적절한 경우 기타포괄손익)으로 인식하고 있습니다. 취득일 이전에피취득자에 대한 지분의 가치변동을 기타포괄손익으로 인식한 금액은 이전에 보유한지분을 직접 처분하였다면 적용할 기준과 동일하게 인식하고 있습니다. 사업결합에 대한 최초 회계처리가 사업결합이 발생한 보고기간 말까지 완료되지 못한다면, 연결실체는 회계처리가 완료되지 못한 항목의 잠정 금액을 연결재무제표에 보고하고 있습니다. 측정기간(위 참고) 동안에 취득일 현재 존재하던 사실과 상황에 대하여 새롭게 입수한 정보가 있는 경우 연결실체는 취득일에 이미 알았더라면 취득일에 인식된 금액의 측정에 영향을 주었을 그 정보를 반영하기 위하여 취득일에 인식한 잠정금액을 소급하여 조정하거나 추가적인 자산과 부채를 인식하고 있습니다. (5) 영업권사업결합에서 발생하는 영업권은 지배력을 획득하는 시점(취득일)에 원가에서 누적손상차손을 차감하여 인식하고 있습니다. 손상검사를 위하여 영업권은 사업결합으로 인한 시너지효과가 예상되는 연결실체의 현금창출단위(또는 현금창출단위집단)에 배분됩니다. 영업권이 배분된 현금창출단위에 대해서는 매년 그리고 손상을 시사하는 징후가 있을 때마다 손상검사를 수행합니다. 현금창출단위의 회수가능액이 장부금액에 미달할경우, 손상차손은 먼저 현금창출단위에 배분된 영업권의 장부금액을 감소시키고 잔여손상차손은 현금창출단위를 구성하는 다른 자산들의 장부금액에 비례하여 배분하고 있습니다. 영업권의 손상차손은 당기손익으로 직접 인식되어 있습니다. 영업권에 대해 인식한 손상차손은 추후에 환입할 수 없습니다. 관련 현금창출단위를 처분할 경우 관련 영업권 금액은 처분손익의 결정에 포함됩니다. (6) 기능통화와 표시통화연결실체는 영업활동이 이루어지는 주된 경제 환경에서의 통화("기능통화")를 적용하여 측정하고 있습니다. 연결실체의 기능통화는 대한민국 원화이며, 재무제표는 대한민국 원화로 표시되어 있습니다.(7) 현금및현금성자산연결회사는 취득일로부터 만기일이 3개월 이내인 투자자산을 현금및현금성자산으로분류하고 있습니다. 지분상품은 현금성자산에서 제외되나, 상환일이 정해져 있고 취득일로부터 상환일까지의 기간이 단기인 우선주와 같이 실질적인 현금성자산인 경우에는 현금성자산에 포함됩니다.(8) 비금융자산의 손상종업원급여에서 발생한 자산, 재고자산, 이연법인세자산 및 매각예정으로 분류되는 비유동자산을 제외한 모든 비금융자산에 대해서는 매 보고기간말마다 자산손상을 시사하는 징후가 있는지를 검토하며, 만약 그러한 징후가 있다면 당해 자산의 회수가능액을 추정하고 있습니다. 단, 사업결합으로 취득한 영업권 및 내용연수가 비한정인 무형자산, 아직 사용할 수 없는 무형자산에 대해서는 자산손상을 시사하는 징후와 관계없이 매년 회수가능액과 장부금액을 비교하여 손상검사를 하고 있습니다. 회수가능액은 개별 자산별로, 또는 개별 자산의 회수가능액을 추정할 수 없다면 그 자산이 속하는 현금창출단위별로 회수가능액을 추정하고 있습니다. 회수가능액은 사용가치와 순공정가치 중 큰 금액으로 결정하고 있습니다. 사용가치는 자산이나 현금창출단위에서 창출될 것으로 기대되는 미래현금흐름을 화폐의 시간가치 및 미래현금흐름을 추정할 때 조정되지 아니한 자산의 특유위험에 대한 현행 시장의 평가를 반영한 적절한 할인율로 할인하여 추정합니다.자산이나 현금창출단위의 회수가능액이 장부금액에 미달하는 경우 자산의 장부금액을 감소시키며 즉시 당기손익으로 인식하고 있습니다.(9) 투자부동산임대수익이나 투자차익을 목적으로 보유하고 있는 부동산은 투자부동산으로 분류됩니다. 투자부동산은 최초 인식시점에 원가로 측정되며, 최초 인식 후에 원가에서 감가상각누계액과 손상차손누계액을 차감한 금액을 장부금액으로 표시하고 있습니다.부동산의 용도가 변경되는 경우에만 투자부동산의 대체가 발생하고 있으며 투자부동산, 자가사용부동산, 재고자산 사이에 대체가 발생할 때에 대체 전 자산의 장부금액을 승계하고 있습니다.후속원가는 자산으로부터 발생하는 미래의 경제적 효익이 유입될 가능성이 높으며, 그 원가를 신뢰성 있게 측정할 수 있는 경우에 한하여 자산의 장부금액에 포함하거나적절한 경우 별도의 자산으로 인식하고 있으며, 후속지출에 의해 대체된 부분의 장부금액은 제거하고 있습니다. 한편, 일상적인 수선ㆍ유지와 관련하여 발생하는 원가는 발생시점에 당기손익으로 인식하고 있습니다. (10) 파생상품 파생상품은 최초 인식시 계약일의 공정가치로 측정하며, 후속적으로 매 보고기간종료일 현재의 공정가치로 재측정합니다. 파생상품을 위험회피수단으로 지정하고 위험회피에 효과적이지 않다면, 파생상품의 공정가치변동으로 인한 평가손익은 즉시 당기손익으로 인식하고 있으며, 인식시기는 위험회피관계의 특성에 따라 좌우됩니다. 연결실체는 발생가능성이 매우 높은 예상거래 또는 확정거래의 외화위험(현금흐름위험회피)을 회피하기 위하여 특정 파생상품을 위험회피수단으로 지정하고 있습니다. (가) 공정가치 위험회피 연결실체는 위험회피수단으로 지정되고, 공정가치위험회피회계의 적용요건을 충족한 파생상품의 공정가치 변동과 회피대상위험으로 인한 위험회피대상항목의 공정가치 변동은 당기손익으로 인식하고 있습니다.연결실체가 더 이상 위험회피관계를 지정하지 않거나 위험회피수단이 소멸ㆍ매각ㆍ종료ㆍ행사되거나 공정가치 위험회피회계의 적용요건을 더 이상 충족하지 않을 경우위험회피회계는 전진적으로 중단됩니다. 회피대상위험으로 인한 위험회피대상항목의 장부금액 조정액은 위험회피회계가 중단된 날부터 상각하여 당기손익으로 인식하고 있습니다.(나) 현금흐름 위험회피 연결실체는 위험회피수단으로 지정되고 현금흐름위험회피회계의 적용요건을 충족한 파생상품의 공정가치변동분 중 위험회피에 효과적인 부분은 기타포괄손익으로 처리하고 있으며, 위험회피에 비효과적인 부분은 즉시 당기손익으로 인식하고 있습니다. 과거에 기타포괄손익으로 인식하고 자본으로 인식한 파생상품의 누적평가손익은 위험회피대상항목이 포괄손익계산서상 당기손익에 영향을 미치는 때에 당기손익으로 재분류하고 있습니다. 그러나, 위험회피대상 예상거래에 따라 향후 비금융자산이나 비금융부채를 인식하는 경우에는 과거에 자본으로 인식한 파생상품평가손익은 자본에서 제거하여 비금융자산 또는 비금융부채의 최초 원가에 포함하고 있습니다.현금흐름위험회피회계는 연결실체가 더 이상 위험회피관계를 지정하지 않거나, 위험회피수단이 소멸ㆍ매각ㆍ종료ㆍ행사되거나, 현금흐름위험회피회계의 적용요건을 더 이상 충족하지 않을 경우 중단됩니다. 현금흐름위험회피회계 중단시점에서 자본으로 인식한 파생상품의 누적평가손익은 계속하여 자본으로 인식하고, 예상거래가 발생하는 시점에 당기손익으로 인식합니다. 다만, 예상거래가 더 이상 발생하지 않을것이라 예상되는 경우에는 자본으로 인식한 파생상품의 누적평가손익은 즉시 당기손익으로 인식합니다. (11) 납입자본보통주는 자본으로 분류하며 자본거래와 직접 관련되어 발생하는 증분원가는 세금효과를 반영한 순액으로 자본에서 차감하고 있습니다.연결회사가 자기지분상품을 재취득하는 경우에 이러한 지분상품은 자기주식의 과목으로 자본에서 직접 차감하고 있습니다. 자기지분상품을 매입 또는 매도하거나 발행 또는 소각하는 경우의 손익은 당기손익으로 인식하지 아니합니다. 연결회사가 자기주식을 취득하여 보유하는 경우 지급하거나 수취한 대가는 자본에서 직접 인식하고 있습니다. (12) 수익연결회사는 부동산투자회사법에 근거하여 설립된 위탁관리부동산투자회사로서 투자부동산의 운용리스 제공으로부터 발생하는 리스료 수익을 리스기간에 걸쳐 정액기준으로 인식하고 있습니다. 따라서 기업회계기준서 제1115호 '고객과의 계약에서 생기는 수익'의 적용범위에 포함되지 않습니다.(13) 금융수익과 금융비용금융수익은 이자수익, 배당수익 등을 포함하고 있습니다. 이자수익은 기간의 경과에 따라 유효이자율법을 적용하여 당기손익으로 인식하며, 배당수익은 주주로서 배당을받을 권리가 확정되는 시점에 수익을 인식하고 있습니다.금융비용은 차입금에 대한 이자비용 등을 포함하고 있으며, 이자비용은 유효이자율법을 적용하여 기간의 경과에 따라 당기손익으로 인식하고 있습니다. (14) 금융자산과 금융부채1) 금융자산의 분류모든 금융자산은 금융자산의 관리를 위한 사업모형과 계약상 현금흐름 특성에 근거하여 후속적으로 상각후원가나 기타포괄손익으로 인식하는 공정가치 또는 당기손익으로 인식하는 공정가치로 측정합니다. 2) 금융부채의 분류 모든 금융부채는 후속적으로 유효이자율법을 사용하여 상각후원가로 측정하거나 당기손익-공정가치로 측정합니다.당기손익-공정가치측정금융부채는 공정가치로 측정하며 위험회피관계로 지정된 부분을 제외한 공정가치의 변동으로 인해 발생하는 평가손익은 당기손익으로 인식합니다.금융부채는 사업결합에서 취득자의 조건부대가이거나 단기매매항목이거나 최초 인식시 당기손익인식항목으로 지정할 경우에 해당하지 않는 경우 후속적으로 유효이자율법을 사용하여 상각후원가로 측정됩니다. 3) 제거 금융자산의 현금흐름에 대한 계약상 권리가 소멸하거나, 금융자산을 양도하여 금융자산의 소유에 따른 위험과 보상의 대부분을 다른 기업에게 이전할 때에만 금융자산을 제거합니다. 금융부채는 계약상 의무가 이행, 취소 또는 만료된 경우에만 재무상태표에서 제거됩니다. 지급한 대가와 제거되는 금융부채의 장부금액과의 차이는 당기손익으로 인식하고 있습니다. 4) 금융상품의 상계 연결회사는 인식한 금융자산과 금융부채에 대해 법적으로 집행가능한 상계 권리를 현재 보유하고 있고, 순액으로 결제하거나 자산을 실현하는 동시에 부채를 결제할 의도를 가지고 있는 경우에만 상계하여 재무상태표에 순액으로 표시하고 있습니다. (15) 금융자산의 손상1) 금융상품과 계약자산연결회사는 다음 자산의 기대신용손실에 대해 손실충당금을 인식합니다.- 상각후원가로 측정하는 금융자산- 기타포괄손익-공정가치로 측정하는 채무상품연결회사는 12개월 기대신용손실로 측정되는 다음의 금융자산을 제외하고는 전체기간 기대신용손실에 해당하는 금액으로 손실충당금을 측정합니다.- 보고기간말에 신용이 위험이 낮다고 결정된 채무증권- 최초 인식 이후 신용위험(즉, 금융자산의 기대존속기간동안에 걸쳐 발생할 채무불이행 위험)이 유의적으로 증가하지 않은 기타 채무증권과 은행예금매출채권(리스채권 포함)과 계약자산에 대한 손실충당금은 항상 전체기간 기대신용손실에 해당하는 금액으로 측정됩니다. 금융자산의 신용위험이 최초 인식 이후 유의적으로 증가했는지를 판단할 때와 기대신용손실을 추정할 때, 연결회사는 과도한 원가나 노력 없이 이용할 수 있고 합리적이고 뒷받침될 수 있는 정보를 고려합니다. 여기에는 미래지향적인 정보를 포함하여 연결회사의 과거 경험과 알려진 신용평가에 근거한 질적, 양적인 정보 및 분석이 포함됩니다.연결회사는 금융자산의 신용위험은 연체일수가 30일을 초과하는 경우에 유의적으로증가한다고 가정합니다.연결회사는 다음과 같은 경우 금융자산에 채무불이행이 발생했다고 고려합니다.- 채무자가 연결회사가 소구활동을 하지 않으면, 연결회사에게 신용의무를 완전하게 이행하지 않을 것 같은 경우- 금융자산의 연체일수가 90일을 초과한 경우 연결회사는 채무증권의 신용위험등급이 국제적으로 '투자등급의 정의로 이해되는 수준인 경우 신용위험이 낮다고 간주합니다. 전체기간 기대신용손실은 금융상품의 기대존속기간에 발생할 수 있는 모든 채무불이행 사건에 따른 기대신용손실입니다.12개월 기대신용손실은 보고기간 말 이후 12개월 이내(또는 금융상품의 기대존속기간이 12개월 보다 적은 경우 더 짧은 기간)에 발생 가능한 금융상품의 채무불이행 사건으로 인한 기대신용손실을 나타내는 전체기간 기대신용손실의 일부입니다.기대신용손실을 측정할 때 고려하는 가장 긴 기간은 연결회사가 신용위험에 노출되는 최장 계약기간입니다. 2) 기대신용손실의 측정기대신용손실은 신용손실의 확률가중추정치입니다. 신용손실은 모든 현금부족액(즉,계약에 따라 지급받기로 한 모든 계약상 현금흐름과 수취할 것으로 예상하는 모든 계약상 현금흐름의 차이)의 현재가치로 측정됩니다. 기대신용손실은 해당 금융자산의 유효이자율로 할인됩니다.3) 신용이 손상된 금융자산매 보고기간말에, 연결회사는 상각후원가로 측정되는 금융자산과 기타포괄손익-공정가치로 측정되는 채무증권의 신용이 손상되었는지 평가합니다. 금융자산의 추정미래현금흐름에 악영향을 미치는 하나 이상의 사건이 발생한 경우에 해당 금융자산은 신용이 손상된 것입니다.금융자산의 신용이 손상된 증거는 다음과 같은 관측 가능한 정보를 포함합니다.- 발행자나 차입자의 유의적인 재무적 어려움- 채무불이행이나 90일 이상 연체와 같은 계약 위반- 차입자의 재무적 어려움에 관련된 경제적이나 계약상 이유로 당초 차입조건의 불가피한 완화- 차입자의 파산가능성이 높아지거나 그 밖의 재무구조조정 가능성이 높아짐- 재무적 어려움으로 인해 해당 금융자산에 대한 활성시장 소멸 4) 재무상태표 상 신용손실충당금의 표시상각후원가로 측정하는 금융자산에 대한 손실충당금은 해당 자산의 장부금액에서 차감합니다.기타포괄손익-공정가치로 측정하는 채무상품에 대해서는 손실충당금은 당기손익에 포함하고 기타포괄손익에 인식합니다.5) 제각금융자산의 계약상 현금흐름 전체 또는 일부의 회수에 대한 합리적인 기대가 없는 경우 해당 자산을 제거합니다. 개인고객에 대해 연결회사는 유사자산의 회수에 대한 과거 경험에 근거하여 금융자산이 180일 이상 연체되는 경우에 장부금액을 제각하고, 기업고객에 대해서는 회수에 대한 합리적인 기대가 있는지를 평가하여 제각의 시기와 금액을 개별적으로 평가합니다. 연결회사는 제각한 금액이 유의적으로 회수할 것이라는 기대를 갖고 있지 않습니다. 그러나 제각된 금융자산은 연결회사의 만기가 된금액의 회수 절차에 따라 회수활동의 대상이 될 수 있습니다.(16) 유동과 비유동의 구분1) 유동자산의 분류자산은 다음의 경우에 유동자산으로 분류됩니다.- 기업의 정상영업주기 내에 실현될 것으로 예상하거나, 정상영업주기 내에 판매하거나 소비할 의도가 있음- 주로 단기매매 목적으로 보유- 보고기간 후 12개월 이내에 실현될 것으로 예상- 현금이나 현금성자산으로서, 교환이나 부채 상환 목적으로의 사용에 대한 제한 기간이 보고기간 후 12개월 이상이 아님그 밖의 모든 자산은 비유동자산으로 분류됩니다. 2) 유동부채의 분류부채는 다음의 경우에 유동부채로 분류됩니다.- 기업의 정상영업주기 내에 결제될 것으로 예상- 주로 단기매매 목적으로 보유- 보고기간 후 12개월 이내에 결제할 것으로 예상- 보고기간 후 12개월 이상 부채의 결제를 연기할 수 있는 무조건의 권리를 가지고 있지 않음그 밖의 모든 부채는 비유동부채로 분류됩니다. (17) 법인세법인세비용은 당기법인세와 이연법인세로 구성됩니다. 법인세는 기타포괄손익이나 자본에 직접 인식된 항목과 관련된 금액은 해당 항목에서 직접 인식하며, 이를 제외하고는 당기손익으로 인식됩니다. 법인세비용은 보고기간말 현재 제정되었거나 실질적으로 제정된 세법을 기준으로 측정됩니다.경영진은 적용 가능한 세법 규정이 해석에 따라 달라질 수 있는 상황에 대하여 연결회사가 세무신고 시 적용한 세무정책에 대하여 주기적으로 평가하고 있습니다. 연결회사는 세무당국에 납부할 것으로 예상되는 금액에 기초하여 당기법인세비용을 인식합니다.이연법인세는 자산과 부채의 장부금액과 세무기준액의 차이로 발생하는 일시적 차이에 대하여 장부금액을 회수하거나 결제할 때의 예상 법인세효과로 인식됩니다. 다만,사업결합 이외의 거래에서 자산ㆍ부채를 최초로 인식할 때 발생하는 이연법인세자산과 부채는 그 거래가 회계이익이나 과세소득에 영향을 미치지 않는다면 인식되지 않습니다.이연법인세자산은 차감할 일시적 차이가 사용될 수 있는 미래 과세소득의 발생가능성이 높은 경우에 인식됩니다. 이연법인세자산과 부채는 법적으로 당기법인세자산과 당기법인세부채를 상계할 수 있는 권리를 연결회사가 보유하고 있으며, 동시에 이연법인세자산과 부채가 동일한 과세당국에 의해서 부과되는 법인세와 관련이 있으면서 순액으로 결제할 의도가 있는 경우에 상계됩니다.다만, 연결회사는 법인세법 시행령 제120조의12(연결납세방식의 적용제외 법인 등) 에 의해, 부동산산투자회사법에 따른 위탁관리부동산투자회사로서 연결회사가 부담할 법인세 등은 없으므로 당반기법인세를 계상하지 않았습니다. 또한, 미래에 발생할과세소득의 불확실성으로 인하여 보고기간종료일 현재 미래에 일시적차이에 대한 이연법인세자산(부채)을 계상하지 아니하였습니다. (18) 부동산투자회사법상의 특칙적용 : 이익준비금적립의무 배제 및 초과배당연결회사는 설립일 현재 시행되고 있는 부동산투자회사법 개정법률(법률 제7243호) 제28조 제1항에 의하여 이익처분시 이익준비금의 법정적립을 규정한 상법 제458조가 배제되어 이익준비금을 적립하지 아니합니다. 또한, 동 법 제28조 제3항에 의하여상법제462조가 배제되어 당해연도의 감가상각비 범위 안에서 이익을 초과하는 배당이 가능합니다.(19) 주당손익연결회사는 보통주 기본주당손익과 희석주당손익을 계속영업손익과 당반기순손익에 대하여 계산하고 포괄손익계산서에 표시하고 있습니다. 기본주당손익은 보통주에귀속되는 당반기순손익을 보고기간 동안에 유통된 보통주식수를 가중평균한 주식수로 나누어 계산하고 있습니다. 희석주당손익은 전환사채와 종업원에게 부여한 주식기준보상 등 모든 희석화 효과가 있는 잠재적 보통주의 영향을 고려하여 보통주에 귀속되는 당반기순손익 및 가중평균유통보통주식수를 조정하여 계산하고 있습니다. |
공시금액 |
|
---|---|
공시금액 |
|
---|---|
금융자산, 분류 |
|
---|---|
현금성자산 |
|
거래상대방 |
|
BNP Paribas S.A. |
|
금융자산, 분류 |
|
---|---|
현금성자산 |
|
거래상대방 |
|
BNP Paribas S.A. |
|
공시금액 |
|
---|---|
공시금액 |
|
---|---|
공시금액 |
|
---|---|
공시금액 |
|
---|---|
위험 |
|
---|---|
이자율위험 |
|
위험회피 |
|
현금흐름위험회피 |
|
공시금액 |
|
---|---|
공시금액 |
|
---|---|
투자부동산 |
투자부동산 합계 |
||||||||
---|---|---|---|---|---|---|---|---|---|
토지 |
건물 |
||||||||
장부금액 |
장부금액 합계 |
장부금액 |
장부금액 합계 |
||||||
총장부금액 |
감가상각누계액 및 상각누계액 |
손상차손누계액 |
총장부금액 |
감가상각누계액 및 상각누계액 |
손상차손누계액 |
||||
투자부동산 |
투자부동산 합계 |
||||||||
---|---|---|---|---|---|---|---|---|---|
토지 |
건물 |
||||||||
장부금액 |
장부금액 합계 |
장부금액 |
장부금액 합계 |
||||||
총장부금액 |
감가상각누계액 및 상각누계액 |
손상차손누계액 |
총장부금액 |
감가상각누계액 및 상각누계액 |
손상차손누계액 |
||||
토지 |
건물 |
투자부동산 합계 |
|
---|---|---|---|
토지 |
건물 |
투자부동산 합계 |
|
---|---|---|---|
투자부동산 |
투자부동산 합계 |
||||||||
---|---|---|---|---|---|---|---|---|---|
토지 |
건물 |
||||||||
공정가치 서열체계의 모든 수준 |
공정가치 서열체계의 모든 수준 합계 |
공정가치 서열체계의 모든 수준 |
공정가치 서열체계의 모든 수준 합계 |
||||||
공정가치 서열체계 수준 1 |
공정가치 서열체계 수준 2 |
공정가치 서열체계 수준 3 |
공정가치 서열체계 수준 1 |
공정가치 서열체계 수준 2 |
공정가치 서열체계 수준 3 |
||||
투자부동산 |
투자부동산 합계 |
||||||||
---|---|---|---|---|---|---|---|---|---|
토지 |
건물 |
||||||||
공정가치 서열체계의 모든 수준 |
공정가치 서열체계의 모든 수준 합계 |
공정가치 서열체계의 모든 수준 |
공정가치 서열체계의 모든 수준 합계 |
||||||
공정가치 서열체계 수준 1 |
공정가치 서열체계 수준 2 |
공정가치 서열체계 수준 3 |
공정가치 서열체계 수준 1 |
공정가치 서열체계 수준 2 |
공정가치 서열체계 수준 3 |
||||
1년 이내 |
1년 초과 5년 이내 |
5년 초과 |
합계 구간 합계 |
|
---|---|---|---|---|
1년 이내 |
1년 초과 5년 이내 |
5년 초과 |
합계 구간 합계 |
|
---|---|---|---|---|
(1) 당반기말 및 전기말 현재 비연결종속기업투자의 내역은 다음과 같습니다.
(2) 당반기 및 전반기의 비연결종속기업투자에 대한 변동내역은 다음과 같습니다.① 당반기
② 전반기
|
공시금액 |
|
---|---|
공시금액 |
|
---|---|
공시금액 |
|
---|---|
공시금액 |
|
---|---|
위험 |
위험 합계 |
|
---|---|---|
환위험 |
||
위험회피 |
||
현금흐름위험회피 |
||
공시금액 |
|
---|---|
공시금액 |
|
---|---|
Standard Charted Bank Galaxy Properties SA 매입자금 1 |
Standard Charted Bank Galaxy Properties SA 매입자금 2 |
차입금명칭 합계 |
|
---|---|---|---|
Standard Charted Bank Galaxy Properties SA 매입자금 1 |
Standard Charted Bank Galaxy Properties SA 매입자금 2 |
차입금명칭 합계 |
|
---|---|---|---|
무보증 사모사채 |
무보증 공모사채 1 |
무보증 공모사채 2 |
전자단기사채 |
차입금명칭 합계 |
|
---|---|---|---|---|---|
무보증 사모사채 |
무보증 공모사채 1 |
무보증 공모사채 2 |
전자단기사채 |
차입금명칭 합계 |
|
---|---|---|---|---|---|
Standard Charted Bank |
|
---|---|
보통주 |
|
---|---|
보통주자본금 |
자본잉여금 |
자본조정 |
|
---|---|---|---|
보통주자본금 |
자본잉여금 |
자본조정 |
|
---|---|---|---|
공시금액 |
|
---|---|
공시금액 |
|
---|---|
공시금액 |
|
---|---|
공시금액 |
|
---|---|
보통주 |
|
---|---|
보통주 |
|
---|---|
공시금액 |
|
---|---|
공시금액 |
|
---|---|
공시금액 |
|
---|---|
공시금액 |
|
---|---|
공시금액 |
||
---|---|---|
공시금액 |
||
---|---|---|
공시금액 |
|
---|---|
공시금액 |
|
---|---|
자산관리계약 |
일반사무관리계약 |
자산보관계약 |
현지 자산관리 위탁계약 |
증권대행업무수탁계약 |
자금보충약정 |
임대차계약 1 |
임대차계약 2 |
차입금 재무약정 |
|
---|---|---|---|---|---|---|---|---|---|
위험 |
위험 합계 |
||||
---|---|---|---|---|---|
시장위험 |
신용위험 |
유동성위험 |
자본위험 |
||
환위험 |
|||||
위험 |
|
---|---|
환위험 |
|
위험회피 |
|
현금흐름위험회피 |
|
위험회피수단 |
|
통화선도 |
|
환위험 |
||
---|---|---|
환위험 |
||
---|---|---|
1년 이내 |
1년 초과 5년 이내 |
5년 초과 |
합계 구간 합계 |
|
---|---|---|---|---|
1년 이내 |
1년 초과 5년 이내 |
5년 초과 |
합계 구간 합계 |
|
---|---|---|---|---|
1년 이내 |
1년 초과 5년 이내 |
5년 초과 |
합계 구간 합계 |
|
---|---|---|---|---|
1년 이내 |
1년 초과 5년 이내 |
5년 초과 |
합계 구간 합계 |
|
---|---|---|---|---|
공시금액 |
|
---|---|
공시금액 |
|
---|---|
현금및현금성자산 |
기타수취채권(유동 및 비유동) |
기타금융자산(유동 및 비유동) |
비연결종속기업투자주식 |
금융자산, 분류 합계 |
|
---|---|---|---|---|---|
현금및현금성자산 |
기타수취채권(유동 및 비유동) |
기타금융자산(유동 및 비유동) |
비연결종속기업투자주식 |
금융자산, 분류 합계 |
|
---|---|---|---|---|---|
기타지급채무(유동 및 비유동) |
기타금융부채(유동 및 비유동) |
차입금 |
사채 |
금융부채, 분류 합계 |
|
---|---|---|---|---|---|
기타지급채무(유동 및 비유동) |
기타금융부채(유동 및 비유동) |
차입금 |
사채 |
금융부채, 분류 합계 |
|
---|---|---|---|---|---|
금융자산, 분류 |
||||||||||||
---|---|---|---|---|---|---|---|---|---|---|---|---|
KB증권 통화스왑 |
국민은행 통화스왑 |
Deutsche Pfandbriefbank 이자율스왑 |
비연결종속기업투자주식 |
|||||||||
공정가치 서열체계의 모든 수준 |
공정가치 서열체계의 모든 수준 합계 |
공정가치 서열체계의 모든 수준 |
공정가치 서열체계의 모든 수준 합계 |
공정가치 서열체계의 모든 수준 |
공정가치 서열체계의 모든 수준 합계 |
공정가치 서열체계의 모든 수준 |
공정가치 서열체계의 모든 수준 합계 |
|||||
공정가치 서열체계 수준 2 |
공정가치 서열체계 수준 3 |
공정가치 서열체계 수준 2 |
공정가치 서열체계 수준 3 |
공정가치 서열체계 수준 2 |
공정가치 서열체계 수준 3 |
공정가치 서열체계 수준 2 |
공정가치 서열체계 수준 3 |
|||||
금융자산, 분류 |
||||||||||||
---|---|---|---|---|---|---|---|---|---|---|---|---|
KB증권 통화스왑 |
국민은행 통화스왑 |
Deutsche Pfandbriefbank 이자율스왑 |
비연결종속기업투자주식 |
|||||||||
공정가치 서열체계의 모든 수준 |
공정가치 서열체계의 모든 수준 합계 |
공정가치 서열체계의 모든 수준 |
공정가치 서열체계의 모든 수준 합계 |
공정가치 서열체계의 모든 수준 |
공정가치 서열체계의 모든 수준 합계 |
공정가치 서열체계의 모든 수준 |
공정가치 서열체계의 모든 수준 합계 |
|||||
공정가치 서열체계 수준 2 |
공정가치 서열체계 수준 3 |
공정가치 서열체계 수준 2 |
공정가치 서열체계 수준 3 |
공정가치 서열체계 수준 2 |
공정가치 서열체계 수준 3 |
공정가치 서열체계 수준 2 |
공정가치 서열체계 수준 3 |
|||||
금융부채, 분류 |
||||
---|---|---|---|---|
KB증권 통화스왑 |
국민은행 통화스왑 |
|||
공정가치 서열체계의 모든 수준 |
공정가치 서열체계의 모든 수준 합계 |
공정가치 서열체계의 모든 수준 |
공정가치 서열체계의 모든 수준 합계 |
|
공정가치 서열체계 수준 2 |
공정가치 서열체계 수준 2 |
|||
금융부채, 분류 |
||||
---|---|---|---|---|
KB증권 통화스왑 |
국민은행 통화스왑 |
|||
공정가치 서열체계의 모든 수준 |
공정가치 서열체계의 모든 수준 합계 |
공정가치 서열체계의 모든 수준 |
공정가치 서열체계의 모든 수준 합계 |
|
공정가치 서열체계 수준 2 |
공정가치 서열체계 수준 2 |
|||
금융자산, 범주 |
||||||||||||
---|---|---|---|---|---|---|---|---|---|---|---|---|
상각후원가로 측정하는 금융자산 |
당기손익인식금융자산 |
기타포괄손익-공정가치로 측정하는 금융자산, 범주 |
||||||||||
금융자산, 분류 |
||||||||||||
현금및현금성자산 |
기타수취채권(유동 및 비유동) |
기타금융자산(유동 및 비유동) |
비연결종속기업투자주식 |
현금및현금성자산 |
기타수취채권(유동 및 비유동) |
기타금융자산(유동 및 비유동) |
비연결종속기업투자주식 |
현금및현금성자산 |
기타수취채권(유동 및 비유동) |
기타금융자산(유동 및 비유동) |
비연결종속기업투자주식 |
|
금융자산, 범주 |
||||||||||||
---|---|---|---|---|---|---|---|---|---|---|---|---|
상각후원가로 측정하는 금융자산 |
당기손익인식금융자산 |
기타포괄손익-공정가치로 측정하는 금융자산, 범주 |
||||||||||
금융자산, 분류 |
||||||||||||
현금및현금성자산 |
기타수취채권(유동 및 비유동) |
기타금융자산(유동 및 비유동) |
비연결종속기업투자주식 |
현금및현금성자산 |
기타수취채권(유동 및 비유동) |
기타금융자산(유동 및 비유동) |
비연결종속기업투자주식 |
현금및현금성자산 |
기타수취채권(유동 및 비유동) |
기타금융자산(유동 및 비유동) |
비연결종속기업투자주식 |
|
금융부채, 범주 |
||||||||
---|---|---|---|---|---|---|---|---|
상각후원가로 측정하는 금융부채, 범주 |
당기손익인식금융부채 |
|||||||
금융부채, 분류 |
||||||||
기타지급채무(유동 및 비유동) |
기타금융부채(유동 및 비유동) |
차입금 |
사채 |
기타지급채무(유동 및 비유동) |
기타금융부채(유동 및 비유동) |
차입금 |
사채 |
|
금융부채, 범주 |
||||||||
---|---|---|---|---|---|---|---|---|
상각후원가로 측정하는 금융부채, 범주 |
당기손익인식금융부채 |
|||||||
금융부채, 분류 |
||||||||
기타지급채무(유동 및 비유동) |
기타금융부채(유동 및 비유동) |
차입금 |
사채 |
기타지급채무(유동 및 비유동) |
기타금융부채(유동 및 비유동) |
차입금 |
사채 |
|
상각후원가로 측정하는 금융자산 |
당기손익-공정가치측정 금융자산 |
상각후원가로 측정하는 금융부채 |
금융상품, 범주 합계 |
|
---|---|---|---|---|
상각후원가로 측정하는 금융자산 |
당기손익-공정가치측정 금융자산 |
상각후원가로 측정하는 금융부채 |
금융상품, 범주 합계 |
|
---|---|---|---|---|
(1) 당반기말과 전기말 현재 특수관계자의 현황은 다음과 같습니다.
|
전체 특수관계자 |
||||
---|---|---|---|---|
특수관계자 |
||||
비연결종속기업 |
당해 기업이나 당해 기업의 지배기업의 주요 경영진 |
|||
LB영국일반사모부동산투자신탁18호 |
LB영국일반사모부동산투자신탁19호 |
케펠사모부동산투자신탁13호 |
||
전체 특수관계자 |
||||
---|---|---|---|---|
특수관계자 |
||||
비연결종속기업 |
당해 기업이나 당해 기업의 지배기업의 주요 경영진 |
|||
LB영국일반사모부동산투자신탁18호 |
LB영국일반사모부동산투자신탁19호 |
케펠사모부동산투자신탁13호 |
||
특수관계자 |
|
---|---|
특수관계자 |
|
---|---|
공시금액 |
||
---|---|---|
공시금액 |
||
---|---|---|
장기 차입금 |
사채 |
|
---|---|---|
장기 차입금 |
사채 |
|
---|---|---|
공시금액 |
|
---|---|
공시금액 |
|
---|---|
주요한 자금거래 |
|
---|---|
제 7 기 반기말 |
제 6 기말 |
|
---|---|---|
제 7 기 반기 |
제 6 기 반기 |
|||
---|---|---|---|---|
3개월 |
누적 |
3개월 |
누적 |
|
자본 |
||||
---|---|---|---|---|
자본금 |
자본잉여금 |
이익잉여금 |
자본 합계 |
|
제 7 기 반기 |
제 6 기 반기 |
|
---|---|---|
주식회사 케이비스타위탁관리부동산투자회사(구:주식회사 케이비스타글로벌위탁관리부동산투자회사, 이하 "회사")는 부동산투자회사법에 따른 위탁관리부동산투자회사로서 2022년 2월 8일에 설립되었으며, 2022년 6월 28일 상호를 ㈜케이비스타위탁관리부동산투자회사로 변경하였습니다. 회사의 주요 사업목적은 부동산투자회사법에 따라 그 자산을 투자ㆍ운용하여 그 수익을 주주에게 배당하는 것입니다. 회사의 본점 소재지는 서울특별시 영등포구 국제금융로 10, 41층(여의도동, 쓰리아이에프씨)이며, 회사의 사업연도는 매 6개월 단위(매년 2월 1일과 8월 1일에 개시)입니다. 다만, 최초사업연도는 설립등기일부터 2022년 6월 30일까지 입니다. 2025년 4월 30일 현재 회사의 주요 주주구성은 다음과 같습니다.
|
회사가 재무제표 작성에 적용한 주요 회계정책은 다음과 같습니다.(1) 재무제표 작성기준 1) 회계기준의 적용재무제표는 한국채택국제회계기준에 따라 작성되었습니다.2) 측정기준재무제표는 금융상품 등 아래 회계정책에서 별도로 언급하고 있는 사항을 제외하고는 역사적 원가를 기준으로 작성되었습니다. 3) 추정과 판단한국채택국제회계기준에서는 재무제표를 작성함에 있어서 회계정책의 적용이나, 보고기간말 현재 자산, 부채 및 수익, 비용의 보고금액에 영향을 미치는 사항에 대하여 경영진의 최선의 판단을 기준으로 한 추정치와 가정의 사용을 요구하고 있습니다. 보고기간말 현재 경영진의 최선의 판단을 기준으로 한 추정치와 가정이 실제 환경과 다를 경우 이러한 추정치와 실제 결과는 다를 수 있습니다.추정치와 추정에 대한 기본 가정은 지속적으로 검토되고 있으며, 회계추정의 변경은 추정이 변경된 기간과 미래 영향을 받을 기간 동안 인식되고 있습니다.4) 회사가 채택한 제ㆍ개정 기준서 및 해석서 회사는 2025년 2월 1일 이후 개시하는 개시하는 회계기간부터 다음의 제ㆍ개정 기준서 및 해석서를 신규로 적용하였습니다. - 기업회계기준서 제1021호 '환율변동효과'와 기업회계기준서 제1101호 '한국채택국제회계기준의 최초채택' 개정 - 교환가능성 결여 통화의 교환가능성을 평가하고 다른 통화와 교환이 가능하지 않다면 현물환율을 추정하며 관련 정보를 공시하도록 하고 있습니다. 해당 기준서의 개정이 재무제표에 미치는 중요한 영향은 없습니다. 5) 회사가 적용하지 않은 제ㆍ개정기준서 및 해석서보고기간말 현재 제정ㆍ공표되었으나 시행일이 도래하지 않아 적용하지 아니한 제ㆍ개정 기준서 및 해석서는 다음과 같습니다.- 기업회계기준서 제1109호 '금융상품', 제1107호 '금융상품: 공시' 개정 실무에서 제기된 의문에 대응하고 새로운 요구사항을 포함하기 위해 기업회계기준서제1109호 '금융상품'과 제1107호 '금융상품: 공시'가 개정되었습니다. 동 개정사항은 2026 년 2월 1 일 이후 시작하는 회계연도부터 적용되며, 조기적용이 허용됩니다.주요 개정내용은 다음과 같습니다. 회사는 동 개정으로 인한 재무제표의 영향을 검토중에 있습니다. ·특정 기준을 충족하는 경우, 결제일 전에 전자지급시스템을 통해 금융부채가 결제된 것으로(제거된 것으로) 간주할 수 있도록 허용 ·금융자산이 원리금 지급만으로 구성되어 있는지의 기준을 충족하는지 평가하기 위한 추가 지침을 명확히 하고 추가함. ·계약상 현금흐름의 시기나 금액을 변경시키는 계약조건이 기업에 미치는 영향과 기업이 노출되는 정도를 금융상품의 각 종류별로 공시 ·FVOCI 지정 지분상품에 대한 추가 공시 - 한국채택국제회계기준 연차개선Volume 11 한국채택국제회계기준 연차개선Volume 11은 2026 년 2 월 1 일 이후 시작하는 회계연도부터 적용되며, 조기적용이 허용됩니다. 회사는 동 개정으로 인해 재무제표에 중요한 영향은 없을 것으로 예상하고 있습니다. ·기업회계기준서 제1101호'한국채택국제회계기준의 최초채택': K-IFRS 최초 채택시 위험회피회계 적용 ·기업회계기준서 제1107호'금융상품:공시': 제거 손익, 실무적용지침 ·기업회계기준서 제1109호'금융상품': 리스부채의 제거 회계처리와 거래가격의 정의 ·기업회계기준서 제1110호'연결재무제표': 사실상의 대리인 결정 ·기업회계기준서 제1007호'현금흐름표': 원가법 (2) 영업부문 회사는 기업회계기준서 제1108호 '영업부문'에 따른 보고부문이 단일부문으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3) 현금및현금성자산회사는 취득일로부터 만기일이 3개월 이내인 투자자산을 현금및현금성자산으로 분류하고 있습니다. 지분상품은 현금성자산에서 제외되나, 상환일이 정해져 있고 취득일로부터 상환일까지의 기간이 단기인 우선주와 같이 실질적인 현금성자산인 경우에는 현금성자산에 포함됩니다. (4) 종속기업 및 지분법피투자기업 지분회사의 재무제표는 기업회계기준서 제1027호 '별도재무제표'에 따른 별도재무제표입니다. 회사는 종속기업 및 관계기업에 대한 투자자산에 대해서 기업회계기준서 제1027호에 따른 원가법을 선택하여 회계처리하고 있습니다. 한편, 종속기업 및 관계기업으로부터 수취하는 배당금은 배당을 받을 권리가 확정되는 시점에 당기손익으로인식하고 있습니다.(5) 비금융자산의 손상종업원급여에서 발생한 자산, 재고자산, 이연법인세자산 및 매각예정으로 분류되는 비유동자산을 제외한 모든 비금융자산에 대해서는 매 보고기간말마다 자산손상을 시사하는 징후가 있는지를 검토하며, 만약 그러한 징후가 있다면 당해 자산의 회수가능액을 추정하고 있습니다. 단, 사업결합으로 취득한 영업권 및 내용연수가 비한정인 무형자산, 아직 사용할 수 없는 무형자산에 대해서는 자산손상을 시사하는 징후와 관계없이 매년 회수가능액과 장부금액을 비교하여 손상검사를 하고 있습니다. 회수가능액은 개별 자산별로, 또는 개별 자산의 회수가능액을 추정할 수 없다면 그 자산이 속하는 현금창출단위별로 회수가능액을 추정하고 있습니다. 회수가능액은 사용가치와 순공정가치 중 큰 금액으로 결정하고 있습니다. 사용가치는 자산이나 현금창출단위에서 창출될 것으로 기대되는 미래현금흐름을 화폐의 시간가치 및 미래현금흐름을 추정할 때 조정되지 아니한 자산의 특유위험에 대한 현행 시장의 평가를 반영한 적절한 할인율로 할인하여 추정합니다.자산이나 현금창출단위의 회수가능액이 장부금액에 미달하는 경우 자산의 장부금액을 감소시키며 즉시 당기손익으로 인식하고 있습니다.(6) 투자부동산임대수익이나 투자차익을 목적으로 보유하고 있는 부동산은 투자부동산으로 분류됩니다. 투자부동산은 최초 인식시점에 원가로 측정되며, 최초 인식 후에 원가에서 감가상각누계액과 손상차손누계액을 차감한 금액을 장부금액으로 표시하고 있습니다.부동산의 용도가 변경되는 경우에만 투자부동산의 대체가 발생하고 있으며 투자부동산, 자가사용부동산, 재고자산 사이에 대체가 발생할 때에 대체 전 자산의 장부금액을 승계하고 있습니다.후속원가는 자산으로부터 발생하는 미래의 경제적 효익이 유입될 가능성이 높으며, 그 원가를 신뢰성 있게 측정할 수 있는 경우에 한하여 자산의 장부금액에 포함하거나적절한 경우 별도의 자산으로 인식하고 있으며, 후속지출에 의해 대체된 부분의 장부금액은 제거하고 있습니다. 한편, 일상적인 수선ㆍ유지와 관련하여 발생하는 원가는 발생시점에 당기손익으로 인식하고 있습니다. (7) 납입자본보통주는 자본으로 분류하며 자본거래와 직접 관련되어 발생하는 증분원가는 세금효과를 반영한 순액으로 자본에서 차감하고 있습니다.회사가 자기지분상품을 재취득하는 경우에 이러한 지분상품은 자기주식의 과목으로 자본에서 직접 차감하고 있습니다. 자기지분상품을 매입 또는 매도하거나 발행 또는 소각하는 경우의 손익은 당기손익으로 인식하지 아니합니다. 회사가 자기주식을 취득하여 보유하는 경우 지급하거나 수취한 대가는 자본에서 직접 인식하고 있습니다. (8) 수익회사는 부동산투자회사법에 근거하여 설립된 위탁관리부동산투자회사로서 투자부동산의 운용리스 제공으로부터 발생하는 리스료 수익을 리스기간에 걸쳐 정액기준으로 인식하고 있습니다. 따라서 기업회계기준서 제1115호 '고객과의 계약에서 생기는수익'의 적용범위에 포함되지 않습니다.(9) 금융수익과 금융비용금융수익은 이자수익, 배당수익 등을 포함하고 있습니다. 이자수익은 기간의 경과에 따라 유효이자율법을 적용하여 당기손익으로 인식하며, 배당수익은 주주로서 배당을받을 권리가 확정되는 시점에 수익을 인식하고 있습니다.금융비용은 차입금에 대한 이자비용 등을 포함하고 있으며, 이자비용은 유효이자율법을 적용하여 기간의 경과에 따라 당기손익으로 인식하고 있습니다. (10) 금융자산과 금융부채1) 금융자산의 분류모든 금융자산은 금융자산의 관리를 위한 사업모형과 계약상 현금흐름 특성에 근거하여 후속적으로 상각후원가나 기타포괄손익으로 인식하는 공정가치 또는 당기손익으로 인식하는 공정가치로 측정합니다. 2) 금융부채의 분류 모든 금융부채는 후속적으로 유효이자율법을 사용하여 상각후원가로 측정하거나 당기손익-공정가치로 측정합니다.당기손익-공정가치측정금융부채는 공정가치로 측정하며 위험회피관계로 지정된 부분을 제외한 공정가치의 변동으로 인해 발생하는 평가손익은 당기손익으로 인식합니다.금융부채는 사업결합에서 취득자의 조건부대가이거나 단기매매항목이거나 최초 인식시 당기손익인식항목으로 지정할 경우에 해당하지 않는 경우 후속적으로 유효이자율법을 사용하여 상각후원가로 측정됩니다. 3) 제거 금융자산의 현금흐름에 대한 계약상 권리가 소멸하거나, 금융자산을 양도하여 금융자산의 소유에 따른 위험과 보상의 대부분을 다른 기업에게 이전할 때에만 금융자산을 제거합니다. 금융부채는 계약상 의무가 이행, 취소 또는 만료된 경우에만 재무상태표에서 제거됩니다. 지급한 대가와 제거되는 금융부채의 장부금액과의 차이는 당기손익으로 인식하고 있습니다. 4) 금융상품의 상계 회사는 인식한 금융자산과 금융부채에 대해 법적으로 집행가능한 상계 권리를 현재 보유하고 있고, 순액으로 결제하거나 자산을 실현하는 동시에 부채를 결제할 의도를가지고 있는 경우에만 상계하여 재무상태표에 순액으로 표시하고 있습니다. (11) 금융자산의 손상1) 금융상품과 계약자산회사는 다음 자산의 기대신용손실에 대해 손실충당금을 인식합니다.- 상각후원가로 측정하는 금융자산- 기타포괄손익-공정가치로 측정하는 채무상품회사는 12개월 기대신용손실로 측정되는 다음의 금융자산을 제외하고는 전체기간 기대신용손실에 해당하는 금액으로 손실충당금을 측정합니다.- 보고기간말에 신용이 위험이 낮다고 결정된 채무증권- 최초 인식 이후 신용위험(즉, 금융자산의 기대존속기간동안에 걸쳐 발생할 채무불이행 위험)이 유의적으로 증가하지 않은 기타 채무증권과 은행예금매출채권(리스채권 포함)과 계약자산에 대한 손실충당금은 항상 전체기간 기대신용손실에 해당하는 금액으로 측정됩니다. 금융자산의 신용위험이 최초 인식 이후 유의적으로 증가했는지를 판단할 때와 기대신용손실을 추정할 때, 회사는 과도한 원가나 노력 없이 이용할 수 있고 합리적이고 뒷받침될 수 있는 정보를 고려합니다. 여기에는 미래지향적인 정보를 포함하여 회사의 과거 경험과 알려진 신용평가에 근거한 질적, 양적인 정보 및 분석이 포함됩니다.회사는 금융자산의 신용위험은 연체일수가 30일을 초과하는 경우에 유의적으로 증가한다고 가정합니다.회사는 다음과 같은 경우 금융자산에 채무불이행이 발생했다고 고려합니다.- 채무자가 회사가 소구활동을 하지 않으면, 회사에게 신용의무를 완전하게 이행하지 않을 것 같은 경우- 금융자산의 연체일수가 90일을 초과한 경우 회사는 채무증권의 신용위험등급이 국제적으로 '투자등급의 정의로 이해되는 수준인경우 신용위험이 낮다고 간주합니다. 전체기간 기대신용손실은 금융상품의 기대존속기간에 발생할 수 있는 모든 채무불이행 사건에 따른 기대신용손실입니다.12개월 기대신용손실은 보고기간 말 이후 12개월 이내(또는 금융상품의 기대존속기간이 12개월 보다 적은 경우 더 짧은 기간)에 발생 가능한 금융상품의 채무불이행 사건으로 인한 기대신용손실을 나타내는 전체기간 기대신용손실의 일부입니다.기대신용손실을 측정할 때 고려하는 가장 긴 기간은 회사가 신용위험에 노출되는 최장 계약기간입니다. 2) 기대신용손실의 측정기대신용손실은 신용손실의 확률가중추정치입니다. 신용손실은 모든 현금부족액(즉,계약에 따라 지급받기로 한 모든 계약상 현금흐름과 수취할 것으로 예상하는 모든 계약상 현금흐름의 차이)의 현재가치로 측정됩니다. 기대신용손실은 해당 금융자산의 유효이자율로 할인됩니다.3) 신용이 손상된 금융자산매 보고기간말에, 회사는 상각후원가로 측정되는 금융자산과 기타포괄손익-공정가치로 측정되는 채무증권의 신용이 손상되었는지 평가합니다. 금융자산의 추정미래현금흐름에 악영향을 미치는 하나 이상의 사건이 발생한 경우에 해당 금융자산은 신용이 손상된 것입니다.금융자산의 신용이 손상된 증거는 다음과 같은 관측 가능한 정보를 포함합니다.- 발행자나 차입자의 유의적인 재무적 어려움- 채무불이행이나 90일 이상 연체와 같은 계약 위반- 차입자의 재무적 어려움에 관련된 경제적이나 계약상 이유로 당초 차입조건의 불가피한 완화- 차입자의 파산가능성이 높아지거나 그 밖의 재무구조조정 가능성이 높아짐- 재무적 어려움으로 인해 해당 금융자산에 대한 활성시장 소멸 4) 재무상태표 상 신용손실충당금의 표시상각후원가로 측정하는 금융자산에 대한 손실충당금은 해당 자산의 장부금액에서 차감합니다.기타포괄손익-공정가치로 측정하는 채무상품에 대해서는 손실충당금은 당기손익에 포함하고 기타포괄손익에 인식합니다.5) 제각금융자산의 계약상 현금흐름 전체 또는 일부의 회수에 대한 합리적인 기대가 없는 경우 해당 자산을 제거합니다. 개인고객에 대해 회사는 유사자산의 회수에 대한 과거 경험에 근거하여 금융자산이 180일 이상 연체되는 경우에 장부금액을 제각하고, 기업고객에 대해서는 회수에 대한 합리적인 기대가 있는지를 평가하여 제각의 시기와 금액을 개별적으로 평가합니다. 회사는 제각한 금액이 유의적으로 회수할 것이라는 기대를 갖고 있지 않습니다. 그러나 제각된 금융자산은 회사의 만기가 된 금액의 회수 절차에 따라 회수활동의 대상이 될 수 있습니다.(12) 유동과 비유동의 구분1) 유동자산의 분류자산은 다음의 경우에 유동자산으로 분류됩니다.- 기업의 정상영업주기 내에 실현될 것으로 예상하거나, 정상영업주기 내에 판매하거나 소비할 의도가 있음- 주로 단기매매 목적으로 보유- 보고기간 후 12개월 이내에 실현될 것으로 예상- 현금이나 현금성자산으로서, 교환이나 부채 상환 목적으로의 사용에 대한 제한 기간이 보고기간 후 12개월 이상이 아님그 밖의 모든 자산은 비유동자산으로 분류됩니다. 2) 유동부채의 분류부채는 다음의 경우에 유동부채로 분류됩니다.- 기업의 정상영업주기 내에 결제될 것으로 예상- 주로 단기매매 목적으로 보유- 보고기간 후 12개월 이내에 결제할 것으로 예상- 보고기간 후 12개월 이상 부채의 결제를 연기할 수 있는 무조건의 권리를 가지고 있지 않음그 밖의 모든 부채는 비유동부채로 분류됩니다.(13) 법인세법인세비용은 당기법인세와 이연법인세로 구성됩니다. 법인세는 기타포괄손익이나 자본에 직접 인식된 항목과 관련된 금액은 해당 항목에서 직접 인식하며, 이를 제외하고는 당기손익으로 인식됩니다. 법인세비용은 보고기간말 현재 제정되었거나 실질적으로 제정된 세법을 기준으로 측정됩니다.경영진은 적용 가능한 세법 규정이 해석에 따라 달라질 수 있는 상황에 대하여 회사가 세무신고 시 적용한 세무정책에 대하여 주기적으로 평가하고 있습니다. 회사는 세무당국에 납부할 것으로 예상되는 금액에 기초하여 당기법인세비용을 인식합니다.이연법인세는 자산과 부채의 장부금액과 세무기준액의 차이로 발생하는 일시적 차이에 대하여 장부금액을 회수하거나 결제할 때의 예상 법인세효과로 인식됩니다. 다만,사업결합 이외의 거래에서 자산ㆍ부채를 최초로 인식할 때 발생하는 이연법인세자산과 부채는 그 거래가 회계이익이나 과세소득에 영향을 미치지 않는다면 인식되지 않습니다.이연법인세자산은 차감할 일시적 차이가 사용될 수 있는 미래 과세소득의 발생가능성이 높은 경우에 인식됩니다. 이연법인세자산과 부채는 법적으로 당기법인세자산과 당기법인세부채를 상계할 수 있는 권리를 회사가 보유하고 있으며, 동시에 이연법인세자산과 부채가 동일한 과세당국에 의해서 부과되는 법인세와 관련이 있으면서 순액으로 결제할 의도가 있는 경우에 상계됩니다.다만, 회사는 법인세법 제51조의2 유동화전문회사 등에 대한 소득공제조항에 의해 대통령령이 정하는 배당가능이익의 100분의 90이상을 배당할 경우에는 그 금액을 당해 사업연도의 소득금액 계산시 공제할 수 있는 바, 이 경우 회사가 부담할 법인세 등은 없으므로 당기법인세를 계상하지 않았습니다. 또한, 미래에 발생할 과세소득의 불확실성으로 인하여 보고기간종료일 현재 미래에 일시적차이에 대한 이연법인세자산(부채)을 계상하지 아니하였습니다.(14) 부동산투자회사법상의 특칙적용 : 이익준비금적립의무 배제 및 초과배당회사는 설립일 현재 시행되고 있는 부동산투자회사법 개정법률(법률 제7243호) 제28조 제1항에 의하여 이익처분시 이익준비금의 법정적립을 규정한 상법 제458조가 배제되어 이익준비금을 적립하지 아니합니다. 또한, 동 법 제28조 제3항에 의하여 상법제462조가 배제되어 당해연도의 감가상각비 범위 안에서 이익을 초과하는 배당이 가능합니다.(15) 주당손익회사는 보통주 기본주당손익과 희석주당손익을 계속영업손익과 당기순손익에 대하여 계산하고 포괄손익계산서에 표시하고 있습니다. 기본주당손익은 보통주에 귀속되는 당기순손익을 보고기간 동안에 유통된 보통주식수를 가중평균한 주식수로 나누어계산하고 있습니다. 희석주당손익은 전환사채와 종업원에게 부여한 주식기준보상 등모든 희석화 효과가 있는 잠재적 보통주의 영향을 고려하여 보통주에 귀속되는 당기순손익 및 가중평균유통보통주식수를 조정하여 계산하고 있습니다. |
공시금액 |
|
---|---|
공시금액 |
|
---|---|
공시금액 |
|
---|---|
공시금액 |
|
---|---|
공시금액 |
|
---|---|
공시금액 |
|
---|---|
공시금액 |
|
---|---|
공시금액 |
|
---|---|
종속기업투자(1) 당반기말과 전기말 현재 종속기업투자주식의 세부내역은 다음과 같습니다.
(2) 당반기 및 전반기 중 종속기업 투자의 변동내역은 다음과 같습니다. ① 당반기
② 전반기
|
비연결종속기업 투자(1) 당반기말 및 전기말 현재 비연결종속기업투자의 내역은 다음과 같습니다. ① 당반기말
② 전기말
(2) 당반기 및 전반기 비연결종속기업투자에 대한 변동내역은 다음과 같습니다. ① 당반기
② 전반기
|
공시금액 |
|
---|---|
공시금액 |
|
---|---|
무보증 사모사채 |
무보증 공모사채 1 |
무보증 공모사채 2 |
전자단기사채 |
차입금명칭 합계 |
|
---|---|---|---|---|---|
무보증 사모사채 |
무보증 공모사채 1 |
무보증 공모사채 2 |
전자단기사채 |
차입금명칭 합계 |
|
---|---|---|---|---|---|
보통주 |
|
---|---|
보통주자본금 |
자본잉여금 |
|
---|---|---|
보통주자본금 |
자본잉여금 |
|
---|---|---|
공시금액 |
|
---|---|
공시금액 |
|
---|---|
보통주 |
|
---|---|
보통주 |
|
---|---|
공시금액 |
|
---|---|
공시금액 |
|
---|---|
공시금액 |
|
---|---|
공시금액 |
|
---|---|
공시금액 |
||
---|---|---|
공시금액 |
||
---|---|---|
자산관리계약 |
일반사무관리계약 |
자산보관계약 |
증권대행업무수탁계약 |
|
---|---|---|---|---|
시장위험 |
신용위험 |
유동성위험 |
자본위험 |
위험 합계 |
|
---|---|---|---|---|---|
현금및현금성자산 |
단기금융상품 |
기타수취채권(유동 및 비유동) |
|
---|---|---|---|
현금및현금성자산 |
단기금융상품 |
기타수취채권(유동 및 비유동) |
|
---|---|---|---|
1년 이내 |
1년 초과 5년 이내 |
5년 초과 |
합계 구간 합계 |
|
---|---|---|---|---|
1년 이내 |
1년 초과 5년 이내 |
5년 초과 |
합계 구간 합계 |
|
---|---|---|---|---|
공시금액 |
|
---|---|
공시금액 |
|
---|---|
금융자산, 범주 |
||||||||
---|---|---|---|---|---|---|---|---|
상각후원가로 측정하는 금융자산 |
당기손익-공정가치측정 금융자산 |
|||||||
금융자산, 분류 |
||||||||
현금및현금성자산 |
기타수취채권 |
기타금융자산(유동 및 비유동) |
비연결종속기업투자주식 |
현금및현금성자산 |
기타수취채권 |
기타금융자산(유동 및 비유동) |
비연결종속기업투자주식 |
|
금융자산, 범주 |
||||||||
---|---|---|---|---|---|---|---|---|
상각후원가로 측정하는 금융자산 |
당기손익-공정가치측정 금융자산 |
|||||||
금융자산, 분류 |
||||||||
현금및현금성자산 |
기타수취채권 |
기타금융자산(유동 및 비유동) |
비연결종속기업투자주식 |
현금및현금성자산 |
기타수취채권 |
기타금융자산(유동 및 비유동) |
비연결종속기업투자주식 |
|
금융부채, 범주 |
||
---|---|---|
상각후원가로 측정하는 금융부채 |
||
금융부채, 분류 |
||
기타지급채무(유동 및 비유동) |
사채 |
|
금융부채, 범주 |
||
---|---|---|
상각후원가로 측정하는 금융부채 |
||
금융부채, 분류 |
||
기타지급채무(유동 및 비유동) |
사채 |
|
금융자산, 범주 |
||||||||
---|---|---|---|---|---|---|---|---|
상각후원가로 측정하는 금융자산 |
당기손익인식금융자산 |
|||||||
금융자산, 분류 |
||||||||
현금및현금성자산 |
기타수취채권(유동 및 비유동) |
기타금융자산(유동 및 비유동) |
비연결종속기업투자주식 |
현금및현금성자산 |
기타수취채권(유동 및 비유동) |
기타금융자산(유동 및 비유동) |
비연결종속기업투자주식 |
|
금융자산, 범주 |
||||||||
---|---|---|---|---|---|---|---|---|
상각후원가로 측정하는 금융자산 |
당기손익인식금융자산 |
|||||||
금융자산, 분류 |
||||||||
현금및현금성자산 |
기타수취채권(유동 및 비유동) |
기타금융자산(유동 및 비유동) |
비연결종속기업투자주식 |
현금및현금성자산 |
기타수취채권(유동 및 비유동) |
기타금융자산(유동 및 비유동) |
비연결종속기업투자주식 |
|
금융부채, 범주 |
||
---|---|---|
상각후원가로 측정하는 금융부채 |
||
금융부채, 분류 |
||
기타지급채무(유동 및 비유동) |
사채 |
|
금융부채, 범주 |
||
---|---|---|
상각후원가로 측정하는 금융부채 |
||
금융부채, 분류 |
||
기타지급채무(유동 및 비유동) |
사채 |
|
상각후원가로 측정하는 금융자산 |
당기손익-공정가치측정 금융자산 |
상각후원가로 측정하는 금융부채 |
금융상품, 범주 합계 |
|
---|---|---|---|---|
상각후원가로 측정하는 금융자산 |
당기손익-공정가치측정 금융자산 |
상각후원가로 측정하는 금융부채 |
금융상품, 범주 합계 |
|
---|---|---|---|---|
(1) 당반기말과 전기말 현재 특수관계자의 현황은 다음과 같습니다.
|
전체 특수관계자 |
|||||
---|---|---|---|---|---|
특수관계자 |
|||||
종속기업 |
비연결종속기업 |
당해 기업이나 당해 기업의 지배기업의 주요 경영진 |
|||
(주)케이비스타갤럭시타워위탁관리부동산투자회사 |
(주)케이비스타멀티에셋제1호위탁관리부동산투자회사 |
LB영국일반사모부동산투자신탁18호 |
LB영국일반사모부동산투자신탁19호 |
||
전체 특수관계자 |
|||||
---|---|---|---|---|---|
특수관계자 |
|||||
종속기업 |
비연결종속기업 |
당해 기업이나 당해 기업의 지배기업의 주요 경영진 |
|||
(주)케이비스타갤럭시타워위탁관리부동산투자회사 |
(주)케이비스타멀티에셋제1호위탁관리부동산투자회사 |
LB영국일반사모부동산투자신탁18호 |
LB영국일반사모부동산투자신탁19호 |
||
특수관계자 |
|
---|---|
특수관계자 |
|
---|---|
공시금액 |
||
---|---|---|
공시금액 |
||
---|---|---|
사채 |
|
---|---|
사채 |
|
---|---|
공시금액 |
|
---|---|
공시금액 |
|
---|---|
주요한 자금거래 |
주요한 보통주 거래 |
|
---|---|---|
1. 회사의 배당정책에 관한 사항
당사는 상법상 주식회사이자 부동산투자회사법에 근거하여 설립된 부동산투자회사로서, 상법 제462조 및 부동산투자회사법 제28조, 그리고 정관 제54조 및 제55조에 따라 해당 사업연도 이익배당한도의 100분의 90이상을 주주에게 배당지급할 예정이며, 해당 사업연도의 감가상각비 상당액을 초과배당할 수 있습니다. 이 경우 상법 제458조에 따른 이익준비금은 적립하지 않으며, 최종 배당금액은 주주총회 결의를 받아 확정됩니다.
2. 배당관련 예측가능성 제공에 관한 사항
가. 정관상 배당절차 개선방안 이행 가부
구분 | 현황 및 계획 |
정관상 배당액 결정 기관 | |
정관상 배당기준일을 배당액 결정 이후로 정할 수 있는지 여부 | |
배당절차 개선방안 이행 관련 향후 계획 |
나. 배당액 확정일 및 배당기준일 지정 현황
구분 | 결산월 | 배당여부 | 배당액확정일 | 배당기준일 | 배당 예측가능성제공여부 | 비고 |
---|---|---|---|---|---|---|
3. 기타 참고사항(배당 관련 정관의 내용 등)
가. 배당에 관한 일반적인 사항
정관 제54조(이익의 배당)
① 회사는 매 사업연도 이익배당한도의 100분의 90 이상을 주주총회 또는 제51조 제6항에 따른 이사회의 결의에 따라 주주에게 배당하여야 한다. 이 경우 「상법」제458조에 따른 이익준비금은 적립하지 아니한다.
② 회사가 제1항에 따라 이익을 배당할 때에는 「상법」제462조 제1항에도 불구하고 부투법 제28조 제3항 및 부투법 시행령 제32조가 정하는 바에 따라 해당 사업연도의 감가상각비 상당액을 초과배당할 수 있다. 다만, 초과배당으로 인하여 전기에서이월된 결손금은 당기의 배당가능이익 산정 시 포함하지 아니한다. 초과배당은 현금으로 하여야 한다.
③ 회사가 제11조에 따라 상장한 경우, 총자산에서 100분의 10 이상을 차지하는 부동산을 매각하여 그 이익을 배당할 때에는 해당 사업연도 말 10일 전까지 이사회를 개최하여 이사회의 결의로 배당 여부 및 배당 예정금액을 결정하여야 한다. 이 경우 이사회 결의로 배당을 실시할 수 있다.
정관 제55조(이익배당의 지급)
① 배당금은 정기주주총회 또는 제51조 제6항에 따른 이사회의 결의로 승인을 받아 매 사업연도 종료일 현재 주주명부에 기재된 주주 또는 등록된 질권자에게 지급하되,지급방법 및 시기는 이사회에서 결정한다.
② 회사는 이익 배당을 정기주주총회 또는 제51조 제6항에 따른 이사회의 결의를 한 날부터 1개월 이내에 하여야 한다. 다만, 주주총회 또는 이사회에서 배당금의 지급시기를 따로 정한 경우에는 그러하지 아니하다.
나. 주요배당지표
구 분 | 주식의 종류 | 당기 | 전기 | 전전기 |
---|---|---|---|---|
제7기 반기 | 제6기 | 제5기 | ||
주당액면가액(원) | ||||
(연결)당기순이익(백만원) | ||||
(별도)당기순이익(백만원) | ||||
(연결)주당순이익(원) | ||||
현금배당금총액(백만원) | ||||
주식배당금총액(백만원) | ||||
(연결)현금배당성향(%) | ||||
현금배당수익률(%) | ||||
주식배당수익률(%) | ||||
주당 현금배당금(원) | ||||
주당 주식배당(주) | ||||
* (연결)현금배당성향 = 현금배당총액/(연결)당기순이익*100* 현금배당수익률 = 1주당 현금배당금/과거 1주일간 배당부 종가(배당기준일 전전거래일)의 평균
다. 과거 배당 이력
(단위: 회, %) |
연속 배당횟수 | 평균 배당수익률 | ||
---|---|---|---|
분기(중간)배당 | 결산배당 | 최근 3년간 | 최근 5년간 |
* 연속 배당횟수는 2022년 10월 06일 주식상장 이후 배당횟수로 산출하였습니다.
* 평균 배당수익률은 단순평균법(연환산 미적용)으로 계산하였습니다.* 배당수익률 : 제2기 3.4%, 제3기 4.5%, 제4기 4.6%, 제5기 4.1%, 제6기 5.1%
[지분증권의 발행 등과 관련된 사항] |
증자(감자)현황
(기준일 : | ) |
주식발행(감소)일자 | 발행(감소)형태 | 발행(감소)한 주식의 내용 | ||||
---|---|---|---|---|---|---|
종류 | 수량 | 주당액면가액 | 주당발행(감소)가액 | 비고 | ||
발기출자 | ||||||
[채무증권의 발행 등과 관련된 사항] |
(기준일 : | ) |
발행회사 | 증권종류 | 발행방법 | 발행일자 | 권면(전자등록)총액 | 이자율 | 평가등급(평가기관) | 만기일 | 상환여부 | 주관회사 |
---|---|---|---|---|---|---|---|---|---|
합 계 | - | - | - | - |
(기준일 : | ) |
잔여만기 | 10일 이하 | 10일초과30일이하 | 30일초과90일이하 | 90일초과180일이하 | 180일초과1년이하 | 1년초과2년이하 | 2년초과3년이하 | 3년 초과 | 합 계 | |
---|---|---|---|---|---|---|---|---|---|---|
미상환 잔액 | 공모 | |||||||||
사모 | ||||||||||
합계 |
- 해당사항 없음
(기준일 : | ) |
잔여만기 | 10일 이하 | 10일초과30일이하 | 30일초과90일이하 | 90일초과180일이하 | 180일초과1년이하 | 합 계 | 발행 한도 | 잔여 한도 | |
---|---|---|---|---|---|---|---|---|---|
미상환 잔액 | 공모 | ||||||||
사모 | |||||||||
합계 |
(기준일 : | ) |
잔여만기 | 1년 이하 | 1년초과2년이하 | 2년초과3년이하 | 3년초과4년이하 | 4년초과5년이하 | 5년초과10년이하 | 10년초과 | 합 계 | |
---|---|---|---|---|---|---|---|---|---|
미상환 잔액 | 공모 | ||||||||
사모 | |||||||||
합계 |
(기준일 : | ) |
잔여만기 | 1년 이하 | 1년초과5년이하 | 5년초과10년이하 | 10년초과15년이하 | 15년초과20년이하 | 20년초과30년이하 | 30년초과 | 합 계 | |
---|---|---|---|---|---|---|---|---|---|
미상환 잔액 | 공모 | ||||||||
사모 | |||||||||
합계 |
- 해당사항 없음
(기준일 : | ) |
잔여만기 | 1년 이하 | 1년초과2년이하 | 2년초과3년이하 | 3년초과4년이하 | 4년초과5년이하 | 5년초과10년이하 | 10년초과20년이하 | 20년초과30년이하 | 30년초과 | 합 계 | |
---|---|---|---|---|---|---|---|---|---|---|---|
미상환 잔액 | 공모 | ||||||||||
사모 | |||||||||||
합계 |
- 해당사항 없음
사채관리계약 주요내용 및 충족여부 등
(작성기준일 : | ) |
채권명 | 발행일 | 만기일 | 발행액 | 사채관리계약체결일 | 사채관리회사 |
---|---|---|---|---|---|
(이행현황기준일 : | ) |
재무비율 유지현황 | 계약내용 |
이행현황 | |
담보권설정 제한현황 | 계약내용 |
이행현황 | |
자산처분 제한현황 | 계약내용 |
이행현황 | |
지배구조변경 제한현황 | 계약내용 |
이행현황 | |
이행상황보고서 제출현황 | 이행현황 |
* 이행현황기준일은 이행현황 판단 시 적용한 회계감사인의 감사의견(확인 및 의견표시)이 표명된 가장 최근의 재무제표의 작성기준일이며, 지배구조변경 제한현황은 공시서류작성기준일임.
공모자금의 사용내역
(기준일 : | ) |
구 분 | 회차 | 납입일 | 증권신고서 등의 자금사용 계획 | 실제 자금사용 내역 | 차이발생 사유 등 | ||
---|---|---|---|---|---|---|---|
사용용도 | 조달금액 | 내용 | 금액 | ||||
사모자금의 사용내역
(기준일 : | ) |
구 분 | 회차 | 납입일 | 주요사항보고서의 자금사용 계획 | 실제 자금사용 내역 | 차이발생 사유 등 | ||
---|---|---|---|---|---|---|---|
사용용도 | 조달금액 | 내용 | 금액 | ||||
가. 공정가치평가 내역당사의 공정가치평가에 대한 상세한 내용은 동 공시서류의 Ⅲ.재무에 관한 사항 3. 연결재무제표 주석 중 '8.투자부동산'을 참조하여 주시기 바랍니다.
당사는 기업공시서식 작성기준에 따라 분/반기보고서의 경우에는 이사의 경영진단및 분석의견을 기재하지 않습니다.
1. 회계감사인의 명칭 및 감사의견(검토의견 포함한다. 이하 이 조에서 같다)을 다음의 표에 따라 기재한다.
회계감사인의 명칭 및 감사의견
사업연도 | 구분 | 감사인 | 감사의견 | 의견변형사유 | 계속기업 관련중요한 불확실성 | 강조사항 | 핵심감사사항 |
---|---|---|---|---|---|---|---|
감사보고서 | |||||||
연결감사보고서 | |||||||
감사보고서 | |||||||
연결감사보고서 | |||||||
감사보고서 | |||||||
연결감사보고서 |
2. 감사용역 체결현황은 다음의 표에 따라 기재한다.
감사용역 체결현황
(단위 : 백만원, 시간) |
사업연도 | 감사인 | 내 용 | 감사계약내역 | 실제수행내역 | ||
---|---|---|---|---|---|---|
보수 | 시간 | 보수 | 시간 | |||
3. 회계감사인과의 비감사용역 계약체결 현황은 다음의 표에 따라 기재한다.
사업연도 | 계약체결일 | 용역내용 | 용역수행기간 | 용역보수 | 비고 |
---|---|---|---|---|---|
4. 회계감사인의 변경 - 해당사항 없음
- 당사는 주식회사 등의 외부감사에 관한 법률 및 제8조 제1항 및 동법 시행령 제9조 제1항에 따라 내부회계관리제도를 운영하지 않습니다.
가. 이사회의 구성 개요공시서류작성기준일 현재 당사의 이사회는 사내이사(대표이사) 1인, 기타비상무이사2인으로 총 3인의 비상근 이사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당사 정관에 따라 이사회 의장은 대표이사 입니다. 또한 당사는 부동산투자회사법에 따라 사외이사를 선임하지 않고 있고, 이사회 내 위원회를 두지 않고 있습니다. 이사의 주요 이력 등에 관한 사항은 "Ⅷ.임원 및 직원 등에 관한 사항"을 참조하시기 바랍니다. 나. 이사회의 권한내용당사 정관(2025년 04월 23일자로 개정된 4차 개정 정관)에 따른 이사회 권한 사항은 다음과 같습니다.
제 35 조 (대표이사 및 이사의 직무) ① 대표이사는 회사를 대표하고 업무를 총괄한다. ② 이사는 대표이사를 보좌하고, 이사회에서 정하는 바에 따라 이 회사의 업무를 분장 집행하며, 대표이사의 유고 시에는 이사회에서 정하는 바에 따라 그 직무를 대행한다. ③ 이사는 회사에 현저하게 손해를 미칠 염려가 있는 사실을 발견한 때에는 즉시 감사에게 이를 보고하여야 한다. ④ 이사는 그 직무를 수행하기 위하여 필요한 때에는 회사의 업무를 위탁 받은 자산관리회사, 자산보관기관, 판매회사 또는 사무수탁회사에 대하여 이 회사의 업무 및 자산 상황에 관한 보고를 요구할 수 있다. ⑤ 이사는 재임 중 뿐만 아니라 퇴임 후에도 업무상 지득한 회사의 영업상 비밀을 누설해서는 안 된다. 제 39 조 (이사회의 결의사항) 이사회는 법률이나 본 정관에 다른 규정이 없는 한 다음사항을 결의한다. 1. 부동산의 취득 또는 처분 등 운용에 관한 사항 2. 회사 총자산의 100분의 10 이상 금액의 증권의 취득 또는 처분에 관한 사항 3. 차입(부투법 시행령 제33조 제1항 각 호에 열거된 금융기관 등 외의 자로부터의 자금 차입에 관한 사항 포함) 및 사채발행에 관한 사항 4. 주주총회의 소집에 관한 사항 5. 자산관리회사에 대한 자산관리운용지침의 제정 또는 개정 6. 사무수탁회사와의 위탁계약 체결, 변경 및 해지에 관한 사항 7. 판매회사와의 판매위탁계약의 체결, 변경 및 해지에 관한 사항 8. 자산관리회사, 사무수탁회사, 자산보관기관 등에 대한 보수의 지급 9. 금전의 분배 및 주식의 배당에 관한 사항 10. 제12조에 따른 신주발행에 관한 사항 11. 주주가 신주인수권을 포기하거나 상실한 경우 또는 신주 배정시에 단주가 발생할 경우 그 처리방법에 관한 사항 12. 회사의 대표이사의 선임 및 해임에 관한 사항 13. 이사회 의장의 선임 및 해임에 관한 사항 14. 부투법 제30조 제2항 제2호에 해당하여 이사회의 승인을 요하는 부동산 매매거래 15. 부동산 매매거래 외의 거래로서 부투법 제30조 제2항 제3호 및 동법 시행령 제34조 제1항 제1호에 해당하여 이사회의 승인을 요하는 거래 16. 제51조 제6항에 따른 재무제표 등의 승인에 관한 사항 17. 기타 회사의 경영에 관한 중요 사안 제40조 (이사회의 결의방법)① 이사회의 결의는 재적이사 과반수의 출석과 출석 이사 과반수의 찬성으로 한다. 다만, 상법 제397조의2 및 제398조에 해당하는 사안에 대한 이사회 결의는 재적이사 3분의 2 이상의 수로 한다. ② 이사회는 이사의 전부 또는 일부가 직접 회의에 참석하지 아니하고 모든 이사가 음성을 동시에 송, 수신하는 통신수단에 의하여 결의할 수 있다. 이 경우 당해 이사는 이사회에 직접 출석한 것으로 본다. ③ 이사회의 결의에 관하여 특별한 이해관계가 있는 이사는 의결권을 행사하지 못한다. |
다. 주요 의결사항
회차 | 개최일자 | 의 안 내 용 | 가결여부 | 사내이사 | 기타비상무이사 | |||
신명재 | 허연 | 정영삼 | 조병헌 | 양원용 | ||||
(출석율:100%) | (출석율:100%) | (출석율:100%) | (출석율:100%) | (출석율:100%) | ||||
1 | 2025.02.19 | 1. 전자단기사채 발행 승인의 건2. 전자단기사채 인수약정서 체결의 건 | 가결 | 찬성 | 찬성 | 찬성 | - | - |
2 | 2025.02.26 | 1. 종속회사 (주)케이비스타멀티에셋제1호위탁관리부동산투자회사 2025년 제1차 임시주주총회 서면의결권 행사 승인의 건 | 가결 | 찬성 | 찬성 | 찬성 | - | - |
3 | 2025.03.11 | 1. 제6기 재무제표 및 영업보고서 승인의 건2. XBRL 솔루션 용역계약 체결의 건 | 가결 | 찬성 | 찬성 | 찬성 | - | - |
4 | 2025.04.08 | 1. 제6기 현금배당 결의의 건2. 제7기, 제8기 위탁수수료 지급 승인의 건3. 정기주주총회 소집 및 부의안건 결정의 건4. 정기주주총회 임시의장 선임의 건5. 자금보충약정 체결 승인의 건 | 가결 | 찬성 | 찬성 | 찬성 | - | - |
5 | 2025.04.23 | 1. 대표이사 선임의 건 | 가결 | 찬성 | - | - | 찬성 | 찬성 |
* 공시서류작성기준일이 속하는 사업연도의 개시일부터 공시서류작성기준일까지 개최된 이사회 의결사항을 기재함.* 2025.04.23 사내이사(신명재) 임기만료가 도래함에 따라, 정기주주총회 결의로 재선임함.* 2025.04.23 기타비상무이사(허연, 정영삼) 임기만료가 도래함에 따라, 정기주주총회 결의로 신규 기타비상무이사(조병헌, 양원용 ) 선임함. 라. 이사의 독립성이사선임은 상법 및 부동산투자회사법 등 관련 법령 규정에 의거하여 주주총회에서 의결사항으로 정하고 있으며, 후보자 선출시 관련규정 및 당사 정관에 따라 회사와 특별한 이해관계자가 있는자 등 결격사유 여부에 대해 충분히 검증하고 있습니다.이러한 절차에 따라 선임된 이사는 다음과 같습니다.
[2025년 04월 30일 현재]
구분 | 성명 | 추천인 | 활동분야 | 회사와의 거래 | 최대주주와의 관계 |
대표이사(사내이사) | 신명재 | 이사회 | 이사회 의결 | 해당사항 없음 | 해당사항 없음 |
기타비상무이사 | 조병헌 | 이사회 | 이사회 의결 | 해당사항 없음 | 해당사항 없음 |
기타비상무이사 | 양원용 | 이사회 | 이사회 의결 | 해당사항 없음 | 해당사항 없음 |
마. 사외이사 및 그 변동현황
(단위 : 명) |
이사의 수 | 사외이사 수 | 사외이사 변동현황 | ||
---|---|---|---|---|
선임 | 해임 | 중도퇴임 | ||
바. 사외이사 교육 미실시 내역
사외이사 교육 실시여부 | 사외이사 교육 미실시 사유 |
---|---|
미실시 |
가. 감사기구 관련사항1) 감사의 인적사항
성 명 | 주 요 경 력 | 비 고 |
김종수 | 2007년 ~ 현재 회계법인 성지 | 비상근 |
* 2025.04.23 감사(김종수) 임기만료가 도래함에 따라, 정기주주총회 결의로 재선임함.2) 감사의 독립성
당사는 관련법령 및 정관에 따라 감사업무를 수행하고 있으며 기타 이해관계는 아래와 같습니다.
성명 | 생년월일 | 최대주주와의 관계 | 추천인 |
김종수 | 1973.07.25 | 없음 | 이사회 |
당사 정관 감사의 직무 규정
제36조(감사의 직무) ① 감사는 이사의 직무의 집행을 감사한다. ② 감사는 이사회에 출석하여 의견을 진술할 수 있다. ③ 감사는 회의 목적사항과 소집의 이유를 기재한 서면을 이사회에 제출하여 임시주주총회의 소집을 청구할 수 있다. ④ 감사는 그 직무를 수행하기 위하여 필요한 때에는 회사의 업무를 위탁 받은 자산관리회사, 자산보관기관, 판매회사 또는 사무수탁회사에 대하여 이 회사의 업무와 관련된 회계에 관한 보고를 요구할 수 있다. ⑤ 감사는 이사(또는 청산인)가 직무수행과 관련하여 법령이나 정관에 위반하거나 기타 회사에 현저하게 손해를 끼칠 우려가 있는 사실을 발견한 때에는 지체 없이 이사회(또는 청산인회)에게 보고하여야 한다. |
나. 감사의 주요활동내역
당사의 감사는 각 이사회에 참석하여 의견을 진술하며, 회사업무에 있어 일반사무수탁사가 작성한 반기 및 사업연도에 대한 재무제표 및 투자보고서를 검토하고 있으며,신뢰할 수 있는 회계정보의 작성 및 공시를 위하여 자산관리회사 및 일반사무수탁사로부터 보고 받고 이를 검토합니다.
다. 감사위원 현황
성명 | 사외이사여부 | 경력 | 회계ㆍ재무전문가 관련 | ||
---|---|---|---|---|---|
해당 여부 | 전문가 유형 | 관련 경력 | |||
- 당사는 공시서류작성기준일 현재 감사위원회가 설치 되어있지 않습니다.
라. 감사위원회 교육 미실시 내역
감사위원회 교육 실시여부 | 감사위원회 교육 미실시 사유 |
---|---|
미실시 |
- 당사는 공시서류작성기준일 현재 감사위원회가 설치 되어있지 않습니다.
마. 감사 지원조직 현황
부서(팀)명 | 직원수(명) | 직위(근속연수) | 주요 활동내역 |
---|---|---|---|
바. 준법지원인 지원조직 현황- 본 보고서 제출일 현재 당사에 선임된 준법지원인은 없습니다.
가. 투표제도 현황
(기준일 : | ) |
투표제도 종류 | 집중투표제 | 서면투표제 | 전자투표제 |
---|---|---|---|
도입여부 | |||
실시여부 |
* 2023년 5월 25일 정관개정으로 서면투표제가 폐지되었습니다.* 도입여부는 공시서류작성기준일 기준으로 기재하였으며, 실시여부는 공시서류작성기준일이 속하는 사업연도의 개시일부터 공시서류제출일까지의 투표제도 운영현황을 기재하였습니다.
나. 의결권 현황
(기준일 : | ) |
구 분 | 주식의 종류 | 주식수 | 비고 |
---|---|---|---|
발행주식총수(A) | |||
의결권없는 주식수(B) | |||
정관에 의하여 의결권 행사가 배제된 주식수(C) | |||
기타 법률에 의하여의결권 행사가 제한된 주식수(D) | |||
의결권이 부활된 주식수(E) | |||
의결권을 행사할 수 있는 주식수(F = A - B - C - D + E) | |||
다. 주식사무
정관상 신주인수권의내용 |
제 12 조 (신주인수권) ① 회사는 회사가 발행할 주식의 총 수 범위 내에서 이사회의 결의로 신주를 발행할 수 있다. ② 회사의 주주는 그가 가진 주식의 수에 비례하여 그가 가진 주식의 종류와 같은 종류의 신주를 배정받을 권리를 가진다. 그러나 주주가 신주인수권을 포기 또는 상실하거나 신주배정에서 단주가 발생하는 경우에 그 처리방법은 이사회의 결의에 의한다. ③ 제2항의 규정에 불구하고 다음 각 호의 어느 하나의 경우에는 회사는 이사회의 결의로 주주 이외의 자에게 신주를 배정할 수 있다. 다만 회사는 부투법에 따른 영업인가를 받거나 등록을 하기 전까지는(이하 “영업인가” 또는 “등록”이라고 하면 부투법에 따른 영업인가 또는 등록을 의미한다) 주주가 아닌 자에게 배정하는 방식으로 신주를 발행할 수 없다. 1. 회사가 영업인가를 받은 날 또는 등록한 날로부터 1년 6개월 이내에 영업인가 또는 등록 신청시 국토교통부장관에게 제출한 신주발행계획에 따라 신주를 발행하는 경우 2. 현물출자 당시 발행주식총수의 100분의 50을 초과하지 않는 범위 내에서 현물출자자에게 신주를 발행하는 경우 3. 발행주식총수의 100분의 50을 초과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신주를 모집하거나 모집을 위하여 인수인에게 인수하게 하는 경우 4. 제2조 제2항 각 호의 어느 하나에서 정한 업무를 수행하기 위하여 필요한 자금의 조달, 재무구조 개선 등 회사의 경영상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필요한 경우 5. 자본시장법 제165조의6 제1항 제3호의 규정에 의하여 일반공모증자 방식으로 신주를 발행하는 경우 6. 신주 발행 당시에 모든 주주가 동의하는 경우 ④ 제2항 및 제3항의 규정에도 불구하고, 회사의 주식이 상장된 이후에는 다음 각 호의 어느 하나의 경우에 회사는 이사회의 결의로 주주 이외의 자에게 신주를 배정할 수 있다. 이 경우 상장 이전에 발행된 주식의 수는 다음 각 호의 한도에서 차감하지 아니한다. 1. 발행주식총수의 100분의 40을 초과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제2조 각 호의 어느 하나에서 정한 업무를 수행하기 위하여 필요한 자금의 조달, 재무구조 개선 등 회사의 경영상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필요한 경우 2. 자본시장법 제165조의6 제1항 제3호의 규정에 의하여 일반공모증자 방식으로 신주를 발행하는 경우 |
||
결 산 일 | 7월 31일, 1월 31일(단, 제1기는 6월 30일) | 정기주주총회 | 매 사업년도 종료후 3개월 이내 |
주주명부폐쇄시기 | 매 결산기의 최종일 다음날부터 15일 동안 권리에 관한 주주명부의 기재변경을 정지한다. | ||
주식 및 신주인수권증서에 표시되어야할 권리의 전자등록 | 회사는 주권 및 신주인수권증서를 발행하는 대신 전자등록기관의 전자등록계좌부에 주식 및 신주인수권증서에 표시되어야할 권리를 전자등록한다 | ||
주권의 종류 | 이 회사가 발행할 주권의 종류는 1주권, 5주권, 10주권, 50주권, 100주권, 500주권, 1,000주권, 10,000주권의 8종으로 한다. | ||
명의개서대리인 | 주식회사 국민은행 | ||
주주의 특전 | 없음 | 공고게재 | 회사 인터넷 홈페이지 |
라. 주주총회 의사록 요약
주총일자 | 안 건 | 결의내용 |
2025년 제1차 임시주주총회(2025.02.17) | 제1호 의안 : 차입 및 사채발행계획 승인의 건 | 가결 |
제6기 정기주주총회(2025.04.23) | 제1호 의안 : 정관 변경의 건제2호 의안 : 제6기 재무제표 승인의 건제3호 의안 : 제6기 현금배당 결의의 건제4호 의안 : 이사 선임의 건 제4-1호 : 사내이사 선임의 건(신명재) 제4-2호 : 기타비상무이사 선임의 건(조병헌) 제4-3호 : 기타비상무이사 선임의 건(양원용)제5호 의안 : 감사 선임의 건(김종수)제6호 의안 : 제7기 이사 보수 승인의 건제7호 의안 : 제7기 감사 보수 승인의 건 | 가결 |
가. 최대주주 및 특수관계인의 주식소유 현황
(기준일 : | ) |
성 명 | 관 계 | 주식의종류 | 소유주식수 및 지분율 | 비고 | |||
---|---|---|---|---|---|---|---|
기 초 | 기 말 | ||||||
주식수 | 지분율 | 주식수 | 지분율 | ||||
계 | |||||||
* (주)한국씨티은행은 "KB스타리츠일반사모부동산투자신탁제2호(재간접형)(전문)"의 신탁업자 지위이며, 본 투자신탁의 집합투자업자는 KB자산운용(주)입니다. * 본 보고서 기준일자(25.04.30)에 주주명부 폐쇄가 불가하여, 최근 결산기말(25.01.31) 기준 주주명부(주주명부상 신탁업자별 합산기준) 및 주요주주 특정증권등 소유상황보고서(25.03.31)를 바탕으로 작성하였습니다.*지분율 산정시 소수점 둘째자리 이하는 사사오입하였으므로 일부 오차가 생길 수 있습니다.
나. 최대주주의 주요경력 및 개요
(1) 최대주주(법인 또는 단체)의 기본정보
명 칭 | 출자자수(명) | 대표이사(대표조합원) | 업무집행자(업무집행조합원) | 최대주주(최대출자자) | |||
---|---|---|---|---|---|---|---|
성명 | 지분(%) | 성명 | 지분(%) | 성명 | 지분(%) | ||
* (주)한국씨티은행은 "KB스타리츠일반사모부동산투자신탁제2호(재간접형)(전문)"의 신탁업자 이며, 본 투자신탁의 집합투자업자는 KB자산운용(주)입니다.
* 실질적인 최대주주는 일반사모부동산투자신탁으로, 출자자 수 외의 사항은 기재하지 않았습니다.
(2) 최대주주(법인 또는 단체)의 최근 결산기 재무현황
(단위 : 백만원) |
구 분 | |
---|---|
법인 또는 단체의 명칭 | |
자산총계 | |
부채총계 | |
자본총계 | |
매출액 | |
영업이익 | |
당기순이익 |
*KB스타리츠일반사모부동산투자신탁제2호(재간접형)(전문)의 최근 결산기(제2기, 23.07.04 ~ 24.07.03) 재무현황입니다.
(3) 사업현황 등 회사 경영 안정성에 영향을 미칠 수 있는 주요 내용
- 해당사항이 없습니다.
다. 최대주주의 최대주주(법인 또는 단체)의 개요
- 해당사항이 없습니다.
라. 최대주주 변동내역
(기준일 : | ) |
변동일 | 최대주주명 | 소유주식수 | 지분율 | 변동원인 | 비 고 |
---|---|---|---|---|---|
(주1) 본 보고서 작성기준일 현재 공시자료를 기준으로 주식을 보유하고 있지 않습니다.(주2) 유상증자에 따른 발행주식수 증가에 따라 지분율이 변경되었으며, 본 보고서 작성기준일 현재 주주명부를 기준으로 총발행주식대비 16.60%의 주식을 보유하고 있습니다.
마. 주식 소유현황
(기준일 : | ) |
구분 | 주주명 | 소유주식수 | 지분율(%) | 비고 |
---|---|---|---|---|
5% 이상 주주 | - | |||
- | ||||
- | ||||
- | ||||
- | ||||
우리사주조합 | - |
* 본 보고서 기준일자(25.04.30)에 주주명부 폐쇄가 불가하여, 최근 결산기말(25.01.31) 기준 주주명부(주주명부상 신탁업자별 합산기준) 및 주요주주 특정증권등 소유상황보고서(25.03.31 기준)를 바탕으로 작성하였습니다. 바. 소액주주현황
(기준일 : | ) |
구 분 | 주주 | 소유주식 | 비 고 | ||||
---|---|---|---|---|---|---|---|
소액주주수 | 전체주주수 | 비율(%) | 소액주식수 | 총발행주식수 | 비율(%) | ||
소액주주 |
* 본 보고서 기준일자(25.04.30)에 주주명부 폐쇄가 불가하여, 최근 결산기말(25.01.31) 기준 주주명부(주주명부상 신탁업자별 합산기준) 및 주요주주 특정증권등 소유상황보고서(25.03.31 기준)를 바탕으로 작성하였습니다.*상기 소액주주는 1%미만보유 기준으로 작성되었습니다.
사. 최근 주가 및 주식 거래 실적 (단위: 원, 주)
구분 | 2024.11 | 2024.12 | 2025.01 | 2025.02 | 2025.03 | 2025.04 | |
주가(보통주) | 최고 | 4,145 | 4,095 | 3,995 | 3,765 | 3,855 | 3,960 |
최저 | 3,855 | 3,640 | 3,215 | 3,105 | 3,620 | 3,515 | |
평균 | 4,029 | 3,884 | 3,704 | 3,356 | 3,791 | 3,784 | |
월간거래량 | 최고 | 123,894 | 325,493 | 225,049 | 142,012 | 139,396 | 91,087 |
최저 | 33,508 | 34,466 | 47,936 | 56,181 | 26,204 | 19,092 | |
월계 | 1,350,748 | 2,385,125 | 2,145,987 | 1,995,932 | 1,144,552 | 983,086 |
* 상기의 주가(최고, 최저, 평균)는 종가 기준입니다.
가. 임원 현황
(기준일 : | ) |
성명 | 성별 | 출생년월 | 직위 | 등기임원여부 | 상근여부 | 담당업무 | 주요경력 | 소유주식수 | 최대주주와의관계 | 재직기간 | 임기만료일 | |
---|---|---|---|---|---|---|---|---|---|---|---|---|
의결권있는 주식 | 의결권없는 주식 | |||||||||||
* 임원은 공시서류작성기준일을 기준으로 기재하되, 공시서류작성기준일 이후 공시서류제출일 사이에 신규로 선임한 임원이 있는 경우 해당 임원을 추가 기재하였습니다.* 2025.04.23 사내이사(신명재), 감사(김종수) 임기만료가 도래함에 따라, 정기주주총 결의로 재선임하였습니다.* 2025.04.23 기타비상무이사(허연, 정영삼) 임기만료가 도래함에 따라, 정기주주총회 결의로 신규 기타비상무이사(조병헌, 양원용) 선임하였습니다.
나. 직원 등 현황
(기준일 : | ) |
직원 | 소속 외근로자 | 비고 | |||||||||||
---|---|---|---|---|---|---|---|---|---|---|---|---|---|
사업부문 | 성별 | 직 원 수 | 평 균근속연수 | 연간급여총 액 | 1인평균급여액 | 남 | 여 | 계 | |||||
기간의 정함이없는 근로자 | 기간제근로자 | 합 계 | |||||||||||
전체 | (단시간근로자) | 전체 | (단시간근로자) | ||||||||||
합 계 |
- 해당사항 없음 (부동산투자회사법에 따라 상근하는 임직원을 둘 수 없음).
다. 미등기임원 보수 현황
(기준일 : | ) |
구 분 | 인원수 | 연간급여 총액 | 1인평균 급여액 | 비고 |
---|---|---|---|---|
미등기임원 |
- 해당사항 없음
<이사ㆍ감사 전체의 보수현황> |
1. 주주총회 승인금액
구 분 | 인원수 | 주주총회 승인금액 | 비고 |
---|---|---|---|
* 제7기(2025.02.01~2025.07.31)에 대한 금액 입니다. * 인원수는 보고서 작성기준일 현재 기준입니다.* 보수총액은 당해 사업연도에 재임 또는 퇴임한 임원이 지급받은 소득세법상의 소득금액입니다.* 1인당 평균보수액은 보수총액을 작성기준일 현재 기준 인원수로 나누어 계산하였습니다
2. 보수지급금액
2-1. 이사ㆍ감사 전체
인원수 | 보수총액 | 1인당 평균보수액 | 비고 |
---|---|---|---|
2-2. 유형별
구 분 | 인원수 | 보수총액 | 1인당평균보수액 | 비고 |
---|---|---|---|---|
등기이사(사외이사, 감사위원회 위원 제외) | ||||
사외이사(감사위원회 위원 제외) | ||||
감사위원회 위원 | ||||
감사 |
* 인원수는 보고서 작성기준일 현재 기준입니다.* 보수총액은 당해 사업연도에 재임 또는 퇴임한 임원이 지급받은 소득세법상의 소득금액입니다.* 1인당 평균보수액은 보수총액을 작성기준일 현재 기준 인원수로 나누어 계산하였습니다
<보수지급금액 5억원 이상인 이사ㆍ감사의 개인별 보수현황> |
1. 개인별 보수지급금액
이름 | 직위 | 보수총액 | 보수총액에 포함되지 않는 보수 |
---|---|---|---|
* 개인별 보수지급 금액이 기업공시서식 작성기준인 5억원 이상에 해당하지 않아 기재를 생략하였습니다.
2. 산정기준 및 방법 - 해당사항 없음
<보수지급금액 5억원 이상 중 상위 5명의 개인별 보수현황> |
1. 개인별 보수지급금액
이름 | 직위 | 보수총액 | 보수총액에 포함되지 않는 보수 |
---|---|---|---|
- 해당사항 없음
2. 산정기준 및 방법 - 해당사항 없음
1. 계열회사 현황(요약)
(기준일 : | ) | (단위 : 사) |
기업집단의 명칭 | 계열회사의 수 | ||
---|---|---|---|
상장 | 비상장 | 계 | |
※상세 현황은 '상세표-2. 계열회사 현황(상세)' 참조 |
2. 타법인출자 현황(요약)
(기준일 : | ) |
출자목적 | 출자회사수 | 총 출자금액 | |||||
---|---|---|---|---|---|---|---|
상장 | 비상장 | 계 | 기초장부가액 | 증가(감소) | 기말장부가액 | ||
취득(처분) | 평가손익 | ||||||
경영참여 | |||||||
일반투자 | |||||||
단순투자 | |||||||
계 |
※상세 현황은 '상세표-3. 타법인출자 현황(상세)' 참조 |
* 취득금액에는 취득시 소요된 직접관련 비용이 포함되어 있습니다.
1. 대주주등에 대한 신용공여 등- 해당사항 없습니다. 2. 대주주등과의 사업양수도 등- 해당사항 없습니다.
3. 대주주와의 영업거래- 해당사항 없습니다.
4. 대주주 이외의 이해관계자와의 거래
(1) 당반기말과 전기말 현재 특수관계자의 현황은 다음과 같습니다.
구 분 | 당반기말 | 전기말 |
---|---|---|
종속기업 | (주)케이비스타갤럭시타워위탁관리부동산투자회사 | (주)케이비스타갤럭시타워위탁관리부동산투자회사 |
(주)케이비스타멀티에셋제1호위탁관리부동산투자회사 | (주)케이비스타멀티에셋제1호위탁관리부동산투자회사 | |
LB영국일반사모부동산투자신탁18호 | LB영국일반사모부동산투자신탁18호 | |
LB영국일반사모부동산투자신탁19호 | LB영국일반사모부동산투자신탁19호 | |
기타 특수관계자 | Star Galaxy S.comm(*1) | Star Galaxy S.comm(*1) |
Star Galaxy GP(*2) | Star Galaxy GP(*2) | |
Hillswood Holdings ltd(*3) | Hillswood Holdings ltd(*3) | |
Hillswood Finco ltd(*3) | Hillswood Finco ltd(*3) | |
Hillswood Holdings Property Unit Trust(*4) | Hillswood Holdings Property Unit Trust(*4) | |
Hillswood Property Unit Trust(*5) | Hillswood Property Unit Trust(*5) |
(*1) | (주)케이비스타갤럭시타워위탁관리부동산투자회사가 99.99%, Star Galaxy GP가 잔여 지분을 보유하고 있습니다. |
(*2) | (주)케이비스타갤럭시타워위탁관리부동산투자회사가 100% 지분을 보유하고 있습니다. |
(*3) | LB영국일반사모부동산투자신탁18호가 75.85%, LB영국일반사모부동산투자신탁19호가 24.15% 지분을 보유하고 있습니다. |
(*4) | Hillswood Holdings ltd가 1.31%, LB영국일반사모부동산투자신탁18호가 74.86%, LB영국일반사모부동산투자신탁19호가 23.84% 지분을 보유하고 있습니다. |
(*5) | Hillswood Holdings ltd가 1.30%, Hillswood Holdings Property Unit Trust가 98.70% 지분을 보유하고 있습니다. |
(2) 당반기와 전반기 중 특수관계자에 대한 주요 거래 내역은 다음과 같습니다.
(단위: 원) | |||||
---|---|---|---|---|---|
구 분 | 회사명 | 당반기 | 전반기 | ||
현금출자/지분취득 | 배당금수령 | 현금출자/지분취득 | 배당금수령 | ||
종속기업 | (주)케이비스타갤럭시타워위탁관리부동산투자회사 | - | - | - | - |
(주)케이비스타멀티에셋제1호위탁관리부동산투자회사 | - | - | - | - | |
비연결종속기업 | LB영국일반사모부동산투자신탁18호 | - | - | - | - |
LB영국일반사모부동산투자신탁19호 | - | - | - | - |
(3) 당반기말과 전기말 현재 특수관계자에 대한 채권ㆍ채무잔액은 없습니다.
(4) 당반기와 전반기 중 주요 경영진에 대한 보상 내역은 다음과 같습니다.
(단위: 원) | ||
---|---|---|
구 분 | 당반기 | 전반기 |
임원급여 | 13,500,000 | 13,500,000 |
가. 공시내용 진행상황 - 해당사항 없음 나. 기타 - 해당사항 없음
가. 중요한 소송사건 - 공시서류작성기준일 현재 해당사항 없습니다.
나. 견질 또는 담보용 어음ㆍ수표 현황
(기준일 : 2025년 04월 30일) | (단위 : 매, 백만원) |
제 출 처 | 매 수 | 금 액 | 비 고 |
---|---|---|---|
은 행 | - | - | - |
금융기관(은행제외) | - | - | - |
법 인 | - | - | - |
기타(개인) | - | - | - |
- 공시서류작성기준일 현재 해당사항 없습니다. 다. 채무보증 현황- 공시서류작성기준일 현재 해당사항 없습니다. 라. 채무인수약정 현황 - 공시서류작성기준일 현재 해당사항 없습니다. 마. 그 밖의 우발채무 등 - 공시서류작성기준일 현재 해당사항 없습니다.
가. 제재현황
- 공시서류작성기준일 현재 해당사항 없습니다.
나. 한국거래소 등으로부터 받은 제재 - 공시서류작성기준일 현재 해당사항 없습니다. 다. 단기매매차익의 발생 및 반환에 관한 사항
- 공시서류작성기준일 현재 해당사항 없습니다.
(1) 회사는 2025년 5월 13일 이사회결의로 사모사채 발행을 결정하였으며, 2025년 5월 20일자로 사모사채 300억을 발행하였습니다.(2) 회사는 2025년 5월 22일 이사회결의로 전자단기사채 발행을 결정하였으며, 2025년 5월 26일자로 전자단기사채 900억을 발행하였습니다.(3) 회사는 2025년 6월 11일 이사회결의로 종속회사 (주)케이비스타갤럭시타워위탁관리부동산투자회사의 유상증자에 참여하여 2025년 6월 13일에 신주 5,870,500주를 587억에 취득하였습니다.
☞ 본문 위치로 이동 |
상호 | 설립일 | 주소 | 주요사업 | 최근사업연도말자산총액 | 지배관계 근거 | 주요종속회사 여부 |
---|---|---|---|---|---|---|
* 최근 사업연도말 자산총액은 각 피출자회사별 최근 결산기 정기주주총회에서 승인받은 재무제표 기준이며, 해외종속회사의 경우 보고서기준일 현재 환율을 적용하였습니다.* 종속회사별 최근 결산기는 다음과 같습니다. - KB스타갤럭시타워위탁관리부동산투자회사: 2024.04.01~2024.09.30 (6개월) - KB스타멀티에셋제1호위탁관리부동산투자회사: 2024.03.01~2024.08.31 (6개월) - Star Galaxy GP SRL : 2023.04.01~2024.03.31 (1년) - Star Galaxy S.Comm : 2023.04.01~2024.03.31 (1년)
(*1) | (주)KB스타위탁관리부동산투자회사가 100% 지분을 보유하고 있습니다. |
(*2) | (주)KB스타갤럭시타워위탁관리부동산투자회사가 100% 지분을 보유하고 있습니다. |
(*3) | (주)KB스타갤럭시타워위탁관리부동산투자회사가 99.99%, Star Galaxy GP가 잔여 지분을 보유하고 있습니다. |
* 수익증권인 LB영국부동산펀드 18호, 19호는 비연결대상 종속회사로 상기 연결대상 종속회사내역에 기재하지 않았습니다. |
☞ 본문 위치로 이동 |
(기준일 : | ) | (단위 : 사) |
상장여부 | 회사수 | 기업명 | 법인등록번호 |
---|---|---|---|
상장 | |||
비상장 | |||
☞ 본문 위치로 이동 |
(기준일 : | ) |
법인명 | 상장여부 | 최초취득일자 | 출자목적 | 최초취득금액 | 기초잔액 | 증가(감소) | 기말잔액 | 최근사업연도재무현황 | |||||||
---|---|---|---|---|---|---|---|---|---|---|---|---|---|---|---|
수량 | 지분율 | 장부가액 | 취득(처분) | 평가손익 | 수량 | 지분율 | 장부가액 | 총자산 | 당기순손익 | ||||||
수량 | 금액 | ||||||||||||||
합 계 |
* 최근 사업연도 재무현황은 각 피출자회사별 최근 결산기 정기주주총회에서 승인받은 재무제표 기준이며, 종속회사별 최근 결산기는 다음과 같습니다. - KB스타갤럭시타워위탁관리부동산투자회사: 2024.04.01~2024.09.30 (6개월) - KB스타멀티에셋제1호위탁관리부동산투자회사: 2024.03.01~2024.08.31 (6개월)
- 해당사항 없습니다.
- 해당사항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