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주총회소집공고 6.0 앤씨앤

주주총회소집공고
2025년 03월 11일
회 사 명 : 주식회사 앤씨앤
대 표 이 사 : 최 종 현
본 점 소 재 지 : 경기도 성남시 분당구 대왕판교로 660, A동 5층(삼평동, 유스페이스1)
(전 화) 02-3460-4700
(홈페이지)http://www.nc-and.com
작 성 책 임 자 : (직 책) 이 사 (성 명) 이 정 환
(전 화) 02-3460-4700

주주총회 소집공고
(제28기 정기)

주주님의 건승과 댁내의 평안을 기원합니다.

상법 제365조 및 우리회사 정관 제21조에 의하여 제28기 정기주주총회를 다음과 같이 개최하오니 참석하여 주시기 바랍니다.

- 다 음 -

1. 일 시 : 2025년 3월 26일(수) 오전10시 00분

2. 장 소 : 경기도 성남시 분당구 대왕판교로 660, 유스페이스1 A동 5층 회의실

3. 회의목적사항

《보고 안건》 제28기 감사보고, 영업보고, 내부회계관리제도 운영실태보고《부의 안건》

제1호 의안 : 제28기(2024.01.01 ~ 2024.12.31) 연결 및 별도 재무제표(안) 승인의 건 (이익잉여금처분계산서포함)

제2호 의안 : 정관 변경의 건

제3호 의안 : 이사 보수한도 승인의 건

제4호 의안 : 감사 보수한도 승인의 건 제5호 의안 : 임원퇴직급여규정 변경의 건

4. 주주총회 소집통지, 공고사항 비치

상법 제542조의4에 의거 주주총회 소집통지,공고사항을 당사, 금융위원회, 한국거래소 및 명의개서대행회사(KEB하나은행 증권대행부)에 비치 하오니 참고하시기 바랍니다.

5. 실질주주의 의결권행사에 관한 사항

금번 당사의 주주총회에는 한국예탁결제원이 주주님들의 의결권을 행사할 수 없습니다. 따라서 주주님께서는 한국예탁결제원에 의결권행사에 관한 의사표시를 하실 필요가 없으며, 종전과 같이 주주총회에 참석하여 의결권을 직접 행사하시거나 또는 위임장에 의거 의결권을 간접 행사하실 수 있습니다.6. 기타사항

- 주주총회 기념품은 준비하지 않았음을 양지하시기 바랍니다.

I. 사외이사 등의 활동내역과 보수에 관한 사항

1. 사외이사 등의 활동내역 가. 이사회 출석률 및 이사회 의안에 대한 찬반여부

해당사항 없음

나. 이사회내 위원회에서의 사외이사 등의 활동내역

해당사항 없음

2. 사외이사 등의 보수현황

해당사항 없음

II. 최대주주등과의 거래내역에 관한 사항

1. 단일 거래규모가 일정규모이상인 거래

해당사항 없음

2. 해당 사업연도중에 특정인과 해당 거래를 포함한 거래총액이 일정규모이상인 거래

해당사항 없음

III. 경영참고사항

1. 사업의 개요

가. 업계의 현황

<산업의 특성 등> [블랙박스]

운행영상기록장치(블랙박스)는 자동차 운행 중 또는 사고 발생 시 전후 영상을 녹화하여 사고 원인 분석, 범죄 예방, 교통법규 준수 등에 활용되는 장치입니다.

자동차 보험사기 증가로 인해 사고 현장의 증거 수집 필요성이 커지면서 블랙박스 수요도 증가했습니다. 이후, 운전자들은 사고 발생 시 허위 주장으로부터 자신을 보호하기 위해 블랙박스를 장착하기 시작했으며, 택시·버스·트럭 운송회사에서도 영업용 차량에 장착하면서 수요가 급증했습니다. 이 같은 시장 변화는 더 작고 저렴하면서도 높은 품질의 블랙박스 개발로 이어졌습니다.

국내 블랙박스 장착률은 100%에 가까워졌으나, 해외 시장에서는 여전히 수요가 증가하고 있습니다. 특히, 정부의 교통법규 준수 유도 정책과 SNS 활성화에 따른 영상 공유 확대가 블랙박스 활용 범위를 넓히고 있습니다.

최근 블랙박스는 단순한 사고 영상 기록을 넘어, QHD·UHD 고화질, 다채널 녹화, 차선이탈경보(LDWS), 전방추돌경보(FCWS) 등 다양한 ADAS 기능을 탑재한 제품으로 발전하고 있습니다. 또한, 4K 해상도, 야간 화질 개선(NV), 통신 기능 등을 갖춘 고사양 제품에 대한 수요가 증가하는 추세입니다.

해외에서도 미국의 모든 차량 후방카메라 의무화를 시작으로, 일본과 유럽 등 여러 국가에서 안전기기 장착을 법제화하는 추세입니다. 개인정보 보호를 중시하는 국가에서는 블랙박스 보급률이 낮았으나, 사고예방 등 안전에 대한 필요성이 높아지면서 수요가 증가하고 있습니다.

특히, 일본은 블랙박스 보급이 활성화되어 시장이 크게 형성되어 있으며, 미국에서도 보험사 및 정부가 블랙박스 설치 시 할인 혜택을 제공하고 관련 법안을 추진하면서, 복잡한 설치와 높은 가격 등 보급률 저하 요인이 일부 해소되었고, 이에 따라 수요가 빠르게 증가하고 있습니다.

한편, 한국에서는 총 중량 20톤 이상 화물·특수차량에는 차선이탈경보장치(LDWS) 장착이 의무화 되었으며, 이에 따라 차량안전 및 ADAS 기능이 포함된 블랙박스 보급이 더욱 확대되고 있습니다. 또한, 북미·일본·유럽·일부 동남아 시장에서도 상용차를 중심으로 관련 법규가 시행됨에 따라 해외 시장 진출 가능성이 더욱 높아지고 있습니다.

이와 함께, 블랙박스 기술은 단순한 영상 기록을 넘어 ADAS, 스마트 연동 기능, 원격 제어, 타임랩스 기능 등과 결합되면서 활용 범위가 점차 확대되고 있습니다. 운전자 고령화와 대형 상용차 사고 증가에 따른 안전 문제 해결을 위해, 블랙박스 기반 사고 예방 시스템에 대한 수요도 늘어나고 있습니다.

향후, 자동차뿐만 아니라 건설기계 등 다양한 산업에서도 블랙박스 기술을 활용한 안전 시스템이 확산될 것으로 기대됩니다.

[영상보안]

CCTV(Closed Circuit Television)와 DVR(Digital Video Recorder)로 대표되는 영상보안 시장은 2010년대 이후 지속적으로 진화해왔습니다. 아날로그 카메라와 IP 카메라를 동시에 저장·출력하는 하이브리드 DVR, 네트워크와 결합된 NVR(Network Video Recorder) 등이 등장하며 기술 발전이 이루어졌습니다.

당사는 영상보안 산업에서 필수적인 핵심 기능을 수행하는 영상처리 반도체를 공급해왔으며, 대표적인 제품으로 영상처리 기술의 Camera ISP(Image Signal Processor) 와 영상전송 기술의 AHD(Analog High Definition)가 있습니다.

이러한 기술을 발전시켜 분야를 넓혀 자동차용 카메라 영상처리 반도체 제품을 개발했으며, 이를 기반으로 2019년 물적 분할을 통해 설립된 ㈜넥스트칩이 해당 사업을 주력으로 수행하고 있습니다.

나. 회사의 현황

(1) 영업개황 및 사업부문의 구분

(가) 영업개황

[블랙박스]

당사는 전후방 FHD 블랙박스를 최초로 출시한 이후 차선이탈 방지, 과속카메라 알림, 앞차 출발 알림, 야간화질 개선 기능이 적용된 제품을 지속적으로 출시하고 있으며, 최근에는 LTE 모듈을 내장하여 차량 관제가 가능한 통신형 서비스 제품을 개발 및 판매하고 있습니다.또한 상용차에 적합한 4채널 제품을 개발해 고객의 니즈를 충족시시켰으며, WiFi 통신형 블랙박스를 통해 고기능 블랙박스 시장에도 진입을 완료하였습니다.무엇보다 당사는 블랙박스 업계에서 유일하게 영상처리(ISP) 및 영상 전송(AHD) 반도체 기술을 보유하고 있으며, 이를 바탕으로 차별화된 블랙박스를 개발·출시하고 있습니다. 이러한 기술력을 기반으로 국내 주요 대표 브랜드의 제품을 생산하며, 시장에서 높은 평가를 받고 있습니다.

최근 각국의 규제 변화에 대응하여 자체 브랜드로 호주, 동남아시아 등 해외 시장에 진출하고 있으며, 미국, 유럽, 중동 등으로 진출 범위를 확대해 나가고 있습니다. 현지 바이어의 피드백을 반영해 변화하는 시장 요구에 맞춘 전략을 수립하고, 세분화된 조직 운영을 통해 맞춤형 신제품을 출시할 계획입니다.

블랙박스 외에도 차량용 전자제품을 개발·생산·판매하며, 리어뷰(후방) 카메라를 시작으로 품목을 확장하고 있습니다.

또한, AI 기반 사물 인식 소프트웨어를 활용해 ADAS 기능을 강화한 블랙박스를 비롯해, 코너비전(Corner Vision) 시스템, 사각지대 경고 시스템(BSD) 등 운전자 및 보행자 안전을 위한 제품을 출시하며 본격적인 매출을 창출하고 있습니다.

한편 당사는 인공지능 기반 사물 인식 소프트웨어를 활용하여 운전자지원시스템(ADAS)의 기능이 업그레이드 된 블랙박스 및 상용차의 운전자 및 보행자 안전을 위한 코너비전(Corner Vision) 시스템, 사각지대 경고 시스템(BSD), 등의 기술이 들어간 제품도 출시하여 본격적인 매출을 이루고 있습니다.

[영상보안]

당사가 보유한 영상처리 기술은 다양한 제품군을 통해 해당 시장에 적용될 수 있습니다.

영상보안용 영상처리칩의 주요 판매처는 CCTV 카메라, IP 카메라, CCTV 시스템, DVR 시스템 등을 생산하는 업체들입니다.

하지만 영상보안 시장에서 IP 카메라를 대표로 하는 디지털 영상보안 제품들의 비중이 증가함에 따라, 아날로그 제품 위주의 당사의 영상처리칩 매출 비중은 감소하는 추세입니다.

(2) 신규사업 등의 내용 및 전망

당사는 블랙박스 시장이 급속하게 성장하고 있는 북미 시장을 목표로 자체 브랜드 Vueroid 블랙박스 개발에 박차를 가하고 있으며, 올해 상반기 내에 북미 시장의 온라인 및 대형 유통채널에 진출하는 것을 목표로 하고 있습니다. 본 제품은 4K 화질과 AI 번호판 복원 기능, 추출된 영상에서 개인정보에 해당하는 얼굴 등을 비식별화 하는 기술을 탑재하여 경쟁력을 갖추고 있습니다.또한, AI 기반 상용차(트럭, 택시 등) 사각지대 안전장치 관련 제품들의 차기 모델들을 상반기내 출시 예정으로 이 제품들을 가지고 군용 차량 현대화 사업, 트럭 등 대형차량의 사각지대 사고예방 사업, 택시 사각지대 사고예방 사업 등에 진출을 가속화 할 예정입니다. 국내에서의 성과를 기반으로 일본 등의 국가에서도 영업을 강화하고 있으며 현지에서 사각지대 사고를 줄여줄 수 있는 좋은 제품으로 평가받고 있어 해외 진출도 가속화 될 것으로 기대하고 있습니다.상기 두 가지의 신규 사업은 자체 브랜드로 출시되고 고부가가치 기술이 탑재되어 기존 사업 대비 높은 수익성을 제공할 것으로 판단되는 바 향후 매출 성장과 수익성 개선에 크게 기여할 것으로 기대하고 있습니다.이 외에도 DMS(운전자 모니터링 시스템) 등 안전운전 및 사고예방을 위한 다양한 제품 및 기술 개발에 박차를 가하고 있습니다.

(3) 조직도

앤씨앤 조직도_250101.jpg 앤씨앤 조직도_250101

2. 주주총회 목적사항별 기재사항 □ 재무제표의 승인

가. 해당 사업연도의 영업상황의 개요

상기 'III. 경영참고사항 중 1. 사업의 개요' 부분을 참조하시기 바랍니다.

나. 해당 사업연도의 대차대조표(재무상태표)ㆍ손익계산서(포괄손익계산서)ㆍ이익잉여금처분계산서(안) 또는 결손금처리계산서(안)- 하기 기재된 재무제표는 외부감사인으로부터 감사받기 전의 사항으로, 외부감사인 감사과정에서 변경될 수 있음을 알려드립니다.

- 연결대차대조표(재무상태표)

<연 결 대 차 대 조 표(재 무 상 태 표)>

제 28 기 2024. 12. 31 현재
제 27 기 2023. 12. 31 현재
(단위 : 원 )

과 목 제 28 기 제 27 기
자 산
I. 유동자산 74,473,853,759 95,855,949,994
현금및현금성자산 18,818,305,417 17,968,604,291
단기금융상품 16,241,000,000 39,663,000,000
당기손익_공정가치 금융자산 7,845,889,930 8,528,231,343
매출채권 9,091,400,401 4,837,094,796
기타유동금융자산 1,583,120,947 2,768,373,720
기타유동자산 2,395,292,001 1,773,044,958
재고자산 15,568,313,326 14,740,564,306
당기법인세자산 322,483,110 217,000,630
파생상품자산 2,608,048,627 5,360,035,950
II. 비유동자산 24,799,529,616 30,494,546,178
장기금융상품 2,400,000,000 4,500,000,000
기타비유동금융자산 3,403,839,531 2,853,475,854
기타비유동자산 285,899,617 83,312,343
유형자산 4,278,809,674 2,509,943,019
사용권자산 10,541,393,949 4,467,121,397
무형자산 3,111,394,096 14,442,452,903
이연법인세자산 778,192,749 1,638,240,662
자 산 총 계 99,273,383,375 126,350,496,172
부 채
I. 유동부채 66,442,264,439 31,323,929,992
매입채무 5,057,935,942 2,885,925,873
단기차입금 14,241,000,000 12,841,000,000
전환사채 15,489,002,645 2,701,529,887
기타유동금융부채 8,318,383,803 4,909,893,121
리스부채 4,652,270,392 3,471,722,013
기타유동부채 2,113,603,500 936,585,253
파생금융부채 10,470,068,157 677,273,845
유동성장기부채 6,100,000,000 2,900,000,000
II. 비유동부채 9,664,954,923 39,968,518,543
장기차입금 1,800,000,000 4,900,000,000
전환사채 - 12,999,757,786
기타비유동금융부채 351,575,041 1,190,415,529
비유동리스부채 5,887,909,406 10,503,456,948
복구충당부채 74,554,226 139,889,671
파생상품부채 904,778,582 9,751,828,290
상환전환우선주부채 117,418,573 -
기타비유동부채 528,719,095 483,170,319
부 채 총 계 76,107,219,362 71,292,448,535
자 본
I. 지배기업소유주지분 17,884,404,941 37,012,713,131
자본금 12,541,758,500 12,541,758,500
주식발행초과금 24,317,887,374 24,317,887,374
기타자본항목 57,562,747,068 54,703,665,836
이익잉여금 (76,537,988,001) (54,550,598,579)
II. 비지배지분 5,281,759,072 18,045,334,506
자 본 총 계 23,166,164,013 55,058,047,637
부채 및 자본 총계 99,273,383,375 126,350,496,172

- 연결손익계산서(포괄손익계산서)

<연 결 손 익 계 산 서(포 괄 손 익 계 산 서)>

제 28 기 (2024. 01. 01부터 2024. 12. 31 까지)
제 27 기 (2023. 01. 01부터 2023. 12. 31 까지)
(단위 : 원 )

과 목 제 28 기 제 27 기
Ⅰ. 매출액 89,701,005,500 61,682,037,944
Ⅱ. 매출원가 65,049,926,341 52,939,036,951
Ⅲ. 매출총이익 24,651,079,15 8,743,000,993
판매비와관리비 51,342,572,706 44,465,414,234
Ⅳ. 영업이익(손실) (26,691,493,547) (35,722,413,241)
금융수익 4,647,549,272 3,356,796,511
금융비용 9,015,587,240 3,409,448,139
기타수익 174,252,141 236,607,679
기타비용 250,091,445 93,515,769
Ⅴ. 법인세비용차감전순이익(손실) (31,135,370,819) (35,631,972,959)
Ⅵ. 법인세비용 860,047,913 (1,364,933,287)
Ⅶ. 당기순이익(손실) (31,995,418,732) (34,267,039,672)
Ⅷ. 기타포괄손익 - (1,000,016,160)
Ⅸ. 총포괄이익(손실) - (35,267,055,832)
Ⅹ. 당기순이익의 귀속 - -
지배기업소유주 (18,690,592,257) (18,192,746,883)
비지배지분 (13,304,826,475) (16,074,292,789)
Xl. 총포괄이익의 귀속  
지배기업소유주 (18,690,592,257) (19,192,763,043)
비지배지분 (13,304,826,475) (16,074,292,789)
기본주당순이익 (763) (743)
희석주당순이익 (763) (743)

- 대차대조표(재무상태표)

<대 차 대 조 표(재 무 상 태 표)>

제 28 기 2024. 12. 31 현재
제 27 기 2023. 12. 31 현재
(단위 : 원)
과 목 제 28 기 제 27 기
자 산
I. 유동자산 34,680,811,248 43,615,831,114
현금및현금성자산 4,735,422,203 9,026,454,617
단기금융상품 13,241,000,000 9,663,000,000
당기손익_공정가치 금융자산 12,225,573 8,488,231,343
매출채권 5,317,639,325 2,919,448,192
기타유동금융자산 932,278,350 1,052,498,990
기타유동자산 161,309,188 251,491,369
재고자산 7,566,603,092 6,733,974,513
당기법인세자산 106,284,890 120,696,140
파생상품자산 2,608,048,627 5,360,035,950
II. 비유동자산 40,064,802,119 38,826,167,194
장기금융상품 2,400,000,000 4,500,000,000
기타비유동금융자산 1,354,647,761 337,180,071
종속기업투자주식 27,873,203,621 28,943,320,252
유형자산 1,998,518,397 1,086,649,438
무형자산 1,027,803,990 1,092,018,908
사용권자산 4,632,435,601 1,228,757,863
이연법인세자산 778,192,749 1,638,240,662
자 산 총 계 74,745,613,367 82,441,998,308
부 채
I. 유동부채 27,669,618,371 23,754,370,789
매입채무 3,588,438,564 2,296,934,246
단기차입금 4,500,000,000 4,800,000,000
전환사채 - 2,701,529,887
기타유동금융부채 14,640,235,494 11,913,379,530
기타유동부채 1,522,535,402 486,019,368
파생금융부채 - 677,273,845
리스부채 1,418,408,911 879,233,913
유동성장기부채 2,000,000,000 -
II. 비유동부채 5,232,920,512 2,826,876,870
장기차입금 - 2,000,000,000
기타비유동금융부채 1,821,164,582 7,439,942
리스부채 3,114,614,396 453,091,450
기타비유동부채 297,141,534 236,896,186
부 채 총 계 32,902,538,883 26,581,247,659
자 본
I. 자본금 12,541,758,500 12,541,758,500
II. 주식발행초과금 24,317,887,374 24,317,887,374
III. 기타자본항목 (3,856,807,917) (3,856,807,917)
IV. 이익잉여금 8,840,236,527 22,857,912,692
자 본 총 계 41,843,074,484 55,860,750,649
부채 및 자본 총계 74,745,613,367 82,441,998,308

- 손익계산서(포괄손익계산서)

<손 익 계 산 서(포 괄 손 익 계 산 서)>

제 28 기 (2024. 01. 01부터 2024. 12. 31 까지)
제 27 기 (2023. 01. 01부터 2023. 12. 31 까지)
(단위 : 원)
과 목 제 28 기 제 27 기
Ⅰ. 매출액 57,475,518,787 45,590,579,080
Ⅱ. 매출원가 44,800,967,508 38,491,557,135
Ⅲ. 매출총이익 12,674,551,279 7,099,021,945
판매비와관리비 16,573,880,489 16,074,475,787
Ⅳ. 영업이익(손실) (3,899,329,210) (8,975,453,842)
금융수익 1,796,529,017 7,159,736,144
금융비용 8,788,878,690 1,247,376,432
기타수익 2,313,942,262 147,784,536
기타비용 1,290,252,991 1,255,209,730
V. 법인세비용차감전순이익 (9,867,989,612) (4,170,519,324)
VI. 법인세비용 860,047,913 -
VII. 당기순이익 (10,728,037,525) (4,170,519,324)
VIII. 기타포괄손익 - (1,000,016,160)
IX. 총포괄손익 (10,728,037,525) (5,170,535,484)
기본주당순이익 (438) (170)
희석주당순이익 (438) (170)

- 이익잉여금처분계산서(안) 또는 결손금처리계산서(안)

<이익잉여금처분계산서 / 결손금처리계산서>

제 28 기 (2024. 01. 01부터 2024. 12. 31 까지)
제 27 기 (2023. 01. 01부터 2023. 12. 31 까지)
(단위 : 원 )
과 목 제 28 기 제 27 기
미처분 이익잉여금 7,892,583,916 7,238,621,441
전기이월미처분이익잉여금 18,620,621,441 11,409,140,765
당기순이익(손실) (10,728,037,525) (4,170,519,324)
이익준비금 전입액 - 15,000,000,000
주식발행초과금 - 15,000,000,000
이익잉여금 처분액 33,438,640 22,238,6201,441
이익준비금 361,800,000 3,618,000,000
현물배당금 (328,361,360) 3,618,000,000
차기이월미처분이익잉여금 7,859,145,276 18,620,621,441

※ 이익잉여금처분계산서는 배당이 결정되는 정기주주총회일에 확정될 예정입니다.재무제표의 기타 및 주석사항은 전자공시시스템(http://dart.fss.or.kr)에 공시 예정인 당사의 감사보고서를 참조하시기 바랍니다.

- 최근 2사업연도의 배당에 관한 사항

※ 당기(제28기)에는 배당을 실시하지 않으며, 전기(제27기)에 기말배당으로 보통주 1주당 자회사 ㈜넥스트칩 보통주 0.0122501971주를 현물배당하였습니다.

□ 정관의 변경

가. 집중투표 배제를 위한 정관의 변경 또는 그 배제된 정관의 변경해당사항 없음

나. 그 외의 정관변경에 관한 건

변경전 내용 변경후 내용 변경의 목적

제57조(분기배당)

① 회사는 이사회의 결의로 사업연도 개시일부터 3월, 6월 및 9월의 말일(이하 “분기배당 기준일”이라 한다)의 주주에게 [자본시장과 금융투자업에 관한 법률] 제165조의12에 따라 분기배당을 할 수 있다.

② 제1항의 이사회 결의는 분기배당 기준일 이후 45일 내에 하여야 한다.

③ ~ ⑤ (생략)

제57조(분기배당)

① 회사는 사업연도 개시일부터 3개월, 6개월 및 9개월 경과 후 45일 이내의 이사회 결의로써 [자본시장과 금융투자업에 관한 법률] 제165조의12에 따라 금전으로 분기배당을 할 수 있다.

② 회사는 이사회 결의로 제1항의 배당을 받을 주주를 확정하기 위한 기준일을 정하는 경우 그 기준일의 2주 전에 이를 공고하여야 한다.

③ (기존과 동일)

매분기말 배당기준일을 명시한 내용을 삭제하고 분기배당 기준일을 이사회결의로 정할수 있도록 한 자본시장법개정 내용을 반영하여 개정

분기배당 시 이사회 결의로 배당기준일을 설정하고, 이를 공고하도록 개정

※ 기타 참고사항

해당사항 없음

□ 이사의 보수한도 승인

가. 이사의 수ㆍ보수총액 내지 최고 한도액

(당 기)

이사의 수 (사외이사수) 4명 (0명)
보수총액 또는 최고한도액 2,000백만원

(전 기)

이사의 수 (사외이사수) 4명 (0명)
실제 지급된 보수총액 257백만원
최고한도액 2,000백만원

※ 기타 참고사항

해당사항 없음

□ 감사의 보수한도 승인

가. 감사의 수ㆍ보수총액 내지 최고 한도액

(당 기)

감사의 수 1명
보수총액 또는 최고한도액 100백만원

(전 기)

감사의 수 1명
실제 지급된 보수총액 12백만원
최고한도액 100백만원

※ 기타 참고사항

해당사항 없음

□ 기타 주주총회의 목적사항

가. 의안 제목

임원퇴직급여규정 변경의 건

나. 의안의 요지

확정기여형 퇴직연금 운용에 따른 규정 현실화 반영 변경

IV. 사업보고서 및 감사보고서 첨부

가. 제출 개요 2025년 03월 18일1주전 회사 홈페이지 게재
제출(예정)일 사업보고서 등 통지 등 방식

나. 사업보고서 및 감사보고서 첨부

1) 상법시행령 제31조(주주총회의 소집공고)에 의거하여 사업보고서 및 감사보고서는 주주총회개최 1주 전까지 회사 홈페이지에 게재할 예정입니다.※ 홈페이지 주소 : http://www.nc-and.com2) 향후 사업보고서는 오기 및 정기주주총회 결과에 따라 수정될 수 있으며, 수정사항이 있을 경우 DART 및 홈페이지에 업데이트 할 예정입니다.

※ 참고사항

1. 주주총회 개최일 : 2025년 3월 26일2. 주주총회 소집통지(공고)일 : 2025년 3월 11일

▶ 주총 집중일 주총 개최 사유당사는 주주님들의 원활한 주주총회 참석을 위해 "주주총회 분산 자율준수프로그램"에 참여하여, 2025년 3월 26일(수)에 정기주주총회 개최를 결정하였습니다. 따라서 주주총회 집중일 개최사유 신고 의무가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