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주총회소집공고 6.0 주식회사 파로스아이바이오

주주총회소집공고
2025 년 3 월 7 일
회 사 명 : 주식회사 파로스아이바이오
대 표 이 사 : 윤정혁
본 점 소 재 지 : 경기도 안양시 동안구 흥안대로 427번길 38, 1408호
(전 화) 070-7662-8585
(홈페이지) https://www.pharosibio.com
작 성 책 임 자 : (직 책) CFO (성 명) 문성원
(전 화) 070-7662-8585

주주총회 소집공고
(제9기 정기)

주주님의 건승과 댁내의 평안을 기원합니다. 당사는 상법 제365조와 정관 제21조 규정에 의거, 다음과 같이 제9기 정기주주총회를 개최하오니 참석하여 주시기 바랍니다.

※ 상법 제542조의4, 동법시행령 제31조의 제1항 및 제2항에 따라 의결권 있는 발행주식총수의 1% 이하의 주식을 소유하는 주주에게는 전자적 방법으로 공고(전자공시시스템)함으로써 주주총회 소집통지를 갈음하오니 양지하여 주시기 바랍니다.

- 다 음 -

1. 일 시 : 2025년 3월 25일(화) 오전9시

2. 장 소 : 경기도 안양시 동안구 흥안대로 415, (평촌동, 두산벤처다임) 1층 세미나실

3. 회의 목적사항

가. 보고사항

- 감사의 감사 보고, 영업 보고, 내부회계관리제도 운영실태 보고

나. 부의안건

- 제1호 의안 : 제9기 재무제표 승인의 건

- 제2호 의안 : 이사 선임의 건

ㆍ제2-1호 의안 : 사내이사 윤정혁 재선임 건

ㆍ제2-2호 의안 : 사내이사 문성원 재선임 건

- 제3호 의안 : 이사 보수 한도 승인의 건

- 제4호 의안 : 감사 보수 한도 승인의 건

- 제5호 의안 : 정관 일부 변경의 건

- 제6호 의안 : 주식매수선택권 부여 승인의 건

- 제7호 의안 : 주식매수선택권 부여의 건

4. 경영참고사항(주주총회 소집통지ㆍ공지사항) 비치

상법 제542조의4에 의거하여 주주총회 소집통지ㆍ공지사항을 당사의 홈페이지(https://www.pharosibio.com), 금융위원회, 한국거래소 및 국민은행 증권대행부에 참조하시기 바랍니다.

5. 전자증권제도 시행에 따른 실물증권 보유자의 권리 보호에 관한 사항

2019년 9월 16일부터 전자증권제도가 시행되어 실물증권은 효력이 상실되었으며, 한국예탁결제원의 특별(명부)계좌주주로 전자등록되어 권리행사 등이 제한됩니다. 따라서 보유 중인 실물증권을 한국예탁결제원 증권대행부에 방문하여 전자등록으로 전환하시기 바랍니다.

6. 주주총회 참석 시 준비물

가. 직접행사 : 본인 신분증

나. 대리행사 : 위임장(주주 대리인의 인적사항, 소유주식수 기재, 주주본인의 인감날인), 대리인의 신분증, 인감증명서

- 위 사항을 충족하지 못하는 경우, 주주총회 입장이 불가하오니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7. 기타 안내사항

- 본 주주총회는 기념품이 제공되지 않으며, 행사장 사정으로 인하여 주차지원이 불가하오니 양지하여 주시기 바랍니다.

2025년 3월 7일경기도 안양시 동안구 흥안대로 427번길 38, 1408호 (관양동, 성지스타위드)주식회사 파로스아이바이오 대표이사 윤 정 혁 (직인생략)

I. 사외이사 등의 활동내역과 보수에 관한 사항

1. 사외이사 등의 활동내역

가. 이사회 출석률 및 이사회 의안에 대한 찬반여부

회차 개최일자 의안내용 가결여부 사외이사
이상복(출석률: 100%)
찬 반 여 부
1 2024. 2. 14. 제1호 의안 : 제8기 정기주주총회 소집의 건제2호 의안 : 전자투표 실시의 건제3호 의안 : 제8기 재무제표 승인의 건제4호 의안 : 이사 선임의 건 제4-1호 의안 : 사내이사 남기엽 재선임의 건제5호 의안 : 감사 선임의 건 제5-1호 의안 : 감사 김장환 재선임의 건제6호 의안 : 이사 보수한도 승인의 건제7호 의안 : 감사 보수한도 승인의 건제8호 의안 : 주식매수선택권 부여의 건 가결가결가결가결가결가결가결가결 찬성찬성찬성찬성찬성찬성찬성찬성
2 2024. 7. 19. 제1호 의안 : 주식매수선택권 부여 취소의 건제2호 의안 : 주식매수선택권 행사가능기간 확정의 건제3호 의안 : 주식매수선택권 부여의 건 가결가결가결 찬성찬성찬성
3 2024. 12. 20. 제1호 의안 : 조직 개편 및 업무분장 조정의 건제2호 의안 : 주식매수선택권 부여 취소의 건제3호 의안 : 호주법인 유상증자의 건 가결가결가결 찬성찬성찬성

나. 이사회내 위원회에서의 사외이사 등의 활동내역

위원회명 구성원 활 동 내 역
개최일자 의안내용 가결여부
투명경영위원회(위원장 이상복) 사외이사 이상복사내이사 남기엽사내이사 문성원 - - -

2. 사외이사 등의 보수현황
(단위 : 백만원)
구 분 인원수 주총승인금액(*) 지급총액 1인당 평균 지급액 비 고
사외이사 1 1,500 36 36 -

(*) 주총승인금액은 제8기 정기주주총회에서 승인된 사외이사 등을 포함한 등기이사 전원에 대한 보수총액 한도(2024년 회계연도)입니다.

II. 최대주주등과의 거래내역에 관한 사항

1. 단일 거래규모가 일정규모이상인 거래

(단위 : 억원)
거래종류 거래상대방(회사와의 관계) 거래기간 거래금액 비율(%)
- - - - -

2. 해당 사업연도중에 특정인과 해당 거래를 포함한 거래총액이 일정규모이상인 거래

(단위 : 억원)
거래상대방(회사와의 관계) 거래종류 거래기간 거래금액 비율(%)
- - - - -

III. 경영참고사항

1. 사업의 개요

가. 업계의 현황

1) 산업의 특성 가) 의약품

의약품이란 질병의 치료 및 증상 완화를 위해 사용하는 특정 물질로, 약사법에 따라 일반의약품과 전문의약품으로 구분됩니다. 현대 의약품 산업은 강력한 규제 아래 있으며, 신약개발에는 장기간의 연구 및 대규모 자금 투자가 필요합니다. 당사는 전문의약품, 특히 항암제 및 희귀질환 치료제 개발을 주요 사업으로 영위하는 회사입니다.

나) 항암제

암은 고령화에 따라 발병률이 지속적으로 증가하는 질병으로, 세계적으로 항암제 시장이 확대되고 있습니다. 항암제는 1세대 화학항암제, 2세대 표적항암제, 3세대 면역항암제로 발전 중이며, 최근에는 다중 기전을 활용한 병용 요법이 주목받고 있습니다. 항암제는 신약개발이 활발한 분야이며, 당사도 차별화된 항암제 개발에 집중하고 있습니다.다) 표적항암제 표적 항암제는 기존 화학항암제의 한계를 극복하기 위해 개발된 항암제로, 암세포의 특정 단백질을 표적으로 하여선택적으로 공격하는 항암제입니다. 대표적인 약물로 이마티닙(글리벡), 트라스트주맙(허셉틴) 등이 있으며, 정상 세포에 대한 부작용을 줄일 수 있다는 점이 있습니다. 당사는 저분자 화합물 기반 표적항암제 연구를 진행하고 있으며, 내성 극복 및 신규 표적 발굴에 주력하고 있습니다. 라) AI 신약개발 신약개발은 평균 15년 이상의 개발기간과 수조 원의 비용이 소모되며, 성공 확률이 낮아 생산성 저하가 문제로 지적되고 있습니다. 이에 따라 인공지능(AI)을 활용한 신약개발이 주목받고 있으며, AI 기반 신약개발 시장은 빠르게 성장 중입니다. 2010년대 이후 딥러닝 기술 발전과 함계 AI 기반 신약개발 파이프라인이 급증했으며, 특히 항암제 분야에서 활발하게 연구되고 있습니다. 당사도 자체 구축 AI 플랫폼을 활용하여 신약 후보물질 발굴 및 개발 효율성을 높이고 있습니다.마) 희귀질환 치료제 희귀질환치료제는 과거 낮은 수익성과 임상시험의 어려움으로 인해 개발이 저조했으나, 미국(Orphan Drug Act, 1983) 및 유럽연합(1999)의 정책적 지원(시장 독점권, 세제 혜택, 우선심사 등)으로 연구개발이 활발해졌습니다. 2022년 FDA 희귀질환 치료제 지정 건수는 402건에 달하며, 일반 치료제 대비 임상 성공률이 높아 신약개발의 전략적 분야로 부상하고 있습니다. 당사는 전략적 판단 하에 의학적 미충족 수요가 높은 희귀 난치성 질환 치료제 개발에 특히 집중하고 있습니다. 2) 산업의 성장성

가) 의약품 및 항암제국가생명공학정책연구센터의 바이오인더스트리 '2023년 글로벌 의약품 시장 전망' 자료에 따르면, 글로벌 의약품 시장은 연평균 성장률 5%로 성장하여 2022년 기준 1조 4,820억 달러에서 2027년 1조 9,170억 달러에 이를 것으로 예상됩니다. 글로벌 항암제 약물 시장 규모는 2023년 1,184억 달러에서 연평균 성장률 6.7%로 성장하여 2032년까지 2,139억 달러에 이를 것으로 전망됩니다. 이러한 성장 원인으로는 △항암 신약의 지속적 출시, △암 인식 증가와 조기 암 점진, △다양한 비 선진국가의 신약 접근성 확대 등을 들 수 있습니다.

【 글로벌 항암제 시장 규모 및 성장률 】
1.jpg 글로벌 항암제 시장 규모 및 성장률

출처: Business Research Insights (2024), 항암제 약물 시장 보고서

나) AI 신약개발 신약개발의 생산성 및 효율성을 향상시키기 위한 방안으로 AI를 활용한 신약개발이 급부상하고 있습니다. 미국은 정부-민간 협동 프로젝트인 "ATOM 프로젝트"를 2017년부터 추진해 AI를 활용한 신약개발을 적극 지원하고 있으며, 국내에서도 2019년 3월 인공지능신약개발지원센터를 개소하며 AI 신약개발을 활성화하고 있습니다.AI 활용 신약개발 시장 규모는 2021년 4.13억 달러에서 연평균 성장률 46%로 급격히 성장하여 2027년에는 40억 달러에 이를 것으로 전망되고 있습니다.

【 AI 활용 신약개발 시장 규모 】

2.jpg AI 활용 신약개발 시장 규모

출처: 데일리팜(2025. 1. 6.)

다) 희귀질환 치료제

희귀질환 치료제 시장은 선진국을 중심으로 법인세 감면, 특허 연장, 신속 심사 및 비용 절감 등의 경제적 인센티브를 통해 지속적으로 성장하고 있습니다. 글로벌 제약사들도 희귀질환 치료제의 경제성이 입증됨에 따라 연구개발에 적극적으로 투자하고 있습니다. 글로벌 의약품 시장조사기관 이벨류에이트(Evaluate) '희귀의약품 보고서' 및 국가신약개발사업단의 '2024 글로벌 신약개발 산업동향'에 따르면, 전세계 희귀의약품 시장규모는 혁신적 치료제 개발 증가와 더불어, 2024년 1,850억 달러에서 2028년 2,700억 달러까지 성장할 것으로 예상됩니다. 3) 경기변동의 특성 의약품 산업은 경기 변동에 상대적으로 영향을 덜 받는 산업으로, 환자의 치료 수요에 기반하여 안정적인 시장을 형성하고 있습니다. 특히 항암제 및 희귀질환 치료제는 생명과 직결된 필수 치료제이므로 경제 상황과 무관하게 지속적인 수요가 존재합니다. 다만, 연구개발 투자와 관련하여 글로벌 경제 환경, 금리 변동, 정부의 연구지원 정책 등에 따라 자금 조달 여건이 영향을 받을 수 있습니다. 4) 경쟁요소 의약품 산업에서 경쟁력을 결정하는 주요 요소는 연구개발 역량, 임상시험 성공률, 차별화된 기술력, 특허 보호, 규제 승인 여부 등입니다. 특히 항암제 및 희귀질환 치료제 분야에서는 신약개발 속도와 효능 및 안전성이 중요한 차별화 요소이며, AI를 활용한 신약개발 기술이 새로운 경쟁 요소로 부각되고 있습니다. 당사는 AI 기반 신약개발 플랫폼을 보유하고 있으며, 신속하고 효율적인 신약 후보물질 발굴을 통해 경쟁력을 확보하고 있습니다. 5) 자금조달상의 특성

신약개발 사업은 장기적인 연구개발 기간과 대규모 자금 투자가 필수적인 산업으로, 임상 단계별 자금 조달이 중요한 이슈입니다. 일반적으로 기업은 정부 지원금, 기관 투자금, 기술이전(License-out), 글로벌 제약사와의 공동개발 및 전략적 제휴 등을 통해 자금을 조달합니다. 특히 신약후보물질이 임상단계에 진입하면 기술이전 계약을 통한 자금 확보 가능성이 높아집니다. 당사는 자체 연구개발뿐만 아니라 기술이전 및 공동개발을 적극적으로 추진하여 자금 조달의 다변화를 도모하고 있습니다. 6) 관련 법령 또는 정부의 규제 등

의약품 산업은 각국의 엄격한 규제를 받으며, 신약 개발 및 판매를 위해서는 미국 식품의약국(FDA), 유럽의약품청(EMA), 국내 식품의약품안전처(MFDS) 등의 승인이 필요합니다. 희귀질환 치료제의 경우, 미국 Orphan Drug Act (1983), 유럽 Orphan Medicinal Products Regulation (1999) 등의 법률에 따라 우선 심사, 시장 독점권, 세제 혜택 등의 지원을 받을 수 있습니다. 또한, AI 기반 신약개발과 관련하여 데이터 활용 및 규제 가이드라인이 지속적으로 변화하고 있어, 관련 법률의 준수가 필수적입니다. 7) 기타

의약품 산업은 기술 혁신과 규제 변화에 따라 급격히 변화하는 산업입니다. 특히 항암제 및 희귀질환 치료제 분야에서는 새로운 기전의 신약 개발과 병용요법 연구가 활발히 진행되고 있으며, 글로벌 제약사 및 바이오텍 간의 협력 사례가 증가하고 있습니다. 또한, AI 기술의 발전으로 신약 개발 과정에서의 효율성이 향상되고 있으며, 이를 활용한 차세대 신약 개발 경쟁이 치열해지고 있습니다. 당사는 이러한 산업 변화에 대응하여 AI 플랫폼 기반 신약개발 기술을 고도화하고, 글로벌 시장 진출을 위한 전략적 파트너십을 확대해 나가고 있습니다.

나. 회사의 현황

1) 영업개황 및 사업부문의 구분

가) 영업개황 당사는 2016년 경기도 안양에 설립된 AI (인공지능) 기반의 혁신신약개발 전문 벤처기업(한국 표준산업분류코드 기준: 의학 및 약학 연구개발업)으로, 공학, 화학, 생물학의 융복합연구능력을 바탕으로 자체 구축한 AI 기반의 신약개발 플랫폼 '케미버스(Chemiverse)'를 활용하여 희귀 난치성 질환 중심의 혁신신약을 개발하고 있습니다.

당사는 질환과 관련된(특히 항암) 표적 단백질의 3차원 구조 및 약물 결합부위 분석을 토대로, 약물과 표적 간 상호작용 에너지를 계산하며, 약물의 독성 예측, 신규 약물 디자인 및 타겟 적응증 예측 등의 기능을 가진 9개 모듈로 구성된 케미버스(Chemiverse) 플랫폼 기술을 보유하고 있습니다. 당사는 이 AI 플랫폼 기술을 활용하여 신약개발에 소요되는 기간을 단축시키고 비용을 절감하면서 성공 가능성이 높은 신약후보물질을 개발하여, 초기 신약후보물질부터 임상단계까지 전 주기 혁신신약 파이프라인을 구축하고 있습니다.

당사의 주요 파이프라인 중 하나인 PHI-101은 급성골수성백혈병에 대하여 2019년 미국 FDA로부터 희귀의약품 지정 승인을 받았으며, 2024년 10월 식품의약품안전처로부터 국내 제 53번째 개발단계 희귀의약품으로 지정 승인을 받았습니다. PHI-101은 한국과 호주의 규제기관 허가 아래 재발 또는 불응성 급성골수성백혈병 환자에 대하여 임상 1상 환자모집을 완료하여 1상 종료 단계에 있습니다. 당사의 사업모델은 희귀질환 치료제의 임상 2상 후 조건부 품목허가를 통해 조기 상용화하여 지속 수익 기반을 구축하는 것을 우선 목표로 하며, 동시에 전 주기 파이프라인의 임상개발 및 초기 후보물질~임상 2상 단계에서 기술이전(License-out)하는 것을 계획하고 있습니다.

【 캐미버스(Chemiverse) 플랫폼 】
케미버스(chemiverse) 플랫폼.jpg 케미버스(Chemiverse) 플랫폼

나) 공시대상 사업부문의 구분

당사는 희귀 난치성 질환에 중점을 두고 AI (인공지능)를 활용하여 혁신신약을 개발하는 연구개발 전문기업으로, 1) 희귀질환 치료제의 임상 2상 후 조건부 품목허가를 통한 조기 상용화, 2) 신약 후보물질의 기술이전을 통한 수익 창출이 주요 사업모델입니다. 따라서 완제품(시판 신약)을 생산하고 있지 않습니다.

참고서류 제출일 현재 당사의 주요 파이프라인의 개발 현황은 아래와 같습니다.

【 당사 보유 파이프라인 현황 】
당사 보유 파이프라인 현황.jpg 당사 보유 파이프라인 현황

2) 시장점유율

정확한 시장규모와 시장점유율을 파악할 수 있는 객관적인 자료를 확보하기 곤란하여 본항목의 기재를 생략합니다 3) 시장의 특성

"가. 업계의 현황"의 "1) 산업의 특성"을 참조 바랍니다.

4) 신규사업 등의 내용 및 전망

가) 급성골수성백혈병 치료제 PHI-101-AML 당사는 선두 파이프라인으로 FLT3 돌연변이 급성골수성백혈병 치료제 PHI-101-AML을 개발하여, 한국, 호주에서 임상 1상을 진행하였습니다. 임상 결과는 2024년 12월 미국혈액학회(ASH)에서 발표한 바 있으며, 참고서류 제출일 현재 임상 1상 종료단계로서 임상결과보고서 작성 진행 중입니다. (1) 타겟 환자 및 적응증

급성골수성백혈병은 혈액세포를 생성하는 줄기세포인 조혈모세포가 악성세포로 변하는 치명적 혈액암으로, 고령층일수록 치료가 어렵고 생존율이 매우 낮으며 재발율 또한 높은 암입니다. PHI-101-AML은 급성골수성백혈병 환자에서 나타나는 주된 돌연변이인 FLT3 돌연변이를 표적하는 항암물질로서, 1차적으로는 약물 내성 돌연변이를 포함하여 FLT3 돌연변이를 가진 불응성/재발성 급성골수성백혈병 환자를 타겟으로 합니다. (2) 개발현황 및 경쟁력

FDA 승인을 받은 FLT3 돌연변이 표적항암제로는 아스텔라스(Astellas) 사의 조스파타(길테리티닙)가 있습니다. 조스파타의 경우 약물 내성 돌연변이 발생에 취약하며, 재발한 환자들의 주요 재발 원인 중 하나가 약물 내성 돌연변이인 것으로 확인되었습니다.

PHI-101-AML은 약물 내성 돌연변이를 극복하기 위한 FLT3 표적항암제로 개발되어 다양한 FLT3 돌연변이에서도 높은 활성을 확인하였으며, 특히 주요 저항성 돌연변이 발생 부위인 인산화효소 부위(Tyrosine Kinase Domain, TKD)에 발생한 돌연변이에 탁월한 효능을 확인하였습니다. 또한 PHI-101-AML은 임상 1상에서 DLT (Dose-limiting toxicity, 용량제한독성)가 관측되지 않아 안전성이 확인되었으며, 120 mg 이상 투약한 환자 중 기존 FLT3 저해제 치료 경험이 있는 환자에서 50%의 종합완전관해(CRc) 결과를 얻었습니다.

【 PHI-101-AML 임상적 효과 】

phi-101-aml 임상적 효과.jpg PHI-101-AML 임상적 효과

출처: ASH 2024, 당사 재가공

나) 대장암 및 흑색종 등 난치성 고형암 치료제 PHI-501(1) 타겟 환자 및 적응증

대장암은 2020년 암등록통계에서 갑상선암과 폐암에 이어 세번째로 많이 발병하는 암으로 유전적 원인과 음식 섭취 등의 환경적 요인에 의해 발병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습니다. 이 중 유전적 요인으로 잘 알려진 돌연변이가 전체 대장암 환자의 약 50%를 차지하는 BRAF 혹은 KRAS의 돌연변이 입니다. 이들 돌연변이는 기존의 표적항암제인 세툭시맙(얼비툭스주)에 대한 반응성이 낮아지게 하는 원인으로 알려져 있으며 BRAF 표적항암제와의 병용요법을 통해서도 20~22% 수준의 낮은 반응률을 보여 새로운 표적항암제의 개발이 요구되고 있습니다.

악성흑색종은 멜라닌 생성 세포로 구성된 암으로 유전적 원인과 자외선 등의 후천적 원인으로 발생하는데, 건강보험심사평가원 통계에서 악성흑색종으로 진료를 받은 환자가 2011년 2576명에서 2021년 4734명으로 1.8배가량 증가하였습니다. 악성흑색종의 유전적 원인 중 가장 주요한 것이 BRAF 돌연변이(약 60%)와 RAS 돌연변이(약 20%)로 이들을 타겟하는 표적항암제가 치료에 사용되고 있으나 음성피드백 또는 우회신호경로의 활성으로 인한 약물내성이 발생하여 새로운 표적항암제 개발이 필요한 상황입니다.

PHI-501 은 pan-RAF 및 DDR을 이중으로 타겟하는 표적항암제로 각종 돌연변이에 의한 암세포의 성장을 효과적으로 억제할 수 있기 때문에 기존 치료제에 의해 유발된 저항성을 극복하여 시장침투에 매우 유리할 것으로 기대됩니다.

(2) 개발현황 및 경쟁력

PHI-501과 유사한 타겟을 저해하는 경쟁제품의 경우 3가지가 있으며 각각 로슈(Roche), 노바티스(Novartis), 화이자(Pfizer)에서 개발하여 악성흑색종에 대하여 허가를 받았으며, 대장암에 대해서는 화이자(Pfizer)의 엔코라페닙(브라프토비) 한 가지가 허가를 받았습니다.

PHI-501은 합성치사기전으로 기존의 BRAF 타겟 표적항암제의 저항성을 극복할 수 있으며, 악성흑색종에서 높은 빈도로 발견되는 NRAS 단백질의 돌연변이를 지닌 세포에 대한 우수한 항암 효능을 동물시험에서 확인하여 AACR 2023에서 발표하였습니다.

【 PHI-501의 동물에서의 우수한 항암 효능 】

그림3.jpg PHI-501의 동물에서의 우수한 항암 효능

출처: AACR 2023

5) 조직도

조직도.jpg 조직도 (2024.12.31. 현재)

2. 주주총회 목적사항별 기재사항

□ 재무제표의 승인

제1호 의안 : 제9기 재무제표 승인의 건 (2024년 회계연도)

가. 해당 사업연도의 영업상황의 개요

- "Ⅲ.경영참고사항"의 "1.사업의개요" 를 참조하여 주시기 바랍니다.

나. 해당 사업연도의 대차대조표(재무상태표)ㆍ손익계산서(포괄손익계산서)ㆍ이익잉여금처분계산서(안) 또는 결손금처리계산서(안)

※ 아래의 연결ㆍ별도 재무제표는 한국채택국제회계기준(K-IFRS)으로 작성되었으며, 외부감사 전 연결ㆍ별도 재무제표입니다. 외부감사인의 감사의견을 포함한 최종 재무제표는 주주총회 1주일 전 전자공시시스템(https://dart.fss.or.kr)과 당사 홈페이지(https://www.pharosibio.com)에 공시 및 공고 예정인 당사의 연결ㆍ별도 감사보고서를 참조하시기 바랍니다. 또한 당해 법인의 주주총회 승인 절차를 거쳐 확정된 재무제표가 아니므로 동 승인 과정에서 변동될 수 있습니다.

1) 연결재무제표

<연 결 재 무 상 태 표>
제 9 기 (당)기말 2024년 12월 31일 현재
제 8 기 (전)기말 2023년 12월 31일 현재
주식회사 파로스아이바이오와 그 종속기업 (단위 : 원)
과 목 제 9 기 (당기말) 제 8 기 (전기말)
자산
유동자산 16,254,052,326 26,170,432,005
현금및현금성자산 6,359,504,337 15,587,839,298
기타유동금융자산 9,308,346,277 9,898,920,000
매출채권및기타채권 142,024,450 176,562,665
기타유동자산 321,189,962 403,578,749
당기법인세자산 122,987,300 103,531,293
비유동자산 3,374,279,960 3,519,817,513
유형자산 2,817,417,569 3,217,572,902
무형자산 419,081,066 148,954,286
기타비유동금융자산 137,781,325 153,290,325
자산 총계 19,628,332,286 29,690,249,518
부채
유동부채 973,213,870 1,213,343,939
매입채무및기타채무 859,449,705 907,282,226
기타유동금융부채 82,107,881 177,249,192
기타유동부채 31,656,284 128,812,521
비유동부채 41,608,309 127,702,543
기타비유동금융부채 41,608,309 127,702,543
부채 총계 1,014,822,179 1,341,046,482
자본
지배기업의 소유주지분 18,613,510,107 28,349,203,036
자본금 6,472,966,000 6,459,481,000
자본잉여금 102,155,145,654 101,927,312,120
기타자본 2,100,157,420 1,725,109,085
기타포괄손익누계액 216,826,831 8,709,227
결손금 (92,331,585,798) (81,771,408,396)
비지배지분 - -
자본 총계 18,613,510,107 28,349,203,036
부채 및 자본 총계 19,628,332,286 29,690,249,518

<연 결 포 괄 손 익 계 산 서>
제 9 (당)기 2024년 1월 1일부터 2023년 12월 31일까지
제 8 (전)기 2023년 1월 1일부터 2022년 12월 31일까지
주식회사 파로스아이바이오와 그 종속기업 (단위 : 원)
과 목 제 9 기 (당기) 제 8 기 (전기)
매출액 - -
매출원가 - -
매출총이익 - -
판매비와관리비 12,601,090,336 10,116,681,013
영업이익(손실) (12,601,090,336) (10,116,681,013)
기타수익 1,292,097,573 788,582,956
기타비용 55,148,180 209,260,226
금융수익 809,976,644 690,236,973
금융비용 6,013,103 11,239,585
법인세비용차감전순이익(손실) (10,560,177,402) (8,858,360,895)
법인세비용 - -
당기순이익(손실) (10,560,177,402) (8,858,360,895)
기타포괄손익 208,117,604 (64,011,101)
후속적으로 당기손익으로 재분류되는 항목
해외사업환산손익 208,117,604 (64,011,101)
당기총포괄이익(손실) (10,352,059,798) (8,922,371,996)
당기총포괄손익의 귀속
지배기업의소유주지분 (10,352,059,798) (8,922,371,996)
비지배지분 - -
지배기업의 소유주지분에 대한 주당손익
기본주당이익(손실) (817) (732)

<연 결 자 본 변 동 표>
제 9 (당)기 2024년 1월 1일부터 2024년 12월 31일까지
제 8 (전)기 2023년 1월 1일부터 2023년 12월 31일까지
주식회사 파로스아이바이오와 그 종속기업 (단위 : 원)
과 목 자본금 자본잉여금 기타자본 기타포괄손익누계액 이익잉여금(결손금) 총 계
2023.1.1. (기초자본) 5,738,481,000 83,575,612,920 1,191,498,361 72,720,328 (72,913,047,501) 17,665,265,108
총포괄이익(손실):
당기순이익(손실) - - - - (8,858,360,895) (8,858,360,895)
기타포괄손익
해외사업환산손익 - - - (64,011,101) - (64,011,101)
소유주와의 거래:
주식보상비용 - - 533,610,724 - - 533,610,724
유상증자 721,000,000 18,351,699,200 - - - 19,072,699,200
2023.12.31. (기말자본) 6,459,481,000 101,927,312,120 1,725,109,085 8,709,227 (81,771,408,396) 28,349,203,036
2024.1.1. (기초자본) 6,459,481,000 101,927,312,120 1,725,109,085 8,709,227 (81,771,408,396) 28,349,203,036
총포괄이익(손실):
당기순이익(손실) - - - - (10,560,177,402) (10,560,177,402)
기타포괄손익
해외사업환산손익 - - - 208,117,604 - 208,117,604
소유주와의 거래:
주식보상비용 - - 484,245,359 - - 484,245,359
주식매수선택권의 행사 13,485,000 227,833,534 (109,197,024) - - 132,121,510
2024.12.31. (기말자본) 6,472,966,000 102,155,145,654 2,100,157,420 216,826,831 (92,331,585,798) 18,613,510,107

<연 결 현 금 흐 름 표>
제 9 (당)기 2024년 1월 1일부터 2024년 12월 31일까지
제 8 (전)기 2023년 1월 1일부터 2023년 12월 31일까지
주식회사 파로스아이바이오와 그 종속기업 (단위 : 원)
과 목 제 9 기 (당기) 제 8 기 (전기)
영업활동 현금흐름 (9,614,713,224) (7,413,108,881)
영업으로부터 사용된 현금흐름 (10,473,928,129) (8,010,561,083)
이자지급 - (6,687,130)
이자수취 878,706,115 678,250,652
법인세납부 (19,491,210) (74,111,320)
투자활동 현금흐름 (120,319,391) 474,340,592
단기금융상품의 감소 25,852,529,662 20,153,500,000
단기금융상품의 증가 (25,261,955,939) (18,785,120,000)
유형자산의 처분 - 4,000,000
유형자산의 취득 (389,411,089) (839,638,578)
무형자산의 취득 (341,440,990) (15,100,000)
보증금의 감소 20,330,000 97,025,414
보증금의 증가 (496,000) (140,201,279)
장기성예금의 증가 - (124,965)
장기성예금의 감소 124,965 -
재무활동 현금흐름 (31,478,490) 18,805,498,509
유동성장기차입금의 상환 - (106,250,000)
리스부채의 상환 (163,600,000) (160,950,691)
주식매수선택권의 행사 132,121,510 -
주식의 발행 - 19,072,699,200
현금및현금성자산의 순증가 (9,766,511,105) 11,866,730,220
기초 현금및현금성자산 15,587,839,298 3,811,907,851
현금및현금성자산의 환율변동효과 538,176,144 (90,798,773)
기말 현금및현금성자산 6,359,504,337 15,587,839,298

※ 기타 참고사항

당사의 연결재무제표에 대한 주석사항 등은 주주총회 1주일 전 전자공시시스템(https://dart.fss.or.kr)과 당사 홈페이지(https://www.pharosibio.com)에 공시 및 공고 예정인 당사의 연결감사보고서를 참조하시기 바랍니다. 실제 공시일은 추후 변경될 수 있으며, 연결재무제표의 주석사항 등은 주주총회 승인과정에서 변동될 수 있습니다.

2) 재무제표

<재 무 상 태 표>
제 9 (당)기 2024년 12월 31일 현재
제 8 (전)기 2023년 12월 31일 현재
주식회사 파로스아이바이오 (단위: 원)
과 목 제 9 기 (당기말) 제 8 기 (전기말)
자산
유동자산 14,006,717,111 24,143,338,710
현금및현금성자산 5,328,347,700 13,591,713,796
기타유동금융자산 8,161,362,607 9,898,920,000
매출채권및기타채권 77,869,495 148,219,301
기타유동자산 316,150,009 400,989,523
당기법인세자산 122,987,300 103,496,090
비유동자산 5,143,751,904 5,323,114,906
유형자산 2,812,927,746 3,207,480,981
무형자산 419,081,066 148,954,286
종속기업투자주식 1,773,961,767 1,813,389,314
기타비유동금융자산 137,781,325 153,290,325
자산 총계 19,150,469,015 29,466,453,616
부채
유동부채 498,597,554 989,548,037
매입채무및기타채무 391,471,733 689,405,401
기타유동금융부채 82,107,881 177,249,192
기타유동부채 25,017,940 122,893,444
비유동부채 41,608,309 127,702,543
기타비유동금융부채 41,608,309 127,702,543
부채 총계 540,205,863 1,117,250,580
자본
자본금 6,472,966,000 6,459,481,000
자본잉여금 102,155,145,654 101,927,312,120
기타자본 2,100,157,420 1,725,109,085
결손금 (92,118,005,922) (81,762,699,169)
자본 총계 18,610,263,152 28,349,203,036
부채 및 자본 총계 19,150,469,015 29,466,453,616

<포 괄 손 익 계 산 서>
제 9 (당)기 2024년 1월 1일부터 2024년 12월 31일까지
제 8 (전)기 2023년 1월 1일부터 2023년 12월 31일까지
주식회사 파로스아이바이오 (단위: 원)
과 목 제 9 기 (당기) 제 8 기 (전기)
매출액 - -
매출원가 - -
매출총이익 - -
판매비와관리비 9,952,349,760 8,510,071,315
영업이익(손실) (9,952,349,760) (8,510,071,315)
기타수익 750,724,546 211,842,912
기타비용 1,877,575,727 1,299,236,903
금융수익 729,907,291 686,332,895
금융비용 6,013,103 11,239,585
법인세비용차감전순이익(손실) (10,355,306,753) (8,922,371,996)
법인세비용 - -
당기순이익(손실) (10,355,306,753) (8,922,371,996)
기타포괄손익 - -
당기총포괄이익(손실) (10,355,306,753) (8,922,371,996)
주당이익
기본주당이익(손실) (801) (737)

<자 본 변 동 표>
제 9 (당)기 2024년 1월 1일부터 2024년 12월 31일까지
제 8 (전)기 2023년 1월 1일부터 2023년 12월 31일까지
주식회사 파로스아이바이오 (단위: 원)
과 목 자본금 자본잉여금 기타자본 이익잉여금(결손금) 총 계
2023.1.1. (기초자본) 5,738,481,000 83,575,612,920 1,191,498,361 (72,840,327,173) 17,665,265,108
총포괄이익(손실):
당기순이익(손실) - - - (8,922,371,996) (8,922,371,996)
소유주와의 거래:
주식보상비용 - - 533,610,724 - 533,610,724
유상증자 721,000,000 18,351,699,200 - - 19,072,699,200
2023.12.31. (기말자본) 6,459,481,000 101,927,312,120 1,725,109,085 (81,762,699,169) 28,349,203,036
2024.1.1. (기초자본) 6,459,481,000 101,927,312,120 1,725,109,085 (81,762,699,169) 28,349,203,036
총포괄이익(손실):
당기순이익(손실) - - - (10,355,306,753) (10,355,306,753)
소유주와의 거래:
주식보상비용 - - 484,245,359 - 484,245,359
주식매수선택권의 행사 13,485,000 227,833,534 (109,197,024) - 132,121,510
2024.12.31. (기말자본) 6,472,966,000 102,155,145,654 2,100,157,420 (92,118,005,922) 18,610,263,152

<현 금 흐 름 표>
제 9 (당)기 2024년 1월 1일부터 2024년 12월 31일까지
제 8 (전)기 2023년 1월 1일부터 2023년 12월 31일까지
주식회사 파로스아이바이오 (단위: 원)
과 목 제 9 기 (당기) 제 8 기 (전기)
영업활동 현금흐름 (7,805,903,668) (6,237,687,389)
영업으로부터 사용된 현금흐름 (8,585,049,220) (6,831,235,513)
이자지급 - (6,687,130)
이자수취 798,636,762 674,346,574
법인세납부 (19,491,210) (74,111,320)
투자활동 현금흐름 (756,335,721) (1,763,659,408)
단기금융상품의 감소 25,852,529,662 20,153,500,000
단기금융상품의 증가 (24,114,972,269) (18,785,120,000)
유형자산의 처분 - 4,000,000
유형자산의 취득 (389,411,089) (839,638,578)
무형자산의 취득 (341,440,990) (15,100,000)
보증금의 감소 20,330,000 97,025,414
보증금의 증가 (496,000) (140,201,279)
장기성예금의 감소 124,965 -
장기성예금의 증가 - (124,965)
종속기업투자 (1,783,000,000) (2,238,000,000)
재무활동 현금흐름 (31,478,490) 18,805,498,509
유동성장기차입금의 상환 - (106,250,000)
리스부채의 상환 (163,600,000) (160,950,691)
주식의 발행 - 19,072,699,200
주식매수선택권의 행사 132,121,510 -
현금및현금성자산의 순증가 (8,593,717,879) 10,804,151,712
기초 현금및현금성자산 13,591,713,796 2,814,043,079
현금및현금성자산의 환율변동효과 330,351,783 (26,480,995)
기말 현금및현금성자산 5,328,347,700 13,591,713,796

<결 손 금 처 리 계 산 서 (안)>
제 9 (당)기 2024년 1월 1일 부터 2024년 12월 31일 까지
제 8 (전)기 2023년 1월 1일 부터 2023년 12월 31일 까지
주식회사 파로스아이바이오 (단위 : 원)
구분 당기(처리예정일 : 2025년 3월 25일) 전기(처리확정일 : 2024년 3월 28일)

Ⅰ. 미처리결손금

92,118,005,922

81,762,699,169

1. 전기이월결손금

81,762,699,169

72,840,327,173

2. 당기순손실

10,355,306,753

8,922,371,996

3. 보험수리적손익

-

-

Ⅱ. 이익잉여금 처분액

-

-

Ⅲ.차기이월미처리결손금

92,118,005,922

81,762,699,169

- 최근 2사업연도의 배당에 관한 사항 : 해당사항 없음

※ 기타 참고사항

당사의 재무제표에 대한 주석사항 등은 주주총회 1주일 전 전자공시시스템(https://dart.fss.or.kr)과 당사 홈페이지(https://www.pharosibio.com)에 공시 및 공고 예정인 당사의 감사보고서를 참조하시기 바랍니다. 실제 공시일은 추후 변경될 수 있으며, 재무제표의 주석사항 등은 주주총회 승인과정에서 변동될 수 있습니다.

□ 이사의 선임

제 2호 의안 : 이사 선임의 건

가. 후보자의 성명ㆍ생년월일ㆍ추천인ㆍ최대주주와의 관계ㆍ사외이사후보자 등 여부

후보자성명 생년월일 사외이사후보자여부

감사위원회 위원인

이사 분리선출 여부

최대주주와의 관계 추천인
윤정혁(사내이사) 1964. 6. 25. 없음 본인 이사회
문성원(사내이사) 1975. 9. 19. 없음 없음 이사회
총 ( 2 ) 명

나. 후보자의 주된직업ㆍ세부경력ㆍ해당법인과의 최근3년간 거래내역

후보자성명 주된직업 세부경력 해당법인과의최근3년간거래내역
기간 내용
윤정혁(사내이사)

(주)파로스아이바이오

대표이사 (CEO)

2020-현재2019-현재2016-현재 현재

(현) Pharos Therapeutics Inc. CEO

(현) Pharos Therapeutics Pty Ltd CEO

(현) (주)파로스아이바이오 대표이사

(현) (사)분자설계 연구소 이사

없음
문성원(사내이사)

(주)파로스아이바이오 경영관리본부장 (CFO)

2020-현재

2018-현재

2013-2015

2008-2009

(현) Pharos Therapeutics Inc. CFO

(현) (주)파로스아이바이오 사내이사

(전)(주)퍼플인베스트먼트파트너스 대표이사

(전) (주)GS건설

없음

다. 후보자의 체납사실 여부ㆍ부실기업 경영진 여부ㆍ법령상 결격 사유 유무

후보자성명 체납사실 여부 부실기업 경영진 여부 법령상 결격 사유 유무
윤정혁
문성원

라. 후보자의 직무수행계획(사외이사 선임의 경우에 한함)

해당사항 없음

마. 후보자에 대한 이사회의 추천 사유

□ 윤정혁 후보자에 대한 추천 사유 윤정혁 후보자는 연구 및 경영 부문에서 깊은 전문성과 풍부한 경험을 갖춘 핵심 경영진으로서, 회사의 지속적인 성장과 경쟁력 강화를 위해 중요한 역할을 수행해 왔습니다. 앞으로도 윤정혁 후보자의 전문성과 전략적 통찰력이 당사의 미래 성장에 큰 도움이 될 것이라 판단하였습니다. □ 문성원 후보자에 대한 추천 사유 문성원 후보자는 경영 전반에 대한 폭넓은 이해를 바탕으로 회사의 안정적인 운영과 지속적인 성장을 견인해 온 당사의 핵심인재로서, 임직원들로부터 신뢰를 받고 있으며, 원활한 소통을 통해 조직의 결속력을 높이는 데 기여하고 있습니다.

확인서 사내이사 후보자 윤정혁.jpg 사내이사 후보자 윤정혁 사내이사 후보자 문성원.jpg 사내이사 후보자 문성원
□ 이사의 보수한도 승인

제3호 의안 : 이사 보수한도 승인의 건 (2025년 회계연도)

가. 이사의 수ㆍ보수총액 내지 최고 한도액

(당 기)

이사의 수 (사외이사수) 4명 (1명)
보수총액 또는 최고한도액 1,500백만원

(전 기)

이사의 수 (사외이사수) 4명 (1명)
실제 지급된 보수총액 750백만원
최고한도액 1,500백만원

□ 감사의 보수한도 승인

제4호 의안 : 감사 보수한도 승인의 건 (2025년 회계연도)

가. 감사의 수ㆍ보수총액 내지 최고 한도액

(당 기)

감사의 수 1명
보수총액 또는 최고한도액 100백만원

(전 기)

감사의 수 1명
실제 지급된 보수총액 24백만원
최고한도액 100백만원

□ 정관의 변경

제5호 의안 : 정관 일부 변경의 건

가. 집중투표 배제를 위한 정관의 변경 또는 그 배제된 정관의 변경

변경전 내용 변경후 내용 변경의 목적
- - -

나. 그 외의 정관변경에 관한 건

변경전 내용 변경후 내용 변경의 목적

제10조(주식매수선택권)

⑧ 주식매수선택권을 부여받은 자는 제1항의 결의일부터 3년 이상 재임 또는 재직한 날부터 10년 내에 권리를 행사할 수 있다. 다만, 제1항의 결의일로부터 2년 내에 사망하거나 그 밖에 본인의 책임이 아닌 사유로 퇴임 또는 퇴직한 자는 그 행사기간 동안 주식매수선택권을 행사할 수 있다.

제10조(주식매수선택권)

⑧ 주식매수선택권을 부여받은 자는 제1항의 결의일부터 2년 이상 재임 또는 재직한 날부터 10년 내에 권리를 행사할 수 있다. 다만, 제1항의 결의일로부터 2년 내에 사망하거나 그 밖에 본인의 책임이 아닌 사유로 퇴임 또는 퇴직한 자는 그 행사기간 동안 주식매수선택권을 행사할 수 있다.

주식매수선택권 행사기간 단축

제18조(전환사채의 발행)

① 이 회사는 사채의 액면총액이 50억원을 초과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음 각 호의 경우 이사회의 결의로 주주 외의 자에게 전환사채를 발행할 수 있다.

제18조(전환사채의 발행)

① 이 회사는 사채의 액면총액이 500억원 을 초과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음 각 호의 경우 이사회의 결의로 주주 외의 자에게 전환사채를 발행할 수 있다.

자금조달 유연성 확보

제19조(신주인수권부사채의 발행)

① 이 회사는 사채의 액면총액이 50억원을 초과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음 각 호의 경우 이사회의 결의로 주주 외의 자에게 신주인수권부사채를 발행할 수 있다.

제19조(신주인수권부사채의 발행)

① 이 회사는 사채의 액면총액이 500억원 을 초과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음 각 호의 경우 이사회의 결의로 주주 외의 자에게 신주인수권부사채를 발행할 수 있다.

자금조달 유연성 확보

□ 주식매수선택권의 부여

제6호 의안 : 주식매수선택권 부여 승인의 건

상법 제 542조의3 제3항 규정에 의거, 2024년 7월 19일 이사회 결의로 김OO 외 6명에게 부여한 총 23,000주의 주식매수선택권에 대하여, 부여 후 처음으로 소집되는 제9기 정기주주총회에서 승인을 얻고자 합니다. 자세한 내용은 당사가 2024년 7월 19일에 공시한 '주식매수선택권 부여에 관한 신고'를 참고하시기 바랍니다.

가. 주식매수선택권을 부여하여야 할 필요성의 요지

- 회사의 기업경영과 주주가치 향상에 기여한 임직원에 대한 보상과 우수 임직원의 계속 근무 유인을 제공하고, 회사에 대한 공헌의지를 제고할 목적으로 다음과 같이 주식매수선택권을 부여하고자 합니다.

나. 주식매수선택권을 부여받을 자의 성명

성명 직위 직책 교부할 주식
주식의종류 주식수
김OO 외 6명 직원 - 보통주 23,000주
총 7명 - - - 총 23,000주

(*)부여받는 자가 직원(미등기임원 포함)으로서 각 개인별로 발행주식 총수의 1만분의 10미만에 해당하는 주식매수선택권을 부여받는 경우에는 성명을 기재하지 않았습니다.

다. 주식매수선택권의 부여방법, 그 행사에 따라 교부할 주식의 종류 및 수, 그 행사가격, 행사기간 및 기타 조건의 개요

구 분 내 용 비 고
부여방법 - 보통주 신주발행 -
교부할 주식의 종류 및 수 1) 주식의 종류 : 기명식 보통주2) 교부 주식의 총수 : 23,000주 -
행사가격 및 행사기간 1) 행사가격 : 14,000원- 상법 제340조의2 제4항 및 자본시장과 금융투자업에 관한 법률 시행령 제176조의7 제3항의 규정을 준용하여, 이사회 결의일 기준 가중산술평균 종가를 참고하여 행사가격을 결정2) 행사기간 : 2027. 7. 19. ~ 2034. 7. 18.- 부여일로부터 3년 재직 이후 행사 가능 -
기타 조건의 개요 - 상기 내용에 포함되지 않은 사항은 주식매수선택권과 관련된 제반 법규, 당사 정관, 계약서 등에 정하는 바에 따름 -

제7호 의안 : 주식매수선택권 부여의 건

가. 주식매수선택권을 부여하여야 할 필요성의 요지

- 회사의 기업경영과 주주가치 향상에 기여한 임직원에 대한 보상과 우수 임직원의 계속 근무 유인을 제공하고, 회사에 대한 공헌의지를 제고할 목적으로 다음과 같이 주식매수선택권을 부여하고자 합니다.

나. 주식매수선택권을 부여받을 자의 성명

성명 직위 직책 교부할 주식
주식의종류 주식수
문성원 등기임원

경영관리본부장

(CFO)

보통주 50,000주
김규태 관계회사의 임원

공동대표이사

(CBO)

보통주 20,000주
한혜정 관계회사의 임원

공동대표이사

(CIO)

보통주 20,000주
권OO외 4명 직원 팀장,파트장 등 보통주  56,000주
총 8명 - - 보통주 146,000주

(*1)부여받는 자는 회사의 등기이사, 감사 또는 상법제401조의 2의 규정에 따른 업무집행지시자 이외의 자로 통합하여 기재하였습니다.

(*2)부여받는 자가 직원(미등기임원 포함)으로서 각 개인별로 발행주식 총수의 1만분의 10미만에 해당하는 주식매수선택권을 부여받는 경우에는 성명을 기재하지 않았습니다.

다. 주식매수선택권의 부여방법, 그 행사에 따라 교부할 주식의 종류 및 수, 그 행사가격, 행사기간 및 기타 조건의 개요

구 분 내 용 비 고
부여방법 - 보통주 신주발행 -
교부할 주식의 종류 및 수 1) 주식의 종류 : 기명식 보통주2) 교부 주식의 총수 : 146,000주 -
행사가격 및 행사기간 1) 행사가격 : 주주총회 결의일 기준으로 결정(*)- 상법 제340조의2 제4항 및 자본시장과 금융투자업에 관한 법률 시행령 제176조의7 제3항의 규정을 준용하여, 주주총회 결의일 기준 가중산술평균 종가를 참고하여 행사가격을 결정 2) 행사기간 : 2027. 3. 25. ~ 2035. 3. 24.- 부여일로부터 2년 재직 이후 행사 가능 -
기타 조건의 개요 - 상기 내용에 포함되지 않은 사항은 주식매수선택권과 관련된 제반 법규, 당사 정관, 계약서 등에 정하는 바에 따름 -

(*)본 주주총회 전일부터 2개월, 1개월, 1주간의 증권시장에서 거래된 최종시세가격과 거래량을 가중치로 한 가중산술평균가격의 산술평균가격

라. 최근일 현재 잔여주식매수선택권의 내역 및 최근년도 주식매수선택권의 부여, 행사 및 실효내역의 요약

1) 최근일 현재 잔여주식매수선택권의 내역

총발행주식수 부여가능주식의 범위 부여가능주식의 종류 부여가능주식수 잔여주식수
12,945,932주 발행주식 총수의 15% 기명식 보통주 1,941,889주 1,302,396주

(*1) 상기 내역은 참고서류 제출일 현재 기준입니다.(*2) 잔여주식수는 부여가능주식수에서 주식매수선택권 미행사수량(하단 표 참조)을 차감한 주식수 입니다.

(표)주식매수선택권 미행사수량 현황

사업년도 부여주식수 행사주식수 실효주식수 미행사수량
2024년(*) 132,000주 - 2,000주 130,000주
2022년 74,828주 - 23,875주 50,953주
2021년 446,410주 14,970주 23,900주 407,540주
2019년 123,000주 12,000주 60,000주 51,000주
776,238주 26,970주 109,775주 639,493주

(*) 2024년 7월 19일 이사회에서 부여한 23,000주를 포함하였습니다. 해당 부여건에서 실효주식은 없습니다. 2) 최근 2사업연도와 해당사업연도의 주식매수선택권의 부여, 행사 및 실효내역

사업년도 부여일 부여인원(*2) 주식의종류 부여주식수 행사주식수 실효주식수 잔여주식수(*3)
2024년(*4) 2024. 7. 19. 7명 보통주 23,000주 - - 23,000주
2024년 2024. 3. 28. 18명 보통주 109,000주 - 2,000주 107,000주
2023년 - - - - - - -
2022년 2022. 3. 31. 13명 보통주 74,828주 - 23,875주 50,953주
- 총 33명(*2) 보통주 206,828주 - 25,875주 180,953주

(*1) 상기 내역은 참고서류 제출일 현재 기준입니다.(*2) 대상 사업연도에는 중복인원이 포함되어 있어 총 33명으로 기재하였습니다.(*3) 부여주식수에서 행사주식수와 실효주식수를 차감한 주식수입니다.(*4) 2024년 7월 19일 이사회 결의로 김OO 외 6명에게 부여한 총 23,000주의 주식매수선택권에 대하여, 부여 후 처음으로 소집되는 제9기 정기주주총회에서 승인을 얻어야 합니다. (본 주주총회 소집공고, 제6호 의안 : 주식매수선택권 부여 승인의 건 참조)

IV. 사업보고서 및 감사보고서 첨부

가. 제출 개요

2025년 03월 17일1주전 회사 홈페이지 게재
제출(예정)일 사업보고서 등 통지 등 방식

나. 사업보고서 및 감사보고서 첨부

(1) 당사는 상법시행령 제31조 제4항 제4호에 따라 사업보고서 및 감사보고서를 주주총회개최 1주 전까지 전자공시시스템(https://dart.fss.or.kr)과 회사 홈페이지(*)에 게재할 예정입니다.(*) 회사 홈페이지 : https://www.pharosibio.com ( IR -> 공시자료)(2) 향후 사업보고서는 주주총회 이후 변경되거나 오기 등이 있는 경우 수정될 수 있으며, 수정된 사업보고서는 DART 전자공시시스템(https://dart.fss.or.kr)에 업데이트 될 예정이니 이를 참조하여 주시기 바랍니다.(3) 주주총회 이후 변경된 사항에 관하여는「DART-정기공시」에 제출된(https://dart.fss.or.kr) 사업보고서를 활용하여야 합니다.

※ 참고사항

1. 주주총회 집중일 개최 사유 - 해당사항 없음 2. 본 주주총회는 기념품이 제공되지 않으며, 행사장 사정으로 인하여 주차지원이 불가하오니 양지하여 주시기 바랍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