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 3기 1분기)
사업연도 | 부터 |
까지 |
금융위원회 | |
한국거래소 귀중 | 2025년 05월 15일 |
제출대상법인 유형 : | |
면제사유발생 : |
회 사 명 : | 상상인제4호기업인수목적 주식회사 |
대 표 이 사 : | 양 범 |
본 점 소 재 지 : | 서울특별시 영등포구 여의대로 108, 48층(여의도동, 파크원타워1) |
(전 화) 02-3779-3202 | |
(홈페이지) 없음 | |
작 성 책 임 자 : | (직 책) 기타비상무이사 (성 명) 장 용 순 |
(전 화) 02-3779-3827 | |
가. 연결대상 종속회사 개황 (요약)
(단위 : 사) |
구분 | 연결대상회사수 | 주요종속회사수 | |||
---|---|---|---|---|---|
기초 | 증가 | 감소 | 기말 | ||
상장 | |||||
비상장 | |||||
합계 |
※상세 현황은 '상세표-1. 연결대상 종속회사 현황(상세)' 참조 |
나. 회사의 법적ㆍ상업적 명칭당사의 명칭은 '상상인제4호기업인수목적 주식회사'입니다. 영문으로는 'Sangsangin No.4 Special Purpose Acquisition Company'(약호 Sangsangin SPAC IV)이라 표기합니다. 다. 설립일자 및 존속기간- 설립일자 : 2023년 01월 31일- 존속기간 : 최초 모집의 주금납입일로부터 36개월까지
라. 본사의 주소, 전화번호, 홈페이지 주소- 본 사 주 소 : 서울특별시 영등포구 여의대로 108, 48층(여의도동, 파크원타워1)- 전 화 번 호 : 02-3779-3202- 홈페이지 주소 : 없음 마. 회사사업 영위의 근거가 되는 법률- 「자본시장과 금융투자업에 관한 법률」시행령 제6조제4항제14호- 금융투자업규정 제1-4조의2(기업인수목적회사의 예치금액 등)
바. 중소기업 등 해당 여부
중소기업 해당 여부 | |
벤처기업 해당 여부 | |
중견기업 해당 여부 |
사. 회사의 주권상장(또는 등록ㆍ지정) 및 특례상장에 관한 사항
주권상장(또는 등록ㆍ지정)현황 | 주권상장(또는 등록ㆍ지정)일자 | 특례상장 유형 |
---|---|---|
아. 대한민국에 대리인이 있을 경우당사는 보고서 제출일 현재 해당사항이 없습니다.
자. 주요사업의 내용 및 향후 추진하려는 신규사업 (1) 주요사업의 내용당사는 한국거래소의 코스닥시장에 상장한 후 다른 회사와 합병하는 것을 유일한 사업목적으로 합니다.
사업목적 | 비고 |
---|---|
이 회사는 「자본시장과 금융투자업에 관한 법률(이하 "자본시장법")」에 따라 회사의 주권을 한국거래소(이하 "거래소")의 유가증권시장 또는 코스닥시장에 상장한 후 다른 회사(이하 "합병대상법인")와 합병하는 것을 유일한 사업목적으로 하며 위 사업목적 달성에 관련되거나 부수되는 모든 활동을 영위할 수 있다. | 정관 제2조(목적) |
(2) 향후 추진하려는 신규사업당사는 보고서 제출일 현재 해당사항이 없습니다. 차. 공시서류작성기준일 현재 계열회사의 총수, 주요 계열회사의 명칭 및 상장여부당사는 보고서 제출일 현재 해당사항이 없습니다. 카. 신용평가에 관한 사항당사는 보고서 제출일 현재 해당사항이 없습니다. 타. 상법 제290조에 따른 변태설립사항당사는 보고서 제출일 현재 해당사항이 없습니다.
가. 회사의 본점소재지 및 그 변경- 본점소재지 : 서울특별시 영등포구 여의대로 108, 48층(여의도동, 파크원타워1)- 당사는 설립일(2023년 01월 31일)부터 보고서 제출일 현재까지 본점소재지가 변경된 사실이 없습니다.
나. 경영진의 중요한 변동 (대표이사를 포함한 1/3이상 변동)
변동일자 | 주총종류 | 선임 | 임기만료또는 해임 | |
---|---|---|---|---|
신규 | 재선임 | |||
주1) 상기 임시주주총회에서 선임된 이사는 양범 대표이사이며, 임시주주총회 당일 이사회 결의를 통해 대표이사로 선출되었습니다.주2) 기존 대표이사인 박형규 대표이사는 2023년 10월 16일 일신상의 사유로 사임하였습니다. 다. 최대주주의 변동당사는 설립일 이후 보고서 제출일 현재까지 최대주주의 변동 사실이 없습니다. 라. 상호의 변경당사는 설립일 이후 보고서 제출일 현재까지 상호 변경 내역이 없습니다. 마. 회사가 화의, 회사정리절차 그 밖에 이에 준하는 절차를 밟은 적이 있거나 현재 진행중인 경우 그 내용과 결과당사는 설립일로부터 보고서 제출일 현재까지 화의, 회사정리절차 그 밖에 이에 준하는 절차를 밟은 적이 없습니다. 바. 회사가 합병등을 한 경우 그 내용당사는 설립일 이후 보고서 제출일 현재까지 합병과 관련된 사항이 존재하지 않습니다. 사. 회사의 업종 또는 주된 사업의 변화당사는 자본시장과 금융투자업에 관한 법률 시행령 제6조제4항제14호에 의거하여 다른 법인과의 합병을 유일한 사업목적으로 하여 2023년 01월 31일 설립된 회사이며, 업종의 변화 또는 주된 사업의 변화 사실이 존재하지 않습니다. 아. 경영활동과 관련된 중요한 사실의 발생당사는 설립일부터 보고서 제출일 현재까지 기업분할, 영업양수도 등 경영활동과 관련된 중요한 사실의 발생이 없습니다.
가. 자본금 변동추이
(단위 : 원, 주) |
종류 | 구분 | 제3(당)기 1분기(2025. 03. 31) | 제2(전)기(2024.12.31) |
---|---|---|---|
보통주 | 발행주식총수 | 5,220,000 | 5,220,000 |
액면금액 | 100 | 100 | |
자본금 | 522,000,000 | 522,000,000 | |
우선주 | 발행주식총수 | - | - |
액면금액 | - | - | |
자본금 | - | - | |
기타 | 발행주식총수 | - | - |
액면금액 | - | - | |
자본금 | - | - | |
합계 | 자본금 | 522,000,000 | 522,000,000 |
나. 증자(감자) 현황
기준일 : | 2025년 03월 31일 | ) | (단위 : 원, 주) |
주식발행(감소)일자 | 발행(감소)형태 | 발행(감소)한 주식의 내용 | ||||
---|---|---|---|---|---|---|
주식의 종류 | 수량 | 주당액면가액 | 주당발행(감소)가액 | 비고 | ||
2023.01.31 | 유상증자 | 보통주 | 720,000 | 100 | 1,000 | 설립자본금 |
2023.09.08 | 유상증자 | 보통주 | 4,500,000 | 100 | 2,000 | 일반공모 |
다. 미상환 전환사채 발행 현황
(기준일 : | 2025년 03월 31일 | ) | (단위 : 원, 주) |
종류\구분 | 회차 | 발행일 | 만기일 | 권면(전자등록)총액 | 전환대상주식의 종류 | 전환청구가능기간 | 전환조건 | 미상환사채 | 비고 | ||
---|---|---|---|---|---|---|---|---|---|---|---|
전환비율(%) | 전환가액 | 권면(전자등록)총액 | 전환가능주식수 | ||||||||
무보증 사모 전환사채 | 1 | 2023.02.10 | 2028.02.10 | 1,380,000,000 | 기명식 보통주식 | 2023.03.10~2028.02.09 | 100 | 1,000 | 1,380,000,000 | 1,380,000 | - |
합 계 | - | - | - | 1,380,000,000 | 기명식 보통주식 | - | 100 | 1,000 | 1,380,000,000 | 1,380,000 | - |
라. 미상환 신주인수권부사채 등 발행 현황당사는 보고서 제출일 현재 해당사항이 없습니다.
마. 미상환 전환형 조건부자본증권 등 발행 현황당사는 보고서 제출일 현재 해당사항이 없습니다.
가. 주식의 총수 현황
(기준일 : | ) |
구 분 | 주식의 종류 | 비고 | |||
---|---|---|---|---|---|
합계 | |||||
Ⅰ. 발행할 주식의 총수 | |||||
Ⅱ. 현재까지 발행한 주식의 총수 | |||||
Ⅲ. 현재까지 감소한 주식의 총수 | |||||
1. 감자 | |||||
2. 이익소각 | |||||
3. 상환주식의 상환 | |||||
4. 기타 | |||||
Ⅳ. 발행주식의 총수 (Ⅱ-Ⅲ) | |||||
Ⅴ. 자기주식수 | |||||
Ⅵ. 유통주식수 (Ⅳ-Ⅴ) | |||||
Ⅶ. 자기주식 보유비율 |
나. 자기주식의 취득 및 처분 현황당사는 보고서 제출일 현재 해당사항이 없습니다. 다. 종류주식 발행 현황당사는 보고서 제출일 현재 해당사항이 없습니다.
당사의 정관은 설립시 작성된 정관으로 2023년 01월 31일 발기인총회에서 승인되었으며, 설립 후 보고서 제출일까지 당사의 정관 변경 이력은 없습니다.
가. 사업목적 현황
구 분 | 사업목적 | 사업영위 여부 |
---|---|---|
당사는 「자본시장과 금융투자업에 관한 법률」(이하 "자본시장법")에 따라 회사의 주권을 한국거래소 코스닥시장에 상장한 후 다른 회사(이하 "합병대상법인")와 합병하는 것을 유일한 사업목적으로 하고 있으며, 그 외 별도의 사업을 영위하지 않습니다.
가. 합병의 개요
(1) 합병형태
당사는 「자본시장과 금융투자업에 관한 법률 시행령」제6조제4항제14호에 따라 합병을 유일한 목적으로 회사가 설립되어 있어 내용상 소규모합병 또는 간이합병을 할 수 없습니다. 또한, 상법 제542조에 따라 신설합병의 방식으로 합병할 수 없으며, 자본시장법 제9조 제15항 제4호에 따른 주권비상장법인과 합병하는 경우 코스닥시장상장규정 제2조 제1항 제1호 바목2)에 따른 합병상장을 제외하고는 당사가 소멸하는 방식으로 합병할 수 없습니다. 합병 후 존속하는 회사는 보고서 제출일 현재 주권비상장법인인 상상인제4호기업인수목적㈜이며, 흡수합병하는 합병대상법인은 해산하게 됩니다. 다만, 코스닥시장 상장규정 제2조 제1항 제1호 바목2)에 따라 합병상장할 경우 존속회사는 합병대상법인이며, 당사는 해산하게 됩니다.
또한, 「자본시장과 금융투자업에 관한 법률 시행령」제176조의5제1항 각 호에 따라 산정된 합병가액 또는 최근 사업연도말 현재 재무상태표상 자산총액이 예치 또는 신탁된 금액의 100분의 80이상이어야 합니다. 이 경우 합병대상법인이 다수인 경우에는 각 법인의 합병가액 또는 자산총액을 각각 합산한 금액을 기준으로 합니다.
한편, 당사는 당사 정관 제58조(합병대상법인의 규모 및 합병 제한)에 따라 합병대상 법인을 한정하고 있습니다.
정관 |
---|
제58조(합병대상법인의 규모 및 합병제한) ① 합병대상법인의 자본시장법 시행령 제176조의5 제1항 각호에 따라 산정된 합병가액 또는 최근 사업년도 말 현재 재무상태표 상 자산총액이 예치자금 100분의 80이상이어야 한다. 이 경우 합병대상법인이 다수인 경우에는 각 법인의 합병가액 또는 자산총액을 각각 합산한 금액을 기준으로 한다. ② 주권의 최초 모집 이전에 협상이 진행되고 있거나 잠정적으로 정해진 합병대상법인이 존재하지 아니하여야 한다. ③ 이 회사는 상법 제524조에 따른 신설합병의 방식으로 합병할 수 없으며, 자본시장법 제9조 제15항 제4호에 따른 주권비상장법인과 합병하는 경우 코스닥시장상장규정 제2조 제1항 제1호 바목2)에 따른 합병상장을 제외하고는 이 회사가 소멸하는 방식으로 합병할 수 없다. ④ 이 회사는 다음 각 호의 어느 하나에 해당하는 자 및 회사와 합병할 수 없다. 1. 이 회사 주권의 최초 모집 전에 자본시장법 시행령 제139조 제1호 각 목의 증권(의결권 없는 주식에 관계된 것을 포함한다. 이하 “주식 등”이라 한다.)을 취득한 자 (이하 “공모전 주주 등”이라 한다.) 2. 이 회사의 공모전 주주 등 또는 다음 어느 하나에 해당하는 자가 자본시장법 제9조 제1항에 따른 대주주이거나 발행주식총수의 100분의 5 이상을 소유하는 회사 가. 이 회사의 공모전 주주 등에 속하는 자본시장법 시행령 제6조 제4항 제 14호 다목에 따른 지분증권 투자매매업자의 임직원으로서 이 회사의 설 립 및 운영 등과 관련된 업무를 수행하였거나 수행 중인 자, 그 배우자 및 직계존비속 나. 이 회사의 공모전 주주 등에 속하는 법인의 임원, 그 배우자 및 직계존비 속 다. 이 회사의 공모전 주주 등에 속하는 개인의 배우자 및 직계존비속 라. 이 회사의 임직원, 배우자 및 직계존비속 3. 이 회사의 공모전 주주 등의 자본시장법 제9조 제1항에 따른 대주주 및 「독점규제 및 공정거래에 관한 법률」에 따른 계열회사 4. 이 회사 또는 공모전 주주 등과 임직원을 겸직하거나 최근 2년 이내에 임직원을 겸직하였던 회사 ⑤ 본 조 제4항 제2호의 소유주식수를 산정함에 있어 자본시장법 시행령 제139조 제1호 각 목의 어느 하나에 해당하는 증권의 권리행사 등으로 발행될 수 있는 주식수를 포함하며, 공모전 주주 등의 주식수 산정시에는 당해 주주 등의 계열회사가 소유하는 주식수를 포함한다. |
(2) 합병일정 및 절차
당사가 다른 법인과 합병하는 경우 합병절차는 상법 및 자본시장법상 주식회사의 합병절차에 따라 다음과 같이 진행됩니다.
합병계약체결, 이사회결의 → 공시 및 주요사항보고서 제출 → 합병상장(예비)심사 → 증권신고서 제출 및 효력발생 → 주총결의 및 합병등기 |
당사가 다른 법인과 합병계약을 체결하는 이사회결의를 한 경우 사유발생 당일에 동 내용을 거래소에 신고하여야 하며, 사유 발생일 다음날까지 합병계약서, 외부평가기관의 평가의견서, 이사회의사록 등이 첨부된 합병내용에 관한 주요사항보고서를 금융위원회에 제출하여야 합니다.
비상장법인과 합병하고자 하는 경우, 합병 이사회결의가 있는 경우 지체없이 합병대상 비상장법인의 상장적격성 심사를 위한 합병상장예비심사청구서를 거래소에 제출하여야 하며, 동 청구내용을 토대로 거래소는 합병 대상 비상장법인의 상장 적격성에 대한 심사를 실시하게 됩니다.
비상장법인의 상장적격성을 인정받은 경우 자본시장법 및 증권의 발행 및 공시 등에 관한 규정에 따라 증권신고서를 금융위원회에 제출하여야 하며, 금융위원회에서 동 신고서에 대한 수리가 이루어지고 신고서의 효력이 발생하면 합병주주총회에서 의결권을 행사할 주주를 확정하고 동 주주들을 대상으로 주주총회 소집을 통지하는 등의 주주총회 절차를 진행하게 됩니다.
당사는 2023년 01월 31일 설립되었으며, 기업공개를 통해 최초로 모집한 주권의 주금납입일로부터 36개월내에 다른 법인과의 합병등기를 완료해야 합니다. 현재까지 구체적인 합병대상 및 합병일정이 확정되지 않은 상황이며, 합병대상법인이 확정되는 시점에 합병이사회결의 이후 증권신고서 제출시 상세일정을 공고할 예정입니다
(3) 합병가액의 산정
합병기일 현재 합병대상회사의 주주명부에 기재되어 있는 주주소유 1주에 대해 법규에서 정한 합병가액 및 합병비율 산정에 따라 당사의 보통주를 교부하게 될 것입니다. 당회사와 주권상장법인과 혹은 주권비상장법인과의 합병가액 산정은 「자본시장과 금융투자업에 관한 법률 시행령」 제176조의5, 「증권의발행및공시등에관한규정」 제5-13조 및 「동규정시행세칙」 제4조부터 제8조에 따라 산정할 예정이며 산정 산식은 아래와 같습니다. (가) 주권상장법인과의 합병
주권상장법인 간 합병의 경우에는 합병을 위한 이사회 결의일과 합병계약을 체결한 날 중 앞서는 날의 전일을 기산일로 한 다음 각 목의 종가를 산술평균한 가액과, 다목의 종가 중 낮은 가액으로 합니다. 이 경우 가목 및 나목의 평균종가는 종가를 거래량으로 가중산술평균한 가액을 기준으로 100분의 30(계열회사 간 합병의 경우에는 100분의 10)의 범위에서 할인 또는 할증한 가액으로 산정합니다. 단, 상기 가격이 자산가치에 미달하는 경우에는 자산가치로 할 수 있습니다.가. 최근 1개월간 평균종가. 다만, 산정대상기간 중에 배당락 또는 권리락이 있는 경우로서 배당락 또는 권리락이 있은 날부터 기산일까지의 기간이 7일 이상인 경우에는 그 기간의 평균종가로 합니다. 나. 최근 1주일간 평균종가 다. 최근일의 종가
(나) 주권비상장법인과의 합병
1) 금융위원회가 정한 특정 요건을 갖추지 않은 경우 주권비상장법인은 자산가치와 수익가치를 가중산술평균한 가액으로 하며, 상대가치를 비교하여 공시합니다. 자산가치와 수익가치의 산정방식은 『증권의 발행 및 공시 등에 관한 규정 제5-13조』및 『동규정시행세칙 제4조부터 제8조』의 규정을 준수할 예정입니다.
2) 금융위원회가 정한 특정 요건을 갖춘 경우
1)의 합병가액 산정에 관한 규정에도 불구하고, 법시행령 제176조의5 제3항에 의거하여 금융위원회가 정하여 고시하는 『증권의발행및공시등에관한규정 제5-13조 제4항』에서 규정한 아래 요건을 갖춘 경우에는 주권비상장법인의 합병가액 산정시 당사와 협의하여 정하는 가액으로 할 수 있습니다.
[증권의 발행 및 공시 등에 관한 규정 제5-13조 제4항] |
자본시장법 시행령 제176조의5제3항 각 호외의 부분에서 “금융위원회가 정하여 고시하는 요건”이란 다음 각 호의 요건을 말한다 1. 기업인수목적회사가 법 제165조의5제2항에 따라 매수하는 주식을 공모가격 이상으로 매수할 것 2. 영 제6조제4항제14호다목에 따른 투자매매업자가 소유하는 증권(기업인수목적회사가 발행한 영 제139조 제1호 각 목의 증권으로 의결권 없는 주식에 관계된 증권을 포함한다)을 합병기일 이후 1년간 계속 소유할 것 3. 주권비상장법인과 합병하는 경우 영 제176조의5제3항제2호나목에 따라 협의하여 정한 가격을 영 제176조의5제2항에 따라 산출한 합병가액 및 상대가치와 비교하여 공시할 것 |
당사는 당사와 합병을 계획하고 있는 주권비상장법인의 합병가액 산정시, 시장의 눈높이에 맞는 보다 적정한 합병가액의 산출을 통한 합병주총에서의 승인 가능성 제고를 위해 금융위원회가 정한 특정 요건을 갖추어 합병가액의 산출시에 있어서의 자율성을 확보할 계획입니다.
나. 합병대상회사에 관한 사항
(1) 합병대상회사의 업종
당사는 공모 이후 기업인수목적회사 본연의 목적인 성공적 합병을 정해진 기간 내에 달성하기 위하여 우량 중소 비상장기업을 광범위하게 타겟팅 할 예정에 있습니다. 당사는 향후 추진하고자 하는 합병대상회사의 업종을 특정하고 있지 않으나, 정관상 합병을 위한 중점 산업군은 규정하고 있습니다.
정관 |
---|
제63조(합병을 위한 중점 산업군)① 이 회사는 상장 이후 다음 각 호의 1에 해당하는 산업군에 속하는 합병대상법인과의 합병을 추진하며, 동 산업군에 부품 및 장비를 제조, 판매하는 기업을 중점으로 합병을 추진한다. 이 회사는 상장 이후 합병을 진행함에 있어 성장잠재력을 지닌 우량회사와 합병을 추진하되, 다음 각호 중 하나에 해당하는 산업을 영위하거나 동 산업에 부품 및 장비를 제조ㆍ판매하는 기업을 중점으로 합병을 추진한다. 1. 바이오제약(자원), 의료기기 2. IT (소프트웨어/서비스) 3. 신재생에너지 4. 탄소저감에너지 5. 게임 / 모바일 산업 6. 전자 / 통신 관련 산업 7. 신소재 / 나노융합 8. 고부가 식품산업 9. 기타 미래 성장 동력을 갖추었다고 판단되는 산업 ② 제1항의 규정에도 불구하고, 이 회사는 합병을 위한 중점 산업군에 속하지 아니하는 우량회사와도 합병을 추진할 수 있다. |
당사는 정관에 기재 된 산업군에서 저성장을 돌파할 동력을 가지고 있다고 판단되는 기술에 주목하여 합병을 추진하고자 합니다.
[합병대상 유망기술] |
분야 |
기술 |
내용 |
예상 변화 |
---|---|---|---|
바이오 /의료 |
① 세포·유전자치료제 |
기존 치료제보다 근본적 치료를 통해 난치성 질환 치료 |
ㆍ의료비 지불기준의 변화 ㆍ예방형 건강보험 출시 ㆍ미용/항노화 산업 부상 |
IT (소프트웨어/서비스) |
① AI(인공지능) |
사용자 상황(행위/생체신호/이력/환경)에 맞게 적절한 기능을 자동 수행 |
ㆍ타겟마케팅 정교화 세분화 ㆍ사전에 예측/대응하는 패러다임 변화 가속화 |
② 빅데이터 |
대용량 데이터를 분석하여 적절한 상황에 맞게 가공하여 사용 |
ㆍ개인 맞춤별 마케팅 가능 ㆍ효율적인 공공정책 수립 |
|
신재생 에너지 |
① 2차 전지 |
고밀도(전고체), 저가격(금속이온) 전지 |
ㆍ웨어러블 디바이스 성장 ㆍ전기차/전력저장시스템 저변 확대 |
② 신재생에너지 |
태양광, 풍력, 수력, 지열에너지, 바이오 에너지 등의 신ㆍ재생에너지 |
ㆍ지속적 기술기용 하락에 따른 시장 확대 ㆍ국가 차원의 지원 확대 |
|
탄소저감에너지 |
① Carbon Capture, Utilization & Storage |
화석연료 연소시 발생하는 이산화탄소를 안전하게 저장하고 일부를 활용하는 기술 |
ㆍ탄소배출권 시장 활성화 ㆍ대기오염 방지 시설 시장 성장 ㆍ정부의 녹색 기술에 대한 투자 |
게임 / 모바일 |
① e-스포츠 |
게임을 매개로 하는 스포츠 경기 |
ㆍ게임시장 성장에 따른 고성장 ㆍ글로벌 브랜드들의 마케팅 수단 ㆍ아시안게임 정식종목 채택 |
② 모바일게임 |
다양한 모바일 기기를 통한 게임 컨텐츠 제공 |
ㆍOne Source, Multi Use의 성장 ㆍ오픈마켓 자율심의제 도입으로 내수, 수출 확대 |
|
전자/통신 |
① 웨어러블 디바이스 |
신체나 의복에 착용하여 자유롭게 사용할 수 있게 한 컴퓨터 기기 |
ㆍ섬유산업이 하이테크化 ㆍ기기의존형 헬스케어 확대 |
② 3D프린팅 |
3차원 설계도에 따라 한 층씩 소재를 쌓아 올려 입체 형태로 만드는 기술 |
ㆍ개인 맞춤형 제조 확대 ㆍ나노/생명/항공 분야 활용 |
|
신소재/나노융합 |
① 초경량 소재 |
마이크로래티스 등 가벼우면서도 강한 소재 |
ㆍ항공우주분야에서 운송수단으로 응용분야 확대 ㆍ에너지 절감, 가격하락전망 |
② 신소재 |
전자의 이동속도가 빠르고 투명하며 구부림이 가능한 소재 '그래핀' |
ㆍ현재 반도체보다 빠른 데이터처리 속도 ㆍ투명하고 구부러지는 디스플레이 구현 가능 |
|
고부가 식품산업 |
① 여성호르몬제 |
체내에 부족한 호르몬을 주성분으로 하는 대체의약품 |
ㆍ개인 건강과 삶의 질 향상 ㆍ약물 의존도 하락에 따른 부작용 감소 |
② 프로바이오틱스 |
항궤양제, 항생제, 콜레스테롤 저하제등 적용범위가 매우 넓은 기능성 식품 |
ㆍ개인 건강과 삶의 질 향상 ㆍNatural Medicine 시장 확대 |
출처: 삼성경제연구소, 한국과학기술원 등 |
당사는 삼성경제연구소, 한국과학기술연구원 등 국내외 기관에서 선정된 유망기술을 토대로 상기한 8개 분야의 16개의 기술에 집중적인 관심을 가지고, 현재 동 산업을 영위 또는 영위할 계획이 있거나 이와 관련한 유관 산업에 진출하고자 하는 기업 중 현금창출능력을 보유(안정성)하고 합병 이후 주가상승을 위한 성장성이 확보되었고, 업종 내에서 지속적 신제품 개발과 신시장 개척으로 글로벌 기업으로 도약하고 있는 기업을 선정하여 합병을 추진하고자 합니다.
(2) 합병대상업종의 현황 및 전망
(가) 바이오/의료
바이오산업은 의료/제약, 화학, 식품, 농업 등 관련분야가 다양하며 응용범위가 넓은 산업으로서 장기적인 투자를 필요로 합니다. 또한, 무형의 가치가 투입되어 고부가가치를 창출하고, 전통산업 또는 신기술과 결합하여 다양한 산업적 응용과 신사업 창출이 가능한 미래성장산업이며, 이러한 이유로 세계 각국은 바이오산업을 21세기 전략산업으로 중점 육성하고 있습니다.
Evaluate Pharma 보고서에 따르면 2019년 세계시장에서 합성의약품이 차지하는 비중은 71%, 바이오의약품은 29%이며 그 격차는 차춤 줄어드는 양상을 보이고 있습니다. 2012년에 20%에 불과하던 바이오의약품의 비중은 2026년에 35%까지 확대될 것으로 예상되며, 상위 100개 품목의 비중이 합성의약품 45%, 바이오의약품 55%로 바이오의약품 비중이 꾸준히 확대될 것으로 전망되었습니다. 또한 한국 보건산업진흥원의 제약산업 분석 보고서에 따르면 2019년 국내 바이오약품 시장규모는 2조 6,002억 원으로 2018년(2조 2,309억 원)에 비해 16.6% 증가하였으며 2015~19년 동안 연평균 12.2%로 시장규모가 확대됨에 따라 국내에서도 의약품 중 바이오의약품이 점차 증가될 것으로 전망되고 있습니다.
의료기기산업 역시 국내·외적으로 경제적 비중이 증가하고 있는 고부가가치 성장산업입니다. 고도의 기술이 필요한 두뇌집약적 산업으로 정밀성과 안전성이 요구되며, 높은 의학수준과 이와 연관된 정밀부품산업의 발전이 필수적입니다. 한국보건산업진흥원의 의료기기산업 분석보고서에 따르면 2019년 세계 의료기기 시장규모는 2018년 대비 5.0% 증가한 약 4,094억 달러로 최근 5년간(2015~2019년) 연평균 5.9% 성장왔으며, 국내 의료기기시장 역시 생산 및 수출입 기준 7조 8,039억 원 규모로 최근 5년간(2015~2019년) 연평균 10.3%의 고성장을 보이며 장기적으로 노령인구의 증가, 건강에 대한 인식 전환, 실버산업의 발달 등으로 투자가 증가하고 관심이 높아져 향후 의료기기산업의 시장규모가 꾸준히 성장할 것으로 전망됩니다.
① 세포치료제·유전자치료제
세포치료제, 유전자치료제는 재조합 단백질(1세대), 항체(2세대) 의약 제품군을 이을 차세대 바이오 의약품입니다. 세포 치료제는 줄기세포나 면역세포를 체외에서 배양하여 체내에 주입하는 재생의료 관점으로 질병을 치료하고자하는 것으로 1990~2000년대에는 주로 피부세포나 연골세포를 이용한 피부재생 및 연골결손 치료제였으나, 최근에는 암, 퇴행성 질환을 타깃으로 하는 줄기세포 및 면역세포를 이용한 치료제 개발이 중심을 이루고 있습니다. 유전자 치료제는 유전 물질인 DNA, RNA를 체내에 직접주입하여 결핍 및 결함 유전자를 교정하는 가장 근원적인 질병 치료법입니다. 세포치료제, 유전자치료제는 기존 치료제와 달리 근원적인 치료가 가능하여 암, 퇴행성 질환, 유전병 등 난치성 질환의 치료를 가능하게 할 기술로 기대되어 왔습니다. 그러나 그 동안 효과 발현 미흡, 생명윤리 이슈 등으로 허가를 받기 어려워 연구개발과 상업화에 많은 어려움을 겪었습니다. 최근 들어 세포 배양 및 조작 기술, 유전자 분석 기술 등의 발전으로 기술적 문제들이 조금씩 해결되고 있으며, 미국과 유럽등지에서 허가되면서 제도적인 면 또한 정비되는 모습을 보이고 있어 관련 연구기관 및 기업들의 투자와 관심이 늘고 있습니다. ARM(Alliance for Regenerative Medicine)의 보고서에 따르면 재생의학 및 첨단치료 분야는 지난 2021년 1월부터 6월까지 141억 달러로 반년만에 2020년 전체의 71%에 이르는 사상 최고의 자금조달이 진행 되었습니다. 자금조달 측면에서 세포 기반 면역항암제가 66억 달러로, 64억 달러인 유전자 치료제를 처음으로 앞섰으며, 파킨슨병에 대한 줄기세포 치료 등 광범위한 세포 치료는 11억 달러를 조달했습니다. 또한 유전자 치료제와 유전자 수정 세포 치료제들이 연간 가장 많은 수의 규제 승인을 받기 위해 순조롭게 진행되고 있습니다. 세포, 유전자, 조직 기반 치료제 등 4개 새로운 재생의학 제품이 이미 2021년에 당국 승인을 받았습니다. 세포치료제와 유전자치료제 시장이 급격히 성장할 것으로 전망됨에 따라 해당 분야에 대한 정부의 적극적 지원 및 민간부문의 투자가 이루어진다면 우리나라 기업들이 향후 시장을 선도할 가능성이 있습니다.
(나) IT(소프트웨어/서비스)
글로벌 팬데믹 속에 전세계가 일상의 모든 것들을 디지털로 대전환하며 소프트웨어의 중요성이 부각되고 있습니다. 소프트웨어 산업의 주요 이슈가 인공지능, 빅데이터, 클라우드, IoT로 집중되며 소프트웨어의 역할이 재택근무, 자동차, 유통 등 생활 전반에 걸친 가치로 변화되었습니다. 스태티스타의 보고서에 따르면 전 세계 SW 시장의 규모가 2020년 5086억달러(약 569조3777억원)에서 2025년 7972억달러 규모로 확대될 것이라고 예측했습니다. 또한 IDC 보고서에 따르면 장기적으로 국내 소프트웨어 시장은 2025년까지 연평균 4.1%의 성장률로 7조 2458억 규모를 형성할 전망입니다. 향후 소프트웨어의 기술이 금융, 제조, 유통, 서비스와 융합함에 따라 범산업적인 성장과 더불어 새로운 패러다임에 맞춘 다양한 신규 비즈니스 기회가 창출될 것으로 보입니다.
① AI(인공지능)
현재 인공지능 분야를 활용한 제품은 음성인식을 이용한 AI비서, AI챗봇, AI의료진단, AI로봇 등 인터넷과 모바일 서비스 등이 주요하지만, 최근 메타버스 생태계가 주목되면서 가상세계와 AI서비스를 비스니스 모델을 창출하는 등 디지털 변혁을 도모하는 다수의 글로벌 기업들이 존재합니다.
미국 시장조사업체인 리포트링커(ReportLinker)에 따르면 글로벌 AI 시장규모는 연평균 43.9%의 성장률을 기록하며 2025년까지 약 2,828억 달러 규모의 시장을 형성할 것으로 전망됩니다. 또한 IDC의 ‘국내 인공지능 2019-2023 시장 전망‘ 리포트에 따르면, 국내 AI 시장의 경우 향후 5년 간 연평균 약 17.8% 성장을 기록하며 2023년 약 6천 4백억원 규모로 확대될 것으로 전망되었으며, 업무 프로세스 효율화 및 비즈니스 자동화 AI 애플리케이션과 다양한 산업의 플랫폼 구현 사업이 5년 간 약 30% 이상의 연평균 성장률을 기록하며 빠르게 성장할 것으로 예상하고 있습니다.
② 빅데이터
빅데이터는 대용량 데이터를 분석하여 가치있는 정보를 추출하고 이를 의사결정이나 미래 예측에 활용하는 기술을 의미합니다. 소셜네트워크서비스(SNS)의 등장과 기업 정보의 데이터화로 디지털 정보가 기하급수적으로 증가하면서 빅테이터의 개념이 등장하였습니다.시장조사기관 Wikibon의 자료에 의하면 소프트웨어, 하드웨어, 서비스를 모두 포함한 글로벌 빅데이터 시장은 2026년에 총 922억 달러 규모로 성장 될 전망입니다. 이는 2014년 기록했던 183억 달러에서 약 404% 증가한 수치이며, 연평균 14.4%의 성장률에 달합니다. 국내시장의 경우, 한국IDC가 발표한 ‘국내 빅데이터 및 분석 시장 전망, 2019-2023' 연구 보고서에서 국내 빅데이터 및 분석 시장은 향후 5년간 연평균 11.2%로 성장해 2022년 약 2조 5,692억원 규모에 이를 것으로 예상됩니다. 이렇듯 빠르게 성장하는 빅데이터는 모든 산업에 변화를 줄 것으로 기대되고 있습니다. 특히, 빅데이터를 이용하여 소비자의 구매성향을 분석, 예측하여 개인맞춤형 광고가 가능해짐에 따라 기업들의 새로운 마케팅도구로 주목 받고 있습니다. 이뿐만 아니라 버스의 신규노선 계획 수립, 민원 패턴 분석 등 공공정책 영역에서도 빅데이터를 활용하기 위한 노력이 계속되고 있습니다. 이런 움직임에 따라 정부에서도 빅데이터 분야의 경쟁력을 강화해 신규 일자리 창출과 미래 성장 동력으로 육성하겠다는 계획을 밝히는 등 빅데이터 산업의 성장은 계속 될 것으로 예상됩니다.
(다) 에너지
최근 에너지 분야에서 가장 주목받고 있는 부분은 신·재생에너지와 2차전지입니다. 특히 최근 원자력에너지에 대한 불안감 고조로 인하여 신·재생에너지에 대한 기대가 커지고 있습니다. 신·재생에너지는 석유, 석탄, 원자력 또는 천연가스가 아닌 에너지로서 신·재생에너지 기술에는 연료전지, 수소에너지, 석탄액화가스화가 포함되며 재생에너지에는 태양광, 태양열, 바이오에너지, 풍력, 지열에너지, 해양에너지, 폐기물에너지를 포함합니다. 전 세계적으로 신재생에너지 관련 투자가 매년 60~70%씩 급증하고 있으며, 신재생에너지 세계시장 중 풍력, 태양광, 바이오연료는 시장개화 내지 성장단계로 전개되고 있습니다.
2차 전지 산업은 재료, 설계, 조립 등의 기술이 복합적으로 집약된 기술 집약적 산업입니다. 우리 생활에 깊숙이 들어와 있는 태블릿 PC, 휴대폰, 전동공구 등 휴대제품의 전원으로 사용되고 있으며, 다양한 기기의 휴대성에 대한 수요가 증가하고 있는 현대 사회에서 점차 그 적용 영역을 넓혀 가고 있습니다.
① 2차 전지
글로벌 2차 전지 시장은 소형IT용, 중대형 전지로 분류되는 ESS 및 전기차용 전지로 구분할 수 있습니다. 스마트폰 및 태블릿 PC의 가파른 성장세로 소형전지 시장은 안정적으로 성장하고 있으며, 신재생에너지나 기존 에너지를 대용량으로 저장하는 ESS는 친환경에너지로 시스템을 전환하는 선진국을 중심으로 급격하게 성장하고 있습니다. 또한, 2차전지에서 가장 주목 받고 있는 전기자동차용 2차 전지는 전기차 시장의 고성장과 함께 폭발적인 성장을 하고 있습니다. 2016년 기준 세계 2차전지시장규모는 94GWh이며, 주 사용분야는 스마트폰 등 소형IT기기용으로써 시장규모는 59.2Gwh, 전체시장의 63.0%를 차지하고 있습니다. 세계 2차전지시장의 새로운 성장동력으로 주목받고 있는 전기자동차용 2차전지시장규모는 2016년 32.8GWh를 기록하였고, 2025년까지 연평균 50%를 상회하는 폭발적인 성장세에 힘입어 2025년 1,399GWh에 달할 것으로 전망됩니다.
전기차와 함께 2차전지 시장의 성장을 이끌어갈 에너지 저장장치(ESS)는, 생산된 전기를 저장했다가 에너지가 필요할 때 공급하여 전력 사용의 효율성을 높이는 시스템입니다. 기존의 전기 생산 시스템은 생산과 소비가 동시에 이루어지는 구조로 시간별, 계절별 수요량을 예측하기 어려웠지만 ESS를 도입하게 될 경우 미리 저장된 전기를 돌발적인 수요에 안정적으로 공급이 가능해져 에너지 효율을 극대화 할 수 있습니다. 이러한 장점으로 인하여 산업용, 가정용 ESS가 증가하고 있어 리튬이온 업체들의 제품 출시가 증가하고 있는 추세입니다.
세계 ESS 시장은 2019년 9.8GWh 규모에서 2020년 12.39GWh, 2023년 41.53GWh로 약 4배 이상 성장할 것으로 전망됩니다. 또한 2019년 91억 달러에서 2035년 1,118억 달러로 12배 이상 성장할 것이라고 예측됩니다. 환경보호를 위한 각국의 신재생에너지 확대 정책과 탈원전 정책 때문입니다. 또한 태양광, 풍력 등 신재생에너지는 자연에 의존하는 발전 원리상 전력 생산량의 변화 폭이 크기 때문에 ESS가 더욱 필요한 상황입니다. 시장 성장에 맞춰 배터리 생산업체인 삼성SDI, LG화학, BYD 등은 전기차 뿐만 아니라 ESS 시장에도 관심이 높으며, 앞으로 꾸준한 투자가 예상되고 있습니다.
② 신·재생에너지
신·재생에너지는 석유, 석탄, 원자력 또는 천연가스가 아닌 에너지로 태양광, 태양열, 바이오에너지, 풍력, 소수력, 해양에너지, 지열에너지를 포함하고 있습니다. 신·재생에너지는 화석 에너지 대체, 온실가스 감축 등의 효과로 각국에서 국가 발전의 핵심 수단으로 주목 받고 있으며, 국가차원의 투자가 진행되고 있습니다.
또한 세계 신·재생에너지산업은 2004년 본격적으로 성장을 시작해 2020년까지 연평균 24%, 4,000억~8,000억 달러의 시장규모로 가파르게 성장하고 있습니다. 바이오, 태양열, 태양광을 필두로 한 대체에너지의 시장이 확대되어 태양에너지, 풍력에너지 및 지열, 수력에너지 등 다양한 대체에너지의 활용성이 증가하면서 2050년에 이르면 화석연료의 비중이 5%에 그칠 전망입니다.
(라) 탄소저감에너지
탄소저감에너지 산업은 대표적 온실가스인 CO2(이산화탄소)를 배출하지 않거나 최소화하는 에너지기술기반 산업으로 향후 기후 변화시대를 주도할 수 있는 핵심 산업입니다. 선진국들은 2005년 발효된 교토의정서에 의거 각 국가들의 특수한 상황에 따라 서로 차별화된 온실가스 감축 목표량을 할당받았었습니다. 이 후 2016년 발효된 파리협정은 지구온도 상승목표를 제시하는 한편, 2020년부터 모든 당사국(119국가)이 자국 여건에 따라 온실가스 감축에 참여하도록 하였습니다. 당사국들은 파리협정 기초인 리마합의에 따라 2015년 10월 자발적 기여 보고서를 유엔 기후 변화협약 사무국에 제출하였으며, 자국의 2030년 온실가스 감축 및 적응 목표를 제시하였습니다. 119개 국가가 제시한 2030년까지 온실가스 감축목표량은 2012년 세계 온실가스 배출량의 85~88%수준에 달한다는 점에서 기후변화 대응의 새로운 전환점이 되었으며, 온실가스 저감 관련 산업의 성장을 촉발시키는 계기가 되었습니다. 파리협정 이후 전세계적으로 저비용 고효율 CO2 회수 및 재자원화 기술 확보를 위한 경쟁이 더욱 가속화되고 있습니다. 우리 정부 또한 2020년 국내에서 배출 할 것으로 예상되는 온실가스 양 대비 30%를 줄이기로 중기 온실 감축 목표를 확정하였고, 이에 온실가스 배출량이 많은 철강, 정유업계를 중심으로 다각적인 노력이 있을 것으로 예상됩니다. 또한, 정부는 2018년 CO2 포집 및 저장(CCS : Carbon Capture & Storage) 기술 등 기후변화대응기술 개발에 약 900억원의 사업비를 지원할 예정입니다. 투자할 계획으로 탄소저감에너지 산업 전반이 고성장할 것으로 예상됩니다.
① 탄소포집·활용·저장기술(CCUS)
탄소포집·활용·저장기술(CCUS)은 말 그대로 탄소를 포집(Capture), 활용(Utilization) 또는 저장/격리(Storage/Sequestration)하는 기술로, 포집한 이산환탄소를 ‘자원화’하는 것을 일컫습니다. 탄소배출이 높은 산업군은 철강(25%), 시멘트(25%), 화학 및 석유화학 제품(30%) 등으로, 이 산업군은 우리나라가 모두 보유하면서 선도하고 있는 산업군입니다. 탄소배출량이 높은 산업군을 가지면서 수출에 의존하는 나라일수록 유럽이나 미국에서 도입 과정에 있는 탄소국경세(Carbon border tax)의 부담을 질 뿐 아니라, 국내적으로도 탄소세가 도입되며 이에 대한 큰 경제적인 부담을 지기에 CCUS 기술에 대한 투자와 전략적인 대책이 불가피하며, 정부 주도의 거대 시장으로 성장할 것으로 예상됩니다.
(마) 게임 / 모바일
게임산업은 첨단 기술집약적인 산업일 뿐만 아니라 제작 원가에 대한 고부가가치를 창출할 수 있는 산업으로서 충분한 개발자금, 신기술 개발 및 선진기술의 도입, 우수한 제작인력 확보 등이 필수적인 요소로 인식되고 있습니다. 디지털 기술의 발전에 따라 게임산업은 원자재나 대량의 설비투자 없이 기획력과 아이디어로 투입 대비 산출의 비율이 매우 높고, 특수한 경우를 제외하고 컴퓨터 그래픽으로 구현된 내용을 가지고 있기 때문에 문화적 거부감 또는 문화적 장벽이 거의 없다는 점에서 파급효과가 큽니다. 더불어 캐릭터, 애니메이션, 출판 만화 등과 같은 문화적 원천을 공유하는 등 타 산업과의 연계 가능성이 높기 때문에 커다란 경제적 파급효과를 가질 수 있는 산업입니다. 한편, 수요의 불확실성이 매우 높고 제품 판매의 라이프 사이클이 짧아 사업 실패의 위험도가 상대적으로 높은 벤처적 요소가 강한 산업입니다. 그렇기 때문에 초대형 게임, 극히 소수의 주도적 제품에 의한 시장 지배가 극명합니다.
게임 전문 시장조사업체 뉴주(Newzoo)의 ‘글로벌 게임시장 보고서’에 따르면 2020년 세계 게임시장 규모는 전년 대비 11.7% 증가한 2,096억5,800만달러로 나타났습니다. 한국콘텐츠진흥원이 발간한 게임백서에 따르면 2020년 국내 게임시장 규모는 18조 8,855억원으로, 2019년의 15조 5,750억원 대비 21.3% 증가했습니다. 국내 게임 산업은 2013년에만 잠깐 주춤했을 뿐, 최근 10년간 계속 높은 성장세를 유지하고 있는 만큼 앞으로도 시장 확대가 기대되는 산업입니다.
① e-스포츠
e-스포츠는 일렉트로닉 스포츠를 의미하는 용어로, 컴퓨터 통신 또는 인터넷을 통해 온라인상으로 이루어지는 게임을 매개로하여 승부를 겨루는 경기를 의미합니다. e-스포츠의 종목으로는 실시간 전략게임, 1인칭 슈팅게임, 경주게임과 같은 다양한 장르들이 존재하며, 오버워치, 리그오브레전드, 카운터스트라이크, 스타크래프트 등이 대표적인 e-스포츠 게임입니다. 게임산업의 성장에 따라 게임을 매개로 하는 e-스포츠 시장도 고 성장 추세를 유지 중으로 게임 조사업체 Newzoo에 따르면 2021년 e스포츠 산업 매출 규모는 16억5,000만달러(약 1조8,000억원)으로 전망됩니다. 또한 골드만삭스는 글로벌 e스포츠 산업 규모가 2019년 8억6,900만달러(약 9,619억원)에서 2022년 29억6,300만달러(약3조2,800억원)로 성장할 것으로 추정했습니다. 전 세계 e-스포츠의 팬 규모는 현재 4억명이며, 2020년에는 6억명 이상의 규모로 증가 할 것으로 전망되며, e-스포츠 팬 및 시청자 규모가 급증함에 따라, 광고 및 중계권, 스폰서쉽 등의 규모 또한 급격하게 증가하고 있습니다. 이는 e-스포츠에 투자하는 글로벌 브랜드들이 e-스포츠를 단순한 게임산업의 한가지로 보는 것이 아닌 많은 사람들이 즐길 수 있는 엔터테인먼트 산업 및 최고의 마케팅 수단으로 e-스포츠를 평가하고 있는 것을 의미합니다. 게임산업의 성장에 따라 게임을 매개로 하는 e-스포츠 시장도 함께 성장하는 만큼 앞으로도 고성장 추세를 유지할 것으로 전망됩니다.
② 모바일게임
모바일게임은 스마트폰을 소유한 모든 고객을 대상으로 서비스가 가능하며, 항상 몸에 지니고 다니는 스마트폰의 특성상 언제 어디서나 쉽고 간편하게 게임을 즐길 수 있는 특징을 가지고 있습니다. 이와 같은 모바일게임의 편의성은 관련 시장 규모를 급격하게 성장시켰습니다. 게임산업 분석업체 뉴주(Newzoo)는 2021년 모바일게임이 932억 달러를 기록해 전체 시장에서 52%를 차지했으며, 모바일게임 중 스마트폰을 기반으로 한 게임의 시장 규모는 2020년 대비 8% 증가한 815억 달러를 기록했다고 밝히며, 향후 모바일게임을 위한 소비자 지출이 2024년까지 1,164억 달러에 이를 것으로 내다봤습니다. 또한 국내 모바일 게임시장도 눈에 띄게 증가해 2020년 국내 전체 게임시장 중 57.4%를 차지했습니다. 2020년 모바일 게임시장 규모는 10조8,311억원으로 전년 대비 약 40% 성장해 단일 플랫폼으로 시장 규모가 10조 원을 돌파했습니다. 모바일기기와 5G등 통신수단이 발달됨에 따라 언제 어디서나 즐길 수 있는 모바일 게임시장은 앞으로도 게임시장의 주류로써 고성장할 것으로 전망됩니다.
(바) 전자/통신
전자/통신 산업은 한국 전체 GDP의 10.4%를 차지하는 경제의 중심 산업으로 성장해왔습니다. 1980년대 흑백TV, 카세트 등으로 시작하여 2000년대 초반 반도체/가전 2000년대 후반 디스플레이/TV를 거쳐 2010년대에는 스마트폰을 기반으로 급속한 성장을 이루어왔기 때문입니다. 현재 한국 3대 주력 IT산업은 메모리반도체, 디스플레이, 스마트폰으로 계속해서 성장해오고 있습니다. 한국 업체들의 경쟁력 강화가 더욱 가속화되고 있어 세계시장에서의 지배력 확대는 지속적으로 가능할 것으로 전망되고 있습니다.
① 웨어러블 디바이스
웨어러블 디바이스는 신체나 의복 등에 착용하여 다양한 정보를 제공받을 수 있는 IT기기로 스마트폰을 이을 포스트모바일기기로 주목받고 있습니다. 원래 군사 훈련용으로 개발되었지만 적용 영역이 점점 더 확대되고 있는 추세입니다. 웨어러블 디바이스는 현재 시장에서 스마트워치, 스마트 글래스, 피트니스 팔찌 등의 다양한 형태로 유통되고 있으며 많은 전자?가전 업체들이 인공지능(AI) 기술을 접목한 신제품들을 개발 중인 것으로 알려져 있습니다. 시장 조사업체인 IMS Research는 웨어러블 디바이스 시장이 2015년 110억 달러 규모에서 2020년 420억 달러 규모로 확대될 것으로 전망하였습니다.
웨어러블 컴퓨터의 인터페이스는 인관의 자연스러운 행동들을 인식할 수 있는 NUI(Natural User Interface)가 예상됩니다. 이러한 컴퓨터 환경을 구현하기 위해서는 일반적인 인간의 행동인 음성과 동작 등을 인식할 수 있는 인터페이스 기술이 필수적입니다. 이에 최근 음성/동작 인식기술이 빠르게 발전하고 있습니다. 글로벌 IT기업들은 음성/동작인식 앱 개발사들을 인수하여 서비스를 지원하는 등 투자가 활발히 진행되고 있습니다. 또한, 웨어러블 컴퓨터에 적합한 새로운 어플리케이션의 개발도 웨어러블 컴퓨터 시장 발전의 필수적인 요소입니다. 실제로 웨어러블 컴퓨터의 도입에 맞추어 환자의 주요 생체데이터를 수집, 분석하여주는 헬스케어 어플리케이션 등이 유통되고 있습니다. 또한, 정부는 2015년 ‘미래성장동력,산업엔진 종합실천계획’과 ‘2016년도 미래성장동력 실행계획’의 일환으로 웨어러블 디바이스 육성을 추진하고 있습니다. 이러한 이유로 웨어러블 디바이스 시장은 스마트폰 시장을 이을 성장동력으로 주목받고 있습니다.
② 3D프린팅
3D프린팅은 제조방식의 하나로써 잉크 대신 플라스틱, 금속, 세라믹 등의 소재를 층층이 쌓아 올리는 방식입니다. 3차원으로 설계된 도면을 무수히 많은 2차원 단면으로 나누어 쌓아 올리는 것으로 적층가공방식이라고 불립니다. 처음 3D프린터가 발명되었을 때의 목적은 상품을 내놓기 전 시제품을 제작하여 문제점을 찾기 위함이었습니다. 공정의 신속성과 유연성 측면에서 강점을 지닌 3D프린터의 사용 목적이 다양해져 현재는 시제품 제작 뿐만 아니라 항공우주산업, 자동차산업, 의학산업, 건축산업 등의 분야에서 적용되고 있으며 그 영역이 계속해서 확대될 것으로 전망됩니다.
3D프린터의 세계 시장은 2015년 51억 달러에서 2019년까지 연평균 31% 성장할 것으로 Wohlers Associate은 전망하였으며, 국가별 누적 사용률을 살펴보면 미국이 전 세계 37.9%를 차지하고 있으며, 독일, 일본, 중국이 그 뒤를 따르고 있습니다.
미국의 오바마 대통령은 국정연설에서 3D프린팅 기술을 차세대 제조업 혁명의 대표주자로 거론하며 미 전역에 3D 프린터 연구개발센터를 15곳 만들겠다는 계획을 밝혔습니다. EU 역시 3D프린팅 기술을 언급하며 2020년까지 GDP의 제조업 비중을 20%로 늘릴 계획을 세웠으며 정부와 민간차원에서 활발한 투자가 이루어지고 있습니다. 우리나라 정부도 2014년 4월 ‘3D프린팅 산업 발전전략’을 수립하고 체내이식형 의료제재 생산 등의 기술개발과 지역별 체험, 제조 등을 위한 인프라 조성, 법 및 제도 마련 등을 추진하여 생태계 조성을 위한 노력을 하였습니다. 이후 2016년 ‘삼차원프린팅산업 진흥법’ 시행과 더불어 ‘3D프린팅 산업 진흥 기본계획(2017~2019)’을 마련하고, 이에 대한 충실한 이행을 위해 ‘2017년 3D프린팅 산업 진흥 시행계획’을 수립하여 추진하고 있습니다. 현재 국내 3D프린팅 산업이 선진국에 비하여 여전히 미흡한 수준인 것은 사실이나, 정부의 정책들과 함께 3D프린팅 시장 규모의 확대와 기업 수가 증가하고 있고 산업 진출분야가 다양하기 때문에 성장가능성은 매우 높다고 판단됩니다.
(사) 신소재 / 나노융합
모든 산재의 가장 기초가 되는 부품 소재산업은, 상품의 제조에 사용되는 원재료 또는 중간 생산물 중 “최종생산물의 고부가가치화에 기여가 큰 것", “첨단기술 또는 핵심고도기술을 수반하는 부품·소재로서 기술파급효과 또는 부가가치 창출 효과가 큰 것”, “산업의 기반이 되면서 산업간 연관효과가 큰 것”으로 [부품소재전문기업등의육성에관한특별조치법제2조 및 동법 시행령 제2조]에 정의하고 있습니다. 부품소재산업은 최종재의 품질 및 가격 경쟁력을 결정함으로써 수출 성과에 큰 영향을 미칠 뿐만 아니라 수출-내수 기업 간, 대-중소기업간 경제성과의 전파 정도를 결정함으로써 균형적인 경제에도 중요한 역할을 담당한다고 할 수 있습니다. 그리고 부품 소재부분이 발전하여 산업 내 분업의 정도가 높아질수록 자본 수익률이 커지므로 부품 소재산업은 경제 전반의 투자활력 유지에도 기여하고 있습니다.
① 초경량소재
최근 들어 깃털보다도 가벼운 초경량 소재들이 개발되고 있습니다. 2006년 미 항공우주국(NASA)에서 만든 에오로겔(Aerogel)이 세계 최경량 물질로 등재되었고 2011년 미국 UC어바인 휴즈연구소와 캘리포니아공대 공동 연구팀이 개발한 마이크로래티스가 다시 세계 최경량 물질로 등록됩니다. 마이크로래티스의 무게는 1㎤;당 0.9mg입니다. 2012년에는 마이크로래티스보다 35배가량 가벼운 에어로그래파이트가 개발되었습니다. 나노기술을 이용하여 개발된 초경량 소재들은 가벼울 뿐만 아니라 전도성, 탄성, 에너지 흡수 등의 특성도 가지고 있어 적용범위가 넓을 것으로 예상되고 있습니다. 이러한 초경량 소재는 우주항공, 자동차 로봇 등 다양한 산업 분야에 적용 가능하며 세계 각국에서 연구개발에 투자하고 있습니다.
산업기술평가원에 따르면 세계 경량 소재 시장은 2015년 175조원에서 2023년 475조원 규모로 성장할 것으로 전망됩니다. 현재 국내 기업의 초경량 소재 기술은 선진국의 60~70% 수준에 머물고 있습니다. 이에 정부는 2017년 ‘제4차 소재부품 발전 기본계획(2017~2021)’을 토대로 초경량 소재 경쟁력 향상을 추진 중입니다. 정부는 소재 개발부터 상용화까지 투자 리스크가 크고 장시간이 소요됨에 따라 민간 투자를 집중 지원할 예정이며, 조기 상용화를 위한 시험인증 기반과 인프라를 구축할 예정입니다. 이처럼 사용 분야가 점점 다양해지고 기업 및 정부의 지원이 집중될 것으로 전망되는 초경량 소재의 개발은 앞으로 더욱 더 치열해질 전망입니다.
② 신소재
스마트폰 등의 모바일기기가 확산되면서 디스플레이의 발전이 빠른 속도로 진행되어왔습니다. 최근 제조업체들은 새로운 제품과 디자인을 통한 차별화를 위해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투명 디스플레이 개발에 힘을 쓰고 있습니다. 이러한 디스플레이의 개발을 가능하게 해줄 소재로 '그래핀'에 대한 활발한 연구가 진행 중입니다. 이른바 '꿈의 신소재'라고 불리는 그래핀은 탄소 원자들이 벌집모양 구조로 한 층을 이루고 있는 2차원 물질입니다. 전자 이동속도가 반도체의 재료인 실리콘보다 20배 이상 빠르고, 열전도율도 구리보다 10배 높으며, 탄성률은 강철대비 약 7배, 인장강도 또한 강철대비 약 200배 높습니다. 이러한 그래핀은 현재 반도체의 속도 및 전력소모 등을 극복할 수 있는 소재이며, 기존 반도체 공정을 그대로 적용할 수 있다는 장점 또한 지니고 있어 차세대 반도체 소재로 부각 받고 있습니다. 또한 높은 투명성과 신축성이 있어 플렉서블 디스플레이의 소재로 사용 될 것으로 기대되고 있습니다. 이러한 높은 기대감 속에 각 국에서 정부 주도로 그래핀 상용화를 추진하고 있습니다. EU는 유럽 17개 국가, 60개 기관이 참여하는 'EU Graphene Flagship' 프로그램을 추진하여 2013년부터 10년간 총 10억 유로를 투자할 계획이며, 영국 정부는 5,000만 파운드를 투자하는 계획을 수립하였습니다. 우리나라 정부 또한 그래핀 분야 조기 상용화를 위하여 2013년 ‘그래핀 소재부품 기술개발사업’을 추진하여 관련 산업을 육성시키기 위해 6년간 470원을 투자한다는 계획을 밝혔습니다.
(아) 고부가 식품산업
전 세계적으로 의료기술의 발달, 베이비붐세대(50~68세)의 노인 인구층 진입 시작으로 인해 고령화 사회가 급속히 증가되고 있습니다. UN통계에 따르면 2020년 중국, 일본, 한국의 노령화 지수(65세 이상 인구/14세 미만 인구)는 각각 69.8%, 221.6%, 123.7%까지 확대 될 것으로 전망하고 있습니다. 이에 따라 사후치료시장 -> 사전진단시장 -> 사전예방(건강기능식품)시장으로 건강관련 시장이 재편되고 있습니다.
Nutrition Business 저널에 따르면 글로벌 건강기능식품 시장규모는 2015년 1,179억 달러에서 2020년에는 1,677억 달러까지 연평균 7.3% 성장할 전망입니다. 특히 중국(연평균 성장률 10.4%)을 필두로 한 아시아(연평균 성장률 9.5%, 중국 및 일본 제외) 신흥시장에서의 수요 증가가 시장규모 확대에 긍정적으로 작용하고 있습니다. 이와 같은 현상의 원인으로는 아시아 신흥국 소득의 증가와 빠른 고령화 추세를 꼽을 수 있습니다. 한편, 2015년 국내 건강기능식품의 시장규모는 약 21억 달러(2조 3,300억원)으로 저년 대비 16.2%(2조 52억원, 2014년) 성장하며, 2011년 이후 지속적인 성장세를 나타내고 있습니다.
① 여성호르몬제
여성호르몬제 산업은 갱년기 여성의 건강과 삶의 질을 위한 산업으로서 사회의 발전에 따라 삶의 질에 대한 관심이 증대되면서 성장해 나가는 산업입니다. 특히 전 세계적으로 고령화 사회에 진입함에 따라 고령 인구의 건강에 대한 관심이 증대되고, 고령화로 인한 폐경 여성인구 비중이 늘어나면서 여성 갱년기에 대한 관심과 중요성이 크게 부각되고 있습니다.
여성호르몬제 산업은 일반적으로 소재의 개발이 어렵고 핵심 기술력을 지적재산권으로 보호하는 경우가 많기 때문에 진입장벽이 높으며, '건강'이라는 매우 중요한 사항을 충족시키는 분야이기 때문에 수요가 매우 높은 산업입니다. 따라서 가격보다는 소재의 효능 및 부작용 여부 등 품질이 주요 경쟁요소인 산업입니다. 특히 여성호르몬제의 경우 초기 개발 단계에서는 많은 개발비용과 실패가능성을 갖고 시작하지만 제품화 성공 이후에는 호르몬 부족으로 발생하는 증상을 해소해 줄 수 있는 효능에 대한 가치와 여성호르몬제에 대한 높은 수요층의 존재로 인해 판매가는 높게 형성되어 있는 반면, 원재료가 비교적 단가가 낮은 천연물, 화학 소재 등으로 구성되어 있기 때문에 생산원가 대비 판매가가 높게 형성되어 있습니다.
더불어 향후 여성호르몬제 시장은 젊음을 유지하고 싶은 욕구 증대 등 삶의 질을 유지하고 싶은 고령화 인구의 증대로 인해 경기 변동에 크게 민감하지 않고 꾸준히 성장할 것으로 예상됩니다.
② 프로바이오틱스
프로바이오틱스 배양기술을 확보한 기업은 덴마크, 일본, 프랑스 등이 있으며, 국내에서도 소수의 기업이 유산균을 배양하여 생산하고 있습니다. 프로바이오틱스를 이용한 시장은 식품산업, 화장품산업, 축산업, 유가공 산업, 제약 산업 등 그 사용이 매우 폭넓고 다양합니다.
프로바이오틱스의 효능은 유익균 증식, 유해균억제, 정장작용, 혈중콜레스테롤 감소, 면역증강, 내인성 감염억제기능, 항암효과 등 의학적으로 확인된 기능만 하여도 매우 다양하여 동 기능과 관련하여 항궤양제, 항생제, 콜레스테롤 저하제, 항암제 등 의약품으로서의 적용범위가 매우 다양합니다. 또한, 동 의약품 시장이 매우 큰 시장을 형성하고 있어서 의약계에서는 프로바이오틱스를 포함한 박테리아를 이용한 의약품의 개발에 대한 관심이 고조되어 향후 프로바이오틱스 관련 의약품 시장은 기능성식품 시장 규모를 뛰어 넘을 것으로 예상됩니다.
선진국에서의 프로바이오틱스의 이용은 점차 그 사용범위가 확대되고 있으며, 기능성건강식품회사의 개념이 단순한 건강보조의 역할이 아니라 특정 질병의 치료 또는 예방에 도움을 줄 수 있는 Natural Medicine으로서의 역할이 강조되고 있으므로, 향후 대규모의 시장이 형성될 것으로 기대됩니다.
다. 합병기한 내 합병을 완료하지 못하는 경우 예상효과
(1) 회사에 대하여 미치는 영향
당사는 자본시장과 금융투자업에 관한 법률 시행령 제6조 제4항 및 금융투자업규정 제1-4조의2 제5항, 회사의 정관 제59조 해산사유에 따라 최초로 모집한 주권의 주금납입일로부터 90일 이내에 그 주권을 거래소 코스닥시장에 상장하지 못하는 경우, 최초로 모집한 주권의 주금납입일로부터 36개월 이내에 합병대상법인과의 합병등기를 완료하지 못한 경우, 회사의 주권이 합병대상법인과의 합병등기가 완료되기 전에 자본시장법 제390조의 상장규정에 따라 상장폐지된 경우 해산절차를 진행하게 됩니다.
정관 제59조(회사의 해산) 자본시장법 시행령 제6조 제4항 제14호 마목 또는 바목 및 금융투자업규정 제1-4조의2 제5항 제2호에 따라 이 회사는 다음의 각호의 어느 하나에 해당하는 경우 회사를 해산하고 예치자금 등을 투자자에게 지급하여야 한다. 1. 최초 주권모집에 따른 주금납입일로부터 90일 이내에 이 회사가 발행한 주권이 유가증권시장 혹은 코스닥시장에 상장되지 아니한 경우 2. 최초 주권모집에 따른 주금납입일로부터 36개월 이내에 합병대상법인과의 합병등기를 완료하지 못한 경우 3. 합병대상법인과의 합병등기를 완료하기 전에 이 회사 주권이 자본시장법 제390조의 증권상장규정에 따라 상장폐지된 경우 |
(2) 투자자에게 미치는 영향
회사가 해산하는 경우 주주등에 대한 잔여재산 분배가 이루어지게 됩니다. 향후 해산사유 등으로 예치금 반환사유가 발생하게 되면 정관 제60조(예치자금등의 반환 등)에 따라 배분될 계획입니다.
정관 제60조(예치자금등의 반환 등) ① 제59조에 따라 예치자금 등을 투자자에게 지급하는 경우, 다음 각 호의 기준에 따라야 한다. 1. 공모전 주주 등은 주식(주권의 최초 모집 이전에 발행된 전환사채에 기하여 전환된 주식을 포함한다) 등 취득분에 대하여 예치자금 등의 지급대상에서 제외된다. 다만 공모 전 주주가 최초 주권 공모 이후에 주식을 취득한 경우, 당해 취득분에 대해서는 그러하지 아니하다. 2. 예치자금 등은 주식(제1호 본문에 따라 공모전 주주가 취득한고 있는 주식 등은 제외함)의 보유비율에 비례하여 배분되어야 한다. ② 제1항에 의한 지급 후에 남은 회사의 재산은 상법 제3편 제4장 제12절(청산)의 관련규정에 따라 배분하되, 주주에 대하여 분배할 잔여재산이 존재하는 경우에는 다음 각 호의 순서에 의하여 잔여재산을 분배한다. 1. 공모주식에 대하여 제1항에 따라 지급된 금액(세후금액을 기준으로 한다. 이하 같다.)이 공모주식의 발행가액에 미달하는 경우, 주주에 대하여 분배할 잔여재산은 공모주식에 대하여 잔여재산분배로서 지급되는 금액(제1항에 따라 지급된 금액을 포함함)이 당해 공모주식의 발행가액에 달할 때까지 우선적으로 공모주식을 대상으로 하여 주식수에 비례하여 배분한다. 2. 제1항 및 본 항 제1호에 따른 잔여재산분배 이후에 남는 잔여재산이 있는 경우에는 해당 잔여재산은 공모전 발행주식 등에 대하여 공모전 발행주식 등의 발행가액(전환사채에 대하여는 전환가액을 발행가액으로 하며, 이하 본 조에서 같다.)에 달할 때까지 주식 등의 수(전환사채에 대하여는 전환시 발행될 주식수를 기준으로 한다. 이하 같다.)에 비례하여 배분한다. 다만, 공모주식에 대하여 제1항에 따라 지급된 금액이 공모주식의 발행가액을 초과하는 경우에는 위 잔여재산은 본 호에 따라 공모전 발행주식 등에 대하여도 동일한 초과비율에 달할 때까지 주식 등의 수에 비례하여 배분한다. 3. 제1호 및 제2호에 따른 잔여재산분배 이후에도 남는 기타 잔여재산이 있는 경우에는 해당 잔여재산은 회사의 모든 발행주식 등에 대하여 그 발행가격의 비율에 따라 배분된다. ③ 합병대상법인과의 합병에 반대하는 주주(이 회사의 발기인 및 공모전 주주는 제외)가 주식매수청구권을 행사할 경우, 이 회사는 자본시장법 제165조의5 및 기타 관련법령에서 정하는 방법 및 절차에 따라 투자금을 반환하여야 한다. |
다만, 공모전 주주(발기주주)의 경우 상법상 절차에 따른 잔여재산 분배가 이루어질 경우, 전환사채 인수금액에 따라 발기인별 원금 회수율이 차이가 존재하므로 공모전 주주(발기주주)간의 ‘주주간계약서’에 의거하여 아래와 같이 잔여재산을 배분하도록 하였습니다.
<주주간계약서> 제 5 조 SPAC의 해산 및 예치자금의 반환 5.1 SPAC에게 다음 각 호의 사유가 발생하는 경우 SPAC은 해산한다. 1) 최초로 모집한 주권의 주금납입일로부터 90일 이내에 그 주권을 한국거래소 코스닥시장에 상장하지 못한 경우 2) 최초로 모집한 주권의 주금납입일로부터 36개월 이내에 합병대상법인과의 합병등기를 완료하지 못한 경우 3) SPAC의 주권이 합병대상법인과의 합병등기가 완료되기 전에 자본시장법 제390조의 증권상장규정에 따라 상장폐지된 경우5.2 SPAC이 제5.1조에 따라 해산하는 경우 발기주주들은 SPAC의 정관에 따라 예치 또는 신탁한 자금(그에 대한 이자 또는 배당금을 포함하며, 이하 “예치자금등”)이 SPAC의 주주에게 SPAC의 정관에서 정하는 방법 및 절차에 따라서 주식{(i) SPAC의 최초 주권 모집 이전에 발행된 주식 및 (ii) SPAC의 최초 주권 모집 이전에 발행된 전환사채에 기하여 전환된 주식은 제외한다}의 보유비율에 따라 지급되도록 하여야 한다.5.3 발기주주들은 SPAC의 최초 주권 모집 이전에 발행된 주식(SPAC의 최초 주권 모집 이전에 발행된 전환사채에 기하여 전환된 주식을 포함한다)에 관하여 예치자금 등으로부터 잔여재산분배를 받을 권리를 포기한다. 또한, 발기주주들은 SPAC의 최초 주권 모집 이전에 발행된 전환사채에 관하여 예치자금 등으로부터 상환받을 권리를 포기한다. |
라. 합병대상회사의 선정기준 및 합병대상회사에서 제외되는 회사
(1) 합병대상회사 선정기준
합병대상 회사는 우선 코스닥시장 상장 규정, 정관 및 관련 규정에 부합하여야 하며, 또한 투자자들의 이익이 극대화 될 수 있도록 대상회사 경영진의 도덕성, 사업성, 수익성, 성장성, 기술력 등을 고려하여 결정될 것입니다. 당사는 공모 이후 기업인수목적회사 본연의 목적인 성공적 합병을 정해진 기간 내에 달성하기 위하여 우량 중소 비상장기업을 광범위하게 타겟팅 할 예정에 있습니다. 현재 당사의 정관상 합병대상법인 및 합병을 위한 중점 산업군은 다음과 같습니다.
정관 제58조(합병대상법인의 규모 및 합병 제한) ① 합병대상법인의 자본시장법 시행령 제176조의5 제1항 각호에 따라 산정된 합병가액 또는 최근 사업년도 말 현재 재무상태표 상 자산총액이 예치자금 100분의 80이상이어야 한다. 이 경우 합병대상법인이 다수인 경우에는 각 법인의 합병가액 또는 자산총액을 각각 합산한 금액을 기준으로 한다. ② 주권의 최초 모집 이전에 협상이 진행되고 있거나 잠정적으로 정해진 합병대상법인이 존재하지 아니하여야 한다. (생략) 제63조(합병을 위한 중점 산업군) ① 이 회사는 상장 이후 다음 각 호의 1에 해당하는 산업군에 속하는 합병대상법인과의 합병을 추진하며, 동 산업군에 부품 및 장비를 제조 ? 판매하는 기업을 중점으로 합병을 추진한다. 1. 바이오제약(자원) 2. IT (소프트웨어/서비스) 3. 신재생에너지 4. 탄소저감에너지 5. 게임 / 모바일 산업 6. 전자 / 통신 관련 산업 7. 신소재 / 나노융합 8. 고부가 식품산업 9. 기타 미래 성장 동력을 갖추었다고 판단되는 산업 ② 제1항의 규정에도 불구하고, 이 회사는 제1항 규정의 중점 산업군에 속하는 사업을 영위하지 아니하는 우량회사와도 합병을 추진할 수 있다. |
당사는 삼성경제연구소, 한국과학기술연구원 등 국내외 기관에서 선정된 유망기술을 토대로 상기한 8개 분야의 16개의 기술에 집중적인 관심을 가지고, 현재 동 산업을 영위 또는 영위할 계획이 있거나 이와 관련한 유관 산업에 진출하고자 하는 기업 중 현금창출능력을 보유(안정성)하고 합병 이후 주가상승을 위한 성장성이 확보되었고, 업종 내에서 지속적 신제품 개발과 신 시장 개척으로 글로벌 기업으로 도약하고 있는 기업을 선정하여 합병을 추진하고자 합니다. (2) 합병대상회사 제외기준
당사는 관련법규 및 정관 제58조(합병대상법인의 규모 및 합병 제한)에서 합병 대상에서 제외되는 회사에 대하여 규정하고 있습니다. 당사 정관 제58조에 따라 합병대상법인의 자본시장법 시행령 제176조의5 제1항 각 호에 따라 산정된 합병가액 또는 최근 사업연도말 현재 재무상태표상 자산총액이 예치(또는 신탁)된 금액의 100분의 80 이상이어야 하며, 이 경우 합병대상법인이 다수인 경우에는 각 법인의 합병가액 또는 자산총액을 각각 합산한 금액을 기준으로 합니다.
정관 제58조 (합병대상법인의 규모 및 합병 제한) (생략) ③ 이 회사는 상법 제524조에 따른 신설합병의 방식으로 합병할 수 없으며, 자본시장법 제9조 제15항 제4호에 따른 주권비상장법인과 합병하는 경우 코스닥시장상장규정 제2조 제1항 제1호 바목2)에 따른 합병상장을 제외하고는 이 회사가 소멸하는 방식으로 합병할 수 없다. ④ 이 회사는 다음 각 호의 어느 하나에 해당하는 자 및 회사와 합병할 수 없다. 1. 이 회사 주권의 최초 모집 전에 자본시장법 시행령 제139조 제1호 각 목의 증권(의결권 없는 주식에 관계된 것을 포함한다. 이하 “주식 등”이라 한다.)을 취득한 자 (이하 “공모전 주주 등”이라 한다.) 2. 이 회사의 공모전 주주 등 또는 다음 어느 하나에 해당하는 자가 자본시장법 제9조 제1항에 따른 대주주이거나 발행주식총수의 100분의 5 이상을 소유하는 회사 가. 이 회사의 공모전 주주 등에 속하는 자본시장법 시행령 제6조 제4항 제 14호 다목에 따른 지분증권 투자매매업자의 임직원으로서 이 회사의 설 립 및 운영 등과 관련된 업무를 수행하였거나 수행 중인 자, 그 배우자 및 직계존비속 나. 이 회사의 공모전 주주 등에 속하는 법인의 임원, 그 배우자 및 직계존비 속 다. 이 회사의 공모전 주주 등에 속하는 개인의 배우자 및 직계존비속 라. 이 회사의 임직원, 배우자 및 직계존비속 3. 이 회사의 공모전 주주 등의 자본시장법 제9조 제1항에 따른 대주주 및 「독점규제 및 공정거래에 관한 법률」에 따른 계열회사 4. 이 회사 또는 공모전 주주 등과 임직원을 겸직하거나 최근 2년 이내에 임직원을 겸직하였던 회사 (생략) |
마. 주주총회의 합병승인 요건 및 발기인 등의 의결권 제한
당사가 합병을 하기 위해서는 합병계약서에 대하여 주주총회 특별결의를 득해야 합니다. 주주총회 특별결의 요건은 출석주주 의결권의 2/3이상의 승인을 득해야 하며, 그 비율이 발행주식총수의 1/3이상이어야 합니다.
당사 주권의 최초 모집 전에 발행한 주식을 보유 중인 주주(발기인)들은 당사 및 각 주주간 체결한 '주주 등 간 계약서’에 따라 합병승인 안건에 대하여 보유 중인 주식의 의결권을 행사할 수 없으며, 합병승인 안건에 반대하는 경우에도 합병반대주주의 주식매수청구권을 행사하지 못합니다. 이는 발기주주들이 당사의 설립시 인수한 주식 뿐만 아니라 당사의 설립 후에 추가로 취득하게 되는 일체의 주식(공모에 참여하여 취득하는 주식 및 전환사채를 전환하여 취득하게 된 주식 포함)에 대해서도 동일하게 적용됩니다.
<주주간계약서> 제 4 조 합병에 관한 의결권 행사금지 등 4.1 발기주주들은SPAC과 합병대상법인간의 합병을 위한 주주총회에서 합병승인의 건에 대하여 의결권을 행사하지 아니하거나, 자본시장법 등 관련 법령이 허용하는 한도 내에서 의결권을 한국예탁결제원에 위임하여 해당 주주총회에 참석한 주식수(서면투표 주식수를 포함한다)에서 발기주주들이 보유하는 주식수를 뺀 주식수의 의결내용에 영향을 미치지 아니하도록 찬성 및 반대(기권 및 무효를 포함한다)의 비율에 따라 의결권을 행사하도록 하여야 한다.4.2 발기주주들은SPAC과 합병대상법인간의 합병과 관련하여 상법 제522조의3에 따른 주식매수청구권을 행사할 수 없다. 전문은 발기주주들이SPAC의 설립시 인수한 주식뿐만 아니라SPAC의 설립 후에 추가로 취득하게 되는 일체의 주식(공모에 참여하여 취득하는 주식 및 전환사채를 전환하여 취득하게 된 주식 포함)에 대해서도 동일하게 적용된다. |
바. 반대주주의 주식매수청구권
(1) 주식매수청구 절차
주권모집 후 비상장기업 또는 상장기업과 합병 시 상법 제522조의3에 의거 당사 주주는 주식매수청구권을 행사할 수 있습니다. 당사 주주의 주식매수청구권 행사와 관련하여 당사 주주 및 당사는 자본시장과 금융투자업에 관한 법률 제165조의5 및 자본시장과 금융투자업에 관한 법률 시행령 176조의7에 의거 다음과 같은 주식매수청구 절차를 거쳐야 합니다.
1) 반대의사통지
- 주주총회 전까지 서면으로 반대의사 통지
2) 주식매수청구
- 주주총회일로부터 20일 내에 주식의 종류와 수를 기재한 서면으로 매수청구
3) 주식매수청구 서류 제출
- 주식매수청구의 내용을 거래소에 문서로 신고
4) 주식의 매수
- 주주총회결의일로부터 20일이 경과한 날부터 1개월 이내 해당주식을 매수
5) 매수한 주식처분
- 매수일로부터 3년 내 처분
(2) 주식매수가격의 결정
공모주주의 주식매수청구권 행사시 주식매수가격은 법 제165조의5에 따라 공모주주와 회사간 협의로 결정하는 것을 원칙으로 하고 있습니다. 다만 협의가 이루어지지 아니하는 경우의 매수가격은 이사회 결의일 이전에 증권시장에서 거래된 해당주식의 거래가격을 기준으로 하여 법시행령 제176조의7 제3항에 의거하여 산정합니다. 만약 당사나 매수청구권을 행사한 주주가 그 매수가격에 대해서도 반대하면 법원에 매수가격의 결정을 청구할 수 있습니다.
기준매수가격 = (2개월간 거래량 가중평균종가 + 1개월간 거래량 가중평균종가 + 1주일간 거래량 가중평균종가) / 3 (단, 기산일은 이사회 결의일 전일) |
단, 「자본시장과 금융투자업에 관한 법률 시행령」 제176조의5 제3항에 의거하여 금융위원회가 정하여 고시하는 「증권의발행및공시등에관한규정 제5-13조 제4항」에서 규정한 요건을 갖추고 주권비상장법인의 합병가액을 산정한 경우에는 동 요건에 맞추어 주식매수가격을 공모가격 이상으로 하여야 합니다.
사. 합병추진 운영비용에 관한 사항당사의 합병 추진 시 회계법인에 대한 합병관련 실사 및 평가 용역비가 발생할 수 있으며, 합병 관련 법무법인에 대한 법률자문비용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또한, M&A 자문기관에 대해 기업실사비용 및 합병자문수수료를 지급할 수 있습니다. 다만 이러한 외부 자문용역과 관련하여 현재까지 구체적으로 용역제공기관이 정해진 바는 없으며, 추후 합병 진행과정 속에서 객관적이고 합리적인 방법과 절차에 따라 대상 자문기관을 선정할 예정입니다.
당사는 기업인수를 유일한 사업목적으로 영위하는 회사로, 해당사항 없습니다.
당사는 기업인수를 유일한 사업목적으로 영위하는 회사로, 해당사항 없습니다.
당사는 기업인수를 유일한 사업목적으로 영위하는 회사로, 해당사항 없습니다.
당사는 기업인수를 유일한 사업목적으로 영위하는 회사로, 해당사항 없습니다.
(단위: 원)
|
당사는 분기보고서 제출일 현재 해당사항 없습니다.
당사는 분기보고서 제출일 현재 해당사항 없습니다.
제 3 기 1분기말 |
제 2 기말 |
|
---|---|---|
제 3 기 1분기 |
제 2 기 1분기 |
|||
---|---|---|---|---|
3개월 |
누적 |
3개월 |
누적 |
|
자본 |
||||
---|---|---|---|---|
자본금 |
자본잉여금 |
이익잉여금(결손금) |
자본 합계 |
|
제 3 기 1분기 |
제 2 기 1분기 |
|
---|---|---|
제3(당)기 2025년 01월 01일부터 2025년 03월 31일까지 |
제2(전)기 2024년 01월 01일부터 2024년 03월 31일까지 |
회사명 : 상상인제4호기업인수목적 주식회사 |
1. 당사의 개요
상상인제4호기업인수목적 주식회사(이하 "당사")는 한국거래소의 유가증권시장 및코스닥시장에 상장한 후 다른 회사와 합병하는 것을 사업목적으로 하여 2023년 01월31일자로 설립되었습니다. 당사의 존속기한은 합병대상법인과 합병을 하지 못한 경우에 한하여 최초로 주권을 모집하여 주금을 납입받은 날로부터 3년까지로 하고 있으며, 당사의 본점 소재지는 서울특별시 영등포구 여의대로 108입니다.당분기말 현재 당사의 주주 구성은 다음과 같습니다.
주주명 | 소유주식수㈜ | 지분율 |
---|---|---|
㈜이안플래닛 | 700,000 | 13.41% |
㈜상상인증권 | 10,000 | 0.19% |
㈜브로드하이자산운용㈜ | 10,000 | 0.19% |
기타주주(공모주주) | 4,500,000 | 86.21% |
합계 | 5,220,000 | 100% |
2. 재무제표 작성기준
다음은 재무제표 작성에 적용된 중요한 회계정책입니다. 이러한 정책은 별도의 언급이 없다면, 표시된 회계기간에 계속적으로 적용됩니다.
2.1 재무제표 작성 기준
당사의 재무제표는 한국채택국제회계기준(이하 기업회계기준)에 따라 작성됐습니다.한국채택국제회계기준은 국제회계기준위원회("IASB")가 발표한 기준서와 해석서 중대한민국이 채택한 내용을 의미합니다.
재무제표는 다음을 제외하고는 역사적 원가에 기초하여 작성하였습니다.
·특정 금융자산과 금융부채(파생상품 포함), 공정가치로 측정하는 특정 유형자산과 투자부동산 유형
·순공정가치로 측정하는 매각예정자산
·공정가치로 측정하는 조건부대가
·확정급여제도와 공정가치로 측정하는 사외적립자산
한국채택국제회계기준은 재무제표 작성 시 중요한 회계추정의 사용을 허용하고 있으며, 회계정책을 적용함에 있어 경영진의 판단을 요구하고 있습니다. 보다 복잡하고 높은 수준의 판단이 필요한 부분이나 중요한 가정 및 추정이 필요한 부분은 주석3에서 설명하고 있습니다.
2.2 회계정책과 공시의 변경
2.2.1 당사가 채택한 제ㆍ개정 기준서
당사는 2024년 1월 1일로 개시하는 회계기간부터 다음의 제ㆍ개정 기준서 및 해석서를 신규로 적용하였습니다.
(1) 기업회계기준서 제1001호 '재무제표 표시' 개정 - 부채의 유동/비유동 분류, 약정사항이 있는 비유동부채
보고기간말 현재 존재하는 실질적인 권리에 따라 유동 또는 비유동으로 분류되며, 부채의 결제를 연기할 수 있는 권리의 행사가능성이나 경영진의 기대는 고려하지 않습니다. 또한, 부채의 결제에 자기지분상품의 이전도 포함되나, 복합금융상품에서 자기지분상품으로 결제하는 옵션이 지분상품의 정의를 충족하여 부채와 분리하여 인식된경우는 제외됩니다. 또한, 기업이 보고기간말 후에 준수해야하는 약정은 보고기간말에 해당 부채의 분류에 영향을 미치지 않으며, 보고기간 이후 12개월 이내 약정사항을 준수해야하는 부채가 보고기간말 현재 비유동부채로 분류된 경우 보고기간 이후 12개월 이내 부채가 상환될 수 있는 위험에 관한 정보를 공시해야 합니다. 해당 기준서의 개정이 재무제표에 미치는 중요한 영향은 없습니다.
(2) 기업회계기준서 제1007호 '현금흐름표', 기업회계기준서 제1107호 '금융상품: 공시' 개정 - 공급자금융약정에 대한 정보 공시
공급자금융약정을 적용하는 경우, 재무제표이용자가 공급자금융약정이 기업의 부채와 현금흐름 그리고 유동성위험 익스포저에 미치는 영향을 평가할 수 있도록 공급자금융약정에 대한 정보를 공시해야 합니다. 해당 기준서의 개정이 재무제표에 미치는 중요한 영향은 없습니다.
(3) 기업회계기준서 제1116호 ‘리스’ 개정 - 판매후리스에서 생기는 리스부채판매후리스에서 생기는 리스부채를 후속적으로 측정할 때 판매자-리스이용자가 보유하는 사용권 관련 손익을 인식하지 않는 방식으로 리스료나 수정리스료를 산정합니다. 해당 기준서의 제정이 재무제표에 미치는 중요한 영향은 없습니다.(4) 기업회계기준서 제1001호 ‘재무제표 표시’ 개정 - '가상자산 공시’가상자산을 보유하는 경우, 가상자산을 고객을 대신하여 보유하는 경우, 가상자산을 발행한 경우의 추가 공시사항을 규정하고 있습니다. 해당 기준서의 개정이 재무제표에 미치는 중요한 영향은 없습니다.2.2.2 당사가 적용하지 않은 제ㆍ개정 기준서 및 해석서제정 또는 공표되었으나 시행일이 도래하지 않아 적용하지 아니한 제ㆍ개정 기준서 및 해석서는 다음과 같습니다.(1) 기업회계기준서 제1021호 ‘환율변동효과’와 기업회계기준서 제1101호 ‘한국채택국제회계기준의 최초채택’ 개정 - 교환가능성 결여통화의 교환가능성을 평가하고 다른 통화와 교환이 가능하지 않다면 현물환율을 추정하며 관련 정보를 공시하도록 하고 있습니다. 동 개정사항은 2025 년 1 월 1 일 이후 시작하는 회계연도부터 적용되며, 조기적용이 허용됩니다. 해당 기준서의 개정이 재무제표에 미치는 중요한 영향은 없습니다. (2) 기업회계기준서 제1109호 ‘금융상품’, 제1107호 ‘금융상품: 공시’ 개정
실무에서 제기된 의문에 대응하고 새로운 요구사항을 포함하기 위해 기업회계기준서 제1109호 ‘금융상품’과 제1107호 ‘금융상품: 공시’가 개정되었습니다. 동 개정사항은 2026 년 1 월 1 일 이후 시작하는 회계연도부터 적용되며, 조기적용이 허용됩니다. 주요 개정내용은 다음과 같습니다. 해당 기준서의 개정이 재무제표에 미치는 중요한 영향은 없습니다.
·특정 기준을 충족하는 경우, 결제일 전에 전자지급시스템을 통해 금융부채가 결제된 것으로(제거된 것으로) 간주할 수 있도록 허용
·금융자산이 원리금 지급만으로 구성되어 있는지의 기준을 충족하는지 평가하기 위한 추가 지침을 명확히 하고 추가함.
·계약상 현금흐름의 시기나 금액을 변경시키는 계약조건이 기업에 미치는 영향과 기업이 노출되는 정도를 금융상품의 각 종류별로 공시
·FVOCI 지정 지분상품에 대한 추가 공시
(3) 한국채택국제회계기준 연차개선Volume 11
한국채택국제회계기준 연차개선Volume 11은 2026 년 1 월 1 일 이후 시작하는 회계연도부터 적용되며, 조기적용이 허용됩니다. 당사는 동 개정으로 인해 재무제표에 중요한 영향은 없을 것으로 예상하고 있습니다.
·기업회계기준서 제1101호‘한국채택국제회계기준의 최초채택’: K-IFRS 최초 채택시 위험회피회계 적용
·기업회계기준서 제1107호‘금융상품:공시’: 제거 손익, 실무적용지침
·기업회계기준서 제1109호‘금융상품’: 리스부채의 제거 회계처리와 거래가격의 정의
·기업회계기준서 제1110호‘연결재무제표’: 사실상의 대리인 결정
·기업회계기준서 제1007호‘현금흐름표’: 원가법
2.3 외화환산
(1) 기능통화와 표시통화
당사는 회사 내 개별기업의 재무제표에 포함되는 항목들을 각각의 영업활동이 이뤄지는 주된 경제 환경에서의 통화("기능통화")를 적용하여 측정하고 있습니다. 당사의 기능통화는 대한민국 원화이며, 재무제표는 대한민국 원화로 표시돼 있습니다.
(2) 외화거래와 보고기간말의 환산
외화거래는 거래일의 환율 또는 재측정되는 항목인 경우 평가일의 환율을 적용한 기능통화로 인식됩니다. 외화거래의 결제나 화폐성 외화 자산ㆍ부채의 환산에서 발생하는 외환차이는 당기손익으로 인식됩니다. 다만, 조건을 충족하는 현금흐름위험회피나 순투자의 위험회피의 효과적인 부분과 관련되거나 보고기업의 해외사업장에 대한 순투자의 일부인 화폐성항목에서 생기는 손익은 기타포괄손익으로 인식합니다.
차입금과 관련된 외환차이는 손익계산서에 금융원가로 표시되며, 다른 외환차이는 기타수익 또는 기타비용에 표시됩니다.
비화폐성 금융자산ㆍ부채로부터 발생하는 외환차이는 공정가치 변동손익의 일부로 보아 당기손익-공정가치 측정 지분상품으로부터 발생하는 외환차이는 당기손익으로, 기타포괄손익-공정가치 측정 지분상품의 외환차이는 기타포괄손익에 포함하여 인식됩니다.
2.4 금융자산
(1) 분류
당사는 다음의 측정 범주로 금융자산을 분류합니다.
- 당기손익-공정가치 측정 금융자산
- 기타포괄손익-공정가치 측정 금융자산
- 상각후원가 측정 금융자산
금융자산은 금융자산의 관리를 위한 사업모형과 금융자산의 계약상 현금흐름 특성에근거하여 분류합니다.
공정가치로 측정하는 금융자산의 손익은 당기손익 또는 기타포괄손익으로 인식합니다. 채무상품에 대한 투자는 해당 자산을 보유하는 사업모형에 따라 그 평가손익을 당기손익 또는 기타포괄손익으로 인식합니다. 당사는 금융자산을 관리하는 사업모형을 변경하는 경우에만 채무상품을 재분류합니다.
단기매매항목이 아닌 지분상품에 대한 투자는 최초 인식시점에 후속적인 공정가치 변동을 기타포괄손익으로 표시할 것을 지정하는 취소불가능한 선택을 할 수 있습니다. 지정되지 않은 지분상품에 대한 투자의 공정가치 변동은 당기손익으로 인식합니다.
(2) 측정
당사는 최초 인식시점에 금융자산을 공정가치로 측정하며, 당기손익-공정가치 측정 금융자산이 아닌 경우에 해당 금융자산의 취득과 직접 관련되는 거래원가는 공정가치에 가산합니다. 당기손익-공정가치 측정 금융자산의 거래원가는 당기손익으로 비용처리합니다.
내재파생상품을 포함하는 복합계약은 계약상 현금흐름이 원금과 이자로만 구성되어 있는지를 결정할 때 해당 복합계약 전체를 고려합니다.
① 채무상품
금융자산의 후속적인 측정은 금융자산의 계약상 현금흐름 특성과 그 금융자산을 관리하는 사업모형에 근거합니다. 당사는 채무상품을 다음의 세 범주로 분류합니다. (가) 상각후원가계약상 현금흐름을 수취하기 위해 보유하는 것이 목적인 사업모형 하에서 금융자산을 보유하고, 계약상 현금흐름이 원리금만으로 구성되어 있는 자산은 상각후원가로 측정합니다. 상각후원가로 측정하는 금융자산으로서 위험회피관계의 적용 대상이 아닌 금융자산의 손익은 해당 금융자산을 제거하거나 손상할 때 당기손익으로 인식합니다. 유효이자율법에 따라 인식하는 금융자산의 이자수익은 '금융수익'에 포함됩니다. (나) 기타포괄손익-공정가치 측정 금융자산계약상 현금흐름의 수취와 금융자산의 매도 둘 다를 통해 목적을 이루는 사업모형 하에서 금융자산을 보유하고, 계약상 현금흐름이 원리금만으로 구성되어 있는 금융자산은 기타포괄손익-공정가치로 측정합니다. 손상차손(환입)과 이자수익 및 외환손익을 제외하고는, 공정가치로 측정하는 금융자산의 평가손익은 기타포괄손익으로 인식합니다. 금융자산을 제거할 때에는 인식한 기타포괄손익누계액을 자본에서 당기손익으로 재분류합니다. 유효이자율법에 따라 인식하는 금융자산의 이자수익은 '금융수익'에 포함됩니다. 외환손익은 '기타수익 또는 기타비용'으로 표시하고 손상차손은 '기타 비용'으로 표시합니다. (다) 당기손익-공정가치 측정 금융자산상각후원가 측정이나 기타포괄손익-공정가치 측정 금융자산이 아닌 채무상품은 당기손익-공정가치로 측정됩니다. 위험회피관계가 적용되지 않는 당기손익-공정가치 측정 채무상품의 손익은 당기손익으로 인식하고 발생한 기간에 손익계산서에 '기타수익 또는 기타비용'으로 표시합니다.
② 지분상품
당사는 모든 지분상품에 대한 투자를 후속적으로 공정가치로 측정합니다. 공정가치 변동을 기타포괄손익으로 표시할 것을 선택한 장기적 투자목적 또는 전략적 투자목적의 지분상품에 대해 기타포괄손익으로 인식한 금액은 해당 지분상품을 제거할 때에도 당기손익으로 재분류하지 않습니다. 이러한 지분상품에 대한 배당수익은 당사가 배당을 받을 권리가 확정된 때 '금융수익'으로 당기손익으로 인식합니다.
당기손익-공정가치로 측정하는 금융자산의 공정가치 변동은 손익계산서에 '기타수익 또는 기타비용'으로 표시합니다. 기타포괄손익-공정가치로 측정하는 지분상품에대한 손상차손(환입)은 별도로 구분하여 인식하지 않습니다.
(3) 손상
당사는 미래전망정보에 근거하여 상각후원가로 측정하거나 기타포괄손익-공정가치로 측정하는 채무상품에 대한 기대신용손실을 평가합니다. 손상 방식은 신용위험의 유의적인 증가 여부에 따라 결정됩니다. 단, 매출채권 및 리스채권에 대해 당사는 채권의 최초 인식시점부터 전체기간 기대신용손실을 인식하는 간편법을 적용합니다.
(4) 인식과 제거
금융자산의 정형화된 매입 또는 매도는 매매일에 인식하거나 제거합니다. 금융자산은 현금흐름에 대한 계약상 권리가 소멸하거나 금융자산을 양도하고 소유에 따른 위험과 보상의 대부분을 이전한 경우에 제거됩니다.
당사가 금융자산을 양도한 경우라도 채무자의 채무불이행시의 소구권 등으로 양도한금융자산의 소유에 따른 위험과 보상의 대부분을 당사가 보유하는 경우에는 이를 제거하지 않고 그 양도자산 전체를 계속하여 인식하되, 수취한 대가를 금융부채로 인식합니다. 해당 금융부채는 재무상태표에 '차입금'으로 분류하고 있습니다.
(5) 금융상품의 상계
금융자산과 부채는 인식한 자산과 부채에 대해 법적으로 집행가능한 상계권리를 현재 보유하고 있고, 순액으로 결제하거나 자산을 실현하는 동시에 부채를 결제할 의도를 가지고 있을 때 상계하여 재무상태표에 순액으로 표시합니다. 법적으로 집행가능한 상계권리는 미래사건에 좌우되지 않으며, 정상적인 사업과정의 경우와 채무불이행의 경우 및 지급불능이나 파산의 경우에도 집행가능한 것을 의미합니다.
2.5 파생상품파생상품은 파생상품 계약 체결 시점에 공정가치로 최초 인식되며 이후 공정가치로 재측정됩니다. 위험회피회계의 적용 요건을 충족하지 않는 파생상품의 공정가치변동은 거래의 성격에 따라 '기타영업외수익(비용)' 또는 '금융수익(비용)'으로 손익계산서에 인식됩니다.2.6 현금및현금성자산당사는 취득일로부터 만기일이 3개월 이내인 투자자산을 현금및현금성자산으로 분류하고 있습니다. 지분상품은 현금성자산에서 제외되나, 상환일이 정해져 있고 취득일로부터 상환일까지의 기간이 단기인 우선주와 같이 실질적인 현금성자산인 경우에는 현금성자산에 포함됩니다.2.7 복합금융상품당사가 발행한 복합금융상품은 보유자의 선택에 의해 지분상품으로 전환될 수 있는 전환사채입니다. 동 복합금융상품의 부채요소는 최초에 동일한 조건의 전환권이 없는 금융부채의 공정가치로 인식되며, 후속적으로 전환일 또는 만기일까지 상각후원가로 인식됩니다. 자본요소는 복합금융상품 전체의 공정가치와 부채요소의 공정가치의 차이로 최초 인식되며, 후속적으로 재측정되지 아니합니다. 복합금융상품의 발행과 직접적으로 관련된 거래원가는 부채요소와 자본요소의 최초 인식 금액에 비례하여 배분됩니다.2.8 납입자본보통주는 자본으로 분류하며 자본거래에 직접 관련되어 발생하는 증분원가는 세금효과를 반영한 순액으로 자본에서 차감하고 있습니다.당사가 자기 지분상품을 재취득하는 경우에 이러한 지분상품은 자기주식의 과목으로자본에서 직접 차감하고 있습니다. 자기 지분상품을 매입 또는 매도하거나 발행 또는소각하는 경우의 손익은 당기손익으로 인식하지 아니합니다.2.9 당기법인세 및 이연법인세 법인세비용은 당기법인세와 이연법인세로 구성됩니다. 법인세는 기타포괄손익이나 자본에 직접 인식된 항목과 관련된 금액은 해당 항목에서 직접 인식하며, 이를 제외하고는 당기손익으로 인식됩니다.당기법인세비용은 보고기간말 현재 제정되었거나 실질적으로 제정된 세법에 근거하여 측정합니다. 경영진은 적용 가능한 세법 규정이 해석에 따라 달라질 수 있는 상황에 대하여 당사가 세무신고 시 적용한 세무정책에 대하여 주기적으로 평가하고 있으며, 세무당국이 불확실한 법인세 처리를 수용할 가능성이 높은지 고려합니다. 당사는법인세 측정 시 가장 가능성이 높은 금액 또는 기댓값 중 불확실성의 해소를 더 잘 예측할 것으로 예상되는 방법을 사용하여 불확실성의 영향을 반영합니다. 이연법인세는 자산과 부채의 장부금액과 세무기준액의 차이로 발생하는 일시적차이에 대하여 장부금액을 회수하거나 결제할 때의 예상 법인세효과로 인식됩니다. 다만,사업결합 이외의 거래에서 자산ㆍ부채를 최초로 인식할 때 발생하는 이연법인세 자산과 부채는 그 거래가 회계이익이나 과세소득에 영향을 미치지 않는다면 인식되지 않습니다.이연법인세자산은 차감할 일시적차이가 사용될 수 있는 미래 과세소득의 발생가능성이 높은 경우에 인식됩니다.종속기업, 관계기업 및 공동기업 투자지분과 관련된 가산할 일시적차이에 대해 소멸시점을 통제할 수 있고 예측가능한 미래에 일시적차이가 소멸하지 않을 가능성이 높은 경우를 제외하고 이연법인세부채를 인식하고 있습니다. 또한 이러한 자산으로부터 발생하는 차감할 일시적차이에 대하여 일시적차이가 예측가능한 미래에 소멸할 가능성이 높고 일시적차이가 사용될 수 있는 과세소득이 발생할 가능성이 높은 경우에만 이연법인세자산을 인식하고 있습니다.이연법인세 자산과 부채는 법적으로 당기법인세자산과 당기법인세부채를 상계할 수 있는 권리를 당사가 보유하고 있고, 이연법인세 자산과 부채가 동일한 과세당국에 의해서 부과되는 법인세와 관련된 경우에 상계합니다. 당기법인세 자산과 부채는 법적으로 상계할 수 있는 권리를 당사가 보유하고 있고, 순액으로 결제할 의도가있거나 자산을 실현하는 동시에 부채를 결제하려는 의도가 있는 경우에 상계합니다.
2.10 주당이익당사는 보통주 기본주당이익과 희석주당이익을 당기순손익에 대하여 계산하고 포괄손익계산서에 표시하고 있습니다. 기본주당이익은 보통주에 귀속되는 당기순손익을 보고기간 동안에 유통된 보통주식수를 가중평균한 주식수로 나누어 계산하며, 희석주당이익은 전환사채등 모든 희석효과가 있는 잠재적 보통주의 영향을 고려하여 보통주에 귀속되는 당기순손익 및 가중평균유통보통주식수를 조정하여 계산합니다.
3. 중요한 회계추정 및 가정재무제표 작성에는 미래에 대한 가정 및 추정이 요구되며 경영진은 당사의 회계정책을 적용하기 위해 판단이 요구됩니다. 추정 및 가정은 지속적으로 평가되며, 과거 경험과 현재의 상황에 비추어 합리적으로 예측가능한 미래의 사건을 고려하여 이루어집니다. 회계추정의 결과가 실제 결과와 동일한 경우는 드물 것이므로 중요한 조정을유발할 수 있는 유의적인 위험을 내포하고 있습니다.
다음 회계연도에 자산 및 부채 장부금액의 조정에 영향을 미칠 수 있는 경영진 판단과 유의적 위험에 대한 추정 및 가정은 다음과 같습니다. 일부 항목에 대한 유의적인 판단 및 추정에 대한 추가적인 정보는 개별 주석에 포함되어 있습니다.
(1) 법인세
당사의 과세소득에 대한 법인세는 다양한 국가의 세법 및 과세당국의 결정을 적용하여 산정되므로 최종 세효과를 산정하는 데에는 불확실성이 존재합니다.
당사는 특정 기간동안 과세소득의 일정 금액을 투자, 임금증가 등에 사용하지 않았을때 세법에서 정하는 방법에 따라 산정된 법인세를 추가로 부담합니다. 따라서, 해당 기간의 당기법인세와 이연법인세를 측정할 때 이에 따른 세효과를 반영하여야 하고, 이로 인해 당사가 부담할 법인세는 각 연도의 투자, 임금증가 등의 수준에 따라 달라지므로 최종 세효과를 산정하는 데에는 불확실성이 존재합니다.
(2) 금융상품의 공정가치
활성시장에서 거래되지 않는 금융상품의 공정가치는 원칙적으로 평가기법을 사용하여 결정됩니다. 당사는 보고기간말 현재 중요한 시장상황에 기초하여 다양한 평가기법의 선택 및 가정에 대한 판단을 하고 있습니다.
(3) 금융자산의 손상
금융자산의 손실충당금은 부도위험 및 기대손실률 등에 대한 가정에 기초하여 측정됩니다. 당사는 이러한 가정의 설정 및 손상모델에 사용되는 투입변수의 선정에 있어서 당사의 과거 경험, 현재 시장 상황, 재무보고일 기준의 미래전망정보 등을 고려하여 판단합니다.
4. 현금및현금성자산당분기말 및 전분기말 현재 당사의 현금및현금성자산의 내역은 다음과 같습니다.
(단위: 원) |
구 분 |
예치기관 |
당분기말 |
전분기말 |
---|---|---|---|
보통예금 |
국민은행 | 390,528,023 | 401,875,255 |
5. 단기금융상품
당분기말 및 전분기말 현재 당사의 단기금융상품의 내역은 다음과 같습니다.
(단위: 원) |
구 분 |
예치기관 |
당분기말 |
전분기말 |
---|---|---|---|
정기예금 |
국민은행 | 1,527,016,327 | 1,527,016,327 |
6. 기타유동자산
당분기말 및 전분기말 현재 당사의 기타유동자산의 내역은 다음과 같습니다.
(단위: 원) |
구 분 |
당분기말 |
전분기말 |
---|---|---|
선급법인세 | 6,792,578 | 6,777,258 |
7. 장기금융상품
당분기말 및 전분기말 현재 당사의 장기금융상품의 내역은 다음과 같습니다.
(단위: 원) |
구 분 |
예치기관 |
당분기말 |
전분기말 |
---|---|---|---|
정기예금 |
국민은행 | 9,282,928,664 | 9,282,928,664 |
(*1) 상기 특정금전신탁은 자본시장과 금융투자업에 관한 법률(이하 "자본시장법") 에따라 공모 유상증자 금액 전액을 KB국민은행에 신탁한 금액입니다(주석18). 특정금전신탁 금액은 국민은행 정기예금으로 보유중입니다.
8. 매입채무 및 기타채무당분기말과 전기말 현재 당사의 매입채무 및 기타채무내역은 다음과 같습니다.
(단위: 원) |
구 분 | 당분기말 | 전기말 |
---|---|---|
미지급금 | 6,336,000 | - |
9. 전환사채당분기말 및 전분기말 현재 당사가 발행한 전환사채 내역은 다음과 같습니다.(1) 전환사채 장부가액
(단위: 원) |
구 분 |
당분기말 |
전분기말 |
---|---|---|
발행가액(=액면가액) | 1,380,000,000 | 1,380,000,000 |
전환권조정계정(최초 발행시점) | (270,336,394) | (270,336,394) |
전환권조정계정 이자비용 대체 | 108,364,310 | 95,332,468 |
합 계 | 1,218,027,916 | 1,204,996,074 |
(2) 전환사채 발행사항당사는 2023년 2월 10일자 이사회 결의에 의거 전환사채를 발행하였습니다. 전환사채의 발행조건 및 전환에 관한 주요사항은 다음과 같습니다.
구 분 | 내 용 | ||
---|---|---|---|
사채의 명칭 | 상상인제4호기업인수목적 주식회사 제1회 무보증 사모 전환사채 | ||
사채의 종류 | 무기명식 무이권부 무보증 사모 전환사채 | ||
사채의 액면금액 | 1,380,000,000원 | ||
발행일 | 2023년 2월 10일 | 만기일 | 2028년 2월 10일 |
표면이자율 | 0% | 만기보장수익률 | 0% |
전환으로 인하여 발행할 주식의 종류 | 기명식 보통주식 | ||
전환가격 | 액면가 100원을 기준으로 1주당 1,000원으로 함(저가 전환사채 및 신주인수권부사채 발행, 유상증자 및 무상증자, 주식배당, 준비금의 자본전입 등의 경우에 있어서 필요 시 전환가격 조정함) | ||
전환청구기간 | 2023년 3월 10일부터 2028년 2월 9일까지 |
주식으로의 전환은 전환청구서와 사채권을 제출한 때 효력이 발생하며, 이익배당에 관하여는 전환청구한 날이 속하는 영업년도의 직전 영업년도 말에 전환된 것으로 간주합니다.당사가 발행한 전환사채는(주)상상인증권이 690,000천원, 브로드하이자산운용(주)가690,000천원을 인수하였습니다.
10. 자본금당분기말 및 전분기말 현재 당사의 보통주자본금과 관련된 사항은 다음과 같습니다.
(단위: 원) |
구 분 |
당분기말 |
전분기말 |
---|---|---|
발행할 주식의 총수 | 500,000,000주 | 500,000,000주 |
발행한 주식의 총수 | 5,220,000주 | 5,220,000주 |
1주당 액면금액 | 100 | 100 |
보통주자본금 | 522,000,000 | 522,000,000 |
11. 자본잉여금당분기말 및 전분기말 현재 당사의 자본잉여금과 관련된 사항은 다음과 같습니다.
(단위: 원) |
구 분 |
당분기말 |
전분기말 |
---|---|---|
주식발행초과금 | 9,020,233,700 | 9,020,233,700 |
전환권대가 | 213,836,088 | 213,836,088 |
합 계 | 9,234,069,788 | 9,234,069,788 |
12. 이익잉여금당분기말 및 전기말 현재 당사의 이익잉여금처분계산서는 다음과 같습니다.
(단위: 원) |
구 분 |
제3(당)기 1분기 |
제2(전)기 |
---|---|---|
기초금액 | 323,971,182 | 64,414,110 |
당기순이익(손실) | 45,888,812 | 259,557,072 |
기말금액 | 369,859,994 | 323,971,182 |
13. 영업비용의 내용당분기 및 전분기 중 당사의 영업비용 내역은 다음과 같습니다.
(단위: 원) |
구 분 |
제3(당)기 1분기 |
제2(전)기 1분기 |
---|---|---|
여비교통비 | - | - |
접대비 | - | 282,150 |
통신비 | 1,862,930 | 2,331,540 |
교육훈련비 | - | 580,000 |
세금과공과 | 108,000 | - |
도서인쇄비 | 594,000 | 652,960 |
지급수수료 | 14,366,490 | 12,616,450 |
광고선전비 | 836,000 | 836,000 |
합계 | 17,767,420 | 17,299,100 |
14. 범주별 금융상품(1) 공정가치 범주별 분류당분기말 및 전기말 현재 금융상품의 범주별 장부금액과 공정가치는 다음과 같습니다.
(단위: 원) |
구 분 |
제3(당)기 1분기 |
제2(전)기 |
||
---|---|---|---|---|
장부금액(*주) | 공정가치 | 장부금액(*주) | 공정가치 | |
금융자산: |
||||
공정가치로 평가된 금융자산 | - | - | - | - |
상각후원가로 인식된 금융자산 | ||||
현금및현금성자산 | 390,528,023 | - | 401,875,255 | - |
단기금융상품 | 1,527,016,327 | - | 1,527,016,327 | - |
미수수익 | 218,947,759 | - | 130,234,336 | - |
기타유동자산 | 6,792,578 | - | 6,777,258 | - |
장기금융상품 | 9,282,928,664 | - | 9,282,928,664 | - |
금융자산 합계 | 11,426,213,351 | 11,348,831,840 | ||
금융부채: | ||||
공정가치로 평가된 금융부채 | - | - | - | - |
상각후원가로 인식된 금융자산 | ||||
미지급금 | 6,336,000 | - | - | - |
전환사채 | 1,218,027,916 | 1,204,996,074 | ||
금융부채 합계 | 1,224,363,916 | - | 1,204,996,074 | - |
(*주) 장부금액이 공정가치의 합리적인 근사치이므로 공정가치를 공시하지 아니하였습니다.(2) 당분기와 전분기 중 금융상품의 범주별 손익현황은 다음과 같습니다.
(단위: 원) |
구 분 |
제3(당)기 1분기 |
제2(전)기 1분기 |
||
---|---|---|---|---|
상각후원가금융자산 | 상각후원가금융부채 | 상각후원가금융자산 | 상각후원가금융부채 | |
<금융수익> |
||||
이자수익 | 88,812,931 | - | 97,150,611 | - |
<금융비용> |
||||
이자비용 | - | 13,031,842 | - | 12,613,179 |
(3) 공정가치 서열체계당분기말 및 전분기말 현재 재무상태표에 공정가치로 인식된 금융상품이 없으므로, 공정가치 서열체계를 공시하지 않습니다.
15. 법인세비용(1) 당분기와 전분기 중 법인세비용의 산출내역은 다음과 같습니다.
(단위: 원) |
구 분 |
제3(당)기 1분기 |
제2(전)기 1분기 |
---|---|---|
당기법인세부담액 | - | - |
일시적차이로 인한 이연법인세 변동액 | 12,124,857 | 14,052,811 |
자본에 직접 반영된 법인세비용 | - | - |
법인세비용 | 12,124,857 | 14,052,811 |
(2) 당분기와 전기 중 주요 누적일시적차이의 증감 및 이연법인세자산(부채)의 내역은 다음과 같습니다.
<제3(당)기 1분기> | (단위: 원) |
구 분 |
기초금액 |
당기증가 | 당기감소 | 기말잔액 | 이연법인세자산(부채) |
---|---|---|---|---|---|
당기손익 반영 | |||||
전환권조정계정 | 95,332,468 | 13,031,842 | - | 108,364,310 | 22,648,141 |
미수수익 | (130,234,335) | (218,947,759) | (130,234,335) | (218,947,759) | (45,760,082) |
기타포괄손익 반영 | |||||
전환권대가 | (270,336,394) | - | - | (270,336,394) | (56,500,306) |
일시적차이 계 | (305,238,261) | (205,915,917) | (130,234,335) | (380,919,843) | (79,612,247) |
이월결손금 | - | 17,667,913 | - | 17,667,913 | 3,692,594 |
이연법인세 계 | (75,919,653) |
<제2(전)기> | (단위: 원) |
구 분 |
기초금액 |
당기증가 | 당기감소 | 기말잔액 | 이연법인세자산(부채) |
---|---|---|---|---|---|
당기손익 반영 | |||||
전환권조정계정 | 43,902,184 | 51,430,284 | - | 95,332,468 | 19,924,486 |
미수수익 | (121,573,973) | (130,234,336) | (121,573,973) | (130,234,335) | (27,218,976) |
기타포괄손익 반영 | |||||
전환권대가 | (270,336,394) | - | - | (270,336,394) | (56,500,306) |
일시적차이 계 | (348,008,183) | (78,804,052) | (121,573,973) | (305,238,261) | (63,794,796) |
이월결손금 | - | - | - | - | - |
이연법인세 계 | (63,794,796) |
(3) 당분기말 및 전기말 현재 자본에 직접 반영된 이연법인세의 내역은 다음과 같습니다.
(제3(당)기 1분기) | (단위: 원) |
구 분 |
기초금액 | 당기변동 | 기말금액 |
---|---|---|---|
자본잉여금 | |||
전환권대가 | 270,336,394 | - | 270,336,394 |
이연법인세 | (56,500,306) | - | (56,500,306) |
합계 | 213,836,088 | - | 213,836,088 |
(제2(전)기) | (단위: 원) |
구 분 |
기초금액 | 당기변동 | 기말금액 |
---|---|---|---|
자본잉여금 | |||
전환권대가 | - | 270,336,394 | 270,336,394 |
이연법인세 | - | (56,500,306) | (56,500,306) |
합계 | - | 213,836,088 | 213,836,088 |
16. 주당순이익(1) 기본주당순이익당분기와 전분기 중 당사의 기본주당순손익 산출내역은 다음과 같습니다.
(단위: 원) |
구 분 |
제3(당)기 1분기 | 제2(전)기 1분기 |
---|---|---|
당기순이익 | 45,888,812 | 53,185,521 |
가중평균유통보통주식수 | 5,220,000주 | 5,220,000주 |
기본주당순이익 | 8.79 | 10.19 |
(2) 가중평균유통보통주식수당분기 및 전분기 중 유통보통주식수의 변동이 없었으므로, 당분기 및 전분기의 유통보통주식수는 발행주식수와 같습니다.
(3) 희석주당순이익
(단위: 원) |
구 분 | 제3(당)기 1분기 | 제2(전)기 1분기 |
---|---|---|
1) 희석보통주당기순이익 | ||
당기순이익 | 45,888,812 | 53,185,521 |
조정금액 | ||
전환사채 이자비용 | 13,031,842 | 12,613,179 |
희석보통주당기순이익 | 58,920,654 | 65,798,700 |
2) 희석가중평균유통보통주식수 | ||
가중평균유통보통주식수 | 5,220,000주 | 5,220,000주 |
잠재적보통주식수(전환사채) | 1,380,000주 | 1,380,000주 |
희석가중평균유통보통주식수 | 6,600,000주 | 6,600,000주 |
3) 희석주당순이익 | 8.79 | 9.97 |
17. 특수관계자(1) 당분기말 현재 당사의 특수관계자의 내역은 다음과 같습니다.
특수관계자 구분 |
특수관계자 명칭 |
---|---|
지배기업 |
(주)이안플래닛 |
기타특수관계자 | 브로드하이자산운용(주) |
기타특수관계자 | (주)상상인증권 |
(2) 당분기와 전분기 중 특수관계자와의 중요한 영업상의 거래내용은 다음과 같습니다.
(단위: 원) |
구 분 |
제3(당)기 1분기 | 제2(전)기 1분기 |
---|---|---|
이자비용 | ||
(주)상상인증권 | 6,515,921 | 6,306,590 |
브로드하이자산운용(주) | 6,515,921 | 6,306,590 |
합계 | 13,031,842 | 12,613,179 |
(3) 당분기말 및 전분기말 현재 특수관계자에 대한 채무 내역은 다음과 같습니다.
(단위: 원) |
특수관계자 |
제3(당)기 1분기 | 제2(전)기 1분기 |
---|---|---|
전환사채(*주) | 전환사채(*주) | |
㈜상상인증권 | 690,000,000 | 690,000,000 |
브로드하이자산운용㈜ | 690,000,000 | 690,000,000 |
합계 | 1,380,000,000 | 1,380,000,000 |
(*주) 상기금액은 발행가액 기준입니다.
18. 위험관리당사는 금융상품과 관련하여 신용위험, 유동성위험, 자본위험 및 시장위험에 노출되어 있습니다. 당사의 위험관리 정책은 당사의 재무적 성과에 영향을 미치는 잠재적 위험을 식별하여 당사가 허용가능한 수준으로 감소, 제거 및 회피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하고 있습니다. 당사의 위험관리 체계를 구축하고 감독할 책임은 이사회에 있으며, 당사의 이사회는 위험에 대한 당사의 노출정도와 발생 형태를 분석하고, 위험관리정책 및 절차를 수립하며, 위험관리의 효과성에 대한 사후평가를 수행하고 있습니다. 당사의 위험관리 정책 및 절차는 시장상황 및 사업활동의 변동을 반영하기 위하여 정기적으로 검토되고 있습니다.(1) 신용위험신용위험이란 고객이나 거래상대방이 금융상품에 대한 계약상의 의무를 이행하지 않아 당사가 재무손실을 입을 위험을 의미하며 주로 투자자산에서 발생합니다.① 투자자산당사는 제1금융권의 금융상품에 투자를 함으로써 신용위험에의 노출을 제한하고 있으며, 높은 신용등급을 가진 회사는 채무불이행을 하지 않을 것으로 경영진은 예상하고 있습니다.② 신용위험에 대한 노출금융자산의 장부금액은 신용위험에 대한 최대노출정도를 나타냅니다. 당기말 현재당사의 신용위험에 대한 최대 노출정도는 다음과 같습니다.
(단위: 원) |
구 분 |
제3(당)기 1분기 | 제2(전)기 |
---|---|---|
현금및현금성자산 | 390,528,023 | 401,875,255 |
단기금융상품 | 1,527,016,327 | 1,527,016,327 |
미수수익 | 218,947,759 | 130,234,336 |
기타유동자산 | 6,792,578 | 6,777,258 |
장기금융상품 | 9,282,928,664 | 9,282,928,664 |
합계 | 11,426,213,351 | 11,348,831,840 |
(2) 유동성위험당사는 금융부채와 관련된 약정을 이행하지 못할 유동성 위험에 노출되어 있습니다. 유동성위험관리를 위하여 당사는 영업, 투자 및 재무 관련 장단기 현금흐름을 예측하고 이에 따른 대응방안을 수립하고 있습니다. 예측하지 못한 유동성 위험과 관련하여당사는 적정 규모의 현금및현금성자산과 금융기관예치금을 보유하고 있습니다.당분기말 현재 금융부채의 잔존계약 만기분석은 다음과 같습니다.
<제3(당)기 1분기> | (단위: 원) |
구 분 | 장부금액 | 계약상현금흐름 | 6개월 이내 | 6개월~1년 이하 | 1년~2년 이하 | 2년~5년 이하 |
---|---|---|---|---|---|---|
미지급금 | - | - | - | - | - | - |
전환사채 | 1,218,027,916 | 1,380,000,000 | - | - | - | 1,380,000,000 |
(3) 자본위험당사의 자본위험관리는 건전한 자본구조의 유지를 통한 주주이익 극대화를 목적으로하고 있습니다. 당사는 시장상황 및 사업활동의 변동을 반영하여 부채비율의 적정성을 주기적으로 검토하고 필요한 경우 재무구조를 개선하여 최적 자본구조를 유지하고 있습니다.당분기말 및 전기말 현재 당사가 자본으로 관리하고 있는 항목의 내역은 다음과 같습니다.
(단위: 원) |
구 분 |
제3(당)기 1분기 | 제2(전)기 |
---|---|---|
차입금 총계(A) | 1,218,027,916 | 1,204,996,074 |
현금및현금성자산 및 유동성 금융기관예치금(B) | 1,917,544,350 | 1,928,891,582 |
순 차입금(C=A-B) | (699,516,434) | (723,895,508) |
자본 총계(D) | 10,125,929,782 | 10,080,040,970 |
순차입금비율(E=C/D)(*) | - | - |
(*) 순 차입금비율은 음(-)의 값을 가지므로 생략하였습니다.(4) 시장위험: 이자율위험이자율위험은 미래의 시장이자율 변동에 따라 예금 또는 차입금 등에서 발생하는 이자수익 및 이자비용이 변동될 위험으로 이는 주로 변동금리부 조건의 예금과 차입금에서 발생하고 있습니다. 회사의 이자율위험관리의 목표는 이자율변동으로 인한 불확실성과 순이자비용의 최소화를 추구함으로써 기업의 가치를 극대화하는데 있습니다.
19. 약정사항당사는 자본시장과금융투자업에관한법률(이하 "자본시장법") 시행령 등 관계법규에 따라 최초 주권모집에 따른 주금납입일로부터 90일 이내에 당사가 발행한 주권이 유가증권시장 또는 코스닥시장에 상장되지 아니한 경우, 최초 주권모집에 따른 주금납입일로부터 3년 이내에 합병대상법인과 합병등기를 완료하지 못한 경우, 합병대상법인과의 합병등기를 완료하기 전에 자본시장법 제390조의 증권상장규정에 따라 당사가 상장폐지되는 경우에는 해산하고 예치자금 등을 투자자에게 지급하여야 합니다. 또한, 최초 주권모집 이후 자금차입, 타인을 위한 채무보증 및 담보제공채무증권의 발행, 기타 기업인수목적회사에 대하여 금지되는 재무활동을 수행할 수 없습니다.당사는 최초 주권모집에 따른 주권발행금액의 100분의 90이상에 해당하는 금액을 주권의 주금납입일 다음 영업일까지 증권금융회사에 예치 또는 신탁하여야 하며, 동 예치 또는 신탁한 금전은 당사의 사업목적에 따른 합병대상법인과의 합병등기가 완료되기 전에 인출하거나 담보로 제공할 수 없습니다. 설립시점 현재 당사는 최초모집을 실시하지 아니하였으므로 별도 예치할 금액은 없습니다.당사의 사업목적에 따른 합병대상법인과의 합병시 합병대상법인의 기업가치(자본시장법 시행령에 따라 산출된 합병가액 또는 합병당시 최근 사업연도말 현재 재무상태표상 자산총액)는 당사가 예치한 금액의 100분의 80이상이어야 하고 당사 설립시 주주 및 경영진과 이해관계가 있는 법인은 합병대상법인이 될 수 없는 등의 제한이 있습니다.
당사는 보고서 제출일 현재 해당사항이 없습니다.
[지분증권의 발행 등과 관련된 사항] |
가. 증자(감자)현황
(기준일 : 2025년 03월 31일 |
(단위 : 원, 주 ) |
주식발행(감소)일자 |
발행(감소)형태 |
발행(감소)한 주식의 내용 |
||||
---|---|---|---|---|---|---|
종류 |
수량 |
주 당 액면가액 |
주 당 발행(감소)가액 |
비고 |
||
2023. 01.31 |
유상증자 |
보통주 |
720,000 |
100 |
1,000 |
설립자본금 |
2023.09.08 | 유상증자(일반공모) | 보통주 | 4,500,000 | 100 | 2,000 | 코스닥시장 상장 |
나. 미상환 전환사채 발행 현황
(기준일 : | ) |
종류\구분 | 회차 | 발행일 | 만기일 | 권면(전자등록)총액 | 전환대상주식의 종류 | 전환청구가능기간 | 전환조건 | 미상환사채 | 비고 | ||
---|---|---|---|---|---|---|---|---|---|---|---|
전환비율(%) | 전환가액 | 권면(전자등록)총액 | 전환가능주식수 | ||||||||
합 계 | - | - | - | - |
당사는 2023년 02월 10일 전환사채 13.8억원을 발행하였으며, 전환사채 발행과 관련된 자세한 사항은 다음과 같습니다.
[전환사채 발행 상세내역]
[전환사채 발행내역] |
구 분 |
제1회 무보증 사모 전환사채 |
발 행 일 자 |
2023년 02월 10일 |
만 기 일 자 |
2028년 02월 10일 |
권 면 총 액 |
금 십삼억팔천만원정(1,380,000,000원) |
만기보장수익율 |
0% |
전환사채 배정방법 |
사모 |
전환청구기간 |
발행 후 1개월이 경과하는 날로부터 그 상환기일의 직전일까지 |
전환비율 및 가액 |
100%, 1,000원(액면가 100원 기준) |
전환대상주식의 종류 |
기명식 보통주 |
전환사채별 주요 보유자 |
㈜상상인증권 690백만원 (50.00%), 브로드하이자산운용㈜ 690백만원 (50.00%) |
전환주식수 및 전환기간 |
1,380,000주(발행 후 1개월이 경과하는 날로부터 그 상환기일의 직전일) |
비 고 |
* 인수인 : (주)상상인증권, 브로드하이자산운용㈜ * 전환가격의 조정 가. 사채권자의 전환청구 전에 “갑”이 시가(상장법인의 경우에는 ‘증권의 발행 및 공시 등에 관한 규정’ 제5-18조에서 정하는 기준주가를 말하고, 비상장법인으로서 주식공모를 한 경우에는 그 공모가 가액으로 하되 공모를 하지 않았을 경우에는 당해 조정사유 발생일 직전의 위 사채의 전환가격을 시가로 한다. 이하 같다)를 하회하는 전환가격, 행사가격 혹은 발행가액으로 전환사채 혹은 신주인수권부사채를 발행하거나 유상증자 또는 무상증자, 주식배당, 준비금의 자본전입을 함으로써 “갑”이 신주를 발행하는 경우 아래와 같이 전환가격을 조정한다. 유ㆍ무상증자를 병행 실시하는 경우, 유상증자의 1주당 발행가격이 시가를 상회하는 때에는 유상증자에 의한 신발행주식수는 전환가격 조정에 적용하지 아니하고, 무상증자에 의한 신발행주식수만 적용한다. - 아 래 - 조정후 전환가격 = 조정전 전환가격 * {기발행주식수 + (신발행주식수 * 1주당발행가액 / 시가)} / (기발행주식수 + 신발행주식수)
다만, 위 산식 중 “기발행주식수”는 당해 조정사유가 발생하기 직전일 현재의 발행주식 총수로 하며, 전환사채 또는 신주인수권부사채를 발행할 경우 “신발행주식수”는 당해 사채 발행시 전환가액으로 전부 주식으로 전환되거나 당해 사채 발행시 행사가액으로 신주인수권이 전부 행사될 경우 발행될 주식의 수로 한다. 또한, 위 산식 중 “1주당 발행가액”은 무상증자, 주식배당 및 준비금의 자본전입의 경우에는 영(0)으로 하고, 전환사채 또는 신주인수권부사채를 발행할 경우에는 당해 사채발행시 전환가격 또는 행사가격으로 하며, 위의 산식에 의한 조정 후 전환가격의 원단위 미만은 절사한다.
나. 합병, 자본의 감소, 주식분할 및 병합 등에 의하여 전환가격의 조정이 필요한 경우에는 당해 합병, 자본의 감소, 주식분할 및 병합 등의 직전에 전환청구가 이루어져 전액 주식으로 인수되었더라면 사채권자가 가질 수 있었던 주식수를 산출할 수 있는 가액 또는 그 주식수 이상을 가질 수 있도록 하는 가액으로 전환가격을 조정한다. 본호에 따른 전환가격의 조정일은 합병, 자본의 감소, 주식분할 및 병합의 기준일로 한다.
다. 조정된 전환가격이 “갑”의 보통주의 액면가 이하일 경우에는 액면가를 전환가격으로 한다.
라. 본항에 의한 조정 후 전환가격의 원단위 미만은 절사한다. |
상기 전환사채 인수자인 (주)상상인증권과, 브로드하이자산운용(주)는 전환사채의 미전환확약서를 통해서 상상인제4호기업인수목적 주식회사가 코스닥시장을 위한 상장예비심사신청서 제출일부터 신규상장일까지 기명식 보통주식으로 전환청구를 하지 않을 것을 확약하는 전환사채 미전환 확약서를 한국거래소에 제출하였습니다. 또한 주주간계약서를 통해서 당사 및 합병대상기업의 합병 후 합병신주상장일로부터 6개월이 경과하기 전까지는 양도하거나 처분하지 않기로 하였습니다.(단, 증권의 발행 및 공시 등에 관한 규정 제5-13조 제4항에 따른 합병가치 산출시에는 투자매매업자인 상상인증권이 소유한 공모전 발행 주식 등은 합병기일 이후 1년이 경과하기 전까지는 양도하거나 처분하지 않기로 하였습니다.)
주주간계약서 제 3 조 (주식 등의 계속보유의무) |
발기주주들은 본 계약 체결 당시 SPAC의 최초 주권 모집 이전에 각 발기주주들이 인수한 SPAC 발행의 주식 및 전환사채를 한국거래소가 불가피하다고 인정하는 경우 이외에는 그 인수일부터 합병대상법인과의 합병에 따른 추가상장일 이후 6개월(자본시장법 시행령 제176조의5 제3항에 따라 합병가액을 산정하고자 하는 경우 “상상인증권”은 합병기일로부터 1년)이 되는 날까지의 기간 동안 한국예탁결제원에 보관하여야 하며, 동 보관기간 중 한국거래소가 필요하다고 인정하는 경우 이외에는 동 주식 및/또는 전환사채를 인출하거나 양도할 수 없다. |
당사 설립 후 주권의 최초 모집 이전에 주식 등(전환사채 포함)을 취득한 주주는 다른 법인과의 합병을 위하여 개최하는 주주총회에서「상법」제522조에 따른 의결권을 행사하지 아니하거나, 이를 예탁결제원에 위임하여 해당 주주총회에 참석한 주식수(서면투표 주식수를 포함한다)에서 본 약정 당사자가 보유하는 주식수를 뺀 주식수의 의결내용에 영향을 미치지 아니하도록 찬성 및 반대(기권 및 무효를 포함한다)의 비율에 따라 의결권을 행사하여야 하며, 「상법」제522조의3에 따른 합병반대주주가 가지는 주식매수청구권은 행사가 불가능합니다.
주주간계약서 제 4조 (합병에 관한 의결권 행사금지 등) |
4.1 발기주주들은 SPAC과 합병대상법인간의 합병을 위한 주주총회에서 합병승인의 건에 대하여 의결권을 행사하지 아니하거나, 자본시장법 등 관련 법령이 허용하는 한도 내에서 의결권을 한국예탁결제원에 위임하여 해당 주주총회에 참석한 주식수(서면투표 주식수를 포함한다)에서 발기주주들이 보유하는 주식수를 뺀 주식수의 의결내용에 영향을 미치지 아니하도록 찬성 및 반대(기권 및 무효를 포함한다)의 비율에 따라 의결권을 행사하도록 하여야 한다. 4.2 발기주주들은 SPAC과 합병대상법인간의 합병과 관련하여 상법 제522조의3에 따른 주식매수청구권을 행사할 수 없다. 전문은 발기주주들이 SPAC의 설립시 인수한 주식뿐만 아니라 SPAC의 설립 후에 추가로 취득하게 되는 일체의 주식(공모에 참여하여 취득하는 주식 및 전환사채를 전환하여 취득하게 된 주식 포함)에 대해서도 동일하게 적용된다. |
또한, 본 전환사채는 사모발행으로서 전매제한조치(청약권유대상자가 50명 미만일 경우 모집의 개념에 해당되지 않으나, 발행 후 1년 이내에 50인 이상의 자에게 양도될 수 있는 경우는 전매가능성이 있는것으로 보아 모집에 해당되므로, 사모발행의 경우에는 전매제한조치를 필요로 함)과 권면분할금지(권면의 매수를 50매 미만으로 하고 발행 후 1년간 권면분할을 금지한다는 특약을 증권의 권면에 기재하면 전매가능성이 없는 것으로 인정)을 준수하였습니다.- 전매제한조치 및 권면분할금지 준수 : "본 사채권은 무기명식에 한하며, 발행 후 1년간 분할 및 병합이 불가능하고, 1년 이내에 50인 이상의 자에게 전매될 수 없다."
증권의 발행 및 공시등에 관한 규정 제2-2조(증권의 모집으로 보는 전매기준) |
① 영 제11조제3항에서 “금융위원회가 정하여 고시하는 전매기준에 해당하는 경우”란 다음 각 호의 어느 하나에 해당하는 경우를 말한다.1. 지분증권(지분증권과 관련된 증권예탁증권을 포함한다. 이하 이 조 및 제2-3조제2항에서 같다)의 경우에는 같은 종류의 증권이 모집 또는 매출된 실적이 있거나 증권시장(제2-2조의3제1항에 따른 코넥스시장을 제외한다)에 상장된 경우. 이 경우 분할 또는 분할합병(「상법」 제530조의12에 따른 물적분할의 경우를 제외한다)으로 인하여 설립된 회사가 발행하는 증권은 분할되는 회사가 발행한 증권과 같은 종류의 증권으로 본다.2. 지분증권이 아닌 경우(법 제4조제3항에 따른 기업어음증권은 제외한다)에는 50매 이상으로 발행되거나 발행 후 50매 이상으로 권면분할되어 거래될 수 있는 경우. 다만, 등록(「공사채 등록법」및「전자단기사채등의 발행 및 유통에 관한 법률」에 따른 등록을 말한다.)발행의 경우에는 매수가 아닌 거래단위를 기준으로 적용한다.3. 전환권, 신주인수권 등 증권에 부여된 권리의 목적이 되는 증권이 제1호 또는 제2호에 해당되는 경우(4,5,6호 생략)② 제1항에도 불구하고 증권을 발행함에 있어 다음 각 호의 어느 하나에 해당하는 경우에는 제1항에 따른 전매기준에 해당되지 않는 것으로 본다.1. 증권을 발행한 후 지체없이 한국예탁결제원(이하 “예탁결제원”이라 한다)에 예탁(공사채등록법에 따른 등록을 포함한다. 이하 이 장에서 같다)하고 그 예탁일부터 1년간 해당 증권(증권에 부여된 권리의 행사로 취득하는 증권을 포함한다)을 인출하거나 매각(매매의 예약 등을 통해 사실상 매각이 이루어지는 경우를 포함한다. 이하 제9호에서 같다)하지 않기로 하는 내용의 예탁계약을 예탁결제원과 체결한 후 그 예탁계약을 이행하는 경우 또는 「금융산업의 구조개선에 관한 법률」(이하 “금산법”이라 한다) 제12조제1항에 따라 정부 또는 예금보험공사가 부실금융기관에 출자하여 취득하는 지분증권에 대하여 취득일부터 1년 이내에 50인 이상의 자에게 전매되지 않도록 필요한 조치를 취하는 경우2. 제1항제2호 중 50매 미만으로 발행되는 경우에는 증권의 권면에 발행 후 1년 이내 분할금지특약을 기재하는 경우. 다만, 등록(「공사채 등록법」및「전자단기사채등의 발행 및 유통에 관한 법률」에 따른 등록을 말한다.)발행의 경우에는 거래단위를 50단위 미만으로 발행하되 발행 후 1년이내에는 최초 증권 발행시의 거래단위 이상으로 분할되지 않도록 조치를 취하는 경우를 말한다.3. 제1항제3호에 해당되는 경우에는 권리행사금지기간을 발행 후 1년 이상으로 정하는 경우(이하 생략) |
다. 미상환 신주인수권부사채 등 발행 현황당사는 분기보고서 제출일 현재 해당사항 없습니다.
라. 미상환 전환형 조건부자본증권 등 발행 현황당사는 분기보고서 제출일 현재 해당사항 없습니다.
[채무증권의 발행 등과 관련된 사항] |
가. 채무증권 발행실적
(기준일 : | ) |
발행회사 | 증권종류 | 발행방법 | 발행일자 | 권면(전자등록)총액 | 이자율 | 평가등급(평가기관) | 만기일 | 상환여부 | 주관회사 |
---|---|---|---|---|---|---|---|---|---|
합 계 | - | - | - | - |
나. 기업어음증권 미상환 잔액
(기준일 : | ) |
잔여만기 | 10일 이하 | 10일초과30일이하 | 30일초과90일이하 | 90일초과180일이하 | 180일초과1년이하 | 1년초과2년이하 | 2년초과3년이하 | 3년 초과 | 합 계 | |
---|---|---|---|---|---|---|---|---|---|---|
미상환 잔액 | 공모 | |||||||||
사모 | ||||||||||
합계 |
다. 단기사채 미상환 잔액
(기준일 : | ) |
잔여만기 | 10일 이하 | 10일초과30일이하 | 30일초과90일이하 | 90일초과180일이하 | 180일초과1년이하 | 합 계 | 발행 한도 | 잔여 한도 | |
---|---|---|---|---|---|---|---|---|---|
미상환 잔액 | 공모 | ||||||||
사모 | |||||||||
합계 |
라. 회사채 미상환 잔액
(기준일 : | ) |
잔여만기 | 1년 이하 | 1년초과2년이하 | 2년초과3년이하 | 3년초과4년이하 | 4년초과5년이하 | 5년초과10년이하 | 10년초과 | 합 계 | |
---|---|---|---|---|---|---|---|---|---|
미상환 잔액 | 공모 | ||||||||
사모 | |||||||||
합계 |
마. 신종자본증권 미상환 잔액
(기준일 : | ) |
잔여만기 | 1년 이하 | 1년초과5년이하 | 5년초과10년이하 | 10년초과15년이하 | 15년초과20년이하 | 20년초과30년이하 | 30년초과 | 합 계 | |
---|---|---|---|---|---|---|---|---|---|
미상환 잔액 | 공모 | ||||||||
사모 | |||||||||
합계 |
바. 조건부자본증권 미상환 잔액
(기준일 : | ) |
잔여만기 | 1년 이하 | 1년초과2년이하 | 2년초과3년이하 | 3년초과4년이하 | 4년초과5년이하 | 5년초과10년이하 | 10년초과20년이하 | 20년초과30년이하 | 30년초과 | 합 계 | |
---|---|---|---|---|---|---|---|---|---|---|---|
미상환 잔액 | 공모 | ||||||||||
사모 | |||||||||||
합계 |
가. 공모자금의 사용내역
(기준일 : | ) |
구 분 | 회차 | 납입일 | 증권신고서 등의 자금사용 계획 | 실제 자금사용 내역 | 차이발생 사유 등 | ||
---|---|---|---|---|---|---|---|
사용용도 | 조달금액 | 내용 | 금액 | ||||
나. 사모자금의 사용내역
(기준일 : | ) |
구 분 | 회차 | 납입일 | 주요사항보고서의 자금사용 계획 | 실제 자금사용 내역 | 차이발생 사유 등 | ||
---|---|---|---|---|---|---|---|
사용용도 | 조달금액 | 내용 | 금액 | ||||
가. 재무제표 재작성 등 유의사항 보고서 제출일 현재 해당사항 없습니다. 나. 대손충당금 설정현황 보고서 제출일 현재 해당사항 없습니다. 다. 재고자산 현황 등 보고서 제출일 현재 해당사항 없습니다.
라. 진행률적용 수주계약 현황당사는 기업인수목적회사로 해당사항이 없습니다.
마. 공정가치평가 내역보고서 제출일 현재 해당사항 없습니다
바. 차입, 채무보증 및 채권발행제한 등 재무규제에 관한 사항당사는 정관에 의거 타인으로부터 자금을 차입할 수 없으며, 타인의 채무를 보증하거나 담보제공행위를 할 수 없습니다. 또한 상장 이후 채무증권을 발행할 수 없습니다.
정관 제61조(차입 및 채무증권 발행금지) ① 회사는 타인으로부터 자금을 차입할 수 없으며, 타인의 채무를 보증하거나 담보제공 행위를 할 수 없다. ② 회사는 채무증권을 발행할 수 없다. 다만, 주권의 거래소(유가증권시장 혹은 코스닥시장) 상장을 위하여 주권을 최초로 모집하기 전에는 상법 제513조에 따른 전환사채를 발행할 수 있다. |
사. 비용지출 관련 한도에 대한 사항당사는 주주간 계약에 따라 공모전 주주의 투자금액만 비용으로 사용할 예정이며, 회사의 합병과 관련된 비용 및 수수료를 별도로 구분하여 사용한도를 설정하였습니다. 동 한도를 초과하여 사용하게 될 경우에는 이사회의 승인 및 발기주주들의 사전동의를 받도록 되어 있습니다. 아. 비용지출이 예치자금 등에 미치는 영향당사는 공모금액의 100%를 신탁업자(KB국민은행)에 신탁하였으며, 공모전 주주의 투자금액 중 일부를 합병관련 비용으로 사용할 예정입니다. 따라서 상기 비용 지출이 신탁자금에 미치는 영향은 없습니다.
기업공시서식 작성기준에 따라 분기보고서의 경우에는 작성하지 아니합니다.
1. 회계감사인의 명칭 및 감사의견
사업연도 | 구분 | 감사인 | 감사의견 | 의견변형사유 | 계속기업 관련중요한 불확실성 | 강조사항 | 핵심감사사항 |
---|---|---|---|---|---|---|---|
감사보고서 | |||||||
연결감사보고서 | |||||||
감사보고서 | |||||||
연결감사보고서 | |||||||
감사보고서 | |||||||
연결감사보고서 |
2. 감사용역 체결현황
(단위 : 백만원, 시간) |
사업연도 | 감사인 | 내 용 | 감사계약내역 | 실제수행내역 | ||
---|---|---|---|---|---|---|
보수 | 시간 | 보수 | 시간 | |||
3. 회계감사인과의 비감사용역 계약체결 현황
사업연도 | 계약체결일 | 용역내용 | 용역수행기간 | 용역보수 | 비고 |
---|---|---|---|---|---|
당사는 내부회계관리제도를 운영하고 있습니다. 경영자의 내부회계관리제도 운영실태 평가보고서에 대한 검토 결과, 상기 경영자의 운영실태 보고내용이 중요성의 관점에서 내부회계관리제도 모범규준의 규정에 따라 작성되지 않았다고 판단하게 하는 점이 발견되지 아니하였습니다.
가. 이사회의 구성에 관한 사항(1) 이사회의 권한 내용당사의 이사회는 이사로 구성되고 상법 또는 정관에 정하여진 사항, 주주총회로부터 위임 받은 사항, 회사경영의 기본방침 및 업무집행에 관한 중요사항을 의결하며 이사 및 경영진의 직무집행을 감독하고 있습니다.당사는 보고서 제출일 현재 대표이사 1인과 기타비상무이사 1인 및 사외이사 1인으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이사회는 법령 또는 정관에 정하여진 사항, 주주총회로부터 위임 받는 사항, 회사경영의 기본방침 및 업무집행에 관한 중요사항을 의결하고 있으며, 합리적인 의사결정 및 경영의 투명성 확보를 위한 제도적 장치를 확보하고 있습니다.이사의 주요 이력 및 업무분장은 『Ⅶ. 임원 및 직원 등에 관한 사항』"1. 임원 및 직원의 현황" 중 '가. 임원의 현황'을 참고하시기 바랍니다.
(2) 이사후보의 인적사항에 관한 주총전 공시여부 및 주주의 추천여부정관의 규정에 따라 주주총회 소집은 일시, 장소 및 회의의 목적사항을 총회의 2주간 전에 주주에게 서면 또는 전자문서로 통지하고 있으며, 회의 목적사항이 이사의 선임에 관한 사항일 경우에는 이사후보자의 성명, 약력, 추천인 등 법령이 정하는 후보자에 관한 사항을 통지하고 있습니다.
[정관 상 주주총회 소집에 관한 사항] |
구 분 |
내 용 |
비 고 |
---|---|---|
제19조 (소집권자) |
① 주주총회는 법령에 다른 규정이 있는 경우를 제외하고 이사회의 결의에 따라 대표이사가 소집한다. ② 대표이사의 유고시에는 제35조 제2항의 규정을 준용한다. |
- |
제20조 (소집통지 및 공고) |
① 주주총회를 소집할 때에는 주주총회일의 2주전에 각 주주에게 서면으로 통지(회사는 위 소집통지서에 주주가 서면으로 의결권을 행사하는데 필요한 서면과 참고자료를 첨부하여야 함)를 발송하거나 각 주주의 동의를 받아 전자문서로 통지를 발송하여야 한다. 다만, 그 통지가 주주명부상 주주의 주소에 계속 3년간 도달하지 아니한 경우에는 회사는 해당 주주에게 총회의 소집을 통지하지 아니할 수 있다. ② 의결권있는 발행주식총수의 100분의 1 이하의 주식을 소유한 주주에 대하여는 회의일 2주 전에 주주총회를 소집한다는 뜻과 회의의 목적사항을 서울시에서 발행하는 매일경제신문과 한국경제신문에 각각 2회 이상 공고하거나 금융감독원 또는 한국거래소가 운용하는 전자공시 시스템에 공고함으로써 제1항의 규정에 의한 통지에 갈음할 수 있다. ③ 회사가 제1항의 규정에 의한 소집통지 또는 제2항의 규정에 의한 공고를 함에 있어 회의의 목적사항이 이사 또는 감사의 선임에 관한 사항인 경우에는 이사후보자의 또는 감사후보자의 성명, 약력, 추천인 그밖에 상법 시행령 제31조 제3항이 정하는 후보자에 관한 사항(후보자와 최대주주와의 관계, 후보자와 해당회사와의 최근 3년간의 거래내역)을 통지 또는 공고하여야 한다. ④ 회사가 제1항과 제2항에 따라 주주총회의 소집통지 또는 공고를 하는 경우에는 상법 제542조의4 제3항이 규정하는 사항을 통지 또는 공고하여야 한다. 다만, 그 사항을 회사의 인터넷 홈페이지에 게재하고, 회사의 본점, 명의개서대행회사, 금융위원회, 한국거래소에 비치하는 경우에는 그러하지 아니하다. |
- |
(3) 사외이사후보추천위원회 설치 및 구성 현황당사는 사외이사 후보추천위원회를 설치하고 있지 않습니다. (4) 사외이사 현황당사는 경영의 투명성 확립을 위해 1명의 사외이사를 선임하고 있습니다.
성명 |
주요경력 |
최대주주등과의 이해관계 |
결격요건 여부 |
비고 |
---|---|---|---|---|
정태홍 |
성균관대학교 경영학과
한미회계법인 컨설팅 (2020.01 ~ 현재) 더존그룹 연결구축 및 컨설팅 (2009.04. ~ 2019.12.) 삼일회계법인 (2001. ~ 2008.03) |
이해관계 없음 |
결격요건 없음 |
- |
(주1) 당사의 사외이사 정태홍은 상법 제382조제3항 내지 동법 제542조의8제2항에서 정의하는 사외이사의 결격요건에 해당하지 않습니다.
[사외이사의 결격요건 검토 Check-List] |
구 분 |
해당여부 |
비고 |
---|---|---|
정태홍 |
||
상법 제382조제3항 각호 |
||
1. 회사의 상무에 종사하는 이사·집행임원 및 피용자 또는 최근 2년 이내에 회사의 상무에 종사한 이사·감사·집행임원 및 피용자 |
X |
- |
2. 최대주주가 자연인인 경우 본인과 그 배우자 및 직계 존속·비속 |
X |
- |
3. 최대주주가 법인인 경우 그 법인의 이사·감사·집행임원 및 피용자 |
X |
- |
4. 이사·감사·집행임원의 배우자 및 직계 존속·비속 |
X |
- |
5. 회사의 모회사 또는 자회사의 이사·감사·집행임원 및 피용자 |
X |
- |
6. 회사와 거래관계 등 중요한 이해관계에 있는 법인의 이사·감사·집행임원 및 피용자 |
X |
- |
7. 회사의 이사·집행임원 및 피용자가 이사·집행임원으로 있는 다른 회사의 이사·감사·집행임원 및 피용자 |
X |
- |
상법 제542조의8제2항 각호 |
||
1. 미성년자, 피성년후견인 또는 피한정후견인 |
X |
- |
2. 파산선고를 받고 복권되지 아니한 자 |
X |
- |
3. 금고 이상의 형을 선고받고 그 집행이 끝나거나 집행이 면제된 후 2년이 지나지 아니한 자 |
X |
- |
4. 대통령령으로 별도로 정하는 법률을 위반하여 해임되거나 면직된 후 2년이 지나지 아니한 자 |
X |
- |
5. 상장회사의 주주로서 의결권 없는 주식을 제외한 발행주식총수를 기준으로 본인 및 그와 대통령령으로 정하는 특수한 관계에 있는 자(이하 "특수관계인"이라 한다)가 소유하는 주식의 수가 가장 많은 경우 그 본인(이하 "최대주주"라 한다) 및 그의 특수관계인 |
X |
- |
6. 누구의 명의로 하든지 자기의 계산으로 의결권 없는 주식을 제외한 발행주식총수의 100분의 10 이상의 주식을 소유하거나 이사·집행임원·감사의 선임과 해임 등 상장회사의 주요 경영사항에 대하여 사실상의 영향력을 행사하는 주주(이하 "주요주주"라 한다) 및 그의 배우자와 직계 존속비속 |
X |
- |
7. 그 밖에 사외이사로서의 직무를 충실하게 수행하기 곤란하거나 상장회사의 경영에 영향을 미칠 수 있는 자로서 대통령령으로 정하는 자 |
X |
- |
(5) 이사의 손해배상책임보험 가입여부당사는 보고서 제출일 현재 이사의 손해배상책임보험에 가입하고 있지 않습니다.
나. 이사회의 운영에 관한 사항
(1) 이사회 운영규정의 주요내용
구 분 |
내 용 |
---|---|
권한사항 |
제3조(권한) ① 이사회는 법령 또는 정관에 정하여진 사항, 주주총회로부터 위임 받은 사항, 회사경영의 기본방침 및 업무집행에 관한 중요사항을 의결한다. ② 이사회는 이사의 직무의 집행을 감독한다. |
운영절차 |
제6조(종류) ① 이사회는 정기이사회와 임시이사회로 한다. ② 정기이사회는 분기별로 나누어 연 4회 의장이 일시와 장소를 지정하여 개최한다. ③ 임시이사회는 필요에 따라 수시로 개최한다. 제8조(소집절차) ① 이사회를 소집함에는 회일을 정하고 그 3일 전에 각 이사 및 감사에 대하여 통지를 발송하여야 한다. ② 이사회는 이사 및 감사 전원의 동의가 있는 때에는 제1항의 절차 없이 언제든지 회의를 열수 있다. 제9조(결의방법) ① 이사회의 결의는 이사 과반수의 출석과 출석이사 과반수로 한다. ② 이사회는 이사의 전부 또는 일부가 직접 회의에 출석하지 아니하고 모든 이사가 동영상 및 음성을 동시에 송?수신하는 통신수단에 의하여 결의에 참가하는 것을 허용할 수 있으며, 이 경우 당해 이사는 이사회에 직접 출석한 것으로 본다. ③ 이사회의 결의에 관하여 특별한 이해관계가 있는 이사는 의결권을 행사하지 못한다. ④ 제3항의 규정에 의하여 의결권을 행사할 수 없는 이사의 수는 출석한 이사의 수에 산입하지 아니한다. |
권한 위임사항 |
제5조(의장) ① 이사회의 의장은 대표이사 사장으로 한다. ② 대표이사 사장이 사고로 인하여 의장의 직무를 행할 수 없을 때에는 이사가 그 직무를 대행한다. 제7조(소집권자) ① 이사회는 대표이사 사장이 소집한다. 그러나 대표이사 사장이 사고로 인하여 직무를 행할 수 없을 때에는 제5조 제2항에 정한 순으로 그 직무를 대행한다. ② 각 이사는 대표이사 사장에게 의안과 그 사유를 밝히어 이사회 소집을 청구할 수 있다. 대표이사 사장이 정당한 사유 없이 이사회 소집을 하지 아니하는 경우에는 이사회 소집을 청구한 이사가 이사회를 소집할 수 있다. |
(2) 이사회의 주요활동내역
회 차 |
개최일자 |
의 안 내 용 |
가결여부 |
비고 |
---|---|---|---|---|
2023-1 |
23.01.31. |
1. 대표이사 선임의 건 : 대표이사 박형규 선임 2. 본점 설치장소 결정의 건 : 서울시 영등포구 여의대로 108, 파크원타워 1 본점 설치 3. 명의개서대리인 선임의 건 : 국민은행을 명의개서대리인으로 선임 |
가결
가결
가결 |
이사회 |
2023-2 |
23.02.01 |
1. 이사회 운영규정 제정의 건 : 이사회 운영규정 제정 승인 2. 내부규정 제정의 건 : 사규 관리 규정 등 회사의 내부규정 제정 승인 |
가결
가결 |
이사회 |
2023-3 |
23.02.03 |
1. 이사의 보수 지급 결정의 건 : 이사의 보수 결정 및 승인 2. 감사의 보수 지급 결정의 건 : 감사의 보수 결정 및 승인 |
가결
가결 |
이사회 |
2023-4 |
23.02.06. |
1. 코스닥시장 상장 동의의 건 : 450만주를 상장예정주식수로 하는 코스닥시장 상장 동의 2. IPO 대표주관계약 체결의 건 : 상상인증권을 대표주관회사로 하는 대표주관계약 체결 승인 3. 외부감사계약 체결의 건 : 현대회계법인을 외부감사인으로 하는 계약 체결 승인 4. 기장 및 세무조정 업무 용역 계약 체결의 건 : 성지회계법인과의 기장 및 세무조정 용역계약 체결 승인 5. 내부회계관리자 선임의 건 : 기타비상무이사 장용순을 내부회계관리자에 선임 승인 |
가결
가결
가결
가결
가결
|
이사회 |
2023-5 |
23.02.08. |
1. 제1회 무보증 사모 전환사채 발행의 건 :발행총액 금십삼억팔천만원의 전환사채 발행 결정 |
가결 |
이사회 |
2023-6 |
23.02.13. |
1. 공모자금 예치 계약 체결의 건 : 국민은행을 계약상대방으로 한 공모자금 예치 계약 체결 승인 |
가결 |
이사회 |
2023-7 |
23.03.13 |
1. 코스닥 상장을 위한 예비심사청구서 제출의 건 : 2022년 03월 17일을 제출일로 한 예비심사청구서 제출 승인 |
가결 |
이사회 |
2023-8 |
23.07.26. |
1. 한국거래소 코스닥시장 상장을 위한 신주발행의 건2. 총액인수 및 모집계약 체결 및 증권신고서 제출의 건 |
가결 |
이사회 |
2023-9 | 23.11.13 | 1. 임시주주총회 소집의 건 |
가결 |
이사회 |
2024-1 | 24.02.07 | 1. 결산재무제표 승인의 건 |
가결 |
이사회 |
2024-2 | 24.02.20 | 1. 제1기 정기주주총회 소집 결정의 건 |
가결 |
이사회 |
2025-1 | 25.02.03 | 1. 결산재무제표 승인의 건 |
가결 |
이사회 |
2025-2 | 25.02.10 | 1. 제2기 정기주주총회 소집 결정의 건 |
가결 |
이사회 |
(3) 이사회에서의 사외이사의 주요활동내역
회차 |
개최일자 |
사외이사 참석인원 |
비고 |
---|---|---|---|
2023-1 |
2023.01.31 |
1인(총 1인) |
이사회 |
2023-2 |
2023.02.01 |
1인(총 1인) |
이사회 |
2023-3 |
2023.02.03 |
1인(총 1인) |
이사회 |
2023-4 |
2023.02.06 |
1인(총 1인) |
이사회 |
2023-5 |
2023.02.08 |
1인(총 1인) |
이사회 |
2023-6 |
2023.02.13 |
1인(총 1인) |
이사회 |
2023-7 |
2023.03.13 |
1인(총 1인) |
이사회 |
2023-8 |
2023.07.26 |
1인(총 1인) |
이사회 |
2023-9 | 2023.11.13 |
1인(총 1인) |
이사회 |
2024-1 | 2024.02.07 |
1인(총 1인) |
이사회 |
2024-2 | 2024.02.20 |
1인(총 1인) |
이사회 |
2025-1 | 25.02.03 |
1인(총 1인) |
이사회 |
2025-2 | 25.02.10 |
1인(총 1인) |
이사회 |
(4) 이사회내의 위원회 구성현황과 그 활동내역
당사는 제출일 현재 이사회 내에 위원회를 두고 있지 않습니다. (5) 이사의 독립성
당사의 이사회는 대표이사 1인 포함한 사내이사 1인과 기타비상무이사 1인 및 사외이사 1인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회사 경영의 중요한 의사 결정과 업무 집행은 이사회의 심의 및 결정을 통하여 이루어지고 있습니다. 또한 당사는 대주주 등의 독단적인 경영과 이로 인한 소액주주의 이익 침해가 발생하지 않도록 이사회 운영규정을 제정하여 성실히 준수하고 있습니다.
다. 사외이사 및 그 변동현황
(단위 : 명) |
이사의 수 | 사외이사 수 | 사외이사 변동현황 | ||
---|---|---|---|---|
선임 | 해임 | 중도퇴임 | ||
라. 사외이사 교육 미실시 내역
사외이사 교육 실시여부 | 사외이사 교육 미실시 사유 |
---|---|
미실시 |
가. 감사기구 관련 사항 (1) 감사위원회(감사) 설치여부, 구성방법 등
당사는 보고서 제출일 현재 감사위원회가 설치되어 있지 않으며, 비상근감사 1명을 선임하여 이사회의 견제기능을 수행하도록 하였습니다.
(2) 감사위원회(감사)의 감사업무에 필요한 경영정보접근을 위한 내부장치마련 여부
당사는 감사의 감사업무에 필요한 경영정보접근을 위하여 정관에 다음과 같은 규정을 두고 있습니다.
[정관] |
---|
제 48 조 (감사의 직무와 의무) ① 감사는 회사의 회계와 업무를 감사한다. ② 감사는 이사회에 출석하여 의견을 진술할 수 있다. ③ 감사는 회의의 목적사항과 소집의 이유를 기재한 서면을 이사회에 제출하여 임시주주총회의 소집을 청구할 수 있다. ④ 감사에 대해서는 정관 제36조의 규정을 준용한다. |
다. 감사위원회(감사)의 인적사항
성 명 |
주요 경력 |
결격요건 여부 |
비고 |
---|---|---|---|
최혜수 |
숭실대학교 경영대학원 수료(박사) 07년 10월 ~ 16년 03월 : 삼일회계법인 Advisory 5본부 Manager 16년 03월 ~ 19년 05월 : 신정회계법인 5본부 이사 19년 06월 ~ 현재 : 동현회계법인 3본부 이사 |
결격사항 없음 |
- |
(주1) 당사의 감사인 최혜수는 상법 제542조의10의 규정에서 정의하는 감사의 결격요건에 해당하지 않습니다.
[감사위원회(감사)의 결격요건 검토 Check-List] |
구 분 |
해당여부 |
비 고 |
---|---|---|
최혜수 | ||
상법 제542조의10 |
||
1. 미성년자, 금치산자 또는 한정치산자 |
X |
- |
2. 파산선고를 받고 복권되지 아니한 자 |
X |
- |
3. 금고 이상의 형을 선고받고 그 집행이 끝나거나 집행이 면제된 후 2년이 지나지 아니한 자 |
X |
- |
4. 대통령령으로 별도로 정하는 법률을 위반하여 해임되거나 면직된 후 2년이 지나지 아니한 자 |
X |
- |
5. 누구의 명의로 하든지 자기의 계산으로 의결권 없는 주식을 제외한 발행주식총수의 100분의 10 이상의 주식을 소유하거나 이사·집행임원·감사의 선임과 해임 등 상장회사의 주요 경영사항에 대하여 사실상의 영향력을 행사하는 주주(이하 "주요주주"라 한다) 및 그의 배우자와 직계 존속·비속 |
X |
- |
6. 회사의 상무(常務)에 종사하는 이사·집행임원 및 피용자 또는 최근 2년 이내에 회사의 상무에 종사한 이사·집행임원 및 피용자. 다만, 이 절에 따른 감사위원회위원으로 재임 중이거나 재임하였던 이사는 제외한다. |
X |
- |
7. 회사의 경영에 영향을 미칠 수 있는 자로서 대통령령 으로 정하는 자 |
X |
- |
8. 계열회사의 상무에 종사하는 이사ㆍ집행임원 및 피용자이거나 최근 2년 이내에 상무에 종사한 이사ㆍ집행임원 및 피용자 | X | - |
라. 감사의 독립성당사의 감사 김동훈은 감사로서의 요건을 갖추고 있으며 당사의 주식은 소유하고 있지 아니합니다. 또한 감사는 회계와 업무를 감사하며 이사회 및 타 부서로부터 독립된 위치에서 업무를 수행하고 있습니다. 감사는 필요시 회사로부터 영업에 관한 사항을 보고 받을 수 있으며 감사인으로서의 독립성을 충분히 확보하고 있습니다.
마. 감사위원회(감사)의 주요활동내역
회차 | 개최일자 | 감사 참석인원 | 비 고 |
---|---|---|---|
2023-1 |
2023.01.31 |
1인(총 1인) |
- |
2023-2 |
2023.02.01 |
1인(총 1인) |
- |
2023-3 |
2023.02.03 |
1인(총 1인) |
- |
2023-4 |
2023.02.06 |
1인(총 1인) |
- |
2023-5 |
2023.02.08 |
1인(총 1인) |
- |
2023-6 |
2023.02.13 |
1인(총 1인) |
- |
2023-7 |
2023.03.13 |
1인(총 1인) |
- |
2023-8 |
2023.07.26 |
1인(총 1인) |
- |
2023-9 | 2023.11.13 |
1인(총 1인) |
- |
2024-1 | 2024.02.07 |
1인(총 1인) |
- |
2024-2 | 2024.02.20 |
1인(총 1인) |
- |
2025-1 | 2025.02.03 |
1인(총 1인) |
- |
2025-2 | 2025.02.10 |
1인(총 1인) |
- |
바. 감사 교육 미실시 내역
감사 교육 실시여부 | 감사 교육 미실시 사유 |
---|---|
미실시 |
사. 감사 지원조직 현황당사는 비상근 감사 1명이 감사업무를 수행하고 있으며, 별도의 감사지원조직은 없습니다.
아. 준법지원인 등당사는 보고서 작성기준일 현재 해당사항이 없습니다.
가. 투표제도 현황
(기준일 : | ) |
투표제도 종류 | 집중투표제 | 서면투표제 | 전자투표제 |
---|---|---|---|
도입여부 | |||
실시여부 |
(1) 집중투표제의 배제여부
당사는 증권신고서 제출일 현재 정관 제32조에서 상법 제382조의 2에서 규정하는 집중투표제를 배제하고 있습니다.
[정관] |
---|
제32조(이사의 선임) ① 이사는 주주총회에서 선임한다. ② 이사의 선임은 출석한 주주의 의결권의 과반수로 하되 발행주식총수의 4분의 1 이상의 수로 하여야 한다. ③ 2인 이상의 이사를 선임하는 경우 상법 제382조의2에서 규정하는 집중투표제는 적용하지 아니한다. |
(2) 서면투표제 또는 전자투표제의 채택여부
당사는 증권신고서 제출일 현재 당사의 정관 제28조를 통해 서면투표제(서면에 의한 의결권의 행사)를 채택하고 있으나 전자투표는 채택하고 있지 않습니다.
[정관] |
---|
제28조 (서면에 의한 의결권의 행사) ① 주주는 총회에 출석하지 아니하고 서면에 의하여 의결권을 행사할 수 있다. ② 회사는 제1항의 경우 총회의 소집통지서에 주주의 의결권 행사에 필요한 서면과 참고자료를 첨부하여야 한다. ③ 서면에 의하여 의결권을 행사하고자 하는 주주는 제2항의 서면에 필요한 사항을 기재하여, 회일의 전일까지 회사에 제출하여야 한다. |
나. 소수주주권의 행사여부당사는 보고서 제출일 현재 소수주주권을 행사한 사실이 없습니다.
다. 의결권 현황
(기준일 : | ) |
구 분 | 주식의 종류 | 주식수 | 비고 |
---|---|---|---|
발행주식총수(A) | |||
의결권없는 주식수(B) | |||
정관에 의하여 의결권 행사가 배제된 주식수(C) | |||
기타 법률에 의하여의결권 행사가 제한된 주식수(D) | |||
의결권이 부활된 주식수(E) | |||
의결권을 행사할 수 있는 주식수(F = A - B - C - D + E) | |||
라. 의결권 제한에 관한 사항당사는 당사의 정관 정관 제24조에 따라 주주의 의결권은 1주마다 1개로 정하고 있습니다. 또한, 제25조(상호주에 대한 의결권 제한)에 의거하여 회사, 모회사 및 자회사, 또는 자회사가 다른 회사의 발행주식총수의 10분의 1을 초과하는 주식을 가지고 있는 경우, 그 다른 회사가 가지고 있는 당사의 주식은 의결권이 없습니다.당사의 공모전주주(발기인인 ㈜이안플래닛, 브로드하이자산운용㈜, ㈜상상인증권)는 주주등간계약에 따라 당사와 합병대상법인과의 합병승인 안건에 대하여 본인들이 보유하고 있는 공모전 발행주식(전환사채의 전환으로 발행되는 주식 포함)의 의결권을 행사할 수 없습니다.
당사는 주주간 계약서 체결을 통하여 당사가 행하는 다른 법인과의 합병을 위하여 개최하는 주주총회에서 발기주주들은 당사의 최초 모집 이전에 취득한 주식(전환사채에 부여된 전환권 등의 권리행사로 취득한 주식 포함)에 대하여 『상법』 제522조에 따른 의결권을 행사하지 아니하거나 이를 예탁결제원에 위임하여 해당 주주총회에 참석한 주식수(서면투표 주식수를 포함한다)에서 이를 뺀 주식수의 의결내용에 영향을 미치지 아니하도록 찬성 및 반대(기권 및 무효를 포함한다)의 비율에 따라 의결권을 행사하기로 하였으며, 합병반대주주가 가지는 주식매수청구권도 포기하기로 약정하였습니다.
[주주 등 간 계약서] |
---|
제 4조 합병에 관한 의결권 행사금지 등 4.1 발기주주들은 SPAC과 합병대상법인간의 합병을 위한 주주총회에서 합병승인의 건에 대하여 의결권을 행사하지 아니하거나, 자본시장법 등 관련 법령이 허용하는 한도 내에서 의결권을 한국예탁결제원에 위임하여 해당 주주총회에 참석한 주식수(서면투표 주식수를 포함한다)에서 발기주주들이 보유하는 주식수를 뺀 주식수의 의결내용에 영향을 미치지 아니하도록 찬성 및 반대(기권 및 무효를 포함한다)의 비율에 따라 의결권을 행사하도록 하여야 한다. 4.2 발기주주들은 SPAC과 합병대상법인간의 합병과 관련하여 상법 제522조의3에 따른 주식매수청구권을 행사할 수 없다. 전문은 발기주주들이 SPAC의 설립시 인수한 주식뿐만 아니라 SPAC의 설립 후에 추가로 취득하게 되는 일체의 주식(공모에 참여하여 취득하는 주식 및 전환사채를 전환하여 취득하게 된 주식 포함)에 대해서도 동일하게 적용된다. |
마. 주식사무
정관상신주인수권의내용 |
제11조(신주인수권) ① 이 회사의 주주는 신주발행에 있어서 그가 소유한 주식수에 비례하여 신주의 배정을 받을 권리를 가진다. ② 제1항의 규정에 불구하고 다음 각호의 경우에는 주주 외의 자에게 이사회 결의로 신주를 배정할 수 있다. 1. 주권을 유가증권시장 또는 코스닥시장에 상장하기 위하여 신주를 모집하거나 인수인에게 인수하게 하는 경우 2. 거래소 유가증권시장 또는 코스닥시장에 상장된 후에 발행주식총수의 100분의 50을 초과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자본시장법 제165조의6에 따라 일반공모증자 방식으로 신주를 발행하는 경우 3. 거래소 유가증권시장 또는 코스닥시장에 상장된 후에 주주 외의 자를 대상으로 신주를 발행하는 경우 ③ 제2항 1호 및 2호 중 어느 하나의 방식에 의하여 신주를 발행할 경우, 발행할 주식의 종류와 수 및 발행가격 등은 이사회의 결의로 정한다. ④ 제2항 3호의 방식에 의하여 신주를 발행할 경우에는 "상법 제434조"에 따른 주주총회의 결의를 거쳐야 한다. ⑤ 주주가 신주인수권을 포기 또는 상실하거나 신주배정에서 단주가 발생하는 경우에 그 처리방법은 이사회의 결의로 정한다. |
||
결산기 | 12월 31일 | 정기주주총회 | 매 영업연도 종료 후 3개월 이내 |
주주명부폐쇄시기 | 매년 1월 1일부터 1월 15일까지 | ||
명의개서대리인 | KB국민은행 | ||
주주의 특전 | 해당사항 없음 | 공고게재 | 매일경제신문 |
바. 주주총회 의사록 요약
일자 | 구분 | 안건 | 결의내용 |
2023.01.31 | 발기인총회 | - 설립사항 보고에 관한 건- 정관 승인의 건- 이사, 감사 선임의 건- 본점설치 장소 결정의 건- 상법 제298조 소정사항의 조사 보고의 건 | 승인 |
2023.12.27 | 임시주주총회 | - 사내이사 선임의 건 | 승인 |
2024.03.27 | 정기주주총회 | - 제1기 재무제표 및 이익잉여금(결손금)처리계산서(안)승인의 건- 이사 보수한도 승인의 건- 감사 보수한도 승인의 건 | 승인 |
2025.03.20 | 정기주주총회 | - 제2기 재무제표 및 이익잉여금(결손금)처리계산서(안)승인의 건- 이사 보수한도 승인의 건- 감사 보수한도 승인의 건 | 승인 |
1. 최대주주 및 그 특수관계인의 주식소유 현황
(기준일 : | ) |
성 명 | 관 계 | 주식의종류 | 소유주식수 및 지분율 | 비고 | |||
---|---|---|---|---|---|---|---|
기 초 | 기 말 | ||||||
주식수 | 지분율 | 주식수 | 지분율 | ||||
계 | |||||||
2. 최대주주의 주요경력 및 개요
가. 최대주주(법인 또는 단체)의 기본정보
(1) 회사의 개황- 회사명 : 주식회사 이안플래닛- 대표자 : 김정주- 설립일 : 2016. 07. 25- 주 소 : 서울특별시 영등포구 여의나루로71 동화빌딩 1005호- 업 종 : 서비스업- 임직원수 : 5 명
- 사업내용 : 경영컨설팅, 투자컨설팅
명 칭 | 출자자수(명) | 대표이사(대표조합원) | 업무집행자(업무집행조합원) | 최대주주(최대출자자) | |||
---|---|---|---|---|---|---|---|
성명 | 지분(%) | 성명 | 지분(%) | 성명 | 지분(%) | ||
(2) 최대주주(법인 또는 단체)의 최근 결산기 재무현황
(단위 : 백만원) |
구 분 | |
---|---|
법인 또는 단체의 명칭 | |
자산총계 | |
부채총계 | |
자본총계 | |
매출액 | |
영업이익 | |
당기순이익 |
주) 위 재무사항은 2024년말을 기준으로 작성되었습니다.
(3) 사업현황 등 회사 경영 안정성에 영향을 미칠 수 있는 주요 내용
해당사항 없습니다.
나. 최대주주의 변동 현황공시대상기간 중 최대주주 변동사항은 없습니다.
3. 주식의 분포가. 주식 소유현황
(기준일 : | ) |
구분 | 주주명 | 소유주식수 | 지분율(%) | 비고 |
---|---|---|---|---|
5% 이상 주주 | 발기주주 | |||
- | ||||
우리사주조합 | - |
주) 상기 주식 소유현황은 가장 최근의 주주명부 폐쇄일인 2024년 12월 31일 기준이며, 보고서 제출일 현재와는 차이가 있을 수 있습니다. 나. 소액주주현황
(기준일 : | ) |
구 분 | 주주 | 소유주식 | 비 고 | ||||
---|---|---|---|---|---|---|---|
소액주주수 | 전체주주수 | 비율(%) | 소액주식수 | 총발행주식수 | 비율(%) | ||
소액주주 |
주1) 상기 주식 소유현황은 가장 최근의 주주명부 폐쇄일인 2024년 12월 31일 기준이며, 보고서 제출일 현재와는 차이가 있을 수 있습니다. 주2) 소액주주에는 최대주주를 제외한 발기인 (주)상상인증권과 브로드하이자산운용(주)가 포함되어 있습니다.
4. 주가 및 주식거래실적당사는 2023년 09월 14일 상장하였으며, 월별 주가 및 주식거래 실적은 다음과 같습니다.
(단위 : 원, 주) |
구분 | 2024년 10월 | 2024년 11월 | 2024년 12월 | 2025년 01월 | 2025년 02월 | 2025년 03월 | |
---|---|---|---|---|---|---|---|
주가 | 최 고 | 2,105 | 2,015 | 1,986 | 1,995 | 2,020 | 2,015 |
최 저 | 2,005 | 1,992 | 1,959 | 1,961 | 1,980 | 1,998 | |
평 균 | 2,010 | 2,004 | 1,971 | 1,981 | 2,002 | 2,004 | |
거래량 | 일 최고 | 46,114 | 26,411 | 19,233 | 39,373 | 14,385 | 30,566 |
일 최저 | 217 | 820 | 523 | 55 | 224 | 134 | |
월 간 | 163,897 | 179,075 | 108,739 | 111,537 | 112,852 | 123,758 |
5. 공모전 주주등의 권리행사 등 제한 사항 가. 공모전 발행된 주권의 매각 제한당사의 공모전주주등은 코스닥시장 상장규정 제69조 제2항에 의거하여 해당 주권의 상장일부터 주권비상장법인 또는 유가증권시장 주권상장법인과의 합병신주상장일 후 6개월간 주식등의 매각이 제한됩니다. 또한 주주간계약서를 통해서 당사 및 합병대상기업의 합병 후 합병신주상장일로부터 6개월이 경과하기 전까지는 양도하거나 처분하지 않기로 하였습니다.(단, 자본시장 및 금융투자업에 관한 법률 시행령 제176조의5 제3항에 따른 합병가치 산출시에는 투자매매업자인 (주)상상인증권이 소유한 공모전 발행 주식 등은 합병기일 이후 1년이 경과하기 전까지는 양도하거나 처분하지 않기로 하였습니다.)
주주간계약서 제3조 (주식 등의 계속보유의무) 발기주주들은 본 계약 체결 당시 SPAC의 최초 주권 모집 이전에 각 발기주주들이 인수한 SPAC 발행의 주식 및 전환사채를 한국거래소가 불가피하다고 인정하는 경우 이외에는 그 인수일부터 합병대상법인과의 합병에 따른 추가상장일 이후 6개월(자본시장법 시행령 제176조의5 제3항에 따라 합병가액을 산정하고자 하는 경우 “상상인증권”은 합병기일로부터 1년)이 되는 날까지의 기간 동안 한국예탁결제원에 보관하여야 하며, 동 보관기간 중 한국거래소가 필요하다고 인정하는 경우 이외에는 동 주식 및/또는 전환사채를 인출하거나 양도할 수 없다. |
나. 합병승인 주주총회에서의 의결권 제한 당사의 공모전 주주는 상법 522조에 따른 주주의결권을 행사하지 아니하거나, 이를 예탁결제원에 위임하여 해당 주주총회에 참석한 주식수(서면투표 주식수를 포함)에서 공모전 주주등이 보유하는 주식수를 뺀 주식수의 의결내 용에 영향을 미치지 아니하도록 찬성 및 반대(기권 및 무효를 포함)의 비율에 따라 의결권을 행사하겠다는 주주등간계약서를 체결하였습니다.
주주간계약서 제4조 (합병에 관한 의결권 행사금지 등)4.1 발기주주들은 SPAC과 합병대상법인간의 합병을 위한 주주총회에서 합병승인의 건에 대하여 의결권을 행사하지 아니하거나, 자본시장법 등 관련 법령이 허용하는 한도 내에서 의결권을 한국예탁결제원에 위임하여 해당 주주총회에 참석한 주식수(서면투표 주식수를 포함한다)에서 발기주주들이 보유하는 주식수를 뺀 주식수의 의결내용에 영향을 미치지 아니하도록 찬성 및 반대(기권 및 무효를 포함한다)의 비율에 따라 의결권을 행사하도록 하여야 한다. 4.2 발기주주들은 SPAC과 합병대상법인간의 합병과 관련하여 상법 제522조의3에 따른 주식매수청구권을 행사할 수 없다. 전문은 발기주주들이 SPAC의 설립시 인수한 주식뿐만 아니라 SPAC의 설립 후에 추가로 취득하게 되는 일체의 주식(공모에 참여하여 취득하는 주식 및 전환사채를 전환하여 취득하게 된 주식 포함)에 대해서도 동일하게 적용된다. |
다. 주식매수청구권의 행사 제한 주주간계약서에 따라 당사의 공모전주주등은 자신들이 보유한 주식에 관하여 어떠한 경우에도 상법 제522조의3에서 정한 주식매수청구권을 행사할 수 없습니다.
주주간계약서 제4조 (합병에 관한 의결권 행사금지 등)4.1 발기주주들은 SPAC과 합병대상법인간의 합병을 위한 주주총회에서 합병승인의 건에 대하여 의결권을 행사하지 아니하거나, 자본시장법 등 관련 법령이 허용하는 한도 내에서 의결권을 한국예탁결제원에 위임하여 해당 주주총회에 참석한 주식수(서면투표 주식수를 포함한다)에서 발기주주들이 보유하는 주식수를 뺀 주식수의 의결내용에 영향을 미치지 아니하도록 찬성 및 반대(기권 및 무효를 포함한다)의 비율에 따라 의결권을 행사하도록 하여야 한다. 4.2 발기주주들은 SPAC과 합병대상법인간의 합병과 관련하여 상법 제522조의3에 따른 주식매수청구권을 행사할 수 없다. 전문은 발기주주들이 SPAC의 설립시 인수한 주식뿐만 아니라 SPAC의 설립 후에 추가로 취득하게 되는 일체의 주식(공모에 참여하여 취득하는 주식 및 전환사채를 전환하여 취득하게 된 주식 포함)에 대해서도 동일하게 적용된다. |
라. 예치자금등의 반환대상 제외 당사의 정관 제60조에 따라 당사의 공모전주주등의 최초 공모 전 취득한 주식등(전환사채 포함)에 대하여 신탁자금등의 반환대상에서 제외됩니다.
정관 제60조(예치자금등의 반환 등) ① 제59조에 따라 예치자금 등을 투자자에게 지급하는 경우, 다음 각호의 기준에 따라야 한다. 1. 공모전 주주는 주식등 취득분에 대하여 예치자금 등의 지급대상에서 제외된다. 다만 공모전 주주가 최초 주권공모 이후에 주식을 취득한 경우, 당해 취득분에 대해서는 그러하지 아니하다. 2. 예치자금 등은 주식(제1호 본문에 따라 공모전 주주가 취득하고 있는 주식등은 제외함)의 보유비율에 비례하여 배분되어야 한다. ② 제1항에 의한 지급 후에 남은 회사의 재산은 상법 제3편 제4장 제12절(청산)의 관련 규정에 따라 배분하되, 주주에 대하여 분배할 잔여재산이 존재하는 경우에는 다음 각호의 순서에 의하여 잔여재산을 분배한다. 1. 제1항에 따라 지급된 금액(세후금액을 기준으로 한다. 이하 같다)이 공모주식의 발행가액에 미달하는 경우, 공모주식을 보유한 주주에 대하여 분배할 잔여재산은 제1항에 따라 지급된 금액을 포함함하여 해당 주주에게 분배되는 금액이 당해 공모주식의 발행가액에 달할 때까지 우선적으로 공모주식의 주식수에 비례하여 분배한다. 2. 제1항 및 본 항 제1호에 따른 잔여재산분배 이후에 남는 잔여재산이 있는 경우에는 해당 잔여재산은 공모전 발행주식등의 발행가액(전환사채에 대하여는 전환가액을 발행가액으로 하며, 이하 본조에서 같다.)에 달할 때까지 공모전 발행주식등의 보유 주주에게 공모전 발행주식등의 수(전환사채에 대하여는 전환시 발행될 주식수를 기준으로 한다. 이하 같다)에 비례하여 분배한다. 다만, 공모주식에 대하여 위 제1항에 따라 공모주식의 보유 주주에게 지급된 금액이 공모주식의 발행가액을 초과하는 경우에는 위 잔여재산은 본 호에 따라 공모전 발행주식등의 보유 주주에 대하여도 동일한 초과비율에 달할 때까지 주식등의 수에 비례하여 분배한다. 3. 제1호 및 제2호에 따른 잔여재산분배 이후에도 남는 기타 잔여재산이 있는 경우에는 해당 잔여재산은 회사의 모든 발행주식등(공모전 발행주식등과 공모주식을 포함하여 회사가 발행한 모든 주식을 의미하며, 이하 “모든 발행주식등”이라 한다)의 발행가격의 비율에 따라 분배된다. ③ 합병대상법인과의 합병에 반대하는 주주(이 회사의 발기인 및 공모전 주주는 제외)가 주식매수청구권을 행사할 경우, 이 회사는 자본시장법 제165조의5 및 기타 관련법령에서 정하는 방법 및 절차에 따라 투자금을 반환하여야 한다. |
가. 임원 현황
(기준일 : | ) |
성명 | 성별 | 출생년월 | 직위 | 등기임원여부 | 상근여부 | 담당업무 | 주요경력 | 소유주식수 | 최대주주와의관계 | 재직기간 | 임기만료일 | |
---|---|---|---|---|---|---|---|---|---|---|---|---|
의결권있는 주식 | 의결권없는 주식 | |||||||||||
[임원의 M&A 및 IPO 등 관련 주요 경력사항] |
임 원 |
수행시기 |
M&A 관련 경력 |
---|---|---|
양범 |
2023년 |
(주)코센 영업양도 자문 |
2022년 |
상상인제3호기업인수목적(주) 법률자문 | |
장용순 |
2018년 |
대우조선해양건설 매각/ ㈜코다코 해외 자본 조달 자문 |
2022년 |
삼부토건 M&A 자문 |
|
2021년 |
㈜와이투솔루션 M&A 자문 |
|
정태홍 |
2021년 |
상상인이안제1호기업인수목적㈜ 합병상장[㈜비투엔] |
2020년 |
카카오모빌리티 매각관련 자문 |
|
2019년 |
㈜엔지노믹스 IPO관련 회계자문 |
|
최혜수 |
2018년 |
㈜쓰리제이 IPO관련 회계자문 |
2022년 |
㈜마이셀럽스 실사 및 투자 |
|
2021년 |
㈜홀로티브 실사 및 투자 |
|
2020년 |
㈜퓨처센스 실사 및 투자 |
나. 임원의 자격 충족 여부 검토
금융회사의 지배구조에 관한 법률 제5조 (임원의 자격요건) 1항 | 해당여부 |
---|---|
1. 미성년자ㆍ피성년후견인 또는 피한정후견인 |
x |
2. 파산선고를 받고 복권(復權)되지 아니한 사람 |
x |
3. 금고 이상의 실형을 선고받고 그 집행이 끝나거나(집행이 끝난 것으로 보는 경우를 포함한다) 집행이 면제된 날부터 5년이 지나지 아니한 사람 |
x |
4. 금고 이상의 형의 집행유예를 선고받고 그 유예기간 중에 있는 사람 |
x |
5. 이 법 또는 금융관계법령에 따라 벌금 이상의 형을 선고받고 그 집행이 끝나거나(집행이 끝난 것으로 보는 경우를 포함한다) 집행이 면제된 날부터 5년이 지나지 아니한 사람 |
x |
6. 다음 각 목의 어느 하나에 해당하는 조치를 받은 금융회사의 임직원 또는 임직원이었던 사람(그 조치를 받게 된 원인에 대하여 직접 또는 이에 상응하는 책임이 있는 사람으로서 대통령령으로 정하는 사람으로 한정한다)으로서 해당 조치가 있었던 날부터 5년이 지나지 아니한 사람 가. 금융관계법령에 따른 영업의 허가·인가·등록 등의 취소 나. 「금융산업의 구조개선에 관한 법률」 제10조제1항에 따른 적기시정조치 다. 「금융산업의 구조개선에 관한 법률」 제14조제2항에 따른 행정처분 |
x |
7. 이 법 또는 금융관계법령에 따라 임직원 제재조치(퇴임 또는 퇴직한 임직원의 경우 해당 조치에 상응하는 통보를 포함한다)를 받은 사람으로서 조치의 종류별로 5년을 초과하지 아니하는 범위에서 대통령령으로 정하는 기간이 지나지 아니한 사람 |
x |
8. 해당 금융회사의 공익성 및 건전경영과 신용질서를 해칠 우려가 있는 경우로서 대통령령으로 정하는 사람 |
x |
당사 임원의 경우 상기에 열거되어 있는 기업인수목적 임원에 대한 자격제한사항(금융회사의 지배구조에 관한 법률 제5조1항)과 관련하여 임원의 자격을 모두 충족하고 있습니다.
금융회사의 지배구조에 관한 법률 제6조 (사외이사의 자격요건) 1항 | 해당여부 |
---|---|
1. 최대주주 및 그 특수관계인(최대주주 및 그의 특수관계인이 법인인 경우에는 그 임직원을 말한다) |
x |
2. 주요주주 및 그의 배우자와 직계존속·비속(주요주주가 법인인 경우에는 그 임직원을 말한다) |
x |
3. 해당 금융회사 또는 그 계열회사(「독점규제 및 공정거래에 관한 법률」 제2조제3호에 따른 계열회사를 말한다. 이하 같다)의 상근(常勤) 임직원 또는 비상임이사이거나 최근 3년 이내에 상근 임직원 또는 비상임이사이었던 사람 |
x |
4. 해당 금융회사 임원의 배우자 및 직계존속·비속 |
x |
5. 해당 금융회사 임직원이 비상임이사로 있는 회사의 상근 임직원 |
x |
6. 해당 금융회사와 대통령령으로 정하는 중요한 거래관계가 있거나 사업상 경쟁관계 또는 협력관계에 있는 법인의 상근 임직원이거나 최근 2년 이내에 상근 임직원이었던 사람 |
x |
7. 해당 금융회사에서 6년 이상 사외이사로 재직하였거나 해당 금융회사 또는 그 계열회사에서 사외이사로 재직한 기간을 합산하여 9년 이상인 사람 |
x |
8. 그 밖에 금융회사의 사외이사로서 직무를 충실하게 이행하기 곤란하거나 그 금융회사의 경영에 영향을 미칠 수 있는 사람으로서 대통령령으로 정하는 사람 |
x |
당사 사외이사의 경우 금융회사의 지배구조에 관한 법률 제6조1항에 의거한 자격제한사항과 관련하여 사외이사의 자격을 모두 충족하고 있습니다.
다. 임원의 변경을 예방하기 위한 수단
당사는 임원의 변경 예방과 관련한 별도 규정이나 계약은 체결하지 않았으나, 임원 변경의 가능성은 크지 않을 것으로 예상됩니다. 만약 임원의 사임 등 임원의 변경사항이 발생할 경우 즉시 적임자를 임원으로 선임하여 업무의 공백을 최소화할 것입니다. 라. 임원의 다른 기업인수목적회사 지분 보유 현황증권신고서 제출일 현재 당사 임원의 다른 기업인수목적회사의 지분을 보유하고 있지 않습니다. 마. 임원의 다른 회사(기업인수목적회사 포함) 겸임, 겸직 현황
성명 |
겸직회사명 |
주요사업 |
직위 |
직무 |
재직기간 |
보유주식수 |
지분율 |
비고 |
---|---|---|---|---|---|---|---|---|
양범 | 법무법인 숨결로 | 법무법인업무 |
대표변호사 |
2023.04. ~ |
- |
- |
- |
증권신고서제출일현재 기준 |
장용순 |
㈜상상인증권 |
금융투자업 |
부장 |
2005.10. ~ |
- |
- |
- |
|
정태홍 |
한미회계법인 |
회계법인업무 |
회계사 |
2020.01. ~ |
- |
- |
- |
|
최혜수 |
크레딧사일로인베스트먼트 |
금융투자업 |
심사역 |
2021.01. ~ |
- |
- |
- |
바. 겸직에 따른 이해상충
당사의 임원은 타회사 임직원을 겸직하고 있으므로 당사 업무에만 전념할 수 있는 것은 아닙니다. 당사의 업무특성상 모든 임원들이 상근하면서 당사 업무에 전념할 필요는 없으나 타회사 임직원을 겸직함으로써 당사 업무에 소홀할 수 있으며 합병진행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칠 수 있습니다.다만, 당사의 임원들이 겸직하고 있는 회사들 중 일부는 당사의 주요 투자자로 참여함으로써 당사의 성공적인 합병이라는 공통의 목표를 통해 이해상충의 문제를 완화시키는 측면이 있습니다. 또한, 이해상충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이사회 구성원 중 1명을 사외이사로 선임하였습니다. 이와 더불어, 당사는 합병이 제한되는 특별이해관계 법인의 범위를 정관상 명시하여 합병시 발생할 수 있는 이해상충문제를 방지하기 위해 노력하고 있습니다.
당사 정관 제58조(합병대상법인의 규모 및 합병제한)에 따라 당사 경영진이 겸직하고 있는 회사 또는 당사 경영진 및 그 배우자, 직계존비속이 최대주주이거나 발행주식총수의 100분의 5이상을 보유하고 있는 회사는 합병대상법인에서 제외되므로 겸직에 따른 이해상충은 없습니다.
제58조(합병대상법인의 규모 및 합병제한) ① 자본시장법 시행령 제176조의5 제3항에 따라 산정된 합병대상법인의 합병가액 또는 최근 사업년도말 현재 재무상태표상 자산총액이 예치자금 등의 100분의 80 이상이어야 한다. 이 경우 합병대상법인이 다수인 경우에는 각 법인의 합병가액 또는 자산총액을 각각 합산한 금액을 기준으로 한다. ② 주권의 최초 모집 이전에 협상이 진행되고 있거나 잠정적으로 정해진 합병대상법인이 존재하지 아니하여야 한다. ③ 이 회사는 상법 제524조에 따른 신설합병의 방식으로 합병할 수 없으며, 자본시장법 제9조 제15항 제4호에 따른 주권비상장법인과 합병하는 경우 코스닥시장상장규정 제2조 제1항 제1호 바목 2)에 따른 합병상장을 제외하고는 이 회사가 소멸하는 방식으로 합병할 수 없다. ④ 이 회사는 다음 각호의 어느 하나에 해당하는 자 및 회사와는 합병할 수 없다. 1. 이 회사 주권의 최초 모집 전에 이 회사가 발행한 자본시장법 시행령 제139조 제1호 각 목의 증권(의결권 없는 주식에 관계된 것을 포함한다. 이하 "주식등"이라 한다.)을 취득한 자(이하 "공모전주주등"이라 한다.) 2. 이 회사의 공모전 주주등 또는 다음의 어느 하나에 해당하는 자가 자본시장법 제9조 제1항에 따른 대주주이거나 발행주식총수의 100분의 5 이상을 소유하는 회사 가. 이 회사의 공모전 주주등에 속하는 자본시장법 시행령 제6조 제4항 제14호 다목에 따른 지분증권 투자매매업자의 임직원으로서 이 회사의 설립 및 운영 등과 관련된 업무를 수행하였거나 수행중인 자, 그 배우자 및 직계존비속 나. 이 회사의 공모전 주주등에 속하는 법인의 임원, 그 배우자 및 직계존비속 다. 이 회사의 공모전 주주등에 속하는 개인의 배우자 및 직계존비속 라. 이 회사의 임직원, 배우자 및 그의 직계존비속 3. 이 회사의 공모전 주주등의 자본시장법 제9조 제1항에 따른 대주주 및 「독점규제 및 공정거래에 관한 법률」에 따른 계열회사 4. 이 회사 또는 공모전 주주등과 임직원을 겸직하거나 최근 2년 이내에 임직원을 겸직하였던 회사 ⑤ 본 조 제4항제2호의 소유주식수를 산정함에 있어 자본시장법 시행령 제139조 제1호 각목의 어느 하나에 해당하는 증권의 권리행사 등으로 발행될 수 있는 주식수를 포함하며, 공모전 주주등의 주식수 산정시에는 당해 주주등의 계열회사가 소유하는 주식수를 포함한다. |
사. 직원 등 현황
(기준일 : | ) |
직원 | 소속 외근로자 | 비고 | |||||||||||
---|---|---|---|---|---|---|---|---|---|---|---|---|---|
사업부문 | 성별 | 직 원 수 | 평 균근속연수 | 연간급여총 액 | 1인평균급여액 | 남 | 여 | 계 | |||||
기간의 정함이없는 근로자 | 기간제근로자 | 합 계 | |||||||||||
전체 | (단시간근로자) | 전체 | (단시간근로자) | ||||||||||
합 계 |
주) 당사는 보고서 제출일 현재 등기임원 4인 이외의 직원을 직접 채용하고 있지 않아 해당사항이 없습니다.
아. 미등기임원 보수 현황
(기준일 : | ) |
구 분 | 인원수 | 연간급여 총액 | 1인평균 급여액 | 비고 |
---|---|---|---|---|
미등기임원 |
<이사ㆍ감사 전체의 보수현황> |
가. 임원의 보수현황 당사는 이사(사외이사 포함) 및 감사위원회 위원(감사)에게는 보수를 지급하지 않습니다.1. 주주총회 승인금액
구 분 | 인원수 | 주주총회 승인금액 | 비고 |
---|---|---|---|
2. 보수지급금액
2-1. 이사ㆍ감사 전체
인원수 | 보수총액 | 1인당 평균보수액 | 비고 |
---|---|---|---|
2-2. 유형별
구 분 | 인원수 | 보수총액 | 1인당평균보수액 | 비고 |
---|---|---|---|---|
등기이사(사외이사, 감사위원회 위원 제외) | ||||
사외이사(감사위원회 위원 제외) | ||||
감사위원회 위원 | ||||
감사 |
나. 합병성공에 따라 받게 되는 보수당사는 2023년 02월 03일 이사회결의를 통하여 타법인과의 합병 등기 완료 시 이사회 결의를 통해 등기임원에게 금 일천만원 범위내에서 별도의 성과급을 지급하기로 결정하였습니다. 다. 주식매수선택권의 부여 및 행사현황당사는 증권신고서 제출일 현재 해당사항 없습니다.
1. 계열회사 현황
(기준일 : | ) | (단위 : 사) |
기업집단의 명칭 | 계열회사의 수 | ||
---|---|---|---|
상장 | 비상장 | 계 | |
※상세 현황은 '상세표-2. 계열회사 현황(상세)' 참조 |
2. 타법인출자 현황
(기준일 : | ) |
출자목적 | 출자회사수 | 총 출자금액 | |||||
---|---|---|---|---|---|---|---|
상장 | 비상장 | 계 | 기초장부가액 | 증가(감소) | 기말장부가액 | ||
취득(처분) | 평가손익 | ||||||
경영참여 | |||||||
일반투자 | |||||||
단순투자 | |||||||
계 |
※상세 현황은 '상세표-3. 타법인출자 현황(상세)' 참조 |
1. 공모전주주등에 대한 신용공여 등당사는 분기보고서 제출일 현재 해당사항 없습니다. 2. 공모전주주등과의 자산양수도 등당사는 분기보고서 제출일 현재 해당사항 없습니다. 3. 공모전주주등과의 영업거래당사는 분기보고서 제출일 현재 해당사항 없습니다. 4. 공모전주주등과의 거래당사는 공모전주주등인 주식회사 상상인증권과 코스닥시장 상장업무와 관련한 대표주관회사 계약을 체결하였습니다. 5. 임원의 특수관계인과의 거래당사는 분기보고서 제출일 현재 해당사항 없습니다.
당사는 분기보고서 제출일 현재 해당사항 없습니다.
가. 중요한 소송사건당사는 분기보고서 제출일 현재 해당사항이 없습니다. 나. 견질 또는 담보용 어음ㆍ수표 현황당사는 분기보고서 제출일 현재 해당사항이 없습니다. 다. 채무보증 현황당사는 분기보고서 제출일 현재 해당사항이 없습니다. 라. 채무인수약정 현황당사는 분기보고서 제출일 현재 해당사항이 없습니다. 마. 그 밖의 우발부채 등당사는 분기보고서 제출일 현재 해당사항이 없습니다. 바. 자본으로 인정되는 채무증권의 발행당사는 분기보고서 제출일 현재 해당사항이 없습니다.
가. 제재현황당사는 분기보고서 제출일 현재 해당사항 없습니다.
나. 한국거래소 등으로부터 받은 제재당사는 분기보고서 제출일 현재 해당사항 없습니다. 다. 단기매매차익의 발생 및 반환에 관한 사항
당사는 분기보고서 제출일 현재 해당사항 없습니다.
가. 작성기준일 이후 발생한 주요사항당사는 분기보고서 제출일 현재 해당사항 없습니다. 나. 중소기업기준 검토표당사는 분기보고서 제출일 현재 해당사항 없습니다. 다. 직접금융 자금의 사용당사는 분기보고서 제출일 현재 해당사항 없습니다. 라. 금융회사의 예금자 보호 등에 관한 사항당사는 현재 예금에 관한 상품을 취급하지 않으며, 이에 따라 예금자 보호에 관한 사항은 해당사항이 없습니다. 다만, 당사가 코스닥상장공모를 통해 모집한 총액의 100%는 KB국민은행에 예치하였습니다. 마. 기업인수목적회사의 요건 충족 여부
집합투자업 적용배제 요건 (자본시장과 금융투자업에 관한 법률 시행령 제6조제4항제14호 및 금융투자업규정 제1-4조의2) |
충족여부 |
세부 내역 |
|
---|---|---|---|
충족 |
미충족 |
||
① 주권(최초 모집 전 발행주권 제외) 발행자금의 90%이상을 주금납입일의 다음 영업일까지 증권금융회사/신탁업자에 예치/신탁할 것 |
O |
- |
공모자금 100%예치 신탁 계약체결(KB국민은행)정관 제57조 명시 |
② 예치, 신탁자금등은 합병대상법인과의 합병등기 완료 전 인출 또는 담보로 제공하지 않을 것 |
O |
- |
정관 제57조 명시 |
③ 발기인 중 1인 이상은 자기자본 1,000억원 이상인 지분증권 투자매매업자일 것 |
O |
- |
㈜상상인증권 충족 (2024년말 별도기준 1,813억원) |
④ 임원이 금융투자업자 임원의 결격사유에 해당되지 않을 것 |
O |
- |
결격사유 없음 |
⑤ 최초로 모집한 주권에 대한 주금납입일부터 90일 이내 증권시장에 상장할 것 |
O |
- |
주금납입일에 상장신청 |
⑥ 최초로 모집한 주권에 대한 주금납입일부터 36개월 이내 합병등기를 완료할 것 |
O |
- |
정관 제59조 명시 |
⑦ 주권 최초 모집 전에 합병대상법인이 정하여지지 않을 것 |
O |
- |
정관 제58조 명시 |
⑧ 해산사유 발생시 예치,신탁자금등을 주주에게 주권보유비율에 비례하여 지급할 것 |
O |
- |
정관 제60조 명시 |
⑨ 발기인인 지분증권 투자매매업자는 기업인수목적회사 발행주식등 발행총액의 5% 이상을 소유할 것 |
O |
- |
주1)상상인증권발행총액 6.31% |
바. 기업인수목적회사의 금융투자업자의 역할 및 의무
(1) 금융투자업자의 역할당사의 발기인으로 참여한 금융투자업자는 ㈜상상인증권입니다. ㈜상상인증권은 자기자본 1천억 원 이상인 금융투자업자로서 자본시장과 금융투자업에 관한 법률 시행령 제6조제4항제14호의 자격 요건을 충족하고 있습니다. ㈜상상인증권은 당사의 기본구조를 설계하고 발기인으로 참여할 자를 섭외하며, 회사 설립에 필요한 각종 실무를 직접 혹은 대리인을 통해 수행하였습니다. 또한, 상장 이후 성공적인 합병이 이루어지도록 합병 대상회사의 탐색 및 합병실무를 수행할 것입니다. (2) 금융투자업자의 요건 및 의무
코스닥시장 상장규정 제70조(기업인수목적회사주식의 신규상장 심사요건) 제1항 제8호 금융투자업자가 소유하는 주식등의 발행금액에 따르면, 자본시장과 금융투자업에 관한 법률 시행령 제6조제4항제14호다목에 따른 금융투자업자가 신규상장신청일 현재 소유하는 주식등의 발행금액이 기업인수목적회사가 발행한 주식등의 발행총액의 100분의 5이상일 것을 요구하고 있습니다.
㈜상상인증권은 동 법률 및 규정의 적용을 받으며, 주당 발행가 2,000원으로 4,500,000주를 발행하여 총 9,000백만원을 공모하는 것으로 가정할 경우, ㈜상상인증권이 소유한 주식등의 발행금액(700백만원 : 주식 10백만원+전환사채 690백만원)이 기업인수목적회사가 발행한 주식 등의 발행총액(11,100백만원 : 공모전주식 720백만원+전환사채 1,380백만원+공모주식 9,000백만원)의 6.31%를 차지하여, 관련 법규에서 규정하고 있는 내용을 준수하게 됩니다. 사. 합병등의 사후정보당사는 보고서 제출일 현재 해당사항 없습니다.
아. 보호예수 현황
(기준일 : | ) |
주식의 종류 | 예수주식수 | 예수일 | 반환예정일 | 보호예수기간 | 보호예수사유 | 총발행주식수 |
---|---|---|---|---|---|---|
주) 전환사채 권면총액 : 1,380,000,000원(전환가능주식수 : 1,380,000주)
☞ 본문 위치로 이동 |
상호 | 설립일 | 주소 | 주요사업 | 최근사업연도말자산총액 | 지배관계 근거 | 주요종속회사 여부 |
---|---|---|---|---|---|---|
☞ 본문 위치로 이동 |
(기준일 : | ) | (단위 : 사) |
상장여부 | 회사수 | 기업명 | 법인등록번호 |
---|---|---|---|
상장 | |||
비상장 | |||
☞ 본문 위치로 이동 |
(기준일 : | ) |
법인명 | 상장여부 | 최초취득일자 | 출자목적 | 최초취득금액 | 기초잔액 | 증가(감소) | 기말잔액 | 최근사업연도재무현황 | |||||||
---|---|---|---|---|---|---|---|---|---|---|---|---|---|---|---|
수량 | 지분율 | 장부가액 | 취득(처분) | 평가손익 | 수량 | 지분율 | 장부가액 | 총자산 | 당기순손익 | ||||||
수량 | 금액 | ||||||||||||||
합 계 |
당사는 분기보고서 제출일 현재 해당사항 없습니다.
당사는 분기보고서 제출일 현재 해당사항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