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년 09월 08일 |
1. 정정대상 공시서류 : | 반기보고서 |
2. 정정대상 공시서류의 최초제출일 : | 2025.08.14 |
3. 정정사항 |
항 목 | 정정요구ㆍ명령관련 여부 | 정정사유 | 정 정 전 | 정 정 후 |
---|---|---|---|---|
III. 재무에 관한 사항 5. 재무제표 주석 |
자진정정 | 단순기재누락 | - | 본문기재 |
(제 4기)
사업연도 | 부터 |
까지 |
금융위원회 | |
한국거래소 귀중 | 2025년 8월 14일 |
제출대상법인 유형 : | |
면제사유발생 : |
회 사 명 : | 하이제8호기업인수목적 주식회사 |
대 표 이 사 : | 정 우 주 |
본 점 소 재 지 : | 서울특별시 영등포구 여의대로 66 |
(여의도동 아이엠증권(구.하이투자증권) 빌딩) | |
(전 화) 02-2122-9485 | |
(홈페이지) 없음 | |
작 성 책 임 자 : | (직 책) 기타비상무이사 (성 명) 이 영 재 |
(전 화) 02-2122-9485 | |
1. 연결대상 종속회사 개황(연결재무제표를 작성하는 주권상장법인이 사업보고서, 분기ㆍ반기보고서를 제출하는 경우에 한함)연결대상 종속회사 현황(요약)
(단위 : 사) |
구분 | 연결대상회사수 | 주요종속회사수 | |||
---|---|---|---|---|---|
기초 | 증가 | 감소 | 기말 | ||
상장 | |||||
비상장 | |||||
합계 |
※상세 현황은 '상세표-1. 연결대상 종속회사 현황(상세)' 참조 |
1-1. 연결대상회사의 변동내용
구 분 | 자회사 | 사 유 |
---|---|---|
신규연결 | ||
연결제외 | ||
중소기업 등 해당 여부
중소기업 해당 여부 | |
벤처기업 해당 여부 | |
중견기업 해당 여부 |
회사의 주권상장(또는 등록ㆍ지정) 및 특례상장에 관한 사항
주권상장(또는 등록ㆍ지정)현황 | 주권상장(또는 등록ㆍ지정)일자 | 특례상장 유형 |
---|---|---|
경영진 및 감사의 중요한 변동
변동일자 | 주총종류 | 선임 | 임기만료또는 해임 | |
---|---|---|---|---|
신규 | 재선임 | |||
가. 회사의 본점소재지 및 그 변경 - 본점소재지 : 서울시 영등포구 여의대로 66(여의도동, (주)아이엠증권(구,하이투자증권)빌딩)- 당사는 설립일 이후 보고서 제출일 현재까지 최대주주의 변동 사실이 없습니다. 나. 경영진의 중요한 변동 (대표이사를 포함한 1/3이상 변동) 당사는 설립일 이후 보고서 제출일 현재까지 최대주주의 변동 사실이 없습니다. 다. 최대주주의 변동 당사는 설립일 이후 보고서 제출일 현재까지 최대주주의 변동 사실이 없습니다. 라. 상호의 변경 당사는 설립일 이후 보고서 제출일 현재까지 상호 변경 내역이 없습니다. 마. 회사가 화의, 회사정리절차 그 밖에 이에 준하는 절차를 밟은 적이 있거나 현재 진행중인 경우 그 내용과 결과 당사는 설립일 이후 보고서 제출일 현재까지 화의, 회사정리절차 그 밖에 이에 준하는 절차를 밟은 적이 없습니다. 바. 회사가 합병등을 한 경우 그 내용 당사는 설립일 이후 보고서 제출일 현재까지 합병과 관련된 사항이 존재하지 않습니다. 사. 회사의 업종 또는 주된 사업의 변화 당사는 자본시장과 금융투자업에 관한 법률 시행령 제6조제4항제14호에 의거하여 다른 법인과의 합병을 유일한 사업목적으로 하여 2022년 11월 21일 설립된 회사이며,업종의 변화 또는 주된 사업의 변화 사실이 존재하지 않습니다. 아. 경영활동과 관련된 중요한 사실의 발생 당사는 설립일 이후 증권신고서 제출일 현재까지 기업분할, 영업양수도 등 경영활동과 관련된 중요한 사실의 발생이 없습니다.
가. 자본금 변동현황
(단위 : 원, 주) |
종류 | 구분 | 4기(2025년 반기) | 3기(2024년말) | 2기(2023년말) | 1기(2022년말) |
---|---|---|---|---|---|
보통주 | 발행주식총수 | 5,014,000 | 5,014,000 | 5,014,000 | 764,000 |
액면금액 | 100 | 100 | 100 | 100 | |
자본금 | 501,4000,000 | 501,4000,000 | 501,4000,000 | 512,000,000 | |
우선주 | 발행주식총수 | - | - | - | - |
액면금액 | - | - | - | - | |
자본금 | - | - | - | - | |
기타 | 발행주식총수 | - | - | - | - |
액면금액 | - | - | - | - | |
자본금 | - | - | - | - | |
합계 | 자본금 | 501,4000,000 | 501,4000,000 | 501,4000,000 | 512,000,000 |
주) 설립시 주당 발행가액은 1,000원이며, 공모시 주당 발행가액은 2,000원입니다.
나. 전환사채 발행현황 금융투자업규정에 의거 발기인인 금융투자업자(지분증권 투자매매업자)는 기업인수목적회사 발행 주식등 발행총액의 5% 이상을 소유해야하는 규정에 따라 (주)아이엠증권(구,하이투자증권)는 본 공모 전에 8.95억원의 전환사채를 인수하였습니다.
구 분 | 제1회 전환사채 |
발 행 일 자 |
2022년 11월 30일 |
권 면 총 액 |
1,236,000,000원 |
사채의 만기 | 2027년 11월 30일 |
만기보장수익율 |
0% |
전환사채 배정방법 |
사모 |
전환청구기간 |
사채발행일로부터 1월이 경과한 이후 만기 직전일(2027.11.29.)까지 |
전환비율 및 가액 | 사채권면 금액의 100%, 1,000원 |
전환대상주식의 종류 | 기명식 보통주 |
전환사채별 주요 보유자 |
(주)아이엠증권(구,하이투자증권) (8.62억원) 히스토리투자자문(1.62억원) 하나벤처스(2.12억원) |
전환가능주식수 |
전환가능주식수: 1,236,000주 |
전환사채 전환 및 의결권행사 제한 사항 | 주1) |
보호예수기간 | 코스닥시장 상장규정에 따라 당해 주권상장일로부터 합병대상법인과의 합병에 따른 추가상장일 후 6개월간 (단, 증권의 발행 및 공시 등에 관한 규정 제5-13조 제4항에 따른 합병가치 산출시에는 투자매매업자인 (주)아이엠증권(구,하이투자증권)가 소유한 주식 및 전환사채는 당해 주권상장일로부터 합병기일 후 1년)까지 매각 제한) |
비 고 |
1) 인수인 : (주)아이엠증권(구,하이투자증권), 히스토리투자자문(주), (주)하나벤처스2) 전환가격 조정에 관한 사항전환청구를 하기 전에 합병, 분할 또는 분할합병, 주식의 분할 및 병합, 자본의 감소, 영업의 전부 양도 등이 있는 경우 당해 조정사유 발생 직전에 전환권이 행사되어 전액 주식으로 전환되었더라면 당해 조정사유 발생 이후에 사채권자가 가질 수 있었던 주식수로 전환할 수 있는 전환가액으로 조정한다. 단, 조정된 전환가액이 액면가 이하일 경우에는 액면가를 전환가액으로 한다. |
주1) 전환사채 인수자인 (주)아이엠증권(구,하이투자증권), 히스토리투자자문(주), (주)하나벤처스은 상법 제522조에 따른 합병승인을 위한 주주총회의 결의 시에 회사 주식의 최초 모집 이전에 취득한 주식등(해당 주식등에 부여된 전환권 등의 권리행사로 취득한 주식을 포함한다)에 대하여 상법 제 522조에 따른 의결권을 행사하지 아니하거나 이를 한국예탁결제원에 위임하여 해당 주주총회에 참석한 주식수(서면투표 주식수를 포함한다)에서 이를 뺀 주식수의 의결내용에 영향을 미치지 아니하도록 찬성 및 반대(기권 및 무효를 포함한다)의 비율에 따라 의결권을 행사하여야 합니다. 합병승인 안건에 반대하는 경우에도 공모전 발행 주식(전환사채 포함)에 대하여 상법 제522조의3에서 규정하는 합병반대주주의 주식매수청구권을 행사하지 못합니다.또한 공모시 발행주식 및 공모 후 취득한 주식에 대해서도 의결권을 행사할 수 없으며, 주식매수청구권을 행사할 수 없습니다.
주주등 약정서 |
제6조 합병대상법인과의 합병 등
6.1 합병업무에 대한 협조
당사자들은 합병대상법인의 물색 및 합병구조에 대한 협의 등 합병에 대하여 최선의 노력과 협조를 다하여야 한다.
6.2 합병에 관한 의결권 및 합병반대주주의 주식매수청구권의 행사금지
가. 당사자들은 당사자들이 보유하는 공모전 발행주식에 대하여 다음 각 호의 권리를 행사하지 아니한다. 당사자들이 대상회사의 설립 후 추가로 취득하거나 전환사채를 전환하여 취득하게 된 주식분에 대해서도 같다.
(i) 대상회사와 합병대상법인과의 합병승인을 위한 주주총회에서 합병승인에 대한 안건에 대한 의결권. 다만, 합병대상법인과의 합병승인을 위한 주주총회의 결의에 관하여 의결권을 예탁결제원에 위임하여 해당 주주총회에 참석한 주식수(서면투표 주식수를 포함) 중에서 공모주식 수의 의결내용에 영향을 미치지 아니하도록 찬성 및 반대(기권 및 무효를 포함한다)의 비율에 따라 의결권을 행사하는 경우에는 그러하지 아니하다. (ii) 상법 제522조의3에 따른 합병반대주주의 주식매수청구권 |
주2) 본 전환사채는 사모발행으로서 전매제한조치(청약권유대상자가 50명 미만일 경우 모집의 개념에 해당되지 않으나, 발행 후 1년 이내에 50인 이상의 자에게 양도될 수 있는 경우는 전매가능성이 있는것으로 보아 모집에 해당되므로, 사모발행의 경우에는 전매제한조치를 필요로 함)와 권면분할금지(권면의 매수를 50매 미만으로 하고 발행 후 1년간 권면분할을 금지한다는 특약을 증권의 권면에 기재하면 전매가능성이 없는 것으로 인정)를 준수하였습니다.① 전매제한 및 권면분할조치 준수내용 : "본 사채권은 무기명식에 한하며, 발행후 1년간분할 및 병합이 불가능하고, 일(1)년 이내에 오십(50)인 이상의 자에게 전매될 수 없다."
증권의 발행 및 공시등에 관한 규정 제2-2조(증권의 모집으로 보는 전매기준) |
① 영 제11조제3항에서 “금융위원회가 정하여 고시하는 전매기준에 해당하는 경우”란 다음 각 호의 어느 하나에 해당하는 경우를 말한다.1. 지분증권(지분증권과 관련된 증권예탁증권을 포함한다. 이하 이 조 및 제2-3조제2항에서 같다)의 경우에는 같은 종류의 증권이 모집 또는 매출된 실적이 있거나 증권시장(제2-2조의3제1항에 따른 코넥스시장을 제외한다)에 상장된 경우. 이 경우 분할 또는 분할합병(「상법」제530조의12에 따른 물적분할의 경우를 제외한다)으로 인하여 설립된 회사가 발행하는 증권은 분할되는 회사가 발행한 증권과 같은 종류의 증권으로 본다.2. 지분증권이 아닌 경우(법 제4조제3항에 따른 기업어음증권은 제외한다)에는 50매 이상으로 발행되거나 발행 후 50매 이상으로 권면분할되어 거래될 수 있는 경우. 다만, 등록(「공사채 등록법」및「전자단기사채등의 발행 및 유통에 관한 법률」에 따른 등록을 말한다.)발행의 경우에는 매수가 아닌 거래단위를 기준으로 적용한다.3. 전환권, 신주인수권 등 증권에 부여된 권리의 목적이 되는 증권이 제1호 또는 제2호에해당되는 경우(4,5,6호 생략)② 제1항에도 불구하고 증권을 발행함에 있어 다음 각 호의 어느 하나에 해당하는 경우에는 제1항에 따른 전매기준에 해당되지 않는 것으로 본다.1. 증권을 발행한 후 지체없이 한국예탁결제원(이하 “예탁결제원”이라 한다)에 예탁(공사채등록법에 따른 등록을 포함한다. 이하 이 장에서 같다)하고 그 예탁일부터 1년간 해당 증권(증권에 부여된 권리의 행사로 취득하는 증권을 포함한다)을 인출하거나 매각(매매의 예약 등을 통해 사실상 매각이 이루어지는 경우를 포함한다. 이하 제9호에서 같다)하지 않기로 하는 내용의 예탁계약을 예탁결제원과 체결한 후 그 예탁계약을 이행하는 경우 또는 「금융산업의 구조개선에 관한 법률」(이하 “금산법”이라 한다) 제12조제1항에 따라 정부 또는 예금보험공사가 부실금융기관에 출자하여 취득하는 지분증권에 대하여 취득일부터 1년 이내에 50인 이상의 자에게 전매되지 않도록 필요한 조치를 취하는 경우2. 제1항제2호 중 50매 미만으로 발행되는 경우에는 증권의 권면에 발행 후 1년 이내 분할금지특약을 기재하는 경우. 다만, 등록(「공사채 등록법」및「전자단기사채등의 발행 및 유통에 관한 법률」에 따른 등록을 말한다.)발행의 경우에는 거래단위를 50단위 미만으로 발행하되 발행 후 1년이내에는 최초 증권 발행시의 거래단위 이상으로 분할되지 않도록 조치를 취하는 경우를 말한다.3. 제1항제3호에 해당되는 경우에는 권리행사금지기간을 발행 후 1년 이상으로 정하는 경우(이하 생략) |
주3) 상기 전환사채 인수자인 (주)아이엠증권(구,하이투자증권), 히스토리투자자문(주), (주)하나벤처스는 전환사채의 미전환확약서를 통해서 합병 대상기업과의 합병에 따른 합병신주상장일로부터 6개월이 경과하기 전까지 전환하지 않을 것을 확약하였습니다.
다. 신주인수권부사채 등
해당사항 없습니다. 라. 현물출자
해당사항 없습니다.
가. 주식의 총수 현황 당사의 정관상 발행할 주식의 총수는 500,000,000주이며, 보고서 작성 기준일까지 발행한 주식의 총수는 5,014,000주입니다.
(기준일 : | ) |
구 분 | 주식의 종류 | 비고 | |||
---|---|---|---|---|---|
합계 | |||||
Ⅰ. 발행할 주식의 총수 | |||||
Ⅱ. 현재까지 발행한 주식의 총수 | |||||
Ⅲ. 현재까지 감소한 주식의 총수 | |||||
1. 감자 | |||||
2. 이익소각 | |||||
3. 상환주식의 상환 | |||||
4. 기타 | |||||
Ⅳ. 발행주식의 총수 (Ⅱ-Ⅲ) | |||||
Ⅴ. 자기주식수 | |||||
Ⅵ. 유통주식수 (Ⅳ-Ⅴ) | |||||
Ⅶ. 자기주식 보유비율 |
나. 자기주식 취득 및 처분 현황해당사항 없습니다.
다. 다양한 종류의 주식 현황해당사항 없습니다.
해당사항 없습니다.
사업목적 현황
구 분 | 사업목적 | 사업영위 여부 |
---|---|---|
당사는 「자본시장과 금융투자업에 관한 법률」(이하 “자본시장법”)에 따라 회사의 주권을 한국거래소 코스닥시장에 상장한 후 다른 회사(이하 “합병대상법인”)와 합병하는 것을 유일한 사업목적으로 하고 있으며, 그 외 별도의 사업을 영위하지 않습니다.
가. 합병의 개요
(1) 합병 형태
당사는 자본시장법시행령 제6조 4항 14호에 따라 합병을 유일한 목적으로 회사가 설립된 법인입니다. 또한, 상법 제527조의2 및 527조3에 따른 소규모합병 및 간이합병을 할 수 없고 상법 제 542조에 따른 신설합병의 방식으로 합병할 수 없으며, 자본시장법 제9조 제15항 제4호에 따른 주권비상장법인과 합병하는 경우 코스닥시장상장규정 제2조 제1항 제1호 바목 2)에 따른 합병 상장을 제외하고는 당사가 소멸하는 방식으로 합병할 수 없습니다. 본 상장예비심사신청서가 승인을 득한 이후 코스닥시장에 상장절차를 진행할 예정이며, 상장 이후 합병대상법인과의 합병을 진행하게 됩니다. 당사는 합병대상법인과의 합병 이후 상장폐지 계획은 없습니다.
또한, 「자본시장과 금융투자업에 관한 법률 시행령」제176조의5 제1항 각 호에 따라 산정된 합병가액 또는 최근 사업연도말 현재 재무상태표상 자산총액이 예치 또는 신탁된 금액의 100분의 80이상이어야 합니다. 이 경우 합병대상법인이 다수인 경우에는 각 법인의 합병가액 또는 자산총액을 각각 합산한 금액을 기준으로 합니다.
한편, 당사는 당사 정관 제58조(합병대상법인의 규모 및 합병제한)에 따라 합병대상법인을 한정하고 있습니다.
[정관 상 합병대상회사 관련 사항]
제 63 조 (합병을 위한 중점 산업군) 이 회사는 상장 이후 다음 각호의 1에 해당하는 산업군(이하 “합병을 위한 중점 산업군”이라 한다)에 속하는 합병대상법인과의 합병을 추진한다. 1. 신재생에너지 2. 탄소저감에너지 3. 바이오제약(자원)ㆍ의료기기 4. 게임 및 소프트웨어산업 5. 그린수송 6. 2차 전지 7. LED 응용 8. 신소재ㆍ나노융합 9. IT융합시스템 10. 그린수송시스템 11. 출판, 영상, 방송통신 및 정보서비스업 12. 교육 서비스업 13. 고부가 식품산업 14. 물류ㆍ운수서비스 15. 기타 미래 성장 동력을 갖추었다고 판단되는 산업 |
■ 신재생에너지
신재생에너지란 석탄, 석유, 원자력 및 천연가스가 아닌 태양에너지, 바이오매스, 풍력, 연료전지, 석탄의 액화, 가스화, 해양에너지, 폐기물에너지로 구분되어 있으며 이외에도 지열, 수소, 석탄에 의한 물질을 혼합한 유동성 연료를 의미합니다. 넓은 의미로 석유를 대체하는 에너지원을 통칭하며, 좁은 의미로 신재생에너지원을 뜻합니다. 우리나라는 미래에 사용될 신재생에너지로 석유, 석탄, 원자력, 천연가스가 아닌 11개의 에너지 분야를 지정하였고 세분하여 보면 아래 표와 같습니다.
분류 |
정의 |
특징 |
|
---|---|---|---|
재생 에너지 |
1)태양열 |
태양의 열에너지를 모아서 혹은 바로 사용 |
다른 신재생에너지에 비해 설치가 간단하고 저렴해서 보급률이 높음 |
2)태양광 |
발전 시스템을 이용해 빛에너지를 전기로 바꿈 |
유지보수가 용이하지만 초기 투자비와 발전단가가 높음 |
|
3)바이오에너지 |
나무, 식물, 음식물쓰레기 등 동식물의 에너지 |
환경오염의 원인이 되기도 하는 쓰레기매립지 가스를 원료로 발전설비를 가동하고 전력을 생산 |
|
4)풍력에너지 |
바람의 에너지를 회전력으로 바꿔 전기를 생산 |
가정용, 공업용으로 직접 소모하거나 한국전력에 역으로 송전하여 전기 판매 가능 |
|
5)소수력발전 |
강 상류나 댐의 높이차로 인한 소수력을 이용한 에너지 |
한국에너지공단에 의하면 정부의 지원으로 30여개 지역에 설치된 발전소에서 연간 1억kWh를 생산 |
|
6)지열에너지 |
땅속의 온도와 지면의 온도차를 이용한 에너지 |
여름에는 땅 위보다 시원하고 겨울에는 따뜻하기 때문에 냉난방 시스템으로 이용 가능 |
|
7)해양에너지 |
바다의 파도, 수온차, 밀물과 썰물의 깊이를 이용한 에너지 |
발전소를 이용해 에너지를 얻을 수 있음 |
|
8)폐기물에너지 |
쓰레기를 재활용해서 얻는 에너지 |
기술을 통해 쓰레기를 연료로 만들거나 소각하여 열에너지를 얻을 수 있음 |
|
신재생에너지 |
1)연료전지 |
수소와 산소의 화학반응으로 생기는 화학에너지를 전기로 변환시키는 기술 |
발전소를 이용해 에너지를 얻을 수 있음 |
2)석탄가스·액화 |
저급원료를 가스화기에서 수증기와 산소로 연소시켜 정제 |
유지보수가 용이하고 무인화로 사용 가능한 고효율의 발전기술이지만 소요면적이 넓고 초기 투자비용이 높음 |
|
3)수소에너지 |
물, 유기물, 화석연료 등의 화합물 형태로 존재하는 수소를 분리 생산해서 에너지로 이용 |
수소연료전지 자동차 등으로 상용화 가능 |
세계 신·재생에너지산업은 2004년 본격적으로 성장을 시작하여 2020년까지 연평균 24%, 4,000~8,000억 달러 시장 규모로 가파르게 성장하였습니다. 탄소 배출 감량, 일자리 창출, 사회적 웰빙에 기여, 경제 회복의 핵심 수단, 특히 일본 후쿠시마 원전사고 후 원전에 대한 거부감은 해당 산업 성장을 촉진시키고 있습니다. 대표 선진국인 미국, 일본, 독일 및 유럽연합(EU)은 발전량 기준 2013년 각각 12.9%, 13.6%, 25.3%, 6.8%에서 2025년 25%, 20%, 35%, 20%로 신재생에너지 보급 확대를 목표로 하고 있으며, 성장 도모를 위한 각국 정부의 지원 또한 2011년 880억 달러에서 2035년 2,400억 달러까지 증가할 것으로 예상됩니다.
신재생에너지에 대한 우리나라의 주요 정책, 계획 및 법령을 살펴보면 2008년 ‘저탄소 녹색성장 국가발전 패러다임’을 제시한 이래, 2008년 9월 ‘신재생에너지 중심 그린에너지산업 발전전략’, 2011년 ‘그린에너지전략 로드맵’ 2015년 ‘2030에너지 신산업 확산전략’ 등이 잇달아 발표되었고, ‘녹색인증제도’, ‘신재생에너지 해외진출 지원제도’, ‘신재생에너지 공급 의무화제도’, ‘신재생 에너지 연료 혼합 의무화 제도’ 등이 시행되고 있습니다. 이와 같은 KETEP 및 KEPCO와 산업통상자원부 중심의 기업 및 산업육성 정책은 선진국 수준의 기술력 확보라는 긍정적 결과를 도출하였으며, 시장 확대를 위한 정부의 견인정책은 기업진입을 용이하게 하고 있습니다.
전세계 신재생에너지 소비량은 신재생에너지에 대한 수요 증가와 정부의 정책 지원에 힘입어 연평균 8.5%의 고속 성장을 거둘 것으로 예상되며, 2040년 소비량은 약 27억 4,810만톤에 육박할 것으로 보입니다. 신재생에너지 시장 규모는 2017년 약 1조 4,690억 달러에서 2025년 약 2조 1,529억 달러를 형성할 것으로 전망되며, 신재생에너지 산업은 탄소 배출 감량과 일자리 창출, 경제 회복의 수단으로 각광받는 산업으로서 안정적인 성장이 예상됩니다.
■ 바이오제약·의료기기
* 바이오제약
바이오산업은 건강(Red), 환경(White), 식량(Green) 등 인류 난제 해결에 필요한 기술 및 제품 개발을 통해 고부가가치를 창출하는 미래 신산업입니다. 기존 일반 합성의약품이 화학적 공법으로 물질 합성을 통해 약품을 제조해왔다면, 최근 각광받고 있는 바이오제약(Biologics)은 생명공학을 통해 조작된 생체조직을 활용하여 약품 물질을 만들어내어 합성의약품에 비해 중증 질환이나 만성 질환에 더 효과적이며 부작용이 적은 특징을 가지고 있습니다.
[바이오 의약품의 범위와 내용]
구분 |
주요 내용 |
---|---|
생물학적 제제 |
- 물리적, 화학적 시험만으로 역가와 안전성을 평가할 수 없는 백신, 혈액제제 등 포함 |
백신 |
감염병 질환의 예방 등을 위해 투여하는 의약품 약독화 생백신, 비활성화 백신, Subunit 백신, Toxoid 백신, 혼합백신, DNA 백신 등 |
혈액제제 |
혈액을 원료로 하는 혈액성분제제와 혈장분획제제 원료의 유한성 및 특성을 감안하고, 자국 혈액을 우선 이용해야 하기 때문에 대한적십자사가 공공성을 가지고 관리 |
유전자재조합 의약품 |
유전자 조작에 의해 제조되는 단백질 등을 유효성분으로 하는 단백질의약품과 항체의약품 포함 |
단백질 의약품 |
주로 난치성 질환치료에 사용되며 1,2세대 제품으로 구분 1세대 제품: 천연 단백질과 동일한 구조를 사용 2세대 제품; 단백질공학기술을 응용하여 효능이 개선되거나 부수적인 물질을 결합하여 반감기가 늘어나 지속성 제제 |
항체 의약품 |
단백질 항원이나 암세포 표면에서 발현되는 표지인자를 표적으로 하는 단세포군 항체(Monoclnal antibody) 이용 인체 적용 시 부작용을 최소화할 수 있도록 개량 아미노산 서열정보에 따라 키메라항체, 인간화항체, 완전 인간 항체로 구별 |
세포배양 의약품 |
살아있는 자가, 동종 혹은 이종세포를 체외에서 배양 증식하거나 선별하는 등 물리적, 화학적, 생물학적 방법 활용 줄기세포치료제와 항암세포치료제가 해당 |
유전자 치료제 |
질병치료 등을 목적으로 인체에 투입하는 유전물질 또는 유전 물질을 포함하고 있는 의약품 |
바이오 의약품은 일반적으로 생물학적 제제, 백신, 혈액제제, 유전자재조합 의약품, 단백질 의약품, 항체 의약품, 세포배양 의약품, 유전자 치료제로 구분됩니다. 전 세계적으로 제약산업이 높은 성장세를 보이는 가운데 바이오 의약품은 2020년 전 세계 의약품 매출 상위 10대 품목 중 8개를 차지하였고, 2021년 전체 제약시장에서 32% 비중을 차지하고 있습니다.
[세계 바이오 의약품 시장규모]
(자료: 한국바이오의약품협회, 2020)
한국은 우수한 인재를 비롯해 생명공학 인프라와 뛰어난 임상시험 능력, 최고 기준의 IT 기반기술을 갖춘 바이오의약품 강국입니다. 특히, 바이오시밀러·베터 분야에서 세계 최고 수준의 생산 규모와 기술력을 보유하고 있으며, 2012년부터 2019년 사이 엔브렐 등 대형신약의 특허 만료시한이 임박함에 따라 국내 기업들이 글로벌 시장에 진출할 수 있는 환경이 조성되고 있습니다. 세계 의약품 시장은 2016년부터 2020년까지 연평균 3.6%까지 성장하였고, 2020년 1조 3,054달러 규모입니다. 세계 의약품 시장은 2026년까지 최대 1조 3,900억 달러 시장으로 확대될 전망이며, 정부의 적극적인 지원 하에 국내 바이오산업은 더욱 빠르게 성장할 것으로 기대됩니다.
* 의료기기
국내 의료기기 산업은 4차 산업혁명을 선도하는 핵심 기술들과 빠르게 융합하면서 진일보하고 있습니다. ICT 기술과의 융합을 통한 응용 제품과 3D프린팅 기술을 활용한 개인맞춤형 의료기기에 이어 의료용 로봇과 수술기 그리고 인공지능 기반의 제품과 가상현실(VR, Virtualreality)·증강현실(AR, Augmented reality) 등 첨단 기술을 이용한 다양한 제품군으로 확대하고 있습니다. 기존의 전통적인 의료기기와는 달리 복잡해지고 다양화되는 추세가 지속되면서 의학, 전기전자, 기계, 광학 등 기술이 융합되는 특성을 보이고 있습니다. 전 세계적인 수명연장과 고령화는 의료 수요를 급속히 증가시키고 있으며, 첨단의료기기의 실용화로 치료에 앞서 예방을 통해 의료비를 절감시켜야 하는 상황은 새로운 의료기기 산업성장의 기회로 여겨지고 있습니다. 우리나라는 고령화 사회 가속화, 기대 수명의 증가, 질병의 다양화, 정책적 지원 등으로 의료기기 분야는 유망한 산업 중 하나로 확고히 자리를 굳혔습니다. 전 세계에서 가장 빠른 속도로 고령화가 진행 중인 상황에서, 2027년 노인인구 1000만 시대를 맞게 됩니다. 이러한 고령화로 인한 만성질환 문제가 사회적 이슈로 대두되면서 질환 예방관리를 위한 서비스가 보편화될 것으로 예상되며 IT, BT, NT, RT 등 다양한 기술이 융/복합된 제품들이 새로운 의료수요를 창출하면서 의료기기 시장이 급속하게 확대될 것으로 예상됩니다.
전 세계적으로 생산되는 의료기기는 모두 6,000여종(75만여 품목)에 달하며, 이 중 2,400여 종이 국내에서도 생산되고 있지만 품목별 10만대를 초과하는 품목이 거의 없을 정도로 대표적인 다품종 소량생산 산업입니다. 산업통산자원부에 의하면 의료기기는 의료영상진단기, 생체신호계측기, 가정용 의료기기, 재활 및 보조장치, 인공장치, 영상의료정보시스템으로 세분하고 있습니다.
[의료기기의 범위와 내용]
구분 |
분류 |
의료영상진단기 |
엑스선 촬영장치, CT, MRI, PET, 초음파 촬영장치 등 |
생체신호계측기 |
심전계, 뇌파계, 환자감시장치 등 |
가정용 의료기 |
전자혈압계, 혈당측정기 등 |
재활 및 보조장치 |
전동휠체어, 초음파지팡이 등 |
인공장치 |
감각, 순환계, 기타 인공장기 등 |
영상의료정보시스템 |
PACS, EMR 등 |
(가) 세계시장 전망
BMI Espicom(2017)은 향후 세계 의료기기 시장이 2021년에 4,458억 달러로 성장할 것으로 전망하였으며, 2018년 이후 연평균 성장률은 5.8%로 추정하였습니다. 시장 성장의 주요 요인은 고령화 추세, 건강에 대한 관심 고조 및 웰빙에 대한 사회적 분위기 확산, 주요 국가들의 보건의료 정책, BRICs 등 경제 성장으로 인한 의료서비스 수요증가로 판단됩니다. 지역별로는 아시아·태평양 지역이 2021년에 921억 달러, 연평균 6.6% 성장할 것으로 전망되었으며, 중동·아프리카 지역의 시장 규모는 작으나 성장률은 7.1%로 전망되었고, 북미·남미 시장은 2021년 2,138억 달러로 48.0% 비중을 차지하며, 서유럽 시장은 1,099억 달러로 24.7%, 중앙 및 동유럽은 176억 달러로 3.9% 비중을 차지하는 것으로 추정되었습니다.
(나) 국내시장 전망
2022년 한국의료기기산업협회 연감에 따르면, 2021년 국내 의료기기 생산 규모는 12조 8,831억원으로 전년 대비 27.1% 증가하였으며, 2017년부터 2021년까지 최근 5년간 연평균 22.0%로 높은 성장세를 보인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코로나19 진단용 키트에 대한 수요 증가로 고위험성감염체면역검사시약, 고위험성감염체유전자검사시약, 감염체진단면역검사시약 등 체외진단의료기기 품목들의 생산액이 크게 증가하여 약 4조 3,549억원 규모로 전체 의료기기 생산액의 33.8%를 차지하였습니다. 이러한 의료기기산업의 국·내외 시장의 성장세는 4차 산업혁명과 더불어 신기술 의료기기산업으로 변모를 꾀하고 있는 과정에 있고, 고령화 사회로 들어섬에 따라 그 수요는 지속적으로 증가할 것으로 예상됩니다.
■ 게임산업
게임산업은 게임 소프트웨어를 제작 및 공급하는 산업활동을 말하는 것으로 하드웨어인 플랫폼의 종류에 따라 콘솔게임(비디오게임), 아케이드게임, 모바일게임, PC게임 등 크게 4가지 시장으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 게임산업은 인터넷 및 스마트폰의 보급률의 증가와 IT 기술 발달로 인해, 영화, 음반 산업과 같이 하나의 문화·여가산업으로 자리 잡았으며, 경기 침체기에도 다른 대체 문화생활에 비해 저렴한 비용으로 즐길 수 있다는 장점을 갖고 있습니다. 또한 여타 문화 콘텐츠 산업 대비 경기변동에 영향을 덜 받는 특성을 가지기에 무형자산 수출의 상대적 용이성이 있으며, 다양한 소비층 형성 및 인프라(플랫폼) 확충으로 지속적 성장이 기대되는 산업입니다.
[국내 게임시장 규모 및 성장률(2011-2020)]
(자료: 한국콘텐츠진흥원, 2021)
2020년 국내 게임시장 규모는 18조 8,855억원으로, 2019년의 15조 5,750억원 대비 21.3% 증가했습니다. 또한 2020년은 코로나19 여파로 실내 활동이 더 늘어나 모바일 게임 매출도 큰 폭으로 증가했는데, 2020년 모바일 게임 시장 규모는 10조 8,311억 원으로 집계되어 국내 게임산업 전체에서 차지하는 비중은 57.4%를 기록하였습니다. 국내 게임산업은 2013년에만 잠깐 주춤했을 뿐, 최근 10년 동안 꾸준히 높은 성장세를 유지하고 있는데, 특히 코로나19 영향으로 2020년 한국 경제 성장률은-1%로 역성장한데 반해 게임은 여전히 높은 성장률을 기록하였습니다.
[세계 게임시장 규모 및 성장률(2018-2023E)]
(자료: 한국콘텐츠진흥원, PwC, Enterbrain, JOGA, iResearch, Play meter, NPD)(2021)
2020년 세계 게임산업은 큰 변화를 겪었는데, 무엇보다 코로나19 유행으로 게임 소비가 크게 늘었습니다. 게임 이용 시간은 코로나19 이전(일평균 96분)보다 약 34.7%(일평균 129분) 증가하였고, 콘텐츠 소비 공간으로 집이 차지하는 비중이 기존 52%에서 69%로 높아졌습니다. 2018년부터 2023년까지 세계 게임 시장 규모 및 전망을 살펴보면 연평균 7.8% 성장하여 타 산업 대비 높은 성장이 기대됩니다. 특히 모바일 게임이 연평균 9.6% 성장하여 전체 게임 시장 성장을 견인할 것으로 예측되며, 다음으로 PC 게임이 연평균 8.3%, 콘솔 게임이 7.2% 성장을 이어갈 전망입니다. 아케이드 게임은 연평균 2.8%로 성장세가 둔화될 것으로 예상됩니다.
국내 업계는 인터넷 환경, 온라인 게임분야의 높은 경쟁력으로 현재 세계시장 점유율의 25%를 상회하고 있습니다. 그러나 정책환경 변화(셧다운제, 게임중독기금 등)에 민감하고 진입장벽이 낮아 적극적인 인력양성과 경영환경 안정화가 시급한 상황입니다. 또한 최근 중국 업계의 점유율이 한국을 넘어서고 있어 이에 대한 대응이 필요합니다.
■ 빅데이터·정보보안
빅데이터 시장은 대용량 데이터를 분석하여 적절한 상황에 맞게 가공하여 사용함으로서 개인 맞춤별 마케팅과 효율적인 공공정책 수립이 가능한 사업입니다. 스마트폰 600대, 테블릿 PC가 122대 판매될 때마다 서버 1대가 추가로 필요한 만큼 스마트 디바이스 시장의 폭발적인 성장과 함께 빅데이터 시장 역시 성장세는 지속될 전망입니다.
[국내 빅데이터 및 분석 시장 전망(2020-2025)]
국내 빅데이터 시장은 2021년 전년 대비 5.5% 성장하여 2조 296억원의 매출 규모를 형성할 전망입니다. 시장은 향후 5년간 연평균 성장률 6.9%를 기록하며 2025년까지 2조 8,353억원 규모에 이를 것으로 예상되며, 다양한 산업에서 이전보다 더 많은 데이터를 확보하고 이를 활용하기 위한 수요가 높아지며 자체 데이터 플랫폼 구축 및 관련 시스템 도입이 적극 이루어지는 추세입니다.
정부는 '13년 12월 '빅데이터 산업 발전전략’을 통해 국내 빅데이터 산업 활성화의 기본 틀을 제시한 이후 '혁신성장동력 계획’('18.05), '데이터 산업 활성화 전략’('18.06)에 이어 '데이터, AI 경제 활성화 계획('19~'23)’('19.01) 등의 구체적이고 체계적인 빅데이터 산업 발전 방향을 발표해왔습니다. 이와 같은 정책 추진 등을 통해 4차 산업혁명 시대 데이터를 근간으로 하는 데이터 경제 활성화의 인프라 구축 및 확대를 위한 정책적, 전략적 방향에 대한 가이드라인을 제시해 왔으며 이를 통해 향후 국내 빅데이터 시장의 활성화가 더욱 가속화될 것으로 전망됩니다. 또한 '데이터 3법’ 개정으로 가명정보 활용이 가능해지면서 각 정부기관에서 데이터 경제로 이행 가속화 할 수 있도록 데이터 바우처, 마이데이터 실증서비스, 데이터 플래그십 등 관련 빅데이터 및 AI 활용 사업 추진 계획에 따라 AI 시장 또한 확대될 것으로 예상됩니다.
■ 2차전지
전지(Battery)는 크게 물리전지와 화학전지로 구분됩니다. 그리고 화학전지는 다시 1차전지(primary battery)와 2차전지(secondary battery, rechargeable battery), 연료전지(fuel cell) 등으로 구분됩니다. 화학전지는 전지 내의 화학물질의 화학에너지를 전기화학적 산화, 환원반응에 의해 전기에너지를 변화하는 장치입니다. 1차전지는 한번 사용하고 버리는 알카라인 전지, 수은전지 등 기존의 전지를 말하며, 2차전지는 충전과 방전을 반복할 수 있는 전지를 지칭합니다. 납축전지, 니켈카드뮴전지, 니켈수소전지, 리튬이온전지, 폴리머전지 등으로 구분하며, 리튬계 2차전지의 경우 높은 작동전압과 높은 밀도를 갖고 있어 2차전지 중 가장 각광 받고 있습니다.
리튬이온전지는 도입 초창기인 2000년 이후 높은 에너지밀도와 가벼운 무게를 강점으로 휴대용 IT 기기의 시장 확대와 함께 성장하였습니다. 2000년대 후반부터 니켈카드뮴전지가 유해물질 문제로 사용 금지되기 시작하였으며, 상대적으로 고가였던 리튬이온전지의 가격이 기존의 니켈카드뮴전지, 니켈수소전지와 비슷한 수준까지 하락하면서 전동공구를 시작으로 E-Bike, E-Scooter 등의 시장이 형성되어 지속적인 고성장의 기반이 구축되었습니다. 2010년대 리튬이온전지를 장착한 전기자동차가 상용화되고 향후 2020년대 중반 이후 화석연료를 사용하는 내연기관의 생산 및 판매가 금지되는 등 국제적인 움직임에 따라 고성장이 전망됩니다.
[리튬이온 2차전지 시장 규모 변화 추이] |
(단위: 백만개) |
구 분 |
2019년 |
2020년 |
2021년 |
2022년 |
2023년 |
2024년 |
2025년 |
---|---|---|---|---|---|---|---|
폴리머 |
2,882 |
3,029 |
3,173 |
3,336 |
3,660 |
3,923 |
4,172 |
원 형 |
6,397 |
7,779 |
9,159 |
10,117 |
11,062 |
12,059 |
12,989 |
각 형 |
701 |
626 |
528 |
449 |
329 |
244 |
175 |
합 계 |
9,980 |
11,434 |
12,860 |
13,902 |
15,051 |
16,226 |
17,336 |
(출처: 삼성SDI MKT(2018))
2021년 기준 글로벌 2차전지 출하량은 345GWh이며, 세계 2차전지 시장의 새로운 성장동력으로 주목받고 있는 전기 자동차용 2차전지 시장규모는 247GWh로 전체 중 71.6%를 차지하고 있으며, 2025년까지 연평균 37.9%를 상회하는 폭발적인 성장세에 힘입어 2025년 1,115GWh에 달할 것으로 전망됩니다.
■ 디스플레이·LED 응용 산업
한국디스플레이산업협회에 따르면 '21년말 기준 전세계 디스플레이 시장은 1,571억 달러를 기록하였으며, 시장은 LCD와 OLED 디스플레이 패널 중심으로 전개되고 있습니다. PC, 휴대폰, TV를 주요 수요처로 성장하고 있는 디스플레이 시장은 기존의 LCD에서 OLED 패널로 교체가 진행되고 있습니다. 이에 따라 LCD 시장 규모가 과거 대부분의 비중을 차지하였으나 '19년에는 80% 이하의 비중으로 감소하였습니다. 반면 OLED 패널의 시장 규모는 OLED 패널을 탑재한 스마트폰 증가와 OLED TV 시장 확대가 진행되면서 빠른 속도로 증가하고 있습니다. OLED는 유기물을 사용한 자체발광 디스플레이로 빠른 응답속도, 넓은 시야 각, 얇은 두께, Flexible 구현 등 차세대 디스플레이로 적합한 특성을 가지고 있습니다. 한국디스플레이산업협회 자료에 의하면 글로벌 OLED 시장은 2017-2020년 사이 연평균 29.8% 고속 성장을 지속, 2028년 예상 시장규모는 573억 달러에 달할 것으로 전망하였습니다.
(출처: 한국디스플레이산업협회)
LED(Light-Emitting Diode)는 발광다이오드라 하며, 전류가 흐르면 빛을 방출하는 다이오드의 한 종류입니다. 발광다이오드(LED)는 단순한 조명을 넘어 농업, 의료, 미용, 헬스케어 등의 영역으로 용도가 확장되고 있습니다. 그 동안 단순히 조명 정도로 인식됐던 LED는 자외선(UV) 영역이 부각되면서 다시 각광받고 있습니다. 가장 먼저 관심을 받는 기능은 살균입니다. 수은이 포함돼 인체에 유해할 수 있는 자외선 살균 램프를 대신할 자외선 LED 소독기, LED 빛을 피부나 근육세포에 노출시켜 콜라겐과 엘라스틴을 생성시키는 피부미용, 햇빛 대신 사용 가능한 작물 재배 목적의 LED가 개발되는 등 다양한 사업에서 성장할 것으로 전망됩니다. 글로벌 시장조사업체 자이온마켓리서치에 따르면 세계 LED 시장은 세계 각국의 온실가스 감축 합의로 인한 LED 수요 증가로 2016년 261억 달러에서 2022년 543억 달러로 연평균 13.0%로 성장할 전망이며, 전통조명을 대체하는 전환률은 2018년 22%에서 2022년 60%에 달할 것으로 예상됩니다
[세계 LED 조명 시장 전망].
(자료: 자이온마켓리서치, (주)아이엠증권(구,하이투자증권))
한국광산업진흥회에 따르면 2019년 국내 LED 시장규모는 전년 대비 9.4% 성장한 1조 7,820억원으로 형성되었으며, 현재의 고성장 기조를 유지하여 2022년에는 2조 3,660억원 규모로 성장할 것으로 전망됩니다. 특히, OLED와 마이크로 LED는 12대 신산업에 속하는 미래 먹거리로 LED 중에서도 큰 주목을 받고 있습니다.
[국내 LED 조명 시장 전망]
(자료: 한국광산업진흥회(2020), (주)아이엠증권(구,하이투자증권))
■ 신소재·나노융합
모든 산업의 기초가 되는 부품 소재산업은 최종재 생산을 위해 사용되는 중간재의 일종으로, 크게 광의소재(정보통신, 전자부품, 디스플레이)와 협의소재(화학, 섬유, 2차전지, 금속, 비금속)로 구분됩니다. 부품 및 소재는 그 자체로는 상품으로서 가치를 창출하지 못하고, 다른 중간재와의 결합을 통해 그 기능을 발휘할 수 있지만, 최종재의 경쟁력을 결정하는 핵심요소로 작용하기 때문에 최종재의 품질 및 가격 경쟁력을 결정함으로써 수출 성과에도 큰 영향을 미치는 중요한 역할을 담당합니다.
소재 산업분야 중 가장 주목받는 분야는 나노융합산업입니다. 나노란 10억분의1을 나타내는 접두어로 1나노는 머리카락 굵기의 약 10만분의1 크기를 말합니다. 나노기술은 물질을 이러한 나노미터 크기의 범주에서 조작·분석하여 새로운 소재, 소자 또는 시스템을 창출하는 과학기술을 말하며 나아가 나노융합산업은 나노기술을 기존 기술에 접목하여 기존 제품의 성능을 개선, 혁신하거나 전혀 새로운 제품을 창조하는 산업을 말합니다. 2000년 미국의 국가나노기술전략(NNI)가 발표된 이후, 유럽, 일본 등 세계 각국에서 국가적인 나노기술 종합계획을 수립하여 정부 차원의 투자가 이뤄지고 있습니다.
산업통상자원부는 소재부품 산업의 지속적인 성장과 소재부품 수출 6,500억 달러, 무역흑자 2,500억 달러를 달성하고 일본을 넘어 소재부품 글로벌 4강 진입을 목표로 하겠다는 ‘소재부품 미래비전 2020’을 발표했습니다. ‘소재부품 미래 비전 2020’은 소재 경쟁력이 전체 산업의 경쟁력을 좌우하는 트렌드에 대응하기 위해 수립한 소재 중심의 중장기 발전전략입니다. 또한 2020년 7월 ‘소재·부품·장비 2.0 전략’을 발표하여 글로벌 소재·부품·장비 강국 도약 및 첨단산업의 세계 공장화를 목표로 전략을 추진 중입니다. 이에 2022년까지 약 5조원이 관련 산업 기술개발에 투자될 예정이며, 차세대 첨단 산업 분야의 투자 유치도 예정 중입니다.
■ IT융합시스템
IT산업과 타산업과의 융복합화를 통한 글로벌 경쟁력 확보와 세계시장 선점을 위한 부가가치 제고를 촉진하기 위해 센서 및 네트워크(RFID/USN)와 차세대 IT융합 핵심부품(차세대 반도체, 차세대 디스플레이 기기)를 중심으로 IT융합 산업 분야에 접목한 미래 핵심 성장동력입니다.
21세기를 맞이하고 있는 현재 전 세계적으로 IT분야와 다양한 산업과의 융합을 통한 IT컨버전스 비즈니스 산업이 각광받고 있는 추세에 있습니다. 특히, IT산업은 타 산업의 생산 효율성을 배가시킬 수 있는 인프라적 특성을 지니고 있으며 제조 및 서비스, 에너지, 바이오, 나노산업 등 미래지향적이고 고도의 산업과 융합을 통한 고부가가치 산업으로 발판을 마련할 수 있습니다. 이러한 IT융합 시스템 발전을 위한 신규과제 발굴 및 지원을 위하여 핵심원천기술을 중심으로 한 IT융합 R&D 투자를 지속적으로 진행할 전망입니다.
* 통신-IT융합
통신사업자들의 경우 기존 유무선 전화, 인터넷 등 주요 산업의 성장이 정체된 상황에서 컨버전스를 통해 새로운 서비스를 개발 및 제공해 성장동력으로 삼고 있습니다. 음성 통신뿐만 아니라 음악, 동영상, 게임, 전자상거래 등 다양한 콘텐츠와 서비스 등을 IT산업과 컨버전스 해 제공하고 있으며, 국내 통신사업자의 경우 클라우드, 방송, 금융, SNS, LBS, 헬스케어 등 통신시장의 경계를 넘어 연관산업 분야까지 진출하고 있는 추세입니다.
* 자동차-IT융합
자동차 업계는 IT와의 컨버전스를 통해 자동차의 편리성 및 안정성을 높여 차별화하는 전략으로 사용하고 있습니다. 타이어 압력 경고 시스템, 졸음운전 방지 시스템, 차선이탈 방지 시스템을 통해 안전성을 높이고, 스마트폰과 같은 IT 기기 및 센서, 소프트웨어 등을 자동차에 탑재해 편리성을 높이고 있습니다. 에너지와 환경에 대한 사회적 요구가 증가함에 따라 하이브리드나 전기, 수소연료전지 등 친환경 자동차 개발이 요구됩니다.
* 의료-IT융합
의료-IT 컨버전스는 IT기반의 의료산업을 뜻하며, 새로운 형태의 의료기기를 개발하고 네트워크와 같은 IT 인프라를 활용해 보다 빠른 의료 서비스를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습니다. 국내 이동통신사와 국내 병원과 제휴를 맺고 의료-IT 컨버전스 관련 제품 및 서비스 출시에 공을 들이는 것도 이와 같습니다. 또한, U-Health 사업 제휴 및 LTE와 초고속 인터넷, 와이파이 등을 이용한 새로운 비즈니스 모델 등도 추진하고 있습니다.
■ 그린수송시스템
자동차산업은 한 경제의 기술 수준과 경제력을 대표하는 기간산업으로서 완성차 업체와 그 협력업체들은 수만 명의 종업원을 고용하고 있으며, 수출과 부가가치 창출 등 국가 경제의 중추적 역할을 담당하고 있습니다.
자동차산업은 철강, 화학, 전기, 전자, 고무 등 전통적인 산업뿐만 아니라 IT, 바이오, 에너지, 환경 등 혁신산업과도 밀접한 연관성을 가지고 있어 전후방 산업에 대한 연쇄효과가 매우 큰 산업입니다. 또한, 자동차산업은 여러 재료 및 생산공정을 활용해 만들어진 수 만가지의 부품을 조립하여 생산하는 조립산업의 특성상 생산유발 효과가 크고 관련 산업의 성장이 자동차 산업 경쟁력 강화에 뒷받침이 될 수 있습니다.
자동차 업계는 장기적인 유가상승 추세와 주요 선진국의 연비 및 배기가스 배출 규제 등 환경 규제 강화라는 시장환경 변화에 대응하기 위해 전기차(xEV)를 개발, 판매하고 있는 추세입니다. 전기자동차는 크게 하이브리드 전기차(HEV), 플러그인하이브리드 전기차(PHEV), 배터리 전기차(BEV), 그리고 수소연료전지 전기차(FCEV)로 구분할 수 있는데, 기존 내연기관과 모터를 같이 사용하는 HEV와 PHEV에서 점차 배터리만을 활용하는 BEV 또는 연료전지를 사용하여 발전하는 FCEV로 기술 변화가 이루어지고 있는 상황입니다. 기존 내연기관에서 엔진 및 변속기가 차량의 가장 중요한 부품이었으나, 전기자동차 분야에서는 전기화학 소재 및 전기·전자 분야 부품들의 중요성이 커지고 있습니다.
친환경 규제에 맞는 내연기관 자동차 개발비용이 전기차 개발비용보다 높다는 판단에 따라 자동차 업계는 전기차로 전환하고자 하면서도 높은 배터리 비용이 판매에 걸림돌로 작용하였으나, 배터리 가격이 예상보다 하락 속도가 빨라 전기차의 충전 인프라만 잘 갖추어진다면 내연기관 자동차와 가격 경쟁이 가능할 것으로 전망되고 있습니다.
이러한 산업의 현황으로 인해 완성차 업체들은 친환경 자동차 투자 확대와 기술 향상에 따라 친환경 자동차 공급을 증가시키고 있으며, 친환경 자동차 판매 증가 등 수요 측면의 확대로 이어져, 그 변화 속도가 가속화되고 있습니다. 내연기관 자동차에서 하이브리드 자동차(HEV)를 거쳐 순수전기차(BEV)로 변화되어 2017년 전기차 판매량은 100만대를 돌파했고 이후 250만대를 초과할 전망입니다. 국내 제3차 친환경 자동차 개발 및 보급 계획에 따르면 '30년 100만대 보급을 목표로 하며, 최근 미세먼지 종합 대책으로 전기차 및 충전소 보급 확대를 위한 정책 시행이 활발합니다.
[글로벌 전기차 판매량 추이(좌)]
주: 2021년 판매량은 잠정치(자료: 한국자동차산업협회(KAMA))
■ 출판, 영상, 방송통신 및 정보서비스업
최근 세계 콘텐츠 시장은 새로운 비즈니스 모델 등장과 기술과의 융합이 가속화되며 시장 환경이 빠르게 변화하고 국가 간 경계도 희미해지고 있습니다. 특히 주요 글로벌 기업을 중심으로 기술과 콘텐츠 산업의 결합이 확산되며 제작, 유통, 소비의 전 과정에 중요한 영향을 미치고 있습니다. 이러한 현상은 콘텐츠 시장 변화의 중요한 요인 중 하나로 작용하고 있으며 아직까지 많은 분야가 기초적인 단계의 상호 융합에 머무르고 있으나 관련 기업들의 대규모 투자가 지속되며 실험적인 비즈니스 모델 등장, 편의성 개선, 협업 및 제작 과정 단순화 등 향후 중요한 변화를 야기할 것으로 전망되고 있습니다.
한국콘텐츠진흥원의 2019년 자료에 따르면 지식정보 시장이 세계 콘텐츠 시장에서 약 31.4%의 높은 비중을 차지하고 있으며, 해당 시장은 2020년 코로나19로 인해 유럽 등 후발 국가에서 5G 네트워크를 위한 장비 생산 및 네트워크망 구축 지연에 따라 일시적으로 성장 둔화가 예상됩니다. 그러나 화상 회의 도입, 스트리밍 서비스 이용자 확대, 클라우드 서비스 등장 등 비대면 환경 콘텐츠 이용 및 생활 습관 변화에 의한 유무선 인터넷 장비와 서비스 수요 증가로 2024년까지 연평균 3.94% 증가할 것으로 전망됩니다. 2020년 코로나19로 인해 대부분의 산업이 큰 타격을 입은 것으로 보이지만, 영화와 출판, 애니메이션을 제외한 나머지 분야에서 코로나19 이후 빠른 회복세를 기록하며 2024년까지 다시 회복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됩니다.
향후에도 개발도상국 중심의 인터넷 보급률 증가, 스마트폰 보급으로 인한 모바일 인터넷 사용 증가, 모바일 인터넷의 핵심으로 등장할 5G 서비스 등에 힘입어 인터넷 접속 시장은 성장세가 유지될 것으로 전망됩니다. 또한 최근 이용자가 빠르게 증가하고 있는 OTT 서비스와 새로 서비스를 시작하고 있는 클라우드 게이밍 서비스로 인한 모바일 및 유선 인터넷 수요 증가도 인터넷 접속 시장 증가에 영향을 미칠 것으로 예상됩니다.
[세계 콘텐츠 시장 규모 및 전망]
(자료: 한국콘텐츠진흥원(2020), 2020 해외 콘텐츠 시장 분석)
다. 합병기한 내 합병을 완료하지 못하는 경우 예상 효과
(1) 회사에 미치는 영향
당사는 「자본시장과 금융투자업에 관한 법률 시행령」제6조제4항 및 정관 제59조(해산사유)에 따라 최초로 모집한 주권의 주금납입일로부터 36개월 이내에 합병대상법인과의 합병등기를 완료하지 못한 경우 해산절차를 진행하게 됩니다.
[정관 상 회사의 해산과 관련된 사항]
제 59 조 (해산사유) 자본시장법 시행령 제6조 제4항 제14호 마목 및 금융투자업규정 제1-4조의2 제5항 제2호에 따라 다음 각 호의 어느 하나에 해당하는 경우 회사는 즉시 해산한다. 1. 최초 모집한 주권의 주금납입일로부터 90일 이내에 회사가 발행한 주권이 유가증권시장 또는 코스닥시장에 상장되지 아니한 경우 2. 최초 모집한 주권의 주금납입일로부터 36개월 이내에 합병대상법인과의 합병등기를 완료하지 못한 경우 3. 합병대상법인과의 합병등기를 완료하기 이전에 회사 주권이 자본시장법 제390조의 증권상장규정에 따라 상장폐지된 경우 |
(2) 투자자에 미치는 영향
합병기한 내 합병을 완료하지 못할 경우, 당사는 예치자금 등을 투자자에게 다음 각 호의 기준에 따라 반환할 예정입니다.
1) 예치자금 등은 공모주식을 대상으로 하여 주식의 보유비율에 비례하여 배분되며 공모전 발행주식등에 대해서는 예치자금등과 관련한 어떠한 청구권도 인정되지 않습니다. 다만 공모전 주주가 최초 주권공모 이후에 주식을 취득한 경우, 당해 취득분은 주권공모 이후의 주주로 동일하게 취급됩니다.
2) 만일 예치자금 등에서 분배되는 금원이 공모주주의 발행가액에 미달할 경우 회사는 기타 잔여재산(비예치금액 등)에서 발행가액에 달할 때까지 우선적으로 공모주식을 대상으로 하여 주식 보유비율에 따라 지급합니다.
3) 만일 상기 1) 및 2)에 따른 잔여재산분배 이후에 남는 기타 잔여재산이 있는 경우 공모전 발행주식등의 발행가격에 달할 때까지 공모전 발행주식등에 대하여 기타 잔여재산을 분배합니다.
4) 만일 1)의 공모주주가 발행가액을 초과하여 예치자금 등에서 배분받았을 경우 공모전 발행주식등에 대하여도 동일한 초과비율까지 기타 잔여재산에서 분배 받습니다.
만일 그 이후에도 남는 기타 잔여재산이 있는 경우 해당 잔여재산은 회사의 모든 발행주식에 대하여 그 발행가격의 비율에 따라 잔여재산분배로서 지급을 받습니다.
[정관 상 잔여재산의 분배와 관련된 사항]
제 60 조 (예치자금 등의 반환 등) 이 정관 제59조의 해산사유 발생시 회사의 잔여재산 분배는 다음 각 호의 기준에 따라 이루어져야 한다. 1. 예치자금 등의 분배 예치자금 등은 최우선적으로 공모주식을 대상으로 하여 공모주식의 수에 비례하여 잔여재산분배로서 지급되며, 예치자금등의 분배결과 공모주식에 대하여 발행가격을 초과하여 잔여재산분배액(세후금액을 기준으로 하며, 이하 같음)의 지급이 이루어진 경우에도 공모전 발행 주식 등에 대하여는 예치자금 등에 대한 잔여재산분배는 하지 아니한다. 2. 예치자금 등 이외의 잔여재산의 분배 회사의 해산 당시 회사가 예치자금 등 이외에 잔여재산(이하 “기타 잔여재산”이라 함)을 보유하고 있는 경우 가. 공모주식에 대하여 본 조 제1호에 따라 지급된 금액이 공모주식의 발행가격에 미달하는 경우, 기타 잔여재산은 공모주식에 대하여 잔여재산분배로서 지급되는 금액(본 조 제1호에 따라 잔여재산으로 분배받은 금액을 포함)이 당해 공모주식의 발행가격에 도달할 때까지 우선적으로 공모주식을 대상으로 하여 주식수에 비례하여 잔여재산분배로서 지급된다. 나. 본 조 제1호 및 제2호 가목에 따라 발행가격에 도달할 때까지 잔여재산이 분배되어 지급된 이후 회사에 남는 기타 잔여재산이 있는 경우, 해당 기타 잔여재산은 공모전 발행 주식 등에 대하여 주식의 발행가격(단, 발기인의 전환사채의 전환으로 인하여 발행된 주식 및 미전환된 전환사채에 대하여는, 전환사채계약서 기재와 같은 내용 및 조건에 따른 전환가격을 그 발행가격으로 하며, 본 조에서 같음)에 도달할 때까지 공모전 발행 주식 등의 수(전환사채에 대하여는 전환시 발행될 주식수를 기준으로 하며, 이하 같음)에 비례하여 공모주식에 우선하여 잔여재산분배로서 지급된다. 다. 공모주식에 대하여 본 조 제1호에 따라 지급된 금액이 공모주식의 발행가격을 초과하는 경우에는 기타 잔여재산은 공모전 발행 주식 등에 대하여도 본 조 제1호에 따라 공모주식에 지급된 비율과 동일한 분배비율에 이를 때까지 공모주식에 우선하여 잔여재산분배로서 지급된다. 3. 본 조 제1호 내지 제2호에 따라 회사의 모든 공모전 발행 주식 등 및 공모주식에 대하여 잔여재산분배금액이 지급된 이후에도 회사에 남는 잔여재산이 있을 경우, 해당 잔여재산은 회사의 모든 발행주식에 대하여 그 주식수의 비율에 따라 잔여재산분배로서 지급된다. |
라. 합병대상회사의 선정기준 및 합병대상회사에서 제외되는 회사
(1) 합병대상회사 선정기준
당사는 합병대상기업 선정에 대해 정관 제58조(합병대상법인의 규모 및 합병제한), 제63조(합병을 위한 중점 산업군) 및 코스닥시장 상장규정 제75조에서 규정하고 있는 기준 등을 만족하는 회사를 합병대상회사로 선정할 계획입니다.
당사 정관 제58조에 따라 합병대상법인의 자본시장법 시행령 제176조의5 제1항 각 호에 따라 산정된 합병가액 또는 최근 사업연도말 현재 재무상태표상 자산총액이 예치(또는 신탁)된 금액의 100분의 80 이상이어야 하며, 이 경우 합병대상법인이 다수인 경우에는 각 법인의 합병가액 또는 자산총액을 각각 합산한 금액을 기준으로 합니다.
[정관 상 합병대상법인과 관련된 사항]
제 58 조 (합병대상법인의 규모 및 합병제한) ① 회사는 합병대상법인은 자본시장법 시행령 제176조의5 제2항 또는 제3항에 따라 산정된 합병가액 또는 최근 사업연도말 현재 재무상태표상 자산총액이 예치자금 등의 100분의 80이상이어야 한다. 이 경우 합병대상법인이 다수인 경우에는 각 법인의 합병가액 또는 자산총액을 각각 합산한 금액을 기준으로 한다.
제 63 조 (합병을 위한 중점 산업군) 이 회사는 상장 이후 다음 각호의 1에 해당하는 산업군(이하 “합병을 위한 중점 산업군”이라 한다)에 속하는 합병대상법인과의 합병을 추진한다. 1. 신재생에너지 2. 탄소저감에너지 3. 바이오제약(자원)ㆍ의료기기 4. 게임 및 소프트웨어산업 5. 그린수송 6. 2차 전지 7. LED 응용 8. 신소재ㆍ나노융합 9. IT융합시스템 10. 그린수송시스템 11. 출판, 영상, 방송통신 및 정보서비스업 12. 교육 서비스업 13. 고부가 식품산업 14. 물류ㆍ운수서비스 15. 기타 미래 성장 동력을 갖추었다고 판단되는 산업 |
(2) 합병대상회사 제외기준
당사는 관련법규 및 정관 제58조(합병대상법인의 규모 및 합병제한) 제4항에 따라 다음과 같이 합병대상회사에서 제외되는 사항을 정하고 있습니다.
[정관 상 합병대상회사 제외기준과 관련된 사항]
제58조(합병대상법인의 규모 및 합병제한) ④ 회사는 다음 각 호의 어느 하나에 해당하는 자 및 회사와 합병할 수 없다. 1. 회사 주권의 최초 모집 전에 주식등을 취득한 자(이하 “공모전주주등”이라 한다) 2. 회사의 공모전주주등 또는 다음의 어느 하나에 해당하는 자가 자본시장법 제9조 제1항에 따른 대주주이거나 발행주식총수의 100분의 5이상을 소유하는 회사(본 호에서 소유주식수를 산정함에 있어 자본시장법 시행령 제139조 제1호 각 목의 어느 하나에 해당하는 증권의 권리행사 등으로 발행될 수 있는 주식수를 포함하며, 공모전주주등의 주식수 산정시에는 당해 주주등의 계열회사가 소유하는 주식수를 포함한다) 가. 회사의 공모전주주등에 속하는 자본시장법 시행령 제6조 제4항 제14호 다목에 따른 지분증권 투자매매업자의 임직원으로서 회사의 설립, 운영 등과 관련된 업무를 수행하였거나 수행중인 자, 그 배우자 및 직계존비속 나. 회사의 공모전주주등에 속하는 법인의 임원, 그 배우자 및 직계존비속 다. 회사의 공모전주주등에 속하는 개인의 배우자 및 직계존비속 라. 회사의 임직원, 배우자 및 직계존비속 3. 회사의 공모전주주등의 자본시장법 제9조 제1항에 따른 대주주 및 「독점규제 및 공정거래에 관한 법률」에 따른 계열회사 4. 회사 또는 공모전주주등과 임직원을 겸직하거나 최근 2년 이내에 임직원을 겸직하였던 회사 |
마. 주주총회의 합병승인 요건 및 발기인 등의 의결권 제한
(1) 주주총회의 합병승인 요건
당사가 합병을 하기 위해서는 합병계약서에 대하여 주주총회 특별결의를 득해야 합니다. 주주총회 특별결의 요건은 출석주주 의결권의 2/3 이상의 승인을 득해야 하며, 그 비율이 발행주식총수의 1/3 이상이어야 합니다.
(2) 발기인 등의 의결권 제한
코스닥시장 상장규정 제69조(기업인수목적회사주식의 상장예비심사신청 등) 및 제70조(기업인수목적회사주식의 신규상장 심사요건)에 따라 당사의 공모전 주주 등은 상장예비심사신청서 제출시 첨부서류로 상법 522조에 따른 주주의결권을 행사하지 아니하거나, 이를 예탁결제원에 위임하여 해당 주주총회에 참석한 주식수(서면투표 주식수를 포함)에서 상장예비심사신청일 현재 공모전 주주등이 보유하는 주식수를 뺀 주식수의 의결내용에 영향을 미치지 아니하도록 찬성 및 반대(기권 및 무효를 포함)의 비율에 따라 의결권을 행사하겠다는 약정서를 제출하였습니다.
[주주등 약정서의 의결권 제한 내용]
6.2 합병에 관한 의결권 및 합병반대주주의 주식매수청구권의 행사금지
가. 당사자들은 당사자들이 보유하는 공모전 발행주식에 대하여 다음 각 호의 권리를 행사하지 아니한다. 당사자들이 대상회사의 설립 후 추가로 취득하거나 전환사채를 전환하여 취득하게 된 주식분에 대해서도 같다. (i) 대상회사와 합병대상법인과의 합병승인을 위한 주주총회에서 합병승인에 대한 안건에 대한 의결권. 다만, 합병대상법인과의 합병승인을 위한 주주총회의 결의에 관하여 의결권을 예탁결제원에 위임하여 해당 주주총회에 참석한 주식수(서면투표 주식수를 포함) 중에서 공모주식 수의 의결내용에 영향을 미치지 아니하도록 찬성 및 반대(기권 및 무효를 포함한다)의 비율에 따라 의결권을 행사하는 경우에는 그러하지 아니하다. (ii) 상법 제522조의3에 따른 합병반대주주의 주식매수청구권
나. 대상회사가 그 정관에 정해진 바에 따라 합병대상법인과 합병하고자 하는 경우 당사자들은 위 합병과 관련한 상법 제527조의5에 따른 채권자보호절차에 있어서 위 합병에 대하여 이의를 제기할 수 없다.
다. 당사자들은 본 조 가항 소정의 합병에 관한 의결권 및 합병반대주주의 주식매수청구권을 행사하지 않을 것임을 확약하고, 이에 대하여 대상회사의 최초 모집 및 상장신청을 위하여 필요한 내용과 형식으로 자본시장법 시행령 제125조 제2항에 따른 확약서를 자본시장법 제119조에 의한 증권신고서 제출 이전까지 대상회사에게 제공하여야 한다. |
바. 반대주주의 주식매수청구권
(1) 주식매수청구 절차
당사 주권의 최초 모집 후 합병승인 안건에 반대하는 당사의 주주(최초 모집 이전 주주 제외)는 자본시장과 금융투자업에 관한 법률 제165조의5에 의거하여 주식매수청구권을 행사할 수 있습니다. 주식매수청구권 행사와 관련하여 당사 및 동법 제165조의5 및 동법 시행령 제176조의7에 따른 절차를 거쳐야 합니다.
1) 합병반대의사의 통지 : 주주총회 전까지 서면으로 반대의사 통지
2) 주식매수청구 : 주주총회일부터 20일 내 주식의 종류와 수를 기재한 서면으로 청구
3) 주식매수청구 서류 제출 : 주식매수청구의 내용을 거래소에 문서로 신고
4) 대상주식의 매수 : 주주총회결의일로부터 20일이 경과한 날부터 1개월 이내 해당 주식을 매수
5) 매수한 주식 처분 : 해당 주식을 매수한 날부터 3년 내
(2) 주식매수가격의 결정
합병승인 안건에 반대하는 당사의 주주(최초 모집 이전 주주 제외)의 주식매수청구권의 행사에 따라 지급될 1주당 예정가액은 공모자금 예치기관의 이자율에 따른 기간 이자를 포함하여 지급됩니다. 다만 공모주식에 대하여 지급될 금액이 공모주식의 발행가액에 미달하고 예치자금 이외에 해산 당시 당사가 기타 잔여재산을 보유하는 경우, 기타 잔여재산은 공모주식에 대하여 잔여재산분배로서 지급되는 금액이 공모주식의 발행가액에 달할 때까지 우선적으로 공모주식을 대상으로 하여 주식수에 비례하여 지급합니다.
다음 가정에 따라 지급될 1주당 예정가액은 다음과 같습니다.
[ 1주당 지급예상금액을 산정할 때 사용되는 가정 ] |
---|
- 당사가 납입기일부터 36개월 - 예치이율 3.50% 가정 |
구분 |
금액 |
---|---|
예치자금(A) |
8,500,000,000원 |
이자율(B) |
3.50% |
예치기간(C) |
36개월 |
총 반환예정금액(D=A*(1+B)∧3) |
9,424,101,938원 |
공모주식수(E) |
4,250,000주 |
1주당 반환예정금액(F=D/E) |
2,217원 |
주) 상기 1주당 반환예정금액은 현재의 예치 시중금리를 바탕으로 복리 계산에 의하여 산출하였으며, 36개월 동안 변경되는 이자율 및 주식매수청구권 행사 시기에 따른 예치기간 변경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습니다.
사. 합병 추진 시 발생 가능한 비용 및 지급 상대방
합병 추진 시 회계법인에 대한 합병관련 실사 및 평가 용역비가 발생할 수 있으며, 합병 관련 법무법인에 대한 법률자문비용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또한 합병 추진 과정중에 M&A 자문 관련하여 (주)아이엠증권(구,하이투자증권)과 금융자문계약을 통한 기업실사 및 합병자문 비용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다만 이러한 외부 자문용역과 관련하여 현재까지 구체적으로 용역제공기관이 정해진 바는 없으며, 추후 합병 진행과정 속에서 객관적이고 합리적인 방법과 절차에 따라 대상 자문기관을 선정할 예정입니다.
현재 예상 가능한 외부 용역비용은 아래와 같습니다. (단위: 백만원)
구 분 |
금 액 |
비 고 |
---|---|---|
기업실사비용 |
100 |
M&A 자문기관((주)아이엠증권(구,하이투자증권)) |
합병자문수수료 |
400 |
M&A 자문기관((주)아이엠증권(구,하이투자증권)) |
법률 자문 수수료 |
50 |
법무법인 |
회계 자문 수수료 |
50 |
회계법인 |
합 계 |
600 |
- |
주) 상기 용역과 관련한 계약체결 상대방 및 비용은 추후 변경될 수 있습니다.
1-1. 합병추진 운영비용에 관한 사항
당사는 공모금액의 100%를 국민은행에 예치할 예정이므로, 공모전 주주 등의 투자금액 중 일부를 합병관련 비용으로 사용할 예정입니다. 따라서 합병 추진 운영에 관한 비용 지출이 예치자금에 미치는 영향은 없습니다. 또한, 당사는 운영자금관리규정에 따라 아래와 같이 회사의 합병추진 운영비용에 대하여 제한하였습니다.
[운영자금관리규정에 따른 합병추진 운영비용 사항]
[자금운영규정에 따른 운영비용 사항]
제5조 (회사운영자금 관련 사항) ① 회사운영자금의 인출에 대해서는 아래 항목에 국한하여 처리한다. - 회사의 설립과 관련된 비용 및 수수료 - 회사의 코스닥시장 상장(공모 포함)과 관련된 비용 및 수수료 - 회사의 운영과 관련된 비용 및 수수료 - 회사의 합병과 관련된 비용 및 수수료
② 회사운영자금의 사용한도는 아래와 같다.
(주1) 인수수수료 등 (주2) 급여, 기장대리, 기타 회계법인 감사수수료 및 IR비용 등 (주3) 법률자문수수료 50백만원, 회계자문수수료 50백만원, 합병자문수수료 400백만원, 기업실사비용 100백만원 ③ 단, 회사가 해산하기 전에 본조 제2항의 항목별 사용한도금액을 초과하여 사용하게 될 경우, 초과금액의 사용에 대해 이사회의 승인을 득하도록 한다. |
당사는 기업인수목적 주식회사로 해당사항 없습니다.
당사는 기업인수목적 주식회사로 해당사항 없습니다.
당사는 기업인수목적 주식회사로 해당사항 없습니다.
당사는 기업인수목적 주식회사로 해당사항 없습니다.
당사는 기업인수목적 주식회사로 해당사항 없습니다.
당사는 기업인수목적 주식회사로 해당사항 없습니다.
하이제8호기업인수목적 (단위: 원)
구분 | 제4(당)기 반기말(2025년 06월 30일) | 제3기말(2024년 12월 31일) | 제2기말(2023년 12월 31일) |
---|---|---|---|
감사인(감사의견) | - | 한울회계법인(적정) | 한울회계법인(적정) |
유동자산 | 10,844,677,009 | 10,715,197,866 | 10,450,754,817 |
비유동자산 | - | - | - |
자산총계 | 10,844,677,009 | 10,715,197,866 | 10,450,754,817 |
유동부채 | 4,459,100 | 59,100 | 793,900 |
비유동부채 | 1,080,366,189 | 1,057,818,507 | 1,015,843,346 |
부채총계 | 1,084,825,289 | 1,057,877,607 | 1,016,637,246 |
자본금 | 501,400,000 | 501,400,000 | 501,400,000 |
자본잉여금 | 8,887,508,133 | 8,887,508,133 | 8,887,508,133 |
이익잉여금(결손금) | 370,943,587 | 268,412,126 | 45,209,438 |
자본총계 | 9,759,851,720 | 9,657,320,259 | 9,434,117,571 |
구분 | 2025.01.01 ~2025.06.30 | 2024.01.01 ~2024.12.31 | 2023.01.01 ~2023.12.31 |
영업수익 | - | - | - |
영업비용 | 19,574,845 | 24,264,270 | 33,693,270 |
영업이익(손실) | -19,574,845 | -24,264,270 | -33,693,270 |
당기순이익(손실) | 102,531,461 | 223,202,688 | 57,221,105 |
주당순이익(손실) | 20 | 45 | 19 |
해당사항 없습니다.
해당사항 없습니다.
제 4 기 반기말 |
제 3 기말 |
|
---|---|---|
제 4 기 반기 |
제 3 기 반기 |
|||
---|---|---|---|---|
3개월 |
누적 |
3개월 |
누적 |
|
자본 |
||||||
---|---|---|---|---|---|---|
자본금 |
자본잉여금 |
기타자본구성요소 |
기타포괄손익누계액 |
이익잉여금 |
자본 합계 |
|
제 4 기 반기 |
제 3 기 반기 |
|
---|---|---|
주석
제 4(당) 기 반기 : 2025년 6월 30일 현재 |
제 3(전) 기 : 2024년 12월 31일 현재 |
하이제8호기업인수목적 주식회사 |
1. 회사의 개요
하이제8호기업인수목적 주식회사(이하 "회사")는 자본시장과 금융투자업에 관한 법률에 따라 회사의 주권을 한국거래소의 유가증권시장 또는 코스닥시장에 상장한 후 다른 회사와 합병하는 것을 유일한 사업목적으로 하여 2022년 11월 21일에 설립되었으며, 2023년 6월 22일에 한국거래소가 개설한 코스닥시장에 상장하였습니다.회사는 미래 성장동력을 갖추었다고 판단되는 산업군에 속하는 기업을 주된 합병대상으로 하고 있으며, 회사의 존속기한은 합병대상법인과 합병을 하지 못하는 경우에 한하여 최초로 주권을 모집하여 주금을 납입받은 날로부터 36개월까지로 합니다.
당반기말 현재 회사의 자본금은 501,400천원이며, 회사의 주요 주주현황은 다음과 같습니다.
주 주 명 | 소유주식수(주) | 지분율(%) | 비고 |
---|---|---|---|
㈜에이씨피씨 | 250,000 | 4.99 | 발기주주 |
㈜솔트룩스벤처스 | 250,000 | 4.99 | 발기주주 |
히스토리벤처투자㈜ | 150,000 | 2.99 | 발기주주 |
히스토리투자자문㈜ | 38,000 | 0.76 | 발기주주 |
iM증권㈜ | 38,000 | 0.76 | 발기주주 |
㈜하나벤처스 | 38,000 | 0.76 | 발기주주 |
기타 |
4,250,000 |
84.75 | |
합 계 | 5,014,000 | 100.00 |
2. 재무제표의 작성기준 및 중요한 회계정책
(1) 재무제표 작성기준
회사의 반기재무제표는 한국채택국제회계기준에 따라 작성되는 중간재무제표입니다. 동 재무제표는 기업회계기준서 제1034호 '중간재무보고'에 따라 작성되었으며, 연차재무제표에서 요구되는 정보에 비하여 적은 정보를 포함하고 있습니다. 동 반기재무제표에 대한 이해를 위해서는 한국채택국제회계기준에 따라 작성된 2024년 12월 31일자로 종료하는 회계연도에 대한 연차재무제표를 함께 이용하여야 합니다.(2) 중요한 회계정책
아래에 기술한 사항을 제외하면, 이번 반기재무제표에 적용된 회계정책은 직전 연차재무제표에 적용한 회계정책과 동일합니다.
회사는 2025년 1월 1일로 개시하는 회계기간부터 다음의 주요 제ㆍ개정 기준서 및 해석서를 신규로 적용하였으며, 해당 기준서 및 해석서의 개정이 회사의 반기재무제표에 미치는 중요한 영향은 없습니다.
- 기업회계기준서 제1021호 '환율변동효과' 및 제1101호 '한국채택국제회계기준의 최초채택'(개정): 교환가능성 결여
제정ㆍ공표되었으나 2025년 1월 1일 이후 시작하는 회계연도에 시행일이 도래하지 않았고 회사가 조기 적용하지 아니한 제ㆍ개정 기준서 및 해석서는 다음과 같습니다.
1) 기업회계기준서 제1109호 '금융상품' 및 제1107호 '금융상품: 공시'(개정): 금융상품 분류와 측정특정조건을 모두 충족하는 경우 결제일 전에 전자지급시스템을 통해 금융부채가 결제된 것으로 간주할 수 있도록 허용하는 규정이 신설되었으며 계약상 현금흐름 특성을 평가할 때, 원리금 지급만으로 구성되어 있는 현금흐름 관련 규정이 명확화 되었습니다. 또한, 기타포괄손익-공정가치 측정 지분상품의 투자 종류별 공정가치 변동 및 실현손익 정보에 대한 공시 요구사항이 추가되었습니다. 개정사항은 2026년 1월 1일 이후 시작하는 회계연도부터 적용되며, 조기적용이 허용됩니다. 회사는 동 개정사항이 재무제표에 미치는 영향이 중요하지 않을 것으로 예상하고 있습니다.
2) 한국채택국제회계기준 연차개선
한국채택국제회계기준 연차개선은 2026년 1월 1일 이후 시작하는 회계연도부터 적용되며, 조기적용이 허용됩니다. 회사는 동 개정으로 인한 재무제표의 중요한 영향은없을 것으로 예상하고 있습니다.
- 제1101호 '한국채택국제회계기준의 최초 채택': 불명확한 표현 및 기준서간 상이한 용어 개정
- 제1107호 '금융상품 공시': 용어 및 내용이 기준서간 일관되도록 개정
- 제1109호 '금융상품': 리스부채 제거 시 기업회계기준서 제1109호에 따라 당기손익으로 인식
- 제1110호 '연결재무제표': 사실상 대리인 여부는 판단의 대상임을 명확히 함
- 제1007호 '현금흐름표': '원가법'을 삭제하고 '원가'로 대체하여 기준서간 용어일치
3. 중요한 회계추정 및 가정회사는 미래에 대하여 추정 및 가정을 하고 있습니다. 추정 및 가정은 지속적으로 평가되며, 과거 경험과 현재의 상황에서 합리적으로 예측가능한 미래의 사건과 같은 다른 요소들을 고려하여 이루어집니다. 이러한 회계추정은 실제 결과와 다를 수도 있습니다.
반기재무제표 작성시 사용된 중요한 회계추정 및 가정은 법인세 비용을 결정하는데 사용된 추정의 방법을 제외하고는 전기 재무제표 작성에 적용된 회계추정 및 가정과 동일합니다.
4. 위험관리 (1) 위험관리 정책회사는 금융상품과 관련하여 외환위험, 유동성위험, 이자율위험, 가격위험, 신용위험등에 대한 다양한 금융위험에 노출되어 있습니다. 회사의 위험관리는 재무적 성과에 영향을 미치는 잠재적 위험을 식별하여 허용가능한 수준으로 감소, 제거 및 회피하는것을 그 목적으로 하고 있습니다. 회사는 전사적인 수준의 위험관리 정책 및 절차를 마련하여 운영하고 있습니다.
(2) 유동성위험회사는 미사용 차입금한도를 적정수준으로 유지하고 영업 자금수요를 충족시킬 수 있도록 유동성에 대한 예측을 항시 모니터링하여 차입금 한도나 약정을 위반하는 일이 없도록 하고 있습니다. 유동성에 대한 예측 시에는 회사의 자금조달 계획, 약정 준수, 회사 내부의 목표재무비율 및 통화에 대한 제한과 같은 외부 법규나 법률 요구사항이 있는 경우 그러한 요구사항을 고려하고 있습니다.
당반기말 및 전기말 현재 금융부채의 계약상 만기는 다음과 같습니다. 아래 표에 표시된 현금흐름은 할인하지 아니한 금액입니다.
<당반기말> | (단위 : 원) |
구 분 | 3개월 미만 | 1년 미만 | 1년 ~ 5년 | 5년 이상 | 합 계 |
---|---|---|---|---|---|
매입채무및기타채무 | 4,400,000 | - | - | - | 4,400,000 |
전환사채 | - | - | 1,236,000,000 | - | 1,236,000,000 |
합 계 | 4,400,000 | - | 1,236,000,000 | - | 1,240,400,000 |
<전기말> | (단위 : 원) |
구 분 | 3개월 미만 | 1년 미만 | 1년 ~ 5년 | 5년 이상 | 합 계 |
---|---|---|---|---|---|
매입채무및기타채무 | - | - | - | - | - |
전환사채 | - | - | 1,236,000,000 | - | 1,236,000,000 |
합계 | - | - | 1,236,000,000 | - | 1,236,000,000 |
(3) 이자율위험 이자율위험은 미래의 시장이자율 변동에 따라 예금 또는 차입금 등에서 발생하는 이자수익 및 이자비용이 변동될 위험으로서 이는 주로 변동금리부 조건의 예금과 차입금에서 발생하고 있습니다. 회사의 이자율위험관리의 목표는 이자율변동으로 인한 불확실성과 순이자비용의 최소화를 추구함으로써 기업의 가치를 극대화하는데 있습니다.(4) 신용위험 회사는 신용위험을 관리하기 위하여 금융자산의 신용보강을 위한 정책과 절차를 마련하여 운영하고 있으며, 회수가 지연되는 금융자산에 대하여는 회수지연 현황 및 회수대책이 보고된 후 지연사유에 따라 적절한 조치를 취하고 있습니다. 또한, 거래상대방의 신용에 따라 필요한 경우 담보 및 기타 신용보강을 요구하고 있습니다.
당반기말 및 전기말 현재 회사의 신용위험에 대한 최대 노출정도는 다음과 같습니다.
(단위 : 원) |
구 분 | 당반기말 | 전기말 |
---|---|---|
현금및현금성자산 | 257,039,083 | 262,159,775 |
단기금융상품 | 10,551,691,101 | 10,389,393,245 |
기타자산 | 20,305,476 | 53,591,287 |
(5) 자본 위험 관리회사의 자본관리 목적은 계속기업으로서 주주 및 이해당사자들에게 이익을 지속적으로 제공할 수 있는 능력을 보호하고 자본비용을 절감하기 위해 최적의 자본구조를 유지하는 것입니다.회사는 자본조달비율에 기초하여 자본을 관리하고 있습니다. 자본조달비율은 순부채를 총자본으로 나누어 산출하고 있습니다. 순부채는 총차입금에서 현금및현금성자산을 차감한 금액이며 총자본은 재무상태표의 "자본"에 순부채를 가산한 금액입니다.
당반기말 및 전기말 현재의 자본조달비율은 다음과 같습니다.
(단위 : 원) |
구 분 | 당반기말 | 전기말 |
---|---|---|
1) 차입금총계 | 1,033,879,070 | 996,578,923 |
2) 현금및현금성자산 | 257,039,083 | 262,159,775 |
3) 순부채(1-2) | 776,839,987 | 734,419,148 |
4) 자본총계 | 9,759,851,720 | 9,657,320,259 |
5) 총자본 | 10,536,691,707 | 10,391,739,407 |
6) 자본조달비율(6=3/5) | 7.37% | 7.07% |
5. 영업부문회사는 자본시장과 금융투자업에 관한 법률에 따라 한국거래소의 유가증권시장 또는코스닥시장에 상장한 후 다른 회사와 합병하는 것을 유일한 사업목적인 단일 영업부문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영업부문은 최고영업의사결정자에게 보고되는 내부 보고자료와 동일한 방법으로 보고되고 있습니다. 따라서, 보고부문별 영업수익 및 법인세비용차감전순이익, 자산ㆍ부채총액에 대한 주석기재는 생략하였습니다.
6. 금융상품의 범주 및 공정가치(1) 당반기말 및 전기말 현재 회사의 범주별 금융자산의 내역은 다음과 같습니다.
(단위 : 원) |
구 분 | 상각후원가 측정 금융자산 | |||
---|---|---|---|---|
당반기말 | 전기말 | |||
장부금액 | 공정가치 | 장부금액 | 공정가치 | |
현금및현금성자산 | 257,039,083 | 257,039,083 | 262,159,775 | 262,159,775 |
단기금융상품 | 10,551,691,101 | 10,551,691,101 | 10,389,393,245 | 10,389,393,245 |
미수수익 | 20,305,476 | 20,305,476 | 53,591,287 | 53,591,287 |
합 계 | 10,829,035,660 | 10,829,035,660 | 10,705,144,307 | 10,705,144,307 |
(*) 상기 금융자산은 모두 연체 및 손상되지 않은 금융자산입니다. |
(2) 당반기말 및 전기말 현재 회사의 범주별 금융부채의 내역은 다음과 같습니다.
(단위 : 원) |
구 분 | 상각후원가 측정 금융부채 | |||
---|---|---|---|---|
당반기말 | 전기말 | |||
장부금액 | 공정가치 | 장부금액 | 공정가치 | |
매입채무및기타채무 | 4,400,000 | 4,400,000 | - | - |
전환사채 | 1,033,879,070 | 1,033,879,070 | 996,578,923 | 996,578,923 |
합 계 | 1,038,279,070 | 1,038,279,070 | 996,578,923 | 996,578,923 |
(3) 당반기 및 전반기 중 금융상품 범주별 순손익은 다음과 같습니다.
(단위 : 원) |
구분 | 당반기 | 전반기 | ||
---|---|---|---|---|
3개월 | 누적 | 3개월 | 누적 | |
상각후원가 측정 금융자산 : | ||||
이자수익 | 78,184,929 | 158,684,668 | 79,872,101 | 156,372,101 |
상각후원가 측정 금융부채 : | ||||
이자비용 | 18,720,279 | 37,300,147 | 17,386,941 | 34,643,472 |
회사의 경영진은 재무상태표상 상각후원가로 측정되는 금융상품의 장부금액은 공정가치와 근사하다고 판단하고 있습니다.
7. 현금및현금성자산
당반기말 및 전기말 현재 회사의 현금및현금성자산 내역은 다음과 같습니다.
(단위 : 원) |
구분 | 예치기관 | 당반기말 | 전기말 |
---|---|---|---|
보통예금 | 국민은행 | 257,039,083 | 262,159,775 |
8. 단기금융상품
당반기말 및 전기말 현재 회사의 단기금융상품 내역은 다음과 같습니다.
(단위 : 원) |
구분 | 예치기관 | 당반기말 | 전기말 |
---|---|---|---|
특정금전신탁 | 국민은행 | 9,006,007,101 | 8,889,393,245 |
정기예금 | 아이엠뱅크 | 1,545,684,000 | 1,500,000,000 |
합 계 | 10,551,691,101 | 10,389,393,245 |
9. 사용제한 금융상품당반기말 및 전기말 현재 회사의 사용이 제한된 금융상품 내역은 다음과 같습니다.
(단위 : 원) |
계정과목 | 구분 | 예치기관 | 당반기말 | 전기말 |
---|---|---|---|---|
단기금융상품(*) | 특정금전신탁 | 국민은행 | 9,006,007,101 | 8,889,393,245 |
(*) 회사는 '자본시장과 금융투자업에 관한 법률 시행령 제6조 제4항 제14호'에 따라 주권(최초 모집 이전에 발행된 주권 제외)의 발행을 통하여 납입된 주식발행금액의 100분의 90 이상을 신탁 또는 예치하여야 하며, 당반기말 현재 주식 공모로 납입된 주식발행대금 전액을 국민은행에 예치하고 있습니다. 상기 금융상품은 합병 성공시 합병가액 등으로 지급될 예정이므로, 타 용도로 처분 및 인출하거나 담보로 제공할 수 없습니다. |
10. 매입채무및기타채무
당반기말 및 전기말 현재 회사의 매입채무및기타채무 내역은 다음과 같습니다.
(단위 : 원) |
계정과목 | 당반기말 | 전기말 |
---|---|---|
미지급비용 | 4,400,000 | - |
11. 전환사채(1) 당반기말 및 전기말 현재 전환사채의 내역은 다음과 같습니다.
(단위 : 원) |
구분 | 당반기말 | 전기말 | |
---|---|---|---|
제1회 무보증사모 전환사채 | 액면금액 | 1,236,000,000 | 1,236,000,000 |
전환권조정 | (202,120,930) | (239,421,077) | |
합 계 | 1,033,879,070 | 996,578,923 |
(2) 당반기말 현재 회사가 발행한 전환사채의 발행조건 및 전환에 관한 주요사항은 다음과 같습니다.
구 분 | 내 용 |
---|---|
사채의 명칭 | 하이제8호기업인수목적 주식회사 제1회 무보증 사모 전환사채 |
사채의 종류 | 무기명식 무보증 사모 전환사채 |
사채의 액면금액 | 1,236,000,000원 |
발행일 | 2022년 11월 30일 |
만기일 | 2027년 11월 30일 |
표면이자율 | 0.00% |
만기보장수익률 | 0.00% |
전환으로 인하여 발행할주식의 종류 | 기명식 보통주식(액면가 100원) |
전환가격 | 액면가 100원을 기준으로 1주당 금 1,000원(저가 전환사채 및 신주인수권부사채 발행, 유상증자 및 무상증자, 주식배당, 준비금의 자본전입 등에 의하여 필요시 전환가격 조정함) |
전환청구기간 | 사채발행 후 1월이 경과하는 날로부터 그 상환기일의 직전일까지로 함 |
인수인 | iM증권㈜ 862,000,000원히스토리투자자문㈜ 162,000,000원㈜하나벤처스 212,000,000원 |
회사는 금융감독원 질의회신 "회제이-00094" 에 의거하여 전환권대가를 자본으로 인식하였으며, 동 회계처리는 "주식회사 등의 외부감사에 관한 법률" 제5조 제1항 제1호의 한국채택국제회계기준에 한하여 효력이 있습니다. 이에 따라 전환사채와 관련하여 전환권대가(자본에서 조정하는 법인세효과 반영후) 299,533천원을 자본잉여금으로 분류하였습니다. |
12. 자본금(1) 당반기말 및 전기말 현재 회사의 자본금의 내역은 다음과 같습니다.
(단위 : 주,원) |
구 분 | 당반기말 | 전기말 |
---|---|---|
발행할 주식의 총수 | 500,000,000 주 | 500,000,000 주 |
발행한 주식의 총수 | 5,014,000 주 | 5,014,000 주 |
1주당 액면금액 | 100 원 | 100 원 |
보통주자본금 | 501,400,000 원 | 501,400,000 원 |
13. 자본잉여금(1) 당반기말 및 전기말 현재 회사의 자본잉여금의 내역은 다음과 같습니다.
(단위 : 원) |
구 분 | 당반기말 | 전기말 |
---|---|---|
주식발행초과금 | 8,587,975,340 | 8,587,975,340 |
전환권대가 (주1) | 299,532,793 | 299,532,793 |
합계 | 8,887,508,133 | 8,887,508,133 |
(주1) 법인세 효과 79,622,641원이 차감된 금액입니다. |
14. 이익잉여금당반기말 및 전기말 현재 이익잉여금의 내역은 다음과 같습니다.
(단위 : 원) |
구 분 | 당반기말 | 전기말 |
---|---|---|
미처분이익잉여금 | 370,943,587 | 268,412,126 |
15. 영업비용당반기 및 전반기 중 영업비용의 내역은 다음과 같습니다.
(단위 : 원) |
구 분 | 당반기 | 전반기 | ||
---|---|---|---|---|
3개월 | 누적 | 3개월 | 누적 | |
급여 | 1,800,000 | 3,600,000 | 1,800,000 | 3,600,000 |
복리후생비 | 72,000 | 144,000 | 72,000 | 143,980 |
세금과공과금 | 104,700 | 209,400 | 109,560 | 219,120 |
지급수수료 | 5,456,900 | 15,621,445 | 6,325,000 | 11,101,750 |
합계 | 7,433,600 | 19,574,845 | 8,306,560 | 15,064,850 |
16. 금융수익 및 금융비용
(1) 당반기 및 전반기 중 금융수익의 내역은 다음과 같습니다.
(단위 : 원) |
구 분 | 내역 | 당반기 | 전반기 | ||
---|---|---|---|---|---|
3개월 | 누적 | 3개월 | 누적 | ||
이자수익 | 현금및현금성자산 | 129,073 | 129,073 | 503,284 | 503,284 |
단기금융상품 | 78,055,856 | 158,555,595 | 79,368,817 | 155,868,817 | |
합계 | 78,184,929 | 158,684,668 | 79,872,101 | 156,372,101 |
(2) 당반기 및 전반기 중 금융비용의 내역은 다음과 같습니다.
(단위 : 원) |
구 분 | 내역 | 당반기 | 전반기 | ||
---|---|---|---|---|---|
3개월 | 누적 | 3개월 | 누적 | ||
이자비용 | 전환권조정 상각 | 18,720,279 | 37,300,147 | 17,386,941 | 34,643,472 |
17. 법인세비용(수익)법인세비용(수익)은 전체 회계연도에 대해서 예상되는 가중평균법인세율의 추정에 기초하여 인식하였으며, 당반기 및 전반기 중 인식한 법인세비용(수익)은 각각 (-)721,785원 및 11,292,722원입니다.
18. 주당이익(손실)(1) 당반기 및 전반기 중 기본주당이익(손실)의 내역은 다음과 같습니다.
(단위 : 원) |
구분 | 당반기 | 전반기 | ||
---|---|---|---|---|
3개월 | 누적 | 3개월 | 누적 | |
당기순이익(손실) | 52,752,835 | 102,531,461 | 42,885,878 | 95,371,057 |
우선주 배당금 등(-) | - | - | - | - |
보통주당기순이익(손실) | 52,752,835 | 102,531,461 | 42,885,878 | 95,371,057 |
가중평균유통보통주식수 | 5,014,000 | 5,014,000 | 5,014,000 | 5,014,000 |
기본주당이익(손실) | 11 | 20 | 9 | 19 |
(2) 당반기 및 전반기의 가중평균유통보통주식수는 다음과 같습니다.
<당반기> | (단위 : 주) |
일자 | 구분 | 주식수 | 일수 | 적수 |
---|---|---|---|---|
2025-01-01 | 기초 | 5,014,000 | 181 | 907,534,000 |
가중평균유통보통주식수 | 5,014,000 |
<전반기> | (단위 : 주) |
일자 | 구분 | 주식수 | 일수 | 적수 |
---|---|---|---|---|
2024-01-01 | 기초 | 5,014,000 | 182 | 912,548,000 |
가중평균유통보통주식수 | 5,014,000 |
(3) 희석주당이익회사가 보유하고 있는 희석성 잠재적보통주는 전환사채가 있으며, 당반기 중 잠재적보통주는 희석화효과가 발생하지 아니하므로 희석주당손익은 기본주당이익과 동일합니다.
19. 특수관계자
(1) 당반기말 현재 회사의 특수관계자의 내역은 다음과 같습니다.
특수관계자 구분 | 회사명 |
---|---|
기타의특수관계자 | iM증권㈜ |
㈜에이씨피씨 | |
㈜솔트룩스벤처스 | |
히스토리벤처투자㈜ | |
히스토리투자자문㈜ | |
㈜하나벤처스 |
(2) 당반기 및 전반기 중 특수관계자와의 매출 및 매입 등 거래 내역은 다음과 같습니다.
(단위 : 원) |
회사명 | 내역 | 당반기 | 전반기 | ||
---|---|---|---|---|---|
3개월 | 누적 | 3개월 | 누적 | ||
iM증권㈜ | 이자비용(전환권조정상각) | 13,055,728 | 26,013,533 | 12,125,844 | 24,160,739 |
히스토리투자자문㈜ | 2,453,629 | 4,888,854 | 2,278,871 | 4,540,649 | |
㈜하나벤처스 | 3,210,922 | 6,397,760 | 2,982,226 | 5,942,084 | |
합 계 | 18,720,279 | 37,300,147 | 17,386,941 | 34,643,472 |
(3) 당반기 및 전반기 중 특수관계자와의 자금거래 내역은 없습니다.
(4) 당반기말 및 전기말 현재 특수관계자와의 중요한 채권ㆍ채무의 내역은 다음과 같습니다.
(단위 : 원) |
회사명 | 당반기말 | 전기말 |
---|---|---|
전환사채 | 전환사채 | |
iM증권㈜ | 862,000,000 | 862,000,000 |
히스토리투자자문㈜ | 162,000,000 | 162,000,000 |
㈜하나벤처스 | 212,000,000 | 212,000,000 |
합계 | 1,236,000,000 | 1,236,000,000 |
(5) 주요 경영진에 대한 보상주요 경영진은 회사의 대표이사 및 등기이사를 대상으로 하고 있습니다. 당반기 중 주요경영진에 대한 보상으로 3,600천원(전반기: 3,600천원)의 급여를 지급하였습니다.20. 현금흐름표당반기 및 전반기 중 재무활동에서 생기는 부채의 변동내역은 다음과 같습니다.
<당반기> | (단위 : 원) |
구분 | 기초 | 현금흐름 | 비현금거래 | 기말 | |
---|---|---|---|---|---|
취득 | 이자비용(전환권조정) | ||||
전환사채 | 996,578,923 | - | - | 37,300,147 | 1,033,879,070 |
<전반기> | (단위 : 원) |
구분 | 기초 | 현금흐름 | 비현금거래 | 기말 | |
---|---|---|---|---|---|
취득 | 이자비용(전환권조정) | ||||
전환사채 | 925,598,346 | - | - | 34,643,472 | 960,241,818 |
21. 우발채무와 약정사항회사는 2022년 11월 30일자 이사회 결의에 의거하여 한국거래소 코스닥시장 신규상장을 위한 공모자금조달을 위해 대표주관회사로 iM증권㈜를 선정하고, 2022년 11월30일자로 IPO 대표주관계약을 체결하였습니다.한편, 회사는 회사 주식의 코스닥시장 상장을 위한 공모자금의 조달을 위해 대표주관사 iM증권㈜와 동 공모주식에 대한 총액인수계약을 체결하였습니다. 동 인수계약에 따른 총 인수수수료는 300,000천원이며, 이중 150,000천원은 코스닥시장에 주식을 상장 시 지급되며, 잔금 150,000천원은 다른 법인과의 합병등기 완료 후 지급하기로 되어 있습니다.
22. 기업인수목적회사로서의 특칙(1) 회사는 최초 주권 모집에 따른 주권발행금액의 100분의 90이상에 해당하는 금액을 주권의 주금납입일 다음 영업일까지 증권금융회사 또는 신탁업자에 예치 또는 신탁하여야 하며, 동 예치 또는 신탁한 금전을 합병대상법인과의 합병등기가 완료되기 전에 인출하거나 담보로 제공할 수 없습니다. 한편, 당반기말 현재 회사는 최초 주권모집에 따른 주권발행금액을 국민은행에 예치하고 있습니다(주석 9 참조).(2) 합병대상법인과의 합병시 합병대상법인의 합병가액 또는 최근 사업연도말 현재 재무상태표상 자산총액이 회사가 예치한 금액의 100분의 80이상이어야 하고, 회사 설립시 주주 및 경영진과 이해관계가 있는 법인은 합병대상법인이 될 수 없는 등의 제한이 있습니다.(3) 회사는 자본시장과금융투자업에관한법률 등 관계 법규에 따라 최초 주권 모집에 따른 주금납입일로부터 90일 이내에 회사가 발행한 주권이 유가증권시장 혹은 코스닥시장에 상장되지 아니한 경우 또는 최초 주권 모집에 따른 주금납입일로부터 36개월 이내에 합병대상법인과의 합병등기를 완료하지 못한 경우 또는 합병대상법인과의합병등기를 완료하기 전에 자본시장과 금융투자업에 관한 법률 제390조의 증권상장규정에 따라 회사가 상장폐지되는 경우에는 해산하고 예치자금 등을 투자자에게 지급하여야 합니다.(4) 회사는 최초 주권 모집 이후 자금차입, 타인을 위한 채무보증 및 담보제공, 채무증권 발행 등 기타 기업인수목적회사에 대하여 금지되는 재무활동을 수행할 수 없습니다.
주요배당지표
구 분 | 주식의 종류 | 당기 | 전기 | 전전기 |
---|---|---|---|---|
제 4(당)기 반기 | 제 3기 | 제 2기 | ||
주당액면가액(원) | ||||
(연결)당기순이익(백만원) | ||||
(별도)당기순이익(백만원) | ||||
(연결)주당순이익(원) | ||||
현금배당금총액(백만원) | ||||
주식배당금총액(백만원) | ||||
(연결)현금배당성향(%) | ||||
현금배당수익률(%) | ||||
주식배당수익률(%) | ||||
주당 현금배당금(원) | ||||
주당 주식배당(주) | ||||
과거 배당 이력
(단위: 회, %) |
연속 배당횟수 | 평균 배당수익률 | ||
---|---|---|---|
분기(중간)배당 | 결산배당 | 최근 3년간 | 최근 5년간 |
주) 보고서 작성 기준일 현재 해당사항 없습니다.
[지분증권의 발행 등과 관련된 사항] |
증자(감자)현황
(기준일 : | ) |
주식발행(감소)일자 | 발행(감소)형태 | 발행(감소)한 주식의 내용 | ||||
---|---|---|---|---|---|---|
종류 | 수량 | 주당액면가액 | 주당발행(감소)가액 | 비고 | ||
설립자본금 | ||||||
IPO공모(코스닥시장 상장) |
(기준일 : | ) |
종류\구분 | 회차 | 발행일 | 만기일 | 권면(전자등록)총액 | 전환대상주식의 종류 | 전환청구가능기간 | 전환조건 | 미상환사채 | 비고 | ||
---|---|---|---|---|---|---|---|---|---|---|---|
전환비율(%) | 전환가액 | 권면(전자등록)총액 | 전환가능주식수 | ||||||||
합 계 | - | - | - | - |
[전환사채 발행 현황]
구 분 | 제1회 전환사채 |
발 행 일 자 |
2022년 11월 30일 |
권 면 총 액 |
1,236,000,000원 |
사채의 만기 | 2027년 11월 30일 |
만기보장수익율 |
0% |
전환사채 배정방법 |
사모 |
전환청구기간 |
사채발행일로부터 1월이 경과한 이후 만기 직전일(2027.11.29.)까지 |
전환비율 및 가액 | 사채권면 금액의 100%, 1,000원 |
전환대상주식의 종류 | 기명식 보통주 |
전환사채별 주요 보유자 |
(주)아이엠증권(구,하이투자증권) (8.62억원) 히스토리투자자문(1.62억원) 하나벤처스(2.12억원) |
전환가능주식수 |
전환가능주식수: 1,236,000주 |
전환사채 전환 및 의결권행사 제한 사항 | 주1) |
보호예수기간 | 코스닥시장 상장규정에 따라 당해 주권상장일로부터 합병대상법인과의 합병에 따른 추가상장일 후 6개월간 (단, 증권의 발행 및 공시 등에 관한 규정 제5-13조 제4항에 따른 합병가치 산출시에는 투자매매업자인 (주)아이엠증권(구,하이투자증권)가 소유한 주식 및 전환사채는 당해 주권상장일로부터 합병기일 후 1년)까지 매각 제한) |
비 고 |
1) 인수인 : (주)아이엠증권(구,하이투자증권), 히스토리투자자문(주), (주)하나벤처스2) 전환가격 조정에 관한 사항전환청구를 하기 전에 합병, 분할 또는 분할합병, 주식의 분할 및 병합, 자본의 감소, 영업의 전부 양도 등이 있는 경우 당해 조정사유 발생 직전에 전환권이 행사되어 전액 주식으로 전환되었더라면 당해 조정사유 발생 이후에 사채권자가 가질 수 있었던 주식수로 전환할 수 있는 전환가액으로 조정한다. 단, 조정된 전환가액이 액면가 이하일 경우에는 액면가를 전환가액으로 한다. |
주1) 전환사채 전환 및 의결권 행사 제한에 관한 사항
전환사채 인수자는 주주등 약정서를 통해 상장 이후 전환사채를 보통주로 전환하더라도 합병에 관한 주주총회에서의 의결권행사를 금지하고 있습니다.
주2) 전환사채 인수자인 (주)아이엠증권(구,하이투자증권), 히스토리투자자문(주), (주)하나벤처스는 주주간 계약서를 통해 한국거래소가 불가피하다고 인정하는 경우 이외에는 그 인수일부터 합병대상법인과의 합병 후 합병에 따른 신주상장일로부터 6월(단, 자본시장 및 금융투자업에 관한 법률 시행령 제176조의5 제3항에 따른 합병가치 산출시에는 투자매매업자인 (주)아이엠증권(구,하이투자증권)가 소유한 주식 및 전환사채는 당해 주권의 상장일부터 합병대상법인과의 합병기일 이후 1년)이 되는날까지의 기간 동안 한국예탁결제원에 보관하여야하며, 보관기간 중 한국거래소가 필요하다고 인정하는 경우 이외에는 동 전환사채를 인출하거나 양도할 수 없다고 확약하였습니다.주3) 본 전환사채는 사모발행으로서 전매제한조치(청약권유대상자가 50명 미만일 경우 모집의 개념에 해당되지 않으나, 발행 후 1년 이내에 50인 이상의 자에게 양도될 수 있는 경우는 전매가능성이 있는 것으로 보아 모집에 해당되므로, 사모발행의 경우에는 전매제한조치를 필요로 함)와 권면분할금지(권면의 매수를 50매 미만으로 하고 발행 후 1년간 권면분할을 금지한다는 특약을 증권의 권면에 기재하면 전매가능성이 없는 것으로 인정)를 준수하였습니다.- 전매제한조치 및 권면분할금지 준수 : "본 사채권은 기명식에 한하며, 발행 후 1년간 분할 및 병합이 불가능하고(권면기재사항), 1년 이내에 50인 이상의 자에게 전매될 수 없다."
증권의 발행 및 공시등에 관한 규정 제2-2조(증권의 모집으로 보는 전매기준)① 영 제11조제3항에서 “금융위원회가 정하여 고시하는 전매기준에 해당하는 경우”란 다음 각 호의 어느 하나에 해당하는 경우를 말한다.2. 지분증권이 아닌 경우(법 제4조제3항에 따른 기업어음증권은 제외한다)에는 50매 이상으로 발행되거나 발행 후 50매 이상으로 권면분할되어 거래될 수 있는 경우. 다만, 등록(「공사채 등록법」및「전자단기사채등의 발행 및 유통에 관한 법률」에 따른 등록을 말한다.)발행의 경우에는 매수가 아닌 거래단위를 기준으로 적용한다.3. 전환권, 신주인수권 등 증권에 부여된 권리의 목적이 되는 증권이 제1호 또는 제2호에 해당되는 경우② 제1항에도 불구하고 증권을 발행함에 있어 다음 각 호의 어느 하나에 해당하는 경우에는 제1항에 따른 전매기준에 해당되지 않는 것으로 본다.2. 제1항제2호 중 50매 미만으로 발행되는 경우에는 증권의 권면에 발행 후 1년 이내 분할금지특약을 기재하는 경우. 다만, 등록(「공사채 등록법」및「전자단기사채등의 발행 및 유통에 관한 법률」에 따른 등록을 말한다.)발행의 경우에는 거래단위를 50단위 미만으로 발행하되 발행 후 1년이내에는 최초 증권 발행시의 거래단위 이상으로 분할되지 않도록 조치를 취하는 경우를 말한다.3. 제1항제3호에 해당되는 경우에는 권리행사금지기간을 발행 후 1년 이상으로 정하는 경우 |
(기준일 : | ) |
종류\구분 | 회차 | 발행일 | 만기일 | 권면(전자등록)총액 | 행사대상주식의 종류 | 신주인수권 행사가능기간 | 행사조건 | 미상환사채 | 미행사신주인수권 | 비고 | |
---|---|---|---|---|---|---|---|---|---|---|---|
행사비율(%) | 행사가액 | 권면(전자등록)총액 | 행사가능주식수 | ||||||||
합 계 | - | - | - | - |
주) 보고서 작성일 현재 해당사항 없습니다.
(기준일 : | ) |
구분 | 회차 | 발행일 | 만기일 | 권면(전자등록)총액 | 주식전환의사유 | 주식전환의범위 | 전환가액 | 주식전환으로인하여 발행할 주식 | 비고 | |
---|---|---|---|---|---|---|---|---|---|---|
종류 | 수 | |||||||||
합 계 | - | - | - |
주) 보고서 작성일 현재 해당사항 없습니다.
[채무증권의 발행 등과 관련된 사항] |
(기준일 : | ) |
발행회사 | 증권종류 | 발행방법 | 발행일자 | 권면(전자등록)총액 | 이자율 | 평가등급(평가기관) | 만기일 | 상환여부 | 주관회사 |
---|---|---|---|---|---|---|---|---|---|
합 계 | - | - | - | - |
(기준일 : | ) |
잔여만기 | 10일 이하 | 10일초과30일이하 | 30일초과90일이하 | 90일초과180일이하 | 180일초과1년이하 | 1년초과2년이하 | 2년초과3년이하 | 3년 초과 | 합 계 | |
---|---|---|---|---|---|---|---|---|---|---|
미상환 잔액 | 공모 | |||||||||
사모 | ||||||||||
합계 |
(기준일 : | ) |
잔여만기 | 10일 이하 | 10일초과30일이하 | 30일초과90일이하 | 90일초과180일이하 | 180일초과1년이하 | 합 계 | 발행 한도 | 잔여 한도 | |
---|---|---|---|---|---|---|---|---|---|
미상환 잔액 | 공모 | ||||||||
사모 | |||||||||
합계 |
(기준일 : | ) |
잔여만기 | 1년 이하 | 1년초과2년이하 | 2년초과3년이하 | 3년초과4년이하 | 4년초과5년이하 | 5년초과10년이하 | 10년초과 | 합 계 | |
---|---|---|---|---|---|---|---|---|---|
미상환 잔액 | 공모 | ||||||||
사모 | |||||||||
합계 |
(기준일 : | ) |
잔여만기 | 1년 이하 | 1년초과5년이하 | 5년초과10년이하 | 10년초과15년이하 | 15년초과20년이하 | 20년초과30년이하 | 30년초과 | 합 계 | |
---|---|---|---|---|---|---|---|---|---|
미상환 잔액 | 공모 | ||||||||
사모 | |||||||||
합계 |
(기준일 : | ) |
잔여만기 | 1년 이하 | 1년초과2년이하 | 2년초과3년이하 | 3년초과4년이하 | 4년초과5년이하 | 5년초과10년이하 | 10년초과20년이하 | 20년초과30년이하 | 30년초과 | 합 계 | |
---|---|---|---|---|---|---|---|---|---|---|---|
미상환 잔액 | 공모 | ||||||||||
사모 | |||||||||||
합계 |
공모자금의 사용내역
(기준일 : | ) |
구 분 | 회차 | 납입일 | 증권신고서 등의 자금사용 계획 | 실제 자금사용 내역 | 차이발생 사유 등 | ||
---|---|---|---|---|---|---|---|
사용용도 | 조달금액 | 내용 | 금액 | ||||
사모자금의 사용내역
(기준일 : | ) |
구 분 | 회차 | 납입일 | 주요사항보고서의 자금사용 계획 | 실제 자금사용 내역 | 차이발생 사유 등 | ||
---|---|---|---|---|---|---|---|
사용용도 | 조달금액 | 내용 | 금액 | ||||
주) 보고서 작성 기준일 현재 해당사항 없습니다.
미사용자금의 운용내역
(기준일 : | ) |
종류 | 운용상품명 | 운용금액 | 계약기간 | 실투자기간 |
---|---|---|---|---|
계 | - |
주) 보고서 작성 기준일 현재 해당사항 없습니다.
해당사항 없습니다.
증권의 발행 및 공시 등에 관한 규정 제4-3조(사업보고서 등의 기재사항) 제2항에 의거, 본 항목의 기재를 생략합니다.
1. 회계감사인의 명칭 및 감사의견(검토의견 포함한다. 이하 이 조에서 같다)을 다음의 표에 따라 기재한다.
회계감사인의 명칭 및 감사의견
사업연도 | 구분 | 감사인 | 감사의견 | 의견변형사유 | 계속기업 관련중요한 불확실성 | 강조사항 | 핵심감사사항 |
---|---|---|---|---|---|---|---|
감사보고서 | |||||||
연결감사보고서 | |||||||
감사보고서 | |||||||
연결감사보고서 | |||||||
감사보고서 | |||||||
연결감사보고서 |
2. 감사용역 체결현황은 다음의 표에 따라 기재한다.
감사용역 체결현황
(단위 : 백만원, 시간) |
사업연도 | 감사인 | 내 용 | 감사계약내역 | 실제수행내역 | ||
---|---|---|---|---|---|---|
보수 | 시간 | 보수 | 시간 | |||
3. 회계감사인과의 비감사용역 계약체결 현황은 다음의 표에 따라 기재한다.
사업연도 | 계약체결일 | 용역내용 | 용역수행기간 | 용역보수 | 비고 |
---|---|---|---|---|---|
4. 내부감사기구가 회계감사인과 논의한 결과보고서 기준일 현재 해당사항 없습니다. 5. 조정협의회내용 및 재무제표 불일치정보보고서 기준일 현재 해당사항 없습니다.
당사는 내부회계관리제도를 운영하고 있습니다. 경영자의 내부회계관리제도 운영실태 평가보고서에 대한 검토 결과, 상기 경영자의 운영실태 보고내용이 중요성의 관점에서 내부회계관리제도 모범규준의 규정에 따라 작성되지 않았다고 판단하게 하는 점이 발결되지 않았습니다.
가. 이사회 구성 개요 (1) 이사회 구성에 관한 사항이사회는 주주총회에서 선임된 등기이사로 구성하고 상법 또는 정관에 정하여진 사항, 주주총회로부터 위임 받은 사항, 회사 경영의 기본방침 및 업무집행에 관한 중요사항을 의결하며 이사의 직무집행을 감독하고 있습니다.당사는 보고서 작성 기준일 현재 대표이사 1인, 기타비상무이사1인, 사외이사1인으로 이사회가 구성되어 있습니다. 이사회는 법령 또는 정관에 정하여진 사항, 주주총회로부터 위임 받는 사항, 회사경영의 기본방침 및 업무집행에 관한 중요사항을 의결하고 있으며, 합리적인 의사결정 및 경영의 투명성 확보를 위한 제도적 장치를 확보하고 있습니다.이사의 주요 이력 및 업무분장은 『Ⅷ. 임원 및 직원 등에 관한 사항』"1. 임원 및 직원의 현황" 중 '가. 임원의 현황'을 참고하시기 바랍니다.(2) 이사후보의 인적사항에 관한 주총전 공시여부 및 주주의 추천여부당사는 설립을 위한 발기인총회에서 이사를 선임하였으며 설립일 이후부터 보고서 작성 기준일까지 변동이 없습니다. 향후 당사는 다음과 같은 정관 규정에 의거하여 이사 선출을 위한 주주총회의 소집 및 대리인에 의한 의결권을 보장하기 위하여 사전에 이사의 선출 목적과 이사 후보에 대한 정보를 주주총회 성립 2주전에 서면 또는 각 주주의 동의를 받아 전자문서로 주주에게 통지할 예정입니다. 또한, 보고서 작성 기준일 현재 당사의 이사 중 주주제안권에 의거 추천되었던 이사후보는 없습니다.(3) 사외이사후보추천위원회 설치 및 구성 현황당사는 사외이사 후보추천위원회를 설치하고 있지 않습니다.(4) 사외이사 현황당사는 경영의 투명성 확립을 위해 1명의 사외이사를 선임하고 있습니다.
성 명 | 주요 경력 | 최대주주등과의이해관계 | 결격요건여부 | 비고 |
이종환 |
02.11~05.09 안진회계법인 감사4본부 Senior 05.11~07.11 안진회계법인 감사6본부 A. Manager 07.12~09.09 유진투자증권 AI팀 차장 09.12~10.05 더커자산운용 AI운용본부 차장 10.06~11.04 트라이던트파트너스 투자1팀 팀장 11.06~12.12 농심캐피탈 펀드&대체투자본부 과장 13.01~21.07 나우IB캐피탈 투자1본부 이사 21.07~현 재 브이아이인베스트먼트 대표이사 |
없음 |
없음 |
- |
(5) 이사의 손해배상책임보험 가입여부해당사항 없습니다. 나. 이사회 운영규정의 주요 내용
구분 | 내 용 |
권한사항 | 제3조(권한)① 이사회는 법령 또는 정관에 정하여진 사항, 주주총회로부터 위임받은 사항, 회사경영의 기본방침 및 업무집행에 관한 중요사항을 의결한다.② 이사회는 이사의 직무의 집행을 감독한다. |
운영절차 | 제6조(종류)① 이사회는 정기이사회와 임시이사회로 한다.② 정기이사회는 분기별로 나누어 연 4회 의장이 일시와 장소를 지정하여 개최한다.③ 임시이사회는 필요에 따라 수시로 개최한다.제8조(소집절차)① 이사회를 소집함에는 회일을 정하고 그 3일전에 각 이사 및 감사에 대하여 통지를 발송하여야 한다.② 이사회는 이사 및 감사 전원의 동의가 있는 때에는 제1항의 절차 없이 언제든지 회의를 열수 있다.제9조(결의방법)① 이사회의 결의는 이사 과반수의 출석과 출석이사 과반수로 한다.② 이사회는 이사의 전부 또는 일부가 직접 회의에 출석하지 아니하고 모든 이사가 동영상 및 음성을 동시에 송·수신하는 통신수단에 의하여 결의에 참가하는 것을 허용할 수 있으며, 이 경우 당해 이사는 이사회에 직접 출석한 것으로 본다.③ 이사회의 결의에 관하여 특별한 이해관계가 있는 이사는 의결권을 행사하지 못한다.④ 제3항의 규정에 의하여 의결권을 행사할 수 없는 이사의 수는 출석한 이사의 수에 산입하지 아니한다. |
권한위임사항 | 제5조(의장)① 이사회의 의장은 대표이사 사장으로 한다.② 대표이사 사장이 사고로 인하여 의장의 직무를 행할 수 없을 때에는 이사가 그 직무를 대행한다.제7조(소집권자)① 이사회는 대표이사 사장이 소집한다. 그러나 대표이사가 사고로 인하여 직무를 행할 수 없을 때에는 제5조 제2항에 정한 순으로 그 직무를 대행한다.② 각 이사는 대표이사 사장에게 의안과 그 사유를 밝히어 이사회 소집을 청구할 수 있다. 대표이사가 정당한 사유 없이 이사회 소집을 하지 아니하는 경우에는 이사회 소집을 청구한 이사가 이사회를 소집할 수 있다. |
다. 이사회의 주요활동내역
회차 |
개최일자 |
의 안 내 용 |
가결여부 |
비고 |
1 |
2022.11.21 |
1. 대표이사 선임의 건 2. 본점 설치장소에 관한 건 3. 명의개서대리인 선임의 건 |
가결 |
- |
2 |
2022.11.30 |
1. 제1회 하이제8호기업인수목적 전환사채발행의 건 2. 코스닥시장 상장 동의의 건 3. IPO 대표주관 체결의 건 4. 감사인 선임의 건 5. 기장 및 세무조정 업무용역계약 체결의 건 |
가결 |
- |
3 |
2022.11.30 |
1. 공모자금 예치/신탁 계약 체결의 건 2. 내부규정 제정의 건 |
가결 |
- |
4 | 2022.12.15 |
1. 임시주주총회 소집의 건 |
가결 | |
5 | 2023.02.20 | 1. 제1기(2022연도) 결산 재무제표 및 영업보고서 승인의 건 | 가결 | - |
6 | 2023.03.02 | 1. 한국거래소 코스닥시장 상장을 위한 신주발행의 건2. 총액인수계약 체결 및 증권신고서 제출의 건 |
가결 |
- |
7 | 2023.03.06 | 1. 정기주주총회 소집 결정의 건 | 가결 | - |
8 | 2023.05.08 | 1. 한국거래소 코스닥시장 상장을 위한 신주발행의 건2. 총액인수계약 체결 및 증권신고서 제출의 건 |
가결 |
- |
9 | 2024.03.06 | 1. 제2기 주총소집통지의 건 2. 재무제표 승인의 건 3. 감사 선임의 건 4. 이사 보수한도 승인의 건 5. 감사 보수한도 승인의 건 | 가결 | - |
10 | 2025.03.05 | 1. 제3기 주총소집통지의 건2. 재무제표 승인의 건3. 이사 보수한도 승인의 건4. 감사 보수한도 승인의 건 |
라. 이사회에서의 사외이사의 주요활동내역 당사는 내부통제절차의 준수 및 경영의 투명성을 제고하기 위해 사외이사 1인을 선임하고 있으며, 주요 활동내역은 다음과 같습니다.
회차 | 개최일자 | 사외이사 참석인원 | 비 고 |
1 |
2022.11.21 |
1명(총 1명) |
- |
2 |
2022.11.30 |
1명(총 1명) |
- |
3 |
2022.11.30 |
1명(총 1명) |
- |
4 | 2022.12.15 |
1명(총 1명) |
- |
5 | 2023.02.20 | 1명(총 1명) | - |
6 | 2023.03.02 |
1명(총 1명) |
- |
7 | 2023.03.06 | 1명(총 1명) | - |
8 | 2023.05.08 |
1명(총 1명) |
- |
9 | 2024.03.06 |
1명(총 1명) |
- |
10 | 2025.03.05 |
1명(총 1명) |
- |
마. 이사회 내의 위원회 구성현황과 그 활동내역 당사는 이사회 내에 위원회가 구성되어 있지 않습니다. 바. 이사의 독립성 당사의 이사회는 대표이사 1인, 기타비상무이사 1인, 사외이사 1인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회사 경영의 중요한 의사 결정과 업무 집행은 이사회의 심의 및 결정을 통하여 이루어지고 있습니다. 또한 당사는 대주주 등의 독단적인 경영과 이로 인한 소액주주의 이익 침해가 발생하지 않도록 이사회 운영규정을 제정하여 성실히 준수하고 있습니다.
사외이사 및 그 변동현황
(단위 : 명) |
이사의 수 | 사외이사 수 | 사외이사 변동현황 | ||
---|---|---|---|---|
선임 | 해임 | 중도퇴임 | ||
사외이사 교육 미실시 내역
사외이사 교육 실시여부 | 사외이사 교육 미실시 사유 |
---|---|
미실시 |
가. 감사위원회(감사) 설치여부, 구성방법 등 당사는 보고서 작성 기준일까지 감사위원회가 설립되어 있지 않으며, 비상근 감사 1명이 감사 업무를 수행하고 있습니다. 나. 감사위원회(감사)의 감사업무에 필요한 경영정보접근을 위한 내부장치 마련 여부 당사는 감사의 감사업무에 필요한 경영정보접근을 위하여 정관 및 감사직무규정에 다음과 같은 내용을 두고 있습니다.
관련규정 | 내 용 |
정관 |
정관 제48조 (감사의 직무와 의무)① 감사는 회사의 회계와 업무를 감사한다. ② 감사는 이사회에 출석하여 의견을 진술할 수 있다. ③ 감사는 회의의 목적사항과 소집의 이유를 기재한 서면을 이사회에 제출하여 임시총회의 소집을 청구할 수 있다. ④ 감사에 대해서는 이 정관 제37조의 규정을 준용한다. |
감사직무규정 |
감사직무규정 제6조(직무)① 감사는 이사의 직무 집행을 감사한다. ② 감사는 다음 각 호의 직무를 수행한다. 1. 감사계획의 수립, 집행, 결과평가, 보고 및 사후조치 2. 회사 내 내부통제제도의 적정성을 유지하기 위한 개선점 모색 3. 내부회계관리제도의 설계 및 운영실태에 대한 평가 및 보고 4. 외부감사인의 선임 및 감사업무 수행에 관한 사항 5. 외부감사인의 감사활동에 대한 평가 6. 감사결과 지적사항에 대한 조치내용 확인 7. 관계법령 또는 정관에서 정한 사항의 처리 8. 회계부정에 대한 내부신고, 고지가 있을 경우 그에 대한 사실과 조치내용 확인 및 신고, 고지자의 신분 등에 관한 비밀유지 확인 9. 감사가 필요하다고 인정하는 사항에 대한 감사 감사직무규정 제7조(권한)① 감사는 다음 각 호의 권한을 행사할 수 있다. 1. 이사 등에 대한 영업의 보고 요구 및 회사의 업무, 재산상태 조사 2. 임시주주총회의 소집 청구 3. 이사회에 출석 및 의견 진술 4. 이사회의 소집청구 및 소집 5. 회사의 비용으로 전문가의 조력을 받을 권한 6. 감사의 해임에 관한 의견진술 7. 이사의 보고 수령 8. 이사의 위법행위에 대한 유지청구 9. 주주총회 결의 취소의 소 등 각종 소의 제기 10. 이사, 회사간 소송에서의 회사 대표 ② 감사는 다음 각 호의 사항을 요구할 수 있으며, 그 요구를 받은 자는 특별한 사유가 없는 한 이에 응하여야 한다. 1. 회사내 모든 정보에 대한 사항 2. 관계자의 출석 및 답변 3. 창고, 금고, 장부 및 관계서류, 증빙, 물품 등에 관한 사항 4. 기타 감사업무수행에 필요한 사항의 요구 ③ 감사는 각 부서의 장에게 임직원의 부정행위가 있거나 중대한 과실이 있을 때 지체 없이 보고토록 요구할 수 있다. ④ 전항의 경우 감사는 지체없이 감사요원을 투입하여 특별감사에 착수하여야 한다. |
다. 감사위원회(감사)의 인적사항
성 명 | 주요 경력 | 최대주주등과의이해관계 | 결격요건여부 | 비고 |
박준석 |
15.09~18.11 안진회계법인 세무자문본부 18.11~20.01 BnH세무법인·회계법인 20.03~현 재 한미회계법인 5본부 |
없음 |
- |
비상근 |
- 결격요건 여부
구 분 |
해당여부 |
비 고 |
상법 제542조의10 |
||
1. 미성년자, 금치산자 또는 한정치산자 |
X |
- |
2. 파산선고를 받고 복권되지 아니한 자 |
X |
- |
3. 금고 이상의 형을 선고받고 그 집행이 끝나거나 집행이 면제된 후 2년이 지나지 아니한 자 |
X |
- |
4. 대통령령으로 별도로 정하는 법률을 위반하여 해임되거나 면직된 후 2년이 지나지 아니한 자 |
X |
- |
5. 누구의 명의로 하든지 자기의 계산으로 의결권 없는 주식을 제외한 발행주식총수의 100분의 10 이상의 주식을 소유하거나 이사·집행임원·감사의 선임과 해임 등 상장회사의 주요 경영사항에 대하여 사실상의 영향력을 행사하는 주주 및 그의 배우자와 직계 존속·비속 |
X |
- |
6. 회사의 상무에 종사하는 이사·집행임원 및 피용자 또는 최근 2년 이내에 회사의 상무에 종사한 이사·집행임원 및 피용자 |
X |
- |
7. 해당 회사의 상무에 종사하는 이사ㆍ집행임원의 배우자 및 직계존속ㆍ비속 |
X |
- |
8. 계열회사의 상무에 종사하는 이사ㆍ집행임원 및 피용자이거나 최근 2년 이내에 상무에 종사한 이사ㆍ집행임원 및 피용자 |
X |
- |
라. 감사의 독립성 당사의 감사 박준석은 감사로서의 요건을 갖추고 있으며 당사의 주식은 소유하고 있지 아니합니다. 또한 감사는 회계와 업무를 감사하며 이사회 및 타 부서로부터 독립된 위치에서 업무를 수행하고 있습니다. 감사는 필요시 회사로부터 영업에 관한 사항을 보고 받을 수 있으며 감사인으로서의 독립성을 충분히 확보하고 있습니다. 마. 감사위원회(감사)의 주요활동내역
회차 | 개최일자 | 감사 참석인원 | 비 고 |
1 |
2022.11.21 |
1명(총 1명) |
- |
2 |
2022.11.30 |
1명(총 1명) |
- |
3 |
2022.11.30 |
1명(총 1명) |
- |
4 | 2022.12.15 |
1명(총 1명) |
- |
5 | 2023.02.20 | 1명(총 1명) | - |
6 | 2023.03.02 |
1명(총 1명) |
- |
7 | 2023.03.06 | 1명(총 1명) | - |
8 | 2023.05.08 |
1명(총 1명) |
- |
9 | 2024.03.06 | 1명(총 1명) | - |
10 | 2025.03.05 | 1명(총 1명) | - |
감사위원회 교육 미실시 내역
감사위원회 교육 실시여부 | 감사위원회 교육 미실시 사유 |
---|---|
미실시 |
사. 감사지원조직 현황 당사는 발기인총회에서 선임된 비상근 감사 1명이 감사업무를 수행하고 있으며,별도의 감사지원조직은 없습니다. 아. 준법지원인 지원조직 현황 당사는 보고서 작성일 현재 선임된 준법지원인 및 지원조직이 없습니다.
투표제도 현황
(기준일 : | ) |
투표제도 종류 | 집중투표제 | 서면투표제 | 전자투표제 |
---|---|---|---|
도입여부 | |||
실시여부 |
의결권 현황
(기준일 : | ) |
구 분 | 주식의 종류 | 주식수 | 비고 |
---|---|---|---|
발행주식총수(A) | |||
의결권없는 주식수(B) | |||
정관에 의하여 의결권 행사가 배제된 주식수(C) | |||
기타 법률에 의하여의결권 행사가 제한된 주식수(D) | |||
의결권이 부활된 주식수(E) | |||
의결권을 행사할 수 있는 주식수(F = A - B - C - D + E) | |||
1. 최대주주 및 특수관계인의 주식소유 현황
(기준일 : | ) |
성 명 | 관 계 | 주식의종류 | 소유주식수 및 지분율 | 비고 | |||
---|---|---|---|---|---|---|---|
기 초 | 기 말 | ||||||
주식수 | 지분율 | 주식수 | 지분율 | ||||
계 | |||||||
2. 최대주주의 주요경력 및 개요
(1) 최대주주(법인 또는 단체)의 기본정보
명 칭 | 출자자수(명) | 대표이사(대표조합원) | 업무집행자(업무집행조합원) | 최대주주(최대출자자) | |||
---|---|---|---|---|---|---|---|
성명 | 지분(%) | 성명 | 지분(%) | 성명 | 지분(%) | ||
(2) 최대주주(법인 또는 단체)의 최근 결산기 재무현황
(단위 : 백만원) |
구 분 | |
---|---|
법인 또는 단체의 명칭 | |
자산총계 | |
부채총계 | |
자본총계 | |
매출액 | |
영업이익 | |
당기순이익 |
주) 2024년 12말 결산자료 기준
(3) 사업현황 등 회사 경영 안정성에 영향을 미칠 수 있는 주요 내용
해당사항 없습니다.
(1) 최대주주(법인 또는 단체)의 기본정보
명 칭 | 출자자수(명) | 대표이사(대표조합원) | 업무집행자(업무집행조합원) | 최대주주(최대출자자) | |||
---|---|---|---|---|---|---|---|
성명 | 지분(%) | 성명 | 지분(%) | 성명 | 지분(%) | ||
(2) 최대주주(법인 또는 단체)의 최근 결산기 재무현황
(단위 : 백만원) |
구 분 | |
---|---|
법인 또는 단체의 명칭 | |
자산총계 | |
부채총계 | |
자본총계 | |
매출액 | |
영업이익 | |
당기순이익 |
주) 2024년 12말 결산자료 기준
(3) 사업현황 등 회사 경영 안정성에 영향을 미칠 수 있는 주요 내용
해당사항 없습니다.
4. 최대주주 변동내역 해당사항 없습니다.
주식 소유현황
(기준일 : | ) |
구분 | 주주명 | 소유주식수 | 지분율(%) | 비고 |
---|---|---|---|---|
5% 이상 주주 | - | |||
- | ||||
우리사주조합 | - |
해당사항 없습니다.
(기준일 : | ) |
구 분 | 주주 | 소유주식 | 비 고 | ||||
---|---|---|---|---|---|---|---|
소액주주수 | 전체주주수 | 비율(%) | 소액주식수 | 총발행주식수 | 비율(%) | ||
소액주주 |
주) 상기 소액주주 현황은 2024년 12월말 주주명부폐쇄 기준 자료 입니다.
5. 주식사무 가. 정관에 규정된 신주인수권의 내용
정관 제11조 (신주인수권)① 회사의 주주는 신주발행에 있어서 그가 소유한 주식수에 비례하여 신주의 배정을 받을 권리를 가진다. ② 제1항의 규정에 불구하고 주권을 증권시장에 상장하기 위하여 신주를 최초 모집하거나 인수인에게 인수하게 하는 경우에는 주주 외의 자에게 이사회 결의로 신주를 배정할 수 있다. ③ 제1항 및 제2항의 규정에도 불구하고 회사가 발행한 주권이 증권시장에 상장된 후에 다음 각 호의 어느 하나에 해당하는 경우로서 주주 외의 자를 대상으로 신주를 발행할 수 있다. 다만, 이 경우에는 상법 제434조에 따른 주주총회의 결의를 거쳐야 한다. 1. 발행주식총수의 100분의 50을 초과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자본시장법 제165조의 6에 따라 일반공모증자 방식으로 신주를 발행하는 경우 2. 발행주식총수의 100분의 30을 초과하지 않는 범위 내에서 합병에 필요한 긴급한자금조달을 위하여 국내외 금융기관 또는 기관투자자에게 신주를 발행하는 경우 ④ 제2항 및 제3항 각 호의 어느 하나의 방식에 의해 신주를 발행할 경우에는 발행할 주식의 종류와 수 및 발행가격 등은 이사회의 결의로 정한다. ⑤ 주주가 신주인수권을 포기 또는 상실하거나 신주배정에서 단주가 발생하는 경우에 그 처리방법은 이사회의 결의로 정한다. |
나. 결산 등에 관한 사항
구 분 | 내 용 |
결산기 | 12월 31일 |
정기주주총회 | 매 사업연도 종료 후 3개월 이내 |
주주명부폐쇄시기 | 매년 1월 1일부터 1월 15일까지 |
주권의 종류 | 1주권, 5주권, 10주권, 50주권, 100주권, 500주권, 1,000주권,10,000주권 (8종) |
명의개서대리인 | KB국민은행 |
공고게재신문 | 매일경제신문 |
6. 주가 및 주식거래실적 당사의 보고서 작성일 기준 월 주가 및 주식거래실적은 다음과 같습니다. (단위: 원, 주)
구분 | 2025년 01월 | 2025년 02월 | 2025년 03월 | 2025년 04월 | 2025년 05월 | 2025년 06월 | |
주가 | 최 고 | 2,090 | 2,075 | 2,075 | 2075 | 2085 | 2090 |
최 저 | 2,060 | 2,045 | 2,035 | 2060 | 2060 | 2070 | |
평 균 | 2,071 | 2,061 | 2,058 | 2067 | 2072 | 2083 | |
거래량 | 일 최고 | 32,543 | 21,271 | 19,538 | 22988 | 81517 | 49305 |
일 최저 | 17 | 64 | 93 | 717 | 1156 | 237 | |
평 균 | 8,335 | 6,711 | 5,779 | 6511 | 20948 | 8520 |
주) 출처 : KRX 정보데이터시스템 |
7. 공모전주주등의 권리행사 등 제한 사항
가. 공모전 발행된 주권의 매각 제한당사의 공모전주주등은 코스닥시장상장규정 제21조 제1항 제6호에 의거하여 해당 주권의 상장일부터 주권비상장법인 또는 유가증권시장 주권상장법인과의 합병신주 상장 후 6개월간 주식 등의 매각이 제한됩니다. 단, 증권의 발행 및 공시 등에 관한 규정 제5-13조 제4항에 따른 합병가치 산출시에는 투자매매업자인 (주)아이엠증권(구,하이투자증권)이 소유한 주식 등은 합병기일 이후 1년이 경과하기 전까지 양도 또는 처분이 제한됩니다. 나. 합병승인 주주총회에서의 의결권 제한당사의 공모전 주주는 상법 522조에 따른 주주의결권을 행사하지 아니하거나, 이를 예탁결제원에 위임하여 해당 주주총회에 참석한 주식수(서면투표 주식수를 포함)에서 공모전 주주등이 보유하는 주식수를 뺀 주식수의 의결내 용에 영향을 미치지 아니하도록 찬성 및 반대(기권 및 무효를 포함)의 비율에 따라 의결권을 행사하겠다는 주주간 약정서를 체결하였습니다.
<주주간 약정서>"본 약정 당사자들" : (주)아이엠증권(구,하이투자증권), (주)에이씨피씨, (주)솔트룩스벤처스, 히스토리벤처투자(주), 히스토리투자자문(주), (주)하나벤처스 (i) 대상회사와 합병대상법인과의 합병승인을 위한 주주총회에서 합병승인에 대한 안건에 대한 의결권. 다만, 합병대상법인과의 합병승인을 위한 주주총회의 결의에 관하여 의결권을 예탁결제원에 위임하여 해당 주주총회에 참석한 주식수(서면투표 주식수를 포함) 중에서 공모주식 수의 의결내용에 영향을 미치지 아니하도록 찬성 및 반대(기권 및 무효를 포함한다)의 비율에 따라 의결권을 행사하는 경우에는 그러하지 아니하다. (하략) |
다. 주식매수청구권의 행사 제한주주등간약정 6.2 다항에 따라 당사의 공모전주주등은 자신들이 보유한 공모전 주식에 관하여 어떠한 경우에도 상법 제522조의3에서 정한 주식매수청구권을 행사할 수 없습니다. 라. 예치자금등의 반환대상 제외당사의 정관 제60조에 따라 당사의 공모전주주등의 최초 공모 전 취득한 주식등에 대하여 예치자금등의 반환대상에서 제외됩니다.
가. 임원 현황
(기준일 : | ) |
성명 | 성별 | 출생년월 | 직위 | 등기임원여부 | 상근여부 | 담당업무 | 주요경력 | 소유주식수 | 최대주주와의관계 | 재직기간 | 임기만료일 | |
---|---|---|---|---|---|---|---|---|---|---|---|---|
의결권있는 주식 | 의결권없는 주식 | |||||||||||
나. 임원의 M&A 및 IPO 등 관련 주요 경력사항
임원 |
M&A 및 IPO 관련경력 |
|
---|---|---|
정우주 | 2021 | 파킹클라우드 M&A 인수 자문 |
2022 | 네이처모빌리티의 스토리시티 M&A 인수합병 자문 | |
2022 | 중소벤처기업부 스케일업팁스 M&A 및 기술특례상장 자문위원 | |
이영재 | 2008 | 유진기업의 하이마트 인수자문 |
2014 | J트러스트그룹의 케이제이아이대부금융 인수 자문 | |
2016 | KTB기업인수목적회사3호와 해마로푸드서비스 합병상장 총괄 | |
2017 | KTB기업인수목적회사2호와 클래시스 합병상장 총괄 | |
2020 | 하이제4호스팩과 TS트릴리온 합병상장 총괄 | |
2021 | 이노뎁 IPO 코스닥시장 상장 총괄 | |
이종환 | 2004 | 중앙엠엔비 매각 자문 및 실무 |
2013 | JSR테크놀로지(일본) 인수 자문 및 실무 | |
박준석 | 해당사항 없음 |
다. 임원의 자격 충족여부 검토
금융회사의 지배구조에 관한 법률 제5조(임원의 자격요건) 1항 | 해당여부 |
---|---|
1. 미성년자 ·피성년후견인 또는 피한정후견인 |
x |
2. 파산선고를 받고 복권(復權)되지 아니한 사람 |
x |
3. 금고 이상의 실형을 선고받고 그 집행이 끝나거나(집행이 끝난 것으로 보는 경우를 포함한다) 집행이 면제된 날부터 5년이 지나지 아니한 사람 |
x |
4. 금고 이상의 형의 집행유예를 선고받고 그 유예기간 중에 있는 사람 |
x |
5. 이 법 또는 금융관계법령에 따라 벌금 이상의 형을 선고받고 그 집행이 끝나거나(집행이 끝난 것으로 보는 경우를 포함한다) 집행이 면제된 날부터 5년이 지나지 아니한 사람 |
x |
6. 다음 각 목의 어느 하나에 해당하는 조치를 받은 금융회사의 임직원 또는 임직원이었던 사람(그 조치를 받게 된 원인에 대하여 직접 또는 이에 상응하는 책임이 있는 사람으로서 대통령령으로 정하는 사람으로 한정한다)으로서 해당 조치가 있었던 날부터 5년이 지나지 아니한 사람 가. 금융관계법령에 따른 영업의 허가·인가·등록 등의 취소 나. 「금융산업의 구조개선에 관한 법률」 제10조제1항에 따른 적기시정조치 다. 「금융산업의 구조개선에 관한 법률」 제14조제2항에 따른 행정처분 |
x |
7. 이 법 또는 금융관계법령에 따라 임직원 제재조치(퇴임 또는 퇴직한 임직원의 경우 해당 조치에 상응하는 통보를 포함한다)를 받은 사람으로서 조치의 종류별로 5년을 초과하지 아니하는 범위에서 대통령령으로 정하는 기간이 지나지 아니한 사람 |
x |
8. 해당 금융회사의 공익성 및 건전경영과 신용질서를 해칠 우려가 있는 경우로서 대통령령으로 정하는 사람 |
x |
당사 임원의 경우 상기에 열거되어 있는 기업인수목적 임원에 대한 자격제한사항(금융회사의 지배구조에 관한 법률 제5조1항)과 관련하여 임원의 자격을 모두 충족하고 있습니다.
「금융회사의 지배구조에 관한 법률」제6조 (사외이사의 자격요건) 1항 | 해당여부 |
---|---|
1. 최대주주 및 그 특수관계인(최대주주 및 그의 특수관계인이 법인인 경우에는 그 임직원을 말한다) |
x |
2. 주요주주 및 그의 배우자와 직계존속·비속(주요주주가 법인인 경우에는 그 임직원을 말한다) |
x |
3. 해당 금융회사 또는 그 계열회사(「독점규제 및 공정거래에 관한 법률」 제2조 제3호에 따른 계열회사를 말한다. 이하 같다)의 상근(常勤) 임직원 또는 비상임이사이거나 최근 3년 이내에 상근 임직원 또는 비상임이사이었던 사람 |
x |
4. 해당 금융회사 임원의 배우자 및 직계존속·비속 |
x |
5. 해당 금융회사 임직원이 비상임이사로 있는 회사의 상근 임직원 |
x |
6. 해당 금융회사와 대통령령으로 정하는 중요한 거래관계가 있거나 사업상 경쟁관계 또는 협력관계에 있는 법인의 상근 임직원이거나 최근 2년 이내에 상근 임직원이었던 사람 |
x |
7. 해당 금융회사에서 6년 이상 사외이사로 재직하였거나 해당 금융회사 또는 그 계열회사에서 사외이사로 재직한 기간을 합산하여 9년 이상인 사람 |
x |
8. 그 밖에 금융회사의 사외이사로서 직무를 충실하게 이행하기 곤란하거나 그 금융회사의 경영에 영향을 미칠 수 있는 사람으로서 대통령령으로 정하는 사람 |
x |
당사 사외이사의 경우 금융회사의 지배구조에 관한 법률 제6조 1항에 의거한 자격제한사항과 관련하여 사외이사의 자격을 모두 충족하고 있습니다.
라. 임원의 변경을 예방하기 위한 수단
당사는 임원의 변경 예방과 관련한 별도 규정이나 계약은 체결하지 않았으나, 임원 변경의 가능성은 크지 않을 것으로 예상됩니다. 만약 임원의 사임 등 임원의 변경사항이 발생할 경우 즉시 적임자를 임원으로 선임하여 업무의 공백을 최소화할 것입니다.
또한 당사의 정관 제33조(이사의 임기)에 의해 이사의 임기는 3년으로 보장되며, 정관 제47조(감사의 임기와 보선)에 의해 감사의 임기는 취임후 3년 내의 최종 결산기에 관한 정기주총까지 보장됩니다. 단, 합병의 효력이 발생하면 본 계약은 자동 해지 되며, 임원은 합병의 효력 발생일에 퇴임합니다.
관련 규정 | 내용 |
---|---|
정관 제33조(이사의 임기) | 이사의 임기는 3년으로 한다. 그러나 그 임기가 최종의 결산기 종료 후 당해 결산기에 관한 정기주주총회 전에 만료될 경우에는 그 총회의 종결시까지 그 임기를 연장한다. |
정관 제47조(감사의 임기와 보선) | ① 감사의 임기는 취임후 3년 내의 최종의 결산기에 관한 정기주주총회 종결시까지로 한다. |
마. 임원의 다른 기업인수목적회사 지분 보유 현황 당사의 임원 중 다른 기업인수목적회사의 지분을 보유한 내역은 없습니다.
바. 임원의 다른 회사(기업인수목적회사 포함) 겸임, 겸직 현황 (단위: 주, %)
임원성명 |
다른 회사명 |
주요사업 |
직위 |
직무 |
재직기간 |
보유 주식수 |
지분율 |
비고 |
---|---|---|---|---|---|---|---|---|
정우주 | 히스토리벤처투자 |
집합투자업 |
대표이사 |
경영기획 |
16.12~현재 |
- | - |
- |
이영재 |
(주)아이엠증권(구,하이투자증권) |
증권업 |
상무 |
주식인수 |
19.08~현재 |
- |
- |
- |
이종환 | 브이아이인베스트먼트 | 사모펀드 | 대표이사 | 경영총괄 | 21.07~현재 | 50,000 | 64.8 | |
박준석 | 한미회계법인 |
공인회계사업 |
회계사 |
회계감사 |
20.03~현재 |
- |
- |
- |
사. 겸직에 따른 이해상충
당사의 임원은 다른 회사의 임원 또는 직원을 겸직하고 있으나, 영업을 영위하지 아니하고 합병만을 목적으로 하는 명목회사의 특성 상 타회사 임직원 겸직이 가능합니다.
또한 당사의 임원은 다른 기업인수목적회사의 지분을 보유하고 있지 아니하고, 김동찬 대표이사를 비롯하여 당사 임원 중 일부는 당사 설립에 참여한 발기인들의 임직원으로서 당사의 향후 합병 성공을 위하여 노력을 기울여야 하는 구조입니다. 이에 따라 겸직에 따른 이해상충문제의 발생 가능성은 낮다고 판단됩니다.
아. 직원 등 현황
(기준일 : | ) |
직원 | 소속 외근로자 | 비고 | |||||||||||
---|---|---|---|---|---|---|---|---|---|---|---|---|---|
사업부문 | 성별 | 직 원 수 | 평 균근속연수 | 연간급여총 액 | 1인평균급여액 | 남 | 여 | 계 | |||||
기간의 정함이없는 근로자 | 기간제근로자 | 합 계 | |||||||||||
전체 | (단시간근로자) | 전체 | (단시간근로자) | ||||||||||
합 계 |
자. 미등기임원 보수 현황
(기준일 : | ) |
구 분 | 인원수 | 연간급여 총액 | 1인평균 급여액 | 비고 |
---|---|---|---|---|
미등기임원 |
주) 해당사항 없습니다.
<이사ㆍ감사 전체의 보수현황> |
1. 주주총회 승인금액
구 분 | 인원수 | 주주총회 승인금액 | 비고 |
---|---|---|---|
2. 보수지급금액
2-1. 이사ㆍ감사 전체
인원수 | 보수총액 | 1인당 평균보수액 | 비고 |
---|---|---|---|
2-2. 유형별
구 분 | 인원수 | 보수총액 | 1인당평균보수액 | 비고 |
---|---|---|---|---|
등기이사(사외이사, 감사위원회 위원 제외) | ||||
사외이사(감사위원회 위원 제외) | ||||
감사위원회 위원 | ||||
감사 |
<보수지급금액 5억원 이상인 이사ㆍ감사의 개인별 보수현황> |
1. 개인별 보수지급금액
이름 | 직위 | 보수총액 | 보수총액에 포함되지 않는 보수 |
---|---|---|---|
2. 산정기준 및 방법
(단위 : ) |
이름 | 보수의 종류 | 총액 | 산정기준 및 방법 | |
---|---|---|---|---|
- | 근로소득 | 급여 | - | - |
상여 | - | - | ||
주식매수선택권 행사이익 | - | - | ||
기타 근로소득 | - | - | ||
퇴직소득 | - | - | ||
기타소득 | - | - |
<보수지급금액 5억원 이상 중 상위 5명의 개인별 보수현황> |
1. 개인별 보수지급금액
이름 | 직위 | 보수총액 | 보수총액에 포함되지 않는 보수 |
---|---|---|---|
2. 산정기준 및 방법
(단위 : ) |
이름 | 보수의 종류 | 총액 | 산정기준 및 방법 | |
---|---|---|---|---|
- | 근로소득 | 급여 | - | - |
상여 | - | - | ||
주식매수선택권 행사이익 | - | - | ||
기타 근로소득 | - | - | ||
퇴직소득 | - | - | ||
기타소득 | - | - |
<주식매수선택권의 부여 및 행사현황>해당사항 없습니다.
계열회사 현황(요약)
(기준일 : | ) | (단위 : 사) |
기업집단의 명칭 | 계열회사의 수 | ||
---|---|---|---|
상장 | 비상장 | 계 | |
※상세 현황은 '상세표-2. 계열회사 현황(상세)' 참조 |
해당사항 없습니다.
타법인출자 현황(요약)
(기준일 : | ) |
출자목적 | 출자회사수 | 총 출자금액 | |||||
---|---|---|---|---|---|---|---|
상장 | 비상장 | 계 | 기초장부가액 | 증가(감소) | 기말장부가액 | ||
취득(처분) | 평가손익 | ||||||
경영참여 | |||||||
일반투자 | |||||||
단순투자 | |||||||
계 |
※상세 현황은 '상세표-3. 타법인출자 현황(상세)' 참조 |
1. 대주주 등에 대한 신용공여 등 해당사항 없습니다. 2. 대주주 등과의 자산양수도 등 해당사항 없습니다. 3. 대주주 등과의 영업거래 해당사항 없습니다. 4. 대주주 등과의 거래
해당사항 없습니다.
5. 대주주 이외의 이해관계자와의 거래
당사는 대주주 이외의 이해관계자인 (주)아이엠증권(구,하이투자증권)와 코스닥시장 상장업무와 관련한 대표주관회사 계약을 체결하였습니다. 또한, 당사는 설립 후 3년동안 동사의 주주인 (주)아이엠증권(구,하이투자증권)로부터 당사의 본점에 대한 무상사용승낙을 받아 현재 사용하고 있습니다.
성 명 |
종류 |
소재지 |
면적 |
내용 |
비 고 |
(주)아이엠증권(구,하이투자증권) |
건물 |
서울 영등포구 여의대로 |
3.3㎡ |
무상임대 |
- |
주) 향후 동사가 합병 혹은 해산을 하는 시점까지 지속적으로 무상사용기간을 연장할계획입니다.
6. 임원의 특수관계인과의 거래 해당사항 없습니다.
해당사항 없습니다.
가. 중요한 소송 사건 등 해당사항 없습니다. 나. 견질 또는 담보용 어음ㆍ수표 현황 해당사항 없습니다. 다. 채무보증현황 해당사항 없습니다. 라. 채무인수약정 현황 해당사항 없습니다. 마. 그 밖의 우발채무 등 해당사항 없습니다. 바. 자본으로 인정되는 채무증권의 발행 해당사항 없습니다.
가. 제재현황 해당사항 없습니다. 나. 작성기준일 이후 발생한 주요사항 해당사항 없습니다. 다. 중소기업 기준 검토표 해당사항 없습니다. 라. 직정금융 자금의 사용 해당사항 없습니다. 마. 금융회사의 예금자 보호 등에 관한 사항
당사는 현재 예금에 관한 상품을 취급하지 않으며, 이에 따라 예금자 보호에 관한 사항은 해당사항이 없습니다. 다만, 당사가 코스닥상장공모를 통해 모집한 총액의 100%는 KB국민은행에 예치하였습니다. 바. 기업인수목적회사의 요건 충족 여부
기 준 | 충족 여부 | 세부 내역 | |
충 족 | 미충족 | ||
①주권(최초 모집 전 발행주권 제외) 발행자금의 90%이상을 주금납입일의 다음 영업일까지 증권금융회사 또는 신탁업자에 예치 신탁할 것 |
O |
- |
주1) |
②예치신탁자금등은 합병대상법인과의 합병등기 완료 전 인출 또는 담보로 제공하지 않을 것 |
O |
- |
주2) |
③발기인 중 1인이상은 자기자본 1,000억원 이상인 지분증권 투자매매업자일 것 |
O |
- |
주3) |
④임원이 금융투자업자 임원의 결격사유에 해당되지 않을 것 |
O |
- |
주4) |
⑤최초로 모집한 주권에 대한 주금납입일부터 90일 이내 증권시장에 상장할 것 |
O |
- |
주5) |
⑥최초로 모집한 주권에 대한 주금납입일부터 36개월 이내 합병등기를 완료할 것 |
O |
- |
주6) |
⑦주권 최초 모집 전에 합병대상법인이 정하여지지 않을 것 |
O |
- |
주7) |
⑧해산사유 발생시 예치신탁자금등을 주주에게 주권보유비율에 비례하여 지급할 것 |
O |
- |
주8) |
⑨발기인인 지분증권 투자매매업자는 기업인수목적회사 발행주식등 발행총액의 5% 이상을 소유할 것 |
O |
- |
공모금액 85억원 완료(주)아이엠증권(구,하이투자증권) 14.40% (충족가능) |
주1, 2) 동사 정관에 기재
제 57 조 (주권발행금액의 예치/신탁 및 인출 제한, 담보제공 금지) ① 회사는 주권(최초 모집 전에 발행된 주권을 제외한다)의 발행을 통하여 모은 금전의100분의 90 이상을 주권의 주금납입일의 다음 영업일까지 금융위원회의 금융투자업규정 제1-4조의2 제2항에 따른 증권금융회사 또는 신탁업자에게 예치 또는 신탁하여야 한다. ② 회사는 증권금융회사 또는 신탁업자에게 예치 또는 신탁한 금전(이자 또는 배당금을 포함하며 “예치자금 등”이라 한다. 이하 같다)을 합병대상법인과의 합병등기가 완료되기 전에 인출하거나 담보로 제공할 수 없다. 다만, 회사의 운영을 위하여 불가피한 경우로서 다음의 어느 하나에 해당하는 경우에는 예치자금 등을 인출할 수 있다. 1. 자본시장법 제165조의5에 따른 주식매수청구권의 행사로 주식을 매수하기 위하여 필요한 금전의 한도 내에서 인출하는 경우 2. 회사의 해산에 따라 예치자금 등을 다음 각 목의 기준에 의하여 주주에게 지급하는 경우 가. 최초 모집 이전에 자본시장법 시행령 제139조 제1호 각 목의 증권 및 의결권 없는 주권(이하 “주식등”이라 한다)을 취득한 자는 그 취득분에 대하여 예치자금 등의 지급대상에서 제외될 것 나. 예치자금 등은 주식(가목에 따라 지급대상에서 제외되는 주식은 제외한다)의 보유비례하여 배분될 것 |
주3) 발기인 내역
발기인 |
출자금액(원) |
주식수(주) |
비고 |
(주)에이씨피씨 | 250,000,000 | 250,000 | 최대주주 |
(주)솔트룩스벤처스 | 250,000,000 | 250,000 | 최대주주 |
히스토리벤처투자(주) |
150,000,000 | 150,000 | - |
히스토리투자자문(주) |
38,000,000 | 38,000 | 전환사채권자 |
(주)하나벤처스 |
38,000,000 | 38,000 | 전환사채권자 |
(주)아이엠증권(구,하이투자증권) |
38,000,000 | 38,000 | 전환사채권자, 투자매매업자 주) |
합 계 |
764,000,000 | 764,000 |
- |
주) (주)아이엠증권(구,하이투자증권) 자기자본 연결기준 13,357억원(24년 12월말 기준)
주4) 임원의 금융투자업자 임원 결격사유 해당여부
동사 임원 4인(정우주, 이영재, 이종환, 박준석) 모두 결격 사유에 해당하지 않습니다. (「제2부 발행인의 관한 사항」의「Ⅶ. 임원 및 직원 등에 관한 사항」중「1. 임원및 직원의 현황」을 참조하시기 바랍니다.)
주5) 동사 정관에 의거 최초 주권모집에 따른 주금납입일로부터 90일 이내에 회사가 발행한 주권이 유가증권시장 혹은 코스닥시장에 상장되지 아니한 경우 회사를 해산하고 예치자금 등을 투자자에게 지급하도록 규정
제 59 조 (해산사유) 자본시장법 시행령 제6조 제4항 제14호 마목 및 금융투자업규정 제1-4조의2 제5항 제2호에 따라 다음 각 호의 어느 하나에 해당하는 경우 회사는 즉시 해산한다. 1. 최초 모집한 주권의 주금납입일로부터 90일 이내에 회사가 발행한 주권이 유가증권시장 또는 코스닥시장에 상장되지 아니한 경우 2. 최초 모집한 주권의 주금납입일로부터 36개월 이내에 합병대상법인과의 합병등기를 완료하지 못한 경우 3. 합병대상법인과의 합병등기를 완료하기 이전에 회사 주권이 자본시장법 제390조의 증권상장규정에 따라 상장폐지된 경우
제 60 조 (예치자금 등의 반환 등) 이 정관 제59조의 해산사유 발생시 회사의 잔여재산 분배는 다음 각 호의 기준에 따라 이루어져야 한다. 1. 예치자금 등의 분배 예치자금 등은 최우선적으로 공모주식을 대상으로 하여 공모주식의 수에 비례하여 잔여재산분배로서 지급되며, 예치자금등의 분배결과 공모주식에 대하여 발행가격을 초과하여 잔여재산분배액(세후금액을 기준으로 하며, 이하 같음)의 지급이 이루어진 경우에도 공모전 발행 주식 등에 대하여는 예치자금 등에 대한 잔여재산분배는 하지 아니한다. 2. 예치자금 등 이외의 잔여재산의 분배 회사의 해산 당시 회사가 예치자금 등 이외에 잔여재산(이하 “기타 잔여재산”이라 함)을 보유하고 있는 경우 가. 공모주식에 대하여 본 조 제1호에 따라 지급된 금액이 공모주식의 발행가격에 미달하는 경우, 기타 잔여재산은 공모주식에 대하여 잔여재산분배로서 지급되는 금액(본 조 제1호에 따라 잔여재산으로 분배받은 금액을 포함)이 당해 공모주식의 발행가격에 도달할 때까지 우선적으로 공모주식을 대상으로 하여 주식수에 비례하여 잔여재산분배로서 지급된다. 나. 본 조 제1호 및 제2호 가목에 따라 발행가격에 도달할 때까지 잔여재산이 분배되어 지급된 이후 회사에 남는 기타 잔여재산이 있는 경우, 해당 기타 잔여재산은 공모전 발행 주식 등에 대하여 주식의 발행가격(단, 발기인의 전환사채의 전환으로 인하여 발행된 주식 및 미전환된 전환사채에 대하여는, 전환사채계약서 기재와 같은 내용 및 조건에 따른 전환가격을 그 발행가격으로 하며, 본 조에서 같음)에 도달할 때까지 공모전 발행 주식 등의 수(전환사채에 대하여는 전환시 발행될 주식수를 기준으로 하며, 이하 같음)에 비례하여 공모주식에 우선하여 잔여재산분배로서 지급된다. 다. 공모주식에 대하여 본 조 제1호에 따라 지급된 금액이 공모주식의 발행가격을 초과하는 경우에는 기타 잔여재산은 공모전 발행 주식 등에 대하여도 본 조 제1호에 따라 공모주식에 지급된 비율과 동일한 분배비율에 이를 때까지 공모주식에 우선하여 잔여재산분배로서 지급된다. 3. 본 조 제1호 내지 제2호에 따라 회사의 모든 공모전 발행 주식 등 및 공모주식에 대하여 잔여재산분배금액이 지급된 이후에도 회사에 남는 잔여재산이 있을 경우, 해당 잔여재산은 회사의 모든 발행주식에 대하여 그 주식수의 비율에 따라 잔여재산분배로서 지급된다. |
주6) 동사 정관에 의거 최초 주권에 대한 주금납입일로부터 36개월 이내에 합병대상법인과의 합병등기를 완료하지 못한 경우 회사를 해산하고 예치자금 등을 투자자에게 지급하도록 규정
제 59 조 (해산사유) 자본시장법 시행령 제6조 제4항 제14호 마목 및 금융투자업규정 제1-4조의2 제5항 제2호에 따라 다음 각 호의 어느 하나에 해당하는 경우 회사는 즉시 해산한다. 1. 최초 모집한 주권의 주금납입일로부터 90일 이내에 회사가 발행한 주권이 유가증권시장 또는 코스닥시장에 상장되지 아니한 경우 2. 최초 모집한 주권의 주금납입일로부터 36개월 이내에 합병대상법인과의 합병등기를 완료하지 못한 경우 3. 합병대상법인과의 합병등기를 완료하기 이전에 회사 주권이 자본시장법 제390조의 증권상장규정에 따라 상장폐지된 경우
제 60 조 (예치자금 등의 반환 등) 이 정관 제59조의 해산사유 발생시 회사의 잔여재산 분배는 다음 각 호의 기준에 따라 이루어져야 한다. 1. 예치자금 등의 분배 예치자금 등은 최우선적으로 공모주식을 대상으로 하여 공모주식의 수에 비례하여 잔여재산분배로서 지급되며, 예치자금등의 분배결과 공모주식에 대하여 발행가격을 초과하여 잔여재산분배액(세후금액을 기준으로 하며, 이하 같음)의 지급이 이루어진 경우에도 공모전 발행 주식 등에 대하여는 예치자금 등에 대한 잔여재산분배는 하지 아니한다. 2. 예치자금 등 이외의 잔여재산의 분배 회사의 해산 당시 회사가 예치자금 등 이외에 잔여재산(이하 “기타 잔여재산”이라 함)을 보유하고 있는 경우 가. 공모주식에 대하여 본 조 제1호에 따라 지급된 금액이 공모주식의 발행가격에 미달하는 경우, 기타 잔여재산은 공모주식에 대하여 잔여재산분배로서 지급되는 금액(본 조 제1호에 따라 잔여재산으로 분배받은 금액을 포함)이 당해 공모주식의 발행가격에 도달할 때까지 우선적으로 공모주식을 대상으로 하여 주식수에 비례하여 잔여재산분배로서 지급된다. 나. 본 조 제1호 및 제2호 가목에 따라 발행가격에 도달할 때까지 잔여재산이 분배되어 지급된 이후 회사에 남는 기타 잔여재산이 있는 경우, 해당 기타 잔여재산은 공모전 발행 주식 등에 대하여 주식의 발행가격(단, 발기인의 전환사채의 전환으로 인하여 발행된 주식 및 미전환된 전환사채에 대하여는, 전환사채계약서 기재와 같은 내용 및 조건에 따른 전환가격을 그 발행가격으로 하며, 본 조에서 같음)에 도달할 때까지 공모전 발행 주식 등의 수(전환사채에 대하여는 전환시 발행될 주식수를 기준으로 하며, 이하 같음)에 비례하여 공모주식에 우선하여 잔여재산분배로서 지급된다. 다. 공모주식에 대하여 본 조 제1호에 따라 지급된 금액이 공모주식의 발행가격을 초과하는 경우에는 기타 잔여재산은 공모전 발행 주식 등에 대하여도 본 조 제1호에 따라 공모주식에 지급된 비율과 동일한 분배비율에 이를 때까지 공모주식에 우선하여 잔여재산분배로서 지급된다. 3. 본 조 제1호 내지 제2호에 따라 회사의 모든 공모전 발행 주식 등 및 공모주식에 대하여 잔여재산분배금액이 지급된 이후에도 회사에 남는 잔여재산이 있을 경우, 해당 잔여재산은 회사의 모든 발행주식에 대하여 그 주식수의 비율에 따라 잔여재산분배로서 지급된다. |
주7) 동사는 정관 제58조 (합병대상법인의 규모 및 합병제한) 제2항에 의거 회사의 주권의 최초 모집 이전에 협상이 진행되고 있거나 잠정적으로 정해진 합병대상법인이 존재하지 않습니다.
제 58 조 (합병대상법인의 규모 및 합병제한) ② 회사 주권의 최초 모집 이전에 협상이 진행되고 있거나 잠정적으로 정해진 합병대상법인이 존재하지 아니하여야 한다. |
주8) 동사 정관에 기재
제 60 조 (예치자금 등의 반환 등) 이 정관 제59조의 해산사유 발생시 회사의 잔여재산 분배는 다음 각 호의 기준에 따라 이루어져야 한다. 1. 예치자금 등의 분배 예치자금 등은 최우선적으로 공모주식을 대상으로 하여 공모주식의 수에 비례하여 잔여재산분배로서 지급되며, 예치자금등의 분배결과 공모주식에 대하여 발행가격을 초과하여 잔여재산분배액(세후금액을 기준으로 하며, 이하 같음)의 지급이 이루어진 경우에도 공모전 발행 주식 등에 대하여는 예치자금 등에 대한 잔여재산분배는 하지 아니한다. 2. 예치자금 등 이외의 잔여재산의 분배 회사의 해산 당시 회사가 예치자금 등 이외에 잔여재산(이하 “기타 잔여재산”이라 함)을 보유하고 있는 경우 가. 공모주식에 대하여 본 조 제1호에 따라 지급된 금액이 공모주식의 발행가격에 미달하는 경우, 기타 잔여재산은 공모주식에 대하여 잔여재산분배로서 지급되는 금액(본 조 제1호에 따라 잔여재산으로 분배받은 금액을 포함)이 당해 공모주식의 발행가격에 도달할 때까지 우선적으로 공모주식을 대상으로 하여 주식수에 비례하여 잔여재산분배로서 지급된다. 나. 본 조 제1호 및 제2호 가목에 따라 발행가격에 도달할 때까지 잔여재산이 분배되어 지급된 이후 회사에 남는 기타 잔여재산이 있는 경우, 해당 기타 잔여재산은 공모전 발행 주식 등에 대하여 주식의 발행가격(단, 발기인의 전환사채의 전환으로 인하여 발행된 주식 및 미전환된 전환사채에 대하여는, 전환사채계약서 기재와 같은 내용 및 조건에 따른 전환가격을 그 발행가격으로 하며, 본 조에서 같음)에 도달할 때까지 공모전 발행 주식 등의 수(전환사채에 대하여는 전환시 발행될 주식수를 기준으로 하며, 이하 같음)에 비례하여 공모주식에 우선하여 잔여재산분배로서 지급된다. 다. 공모주식에 대하여 본 조 제1호에 따라 지급된 금액이 공모주식의 발행가격을 초과하는 경우에는 기타 잔여재산은 공모전 발행 주식 등에 대하여도 본 조 제1호에 따라 공모주식에 지급된 비율과 동일한 분배비율에 이를 때까지 공모주식에 우선하여 잔여재산분배로서 지급된다. 3. 본 조 제1호 내지 제2호에 따라 회사의 모든 공모전 발행 주식 등 및 공모주식에 대하여 잔여재산분배금액이 지급된 이후에도 회사에 남는 잔여재산이 있을 경우, 해당 잔여재산은 회사의 모든 발행주식에 대하여 그 주식수의 비율에 따라 잔여재산분배로서 지급된다. |
사. 기업인수목적회사에서의 금융투자업자의 역할 및 의무 (1) 금융투자업자의 역할
(주)아이엠증권(구,하이투자증권)는 자기자본 1천억원 이상인 지분증권 투자매매업자로서 자본시장과 금융투자업에 관한 법률 시행령 제6조제4항제14호의 자격 요건을 충족하고 당사의 기본구조를 설계하고 발기인으로 참여할 자를 섭외, 회사 설립에 필요한 각종 실무를 수행하였습니다.
또한 (주)아이엠증권(구,하이투자증권)는 향후 대표주관회사로서 공모가 성공적으로 이루어지도록 노력할 것이며, 상장 이후 성공적인 합병이 이루어지도록 합병 대상회사의 탐색 및 합병실무를 수항할 것입니다.
(2) 금융투자업자의 요건 및 의무자본시장과 금융투자업에 관한 법률 시행령 및 금융투자업규정은 자기자본 1,000억원 이상인 금융투자업자만 기업인수목적회사의 발기인으로 참여할 수 있도록 제한하고 있습니다. 2024년 12월말 현재 (주)아이엠증권(구,하이투자증권)는 동 조건을 충족하고 있습니다.또한 자본시장과 금융투자업에 관한 법률 시행령 제6조제4항제14호다목에 따른 금융투자업자가 신규상장신청일 현재 소유하고 있는 주식등의 발행금액이 기업인수목적회사가 발행한 주식등의 발행총액의 100분의 5 이상일 것을 요구하고 있습니다.
(주)아이엠증권(구,하이투자증권)는 동 법률 및 규정의 적용을 받으며, 주당 발행가 2,000원으로 4,250,000주를 발행하여 총 85억원을 공모하는 것으로 가정할 경우, (주)아이엠증권(구,하이투자증권)가 소유한 주식등의 발행금액(900백만원 : 주식 3.8백만원 + 전환사채 862백만원)은 기업인수목적회사가 발행한 주식등의 발행총액(10,500백만원 : 공모전주식 764백만원 + 전환사채 1,236백만원 + 공모주식 8,500백만원)의 14.40%를 차지하여 관련 법규에서 규정하고 있는 내용을 준수하게 됩니다. 아. 합병 등의 사후 정보 당사는 증권신고서 제출일 현재 해당사항 없습니다.
가. 합병 등의 사후정보 해당사항 없습니다.
나. 보호예수 현황
(기준일 : | ) |
주식의 종류 | 예수주식수 | 예수일 | 반환예정일 | 보호예수기간 | 보호예수사유 | 총발행주식수 |
---|---|---|---|---|---|---|
다. 특례상장기업의 사후정보 해당사항 없습니다.
해당사항 없습니다.
☞ 본문 위치로 이동 |
상호 | 설립일 | 주소 | 주요사업 | 최근사업연도말자산총액 | 지배관계 근거 | 주요종속회사 여부 |
---|---|---|---|---|---|---|
해당사항 없습니다.
☞ 본문 위치로 이동 |
(기준일 : | ) | (단위 : 사) |
상장여부 | 회사수 | 기업명 | 법인등록번호 |
---|---|---|---|
상장 | |||
비상장 | |||
해당사항 없습니다.
☞ 본문 위치로 이동 |
(기준일 : | ) |
법인명 | 상장여부 | 최초취득일자 | 출자목적 | 최초취득금액 | 기초잔액 | 증가(감소) | 기말잔액 | 최근사업연도재무현황 | |||||||
---|---|---|---|---|---|---|---|---|---|---|---|---|---|---|---|
수량 | 지분율 | 장부가액 | 취득(처분) | 평가손익 | 수량 | 지분율 | 장부가액 | 총자산 | 당기순손익 | ||||||
수량 | 금액 | ||||||||||||||
합 계 |
해당사항 없습니다.
해당사항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