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주총회소집공고 6.0 주식회사 타스컴

주주총회소집공고
(제11기 정기)
2025년 3 월 14 일
회 사 명 : 주식회사 타스컴
대 표 이 사 : LEESONG ALEX INKEUN(이인근)
본 점 소 재 지 : 경기도 안양시 동안구 학의로 268, 824호
(전 화) 031-433-6620
(홈페이지) http://www.yidobio.com
작 성 책 임 자 : (직 책) 대표이사 (성 명) 이인근
(전 화) 031-346-9744

주주총회 소집공고
(제11기 정기)

제11기 정기주주총회 소집통지서

주주님의 건승과 댁내의 평안을 기원합니다.

당사는 상법 제363조와 정관 제22조에 의거 제11기 정기주주총회를 아래와 같이 개최하오니 참석하여 주시기 바랍니다.

- 아 래 -

1. 일 시 : 2025년 3월 31일(월요일) 오전 10시 00분

2. 장 소 : 경기도 안양시 동안구 학의로 268, 안양메가밸리 1층 대회의실

3. 회의 목적 사항

가. 보고사항 : 영업보고 및 감사보고, 내부회계관리실태보고, 외부감사인 선임보고

나. 부의안건 제1호 의안: 제11기 재무제표 승인의 건 제2호 의안: 정관일부 변경 승인의 건 제3호 의안: 이사선임의 건 제4호 의안: 감사선임의 건 제5호 의안: 이사보수한도액 승인의 건(5억원) 제6호 의안: 감사보수한도액 승인의 건(1억원)

4. 경영참고사항 비치

상법 제542조의4에 의한 경영참고사항은 당사 인터넷 홈페이지에 게재하고 본점과 명의개서대행회사(국민은행 증권대행부)에 비치하였으며, 금융위원회 및 한국거래소에 전자공시하여 조회가 가능하오니 참고하시기 바랍니다.

5. 실질주주의 의결권 행사에 관한 사항

우리 회사의 이번 주주총회에서는 한국예탁결제원이 주주님들의 의결권을 행사할 수 없습니다. 따라서 주주님들께서는 한국예탁결제원에 의결권행사에 관한 의사표시를 하실 필요가 없으며, 종전과 같이 주주총회에 참석하여 의결권을 직접행사하시거나 또는 위임장에 의거 의결권을 간접행사할 수 있습니다.

6. 주주총회 참석시 준비물 - 직접행사 : 신분증 - 대리행사 : 주주 인감증명서, 대리인의 신분증, 위임장(주주와 대리인의 인적사 항 기재, 인감날인)

당사 주주총회에서는 참석 주주님들에 대해 별도의 기념품을 지급하지 아니하오니 이점 양지하여 주시기 바랍니다.(문의 : 031-433-6620)

2025년 03월 14일

주식회사 타스컴

대표이사 LEESONG ALEX INKEUN(이인근) (직인생략)

I. 사외이사 등의 활동내역과 보수에 관한 사항

1. 사외이사 등의 활동내역 가. 이사회 출석률 및 이사회 의안에 대한 찬반여부
회차 개최일자 의안내용 사외이사 등의 성명
A(출석률: %) B(출석률: %) C(출석률: %) D(출석률: %)
찬 반 여 부
- - - - - - -

나. 이사회내 위원회에서의 사외이사 등의 활동내역
위원회명 구성원 활 동 내 역
개최일자 의안내용 가결여부
- - - - -

2. 사외이사 등의 보수현황
(단위 : 원)
구 분 인원수 주총승인금액 지급총액 1인당 평균 지급액 비 고
- - - - - -

II. 최대주주등과의 거래내역에 관한 사항

1. 단일 거래규모가 일정규모이상인 거래
(단위 : 억원)
거래종류 거래상대방(회사와의 관계) 거래기간 거래금액 비율(%)
- - - - -

2. 해당 사업연도중에 특정인과 해당 거래를 포함한 거래총액이 일정규모이상인 거래
(단위 : 억원)
거래상대방(회사와의 관계) 거래종류 거래기간 거래금액 비율(%)
- - - - -

III. 경영참고사항

1. 사업의 개요 가. 업계의 현황

[ 체외진단의료기 사업부문 ]

(1) 체외진단(In Vitro Diagnostics, IVD)의료기기에 대한 이해

(가) 체외진단의료기기 시장의 정의 및 분류

회사가 속한 체외진단 (IVD, In Vitro Diagnostics) 의료기기 시장은 질병 진단과 예후판정, 건강상태의 평가, 질병의 치료효과 판정, 예방 등의 목적으로 인체로부터 채취된 조직, 혈액, 소변 등 검체를 이용한 검사에 사용되는 각종 시약, 재료, 도구, 장치, 설비 등을 포함하는 시장입니다.

최근 COVID-19와 같은 신종질병 및 감염질병의 유행과 전 세계적인 고령 인구 증가로 조기진단의 중요성이 커지면서, 의료 패러다임이 치료에서 진단과 예방으로 전환됨에 따라 체외진단 산업 관련 시장은 급격히 성장하고 있습니다. 또한 초고령화 시대 진입을 눈앞에 두고 있는 세계 많은 선진국들은 의료비 예산 절감을 위해 효율적이고 효과적인 치료와 예방관리를 위한 개인별 맞춤의료(Personal medicine) 정책 등 새로운 헬스케어 정책수립 및 투자를 대폭적으로 늘리고 있어 이와 직접적으로 영향이 있는 체외진단 의료기기 시장의 빠른 성장을 견인하고 있습니다.

fig3.jpg [글로벌 헬스케어 영역별 비중]

*출처 : 수젠텍 기업 설명자료, 2019(원출처: Frost & Sulivan, 2016)

이러한 체외진단 의료기기 시장은 일반적으로 검사 방법에 따라 면역화학적 진단(Immunochemistry), 자가혈당 측정(SMBG:Self-monitoring Blood Glucose), 현장진단(POCT:Point of Care Testing), 분자진단(Molecular Diagnostics), 혈액진단(Hematology), 임상 미생물학 진단(Clinical Chemistry), 지혈진단(Hemostasis or Coagulation), 조직진단(Tissue Diagnostics) 등 8가지로 분류되고 있습니다.

[체외진단기기 기술 분류]

구분 특징 및 진단 가능 질병
면역 화학적 진단(Immunochemistry) 표본에서 특정 작은 분자의 존재를 검출하고 항원-항체 반응을 이용하여 각종 암 마커, 감염성 질환, 갑상선 기능, 빈혈, 알레르기, 임신, 약물남용 등의 매우 다양한 질환 진단과 추적에 이용
자가 혈당 측정(SMBG:Self monitoring Blood Glucose) 당뇨 환자가 혈당 자가 진단에 활용
현장진단(POCT:Point of Care Testing) 주로 면역학, 임상화학 분야에서 검사하던 것을 환자 옆에서 즉각 검사가 가능하도록 함으로써 치료효과를 높이는 데 이용
분자진단(Molecular-Diagnostics) 인체나 바이러스 등의 유전자 정보를 담고 있는 핵산(DNA, RNA)을 검사 하는 것. 인간 면역결핍 바이러스(HIV), 인유두종 바이러스(HPV) 등을 검사하거나 암유전자, 유전질환 검사 등에 이용
혈액진단(Hematology) 혈액과 골수를 연구하는 분야로 적혈구, 백혈구, 혈소판, 헤모글로빈 등 혈액세포를 검사하는 분야로 전혈구 검사(Complete Blood Count, CBC)나 응고 인자검사에 이용. 백혈병, 빈혈, 자가면역질환 등을 진단하거나 치료 후 추적 및 항응고 치료 모니터링에 이용
임상 미생물학 진단(Clinical Chemistry) 혈청, 혈장, 소변 등 체액 안 성분을 화학반응을 이용 측정하는 것. 혈당, 전해질, 효소, 호르몬, 지질 등을 측정하여 당뇨, 간질환, 신장질환, 암표지자, 동맥 경화, 임신, 불임 등 매우 다양한 질환 진단과 추적에 이용
지혈진단(Hemostatis or Coaguation) 유리판 위에 체액을 도말하거나 생체조직을 염색한 현미경을 통해 분석함으로써 암 조직이나 세포를 관찰하여 진단
조직병리진단(Tissue Diagnostics) 인체에서 유래된 검사 대상물을 이용하여 바이러스, 세균, 진균 등을 배양, 동정하고 세균의 항생제 감수성을 검사하여 감염원을 찾아내고 그 치료 약제의 가이드라인을 제공. 각종 감염에 의한 질병의 진단과 추적에 이용

*출처: Frost&Sullivan(2016), Analysis of the Global In Vitro Diagonostics Market

이 중 회사의 주력 분야인 현장진단 분야는 응급 현장 또는 질병 진단을 위한 제반시설이 열악한 환경에서 신속하게 질병에 대한 결과를 얻기 위한 기술로, 기존 병원에서 질병진단을 위해 사용하는 대형 고가 장비를 작고 가볍게 일회용화하여 신속 간편한 진단이 가능하도록 하는 분야이며, 분자진단 시장과 더불어 가장 빠르게 성장하고 있는 분야입니다.

기존 현장진단 의료기기 제품들은 빠른 결과를 확보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었지만, 제품의 상당 부분이 수동으로 이루어지고 있고 정확도가 상대적으로 낮은 한계점이 있고, 이러한 한계는 현장진단 의료기기 분야의 주요 해결 과제가 되고 있습니다. 그러나 지속적인 연구개발로 인해 보다 높은 정확도를 갖춘 제품들이 출시되고 있으며, 자동화 및 소형화된 분석장비를 접목하여 이와 같은 한계점을 극복하고 있습니다.

(나) 체외진단 시장의 특성

당사는 면역학적, 생화학적 바이오센서 기술을 기반으로 당뇨병, 고지혈증, 간/신장질환 등의 진단 및 모니터링을 할 수 있는 현장진단(POCT)용 체외진단기기를 개발, 제조, 판매하는 사업을 영위하고 있습니다. 체외진단기기는 의료기기법 제2조에 포함하는 의료기기의 일종으로 질병의 진단과 예후, 건강 상태 판정, 질병 치료효과 판정, 예방 등의 목적으로 인체로부터 채취된 대상물(조직세포, 혈액, 소변, 대변, 타액)을 이용한 검사에 사용되는 의료기기를 말합니다. 체외진단은 혈액, 분뇨, 체액, 침 등 인체에서 유래한 물질을 이용해 몸 밖에서 신속하게 질병을 진단하는 기술로, 임상 의사결정에 중요한 역할을 하며 환자 치료에 필수적이고 전문화된 요소가 되고 있습니다.체외진단 의료기기 산업은 구매자들의 협상력이 상대적으로 약하고, 플라스틱, 고분자, 유리 및 금속과 같은 원재료의 차별화도 되지 않아 공급자들의 협상력도 약하고, 기존 글로벌 기업들의 강력한 특허와 각국의 의료기기 관련 엄격한 규정 및 인허가 등의 진입장벽이 높아 잠재적 진입자의 위협도 크지 않고, 대체재의 위험도 높지 않아 이미 시장을 형성하고 있는 기업들 간의 경쟁 위험만 높을 것으로 분석되는 매우 보수적이고 기술집약적인 산업입니다.

fig5.jpg [글로벌 체외진단(IVD) 시장의 5 Forces 분석]

*출처 : TechNavio, Global In-vitro Diagnostics Market, 2018

하지만 신종질병 및 새로운 감염병의 출연 그리고 급격한 고령화 등으로 인한 체외진단 시장의 높은 성장 잠재력과 유통 채널에 비교적 손쉽게 접근할 수 있다는 특성은 새로운 체외진단기기 생산 기업들의 등장을 촉진하고 있으며, 다음과 같은 몇 가지 특징을 가지고 있습니다.

1) 치료에서 진단과 예방으로 의료 패러다임 변화에 따른 체외진단 산업의 급성장 : 각종 질병의 예방과 조기 진단을 위해 지속적이고 선제적인 진단을 위해 주기적인 체외진단의 중요성이 강조되고 새로운 진단기술이 개발되면서 체외진단 산업도 급성장하고 있습니다.

2) ICT와 융합한 차세대 진단시스템 수요 증가 : 국가적으로 고령화에 따른 의료비 예산 급증에 따라 개인별 맞춤의료 적용을 통한 불필요한 의료예산 감축의 필요성이 제기되고 있으며, 경제적으로 효율적이고 효과적인 치료와 예방관리를 위한 개인별 맞춤의료(Personalized medicine)에 대한 다양한 시도와 필요성이 증대되고 있습니다.

3) 현장진단 의료기기 시장의 급성장 : 질병의 조기진단 및 예방 그리고 맞춤의료에 대한 필요성이 증가하면서, 원격의료에 활용할 수 있고 진단검사의 접근성을 향상 할 수 있는 현장진단용 의료기기의 사용이 급격히 증가하고 있습니다.

4) 하나의 의료기기로 다양한 질병을 진단할 수 있고 정확성관 신뢰성이 높은 현장진단용 의료기기에 대한 필요성 증가 : 대형 검사장비를 사용할 수 없는 의원급이나 약국 심지어 개인에 의한 진단검사의 수요가 증가하면서 하나의 분석기로 다양한 질병에 대한 진단검사가 가능하고 정확도가 검사실 대형 검사장비 수준으로 신뢰할 수 있는 현장진단용 의료기기에 대한 필요성이 현장진단용 의료기기 시장의 중요 과제가 되고 있습니다.

5) 한국 의료기기에 대한 이미지 상승 : 2020년 COVID-19 대유행 초기 한국산 분자진단키트와 신속면역진단키트가 전 세계적으로 활용되면서 한국산 체외진단 의료기기 전체에 대한 이미지가 향상 되어, 향후 한국산 체외진단 의료기기의 시장경쟁력에 도움이 될 것으로 기대됩니다.

(다) 체외진단 시장의 규모 및 전망

해외진단기기의 해외시장규모는 2018년 약 532억 달러에서 2025년 약 714억 달러 규모로 연평균 4.2% 증가할 것으로 예상되며, 국내 시장규모는 2018년 약 6억 달러에서 2025년 약 8억 달러 규모로 연평균 2.9%씩 성장할 것으로 예측되고 있습니다.

스크린샷 2021-06-08 14.04.03.jpg [해외 체외진단기기 시장 규모]

*출처: 식품의약품안전평가원 보고서, 2019

스크린샷 2021-06-08 14.05.39.jpg [국내 체외진단기기 시장 규모]

*출처: 식품의약품안전평가원 보고서, 2019 체외진단(IVD) 시장은 기술에 따라 면역화학/면역분석법, 임상화학, 분자진단, 혈액학, 미생물학, 투석&지혈, 소변검사, 기타 기술로 분류할 수 있으며, 이 중 당사의 주요 사업분야인 면역화학/면역분석법과 임상화학분야가 가장 큰 시장 규모를 점유하고 있습니다. 면역화학/면역분석법은 2018년 202억 4,980만 달러에서 연평균 성장률 6.0%로 증가하여 2023년에는 270억 5,650만 달러에 이를 것으로 전망되고 있으며, 임상화학은 2018년 109억 6,840만 달러에서 연평균 성장률 3.7%로 증가하여, 2023년에는 131억 3,410만 달러에 이를 것으로 전망되고 있습니다.

fig7.jpg [글로벌 체외진단(IVD) 시장의 기술별 시장 규모 및 전망]

*출처 : Marketsandmarkets, In Vitro Diagnostics/IVD Market, 2018 특히 현재 당사의 주요 사업 분야인 면역 화학적 진단과 현장진단(POCT) 분야는 체외진단 분야 중에서도 비교적 규모가 크고 성장률이 좋은 시장으로, 한국의료기기안전정보원의 2020년 체외진단의료기기 정책트랜드 보고서에 따르면 분자진단 27.9% 면역화학 16.62%, 현장진단 12.9%의 순으로 다양한 기술이 융합된 진단기술 분야가 높은 비중을 차지하고 있는 것으로 보고되었습니다.

스크린샷 2021-06-14 10.58.06.jpg [기술분야별 시장 점유율]

*출처 : 융합연구정책센터 2020, 식품의약품안전평가원 보고서 2019 이 중 면역화학법은 2018년 약 202억 달러에서 연평균 성장률 6.0%로 증가, 2023년에는 약 271억 달러에 이를 것으로 전망되고 있으며, 현장진단(POCT) 검사는 2018년 약 84억 달러에서 연평균 성장률 7.8%로 증가, 2023년에는 약 123억 달러에 이를 것으로 전망되고 있습니다.

회사 산업의 성장성.jpg [회사 산업의 성장성]

또한, 체외진단(IVD) 시장은 최종사용자에 따라 병원, 연구소, Point of Care(POC) 검사, 환자 자기검사, 학술기관, 기타 사용자로 분류될 수 있으며, 이중 POC 검사는 2018년 84억 300만 달러에서 연평균 성장률 7.8%로 증가하여, 2023년에는 122억 530만 달러로 가장 빠르게 성장할 것으로 전망되고 있습니다.

(라) 주요 기업의 경쟁 환경

전 세계 체외진단(IVD) 시장에서 주요 기업들로는 Roche Diagnostics(스위스),

Abbott Laboratories(미국), Danaher Corporation(미국), Siemens Healthineers(독일), Thermo Fischer Scientific(미국) 등이 있으며, 이중 상위 4개 업체인 Roche, Abbott, Danaher, Siemens가 전체 시장 중 53.2%를 점유하고 있습니다.

fig8.jpg [글로벌 체외진단(IVD) 시장의 주요 기업 시장 점유율 현황(2017)]

*출처 : Marketsandmarkets, In Vitro Diagnostics/IVD Market, 2018

나. 회사의 현황

당사의 사업부문별 주요 사업내용을 요약하면 다음과 같습니다.

구 분

주요 사업내용

체외진단사업 부문 면역학적, 생화학적 바이오센서 기술을 기반으로 당뇨병, 고지혈증, 간질환, 신장질환 등 다양한 질환의 진단 및 모니터링을 할 수 있는 현장진단(POCT)용 체외진단기기(IVD)를 개발, 제조, 판매

연구개발 부문

당뇨병 줄기세포치료제 연구개발(24.5.13 임시주총의안에 의한 세포치료제 개발 사업 중단)

의료기기 판매 부문

혈당측정기, 펜니들, 혈압측정기 등 상품 판매(24.9.30 벡톤디킨슨코리아 주식회사와 계약이 종료되어 펜니들,주사기 품목의 영업정지함.)

당사는 체외진단 중 면역화학진단, 현장진단(POCT), 자가혈당측정 사업에 주력하고 있으며, 현장진단이 가능한 체외진단의료기기 SimplexTAS(Simple Total Analysis System)에 대한 연구개발, 제조, 판매하는 사업을 영위하고 있습니다.

[체외진단의료기기 사업부문]

(가) 제품개요

당사는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면역학/면역화학적 바이오센서 기술과 화학적/생화학적 바이오센서 기술을 기반으로 당뇨병, 고지혈증, 간질환, 신장질환, 감염 등 다양한 질병의 진단 및 모니터링이 가능한 현장진단용 체외진단기기 "SimplexTAS"를 개발, 제조, 판매하는 사업을 영위하고 있습니다.

(1) SimplexTAS의 특성 및 경쟁력

당사의 주요 제품인 SimplexTAS는 세계최초의 모세혈액 시료를 직접 사용하면서도 혈구 방해작용을 제거한 현장진단용 임상화학 면역학 동시 분석시스템으로 분석기와 일회용 시약 카트리지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제품의 주요 특징으로는 시약 카트리지의 종류에 따라 면역학/면역화학 분석과 임상화학 분석이 모두 가능하며, 자체 원심분리 기술이 내장되어 있어 모세혈액 시료 등 전혈 시료를 사용하면서도 혈구 방해작용을 제거할 수 있는 독보적인 기술이 적용되어 있습니다. 또한 한번에 4개 시료까지 동시 분석이 가능하고, 전자동 시스템에 all-in-one 카트리지 타입으로 유지보수가 거의 필요 없어 사용성이 매우 우수하여 임상병리사 등 전문인력이 없는 의료현장에서 사용하기에 적합한 특성을 가지는 제품입니다.

fig9.jpg [SimplexTAS의 특징]

*출처 : 내부 자료 제공 이러한 SimplexTAS의 주요 경쟁력은 다음과 같이 크게 4가지로 정리됩니다.1) 정확도가 검증된 측정원리 : SimplexTAS는 정확도가 검증된 중앙검사실 장비의 측정원리를 그대로 구현하여 현장진단 의료기기의 핵심 해결과제 중 하나인 정확도 문제를 해결 하였습니다. 중앙 검사실 장비들은 채혈 후 원심분리를 통해 혈구방해를 없애고, 균일한 용액상 반응을 이용해 우수한 재현성을 구현하며, 시약의 단계별 반응을 통해 시료 내에 여러 방해물질의 제거 및 다양한 측정을 가능하게 합니다. 또한 광학시스템의 단계별 영점조정을 통해 정확도 높은 측정을 가능하게 되어 있는데, 이러한 중앙검사실 장비의 모든 원리를 SimplexTAS가 그대로 구현해 실험실 수준에 가까운 신뢰도 높은 재현성과 정확도를 보입니다.

fig10.jpg [SimplexTAS의 경쟁력]

*출처 : 내부 자료 제공

2) 측정항목의 폭넓은 확장 가능성 : 정확도 문제와 함께 현장진단 의료기기 분야의 또 하나의 핵심 해결과제는 하나의 분석장비로 가능한 많은 측정이 가능하게 하는 것입니다. SimplexTAS는 중앙검사실 장비의 측정원리를 그대로 구현하고 있어, 면역학 측정과 임상화학 측정이 모두 가능하고 이론상 중앙검사실 장비의 거의 모든 측정항목의 측정이 가능합니다. 현재 SimplexTAS는 17개의 측정항목에 대한 카트리지가 개발, 등록되어 판매되고 있으며, 향후 시약 카트리지의 연구개발이 계속되면 40여 종까지 측정항목은 늘어날 예정입니다. 그리고 이렇게 개발한 신규 항목의 카트리지들은 기존에 판매되어 사용되고 있는 분석기와 함께 사용하므로 별도의 영업적 투자 없이도 손쉽게 매출향상에 기여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됩니다.3) 우수한 가격 경쟁력 : SimplexTAS는 정확도 높은 분석원리에 기반하여 형광이나 고성능 금형 등 추가적인 원가 상승 요인 없이도 상대적으로 우수한 정확도 구현이 가능합니다. 또한 분석기 하나로 40여 종의 다양한 측정이 가능하여 분석기 당 시약 카트리지의 소모 비율을 증가시킬 수 있습니다. 일반적으로 분석기를 저가 또는 무상으로 대여하고 시약 카트리지 판매를 통해 수익을 얻는 판매방식으로 고려할 때 이러한 높은 분석기 당 시약 카트리지의 소모비율은 판매자 측면에서 우수한 가격 경쟁력을 가질 수 있습니다. 또한 SimplexTAS는 하나의 측정항목 당 하나의 시약 카트리지를 사용하는 개별 카트리지 방식으로 사용자가 필요한 측정항목만 선택하여 측정이 가능합니다. 이러한 특징은 Piccolo나 Labgeo와 같이 미리 정해진 다수의 측정항목들을 무조건 한번에 다 측정해야함에 따라 불필요한 측정을 포함할 수밖에 없는 디스크 타입에 비해 사용자 측면에서 원가절감 효과를 얻을 수 있습니다.

fig11.jpg [SimplexTAS의 가격 경쟁력]

*출처 : 타스컴 내부자료

4) 간편한 사용법 : SimplexTAS는 전혈(whole blood)이나 뇨(Urine) 시료를 어떠한 전처리도 없이 단순한 3단계로 측정이 가능하며, 바코드를 이용한 카트리지 자동 인식 등 전자동 시스템으로 작동하고, all-in-one 카트리지 방식으로 내부에 튜빙이나 waste pack(패기물 통) 같은 부가 장치도 없어 유지보수가 거의 필요 없는 시스템입니다. 또한 임상병리사 등 전문 인력이 필요 없이 누구나 간단한 교육만으로도 정확한 측정이 가능하여 1차 의료기관이나 약국, 국내는 한의원 시장 등에서도 사용이 가능한 제품입니다. 심지어는 가정에서도 사용이 가능할 것으로 기대되는 제품으로 원격의료나 개인맞춤형의료(Personalized medicine) 분야에서도 활용이 가능한 제품입니다.

fig12.jpg [SimplexTAS의 간단한 3단계 사용법]

*출처 : 내부 자료 제공, SimplexTAS 101 카탈로그

(나) 영업전략 및 주요 목표시장

당사의 주요 영업전략은 앞에서 살펴본 SimplexTAS의 경쟁력을 극대화 할 수 있는 목표시장을 찾아 집중 공략하는 것과 자사 브랜드와 OEM 또는 PL(Private Label) 브랜드를 통해 국가별로 다수의 거래선을 확보하는 전략입니다. 이렇게 국가별로 다수의 거래선을 확보하려는 전략은 카트리지 바코드 체계 분리를 통해 분석기와 카트리지의 호환성을 분리할 수 있는 기술이 뒷받침되기 때문에 가능합니다. 그리고 이러한 영업전략을 통해 보수적인 의료기 시장에서 낮은 브랜드 인지도의 약점을 극복하는데 도움이 될 것으로 기대하고 있습니다. 한 시장에서 다수의 공급업체가 같은 제품을 취급하게 되면, 여러 업체가 취급하는 제품이라는 이미지가 그 자체로 제품의 인지도를 높이는데 도움이 됩니다. 특히 OEM이나 PL을 통해 인지도 높은 글로벌 기업을 통해 제품을 공급하게 될 경우, 낮은 브랜드 인지도를 빠르게 극복하는데 크게 도움이 될 수 있습니다.그리고 주요 목표시장으로는, 단종된 글로벌 기업의 구형 제품인 Reflotron을 대체하는 것과 유럽 약국측정 시장처럼 여러 분석기를 협소한 장소에서 사용하는 시장에서 여러 분석기를 SimplexTAS 하나로 교체하는 것과 같은 대체 시장입니다. 다음으로는 하나의 분석기로 많은 측정항목 특히 면역측정과 임상화학 측정항목을 모두 측정할 수 있다는 경쟁력을 이용하여 가격경쟁력과 필수 측정항목 조건을 맞추는 것이 중요한 입찰시장이 주요 목표시장 중 하나입니다. 그 외에도 사용의 편의성이라는 경쟁력을 이용하여 비전문가 시장인 원격의료나 국내 한의원 그리고 유럽의 GP Lab 같은 1차 진료시장을 목표로 하고 있습니다.

fig13.jpg [(주)타스컴의 영업전략 및 주요 목표 시장]

*출처 : 내부 자료 제공

2. 주주총회 목적사항별 기재사항 □ 재무제표의 승인

가. 해당 사업연도의 영업상황의 개요(Ⅲ-1. '사업의 개요' 참조)

나. 해당 사업연도의 대차대조표(재무상태표)ㆍ손익계산서(포괄손익계산서)ㆍ이익잉여금처분계산서(안) 또는 결손금처리계산서(안) ※ 아래의 재무제표는 외부감사인의 감사가 종료되기 전 재무제표이므로, 외부감사인의 회계감사 결과 및 정기주주총회 승인과정에서 변경될 수 있습니다.외부감사인의 감사의견을 포함한 최종 재무제표는 전자공시시스템(http://dart.fss.or.kr)에 공시예정인 당사의 감사보고서를 참조하시기 바랍니다.

- 대차대조표(재무상태표)

<대 차 대 조 표(재 무 상 태 표)>

제 11 기 2024. 12. 31 현재
제 10 기 2023. 12. 31 기준
(단위 : 원)

과 목 제 11(당)기 제 10(전)기
금 액 금 액
자 산 - - - -
Ⅰ. 유동자산 - 3,024,013,321 - 4,984,087,837
(1) 당좌자산 - 1,886,948,475 - 1,564,225,851
현금및현금성자산 909,762,581 - 575,416,348 -
단기투자자산 - - - -
매출채권 2,173,440,509 - 2,448,067,871 -
대손충당금 (1,416,860,253) - (1,598,526,589) -
미수금 120,377,591 - 120,700,556 -
선급금 240,680,817 - 156,871,573 -
대손충당금 (141,900,000) - (141,900,000) -
선급비용 1,355,570 - 3,415,082 -
당기법인세자산 91,660 - 181,010 -
(2) 재고자산 - 1,137,064,846 - 3,419,861,986
상품 245,235,336 - 1,987,234,936 -
상품평가충당금 (229,253,260) - (317,252,863) -
제품 657,143,429 - 1,434,018,898 -
제품평가충당금 (3,714,338) - (3,224,162) -
원재료 404,652,072 - 268,241,139 -
반품재고 63,001,607 - 50,844,038 -
II. 비유동자산 - 1,089,120,595 - 1,403,533,241
(1) 투자자산 - 100,000 - 100,000
매도가능증권 100,000 - 100,000 -
(2) 유형자산 - 774,863,729 - 915,558,147
토지 283,500,000 - 283,500,000 -
건물 346,500,000 - 346,500,000 -
감가상각누계액 (27,431,250) - (18,768,750) -
기계장치 355,662,248 - 533,069,248 -
감가상각누계액 (178,818,439) - (253,450,513) -
기계장치 손상차손누계액 (72,935,644) - (72,935,644) -
차량운반구 30,464,418 - 82,422,138 -
감가상각누계액 (26,678,264) - (67,710,726) -
공구와기구 10,620,834 - 10,620,834 -
감가상각누계액 (798,332) - (798,332) -
공구와기구 손상차손누계액 (9,822,502) - (9,822,502) -
비품 67,653,637 - 582,410,377 -
감가상각누계액 (41,927,501) - (535,125,786) -
비품 손상차손누계액 (17,602,123) - (17,602,123) -
시설장치 69,678,291 - 66,178,291 -
감가상각누계액 (9,837,289) - (7,266,231) -
시설장치 손상차손누계액 (54,961,265) - (54,961,265) -
금형 99,800,000 - 90,000,000 -
감가상각누계액 (63,303,090) - (40,700,869) -
건설중인자산 15,100,000 - - -
(3) 무형자산 - 65,309,104 - 85,097,332
소프트웨어 65,309,104 - 85,097,332 -
건설중인무형자산 - - - -
(4) 기타비유동자산 - 248,847,762 - 402,777,762
임차보증금 235,000,000 - 385,000,000 -
기타보증금 13,847,762 - 17,777,762 -
자 산 총 계 - 4,113,133,916 - 6,387,621,078
부 채 - - - -
I. 유동부채 - 3,278,856,463 - 5,526,878,123
매입채무 237,083,088 - 2,021,179,000 -
미지급금 138,137,817 - 122,756,270 -
예수금 7,496,060 - 12,601,300 -
선수금 23,030,436 - 24,189,465 -
단기차입금 2,366,000,000 - 1,640,000,000 -
미지급비용 441,827,437 - 443,339,348 -
반품추정부채 65,281,625 - 52,303,298 -
유동성전환사채 - - 1,000,000,000 -
유동성사채상환할증금 - - 276,281,563 -
유동성전환권조정 - - (65,772,121) -
II. 비유동부채 - 400,000,900 - 21,841,859
퇴직급여충당부채 - - - -
장기차입금 400,000,900 - - -
이연법인세부채 - - 21,841,859 -
부 채 총 계 - 3,678,857,363 - 5,548,719,982
자 본 - - - -
I. 자본금 - 2,791,651,500 - 2,624,556,500
보통주자본금 2,274,147,500 - 2,102,052,500 -
우선주자본금 517,504,000 - 522,504,000 -
II. 자본잉여금 - 57,898,197,959 - 56,765,293,859
주식발행초과금 57,705,421,152 - 56,572,517,052 -
전환권대가 151,293,012 - 151,293,012 -
기타자본잉여금 41,483,795 - 41,483,795 -
III. 자본조정 - 2,019,104,174 - 2,019,104,174
자기주식 (1,108,310,200) - (1,108,310,200) -
주식선택권 3,127,414,374 - 3,127,414,374 -
IV. 결손금 - (62,274,677,080) - (60,570,053,437)
미처리결손금 (62,274,677,080) - (60,570,053,437) -
자 본 총 계 - 434,276,553 - 838,901,096
부 채 및 자 본 총 계 - 4,113,133,916 - 6,387,621,078

- 손익계산서(포괄손익계산서)

<손 익 계 산 서(포 괄 손 익 계 산 서)>

제 11 기 2024년 01월 01일부터 2023년 12월 31일까지
제 10 기 2023년 01월 01일부터 2022년 12월 31일까지
(단위 : 원)

과 목 제 11 (당)기 제 10 (전)기
금 액 금 액
I. 매출액 - 6,522,486,456 - 7,797,886,442
상품매출 3,674,545,454 - 5,977,981,623 -
제품매출 2,845,641,002 - 1,789,704,819 -
임대료수입 2,300,000 - - -
수수료수입 - - 30,200,000 -
II. 매출원가 - 5,235,054,846 - 6,898,555,747
상품매출원가 3,546,576,203 - 5,811,196,144 -
제품매출원가 1,688,478,643 - 1,087,359,603 -
III. 매출총이익 - 1,287,431,610 - 899,330,695
IV. 판매비와관리비 - 2,786,260,306 - 4,920,958,929
급여 1,098,314,594 - 1,394,155,841 -
퇴직급여 135,707,821 - 130,118,727 -
복리후생비 125,390,733 - 140,126,003 -
여비교통비 44,869,304 - 50,315,450 -
접대비 7,915,399 - 12,330,580 -
통신비 8,332,151 - 9,385,453 -
수도광열비 88,400 - 87,950 -
전력비 11,885,209 - 10,544,338 -
세금과공과금 55,876,511 - 70,336,070 -
감가상각비 11,139,622 - 14,519,027 -
지급임차료 116,868,520 - 97,570,730 -
보험료 30,556,187 - 33,831,199 -
차량유지비 8,317,379 - 23,622,302 -
경상연구개발비 697,607,893 - 1,297,189,080 -
운반비 82,935,886 - 51,488,670 -
교육훈련비 2,405,000 - 3,671,936 -
도서인쇄비 576,523 - 1,737,480 -
사무용품비 1,698,197 - 2,367,087 -
소모품비 35,712,089 - 68,203,149 -
지급수수료 369,327,217 - 421,166,759 -
광고선전비 56,219,500 - 24,611,345 -
판매촉진비 24,553,539 - 190,206,257 -
대손상각비 (179,463,236) - 713,642,450 -
건물관리비 19,637,640 - 8,883,140 -
무형자산상각비 19,788,228 - 12,283,729 -
주식보상비용 - - 138,564,177 -
V. 영업손실 - (1,498,828,696) - (4,021,628,234)
VI. 영업외수익 - 150,689,261 - 98,460,330
이자수익 647,739 - 1,206,795 -
외환차익 49,251,678 - 22,540,111 -
외화환산이익 21,757,048 - 168,888 -
유형자산처분이익 48,541,956 - - -
국고보조금수익 - - - -
잡이익 30,490,840 - 74,544,536 -
VII. 영업외비용 - 378,326,067 - 175,502,385
이자비용 243,168,260 - 147,786,136 -
외환차손 17,136,641 - 23,019,220 -
기타의대손상각비 - - - -
외화환산손실 113,578,032 - 728,894 -
유형자산처분손실 1,109,407 - 3,747,609 -
유형자산손상차손 - - - -
무형자산손상차손 - - - -
잡손실 3,333,727 - 220,526 -
VIII. 법인세비용차감전순손실 - (1,726,465,502) - (4,098,670,289)
Ⅸ. 법인세비용(이익) - (21,841,859) - (104,507)
Ⅹ. 당기순손실 - (1,704,623,643) - (4,098,565,782)
XI. 주당손익 - - - -
보통주 기본주당순손실 - (385) - (799)

- 결손금처리계산서(안)

<결손금처리계산서>

제 11 기 2024년 01월 01일부터 2024년 12월 31일까지
제 10 기 2023년 01월 01일부터 2023년 12월 31일까지
(단위 : 원)

과 목 제 11 기 제 10 기
I.미처리결손금 - 62,274,677,080 - 60,570,053,437
1.전기이월미처리결손금 60,570,053,437 - 56,471,487,655 -
2.회계변경의기준효과 - - - -
3.전기오류수정이익 - - - -
4.전기오류수정손실 - - - -
5.당기순손실 1,704,623,643 - 4,098,565,782 -
II.결손금처리액 - - - -
임의적립금이입액 - - - -
III.이익잉여금처분액 - - - -
1.이익준비금 - - - -
2.기업합리화적립금 - - - -
3.배당금 - - - -
가.현금배당 - - - -
나.주식배당 - - - -
4.사업확장적립금 - - - -
5.감채적립금 - - - -
6.배당평균적립금 - - - -
IV.차기이월이익잉여금 - 62,274,677,080 - 60,570,053,437

- 최근 2사업연도의 배당에 관한 사항

구분 제9기 제8기
보통주 우선주 보통주 우선주
주당배당금(원) - - - - - -
배당금총액(백만원) - - - - - -
시가배당율(%) - - - - - -

□ 정관의 변경

가. 집중투표 배제를 위한 정관의 변경 또는 그 배제된 정관의 변경

변경전 내용 변경후 내용 변경의 목적
- - -

나. 그 외의 정관변경에 관한 건

변경전 내용 변경후 내용 변경의 목적

제4조(공고방법)

회사의 공고는 회상의 홈페이지 (http://www.yidobio.com)에 게재한다. 다만, 전산장애 또는 그 밖의 부득이한 사유로 회사의 인터넷 홈페이지에 공고를 할 수 없을 때에는 서울특별시내에서 발행하는 일간 한국경제신문에 게재한다.

제4조(공고방법)

회사의 공고는 회사의 홈페이지 (http://www.tascom.org)에 게재한다. 다만, 전산장애 또는 그 밖의 부득이한 사유로 회사의 인터넷 홈페이지에 공고를 할 수 없을 때에는 서울특별시내에서 발행하는 일간 한국경제신문에 게재한다.

단순오기 정정 및 홈페이지주소변경.

제47조(감사의 선임)

감사의 선임은 출석한 주주의 의결권의 과반수와 발행주식총수의 4분의 1 이상의 수로 한다. 그러나 의결권 있는 발행주식총수의 100분의 3을 초과하는 수의 주식을 가진 주주는 그 초과하는 주식에 관하여 감사의 선임에는 의결권을 행사하지 못한다. 다만, 소유주식수의 산정에 있어 최대주주와 그 특수관계인, 최대주주 또는 그 특수관계인의 계산으로 주식을 보유하는 자, 최대주주 또는 그 특수관계인에게 의결권을 위임한 자가 소유하는 의결권 있는 주식의 수는 합산한다.

제47조(감사의 선임)

감사의 선임은 출석한 주주의 의결권의 과반수와 발행주식총수의 4분의 1 이상의 수로 한다. 그러나 의결권 있는 발행주식총수의 100분의 3을 초과하는 수의 주식을 가진 주주는 그 초과하는 주식에 관하여 감사의 선임에는 의결권을 행사하지 못한다. 다만, 소유주식수의 산정에 있어 최대주주와 그 특수관계인, 최대주주 또는 그 특수관계인의 계산으로 주식을 보유하는 자, 최대주주 또는 그 특수관계인에게 의결권을 위임한 자가 소유하는 의결권 있는 주식의 수는 합산한다.

다만, 상법 제368조의4 제1항에 따라 전자적 방법으로 의결권을 행사할 수 있도록 한 경우에는 출석한 주주의 의결권의 과반수로써 감사의 선임을 결의할 수 있다.

전자투표채택

부칙(시행일)

이 정관은25년03월31일

부터 시행한다

※ 기타 참고사항

□ 이사의 선임

가. 후보자의 성명ㆍ생년월일ㆍ추천인ㆍ최대주주와의 관계ㆍ사외이사후보자 등 여부

후보자성명 생년월일 사외이사후보자여부

감사위원회 위원인

이사 분리선출 여부

최대주주와의 관계 추천인
LEESONG ALEX INKEUN(이인근) 1695.08.17 X - 특수관계 -
LEESONG AMRGARET(송민선) 1964.01.28 X - 최대주주 -
정광하 1987.09 O - - -
총 ( 2 ) 명

나. 후보자의 주된직업ㆍ세부경력ㆍ해당법인과의 최근3년간 거래내역

후보자성명 주된직업 세부경력 해당법인과의최근3년간 거래내역
기간 내용
LEESONG ALEX INKEUN(이인근)

(주)타스컴

대표이사

-2000~2002-2006~2007-2007~2012

-(주)펜젠대표이사-호주TempleLawyers변호사-한국췌도이식연구소 대표이사 -아이센스법률고문

-
LEESONG AMRGARET(송민선)

(주)타스컴

부사장

-2007~2016

-호주Temple Lawyers변호사 -아이센스 미국 지사장

-
정광하 에스브이인베스트먼트(주) VC부문 수석팀장 - -(주)에스엘인베스트먼트 투자부문 팀장-(주)비씨월드제약 연구원 -

다. 후보자의 체납사실 여부ㆍ부실기업 경영진 여부ㆍ법령상 결격 사유 유무

후보자성명 체납사실 여부 부실기업 경영진 여부 법령상 결격 사유 유무
LEESONG ALEX INKEUN(이인근) - - -
LEESONG AMRGARET(송민선) - - -
정광하 - - -

라. 후보자의 직무수행계획(사외이사 선임의 경우에 한함)

-

마. 후보자에 대한 이사회의 추천 사유

-

확인서 정광하확인서.jpg 정광하확인서 송민선확인서.jpg 송민선확인서 이인근확인서.jpg 이인근확인서

※ 기타 참고사항

□ 감사의 선임

<감사후보자가 예정되어 있는 경우>

가. 후보자의 성명ㆍ생년월일ㆍ추천인ㆍ최대주주와의 관계

후보자성명 생년월일 최대주주와의 관계 추천인
송영출 1957.06 해당업음 -
총 ( 1 ) 명

나. 후보자의 주된직업ㆍ세부경력ㆍ해당법인과의 최근3년간 거래내역

후보자성명 주된직업 세부경력 해당법인과의최근3년간 거래내역
기간 내용
송영출 교수 - 광운대학교 경영학부명예교수경동대학교 경영학과석좌교수(주)타스컴감사 해당없음

다. 후보자의 체납사실 여부ㆍ부실기업 경영진 여부ㆍ법령상 결격 사유 유무

후보자성명 체납사실 여부 부실기업 경영진 여부 법령상 결격 사유 유무
송영출 - - -

라. 후보자에 대한 이사회의 추천 사유

-

확인서 송영출 확인서.jpg 송영출 확인서

<감사후보자가 예정되지 아니한 경우>

선임 예정 감사의 수 -(명)

※ 기타 참고사항

□ 이사의 보수한도 승인

가. 이사의 수ㆍ보수총액 내지 최고 한도액

(당 기)

이사의 수 (사외이사수) 4( 1 )
보수총액 또는 최고한도액 5억원

(전 기)

이사의 수 (사외이사수) 3( 0 )
실제 지급된 보수총액 285,152,200원
최고한도액 3

※ 기타 참고사항

□ 감사의 보수한도 승인

가. 감사의 수ㆍ보수총액 내지 최고 한도액

(당 기)

감사의 수 1
보수총액 또는 최고한도액 1억원

(전 기)

감사의 수 1
실제 지급된 보수총액 -
최고한도액 1억원

※ 기타 참고사항

IV. 사업보고서 및 감사보고서 첨부

가. 제출 개요 2025년 03월 24일1주전 회사 홈페이지 게재
제출(예정)일 사업보고서 등 통지 등 방식

※ 사업보고서 및 감사보고서는 2025년 3월 24일 회사 홈페이지 및 전자공시시스템(DART)을 통해 공시할 예정입니다.

나. 사업보고서 및 감사보고서 첨부

상법시행령 제31조(주주총회의 소집공고)에 의거하여 사업보고서 및 감사보고서는 주주총회 1주전까지 홈페이지에 게재하고, 전자공시시스템(DART)를 통하여 공시 예정입니다.※ 홈페이지 주소 : http://www.yidobio.com향후 사업보고서는 주주총회 이후 변경된 사항 및 오기 등이 있는 경우 수정사항을 반영하여 전자공시시스템(DART)에 업데이트 될 예정입니다.

※ 참고사항 1. 주주총회 집중일 개최 사유 - 해당사항 없습니다. ※ 코넥스협회가 지정 발표한 주주총회집중일은 3월 21일(금), 3월 27일(목), 3월 28일(금)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