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주총회소집공고 6.0 (주)한샘

주주총회소집공고
2025년 8월 25일
회 사 명 : (주)한샘
대 표 이 사 : 김 유 진
본 점 소 재 지 : 경기도 안산시 단원구 번영2로 144
(전 화) 02-1688-4945
(홈페이지) http://company.hanssem.com
작 성 책 임 자 : (직 책) 상 무 (성 명) 한 광 희
(전 화) 02-6470-4099

주주총회 소집공고
(제53기 임시주주총회)

주주님의 건승과 댁내 평안을 기원합니다.

상법 제365조 및 당사 정관 제21조에 의거 제53기 임시주주총회를 아래와 같이 개최하오니참석하여 주시기 바랍니다.

- 아 래 -

1. 일 시: 2025년 9월 9일 (화요일) 오전 10시

2. 장 소: 서울특별시 마포구 성암로 179(상암동) 한샘상암 2층 대강당

3. 회의목적사항

<의결사항>

- 제1호 의안: 정관 변경의 건(제2조 목적 추가)

4. 경영참고사항 등

상법 제433조의 제2항 의한 정관 변경의 건에 대한 통지사항은 별첨 안건 참고자료를 참고하시기 바랍니다. 상법 제542조의4에 의거하여 경영참고사항 등을 당사의 본점 및 지점, 한국거래소, 금융위원회, 주식회사 국민은행(명의개서대리인)에 비치하는 점 참고하시기 바랍니다.

5. 의결권 행사에 관한 사항

가. 본인 또는 대리인의 참석에 의한 행사

- 본인이 직접 의결권 행사 시: 주주총회 참석장, 신분증 지참

- 대리인을 통한 의결권 행사 시: 주주총회 참석장, 위임장(주주와 대리인의 인적사항 기재, 주주 기명날인 및 주주총회 참석장, 신분증 사본 혹은 인감증명서 등 첨부), 대리인의 신분증 지참

나. 전자투표에 의한 행사

당사는 「상법」 제368조의4에 따른 전자투표제도를 이번 주주총회에서 활용하기로 결의하였고, 본 제도의 관리업무를 한국예탁결제원에 위탁하였습니다. 주주님들께서는 아래에서 정한 방법에 따라 주주총회에 참석하지 아니하고 전자투표방식으로 의결권을 행사하실 수 있습니다.

1) 전자투표시스템 - 인터넷 주소: http://evote.ksd.or.kr - 모바일 주소: http://evote.ksd.or.kr/m

2) 전자투표 행사기간: 2025년 8월 30일 오전 9시부터 2025년 9월 8일 오후 5시까지 (기간 중 24시간 이용 가능함. 단, 시작일에는 오전 9시부터 가능하며, 마지막 날은 오후 5시까지만 가능함)

3) 시스템에서 인증서를 통하여 주주 본인 확인 후 의안별 의결권 행사 - 주주확인용 인증서 종류: 공동인증서 및 민간인증서(K-VOTE에서 사용가능한 인증서 한정)

4) 수정동의안 처리

- 주주총회에서 상정된 의안에 관하여 수정동의가 제출되는 경우 전자투표는 기권으로 처리

※ 참고사항

당사는 제52기 정기주주총회 정관 변경의 건에 포함되어 있던 서면투표제도 관련 조항을 삭제함에 따라, 본 임시주주총회부터 서면투표제도를 운영하지 않음을 안내 드립니다. 주주님께서는 본인 또는 대리인을 통한 참석, 또는 전자투표 방식을 통해 의결권을 행사하여 주시기 바랍니다.

6. 기타사항

주주총회 기념품은 제작하지 아니하였으므로 이점 양지하여 주시기 바랍니다.

I. 사외이사 등의 활동내역과 보수에 관한 사항

1. 사외이사 등의 활동내역

가. 이사회 출석률 및 이사회 의안에 대한 찬반여부

회차 개최일자 의안내용 가결 여부 기타비상무이사 사외이사
이해준 (출석률: 88%) 송인준 (출석률: 38%) 김정균 (출석률: 100%) 유헌석 (출석률: 100%) 이호설(출석률: 100%)

차재연 (출석률:

100%)

김상택

(출석률:

100%)

최춘석 (출석률:

100%)

박규희(출석률: 100%)
찬반여부
1 2025.01.16 1호 의안: 준법지원인 변경 선임의 건 가결 불참 찬성 찬성 찬성 신규선임(25.03.21~) 찬성 찬성 찬성 신규선임(25.03.21~)
2호 의안: 임직원 PI 지급의 건 가결 불참 찬성 찬성 찬성 찬성 찬성 찬성
2 2025.02.05 1호 의안: 제52기 영업보고서 및 재무제표 승인의 건 가결 찬성 불참 찬성 찬성 찬성 찬성 찬성
2호 의안: 외부감사인 선임의 건 가결 찬성 불참 찬성 찬성 찬성 찬성 찬성
1호 보고사항: 내부회계관리제도 운영보고의 건 - - 불참 - - - - -
2호 보고사항: 24년 4분기 재무실적분석 - - 불참 - - - - -
3호 보고사항 : 최고경영자후보육성 24년 실적 및 25년 계획 - - 불참 - - - - -
3 2025.02.20 1호 의안: 정기주주총회 소집 및 회의 목적사항 승인의 건 가결 찬성 불참 찬성 찬성 찬성 찬성 찬성
2호 의안: 자기주식보고 승인의 건 가결 찬성 불참 찬성 찬성 찬성 찬성 찬성
3호 의안: 2025년 안전 및 보건에 관한 계획 승인의 건 가결 찬성 불참 찬성 찬성 찬성 찬성 찬성
4 2025.04.17 1호 의안 : 중국 소주법인 지분매각의 건 가결 찬성 불참 찬성 찬성 찬성 찬성 임기만료 퇴임 임기만료 퇴임 찬성
2호 의안 : 이사회 산하 위원회 위원장 및 위원 선임 승인의 건 가결 찬성 불참 찬성 찬성 찬성 찬성 찬성
3호 의안 : 집행임원 보수 한도 승인의 건 가결 찬성 불참 찬성 찬성 찬성 찬성 찬성

5

2025.05.08

1호 보고사항 : 25년 1분기 재무실적 보고 - - 불참 - - - - -
2호 보고사항 : 사업전략 진행사항 보고 - - 불참 - - - - -
3호 보고사항 : ESG위원회 보고사항 - - 불참 - - - - -

6

2025.06.19

1호 의안 : 대표집행임원 재선임 승인의 건 가결 찬성 찬성 찬성 찬성 찬성 찬성 찬성
1호 보고사항 : 내부회계관리규정 변경 보고의 건 - - - - - - - -
7 2025.07.24 1호 의안 : 전기공사업 등록 신청 승인의 건 가결 찬성 불참 찬성 찬성 찬성 찬성 찬성
2호 의안 : [특별결의] 정관 변경의 건 가결 찬성 불참 찬성 찬성 찬성 찬성 찬성
3호 의안 : 임시주주총회 소집 및 회의 목적사항 승인의 건 가결 찬성 불참 찬성 찬성 찬성 찬성 찬성
4호 의안 : 주주확정 기준일 설정 승인의 건 가결 찬성 불참 찬성 찬성 찬성 찬성 찬성
1호 보고사항 : 지속가능경영보고서 발간 보고의 건 - - 불참 - - - - -
8 2025.08.06 1호 보고사항 : 25년 2분기 재무실적 보고 - - - - - - - -
2호 보고사항 : 사업전략 진행사항 보고 - - - - - - - -

나. 이사회내 위원회에서의 사외이사 등의 활동내역

1) 감사위원회

회차 개최일자 의안내용 가결여부 이사의 성명
차재연사외이사 (출석률: 100%) 김상택사외이사(출석률: 100%) 최춘석사외이사(출석률: 100%) 이호설기타비상무이사(출석률: 100%) 박규희사외이사(출석률: 100%)
찬반여부
1 2025.01.22 1호 의안: 내부감사부서 책임자 직무대행 동의의 건 가결 찬성 찬성 찬성 신규선임(25.03.21~) 신규선임(25.03.21~)
2호 의안: 외부감사인 선정 심의 및 승인의 건 가결 찬성 찬성 찬성
2 2025.02.05 1호 보고사항: 제52기 영업보고서 및 재무제표 보고의 건 - - - -
2호 보고사항: 외부감사인으로부터 감사에 대한 보고의 건 - - - -
3호 보고사항: 내부회계관리제도 운영실태 보고의 건 - - - -
4호 보고사항: 24년 4분기 내부감사부서 활동 보고의 건 - - - -
3 2025.02.20 1호 의안: 제52기 영업보고서 및 재무제표에 대한 감사보고서 승인의 건 가결 찬성 찬성 찬성
2호 의안: 내부회계관리제도 운영실태 평가보고서 승인의 건 가결 찬성 찬성 찬성
3호 의안: 내부감시장치에 대한 감사위원회의 평가의견서 승인의 건 가결 찬성 찬성 찬성
4호 의안: 25년 감사위원회 연간 활동 계획 승인의 건 가결 찬성 찬성 찬성
5호 의안: 감사위원회 규정 변경 승인의 건 가결 찬성 찬성 찬성
1호 보고사항: 25년 직무집행에 대한 업무감사 계획 보고의 건 - - - -
4 2025.04.17 1호 의안: 감사위원회 위원장 연임의 건 가결 찬성 임기만료 퇴임 임기만료 퇴임 찬성 찬성
1호 보고사항: 외부감사인으로부터 25년 감사계획에 대한 보고의 건 - - - -
5 2025.05.08 1호 보고사항: 25년 1분기 연결 기준 실적 보고의 건 - - - -
2호 보고사항: 외부감사인으로부터 감사에 대한 보고의 건 - - - -
3호 보고사항: 25년 내부회계관리제도 운영평가 계획 보고의 건 - - - -
4호 보고사항: 25년 내부회계관리규정 변경 보고의 건 - - - -
5호 보고사항: 25년 1분기 내부감사부서 활동 보고의 건 - - - -
6 25.08.06 1호 보고사항: 25년 반기 및 2분기 연결 기준 실적 보고의 건 - - - -
2호 보고사항: 외부감사인으로부터 감사에 대한 보고의 건 - - - -
3호 보고사항: 25년 내부회계관리제도 운영평가 진행상황 보고의 건 - - - -
4호 보고사항: 외부감사인 비감사 용역 업무 수행 보고의 건 - - - -
5호 보고사항: 25년 2분기 내부감사부서 활동 보고의 건 - - - -

2) ESG위원회

회차 개최일자 의안내용 가결여부 이사의 성명
박규희사외이사 (출석률: 100%) 유헌석기타비상무이사 (출석률: 100%)
찬반여부
1 2025.05.08 제1호 보고사항 : 한샘 ESG 현황 보고의 건 - - -
제1호 의안 : 한샘 소비자 권익보호 정책 승인의 건 가결 찬성 찬성
제2호 의안 : 한샘 공급망 지속가능성 정책 승인의 건 가결 찬성 찬성
제3호 의안 : 25년 지속가능경영보고서 중대성 평가 승인의 건 가결 찬성 찬성
2 2025.07.24 제1호 보고사항 : 지속가능경영보고서 발간 보고의 건 - - -

3) 최고경영자후보추천위원회

회차 개최일자 의안내용 가결여부 이사의 성명
김정균기타비상무이사(출석률: 100%) 김상택사외이사 (출석률: 100%)
찬반여부
1 2025.02.05 제1호 보고사항 : 24년 최고경영자후보 육성 실적 보고의 건 - - -
제2호 보고사항 : 25년 최고경영자후보 육성 계획 보고의 건 - - -

4) 사외이사후보추천위원회

회차 개최일자 의안내용 가결여부 이사의 성명
이해준기타비상무이사(출석률: -) 차재연사외이사 (출석률: 100%) 김상택사외이사(출석률: 100%) 최춘석사외이사(출석률: 100%)
찬반여부
1 2025.02.20 제1호 의안 : 사외이사 후보 추천의 건 가결 불참 찬성 찬성 찬성

2. 사외이사 등의 보수현황
(단위 : 명, 백만원)
구 분 인원수 주총승인금액 지급총액 1인당 평균 지급액 비 고

사외이사

4 500 74 18 사외이사에 대한 급여, 퇴직금, 성과보수 포함
기타비상무이사 5 - - 무보수

※ 주총 승인금액은 사외이사 및 기타비상무이사 전체에 대해 주주총회에서 승인받은 금액이며, 지급총액은 2025년 6월 30일 지급 완료된 보수를 기준으로 작성하였습니다.※ 재직중인 기타비상무이사 5인은 무보수이며, 사외이사의 1인당 평균 지급액은 재직중인 사외이사 2인과 퇴임한 사외이사 2인을 포함한 4인을 기준으로 지급총액대비 단순평균법으로 산정하였습니다.

II. 최대주주등과의 거래내역에 관한 사항

1. 단일 거래규모가 일정규모이상인 거래
(단위 : 억원)
거래종류 거래상대방(회사와의 관계) 거래기간 거래금액 비율(%)
- - - - -

2. 해당 사업연도중에 특정인과 해당 거래를 포함한 거래총액이 일정규모이상인 거래
(단위 : 억원)
거래상대방(회사와의 관계) 거래종류 거래기간 거래금액 비율(%)
- - - - -

III. 경영참고사항

1. 사업의 개요

가. 업계의 현황

[홈리모델링 산업]

(1) 산업의 특성

홈리모델링이란, 거주용 건축물의 노후를 억제하거나 기능을 향상시키기 위해 기본 내력벽을 유지한 상태에서 현대적 감각에 맞게 구조를 변경하는 것으로 실내를 개별적인 취향에 맞춰 거주자가 쾌적하게 생활할 수 있는 개성적인 환경을 만듭니다. 중장기적으로 건축시장은 신축의 비중은 줄어들고, 유지보수시장의 비중이 확대될 것으로 전망됩니다. 특히, 소득증가에 따른 삶의 질 개선, 노후 건축물의 증가, 개성적인 디자인에 대한 수요 등의 요인으로 홈리모델링 시장의 성장세는 지속될 것으로 예상됩니다. 홈리모델링 산업은 영업, 고객상담, 디자인, 설계, 시공 등 전 과정에서 전문인력의 투입비중이 큰 편으로 해당 산업의 진입장벽이 높으며, 향후 스마트홈 구현 등을 통해 부가가치가 높은 산업으로 변모할 잠재력을 보유하고 있습니다.

(2) 산업의 성장성

홈리모델링 시장의 성장세는 국민소득 증가와 거주 주택의 노후도가 결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요인으로 작용합니다. 거주공간에 대한 가치와 인식이 변화하며 홈리모델링 산업의 성장이 크게 촉진되었습니다. 비대면, 온라인 문화가 확산되고 집 꾸미기부터 홈리모델링까지 시장확대가 가속화되며 '집코노미'라는 신조어가 만들어 진 것처럼, 집은 과거 단순 거주 공간에서 홈오피스, 홈스쿨, 홈캉스로 영역이 확장되었습니다. 단독주택이 많은 미국, 일본과 비교하면 공동주택 거주 비중이 높은 우리나라는 홈리모델링 표준화가 가능하여 아파트라는 정형화된 구조, 설계, 평수로 인해 홈리모델링 산업 활성화가 촉진될 수 있는 구조입니다.홈리모델링의 시장 규모는 2026년까지 25조원(대한건설정책연구원(RICON) - 유지보수시대 인테리어 산업 발전방향 (2021) 및 당사 추정)으로 성장할 것으로 전망됩니다. 1인당 국민소득은 2024년 기준 3.6만 달러를 넘어섰으며, 국민소득 수준 및 생활 수준 향상은 고관여 산업인 홈리모델링 시장의 발달에 긍정적으로 작용하고 있습니다. 이사할 때만 리모델링한다는 고정관념을 넘어 고객이 거주하는 동안에도 부엌, 욕실, 중문 등 부분적인 공간에 맞춤형 부분시공이 보편화되고 있어 고객의 수요에 맞는 상품을 확대해 나가는 것이 중요해졌습니다.

(3) 경기변동의 특성

홈리모델링 산업은 노후화 주택 및 주택 건설 경기, 주택 거래량, 신혼 및 이사, 살면서 고치는 수요, 가계 부채 수준과도 연관성을 가지며, 계절적으로는 봄과 가을이 최대 성수기를 이루고 있습니다.

(4) 경쟁요소

국내 인테리어 시장은 소규모 개인 사업자, 건설자재 회사, 시공 중개 플랫폼 등 여러 주체로 분산되어 있습니다. 리모델링에 대한 소비자들의 관심도가 높아지고, 온라인 플랫폼의 성장으로 리모델링 정보에 대한 접근성이 높아지면서 단지 내 영세 개인 리모델링 사업자에 대한 수요보다는 유명 디자이너 업체와 품질 및 시공과 관련한 신뢰도가 높은 브랜드에 대한 수요가 높아졌습니다. 트렌드 및 품질에 대한 민감도가 증가함에 따라 경쟁력 있는 디자인과 시공 품질 등 사후관리 등이 리모델링의 경쟁 요소로서 매우 중시되고 있습니다.

(5) 자원 조달상의 특성

홈리모델링 산업은 원재료의 대부분이 PB(Particle Board), MDF(Medium Density Fiber Board) 등 목재이며, 인조대리석, 수전, 주방 기기 등이 나머지 부분을 차지합니다. MDF는 대부분 국내에서 조달하고 있으며, PB는 국내외에서 단기 가격 및 장기적 거래관계 등을 종합적으로 고려해 병행하여 조달하고 있습니다. 이에 따라 환율변동에 따라 PB 공급은 유동적일 수 있습니다. 당사는 현재 국내외 협력업체들과 전략적 파트너십을 유지하며 안정적으로 원재료를 공급받고 있습니다.

[홈퍼니싱 산업]

(1) 산업의 특성

홈퍼니싱은 집을 뜻하는 홈(home)과 가구를 꾸민다는 뜻의 퍼니싱(furnishing)이 합쳐진 합성어로 가구와 다양한 소품으로 집을 꾸미는 것을 뜻합니다. 집은 단순 거주공간의 기능 뿐만 아니라 개인의 라이프스타일이 반영되면서 휴식과 여가를 즐기는 공간이 되었습니다.

또한, 인구구조적 변화로 2024년 1인가구 수 추이가 1,000만 가구를 돌파하며 전체 가구 수의 41.8%(출처:행정안전부)의 비중을 차지하며 지속해서 증가하고 있습니다. 1인 가구의 증가와 집꾸미기 용품에 대한 수요가 자연스레 높아지면서 홈퍼니싱은 새로운 트렌드로 자리 잡혔습니다.

(2) 산업의 성장성

홈퍼니싱 시장의 성장 Driver는 1인 가구 증가에 따른 전체 가구수 증가, 국민 소득 증가로 삶의 질에 대한 욕구 증대로 라이프스타일에 관한 관심 및 소비 증가, 집과 공간에 대한 인식의 변화로 홈리빙 지출 비중 증가, 재구매 주기 가속화로 볼 수 있으며, 2026년까지 약 29조원으로 성장할 것으로 전망됩니다(당사 추정).

언택트 시대에 식사와 여가 등 모든 일상을 집에서 영위하는 '홈족', 집에서 간접적 경제 활동을 펼치는 '홈코노미'라는 새로운 트렌드가 생겼습니다. 새로운 소비트렌드에 맞춰 홈퍼니싱 소비자들을 공략하는 것이 중요해졌습니다. 새로운 쇼핑경험을 소비자에게 제공하기 위해 주문한지 하루만에 도착하거나 고객이 원하는 날짜에 배송하는 내맘배송 서비스 등 다양한 혁신적인 제품과 서비스들이 출시되고 있습니다. 앞으로도 나만의 공간을 추구하는 소비자들의 다양한 니즈를 충족하기 위한 혁신 제품과 서비스 출시 경쟁이 이어지며 홈퍼니싱 수요가 꾸준히 증가할 것이라 전망됩니다.

(3) 경기 변동의 특성

홈퍼니싱 산업은 주택 건설 경기 및 주택 매매/전세 수요와 신혼/이사/신규입주 등과 직접적인 관련이 있고, 국민의 소득/소비 수준과도 많은 연관성을 가집니다. 따라서 경기 순환 곡선에 따라 전체적인 시장 규모가 결정되는 특성을 가지고 있다고 추정되며, 장기적으로는 국민 생활수준 향상에 따라 확대될 것으로 전망하고 있습니다. 한편, 계절적으로는 봄과 가을이 최대 성수기를 이루고 있습니다.

(4) 경쟁 요소

국민 소득 수준 및 생활 수준의 향상으로 홈퍼니싱 시장에 대한 소비자들의 관심도는 높아졌습니다. 디자인과 R&D 능력이 있는 대기업을 중심으로 브랜드화가 진행되고, SNS를 활용한 온라인 플랫폼이 성장하면서 다양한 셀러들과 새로운 경쟁구도가 생겼습니다.

온라인 가구 수요가 확대되고 홈퍼니싱 시장의 온라인 침투율이 50%를 넘어서면서 홈퍼니싱업계의 디지털 전환이 이어지고 있습니다. 주요 가구와 홈퍼니싱 기업은 D2C(Direct to consumer) 기반으로 자사몰을 구축하고, 온/오프라인에 디지털 기술을 접목하며 구매 효율성, 편의성을 증가시키고 AR·VR·3D 기술을 활용하여 고도화된 고객 경험을 향상시키고 있습니다.

또한, 유통 경쟁력을 강화하기 위해 대규모 물류센터를 구축하고, 익일 배송 및 지정일 배송·설치 체계를 갖추어 고객 유인 및 이탈 방지를 위해 경쟁하고 있습니다.

나. 회사의 현황

(1) 영업개황 한샘은 우리나라 주거환경의 변화를 주도해 온 종합 홈 인테리어 전문기업으로, 주방, 침실, 거실, 욕실, 서재/자녀방 등 주택의 모든 공간에 들어가는 가구와 기기, 소품, 조명, 패브릭, 건자재 등을 제공하고 있습니다. 1970년 부엌가구 전문 회사로 출발한 한샘은 입식 부엌의 개념조차 낯설었던 우리 가정에 새로운 현대식 부엌을 소개하면서 국내 시장을 이끄는 선두 기업으로 자리 잡았습니다. 싱크대라 통칭되던 부엌가구 시장에 '시스템 키친', '인텔리전트 키친' 이라는 용어를 처음 도입하면서 비효율적인 부엌을 편리하고 아름다운 공간으로, 주부만이 아닌 가족 모두를 위한 제2의 거실로 제안하는 등 부엌문화의 새로운 장을 열었습니다. 1997년에는 침실, 거실, 서재, 자녀방 등에 인테리어 가구를 공급하기 시작하였으며, 최근 욕실, 창호, 마루 등 건재 아이템까지 확대하여, 주택 내 모든 공간으로 사업영역을 확장하여 차별화된 비즈니스 모델을 선보이고 있습니다. 한샘은 '디자인파크' 등 대형쇼룸 및 전속 대리점과 더불어 체계적인 교육을 받은 전문 영업사원과 시공협력기사를 보유하고 있습니다. 또한, '홈퍼니싱솔루션'을 통한 온-오프라인 연계 활성화, 3D 실사 모델링 제공 및 '건재패키지 ERP'를 통한 발주, 물류, A/S 통합관리 등 IT 시스템을 통해 고객에게 End-to-End 서비스를 제공하는 국내 유일의 홈리모델링 및 홈퍼니싱 대표 기업입니다. 홈인테리어 전 과정에서 고객 경험 혁신을 추진하기 위해 마케팅, 고객상담, 소비자 보호 조직을 강화해 고객 경험을 상시 모니터링하고 품질서비스 문제점 발견시 신속히 개선하는 품질지표 기준도 강화하며 '더 나은 삶을 위한 공간의 기준을 만들어, 모두의 일상에 가치를 더한다'라는 미션을 달성해 나갈 것입니다.

(2) 공시대상 사업부문의 구분

당사의 사업은 리하우스, 홈퍼니싱, B2B 및 기타 부문으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사업부문 설명]

부문 주요사업현황
리하우스 부엌과 욕실을 중심으로 한 토털 홈 리모델링 솔루션 구축
홈퍼니싱 온/오프라인 가구 및 생활용품 판매
B2B 건설사 수주 및 자재 판매
기타 리모델링/부엌 및 가구 관련 시공매출, 수입가구 유통, 해외법인 등

[사업부문별 매출 및 영업이익] (단위:천원)

부문 당반기 전반기
매출액 영업이익 매출액 영업이익
리하우스 195,925,966 (5,112,576) 194,944,065 (1,416,941)
홈퍼니싱 255,955,143 3,035,200 274,683,787 7,234,421
B2B 226,057,869 3,424,113 265,905,971 7,791,971
기타 291,419,334 7,819,945 291,200,878 6,797,152
연결조정 (66,476,734) (471,202) (62,839,609) (321,716)
합 계 902,881,578 8,695,480 963,895,092 20,084,887

※ 2025년 6월 30일 반기보고서 작성기준

(3) 시장점유율홈리모델링 및 홈퍼니싱 시장에 대한 정확한 산출자료가 없으며, 유통채널이 다양화되어 있어 회사의 시장 점유율을 객관적으로 산출하는데 어려움이 있기 때문에 기재를 생략합니다.

(4) 시장의 특성 당사의 주요 타겟 시장은 홈리모델링, 홈퍼니싱, B2B(건설사 특판 및 자재판매) 시장으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 1) 리하우스 사업부문 리하우스 사업부문은 한국의 낙후되어 있던 부엌 공간을 현대식으로 개선시키면서 고객의 삶을 크게 변화시켜온 역사를 가지고 있습니다. 특히 부엌가구 사업은 1986년부터 현재까지 국내 주방가구 브랜드 시장에서 독보적인 1위 점유율을 기록하고 있으며, 2016년부터는 사업영역을 확대하여 기존의 부엌 뿐 아니라 욕실, 창호, 바닥재 등 집 전체 공간을 한번에 제안하는 리하우스 사업을 본격적으로 시작하였습니다. 50년 넘게 사업을 이어온 리하우스만의 품질, 시공, 서비스 경쟁력을 통해 지속적으로 국내 1위 홈 인테리어 기업으로서의 위상을 공고히 하고, 향후 한샘의 미래를 이끌 수 있는 사업으로 확대해 나가기 위해 노력하고 있습니다.집이라는 공간의 중요성이 점점 커짐에 따라 당사는 리하우스 사업을 통해 고객의 라이프스타일과 생애주기를 고려하여 최적의 공간 솔루션을 제공하고 있습니다. 전국 리하우스 대형 쇼룸에서 전문 영업사원이 고객들에게 한샘의 제품으로 구성된 공간 전체 상담 및 설계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으며, 모든 현장에는 국내 최고이자 유일의 인테리어 시공전문 회사인 한샘서비스를 통해서 시공서비스를 제공하고 있습니다. 또한 한샘의 가구 및 건재 상품은 전문 부서들의 협업을 통해 디자인과 품질이 검증된 제품들만 출시되고 있습니다. R&D본부 및 한샘연구소와의 협업을 통해 탁월한 제품을 개발하고, SCM본부 및 통합품질본부 내 CX부와의 연계를 통해 생산, 물류, 품질까지 완벽한 프로세스를 거쳐 고객에게 최고의 상품과 경험을 제공해 나가고 있습니다. 전국 대리점에서는 전문 영업사원이 한샘이 제공하는 원스탑 인테리어 설계 발주시스템을 이용하여 고객에게 차별화된 설계와 최적의 공간을 제안하고 있습니다. 전국적으로 인테리어 업체들과도 제휴를 맺고 있으며, 인테리어 전문 역량을 보유한 한샘 본사직원들은 B2B영업 또한 활발하게 진행하면서 전국의 제휴점들과 계약한 고객들께 한샘의 부엌과 바스, 건재 상품을 제공하고 있습니다. 또한, 고객 유동성이 높은 쇼핑몰에 넓은 평형대의 전문 패키지 상담이 가능한 쇼룸을 마련하고 실적이 우수한 매장을 배치해, 고객 접점을 확대하고 있습니다. 오프라인 매장 뿐만 아니라 자사몰 및 제휴몰 등 다양한 온라인 채널을 활용하고 있으며, 한샘의 시그니처 프로모션인 쌤페스타 등 마케팅 활동을 통해 많은 고객들의 선택을 받고 있습니다.2) 홈퍼니싱 사업부문 홈퍼니싱 사업부문은 1997년에 인테리어 사업부로 출범하여, 2001년에 가정용 마켓쉐어 1위로 도약한 이후, 현재까지 대한민국 가구시장을 대표하고 있으며, 가정용 가구 부문에서 탁월한 브랜드로 매년 평가 받고 있습니다. 오프라인에서는 직매장과 대리점 유통, 온라인에서는 한샘몰과 제휴몰을 운영하고 있습니다. 1997년 한샘인테리어 가구 사업의 런칭과 함께 시작된 직매장 사업은 1998년 방배점을 시작으로 논현, 분당, 잠실점을 확대하며 성장의 발판을 마련했고, 이후 부산과 대구, 충청 등 전국적인 유통망을 확장해 나가며 현재는 21개의 디자인파크를 운영하고 있습니다. 홈퍼니싱 직매장 사업은 지속적인 전시 개선과 마케팅 활동을 통해 매장 경쟁력을 높이고 있으며, 용산아이파크몰점은 첫 대형 쇼핑몰 입점을 통해 가구와 생활용품 뿐 아니라 홈 리모델링 관련 인테리어 패키지까지 한 번에 제안하는 '디자인파크'로서 시즌 별 전시 차별화와 전문적인 패키지 상담이 가능한 홈 인테리어 토탈 솔루션을 제안하는 공간으로 발전해왔습니다. 2023년 3월과 2024년 1월에 리뉴얼 오픈한 디자인파크 송파점과 수원점은 지금까지의 매장이 공급자 중심에서 아이템을 강요하는 형태의 쇼룸이었다면, 고객 중심에서 체험하고 소통할 수 있는 라이프스타일 공간으로 진화하고 있습니다.대리점 사업은 상권별로 전문화된 대리점 형태의 유통점을 통해 가구를 판매하며 수도권과 지방 상권을 공략하고 있습니다. 이와 더불어 대리점 상생지원 정책으로 2016년부터 디자인파크 규모의 대형 전시매장을 확대해왔으며, 이를 통해 기존 전시공간의 한계를 극복하고 보다 많은 상품과 공간을 고객에게 제공하였습니다. 이는 대리점에게 대형 쇼룸에서 영업할 수 있는 기회를 부여함과 동시에 집객 경로를 제공하여 대리점과 본사의 동반 성장을 이룰 수 있었습니다. 또한 매장 내 상품 및 공간 별 전문가 양성을 통해 공간 패키지 영업 서비스를 강화하였고, 상권 내 타 브랜드보다 한 단계 높은 매장 경쟁력과 영업경쟁력을 갖추어 고객 감동을 중심으로 성과를 창출하고 있습니다. 당사는 홈퍼니싱 사업의 카테고리 특성화 매장, 라이프 스타일 기반 팝업스토어 전시 매장, 디지털 전환 옴니채널 매장 등 차별화된 컨셉의 매장을 지속적으로 선보이며 끊임없이 변화하는 트렌드에 발맞추어 매장경쟁력과 영업경쟁력을 갖춰 나가고 있습니다.또한, 2008년 2월에 온라인 사업에 진출하여 지속적으로 성장을 이어왔습니다. 2014년까지 한샘의 비즈니스 모델을 온라인에 적용시켜 한 단계 성장을 이루었고, 2015년부터는 유통 확대, 시장의 독점적인 제품 개발 등으로 성장을 이어왔습니다. 2017년에는 MD 육성 및 히트 상품 개발 프로세스 강화를 통해 온라인 상품의 품질, 서비스를 더 향상시켰고, DIY 상품을 비롯하여 소형가구, 생활용품 등 카테고리를 확대함으로써 한샘몰을 홈 인테리어 전반의 상품 라인업을 갖춘 사이트로 성장시켰습니다.2023년에는 플랫폼 사업자의 지배력과 모바일 의존도가 높아지는 시장 환경에 대응하고자 온/오프라인 홈퍼니싱을 통합한 플랫폼 '한샘몰'을 론칭하였고, 한 달 만에 구글 플레이스토어 '부동산·홈인테리어' 카테고리 순위 1위를 기록하며 자사몰로서 온라인 부문의 역량을 확인하였고 성공적인 입지를 마련하였습니다. 현재는 온-오프라인을 연결하는 허브채널로서, 접객을 상호보완하고 브랜드 캠페인이 효율적으로 이루어 지도록 경쟁력을 쌓아가고 있습니다.3) B2B 사업부문 - 특판당사는 대단위 공동주택의 신축과 재건축, 리모델링 시장에서의 우량 건설업체와 시행사를 대상으로 주방 및 수납가구와 관련 상품, 기기 등을 공급하고 있으며, 향후 축소되는 분양 물량에도 안정적인 성장을 유지할 수 있도록 조합시장 수주를 확대하는 노력을 하고 있습니다.변화하는 주택시장 환경 속에서 특판사업본부는 차별화된 제품과 디자인, 물류 시공부분의 노하우를 기반으로 호텔, 리조트 등 준주거시설에 인테리어 패키지를 확대하고 오피스가구, 종합건설부문에 도전하여 새로운 B2B 영역의 토탈 인테리어 전문 조직으로 성장해 나아가고 있습니다.- 자재판매당사는 PB(Particle Board), MDF(Medium Density Fiber Board) 등 원자재 외에 이를 가공한 성형자재, 그 외 유리, 철물, 부자재 등 제품에 사용되는 다양한 제품을 대량으로 구매하여 국내 가구업체에 재판매하고 있습니다. (4) 신규사업 등의 내용 및 전망한샘은 전통적인 제조유통 기업로부터 혁신적인 종합 가구 인테리어 기업으로 거듭나기 위해 2023년 2월에 새로운 통합 앱(App), '한샘몰'을 론칭하였습니다. 이를 통해 온라인으로부터 오프라인에 걸쳐 고객경험을 seamless하게 연결함으로써 새로운 사업기회를 창출하고, 채널간 시너지를 통해 다른 오프라인/온라인 사업자들과의 초격차를 확대하고자 합니다.

(5) 조직도당사의 2025년 6월 30일 기준, 조직도는 아래 그림과 같습니다.

전사조직도(25.06.30).jpg (주)한샘 전사조직도(25.06.30)

2. 주주총회 목적사항별 기재사항

□ 정관의 변경

가. 집중투표 배제를 위한 정관의 변경 또는 그 배제된 정관의 변경

변경전 내용 변경후 내용 변경의 목적
- - -

나. 그 외의 정관변경에 관한 건

변경전 내용 변경후 내용 변경의 목적

제2조(목적)

이 회사는 다음 각호의 사업을 영위함을 목적으로 한다.

1.~41. (생략)

42. 위 각호에 관련된 부대사업

제2조(목적)

이 회사는 다음 각호의 사업을 영위함을 목적으로 한다.

1.~41. (현행과 같음)

42. 전기공사업

43. 위 각호에 관련된 부대사업

전기공사업 등록을 위한 사업목적 추가
부 칙

부 칙

시행일

15. 이 정관은 제53기 임시 주주총회에서 승인한 2025년9월9일부터 시행한다.

※ 기타 참고사항

-변경 정관(안)은 제53기 임시주주총회 특별결의로 승인시 최종 확정됨

IV. 사업보고서 및 감사보고서 첨부

가. 제출 개요 --
제출(예정)일 사업보고서 등 통지 등 방식

- 임시주주총회이므로 해당사항 없습니다.

나. 사업보고서 및 감사보고서 첨부

당사의 최근 사업보고서 및 감사보고서는 2025년 3월 13일 금융감독원 전자공시시스 템(https://dart.fss.or.kr) 및 당사 홈페이지(http://www.company.hanssem.com)에 게재하였으니 참고하시기 바랍니다.

※ 참고사항

□ 전자투표에 관한 사항

당사는 「상법」 제368조의4에 따른 전자투표제도를 이번 주주총회에서 활용하기로 결의하였고, 본 제도의 관리업무를 한국예탁결제원에 위탁하였습니다. 주주님들께서는 아래에서 정한 방법에 따라 주주총회에 참석하지 아니하고 전자투표방식으로 의결권을 행사하실 수 있습니다.

1) 전자투표시스템 - 인터넷 주소: http://evote.ksd.or.kr - 모바일 주소: http://evote.ksd.or.kr/m

2) 전자투표 행사기간: 2025년 8월 30일 오전 9시부터 2025년 9월 8일 오후 5시까지 (기간 중 24시간 이용 가능함. 단, 시작일에는 오전 9시부터 가능하며, 마지막 날은 오후 5시까지만 가능함)

3) 시스템에서 인증서를 통하여 주주 본인 확인 후 의안별 의결권 행사 - 주주확인용 인증서 종류: 공동인증서 및 민간인증서(K-VOTE에서 사용가능한 인증서 한정)

4) 수정동의안 처리

- 주주총회에서 상정된 의안에 관하여 수정동의가 제출되는 경우 전자투표는 기권으로 처리

□ 기타 안내 말씀

감염병 및 기타 긴급상황 발생 등 불가피하게 주주총회 일시, 장소 등을 변경하는 경우, 이 내용을 금융감독원 전자공시시스템(https://dart.fss.or.kr) 및 당사 홈페이지(http://www.company.hanssem.com)를 통해 공지할 예정이오니 참고하시기 바랍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