증권발행조건확정
|
금융위원회 귀중 |
2025년 09월 16일 |
|
|
회 사 명 : |
주식회사 샤페론 |
대 표 이 사 : |
성 승 용 |
본 점 소 재 지 : |
서울특별시 강남구 자곡로 174-10, 강남에이스타워 606호 |
|
(전 화) 02-6083-8315 |
|
(홈페이지) http://www.shaperon.com |
|
|
작 성 책 임 자 : |
(직 책) CFO (성 명) 김도형 |
|
(전 화) 02-6083-8315 |
1. 정정대상 신고서의 최초제출일 : 2025년 08월 18일
2. 모집 또는 매출 증권의 종류 : 기명식 보통주 16,100,000주
3. 모집 또는 매출금액 : 24,938,900,000원
4. 정정사유 : 1차 발행가액 확정에 따른 정정
5. 정정사항
※ 금번 정정사항은 1차 발행가액 확정에 따른 정정으로서, 확인의 편의를 위해 정정사항은
'굵은 빨간색'
을 사용하여 기재하였습니다.
제출일자 |
문서명 |
비고 |
2025년 08월 18일 |
증권신고서(지분증권) |
최초제출 |
2025년 09월 01일 |
[기재정정]증권신고서(지분증권) |
기재정정
(파란색)
|
2025년 09월 16일 |
[발행조건확정]증권신고서(지분증권) |
1차 발행가액 확정
(빨간색)
|
항 목 |
정 정 전 |
정 정 후 |
※ 금번 정정사항은 1차 발행가액 확정에 따른 정정으로서, 확인의 편의를 위해 정정사항은
'굵은 빨간색'
을 사용하여 기재하였습니다.
|
공통사항 |
주당 모집가액 또는 매출가액: 1,866원
모집 또는 매출금액: 30,042,600,000원
|
주당 모집가액 또는 매출가액:
1,549원
모집 또는 매출금액:
24,938,900,000원
|
요약정보 - 2. 모집 또는 매출에 관한 일반사항 |
(주1) 정정 전 |
(주1) 정정 후 |
제1부 모집 또는 매출에 관한 사항 - I. 모집 또는 매출에 관한 일반사항 |
1. 공모개요 |
(주2) 정정 전 |
(주2) 정정 후 |
4. 모집 또는 매출절차 등에 관한 사항 |
(주3) 정정 전 |
(주3) 정정 후 |
제1부 모집 또는 매출에 관한 사항 - III. 투자위험요소 - 2. 회사위험 |
가. 상장적격성 실질심사 사유 발생 및 자본잠식에 따른 관리종목 지정, 상장폐지 위험 |
(주4) 정정 전 |
(주4) 정정 후 |
바. 현금흐름 관련 유동성 위험 |
(주5) 정정 전 |
(주5) 정정 후 |
사. 연구개발비 증가 및 연구인력이탈에 따른 위험 |
(주6) 정정 전 |
(주6) 정정 후 |
제1부 모집 또는 매출에 관한 사항 - V. 자금의 사용목적 |
(주7) 정정 전 |
(주7) 정정 후 |
제2부 발행인에 관한 사항 - I. 회사의 개요 -
5. 정관에 관한 사항
|
(주8) 정정 전 |
(주8) 정정 후 |
(주1) 정정 전
2. 모집 또는 매출에 관한 일반사항
증권의종류 |
증권수량 |
액면가액 |
모집(매출)가액 |
모집(매출)총액 |
모집(매출)방법 |
보통주 |
16,100,000 |
500 |
1,866 |
30,042,600,000 |
주주배정후 실권주 일반공모 |
인수(주선) 여부 |
지분증권 등 상장을 위한 공모여부 |
인수 |
아니오 |
해당없음 |
해당없음 |
인수(주선)인 |
증권의종류 |
인수수량 |
인수금액 |
인수대가 |
인수방법 |
대표 |
키움증권 |
보통주 |
8,050,000 |
15,021,300,000 |
대표주관수수료 : 정액 삼천만원(\30,000,000)인수수수료 : 모집총액의 2.0% 中 50%실권수수료 : 잔액인수금액의 20.0% |
잔액인수 |
공동 |
SK증권 |
보통주 |
4,830,000 |
9,012,780,000 |
인수수수료 : 모집총액의 2.0% 中 30%실권수수료 : 잔액인수금액의 20.0% |
잔액인수 |
공동 |
한양증권 |
보통주 |
3,220,000 |
6,008,520,000 |
인수수수료 : 모집총액의 2.0% 中 20%실권수수료 : 잔액인수금액의 20.0% |
잔액인수 |
청약기일 |
납입기일 |
청약공고일 |
배정공고일 |
배정기준일 |
2025년 11월 03일 ~ 2025년 11월 04일 |
2025년 11월 11일 |
2025년 11월 05일 |
2025년 11월 10일 |
2025년 09월 18일 |
청약이 금지되는 공매도 거래 기간 |
시작일 |
종료일 |
2025년 08월 19일 |
2025년 10월 29일 |
자금의 사용목적 |
구 분 |
금 액 |
운영자금 |
30,042,600,000 |
발행제비용 |
730,000,000 |
신주인수권에 관한 사항 |
행사대상증권 |
행사가격 |
행사기간 |
- |
- |
- |
매출인에 관한 사항 |
보유자 |
회사와의관계 |
매출전보유증권수 |
매출증권수 |
매출후보유증권수 |
- |
- |
- |
- |
- |
일반청약자 환매청구권 |
부여사유 |
행사가능 투자자 |
부여수량 |
행사기간 |
행사가격 |
- |
- |
- |
- |
- |
【주요사항보고서】 |
주요사항보고서(유상증자결정)-2025.08.18 |
【기 타】 |
1) 금번 주주배정후 실권주 일반공모 유상증자의 대표주관회사는 키움증권(주)이며, 그 외 인수회사는 SK증권(주), 한양증권(주)입니다.
2) 금번 유상증자는 잔액인수방식에 의한 것으로 대표주관회사 및 인수회사는 주주배정 후 실권주 일반공모 후 최종실권주를 잔액인수하게 되며, 인수방법 및 인수대가에 대한 자세한 내용은 '제1부 I. 5 인수등에 관한 사항'을 참고하여 주시기 바랍니다3) 상기 모집가액, 모집총액 및 발행제비용은 예정모집가액 기준으로 산정된 것으로 향후 변경될 수 있습니다. 확정모집가액은 구주주 청약초일 전 제3거래일에 결정될 예정입니다.4) 상기 청약기일은 구주주 청약 예상 일정이며, 일반공모 청약 예정일은 2025년 11월 06일과 2025년 11월 07일(2영업일간)입니다.5)「자본시장과 금융투자업에 관한 법률」제180조의4 및 동법 시행령 제208조의4제1항에 의거, 2025년 08월 19일부터 2025년 10월 29일까지 당사의 주식을 공매도 하거나 공매도 주문을 위탁한 자는 금번 모집에 청약할 수 없으며, 이를 위반하여 주식을 취득할 경우 동법 제429조의3제2항에 따라 과징금이 부과될 수 있습니다. 다만, 모집가액의 공정한 가격형성을 저해하지 않는 경우로서 동법 시행령 제208조의4제2항 및 「금융투자업규정」 제6-34조에 해당할 경우에는 예외적으로 주식 취득이 허용됩니다.6)「증권 인수업무 등에 관한 규정」 제9조제2항에 의거 고위험고수익투자신탁등, 벤처기업투자신탁 및 일반청약자에 대하여 배정하여야 할 주식이 50,000주(액면가 500원 기준) 이하 이거나, 배정할 주식의 공모금액이 1억원 이하인 경우에는 청약자에게 배정하지 아니하고 대표주관회사가 자기계산으로 인수하거나, 또는 대표주관회사와 인수회사가 각 인수의무비율에 따라 인수할 수 있습니다.7) 금융감독원에서 본 증권신고서를 심사하는 과정에서 정정요구 조치를 취할 수 있으며, 정정요구 등에 따라 본 신고서에 기재된 일정이 변경될 수 있습니다.8) 증권신고서의 효력의 발생은 본 증권신고서의 기재사항이 진실 또는 정확하다는 것을 인정하거나, 정부가 이 증권의 가치를 보증 또는 승인한 것이 아니므로 본 증권에 대한 투자는 전적으로 주주 및 투자자에게 귀속됩니다.
|
(주1) 정정 후
2. 모집 또는 매출에 관한 일반사항
증권의종류 |
증권수량 |
액면가액 |
모집(매출)가액 |
모집(매출)총액 |
모집(매출)방법 |
보통주 |
16,100,000 |
500 |
1,549 |
24,938,900,000 |
주주배정후 실권주 일반공모 |
인수(주선) 여부 |
지분증권 등 상장을 위한 공모여부 |
인수 |
아니오 |
해당없음 |
해당없음 |
인수(주선)인 |
증권의종류 |
인수수량 |
인수금액 |
인수대가 |
인수방법 |
대표 |
키움증권 |
보통주 |
8,050,000 |
12,469,450,000 |
대표주관수수료 : 정액 삼천만원(\30,000,000)인수수수료 : 모집총액의 2.0% 中 50%실권수수료 : 잔액인수금액의 20.0% |
잔액인수 |
공동 |
SK증권 |
보통주 |
4,830,000 |
7,481,670,000 |
인수수수료 : 모집총액의 2.0% 中 30%실권수수료 : 잔액인수금액의 20.0% |
잔액인수 |
공동 |
한양증권 |
보통주 |
3,220,000 |
4,987,780,000 |
인수수수료 : 모집총액의 2.0% 中 20%실권수수료 : 잔액인수금액의 20.0% |
잔액인수 |
청약기일 |
납입기일 |
청약공고일 |
배정공고일 |
배정기준일 |
2025년 11월 03일 ~ 2025년 11월 04일 |
2025년 11월 11일 |
2025년 11월 05일 |
2025년 11월 10일 |
2025년 09월 18일 |
청약이 금지되는 공매도 거래 기간 |
시작일 |
종료일 |
2025년 08월 19일 |
2025년 10월 29일 |
자금의 사용목적 |
구 분 |
금 액 |
운영자금 |
24,938,900,000 |
발행제비용 |
625,000,000 |
신주인수권에 관한 사항 |
행사대상증권 |
행사가격 |
행사기간 |
- |
- |
- |
매출인에 관한 사항 |
보유자 |
회사와의관계 |
매출전보유증권수 |
매출증권수 |
매출후보유증권수 |
- |
- |
- |
- |
- |
일반청약자 환매청구권 |
부여사유 |
행사가능 투자자 |
부여수량 |
행사기간 |
행사가격 |
- |
- |
- |
- |
- |
【주요사항보고서】 |
주요사항보고서(유상증자결정)-2025.09.16 |
【기 타】 |
1) 금번 주주배정후 실권주 일반공모 유상증자의 대표주관회사는 키움증권(주)이며, 그 외 인수회사는 SK증권(주), 한양증권(주)입니다.
2) 금번 유상증자는 잔액인수방식에 의한 것으로 대표주관회사 및 인수회사는 주주배정 후 실권주 일반공모 후 최종실권주를 잔액인수하게 되며, 인수방법 및 인수대가에 대한 자세한 내용은 '제1부 I. 5 인수등에 관한 사항'을 참고하여 주시기 바랍니다3) 상기 모집가액, 모집총액 및 발행제비용은 예정모집가액 기준으로 산정된 것으로 향후 변경될 수 있습니다. 확정모집가액은 구주주 청약초일 전 제3거래일에 결정될 예정입니다.4) 상기 청약기일은 구주주 청약 예상 일정이며, 일반공모 청약 예정일은 2025년 11월 06일과 2025년 11월 07일(2영업일간)입니다.5)「자본시장과 금융투자업에 관한 법률」제180조의4 및 동법 시행령 제208조의4제1항에 의거, 2025년 08월 19일부터 2025년 10월 29일까지 당사의 주식을 공매도 하거나 공매도 주문을 위탁한 자는 금번 모집에 청약할 수 없으며, 이를 위반하여 주식을 취득할 경우 동법 제429조의3제2항에 따라 과징금이 부과될 수 있습니다. 다만, 모집가액의 공정한 가격형성을 저해하지 않는 경우로서 동법 시행령 제208조의4제2항 및 「금융투자업규정」 제6-34조에 해당할 경우에는 예외적으로 주식 취득이 허용됩니다.6)「증권 인수업무 등에 관한 규정」 제9조제2항에 의거 고위험고수익투자신탁등, 벤처기업투자신탁 및 일반청약자에 대하여 배정하여야 할 주식이 50,000주(액면가 500원 기준) 이하 이거나, 배정할 주식의 공모금액이 1억원 이하인 경우에는 청약자에게 배정하지 아니하고 대표주관회사가 자기계산으로 인수하거나, 또는 대표주관회사와 인수회사가 각 인수의무비율에 따라 인수할 수 있습니다.7) 금융감독원에서 본 증권신고서를 심사하는 과정에서 정정요구 조치를 취할 수 있으며, 정정요구 등에 따라 본 신고서에 기재된 일정이 변경될 수 있습니다.8) 증권신고서의 효력의 발생은 본 증권신고서의 기재사항이 진실 또는 정확하다는 것을 인정하거나, 정부가 이 증권의 가치를 보증 또는 승인한 것이 아니므로 본 증권에 대한 투자는 전적으로 주주 및 투자자에게 귀속됩니다.
|
(주2) 정정 전
당사는 이사회 결의를 통하여 「자본시장과 금융투자업에 관한 법률」제165조의6 제2항 제1호에 의거 키움증권(주), SK증권(주) 및 한양증권(주)와 주주배정후 실권주를 인수하는 계약을 체결하고 사전에 그 실권주를 일반에 공모하기로 하여 기명식 보통주 16,100,000주를 주주배정후 실권주 일반공모 방식으로 발행하기로 결정하였으며, 동 증권의 개요는 다음과 같습니다.
증권의 종류 |
증권수량 |
액면가액 |
모집(매출)가액 |
모집(매출)총액 |
모집(매출) 방법 |
기명식보통주 |
16,100,000 |
500 |
1,866 |
30,042,600,000 |
주주배정후 실권주 일반공모 |
주1) |
최초 이사회 결의일 : 2025년 08월 18일 |
주2) |
1주의 모집가액 및 모집총액은 예정발행가액 기준으로 한 예정금액이며, 확정되지 않은 금액입니다. |
발행가액은 「증권의 발행 및 공시 등에 관한 규정」 제5-18조 (유상증자의 발행가액 결정)에 의거, 주주배정 증자시 할인율 등이 자율화 되어 발행가격을 자유롭게 산정할 수 있으나, 시장혼란 우려 및 기존 관행 등으로 (구)「유가증권의 발행 및 공시 등에 관한 규정」 제57조를 일부 준용하여 산정할 예정입니다.■ 예정발행가액의 산출근거이사회결의일 전 영업일(2025년 08월 14일)을 기산일로 하여 코스닥시장에서 성립된 거래대금을 거래량으로 가중산술평균한 1개월 가중산술평균주가와, 1주일 가중산술평균주가 및 기산일 종가를 산술평균하여 산정한 가액과 기산일 종가 중 낮은 금액을 기준주가로 하여 할인율 25%를 적용하고 증자비율을 고려하여, 아래의 산식에 의하여 산정된 발행가액(1차 발행가액)으로 합니다. 단, 호가 단위 미만은 호가 단위로 절상하며, 그 가액이 액면가액 미만일 경우에는 액면가액을 발행가액으로 합니다.
▶ 예정발행가액 |
= |
기준주가 ×【 1 - 할인율(25%)】 |
---------------------------------------------- |
1 + 【증자비율 × 할인율(25%)】 |
상기 방법에 따라 산정된 예정발행가액은 참고용이며, 최종발행가액은 구주주 청약일 3거래일 전에 결정될 예정입니다.
일자 |
가중산술평균주가 |
거래량 |
거래대금 |
2025/07/15 |
3,020 |
249,042 |
744,895,143 |
2025/07/16 |
3,015 |
347,041 |
1,033,227,748 |
2025/07/17 |
3,115 |
1,015,565 |
3,140,175,573 |
2025/07/18 |
3,020 |
460,854 |
1,401,711,846 |
2025/07/21 |
3,000 |
912,491 |
2,789,237,677 |
2025/07/22 |
2,950 |
504,662 |
1,495,192,525 |
2025/07/23 |
2,885 |
421,971 |
1,217,762,016 |
2025/07/24 |
2,830 |
324,439 |
928,813,888 |
2025/07/25 |
2,840 |
146,531 |
416,772,189 |
2025/07/28 |
2,755 |
509,153 |
1,403,327,627 |
2025/07/29 |
2,785 |
206,362 |
570,796,947 |
2025/07/30 |
2,675 |
560,905 |
1,525,245,196 |
2025/07/31 |
2,640 |
555,163 |
1,469,573,963 |
2025/08/01 |
2,540 |
485,843 |
1,246,435,869 |
2025/08/04 |
2,575 |
160,316 |
411,199,597 |
2025/08/05 |
2,570 |
206,955 |
533,751,279 |
2025/08/06 |
2,590 |
149,764 |
385,185,144 |
2025/08/07 |
2,660 |
1,350,928 |
3,659,428,267 |
2025/08/08 |
2,640 |
291,414 |
772,742,809 |
2025/08/11 |
2,585 |
234,561 |
610,304,721 |
2025/08/12 |
2,870 |
11,145,395 |
33,781,326,303 |
2025/08/13 |
2,870 |
2,005,216 |
5,825,000,465 |
2025/08/14 |
2,820 |
670,026 |
1,913,250,569 |
1개월 가중산술평균주가 (A) |
2,936 |
22,914,597 |
67,275,357,361 |
1주일 가중산술평균주가 (B) |
2,990 |
14,346,612 |
42,902,624,867 |
기산일 종가 (C) |
2,820 |
- |
A,B,C의 산술평균 (D) |
2,915 |
(A+B+C)/3 |
기준주가 (E) |
2,820 |
(C와 D중 낮은가액) |
할인율 (F) |
25% |
- |
증자비율 (G) |
53.41% |
- |
예정 발행가액 |
1,866 |
기준주가 × (1-할인율)/ 1 + (유상증자비율 × 할인율 )(단, 호가 단위 미만은 호가 단위로 절상하기로 하며, 그 가액이 액면가액 미만인 경우 액면가액으로 합니다.) |
(후략)
(주2) 정정 후
당사는 이사회 결의를 통하여 「자본시장과 금융투자업에 관한 법률」제165조의6 제2항 제1호에 의거 키움증권(주), SK증권(주) 및 한양증권(주)와 주주배정후 실권주를 인수하는 계약을 체결하고 사전에 그 실권주를 일반에 공모하기로 하여 기명식 보통주 16,100,000주를 주주배정후 실권주 일반공모 방식으로 발행하기로 결정하였으며, 동 증권의 개요는 다음과 같습니다.
증권의 종류 |
증권수량 |
액면가액 |
모집(매출)가액 |
모집(매출)총액 |
모집(매출) 방법 |
기명식보통주 |
16,100,000 |
500 |
1,549 |
24,938,900,000 |
주주배정후 실권주 일반공모 |
주1) |
최초 이사회 결의일 : 2025년 08월 18일 |
주2) |
1주의 모집가액 및 모집총액은
1차 발행가액 기준으로 한 예정금액이며, 확정되지 않은 금액입니다.
|
발행가액은 「증권의 발행 및 공시 등에 관한 규정」 제5-18조 (유상증자의 발행가액 결정)에 의거, 주주배정 증자시 할인율 등이 자율화 되어 발행가격을 자유롭게 산정할 수 있으나, 시장혼란 우려 및 기존 관행 등으로 (구)「유가증권의 발행 및 공시 등에 관한 규정」 제57조를 일부 준용하여 산정할 예정입니다.■
1차 발행가액의 산출근거
신주배정기준일 전 제3거래일(2025년 09월 15일)을 기산일로 하여 코스닥시장에서 성립된 거래대금을 거래량으로 가중산술평균한 1개월 가중산술평균주가와, 1주일 가중산술평균주가 및 기산일 종가를 산술평균하여 산정한 가액과 기산일 종가 중 낮은 금액을 기준주가로 하여 할인율 25%를 적용하고 증자비율을 고려하여, 아래의 산식에 의하여 산정된 발행가액(1차 발행가액)으로 합니다. 단, 호가 단위 미만은 호가 단위로 절상하며, 그 가액이 액면가액 미만일 경우에는 액면가액을 발행가액으로 합니다.
▶ 예정발행가액 |
= |
기준주가 ×【 1 - 할인율(25%)】 |
---------------------------------------------- |
1 + 【증자비율 × 할인율(25%)】 |
상기 방법에 따라 산정된 예정발행가액은 참고용이며, 최종발행가액은 구주주 청약일 3거래일 전에 결정될 예정입니다.
[
1차 발행가액 산정표]
|
(단위 : 원, 주) |
일자 |
종가 |
거래량 |
거래대금 |
2025/08/18 |
2,755 |
514,000 |
1,417,418,698 |
2025/08/19 |
2,020 |
3,651,571 |
7,659,885,429 |
2025/08/20 |
2,000 |
840,211 |
1,697,699,619 |
2025/08/21 |
2,005 |
367,135 |
742,701,330 |
2025/08/22 |
2,145 |
2,609,230 |
5,717,327,140 |
2025/08/25 |
2,370 |
2,332,452 |
5,457,619,108 |
2025/08/26 |
2,245 |
1,267,140 |
2,948,560,367 |
2025/08/27 |
2,435 |
9,548,692 |
24,068,331,404 |
2025/08/28 |
2,345 |
1,005,349 |
2,380,517,991 |
2025/08/29 |
2,275 |
553,916 |
1,273,408,875 |
2025/09/01 |
2,190 |
604,762 |
1,335,200,554 |
2025/09/02 |
2,180 |
390,389 |
853,927,547 |
2025/09/03 |
2,225 |
351,190 |
778,515,984 |
2025/09/04 |
2,275 |
343,403 |
778,132,366 |
2025/09/05 |
2,220 |
363,524 |
813,405,925 |
2025/09/08 |
2,255 |
201,233 |
449,528,206 |
2025/09/09 |
2,275 |
349,521 |
780,193,643 |
2025/09/10 |
2,285 |
2,090,756 |
4,985,081,714 |
2025/09/11 |
2,380 |
5,083,334 |
12,556,702,903 |
2025/09/12 |
2,360 |
494,504 |
1,167,881,308 |
2025/09/15 |
2,340 |
778,400 |
1,844,150,100 |
1개월 가중산술평균주가 (A) |
2,362.32 |
33,740,712 |
79,706,190,211 |
1주일 가중산술평균주가 (B) |
2,425.28 |
8,796,515 |
21,334,009,668 |
기산일 종가 (C) |
2,340.00 |
- |
A,B,C의 산술평균 (D) |
2,375.86 |
(A+B+C)/3 |
기준주가 (E) |
2,340.00 |
(C와 D중 낮은가액) |
할인율 (F) |
25% |
- |
증자비율 (G) |
53.41% |
- |
예정 발행가액 |
1,549 |
기준주가 × (1-할인율)/ 1 + (유상증자비율 × 할인율 )(단, 호가 단위 미만은 호가 단위로 절상하기로 하며, 그 가액이 액면가액 미만인 경우 액면가액으로 합니다.) |
(후략)
(주3) 정정 전
가. 모집 또는 매출조건
항 목 |
내 용 |
모집 또는 매출주식의 수 |
16,100,000 |
주당모집가액 |
예정가액 |
1,866 |
확정가액 |
- |
모집총액 |
예정가액 |
30,042,600,000 |
확정가액 |
- |
청 약 단 위 |
1) "구주주"의 청약단위는 1주로 하며, 개인별 청약한도는 신주배정기준일 현재 주주명부에 기재된 소유주식수에 신주배정비율("주주 배정분"에 해당하는 주식수를 자기주식을 제외한 발행주식 총수로 나눈 비율을 말하며, 자기주식과 발행주식총수는 신주배정기준일 현재의 주식수를 말한다)을 곱하여 산정된 배정주식수(1주 미만은 절사)와 초과청약 가능 주식수(보유하고 있는 신주인수권증서 1주당 0.2주를 곱하여 산정된 수, 단 1주 미만은 절사)로 합니다. 다만, 신주배정기준일 현재 신주배정비율은 자기주식의 변동, 주식관련사채의 행사, 주식매수선택권의 행사 등으로 인하여 변경될 수 있습니다.(단, 1주 미만은 절사한다).2) 일반공모의 최소 청약 주식수는 100주, 최소 청약단위를 50주로 하여, 아래와 같이 정합니다. 일반청약자의 청약한도는 "일반공모 배정분"의 100% 범위 내로 하며, 청약한도를 초과하는 부분에 대해서는 청약이 없는 것으로 봅니다.
구분 |
청약단위 |
100주 이상 |
500주 이하 |
50주 단위 |
500주 초과 |
1,000주 이하 |
100주 단위 |
1,000주 초과 |
5,000주 이하 |
500주 단위 |
5,000주 초과 |
10,000주 이하 |
1,000주 단위 |
10,000주 초과 |
50,000주 이하 |
5,000주 단위 |
50,000주 초과 |
100,000주 이하 |
10,000주 단위 |
100,000주 초과 |
500,000주 이하 |
50,000주 단위 |
500,000주 초과 |
1,000,000주 이하 |
100,000주 단위 |
1,000,000주 초과시 |
500,000주 단위 |
|
청약기일 |
구주주및 초과청약 |
개시일 |
2025년 11월 03일 |
종료일 |
2025년 11월 04일 |
실권주일반공모 |
개시일 |
2025년 11월 06일 |
종료일 |
2025년 11월 07일 |
청약 증거금 |
구주주 |
청약금액의 100% |
초과청약 |
청약금액의 100% |
일반모집 또는 매출 |
청약금액의 100% |
납입기일 |
2025년 11월 11일 |
배당기산일(결산일) |
2025년 01월 01일 |
주1) |
본 증권신고서는 금융감독원에서 심사하는 과정에서 정정요구 등 조치를 취할 수 있으며, 정정 요구 등에 따라 동 신고서에 기재된 일정이 변경될 수 있습니다. 본 증권신고서의 효력 발생은 증권신고서의 기재사항이 진실 또는 정확하다는 것을 인정하거나, 정부가 이 유가증권의 가치를 보증 또는 승인한 것이 아니므로 본 유가증권에 대한 투자는 전적으로 주주 및 투자자에게 귀속됩니다. |
주2) |
상기 일정은 유관기관과의 협의 과정에 의하여 변경될 수 있습니다. |
(후략)
(주3) 정정 후
가. 모집 또는 매출조건
항 목 |
내 용 |
모집 또는 매출주식의 수 |
16,100,000 |
주당모집가액 |
예정가액 |
1,549 |
확정가액 |
- |
모집총액 |
예정가액 |
24,938,900,000 |
확정가액 |
- |
청 약 단 위 |
1) "구주주"의 청약단위는 1주로 하며, 개인별 청약한도는 신주배정기준일 현재 주주명부에 기재된 소유주식수에 신주배정비율("주주 배정분"에 해당하는 주식수를 자기주식을 제외한 발행주식 총수로 나눈 비율을 말하며, 자기주식과 발행주식총수는 신주배정기준일 현재의 주식수를 말한다)을 곱하여 산정된 배정주식수(1주 미만은 절사)와 초과청약 가능 주식수(보유하고 있는 신주인수권증서 1주당 0.2주를 곱하여 산정된 수, 단 1주 미만은 절사)로 합니다. 다만, 신주배정기준일 현재 신주배정비율은 자기주식의 변동, 주식관련사채의 행사, 주식매수선택권의 행사 등으로 인하여 변경될 수 있습니다.(단, 1주 미만은 절사한다).2) 일반공모의 최소 청약 주식수는 100주, 최소 청약단위를 50주로 하여, 아래와 같이 정합니다. 일반청약자의 청약한도는 "일반공모 배정분"의 100% 범위 내로 하며, 청약한도를 초과하는 부분에 대해서는 청약이 없는 것으로 봅니다.
구분 |
청약단위 |
100주 이상 |
500주 이하 |
50주 단위 |
500주 초과 |
1,000주 이하 |
100주 단위 |
1,000주 초과 |
5,000주 이하 |
500주 단위 |
5,000주 초과 |
10,000주 이하 |
1,000주 단위 |
10,000주 초과 |
50,000주 이하 |
5,000주 단위 |
50,000주 초과 |
100,000주 이하 |
10,000주 단위 |
100,000주 초과 |
500,000주 이하 |
50,000주 단위 |
500,000주 초과 |
1,000,000주 이하 |
100,000주 단위 |
1,000,000주 초과시 |
500,000주 단위 |
|
청약기일 |
구주주및 초과청약 |
개시일 |
2025년 11월 03일 |
종료일 |
2025년 11월 04일 |
실권주일반공모 |
개시일 |
2025년 11월 06일 |
종료일 |
2025년 11월 07일 |
청약 증거금 |
구주주 |
청약금액의 100% |
초과청약 |
청약금액의 100% |
일반모집 또는 매출 |
청약금액의 100% |
납입기일 |
2025년 11월 11일 |
배당기산일(결산일) |
2025년 01월 01일 |
주1) |
본 증권신고서는 금융감독원에서 심사하는 과정에서 정정요구 등 조치를 취할 수 있으며, 정정 요구 등에 따라 동 신고서에 기재된 일정이 변경될 수 있습니다. 본 증권신고서의 효력 발생은 증권신고서의 기재사항이 진실 또는 정확하다는 것을 인정하거나, 정부가 이 유가증권의 가치를 보증 또는 승인한 것이 아니므로 본 유가증권에 대한 투자는 전적으로 주주 및 투자자에게 귀속됩니다. |
주2) |
상기 일정은 유관기관과의 협의 과정에 의하여 변경될 수 있습니다. |
(후략)
(주4) 정정 전(전략)
구분 |
관리종목 |
상장적격성 실질심사 |
형식적 상장폐지 |
매출액(별도) |
요 건 |
- 최근 사업연도 30억원 미만(지주회사는 연결 기준). 2026년까지 적용- 상장폐지 요건 제도 개선으로 매출액 기준이 2027년 50억원, 2028년 75억원, 2029년 이후 100억원으로 개정예정.- 기술성장기업(우량기업부 기업 제외) 및 이익미실현기업은 상장일 속한 사업연도 포함 5개 사업연도에 미적용 |
- 관리종목으로 지정된 다음 해에도 매출액 30억원 미달 사유 발생. 2026년까지 적용- 상장폐지 요건 제도 개선으로 매출액 기준이 2027년 50억원, 2028년 75억원, 2029년 이후 100억원으로 개정예정. |
- |
검토결과 |
2023년 매출액 : 215백만원 (→ 매출액 미달에 해당되나, 적용 유예)2024년 매출액 : 18백만원 (→ 매출액 미달에 해당되나, 적용 유예)당사는 기술성장기업이고 신규상장일(2022.10.19)이 속하는 사업연도의 말일까지의 기간이 3개월 미만임. 따라서, 2022년은 제외한 2023년부터 5개년도(2027년까지)까지 매출액 미달에 대한 관리종목 지정이 유예되어 적용되지 아니함.
2025년 매출액 : 191백만원 (→ 매출액 미달에 해당되나, 적용 유예)2026년 매출액 : 3,054백만원 (→ 매출액 미달에 해당되나, 적용 유예)
|
해당여부 |
해당되나 적용유예기간 |
해당되나 적용유예기간 |
- |
법인세비용차감전계속사업손실 |
요 건 |
-자기자본 50% 초과(&10억원 이상)의 법인세비용차감전계속사업손실이 최근 3년간 2회 이상(& 최근 사업연도 법인세비용차감전계속사업손실 발생)- 기술성장기업(우량기업부 기업 제외) 상장일 속한 사업연도 포함 3개 사업연도 미적용, 이익미실현 기업 상장일 속한 사업연도 포함 5개 사업연도 미적용 |
관리종목으로 지정된 다음 해에도 자기자본 50% 초과 & 10억원 이상의 법인세비용차감전계속사업손실 발생 |
- |
검토결과 |
2023년 법인세비용차감전계속사업손실: 12,388백만원(손실률 65.21% → 자기자본 50%를 초과하는 법차손이 발생하여 해당되나, 적용유예)2024년 법인세비용차감전계속사업손실: 14,903백만원(손실률 93.14% → 자기자본 50%를 초과하는 법차손이 발생하여 해당되나, 적용유예)당사는 기술성장기업이고 신규상장일(2022.10.19)이 속하는 사업연도의 말일까지의 기간이 3개월 미만임. 따라서, 2022년은 제외한 2023년부터 3개년도(2025년까지)까지 법인세비용차감전계속사업손실에 대한 관리종목 지정이 유예되어 적용되지 아니함.
2025년 법인세비용차감전계속사업손실: 14,566백만원(손실률 46.28% → 자기자본 50%를 초과하는 법차손이 발생하지 아니함)2026년 법인세비용차감전계속사업손실: 9,707백만원(손실률 44.59% → 자기자본 50%를 초과하는 법차손이 발생하지 아니함)
|
- |
해당여부 |
해당되나 적용유예기간 |
해당되나 적용유예기간 |
- |
자본잠식(연결) |
요 건 |
최근 사업연도 말 자본잠식률 50% 이상 |
관리종목으로 지정된 다음 해에도 자본잠식률 50% 이상 발생 |
최근 사업연도 전액 자본잠식 |
검토결과 |
2024년말 자본금: 15,072백만원2024년말 자기자본(비지배지분 제외): 16,000백만원
2025년말 자본금: 23,122백만원2025년말 자기자본(비지배지분 제외): 31,477백만원2026년말 자본금: 23,122백만원2026년말 자기자본(비지배지분 제외): 21,770백만원
|
- |
해당여부 |
없음 |
없음 |
- |
자기자본 미달(연결,비지배지분 제외) |
요 건 |
최근 사업연도 말 자기자본 10억원 미만 |
관리종목으로 지정된 다음 해에도 자기자본 10억원 미만 발생 |
- |
검토결과 |
2024년말 자기자본(비지배지분 제외): 16,000백만원
2025년말 자기자본 추정치(비지배지분 제외): 31,477백만원2026년말 자기자본 추정치(비지배지분 제외): 21,770백만원
|
- |
해당여부 |
없음. |
없음. |
- |
감사의견 |
요 건 |
- |
- |
최근 사업연도 감사의견 비적정(부적정ㆍ의견거절ㆍ범위제한 한정) |
검토결과 |
- |
- |
2024년 감사의견 : 적정 |
해당여부 |
- |
- |
없음. |
시가총액 |
요 건 |
- 시가총액이 40억원 미만인 상태가 연속하여 30일 지속. 2025년까지 적용- 상장폐지 요건 제도 개선으로 시가총액 기준이 2026년 150억원, 2027년 200억원, 2028년 이후 300억원으로 개정예정. |
- |
관리종목 지정 후 90일 간 "연속 10일 & 누적 30일 이상 시가총액 40억원 이상"의 조건을 미충족 |
정기보고서 미제출 |
요 건 |
분기, 반기, 사업보고서를 법정제출기한 내 미제출. |
- |
2년간 3회 이상 분기, 반기, 사업보고서를 법정제출기한 내 미제출 |
사업보고서 법정제출기한 후 10일 내 미제출 |
분기, 반기, 사업보고서 미제출로 관리종목 지정된 상태에서 분기, 반기, 사업보고서를 미제출 |
거래량 |
요 건 |
분기 월평균 거래량이 유동주식 수의 1%에 미달 |
- |
2분기 연속 |
월간 거래량 1만주, 소액주주 300인 이상이 20% 이상 지분 보유 등은 적용 배제 |
지분분산 |
요 건 |
최근 사업연도 말 기준 소액주주 200인 미만 또는 소액주주의 지분이 20% 미만 |
- |
2년 연속 |
300인 이상의 소액주주가 유동주식수의 10%이상으로서 100만주 이상 소유하는 경우 제외 |
불성실공시 |
요 건 |
- |
1년 간 불성실공시 벌점 15점 이상 |
- |
지배구조 |
요 건 |
사외이사/감사위원회 요건 미충족 |
- |
2년 연속 |
회생절차/파산신청 |
요 건 |
회생절차 개시 신청 또는 파산신청 |
개시신청 기각, 결정 취소, 회생계획 불인가 등 |
- |
재무관리위반 |
요 건 |
변경/추가 상장이 유예된 기간 중에 증권의 발행 및 공시 등에 관한 규정에 따른 재무관리 기준을 위반한 경우 |
|
- |
기타 상장폐지 사유 |
요 건 |
모든 상장폐지 사유(형식 상장폐지 및 상장적격성 실질심사 대상 결정)가 발생한 경우 관리종목 지정 |
- |
최종 부도 또는 은행거래정지 |
해산사유(피흡수합병, 파산선고) |
정관 등에 주식양도 제한을 두는 경우 |
유가증권시장 상장의 경우 |
우회상장시 우회상장 관련 규정 위반 시(심사 종료 전 기업결합 완료 및 의무보유 위반 등) |
한편, 당사의 2025년 추정 손익, 자본총계 및 자본잠식률은 다음과 같습니다.
하단의 내용은 본 공시서류 제출 전일 기준 당사의 추정손익을 참고 목적으로 기재한 것으로써, 이는 미래에 대한 당사의 주관적 판단이 개입되었을 수 있고, 향후 실제 이행 결과와는 상이할 수 있습니다. 당사의 추정 손익과 관련된 상세내역은 'III. 투자위험요소 - 2. 회사위험 바. 현금흐름 관련 유동성 위험'을 참고해 주시기 바랍니다.투자자 여러분들께서는 하단의 계획은 당사의 전망과 예상, 주관적 판단 등에 따른 것임을 유의하여 주시기 바랍니다. |
[샤페론 2025년 및 2026년 추정 손익, 자본총계 및 자본잠식률] |
(단위 : 백만원) |
계정 |
2026년 |
2025년 |
영업수익(매출액) |
3,054 |
191 |
영업비용 |
13,231 |
14,934 |
영업이익 |
(10,178) |
(14,744) |
법인세차감전순이익 |
(9,707) |
(14,566) |
당기순이익 |
(9,707) |
(14,566) |
자본금 (A) |
23,122 |
23,122 |
자본총계 (B) |
21,770 |
31,477 |
자본잠식률 ((A-B)/A) |
5.85% |
-36.14% |
(중략)
한편, 향후 당사의 추정 손실률은 2025년 46.28%, 2026년 44.59%입니다. 이에 따르면 법인세비용차감전계속사업손실은 2025년과 2026년에 자기자본의 50%를 하회할 것으로 전망됩니다.
[법인세비용차감전계속사업손실 여부 검토] |
(단위: 백만원) |
항목 |
2026년(E) |
2025년(E) |
2024년 |
자기자본 (A) |
21,770 |
31,476 |
16,000 |
법인세비용차감전계속사업이익(손실) (B) |
(9,707) |
(14,566) |
(14,903) |
손실률 (B / A) |
44.59% |
46.28% |
93.14% |
자료: 당사 제공 |
주1) 금번 유상증자를 통해 30,042백만원이 2025년 4분기에 자본 확충됨을 가정함. |
한편, 법인세비용차감전계속사업손실 요건의 경우 당사는 2022년 10월 19일 코스닥시장에 기술특례기업으로 상장되었고, 상장일부터 상장일이 속한 사업연도(2022년)의 말일까지의 기간이 3개월 미만이기 때문에 2023년부터 3개 사업연도 (2025년도까지)까지 해당 지정 사유가 유예되며 2026년부터 적용이 됩니다.당사는 2025년 반기 기준 자기자본 8,927만원에 손실률은 77.7%를 기록하고 있어 여전히 법인세비용차감전계속사업손실이 자기자본의 50%를 상회하고 있는 상황입니다. 당사는 2025년의 경우 법인세비용차감전계속사업손실 요건 적용유예 년도에 해당됩니다. 금번 유상증자 이후 자기자본이 확충될 예정입니다.
당사 추정손익에 따르면, 금번 유상증자 이후 2025년과 2026년은 법인세비용차감전계속사업손실이 자기자본의 50%를 하회할 것으로 추정됩니다. (중략)
증권신고서 제출 전일 기준, 현재 코스닥시장 상장규정에 따르면 매출액 미달과 법인세비용차감전계속사업손실 발생으로 인한 관리종목 지정은 기술특례기업의 경우 상장 후 각각 5년과 3년의 유예기간이 존재합니다. 그러나 자본잠식으로 인한 관리종목 지정은 기술특례기업에도 유예기간이 없습니다. 당사는 2025년 반기 기준 자본잠식률이 40.77%로 부분 자본잠식 상태에 진입하여, 자본금이 자본총계보다 큰 상황입니다. 이에 당사는 금번 유상증자를 통해 2025년 4분기에 30,042백만원을 조달하여 자본총계를 확충할 계획입니다.
한편, 당사는 2025년 상반기에 영업비용 7,017백만원과 반기순손실 6,935백만원을 기록했습니다. 이러한 상황에서 2025년 하반기 영업비용은 증권신고서 제출 전일 기준 수립한 자금수지계획에 따라 집행될 가능성이 다소 높습니다. 이는 2025년 3분기가 증권신고서 제출 전일 기준으로 일정수준 경과하였고, 2025년 4분기는 증권신고서 제출 전일에서 멀지 않은 시기이기 때문입니다. 또한, 당사는 2025년에 NuCerin 국내 임상 1상 진행에 따른 선수수익의 영업수익 인식 및 질병청 용역대금의 수령을 예상하나 기술이전으로 인한 기술선급금 수취 및 신규사업 매출액은 없을 것으로 추정했습니다.따라서, 당사는 2025년 당기순손실 14,566백만원을 기록할 것으로 추정합니다. 상기 기재한 사유로 인하여 당사는 2025년 추정 매출액과 영업비용의 변동성이 높지 않을 것으로 전망하고 이에 따른 2025년 당기순손실 추정치 역시 변동성이 높지 않을 것으로 전망합니다.
그러나, 2026년의 경우 당사가 예상하지 못하는 사업환경의 대내외적 변수들로 인해 당기순손실 추정치에 높은 수준의 불확실성이 존재합니다. 2026년 하반기에 신규사업 매출이 당사의 예측치를 큰 폭으로 하회할 수 있고, 주요 파이프라인 임상 진행 시 다양한 연구개발 변수들로 인해 임상비용이 당사의 자금수지계획보다 더 많이 투입될 가능성이 있기 때문입니다.이에 따라 당사는 2026년 추정 당기순손실 9,707백만원을 각 시나리오별로 계산하고, 이에 따른 2026년 자본잠식률을 산출했습니다. 상기 기재한 당사의 추정손익과 관련된 상세내용은 'III. 투자위험요소 - 2. 회사위험 바. 현금흐름 관련 유동성 위험'을 참고해 주시기 바랍니다.
① 긍정적 시나리오 : 2026년 추정 당기순손실의 50% 발생(2026년 당기순손실 4,854백만원)
긍정적 시나리오는 당사의 신규 사업이 예상과는 달리 성공적인 안착하여 2026년 하반기 매출액이 추정치를 상회하거나 영업비용이 당사의 계획보다 더 적게 실행되어 엄격하게 비용통제가 집행된 경우입니다. 이에 따라 당사가 상기 제시한 2026년 추정 당기순손실이 예상치의 50% 수준을 기록했을 때 2025년과 2026년 자본잠식률을 추정하였습니다.
[2025년 및 2026년 추정 당기순손실, 자본총계 및 자본잠식률] |
(단위 : 백만원) |
계정 |
2026년(E) |
2025년(E) |
2024년 |
당기순손실 |
4,854 |
14,566 |
14,903 |
자본금 (A) |
23,122 |
23,122 |
15,072 |
자본총계 (B) |
26,623 |
31,477 |
16,000 |
자본잠식률 ((A-B)/A) |
-15.15% |
-36.14% |
-6.16% |
자료 : 당사 제공 |
주1) 당기순손실은 전액 이익결손금으로 자본총계에 반영됨을 가정함. |
주2) 금번 유상증자를 통해 30,042백만원이 2025년 4분기에 자본 확충됨을 가정함. |
위 표에 따르면 당사의 추정 자본잠식률은 2025년 -36.14%, 2026년 -15.15% 입니다. 긍정적 시나리오에 따르면 당사는 금번 유상증자 이후 2026년까지 자본잠식으로 인한 관리종목 요건에 지정되지 아니할 전망입니다.
② 중립 시나리오 : 2026년 추정 당기순손실의 100% 발생(2026년 당기순손실 9,707백만원)
중립 시나리오는 당사의 신규 사업에 따른 2026년 하반기 매출액이 추정치만큼 실현되었고 당사의 자금수지 계획에 따라 비용이 집행된 경우입니다. 이에 따라 당사가 상기 제시한 2026년 추정 당기순손실이 예상치의 100% 수준을 기록했을 때 2025년과 2026년 자본잠식률을 추정하였습니다.
[2025년 및 2026년 추정 당기순손실, 자본총계 및 자본잠식률] |
(단위 : 백만원) |
계정 |
2026년(E) |
2025년(E) |
2024년 |
당기순손실 |
9,707 |
14,566 |
14,903 |
자본금 (A) |
23,122 |
23,122 |
15,072 |
자본총계 (B) |
21,770 |
31,477 |
16,000 |
자본잠식률 ((A-B)/A) |
5.85% |
-36.14% |
-6.16% |
자료 : 당사 제공 |
주1) 당기순손실은 전액 이익결손금으로 자본총계에 반영됨을 가정함. |
주2) 금번 유상증자를 통해 30,042백만원이 2025년 4분기에 자본 확충됨을 가정함. |
위 표에 따르면 당사의 추정 자본잠식률은 2025년 -36.14%, 2026년 5.85% 입니다. 중립 시나리오에 따르면 당사는 금번 유상증자 이후 2026년까지 자본잠식으로 인한 관리종목 요건에 지정되지 아니할 전망입니다.
③ 부정적 시나리오 - 1 : 2026년 추정 당기순손실의 150% 발생(2026년 당기순손실 14,561백만원)
부정적 시나리오 - 1는 당사의 신규 사업이 예상과는 달리 제품 인허가 지연, 제품 경쟁 심화 등으로 2026년 하반기 매출액이 추정치를 하회하거나 당사가 예상치 못한 대내외 사업변수로 인하여 더 많은 운영비용이 집행된 경우입니다. 이에 따라 당사가 상기 제시한 2026년 추정 당기순손실이 예상치의 150% 수준을 기록했을 때 2025년과 2026년 자본잠식률을 추정하였습니다.
[2025년 및 2026년 추정 당기순손실, 자본총계 및 자본잠식률] |
(단위 : 백만원) |
계정 |
2026년(E) |
2025년(E) |
2024년 |
당기순손실 |
14,561 |
14,566 |
14,903 |
자본금 (A) |
23,122 |
23,122 |
15,072 |
자본총계 (B) |
16,916 |
31,477 |
16,000 |
자본잠식률 ((A-B)/A) |
26.84% |
-36.14% |
-6.16% |
자료 : 당사 제공 |
주1) 당기순손실은 전액 이익결손금으로 자본총계에 반영됨을 가정함. |
주2) 금번 유상증자를 통해 30,042백만원이 2025년 4분기에 자본 확충됨을 가정함. |
위 표에 따르면 당사의 추정 자본잠식률은 2025년 -36.14%, 2026년 26.84% 입니다. 부정적 시나리오에 따르면 당사는 금번 유상증자 이후 2026년까지 자본잠식으로 인한 관리종목 요건에 지정되지 아니할 전망입니다.④ 부정적 시나리오 - 2 : 2026년 추정 자본잠식률 50%를 기록하는 당기순손실 발생(2026년 당기순손실 19,916백만원)당사가 2026년 당기순손실 19,916백만원을 기록하여 부정적 시나리오 - 1의 2026년 당기순손실을 현저히 상회할 경우, 당사의 2026년 자본잠식률은 50%가 되어 관리종목으로 지정됩니다. 투자자께서는 이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2025년 및 2026년 추정 당기순손실, 자본총계 및 자본잠식률] |
(단위 : 백만원) |
계정 |
2026년(E) |
2025년(E) |
2024년 |
당기순손실 |
19,916 |
14,566 |
14,903 |
자본금 (A) |
23,122 |
23,122 |
15,072 |
자본총계 (B) |
11,561 |
31,477 |
16,000 |
자본잠식률 ((A-B)/A) |
50.00% |
-36.14% |
-6.16% |
자료 : 당사 제공 |
주1) 당기순손실은 전액 이익결손금으로 자본총계에 반영됨을 가정함. |
주2) 금번 유상증자를 통해 30,042백만원이 2025년 4분기에 자본 확충됨을 가정함. |
(중략)금번 유상증자를 통해 당사는 2025년 4분기에 자본 30,042백만원을 최종적으로 확충할 계획입니다. (후략)
(주4) 정정 후(전략)
구분 |
관리종목 |
상장적격성 실질심사 |
형식적 상장폐지 |
매출액(별도) |
요 건 |
- 최근 사업연도 30억원 미만(지주회사는 연결 기준). 2026년까지 적용- 상장폐지 요건 제도 개선으로 매출액 기준이 2027년 50억원, 2028년 75억원, 2029년 이후 100억원으로 개정예정.- 기술성장기업(우량기업부 기업 제외) 및 이익미실현기업은 상장일 속한 사업연도 포함 5개 사업연도에 미적용 |
- 관리종목으로 지정된 다음 해에도 매출액 30억원 미달 사유 발생. 2026년까지 적용- 상장폐지 요건 제도 개선으로 매출액 기준이 2027년 50억원, 2028년 75억원, 2029년 이후 100억원으로 개정예정. |
- |
검토결과 |
2023년 매출액 : 215백만원 (→ 매출액 미달에 해당되나, 적용 유예)2024년 매출액 : 18백만원 (→ 매출액 미달에 해당되나, 적용 유예)당사는 기술성장기업이고 신규상장일(2022.10.19)이 속하는 사업연도의 말일까지의 기간이 3개월 미만임. 따라서, 2022년은 제외한 2023년부터 5개년도(2027년까지)까지 매출액 미달에 대한 관리종목 지정이 유예되어 적용되지 아니함.
2025년 매출액
추정치
: 191백만원 (→ 매출액 미달에 해당되나, 적용 유예)2026년 매출액
추정치
: 3,054백만원 (→ 매출액 미달에 해당되나, 적용 유예)
|
해당여부 |
해당되나 적용유예기간 |
해당되나 적용유예기간 |
- |
법인세비용차감전계속사업손실 |
요 건 |
-자기자본 50% 초과(&10억원 이상)의 법인세비용차감전계속사업손실이 최근 3년간 2회 이상(& 최근 사업연도 법인세비용차감전계속사업손실 발생)- 기술성장기업(우량기업부 기업 제외) 상장일 속한 사업연도 포함 3개 사업연도 미적용, 이익미실현 기업 상장일 속한 사업연도 포함 5개 사업연도 미적용 |
관리종목으로 지정된 다음 해에도 자기자본 50% 초과 & 10억원 이상의 법인세비용차감전계속사업손실 발생 |
- |
검토결과 |
2023년 법인세비용차감전계속사업손실: 12,388백만원(손실률 65.21% → 자기자본 50%를 초과하는 법차손이 발생하여 해당되나, 적용유예)2024년 법인세비용차감전계속사업손실: 14,903백만원(손실률 93.14% → 자기자본 50%를 초과하는 법차손이 발생하여 해당되나, 적용유예)당사는 기술성장기업이고 신규상장일(2022.10.19)이 속하는 사업연도의 말일까지의 기간이 3개월 미만임. 따라서, 2022년은 제외한 2023년부터 3개년도(2025년까지)까지 법인세비용차감전계속사업손실에 대한 관리종목 지정이 유예되어 적용되지 아니함.
2025년 법인세비용차감전계속사업손실
추정치
:
14,576
백만원(손실률
55.29
% → 자기자본 50%를 초과하는 법차손이
발생하나, 적용 유예
)2026년 법인세비용차감전계속사업손실
추정치
:
8,542
백만원(손실률
47.93
% → 자기자본 50%를 초과하는 법차손이 발생하지 아니함)
|
- |
해당여부 |
해당되나 적용유예기간 |
해당되나 적용유예기간 |
- |
자본잠식(연결) |
요 건 |
최근 사업연도 말 자본잠식률 50% 이상 |
관리종목으로 지정된 다음 해에도 자본잠식률 50% 이상 발생 |
최근 사업연도 전액 자본잠식 |
검토결과 |
2024년말 자본금: 15,072백만원2024년말 자기자본(비지배지분 제외): 16,000백만원
2025년말 자본금
추정치
: 23,122백만원2025년말 자기자본(비지배지분 제외)
추정치
:
26,363
백만원2026년말 자본금
추정치
: 23,122백만원2026년말 자기자본(비지배지분 제외)
추정치
:
17,821
백만원
|
- |
해당여부 |
없음 |
없음 |
- |
자기자본 미달(연결,비지배지분 제외) |
요 건 |
최근 사업연도 말 자기자본 10억원 미만 |
관리종목으로 지정된 다음 해에도 자기자본 10억원 미만 발생 |
- |
검토결과 |
2024년말 자기자본(비지배지분 제외): 16,000백만원
2025년말 자기자본 추정치(비지배지분 제외):
26,363
백만원2026년말 자기자본 추정치(비지배지분 제외):
17,821
백만원
|
- |
해당여부 |
없음. |
없음. |
- |
감사의견 |
요 건 |
- |
- |
최근 사업연도 감사의견 비적정(부적정ㆍ의견거절ㆍ범위제한 한정) |
검토결과 |
- |
- |
2024년 감사의견 : 적정 |
해당여부 |
- |
- |
없음. |
시가총액 |
요 건 |
- 시가총액이 40억원 미만인 상태가 연속하여 30일 지속. 2025년까지 적용- 상장폐지 요건 제도 개선으로 시가총액 기준이 2026년 150억원, 2027년 200억원, 2028년 이후 300억원으로 개정예정. |
- |
관리종목 지정 후 90일 간 "연속 10일 & 누적 30일 이상 시가총액 40억원 이상"의 조건을 미충족 |
정기보고서 미제출 |
요 건 |
분기, 반기, 사업보고서를 법정제출기한 내 미제출. |
- |
2년간 3회 이상 분기, 반기, 사업보고서를 법정제출기한 내 미제출 |
사업보고서 법정제출기한 후 10일 내 미제출 |
분기, 반기, 사업보고서 미제출로 관리종목 지정된 상태에서 분기, 반기, 사업보고서를 미제출 |
거래량 |
요 건 |
분기 월평균 거래량이 유동주식 수의 1%에 미달 |
- |
2분기 연속 |
월간 거래량 1만주, 소액주주 300인 이상이 20% 이상 지분 보유 등은 적용 배제 |
지분분산 |
요 건 |
최근 사업연도 말 기준 소액주주 200인 미만 또는 소액주주의 지분이 20% 미만 |
- |
2년 연속 |
300인 이상의 소액주주가 유동주식수의 10%이상으로서 100만주 이상 소유하는 경우 제외 |
불성실공시 |
요 건 |
- |
1년 간 불성실공시 벌점 15점 이상 |
- |
지배구조 |
요 건 |
사외이사/감사위원회 요건 미충족 |
- |
2년 연속 |
회생절차/파산신청 |
요 건 |
회생절차 개시 신청 또는 파산신청 |
개시신청 기각, 결정 취소, 회생계획 불인가 등 |
- |
재무관리위반 |
요 건 |
변경/추가 상장이 유예된 기간 중에 증권의 발행 및 공시 등에 관한 규정에 따른 재무관리 기준을 위반한 경우 |
|
- |
기타 상장폐지 사유 |
요 건 |
모든 상장폐지 사유(형식 상장폐지 및 상장적격성 실질심사 대상 결정)가 발생한 경우 관리종목 지정 |
- |
최종 부도 또는 은행거래정지 |
해산사유(피흡수합병, 파산선고) |
정관 등에 주식양도 제한을 두는 경우 |
유가증권시장 상장의 경우 |
우회상장시 우회상장 관련 규정 위반 시(심사 종료 전 기업결합 완료 및 의무보유 위반 등) |
한편, 당사의 2025년 및 2026년 추정 손익, 자본총계 및 자본잠식률은 다음과 같습니다.
하단의 내용은 본 공시서류 제출 전일 기준 당사의 추정손익을 참고 목적으로 기재한 것으로써, 이는 미래에 대한 당사의 주관적 판단이 개입되었을 수 있고, 향후 실제 이행 결과와는 상이할 수 있습니다. 당사의 추정 손익과 관련된 상세내역은 'III. 투자위험요소 - 2. 회사위험 바. 현금흐름 관련 유동성 위험'을 참고해 주시기 바랍니다.투자자 여러분들께서는 하단의 계획은 당사의 전망과 예상, 주관적 판단 등에 따른 것임을 유의하여 주시기 바랍니다. |
[샤페론 2025년 및 2026년 추정 손익, 자본총계 및 자본잠식률] |
(단위 : 백만원) |
계정 |
2026년 |
2025년 |
영업수익(매출액) |
3,054 |
191 |
영업비용 |
11,973 |
14,934 |
영업이익 |
(8,920) |
(14,744) |
법인세차감전순이익 |
(8,542) |
(14,576) |
당기순이익 |
(8,542) |
(14,576) |
자본금 (A) |
23,122 |
23,122 |
자본총계 (B) |
17,821 |
26,363 |
자본잠식률 ((A-B)/A) |
22.92% |
-14.02% |
(중략)
한편, 향후 당사의 추정 손실률은 2025년
55.29%,
2026년
47.93%
입니다. 이에 따르면 법인세비용차감전계속사업손실은 2025년에는
자기자본의 50%를 상회하고
, 2026년에 자기자본의 50%를 하회할 것으로 전망됩니다.
[법인세비용차감전계속사업손실 여부 검토] |
(단위: 백만원) |
항목 |
2026년(E) |
2025년(E) |
2024년 |
자기자본 (A) |
17,821 |
26,363 |
16,000 |
법인세비용차감전계속사업이익(손실) (B) |
(8,542) |
(14,576) |
(14,903) |
손실률 (B / A) |
47.93% |
55.29% |
93.14% |
자료: 당사 제공 |
주1) 금번 유상증자를 통해
24,939백만원이 2025년 4분기에 자본 확충됨을 가정함.
|
한편, 법인세비용차감전계속사업손실 요건의 경우 당사는 2022년 10월 19일 코스닥시장에 기술특례기업으로 상장되었고, 상장일부터 상장일이 속한 사업연도(2022년)의 말일까지의 기간이 3개월 미만이기 때문에 2023년부터 3개 사업연도 (2025년도까지)까지 해당 지정 사유가 유예되며 2026년부터 적용이 됩니다.당사는 2025년 반기 기준 자기자본 8,927만원에 손실률은 77.7%를 기록하고 있어 여전히 법인세비용차감전계속사업손실이 자기자본의 50%를 상회하고 있는 상황입니다. 당사는 2025년의 경우 법인세비용차감전계속사업손실 요건 적용유예 년도에 해당되고, 금번 유상증자를 통해 자기자본이 확충될 예정입니다.
당사 추정손익에 따르면, 금번 유상증자 이후 2025년은
법인세비용차감전계속사업손실이 자기자본의 50%를 상회하고
2026년은 자기자본의 50%를 하회할 것으로 추정됩니다.
(중략)
증권신고서 제출 전일 기준, 현재 코스닥시장 상장규정에 따르면 매출액 미달과 법인세비용차감전계속사업손실 발생으로 인한 관리종목 지정은 기술특례기업의 경우 상장 후 각각 5년과 3년의 유예기간이 존재합니다. 그러나 자본잠식으로 인한 관리종목 지정은 기술특례기업에도 유예기간이 없습니다. 당사는 2025년 반기 기준 자본잠식률이 40.77%로 부분 자본잠식 상태에 진입하여, 자본금이 자본총계보다 큰 상황입니다. 이에 당사는 금번 유상증자를 통해 2025년 4분기에
24,939
백만원을 조달하여 자본총계를 확충할 계획입니다.
한편, 당사는 2025년 상반기에 영업비용 7,017백만원과 반기순손실 6,935백만원을 기록했습니다. 이러한 상황에서 2025년 하반기 영업비용은 증권신고서 제출 전일 기준 수립한 자금수지계획에 따라 집행될 가능성이 다소 높습니다. 이는 2025년 3분기가 증권신고서 제출 전일 기준으로 일정수준 경과하였고, 2025년 4분기는 증권신고서 제출 전일에서 멀지 않은 시기이기 때문입니다. 또한, 당사는 2025년에 NuCerin 국내 임상 1상 진행에 따른 선수수익의 영업수익 인식 및 질병청 용역대금의 수령을 예상하나 기술이전으로 인한 기술선급금 수취 및 신규사업 매출액은 없을 것으로 추정했습니다.따라서, 당사는 2025년 당기순손실
14,576백만원을 기록할 것으로 추정합니다. 상기 기재한 사유로 인하여 당사는 2025년 추정 매출액과 영업비용의 변동성이 높지 않을 것으로 전망하고 이에 따른 2025년 당기순손실 추정치 역시 변동성이 높지 않을 것으로 전망합니다.
그러나, 2026년의 경우 당사가 예상하지 못하는 사업환경의 대내외적 변수들로 인해 당기순손실 추정치에 높은 수준의 불확실성이 존재합니다. 2026년 하반기에 신규사업 매출이 당사의 예측치를 큰 폭으로 하회할 수 있고, 주요 파이프라인 임상 진행 시 다양한 연구개발 변수들로 인해 임상비용이 당사의 자금수지계획보다 더 많이 투입될 가능성이 있기 때문입니다.이에 따라 당사는 2026년 추정 당기순손실
8,542백만원을 각 시나리오별로 계산하고, 이에 따른 2026년 자본잠식률을 산출했습니다. 상기 기재한 당사의 추정손익과 관련된 상세내용은 'III. 투자위험요소 - 2. 회사위험 바. 현금흐름 관련 유동성 위험'을 참고해 주시기 바랍니다.
① 긍정적 시나리오 : 2026년 추정 당기순손실의 50% 발생(2026년 당기순손실
4,271
백만원)
긍정적 시나리오는 당사의 신규 사업이 예상과는 달리 성공적인 안착하여 2026년 하반기 매출액이 추정치를 상회하거나 영업비용이 당사의 계획보다 더 적게 실행되어 엄격하게 비용통제가 집행된 경우입니다. 이에 따라 당사가 상기 제시한 2026년 추정 당기순손실이 예상치의 50% 수준을 기록했을 때 2025년과 2026년 자본잠식률을 추정하였습니다.
[2025년 및 2026년 추정 당기순손실, 자본총계 및 자본잠식률] |
(단위 : 백만원) |
계정 |
2026년(E) |
2025년(E) |
2024년 |
당기순손실 |
4,271 |
14,576 |
14,903 |
자본금 (A) |
23,122 |
23,122 |
15,072 |
자본총계 (B) |
22,092 |
26,363 |
16,000 |
자본잠식률 ((A-B)/A) |
4.45% |
-14.02% |
-6.16% |
자료 : 당사 제공 |
주1) 당기순손실은 전액 이익결손금으로 자본총계에 반영됨을 가정함. |
주2) 금번 유상증자를 통해
24,939백만원이 2025년 4분기에 자본 확충됨을 가정함.
|
위 표에 따르면 당사의 추정 자본잠식률은 2025년
-14.02%
, 2026년
4.45%
입니다. 긍정적 시나리오에 따르면 당사는 금번 유상증자 이후 2026년까지 자본잠식으로 인한 관리종목 요건에 지정되지 아니할 전망입니다.
② 중립 시나리오 : 2026년 추정 당기순손실의 100% 발생(2026년 당기순손실
8,542
백만원)
중립 시나리오는 당사의 신규 사업에 따른 2026년 하반기 매출액이 추정치만큼 실현되었고 당사의 자금수지 계획에 따라 비용이 집행된 경우입니다. 이에 따라 당사가 상기 제시한 2026년 추정 당기순손실이 예상치의 100% 수준을 기록했을 때 2025년과 2026년 자본잠식률을 추정하였습니다.
[2025년 및 2026년 추정 당기순손실, 자본총계 및 자본잠식률] |
(단위 : 백만원) |
계정 |
2026년(E) |
2025년(E) |
2024년 |
당기순손실 |
8,542 |
14,576 |
14,903 |
자본금 (A) |
23,122 |
23,122 |
15,072 |
자본총계 (B) |
17,821 |
26,363 |
16,000 |
자본잠식률 ((A-B)/A) |
22.92% |
-14.02% |
-6.16% |
자료 : 당사 제공 |
주1) 당기순손실은 전액 이익결손금으로 자본총계에 반영됨을 가정함. |
주2) 금번 유상증자를 통해
24,939백만원이 2025년 4분기에 자본 확충됨을 가정함.
|
위 표에 따르면 당사의 추정 자본잠식률은 2025년
-14.02%
, 2026년
22.92%
입니다. 중립 시나리오에 따르면 당사는 금번 유상증자 이후 2026년까지 자본잠식으로 인한 관리종목 요건에 지정되지 아니할 전망입니다.
③ 부정적 시나리오 - 1 : 2026년 추정 당기순손실의 150% 발생(2026년 당기순손실
12,813
백만원)
부정적 시나리오 - 1는 당사의 신규 사업이 예상과는 달리 제품 인허가 지연, 제품 경쟁 심화 등으로 2026년 하반기 매출액이 추정치를 하회하거나 당사가 예상치 못한 대내외 사업변수로 인하여 더 많은 운영비용이 집행된 경우입니다. 이에 따라 당사가 상기 제시한 2026년 추정 당기순손실이 예상치의 150% 수준을 기록했을 때 2025년과 2026년 자본잠식률을 추정하였습니다.
[2025년 및 2026년 추정 당기순손실, 자본총계 및 자본잠식률] |
(단위 : 백만원) |
계정 |
2026년(E) |
2025년(E) |
2024년 |
당기순손실 |
12,813 |
14,576 |
14,903 |
자본금 (A) |
23,122 |
23,122 |
15,072 |
자본총계 (B) |
13,550 |
26,363 |
16,000 |
자본잠식률 ((A-B)/A) |
41.39% |
-14.02% |
-6.16% |
자료 : 당사 제공 |
주1) 당기순손실은 전액 이익결손금으로 자본총계에 반영됨을 가정함. |
주2) 금번 유상증자를 통해
24,939백만원이 2025년 4분기에 자본 확충됨을 가정함.
|
위 표에 따르면 당사의 추정 자본잠식률은 2025년
-14.02%,
2026년
41.39%
입니다. 부정적 시나리오에 따르면 당사는 금번 유상증자 이후 2026년까지 자본잠식으로 인한 관리종목 요건에 지정되지 아니할 전망입니다.④ 부정적 시나리오 - 2 : 2026년 추정 자본잠식률 50%를 기록하는 당기순손실 발생(2026년 당기순손실
14,803
백만원) 당사가 2026년 당기순손실
14,803
백만원을 기록하여 부정적 시나리오 - 1의 2026년 당기순손실을 상회할 경우, 당사의 2026년 자본잠식률은 50%가 되어 관리종목으로 지정됩니다. 투자자께서는 이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2025년 및 2026년 추정 당기순손실, 자본총계 및 자본잠식률] |
(단위 : 백만원) |
계정 |
2026년(E) |
2025년(E) |
2024년 |
당기순손실 |
14,803 |
14,576 |
14,903 |
자본금 (A) |
23,122 |
23,122 |
15,072 |
자본총계 (B) |
11,561 |
26,363 |
16,000 |
자본잠식률 ((A-B)/A) |
50.00% |
-14.02% |
-6.16% |
자료 : 당사 제공 |
주1) 당기순손실은 전액 이익결손금으로 자본총계에 반영됨을 가정함. |
주2) 금번 유상증자를 통해
24,939백만원이 2025년 4분기에 자본 확충됨을 가정함.
|
(중략)금번 유상증자를 통해 당사는 2025년 4분기에 자본
24,939
백만원을 최종적으로 확충할 계획입니다.(후략)
(주5) 정정 전
(전략)
[당사 최초 공시 후
2025년 3분기 ~ 2026년 4분기 자금수지 계획안]
|
구분 |
2025년 3분기 |
2025년 4분기 |
2026년 1분기 |
2026년 2분기 |
2026년 3분기 |
2026년 4분기 |
영업현금흐름 |
수입(A) |
매출대금 |
- |
62 |
- |
- |
1,347 |
1,590 |
기타 |
- |
- |
- |
- |
- |
- |
소계 |
- |
62 |
- |
- |
1,347 |
1,590 |
지출(B) |
원재료 구입/외주가공비 |
40 |
208 |
214 |
214 |
535 |
668 |
급여 |
316 |
300 |
268 |
268 |
252 |
252 |
판매관리비 |
793 |
886 |
755 |
680 |
646 |
613 |
경상연구비 |
2,470 |
2,875 |
2,551 |
2,341 |
1,658 |
1,258 |
기타 |
15 |
15 |
15 |
15 |
15 |
15 |
소계 |
3,634 |
4,283 |
3,803 |
3,517 |
3,105 |
2,806 |
영업수지(= A - B ) |
(3,634) |
(4,221) |
(3,803) |
(3,517) |
(1,758) |
(1,217) |
투자현금흐름 |
수입(C) |
자산매각 |
41 |
|
- |
- |
- |
- |
기타 |
10 |
57 |
141 |
123 |
107 |
99 |
소계 |
|
57 |
141 |
123 |
107 |
99 |
지출(D) |
연구개발투자 |
- |
- |
- |
- |
- |
- |
해외법인 투자 |
- |
- |
- |
- |
- |
- |
기타 |
- |
- |
- |
- |
- |
- |
소계 |
- |
- |
- |
- |
- |
- |
투자수지(= C - D ) |
51 |
57 |
141 |
123 |
107 |
99 |
재무현금흐름 |
수입(E) |
유상증자 |
- |
29,313 |
- |
- |
- |
- |
기타 |
- |
- |
- |
- |
- |
- |
소계 |
- |
29,313 |
- |
- |
- |
- |
지출(F) |
차입금 상환 |
- |
- |
- |
- |
- |
- |
이자비용 |
- |
- |
- |
- |
- |
- |
CB, BW 상환 |
- |
- |
- |
- |
- |
- |
기타 |
- |
- |
- |
- |
- |
- |
소계 |
- |
- |
- |
- |
- |
- |
재무수지(= E - F ) |
- |
29,313 |
- |
- |
- |
- |
기초 자금 |
7,420 |
3,836 |
28,985 |
25,324 |
21,930 |
20,279 |
기말 자금 |
3,836 |
28,985 |
25,324 |
21,930 |
20,279 |
19,162 |
자료 : 당사 제공 |
주1) 당사는 NuCerin 기술선급금으로 선수수익 233만원에 대해 임상 진행률에 따라 영업수익으로 인식할 예정이나, 2021년에
전액 현금으로 수취한 내역임. 따라서, 금번 자금수지계획에서 영업현금흐름의 수입항목으로 기재하지 아니하였음.
다만, NuCerin 국내 임상은 2026년 1분기에 완료될 예정이므로, 선수수익 233백만원은 2026년까지 당사의 영업수익으로 전액 인식완료 될 것으로 전망함.
|
주2) 유상증자에 따른 수입금액은 순수입금 기준으로 작성함. |
또한, 당사의 2025년 3분기부터 2026년 4분기까지 분기별 영업수익 및 영업이익 추정치는 다음과 같습니다.
[2025년 3분기 ~ 2026년 4분기 당사 추정 손익] |
(단위 : 백만원) |
계정 |
2025년 |
2026년 |
3분기 |
4분기 |
1분기 |
2분기 |
3분기 |
4분기 |
영업수익 |
- |
179 |
117 |
- |
1,347 |
1,590 |
영업비용 |
3,634 |
4,283 |
3,803 |
3,517 |
3,105 |
2,806 |
원재료 구입/외주가공비 |
40 |
208 |
214 |
214 |
535 |
668 |
급여 |
316 |
300 |
268 |
268 |
252 |
252 |
판매관리비 |
793 |
886 |
755 |
680 |
646 |
613 |
경상연구비 |
2,470 |
2,875 |
2,551 |
2,341 |
1,658 |
1,258 |
기타비용 |
15 |
15 |
15 |
15 |
15 |
15 |
영업이익 |
(3,634) |
(4,105) |
(3,686) |
(3,517) |
(1,758) |
(1,217) |
자료 : 당사 제공 |
주1) NuCerin 국내 임상은 2026년 1분기에 완료될 예정임. 따라서, 선수수익 233백만원은 자금수지에는 반영되어 있지 아니하나 2026년까지 당사의 영업수익으로 전액 인식완료 될 것으로 전망함. 이에 상기 표에 기재된 당사 추정 손익에는 선수수익 233백만원의 영업수익 인식내역을 반영하였음. |
(중략)
상세구분 |
2025년 |
2026년 |
원재료 구입/외주가공비 |
CRO, CMO 관련 계약된 생산가격에 따라 비용이 발생할 것으로 가정함. |
급여 |
2025년 6월 발생한 월간 발생 금액이 하반기에 매월 발생 |
2026년 1분기와 2분기 급여는 2025년 4분기 대비 약 11% 감소한 금액이 감축하여 사용할 예정2026년 3분기와 4분기 급여는 2025년 4분기 대비 약 16% 감축하여 사용할 예정 |
판매관리비 |
2025년 상반기 기준 월간 평균 금액이 2025년 하반기에 매월 발생 |
2026년 1분기에는 2025년 분기 평균 금액수준을 사용하되 2분기는 전분기 사용금액 대비 10% 감축하여 사용할 예정2026년 3분기 및 4분기는 전분기 사용 금액 대비 5% 감축하여 사용할 예정 |
경상연구비 |
2025년 하반기 자금사용목적의 지출을 반영 |
금번 자금사용목적에 따른 지출내역을 반영하여 2026년 경상연구비는 2025년 대비 약 20% 감축하여 사용할 예정 |
기타 |
상기 기재한 영업비용 외 기타 영업비용으로 매분기 15백만원씩 발생할 것으로 가정. |
상기 기재한 바를 종합하면, 당사의 2025년 및 2026년 추정 손익계산서는 아래와 같습니다.
[2025년 및 2026년 당사 추정 손익계산서] |
계정 |
2025년 |
2026년 |
영업수익 |
191 |
3,054 |
기존 사업 |
191 |
117 |
신규 사업 |
- |
2,937 |
영업비용 |
14,934 |
13,231 |
영업이익 |
(14,744) |
(10,178) |
법인세차감전순이익 |
(14,566) |
(9,057) |
당기순이익 |
(14,566) |
(9,057) |
자본금 (A) |
23,122 |
23,122 |
자본총계 (B) |
31,477 |
21,770 |
자본잠식률 ((A-B)/A) |
-36.14% |
5.85% |
[자금수지계획]
당사는 본 유상증자를 통해 총 29,313백만 원(예정발행가액 기준, 발행제비용 제외)의 자금을 확보할 예정입니다. 확보된 자금은 향후 신규 사업 추진과 고유 파이프라인의 연구개발, 운영자금 등에 사용될 계획입니다.
(후략)
(주5) 정정 후(전략)
[당사 최초 공시 후
2025년 3분기 ~ 2026년 4분기 자금수지 계획안]
|
구분 |
2025년 3분기 |
2025년 4분기 |
2026년 1분기 |
2026년 2분기 |
2026년 3분기 |
2026년 4분기 |
영업현금흐름 |
수입(A) |
매출대금 |
- |
62 |
- |
- |
1,347 |
1,590 |
기타 |
- |
- |
- |
- |
- |
- |
소계 |
- |
62 |
- |
- |
1,347 |
1,590 |
지출(B) |
원재료 구입/외주가공비 |
40 |
208 |
214 |
214 |
535 |
668 |
급여 |
316 |
300 |
268 |
268 |
252 |
252 |
판매관리비 |
793 |
886 |
755 |
680 |
646 |
613 |
경상연구비 |
2,470 |
2,875 |
2,551 |
2,091 |
1,000 |
908 |
기타 |
15 |
15 |
15 |
15 |
15 |
15 |
소계 |
3,634 |
4,283 |
3,803 |
3,267 |
2,447 |
2,456 |
영업수지(= A - B ) |
(3,634) |
(4,221) |
(3,803) |
(3,267) |
(1,100) |
(867) |
투자현금흐름 |
수입(C) |
자산매각 |
41 |
- |
- |
- |
- |
- |
기타 |
10 |
47 |
117 |
99 |
83 |
79 |
소계 |
51 |
47 |
117 |
99 |
83 |
79 |
지출(D) |
연구개발투자 |
- |
- |
- |
- |
- |
- |
해외법인 투자 |
- |
- |
- |
- |
- |
- |
기타 |
- |
- |
- |
- |
- |
- |
소계 |
- |
- |
- |
- |
- |
- |
투자수지(= C - D ) |
51 |
47 |
117 |
99 |
83 |
79 |
재무현금흐름 |
수입(E) |
유상증자 |
- |
24,314 |
- |
- |
- |
- |
기타 |
- |
- |
- |
- |
- |
- |
소계 |
- |
24,314 |
- |
- |
- |
- |
지출(F) |
차입금 상환 |
- |
- |
- |
- |
- |
- |
이자비용 |
|
- |
- |
- |
- |
- |
CB, BW 상환 |
- |
- |
- |
- |
- |
- |
기타 |
- |
- |
- |
- |
- |
- |
소계 |
- |
- |
- |
- |
- |
- |
재무수지(= E - F ) |
- |
24,314 |
- |
- |
- |
- |
기초 자금 |
7,420 |
3,837 |
23,977 |
20,292 |
17,123 |
16,107 |
기말 자금 |
3,837 |
23,977 |
20,292 |
17,123 |
16,107 |
15,319 |
자료 : 당사 제공 |
주1) 당사는 NuCerin 기술선급금으로 선수수익 233만원에 대해 임상 진행률에 따라 영업수익으로 인식할 예정이나, 2021년에
전액 현금으로 수취한 내역임. 따라서, 금번 자금수지계획에서 영업현금흐름의 수입항목으로 기재하지 아니하였음.
다만, NuCerin 국내 임상은 2026년 1분기에 완료될 예정이므로, 선수수익 233백만원은 2026년까지 당사의 영업수익으로 전액 인식완료 될 것으로 전망함.
|
주2) 유상증자에 따른 수입금액은 순수입금 기준으로 작성함. |
또한, 당사의 2025년 3분기부터 2026년 4분기까지 분기별 영업수익 및 영업이익 추정치는 다음과 같습니다.
[2025년 3분기 ~ 2026년 4분기 당사 추정 손익] |
(단위 : 백만원) |
계정 |
2025년 |
2026년 |
3분기 |
4분기 |
1분기 |
2분기 |
3분기 |
4분기 |
영업수익 |
- |
179 |
117 |
- |
1,347 |
1,590 |
영업비용 |
3,634 |
4,283 |
3,803 |
3,267 |
2,447 |
2,456 |
원재료 구입/외주가공비 |
40 |
208 |
214 |
214 |
535 |
668 |
급여 |
316 |
300 |
268 |
268 |
252 |
252 |
판매관리비 |
793 |
886 |
755 |
680 |
646 |
613 |
경상연구비 |
2,470 |
2,875 |
2,551 |
2,091 |
1,000 |
908 |
기타비용 |
15 |
15 |
15 |
15 |
15 |
15 |
영업이익 |
(3,634) |
(4,105) |
(3,686) |
(3,267) |
(1,100) |
(867) |
자료 : 당사 제공 |
주1) NuCerin 국내 임상은 2026년 1분기에 완료될 예정임. 따라서, 선수수익 233백만원은 자금수지에는 반영되어 있지 아니하나 2026년까지 당사의 영업수익으로 전액 인식완료 될 것으로 전망함. 이에 상기 표에 기재된 당사 추정 손익에는 선수수익 233백만원의 영업수익 인식내역을 반영하였음. |
(중략)
상세구분 |
2025년 |
2026년 |
원재료 구입/외주가공비 |
CRO, CMO 관련 계약된 생산가격에 따라 비용이 발생할 것으로 가정함. |
급여 |
2025년 6월 발생한 월간 발생 금액이 하반기에 매월 발생 |
2026년 1분기와 2분기 급여는 2025년 4분기 대비 약 11% 감소한 금액이 감축하여 사용할 예정2026년 3분기와 4분기 급여는 2025년 4분기 대비 약 16% 감축하여 사용할 예정 |
판매관리비 |
2025년 상반기 기준 월간 평균 금액이 2025년 하반기에 매월 발생 |
2026년 1분기에는 2025년 분기 평균 금액수준을 사용하되 2분기는 전분기 사용금액 대비 10% 감축하여 사용할 예정2026년 3분기 및 4분기는 전분기 사용 금액 대비 5% 감축하여 사용할 예정 |
경상연구비 |
2025년 하반기 자금사용목적의 지출을 반영 |
금번 자금사용목적에 따른 지출내역을 반영하여 2026년 경상연구비는 2025년 대비 약
33% 감축하여 사용할 예정
|
기타 |
상기 기재한 영업비용 외 기타 영업비용으로 매분기 15백만원씩 발생할 것으로 가정. |
상기 기재한 바를 종합하면, 당사의 2025년 및 2026년 추정 손익계산서는 아래와 같습니다.
[2025년 및 2026년 당사 추정 손익계산서] |
계정 |
2025년 |
2026년 |
영업수익 |
191 |
3,054 |
기존 사업 |
191 |
117 |
신규 사업 |
- |
2,937 |
영업비용 |
14,934 |
11,973 |
영업이익 |
(14,744) |
(8,920) |
법인세차감전순이익 |
(14,576) |
(8,542) |
당기순이익 |
(14,576) |
(8,542) |
자본금 (A) |
23,122 |
23,122 |
자본총계 (B) |
|
17,821 |
자본잠식률 ((A-B)/A) |
-14.02% |
22.92% |
(후략)
(주6) 정정 전(전략)당사는 금번 일반공모 유상증자 대금 30,042백만원 중 10,906백만원을 주요 파이프라인 연구개발 등 운영비로 사용할 예정입니다(후략)
(주6) 정정 후
(전략)당사는 금번 일반공모 유상증자 대금
24,939
백만원 중
8,906
백만원을 주요 파이프라인 연구개발 등 운영비로 사용할 예정입니다.(후략)
(주7) 정정 전
1. 모집 또는 매출에 의한 자금조달 내역가. 자금조달금액
구 분 |
금 액 |
모집 또는 매출총액 (1) |
30,042,600,000 |
발행제비용 (2) |
730,000,000 |
순 수 입 금 [ (1)-(2) ] |
29,312,600,000 |
주1) 상기 금액은 예정발행가액을 기준으로 산정한 금액으로 모집가액 확정시 변경될 수 있습니다. |
주2) 상기 모집총액은 우선적으로 하단에 기재된 자금의 사용 목적에 따라 사용할 예정입니다. |
주3) 발행제비용은 공모금액 및 실권규모에 따라 변경될 수 있으며, 상기 기재 금액은 청약 결과 실권이 발생하지 않은 상황을 가정하여 산정되었습니다. |
나. 발행제비용의 내역
구분 |
금액 |
비고 |
발행분담금 |
5,407,660 |
모집총액의 0.018% (10원 미만 절사) |
대표주관수수료 |
30,000,000 |
정액 3,000만원 |
인수수수료 |
600,852,000 |
모집총액의 2.0% |
보통주추가상장수수료 |
8,200,000 |
730만원+700억원 초과금액의 10억원당 6만원(코스닥시장상장규정 시행세칙 별표 14) |
등록면허세 |
32,200,000 |
증자 자본금의 0.40%(지방세법 제28조, 10원 미만 절사) |
지방교육세 |
6,440,000 |
등록면허세의 20%(지방세법 제151조, 10원 미만 절사) |
기타비용 |
46,900,340 |
투자설명서, 통지서 인쇄 및 발송비 등 |
합계 |
730,000,000 |
- |
주1) 상기 금액은 예정 모집가액을 기준으로 산정한 금액입니다. |
주2) 발행제비용은 공모금액 및 상장신청일 직전일 한국거래소에서 거래되는 당사의 보통주식 종가, 유관기관 정책 등에 따라 변동될 수 있습니다. |
주3) 기타비용은 예상금액으로 변동될 수 있습니다. |
2. 자금의 사용목적
가. 자금의 사용목적
당사는 금번 유상증자를 통해 조달한 자금을 다음과 같이 사용할 예정입니다.
(기준일 : |
2025년 08월 18일 |
) |
(단위 : 백만원) |
시설자금 |
영업양수자금 |
운영자금 |
채무상환자금 |
타법인증권취득자금 |
기타 |
계 |
- |
- |
30,042 |
- |
- |
- |
30,042 |
주1) 상기 금액은 예정 발행가액을 기준으로 산정한 금액이며, 향후 발행가액 확정 시 변경될 수 있습니다. |
주2) 상기 모집총액은 우선적으로 하단에 기재된 자금의 사용 목적에 따라 사용할 예정입니다. |
주3) 발행제비용은 공모금액 및 실권규모, 유관기관과의 협의 등에 따라 변경될 수 있으며, 상기 기재 금액은 청약 초과로 인하여 실권이 발생하지 않은 상황을 가정하여 산정되었습니다. 발행제비용은 공모자금 외 당사 자체비용으로 충당할 계획입니다. |
(중략)
당사가 이번 공모 유상증자를 통해 조달한 약 30,042백만원은 주요 파이프라인인 NuGel 임상 2b상 진행을 위한 CRO 및 의료기관 비용과, NuSepin의 전신 염증 반응 증후군 적응증 확장을 위한 연구자 주도 임상 실행 비용으로 사용될 예정입니다. 또한, 당사의 주요 파이프라인 중 하나인 NuCerin의 국내 임상 1상 진행 비용과 Papiliximab의 CMC(원료 의약품과 완제 의약품의 품질을 보증하기 위한 연구개발 및 제조 공정)진행 비용에도 사용될 계획입니다.
아울러, 이번 공모 유상증자를 통해 조달한 자금은 기타 파이프라인 연구개발 비용과 신규 사업(화장품 사업) 진출 비용 및 당사 사업 운영을 위한 운영비 등으로도 활용될 예정입니다.
[유상증자 자금사용의 개요] |
(단위 : 백만원) |
대분류 |
소분류 |
2025 |
2026 |
2027 |
합계 |
우선순위 |
Q4 |
Q1 |
Q2 |
Q3 |
Q4 |
Q1 |
Q2 |
Q3 |
Q4 |
주요 파이프라인 |
NuGel |
1,000 |
1,000 |
642 |
- |
- |
- |
- |
- |
- |
2,642 |
1 |
NuSepin |
- |
- |
- |
- |
- |
250 |
250 |
250 |
250 |
1,000 |
NuCerin |
312 |
102 |
- |
- |
- |
- |
- |
- |
- |
414 |
Papiliximab |
- |
- |
250 |
250 |
500 |
1,000 |
1,500 |
1,500 |
1,850 |
6,850 |
소 계 |
1,412 |
2,352 |
1,850 |
1,500 |
1,500 |
2,000 |
250 |
- |
- |
10,906 |
- |
기타 파이프라인 개발 |
780 |
750 |
750 |
750 |
100 |
850 |
850 |
1,000 |
1,100 |
6,930 |
3 |
신규 사업(화장품 사업) |
419 |
450 |
450 |
450 |
450 |
900 |
900 |
900 |
900 |
5,819 |
2 |
운영비(전사 급여, 지급수수료 등 판관비) |
- |
1,315 |
1,315 |
1,215 |
1,115 |
1,000 |
427 |
- |
- |
6,387 |
4 |
소 계 |
1,199 |
2,515 |
2,515 |
2,415 |
1,665 |
2,750 |
2,177 |
1,900 |
2,000 |
19,136 |
- |
합 계 |
2,511 |
3,617 |
3,407 |
2,665 |
2,165 |
4,000 |
3,927 |
3,650 |
4,100 |
30,042 |
- |
(중략)
분류 |
세부 |
2025 |
2026 |
2027 |
4Q |
1Q |
2Q |
3Q |
4Q |
1Q |
2Q |
3Q |
4Q |
SIRS(전신 염증 반응 증후군) |
연구자주도 임상 |
- |
- |
- |
- |
- |
● |
● |
● |
● |
금번 조달한 자금 중 약 1,000백만원은 NuSepin의 SIRS에 대한 연구자 주도 임상을 진행하기 위한 비용으로 사용될 예정입니다.
(중략)
[NuSepin 연구자주도 임상 진행 개발 비용] |
(단위 : 백만원) |
프로젝트 |
항목 |
2025 |
2026 |
2027 |
합 계 |
4Q |
1Q |
2Q |
3Q |
4Q |
1Q |
2Q |
3Q |
4Q |
SIRS 적응증에 대한연구자주도 임상 진행 |
임상비용 |
- |
- |
- |
- |
- |
50 |
250 |
250 |
50 |
600 |
임상약 생산 |
- |
- |
- |
- |
- |
150 |
- |
- |
- |
150 |
임상약 관리 |
- |
- |
- |
- |
- |
50 |
- |
- |
- |
50 |
분석비용 |
- |
- |
- |
- |
- |
- |
- |
- |
200 |
200 |
합계 |
- |
- |
- |
- |
- |
250 |
250 |
250 |
250 |
1,000 |
자료 : 당사 제공 |
주1) " ● " 표시가 된 경우, 당사가 해당 시점에 연구 개발을 진행한다는 의미임. |
(중략)
[Papiliximab의 향후 개발 계획 및 일정] |
분류 |
세부 |
2025 |
2026 |
2027 |
4Q |
1Q |
2Q |
3Q |
4Q |
1Q |
2Q |
3Q |
4Q |
Papiliximab |
CMC |
- |
- |
● |
● |
● |
● |
● |
● |
● |
자료 : 당사 제공 |
주1) " ● " 표시가 된 경우, 당사가 해당 시점에 연구 개발을 진행한다는 의미임. |
금번 조달 자금 중 6,850백만원은 Papiliximab의 원료 의약품과 완제 의약품의 품질을 보증하기 위한 연구개발 및 제조 공정(CMC)을 진행하기 위한 연구용역비용으로 사용할 예정입니다.
[Papiliximab CMC 진행 비용 사용계획] |
(단위 : 백만원) |
프로젝트 |
항목 |
2025 |
2026 |
2027 |
합계 |
4Q |
1Q |
2Q |
3Q |
4Q |
1Q |
2Q |
3Q |
4Q |
CMC |
연구용역 |
- |
- |
250 |
250 |
500 |
1,000 |
1,500 |
1,500 |
1,850 |
6,850 |
합 계 |
- |
- |
250 |
250 |
500 |
1,000 |
1,500 |
1,500 |
1,850 |
6,850 |
(중략)
[기타 파이프라인 별 향후 개발 계획 및 일정] |
분류 |
세부 |
2025 |
2026 |
2027 |
4Q |
1Q |
2Q |
3Q |
4Q |
1Q |
2Q |
3Q |
4Q |
신규파이프라인 |
NuAreatin(원형탈모) |
● |
● |
● |
● |
- |
- |
- |
- |
- |
NuBesin(비만) |
● |
- |
- |
- |
- |
● |
● |
● |
● |
오비주맙 |
- |
- |
- |
- |
● |
● |
● |
● |
● |
렉티주맙 |
- |
- |
- |
- |
● |
● |
● |
● |
● |
자료 : 당사 제공 |
주1) " ● " 표시가 된 경우, 당사가 해당 시점에 연구 개발을 진행한다는 의미임. |
금번 조달 자금 중 6,930백만원은 기타 파이프라인 개발을 위해 사용될 예정입니다. 구체적으로 기타 파이프라인의 전임상 진행 및 신약후보물질 탐색 비용으로 금번 조달자금 중 일부가 사용될 계획이며, 시점 및 파이프라인 별 세부 사용 계획은 아래와 같습니다.
[기타 파이프라인 개발 비용 사용계획] |
(단위 : 백만원) |
사용내역 |
구분 |
적응증 |
2025 |
2026 |
2027 |
합계 |
4Q |
1Q |
2Q |
3Q |
4Q |
1Q |
2Q |
3Q |
4Q |
전임상 외주 용역 및신약후보물질 탐색비용 |
NuAreatin |
원형탈모 |
750 |
750 |
750 |
750 |
- |
- |
- |
- |
- |
3,000 |
NuBesin |
비만 |
30 |
- |
- |
- |
- |
250 |
250 |
- |
- |
530 |
오비주맙 |
고형암 |
- |
- |
- |
- |
50 |
300 |
300 |
500 |
550 |
1,700 |
렉티주맙 |
고형암 |
- |
- |
- |
- |
50 |
300 |
300 |
500 |
550 |
1,700 |
합계 |
780 |
750 |
750 |
750 |
100 |
850 |
850 |
1,000 |
1,100 |
6,930 |
(중략)
분류 |
세부일정 |
2025 |
2026 |
2027 |
Q4 |
Q1 |
Q2 |
Q3 |
Q4 |
Q1 |
Q2 |
Q3 |
Q4 |
신규 사업(화장품 사업) |
화장품 원료 개발 |
● |
● |
- |
- |
- |
- |
- |
- |
- |
인체적용시험(임상) 진행 |
● |
● |
● |
- |
- |
- |
- |
- |
- |
마케팅 |
● |
● |
● |
● |
● |
● |
● |
● |
● |
제품 상용화 |
- |
- |
- |
● |
● |
● |
● |
● |
● |
당사는 화장품 상품 제작과 관련한 특허, 디자인, 임상 및 ODM 비용 등의 사전 비용 일체는 현재 자금으로 진행할 계획입니다. 따라서, 금번 조달 자금 중 당사는 신규 사업으로 5,819백만원을 사용할 예정입니다. 화장품 사업의 특성상 신규 화장품의 초기 마케팅을 위해서는 제품홍보 용 제품의 샘플 및 홍보실행에 많은 비용이 필요합니다. 당사는 온라인 플랫폼에 입점판매를 위한 마케팅을 진행하고, 대외 인지도가 높은 유명인사 등을 고용하여 당사 화장품에 대한 프로모션을 진행할 계획입니다. 덧붙여, 당사가 자체적으로 운영하는 자사몰을 구축하여 리퍼럴마케팅을 실시하기 위한 비용으로도 금번 공모자금을 사용할 계획입니다.
구분 |
세부 항목 |
2025 |
2026 |
2027 |
합 계 |
Q4 |
Q1 |
Q2 |
Q3 |
Q4 |
Q1 |
Q2 |
Q3 |
Q4 |
화장품 사업 |
마케팅 비용 |
419 |
450 |
450 |
450 |
450 |
900 |
900 |
900 |
900 |
5,819 |
합 계 |
419 |
450 |
450 |
450 |
450 |
900 |
900 |
900 |
900 |
5,819 |
이외에 당사는 금번 유상증자 공모자금 중 운영비로
2025년 1분기부터 2027년 2분기
동안 총 6,387백만원을 사용할 예정이며 이는 전사 급여, 지급수수료 및 판관비 등으로 사용될 예정입니다
(후략)
(주7) 정정 후
1. 모집 또는 매출에 의한 자금조달 내역가. 자금조달금액
구 분 |
금 액 |
모집 또는 매출총액 (1) |
24,938,900,000 |
발행제비용 (2) |
625,000,000 |
순 수 입 금 [ (1)-(2) ] |
24,313,900,000 |
주1) 상기 금액은 예정발행가액을 기준으로 산정한 금액으로 모집가액 확정시 변경될 수 있습니다. |
주2) 상기 모집총액은 우선적으로 하단에 기재된 자금의 사용 목적에 따라 사용할 예정입니다. |
주3) 발행제비용은 공모금액 및 실권규모에 따라 변경될 수 있으며, 상기 기재 금액은 청약 결과 실권이 발생하지 않은 상황을 가정하여 산정되었습니다. |
나. 발행제비용의 내역
구분 |
금액 |
비고 |
발행분담금 |
4,489,000 |
모집총액의 0.018% (10원 미만 절사) |
대표주관수수료 |
30,000,000 |
정액 3,000만원 |
인수수수료 |
498,778,000 |
모집총액의 2.0% |
보통주추가상장수수료 |
7,300,000 |
730만원+700억원 초과금액의 10억원당 6만원(코스닥시장상장규정 시행세칙 별표 14) |
등록면허세 |
32,200,000 |
증자 자본금의 0.40%(지방세법 제28조, 10원 미만 절사) |
지방교육세 |
6,440,000 |
등록면허세의 20%(지방세법 제151조, 10원 미만 절사) |
기타비용 |
45,793,000 |
투자설명서, 통지서 인쇄 및 발송비 등 |
합계 |
625,000,000 |
- |
주1) 상기 금액은 예정 모집가액을 기준으로 산정한 금액입니다. |
주2) 발행제비용은 공모금액 및 상장신청일 직전일 한국거래소에서 거래되는 당사의 보통주식 종가, 유관기관 정책 등에 따라 변동될 수 있습니다. |
주3) 기타비용은 예상금액으로 변동될 수 있습니다. |
2. 자금의 사용목적
가. 자금의 사용목적
당사는 금번 유상증자를 통해 조달한 자금을 다음과 같이 사용할 예정입니다.
(기준일 : |
2025년 09월 16일 |
) |
(단위 : 백만원) |
시설자금 |
영업양수자금 |
운영자금 |
채무상환자금 |
타법인증권취득자금 |
기타 |
계 |
- |
- |
24,939 |
- |
- |
- |
24,939 |
주1) 상기 금액은 예정 발행가액을 기준으로 산정한 금액이며, 향후 발행가액 확정 시 변경될 수 있습니다. |
주2) 상기 모집총액은 우선적으로 하단에 기재된 자금의 사용 목적에 따라 사용할 예정입니다. |
주3) 발행제비용은 공모금액 및 실권규모, 유관기관과의 협의 등에 따라 변경될 수 있으며, 상기 기재 금액은 청약 초과로 인하여 실권이 발생하지 않은 상황을 가정하여 산정되었습니다. 발행제비용은 공모자금 외 당사 자체비용으로 충당할 계획입니다. |
(중략)
당사가 이번 공모 유상증자를 통해 조달한 약
24,939백만원은 주요 파이프라인인 NuGel 임상 2b상 진행을 위한 CRO 및 의료기관 비용과, NuSepin의 전신 염증 반응 증후군 적응증 확장을 위한 연구자 주도 임상 실행 비용으로 사용될 예정입니다. 또한, 당사의 주요 파이프라인 중 하나인 NuCerin의 국내 임상 1상 진행 비용과 Papiliximab의 CMC(원료 의약품과 완제 의약품의 품질을 보증하기 위한 연구개발 및 제조 공정)진행 비용에도 사용될 계획입니다.
아울러, 이번 공모 유상증자를 통해 조달한 자금은 기타 파이프라인 연구개발 비용과 신규 사업(화장품 사업) 진출 비용 및 당사 사업 운영을 위한 운영비 등으로도 활용될 예정입니다.
[유상증자 자금사용의 개요] |
(단위 : 백만원) |
대분류 |
소분류 |
2025 |
2026 |
2027 |
합계 |
우선순위 |
Q4 |
Q1 |
Q2 |
Q3 |
Q4 |
Q1 |
Q2 |
Q3 |
Q4 |
주요 파이프라인 |
NuGel |
1,000 |
1,000 |
642 |
- |
- |
- |
- |
- |
- |
2,642 |
1 |
NuSepin |
- |
- |
- |
- |
- |
- |
- |
250 |
250 |
500 |
NuCerin |
312 |
102 |
- |
- |
- |
- |
- |
- |
- |
414 |
Papiliximab |
- |
- |
- |
250 |
250 |
1,500 |
1,500 |
1,500 |
350 |
5,350 |
소 계 |
1,312 |
1,102 |
642 |
250 |
250 |
1,500 |
1,500 |
1,750 |
600 |
8,906 |
- |
기타 파이프라인 개발 |
780 |
750 |
750 |
750 |
- |
850 |
850 |
- |
- |
4,730 |
3 |
신규 사업(화장품 사업) |
419 |
450 |
450 |
450 |
450 |
900 |
900 |
900 |
- |
4,919 |
2 |
운영비(전사 급여, 지급수수료 등 판관비) |
- |
1,315 |
1,315 |
1,215 |
1,115 |
1,000 |
425 |
- |
- |
6,385 |
4 |
소 계 |
1,199 |
2,515 |
2,515 |
2,415 |
1,565 |
2,750 |
2,175 |
900 |
- |
16,033 |
- |
합 계 |
2,511 |
3,617 |
3,157 |
2,665 |
1,815 |
4,250 |
3,675 |
2,650 |
600 |
24,939 |
- |
(중략)
분류 |
세부 |
2025 |
2026 |
2027 |
4Q |
1Q |
2Q |
3Q |
4Q |
1Q |
2Q |
3Q |
4Q |
SIRS(전신 염증 반응 증후군) |
연구자주도 임상 |
- |
- |
- |
- |
- |
- |
- |
● |
● |
금번 조달한 자금 중 약
500백만원은 NuSepin의 SIRS에 대한 연구자 주도 임상을 진행하기 위한 비용으로 사용될 예정입니다.
(중략)
[NuSepin 연구자주도 임상 진행 개발 비용] |
(단위 : 백만원) |
프로젝트 |
항목 |
2025 |
2026 |
2027 |
합 계 |
4Q |
1Q |
2Q |
3Q |
4Q |
1Q |
2Q |
3Q |
4Q |
SIRS 적응증에 대한연구자주도 임상 진행 |
임상비용 |
- |
- |
- |
- |
- |
- |
- |
250 |
50 |
300 |
임상약 생산 |
- |
- |
- |
- |
- |
- |
- |
- |
- |
- |
임상약 관리 |
- |
- |
- |
- |
- |
- |
- |
- |
- |
- |
분석비용 |
- |
- |
- |
- |
- |
- |
- |
- |
200 |
200 |
합계 |
- |
- |
- |
- |
- |
- |
- |
250 |
250 |
500 |
자료 : 당사 제공 |
주1) " ● " 표시가 된 경우, 당사가 해당 시점에 연구 개발을 진행한다는 의미임. |
(중략)
[Papiliximab의 향후 개발 계획 및 일정] |
분류 |
세부 |
2025 |
2026 |
2027 |
4Q |
1Q |
2Q |
3Q |
4Q |
1Q |
2Q |
3Q |
4Q |
Papiliximab |
CMC |
- |
- |
- |
● |
● |
● |
● |
● |
● |
자료 : 당사 제공 |
주1) " ● " 표시가 된 경우, 당사가 해당 시점에 연구 개발을 진행한다는 의미임. |
금번 조달 자금 중
5,350백만원은 Papiliximab의 원료 의약품과 완제 의약품의 품질을 보증하기 위한 연구개발 및 제조 공정(CMC)을 진행하기 위한 연구용역비용으로 사용할 예정입니다.
[Papiliximab CMC 진행 비용 사용계획] |
(단위 : 백만원) |
프로젝트 |
항목 |
2025 |
2026 |
2027 |
합계 |
4Q |
1Q |
2Q |
3Q |
4Q |
1Q |
2Q |
3Q |
4Q |
CMC |
연구용역 |
- |
- |
- |
250 |
250 |
1,500 |
1,500 |
1,500 |
350 |
5,350 |
합 계 |
- |
- |
- |
250 |
250 |
1,500 |
1,500 |
1,500 |
350 |
5,350 |
(중략)
[기타 파이프라인 별 향후 개발 계획 및 일정] |
분류 |
세부 |
2025 |
2026 |
2027 |
4Q |
1Q |
2Q |
3Q |
4Q |
1Q |
2Q |
3Q |
4Q |
신규파이프라인 |
NuAreatin(원형탈모) |
● |
● |
● |
● |
- |
- |
- |
- |
- |
NuBesin(비만) |
● |
- |
- |
- |
- |
● |
● |
- |
- |
오비주맙 |
- |
- |
- |
- |
- |
● |
● |
- |
- |
렉티주맙 |
- |
- |
- |
- |
- |
● |
● |
- |
- |
자료 : 당사 제공 |
주1) " ● " 표시가 된 경우, 당사가 해당 시점에 연구 개발을 진행한다는 의미임. |
금번 조달 자금 중
4,730백만원은 기타 파이프라인 개발을 위해 사용될 예정입니다. 구체적으로 기타 파이프라인의 전임상 진행 및 신약후보물질 탐색 비용으로 금번 조달자금 중 일부가 사용될 계획이며, 시점 및 파이프라인 별 세부 사용 계획은 아래와 같습니다.
[기타 파이프라인 개발 비용 사용계획] |
(단위 : 백만원) |
사용내역 |
구분 |
적응증 |
2025 |
2026 |
2027 |
합계 |
4Q |
1Q |
2Q |
3Q |
4Q |
1Q |
2Q |
3Q |
4Q |
전임상 외주 용역 및신약후보물질 탐색비용 |
NuAreatin |
원형탈모 |
750 |
750 |
750 |
750 |
- |
- |
- |
- |
- |
3,000 |
NuBesin |
비만 |
30 |
- |
- |
- |
- |
250 |
250 |
- |
- |
530 |
오비주맙 |
고형암 |
- |
- |
- |
- |
- |
300 |
300 |
- |
- |
600 |
렉티주맙 |
고형암 |
- |
- |
- |
- |
- |
300 |
300 |
- |
- |
600 |
합계 |
780 |
750 |
750 |
750 |
- |
850 |
850 |
- |
- |
4,730 |
(중략)
분류 |
세부일정 |
2025 |
2026 |
2027 |
Q4 |
Q1 |
Q2 |
Q3 |
Q4 |
Q1 |
Q2 |
Q3 |
Q4 |
신규 사업(화장품 사업) |
화장품 원료 개발 |
● |
● |
- |
- |
- |
- |
- |
- |
- |
인체적용시험(임상) 진행 |
● |
● |
● |
- |
- |
- |
- |
- |
- |
마케팅 |
● |
● |
● |
● |
● |
● |
● |
● |
- |
제품 상용화 |
- |
- |
- |
● |
● |
● |
● |
● |
● |
당사는 화장품 상품 제작과 관련한 특허, 디자인, 임상 및 ODM 비용 등의 사전 비용 일체는 현재 자금으로 진행할 계획입니다. 따라서, 금번 조달 자금 중 당사는 신규 사업으로
4,919
백만원을 사용할 예정입니다. 화장품 사업의 특성상 신규 화장품의 초기 마케팅을 위해서는 제품홍보 용 제품의 샘플 및 홍보실행에 많은 비용이 필요합니다. 당사는 온라인 플랫폼에 입점판매를 위한 마케팅을 진행하고, 대외 인지도가 높은 유명인사 등을 고용하여 당사 화장품에 대한 프로모션을 진행할 계획입니다. 덧붙여, 당사가 자체적으로 운영하는 자사몰을 구축하여 리퍼럴마케팅을 실시하기 위한 비용으로도 금번 공모자금을 사용할 계획입니다.
구분 |
세부 항목 |
2025 |
2026 |
2027 |
합 계 |
Q4 |
Q1 |
Q2 |
Q3 |
Q4 |
Q1 |
Q2 |
Q3 |
Q4 |
화장품 사업 |
마케팅 비용 |
419 |
450 |
450 |
450 |
450 |
900 |
900 |
900 |
- |
4,919 |
합 계 |
419 |
450 |
450 |
450 |
450 |
900 |
900 |
900 |
- |
4,919 |
이외에 당사는 금번 유상증자 공모자금 중 운영비로
2025년 1분기부터 2027년 2분기
동안 총
6,385
백만원을 사용할 예정이며 이는 전사 급여, 지급수수료 및 판관비 등으로 사용될 예정입니다.
(후략)
(주8) 정정 전
(전략)
3. 신규사업과 관련된 투자 및 예상 자금소요액
- 원료 생산 및 ODM 제작: 1억원(2025년 상반기 집행)
- 마케팅: 2025년
4.19억원
, 2026년
18억원
, 2027년
36억원
- 조달원천: 보유현금 및 영업활동 현금흐름, 매출원가는 매출액으로 충당 예정
(후략)
(주8) 정정 후
(전략)
3. 신규사업과 관련된 투자 및 예상 자금소요액
- 원료 생산 및 ODM 제작: 1억원(2025년 상반기 집행)
- 마케팅: 2025년
4.19억원
, 2026년
18억원
, 2027년
27
억원
- 조달원천: 보유현금 및 영업활동 현금흐름, 매출원가는 매출액으로 충당 예정
(후략)
위 정정사항외에 모든 사항은 2025년 09월 01일자로 당사가 제출한 신고서와 동일하오니 이를 참고하시기 바랍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