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주총회소집공고 6.0 메드팩토

주주총회소집공고
2025년 3월 13일
회 사 명 : 주식회사 메드팩토
대 표 이 사 : 김성진
본 점 소 재 지 : 서울특별시 서초구 명달로 92, 보림빌딩
(전 화) 02-6938-0200
(홈페이지) http:// www.medpacto.com
작 성 책 임 자 : (직 책) 경영본부장 (성 명) 장민후
(전 화) 02-6938-0200

주주총회 소집공고
(제12기 정기)

주주님의 건승과 댁내의 평안을 기원합니다.

우리 회사는 정관 제22조에 의하여 제12기 정기주주총회를 아래와 같이 소집하오니 참석하여 주시기 바랍니다. 의결권 있는 발행주식총수의 100분의 1이하 소유주주에 대해서는 상법 제542조의4 및 당사 정관 제24조 제2항에 의거 본 공고로 소집통지를 갈음하오니 양지하여 주시기 바랍니다

- 아 래 -

1. 일 시 : 2025년 3월 28일(금) 오전 9시

2. 장 소 : 서울특별시 서초구 명달로 104, 모차르트 빌딩 2층 모차르트홀

3. 회의목적사항

가. 보고사항

① 감사의 감사보고

② 영업보고

③ 내부회계관리제도에 관한 실태보고

나. 결의사항

제1호 의안 : 제12기(2024.01.01~2024.12.31) 재무제표 승인의 건

제2호 의안 : 정관 일부 변경의 건 제2-1호 의안 : 제2조(목적) 제2-2호 의안 : 제8조의4(상환주식) 제2-3호 의안 : 제11조(신주의 배당기산일) 제2-4호 의안 : 제61조(분기배당) 제2-5호 의안 : 부칙

제3호 의안 : 이사 선임의 건

제3-1호 의안 : 사내이사(김성진) 선임의 건

제4호 의안 : 감사 선임의 건

제4-1호 의안 : 비상근 감사(이병호) 선임의 건

제5호 의안 : 이사보수한도 승인의 건

제6호 의안 : 감사보수한도 승인의 건

제7호 의안 : 주식매수선택권 부여 승인의 건

4. 경영참고사항 비치

상법 제542조의4에 의거 경영참고사항을 우리 회사의 본점, 금융위원회, 한국거래소 및 명의개서대행기관 한국예탁결제원 증권대행부에 비치하오니 참고하시기 바랍니다.

5. 예탁결제원 의결권 행사(섀도우보팅)제도 폐지에 따른 실질주주의 의결권 행사에 관한 사항

예탁결제원의 의결권 행사(섀도우보팅)제도가 2018년1월1일부터 폐지됨에 따라 금번 주주총회부터는 한국예탁결제원이 주주님들의 의결권을 행사할 수 없습니다. 따라서 주주님께서는 한국예탁결제원에 의결권행사에 관한 의사 표시를 하실 필요가 없으며, 종전과 같이 주주총회에 참석하여 의결권을 직접 행사하시거나 또는 위임장에 의거 의결권을 간접 행사하실 수 있습니다.

6. 전자투표에 관한 사항

당사는 이번 주주총회에서 주주총회에 직접 참석하지 않고도 의결권을 행사하실 수 있도록 전자투표제도(상법 제368조의4)를 도입하였습니다.

주주총회에 참석이 어려우신 주주님께서는 주주총회일 전에 전자투표를 통해 귀중한 의결권을 행사해주시기를 부탁드립니다.

가. 전자투표·전자위임장권유시스템 인터넷 및 모바일 주소 : 「https://vote.samsungpop.com」

나. 전자투표 행사·전자위임장 수여 기간 : 2025년 3월 18일 오전 9시~ 2025년 3월 27일 오후 5시

- 기간 중 24시간 의결권 행사 가능 (단, 마지막 날은 오후 5시까지만 가능)

다. 본인 인증 방법은 공동인증, 카카오페이, 휴대폰인증을 통해 주주 본인을 확인 후 의안별로 의결권행사

라. 수정동의안 처리 : 주주총회에서 상정된 의안에 관하여 수정동의가 제출되는 경우 전자투표는 기권으로 처리 (삼성증권 전자투표서비스 이용약관 제13조 제2항)

7. 주주총회 참석시 준비물

- 직접행사 : 신분증

- 대리행사 : 위임장(주주와 대리인 인적사항 기재, 인감 날인), 대리인의 신분증, 주주의 인감증명서

8. 기타사항가. 주주님의 전자투표 및 전자 위임장 활용을 적극 권유드립니다나. 참석 주주님들을 위한 주주총회 기념품은 회사경비 절감을 위해 지급하지 않습니다.

다. 주차공간이 매우 협소하므로 대중교통을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2025년 3월 13일

주식회사 메드팩토

대표이사 김 성 진 (직인생략)

명의개서대리인 한국예탁결제원 사장 이순호

I. 사외이사 등의 활동내역과 보수에 관한 사항

1. 사외이사 등의 활동내역 가. 이사회 출석률 및 이사회 의안에 대한 찬반여부
회차 개최일자 의안내용 가결여부 이사의 성명
김영식(출석률: 100%) 서준규(출석률: 100%) 김종훈 (출석률:100%) 강정화 (출석률:0%)
찬 반 여 부
1 2024.01.16 - 우선주인수계약 투자자 전환권 행사에 따른 보통주 전환의 건 가결 찬성 찬성 - -
2 2024.01.16 - 재단법인 길로와의 계약 체결의 건- 주식매수선택권 부여 취소의 건- 직원 9명에 대한 주식매수선택권 35,000주 부여 승인의 건 가결 찬성 찬성 - -
3 2024.02.07 - 2023년 재무제표 승인의 건- 2023년 영업보고서 승인의 건- 이사회 운영규정 변경의 건 가결 찬성 찬성 - -
4 2024.03.08 - 표준 주식매수선택권 부여계약서의 승인 건 가결 찬성 찬성 - -
5 2024.03.12 - 정기주주총회 소집 및 제출의안의 건- 전자투표 및 전자위임장 권유제도 채택의 건 가결 찬성 찬성 - -
6 2024.10.10 - 주식매수선택권 부여 취소의 건- 직원 11명에 대한 주식매수선택권 48,000주 부여 승인의 건 가결 - 찬성 찬성 -

주1) 상기 표의 사외이사 김영식은 2024년 03월 28일 일신상의 사유로 자진 사임하였습니다.주2) 당사 제11기 정기주주총회(2024.03.28)에서 사내이사 우정원, 기타비상무이사 허인식, 김창식, 사외이사 김종훈, 강정화 총 5인의 신규선임이 있었습니다.

나. 이사회내 위원회에서의 사외이사 등의 활동내역
위원회명 구성원 활 동 내 역
개최일자 의안내용 가결여부
- - - - -

- 해당사항 없습니다.

2. 사외이사 등의 보수현황
(단위 : 백만원)
구 분 인원수 주총승인금액 지급총액 1인당 평균 지급액 비 고
사외이사 3 1,000 30 10 -

II. 최대주주등과의 거래내역에 관한 사항

1. 단일 거래규모가 일정규모이상인 거래
(단위 : 억원)
거래종류 거래상대방(회사와의 관계) 거래기간 거래금액 비율(%)
- - - - -

- 해당사항 없습니다.

2. 해당 사업연도중에 특정인과 해당 거래를 포함한 거래총액이 일정규모이상인 거래
(단위 : 억원)
거래상대방(회사와의 관계) 거래종류 거래기간 거래금액 비율(%)
- - - - -

- 해당사항 없습니다.

III. 경영참고사항

1. 사업의 개요 가. 업계의 현황

1. 산업의 특성 (1) 주요 목표 시장

1) 의약품

의약품이란 병을 치료하거나 증상을 완화하는데 쓰이는 특정한 물질로써, 의약외품과 의료기기가 아닌 물질로 정의됩니다. 또한, 대한민국의 약사법에서는 의약품의 처방 유무에 따라 일반의약품과 전문의약품으로 나뉘고 있으며, 당사는 전문의약품을 개발하는 회사입니다.

전문의약품 중 당사가 주력으로 개발하고 있는 분야는 난치성 암을 치료하기 위한 항암제이며, 저분자화합물과 항체치료제 등 다양한 기술이 적용된 형태로 개발하고 있습니다.

2) 항암제

인간의 몸을 구성하고 있는 가장 작은 단위를 세포(cell)라고 부릅니다. 정상적인 세포는 세포내 조절기능에 의해 분열하며 성장하고 죽어 없어지기도 하며 세포수의 균형을 유지합니다. 어떤 원인으로 세포가 손상을 받는 경우, 치료를 받아 회복하여 정상적인 세포로 역할을 하게 되나 회복이 안 된 경우 스스로 죽게 됩니다.

그러나 여러가지 이유로 인해 이러한 증식과 억제가 조절되지 않는 비정상적인 세포들이 통제되지 못하고 과다하게 증식할 뿐만 아니라 주위 조직 및 장기에 종괴 형성 및 정상 조직의 파괴를 초래하는 성태를 암(cancer)이라 정의할 수 있습니다.

항암제는 이러한 암을 치료하는 목적으로 개발된 의약품으로 당사는 주로 암 치료 목적의 의약품을 개발하고 있습니다.

3) 면역항암제

1990년대 초부터 암치료제에 대한 여러 방법과 치료제가 개발되었습니다. 하지만 많은 부작용과 제한된 치료효과로 인해 끊임없이 대안에 대한 연구가 지속되어 왔으며,최근에는 우리 몸의 면역체계를 이용한 면역항암제가 항암치료의 대안으로 급부상하였으며, 당사는 이러한 면역항암제를 개발하고 있습니다.

(2) 산업의 연혁

1) 1세대 항암제

항암제는 1900년대 초 방사능 요법에서 화학항암제, 표적항암제를 지나 면역항암제 등 다양한 방식으로 발전해 왔습니다. 1세대 세포독성 화학항암제는 암세포를 축소·억제·제거하는 요법으로 빠르게 분화하는 암세포를 직접 공격하는 항암 치료법입니다. ‘파클리탁셀 (Paclitaxel)’이 대표적 약물로 난소암, 유방암, 폐암 및 위암의 초기 치료에 주로 사용되었으나, 분화 속도가 빠른 정상 세포까지 공격 대상이 되어 구토·탈모 등 부작용이 심했고 치료 과정에서 환자의 면역력까지 저하시키면서 각종 합병증을 유발시켰습니다.

2) 2세대 표적항암제

1세대 항암제에 대한 대안으로 암세포에만 나타나는 특정 단백질이나 유전자 변화를표적 삼아 암세포를 직접 괴사시키는 2세대 표적항암제가 개발되었습니다. 신호전달억제제 중심인 티로신키나제 합성을 억제하는 (Tyrosine kinase inhibitor, TKI) 기능으로 노바티스의 ‘글리벡(Gleevec, imatinib)’과 로슈의 ‘허셉틴(Herceptin)’이 그 대표적인 약물이며, 혈관신생 억제를 목표로 VEGF(혈관내피세포 성장인자, Vascular endothelial growth factor, VEGF)를 차단하는 로슈의 ‘아바스틴(Avastin)’이 대표적인 치료제 임에도 표적치료제 그 자체로 내성 문제와 사용 제한성이 많았습니다.

3) 3세대 면역항암제

결국 암 환자의 면역 체계를 활성화하여 암세포를 제거하는 방향으로 인식의 틀을 전환한 면역 항암제가 새로운 치료법으로 주목받기 시작했습니다. 후천적으로 획득하게 된 면역 반응(Adaptive or Acquired Immune Response)의 특성을 치료에 이용함에 따라 암세포 항원을 한번 인지한 면역 세포는 그 인지 기능을 기억할 수 있으므로 장기적인 치료 효능과 전이암에 대한 억제 효능도 함께 기대할 수 있게 되었습니다.

[FDA 연도별 신약 허가 현황]

구분 2015년 2016년 2017년 2018년 2019년 2020년 2021년 합계
신약허가품목수 45 22 46 59 48 53 50 288
항암신약품목수 (비율)

21

(46%)

11

(50%)

14

(30%)

16(27%) 7(15%) 11(21%) 9(18%)

89

(31%)

면역항암제

(신약명)

- 티센트릭

임핀지

바벤시오

리브타요 - - - -

* 출처: FDA 홈페이지 및 centerwatch.com/oncology

표적항암제가 항암치료의 혁명을 일으킨 지 15년도 안되어 2011년에 BMS 가 ‘CTLA-4’ 라고 하는 면역관문(Immune checkpoint Inhibitor, ICI)에 대한 항체를 FDA로부터 승인을 받았고 3년 후인 2014년에 머크(MSD)와 BMS가 각각 ‘PD-1’ 이라고 하는 면역관문에 대한 항체를 FDA로부터 허가를 받으며 3세대 항암치료제인 면역항암제 시대를 열게 됩니다. 2016년과 2017년에 로슈(Roche), 화이자 (Pfizer), 아스트라제네카(AstraZeneca)가 연이어 PD-L1에 대한 항체를 FDA로부터 승인을 받게 되면서 총 7개의 면역관문에 대한 항체가 FDA로부터 승인을 받은 상태에 있습니다 (Anti CTLA-4 1건, Anti PD-1 2건, Anti PD-L1 3건 및 Anti CTLA-4+PD-1 1건 등 총 7건). 현재 여러 글로벌 제약 회사와 바이오텍 기업들이 앞다투어 PD-1/PD-L1 기반 항체와 이중항체를 포함한 새로운 면역항암제 개발을 진행하고 있으며 FDA 승인 후의 면역관문 억제제의 매출 규모를 분석한 자료들에 따르면 2022년 전체 항암제 시장의 약 40% 정도를 이들 항암제들이 차지할 것이라고 예측되고 있습니다.2019년 의약품 매출 규모 상위 10대 의약품 안에 하나 이상의 면역관문 억제제 약품이 차지하면서 면역항암제가 실질적인 '게임 체인저(Game Changer)'로 부각, 항암제 시장의 대세로 자리 잡고 있습니다.

병용투여 요법은 암 환자의 상태 혹은 필요에 따라 각기 다른 표적에 대한 치료제들의 투여 용량과 투여 일정 (Simultaneous: 동시투여, sequential: 순차적 투여, on andoff schedule: 필요에 따른 투여)을 유연하게 조율하여 효능을 극대화하면서 부작용은 적게 관리할 수 있는 장점이 있어 항암 효능의 상승효과(Synergic effect)를 기대할 수 있습니다.

이에 최근의 연구개발 트렌드의 초점은 어떤 환자가 면역관문 억제제에 반응하는가, 반응하는 환자 수를 어떻게 끌어 올릴 수 있는가에 집중되고 있으며, 특히 반응하는 환자 수를 끌어올리기 위해 다양한 방식으로 병용요법이 진행 중입니다. 기존의 치료방법 중 저분자 화합물(Small Molecule)을 활용하는 방식에서부터 표적항암제 혹은 다른 면역관문 억제제, 그 외 다양한 치료제와의 최적의 조합 연구를 활발히 진행하고 있습니다. 이 중 머크(MSD)의 키트루다 및 BMS의 옵디보를 중심으로 병용 요법에 대한 임상이 가장 활발하게 진행 중이며 머크 및 BMS는 단독요법으로 부족한 치료율 및 효과에 대한 부족함을 채우기 위해 자체 개발한 항체 치료제와 병용할 수 있는 적합한 파트너를 물색하는 방향으로 진행되고 있습니다. 지금까지는 보다 명확한 타겟을 발굴하여 이를 대규모 임상을 통해 입증하고 그 결과를 토대로 허가를 만들어냈던 단독용법 중심이었으나 이제는 초기 면역항암제 개발 열기를 지나 병용요법의 개발이 본격적으로 항암 치료의 제 2 라운드에 돌입했다고 할 수 있습니다.

최근 3세대 항암제의 트렌드로 급격히 부상한 면역항암제 중 PD-1/PD-L1 유전자를 표적으로 하는 면역관문억제제의 경우 총 2,975건의 단독 또는 병용 임상시험(2019년 9월 기준)이 진행되고 있고 이중 병용임상시험은 총 2,261건에 이릅니다. 2,261건에 이르는 병용 임상시험 중에서 38종의 표적 항암제와 PD-1/PD-L1 면역항암제 (키트루다, 옵디보, 임핀지, 티쎈트릭, 바벤시오)의 병용이 1,924건(전체 병용임상중 85%)에 이릅니다. 키트루다의 임상시험의 경우 단일요법이 2017년과 2019년에 각각 159건과 217건(33건, 36% 증가)인 반면, 병용요법은 2017년과 2019년에 각각 399건과 656건(162건, 64% 증가)으로 크게 증가했습니다.

면역항암제 중심 병용투여 조합 대상 현황.jpg 면역항암제 중심 병용투여 조합 대상 현황

* 출처 : Cancer Research Institute

2. 산업의 성장성

당사의 파이프라인은 기존의 면역항암제 및 항암제와 병용요법이 가능하기 때문에 면역항암제 및 항암제 시장의 성장은 당사에게 큰 기회요인으로 작용합니다. 실제 당사의 주력제품인 백토서팁은 글로벌 제약사인 머크(MSD)의 ‘키트루다’(위암, 대장암), 아스트라제네카의 ‘임핀지’(비소세포폐암)의 병용요법을 공동으로 개발하고 있습니다. 항암제 시장은 면역항암제 시장의 성장과 힘입어 2017년 기준 1,040억달러에서 2024년 2,330억달러로 규모로 연평균 2024년까지 연평균 12.2%의 높은성장세를 나타낼 것으로 전망되고 있습니다.

(1) 의약품 산업

세계 의약품 산업의 현황 및 전망 (EvaluatePharma, 2021, World Preview 2021 Outlook to 2026)에 따르면, 세계 의약품 중 전문의약품(prescription drug) 시장규모는 2021년 기준매출액이 1조 310억 달러로 2026년까지 연평균 6.4%의 고성장이 예상되며, 매출액은 1조 4,070억 달러에 이를 것으로 예상되고 있습니다.

전세계 의약품 시장 현황 및 전망.jpg 전세계 의약품 시장 현황 및 전망

* 출처 : EvaluatePharma, 2021, World preview 2021 outlook to 2026 (2) 항암제 시장 규모 및 전망2018년 2월 발표된 세계보건기구(WHO)의 통계에 따르면 2015년 한 해 전세계에서 880만명이 암에 의해 사망하였는데 이는 전세계 사망인구의 6명 중 1명에 해당하는 수치입니다. 또한 2012년 1,410만명이었던 전세계 암환자는 2035년 2,400만 명으로 지속적인 증가세를 나타낼 것으로 WHO는 예상하고 있습니다. 여전히 암은 인류가 해결해야만 하는 가장 큰 숙제로 남아 있으며 이러한 암환자의 증가와 더불어 항암 화학요법에서 면역을 활용한 치료제까지 암을 정복하기 위한 인간의 노력은 끊임없이 지속되어 왔습니다. 이러한 결과로 항암제는 주요 질병 치료제 중 가장 큰 시장점유율과 함께 2019년 기준 1,454억달러에서 2026년 3,112억달러로 규모로 연평균 2024년까지 연평균 11.5%의 높은 성장세를 나타낼 것으로 전망되고 있습니다. 수술에서 방사선요법 이외에 다양한 항암치료제가 시장에 출시되어 있지만, 암환자의 생존율을 높이고 삶의 질을 개선시키기 위한 미충족 의료 수요(Unmet medical needs)가 여전히 높은 분야이기 때문입니다.

전세계 질환 분야별 시장 현황 및 전망.jpg 전세계 질환 분야별 시장 현황 및 전망

* 출처 : EvaluatePharma, 2020, World preview 2020 outlook to 2026

(3) 면역항암제 시장 규모 및 전망

폭발적으로 성장하는 항암제 시장의 주요 배경으로는 차세대 항암제인 면역항암제의등장을 꼽을 수 있습니다. 앞서 언급한 것과 같이 면역항암제는 인체의 면역체계를 활성화시켜 암세포를 제거하는 암 치료법입니다. 환자의 몸 속 면역체계를 활용하기 때문에 부작용이 없는 것으로 알려져 있으며 적응증 확대로 혜택을 받을 수 있는 환자도 많게 됩니다. 일례로 간암 환자의 경우 면역 세포가 인체의 다른 세포는 공격하지 않고 간 내부에 침투한 종양만을 선택적으로 공격해 제거할 수 있습니다. 이러한 신개념 항암제의 등장으로 최근 암 치료는 기존 화학 및 표적항암제에서 면역항암제로 이른바 '패러다임 전환(Paradigm shift)'이 이루어지고 있습니다.

글로벌 시장조사기관 폴라리스 마켓 리서치(Polaris Market Research)에 따르면 전세계 면역항암제 시장은 2021년 기준 176억 달러에서 2025년까지 연평균 23.4%씩 성장하여 407억 달러로 성장할 것으로 예상된다. 이는, 2025년 기준 약 2,730억에 도달할 것으로 예측되는 항암제 분야 시장의 20%를 차지하는 수치로, 향후 면역항암제가 항암제 분야를 선도할 것이라는 관측이다.

기존 항암 치료제의 추세가 무엇을 없앨 것인가라는 표적항암제 중심에서 환자 스스로가 면역 기능을 복원시켜 암을 이겨낼 것인가의 개념으로 변화하면서 면역항암제가 더욱 각광받고 있으며 머크(MSD), BMS, 로슈(Roche), 아스트라제네카 등의 글로벌 제약사들이 시장을 주도하고 있습니다. 이미 이들 글로벌 제약사들은 면역항암제 신약개발에 성공하여 키트루다, 옵디보, 티센트릭 및 임핀지 등의 면역관문억제제(Immune checkpoint inhibitor, ICI)를 출시하였으며 이들 신약의 매출 또한 가파르게 성장하고 있습니다.

3. 경기변동의 특성 신약은 의약 및 보건건강 관련 제품이므로 경기변동에 크게 영향을 받지는 않는 특성이 있습니다. ‘삶의 질’과 관련된 제품의 경우 경기가 나빠지면 위축되는 경향이 있으나 건강을 중요시하는 특성상 일반 소비재 제품에 비해서 경기영향을 덜 받는다고 할 수 있습니다.

나. 회사의 현황

(1) 영업개황 및 사업부문의 구분

(가) 영업개황

당사의 주력 파이프라인인 백토서팁은 혈액암 및 고형암의 치료 목적으로 개발되고 있습니다. 백토서팁의 항암 적응증 확보를 위한 임상시험은 미국과 한국에서 다양한 적응증을 대상으로 임상시험을 진행하고 있습니다. 특히 당사가 직접 진행하고 있는 임상시험뿐만 아니라, 췌장암, 다발성골수종, 흑색종, 데스모이드종양 등 다양한 적응증을 대상으로 세계 유수의 연구기관들을 통해 연구자 주도 임상이 진행되고 있습니다.

당사는 후속 파이프라인으로 종양 미세환경 내에서 다중기능 사이토카인 신호전달을 억제하는 재조합 융합단백질인 MP010을 개발하고 있습니다.

이외에도 골다공증, 암의 뼈 전이, 류마티스 관절염, 건선 관절염 등과 같은 뼈 질환과 자가면역 질환을 대상으로 하는 혁신신약 후보물질 MP2021의 개발을 진행하고 있습니다.

(나) 공시대상 사업부문의 구분

당사는 차세대 시퀀싱, 어레이 시퀀싱, 바이오인포메틱스 등 첨단 유전체분석 기술의 이용결과를 바탕으로 하여 맞춤형 치료제 개발을 위한 표적을 발굴하고, 저분자화합물, 항체의약품 등의 첨단 바이오 기술을 이용하여 혁신적 신약을 개발하며, 치료 효율을 높이는 바이오마커를 발굴, 개발을 진행하고 있습니다.당사 파이프라인의 포트폴리오는 아래와 같습니다.

프로그램 기전 치료 요법 적응증 임상단계 임상국가

백토서팁

(Vactosertib,

TEW-7197)

TGF-β

저해

펨브롤리주맙

병용

대장암

2B/3상

진입

미국

한국

더발루맙 병용 비소세포폐암 2L

1B/2A상

완료

한국
단독 골육종

1B/2상

진행중

미국

한국

MP010 TME 단독

고형암

(췌장암, TNBC, 두경부암 등)

전임상 -
MP2021

TM4SF19

저해

단독

골다공증, 염증성 관절염

뼈 전이(유방암, 전립선암 등)

전임상 -

(2) 시장점유율

당사는 기술이전을 주 수익모델로 하고 있어, 일반적인 시장 점유율을 설명하기에는 어려움이 있습니다

(3) 시장의 특성

(가) 미래 신성장 동력산업제약산업은 인간의 생명과 보건에 관련된 제품을 생산하는 국민의 건강과 직결된 산업으로서 제품의 개발에서 임상시험, 인·허가 및 제조, 유통, 판매 등 전과정을 매우 엄격히 규제하고 있습니다. 또한 제약 산업은 신약개발을 위한 연구에서부터 원료 및 완제의약품의 생산과 판매 등 모든 과정을 포괄하는 첨단 부가가치 산업으로 기술 집약도가 높고 신제품 개발 여부에 따라 엄청난 부가가치를 창출할 수 있는 미래 신성장 동력 산업입니다.

(나) 산학/글로벌 네트워크 확보가 관건바이오 의약은 첨단 및 복합기술을 활용하고 제품개발 단계가 다단계로 이루어져 다양한 혁신주체간의 역할 분담 및 협력이 필수적입니다. 기초연구를 담당하는 대학, 공공 연구기관과 함께 중소 벤처기업, 중견 및 다국적 대형 제약기업, 임상병원 등 다양한 분야 주체간 협력이 필요하므로 국내뿐 아니라 범세계적인 협력/연계 관계의 활성화가 경쟁력 확보에 매우 중요합니다.

(다) 연구인력의 역량이 성과 좌우기술개발의 성공 여부는 전적으로 연구인력의 역량에 좌우될 만큼 인적자원이 중요합니다. 연구 아이템을 정하고 전체 프로젝트를 총괄 책임질 수 있는 핵심연구인력의 확보는 기업 경쟁력을 결정하는 중요한 요인으로 작용합니다.

(4) 신규사업 등의 내용 및 전망

해당 사항 없습니다.

(5) 조직도

메드팩토 조직도.jpg 메드팩토 조직도

2. 주주총회 목적사항별 기재사항 □ 재무제표의 승인

가. 해당 사업연도의 영업상황의 개요

당사의 영업상황에 대한 자세한 사항은 Ⅲ. 경영참고사항 1. 사업의 개요 및 주주총회 목적사항별 기재사항을 참조하여 주시기 바랍니다.

나. 해당 사업연도의 대차대조표(재무상태표)ㆍ손익계산서(포괄손익계산서)ㆍ이익잉여금처분계산서(안) 또는 결손금처리계산서(안)

※ 아래의 제12기 연결재무제표 및 별도재무제표는 외부감사인의 감사결과 및 정기주주총회 승인 과정에서 변경될 수 있습니다. ■ 연결기준 재무제표

- 연결대차대조표(연결재무상태표)

<연 결 대 차 대 조 표(연 결 재 무 상 태 표)>

제 12 기 2024. 12. 31 현재
제 11 기 2023. 12. 31 현재
주식회사 메드팩토와 그 종속기업 (단위 : 원)
과 목 제 12 (당) 기 제 11 (전) 기
자 산        
유동자산   56,883,577,105   75,154,222,630
현금및현금성자산 15,009,330,185   72,604,150,733  
단기금융상품 40,469,446,704   -  
기타채권 382,621,867   844,270,385  
기타유동자산 1,022,178,349   1,705,801,512  
비유동자산   3,995,275,988   5,320,162,882
관계기업투자주식 224,275,048   626,123,919  
유형자산 2,789,038,032   3,646,744,728  
무형자산 228,369,059   343,128,970  
비유동기타채권 753,593,849   704,165,265  
자산총계   60,878,853,093   80,474,385,512
부 채        
유동부채   1,287,090,798   7,741,496,010
금융부채 372,505,287   6,917,169,395  
기타채무 833,727,371   711,956,820  
기타유동부채 80,858,140   112,369,795  
비유동부채   1,754,974,230   1,824,226,068
비유동금융부채 1,568,420,909   1,686,946,081  
비유동기타채무 39,188,287   -  
복구충당부채 147,365,034   137,279,987  
부채총계   3,042,065,028   9,565,722,078
자 본        
지배기업의 소유주에게 귀속되는 자본   57,836,788,065   70,908,663,434
자본금   17,137,560,500   16,790,347,500
자본잉여금   239,539,857,861   233,029,995,112
기타자본구성요소   345,382,461   242,422,948
결손금   (199,186,012,757)   (179,154,102,126)
비지배지분   -   -
자본총계   57,836,788,065   70,908,663,434
부채와자본총계   60,878,853,093   80,474,385,512

- 연결손익계산서(연결포괄손익계산서)

<연 결 손 익 계 산 서(연 결 포 괄 손 익 계 산 서)>

제 12 기 (2024. 01. 01 부터 2024. 12. 31 까지)
제 11 기 (2023. 01. 01 부터 2023. 12. 31 까지)
주식회사 메드팩토와 그 종속기업 (단위 : 원)
과 목 제 12 (당) 기 제 11 (전) 기
매출액   -   -
매출원가   -   -
매출총이익   -   -
판매비와관리비   21,707,522,038   28,757,985,751
영업손실   (21,707,522,038)   (28,757,985,751)
영업외손익   1,675,611,407   (6,566,800,021)
금융수익 2,282,284,322   740,877,053  
금융비용 (132,570,000)   (7,095,368,318)  
기타수익 131,036,258   294,077,535  
기타비용 (152,624,268)   (115,946,161)  
관계기업손익 (452,514,905)   (390,440,130)  
법인세비용차감전순손실   (20,031,910,631)   (35,324,785,772)
법인세비용   -   -
당기순손실   (20,031,910,631)   (35,324,785,772)
지배기업 소유주지분   (20,031,910,631)   (35,324,785,772)
비지배지분   -   -
기타포괄손익   102,959,513   26,853,016
후속적으로 당기손익으로 재분류되는 항목:
해외사업환산손익   52,293,479   5,035,434
지분법자본변동   50,666,034   21,817,582
총포괄손실   (19,928,951,118)   (35,297,932,756)
총포괄손실의 귀속        
지배기업 소유주지분   (19,928,951,118)   (35,297,932,756)
비지배지분   -   -
기본주당손실   (595)   (1,665)
희석주당손실   (595)   (1,665)

- 연결자본변동표 < 연 결 자 본 변 동 표>

제 12 기 (2024. 01. 01 부터 2024. 12. 31 까지)
제 11 기 (2023. 01. 01 부터 2023. 12. 31 까지)
주식회사 메드팩토와 그 종속기업 (단위 : 원)
과 목 지배기업의 소유주에게 귀속되는 자본 비지배 지분 총 계
자본금 자본잉여금 기타자본 결손금 지배기업의 소유주에게귀속되는 자본 합계
2023.1.1 (전기초) 10,540,347,500 165,395,996,544 215,569,932 (143,829,316,354) 32,322,597,622 - 32,322,597,622
당기순손실 - - - (35,324,785,772) (35,324,785,772) - (35,324,785,772)
유상증자 6,250,000,000 66,594,365,330 - - 72,844,365,330   72,844,365,330
주식기준보상 - 1,039,633,238 - - 1,039,633,238 - 1,039,633,238
지분법자본변동 - - 21,817,582 - 21,817,582 - 21,817,582
해외산업환산손익 - - 5,035,434 - 5,035,434 - 5,035,434
2023.12.31 (전기말) 16,790,347,500 233,029,995,112 242,422,948 (179,154,102,126) 70,908,663,434 - 70,908,663,434
2024.1.1 (당기초) 16,790,347,500 233,029,995,112 242,422,948 (179,154,102,126) 70,908,663,434 - 70,908,663,434
당기순손실 - - - (20,031,910,631) (20,031,910,631) - (20,031,910,631)
전환우선주 전환 347,213,000 5,829,419,930 - - 6,176,632,930 - 6,176,632,930
주식기준보상 - 680,442,819 - - 680,442,819 - 680,442,819
지분법자본변동 - - 50,666,034 - 50,666,034 - 50,666,034
해외사업환산손익 - - 52,293,479 - 52,293,479 - 52,293,479
2024.12.31 (당기말) 17,137,560,500 239,539,857,861 345,382,461 (199,186,012,757) 57,836,788,065 - 57,836,788,065

- 연결현금흐름표 <연 결 현 금 흐 름 표>

제 12 기 (2024. 01. 01 부터 2024. 12. 31 까지)
제 11 기 (2023. 01. 01 부터 2023. 12. 31 까지)
주식회사 메드팩토와 그 종속기업 (단위 : 원)
과 목 제 12 (당) 기 제 11 (전) 기
영업활동으로 인한 현금흐름   (16,559,166,128)   (26,301,052,557)
영업에서 창출된 현금흐름 (17,931,497,646)   (25,901,641,126)  
당기순손실 (20,031,910,631)   (35,324,785,772)  
수익비용의 조정 515,983,958   9,616,303,422  
영업활동으로 인한 자산ㆍ부채의 변동 1,584,429,027   (193,158,776)  
이자의 지급 -   (1,418,425,341)  
이자의 수취 1,510,579,718   894,626,910  
법인세환급(지급) (138,248,200)   124,387,000  
투자활동으로 인한 현금흐름   (40,237,409,534)   96,525,852,125
투자활동으로 인한 현금유입액 46,822,390,408   185,709,828,445  
단기금융상품의 감소 46,822,390,408   185,659,708,445  
기타비유동자산의 감소 -   50,120,000  
투자활동으로 인한 현금유출액 (87,059,799,942)   (89,183,976,320)  
단기금융상품의 증가 (86,737,126,259)   (88,711,063,662)  
유형자산의 증가 (313,890,909)   (100,642,162)  
무형자산의 증가 (8,782,774)   (72,270,496)  
기타유동자산의 증가 -   (300,000,000)  
재무활동으로 인한 현금흐름   (843,815,995)   2,013,573,262
재무활동으로 인한 현금유입액 -   73,844,365,330  
유상증자 -   72,844,365,330  
단기차입금의 증가 -   1,000,000,000  
재무활동으로 인한 현금유출액 (843,815,995)   (71,830,792,068)  
리스부채의 감소 (843,815,995)   (815,777,068)  
복구충당부채의 감소 -   (15,015,000)  
단기차입금의 상환 -   (1,000,000,000)  
전환사채의 상환 -   (70,000,000,000)  
현금의증가(감소)   (57,640,391,657)   72,238,372,830
기초의현금   72,604,150,733   359,854,622
외화표시 현금및현금성자산의 환율변동효과   45,571,109   5,923,281
기말의현금   15,009,330,185   72,604,150,733

- 연결이익잉여금처분계산서(안) 또는 연결결손금처리계산서(안)

<연결이익잉여금처분계산서 / 연결결손금처리계산서>

제 12 기 (2024. 01. 01 부터 2024. 12. 31 까지)
제 11 기 (2023. 01. 01 부터 2023. 12. 31 까지)
주식회사 메드팩토와 그 종속기업 (단위 : 원)
과 목 제 12 (당)기 제 11 (전)기
금 액 금 액
미 처 리 결 손 금   199,294,452,770   179,154,102,126
전기이월미처리 결 손 금 179,154,102,126   143,829,316,354  
당 기 순 손 실 20,140,350,644   35,324,785,772  
결 손 금 처 리 액        
차기이월 미처리 결 손 금   199,294,452,770   179,154,102,126

- 최근 2사업연도의 배당에 관한 사항

해당사항 없습니다.

■ 별도기준 재무제표

- 대차대조표(재무상태표)

<대 차 대 조 표(재 무 상 태 표)>

제 12 기 2024. 12. 31 현재
제 11 기 2023. 12. 31 현재
주식회사 메드팩토 (단위 : 원)
과 목 제 12 (당) 기 제 11 (전) 기
자 산        
유동자산   56,458,863,235   74,896,394,206
현금및현금성자산 14,584,616,315   72,346,322,309  
단기금융상품 40,469,446,704   -  
기타채권 382,621,867   844,270,385  
기타유동자산 1,022,178,349   1,705,801,512  
비유동자산   2,570,943,009   4,015,990,227
종속및관계기업투자주식 543,578,159   1,132,985,771  
유형자산 1,139,249,682   1,918,028,096  
무형자산 228,369,059   343,128,970  
비유동기타채권 659,746,109   621,847,390  
자산총계   59,029,806,244   78,912,384,433
부 채        
유동부채   1,006,464,858   7,753,842,015
금융부채 112,598,997   6,635,632,773  
기타채무 813,007,721   1,005,839,447  
기타유동부채 80,858,140   112,369,795  
비유동부채   186,553,321   249,878,984
비유동금융부채 39,188,287   112,598,997  
복구충당부채 147,365,034   137,279,987  
부채총계   1,193,018,179   8,003,720,999
자 본        
자본금   17,137,560,500   16,790,347,500
자본잉여금   239,539,857,861   233,029,995,112
기타자본구성요소   345,382,461   242,422,948
결손금   (199,186,012,757)   (179,154,102,126)
자본총계   57,836,788,065   70,908,663,434
부채와자본총계   59,029,806,244   78,912,384,433

- 손익계산서(포괄손익계산서)

<손 익 계 산 서(연 결 포 괄 손 익 계 산 서)>

제 12 기 (2024. 01. 01 부터 2024. 12. 31 까지)
제 11 기 (2023. 01. 01 부터 2023. 12. 31 까지)
주식회사 메드팩토 (단위 : 원)
과 목 제 12 (당) 기 제 11 (전) 기
매출액   -   -
매출원가   -   -
매출총이익   -   -
판매비와관리비   21,511,529,858   28,876,479,864
영업손실   (21,511,529,858)   (28,876,479,864)
영업외손익   1,479,619,227   (6,448,305,908)
금융수익 2,271,290,334   731,882,506  
금융비용 (77,715,972)   (7,093,456,112)  
기타수익 131,036,258   294,077,535  
기타비용 (152,624,268)   (115,946,161)  
종속ㆍ관계기업손익 (692,367,125)   (264,863,676)  
법인세비용차감전순손실   (20,031,910,631)   (35,324,785,772)
법인세비용   -   -
당기순손실   (20,031,910,631)   (35,324,785,772)
기타포괄손익   102,959,513   26,853,016
후속적으로 당기손익으로 재분류되는 항목:
지분법자본변동   102,959,513   26,853,016
총포괄손실   (19,928,951,118)   (35,297,932,756)
기본주당손실   (595)   (1,665)
희석주당손실   (595)   (1,665)

- 자본변동표 < 자 본 변 동 표>

제 12 기 (2024. 01. 01 부터 2024. 12. 31 까지)
제 11 기 (2023. 01. 01 부터 2023. 12. 31 까지)
주식회사 메드팩토 (단위 : 원)
과 목 자본잉여금 기타자본 결손금 총 계
구성요소
2023.1.1 (전기초) 165,395,996,544 215,569,932 (143,829,316,354) 32,322,597,622
당기순손실 - - (35,324,785,772) (35,324,785,772)
유상증자 66,594,365,330 - - 72,844,365,330
주식기준보상 1,039,633,238 - - 1,039,633,238
지분법자본변동 - 26,853,016 - 26,853,016
2023.12.31 (전기말) 233,029,995,112 242,422,948 (179,154,102,126) 70,908,663,434
2024.1.1 (당기초) 233,029,995,112 242,422,948 (179,154,102,126) 70,908,663,434
당기순손실 - - (20,031,910,631) (20,031,910,631)
전환우선주 전환 5,829,419,930 - - 6,176,632,930
주식기준보상 680,442,819 - - 680,442,819
지분법자본변동 - 102,959,513 - 102,959,513
2024.12.31(당기말) 239,539,857,861 345,382,461 (199,186,012,757) 57,836,788,065

- 현금흐름표 <현 금 흐 름 표>

제 12 기 (2024. 01. 01 부터 2024. 12. 31 까지)
제 11 기 (2023. 01. 01 부터 2023. 12. 31 까지)
주식회사 메드팩토 (단위 : 원)
과 목 제 12 (당) 기 제 11 (전) 기
영업활동으로 인한 현금흐름   (17,038,296,460)   (26,421,779,970)
영업에서 창출된 현금흐름 (18,399,633,990)   (26,013,503,213)  
당기순손실 (20,031,910,631)   (35,324,785,772)  
수익비용의 조정 386,420,721   9,191,531,682  
영업활동으로인한자산ㆍ부채의 변동 1,245,855,920   119,750,877  
이자의지급 -   (1,418,425,341)  
이자의수취 1,499,585,730   885,761,584  
법인세환급(지급) (138,248,200)   124,387,000  
투자활동으로 인한 현금흐름   (40,237,409,534)   96,392,756,068
투자활동으로 인한 현금유입액 46,822,390,408   185,571,546,590  
단기금융상품의 감소 46,822,390,408   185,521,426,590  
기타비유동자산의 감소 -   50,120,000  
투자활동으로 인한 현금유출액 (87,059,799,942)   (89,178,790,522)  
단기금융상품의 증가 (86,737,126,259)   (88,711,063,662)  
유형자산의 증가 (313,890,909)   (95,456,364)  
무형자산의 증가 (8,782,774)   (72,270,496)  
기타유동자산의 증가 -   (300,000,000)  
재무활동으로 인한 현금흐름   (486,000,000)   2,319,117,660
재무활동으로 인한 현금유입액 - - 73,844,365,330  
유상증자 -   72,844,365,330  
단기차입금의 증가 -   1,000,000,000  
재무활동으로 인한 현금유출액 (486,000,000)   (71,525,247,670)  
리스부채의 감소 (486,000,000)   (510,232,670)  
복구충당부채의 감소 -   (15,015,000)  
단기차입금의 상환 -   (1,000,000,000)  
전환사채의 상환 -   (70,000,000,000)  
현금의증가(감소)   (57,761,705,994)   72,290,093,758
기초의현금   72,346,322,309   56,228,551
기말의현금   14,584,616,315   72,346,322,309

- 이익잉여금처분계산서(안) 또는 결손금처리계산서(안)

<이익잉여금처분계산서 / 결손금처리계산서>

제 12 기 (2024. 01. 01 부터 2024. 12. 31 까지)
제 11 기 (2023. 01. 01 부터 2023. 12. 31 까지)
주식회사 메드팩토 (단위 : 원)
과 목 제 12 (당)기 제 11 (전)기
금 액 금 액
미 처 리 결 손 금   199,294,452,770   179,154,102,126
전기이월미처리 결 손 금 179,154,102,126   143,829,316,354  
당 기 순 손 실 20,140,350,644   35,324,785,772  
결 손 금 처 리 액        
차기이월 미처리 결 손 금   199,294,452,770   179,154,102,126

- 최근 2사업연도의 배당에 관한 사항

해당사항 없습니다.

□ 정관의 변경

가. 집중투표 배제를 위한 정관의 변경 또는 그 배제된 정관의 변경

변경전 내용 변경후 내용 변경의 목적
- - -

나. 그 외의 정관변경에 관한 건

변경 전 변경 후 개정이유

제2조(목적)

1. ~ 14. (생략)

15. 위 각 호에 부대되는 수출입 및 수출입 대행업, 수입물품 판매업

16. 위 각호 관련된 라이선스업

17. 부동산 매매, 임대 및 관리업

18. 기타 위 사업에 관련되거나 필요하거나 부수되는 일체의 사업

제 2조(목적)

1. ~ 14. (현행과 같음)

15 . 유전체 연구 및 분석, 자문업을 포함하는 유전체 관련 서비스업

16. 의약품 도소매업

17. 소프트웨어, 데이터베이스, 컴퓨터프로그래밍 개발, 제작 및 공급업

18. 온라인정보, 디지털콘텐츠 개발, 제작 및 공급업

19. 위 각호와 관련된 전자상거래업 및 통신판매업

20. 위 각호와 관련된 품목의 도소매업

21. 위 각호에 부대되는 수출입 및 수출입 대행업, 수입물품 판매업

22. 위 각호 관련 라이선스업

23. 부동산 매매, 임대 및 관리업

24. 기타 위 사업에 관련되거나 필요하거나 부수되는 일체의 사업

-진행중이거나 진행가능성이 있는 신사업을 구체화하여 명시함

-조항 번호 수정

제8조의4(상환주식)

① (생략)

② 상환주식의 상환기일은 발행일로부터 10년 이내의 범위에서 제5항의 기간을 고려하여 이사회 결의로 정한다. 다만 상환주식에 대하여 우선적 배당이 완료되지 아니하거나 회사의 이익이 부족하여 상환기간 내에 상환하지 못하는 경우에는 그 사유가 해소될 때까지 상환기간은 연장된다.

③ ~ ⑦ (생략)

제8조의4(상환주식)

① (현행과 같음)

② 상환주식의 상환기일은 발행일로부터 10년 이내의 범위에서 제6항의 기간을 고려하여 이사회 결의로 정한다. 다만 상환주식에 대하여 우선적 배당이 완료되지 아니하거나 회사의 이익이 부족하여 상환기간 내에 상환하지 못하는 경우에는 그 사유가 해소될 때까지 상환기간은 연장된다.

③ ~ ⑦ (현행과 같음)

-단순오기를 수정함

제11조( 신주의 배당기산일 )

회사가 유상증자, 무상증자 및 주식배당에 의하여 신주를 발행하는 경우 신주에 대한 이익의 배당에 관하여는 신주를 발행한 때가 속하는 사업연도의 직전 사업연도 말에 발행된 것으로 본다.

제11조( 동등배당 )

회사는 배당 기준일 현재 발행(전환된 경우를 포함한다)된 동종주식에 대하여 발행일에 관계없이 모두 동등하게 배당한다.

-상법 개정(2020.12.29.)에 의해 제 350조 제3항 삭제됨에 따라 제11조를 수정함

제61조(분기배당)

① 회사는 이사회의 결의로 사업연도 개시일부터 3월·6월 및 9월의 말일(이하 “분기배당 기준일”)의 주주에게 자본시장과 금융투자업에 관한 법률 제165조의12에 따라 분기배당을 할 수 있다.

제1항의 이사회 결의는 분기배당 기준일 이후 45일 내에 하여야 한다 .

제61조(분기배당)

① 회사는 사업연도 개시일부터 3개월, 6개월 및 9개월 경과 후 45일 이내의 이사회 결의로써 자본시장과 금융투자업에 관한 법률 제 165조의12에 따라 금전으로 분기배당을 할 수 있다.

회사는 이사회 결의로 제 1항의 배당을 받을 주주를 확정하기 위한 기준일을 정하는 경우 그 기준일의 2주 전에 이를 공고하여야 한다.

-자본시장법 개정 (2025. 1. 21.)에 의해 제165조의12 조항이 수정됨에 따라 제61조를 수정함.

<신설>

부칙

이 정관은 2025년 3월 28일부터 시행한다.

-부칙 신설

※ 기타 참고사항

해당사항 없음

□ 이사의 선임

가. 후보자의 성명ㆍ생년월일ㆍ추천인ㆍ최대주주와의 관계ㆍ사외이사후보자 등 여부

후보자성명 생년월일 사외이사후보자여부

감사위원회 위원인

이사 분리선출 여부

최대주주와의 관계 추천인
김성진 54.04.07 사내이사 후보 해당 없음 특수관계인 이사회
총 ( 1 ) 명

나. 후보자의 주된직업ㆍ세부경력ㆍ해당법인과의 최근3년간 거래내역

후보자성명 주된직업 세부경력 해당법인과의최근3년간 거래내역
기간 내용
김성진

메드팩토

대표이사

1984 ~ 1987

1987 ~ 1994

1994 ~ 2007

2007 ~ 2010

2010 ~ 2016

2011 ~ 2018

2016 ~ 2021

2021 ~ 20242016 ~ 현재 2024 ~ 현재

쓰쿠바대 응용생물화학 박사

미국 국립보건원 암연구소 연구원

미국 국립보건원 암세포신호전달연구실 종신 수석연구원

가천대학교 이길여 암당뇨연구원 원장

CHA 의과대학교 암연구소 연구소장

(주)테라젠이텍스 부회장

차세대융합기술연구원 정밀의학연구센터장

(주)테라젠이텍스 사내이사現) (주)메드팩토 대표이사現) 美 예일대학교 의과대학 겸임교수

해당사항 없음

다. 후보자의 체납사실 여부ㆍ부실기업 경영진 여부ㆍ법령상 결격 사유 유무

후보자성명 체납사실 여부 부실기업 경영진 여부 법령상 결격 사유 유무
김성진 해당없음 해당없음 해당없음

라. 후보자의 직무수행계획(사외이사 선임의 경우에 한함)

해당 없음

마. 후보자에 대한 이사회의 추천 사유

사내이사 김성진 후보자는 생명과학분야에 대한 전문지식을 바탕으로 회사의 지속 발전과 성장을 도울 수 있는 적임자로 사료됨. 회사의 경영환경에 대한 이해도가 높아 이사로서의 역할을 훌륭히 수행할 수 있는 적임자로 판단되어 사내이사로 추천함

확인서 확인서_김성진.jpg 확인서_김성진

※ 기타 참고사항

해당사항 없음

□ 감사의 선임

<감사후보자가 예정되어 있는 경우>

가. 후보자의 성명ㆍ생년월일ㆍ추천인ㆍ최대주주와의 관계

후보자성명 생년월일 최대주주와의 관계 추천인
이병호 56.02.23 해당없음 이사회
총 ( 1 ) 명

나. 후보자의 주된직업ㆍ세부경력ㆍ해당법인과의 최근3년간 거래내역

후보자성명 주된직업 세부경력 해당법인과의최근3년간 거래내역
기간 내용
이병호 기업인

1986~1994

1995~2014

2015~2016

2016~2019

미국 조지아공대 전산학 박사

한국투자증권 CIO(최고정보책임자)

명지대 컴퓨터공학과 교수

펀드온라인코리아 대표

해당사항 없음

다. 후보자의 체납사실 여부ㆍ부실기업 경영진 여부ㆍ법령상 결격 사유 유무

후보자성명 체납사실 여부 부실기업 경영진 여부 법령상 결격 사유 유무
이병호 해당없음 해당없음 해당없음

라. 후보자에 대한 이사회의 추천 사유

후보자는 오랜기간 금융회사에서 최고정보책임자로 수행한 경영전문가로서 풍부한 경험과 전문적인 지식 등을 바탕으로 기업활동에 대한 법적 투명성 제고와 전반적인 업무 및 내부통제에 관한 감독 역할을 해줄 적임자로 판단되어 이사회에서 추천함

확인서 확인서_이병호.jpg 확인서_이병호

※ 기타 참고사항

해당사항 없음

□ 이사의 보수한도 승인

가. 이사의 수ㆍ보수총액 내지 최고 한도액

(당 기)

이사의 수 (사외이사수) 7 ( 3 )
보수총액 또는 최고한도액 10억 원

(전 기)

이사의 수 (사외이사수) 7 ( 3 )
실제 지급된 보수총액 673백만원
최고한도액 10억 원

※ 기타 참고사항

해당사항 없음

□ 감사의 보수한도 승인

가. 감사의 수ㆍ보수총액 내지 최고 한도액

(당 기)

감사의 수 1
보수총액 또는 최고한도액 1억원

(전 기)

감사의 수 1
실제 지급된 보수총액 50백만원
최고한도액 1억원

※ 기타 참고사항

해당사항 없음

□ 주식매수선택권의 부여

가. 주식매수선택권을 부여하여야 할 필요성의 요지

당사는 유능한 신규 인력 확보 및 핵심 인력의 장기 근속 유도라는 목적을 위해 근무성과 및 회사 기여도 등에 근거하여 주식매수선택권을 부여하고자 합니다.

나. 주식매수선택권을 부여받을 자의 성명 ① 2024년 10월 10일 이사회 결의로 부여된 주식매수선택권

성명 직위 직책 교부할 주식
주식의종류 주식수
양경민 미등기임원 상무이사 보통주 10,000
OOO 외 7명 직원 - 보통주 27,000
총(9)명 보통주 총(37,000)주

② 2025년 3월 28일 정기주주총회 결의로 부여할 주식매수선택권

성명 직위 직책 교부할 주식
주식의종류 주식수
장민후 미등기임원 전무이사 보통주 15,000
OOO 외 14명 직원 - 보통주 55,500
총(15)명 보통주 총(70,500)주

다. 주식매수선택권의 부여방법, 그 행사에 따라 교부할 주식의 종류 및 수, 그 행사가격, 행사기간 및 기타 조건의 개요 ① 2024년 10월 10일 이사회 결의로 부여된 주식매수선택권

구 분 내 용 비 고
부여방법 신주 발행 교부 -
교부할 주식의 종류 및 수 기명식 보통주 -
행사가격 및 행사기간 - 행사가격 : 6,230원- 행사기간 : 2026.10.10 ~ 2030.10.09 -
기타 조건의 개요 세부사항은 주식매수선택권과 관련된 제반 법규, 당사 정관 및 계약서 정함에 따름 -

② 2025년 3월 28일 정기주주총회 결의로 부여할 주식매수선택권

구 분 내 용 비 고
부여방법 신주 발행 교부 -
교부할 주식의 종류 및 수 기명식 보통주 -
행사가격 및 행사기간 - 행사가격 : 주식매수선택권 부여일(주주총회일) 전일 종가 기준 2개월, 1개월, 1주일의 거래량 가중산술평균한 가격과 발행주식의 권면가액 중 높은 가격- 행사기간: 2027.03.28 ~ 2031.03.27 -
기타 조건의 개요 세부사항은 주식매수선택권과 관련된 제반 법규, 당사 정관 및 계약서 정함에 따름 -

라. 최근일 현재 잔여주식매수선택권의 내역 및 최근년도 주식매수선택권의 부여, 행사 및 실효내역의 요약

- 최근일 현재 잔여주식매수선택권의 내역

총발행주식수 부여가능주식의 범위 부여가능주식의 종류 부여가능주식수 잔여주식수
34,275,121 발행주식총수의 15% 보통주 5,141,268 615,460

- 최근 2사업연도와 해당사업연도의 주식매수선택권의 부여, 행사 및 실효내역

사업년도 부여일 부여인원 주식의종류 부여주식수 행사주식수 실효주식수 잔여주식수
2023년 2023-03-28 30 보통주 155,500 - 26,000 129,500
2024년 2024-01-16 9 보통주 35,000 - 1,000 34,000
2024-03-28 6 보통주 65,000 - 4,500 60,500
2024-10-10 11 보통주 48,000 - - 48,000
총( 56 )명 보통주 총( 303,500)주 총(-)주 총( 31,500)주 총( 272,000)주

※ 기타 참고사항

해당사항 없음

IV. 사업보고서 및 감사보고서 첨부

가. 제출 개요 2025년 03월 20일1주전 회사 홈페이지 게재
제출(예정)일 사업보고서 등 통지 등 방식

나. 사업보고서 및 감사보고서 첨부

회사는 상법시행령 제31조(주주총회 소집공고)에 의거하여 2024년도 사업보고서 및 감사보고서를 정기주주총회 개최 1주전까지 회사 홈페이지 및 전자공시시스템(DART)에 게재 예정이며, 아래에 안내하는 홈페이지에서 해당 내용을 확인하시기 바랍니다. ※ 홈페이지 주소 : http://www.medpacto.com

※ 참고사항

□ 주주총회 집중일 개최사유 : 당사는 이번 정기주주총회와 관련하여 당초에는 주주총회 집중일을 피해 개최하고자 하였으나, 결산 일정 및 외부감사인의 감사보고서 수령 일정 등을 감안하여 불가피하게 집중일인 2025년 3월 28일(금)에 주주총회를 개최하게 되었습니다.□ 전자투표 및 전자위임장에 관한 사항당사는 상법 제368조의 4 및 동법시행령 제13조에 따른 전자투표제도와 자본시장과 금융투자업에 관한 법률 시행령 제160조 제5호에 따른 전자위임장 권유제도를 이번 주주총회에 활용하도록 결의하였고, 이 두 제도의 관리업무를 삼성증권에 위탁하였습니다. 주주님들께서는 주주총회에 참석하지 아니하고 전자투표 방식으로 의결권을 행사하시거나 전자위임장을 수여하실 수 있습니다.

□ 기타사항 : 당사는 주주총회 참석기념품을 따로 제공하지 않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