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주총회소집공고 6.0 케이웨더 주식회사

주주총회소집공고
2025년 3월 13일
회 사 명 : 케이웨더 주식회사
대 표 이 사 : 김 동 식
본 점 소 재 지 : 서울시 구로구 디지털로 26길 5 에이스하이엔드타워 1차 401호
(전 화) 02-360-2200
(홈페이지)http://www.kweather.co.kr
작 성 책 임 자 : (직 책) 전무이사 (성 명) 정 현 태
(전 화) 02-360-2203

주주총회 소집공고
(제28기 정기)

당사 정관 제24조에 의거하여 제28기 정기주주총회를 아래와 같이 개최하오니 참석하여 주시기 바랍니다. - 아 래 -1. 일 시 : 2025년 3월 28일(금) 오전 9시2. 장 소 : 서울시 구로구 디지털로 26길 5 에이스하이엔드타워 1차 401호 케이웨더(주) 본사 대회의실

3. 회의의 목적사항(1) 보고사항 - 감사보고 - 영업보고 - 외부감사인 선임보고 - 내부회계관리제도 운영실태보고(2) 결의사항 - 제1호 의안 : 제28기(2024.1.1~2024.12.31) 별도 및 연결재무제표 승인의 건 - 제2호 의안 : 정관 일부 변경의 건 - 제3호 의안 : 사외이사 사임 및 선임, 사내이사 대표이사 중임의 건 3-1호 의안 : 사외이사 윤영훈 사임의 건 3-2호 의안 : 사외이사 이수완 신규 선임의 건 3-3호 의안 : 사외이사 이수완 온케이웨더 감사 겸인 승인의 건 3-4호 의안 : 사내이사 대표이사 김동식 중임의 건 - 제4호 의안 : 주식매수선택권 취소 및 부여 승인의 건 - 제5호 의안 : 이사 보수 한도 승인의 건4. 실질주주의 의결권 행사에 관한 사항금번 당사의 주주총회에서는 한국예탁결제원이 주주님들의 의결권을 대리행사할 수없습니다. 따라서 주주님께서는 주주총회에 참석하시어 의결권을 직접 행사하시거나위임장을 통해 간접 행사하실 수 있습니다.5. 주주총회 참석시 준비물(1) 직접행사 : 본인 신분증(2) 대리행사 : 위임장(주주와 대리인의 인적사항 및 소유주식수 기재, 인감날인), 위임인(주주) 인감증명서(법인을 대리하는 경우 법인인감증명서), 대리인 신분증

6. 기타사항- 금번 정기주주총회에서 별도의 기념품은 지급하지 않습니다.

- 당사의 제28기 사업보고서 및 감사보고서는 2025.03.20(목)까지 당사홈페이지(http://vaiv.kr)에 공고할 예정이오니 참고바랍니다. 2025년 3월 13일 케이웨더 주식회사 대표이사 김동식(직인생략)

I. 사외이사 등의 활동내역과 보수에 관한 사항

1. 사외이사 등의 활동내역 가. 이사회 출석률 및 이사회 의안에 대한 찬반여부
회차 개최일자 의안내용 사외이사 등의 성명
김동식(출석률:100%) 고범승(출석률:100%) 김윤신(출석률:100%) 이승엽(출석률:100%) 황병찬(출석률:100%) 윤영훈(출석률:100%)
찬 반 여 부
24(1) 2024.02.29 이해관계자 거래승인의 건 찬성 찬성 찬성 찬성 - -
24(2) 2024.03.11 정기주주총회 소집결의 찬성 찬성 찬성 찬성 - -
24(3) 2024.04.09 감사위원회 설치,위원선임,운영규정제정, 내부거래위원회 위원사임 및 선임, 자기거래승인건 찬성 찬성 사임 찬성 찬성 찬성
24(4) 2024.07.18 타법인 출자의 건 찬성 찬성 사임 찬성 찬성 찬성
24(5) 2024.09.13 회원권 신규 입회의 건 찬성 찬성 사임 찬성 찬성 찬성

나. 이사회내 위원회에서의 사외이사 등의 활동내역
위원회명 구성원 활 동 내 역
개최일자 의안내용 가결여부
내부거래위원회 황병찬이승엽윤영훈 2024.07.18 타 법인 출자의 건 가결

2. 사외이사 등의 보수현황
(단위 : 천원)
구 분 인원수 주총승인금액 지급총액 1인당 평균 지급액 비 고
사외이사 3 2,000,000 30,000 10,000 -

※ 상기 주총승인금액은 사내이사를 포함한 이사의 보수한도 승인 금액입니다.

II. 최대주주등과의 거래내역에 관한 사항

1. 단일 거래규모가 일정규모이상인 거래
(단위 : 억원)
거래종류 거래상대방(회사와의 관계) 거래기간 거래금액 비율(%)
- - - - -

2. 해당 사업연도중에 특정인과 해당 거래를 포함한 거래총액이 일정규모이상인 거래
(단위 : 억원)
거래상대방(회사와의 관계) 거래종류 거래기간 거래금액 비율(%)
- - - - -

III. 경영참고사항

1. 사업의 개요

가. 업계의 현황

1) 기상사업

기상청이 발표한 2023년 12월말 기준 기상사업자 현황에 따르면, 예보업 35개사, 컨설팅업 62개사, 감정업 7개사, 장비업 954개사가 등록돼 있습니다. 당사는 이 중에서 감정업을 제외한, 예보업, 컨설팅업, 장비업 관련 기상사업자로 등록되어 있습니다. 이러한 다양성을 바탕으로 당사는 고객에게 다양한 기상 관련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습니다.기상예보업에서는 독자적인 민간예보를 진행하며, 컨설팅업에서는 날씨경영컨설팅(홈쇼핑, 유통업, 건설업, 수요예측 시스템, 경영정보 시스템 등)을 통해 맞춤 기상데이터를 유통 및 판매합니다. 당사는 이러한 사업군과 자체 개발한 기상빅데이터플랫폼 및 공기빅데이터플랫폼을 활용하여 군소업체가 많은 기상 산업에서 높은 시장지배력을 확보했습니다.

[기상사업자 등록 현황]

업종

내용

등록업체수

당사 포함 여부

예보업

일반·특정 수요자를 대상으로 기상예보를 하는 사업

35

O

컨설팅업

기상정보를 분석·평가하여 경영활동에 관한 조언을 제공하는 사업

62

O

감정업

특정 수요자를 대상으로 기상감정을 제공하는 사업

7

X

장비업

기상측기를 제작·수입·설치하거나 수리하는 사업

954

O

합계

-

1,058

-

출처) 기상청, 기상사업자 등록현황 (2023.12)

2) 공기사업

당사의 공기질 사업에서 주력 제품은 환기청정기입니다. 환기청정기는 공기청정기와다른 기능 및 특성을 보유하고 있습니다. 그러나 환기청정기는 공기청정기와 대비하여 대중화 단계에 접어들지 않은 제품으로, 소비자들이 두 제품군의 차이를 인지하지 못할 수 있습니다. 즉 현재의 소비자 인식으로는 환기청정기와 공기청정기는 대체제로 간주될 수 있습니다. 이에 따라 환기청정기는 공기청정기의 보급 확대에 따라 제품 수요가 축소될 위험이 있습니다.환기청정기는 실내외 공기를 순환시켜 세대 전체의 공기질을 개선하는 효과를 보입니다. 반면 공기청정기는 배치 공간에 한하여 오염된 공기를 청정하는 기능을 갖습니다. 즉 두 제품군의 가장 큰 차이는 실내외 공기순환의 유무입니다. 구체적으로 공기청정기는 공기 중의 먼지, 필터 종류에 따라 이산화탄소와 냄새의 일부는 제거가 가능하나 근본적인 제거는 불가능합니다. 반면에 환기장치는 실내의 공기를 깨끗한 외부 공기로 대체하는 방식으로 실내 공기를 개선합니다. 이것은 여과 방식이 아니기 때문에 오염물질 자체를 실내공간에서 제거할 수 있습니다.

요소별 개선 여부
구분 공기청정기 환기청정기
먼지 제거 O O
냄새 제거 O
산소 농도 개선 X O
휘발성유기화합물(VOCs) 개선 X O
이산화탄소 제거 O
라돈(Rn) 제거 X O
출처) 당사 제공

환기청정기 작동 원리.jpg 환기청정기 작동 원리
출처) 당사 제공

환기가 공기 정화에 기여한다는 사실은 특히 코로나19가 확산되는 과정에서 대중적으로 알려졌습니다. 2020년 당시 세계보건기구(WHO)와 국내 중앙방역대책본부는 실내외 공기가 순환되지 않으면 COVID-19 감염위험은 40%까지 증가하지만, 다섯 번만 실내 공기를 환기하면 바이러스가 100분의 1 이하로 줄어든다고 밝혔습니다. 또한 앞선 2019년 한국건설기술연구원의 연구에 따르면, 밀폐된 실내공간에서 공기청정기를 가동시 미세먼지는 감소하나, 이산화탄소, 휘발성유기화합물, 라돈 등의 요소는 지속적으로 증가한다고 밝혔습니다. 이어서 창문을 여는 자연환기 혹은 기계환기를 통해서만 이 유해물질을 제거할 수 있다고 제시했습니다.

이처럼 적용된 기술의 차이로 환기청정기는 공기청정기와 다른 효용을 제공합니다. 그러나 두 제품은 대체재로 인식될 수 있기 때문에, 환기청정기 시장은 공기청정기 시장 동향에 영향을 받을 수 있습니다. 공기청정기의 경우, 업계는 국내 가정의 보급률을 약 70%로, 가구당 보유율은 약 80%로 추산하고 있습니다. 이러한 수치는 공기청정기 제품의 수요가 포화상태에 이르렀음을 시사합니다. 업계에서 추산한 국내 공기청정기의 보급율은 약 70%이며 가구당 보유율은 80%를 상회하는 것으로 알려졌습니다. 실제로 미세먼지 및 황사가 심해짐에 따라 공기청정기 제품 수요가 증가하는 1분기를 기준으로 볼 때, 국내 판매 규모는 감소하고 있음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국내 공기청정기 시장 규모
(단위: 억원)
구분 판매액
2019 1분기 4,800
2020 1분기 2,800
2021 1분기 1,900
2022 1분기 1,500
출처) GfK코리아 (2022)

나. 회사의 현황

(1) 영업개황 및 사업부문의 구분

(가) 영업개황

당사는 1997년 기상업무법의 민간예보사업제도 도입에 맞추어 설립된 국내 최대 민간기상사업자로서 날씨빅데이터플랫폼을 통하여 개인과 기업고객이 기상 및 날씨와 관련한 리스크를 줄이고, 고객의 삶의 질을 향상해주는 것을 사업의 목표로 하고 있습니다.

날씨빅데이터플랫폼은 기상빅데이터플랫폼과 공기빅데이터플랫폼으로 구성됩니다. 당사는 우선 기상빅데이터플랫폼을 통하여 4,000여 회원사에 기상청 데이터 유통뿐만 아니라 독자 민간예보 등의 맞춤 데이터를 제공합니다. 이를 통해 고객이 각종 기상 위험을 관리할 수 있도록 지원합니다. 한편 공기빅데이터플랫폼을 통해서는 실외의 미세먼지와 오존 등 각종 대기오염요소와 관련한 공기질데이터를 제공합니다. 나아가 고객이 생활하는 공간의 공기질 상태를 측정 및 분석하여, 고객의 실내 공간을 청정하게 만들어주는 서비스를 제공합니다. 이를 위해서 당사는 데이터(Data), 제품(Product), 서비스(Service) 측면에서 고객에게 가치를 전달하고 있으며, 이것이 당사가 추진하는 DSP 사업모델입니다.

케이웨더 날씨 빅데이터플랫폼.jpg 케이웨더 날씨 빅데이터플랫폼

가. 정확한 실외·실내 날씨데이터 제공

날씨위험관리란 사업상 기상 환경을 중시하는 기업에게 정확한 날씨 예보를 전달하여, 이와 관련한 사업 리스크를 줄이는 사업관리 방식을 의미합니다. 정확도가 높은 날씨위험관리를 수행하기 위해서는 현재 기상 데이터를 분석하고, 미래 기상 데이터를 예측하여, 선제적으로 위험을 인지하고 대비해야 합니다. 이를 위해 당사는 예보 데이터, 관측 및 영상데이터 등 기상청에서 생산하는 데이터를 유통하는 것은 물론이고, 이와 별개로 자체적으로 기상 전문 예보관을 보유하여 독자적인 예보 모델을 확보했습니다. 이를 통해 당사는 기상청보다 더 정확한 예측 데이터를 생산할 수 있게 됐습니다. 또한 당사는 이렇게 수집한 날씨 빅데이터를 분석하여, 고객들이 날씨위험관리를 할 수 있도록 맞춤형 콘텐츠를 제공하고 있습니다.한편 강우와 폭염 등의 기상 관련 현상 외에도, 공기와 관련한 미세먼지, 오존, 라돈 등의 각종 유해가스의 발생이 일상화 되고 있습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현재의 국가 관측망은 실시간으로 공기질 데이터를 제공하지 못하고 전국에 설치된 관측 장비의 절대적인 숫자가 부족하기 때문에 정확한 정보를 제공하지 못합니다. 이는 비실용적으로 큰 장비의 부피 때문에 인구가 밀집되지 않은 지역에 편재되어 있기 때문입니다. 실제 사람이 생활하는 공간이 아닌 곳에 설치되기 때문에, 정확한 정보를 수집하는데 한계가 있습니다.

당사는 공기빅데이터플랫폼은 이러한 한계를 개선했습니다. 우선 실외 공기측정기를 사람이 생활하는 공간에 설치하고, 여기서 수집한 빅데이터를 분석함으로써 한층 정확한 공기질 데이터를 실시간으로 제공하기 시작했습니다. 또한 인공지능 기술로 공기질 데이터를 예측하여, 미세먼지 예보 등 대기 오염예보 정보도 제공합니다.

나. 데이터 기반으로 청정 공간을 제공

당사의 날씨빅데이터플랫폼은 실외 및 실내의 기상 및 공기데이터로, 고객의 머무는 공간의 공기질을 개선할 수 있는 제품 및 서비스를 제공합니다. 기존 시장에서는 실내 공기질을 개선하기 위해 공기청정기를 대중적으로 사용했습니다. 그러나 이것은 밀폐된 실내 공기를 순환시키는 것에 불과하여, 이산화탄소를 포함한 각종 휘발성유기화합물 및 라돈 등의 오염물질을 저감하는데 한계가 있습니다. 당사는 이러한 한계를 넘어, 보다 근본적인 공기질 개선을 위해 환기청정솔루션을 개발했습니다. 이것은 실외 및 실내의 날씨와 공기 데이터를 기반으로 작동하기 때문에 보다 효과적으로 기능할 수 있다는 강점이 있습니다.

다. 날씨빅데이터플랫폼의 DSP사업모델 당사는 날씨빅데이터플랫폼 사업자로서, 이 플랫폼은 DSP 사업모델을 기반으로 운영됩니다. DSP 사업모델은 Data, Product, Service의 약어로, 세 가지 사업분야가 유기적으로 기능하며 시너지를 창출하는 특징을 갖습니다.

이러한 관점에서 당사의 날씨빅데이터플랫폼은 다음과 같이 구성됩니다.

① Data: 날씨 데이터를 수집 및 분석하여 고객에게 데이터를 유통

② Product: 날씨 빅데이터를 수집하기 위한 공기측정기, 그리고 이를 활용해 고객의 공간을 정화하는 환기청정기를 생산 및 판매

③ Service: 공기질을 지속적으로 유지·관리해주는 서비스 제공

위의 세 가지 사업 요소를 연결하면, 사업의 선순환적인 시너지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우선 처음에는 공기측정기와 환기청정기와 같은 제품 매출로 시작합니다. 이어서 고객은 기 설치한 제품에서 효익을 얻기 위해 서비스와 데이터를 구매하는 경우, 당사의 서비스 매출 및 데이터 매출이 됩니다. 이처럼 각 사업 분야가 상호적으로 시너지를 만들면서 유기적인 매출 구조를 형성할 수 있습니다. 그 결과 당사의 매출은 일회적인 제품 판매로 그치지 않고, 데이터 혹은 서비스 매출과 같이 반복적이고 안정적인 원천을 확보할 수 있습니다.

당사 dsp사업모델.jpg 당사 DSP사업모델

(나) 공시대상 사업부문의 구분

당사의 공시대상 사업부문은 기상사업부문과 공기사업부문으로 구분됩니다.기상청이 발표한 2023년 12월말 기준 기상사업자 현황에 따르면, 예보업 35개사, 컨설팅업 62개사, 감정업 7개사, 장비업 954개사가 등록돼 있습니다. 당사는 이 중에서 감정업을 제외한, 예보업, 컨설팅업, 장비업 관련 기상사업자로 등록되어 있습니다. 이러한 다양성을 바탕으로 당사는 고객에게 다양한 기상 관련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습니다.기상예보업에서는 독자적인 민간예보를 진행하며, 컨설팅업에서는 날씨경영컨설팅(홈쇼핑, 유통업, 건설업, 수요예측 시스템, 경영정보 시스템 등)을 통해 맞춤 기상데이터를 유통 및 판매합니다. 당사는 이러한 사업군과 자체 개발한 기상빅데이터플랫폼 및 공기빅데이터플랫폼을 활용하여 군소업체가 많은 기상 산업에서 높은 시장지배력을 확보했습니다.당사의 공기질 사업에서 주력 제품은 환기청정기입니다. 환기청정기는 공기청정기와다른 기능 및 특성을 보유하고 있습니다. 그러나 환기청정기는 공기청정기와 대비하여 대중화 단계에 접어들지 않은 제품으로, 소비자들이 두 제품군의 차이를 인지하지 못할 수 있습니다. 즉 현재의 소비자 인식으로는 환기청정기와 공기청정기는 대체제로 간주될 수 있습니다. 이에 따라 환기청정기는 공기청정기의 보급 확대에 따라 제품 수요가 축소될 위험이 있습니다.환기청정기는 실내외 공기를 순환시켜 세대 전체의 공기질을 개선하는 효과를 보입니다. 반면 공기청정기는 배치 공간에 한하여 오염된 공기를 청정하는 기능을 갖습니다. 즉 두 제품군의 가장 큰 차이는 실내외 공기순환의 유무입니다. 구체적으로 공기청정기는 공기 중의 먼지, 필터 종류에 따라 이산화탄소와 냄새의 일부는 제거가 가능하나 근본적인 제거는 불가능합니다. 반면에 환기장치는 실내의 공기를 깨끗한 외부 공기로 대체하는 방식으로 실내 공기를 개선합니다. 이것은 여과 방식이 아니기 때문에 오염물질 자체를 실내공간에서 제거할 수 있습니다.

(2) 시장점유율

당사는 기상데이터 유통 시장 시장점유율의 약 90%를 차지하고 있으며 기상청에 일정 수수료를 지급하고 기상청이 보유하는 모든 기상데이터를 구매할 뿐만 아니라 해외 제휴사를 통해 다양한 데이터와 수치모델 자료도 수집하며 맞춤 날씨 데이터를 위하여 다양한 기상 관측 장비를 직접 설치하여 관련 데이터도 수집합니다.기상청의 기상사업자 등록현황(23.01.31 기준)에 의하면 예보업 33개사, 컨설팅업 53개사, 감정업 6개사, 장비업 879개사가 등록되어 있습니다. 당사는 기상산업에서 중요한 기상예보업에서 독자적인 민간예보가 가능하고 컨설팅업에서 기상데이터 유통/판매(4,000여개 회원사/데이터 유통시장 점유율 약 90% 차지), 날씨경영컨설팅(홈쇼핑, 유통업, 건설업, 수요예측 시스템, 경영정보 시스템)등 기상산업의 모든 분야를 영위하고 있으며 등록된 기상사업자 중에서 가장 선도적인 기업입니다.

기상빅데이터플랫폼 시장은 당사와 그 외 시장지배력이 미미한 수십개의 중소형사가 경쟁하는 독점형태의 시장입니다. 앞서 설명드린바와 같이 당사와 기상청은 경쟁관계가 아니라 민관 역할분담을 통해 공공과 민간 부분의 역할을 구분하여 기상서비스를 제공하는 것으로 서로 협력 및 공생하는 관계입니다. 기상사업자가 독자적인 민간예보 등 기상산업에 진입하기 위해서는 많은 진입장벽을 가지고 있기 때문에, 당사는 기상청을 제외한 기상사업자들과의 경쟁에서는 향후에도 독점형태의 시장 경쟁 판도가 유지될 가능성이 높습니다.기후변화로 인한 기상이변이 잦아지고 최근에는 극심한 이상 기후 현상이 발생함에 따라 경영전략, 무역, 유통 등 산업 전반에 있어서 기상으로 인한 리스크가 증가하고 있습니다. 이에 따라 폭우, 폭설, 폭염, 태풍 등 각종 기상재해에 관한 이상기후 예보 뿐만 아니라 고객이 원하는 상세 지역에 대한 맞춤형 예보와 날씨경영정보의 수요가 증가함에 따라 향후 기상산업에 대한 시장성은 지속적으로 성장할 것으로 예상합니다.

공기빅데이터플랫폼 시장은 당사에서 신규로 개척하여 확대중인 시장으로 객관적인 자료를 제공하기 어려워 시장점유율 분석에 제한이 있습니다.대기분야에 있어서 국가관측데이터 이외에 공기측정기를 통하여 자체적으로 공기데이터를 수집하는 공기빅데이터플랫폼을 구축한 사례는 일부 통신사가 있었으나 현재 SKT는 공기빅데이터플랫폼 운영을 중지한 상태이며 KT는 관련부서를 해체한 상태에 있습니다. KT의 경우 공익차원에서 자체적인 실외 공기측정기를 설치하여 국가관측망 이외에 실외 공기데이터만을 수집한 경우로 다양한 공간의 실내 공기데이터를 함께 운영하는 공기빅데이터플랫폼이 아닙니다.또한 공기측정기를 제조, 공급하는 경쟁사는 단순히 공기데이터를 실시간으로 모니터링 할 수 있는 장비를 생산하여 공급하는 것으로 지속적인 공기데이터를 수집, 분석, 제어할 수 있는 공기빅데이터플랫폼을 지원하지는 않습니다.따라서 단순한 실외 공기데이터를 수집, 저장하는 것이 아니라 다양한 실내공간의 공기데이터를 수집, 분석하여 데이터를 판매하고 실외, 실내 공기데이터를 기반으로 환기청정기 등 다양한 이기종의 공기개선솔루션을 운영하여 고객의 공간을 데이터 기반으로 청정하게 관리 할 수 있는 솔루션을 제공하는 공기빅데이터플랫폼은 당사가 유일합니다.

IoT공기측정기 기반의 실외공기에 대한 모니터링 시스템 시장은 KT, 센트리, 센코 등 여러 기업에 분할되어 있지만 실외/실내, 환기청정기, 에너지 등 이기종 센서 연동이 가능한 공기빅데이터 플랫폼은 당사가 유일합니다.

공기시장의 고객의 요구는 정확한 공기데이터에 따라 최적의 공기개선솔루션으로 과학적으로 관리하여 고객이 생활하는 공간을 청정하게 만들고자 하는 것입니다. 따라서 공기청정기 등 공기가전을 단순 유통하는 현재의 공기시장은 한계가 있으며 고객의 요구를 충족하기 위해서는 공기빅데이터플랫폼을 통한 다양한 제품과 서비스가 필수적입니다.

고객이 숨쉬는 위치의 가장 정확한 공기데이터를 제공하고 실외/실내 공기데이터 분석, 환기청정기 연동/제어, 에너지 관리 등이 가능한 공기빅데이터플랫폼은 당사가 유일합니다. 따라서 공기빅데이터플랫폼이 공기시장에서 중요한 역할을 담당하게 되면 당사가 시장을 주도하게 될 것입니다.

(3) 시장의 특성

● 공기측정솔루션당사는 공기측정솔루션으로서 공기측정기 제품을 공급하고 있습니다. 이것은 미세먼지, 이산화탄소, 온도, 습도와 더불어 휘발성유기화합물(VOCs), 일산화탄소, 황화수소, 이산화질소 등 대기오염센서와 조도, 유동인구, 자외선, 풍향, 풍속, 강우량 등 생활 요소 정보도 확보할 수 있습니다. 측정기가 수집한 공기데이터는 플랫폼으로 전송되어, 공기개선장치를 연동 및 제어하는데 활용됩니다.당사의 공기측정기는 환경부 미세먼지측정기 성능인증 1등급을 획득했습니다. 또한 인공지능 기술을 활용하여, 측정 방식이 다른 국가관측망 데이터와 비교분석으로 IoT 공기측정기의 측정데이터를 보정하는 기술도 갖추고 있습니다. 당사 공기측정기는 단순 H/W 뿐만 아니라 측정된 공기 데이터를 수집, 저장, 분석을 할 수 있는 하둡 기반의 빅데이터 플랫폼과 분석 S/W도 함께 포함하고 있습니다.당사는 현재 전국 실외 및 실내 30,000여곳에 실시간 측정이 가능한 IoT 공기측정기를 개발 및 설치했습니다. 특히 공기빅데이터플랫폼이 운용되기 위해서는 안정적으로 수집한 공기 빅데이터가 필요한 바, 당사는 고객이 실제 생활하는 환경에서 실외 및 실내 공기측정기를 설치 및 운용하고 있습니다.

[실외공기측정기 제품별 주요 특징]

구분

MAQ-600(IoT)

OAQ-T3CC(연구용)

OAQ-CS101(확장형)

OAQ-C300(복합형)

제품

이미지

maq.jpg MAQ-600

oaq-t3cc.jpg OAQ-T3CC

oaq-cs101.jpg OAQ-CS101

oaq-c300.jpg OAQ-C300

측정 방식

광산란 방식(레이저)

광산란 방식(레이저)

광산란 방식(레이저)

광산란 방식(레이저)

통신 방식

LTE-M / WiFi

LTE-M / WiFi

LTE-M / WiFi

LTE-M / WiFi

기본 측정 요소

PM2.5/ PM10/온도/습도/ 기압

PM2.5/ PM10/온도/습도/ 조도/자외선

PM2.5/ PM10/온도/ 습도/기압/소음/ 진동/풍향/풍속

PM2.5/ PM10/온도/ 습도/기압

선택 측정 요소

메탄

폭염/ 소음/ 진동/ 풍향/ 풍속

조도/ 자외선/폭염/ 강수감지/ H2S/ NH3/ NO2/ SO2/ O3/ CO/강우량/메탄

조도/ 자외선/폭염/ 소음/ 진동/

풍향/풍속/강수감지/ H2S/ NH3/ NO2/ SO2/ O3/ CO/ 강우량

환경부인증 기준

1등급

1등급

1등급

1등급

[실내공기측정기 제품별 주요 특징]

구분

IAQ-CW

IAQ-CL

IAQ-C7

IAQ-SC

ARC-600DA

제품

이미지

iaq-cw.jpg IAQ-CW

iaq-cl.jpg IAQ-CL

iaq-c7.jpg IAQ-C7

iaq-sc.jpg IAQ-SC

600-da.jpg ARC-600 DA

측정 방식

광산란 방식(레이저)

광산란 방식(레이저)

광산란 방식(레이저)

광산란 방식(레이저)

광산란 방식

(레이저)

통신 방식

WiFi

LTE-M

LTE-M /Wifi

LTE-M/ WiFi

WiFi

기본 측정 요소

PM2.5/ PM10/온도/ 습도/ CO2/ VOC/소음

PM2.5/ PM10/온도/ 습도/ CO2/ VOC/소음

PM2.5/ PM10/온도/ 습도/ CO2/ VOC/소음

PM2.5/ PM10/온도/ 습도/기압/ CO2/ VOC

PM2.5/ PM10/

온도/ 습도/ CO2/TVOC

선택 측정 요소

-

-

-

HCHO/CO/SO2/ O3/

-

환경부 인증 기준

1등급

1등급

1등급

1등급

1등급

추가기능

환기청정기 연동

환기청정기 연동

환기청정기 연동, 터치스크린

환기청정기 연동

환기청정기

연동

● 공기개선솔루션당사는 측정을 넘어, 공기빅데이터플랫폼을 통해 공기질을 개선해주는 공기정화장치, 즉 환기청정기도 개발 및 판매하고 있습니다. 당사의 환기청정기는 실내 공기청정 기능도 갖추고 있지만, 실내의 오염된 공기를 외부로 내보내고, 실외공기의 미세먼지를 필터링하여 깨끗한 공기를 실내로 공급하는 장치입니다. 밀폐된 실내 공기만을 회전시키는데 국한된 공기청정기는 포름알데히드, 휘발성유기화합물, 이산화질소, 일산화탄소, 라돈 등 미세먼지 이외의 오염물질을 저감하는데 한계가 있습니다. 그 결과 현재 건축물의 설비기준 규칙 및 주택법, 의료법 등 에서는 공기청정기가 아닌 환기설비의 설치를 의무화하고 있습니다.당사의 AI환기청정기는 IoT 공기측정기가 수집한 실내외 공기데이터를 실시간으로 활용하고, AI알고리즘에 따라 환기청정기를 작동시킵니다. AI환기청정기는 환기청정기와 공기측정기가 통합된 제품으로, 공기빅데이터플랫폼을 통해 실외 및 실내 공기측정기에서 측정되는 데이터를 비교분석하여 환기, 청정, 바이패스 등 운용 모드와 가동시기, 시간, 강도를 조절할 수 있는 공기빅데이터플랫폼 S/W를 탑재하고 있습니다. 또한 당사가 개발한 프리필터, 탈진필터, 살균집진필터, UV-C LED살균모듈 적용 기술을 가진 필터카트리지가 채용되었습니다.

설치공간 별 환기청정기 모델.jpg 설치공간 별 환기청정기 모델

당사의 환기청정기 제품은 설치 공간에 맞게 다양한 모델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당사의 AI환기청정기는 설치 공간의 유형(사무실, 학교, 병원 등)과 사용목적(쾌적성, 알레르기, 숙면, 업무효율, 학습능률 등)에 따라 맞춤형 운영 AI알고리즘을 적용합니다. 공기빅데이터플랫폼 기반의 당사 AI환기청정기는 산업통상자원부에서 신기술(NeT인증) 인증을 받았으며, 우수조달 혁신제품으로 지정되었습니다.

ai환기청정기술(net인증) 개념도.jpg 실외 및 실내 공기질 빅데이터를 이용한 AI환기청정기(NET인증) 개념도

당사 제품인증서.jpg 당사 제품인증서

● 기상장비당사는 항공 기상관측장비, 선박기상장비 등 다양한 정보를 관측할 수 있는 고품질의 장비를 제작하여 공항, 공공기관과 다양한 산업 현장에 판매하고 있습니다.● 데이터 및 서비스당사는 국내 최대기상사업자로서 기업과 개인들의 날씨경영을 지원하기 위해 기상데이터를 생산 및 가공, 유통 등을 효과적으로 고객에게 서비스할 수 있는 기상빅데이터플랫폼을 운영하고 있습니다. 기상빅데이터플랫폼 사업영역은 고객의 니즈에 부합하는 맞춤기상데이터, 기상예보, 기상방송콘텐츠, 모바일, 날씨경영컨설팅으로 다변화하여 사업을 확대하고 있습니다.(가) 기상데이터당사는 기상청에 일정 수수료를 지급하고 기상청이 보유하는 모든 기상데이터를 구매할 뿐만 아니라 해외 제휴사를 통해 다양한 데이터와 수치모델 자료도 수집하며 맞춤 날씨 데이터를 위해 다양한 기상 관측 장비를 직접 설치하여 관련 데이터를 수집합니다. 당사는 이렇게 수집된 다양한 데이터를 분석, 가공하여 건설기상정보, 난방지수, 판매지수 등 맞춤형 기상데이터를 원자재 구매부터 생산량 조절, 재고관리, 광고에 이르기까지의 날씨경영에 활용할 수 있게 제공하고 있습니다. 당사는 맞춤형 기상데이터를 다양한 분야의 4,000여 회원사에 제공하며 기상데이터 유통 시장 시장점유율의 약 90%를 차지하고 있습니다. 1997년 기상업무법에 따라 기상청이 아닌 민간사업자가 특정인을 대상으로 독자예보를 생산할 수 있게 시행됨에 따라 당사는 기상청 예보를 유통하는 것뿐만 아니라 당사 예보센터의 전담예보관들이 직접 독자 민간예보를 생산하고 있으며 독자적 민간예보를 제공하는 민간기업은 당사가 유일합니다.

다양한 언론사를 통해 유통되는 당사 기상예보 상품.png.jpg 다양한 언론사를 통해 유통되는 당사 기상예보 상품

당사의 예보는 언론과 고객사들에서 기상청 예보보다 더 정확하다는 평가를 받고 있으나 기상청과 당사는 경쟁관계가 아니라 국가재난예보는 기상청이 담당하고 다양한 수요에 필요한 맞춤예보는 민간이 서비스하는 것으로 상호역할을 분담하여 기상업무를 수행하는 협업관계입니다.

당사의 숙련된 전담 예보관은 고객이 필요로 하는 목적에 따라 각 산업의 특성을 이해하여 이에 맞는 예보데이터를 생성하기 때문에 예보의 분석 및 의사결정 수준에서 고객만족도가 높은 예보를 생산, 제공합니다.

언론속의 케이웨더 예보의 신뢰성.jpg 언론속의 케이웨더 예보의 신뢰성

(나) 방송컨텐츠당사가 생성한 기상데이터를 미디어 등의 방식으로 제공하는 콘텐츠로, 방송사가 날씨방송을 위해 필요한 기상방송 장비와 각종 기상방송데이터를 제공하고 있으며 직접 방송을 제작하기 어려운 방송사를 위해서는 당사가 당사 방송실에서 직접 기상방송컨텐츠를 제작하여 VOD형태로 제공하고 있습니다.(다) 모바일 정보당사는 500만명 이상이 사용하는 ‘케이웨더 날씨’앱과 대기정보 앱인 ’Air365’, ‘골프날씨’등을 직접 운영할 뿐만 아니라 현재 국내에서 사용하는 대부분의 날씨앱에 기상데이터를 제공하고 있습니다. 또한, 당사는 날씨조건에 효과가 있는 상품을 해당 날씨 조건에서만 광고하는 ‘날씨매칭광고’ 라는 마케팅 상품을 창출하여 판매하고 있습니다.(라) 공기데이터1) 공기측정데이터(국가관측/IoT측정)당사는 이러한 국가관측망에 기반한 공기질 측정의 단점을 개선하기 위해 고객이 생활하는 위치의 공기를 실시간으로 측정할 수 있는 IoT에 기반한 실외·실내 공기질 관측망을 전국에 약 3만여개소를 구축하여 국가관측망 데이터와 자체 관측망을 통해 확보된 실외·실내 공기측정데이터를 기존 회원사와 다양한 고객에게 판매하고 있습니다.

공기관측망의 필요성.jpg 공기관측망의 필요성

2) 공기예보(미세먼지/대기오염)당사는 환경부 산하 국립환경과학원에서 제공하는 미세먼지 예보보다 많은 장점과 높은 정확도의 공기예보(미세먼지/대기오염)를 제공하고 있으며 많은 포털과 언론사에서는 환경부가 아닌 당사 예보를 선택하여 제공 받고 있습니다.3) 공기분석데이터(동별미세먼지데이터)

국가미세먼지 관측값은 해당 구의 모든 지역이 동일한 미세먼지 농도로 표출된다는 단점을 보강하기 위해 당사는 기존 구별로 제공되는 해당 지역을 세분화된 동별로 동별미세먼지데이터를 생산하여 제공하고 있습니다. 동별미세먼지데이터는 국가대기관측망 데이터와 케이웨더 IoT 실외공기측정기(OAQ)가 측정하는 데이터를 융·복합한 후 지역별 오염배출정보, 인구밀도, 지형 및 토지피복 등을 고려하여 인공지능을 적용, 행정동별로 미세먼지 실황 값을 산출하는 공기분석데이터입니다.

동별미세먼지정보 실황정보.jpg 동별미세먼지정보 실황정보

4) 공기빅데이터플랫폼(Air365)

당사는 공기빅데이터플랫폼 S/W(Air365)를 통해 공기측정기 사용자 대상으로 보이지 않는 공기를 관리할 수 있도록 공기데이터 수집, 분석, 공간별 맞춤형 공기질 진단보고서 등의 공기데이터를 SaaS형태로 유료로 제공합니다. 또한 다양한 공기가전제어를 위한 공기데이터도 유료로 제공합니다.

모니터링_분석_제어_분석보고서.jpg 공기빅데이터플랫폼을 통한 공기데이터 판매

5) 공기서비스공기서비스는 고객의 공기상태를 과학적으로 측정, 분석해 고객에게 맞는 최적의 공기개선 솔루션을 제공하고 지속적으로 고객의 공기질을 관리하는 지능형 공기관리서비스입니다. 당사가 제공하는 공기지능서비스는 측정서비스, 개선서비스, 빅데이터플랫폼을 통하여 공기측정기 유지관리와 환기청정기 필터 교체 등 환기청정기를 점검하고 개선된 공기를 정확히 분석하여 AI환기청정기 가동의 효과를 모니터링하고, 정기적인 월별 공기질분석보고서를 제공하는 종합적인 케어서비스 입니다.

6) 조리흄 모니터링 시스템

조리흄 모니터링 시스템은 조리실 내 발생하는 조리흄 지수에 따라 조리실 내 공조시스템 (급/배기, 환기장치, 냉난방기 등)과 연동되어 자동 운전되는 플랫폼기반의 시스템입니다. 당사의 인공지능 기술을 활용해 조리실 내 공기데이터를 분석하여 조리흄을 실시간으로 모니터링하고 중앙제어장치를 통해 조리흄 지수에 따라 급, 배기 장치와 후드 장치를 자동제어하여 조리실의 공기질을 체계적으로 관리합니다. 특히, 조리흄 모니터링시스템은 공기질 개선 효과를 데이터를 통하여 확인 할 수 있다는 장점을 갖고 있어 많은 예산을 투입하여 설치되는 환기설비의 개선 효과를 정확히 평가하고 입증할 수 있는 사후평가가 가능합니다.

조림흄 구성도.jpg 조림흄 모니터링 시스템

7) 기후리스크 관리솔루션(CRMass)

기후리스크 관리솔루션은 기업의 글로벌 공급망 기후리스크까지 포함하는 XaaS 기반의 소프트웨어입니다. 당사의 기후리스크 관리솔루션은 통해 다양한 기후리스크에 대한 위험을 예측하고 대비하기 위한 솔루션을 제공합니다. 특히 당사의 기후리스크 관리솔루션은 산업 전체에서 활용 가능한 범용 소프트웨어로 개발됐으며 기업 공급망의 태풍, 홍수 등 이상 기후 현상으로 발생되는 물리적 리스크, 온실가스 감축 정책 이행에 따라 발생되는 전환리스크 등 기후리스크 전반에 대한 분석 및 관리가 가능하게 돕습니다.

기후리스크 관리솔루션.jpg 기후리스크 관리솔루션

(4) 신규사업 등의 내용 및 전망

당사의 공기빅데이터플랫폼 시장은 크게 공기측정기와 환기청정기 제품을 유통하는 Product 시장, 공기데이터를 분석하고 공기가전을 제어하기 위한 데이터 판매의 Data 시장과 다양한 공기지능서비스를 제공하는 Service 시장으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당사의 DSP 사업모델은 각 제품 및 상품들이 각각 유통되는 것이 아니라 유기적으로 연결되어 시장에서 제품 판매량의 증가에 따라 데이터, 서비스 상품이 함께 성장하는 독창적인 사업모델입니다.

1) 공기측정솔루션(실내/실외 공기측정기)

실내에서 생활하는 시간이 많은 현대인의 특성으로 인해 실내공기질 또한 중요하게 생각하게 되어 관리의 중요성이 대두되었으며, 특히 2019년 초 사상 최대의 고농도 미세먼지 발생일수가 관측되며 사회적 재난으로 전국민의 관심이 증대됨에 따라 이후, 학교보건법 및 실내공기질 관리법 등의 관련 법령이 공기측정기 설치를 강화하고 있습니다. 이를 통해 학교 및 취약시설, 다중이용시설등의 공기질 측정이 의무화되어 관련 시장은 지속적으로 확대될 것으로 전망됩니다. 미세먼지를 포함한 실내/실외 공기를 측정할 수 있는 측정기는 국내 고농도 미세먼지로 인해 대두되었던 2019년부터 형성되어 꾸준히 매출액이 증가하고 있으며 다양한 오염요소 측정기 시장으로 확대되고 있습니다.

2) 공기개선솔루션(환기청정기)

2010년 미세먼지에 대한 사회적 관심이 고조됨에 따라 지속적인 성장을 예상하였던 공기청정기의 성장이 2019년 이후 1조원에서 2020년에서는 7,000억원으로 전년 대비 3,000억원 감소되면서 시장이 위축되고 있습니다.(출처: 2023년 중소기업로드맵_스마트홈 中 실내 공기 스마트정화 시스템 국내 시장규모 및 전망, 중소벤처기업부)이는 고농도 미세먼지 이슈, 코로나19로 인한 환기시스템의 중요성이 대두됨에 따라 공기개선솔루션은 공기청정기 시장에서 환기청정기 시장으로 전환되고 있음을 나타내며, 실제 공기청정기 및 환기청정기의 특허 관련 동향에서 시장의 변화를 유추할 수 있습니다.

특허청에 따르면 실내 공기질 관리장치 가운데 공기청정기 출원건수는 최근 5년간(‘17~’21) 연평균 18%로 증가하였고, 환기시스템 출원건수는 최근 5년간(‘17~’21) 연평균 32%로 증가했습니다. 이처럼 밀폐된 실내에서 공기를 정화하는 공기청정기에 비해 실내·외 공기를 교환하는 환기시스템 특허출원의 증가세가 더 가파른 것은 실내 공기질 관리기술의 무게중심이 공기청정에서 환기로 이동 중인 것을 반영한 결과로 분석됩니다.

공기청정기 및 환기시스템 출원건수 및 증가율.png.jpg 공기청정기 및 환기시스템 출원건수 및 증가율

(출처: 진화하는, 실내 ‘환기 및 공조’ 기술… ‘공기질’ 관리 특허, 연평균 ‘15%’ 급증, IPDaily)

공기청정기 시장의 위축되면서 환기청정기시장은 지속적으로 성장하고 있습니다. 조달청 시스템에서 파악할 수 없는 단가계약을 통한 수의계약을 제외한 환기청정기의 공공시장에서 조달시장규모는 2020년 263억원에서 2022년 908억원으로 지속적으로 성장하고 있으며 2023년에는 1,500~2,000억원에 이르는 시장으로 확대될 것으로 전망됩니다. 또한 환기청정기 공공시장은 향후 환기장치에 관련된 법령들의 강화됨에 따라 꾸준히 성장할 것으로 전망됩니다.

환기청정기 공공시장 규모.jpg 환기청정기 공공시장 규모

(출처: 조달청 나라장터 시스템 검색데이터 기반 케이웨더 재정리)

정부에서는 부동산 관계장관회의를 통해 국민 주거안정 실현방안으로 2022년부터 향후 5년동안 2023년 47만호를 시작으로 2024년 54만호, 2025년, 2026년 각 56만호, 2027년 57만호의 주택을 공급할 계획이라고 발표하였습니다. 2020년 강화된 건축물의 설비기준등에 관한 규칙에 따르면 30세대 이상의 신축 공동주택에는 환기장치 설치가 의무화되어, 사실상 대부분의 신축아파트와 같은 공동주택은 환기청정기 설치가 의무화되는 시장으로 이를 토대로 대당 약 50만원의 저가형 환기청정기를 기준으로 추산한 시장규모는 매년 약 2,700억원에 달하는 시장이 지속적으로 존재할 것으로 전망됩니다. 동 시장은 빅데이터플랫폼에 기반한 고성능의 환기청정기를 요구하는 시장으로 고객의 수요가 증가하고 있으며 고성능의 환기장치 대당 가격을 약 150만원으로 추정하여 시장규모를 재추산하면 그 시장규모는 약 8,000억원으로 예상됩니다.

공급 호수에 따른 매출액 추이.jpg 주택 공급 호수에 따른 공기개선솔루션 예상시장규모

3) 공기데이터

고농도 미세먼지와 같은 사회적 재난으로 전국민의 관심이 증대됨에 따라 지속적인 성장이 예상되는 공기측정기의 설치가 확대되고 이에 따른 환기청정기 시장 또한 폭발적인 확대가 예상됩니다. 설치가 확대된 당사의 제품들은 공기빅데이터플랫폼과 연동되어 수집한 데이터의 모니터링뿐만 아니라 대용량의 저장데이터 및 분석데이터까지 제공할 수 있습니다. 이를 통해 단순한 제품의 대량생산, 대량소비의 시대가 끝나가고 있고 다양한 고객의 니즈를 충족시켜 줄 수 있는 맞춤 서비스 시대에 발맞춰 공기빅데이터플랫폼에 기반한 맞춤형 월별 분석보고서 등의 공기데이터 수요가 증대될 것으로 전망됩니다.

또한 당사에서는 자체 Air365 제어서비스 상품을 통해 범국가적인 탄소중립 흐름에 맞춰 환기장치를 단순히 원격으로 제어하는 것뿐만 아니라 오염물질을 실시간으로 측정, 분석하고 에너지를 효율적으로 관리함과 동시에 최적의 공기질상태를 유지시켜주는 기술에 대한 수요 또한 지속적으로 확대될 것으로 예상합니다.4) 조리흄 모니터링 시스템

조리실에서 발생하는 조리흄으로 인해 학교 급식실 및 식당 조리원의 폐암 발병이 증가하고 사망함에 따라 조리흄에 대한 사회적 인식이 커지면서 조리흄 모니터링 시스템에 대한 시장규모도 커질 것으로 전망됩니다.

정부는 오는 2027년까지 약 1조 원의 예산을 편성해 학교 조리실에 급, 배기 공조장치를 설치하고 있으나 조리흄의 농도가 어느 정도인지, 어떻게 공조장치를 작동하여야 하는지의 기준이 없고 새로 설치된 공조 장치로 인한 개선된 공기질을 확인할 수 없어 공기질 개선 효과를 검증하기 어려운 상황입니다. 따라서 조리실에 조리흄 모니터링시스템을 설치하여 조리흄을 정확히 분석하고 설치되는 급, 배기 장치의 설치 후의 공기질 개선 상태를 평가하는 것이 무엇보다 중요하기 때문에 조리흄 모니터링 시스템에 대한 시장이 점차 확대될 것으로 전망됩니다.

조리흄 모니터링시스템 예산.jpg 조리흄 모니터링시스템 예산

5) 기후리스크 관리솔루션(CRMass)

한국은행에 따르면 기후리스크는 장기간에 걸쳐 우리나라의 실물경제와 금융시스템에 부정적 영향을 미칠 가능성이 높은 상황입니다. 온도 상승, 강수량 증가, 폭염 ? 폭우 발생 등이 심화될 경우 농업 등 1차 산업과 식료품 제조업 등 연관 산업에서 피해(물리적 리스크)가 커질 가능성이 높아지고 있습니다. 아울러, 기후변화 완화를 위한 정책 시행 과정에서 나타나는 탄소가격 상승은 온실가스 다배출 업종의 생산 위축과 자산가치 하락(전환 리스크)을 유발할 수 있습니다. 기후변화 리스크로 인한 피해를 줄이기 위해서는 기후변화 리스크 영향을 조기에 식별하고 리스크를 관리할 수 있는 솔루션이 필수적이므로 기후리스크 관리솔루션에 대한 수요가 증가할 것이며 시장 규모도 점차 확대될 것으로 전망됩니다.

(5) 조직도

판매조직 영업조직도.jpg [케이웨더 영업조직도]

2. 주주총회 목적사항별 기재사항 □ 재무제표의 승인

가. 해당 사업연도의 영업상황의 개요

Ⅲ. 경영참고사항의 1.사업의 개요를 참조하시기 바랍니다

나. 해당 사업연도의 대차대조표(재무상태표)ㆍ손익계산서(포괄손익계산서)ㆍ이익잉여금처분계산서(안) 또는 결손금처리계산서(안)

※ 아래의 재무제표는 감사전 연결ㆍ별도 재무제표 입니다.외부감사인의 감사의견과 상세한 주석사항을 포함한 최종 감사보고서는 3월 20일 전자공시시스템 (https://dart.fss.or.kr)에 공시될 예정입니다. 1) 연결 재무제표 - 연결 재무상태표

연 결 재 무 상 태 표
제 28(당) 기말 : 2024년 12월 31일 현재
제 27(전) 기말 : 2023년 12월 31일 현재
케이웨더 주식회사 및 그 종속기업 (단위 : 원)
과 목 제 28(당)기말 제 27(전)기말

자산

유동자산

9,677,526,925 6,696,811,596

현금및현금성자산

2,159,297,557 2,319,534,945
당기손익-공정가치금융자산 2,679,660,442 -

매출채권

2,273,177,617 2,579,935,695

기타금융자산

199,382,827 41,402,936

기타유동자산

81,859,621 186,566,685
당기법인세자산 28,656,680 19,471,180

재고자산

2,255,492,181 1,549,900,155

비유동자산

7,610,644,566 8,084,648,642
당기손익-공정가치금융자산 457,929,000 156,130,410

기타금융자산

1,079,635,896 192,419,226

유형자산

7,069,817,209 7,221,689,754

무형자산

26,314,999 36,254,705
투자부동산 488,134,462 478,154,547
자산 총계 17,288,171,491 14,781,460,238

부채

유동부채

2,961,095,877 3,156,895,478

매입채무

475,939,914 1,452,229,781

계약부채

1,549,808,100 892,259,268
기타금융부채 2,464,000 4,774,000
단기차입금 -  -
기타유통부채 482,120,000 482,280,000

유동성장기차입금

357,727,423 235,486,148
유동성전환상환우선주부채 - -
유동성파생상품부채 - -

유동성리스부채

93,036,440 89,866,281

비유동부채

2,613,451,123 3,196,848,650
차입금 2,410,600,000 2,892,720,000
기타금융부채 17,000,000 48,000,000

리스부채

161,962,128 137,878,205
충당부채 23,888,995 118,250,445

부채 총계

5,631,809,737 6,353,744,128

자본

지배기업 소유주지분 11,491,002,915 8,267,120,082
자본금 3,450,128,500 4,454,807,000

자본잉여금

21,017,493,134 14,920,273,634
자본조정 663,586,325 629,829,992
기타포괄손익누계액 956,418,520 956,418,520

결손금

(14,596,623,564) (12,694,209,064)
비지배지분 222,621,576 160,596,028

자본 총계

11,713,624,491 8,427,716,110

자본 및 부채 총계

17,288,171,491 14,781,460,238
"첨부된 주석은 본 연결재무제표의 일부입니다."

- 연결 포괄손익계산서

연 결 포 괄 손 익 계 산 서
제 28(당) 기 : 2024년 01월 01일부터 2024년 12월 31일까지
제 27(전) 기 : 2023년 01월 01일부터 2023년 12월 31일까지
케이웨더 주식회사 및 그 종속기업 (단위 : 원)

과 목

제 28(당) 기 제 27(전) 기
매출 16,902,994,062 14,688,005,816

매출원가

13,478,390,218 9,867,480,898

매출총이익

3,424,603,844 4,820,524,918

판매비와관리비

5,893,672,845 7,289,357,928
일반판매비와관리비 5,893,672,845 6,887,880,710
대손상각비 - 401,477,218

영업이익

(2,469,069,001) (2,468,833,010)

기타수익

562,397,196 115,420,846

기타비용

37,251,401 2,769,295

금융수익

206,300,101 120,875,232

금융비용

148,765,847 201,104,039
종속기업및관계기업투자손익 -

법인세비용차감전순이익(손실)

(1,886,388,952) (2,436,410,266)

법인세비용

 -
당기순이익(손실) (1,886,388,952) (2,436,410,266)

기타포괄손익

-

당기 총포괄이익(손실)

(1,967,705,751) (2,436,410,266)
지배기업소유주지분 (1,902,414,500) (2,466,581,386)
비지배주주지분 16,025,548 30,171,120

주당손실

기본주당이익(손실)

(199) (277)

희석주당이익(손실)

(199) (274)
"첨부된 주석은 본 연결재무제표의 일부입니다."

- 연결 자본변동표

연 결 자 본 변 동 표
제 28(당) 기 : 2024년 01월 01일부터 2024년 12월 31일까지
제 27(전) 기 : 2023년 01월 01일부터 2023년 12월 31일까지
케이웨더 주식회사 및 그 종속기업

구 분

지배기업의 소유주지분 비지배주주지분 자본총계
자본금 자본잉여금 자본조정 기타포괄손익누계액 이익잉여금
2023.01.01(당기초) 4,454,807,000 14,920,273,634 563,260,827 956,418,520 (10,227,627,678) 10,667,132,303 130,424,908 10,797,557,211
당기순이익(손실) (2,466,581,386) (2,466,581,386) 30,171,120 (2,436,410,266)
주식보상비용(주석 25) 66,569,165 66,569,165 66,569,165
2024.12.31(당기말) 4,454,807,000 14,920,273,634 629,829,992 956,418,520 (12,694,209,064) 8,267,120,082 160,596,028 8,427,716,110
2024.01.01(당기초) 4,454,807,000 14,920,273,634 629,829,992 956,418,520 (12,694,209,064) 8,267,120,082 160,596,028 8,427,716,110
당기순이익(손실) - - - - (1,871,048,955) (1,896,388,052) 15,339,997 (1,871,048,955)
유상증자(주석23) 515,000,000 6,695,000,000 - - - 7,210,000,000 46,000,000 7,256,000,000
주식발행비용 - (606,272,000) - - - (606,272,000) - (606,272,000)
주식보상비용(주석 25) - - 33,756,333 - - 33,756,333 - 33,756,333
2024.12.31(당기말) 4,969,807,000 21,009,001,634 663,586,325 956,418,520 (14,565,258,019) 13,018,215,463 221,936,025 13,240,151,488
"첨부된 주석은 본 연결재무제표의 일부입니다."

- 연결 현금흐름표

연 결 현 금 흐 름 표
제 28(당) 기 : 2024년 01월 01일부터 2024년 12월 31일까지
제 27(전) 기 : 2023년 01월 01일부터 2023년 12월 31일까지
케이웨더 주식회사 및 그 종속기업 (단위 : 원)

구 분

제 28(당) 기 제 27(전) 기
영업활동으로 인한 현금흐름 (2,303,226,032) (2,783,999,228)
당기순이익(손실) (1,886,389,352) (2,436,410,266)
당기순이익조정을 위한 가감 270,879,000 943,737,761
영업활동으로 인한 자산 부채의 변동 (921,655,425) (1,205,878,480)
이자의 수취 102,688,675 118,357,577
이자의 지급 (148,142,891) (195,431,400)
배당금의 수취 666,700 -
법인세의 환급(납부) (6,710,458) (8,374,420)
투자활동으로 인한 현금흐름 (4,280,321,412) 3,843,201,046
투자활동으로 인한 현금 유입액 269,408,984 4,018,684,383
단기대여금의 감소 - 7,583,346
장기대여금의 감소 25,277,773 833,331
임차보증금의 감소 43,338,000 -
정부보조금의 수취 - 337,127,000
유형자산의 처분 200,793,211 -
투자활동으로 인한 현금 유출액 (4,549,730,396) (521,027,014)
기타금융상품의 취득 800,000,000 -
당기손익-공정가치금융자산의 증가 2,902,888,901 -
금융상품의 증가 - -
장기대여금및수취채권의 취득 70,000,000 10,000,000
유형자산의 취득 395,731,495 481,027,014
무형자산의 취득 14,000,000 -
기타보증금의 증가 41,496,000 -
임차보증금의 증가 110,292,000 30,000,000
관계기업투자주식의 취득 215,322,000 -
재무활동으로 인한 현금흐름 6,213,755,326 (89,850,809)
재무활동으로 인한 현금 유입액 6,677,985,022 15,000,000
유상증자 6,649,728,000 -
임대보증금의 증가 - 15,000,000
금융리스채권의 회수 15,081,806 -
외환차익 13,175,216 -
재무활동으로 인한 현금 유출액 (464,229,696) -
리스료 지급 76,941,920 -
단기차입금의 상환 - (1,000)
장기차입금의 상환 482,280,000 -
리스부채의 상환 (204,571,212) (104,849,809)
리스해지 100,915,080 -
외환차손 8,663,908 -
현금및현금성자산의 증감 (160,177,388) 969,351,009
기초 현금및현금성자산 2,319,534,945 1,350,723,894
현금및현금성자산의 환율변동효과 - -
기말 현금및현금성자산 2,159,357,557 2,319,534,945
"첨부된 주석은 본 연결재무제표의 일부입니다."

2) 별도 재무제표

- 별도 재무상태표

재 무 상 태 표
제 28(당) 기말 : 2024년 12월 31일 현재
제 27(전) 기말 : 2023년 12월 31일 현재
케이웨더 주식회사 (단위 : 원)
과 목 제 28(당) 기말 제 27(전) 기말

자산

유동자산

8,801,498,195 6,098,194,944

현금및현금성자산

1,558,992,517 1,860,646,894
당기손익-공정가치금융자산 2,679,660,442 -

매출채권

2,267,153,581 2,570,581,173

기타금융자산

191,837,140 42,010,195

기타유동자산

79,368,659 185,495,557
당기법인세자산 26,802,260 17,458,830

재고자산

1,997,683,596 1,422,002,295

비유동자산

9,270,092,792 8,052,650,066
당기손익-공정가치금융자산 457,929,000 156,130,410

기타금융자산

1,023,079,896 167,359,226
종속기업투자주식 215,322,000 -

유형자산

6,708,852,500 6,860,491,181

무형자산

26,314,999 36,254,705
투자부동산 838,594,397 832,414,544
자산 총계 18,071,590,987 14,150,845,010

부채

유동부채

3,030,247,609 3,303,244,137

매입채무

595,515,217 1,664,652,629
계약부채 2,365,000 4,675,000

기타금융부채

1,544,406,292 886,032,804

기타유동부채

312,804,660 175,737,423
유동성장기차입금 482,120,000 482,280,000
유동성전환상환우선주부채 -

유동성파생금융부채

-

유동성리스부채

93,036,440 89,866,281

비유동부채

2,601,562,128 3,077,598,205
차입금 2,410,600,000 2,892,720,000
기타금융부채 29,000,000 47,000,000

리스부채

161,962,128 137,878,205

부채 총계

5,631,809,737 6,380,842,342

자본

자본금 4,969,807,000 4,454,807,000

자본잉여금

21,002,012,826 14,913,284,826
자본조정 663,586,325 629,829,992
기타포괄손익누계액 956,418,520 956,418,520

결손금

(15,152,043,421) (13,184,337,670)

자본 총계

12,439,781,250 7,770,002,668

자본 및 부채 총계

18,071,590,987 14,150,845,010
"첨부된 주석은 본 재무제표의 일부입니다."

- 별도 포괄손익계산서

포 괄 손 익 계 산 서
제 28(당) 기 : 2024년 01월 01일부터 2024년 12월 31일까지
제 27(전) 기 : 2023년 01월 01일부터 2023년 12월 31일까지
케이웨더 주식회사 (단위 : 원)

과 목

제 28(당) 기 제 27(전) 기
매출 15,291,353,398 14,300,875,356

매출원가

12,210,974,516 10,058,609,026

매출총이익

3,080,378,882 4,242,266,330

판매비와관리비

5,509,140,564 6,866,449,595
일반판매비와관리비 5,509,140,561 6,464,972,377
대손상각비 - 401,477,218

영업이익(손실)

(2,428,761,682) (2,624,183,265)

기타수익

451,732,452 125,696,264

기타비용

36,547,638 2,591,525

금융수익

194,636,964 113,361,186

금융비용

148,765,847 210,539,035

법인세비용차감전순이익(손실)

(1,967,705,751) (2,598,256,375)

법인세비용

-

당기순이익(손실)

(1,967,705,751) (2,598,256,375)

기타포괄손익

-

당기 총포괄이익(손실)

(1,967,705,751) (2,598,256,375)

주당이익(손실)

기본주당이익(손실)

(205) (292)

희석주당이익(손실)

(205) (288)
"첨부된 주석은 본 재무제표의 일부입니다."

- 별도 자본변동표

자 본 변 동 표
제 28(당) 기 : 2024년 01월 01일부터 2024년 12월 31일까지
제 27(전) 기 : 2023년 01월 01일부터 2023년 12월 31일까지
케이웨더 주식회사 (단위 : 원)

구 분

자본금 자본잉여금 자본조정 기타포괄손익누계액 이익잉여금 자본총계
2023.01.01(전기초) 4,454,807,000 14,913,284,826 563,260,827 956,418,520 (10,586,091,295) 10,301,689,878

당기순손실

(2,598,256,375) (2,598,256,375)
주식보상비용 66,569,165 66,569,165
주식보상비용(주석24)
2023.12.31(전기말) 4,454,807,000 14,913,284,826 629,829,992 956,418,520 (13,184,337,670) 7,770,002,668
2024.01.01(당기초) 4,454,807,000 14,913,284,826 629,829,992 956,418,520 (13,184,337,670) 7,770,002,668

당기순이익

(1,967,705,751) (1,967,705,751)
유상증자 515,000,000 6,695,000,000 7,210,000,000
주식발행비용 (606,272,000) (606,272,000)
주식보상비용(주석24) 33,756,334 33,756,334
2024.12.31(당기말) 4,969,807,000 21,002,012,826 663,586,326 956,418,520 (15,152,043,421) 12,439,781,251
"첨부된 주석은 본 재무제표의 일부입니다."

- 별도 현금흐름표

현 금 흐 름 표
제 28(당) 기 : 2024년 01월 01일부터 2024년 12월 31일까지
제 27(전) 기 : 2023년 01월 01일부터 2023년 12월 31일까지
케이웨더 주식회사 (단위 : 원)

구 분 제 28(당) 기 제 27(전) 기
영업활동으로 인한 현금흐름 (2,238,251,419) (2,873,458,713)
영업으로부터 창출된 현금흐름 (2,181,841,437) (2,780,636,877)
이자의 수취 91,066,209 110,024,920
이자의 지급 (148,142,891) (195,431,396)
배당금의 수취 666,700 -
법인세의 환급(납부) - (7,415,360)
투자활동으로 인한 현금흐름 (4,231,098,284) 3,853,201,046
투자활동으로 인한 현금 유입액 268,908,984 4,364,228,060
단기금융상품의 감소  - 4,018,684,383
단기대여금의 감소  - 7,583,346
유형자산의 처분 200,293,211  -
장기대여금의 감소 25,277,773 833,331
임차보증금 회수 43,338,000  -
정부보조금의 수취  - 337,127,000
투자활동으로 인한 현금 유출액 (4,500,007,268) (511,027,014)
단기금융상품의 증가  -  -
종속기업투자주식의 취득 215,322,000  -
회원권의 취득 800,000,000  -
당기손익공정가치금융자산의 증가 2,902,888,901  -
장기대여금의 증가 70,000,000 10,000,000
유형자산의 취득 387,504,367 481,027,014
무형자산의 취득 14,000,000  -
임차보증금의 증가 110,292,000 20,000,000
재무활동으로 인한 현금흐름 6,167,755,326 (99,849,809)
재무활동으로 인한 현금 유입액 6,631,985,022 5,000,000
리스채권의 회수 15,081,806  -
유상증자 6,603,728,000  -
임대보증금의 증가  - 5,000,000
기타보증금의 증가
외환차익 13,175,216  -
재무활동으로 인한 현금 유출액 (464,229,696) (104,849,809)
장기차입금의 상환 482,280,000  -
리스해지 100,915,080  -
리스료 지급 76,941,920 (104,849,809)
리스부채의 상환 (204,571,212)  -
외환차손 8,663,908  -
현금및현금성자산의 증감 (301,594,377) 879,892,524
기초 현금및현금성자산 1,860,646,894 981,294,328
현금및현금성자산의 환율변동효과 - (539,958)
기말 현금및현금성자산 1,559,052,517 1,860,646,894

- 결손금처리계산서(안)

결손금처리계산서
제 28(당) 기 : 2024년 01월 01일부터 2024년 12월 31일까지
제 27(전) 기 : 2023년 01월 01일부터 2023년 12월 31일까지
케이웨더 주식회사 (단위 : 원)
과 목 제 28 기(처리예정일 2024.3.28) 제 27 기(처리확정일 2024.3.29)
I. 미처리결손금 (15,152,043,421) (13,184,337,670)
전기이월미처리결손금 (13,184,337,670) (10,586,081,295)
당기순이익(손실) (1,967,705,751) (2,598,256,375)
II. 차기이월미처리잉여금(결손금) (15,152,043,421) (13,184,337,670)

- 최근 2사업연도의 배당에 관한 사항

당사는 최근 2사업연도 배당이력이 없습니다.

□ 정관의 변경

가. 집중투표 배제를 위한 정관의 변경 또는 그 배제된 정관의 변경

변경전 내용 변경후 내용 변경의 목적
- - -

나. 그 외의 정관변경에 관한 건

변경전 내용 변경후 내용 변경의 목적

제10조(신주인수권)

① 주주는 그가 소유한 주식의 수에 비례하여 신주의 배정을 받을 권리를 갖는다.

② 회사는 제1항의 규정에도 불구하고 다음 각 호의 어느 하나에 해당하는 경우 이사회의 결의로 주주 외의 자에게 신주를 배정할 수 있다.

1. 주권을 유가증권시장 또는 코스닥시장에 상장하기 위하여 신주를 모집하거나 인수인에게 인수하게 하는 경우

2. 발행주식총수의 100분의 30을 초과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자본시장 및

금융투자업에 관한 법률”(이하, 자본시장법”이라고 한다) 제165조의 6 규정에 의하여 일반공모증자 방식으로 신주를 발행하는 경우

3. 제11조의 규정에 의한 주식매수선택권의 행사로 인하여 신주를 발행하는 경우

4. 자본시장법 제165조의7의 규정에 의하여 우리사주조합원에게 주식을 우선배정하는

5. 발행주식총수의 100분의 20을 초과하지 않는 범위 내에서 근로자복지기본법 제39조의 규정에 의한 우리사주매수선택권의 행사로 인하여 신주를 발행하는경우

6. 발행주싱의총수의 100분의 20을 초과하지 않는범위 내에서 긴급한 운전 또는 시설자금의 조달을 위하여 국내외 금융기관 또는 창업투자회사,기타기관투자자에게 신주를 발행하는 경우

7. 발행주식총수의 100분의 20을 초과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사업상 중요한 기술도입, 연구개발, 생산, 판매, 자본제휴를 위하여 그 상대방에게 신주를 발행하는 경우

③ 제2항 각 호 중 어느 하나의 규정에 의해 신주를 발행할 경우 발행할 주식의 종류와 수 및 발행가격 등은 이사회의 결의로 정한다.

④ 신주인수권의 포기 또는 상실에 따른 주식과 신주배정에서 발생한 단주에 대한 처리방법은 이사회의 결의로 정한다.

제10조(신주인수권)

① 주주는 그가 소유한 주식의 수에 비례하여 신주의 배정을 받을 권리를 갖는다.

② 회사는 제1항의 규정에도 불구하고 다음 각 호의 어느 하나에 해당하는 경우 이사회의 결의로 주주 외의 자에게 신주를 배정할 수 있다.

1. 주권을 유가증권시장 또는 코스닥시장에 상장하기 위하여 신주를 모집하거나 인수인에게 인수하게 하는 경우

2. 발행주식총수의 100분의 50 을 초과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자본시장 및

금융투자업에 관한 법률”(이하, 자본시장법”이라고 한다) 제165조의 6 규정에 의하여 일반공모증자 방식으로 신주를 발행하는 경우

3. 제11조의 규정에 의한 주식매수선택권의 행사로 인하여 신주를 발행하는 경우

4. 자본시장법 제165조의7의 규정에 의하여 우리사주조합원에게 주식을 우선배정하는

5. 발행주식총수의 100분의 20을 초과하지 않는 범위 내에서 근로자복지기본법 제39조의 규정에 의한 우리사주매수선택권의 행사로 인하여 신주를 발행하는경우

6. 발행주 의총수의 100분의 20을 초과하지 않는범위 내에서 긴급한 운전 또는 시설자금의 조달을 위하여 국내외 금융기관 또는 창업투자회사,기타기관투자자에게 신주를 발행하는 경우

7. 발행주식총수의 100분의 20을 초과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사업상 중요한 기술도입, 연구개발, 생산, 판매, 자본제휴를 위하여 그 상대방에게 신주를 발행하는 경우

③ 제2항 각 호 중 어느 하나의 규정에 의해 신주를 발행할 경우 발행할 주식의 종류와 수 및 발행가격 등은 이사회의 결의로 정한다.

④ 신주인수권의 포기 또는 상실에 따른 주식과 신주배정에서 발생한 단주에 대한 처리방법은 이사회의 결의로 정한다.

ㅇ 제 10조 2항의 2호 중 100분의 50으로 변경

ㅇ 제 10조 2항의 6호 오타수정

제17조(전환사채의 발행)

① 회사는 다음 각 호의 어느 하나에 해당하는 경우 이사회의 결의로 주주 외의 자에게 전환사채를 발행할 수 있다.

1. 사채의 액면총액이 250억원을 초과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일반공모의 방법으로 전환사채를 발행하는 경우

2. 사채의 액면총액이 100억원을 초과하지 않는 범위 내에서 긴급한 자금조달을 위하여 국내외 금융기관 또는 창업투자회사, 기타 기관투자자에게 전환사채를 발행하는 경우

3. 사채의 액면총액이 100억원을 초과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사업상 중요한 기술도입, 연구개발, 생산·판매·자본제휴를 위하여 그 상대방에게 전환사채를 발행하는 경우

② 전환으로 인하여 발행하는 주식은 보통주식으로 하고, 전환가액은 주식의 액면금액 또는 그 이상의 가액으로 사채발행시 이사회가 정한다.

③ 전환을 청구할 수 있는 기간은 당해 사채의 발행일후 1개월이 경과하는 날로부터 그 상환기일의 직전일까지로 한다. 그러나 위 기간 내에서 이사회의 결의로써 전환청구기간을 조정할 수 있다.

④ 전환으로 인하여 발행하는 신주에 대한 이익의 배당과 전환사채에 대한 이자의 지급에 대하여는 제12조의 규정을 준용한다.

⑤ 제3항의 전단에도 불구하고 회사가 주권상장법인에 해당하는 경우, 모집 이외의 방법으로 사채를 발행할 때 발행 후 1년이 경과하는 날로부터 그 상환 기일의 직전일까지로 한다. 다만 위 기간 내에서 이사회의 결의로써 전환청구기간을 조정할 수 있다.

제17조(전환사채의 발행)

① 회사는 다음 각 호의 어느 하나에 해당하는 경우 이사회의 결의로 주주 외의 자에게 전환사채를 발행할 수 있다.

1. 사채의 액면총액이 1,000억원을 초과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일반공모의 방법으로 전환사채를 발행하는 경우

2. 사채의 액면총액이 1,000억원을 초과하지 않는 범위 내에서 긴급한 자금조달을 위하여 국내외 금융기관 또는 창업투자회사, 기타 기관투자자에게 전환사채를 발행하는 경우

3. 사채의 액면총액이 1,000억원을 초과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사업상 중요한 기술도입, 연구개발, 생산·판매·자본제휴를 위하여 그 상대방에게 전환사채를 발행하는 경우

② 전환으로 인하여 발행하는 주식은 보통주식으로 하고, 전환가액은 주식의 액면금액 또는 그 이상의 가액으로 사채발행시 이사회가 정한다.

③ 전환을 청구할 수 있는 기간은 당해 사채의 발행일후 1개월이 경과하는 날로부터 그 상환기일의 직전일까지로 한다. 그러나 위 기간 내에서 이사회의 결의로써 전환청구기간을 조정할 수 있다.

④ 전환으로 인하여 발행하는 신주에 대한 이익의 배당과 전환사채에 대한 이자의 지급에 대하여는 제12조의 규정을 준용한다.

⑤ 제3항의 전단에도 불구하고 회사가 주권상장법인에 해당하는 경우, 모집 이외의 방법으로 사채를 발행할 때 발행 후 1년이 경과하는 날로부터 그 상환 기일의 직전일까지로 한다. 다만 위 기간 내에서 이사회의 결의로써 전환청구기간을 조정할 수 있다.

ㅇ 제 17조 1항의 1,2,3호 액면총액 1,000억원으로 변경

제18조(신주인수권부사채의 발행)

① 회사는 다음 각 호의 어느 하나에 해당하는 경우 이사회의 결의로 주주 외의 자에게 신주인수권부사채를 발행할 수 있다.

1. 사채의 액면총액이 150억원을 초과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일반공모의 방법으로 신주인수권부사채를 발행하는 경우

2. 사채의 액면총액이 100억원을 초과하지 않는 범위 내에서 긴급한 자금조달을 위하여 국내외 금융기관 또는 창업투자회사, 기타 기관투자자에게 신주인수권부사채를 발행하는 경우

3. 사채의 액면총액이 100억원을 초과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사업상 중요한 기술도입, 연구개발, 생산·판매·자본제휴를 위하여 그 상대방에게 신주인수권부사채를 발행하는 경우

② 신주인수를 청구할 수 있는 금액은 사채의 액면총액을 초과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이사회가 정한다.

③ 신주인수권의 행사로 발행하는 주식의 종류는 보통주식으로 하고, 그 발행가액은 액면금액 또는 그 이상의 가액으로 사채발행시 이사회가 정한다.

④ 신주인수권을 행사할 수 있는 기간은 당해 사채발행일후 1개월이 경과한 날로부터 그 상환기일의 직전일까지로 한다. 그러나 위 기간 내에서 이사회의 결의로써 신주인수권의 행사기간을 조정할 수 있다.

⑤ 신주인수권의 행사로 발행하는 신주에 대한 이익의 배당에 대하여는 제12조의 규정을 준용한다.

⑥ 제4항의 전단에도 불구하고 회사가 주권상장법인에 해당하는 경우, 모집 이외의 방법으로 사채를 발행할 때 발행 후 1년이 경과하는 날로부터 그 상환 기일의 직전일까지로 한다. 다만 위 기간 내에서 이사회의 결의로써 신주인수권의 행사기간을 조정할 수 있다.

제18조(신주인수권부사채의 발행)

① 회사는 다음 각 호의 어느 하나에 해당하는 경우 이사회의 결의로 주주 외의 자에게 신주인수권부사채를 발행할 수 있다.

1. 사채의 액면총액이 1,000억원을 초과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일반공모의 방법으로 신주인수권부사채를 발행하는 경우

2. 사채의 액면총액이 1,000억원을 초과하지 않는 범위 내에서 긴급한 자금조달을 위하여 국내외 금융기관 또는 창업투자회사, 기타 기관투자자에게 신주인수권부사채를 발행하는 경우

3. 사채의 액면총액이 1,000억원을 초과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사업상 중요한 기술도입, 연구개발, 생산·판매·자본제휴를 위하여 그 상대방에게 신주인수권부사채를 발행하는 경우

② 신주인수를 청구할 수 있는 금액은 사채의 액면총액을 초과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이사회가 정한다.

③ 신주인수권의 행사로 발행하는 주식의 종류는 보통주식으로 하고, 그 발행가액은 액면금액 또는 그 이상의 가액으로 사채발행시 이사회가 정한다.

④ 신주인수권을 행사할 수 있는 기간은 당해 사채발행일후 1개월이 경과한 날로부터 그 상환기일의 직전일까지로 한다. 그러나 위 기간 내에서 이사회의 결의로써 신주인수권의 행사기간을 조정할 수 있다.

⑤신주인수권의 행사로 발행하는 신주에 대한 이익의 배당에 대하여는 제12조의 규정을 준용한다.

⑥ 제4항의 전단에도 불구하고 회사가 주권상장법인에 해당하는 경우, 모집 이외의 방법으로 사채를 발행할 때 발행 후 1년이 경과하는 날로부터 그 상환 기일의 직전일까지로 한다. 다만 위 기간 내에서 이사회의 결의로써 신주인수권의 행사기간을 조정할 수 있다.

ㅇ 제 18조 1항의 1,2,3호 액면총액 1,000억원으로 변경

※ 기타 참고사항

□ 이사의 해임

가. 해임 대상자의 성명, 생년월일 및 최근 주요약력

해임대상자 성명 생년월일 최근 주요약력 예정임기만료일
윤영훈 1982.07.15 한국저작권위원회 감정인 현)법무법인 한별 파트너 변호사 2027년 3월28일

나. 해임하여야 할 사유

해임대상자 성명 해임하여야 할 사유
윤영훈 개인사정

※ 기타 참고사항

□ 이사의 선임

가. 후보자의 성명ㆍ생년월일ㆍ추천인ㆍ최대주주와의 관계ㆍ사외이사후보자 등 여부

후보자성명 생년월일 사외이사후보자여부

감사위원회 위원인

이사 분리선출 여부

최대주주와의 관계 추천인
이수완 1975.06.01 사외이사 해당사항없음 해당사항 없음 이사회
총 (1) 명

나. 후보자의 주된직업ㆍ세부경력ㆍ해당법인과의 최근3년간 거래내역

후보자성명 주된직업 세부경력 해당법인과의최근3년간 거래내역
기간 내용
이수완 변호사 2020.3~현재 법무법인 청린 변호사 해당사항없음

다. 후보자의 체납사실 여부ㆍ부실기업 경영진 여부ㆍ법령상 결격 사유 유무

후보자성명 체납사실 여부 부실기업 경영진 여부 법령상 결격 사유 유무
이수완 없음 없음 없음

라. 후보자의 직무수행계획(사외이사 선임의 경우에 한함)

1. 전문성

본 후보자는 전문적인 지식과 경험을 바탕으로 이사회의 의사결정이 최선의 방향으로 이루어지도록 주어진 직무를 성실하게 수행하고자 합니다.2. 독립성

본 후보자는 사외이사로서 최대주주로부터 독립적인 위치에 있어야 함을 정확하게 이해하고 있으며, 투명하고 독립적인 의사결정 및 직무수행을 하도록 하겠습니다.

3. 회사의 이익 보호

전문적 지식과 경험을 바탕으로 경영진이나 특정 주주의 이익이 아닌 회사 전체의 이익을 보호하는데 노력을 기울일 것입니다.

4. 책임과 의무에 대한 인식 및 준수본 후보자는 상법 제382조 제3항 및 제542조의8 제2항에서 규정하는 사외이사의 부적격사유가 발생하지 않도록 함은 물론, 사외이사의 의무를 인지하고 이를 엄수할 것입니다.

마. 후보자에 대한 이사회의 추천 사유

위 후보자는 법률 분야의 전문가로서 당사의 발전과 중장기 목표를 이루기 위한 기업의 의사결정과정에서 전문적 의견을 제시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되어 추천함.

확인서 확인서 이사선임-케이웨더-이수완.jpg 확인서 이사선임-케이웨더-이수완

※ 기타 참고사항

□ 감사위원회의 위원의 해임

가. 해임 대상자의 성명, 생년월일 및 최근 주요약력

해임대상자 성명 생년월일 최근 주요약력 예정임기만료일
윤영훈 1982.07.15 한국저작권위원회 감정인현)법무법인 한별 파트너 변호사 2027년 3월28일

나. 해임하여야 할 사유

해임대상자 성명 해임하여야 할 사유
윤영훈 개인사정

※ 기타 참고사항

□ 감사위원회 위원의 선임

가. 후보자의 성명ㆍ생년월일ㆍ추천인ㆍ최대주주와의 관계ㆍ사외이사후보자 등 여부

후보자성명 생년월일 사외이사후보자여부 감사위원회 위원인이사 분리선출 여부 최대주주와의 관계 추천인
이수완 1975.06.01 사외이사 해당사항없음 해당사항 없음 이사회
총 (1) 명

나. 후보자의 주된직업ㆍ세부경력ㆍ해당법인과의 최근3년간 거래내역

후보자성명 주된직업 세부경력 해당법인과의최근3년간 거래내역
기간 내용
이수완 변호사 2020.3~현재 법무법인 청린 변호사 해당사항없음

다. 후보자의 체납사실 여부ㆍ부실기업 경영진 여부ㆍ법령상 결격 사유 유무

후보자성명 체납사실 여부 부실기업 경영진 여부 법령상 결격 사유 유무
이수완 없음 없음 없음

라. 후보자에 대한 이사회의 추천 사유

위 후보자는 법률 분야의 전문가로서 당사의 발전과 중장기 목표를 이루기 위한 기업의 의사결정과정에서 전문적 의견을 제시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되어 추천함.

확인서 확인서 이사선임-케이웨더-이수완.jpg 확인서 감사위원회-케이웨더-이수완

※ 기타 참고사항

□ 주식매수선택권의 부여

가. 주식매수선택권을 부여하여야 할 필요성의 요지

당사에 기여한 경영실적에 대한 대가 지급의 필요성

나. 주식매수선택권을 부여받을 자의 성명

성명 직위 직책 교부할 주식
주식의종류 주식수
김도현 전무이사 영업본부장 보통주 20,000
장지희 부장 전략사업본부장 보통주 3,000
총(2)명 - - - 총(23,000)주

다. 주식매수선택권의 부여방법, 그 행사에 따라 교부할 주식의 종류 및 수, 그 행사가격, 행사기간 및 기타 조건의 개요

구 분 내 용 비 고
부여방법 신주발행 -
교부할 주식의 종류 및 수 보통주 23,000주 -
행사가격 및 행사기간 2,000원 2028년 3월 28일 ~2031년 3월 27일 -
기타 조건의 개요 - -

라. 최근일 현재 잔여주식매수선택권의 내역 및 최근년도 주식매수선택권의 부여, 행사 및 실효내역의 요약

- 최근일 현재 잔여주식매수선택권의 내역

총발행주식수 부여가능주식의 범위 부여가능주식의 종류 부여가능주식수 잔여주식수
9,939,614 발행주식 총수의 20% 보통주 1,987,922 1,860,922

- 최근 2사업연도와 해당사업연도의 주식매수선택권의 부여, 행사 및 실효내역

사업년도 부여일 부여인원 주식의종류 부여주식수 행사주식수 실효주식수 잔여주식수
2023년 - - - - - - -
2024년 2023.3.17 12 보통주 127,000 - - 127,000
- 총(12)명 - 총(127,000 )주 총( - )주 총( - )주 총(127,000)주

※ 기타 참고사항

□ 이사의 보수한도 승인

가. 이사의 수ㆍ보수총액 내지 최고 한도액

(당 기)

이사의 수 (사외이사수) ( 5 (3) )
보수총액 또는 최고한도액 2,000,000,000

(전 기)

이사의 수 (사외이사수) ( 5 (3) )
실제 지급된 보수총액 539,049,990
최고한도액 2,000,000,000

※ 기타 참고사항

IV. 사업보고서 및 감사보고서 첨부

가. 제출 개요 2025년 03월 20일1주전 회사 홈페이지 게재
제출(예정)일 사업보고서 등 통지 등 방식

나. 사업보고서 및 감사보고서 첨부

※ 당사의 사업보고서 및 감사보고서를 주주총회 1주 전(2025.3.20)에 금융감독원 전자공시시스템와 당사 홈페이지에 각각 공시 및 게재할 예정입니다.- 금융감독원 전자공시시스템 : http://dart.fss.or.kr- 당사 홈페이지 : https://www.kweather.co.kr※ 해당 사업보고서는 향후 주주총회 이후 변경되거나 오기 등이 있는 경우 수정될 수 있으며, 이 경우 전자공시시스템(http://dart.fss.or.kr)에 정정보고서를 공시할 예정이므로 이점 참조하시기 바랍니다.

※ 참고사항

1. 주주총회 개최일 : 2025년 3월 28일2. 주주총회 소집공고일 : 2025년 3월 13일3. 주주총회 집중일 개최 사유당사는 가능한 주주총회 집중일을 피해 금번 정기주주총회를 개최하고자 하였으나,외부감사인과의 감사보고서 예정수령일 및 이사의 참석 가능 일정등을 고려하여 불가피하게 2025년 3월 28일(금)에 주주총회를 개최하게 되었습니다.4. 당사는 코스닥협회에서 주관하는 '주주총회분산 자율준수프로그램'에 참여하지 않았습니다.※ 첨부된 재무제표는 감사전 별도, 연결 재무제표입니다. 외부감사인의 감사의견과 주석을 포함한 최종 재무제표는 추후 전자공시시스템 (http://dart.fss.or.kr) 및 당사 홈페이지(http://vaiv.kr)에 공시할 예정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