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주총회소집공고 6.0 주식회사 노드메이슨

주주총회소집공고
2025년 03월 11일
회 사 명 : 주식회사 노드메이슨
대 표 이 사 : 구자풍
본 점 소 재 지 : 서울시 마포구 토정로 119
(전 화) 070-7123-0077
(홈페이지) http://huxley.co.kr
작 성 책 임 자 : (직 책) 전무이사 (성 명) 박병규
(전 화) 070-7123-0077

주주총회 소집공고
(제12기 정기)

주주님의 건승과 댁내의 평안을 기원합니다.당사는 상법 제365조 및 당사 정관 제25조에 의거 제12기 정기주주총회를 다음과 같이 개최하오니 참석하여 주시기 바랍니다. 소액주주에 대한 소집통지는 상법 제542조의 4 와 당사 정관 25조에 의거하여 본 공고로 갈음하오니 양지하시기 바랍니다.

- 아 래 -

1.일시 : 2025년 3월 26일 (수요일) 오전 10시

2.장소 : 서울특별시 마포구 토정로 119, 노드메이슨빌딩 지하 1층 대회의실

3.회의의 목적사항

가. 보고사항 : 감사보고, 영업보고, 내부회계관리제도 운용실태 보고

나. 부의안건

제 1 호 의안 : 제12기(2024년1월1일 ~ 2024년12월31일) 재무제표(이익잉여금처분계산서 포함) 및 연결재무제표 승인의 건 제 2 호 의안 : 정관 일부 변경의 건 제 3 호 의안 : 이사 재선임의 건 3-1호 의안: 사내이사 구자풍 선임의 건(재선임) 3-2호 의안: 기타비상무이사 김성우 선임의 건(재선임) 제 4 호 의안 : 이사 보수한도액의 승인의 건 (10억원) 제 5 호 의안 : 감사 보수한도액의 승인의 건 (1억원)

4. 실질주주의 의결권 행사에 관한 사항금번 우리 회사의 주주총회에서 종전과 같이 주주총회 참석장에 의거 의결권을 직접행사 하시거나 또는 위임장에 의거 의결권을 간접행사 하실 수 있습니다.

5. 주주총회 참석시 준비물

가.직접행사

주주총회 참석장, 본인신분증

나.대리행사

주주총회 참석장, 위임장(주주의 대리인의 인적사항 등 기재, 인감 날인),

인감증명서 1부, 대리인의 신분증

6. 경영참고사항

상법 제542조의4에 의거 경영참고사항은 당사의 본사와 한국예탁결제원 증권대행부에 비치하였고, 금융감독원 또는 한국거래소에 전자공시하여 조회가 가능하오니 참고하시기 바랍니다.

7. 전자증권제도 시행에 따른 실물증권 보유자의 권리 보호에 관한 사항2019년 9월 16일부터 전자증권제도가 시행되어 실물증권은 효력이 상실되었으며, 한국예탁결제원의 특별(명부)계좌주주로 전자등록되어 권리행사 등이 제한됩니다. 따라서 보유 중인 실물증권을 한국예탁결제원 증권대행부에 방문하여 전자등록주식으로 전환하시기 바랍니다.

I. 사외이사 등의 활동내역과 보수에 관한 사항

1. 사외이사 등의 활동내역 가. 이사회 출석률 및 이사회 의안에 대한 찬반여부
회차 개최일자 의안내용 사외이사 등의 성명
조승규(출석률: 100%)
찬 반 여 부
1 2024.03.13 제11기 정기주주총회 소집의 건 찬성
2 2024.06.20 계열회사에 대한 지급 보증 건 찬성
3 2024.07.31 은행 차입 실행의 건 찬성
4 2024.12.13 주주명부 폐쇄 및 기준일 설정의 건 찬성

나. 이사회내 위원회에서의 사외이사 등의 활동내역
위원회명 구성원 활 동 내 역
개최일자 의안내용 가결여부
- - - - -

2. 사외이사 등의 보수현황
(단위 : 원)
구 분 인원수 주총승인금액 지급총액 1인당 평균 지급액 비 고
사외이사 1 1,000,000,000 12,000,000 12,000,000 -

II. 최대주주등과의 거래내역에 관한 사항

1. 단일 거래규모가 일정규모이상인 거래
(단위 : 억원)
거래종류 거래상대방(회사와의 관계) 거래기간 거래금액 비율(%)
- - - - -

2. 해당 사업연도중에 특정인과 해당 거래를 포함한 거래총액이 일정규모이상인 거래
(단위 : 억원)
거래상대방(회사와의 관계) 거래종류 거래기간 거래금액 비율(%)
- - - - -

III. 경영참고사항

1. 사업의 개요 가. 업계의 현황

(1) 시장의 특성

(가) 화장품 및 화장품 산업의 정의 및 특성

화장품의 정의는 인체를 청결, 미화하여 매력을 더하고 용모를 밝게 변화시키거나 피부.모발의 건강을 유지 또는 증진하기 사용되는 물품으로써 인체에 대한 작용이 경미한 것을 의미합니다.(화장품법 제2조) 다만, <약사법> 제2조 제4호의 의약품에 해당되는 물품은 제외합니다.

화장품산업이란 화장품을 제조, 판매 또는 수입하는 산업을 말합니다. 고대 인류의 역사와 더불어 함께 발전하여 왔으며 미래에도 지속적으로 발전이 가능한 고부가가치의 문화, 경제산업으로 자리매김되고 있습니다. 이 부가가치는 화장품 산업의 브랜드 가치, 기업의 가치를 뛰어넘어 국가 브랜드 이미지 개선 및 국가 경제발전을 견인하는 성장, 동력 산업이라 할 수 있습니다. 해당 산업의 성장 기회 요인은 다음과 같습니다.

- 고부가가치 문화 산업

화장품산업은 의료, 바이오 등 다양한 산업과 융복합이 가능한 유기적 연계산업으로서, 피부과학, 생화학, 생리학, 면역학, 심리학, 등 다양한 분야의 기술력이 결합된 고부가가치 산업입니다. 또한, 화장품 산업은 국가 브랜드와 종합 문화산업(Cultrure, Movie, Drama, Pop)등이 결합되어 새로운 가치를 창출하는 새로운 고부가가치 문화산업으로 실제로, 한국 화장품의 경우 '한류(韓流)' 를 기반으로 K-Beauty까지 확장되어 국가 경제발전을 견인하는 산업으로 성장하였습니다.

- 브랜드 이미지 사업

화장품은 기호성이 강한 제품으로 이미지를 중시하기 때문에 트렌드에 민감하고, 일반 소비재품과는 다르게 인간의 미와 신체에 관련한 소비자의 감성적 욕구를 충족시켜주는 제품으로 제품선택 시 브랜드 가치가 매우 중요한 요소로 작용하며, 그 어떤 산업보다도 브랜드가치가 제품의 경쟁력에 중요한 변수로 작용하고 있습니다. 한편, 경험재라는 특성상 사용하던 제품에 대한 충성도(Loyaty)가 높은 경향을 나타내고 있습니다.

- 글로벌 산업

화장품 산업은 글로벌 산업입니다. 과거에는 인종에 따른 피부 특성 및 화장 습관의 차이로 인해 여러 국가에서 내수 중심으로 발전해 왔으나, 글로벌 브랜드의 영향력 확대, 선진화된 공법과 정제된 고급원료의 사용으로 인해 점차 선진화, 글로벌화 되고 있습니다. 오프라인 채널의 경계가 없음은 물론이고 온라인 채널의 다양화, 활성화는 화장품 산업의 글로벌화를 더욱 가속, 발전시켜서 인류의 아름다움을 추구하는 산업의 치열한 각축장이 되고 있으며 특히, 로 불리는 국내 화장품 산업은 미래 우리나라 경제의 신수종 사업으로 인정받고 있습니다.

- 진입장벽이 낮아 중소기업의 진입이 용이한 산업

화장품 산업은 브랜드 파워를 보유한 대규모 기업들이 시장을 주도하고 있으나, 자본력이 작은 중소기업들도 시장참여가 용이한 산업입니다. 제품의 교체주기가 짧고 소비층이 다양하여 다품종 소량생산이 적합하고, ODM 등 위탁생산을 활용시 제조시설이 없이 소규모 자본으로 시장진입이 용이합니다. 또한, 화장품 산업은 시장과 유통채널이 확대되고 소비자의 제품 선택 기준이 점차 다양화 되면서 중소기업의 시장진입이 매우 용이하게 되었습니다.

- 다양한 경로를 통해 유통되는 산업

화장품 산업은 유통경로별로 다양한 소비자 군과 차별화된 수요특성이 존재하며 경제 상황 및 환경의 변화에 따라 각 유통경로의 판매 비중은 끊임없이 변화하고 있습니다. 일반적으로 백화점은 프리미엄 및 매스티지 화장품이 판매되고 있으며, 전문점과 드럭스토어 등으로는 중저가 제품이 대량 유통되고, 저가형 제품의 경우 약국이나 편의점을 통해 유통 되는 등 다른 산업에 비해 다양한 유통경로를 형성하고 있습니다. 특히, 최근에는 모바일, SNS를 접하는 세대를 중심으로 온라인을 통한 마케팅과 유통이 빠르게 성장하고 있어 벤처브랜드들의 유입 및 확대가 증가하고 있으며, 전 세계적인 드럭스토어 성장으로 인해 브랜드간 해외 진출이 활발하게 이뤄지고 있습니다.

나. 회사의 현황

(1) 영업개황 및 사업부문의 구분

(가) 영업개황

설립초기 (2013년~2015년)

주식회사 노드메이슨(이하 '당사')는 2013년 8월 글로벌 매스티지 브랜드(Masstige Brand: Prestige Brand for the Masses 합리적 가격의 중고가 명품브랜드) 화장품을 제조/판매하는 회사를 목적으로 설립되었습니다. 당시 국내 화장품 시장은 단일브랜드 로드샵, 백화점, 쇼핑몰 등 전통적인 유통채널과 올리브영으로 대표되는 Health&Beauty(이하 'H&B')편집매장, 온라인, 홈쇼핑 등 가성비 위주의 신규 온/오프라인 유통채널이 혼재되고 있었습니다. 수출에 있어서는 당사와 비교 군이 되는 중소기업 브랜드 제품의 경우 가성비가 높은 일부 히트제품과 반복구매 행태를 보이는 시트마스크 제품을 중심으로 중국시장이 수출시장의 주를 이루고 있었습니다.

당사는 설립 당시부터 SNS를 통해 실시간으로 문화와 소비를 공유하는 글로벌 소비자층의 등장과 이들에게 제공되는 다양한 새로운 형태의 온/오프라인 유통채널에 주목하였습니다. 당사는 중소기업 브랜드라 할지라도 글로벌 스탠다드를 충족하는 높은 수준의 제품과 중장기적으로 탄탄한 브랜딩 능력을 꾸준히 갖춰나간다면, 국내 대기업과 글로벌 브랜드들이 주도하는 수익성 높은 중고가 스킨케어 시장에서도 성공할 수 있을 것으로 판단하였습니다. 이에 당사는 설립 초기부터 글로벌 매스티지 시장을 대상으로 꾸준히 소비자에게 사랑받는 브랜드를 만들고자 2년여의 준비 끝에 헉슬리/Huxley(이하 '헉슬리')를 2015년 12월 런칭하였습니다.

국내외 성장기 (2016년~2018년)

당사는 사하라 사막에서 강인한 생존력을 보이는 선인장의 씨앗오일(Seed-Oil)을 핵심원료로한 고기능성 제품을 개발하고, 이를 직관적으로 인지할 수 있는 심플한 디자인의 패키지를 제작하여 독창적인 글로벌 미디어 캠페인 전략을 구사하였습니다. 이를 통해, 출시 초기부터 헉슬리는 비교적 가격 저항대가 높은 글로벌 매스티지 시장에서 차별화된 브랜드 이미지를 구축하기 시작 하였습니다. 특히, 당사는 중소기업의 매우 제한적인 자원 환경에서 회사의 모든 역량을 글로벌 브랜딩에 집중하고 이후 높아진 브랜드 위상을 바탕으로 국/내외 유통채널에 선택적으로 진출하는 다소 도전적인 브랜딩 전략을 구사하여 사업초기부터 좋은 성과를 시현함과 함께 안정적인 운영자금을 확보하였습니다.

실제로, 브랜드 런칭 이듬해인 2016년 상반기에 블라인트 테스트 기반의 깐깐한 선정기준을 갖고 있는 글로벌 메거진 얼루어의 '베스트 오브 뷰티 어워드'에서 당사의 토너와 오일 제품이 대상을 수상하였습니다. 또한, 매우 독창적인 미디어 컨텐츠 제작과 글로벌 홍보마케팅의 성과로 싱가폴 및 뉴욕 등 해외언론에서 비중 있게 소개되는 신규브랜드가 되기도 하였습니다. 이처럼 브랜드 런칭 초기에 국/내외를 동시에 아우르는 글로벌 브랜딩 전략의 성공은 이후 본격적인 국내외 유통채널에 좋은 조건으로 입점하며 더 많은 소비자를 만나는 계기가 되었고, 자연스럽게 꾸준하게 실적이 개선되는 선순환의 기초가 되어주었습니다. 국내는 2016년 롯데계열의 편집매장 롭스, 2017년 신세계백화점 계열의 고급 편집매장 시코르, 2018년 롯데면세점, 신라면세점 및 현대백화점 등에 입점하면서 시장을 확대하였고, 해외는 2016년 미국 노드스트롬 백화점을 시작으로 홍콩의 H&B 편집매장 사사(SASA), 2017년 싱가포르, 말레이시아, 일본내 현지 백화점, 2018년 중국 알리바바의 글로벌 온라인 채널인 티몰(TMALL) 입점하는 등 글로벌 온/오프라인 채널을 꾸준히 확보해왔습니다. 2019년 현재, 독일, 영국, 러시아 등 여러 해외에 추가로 진출하여 2018년 말 기준 국내 160개, 해외 36개국에 240여개의 판매 매장을 운영하고 있습니다.

당사는 국내외 판매채널 확장과 함께 꾸준히 신제품을 출시하였습니다. 2016년 11월 기존 스킨케어 제품군에 스파 제품군을 추가하였으며, 2018년 상반기에는 마스크팩, 쿠션 등의 신제품을 출시해 주요 소비자인 20~30대 글로벌 여성에게 최적화된 피부 솔루션을 제공할 수 있는 제품 포트폴리오를 갖추었습니다. 이와 관련, 타 브랜드가 수십에서 많게는 100여종에 이르는 다양한 기초 제품군을 가지고 가는 반면 헉슬리는 소비자에게 꼭 필요한 30여개의 제품라인을 높은 수준의 제품력으로 출시하여 각 제품별 수익성도 높이는 '최소 피부 루틴' 전략을 구사해오고 있습니다. 당사는 고가와 저가 제품군으로 양분화되고, 온/오프라인 신규 판매채널이 혼재되는 시장상황에서 글로벌 스탠다드의 제품과 독창적인 브랜딩 전략으로 헉슬리만의 USP(Unique Selling Proposition)을 구축하고자 하였습니다. 이처럼 기존의 스킨케어 브랜드와 차별화된 당사의 사업전략은 매출성장에 핵심기반이 되며, 2016년 15억원, 2017년 77억원, 2018년 212억원이라는 높은 매출로 성장세로 나타나게 되었습니다.

글로벌 도약기 (2019년 ~ 2020년 )

2019년과 2020년은 국내외의 다양한 위기 속에서 헉슬리가 글로벌 브랜드로 도약하고 자리매김하는 시기가 되었습니다. 크게 성장하고 있던 중국 시장이 사드 타격으로 일시 후퇴하고, 코로나로 전세계 경제가 침체되는 환경 속에서 당사도 온전히 자유로울 수는 없었으나, 꾸준히 준비해왔던 글로벌 확대 전략의 성과로 동남아를 비롯한 다양한 해외채널들은 오히려 성장하고, 홈쇼핑 등 준비해왔던 국내 비대면 또는 온라인 채널들이 성과를 보이면서 위기를 기회로 전환하는데 핵심적인 역할을 수행하였습니다.

한편, 이 시기는 런칭 초기의 스킨케어 카테고리를 넘어서 다양한 카테고리 제품으로 확장을 준비하는 시기이기도 했습니다. 색조 제품군인 커버 쿠션과 파운데이션 외에도, 미스트, 핸드크림, 아이크림 등 새로운 제품군을 다양하게 출시하였는데, 이 제품군들이 현재에도 추가적인 매출 동력이 되어주고 있습니다. 특히 2019년 출시 된 커버 쿠션과 2020년 출시 된 파운데이션은 이후 색조 제품군으로의 본격적인 시장 진출 가능성을 확인시켜준 제품이기도 합니다.

이러한 과정을 통해서 중국 시장과 마스크 제품에 의존하던 매출은 동남아시아와 유럽으로, 그리고 색조 제품군을 비롯한 다양한 제품의 매출로 확장하게 되었습니다. 특정 국가와 특정 제품에 치우쳤던 과거의 매출구조는, 다양한 국가와 다양한 제품의 매출로 균형잡히고 안정적 성장세의 구조를 갖추게 된 것입니다.

신성장기 (2021년~)

2022년도 이후 코로나 사태는 어느 정도 진정 국면에 진입하였으나 아직 시장 경제의 회복은 명확하지 않은 상태입니다. 당사는 그간의 위기에 해외시장 다변화, 홈쇼핑과 등 신규채널 개발, 신제품 개발 등을 적극적으로 준비하여, 위기를 기회로 극복한 바 있습니다.

현재 준비중인 전략으로 헉슬리의 비대면 채널 확장, 면세점 시장 진출 , 색조 시장 확대 그리고 기능성 화장품 확장을 준비하고 있습니다.

포스트 코로나 시대에도 재편된 비대면 경제 시스템은 유지 될 것이므로, 이미 진입하여 성과를 내고 있는 카카오선물하기, 네이버 등의 비대면 온라인 채널을 지속 확장할 예정입니다.

또한 코로나 이후 다시 본격 시장개편이 이루어질 것으로 예상되는 색조 제품군으로 확대 진출이 준비되어 있습니다. 색조 제품 카테고리는 일상의 마스크 착용으로 메이크업 시장 자체가 위축되고, 많은 브랜드가 소멸된 상황이지만, 헉슬리는 지난 3개년간 출시했던 쿠션과 파운데이션을 통해 시장성을 확인한 바 있으며, 이미 오래전부터 준비되어 있는 색조 제품들을 시장 상황에 따라 런칭하여 선도하고자 합니다.

또한 축적된 브랜드 개발 노하우와 바이오 회사와의 협력을 통해 헉슬리 기능성 화장품을 출시하여 반응을 얻고 있으며, 기존 헉슬리의 브랜드력을 통해서 대기 수요가 있는 기능성 화장품 시장으로 본격적으로 진출할 예정입니다.

당사는 2020년까지 성장시켜 온 기존 채널의 안정적인 매출에, 비대면 채널의 확장을 추가하여 규모의 동력을 얻고, 색조 시장 확대, 기능성 라인 추가로 변모를 시도하는 브랜드가 될 것입니다.

(나) 공시대상 사업부문의 구분

해당사항 없습니다.

(2) 시장점유율

국내 화장품시장은 아모레퍼시픽, (주)LG생활건강, 애경산업(주), 이니스프리, 코리아나화장품, (주)카버코리아등이 업계 상위권을 유지하고 있습니다. 또한 상위 3개사가 전체 생산에서 차지하는 비중의 주류를 이루는 과점현상이 지속되고 있습니다.

(3) 시장의 특성

우리나라 화장품산업은 국민소득수준의 향상과 여성 취업인구의 증가추세에 힘입어 80년대 이후 급속한 발전을 이룩해 왔으며, 화장품산업이 전체산업에서 차지하는 비중도 점차 높아지고 있습니다. 국내 주요사로는 아모레퍼시픽, LG생활건강, 코리아나, 한국화장품 등이 있습니다. 국내 화장품산업은 내수 중심에서 점차 선진화 글로벌화 되어가는 추세이며 우리나라의 위상이 높아짐에 따라 해외로의 수출 또한 활발히 이루어지고 있습니다. 최근 국내경기 침체에도 국내 화장품 시장 규모는 원브랜드숍과 면세점이 국내 화장품시장 성장을 주도하며 지속적인 성장세를 이어가고 있습니다. 합리적 소비 트렌드 확산과 온라인 소비자 저변이 확대되면서 온라인과 홈쇼핑 채널 볼륨이 확대되는 반면 할인점 채널은 국내 주요 할인점 채널 자체의 성장세 둔화로 성장세가 소폭 감소했습니다.

(4) 신규사업 등의 내용 및 전망

당사에서는 신규사업으로 헉슬리의 비대면 채널 확장, 색조 시장 확대 진출, 기능성 화장품 시장 진출을 준비 또는 진행하고 있습니다. (가) 비대면 채널 확장

코로나 위기를 통해 과거의 시장 판도와 운영 구조는 완전히 바뀌었습니다. 소비자의 비대면 시장 편향으로 오프매장(대면) 중심의 브랜드들은 극심한 위기를 겪었으며, 이후 포스트 코로나 시대에도 재편된 비대면 경제 시스템은 유지 될 것이라는 전망이 계속되고 있습니다.

당사는 코로나 위기의 주요한 내부 극복 요소로 해외시장 다변화와 함께 준비했던 비대면 매출 전략의 성과를 평가하고 있습니다. 새로운 채널인 카카오선물하기와 네이버 스마트스토어 등의 비대면 온라인 채널을 지속 확장할 예정입니다.

(나) 색조 화장품 시장 확대 진출

당사는 현재 헉슬리 브랜드 하에 스킨, 에센스, 로션 등과 같은 기초화장품을 주로 생산,판매 하고 있습니다. 보통 색조화장품은 파운데이션, 립스틱, 아이 메이크업 등과 같이 신체의 일부에 도포, 색채를 부여하는 제품 등을 말하는데, 당사는 지난해 립밤을 출시해 소비자로부터 높은 반응을 받은 바 있습니다.

당사는 헉슬리 브랜드를 기초화장품 시장에서 공고하게 구축하고 더불어 헉슬리 브랜드에 색조화장품 제품 라인을 추가하기 위해 제품개발을 오래전부터 진행해 왔습니다.

색조 제품 카테고리는 일상의 마스크 착용으로 메이크업 시장 자체가 위축되고, 많은 브랜드가 소멸된 상황이지만, 코로나 사태 진정으로 본격적인 시장개편이 이루어질 것으로 예상되어, 당사는 사전 준비를 마치고 색조 시장에 확대 진출하고자 합니다.

(다) 기능성 화장품 시장 진출

헉슬리 브랜드는 이미지 커뮤니케이션 전략이 성공적으로 수행된 브랜드 중 하나입니다. 따라서 헉슬리 소비자는 제품 외에도 그 브랜드의 이미지를 소비 또는 향유하기를 원하고 있습니다.

또한 축적된 브랜드 개발 노하우와 바이오 회사와의 협력을 통해 헉슬리 기능성 화장품을 출시하여 반응을 얻고 있으며, 기존 헉슬리의 브랜드력을 통해서 대기 수요가 있는 기능성 화장품 시장으로 본격적으로 진출할 예정입니다.

(5) 조직도

노드메이슨 조직도.jpg 노드메이슨 조직도
2. 주주총회 목적사항별 기재사항 □ 재무제표의 승인

가. 해당 사업연도의 영업상황의 개요

상기 "Ⅲ.경영참고사항, 1.사업의 개요, 나.회사의 현황, (1) 영업개황 및 사업부문의 구분, (가) 영업개황"의 내용을 참조하시기 바랍니다.

나. 해당 사업연도의 대차대조표(재무상태표)ㆍ손익계산서(포괄손익계산서)ㆍ이익잉여금처분계산서(안) 또는 결손금처리계산서(안)

※ 제 12기의 재무제표는 한국채택국제회계기준(K-IFRS)으로 작성된 것입니다.※ 아래의 재무제표는 외부감사인의 감사결과 및 주주총회 승인과정에서 변경될 수 있습니다.※ 외부감사인의 감사의견을 포함한 최종재무제표는 전자공시시스템 (http://dart.fss.or.kr)에 공시된 당사의 감사보고서를 참조하시기 바랍니다.

(1) 연결재무제표

<연 결 대 차 대 조 표(재 무 상 태 표)>

제 12 기 2024년 12월 31일 현재
제 11 기 2023년 12월 31일 현재
주식회사 노드메이슨과 그 종속기업 (단위 : 원 )
 과 목 제12(당)기말 제11(전)기말
자 산    
유동자산 7,693,958,826 7,811,453,777
현금및현금성자산 135,445,676 484,415,301
매출채권 2,942,125,608 2,583,155,888
기타채권(유동) 196,906,729 505,823,026
기타유동자산 311,975,109 140,251,166
재고자산 4,107,505,704 4,097,808,396
비유동자산 16,867,741,612 15,243,794,581
장기금융상품 0 57,375,192
공정가치금융자산 0 88,170,000
관계기업투자 0 77,948,061
투자부동산 0 0
유형자산 12,808,144,378 11,072,772,109
무형자산 735,013,183 855,454,338
기타채권(비유동) 2,195,409,675 2,138,351,600
기타비유동자산 200,000,000 200,000,000
이연법인세자산 929,174,376 753,723,281
자 산 총 계 24,561,700,438 23,055,248,358
부 채
유동부채 10,713,381,017 8,471,822,873
매입채무 1,862,136,963 1,642,206,078
기타채무(유동) 1,302,258,493 842,950,493
기타유동부채 51,125,997 68,206,879
기타충당부채 239,365,695 118,813,732
단기차입금 1,380,524,335 550,000,000
유동성장기부채 1,609,401,328 1,397,210,000
전환사채(유동) 3,629,426,249 3,448,107,348
파생상품부채 639,141,957 404,328,343
비유동부채 8,173,534,111 7,376,379,233
확정급여채무 1,006,236,523 812,588,666
기타채무(비유동) 169,119,299 373,500,567
장기차입금 6,998,178,289 6,190,290,000
부 채 총 계 18,886,915,128 15,848,202,106
자 본
지배기업 소유주지분 7,158,413,578 8,421,159,274
자본금 2,239,107,500 2,214,857,500
자본잉여금 15,658,925,517 15,489,133,017
기타자본구성요소 (699,060,850) (151,295,864)
기타포괄손익누계액 (464,958,250) (284,023,823)
결손금 (9,575,600,339) (8,847,511,556)
비지배지분 (1,483,628,268) (1,214,113,022)
자 본 총 계 5,674,785,310 7,207,046,252
부 채 와 자 본 총 계 24,561,700,438 23,055,248,358

<손 익 계 산 서(포 괄 손 익 계 산 서)>

제 12 기 (2024년 01월 01일 부터 2024년 12월 31일 까지)
제 11 기 (2023년 01월 01일 부터 2023년 12월 31일 까지)
주식회사 노드메이슨과 그 종속기업 (단위 : 원)
 과 목 제12(당)기 제11(전)기
Ⅰ. 매출액 21,650,735,678 19,488,557,236
Ⅱ. 매출원가 9,309,117,326 10,062,277,228
Ⅲ. 매출총이익 12,341,618,352 9,426,280,008
판매비와관리비 12,113,031,340 13,014,618,310
Ⅳ. 영업이익(손실) 228,587,012 (3,588,338,302)
기타수익 153,934,380 137,335,203
기타비용 137,977,132 65,324,458
금융수익 31,876,974 175,058,779
금융원가 1,341,858,391 767,278,309
지분법손실 76,899,020 513,301,804
Ⅴ. 법인세비용차감전순이익(손실) (1,142,336,177) (4,621,848,891)
법인세비용(수익) (159,699,963) 294,116,702
Ⅵ. 당기순이익(손실) (982,636,214) (4,915,965,593)
Ⅶ. 기타포괄손익 (197,585,637) 204,326,486
1.후속적으로 당기손익으로 재분류되는 항목
지분법자본변동 (1,049,041) 1,049,041
해외사업환산차대 (101,111,557) 79,796,922
2.후속적으로 당기손익으로 재분류되지 않는 항목
기타포괄손익 - 공정가치금융자산 (22,282,470) 22,282,470
확정급여제도의 재측정요소 (73,142,569) 101,198,053
Ⅷ. 총포괄손익 (1,180,221,851) (4,711,639,107)
IX. 당기순손익의 귀속 (982,636,214) (4,915,965,593)
지배기업의 소유주지분 (729,772,178) (4,090,227,640)
비지배지분 (252,864,036) (825,737,953)
X. 총포괄손익의 귀속 (1,180,221,851) (4,711,639,107)
지배기업의 소유주지분 (910,706,605) (3,917,058,351)
비지배지분 (269,515,246) (794,580,756)
XI. 주당손익
1. 기본주당순이익 -164 원 -923 원
2. 희석주당순이익 -164 원 -923 원

(2) 별도재무제표

<대 차 대 조 표(재 무 상 태 표)>

제 12 기 2024년 12월 31일 현재
제 11 기 2023년 12월 31일 현재
주식회사 노드메이슨 (단위 : 원)
 과 목 제12(당)기말 제11(전)기말
자 산    
유동자산 7,336,198,385 7,622,146,415
현금및현금성자산 5,692,324 361,335,718
매출채권 3,506,332,677 3,574,967,350
기타채권(유동) 389,435,017 327,164,315
기타유동자산 277,901,078 108,355,702
재고자산 3,156,837,289 3,250,323,330
비유동자산 17,594,932,386 15,640,690,043
장기금융상품 0 57,375,192
공정가치금융자산 1,625,578,934 1,416,777,696
관계기업투자 0 0
투자부동산 1,335,324,403 1,339,150,660
유형자산 11,391,179,371 9,617,546,075
무형자산 12,049,043 9,483,995
기타채권(비유동) 2,101,626,259 2,246,633,144
기타비유동자산 200,000,000 200,000,000
이연법인세자산 929,174,376 753,723,281
자 산 총 계 24,931,130,771 23,262,836,458
부 채
유동부채 8,978,101,913 7,059,165,528
매입채무 1,432,360,570 1,551,973,474
기타채무 1,107,650,590 674,338,272
기타유동부채 42,623,100 53,468,849
기타충당부채 188,842,421 79,357,746
단기차입금 1,280,524,335 450,000,000
전환사채 2,840,678,940 2,560,988,844
파생상품부채 639,141,957 404,328,343
유동성장기부채 1,446,280,000 1,284,710,000
비유동부채 7,705,685,888 7,258,069,717
확정급여채무 824,128,231 675,923,102
기타채무(비유동) 197,547,657 391,856,615
장기차입금 6,684,010,000 6,190,290,000
부 채 총 계 16,683,787,801 14,317,235,245
자 본
자본금 2,239,107,500 2,214,857,500
자본잉여금 15,658,925,517 15,489,133,017
기타자본구성요소 84,428,500 107,193,486
기타포괄손익누계액 (417,593,180) (377,692,317)
결손금 (9,317,525,367) (8,487,890,473)
자 본 총 계 8,247,342,970 8,945,601,213
부 채 와 자 본 총 계 24,931,130,771 23,262,836,458

<손 익 계 산 서(포 괄 손 익 계 산 서)>

제 12 기 (2024년 01월 01일 부터 2024년 12월 31일 까지)
제 11 기 (2023년 01월 01일 부터 2023년 12월 31일 까지)
주식회사 노드메이슨 (단위 : 원 )
 과 목 제12(당)기 제11(전)기
Ⅰ. 매출액 17,539,211,013 17,169,234,611
Ⅱ. 매출원가 7,806,807,775 8,535,975,514
Ⅲ. 매출총이익 9,732,403,238 8,633,259,097
판매비와관리비 9,263,347,402 10,086,615,150
Ⅳ. 영업이익(손실) 469,055,836 (1,453,356,053)
기타수익 59,704,043 144,187,611
기타비용 21,459,874 59,920,327
금융수익 30,334,310 174,431,991
금융원가 1,238,927,089 676,928,674
지분법손실 290,355,730 1,398,944,375
Ⅴ. 법인세비용차감전순이익(손실) (991,648,504) (3,270,529,827)
법인세비용(수익) (160,330,215) 293,464,834
Ⅵ. 당기순이익(손실) (831,318,289) (3,563,994,661)
Ⅶ. 기타포괄손익 (39,900,863) (95,112,639)
1.후속적으로 당기손익으로 재분류되는 항목
지분법자본변동 17,326,968 (147,119,801)
2.후속적으로 당기손익으로 재분류되지 않는 항목
확정급여제도의 재측정요소 (34,945,361) 29,724,692
기타포괄손익-공정가치금융자산 (22,282,470) 22,282,470
Ⅷ. 총포괄손익 (871,219,152) (3,659,107,300)
XI. 주당손익
1. 기본주당순이익 -187 원 -805 원
2. 희석주당순이익 -187 원 -805 원

<이익잉여금처분계산서 / 결손금처리계산서>

제 12 기 (2024년 01월 01일 부터 2024년 12월 31일 까지)
제 11 기 (2023년 01월 01일 부터 2023년 12월 31일 까지)
주식회사 노드메이슨 (단위 : 원 )
과 목 당 기 전 기
미처리결손금   (9,317,525,367)   (7,783,360,861)
전기이월미처리결손금 (8,487,890,473)   (4,923,895,812)  
당기순이익(손실) (831,318,289)   (3,563,994,661)  
지분법 잉여금변동 -   -  
결손금처리액    -    -
차기이월미처리결손금 (9,317,525,367) (8,487,890,473)

- 최근 2사업연도의 배당에 관한 사항

해당사항 없습니다.

□ 정관의 변경

가. 집중투표 배제를 위한 정관의 변경 또는 그 배제된 정관의 변경

변경전 내용 변경후 내용 변경의 목적
- - -

나. 그 외의 정관변경에 관한 건

변경전 내용 변경후 내용 변경의 목적
제10조의1(주식매수선택권)1~8 (생략)9. 주식매수선택권은 이를 부여하는 제1항의 결의일로부터 2년 이상 재임하거나 재직하여야 이를 행사할 수 있으며, 부여하는 결의일로부터 7년내에 행사할 수 있다. 다만, 주식매수선택권을 부여받은 임직원등이 사망하거나, 정년이나 그 밖에 자신에게 책임 없는 사유로 퇴임 또는 퇴직한 경우에는 그 임직원 등이 해당 행사기간 동안 주식매수선택권을 행사할 수 있도록 하여야 한다10 (생략) 제10조의1(주식매수선택권)1~8 (생략)9. 주식매수선택권은 이를 부여하는 제1항의 결의일로부터 2년 이상 재임하거나 재직하여야 이를 행사할 수 있으며, 부여하는 결의일로부터 10년내에 행사할 수 있다. 다만, 주식매수선택권을 부여받은 임직원등이 사망하거나, 정년이나 그 밖에 자신에게 책임 없는 사유로 퇴임 또는 퇴직한 경우에는 그 임직원 등이 해당 행사기간 동안 주식매수선택권을 행사할 수 있도록 하여야 한다10 (생략) 임직원 권리행사 보호를 위한 행사기간 연장

※ 기타 참고사항

□ 이사의 선임

가. 후보자의 성명ㆍ생년월일ㆍ추천인ㆍ최대주주와의 관계ㆍ사외이사후보자 등 여부

후보자성명 생년월일 사외이사후보자여부

감사위원회 위원인

이사 분리선출 여부

최대주주와의 관계 추천인
구자풍 1971.04.04 해당사항없음 본인 이사회
김성우 1971.08.28 해당사항없음 해당사항없음 이사회
총 ( 2 ) 명

나. 후보자의 주된직업ㆍ세부경력ㆍ해당법인과의 최근3년간 거래내역

후보자성명 주된직업 세부경력 해당법인과의최근3년간 거래내역
기간 내용
구자풍 (주)노드메이슨 대표이사 2015 ~ 20162016 ~ 현재 BNK증권 기업금융부 부장(주)노드메이슨 대표이사 해당사항없음
김성우 (주)인트론바이오테크놀로지 전략기획실 이사 2011 ~ 20182020 ~ 현재 마스터이미지코리아 해외영업팀 상무 (주)인트론바이오테크놀로지 전략기획실 이사 해당사항없음

다. 후보자의 체납사실 여부ㆍ부실기업 경영진 여부ㆍ법령상 결격 사유 유무

후보자성명 체납사실 여부 부실기업 경영진 여부 법령상 결격 사유 유무
구자풍 해당사항없음 해당사항없음 해당사항없음
김성우 해당사항없음 해당사항없음 해당사항없음

라. 후보자의 직무수행계획(사외이사 선임의 경우에 한함)

해당사항 없음.

마. 후보자에 대한 이사회의 추천 사유

[구자풍]해당 후보자는 현 대표이사로 폭넓은 경험과 전문성을 바탕으로 빠르게 변하는 시장 환경 속에 회사가 나아가야 할 방향을 제시하고 미래가치 증진을 위해 기여해 줄 것으로 판단되어 추천합니다.[김성우]해당 후보자는 바이오 회사에서 뛰어난 역량을 발휘하였으며, 향후 당사 발전과 사업 경쟁력 강화에 기여할 것으로 판단되어 후보자로 추천합니다.

확인서 사내이사 후보자 확인서 - 구자풍.jpg 사내이사 후보자 확인서 - 구자풍 사내이사 후보자 확인서 - 김성우.jpg 사내이사 후보자 확인서 - 김성우

※ 기타 참고사항

□ 이사의 보수한도 승인

가. 이사의 수ㆍ보수총액 내지 최고 한도액

(당 기)

이사의 수 (사외이사수) 4 ( 1 )
보수총액 또는 최고한도액 1,000백만원

(전 기)

이사의 수 (사외이사수) 4 ( 1 )
실제 지급된 보수총액 204백만원
최고한도액 1,000백만원

※ 기타 참고사항

□ 감사의 보수한도 승인

가. 감사의 수ㆍ보수총액 내지 최고 한도액

(당 기)

감사의 수 1명
보수총액 또는 최고한도액 100백만원

(전 기)

감사의 수 1명
실제 지급된 보수총액 12백만원
최고한도액 100백만원

※ 기타 참고사항

IV. 사업보고서 및 감사보고서 첨부

가. 제출 개요 2025년 03월 18일1주전 회사 홈페이지 게재
제출(예정)일 사업보고서 등 통지 등 방식

나. 사업보고서 및 감사보고서 첨부

상법시행령 제31조(주주총회의 소집공고)에 의거하여 사업보고서 및 감사보고서는 주주총회 1주전까지 홈페이지에 게재하고, 전자공시시스템(DART)를 통하여 공시 예정입니다.※ 홈페이지 주소 : http://www.huxley.co.kr

※ 참고사항

□ 주총 집중일 주총 개최 사유

- 해당사항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