의결권대리행사권유참고서류 6.0 일진하이솔루스(주) 의결권 대리행사 권유 참고서류
금융위원회 / 한국거래소 귀중
2025년 03월 05일
권 유 자: 성 명: 일진하이솔루스 주식회사주 소: 전북특별자치도 완주군 봉동읍 완주산단5로 97-46전화번호: 063-263-1700
작 성 자: 성 명: 김성희부서 및 직위: 일진하이솔루스(주) 경영지원실장전화번호: 063-730-4603

<의결권 대리행사 권유 요약>

일진하이솔루스(주)본인2025년 03월 05일2025년 03월 20일2025년 03월 10일미위탁주주총회의 원활한 진행 및 의결 정족수 확보해당사항 없음--전자투표 가능삼성증권 https://vote.samsungpop.com□ 재무제표의승인□ 정관의변경□ 이사의선임□ 이사의보수한도승인□ 감사의보수한도승인□ 기타주주총회의목적사항
1. 의결권 대리행사 권유에 관한 사항
가. 권유자 나. 회사와의 관계
다. 주총 소집공고일 라. 주주총회일
마. 권유 시작일 바. 권유업무 위탁 여부
2. 의결권 대리행사 권유의 취지
가. 권유취지
나. 전자위임장 여부 (관리기관)
(인터넷 주소)
다. 전자/서면투표 여부 (전자투표 관리기관)
(전자투표 인터넷 주소)
3. 주주총회 목적사항

I. 의결권 대리행사 권유에 관한 사항

1. 권유자에 관한 사항 일진하이솔루스(주)보통주00본인-
성명(회사명) 주식의종류 소유주식수 소유비율 회사와의 관계 비고

- 권유자의 특별관계자에 관한 사항

일진다이아몬드(주)최대주주보통주21,627,50059.56최대주주-도레이첨단소재(주)특수관계인보통주3,791,70010.44특수관계인-25,419,20070.00-
성명(회사명) 권유자와의관계 주식의종류 소유주식수 소유 비율 회사와의관계 비고
- -

2. 권유자의 대리인에 관한 사항 가. 주주총회 의결권행사 대리인 (의결권 수임인) 이아름보통주580직원직원-
성명(회사명) 주식의종류 소유주식수 회사와의관계 권유자와의관계 비고

나. 의결권 대리행사 권유업무 대리인 -해당사항없음-----
성명(회사명) 구분 주식의종류 주식소유수 회사와의관계 권유자와의관계 비고

3. 권유기간 및 피권유자의 범위

가. 권유기간 2025년 03월 05일2025년 03월 10일2025년 03월 19일2025년 03월 20일
주주총회소집공고일 권유 시작일 권유 종료일 주주총회일

나. 피권유자의 범위 2024년 12월 31일 기준일 현재 당사 주주명부에 기재되어 있는 전체 주주

II. 의결권 대리행사 권유의 취지

1. 의결권 대리행사의 권유를 하는 취지 제13기 정기주주총회의 원활한 진행 및 의결 정족수 확보

2. 의결권의 위임에 관한 사항

가. 전자적 방법으로 의결권을 위임하는 방법 (전자위임장) 해당사항 없음----
전자위임장 수여 가능 여부
전자위임장 수여기간
전자위임장 관리기관
전자위임장 수여인터넷 홈페이지 주소
기타 추가 안내사항 등

나. 서면 위임장으로 의결권을 위임하는 방법

□ 권유자 등이 위임장 용지를 교부하는 방법 OOOOX
피권유자에게 직접 교부
우편 또는 모사전송(FAX)
인터넷 홈페이지 등에 위임장 용지를 게시
전자우편으로 위임장 용지 송부
주주총회 소집 통지와 함께 송부(발행인에 한함)

- 위임장용지 교부 인터넷 홈페이지

일진하이솔루스(주)http://hysolus.co.krhttp://hysolus.co.kr → 투자정보 → IR자료실
홈페이지 명칭 인터넷 주소 비고

- 전자우편 전송에 대한 피권유자의 의사표시 확보 여부 및 확보 계획

이메일 또는 전화 등 적절한 방법으로 전자우편을 통하여 위임장 용지 및 참고서류를받는다는 의결권 피권유자의 의사표시를 확보할 예정

□ 피권유자가 위임장을 수여하는 방법 위임장 접수처 - 주소 : 전북특별자치도 완주군 봉동읍 완주산단5로 97-46 - 전화번호 : 063-730-4639 - 접수기간 : ~ 2025년 03월 20일 제13기 정기주주총회 개시 전

다. 기타 의결권 위임의 방법 해당사항 없음

3. 주주총회에서 의결권의 직접 행사에 관한 사항

가. 주주총회 일시 및 장소 2025년 03월 20일 오전 09시 전북특별자치도 완주군 봉동읍 완주산단5로 97-46, 4공장 2층 교육장
일 시
장 소

나. 전자/서면투표 여부 □ 전자투표에 관한 사항 전자투표 가능2025년 03월 10일 09시 ~ 2025년 03월 19일 17시삼성증권https://vote.samsungpop.com/기간 중 24시간 이용 가능
전자투표 가능 여부
전자투표 기간
전자투표 관리기관
인터넷 홈페이지 주소
기타 추가 안내사항 등

□ 서면투표에 관한 사항 해당사항 없음---
서면투표 가능 여부
서면투표 기간
서면투표 방법
기타 추가 안내사항 등

다. 기타 주주총회에서의 의결권 행사와 관련한 사항 해당사항 없음

III. 주주총회 목적사항별 기재사항

□ 재무제표의 승인

제1호 의안 : 제13기(2024.01.01~2024.12.31) 재무제표 승인의 건 가. 당해 사업연도의 영업상황의 개요

(1) 영업개황 및 사업의 구분 (가) 영업개황당사는 2012년 11월 2일에 설립되어 차량용 수소탱크(수소사업) 및 매연 저감 장치(환경사업) 제조 판매사업을 영위하고 있습니다. 수소용기는 승용수소용기, 상용수소용기 및 기타 용기로 분류되며, 승용수소용기는 Type 4, 700 Bar, 52L 규격으로 양산하고 있습니다. 상용수소용기는 Type 4, 700 Bar, 175L 규격으로 수소버스 등 상용차에 탑재되고 있으며, 기타용기는 드론 등기타 운송수단에 탑재됩니다.

당사는 2018년부터 현대자동차의 넥쏘에 수소 탱크를 독점 공급하고 있습니다.

매연저감장치는 소형/중형/대형 복합 등 차량의 종류별로 규격에 맞게 공급 중입니다.

(나) 공시대상 사업의 구분

- 수소사업

- 환경사업

(2) 시장점유율

당사의 전방 시장인 글로벌 수소차 시장 내 주요 양산업체는 현대자동차 및 도요타입니다. 업체별 수소차 판매 대수 및 시장점유율은 아래와 같습니다. [수소차 판매대수 및 시장 점유율] (단위 : 대)

구분

제조사명

판매대수

시장 점유율

2023년

2024년

성장률

2023년

2024년

1 HYUNDAI 5,012 3,836 -23.5% 30.5% 29.9%
2 TOYOTA 3,839 1,917 -50.1% 23.4% 14.9%
3 YUTONG 1,193 1,137 -4.7% 7.3% 8.8%
4 CHINA COMERCIAL 6,369 5,976 -6.2% 38.8% 46.4%

합 계

16,413 12,866 -21.6% 100.0% 100.0%

* 출처: Global FCEV Monthly Tracker, SNE 리서치

국내 수소차 양산업체는 현대자동차가 유일하며, 글로벌 시장의 선두 업체로써, 2024년 기준, 시장점유율은 약 30%입니다.

당사는 현대자동차의 수소차에 탑재되는 수소용기를 독점 공급 중이므로 수소 용기 시장 내 동일한 수준의 점유율을 확보하는 것으로 판단됩니다. 현대차는 2024년 누계, 총 3,836대의 승용 및 상용 수소차를 판매했습니다. 넥쏘 판매량이 전년 동기 대비 큰 폭 감소했으나, 2025년 NEXO의 차세대 모델이 출시될 예정으로 신차 출시에 따른 판매량 증가가 예상됩니다.

중국은 수소 상용차를 중심으로 지속적인 성장을 기록하여, 2024년 시장점유율 46.4%, 1위를 차지했습니다.

(3) 시장의 특성

수소 용기 사업 및 매연 저감장치 제품 시장의 특성은 정부의 친환경차 및 운행차 배출가스 저감사업 보조금 정책, 그리고 수소 충전 인프라 확충과 연계성이 높다는 점입니다. 특히, 당사의 주력 사업인 수소 용기 사업은 글로벌 탄소중립을 달성하기 위한 에너지 패러다임의 전환과 맞물려 개화되고 있는 시장으로, 국가의 법적·제도적 지원 및 인프라 확충, 연관 기업 간의 협력 체제 구축이 중요합니다.

(4) 신규사업 등의 내용 및 전망정부의 수소 버스 확대 정책에 맞추어, 당사는 완주공장 상용차 CAPA를 증설하였고, 국내외 시장 확대를 위한 다양한 품질 개선 프로젝트를 추진 중입니다.

(5) 조직도

2024 조직도.jpg 2024 조직도

나. 당해 사업연도의 대차대조표(대차대조표)ㆍ손익계산서(포괄손익계산서)ㆍ이익잉여금처분계산서(결손금처리계산서)

※ 아래의 재무제표는 감사전 별도 재무제표입니다. 당사는 2025년 03월 12일 사업보고서를 전자공시시스템 (https://dart.fss.or.kr)에 공시하고, 홈페이지에 게재할 예정이오니 참조하시기 바랍니다.

재 무 상 태 표
제 13 (당)기 2024년 12월 31일 현재
제 12 (전)기 2023년 12월 31일 현재
일진하이솔루스 주식회사 (단위: 원)
과 목 주 석 제 13 (당)기말 제 12 (전)기말
자 산
Ⅰ. 유동자산 285,465,117,720 289,215,686,092
현금및현금성자산 4,5,6,7 7,342,048,728 10,536,366,385
단기금융상품 5,6 252,390,779,180 250,970,779,180
매출채권 4,5,6,8 4,785,820,029 4,148,355,112
기타수취채권 4,5,6,8 7,070,816,725 6,062,890,400
기타유동자산 9 1,182,067,366 826,352,874
당기법인세자산 1,363,518,667 1,156,621,800
재고자산 10 11,330,067,025 15,514,320,341
Ⅱ. 비유동자산 58,812,649,369 49,137,109,617
장기기타수취채권 5,6,8,32 1,857,251,674 1,225,000,000
당기손익-공정가치측정금융자산 11 2,195,820,000 900,000,000
유형자산 12 46,665,580,792 39,914,435,517
사용권자산 13 650,711,702 162,412,082
무형자산 14 4,082,176,463 4,663,826,544
이연법인세자산 19 3,361,108,738 2,271,435,474
자 산 총 계 344,277,767,089 338,352,795,709
부 채
Ⅰ. 유동부채 21,477,389,959 17,898,355,522
매입채무 4,5,6,16,32 6,802,643,102 6,613,617,634
기타지급채무 4,5,6,15,16,32 10,240,415,309 4,435,068,056
유동성리스부채 4,13 387,807,054 95,314,666
기타유동부채 17,24 2,651,193,454 5,993,895,118
기타충당부채 20 1,395,331,040 760,460,048
Ⅱ. 비유동부채 5,328,695,919 4,550,453,316
기타지급채무 4,5,6,15,16 31,375,897 412,547,594
리스부채 4,13 186,769,841 87,648,874
확정급여부채 18 4,240,512,240 3,442,050,401
기타비유동부채 17,18 753,886,625 407,515,403
기타충당부채 20 116,151,316 200,691,044
부 채 총 계 26,806,085,878 22,448,808,838
자 본
Ⅰ. 자본금 21 18,156,595,000 18,156,595,000
Ⅱ. 기타불입자본 21,22 265,052,106,881 265,055,503,990
Ⅲ. 이익잉여금 23 34,262,979,330 32,691,887,881
자 본 총 계 317,471,681,211 315,903,986,871
부채및자본총계 344,277,767,089 338,352,795,709
별첨 주석은 본 재무제표의 일부입니다.
포 괄 손 익 계 산 서
제 13 (당)기 2024년 1월 1일부터 2024년 12월 31일까지
제 12 (전)기 2023년 1월 1일부터 2023년 12월 31일까지
일진하이솔루스 주식회사 (단위: 원)
과 목 주 석 제 13 (당)기 제 12 (전)기
Ⅰ. 매출액 24,33 79,297,672,959 78,740,158,706
Ⅱ. 매출원가 26,32 67,546,599,394 69,055,641,728
Ⅲ. 매출총이익   11,751,073,565 9,684,516,978
판매비와관리비 25,26,32 21,266,711,651 19,483,792,682
Ⅳ. 영업손실 (9,515,638,086) (9,799,275,704)
기타수익 27 256,990,842 248,727,985
기타비용 27 151,300,607 432,640,320
금융수익 6,28 9,994,716,060 11,270,310,221
금융원가 6,28 12,854,441 11,830,580
Ⅴ. 법인세비용차감전순이익   571,913,768 1,275,291,602
Ⅵ. 법인세비용(수익) 19 (1,244,630,637) (134,146,195)
Ⅶ. 당기순이익 1,816,544,405 1,409,437,797
Ⅷ. 기타포괄손익 (245,452,956) (224,976,195)
1. 후속적으로 당기손익으로 재분류되는 항목 - -
2. 후속적으로 당기손익으로 재분류되지 않는 항목 (245,452,956) (224,976,195)
확정급여제도의 재측정요소 (245,452,956) (224,976,195)
Ⅸ. 총포괄손익 1,571,091,449 1,184,461,602
Ⅹ. 주당손익  
기본 및 희석주당손익 29 50 39
별첨 주석은 본 재무제표의 일부입니다.
자 본 변 동 표
제 13 (당)기 2024년 1월 1일부터 2024년 12월 31일까지
제 12 (전)기 2023년 1월 1일부터 2023년 12월 31일까지
일진하이솔루스 주식회사 (단위: 원)
과 목 자본금 기타불입자본 이익잉여금 총 계
2023년 1월 1일(전기초) 18,156,595,000 265,054,871,770 31,507,426,279 314,718,893,049
당기순이익 - - 1,409,437,797 1,409,437,797
주식선택권 - 632,220 - 632,220
확정급여제도의 재측정요소 - - (224,976,195) (224,976,195)
2023년 12월 31일(전기말) 18,156,595,000 265,055,503,990 32,691,887,881 315,903,986,871
2024년 1월 1일(당기초) 18,156,595,000 265,055,503,990 32,691,887,881 315,903,986,871
당기순이익 - - 1,816,544,405 1,816,544,405
주식선택권 - (3,397,109) - (3,397,109)
확정급여제도의 재측정요소 - - (245,452,956) (245,452,956)
2024년 12월 31일(당기말) 18,156,595,000 265,052,106,881 34,262,979,330 317,471,681,211
별첨 주석은 본 재무제표의 일부입니다.
현 금 흐 름 표
제 13 (당)기 2024년 1월 1일부터 2024년 12월 31일까지
제 12 (전)기 2023년 1월 1일부터 2023년 12월 31일까지
일진하이솔루스 주식회사 (단위: 원)
과 목 주 석 제 13 (당)기 제 12 (전)기
Ⅰ. 영업활동으로 인한 현금흐름 9,949,378,409 4,344,908,765
1. 영업으로부터 창출된 현금흐름 30 579,307,423 (1,561,479,282)
2. 이자수익의 수취 9,370,010,727 7,554,452,408
3. 이자비용의 지급 (12,854,441) (11,830,580)
4. 법인세의 납부 12,914,700 (1,636,233,781)
Ⅱ. 투자활동으로 인한 현금흐름 (13,576,135,912) (7,599,936,640)
1. 투자활동으로 인한 현금유입액 306,572,592,744 361,971,487,627
유형자산의 처분 3,000,000 254,304,601
정부보조금의 수령 344,633,564 620,709,046
단기금융상품의 감소 305,970,779,180 360,970,779,180
당기손익-공정가치측정금융자산의 감소 204,180,000 -
보증금의 감소 50,000,000 125,694,800
2. 투자활동으로 인한 현금유출액 (320,148,728,656) (369,571,424,267)
유형자산의 취득 10,166,918,376 6,290,795,637
무형자산의 취득 184,660,000 829,482,250
단기금융상품의 증가 307,390,779,180 360,970,779,180
당기손익-공정가치측정금융자산의 증가 1,500,000,000 900,000,000
보증금의 증가 906,371,100 580,367,200
Ⅲ. 재무활동으로 인한 현금흐름 30 341,685,410 108,152,972
1. 재무활동으로 인한 현금유입액 1,055,301,728 1,362,033,765
정부보조금의 수령 1,055,301,728 1,362,033,765
2. 재무활동으로 인한 현금유출액 (713,616,318) (1,253,880,793)
리스부채의 상환 301,068,724 291,712,418
정부보조금의 감소 412,547,594 962,168,375
Ⅳ. 현금및현금성자산의 증가(감소) (3,285,072,093) (3,146,874,903)
Ⅴ. 기초의 현금및현금성자산 10,536,366,385 13,684,765,929
Ⅵ. 현금및현금성자산의 환율변동효과 90,754,436 (1,524,641)
Ⅶ. 기말의 현금및현금성자산 7,342,048,728 10,536,366,385

□ 정관의 변경

제2호 의안 : 정관 일부 변경의 건

가. 집중투표 배제를 위한 정관의 변경 또는 그 배제된 정관의 변경

변경전 내용 변경후 내용 변경의 목적
- - -

나. 그 외의 정관변경에 관한 건

변경전 내용 변경후 내용 변경의 목적

제43조(이사의 보수) ①이사의 보수는 주주총회의 결의로 이를 정한다.

② 이사의 퇴직금의 지급은 주주총회결의를 거친 임원퇴직금지급규정에 의한다.

제43조(이사의 보수)<좌동>② 이사의 퇴직금은 별도로 정하는 임원 퇴직금 지급규정(특별공로금 및 퇴직위로금 포함)에 따른다.

퇴직금 지급규정 정비

※ 기타 참고사항

- 상기 내용은 주주총회 승인 과정에서 변경될 수 있음

□ 이사의 선임

제3호 의안 : 이사 선임의 건 제3-1호 : 사내이사 양성모 (재선임) 제3-2호 : 사내이사 김성희 (신규선임) 제3-3호 : 사외이사 한성권 (재선임) 제3-4호 : 기타비상무이사 김학선 (재선임)

가. 후보자의 성명ㆍ생년월일ㆍ추천인ㆍ최대주주와의 관계ㆍ사외이사후보자 등 여부

후보자성명 생년월일 사외이사후보자여부 감사위원회의 위원인이사 분리선출 여부 최대주주와의관계 추천인

양성모

1964.03.03

사내이사

해당사항 없음 당사의 등기임원 이사회
김성희 1975.08.14

사내이사

해당사항 없음

당사의 미등기임원

이사회
한성권 1961.01.02

해당

해당사항 없음

해당사항 없음

이사회
김학선 1969.04.30 기타비상무이사 해당사항 없음 최대주주등의 임원 이사회
총 (4) 명

나. 후보자의 주된직업ㆍ세부경력ㆍ당해법인과의 최근3년간 거래내역

후보자성명 주된직업 세부경력 당해법인과의최근3년간 거래내역
기간 내용
양성모 현) 일진하이솔루스(주) 대표이사 2023.03~2021.04~2021.122018.01~2021.03 현) 일진하이솔루스(주) 대표이사전) 볼보건설기계 생산 전략 총괄 부사장전) 볼보그룹코리아 대표이사 해당사항 없음
김성희 현) 일진하이솔루스(주) 경영지원실장 2021.01~2019.01~2020.122015.01~2018.12 현) 일진하이솔루스(주) 경영지원실장전) 일진홀딩스(주) 전략기획1 팀장 전) 일진전기(주) 전선사업본부 경영기획 팀장 해당사항 없음
한성권 현) 한국타이어 사외이사 2024.03~2021.01~2024.122016.04~2020.07 현) 한국타이어 사외이사전) 현대차 정몽구 재단 부이사장전) 현대자동차 상용사업담당 사장 해당사항 없음
김학선 현)도레이첨단소재(주)복합재료사업본부장 2022.01~2013.01~2021.12 현) 도레이첨단소재(주)복합재료사업본부장전) 도레이첨단소재(주)수지케미칼사업부 판매팀장 2024년 도레이첨단소재(주) 주요원재료매입 142억원2023년 도레이첨단소재(주) 주요원재료매입 165억원2022년 도레이첨단소재(주) 주요원재료매입 215억원

다. 후보자의 직무수행계획(사외이사 선임의 경우에 한함)

<후보자 : 한성권> 1. 전문성 :본 후보자는 현대자동차 인사지원담당 부사장, 인재개발원장, 상용사업담당 사장 등으로 엄무를 수행하며, 관련 분야의 충분한 경험과 지식을 갖추고 있습니다. 이를 바탕으로 이사회에 참여함으로써 주주권익을 보호하고 회사의 지속성장과 발전에 기여하고자 합니다.2. 독립성 :이사회를 통해 추천받은 본 후보자는 당사와 거래관계가 없으며 대주주로부터 독립적인 위치에 있음을 확인했습니다. 사외이사로서 상법 제382조제3항(이사의 충실의무) 및 제542조의8제2항(사외이사의 선임)을 기초로 독립적인 위치에 있어야 함을 정확하게 이해하고 있습니다. 이를 바탕으로 투명하고 독립적인 의사결정을 하고 이사회를 통하여 경영진의 직무집행을 감독할 것입니다.3. 직무수행 및 의사결정 :일진하이솔루스(주)의 성장기반 확보를 위하여 주요 의사결정을 관리감독하여 아래 가치 제고에 노력할 것입니다.첫째, 회사의 영속성을 위한 기업 가치 제고둘째, 기업 성장을 통한 주주 가치 제고셋째, 동반 성장을 위한 이해관계자 가치 제고넷째, 기업의 역할 확장을 통한 사회 가치 제고4. 책임과 의무에 대한 인식 및 준수 :본 후보자는 선관주의와 충실 의무, 보고 의무, 감시 의무, 상호 업무집행 감시 의무, 겸업금지 의무, 자기거래 금지 의무, 기업비밀 준수의무 등 상법상 사외이사의 의무를 인지하고 있으며 이를 엄수할 것입니다.

라. 후보자에 대한 이사회의 추천 사유

<사내이사 후보자 : 양성모>본 후보자는 현재 당사 대표이사로서 당사에 적합한 영업전략 수립 및 추진력을 겸비하였으며, 풍부한 경영경험을 바탕으로 회사가 성장하는데 기여할 적임자로 판단합니다. <사내이사 후보자 : 김성희>본 후보자는 직무수행에 필요한 경영 관련 전문지식을 보유한 전문가로서 전문성을 갖추고 있으며, 그동안의 실무 경험과 전문지식 등 충분한 역량과 독립성을 겸비하여 사내이사로서의 역할을 훌륭하게 수행해 낼 것으로 기대 됩니다.<사외이사 후보자 : 한성권>본 후보자는 현대자동차 상용사업담당 사장 등을 역임하면서 회사 발전에 기여하였으며, 당사에서도 양적확장을 위한 주요사업 의사결정 과정에서 전문가적 의견을 제시할 것으로 기대됩니다.<기타비상무이사 후보자 : 김학선>본 후보자는 도레이첨단소재(주) 복합재료판매팀장 및 복합재료사업본부장을 역임하고 있는 경험을 바탕으로 당사의 사업 전반에 전문가적 의견을 제시할 것으로 판단합니다.

확인서 확인서1(양성모).jpg 확인서1(양성모) 확인서2(김성희).jpg 확인서2(김성희) 확인서3(한성권).jpg 확인서3(한성권) 확인서4(김학선).jpg 확인서4(김학선)

※ 기타 참고사항

- 상기 내용은 주총결의사항에 따라 변경될 수 있음

□ 이사의 보수한도 승인

제4호 의안 : 이사 보수한도 승인의 건

가. 이사의 수ㆍ보수총액 내지 최고 한도액

(당 기)

이사의 수 (사외이사수) 4명( 1명 )
보수총액 또는 최고한도액 15억원

(전 기)

이사의 수 (사외이사수) 4명( 2명 )
실제 지급된 보수총액 4.9억원
최고한도액 15억원

주1) 보수지급금액 및 인원수는 현재 재임 중인 이사.사외이사 외에 공시서류작성 기준일까지의 기간동안 퇴직한 이사.사외이사에게 지급한 금액과 그 인원수를 포함하였습니다.

※ 기타 참고사항

- 상기 내용은 주주총회 승인 과정에서 변경될 수 있음

□ 감사의 보수한도 승인

제5호 의안 : 감사 보수한도 승인의 건

가. 감사의 수ㆍ보수총액 내지 최고 한도액

(당 기)

감사의 수 1명
보수총액 또는 최고한도액 1억원

(전 기)

감사의 수 2명
실제 지급된 보수총액 0.4억원
최고한도액 1억원

주1) 보수지급금액 및 인원수는 현재 재임 중인 감사 외에 공시서류작성 기준일까지의 기간동안 퇴직한 감사에게 지급한 금액과 그 인원수를 포함하였습니다.

※ 기타 참고사항

- 상기 내용은 주주총회 승인 과정에서 변경될 수 있음

□ 기타 주주총회의 목적사항

제6호 의안 : 임원 퇴직금 지급규정 개정의 건

가. 의안 제목 : 임원 퇴직금 지급규정 개정의 건

나. 의안의 요지

구분 변경 전 내용 변경 후 내용
제1조 (목적) 이 규정은 임원의 퇴직금 지급에 관한 사항을 정함을 목적으로 한다. 이 규정은 임원의 퇴직금 지급에 관한 사항을 정함을 목적으로 한다.
제2조 (임원의 정의) 이 규정에서 임원이라 함은 이사 등재 여부에 불구하고, 상무보, 상무, 부사장, 사장, 부회장, 회장 등 임원집무규정에 정한 임원을 의미한다. 단, 사외이사 및 비상근 이사는 본 규정의 임원에 포함하지 아니한다. 이 규정에서 임원이라 함은 주주총회에서 선임된 이사로서 상근인 자를 말한다.
제3조 (지급조건)

① 퇴직금은 임원으로 선임된 날로부터 만 1년 이상 근속한 임원이 퇴직 또는 재직 중 사망한 경우에 지급한다. 단, 회사에 사원으로 재직중에 임원으로 선임된 자는 사원으로서의 재직기간을 합산하여 만 1년 이상 재직한 경우에 퇴직금을 지급하되, 본 규정에 의한 퇴직금의 계산은 임원으로 재직한 기간에 한정한다.

② 임원이 관계회사로 전출한 경우, 근속년수를 통산하여 퇴직시의 소속회사 퇴직금지급 규정에 따라 계산된 퇴직충당금을 새로이 전입하는 회사에 지급한다. 단, 전출회사는 본인이 원할 경우 전출일을 퇴직일로 하여 퇴직금을 지급할 수 있다.

③ 전 ②항에 의하여 계산된 퇴직금 지급은 최종 퇴사시점의 소속회사에서 지급한다.

퇴직금은 임원으로 선임된 날로부터 만 1년 이상 근속한 임원이 퇴직 또는 재직 중 사망한 경우에 지급한다. <이하 삭제>

<삭제>

<삭제>

제4조 (퇴직금의 산정 방법)

2002년 12월 31일까지의 퇴직금은 퇴직일로부터 소급하여 1년 이내에 지급한 급여 총액의 12분의 1에 근속년수 및 1.2 를 승한 금액으로 한다. 단, 경영성과급은 급여에 포함하지 아니한다.

② 2003년 1월 1일부터 2004년 12월 31일까지 퇴직금은 퇴직일로 부터 소급하여 1년이내에 지급한 급여 총액의 12분의 1에 근속년수 및 2(또는3)를 승한 금액으로 하며(퇴직금 승수 2는 임원 직무등급 1과 2에 해당하며, 승수3은 임원직무등급 3과 4에 해당), 2005년 1월1일 이후 퇴직금은 승수를 1.2로 통일시킨다. 단, 경영성과급은 급여에 포함하지 아니한다.

③ 해외 주재원으로 파견된 임원이 현지에서 퇴직하거나 또는 귀임후 3개월 이내에 퇴직할 경우 국내연봉을 초과하는 금액은 주재원 수당으로써 퇴직금계산에서 제외한다.

임원 의 퇴직금은 퇴직일로부터 소급하여 1년 이내에 지급한 급여 총액의 12분의 1에 근속년수 및 1.2 를 승한 금액으로 한다. 단, 경영성과급은 급여에 포함하지 아니한다.

<삭제>

<삭제>

제5조 (근속년수의 계산)

① 근속년수는 임원 선임일로부터 기산하여 퇴직 발령일까지로 한다.

② 근속 년수에 1년 미만의 단수가 있을 경우 월할 계산하며 월 미만의 단수가 있을 경우 1월로 한다. 단, 일신상의 사유로 인한 휴직기간은 근속년수에 산입하지 아니한다.

① 근속년수는 임원 선임일로부터 기산하여 임원에서 퇴직하는 날까지로 한다.

② 근속 년수에 1년 미만의 단수가 있을 경우 월할 계산하며 월 미만의 단수가 있을 경우 1월로 한다 .<이하 삭제>

제6조 (특별 위로금)

① 회사에 임원으로 10년 이상 재직한 임원이 정년 퇴임하는 경우 임원 재직기간 퇴직금의 1/2이상의 금액을 특별위로금으로 지급할 수 있다.

② 전 ①항과는 별도로 다음 각 호에 해당하는 자에 대하여는 제 4조에 의한 퇴직금의 1 / 2 범위 내에서 퇴직 위로금을 별도로 지급할 수 있다.

1. 회사에 공적이 현저한 자

2. 업무상 상병으로 퇴직한자 및 순직자

① 회사의 임원으로 10년 이상 재직한 임원이 퇴임하는 경우 이사회 결의를 통해 임원 재직기간 퇴직금의 1/2이상의 금액을 특별위로금으로 지급할 수 있다.

② 전 ①항과는 별도로 다음 각 호에 해당하는 자에 대하여는 이사회 결의를 통해 제 4조에 의한 퇴직금의 1 / 2 범위 내에서 퇴직 위로금을 별도로 지급할 수 있다.

1. 회사에 공적이 현저한 자

2. 업무상 상병으로 퇴직한자 및 순직자

제7조 (중간정산)

① 임원이 요청하는 경우 회사는 경영사정 등을 고려하여 퇴직 전에 퇴직금을 미리 정산 지급할 수 있다.

② 해외현지법인 또는 해외사무소에 주재원으로 파견되는 임원이 요청하는 경우 퇴직금을 중간 정산하여 지급한다.

③ 중간정산 이후의 퇴직금 산정의 계속근로는 정산시점부터 새로이 기산한다.

<삭제>
제7조 (지급방법) 퇴직금은 퇴직 후 통화로서 본인 또는 유족에게 지급한다. 퇴직금은 퇴직 후 통화로서 본인 또는 유족에게 지급한다.
제8조 (지급제한) 임원이 본인의 귀책사유로 인하여 회사에 손해를 야기한 경우 회사의 손해배상액을 퇴직금에서 공제한 후 지급할 수 있다. 임원이 본인의 귀책사유로 인하여 회사에 손해를 야기한 경우 회사의 손해배상액을 퇴직금에서 공제한 후 지급할 수 있다.

※ 기타 참고사항

- 상기 내용은 주주총회 승인 과정에서 변경될 수 있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