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2025년 03월 06일 |
| 1. 정정대상 공시서류 : | 주주총회소집공고 |
| 2. 정정대상 공시서류의 최초제출일 : | 2025년03월06일 |
| 3. 정정사항 |
| 항 목 | 정정사유 | 정 정 전 | 정 정 후 |
|---|---|---|---|
| 제5호의안 | 추가 | - | 자본 준비금 감액(자본준비금의 이익잉여금 전입)승인의 건 |
| 2025 년 03 월 06 일 | ||
| 회 사 명 : | (주)큐라켐 | |
| 대 표 이 사 : | 신숙정 | |
| 본 점 소 재 지 : | 충북 청주시 흥덕구 오송읍 오송생명1로 207 | |
| (전 화) 043-236-7387 | ||
| (홈페이지)http://www.curachem.com | ||
| 작 성 책 임 자 : | (직 책) 상무이사 | (성 명) 임효영 |
| (전 화) 043-236-7387 | ||
| (제16기 정기주주총회) |
주주님의 건승과 댁내의 평안을 기원합니다.
당사는 상법 제 363 조와 정관 제 26 조에 의거 제 16기 정기주주총회를 아래와 같이 개최 하오니 참석하여 주시기 바랍니다.
-아 래 -
1. 일 시 : 2025년03월21일(금요일) 오전 10시00분
2. 장 소 : 충북 청주시 흥덕구 오송읍 오송생명1로 207, 본사 3층 대회의실
3. 회의 목적 사항
가. 보고사항 : 감사보고, 영업보고, 내부회계관리제도 운영실태보고
나. 부의안건
제1호 의안 : 제16기(2024. 1. 1 ~ 2024. 12. 31) 재무제표 승인의 건
제2호 의안 : 사내이사 이기승 선임의 건(5월에 임기 만료되는 사내이사의 재선임)
제3호 의안 : 이사 보수 한도 승인의 건(10억원/전년 동일)
제4호 의안 : 감사 보수 한도 승인의 건(2억원/전년 동일)제5호 의안 : 자본준비금 감액(자본준비금의 이익잉여금 전입)승인의 건
4. 경영참고사항 비치
상법 제 542 조의 4에 의한 경영참고사항은 당사 인터넷 홈페이지에 게재하고 본점에 비치하였으며, 금융위원회 및 한국거래소에 전자공시하여 조회가 가능하오니 참고하시기 바랍니다.
5. 실질주주의 의결권 행사에 관한 사항
우리 회사의 이번 주주총회에서는 한국예탁결제원이 주주님들의 의결권을 행사할 수
없습니다. 따라서 주주님들께서는 한국예탁결제원에 의결권행사에 관한 의사표시를
하실 필요가 없으며, 종전과 같이 주주총회에 참석하여 의결권을 직접행사하시거나
또는 위임장에 의거 의결권을 간접행사할 수 있습니다.6. 주주총회 참석시 준비물- 직접행사 : 주총참석장, 신분증- 대리행사 : 주총참석장, 위임장-인감날인(인감증명서 첨부), 대리인의 신분증
2025년 03월 06일
주식회사 큐라켐
대표이사 신숙정 (직인생략)
| 회차 | 개최일자 | 의안내용 | 사외이사 등의 성명 | |||
|---|---|---|---|---|---|---|
| A(출석률: %) | B(출석률: %) | C(출석률: %) | D(출석률: %) | |||
| 찬 반 여 부 | ||||||
| - | - | - | - | - | - | - |
| 위원회명 | 구성원 | 활 동 내 역 | ||
|---|---|---|---|---|
| 개최일자 | 의안내용 | 가결여부 | ||
| - | - | - | - | - |
| (단위 : 원) |
| 구 분 | 인원수 | 주총승인금액 | 지급총액 | 1인당 평균 지급액 | 비 고 |
|---|---|---|---|---|---|
| - | - | - | - | - | - |
| (단위 : 백만원) |
| 거래종류 | 거래상대방(회사와의 관계) | 거래기간 | 거래금액 | 비율(%) |
|---|---|---|---|---|
| 대여금 | 임효영(등기이사) | 2024.03.20~2024.05.27 | 227 | 1.5 |
* 상기비율은 2024년도 재무상태표의 자산총액 대비 거래금액 비율입니다.
| (단위 : 백만원) |
| 거래상대방(회사와의 관계) | 거래종류 | 거래기간 | 거래금액 | 비율(%) |
|---|---|---|---|---|
| 신숙정(최대주주의특수관계인/배우자) | 차입 | 2014.06.30~2024.12.31 | 200 | 1.3 |
* 상기비율은 2024년도 재무상태표의 자산총액 대비 거래금액 비율입니다
(1) 제약 산업의 정의 및 특성
의약품의 정의는「약사법」제2조4호에 따라 사람이나 동물의 질병을 진단, 치료, 경감, 처치, 예방 등의 목적으로 사용하는 대한민국약전에 실린 물품으로 의약외품이 아닌 것을 말하며, 제약산업은 의약품을 연구개발, 제조, 가공, 보관 및 유통하는 것과 관련된 산업을 의미합니다.
제약산업은 인간의 생명과 보건에 관련한 고부가가치 산업이자 지식기반 산업으로 원료 및 완제 의약품의 생산과 판매에서부터 신약개발을 위한 연구 등 모든 과정을 포괄하는 첨단 부가가치산업입니다. 또한, 타 업종에 비해 기술 집약도가 꽤 높은 편이며 고도의 전문성과 함께 긴 투자기간과 높은 위험을 수반하지만, 글로벌 블록버스터급 신약 개발에 성공할 경우 막대한 고부가가치 창출이 가능하므로 미래 성장산업으로 분류되고 있습니다. 세부적으로 우리나라 제약산업의 주요 특징은 10가지로 요약할 수 있습니다.
| ① 연구개발 비중이 높은 산업, ② 내수 완제품 생산 중심의 산업, ③ 상/하위 기업 간 양극화 심화 산업, ④ 시장 규모가 큰 고부가가치 산업, ⑤ 일자리 창출 효과가 큰 산업, ⑥ 공급 및 유통 체계가 투명해야 하는 산업, ⑦ 공급자-수요자 간 정보 비대칭 산업, ⑧ 의약품 가격이 비탄력적인 산업, ⑨ 지적재산권의 보호를 받는 산업, ⑩ 미래 먹거리로 부상하는 산업 |
제약산업에 대한 정의는 법적 정의와 통계청 표준산업분류상 정의로 각각 구분하여 볼 수 있습니다.
법적 정의로는 「제약산업 육성 및 지원에 관한 특별법」에 제약산업, 제약기업 및 혁신형 제약기업에 대해 명시되어 있고, 동 법 제2조2호에 따르면 제약산업이란「약사법」 제2조4호에 따른 의약품을 연구개발. 제조. 가공. 보관. 유통하는 것과 관련된 산업으로 명문화되어 있으며 또한 동 법령에는 제약기업 및 혁신형 제약기업에 대한 정의도 포함됩니다.
<제약산업 관련 법적 정의>
|
구분 |
정의 |
관계법률 |
|
제약산업 |
의약품을 연구/제조/가공/보관 및 유통하는 것과 관련된 산업 |
제약산업 육성 및 지원에 관한 특별법 제2조 1호 |
|
제약기업 |
- 의약품 제조업 허가 또는 제조판매품목허가를 받거나 제조판매 품목신고를 한 기업(약사법 제 31조) - 외국계 제약기업으로서 의약품 수입푸목허가를 받거나 수입 품목신고를 한 기업(약사법 제42조) - 벤처기업 중 신약 연구개발을 준문으로 하는 기업(벤처기업육성에 관한 특별조치법 제2조의2) - 신약 연구개발 등을 전문적으로 수행하기 위하여 조직, 인력 등 대통령령으로 정하는 기준을 충족하는 기업 |
제약산업 육성 및 지원에 관한 특별법 제2조 2호 |
|
혁신형 제약기업 |
- 다음 각 목의 어느 하나에 해당하는 기업으로 보건복지부 장관으로부터 인증(제약산업 육성 및 지원에 관한 특별법 제7조)을 받은 제약기업을 말함 - 신약 연구개발 등에 대통령령으로 정하는 규모 이상의 투자를 하는 제약기업- 국내에서 대통령령으로 정하는 규모 이상의 신약 연구개발 투자실적이 있거나 신약 연구개발을 수행하고 있는 외국계 제약기업 |
제약산업 육성 및 지원에 관한 특별법 제2조 3호 |
자료 : 법제처 국가법령정보센터, 「제약산업 육성 및 지원에 관한 특별법」 법률 제16406호
다음으로 통계청 한국표준산업분류(KSIC)상 제약산업은 제조업, 도·소매업 및 서비스업 부문에 각각 포함되어 있으며 세부 산업분류 기준으로는 KSIC상 중분류 기준으로 제약산업 관련 제조업은 코드 C21(의료용 물질 및 의약품 제조업)에 해당되며 단, 세세분류 기준으로 동물용 의약품 제조업(C21230) 및 의료용품 및 기타 의약관련제품 제조업(C21300) 중 일부는 제외됩니다. 또한 제조업 이외에도 최종 소비용 의약품 및 의약제제 등을 도매(G46441) 및 소매(G47811)하는 산업 활동과 인간보건, 의학 및 약학 분야에 관하여 연구개발을 수행하는 연구개발업(M70113)산업 활동까지도 포함하고 있습니다.
따라서 종합적으로 살펴보면 제약산업은 국민의 건강관리 및 질병의 예방, 치료, 처치, 진단을 위한 의약품을 개발. 제조. 판매하는 산업으로 정의할 수 있습니다.
<통계청 한국표준산업분류(KSIC-10) 기준 제약산업 정의>
|
대분류 |
중분류 |
세세분류 |
비고 |
|
제조업 |
의료용물질 및 의약품 제조업(C21) |
(C21101)의약용화합물 및 항생물질 제조업 |
|
|
(C21102)생물학적제제 제조업 |
|
||
|
(C21210)완제의약품 제조업 |
|
||
|
(C21220)한의약품 제조업 |
|
||
|
(C21230)동물용의약품 제조업 |
제외 |
||
|
(C21300)의료용품 및 기타 의약관련제품 제조업 |
일부 제외 |
||
|
도매 및 소매업 |
도매 및 상품중개업(G46) |
(G46441)의약품 도매업 |
동물용 제외 |
|
소매업(G47) |
(G47811)의약품 및 의료용품 소매업 |
의료용품 제외 |
|
|
전문 과학 및 기술 서비스업 |
연구개발업(M70) |
(M70113)의학 및 약학연구개발업 |
|
자료 : 통계청, 통계분류 포털(http://kssc.kostat.go.kr/)
동사는 제약기업의 신약개발활동에 참여하고 있는 CRO또는 CMO로서 전문 과학 및 기술서비스업의 제공을 주요 영업으로 하고 있는 회사로 제약산업에 속해 있습니다.
(2) 국내외 시장 현황
(가) 해외 시장 현황
동사는 제약산업에 속하지만, 신약개발을 하는 제약회사로부터 새로운 신약후보물질에 대한 ADME 시험을 위해 필요한 방사성동위원소의 합성을 아웃소싱 받아 수행하고 있으므로, 사업의 성격상 제약산업의 시장크기뿐 아니라 제약산업에서 지출하는 연구개발비의 규모와 높은 상관관계를 가지고 있습니다.
2022년 세계 의약품 시장규모는 1조 1,170억 달러 규모로, 2021년 이후 연평균 6.4%의 꾸준한 성장세를 보일 것으로 예측되며, 2028년에는 1조 5,800억 달러 규모로 성장할 것으로 추정됩니다. 시장규모 대비 R&D지출액의 비율을 보면 2021년 23.2%에서 2028년 19.1%로 R&D에 지출하는 금액의 비율이 다소 낮아질 것으로 예상되나, 그 규모는 2021년 2,490억 달러에서 2028년 3,020억 달러로 점증할 것으로 보입니다.
< 세계 의약품 시장 규모 및 R&D비용 지출 전망>
(단위:십억달러)
|
구분 |
2021 |
2022 |
2023 |
2024 |
2025 |
2026 |
2027 |
2028 |
CAGR |
|
시장규모 |
1,066 |
1,139 |
1,153 |
1,219 |
1,311 |
1,412 |
1,508 |
1,612 |
6.1% |
|
R&D |
238 |
238 |
247 |
256 |
265 |
272 |
278 |
285 |
2.6% |
|
비중 |
22% |
21% |
21% |
21% |
20% |
19% |
18% |
18% |
N/A |
자료 : EvaluatePharma World Preview 2023 (* forecast)
2022년 미국의 제약산업 시장규모는 4,404억 달러로 세계시장의 30.6%를 차지하며 여전히 1위국을 유지하고 있으며, 상위 10개 국가가 전체시장의 73.4%를 차지하였습니다. 시장규모 상위 국가는 미국을 이어 중국이 2,281억 달러(15.8%), 일본 917억 달러(6.4%), 독일 803억 달러(5.6%) 등의 순으로 나타났습니다. 우리나라의 2020년 시장규모는 218억달러로 세계 13위를 기록하였습니다.
< 국가별 의약품 시장규모 >
(단위:십억달러)
| 순위 | 국가명 | 2018년 | 2019년 | 2020년 | 2021년 | 2022년 | 점유율 |
| 1 | 미국 | 347.5 | 362.5 | 376.2 | 407.2 | 440.4 | 30.6% |
| 2 | 중국 | 155.6 | 162.2 | 154.5 | 199.0 | 228.1 | 15.8% |
| 3 | 일본 | 106.3 | 110.9 | 111.9 | 110.2 | 91.7 | 6.4% |
| 4 | 독일 | 71.9 | 72.2 | 77.0 | 85.8 | 80.3 | 5.6% |
| 5 | 프랑스 | 43.2 | 42.1 | 43.7 | 47.8 | 41.6 | 2.9% |
| 6 | 이탈리아 | 33.5 | 33.7 | 34.0 | 39.3 | 37.3 | 2.6% |
| 7 | 영국 | 31.2 | 31.1 | 32.3 | 37.1 | 35.9 | 2.5% |
| 8 | 캐나다 | 30.0 | 30.7 | 31.0 | 34.7 | 35.4 | 2.5% |
| 9 | 러시아 | 17.8 | 21.4 | 20.2 | 24.3 | 34.5 | 2.4% |
| 10 | 인도 | 24.7 | 26.9 | 27.1 | 31.0 | 32.7 | 2.3% |
| 11 | 스페인 | 26.7 | 26.6 | 30.2 | 32.3 | 29.7 | 2.1% |
| 12 | 브라질 | 21.8 | 21.8 | 21.0 | 24.9 | 25.4 | 1.8% |
| 13 | 대한민국 | 21.0 | 20.9 | 19.6 | 22.7 | 21.8 | 1.5% |
| 14 | 멕시코 | 11.5 | 11.4 | 11.3 | 12.7 | 14.6 | 1.0% |
| 15 | 호주 | 12.0 | 11.5 | 11.9 | 13.9 | 13.6 | 0.9% |
| 16 | 사우디아라비아 | 8.6 | 8.2 | 8.7 | 10.9 | 11.5 | 0.8% |
| 17 | 폴란드 | 11.0 | 10.8 | 10.9 | 11.8 | 11.3 | 0.8% |
| 18 | 벨기에 | 8.3 | 8.4 | 9.0 | 10.0 | 9.5 | 0.7% |
| 19 | 스위스 | 7.6 | 7.7 | 8.1 | 8.9 | 8.9 | 0.6% |
| 20 | 오스트리아 | 8.0 | 7.8 | 8.3 | 9.2 | 8.9 | 0.6% |
| 22 | 기타국 | 195.1 | 197.3 | 205.0 | 241.2 | 227.8 | 15.8% |
| - | 세계 시장 | 1193.2 | 1226.0 | 1251.7 | 1415.1 | 1441.0 | 100.0% |
자료 : fitchsolutions, 2024.02.15. 기준(한국보건산업진흥원)(나) 국내 시장 현황
2022년 국내 제약산업 시장규모(생산-수출+수입)는 29조 8,707억 원으로 2021년(28조 6,962억 원)에 비해 4.1% 증가하였으며, 2018년 이후 연평균 6.6% 성장하며 시장규모가 확대되고 있습니다.
<국내 의약품 시장 규모 및 동향>
(단위:억원)
| 구분 | 2018 | 2019 | 2020 | 2021 | 2022 | CAGR |
| 생산 | 211,054 | 223,132 | 245,662 | 254,906 | 289,503 | 8.2% |
| 수출 | 51,332 | 59,054 | 81,336 | 80,593 | 104,428 | 19.4% |
| 수입 | 71,534 | 80,517 | 85,711 | 112,649 | 113,632 | 12.3% |
| 무역수지 | (20,202) | (21,463) | (4,375) | (32,056) | (9,204) | - |
| 시장규모 | 231,256 | 244,595 | 250,037 | 286,962 | 298,707 | 6.6% |
자료 : 생산,수입 : 식품의약품안전처, 의약품 생산 수입실적 보도자료 재가공
수출 : 한국보건산업진흥원 , 한국무역통계진흥원 무역통계 재가공우리나라의 의약품 교역량(수출+수입)은 해마다 증가하고 있습니다. 2018년부터 2022년 동안 수출은 연평균 19.4% 증가, 수입은 12.3% 증가하며 수출이 수입보다 빠르게 증가하며 조만간 무역수지가 흑자전환 할 것으로 예상됩니다.
(1) 영업개황 및 사업부문의 구분
(가) 영업개황
|
시기 |
내용 |
|
|
설립기 |
2009 |
㈜에비드사이언스 설립 후 ㈜큐라켐으로 사명 변경 및 14C방사성동위원소 판매 허가 취득 |
|
2010 |
일본Nemoto社(CRO)에 방사성동위원소표지화합물 합성 최초 제공 후 시장 개척 |
|
|
2011 |
일본 LSIM社(CRO)와 방사성동위원소표지화합물 합성 관련 업무 제휴 후 일본 시장내 점유율 지속 확대 |
|
|
성장기 |
2016 |
오송에 신규 사옥 설립 후 김포에서 이전 완료 |
|
2018 |
신규 서비스로 GMP합성 서비스 최초 제공 |
|
|
2020 |
GMP합성물 임상시험 최초 사용 |
|
|
도약기 |
2022 |
세계3위 CRO인 ICON사의 GMP audit 통과후 합성 서비스 수주 |
|
2023 |
코넥스 시장 상장 |
|
동사는 2009년 6월 방사성동위원소표지화합물 합성을 주업으로 하는 ㈜애비드사이언스를 설립, 동년 9월에 ㈜큐라켐으로 사명을 변경하여 현재까지 사업을 영위하고 있습니다. 동사 설립 당시 국내에는 ㈜한국표지화합물연구소가 SMD라고 하는 일본내 흡수·분포·대사·배설시험 CRO의 방사성동위원소표지화합물합성 업무를 수행하고 있었으나, 2018년 8월 ㈜한국표지화합물연구소가 방사성동위원소표지화합물 합성 업무를 중단한 이후 현재까지 동사가 국내 유일의 방사성동위원소표지화합물 합성 업체로 관련 서비스를 시장에 제공하고 있습니다.
동사가 창립된 2009년부터 2018년까지는 ㈜한국표지화합물연구소와 동사가 일본과 국내 시장을 대상으로 경쟁하였으며, 동사는 일본내 흡수·분포·대사·배설시험 CRO시장에서 업계 1위인 SMD를 제외한 다른 복수의 CRO와 협업관계를 구축하여 일본시장에 합성 서비스를 제공하였고, ㈜한국표지화합물연구소는 일본내 흡수·분포·대사·배설시험 CRO시장 1위인 SMD와 상호배타적인 협업관계를 구축하여 서비스를 제공하였습니다.
일본과 한국 시장을 대상으로 양사의 치열한 경쟁은 2018년까지 지속되었으며, 동사는 ㈜한국표지화합물연구소와 SMD간의 상호배타적인 협업관계로 인해 일본시장에서 흡수·분포·대사·배설시험 CRO시장 1위인 SMD에 합성물질을 제공할 수 없었기 때문에, 일본 이외의 시장에 대한 합성 서비스 제공에 많은 노력을 기울여 왔습니다.
2017년 이후 전세계 시장에서의 임상용 방사성동위원소표지화합물에 대한 시장 수요의 증가 등에 대한 동사의 시설 투자 및 품질관리체계 구축 등의 선제적인 투자와 지속적인 품질관리 노력 등에 힘입어, 더 이상 경쟁이 어렵다고 판단한 ㈜한국표지화합물연구소는 국내 방사성동위원소표지화합물 합성 서비스의 제공은 동사가 단독 수행하는 것으로 상호 합의하였고, 이로 인해 동사는 일본시장에서 SMD와 협업관계를 시작하게 되었습니다.
또한, 동사는 해외 세미나 및 전시회 참석을 통해 미국 및 유럽, 중국 등의 시장개척을 위해 노력해 온 결과 해당 지역 시장 진출에 성공하였고, 지속적인 노력을 통해 향후 시장내 점유율 확대를 위해 노력하고자 합니다.
특히, 2017년 이후 시작한 임상용 방사성동위원소표지화합물 서비스 체계 구축은 2021년에 해외 대형 제약사로부터 해당 업무를 수주함으로서 동사의 품질기술력이 세계적인 수준임을 확인받았습니다. 이 분야에 대한 해외 고객사 발굴에도 주력하여 향후 관련 매출의 증대를 도모하고 있습니다.
(나) 공시대상 사업부문의 구분
당사는 방사성동위원소표지화합물을 합성하는 단일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습니다.
(2) 시장점유율
동사와 같이 방사성동위원소표지화합물합성만을 주사업으로 영위하는 회사보다는 흡수·분포·대사·배설시험을 수행하는 CRO에서 방사성동위원소표지화합물합성을 같이 수행하는 경우가 일반적입니다. 한국 제약시장은 2020년 기준 전세계1.6%의 점유율로 시장이 협소하고, 제약시장의 구조 자체도 아직 신약개발보다는 제네릭 위주의 시장으로 형성되어 있어, 불가피하게 해외 시장 타겟으로 하는 수출지향적인 사업전략이 필요한 상황입니다. 특히 대한민국의 인접국으로서 국가별 제약시장 순위 3위인 일본의 경우 흡수·분포·대사·배설시험을 수행하는 CRO는 존재하지만, 방사성동위원소표지화합물합성을 수행하는 업체가 없기 때문에, 동사는 일본시장을 최초 타겟으로 하여 사업을 시작하여, 점차 그 대상국을 넓히고 있습니다. 동 시장에 대한 공신력있는 기관의 시장 추정을 비롯한 제반 자료가 없어, 객관적인 시장 점유율을 제시하기는 어려운 상황입니다. 다만, 당사는 우수한 품질관리시스템으로 인해 현재 전세계 방사성동위원소표지화합물 합성 업체와 기술적인 경쟁에서 동등한 평가를 받고 있습니다.
(3) 시장의 특성
동사가 제조하는 방사성동위원소표지화합물은 ADME(Absorption, Distribution, Metabolism, Excretion / 흡수, 분포, 대사, 배설)시험을 위해 방사성동위원소를 추적자(tracer)로 표지한 화합물을 합성하는 것입니다. 흡수·분포·대사·배설시험은 약물을 임상투여 경로로 적용하였을 때, 체내동태를 파악하기 위한 시험으로서 의약품의 유효성·안전성과 관련하여 약물의 효과 및 그 지속시간, 작용 메커니즘 등의 예측, 생체내분포, 저류시간, 농도 등을 확인할 수 있는 시험입니다.
제약회사가 개발중인 신약후보물질은 일반적인 합성물로서 흡수·분포·대사·배설시험을 통해 약물을 추적하는 것이 실질적으로 불가능하기 때문에, 방사성동위원소를 추적자로 한 표지화합물을 합성하여 이러한 실험을 수행하게 됩니다.
방사성 동위원소표지화합물을 사용하여 흡수·분포·대사·배설시험을 할 경우 별도의 분석법 및 Validation이 불필요하며, 모약물과 대사체에 대한 전체적인 Profile분석이 가능한 점, QWBA(정량적 전신 autoradiography 분석)실시로 Mass balance 시험이 가능한 점 등 다양한 방법론적 장점으로 인해 흡수·분포·대사·배설시험에 방사성동위원소표지화합물의 사용이 실질적으로 필수적입니다.
흡수·분포·대사·배설시험은 일반적으로 임상 2상 전에 제출되어야 하는 데이터에 해당하지만, 신약을 개발하는 제약사의 필요에 따라 신약후보물질의 개발 성공률을 높이기 위해 보다 조기에 실시되는 경우도 빈번합니다.
방사성동위원소표지화합물의 합성은 신약후보물질 합성 구조식의 탄소(C)를 탄소의 방사성동위원소인 14C로 치환하는 방식으로 이루어지며, 표지화합물 시장의 90%이상이 14C를 사용하여 합성이 이루어집니다.
따라서 14C이외의 다른 방사성동위원소의 사용은 14C의 사용이 불가능한 예외적인 상황에서만 제한적으로 이루어지며, 방사성동위원소 규제의 특성상 방사성동위원소의 종류가 다를 경우 종류별로 합성 및 분석 장소 등이 모두 구분되어야 하므로 별도의 제반 시설과 장비가 필요해 여러 종류의 방사성동위원소를 취급하여 합성하는 것은 오히려 수익성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치게 됩니다. 이에 당사는 14C를 사용한 표지화합물 합성 시장을 선택하여 역량을 집중하여 성장을 도모하고 있습니다.
또한, 당사에 표지화합물의 합성을 의뢰하는 고객사는 자사가 개발중인 신약후보물질의 합성구조식을 당사에 제공하여야 하는데, 이것은 고객사의 지적재산권중 가장 중요한 정보에 해당하기 때문에 당사에 합성을 의뢰하기 위해서는 비밀유지계약서 등과 같은 계약상의 안전장치 이외에도 실질적인 신뢰관계가 구축되어야 합니다. 게다가 자사 신약후보물질의 합성구조식을 다수의 외주사에 공유하는 것은 정보보안의 측면에서 위험을 증가시키는 요인이 되기 때문에 매번 표지화합물 업체를 변경하거나 다수의 업체를 활용하는 것 또한 업계에 선호되는 방식이 아닙니다.
이러한 이유로 인해 당사의 매출 기반은 매우 견고하게 유지되는 특성을 지니고 있습니다.
(4) 신규사업 등의 내용 및 전망
당사는 방사성동위원소소 표지화합물 합성 분야에 집중하고 있으며, 동 시장에서 더 많은 고객 확보를 통한 성장을 도모하고 있습니다. 한편, 동물과 사람의 종차이에 의해 비임상결과와 임상결과에 차이(Drug Sensitivity of receptor, Concentration, Duration of target organ 및 Drug metabolizing enzyme and Drug Transporter에서의 차이)가 발생하기 때문에 Human에 대한 정확한 Data를 보다 조기에 확인하고자 하는 needs가 증가하여, 과거 비임상시험에서 주로 사용되던 방사성동위원소표지화합물이, 임상에서의 사용이 증가하고 있는 추세입니다. 이러한 전세계적인 수요 변화에 대응하여 동사는 2017년 관련 시설을 구축하고, 품질관리시스템을 마련하여 시장 수요에 대응하고 있습니다. 임상시험용 방사성동위원소표지화합물 합성이 향후 당사 성장을 견인하기를 기대하고 있습니다.
(5) 조직도
가. 해당 사업연도의 영업상황의 개요
'Ⅲ. 경영참고사항'의 '1.사업의 개요' 참조
나. 해당 사업연도의 대차대조표(재무상태표)ㆍ손익계산서(포괄손익계산서)ㆍ이익잉여금처분계산서(안) 또는 결손금처리계산서(안)
- 대차대조표(재무상태표)
<대 차 대 조 표(재 무 상 태 표)>
| 제16(당)기말 2024년 12월 31일 현재 |
| 제15(전)기말 2023년 12월 31일 현재 |
| (단위 : 원) |
| 과 목 | 제 16 기 | 제 15 기 |
|---|---|---|
|
자산 |
|
|
|
Ⅰ. 유동자산 |
8,095,788,281 | 6,898,649,638 |
|
(1) 당좌자산 |
5,864,822,409 | 5,425,773,488 |
|
현금 및 현금성자산 |
3260123778 | 2,917,726,623 |
|
매출채권 |
189,110,020 | 937,014,600 |
|
미수금 |
47,096,956 | 22,456,482 |
|
선급금 |
2,308,259,986 | 1,522,552,001 |
|
선급비용 |
794,497 | 902,337 |
|
선납세금 |
21,292,960 | - |
|
(2) 재고자산 |
2,230,965,872 | 1,472,876,150 |
|
원재료 |
2,230,965,872 | 1,472,876,150 |
|
Ⅱ. 비유동자산 |
7,329,795,242 | 7,675,631,685 |
|
(1) 투자자산 |
351,500,000 | 351,500,000 |
|
매도가능증권 |
351,500,000 | 351,500,000 |
|
(2) 유형자산 |
6,579,375,039 | 7,002,251,509 |
|
토지 |
1,114,903,002 | 1,114,903,002 |
|
건물 |
6,624,792,114 | 6,624,792,114 |
|
감가상각누계액 |
(1,333,276,959) | (1,167,657,157) |
|
기계장치 |
1,189,166,916 | 1,189,166,916 |
|
감가상각누계액 |
(1,182,978,566) | (1,111,992,221) |
|
차량운반구 |
38,023,338 | 39,176,338 |
|
감가상각누계액 |
(12,673,778) | (6,222,511) |
|
비품 |
354,460,811 | 354,460,811 |
|
감가상각누계액 |
(343,118,016) | (337,791,762) |
|
연구기기및장치 |
3,105,394,585 | 3,065,394,585 |
|
감가상각누계액 |
(2,975,318,408) | (2,761,978,606) |
|
(3) 무형자산 |
- | - |
|
개발비 |
- | - |
|
(4) 기타비유동자산 |
398,920,203 | 321,880,176 |
|
기타보증금 |
69,384,000 | 49,384,000 |
|
자산총계 |
15,425,583,523 | 14,574,281,323 |
|
부채 |
||
|
Ⅰ. 유동부채 |
6,554,789,062 | 1,191,829,668 |
|
미지급금 |
258,415,711 | 17,902,275 |
|
예수금 |
26,871,085 | 26,218,790 |
|
선수금 |
- | 31,534,343 |
|
단기차입금 |
3,000,000,000 | 700,000,000 |
|
유동성장기차입금 |
3,260,000,000 | 127,720,000 |
|
미지급비용 |
9,502,266 | 17,902,275 |
|
Ⅱ. 비유동부채 |
1,569,318,626 | 4,564,428,974 |
|
장기차입금 |
20,000,000 | 3,311,930,000 |
|
퇴직급여충당부채 |
1,549,318,626 | 1,252,498,974 |
|
부채총계 |
8,124,107,688 | 5,756,258,642 |
|
자본 |
||
|
Ⅰ. 자본금 |
1,167,143,000 | 1,167,143,000 |
|
자본금 |
877,143,000 | 877,143,000 |
|
우선주자본금 |
290,000,000 | 290,000,000 |
|
Ⅱ. 자본잉여금 |
4,132,862,000 | 8,132,862,000 |
|
주식발행초과금 |
4,132,862,000 | 8,132,862,000 |
|
Ⅲ. 자본조정 |
- | - |
|
Ⅳ. 기타포괄손익누계액 |
- | - |
|
Ⅳ. 이익잉여금(결손금) |
2,001,470,835 | (481,982,319) |
|
미처분이익잉여금 |
2,001,470,835 | (481,982,319) |
|
자본총계 |
7,301,475,835 | 8,818,022,681 |
|
부채 및 자본 총계 |
15,425,583,523 | 14,574,281,323 |
- 손익계산서(포괄손익계산서)
<손 익 계 산 서(포 괄 손 익 계 산 서)>
| 제16(당)기 2024년 01월 01일부터 2024년 12월 31일까지 |
| 제15(전)기 2023년 01월 01일부터 2023년 12월 31일까지 |
| (단위 :원 ) |
| 과 목 | 제 16 기 | 제 15 기 |
|---|---|---|
|
Ⅰ. 매출액 |
5,356,867,177 | 6,884,433,210 |
|
Ⅱ. 매출원가 |
3,651,726,448 | 3,665,398,272 |
|
Ⅲ. 매출총이익 |
1,705,140,729 | 3,219,034,938 |
|
Ⅳ. 판매비와관리비 |
2,111,264,139 | 2,257,974,943 |
|
급여 |
678,019,114 | 577,115,118 |
|
퇴직급여 |
242,900,123 | 385,490,851 |
|
복리후생비 |
303,115,821 | 290,137,174 |
|
여비교통비 |
23,674,538 | 290,137,174 |
|
통신비 |
3,243,504 | 5,921,306 |
|
수도광열비 |
202,853,575 | 220,561,193 |
|
세금과공과 |
32,085,650 | 29,237,120 |
|
감가상각비 |
186,175,323 | 179,681,384 |
|
보험료 |
1,479,130 | 2,040,930 |
|
차량유지비 |
52,175,659 | 42,533,842 |
|
교육훈련비 |
- | 300,000 |
|
소모품비 |
29,720,782 | 23,345,139 |
|
지급수수료 |
355,820,920 | 470,773,119 |
|
Ⅴ. 영업이익 |
(406,123,410) | 961,059,995 |
|
Ⅵ. 영업외수익 |
261,090,482 | 183,908,728 |
|
이자수익 |
26,840,359 | 96,046,373 |
|
배당금수익 |
2,312,500 | 2,312,500 |
|
외환차익 |
219,979,695 | 50,918,180 |
|
외화환산이익 |
11,574,917 | 22,100,829 |
|
유형자산처분이익 |
- | 6,635,364 |
|
잡이익 |
383,011 | 5,895,482 |
|
Ⅶ. 영업외비용 |
204,297,498 | 266,001,061 |
|
이자비용 |
142,452,613 | 177,209,480 |
|
외환차손 |
61,783,060 | 78,435,149 |
|
외화환산손실 |
- | 10,356,300 |
|
잡손실 |
61,825 | 132 |
|
Ⅷ. 법인세차감전이익 |
(349,330,426) | 878,967,662 |
|
Ⅸ. 법인세등 |
(82,783,580) | 163,993,985 |
|
Ⅹ. 당기순이익 |
(266,546,846) | 714,973,677 |
- 이익잉여금처분계산서(안)
<이익잉여금처분계산서>
| 제16(당)기 2024년 01월 01일부터 2024년 12월 31일까지 |
| 제15(전)기 2023년 01월 01일부터 2023년 12월 31일까지 |
| (단위 : 원 ) |
| 과 목 | 제 16 기 | 제 15 기 |
|---|---|---|
| Ⅰ. 미처리이익잉여금 | 3,251,470,845 | (481,982,319) |
| 1.전기이월미처리결손금 | (481,982,319) | (1,196,955,996) |
| 2.자본잉여금의이익잉여금전입 | 4,000,000,000 | - |
| 3.당기순이익(손실) | (266,546,846) | 714,973,677 |
| Ⅱ. 이익잉여금처분액 | (1,250,000,000) | |
| 1. 자기주식의 소각 | (1,250,000,000) | - |
| Ⅲ. 차기이월미처분이익잉여금 | 2,001,470,835 | (481,982,319) |
- 최근 2사업연도의 배당에 관한 사항
해당사항 없음
- 상환주식 상환 및 소각에 따른 자기주식 취득의 건
상법 제341조 2항 및 당사 정관 제9조의 2 (이익배당, 의결권 부여 또는 배제 및 주식의 상환전환에 관한 종류주식) 14항에 의거하여 당사가 기발행한 종류주식(상환전환우선주식) 등의 상환과정에서 자기주식을 취득하여 소각할 수 있는 바, 종류주식의 상환 및 소각을 위하여 자기주식과 관련한 취득할 수 있는 주식의 종류 및 수, 취득가액의 총액의 한도, 자기주식을 취득할 수 있는 기간을 아래와 같이 결의하고자 함 - 취득할수 있는 주식의 종류 및 수 : 상환전환우선주식 250,000주
- 취득가액 총액의 한도 :금 2,000,000,000원
- 자기주식을 취득할 수 있는 기간 : 2025년 12월 31일까지
가. 후보자의 성명ㆍ생년월일ㆍ추천인ㆍ최대주주와의 관계ㆍ사외이사후보자 등 여부
| 후보자성명 | 생년월일 | 사외이사후보자여부 |
감사위원회 위원인 이사 분리선출 여부 |
최대주주와의 관계 | 추천인 |
|---|---|---|---|---|---|
| 이기승 | 641025 | 사내이사 | - | - | 이사회 |
| 총 ( 1 ) 명 | |||||
나. 후보자의 주된직업ㆍ세부경력ㆍ해당법인과의 최근3년간 거래내역
| 후보자성명 | 주된직업 | 세부경력 | 해당법인과의최근3년간 거래내역 | |
|---|---|---|---|---|
| 기간 | 내용 | |||
| 이기승 | (주)큐라켐CTO | 1989~20002001~20152019~현재 | 에스케이케미칼(주) 합성(주)한국표지화합물연구소CTO(주)큐라켐 CTO | 없음 |
다. 후보자의 체납사실 여부ㆍ부실기업 경영진 여부ㆍ법령상 결격 사유 유무
| 후보자성명 | 체납사실 여부 | 부실기업 경영진 여부 | 법령상 결격 사유 유무 |
|---|---|---|---|
| 이기승 | 없음 | 없음 | 없음 |
라. 후보자의 직무수행계획(사외이사 선임의 경우에 한함)
| 해당사항없음 |
마. 후보자에 대한 이사회의 추천 사유
| 사내이사 후보자 이기승은 (주)큐라켐의 CTO로서 당사 합성업무를 총괄하고 있으며, 이를 통해 회사의 합성업무 효울화에 기여해 왔습니다.이에 (주)큐라켐의 이사회는 이기승 부사장의 사내이사 재선임을 요청합니다. |
※ 기타 참고사항
해당사항 없음
가. 이사의 수ㆍ보수총액 내지 최고 한도액
(당 기)
| 이사의 수 (사외이사수) | 3명(없음) |
| 보수총액 또는 최고한도액 | 10억원 |
(전 기)
| 이사의 수 (사외이사수) | 3명(없음) |
| 실제 지급된 보수총액 | 488백만원 |
| 최고한도액 | 10억원 |
※ 기타 참고사항
해당사항 없음
가. 감사의 수ㆍ보수총액 내지 최고 한도액
(당 기)
| 감사의 수 | 1명 |
| 보수총액 또는 최고한도액 | 2억원 |
(전 기)
| 감사의 수 | 1명 |
| 실제 지급된 보수총액 | 0원 |
| 최고한도액 | 2억원 |
※ 기타 참고사항
해당 사항 없음
가. 자본준비금 감액(자본준비금의 이익잉여금 전입)의 건
상법 제461조의 2의 규정에 의거하여, 회사에 적립된 자본준비금 및 이익준비금의 총액이 자본금의 1.5배를 초과하는 경우 그 초과한 금액 범위내에서 주주총회 보통결의로 감액할 수 있습니다. 이에 따라 당사는 종류주식(상환전환우선주식) 등의 상환과정에서 취득될 자기주식의 취득재원 확보를 위해 자본금의 1.5배를 초과하는 금액 중, 자본준비금 일부인 1억원(주식발행초과금 1억원)을 감액하여 이를 이익잉여금으로 전입하고자 합니다.이익잉여금 전입액은 결손금의 보전, 자기주식의 취득, 이익배당의 재원 등을 비롯해 기타 관계법령에 등에서 허용하는 용도로 처리될 수 있습니다.※ 상법 제 461조의2
| 제461조의2(준비금의 감소) 회사는 적립된 자본준비금 및 이익준비금의 총액이 자본금의 1.5배를 초과하는 경우에 주주총회의 결의에 따라 그 초과한 금액 범위에서 자본준비금과 이익준비금을 감액할 수 있다. |
| 제출(예정)일 | 사업보고서 등 통지 등 방식 |
|---|---|
- 당사의 감사보고서 및 사업보고서는 2025년 3월 5일에 DART 전자공시시스템(http://dart.fss.or.kr)에 게재하였습니다.- 한편 이 사업보고서는 향후 주주총회 이후 변경되거나 오기 등이 있는 경우 수정 될 수 있으며, 이 경우 전자공시시스템(http://dart.fss.or.kr)에 정정보고서를 공시할 예정이므로 이를 참조하시기 바랍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