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년 3월 10일 | ||
회 사 명 : | (주)엔지브이아이 | |
대 표 이 사 : | 이여연 | |
본 점 소 재 지 : | 강원도 춘천시 남산면 보매기길 56 | |
(전 화)033-260-3400 | ||
(홈페이지)http://ngvi.co.kr | ||
작 성 책 임 자 : | (직 책)부장 | (성 명)정용주 |
(전 화)033-260-3400 | ||
(제25기 정기) |
주주님의 건승과 댁내의 평안을 기원합니다.
당사는 상법 제363조 및 당사 정관에 의거 제 25기 정기주주총회를 아래와 같이 개최 하오니 참석하여 주시기 바랍니다.
------- 아 래 -------
1.일 시 : 2025년 3월 26일(수요일) 오전 10시30분
2.장 소 : 강원도 춘천시 남산면 보매기길 56(본점 소재지) 2층 회의실
3. 회의 목적사항
가. 보고사항 : 영업보고, 감사보고, 내부회계관리제도 운영실태보고
나. 주요 안건
제 1호 의안 : 제25기 재무제표 승인의 건
제 2호 의안 : 결손금 처리계산서(안) 승인의 건제 3호 의안 : 감사 선임의 건
제 4호 의안 : 이사 보수한도 승인의 건제 5호 의안 : 감사 보수한도 승인의 건
4. 배당내역 : 없음
5. 경영참고사항 비치
상법 제542조의4에 의한 경영참고사항은 당사 인터넷 홈페이지에 게재하고 본점과 명의개서대행회사(국민은행 증권대행부)에 비치하였으며, 금융위원회 및 한국거래소에 전자공시하여 조회가 가능하오니 참고하시기 바랍니다.
6. 실질주주의 의결권 행사에 관한 사항
우리 회사의 이번 주주총회에서는 한국예탁결제원이 주주님들의 의결권을 행사할 수 없습니다. 따라서 주주님들께서는 한국예탁결제원에 의결권행사에 관한 의사표시를 하실 필요가 없으며, 종전과 같이 주주총회에 참석하여 의결권을 직접행사하시거나 또는 위임장에 의거 의결권을 간접행사할 수 있습니다.
2025 년 3월 11일
주식회사 엔지브이아이 대표이사 이 여 연 (직인생략)
회차 | 개최일자 | 의안내용 | 사외이사 등의 성명 | ||
---|---|---|---|---|---|
A(출석률: %) | B(출석률: %) | C(출석률: %) | |||
찬 반 여 부 | |||||
- | - | - | - | - | - |
위원회명 | 구성원 | 활 동 내 역 | ||
---|---|---|---|---|
개최일자 | 의안내용 | 가결여부 | ||
- | - | - | - | - |
(단위 : 원) |
구 분 | 인원수 | 주총승인금액 | 지급총액 | 1인당 평균 지급액 | 비 고 |
---|---|---|---|---|---|
- | - | - | - | - | - |
(단위 : 백만원) |
거래종류 | 거래상대방(회사와의 관계) | 거래기간 | 거래금액 | 비율(%) |
---|---|---|---|---|
단기차입금 이자 | (주)디지피(관계기업,최대주주) | 2024.01.01~2024.12.31 | 31 | 4.8% |
단기차입금 이자 및 지급임차료 | 조준서(대주주) | 2024.01.01~2024.12.31 | 123 | 19% |
* 춘천공장에 대한 지급임차료 및 단기차입금에 대한 이자비용입니다.
(단위 : 억원) |
거래상대방(회사와의 관계) | 거래종류 | 거래기간 | 거래금액 | 비율(%) |
---|---|---|---|---|
- | - | - | - | - |
수소차와 전기차는 친환경차 내에서 대체재 성격을 일정부분 가지고 있고 인프라의 상호 호환이 제한적이라는 점에서 중복투자 비효율성이 생길 수 있고 인프라 투자가 누적되면 상대적인 경제성이 높아지는 자연 독점적 성격이 일부 있기 때문에 수소차와 전기차의 양립에 대해 회의적인 의견이 있습니다.
그러나 현실적으로 수소차와 전기차는 영역과 확산시점을 달리해 중장기적으로 공존할 가능성이 높습니다. 특히, 에너지 소비가 많고 이용률이 높은 상업용 차량을 중심으로 수소연료의 탑재가 활발해질 전망이며, 공존은 분명 비효율적이나 국가나 자동차 업체 입장에서 한 가지 차종에만 집중하는 전략 또한 비현실적이기 때문입니다.
2015년 기준 전기차 시장은 전체 자동차 시장의 1% 수준이었으나 향후 연평균 40%이상씩 성장하여 2020년에는 전체시장의 2-5%, 2025년 7-15%, 2030년 14-21%수준으로 증가할 것으로 예측되고 있어, 전기자동차 생산비용, 충전비용의 절감 및 전기충전소 확대 등이 요구됩니다. 당사 고객의 상황은 아래와 같습니다.
KGMC는 2018년 CNG 고상버스 최초 프로토 타입 개발 이후 점차 물량이 증가추세(2020년 20대, 2021년 상반기 약 50대)에 있었으나 2022년 쌍용차 인수 실패로 인한 자금난을 겪으면서 회사가 어려워져 기업회생절차 신청하여 법원으로부터 2023년 1. 13부로 회생절차 개시결정 후 현재는 KGM에 인수되어 정상 가동되고 있습니다. 그러나 당사의 사업과 관련된 천연가스 버스의 경우 고객들의 구매 요청이 있음에도 기업 회생기간에 무너진 공급망 등의 문제로 어려움을 격고 있습니다. 그러나 곧 천연가스버스의 생산도 정상화 될 예정입니다.
현대자동차의 내압용기 검사 용역 관련하여 생산 수량이 감소하였으나, 꾸준히 공급이 이루어 지고 있습니다.
세계시장의 경우 천연가스자동차의 보급대수가 여전히 증가 추세에 있습니다.
충전인프라증가 및 기술 등의 향상으로2028년까지 전세계 천연가스차량은3,800만대를 넘어설 전망입니다.
당사는 천연가스 자동차 보급을 목적으로 1996년 개인 사업자로 설립하여, 천연가스자동차 관련 정책 및 보급계획의 수립, 관련 법규 제정, 기술 이전과 천연가스자동차 개발 및 국산화, 양산 보급 등을 주도해 왔습니다.
2000년에 법인 사업체로 전환하면서 현 위치인 강원도 춘천시 남산면 보매기길56 창촌농공단지로 사옥을 이전하였고, 2001년에는 국내 최초로 기업부설 천연가스자동차 기술연구소를 등록하여 현재까지 유지하고 있습니다.
2000년부터 시내버스를 천연가스버스로 교체하기 시작하였을 때, 현대자동차와 대우버스에 천연가스자동차 엔진 제조 기술을 공급하고, 핵심 부품인 CNG 내압용기, 밸브, 레귤레이터 및 FMV(Fuel Metering Valve)등을 미국(우드워드, ITT사)과 유럽회사(Faber, VTI사)등으로부터 도입하여 국내에 독점적으로 공급(조립하여 공급하는 것을 포함)하였습니다.
2003년 중국 천연가스자동차 부품 수출을 시작으로 같은 해, 자체 개발한 LPG 지게차용 엔진이 미국의 ‘2단계 배기가스 규제 (Tier-2)’사항을 만족시켜 미국환경보호청 (EPA)으로부터 인증을 획득하였고, 이를 바탕으로 2004년 북미 수출용 LPG 지게차 엔진을 생산하여 국내의 지게차 생산 업체인 두산인프라코어와 클라크머터리얼핸들링아시아에 미국 수출용 지게차 엔진을 공급하기 시작하여 2004년 수출백만불탑 수상(한국무역협회), 2005년 수출오백만불탑 수상, 2006년 수출천만불탑 수상을 하였습니다.
2007년 천연가스 산업의 다양한 이점을 부각하고 천연가스 충전 인프라의 필요성 및 국가별 천연가스에 관한 상이한 법규의 조율과 천연가스라는 친환경적인 연료를 전세계에 알리고자 하여 그린하이웨이 프로젝트(Green Highway Project)를 수행하였으며, 당시 천연가스 자동차를 자체개발하여 2007년 10월 강원도청에서 출정식을 시작으로 동해-부산-광주-대전-과천-서울-인천의 국내 일정을 마치고, 중국-베트남-라오스-태국을 거치는 천연가스 차량의 동북아시아 횡단 운행을 성공적으로 마친바 있습니다.
그러나 2008년 금융위기로 인한 외환차손 및 연구개발 사업에 막대한 자금 투여 등으로 인해 경영실적이 악화되어 2008년 11월 26일 회생절차 개시 결정(서울중앙지방법원)을 받았습니다.
이후 LPG 엔진 사업을 포기하고, CNG 내압용기와 밸브를 조립하여 현대자동차, 대우버스에 납품하는 것을 주력 사업으로 전환하였으며, 인력 구조조정 및 경영 안정화를 위해 노력하여 2014년 서울버스주식회사의 M&A 통해 회생절차가 조기 종결되었습니다.
2016년 한국가스공사의 ‘HCNG(수소천연가스)버스 개조 및 성능 모니터링’이라는 연구용역을 실시하여 경유버스보다 친환경적인 장점이 있다고 증명되었으며, 수도권 대기 환경 관리계획에 근거한 HCNG 버스 시범 보급 타당성 및 정책지원 필요성을 제시하였습니다.
2017년 만트럭버스코리아와 CNH industrial Korea의 컨설팅 용역을 수주하였으며, 2018년 KGMC(구,에디슨모터스) 1차 벤더로 등록되어, CNG 모듈(CNG 내압용기와 밸브 조립)을 납품하였습니다.
(1) 주요 매출품목
구 분 |
제품사진 |
제조사 |
버스당 소모량 |
내압용기 |
|
Faber |
6~8개 |
내압용기밸브 |
|
VTI |
6~8개 |
자동차용 내압용기모듈 |
|
엔지브이아이 |
1set |
수소연료 저장시스템 |
|
엔지브이아이 | 1set |
당사는 천연가스버스의 핵심부품인 내압용기와 밸브 등을 수입하여 국내의 각종 부품(용기브라켓 외)들과 조립한 모듈을 OEM에 납품하였으며, 현대자동차를 위하여는 CNG 내압용기 생산단계검사(타각) 업무를 하고 있습니다. 2024년 우진산전에서 사용할 수소자동차용 내압용기 모듈을 개발하고 샘플을 납품하였으며, 2025년 부터는 차량이 상용화되어 보급될 예정입니다.
(2) 영업 및 생산 방식
(가) 영업
친환경자동차용 부품을 완성차업체에 공급하는 당사는 일반 소비자를 상대로 하는 영업이 아니기 때문에 일반적인 판매 조직과는 상이한 조직 구조와 영업 방식을 가지고 있으며 당사의 모든 부서가 영업과 관련이 있습니다. 또한 영업팀은 완성차업체와 보다 원활한 의사소통 및 활동을 위하여 완성차 업체공장과 물리적으로 인접한 울산공장 내에 있습니다.
(나) 생산방식
OEM의 경우에는 원자재를 수입하여 생산단계검사 후 각종 부품과 조립하여 납품하는 한편, 현대자동차의 경우에는 생산단계검사만 하고 납품하고 있습니다.
① OEM : 수입검사 ->생산단계검사 -> 조립 -> 포장 ->출하검사 및 출하
② 현대자동차 : 수입검사 ->생산단계검사 -> 포장 및 출하
(3) 산업경쟁현황
(가) 경쟁사
국내에서 당사와 같은 자동차용 내압용기 모듈을 제조하는 업체는 일진하이솔루스가 유일합니다. 일진하이솔루스의 주사업은 초경량 복합재료 내압용기를 판매를 하는 사업입니다. 일진하이솔루스의 용기 사업부는 주로 현대수소자동차 넥소에 들어가는 수소용기를 제작하고 있습니다.
[2024년 12월 31일 기준, 단위: 백만원]
회사명 |
일진하이솔루스(주) |
설립연도 |
2002.08 |
매출 |
79,297 |
영업이익 |
-9,515 |
당기순이익 |
1,816 |
자산 |
344,277 |
부채 |
26,806 |
자본금 |
18,157 |
출처 : 일진하이솔루스 재무제표
(나) 당사의 경쟁력
당사는 안전성과 성능이 우수한 제품을 생산하여 공급하는 유럽의 제조사와 두터운 협력관계를 20여 년 간 유지하며 우수한 품질의 제품을 국내에 공급하고 있습니다. 품질에 대한 신뢰도와 국내 시장의 높은 이해도 그리고 다년간 축적된 기술력을 바탕으로 CNG 버스 내압용기 시장의 100%를 점유하고 있습니다.(일진복합소재의 프로젝트성 부품 납품 제외)
당사는 천연가스 저장시스템과 공급시스템에 대한 많은 연구개발 경험과 노하우를 보유하고 있으며, 국내법에서 필요로 하는 내압용기 인증, 차량의 장착검사 등의 다양한 경험과 지식을 포함하여 국내 굴지의 완성차 제조사와 15년 이상의 업력을 자랑하고 있습니다. 또한, 당사가 제공한 시스템에 대한 사후 관리를 위해서 국내법에서 요구하는 가스시설시공업 1종과 종합정비업 자격기술을 보유하고 있으며, 2018년 제작자등 등록 (자동차 및 이륜차 제작)을 취득하였습니다.
(4) 신규사업
당사는 사업다각화 및 매출확대를 목표로 기존의 G-mobility 사업군에서는 LNG 연료저장시스템과 부속품 그리고 수소내연기관 자동차(HICEV)를 신규 사업으로 계획하였으며, E-mobility 사업군에서는 수소 연료저장시스템 및 부속품 그리고 더 나아가 수소연료전지(hydrogen fuel cell) 시스템 및 부속장치로 사업범위 확장을 위해 시장을 연구하고 사업에 대한 철저한 준비를 하고 있습니다.
- E-Mobility 자동차 사업
E-Mobility 란, electromobility의 축약형이며, 전력 구동 기술 사용과 관련된 개념입니다. 기존의 탄소배출 화석연료에서 외부 충전 방식 또는 연료전지로부터 전력을 공급받는 이동 수단 및 기술을 지칭합니다. 대표적인 것이 전기자동차와 수소자동차입니다. 화석연료를 사용하는 내연기관을 사용하지 않고 동력으로 전기를 사용하는 공통점이 있지만, 전기를 생성하는 방법, 충전시간, 주행거리 및 가격이 같지 않아 장단점이 존재합니다.
교통서비스 혹은 교통시스템은 인프라가 완벽한 화석연료 기반의 동력에서 전기 및 수소전기 동력으로 전환되고 있습니다. 이제는 대기환경을 해치는 자동차 배기가스를 줄여야 한다는 생각은 누구나 하고 있기 때문일 것입니다.
당사는 2000년 초반부터 친환경자동차인 CNG 버스관련 사업을 해왔고 이제는 한발 더 나아가 정부의 수소경제 활성화 로드맵의 발표에 따라 수소를 중요한 에너지원으로 사용하고, 수소가 국가경제, 사회전반, 국민 생활 등에 근본적 변화를 초래하여, 경제 성장과 친환경 에너지의 원천이 되는 수소경제에 발맞추어 새로운 성장 동력으로 당사는 차량용, 이동용, 저장용 수소 내압용기를 수입하여 OEM, 수소운송업체 또는 충전설비 업체 등에 저장시스템 형태 또는 부품으로 공급하는 사업과 수소연료전지와 그 부속장치 및 시스템 안전장치를 공급하는 사업을 진행하고 있습니다.
1) 수소경제 활성화 로드맵으로 보는 수소자동차 시장
정부에서 발표한 수소경제 활성화 로드맵에 따르면, 정부는 수소경제를 통해 자동차, 선박등 수송 분야와 전기, 열 생산등 에너지 분야까지 다양한 새로운 시장과 산업 창출이 가능하고, 수소 생산, 운송저장, 충전소등 인프라 구축은 연관산업 효과가 크고, 중소 중견기업의 투자와 고용창출이 가능한 미래 성장 산업으로 인식하는 한편, 온실가스 감축, 미세먼지 저감, 재생에너지 이용 확대 등 친환경 에너지 확산과 에너지원 다각화, 해외 에너지 의존도 감소등 에너지 자립에도 기여할 수 있다고 판단하여 수소경제를 혁신 성장의 새로운 성장 동력이면서 친환경 에너지의 원동력으로 인식하고 2040년까지 수소경제 활성화를 위한 큰 정책 방향성을 제시하였습니다.
주요 내용 중 당사와 관련이 있는 수소 모빌리티에 관련된 내용만 보면 정부는 2040년까지 수소차 620만대 (내수 290만대, 수출 330만대) 생산을 계획하고 있습니다.
가) 수소승용차
수소승용차 국내보급은 2017년까지 누적 177대(신규51대)에서 2018년 누적 889대(신규712대)로, 2019년 누적4,889대 (신규 4,000대)로, 2020년 누적 10,831대 (신규 5,687대), 2022년에는 누적 29,337대가 보급 되었습니다. 그리고 2040년까지 내수 290만대 보급을 목표로 하고 있습니다.
[수소자동차 등록현황]
년 도 |
2019년 |
2020년 |
2021년 | 2022년 | 2023년 | 2024년 |
비 고 |
---|---|---|---|---|---|---|---|
수소승용차 |
4,889대 |
10,831대 |
19,270 | 29,337 | 32,800 | 35,294 |
사업용 739대 |
수소버스 |
10대 |
75대 |
129 | 281 | 651 | 1,420 |
비사업용 63대 |
화물차 | - | 5 | 5 | 16 | 38 | 사업용 12대 |
나) 수소버스
2019년 7개 주요도시에 35대 보급사업을 시작으로, 20년 누적 75대를 보급 하였고, 경찰 버스 등 공공부문 버스를 수소버스로 전환하여 2040년 까지 내수 4만대 보급을 목표로 하고 있습니다.
다) 수소택시
2019년 서울에서 10대의 수소택시 시범사업을 추진하고, 2030년까지 내구성 (현재 20만km 내외)을 50만km 이상으로 향상하여 2040년까지 내수 8만대를 보급할 계획입니다.
라) 수소트럭
2020년 개발,실증단계를 거처 2021년부터 공공부문의 쓰레기수거차, 청소차, 살수차 등에 적용하고, 물류 등 민간 영역까지 단계적으로 확대하여 2040년까지 내수 3만대를 보급할 계획입니다. 현대자동차는 스위스의 유통, 물류기업 등 7개 고객사에 25년까지 1,600대의 수소트럭을 공급할 계획입니다.
[수소자동차 보급계획]
년 도 |
2030년 |
2040년 |
비 고 |
---|---|---|---|
수소승용차 |
810,000대 |
2,750,000대 |
국내 내수 물량 |
수소버스 |
20,000대 |
40,000대 |
국내 내수 물량 |
수소택시 |
10,000대 |
80,000대 |
국내 내수 물량 |
수소트럭 |
10,000대 |
30,000대 |
국내 내수 물량 |
합 계 |
850,000대 |
2,900,000대 |
국내 내수 물량 |
하지만, 수소충전소 구축이 늦어지고 있으며 현대자동차가 야심차게 개발 중인 3세대 수소연료전지의 생산이 늦어지며 초기 보급 계획 성과에 미달하고 있으나 정부와 업계의 지속적인 노력과 투자에 따라 점차 늘어날 것으로 보입니다.
마) 수소충전소
우리나라는 2018년 14개소가 구축 되었으며, 2021년 6월에 누적 88기의 수소충전소를 구축하여 운영중이며 2023년 까지 300개소, 2040년까지 1,200개소 이상을 구축할 계획입니다.
[수소충전소 구축 현황-2024년 12월 기준]
지역 |
경기 |
서울 |
인천 |
세종 |
충남 |
대전 |
전북 |
광주 |
전남 |
경남 |
부산 |
울산 |
대구 |
경북 |
충북 |
강원 |
합계 |
---|---|---|---|---|---|---|---|---|---|---|---|---|---|---|---|---|---|
충전소 |
68 |
15 |
25 | 6 | 24 |
14 |
29 | 15 | 13 | 43 | 24 | 25 |
6 |
23 | 34 | 19 | 386 |
출처: 수소지식그룹 H2월간수소경제
바) 저장, 운송
안정적이고 경제성 있는 수소유통체계 확립을 위하여 저장방식을 고압기체, 액체, 액상, 고체 등 다양화, 효율화하고 수소 수요 증가에 맞춰 튜브트레일러 및 파이프라인 활용을 확대합니다.
그리고 수소충전 인프라를 구축하고 운영하면서 우리나라 수소전기차 보급을 촉진하기 위한 특수목적법인인 HyNet과 상용차용 수소연료공급시설 구축을 위한 특수목적법인 코하이젠이 설립되면서 수소충전소 보급과 가스의 유통이 좀 더 수월해질 것으로 보입니다.
출처: 산업통상자원부 보도자료-정부, 수소경제 활성화 로드맵 발표
2) 수소자동차 산업전망
수소자동차는 높은 충전소 설치 비용과 자동차 가격 등으로 보급 속도가 더딜 것으로 예상되었으나, 각국의 환경규제정책과 자동차산업 육성정책에 따라 친환경차의 등장이 가속화될 전망입니다. 예를들어 수소자동차(넥쏘) 구매시 구매보조금(국비2,250만원 + 지자체 1,000~1,250만원) 혜택을 주고 있으며 세금을 절감해 주고 통행료 등의 감면 혜택이 있습니다.
수소버스의 경우 구매보조금 (국비 15,000만원 + 지자체 15,000만원), 수소트럭의 경우 국비 20,000만원과 지자체 보조금을 받을 수 있습니다. 특히 수소자동차 생산비용 및 수소충전 비용의 지속적 하락으로 수소자동차의 대중화가 전망되고 있습니다.
[주요국 수소연료전지차 보급 목표]
|
미국 |
중국 |
일본 |
독일 |
영국 |
프랑스 |
---|---|---|---|---|---|---|
‘18년 보급대수(대) |
3,700 |
1,200 |
2,300 |
900 |
900 |
900 |
‘30년 보급대수(대) |
1,000,000 |
1,000,000 |
800,000 |
1,800,000 |
1,600,000 |
800,000 |
3) 당사의 E-Mobility 자동차 사업
당사는 오랜기간 동안 해외 내압용기 및 부속품 회사들과 파트너로 협력해왔으며, 또한 국내 자동차 OEM에 공급사로 축적된 기술과 경험을 바탕으로 자동차용 압축천연가스 저장시스템 뿐만 아니라 E-Mobility(배터리 전기, 수소 자동차) 관련 사업을 계획하고 준비 중입니다.
해외 협력사의 부품과 당사의 시스템 설계 기술을 가지고 OEM에서 진행하는 수소자동차 부품 관련 입찰에 참여하고 있으며, 고객의 니즈를 파악하고 기술 습득을 위한 연구를 진행하고 있습니다.
앞으로 당사는 수소연료전지 모듈 및 부속품을 개발하고, 연료전지 Hybrid 시스템 관련 기술을 확보할 예정입니다.
자동차용 수소 저장시스템 기술 습득을 위한 연구로 현재 “강원도 소재부품장비 기업육성 및 기술 자립 프로젝트 사업”이라는 정부 연구과제에 참여하여 21년 11월에성공리에 완료 하였으며, 울산광역시와 수소전기 하이브리드 버스 개발 및 실증 업무 협약을 21년 6월에 체결하여 22년에 6월에 종료 하였습니다.
이 협약에는 울산시, 울산테크노파크, 에이팸, 케이에이알, 성산브이씨씨, 오토렉스, 서울버스, 차파트너스 등이 참여하였습니다.또한 정부과제 45인승 저상 수소발전 하이브리드 버스 개발에 참여하여 개발 중 정부의 연구비 삭감등으로 중도에 포기한 사례도 있습니다.
수소전기 하이브리드버스는 수소연료전지에서 생산된 전기를 자동차 배터리에 저장한 후 배터리의 전기를 주로 이용하여 모터를 구동하는 방식으로 개발 및 실증이 완료되면 울산광역시 뿐만 아니라 수도권까지 보급할 것으로 기대하고 있습니다.
본 사업에서 당사는 주요 부품인 수소연료전지 시스템과 자동차용 수요연료저장 시스템을 담당 하였습니다.
아래 열거된 내용은 당사가 취급할 제품들이며 자동차 중심에서 선박과 기차 등 유사 분야의 시장을 확대하여 사업을 확장할 계획입니다.
가) 자동차용 수소 저장시스템
- 자동차용 수소연료 충전 모듈
- 자동차용 수소연료 저장 모듈
- 자동차용 수소연료 공급 모듈
나) 자동차용 수소연료전지 시스템
- 자동차용 수소연료전지와 그 부속 장치
- 자동차용 수소연료전지 시스템 안전장치
(5) 조직도
부서명 |
분장업무 |
기술연구소 |
자동차용 천연가스, 수소 연료저장 시스템 및 차량/엔진 부품 개발 등. 엔진동력시험 및 배기가스 관련 시험, 협력업체 개발 등 |
경영기획부 |
경영지원팀 : 경영지원 전반적인 업무.(재무, 회계, 인사, 총무) |
구매팀 : 외자구매, 무역, 해외 협력사 관련 업무. |
|
품질팀 : 품질경영, 품질보증, OEM 사후 대응, 차량 구조변경 등 |
|
영업팀 |
영업관리, 생산관리, 품질관리, 자재관리 및 마케팅 업무, OEM 고객 대응 업무 등. |
생산팀 |
자동차용 연료저장 시스템의 생산, 제품검사, 납품, 생산/검사 설비의 관리 등 (OEM) |
가. 해당 사업연도의 영업상황의 개요
1996년 CNG 연료저장 시스템을 국내 최초로 개발하였습니다. 2000년 현대자동차와 자일상용차(구 대우버스)에 53대의 천연가스 자동차(NGV)용 압축천연가스(CNG) 연료 저장 및 공급시스템을 납품하는 것을 기점으로 연간 최대 2,000개의 모듈 및 각종 부속품을 국내 상용차 시장에 공급하고 있는 기업입니다. 또한, 당사는 2001년 천연가스자동차 기술연구소를 설립하여 천연가스자동차(NGV)을 시작으로 현재는 압축수소(CH2)를 연료로 하는 하이브리드 수소전지전기자동차(Hybrid-FCEV)의 연료 저장 및 공급 시스템을 통합하는 핵심 역량을 보유한 글로벌 선도 기업으로 자리매김하게 되었습니다.
제품으로는 차량 연료 시스템과 압축천연가스(CNG), 재생천연가스(RNG), 액체천연가스(LNG), 압축수소가스(CH2) 차량 연료 시스템 등이 있습니다.
또한, 당사는 글로벌 에너지 전환 기회를 지속 가능한 성장과 건전한 수익성 확보의 기회로 만들기 위해 g-모빌리티 (gas-Mobility)사업을 e-모빌리티(electric-Mobility) 사업으로 확장을 위해 모든 역량을 집중하고 있으며 더욱 강화하고 있습니다.
나. 해당 사업연도의 대차대조표(재무상태표)ㆍ손익계산서(포괄손익계산서)ㆍ이익잉여금처분계산서(안) 또는 결손금처리계산서(안)
* 하기 25기 개별 재무제표는 회부감사인의 감사가 종료되기 이전의 정보이므로 외부감사인의 감사결과 및 주주총회 승인과정에서 변경될 수 있습니다.
- 대차대조표(재무상태표)
<대 차 대 조 표(재 무 상 태 표)>
제 25기 2024년 12월 31일 현재 |
제 24기 2023년 12월 31일 현재 |
(단위 :원 ) |
과 목 | 제 25(당) 기 | 제 24(전) 기 | ||
---|---|---|---|---|
자 산 | ||||
Ⅰ. 유동자산 | 649,930,568 | 541,052,987 | ||
(1) 당좌자산 | 641,714,013 | 531,532,982 | ||
현금및현금성자산(주12) | 257,520,198 | 156,763,042 | ||
매출채권(주4) | 503,446,298 | 422,780,862 | ||
대손충당금 | (133,822,237) | (58,250,922) | ||
주임종단기채권 | - | 10,000,000 | ||
미수금 | 7,500,000 | 240,000 | ||
부가세대급금 | 7,069,754 | - | ||
(2) 재고자산(주5) | 8,216,555 | 9,520,005 | ||
원재료 | 2,250,186,831 | 2,327,099,719 | ||
평가손실충당금 | (2,241,970,276) | (2,317,579,714) | ||
Ⅱ. 비유동자산 | 217,562,876 | 176,720,762 | ||
(1) 투자자산 | 63,968,000 | 55,226,480 | ||
매도가능증권(주석6) | 63,968,000 | 55,226,480 | ||
(2) 유형자산(주7,14) | 3,117,836 | 6,767,042 | ||
차량운반구 | 133,455,970 | 133,455,970 | ||
감가상각누계액 | (133,446,970) | (133,446,970) | ||
비품 | 687,368,940 | 689,040,940 | ||
감가상각누계액 | (684,360,104) | (682,382,898) | ||
금형 | 246,534,358 | 246,534,358 | ||
감가상각누계액 | (246,511,358) | (246,511,358) | ||
기계장치 | 819,918,518 | 819,918,518 | ||
감가상각누계액 | (819,841,518) | (819,841,518) | ||
(3) 무형자산(주8) | 38,749,800 | - | ||
소프트웨어 | 38,749,800 | - | ||
(4) 기타비유동자산 | 111,727,240 | 114,727,240 | ||
임차보증금 | 110,000,000 | 113,000,000 | ||
기타보증금 | 1,727,240 | 1,727,240 | ||
자 산 총 계 | 867,493,444 | 717,773,749 | ||
부 채 | ||||
Ⅰ. 유동부채 | 2,303,157,741 | 1,240,887,651 | ||
매입채무 | 1,493,030 | 1,493,030 | ||
미지급금 | 51,654,167 | 38,369,150 | ||
선수금 | 1,000,000 | 1,000,000 | ||
예수금 | 4,560,610 | 7,450,890 | ||
부가세예수금 | - | 20,161,232 | ||
선수수익 | 3,992,000 | - | ||
단기차입금(주9,23) | 2,104,640,000 | 1,104,640,000 | ||
미지급비용 | 135,817,934 | 67,773,349 | ||
Ⅱ. 비유동부채 | 325,206,774 | 492,857,753 | ||
임대보증금 | - | 15,500,000 | ||
퇴직급여충당부채(주11) | 444,045,620 | 592,619,824 | ||
퇴직연금운용자산 | (118,838,846) | (115,262,071) | ||
부 채 총 계 | 2,628,364,515 | 1,733,745,404 | ||
자 본 | ||||
Ⅰ. 자본금(주15) | 3,010,000,000 | 3,010,000,000 | ||
자본금 | 3,010,000,000 | 3,010,000,000 | ||
Ⅱ. 자본잉여금(주16) | 10,130,859,394 | 10,130,859,394 | ||
감자차익 | 10,130,859,394 | 10,130,859,394 | ||
Ⅲ. 기타포괄손익누계액 | 8,741,520 | |||
매도가능증권평가이익(주6) | 8,741,520 | - | ||
IV. 결손금(주석17) | 14,910,471,985 | 14,156,831,049 | ||
미처리결손금 | (14,910,471,985) | (14,156,831,049) | ||
자 본 총 계 | (1,760,871,071) | (1,015,971,655) | ||
부채와자본총계 | 867,493,444 | 717,773,749 |
- 손익계산서(포괄손익계산서)
<손 익 계 산 서(포 괄 손 익 계 산 서)>
제 25 기 (2024년01월01일부터2024년12월31일까지 ) |
제 24 기 (2023년01월01일부터2023년12월31일까지) |
(단위 :원 ) |
과 목 | 제 25(당) 기 | 제 24(전) 기 | ||
---|---|---|---|---|
I. 매출액(주18) | 645,182,894 | 698,368,598 | ||
II. 매출원가(주19) | 390,669,730 | 1,580,385,885 | ||
III. 매출총이익 | 254,513,164 | (882,017,287) | ||
IV. 판매비와관리비(주19) | 945,988,233 | 1,202,573,709 | ||
급여 | 356,194,429 | 474,914,333 | ||
퇴직급여 | (61,181,147) | 67,196,799 | ||
복리후생비 | 46,717,698 | 46,386,323 | ||
여비교통비 | 9,956,351 | 13,422,282 | ||
접대비 | 2,093,700 | 2,934,800 | ||
통신비 | 1,945,371 | 3,868,319 | ||
수도광열비 | 418,210 | 422,843 | ||
전력비 | 23,170,476 | 22,228,178 | ||
세금과공과금 | 22,365,952 | 24,125,575 | ||
감가상각비 | 2,102,884 | 6,222,725 | ||
무형자산상각비 | 1,336,200 | - | ||
지급임차료 | 181,988,688 | 196,737,933 | ||
수선비 | - | 200,000 | ||
보험료 | 20,149,152 | 26,486,190 | ||
차량유지비 | 25,366,756 | 20,325,446 | ||
운반비 | 3,662,880 | 2,386,550 | ||
교육훈련비 | 193,000 | 190,400 | ||
도서인쇄비 | 392,776 | 1,612,080 | ||
소모품비 | 3,441,420 | 3,741,733 | ||
지급수수료 | 207,379,979 | 200,838,611 | ||
연구개발비 | 8,177,600 | 92,623,607 | ||
대손상각비 | 75,571,315 | (19,476,659) | ||
리스료 | 6,894,543 | 6,981,816 | ||
협회비 | 7,650,000 | 8,203,825 | ||
V. 영업이익(손실) | (691,475,069) | (2,084,590,996) | ||
VI. 영업외수익 | 7,527,419 | 127,938,983 | ||
이자수익 | 4,473,106 | 3,061,400 | ||
외환차익 | 132,047 | 475,260 | ||
외화환산이익 | 232,521 | 13,229 | ||
정부보조금(주10) | - | 120,957,135 | ||
잡이익 | 2,689,745 | 3,431,959 | ||
VII. 영업외비용 | 69,693,286 | 30,788,700 | ||
이자비용 | 68,044,585 | 28,892,889 | ||
외환차손 | 622,087 | 1,729,747 | ||
잡손실 | 1,026,614 | 166,064 | ||
VIII. 법인세비용차감전순이익(손실) | (753,640,936) | (1,987,440,713) | ||
IX. 법인세비용(주20) | - | - | ||
X. 당기순이익(손실) | (753,640,936) | (1,987,440,713) | ||
XI. 주당손익(주21) | ||||
기본주당순손실 | (125) | (330) | ||
희석주당순손실 | (125) | (330) |
- 이익잉여금처분계산서(안) 또는 결손금처리계산서(안)
<이익잉여금처분계산서 / 결손금처리계산서>
제 25 기 (2024년01월01일부터2024년12월31일까지 ) |
제 24 기 (2023년01월01일부터2023년12월31일까지) |
(단위 : 원 ) |
구분 | 제 25(당) 기 | 제 24(전) 기 | ||
---|---|---|---|---|
Ⅰ. 미처리결손금 | (14,910,471,985) | (14,156,831,049) | ||
1. 전기이월미처리결손금 | (14,156,831,049) | (12,169,390,336) | ||
2. 당기순이익(손실) | (753,640,936) | (1,987,440,713) | ||
Ⅱ. 차기이월미처리결손금 | (14,910,471,985) | (14,156,831,049) |
- 최근 2사업연도의 배당에 관한 사항
해당사항 없습니다.
가. 이사의 수ㆍ보수총액 내지 최고 한도액
(당 기)
이사의 수 (사외이사수) | 4명 (0) |
보수총액 또는 최고한도액 | 300,000,000원 |
(전 기)
이사의 수 (사외이사수) | 3명 (0) |
실제 지급된 보수총액 | 184,056,284원 |
최고한도액 | 300,000,000원 |
*이사(1인) 무보수
※ 기타 참고사항
가. 감사의 수ㆍ보수총액 내지 최고 한도액
(당 기)
감사의 수 | 1명 |
보수총액 또는 최고한도액 | 30,000,000원 |
(전 기)
감사의 수 | 1명 |
실제 지급된 보수총액 | 12,480,000원 |
최고한도액 | 30,000,000원 |
※ 기타 참고사항
제출(예정)일 | 사업보고서 등 통지 등 방식 |
---|---|
※ 감사보고서는 2025년 3월 17일 이전 금융감독원 전자공시시스템 (http://dart.fss.or.kr)에 공시 예정입니다.
- 상법시행령 제31조(주주총회의 소집공고) 제4항 제4호에 의거하여 제 25기(2024 회계연도) 사업보고서 및 감사보고서를 주주총회 개최 1주전까지 전자공시시스템(http://dart.fss.or.kr)에 공시 및 당사 홈페이지 (http://ngvi.co.kr)에 게재할 예정입니다. - 사업보고서는 향후 오기 등이 있거나 주주총회 이후 변경사항이 있는 경우 수정될 수 있으 며, 수정된 사업보고서는 전자공시시스템(http://dart.fss.or.kr)에 정정보고서를 공시할 예정 이므로 참조하시기 바랍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