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2025 년 03 월 14 일 | ||
| 회 사 명 : | (주)엄지하우스 | |
| 대 표 이 사 : | 정재호, 정석환 | |
| 본 점 소 재 지 : | 서울특별시 강남구 테헤란로28길 25 | |
| (전 화)02-550-7800 | ||
| (홈페이지)http://www.eomjihouse.co.kr/ | ||
| 작 성 책 임 자 : | (직 책)부서장 | (성 명)남정훈 |
| (전 화)02-550-7819 | ||
| ( 제39기 정기) |
주주님의 건승과 댁내의 평안을 기원합니다.우리회사 정관 제21조에 의하여 주주총회를 아래와 같이 소집하오니 참석하여 주시기 바랍니다.(*소액주주에 대한 소집통지는 상법 제542조의 4 및 당사 정관 23조에 에 의거하여 이공고로 갈음하오니 양지하여 주시기 바랍니다.) ----- 아 래 -----1. 일 시 : 2025년 3월 31일 (월요일) 오전 8시 30분2. 장 소 : 서울시 강남구 테헤란로 28길 25 당사 본점 지하1층 대회의실
3. 회의목적사항[보고사항] 가. 감사보고 및 영업보고 나. 내부회계관리제도 운영실태보고 다. 외부감사인 선임보고 [부의안건] 제1호 의안 : 제39기 (2024. 1. 1 ~ 2024. 12. 31)재무제표 승인의 건 제2호 의안 : 이사 보수한도 승인의 건(20억) 제3호 의안 : 감사 무보수의 건4. 주주총회 참석시 준비물 - 직접행사 : 주총참석장, 신분증 - 대리행사 : 주총참석장, 위임장(주주와 대리인의 인적사항 기재, 개인(법인) 인감 날인 및 임감증명서), 대리인 신분증5. 기타
- 주주총회 기념품 및 주주담례품은 지급하지 아니하오니 이점 양지하시기 바랍니다.
| 회차 | 개최일자 | 의안내용 | 사외이사 등의 성명 | |||
|---|---|---|---|---|---|---|
| A(출석률: %) | B(출석률: %) | C(출석률: %) | D(출석률: %) | |||
| 찬 반 여 부 | ||||||
| - | - | - | - | - | - | - |
| 위원회명 | 구성원 | 활 동 내 역 | ||
|---|---|---|---|---|
| 개최일자 | 의안내용 | 가결여부 | ||
| - | - | - | - | - |
| (단위 : 원) |
| 구 분 | 인원수 | 주총승인금액 | 지급총액 | 1인당 평균 지급액 | 비 고 |
|---|---|---|---|---|---|
| - | - | - | - | - | - |
| (단위 : 억원) |
| 거래종류 | 거래상대방(회사와의 관계) | 거래기간 | 거래금액 | 비율(%) |
|---|---|---|---|---|
| - | - | - | - | - |
| (단위 : 억원) |
| 거래상대방(회사와의 관계) | 거래종류 | 거래기간 | 거래금액 | 비율(%) |
|---|---|---|---|---|
| - | - | - | - | - |
1. 산업의 특성
실내건축업은 실내 공간의 기능, 구조, 미의 3가지 요소를 갖춘 공간을 계획 및 설계, 시공하는 분야로 기능적 조건뿐만 아니라 인간의 예술적, 정서적 욕구까지 만족시킬 수 있도록 실내 환경 및 건축적 이해를 토대로 기능적, 합리적 업무 수행을 위한 전문지식 및 노하우가 동시에 요구되는 분야입니다.
국내의 주요시장은 주거공간, 상업공간, 레져 및 국가기간산업공간, 오피스 공간, 기타특수시설 등으로 나누어 볼 수 있으며, 특히 주거공간의 고급화, 상업공간의 공간디자인 및 마케팅화를 통한 브랜드 가치제고 등의 다양한 수요에 최적화된 인테리어 및 디자인이 중요시 되고 있습니다.
이는 실내건축 및 디자인산업에 대한 시각이 변화하고 있는 것으로, 단순히 사람이 머무를 수 있는 장소를 제공하기 위한 건설마무리 공사라는 시각에서 이제는 목적에 맞는 최적의 생활공간을 제공하는 공간 창출 산업이며, 이를 기반으로 실내에 머무르는 사람들과 장소를 제공하는 공급자 상호간 최고의 가치 창출을 가능하게 하는 기반산업으로서의 역할을 보여주는 것입니다.
2. 산업의 성장성
실내건축공사 및 디자인산업은 우리나라의 경제성장으로 건설업과 함께 급격한 성장을 했습니다. 특히 국민생활수준 향상에 따른 실내인테리어 및 디자인에 대한 관심증가와 리모델링 시장의 확대에 따라 지속적인 성장세를 보이고 있습니다. 또한 주요기업 및 상업시설 등의 경우에도 공간가치 창출에 대한 중요성을 인식함에 따라 동 산업에 대한 지속적인 투자와 지출이 이어질 것으로 예상되고 있습니다.
3. 경기변동의 특성
실내건축공사 및 디자인산업은 건설경기에만 직접적인 영향을 받기 보다는 국민총생산(GNI), 국민생활 및 소득수준과 밀접한 연관이 있는 산업입니다. 국민총생산과 소득수준은 지속적으로 증가하고 있는 추세이며 의식주 기본생활에 대한 관심증대와 질적욕구 향상으로 인해 실내건축공사업 및 디자인 산업에 대한 관심과 지출수준은 지속적으로 증가 할 것으로 판단됩니다.
(1) 영업개황 및 사업부문의 구분
(가) 영업개황
글로벌 경제 성장 둔화와 불확실성으로 인해 시장이 위축되었으며 원자재 가격 상승, 고환율 등 복합적인 악재로 경기 침체가 장기화 되고 있으나, 내부적으로는 시장별대규모 프로젝트 및 고부가가치 프로젝트들의 수주를 이뤄냈습니다. 금년에도 대규모 복합시설, 오피스빌딩, 호텔 등 고부가가치 프로젝트들의 수주, 기존의 시공 노하우와 기술력, 설계 및 디자인의 전문성을 바탕으로 지속적 매출 성장과 함께 수익의 안정화를 달성할 수 있을 것으로 예상됩니다.
(나) 공시대상 사업부문의 구분
매출액의 구성은 실내건축공사, 설계, 분양매출 수익으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분양수익의 경우, 분양계약이 체결된 부분에 한하여 총분양예정원가 대비 실제 분양원가 발생액의 비율에 의한 진행기준에 의하여 분양수익을 인식하고 있습니다.
| (단위 : 백만원) |
|
구분 |
구분 |
2022년 | 2023년 | 2024년 |
|---|---|---|---|---|
| (제 37기) | (제 38기) | (제 39기) | ||
| 금액 | 금액 | 금액 | ||
|
실내건축공사 |
수출 |
- | - | - |
|
내수 |
30,514 | 76,908 | 68,053 | |
|
소계 |
30,514 | 76,908 | 68,053 | |
|
분양매출 |
수출 |
- | - | - |
|
내수 |
4,388 | 5,657 | 12,176 | |
|
소계 |
4,388 | 5,657 | 12,176 | |
|
설계 및 디자인 |
수출 |
- | - | - |
|
내수 |
1,608 | 1,492 | 1,274 | |
|
소계 |
1,608 | 1,492 | 1,274 | |
|
상품매출 |
수출 |
- | - | - |
|
내수 |
- | - | - | |
|
소계 |
- | - | - | |
|
합 계 |
수출 |
- | - | - |
|
내수 |
36,510 | 84,057 | 81,503 | |
|
소계 |
36,510 | 84,057 | 81,503 |
(2) 시장점유율
우리나라 인테리어산업은 프로젝트 수주에 있어서 디자인, 설계, 기획, 시공등으로 토탈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는 경쟁력있는 소수의 기업들이 공사를 점유하고 있는 현황입니다. 당사는 40여년간 쌓은 노하우를 바탕으로 전반적 실내건축 및 디자인 사업진행시 필요로 하는 전체 프로세스를 고품질서비스로 제공할 수 있는 역량을 보유한 경쟁력 있는 기업으로 자리매김 하고 있습니다.
(3) 시장의 특성
실내건축공사업 및 디자인 산업은 건설경기에만 직접적 영향을 받기 보다는, 국민총생산(GNI), 국민생활 및 소득수준과 밀접한 연관 있는 산업입니다. 국민총생산과 소득수준은 지속적으로 증가하고 있는 추세이며, 의식주 기본생활에 대한 관심 증대와 질적욕구 향상으로 인해 실내건축공사업 및 디자인 산업에 대한 관심과 지출 수준은 지속적으로 증가 할 것으로 판단됩니다.
<실내건축공사업의 영역, 용도 및 구성비중>
|
영역 |
용도 |
비율 |
|---|---|---|
|
주거공간 |
주택, 아파트, 고급빌라 |
42.3% |
|
상업공간 |
백화점, 할인점, 쇼핑센터 |
6.4% |
|
숙박공간 |
호텔, 콘도, 숙박시설 |
3% |
|
업무공간 |
사무실, 오피스 |
11.1% |
|
기타 |
기타 |
37.2% |
|
합계 |
|
100% |
(출처 : 대한전문건설협회)
상기의 표에서와 같이 주거공간에 대한 실내건축공사 비중이 42.3%로 가장 높은 비중을 차지하고 있으며, 주거 시장은 단독 및 연립주택, 저층부터 고층 그리고 초고층 아파트로 다양하게 구분되어지고 있습니다. 이 중 수익성이 낮은 소규모 공사에 대하여 하도급 업체가 난립하고 있는 상황에 경쟁이 치열해지고 있는 실정입니다.
반면, 수익성이 높으며 고부가가치산업인 백화점, 호텔 및 사무실 등의 상업시설, 숙박시설 및 업무시설은 시공능력이 일정수준 이상인 소수 지정 업체가 수주 경쟁을 하고 있습니다. 대규모 프로젝트의 경우 상위업체들이 공사를 이끌어 갈 시공능력이 있기 때문에 수주에 있어서 당사는 충분한 경쟁력을 가지고 있습니다. 따라서 이러한 선별적 수주로 상대적으로 높은 수익성을 실현하고 있습니다.
(4) 신규사업 등의 내용 및 전망
당해 사업연도에 새로이 추진하였거나 이사회 결의 등을 통하여 향후 새로이 추진하기로 한 구체화된 신규사업은 없습니다.
(5) 조직도
제1호 의안 : 제39기 (2024. 1. 1 ~ 2024. 12. 31)재무 제표 승인의 건
가. 해당 사업연도의 영업상황의 개요
'Ⅲ. 경영참고사항' 중 '1. 사업의 개요. 나. 회사의 현황' 중 '(1) 영업개황 및 사업부문의 구분' 참조
나. 해당 사업연도의 대차대조표(재무상태표)ㆍ손익계산서(포괄손익계산서)ㆍ이익잉여금처분계산서(안) 또는 결손금처리계산서(안)
| ※ 아래의 재무제표는 회계감사가 완료되지 않은 재무제표이며, 회계감사 결과에 따라 변경/변동될 수 있음을 알려드립니다. 외부감사인의 감사의견을 포함한 최종 재무제표는 향후 전자공시시스템(http://dart.fss.or.kr)에 공시예정인 당사의 사업보고서 및 감사보고서를 참조하시기 바랍니다. 또한 당해 법인의 주주총회 승인 절차를 거쳐 확정된 재무제표가 아니므로 동 승인 과정에서 변동될 수 있습니다. |
- 대차대조표(재무상태표)
| <대 차 대 조 표(재 무 상 태 표)> |
| 제 39(당) 기 2024. 12. 31 현재 |
| 제 38(전) 기 2023. 12. 31 현재 |
| (단위 : 원) |
| 과 목 | 제 39(당) 기 기말 | 제 38(전) 기 기말 |
|---|---|---|
| Ⅰ. 유동자산 | 51,792,537,299 | 72,742,057,680 |
| 현금및현금성자산 | 8,415,377,990 | 1,887,796,197 |
| 단기금융상품 | 223,500,000 | - |
| 매출채권 | 1,518,386,814 | 15,542,465,395 |
| 미청구공사 | 991,668,402 | 2,080,648,324 |
| 기타수취채권 | 328,245,500 | 2,379,436,749 |
| 재고자산 | 40,018,121,601 | 50,101,392,500 |
| 당기법인세자산 | 73,347,280 | 3,326,750 |
| 기타자산 | 223,889,712 | 746,991,765 |
| Ⅱ. 비유동자산 | 14,701,271,158 | 8,494,575,335 |
| 장기금융상품 | - | 2,300,000 |
| 당기손익공정가치측정금융자산 | 3,244,886,994 | 1,009,453,833 |
| 관계기업투자 | - | 1,205,000,000 |
| 유형자산 | 9,844,738,278 | 4,159,440,760 |
| 투자부동산 | 270,682,228 | 606,596,797 |
| 무형자산 | 341,787,220 | 376,712,220 |
| 기타수취채권 | 616,655,710 | 604,172,710 |
| 이연법인세자산 | 382,520,728 | 530,899,015 |
| 자 산 총 계 | 66,493,808,457 | 81,236,633,015 |
| Ⅰ. 유동부채 | 50,393,849,949 | 58,872,081,060 |
| 매입채무 | 16,139,843,264 | 19,606,516,472 |
| 단기차입금 | 15,811,060,036 | 26,637,128,069 |
| 유동성장기차입금 | 2,210,000,000 | - |
| 초과청구공사 | 13,889,307,179 | 8,156,504,944 |
| 기타지급채무 | 1,216,448,956 | 2,169,031,541 |
| 기타부채 | 736,386,562 | 2,302,900,034 |
| 충당부채 | 390,803,952 | - |
| Ⅱ. 비유동부채 | 7,806,602,291 | 10,594,476,065 |
| 장기차입금 | 7,190,000,000 | 9,130,000,000 |
| 충당부채 | - | 437,556,020 |
| 기타지급채무 | 616,602,291 | 1,026,920,045 |
| 부 채 총 계 | 58,200,452,240 | 69,466,557,125 |
| Ⅰ. 자본금 | 2,100,000,000 | 2,100,000,000 |
| Ⅱ. 자본잉여금 | 2,891,871,500 | 2,891,871,500 |
| Ⅲ. 기타자본 | (594,923,530) | (594,923,530) |
| Ⅳ. 기타포괄손익누계액 | (393,200,000) | (311,021,200) |
| Ⅴ. 이익잉여금 | 4,289,608,247 | 7,684,149,120 |
| 자 본 총 계 | 8,293,356,217 | 11,770,075,890 |
| 부 채 및 자 본 총 계 | 66,493,808,457 | 81,236,633,015 |
- 손익계산서(포괄손익계산서)
| <손 익 계 산 서(포 괄 손 익 계 산 서)> |
| 제 39(당) 기 (2024. 01. 01 부터 2024. 12. 31 까지) |
| 제 38(전) 기 (2023. 01. 01 부터 2023. 12. 31 까지) |
| (단위 : 원) |
| 과 목 | 제 39(당) 기 | 제 38(전) 기 |
|---|---|---|
| 매출액 | 81,503,104,954 | 84,057,378,418 |
| 매출원가 | 71,784,467,717 | 76,498,690,826 |
| 매출총이익 | 9,718,637,237 | 7,558,687,592 |
| 판매비와관리비 | 8,448,748,754 | 9,479,919,947 |
| 영업손익 | 1,269,888,483 | (1,921,232,355) |
| 금융수익 | 95,915,827 | 358,048,510 |
| 금융비용 | 3,313,697,587 | 5,423,652,006 |
| 기타수익 | 44,324,892 | 1,419,789,002 |
| 기타비용 | 1,107,433,108 | 252,918,631 |
| 지분법손익 | (189,380,416) | (358,639,113) |
| 법인세비용차감전순손익 | (3,200,381,909) | (6,178,604,593) |
| 법인세비용 | 194,158,964 | (108,930,702) |
| Ⅰ. 당기순손익 | (3,394,540,873) | (6,069,673,891) |
| Ⅱ. 법인세차감후 기타포괄손익 | (82,178,800) | (393,200) |
| Ⅲ. 총포괄손익 | (3,476,719,673) | (6,070,067,091) |
| Ⅳ. 주당손익 | - | - |
| 기본주당순손익 | (836) | (1,495) |
| 희석주당순손익 | (836) | (1,495) |
- 이익잉여금처분계산서(안) 또는 결손금처리계산서(안)
| <이익잉여금처분계산서 / 결손금처리계산서> |
| 제 39(당) 기 (2024. 01. 01 부터 2024. 12. 31 까지) |
| 제 38(전) 기 (2023. 01. 01 부터 2023. 12. 31 까지) |
| (단위 : 원) |
| 과 목 | 제 39(당) 기 | 제 38(전) 기 | ||
|---|---|---|---|---|
|
I. 미처분이익잉여금 |
(1,222,957,763) | 2,171,583,110 | ||
|
전기이월미처분이익잉여금 |
2,171,583,110 | 8,241,257,001 | ||
|
회계정책의 변경으로 인한 누적효과 |
- | - | ||
|
당기순이익 |
(3,394,540,873) | (6,069,673,891) | ||
|
II. 이익잉여금 처분액 |
- | - | ||
|
이익준비금 |
- | - | ||
|
현금배당금(주당배당금(률): 보통주: 당기 - 원(0%) 전기 - 원(0%)) |
- | - | ||
|
III. 차기이월미처분이익잉여금 |
(1,222,957,763) | 2,171,583,110 | ||
- 자본변동표
| <자본변동표> |
| 제 39(당) 기 (2024. 01. 01 부터 2024. 12. 31 까지) |
| 제 38(전) 기 (2023. 01. 01 부터 2023. 12. 31 까지) |
| (단위 : 원) |
| 과 목 | 자본금 | 자본잉여금 | 기타자본 | 이익잉여금 | 자본총계 |
|---|---|---|---|---|---|
|
2023년 1월 1일(전기초) |
2,100,000,000 | 2,891,871,500 | (905,551,530) | 13,753,823,011 | 17,840,142,981 |
|
총포괄손익 |
|||||
|
당기순이익(손실) |
- | - | - | (6,069,673,891) | (6,069,673,891) |
| 기타포괄손익-공정가치측정금융자산 | - | - | (393,200) | (393,200) | |
|
자본에 직접 인식된 주주와의 거래 등 |
|||||
|
2023년 12월 31일(전기말) |
2,100,000,000 | 2,891,871,500 | (905,944,730) | 7,684,149,120 | 11,770,075,890 |
|
2024년 1월 1일(당기초) |
2,100,000,000 | 2,891,871,500 | (905,944,730) | 7,684,149,120 | 11,770,075,890 |
|
총포괄손익 |
|||||
|
당기순이익(손실) |
- | - | - | (3,394,540,873) | (3,394,540,873) |
| 매도가능증권평가손익 | (82,178,800) | (82,178,800) | |||
|
2024년 12월 31일(당기말) |
2,100,000,000 | 2,891,871,500 | (988,123,530) | 4,289,608,247 | 8,293,356,217 |
- 현금흐름표
| <현금흐름표> |
| 제 39(당) 기 (2024. 01. 01 부터 2024. 12. 31 까지) |
| 제 38(전) 기 (2023. 01. 01 부터 2023. 12. 31 까지) |
| (단위 : 원) |
| 과 목 | 제 39(당) 기 | 제 38(전) 기 | ||
|---|---|---|---|---|
| Ⅰ. 영업활동현금흐름 | 23,858,555,238 | 6,019,194,787 | ||
| 영업으로부터 창출된 현금흐름 | 26,133,548,948 | 8,619,515,847 | ||
| 이자의 수취 | 287,461,329 | 35,120,114 | ||
| 이자의 지급 | (2,376,190,032) | (2,719,862,854) | ||
| 배당금의 수취 | 11,715,000 | 53,590,000 | ||
| 법인세의 납부 | (197,980,007) | 30,831,680 | ||
| Ⅱ. 투자활동현금흐름 | (5,900,654,897) | 3,611,859,606 | ||
| 1. 투자활동으로 인한 현금유입액 | 642,092,000 | 4,059,246,864 | ||
| 단기대여금의 감소 | 190,008,000 | - | ||
| 임차보증금의 감소 | 188,084,000 | 41,143,500 | ||
| 당기손익공정가치측정금융자산의 처분 | 264,000,000 | 1,015,355,950 | ||
| 유형자산의 처분 | - | 711,229,000 | ||
| 무형자산의 처분 | - | 439,904,779 | ||
| 투자부동산의 처분 | - | 1,851,613,635 | ||
| 2. 투자활동으로 인한 현금유출액 | 6,542,746,897 | 447,387,258 | ||
| 단기대여금의 증가 | 15,000,000 | - | ||
| 임차보증금의 증가 | 311,564,000 | - | ||
| 기타보증금의 증가 | 7,000,000 | 500,000 | ||
| 당기손익-공정가치측정금융자산의 취득 | 744,494,830 | 342,147,349 | ||
| 단기금융상품의 취득 | 221,200,000 | - | ||
| 장기금융상품의 취득 | - | 1,200,000 | ||
| 유형자산의 취득 | 5,243,488,067 | 50,539,909 | ||
| 무형자산의 취득 | - | 53,000,000 | ||
| Ⅲ. 재무활동현금흐름 | (11,430,318,548) | (9,498,368,989) | ||
| 1. 재무활동으로 인한 현금유입액 | 23,100,000,000 | 21,986,707,070 | ||
| 단기차입금의 증가 | 23,100,000,000 | 16,956,707,070 | ||
| 장기차입금의 증가 | - | 5,030,000,000 | ||
| 2. 재무활동으로 인한 현금유출액 | 34,530,318,548 | 31,485,076,059 | ||
| 단기차입금의 감소 | 32,762,398,142 | 29,313,874,465 | ||
| 장기차입금의 감소 | 1,030,000,000 | 1,535,000,000 | ||
| 리스부채의 감소 | 737,920,406 | 636,201,594 | ||
| 배당금의 지급 | - | - | ||
| Ⅳ. 현금및현금성자산의 증가(감소)(Ⅰ+Ⅱ+Ⅲ) | 6,527,581,793 | 132,685,404 | ||
| Ⅴ. 기초 현금및현금성자산 | 1,887,796,197 | 1,755,110,793 | ||
| Ⅵ. 기말 현금및현금성자산 | 8,415,377,990 | 1,887,796,197 | ||
- 최근 2사업연도의 배당에 관한 사항
|
구 분 |
제 39 기 |
제 38 기 |
|---|---|---|
|
1. 1주당배당금(원) |
- | - |
|
2. 시가배당률(%) |
- | - |
|
3. 배당금총액(원) |
- | - |
제2호 의안 : 이사 보수한도 승인의 건(20억)
가. 이사의 수ㆍ보수총액 내지 최고 한도액
(당 기)
| 이사의 수 (사외이사수) | 3 ( - ) |
| 보수총액 또는 최고한도액 | 20억원 |
(전 기)
| 이사의 수 (사외이사수) | 3 ( - ) |
| 실제 지급된 보수총액 | 1,147백만원 |
| 최고한도액 | 20억원 |
※ 기타 참고사항
해당사항 없음.
제3호 의안 : 감사 무보수의 건가. 감사의 수ㆍ보수총액 내지 최고 한도액
(당 기)
| 감사의 수 | 1 |
| 보수총액 또는 최고한도액 | - |
(전 기)
| 감사의 수 | 1 |
| 실제 지급된 보수총액 | - |
| 최고한도액 | - |
※ 기타 참고사항
해당사항 없음.
| 제출(예정)일 | 사업보고서 등 통지 등 방식 |
|---|---|
- 당사는 사업보고서 및 감사보고서를 주주총회 1주전( 2025.03.21 )에 전자공시시스템과 회사 홈페이지에 각각 공시 및 게재할 예정입니다. - 전자공시시스템 : http://dart.fss.or.kr - 회사 홈페이지 : http://www.eomjihouse.co.kr- 향후 사업보고서는 오기 등이 있는 경우 수정될 수 있으며 수정된 사업보고서는 DART 공시사이트(http://dart.fss.or.kr)에 업데이트 될 예정이므로 참조하시길 바랍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