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주총회소집공고 6.0 (주)버킷스튜디오

주주총회소집공고
2025년 07월 17일
회 사 명 : 주식회사 버킷스튜디오
대 표 이 사 : 강 지 연
본 점 소 재 지 : 서울특별시 강남구 언주로135길 21(논현동)
(전 화) 02-3452-5079
(홈페이지)http://www.bucketstudio.co.kr
작 성 책 임 자 : (직 책) 상무 (성 명) 이 경 열
(전 화) 02-3452-5079

주주총회 소집공고
(제27기 임시주주총회)

주주님의 건승과 댁내 평안을 기원합니다.상법 제363조와 당사 정관 제23조 의거하여 임시주주총회를 아래와 같이 소집하오니 참석하여 주시기 바랍니다. 또한 상법 제542조의4 및 당사 정관 제25조에 의거하여 발행주식총수의 100분의1 이하의 소유주주에 대하여는 이 공고로 소집통지를 갈음하오니 양지하여 주시기 바라며, 의결권 있는 발행주식총수 100분의1을 초과하는 주식을 소유한 주주에 대한 소집통지는 당사에서 직접 우편 등의 방법을 통하여 통지하게 됨을 알려 드립니다.

- 아 래 -

1. 일시: 2025년 08월 01일(금) 오전 9시 00분

2. 장소: 서울특별시 금천구 가산디지털1로84, 12층(가산동, 에이스하이엔드8차)

3. 회의 목적 사항(1) 부의안건가. 제1호 의안: 정관 일부 변경의 건 (목적사항 추가)

4. 경영참고 사항 비치

상법 제542조의4에 의거 경영참고사항 등을 당사 본점 및 국민은행 증권대행부에 비치하였으며, 금융감독원 및 한국거래소가 운용하는 전자공시시스템에 공시하여 조회가 가능하오니 참고하시기 바랍니다.

5. 실질주주의 의결권 행사에 관한 사항금번 당사의 주주총회에는 한국예탁결제원이 주주님들의 의결권을 행사할 수 없습니다. 따라서 주주님께서는 한국예탁결제원에 의결권행사에 관한 의사표시를 하실 필요가 없으며, 종전과 같이 의결권을 직접 행사하시거나 또는 위임장에 의거 의결권을 간접행사 하실 수 있습니다.

6. 주주총회 참석시 준비물

- 직접행사 : 본인신분증

- 대리행사 : 위임장(주주와 대리인의 인적사항, 인감날인, 인감증명서), 대리인의 신분증

2025년 07월 17일 주식회사 버킷스튜디오 대표이사 강지연 (직인생략)

I. 사외이사 등의 활동내역과 보수에 관한 사항

1. 사외이사 등의 활동내역 가. 이사회 출석률 및 이사회 의안에 대한 찬반여부
회차 개최일자 의안내용 사외이사 등의 성명
이경수(출석률: 66%) 장민근(출석률: 100%)
찬 반 여 부
1 2025.03.12 제26기 재무제표 승인의 건 찬성 찬성
2 2025.03.12 제26기 정기주주총회 소집 결의의 건 찬성 찬성
3 2025.06.20 영업양수도 진행의 건 불참 찬성
4 2025.06.20 규정제정의 건(투명경영위원회 운영 규정) 불참 찬성
5 2025.06.20 규정제정의 건(준법경영지원위원회 운영 규정) 불참 찬성
6 2025.06.24 임시주주총회 소집 결의의 건 찬성 찬성
7 2025.06.24 제27기 임시주주총회 주주명부 폐쇄 및 기준일 설정의 건 찬성 찬성

나. 이사회내 위원회에서의 사외이사 등의 활동내역
위원회명 구성원 활 동 내 역
개최일자 의안내용 가결여부
투명경영위원회 임효선, 장민근, 원호영 2025.07.11 자금 차입의 건 가결
준법경영지원위원회 임효선, 이경수, 2025.07.11 위원장 선임의 건 가결
2025.07.11 자금 차입의 건 가결

2. 사외이사 등의 보수현황
(단위 : 백만원)
구 분 인원수 주총승인금액 지급총액 1인당 평균 지급액 비 고
사외이사 2 1,500 24 12 -

주1) 주총승인금액은 사외이사를 포함한 전체 등기이사에 대한 보수한도 총액입니다주2) 지급총액은 2025년 06월 30일 기준입니다.

II. 최대주주등과의 거래내역에 관한 사항

1. 단일 거래규모가 일정규모이상인 거래
(단위 : 억원)
거래종류 거래상대방(회사와의 관계) 거래기간 거래금액 비율(%)
- - - - -

2. 해당 사업연도중에 특정인과 해당 거래를 포함한 거래총액이 일정규모이상인 거래
(단위 : 억원)
거래상대방(회사와의 관계) 거래종류 거래기간 거래금액 비율(%)
- - - - -

III. 경영참고사항

1. 사업의 개요 가. 업계의 현황

(1) 산업의 특성 1) 콘텐츠 유통 콘텐츠 산업은 개인의 개성과 관심사에 따른 다양한 종류의 콘텐츠 수요가 증가하는 추세와 콘텐츠 플랫폼이 공급자 중심에서 사용자 중심으로 변하는 국면을 맞이하고 있습니다. 이에 따라 산업은 다양한 종류의 스마트 기기를 통해 소비할 수 있는 N-Screen 서비스를 중심으로 성장하고 있습니다. 2) 디지털비즈 지난 십여 년간 유·무선 통신 기술이 급격히 발전하고 초고속 통신망이 빠르게 확산하며 유선통신 기술 기반의 음성 통신 시대를 지나 컴퓨터 및 무선 통신 단말기 보급의 저변이 확대됐습니다. 한편, 기업통신사업 등의 시장이 빠르게 변화함에 따라 이용자들은 전송받은 여러 형태의 정보들을 통합 처리하려는 욕구가 높아지게 되었는데, 이러한 사용자 측면의 요구는 물론 비용적 측면까지도 만족시키는 시스템이 바로 차세대 CTI(Computer Telephony Integration : 컴퓨터 전화 통합) 기술인 UMS(Unified Messaging System: 통합 메세징 시스템)입니다. UMS는 인터넷을 통해 문자메시지(SMS), 음성메시지, 멀티미디어 메시지(MMS) 등을 휴대전화에 전송하는 것으로 카드/보험회사, 공공기관, 증권사 등의 고객 서비스(B2C)와 개인 고객 간 서비스(C2C)를 위한 시스템으로 공급하고 있습니다.

(2) 성장성

1) 콘텐츠유통

emb00015b580f6e.jpg 콘텐츠유통 사업

디지털 온라인 시장은 지난 10년간 꾸준한 성장세를 보였습니다. 2015년 약 1,100억 원 수준이던 매출 규모는 2019년 5,090억 원을 돌파했고, 이어 2025년에는 더 큰 폭의성장을 예상할 수 있습니다. IPTV 가입자 수 역시 2015년 약 400만 가구에서 2024년 기준 1,600만 명 이상으로 크게 증가하였습니다.

OTT 플랫폼의 부상과 온라인 중심의 소비 방식 전환이 지속됨에 따라, 앞으로도 디지털 온라인 시장은 계속 성장할 것입니다.과거에는 주로 영화관이나 TV 시청이 주를 이뤘지만, 이제는 TV나 스마트폰으로 언제 어디서든 콘텐츠를 소비하는 모습이 일상화되었습니다. 이로 인해 1인당 콘텐츠 소비량은 60% 이상 증가했으며, 관련 서비스 이용률도 함께 늘고 있습니다.

특히 SVOD 기반 OTT 시장은 글로벌 기준 연간 약 15% 성장률을 유지하고 있으며 국내 OTT 시장도 2020~2024년 기준 연평균 5.4% 성장률을 기록하고 있습니다. 디즈니+, 쿠팡플레이 등 주요 플랫폼의 진출로 이제 국내 OTT 시장은 약 6조 원 규모까지 확대되었고 오리지널 콘텐츠와 온라인 동시 개봉 콘텐츠의 증가가 시장을 더욱 견고히 할 전망입니다.

전통적 오프라인 유통 구조는 코로나19 이후 더욱 빠르게 온라인 중심으로 이동하고있습니다. 취향 기반의 콘텐츠 소비가 활성화되면서, 개인 맞춤형 디지털 경험을 제공하는 플랫폼 중심 시장도 함께 성장할 것입니다.

2) 디지털비즈

초기에는 개인 간 메시지를 주고받는 서비스가 주류였지만, 스마트폰 보급 확대와 메신저 앱의 활성화로 인해 기업용 메시징 서비스가 빠르게 성장하고 있습니다.

현재 기업용 A2P SMS 시장은 2025년 기준 약 673억 달러(한화 약 80조 원) 규모로 추산되며, 2025~2032년 동안 연평균 5.1%의 안정적인 성장이 기대됩니다.

또한, 전통적인 SMS 외에도 LMS·MMS, 그리고 스마트폰 기반의 RCS(Rich Communication Services) 같은 차세대 채널이 함께 확산되고 있어, 메시징 서비스는 단순 문자 메시지를 넘어서 멀티미디어·양방향 커뮤니케이션 솔루션으로 진화하고 있습니다

(3) 경기변동의 특성 및 계절성1) 콘텐츠유통

콘텐츠 시장의 경우 다양한 플랫폼의 확대와 N-Screen 서비스 등으로 인하여 경기 민감도가 다른 사업에 비해서 낮고 계절적인 요인을 덜 받고 있습니다. 계절적으로 성수기와 비수기를 구분한다면 방학이 있는 1분기와 3분기를 성수기, 학기 시즌인 2분기와 4분기를 비수기로 볼 수 있습니다. 최근 경향을 보면 계절적인 요인보다 콘텐츠의 Line-up에 따른 매출 변동이 더 큽니다.2) 디지털비즈

산업의 특성상 해당 산업은 일반적인 제조업 등과 달리 경기변동의 영향을 크게 받지않는다고 볼 수 있습니다. 그 이유는 경기가 불황인 경우 기업은 마케팅 비용의 부담을 줄이기 위해 상대적으로 저가인 문자메시지를 마케팅 도구로 활용하며, 경기가 호황인 경우 소상공인과 자영업자들도 문자메시지를 마케팅 도구로 활용하기 때문입니다.

나. 회사의 현황

(1)시장의 안정성 등 특성

1) 콘텐츠유통

당사가 영위하고 있는 영상콘텐츠 사업의 경우 수출보다는 내수가 매출의 대부분이므로, 국내 경기의 침체 및 변동에 따라 수요가 민감하게 반응합니다. 따라서, 내수경기의 하락기에는 소비자의 구매 욕구의 감소로 인해 동 산업의 성장세가 둔화할 수 있습니다.

그러나 현행 영상물 유통시장의 플랫폼이 점진적으로 다양화되고 우리나라의 불법 유통시장이 관련 법규 강화와 업계에 의한 지속적인 노력에 따른 소비자의 인식변화로 합법 시장으로 점진적으로 전환되고 있는 상황을 비추어 볼 때, 향후 우리나라의 영상콘텐츠 부가판권에 대한 매출 구조가 선진국형으로 변모될 것으로 예상되고 있습니다.

따라서 경기변동으로 인한 시장변동 요소보다 소비자 인식변화로 인한 요소가 시장에 더욱 큰 영향을 미칠 것으로 판단됩니다.2) 디지털비즈

emb00015b580f6f.jpg 디지털비즈

당사가 영위 중인 휴대전화 문자메시지(UMS 기반) 사업은 경기 상황에 관계없이 일정한 수요가 유지되는 구조적 특성을 가지고 있습니다. 불황기에는 비용 대비 효율이 높은 마케팅 수단으로 활용도가 높아지며, 경기 회복기에는 중소사업자 및 지역 기반 자영업자들의 마케팅 수요가 증가하는 경향을 보입니다. 또한, 메시징 서비스는 수신 대상의 성별, 연령, 지역 등의 특성을 기반으로 한 타겟팅이 가능하다는 점에서 기존 광고 수단 대비 높은 전달력과 효율성을 입증해왔습니다. 특히 스마트폰 보급 확산 이후, 메시징 서비스는 단순한 개인 간 커뮤니케이션을 넘어 기업과 소비자 간의 실시간 정보 전달 및 알림 채널로 역할이 확장되고 있으며, 이는 향후 B2B 기반 메시징 서비스 시장의 지속 성장 가능성을 뒷받침하는 요소로 평가됩니다.

(2) 경쟁상황 및 당사의 시장 내 위치 1) 콘텐츠유통

당사는 영상물 부가판권 시장의 패러다임 변화에 따라 기존의 DVD 및 블루레이 제작 유통사업과 더불어 3D 콘텐츠를 비롯한 양질의 영상콘텐츠를 공급하기 위하여 노력하고 있습니다. 대표적으로 국내외 주요 영화에 대한 부가판권을 직간접적 투자를 통하여 적극적으로 확보하고 있으며, 그 영역으로는 온라인다운로드 서비스, IPTV, 공중파 및 케이블TV, 디지털 위성방송, 모바일 등이 있고, 스마트 시장의 도래에 따라 새롭게 파생될 신규 플랫폼에 대한 시장선점을 위해 투자도 병행하고 있습니다.

2) 디지털비즈

당사가 운영 중인 문자 메시징 시장은 일정 수준 이상으로 성숙한 단계에 진입한 상황이며, 최근 몇 년간 급격한 외형 성장은 제한적인 흐름을 보여왔습니다. 하지만 알림톡, RCS 등 새로운 메시징 채널에 대한 수요가 확대되면서 서비스에 대한 인식이 변화하고 있고, 이에 따라 업계 전반에서도 기술 고도화와 채널 다변화를 통한 경쟁력 강화 움직임이 활발해지고 있습니다. 당사 역시 시장 환경 변화에 발맞춰 트래픽 확대, 통신망 비용 효율화, 고객 기반 다변화 등을 목표로 전략적 제휴 또는 사업기회 확보를 통해 디지털 메시징 사업의 성장 기반을 재정비해 나가고 있습니다.

(3) 신규사업 등의 내용 및 전망

1) 디지털비즈

기업용 문자 메시지(A2P) 시장은 알림, 인증, 안내 등 다양한 영역에서 활용되며 꾸준히 성장하고 있습니다. 특히 카카오 알림톡, RCS 등 새로운 채널의 확산으로 메시징 산업은 기존 SMS 중심 구조에서 다채널 기반으로 빠르게 전환되고 있습니다.

당사는 이러한 시장 변화에 대응하고 본업 경쟁력을 강화하기 위한 방향으로, 문자 기반 메시징 사업을 추진할 수 있는 방향을 모색하고 있습니다.향후 메시지 발송 인프라, 운영 시스템, 고객 기반 등을 확보하게 될 경우, 메시지 트래픽 확대에 따른 원가 절감, 운영 효율화, 수익 기반 다변화 등 다양한 효과를 기대할 수 있습니다. 또한 멀티채널 메시징 환경에 대응하는 솔루션 체계를 갖추게 된다면, 시장의 변화 속에서도 안정적인 성장이 가능한 기반을 마련할 수 있을 것으로 예상됩니다.

(4) 조직도

버킷스튜디오_조직도.jpg 버킷스튜디오_조직도
2. 주주총회 목적사항별 기재사항 □ 정관의 변경

가. 집중투표 배제를 위한 정관의 변경 또는 그 배제된 정관의 변경

변경전 내용 변경후 내용 변경의 목적
- - -

나. 그 외의 정관변경에 관한 건

변경전 내용 변경후 내용 변경의 목적

제2조(목적)(생략)

1. 위 각호에 대한 시스템 개발, 컨설턴트

1. 위 각호에 대한 유지보수업

1. 위 각호에 관한 해외사업 및 부대사업 일체

1. 위 각호에 부대하는 사업일체

제2조(목적)(생략)1. 특수한 유형의 부가통신사업

1. 문자발송서비스업

1. 문자재판매업1. 위 각호에 대한 시스템 개발, 컨설턴트

1. 위 각호에 대한 유지보수업

1. 위 각호에 관한 해외사업 및 부대사업 일체

1. 위 각호에 부대하는 사업일체

시장확대
(신설) 부칙제1조 시행일 : 이 정관은 2025년 08월 01일부터 시행한다. 부칙신설

※ 기타 참고사항- 해당사항 없음.

IV. 사업보고서 및 감사보고서 첨부

가. 제출 개요 --
제출(예정)일 사업보고서 등 통지 등 방식

- 본 주주총회는 임시주주총회로 해당사항이 없습니다.

나. 사업보고서 및 감사보고서 첨부

- 본 주주총회는 임시주주총회로 해당사항이 없습니다. - 당사의 최근 사업보고서 및 감사보고서는 DART 전자공시시스템(http://dart.fss.or.kr)에서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

※ 참고사항

- 주주총회 기념품은 회사경비 절감을 위하여 지급하지 않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