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업지배구조 보고서 공시

[000001] 기업지배구조보고서 신고서

기업지배구조보고서 신고서

[000002] I. 기업개요

1. 기업명
(주)세아베스틸지주
2. 공시대상 기간 및 보고서 작성 기준일:
공시대상 기간 시작일
2024-01-01
공시대상 기간 종료일
2024-12-31
보고서 작성 기준일
2024-12-31

2-1. 당기~전전기 회계연도 기간

구분 당기 전기 전전기
회계기간 시작일 2024-01-01 2023-01-01 2022-01-01
회계기간 종료일 2024-12-31 2023-12-31 2022-12-31

3. 기업지배구조보고서 작성 담당자

공시 책임자 실무자
성명 : 박성준 성명 : 신광섭
직급 : 이사 직급 : 차장
부서 : 경영총괄 부서 : IR
전화번호 : 02-6970-2100 전화번호 : 02-6970-2030
이메일 : sungjun.park@seah.co.kr 이메일 : shinthing@seah.co.kr

4. 표 1-0-0 : 기업개요

최대주주 등 (주)세아홀딩스 최대주주등의 지분율(%) 61.72
소액주주 지분율(%) 28.52
업종 비금융(Non-financial) 주요 제품 지주회사업
공정거래법상 기업집단 해당 여부 O 공공기관운영법 적용대상 여부 X
기업집단명 세아
요약 재무현황 (단위 : 백만원)
구분 당기 전기 전전기
(연결) 매출액 3,636,063 4,083,481 4,386,333
(연결) 영업이익 52,332 196,690 127,856
(연결) 당기순이익 20,273 125,991 88,311
(연결) 자산총액 3,826,647 3,665,171 3,818,404
별도 자산총액 1,775,848 1,750,554 1,757,749

[000003] 지배구조핵심지표 준수 현황

준수율
80

5. 지배구조핵심지표 준수 현황

핵심지표 (공시대상기간)준수여부 (직전 공시대상기간)준수여부 비고
주주총회 4주 전에 소집공고 실시 O O
전자투표 실시 O O
주주총회의 집중일 이외 개최 O O
현금 배당관련 예측가능성 제공 O X 2024년 3월 20일 개최된 제69기 정기주주총회에서 현금배당 관련 예측가능성을 제공할 수 있도록 정관 개정 완료, 제70기(2024년) 결산배당부터 도입
배당정책 및 배당실시 계획을 연 1회 이상 주주에게 통지 O X 2024년 11월 19일 '기업가치 제고 계획' 공시를 통하여 주주환원정책을 발표, 전자공시 및 회사 홈페이지 공고 등을 통해 안내
최고경영자 승계정책 마련 및 운영 X X
위험관리 등 내부통제정책 마련 및 운영 O O
사외이사가 이사회 의장인지 여부 O O
집중투표제 채택 X X
기업가치 훼손 또는 주주권익 침해에 책임이 있는 자의 임원 선임을 방지하기 위한 정책 수립 여부 X X
이사회 구성원 모두 단일성(性)이 아님 O O
독립적인 내부감사부서 (내부감사업무 지원 조직)의 설치 O O
내부감사기구에 회계 또는 재무 전문가 존재 여부 O O
내부감사기구가 분기별 1회 이상 경영진 참석 없이 외부감사인과 회의 개최 O O
경영 관련 중요정보에 내부감사기구가 접근할 수 있는 절차 마련 여부 O O

[000004] II. 기업지배구조 현황

[100000] 1. 기업지배구조 일반정책

가. 기업의 기업지배구조 관련 정책 운영 방향 및 중점적으로 고려하는 사항등에 관하여 전반적으로 상세히 설명한다.

당사는 세아베스틸, 세아창원특수강, 세아항공방산소재 및 해외법인을 거느린 지주회사로서, 특수강 자회사들의 전문적 경영 전략 수립과 미래 성장동력 발굴을 위한 전략 조직 역할을 수행하고 있습니다. 글로벌 비즈니스 환경 변화에 맞춰 사업 포트폴리오를 유연하게 조율하고 비재무적 역량을 강화함으로써 기업 가치를 제고하고 통합 시너지 창출에 노력을 기울이고 있습니다.

이사회 중심의 투명한 지배구조와 견고한 ESG 경영 체계를 기반으로 각 자회사의 포트폴리오를 재편하고 전략 자원을 효율적으로 배분하여 자회사 간 협력과 조화를 통한 지속가능한 성장을 추구하고 있습니다.


1. 이사회 중심 경영 체계

사외이사 4인과 사내이사 3인으로 구성된 7인 이사회를 통해 주요 경영 전략과 리스크, 성과를 감독하고 있으며, 법정 설치 기구인 감사위원회와 사외이사후보추천위원회 외에도 ESG위원회, Ethics & Compliance 위원회, 보상평가위원회 등 3개의 전문위원회를 자율적으로 운영하고 있습니다. 각 위원회는 명확히 규정된 권한과 책임 아래 의견을 수렴하며, 경영진의 주요 이슈에 대해 심도 있는 보고와 논의를 거쳐 개선책을 제시함으로써 이사회 중심의 합리적 의사결정을 구현하고 있습니다.


2. ESG 경영 통합 운영

ESG위원회는 2050 탄소중립을 목표로 한 로드맵을 수립하고, 단계별 KPI를 바탕으로 이행 사항을 모니터링하며 자회사 환경·안전·HR 등의 대응 부서와 긴밀히 협업하고 있습니다. 또한 글로벌 ESG 평가에 적극 참여하여 외부의 객관적 평가를 반영하고, 주주·고객·지역사회 등 이해관계자와의 소통 채널을 강화하여 지속가능경영 전 과정에 걸친 피드백을 경영에 반영하고 있습니다.


3. Ethics & Compliance 경영 강화

2021년 ‘준법경영 선언’ 이후 Ethics & Compliance 위원회, 컴플라이언스팀, 조직별 준법지원책임자로 구성된 3중 안전망을 구축하여 전사 윤리·컴플라이언스 프로그램을 기획·운영하고 있습니다. ISO 37301 기반의 내부·외부 심사를 정기적으로 실시하며, 직장 내 괴롭힘·성희롱·폭력에 대해 무관용 원칙을 적용하여 엄정히 대응하고 있습니다. 아울러 전사 교육·워크숍·e러닝을 통해 임직원의 자발적 준수 문화를 내재화하고, 준수 실적을 보상 평가에 연계함으로써 윤리 경영을 제도와 문화 모두에서 강화하고 있습니다.


4. 글로벌 포트폴리오 전략

해외 생산·영업 거점을 지속적으로 확대하고 철강을 넘어 금속소재와 순환자원 분야로 사업을 다각화하여 리스크를 분산하는 한편, 지주사 차원의 전략 자원 배분을 통해 자회사 간 협업 모델을 구축함으로써 글로벌 경쟁력을 한층 강화하고 있습니다. 이러한 포트폴리오 관리는 시너지를 극대화하여 안정적인 수익 구조를 견인하고, 중장기적으로 지속가능한 성장을 추구합니다.


이와 같은 운영 방향과 중점 고려 사항을 바탕으로 주주·고객·임직원·사회와 함께 지속가능한 가치를 창출해 나가겠습니다.

나. 기업이 가진 고유한 지배구조 특징이 있다면 그에 관하여 설명한다.

1. 사외이사 중심의 이사회 구성

당사의 이사회는 회사의 최고 의사결정기구로서, 대표이사의 선임 및 해임을 포함한 중요 경영사항에 대해 적극적으로 심의·의결하고 있습니다.

현재 이사회는 총 7명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이 중 사외이사는 4명(비율 57.1%)으로 상법 제383조 및 제542조의8에서 요구하는 요건을 충족하고 있습니다.

사외이사는 사외이사후보추천위원회를 통해 후보자의 독립성 및 전문성을 심사한 후 주주총회 결의를 통해 선임됩니다.

또한, 이사회는 공학, 경영, 문화, 예술 등 다양한 분야의 전문가들로 구성되어 있어 특정 이해관계에 치우치지 않는 합리적인 의사결정을 지향하고 있습니다.


2. 이사회 의장과 대표이사 분리

당사는 2019년 3월 이사회에서 대표이사와 이사회 의장을 분리하여, 이사회의 독립성과 경영 견제 기능을 강화하였습니다.

또한, 2021년 3월 이후부터는 이사회 의장을 사외이사 중에서 선임하여, 보다 독립적인 이사회 운영체계를 구축하고 있습니다.


3. 분할 이후 지배구조체제 재편

당사는 2022년 4월 1일 물적분할을 통해 세아베스틸지주와 세아베스틸로 분할된 이후, 이사회 중심의 운영체제를 강화하였습니다.

기존의 감사위원회, 사외이사후보추천위원회 외에 ESG위원회, Ethics & Compliance위원회, 보상평가위원회를 신설하여 이사회의 전문성과 투명성을 제고하고 있습니다. 이는 법령상 설치가 의무화된 위원회 외에도 회사의 자율적인 판단에 따라 이사회 기능을 실질적으로 강화하기 위한 조치입니다.

[200000] 2. 주주

[201000] (핵심원칙1) 주주는 권리행사에 필요한 충분한 정보를 시의적절하게 제공받고, 적절한 절차에 의해 자신의 권리를 행사할 수 있어야 한다.

[201100] (세부원칙 1-1) - 기업은 주주에게 주주총회의 일시, 장소 및 의안 등에 관한 충분한 정보를 충분한 기간 전에 제공하여야 한다.

상기 세부원칙에 대한 준수여부를 간략하게 기술한다. (100자 이내)
당사는 주주에게 주주총회 일시, 장소, 의안 등 주주총회에 관한 충분한 정보를 전자공시, 홈페이지 공고 등을 통하여 충분한 기간 전에 제공하고 있습니다.
가. 공시대상기간 개시시점부터 보고서 제출 시점까지 개최된 주주총회 일시, 장소, 의안 등 주주총회 관련 정보 제공 전반에 관하여 설명한다.

당사는 공시대상기간 개시시점부터 보고서 제출일 현재까지 총 2번의 정기주주총회를 개최하였습니다. 주주총회 일시, 장소, 의안 등 주주총회 관련 정보는 금감원/거래소 전자공시 및 회사 홈페이지 공고, 소집통지서 발송(1% 이상 주주) 등을 통하여 주주에게 제공하고 있습니다. 공시대상기간 개시시점부터 보고서 제출일 현재까지의 주주총회 개최 내역은 다음과 같습니다.

표 1-1-1: 주주총회 개최 정보

제70기(2024년)
정기주주총회
제69기(2023년)
정기주주총회
정기 주총 여부 O O
소집결의일 2025-02-24 2024-02-20
소집공고일 2025-02-24 2024-02-20
주주총회개최일 2025-03-26 2024-03-20
공고일과 주주총회일 사이 기간 30 29
개최장소 본점 / 서울 마포구 본점 / 서울 마포구
주주총회 관련사항 주주통보 방법 전자공시, 회사 홈페이지 공고,
소집통지서 발송(1% 이상 주주) 등
전자공시, 회사 홈페이지 공고,
소집통지서 발송(1% 이상 주주) 등
외국인 주주가 이해가능한 소집통지 실시 여부 X X
통지방법 - -
세부사항 이사회 구성원 출석 현황 7명 중 7명 출석 7명 중 7명 출석
감사 또는 감사위원 출석 현황 4명 중 4명 출석 4명 중 4명 출석
주주발언 주요 내용 1) 발언자 : 개인투자자 1명
2) 발언 요지 : 주주총회와 직접 관련 없는 내용
1) 발언자 : 개인투자자 1명
2) 발언 요지 : 주주총회와 직접 관련 없는 내용
나. 위 기재 내용을 바탕으로 회사가 주주총회 관련하여 충분한 정보를 충분한 기간 전에 제공하지 못한 경우 그 사유 및 향후 계획 등에 관하여 설명한다.
(1) 미진한 부분 및 그 사유

-

(2) 향후 계획 및 보충설명

당사는 공시대상기간 개시시점부터 보고서 제출일 현재까지 총 2번의 정기주주총회를 개최하였으며, 주주총회 4주전 금감원/거래소 전자공시, 회사 홈페이지 공고, 소집통지서 발송(1% 이상 주주) 등을 통해 주주총회 관련 사항을 안내하였습니다. 향후에도 주주에게 주주총회 관련 정보를 시의적절하게 제공할 수 있도록 주주총회 4주전 관련 정보를 제공할 예정이며, 영문 공시 및 회사 홈페이지 내 영문 소집통지서 공고 등을 통하여 외국인주주에게도 충분한 정보를 제공할 수 있도록 노력할 계획입니다.

[201200] (세부원칙 1-2) - 주주총회에 주주가 최대한 참여하여 의견을 개진할 수 있도록 하여야 한다.

상기 세부원칙에 대한 준수여부를 간략하게 기술한다. (100자 이내)
당사는 주주총회 집중일 회피, 전자투표 실시, 의결권 대리행사 권유 등을 통하여 주주가 주주총회에 최대한 참여하여 의견을 개진할 수 있도록 하고 있습니다.
가. 주주의 직접 또는 간접 의결권 행사 전반에 관한 사항을 설명한다.
(1) 최근 3개 사업연도간 주주총회 집중일 회피, 서면투표, 의결권 대리행사 권유 현황 등

1. 주주총회 집중일 이외 개최 여부

당사는 최근 3개 사업연도의 정기주주총회를 개최함에 있어 주주총회 집중일을 피해 주주총회를 개최하고자 노력하였으며, 한국상장회사협의회의 「주총분산 자율준수프로그램」에 참여하였습니다. 이를 통해 주주가 주주총회에 최대한 참여할 수 있도록 하였습니다.


2. 서면투표/전자투표 도입 여부, 의결권 대리행사 권유 여부 등

당사는 서면투표를 도입하고 있지는 않으나, 주주들이 편리하게 의결권을 행사할 수 있도록 2022년 2월 이사회에서 전자투표제 도입을 결의하여 제67기(2021년) 정기주주총회부터 매년 전자투표를 실시하고 있습니다. 또한, 주주의 의결권 행사를 독려하기 위하여 전자위임장, 직접 교부, (전자)우편 및 모사전송(FAX), 회사 홈페이지 등에 위임장 용지 공고 등 다양한 방법으로 위임장을 교부하여 의결권 대리행사를 권유하고 있습니다.


최근 3개 사업연도의 정기주주총회의 의결권 행사 전반에 관한 사항은 다음과 같습니다.

표 1-2-1: 정기 주주총회 의결권 행사 접근성

구분 제70기(2024년도)
정기주주총회
제69기(2023년도)
정기주주총회
제68기(2022년도)
정기주주총회
정기주주총회 집중일 미해당 미해당 미해당
정기주주총회일 2025-03-26 2024-03-20 2023-03-29
정기주주총회 집중일 회피 여부 O O O
서면투표 실시 여부 X X X
전자투표 실시 여부 O O O
의결권 대리행사 권유 여부 O O O
(2) 공시대상기간 개시시점부터 보고서 제출 시점까지 개최된 주주총회의 안건 별 찬반 비율 및 내용

당사는 공시대상기간 개시시점부터 보고서 제출일 현재까지 총 2번의 정기주주총회를 개최하였으며, 주주총회의 안건별 찬반 비율 및 내용은 다음과 같습니다.

표 1-2-2: 주주총회 의결 내용

결의 구분 회의 목적사항 가결 여부 의결권 있는 발행주식 총수(1) (1) 중 의결권 행사 주식수 찬성주식수 찬성 주식 비율 (%) 반대 기권 등 주식수 반대 기권 등 주식 비율 (%)
제70기(2024년)
정기주주총회
제1호 의안 보통(Ordinary) 제70기 재무제표(이익잉여금처분계산서 포함) 및 연결재무제표 승인의 건
* 제1호 의안은 재무제표에 대한 외부감사인의 적정 의견 및 감사위원 전원의 동의를 득한 바, 상법 제499조의 2 및 당사 정관에 의거하여 보고사항으로 전환
기타(Other)
제2-1호 의안 보통(Ordinary) 사내이사 이태성 선임의 건 (재선임, 임기 2년) 가결(Approved) 35,637,119 27,966,746 27,466,902 98.2 499,844 1.8
제2-2호 의안 보통(Ordinary) 사내이사 김수호 선임의 건 (재선임, 임기 2년) 가결(Approved) 35,637,119 27,966,746 27,904,838 99.8 61,908 0.2
제2-3호 의안 보통(Ordinary) 사외이사 이화용 선임의 건 (재선임, 임기 2년) 가결(Approved) 35,637,119 27,966,746 27,906,742 99.8 60,004 0.2
제3호 의안 보통(Ordinary) 감사위원이 되는 사외이사 박상찬 선임의 건 (신규선임, 임기 2년) 가결(Approved) 13,248,724 5,578,351 5,574,346 99.9 4,005 0.1
제4호 의안 보통(Ordinary) 감사위원 이화용 선임의 건 (재선임, 임기 2년) 가결(Approved) 13,248,724 5,578,351 5,527,564 99.1 50,787 0.9
제5호 의안 보통(Ordinary) 이사보수한도 승인의 건 가결(Approved) 35,637,119 27,966,746 23,770,247 85.0 4,196,499 15.0
제69기(2023년)
정기주주총회
제1호 의안 보통(Ordinary) 제69기 재무제표(이익잉여금처분계산서 포함) 및 연결재무제표 승인의 건
* 제1호 의안은 재무제표에 대한 외부감사인의 적정 의견 및 감사위원 전원의 동의를 득한 바, 상법 제499조의 2 및 당사 정관에 의거하여 보고사항으로 전환
기타(Other)
제2호 의안 특별(Extraordinary) 정관 일부 변경의 건 가결(Approved) 35,637,119 28,162,349 28,162,108 100.0 241 0.0
제3-1호 의안 보통(Ordinary) 사내이사 박성준 선임의 건 (재선임, 임기 2년) 가결(Approved) 35,637,119 28,162,349 28,034,226 99.5 128,123 0.5
제3-2호 의안 보통(Ordinary) 사외이사 김지홍 선임의 건 (재선임, 임기 2년) 가결(Approved) 35,637,119 28,162,349 28,001,141 99.4 161,208 0.6
제3-3호 의안 보통(Ordinary) 사외이사 윤여선 선임의 건 (재선임, 임기 2년) 가결(Approved) 35,637,119 28,162,349 27,997,279 99.4 165,070 0.6
제4-1호 의안 보통(Ordinary) 감사위원 김지홍 선임의 건 (재선임, 임기 2년) 가결(Approved) 13,608,674 5,767,346 5,584,375 96.8 182,971 3.2
제4-2호 의안 보통(Ordinary) 감사위원 윤여선 선임의 건 (재선임, 임기 2년) 가결(Approved) 13,608,674 5,767,346 5,602,276 97.1 165,070 2.9
제5호 의안 보통(Ordinary) 이사보수한도 승인의 건 가결(Approved) 35,637,119 28,162,349 28,130,069 99.9 32,280 0.1
나. 주주총회 의결 사항 중 반대 비율이 높거나 부결된 안건이 있는 경우 주주와의 소통을 위한 노력 및 내역을 기재한다.

공시대상기간 개시시점부터 보고서 제출일 현재까지 개최된 주주총회 의결 사항 중 반대 비율이 높거나 부결된 안건은 없습니다.

다. 위 기재 내용을 바탕으로 회사가 주주총회 등 의사결정에 주주가 최대한 참여하도록 충분한 조치를 취하지 못한 점이 있다면 그 사유 및 향후 계획에 대하여 설명한다.
(1) 미진한 부분 및 그 사유

당사는 서면투표 제도를 도입하고 있지 않으나, 주주가 주주총회에 최대한 참여할 수 있도록 주주총회 집중일을 피해 주주총회를 개최하였으며, 주주들이 편리하게 의결권을 행사할 수 있도록 전자투표 제도를 실시하고 있습니다. 또한, 주주들의 의결권 행사를 독려하기 위하여 다양한 방법으로 위임장을 교부하여 의결권 대리행사를 권유하고 있습니다.

(2) 향후 계획 및 보충설명

당사는 앞으로도 주주가 주주총회에 최대한 참여하여 다양한 방법으로 의결권을 행사할 수 있도록 여러 방안을 지속적으로 검토할 예정입니다. 이를 통해 주주총회 등 의사결정에 주주가 최대한 참여하여 의견을 개진하고, 권리를 행사할 수 있도록 기회를 보장할 계획입니다.

[201300] (세부원칙 1-3) - 기업은 주주가 주주총회의 의안을 용이하게 제안할 수 있게 하여야 하며, 주주총회에서 주주제안 의안에 대하여 자유롭게 질의하고 설명을 요구할 수 있도록 하여야 한다.

상기 세부원칙에 대한 준수여부를 간략하게 기술한다. (100자 이내)
당사는 상법 제363조의2(주주제안권) 등 관련 법령에 근거하여, 주주제안이 있을 경우 이를 이사회에 보고하고 주주총회의 목적사항으로 포함하도록 하고 있습니다.
가. 주주제안권과 관련된 사항과 관련하여 아래의 사항을 설명한다.
(1) 주주제안 관련 절차를 홈페이지 등을 통해서 상세히 안내하고 있는지 여부
시행 여부
N(X)

주주제안 절차에 대해서는 상법 등 관련 법령에 구체적으로 정해져 있으므로, 당사는 관련 법령을 기준으로 운영하고 있습니다. 상법 제363조의2(주주제안권)에 따르면, 발행주식총수의 100분의 3 이상을 보유한 주주 또는 6개월 이상 계속하여 1,000분의 5 이상을 보유한 주주는 주주총회일(정기주주총회의 경우 직전 정기주주총회일에 해당하는 해당 연도의 날짜) 6주 전까지 서면 또는 전자문서로 일정한 사항을 주주총회의 목적사항으로 제안할 수 있습니다. 당사는 주주로부터 제안이 접수될 경우, 그 내용이 법령 또는 정관에 위배되지 않으며 상법 시행령 제12조(주주제안의 거부)에 따른 주주제안 거부 사유에 해당하지 않는 한, 이를 주주총회의 목적사항으로 포함하도록 하고 있습니다.

(2) 주주가 제안한 의안을 처리하는 절차와 기준과 관련된 규정이 마련되어 시행되고 있는지 여부
시행 여부
N(X)

주주제안 절차에 관한 사항은 상법에 충분히 규정되어 있어, 주주가 제안한 의안을 처리하는 절차와 기준과 관련된 규정을 별도로 마련하고 있지 않습니다. 다만, 당사는 주주제안 발생시 상법상 절차에 의거하여 주주제안을 적극적으로 접수하여 처리할 예정입니다.

(3) 공시대상기간 개시시점부터 보고서 제출 시점까지 주주제안 내역 및 이행 상황
주주제안 여부
N(X)

공시대상기간 개시시점부터 보고서 제출일 현재까지 접수된 주주제안은 없습니다.

표 1-3-1: 주주 제안 현황

제안 일자 제안주체 구분 주요 내용 처리 및 이행 상황 가결 여부 찬성률 (%) 반대율 (%)
해당사항 없음
(4) 공시대상기간 개시시점부터 보고서 제출 시점까지 기업이 접수한 공개서한의 주요 내용 및 처리 현황
공개서한 접수 여부
N(X)

공시대상기간 개시시점부터 보고서 제출일 현재까지 접수된 공개서한은 없습니다.

표 1-3-2: 공개서한 현황

발송일자 주체 주요 내용 회신 일자 수용 여부 회신 주요 내용
해당사항 없음
나. 위 기재 내용을 바탕으로 주주들의 주주제안권 행사를 용이하게 하는 정책과 관련하여 부족한 사항이 있는 경우 그 사유 및 향후 계획 등에 관하여 설명한다.
(1) 미진한 부분 및 그 사유

주주제안 절차는 상법 등 관련 법령에 따라 명확히 규정되어 있어 별도의 내부 규정은 마련되어 있지 않지만, 향후 주주제안이 접수될 경우 관련 법령에 따라 성실히 검토하고 주주총회 안건에 반영할 수 있도록 적절히 처리할 계획입니다.

(2) 향후 계획 및 보충설명

당사는 주주제안 발생시 적극적으로 접수하여 처리할 예정이며, 회사 홈페이지 등을 통해 주주제안 절차를 안내하여 향후 주주들이 주주제안권을 통해 의견을 개진할 수 있도록 지원할 예정입니다.

[201400] (세부원칙 1-4) - 기업은 배당을 포함한 중장기 주주환원정책 및 향후 계획 등을 마련하고 주주들에게 배당관련 예측가능성을 제공하여야 한다.

상기 세부원칙에 대한 준수여부를 간략하게 기술한다. (100자 이내)
당사는 2024년 11월 '기업가치 제고 계획' 공시를 통해 주주환원정책을 발표하였으며, 배당기준일 이전에 배당액을 확정하여 주주에게 배당관련 예측가능성을 제공하고 있습니다.
가. 주주환원과 관련한 정책을 수립하고 주주들에게 충분히 안내하고 있는지 다음의 사항을 설명한다.
(1) 배당을 포함한 기업의 주주환원정책 수립 여부
시행 여부
Y(O)

당사는 중장기 배당정책에 따라 안정적 배당을 제공하고, 주주가치 제고를 위하여 노력하고 있습니다. 2024년 11월 19일 이사회 결의 후 '기업가치 제고 계획' 공시를 통하여 배당정책을 중심으로 한 주주환원정책을 발표하였습니다. 당사 배당정책에 따르면 2024~2027년 배당 규모는 연결 당기순이익의 30% 이상을 목표로 하고 있으며, 2024년과 2025년은 주주의 배당 예측 가능성 제고를 위해 최소 배당금(1,000원/주) 제도를 도입하였습니다. 당사는 배당가능이익 범위 내에서 당해연도 경영실적, 현금 흐름, 투자 계획, 주주 의견 등을 종합적으로 고려하여 배당을 검토하고 있으며, 전자공시 및 홈페이지 공고 등을 통하여 배당에 관한 사항을 지속적으로 소통하고 있습니다. 나아가 향후 실적 및 경영 환경 등을 고려하여 결산 배당 외 중간 배당, 자사주 매입·소각 등 다양한 주주환원정책을 검토해 나갈 계획입니다.

(2) 주주환원정책을 주주들에게 안내하는 방식 및 주주환원 정책을 영문자료로 제공하는지 여부
연1회 통지 여부
Y(O)
영문자료 제공 여부
Y(O)

당사는 주주환원정책 수립 및 배당 결의 등이 발생할 경우, 해당 내용을 전자공시 및 회사 홈페이지 공고 등을 통해 주주에게 안내하고 있습니다. 2024년 11월 19일 '기업가치 제고 계획' 공시를 통하여 배당정책을 중심으로 한 주주환원정책을 발표하였으며, 이후 회사 홈페이지에 국문/영문으로 배당정책을 게시하여 주주들이 편리하게 당사 중장기 배당정책을 파악할 수 있도록 하였습니다. 또한, 당해 배당에 관한 사항은 이사회 결의 후 '현금·현물배당 결정' 공시를 통해 안내하고 있으며, 주주총회 이후 전 주주에게 배당통지서를 발송하여 상세히 고지하고 있습니다.

당사는 영문 회사 홈페이지를 통해 배당정책을 안내하고 있으며, 영문 지속가능경영보고서에도 배당정책 내용을 포함하고 있습니다. 향후에는 배당 관련 공시(현금·현물배당 결정 등)의 영문공시 병행 및 기업가치제고계획의 영문 자료 제공 등으로 외국인 주주의 정보 접근성을 더욱 제고해 나갈 계획입니다.

(3) 공시대상기간 개시시점부터 보고서 제출 시점까지 현금배당을 실시했다면 배당 기준일 이전에 배당결정을 하여 주주들에게 배당관련 예측가능성을 제공하였는지 여부
정관반영 여부
Y(O)
시행 여부
Y(O)

당사는 제69기 정기주주총회(2024.03.20)에서 배당기준일을 이사회 결의로 정할 수 있도록 정관을 개정하였습니다. 이에 따라 배당기준일을 배당액 확정일 이후로 정할 수 있도록 제도를 개선하였으며, 제70기(2024년) 결산배당부터 이를 반영하였습니다. 제70기(2024년) 결산 배당액은 2025년 2월 11일 이사회에서 확정하여 공시하였으며, 배당기준일은 2025년 3월 28일로 정하여 주주가 배당액을 인지하고 투자를 결정할 수 있도록 하였습니다.

표 1-4-1: 배당기준일과 배당액 확정일

결산월 결산배당 여부 배당기준일 배당액 확정일 현금배당 관련 예측가능성 제공 여부
1차 제69기(2023년)
결산배당
12월(Dec) O 2023-12-31 2024-02-06 X
2차 제70기(2024년)
결산배당
12월(Dec) O 2025-03-28 2025-02-11 O
나. 위 기재 내용을 바탕으로 주주환원 정책의 수립 마련 및 정보를 충분히 제공하지 못한 점이 있는 경우 그 사유 및 향후 계획에 관해 설명한다.
(1) 미진한 부분 및 그 사유

당사는 2024년 11월 '기업가치 제고 계획' 공시를 통하여 배당정책을 중심으로 한 주주환원정책을 발표하였으나, 영문 공시를 진행하지 않았습니다. 다만, 회사 홈페이지에 영문으로 배당정책을 안내하여 외국인 주주들이 당사 배당정책을 인지할 수 있도록 보완하였습니다.

(2) 향후 계획 및 보충설명

당사는 주주환원정책 수립 및 배당 결의 등이 발생할 경우, 해당 내용을 전자공시 및 회사 홈페이지 공고 등을 통해 주주에게 상세히 안내하고 있습니다. 향후에는 배당 관련 공시(현금·현물배당 결정 등)는 영문공시를 병행하여 외국인 주주의 정보 접근성 및 배당 관련 예측가능성도 더욱 제고해 나갈 계획입니다.


[201500] (세부원칙 1-5) - 주주환원정책 및 향후 계획 등에 근거하여 적절한 수준의 배당 등을 받을 주주의 권리는 존중되어야 한다.

상기 세부원칙에 대한 준수여부를 간략하게 기술한다. (100자 이내)
당사는 중장기 배당정책에 따라 매년 안정적 배당을 실시하고 있으며, 나아가 다양한 주주환원정책을 적극적으로 검토해 나갈 계획입니다.
가. 최근 회사가 시행한 주주환원 관련 사항에 대해 설명한다.
(1) 배당관련 사항

당사는 중장기 배당정책을 준수하여 매년 안정적 배당을 제공하고 있습니다. 2021년 11월 발표한 주주환원정책(2021~2023년 배당 규모는 (별도)당기순이익의 20% 이상 목표)에 따라 2022년과 2023년에는 일반주주 주당 1,200원, 최대주주 및 특수관계인 주당 1,000원의 차등배당을 실시하였습니다. 이후 2024년 11월 19일 '기업가치 제고 계획' 공시를 통하여 2024~2027년 배당 규모는 연결 당기순이익의 30% 이상, 2024년과 2025년은 최소 배당금(1,000/주) 지급 내용을 포함하여 새로운 주주환원정책을 수립하였습니다. 해당 주주환원정책을 준수하여 2024년에도 일반주주 주당 1,200원, 최대주주 및 특수관계인 주당 1,000원의 차등배당을 실시하였습니다.


당사는 최근 3개 사업연도 기간에 분기배당 및 중간배당은 실시하지 않았으나, 제69기 정기주주총회(2024.03.20)에서 중간배당 조문을 정비하였습니다. 당사는 중장기 주주환원정책에 따라 향후 실적 및 경영 환경 등을 고려하여 결산 배당 외 중간 배당, 자사주 매입·소각 등 다양한 주주환원정책을 검토해 나갈 계획입니다.


최근 3개 사업연도의 주주환원 현황 및 현금배당 성향은 다음과 같습니다.

표 1-5-1-1: 최근 3개 사업연도 주주환원 현황

일반현황 주식배당 현금배당(단위 : 원)
연도 결산월 배당가능 이익 총 배당금 주당 배당금 시가 배당률 (%)
당기 보통주 2024년 12월(Dec) - 968,453,815,348 38,540,626,200 1,200 6.1
종류주 2024년 12월(Dec) -
전기 보통주 2023년 12월(Dec) - 874,507,868,898 38,540,626,200 1,200 4.6
종류주 2023년 12월(Dec) -
전전기 보통주 2022년 12월(Dec) - 875,196,834,819 48,664,970,400 1,500 6.5
종류주 2022년 12월(Dec) -

표 1-5-1-2: 최근 3개 사업연도 현금배당 성향

구분 당기 전기 전전기
연결기준 (%) 190.1 30.6 43.6
개별기준 (%) 28.5 134.7
(2) 배당 외에 회사가 실시한 주주환원 관련사항이 있는 경우, 이에 대해 설명한다.

당사는 배당을 중심으로 주주환원정책을 실시하고 있으나, 공시대상기간 동안 배당 외 실시한 주주환원 관련사항이 없습니다.

나. 위 기재 내용을 바탕으로 회사가 적절한 수준의 주주환원을 받을 주주의 권리 존중과 관련하여 부족한 점이 있는 경우 그 사유 및 향후 계획 등에 관한 설명한다.
(1) 미진한 부분 및 그 사유

당사는 중장기 주주환원정책을 준수하여 배당을 실시하고 있으며, 꾸준히 차등배당을 실시하여 일반주주의 권리 존중을 위해 노력하고 있습니다. 또한, 2024년은 최소 배당금 제도를 도입하여 주주들에게 배당 관련 예측가능성을 제공하는 등 배당을 중심으로 한 주주환원정책을 적극 실시하고 있습니다. 공시대상기간 동안 배당 외 실시한 주주환원 관련사항은 없으나, 향후 중장기 주주환원정책에 따라 다양한 주주환원정책을 검토해 나갈 계획입니다.

(2) 향후 계획 및 보충설명

당사는 2024년 11월 19일 중장기 주주환원정책을 수립 및 발표함으로써, 주주환원 및 주주 권리 존중을 위해 노력하고 있습니다. 현재는 결산 배당을 중심으로 주주환원을 실시하고 있으나, 향후에는 경영 실적 및 경영 환경 등을 고려하여 중간 배당, 자사주 매입·소각 등 다양한 주주환원정책을 적극적으로 검토해 나갈 계획입니다.

[202000] (핵심원칙 2) 주주는 보유주식의 종류 및 수에 따라 공평한 의결권을 부여받아야 하고, 주주에게 기업정보를 공평하게 제공하는 시스템을 갖추는 노력을 해야 한다.

[202100] (세부원칙 2-1) - 기업은 주주의 의결권이 침해되지 않도록 하여야 하며, 주주에게 기업정보를 적시에, 충분히 그리고 공평하게 제공하여야 한다.

상기 세부원칙에 대한 준수여부를 간략하게 기술한다. (100자 이내)
당사는 주주의 의결권이 침해되지 않도록 공평한 의결권을 보장하고 있으며, 주주에게 기업정보를 적시에, 충분히, 공평하게 제공하고 있습니다.
가. 작성기준일 현재 주식발행 정보 전반에 대하여 다음의 사항을 설명한다.
(1) 주식 발행 현황

당사 정관상 발행가능한 주식의 총수는 150,000,000주이며, 발행가능한 의결권 없는 우선주의 총수는 8,000,000주입니다. 작성기준일 현재 당사의 발행주식총수는 35,862,119주이며, 의결권을 행사할 수 있는 주식수는 공정거래법 제25조에 의거하여 (재)세아이운형문화재단이 보유한 주식 225,000주를 제외한 35,637,119주입니다.

표 2-1-1-1: 발행가능 주식총수(주)

보통주 종류주 발행가능 주식전체
150,000,000

표 2-1-1-2: 주식발행 현황 세부내용

발행주식수(주) 발행비율 (%) 비고
보통주 35,862,119 23.9 -
(2) 종류주식별 의결권 부여 내용 및 사유, 종류주주총회 실시내역

보고서 제출일 현재 발행된 종류주식은 존재하지 않으며, 최근 3개 사업연도 기간 동안 종류주주총회가 개최되지 않았습니다.

나. 위 기재 내용을 바탕으로 보유주식의 종류 및 수에 따라 공평한 의결권이 부여되지 않은 경우 그 사유 및 향후 계획 등에 관해 설명한다.
(1) 미진한 부분 및 그 사유

-

(2) 향후 계획 및 보충설명

당사는 모든 주주에게 1주 1의결권을 인정하고 있으며, 주주의 고유 권한인 의결권이 침해되지 않도록 관련 법령이 정하는 바에 따라 공평한 의결권 보장을 위해 적극 노력하고 있습니다.

다. 공시대상기간 개시시점부터 보고서 제출 시점까지 주주와의 의사소통 관련사항 전반에 대해 아래와 같이 설명한다.
(1) 주요 IR, 컨퍼런스콜, 기관투자자 등 주주와의 대화 관련 사항
당사는 매분기 결산 후 약 1개월 내외로 공정공시를 통해 잠정실적을 발표하고 있으며, 이후 기관투자자 대상 NDR(Non-Deal Roadshow), 증권사 주최 컨퍼런스, 개별 IR미팅 등 다양한 IR활동을 적극적으로 추진하고 있습니다. 공시대상기간 개시시점부터 보고서 제출일 현재까지의 주요 IR활동 내역은 다음과 같습니다.

일자

대상

형식

주요 내용

2024-02-14

국내 기관투자자

NDR

2023년 4분기 실적발표 및 Q&A

2024-02-16

국내 기관투자자

NDR

2023년 4분기 실적발표 및 Q&A

2024-05-08

국내 기관투자자

NDR

2024년 1분기 실적발표 및 Q&A

2024-05-10

국내 기관투자자

NDR

2024년 1분기 실적발표 및 Q&A

2024-08-06

국내 기관투자자

NDR

2024년 2분기 실적발표 및 Q&A

2024-08-08

국내 기관투자자

NDR

2024년 2분기 실적발표 및 Q&A

2024-11-05

국내 기관투자자

NDR

2024년 3분기 실적발표 및 Q&A

2024-11-07

국내 기관투자자

NDR

2024년 3분기 실적발표 및 Q&A

2024-11-27

국내 기관투자자

NDR

2024년 3분기 실적발표 및 Q&A

2024-12-12

국내 기관투자자

Corporate Day

회사소개 및 Q&A

2024-12-19

국내 기관투자자

NDR

회사소개 및 Q&A

2025-02-13

국내 기관투자자

NDR

2024년 4분기 실적발표 및 Q&A

2025-02-14

국내 기관투자자

NDR

2024년 4분기 실적발표 및 Q&A

2025-03-27

국내 기관투자자

Corporate Day

회사소개 및 Q&A

2025-04-01

국내 기관투자자

NDR

회사소개 및 Q&A

2025-05-08

국내 기관투자자

NDR

2025년 1분기 실적발표 및 Q&A

2025-05-09

국내 기관투자자

NDR

2025년 1분기 실적발표 및 Q&A


(2) 소액 주주들과 따로 소통한 행사가 있다면 그 내용
별도행사 개최 여부
N(X)

당사는 '연결재무제표 기준 영업(잠정)실적(공정공시)'를 통해 모든 투자자·주주에게 일괄적으로 정보를 제공하고 있으며, 회사 홈페이지에도 분기별 실적 내용이 기재된 IR자료를 게시하고 있습니다. 또한, 회사 홈페이지에 IR담당부서의 전화번호 및 이메일 주소를 공개함으로써 소액주주의 문의사항이나 의견에 대하여 수시로 소통하고 있습니다.

(3) 해외투자자와 따로 소통한 행사가 있다면 그 내용

해외투자자와 소통한 행사는 없었으나, 향후 해외 투자자·주주의 요청이 있을 경우 적극적으로 대응하여 소통할 계획입니다. 당사는 2025년 1분기 '연결재무제표 기준 영업(잠정)실적(공정공시), 기업설명회 개최(IR)' 공시(2025.04.29)부터 영문공시를 병행하고 있으며, 영문 IR자료도 홈페이지에 게시하였습니다. 이러한 활동을 통하여 해외 투자자·주주와의 소통을 확대해 나갈 계획입니다.

(4) 회사 홈페이지 등을 통해 IR 담당부서의 전화 번호 및 이메일 주소 공개 등을 통해 문의 창구를 상세히 안내하고 있는지 여부
시행 여부
Y(O)

당사는 회사 홈페이지에 IR담당부서의 전화번호 및 이메일 주소를 공개함으로써, 투자자·주주·고객의 IR 관련 문의사항에 신속하게 대응하고 있습니다.

(사이트 주소 : http://www.seahbesteelholdings.co.kr)

(5) 외국인 주주를 위한 영문 사이트 운영, 담당직원 지정 및 외국어로 상담이 가능한 연락처를 공개하는지 여부와 영문 공시 내역
영문 사이트 운영 여부
Y(O)
외국인 담당 직원 지정
Y(O)
영문공시 비율
0

당사는 회사 영문 홈페이지를 통해 사업 포트폴리오, ESG 활동내역, 재무정보, 주식정보, IR정보 등을 공개하고 있습니다. 또한, 홈페이지 내 IR담당부서의 전화번호 및 이메일 주소를 공개하고 있으며, 외국인주주가 소통할 수 있는 전담 인력을 배치하고 있습니다. 또한, 공시대상 기간 중 영문공시를 제출한 내역은 없으나, 2025년 1분기 '연결재무제표 기준 영업(잠정)실적(공정공시), 기업설명회 개최(IR)' 공시(2025.04.29)부터 영문공시를 병행하고 있으며, 영문 IR자료도 홈페이지에 게시하였습니다. 향후 영문공시 대상 범위도 단계적으로 확대해 나갈 예정입니다.

(6) 공시대상기간 개시시점부터 보고서 제출 시점까지 불성실공시법인 지정 등 공시 관련 제재 내역
불성실공시법인 지정여부
N(X)

-

표 2-1-3: 불성실공시법인 지정 내역

불성실 공시유형 지정일 지정사유 부과벌점 제재금(단위 : 원) 지정 후 개선노력 등
해당사항 없음
라. 위 기재 내용을 바탕으로 주주에게 기업의 정보를 적시에 충분히, 공평하게 제공하지 못한 점이 있는 경우 그 사유 및 앞으로의 계획에 관하여 설명한다.
(1) 미진한 부분 및 그 사유

당사는 모든 주주에게 기업정보를 적시에, 충분히, 그리고 공평하게 제공하기 위하여 다방면으로 노력하고 있습니다. 2025년 4월부터 영문공시를 병행하고 있으며, 회사 홈페이지 내 영문 IR자료 게시 등을 통하여 외국인 투자자의 정보 접근성을 높여 나가고 있습니다. 또한, 소액 주주들의 문의사항이나 의견에 대해서도 적극적으로 소통하고자 노력하고 있으며, 향후 소통 채널을 확대하기 위한 다양한 방안을 검토할 계획입니다.

(2) 향후 계획 및 보충설명

당사는 2025년 4월 영문 공시 제출을 시작으로, 향후 영문공시 대상 범위도 단계적으로 확대해 나갈 예정입니다. 그 외에도 당사는 모든 주주에게 기업정보를 적시에, 충분히, 공평하게 제공할 수 있는 다양한 방안을 검토하여 실행할 계획입니다.

[202200] (세부원칙 2-2) - 기업은 지배주주 등 다른 주주의 부당한 내부거래 및 자기거래로부터 주주를 보호하기 위한 장치를 마련·운영하여야 한다.

상기 세부원칙에 대한 준수여부를 간략하게 기술한다. (100자 이내)
당사는 계열회사 등과의 내부거래, 경영진 또는 지배주주 등과의 자기거래로부터 주주를 보호하기 위한 장치를 마련 및 운영하고 있습니다.
가. 계열회사 등과의 내부거래, 경영진 또는 지배주주 등과의 자기거래와 관련한 기업의 통제 장치(정책)를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1) 내부거래 및 자기거래 통제 정책 전반
시행 여부
Y(O)

당사는 계열회사 간 내부거래, 경영진 또는 지배주주 등과의 자기거래를 통해 발생하는 부당한 이익을 통제하기 위해 조직 내 내부통제팀과 컴플라이언스팀이 상근하고 있으며, 내부거래 및 자기거래를 관리·감독하고 있습니다. 또한, 내부거래 및 자기거래의 발생이 예측되는 경우, 거래 발생 직전 분기에 이에 대한 이사회를 개최하고 적법하게 심사하여 거래의 타당성을 검토하고 있습니다.


또한, 당사는 상법 제398조(이사 등과 회사 간의 거래) 및 이사회 운영규정 제11조(부의사항)에 따른 이사 등과 회사 간의 거래, 공정거래법 제26조(대규모내부거래의 이사회 의결 및 공시)에 따른 계열회사간 대규모 내부거래 등을 이사회 결의사항으로 정하고 있습니다. 당사 이사회는 사내이사 3명, 사외이사 4명, 총 7명으로 구성되어 있어 계열회사 등과의 내부거래, 경영진 또는 지배구조 등과의 자기거래 등 발생 시 공정하고 적법한 검토 과정을 거쳐 결의를 도출할 수 있습니다. 이사회 검토를 통해 거래가 결의될 시, 당사는 관련 법규에 따라 해당 내용을 이사회 결의 후 1일 이내 공시하고 있습니다. 또한, 사업보고서 등 정기보고서에도 특수관계자와의 거래내역을 공시함으로써 내부거래 등의 내용을 투명하게 공개하고 있습니다.


(2) 계열회사 등과의 내부거래, 경영진 또는 지배주주 등과의 자기거래와 관련하여 포괄적 이사회 의결이 있다면 그 내용과 사유

당사는 내부거래 및 자기거래가 발생할 것으로 예상되는 경우, 거래 발생 직전 분기에 이사회를 개최하여 해당 거래의 적법성과 타당성을 사전에 심사하고 있습니다.

다만, 개별 거래 건마다 이사회 결의를 진행하는 것은 이사회 운영 및 경영 활동에 비효율을 초래할 수 있으므로, 사업연도 말에 차년도에 예정된 내부거래 및 자기거래 항목을 포괄적으로 이사회 결의하고 있습니다.

(3) 지배주주 등 이해관계자와의 거래내역

이해관계자와의 거래내역은 아래와 같습니다.


(당기)

                (단위: 천원)
구분 거래회사명 매출 배당금 수익 기타거래
수익
(주1)
배당금 지급 유무형
자산매입
기타비용 기타거래
비용
(주1)
지배기업 ㈜세아홀딩스 255,220 - - 22,135,633 - 765,735 5,859,060
종속기업 ㈜세아베스틸 6,622,204 34,000,000 3,290,980 - - 320,561 -
㈜세아창원특수강 5,401,370 105,800,862 2,369,426 - - 538,076 -
㈜세아항공방산소재 251,570 3,957,452 115,654 - - - -
㈜씨티씨 192,630 - 83,000 - - - -
지배기업의 종속기업 ㈜브이엔티지 - - - - 30,805 366,985 -
KB와이즈스타사모
부동산투자신탁제2호
- 2,224,017 - - - 537,268 -
당사 관계기업 진양특수강㈜ - 700,000 - - - - -
합계 12,722,994 146,682,331 5,859,060 22,135,633 30,805 2,528,625 5,859,060
(주1) 기타거래는 대리인으로서 특수관계자를 대신하여 채무를 결제한 현금유출입 내역이 포함되어 있습니다.


(전기)

                  (단위: 천원)
  거래회사명 매출 배당금
수익
기타수익 기타거래
(수익)
(주1)
배당금 지급 유무형
자산매입
기타비용 기타거래
(비용)
(주1)
지배기업 ㈜세아홀딩스 198,029 - 1,613 - 22,135,633 - 4,217,513 4,068,988
종속기업 ㈜세아베스틸 6,489,640 - - 2,301,027 - 1,048 314,350 -
㈜세아창원특수강 5,471,891 41,342,505 1,885,005 1,706,165 - - - -
㈜세아항공방산소재 228,580 1,055,320 - 61,796 - - - -
㈜씨티씨 141,928 - - - - - - -
SeAH Global Vina Co., Ltd - - 679 - - - - -
지배기업의 종속기업 ㈜브이엔티지 - - - - - 92,018 307,785 -
㈜세아기술투자 - - 5,175 - - - - -
KB와이즈스타사모
부동산투자신탁제2호
- 1,999,684 - - - - 210,690 -
당사 관계기업 진양특수강㈜ - 875,000 - - - - - -
합계 12,530,068 45,272,509 1,892,472 4,068,988 22,135,633 93,066 5,050,338 4,068,988
(주1) 기타거래는 대리인으로서 특수관계자를 대신하여 채무를 결제한 현금유출입 내역이 포함되어 있습니다.


*채권/채무

(당기말)

        (단위: 천원)
구분 거래회사명 미수금 기타채권 미지급금
지배기업 ㈜세아홀딩스 138,411 - 401,739
종속기업 ㈜세아베스틸 1,345,064 - 103,708
㈜세아창원특수강 1,094,962 - 293,398
㈜세아항공방산소재 16,852 - -
㈜씨티씨 13,233 - -
SeAH Global Japan 4,166 - -
지배기업의 종속기업 ㈜브이엔티지 - - 46,303
KB와이즈스타사모
부동산투자신탁제2호
- 320,720 416
총합계 2,612,688 320,720 845,564


(전기말)

        (단위: 천원)
구분 거래회사명 미수금 기타채권 미지급금
지배기업 ㈜세아홀딩스 107,211 - 4,374,389
종속기업 ㈜세아베스틸 3,930,907 - 200,852
㈜세아창원특수강 6,344,803 - 402,012
㈜세아항공방산소재 158,674 - -
㈜씨티씨 80,370 - -
지배기업의 종속기업 ㈜브이엔티지 - - 89,025
KB와이즈스타사모부동산투자신탁제2호 - 322,213 108
총합계 10,621,965 322,213 5,066,386



나. 위 기재 내용을 바탕으로 부당한 내부거래 및 자기거래로부터 주주를 보호하기 위한 정책 중 부족한 부분이나 개선 계획이 있는 경우 그 사유 및 앞으로의 계획을 설명한다.
(1) 미진한 부분 및 그 사유

-

(2) 향후 계획 및 보충설명

당사는 향후에도 계열회사 등과의 내부거래, 경영진 또는 지배주주 등과의 자기거래로부터 주주를 보호하기 위하여 통제 정책을 주기적으로 점검하고, 각 거래의 공정성 및 타당성을 검토해 나갈 예정입니다. 또한, 내부거래 및 자기거래 규모가 커질 경우, 내부 의사결정 하에 내부거래를 전담하는 이사회 산하 위원회 설치 등도 검토해 나갈 계획입니다.

[202300] (세부원칙 2-3) - 기업은 주주간 이해관계를 달리하는 기업의 소유구조 또는 주요 사업의 변동 및 자본조달정책에 있어 주주에게 충분히 설명하고 소액주주 의견수렴, 반대주주 권리보호 등 주주보호 방안을 강구하여야 한다.

상기 세부원칙에 대한 준수여부를 간략하게 기술한다. (100자 이내)
당사는 기업의 소유구조 또는 주요 사업의 변동에 있어 소액주주 및 반대주주의 권리를 위해 노력하고 있습니다.
가. 기업의 소유구조 또는 주요 사업에 중대한 변화를 초래하는 합병, 영업양수도, 분할, 주식의 포괄적 교환 및 이전 등에 대한 소액주주 의견 수렴, 반대주주 권리보호 등 주주보호를 위한 회사의 정책을 설명한다.
정책마련 여부
N(X)

당사는 소유구조, 주요 사업에 중대한 변화를 초래하는 합병, 영업양수도, 분할 등에 대한 소액주주 의견 수렴, 반대주주 권리보호 등에 관한 정책을 따로 마련하고 있지는 않으나, 주주의 의견을 적극 수렴하여 반영하고, 주주를 보호할 수 있도록 다음과 같은 정책을 시행하고 있습니다. 먼저, 회사의 주요 안건이 결의되는 당일 공시를 통해 주주들에게 안내하고, 주주총회 소집결의 및 주주총회 소집공고 등의 공시와 주주총회 소집통지서 등 서면 안내를 통해 적극적으로 주주들에게 기업 정보를 공개하고 있습니다. 또한, 주주들의 의견을 적극적으로 수렴하기 위하여 제67기(2021년) 주주총회부터 매년 전자투표를 시행하고 있으며, 주주 편의를 위한 전자위임장, 의결권 대리행사 권유도 운영하고 있습니다. 이 외에도 회사 홈페이지를 통하여 공시, 공고 등의 정보를 적시에 게시함으로써 주주들의 정보 접근성을 확대하였습니다. 향후에는 소액주주의 의견을 수렴할 수 있는 간담회 등을 적극 검토하여 주주권익 보호를 확대해나갈 계획입니다.

나. 공시 대상기간에 기업의 소유구조 또는 주요 사업에 중대한 변화를 초래하는 합병, 영업양수도, 분할, 주식의 포괄적 교환 및 이전 등이 있었거나 구체적인 계획이 있는 경우 소액주주의견 수렴, 반대주주 권리 보호 등 주주보호를 위해 시행한 내용을 설명한다.
계획 여부
N(X)

-

다. 주식으로 전환될 수 있는 자본조달 사항이 있는 경우 아래의 사항을 포함하여 설명한다.
발행 여부
Y(O)
(1) 주식으로 전환될 수 있는 채권 등 발행 현황

당사는 2020년 3월 16일 자회사인 (주)세아창원특수강의 지분 취득을 위해 교환사채 1,000억원을 발행하였습니다. 다만, 당사는 해당 교환사채 1,000억원을 2025년 3월 17일에 전액 상환 완료하였습니다.


구분

제75회 무기명식 이권부 무보증 후순위 교환사채

만기

30년(발행회사가 만기연장 권한 보유)

사채의 권면 총액

100,000,000,000원

이자율

표면이자율 3.51%, 발행 5년 이후 기존금리에 2.00% 가산금리 적용

이자지급 정지권한

가. 본 사채 발행일로부터 5년이 경과한 이후에는 회사의 선택에 따라 이자의 전부 또는 일부를 지급하지 아니할 수 있다. 단, 매 이자지급일 기준 직전 12개월 간 본 사채 대비 후순위 및 동순위인 채권 및 주식에 대한 매입, 상환, 이익소각을 한 경우 이자지급 유예가 불가하다.

나. 발행회사가 위 가.목에 따라 이자의 전부 또는 일부의 지급을 유예한 경우에도, 발행회사는 이후 도래하는 이자지급기일에 발행인의 선택에 따라 이자의 지급을 재개할 수 있다. 이 경우 발행회사는 지급을 유예한 이자를 누적적으로 합하여 지급할 의무는 없으며, 해당 이자지급일에 원래 지급할 이자기간에 대한 이자만을 지급하기로 한다(비누적적).

다. 이자 지급 유예 시, 본 사채보다 후순위 및 동순위인 채무의 변제, 상환, 현금 및 주식배당 결의, 자기주식매입, 상환주식의 상환 또는 이익소각을 하여서는 아니된다.

교환대상

(주)세아창원특수강 기명식 보통주

교환청구기간

2021년 3월 16일부터 2050년 2월 16일까지

교환가액

22,500원

교환가액 조정

가. 사채를 소유한 자가 교환권 행사 청구를 하기 이전에, (i) 시가를 하회하는 발행가액으로 유상증자를 하거나, (ii) 준비금의 자본전입을 통하여 무상증자를 하거나, (iii) 주식배당을 통하여 주식을 발행하거나, (iv) 주식분할을 하거나, (v) 시가를 하회하는 전환가액 내지행사가액으로 전환사채 또는 신주인수권부사채를 발행하거나, (vi) 기타 방법으로 주식을 발행하는 경우에는 교환가액을 조정

나. 합병, 자본의 감소, 주식분할 및 병합 등에 의하여 교환가격의 조정이 필요한 경우에는 당해 합병 또는 자본의 감소 직전에 전액 교환되어 주식으로 교부되었더라면 교환인수인이 가질 수 있었던 증권수에 따른 가치에 상응하도록 교환가액을 조정

다. 조정된 교환가액이 증권의 보통주식의 액면가 이하일 경우에는 액면가를 교환가액으로 함.

기타사항(조기상환권)

가. 발행회사의 선택으로 3년 이내의 경우 발행일로부터 매 1년 경과시점마다, 3년 이후부터 5년 이내 시점까지는 매 6개월 경과 시 마다, 5년 이후의 경우 매 이자지급일마다 전부 조기상환 가능

나. 조기상환 시에는 조기상환 원리금(연체이자 포함)을 지급

다. 조기상환 시 각 조기상환일의 5영업일 전, 5년 경과시점의 조기상환 시에는 해당 조기상환일의 3개월 전 사채권자에게 서면통지

(2) 공시대상기간 내에 주주간 이해관계를 달리하는 자본조달이 있는 경우 의사결정과정에서 소액주주 등의 이해를 고려했는지 여부

-

(3) 공시대상기간내에 주식관련사채 등 발행 또는 약정위반(기한이익 상실)으로 인한 지배주주 변동 내용

-

라. 위 기재 내용을 바탕으로 기업의 소유 구조 또는 주요 사업의 변동 및 자본조달 과정에 있어서 소액주주의 의견수렴, 반대주주 권리보호에 중 부족한 부분이나 개선 계획이 있는 경우 그 사유 및 앞으로의 계획을 설명한다.
(1) 미진한 부분 및 그 사유

당사는 소유구조, 사업에 중대한 변화를 초래하는 합병, 영업양수도, 분할 등에 대한 소액주주 의견수렴, 반대주주 권리보호를 위한 정책을 따로 마련하고 있지 않으나, 주주의 의견을 적극 수렴하여 반영하고, 주주를 보호할 수 있도록 다양한 방안을 고려하고 있습니다.

(2) 향후 계획 및 보충설명

당사는 소유구조, 사업에 중대한 변화를 초래하는 합병, 영업양수도, 분할 등에 대한 소액주주 의견수렴, 반대주주 권리보호를 위한 정책을 따로 마련하고 있지 않으나, 추후 소액주주의 의견수렴과 반대주주의 권리보호를 위하여 종합적인 사항을 고려하여 충분히 논의한 후 정책을 마련하도록 하겠습니다.


[300000] 3. 이사회

[303000] (핵심원칙 3) 이사회는 기업과 주주이익을 위하여 기업의 경영목표와 전략을 결정하고, 경영진을 효과적으로 감독하여야 한다.

[303100] (세부원칙 3-1) - 이사회는 경영의사결정 기능과 경영감독 기능을 효과적으로 수행하여야 한다.

상기 세부원칙에 대한 준수여부를 간략하게 기술한다. (100자 이내)
당사는 2022년 4월 분할 이후 이사회 중심의 경영체제를 강화하였으며, 이사회는 경영의사결정과 경영감독 기능을 충실히 수행하고 있습니다.
가. 이사회가 기업운영의 중심으로서 기능을 원활히 수행할 수 있도록 기업이 운영하고 있는 제도 등 관련 사항 전반을 아래의 내용을 포함하여 설명한다.
(1) 정관 또는 이사회 규정 등으로 정하고 있는 이사회 심의 ㆍ 의결사항을 설명하고 법상 의무 외 추가 강화된 내용이 있다면 그 이유 및 효과

당사는 이사회의 심의·의결사항에 대한 사항은 이사회 운영규정 제11조에 정의하고 있습니다. 주요 부의사항은 다음과 같습니다.


가. 주주총회에 관한 사항

- 주주총회의 소집

- 전자적 방법에 의한 의결권의 행사허용

- 영업보고서 및 재무제표의 승인

- 정관의 변경

- 자본의 감소

- 회사의 해산, 합병, 분할합병, 회사의 계속

- 회사의 영업 전부 또는 중요한 일부의 양도 및 회사의 영업에 중대한 영향을 미치는 다른 회사의 영업 전부 또는 일부 양수

- 영업 전부의 임대 또는 경영위임, 타인과 영업의 손익 전부를 같이하는 계약, 기타 이에 준할 계약의 체결이나 변경 또는 해약

- 이사, 감사위원회 위원의 선임, 해임 및 이사의 보수

- 주식의 액면미달발행

- 이사의 회사에 대한 책임의 감면

- 현금, 주식, 현물배당 결정

- 주식매수선택권의 부여 및 취소

- 회사의 최대주주(그의 특수관계인을 포함함) 및 특수관계인과의 거래의 승인 및 주주총회에 보고

- 법정준비금의 감액

- 기타 주주총회에 부의할 의안


나. 경영에 관한 사항

- 회사경영의 기본방침 결정 및 변경

- 신규사업의 결정

- 대표이사의 선임, 해임 및 공동대표의 결정

- 경영위원의 선임 및 해임

- 이사회 내 위원회의 설치, 운영 및 폐지

- 이사회 내 위원회 위원의 선임 및 해임

- 이사회 내 위원회의 결의사항에 대한 재결의. 단, 감사위원회 결의에 대하여는 그러하지 아니함

- 이사의 전문가 조력의 결정

- 지배인의 선임 및 해임

- 준법지원인의 선임 및 해임, 준법통제기준의 제·개정 및 폐지 등

- 중요한 사내 규정의 제개정

- 지점, 공장, 사무소, 사업장의 설치, 이전 또는 폐지

- 간이합병, 간이분할합병, 소규모합병 및 소규모분할합병의 결정

- 흡수합병 또는 신설합병의 보고

- 안전 및 보건에 관한 계획


다. 재무에 관한 사항

- 최근 사업연도 말 자기자본의 [1000분의 25] 이상의 출자 및 출자지분 처분

- 출자하는 금액이 최근 사업년도 말 자기자본의 [1,000분의 25 이상]이며, 당해 출자의 결과로 당해 피투자법인(펀드 제외)의 전체 지분 중 100분의 50을 초과하거나 당해 피투자법인이 연결회계 대상 계열회사로 편입되는 출자

- 중요 계약의 체결 및 해약

1) 최근 사업년도 매출액의 [1,000분의 25]에 상당하는 중요한 거래처와의 거래 중단

2) 최근 사업년도 매출액의 [1,000분의 25]에 상당하는 단일 판매 및 공급계약의 체결 또는 해지

3) 사업 운영 상 중요한 기술의 도입, 이전, 제휴 계약의 체결 또는 해지

4) 기타 경영 상 중요한 계약의 체결 또는 해지

- 중요 재산의 취득과 처분에 관한 사항

1) 처분가액이 최근 사업년도 말 회사 자기자본의 [1,000분의 25] 이상인 출자지분의 처분

2) 처분가액이 최근 사업년도 말 회사 자산총액의 [1,000분의 25] 이상인 유·무형자산의 처분결손의 처분

- 중요 결손 처분

- 중요시설의 신설 및 개폐

- 신주의 발행

- 자기자본의 [1,000분의 25] 이상의 자금도입 및 보증행위

- 사채의 발행 또는 대표이사에게 사채발행의 위임

- 준비금의 자본전입

- 전환사채의 발행

- 신주인수권부사채의 발행

- 대규모 자금 차입 및 신규 채무보증에 관한 사항. 다만, 신규 채무보증 이후 그 채무연장, 조건변경, 갱신 등에 관한 사항은 대표이사에게 그 권한을 위임한다.

- 중요한 재산에 대한 저당권, 질권의 설정

- 자기주식의 취득, 처분 및 소각


라. 기타

- 이사 등과 회사간 거래 승인

- 이사의 회사기회 이용에 대한 승인

- 타회사의 임원 겸임

- 중요 소송의 제기와 화해

- 기타 법령 또는 정관에 정하여진 사항, 주주총회에서 위임된 사항 및 기타 업무에 중요하다고 인정되는 사항


이사회 심의, 의결 사항 중 관련법상 의무화된 사항 이외의 사항은 이사회 지원조직인 포트폴리오팀에서 내부적으로 검토하여 이사회 부의 여부를 결정합니다. 회사의 경영에 중대한 영향을 미치는 사안의 경우에는 법령 및 이사회 운영 규정상 의무화된 사항이 아니더라도 이사회에 부의하여 사내이사 및 사외이사와 충분한 심의를 거쳐 의사결정을 진행하고 있습니다.

(2) 이사회의 권한 중 이사회 내 위원회 및 대표이사(또는 대표집행임원)에게 위임된 사항

당사는 상법 제393조의2, 정관 제5장 및 이사회 운영규정 제4조, 제19조에 따라 대표이사 및 각 위원회에 전문적인 권한을 위임하여 이사회 운영의 전문성과 효율성을 제고하고 있습니다.

당사는 법령 및 정관을 위배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위원회 운영 규정을 통해 이사회 결의사항 중 일부를 각 위원회에 위임할 수 있도록 하고 있으며, 감사위원회의 독립성을 보장함과 동시에 최고 의사결정기구로서의 지위는 이사회에 부여하고 있습니다.

나. 위 기재 내용을 바탕으로 이사회가 경영의사 결정 기능과 경영감독 기능을 효과적으로 수행하지 못한 사항이 있다면 그 사유 및 향후 계획 등에 관하여 설명한다.
(1) 미진한 부분 및 그 사유

당사의 이사회는 경영의사 결정 기능과 경영감독 기능을 효과적으로 수행하고 있습니다.

(2) 향후 계획 및 보충설명

당사 이사회는 주주총회에 관한 사항, 경영에 관한 사항, 재무에 관한 사항, 이사 등에 관한 사항을 중심으로 경영의사결정을 내리고 있습니다. 또한, 회사경영의 기본방침 및 업무집행에 관한 중요한 사항을 심의, 의결함으로써 경영진의 업무를 효과적으로 감독하고 있습니다.

[303200] (세부원칙 3-2) - 이사회는 최고경영자 승계정책을 마련하여 운영하고, 지속적으로 개선·보완하여야 한다.

상기 세부원칙에 대한 준수여부를 간략하게 기술한다. (100자 이내)
당사는 현재 최고경영자 승계정책을 마련하여 운영하고 있지는 않습니다.
가. 최고경영자승계정책이 마련되어 있다면 그에 관한 내용에 대해 아래의 사항을 포함하여 설명한다.
(1) 승계정책의 수립 및 운영 주체
승계정책 수립 여부
N(X)

보고서 제출일 현재 당사는 승계정책을 수립하고 있지 않습니다.

(2) 후보(집단)선정, 관리, 교육 등 승계정책의 주요 내용
후보 선정
N(X)

-

(3) 공시대상기간동안 후보군에 대한 교육 현황
후보 교육
N(X)

-

(4) 공시대상기간 개시시점부터 보고서 제출 시점까지 최고 경영자승계정책을 개선·보완한 사항이 있다면 그 내용

-

나. 위 기재 내용을 바탕으로 최고경영자승계정책이 마련되어 있지 않거나 부족한 부분이 있는 경우 그 사유 및 향후 계획 등에 관하여 설명한다.
(1) 미진한 부분 및 그 사유

당사는 명문화된 최고경영자 승계정책을 별도로 구비하고 있지 않습니다.

(2) 향후 계획 및 보충설명

당사는 현재 명확한 전략과 비전, 탁월한 리더십, 풍부한 지식과 전문성에 기반한 경험을 보유한 사내 등기·미등기 임원 중에서 후보집단을 선정하고 교육하여 승계를 진행하고 있습니다. 향후 회사 논의를 통해서 최고경영자 승계정책 수립여부를 검토하겠습니다.

당사는 정관 제29조에 따라 대표이사의 선임을 이사회 권한으로 규정하고 있으며, 정관 제30조에 따라 대표이사 유고 시 상위직급자의 순서에 따라 그 직무를 대행하고 있습니다.

[관련 정관]
제29조 (대표이사 등의 선임)
① 이 회사는 이사회의 결의로써 이사 중에서 대표이사를 선임하고 필요에 따라 회장, 부회장, 부사장, 전무이사, 상무이사 및 이사 약간 명을 선임할 수 있다.

제30조 (이사의 직무)
① 대표이사는 회사를 대표하며 회사의 전반 업무를 총괄한다.
② 부사장, 전무이사, 상무이사 및 이사는 대표이사를 보좌하고 이사회에서 정하는 바에 따라 이 회사의 업무를 분장 집행하며 대표이사의 유고 시에는 위 순서로 그 직무를 대행한다.

[303300] (세부원칙 3-3) - 이사회는 회사의 위험을 적절히 관리할 수 있도록 내부통제정책을 마련하여 운영하고, 지속적으로 개선·보완하여야 한다.

상기 세부원칙에 대한 준수여부를 간략하게 기술한다. (100자 이내)
당사의 이사회는 내부통제정책을 마련하여 운영하고 있으며, 상황에 맞게 지속적으로 이를 개선 및 보완하고 있습니다.
가. 회사의 내부통제 정책에 관하여 아래의 사항을 포함하여 설명하고 이를 지속적으로 개선·보완하고 있는지 설명한다.
(1) 회사의 지속가능한 발전을 위해 전사적인 위험을 체계적으로 인식하고 관리하는 정책이 있는지 여부 및 그 운영 현황
전사 리스크관리 정책 마련 여부
Y(O)

당사는 경영리스크를 파악하여 유형별 대응계획을 수립하고, 해소하기 위해 리스크 관리 프로세스를 구축하고 있습니다. 리스크의 범위는 제품ㆍ조직등과 연관된 비즈니스 리스크, 특정 프로젝트와 관련된 프로젝트 리스크, 신규 사업과 같은 사업 리스크, 특정 경영시스템과 관련된 리스크, 특정 법규, 규제와 관련된 리스크, 안전·환경과 관련된 리스크로 구분할 수 있습니다.


경영 환경에서 발생하는 재무적·비재무적 리스크는 사업회사 경영기획팀 및 지주사 ESG팀, 컴플라이언스팀 등에서 관리하고 있으며, Ethics & Compliance 리스크는 지주사 규범준수책임자(컴플라이언스팀장), 이외 전반적인 리스크에 대해서는 사업회사 리스크 관리 책임자(경영기획팀장)가 관리하고 있습니다. 해당 유관부서 및 책임자는 ESG실무협의체를 구성하여 지주사 ESG팀과 논의하고, ESG팀장은 사업회사 리스크 관련 내용을 통합하여 이사회 내 위원회에 보고하고 있습니다. 또한, 내부통제팀은 지주사 및 사업회사의 재무보고 신뢰성 훼손 리스크 관리를 위한 내부회계관리제도를 운영하고 있고 리스크 점검사항을 이사회 내 감사위원회에 보고하고 있습니다.


내부통제부서(ESG팀, 컴플라이언스팀, 경영기획팀, 내부통제팀)는 리스크 관리기준을 수립하고 리스크 관련 계획을 수립합니다. 각 리스크에 관련된 부서는 리스크 관리 기준에 준하여 이슈를 파악하고 리스크를 평가합니다. 리스크 평가 및 이해관계자 분석을 통해 도출된 주요 리스크는 중요도에 따라 관리 활동을 실시하여 모니터링하는 방식으로 리스크 관리 프로세스가 운영되고 있습니다. 이를 통해 도출된 주요 리스크는 회사의 사업계획의 수립과 운영에 반영하고 있습니다.

(2) 준법경영 정책 마련 여부 및 그 운영 현황
준법경영 정책 마련 여부
Y(O)

컴플라이언스팀에서는 '준법통제기준'을 사내규정으로 제정하고, 이에 따라 준법지원인 및 준법지원조직을 두어 준법경영에 대한 이사회 보고 등 독립적 업무 수행을 보장하고 있습니다. 또한, '규범준수경영시스템 매뉴얼 및 절차서(총 13개)'를 사규화하여 사내 규범준수방침을 제공하고, 규범준수와 관련된 리스크를 파악 및 모니터링할 수 있도록 준법경영 정책을 운영하고 있습니다.

(3) 내부회계관리 정책 마련 여부 및 그 운영 현황
내부회계관리 정책 마련 여부
Y(O)

당사는 내부회계관리제도를 운영하고 있으며, 명문화된 규정 또한 가지고 있습니다.

(4) 공시정보 관리 정책 마련 여부 및 그 운영 현황
공시정보관리 정책 마련 여부
Y(O)

당사는 공시 리스크 제거를 위해 공시정보관리규정을 구비하고 이를 준수하고 있습니다.

(5) 그 밖에 회사가 내부통제를 위해 특별히 시행하고 있는 정책

-

나. 위 기재 내용을 바탕으로 내부통제 정책 중 미진한 부분이 있거나 회사의 규모에 맞추어 낮은 단계로 시행하는 부분이 있다면 그 사유 및 향후 계획에 관하여 설명한다.
(1) 미진한 부분 및 그 사유

-

(2) 향후 계획 및 보충설명

당사는 보고서 제출일 현재 내부회계관리정책, 공시정보관리정책, 준법통제정책, 규범준수 경영 시스템 등을 마련하여 회사의 위험을 적절히 관리하고 있습니다. 향후에도 회사의 상황에 맞게 해당 정책들을 지속적으로 제, 개정할 계획입니다.

[304000] (핵심원칙 4) 이사회는 효율적으로 의사를 결정하고 경영진을 감독할 수 있도록 구성하여야 하며, 이사는 다양한 주주의견을 폭넓게 반영할 수 있는 투명한 절차를 통하여 선임되어야 한다.

[304100] (세부원칙 4-1) - 이사회는 회사의 지속가능한 발전을 위한 중요 사항에 대하여 효과적이고 신중한 토의 및 의사결정이 가능하도록 구성하여야 하며, 경영진과 지배주주로부터 독립적으로 기능을 수행할 수 있도록 충분한 수의 사외이사를 두어야 한다.

상기 세부원칙에 대한 준수여부를 간략하게 기술한다. (100자 이내)
당사 이사회는 사내이사 3명, 사외이사 4명으로 구성되어 있어 의사결정에 있어 독립적으로 기능을 수행할 수 있습니다.
가. 이사회 구성현황을 아래의 내용을 포함하여 설명한다.
(1) 이사회 및 이사회 내 위원회, 지원부서 등 관련 조직도
표 4-1-1: 보고서 제출일 현재 이사회 및 이사회내 위원회 조직도
(2) 보고서 제출일 현재 이사회 구성, 이사회 구성원의 연령, 성비 현황 등

당사 이사회는 정관 제26조에 따라 이사는 3인 이상으로 하며 전체 이사수의 과반수를 사외이사로 선임하도록 하고 있습니다. 당사 이사회는 보고서 제출일 현재 사외이사 4명(김지홍, 윤여선, 이화용, 박상찬)과 사내이사 3명(이태성, 김수호, 박성준), 총 7명의 이사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따라서 사외이사를 3명 이상으로 하고 이사 총수의 과반수가 되어야 한다는 상법 제542조의8의 요건을 충족하고 있습니다. 세부 구성내역은 아래와 같습니다.

표 4-1-2: 이사회 구성 현황

구분 성별 나이(滿) 직책 이사 총 재직기간(월) 임기만료예정일 전문 분야 주요 경력
이태성 사내이사(Inside) 남(Male) 46 대표이사
보상평가위원장
Ethics&Compliance위원
110 2027-03-29 경영전반 현) (주)세아베스틸지주 대표이사
현) (주)세아홀딩스 대표이사
전) (주)세아베스틸지주 경영기획부문장
칭화대 경영학 석사
미시건대 심리학 / 언론학 학사
김수호 사내이사(Inside) 남(Male) 49 대표이사
ESG위원
26 2027-03-29 경영전반 현) (주)세아베스틸지주 대표이사
현) (주)세아홀딩스 대표이사
전) (주)현대캐피탈 미래전략본부 본부장/전무
전) Mckinsey & Company 금융 및 디지털 부문 파트너
전) DELL 전략부문 Director
MIT 경영학 석사
서울대 경영학 학사
박성준 사내이사(Inside) 남(Male) 44 경영총괄 38 2026-03-25 경영총괄 현) (주)세아베스틸지주 경영총괄
현) (주)세아홀딩스 경영총괄
전) (주)세아홀딩스 혁신센터팀장
전) (주)세아홀딩스 성과관리팀장
전) 삼일회계법인 Deal 본부
연세대 경영학 학사
김지홍 사외이사(Independent) 남(Male) 70 감사위원장
사외이사후보추천위원
ESG위원
보상평가위원
62 2026-03-25 경영관리감독 현) 한국뉴욕주립대학교 경영학과장
전) 손해보험협회 비상임감사
전) 연세대 경영대학 교수
전) (주)노루페인트 사외이사
캘리포니아대학교(버클리) 회계학 박사
연세대 경영학 학사
윤여선 사외이사(Independent) 여(Female) 58 이사회의장
ESG위원장
감사위원
사외이사후보추천위원
Ethics&Compliance위원
62 2026-03-25 경영관리감독 현) 카이스트 테크노 경영대학 학장
현) 카이스트 테크노 경영연구소장
현) 카이스트 경영대학원 마케팅 교수
전) 카이스트 테크노 경영대학원장
미시간대학교 로스경영대학원 박사
고려대 경영학 학사
이화용 사외이사(Independent) 남(Male) 58 Ethics&Compliance위원장
감사위원
사외이사후보추천위원
ESG위원
26 2027-03-29 경영관리감독 현) 법무법인(유한) LKB&Partners 대표변호사
현) 한국거래소 규율위원
현) 금융정보분석원 제재심의위원
전) 의정부지방법원 부장판사
전) 금융정보분석원 심의위원(금융위원회 소속)
전) 대전지방법원 논산지원장
전) 서울북부지방법원 판사
고려대 법무대학원 공정거래법학 수료
고려대 법학 학사
박상찬 사외이사(Independent) 남(Male) 51 사외이사후보추천위원장
감사위원
ESG위원
2 2027-03-26 경영관리감독 현) KAIST 경영대학/경영공학부 부교수
현) 한국인사조직학회 인사조직연구 편집위원장
전) Georgia Institute of Technology, 경영대학 방문교수
전) 이화여대 경영대학 조교수
전) National University of Singapore, 경영대학 조교수
코넬대 조직행동학 박사
연세대 조직행동학 석사
연세대 사회학/심리학 학사
(3) 보고서 제출일 현재 이사회 내 위원회의 구성, 의장 및 위원장, 위원회의 주요 역할 등

당사는 2022년 4월 물적분할 이후 이사회 내에 5개의 위원회를 설치 및 운영하고 있습니다. 보고서 제출일 현재 이사회 내 위원회의 구성은 아래와 같습니다.

표 4-1-3-1: 이사회내 위원회 현황

이사회내 위원회 주요 역할 위원회 총원(명) 위원회 코드 비고
사외이사후보추천위원회 1. 사외이사 후보의 추천 및 자격심사
2. 기타 사외이사후보 추천을 위하여 필요한 사항 심의
4 A -
감사위원회 1. 이사 및 경영진의 업무 감독
2. 감사업무와 관련하여 정관 또는 내규로 정하는 사항 심의
3. 외부감사인 선정 및 그 밖에 중요한 안건에 대한 승인
4 B -
ESG위원회 1. ESG 경영강화를 위한 ESG 전략 수립 및 성과 모니터링 수행
2. ESG 리스크의 사전/사후 점검 및 이를 고려한 경영 의사결정
3. 기타 ESG 관련한 중요한 안건 심의
5 C -
Ethics&Compliance위원회 1. Ethics and Compliance(E&C) 정책 수립
2. 각 사의 E&C 정책 이행 여부 점검
3. 윤리/준법 경영 위한 업무 자문 및 지원
4. 준법지원책임자 선임
5. 윤리/준법 관련 규정 제/개정 및 규정 위반 사항 제반 처리
6. 윤리/준법 관련 중요한 안건 심의
3 D -
보상평가위원회 1. 경영진 보수 및 처우 결정
2. 대표이사 선임/해임의 제안
3. 등기임원 사내보수한도 심의
2 E -

표 4-1-3-2: 이사회내 위원회 구성

직책 구분 성별 겸임
사외이사후보추천위원회 박상찬 위원장 사외이사(Independent) 남(Male) B, C
윤여선 위원 사외이사(Independent) 여(Female) B, C, D
김지홍 위원 사외이사(Independent) 남(Male) B, C, E
이화용 위원 사외이사(Independent) 남(Male) B, C, D
감사위원회 김지홍 위원장 사외이사(Independent) 남(Male) A, C, E
윤여선 위원 사외이사(Independent) 여(Female) A, C, D
이화용 위원 사외이사(Independent) 남(Male) A, C, D
박상찬 위원 사외이사(Independent) 남(Male) A, C
ESG위원회 윤여선 위원장 사외이사(Independent) 여(Female) A, B, D
김지홍 위원 사외이사(Independent) 남(Male) A, B, E
이화용 위원 사외이사(Independent) 남(Male) A, B, D
박상찬 위원 사외이사(Independent) 남(Male) A, B
김수호 위원 사내이사(Inside) 남(Male) -
Ethics&Compliance위원회 이화용 위원장 사외이사(Independent) 남(Male) A, B, C
윤여선 위원 사외이사(Independent) 여(Female) A, B, C
이태성 위원 사내이사(Inside) 남(Male) E
보상평가위원회 이태성 위원장 사내이사(Inside) 남(Male) D
김지홍 위원 사외이사(Independent) 남(Male) A, B, C
(4) 회사의 지속가능경영 관련 이사회내 위원회를 설치하였다면 그 구체적인 기능 및 역할
ESG 위원회 설치 여부
Y(O)

당사는 2022년 4월 회사의 지속가능경영을 위해 이사회 산하에 ESG위원회를 설치하였습니다. 구체적인 기능 및 역할은 아래와 같습니다.

1. ESG 경영강화를 위한 ESG 전략 수립 및 성과 모니터링 수행

2. ESG 리스크의 사전/사후 점검 및 이를 고려한 경영 의사결정

3. 기타 ESG 관련한 중요한 안건 심의

(5) 이사회 의장을 사외이사로 선임하였는지 여부
이사회 의장이 사외이사인지 여부
Y(O)

당사 이사회는 사외이사 중심의 독립적인 의사결정을 지속 강화하고 있습니다. 보고서 제출일 현재 이사회의 사외이사 비중은 57.1%로 상법상 요건인 과반수 이상의 요건을 충족하고 있습니다. 2019년 3월 이사회에서 대표이사와 이사회 의장을 분리하였으며, 2021년 3월 이사회에서 이사회 의장을 사외이사로 선임하여 이사회 독립성 수준을 높이고 있습니다.

(6) 선임 사외이사, 집행임원제도 도입 여부 및 그 제도 도입 배경 이유, 관련 근거, 현황 등
선임사외이사 제도 시행 여부
N(X)
집행임원 제도 시행 여부
N(X)

-

나. 위 기재 내용을 바탕으로 이사회의 구성 및 사외이사의 독립성 관련 미진한 부분이 있다면 그 사유 및 향후 개선 계획을 설명한다.
(1) 미진한 부분 및 그 사유

당사의 이사회는 전문성 및 다양성을 고려하여 구성되어 있으며, 사외이사는 회사 및 최대주주와 관련이 없는 자들로 선임하여 의사결정에 독립성을 확보하고 있습니다.

(2) 향후 계획 및 보충설명

이사회는 효과적이고 신중한 토의 및 의사결정이 가능하도록 각 분야의 전문가로 구성되어 있고, 회사의 의사결정에 전문가적 견해를 제시하고 특정분야에 치우치지 않고 합리적 의사결정을 할 수 있도록 지원하고 있습니다. 또한, 각 사외이사는 회사와 이해관계가 없는 자들로 선임하여 경영진으로부터 독립적인 의사결정을 할 수 있도록 노력하고 있습니다. 세아베스틸지주로 체제를 개편하며 ESG 경영을 강화하기 위해 이사회 내 ESG위원회, Ethics & Compliance위원회, 보상평가위훤회를 신설하였습니다. 이를 통해 이사회 중심의 투명한 경영체제를 확립하고, ESG 경영 체계를 정착시켜 비재무적 역량을 강화해 나갈 방침입니다.

[304200] (세부원칙 4-2) - 이사회는 기업경영에 실질적으로 기여할 수 있도록 지식 및 경력 등에 있어 다양한 분야의 전문성 및 책임성을 지닌 유능한 자로 구성하여야 한다.

상기 세부원칙에 대한 준수여부를 간략하게 기술한다. (100자 이내)
당사의 이사회는 기업경영에 실질적으로 기여할 수 있도록 사회 각 분야의 전문가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가. 이사회의 현황에 대하여 아래의 내용을 포함하여 설명한다.
(1) 이사회의 전문성, 책임성 및 다양성을 확보하기 위한 기업의 정책 마련 여부와 현황, 이사회가 모두 동일한 성별로 구성된 경우 그 이유
이사회 성별구성 특례 적용기업인지 여부
N(X)
이사회 구성원이 모두 동성(同性)이 아닌지 여부
Y(O)

당사는 철강 관련 이외의 다양한 분야의 전문 지식을 보유한 후보자를 선임함으로써 경영기획, 영업, 생산 전반에 대해 기여하고 있습니다.

김지홍 이사는 국세청 국세행정위원회 위원 및 경영대학 교수로 역임하였으며, 회계에 대한 전문성을 바탕으로 회사의 재무상태를 진단하고 중요한 의사결정에 재무ㆍ회계 분야에서 합리적 견해를 제시하고 있습니다.

윤여선 이사는 경영학 박사 학위를 보유하고 카이스트 경영대학원에서 마케팅 분야를 담당하는 교수로서 더욱 치열해지고 어려워진 철강 업황에도 지속 성장할 수 있는 마케팅 전략 구축에 전문성 있는 의견을 제시하고 있습니다. 특히, 윤여선 사외이사는 여성이사로서 이사회가 다양성을 존중하고 균형 잡힌 견해를 제시하는 역할을 하고 있습니다. 당사는 2021년 3월 이사회에서 이사회 의장을 사외이사인 윤여선 이사로 선임하여 이사회 독립성의 수준을 높이고 있습니다.

이화용 이사는 법무법인 LKB&Partners 대표변호사로서, 지방법원 및 고등법원 판사, 한국거래소 규율위원, 금융정보분석원 제재심의위원 등 법률 부문에서의 다양한 경력을 가지고 있습니다. 법률전문가로서 회사가 법률에 근거한 준법경영을 실천할 수 있도록 의견을 제시하고 있습니다.

박상찬 이사는 카이스트 경영대학 부교수로 전략경영 및 조직이론, 사회적 가치창출 및 녹색성장 분야에 경력을 가진 경영학 전문가로서, 해당 분야에 대한 지식과 경험을 바탕으로 회사의 지속가능경영체계 강화와 미래 성장 전략 수립에 기여하고 있습니다.

(2) 공시대상기간 개시시점부터 보고서 제출 시점까지 이사 선임 및 변동 내역

공시대상기간 개시시점부터 보고서 제출일 현재까지 이사 선임 및 변동내역은 아래와 같습니다.

표 4-2-1: 이사 선임 및 변동 내역

구분 최초선임일 임기만료(예정)일 변동일 변동사유 현재 재직 여부
이태성 사내이사(Inside) 2016-03-18 2027-03-29 2025-03-26 재선임(Reappoint) O
김수호 사내이사(Inside) 2023-03-29 2027-03-29 2025-03-26 재선임(Reappoint) O
박성준 사내이사(Inside) 2022-03-25 2026-03-25 2024-03-20 재선임(Reappoint) O
김지홍 사외이사(Independent) 2020-03-20 2026-03-25 2024-03-20 재선임(Reappoint) O
윤여선 사외이사(Independent) 2020-03-20 2026-03-25 2024-03-20 재선임(Reappoint) O
오원석 사외이사(Independent) 2023-03-29 2025-03-26 2025-03-26 만료(Expire) X
이화용 사외이사(Independent) 2023-03-29 2027-03-29 2025-03-26 재선임(Reappoint) O
박상찬 사외이사(Independent) 2025-03-26 2027-03-26 2025-03-26 선임(Appoint) O
나. 위 기재 내용을 바탕으로 다양한 배경, 전문성 및 책임성 측면에서 이사회 구성에 미흡한 점이 있다면 그 사유 및 향후 계획을 설명한다.
(1) 미진한 부분 및 그 사유

당사는 다양한 배경, 전문성 및 책임성을 고려하여 이사회를 구성하고 있습니다.

(2) 향후 계획 및 보충설명

당사는 철강 관련 지식이 풍부한 이사를 선임함은 물론, 철강 관련 이외의 다양한 분야의 전문 지식을 보유한 후보자와 여성 사외이사를 선임함으로써 이사회의 다양성을 확보하고 있습니다. 이를 통해 당사 이사회는 다양한 분야에서 균형 잡힌 전문성을 확보하고 있습니다. 또한, 이사회 지원조직을 통해서 사외이사의 직무 수행을 지원하고, 신임 사외이사에 대하여는 사업계획 및 경영현황에 대한 충분한 정보를 제공하고 있습니다.

당사는 감사위원 중 1인을 상법 및 관계 법령에서 정한 회계 또는 재무전문가로 김지홍 이사를 선임하였습니다. 김지홍 이사는 캘리포니아대학교(버클리) 회계학 박사로 회계·재무분야 관련 석사학위 이상 학위취득자의 요건을 충족하였고, 연세대학교 경영대학에서 30년 동안 회계분야 교수로 재직하여 대학에서 회계 또는 재무 관련 분야의 조교수 이상인 요건을 충족하였습니다.

[304300] (세부원칙 4-3) - 이사 후보 추천 및 선임과정에서 공정성과 독립성이 확보되도록 하여야 한다.

상기 세부원칙에 대한 준수여부를 간략하게 기술한다. (100자 이내)
당사는 이사회 및 사외이사후보추천위원회를 통해 이사 후보를 추천하고 있으며, 선임과정에서 공정성과 독립성을 확보하고 있습니다.
가. 사내ㆍ사외이사 선임을 위한 이사후보추천위원회 등을 설치하고 있는지 여부 및 이사후보추천위원회 등 활동에 관하여 설명한다.
이사후보추천위원회 등 설치 여부
Y(O)
이사후보추천위원회 등 위원 중 사외이사 비율 (%)
100

이사는 상법 제382조, 정관 제27조에 따라 주주총회에서 선임하며, 사외이사는 상법 제542조의8, 정관 제27조2에 따라 사외이사후보추천위원회의 추천을 받은 후보 중에 선임하고 있습니다. 사외이사후보추천위원회는 독립성과 전문성을 갖춘 사외이사 후보를 추천하기 위한 이사회 내 위원회로 보고서 제출일 현재 사외이사 4명(김지홍, 윤여선, 이화용, 박상찬)으로 전원 사외이사로 구성되어 독립성을 갖추고 있습니다.

당사 사외이사 후보는 상법 및 관련 법령과 정관에서 요구하는 자격 요건을 충족하고 당사와 중대한 이해관계가 없어야 하며, 경영진으로부터 독립적인 지위에서 회사경영을 감독하는 직무를 수행할 수 있어야 합니다. 이러한 원칙에 따라 경영, 경제, 회계, 재무 또는 철강 및 관련기술 등에 관한 전문지식과 경험이 풍부하고 다양한 시각에서 독립적으로 판단할 수 있는 후보를 사외이사로 추천하고 있습니다. 추천 후보가 재적위원 과반수의 출석과 출석위원 과반수의 찬성으로 선정되면, 이후 주주총회에서 투명하고 적법한 절차를 거쳐 선임을 결정하고 있습니다.
보고서 제출일 현재 당사 이사회는 경영, 회계, 법무 및 철강전문가로 구성되어 다양한 분야의 균형 잡힌 전문성을 확보하고 있습니다.
나. 주주들에게 이사 후보에 대한 충분한 정보와 검토 시간을 제공하고 있는지 아래의 내용을 포함하여 설명한다.
(1) 공시대상기간 개시시점부터 보고서 제출 시점까지 주주총회에 이사선임 안건이 포함되어 있을 경우 후보 관련 정보를 상세히 제공하였는지 여부

당사는 주주총회 4주전 전자공시, 회사 홈페이지 공고, 소집통지서 발송(1% 이상 주주) 등을 통해 주주총회 관련 사항을 안내하고 있습니다. 따라서 이사 선임 안건에 대한 내용도 주주총회 4주전 주주들에게 안내하여 충분한 시간을 갖고 안건을 검토할 수 있도록 하고 있습니다. 사외이사후보추천위원회가 공정성과 독립성을 검증하여 추천한 후보자의 세부 경력, 최대주주와의 관계, 당사와의 거래내역, 체납사실 여부, 부실기업 경영진 여부, 법령상 결격 사유 유무 등을 상세히 안내하여 주주들이 충분한 정보를 바탕으로 판단할 수 있도록 지원하고 있습니다.


공시대상기간 개시시점부터 보고서 제출일 현재까지의 주주총회 이사 후보 관련 정보 제공 내역은 다음과 같습니다.

표 4-3-1: 이사 후보 관련 정보제공 내역

정보제공일(1) 주주총회일(2) 사전 정보제공기간(일)((2)-(1)) 이사 후보 구분 정보제공 내역 비고
제70기 정기주주총회 소집공고 이태성 2025-02-24 2025-03-26 30 사내이사(Inside) 1. 후보자 상세 이력 및 전문분야
- 최대주주와의 관계, 당해법인과의
최근 3년간 거래내역
2. 후보 추천 사유
3. 독립성(이해관계) 확인 내용
- 후보자의 체납사실 여부. 부실기업
경영진 여부. 법령상 결격사유 여부
4. 겸직현황 등
-
김수호 2025-02-24 2025-03-26 30 사내이사(Inside) 1. 후보자 상세 이력 및 전문분야
- 최대주주와의 관계, 당해법인과의
최근 3년간 거래내역
2. 후보 추천 사유
3. 독립성(이해관계) 확인 내용
- 후보자의 체납사실 여부. 부실기업
경영진 여부. 법령상 결격사유 여부
4. 겸직현황 등
-
이화용 2025-02-24 2025-03-26 30 사외이사(Independent) 1. 후보자 상세 이력 및 전문분야
- 최대주주와의 관계, 당해법인과의
최근 3년간 거래내역
2. 후보 추천 사유
3. 독립성(이해관계) 확인 내용
- 후보자의 체납사실 여부. 부실기업
경영진 여부. 법령상 결격사유 여부
4. 겸직현황 등
-
박상찬 2025-02-24 2025-03-26 30 사외이사(Independent) 1. 후보자 상세 이력 및 전문분야
- 최대주주와의 관계, 당해법인과의
최근 3년간 거래내역
2. 후보 추천 사유
3. 독립성(이해관계) 확인 내용
- 후보자의 체납사실 여부. 부실기업
경영진 여부. 법령상 결격사유 여부
4. 겸직현황 등
-
제69기 정기주주총회 소집공고 박성준 2024-02-20 2024-03-20 29 사내이사(Inside) 1. 후보자 상세 이력 및 전문분야
- 최대주주와의 관계, 당해법인과의
최근 3년간 거래내역
2. 후보 추천 사유
3. 독립성(이해관계) 확인 내용
- 후보자의 체납사실 여부. 부실기업
경영진 여부. 법령상 결격사유 여부
4. 겸직현황 등
-
김지홍 2024-02-20 2024-03-20 29 사외이사(Independent) 1. 후보자 상세 이력 및 전문분야
- 최대주주와의 관계, 당해법인과의
최근 3년간 거래내역
2. 후보 추천 사유
3. 독립성(이해관계) 확인 내용
- 후보자의 체납사실 여부. 부실기업
경영진 여부. 법령상 결격사유 여부
4. 겸직현황 등
-
윤여선 2024-02-20 2024-03-20 29 사외이사(Independent) 1. 후보자 상세 이력 및 전문분야
- 최대주주와의 관계, 당해법인과의
최근 3년간 거래내역
2. 후보 추천 사유
3. 독립성(이해관계) 확인 내용
- 후보자의 체납사실 여부. 부실기업
경영진 여부. 법령상 결격사유 여부
4. 겸직현황 등
-
(2) 재선임되는 이사 후보의 경우 과거 이사회 활동 내역 공개 여부 및 그 방법과 내용
재선임 이사 활동내역 제공
Y(O)

당사는 재선임되는 이사후보의 과거 이사회 활동 내역 등을 매 분/반기 보고서 및 사업보고서를 통해 공개하고 있습니다. 또한 사업보고서 기재 이외에 주주총회 소집공고 공시 및 소집통지서 발송을 통해 재선임되는 이사 후보의 과거 이사회 활동 내역 등을 제공하고 있습니다.

다. 집중투표제 채택 여부를 밝히고 이사 후보 선정과 이사 선임 과정에서 소액주주의 의견청취를 위해 어떤 조치 및 노력을 하는지 설명한다.
집중 투표제 채택 여부
N(X)

당사는 공시서류제출일 현재 집중투표제를 채택하고 있지 않습니다. 당사는 이사 선임 안건에 대하여 주주의 의견을 적극 수렴하여 반영하고 주주를 보호할 수 있도록 다음과 같은 정책을 시행하고 있습니다. 먼저, 회사의 주요 안건이 결의되는 당일 공시를 통해 주주들에게 안내하고, 주주총회 소집결의 및 주주총회 소집공고 등의 공시와 주주총회 소집통지서 등 서면 안내를 통해 적극적으로 주주들에게 기업 정보를 공개하고 있습니다. 현재까지 주주제안이 접수된 사례는 없지만, 이사 선임 과정에서 소액주주의 의견이 제시된다면 반영하기 위해 노력할 계획입니다.

라. 위 기재 내용을 바탕으로 이사 후보 추천 및 선임 과정에서 공정성과 독립성 확보에 부족한 부분이 있다면 그 사유 및 향후 계획 등에 관하여 설명한다.
(1) 미진한 부분 및 그 사유

당사는 사외이사후보추천회 및 이사회를 통해 이사 후보를 추천 및 선임하고 있으며, 이를 통해 공정성과 독립성을 확보하고 있습니다.

(2) 향후 계획 및 보충설명

당사는 이사 선임 과정에서 독립성과 공정성이 확보될 수 있도록 사외이사는 전원 사외이사로 구성된 사외이사후보추천위원회를 통해 선임하고 있습니다. 사내이사 후보는 이사회에서 자체 검토 후 적합한 후보자를 주주총회 결의(안)으로 상정, 의결 결과에 따라 사내이사를 선임하고 있습니다.

[304400] (세부원칙 4-4) - 기업가치의 훼손 또는 주주권익의 침해에 책임이 있는 자를 임원으로 선임하지 않도록 노력하여야 한다.

상기 세부원칙에 대한 준수여부를 간략하게 기술한다. (100자 이내)
당사는 임원 선임 시 이사회 및 사외이사후보추천위원회를 통해 주주권익의 침해에 책임이 있는 자를 임원으로 선임하지 않도록 검토하고 있습니다.
가. 미등기 임원을 포함하여 기업가치 훼손 또는 주주권익 침해에 책임이 있는 자의 임원선임에 관해 아래의 사항을 포함하여 설명한다.
(1) 등기 임원 현황

표 4-4-1: 등기 임원현황

성별 직위 상근 여부 담당업무
이태성 남(Male) 대표이사 O 경영전반
김수호 남(Male) 대표이사 O 경영전반
박성준 남(Male) 사내이사 O 경영총괄
김지홍 남(Male) 사외이사 X 경영관리감독
윤여선 여(Female) 사외이사 X 경영관리감독
이화용 남(Male) 사외이사 X 경영관리감독
박상찬 남(Male) 사외이사 X 경영관리감독
(2) 미등기 임원 현황

상기 등기임원 현황과 미등기임원 현황은 보고서 제출일 현재 기준으로 작성하였으며, 미등기임원 현황은 다음과 같습니다.


성명

성별

직위

등기임원 여부

상근여부

담당업무

이승은

남(Male)

전무

미등기임원

O

IT전략기획

오승민

여(Female)

이사

미등기임원

O

준법지원인

Risk Management

김수진

여(Female)

이사

미등기임원

O

전략기획

최준식

남(Male)

이사

미등기임원

O

탄합강전략영업

여운상

남(Male)

이사

미등기임원

O

감사

고일섭

남(Male)

이사

미등기임원

O

경영지원

신완철

남(Male)

이사

미등기임원

O

해외법인 관리

전남철

남(Male)

이사

미등기임원

O

해외법인 관리

(3) 기업가치의 훼손 또는 주주권익 침해에 책임이 있는 자의 임원 선임을 방지하기 위한 회사의 정책 및 그 내용
시행 여부
N(X)

당사는 사외이사후보추천위원회를 설치하여 운영함으로써 기업가치의 훼손 또는 주주 권익의 침해 등 결격사유가 있는 자를 임원으로 선임하지 않도록 면밀히 검토 후 주주총회에 후보자를 상정하고 있습니다. 미등기임원의 경우, 임원 선출 시 업무성과 뿐만아니라, 직무역량, 리더십, 윤리성 등을 면밀히 검토하여 선임을 하고 있습니다. 당사는 향후 논의를 통해 미등기임원의 선임에 관한 정책 수립 여부를 검토할 계획입니다.

(4) 보고서 제출일 현재 횡령, 배임 또는 자본시장법상 불공정거래행위, 공정거래법상 부당지원, 사익편취 행위 혐의로 기소되었거나 확정판결의 이력이 있는 자, 외부감사법상 회계처리기준 위반으로 증권선물위원회로부터 해임권고 등 조치를 받은 자가 임원으로 선임되어 있는지 여부

보고서 제출일 현재 당사의 임원 중 과거 횡령, 배임 판결을 받은 임원은 없으며, 현재 횡령, 배임 또는 자본시장법상 불공정거래 행위 혐의가 있는 임원 또한 없습니다.

(5) 공시대상기간 개시시점부터 보고서 제출 시점까지 주주대표 소송이 제기되었다면 그 내용 및 현황

-

나. 위 기재 내용을 바탕으로 기업가치 훼손 또는 주주권익 침해에 책임 있는 자가 임원으로 선임되지 않도록 하는 노력에 부족한 부분이 있다면 그 사유 및 향후 계획 등에 관하여 설명한다.
(1) 미진한 부분 및 그 사유

당사는 보고서 제출일 현재 미등기임원에 대해서는 검토하는 명문화된 정책을 마련하고 있지 않습니다.

(2) 향후 계획 및 보충설명

당사는 현재 등기임원에 대해서는 이사희 및 이사회 산하의 사외이사후보추천위원회를 통해 주주권익 침해에 책임 있는 자가 임원으로 선임되지 않도록 검토하고 있습니다. 하지만 미등기임원에 대해서는 검토하는 절차가 아직 마련되어 있지는 않기 때문에 향후 해당 절차를 마련하기 위해 충분히 검토할 계획입니다.

[305000] (핵심원칙 5) 사외이사는 독립적으로 중요한 기업경영정책의 결정에 참여하고 이사회의 구성원으로서 경영진을 감독ㆍ지원할 수 있어야 한다.

[305100] (세부원칙 5-1) - 사외이사는 해당 기업과 중대한 이해관계가 없어야 하며, 기업은 선임단계에서 이해관계 여부를 확인하여야 한다.

상기 세부원칙에 대한 준수여부를 간략하게 기술한다. (100자 이내)
보고서 제출일 현재 당사의 사외이사는 선임단계에서 이해관계 여부를 확인하였으며, 전원 당사와 이해관계가 없습니다.
가. 보고서 제출일 현재 재직중인 사외이사와 해당 기업간의 이해관계 전반에 대하여 아래 내용을 포함하여 설명한다.
(1) 사외이사가 과거 해당 기업 및 계열회사에 재직한 경력이 있는지 여부 및 그 내용

당사의 사외이사는 모두 당사 및 계열회사에 재직한 경력이 없습니다.

표 5-1-1: 보고서 제출일 현재 사외이사 재직기간

당사 재직기간(월) 계열회사 포함 시 재직기간(월)
김지홍 62 62
윤여선 62 62
이화용 26 26
박상찬 2 2
(2) 최근 3년간 사외이사 또는 사외이사가 최대주주로 있는 회사와 해당기업(계열회사 포함)간 거래 내역이 있는 경우 그 내역

-

(3) 최근 3년간 사외이사가 임직원으로 재직하고 있는 회사와 그 해당 기업간 거래 내역이 있는 경우 그 내역

-

(4) 기업이 위 거래 내역을 확인하는 절차 및 관련 규정이 있는지 여부 및 그 내용
시행 여부
N(X)

당사는 인사검증 프로세스를 통해 사외이사 후보자가 회사와 물품 상거래, 지분거래 등이 있었는지 철저하게 검증한 이후, 사외이사후보추천위원회를 통해 사외이사 후보자로 선임하게 됩니다.

당사는 사외이사 선임을 위하여 사외이사 후보자에 대한 자격요건을 사외이사후보추천위원회에서 공정하고 투명하게 검증하고 있으며, 법적 자격요건 외에 여러 평가항목을 통해 독립성과 전문성, 윤리적 책임의식을 갖춘 후보를 주주총회에서 최종적으로 선임하고 있습니다.

나. 위 기재 내용을 바탕으로 기업과 중대한 이해관계가 없는 사외이사를 선임하기 위한 노력에 부족한 부분이 있다면 그 사유 및 향후계획 등에 관하여 설명한다.
(1) 미진한 부분 및 그 사유

당사는 사외이사후보추천위원회를 통해 기업과 중대한 이해관계가 없는 사외이사를 선임하기 위해 노력하고 있습니다.

(2) 향후 계획 및 보충설명

당사는 이사회 운영에 실질적인 기여를 할 수 있으며, 직무 수행의 중립성을 저해하지 않는 후보자를 사외이사로 선임하기 위하여 법령에서 정한 요건 뿐만 아니라, 후보자와 회사간 이해관계 유무 등을 철저하게 검증하고 있습니다. 현재 당사의 사외이사는 관계 법령에서 정하고 있는 자격 요건을 모두 충족하고 있습니다.

[305200] (세부원칙 5-2) - 사외이사는 충실한 직무수행을 위하여 충분한 시간과 노력을 투입하여야 한다.

상기 세부원칙에 대한 준수여부를 간략하게 기술한다. (100자 이내)
당사의 사외이사는 상정된 이사회 안건에 대해 자문하고 있으며, 연 4회의 정기이사회에 전원 참여하여 직무수행에 충분한 시간과 노력을 투입하고 있습니다.
가. 사외이사의 직무수행과 관련된 사항 전반에 대하여 아래 내용을 포함하여 설명한다.
(1) 사외이사의 타기업 겸직 허용 관련 내부기준
시행 여부
N(X)

당사의 사외이사는 충실한 직무수행을 위하여 과도한 겸직을 하고 있지 않습니다. 상법에서 이사회 승인 없이 영업부류에 속하는 타회사의 이사직을 겸임하는 것을 금지하고 있고, 사외이사후보추천위원회에서 후보 추천 시 적법 여부를 확인하고 있습니다. 향후 사내 논의를 거쳐 타기업 겸직 관련 내부 기준 마련 여부를 검토하겠습니다.

(2) 보고서 제출일 현재 재직중인 사외이사의 타기업 겸직 현황

보고서 제출일 현재 사외이사 겸직 현황은 아래와 같습니다.

표 5-2-1: 사외이사 겸직 현황

감사위원 여부 최초선임일 임기만료예정일 현직 겸직 현황
겸직기관 겸직업무 겸직기관 근무시작월 겸직기관 상장 여부
김지홍 O 2020-03-20 2026-03-25 한국뉴욕주립대학교 경영학과장 - - - -
윤여선 O 2020-03-20 2026-03-25 카이스트 테크노 경영대학 학장 효성중공업(주) 사외이사 '22.03 코스피
이화용 O 2023-03-29 2027-03-29 법무법인(유한) LKB&Partners 대표변호사 - - - -
박상찬 O 2025-03-26 2027-03-26 KAIST 경영대학/경영공학부 부교수 - - - -
나. 위 기재 내용을 바탕으로 사외이사가 충실한 직무수행을 위해서 충분한 시간과 노력을 투입하고 있지 못하는 사항이 있다면 그 사유 및 향후 계획 등에 관하여 설명한다.
(1) 미진한 부분 및 그 사유

당사는 사외이사의 충실한 직무수행을 위해 전담 지원조직을 배치하고 있으며, 이사회 운영규정에서 사외이사 직무수행 지원에 필요한 부분에 대해 규정하고 있습니다.

(2) 향후 계획 및 보충설명

사외이사가 효율적으로 업무를 수행하기 위해서는 모든 안건에 대하여 전문성과 독립성을 갖추고 합리적인 의사결정을 할 수 있도록 충분한 시간을 확보하여야 합니다. 당사는 이사회 및 위원회 상정안건에 대해 사외이사가 안건을 충분히 검토할 수 있도록 이사회 7일전에 안건에 관한 정보를 제공하고 있습니다.

당사는 2024년 이사회를 8회 개최하였으며, 이사들의 참석률은 99.2%입니다. 2024년 개최된 이사회 내 위원회인 감사위원회 96.9%, 사외이사후보추천위원회 100.0%, ESG위원회 100.0%, Ethics & Compliance위원회 100.0% 이사들이 참석하였습니다. 사외이사 및 감사위원으로서의 전문성 함양을 위한 교육실시에도 참석하는 등 당사의 사외이사는 충분한 직무수행을 위한 시간과 노력을 기울이고 있습니다.

[305300] (세부원칙 5-3) - 기업은 사외이사의 직무수행에 필요한 정보, 자원 등을 충분히 제공하여야 한다.

상기 세부원칙에 대한 준수여부를 간략하게 기술한다. (100자 이내)
당사는 주기적인 교육실시를 통해 사외이사의 직무수행에 필요한 정보, 자원 등을 충분히 제공하고 있습니다.
가. 기업이 사외이사의 직무수행을 지원하기 위해 마련하고 있는 정책 및 구체적인 운영 현황을 아래의 내용을 포함하여 설명한다.
(1) 사외이사에 대한 인적·물적 자원 제공 및 사내 정보 등 제공현황

당사는 사외이사의 원활한 직무수행을 위해 간사 1인을 두며, 간사는 이사회 주관부서장이 역할을 수행하고 있습니다. 또한, 이사회 지원조직을 운영하여 사외이사가 이사회 및 이사회 내 위원회에서 전문적인 직무수행이 가능하도록 지원하고 있으며, 사업계획 및 경영현황에 대한 충분한 정보를 제공하여 사외이사의 의사결정을 지원하고 있습니다.

(2) 사외이사의 정보(자료)제공 요구에 대응하기 위한 전담인력 현황
전담인력 배치 여부
Y(O)

사외이사의 정보제공 요구 등에 대응하기 위하여 이사회 전담 부서인 포트폴리오팀에서 이사회 개최 전에 관련 안건에 관한 내용을 이사회 7일전에 미리 공유하여 이사들에게 충분한 정보를 제공하고 의사결정을 지원하고 있습니다. 또한, 회사의 경영현황 등을 주기적으로 보고하고, 회사에 대한 감사 목적으로 정보를 요구하는 경우에는 감사위원회 주관 부서인 내부통제팀에서 대응하고, 각 위원회 별로 주관부서를 선정하여 사외이사의 업무 관련 요구에 대응하고 있습니다.

(3) 사외이사의 업무수행에 필요한 교육을 실시하는 지 여부 및 교육 제공현황
교육실시 여부
Y(O)

당사는 사외이사에 대하여 사업이해도 제고와 경영현황 파악을 위한 교육을 시행하고 있습니다. 또한 회사의 경영현황에 대한 자료 제공 및 주요 현안에 대한 보고를 지속적으로 시행하고 있습니다. 사외이사 교육현황은 아래 표를 참조해주시기 바랍니다.


표 : 사외이사 교육현황 [2024-01-01 ~ 2024-12-31]

교육일자

교육실시주체

참석 사외이사

불참 사유

주요 교육내용

2024-02-06

경영총괄

김지홍, 윤여선, 강천구, 정재훈

-

- '23년 주요 경영실적

- '24년 세아베스틸지주 운영 계획

2024-05-16

경영총괄

김지홍, 윤여선, 오원석, 이화용

-

- '24년 1분기 주요 경영실적

2024-08-26

경영총괄

김지홍, 윤여선, 오원석, 이화용

-

- '24년 2분기 주요 경영실적

2024-11-19

경영총괄

김지홍, 윤여선, 오원석, 이화용

-

- '24년 3분기 주요 경영실적

(4) 공시대상기간 개시시점부터 보고서 제출 시점까지 이사회와 별도로 사외이사들만 참여하는 회의가 있다면 그 내용
사외이사 별도회의 개최 여부
N(X)

공시서류제출일 현재 기준 이사회와 별도로 사외이사들만 참여하는 정기 임시 회의 개최 내역은 없습니다.

표 5-3-1: 사외이사만으로 이루어진 회의 내역

정기/임시 개최일자 출석 사외이사(명) 전체 사외이사(명) 회의 사항 비고
해당사항 없음
나. 위 기재 내용을 바탕으로 사외이사 직무수행에 필요한 기업의 지원 중 부족한 점이 있다면 그 내용을 설명하고 그 사유 및 향후 계획 등에 관해 설명한다.
(1) 미진한 부분 및 그 사유

당사는 공시서류제출일 현재 이사회 및 산하 위원회를 통해 경영에 관련된 모든 안건을 다루고 있습니다. 해당 사유로 이사회와 별도로 사외이사들만 참여하는 회의를 개최하고 있지는 않습니다.

(2) 향후 계획 및 보충설명

당사는 모든 사외이사에게 경영실적, 경영전략 및 목표, 최근 경영 이슈 등의 정보를 제공하고 있습니다. 이사회에서 결정이 필요한 중요한 안건에 대해서는 이사회 개최 전 사전보고를 실시하여 충분한 설명 및 자료를 제공하고 있으며, 주요 의견은 이사회 안건에 반영하고 있습니다. 또한 이사회 기승인 사항에 대한 진행경과도 지속적으로 보고하고 있습니다.

당사는 이사회 중심의 경영체제를 더욱 강화하여 이사회 중심으로 주요 경영사항에 대한 의사결정을 내릴 수 있도록 이사회 내 위원회를 신설하고, 사외이사가 직무수행에 필요한 충분한 정보와 자원을 제공받고 합리적인 경영판단을 내릴 수 있도록 지원하고 있습니다.

[306000] (핵심원칙 6) 사외이사의 적극적인 직무수행을 유도하기 위하여 이들의 활동내용은 공정하게 평가되어야 하고, 그 결과에 따라 보수지급 및 재선임 여부가 결정되어야 한다.

[306100] (세부원칙 6-1) - 사외이사의 평가는 개별실적에 근거하여 이루어져야 하고, 평가결과는 재선임 결정에 반영되어야 한다.

상기 세부원칙에 대한 준수여부를 간략하게 기술한다. (100자 이내)
사외이사의 평가는 개별 실적에 근거하여 매년 1분기 중 주주총회 개최 전 진행 중이며, 평가결과는 사외이사후보추천위원회에 공유되어 사외이사 재선임에 영향을 미치고 있습니다.
가. 사외이사 개인별 평가를 실시하고 그 평가 결과를 재선임에 반영하는지 여부를 다음 사항을 포함하여 설명한다.
(1) 사외이사의 개별 평가 실시 여부 및 그 구체적인 방법
사외이사 개별평가
Y(O)

당사는 사외이사에 대한 개별 평가를 정기적으로 실시하고 있습니다. 이사회 활동에 대해서는 이사회 의장이 대표로 무기명 설문 방식으로 평가를 진행하고 있으며, 주요 항목은 독립성, 장기이익 기여도, 경영진 견제 역할, 리스크 검토 참여도, 이사회 활동의 성실성 등 총 5개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위원회 활동에 대해서는 각 사외이사가 역시 무기명 설문 방식으로 자가평가(Self-assessment)를 수행하고 있으며, 관련 평가는 이사회 운영규정 제18조(이사회 평가)에 따라 연 1회 실시되고 있습니다.

(2) 사외이사 평가의 공정성 확보 방안

평가는 무기명 설문으로 실시되어 응답자 익명성을 보장하고 있으며, 개별 응답 내용은 통계적 수치로만 집계되어 이사회에 보고되고 있습니다. 이사회 운영 조직은 응답이 완료된 설문지를 암호화 하여 보관하고 있습니다. 향후 평가의 객관성과 벤치마크 정합성을 제고하기 위하여, 외부 전문기관의 정기적 평가를 3년 주기로 도입할 계획을 가지고 있습니다.

(3) 사외이사 평가를 재선임에 반영하는지 여부
재선임 여부 반영
Y(O)

사외이사 평가 결과는 사외이사후보추천위원회에 공유되어 사외이사 재선임시 영향을 미치고 있습니다. 필요 시 차기 재선임에 제한을 둘 수 있습니다.

나. 위 기재 내용을 바탕으로 사외이사에 대한 평가를 시행하지 않거나 평가를 하더라도 재선임 결정에 반영하지 않는다면 그 사유 및 앞으로의 계획 등에 관하여 설명한다.
(1) 미진한 부분 및 그 사유

당사는 현재 사외이사 개별 평가를 실시하고 있으나, 일부 보완이 필요한 사항이 존재합니다. 사내·사외이사 간의 상호 평가 및 외부 전문기관 평가 등의 도입을 검토하고 있습니다.

(2) 향후 계획 및 보충설명

향후 당사는 사외이사 평가 체계를 한층 고도화할 계획입니다. 사내이사와 사외이사간 상호 평가를 실시하여 다면적 평가 기반을 마련하고, 평가 문항의 실효성을 보완할 예정입니다. 2026년부터는 외부 전문기관 평가를 도입하고, 내부 평가와 외부 평가 결과를 복합 반영하는 체계를 구축할 계획입니다.

[306200] (세부원칙 6-2) - 사외이사의 보수는 평가 결과, 직무수행의 책임과 위험성 등을 고려하여 적정한 수준에서 결정되어야 한다.

상기 세부원칙에 대한 준수여부를 간략하게 기술한다. (100자 이내)
사외이사의 보수는 직무수행의 책임과 위험성 등을 고려하여 산정하되, 사회통념상 회사의 규모를 감안하여 동종·유사업계의 보수수준에 부합하도록 하고 있습니다.
가. 사외이사의 보수에 관하여 아래의 내용을 포함하여 설명한다.
(1) 사외이사의 보수 정책 내용과 그 정책 수립배경, 구체적인 보수의 산정 기준
사외이사 보수 정책 수립
N(X)

당사는 보고서 제출일 현재 사외이사 보수에 관한 정책을 도입하고 있지 않습니다.

(2) 주식매수선택권을 부여하였다면 그 수량 및 행사조건 관련 구체적인 사항
스톡옵션 부여 여부
N(X)
성과 연동 여부
N(X)

-

나. 위 기재 내용을 바탕으로 사외이사의 평가 결과와 직무수행의 책임과 위험성 등을 고려하여 적정한 수준에서 보수가 결정되는데 부족한 부분이 있다면 그 사유 및 향후 계획 등에 관하여 설명한다.
(1) 미진한 부분 및 그 사유

당사는 보고서 제출일 현재 사외이사 개별평가를 통해 보수를 결정하고 있지는 않습니다.

(2) 향후 계획 및 보충설명

사외이사의 보수는 직무수행의 책임과 위험성 등을 고려하여 산정하되, 사회통념상 회사의 규모를 감안하여 동종·유사업계의 보수수준에 부합하도록 하고 있습니다. 당사는 기존에 진행되고 있는 사외이사 개별 평가 뿐만 아니라, 외부 전문기관의 평가 결과 등을 종합적으로 반영하여 사외이사 보수가 결정될 수 있도록 제도적 보완을 검토할 계획입니다.

[307000] (핵심원칙 7) 이사회는 기업과 주주의 이익을 위한 최선의 경영의사를 결정할 수 있도록 효율적이고 합리적으로 운영되어야 한다.

[307100] (세부원칙 7-1) - 이사회는 원칙적으로 정기적으로 개최되어야 하며, 이사회의 권한과 책임, 운영절차 등을 구체적으로 규정한 이사회 운영규정을 마련하여야 한다.

상기 세부원칙에 대한 준수여부를 간략하게 기술한다. (100자 이내)
당사는 연 4회 정기이사회를 개최하고 있으며, 이사회 운영규정을 마련하여 이를 준수하고 있습니다.
가. 이사회 운영 전반에 관하여 아래의 내용을 포함하여 설명한다.
(1) 정기이사회 개최 여부 및 이사회 운영 관련 규정 내용
정기이사회 개최
Y(O)
이사회 운영 관련 규정 존재 여부
Y(O)

이사회의 권한과 책임, 운영 절차 등은 이사회 운영규정에 명시되어 있으며, 해당 규정은 당사 홈페이지를 통해 외부에 공개하고 있습니다.

이사회 운영규정 제5조에 따라 이사회는 정기이사회와 임시이사회로 구분되며, 정기이사회는 매년 2월, 5월, 8월, 11월에 개최하는 것을 원칙으로 합니다. 다만, 긴급한 안건이 발생한 경우에는 임시이사회를 소집할 수 있도록 규정하고 있습니다.

이사회는 의장이 소집하며, 각 이사는 필요한 경우 의장에게 이사회 소집을 요청할 수 있습니다. 이사가 직접 이사회에 출석하지 못하는 경우에는 음성 송수신이 가능한 원격통신수단을 통해 이사회 결의에 참여할 수 있으며, 이 경우 해당 이사는 이사회에 출석한 것으로 간주됩니다.

이사회 관련 일정은 전년도 이사회에서 미리 확정하고 통지함으로써, 충분한 시간을 두고 안건 자료를 준비하고 소집 통지를 할 수 있도록 운영하고 있습니다.

(2) 공시대상기간 개시시점부터 보고서 제출 시점까지 정기 및 임시 이사회 개최 정보

2024년에는 정기이사회 4회, 임시이사회 4회 등 총 8회의 이사회가 개최되었습니다.

2025년에는 보고서 제출일 현재까지 정기이사회 2회, 임시이사회 3회 등 총 5회의 이사회가 개최되었습니다.

정기 및 임시 이사회 개최 내역은 다음과 같습니다.


  개최일자 출석
인원
정원 안건 가결
여부
구분 내용
2024년 1차 2024-02-06 7 7 결의 제69기 재무제표 (잠정)승인의 건 가결
7 7 결의 2023년 임원성과금 결정의 건 가결
7 7 결의 제69기 현금배당의 건 가결
2024년 2차 2024-02-20 7 7 결의 제69기 정기주주총회 소집결의의 건 가결
2024년 3차 2024-03-12 7 7 결의 제69기 재무제표 (확정)승인의 건 가결
2024년 4차 2024-03-20 7 7 결의 이사회 의장 선임의 건 가결
7 7 결의 사외이사후보추천위원회 위원 선임의 건 가결
7 7 결의 ESG위원회 위원 선임의 건 가결
7 7 결의 E&C위원회 위원 선임의 건 가결
7 7 결의 보상평가위원회 위원 선임의 건 가결
7 7 결의 해외자회사(미국) 설립의 건 가결
7 7 결의 신규여신 보증의 건 가결
2024년 5차 2024-05-16 7 7 결의 SeAH Global Holdings, Inc. 출자의 건 가결
2024년 6차 2024-08-26 7 7 결의 PT.SeAH Global Indonesia 신규여신 보증의 건 가결
7 7 결의 이사 등과 회사 간의 거래 승인의 건 가결
2024년 7차 2024-11-19 7 7 결의 기업가치 제고 계획 승인의 건 가결
2024년 8차 2024-12-17 6 7 결의 계열사 간 내부거래 포괄승인의 건 가결
2025년 1차 2025-02-11 6 7 결의 제70기 재무제표(잠정) 승인의 건 가결
6 7 결의 제70기 현금 배당의 건 가결
6 7 결의 대한탁구협회 광고후원금 지급의 건 가결
2025년 2차 2025-02-24 6 7 결의 제70기 정기주주총회 소집결의의 건 가결
6 7 결의 신규 회사채 발행의 건 가결
6 7 결의 내부회계관리규정 개정의 건 가결
2025년 3차 2025-03-17 6 7 결의 제70기 재무제표(확정) 승인의 건 가결
2025년 4차 2025-03-26 7 7 결의 SGI 증자의 건 가결
7 7 결의 SGV 증자의 건 가결
7 7 결의 대표이사 선임의 건 가결
7 7 결의 사외이사후보추천위원회 위원 선임의 건 가결
7 7 결의 보상평가위원회 위원 선임의 건 가결
7 7 결의 ESG위원회 위원 선임의 건 가결
7 7 결의 E&C위원회 위원 선임의 건 가결
2025년 5차 2025-05-29 7 7 보고 25.1분기 주요 경영실적 (지주, 자회사, 손자회사, 해외법인) 기타

표 7-1-1: 이사회 개최 내역

개최횟수 평균 안건통지-개최간 기간(일) 이사 평균 출석률 (%)
정기 6 7 97.5
임시 7 7 93.8
나. 이사회가 최선의 결정을 내릴 수 있도록 회사가 제공하는 정책을 아래의 사항을 포함하여 설명한다.
(1) 각 임원의 성과 평가와 연계된 보수 정책의 수립 및 공개 여부
임원보수 정책수립 여부
N(X)
보수정책의 공개 여부
N(X)

보고서 제출일 현재 당사는 각 임원의 성과 평가와 연계된 보수 정책을 수립하고 있지 않습니다.

(2) 임원배상책임보험 가입 여부
시행 여부
Y(O)

당사는 현재 전 임원이 임원배상책임보험에 가입되어 있습니다.

(3) 회사의 지속적인 성장과 중장기적 이익에 영향을 주는 이해관계자들의 이익을 고려하는지 여부
이해관계자 고려 여부
Y(O)

당사는 이사회 개최 및 주요경영사항 논의 시 회사의 지속적인 성장과 중장기적 이익에 영향을 주는 이해관계자들의 이익을 고려하여 결정하고 있습니다.

다. 위 기재 내용을 바탕으로 정기적으로 이사회 개최 근거가 되는 이사회의 운영규정 등이 없거나 충분한 시간적 여유를 두고 이사회 소집통지가 이루어지지 않는 등 부족한 점이 있다면 그 사유 및 향후 계획 등에 관하여 설명한다.
(1) 미진한 부분 및 그 사유

-

(2) 향후 계획 및 보충설명

당사는 정관 제33조에 따라 사전에 회의일정을 정하고 최소 7일의 시간을 두고 소집을 통지하고 있습니다. 표에 기재한 바와 같이 당사는 2024년과 2025년에 개최된 이사회에서 모두 해당 사항을 준수하였습니다. 또한 이사회는 이사회 운영규정에 따라 개최 및 진행하고 있습니다.

[307200] (세부원칙 7-2) - 이사회는 매 회의마다 의사록을 상세하게 작성하고, 개별이사의 이사회 출석률과 안건에 대한 찬반여부 등 활동내역을 공개하여야 한다.

상기 세부원칙에 대한 준수여부를 간략하게 기술한다. (100자 이내)
당사는 매 이사회마다 의사록을 작성하고 있으며, 정기보고서를 통해 이사들의 출석률과 안건에 대한 찬반여부 등 활동내역을 공개하고 있습니다.
가. 이사회 기록의 작성·보존 및 개별이사의 활동내역 공개에 대해 아래의 내용을 포함하여 설명한다.
(1) 이사회 의사록, 녹취록을 상세하게 기록하고 보존하고 있는지 여부 및 관련 규정
시행 여부
Y(O)

당사는 이사회 의사록에 이사회 안건, 경과요령, 그 결과, 반대하는 이사와 그 반대이유를 기재하고 출석한 이사가 기명날인 또는 서명하고 있습니다. 이사회 의사록 및 녹취록 원본은 이사회 주관부서에서 5년간 보존하고 있습니다.

(2) 이사회 내에서 주요 토의 내용과 결의 사항을 개별이사별로 기록하고 있는지 여부
시행 여부
Y(O)

당사는 이사회 내에서 주요 토의 내용과 결의 사항을 각 이사별로 기록 및 녹취하고 있으며, 정기보고서 등을 통해 세부내역을 공개하고 있습니다.

(3) 최근 3년간 개별이사의 이사회 출석률 및 안건 찬성률

최근 3년간 개별이사의 이사회 출석률 및 안건 찬성률은 아래와 같습니다.

표 7-2-1: 최근 3년간 이사 출석률 및 안건 찬성률

구분 이사회 재직기간 출석률 (%) 찬성률 (%)
최근 3개년 평균 최근 3개년 최근 3개년 평균 최근 3개년
당해연도 전년도 전전년도 당해연도 전년도 전전년도
이태성 사내이사(Inside) 2016.03.18 ~ 현재 100 100 100 100 100 100 100 100
김수호 사내이사(Inside) 2023.03.29 ~ 현재 100 100 100 100 100 100
박성준 사내이사(Inside) 2022.03.25 ~ 현재 100 100 100 100 100 100 100 100
양영주 사내이사(Inside) 2022.03.25 ~ 2023.03.29 100 100 100 100 100 100
김철희 사내이사(Inside) 2019.03.15 ~ 2022.03.25 100 100 100 100
박준두 사내이사(Inside) 2019.03.15 ~ 2022.02.10 100 100 100 100
김지홍 사외이사(Independent) 2020.03.20 ~ 현재 100 100 100 100 100 100 100 100
윤여선 사외이사(Independent) 2020.03.20 ~ 현재 96 100 100 90 100 100 100 100
이화용 사외이사(Independent) 2023.03.29 ~ 현재 100 100 100 100 100 100
오원석 사외이사(Independent) 2023.03.29 ~ 2025.03.26 92 88 100 100 100 100
강천구 사외이사(Independent) 2019.03.15 ~ 2023.03.29 100 100 100 100 100 100
정재훈 사외이사(Independent) 2019.03.15 ~ 2023.03.29 92 100 90 100 100 100
(4) 정기공시 외 개별이사의 활동 내용공개 여부 및 그 방법
공개 여부
N(X)

당사는 현재 정기공시 외 개별이사의 활동 내용을 공개하고 있지는 않으나, 지속가능경영보고서에 이사회 및 이사회 내 위원회의 개최 현황, 참석률 등에 관한 정보를 공개하고 있습니다.

나. 위 기재 내용을 바탕으로 이사회 기록 작성·보존과 개별이사별 활동내역 공개 관련 부족한 부분이 있다면 그 사유를 설명하고 향후 계획 등에 관하여 설명한다.
(1) 미진한 부분 및 그 사유

당사는 현재 정기공시 외의 방법을 통해 이사회 내역을 외부에 공개하고 있지는 않습니다.

(2) 향후 계획 및 보충설명

당사는 향후 모든 이해관계자들을 위해 이사회 세부내용을 홈페이지 게시, ESG보고서 기재 등 다양한 방법을 통해 상세하게 공개할 계획입니다.

[308000] (핵심원칙 8) 이사회는 효율적인 운영을 위하여 그 내부에 특정 기능과 역할을 수행하는 위원회를 설치하여야 한다.

[308100] (세부원칙 8-1) - 이사회 내 위원회는 과반수를 사외이사로 구성하되 감사위원회와 보상(보수)위원회는 전원 사외이사로 구성하여야 한다.

상기 세부원칙에 대한 준수여부를 간략하게 기술한다. (100자 이내)
당사는 보상평가위원회를 제외한 전 위원회의 과반수를 사외이사로 구성하고 있습니다. 보상평가위원회는 보고서 제출일 현재 사내이사 1인, 사외이사 1인으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가. 이사회내 위원회의 위원 구성과 관련하여 아래의 사항을 포함하여 설명한다.
(1) 각 이사회내 위원회 사외이사 과반수 선임 여부
시행 여부
N(X)

당사는 공시서류 작성기준일 현재 감사위원회, 사외이사후보추천위원회, ESG위원회, Ethics & Compliance 위원회, 보상평가위원회를 이사회 내 설치하여 운영하고 있습니다.

감사위원회 및 사외이사후보추천위원회는 총원 4인 중 4인, ESG위원회는 총원 5인 중 4인, Ethics & Compliance위원회는 총원 3인 중 2인을 사외이사를 선임하였습니다. 다만, 보상평가위원회는 총원 2인 중 1인을 사외이사를 선임하여 사외이사 과반수 선임을 충족하지는 못하였습니다.

(2) 감사위원회 및 보수(보상)위원회를 전원 사외이사로 선임하였는지 여부
시행 여부
N(X)

감사위원회는 전원 사외이사로 구성되어 있으며, 보상평가위원회는 사내이사 1인 및 사외이사 1인으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나. 위 기재 내용을 바탕으로 이사회내 위원회의 위원 구성과 관련하여 부족한 부분이 있다면 그 사유 및 향후 계획 등에 관하여 설명한다.
(1) 미진한 부분 및 그 사유

당사의 보상평가위원회의 경우 현재 위원 2인 중 1인을 사내이사, 1인을 사외이사를 선임하여 운영하고 있습니다.

(2) 향후 계획 및 보충설명

당사의 사외이사후보위원회는 보고서 제출일 현재 사외이사 4명 (김지홍, 윤여선, 이화용, 박상찬)으로 상법 제542조의 8 제4항의 규정에 의하면 구성원의 과반수를 사외이사로 하도록 하나, 위원회의 독립성을 위하여 전원을 사외이사로 구성하고 있습니다.

감사위원회의 경우 상법 및 정관 제31조의2에서 사외이사 구성비를 2/3 이상으로 하고 있으나, 당사는 위원 전원을 사외이사로 구성하여 감사위원회의 독립성을 보장하며, 경영진에 대한 업무감독 역할을 충실히 이행할 수 있도록 하고 있습니다. 또한 전문성을 위해 감사위원 중 1명 이상을 회계 또는 재무 전문가로 구성하고 있습니다.

ESG위원회는 ESG 경영강화를 위한 ESG 전략수립 및 성과 모니터링 업무를 수행하며, 사외이사 4인과 사내이사 1인으로 구성되어 위원의 과반수를 사외이사로 구성하고 있습니다.

Ethics & Compliance위원회는 윤리 및 준법 정책수립 등의 업무를 수행하며, 사외이사 2인과 사내이사 1인으로 구성되어 위원의 과반수를 사외이사로 구성하고 있습니다

보상평가위원회는 경영진의 보수 및 처우를 결정하며, 사외이사 1인, 사내이사 1인으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사내이사의 전문성을 활용하고자 해당 위원회에 사내이사가 참여하고 있습니다. 향후에는 전원 사외이사 중심의 구성을 검토할 계획입니다.

[308200] (세부원칙 8-2) - 모든 위원회의 조직, 운영 및 권한에 대하여는 명문으로 규정하여야 하며, 위원회는 결의한 사항을 이사회에 보고하여야 한다.

상기 세부원칙에 대한 준수여부를 간략하게 기술한다. (100자 이내)
당사는 이사회 내 모든 위원회와 관련된 규정을 마련하여 이를 준수하고 있습니다. 또한 위원회 개최 시 결의 내용을 당일 이사회에 보고하고 있습니다.
가. 이사회내 위원회의 조직 및 운영과 관련하여 아래의 사항을 포함하여 설명한다.
(1) 이사회 내 위원회의 조직, 운영 및 권한과 관련하여 명문규정이 있는지 여부와 그 내용
명문규정 여부
Y(O)

당사는 정관 제35조의2, 이사회 운영규정 제19조에 이사회 내 위원회 설치 근거를 마련하고 있습니다. 또한, 각 위원회별로 규정을 두어 위원회의 조직, 운영 및 권한에 관한 사항을 명문화하고 있으며, 각 위원회에서 결의한 사항에 대해서는 이사회에 보고하고 있습니다.

공시대상기간 사업연도 개시시점부터 공시서류제출일 현재 당사는 감사위원회, 사외이사후보추천위원회, ESG위원회, Ethics & Compliance위원회, 보상평가위원회의 총 5개의 전문위원회를 운영 중입니다. 이 중 감사위원회 및 사외이사후보추천위원회는 상법에 의해 설치의무가 있는 위원회이며, 나머지 3개의 위원회는 이사회의 전문성, 독립성, 효율성을 높이기 위하여 이사회가 자율적으로 판단하여 설치된 위원회입니다. 각 위원회 별 구성 및 직무와 권한은 다음과 같습니다.


1. 감사위원회

- 사외이사 4인

- 직무와 권한 : 회사의 회계와 업무 감사, 자회사 업무와 재산상태 조사, 영업보고 요구


2. 사외이사후보추천위원회

- 사외이사 4인

- 직무와 권한 : 사외이사 후보의 추천, 자격심사 및 세부사항 결정


3. ESG위원회

- 사외이사 4인, 사내이사 1인

- 직무와 권한 : ESG경영 강화를 위한 전략 수립, ESG리스크 점검 등


4. Ethics and Compliance 위원회

- 사외이사 2인, 사내이사 1인

- 직무와 권한 : 윤리 및 준법 정책 수립, 회사별 이행여부 점검 및 자문/지원, 윤리 및 준법 위반사항 접수/처리/징계/포상 등


5. 보상평가위원회

- 사외이사 1인, 사내이사 1인

- 직무와 권한 : 경영진 평가, 보상계획 검토 및 수립 등

(2) 위원회의 결의 사항이 이사회에 보고되는지 여부
보고 여부
Y(O)

당사 이사회 내 위원회는 이사회 운영규정 및 관련 법령에 따라 위원회 결의 사항을 이사회에 보고하고 있으며, 위원회의 결의에 이의가 있을 경우 각 이사는 통지받은 날로부터 영업일 기준 2일 이내에 이사회의 소집을 요구하여 위원회가 결의한 사항에 대하여 다시 결의할 수 있습니다. (상법 제415조의2에 의거 감사위원회는 제외)

(3) 공시대상기간 개시시점부터 보고서 제출 시점까지 각 이사회내 위원회 결의사항의 이사회 보고 현황

당사 이사회 내 위원회는 이사회 운영규정 및 관련 법령에 따라 위원회 결의 사항을 이사회에 보고하고 있으며, 위원회의 결의에 이의가 있을 경우 각 이사는 통지받은 날로부터 영업일 기준 2일 이내에 이사회의 소집을 요구하여 위원회가 결의한 사항에 대하여 다시 결의할 수 있습니다. (상법 제415조의2에 의거 감사위원회는 제외) 이사회 내 위원회의 세부 내역은 아래와 같습니다.

표 8-2-1: 이사후보추천위원회 개최 내역

개최일자 출석 인원 정원 안건 가결 여부 이사회 보고 여부
구분 내용
사외이사후보추천위원회 2024년 1차 2024-02-06 4 4 결의(Resolution) 사외이사후보 추천의 건 가결(Approved) O
2025년 1차 2025-02-11 3 4 결의(Resolution) 사외이사후보 추천의 건 가결(Approved) O
2025년 2차 2025-03-26 4 4 결의(Resolution) 사외이사후보위원회 위원장 선임의 건 가결(Approved) O

표 8-2-2: 리스크관리위원회 개최 내역

개최일자 출석 인원 정원 안건 가결 여부 이사회 보고 여부
구분 내용
해당사항 없음

표 8-2-3: 내부거래위원회 개최 내역

개최일자 출석 인원 정원 안건 가결 여부 이사회 보고 여부
구분 내용
해당사항 없음
(4) 기타 이사회 내 위원회(필요시 상기 표 활용하여 기재)

1. 감사위원회 개최 내역

  개최일자 출석
인원
정원 안건 가결
여부
이사회 보고
여부
구분 내용
2024년 1차 2024-02-06 4 4 기타 감사위원회 자체 평가 기타 O
4 4 보고 재무제표 수령 기타 O
4 4 보고 2024년 감사위원회 운영계획 기타 O
4 4 보고 2024년 내부통제팀 운영계획 기타 O
2024년 2차 2024-02-20 4 4 보고 외부감사인과 커뮤니케이션_2023년 결산감사 보고 기타 O
4 4 보고 2023년 내부회계관리제도 운영실태 보고 기타 O
4 4 결의 제69기 정기주주총희 의안 심의의 건 가결 O
4 4 결의 2023년 내부회계관리제도 운영실태 평가의 건 가결 O
2024년 3차 2024-03-12 4 4 결의 내부감시장치에 대한 감사위원회 의견 심의 가결 O
4 4 결의 감사위원회의 감사보고서 심의 가결 O
4 4 기타 외부감사인 평가: 계약사항 이행 준수 여부 확인 기타 O
2024년 4차 2024-03-20 4 4 결의 감사위원장 재선임의 건 가결 O
2024년 5차 2024-05-21 3 4 보고 외부감사인과 커뮤니케이션_2024년 1분기 검토 보고 기타 O
3 4 보고 2024년 내부회계관리제도 운영계획 기타 O
3 4 보고 자회사 상시모니터링 시스템 재구축 계획 보고 기타 O
2024년 6차 2024-08-26 4 4 보고 외부감사인과 커뮤니케이션_2024.2분기 검토 보고 기타 O
4 4 결의 삼일회계법인 세무조정 업무 용역계약 체결 승인의 건 가결 O
4 4 결의 삼일회계법인 Robotic XBRL application 공급계약 승인의 건 가결 O
4 4 보고 회사 인감관리 현황 점검 보고 기타 O
2024년 7차 2024-11-19 4 4 보고 외부감사인과 커뮤니케이션_2024.3분기 검토 보고 기타 O
4 4 기타 자금횡령과 내부회계관리제도 교육 기타 O
4 4 결의 삼일회계법인 통합기업보고서(BEPS) 세무자문용역 체결 심의 가결 O
4 4 보고 2024년 내부회계관리제도 운영 중간 보고 기타 O
4 4 보고 자회사 내부회계관리제도 재구축 현황 보고 기타 O
2025년 1차 2025-02-11 3 4 기타 감사위원회 자체 평가 기타 O
3 4 결의 외부감사인 선정의 건 가결 O
3 4 결의 감사부설기구 책임자 임면에 대한 동의 건 가결 O
3 4 보고 재무제표 수령 기타 O
3 4 보고 2025년 감사위원회 운영계획 기타 O
3 4 보고 2025년 내부통제팀 운영계획 기타 O
2025년 2차 2025-02-24 3 4 보고 외부감사인과 커뮤니케이션_2024년 감사보고 기타 O
3 4 보고 2024년 내부회계관리제도 운영실태 보고 기타 O
3 4 결의 제 70기 주주총회 안건 조사 및 심의 가결 O
3 4 결의 2024년 내부회계관리제도 운영실태 평가 가결 O
3 4 결의 내부회계관리 규정 개정의 건 가결 O
2025년 3차 2025-03-17 3 4 보고 외부감사인 감사 보고서 수령 기타 O
3 4 결의 내부감시장치에 대한 감사위원회 의견 심의 가결 O
3 4 결의 감사위원회의 감사보고서 이사에 제출 가결 O
3 4 기타 외부감사인 평가 : 계약사항 이행 준수 여부 확인 기타 O
2025년 4차 2025-05-29 4 4 보고 외부감사인과 커뮤니케이션_2025.1분기 검토 보고 기타 O
4 4 보고 2025년 내부회계관리제도 운영계획 기타 O
4 4 기타 감사위원회 제도의 이해 기타 O


2. ESG위원회 개최 내역

  개최일자 출석
인원
정원 안건 가결
여부
이사회 보고
여부
구분 내용
2024년 1차 2024-02-06 5 5 보고 ESG 2023년 실적 및 2024년 계획 보고 기타 O
5 5 보고 ESG 공급망 관리 프로세스 구축 기타 O
5 5 보고 고객사 ESG 대응 체계 고도화 기타 O
2024년 2차 2024-02-20 5 5 결의 연간 기부금 한도 설정의 건 가결 O
5 5 보고 2024년 이중중대성 평가 결과 보고 기타 O
2024년 3차 2024-05-16 5 5 보고 지속가능경영보고서 발간 보고 기타 O
5 5 보고 ESG 평가 대응 보고(KCGS, CDP Climate Change) 기타 O
5 5 보고 사업회사 CEO KPI 내 ESG 성과 반영을 위한 계획 보고 기타 O
5 5 보고 안전 리스크 이슈 보고 기타 O
2024년 4차 2024-08-26 5 5 보고 국내외 지속가능 공시 현황 및 대응 계획 기타 O
5 5 보고 PCF(제품탄소발자국) 산정 체계 구축 기타 O
5 5 보고 공급망 ESG 서면평가 결과 및 향후 계획 기타 O
5 5 보고 세아창원특수강 ESG기술TF팀 부산물 자원화 업무 보고 기타 O
2024년 5차 2024-11-19 5 5 보고 KCGS 평가결과 및 개선사항 보고 기타 O
5 5 보고 실무협의체 운영방식 변경안 및 협의체 별 주요 아젠다 보고 기타 O
5 5 보고 CDP평가 및 개선사항 보고 기타 O
2025년 1차 2025-02-11 4 5 결의 연간 기부금 운영한도 설정의 건 가결 O
4 5 보고 2025년 ESG 업무 계획 보고 기타 O
4 5 보고 PCF 프로젝트 결과 보고 기타 O
4 5 보고 2025년 지속가능경영보고서 발간 계획 및 이중중대성평가 결과 보고 기타 O
2025년 2차 2025-05-29 5 5 보고 세아베스틸/창원특수강 온실가스 배출량 검증 완료 보고 기타 O
5 5 보고 4차 배출권 거래제도 변경에 따른 영향 보고 기타 O
5 5 보고 철강산업 공동 ESG 평가 인증 체계 구축 사업 내용 보고 기타 O


3. Ethics & Compliance 위원회 개최 내역

  개최일자 출석
인원
정원 안건 가결
여부
이사회 보고
여부
구분 내용
2024년 1차 2024-02-06 3 3 보고 베스틸지주 2024년 연간 컴플라이언스 계획 기타 O
3 3 보고 2023년 무관용원칙 임직원 설문 결과 보고 기타 O
3 3 보고 2024년 Ethisphere World's Most Ethical Companies 지원 결과 보고 기타 O
2024년 2차 2024-05-16 3 3 보고 공정거래 컴플라이언스 정책 내재화 현황 기타 O
3 3 보고 E&C 캠페인 및 교육 현황 기타 O
3 3 보고 베스틸지주 산하 사업사 E&C 실무자 협업체 활동 기타 O
2024년 3차 2024-08-26 3 3 보고 베스틸지주 ISO 37301 사후 심사의 건 기타 O
3 3 보고 무관용 원칙 규정 개정의 건 기타 O
3 3 보고 '24년 하반기 E&C 임직원 교육 실적/계획 기타 O
3 3 보고 베스틸지주 '연간 컴플라이언스 운영 계획’중간 점검 현황 기타 O
2024년 4차 2024-11-19 3 3 보고 베스틸지주 ISO 37301 `24년 사후 심사 결과 및 `25년 운영 계획(안) 보고 기타 O
3 3 보고 공정거래법 컴플라이언스 정책 현황 기타 O
3 3 보고 무관용 원칙 규정 개정의 건 기타 O
3 3 보고 `24년 4분기 기타 E&C 업무 기타 O
2025년 1차 2025-02-11 3 3 보고 베스틸지주 '25년 연간 컴플라이언스 계획 기타 O
3 3 보고 베스틸지주 산하 '24년 회사 Compliance KPI 결과 보고 기타 O
3 3 보고 '24년 하반기 E&C 자가점검 결과 보고 기타 O
3 3 보고 베스틸지주 산하 무관용원칙 규정 개정 현황 기타 O
3 3 보고 '25년 Ethisphere World's Most Ethical Companies 지원 결과 보고 기타 O
2025년 2차 2025-03-26 3 3 결의 Ethics & Compliance 위원회 위원장 선임의 건 가결 O
2025년 3차 2025-05-29 3 3 보고 해외법인/임원 컴플라이언스 KPI 시행 보고 기타 O
3 3 보고 `25년 2분기 E&C 캠페인 및 교육 현황 기타 O
3 3 보고 `25년 2분기 E&C 주요 업무 보고 기타 O
3 3 보고 기타 보고의 건 (무관용원칙 현황 등) 기타 O


4. 보상평가위원회 개최 내역

  개최일자 출석
인원
정원 안건 가결
여부
이사회 보고
여부
구분 내용
2024년 1차 2024-02-06 2 2 보고 2024년 등기임원 보수한도 총액 제안의 건 기타 O
2025년 1차 2025-02-11 2 2 결의 2024년 임원 성과급 결정건 가결 O
2 2 보고 2025년 등기임원 보수한도 총액 제안의 건 기타 O
2 2 보고 2024년 국내자회사 임원성과급 지급의 건 기타 O
2025년 2차 2025-03-26 2 2 결의 보상평가위원회 위원장 선임의 건 가결 O


나. 위 기재 내용을 바탕으로 이사회내 위원회 운영 관련 명문 규정 마련이나 결의사항의 이사회 보고 관련 부족한 부분이 있다면 그 사유 및 향후 계획을 설명한다.
(1) 미진한 부분 및 그 사유

당사는 이사회 내 5개 위원회의 명문 규정을 마련하고 있으며, 각 위원회의 결의사항에 대해 이사회에 보고하고 있습니다.

(2) 향후 계획 및 보충설명

당사는 이사회 내 전 위원회 관련 명문 규정을 마련하고 있습니다. 또한 당사 이사회 내 위원회는 이사회 운영규정 및 관련 법령에 따라 위원회 결의 사항을 이사회에 보고하고 있으며, 위원회의 결의에 이의가 있을 경우 각 이사는 통지받은 날로부터 영업일 기준 2일 이내에 이사회의 소집을 요구하여 위원회가 결의한 사항에 대하여 다시 결의할 수 있습니다. (상법 제415조2에 의거 감사위원회는 제외)

[400000] 4. 감사기구

[409000] (핵심원칙 9) 감사위원회, 감사 등 내부감사기구는 경영진 및 지배주주로부터 독립적인 입장에서 성실하게 감사 업무를 수행하여야 하며, 내부감사기구의 주요 활동내역은 공시되어야 한다.

[409100] (세부원칙 9-1) - 감사위원회, 감사 등 내부감사기구는 독립성과 전문성을 확보하여야 한다.

상기 세부원칙에 대한 준수여부를 간략하게 기술한다. (100자 이내)
당사의 감사위원회는 경영, 회계 및 법무 등 다양한 분야의 전문가인 사외이사들로 구성되어 전문성을 확보하고 있습니다. 또한 전원 사외이사로 구성되어 독립성도 확보하고 있습니다.
가. 내부감사기구 구성에 관하여 아래의 사항을 포함하여 설명한다.
(1) 내부감사기구 구성 현황
감사위원회 설치 여부
Y(O)

당사의 감사위원회는 회계전문가를 포함하여 전원 사외이사로 구성되어 경영진의 합리적 경영판단에 대하여 독립적인 의견을 제시하고 있습니다. 이는 상법의 요구 수준인 3인 이상의 이사로 구성하고 3분의2 이상이 사외이사여야 한다는 규정 요건을 상회하는 수준입니다.

또한, 당사는 상법 및 관계 법령에 따라 감사위원 중 1인을 회계 또는 재무 전문가로 선임하였습니다. 회계 또는 재무전문가로 선임된 김지홍 사외이사는 경영대학에서 30년 동안 회계 분야 교수로 재직한 자로서, 상법 시행령 제37조 제2항 제2호인 "회계 또는 재무 분야에서 석사 이상의 학위를 취득한 사람으로서 연구기관 또는 대학에서 회계 또는 재무 관련 분야의 연구원이나 조교수 이상으로 근무한 경력이 합산하여 5년 이상인 사람"에 해당합니다.

표 9-1-1: 내부감사 기구의 구성

구성 감사업무 관련 경력 및 자격 비고
직책 구분
김지홍 감사위원장 사외이사(Independent) 캘리포니아대학교(버클리) 회계학 박사
현) 한국뉴욕주립대 경영학과장
전) 연세대학교 경영대학 교수
전) 손해보험협회 비상임감사
[회계·재무 전문가 : 관련 석사학위 이상 학위취득자]
- 캘리포니아대학교(버클리) 회계학 박사
- 연세대학교 경영학과 학사
[대학에서 회계 또는 재무 관련 분야의 조교수 이상으로 근무한 경력이 모두 5년 이상]
- 연세대학교 경영대학에서 30년 동안 회계분야 교수로 재직
-
윤여선 감사위원 사외이사(Independent) 현) 카이스트 테크노 경영대학 학장
현) 카이스트 경영대학원 마케팅 교수
미시간대학교 로스경영대학원 박사
-
오원석 감사위원 사외이사(Independent) 현) KAIST 경영대학 부학부장
현) KAIST 경영대학 정보미디어경영대학원장
현) KAIST 경영공학 빅데이터 및 비즈니스
애널리틱스 연구센터장
전) University of California Visiting Professor (방문교수)
전) 연세대 경영학과 교수, 부교수
임기만료(2025년 3월)
이화용 감사위원 사외이사(Independent) 현) 법무법인 엘케이비앤파트너스 대표변호사
현) 금융정보분석원 제재심의위원
전) 의정부지방법원 부장판사
전) 금융정보분석원 심의위원(금융위원회 소속)
전) 대전지방법원 논산지원장
전) 서울북부지방법원 판사
-
박상찬 감사위원 사외이사(Independent) 현) KAIST 경영대학/경영공학부 부교수
현) 한국인사조직학회 인사조직연구 편집위원장
전) Georgia Institute of Technology, 경영대학 방문교수
전) 이화여대 경영대학 조교수
전) National University of Singapore, 경영대학 조교수
전) Cornell University, Organizational Behavior 박사
신규선임(2025년 3월)
(2) 내부감사기구의 독립성 및 전문성 확보를 위한 정책
회계 또는 재무전문가 존재 여부
Y(O)

당사는 감사위원회의 독립성을 유지하기 위하여 전 구성원을 회사의 이사 및 지배주주와 혈연 등 특수한 관계가 없는 사외이사로 구성하고 있습니다. 전문성 확보를 위해 최소 1인은 회계 및 재무 전문가가 포함되어야 함을 감사위원회 규정으로 명시하고 있고, 회사가 속한 산업 및 기술 등 기업 경영과 관련된 다양한 분야의 전문가로 구성하고 있습니다. 또한 감사업무에 필요한 교육 프로그램을 안내하고 시행하여 감사위원회의 전문성을 더욱 높일 수 있도록 하고 있습니다.

나. 내부감사기구의 운영과 관련해서 아래의 사항을 포함하여 설명한다.
(1) 내부감사기구의 운영 목표, 조직, 권한과 책임을 규율하는 규정이 별도로 있는지 여부 및 그 내용
내부감사기구 규정
Y(O)

당사의 감사위원회는 감사위원회 운영규정에 관계법령이 정하는 구성요건을 명시하고 있습니다. 감사위원회 운영규정 제3조에 따라 회계와 업무전반을 감사하며, 위원회는 이사에 대하여 그 업무에 관한 보고를 요구하거나 회사의 재산상태를 조사할 수 있도록 하고 있습니다. 이외에도 관련 법령, 정관 또는 감사위원회 운영규정에서 정하여진 사항과 이사회가 위임한 사항을 심의 및 의결하도록 하는 규정을 갖추고 있습니다.

(2) 감사업무 수행에 필요한 교육 제공 현황
감사기구 교육 제공
Y(O)

당사는 감사위원이 감사업무를 효과적으로 수행하고, 당사의 재무보고 및 내부통제 구조를 이해하기 위해 전문기관을 통한 감사와 관련된 교육제공 및 자체교육을 실시하고 있습니다.


표 : 감사위원 교육현황 [2024-01-01 ~ 2024-12-31]

교육일자

교육실시주체

참석 사외이사

불참 사유

주요 교육내용

2024-11-19

삼정회계법인

김지홍, 윤여선, 오원석, 이화용

-

자금횡령과 내부회계관리제도

(3) 외부 전문가 자문 지원 등을 시행하고 있는지 여부 및 그 내용
외부 자문 지원
Y(O)

당사는 이사회 운영규정 제4조에 따라 이사들이 필요 시 외부 전문가 등에게 자문을 구할 수 있도록 지원하고 있습니다.

(4) 경영진의 부정행위에 대한 조사 관련 규정 및 경영진의 내부감사기구에 대한 정보, 비용 지원 등에 관한 사항
조사절차 규정 마련
Y(O)

당사는 감사위원회 규정 제4조에 경영진의 부정행위 염려가 있거나 회계처리기준 위반사실을 인지했을 경우 이를 조사 보고하도록 하고 있으며, 이와 관련한 정보 및 비용을 회사에 지원받을 수 있도록 하고 있습니다. 또한 동 규정 제14조에 따라 감사위원회의 효율적인 업무수행을 위하여 내부감사기구를 활용하도록 하고 있습니다.

(5) 기업 경영에 중요한 영향을 미칠 수 있는 사항과 관련된 정보에 대한 내부감사기구의 접근성
내부감사기구의 정보 접근절차 보유 여부
Y(O)

당사의 감사위원회는 감사위원회 운영규정 제3조에 따라 회계와 업무전반을 감사하며, 위원회는 이사에 대하여 그 업무에 관한 보고를 요구하거나 회사의 재산상태를 조사할 수 있도록 하고 있습니다.

다. 내부감사기구 지원조직에 관하여 아래의 사항을 포함하여 설명한다.
(1) 내부감사기구 지원 조직 설치 현황
지원조직 설치 여부
Y(O)

당사는 감사위원회의 효율적인 감사업무 수행을 보좌하기 위하여 위원회를 지원하고 실무를 담당하는 전담부서인 내부통제팀을 두고 있습니다. 내부통제팀은 지속적인 인원 확충과 함께 조직을 개편하여 공시서류 제출일 현재 4인으로 운영되고 있으며, 감사위원회 운영 및 업무 지원, 내부회계관리제도 평가 업무 등을 주요 역할로 수행하고 있습니다.

(2) 내부감사기구 지원 조직의 독립성 확보 여부
지원조직의 독립성 확보
Y(O)

내부통제팀은 조직체계상 경영진과는 별개로 감사위원회 산하로 직접 보고체계를 갖추고 있습니다. 감사위원회 운영규정 제14조로 전담부서 운영을 명문화하고 있으며, 동 규정 제12조에 위원회가 내부감사부서의 책임자 임면에 대한 동의권한을 갖도록 함으로써 내부감사부서의 독립성을 확보하고 있습니다.

라. 감사위원 및 감사의 법적 책임에 상응하고 충실한 직무 수행을 지원할 수 있는 수준의 보수가 지급되고 있는지에 관하여 아래의 사항을 포함하여 설명한다.
(1) 감사위원 및 감사에 대한 독립적인 보수 정책 운용 여부
독립적인 보수정책 수립
N(X)

당사의 사외이사는 4인이며 전원이 감사위원으로 활동하고 있습니다. 사외이사 및 감사위원회 업무수행에 따른 법적 책임 수준을 고려하여 보수는 그에 적합한 수준으로 지급하고 있으며, 감사위원 간 보수의 차이는 없습니다.

(2) 감사위원 또는 감사가 아닌 사외이사 대비 보수 비율
보수 비율
1

당사의 사외이사는 전원 감사위원회에 소속되어 있습니다.

마. 위 기재 내용을 바탕으로 내부감사기구의 독립성 및 전문성 확보와 관련하여 부족한 부분이 있는 경우 그 사유 및 향후 계획을 설명한다.
(1) 미진한 부분 및 그 사유

-

(2) 향후 계획 및 보충설명

당사는 감사위원회가 관련 법규에 따라 감사 직무를 수행함에 있어 이사회 및 경영진 등 업무 집행 기관으로부터 독립된 위치에서 객관성을 유지하도록 하고 있습니다. 감사위원회는 독립성과 전문성 확보를 위한 관련 법령을 모두 충족하고 있으며, 독립성과 전문성을 확보하기 위하여 사외이사후보추천위원회가 회사와는 독립적으로 법적 요건인 회계전문가를 포함한 학계, 산업계, 예술계 등에서의 후보군을 발굴 및 추천하면 이사회의 승인을 거쳐 주주총회에서 선임하여 전문성 또한 확보하고자 노력하고 있습니다. 상기 기재한 내용을 바탕으로 회사의 감사위원회는 독립성과 전문성이 충분히 확보되었다고 판단합니다.

(3) (감사위원회가 설치되어 있지 않은 경우) 감사위원회를 설치하지 않는 사유 및 향후 감사위원회 설치 계획이 있는지 여부

당사는 보고서 제출일 현재 감사위원회를 설치하고 있습니다.

[409200] (세부원칙 9-2) - 감사위원회, 감사 등 내부감사기구는 정기적 회의 개최 등 감사 관련 업무를 성실하게 수행하고 활동 내역을 투명하게 공개해야 한다.

상기 세부원칙에 대한 준수여부를 간략하게 기술한다. (100자 이내)
당사는 연 4회 정기적으로 감사위원회를 개최하고 있으며, 감사위원들은 감사 업무를 성실하게 수행하고 당사는 그 내역을 투명하게 공개하고 있습니다.
가. 내부감사기구의 정기적 회의 개최 현황 등 활동내역과 관련된 사항을 아래 사항을 포함하여 설명한다.
(1) 공시대상기간 개시시점부터 보고서 제출 시점까지 내부감사기구의 감사활동, 외부감사인 선임 절차 및 내부회계관리제도 운영 실태 평가 등 정기적인 활동(회의) 내역
정기회의 개최 여부
Y(O)
1. 감사위원회의 감사활동
감사위원회는 경영진 및 지배주주로부터 독립적인 입장에서 회계와 업무 감사 및 이사회의 위임사항에 대하여 심의결의 그리고 기타 법령 및 정관, 감사위원회규정에서 정하는 사항에 대해 감사활동을 수행하고 있습니다.
이와 관련하여 정기적으로 위원회를 개최하고 필요 시 수시로 임시위원회를 개최하는 것을 원칙으로 하고 있습니다. 감사위원회의 소집은 위원장이 하며, 위원장은 회의 일자를 정하여 늦어도 1주일 전에 사전 통지토록 하고 있습니다. 다만, 위원 전원의 동의가 있을 때에는 소집절차를 생략할 수 있습니다. 감사위원회의 진행은 대면회의를 원칙으로 하나, 관계법령이 허용하는 범위 내에서 동영상 또는 유무선 통신장비 등을 이용할 수도 있으며, 감사위원회의 결의는 위원 과반수의 출석과 출석위원 과반수의 동의로 이루어집니다.
감사위원회 운영규정 제13조에 따라 회의 의사록을 작성하도록 하고 있으며, 의사록에는 의사의 안건, 경과요령, 그 결과, 반대하는 자와 그 반대 이유를 기재하고 출석한 감사위원이 기명날인 또는 서명하도록 정하고 있습니다.

2. 외부감사인 선임내역
감사위원회는 신 외부감사법에 따라 회사의 외부감사인 선정 권한을 회사로부터 부여 받았습니다.
2022년 신규 외부감사인 선임시기가 도래함에 따라, 모/자회사의 감사인 일치를 목적으로 외부감사인 지정(재지정) 신청에 대해서 감사위원회의 승인을 받은 후, 증권선물위원회에 감사인 지정(재지정)을 요청하여 삼일회계법인을 3개년간의 외부감사인으로 선임하였습니다.
2025년 신규 외부감사인 선임시기가 도래함에 따라, 외부감사인의 독립성 및 전문성에 대해 대면회의를 통해 그 중 가장 적합하다고 평가한 한영회계법인을 3개년 간의 외부감사인으로 선정하였습니다. 계약만료는 2027년 말입니다.

3. 내부회계관리제도 평가내역
감사위원회는 감사위원회운영규정 제12조에 따라 내부회계관리제도의 운영실태를 평가하도록 하고 있고, 내부회계관리규정 제5조에 감사위원회의 운영실태 평가 보고의 기준 및 절차를 명문화하고 있습니다.
감사위원회는 대표이사로부터 ‘24년도 내부회계관리제도의 운영실태를 보고 받은 후, 대면회의를 통해 이를 평가하고 이사회에 내부회계관리제도 운영실태평가보고서를 작성하여 보고하였으며 회사의 본점에 비치하였습니다. 외부감사법 제8조 5항에 의거, ’내부회계관리제도 설계 및 운영 개념체계’에 근거하여 볼 때, 중요성의 관점에서 효과적으로 설계되어 운영되고 있다고 판단하였으며, 이를 사업보고서에 공시하였습니다.
(2) 감사회의록, 감사 기록의 작성·보존과 주주총회 보고절차 관련된 내부 규정이 있는지 여부와 그 내용
규정 마련 여부
Y(O)

당사는 감사위원회 운영규정 제13조에 따라 회의 의사록을 작성하도록 하고 있고, 정관 제32조에 따라 위원회가 실시한 감사에 관하여 감사록을 작성하여 비치하도록 하고 있습니다. 의사록에는 의사의 안건, 경과요령, 그 결과, 반대자와 그 사유를 기재하고 출석한 감사위원이 기명날인 또는 서명하도록 정하고 있으며, 감사록에는 감사의 실시절차와 그 결과가 기재되어야 하고 감사를 실시한 각 감사위원이 기명날인 또는 서명하도록 하고 있습니다.

또한 감사위원회 운영규정 제12조에 근거하여 감사위원회는 이사가 주주총회에 제출할 의안 및 서류를 조사하여 법령 또는 정관에 위반되거나 현저하게 부당한 사항이 있는지 여부를 주주총회에서 진술하도록 하고 있습니다.

(3) (감사위원회가 설치된 경우) 공시대상기간 개시시점부터 보고서 제출 시점까지 감사위원회 회의 개최 내역, 개별이사 출석내역

당사의 감사위원회 개최내역 및 개별 이사의 출석내역은 아래와 같습니다.


  개최일자 출석
인원
정원 안건 가결
여부
이사회 보고
여부
개별 이사 출석 내역
구분 내용 김지홍 윤여선 오원석 이화용 박상찬
2024년 1차 2024-02-06 4 4 기타 감사위원회 자체 평가 기타 O 참석 참석 참석 참석 신규
선임
4 4 보고 재무제표 수령 기타 O 참석 참석 참석 참석
4 4 보고 2024년 감사위원회 운영계획 기타 O 참석 참석 참석 참석
4 4 보고 2024년 내부통제팀 운영계획 기타 O 참석 참석 참석 참석
2024년 2차 2024-02-20 4 4 보고 외부감사인과 커뮤니케이션_2023년 결산감사 보고 기타 O 참석 참석 참석 참석
4 4 보고 2023년 내부회계관리제도 운영실태 보고 기타 O 참석 참석 참석 참석
4 4 결의 제69기 정기주주총희 의안 심의의 건 가결 O 찬성 찬성 찬성 찬성
4 4 결의 2023년 내부회계관리제도 운영실태 평가의 건 가결 O 찬성 찬성 찬성 찬성
2024년 3차 2024-03-12 4 4 결의 내부감시장치에 대한 감사위원회 의견 심의 가결 O 찬성 찬성 찬성 찬성
4 4 결의 감사위원회의 감사보고서 심의 가결 O 찬성 찬성 찬성 찬성
4 4 기타 외부감사인 평가: 계약사항 이행 준수 여부 확인 기타 O 참석 참석 참석 참석
2024년 4차 2024-03-20 4 4 결의 감사위원장 재선임의 건 가결 O 찬성 찬성 찬성 찬성
2024년 5차 2024-05-21 3 4 보고 외부감사인과 커뮤니케이션_2024년 1분기 검토 보고 기타 O 참석 참석 불참 참석
3 4 보고 2024년 내부회계관리제도 운영계획 기타 O 참석 참석 불참 참석
3 4 보고 자회사 상시모니터링 시스템 재구축 계획 보고 기타 O 참석 참석 불참 참석
2024년 6차 2024-08-26 4 4 보고 외부감사인과 커뮤니케이션_2024.2분기 검토 보고 기타 O 참석 참석 참석 참석
4 4 결의 삼일회계법인 세무조정 업무 용역계약 체결 승인의 건 가결 O 찬성 찬성 찬성 찬성
4 4 결의 삼일회계법인 Robotic XBRL application 공급계약 승인의 건 가결 O 찬성 찬성 찬성 찬성
4 4 보고 회사 인감관리 현황 점검 보고 기타 O 참석 참석 참석 참석
2024년 7차 2024-11-19 4 4 보고 외부감사인과 커뮤니케이션_2024.3분기 검토 보고 기타 O 참석 참석 참석 참석
4 4 기타 자금횡령과 내부회계관리제도 교육 기타 O 참석 참석 참석 참석
4 4 결의 삼일회계법인 통합기업보고서(BEPS) 세무자문용역 체결 심의 가결 O 찬성 찬성 찬성 찬성
4 4 보고 2024년 내부회계관리제도 운영 중간 보고 기타 O 참석 참석 참석 참석
4 4 보고 자회사 내부회계관리제도 재구축 현황 보고 기타 O 참석 참석 참석 참석
2025년 1차 2025-02-11 3 4 기타 감사위원회 자체 평가 기타 O 참석 참석 불참 참석
3 4 결의 외부감사인 선정의 건 가결 O 찬성 찬성 불참 찬성
3 4 결의 감사부설기구 책임자 임면에 대한 동의 건 가결 O 찬성 찬성 불참 찬성
3 4 보고 재무제표 수령 기타 O 참석 참석 불참 참석
3 4 보고 2025년 감사위원회 운영계획 기타 O 참석 참석 불참 참석
3 4 보고 2025년 내부통제팀 운영계획 기타 O 참석 참석 불참 참석
2025년 2차 2025-02-24 3 4 보고 외부감사인과 커뮤니케이션_2024년 감사보고 기타 O 참석 참석 불참 참석
3 4 보고 2024년 내부회계관리제도 운영실태 보고 기타 O 참석 참석 불참 참석
3 4 결의 제 70기 주주총회 안건 조사 및 심의 가결 O 찬성 찬성 불참 찬성
3 4 결의 2024년 내부회계관리제도 운영실태 평가 가결 O 찬성 찬성 불참 찬성
3 4 결의 내부회계관리 규정 개정의 건 가결 O 찬성 찬성 불참 찬성
2025년 3차 2025-03-17 3 4 보고 외부감사인 감사 보고서 수령 기타 O 참석 참석 불참 참석
3 4 결의 내부감시장치에 대한 감사위원회 의견 심의 가결 O 찬성 찬성 불참 찬성
3 4 결의 감사위원회의 감사보고서 이사에 제출 가결 O 찬성 찬성 불참 찬성
3 4 기타 외부감사인 평가 : 계약사항 이행 준수 여부 확인 기타 O 참석 참석 불참 참석
2025년 4차 2025-05-29 4 4 보고 외부감사인과 커뮤니케이션_2025.1분기 검토 보고 기타 O 참석 참석 임기
만료
참석 참석
4 4 보고 2025년 내부회계관리제도 운영계획 기타 O 참석 참석 참석 참석
4 4 기타 감사위원회 제도의 이해 기타 O 참석 참석 참석 참석

표 9-2-1: 최근 3개년 개별이사 감사위원회 출석률

구분 출석률 (%)
최근 3개년 평균 최근 3개년
당해연도 전년도 전전년도
김지홍 사외이사(Independent) 100 100 100 100
윤여선 사외이사(Independent) 100 100 100 100
오원석 사외이사(Independent) 90 86 100
이화용 사외이사(Independent) 100 100 100
강천구 사외이사(Independent) 100 100 100
정재훈 사외이사(Independent) 100 100 100
나. 위 기재 내용을 바탕으로 내부감사기구가 감사 관련업무 수행 관련해서 미진한 부분이 있다면 그 사유와 향후 계획에 대해서 설명한다.
(1) 미진한 부분 및 그 사유

-

(2) 향후 계획 및 보충설명

● 감사위원회의 감사 관련 업무 성실 수행에 관한 사항

감사위원회가 효율적으로 업무를 수행하기 위해서는 모든 안건에 대하여 전문성과 독립성을 갖추고 합리적인 의사결정을 할 수 있도록 회사내부규정을 갖추는 것이 선행되어야 합니다. 당사는 이에 대해 정관, 감사위원회 운영규정, 내부회계관리규정 등에 조직, 책임과 권한 등을 명확히 명시하고 있고 감사위원회 전원을 사외이사로 구성하여 경영진으로부터 독립성을 확보하였습니다. 또한 주기적인 교육을 통해 전문성을 갖출 수 있도록 하고 있으며, 감사위원회 지원조직을 통해 감사위원회 역할의 실효성을 높일 수 있도록 하고 있습니다.

당사의 감사위원회는 정기감사위원회 4회와 임시감사위원회 수시 개최를 원칙으로 하고 있으며, 경영진을 배제한 채 외부감사인과의 정기적인 커뮤니케이션을 통해 회사회계 및 업무에 관련하여 논의하고 있고, 의결사항에 대해 충분한 시간을 두고 논의를 거쳐 결의하는 등 그 역할을 충실히 수행하고 있습니다.

[410000] (핵심원칙 10) 기업의 회계정보가 주주 등 그 이용자들로부터 신뢰를 받을 수 있도록 외부감사인은 감사대상기업과 그 경영진 및 지배주주 등으로부터 독립적인 입장에서 공정하게 감사업무를 수행하여야 한다.

[410100] (세부원칙 10-1) - 내부감사기구는 외부감사인 선임시 독립성, 전문성을 확보하기 위한 정책을 마련하여 운영하여야 한다.

상기 세부원칙에 대한 준수여부를 간략하게 기술한다. (100자 이내)
당사는 감사위원회 운영규정에 따라 외부감사인을 선임하고 있습니다.
가. 외부감사인의 선임 및 운영 정책에 관하여 아래의 내용을 포함하여 설명한다.
(1) 외부감사인의 독립성 및 전문성을 확보하기 위한 선임 관련 정책, 외부감사인 독립성 훼손 우려 상황 유무
정책 마련 여부
Y(O)
독립성 훼손우려 상황 유무
N(X)

당사는 주식회사 등의 외부감사에 관한 법률 제10조(감사인의 선임) 및 당사 감사위원회 운영규정 제12조에 따라 외부감사인 선임에 관한 권한을 감사위원회에 부여하고 있습니다.

(2) 외부감사인 선임 관련 회의개최 및 각 회의 논의사항

당사는 주식회사 등의 외부감사에 관한 법률 제10조(감사인의 선임) 및 당사 감사위원회 운영규정 제12조에 따라 외부감사인 선임 및 해임에 관한 권한을 감사위원회에 부여하고 있으며 외부감사인의 독립성 및 전문성, 징계여부 등 양적 및 질적 기준을 고려하고 있습니다.

2025년 신규 외부감사인 선임시기가 도래함에 따라, 외부감사인의 독립성 및 전문성에 대해 대면회의를 통해 그 중 가장 적합하다고 평가한 한영회계법인을 3개년 간의 외부감사인으로 선정하였습니다. 계약만료는 2027년 말입니다.
(3) 외부감사 종료 후 외부감사인의 감사계획을 충실하게 수행하였는지 등에 대한 평가 여부 및 그 내용

당사는 주식회사 등의 외부감사에 관한 법률 제10조 제6항에 따라 감사위원회는 감사보고서를 제출 받은 후 감사인의 감사보수와 감사시간, 감사에 필요한 인력에 관한 사항이 준수되었는지를 충실히 평가하였습니다.

외부감사인이 감사계획을 충실하게 수행하였는지에 대해 매 기간 검토 및 감사 종료 후 논의하고 있습니다. 2024년의 경우 총 4회의 논의가 있었습니다.

(4) 외부감사인 및 그 계열사를 통해 컨설팅 또는 비감사용역을 제공받고 있다면 해당 회사를 선정한 사유 및 비용 지급 내역

당사는 공시서류제출일 현재 외부감사인의 자회사를 통해 경영자문 등 비감사용역을 제공받은 바 없습니다.

나. 위 기재 내용을 바탕으로 외부감사인 선임시 독립성, 전문성을 확보하기 위한 정책 중 부족한 부분이 있다면 그 사유 와 향후 계획에 대해 설명한다.
(1) 미진한 부분 및 그 사유

-

(2) 향후 계획 및 보충설명

당사는 외부감사인 선임 시 경영진이나 주요지배주주로부터 독립된 사외이사로 구성된 감사위원회가 외부감사인을 선임하고 있고, 매년 최소 4회 이상 감사위원회와 외부감사인간의 독립적인 커뮤니케이션을 통해 이사의 업무수행을 점검하고 회사의 회계건전성에 대해 검토하고 있어 이에 대한 정책이 마련되어 있다고 판단하고 있습니다.

[410200] (세부원칙 10-2) - 내부감사기구는 외부감사 실시 및 감사결과 보고 등 모든 단계에서 외부감사인과 주기적으로 의사소통하여야 한다.

상기 세부원칙에 대한 준수여부를 간략하게 기술한다. (100자 이내)
당사의 내부감사기구는 외부감사 실시 및 감사결과 보고 등 모든 단계에서 외부감사인인 삼일회계법인('25년 한영회계법인 신규 선임)과 정기적으로 의사소통하였습니다.
가. 내부감사기구와 외부감사인 간 의사소통 내역을 아래와 같이 설명한다.
(1) 경영진 참석 없이 내부감사기구와 외부감사인이 분기별 1회 이상 감사 관련 주요 사항을 협의하는지 여부
시행 여부
Y(O)

당사의 감사위원회는 분기별 1회 이상 외부감사 관련 주요 사항인 회계처리 기준, 매분(반)기 재무제표 감사 및 검토 결과, 경영진의 직무집행에 관한 부정행위 또는 법령이나 정관에 위반되는 중요한 사실 여부 확인을 위하여 경영진 참석 없이 삼일회계법인으로부터 매 분기 결산감사(검토) 후에 직접 보고를 받았으며, 주요사항 등에 대하여 의견을 교환하였습니다. 세부 내용은 다음과 같습니다.

표 10-2-1: 외부감사인과 소통내역

개최일자 분기 내용
2024년 1회차 2024-02-20 4분기(4Q) - 핵심감사사항에 대한 회계감사 진행 경과
- 내부회계관리제도 및 재무제표 감사절차 진행 경과
- 감사인의 독립성 등 기타 감사종료단계 필수 커뮤니케이션 사항 등
2024년 2회차 2024-05-21 1분기(1Q) - 감사계약, 감사시간 등 계획단계 필수 커뮤니케이션 사항
2024년 3회차 2024-08-26 2분기(2Q) - 주요 사항에 대한 감사절차
- 연감감사 일정(회계, 내부회계관리제도), 유의적 위험 식별 결과
- 핵심감사사항 결정을 위한 감사위원회 커뮤니케이션
- 정책동향 (자금관련 부정통제 공시 법제화)
2024년 4회차 2024-11-19 3분기(3Q) - 주요 사항에 대한 감사절차
- 핵심감사사항 선정 및 내부회계관리제도 설계 및 운영평가 진행 경과
2025년 1회차 2025-02-24 4분기(4Q) - 핵심감사사항에 대한 회계감사 진행경과
- 감사인의 독립성 등 기타 감사 종료단계 필수 커뮤니케이션 사항 등
- 내부회계관리제도 및 재무제표 감사 진행경과
2025년 2회차 2025-03-17 4분기(4Q) - 외부감사인 감사 보고서 수령
2025년 3회차 2025-05-29 1분기(1Q) - 연간 감사일정, 초도감사계획 등 계획단계 필수 커뮤니케이션 사항
- ’25.1분기 검토 진행 경과
(2) 외부감사인과의 주요 협의내용과 내부 감사업무 반영 절차 및 내용

당사는 보고기간 중 외부감사인과 핵심감사사항에 대한 회계감사 진행 경과, 내부회계관리제도 및 재무제표 감사절차 진행 경과, 감사인의 독립성 등 기타 감사종료단계 필수 커뮤니케이션 사항, 감사계약 및 감사시간 등 계획단계 필수 커뮤니케이션 사항, 연간 감사일정 및 독립성 등, 핵심감사사항 선정 및 내부회계관리제도 설계평가 진행 경과, 핵심감사사항에 대한 회계감사 진행 경과, 감사인의 독립성 등 기타 감사종료단계 필수 커뮤니케이션 사항 등의 내용에 관해 논의하였고, 그 결과를 감사 업무에 반영하였습니다.

(3) 외부감사인이 감사 중에 발견한 중요사항을 내부감사기구에 통보하는 절차 및 이와 관련된 내부감사기구의 역할 및 책임

당사의 감사위원회규정 제12조에 외부감사인으로부터 이사의 직무수행에 관한 부정행위 또는 법령이나 정관에 위반되는 중요한 사실의 보고 수령을 명문화하고 있으며, 외부감사인은 감사 중에 발견한 핵심 감사사항 등을 매 분기 감사위원회에 보고하고 있습니다.

감사위원회는 필요 시 회사의 비용으로 외부전문가를 선임 또는 내부감사부서를 통해 위반사실 등을 조사하도록 하고 그 결과에 따라 회사의 대표자에게 시정 등을 요구할 수 있습니다. 만약, 중요한 회계처리 기준 위반의 경우에는 조사결과 및 회사의 시정조치 결과 등을 즉시 증권선물위원회와 외부감사인에게 제출하여야 합니다.

(4) 외부감사인에게 재무제표를 제공한 시기
재무제표 정기주총 6주전 제공 여부
Y(O)
연결재무제표 정기주총 4주전 제공 여부
Y(O)

당사는 상법과 외부감사법 등 관련법규에 의거하여 별도재무제표는 정기주주총회 6주 전, 연결재무제표는 정기주주총회 4주 전에 외부감사인에게 제출하고 이를 증권선물위원회에 보고하고 있습니다. 당사는 보고기간에 해당하는 제70기(2024년도) 정기주주총회를 2025년 3월 26일에 개최하였으며, 정기주주총회 6주전 별도/연결 재무제표를 삼일회계법인에 제출 및 보고하였습니다. 별도 재무제표 제출일은 2025년 1월 23일, 연결 재무제표 제출일은 2025년 2월 11일입니다.

표 10-2-2: 재무제표 외부감사인 제공 내역

정기주총일 재무제표 제공일자 연결재무제표 제공일자 제공대상
제69기 2024-03-20 2024-01-31 2024-02-06 삼일회계법인
제70기 2025-03-26 2025-01-23 2025-02-11 삼일회계법인
나. 위 기재 내용을 바탕으로 내부감사기구와 외부감사인과 의사소통에 부족한 점이 있다면 그 사유 및 향후 계획을 설명한다.
(1) 미진한 부분 및 그 사유

-

(2) 향후 계획 및 보충설명

상기 기재한 바와 같이 당사의 감사위원회는 외부감사인과 주기적으로 충분한 의사소통을 진행하고 있으며, 이를 통해 내·외부 감사품질과 신뢰성을 높여가고 있습니다.

[500000] 5. 기타사항

가. 기업가치 제고 계획에 대해 아래의 사항을 포함하여 설명한다.
(1) 공시대상기간 개시시점부터 보고서 제출 시점까지 기업가치 제고 계획 공시 여부
자율공시 여부
Y(O)

당사는 2024년 11월 19일 '기업가치 제고 계획'을 공시하였습니다. 해당 공시는 기업가치 제고 계획 가이드라인을 준수하여 기업개요, 현황진단, 목표설정, 계획수립, 주주소통 등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당사 기업가치 제고를 위해 적합한 핵심지표(ROE, 배당성향, PBR 등) 설정 및 이행 계획 등의 내용을 포함하고 있습니다.

(2) 최근 3년간 기업가치 제고 계획 공시 현황 및 기업가치 제고 계획 수립, 공시 과정에 이사회 참여 여부

당사는 2024년 11월 19일 이사회에서 기업가치 제고 계획을 승인 받았으며, 이사회 결의 당일 '기업가치 제고 계획' 공시를 최초로 제출하였습니다. 당사는 이사회에 기업가치 제고 계획 수립 목적 및 목표, 이행 계획 등을 대면 보고하였으며, 이사회는 기업가치 제고 계획의 적정성에 대해 충분한 토의를 거친 후 승인하였습니다.

표 11-1 : 기업가치 제고 계획 공시 현황 및 이사회 참여 여부

공시일자 이사회 참여 여부 관련 이사회 일자 주요 논의 내용
1차 2024-11-19 O 2024-11-19 기업가치 제고 목표(핵심지표) 설정 및 이행 계획의 적정성 논의
(3) 공시대상기간 개시시점부터 보고서 제출 시점까지 주주 및 시장참여자와 기업가치 제고 계획을 활용하여 소통한 실적이 있는지 여부 및 내용
소통 여부
Y(O)

당사는 2024년 11월 19일 기업가치 제고 계획 공시 후 IR미팅, 컨퍼런스콜 등을 통해 투자자·주주와 적극적으로 소통하였습니다. 또한, 2025년 1분기 실적발표자료에 기업가치 제고 계획의 주요 내용을 포함하여 회사 홈페이지에 게시하였으며, 증권사 주관 NDR(Non-Deal Roadshow) 행사를 통해 기업가치 제고 목표 및 이행 계획 등을 설명하였습니다.

표 11-2 : 기업가치 제고 계획 소통 현황

일자 소통 대상 소통 채널 임원 참여 여부 주요 소통 내용
1차 2025-02-13 기관투자자 NDR (대면미팅) X 기업가치 제고 목표(핵심지표) 및 이행 계획 소통
2차 2025-02-15 기관투자자 NDR (대면미팅) X 기업가치 제고 목표(핵심지표) 및 이행 계획 소통
나. 핵심(세부)원칙으로 제시되지 않은 사항 중에서 해당 기업이 지배구조측면에서 주요하게 수립한 정책이 있다면 설명한다.

1. 이사회 평가

당사는 2023년도부터 이사회 활동 평가 제도를 도입하였습니다. 매년 이사회 의장이 이사회의 구성, 역할, 책임 및 운영에 대해 평가하며, 이사회 내 위원회에 대해서는 각 위원회(감사위원회, 사외이사후보추천위원회, ESG위원회, Ethics & Compliance위원회, 보상평가위원회)의 사내이사 및 사외이사가 평가를 진행합니다. 문항은 5점 척도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주요 평가 문항

평가 결과

이사회의 구성

5.00

이사회의 역할 및 책임

5.00

이사회 운영

5.00

이사회 내 위원회

4.98


2. 이사회 다양성 및 전문성
세아베스틸지주는 경영 의사결정의 전문성과 객관성을 높이기 위해 다양한 분야의 경력을 지닌 사외이사를 선임하고 있습니다. 현재 이사회에는 공학, 경영, 철강산업 등 각기 다른 전문영역에서 풍부한 경험을 보유한 인사들이 참여하고 있으며, 성별 다양성 강화를 위해 여성 사외이사도 포함되어 있습니다. 이사회는 성별, 연령, 국적, 인종, 종교, 출신 지역, 학력, 장애 여부 등 다양한 배경을 이유로 한 차별을 지양하고, 포용적이고 공정한 의사결정 환경을 조성하기 위해 지속적으로 노력하고 있습니다.

Board Skills Matrix

이사

Steel Industry
Knowledge

Financial
Expertise

Strategy Thinking and Action

Global Business Experience

Digital Transformation

Leadership
Skills

윤여선

김지홍

오원석

이화용

이태성

김수호

박성준


3. ESG경영 전략
당사는”GREEN” ▲2050 탄소중립 달성(Go Carbon Neutral), ▲자원순환 생태계 구축(Recycle and Reuse Resources), ▲안전보건 리스크 최소화(Embedding Safety and Health), ▲지속가능한 공급망 체계 구축(Evaluate and Mitigate Supply Chain Risks), ▲이사회 중심 경영(New Value with Transparency) 전략을 수립하여 ESG 경영을 실천하고 있습니다. 최고 의사결정기구인 ESG 위원회와 각 사업회사 총괄부서로 구성된 ESG 실무협의체가 분기별로 운영되고 있으며, 각 기구는 ESG 전략 방향 설정, 성과 및 리스크 모니터링, 주요 안건 의사결정 등을 담당합니다. ESG팀은 사업회사와 협력하여 성과 관리, 전사 ESG 전략 및 목표 수립, 로드맵 구축, 대내외 커뮤니케이션 등을 담당하고 있습니다.
2023년부터 ESG 경영 내재화를 위해 C-level SPS(Strategic Performance System)에 ESG 성과를 반영하며, 2024년부터 ESG 성과 관리 체계를 팀 KPI, 임원 KPI로 확대하여 최종적으로 C-level SPS와 연계하여 ESG 경영 내재화를 추진중입니다.

4. 공급망 관리 관련 활동 수행
당사는 공급망 관리 로드맵을 구축하며, 공급망 행동규범을 개정하고, ESG 평가 프로세스를 수립하는 등 체계적인 공급망 관리 체계를 정립하였습니다. 이를 위해 사전 진단 및 현장 실사를 수행하며, 공급망의 지속가능성을 강화하는 방향으로 나아가고 있습니다.
세아베스틸 및 세아창원특수강의 핵심 파트너사 대상으로 공급망 ESG Pilot 서면진단을 진행하였습니다. 이전의 ESG 평가 결과를 바탕으로 평가 항목의 난이도를 조정하여, 보다 현실적이고 달성 가능한 기준을 설정했습니다. 서면 진단 결과와 사업 영향도를 기반으로 협력 업체를 선정하고, 선정된 업체에 대한 현장 실사를 계획적으로 확대하였습니다. 이 과정에서 필요한 경우 교육 및 컨설팅을 지원하여 협력사의 ESG 준수 능력을 강화했습니다. 또한, 현장 실사를 통해 ESG 준수 상태를 확인하고, 필요한 경우 개선 조치를 촉구하고 있습니다.
다. 최신 정관을 첨부하고 본 보고서의 내용을 지지할 수 있는 명문의 정책 중 공개할 수 있는 규정이 있다면 그 내용을 첨부한다.

기타공개첨부서류

1. 정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