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주총회소집공고 6.0 네이블커뮤니케이션즈

주주총회소집공고
2025년 03월 05일
회 사 명 : 주식회사 네이블
대 표 이 사 : 양건열, 조종화
본 점 소 재 지 : 서울특별시 강남구 봉은사로 129, 1213호(논현동, 거평타운)
(전 화) 070-7780-9910
(홈페이지) http://www.nablecomm.com
작 성 책 임 자 : (직 책) 공동대표이사 (성 명) 양건열
(전 화) 070-7780-9910

주주총회 소집공고
(제22기 정기주주총회)

주주님의 건승과 댁내의 평안을 기원합니다.

당사는 상법 제363조와 정관 제 23 조에 의거 제22기 정기주주총회를 아래와 같이

개최 하오니 참석하여 주시기 바랍니다. 또한 발행주식 총 수의 1% 이하 소유주주에 대한 소집통지는 상법 제542조의 4 및 당사 정관 제23조 2항에 의하여 본 공고로 갈음하오니 양지하여 주시기 바랍니다.

- 아 래 -

1. 일 시 : 2025년 03월 20일(목요일) 오전 11시 00분

2. 장 소 : 경기도 성남시 분당구 대왕판교로 660, 7층 네이블 대회의실 (삼평동 유스페이스1 A동)

3. 회의 목적 사항

가. 보고사항 :

1) 제22기(2024.01.01~2024.12.31) 감사보고

2) 제22기(2024.01.01~2024.12.31) 영업보고

3) 제22기(2024.01.01~2024.12.31) 내부회계관리제도 운영실태 보고

나. 부의안건 :

<제 1호 의안> 제22기(2024.01.01~2024.12.31) 재무제표(이익잉여금처분계산서 포함) 승인의 건

<제 2호 의안> 정관 변경의 건 제 2-1호 제2조(목적)

<제 3호 의안> 이사보수한도 승인의 건(10억원) <제 4호 의안> 감사보수한도 승인의 건(5천만원)4. 경영참고사항상법 제542조의4 제3항에 의한 경영참고사항은 금융감독원 또는 한국거래소에 전자 공시하였으니 참고하시기 바랍니다.

5. 실질주주의 의결권 행사에 관한 사항

예탁결제원의 의결권 행사(섀도우보팅)제도가 2018년1월1일부터 폐지됨에 따라 한국예탁결제원이 주주님들의 의결권을 대리 행사할 수 없습니다. 따라서 주주님께서는 한국예탁결제원에 의결권행사에 관한 의사표시를 하실 필요가 없으며, 종전과 같이 주주총회에 참석하여 의결권을 직접 행사하시거나, 위임장에 의거 의결권을 간접행사 할 수 있습니다.

6. 주주총회 참석 시 준비물

- 직접행사 : 신분증

- 대리행사 : 위임장 (주주의 인감날인 및 인감증명서), 대리인의 신분증 2025년 3월 5일

주식회사 네이블 공동대표이사 양건열, 조종화 (직인생략)

I. 사외이사 등의 활동내역과 보수에 관한 사항

1. 사외이사 등의 활동내역 가. 이사회 출석률 및 이사회 의안에 대한 찬반여부
회차 개최일자 의안내용 사외이사등의 성명
정송(출석률: 100%)
찬 반 여 부
1 2024.01.30 제1호 의안 이사 및 감사 보수 승인의 건 찬성
2 2024.01.30 제1호 의안 제21기(2023.01.01~2023.12.31) 재무제표 승인의 건제2호 의안 제21기(2023.01.01~2023.12.31) 영업보고서 승인의 건 찬성
3 2024.01.30 제1호 의안 내부회계관리규정 승인의 건 찬성
4 2024.03.05

제1호 의안 제21기 정기주주총회 소집 및 부의안건 승인의 건

찬성
5 2024.03.05 제1호 의안 주식매수선택권(stock option) 일부 부여 취소의 건 찬성

나. 이사회내 위원회에서의 사외이사 등의 활동내역

해당사항 없습니다.

2. 사외이사 등의 보수현황
(단위 : 백만원)
구 분 인원수 주총승인금액 지급총액 1인당 평균 지급액 비 고
사외이사 1 1,000 40 40 -

(주1) 주총승인금액은 사내/사외이사를 포함한 이사 보수 한도 총액임(주2) 상기 인원수 및 보수현황은 제22기(2024.01.01~2024.12.31) 기준임

II. 최대주주등과의 거래내역에 관한 사항

1. 단일 거래규모가 일정규모이상인 거래
(단위 : 억원)
거래종류 거래상대방(회사와의 관계) 거래기간 거래금액 비율(%)
- - - - -

해당사항 없습니다.

2. 해당 사업연도중에 특정인과 해당 거래를 포함한 거래총액이 일정규모이상인 거래
(단위 : 억원)
거래상대방(회사와의 관계) 거래종류 거래기간 거래금액 비율(%)
- - - - -

해당사항 없습니다.

III. 경영참고사항

1. 사업의 개요

당사는 ICT 통신솔루션 개발 전문기업으로, 5G관련 스마트 네트워크 솔루션, 재난망 관련 MCPTT솔루션. Enterprise VoIP솔루션, AIoT 솔루션 등을 자체 개발하여 통신사업자, 공공기관, 기업 고객들에게 공급하고 있습니다.

(1) 스마트 네트워크 솔루션스마트 네트워크 사업 분야의 주요 제품으로는 이동통신사업자의 인프라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외부에서 쉽게 활용할 수 있도록 API화하여 제공하는 NAG(Network API Gateway), OMA 표준기반의 다양한 단말로 시스템 및 서비스 설정 정보를 전달하는 APCS(Auto Provisioning and Configuration Server), 고도의 보안이 요구되어 폐쇄망을 구성한 사업장에서 Public Push서비스를 이용할 수 없을 때 안정적으로 자체 Push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도록 하는 스마트 푸시(Push) 시스템 등이 있습니다.특히 NAG의 경우, SKT의 대표적 통화서비스인 T전화서비스와 함께 ‘바로로밍서비스’, ‘아이폰통화녹음서비스’ 등을 제공하는 주요 인프라로 활용이 되고 있으며, 서비스 이용자 증가와 통화녹음서비스가 일반화됨에 따라 관련 장비의 지속적으로 확대가 기대되고 있습니다. 5G특화망(이음 5G) 부문에서 당사는 2022년 중소기업 최초로 5G특화망 기간통신사업자로 등록하여, 이대목동병원에 특화망 서비스를 구축하고 실증하였으며, 최근에는 철도인프라 및 스마트 팩토리 분야로 시장을 확대해 나가고 있습니다.또한, 삼성전자의 5G특화망 장비 공급사로서, 영상분석, AR, 디지털트윈 및 로봇 등 5G 서비스를 위한 다양한 솔루션 업체들과 더불어 사업을 추진해 가고 있습니다. (2) MCPTT(재난안전망) 솔루션당사는 재난 대응업무에 활용하기 위한 전용망인 MCPTT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NFV(Network function virtualization) 기반의 보안, 녹취, 상태 관리 시스템을 공급하고 있습니다.글로벌 통신사업자들을 대상으로 핵심제품(MPGW, Presence, Recording, Client-SDK, WebAPI 등)들을 공급하며, 삼성전자 Global MCPTT 솔루션 선단(Fleet)의 핵심제품 공급사로 자리매김하였으며, 북미 지역 통신사업자, 영국 등 글로벌 시장에 진출하여 시스템을 공급하고 있습니다. 또한 MCData Store Server(MDS)와 Telephony Interworking Function(TEL-IWF), 그리고, MCPTT API exposure GW (API-GW)등의 공급 제품을 지속적으로 확장하여, 해외시장 점유율을 늘릴 계획입니다.

(3) Enterprise VoIP솔루션 Enterprise VoIP 솔루션 사업에서도 당사는 무선 IMS망과 기업 통화 서비스(VoIP)에 축적된 기술력을 바탕으로 통신사업자들과 긴밀하게 협력하며 사업을 진행하고 있습니다.국내 유선통신사업자들에게는 호스팅 방식의 기업용 전화 서비스 제공을 위한 국제 표준 기반의 대용량 IP-Centrex, SBC 시스템을 공급하고 있으며, 전국 공공기관 및 기업고객들에게는 구축형 IP-PBX (FMC)시스템과 국정원 CC 인증을 획득한 VoIP 보안장비 SG를 함께 제공하고 있습니다.현재 스마트폰 및 PC에 들어가는 Client부터 백엔드 솔루션까지 기업통화 서비스 전반을 포괄하는 포트폴리오를 구축하여 안정적인 사업을 운영하고 있습니다.

(4) AIoT 솔루션당사는 IoT 센서 및 전용 통신망 기반의 안전관리 시스템을 보유하고 있으며, AI분석 및 예측 기능을 결합한 지능형 통합플랫폼으로 발전시키며 경쟁력을 강화하고 있습니다.전국 지자체 및 공공기관, 통신사를 대상으로 스마트 맨홀 관제 솔루션을 판매하고 있으며, 국내 주요 건설사 공사현장에 콘크리트 양생 품질 관리를 위한 스마트 양생관리 솔루션을 공급/운영하고 있습니다. 이를 기반으로 건설현장에서의 빅데이터 및 AI분석을 활용하여 콘크리트 압축강도 추정, 초기 탈형 강도 양생시간 예측 및 불량 양생 예측이 가능한 AI기반의 스마트 양생 플랫폼으로 솔루션 영역을 확장하였습니다. 또한, 한국철도공사가 이상기후 대비를 위해 도입한 스마트 재해관리 시스템의 안전관리 디바이스 3종과 관제 플랫폼을 공급하였고, 향후 적용구간을 확대해 나갈 계획입니다.최근에는 생성형 AI 기반(LLM)의 자연어 처리 모델을 활용한 신규 AI사업도 시장에 선보였습니다. 생성형 AI기술을 활용한 스마트페이턴트 솔루션은 대화 방식의 특허 검색 및 특허 요약/분석/활용방안 등을 제공하며, 한,미,일, 유럽 등 글로벌 특허를 지원합니다. 국내외 특허법인 및 일반 기업을 대상으로 25년부터 본격적으로 솔루션이 공급/확산될 예정입니다.

가. 업계의 현황

1) 산업의 특성 및 성장성

정부는 5G사업 육성 전략으로 이음5G를 본격적으로 확산시키는 방안을 제시하였습니다. 정부의 5G 드라이브 행보에 민간 역시 반응하여 네이버클라우드, LG CNS, SK네트웍스, CJ올리브 네트웍스 등 20여개의 회사가 가 이음 5G 주파수를 할당 받고 기간통신사업자로 등록하였습니다. 이음5G 시장은 2027년까지 연평균 37.8% 성장해 71억 달러(9조28억원) 규모를 형성할 것으로 예측됩니다. 당사는 5G B2B 서비스 활성화 사업의 민간의료분야 과제를 수주하며, 2022년 중소기업 최초로 이음5G 기간통신사업자로 등록하였습니다.

당사의 주요 고객인 통신사업자들이 탈통신을 외치고 있지만 시장에서 유무선 음성 전화 서비스는 여전히 중요한 매출 분야입니다. 가입자당 평균 매출(ARPU)이 높은 5G 무선 서비스 가입자는 꾸준히 증가하고 있습니다. 전체적인 유선전화 회선은 감소하고 있으나 KT의 경우 B2B 고객 대상 통신사업(Telco B2B)의 기업통화 매출은 성장하고 있고, 최근에는 기존 구축형 B2B 상품들에 대한 클라우드화 대개체 수요가 늘어나 다양한 고객 확보가 가능하게 되었습니다. 국내 Telco 기업통화 서비스와 무선 IMS 응용 서비스 시장에서는 외산 제품들을 대체할 수 있는 기술적 우위를 점하고 있어야 하며, 고객 요구 사항에 따라 소프트웨어를 커스터마이징 할 수 있는 개발 역량도 갖추고 있어야 합니다.

3GPP 규격 기반의 MCPTT(Mission Critical Push To Talk)는 5G 서비스의 확산과 더불어 북미 및 유럽 국가들을 중심으로 정부 중심의 재난 및 안전 관리를 위해 적극적으로 도입되고 있습니다. 모토로라, 에릭슨, 삼성전자 등의 글로벌 통신 장비업체들이 MCPTT 솔루션을 공급하고 있습니다. The Business Research Company 조사에 따르면 2024년 글로벌 시장 규모는 US$ 19.38 billion이며 연간 10.8% 규모로 성장하여 2029년에는 US$ 31.78 billion에 달할 것으로 예상됩니다. 당사는 삼성전자와 긴밀히 협력하여 북미, 유럽 및 중동의 통신사업자들에게 지속적으로 관련 시스템들을 개발 및 공급하고 있습니다. 시장조사업체 IoT애널리틱스는 '2024년 2분기 글로벌 IoT 엔터프라이즈 지출 대시보드' 보고서에서 전체 글로벌 기업 IoT 시장은 2023년 2690억 달러를 기록, 전년에 비해 15% 성장을 기록했고, 2024년은 3010억 달러 규모로, 성장률 12%를 달성할 것으로 예측하였습니다.기업의 HW 지출 감소 속에 성장률이 줄어들고 있지만, 2025년부터는 성장세를 회복하여, 2030년까지 연평균 15% 성장률을 기록하며 6900억달러까지 성장할 것으로 예상하였습니다.국내에서는 광주 화정 아이파크 건설 현장 붕괴로 2022년 8월 광주광역시에서 콘크리트 양생 관리 조례가 신설되었고, 2024년 3월에는 국토교통부 ‘ 스마트 안전장비 활용 가이드라인’에 콘크리트 양생 모니터링 장비 항목이 신설되는 등 제도적 기술적 안전 관리에 대한 요구가 높아지고 있습니다. 이에 따라, 데이터 기반의 정확하고 안전한 시설물 관리 서비스를 제공하는 IoT 솔루션 사업이 성장할 것으로 예상됩니다.

2) 산업의 경기 변동 특성 및 계절성

당사의 5G 네트워크 솔루션 및 Enterprise 사업 분야는 통신사업자의 실적 및 투자 적극성에 다소 영향을 받습니다. 일반적으로 당사의 주요 거래처인 국내 통신사업자의 경우 주로 상반기에 투자 계획 및 예산을 확정하고, 하반기에 실제 개발 및 집행을 진행함에 따라 1년을 기준으로 할 경우, 상반기의 투자 집행 규모가 하반기 보다 작은 경우가 있습니다. 그러나 중·장기적인 관점에서 통신사업자의 경우 소비자들이 시기와 관계없이 통신 서비스를 일상적으로 사용하기 때문에 경기 변동 혹은 계절에 따라 큰 변동사항이 없습니다. 반면에 당사의 IoT 솔루션 사업은 여름철에 철도 사고 예방 및 맨홀 악취(유해가스) 검출, 겨울철에는 콘크리트 양생 관리를 위한 수요가 증가하는 매출 구조를 가지고 있습니다.

3) 경쟁 상황

당사의 5G 네트워크 솔루션과 Enterprise 솔루션의 경우, 통신사업자가 상용화하여 운용하기 시작하면 쉽게 바꾸지 못합니다. 더욱이 이 솔루션들은 사업자의 서비스 시나리오에 밀접하게 연관이 있으므로 사업자 특화 기능이 개발되어 추가는 경우가 대부분입니다. 이러한 특성 때문에 당사가 제공하고 있는 장비 분야들은 사업자 망에 특화되어 있어 신규 업체가 새로이 진출하기 매우 어렵습니다. 당사는 IoT 맨홀, IoT 수화열 관리 솔루션, 철도시설물 관제 솔루션 등에 대한 관련 특허를 보유하고 있으며, 건설, 지하시설물, 철도 안전 관리 분야에서 기술적 우위를 점하고 있습니다.

4) 자원 조달 상황

당사의 주력 제품은 자체 개발하는 소프트웨어, 범용 소프트웨어 및 하드웨어 플랫폼으로 구성됩니다. 외부에서 조달하는 자원은 범용 서버 및 특화된 하드웨어보드, 데이터베이스 등이 있습니다. 조달 자원은 국내와 해외 제품을 구분하지 않고 경쟁력 있는 제품을 선정하여 사용하지만, 수급 측면을 고려하여 대부분은 다국적 외국계 기업의 제품을 사용합니다. 자원 조달을 위한 복수개의 총판 및 협력 파트너사가 있어 안정적인 자원 조달이 가능 합니다. 당사의 경쟁력은 소프트웨어에 있다는 점을 고려할 때, 상기 원재료의 조달보다는 연구개발 인력이 매우 중요합니다. 따라서, 임직원들의 복리후생 강화 및 매년 상여금을 지급하는 등의 적극적인 인력 관리 정책을 실행하여 개발 및 기술지원 인력의 안정적인 유지를 위해 노력하고 있습니다.

나. 회사의 현황

(1) 영업개황 및 사업부문의 구분

(가) 영업개황

당사는 국내외 이동통신사업자, 유선통신사업자, 클라우드 사업자, 기업 및 공공기관 등에 솔루션을 제공하고 있습니다. 당사가 속한 산업은 소프트웨어 개발 및 공급 산업으로 유무선 융합 통신 솔루션, All-IP 통신 보안 솔루션 사업 및 AIoT 솔루션으로 구분되며 주요 제품은 다음과 같습니다.

1) 스마트 네트워크

당사는 All-IP 시대에 요구되는 멀티미디어 통신 서비스와 관련된 솔루션을 다양한 규모와 형태로 국내외 주요 통신 사업자와 행정기관 및 기업에 공급하고 있습니다. MCPTT, Push Notification, Open API 및 5G특화망 등 스마트 네트워크 사업에 필수 솔루션과 응용서비스를 확보하여 사업을 적극적으로 전개하고 있습니다.스마트 네트워크 사업 분야의 주요 제품으로는 이동통신사업자의 인프라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외부에서 쉽게 활용할 수 있도록 API화하여 제공하는 NAG(Network API Gateway), OMA 표준기반의 다양한 단말로 시스템 및 서비스 설정 정보를 전달하는 APCS(Auto Provisioning and Configuration Server), 고도의 보안이 요구되어 폐쇄망을 구성한 사업장에서 Public Push서비스를 이용할 수 없을 때 안정적으로 자체 Push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도록 하는 스마트 푸시(Push) 시스템 등이 있습니다.특히 NAG는 SKT의 대표적 통화 서비스인 T전화와 ‘바로로밍 서비스’, ‘아이폰 통화 녹음 서비스’ 등의 주요 인프라로 활용되고 있으며, 서비스 이용자 증가 및 통화 녹음 서비스의 일반화에 따라 관련 장비 수요가 지속적으로 확대될 것으로 예상됩니다.5G 특화망(이음 5G) 부문에서 당사는 2022년 중소기업 최초로 5G 특화망 기간통신사업자로 등록되었으며, 이대목동병원에 특화망 서비스를 구축 및 실증하였습니다. 또한, 철도 인프라 및 스마트 팩토리 분야로 시장을 확대하고 있으며, 삼성전자의 5G 특화망 장비 공급사로서 영상 분석, AR, 디지털 트윈 및 로봇 등 5G 기반 서비스 솔루션 업체들과 협력하여 사업을 추진하고 있습니다.아울러, 재난 대응업무를 위한 전용망인 MCPTT 서비스와 관련하여 NFV(Network Function Virtualization) 기반의 보안, 녹취, 상태 관리 시스템을 삼성전자와 함께 북미 지역 통신사업자 및 영국 등 글로벌 시장에 공급하고 있습니다.

2) AI · IoT

당사는 사물인터넷(IoT) 전용 무선통신네트워크(LoRa/LTE-M)를 기반으로 IoT 서비스 대상의 상태 감지, 위치 추적, 원격 제어, 원격검침 등의 융합 IoT 기술을 적용한 솔루션을 보유하고 있으며, 이를 주요 통신사업자, 공공기관 및 다양한 산업군의 수요기업에 공급하고 있습니다.특히, LoRaWAN 네트워크 서버 시스템 및 IoT 서비스 관제 플랫폼을 통해 다양한 산업군의 IoT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고, 최근에는 AI/빅데이터를 활용한 분석, 예측 기능까지 접목하여 사업을 확장해 나가고 있습니다.또한, AI 분야에서도 다양한 국가 과제 수행으로 기술을 내재화하고 있으며, 생성형 AI(LLM, Large Language Model)기반의 자연어 언어 모델을 활용한 ‘스마트페이턴트’ 서비스도 출시하였습니다. 해당 서비스는 대화형 방식으로 유사특허 검색 및 요약 정보를 제공하며, 특허 상세 분석 및 비교 기능을 지원하여, 전문가가 뿐만 아니라 기업 및 일반 사용자들도 쉽게 접근할 수 있도록 설계되었습니다.

3) 기업 VoIP 솔루션

당사는 음성 및 메시징을 포함한 주요 통신 서비스가 All-IP망으로 진화하는 과정에서 요구되는 보안 기술을 적용한 솔루션을 주요 통신 사업자와 행정기관 및 기업에 공급하고 있습니다.특히 UC(Unified Communication), IP-Centrex, Access & Peering SBC, SG (Security Gateway) 등 기업 VoIP 사업에 필요한 서비스 및 핵심 솔루션을 보유하고 있으며, 이를 기반으로 기업 VoIP 시장에서의 선도적 지위를 유지하고 있습니다.

B2B 고객 대상 통신사업(Telco B2B) 부문에서는 전체 유선전화 회선 수가 감소하는 추세이지만, 기존 구축형 B2B 상품들에 대한 클라우드 전환 수요가 증가하면서 다양한 신규 고객 확보가 가능해지고 있습니다.

(나) 공시대상 사업부문의 구분

당사가 영위하고 있는 사업은 넓게는 정보통신 분야로서 한국표준산업분류에 따를 경우 J58221에 해당하는 "시스템 소프트웨어 개발 및 공급업"에 포함된다고 볼 수 있습니다. 세부적으로 당사는 주력 시장인 통신사업자가 안정적인 서비스 제공 및 운영을 할 수 있도록 기본 인프라인 서비스 가입 및 개통, 고객 관리, 호처리, 보안, 망 연동, 서비스 품질 관리, 사용 패턴 분석 등 다양한 기능을 제공하는 "유무선융합 통신솔루션 개발 및 공급사업"을 영위하고 있습니다.

(2) 시장점유율

당사의 유무선 융합 통신 솔루션 및 All-IP 통신 보안 솔루션은 다양한 세부 제품과 서비스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이에 각각의 제품과 서비스의 시장 규모 및 시장 점유율에 관한 객관적인 자료는 찾아보기가 어려운 상황입니다.

또한, 동일한 제품을 개발, 공급한다고 하더라도 고객(통신사업자 등)의 요구사항에 따라 계약의 조건 및 규모, 원가, 매출 등이 업체별로 매우 다양하여 이를 비교하기 매우 어려운 측면이 있어, 각 부분에 대한 정확한 시장점유율에 대한 객관적인 통계치 및 실적 자료가 나와 있지 않습니다.

(3) 시장의 특성

(가) 수요자의 정의

당사의 제품은 유무선 융합 통신 솔루션 및 All-IP 통신 보안 솔루션으로 구성되며, 각 제품군별 주요 목표 시장과 고객층이 다르게 형성되어 있습니다. 주요 고객은 통신사업자, 기업 및 공공기관으로 다양한 산업군에서 당사의 솔루션을 활용하고 있습니다.

- 국내 유무선통합 서비스 사업자로는 KT, SKT, SKBB, LGU+ 등이 있습니다. 당사는 이들 수요자에게 IMS(NAG, APCS, AOM), VoIP 통신(IP-Centrex, IP-PBX, FMC), VoIP 보안(대용량 SBC, 기업용 SBC) 제품들을 공급하고 있습니다.

- 해외 시장의 미국, 캐나다, 영국, 말레이시아, 일본 등 여러 유무선통합서비스 사업자들에게는 VoIP 보안장비(SBC)와 MCPTT(Presence, MPGW, Web API) 솔루션을 제공하고 있습니다. 향후 사우디아라비아를 포함한 중동 국가 및 해외 시장에서 국가안전망 구축 사업이 활발히 진행될 것을 예상됨에 따라 당사의 MCPTT(Mission Critical Push-To-Talk) 제품의 확대 적용이 기대되고 있습니다.

- 공공기관 부문에서는 대법원, NIA, 한국전력공사, 철도청 등 주요기관을 대상으로 이 있습니다. 특히 VoIP 보안 장비(SG)는 전국 지자체 및 공공 기관에 FMC(모바일행정전화) 및 인터넷 전화 서비스를 위해 납품되고 있으며 우수한 품질 및 안정성을 기반으로 50% 이상의 점유율을 확보하고 있습니다. 최근 공공기관에서 빅데이터 분석 및 AI 예측 기능을 활용한 지능형 통합 플랫폼 서비스의 도입이 확대되는 흐름에 따라, 당사의 관련 솔루션 공급도 지속적으로 증가할 것으로 예상됩니다.

- AI· IoT 관련 솔루션 주요 고객은 지자체/공공기관을 비롯하여 철도공사, 건설사업자, 통신사업자가 있습니다. 철도시설물 관제를 위해 한국철도공사에 디바이스 및 관제 플랫폼을 공급/운영하고 있으며, 국내 현대건설/롯데건설/SK건설/대림산업 등의 대형 건설사를 대상으로 콘크리트 품질관리를 위한 스마트 양생 관리시스템을 납품하고 있습니다. 특히, 한국철도공사에는 철도 시설물 안전관리를 위한 스마트 재해관리 시스템에 디바이스 3종과 플랫폼을 공급하여 상용 운용 중에 있습니다.스마트 맨홀 관제 솔루션의 경우에도 전국 지자체 및 공공기관, 통신사를 대상으로 안전한 관리 및 유지보수의 목적으로 판매되고 있습니다.

- 당사는 생성형 AI 기술을 활용한 특허 분석 서비스인 ‘스마트페이턴트(Smart Patent)’를 출시하여 국내외 특허법인 및 일반 기업을 대상으로 구독형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습니다. 해당 솔루션은 대화형 방식으로 특허 검색 및 요약 정보를 제공하며, 특허 상세 분석 및 활용 방안까지 지원하는 것이 특징입니다. 또한, 한국, 미국, 일본, 유럽 등 글로벌 특허 데이터를 기반으로 운영되어 전문가뿐만 아니라 일반 사용자들도 손쉽게 접근할 수 있는 환경을 제공합니다

(나) 수요의 변동요인

당사의 솔루션에 대한 수요 변동 요인에는 상업적, 기술적, 법 규제적 요소가 존재합니다.

- 상업적 측면: 신규 사업 발굴, 기존 시장 축소, 경쟁 심화

- 기술적 측면: 5G, AI 기술 발전, 글로벌 기업과의 기술격차, 고객 수준 향상

- 법률적 측면: 규제 완화

단기적으로 당사의 All-IP 유무선통합 솔루션은 통신사업자들의 투자 방향 및 규모의 직접적인 영향을 받고 있습니다. 상반기보다는 하반기에 통신사업자들의 투자가 집중되는 경향이 있어 당사의 매출 구조도 유사한 패턴을 보입니다. 통신사업들에 기 납품되어 운영 중인 장비들에 대한 유지보수 매출은 매년 동일한 규모로 발생합니다. 중장기적으로는 통신사업자의 서비스가 안정화 단계에 진입하면 추가적인 시스템 증설, 부가 서비스 신규 개발, 고도화와 같은 추가 매출이 발생하며, 서비스가 종료 또는 대체 서비스로 전환하는 단계에 진입하게 되면 당사의 매출 또한 감소하는 구조로 되어 있습니다.

IoT 솔루션 사업은 시설물 관제 및 스마트 건설 사업이 활성화되면서 그에 따라 수요도 증가하고 있으며, 더불어 다양한 고객 요구에 따라 솔루션의 기술 수준도 향상되는 패턴을 보입니다. 지능형 사물인터넷(A-IoT) 사업 분야에 대한 시장 확대로 인해 AI/빅데이터 분석 기술을 활용하여 디지털화/자동화/지능화 서비스 비즈니스 모델을 창출이 가능하기 때문에 차별화된 신규 수요를 발굴할 기회가 매우 높습니다.

(4) 신규사업 등의 내용 및 전망

(가) 스마트 네트워크 솔루션

당사는 5G 코어 장비 중 NEF(Network Exposure Function, 네트워크 기능 개방 솔루션) 가상화(NVF)를 위한 기술을 보유하고 있습니다. 해당 장비는 통신사업자들이 보유하고 있는 커뮤니케이션, 교통, 지리 정보, 인증, 결제 등의 서비스를 Open API 방식으로 외부의 서비스 업체들과 연동시킬 수 있는 G/W 역할을 수행합니다. 또한 Telco Infra 간 허브 플랫폼 역할을 담당하며, 3GPP 및 Proprietary 프로토콜을 모두 지원하여 다양한 환경에서의 적용이 가능합니다. 다양한 통계 데이터 및 대시 보드 기능을 갖추고 있어 운영의 효율성을 극대화할 수 있으며, 이러한 기능적 강점을 바탕으로 앞으로도 지속적인 시장 수요가 기대됩니다. 이러한 수요를 바탕으로 안정적인 사업 운영을 지속적으로 이어갈 수 있을 것으로 전망하고 있습니다.

당사는 2020년부터 SK텔레콤과 함께 COVID-19와 관련된 인천공항 5G MEC 과제를 수행하였으며, 이를 성공적으로 상용화하였습니다. 또한, 삼성전자의 5G 코어 장비와 5G 사용자 단말기(휴대전화) 검수하는 사업을 수주하여 삼성전자가 개발하는 5G 코어 장비와 5G 단말기들을 당사의 엔지니어들이 각 통신사업자망과의 연동 이슈 점검 및 성능 확인 등의 검증 작업을 수행하고 있습니다.

2022년에는 중소기업최초로 5G특화망 기간통신사업자로 등록하며, 이대목동병원 실증과제를 수행하였으며, 2024년에는 LGU+와 협력하여 공항철도에 5G특화망을 상용 구축하는 등 철도 인프라 및 스마트 팩토리 분야로 시장을 확대해 나가고 있습니다.

MCPTT(재난안전망) 분야에서도 글로벌 통신사업자들을 대상으로 핵심제품을 공급하며, 시장 내 입지를 지속적으로 강화하고 있습니다. 특히, MPGW, Presence, Recording, Client-SDK, WebAPI 등 주요 솔루션을 제공하며, 삼성전자와 함께 글로벌 MCPTT 솔루션 시장에서 영향력을 높여가고 있습니다. 또한 MCData Store Server(MDS)와 Telephony Interworking Function(TEL-IWF), 그리고, MCPTT API exposure GW (API-GW)등의 공급 제품을 지속적으로 확장하여, 해외시장 점유율을 늘릴 계획입니다

이러한 사업들을 통해 향후 수년 동안 안정적인 수익 창출이 예상되며 5G 기반 기술을 습득하여 5G 기술과 연관된 사업으로 시장을 지속적으로 확장해 나아갈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하고 있습니다.

(나) AI · IoT

스마트 시티에 활용되는 지하시설물 관제 시스템부터 철도시설물 관제, 건설 현장에서 활용되는 스마트 양생 관리 시스템까지 당사는 다양한 사업군에 적용할 수 있는 IoT 관제 솔루션들을 주요 기업 및 공공기관에 도입하여 시설물 관리의 효율성 증대 및 안전사고 예방, 체계적인 공정관리 등의 다양한 분야에서 활용하고 있습니다. 상용화된 IoT 제품들을 시설물 상태 데이터 기반으로 AI기술 및 빅데이터 분석을 통해지능화 예측이 가능한 시스템으로 고도화하는 등 다양한 서비스 고도화를 통해 제품경쟁력을 확보할 예정입니다.

또한 차세대 기술로 각광받는 생성형AI 기반 기술도 내재화하여 새로운 사업모델 발굴을 지속적으로 시도할 예정입니다. 그에 따른 첫 단추로 생성형AI기반의 특허 검색/분석 플랫폼인 ‘스마트페이턴트’ 서비스를 출시하였으며, AI 관련 정부과제 및 사업에 참여를 통한 기반 기술의 내재화 및 사업 확장 계획을 가지고 있습니다.

(다) 기업 VoIP 솔루션

당사는 Hosted PBX 관련 신형 IP-Centrex 시스템을 자체적으로 개발하여 KT에 공급하였으며, 국내 통신 3사에 SBC(Session Border Controller) 장비 공급, 전국 공공기관 및 지자체 SG(Security Gateway) 장비도 함께 공급하고 있습니다. 해당 제품들은 국내 시장점유율 1위를 유지하며, 지속해서 시스템 증설 및 추가 기능 개발을 통해 수익을 창출하고 있습니다. 향후에는 각 장비들의 시스템 고도화, 시스템 증설, 유지보수 등의 안정적인 수익을 예상합니다.

또한 기업용VoIP에 관련한 IP-PBX, FMC 앱과 FMC 서버 등 필요한 솔루션들을 모두 보유하고 있어, FMC 서버와 기업용 PBX 시스템을 연동하는 방식으로 유무선 통합 서비스 제공도 가능합니다. 국정원 CC 인증을 획득한 당사의 SG(VoIP 보안 장비)를 함께 구축하여 안정성 및 단일 제조사로써 기술적 우위를 바탕으로 향후에는 전국의 모바일행정 전화(FMX) 도입을 계획하고 있는 지자체들을 대상으로 사업을 확장해 나아가겠습니다.

(5) 조직도

조직도.jpg 2024년 12월31일 기준

2. 주주총회 목적사항별 기재사항 □ 재무제표의 승인

<제 1호 의안> 제22기(2024년) 재무제표(이익잉여금처분계산서 포함) 승인의 건

가. 해당 사업연도의 영업상황의 개요

'Ⅲ.경영참고사항' ⇒ ' 1. 사업의 개요' ⇒ '나. 회사의 현황' 을 참조.

나. 해당 사업연도의 대차대조표(재무상태표)ㆍ손익계산서(포괄손익계산서)ㆍ이익잉여금처분계산서(안) 또는 결손금처리계산서(안) 또는 결손금처리계산서(안)ㆍ현금흐름표- 해당 사업연도의 대차대조표(재무상태표)ㆍ포괄손익계산서ㆍ자본변동표ㆍ이익잉여금처분계산서(안)ㆍ현금흐름표는 한국채택국제회계기준(K-IFRS)에 따라 작성되었으며, 확정 전 재무제표로서 외부감사인의 감사결과와 주주총회 승인 과정에서 변경 될 수 있으니 정보 이용자께서는 주의하시기 바랍니다.※ 주석사항은 전자공시시스템(https://dart.fss.or.kr)에 공시예정인 당사의 감사보고서를 참고하시기 바랍니다.

※ 외부감사인의 감사의견을 포함한 최종 재무제표는 전자공시시스템 (https://dart.fss.or.kr)에 공시예정인 당사의 감사보고서를 참조하시기 바랍니다.

- 대차대조표(재무상태표)

재 무 상 태 표
제22(당)기 2024년 12월 31일 현재
제20(전)기 2023년 12월 31일 현재
주식회사 네이블 (단위 : 원)
과 목 제22(당)기말 제21(전)기말
자 산

 유동자산

27,629,241,080 26,206,151,362

  현금및현금성자산 (주5,29,31)

6,464,466,317 4,273,630,073

  금융기관예치금 (주5,29,31)

16,000,000,000 18,000,000,000

  매출채권 (주6,29,31,33)

3,993,950,590 2,370,827,696

  기타채권 (주6,29,31)

209,973,587 532,560,723

  당기법인세자산 (주27)

60,112,933 132,303,130

  기타유동자산 (주13)

273,100,085 198,818,507

  계약자산 (주20,29)

369,913,830 260,535,310

  재고자산 (주7)

257,723,738 437,475,923

 비유동자산

8,367,064,483 8,037,067,357

  기타채권 (주6,31)

403,566,846 97,969,160

  장기투자자산 (주8,28,29,31)

425,541,249 622,704,612

  유형자산 (주9,11)

5,208,987,295 5,158,915,516

  투자부동산 (주10)

538,106,381 551,670,677

  무형자산 (주12)

330,593,432 196,324,467

  이연법인세자산 (주27)

1,460,269,280 1,409,482,925

 자산총계

35,996,305,563 34,243,218,719

부채

 유동부채

2,862,266,050 2,418,324,178

  매입채무 (주13,29,31,33)

1,489,786,521 897,566,230

  기타채무 (주11,14,29,31,32,34)

295,783,791 418,776,217

  기타유동부채 (주15)

966,140,836 835,212,602

  계약부채 (주20)

110,554,902 266,769,129

 비유동부채

496,419,084 522,110,733

  기타채무 (주11,14,29,31,32,34)

496,419,084 522,110,733

 부채총계

3,358,685,134 2,940,434,911

자본

 자본금 (주1,16)

3,265,007,000 3,265,007,000

 자본잉여금 (주16)

16,975,048,447 16,969,313,378

 자본조정 (주17)

(652,854,583) (696,616,251)

 이익잉여금(결손금) (주18)

13,050,419,565 11,765,079,681

 자본총계

32,637,620,429 31,302,783,808

자본과부채총계

35,996,305,563 34,243,218,719

- 손익계산서(포괄손익계산서)

포 괄 손 익 계 산 서
제22(당)기 2024년 01월 01일부터 2024년 12월 31일까지
제21(전)기 2023년 01월 01일부터 2023년 12월 31일까지
주식회사 네이블 (단위 : 원)
구 분 제22(당)기 제21(당)기

매출액 (주4,20,33)

17,200,064,065 13,443,862,679

매출원가 (주21,26,33)

9,241,655,140 7,473,943,487

매출총이익

7,958,408,925 5,969,919,192

판매비와관리비 (주23,26)

7,573,262,205 8,070,693,446

영업이익(손실)

385,146,720 (2,100,774,254)

금융수익 (주25,31)

815,118,116 903,058,959

금융비용 (주25,31)

17,333,964 7,155,419

기타수익 (주24)

82,504,131 52,494,610

기타비용 (주24)

4,364,517 314,400,515

법인세비용차감전순이익(손실)

1,261,070,486 (1,466,776,619)

법인세비용(수익) (주27)

(24,269,398) (31,578,538)

당기순이익(손실)

1,285,339,884 (1,435,198,081)

총포괄손익

1,285,339,884 (1,435,198,081)

주당이익 (주19)

-

 기본주당이익(손실) (단위 : 원)

201 (224)

 희석주당이익(손실) (단위 : 원)

201 (224)

- 자본변동표

자 본 변 동 표
제22(당)기 2024년 01월 01일부터 2024년 12월 31일까지
제21(전)기 2023년 01월 01일부터 2023년 12월 31일까지
주식회사 네이블 (단위 : 원)
구 분 지배기업의 소유주지분
자본금 주식발행초과금 기타자본잉여금 자본조정 이익잉여금 합계
2023. 1. 1 (전기초) 3,265,007,000 16,083,775,057 885,538,321 (806,422,672) 13,200,277,762 32,628,175,468
총포괄이익:
당기순이익(손실) (1,435,198,081) (1,435,198,081)
소유주와의 거래:
주식기준보상 109,806,421 109,806,421
2023. 12. 31 (전기말) 3,265,007,000 16,083,775,057 885,538,321 (696,616,251) 11,765,079,981 31,302,783,808
2024. 1. 1 (당기초) 3,265,007,000 16,083,775,057 885,538,321 (696,616,251) 11,765,079,981 31,302,783,808
총포괄이익:
당기순이익(손실) - - - 1,285,339,884 1,285,339,884
소유주와의 거래:
주식기준보상 5,735,069 43,761,668 49,496,737
2024. 12. 31 (당기말) 3,265,007,000 16,083,775,057 891,273,390 (652,854,583) 13,050,419,565 32,637,620,429

- 현금흐름표

현 금 흐 름 표
제22(당)기 2024년 01월 01일부터 2024년 12월 31일까지
제21(전)기 2023년 01월 01일부터 2023년 12월 31일까지
주식회사 네이블 (단위 : 원)

구 분 당 기 전 기
I. 영업활동 현금흐름 (364,826,571) (2,562,598,013)
1. 영업에서 창출된 현금흐름 (1,250,981,495) (3,319,797,585)
  당기순이익(손실) 1,285,339,884 (1,435,198,081)
  수익 비용의 조정 (주34) (412,242,274) (205,742,390)
  영업활동으로인한자산ㆍ부채의변동 (주34) (2,124,079,105) (1,678,857,114)
2. 이자의 수취 840,481,684 859,031,462
3. 법인세의 환급(납부) 45,673,240 (101,831,890)
II. 투자활동 현금흐름 1,699,094,295 925,971,162
1. 투자활동으로 인한 현금유입액 29,344,359,651 39,500,850,000
  단기금융상품의 감소 29,000,000,000 39,000,000,000
  당기손익-공정가치측정금융자산 감소 200,008,809 500,000,000
  유형자산의 처분 850,000
  정부보조금의 수령 144,350,842
  장기금융상품의 처분
2. 투자활동으로 인한 현금유출액 (27,645,265,356) (38,574,878,838)
  단기금융상품의 증가 (27,000,000,000) (38,000,000,000)
  유형자산의 취득 (471,444,956) (214,878,838)
  무형자산의 취득 (173,820,400)
  보증금의 증가 (60,000,000)
단기대여금의 증가 (300,000,000)
III. 재무활동 현금흐름 853,987,913 751,770
1. 재무활동으로 인한 현금유입액 882,327,158 17,709,209
정부보조금의 수령 882,327,158 17,709,209
2. 재무활동으로 인한 현금유출액 (28,339,245) (16,957,439)
정부보조금의 반납 (6,422,877) (1,594,071)
  리스료의 지급 (21,916,368) (15,363,368)
Ⅳ.현금및현금성자산의 순증감 2,190,836,244 (1,633,185,090)
Ⅴ. 기초의 현금및현금성자산 4,273,630,073 5,906,815,163
Ⅵ. 외화표시 현금및현금성자산의 환율변동효과 2,580,607 2,689,991
Ⅶ. 기말의 현금및현금성자산 6,464,466,317 4,273,630,073

- 이익잉여금처분계산서(안) 또는 결손금처리계산서(안)

<이익잉여금처분계산서 / 결손금처리계산서>

제22 기 (2024. 01. 01 부터 2024. 12. 31 까지)
제21 기 (2023. 01. 01 부터 2023. 12. 31 까지)
(단위 : )

과 목 제22(당) 기(처분예정일 : 2025.03.20) 제21(전) 기(처분확정일 : 2024.03.21)
I. 미처분이익잉여금   13,050,419,565   11,765,079,681
전기이월미처분이익잉여금 11,765,079,681   13,200,277,762  
당기순이익 1,285,339,884   (1,435,198,081)  
II. 이익잉여금의 처분액   -   -
III.차기이월미처분이익잉여금   13,050,419,565   11,765,079,681

※ 주석사항은 전자공시시스템(https://dart.fss.or.kr)에 공시예정인 당사의 감사보고서를 참고하시기 바랍니다.※ 외부감사인의 감사의견을 포함한 최종 재무제표는 전자공시시스템 (https://dart.fss.or.kr)에 공시예정인 당사의 감사보고서를 참조하시기 바랍니다.

- 최근 2사업연도의 배당에 관한 사항

"해당사항 없음"

□ 정관의 변경

<제 2호 의안> 정관 변경의 건

가. 집중투표 배제를 위한 정관의 변경 또는 그 배제된 정관의 변경

변경전 내용 변경후 내용 변경의 목적
- - -

해당사항 없습니다.

나. 그 외의 정관변경에 관한 건

변경전 내용 변경후 내용 변경의 목적

제 2 조 (목적)

회사는 다음의 사업을 영위함을 목적으로 한다.

1.~20. (생략)

21. 엔에프티(NFT) 제작, 인증, 중개 및 판매 사업

22. 블록체인 기반 암호화 자산 매매 및 중개업

23. 블록체인 기술 관련 기타 정보서비스업 등

24. 블록체인 기반 관련사업에 대한 투자업, 무역업 등 부대사업 일체

25. 위 각 목적 관련 사업에 대한 투자 또는 부대사업 일체

제 2 조 (목적)

회사는 다음의 사업을 영위함을 목적으로 한다.

1~20 (현행과 동일)

21. (삭제)

22. (삭제)

23. (삭제)

24. (삭제)

21. 위 각 목적 관련 사업에 대한 투자 또는 부대사업 일체

-비영위 사업 삭제, 정리 (21번~24번)

-일부 삭제에 따른 순번 변경 (번호 25.에서 21로 변경)

<신설>

부 칙 (2025.03.20)

이 정관은 제 22기 정기주주총회 결의를 받은 일로부터 시행한다.

시행시기 확정

※ 기타 참고사항

"해당사항 없음"

□ 이사의 보수한도 승인

<제 3호 의안> 이사보수한도 승인의 건

가. 이사의 수ㆍ보수총액 내지 최고 한도액

(당 기)

이사의 수 (사외이사수) 4 ( 1 )
보수총액 또는 최고한도액 1,000백만원

(전 기)

이사의 수 (사외이사수) 4 ( 1 )
실제 지급된 보수총액 456백만원
최고한도액 1,000백만원

※ 기타 참고사항

"해당사항 없음"

□ 감사의 보수한도 승인

<제 4호 의안> 감사보수한도 승인의 건

가. 감사의 수ㆍ보수총액 내지 최고 한도액

(당 기)

감사의 수 1
보수총액 또는 최고한도액 50백만원

(전 기)

감사의 수 1
실제 지급된 보수총액 24백만원
최고한도액 50백만원

※ 기타 참고사항

"해당사항 없음"

IV. 사업보고서 및 감사보고서 첨부

가. 제출 개요 2025년 03월 11일1주전 회사 홈페이지 게재
제출(예정)일 사업보고서 등 통지 등 방식

나. 사업보고서 및 감사보고서 첨부

- 향후 사업보고서는 오기 등이 있는 경우 수정될 수 있으며, 수정된 사업보고서는 DART 전자공시시스템(http://dart.fss.or.kr)에 업데이트 될 예정이므로 이를 참조하시기 바랍니다.- 주주총회 이후 변경된 사항에 관하여는 「DART-정기공시」에 제출된(http://dart.fss.or.kr) 사업보고서를 활용하여야 합니다.- 당사는 사업보고서 및 감사보고서를 전자공시시스템 (http://dart.fss.or.kr)에 공시하고 홈페이지(http://www.nablecomm.com, →공지사항)에 게재할 예정이오니 참조하시기 바랍니다.

※ 참고사항

1. 기타사항1) 당사는 상법 제542조의4 (주주총회 소집공고)에 의거 1%초과 주주에게 소집통지서를 자체 발송드리며, 1% 미만 주주분들에게는 주주총회소집공고로 갈음 합니다. 따라서 소집통지서 및 참석장은 발송드리지 않사오니, 참석하는 주주분들께서는 신분증을 지참 하시어 본인의 주식수를 확인받을 실수 있으심을 안내드립니다.2) 주총참석시 주주 본인임을 증명하는 서류 및 대리인으로 참석시 대리인임을 인정할 수 있는 서류 또는 증서를 지참하여 주시기 바랍니다.2.주총 집중일 주총 개최 사유 - 해당 사항 없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