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 26 기)
사업연도 | 부터 |
까지 |
금융위원회 | |
한국거래소 귀중 | 2025 년 8 월 14 일 |
제출대상법인 유형 : | |
면제사유발생 : |
회 사 명 : | 아이진 주식회사 |
대 표 이 사 : | 최석근 |
본 점 소 재 지 : | 경기도 의왕시 양지편2로 13, 2층(청계동) |
(전 화) 02-322-1687 | |
(홈페이지) http://www.eyegene.co.kr | |
작 성 책 임 자 : | (직 책) 전무이사 (성 명) 이명재 |
(전 화) 02-322-1687 | |
1) 연결대상 종속회사 현황(요약)
(단위 : 사) |
구분 | 연결대상회사수 | 주요종속회사수 | |||
---|---|---|---|---|---|
기초 | 증가 | 감소 | 기말 | ||
상장 | |||||
비상장 | |||||
합계 |
※상세 현황은 '상세표-1. 연결대상 종속회사 현황(상세)' 참조 |
(1) 연결대상회사의 변동내용 - 당사는 동보고서 작성 기준일 현재 연결대상회사의 변동 내용이 없습니다.
구 분 | 자회사 | 사 유 |
---|---|---|
신규연결 | ||
연결제외 | ||
2) 회사의 법적ㆍ상업적 명칭
회사 정관상 회사의 명칭은 다음과 같습니다.
구분 | 회사의 명칭 |
한글 | 아이진 주식회사 |
영문 | EyeGene Inc. (약호 'EyeGene' ) |
3) 설립일자 회사의 설립일은 2000년 6월 23일 입니다.
4) 본사 주소, 전화번호, 홈페이지 주소
본사의 주소 | 경기도 의왕시 양지편2로 13, 2층(청계동) |
전화번호 | 02-322-1687 |
홈페이지 주소 | http://www.eyegene.co.kr |
5) 회사사업 영위의 근거가 되는 법률 당사는 현재 벤처기업육성에관한특별조치법 상의 벤처기업에 해당되며, 기술혁신형중소기업 발굴 육성사업에 의해 선정된 기술혁신형 중소기업(INNO-BIZ)에 해당 됩니다.
[중소기업 등 해당 여부]
중소기업 해당 여부 | |
벤처기업 해당 여부 | |
중견기업 해당 여부 |
6) 회사의 주권상장(또는 등록ㆍ지정)여부 및 특례상장에 관한 사항
회사의 주권상장(또는 등록ㆍ지정) 및 특례상장에 관한 사항
주권상장(또는 등록ㆍ지정)현황 | 주권상장(또는 등록ㆍ지정)일자 | 특례상장 유형 |
---|---|---|
7) 주요 사업의 내용
(1) 회사 [아이진(주)]
당사는 의학 및 약학 분야의 연구개발을 주요 사업으로 영위하는 바이오 벤처기업입니다. 단백질체학(Proteomics) 및 면역학(Immunology) 연구를 기반으로 출범하였으며, 현재는 유전자ㆍ세포치료제(Gene & Cell Therapy, GCT) 기술을 핵심 연구 분야로 하여 집중적인 개발을 추진하고 있습니다. 차세대 혁신 치료제 상용화를 위한 연구개발 계획을 체계적으로 수립하고 있으며, 이를 통해 난치성 질환 극복에 기여할 수 있는 바이오의약품 개발에 매진하고 있습니다. 당사는 차별화된 원천기술과 우수한 연구역량을 바탕으로 글로벌 시장에서의 경쟁력 확보와 지속 가능한 성장, 나아가 사회적 가치 실현을 목표로 하고 있습니다. 기타의 자세한 사항은 동 보고서의 'Ⅱ사업의 내용'을 참조하시기 바라며 정관에 기재된 목적사업은 아래와 같습니다.
정관의 목적사업 | 비고 |
1. 생명공학 기술을 이용한 유용 유전자 및 생체 고분자탐색 도출2. 유용유전자 및 단백질을 이용한 식품 및 의약품 개발3. 건강기능식품 또는 원료의 연구개발, 제조 4. 진단시약 및 키트의 연구개발, 제조5. 원료의약품 및 완제의약품의 연구개발, 제조6. 의료기기 및 의료용 보조기구의 제조7. 이미용기구의 제조8. 화장품(기능성포함) 원료 및 제품 제조9. 생명과학 관련물질의 제조10. 위와 관련한 기술 및 특허의 판매11. 위와 관련한 물질 연구개발, 기술용역12. 위 각호에 관련되는 전자상거래업13. 시스템 통합 자문, 구축 및 관리업14. 소프트웨어 개발 및 공급, 유지보수15. 위 각호에 관련되는 수입, 수출, 유통, 판매, 도소매업16. 위 각호에 관련되는 부대사업 일체 | - |
(2) 종속회사 당사는 본 보고서 작성 기준일 현재 2개의 주요 종속회사를 가지고 있으며, 주요종속회사는 비상장회사 입니다. ⓛ [EyeGene Australia Pty Ltd.]당사는 호주 현지 내에서의 생명공학 관련 의약품 연구 개발, 임상수행을 목적으로 EyeGene Australia Pty Ltd.를 설립하여 아이진의 대상포진예방백신 'EG-HZ' 의 임상 1상을 EyeGene Australia를 통해 호주 정부지원 정책에 따라 수행, 완료하였습니다. 당사는 지난 2022년 2월 21일자로 코로나 19 예방백신(EG-COVID)의 부스터 샷 (추가접종) 1/2a상 시험계획을 승인 받아 임상 1상 대상자 투여를 마쳤으며, 이후 진행 중인 임상 2a상 부터 오미크론 대응 백신인 '이지-코바로(EG-COVARo)‘투여군을 추가하는 한편 '이지-코바로(EG-COVARo)‘및 '이지-코비드(EG-COVID)’각각의 용량을 증량하여 임상 1/2a 연구를 완료하였습니다.또한, 빠르게 출현하는 다종의 코로나 19 변이 바이러스에 대하여 한 번의 접종으로 교차 방어를 일으켜 대응할 수 있도록 설계한 다가 백신 '이지-코브투(EG-COVII)' 임상 1/2a상을 완료하였습니다.② [(주) 레나임] 주식회사 레나임은 mRNA 플랫폼 고도화와 유전체 기술을 기반으로 한 혁신의약품 전문 기업으로, 아이진이 보유한 mRNA 기술을 이용 및 고도화하여 mRNA 항암백신 및 단백질 대체 요법(Protein replacement therapy) 치료제 개발을 전문적으로 수행하기 위해 2021년에 설립한 기업입니다.주식회사 레나임은 현재 개인 맞춤 항암백신 (Personalize Cancer Vaccine) 과 감염성 질환을 타겟한 프리미엄 백신, 유전체 치료 기술을 기반으로 한 First-in-class의 골관절염 근본 원인 치료제를 주요 연구 영역으로 설정하여 활발한 연구개발을 진행하고 있습니다. 8) 신용평가에 관한 사항 - 해당 사항이 없습니다.
1) 회사의 본점 소재지 및 그 변경
변경일 | 본점 소재지 | 비고 |
2000. 06. 23 | 서울 서대문구 신촌동 134 연세대학교 | 설립 |
2002. 08. 19 | 서울 서대문구 연희3동 187-114 | 이전 |
2008. 08. 16 | 서울 마포구 상암동 1580 디엠씨 첨단산업센터 414 | 이전 |
2014. 04. 29 | 서울 강서구 양천로 401 비동 910호 (가양동, 강서한강자이타워) | 이전 |
2022. 05. 20 | 서울 강서구 양천로 401 비동 1211호 (가양동, 강서한강자이타워) | 이전 |
2024. 04. 05 | 경기도 의왕시 양지편2로 13, 2층 | 이전 |
2024. 04. 05 | 경기도 의왕시 양지편2로 13, 2층 | 현재 |
2) 경영진 및 감사의 중요한 변동
변동일자 | 주총종류 | 선임 | 임기만료또는 해임 | |
---|---|---|---|---|
신규 | 재선임 | |||
※최석근 사내이사는 2024년 2월 20일 이사회에서 대표이사로 선임되었습니다. ※김달현 사외이사는 2025년 2월 24일부로 사외이사직을 사임하였습니다.
3) 최대주주의 변동
변동일 | 변동 전 | 변동 후 |
---|---|---|
최대주주명 | 최대주주명 | |
2023.12.21 | 유원일 | 주식회사 한국비엠아이 |
- (주)한국비엠아이는 2023년 12월 21일, 제3자배정 유상증자 참여로 최대주주가 되었습니다.
4) 상호의 변경 - 당사는 공시대상기간 동안 상호의 변경사항이 없습니다. 5) 회사가 화의, 회사정리절차 그 밖에 이에 준하는 절차를 밟은 적이 있거나 현재 진행중인 경우 그 내용과 결과 - 당사는 동 보고서 작성 기준일 현재 해당사항이 없습니다. 6) 회사가 합병등을 한 경우 그 내용 - 당사는 동 보고서 작성 기준일 현재 해당사항이 없습니다. 7) 회사의 업종 또는 주된 사업의 변화 당사는 바이오의약품 분야 중에서 노화로 인한 성인 질환의 예방과 치료, 감염증 예방 의약품의 연구개발을 주된 사업으로 영위하고 있는 바이오제약기업이며, 공시대상기간 동안 주요 업종 및 주된 사업의 변동사항은 없습니다. 8) 그 밖에 경영활동과 관련된 중요한 사항의 발생내용 당사의 설립 이후 동 보고서 작성 기준일 현재까지 경영활동과 관련된 중요한 사항의 발생 내용은 다음과 같습니다.
일자 | 내 용 | 비 고 |
2021.06 | 주주배정 일반공모 유상증자 (4,195,804주) / 무상증자 (3,294,387주) | - |
2021.06 | 대상포진예방백신(EG-HZ) 호주 임상 1상 완료 | - |
2021.07 | 당뇨망막증치료제(EG-Mirotin) 국내 임상 2상 완료 | - |
2021.08 | 코로나 19 예방백신(EG-COVID) 국내 임상 1/2a상 시험계획 승인 | - |
2022.02 | 코로나 19 예방백신(EG-COVID) 부스터 호주 임상 1/2a상 시험계획 승인 | - |
2022.02 | 대상포진백신 'EG-HZ' 국내시장 기술이전계약 체결 완료 ((주)한국비엠아이, 계약규모 총 215억원,경상실시료(로열티) 별도) | - |
2022.12 | 창상치료제(EG-Decorin) 국내 임상 2a상 완료 | - |
2023.04 | 코로나-19 예방백신 (EG-COVID) 국내 임상 제 1/2a상 시험 조기 종료 | - |
2023.04 | 코로나 19 예방백신(EG-COVID) 부스터 호주 임상 1/2a상 시험계획 변경승인 | - |
2023.06 | 당뇨망막증치료제(EG-Mirotin) 국제약품과 공동개발계약 체결 | - |
2023.09 | 코로나 19 예방백신(EG-COVID) 국내 임상 1상 완료 | - |
2023.09 | 심근허혈/재관류손상치료제(EG-Myocin) 국내 임상 2상 완료 | - |
2023.11 | 코로나19 예방 다가백신(EG-COVII) 호주 1/2a상 시험계획 변경승인 | - |
2023.11 | 코로나 19 예방백신(EG-COVID) 부스터 호주 임상 1/2a상 중 2a상 투여 완료 | - |
2023.12 | 제3자배정 유상증자 (5,551,444주) | - |
2023.12 | 최대주주 변경 ((주)한국비엠아이) | - |
2024.04 | 본점소재지 변경 | - |
2025.06 | 4가 수막구균 접합백신 'EG-MCV4' 국내 임상 2/3t상 시험계획 승인 | - |
당사는 최근 사업연도말 현재의 자산총액이 1천억원 미만 또는 매출액이 500억원 미만으로 "소규모기업"에 해당하여 기업공시서식 작성기준 제3장 제3절(제3-3-1조)에 의거하여 동 보고서의 자본금 변동사항의 기재를 생략합니다.
[주식의 총수 현황]
(기준일 : | ) |
구 분 | 주식의 종류 | 비고 | |||
---|---|---|---|---|---|
합계 | |||||
Ⅰ. 발행할 주식의 총수 | |||||
Ⅱ. 현재까지 발행한 주식의 총수 | |||||
Ⅲ. 현재까지 감소한 주식의 총수 | |||||
1. 감자 | |||||
2. 이익소각 | |||||
3. 상환주식의 상환 | |||||
4. 기타 | |||||
Ⅳ. 발행주식의 총수 (Ⅱ-Ⅲ) | |||||
Ⅴ. 자기주식수 | |||||
Ⅵ. 유통주식수 (Ⅳ-Ⅴ) | |||||
Ⅶ. 자기주식 보유비율 |
1) 정관의 변경 이력
당사의 정관의 최근 개정일은 2024년 3월 26일이며, 제24기 정기주주총회 (2024년 3월 26일)에서 정관 일부 변경 안건이 승인되었습니다
[정관 변경 이력]
정관변경일 | 해당주총명 | 주요변경사항 | 변경이유 |
---|---|---|---|
2) 정관의 사업목적 현황 [사업목적 현황]
구 분 | 사업목적 | 사업영위 여부 |
---|---|---|
3) 정관상 사업목적의 변경 당사는 동 보고서 작성기준일 현재 정관상 사업목적의 변경사항이 없습니다.
4) 정관상 사업목적의 추가 당사는 동 보고서 작성기준일 현재 정관상 사업목적의 추가사항이 없습니다.
당사는 의학 및 약학 분야 연구개발을 주요 사업으로 영위하는 바이오 벤처기업입니다. 특히 유전자ㆍ세포치료제(GCT : Gene and Cell Therapy)로 대표되는 차세대 혁신 치료제와 백신의 개발을 추진 중이며 이를 통해 난치성, 유전성 질환 극복에 기여 하고자 합니다. 당사가 연구 개발 중인 유전자ㆍ세포 치료제 및 백신 분야의 주요 파이프라인으로는 mRNA 기반 백신과 '아데노 연관 바이러스' (AVV ; Adeno Associated Virus) 기술을 활용한 AAV 유전자 치료제가 있습니다.당사는 2020년부터 mRNA기반 백신을 연구 개발하여 국내외에서 임상 1/2a상까지 완료한 경험을 보유하고 있으며 이를 바탕으로 최근에는 국내 5개사와 공동개발 컨소시엄을 구성하여 '캡이 없는 자가복제 RNA' (Capless Self Amplifying RNA) 기술과 국소 발현하여 안전성이 향상된 신규 'LNP (Lipid Nano Particle)' 전달체 활용한 차세대 mRNA 코로나 백신을 개발 중입니다. AAV 유전자 치료제 분야에서는 당사가 오랫동안 연구한 안과 질환 분야의 신규 치료제 개발에 착수하여 '황반변성 및 당뇨망막증 치료제'와 '희귀 망막 질환'을 타깃으로 하는 AAV 유전자 치료제 연구를 진행하고 있습니다.
한편, 당사는 연구개발 재원을 안정적으로 확보하여 기업 성장을 도모할 수 있는 선순환 구조의 구축을 위해 단기에 성과를 낼 수 있는 수익 사업에도 착수하였으며 '4가 수막구균 백신', '재조합 보툴리눔 톡신' 등을 한국BMI와 협력하여 개발하고 있습니다.
또한, 유망 벤처기업에 투자하여 전략적 공동개발 토대를 구축함으로써 핵심 원천기술의 지속적인 확보에도 많은 노력을 기울이고 있습니다.
당사 주요 제품 소개는 [II. 사업의 내용] - [2. 주요 제품 및 서비스]의 기재 내용을 참조하여 주시길 바랍니다.
1) 주요 제품 등의 현황 현재 당사의 주요 파이프라인의 진행 현황은 다음과 같습니다.
1) mRNA COVID-19 백신 (1) 개발 배경
당사는 차세대 백신 플랫폼으로서 캡이 없는 자가 증폭 mRNA(Capless self-amplifying mRNA, 이하 Capless-sa RNA) 기술을 활용한 코로나 백신을 개발하고 있습니다.기존 mRNA 백신은 코로나19 팬데믹을 통해 ▲신속한 개발 ▲변이 대응 ▲대량 생산 가능성 등 플랫폼의 장점이 입증되었으나, ▲체내 반감기 짧음 ▲고가 원부자재 사용 ▲지질나노입자(Lipid Nanoparticles, LNP)에 의한 전신 부작용 가능성 등 기술적 한계가 확인되었습니다.
이러한 한계를 보완할 수 있는 Capless-saRNA 플랫폼은 세포 내에서 자체 복제를 통해 항원 단백질 발현을 증폭시키므로, 기존 mRNA 백신 대비 소량의 투여로도 강력하고 지속적인 면역 반응을 유도할 수 있습니다. 주1)
이러한 기술적 가능성을 바탕으로 당사는 mRNA COVID-19 백신 개발을 위해, 2025년 질병관리청 주관 '팬데믹 대비 mRNA 백신개발 지원사업 '의 『차세대 국산 자가증폭 RNA 백신 플랫폼 기반의 코로나 19 백신 후보물질 비임상 연구과제』에 한국비엠아이, 알엔에이진, 마이크로유니, 메디치바이오와 함께 컨소시엄을 구성하여 선정되었습니다. mRNA COVID-19 백신 개발은 본 지원사업 수행을 통해 1차년도(약 11개월)에는 비임상 시험을 완료하고, 임상 1상에 진입하는 것을 목표로 하고 있으며 최종적으로 2028년 임상 3상 완료 및 품목허가를 목표하고 있습니다. 주1) 일본에서 세계 최초로 허가된 saRNA 기반 COVID-19 백신 '코스타이브 (KOSTAIVE)(ARCT-154)'는 saRNA의 면역 반응 강도와 지속성을 향상시키는 효과를 임상적으로 입증하였습니다.
(2) 기술적 특징
차세대 자가 증폭 mRNA(saRNA) 백신 플랫폼 기반의 COVID-19 백신 공동 개발을 위해 구성한 컨소시엄에서는 아이진과 한국비엠아이, 알엔에이진, 마이크로유니, 메디치바이오가 각 참여 기관의 전문성을 바탕으로 협력 연구를 진행하고 있습니다.
당사의 mRNA COVID-19 백신 기술은 기존 mRNA 백신에서 필수적으로 적용되던 Cap 구조 대신 IRES(Internal Ribosome Entry Site) 를 활용한 자가증폭 RNA 기술을 적용하여, 적은 용량의 mRNA로도 기존 대비 동등 이상의 면역 반응을 유도할 수 있습니다. 특히, 항원 제시 부스팅 기능을 탑재한 맞춤형 항원 설계를 통해 강력하고 지속적인 면역 반응을 형성하며, 팬데믹 상황에서도 신속한 대량 생산이 가능하다는 장점이 있습니다.
또한, 본 기술은 Cap과 변형 UTP를 사용하지 않음으로써 생산 단가를 대폭 절감할 수 있어, 대규모 상용화 및 국가 비축용 백신 생산 시 높은 경제성을 발휘합니다. 더불어, 국소 전달 LNP(Lipid Nanoparticle) 기술을 활용하여 전신 부작용을 최소화하고, 항원 전달의 안정성과 면역 반응 조절 능력을 강화할 수 있는 강점이 있습니다. 이러한 특장점을 바탕으로 COVID-19 백신의 개발을 통해, Capless-sa RNA 플랫폼 기술을 구축하여 향후 도래할 수 있는 팬더믹에 대비하는 한편 글로벌 백신 시장에서 경쟁력 있는 차세대 mRNA 백신을 지속적으로 개발할 수 있는 개발 역량을 갖춰 나가고 있습니다..
(3) 시장규모 글로벌 mRNA 기반 코로나19 백신 시장은 시장조사기관 ResearchAndMarkets의 분석에 따르면, 2024년 약 114.5억 달러(한화 약 14.9조 원) 규모에서 2030년 약 183.7억 달러(한화 약 23.9조 원)로 확대될 것이며, 연평균 8.3% 성장률(CAGR)을 기록할 것으로 전망됩니다. 이러한 시장 성장은 mRNA 백신의 우수한 면역 효과, 빠른 개발 주기, 변이 바이러스 대응 능력 등 기술적 장점과 더불어 팬데믹 이후 지속적으로 증가한 백신 수요가 주요 요인인 것으로 분석되고 있습니다.
국내 시장 역시 정부의 적극적인 지원에 힘입어 일정 규모 이상의 시장이 지속될 것으로 예상됩니다. 질병관리청은 최근, 2025년부터 2026년까지 약 3,200억 원 규모의자금을 투입하여 mRNA 코로나 백신을 수입함으로써 고령자들을 대상으로 하는 국가 예방접종 지원사업을 추진하기로 결정하였습니다. 이에 따라,코로나 팬더믹 이후 침체되었던 공공 부문에서의 mRNA 백신 시장이 다시금 활성화될 전망입니다. 이러한 국내시장의 안정적인 존재는 국산 mRNA 기반 백신의 개발 및 생산, 공급 체계 구축 노력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칠 것으로 기대됩니다.
당사는 이러한 국내외 시장 환경과 정부 정책을 고려하여, 자가 증폭 mRNA(saRNA) 플랫폼 기반의 차세대 코로나 백신 개발에 집중하고 있으며, 이를 통해 글로벌 경쟁력을 확보하고 국내 백신 주권 확보에도 기여하고자 합니다.
2) AAV 기반 황반변성 및 당뇨망막증 치료제 (1) 개발 배경
습성황반변성증(wAMD)은 노화에 의해 발생하는 질환으로, 전 세계적으로 50세 이상 인구의 후천적 주요 실명 원인 중 하나입니다. 또한 당뇨망막증(DR)은 전 세계 당뇨 환자의 약 30%에서 발생하며, 병증이 계속 진행될 경우 실명 위험이 높아 조기 관리 및 치료가 필수적인 질병입니다. 현재 사용되는 치료 방식은 Anti-VEGF (혈관내피세포 생성인자의 기능을 일정기간 억제) 주사 치료 방식입니다. 이 때문에, 현재 치료 방식은 연간 3 ~ 4회 정도의 반복적인 투여가 필요합니다. 그러나, 일부 환자에서는 안구 내 출혈, 감염 등 부작용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또한, 전통적으로 당뇨망막증에 적용되는 레이저 치료는 정상 망막 조직 손상 가능성과 제한적인 시력 개선 효과로 인해 충분한 치료 효과를 제공하지 못하는 경우가 많습니다. 이로 인해 환자에게는 높은 치료 부담과 의료비 부담이 있어, 보다 지속적이고 안전한 치료 방법에 대한 필요성이 매우 큽니다.
당사는 다년간의 당뇨망막증 치료제 기술의 연구 개발 경험을 바탕으로, 습성황반변성과 당뇨망막증을 치료하기 위해 AAV(Adeno-Associated Virus) 기반 습성황반변성 및 당뇨망막증 치료제를 개발하고 있습니다. 당사가 개발하는 AAV 기반 황반변성-당뇨망막증 치료제 기술은 망막세포에 항-VEGF 단백질 생성 유전자를 전달함으로써 단기간의 반복적인 주사 없이 도 현재보다 훨씬 장기간의 치료 효과를 기대할 수 있으며, 유리체 주사 등을 통해 안구 내 국소 전달을 시도함으로써 전신 부작용을 최소화하고 환자에게 보다 지속적이고 안전한 치료 기술을 제공함으로써 기존 치료제의 한계를 극복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됩니다. (2) 기술적 특징
당사가 개발 중인 AAV 기반 황반변성 및 당뇨망막증 치료제는 비정상 혈관 형성을 억제하고 정상 혈관을 안정화시킬 수 있는 유전자를 탑재하여, 하나의 벡터에서 두 가지 치료 단백질을 동시 발현함으로써 VEGF 신호 차단과 혈관 안정화, 항염 효과를 동시에 제공하는 치료제로써 혈관 누출과 염증 반응을 크게 개선하는 방식입니다. 또한, 유리체 내 주사에 최적화된 AAV 캡시드를 사용하여 망막에 직접 국소 전달할 수 있도록 물질 전달 연구를 병행하여, 외래 진료실에서 간단히 시술이 가능하며, 전신 노출을 최소화해 부작용 위험을 낮춘 치료제 개발을 목표하고 있습니다. 기존 황반변성 치료제에 비해 '황반변성-당뇨망막증 AAV 유전자 치료제'는 분열하지 않는 망막세포에서도 안정적으로 유전자를 발현할 수 있어, 단 한 번의 투여로도 장기간 치료 효과를 기대할 수 있습니다.이러한 기술적 장점은 기존 항-VEGF 치료제의 반복 투여 부담과 장기 효과의 한계를 극복하고, 환자에게 보다 지속적이고 안전한 치료 옵션을 제공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됩니다.
(3) 시장규모 AAV 기반 황반변성 및 당뇨망막증 치료제의 시장 규모는 다음과 같이 예상할 수 있습니다. Grand View Research 보고서에 따르면 습성황반변성(wAMD) 치료시장은 2023년 약 108억 달러(한화 약 14조 5,000억 원)로 평가되었으며, 2030년에는 약 180억 달러(한화 약 23조 7,000억 원)까지 성장할 것으로 예측되어 연평균 성장률(CAGR)은 약 8.2%에 달합니다. 당뇨망막증(DR) 치료 시장은 2024년 약 94.8억 달러(한화 약 12조 5,000억 원)에서 2030년 약 137.7억 달러(한화 약 18조 2,000억 원)로 성장할 것으로 예측되며, CAGR은 약 6.4%입니다. 한편, Future Market Insights 보고서에 따르면 망막 유전자치료(Retinal Gene Therapy) 시장은 아직 초기 단계이지만, 2025년 약 1억 1,600만 달러(한화 약 1,500억 원)에서 2035년 약 2억 6,960만 달러(한화 약 3,600억 원)로 확대될 것으로 예측되며, CAGR은 약 8.8%로 나타납니다. 이와 같이 높은 시장 성장성과 잠재력은 당사의 AAV 기반 유전자 치료제가 습성황반변성과 당뇨망막증 치료 분야에서 중요한 상업적 기회를 제공할 수 있음을 기대할 수 있으며, 기존 치료제의 반복 투여 부담과 장기 효과 제한의 한계를 극복하여 환자에게 보다 지속적이고 안전한 치료 옵션을 제공할 수 있는 당사의 기술적 장점을 뒷받침해주고 있습니다. 3) 4가 수막구균 접합백신 ( 'EG-MCV4' )
(1) 개발 배경
수막구균(Neisseria meningitidis)은 주로 뇌수막염과 패혈증 등의 침습성 질환을 유발하는 원인균입니다. 급성 진행 시 사망률이 10~15%에 달하며, 패혈증 발생 시에는 40% 이상의 높은 사망률을 보이며 생존자에게서도 신경학적 합병증, 청각 손상, 사지 절단 등 심각한 후유증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수막구균 감염은 학교, 군대, 기숙사 등 집단생활 환경 하의 청소년과 청년층에게 주로 발생되며 빠르게 전파되는 특징을 가지고 있습니다. 초기 진단이 어렵고 감염 진행 속도가 빠르기 때문에, 항생제 치료만으로는 사망과 합병증을 충분히 예방하기 어렵습니다.
수막구균은 혈청형별 발생 지역과 유행 양상이 상이합니다. A형은 아시아와 아프리카, B형은 북미와 유럽, C형은 유럽·북미·호주, W-135형은 국내 군대와 중동 성지순례 여행객, X형은 아프리카 ‘수막염 벨트’, Y형은 최근 미국에서 발생률이 증가하는 양상을 보입니다. 이러한 지역 혈청형별 차이로 인해 광범위한 혈청형을 커버할 수 있는 다가 백신의 접종이 필요한 상황이지만 현재 승인받은 국내 제품이 없기 때문에 전량 수입에 의존하고 있는 상황입니다.
당사는 2024년 7월 3일, (주)유바이오로직스로부터 국내 임상 1상을 완료한 4가 수막구균 접합 백신 기술을 도입, 개발하기 위해 기술이전계약을 체결하였고 한국, 중국, 일본 , 동남아시아, 중남미 (멕시코 제외) 시장에서의 개발 및 사업화 권한을 보유하게 되었습니다.
(2) 기술적 특징
당사의 4가 수막구균 접합백신 'EG-MCV4'는 수막구균 다당류 A, C, Y, W-135 총 4개 혈청형 항원을 포함하고 있으며, 운반단백질로 CRM197을 적용한 단백 접합 백신입니다. CRM197은 디프테리아 독소의 변형체로, 독성이 없어 안전하면서도 우수한 면역 증강 효과를 제공합니다. 단백 접합 기술을 통해 항원은 T세포의 도움(T-cell dependent response)을 받아 항체 반응을 형성하게 되며, 이는 장기 면역 형성 및 부스터(booster) 효과가 뛰어나 지속적인 면역 반응을 유도합니다. 이로써 영유아부터 성인까지 폭넓은 연령대에서 안전하고 효과적인 예방 효과를 제공합니다.
당사는 2025년 6월 30일, 'EG_MCV4'에 대해 국내 식약처로부터 국내 임상 2/3상 시험계획(IND) 승인을 받았습니다. 임상 2상에서 수막구균 감염 이력이 없는 약 125명을 대상으로 'EG-MCV4'를 단회 투여하여 면역원성과 안전성을 평가할 예정이며, 임상 3상은 약 1,000명을 대상으로 안전성을 확인하는 동시에, Menveo 투여군과의 면역원성 비열등성을 검증할 계획입니다. 임상 과정이 완료되면 품목 허가를 거쳐 국내 생산 판매는 물론, 동남아시아와 남미 지역에 해당 백신을 판매하고자 합니다. 또한, 국내에 대규모 GMP 공장을 보유하고 있으며 바이오 의약품의 생산과 판매 노하우를 보유하고 있는 한국BMI와 공동 개발을 진행함으로써, 단기적으로 필요한 연구개발비를 절감하고 원활한 해외 시장 진입을 추진할 계획입니다.
(3) 시장규모
시장조사기관 Grand View Research에 따르면, 글로벌 수막구균 백신 시장은 2025년 약 45억 달러(한화 약 6조 원) 규모에서 2032년 약 90억 달러(한화 약 12조 원)로 성장할 것으로 전망되며, 연평균 성장률(CAGR)은 10.4%로 예측됩니다. 이러한 성장은 접합 (Conjugate) 백신에 대한 수요 확대, 수막염 감염 비중이 높은 아프리카 국가들의 예방접종 프로그램의 강화, WHO 및 국제기구의 지원 확대 등에 기인합니다. 현재 글로벌 시장은 GSK의 Menveo를 비롯한 소수의 다국적 제약사 제품이 주도하고 있으나, 향후 신흥국 및 중간소득국(MIC) 시장의 신규 진입 기회가 클 것으로 분석됩니다.
당사의 'EG-MCV4'는 국내 및 해외 공공 조달 시장을 주요 목표로 하고 있습니다. 국내에서는 임상을 완료하고 품목허가를 획득힌 후 조달시장을 통한 백신 공급을 목표하고 있습니다. 국내 조달 시장은 연간 약 25~33만 명 규모의 신규 접종 시장이 형성되어 있습니다. 당사는 수막구균 백신의 국산화를 통한 백신 주권 강화, 기존 백신 대비 저렴한 공급을 통한 가격 경쟁력 확보, 한국 BMI의 대규모 생산 공장을 활용한 안정적인 백신의 공급 가능성을 활용하여 국내 시장에 진출할 계획입니다.
국내 품목허가를 기반으로 해외 시장 진출도 병행할 예정입니다. 국내 품목 허가 후에는 PAHO (Pan American Health Organization; 중남미 보건기구) 입찰 시장(중남미 중심, 연간 약 100만 명 이상 공급 규모)과 동남아시아 등 중간소득국가의 국가 예방접종 프로그램(NIP) 시장으로 확대 진출할 계획입니다. 이러한 전략은 글로벌 시장 내 공공 조달 부문에서의 안정적 판매와 장기적 성장 기반을 동시에 확보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합니다.
4) 재조합 보툴리눔 톡신 (EG-rBTX100) (1) 개발 배경당사는 2025년, 기존 보툴리눔 톡신의 한계를 극복하고 치료 효과와 안전성을 동시에 강화함으로써 경쟁력을 갖춘 재조합 보툴리눔 톡신 개발에 착수하였습니다. 기존 보툴리눔 톡신은 반복 투여 시 내성이 발생할 가능성이 지속적으로 제기되고 있으며, 이에 따른 장기적 사용에 제한을 갖는 경우도 있습니다. 이러한 내성 문제는 제품의 차별화와 시장 경쟁력 확보에 있어 중요한 요인으로 작용하며, 후발주자가 내성 문제를 해결할 경우 시장 선점이 가능하다는 점에서 기술적 대응이 필수적입니다.
또한 기존 톡신은 주로 자연 유래 균주에 의존하고 있어 균주 관리가 필수적이며, 균주의 품질과 안정성 확보에 상당한 자원이 소요됩니다. 아울러, 자연 유래 균주 기반 제품은 빈번한 특허 분쟁에 노출될 수 있는 구조적 한계도 존재합니다. 이러한 환경에서는 장기적인 제품 안정성과 시장 경쟁력을 동시에 확보하기 어렵습니다.
또한, 보툴리눔 톡신은 미용뿐만 아니라 편두통, 근막통증, 턱관절 통증 등의 치료 목적으로도 적응증 확장이 가능하기 때문에 많은 톡신 개발 기업들은 치료 목적의 연구를 병행 시도하고 있으나 현재까지도 진출 가능성 및 사업화 기회가 높은 블루오션 시장으로 평가받고 있습니다.
당사는 기존 균주 의존형 생산 방식이 가진 공급 한계와 내성, 항체 형성 문제 등을 근본적으로 해결하기 위해 '차세대 유전자 재조합 보툴리눔 톡신' 기술을 보유하고 있는 엠브릭스(주)로부터 보툴리눔 톡신 기술을 도입하고 급성장하는 고부가가치 시장에서 독자적인 기술 경쟁력을 확보하기 위해 연구개발에 착수하였습니다.
(2) 기술적 특징
당사가 개발 중인 차세대 보툴리눔 톡신은 유전자 재조합 기반 제조 기술을 활용하여 Duration이 길고 On-Set이 빠른 장점을 가지고 있습니다.당사는 2025년 5월 20일, 엠브릭스㈜와 기술이전 계약을 체결하여 차세대 유전자 재조합 보툴리눔 톡신 'EG-rBTX100'에 대해 미용 용도의 전 세계 독점 개발 및 판권을 확보하였습니다. 본 기술은 기존 900kDa 크기의 콤플렉스 타입 톡신에 비해 항체 형성 가능성이 낮고 안전성이 뛰어난 150kDa 뉴로톡신 타입을 적용하고 있으며, 반복 사용 시 내성 발생 위험을 최소화하고 장기적인 효과를 제공합니다. 특히, 재조합 생산 방식을 통해 기존 천연 균주 의존성을 제거함으로써 균주 기원과 관련된 특허 분쟁 및 법적 소송 리스크를 원천적으로 차단할 수 있게 되어, 글로벌 시장 진출 시 지적재산권 분쟁이 발생될 우려가 없습니다. 또한, 본 기술은 보툴리눔 톡신 (BoNT) 생산 과정에서 C. botulinum 대신 E. coli를 활용하여 독소 파편을 개별적으로 제조함으로써, 환경 유출 리스크를 최소화할 수 있는 장점을 가지고 있습니다. 아울러, 동물 유래 성분을 전면 배제하여 감염성 질환으로 인한 오염 가능성을 근본적으로 제거하여 제품의 안전성을 획기적으로 강화할 수 있습니다. 생산 면에서도 많은 장점을 가지는데, 최적화된 재조합 공정을 통해 생산 기간을 단축할 수 있기 때문에 대량 생산 체계 구축이 용이합니다.
또한, 당사의 공동 개발 파트너인 한국BMI는 이미 톡신 부문의 대량 생산 설비를 갖추고 있을 뿐 아니라, 다년간 축적된 공정 기술 개발 경험과 제조 노하우를 보유하고 있어 향후 'EG-rBTX100'의 대량 생산 등 개발 협업으로 인한 시너지 효과가 극대화될 것으로 기대하고 있습니다..
(3) 시장규모
글로벌 보툴리눔 톡신 시장은 향후에도 급격한 성장세를 보일 것으로 전망됩니다.
시장조사기관인 MarketsandMarkets의 분석에 따르면, 전 세계 보툴리눔 톡신 시장은 2025년 약 89억달러(약 12조3,600억 원)로 규모이며, 2030년에는 157억달러(한화 약 21조8,000억 원) 수준에 이를 것으로 예상되어, 연평균 성장률은 무려 11.7%에 이른다고 보고하고 있습니다
특히, 신속한 On-Set, 장기 지속 효과, 내성 감소 등의 기술적 장점을 갖춘 유전자 재조합 뉴로톡신의 효과로 인해 시장 규모는 더욱 빠르게 성장할 것으로 예측되고 있습니다.
당사의 "EG-rBTX100"은 임상 진입과 해외 수출을 동시에 추진함으로써, 이처럼 빠르게 성장하는 해외 시장 진출을 목표하고 있습니다.
1) 주요 원재료 매입 현황 당사는 연구 개발 전문기업으로서 외주생산업체(CMO 네트워크)를 활용하여 임상시험용 의약품 생산을 위탁하고 있습니다. 동 보고서 작성 기준일 현재, 수막구균 4가 예방백신 (EG-MCV4) 임상 2/3상 수행을 위하여 (주)유바이오로직스에 임상의약품 원액 공급 위탁과 (주)한국비엠아이에 임상의약품 완제품 제조 위탁을 준비 중 입니다.
2) 주요 원재료 가격변동추이 당사는 상기에 기술한 것처럼 임상시험용 의약품 등의 생산을 위해 외주생산업체(CMO 네트워크)를 활용하여 국내외 다수의 공급처로부터 바이오의약품 원료 생산을 위탁이 가능합니다. 또한 당사의 고유 기술을 적용한 원재료의 대량생산이 용이하기 때문에 원재료 생산비의 가격변동성이 낮은 편입니다. 3) 생산 및 설비 (1) 생산설비 및 생산능력 당사는 예방, 치료용 의약품 연구개발을 통해 기술자체를 상품화하여 판매하는 기업의 특성상 생산능력(당사의 경우, 임상 프로젝트의 수행능력)은 연구원의 기본자질과 풍부한 경험의 수준에 의해서 좌우됩니다.또한 연구의 단계별로 일정 부분에 대해 언제든지 연구 네트워킹을 통한 외부의 전문 연구기관과의 협력을 통해 협업이 가능하므로, 생산능력이 물적 조건에 의해 제약되기 보다는 회사의 연구전략과 연구인력에 의해서 정해지는 특성을 지닙니다. 당사는 예방, 치료용 의약품 연구개발 전문기업으로서 연구과정에 필요한 각 공정단계별 생산설비들을 자체 연구시설 내에 보유하고 있습니다. 생산 균주 기기와 소형 발효기 및 정제 시스템 설비, 품질시험 및 안정성 시험, 안전성 시험 등이 가능한 기기 및 시설을 갖추고 있으며 자체적으로 완제품(시제품) 생산 설비까지 보유하고 있기 때문에 전반적인 연구가 가능합니다.
연구개발을 통해 축적된 생산관련 기술들은 다음과 같습니다.
- 생산균주 및 세포주 제조기술
- 전임상단계에서부터 후기임상단계를 포함, 상업적 생산까지 자체적으로 가능한 scale-up 대량 생산 기술
- 바이오의약품의 품질 및 안정성 평가기술
- 질환 동물모델을 이용한 유효성 평가 및 독성 평가기술 - 면역보조제 기반의 백신 개발기술 (2) 임상원료, 완제의약품의 GMP 대량 생산 설비의 안정적인 확보 당사는 지난 2021년부터 단계적으로 (주)한국비엠아이와 협업하여 필수적인 GMP 생산설비를 안정적으로 활용할 수 있는 기반을 구축해 왔습니다. 그 중에서도 mRNA를 직접 생산할 수 있는 생산설비는 당사와 한국BMI가 공동 구축하여 mRNA 기반 백신과 치료제의 원료 및 완제를 직접 생산할 수 있는 시스템을 완비하였습니다.본 mRNA 백신 생산시설은 1회 생산 시 200,000회분 이상의 생산으로써 연간 1,000만 회분의 대량 생산이 가능한 설비이며, 스케일-업 연구를 통해 100L 이상의 최종원액 제조가 가능한 규모입니다. 또한 당사와 한국BMI는 본 설비 및 양사가 보유한 개발 생산 노하우를 활용하여 mRNA 기반 백신 및 치료제의 초기 연구를 수행하는 기업 및 연구단체에 위탁 생산 및 개발 지원 (CDMO) 서비스를 상용화 할 수 있는 사업을 추진하고 있습니다.
1) 매출실적 (별도기준)
( 단위 : 천원) |
매출 유형 |
부 문 |
2023년 (제24기) |
2024년 (제25기) |
2025년 (제26기 반기) |
||||
수량 |
금액 |
수량 |
금액 |
수량 |
금액 |
|||
기술료 수 입 |
EG-HZ |
수 출 |
- |
- |
- |
- |
- |
- |
내 수 |
- |
950,173 |
- |
- |
- |
- |
||
소 계 |
- |
950,173 |
- |
- |
- |
- |
||
상 품 매 출 |
BIO-IT |
수 출 |
- |
|
- |
- |
- |
- |
내 수 |
- |
272,620 |
- |
61,190 |
- |
- |
||
소 계 |
- |
272,620 |
- |
61,190 |
- |
- |
||
의약품도매 |
수 출 |
- |
- |
- |
- |
- |
- |
|
내 수 |
- |
1,886,243 |
- |
2,583,168 |
- |
1,525,958 |
||
소 계 |
- |
1,886,243 |
- |
2,583,168 |
- |
1,525,958 |
||
의료기기도매 |
수 출 |
- |
- |
- |
- |
- |
- | |
내 수 |
- |
- |
- |
708,066 |
- |
164,054 |
||
소 계 |
- |
- |
- |
708,066 |
- |
164,054 |
||
건강기능식품 |
수 출 |
- |
|
- |
- |
- |
- |
|
내 수 |
- |
26,216 |
- |
- |
- |
- |
||
소 계 |
- |
26,216 |
- |
- |
- |
- |
||
용 역 수 입 |
의약품도매 |
수 출 |
- |
|
- |
- |
- |
- |
내 수 |
- |
|
- |
- |
- |
- |
||
소 계 |
- |
|
- |
- |
- |
- |
||
BIO-IT |
수 출 |
- |
|
- |
- |
- |
- |
|
내 수 |
- |
3,000 |
- |
- |
- |
- |
||
소 계 |
- |
3,000 |
- |
- |
- |
- |
||
기 타 매 출 |
건강기능식품 |
수 출 |
- |
|
- |
- |
- |
- |
내 수 |
- |
461 |
- |
- |
- |
- |
||
소 계 |
- |
461 |
- |
- |
- |
- |
||
합 계 |
수 출 |
- |
|
- |
- |
- |
- |
|
내 수 |
- |
3,138,714 |
- |
3,352,424 |
- |
1,690,012 |
||
합 계 |
- |
3,138,714 |
- |
3,352,424 |
- |
1,690,012 |
2) 판매경로 및 판매방법 등
(1) 판매 조직
당사의 주요 제품은 신약 및 백신 기술의 라이센싱, 전문의약품의 유통 등입니다. 당사 기술의 라이센싱에 대한 영업활동은 대표이사를 비롯한 개발 본부가 전담 수행하고 있습니다.
개발 본부는 국내외에서 개최되는 제약 / 바이오 파트너링 컨퍼런스, 전시회, 학회 등 참석을 통해 당사의 기술에 대한 홍보 및 마케팅을 하고 있으며, 이러한 파트너링 컨퍼런스 참석을 통해 다국적 제약사 및 대형 바이오테크 업체와 1:1 미팅을 통해 당사의 기술 마케팅을 수행하고 있습니다.
(2) 판매경로
당사 주요 제품의 라이센싱 아웃 대상 주요 고객은 당사의 기술을 라이센스 인 (License in)하여 상품화를 주도할 다국적 제약사 및 국내 대형 제약사입니다. 당사는 직접 개발한 신약 및 개량신약, 백신 기술을 국내외 제약사에게 기술 이전하여 매출을 발생시키는 비즈니스 모델을 가지고 있습니다. 이를 위해 기존 파트너사와의 관계를 지속적으로 유지하는 한편, 새로운 파트너쉽을 개척하여 이로 인한 기술이전 성과를 통한 수익 창출을 위해 노력하고 있습니다. 한편, 고순도 '히알우로니다아제'와 수술 중 지혈제 등의 제품을 판매하는 전문 의약품 도매업의 주요 고객은 국내 병원입니다. '히알우로니다아제'는 히알루론산을 억제하고 분해하여 임산부의 자궁 내 부종을 효과적으로 완화하여 자연 분만을 돕거나 관절 수술 후 수술 부위의 부종을 단시간 내에 효과적으로 완화시키는 전문 의약품입니다. 따라서, 당사는 국내 약 100여곳 이상의 산부인과 등과 계약을 체결하고 해당 치료제를 공급하고 있으며 지속적인 마케팅을 통해 신규 거래처를 확대하고 있습니다.수술 중 지혈제는 외과 수술시 내부 출혈을 조기에 차단하여 수술 성공률을 높이는 전문의약품과 지혈제를 투여하는 의료기기 세트이며, 이 역시 국내 병원을 대상으로 판매 중입니다.
(3) 판매전략 라이센싱 아웃에 의한 기술 거래는 기초 연구, 비임상 및 임상을 통해 안전성과 유효성을 충분하고 확실하게 입증한 후, 대규모 기술이전 계약 (License Out 계약) 등을 체결하여 국내 제약사 및 해외 다국적 제약사로부터 기술료 수입을 도모하는 방식입니다. 이러한 기술 거래의 판매/영업 전략은 기본적으로 당사의 기술에 대한 대외적인 홍보 마케팅을 통해 제약사의 관심도를 높이는 것이 중요합니다. 1차적인 목표는 현재 임상단계에 진입한 제품들의 성공적인 국내외 라이센싱입니다. 라이센싱이 성공적으로 이루어졌을 경우, 2차적인 목표는 해외 파트너사와 Joint Development Committee(JDC) 운영을 통해 지속적인 공동 연구 및 협력을 추진하여 궁극적으로 대상 기술의 후기 임상 수행 및 판매허가를 완료하고 기술이전 계약 상의 판매 로열티를 발생시키는 것입니다. 특히, 당사가 구축 중인 mRNA 백신과 AAV 유전자 치료제 플랫폼 기술의 경우, 다른 백신이나 치료제 개발에 필요한 기반 기술이므로 다양한 활용이 가능하기 때문에 별도 라이센싱에 의한 매출 확보 기회의 가능성을 기대할 수 있습니다.이와는 별개로 '4가 수막구균 접합백신'이나 '재조합 보툴리눔 톡신'등의 제품은 국내에서 임상을 완료한 후 국내시장을 대상으로 직접 생산, 판매 또는 해외 수출을 목표하고 있습니다. 당사는 연구개발 기반 기업이므로 자체적인 생산 설비를 갖추고 있지 않아서 이러한 제품들을 생산, 판매하기 위해서는 외주 생산에 의존할 수 밖에 없습니다. 다만, 이러한 외주 생산의 경우에는 상대적으로 높은 생산비의 부담, 안정적인 생산처 확보의 어려움이 존재합니다.따라서, 당사는 국내 두 곳에 대규모 GMP 공장을 보유하고 있으며 다년간 전문 바이오 의약품의 생산, 판매 경험을 통해 풍부한 노하우를 갖추고 있는 한국BMI와 공동개발을 추진함으로써 안정적인 생산처를 확보하는 한편 판매를 위한 영업 지원, 개발비용의 절감 효과를 얻고 있습니다.
- 당사는 신약후보물질을 발굴하여 바이오신약 및 기존 바이오의약품의 성능을 향상시키는 바이오베터를 개발하고 이를 기술이전하는 것을 주된 사업으로 영위하고 있는 기업으로서 의약품을 개발하기 위한 연구개발 단계에서는 금리위험, 가격위험, 환위험등과 관련된 시장 변수에 의한 자산이나 손익 등에 예상치 못한 손실을 일으킬 가능성이 낮습니다. - 당사는 동 보고서 작성기준일 현재 기타 타법인 주식 또는 출자증권 등의 취득과 관련하여 체결한 풋옵션(Put Option), 콜옵션(Call Option), 풋백옵션(Put Back Option)등 계약 및 거래에 관하여 해당사항이 없습니다.
1) 주요계약 동 보고서 작성 기준일 현재 당사가 현재 유지하고 있는 기술이전 관련 주요 계약은 다음과 같습니다. (1) 라이센스아웃(License-out) 계약
<기술이전 계약 체결>
연번 | 품목 | 계약 상대방 | 대상지역 | 계약 체결일 | 계약 종료일 | 총 계약금액 | 진행단계 |
1 | EG-HZ | (주)한국비엠아이 | 한국 | 2022.02.24 | 특허종료일 또는 계약제품의 판매개시일로부터 10년되는 날 중 먼저 도래하는 날 | 총 계약규모 215억원 (경살실시료(로열티) 별도) | 주1) |
주1) 당사는 2022년 2월 24일, (주)한국비엠아이와 대상포진 백신 ‘EG-HZ’관련 기술의 국내시장에 대한 전용 실시권 기술이전 계약 체결을 완료하였습니다. (총 계약규모 215억원, 경살실시료(로열티) 별도)
ⓛ EG-HZ
계약 상대방 | (주)한국비엠아이 |
---|---|
계약 내용 | 당사가 연구, 보유하고 있는 대상포진 백신('EG-HZ') 기술에 대한 국내 전용실시권의 부여 및 그에 대한 실시료를 지급, 대상포진 백신(EG-HZ)의 국내 임상, 인허가, 생산, 판매 및 마케팅을 수행함. |
대상 지역 | 한국 |
적응증 | 대상포진의 예방 |
계약 기간 | 2022.02.24 ~ 특허종료일( 특허 연장 기간 포함) 또는 계약제품의 판매개시일로부터 10년되는 날 중 먼저 도래하는 날 |
총 계약금액 | 총 215억원 (경살실시료(로열티) 별도) |
수취금액 | 선급기술료 30억원 수령 완료 |
계약조건 | 1) 선급기술료:3,000,000,000원 - 계약체결 시 2,000,000,000원 - 기술이전 완료 및 후속 임상시험용의약품 제공 시 1,000,000,000원 2) 개발 마일스톤 : 9,500,000,000원 (임상단계/허가에 따른 단계별 조건 충족) 3) 판매 마일스톤 : 9,000,000,000원 (누적 순매출 규모에 따른 단계별 조건 충족) 4) 경상실시료(로열티): 상기 판매 마일스톤과 별도로 상업화 이후 누적 순매출액에 따라 단계별 합의된 비율로 수령함. 5) 반환의무 없음. |
회계처리방법 | - 선급기술료는 반환의무 없이 안분 수익인식- 기술료, 로열티는 일시 수익으로 인식함 |
대상기술 | - 계약특허 : 면역반응 조절물질 및 양이온성 리포좀을 포함하는 면역증강용 조성물 및 이의 용도 |
개발 진행 경과 | 계약 상대방 후속 임상 준비 중 |
기타사항 | - |
(2) 라이센스인(License-in) 계약
<기술도입 계약 체결>
연번 | 품목 | 계약 상대방 | 대상지역 | 계약 체결일 | 계약 종료일 | 총 계약금액 | 진행단계 |
1 | EG-MCV4 | (주)유바이오로직스 | 한국, 중국, 일본, 동남아시아,중남미(멕시코제외) | 2024.07.03 | 특허종료일 | 계약에 따라 비공개 | 주1) |
2 | EG-rBTX100 | 엠브릭스(주) | 한국 포함 전세계 | 2025.05.20 | 판매개시일 후 10년 되는 날 또는 특허종료일 중 늦게 도래하는 날 | 계약에 따라 비공개 | 주2) |
주1) 당사는 (주)한국비엠아이와 2024년 7월 31일에 임상용 의약품 및 판매용 백신에 대한 위수탁 생산계약을체결하고 본 보고서 제출일 현재 현재 국내 임상 2/3상 신청을 완료했습니다 주2) 당사는 엠브릭스(주)와 보툴리눔 신경독소의 실시권 기술이전 및 판권계약을 2025년 5월 20일자로 체결하고 비임상시험단계에서 보툴리눔 톡신의 효능 평가를 진행중입니다. (3) 기술제휴 계약
<공동 개발 계약 체결>
연번 | 품목 | 계약 상대방 | 대상지역 | 계약 체결일 | 계약 종료일 | 총 계약금액 | 진행단계 |
1 | EG-MCV4 | (주)한국비엠아이 | 한국 | 2024.07.31 | 체결일로부터 5년 | 계약에 따라 비공개 | 주1) |
주1) 본 게약은 국내 개발을 위한 임상 협업 및 임상용의약품 생산에 대한 협력을 위해 체결되었습니다.
(4) 판매계약
연번 | 품목 | 계약 상대방 | 대상지역 | 계약 체결일 | 계약 종료일 | 총 계약금액 |
---|---|---|---|---|---|---|
1 | 의약품 도매업 - 액상 하이랙스주 ( 하이랙스5000), QBLOCK C 외 | (주)한국비엠아이 | 한국 | 2018.04.24 | 1년 단위 자동 연장 | 각 품목별 공급대가 |
당사가 2018년 4월 (주)한국비엠아이와 체결한 의약품 판매계약에 따라 고순도'히알우로니다아제'를 주성분으로 하는 제품을 판매하는 의약품 도매업의 주요 고객은 국내 산부인과 병원입니다. '히알우로니다아제'는 히알루론산을 억제하고 분해하여 임산부의 자궁 내 부종을 효과적으로 완화하여 자연 분만을 돕거나 관절 수술 후 수술 부위의 부종을 단시간 내에 효과적으로 완화시키는 전문 의약품입니다. 당사는 국내 약 100개 산부인과 및 일반 병원과 계약을 체결하고 해당 품목을 공급, 지속적인 마케팅을 통해 신규 거래처를 확대하고 함으로써 관련 사업의 실적에서 발생하는 현금 유입을 통해 당사의 막대한 연구개발비를 충당하는데 도움이 되도록 하고 있습니다.
2) 연구개발활동 (1) 연구개발활동의 개요
① 연구개발 담당조직
구 분 | 부 서 | 업무내용 |
연구소 (연구본부) | 기초연구팀 |
일본뇌염 과제 대응 In vitro 발현 연구 mRNA 기반 결핵 백신 개발 연구 임상 신청 / 신규 프로젝트 연구 IVT 개선연구 |
생체연구팀 |
동물효능시험 / 동물분석시험, 전임상 예비독성 / 동물실관리인허가 전달체 개선 연구 (in vivo 발현 test) 점막백신 연구 (효능) 체내 분포 연구 |
|
공정개발팀 | scale-up, 수율개선, MCB, WCB제작, 표준품, 시료생산, CMO업무협의 | |
mRNA백신개발팀 |
mRNA 백신 플랫폼 과제 대응 백신원부자재생산고도화기술개발 과제(산자부) 대응 mRNA 백신 기초 공정 및 품질분석법 개발 |
|
품질관리팀 | 시험법 validation/ 품질분석(QC), 균주품질분석시험 / 안정성시험분석, 연구용 품질 분석 | |
CAR-T팀 | CAR-T치료제 연구 및 공정개발 |
(2) 연구개발 인력 현황 현재 당사는 박사급 7명, 석사급 19명 등 총 34명의 연구인력을 보유하고 있으며 그 현황은 다음과 같습니다.
[연구개발 인력 현황]
구 분 | 인원 | |||
---|---|---|---|---|
박사 | 석사 | 기타 | 합계 | |
공정개발팀 | 1 | 3 | 2 | 6 |
기초연구팀 | 1 | 3 | 1 | 5 |
BD팀 | 1 | 0 | 1 | 2 |
RA 팀 | 1 | 1 | 1 | 3 |
생체연구팀 | 0 | 4 | 0 | 4 |
연구지원팀 | 0 | 0 | 1 | 1 |
품질관리팀 | 1 | 1 | 2 | 4 |
mRNA 백신개발팀 | 1 | 3 | 0 | 4 |
CAR-T 팀 | 1 | 4 | 0 | 5 |
합계 | 7 | 19 | 8 | 34 |
[핵심 연구인력 현황]
직위 |
성명 |
담당업무 |
주요경력 |
주요 연구 실적 |
---|---|---|---|---|
대표이사 | 최석근 | CEO경영총괄 |
서울대학교 생물학과 졸업고려대학교 생명공학과 생물법제학 박사(前) ㈜메디톡스 이사/공장장(前) ㈜유바이오로직스 대표이사(現) 주식회사 한국비엠아이 부사장(現) 아이진㈜ 대표이사 |
[논문]Jonathan F. Lovell, Yeong Ok Baik, Seuk Keun Choi, Chankyu Lee, Jeong Yoon Lee, Kazutoyo Miura, Wei-Chiao Huang,Young-shin Park, Sun-Je Woo, Sang Hwan Seo, Jae-Ouk Kim, Manki Song, Chung-jong Kim, Jae-Ki Choi, Jieum Kim, Eun Ju Choo and Jung-Hyun Choi., Interm analysis from a phase 2 randomized trial of EuCorVac-19: a recombinant protein SARS-CoV-2 RBD nanoliposome vaccine, BMC Medicine 2022; 20:462 Yeong Ok Baik, Youngjin Lee, Chankyu Lee, Soo Kyung Kim, Jooyoung Park, Meixiang Sun, DaYe Jung, Jin Young Jang,Tae Jun Yong, Jeong Woo Park, Sungho Jeong, Suwon Lim, Seung Hyun Han, Seuk Keun Choi. A Phase II/III, Multicenter, Observer-blinded, Randomized, Non-inferiority and Safety, Study of Typhoid Conjugate Vaccine (EuTCV) Compared to Typbar- TCV® in Healthy 6 Months-45 Years Aged Participants. Vaccines. 2023; 1753-1759. Seuk Keun Choi, Yeong Ok Baik, Chan Wha Kim, Soo Kyung Kim, Il Nam Oh, Hyeseon Yoon, Dajung Yu, Chankyu Lee. An open-label, comparative, single dose, clinical Phase Ⅰ study to assess the safety and immunogenicity of typhoid conjugate vaccine (Vi-CRM197) in healthy Filipino adults. Vaccines 2021; 39:2620-2627 Lee C, Choi SK, Kim RK, Kim H. Whang YH, Pharm H, Cheon H, Yoon DY, Baik YO, Park SS, Lee I. Development of a new 15-valent pneumococcal conjugate vaccine (PCV15) and evaluation of its immunogenicity.Biologics. 2019 Sep; 61:32-37. Odevall L, Hong D, Digilo L, Sahastrbuddhe S, Mogasale V, Baik Y, Choi S. Kim JH, Lynch J. The Euvichol story Development and licensure of a safe, effective and affordable oral cholera vaccine through global public private partnerships. Vaccine, 2018 Oct 29;36(45):6606-6614. Lee EY, Lee S, Rho S, Kim JO, Choi SK, Lee YJ, Park JY, Song M, Yang JS. Immunogenicity of a bivalent killed thimerosal-free oral cholera vaccine, Euvichol, in an animal model. Clin Exp Vaccine Res. 2018 Jul;7(2):104-110. Choi SK, Kim CW, Kim JT, Seomun Y, Park MS, Kim CO, Coagulant Effect and Tolerability of Yeast-produced Recombinant Batroxobin in Healthy Adult Subjects. Clin Drug Investig. 2018 Sep;38(9):829-835. Baik YO, Choi SK, Olveda RM, Espos RA, Ligsay AD, Montellano MB, Yeam JS, Yang JS, Park JY, Kim DR, Desai SN, Singh AP, Kim IY, Kim CW, Park SN. A randomized, non-inferiority trial comparing two bivalent killed, whole cell, oral cholera vaccines (Euvichol vs Shanchol) in the Philippines. Vaccine. 2015 Nov 17;33(46):6360-5 |
전무이사 | 권선종 | CTO R&D 총괄 |
연세대학교 이과대학 생화학과 석사커네티컷 대학교 의과대학 박사 - 분자생물학 및 생화학 프로그램하버드 의대 세포생물학과 박사후 연구원(Postdoc)(前) 알테오젠(주)/수석부사장,(前) 오레곤 보건과학대학교 연구조교수(現) 아이진(주) 연구소장/전무이사, |
[논문 /기고] 자가 증폭 RNA(saRNA) 백신 개발: COVID-19와 감염병 대응의 새로운 가능성. 한국 백신 센터.,2024mRNA 백신의 최근 개발 동향. 한국 백신 센터, 2023Doha ZO 외, 삼중 음성 유방암의 종양 및 간질 이질성 모델 연구. Nat Commun. 2023. Kim BK 외, VEGF 유도 혈관형성 억제 연구. Am J Transl Res. 2023. Jones JA 외, 순환 면역 염색 연구 전략. Sci Rep. 2021. Garay JP 외, HER2 증폭 유방암 세포의 치료 민감성 연구. Breast Cancer Res. 2021. McMahon NP 외, 면역 형광의 임상 병리학 응용. J Biomed Opt. 2020. Kwon S, Chin K, Nederlof M. RNA 및 단백질의 동시 검출. Methods Mol Biol. 2020. McMahon N 외, 다중 면역 형광 염색 방법. SPIE BiOS. 2019McMahon N 외 항체 결합 올리고뉴클레오타이드. Microscopy and Microanalysis. 2019. |
사장 |
유원일 |
경영 |
연세대학교 생화학과 석사연세대학교 생화학과 박사 수료(前)제일제당종합기술원(現, CJ)수석연구원(前) 아이진(주) 대표이사 (現) 아이진㈜ 사장(現) (주)레나임 등기이사 |
[특허]개선된 면역반응을 가지는 백신 조성물 (10-1820697)펩타이드를 유효성분으로 하는 혈관 관련 질환 치료제 조성물 (10-1049505)BMP-7 폴리펩타이드를 포함하는 흉터 형성 억제제 (10-0794289)당뇨망막증 진단용 단백질 (10-0817543)두 가지 항암물질을 동시에 제공하는 대장균 균주 (10-1452830)망막혈관질환 진단용 단백질 및 그 분석방법 (10-1223189)박테리아의 염색체 DNA 파쇄물과 비독성리포폴리사카라이드를 포함하는 면역강화 및 조절 조성물 (10-0456681)안지오포이에틴 분비 유발 폴리펩타이드 (10-0859822)인간 인테그린 결합 단백질 또는 펩타이드를 유효성분으로 하는 안질환 치료제 (10-0794288)올리고 뉴클레오타이드 및 비독성 다당체를 포함하는 면역보조제 (10-0740237)트롬빈 유래 펩타이드를 포함하는 망막증 또는 녹내장 치료용 조성물 (10-1467841)질병의 치료나 예방을 위해 사용되는 분말과 용매가 표함된 용기 (10-1623344) |
상무이사 |
김광성 |
연구개발 |
세종대학교 공학박사건국대학교 축산학과 석사 (前)건국대학교 연구조교(前)메덱스젠㈜ 연구원(現)아이진㈜ 연구소 공정개발실장 |
[논문]The Effect of a TLR4 Agonist/Cationic Liposome Adjuvant on Varicella-Zoster Virus Glycoprotein E Vaccine Efficacy: Antigen Presentation, Uptake and Delivery to Lymph Nodes (2021) Culture media optimization for Chinese hamster ovary cell growth and expression of recombinant varicella-zoster virus glycoprotein E (2021) An mRNA vaccine against SARS-CoV-2: Lyophilized, liposome-based vaccine candidate EG-COVID induces high levels of virus neutralizing antibodies (2021) Liquid Chromatography/Electrospray Ionization Tandem Mass ectrometry?based Structural Analysis of Deacylated Lipooligosaccharides From Escherichia coli, Bulletin of the Korean Chemical Society, (2020) Efficient induction of cell-mediated immunity to varicella-zoster virusglycoprotein E co-lyophilized with a cationic liposome-based adjuvant in mice, Vaccine, (2019) Potentiation of Th1-Type Immune Responses to Mycobacterium tuberculosis Antigens in Mice by Cationic Liposomes Combined with De-O-Acylated Lipooligosaccharide, J. Micribiol. Biotechn, (2018) Increased Immunogenicity and Protective Efficacy of a P. aeruginosa Vaccine in Mice Using an Alum and De-O-Acylated Lipooligosaccharide Adjuvant System, J. Microbiol. Biotechn, (2017) A de-O-acylated lipooligosaccharide-based adjuvant system promotes antibody and Th1-type immune response to H1N1 pandemic influenza vaccine in mice, BioMed Research International, (2016) [특허]양이온성 리포좀을 포함하는 사포닌의 용혈 억제용 조성물 (107706) 면역반응 조절물질 및 양이온성 리포좀을 포함하는 면역증강용 조성물 및 이의 용도 (10-2086987)양이온성 리포좀을 포함하는 바리셀라 조스터 바이러스 백신 조성물 및 이의 용도 (10-2086988)면역반응 조절물질을 포함하는 백신 조성물 및 이의 용도 (10-2086986)면역반응 조절물질 및 이를 포함하는 면역보조제 조성물 (10-2042993)개선된 면역반응을 가지는 백신 조성물 (10-1820697)인유두종 바이러스의 바이러스 유사 입자 제조방법 (10-1825996)두 가지 항암물질을 동시에 제공하는 대장균 균주 (10-1452830)리포폴리사카라이드 유사체 및 이를 포함하는 면역보조 조성물 (10-1509456)질병의 치료나 예방을 위해 사용되는 분말과 용매가 표함된 용기 (10-1623344)자궁경부암 백신 (10-1595779) |
(3) 조직도
(4) 연구개발비용 (별도기준)
(단위 : 천원) |
구 분 |
2023년 (제24기) |
2024년 (제25기) |
2025년 (제26기 반기) |
|
---|---|---|---|---|
비용의 성격별 분류 | 원재료비 | 7,044,716 |
651,604 |
766,638 |
인건비 | 4,685,589 |
1,762,645 |
837,997 |
|
임상비 | 937,569 |
506,835 |
7,000 |
|
위탁생산비 | 5,471,788 |
13,536 |
5,180 |
|
위탁용역비 | 2,614,206 |
1,094,353 |
116,960 |
|
기타비용 | 675,355 |
495,240 |
84,310 |
|
비현금성비용 (감가상각비외) | 3,228,764 |
1,874,814 |
1,079,889 |
|
소계 | 24,657,987 |
6,399,027 |
2,897,974 |
|
비용처리 | 제조경비 | - | - |
|
판관비 | 24,657,987 |
6,399,027 |
2,897,974 |
|
소계 | 24,657,987 |
6,399,027 |
2,897,974 |
|
연구개발비용 계 주1) | 24,657,987 |
6,399,027 |
2,897,974 |
|
(정부보조금) | 5,372,382 |
1,483,745 |
185,515 |
|
정부보조금 차감 후 연구개발비용 계 (A) | 19,285,605 |
4,915,282 |
2,712,459 |
|
연구개발비 / 매출액 비율 [(A)÷당기매출액×100] 주2) |
614.44% |
146.61% |
161.38% |
주1) 연구개발비용은 전액 비용 처리함으로써 경상연구개발비(판관비)로 계상되고 있으며, '연구개발비용 계' 금액은 정부보조금을 차감하기 전의 연구개발비용 총액입니다.주2) 정부보조금 차감 후의 연구개발비용(A)이 매출액 대비하여 차지하는 비율입니다.
2) 연구개발 실적 (1) 정부 과제 실적
지난 3년간 수행 완료하였거나 현재 수행 중인 정부 과제 현황은 아래와 같습니다.
번호 |
주관부처 |
사업명 |
과제명 |
개발기간 (개시-종료) |
수행 여부 |
---|---|---|---|---|---|
1 |
보건복지부 (백신 실용화 기술개발 사업단, 주관기관: 충남대학교 산학협력단) |
감염병 예방치료 기술개발 사업 |
잠복결핵 백신용 면역증강제시스템 개발 |
21.01 ~ 22.12 |
완료 |
2 |
보건복지부 (백신 실용화 기술개발 사업단) |
감염병 예방치료 기술개발 사업 |
펜데믹에 신속하게 대응할 수 있는 새로운 mRNA 기반 백신 플랫폼 개발 |
21.01 ~ 23.06 |
완료 |
3 |
보건복지부 (백신 실용화 기술개발 사업단, 주관기관: 가톨릭대학교 산학협력단 |
감염병 예방치료 기술개발 사업 |
면역증강형 펜타메릭 유전자재조합 일본뇌염백신 개발 연구 |
20.10 ~ 22.03 |
완료 |
4 |
보건복지부 (백신실용화기술개발사업단) |
백신실용화기술개발사업단 |
미생물기반 2가 일본뇌염바이러스 유전자 재조합백신 개발연구 |
21.07 ~ 23.12 |
완료 |
5 |
보건복지부 (백신 실용화 기술개발 사업단) |
감염병 예방치료 기술개발 사업 (백신 자급화 기술개발) |
HPV 백신 효능평가 세포 매개면역 및 체액성 면역 표준 구축 |
21.08 ~ 22.12 |
완료 |
6 |
보건복지부 (코로나19치료제.백신 신약개발사업단) |
코로나19 백신 임상지원 |
국내개발 코로나19 예방 mRNA 백신 EG-COVID의 임상 1/2a상 시험 |
21.12 ~ 22.08 |
완료 |
7 |
한국특허전략개발원 |
2022 IP-R&D 전략지원 사업 (지재권연계 연구개발 전략지원) |
mRNA 기반 코로나 19 백신 개발을 위한 IP-R&D 전략 구축 |
22.03 ~ 22.08 |
완료 |
8 |
보건복지부 (신변종감염병 mRNA 백신사업단) |
신변종 감염병대응 mRNA 백신 임상지원 |
다가 코로나19 예방 mRNA 백신 개발 |
22.04 ~ 24.03 |
완료 |
9 |
산업통상자원부 |
백신원부자재 생산고도화 기술개발 |
장기간 냉장보관이 가능한 mRNA 백신 제형개발 및 대량생산 공정 개발 |
22.04 ~ 25.12 |
수행중 |
10 |
산업통상자원부 |
백신원부자재 생산고도화 기술개발 |
mRNA 백신용 mRNA 원료의약품의 GMP급 대량생산 |
22.04 ~ 25.12 |
수행중 |
11 |
보건복지부 |
2022년 국산 백신, 원부자재, 장비 성능 지원 사업 |
대상포진백신 EG-HZ의 효능 및 유효성 평가 |
22.07 ~ 22.11 |
완료 |
12 |
국가전임상시험지원센터 |
제2회 감염병 대응 전임상시험 지원 |
EG-COVARo의 중화항체시험, 감염방어시험 |
22.12 ~ 23.09 |
완료 |
13 |
국가전임상시험지원센터 |
제4회 감염병 대응 전임상시험 지원 |
EG-COVARo의 booster shot 영장류 면역원성 평가 |
23.05 ~ 23.12 |
완료 |
14 |
보건복지부 (백신실용화기술개발사업단) |
백신실용화기술개발사업단 |
mRNA 백신 플랫폼을 이용한 BCG 부스팅용 결핵 백신 연구 |
23.04 ~ 25.12 |
수행 중 |
15 |
(재)국가마우스표현형분석사업단 |
제1차 COVID 19 치료제ㆍ백신 전임상시험 지원 |
소동물에서 EG-COVARo의 부스터샷 감염방어시험 |
23.06 ~ 24.01 |
완료 |
16 |
국가연구안전관리본부 |
제2회 생물안전 연구시설 구축 지원 |
부설연구소 5층 대량배양 연구시설 구축 |
23.06 ~ 23.10 |
완료 |
17 | 한국보건산업진흥원 | 팬데믹 대비 mRNA 백신 개발지원 사업 | 차세대 국산 자가증폭 RNA 백신 플랫폼 기반의 코로나19 백신 후보물질 비임상 연구 | 25.04 ~ 26.02 | 수행 중 |
(2) 연구 개발 실적당사의 연구 개발 실적은 아래와 같습니다. ① 코로나19 예방백신 (EG-COVID)
적응증 | 코로나바이러스감염증 (COVID-19) |
---|---|
정부과제사업 | 주관부처 : 한국 지식재산전략원사업명 : 2020 IP-R&D 전략지원 사업과제명 : EG-Vac System을 이용한 mRNA vaccine 플랫폼 개발 (과제수행 기간 : 20.06~20.11)수행 여부 : 완료 |
주관부처 : 한국 지식재산전략원사업명 : 2022 IP-R&D 전략지원 사업과제명 : mRNA 기반 코로나 19 백신 개발을 위한 IP-R&D 전략 구축 (과제수행 기간 : 22.03~22.08)수행 여부 : 완료 | |
주관부처 : 보건복지부 백신 실용화 기술개발 사업단사업명 : 감염병 예방치료 기술개발 사업(사업단)과제명 : 펜데믹에 신속하게 대응할 수 있는 새로운 mRNA 기반 백신 플랫폼 개발 (과제수행 기간 : 21.01 ~23.06)수행 여부 : 완료 | |
주관부처 : 보건복지부 코로나19 치료제·백신 신약개발사업단사업명 : 코로나19 백신 임상지원과제명 : 국내개발 코로나19 예방 mRNA 백신 EG-COVID의 임상 1/2a상 시험 (과제수행 기간 : 21.12 ~22.08) 수행 여부 : 종료 | |
주관부처 : 보건복지부 가천대학교 산학협력단사업명 : 신변종 감염병대응 mRNA 백신 임상지원과제명 : 다가 코로나19 예방 mRNA 백신 개발 (과제수행 기간 : 22.04~24.03)수행 여부 : 완료 | |
주관부처 : 산업통상자원부사업명 : 백신원부자재 생산고도화 기술개발과제명 : 장기간 냉장보관이 가능한 mRNA 백신 제형개발 및 대량생산 공정 개발 (과제수행 기간 : 22.04~25.12)수행 여부 : 수행 중 | |
연구 기관 | 아이진㈜ |
진행 현황 | - 전임상 효능 및 독성 검증 완료 - 국내 임상1/2a상 (1상) 완료- 호주 부스터샷 임상 1/2a상 중 임상2a상 완료- 호주 mRNA기반 코로나19 예방 다가백신 1/2a상 완료 |
기대 효과 |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은 사스-코로나바이러스(SARS-CoV-2) 병원체에 의한 급성 호흡기 감염질환으로 감기 등 호흡기 질환을 유발하는 RNA 바이러스로서 변이에 취약한 특징을 가지고 있음. 당사가 현재 연구개발 하고 있는 EG-COVID는 단기적으로 코로나 예방백신 자체의 사업화 가능성도 있지만 코로나19 예방백신개발로 축적되는 mRNA 플랫폼기술 확립을 통해 넥스트 팬데믹에 신속히 대응하기 위한 기술력 확보와 다양한 적응증 연구의 확대가 가능할 것으로 기대하고 있음. |
향후 계획 | - 한국비엠아이, 알엔에이진, 마이크로유니, 메디치바이오와 함께 컨소시엄 구성, 질병관리청 주관 '팬데믹 대비 mRNA 백신개발 지원사업의 『차세대 국산 자가증폭 RNA 백신 플랫폼 기반의 코로나 19 백신 후보물질 비임상 연구과제('25. 04~'26. 02)』수행 중. |
② 결핵 백신 (EG-TB)
적응증 | 결핵 |
---|---|
정부과제사업 | 주관부처 : 중소기업청사업명 : 중소기업기술개발 지원사업과제명 : 면역보조제를 포함한 신규 결핵 백신 (과제수행 기간 : 12.07~14.06)수행 여부 : 완료 |
주관부처 : 보건복지부사업명 : 감염병위기대응 기술개발(난치성결핵, 만성감염병) 과제명 : 신규 결핵백신용 면역증강제 시스템 개발 (과제수행 기간 : 17.04~21.12)수행 여부 : 완료 | |
주관부처 : 충남대학교 산학협력단사업명 : 감염병 예방치료 기술개발(사업단)과제명 : 잠복결핵 백신용 면역증강제시스템 개발 (과제수행 기간 : 21.01~22.12)수행 여부 : 완료 | |
주관부처 : 보건복지부사업명 : 백신실용화기술개발사업단과제명 : mRNA 백신 플랫폼을 이용한 BCG 부스팅용 결핵 백신 연구 (과제수행 기간 : 23.04~25.12)수행 여부 : 수행 중 | |
연구 기관 | 아이진㈜/충남대학교/연세대학교 |
진행 현황 | 전임상 효능 검증 |
기대 효과 | 최근 청소년 및 성인의 폐결핵이 증가하는 추세에 안정적인 효능으로 안전하고 부스팅이 가능한 결핵백신의 개발이 요구되는 추세에 기존의 결핵 백신인 BCG의단점을 보완하여 백신의 효능 기간을 증가 시킬 수 있으며 성인에게도 접종이 가능한 프리미엄 백신으로 개발 가능. |
향후 계획 | - mRNA 기반의 BCG 부스팅용 결핵 백신 후보물질에 대한 면역원성 및 전임상 유효성(감염방어능)과 안전성을 입증할 계획임 |
③ 4가 수막구균 접합백신 (EG-MCV4)
적응증 |
수막구균(Neisseria meningitidis)에 의한 침습성 수막구균 질환 |
---|---|
정부과제사업 | - |
연구 기관 |
아이진㈜ / (주) 한국비엠아이 |
진행 현황 |
- 2024년 7월, 국내, 중국, 일본, 동남아시아, 중남미 (멕시코 제외) 시장에 대한 기술도입계약 체결 완료 (계약 상대방:(주) 유바이오로직스)- 2024년 7월, 국내 임상 및 임상용, 판매용 백신 생산을 위해 공동 연구개발 계약 체결 완료 (계약 상대방 : (주) 한국비엠아이)- 2025년 6월 국내 임상 2/3t상 시험계획 승인 |
기대 효과 |
수막구균성 질환 (Meningococcal disease)은 수막구균 감염에 의해 발생되는 침습성 질환으로 뇌수막염과 패혈증 등의 원인이 되는 질환임. 대부분 단체 생활에서의 감염사례가 관찰되기 때문에 청소년이나 군인에게 발병되고 있음.국내에는 GSK에서 판매 중인 멘비오 (Meoveo)를 비롯한 2개 제품이 시장을 점유하고 있고 군대 내 의무 접종이 이루어지고 있음. 특히, 전세계적으로 많은 발볍을 보이는 혈청형 A, C, Y, W-135의 4가 백신이 시장을 형성하고 있으며 전량 수입에 의존하고 있어서 당사는 (주)유바이오로직스에서 개발 및 임상 1상을 완료한 4가 백신 기술을 도입하여 후속 임상 개발중임당사가 개발중인 수막구균 4가 백신은 저렴한 가격으로 수입 백신 대비 가격 경쟁력이 있을 것으로 예상되며, 판매 허가시 최초 국산 백신이 되기 때문에 군대 입찰을 비롯한 높은 국내시장 점유가 기대됨 |
향후 계획 |
- 2025~2026 국내 임상 2/3상 수행 예정 |
- 해당사항 없음
당사는 최근 사업연도말 현재의 자산총액이 1천억원 미만 또는 매출액이 500억원 미만으로 "소규모기업"에 해당하여 기업공시서식 작성기준 제5장 제1절(제5-1-1조)에 의거하여 동 보고서에서는 요약재무정보 등에 관한 사항의 기재를 생략합니다. 다음의 연결재무제표 및 재무제표 본문을 참고하시기 바랍니다.
제 26 기 반기말 |
제 25 기말 |
|
---|---|---|
제 26 기 반기 |
제 25 기 반기 |
|||
---|---|---|---|---|
3개월 |
누적 |
3개월 |
누적 |
|
자본 |
||||||||
---|---|---|---|---|---|---|---|---|
지배지분 소유주 지분 |
비지배지분 |
자본 합계 |
||||||
자본금 |
주식발행초과금 |
기타자본항목 |
기타포괄손익누계액 |
결손금 |
지배지분 소유주 지분 합계 |
|||
제 26 기 반기 |
제 25 기 반기 |
|
---|---|---|
제 26 기 반기 : 2025년 06월 30일 현재 |
제 25 기 반기 : 2024년 06월 30일 현재 |
아이진 주식회사와 그 종속기업 |
1. 연결회사의 개요
기업회계기준서 제1110호 '연결재무제표'에 의한 지배기업인 아이진 주식회사(이하 "회사" 또는 "지배기업")와 종속기업인 EyeGene Australia Pty Ltd.와 주식회사 레나임(이하 회사와 종속기업들을 일괄하여 "연결회사")를 연결대상으로 하여 연결재무제표를 작성하였습니다.1.1 지배기업의 개요
아이진 주식회사(이하 "회사")는 생명공학 기술을 이용한 유용 유전자 및 생체 고분자탐색과 이를 이용한 식품 및 의약품을 개발하는 연구개발업을 주요목적으로 2000년 6월 23일 설립되었습니다. 보고기간 말 현재 회사는 경기도 의왕시 양지편2로13에 본사를 두고 있습니다.
회사의 발행할 주식의 총수는 100,000,000주(1주의 금액: 500원)이며 설립시 자본금은 100백만원이었으나, 수차례의 증자 등을 거쳐 당반기말 현재 발행한 주식수는 27,029,784(보통주 27,029,784주)이며 납입자본금은 13,515백만원(보통주자본금 13,515백만원)입니다. 회사는 2013년 11월 28일 한국거래소 코넥스시장에 회사의 보통주식을 상장하였으며, 2015년 11월 16일 한국거래소 코스닥시장에 이전 상장하였습니다.
보고기간말 현재 회사의 주요 주주현황은 다음과 같습니다.
주주명 | 보통주식수(주) | 지분율(%) | 비고 |
---|---|---|---|
(주)한국비엠아이 | 5,805,137 | 21.5 | 최대주주 |
유원일 | 1,300,946 | 4.8 | |
기타 | 19,923,701 | 73.7 | |
합계 | 27,029,784 | 100.0 |
1.2 종속기업의 개요
1.2.1 종속기업 현황
종속기업 |
소재지 |
지배지분율(%) |
결산월 | 업종 | |
---|---|---|---|---|---|
당반기말 | 전기말 | ||||
EyeGene Australia Pty Ltd | 호주 |
100% |
100% |
12월 |
의약품 연구개발업 |
주식회사 레나임 (*) |
한국 |
46.2% |
46.2% |
12월 |
의약품 연구개발업 |
(*)잠재적의결권 행사 시 의결권의 50%를 초과하여 종속기업으로 분류하였습니다.1.2.2 종속기업 요약재무정보보고기간말 현재 종속기업의 요약 재무정보는 다음과 같습니다.
(단위:천원) |
기업명 | 자산 | 부채 | 순자산 | 매출액 | 반기순이익 |
---|---|---|---|---|---|
EyeGene Australia Pty Ltd. | 811,773 | 6,766,420 | (5,954,647) | - | (249,846) |
주식회사 레나임 | 7,454,623 | 7,070,997 | 383,626 | - | (217,837) |
2. 중요한 회계정책
2.1 재무제표 작성기준
연결회사의 2025년 6월 30일로 종료하는 6개월 보고기간에 대한 요약반기연결재무제표는 기업회계기준서 제1034호 '중간재무보고'에 따라 작성되었습니다. 이 중간재무제표는 연차재무제표에 기재되는 사항이 모두 포함되지 않았으므로 전기말 연차재무제표와 함께 이해해야 합니다.
2.1.1 연결회사가 채택한 제ㆍ개정 기준서 및 해석서
연결회사는 2025년 1월 1일로 개시하는 회계기간부터 다음의 제ㆍ개정 기준서 및 해석서를 신규로 적용하였습니다.
(1) 기업회계기준서 제1021호 '환율변동효과' 와 기업회계기준서 제1101호 '한국채택국제회계기준의 최초채택' 개정 - 교환가능성 결여
통화의 교환가능성을 평가하고 다른 통화와 교환이 가능하지 않다면 현물환율을 추정하며 관련 정보를 공시하도록 하고 있습니다. 해당 기준서의 개정이 재무제표에 미치는 중요한 영향은 없습니다.
2.1.2 연결회사가 적용하지 않은 제ㆍ개정 기준서 및 해석서
제정 또는 공표되었으나 시행일이 도래하지 않아 적용하지 아니한 제ㆍ개정 기준서 및 해석서는 다음과 같습니다.
(1) 기업회계기준서 제1109호 '금융상품', 제1107호 '금융상품: 공시' 개정실무에서 제기된 의문에 대응하고 새로운 요구사항을 포함하기 위해 기업회계기준서 제1109호 '금융상품' 과 제1107호 '금융상품: 공시' 가 개정되었습니다. 동 개정사항은 2026 년 1 월 1 일 이후 시작하는 회계연도부터 적용되며, 조기적용이 허용됩니다. 주요 개정내용은 다음과 같습니다. 연결회사는 동 개정으로 인한 재무제표의 영향을 검토 중에 있습니다.- 특정 기준을 충족하는 경우, 결제일 전에 전자지급시스템을 통해 금융부채가 결제된 것으로(제거된 것으로) 간주할 수 있도록 허용- 금융자산이 원리금 지급만으로 구성되어 있는지의 기준을 충족하는지 평가하기 위한 추가 지침을 명확히 하고 추가함.- 계약상 현금흐름의 시기나 금액을 변경시키는 계약조건이 기업에 미치는 영향과 기업이 노출되는 정도를 금융상품의 각 종류별로 공시- FVOCI 지정 지분상품에 대한 추가 공시
(2) 한국채택국제회계기준 연차개선Volume 11한국채택국제회계기준 연차개선Volume 11은 2026 년 1 월 1 일 이후 시작하는 회계연도부터 적용되며, 조기적용이 허용됩니다. 연결회사는 동 개정으로 인해 재무제표에 중요한 영향은 없을 것으로 예상하고 있습니다.- 기업회계기준서 제1101호 '한국채택국제회계기준의 최초채택' : K-IFRS 최초 채택시 위험회피회계 적용- 기업회계기준서 제1107호 '금융상품:공시' : 제거 손익, 실무적용지침- 기업회계기준서 제1109호 '금융상품' : 리스부채의 제거 회계처리와 거래가격의 정의- 기업회계기준서 제1110호 '연결재무제표' : 사실상의 대리인 결정- 기업회계기준서 제1007호 '현금흐름표' : 원가법
2.2 회계정책
요약분기연결재무제표의 작성에 적용된 유의적 회계정책과 계산방법은 주석 2.1.1에서 설명하는 제ㆍ개정 기준서의 적용으로 인한 변경 및 아래 문단에서 설명하는 사항을 제외하고는 전기 연결재무제표 작성에 적용된 회계정책이나 계산방법과 동일합니다.
2.2.1 법인세비용중간기간의 법인세비용은 전체 회계연도에 대해서 예상되는 최선의 가중평균연간법인세율, 즉 추정평균연간유효법인세율을 중간기간의 세전이익에 적용하여 계산합니다.
3. 중요한 회계추정 및 가정
연결회사는 미래에 대하여 추정 및 가정을 하고 있습니다. 추정 및 가정은 지속적으로 평가되며, 과거 경험과 현재의 상황에서 합리적으로 예측가능한 미래의 사건과 같은 다른 요소들을 고려하여 이루어집니다. 이러한 회계추정은 실제 결과와 다를 수도있습니다.요약반기연결재무제표 작성시 사용된 중요한 회계추정 및 가정은 법인세비용을 결정하는데 사용된 추정의 방법을 제외하고는 전기 연결재무제표 작성에 적용된 회계추정 및 가정과 동일합니다.
4. 공정가치당반기중 연결회사의 금융자산과 금융부채의 공정가치에 영향을 미치는 사업환경 및경제적인 환경의 유의적인 변동은 없습니다.
4.1 금융상품 종류별 공정가치당반기말 현재 연결회사의 금융자산과 금융부채 중 장부금액과 공정가치의 차이가 발생할 것으로 예상되는 내역은 다음과 같습니다.
(단위:천원) |
구 분 | 당반기말 | 전기말 | ||
---|---|---|---|---|
장부금액 | 공정가치 | 장부금액 | 공정가치 | |
금융부채 | ||||
상환전환우선주부채 | 1,737,033 | 1,113,227 | 1,580,409 | 1,113,227 |
신주인수권부사채 | 1,928,228 | 1,820,759 | 1,773,423 | 1,820,759 |
상기 신주인수권부사채를 제외한 연결회사의 금융자산과 금융부채는 장부금액이 공정가치의 합리적인 근사치일 것으로 추정하고 있습니다.
4.2 공정가치 서열체계
공정가치로 측정되는 금융상품은 공정가치 서열체계에 따라 구분되며 정의된 수준들은 다음과 같습니다.ㆍ수준 1: 측정일에 동일한 자산이나 부채에 대해 접근할 수 있는 활성시장의 (조정하지 않은) 공시가격 ㆍ수준 2: 수준 1의 공시가격 외에 자산이나 부채에 대해 직접적으로나 간접적으로 관측할 수 있는 투입변수ㆍ수준 3: 자산이나 부채에 대한 관측할 수 없는 투입변수
보고기간말 현재 공정가치로 측정되거나 공정가치가 공시되는 금융상품의 공정가치 서열체계 구분은 다음과 같습니다.
1)당반기말
(단위:천원) |
구 분 | 수준 1 | 수준 2 | 수준 3 | 합 계 |
---|---|---|---|---|
공정가치로 측정되거나 공시되는 금융상품 | ||||
당기손익-공정가치측정금융자산(비유동) | - | - | 12,346,569 | 12,346,569 |
신주인수권부사채 | - | 1,820,759 | - | 1,820,759 |
상환전환우선주부채 | - | 1,113,227 | - | 1,113,227 |
파생상품부채(유동) | - | - | 3,040,960 | 3,040,960 |
2)전기말
(단위:천원) |
구 분 | 수준 1 | 수준 2 | 수준 3 | 합 계 |
---|---|---|---|---|
공정가치로 측정되거나 공시되는 금융상품 | ||||
당기손익-공정가치측정금융자산(비유동) | - | - | 12,340,723 | 12,340,723 |
신주인수권부사채 | - | 1,820,759 | - | 1,820,759 |
상환전환우선주부채 | - | 1,113,227 | - | 1,113,227 |
파생상품부채(유동) | - | - | 3,040,960 | 3,040,960 |
4.3 가치평가기법 및 투입 변수연결회사는 공정가치 서열체계에서 수준 2와 수준 3으로 분류되는 금융상품의 공정가치에 대하여 다음의 가치평가기법과 투입 변수를 사용하고 있습니다.1)당반기말
(단위:천원) |
구 분 | 공정가치 | 수준 | 가치평가기법 | 투입 변수 |
---|---|---|---|---|
당기손익-공정가치측정금융자산(비유동) | 12,346,569 | 3 | 이항모형 등 | 주가변동성, 기초자산 주가 등 |
신주인수권부사채 | 1,820,759 | 2 | 현재가치기법 등 | 시장수익률 등 |
상환전환우선주부채 | 1,113,227 | 2 | 현재가치기법 등 | 시장수익률 등 |
파생상품부채(유동) | 3,040,960 | 3 | 이항모형 | 주가변동성, 기초자산 주가 등 |
2)전기말
(단위:천원) |
구 분 | 공정가치 | 수준 | 가치평가기법 | 투입 변수 |
---|---|---|---|---|
당기손익-공정가치측정금융자산(비유동) | 12,340,723 | 3 | 이항모형 등 | 주가변동성, 기초자산 주가 등 |
신주인수권부사채 | 1,820,759 | 2 | 현재가치기법 등 | 시장수익률 등 |
상환전환우선주부채 | 1,113,227 | 2 | 현재가치기법 등 | 시장수익률 등 |
파생상품부채(유동) | 3,040,960 | 3 | 이항모형 | 주가변동성, 기초자산 주가 등 |
5. 범주별 금융상품
5.1 금융상품 범주별 장부금액
(단위:천원) |
재무상태표 상 자산 |
당반기말 | 전기말 |
---|---|---|
상각후원가 금융자산 | ||
현금및현금성자산 | 2,378,649 | 1,425,389 |
금융기관예치금 | 27,122,000 | 31,122,000 |
매출채권 | 894,534 | 1,414,706 |
기타금융자산 | 561,669 | 1,115,720 |
당기손익-공정가치측정금융자산 | ||
상환전환우선주(*1) | 3,999,880 | 3,999,880 |
비상장주식 | 8,288,042 | 8,288,042 |
기타금융자산 | 58,647 | 52,801 |
합 계 | 43,303,421 | 47,418,538 |
(*1) 이사회에 1명의 이사를 임명할 수 있는 권리등을 보유하고 있어 유의적인 영향력을 행사하는 투자상품을 포함하고 있습니다.
(단위:천원) |
재무상태표 상 부채 |
당반기말 | 전기말 |
---|---|---|
상각후원가 금융부채 | ||
매입채무 | 1,590,612 | 1,679,515 |
신주인수권부사채 | 1,928,228 | 1,773,423 |
상환전환우선주부채 | 1,737,033 | 1,580,409 |
기타금융부채 | 2,490,258 | 2,330,709 |
당기손익-공정가치측정금융부채 | ||
파생상품부채 | 3,040,960 | 3,040,960 |
기타부채 | ||
리스부채 | 638,165 | 667,162 |
합 계 | 11,425,256 | 11,072,178 |
5.2 금융상품 범주별 순손익
(단위:천원) |
구 분 |
당반기 |
전반기 |
---|---|---|
상각후원가 금융자산 | ||
이자수익 |
468,174 | 829,303 |
당기손익-공정가치측정금융자산 | ||
당기손익-공정가치측정금융자산평가이익 | 5,847 | 5,654 |
상각후원가 금융부채 | ||
이자비용 | (323,991) | (297,970) |
당기손익-공정가치측정금융부채 | ||
파생상품평가이익 | - | 160,777 |
기타부채 | ||
이자비용 | (24,629) | (22,770) |
순손익 합계 | 125,401 | 674,994 |
6. 영업부문 정보
연결회사의 이사회는 연결회사 영업을 집단별로 구분하고있지 아니하고 전체를 단일 영업부문으로 파악하여 영업부문 정보를 검토하고 있습니다. 최고영업의사결정자에게 보고되는 손익 및 자산총액은 회계상 금액과 일치하며, 영업수익은 대부분 국내매출입니다. 연결회사의 고객은 대부분 대형 제약회사와 병ㆍ의원이며, 당반기와 전반기중 회사 영업수익의 10% 이상을 차지하는 외부고객은 다음과 같습니다.
(단위:천원) |
구 분 | 당반기 | 전반기 |
---|---|---|
고객1 | 345,900 | - |
7. 유형자산
(단위:천원) |
구 분 | 당반기 | 전반기 |
---|---|---|
기초순장부금액 | 8,515,111 | 9,083,760 |
취득 | 37,665 | 873,466 |
처분 | (1,386,344) | (23,781) |
감가상각 | (960,474) | (912,711) |
반기말순장부금액 | 6,205,958 | 9,020,734 |
취득원가 | 11,704,437 | 14,949,917 |
감가상각누계액 | (5,473,658) | (5,896,439) |
정부보조금 | (24,821) | (32,744) |
8. 사용권자산
(단위:천원) |
구 분 | 당반기 | 전반기 |
---|---|---|
기초순장부금액 | 799,557 | 766,959 |
취득 | 47,593 | 264,528 |
처분 | - | (34,007) |
감가상각 | (99,413) | (189,395) |
반기말순장부금액 | 747,737 | 808,085 |
취득원가 | 996,978 | 1,578,195 |
감가상각누계액 | (249,241) | (770,110) |
9. 무형자산
9.1 장부가액의 변동내역
(단위:천원) |
구 분 | 당반기 | 전반기 |
---|---|---|
기초순장부금액 | 4,281,024 | 982,607 |
취득 | 310,778 | 3,217,980 |
처분/폐기 | - | (8,201) |
손상 | (245,616) | - |
상각 | (14,177) | (27,526) |
반기말순장부금액 | 4,332,009 | 4,164,860 |
취득원가 | 4,891,024 | 4,673,776 |
상각/손상차손누계액 | (559,015) | (508,916) |
9.2 경상연구개발비당반기중 발생한 경상연구개발비는 2,923,081천원(전반기: 4,746,214천원)입니다.
10. 관계기업투자
10.1 관계기업의 내역
(단위:천원) |
구분 | 기업명 | 설립국가 | 결산월 | 당반기말 | 전기말 | ||
---|---|---|---|---|---|---|---|
소유지분율 | 장부금액 | 소유지분율 | 장부금액 | ||||
관계기업 | 천진정원당아이진생물과기유한회사(*1) | 중국 | 12월 31일 | 27.5% | - | 27.5% | - |
오라클지역뉴딜벤처펀드(*2) | 한국 | 12월 31일 | 20.0% | 1,793,079 | 20.0% | 1,818,114 | |
합계 | 1,793,079 | 1,818,114 |
(*1) 회사는 '욕창치료제'를 활용하여 중국시장에 본격적으로 진출하기 위하여 '천진국제생물의약연합연구원(TJAB)' 내에 설립한 정원당(천진)바이오기술유한회사와 협력하여 상기 관계기업을 설립하였습니다. 관계기업은 회사로부터 '욕창치료제' 기술이전을 받아 중국 내 시장에 '욕창치료제'를 개발하고 이를 중국내에 본격적으로 유통하려는 의도를 갖고 있으며, 보고기간 말 현재 구체적인 계획은 아직 없습니다.(*2) 창업자, 벤처기업 또는 기술혁신형, 경영혁신형 중소기업 및 지역뉴딜 관련 분야의 기업군 투자에 참여하여 운영 수익 실현을 기대하고 있습니다.
10.2 당반기 및 전반기중 관계기업 투자의 변동내역.
(단위:천원) |
구 분 | 당반기 | 전반기 |
---|---|---|
기초금액 | 1,818,114 | 1,207,831 |
취득 | - | 600,000 |
지분법손익 | (25,035) | (25,437) |
반기말금액 | 1,793,079 | 1,782,394 |
10.3 주요 관계기업 재무정보
(단위:천원) |
기업명 | 자산 | 부채 | 순자산 | 매출액 | 반기순이익 |
---|---|---|---|---|---|
오라클지역뉴딜벤처펀드 | 8,965,397 | - | 8,965,397 | 2,968 | (125,176) |
11. 정부보조금보고기간말 현재 연결회사는 보건복지부 등 국가기관 등과의 협약서에 의하여 국책과제를 수행하면서 관련한 정부보조금을 수령하였으며, 이 중 미사용 부분을 기타유동부채의 선수수익으로 계상하였습니다. 또한, 과제 사업의 성공시 일정비율을 반환할 의무가 있는 정부보조금은 향후 납부할 것으로 예상되는 금액의 현재가치를 기타금융부채의 미지급금 및 장기미지급금으로 계상하고 있습니다.
12. 상환전환우선주부채와 신주인수권부사채12.1 신주인수권부사채 발행내역
구 분 | 제1회 상환전환우선주부채 | 제2회 상환전환우선주부채 | 제2회 신주인수권부사채 |
---|---|---|---|
발행일 | 2023-07-28 | 2024-04-05 | 2020-09-18 |
만기일 | 2033-07-28 | 2034-04-05 | 2025-09-18 |
발행가액 | 3,000,016,653원 | 801,008,039원 | 22,000,000,000원 |
잔존발행가액 | - | - | 2,000,000,000원 |
이자지급조건 | 상환일 일시지급 | 상환일 일시지급 | - |
액면이자율 | - | - | - |
보장수익률 | 연 8% | 연 8% | - |
이익배당에 관한 사항 | 누적적, 참가적 연 1% | 누적적, 참가적 연 1% | - |
상환방법 | - | - | 만기일에 액면가액의 100%를 일시 상환 |
발행시 전환주식수 | 132,492주 | 35,773주 | 1,560,505주 |
전환가격(발행시 기준) | 22,643원 | 22,643원 | 8,235원(*1) |
전환가격 조정 | 분할, 합병 등 희석화 방지를 위한전환가격 조정 조항 및 IPO공모단가의 70%에 해당하는 금액이 전환가격을 하회하는 경우 그 공모단가의 70%에 해당하는 금액 등 | 분할, 합병 등 희석화 방지를 위한전환가격 조정 조항 및 IPO공모단가의 70%에 해당하는 금액이 전환가격을 하회하는 경우 그 공모단가의 70%에 해당하는 금액 등 | 시가를 하회하는 발행가액으로 유상증자를 하는경우 등 |
전환청구기간 | 발행일로부터 존속기간(10년)까지 | 발행일로부터 존속기간(10년)까지 | 발행일로부터 1년이 경과한 날부터 만기 1개월 전까지 |
조기상환청구권 | 발행일로부터 3년 경과한 날 이후부터 존속기간(10년) 말일 전일까지 | 발행일로부터 3년 경과한 날 이후부터 존속기간(10년) 말일 전일까지 | 사채발행일로부터 2년 경과일 혹은 그로부터 매 3개월이 되는 날 |
(*1) 전기 이전에 신주인수권부사채 전환가격 조정 항목에 따라 제2회 신주인수권부사채의 행사가격이 14,098원에서 13,759원으로, 13,759원에서 10,294원으로, 10,294원에서 8,235원으로 차감 조정 되었습니다.
종속기업인 주식회사 레나임은 전기 및 전기이전에 상환전환우선주를 발행하였습니다. 상환전환우선주에 내재된 전환권 및 조기상환권은 자본요소에 해당하지 않으므로 금융부채로 분류하였으며, 전환권 및 조기상환권이 내재파생상품의 분리조건을 모두 충족하므로 주계약에서 분리하여 별도의 파생금융상품으로 회계처리하였습니다. 주계약 부채요소는 상각후원가로 측정하며 유효이자율에 따라 이자비용을 인식하였으며, 분리한 내재파생상품은 공정가치로 측정 후 평가손익을 당기손익으로 인식하였습니다.
12.2 신주인수권부사채와 상환전환우선주부채 변동내역
(단위:천원) |
구 분 | 당반기 | 전반기 | ||
---|---|---|---|---|
신주인수권부사채 | 상환전환우선주부채 | 신주인수권부사채 | 상환전환우선주부채 | |
기초 | 1,773,423 | 1,580,408 | 1,498,201 | 1,055,758 |
발행 | - | - | - | 264,981 |
상각 | 154,805 | 156,625 | 130,891 | 116,774 |
반기말 | 1,928,228 | 1,737,033 | 1,629,092 | 1,437,513 |
12.3 파생상품부채 변동내역
(단위:천원) |
구 분 | 당반기 | 전반기 |
---|---|---|
기초 | 3,040,960 | 2,605,034 |
발행 | - | 543,893 |
평가 | - | (160,777) |
기말 | 3,040,960 | 2,988,150 |
13. 순확정급여부채와 기타장기종업원부채13.1 손익계산서에 반영된 금액
(단위:천원) |
구 분 | 당반기 | 전반기 |
---|---|---|
당기근무원가 | 277,800 | 334,386 |
순이자원가 | 53,214 | 61,974 |
종업원 급여에 포함된 총 비용 | 331,014 | 396,360 |
13.2 순확정급여부채 산정내역
(단위:천원) |
구 분 | 당반기말 | 전기말 |
---|---|---|
기금이 적립되지 않은 확정급여채무의 현재가치 | 2,780,778 | 2,546,218 |
재무상태표상 순확정급여부채 | 2,780,778 | 2,546,218 |
13.3 기타장기종업원부채 산정내역
(단위:천원) |
구 분 | 당반기말 | 전기말 |
---|---|---|
기금이 적립되지 않은 기타급여채무의 현재가치 | 190,418 | 169,293 |
재무상태표상 기타장기종업원부채 | 190,418 | 169,293 |
14. 주식의 발행당반기와 전반기중 연결회사가 발행한 주식 및 이에 따른 자본금과 주식발행초과금의 변동내역은 다음과 같습니다.
(단위:주,천원) |
구 분 | 주식수 | 자본금 | 주식발행초과금 | 합 계 |
---|---|---|---|---|
전기초 | 27,029,784 | 13,514,892 | 177,222,968 | 190,737,860 |
유상증자 | - | - | (3,760) | (3,760) |
전반기말 | 27,029,784 | 13,514,892 | 177,219,208 | 190,734,100 |
당기초 | 27,029,784 | 13,514,892 | 177,219,208 | 190,734,100 |
당반기말 | 27,029,784 | 13,514,892 | 177,219,208 | 190,734,100 |
15. 주식기준보상15.1 주식선택권의 내역
연결회사는 일부 임직원에게 주주총회의 특별결의에 의거해서 주식선택권을 부여하고 옵션가격결정모형을 적용한 공정가액접근법에 의하여 보상원가를 산정하였으며, 그 내역은 다음과 같습니다.
구 분 | 제8차 주식선택권 | 제9차 주식선택권 | 제10차 주식선택권 | 제11차 주식선택권 |
---|---|---|---|---|
권리부여일 | 2020년 7월 31일 | 2021년 9월 3일 | 2022년 8월 1일 | 2022년 9월 6일 |
주식선택권 공정가치 | 7,907원 | 33,437 | 7,630 | 6,578 |
부여수량 | 80,000주 | 335,000주 | 140,000주 | 307,500주(*2) |
소멸주식수 | 70,000주 | 335,000주(*2) | 90,000주 | 172,000주 |
행사주식수 | - | - | - | - |
행사가능주식수(보고기간말 현재) | 10,000주 | - | 50,000주 | 135,500주 |
부여방법 | 주식교부형 | 주식교부형 | 주식교부형 | 주식교부형 |
행사가격 | 8,517원(*1) | 44,708원 | 8,536원(*1) | 8,004원(*1) |
행사가능기간 | 2022년 7월 31일~ 2027년 7월 30일 | 2024년 9월 3일~ 2029년 9월 2일 | 2025년 8월 1일~ 2030년 7월 31일 | 2025년 9월 6일~ 2030년 9월 5일 |
가득조건 | 용역제공조건: 2년 | 용역제공조건: 3년 | 용역제공조건: 3년 | 용역제공조건: 3년 |
구 분 | 제12차 주식선택권 | 제13차 주식선택권 | 제14차 주식선택권 | 제15차 주식선택권 |
---|---|---|---|---|
권리부여일 | 2023년 9월 22일 | 2024년 1월 3일 | 2024년 9월 30일 | 2025년 5월 12일 |
주식선택권 공정가치 | 2,381 | 3,314 | 2,214 | 2,197 |
부여수량 | 30,000주 | 250,000주 | 50,000주 | 185,000주 |
소멸주식수 | 20,000주 | - | 50,000주 | - |
행사주식수 | - | - | - | - |
행사가능주식수(보고기간말 현재) | 10,000주 | 250,000주 | - | 185,000주 |
부여방법 | 주식교부형 | 주식교부형 | 주식교부형 | 주식교부형 |
행사가격 | 3,451원(*1) | 4,077원 | 3,469원 | 3,372원 |
행사가능기간 | 2026년 9월 22일~ 2031년 9월 21일 | 2027년 1월 3일 ~ 2032년 1월 2일 | 2027년 9월 30일 ~ 2032년 9월 29일 | 2028년 5월 12일~ 2033년 5월 11일 |
가득조건 | 용역제공조건: 3년 | 용역제공조건: 3년 | 용역제공조건: 3년 | 용역제공조건: 3년 |
(*1) 전기 이전에 주식선택권 운영규정 및 이사회 결의에 따라 8차 주식매수선택권의 행사가격이 10,021원에서 8,517원으로, 10차 주식매수선택권의 행사가격이 10,045원에서 8,536원으로, 11차 주식매수선택권의 행사가격이 9,375원에서 8,004원으로 12차 주식매수선택권의 행사가격이 3,645원에서 3,451원으로 차감 조정 되었습니다.(*2) 전기 이전에 제9차 주식선택권은 제11차 주식선택권으로 조건이 변경되어 재부여되었습니다.
15.2 종속회사의 주식선택권의 내역
구 분 | 제1차 주식선택권 | 제2차 주식선택권 | 제3차 주식선택권 |
---|---|---|---|
권리부여일 | 2022년 3월 31일 | 2022년 8월 23일 | 2024년 3월 29일 |
주식선택권 공정가치 | 11,131원 | 11,222원 | 4,717 |
부여수량 | 54,500주 | 3,100주 | 35,000주 |
소멸주식수 | 27,500주 | 3,100주 | 5,000주 |
행사주식수 | -주 | -주 | -주 |
행사가능주식수 (보고기간말 현재) | 27,000주 | - | 30,000주 |
부여방법 | 주식교부형 | 주식교부형 | 주식교부형 |
행사가격 | 17,000원 | 17,000원 | 28,000원 |
행사가능기간 | 2025년 3월 31일 ~ 2030년 3월 30일 | 2025년 8월 23일 ~ 2030년 3월 22일 | 2026년 4월 29일 ~ 2031년 3월 28일 |
15.3 주식선택권 변동내역연결회사는 보상원가를 약정용역제공기간동안 정액법으로 안분하여 주식보상비용 및 주식선택권으로 인식하고 있습니다. 자본에 계상된 주식선택권의 변동내역은 다음과 같습니다.
(단위:천원) |
구 분 | 당반기 | 전반기 |
---|---|---|
기초잔액 | 10,611,436 | 11,266,084 |
보상원가의 인식 | 196,670 | (1,276,328) |
반기말잔액 | 10,808,106 | 9,989,756 |
16. 매출액 및 매출원가
(단위:천원) |
과 목 | 당반기 | 전반기 | ||
---|---|---|---|---|
3개월 | 누적 | 3개월 | 누적 | |
매출액 | ||||
상품매출액 | 872,306 | 1,690,012 | 561,391 | 1,084,700 |
기타매출액 | 5,000 | 5,000 | - | - |
합 계 | 877,306 | 1,695,012 | 561,391 | 1,084,700 |
매출원가 | ||||
상품매출원가 | 596,512 | 1,146,024 | 307,260 | 565,488 |
합 계 | 596,512 | 1,146,024 | 307,260 | 565,488 |
17. 판매비와관리비
(단위:천원) |
과 목 | 당반기 | 전반기 | ||
---|---|---|---|---|
3개월 | 누적 | 3개월 | 누적 | |
급여 | 406,239 | 807,115 | 531,752 | 1,103,955 |
퇴직급여 | 83,076 | 185,077 | 74,848 | 188,088 |
기타장기종업원급여 | 4,628 | 9,255 | 3,357 | 9,118 |
복리후생비 | 82,390 | 169,818 | 80,887 | 203,156 |
주식보상비용 | 105,299 | 105,613 | 251,538 | (486,069) |
여비교통비 | 7,412 | 17,847 | 23,728 | 41,859 |
접대비 | 22,287 | 39,798 | 32,373 | 73,168 |
통신비 | 5,191 | 9,967 | 5,446 | 10,980 |
세금과공과금 | 27,573 | 58,297 | 42,177 | 98,007 |
감가상각비 | 110,696 | 219,924 | 113,551 | 221,574 |
지급임차료 | 1,500 | 1,500 | (4,026) | 1,781 |
보험료 | 12,985 | 26,153 | 22,594 | 52,780 |
차량유지비 | 7,116 | 11,396 | 2,812 | 5,588 |
경상연구개발비 | 1,431,567 | 2,923,081 | 2,208,742 | 4,746,213 |
운반비 | 1,009 | 2,091 | 801 | 1,453 |
교육훈련비 | 3,741 | 5,091 | 3,476 | 6,176 |
도서인쇄비 | 256 | 2,057 | 1,189 | 2,509 |
소모품비 | 4,100 | 7,307 | 4,680 | 10,323 |
지급수수료 | 181,095 | 430,523 | 263,696 | 900,160 |
건물관리비 | 16,222 | 35,155 | 34,565 | 76,571 |
판매수수료 | 208,826 | 408,035 | 199,063 | 427,759 |
무형자산상각비 | 6,820 | 14,177 | 13,452 | 27,526 |
해외출장비 | 3,330 | 9,283 | 50,956 | 77,322 |
합 계 | 2,733,358 | 5,498,560 | 3,961,657 | 7,799,997 |
18. 비경상적인 항목내용, 크기, 또는 발생빈도에 따라 중요한 비경상적인 항목은 포괄손익계산서 상 관련 항목으로 통합 표시 됩니다. 연결회사는 당반기와 전반기중 비경상적인 항목이 발생하지 않았습니다.
19. 법인세비용
법인세비용은 전체 회계연도에 대해서 예상되는 최선의 가중평균 연간법인세율의 추정에 기초하여 인식하였습니다. 당반기말 및 전반기말 현재 연간 예상 평균연간법인세율은 영(零)의 법인세비용이 발생하였는 바, 산출하지 아니합니다.
20. 우발사항 및 약정사항
20.1 기술이전약정
1) 연결회사는 (주)넥스세라와 황반변성 점안형 치료제 관련 라이선스 계약을 체결하였습니다. 연결회사는 본 계약으로 국내 등 일부 국가에서의 임상 개발 및 판권을 부여받는 대가로 10억원을 지급하였으며, 향후 임상개발 및 매출에 따라 최대 25억원의 마일스톤과 판매로열티를 지급할 수 있습니다2) 연결회사는 향후 수익 창출 목적으로 한국비엠아이와 양쪽 눈꼬리 주름 개선용도 관련 기술과 제품에 관한 공동개발 및 판매로열티 계약을 체결하였습니다. 공동 개발 비용으로 2024년 14.5억원, 2025년 14.1억원을 지급하였고, 개발 상황에 따라 추가적인 비용이 지급될 예정입니다. 회사는 향후 개발 완료 및 제품의 판매시 판매 로열티를 수령할 수 있습니다. 3) 연결회사는 Peprimene Bio Inc와 BAFFR CAR-T 치료제 관련 라이선스 계약을 체결하였습니다. 연결회사는 본 계약으로 국내의 임상 개발 및 판권을 부여받았습니다. 연결회사는 본 계약에 따라 선급금 $1,500,000를 지급하였으며, 향후 임상 개발 및 매출에 따라 최대 $9,750,000의 마일스톤과 판매로열티를 지급할 수 있습니다. 또한, 연결회사는 2024년 11월 해당 라이선스 계약을 (주)한국비엠아이에 인계하는 계약을 체결하였으며 인수계약금 5억원을 (주)한국비엠아이로 부터 수령하였습니다.
4) 연결회사는 (주)유바이오로직스와 수막구균 4가 백신 관련 라이선스 계약을 체결하였습니다. 연결회사는 본 계약으로 국내 등 일부 국가에서의 독점 판매권을 부여받았습니다. 연결회사는 본 계약에 따라 1차 마일스톤 2.5억원을 지급하였으며, 향후 개발 상황에 따라 최대 22.5억원의 마일스톤을 지급할 수 있습니다.
5) 연결회사는 (주)한국비엠아이와 대상포진 백신 관련 기술의 국내시장에 대한 전용실시권 기술이전 계약을 체결하였습니다. 연결회사는 향후 임상시험, 관계당국의 허가 등 개발의 성공 여부에 따라 추가적으로 마일스톤 및 로열티 수익을 인식할 수 있습니다.
6) 연결회사는 엠브릭스(주)와 재조합 보툴리눔 신경독소 관련 라이선스 계약을 체결하였습니다. 회사는 본 계약으로 국내를 포함한 전세계의 독점 판매권을 부여받았습니다. 회사는 본 계약에 따라 1차 마일스톤 3억원을 지급하였으며, 향후 개발 상황에 따라 최대 27억원의 마일스톤을 지급할 수 있습니다.
20.2 담보제공자산의 내역당반기말 현재 연결회사는 외상대금한도 등과 관련하여 122백만원의 정기예금을 우리은행 등에 담보로 제공하고 있습니다.20.3 제공받은 지급보증당반기말 현재 연결회사는 서울보증보험으로부터 13백만원의 계약이행보증 등을 제공받고 있습니다.
21. 영업활동 현금흐름
(단위:천원) |
구 분 | 당반기 | 전반기 |
---|---|---|
반기순손실 | (5,448,738) | (6,615,735) |
조정 | ||
퇴직급여 | 305,889 | 365,475 |
기타장기종업원급여 | 25,125 | 30,885 |
감가상각비 및 사용권자산상각비 | 1,059,887 | 1,102,106 |
무형자산상각비 | 14,177 | 27,527 |
주식보상비용 | 196,670 | (1,276,328) |
무형자산폐기손실 | 245,617 | 8,201 |
유형자산폐기손실 | - | 23,781 |
유형자산처분손실 | 436,344 | - |
리스자산처분이익 | - | (1,726) |
지분법손실 | 25,035 | 25,437 |
당기손익-공정가치측정금융자산평가이익 | (5,847) | 5,654 |
파생상품평가이익 | - | (160,777) |
이자비용 | 348,620 | 320,740 |
이자수익 | (468,174) | (829,303) |
순운전자본의 변동 | ||
매출채권의 증감 | 520,172 | (150,814) |
기타금융자산(유동)의 증감 | (9,356) | (19,540) |
기타유동자산의 증감 | (50,903) | (347,618) |
재고자산의 증감 | (461,437) | (222,566) |
매입채무의 증감 | (88,903) | 287,257 |
계약부채의 증감 | - | (43,057) |
기타금융부채(유동)의 증감 | 132,239 | (872,969) |
기타유동부채의 증감 | (8,986) | (402,957) |
기타급여의 지급 | (4,000) | - |
퇴직금의 지급 | (71,328) | (1,247,065) |
합 계 | (3,307,897) | (9,993,392) |
22. 특수관계자 거래
22.1 지배ㆍ종속관계 등
구 분 |
회사명 |
비고 |
---|---|---|
유의적인 영향력을 행사하는 기업 | 주식회사 한국비엠아이(*1) | 최대주주 |
관계기업 | 오라클지역뉴딜벤처펀드 | |
천진정원당아이진생물과기유한회사 | ||
주식회사 넥스세라(*2) | ||
주식회사 뉴캔서큐어바이오(*2) | ||
주식회사 엑솔런스(*2) | ||
주식회사 메디치바이오(*2) |
(*1) 전기 이전에 연결회사의 제3자배정 유상증자에 참여하였고 금액은 15,000,001천원 입니다. 이에 당사의 지분 21.5%를 보유하게 되어 특수관계자에 포함하였고, 회사의 임직원 및 특별관계자("자본시장법 제 133조 제3항에 따른 특별관계자를 말함")를 포함할 시 22.8%의 지분을 보유하고 있습니다. (*2) 이사회에 1명의 이사를 임명할 수 있는 권리등을 보유하고 있음에 따라 유의적인 영향력을 행사하고 있다고 판단하여 관계기업으로 분류하고 있습니다. 다만, 보통주와 유사한 유의적 위험과 효익에 노출되지 않기에 주석5에서 언급하고 있는 바와 같이 당기손익-공정가치측정 금융자산으로 분류하고 있습니다.
22.2 특수관계자와의 매출ㆍ매입 및 자금거래 내역 등
1) 당반기
(단위: 천원) |
구 분 |
연결회사명 |
매입 등 |
이자비용 |
---|---|---|---|
유의적인 영향력을 행사하는 기업 | 주식회사 한국비엠아이 | 1,639,856 | 6,286 |
관계기업 | 주식회사 메디치바이오 | 25,140 | - |
합 계 |
1,664,996 | 6,286 |
2) 전반기
(단위: 천원) |
구 분 |
연결회사명 |
매출 등 |
매입 등 |
현금출자 | 무형자산취득 |
---|---|---|---|---|---|
유의적인 영향력을 행사하는 기업 | 주식회사 한국비엠아이 | 31,900 | 788,054 | - | - |
관계기업 | 오라클지역뉴딜벤처펀드 | - | - | 600,000 | - |
주식회사 넥스세라 | - | - | 1,499,994 | 1,000,000 | |
주식회사 뉴캔서큐어바이오 | - | - | 1,500,000 | - | |
합 계 |
31,900 | 788,054 | 3,599,994 | 1,000,000 |
22.3 특수관계자에 대한 채권. 채무의 주요 잔액
1) 당반기말
(단위 : 천원) |
특수관계구분 |
회사명 |
채 권 |
채 무 |
|||
---|---|---|---|---|---|---|
매출채권 |
기타채권 |
선급금(*1) |
매입채무 |
선수금(*2) | ||
유의적인 영향력을 행사하는 기업 |
주식회사 한국비엠아이(*3) |
- | 100,000 | 2,860,000 | 1,590,612 | 500,000 |
합 계 |
- | 100,000 | 2,860,000 | 1,590,612 | 500,000 |
(*1) 공동개발 및 판매 로열티 계약과 관련하여 한국비엠아이에게 지급한 금액에 해당합니다(주석20.1 참고).(*2) BAFFR CAR-T 치료제 국내 라이센스 계약 이전과 관련하여 한국비엠아이로 부터 수령한 금액에 해당합니다(주석 20.1 참조).(*3) 당반기 중 상기 특수관계자에 대한 리스부채 상환액은 총 23,714천원이며, 당반기말 리스부채 잔액은 166,621천원 입니다.
2) 전기말
(단위 : 천원) |
특수관계구분 |
회사명 |
채 권 |
채 무 |
|||
---|---|---|---|---|---|---|
매출채권 |
기타채권 |
선급금(*1) |
매입채무 |
선수금(*2) | ||
유의적인 영향력을 행사하는 기업 |
주식회사 한국비엠아이(*3) |
- | 104,000 | 1,450,000 | 1,683,983 | 500,000 |
합 계 |
- | 104,000 | 1,450,000 | 1,683,983 | 500,000 |
(*1) 공동개발 및 판매 로열티 계약과 관련하여 한국비엠아이에 지급한 금액에 해당합니다(주석33.1 참조).(*2) BAFFR CAR-T 치료제 국내 라이센스 계약 이전과 관련하여 한국비엠아이로 부터 수령한 금액에 해당합니다(주석 33.1 참조).(*3) 전기에 상기 특수관계자에 대한 리스부채 상환액은 총 19,154천원이며, 전기말 리스부채 잔액은 190,336천원 입니다.22.4 특수관계자에 대한 대여금의 내역
(단위 : 천원) |
구 분 | 당반기말 | 전기말 |
종업원대여금 | 25,000 | 104,000 |
22.5 주요경영진에 대한 보상주요경영진은 이사(등기 및 비등기)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당반기와 전반기중 주요경영진에게 지급되었거나 지급될 보상금액은 다음과 같습니다.
(단위:천원) |
구 분 | 당반기 | 전반기 |
---|---|---|
급여 | 594,758 | 698,910 |
퇴직급여 | 167,851 | 102,018 |
주식보상비용 | 246,233 | 705,807 |
합 계 | 1,008,842 | 1,506,735 |
23. 리스
23.1 연결재무제표에 인식된 금액(1)연결재무상태표에 인식된 금액
(단위:천원) |
사용권자산 |
당반기말 |
전기말 |
---|---|---|
건물 |
626,036 | 701,517 |
차량운반구 |
49,321 | 17,540 |
보증금 | 72,380 | 80,499 |
합계 |
747,737 | 799,556 |
(단위:천원) |
리스부채 |
당반기말 |
전기말 |
---|---|---|
유동 | 182,274 | 179,603 |
비유동 | 455,891 | 487,559 |
합계 | 638,165 | 667,162 |
당반기 중 증가된 사용권자산은 47,592천원(전기: 918,167천원)입니다.(2) 연결포괄손익계산서에 인식된 금액
(단위:천원) |
구 분 |
당반기 |
전반기 |
---|---|---|
사용권자산의 감가상각비 |
||
건물 |
75,481 | 165,164 |
차량운반구 |
15,812 | 10,524 |
보증금 | 8,120 | 13,707 |
소 계 |
99,413 | 189,395 |
리스부채에 대한 이자비용(금융비용에 포함) |
24,629 | 22,770 |
단기리스가 아닌 소액자산 리스료(판관비에 포함) | 5,555 | 7,779 |
당반기 중 리스의 총 현금유출은 106,774천원(전반기:191,979천원)입니다.
제 26 기 반기말 |
제 25 기말 |
|
---|---|---|
제 26 기 반기 |
제 25 기 반기 |
|||
---|---|---|---|---|
3개월 |
누적 |
3개월 |
누적 |
|
자본 |
|||||
---|---|---|---|---|---|
자본금 |
주식발행초과금 |
기타자본항목 |
결손금 |
자본 합계 |
|
제 26 기 반기 |
제 25 기 반기 |
|
---|---|---|
제 26 기 반기 : 2025년 06월 30일 현재 |
제 25 기 반기 : 2024년 06월 30일 현재 |
아이진 주식회사 |
1. 일반 사항
아이진 주식회사(이하 "회사")는 생명공학 기술을 이용한 유용 유전자 및 생체 고분자탐색과 이를 이용한 식품 및 의약품을 개발하는 연구개발업을 주요목적으로 2000년 6월 23일 설립되었습니다. 당반기말 현재 회사는 경기도 의왕시 양지편2로 13에 본사를 두고 있습니다.회사의 발행할 주식의 총수는 100,000,000주(1주의 금액: 500원)이며 설립시 자본금은 100백만원이었으나, 수차례의 증자 등을 거쳐 당반기말 현재 발행한 주식수는 27,029,784주(보통주 27,029,784주)이며 납입자본금은 13,515백만원(보통주자본금 13,515백만원)입니다. 회사는 2013년 11월 28일 한국거래소 코넥스시장에 회사의 보통주식을 상장하였으며, 2015년 11월 16일 한국거래소 코스닥시장에 이전 상장하였습니다.보고기간말 현재 회사의 주요 주주현황은 다음과 같습니다.
주주명 | 보통주식수(주) | 지분율(%) | 비고 |
---|---|---|---|
(주)한국비엠아이 | 5,805,137 | 21.5 | 최대주주 |
유원일 | 1,300,946 | 4.8 | |
기타 | 19,923,701 | 73.7 | |
합계 | 27,029,784 | 100.0 |
2. 중요한 회계정책
2.1 재무제표 작성기준
회사의 2025년 6월 30일로 종료하는 6개월 보고기간에 대한 요약반기재무제표는 기업회계기준서 제1034호 '중간재무보고'에 따라 작성되었습니다. 이 중간재무제표는 연차재무제표에 기재되는 사항이 모두 포함되지 않았으므로 전기말 연차재무제표와 함께 이해해야 합니다.2.1.1 회사가 채택한 제ㆍ개정 기준서 및 해석서
회사는 2025년 1월 1일로 개시하는 회계기간부터 다음의 제ㆍ개정 기준서 및 해석서를 신규로 적용하였습니다.
(1) 기업회계기준서 제1021호 '환율변동효과' 와 기업회계기준서 제1101호 '한국채택국제회계기준의 최초채택' 개정 - 교환가능성 결여
통화의 교환가능성을 평가하고 다른 통화와 교환이 가능하지 않다면 현물환율을 추정하며 관련 정보를 공시하도록 하고 있습니다. 해당 기준서의 개정이 재무제표에 미치는 중요한 영향은 없습니다.
2.1.2 회사가 적용하지 않은 제ㆍ개정 기준서 및 해석서
제정 또는 공표되었으나 시행일이 도래하지 않아 적용하지 아니한 제ㆍ개정 기준서 및 해석서는 다음과 같습니다.
(1) 기업회계기준서 제1109호 '금융상품', 제1107호 '금융상품: 공시' 개정
실무에서 제기된 의문에 대응하고 새로운 요구사항을 포함하기 위해 기업회계기준서 제1109호 '금융상품' 과 제1107호 '금융상품: 공시' 가 개정되었습니다. 동 개정사항은 2026 년 1 월 1 일 이후 시작하는 회계연도부터 적용되며, 조기적용이 허용됩니다. 주요 개정내용은 다음과 같습니다. 회사는 동 개정으로 인한 재무제표의 영향을 검토 중에 있습니다.- 특정 기준을 충족하는 경우, 결제일 전에 전자지급시스템을 통해 금융부채가 결제된 것으로(제거된 것으로) 간주할 수 있도록 허용- 금융자산이 원리금 지급만으로 구성되어 있는지의 기준을 충족하는지 평가하기 위한 추가 지침을 명확히 하고 추가함.- 계약상 현금흐름의 시기나 금액을 변경시키는 계약조건이 기업에 미치는 영향과 기업이 노출되는 정도를 금융상품의 각 종류별로 공시- FVOCI 지정 지분상품에 대한 추가 공시
(2) 한국채택국제회계기준 연차개선Volume 11
한국채택국제회계기준 연차개선Volume 11은 2026 년 1 월 1 일 이후 시작하는 회계연도부터 적용되며, 조기적용이 허용됩니다. 회사는 동 개정으로 인해 재무제표에 중요한 영향은 없을 것으로 예상하고 있습니다.- 기업회계기준서 제1101호 '한국채택국제회계기준의 최초채택' : K-IFRS 최초 채택시 위험회피회계 적용- 기업회계기준서 제1107호 '금융상품:공시' : 제거 손익, 실무적용지침- 기업회계기준서 제1109호 '금융상품' : 리스부채의 제거 회계처리와 거래가격의 정의- 기업회계기준서 제1110호 '재무제표' : 사실상의 대리인 결정- 기업회계기준서 제1007호 '현금흐름표' : 원가법
2.2 회계정책
요약분기재무제표의 작성에 적용된 유의적 회계정책과 계산방법은 주석 2.1.1에서 설명하는 제ㆍ개정 기준서의 적용으로 인한 변경 및 아래 문단에서 설명하는 사항을 제외하고는 전기 재무제표 작성에 적용된 회계정책이나 계산방법과 동일합니다.
2.2.1 법인세비용중간기간의 법인세비용은 전체 회계연도에 대해서 예상되는 최선의 가중평균연간법인세율, 즉 추정평균연간유효법인세율을 중간기간의 세전이익에 적용하여 계산합니다.
3. 중요한 회계추정 및 가정
회사는 미래에 대하여 추정 및 가정을 하고 있습니다. 추정 및 가정은 지속적으로 평가되며, 과거 경험과 현재의 상황에서 합리적으로 예측가능한 미래의 사건과 같은 다른 요소들을 고려하여 이루어집니다. 이러한 회계추정은 실제 결과와 다를 수도있습니다.요약반기재무제표 작성시 사용된 중요한 회계추정 및 가정은 법인세비용을 결정하는데 사용된 추정의 방법을 제외하고는 전기 재무제표 작성에 적용된 회계추정 및 가정과 동일합니다.
4. 공정가치당반기중 회사의 금융자산과 금융부채의 공정가치에 영향을 미치는 사업환경 및 경제적인 환경의 유의적인 변동은 없습니다.
4.1 금융상품 종류별 공정가치당반기말 현재 회사의 금융자산과 금융부채 중 장부금액과 공정가치의 차이가 발생할 것으로 예상되는 내역은 다음과 같습니다.
(단위:천원) |
구 분 | 당반기말 | 전기말 | ||
---|---|---|---|---|
장부금액 | 공정가치 | 장부금액 | 공정가치 | |
금융부채 | ||||
신주인수권부사채 | 1,928,228 | 1,820,759 | 1,773,423 | 1,820,759 |
상기 신주인수권부사채를 제외한 회사의 금융자산과 금융부채는 장부금액이 공정가치의 합리적인 근사치일 것으로 추정하고 있습니다.
4.2 공정가치 서열체계
공정가치로 측정되는 금융상품은 공정가치 서열체계에 따라 구분되며 정의된 수준들은 다음과 같습니다.ㆍ수준 1: 측정일에 동일한 자산이나 부채에 대해 접근할 수 있는 활성시장의 (조정하지 않은) 공시가격 ㆍ수준 2: 수준 1의 공시가격 외에 자산이나 부채에 대해 직접적으로나 간접적으로 관측할 수 있는 투입변수ㆍ수준 3: 자산이나 부채에 대한 관측할 수 없는 투입변수
보고기간말 현재 공정가치로 측정되거나 공정가치가 공시되는 금융상품의 공정가치 서열체계 구분은 다음과 같습니다.
1)당반기
(단위:천원) |
구 분 | 수준 1 | 수준 2 | 수준 3 | 합 계 |
---|---|---|---|---|
공정가치로 측정되거나 공시되는 금융상품 | ||||
당기손익-공정가치측정금융자산(비유동) | - | - | 8,941,674 | 8,941,674 |
신주인수권부사채 | - | 1,820,759 | - | 1,820,759 |
파생상품부채(유동) | - | - | 130,904 | 130,904 |
2)전기말
(단위:천원) |
구 분 | 수준 1 | 수준 2 | 수준 3 | 합 계 |
---|---|---|---|---|
공정가치로 측정되거나 공시되는 금융상품 | ||||
당기손익-공정가치측정금융자산(비유동) | - | - | 8,935,828 | 8,935,828 |
신주인수권부사채 | - | 1,820,759 | - | 1,820,759 |
파생상품부채(유동) | - | - | 130,904 | 130,904 |
4.3 가치평가기법 및 투입 변수회사는 공정가치 서열체계에서 수준 2와 수준 3으로 분류되는 금융상품의 공정가치에 대하여 다음의 가치평가기법과 투입 변수를 사용하고 있습니다.1)당반기
(단위:천원) |
구 분 | 공정가치 | 수준 | 가치평가기법 | 투입 변수 |
---|---|---|---|---|
당기손익-공정가치측정금융자산(비유동) | 8,941,674 | 3 | 이항모형 등 | 주가변동성, 기초자산 주가 등 |
신주인수권부사채 | 1,820,759 | 2 | 현재가치기법 등 | 시장수익률 등 |
파생상품부채(유동) | 130,904 | 3 | 이항모형 | 주가변동성, 기초자산 주가 등 |
2)전기말
(단위:천원) |
구 분 | 공정가치 | 수준 | 가치평가기법 | 투입 변수 |
---|---|---|---|---|
당기손익-공정가치측정금융자산(비유동) | 8,935,828 | 3 | 이항모형 등 | 주가변동성, 기초자산 주가 등 |
신주인수권부사채 | 1,820,759 | 2 | 현재가치기법 등 | 시장수익률 등 |
파생상품부채(유동) | 130,904 | 3 | 이항모형 | 주가변동성, 기초자산 주가 등 |
5. 범주별 금융상품
5.1 금융상품 범주별 장부금액
(단위:천원) |
재무상태표 상 자산 |
당반기말 |
전기말 |
---|---|---|
상각후원가 금융자산 |
||
현금및현금성자산 | 1,554,828 | 825,339 |
금융기관예치금 | 27,100,000 | 31,100,000 |
매출채권 | 894,534 | 1,414,706 |
기타금융자산 | 541,317 | 634,931 |
당기손익-공정가치측정금융자산 | ||
전환사채 | 1,678,125 | 1,678,125 |
전환상환우선주(*1) | 3,999,880 | 3,999,880 |
비상장주식 | 3,205,022 | 3,205,022 |
기타금융자산 | 58,647 | 52,800 |
합 계 | 39,032,353 | 42,910,803 |
(*1) 이사회에 1명의 이사를 임명할 수 있는 권리등을 보유하고 있어 유의적인 영향력을 행사하는 투자상품을 포함하고 있습니다.
(단위:천원) |
재무상태표 상 부채 |
당반기말 |
전기말 |
---|---|---|
상각후원가 금융부채 |
|
|
매입채무 | 1,590,612 | 1,679,515 |
신주인수권부사채 | 1,928,228 | 1,773,423 |
기타금융부채 |
2,498,551 | 2,318,664 |
당기손익-공정가치측정금융부채 | ||
파생상품부채 | 130,904 | 130,904 |
기타부채 | ||
리스부채 | 629,392 | 652,761 |
합 계 | 6,777,687 | 6,555,267 |
5.2 금융상품 범주별 순손익
(단위:천원) |
구 분 |
당반기 |
전반기 |
---|---|---|
상각후원가 금융자산 | ||
이자수익 |
467,085 | 805,876 |
기타의대손상각비 | - | (2,715,372) |
당기손익-공정가치측정금융자산 | ||
당기손익-공정가치측정금융자산평가이익 | 5,847 | 5,654 |
상각후원가 금융부채 | ||
이자비용 | (167,367) | (181,196) |
당기손익-공정가치측정금융부채 |
||
파생상품평가이익 | - | 160,777 |
기타부채 | ||
이자비용 | (24,256) | (22,011) |
순손익 합계 | 281,309 | (1,946,272) |
6. 영업부문 정보
회사의 이사회는 회사 영업을 집단별로 구분하고 있지 아니하고 전체를 단일 영업부문으로 파악하여 영업부문 정보를 검토하고 있습니다. 최고영업의사결정자에게 보고되는 손익 및 자산총액은 회계상 금액과 일치하며, 영업수익은 대부분 국내매출입니다. 회사의 고객은 대부분 대형 제약회사와 병ㆍ의원이며, 당반기와 전반기중 회사 영업수익의 10% 이상을 차지하는 외부고객은 다음과 같습니다.
(단위:천원) |
구 분 | 당반기 | 전반기 |
---|---|---|
고객1 | 345,900 | - |
7. 유형자산
(단위:천원) |
구 분 | 당반기 | 전반기 |
---|---|---|
기초순장부금액 | 8,398,389 | 9,007,154 |
취득 | 37,665 | 735,015 |
처분/폐기 | (1,386,344) | - |
감가상각 | (945,496) | (904,264) |
반기말순장부금액 | 6,104,214 | 8,837,905 |
취득원가 | 11,553,857 | 14,746,745 |
감가상각누계액 | (5,424,822) | (5,876,096) |
정부보조금 | (24,821) | (32,744) |
8. 사용권자산
(단위:천원) |
구 분 | 당반기 | 전반기 |
---|---|---|
기초순장부금액 | 785,336 | 751,434 |
취득 | 47,593 | 225,179 |
처분 | - | (34,007) |
감가상각 | (93,725) | (170,591) |
반기말순장부금액 | 739,204 | 772,015 |
취득원가 | 970,896 | 1,538,846 |
감가상각누계액 | (231,692) | (766,831) |
9. 무형자산
9.1 장부가액의 변동내역
(단위:천원) |
구 분 | 당반기 | 전반기 |
---|---|---|
기초순장부금액 | 2,194,086 | 956,182 |
취득 | 310,778 | 1,149,085 |
처분/폐기 | - | (8,201) |
손상 | (245,617) | - |
상각 | (10,505) | (24,323) |
반기말순장부금액 | 2,248,742 | 2,072,743 |
취득원가 | 2,791,148 | 2,572,395 |
상각/손상차손누계액 | (542,406) | (499,652) |
9.2 경상연구개발비당반기중 발생한 경상연구개발비는 2,712,459천원(전반기: 1,330,782천원)입니다.
10. 관계기업 및 종속기업 투자관계기업 및 종속기업은 회사가 지배하거나 유의적 영향력을 보유하는 기업이며, 관계기업 및 종속기업 투자지분은 최초에 취득원가로 인식하며 지분법을 적용하고 있습니다.
10.1 관계기업 및 종속기업의 내역
(단위:천원) |
구분 | 기업명 | 설립국가 | 결산월 | 당반기말 | 전기말 | ||
---|---|---|---|---|---|---|---|
소유지분율 | 장부금액 | 소유지분율 | 장부금액 | ||||
관계기업 | 천진정원당아이진생물과기유한회사(*1) | 중국 | 12월 31일 | 27.5% | - | 27.5% | - |
종속기업 | EyeGene Australia Pty Ltd.(*2) | 호주 | 12월 31일 | 100.0% | - | 100.0% | - |
종속기업 | 주식회사 레나임(*3) | 한국 | 12월 31일 | 46.2% | - | 46.2% | 88,447 |
관계기업 | 오라클지역뉴딜벤처펀드(*4) | 한국 | 12월 31일 | 20.0% | 1,793,079 | 20.0% | 1,818,114 |
합계 | 1,793,079 | 1,906,561 |
(*1) 회사는 '욕창치료제'를 활용하여 중국시장에 본격적으로 진출하기 위하여 '천진국제생물의약연합연구원(TJAB)' 내에 설립한 정원당(천진)바이오기술유한회사와 협력하여 상기 관계기업을 설립하였습니다. 관계기업은 회사로부터 '욕창치료제' 기술이전을 받아 중국 내 시장에 '욕창치료제'를 개발하고 이를 중국내에 본격적으로 유통하려는 의도를 갖고 있으며, 보고기간 말 현재 구체적인 계획은 아직 없습니다.(*2) 회사는 호주 내 모든 R&D 및 임상개발 과정을 진행 하기 위하여 지분 100%의 EyeGene Australia Pty Ltd.를 설립하였습니다. 호주증권투자감독원으로부터 법인등록증을 확정교부 받았으며, 글로벌 임상진행을 추진하고 있습니다. 또한 호주법인인 동 종속기업은 R&D 세제혜택을 호주 정부로 부터 받을 수 있으므로 비용 절감을 기대하고 있습니다.(*3) 회사는 연구개발을 통하여 구축한 mRNA Platform의 고도화 및 향후 mRNA Platform 기반 파이프라인에 대한 선택과 집중을 통하여 Medical Unmet Needs가 존재하는 영역에 mRNA 기반의 치료제, 백신 그리고 희귀의약품 개발을 통해 신약개발기업 및 기업가치 제고를 위한 목적으로 설립되었습니다. 회사는 잠재적의결권 행사 시 의결권의 50%를 초과하여 종속기업으로 분류하였습니다.(*4) 창업자, 벤처기업 또는 기술혁신형, 경영혁신형 중소기업 및 지역뉴딜 관련 분야의 기업군 투자에 참여하여 운영 수익 실현을 기대하고 있습니다.
10.2 관계기업 및 종속기업 투자의 변동내역
(단위:천원) |
구 분 | 당반기 | 전반기 |
---|---|---|
기초금액 | 1,906,561 | 2,455,843 |
취득 | - | 600,000 |
지분법손익 | (113,482) | (813,279) |
지분법자본잉여금 | - | - |
반기말금액 | 1,793,079 | 2,242,564 |
10.3 주요 관계기업 및 종속기업의 재무정보
(단위:천원) |
기업명 | 자산 | 부채 | 순자산 | 매출액 | 반기순손실 |
---|---|---|---|---|---|
EyeGene Australia Pty Ltd.(*1) | 811,773 | 6,766,420 | (5,954,647) | - | (249,846) |
주식회사 레나임 | 7,454,623 | 7,070,997 | 383,626 | - | (217,837) |
오라클지역뉴딜벤처펀드 | 8,965,397 | - | 8,965,397 | 2,968 | (125,176) |
(*1) 상기 관계기업 및 종속기업에 대한 미인식손실금액은 순자산금액과 일치합니다
11. 정부보조금보고기간말 현재 회사는 보건복지부 등 국가기관 등과의 협약서에 의하여 국책과제를 수행하면서 관련한 정부보조금을 수령하였으며, 이 중 미사용 부분을 기타유동부채의 선수수익으로 계상하였습니다. 또한, 과제 사업의 성공시 일정비율을 반환할 의무가 있는 정부보조금은 향후 납부할 것으로 예상되는 금액의 현재가치를 기타금융부채의 미지급금 및 장기미지급금으로 계상하고 있습니다.
12. 신주인수권부사채
12.1 신주인수권부사채 발행내역
구 분 | 제2회 신주인수권부사채 |
---|---|
발행일 | 2020-09-18 |
만기일 | 2025-09-18 |
발행가액 | 22,000,000,000원 |
잔존발행가액 | 2,000,000,000원 |
이자지급조건 | - |
액면이자율 | - |
보장수익률 | - |
이익배당에 관한 사항 | - |
상환방법 | 만기일에 액면가액의 100%를 일시 상환 |
발행시 전환주식수 | 1,560,505주 |
전환가격(발행시 기준) | 8,235원(*1) |
전환가격 조정 | 시가를 하회하는 발행가액으로 유상증자를 하는경우 등 |
전환청구기간 | 발행일로부터 1년이 경과한 날부터 만기 1개월 전까지 |
조기상환청구권 | 사채발행일로부터 2년 경과일 혹은 그로부터 매 3개월이 되는 날 |
(*1) 전기 이전에 신주인수권부사채 전환가격 조정 항목에 따라 제2회 신주인수권부사채의 행사가격이 14,098원에서 13,759원으로, 13,759원에서 10,294원으로 차감 조정되었고, 10,294원에서 8,235원으로 차감 조정 되었습니다.회사는 신주인수권부사채의 신주인수권대가를 자본으로 회계처리 하였습니다.
12.2 신주인수권부사채 변동내역
(단위:천원) |
구 분 | 당반기 | 전반기 |
---|---|---|
기초 | 1,773,423 | 1,498,201 |
상각 | 154,805 | 130,891 |
반기말 | 1,928,228 | 1,629,092 |
12.3 파생상품부채 변동내역
(단위:천원) |
구 분 | 당반기 | 전반기 |
---|---|---|
기초 | 130,904 | 441,042 |
평가 | - | (160,777) |
기말 | 130,904 | 280,265 |
13. 순확정급여부채와 기타장기종업원부채13.1 손익계산서에 반영된 금액
(단위:천원) |
구 분 | 당반기 | 전반기 |
---|---|---|
당기근무원가 | 277,800 | 247,353 |
순이자원가 | 53,214 | 55,479 |
종업원 급여에 포함된 총 비용 | 331,014 | 302,832 |
13.2 순확정급여부채 산정내역
(단위:천원) |
구 분 | 당반기말 | 전기말 |
---|---|---|
기금이 적립되지 않은 확정급여채무의 현재가치 | 2,690,623 | 2,456,062 |
재무상태표상 순확정급여부채 | 2,690,623 | 2,456,062 |
13.3 기타장기종업원부채 산정내역
(단위:천원) |
구 분 | 당반기말 | 전기말 |
---|---|---|
기금이 적립되지 않은 기타급여채무의 현재가치 | 190,418 | 169,293 |
재무상태표상 기타장기종업원부채 | 190,418 | 169,293 |
14. 주식의 발행당반기와 전반기중 회사가 발행한 주식 및 이에 따른 자본금과 주식발행초과금의 변동내역은 다음과 같습니다.
(단위:주,천원) |
구 분 | 주식수 | 자본금 | 주식발행초과금 | 합 계 |
---|---|---|---|---|
전기초 | 27,029,784 | 13,514,892 | 177,222,968 | 190,737,860 |
유상증자 | - | - | (3,760) | (3,760) |
전반기말 | 27,029,784 | 13,514,892 | 177,219,208 | 190,734,100 |
당기초 | 27,029,784 | 13,514,892 | 177,219,208 | 190,734,100 |
당반기말 | 27,029,784 | 13,514,892 | 177,219,208 | 190,734,100 |
15. 주식기준보상15.1 주식선택권의 내역
회사는 일부 임직원에게 주주총회의 특별결의에 의거해서 주식선택권을 부여하고 옵션가격결정모형을 적용한 공정가액접근법에 의하여 보상원가를 산정하였으며, 그 내역은 다음과 같습니다.
구 분 | 제8차 주식선택권 | 제9차 주식선택권 | 제10차 주식선택권 | 제11차 주식선택권 |
---|---|---|---|---|
권리부여일 | 2020년 7월 31일 | 2021년 9월 3일 | 2022년 8월 1일 | 2022년 9월 6일 |
주식선택권 공정가치 | 7,907원 | 33,437 | 7,630 | 6,578 |
부여수량 | 80,000주 | 335,000주 | 140,000주 | 307,500주(*2) |
소멸주식수 | 70,000주 | 335,000주(*2) | 90,000주 | 172,000주 |
행사주식수 | - | - | - | - |
행사가능주식수(보고기간말 현재) | 10,000주 | - | 50,000주 | 135,500주 |
부여방법 | 주식교부형 | 주식교부형 | 주식교부형 | 주식교부형 |
행사가격 | 8,517원(*1) | 44,708원 | 8,536원(*1) | 8,004원(*1) |
행사가능기간 | 2022년 7월 31일~ 2027년 7월 30일 | 2024년 9월 3일~ 2029년 9월 2일 | 2025년 8월 1일~ 2030년 7월 31일 | 2025년 9월 6일~ 2030년 9월 5일 |
가득조건 | 용역제공조건: 2년 | 용역제공조건: 3년 | 용역제공조건: 3년 | 용역제공조건: 3년 |
구 분 | 제12차 주식선택권 | 제13차 주식선택권 | 제14차 주식선택권 | 제15차 주식선택권 |
---|---|---|---|---|
권리부여일 | 2023년 9월 22일 | 2024년 1월 3일 | 2024년 9월 30일 | 2025년 5월 12일 |
주식선택권 공정가치 | 2,381 | 3,314 | 2,214 | 2,197 |
부여수량 | 30,000주 | 250,000주 | 50,000주 | 185,000주 |
소멸주식수 | 20,000주 | - | 50,000주 | - |
행사주식수 | - | - | - | - |
행사가능주식수(보고기간말 현재) | 10,000주 | 250,000주 | - | 185,000주 |
부여방법 | 주식교부형 | 주식교부형 | 주식교부형 | 주식교부형 |
행사가격 | 3,451원(*1) | 4,077원 | 3,469원 | 3,372원 |
행사가능기간 | 2026년 9월 22일~ 2031년 9월 21일 | 2027년 1월 3일 ~ 2032년 1월 2일 | 2027년 9월 30일 ~ 2032년 9월 29일 | 2028년 5월 12일~ 2033년 5월 11일 |
가득조건 | 용역제공조건: 3년 | 용역제공조건: 3년 | 용역제공조건: 3년 | 용역제공조건: 3년 |
(*1) 전기 이전에 주식선택권 운영규정 및 이사회 결의에 따라 8차 주식매수선택권의 행사가격이 10,021원에서 8,517원으로, 10차 주식매수선택권의 행사가격이 10,045원에서 8,536원으로, 11차 주식매수선택권의 행사가격이 9,375원에서 8,004원으로 12차 주식매수선택권의 행사가격이 3,645원에서 3,451원으로 차감 조정 되었습니다.
(*2) 전기 이전에 제9차 주식선택권은 제11차 주식선택권으로 조건이 변경되어 재부여되었습니다.
15.2 주식선택권 변동내역회사는 보상원가를 약정용역제공기간동안 정액법으로 안분하여 주식보상비용 및 주식선택권으로 인식하고 있습니다. 자본에 계상된 주식선택권의 변동내역은 다음과 같습니다
(단위:천원) |
구 분 | 당반기 | 전반기 |
---|---|---|
기초잔액 | 10,163,506 | 11,172,773 |
보상원가의 인식 | 249,722 | (1,341,452) |
반기말잔액 | 10,413,228 | 9,831,321 |
16. 매출액 및 매출원가
(단위:천원) |
과 목 | 당반기 | 전반기 | ||
---|---|---|---|---|
3개월 | 누적 | 3개월 | 누적 | |
매출액 | ||||
상품매출액 | 872,306 | 1,690,012 | 563,056 | 1,091,360 |
용역매출액 | 5,000 | 5,000 | - | - |
합 계 | 877,306 | 1,695,012 | 563,056 | 1,091,360 |
매출원가 | ||||
상품매출원가 | 596,512 | 1,146,024 | 307,260 | 565,488 |
합 계 | 596,512 | 1,146,024 | 307,260 | 565,488 |
17. 판매비와관리비
(단위:천원) |
과 목 | 당반기 | 전반기 | ||
---|---|---|---|---|
3개월 | 누적 | 3개월 | 누적 | |
급여 | 406,239 | 807,115 | 351,781 | 737,164 |
퇴직급여 | 92,539 | 185,077 | 44,191 | 126,774 |
기타장기종업원급여 | 4,628 | 9,255 | 1,522 | 5,447 |
복리후생비 | 82,390 | 169,724 | 62,765 | 160,720 |
주식보상비용 | 87,610 | 158,665 | 189,003 | (585,822) |
여비교통비 | 7,412 | 17,847 | 19,625 | 32,632 |
접대비 | 22,287 | 39,798 | 30,184 | 67,386 |
통신비 | 4,649 | 8,769 | 4,626 | 9,421 |
세금과공과금 | 27,885 | 57,580 | 29,588 | 73,303 |
감가상각비 | 102,989 | 204,480 | 108,766 | 198,220 |
지급임차료 | 1,500 | 1,500 | (4,026) | 1,781 |
보험료 | 12,995 | 24,706 | 17,942 | 42,295 |
차량유지비 | 7,116 | 11,396 | 2,812 | 5,588 |
경상연구개발비 | 1,430,012 | 2,712,459 | 1,451,488 | 1,330,781 |
운반비 | 1,009 | 2,091 | 591 | 1,185 |
교육훈련비 | 3,741 | 5,091 | 2,566 | 3,266 |
도서인쇄비 | 256 | 2,057 | 1,066 | 2,266 |
소모품비 | 4,100 | 7,307 | 4,274 | 9,466 |
지급수수료 | 166,139 | 392,460 | 213,864 | 810,192 |
건물관리비 | 16,222 | 35,155 | 33,433 | 70,928 |
판매수수료 | 208,825 | 408,035 | 199,062 | 427,759 |
무형자산상각비 | 4,984 | 10,505 | 11,616 | 24,322 |
해외출장비 | 3,329 | 9,282 | 25,250 | 43,435 |
합 계 | 2,698,856 | 5,280,354 | 2,801,989 | 3,598,509 |
18. 비경상적인 항목내용, 크기, 또는 발생빈도에 따라 중요한 비경상적인 항목은 포괄손익계산서 상 관련 항목으로 통합 표시 됩니다. 회사는 당반기와 전반기중 비경상적인 항목이 발생하지 않았습니다.
19. 법인세비용
법인세비용은 전체 회계연도에 대해서 예상되는 최선의 가중평균 연간법인세율의 추정에 기초하여 인식하였습니다. 당반기말 및 전반기말 현재 연간 예상 평균연간법인세율은 영(零)의 법인세비용이 발생하였는 바, 산출하지 아니합니다.
20. 우발사항 및 약정사항
20.1 기술이전약정
1) 회사는 (주)넥스세라와 황반변성 점안형 치료제 관련 라이선스 계약을 체결하였습니다. 회사는 본 계약으로 국내 등 일부 국가에서의 임상 개발 및 판권을 부여받는 대가로 10억원을 지급하였으며, 향후 임상개발 및 매출에 따라 최대 25억원의 마일스톤과 판매로열티를 지급할 수 있습니다.2) 회사는 향후 수익 창출 목적으로 한국비엠아이와 양쪽 눈꼬리 주름 개선용도 관련기술과 제품에 관한 공동개발 및 판매로열티 계약을 체결하였습니다. 공동 개발 비용으로 2024년 14.5억원, 2025년 14.1억원을 지급하였고, 개발 상황에 따라 추가적인 비용이 지급될 예정입니다. 회사는 향후 개발 완료 및 제품의 판매시 판매 로열티를 수령할 수 있습니다. 3) 회사는 (주)유바이오로직스와 수막구균 4가 백신 관련 라이선스 계약을 체결하였습니다. 회사는 본 계약으로 국내 등 일부 국가에서의 독점 판매권을 부여받았습니 다. 회사는 본 계약에 따라 1차 마일스톤 2.5억원을 지급하였으며, 향후 개발 상황에 따라 최대 22.5억원의 마일스톤을 지급할 수 있습니다.4) 회사는 (주)한국비엠아이와 대상포진 백신 관련 기술의 국내시장에 대한 전용실시권 기술이전 계약을 체결하였습니다. 회사는 향후 임상시험, 관계당국의 허가 등 개발의 성공 여부에 따라 추가적으로 마일스톤 및 로열티 수익을 인식할 수 있습니다.5) 회사는 엠브릭스(주)와 재조합 보툴리눔 신경독소 관련 라이선스 계약을 체결하였습니다. 회사는 본 계약으로 국내를 포함한 전세계의 독점 판매권을 부여받았습니다. 회사는 본 계약에 따라 1차 마일스톤 3억원을 지급하였으며, 향후 개발 상황에 따라 최대 27억원의 마일스톤을 지급할 수 있습니다.
20.2 담보제공자산의 내역당반기말 현재 회사는 외상대금한도와 관련하여 100백만원의 정기예금을 한국비엠아이에 담보로 제공하고 있습니다.
20.3 제공받은 지급보증당반기말 현재 회사는 서울보증보험으로부터 13백만원의 계약이행보증 등을 제공받고 있습니다.
21. 영업활동 현금흐름
(단위:천원) |
구 분 | 당반기 | 전반기 |
---|---|---|
반기순손실 | (5,239,344) | (5,768,734) |
조정 | ||
퇴직급여 | 305,889 | 278,210 |
기타장기종업원급여 | 25,125 | 24,622 |
감가상각비 및 사용권자산상각비 | 1,039,220 | 1,074,855 |
무형자산상각비 | 10,505 | 24,322 |
주식보상비용 | 249,722 | (1,341,452) |
기타의대손상각비 | - | 2,715,372 |
무형자산폐기손실 | 245,617 | 8,201 |
유형자산처분손실 | 436,344 | - |
리스자산처분이익 | - | (1,726) |
지분법손실 | 113,482 | 813,279 |
당기손익-공정가치측정금융자산평가이익 | (5,847) | (5,654) |
파생상품평가이익 | - | (160,777) |
이자비용 | 191,623 | 203,207 |
이자수익 | (467,085) | (805,876) |
순운전자본의 변동 | ||
매출채권의 증감 | 520,172 | (150,814) |
기타금융자산(유동)의 증감 | (14,909) | (19,540) |
기타유동자산의 증감 | (50,057) | (326,970) |
재고자산의 증감 | (461,437) | (222,566) |
매입채무의 증감 | (88,903) | 287,257 |
계약부채의 증감 | - | (43,056) |
기타금융부채(유동)의 증감 | 152,277 | (1,026,779) |
기타유동부채의 증감 | 2,051 | (398,048) |
기타급여의 지급 | (4,000) | - |
퇴직금의 지급 | (71,329) | (1,194,159) |
합 계 | (3,110,884) | (6,036,826) |
22. 특수관계자 거래
22.1 지배ㆍ종속관계 등
구 분 |
회사명 |
비고 |
---|---|---|
유의적인 영향력을 행사하는 기업 | 주식회사 한국비엠아이(*1) | 최대주주 |
종속회사 |
Eyegene Australia Lty Ptd |
|
(주)레나임 |
||
관계기업 | 오라클지역뉴딜벤처펀드 | |
천진정원당아이진생물과기유한회사 | ||
주식회사 넥스세라(*2) | ||
주식회사 뉴캔서큐어바이오(*2) | ||
주식회사 엑솔런스(*2) | ||
주식회사 메디치바이오(*2) |
(*1) 전기 이전에 회사의 제3자배정 유상증자에 참여하였고 금액은 15,000,001천원 입니다. 이에 당사의 지분 21.5%를 보유하게 되어 특수관계자에 포함하였고, 회사의 임직원 및 특별관계자("자본시장법 제 133조 제3항에 따른 특별관계자를 말함")를 포함할 시 22.8%의 지분을 보유하고 있습니다. (*2) 이사회에 1명의 이사를 임명할 수 있는 권리등을 보유하고 있음에 따라 유의적인 영향력을 행사하고 있다고 판단하여 관계기업으로 분류하고 있습니다. 다만, 보통주와 유사한 유의적 위험과 효익에 노출되지 않기에 주석5에서 언급하고 있는 바와 같이 당기손익-공정가치측정 금융자산으로 분류하고 있습니다.
22.2 특수관계자와의 매출ㆍ매입 거래 내역 및 자금거래 내역 등
1) 당반기
(단위: 천원) |
구 분 |
회사명 |
매입 등 |
이자비용 |
---|---|---|---|
유의적인 영향력을 행사하는 기업 | 주식회사 한국비엠아이 | 1,639,856 | 5,914 |
관계기업 | 주식회사 메디치바이오 | 25,140 | - |
합 계 |
1,664,996 | 5,914 |
2) 전반기
(단위: 천원) |
구 분 |
회사명 |
매출 등 |
매입 등 |
자금대여 | 현금출자 | 무형자산취득 |
---|---|---|---|---|---|---|
유의적인 영향력을 행사하는 기업 | 주식회사 한국비엠아이 | 31,900 | 788,054 | - | - | - |
종속기업 |
Eyegene Australia Lty Ptd | - | - | 2,715,372 | - | - |
관계기업 | 오라클지역뉴딜벤처펀드 | - | - | - | 600,000 | - |
주식회사 넥스세라 | - | - | - | 1,499,994 | 1,000,000 | |
주식회사 뉴캔서큐어바이오 | - | - | - | 1,500,000 | - | |
합 계 |
31,900 | 788,054 | 2,715,372 | 3,599,994 | 1,000,000 |
22.3 특수관계자에 대한 채권, 채무의 주요 잔액
1) 당반기말
(단위 : 천원) |
특수관계구분 |
회사명 |
채 권 |
채 무 |
||
---|---|---|---|---|---|
매출채권 |
기타채권 | 선급금(*1) |
매입채무 |
||
유의적인 영향력을 행사하는 기업 |
주식회사 한국비엠아이 |
- | 80,000 | 2,860,000 | 1,590,612 |
합 계 |
- | 80,000 | 2,860,000 | 1,590,612 |
(*1) 공동개발 및 판매 로열티 계약과 관련하여 한국비엠아이에 지급한 금액에 해당합니다(주석20.1 참고).(*2) 당반기 중 상기 특수관계자에 대한 리스부채 상환액은 총 18,086천원이며, 당반기말 리스부채 잔액은 157,848천원 입니다.
2) 전기말
(단위 : 천원) |
특수관계구분 |
회사명 |
채 권 |
채 무 |
||
---|---|---|---|---|---|
매출채권 |
기타채권 |
선급금(*1) |
매입채무 |
||
유의적인 영향력을 행사하는 기업 |
주식회사 한국비엠아이(*2) |
- | 80,000 | 1,450,000 | 1,683,983 |
합 계 |
- | 80,000 | 1,450,000 | 1,683,983 |
(*1) 공동개발 및 판매 로열티 계약과 관련하여 한국비엠아이에 지급한 금액에 해당합니다(주석20.1 참고).(*2) 전기 중 상기 특수관계자에 대한 리스부채 상환액은 총 14,595천원이며, 전기말 리스부채 잔액은 175,935천원 입니다.
22.4 특수관계자에 대한 대여금의 내역
(단위 : 천원) |
구 분 | 당반기말 | 전기말 |
Eyegene Australia Lty Ptd(*1) | - | - |
종업원대여금 | 25,000 | 104,000 |
(*1) 당반기말 종속기업 EyeGene Australia Pty Ltd에 대한 대여금 6,028,859천원(전기말: 6,212,932천원)이 있으며, 회수가능성을 고려하여 전액 대손충당금을 설정하였습니다.22.5 주요경영진에 대한 보상주요경영진은 이사(등기 및 비등기)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당반기와 전반기중 주요경영진에게 지급되었거나 지급될 보상금액은 다음과 같습니다.
(단위:천원) |
구 분 | 당반기 | 전반기 |
---|---|---|
급여 | 594,758 | 698,910 |
퇴직급여 | 167,851 | 102,018 |
주식보상비용 | 246,233 | 705,807 |
합 계 | 1,008,842 | 1,506,735 |
23. 리스
23.1 재무제표에 인식된 금액(1) 재무상태표에 인식된 금액
(단위:천원) |
사용권자산 |
당반기말 |
전기말 |
---|---|---|
건물 |
617,504 | 687,297 |
차량운반구 |
49,321 | 17,540 |
보증금 | 72,379 | 80,499 |
합계 |
739,204 | 785,336 |
(단위:천원) |
리스부채 |
당반기말 |
전기말 |
---|---|---|
유동 | 173,501 | 167,994 |
비유동 | 455,891 | 484,766 |
합계 | 629,392 | 652,760 |
당반기 중 증가된 사용권자산은 47,592천원(전기: 860,158천원) 입니다.(2) 포괄손익계산서에 인식된 금액
(단위:천원) |
구 분 |
당반기 |
전반기 |
---|---|---|
사용권자산의 감가상각비 |
|
|
건물 |
69,793 | 146,360 |
차량운반구 |
15,812 | 10,524 |
보증금 | 8,120 | 13,707 |
소 계 |
93,725 | 170,591 |
리스부채에 대한 이자비용(금융비용에 포함) |
24,257 | 22,011 |
단기리스가 아닌 소액자산 리스료(판관비에 포함) | 5,555 | 6,975 |
당반기 중 리스의 총 현금유출은 100,774천원(전반기:171,075천원)입니다.
1) 배당에 관한 정관 규정
(1) 회사의 배당정책에 관한 사항
당사는 별도의 배당에 관한 정책이 정해져있지 않으며, 정관에 의거 주주총회 결의 및 이사회를 통하여 배당을 결의할 수 있습니다. 배당 규모는 배당 가능 이익 범위 내에서 회사의 지속적 성장을 위한 투자계획, 현금흐름, 재무 건전성 등을 종합적으로 고려하여 결정할 수 있습니다. 다만, 매출액 대비 연구개발비용 비율이 높아 결손금 누적에 의해 상법상 배당가능한도 산출이 어려워 최근 5년간의 배당내역이 없습니다. 향후 당사는 주주가치 제고를 위한 주주환원을 균형있게 고려하여 배당 정책을 수립할 수 있도록 하겠습니다. (2) 배당관련 예측가능성 제공에 관한 사항
가. 정관상 배당절차 개선방안 이행 가부
구분 | 현황 및 계획 |
정관상 배당액 결정 기관 | |
정관상 배당기준일을 배당액 결정 이후로 정할 수 있는지 여부 | |
배당절차 개선방안 이행 관련 향후 계획 |
나. 배당액 확정일 및 배당기준일 지정 현황
구분 | 결산월 | 배당여부 | 배당액확정일 | 배당기준일 | 배당 예측가능성제공여부 | 비고 |
---|---|---|---|---|---|---|
- 해당사항 없음
(3) 기타 참고사항(배당 관련 정관의 내용 등)
당사의 배당 관련하여 동 보고서 작성기준일 현재의 정관의 규정은 다음와 같습니다.
배당에 관한 사항 | |
---|---|
정관규정 |
제 10 조의 3 (신주의 동등배당) 회사가 정한 배당기준일 전에 유상증자, 무상증자 및 주식배당에 의하여 발행한 주식에 대하여는 동등배당한다. <개정 2022.03.28> |
제 36 조 (이익 배당) ① 이익배당은 금전과 주식으로 할 수 있다. ② 이익의 배당을 주식으로 하는 경우 회사가 수 종의 주식을 발행한 때에는 주주총회의 결의로 그와 다른 종류의 주식으로도 할 수 있다. ③ 회사는 제1항의 배당을 위하여 이사회결의로 배당을 받을 주주를 확정하기 위한 기준일을 정하여야 하며, 그 경우 기준일의 2주 전에 이를 공고하여야 한다. <개정 2022.03.28> <개정 2024.03.26> ④ 이익배당은 주주총회의 결의로 정한다. 다만, 제 34조 제6항에 따라 재무제표를 이사회가 승인하는 경우 이사회 결의로 이익배당을 정한다. ⑤ 배당금의 지급 청구권은 5년간 이를 행사하지 아니하면 소멸시효가 완성하며 시효의 완성으로 인한 배당금은 이 회사에 귀속한다. |
2) 최근 3사업연도 배당에 관한 사항
[주요배당지표]
구 분 | 주식의 종류 | 당기 | 전기 | 전전기 |
---|---|---|---|---|
제26기 반기 | 제25기 | 제24기 | ||
주당액면가액(원) | ||||
(연결)당기순이익(백만원) | ||||
(별도)당기순이익(백만원) | ||||
(연결)주당순이익(원) | ||||
현금배당금총액(백만원) | ||||
주식배당금총액(백만원) | ||||
(연결)현금배당성향(%) | ||||
현금배당수익률(%) | ||||
주식배당수익률(%) | ||||
주당 현금배당금(원) | ||||
주당 주식배당(주) | ||||
[지분증권의 발행 등과 관련된 사항] |
1) 증자(감자)현황
(기준일 : | ) |
주식발행(감소)일자 | 발행(감소)형태 | 발행(감소)한 주식의 내용 | ||||
---|---|---|---|---|---|---|
종류 | 수량 | 주당액면가액 | 주당발행(감소)가액 | 비고 | ||
주1) | ||||||
주1) | ||||||
주2) | ||||||
- | ||||||
- | ||||||
주2) | ||||||
- | ||||||
- | ||||||
주1) | ||||||
- | ||||||
- | ||||||
- | ||||||
- | ||||||
주2) | ||||||
주2) | ||||||
- | ||||||
- | ||||||
- | ||||||
- | ||||||
주1) | ||||||
- | ||||||
- | ||||||
- | ||||||
- | ||||||
- | ||||||
주3) | ||||||
- | ||||||
주4) | ||||||
- |
주1) 전환우선주식의 보통주 전환권 행사 내역은 다음과 같으며 본 보고서 작성기준일 현재 모두 보통주 전환되었습니다. 주2) 2017년 12월 14일 발행한 제1회 기명식 이권부 무보증 사모 전환사채이며 본 보고서 작성 기준일 현재 모두 보통주 전환되었습니다.
주3) 2020년 09월 18일 발행한 제2회 무기명식 이권부 무보증 비분리형 사모 신주인수권부사채에 관하여 발행사채 권면총액은 220억원, 전환가능주식수 2,137,167주 중 1,593,153주가 보통주로 전환되었습니다. 주4) 2020년 09월 18일 발행한 제2회 무기명식 이권부 무보증 비분리형 사모 신주인수권부사채에 관하여 발행사채 권면총액은 220억원 중 6억원이 보통주 63,862주(발행가액 9,395원)로 전환되었습니다. 자세한 사항은 아래 3. 미상환 신주인수권부사채 등 발행 현황을 참조해 주시기 바랍니다.
2) 미상환 전환사채 발행 현황 - 당사는 동 보고서 작성 기준일 현재 미상환 전환사채 잔액이 없습니다.
3) 미상환 신주인수권부사채 등 발행 현황
(기준일 : | ) |
종류\구분 | 회차 | 발행일 | 만기일 | 권면(전자등록)총액 | 행사대상주식의 종류 | 신주인수권 행사가능기간 | 행사조건 | 미상환사채 | 미행사신주인수권 | 비고 | |
---|---|---|---|---|---|---|---|---|---|---|---|
행사비율(%) | 행사가액 | 권면(전자등록)총액 | 행사가능주식수 | ||||||||
합 계 | - | - | - | - |
주1) 제2회 아이진(주) 무기명식 이권부 무보증 비분리형 사모 신주인수권부사채 : 당사는 2023년 6월 16일, 신주인수권부사채 사채권자의 조기상환 청구권 행사에 따라 본 보고서 작성 기준일 현재, 미상환사채 권면총액은 4,800,013,874원이며, 조정된 행사가격 8,235원에 따른 미행사 주식수는 582.879주입니다. 이 중 당사는 2022년 4월 7일 신주인수권부사채 권면 총액 2,800,013,874원을 매도청구권 (Call Option )행사로 취득하였으며 추후 소각 또는 재매각 예정입니다.주2) 사채 발행에 자세한 내용은 다음과 같습니다. [사채의 발행 대상자 내역]
발행 대상자명 | 회사 또는최대주주와의 관계 | 발행권면총액 (원) |
---|---|---|
한양증권 주식회사 |
해당사항 없음 |
5,000,000,000 |
수성자산운용 주식회사 (투자일임업자의 지위에서) |
해당사항 없음 |
1,000,000,000 |
미래에셋대우 주식회사(수성코스닥벤처M4 전문투자형사모투자신탁의 신탁업자의 지위에서) |
해당사항 없음 |
700,000,000 |
미래에셋대우 주식회사(수성코스닥벤처M2 전문투자형사모투자신탁의 신탁업자의 지위에서) |
해당사항 없음 |
1,000,000,000 |
미래에셋대우 주식회사(수성코스닥벤처M3 전문투자형사모투자신탁의 신탁업자의 지위에서) |
해당사항 없음 |
300,000,000 |
삼성증권 주식회사(SP 메자닌 전문투자형 사모투자신탁 6호의 신탁업자의 지위에서) |
해당사항 없음 |
2,000,000,000 |
NH투자증권 주식회사 (브레인코스닥벤처전문투자형사모투자신탁2호의 신탁업자의 지위에서), |
해당사항 없음 |
1,000,000,000 |
주식회사 하나은행 (브레인전문투자형사모투자신탁29호의 신탁업자의 지위에서), |
해당사항 없음 |
1,000,000,000 |
삼성증권 주식회사(NH앱솔루트 리턴 전문투자형 사모투자신탁 제1호의 신탁업자의 지위에서) |
해당사항 없음 |
500,000,000 |
중소기업은행 |
해당사항 없음 |
2,000,000,000 |
삼성증권 주식회사(NH앱솔루트 Mezzanine 전문투자형 사모투자신탁 제1호의 신탁업자의 지위에서) |
해당사항 없음 |
500,000,000 |
미래에셋대우 주식회사 (오라이언 메자닌 코스닥벤처 전문투자형 사모투자신탁 제48호의 신탁업의 지위에서), |
해당사항 없음 |
500,000,000 |
NH투자증권 주식회사 (오라이언 소부장플러스 코스닥벤처 전문투자형 사모투자신탁 제45호의 신탁업자의 지위에서) |
해당사항 없음 |
500,000,000 |
한국증권금융 주식회사 (제이씨에셋코스닥벤처전문투자형사모투자신탁8호의 신탁업자의 지위에서), |
해당사항 없음 |
1,000,000,000 |
미래에셋대우 주식회사 (지브이에이 Fortress-A 전문투자형 사모투자신탁의 신탁업의 지위에서), |
해당사항 없음 |
1,000,000,000 |
미래에셋대우 주식회사 (지브이에이 Mezz-V2 전문투자형 사모투자신탁의 신탁업의 지위에서), |
해당사항 없음 |
1,000,000,000 |
이베스트투자증권 주식회사 |
해당사항 없음 |
1,000,000,000 |
신한금융투자 주식회사(타임폴리오 It's Time-Mezzanine G 전문투자형사모투자신탁의 신탁업자의 지위에서) |
해당사항 없음 | 1,000,000,000 |
신한금융투자 주식회사(타임폴리오 It's Time-Mezzanine V 전문투자형사모투자신탁의 신탁업자의 지위에서) |
해당사항 없음 | 400,000,000 |
신한금융투자 주식회사(타임폴리오 It's Time-Mezzanine V2 전문투자형사모투자신탁의 신탁업자의 지위에서) |
해당사항 없음 | 300,000,000 |
신한금융투자 주식회사(타임폴리오 It's Time-Mezzanine S 전문투자형사모투자신탁의 신탁업자의 지위에서) |
해당사항 없음 | 300,000,000 |
- 사채의 종류 : 무기명식 이권부 무보증 비분리형 사모 신주인수권부사채- 사채의 표면이율 : 연 0.0%- 사채의 만기보장수익률 : 연 0.0% - 최초 발행 시 1주당 행사가액 : 14,098원- 본 보고서 작성 기준일 현재 1주당 행사가격 : 8,235원 최초 발행일 이후 행사가격 조정 내역은 다음과 같습니다.
조정일 | 조정사항 | 조정후 행사가격 |
---|---|---|
2020년 12월 18일 | 시가하락 | 13,759원 |
2021년 06월 28일 | 시가를 하회하는 발행가액의 유상증자 | 12,352원 |
2021년 06월 30일 | 무상증자 신주발행 | 10,294원 |
2022년 06월 17일 | 시가하락 | 9,395원 |
2022년 12월 19일 | 시가하락 | 8,235원 |
- 행사 기간 : 2021.09.18~2025.08.18 - 신주인수권에 관한 사항
가. 신주인수권의 종류 : 비분리형 신주인수권
나. 신주인수권청구에 따라 발행할 주식의 종류: 발행회사의 기명식 보통주
다. 행사비율: 사채의 전자등록금액(2 이상의 사채권으로 행사청구를 하는 경우 그 전자등록금액의 합산금액)을 아래의 행사가액으로 나눈 주식수의 100%를 행사주식수로 하고 1주 미만의 단수주는 인정하지 아니한다. 단수주에 해당하는 금액은 행사주식의 전자등록(교부)시 명의개서 대리인이 현금으로 지급하며, 단수주 대금의 해당기간 이자는 지급하지 아니한다. - 조기상환청구권(put option) :
본 사채의 사채권자는 본 사채의 발행일로부터 2년이 경과한 날인 2022년 09월 18일 및 이후 매 3개월에 해당하는 날에 본 사채의 전자등록금액에 연 0% 조기상환수익률을 가산한 금액의 전부에 대하여 만기 전 조기상환을 청구할 수 있다. 단, 조기상환지급일이 영업일이 아닌 경우에는 그 다음 영업일에 상환하고 조기상환지급일 이후의 이자는 계산하지 아니한다.
구분 |
조기상환 청구기간 |
조기상환지급일 |
조기상환율 |
|
FROM |
TO |
|||
1차 |
2022-07-20 |
2022-08-19 |
2022-09-18 |
100.0000% |
2차 |
2022-10-19 |
2022-11-18 |
2022-12-18 |
100.0000% |
3차 |
2023-01-17 |
2023-02-16 |
2023-03-18 |
100.0000% |
4차 |
2023-04-19 |
2023-05-19 |
2023-06-18 |
100.0000% |
5차 |
2023-07-20 |
2023-08-21 |
2023-09-18 |
100.0000% |
6차 |
2023-10-19 |
2023-11-20 |
2023-12-18 |
100.0000% |
7차 |
2024-01-18 |
2024-02-19 |
2024-03-18 |
100.0000% |
8차 |
2024-04-19 |
2024-05-20 |
2024-06-18 |
100.0000% |
9차 |
2024-07-20 |
2024-08-19 |
2024-09-18 |
100.0000% |
10차 |
2024-10-19 |
2024-11-18 |
2024-12-18 |
100.0000% |
11차 |
2025-01-17 |
2025-02-17 |
2025-03-18 |
100.0000% |
12차 |
2025-04-19 |
2025-05-19 |
2025-06-18 |
100.0000% |
- 행사에 관한 사항 : 가. 본 사채권을 소유한 자가 행사청구를 하기 전에 발행회사가 시가를 하회하는 발행가액으로 유상증자, 주식배당 및 준비금의 자본전입 등을 함으로써 주식을 발행하거나 또는 시가를 하회하는 전환가액 또는 행사가액으로 전환사채 또는 신주인수권부사채를 발행하는 경우에는 아래와 같이 행사가격을 조정한다. 본 목에 따른 행사가액의 조정일은 유상증자, 주식배당, 준비금의 자본전입 등으로 인한 신주발행일 또는 전환사채 및 신주인수권부사채의 발행일로 한다.
조정 후 행사가격 = 조정 전 행사가격 × [{A+(B×C/D)} / (A+B)]
A: 기발행주식수
B: 신발행주식수
C: 1주당 발행가격
D: 시가
다만, 위 산식 중 "기발행주식수"는 당해 조정사유가 발생하기 직전일 현재의 발행주식 총수로 하며, 전환사채 또는 신주인수권부사채를 발행할 경우 "신발행주식수"는 당해 사채 발행 시 전환가격으로 전부 주식으로 전환되거나 당해 사채 발행 시 행사가격으로 신주인수권이 전부 행사될 경우 발행될 주식의 수로 한다. 또한, 위 산식 중 "1주당 발행가격"은 주식분할, 무상증자, 주식배당의 경우에는 영(0)으로 하고, 전환사채 또는 신주인수권부사채를 발행할 경우에는 당해 사채 발행 시 전환가격 또는 행사가격으로 하며, 위 산식에서 "시가"라 함은 발행가격 산정의 기준이 되는 기준주가(유상증자 이외의 경우에는 조정사유 발생 전일을 기산일로 하여 계산한 기준주가) 또는 권리락 주가로 한다.
나. 합병, 자본의 감소, 주식분할 및 병합 등에 의하여 행사가격의 조정이 필요한 경우에는 당해 합병 또는 자본의 감소 직전에 전액 행사되어 주식으로 발행되었더라면 본 사채권자가 가질 수 있었던 주식수에 따른 가치에 상응하도록 행사가액을 조정한다. 혹은 합병, 자본의 감소, 주식분할 및 병합 등의 경우에는 각각 그 비율을 고려하여 행사가격을 조정한다. 행사가액의 조정일은 합병, 자본의 감소, 주식분할 및 병합의 기준일로 한다.
다. 감자 및 주식 병합 등 주식가치 상승사유가 발생하는 경우 감자 및 주식 병합 등으로 인한 조정비율만큼 상향하여 반영하는 조건으로 행사가액을 조정한다. 단, 감자 및 주식병합 등을 위한 주주총회 결의일 전일을 기산일로 하여 「증권의 발행 및 공시 등에 관한 규정」 제 5-22조제1항 본문의 규정에 의하여 산정(제3호는 제외한다)한 가액(이하 "산정가액"이라 한다)이 액면가액 미만이면서 기산일 전에 행사가액을 액면가액으로 이미 조정한 경우(행사가액을 액면가액 미만으로 조정할 수 있는 경우는 제외한다)에는 조정 후 행사가액은 산정가액을 기준으로 감자 및 주식병합 등으로 인한 조정비율만큼 상향 조정한 가액 이상으로 조정한다.
라. 위 가목 내지 다목과는 별도로 본 사채 발행 후 매 3개월이 경과한 날마다 행사가액 조정일 전일을 기산일로 하여 기산일로부터 소급한 1개월 가중산술평균주가, 1주일 가중산술평균주가, 최근일 가중산술평균주가를 산술평균한 가액과 최근일 가중산술평균주가 중 높은 가액이 본건 신주인수권부사채의 행사가액보다 낮은 경우에는 그 가액을 새로운 행사가액으로 조정한다. 단, 새로운 행사가격은 발행 당시 행사가격(조정일 전에 신주의 할인발행 등의 사유로 행사가격을 이미 조정한 경우에는 이를 감안하여 산정한 가격)의 80% 이상으로 한다.
마. 위 가목 내지 라목에 의하여 조정된 행사가액이 주식의 액면가 이하일 경우에는 액면가를 행사가액으로 하며, 각 신주인수권부사채의 행사로 인하여 발행할 주식의 발행가액의 합계액은 각 신주인수권부사채의 발행가액을 초과할 수 없다. - 콜옵션(Call Option) 행사에 관한 사항 : '발행회사 및 발행회사가 지정하는자'(이하 "매수인")는 본 사채의 발행일로부터 12개월이 경과한 날인 2021년 09월 18일로부터 24개월이 경과한 날인 2022년 09월 18일까지 매3개월에 해당하는 날(이하 "매매대금 지급기일")에 사채권자가 보유하고 있는 본 매채의 일부를 매수인에게 매도하여 줄 것을 청구할 수 있으며, 사채권자는 이 청구에 따라 보유하고 있는 본 사채를 매수인에게 매도하여야 한다.가. 취득규모 : 최대 44억원(Call option 20%) - 본 사채 전자등록금액의 20%를 초과하여 매도청구권을 행사할 수 없다. 나. 취득목적 : 최대주주 및 특수관계인, 임직원, 계열회사 등 지분율 제고다. 제3자가 될 수 있는 자 : 최대주주 및 특수관계인, 임직원, 계열회사 등라. 제3자가 얻게 될 경제적 이익 : 제3자가 될 수 있는 자가 콜옵션을 통하여 취득한 신주인수권부사채를 행사할 경우 최초 행사가액 기준 당사 보통주 312,101주를 취득할 수 있게 되며, 리픽싱 80% 조정 후에는 최대 390,105주까지 취득 가능함. 이에 제3자가 될 수 있는 자는 당사 지분율을 2.36%에서 최대 2.87%(리픽싱 80%)까지 보유 가능함. 이 경우 행사로 인한 이익은 행사시점의 주가 수준에 따라 달라질 수 있음.
마. 매매대금: 매도청구의 대상이 되는 본 사채의 매매대금은 사채발행일로부터 매매대금 지급기일 전일까지 분기단위 연 복리 3%의 이율을 적용하여 계산한 아래의 금액으로 한다.
구분 |
콜옵션 청구기간 |
매매대금 지급기일 |
매도청구권 행사시 적용이율 |
|
FROM |
TO |
|||
1차 |
2021-08-23 |
2021-09-06 |
2021-09-18 |
103.0339% |
2차 |
2021-11-22 |
2021-12-06 |
2021-12-18 |
103.8066% |
3차 |
2022-02-17 |
2022-03-04 |
2022-03-18 |
104.5852% |
4차 |
2022-05-20 |
2022-06-03 |
2022-06-18 |
105.3696% |
5차 |
2022-08-18 |
2022-09-01 |
2022-09-18 |
106.1598% |
[채무증권의 발행 등과 관련된 사항] |
4) 채무증권 발행실적
(기준일 : | ) |
발행회사 | 증권종류 | 발행방법 | 발행일자 | 권면(전자등록)총액 | 이자율 | 평가등급(평가기관) | 만기일 | 상환여부 | 주관회사 |
---|---|---|---|---|---|---|---|---|---|
합 계 | - | - | - | - |
주1) 제2회 아이진(주) 무기명식 이권부 무보증 비분리형 사모 신주인수권부사채 : 당사는 2023년 6월 16일, 신주인수권부사채 사채권자의 조기상환 청구권 행사에 따라 본 보고서 작성 기준일 현재, 미상환사채 권면총액은 4,800,013,874원이며, 조정된 행사가격 8,235원에 따른 미행사 주식수는 582.879주입니다. 이 중 당사는 2022년 4월 7일 신주인수권부사채 권면 총액 2,800,013,874원을 매도청구권 (Call Option )행사로 취득하였으며 추후 소각 또는 재매각 예정입니다. 5) 그 밖의 발행에 관한 사항
(기준일 : | ) |
잔여만기 | 10일 이하 | 10일초과30일이하 | 30일초과90일이하 | 90일초과180일이하 | 180일초과1년이하 | 1년초과2년이하 | 2년초과3년이하 | 3년 초과 | 합 계 | |
---|---|---|---|---|---|---|---|---|---|---|
미상환 잔액 | 공모 | |||||||||
사모 | ||||||||||
합계 |
- 당사는 동 보고서 작성 기준일 현재 해당사항이 없습니다.
(기준일 : | ) |
잔여만기 | 10일 이하 | 10일초과30일이하 | 30일초과90일이하 | 90일초과180일이하 | 180일초과1년이하 | 합 계 | 발행 한도 | 잔여 한도 | |
---|---|---|---|---|---|---|---|---|---|
미상환 잔액 | 공모 | ||||||||
사모 | |||||||||
합계 |
- 당사는 동 보고서 작성 기준일 현재 해당사항이 없습니다.
(기준일 : | ) |
잔여만기 | 1년 이하 | 1년초과2년이하 | 2년초과3년이하 | 3년초과4년이하 | 4년초과5년이하 | 5년초과10년이하 | 10년초과 | 합 계 | |
---|---|---|---|---|---|---|---|---|---|
미상환 잔액 | 공모 | ||||||||
사모 | |||||||||
합계 |
주1) 제2회 아이진(주) 무기명식 이권부 무보증 비분리형 사모 신주인수권부사채 : 당사는 2023년 6월 16일, 신주인수권부사채 사채권자의 조기상환 청구권 행사에 따라 본 보고서 작성 기준일 현재, 미상환사채 권면총액은 4,800,013,874원이며, 조정된 행사가격 8,235원에 따른 미행사 주식수는582.879주입니다. 이 중 당사는 2022년 4월 7일 신주인수권부사채 권면 총액 2,800,013,874원을 매도청구권 (Call Option )행사로 취득하였으며 추후 소각 또는 재매각 예정입니다.
(기준일 : | ) |
잔여만기 | 1년 이하 | 1년초과5년이하 | 5년초과10년이하 | 10년초과15년이하 | 15년초과20년이하 | 20년초과30년이하 | 30년초과 | 합 계 | |
---|---|---|---|---|---|---|---|---|---|
미상환 잔액 | 공모 | ||||||||
사모 | |||||||||
합계 |
- 당사는 동 보고서 작성 기준일 현재 해당사항이 없습니다.
(기준일 : | ) |
잔여만기 | 1년 이하 | 1년초과2년이하 | 2년초과3년이하 | 3년초과4년이하 | 4년초과5년이하 | 5년초과10년이하 | 10년초과20년이하 | 20년초과30년이하 | 30년초과 | 합 계 | |
---|---|---|---|---|---|---|---|---|---|---|---|
미상환 잔액 | 공모 | ||||||||||
사모 | |||||||||||
합계 |
- 당사는 동 보고서 작성 기준일 현재 해당사항이 없습니다.
1) 공모자금의 사용내역
(기준일 : | ) |
구 분 | 회차 | 납입일 | 증권신고서 등의 자금사용 계획 | 실제 자금사용 내역 | 차이발생 사유 등 | ||
---|---|---|---|---|---|---|---|
사용용도 | 조달금액 | 내용 | 금액 | ||||
주1) 당사는 지난 2021년 6월 25일자로 주주배정 후 실권주 일반공모 유상증자를 통하여 기명식 보통주 4,195,804주(@20,900원)를 발행하였으며 본 공모자금의 모집총액은 87,692백만원입니다. 주2) 당사는 공모자금 87,692백만원 중 동 보고서 작성 기준일 현재까지 후기 임상 및 상업용 EG-COVID 생산에 필수적인 mRNA 생산 설비 구축을 위한 자금과 mRNA 백신 임상시료 생산에 필요한 원부자재 구매 비용 잔금 및 EG-COVID 의 임상시험 수행을 위한 임상대행기관 (CRO) 비용을 비롯한 임상 수행 병원 및 임상대상자에게 사용되는 연구비, 기타 부대비용 등에 필요한 자금으로 사용되었습니다. 항목별 공모자금 사용 내역은 아래 표와 같습니다.
[공모자금 사용 내역]
내용 |
사용 금액 (단위 : 천원) |
---|---|
연구개발비 |
35,706,757 |
시설자금 |
9,083,334 |
운영자금 |
20,831,732 |
채무상환자금 |
200,000 |
기타비용 |
- |
총 사용금액 |
65,821,823 |
주3) 본 공모자금의 증권신고서상 자금 사용계획은 2021년부터 2023년까지 입니다. 주4) 동 보고서 작성기준일 현재 본 공모자금 미사용 잔액은 21,870 백만원입니다.
2) 사모자금의 사용내역
(기준일 : | ) |
구 분 | 회차 | 납입일 | 주요사항보고서의 자금사용 계획 | 실제 자금사용 내역 | 차이발생 사유 등 | ||
---|---|---|---|---|---|---|---|
사용용도 | 조달금액 | 내용 | 금액 | ||||
주1) 사모자금 조달 금액 중 제 2회차 신주인수권부사채는 2021년 6월 이전까지의 mRNA 생산장비구매 선급금 지급과 제2회 전환사채의 조기상환 지급 등을 포함하여 2023년 4분기 말 현재 모두 소진되었습니다. 주2) 당사는 재무구조 개선 및 운영자금 조달 목적으로 2023년 12월 21일자로 제3자배정 유상증자에 의한 보통주 5,551,444주(@2,702원)를 발행하였으며 본 사모자금의 총액은 15,000 백만원입니다.
[사모자금 사용내역]
내용 |
사용 금액 (단위 : 천원) |
연구개발비 |
1,826,000 |
시설자금 |
358,741 |
운영자금 |
6,032,514 |
채무상환자금 |
|
기타비용 |
|
총 사용금액 |
8,217,255 |
주) 동 보고서 작성기준일 현재 본 공모자금 미사용 잔액은 6,783 백만원입니다
3) 미사용자금의 운용내역
(기준일 : | ) |
종류 | 운용상품명 | 운용금액 | 계약기간 | 실투자기간 |
---|---|---|---|---|
계 | - |
1) 대손충당금 설정 현황 - 당사는 동 보고서 작성 기준일 현재 해당사항이 없습니다.
2) 재고자산 현황 동 보고서 작성 기준일 현재 재고자산 현황은 다음과 같습니다.
(기준일 : 2025년 6월 30일 현재) | (단위 : 천원) |
사업부문 | 계정과목 |
당 반기말 (제26기) |
전기 말 (제25기) |
---|---|---|---|
의약품 도매업 |
상품 |
1,046,422 |
584,985 |
(-)평가충당금 |
- |
- |
|
원재료 |
- |
- |
|
부재료 |
- |
- |
|
합 계 |
1,046,422 |
584,985 |
|
총자산 대비 구성비율[재고자산합계÷기말자산총계×100] |
1.9% |
0.99% |
|
재고자산회전율(회수)[연환산 매출원가÷{(기초재고+기말재고)÷2}] |
2.8 |
6.8 |
동 보고서 작성 기준일 현재 재고자산 실사 내용은 다음과 같습니다.
■ 실사일자 : 2025.07.04 ■ 입회장소 : 수원창고■ 참여자 : 회계팀장, 영업관리팀장
3) 공정가치평가 내역
당반기중 연결회사의 금융자산과 금융부채의 공정가치에 영향을 미치는 사업환경 및경제적인 환경의 유의적인 변동은 없습니다.
(1) 공정가치 서열체계
공정가치로 측정되는 금융상품은 공정가치 서열체계에 따라 구분되며 정의된 수준들은 다음과 같습니다.ㆍ수준 1: 측정일에 동일한 자산이나 부채에 대해 접근할 수 있는 활성시장의 (조정하지 않은) 공시가격 ㆍ수준 2: 수준 1의 공시가격 외에 자산이나 부채에 대해 직접적으로나 간접적으로 관측할 수 있는 투입변수ㆍ수준 3: 자산이나 부채에 대한 관측할 수 없는 투입변수
보고기간말 현재 공정가치로 측정되거나 공정가치가 공시되는 금융상품의 공정가치 서열체계 구분은 다음과 같습니다.
(단위:천원) |
구 분 | 수준 1 | 수준 2 | 수준 3 | 합 계 |
---|---|---|---|---|
공정가치로 측정되거나 공시되는 금융상품 | ||||
당기손익-공정가치측정금융자산(비유동) | - | - | 12,346,569 | 12,346,569 |
신주인수권부사채 | - | 1,820,759 | - | 1,820,759 |
상환전환우선주부채 | - | 1,113,227 | - | 1,113,227 |
파생상품부채(유동) | - | - | 3,040,960 | 3,040,960 |
(2) 가치평가기법 및 투입 변수
연결회사는 공정가치 서열체계에서 수준 2와 수준 3으로 분류되는 금융상품의 공정가치에 대하여 다음의 가치평가기법과 투입 변수를 사용하고 있습니다.
(단위:천원) |
구 분 | 공정가치 | 수준 | 가치평가기법 | 투입 변수 |
---|---|---|---|---|
당기손익-공정가치측정금융자산(비유동) | 12,346,569 | 3 | 이항모형 등 | 주가변동성, 기초자산 주가 등 |
신주인수권부사채 | 1,820,759 | 2 | 현재가치기법 등 | 시장수익률 등 |
상환전환우선주부채 | 1,113,227 | 2 | 현재가치기법 등 | 시장수익률 등 |
파생상품부채(유동) | 3,040,960 | 3 | 이항모형 | 주가변동성, 기초자산 주가 등 |
당사는 기업공시서식 작성기준 제6장(제6-1-1조)에 의거하여 동 보고서를 포함한 분.반기보고서에서는 이사의 경영진단 및 분석의견에 관한 사항의 기재를 생략합니다.
1) 공시대상기간 동안 회계감사인 및 감사의견
사업연도 | 구분 | 감사인 | 감사의견 | 의견변형사유 | 계속기업 관련중요한 불확실성 | 강조사항 | 핵심감사사항 |
---|---|---|---|---|---|---|---|
감사보고서 | |||||||
연결감사보고서 | |||||||
감사보고서 | |||||||
연결감사보고서 | |||||||
감사보고서 | |||||||
연결감사보고서 |
2) 공시대상기간 동안 감사용역 체결현황
(단위 : 백만원, 시간) |
사업연도 | 감사인 | 내 용 | 감사계약내역 | 실제수행내역 | ||
---|---|---|---|---|---|---|
보수 | 시간 | 보수 | 시간 | |||
3) 회계감사인과의 비감사용역 계약체결 현황
사업연도 | 계약체결일 | 용역내용 | 용역수행기간 | 용역보수 | 비고 |
---|---|---|---|---|---|
4) 내부감사기구와 회계감사인과 논의한 내용
구분 | 일자 | 참석자 | 방식 | 주요 논의 내용 |
---|---|---|---|---|
당사는 신뢰할 수 있는 회계정보 작성 및 공시를 위하여 회계의 부정과 오류를 예방하고 적시에 발견할 수 있도록 회계시스템을 관리/통제하며, 회사의 재무제표가 한국채택국제회계기준(K-IFRS) 에 따라 작성, 공시되었는지 여부에 대한 합리적 확신을 제공하기 위하여 내부회계관리제도를 구축하여 운영하여 연 1회 내부회계관리제도에 대한 평가를 진행하고 있습니다. 당사는 외부감사인으로부터 당기 제25기(2024년 회계연도)에 대한 내부회계관리제도 운영실태평가보고서 검토 결과, 중요성의 관점에서 내부회계관리제도 모범규준의 규정에 따라 작성되지 않았다고 판단하게 하는 점이 발견되지 아니하였다는 의견을 받았습니다.
1) 경영진의 내부회계 관리제도 효과성 평가 결과
사업연도 | 구분 | 운영실태 보고서보고일자 | 평가 결론 | 중요한취약점 | 시정조치계획 등 |
---|---|---|---|---|---|
내부회계관리제도 | |||||
연결내부회계관리제도 | |||||
내부회계관리제도 | |||||
연결내부회계관리제도 | |||||
내부회계관리제도 | |||||
연결내부회계관리제도 |
2) 감사의 내부회계관리제도 효과성 평가 결과
사업연도 | 구분 | 평가보고서보고일자 | 평가 결론 | 중요한취약점 | 시정조치계획 등 |
---|---|---|---|---|---|
내부회계관리제도 | |||||
연결내부회계관리제도 | |||||
내부회계관리제도 | |||||
연결내부회계관리제도 | |||||
내부회계관리제도 | |||||
연결내부회계관리제도 |
3) 감사인의 내부회계관리제도 감사의견
사업연도 | 구분 | 감사인 | 유형(감사/검토) | 감사의견 또는검토결론 | 지적사항 | 회사의대응조치 |
---|---|---|---|---|---|---|
내부회계관리제도 | ||||||
연결내부회계관리제도 | ||||||
내부회계관리제도 | ||||||
연결내부회계관리제도 | ||||||
내부회계관리제도 | ||||||
연결내부회계관리제도 |
4) 내부회계관리·운영조직 인력 및 공인회계사 보유현황
소속기관또는 부서 | 총 원 | 내부회계담당인력의 공인회계사 자격증보유비율 | 내부회계담당인력의평균경력월수 | ||
---|---|---|---|---|---|
내부회계담당인력수(A) | 공인회계사자격증소지자수(B) | 비율(B/A*100) | |||
5) 회계담당자의 경력 및 교육실적
직책(직위) | 성명 | 회계담당자등록여부 | 경력(단위:년, 개월) | 교육실적(단위:시간) | ||
---|---|---|---|---|---|---|
근무연수 | 회계관련경력 | 당기 | 누적 | |||
1) 이사회의 구성 개요
동 보고서 작성 기준일 현재 당사의 이사회는 총 4명의 이사 중 사내이사 3명, 기타비상무이사 1명으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각 이사의 주요 이력 및 담당업무는 「VIII. 임원 및 직원 등에 관한 사항」을 참조하시기 바랍니다.
2) 이사회의 운영에 관한 사항
(1) 이사회 운영규정의 주요 내용
당사는 이사회의 구성 및 권한에 대하여 이사회 운영규정을 제정하여 운영하고 있으며, 동 보고서 작성기준일 현재의 당사 정관에 의거하여 이사회를 운영하고 있습니다
구 분 | 이사회 운영규정 |
---|---|
구성 및 의장 |
1. 이사회는 주주총회에서 선임된 이사 전원으로 구성된다. 2. 이사회의 의장은 이사회의 소집권자로서 대표이사 또는 이사회에서 따로 정한 이사가 할 수 있다. 3. 필요한 경우, 다른 이사 또는 감사가 2항의 의장에게 이사회 소집을 요구할 수 있다. 2항의 의장이 정당한 이유 없이 이사의 소집을 거절하는 경우에는 다른 이사 또는 감사가 이사회를 소집할 수 있으며 이사회를 소집하는 다른 이사 또는 감사가 그 이사회의 의장이 된다. 4. 이사회의 회무를 처리하기 위하여 이사 중 1인의 간사를 둔다. |
소집 |
1.이사회는 의장이 필요하다고 인정할 때 또는 다른 이사 또는 감사의 요청이 있을 때 의장이 이를 소집한다. 2. 이사회의 소집은 회의일 3일 이전에, 긴급을 요하는 경우는 회의일 전일까지 각 이사 및 감사에게 통지하여 소집한다. 단, 이사 및 감사 전원의 동의가 있는 때에는 소집절차를 생략 할 수 있다. |
성립 및 결의 |
1. 이사회의 결의는 법령과 정관에 다른 정함이 있는 경우를 제외하고는 이사 과반수의 출석과 출석 이사수의 과반수 찬성으로 한다 2. 상법 제397조의 2(회사기회 유용금지) 및 제398조(자기거래금지)에 해당하는 사안에 대한 이사회 결의는 이사 3분의 2 이상의 수로 한다. 3. 이사회는 이사의 전부 또는 일부가 직접 회의에 출석하지 아니하고 모든 이사가 음성을 동시에 송수신하는 원격통신수단에 의하여 결의에 참가하는 것을 허용할 수 있다. 이 경우 당해 이사는 이사회에 직접 출석한 것으로 본다. 4. 당해 이사회 안건에 대한 특별한 이해관계가 있는 이사는 동 안건에 대해 의결권을 행사하 지 못한다. 5. 전항의 경우 의결권을 행사하지 못하는 이사는 이사 전원의 수에 포함하지 아니한다. 6. 이사회의 의결권은 대리하지 못한다. |
의결사항 |
이사회는 다음 사항을 심의 의결한다. 1. 법령, 정관 및 주주총회로부터 위임받은 사항 2. 주주총회의 소집과 주주총회의 승인을 요하는 사항의 제안 3. 주주총회의 전자적 방법에 의한 의결권 행사 4. 이사회 소집권자의 특정, 이사회 자체에 관한 사항 5. 이사의 직무 집행 감독 6. 이사와 회사 간의 거래 승인, 이사의 겸업 거래 승인 7. 재무제표의 승인, 영업보고서의 승인 8. 주주명부 폐쇄, 기준일의 설정 9. 현금,현물,주식배당의 중간배당, 결산기 최종 배당 결정 10. 신주의 발행, 사채의 발행, 금융차입 등 자금조달에 관한 사항 11. 특정목적에 의한 자기주식의 취득 12. 자기주식의 처분 또는 소각 13. 양도제한 주식의 양도 승인 14. 주식매수선택권 부여 및 주식매수선택권 부여의 취소 15. 중요한 규정의 제정 및 개폐 16. 조직, 인사, 노무에 관한 중요한 사항 17. 대표이사, 공동대표이사의 선임 또는 주요 인사권에 관한 사항 18. 정관으로 정한 관내 본점의 이전 19. 지배인의 선임 및 해임, 지점의 설치, 이전, 폐지 20. 회사의 중요한 자산의 담보제공, 처분 및 양도, 대규모 재산의 차입 21. 준비금의 자본금 전입 22. 기술제휴, 공동개발 등을 포함하여 투자 및 신규 사업에 필요한 사항 23. 중요한 계약의 체결 및 취소, 해제,해지 24. 간이주식교환, 소규모 주식교환, 간이합병, 소규모 합병 및 간이분할합병, 소규모 분할합병에 관한 사항 25. 중요 경영활동에 대한 이사회 의결사항 등 기타 이사회가 필요하다고 인정하는 사항 |
(2) 이사회내의 위원회 구성현황 당사는 보고서 기준일 현재 이사회 내에 위원회는 구성되어 있지 않습니다. (3) 이사회 주요 의결사항
회차 | 개최일자 | 의 안 내 용 | 가결 여부 | 사외이사가 아닌 이사 | 사외이사 | 비 고 | ||||
---|---|---|---|---|---|---|---|---|---|---|
유원일 (출석률:96.55%) | 김두식 (출석률:100%) | 최석근 (출석률 : 100%) | 이명재 (출석률 : 100%) | 우 구 (출석률 : 93.10%) | 김달현 (출석률:81.8%) | |||||
1 | 2024-01-03 | 타법인 주식 양수 결의의 건 | 가결 | 찬성 | 찬성 | 해당사항 없음 (신규 선임) | 해당사항 없음 (신규 선임) | 해당사항 없음 (신규 선임) | 찬성 | - |
2 | 2024-01-03 | 제13차 주식매수선택권 부여에 관한 건 | 가결 | 찬성 | 찬성 | 찬성 | - | |||
3 | 2024-01-03 | [의안 제1호] 제25기 임시주주총회 소집의 건 | 가결 | 찬성 | 찬성 | 찬성 | - | |||
[의안 제2호] 임시주주총회 권리주주확정을 위한 명의개서 정지의 건 | 가결 | 찬성 | 찬성 | 찬성 | - | |||||
[의안 제3호] 전자투표 도입 승인의 건 | 가결 | 찬성 | 찬성 | 찬성 | - | |||||
4 | 2024-01-31 | 임시주주총회 소집 장소 확정 및 회의 목적사항 변경의 건 | 가결 | 찬성 | 찬성 | 찬성 | - | |||
5 | 2024-02-05 | 타법인 발행 신주 취득 결정의 건 | 가결 | 찬성 | 찬성 | 찬성 | - | |||
6 | 2024-02-08 | 제24기 내부 결산 승인의 건 | 가결 | 찬성 | 찬성 | 찬성 | - | |||
7 | 2024-02-20 | 대표이사 변경의 건 | 가결 | 찬성 | 찬성 | 찬성 | 찬성 | 찬성 | 찬성 | - |
8 | 2024-03-05 | [의안 제1호] 제24기 정기주주총회 소집의 건 | 가결 | 찬성 | 해당사항 없음 (사임) | 찬성 | 찬성 | 찬성 | 찬성 | - |
[의안 제2호] 전자투표제도 및 전자위임장권유제도 도입 승인의 건 | 가결 | 찬성 | 찬성 | 찬성 | 찬성 | 찬성 | - | |||
9 | 2024-03-05 | [의안 제1호] 타법인 주식 출자 결의의 건 | 가결 | 찬성 | 찬성 | 찬성 | 찬성 | 찬성 | - | |
[의안 제2호] 임상개발 및 판권 계약 체결 결의의 건 | 가결 | 찬성 | 찬성 | 찬성 | 찬성 | 찬성 | - | |||
10 | 2024-03-11 | 제24기 정기주주총회 회의 목적사항 확정 | 가결 | 찬성 | 찬성 | 찬성 | 찬성 | 찬성 | - | |
11 | 2024-03-18 | 제24기 재무제표 확정 승인의 건 | 가결 | 찬성 | 찬성 | 찬성 | 불참 | 찬성 | - | |
12 | 2024-03-18 | 이사회 의장 선출의 건 | 가결 | 찬성 | 찬성 | 찬성 | 불참 | 찬성 | - | |
13 | 2024-04-02 | 본점 이전 결의의 건 | 가결 | 찬성 | 찬성 | 찬성 | 찬성 | 불참 | - | |
14 | 2024-04-02 | 부설연구소 이전 결정의 건 | 가결 | 찬성 | 찬성 | 찬성 | 찬성 | 불참 | - | |
15 | 2024-04-02 | 타법인 주식 양수 결정 결의의 건 | 가결 | 찬성 | 찬성 | 찬성 | 찬성 | 불참 | - | |
16 | 2024-05-17 | 임상개발 및 판매로열티 계약 체결 결의의 | 가결 | 찬성 | 찬성 | 찬성 | 찬성 | 찬성 | - | |
17 | 2024-06-11 | "오라클지역뉴딜벤처펀드”추가 출자 승인의 건 | 가결 | 찬성 | 찬성 | 찬성 | 찬성 | 찬성 | - | |
18 | 2024-06-25 | 수막구균 4가백신(EuMCV4)의 백신 개발 및 판권 계약 체결의 건 | 가결 | 찬성 | 찬성 | 찬성 | 찬성 | 불참 | - | |
19 | 2024-07-22 | 이사회운영규정 개정의 건 | 가결 | 찬성 | 찬성 | 찬성 | 찬성 | 찬성 | - | |
20 | 2024-09-30 | 제14차 주식매수선택권 부여에 관한 건 | 가결 | 찬성 | 찬성 | 찬성 | 찬성 | 찬성 | - | |
21 | 2024-11-04 | 타법인(㈜노벨티노빌리티) 주식 처분 결정의 건 | 가결 | 찬성 | 찬성 | 찬성 | 찬성 | 찬성 | - | |
22 | 2024-12-09 | 타법인 발행 신주 취득 결정의 건 | 가결 | 찬성 | 찬성 | 찬성 | 찬성 | 찬성 | - | |
23 | 2025-02-10 | 제25기 내부 결산 승인의 건 | 가결 | 찬성 | 찬성 | 찬성 | 찬성 | 찬성 | - | |
24 | 2025-02-10 | “GMP 생산장비 양수도 계약” 체결 승인의 건 | 가결 | 찬성 | 찬성 | 찬성 | 찬성 | 찬성 | - | |
25 | 2025-02-10 | 스톡옵션 부여 취소의 건 | 가결 | 찬성 | 찬성 | 찬성 | 찬성 | 찬성 | - | |
26 | 2025-02-24 | [의안 제1호] 제25기 정기주주총회 소집의 건 | 가결 | 찬성 | 찬성 | 찬성 | 찬성 | 해당사항 없음 (사임) | - | |
[의안 제2호] 전자투표제도 및 전자위임장권유제도 도입 승인의 건 | 가결 | 찬성 | 찬성 | 찬성 | 찬성 | - | ||||
27 | 2025-03-18 | 제25기 재무제표 확정 승인의 건 | 가결 | 불참 | 찬성 | 찬성 | 찬성 | - | ||
28 | 2025-05-12 | 제15차 주식매수선택권 부여의 건 | 가결 | 찬성 | 찬성 | 찬성 | 찬성 | - | ||
29 | 2025-05-12 | 보툴리눔 톡신 기술 도입 계약 체결의 건 | 가결 | 찬성 | 찬성 | 찬성 | 찬성 | - |
- 최석근 사내이사, 이명재 사내이사, 우구 기타비상무이사는 2024년 2월 20일자로 신규 선임되었으며 출석률 계산 시 선임 이전의 이사회 출석률 계산에서 제외하였습니다. - 김두식 이사는 2024년 2월 21일부터 기타비상무이사직을 사임하였습니다 . - 2025년 2월 24일부로 김달현 사외이사의 사임에 따라 동 보고서 제출일 현재 당사의 이사의 수는 4명 (사외이사 0명)입니다.
3) 이사의 독립성 당사의 이사, 사외이사를 선임하기 위해서는 당사 정관에 의거 이사회에서 후보자를 선임한 후 주주총회의 승인을 받아야 하며 신규 이사 선임시 주주총회소집통지를 통해 주주에게 공지하고 있습니다. 현재까지 주주제안권에 의해 이사 선임 의안이 제출된 경우는 없습니다. 동 보고서 작성기준일 현재 당사의 이사는 다음과 같습니다.
(기준일 : 2025년 6월 30일)
이사 | 임기 | 연임여부 및 연임횟수 | 추천인 | 활동분야 | 회사와의거래 | 최대주주 등과의 관계 | 선임배경 |
---|---|---|---|---|---|---|---|
최석근 (사내이사) | 2027년 02월 20일 | - | 이사회 | 경영총괄 (CEO) | - | 특수관계인 | 바이오 의약품 연구 및 사업 추진에 풍부한 경험을 보유하고 있으며 기초 연구부터 생산, 판매에 이르기까지의 다양한 경험과 노하우를 갖춰 아이진 주식회사의 안정적인 재무구조 전환과 연구 개발 역량 강화를 위한 경영혁신의 주도적 역할을 기대하기에 추천함. |
이명재 (사내이사) | 2027년 02월 20일 | - | 이사회 | 재무관리총괄 (CFO) | - | 특수관계인 | 당사에서 오랜기간 재무관리총괄(CFO)을 역임하면서 재무건전성 유지 및 안정적인 재무관리를 수행한 재무관리 전문가로서 안정적인 재무 구조 확립 및 관리를 위해 필요한 적임자로 판단하여 추천함. |
유원일 (사내이사) | 2027년 02월 20일 | 연임 (8회) | 이사회 | 경영 (사장) | - | 특수관계인 | 당사 설립자로서 설립 시 부터 현재까지 기업경영의 오랜 경험과 전문성을 겸비하여 기업성장에 도움이 될 것으로 판단됨에 따라 추천함. |
우구 (기타비상무이사) | 2027년 02월 20일 | - | 이사회 | 경영고문 | - | 특수관계인 | 의약품 개발 분야의 전문 지식과 경험을 활용하여 기업의 기술력을 향상시키고, 산업의 최신 동향과 기술 발전을 파악하여 기업가치 향상을 도모하고자 추천함. |
- 2025년 2월 24일부로 김달현 사외이사의 사임에 따라 동 보고서 제출일 현재 당사의 이사의 수는 4명 (사외이사 0명)입니다. 4) 사외이사 및 그 변동현황 (1) 사외이사후보추천위원회 설치 및 구성 현황 당사는 현재 사외이사후보 추천위원회를 설치하고 있지 않습니다. (2) 사외이사 및 그 변동현황
[사외이사 및 그 변동현황]
(단위 : 명) |
이사의 수 | 사외이사 수 | 사외이사 변동현황 | ||
---|---|---|---|---|
선임 | 해임 | 중도퇴임 | ||
- 2025년 2월 24일부로 사외이사의 중도퇴임(1)에 따라 동 보고서 제출일 현재 당사의 이사의 총 수는 4명이며, 이중 이사의 수는 4, 사외이사 수는 0명입니다.
1) 감사기구 관련 사항
(1) 감사기구(감사위원회) 설치여부, 구성방법 등당사는 당사의 정관 제26조에 의거 주주총회 결의에 의하여 선임된 1인의 감사가 감사업무를 수행합니다. 당사는 동 보고서 제출일 현재 감사위원회를 별도로 설치하고 있지는 않습니다.
(2) 감사(감사위원회)의 감사업무에 필요한 경영정보접근을 위한 내부장치 마련 여부당사는 동 보고서 작성 기준일 현재 정관 제30조(감사)에 감사업무에 필요한 경영정보접근을 위한 내부장치를 마련하고 있습니다. 그 내용은 다음과 같습니다.
규 정 | 내 용 |
---|---|
정관 제30조 (감사) | ① 감사는 이 회사의 회계와 업무를 감사하며 이사회에 출석하여 의견을 진술할 수 있다. ② 감사는 회의의 목적사항과 소집의 이유를 기재한 서면을 이사회에 제출하여 임시주주총회의 소집을 청구할 수 있다. ③ 감사는 그 직무를 수행하기 위하여 필요한 때에는 자회사에 대하여 영업의 보고를 요구할 수 있다. 이 경우 자회사가 지체 없이 보고를 하지 아니할 때 또는 그 보고의 내용을 확인할 필요가 있을 때에는 자회사의 업무와 재산상태를 조사할 수 있다. ④ 감사에 대해서는 제28조의 2의 제3항의 규정을 준용한다. ⑤ 감사는 회사의 비용으로 전문가의 도움을 구할 수 있다. ⑥ 감사는 감사의 실시요령과 그 결과를 감사록에 기재하고 그 감사를 실시한 감사가 기명 날인 또는 서명을 하여야 한다. ⑦ 감사는 필요하면 회의의 목적사항과 소집이유를 서면에 적어 이사(소집권자가 있는 경우에는 소집권자를 말한다. 이하 같다.)에게 제출하여 이사회 소집을 청구할 수 있다. ⑧ 제7항의 청구를 하였는데도 이사가 지체 없이 이사회를 소집하지 아니하면 그 청구한 감사가 이사회를 소집할 수 있다. |
(3) 감사의 독립성 당사의 감사는 감사로서의 요건을 갖추고 있으며, 당사의 주식도 소유하고 있지 아니합니다. 또한 감사는 회계와 업무를 감사하며 이사회 및 타부서로부터 독립된 위치에서 업무를 수행하고 있습니다. 감사는 필요시 회사로부터 영업에 관한 사항을 보고 받을 수 있으며, 감사인의 독립성을 충분히 확보하고 있다고 판단됩니다. (4) 감사의 인적 사항 동 보고서 작성 기준일 현재 다음의 감사 1인이 감사업무를 수행하고 있습니다
성 명 | 주요 경력 | 결격요건 여부 | 비 고 |
---|---|---|---|
최종두 |
(現)아이진㈜ 감사 (現)(유)한미회계법인 부대표 (前)삼일회계법인 공인회계사 (前)현대증권 IB본부 (M&A팀, IPO팀) 서울대학교 경영대학원 석사 |
해당사항 없음 | - |
(5) 감사위원회(감사)의 주요 활동내역 ① 이사회 참석활동 공시대상 기간에 감사의 이사회 참석 활동 내역은 아래와 같습니다.
개최일자 | 의안 내용 | 가결 여부 | 비고 |
---|---|---|---|
2024-01-03 | 타법인 주식 양수결의의 건 | 원안대로 가결 | - |
2024-01-03 | 제13차 주식매수선택권 부여에 관한 건 | 원안대로 가결 | - |
2024-01-03 | [의안 제1호] 제25기 임시주주총회 소집의 건 | 원안대로 가결 | - |
[의안 제2호] 임시주주총회 권리주주확정을 위한 명의개서 정지의 건 | 원안대로 가결 | - | |
[의안 제3호] 전자투표 도입 승인의 건 | 원안대로 가결 | - | |
2024-02-05 | 타법인 발행 신주 취득 결정의 건 | 원안대로 가결 | - |
2024-02-08 | 제24기 내부 결산 승인의 건 | 원안대로 가결 | - |
2024-02-20 | 대표이사 변경의 건 | 원안대로 가결 | - |
2024-03-05 | [의안 제1호] 제24기 정기주주총회 소집의 건 | 원안대로 가결 | - |
[의안 제2호] 전자투표제도 및 전자위임장권유제도 도입 승인의 건 | 원안대로 가결 | - | |
2024-03-05 | [의안 제1호] 타법인 주식 출자 결의의 건 | 원안대로 가결 | - |
[의안 제2호] 임상개발 및 판권 계약 체결 결의의 건 | 원안대로 가결 | - | |
2024-03-11 | 제24기 정기주주총회 회의 목적사항 확정 | 원안대로 가결 | - |
2024-03-18 | 제24기 재무제표 확정 승인의 건 | 원안대로 가결 | - |
2024-03-18 | 이사회 의장 선출의 건 | 원안대로 가결 | - |
2024-04-02 | 본점 이전 결의의 건 | 원안대로 가결 | - |
2024-04-02 | 부설연구소 이전 결정의 건 | 원안대로 가결 | - |
2024-04-02 | 타법인 주식 양수 결정 결의의 건 | 원안대로 가결 | - |
2024-05-17 | 임상개발 및 판매로열티 계약 체결 결의의 | 원안대로 가결 | - |
2024-06-11 | "오라클지역뉴딜벤처펀드”추가 출자 승인의 건 | 원안대로 가결 | - |
2024-06-25 | 수막구균 4가백신(EuMCV4)의 백신 개발 및 판권 계약 체결의 건 | 원안대로 가결 | - |
2024-07-22 | 이사회운영규정 개정의 건 | 원안대로 가결 | - |
2024-09-30 | 제14차 주식매수선택권 부여에 관한 건 | 원안대로 가결 | - |
2024-12-09 | 타법인 발행 신주 취득 결정의 건 | 원안대로 가결 | - |
2025-02-10 | 제25기 내부 결산 승인의 건 | 원안대로 가결 | - |
2025-02-10 | “GMP 생산장비 양수도 계약” 체결 승인의 건 | 원안대로 가결 | - |
2025-02-10 | 스톡옵션 부여 취소의 건 | 원안대로 가결 | - |
2025-02-24 | [의안 제1호] 제25기 정기주주총회 소집의 건 | 원안대로 가결 | - |
[의안 제2호] 전자투표제도 및 전자위임장권유제도 도입 승인의 건 | 원안대로 가결 | - | |
2025-03-18 | 제25기 재무제표 확정 승인의 건 | 원안대로 가결 | - |
2025-05-12 | 제15차 주식매수선택권 부여의 건 | 원안대로 가결 | - |
2025-05-12 | 보툴리눔 톡신 기술 도입 계약 체결의 건 | 원안대로 가결 | - |
② 매기 사업연도 결산보고서 감사
- 회계에 대한 감사
- 업무에 대한 감사
- 회계장부의 기재에 대한 사항
- 재무상태표 및 손익계산서의 표시에 관한 사항
- 이익잉여금처분계산서(결손금처리계산서)에 관한 사항
- 영업보고서에 관한 사항
- 상법 제447조의 각 서류에 관한 승인
③ 감사 교육 미실시 내역
감사 교육 실시여부 | 감사 교육 미실시 사유 |
---|---|
미실시 |
④ 감사 지원조직 현황
부서(팀)명 | 직원수(명) | 직위(근속연수) | 주요 활동내역 |
---|---|---|---|
⑤ 준법지원인 지원조직 현황
- 당사는 최근 사업연도 말 자산총액이 5천억원 미만이므로 당사는 해당사항 없습니다.
1) 집중투표제의 채택 여부
- 당사는 동 보고서 제출일 현재 집중투표제를 채택하고 있지 않습니다.
2) 서면투표제 또는 전자투표제의 채택 여부
[투표제도 현황]
(기준일 : | ) |
투표제도 종류 | 집중투표제 | 서면투표제 | 전자투표제 |
---|---|---|---|
도입여부 | |||
실시여부 |
당사 정관에서는 전자투표제를 규정하고 있지 않으나 「상법」제368조의 4에 따른 전자투표제도를 실시하고 있습니다.당사는 임시 및 정기주주총회에서 전자투표제도를 실시하였습니다. 자세한 사항은 dart.fss.or.kr 위 관련 공시「주주총회 소집공고」「참고서류」등을 참조하시기 바랍니다.
(1) 실시에 관한 사항은 다음과 같습니다.
연번 | 실시 현황 | 이사회결의일 |
---|---|---|
1 | 제21기 ('20년) 정기 주주총회 | 2021.03.03 |
2 | 제22기 ('21년) 정기 주주총회 | 2022.03.02 |
3 | 제23기 ('22년) 임시 주주총회 | 2022.04.05 |
4 | 제23기 ('22년) 정기 주주총회 | 2023.02.24 |
5 | 제25기 ('24년) 임시 주주총회 | 2024.01.03 |
6 | 제24기 ('23년) 정기 주주총회 | 2024.03.05 |
7 | 제25기 ('24년) 정기 주주총회 | 2025.02.24 |
(2) 위임방법 전자위임장, 직접교부, 우편 또는 모사전송(FAX)
3) 소수주주권의 행사여부
- 당사는 동 보고서 작성 기준일 현재까지 소수주주권이 행사된 사실이 없습니다. 4) 경영권 분쟁여부 - 당사는 동 보고서 작성 기준일 현재까지 경영권 분쟁 사실이 없습니다.
5) 의결권 현황 당사가 발행한 주식의 총 수는 총 27,029,784주이며, 정관상 발행할 주식 총 수는100,000,000주 입니다. 의결권 행사 가능 주식 수는 27,029,784주 (발행주식대비 100.00%) 입니다.
[의결권 현황]
(기준일 : | ) |
구 분 | 주식의 종류 | 주식수 | 비고 |
---|---|---|---|
발행주식총수(A) | |||
의결권없는 주식수(B) | |||
정관에 의하여 의결권 행사가 배제된 주식수(C) | |||
기타 법률에 의하여의결권 행사가 제한된 주식수(D) | |||
의결권이 부활된 주식수(E) | |||
의결권을 행사할 수 있는 주식수(F = A - B - C - D + E) | |||
6) 주식의 사무
신주인수권의 내용 |
[정관 제 10 조 (신주 인수권)] ① 당 회사의 주주는 신주발행에 있어서 그가 소유한 주식 수에 비례하여 신주의 배정을 받을 권리를 가진다. ② 이사회는 제1항 본문의 규정에 불구하고 다음 각 호의 경우에는 이사회의 결의로 주주 이외의 자에게 신주를 배정(발행)할 수 있다. 1. 주주우선공모의 방식으로 신주를 발행하는 경우 2. 발행할 주식총수의 100분의 20을 초과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일반 공모의 방식으로 신주를 발행하는 경우 3. 상법 제340조의 2 및 제542조의 3에 의한 주식매수선택권의 행사로 인하여 신주를 발행하는 경우 4. 자본시장과 금융투자업에 관한 법률 제165조의 7에 의하여 발행하는 주식총수의 100분의 20 범위 내에서 우리사주조합원에게 주식을 우선 배정하는 경우 5. 사업상 중요한 기술제휴, 기술도입, 연구개발, 생산, 판매, 자본제휴를 위하여 그 상대방에게 신주를 발행하는 경우 6. 상법 제418조 제2항의 규정에 따라 신기술의 도입, 재무구조 개선 등 회사가 경영상의 필요한 자금조달을 위하여 최대주주 및 그 특수관계인, 회사의 임직원, 계열회사의 임직원, 국내외 금융기관, 기관투자자, 벤처금융, 법인투자자, 개인투자자, 외국의 합작법인 또는 사업상 제휴관계가 필요한 자에게 신주를 발행하는 경우 7. 발행할 주식 총수의 100분의 20을 초과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주권을 상장하기 위하여 신주를 모집하거나 모집을 위하여 인수인에게 인수하게 하는 경우 ③ 제2항에 따라 주주 외의 자에게 신주를 배정하는 경우 상법 제416조 제1호, 제2호, 제2호의 2, 제3호 및 제4호에서 정하는 사항을 그 납입 기일의 2주 전까지 주주에게 통지하거나 공고하여야 한다. 다만, 회사가 주권상장법인인 경우에 자본시장과 금융투자업에 관한 법률 제165조의 9에 따라 주요사항보고서를 금융위원회 및 거래소에 공시함으로써 그 통지 및 공고를 갈음할 수 있다. ④ 제2항 각호의 어느 하나의 방식에 의해 신주를 발행하는 경우에는 발행할 주식의 종류와 수 및 발행가격 등은 이사회에서 정한다. ⑤ 주주가 신주인수권을 포기 또는 상실하거나 신주배정에서 단주가 발생하는 경우에 그 처리방법은 이사회의 결의로 정한다. |
|
결산일 | 매년 12월 31일 | 정기주주총회 : 매 사업년도 종료 후 3개월이내 |
기준일 | [정관 제 13 조 (기준일)] ① 회사는 매년 12월 31일 현재 주주명부에 기재되어 있는 주주를 정기주주총회에서 권리를 행사할 주주로 한다. ② 회사는 임시주주총회의 소집 기타 필요한 경우 이사회결의로 정한 날에 주주명부에 기재되어 있는 주주를 그 권리를 행사할 주주로 할 수 있으며, 회사는 이사회결의로 정한 기준일의 2주 전에 이를 공고하여야 한다. | |
주권의 종류 | 주식ㆍ사채 등의 전자등록에 관한 법률」에 따라 주권 및 신주인수권증서에 표시되어야 할 권리가 의무적으로 전자등록됨에 따라 '주권의 종류’를 기재하지 않음. | |
명의개서대리인 | 한국예탁결제원 | |
주주의 특전 | 해당사항 없음 | 공고게재 : 홈페이지 공고 (http://www.eyegene.co.kr) 다만, 전산장애 또는 그 밖의 부득이한 사유의 경우 한국경제신문 공고 |
7) 주주총회의사록 요약
주총정보 | 안건 | 결의 내용 | 주요 논의내용 |
---|---|---|---|
제21기 정기주총 (2021-03-25) | 1) 제21기 재무제표 승인의 건 | 원안대로 승인 | - 주주제안: 없음- 결의과정 질의응답, 찬반토론: 있음, 의안 3)호 안건 외 원안대로 승인 됨- 안건 수정사항: 없음 |
2) 사내이사 및 기타비상무이사 선임의 건 | 원안대로 승인 | ||
2-1) 사내이사 선임의 건 (유원일 : 재선임) | |||
2-2) 사내이사 선임의 건 (조양제 : 재선임) | |||
3-3) 기타비상무이사 선임의 건 (김두식 : 재선임) | |||
3) 감사 선임의 건 (최종두 : 재선임) | 부결 | ||
4) 이사 보수한도 승인의 건 | 원안대로 승인 | ||
5) 감사 보수한도 승인의 건 | 원안대로 승인 | ||
6) 임직원의 주식매수선택권 부여의 건 | 원안대로 승인 | ||
제22기 정기주총 (2022-03-28) | 1) 제22기 재무제표 승인의 건 | 원안대로 승인 | - 주주제안: 없음- 결의과정 질의응답, 찬반토론: 있음, 원안대로 승인 됨- 안건 수정사항: 없음 |
2) 정관 일부 변경의 건 | 원안대로 승인 | ||
3) 감사 선임의 건 (최종두 : 재선임) | 원안대로 승인 | ||
4) 이사 보수한도 승인의 건 | 원안대로 승인 | ||
5) 감사 보수한도 승인의 건 | 원안대로 승인 | ||
6) 임직원의 주식매수선택권 부여의 건 | 원안대로 승인 | ||
제23기 임시주총 (2022-05-13) | 1) 사외이사 선임의 건 (김달현 : 신규선임) | 원안대로 승인 | - 주주제안: 없음- 결의과정 질의응답, 찬반토론: 있음, 원안대로 승인 됨- 안건 수정사항: 없음 |
제23기 정기주총 (2023-03-23) | 1) 제23기 재무제표 승인의 건 | 원안대로 승인 | - 주주제안: 없음- 결의과정 질의응답, 찬반토론: 있음, 원안대로 승인 됨- 안건 수정사항: 없음 |
2) 이사 보수한도 승인의 건 | 원안대로 승인 | ||
3) 감사 보수한도 승인의 건 | 원안대로 승인 | ||
4) 임직원의 주식매수선택권 부여 승인의 건 | 원안대로 승인 | ||
제25기 임시주총 (2024-02-20) | 1) 사내이사 선임의 건 | 원안대로 승인 | - 주주제안: 없음- 결의과정 질의응답, 찬반토론: 있음, 원안대로 승인 됨- 안건 수정사항: 없음 |
1-1) 사내이사 선임의 건 (최석근 : 신규선임) | 원안대로 승인 | ||
1-2) 사내이사 선임의 건 (이명재 : 신규선임) | 원안대로 승인 | ||
1-3) 사내이사 선임의 건 (유원일 : 재선임) | 원안대로 승인 | ||
2) 기타비상무이사 선임의 건 (우 구 : 신규선임) | 원안대로 승인 | ||
3) 제12차 주식매수선택권 부여 승인의 건 (이사회 부여 결의사항) | 원안대로 승인 | ||
4) 제13차 주식매수선택권 부여 승인의 건 (이사회 부여 결의사항) | 원안대로 승인 | ||
제24기 정기주총 (2024-03-26) | 1) 제24기 재무제표 승인의 건 | 원안대로 승인 | - 주주제안: 없음- 결의과정 질의응답, 찬반토론: 있음, 원안대로 승인 됨- 안건 수정사항: 없음 |
2) 이사 보수한도 승인의 건 | 원안대로 승인 | ||
3) 감사 보수한도 승인의 건 | 원안대로 승인 | ||
4) 정관 일부 변경의 건 | 원안대로 승인 | ||
제25기 정기주총 (2025-03-26) | 1) 제25기 재무제표 승인의 건 | 원안대로 승인 | - 주주제안: 없음- 결의과정 질의응답, 찬반토론: 있음, 원안대로 승인 됨- 안건 수정사항: 없음 |
2) 감사 선임의 건 (후보자 : 최종두) | 원안대로 승인 | ||
2) 이사 보수한도 승인의 건 | 원안대로 승인 | ||
3) 감사 보수한도 승인의 건 | 원안대로 승인 |
1. 최대주주 및 특수관계인의 주식소유 현황
(기준일 : | ) |
성 명 | 관 계 | 주식의종류 | 소유주식수 및 지분율 | 비고 | |||
---|---|---|---|---|---|---|---|
기 초 | 기 말 | ||||||
주식수 | 지분율 | 주식수 | 지분율 | ||||
계 | |||||||
- 상기 소유주식수 및 지분율의 기초는 2025년 1월 1일 기준, 기말은 2025년 6월 30일 기준입니다.
2. 최대주주의 주요경력
1) 최대주주(법인 또는 단체)의 기본정보
명 칭 | 출자자수(명) | 대표이사(대표조합원) | 업무집행자(업무집행조합원) | 최대주주(최대출자자) | |||
---|---|---|---|---|---|---|---|
성명 | 지분(%) | 성명 | 지분(%) | 성명 | 지분(%) | ||
2) 최대주주(법인 또는 단체)의 최근 결산기 재무현황
(단위 : 백만원) |
구 분 | |
---|---|
법인 또는 단체의 명칭 | |
자산총계 | |
부채총계 | |
자본총계 | |
매출액 | |
영업이익 | |
당기순이익 |
* 상기 재무현황은 최근 사업년도 2024년 12월 31일 현재 별도재무제표 기준입니다.* 상기 최대주주 지분율은 보고서 제출일 기준입니다.
3) 사업현황 등 회사 경영 안정성에 영향을 미칠 수 있는 주요 내용
-해당사항 없음
4) 최대주주의 최대주주(법인 또는 단체)의 개요 - 해당사항 없음
3. 최대주주의 변동내역 - 당사의 동 보고서 작성 대상 기간 중 최대주주등의 변동내역이 없습니다.
4. 주식의 분포 1) 주식의 소유현황 (1) 5% 이상 주주와 우리사주조합 등의 주식 소유현황 [주식 소유현황]
(기준일 : | ) |
구분 | 주주명 | 소유주식수 | 지분율(%) | 비고 |
---|---|---|---|---|
5% 이상 주주 | 최대주주 | |||
- | ||||
우리사주조합 | - |
(2) 소액주주현황 당사의 최근 확정주주명부는 2024년 12월 31일 기준으로 소액주주(1% 미만) 현황은 다음과 같습니다.
(기준일 : | ) |
구 분 | 주주 | 소유주식 | 비 고 | ||||
---|---|---|---|---|---|---|---|
소액주주수 | 전체주주수 | 비율(%) | 소액주식수 | 총발행주식수 | 비율(%) | ||
소액주주 |
1) 임원현황 본 보고서 작성 기준일 현재 당사 임원현황은 다음과 같습니다. [임원현황]
(기준일 : | ) |
성명 | 성별 | 출생년월 | 직위 | 등기임원여부 | 상근여부 | 담당업무 | 주요경력 | 소유주식수 | 최대주주와의관계 | 재직기간 | 임기만료일 | |
---|---|---|---|---|---|---|---|---|---|---|---|---|
의결권있는 주식 | 의결권없는 주식 | |||||||||||
2) 직원 등 현황 [직원 등 현황]
(기준일 : | ) |
직원 | 소속 외근로자 | 비고 | |||||||||||
---|---|---|---|---|---|---|---|---|---|---|---|---|---|
사업부문 | 성별 | 직 원 수 | 평 균근속연수 | 연간급여총 액 | 1인평균급여액 | 남 | 여 | 계 | |||||
기간의 정함이없는 근로자 | 기간제근로자 | 합 계 | |||||||||||
전체 | (단시간근로자) | 전체 | (단시간근로자) | ||||||||||
합 계 |
3) 미등기임원의 보수현황
(기준일 : | ) |
구 분 | 인원수 | 연간급여 총액 | 1인평균 급여액 | 비고 |
---|---|---|---|---|
미등기임원 |
<이사ㆍ감사 전체의 보수현황> |
1) 주주총회 승인금액
구 분 | 인원수 | 주주총회 승인금액 | 비고 |
---|---|---|---|
2) 보수지급금액 (1) 이사ㆍ감사 전체
인원수 | 보수총액 | 1인당 평균보수액 | 비고 |
---|---|---|---|
(2) 유형별
구 분 | 인원수 | 보수총액 | 1인당평균보수액 | 비고 |
---|---|---|---|---|
등기이사(사외이사, 감사위원회 위원 제외) | ||||
사외이사(감사위원회 위원 제외) | ||||
감사위원회 위원 | ||||
감사 |
<보수지급금액 5억원 이상인 이사ㆍ감사의 개인별 보수현황> |
- 개인별
이름 | 직위 | 보수총액 | 보수총액에 포함되지 않는 보수 |
---|---|---|---|
-당기 중 해당사항 없음.
<보수지급금액 5억원 이상 중 상위 5명의 개인별 보수현황> |
- 개인별
이름 | 직위 | 보수총액 | 보수총액에 포함되지 않는 보수 |
---|---|---|---|
-당기 중 해당사항 없음
3) 주식매수선택권의 부여 및 행사현황 (1) 이사ㆍ감사 등 주식매수선택권의 부여 및 행사현황 등
[주식매수선택권의 부여 및 행사현황]
구 분 | 부여받은인원수 | 주식매수선택권의 공정가치 총액 | 비고 |
---|---|---|---|
등기이사(사외이사, 감사위원회 위원 제외) | |||
사외이사(감사위원회 위원 제외) | |||
감사위원회 위원 또는 감사 | |||
업무집행지시자 등 | |||
계 |
주1) 동 보고서 작성기준일 현재의 주식매수선택권 업무집행지시자의 공정가치내역은 다음과 같습니다.
연번 | 성명 | 직위 | 부여일 | 주식매수선택권 보유 수량 (단위: 주) | 주식매수선택권 공정가치(원) 주2) |
---|---|---|---|---|---|
1 | 이명재 | 전무이사주3) | 2022년 9월 6일 | 28,500 | 6,578 |
2 | 최석근 | 대표이사주4) | 2024년 1월 3일 | 250,000 | 3,314 |
주2) 당사는 이항모형에 의한 공정가치접근법을 적용하였습니다. 주식매수선택권의 공정가치 산출 방법은 I II.재무에 관한 사항 > 3. 연결재무제표 주석 > 주석 15 .주식기준보상을 참조하시기 바랍니다. 주3) 이명재 전무이사는 2022년 9월 6일 이사회에서 주식매수선택권(28,500주)의 부여 결의 당시에는 미등기임원이었으나 2024년 2월 20일 임시주주총회에서 사내이사로 선임되었습니다.주4) 최석근 사내이사겸 대표이사는 2024년 1월 3일 이사회에서 주식매수선택권(250,000주)의 부여 결의 당시에는 미등기임원이었으나 2024년 2월 20일 임시주주총회에서 사내이사로 선임되었으며, 주식매수선택권(250,000주) 부여의 건이 승인 되었습니다.
(2) 임직원 주식매수선택권의 부여 및 행사현황
[임직원 주식매수선택권의 부여 및 행사현황]
(기준일 : | ) |
부여받은자 | 관 계 | 부여일 | 부여방법 | 주식의종류 | 최초부여수량 | 당기변동수량 | 총변동수량 | 기말미행사수량 | 행사기간 | 행사가격 | 의무보유여부 | 의무보유기간 | ||
---|---|---|---|---|---|---|---|---|---|---|---|---|---|---|
행사 | 취소 | 행사 | 취소 | |||||||||||
※ 공시서류 작성기준일(2025년 6월 30일) 현재 종가 : 3,095원
주1) 2023년 12월 21일 이사회 결의에 따라 당사의 주식매수선택권 운영 규정 제9조 2항에 의거 주식매수선택권 행사가격을 다음의 사항으로 조정하였습니다.
※ 주식매수선택권 운영규정 제 9조(주식매수선택권의 행사기간 및 조건) 2항 |
---|
주식매수선택권 부여 후 유상증자, 무상증자, 주식배당, 전환사채, 신주인수권부 사채의 발행, 주식분할, 합병, 액면분할 등을 실시하여 주식가치의 희석화가 이루어지는 경우에는 행사가격 및 부여수량을 조정하며 과도한 배당이 이루어지는 경우에도 같다. 그 행사가격 및 수량 등의 조정에 관한 사항은 아래의 산식에 의하여 이사회의 결의에 따른다. 단, 이때의 조정은 주식매수선택권의 희석화를 방지하기 위한 목적으로 이루어져야 하며 사전에 주식매수선택권자의 동의를 받아야 한다. 행사가격의 조정은 다음과 같이 하며 수량의 조정은 {조정 전 행사수량 * 조정 전 행사가격 ÷ 조정 후 행사가격으로 하며, 이 경우 가격의 조정에서 원 미만의 금액은 절사하고 수량조정에서 1주 미만의 주수는 절사한다. 가. 유상증자의 경우: 행사가격보다 낮은 발행가액으로 유상증자가 이루어지는 경우에는 다음과 같이 조정한다. 조정 후 행사가격 = (유상증자 직전 발행주식총수 * 조정 전 행사가격 + 유상증자 발행주식수 * 유상증자 주당 발행가액) ÷ (유상증자 직전 발행주식수 + 유상증자 발행 주식수) 나. 무상증자의 경우 = (조정 전 행사가격 * 무상증자 직전 발행주식수) ÷ (무상증자 직전 발행주식수 + 무상증자 발행주식수) (중략) 마. 전환사채 또는 신주인수권부 사채의 발행 전환사채 또는 신주인수권부 사채의 발행의 경우로서 그 전환가격 또는 신주인수권의 행사가격이 주식매수선택권의 행사가격보다 낮은 경우에는 동 사채에 의한 전환 또는 신주인수권의 행사가 가능한 부분이 모두 전환 또는 행사되었다고 가정하고 위 가.의 유상증자의 경우를 적용한다. |
- 행사가격 조정 사유 : 행사가격 하회 제3자배정 유상증자 신주발행
- 행사가격 조정일 : 제3자배정 유상증자 주금납입일 (2023년 12월 21일)
- 제3자 배정 유상증자 발행 주식 수 및 발행가액 : 5,551,444주 / 2,702원
[조정 대상 주식매수선택권 행사가격 및 주식 수 조정사항]
1) 최근 조정일 (2022년 12월 19일) 이후
(단위 : 원, 주) |
회차 |
조정 대상 주식매수선택권 부여일 |
조정 전 (조정일 : 2022년 12월 19일) |
조정 후 (조정일 : 2023년 12월 21일) |
|
---|---|---|---|---|
부여 결의 방법 |
1주당 행사가격 |
부여 주식 수 |
1주당 행사가격 |
|
6차 |
2017년 1월 12일 주2) |
@9,211 |
100,000 |
@7,874 |
이사회 결의 |
||||
7차 |
2019년 3월 5일 주3) |
@11,748 |
60,000 |
@9,890 |
이사회 결의 |
||||
8차 |
2020년 7월 31일 |
@10.021 |
80,000 |
@8,517 |
이사회 결의 |
||||
10차 |
2022년 8월 1일 |
@10,045 |
140,000 |
@8,536 |
이사회 결의 |
||||
11차 |
2022년 9월 6일 |
@9,375 |
307,500 |
@8,004 |
이사회 결의 |
2) 최초 부여일 (2023년 9월 22일) 이후
(단위 : 원, 주) |
회차 |
조정 대상 주식매수선택권 부여일 |
조정 전 (부여시 행사가격) |
조정 후 (조정일 : 2023년 12월 21일) |
|
---|---|---|---|---|
부여 결의 방법 |
1주당 행사가격 |
부여 주식 수 |
1주당 행사가격 |
|
12차 |
2023년 9월 22일 |
@3,645 |
30,000 |
@3,451 |
이사회 결의 |
주2) 행사기간 만료에 따른 권리 소멸 주3) 행사기간 만료 전 퇴직으로 인한 권리 소멸
1. 계열회사 현황 - 당사는 동 보고서 작성 기준일 현재 해당사항이 없습니다.
(기준일 : | ) | (단위 : 사) |
기업집단의 명칭 | 계열회사의 수 | ||
---|---|---|---|
상장 | 비상장 | 계 | |
※상세 현황은 '상세표-2. 계열회사 현황(상세)' 참조 |
2. 타법인출자 현황 (요약) 당사는 자산총액 1천억원 미만 또는 매출액 500억원 미만인 기업에 해당하여, 기업공시서식 작성기준 제 7장 4절 (제7-4-2조)에 따라 타법인 출자현황의 기재를 생략합니다.
1. 대주주등에 대한 신용공여 - 당사는 동 보고서 작성 기준일 현재 해당사항이 없습니다. 2. 대주주와의 자산양수도 등 - 당사는 동 보고서 작성 기준일 현재 해당사항이 없습니다. 3. 대주주와의 영업거래 - 당사는 동 보고서 작성 기준일 현재 해당사항이 없습니다. 4. 대주주 이외의 이해관계자와의 거래 - 당사는 동 보고서 작성 기준일 현재 해당사항이 없습니다.
- 당사는 동 보고서 제출일 현재 해당사항이 없습니다.
1) 중요한 소송사건 - 당사는 동 보고서 작성 기준일 현재 해당사항이 없습니다. 2) 견질 또는 담보용 어음ㆍ수표 현황 - 당사는 동 보고서 작성 기준일 현재 해당사항이 없습니다.
- 당사는 동 보고서 작성 기준일 현재 해당사항이 없습니다.
1) 작성기준일 이후 발생한 주요사항 - 작성기준일 이후 발생한 주요사항은 없습니다. 2) 중소기업기준 검토표 첨부된 중소기업 기준검토표를 참조하여 주시기 바랍니다.
3) 보호예수 현황
(기준일 : | ) |
주식의 종류 | 예수주식수 | 예수일 | 반환예정일 | 보호예수기간 | 보호예수사유 | 총발행주식수 |
---|---|---|---|---|---|---|
- 해당 보호예수 주식 5,551,444주는 2025년 1월 12일부로 반환, 보호예수가 해제되었습니다.
4) 특례상장기업의 사후정보 (1) 매출액 미달에 대한 관리종목 지정유예 현황
[최근 사업연도 매출액 30억원 미만 여부]
(기준일 : | ) |
요건별 회사 현황 | 관리종목지정요건해당여부 | 관리종목지정유예 | |||
---|---|---|---|---|---|
사업연도 | 매출금액 | 해당여부 | 사유 | 종료시점 | |
(2) 계속사업손실에 대한 관리종목 지정유예 현황 (자기자본 50%이상(10억원 이상에 한함)의 법인세차감전계속사업손실이 최근 3년간 2회 이상 및 최근 사업연도 법인세차감전계속 사업손실 발생 여부)
(기준일 : | ) |
요건별 회사 현황 | 관리종목지정요건해당여부 | 관리종목지정유예 | ||||
---|---|---|---|---|---|---|
사업연도 | 법인세 차감전계속사업손익(A) | 자기자본금액(B) | 비율(A/B) | 해당여부 | 종료시점 | |
☞ 본문 위치로 이동 |
상호 | 설립일 | 주소 | 주요사업 | 최근사업연도말자산총액 | 지배관계 근거 | 주요종속회사 여부 |
---|---|---|---|---|---|---|
주1) 아래의 주요종속회사 판단여부 기준에 해당하지 않음.① 직전연도 자산총액이 지배회사 자산총액의 10% 이상인 종속회사② 직전연도 자산총액이 750억원 이상인 종속회사
☞ 본문 위치로 이동 |
(기준일 : | ) | (단위 : 사) |
상장여부 | 회사수 | 기업명 | 법인등록번호 |
---|---|---|---|
상장 | |||
비상장 | |||
- 해당 사항 없습니다.
당사는 자산총액 1천억원 미만 또는 매출액 500억원 미만인 기업에 해당하여, 기업공시서식 작성기준에 따라 타법인 출자현황의 기재를 생략합니다.
- 해당사항 없습니다.
- 해당사항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