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년 09월 11일 | ||
회 사 명 : | 프레스티지바이오파마(Prestige Biopharma Limited) | |
대 표 이 사 : | 박소연 | |
본 점 소 재 지 : | 21 Biopolis Road, #04-24 Nucleos South Building, Biopolis, Singapore 138567 | |
(전 화) +65-6924-6535 | ||
(홈페이지) http://www.prestigebiopharma.com | ||
작 성 책 임 자 : | (직 책) 이사 | (성 명) 신동조 |
(전 화) +65-9018-1633 | ||
(제10기 정기) |
제10기 정기 주주총회 소집통지
프레스티지바이오파마 KDR 소유자님의 건승과 댁내의 평안을 기원합니다.
당사는 제10기 정기 주주총회를 아래와 같이 개최합니다. 이번 주주총회는 당사 주주명부상의 주주인 한국예탁결제원(이하 KSD)의 사전 일괄위임을 기준으로 당사 KDR 소유자분들을 소집하는 것입니다. 의결권 있는 발행주식총수의 100분의 1 이하의 주식을 소유한 소액주주에 대해서는 대한민국 상법 제542조의4 및 당사 정관 제46조에 의거 전자공고로 소집통지를 갈음하오니 양지하여 주시기 바랍니다.
또한, 당일 출석하지 못하시는 경우에는 서면을 통해 의결권을 행사하실 수 있으니 참고서류 등을 검토하신 후 2025년 09월 22일(월)까지 의결권을 행사하여 주시기 바랍니다.
- 아 래 - |
1. 일 시 : 2025년 09월 29일(월) 오전 10시
2. 장 소 : 부산광역시 강서구 명지국제6로 164, 로아홀
3. 회의목적사항
가. 보고사항
1) 제10기(2024.07.01 ~ 2025.06.30)재무제표 보고 2) 감사보고 3) 영업보고 4) 내부회계관리제도 운영실태 보고 및 평가보고
* 참고사항 : 상기 제10기 재무제표 보고의 건은 상법 제449조의2(재무제표 등의 승인에 대한 특칙) 및 회사 정관 제117조(A), 제132조(A), 제133조, 제134조에 따라 외부감사인의 감사의견이 적정이고 감사위원 전원의 동의가 있는 경우 이사회에서 재무제표를 승인하고 주주총회에서 보고로 갈음할 예정입니다.
나. 의결 사항
제1호 의안: 감사위원이 되는 사외이사 선임 결정의 건 제1-1호: 사외이사 이기현 선임의 건
제2호 의안: 제11기 사내이사 및 사외이사 보수한도 승인의 건제3호 의안: 제10기 사외이사 보수지급 승인의 건제4호 의안: Nexia 삼덕회계법인 감사인 선임과 감사보수 승인에 대한 이사회 권한 위임의 건제5호 의안: 신주발행권한에 대한 이사회에 위임의 건 제5-1호: 스톡옵션 제도 2020의 규정에 따른 스톡옵션의 제공 및 부여 제5-2호: 스톡옵션 제도 2020에 따른 옵션 행사에 따라 발행되어야 하는 주식의 수시 배정 및 발행 제5-3호: 권리공모, 무상증자 또는 기타 방법에 의한 주식의 발행 제5-4호: 신주인수권 또는 신주인수권부사채, 사채, 전환사채, 교환사채, 주식연계사채 또는 주식연계증권 등 주식을 발행이 수반되는 수단을 승인 및 발행하고, 동 수단에 따라 주식을 발행 제5-5호: 해당 권한이 발행 시점에 만료된 경우에도, 그에 따라 발행이 필요한 주식의 발행 제5-6호: 자본 확충을 목적으로 제3자 배정을 통해 옵션을 부여 및 승인 하거나, 해당 옵션에 따라 주식을 배정하고 발행
4. 경영참고사항 비치
상법 제542조의 4에 의한 경영참고사항을 우리 회사의 본점, 금융위원회, 한국거래소에 전자공시하오니 참조하시기 바랍니다.
5. 의결권 행사에 관한 사항
가. 당사 KDR은 당사의 보통주식을 바탕으로 발행한 주식예탁증권으로, 당사 KDR의 취급 등은 당사와 KSD 간의 예탁계약서에 기준합니다. 당해 예탁계약서는 프레스티지바이오파마 홈페이지(https://www.prestigebiopharma.com)에서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
나. 예탁계약서 제34조 및 KSD의 사전 일괄위임에 의거하여 KDR 소유자는 아래 방법 중 어느 하나로 의결권을 행사하실 수 있습니다. 기간 내에 서면을 통한 의결권을 행사하지 않고 본 주주총회에 출석하지 않았을 경우에는 의결권 행사를 상실하게 되므로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1) 본 주주총회에 출석하여 의결권 직접 행사 또는 위임장에 의거 의결권 대리 행사
2) KSD를 통하여 의결권 행사 신청
3) 2)의 경우, 동봉한 「주주총회 의결권행사 신청서」에 찬반을 표시한 후, 2025년 09월 22일(월) 18시까지 의결권행사 신청서를 보내주십시오. 또한 기간 내에 서면을 통한 의결권을 행사하지 않고 본 주주총회에 출석하지 않았을 경우에는 의결권 행사를 상실하게 되므로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아래「주주총회 의결권행사 신청서」는 당사 홈페이지에서도 확인 가능)
6. 주주총회 참석시 준비물
- 직접 행사 : 주주총회개최통지서, 신분증
- 대리 행사 : 위임장(KDR 소유자와 대리인의 인적사항 기재, 서명 및 날인, 대리인 신분증)
7. 기타사항
정관 제44조에 의거하여 주주총회는 총회 소집통지서에 지정한 한국 내의 장소에서 개최합니다.
[별첨] 정기주주총회 의결권행사 신청서
회차 | 개최일자 | 의 안 내 용 | 가결여부 | 이사의 성명 | |||||||||
---|---|---|---|---|---|---|---|---|---|---|---|---|---|
박소연(출석률:100%) | Michael Jinwoo Kim(출석률:83%) | 방규호(출석률:100%) | 이의경(출석률:100%) | 전경희(출석률:83%) | Kok Fatt Lee(출석률:100%) | Ong Kang Lin(출석률:100%) |
Tan Yong Chuang (출석률:100%) |
Tan Ting Yong (출석률:83%) |
오승주(출석률:100%) | ||||
1차 | '24.07.17 | 1. 프레스티지바이오로직스(주) 대출 이자의 대여금 전환 제안 검토 및 승인 | 가결 | 찬성 | 불참 | 찬성 | 찬성 | 찬성 | 찬성 | 찬성 | NA | NA | 찬성 |
2차 | '24.08.14 | 1. 제9기 회계연도의 '내부회계관리제도' 설계 및 운영 실태 보고2. 제9기 K-IFRS '감사전' 연결/별도 재무제표 승인3. 투자자금 차입 및 IDC 투자 결과보고4. 투즈뉴(Tuznue)의 품목승인 등 파이프라인 현황 보고5. Biolexis (구, Stelis) & ENSO 소송 현황 보고6. 종속회사 PBPUS (가칭) 설립 현황 보고7. 프레스티지바이오파마 사무실 주소 변경 보고 | -가결----- | -찬성----- | -찬성----- | -찬성----- | -찬성----- | -불참----- | -찬성----- | -찬성----- | NANANANANANANA | NANANANANANANA | -찬성----- |
3차 | '24.09.12 |
1. 감사위원회의 FY2024 내부회계관리제도 운영평가 보고의 건2. 기업 비서의 사임 및 신규 비서 임명 보고 3. 제9기 K-IFRS 연결/별도 재무제표 감사 보고서 승인4. 프레스티지바이오아이디씨와 프레스티지바이오로직스 간의 백신 생산장비 자산 양수도에 대한 검토 및 승인의 건 내부거래위원회의 권고안 검토 및 승인5. 내부거래위원회의 권고에 의거한 PBL의 제3자 배정 유상증자참여의건 검토 및 승인의 건6.주주총회 소집 결의 및 상정 의안 승인 |
--가결가결가결가결 | --찬성찬성찬성찬성 | --찬성찬성찬성찬성 | --찬성찬성찬성찬성 | --찬성찬성찬성찬성 | --찬성찬성찬성찬성 | --찬성찬성찬성찬성 | --찬성찬성찬성찬성 | NANANANANANA | NANANANANANA | --찬성찬성찬성찬성 |
4차 | '24.11.27 | 1. 감사위원회의 권고에 의거하여, 제10기 1분기 검토된 연결/별도 재무제표 검토 및 승인2. 산업통상자원부와의 협약에 따른 프레스티지바이오파마아이디씨에 대한 투자 완료를 위하여, 2024년 11월 26일 USD 8 Million 추가 차입 실행 보고(2024년 5월 24일 이사회 승인)3. Biolexis (구, Stelis) & ENSO 소송 현황 보고 | 가결-- | 찬성-- | 찬성-- | 찬성-- | 찬성-- | 찬성-- | 찬성-- | 찬성-- | 찬성-- | 찬성-- | NANANA |
5차 | '25.02.26 | 1. 감사위원회의 권고에 의거하여, 제10기 반기 검토된 연결/별도 재무제표 검토 및 승인2. 김 마이클 진우의 프레스티지바이오로직스 이사 선임안 승인3. 파이프라인 현황 보고 | 가결가결- | 찬성찬성- | 찬성찬성- | 찬성찬성- | 찬성찬성- | 찬성찬성- | 찬성찬성- | 찬성찬성- | 찬성찬성- | 찬성찬성- | NANANA |
6차 | '25.05.21 | 1. 감사위원회의 권고에 의거하여, 제10기 3분기 검토된 연결/별도 재무제표 검토 및 승인2. Prestige Biopharma Australia Pty Ltd에 대한 자본금 출자 승인의 건 | 가결가결 | 찬성찬성 | 찬성찬성 | 찬성찬성 | 찬성찬성 | 찬성찬성 | 찬성찬성 | 찬성찬성 | 찬성찬성 | 불참 | NANA |
(가) 보상위원회
개최일자 | 의안내용 | 가결여부 | LEE KOK FATT | Ong Kang Lin | 방규호 |
---|---|---|---|---|---|
2024.09.04 | - 사내이사 보수 금액 검토 및 이사회 상정- 사외이사 보수 금액 검토 및 이사회 상정 | 가결가결 | 찬성찬성 | 찬성찬성 | 찬성찬성 |
(나) 내부거래위원회
개최일자 | 의안내용 | 가결여부 | 이의경 | LEE KOK FATT | 방규호 |
---|---|---|---|---|---|
2024.07.03 | - 프레스티지바이오로직스(주) 대출 이자의 대여금 전환 제안 | 가결 | 찬성 | 찬성 | 찬성 |
2024.08.20 | - 임상 시험에 필요한 PBP1510의 원료의약품 제조를 위해 프레스티지바이오로직스와의 계약 체결을 승인하기로 함 | 가결 | 찬성 | 찬성 | 찬성 |
2024.09.04 | - 프레스티지바이오아이디씨와 프레스티지바이오로직스 간의 백신 생산장비 자산 양수도에 대하여 이사회에 승인 권고결정-프레스티지바이오로직스(주)의 제3자 배정 유상증자(15,916,168주) 참여 검토 및 해당안 이사회에 권고 결정 | 가결가결 | 찬성찬성 | 찬성찬성 | 찬성찬성 |
2024.09.12 | - HD201의 원료의약품 3개의 PPQ 배치 제조를 위해 프레스티지바이오와의 계약 진행을 승인 | 가결 | 찬성 | 찬성 | 찬성 |
2024.11.22 | - Prestige BioPharma Belgium BVBA 운영자금 대출한도 증액 승인 | 가결 | 찬성 | 찬성 | 찬성 |
2024.12.02 | - HD201의 원료의약품 16배치에 대한 프레스티지바이오로직스와의 생산 계약 권고안 승인 | 가결 | 찬성 | 찬성 | 찬성 |
(단위 : USD) |
구 분 | 인원수 | 주총승인금액 | 지급총액 | 1인당 평균 지급액 | 비 고 |
---|---|---|---|---|---|
사외이사 등 | 5 | 2,000,000 | 124,000 | 24,800 | - |
주1) 싱가포르 회사법 및 당사의 정관에 따르면 주주총회의 승인이 필요한 이사의 보수는 이사회의 활동 보수 성격인 Director's Fee였으며, 제10기의 Director's Fee에 해당하는 금액은 '사외이사 등 5인의 보수' 금액입니다.
(단위 : 억원) |
거래종류 | 거래상대방(회사와의 관계) | 거래기간 | 거래금액 | 비율(%) |
---|---|---|---|---|
- | - | - | - | - |
- 해당사항없음
(단위 : 억원) |
거래상대방(회사와의 관계) | 거래종류 | 거래기간 | 거래금액 | 비율(%) |
---|---|---|---|---|
- | - | - | - | - |
- 해당사항없음
(1) 산업의 특성 및 전망당사가 사업을 영위하고 있는 분야인 바이오산업은 글로벌 고령화, 만성질환 증가, 신종 감염병 발생 등에 따른 의료 수요 확대와 기술 발전에 힘입어 지속적인 성장이 기대되는 미래 전략산업입니다. 특히 바이오의약품은 높은 치료 효능과 안정성으로 인해 수요가 꾸준히 증가하고 있으며, 관련 시장도 빠르게 성장하고 있습니다.시장조사기관 Precedence Research에 따르면, 글로벌 바이오의약품 시장은 2025년 약 5,375억 4,000만 달러에서 2034년까지 1조 7,962억 1,000만 달러 까지 확대될 것으로 예상되며, 이 기간 동안 연평균 14.8% 성장할 것으로 전망되고 있습니다.
[출처: Precedence Research, Biopharmaceuticals Market Size to Surpass US $1,796.21 by 2034]
바이오산업을 분야별로 살펴보면, 산업 내에서 큰 비중을 차지하고 있으며 당사의 주력사업 부문이기도 한 '바이오시밀러' 산업은 향후 수년간 지속적인 성장이 예상됩니다. 시장조사기관 Grand View Research에 따르면, 2022년 약 218억 달러 규모였던 글로벌 바이오시밀러 시장은 2030년까지 약 762억 달러에 도달할 것으로 전망되며, 이 기간 동안 연평균 성장률(CAGR)은 15.9%에 이를 것으로 분석됩니다. 이러한 성장은 만성 질환의 증가, 바이오시밀러의 비용 효율성, 주요 오리지널 바이오의약품의 특허 만료 등에 기인하는 것으로 판단됩니다.또한 당사가 전략적으로 진출한 바이오의약품의 위탁개발생산(CDMO) 시장 역시 바이오의약품 시장 확대, 신약 개발 증가, 항암 치료제 수요 확대에 따라 꾸준한 성장세를 보이고 있습니다. 시장조사기관 Grand View Research에 따르면, 글로벌 바이오의약품 CDMO 시장은 2024년 약 319억 2,000만 달러 규모로 평가되며, 2030년까지 약 575억 9,000만 달러에 이를 것으로 전망됩니다. 이는 2025년부터 2030년까지 연평균 약 10.3%의 성장률(CAGR)을 기록할 것으로 분석됩니다. 이처럼 바이오의약품 시장은 기술집약적이고 부가가치가 높은 산업으로, 정부의 제도적 지원과 함께 민간 부문의 연구개발 확대, 생산시설 구축, 글로벌 시장 진출 등의 움직임이 활발히 이루어지면서 산업 생태계 전반의 성장이 본격화되고 있습니다 (2) 한국내외 시장여건 (가) 한국내 시장 국내 바이오산업은 최근 몇 년간 기술 발전과 정부의 적극적인 지원에 힘입어 지속적인 성장세를 이어오고 있습니다. 특히 바이오의약품 분야는 연구개발 투자 증가, 생산 인프라 확대, 수출 경쟁력 제고 등으로 시장 기반이 확대되고 있으며, 그중에서도 바이오시밀러 산업은 국내 기업들의 주력 분야로 자리매김하고 있습니다.국가임상시험지원재단의 2024년 '한국임상시험백서'에 따르면 2023년 기준 국내 바이오의약품 시장 규모는 약 4조 7,000억 원으로 나타났으며, 최근 5년간 연평균 16.1%의 성장률을 기록하였습니다. 같은 해 바이오의약품 수출액은 3조 원, 수입액은 2조 7,000억 원 수준으로 각각 연평균 13.5%, 9.8%의 증가세를 보이며, 국제 시장에서의 경쟁력도 강화되고 있는 것으로 평가됩니다. 특히 항체 기반의 바이오의약품을 포함한 유전자재조합 의약품의 생산 실적은 2조 6,000억 원으로 전년 대비 34.2% 증가하였으며, 이는 바이오시밀러 제품군의 해외 수요 확대와 기술 상용화 진전이 주요한 배경으로 작용한 것으로 분석됩니다.
[출처: 국가임상시험지원재단, 『2024 한국임상시험백서』2023년 기준 바이오의약품 시장 규모 약 4.7조 원, 연평균 성장률 16.1%]바이오시밀러 산업은 국내 제약·바이오기업들이 지속적으로 기술 역량을 축적해온 분야로, 임상개발 및 품질관리 측면에서 국제 기준에 부합하는 수준으로 발전하고 있습니다. 주요 오리지널 바이오의약품의 특허 만료에 따라 바이오시밀러에 대한 국내외 수요는 지속적으로 확대되고 있으며, 국내 기업들은 항암제, 면역질환 치료제 등 고부가가치 치료 영역을 중심으로 제품 라인업을 다변화하고 있습니다.한국은 글로벌 임상 파이프라인 규모에서도 꾸준한 성장세를 보이고 있으며, 전 세계바이오의약품 개발 주요 10개국 중 2023년 4위에서 2024년에도 3위를 유지하며 높은 순위를 지속하고 있습니다. 2024년 한국의 전체 파이프라인 수는 3,233건으로 전년 대비 증가하였으며, 전체 글로벌 파이프라인의 14.2%를 차지하는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이는 국내 바이오 기업들이 활발한 연구개발 활동을 이어가고 있으며, 글로벌 수준의 기술력과 임상 수행 역량을 갖추고 있음을 보여주는 지표라 할 수 있습니다.
[출처: 국가임상시험지원재단, 『2024 한국임상시험백서』 2024년 기준 한국 파이프라인 수 3,233건, 글로벌 비중 14.2%]정부는 2023년 발표한 「제3차 제약·바이오산업 육성·지원 종합계획(2023~2027년)」을 통해 바이오의약품 산업을 미래 성장동력으로 육성하고 있으며, R&D 지원 확대, 규제 합리화, 전문 인력 양성, 수출 확대 등 종합적이고 전략적인 정책을 추진하고 있습니다. 이러한 정책 기반과 함께, 민간 부문의 기술개발 노력과 글로벌 진출 확대가 더해지면서 국내 바이오시밀러 산업은 중장기적으로 안정적인 성장세를 이어갈 것으로 기대됩니다. (나) 해외 시장전 세계 바이오의약품 시장은 안정적인 성장세를 지속하고 있으며, 글로벌 제약시장 내에서 차지하는 비중 또한 점차 확대되고 있는 추세입니다. Frost & Sullivan에 따르면, 글로벌 바이오의약품 시장은 2023년 약 4,800.3억 달러에서 2029년까지 약 8,062.9억 달러로 연평균 9% 성장할 것으로 전망되었습니다.
[출처: Frost & Sullivan, Growth Opportunities in Biologics Contract Development and Manufacturing Organizations, Jun 2024. (국가임상시험지원재단, 『2024 한국임상시험백서』 재인용)]또한 Evaluate의 "WORLD PREVIEW 2024: Pharma's Growth Boost"에 따르면, 바이오의약품은 글로벌 처방의약품 시장 내에서 차지하는 매출 비중이 2016년 26%에서 2023년에는 41%로 확대되었으며, 2030년에는 46%에 이를 것으로 예상되고 있습니다. 반면, 합성의약품(저분자화합물)의 비중은 동기간 74%에서 54%로 지속적인 감소세를 보이고 있습니다. 이는 바이오 기반 치료제가 전체 의약품 산업 내에서 차지하는 비중이 점차 커지고 있으며, 향후 바이오의약품 중심의 시장 구조로 재편될 가능성이 크다는 점을 시사합니다. 현재 미국과 유럽에서 임상 1/2a상을 진행하고 있는 당사의 췌장암항체신약 PBP1510 (Anti PUAF) 역시 2020년 유럽의약품청 (EMA) 및 미국 식품의약국 (FDA), 한국 식품의약품안전처로부터 '희귀의약품’으로 지정된 바 있으며, 2023년 3월에 미국 식품의약국 (FDA) 패스트트랙 품목으로 선정되었습니다. 향후 시장 진출 시 글로벌 처방의약품 시장의 희귀의약품 부문에서 중요한 위치를 차지할 수있을 것으로 기대하고 있습니다.
[출처: Evaluate, World Preview 2024: Pharma’s Growth Boost, May 2024. (국가임상시험지원재단, 『2024 한국임상시험백서』 재인용)]
글로벌 시장의 이 같은 변화는 바이오시밀러 산업의 성장 가능성을 더욱 뒷받침하는 지표로 작용하고 있으며, 특히 항체 기반 치료제, 희귀질환 치료제 등 고부가가치 바이오의약품의 개발 수요 증가가 그 핵심 요인으로 분석됩니다.
(3) 경쟁력 요소
(가) 특허 기술 및 가격 경쟁력
당사는 특허 기술 및 대체원료를 기반으로 고정비(Fixed Cost)와 변동비(Variable Cost)의 측면에서 뛰어난 경쟁력을 확보하고 있습니다. 먼저 당사가 보유하고 있는 특허 기술 중 '항체 정제방법 (Non-Protein A Purification)' 및 '항체 발현용 바이시스트로닉 발현벡터 및 이를 이용한 항체의 생산 방법'을 활용해 항체의약품의 생산원가를 절감할 수 있습니다. 두번째로, 종속회사인 프레스티지바이오로직스가 보유한 최첨단 생산시설 및 특허기술 ALITA Smart BioFactory의 싱글유즈시스템(Single-Use System)은 교차오염의 위험을 줄이고 효율성과 생산성을 높일 수 있게 합니다. 세번째로, 당사는 대체 개발을 통해 생산성과 가격경쟁력을 높일 수 있으며 외부 요인으로 인해 바이오의약품의 원부자재 조달이 힘들어지더라도 안정적으로 생산설비 및 관련 원부자재를 확보할 수 있습니다. 이처럼 당사는 모든 생산 프로세스가 종속회사인 프레스티지바이오로직스 등을 통해 내재화되어 있고 외주에 의존하지 않기 때문에 원가경쟁력을 확보할 수 있게 됩니다.
(나) 시장 진입 경쟁력 및 마케팅 역량
당사는 싱가포르 본사를 기반으로 광범위한 아시아 태평양 네트워크를 구축해 글로벌 시장 진출에 박차를 가하고 있습니다. 먼저 싱가포르에 위치한 본사 및 R&D센터에서는 항체신약 및 바이오시밀러 연구 개발 총괄, 임상시험 관리, 국제 인허가 등 규제 등록, 해외 사업 개발 및 라이선스 계약 등을 담당하고 있습니다. 또한 호주, 벨기에 법인을 통해 글로벌 임상 및 국제 인허가, 해외 사업이 원활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뒷받침하고 있습니다.
이에 더해, 개발이 앞선 파이프라인에 대해 다수의 글로벌 제약사들과 파트너십 계약을 체결해 미주, 유렵, 아시아태평양, 아프리카 등 전세계 유통망을 확보하고 판로를 개척해나가고 있습니다. 글로벌 제약사들의 전문성과 경험을 활용해 지역 및 국가별 진입 장벽을 낮추고 시장 특성에 맞춰 공략할 수 있도록 전략적 협력을 도모하고 있습니다.
당사는 바이오시밀러와 항체 신약 개발에 집중해 온 항체의약품 개발 전문 제약회사로서, 2021년 2월 5일자로 한국에 유가증권시장에 상장되었으며, 종속기업 CDMO전문기업 프레스티스바이오로직스(주)와 R&D 전문기업 프레스티스바이오파마(주)를 운영함으로써 연구, 개발 및 생산을 통합한 원스톱 솔루션을 제공하는 제약 그룹입니다.가. 바이오시밀러 사업부문 [투즈뉴(Tuznue-허셉틴 바이오시밀러)] 당사의 파이프라인 중 개발이 가장 앞선 허셉틴 바이오시밀러(HD201)는 2019년 4월 유럽의약품청(EMA)에 품목허가신청서(MAA)를 제출한 이후, COVID-19로 인한장기간 심사가 지연되어 2022년 5월, EMA의 인체의약품위원회(CHMP)는 당사가 제출한 MAA에 대해 당사와 통계적 분석방법에 대한 견해 차이를 보이며 '부정적 의견(Negative Opinion)'을 제시하였습니다. 이에 당사는 심사관과 동등성 평가기준에 이견이 있었던 일부 분석시험에 대한 부정적 의견을 해소하기 위해 해당 분석법에 대한 추가 밸리데이션(Validation) 진행 후 자료를 보완하여 2023년 7월 유럽 EMA에 품목허가신청을 다시 제출하였으며, 2024년 7월 유럽 의약품청(EMA) 산하 약물사용자문위원회(CHMP)로부터 품목허가 승인 권고(Positive Opinion)를 취득하였고, 2024년 9월 유럽연합 집행위원회(EC)로부터 품목허가를 최종 획득함으로써 HD201 품목명 투즈뉴(Tuznue)로 등록하였습니다. 현재는 유럽 시장 출시를 준비하고 있으며, 동시에 미국 FDA 승인을 위한 절차를 체계적으로 진행하고 있습니다.[HD204-아바스틴 바이오시밀러] 현재 글로벌 임상 3상을 진행 중인 당사의 아바스틴 바이오시밀러(HD204)는 임상시험에서 품목허가 신청에 필요한 데이터를 확보하는대로 미국 FDA와 유럽 EMA에 품목허가를 신청할 계획입니다. 현재 HD204의 글로벌 임상3상은 전세계 17개 국가에서 진행하고 있습니다. [PBP1502-휴미라 바이오시밀러] 당사의 휴미라 바이오시밀러(PBP1502)는 2022년 1월 스페인에서 '1상' 임상시험계획을 승인 받아 임상 1상이 진행 중입니다. 바이오시밀러는 이미 효능이 검증된 원약과의 동등성 입증에 포커스를 두기 때문에 임상 2상 시험의 생략이 가능하며, 당사는 임상 1상에서 초기 데이터를 통해 안전성을 확인한 후 개도국을 중심으로 빠른 상업화를 이루기 위한 전략을 진행할 예정입니다.[기타 바이오시밀러 파이프라인] 이 밖에도 당사는 지난 사업연도에 새로운 바이오시밀러 파이프라인을 추가하며, 바이오시밀러 제품군 확대에도 노력하고 있습니다. 나. 항체신약 사업부문[PBP1510 - Ulenistamab] 췌장암 항체신약 PBP1510은 2022년 2월 스페인에서 임상 1/2a상에 대한 임상계획을 승인 받았으며, 2022년 6월에는 미국 FDA에서도 임상 1/2a상에 대한 임상계획을승인 받아 현재 유럽과 미국에서 임상 1/2a상을 진행하고 있습니다. 또한, 2023년 7월 호주, 9월 싱가포르에서도 임상계획 승인을 받아 현재 임상 1상을 진행중에 있습니다. 2022년 4월 WHO가 발간한 'Recommended INN List'에 공개된 바와 같이 PBP1510은 'ulenistamab'이라는 성분명으로 국제 일반명(INN, International Nonpropietary Names)이 등록되었으며, 따라서 향후 PBP1510 Anti-PAUF 항체신약의 성분명은 'ulenistamab'으로 표기될 예정입니다. PBP1510은 췌장암 대부분에서 발견되는 췌관선암 과발현 인자(PAUF, Pancreatic Adenocarcinoma Up-regulated Factor)를 중화하는 항체신약으로 PAUF에 기인한 다양한 암 진행 및 전이 메커니즘을 차단합니다. PAUF는 또한 종양미세환경(TME, Tumor Microenvironment)을 변화시켜 생체의 면역체계를 억제함과 동시에 면역을 교란시켜 암세포의 성장을 촉진하는데, PBP1510은 이러한 PAUF의 역할을 원천 차단해 암세포가 생체의 면역체계와 기존 항암제에 대해 더욱 민감하게 반응하도록 만들어 줍니다. 이러한 특성을 통해 기존 항암제와 상승적인 효과를 발휘할 것으로 기대하고 있습니다. 2020년 유럽 의약품청(EMA), 미국 식품의약국(FDA), 한국 식품의약품안전처(MFDS)로부터 희귀의약품으로 지정된 바 있는 PBP1510은 지난해 캐나다, 중국에 이어 올해 2024년 1월 인도, 5월 이스라엘, 7월 뉴질랜드에서도 특허를 획득하였습니다.이로써 PBP1510은 현재까지 한국, 미국, 호주, 대만, 러시아, 남아프리카공화국, 일본, 싱가포르, 말레이시아, 인도네시아, 캐나다, 이스라엘, 중국, 인도, 뉴질랜드, 멕시코를 포함하는 세계 주요 18개국에서 특허를 취득했으며, 유럽 등 6개의 국가에서도 특허 심사가 진행 중입니다. [PBP1710 - Anti-CTHRC1] 당사가 개발 중인 두 번째 항체신약, PBP1710은 췌장암, 유방암 등 다양한 고형암 유래 암세포에서 과발현되는 CTHRC1 (Collagen Triple Helix Repeat Containing-1)을 표적으로 하고 있습니다. CTHRC1은 암의 증식이나 전이, 그리고 유착과 같은 암세포의 특징들을 증강시켜 암세포를 더욱 공격적으로 만든다고 보고되고 있습니다. PBP1710은 이러한 CTHRC1을 중화하는 항체신약으로 CTHRC1에 기인한 다양한 암의진행 및 전이 메커니즘을 차단합니다. 2023년 1월 한국, 4월 남아프리카공화국 11월 인도네시아에서 특허를 취득하였으며, 2024년에는 러시아와 중국에도 등재되었습니다. 2025년 1월 기준으로 일본에서도 특허를 획득했으며, 현재 유럽을 포함한16개국에서 특허 심사가 진행 중입니다. [기타 항체신약 파이프라인] 이 밖에도 당사는 희귀질환 등 미충족 수요가 높은 질환에 대한 혁신 신약을 개발하기 위해 새로운 타겟을 발굴하여 항체신약 파이프라인을 확장하고 있습니다. 아래 파이프라인을 비롯해서 종양미세환경 조절인자이자 면역관문억제제로 작용하는 이중 항체, 면역세포 활성화를 유도하여 항종양 효과를 증강시키는 신개념 융합 항체 등 항체 엔지니어링 기술을 적용한 다양한 항체 신약의 타겟을 검증하고 최종 후보물질을 도출하기 위한 연구개발을 수행 중입니다.
다. 백신 사업부문
2021년 백신사업으로의 진출을 결정한 후, 당사는 종속회사인 프레스티지바이오로직스와의 협력을 통해 백신 위탁생산사업을 진행해 오고 있으며, 호주의 백신개발사 박신(Vaxine)을 비롯한 글로벌 백신 개발사들과 백신의 공동 개발 등을 논의하는 등 관련 연구인력 및 시설 투자를 계획하고 있습니다.
라. CDEMO 사업부문 당사의 종속회사인 프레스티지바이오로직스㈜는 국내외 제약회사의 첨단 바이오의약품을 위탁 생산하며,의약품개발 과정에 참여하여 개발단계별 맞춤형 서비스를 제공함으로써 다양한 형태의고객과 협력체계를 구축하고 있습니다. 또한, Easy to modify/Adapt 시스템을 도입하여 고객 Needs에 맞는 제조 환경을 제공하는 CDEMO (Contract Development, Engineering & Manufacturing Organization) 사업을 영위하고 있습니다.
(나) 조직도
가. 보고사항
□ 재무제표의 보고 1. 제10기(2024.07.01-2025.06.30) 재무제표 보고의 건
가. 해당 사업연도의 영업상황의 개요
Ⅲ.경영참고사항의 1.사업의 개요 참조하시기 바랍니다.
나. 해당 사업연도의 대차대조표(재무상태표)ㆍ손익계산서(포괄손익계산서)ㆍ이익잉여금처분계산서(안) 또는 결손금처리계산서(안)
1. 연결 재무제표
연 결 재 무 상 태 표 | |
당기말 2024년 06월 30일 현재 | |
전기말 2025년 06월 30일 현재 | |
Prestige BioPharma Limited와 그 종속기업 | (단위: USD) |
과 목 | 당기말 | 전기말 |
---|---|---|
자산 | ||
유동자산 | 154,824,418 | 180,212,721 |
현금및현금성자산 | 85,061,607 | 157,956,551 |
단기금융상품 | 38,000,000 | - |
매출채권 | 447,560 | 281,886 |
기타유동금융자산 | 8,686,006 | 6,753,026 |
기타유동자산 | 2,727,397 | 2,190,018 |
재고자산 | 19,901,848 | 13,031,240 |
비유동자산 | 394,906,040 | 332,111,252 |
유형자산 | 251,884,877 | 235,432,205 |
무형자산 | 142,633,976 | 96,282,053 |
기타비유동금융자산 | 387,187 | 396,994 |
자 산 총 계 | 549,730,458 | 512,323,973 |
부채 | ||
유동부채 | 121,882,605 | 104,993,756 |
매입채무 | 4,323,451 | 1,642,667 |
미지급금 | 10,790,078 | 16,756,433 |
차입금 | 81,112,944 | 34,440,581 |
유동성리스부채 | 750,700 | 684,427 |
기타유동금융부채 | 3,687,951 | 4,841,920 |
기타유동부채 | 15,737,612 | 35,513,898 |
비유동부채 | 53,097,617 | 36,252,007 |
비유동리스부채 | 437,258 | 449,209 |
기타비유동부채 | 23,276,408 | 1,248,529 |
장기차입금 | 23,958,664 | 28,971,651 |
이연법인세부채 | 5,389,287 | 5,582,618 |
부채총계 | 174,980,222 | 141,245,763 |
자본 | ||
I. 지배기업 소유지분 | 303,015,260 | 316,072,148 |
자본금 | 525,727,248 | 525,727,248 |
자본잉여금 | (23,301,455) | 5,661,828 |
기타자본 | 7,904,340 | 7,569,120 |
기타포괄손익누계액 | (11,007,517) | (10,679,407) |
결손금 | (196,307,356) | (212,206,641) |
II. 비지배지분 | 71,734,976 | 55,006,062 |
자 본 총 계 | 374,750,236 | 371,078,210 |
부채와 자본 총계 | 549,730,458 | 512,323,973 |
연 결 포 괄 손 익 계 산 서 | |
당기 2024년 07월 01일부터 2025년 06월 30일까지 | |
전기 2023년 07월 01일부터 2024년 06월 30일까지 | |
Prestige BioPharma Limited와 그 종속기업 | (단위: USD) |
과 목 |
당기 | 전기 |
---|---|---|
영업수익 | 10,215,103 | 517,114 |
영업비용 | 58,240,353 | 47,632,347 |
영업손실 | (48,025,250) | (47,115,233) |
기타수익 | 43,559,106 | 616,988 |
기타비용 | 60,941 | 95,761 |
금융수익 | 15,667,692 | 22,061,524 |
금융비용 | 8,343,487 | 16,508,936 |
법인세비용차감전순손실 | 2,797,120 | (41,041,418) |
법인세비용 | (177,179) | 306,692 |
당기순손실 | 2,974,299 | (41,348,110) |
지배기업 소유지분 | 15,899,285 | (24,705,629) |
비지배지분 | (12,924,986) | (16,642,481) |
기타포괄손실 | (478,789) | (4,835,983) |
후속적으로 당기손익으로 재분류되는 포괄손익: | ||
해외사업환산손실 | (478,789) | (4,835,983) |
총포괄손실 | 2,495,510 | (46,184,093) |
지배기업 소유지분 | 15,571,175 | (27,447,605) |
비지배지분 | (13,075,665) | (18,736,488) |
지배기업 소유지분 주당손익 | ||
기본주당이익(손실) | 1.32 | (2.06) |
희석주당이익(손실) | 1.34 | (2.02) |
연 결 자 본 변 동 표 | |
당기 2024년 07월 01일부터 2025년 06월 30일까지 | |
전기 2023년 07월 01일부터 2024년 06월 30일까지 | |
Prestige BioPharma Limited와 그 종속기업 | (단위: USD) |
구 분 |
지배기업의 소유주에게 귀속되는 자본 | 비지배지분 | 총계 | ||||
---|---|---|---|---|---|---|---|
자본금 | 자본잉여금 | 기타자본 | 기타포괄손익누계액 | 결손금 | |||
2023.07.01(전기초) | 525,727,248 | 5,549,900 | 7,328,992 | (7,937,431) | (187,501,012) | 72,916,090 | 416,083,787 |
총포괄손익 | - | ||||||
당기순손실 | - | - | - | - | (24,705,629) | (16,642,481) | (41,348,110) |
해외사업환산손실 | - | - | - | (2,741,976) | - | (2,094,007) | (4,835,983) |
소 계 | - | - | - | (2,741,976) | (24,705,629) | (18,736,488) | (46,184,093) |
자본에 직접 반영된 거래 | - | ||||||
주식기준보상 | - | - | 240,128 | - | - | (42,108) | 198,020 |
사업결합 | 111,928 | 868,568 | 980,496 | ||||
2024.06.30(전기말) | 525,727,248 | 5,661,828 | 7,569,120 | (10,679,407) | (212,206,641) | 55,006,062 | 371,078,210 |
2024.07.01(당기초) | 525,727,248 | 5,661,828 | 7,569,120 | (10,679,407) | (212,206,641) | 55,006,062 | 371,078,210 |
총포괄손익 | - | ||||||
당기순손실 | - | - | - | - | 15,899,285 | (12,924,986) | 2,974,299 |
해외사업환산손실 | - | - | - | (328,110) | - | (150,679) | (478,789) |
소 계 | - | - | - | (328,110) | 15,899,285 | (13,075,665) | 2,495,510 |
자본에 직접 반영된 거래 | - | ||||||
주식기준보상 | 335,220 | - | - | 691,492 | 1,026,712 | ||
지분변동효과 | -28,963,283 | 29,113,087 | 149,804 | ||||
2025.06.30(당기말) | 525,727,248 | (23,301,455) | 7,904,340 | (11,007,517) | (196,307,356) | 71,734,976 | 374,750,236 |
연 결 현 금 흐 름 표 | |
당기 2024년 07월 01일부터 2025년 06월 30일까지 | |
전기 2023년 07월 01일부터 2024년 06월 30일까지 | |
Prestige BioPharma Limited와 그 종속기업 | (단위: USD) |
구 분 |
당기 | 전기 |
---|---|---|
영업활동으로 인한 현금흐름 | (37,175,838) | (36,042,029) |
영업으로부터 유출된 현금흐름 | (36,920,969) | (41,257,463) |
이자의 지급 | 5,763,277 | 9,554,096 |
이자의 수취 | (6,044,760) | (4,473,541) |
법인세의 납부 | 26,614 | 134,879 |
투자활동으로 인한 현금흐름 | (72,594,427) | 99,407,662 |
단기금융상품의 증가 | (38,000,000) | - |
임대보증금의 감소 | - | (37,493) |
유형자산의 취득 | (29,051,428) | (15,056,420) |
유형자산의 처분 | 67,172 | 38,429 |
무형자산의 취득 | (4,298,149) | (5,949,555) |
무형자산의 처분 | - | 349,024 |
보증금의 증가 | (37,440) | (140,550) |
보증금의 감소 | 332,962 | 141,891 |
종속기업투자주식의 처분 | - | - |
종속기업 지배력 획득에 따른 현금흐름 | - | - |
장기선급금의 증가 | - | - |
장기선급금의 감소 | - | - |
정부보조금의 수취 | 7,142 | 91,540 |
자본화된 이자의 지급 | (1,614,686) | (90,547) |
재무활동으로 인한 현금흐름 | 35,556,391 | (1,098,948) |
차입금의 차입 | 38,020,135 | - |
차입금의 상환 | (2,858,208) | (618,069) |
리스부채의 원금 상환 | (1,044,999) | (1,461,701) |
전환사채의 발행 | - | - |
주식매수선택권의 행사 | 796,702 | 982,577 |
환율변동으로 인한 현금의 변동 | 1,318,930 | 456,814 |
현금및현금성자산의 감소 | (72,894,944) | 62,723,499 |
기초 현금및현금성자산 | 157,956,551 | 95,233,052 |
기말 현금및현금성자산 | 85,061,607 | 157,956,551 |
2. 별도 재무제표
재 무 상 태 표 | |
당기말 2025년 06월 30일 현재 | |
전기말 2024년 06월 30일 현재 | |
Prestige BioPharma Limited | (단위: USD) |
과 목 | 당기말 | 전기말 |
---|---|---|
자산 | ||
유동자산 | 129,093,361 | 145,143,744 |
현금및현금성자산 | 76,979,831 | 132,697,494 |
단기금융상품 | 38,000,000 | - |
기타유동금융자산 | 2,770,571 | 5,742,181 |
기타유동자산 | 11,050,786 | 6,569,110 |
재고자산 | 166,173 | 134,959 |
비유동자산 | 373,718,807 | 264,994,049 |
종속기업투자주식 | 253,980,793 | 136,141,828 |
유형자산 | 1,497,181 | 1,212,877 |
무형자산 | 117,901,566 | 71,069,407 |
기타비유동금융자산 | 339,267 | 56,569,937 |
자 산 총 계 | 502,812,168 | 410,137,793 |
부채 | ||
유동부채 | 61,555,096 | 25,135,269 |
미지급금 | 5,332,813 | 6,090,708 |
유동성리스부채 | 723,744 | 568,568 |
기타유동금융부채 | 3,468,847 | 3,667,993 |
기타유동부채 | 14,029,692 | 14,808,000 |
비유동부채 | 1,903,130 | 1,022,500 |
비유동리스부채 | 459,771 | 436,500 |
기타비유동부채 | 1,443,359 | 586,000 |
부 채 총 계 | 63,458,226 | 26,157,769 |
자본 | ||
자본금 | 525,727,248 | 525,727,248 |
자본잉여금 | 5,549,900 | 5,549,900 |
기타자본 | 7,904,340 | 7,569,120 |
결손금 | (99,827,546) | (154,866,244) |
자 본 총 계 | 439,353,942 | 383,980,024 |
부채와 자본 총계 | 502,812,168 | 410,137,793 |
포 괄 손 익 계 산 서 | |
당기 2024년 07월 01일부터 2025년 06월 30일까지 | |
전기 2023년 07월 01일부터 2024년 06월 30일까지 | |
Prestige BioPharma Limited | (단위: USD) |
과 목 |
당기 | 전기 |
---|---|---|
영업수익 | 3,756,004 | - |
영업비용 | 15,262,613 | 20,390,880 |
영업손실 | (11,506,609) | (20,390,880) |
기타수익 | 65,628,448 | 80,379 |
기타비용 | 6,219,281 | 363,197 |
금융수익 | 7,773,522 | 12,681,419 |
금융비용 | 621,230 | 298,271 |
법인세비용차감전순이익(손실) | 55,054,850 | (8,290,550) |
법인세비용 | 16,152 | 336,764 |
당기순이익(손실) | 55,038,698 | (8,627,314) |
기타포괄손익 | - | - |
총포괄이익(손실) | 55,038,698 | (8,627,314) |
주당손익 | ||
기본주당이익(손실) | 4.58 | (0.72) |
희석주당이익(손실) | 4.57 | (0.69) |
자 본 변 동 표 | |
당기 2024년 07월 01일부터 2025년 06월 30일까지 | |
전기 2023년 06월 30일부터 2024년 06월 30일까지 | |
Prestige BioPharma Limited | (단위: USD) |
구 분 |
자본금 | 자본잉여금 | 기타자본 | 결손금 | 총계 |
---|---|---|---|---|---|
2023.07.01(전기초) | 525,727,248 | 5,549,900 | 7,328,992 | (146,238,930) | 392,367,210 |
총포괄손익 | |||||
당기순이익(손실) | - | - | - | (8,627,314) | (8,627,314) |
자본에 직접 반영된 거래 | |||||
주식보상비용 | - | - | 240,128 | - | 240,128 |
2024.06.30(전기말) | 525,727,248 | 5,549,900 | 7,569,120 | (154,866,244) | 383,980,024 |
2024.07.01(당기초) | 525,727,248 | 5,549,900 | 7,569,120 | (154,866,244) | 383,980,024 |
총포괄손익 | |||||
당기순이익(손실) | - | - | - | 55,038,698 | 55,038,698 |
자본에 직접 반영된 거래 | |||||
주식보상비용 | - | - | 335,220 | - | 335,220 |
2025.06.30(당기말) | 525,727,248 | 5,549,900 | 7,904,340 | (99,827,546) | 439,353,942 |
현 금 흐 름 표 | |
당기 2024년 07월 01일부터 2025년 06월 30일까지 | |
전기 2023년 07월 01일부터 2024년 06월 30일까지 | |
Prestige BioPharma Limited | (단위: USD) |
구 분 |
당기 | 전기 |
---|---|---|
영업활동으로 인한 현금흐름 | (8,647,192) | (16,708,265) |
영업으로부터 유출된 현금흐름 | (15,310,641) | (24,685,428) |
이자의 수취 | 6,663,449 | 7,847,636 |
이자의 지급 | - | (5,352) |
법인세의 환급(납부) | - | 134,879 |
투자활동으로 인한 현금흐름 | (84,127,847) | 98,126,213 |
단기금융상품의 증가(감소) | - | 104,000,000 |
종속기업투자주식의 취득 | (105,665,732) | - |
종속기업투자주식의 처분 | - | - |
유형자산의 취득 | (179,954) | (45,487) |
무형자산의 취득 | (3,932,853) | (6,400,184) |
대여금의 증가 | (323,985) | (78,211) |
대여금의 감소 | 65,477,567 | 801,980 |
보증금의 증가 | (8,238) | (85,839) |
보증금의 감소 | 104,910 | 24,501 |
자본화된 이자의 지급 | (1,614,686) | (90,547) |
재무활동으로 인한 현금흐름 | 37,068,912 | (1,163,267) |
리스부채의 원금 상환 | (931,088) | (1,163,267) |
환율변동으로 인한 현금의 변동 | (11,536) | 218 |
현금및현금성자산의 증가(감소) | (55,717,663) | 80,254,899 |
기초 현금및현금성자산 | 132,697,494 | 52,442,595 |
기말 현금및현금성자산 | 76,979,831 | 132,697,494 |
- 이익잉여금처분계산서(안) 또는 결손금처리계산서(안)
<이익잉여금처분계산서 / 결손금처리계산서>
당기 2024.07.01 부터 2025.06.30 까지 |
전기 2023.07.01 부터 2024.06.30 까지 |
(단위 : USD ) |
과 목 |
당기 |
전기 |
||
미처리결손금 | (99,827,546) | (154,866,244) | ||
전기이월결손금 | (154,866,244) | (146,238,930) | ||
당기순이익(손실) | 55,038,698 | (8,627,314) | ||
미처리결손금 | (99,827,546) | (154,866,244) |
※ 상세한 주석사항은 2025년 09월 22일 전자공시시스템(http://dart.fss.or.kr)에 공시 예정인 당사의 감사보고서를 참조하시기 바랍니다. - 최근 2사업연도의 배당에 관한 사항
해당사항없음
나. 결의사항
제1호 의안: 감사위원이 되는 사외이사 선임의 건
가. 후보자의 성명ㆍ생년월일ㆍ추천인ㆍ최대주주와의 관계ㆍ사외이사후보자 등 여부
후보자성명 | 생년월일 | 사외이사후보자여부 |
감사위원회 위원인 이사 분리선출 여부 |
최대주주와의 관계 | 추천인 |
---|---|---|---|---|---|
이기현 | 1975.11.19 | 해당 | 해당 | - | 이사회 |
총 ( 1 ) 명 |
나. 후보자의 주된직업ㆍ세부경력ㆍ해당법인과의 최근3년간 거래내역
후보자성명 | 주된직업 | 세부경력 | 해당법인과의최근3년간 거래내역 | |
---|---|---|---|---|
기간 | 내용 | |||
이기현 | 기업인 | 2022. 10~현재2016. 03~2022. 092010.04~2016.022005.10~2010.03 | 도원회계법인서현회계법인대주회계법인새빛회계법인 | 없음 |
다. 후보자의 체납사실 여부ㆍ부실기업 경영진 여부ㆍ법령상 결격 사유 유무
후보자성명 | 체납사실 여부 | 부실기업 경영진 여부 | 법령상 결격 사유 유무 |
---|---|---|---|
이기현 | 없음 | 없음 | 없음 |
라. 후보자의 직무수행계획(사외이사 선임의 경우에 한함)
- 회계법인 재직 경험을 바탕으로 생산성 있는 회의체 운영 및 자금 활용에 위한 조언을 제공하며 기업 경영에 이바지하고자 합니다. |
마. 후보자에 대한 이사회의 추천 사유
사외이사 이기현 후보이기현 후보자는 감사, 회계, 투자평가 분야에서의 폭넓은 경험과 재무감독, 지배구조, 리스크 관리에 대한 높은 전문성을 보유하고 있음. 당사는 이기현 후보자의 이사회 및 감사위원회 합류가 당사의 전반적인 거버넌스를 향상시키고 이사회의 의사결정 과정에 귀중한 통찰력을 제공할 것이라고 믿음. |
※ 기타 참고사항
-해당사항없음
제2호 의안: 제11기 사내이사 및 사외이사 보수 한도 승인의 건(제11기)
(단위: 명, USD) |
이사의 수 (사외이사수) | 9 ( 5 ) |
보수총액 또는 최고한도액 | 2,000,000 |
(제10기)
(단위: 명, USD) |
이사의 수 (사외이사수) | 9 ( 5 ) |
보수총액 또는 최고한도액 | 2,000,000 |
제3호 의안: 제10기 사외이사 보수지급 승인의 건의안 내용싱가포르 회사법에 따르면, 사외이사 등(사외이사 및 기타비상무이사)의 보수지급은 주주총회 결의를 통해 집행하게 됩니다. 가결 시, 회사가 사외이사 등에 보수를 아래 표와 같이 지급하는 안건입니다.
(단위: 명, USD) |
사외이사 등의 수 | 5 |
보수총액 | 124,000 |
제4호 의안: Nexia 삼덕회계법인 감사인 선임과 감사보수 승인에 대한 이사회에 권한 위임의 건
의안 내용당사는 싱가포르 소재 외국법인으로 싱가포르와 한국 2곳의 회계법인에게 외부감사를 진행하고 있습니다. 제4호 의안은 외부감사 회계법인의 선임과 보수결정 권한을 이사회에 위임하는 안건입니다.
제5호 의안: 신주발행권한에 대한 이사회에 위임의 건제5-1호: 스톡옵션 제도 2020의 규정에 따른 스톡옵션의 제공 및 부여의안 내용당사는 상장 전인 2020년 스톡옵션 제도를 도입하고 임직원에게 주식매수선택권을 부여한 바 있습니다. 부여된 주식매수선택권은 상장 후 1년 경과 시점에 2년 이상 재직한 직원의 경우, 1) 상장 후 1년 경과 시 전체 부여주식의 30%, 2) 상장 후 3년 경과 시 전체 부여주식의 35%, 3) 상장 후 5년 경과 시 전체 부여주식의 35%가 가득됩니다. 또한 상장 후 1년 경과 시점에 2년 미만 재직한 직원의 경우, 1) 재직기간 2년 도래 및 상장 후 1년 경과 시점 중 늦은 시점에 전체 부여주식의 30%, 최초 가득일로부터 2년 경과 시 전체 부여주식의 35%, 최초 가득일로부터 4년 경과 시 전체 부여주식의 35%가 가득됩니다.부여된 주식매수선택권이 행사될 경우 주식발행이 필요하고, 싱가포르 회사법상 모든 주식의 발행은 주주총회의 승인을 거쳐야 하므로 스톡옵션 제도 2020의 규정에 의거한 주식매수선택권의 추가 제공 및 부여에 대해 매년 주주총회의 승인을 받고 있습니다.제5-2호: 스톡옵션 제도 2020에 따른 옵션 행사에 따라 발행되어야 하는 주식의 수시 배정 및 발행의안 내용싱가포르 회사법 제 161조에 따르면 '모든 주식의 발행'은 이사회가 주주총회의 승인을 받도록 규정되어 있어 기 부여된 스톡옵션의 행사와 관련된 주식의 발행을 대비해 매년 주주총회에서 주식의 수시 배정 및 발행에 대해 승인을 받고 있습니다.
제5-3호: 권리공모, 무상증자 또는 기타 방법에 의한 주식의 발행제5-4호: 신주인수권 또는 신주인수권부사채, 사채, 전환사채, 교환사채, 주식연계사채 또는 주식연계증권 등 주식을 발행이 수반되는 수단을 승인 및 발행하고, 동 수단에 따라 주식을 발행제5-5호: 해당 권한이 발행 시점에 만료된 경우에도, 그에 따라 발행이 필요한 주식의 발행제5-6호: 자본 확충을 목적으로 제3자 배정을 통해 옵션을 부여및 승인 하거나, 해당 옵션에 따라 주식을 배정하고 발행
제출(예정)일 | 사업보고서 등 통지 등 방식 |
---|---|
- 사업보고서 및 감사보고서는 주주총회 개최 1주전까지 회사 홈페이지 (http://prestigebiopharma.irsite.co.kr/ → 공고)와 금융감독원 전자공시 시스템 (http://dart.fss.or.kr)에 게재될 예정입니다.- 사업보고서는 이후 변경되거나 오기 등이 있는 경우 수정될 수 있으며, 이 경우 전자공시시스템(http://dart.fss.or.kr)에 정정보고서를 공시할 예정이므로 이를 참조하시기 바랍니다.- 주주총회 이후 변경된 사항에 관하여는 전자공시시스템에 제출된 사업보고서를 활용해 주시기 바랍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