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주총회소집공고 6.0 주식회사 티디에스팜

주주총회소집공고
2025년 03월 10일
회 사 명 : 주식회사 티디에스팜
대 표 이 사 : 김철준
본 점 소 재 지 : 경기도 성남시 분당구 판교로 253, C동 403호(삼평동, 판교이노밸리)
(전 화) 031-8018-7337
(홈페이지)https://www.tdspharm.com
작 성 책 임 자 : (직 책) 이사 (성 명) 신 동 열
(전 화) 070-4248-9984

주주총회 소집공고
(제23기 정기)

주주여러분께

주주님의 건승과 댁내의 평안을 기원합니다.

당사는 상법 제363조 및 정관 제23조 규정에 의하여 제23기 정기주주총회를 아래와 같이 소집하오니 참석하여 주시기 바랍니다.※ 발행주식 총수의 1% 이하 소액주주에 대한 소집통지는 상법 제542조의4에 의거하여 이 공고로 갈음하오니 양지하여 주시기 바랍니다. - 아 래 -

1. 일 시 : 2025년 3월 25일 (화요일) 오전 10시 00분2. 장 소 : 경기도 성남시 분당구 판교로 253 판교이노밸리 C동 지하 1층 대회의실3. 회의 목적사항 가. 보고사항 : 감사보고, 영업보고, 내부회계관리제도 운영실태 보고, 외부감사인 선임 보고 나. 부의안건 제1호 의안: 제23기(2024.1.1. ~ 2024.12.31.) 재무제표 승인의 건 제2호 의안: 정관 일부 변경의 건 제3호 의안: 이사 보수한도 승인의 건 제4호 의안: 감사 보수한도 승인의 건4. 주주총회 참석시 준비물

가. 직접행사 : 신분증

나. 대리행사 : 위임장(주주와 대리인의 인적사항 기재, 주주인감 날인 및 인감증명서 첨부), 대리인의 신분증

2025년 3월 10일 주식회사 티디에스팜 대표이사 김철준

I. 사외이사 등의 활동내역과 보수에 관한 사항

1. 사외이사 등의 활동내역 가. 이사회 출석률 및 이사회 의안에 대한 찬반여부
회차 개최일자 의안내용 사외이사 등의 성명
이상석(출석률: 100%)
찬 반 여 부
1 2024.03.14 정기주주총회 소집의 건 1. 2023년 결산보고 및 승인의 건 2. 이사 보수한도 승인의 건 3. 감사 보수한도 승인의 건 찬성
2 2024.05.31 행정제재심의위원회 규정 시행의 건행정제재심의위원회 위원 선임의 건행정제재심의위원회 위원장 선임의 건이사회 운영규정 개정의 건 찬성
3 2024.06.18 코스닥시장 상장을 위한 신주 발행 및 구주매출 승인의 건 찬성
4 2024.12.13 제23기 결산 정기주주총회의 권리주주 확정, 이익배당을 위한 권리주주 확정을 위한 주주명부 폐쇄 결의 찬성

나. 이사회내 위원회에서의 사외이사 등의 활동내역
위원회명 구성원 활 동 내 역
개최일자 의안내용 가결여부
- - - - -

2. 사외이사 등의 보수현황
(단위 : 명, 백만원)
구 분 인원수 주총승인금액 지급총액 1인당 평균 지급액 비 고
사외이사 1 1,000 3 3 -

※ 주총승인금액은 사내이사 2명과 기타비상무이사 1명을 포함한 등기이사 총 4명의 보수한도 총액입니다.

II. 최대주주등과의 거래내역에 관한 사항

1. 단일 거래규모가 일정규모이상인 거래
(단위 : 억원)
거래종류 거래상대방(회사와의 관계) 거래기간 거래금액 비율(%)
- - - - -

2. 해당 사업연도중에 특정인과 해당 거래를 포함한 거래총액이 일정규모이상인 거래
(단위 : 억원)
거래상대방(회사와의 관계) 거래종류 거래기간 거래금액 비율(%)
- - - - -

III. 경영참고사항

1. 사업의 개요 가. 업계의 현황

(1) 산업의 특성 및 성장성

국내 제약산업은 선진국 대비 작은 내수 규모, 신약 개발 보다는 상품 판매를 통한 외형 확장, 제약사의 영업 과다경쟁과 유통업체 난립 등 여러 요인이 복합적으로 작용하여 산업의 경쟁 강도가 높은 특성이 있습니다.이는 공동승인 및 위탁생산 정책의 허용으로 제네릭 산업 진출이 용이하고 도입 의약품 판매 중심의 사업 구성으로 비교적 다수의 기업들이 시장에 참여할 수 있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수탁 영업 중심 전략은 과당 경쟁으로 인한 수수료율 저하와 기업의 수익성 악화 문제를 안고 있습니다. 따라서 전문의약품의 경우 과도한 경쟁으로 인해국내 제약 업체들의 이익률은 감소할 수있습니다.의약품은 완제의약품과 원료의약품으로 구분되며 완제의약품은 다시 전문의약품과 일반의약품으로 구분할 수 있습니다. 국내 의약품 시장규모 및 동향은 아래 표를 참고 하시기 바랍니다.

구분 2019년 2020년 2021년 2022년 2023년
완제의약품 생산금액(억원) 198,425 210,236 224,451 255,712 268,621
품목수(건) 20,703 21,226 20,754 21,298 21,504
원료의약품 생산금액(억원) 24,706 35,426 30,455 33,792 37,682
품목수(건) 7,660 6,971 6,641 6,363 1,379
의약품계 생산금액(억원) 223,131 245,662 254,906 289,504 306,303
업체수(개소) 558 617 609 619 617
품목수(건) 28,363 28,197 27,395 27,661 27,745
주1) 업체 수(2023년) :완제 및 원료(552),한약재(149)-의약품,한약재 동시 제조의 경우 1개 업체로 함
주2) 품목 수(2023년) :완제(21,504),원료(1,379),한약재(4,862)

출처: 식품의약품안전처

구분 2019년 2020년 2021년 2022년 2023년
전문의약품 생산금액(억원) 166,180 178,457 193,759 219,864 230,139
품목수(건) 15,225 15,946 15,947 16,414 16,632
일반의약품 생산금액(억원) 32,245 31,779 30,692 35,848 38,482
품목수(건) 5,478 5,280 4,807 4,884 4,872
완제의약품계 생산금액(억원) 198,425 210,236 224,451 255,712 268,621
품목수(건) 20,703 21,226 20,754 21,298 21,504

출처: 식품의약품안전처

(2) 산업의 성장성제약산업은 인간의 건강을 증진하고 질병을 치료하기 위한 의약품의 연구, 개발, 생산, 유통에 관련한 고부가가치 산업이자 지식기반의 첨단 부가가치 산업입니다. 타업종에 비해 기술 집약도가 높고 고도의 전문성과 함께 긴 투자기간과 높은 위험을 수반하지만, 높은 수익 창출이 가능하기 때문에 미래성장산업으로 분류되고 있습니다. 최근 바이오 기술 발전, 신약 개발 증가, 인구 고령화 등의 요인으로 지속적인 성장이예상됩니다.(3) 경기변동의 특성의약품은 기본적으로 생명연장, 유지 및 건강 증진과 직접 연 연관이 있어 타산업에 비해 경기 변동에 큰 영향을 받지 않는다고 할 수 있습니다. 의약품은 기능상 전문의약품과 일반의약품으로 구분되는데, 전문의약품은 일반 경기 변동이나 계절적 경기 변동에 민감한 반응을 나타내지 않으나, 일반의약품은 경기 변동에 다소 영향을 받는편입니다.(4) 경쟁요소국내 제약산업의 제품차별화, 낮은 자본투자 등으로 관련산업에서 진입이 용이하고 자본력, 신약개발력, 오리지날 의약품의 강점을 보유한 외국계 제약사들의 약진과 원료의약품, 신약개발, 바이오산업의 형태로 대기업의 진출이 가속화 되고 있습니다.당사의 주력 사업인 경피약물시스템의 경우 제품 개발에 경험에 의한 노하우가 필요하고 제조 생산에는 장치 및 설비 구축에 대규모 자본 투자가 요구되어 신규 경쟁자가 진입하기 어렵습니다.(5) 자금조달상의 특성자금조달상의 특성은 타 산업군과 마찬가지로 주식발행(공모, 사모), 전환증권, 장단기 차입금 등 자본시장 직접조달과 금융기관을 통한 간접조달 모두 이용되고 있습니다.(6) 관련 법령 또는 정부의 규제 등제약산업은 인간의 생명과 보건에 관련된 제품을 생산하는 국민의 건강과 직결된 산업으로써 제품의 개발 임상시험, 인ㆍ허가 및 제조, 유통, 판매 등 전 과정을 국가에서 매우 엄격히 규제하고 있습니다. 정부는 제약산업 유통과정의 투명성제고를 위해 약사법 등에 리베이트 수수에 대한 처벌 기준을 두고 있으며, 안정성과 유효성을 보증하는 의약품을 제조하기 위한 다양한 제조관리, 품질관리 기준 등을 마련하고 있습니다.(약사법 , 우수의약품 제조기준(KGMP), 마약법, 우수의약품 유통관리기준(KGSP) 등) 이러한 리베이트 규제 제도와 의약품 제조, 품질관리 기준 등은 해외에서도 국가별로 엄격히 규정, 관리, 시행되고 있습니다.

나. 회사의 현황

(1) 영업개황 및 사업부문의 구분

(가) 영업개황

당사는 약물전달시스템(Drug Delivery System, 이하 DDS)분야 중에서 고성장 사업분야로 자리매김하고 있는 경피 약물전달시스템(Transdermal Drug Delivery System, 이하 TDDS)의 개발 및 제조를 주요 사업으로 영위하고 있습니다. 일부 제조사도직접 제품을 제조하지만 일반적으로 당사와 같은 전문제조업체를 통해 OEM(Original Equipment Manufacturing, 주문자 상표 부착생산) 방식으로 위탁생산 하는 경우가 많고, 당사의 1차 고객이 되는 대부분의 제약회사는 당사가 자체 개발하는 상품 ODM방식(Original Development Manufacturing, 제조업자 자체개발생산)으로 위탁생산하여 판매 하고 있습니다.당사는 설립 이후 경피 약물전달시스템(TDDS) 중 카타플라스마(Cataplasma, 습포제) 개발 및 생산에 집중함으로써 해당 시장에서 국내 독보적인 위치를 확보하였습니다. 또한, 플라스타(Plaster, 첩부제) 시장에도 진출하여 수년 전부터 기술개발 투자를 지속하였고, 그 결과 핫멜트형 제품 등의 신제품을 개발 및 발매하며 시장 점유율을 높이고 있습니다. 향후 피부 투과 촉진 기술, 점착성 고분자 Formulation 기술(약물 물성에 특화된 독자적인 점착 고분자 조성), 약물 방출 기술(일정기간 혈중 농도 zero-order 유지), 다양한 패치 구조 설계 기술을 통해 부작용을 최소화하고, 효능 및 효과를 극대화해 필요한 양의 약물을 효율적으로 전달할 수 있는 신규 제품을 지속적으로 개발할 계획입니다. 또한, 소염진통제 의약품에 국한되지 않고 자체 개발한 독보적인 TDDS 기술이 적용된 치매, 천식, 니코틴, 통증 등을 타겟한 제품을 생산하여세계적인 제약회사로의 성장을 계획하고 있습니다.

(나) 공시대상 사업부문의 구분

- 해당사항 없습니다.

(2) 시장점유율

당사의 주요 매출 영역인 한방 카타플라스마 제품군의 국내 시장은 한방동의고, 케토톱, 한방파프수에스, 안티푸라민한방 등의 대표 브랜드가 상위 점유율을 차지하고 있습니다. 당사는 소비자 시장에 직접 판매하지 않고 제약회사 또는 의약품 도매상에 판매하는 사업구조를 가지고 있어 시장 매출액이 동종 사업군 경쟁사에 비교해 낮으나 생산실적은 최상위 경쟁사와 대등합니다. 한편 당사는 완제 일반의약품, 외용제 전문 중소 제약회사로 국내 전체 의약품 시장과 시장점유율을 비교하는 것은 유의미 하지 않아, 당사가 속해 있는 코스닥시장 매출액 상위 제약회사 및 동종 사업군을 영위하는 회사의 매출 규모를 기재하였으니 참고하시기 바랍니다. 매출액은 금융감독원 전자공시 내용을 참고하였습니다.

주요 코스닥 상장 제약사 매출액 현황

(단위:백만원)
구분 2023년 2022년 2021년 2020년 2019년
1 휴온스 514,982 492,387 436,911 406,678 365,019
2 안국약품 233,676 205,389 163,534 143,364 155,852
3 대한약품 195,911 184,268 171,463 166,080 168,761
4 경동제약 162,674 182,718 177,611 173,828 176,500
5 대화제약 141,359 131,912 117,159 109,346 114,610
6 신신제약 102,586 91,926 74,008 67,129 67,854
7 삼아제약 97,211 81,700 54,666 53,653 71,560
8 신일제약 89,135 80,007 61,754 61,438 60,648
9 서울제약 52,459 50,057 40,463 52,232 53,950
10 아이큐어 35,162 34,300 36,492 48,874 60,923
- 티디에스팜 30,049 25,588 19,820 18,023 19,213

(3) 시장의 특성

당사는 국내 생산에 기반을 둔 내수 완제의약품 중심 매출 구조입니다.(수출 비중은 약 5%) 그중에서도 의사의 처방 없이 약국에서 바로 구입할 수 있는 일반의약품 및 의약외품 매출이 90% 이상을 차지하고 있습니다. 따라서 주요 매출처는 전국 도소매약국 및 도소매 약국을 거래하는 의약품 도매상입니다.주요 약효군 및 제형은 근육통, 신경통, 관절염의 진통, 소염 등을 적응증으로 하는 외용제 의약품을 위주로 생산, 판매하고 있습니다. 약효군 특성상 일반적으로 연중 사람들의 활동량이 적은 시기에 판매량이 감소할 수 있으나 소비자 또는 약국에 직접 판매하지 않고 제약회사 또는 의약품 도매상 등에 판매하는 사업구조로 인해 주요 거래처의 판매전략에 더 큰 영향을 받아 계절별 평균 매출에 큰 차이는 없습니다.

(4) 신규사업 등의 내용 및 전망

- 해당사항 없습니다.

(5) 조직도

조직도.jpg 조직도

2. 주주총회 목적사항별 기재사항 □ 재무제표의 승인

제1호의안 : 제23기(2024.1.1.~2024.12.31.) 재무제표 승인의 건

가. 해당 사업연도의 영업상황의 개요Ⅲ.경영참고사항의 1. 사업의 개요를 참조하시기 바랍니다.

나. 해당 사업연도의 대차대조표(재무상태표)ㆍ손익계산서(포괄손익계산서)ㆍ자본변동표ㆍ현금흐름표ㆍ이익잉여금처분계산서(안) 또는 결손금처리계산서(안)※ 기타 참고사항아래의 재무제표는 한국채택국제회계기준(K-IFRS)에따라 작성된 재무제표이며, 외부감사인의 감사보고서가 미제출된 상황의 재무제표이므로 외부감사인의 감사 결과 및 주주총회 결과에 따라 변경될 수 있습니다.외부감사인의 감사의견을 포함한 최종 재무제표는 정기주주총회 1주 전(2025년 3월 17일)까지 전자공시시스템(https://dart.fss.or.kr)에 공시하고, 회사 홈페이지(www.tdspharm.com)에 공고예정인 당사의 감사보고서를 참조하시기 바랍니다.(1) 재무제표

1) 재무상태표

재 무 상 태 표
제 23(당) 기 2024년 12월 31일 현재
제 22(전) 기 2023년 12월 31일 현재
주식회사 티디에스팜 (단위 : 원)
과 목 제 23(당) 기 제 22(전) 기
자 산    
유동자산 39,640,359,384 24,479,637,084
현금및현금성자산 4,704,335,611 1,636,062,804
단기금융상품 26,000,000,000 13,500,000,000
매출채권 5,182,412,710 6,575,329,588
단기기타채권 560,952,035 230,696,449
기타유동자산 41,280,055 44,680,392
재고자산 3,151,378,973 2,492,867,851
비유동자산 9,520,213,324 9,490,371,266
기타포괄손익-공정가치측정금융자산 - -
유형자산 8,706,717,210 8,723,478,618
사용권자산 173,855,665 193,701,760
무형자산 288,260,291 198,229,724
이연법인세자산 162,430,329 207,947,723
장기기타채권 188,949,829 167,013,441
자산총계 49,160,572,708 33,970,008,350
부채    
유동부채 10,517,269,553 10,065,351,284
매입채무 1,542,578,741 2,266,147,063
단기기타채무 745,777,999 784,505,702
단기차입금 6,000,000,000 6,000,000,000
유동성장기부채 775,000,000 200,000,000
기타유동부채 270,801,889 438,539,536
당기법인세부채 1,078,206,237 273,567,539
유동성리스부채 79,158,569 75,742,931
충당부채 25,746,118 26,848,513
비유동부채 139,063,427 960,114,027
장기차입금 - 775,000,000
순확정급여부채 - 35,365,980
리스부채 72,037,335 94,700,226
기타비유동부채 67,026,092 55,047,821
부채총계 10,656,332,980 11,025,465,311
자본    
자본금 553,000,000 500,000,000
자본잉여금 9,970,136,012 -
기타자본구성요소 (881,354,250) (2,706,104,250)
기타포괄손익누계액 (431,067,525) (584,884,506)
이익잉여금 29,293,525,491 25,735,531,795
자본총계 38,504,239,728 22,944,543,039
부채및자본총계 49,160,572,708 33,970,008,350

2) 포괄손익계산서

포 괄 손 익 계 산 서
제 23(당) 기 2024년 1월 1일부터 2024년 12월 31일까지
제 22(전) 기 2023년 1월 1일부터 2023년 12월 31일까지
주식회사 티디에스팜 (단위 : 원)
과 목 제 23(당)기 제 22(전)기
매출액 27,518,775,933 30,049,355,329
매출원가 19,796,849,039 22,108,243,546
매출총이익 7,721,926,894 7,941,111,783
판매비와관리비 3,992,263,365 2,924,696,616
영업이익 3,729,663,529 5,016,415,167
금융수익 854,225,730 525,635,164
금융비용 279,454,326 307,715,573
기타수익 19,936,696 272,262,121
기타비용 112,700,075 17,495,014
법인세비용차감전순이익 4,211,671,554 5,489,101,865
법인세비용 493,866,259 801,140,078
당기순이익 3,717,805,295 4,687,961,787
기타포괄이익(손실) 153,816,981 (20,203,516)
후속적으로당기손익으로재분류되지않는항목 153,816,981 (20,203,516)
순확정급여제도의 재측정요소 159,811,599 32,467,694
기타포괄손익-공정가치측정금융자산 평가이익 - -
기타포괄손익-공정가치측정금융자산 평가손실 (5,994,618) (52,671,210)
후속적으로당기손익으로재분류되는항목 - -
총포괄이익 3,871,622,276 4,667,758,271
주당손익    
기본주당이익(희석주당이익) 803 1,101

3) 자본변동표

자 본 변 동 표
제 23(당) 기 2024년 1월 1일부터 2024년 12월 31일까지
제 22(전) 기 2023년 1월 1일부터 2023년 12월 31일까지
주식회사 티디에스팜 (단위 : 원)
과 목 자본금 자본잉여금 기타자본구성요소 기타포괄손익누계액 이익잉여금 합계
2023.01.01(전기초) 500,000,000 - (2,706,104,250) (745,340,528) 21,259,903,682 18,308,458,904
당기순이익 - - - - 4,687,961,787 4,687,961,787
순확정급여채무 재측정요소 - - - 32,467,694 - 32,467,694
기타포괄손익-공정가치측정금융자산 평가손익 - - - (52,671,210) - (52,671,210)
기타포괄손익-공정가치측정금융자산 처분손익 - - - 180,659,538 (212,333,674) (31,674,136)
2023.12.31(전기말) 500,000,000 - (2,706,104,250) (584,884,506) 25,735,531,795 22,944,543,039
2024.01.01(당기초) 500,000,000   (2,706,104,250) (584,884,506) 25,735,531,795 22,944,543,039
당기순이익 - - - - 3,717,805,295 3,717,805,295
순확정급여채무의 재측정요소 - - - 159,811,599 - 159,811,599
기타포괄손익-공정가치측정금융자산 평가손익 - - - (5,994,618) - (5,994,618)
재분류조정 - - - - (159,811,599) (159,811,599)
유상증자 53,000,000 6,477,673,262 - - - 6,530,673,262
자기주식의 처분   3,492,462,750 1,824,750,000 - - 5,317,212,750
2024.12.31(당기말) 553,000,000 9,970,136,012 (881,354,250) (431,067,525) 29,293,525,491 38,504,239,728

4) 현금흐름표

현 금 흐 름 표
제 23(당) 기 2024년 1월 1일부터 2024년 12월 31일까지
제 22(전) 기 2023년 1월 1일부터 2023년 12월 31일까지
주식회사 티디에스팜 (단위 : 원)
과 목 제 23(당)기 제 22(전)기
Ⅰ. 영업활동으로 인한 현금흐름   3,929,111,224   3,293,663,614
1. 영업에서 창출된 현금흐름 4,035,836,973   3,871,052,884  
2. 이자 수취액 727,944,879   382,973,219  
3. 이자 지급액 (262,178,593)   (280,427,523)  
4. 법인세 환급액(납부액) (572,492,035)   (679,934,966)  
Ⅱ. 투자활동으로 인한 현금흐름   (13,310,903,659)   (4,769,698,050)
1. 투자활동으로 인한 현금유입액 27,516,110,002   10,518,894,142  
단기금융상품의 감소 27,500,000,000   8,500,000,000  
장기금융상품의 감소 -   389,185,070  
기타포괄손익인식측정대상금융자산의 처분 -   1,593,120,870  
건물의 처분 1,110,000   -  
차량운반구의 처분 -   200,000  
임차보증금의 감소 10,000,000   29,998,646  
국고보조금의 수령 5,000,002   6,389,556  
2. 투자활동으로 인한 현금유출액 (40,827,013,661)   (15,288,592,192)  
단기금융상품의 증가 40,000,000,000   15,000,000,000  
장기금융상품의 증가 -   9,224,100  
단기대여금의 증가 80,000,000   -  
임차보증금의 증가 29,572,000   8,000,000  
기계장치의 취득 66,795,455   9,850,000  
차량운반구의 취득 -   5,196,446  
공구와기구의 취득 62,490,000   16,700,000  
비품의 취득 15,032,000   77,810,546  
건설중인자산의 취득 571,384,206   104,261,100  
소프트웨어의 증가 1,740,000   57,550,000  
Ⅲ. 재무활동으로 인한 현금흐름   12,450,044,540   175,194,418
1. 재무활동으로 인한 현금유입액 13,390,000,000   300,000,000  
주식의 발행 6,890,000,000   -  
자기주식의 처분 6,500,000,000   -  
장기차입금의 증가 -   300,000,000  
2. 재무활동으로 인한 현금유출액 (939,955,460)   (124,805,582)  
유동성장기부채의 상환 200,000,000   -  
리스부채의 상환 120,628,722   124,805,582  
주식발행비 지급 619,326,738   -  
Ⅳ. 현금및현금성자산의 증감   3,068,252,105   (1,300,840,018)
Ⅴ. 기초의 현금및현금성자산   1,636,062,804   2,937,114,945
Ⅵ. 현금및현금성자산의 환율변동효과   20,702   (212,123)
Ⅶ. 기말의 현금및현금성자산   4,704,335,611   1,636,062,804

5) 이익잉여금처분계산서(안)

이 익 잉 여 금 처 분 계 산 서
제 23(당) 기 2024년 1월 1일부터 2024년 12월 31일까지
제 22(전) 기 2023년 1월 1일부터 2023년 12월 31일까지
주식회사 티디에스팜 (단위 : 원)
구분 당 기 전 기
처분예정일 : 2025년 3월 25일 처분확정일 : 2024년 3월 29일
Ⅰ. 미처분이익잉여금   29,293,525,491   25,735,531,795
1. 전기이월미처분이익잉여금 25,735,531,795   21,259,903,682  
2. 당기순이익 3,717,805,295   4,687,961,787  
3. 기타포괄손익-공정가치측정지분증권의 처분 -   (212,333,674)  
4. 순확정급여제도의 재측정요소 (159,811,599)      
Ⅱ. 이익잉여금처분액   -   -
Ⅲ. 차기이월미처분이익잉여금   29,293,525,491   25,735,531,795

6) 재무제표 주석사항정기주주총회 개최 1주 전(2025년 3월 17일)까지 전자공시시스템(http://dart.fss.or.kr)에 공시하고, 회사 홈페이지(www.tdspharm.com)에 공고예정인 당사의 감사보고서를 참조하시기 바랍니다.

- 최근 2사업연도의 배당에 관한 사항 당사는 최근 2사업연도 배당내역이 없습니다.

□ 정관의 변경

제2호의안 : 정관 일부 변경의 건

가. 집중투표 배제를 위한 정관의 변경 또는 그 배제된 정관의 변경

변경전 내용 변경후 내용 변경의 목적
- - -

나. 그 외의 정관변경에 관한 건

변경전 내용 변경후 내용 변경의 목적
제32조(서면에 의한 의결권의 행사) ① 주주는 총회에 출석하지 아니하고 서면에 의하여 의결권을 행사할 수 있다.② 회사는 제1항의 경우 총회의 소집통지서에 주주의 의결권 행사에 필요한 서면과 참고자료를 첨부하여야 한다.③ 서면에 의하여 의결권을 행사하고자 하는 주주는 제2항의 서면에 필요한 사항을 기재하여, 회일의 전일까지 회사에 제출하여야 한다. (삭제) 주주 편의성 증대

※ 기타 참고사항

- 해당사항 없음.

□ 이사의 보수한도 승인

가. 이사의 수ㆍ보수총액 내지 최고 한도액

(당 기)

이사의 수 (사외이사수) 4 ( 1 )
보수총액 또는 최고한도액 1,000백만원

(전 기)

이사의 수 (사외이사수) 4( 1 )
실제 지급된 보수총액 657백만원
최고한도액 1,000백만원

※ 기타 참고사항

- 해당사항 없음.

□ 감사의 보수한도 승인

가. 감사의 수ㆍ보수총액 내지 최고 한도액

(당 기)

감사의 수 1명
보수총액 또는 최고한도액 1,000백만원

(전 기)

감사의 수 1명
실제 지급된 보수총액 3백만원
최고한도액 1,000백만원

※ 기타 참고사항

- 해당사항 없음.

IV. 사업보고서 및 감사보고서 첨부

가. 제출 개요 2025년 03월 17일1주전 회사 홈페이지 게재
제출(예정)일 사업보고서 등 통지 등 방식

나. 사업보고서 및 감사보고서 첨부

상법 시행령 제 31조(주주총회 소집공고) 4항 4호에 따른 사업보고서 및 감사보고서는 정기주주총회 개최 1주 전(2025년 3월 17일)까지 전자공시시스템(https://dart.fss.or.kr)에 공시하고, 회사 홈페이지(www.tdspharm.com)에 게재할 예정입니다.향후 사업보고서는 오기 및 정기주주총회 결과에 따라 수정될 수 있으며, 수정된 사업보고서는 전자공시시스템(https://dart.fss.or.kr)에 업데이트 될 예정이므로 이를 확인하시기 바랍니다.

주주총회 이후 변경된 사항에 관하여는 전자공시시스템(https://dart.fss.or.kr)에 제출된 사업보고서를 활용하시기 바랍니다.

※ 참고사항 ▶ 주총 집중일 주총 개최 사유 : 해당사항 없음▶ 당해 사업연도의 재무제표는 외부감사인의 감사가 완료되지 않은 재무제표로서,추후 감사과정에서 변경이 있을 수 있습니다.▶ 최종 대차대조표(재무상태표)ㆍ손익계산서(포괄손익계산서)ㆍ자본변동표ㆍ현금흐름표ㆍ이익잉여금처분계산서(안) 또는 결손금처리계산서(안) 및 상세한주석사항은 정기주주총회 개최 1주 전(2025년 3월 17일)까지 전자공시시스템(http://dart.fss.or.kr)에 공시예정인 당사의 감사보고서를 참조하시기 바랍니다.